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2 -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³»Áö_10-6


¾Æµ¿ÇÐ´ë º»¹®.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152*220

(012~031)223교과(교)2-1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 pb61۲õðÀÚÀ̳ʸ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SMART Podium 500 시리즈 대화형 펜 디스플레이 사용자 설명서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단양군지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CC hwp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ePapyrus PDF Document

ROK-WhitePaper(2000).hwp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고객 센터 사용자 가이드

04 Çмú_±â¼ú±â»ç

로그인 / 회원가입필요없는학습자료무료제공사이트 레전드스터디닷컴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AVG PC TuneUp 2015 User Manual

untitled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½Å½Å-Áß±¹³»Áö.PDF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2ÀåÀÛ¾÷

allinpdf.com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My Document

국사관논총_55집.hwp

2002report hwp

국사관논총_59집.hwp

나하나로 5호

CR hwp

歯이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AVG Network edition (User Manual)

°¨Á¤Æò°¡

Á¦190È£(0825).hwp

AVG Internet Security User Manual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1¸é¼öÁ¤

<B3EBC6AE322E687770>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AVG AntiVirus User Manual

Çѹ̿ìÈ£-197È£

AVG Internet Security User Manual

가가 (MILK) (MILK) 게 게 동 게 가 원 게 게 가가 가가 라 가가 라 로 빠르게 로 빠르게 동 검색가 원 가르로 원 르로 검색 가가 게 르 가가 르 라 라 가 원 동 동 가 게 게 (Papergarden) (Papergarden) 검색 검색 2 2 바깥 원

AVG Performance User Manual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pdf..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01정책백서목차(1~18)


0001³»Áö

AVG Internet Security 2015 User Manual

AVG AntiVirus 2015 User Manual

ad hwp

ok.

#7단원 1(252~269)교

레이아웃 1

ÃѼŁ1-ÃÖÁ¾Ãâ·Â¿ë2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교육목적 TCMSTaBfrsir 系 혓 冬,i조- j1si ci' K3J Bsnsp nm v 紅 技! 石 송* 亡 卜 '* f-~'>~ '.; -'v ^ 厂, C 2 J C 5 P 우* 5 육: 金? rss m is tss'm 田 as 명 政.... t rasihes

Çʸ§-¾÷¹«Æí¶÷.hwp.hwp

CONTENTS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09콘텐츠산업백서_1 2

Jkafm093.hwp

µ¶¸³Á¤½Å45È£

¹ßÇ¥¿äÁö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법률 제9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도시정비법 이라 한다) 제4조 제1항, 제3항은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의 시장이 정비구 역을 지정하거나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제외한

041~084 ¹®È�Çö»óÀбâ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AVG Protection User Manual

¼øâÁö¿ª°úÇÐÀÚ¿ø


Transcription:

鮮前期 鄕村自治制 朝 머리말 Ⅰ. 朝鮮初期 地方統制策과 在地勢力 1. 士林 登場과 鄕村自律推究 Ⅲ. 士林中心 鄕村自治秩序 Ⅳ. 朝鮮前期 鄕村組織 類型과 性格 1. 留鄕所와 京在所 2. 鄕約과 鄕規 3. 香徒里社洞契 맺음말 李 海 濬* 머리말 조선전기 향촌사회1)는 선초에 정립된 군현체제 속에서 중앙정부에 해 추진되는 수령 중심 행정조직체계와, 에 대립갈등하면서 일정하게 자율적 향촌지배 모색했던 在地 勢力, 그리고 러한 지배층들과는 다르게 자연촌적 체계 속에서 생활공동체 일부 존재 하던 기층민들 각기 서 다른 해관계 지면서 공존하고 있었다. 특히 麗末鮮初라고 하는 전환기적 상황 속에서 들 목표와 식 각기 다른 세력들 자신들 기반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 으 생각되며, 에 대한 점 검 시기에 대한 연구 중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 아닐 수 없다. 대체 제까지 시기에 관련된 연구들 ① 중앙정부 지방통제정책나 ② 에 반 발대응하면서 향촌지배권 확보해는 在地勢力(특히 士族)에 초점 맞추어져 있었고, ③ 시기 향촌사회 내부 문제 보다 직접적인 관심대상으 삼 연구 최근 들어 일부 시도된 정도다.2) 그러나 필자는 같 일련 연구물 대하면서, 시기 기층 촌락민 나 촌락사회 상태에 대해서는 아직도 그 연구 충분하지 못하다는 아쉬움 져왔었 다. 같 아쉬움 사실상 필자만 생각 아닐 다. 러한 현상 연구 상 여러 한계들(특히 자료 부족)부터 기인된 으 여겨지는데 지금으서는 새운 연구방법 모색 루어지지 않는 한 그 성과 쉽게 기대할 수 없는 형편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시기 기층사회 모습 반영하는 자료 전무한 아니다. 특 히 香徒 와 같 향촌조직 기존 지배층 중심 해나 인식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었음에도 구체적인 연구 거 진행되고 있지 않 실정다. 고려시대 불교신 * 木浦大學 史學料 副敎授. 1) 필자 본고에서 다룰 과제는 조선시대 외관제와 향촌자치제 라는 공동주제 중 조선전기 향촌자치조직문제였고, 공동연구 한 부분기 때문에 집약된 주제나, 한 주제에 얽매인 논 리적 규명보다 필자 맡 분야 타 공동연구자들과 균형있게 전체적으 다루어야 하였다. 그리고 같 연구목적상 外官制와 대응하는 향촌조직과 그 성격 정리하는 선에서 머물 게 되었는바 점 역시 글에 앞서 밝혀둔다. 2) 李泰鎭李樹健韓永愚李成茂李存熙 등 그 대표적 연구자들서 본 논문 정리 과정에서 들 연구성과는 커다란 도움 되었다. 한편 최근 들어 시기 사회성격에 대해 새운 시각에서 분석 시도하는 朴翼焕金武鎭朴鎭愚任先彬 연구도 괄목된다. - 29 -

앙결사체서 그 기능과 역할 수행했던 香徒組織 조선전기 사회에서 어떠한 기능과 성 격 지니며 변모했느냐 하는 문제는, 시기 향촌사회 기층민 모습과 연관시켜 매우 중 요한 연구 과제라고 생각된다.3) 조선전기 향촌사회에 관한 연구 성과 중에서 우리 지적해 낼 수 있는 또 하나 한계 점 향촌사회 제도적념적으 관리되는 단순한 대상 으서만 주목하여 왔다는 점 다. 일정 시기 사회구조나 성격 제도와 념적 관행 결산물었느냐, 아니면 반대 그러한 사회 상태 제도와 념으써 定型化하였느냐 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다시 검토될 사항라고 생각한다. 물론 본고 역시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 문제식 완전히 해소하는 내용 담고 있지 못한 상태나, 러한 점들 앞으 점차 보완극복되어야 할 며 과정에서 李泰鎭 朴鎭愚 연구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한편 논문 체제상 다소 문제는 있으나 본고 논배경 되는 조선전기 군현단위 하 부구조서 촌락기반문제 간략히 언급하고 본론에 들어고자 한다. 군현단위 조직과 성격 李存熙 교수 시기 외관제 연구에서 거론될 지만 말단 촌락에 관하여는 補足 기회 없기 때문다. 고려중후기 래 추진되어오던 군현제도 개편작업 麗末鮮初에 르러 보다 적극적 으 단행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초에는 전국 300 여 개 상 고에 守令 파견될 수 있었다.4) 그러나 아직도 지방에는 상당수 屬縣과 鄕所部曲 등 존재하고 있어서 世宗 實錄地理志 에 하면 世宗 14년(1432) 경까지도 107개 속현과 82개 鄕所部曲莊 등 남아 있었던 으 확인된다.5) 따라서 조선 초기 군현 管內도 守令 파견되는 主邑 (邑治邑內)과 主邑에 직속되는 直村, 그리고 縣司鎭司 또는 鄕所部曲司와 人吏 또는 長吏 손 거쳐 所屬邑 守令과 연결되는 任內 있었다. 그리고 들 하부편제는 方位面 성향 강한 4 5개 面과 에 속하는 地域村으서 里社와 自然村들 병렬적으 존 재했다고 보여진다.6) 그러나 실제 조선 초기에 있어서 같 面坊里社洞村 용례는 명확한 구분 없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양각색으 호칭되고 있었다. 그 당시 기록에 面과 村 또는 里社洞村 때는 상하관계, 또는 병렬적으 존재하면서 그 명칭 혼용 되고 있음 통해서 유추 능하다. 같 郡縣 하부편제 불명확한 유는 중국에서 는 일찍 自然村 戶數 기준으 하여 行政村 편성하였으나, 조선조에서는 自然村 그대 행정촌으 편성하였기 때문으 보인다.7) 물론 鮮初부터 중앙정부는 지방군현 하부구조에 대해서 戶數에 토대 둔 획일적인 面 里制 구상하였다. 經國大典 에 구체화된 面里制 구상 보면 京外는 5 戶 1 統, 5 統 1 里 하고 몇 개 里 합쳐 1 面 만들되, 統에는 統主, 里에는 里正, 面에는 勸 農官 각각 두는 으 되어 있어서 戶數 매우 중시하고 있었다.8) 그러나 실제 面里制 3) 拙稿, 埋香信仰과 그 主導集團 성격-145세기 埋香事例 分析- ( 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 學論叢, 知識產業社, 1983). 한편 필자는 같 문제식 바탕으 조선시대 香徒組織 과 그들 촌락기반에 관한 연구 진행 중에 있다. 4) 金東銓, 朝鮮初期 守令制 硏究 ( 史學志 21, 1987). 5) 李樹健, 朝鮮初期 郡縣制整備와 地方統治體制 (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pp.392 395. 6) 와 관련하여서는 朴鎭愚, 朝鮮初期 面里制와 村落支配 강화 ( 韓國史論 20, 서울大, 1988) 참고된다. 7) 李樹健, 앞 논문 pp.397 401 및 直村考 앞 책 pp.426 452 참조. 8) 經國大典 권 2, 戸典 戶籍條. - 30 -

영 치 말단 행정 까 정착 못 듯 面 里制 행정 실 세 후 편화될 수 때 조선전 自然 集 戶 으 谷小 戶 규모 小 차 컸 落 민 거 盛 殘 으 거 새 형성 落 았 형성 말선초 래 士族 형성 성장 밀접 게 련 볼수 거 전 장 士族 세 래 鄕 妻 鄕등 따 농장 개 生 형성 邑 중심으 강 력 社會 濟 在地勢力 土姓吏族 달 邑治 위 외곽 鄕 所 部曲 등 행정 통 느슨 확 在地基盤 성 장 키 특 세 후 본격 으 진행 川防 洑 개 堰 개 등으 농 平野低地 확산 사 배 초 신생 촌 성 장 속화 갔 집약농법 근거 小農民 영 전 소농민 영 위 촌락공 체 필 전 초래 생 된 편 렇게 형성된 城 신생촌 同族集居 흑 척 얽혀진 姓貫 혈 으 성장 았 세 속 행 볼때 族 女婿 마 사 았 며 따 異姓으 성된 同族 落으 강 결속력 진 세 후 화 士族 洞契 사 형성 및 촌락 성격 배 으 조선전 수령 중심으 군현 배 강화 따 말 비 훨씬 넓 수령 직접 통 래 포함 屬縣 鄕 所 部曲 등 任內 直 化 함으 써 확장 필 으 수령권 흡수 실권 장악 吏族勢力 약화 초래 으며 신 士族勢力 져왔 鄕 支配勢力 교체 장 간 따 선후 차 으며 정 촌 배세력 성 촌조직 특성 마련 렇게 편차 조선전 형성 在地士族 위 촌질 후술 할 처럼 복잡 정 거치 으 정착 영 운 러한 구상에만 그 고 지방 구역 지 되지는 한 하다. 적인 시는 17 기 에나 보 있었다고 보여지기 문다.9) 기 村 村일 경우 50 60 상 도 있었 나 山 村일 경우에는 10 미만도 있어서 村 에 大 다. 러한 村 주 동에 하여 과 村 村 되 나 廢村 되기도 하고 반대 되는 村 도 많 다. 경우 新村 에는 여 기반 매우 하 관 되어 있다고 있다. 당시 주 자유 보 되어 있었던 15 기 外 연고지 라 설하면서 新 村 하였다. 들 司 한 的經 的 기반 보유하던 麗朝 인 과는 리, 주 지대 또는 과 같 적 제 한 지역 보하여 시 고 있었다.10) 히 16 기 적 되는 ( ) 발, 田 발 경지역 되면서11) 족적 경 기 하는 자연 도 급 되어 다. 또한 시기 에 한 경 발 경 한 동 연적 발 도 하였다고 각 다.12) 한, 外 들 인 관계 2 3 연적 유대 기반 했던 경우 많 다. 15 기 족제도와 상 관 外 한 에 는 경우는 매우 많 13) 라서 구 경우 에도 村 서 한 졌다고 보여 다. 16 기 에 일반 되는 들 러한 족 경 하고 있음 주지하는 바다. 또 기 한 지 에 라 고려 에 해 지역들 제 아 되었는바, 는 주 나 村 되었다.14) 경우에는 연적 들 에 되는 지역에서 하고 있던 상대적인 하였 대 부상 다. 러한 村 는 기 에 걸쳐 지역에 라 지면서 루어졌 과 에서 향 지 구 나 향 지역적 도 되고 있었 다.15) 지역적 는 있지만 기에 되는 주 향 서는 바 하고 다양한 과 면서 계기적 운 되어 고 있었던 다. 鮮初期 地方統制策과 在地勢力 Ⅰ. 朝 拙稿, 17세기초 晋州地方 里坊再編과 士族 ( 奎章閣 6, 서울大, 1982) 및 金俊亨, 朝鮮 後期 面里制 性格 (서울大석사학위논문, 1982). 그러나 조선 초기에 미 面里體系 마련 되었다고 보는 朴鎭愚(주 6 논문) 견해도 있다. 10) 앞 주 7) 과 같음. 11) 李泰鎭, 16세기 川防(洑) 灌概 발달 ( 韓㳓劤停年紀念 史學論叢, 1981) 및 16세기 연해지역 堰田개발-戚臣政治 經濟的 背景一端-, ( 金哲埈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1983). 12) 金俊亨, 18세기 里定法 展開一村落 기능강화와 관련하여- ( 震擅學報 58, 1984) p.77. 13) 李樹健, 直村考 p.445. 14) 李樹健, 위 논문 pp.431 437. 15) 李樹健, 위 논문 p.449. 9) - 31 -

末鮮初 사회변화는 단순한 왕조교체 아니라 고려 말기 政治的社會經濟的思想的 혼란 극복하면서 성립된 었다고 파악된다. 즉 여말선초 변화는 몽고간섭기 후 정치기강 극도 문란해진 상황 속에서 權門勢 族中心 구정치질서 속에 새운 中小地主 出身 신흥사대부 세력들 담하면서 양자 간 갈등대립 구조적으 재편된 었다. 와 함께 대외적으 元明 교체와 北虜 南倭현상 국내정치질서에 미친 영향, 무신란 후 권문세족들 농장 확대와 대토지겸병 으 인한 농민 流民化奴婢化 현상, 그리고 새운 시대사조서 신유학사상인 성리학 불교계 폐단 공격하면서 성장하였던 상황들도 같 구조적 변화 능토록 하였다. 물론 구세력 자체 내에서도 러한 모순 개혁하려는 시도 일부 있기는 하였으나, 미 고려조정 그 모순 시정할 만한 능력 상실하고 있었으므 모두 실패하였다. 러한 정치사회경제사상적인 구조 재편 중앙 물론 지방사회 질적인 구조와 통치체계 상에도 반영되어 나타나게 마련었으며 에 대한 성격 규명 바 본 장에서 목적하는 麗 바다. 대 체 조선 초기 지방통치책 같 여말 해해진 향촌질서 재편성하여 강력한 중앙집권체제 구축하는 방향으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長吏集團 擧郡的인 규모와 성격 지는 향촌공동체 지배하는 일 반적었다. 즉 고려전기 향촌사회구조는 독자성 지니지 못한 수 개 자연촌 모여 지역촌 루고 다시 지역촌 수 개 모여 郡縣 루었던 으 파악된다.16) 따라 서 러한 군현 각 지역촌 대표하는 대소 長吏인 戶長 중심으 통치체제 형성하 였다. 고려 成宗朝부터 중앙에서 外官 파견되기 시작했으나, 들 향촌에서 권력행사 는 지방 세력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능하였다. 중앙조정에서 끊임없 추진된 屬縣 主縣化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말선초까지도 광범위한 속현 존재하였던 17) 러한 고 려시대 지방통치 한계 반영하는 다. 戶長中心 고려시대 향촌질서는 말기에 르면서 대내외 정치 불안과 왜적 잦 침 입 겪으면서 혼란해지게 되었다. 특히 권문세족 대토지 집중과 함께 야기된 유민 증 와 자영농민 노비화 현상18) 농업에 토대 두고 형성되어 있었던 향촌질서 근본에 서부터 흔들리게 하였다. 원래 여말에 등장하는 중소지주 출신 신진사대부세력 권문세족 중심 기성체제 부 정하는 데는 입장 같 하였으나, 개혁 요구와 방안에 대하여는 서 입장 달리하는 양대 세력으 나누어진다. 하나는 고려왕실 긍정하는 입장에서 개혁 추진하는 온건개 량 세력었고, 또 하나는 고려왕실 부정하는 급진세력인 역성혁명론자들었다. 양 세 력 신유학에 대한 해에 있어서도 약간 차 있었다. 여말에 도입수용된 중국 신 유학 朱子性理學 元帝國에서 굴절된 으 理論的哲學的인 면보다 實踐的倫理的인 면에 치중하였다. 그리하여 들 窮理 전에 居敬 통한 修己와 실천 앞세웠다.19) 특 히 신왕조 주체세력으 등장하는 역성혁명론자들 실천적 측면에 더욱 강한 지 보 李泰銀, 醴泉 開心寺石塔記 分析 ( 歷史學報 5354, 1972). 恭讓王 3년(1391) 전국에는 161 개 屬縣 잔존하고 있었다(李樹健, 앞 주 5 논문 참 조). 18) 梁元錫, 麗末 流民問題 ( 斗溪李丙燾博士華甲紀念論叢 1956). 19) 文喆永, 麗末 新興士大夫들 新儒學 수용과 그 특징 ( 韓國文化 3, 서울大, 1982). 16) 17) - 32 -

성 철 수준 깊 못 따 조선건 후 체 확립 위 외형 큰 심 녔 李穡으 온건개량파 朱子 地主 佃戶 上 정 질 꾀 鄭道傳 등 진개혁파 佃戶 自作農化 야 된 地主 佃戶 본 항 결 극 입장 따 조선건 후 진개혁파 수행 정책 家主義 입 央集權 며 개 초 추진 鄕 政 官權 위 두 법 성격 강 선초 정비 중앙 개편 단락 太 후 종 道체 갖추 監務 철폐 으며 군현 호칭 정비 조선 초 련 군현 개편 世祖 월 郡縣竝 事目 져 郡小郡縣 統 郡縣治所 定 등 군현정비 마무 까 속 결 군현 토 비례 합 으 재조정 세종 말까 군현 수 줄 렇게 군현 정비 속현 현화 꾀 함께 중앙정 궁극 으 촌질 수령 위 재편성 외 품 격 종 수령 임법 민 소금 법 실 세종 등 모두 촌 수령권 강화 위 조치 선초 수령 게 행정 사법 군사권 등 立法權 외 담 절 권 중앙정 수령 중심 촌질 형성 수령권 통 중앙집권 강화 예컨 행정 통 찰사 통 본 통 외 수 臺監察 分臺御 敬差官 察訪 問民疾苦 問弊 등 官 파 정책으 선초 느 정 중앙집권화 능 중앙집권 며 수령중심 촌통치책 존 촌세력 심 불 으켰 재 세력 在地吏族勢力 在地士族勢力으 別할 수 원래 뿌 멀 말 초 호 전 長吏집단 결된 전 까 류집단 말 래 擧 功 등 통 品官으 신 승 킨 士族세력 등장 터 吏族勢力 鄕吏 士族勢力으 확 게 비록 촌사 신 달랐 선초 권위 촌정책 모두 비판 선초 강화된 수령권 항 수령능욕 타 무 모살 등 불법 법으 달 在地士族 조직 극 법으 촌사 위 확 노력 선초 京在所 치 留鄕所 혁파 복립 申 色 치폐 등 재 사 세력 官權 사 갈등 속 진 련 拮抗 선초 소 언 터 치된 세 알 수 없으 재 세력 치 인 반면 주자 리학 학적 해 지 했다. 라서 들 국 에도 제 하여 주 적 제도에 보다 관 지 다. 대표되는 學 와 와 下關係 설 에서 고려적 서 유지 하려는데 대하여, 급 는 에 해 기 와 間 기 적 대 관계 해 하는데 적 적인 었다.20) 라서 국 급 에 하여 되는 國 에 각한 中 的 경향 보, 들 국 에 한 村 策도 우 에 려는 제적 논 하였다. 지방제도 는 관제 일 되는 宗 13년 에 주 루어졌 다. 태 13년에 8 제 고 하였 도 하였다.21) 같 기 일 제도 2년(1456) 11 에 合 만들어 22) 合割合, 新 리되기 지 계 되었다. 과 각 지와 인구 에 하여 리적 되어 지는 300여 어들었다. 제도 하고 주 하는 과 부는 적 향 서 주 하고자 하였다. 관 계 상(태 대), 구 과 부 고 지 시 ( 대) 같 향 에서 한 였다.23) 그리하여 에 는 제 한 당 고에서 대 부여되었다. 당시 부는 향 서 하고 제하여 하고자 하였다. 대 계 인 관 한 기 적 제 에도 시 行 史 使 使 使 朝 견하기도 하였다. 러한 에는 어 도 하였다.24) 그러나 러한 적 적인 향 기 향 한 반발 러 일 다. 당시 지 과 大 있다. 들 그 리 리 나 여 족과 고려 기 에 연 다. 고려 기 지 만 해도 동 었던 들 여 科 軍 하여 분 상 시 하면서부 ( )과 연한 구분 루어지 되었다.25) 그러나 들 각기 향 회에서 분적 해관계는 다고 하더라도 관 주 향 에 대하여는 적었다. 다만 에 대한 향리 반 구 고 주 적 방 루어졌던 과 는 리 보다 적고 적 적인 방 향 회에서 우 보하고자 하였다. 설, 와, 明 지 족 과 에서 루어 일 들었다.26) 유향 제부 설 기구인지는 자 히 나 지 자 기구 韓 愚 鄭道傳思想 硏究 (서울大出版部, 1973) pp.167 175. 太 實錄 권 太宗 13년 10월 辛酉條 ①-690 下 a. 世祖實錄 권 世祖 2년 11월 己丑條 ⑦-158 上 a. 金東銓 및 任先彬, 朝鮮初期 守令制度 變遷과 運營 (한국정신문화연구원석사 위 참조. 任先彬 위 참조. 李成茂 鮮初期 鄕吏 ( 韓國史硏究 5, 1970). 李樹健 後期 土姓硏究 ( 東洋文化 20.21, 1981). 任先彬 pp.62 64. 20) 永, 21) 宗 26, 22) 5, 23), 앞 논문 학 논문, 1987) 24), 논문 25), 朝, 高麗 26), 앞 논문 - 33 -

등장 소 수령저훼 太 혁파된 소 재 사 장악 거 긴밀 증 조선 초 중앙집권 통 응할 수 큼 재 사 세력 성장 왔 증거 할 권 위 촌통 식 용 게 정착될 수 없 太 申 色 확 된 申 色 소 성격 강 불 행후불 몇 太 혁파 세종 르 민 소금 법 수령 임법 수령 소 군현 강 등조치 마련됨으 써 수령권 강화정책 욱 강력 게 추진된 재소 정비 통 소 장악 록 조치 품 으 재 사 위 배력 위축 켰 결 재 사 차 호 수단으 수령권 타협 거 결탁 게 된 세조 말 행 진 차 소 혁파 초 수령능멸 수령 소 결탁 민침 현 증 살펴 본 조선 초 중앙 집권 통 책 게추 촌 실 수령권 강화될 수 현 능 배 건 초 외형 조건 외 촌 치권행사 在地吏族세력 在地士族세력 게 넘 으며 말 암 힘 평형 깨 때 따 성종 조 후 재 사 세력 재 세력 르 촌 독 위권 획득 게 때 수령권 위 촌통 책 능 게 한 만 분명하다. 유향 유 宗 6년(1406)에 유향 지 족에 해 되 나 적어도 한 관계에 있었다는 반 인 동시에 기 적인 지방 제에 대 있 만 지 족 되어 었다는 라고 만하다. 그러나 러한 관 우 향 제 방 하 었 음 뒤 宗 15 17년 明 置廢에서도 인 다. 明 유향 보다 관제적 한 기구였음에도 구하고 시 과 년 만인 宗 17년에 되고 있었던 다. 그런데 대에 면 부 고 지 구 에 뒤어 고 하는 27) 더 하 다. 더구나 경 제도 28)는 유향 관 대표되는 해 연고지 유향 하도 한 지 족 지 와 지 시 고, 그 과 지 족들 점 자기보 과 하 나 하는 경향도 보 다. 에 하여 2 유향 유 국 과는 반대 과 유향 에 한 부 학에 있었던 29) 바 그러한 상 반 하는 었다. 상에서 바와 같 기에 에서는 적인 지방 제 일관되 구하였고, 향 에서도 제 있었다. 같 상 했던 경 국 라는 적 에 향 자 에서 에 어는 과도기였 그 미 아 상태 지고 있었기 문었다. 라서 에 지 족 지족 누 고 향 에서 점적인 우 하 되었 더 상 주 향 제 하지 않 되었다. Ⅱ. 士林 登場과 鄕村自律推究 조선 초 급진개혁파들에 해 추구된 중앙집권적 관료체제와 그 정책들 신왕조 개창 후 1 세기 지나자 그 한계와 모순 드러내기 시작했다. 즉 15세기 후반에 르러 집권층 관권 배경으 私利 도모하면서 귀족화보수화하자 건국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던 계열 성리학자들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정통 성리학파 자처하면서 정치적으 부상한 들 바 사림세력었다. 士林勢力 경제적 기반 주 지방에 있는 土着地主였다. 선초 중앙지배층 그들 경제적 토대 주 국에서 지급되는 토지에 존하였다. 그러나 15, 16세기 경과하 면서부터는 수조권 취득나 수조지 자체 私有化에 한 들 수입원 확대 불능 해졌다. 그리하여 농민소유지나 관유지 매입고리대차압신전개발과 같 사적 소유지 확장 통해 자신들 경제적 기반 마련하고자 하였다. 러한 농지들 종전과는 달리 地主佃戶制에 해 경영되기 마련었고30) 러한 경영방식 재지지주층인 사림 세력 자기들 중심 지배질서 확립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사실 선초 관권우위 중앙정부 향촌정책에 비판적인 자세 보인 사림세력들 성종 전에도 산발적으 자신들 주장 피력하고 있었다. 세종 말에 건되어 문종 세조 조 27) 世宗實錄 권 44, 世宗 11년 5월 丙辰條 ③-180 上 b 下 a. 28) 世宗實錄 권 69, 世宗 17년 9월 己巳條 ③-649 下 ab. 29) 李泰鎭, 士林派 留鄕所復立運動 ( 韓國社會史硏究, 1986). 30) 李景植, 16세기 地主層 動向 ( 歷史敎育 19, 1976). - 34 -

확대 실시되었던 社倉制31)는 재지중소지주였던 사림세력 입장 반영한 었다. 社 倉 본래 鄕約과 더불어 朱子 향촌자치론 2대 기간 루는 었다. 鄕民 기아 막아 향촌공동체 안정시키려는 사창제는 지주적 시각에서 발상된 었고, 그 운영주 체인 향촌세력 향촌지배 능케 하는 었으므 국주도형 향촌지배 구상하던 官 學派들에게는 환영받지 못하였다. 15세기에 사창반대론 편 黃喜孟思誠鄭昌孫辛碩祖崔恒李石亨金禮蒙梁誠之柳誠源 李克堪徐居正魚孝瞻申叔舟李塏 등 거 集賢殿 학자들었다. 반면에 사창 찬성론자 들 李季甸李甫欽河緯地金宗瑞河演南智 등 주 재야 성리학자계열었다. 그나마 시기 (문종 세조 조)에 실시되었던 사창제는 주자사창과는 달리 창곡 사창곡 元本으 삼고 사창운영 수령 주도하는 등 국주도형으 변용된 었다.32) 사창제 국주도적인 에서 탈피하여 순수한 향촌자치적인 으 정착된 金宗直 후 일다. 김종직 밀양에서 실시하였던 義財는 士族들에 해 설립주도된 으 향촌세력 중심었고, 사림 중심 향촌지배질서 확립되는 선조 조에 르러서야 비소 鄕約 및 契와 결합된 특수형태인 李爾 사창제 실시 능해진다.33) 한편 士林勢力 사상적으도 훈구세력 治人 에 치중했던 과는 달리 修己 강조 하는 경향 지녔다. 들 약 1 세기 간 중앙정계에서 배제되어 있는 동안 程朱學 보다 철저히 연구하면서 學緣 통해 결속 루어 나고 있었다. 그리고 주자학론으 철저 하게 무장하는 과정에서 소학 강조하게 된다. 朱子 小學 12 세기 地主油戶制 기축으 한 南宋 士大夫社會에 적합한 교과서서 편찬된 었는데, 시기 사림 세력들도 朱子的인 시각과 인식 위에서 소학 에 한 사회교화 구상하고 실행했던 다. 점에서 소학 보급운동 주목된다.34) 여말 래 읽혀지기 시작한 소학 權近 勸學事目 에서도 미 京外學校 필수 과목으 채택되고 있었다.35) 그러나 鮮初에는 출세 관문었던 과거시험에서 강경보다는 제술 압도적으 중시되었기 때문에 16세기 초까지도 소학 경시 또는 기피하는 현상 계속되었다.36) 훈구파 집권하여 국주적인 입장에서 정책 수행하던 시기에는 소 학교화 필요성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인식되었지만, 사회현실 속에서 절실히 요청되는 단계는 아니었던 다. 그러나 16 세기 초부터는 소학 인식과 보급 급속한 진전 보는데, 는 사림세력 성장과 궤 같 하는 었다. 같 소학보급운동에서 간과할 수는 없는 소학 에 실려 있는 여씨향약 보 급다. 물론 여씨향약 과 비슷한 향촌교화 방법으 미 성종대 유향소 건립과정에 서 향사례나 향음례 주장된 적 있었다. 그러나 당시는 사림기반 미약으 논 단 계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呂氏鄕約 그 내용상 재지세력으서 士林基盤 강화하고 31) 吳焕一, 朝鮮初期 社倉에 대한 考察一社倉論과 運用方案 中心으- ( 又仁金龍德博士停 年紀念 史學論叢, 1988). 32) 韓永愚, 朝鮮前期 社會思想硏究 (서울大出版部, 1983) pp.108 111. 33) 韓永愚, 위 책 pp.111 112. 34) 李樹健, 李朝時代 小學 敎育에 대하여 ( 嶺南大論文集 2, 1969). 金駿錫, 朝鮮前期 社會思想-( 小學 사회적 기능 분석 중심으- ( 東方學志 29, 1981). 朴連鎬, 朱子學 根本倍養說과 朝鮮前期 小學 敎育 ( 淸溪史學 2, 韓國精神文化硏究 院, 1985). 35) 太宗實錄 권 13, 태종 7년 3월 戊寅條 ①-388 上 b 389 上 a. 36) 李成茂, 鮮初 成均館硏究 ( 歷史學報 3536, 1967). 에 - 35 -

배체계 정당화시키는 논리서 다른 어느 보다 적합한 었다고 여겨진다. 士林 중심으 한 향촌질서 구상 향약 실시 주장하기 전에 성종 조에 주장되 었던 留鄕所復立運動에서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성리학적인 향촌교화 한 방법인 鄕射 禮鄕飮酒禮 실행 통해 재지품관중심 향촌자치체제 확립 목표 했던 복립운동 사림세력 기반 아직 미약했기 때문에 효력 거둘 수 없었다. 실제 사림 세력 우세했던 영남 일대 제외하고는 대부분 복립유향소 훈구계열 관권 용하여 장악 했던 다. 그리하여 복립된 유향소 혁파건 (1490년) 오히려 士林쪽에서 제기되기에 른다.37) 그 후 사림파들 司馬所 중심으 유향소에 대항하기도 했지만,38) 성종 23년 후부터 는 중앙무대에서 당시 집권층에 대한 맹렬한 공격 펼치기 시작했다. 戊午士禍는 士林派 격렬해진 공격에 대한 훈구파 철퇴였다. 사건으 인해 사림파 향촌정책 주춤 하지 않 수 없었고, 무오사화 후 연산군 학정 계속되자 경재소유향소는 勳臣들 지배수탈기구 변모해 갔다. 러한 현상 中宗反正功臣 대부분 훈신류였기 때문에 중종초까지도 계속되었다. 그러나 과전법체제 허물어진 상태에서 지주전호관계에 유리한 사림세력 다시 등장하는 시대 대세였다. 그리하여 들 정치적 주도권 잡기 시작한 중종 10년대 후 되면 사림세력 국 주도적 향약 전국적인 시행 주장하기 에 른다. 향약 周禮 향대부제에서 기원한 으 北宋 呂大盷형제와 南宋 朱子에 해 서 론적으 체계화되었다. 小學 과 性理大全 등에 실려서 여말선초 주자학 수용과 함께 우리나라에 소개된 향약 朱子增損呂氏鄕約 었다. 주자 향약 士大夫 = 地主 향촌에서 지배권 확립하기 위한 鄕村自治規約다.39) 따라서 국주적 정책 추된, 선초에는 거 실시되지 못하다 사림세력 중앙무대에 등장하면서 국 주도적 향약 시행 주장되기 시작했고, 사림세력들 향약 전국적인 시행 통해 향촌에서 주도권 장악하고자 했던 다. 鄕約 시행 중종 전에도 지역에 따라 士族들에 해 부분적으 시도되었다. 그러나 러한 개별적인 향약 시행 주자향약 성격과는 달리 사족들만 모임으 신분적 폐 쇄성 지니게 마련었다. 는 전통적인 향촌지배질서 반영하는 으 守分과 敎化 강조하는 주자향약과는 달리 士族相互間 位階秩序 중요시되고 鄕權장악 주목적었 다. 따라서 러한 향약 좁 미 (朱子)鄕約과 구분하여 鄕規라고도 부 수 있다. 중 종 조에 중앙에서 사림세력들에 하여 추구된 정책적인 국 주도적 향약 시행 러한 士族들 結社體인 鄕規 에, 常民들에 해 운영되던 기존 香徒 조직과 같 共同體組織 편입하려는 도 지니고 있었다. 呂氏鄕約 보급시행 공인되는, 中宗反正 후에 기용된 사림계열들 정치적 우세 획득하는 중종 12년(1517)부터였다. 는 중종 6년(1511)에 천거에 해 중앙정계에 진출 한 趙光祖 정치적 위치와 밀접한 관련 갖기도 한다. 시기 향약보급 중종 12년에 경상도관찰사 金安國 呂氏鄕約諺解 印刷하여 도내에 보급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그 지 李泰鎭 pp 燕 君 記 燕 君 월 癸酉條 ⑬-328 下 ab. 馬所 성격 尹熙勉 慶州司馬所에 대한 一考察 ( 歷史敎育 3738, 1985) 참 된 守 順一郞 著 김수길 옮김 정치사상사연구 제3장 주자 생산론 pp.139 171. 37), 앞 주 29) 논문.166 182. 38) 山 日 31, 山 4년 8 司 에 대하여는, 고 다. 39) 本,, 동양 - 36 -

효과 인정되어 중종 13년에는 전국적인 향약장려 傳敎 내려졌고,40) 또한 해에 중종 金安國 다시 전라감사 임명하여 風化 도모 당부한 41) 강력한 향약확대 실시 지 보인 었다. 렇게 향약 실시 사림세력 강한 영남지방 벗어나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자 일각에서는 에 대한 비판론 대두되기 시작했다. 특히 중종 14년 5월에 여씨향약 보급 한양에까지 미치자 물 생기기 시작했다. 는 원래 여씨향약 향촌 자율적인 조직었던 데 반해 중종조 향약보급 관권 에 하여 시행 주도되었기 때문에42) 기존 향촌조직과 사에서 갈등과 대립상 노 정될 수밖에 없었던 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는 己卯士禍 향약실시 주도층인 사림 세력 실각하게 되자 더 상 강행될 수 없었다. 사림계 향약보급운동 시작된 지 2년 도 채 안되어 전면적인 혁파 종결되었으며,43) 다음 단계 보다 활발한 사림 활동기에 르러서야 그들 목적 루게 된다. 그 Ⅲ. 士林中心 鄕村自治秩序 燕山君 때부터 시작되어 약 반 세기 동안에 발생되었던 4차례 士禍는 중앙정계에서 새 부상하는 신진사림세력에 위협 느낀 훈구세력 주도한 정치적 박해였다. 그러나 사 림세력 사화 중앙 진출 다소 저지되기는 하였으나, 지방에서는 오히려 경제적교육적 기반 꾸준히 성장시켜 고 있었다. 반면 중앙관료들에게 지급되는 과전공신전 등 양반수조지는 점점 줄어들다 명종 조에 르면 王子科田 제외하고 나머지는 없어지게 되었다. 더욱 관료지배체제 강화되어 감에 따라 훈구파 정치적 특권도 그전처럼 유지될 수만 없게 되었다. 와 같 역사적 조건 훈구파 하여금 사림세력 제압하기 위해 畿湖지방에 정치적경제적 근거 마련 하고, 정치적 론무기 개발하기 위해 그들 나름으 주자성리학 깊 연구하지 않 수 없게 하였다. 와 같 훈구세력 士林化하게 되자 그들 향촌사회에 관한 인식도 달 라지게 되었다. 명종 조 후부터 중앙 정치세력들 간에서 사림중심 향촌지배질서 확 립하고자 하는 정책에 일정한 공감대 형성하게 된 도 러한 배경에서 능하였다. 한편 鄕村社會에서도 鮮初 科田體制 무너지면서 현실적으는 地主-佃戶關係 보편 화되어 고 있었다.44) 그런데 러한 추는 경우에 따라서는 收租權만 지급하고 있던 科田法체제에서보다, 地主 혹한 수탈 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16세기 후에는 점차 下層民 流亡現象 증했으며, 국에서 법제적으 生產關係 모순 해결하지 못하는 한 제는 더 상 향촌질서 형성에 관권 깊 개입할 수 없었다. 그리고 러한 분위 기 속에서는 선초와 같 半官制的 성격 유향소나 국주도하 향약실시 등 통한 향촌 實錄 권 實錄 권 朴翼煥 鮮前期 呂氏鄕約 pp 李泰鎭 士林派 鄕約普 전호 성립 金容變 鮮後期農業 李景植 세 地主層 金鴻植 鮮 代 封建社會 월 巳條 ⑮ 上a 월 壬辰條 ⑮ ab 普 性格 又仁金龍德博士停年紀念 韓 社會 pp 전 一潮閣 歷 育 基 構造 博英社 40) 中宗 32, 中宗 13년 4 己 -414 下1) 415. 41) 中宗 35, 中宗 14년 4-532 下. 42), 朝 及運動과 그 ( 1988).202 214. 43), 及運動 ( 國 史硏究, 1986).259 268. 44) 같 지주 제 발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 연구들 있다., 朝 史硏究 ⅠⅡ(, 1970)., 16 기 동향 ( 史敎 19, 1976)., 朝 時 本 (, 1981). - 37 - 叢 史學論,

질서유지책 불능하였으며 제 새운 성격 향촌질서 모색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明宗朝 넘어오면서 향약보급 및 실시과정에 있어서 中宗朝 呂氏鄕約 보급운동과는 다르게 관주도 성격 약화된다거나 지역사정 많 반영하려는 움직임들 나타나는 러한 상황 반영하고 있는 었다. 明宗 원년(1546) 周世鹏 향약실시 주청45)에 해 당시 수렴청정하던 文定王后 鄕村結契하여 하여금 患難 相救케 함 어떠한 지 議啓하도록 한 일46) 中國 鄕約과 전래 기층민 조직었던 村契 類 사에 접합 시도되는 중요한 단서 시기 향약 성격변화 엿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러한 明宗朝 中央에서 향약실시 논는 더 상 구체화되지 못하였다. 다만 그렇다고 지방에서 향약실시 중앙에서 적극적으 반대하는 도 아니었기 때문에 지방 에 따라서는 간혹 지방 실정에 맞는 변용된 향약(향규) 지방 사림들에 하여 실시되고 있었다. 예컨대 明宗 11년(1556) 퇴계 예안에서 立約한 鄕立約條, 明宗 15년(1560)에 牧使 邊協 成守琛白仁傑李珥 등에게 명하여 立約하였다는 坡州鄕約, 明宗 20년(1565) 에 全羅道 靈岩郡 鳩林里에서 朴奎精林浩 등 중심 되어 조직한 西湖洞憲 등 그러 한 예들다.47) 明宗 20년(1565) 文定王后 승하는 훈구파 몰락과 사림파 득세에 중요한 계기 된 다. 그리고 뒤 宣祖朝에는 향약에 대한 좀 더 활발한 논 전개될 여건 조성되었다. 특히 宣祖 6년(1573) 조정 대소신료들 呂氏鄕約 시행 주장하며 국왕 미온적인 태 도에 대하여 논박하는 앞선 시기 상황과 매우 대조적인 었다. 그러나 宣祖는 鄕 約難行之說 주장한 경연관 柳希春 견해 받아들여 一鄕에서 실시는 능하지만 전 국적인 실시는 불능하다고 반대하였다. 러한 분위기 속에서 禮曹에서는 중국 향약 우리 실정에 알맞게 删繁就簡하여 시행할 啓請하였다.48) 러한 예조 건는 선조 에게 받아들여지는 듯하였으나 다시 李珥와 柳希春 先行救民論 에 하여 養民爲先 敎民 爲後 라는 명목으 정지되었다.49) 그 후에도 간헐적인 향약실시 건 있었으나 모두 기각되고 결국 전국적인 규모 향 약실시는 루어지지 못하였다. 다만 런 과정에서 조관출신으서 연고지에 낙향한 사대 부들나 명망 있는 재지사족 대표자들 그들 영향력 미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향 약(향규)나 혹 동계 (동약) 등 실시하여 주민 교화하기도 하였다.50) 경우에는 대 개 呂氏鄕約 과는 달리 조선 실정에 맞게 删繁就簡된 내용었다. 상과 같 명종선조 조에는 중종 조와는 다른 분위기 속에서 향약 실시 논되고 추진되었다. 중종조 향약보급운동 지나칠 정도 급진적었다면 명종선조 조에는 지 루할 정도 점진적었다. 는 중종조 향약보급운동 실패한 에 대한 반성과 자제 탓도 있으나, 당시 집정자들 구심 갖고 신중 기한 때문었다. 그러나 중종조 신진사림들 여씨향약 별 비판나 검토 없 서둘러 보급실시하려던 과는 달리 시기에는 조선 실정에 맞게 토착화하려는 경향도 보인다. 문정왕후 鄕村結契論 도 實錄 實錄 朴翼煥 宣祖實錄 체 宣祖實錄 洞契 洞約 권 권 원 원 월 甲午條 ⑲ 上 b. 월 丁未條 ⑲ 上 ab. 및 拙稿 鮮後期 靈岩地方 洞契 成立過程과 性格 ( 全南史 권 宣祖 월 甲子條 b 및 9월 甲辰條 ㉑-272 下b 273 上 a. 내용 후술 본 장 절 鄕約과 鄕規 참조. 권 宣祖 월 丙午 壬子條 上b 291 上 b ㉑-293 下 a. 후술 장 절 香徒 里社洞契 참조. 45) 明宗 4, 明宗 년 8-441 46) 明宗 4, 明宗 년 8-444 47), 앞 주 42) 논문 朝 學 2, 1988). 48) 7, 6년 8 ㉑-268 下 구 적 하는 고 제 Ⅳ 2 49) 8, 7년 2, ㉑-290 50) 에 대하여는 하는 제 Ⅳ 3-38 -

렇 就簡 宣祖 월 예조 朱子增損呂氏鄕約 실정 맞게 删繁 장 욱 렇 후 약 행 영 치 으 중종 조 추진된 약실 성격 강 으 종 선조 조 사 自治 성격 강 큼 士林 心 촌질 형성 으 볼 수 성종 조 재 사 장 復立된 留鄕所 훈 세력 京在所 통 장악 버 재 사 馬所 중심으 항 언 馬所 數 馬 배출 야 성립된 전 조건 함께 건물 체 鄕 빌 쓰 등 官 존 야 짙 편 사화 생 사림파 둔생활 촉진 사림파 금 정착 性理 게 편 精舍 書堂 등 私 열 교육 전심케 좋 뿐 私 후 원으 전 토 재 사 書院 중심으 鄕 형성 鄕 自治 모 원래 원 同族 子弟 교육 齋 祖上 先賢先師 奉祀 祀廟 결합 성립 으 능 祀賢 능 원 본 래 능 머무르 士林 集會所 중요 할 수행 조선 원 처 등장 중종조 豊基 군수 세붕 晌 享祀 위 鄕 廟 규모 모 세 白雲洞書院 비롯된 즉 士 林派 약 착수 원 생 약 마찬 士林 士族 성장 自治 활 전개 밀접 련 종래 사림 집 소 馬所 등 정 비 士習 汚損케 권 비판 거 강 산 비 원 권 정 거 키 치 으 영될 수 특 종 조 터 사액 원 등장 터 사 으 공 받았으며 원 崇賢尊師 능 권위 스스 존속할 수 군 종 조 후 중앙정 사림파 장악 뿐 약 행 등 교화 士風振作 모 중앙 등 져 원 스럽게 촌사 세력으 성장할 수 임란 전까 전 약 개 원 성 립 교 능 쇠퇴 력 士族 모 으키 장소 그 지만 6년(1573) 9 에 에서 우리 에 하자는 주 더 그 다. 러한 경향 그 향 시 에도 향 미 고 있다. 다음 에 향 시는 관 주도 했 나 명 에는 지방 족들에 해 주도되어 的 하였다.51) 는 그만 시기에 中 향 서 되어 고 있었음 보여 주는 있다. 에 지 족들 주 에 해 구 들 해 해 리자, 지 족들 다시 司 에 대 하기도 했음 앞에서 급한 바 있다. 그러나 司 는 한 고에서 人 司 해 만 다는 제 과, 자 校 려 는 에 해 하는 경향 었다.52) 한 발 하였고 하여 향리에 하여 學 연구하 하는 한, 學 어 에 하는 기회 되었 만 아니라 學들 일 서 발 하는 대 되었다. 지 족들 論 하고 村 도 하기도 하였다. 서 하는 와, 또는 하는 하여 한, 敎學的 기 과 的 기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서 러한 기 에만 지 않고 들 서도 한 역 하고 있었다. 시대 서 음 한 서 경상도 인 주 安 하기 해 校文 방해서 운 에서 다.53) 시기는 에 하여 향 보급운동 되는 시기서 서 발 도 향 과 지 각 지에서 ( ) 나 그 的 동 와 매우 한 관 지니고 있다. 회 였던 司 국 방하고 한다는 유 관 에 해 견제되 나 제 해 되었던 에 하면54)서 관 과 일 한 리 지 면서 자 적 운 있었다. 히 명 부 는 서 하면서 국부 학기관 서 제도적 인, 서 기 그 유지 있었다. 더 다나 명 에는 계 에 해 되었 만 아니라, 향 시 와 도 하려는 당시 도 어우러 서 자연 향 회 주도 있었다. 지 국에는 80여 서 되었는데 들 향 기 한 당시에 그 고 유 한 들 고 公論 일 는 되었다.55) 鮮前期 鄕村組織 類型과 性格 Ⅳ. 朝 朴翼煥, 앞 논문 pp.214 228 및 韓相權, 16 17세기 鄕約 기구와 성격 ( 震擅學報 58, 1984) pp.27 30 참조. 52) 尹熙勉, 앞 논문 참조. 더욱 司馬所는 사화와 연관되어 활동에 제한 받는 경우도 있었 다. 53) 鄭萬祚, 朝鮮書院 成立過程 ( 韓國史論 8, 국사편찬위원회, 1980). 崔完基, 朝鮮書院一考 ( 歷史敎育 18, 1975). 尹熙勉, 白雲洞書院 成立과 豊基士林 ( 霞擅學報 48, 1980). 李範稷, 朝鮮前期 書院 敎學的 機能 ( 韓國史論 8, 국사편찬위원회, 1980). 참조. 54) 앞 주 38) 참조. 55) 사족들에 해 주도되는 향약 서원조직 그 실시주체 되기도 하였다. 51) - 39 -

1. 留鄕所와 京在所56) 찰 듯 조선 초 권 위 촌정책 선초 터 재 세력 거센 딪혔 재 세력 특 재 사 중앙 집권 정책 신 축 촌질 모 위 私 으 留鄕所組織 마련 소 조직 통 鄕 창출 세력 촌 율권 추 위 소 공 받게 터 중앙정 할 京在所制度 마련 터 차 半官制 성격 띤 조직으 변모 갔 留鄕所란 留鄕品官 모 장소 소 실 組織 체 았 소 언 터 생겼 정확 알 수 없으 조선 건 초 터 在地勢力 임 성립 吏官奴婢 所犯 규정 듯 선초 소 太 월 守令 詆毁 鄕吏 進 退 키며 百姓 侵漁 중앙집권 성 때 혁파 물론 혁파조 치 중앙정 강 촌통 목 으 추진 임 소 성립 在地品官勢力 성쇠 鄕 개별 조건 므 중앙 단속 완화 언 든 재등장할 소 으며 때 소혁파조치 전 으 단행 터 후 太 혁파된 소 비슷 성격 申 色 중앙 치 즉 종 월 前署令 金滌 申 色 치 장 앞에서 고 했 기 관 주 향 부 지 반발에 부 다. 들 지 들, 히 지 족들 적인 에 반발하면서 자 들 주 되는 향 서 도 하기 해 的 하였다. 유향 해 論 하여 자기들 기반 유지하고 향 자 구하기 한 었다. 그러나 유향 제도는 국 인 되면서부, 그리고 부 견제 하면서부 점 的 해 다. 는 라는 박한 미지만, 제는 그 人的 자 57) 미하는 경우 많 다. 유향 제부 는지는 히 나, 58) 국 부 에 하여 되어 人 하고 있었던 하다. 그러나 유향 는 宗 6년(1406) 6 에 하고 人物( ) 59) 시 한다 는 반 적인 향 문에 당하였다. 부 한 향 제 적 하여 되었 분명하지만, 유향 라는 村 적인 에 해 루어지는 되면 제 지 지 지니고 있었, 유향 면적 되었는지도 문다. 그런데 부 9년 인 宗 15년(1415)에는 유향 와 한 明 주도하에 설 되고 있었다. 태 15년 4 明 설 주 하면서 前 一 臣之於上 諫之再三 蒙允而後已 外方守令 雖有不義之事 州人仰視咨嗟而不敢言 其因襲 之弊 遂 守令 横斂無已 使民無時刑罰 不中者往往有之 願自今觀察使 於州府郡縣 差定申明色 大官 小官二 各其守令貪暴不法弊及生民之事 俾令規諫 若諫之再三而不改 則具吿監司 以行贬黜 其 申 色 挟私羅織妄吿者 痛懲黜出其鄕何如(下略)60) ( 略). 使 三人 人 中 明 올 통 申 色 찰사 差定 守令 좌 등 초 소 비 官主 性格 강 在地品官 半官制化 키 편 촌 위 정 으 따 申 色 칭 뀐 뿐 재 품 조직 소 후신 할수 본太 戶曹 내 擬議施 토록 모두 56) 留鄕所와 京在所 다룬 연구논문으는 다음과 같 들 있다. 周藤吉之, 鮮初に於ける京在所と留鄕所について ( 加藤紀念東洋史集說 ), 1941). 金聲均, 京在所 性格에 대한 一考 ( 亞細亞學報 1, 1965). 李泰鎭, 앞 논문. 金龍德, 韓國制度史硏究 (一潮閣, 1983) 및 鄕廳硏究 (韓国硏究院, 1979). 57) 留鄕所란 명칭 조선 전기에 주 사용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鄕廳라 불려진 경우 대부 분었다 (金龍德, 鄕廳沿革考, 앞 책 참조). 58) 成宗實錄 권 216, 成宗 19년 5월 乙亥條 ⑪-335 上 b. 59) 太宗實錄 권 11, 太宗 6년 6월 丁巳條 ①-360 下 ab. 60) 太宗實錄 권 29, 太宗 15년 4월 丙戌條 ②-59 下 ab. 라는, 상서 리고 있다. 상서 해 보면 明 관 하고 보 하 는 국 유향 에 해 導的 하다. 는 들 시 면서 한 에서는 그들 향 에서 지 인 하려는 구상 보인다. 라서 明 명 만 바 지 지 관에 해 루어지는 라는 점에서 유향 라고도 있는 었다. 상서 宗 상서문 에 려 行 하였다. 당시 상서문 - 40 -

받아들여졌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나, 태종 17년(1417) 2월에 生員東堂鄕試와 漢城 試에 응 시하는 자 지방에서는 申明色, 서울에서는 京在所에서 먼저 族屬 변정케 하자 는 司諫 院 상소 있었음 볼 때61) 申明色 설치되었음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申明 色마저 국초 유향소와 마찬지 강한 토호적 성향 때문에 태종 17년 11월에는 혁파되고 말았다.62) 그리고 뒤 세종 대에는 지방통제책으써, 수령 고소하는 군현 강등하는 조치(세 종 11년 ; 1429)63)와 경재소제도 정비강화(세종 17년 ; 1435)64) 루어진다. 그런데 중 경재소제도 정비강화와 관련하여 우리는 매우 주목할 근거 발견하게 된다. 즉 세종 17년 경재소제도 강화조치에서 중앙 고위 현직 관리들 하여금 연고지 유향소 장 악하게 한 그다. 부연하면 유향소는 미 태종 6년 중앙정부에 해 혁파된 바 있 었고 그 후신라고 할 수 있는 申明色 다시 설치되었다 혁파(태종 17년)되는 상황 속 에서도, 각 지방 재지사족에 해 유향소 존재 면면히 유지되어 왔었음 우리는 확 인하게 되는 다. 와 같 유향소 그 전래 권한 통제받고 경재소에 해 장악되게 되자 유향품관들 자기보호 위해서 점차 관권에 타협순종하지 않 수 없었고, 는 결과적으 수령 불법 조장하는 부작용 낳았다. 그리하여 기록상 復設 확인되지도 않는 유향소 수령 권과 결탁하여 폐단 일으켜 제2차 혁파 당하게 되었다. 忠州留鄕所 사례는 러한 경 향 대표하는 예라 할 수 있다. 즉 세종 29년(1447)부터 부민 수령고소 사실상 허용되 었는데도65) 세조 말에 충주민 그 고 수령 비행 고소하자 충주유향소는 수령과 결 탁하여 그 백성 侵虐하였다. 일 빌미 되어 세조 말에 유향소는 2차 혁파되었던 며66) 성종 조에 격렬한 유향소 復立論議 루어진 점 고려해 볼 때 때 혁파는 태종 조와는 달리 전면적인 혁파였 으 추측된다. 성종 조에 金宗直 등 사림파 중심으 루어진 留鄕所復立論議에서는 종전과는 달리 지방자치조직인 향약 주관하는 기구서 留鄕所復立 주장하고 있었다. 즉 사림파 주장하는 유향소는 周制 鄕射禮鄕飮酒禮 실시주관하는 기구서 鄕村에서 不孝不 悌不睦不姻不任恤한 자 규제하는 鄕大夫 制 마련하여 鄕村敎化鄕村秩序 확립하 자는 었다. 와 같 사림파 留鄕所復立論 훈구파 반대 벽에 부딪혔으나 수 년 간 便否 찬반논 거쳐 성종 19년(1488) 5 월에 갑자기 태도 돌변한 훈구세력 동조 復立 합되었다.67) 때 復立된 유향소 내용 世宗大王五十年戊辰留鄕所復 設磨鍊節目 68)에 다음과 같 반영되어 있다. 一. 留鄕所品官 府以上五人 郡四人 縣三人 爲等如 差定爲乎矣 令京在所擇定. 一. 留鄕所設立本意殷 專爲糾察惡吏 以正鄕風爲白去乙 品官等不顧本意 假仗權威反爲作弊 今後 太宗實錄 권 33, 太宗 17년 2월 庚辰條 ②-151 上 ab. 太宗實錄 권 34, 太宗 17년 11월 戊寅條 ②-193 下 ab. 世宗實錄 권 44, 世宗 11년 5월 丙辰條 ④-180 上 b 下a. 世宗實錄 권 69, 世宗 17년 9월 己丑修 ③-649 Tab. 世宗實錄 권 115, 世宗 29년 2월 癸丑條 ⑤-7 上 b. 세조 말 유향소 혁파조치 유는 ① 시애 난 응징설과 ② 충주유향소 침학설 있는 바, 중 후자 보다 설득력있는 견해 받아 들여지고 있다(李泰鎭金龍德 논문). 67) 成宗實錄 권 216, 成宗 19년 5월 乙亥條 ⑪-335 上 a 下 b. 68) 鄕憲 권 1, 자료는 李樹健 교수 분석에 해 成宗 19년(1488) 기록임 확인되었 61) 62) 63) 64) 65) 66) 다. - 41 -

乙良 所在官守令及京在所 嚴加痛禁 必有犯罪者 報觀察使科罪 這這改差. 復立된 소 金海 醴泉 士林派 세력 확 士林派 목 달성 으 머 오 훈 세력 재소 장악 留鄕所 座首 擇差함으 써 소 훈 세력 영 권 놓 결 편 소 감독 조직 京在所 留鄕所 마찬 언 치 록 확 할 수 없 京在所 칭 처 타 종 월 申 色 영 련된 실록 사 단 申 色 鄕試應試 격심사 맡 京在所 漢城試 응 族屬 변정 심사할 청 처럼 재소 성 응 격성 증 단 재소 촌 신 질 련 추측 충 능 후 재소 체 으 확립 세종 월 때 京在所 영 조직 세 밝혀진 즉 재소 座首 員 參上別監 員 參 別監 員 두 鄕 務 장 록 鄕 守令政治 할수없 록 울 재소 임원 정원 확 위 조치 재소 겸임 범 위 확 品 父 內 鄕 祖 鄕 曾祖 鄕 母 內 鄕 妻 內 鄕 등 鄕 겸 록 品 妻鄕 외 鄕 參 祖 曾祖 郷 외 鄕 無職 衣冠子弟 父母 鄉 鄕 父母內鄕 재소 겸임 록 처럼 事審官 鄕 겸임 비 京在所 鄕 겸임 게 세종 중앙집권화정책 종으 생 된 즉 세종 민 소금 법 수령 임법 등 통 권 강화 키 편 공식 통치 외 재소조직 정비 강화함으 써 품 호 중앙 통 그러나 와 같 하여 유향 는 과 같 고한 지역 에서는 기대한바 적 되었 나, 대부분 나 지 지방에서는 히려 구 들 경 하여 유향 구 향 하에 69) 는 과 보였다. 한 지방 각 고 유향 하는 인 도 와 지 제 설 되었는지 기 상 인 다. 라는 명 음 나 나는 태 17년(1417) 2 明 운 과 관 기 다.70) 그런데 여기서는 지 明 者 자 고, 에 시하는 자 하고 있다. 경 한 시 시자 적 여부 보 한다는 점에서 일 경 향 분 서 유지와 관 되어 있었 라는 분히 하다. 그 경 제도 보다 구 적 되는 17년(1435) 9 었는데 운 과 보다 상 히 다. 각 고 경 에는 1, 2, 外 2 어 中 公 관 하도 하되 本 에는 관여 도 하였던 71) 다. 아 러 러한 경 보하기 한 서 경 대하여 2 상 外, 外, 外, 外, 外 8 하도 하고, 6 상 제 한 6, 外는 와 外 제 한 4, 는 外 제한 2 ( ) 연고지 경 하 72) 73) 도 하였다. 고려 1 3 만 한데 해 2 8 하 한 도 일 각 다. 부 고 지 구 해 지방관 한 시 는 한, 러한 적인 지방 경 에도 경 유향 관 발 에서 제하려고 하였던 다. 그러나 러한 일 자 해 는 지 반 발에 해 한계 하고 향 서에 운 에는, 경 설 도와는 리 유향 와 하여 관 해하고 人 하는 자 하 다. 는 19년(1488)에 유향 되면서 에서 하고, 만일 하는 경우에는 과 경 에서 제하도 74) 한 와 연관되는 보인다. 유향 人 경 에 주어 구 경, 유향 지 있는 되었기 문다. 23년 (1492) 에 大 에서 인되는 유향 다 되어 있다. 大 雜 보면 인 상 4人, 3 75) 人, 2人 나 나고 있다. 또한 시기 는 히 라고 리고 있는데, 시기에 향 당라는 어 일반 에 유향 선초 련 중앙집권화정책 체결속력 강화 재 세력 성 노정 촌질 새 변화 초래된 성종 조 후 재소 마저 치 원래 달 소 결탁 권 침 吏 侵虐 등 作弊 행 게 된 성종 소 復立 京在所 留鄕所品官 擇定 留鄕所 作弊 守令 함께 재소 규 록 조치 으 즉 소 事權 재소 짐으 써 훈 세 력 재소 장악 復立된 소 배할 수 길 마련 때 성종 편집된 典續錄 확 復立된 소 組織 소 축 소 典續錄 禮典 令條 留鄕所色掌 원 府 郡 縣 으 타 留鄕所廳舍 흔 鄕射堂 불 사 용 화된 성종 조 復立된 소 사림세 69) 70) 71) 72) 73) 74) 75) 李泰鎭, 앞 논문. 太宗實錄 권 33, 太宗 17년 2월 庚辰條 ②-151 上 ab. 世宗實錄 권 69, 世宗 17년 9월 己巳條 ③-649 下 ab. 上同. 高麗史 권 75, 選擧 3 事審官條. 앞 주 68) 과 같음. 大典續錄 권 3, 禮典 雜令條. - 42 -

력들에 해 곳에서 周制 鄕射禮鄕飮酒禮 주관실시토록 장려되었던 때문으 여겨 진다. 전통적인 향촌지배조직었던 유향소에 朱子學的 념 강하게 반영되어 있 음 나타낸다. 당시 士林勢力 周禮 鄕射禮鄕飮酒禮 속에서 재지세력 중심 향촌지 배논리 발견하고, 통해 자신 위치 합리화시키고자 했던 다. 성종 조에 사림세력 유향소 통해 실시하고자 했던 鄕射禮鄕飮酒禮 보급운동 중종 조에 르면 향약보급운동으 바뀌게 된다. 그런데 사림파에 하여 주장된 呂氏鄕約 보급 운동 경재소유향소체제 아래 빚어지고 있는 지방사회 여러 지 모순 지양하는 방안 으 제시되었으므, 그 시행 논과정에서 자연히 경재소유향소 혁파건 함께 논 될 수밖에 없었다.76) 성종 조에 復立된 유향소 주도권 훈구세력에게 빼앗긴 사림파들 향약으써 유향소 기능 대신하고자 했던 었다. 그러나 중종 12년 (1517) 여씨 향약보급시행 러한 문제 안고 있는 유향소경재소 혁파하지 않 채 루어졌으므 실패 끝났음 주지하는 바와 같다. 훈구파에 해 유향소경재소 존속된 채 향약시 행 사림파에 해 별도 루어졌고, 따라서 중종 14년(1519) 己卯士禍 사림세력 축출되자 향약보급운동 훈구세력에 해 전면적으 부정될 수밖에 없었다.77) 그 후 향 약실시 明宗宣祖朝에 르러서야 각 지방 현실적인 여건 참작한 개별적인 시행으 나타나게 된 같 상황 결과요 반영었던 다. 한편 중종 조에 사림파에 해 경재소유향소 혁파건 있었음에도 받아들여 지지 않음으써 경재소 폐단 후 여전히 계속되었다. 즉 경재소는 원래 설치도인 鄕風 糾正과 유향소 作弊감독 소홀히 하고 향촌에서 경제적 권 노려 人吏 침 학하기에 급급하였다. 에 宣祖 원년(1568) 5월에 掌令 李憲國 經筵에서 러한 경재소 폐단 지적하면서 혁파 청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재소 혁파는 그 폐단 인정되고 있었음에도 유향소와 관계 등 상황논리에 하여 지연되고, 한편으는 유향소와 경재소 에 대한 감찰 강화하여 그 폐단 補正하면서 유지하는 적절하다는 견해도 제시되었 다.78) 경재소는 그 후 왜란 거치면서 그 不法腐敗 유해무익함 거론되다 선조 36년 (1603) 정월에 備邊司 啓 혁파되었다.79) 와 함께 후 유향소 任員 守令 擇 定하게 됨으써 조선 초기에 수령까지 규제하던 유향소 제 조선 후기에는 수령 보좌 역으까지 격하되게 되었다.80) 2. 鄕約과 鄕規 鄕約 어상 개념 一鄕 約束 또는 鄕人間 約束 란 미 갖는다. 그러나 鄕 人 중에서도 士類士族들 주축 되는 조선시대 鄕約 성격 외형상으는 중국 呂 76) 中宗實錄 권 31, 中宗 12년 12월 戊午條 ⑮-369 上1) 370 上 a. 中宗實錄 권36, 中宗 14년 6 월 乙亥條 ⑮-544 上 a 下 a. 77) 李泰鎭, 앞 논문 pp.254 259, pp.265 268. 78) 眉岩日記草 戊辰條 5월 11일. 79) 宣祖實錄 권 158, 宣祖 36년 정월 甲申條 ㉔-443 下 ab. 80) 金龍德, 京在所論 ( 韓國制度史研究, 一潮閣, 1983). 임란 전에 건립된 鄕射堂 평양충주안동예천김해성주영주등지에서 보인다. 그런데 시기 유향소는 관아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조선 후기 향청 관아구내에 있는 과는 대조적다. 는 조선 후기 향청 수령 보좌역할기구 전락된 과 연관 있다고 생각 된다. 한편 향사례와 향음주례도 조선전기는 향사당에서 행해졌으나 조선 후기에는 향청보다 교외에서 주 루어지고 있었다(金龍德, 19 세기 鄕廳, 앞 책 pp.249 253). - 43 -

氏鄕約 혹 朱子增損呂氏鄕約 에서 유래하는 으 설명되고 있지만, 내용상 조선 중 기에 성립되는 鄕約 그 전부터 계속되어 왔던 두 지 서 다른 흐름과 관련 있는 으 생각된다. 그 하나는 중국으부터 성리학 수용과 함께 알려진 鄕約고, 또 하나 는 사족들에 해 마련된 鄕規 鄕約 명칭 빌어 외형적 논리 갖추는 경우다. 조선 중기에는 흔히 양자 착종되는 형태 나타나기도 하는데 광 개념으는 모두 鄕約 라고 부 수도 있으나, 양자 구분한다면 전자 성격 강하면 鄕約, 후자 성격 강하 면 鄕規라고 구분하여 불러야 할 다.81) 성리학자들에 하여 향촌사회 안정 원리서 주목받기 시작한 주자증손여씨향약 中宗 朝부터 그 보급운동 추진되었다. 즉 중종 12년(1517) 6월 조정에서는 향약보급문제 논되고, 7월에는 국왕 적극적인 실시 결정되게 되었다. 특히 경상도 관찰사 金安國에 해 朱子增損呂氏鄕約解本 印頒됨에 따라 향약 급속도 보급되었다고 보는데 시기 향약운동 감사 중심으 하여 위부터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그러나 당시 향약 朱子鄕約該解本 대본으 한 획일적인 내용으 下民敎化에 초점 두어졌 뿐 조선적인 변형 아직 루어지지 못하였다. 와 같 중종 조 향약 보급운동 중종 14년에 己卯士禍 향약추진자들 제거되면 서 중단되었다, 그 후 중종 38년(1543)에 재차 향약보급 일시 논되지만 국적인 차원 에서 실시는 다시 루어지지 못하였다.82) 뒤 明宗朝 경우 향약 개별적인 시행 용인되었지만, 조광조 당시 향약과는 달리 救恤的인 성격 강조되었다. 明宗 朝에 개별적 으 실시된 향약 실례는 명종 11년(1556)에 퇴계 주도하에 만들어진 禮安)鄕立約 條 (실 鄕規 성격 강함)와 명종 14년(1559)에 율곡 序文 쓴 坡州鄕約 등 있 다. 戚臣政治 종말 고하고 士林 정권 장악하는 선조 초에 르면 禮曹와 司諫院 중 심으 전국적인 향약실시논 다시 제기된다. 그러나 시기 향약논는 중종 조 강력한 향약시행 노력과 달리, 주자향약 단순한 모방에서 벗어나 주자학에 대한 심화된 해 바탕으 주자향약 수정 변용하는 응용단계였다고 할 수 있다. 시기 향약시행 논에서는 洞契香徒조직 활용방안까지 제기되기도 하였다. 宣祖 6년(1573) 9월 예조에서 는 주자향약 우리 國俗에 맞도록 删簡하자는 啓 올리는데 그 내용 대강 보면, ① 毎月朔마다 개최하는 講信會는 累朔 1會 전환할. ② 강신회시 준비하는 果酒麵飯 酒一蚩와 飯一器 한정할. ③ 강신회시 집회 장소는 鄕校 한정하지 말고 부근에서 各自相會할. ④ 幼少者 尊長者에게 歲首冬至四孟朔 등 6 次 禮見하던 歲拜時에만 禮見할. ⑤ 善惡籍 善籍만 기록하고 惡籍 폐기할. ⑥ 外方으 士人稀少處는 守令 約正 겸하게 할. 등었다.83) 중 ① ④는 조선사회 실정 고려하여 번잡함 덜기 위한 조치서 후에 실시되는 개별 향약들에 반영되고 있다. 특히 ③ 앞서 洞契나 香徒조직 활용 제 기했던 재상들 견 반영된 으 보는데, 후 향약실시 군현단위에서 面里 약 규 川 받 韓相權 pp 朴翼焕 pp 宣祖實錄 권 宣祖 월 甲辰條 처 된 후(1975년), 金龍德朴 翼焕 등 81) 향 과 향 구분하는 견해는 田 孝三에 해 음 제시 에 해 아들여졌다. 82), 앞 논문.18 27., 앞 논문.202 214. 83) 7, 6년 9 ㉑-272 下 273 b - 44 - 上 a.

수준으 현실화되어 갈 암시해 주고 있기도 하다. ⑤는 約法 위반자에 대하여 향약기 구 행사하는 처벌권 약화시키는 으 는 중종 조에 시행되었던 향약 善惡籍 운 영 엄격히 하고 수령권 능할 정도 刑杖 擅用된 데서 야기되었던 末弊 식한 으 보인다. 즉 때 전국적으 실시된 향약 중종 조 己卯士林 향약에 비하여 사 회개혁적인 성격 약하였다. 또한 수령 대표 하는 중앙정부 통제력 향약에 깊숙 침투하기 시작하였으며, 향약 성격도 주자학적 교화 미하는 권선징악적인 성격 강 하였다. 와 같 향약시행 선조 7년(1574) 2 월 서원향약 실시경험 있는 栗谷 先 良民敎化 내세워 鄕約實施太早論 주장하여 정지될 때까지 전국적으 루어졌다. 율 곡 향약정지론 후에는 더 상 전국 일률적인 향약시행정책 추진되지 않고 향촌 마다 특수성 반영된 개별 향약 시행되었다.84) 그런데 상과 같 국 정책적인 呂氏鄕約 보급운동 전에도 미 지역에 따라서는 개별적인 향약 실시 루어지고 있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자료에 하면 향약 장 일찍 실시된 지역 光州였다. 世宗朝(15C 중엽)에 金文發에 해서 루어진 광주지역 향약 文宗 원년(1451)에 李先齋와 縣監 安哲石에 해 마련되었고 그 후 成宗 원년(1470) 에는 丁克仁 泰仁에서 향약 실시하였음 古縣洞約誌 에서 확인된다. 또 師友名行 錄 에 하면 姜應貞도 成宗 9년(1478) 전에 향약 만들었음 알 수 있다. 東國輿地勝 覽 全羅道 龍安縣條에는 鄕飮酒禮 기사와 함께 향약 4大條目 과 5지 黜鄕규정 기록 되어 있고, 安鼎福 順庵集 에서도 鄭汝昌 安陰에서 향약 設行한 사실 언급하고 있다.85) 와 같 기록들 단편적긴 하지만 중종조 전국적인 향약보급운동 전에도 개별적인 실시 움직임들 있었음 보여준다. 여기서 우리 고려해 볼 수 있는 향약 시행 반드시 여씨향약 영향 속에서만 루어진 아니었다는 사실다. 오히려 전통적으 내려오던 향촌지배층 鄕飮酒禮나 향촌결사조직 성리학적 향촌질서 수립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었다기보다 오랜 기원 계통 갖는 士族系列 族契형태와 기층민 중심 香徒 등 향촌공동체조직과 연맥 되었 능 성 크다. 런 점에서 조선 중기 향약 운데 鄕規와 구별되는 진정한 미 향약으 栗谷 西原鄕約 과 海州鄕約 매우 주목되는 자료다.86) 鄕規는 鄕案에 오른 鄕員들간 約束으 留鄕所 조직 즉 좌수 선임, 소관업무, 鄕案 入錄資格 및 節次, 향계 영수인 鄕先生 및 그 庶務인 鄕有司 업무, 戶長吏房 등 선임 에 관한 규약었다.87) 들 규약 형태는 조선 초기부터 있었 으 추정되나 현전하는 실제 자료는 없 다. 조선 초기 유향소들 각 지역 留鄕品官 자발적인 조직으 루어졌다고 추측 한다면, 처음 단계 규약들 번잡하고 세밀한 었다기보다는 오히려 아주 기본적고 간략한 골격만 졌 으 보인다. 世祖 4년(1458)에 成案되었 으 추정되는 璿鄕憲目序 와 孝寧大君鄕憲 바 시기 유향소 성격 해하는 귀중한 자료 라 할 수 있 다. 자료는 성종 19년(1448) 유향소 복립될 때 중앙에서 일률적으 84) 앞 주 82) 논문 참조. 85) 러한 예들 전라도 지역에서 필자 확인한 바는 능주 月谷, 나주 金鞍洞, 광산 良苽亭 등에서도 보인다. 86) 그동안 朝鮮的 鄕約 쌍벽으 알려져 온 퇴계 禮安鄕立約條 나 율곡 海州一鄕約 束 그리고 安東鄕規舊條 芝軒鄕約 등도 그 내용상으는 향규 성격 더 강하다. 는 金龍德에 해 미 지적된 바 있다. 87) 金龍德, 鄕規硏究 ( 韓國史硏究 54, 1986) p.29. - 45 -

생 留鄕所復立事目 비교될 수 성질 진 소규약 성종 조 후 소 훈 세력 장악 촌 사림세력 별 촌 배질 모 게 성격 변질 즉 성종 조 사례 례 으 실 중종 조 약 중앙으 터 촌 士族 권장악 촌통 념 약으 터 출 내 특 중종 조 전 약 실패 후 종 조 터 별 개별 약 추진 층민 교화 촌 배 큰 심 녔 배사 새 강 게 며 결 鄕規 닌 생 된 재 사 종전 신 성격 영된 결사체 소 조직 공 체조직 성격 본질 약본 성격 사 간 촌공 체 鄕約 냈 영 체 결사체 규약 鄕規 鄕規 실 영 사례 중 鄕約 鄕憲 칭 혼효 성격 영된 결 며 조선전 鄕規 중 鄕規 불 록된 東 府 鄕規舊條 條 예 鄕規 촌 력사 참 폐쇄 규약으 鄕規 참 할 수 력 사 단 등재 鄉憲 실 豊沛鄕座目 종 새 위 흔 祖 父 祖父 曾祖 祖 祖 妻父 중 名 따 名혹 名 舊案 록 야 능 으 鄕 四鄕 二鄕 鄕 달 邑 有 정 小邑 鄕會 圈點 통 一不 二不 혹 不以 입록 허락 鄕案 등재 鄕員 留鄕所 鄕規 용 鄕 諸事 처 할 政事務 員 鄕任 擇定 소 鄕員組織 鄕契 최 鄕任 감독 鄕契 최 鄕先生 鄕憲 鄕 夫 座上 래 鄕 有 등 一鄕輿 좌 으 통 鄕執綱 鄕規 組織 략 조직 언 터 갖추 세 알 수 없으며 률 따 소차 鄕規 鄕 族 鄕員 으 원칙 鄕規 체 一邑 배권 즉 鄕權 장악 된 목 으므 鄕規 담겨 내용 드 사 정 권 장악 련 범위 내 鄕員 규 할수 군 사 입 촌질 추 으므 층민 교화 될 수밖 없 鄕約 鄕規 모호 게 으 생 된 후 신 질 혼 극심 왜란 후 사 촌 위 흔 게 上 民 간 守分 識 강조 88) 앞서 밝힌 바처럼 世宗大王十年戊辰留鄕所復設磨鍊節目 라 알려진 라 보여 진다. 89) 金龍德, 鄕飮禮考一成宗代 鄕約에 대하여- ( 東方學志 4647, 1985). 90) 와는 반대 내용 향규임 분명함에도 鄕約라 지칭된 경우도 많다(金龍德, 鄕規 硏究 참조). 91) 申正熙, 鄕案硏究 ( 大丘史學 26, 1972). 제시되었다고 각되는 88)과 있는 라 보여 다. 그러나 와 같 유향 유향 구 들에 해 되고, 향 들 에 대해 도 향 지 서 도 하 되면서 그 되기 시작했다. 에 향 향음주 부분적 시되고89) 에 향 보급운동 부 시도되자 향 들 향 과 향 제 향 부 도 해 고자 하였다. 히 국적인 향 보급운동 한, 명 부 지역 적인 향 보급 되자 하 에 대한 보다도 향 지 에 더 관 지 던 지 족들 운 시도 구하 되 그 과 바 라는 아 각 다. 부연 하면 시기 지 족들 지역적 분적 반 서 유향 과 동 었던 향 연 미하여 족들 향 동 서 만들어 고, 그 운 주 들 적 바 였던 다. 시기 제 운 되는 에 들 명 상 되는 도 같 시대적 반 과, 기 에서 라고 려 기 도 安 23 유일한 다.90) 는 향 유 족들만 여하는 적인 에 여 있는 고 유 인 명 향안에 되어 있었다. 에 려있는 도 바 향안 일 일 다.91) 러한 향안에 들어기 해서는 히 6 ( 高 外 ) 에서 3 (지역에 라서는 4 2 ) 미 에 기 되어 있어 하였 니, 三 ( )라고 하였다. 三 미 일 경우에는 大 에서는 司 하여, 에서는 에서 각각 또는 부 문하여, 三 下면 향안 하였다.92) 에 되어 있는 들 에서 운 하여 中 리 行 에 해당하는 하였다. 그러나 유향 인 고기구는 아니 고 들 하는 고기구는 ( 大 ) 고 그 아 에 司 있어서 論 우하였 니 들 보 라고 하였다. 상 대 지만, 러한 제부 어졌는지는 자 히 일 적인 도 아니어서 지역에 라 다 있었다. 는 村 顯 들인 대상 하는 지만, 자 지 하는 주 적었 에 있는 반 시 족들 에만 한 되고 있는 아니었다. 그들 향 에 관 되는 에서 外라 고 제 있었다. 더 다나 당시 회 주자학적 명분에 각한 향 서 구하 고 있었, 하 에 대한 주자학적 미 에 었다. 바 과 구분 하 하는 점 각 다. 그 분 서 동 해지는 에는 족들 향 에서 지 들리 되자 下 意 되면서 92) 앞 주 90) 과 같음. - 46 -

化 목 鄕約 성행하게 되었다. 나아 경재소 혁파와 營將事目 반포는 留鄕 所 鄕廳 변질 초래하였으며 鄕規도 쇠퇴 길 접어들도록 하였다. 금까 알 진 조선전기 鄕規는 퇴계 禮安鄕立約條 와 율곡 海州一鄕約束 敎 주 적인 ( ) 지 지 려 대표적다. 3. 香徒里社洞契 조선전기 留鄕所나 鄕約鄕規 대표되는 지방자치 조직 군현단위 규모서 신분적 위상 엄격히 하는 지배층 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들 조직 수령으 대변되 는 중앙권력 즉 官權에 대항하는 조직으서 일정하게 향촌자치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같 군현단위 혹 지배신분층 조직과 다르게 주 자연촌락 규모에서 운영 되었던 共同體的 성격 조직들 주목할 수 있다. 들 바 본 절에서 다루고자 하는 香徒里社洞契類들다.93) 香徒는 원래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으 주 佛敎信仰結社禮서 그 성격 존속시켜 왔던 조직다. 들 香徒는 고려전기까지만 하여도 祈佛團體서 성격 중심었으며, 그 규모도 醴泉지방 彌肋香徒나 椎香徒에서 볼 수 있었던 처럼 擧郡的인 성원 지고 있었다.94) 그러나 러한 香徒 본질적인 모습 12세기부터 변질되어 高麗史 刑法志에 보는 바처럼95) 고려 仁宗代에 미 순수 신앙결사서 모습 잃고 퇴폐화 되어고 있었던 같다. 무신정권기나 원지배하에서 불교신앙결사체였던 香徒 변질되는 모습 여러 형태 발견되고 있다.96) 물론 러한 고려후기 香徒 관련기록들 불교계 타락상 도적으 강조한 일면도 없지 않으나, 제 승려나 지배계층 중심 된 고려불교계 스스 모순에 직면하여 점차 변질(대중화 추 보여짐)되고 있음 보여주는 으 파악되기도 한다. 그리하 여 불교신앙결사체서 香徒 졌던 고유한 기능들 점차 퇴화되고 조선 초기 자료들 에서 확인되는 과 같 자연촌단위 생활공동체조직으 변화되었던 아닌 추측된 다. 순수종교신앙차원 결사체 사회념 및 사회구성 단위 변모 속에서 생활전반에 관여하는 기능 지면서 기층민들 생활공동체조직으 정착된 모습 우리는 조선 초기 香徒에서 살필 수 있는 다. 麗末鮮初 香徒 성격과 기능 같 변질되는 대개 다음과 같 몇 지 배경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사회구성라는 측면에서 군현제 정비와 관련하여 屬縣 主縣化 등 통한 재편과정에서 구성내용 변화, 그리고 麗末 왜구와 같 외적 침입 및 사회혼란으 인한 流民증 등 조건 기존 지역적신분적 공동체조직 성격 변질시 키고 있었다. 다음으는 사상적인 기반 변동과 관련되는 으서 본질적으 불교적 요 소 지닌 香徒 麗末鮮初 새운 시대사조서 부각된 성리학과 접맥상충되는 과정 주 93) 중 洞契 경우는 향도나 사와 일단 구분하여 논될 수 있는 다. 洞契는 대부분 士族들에 해 결사체적 성격 지니면서 조직되고 있었고, 극히 일부 洞契라는 명칭 지 니면서 기층민 村契類 형태 존재했다고 보여지기 때문다(拙稿, 朝鮮後期 洞契洞約 과 촌락공동체조직 성격, 향약연구회 발표요지, 1989). 94) 李泰鎭, 禮泉 開心寺石塔記 分析一高麗前期香徒 一例- ( 歷史學報 5354, 1972). 95) 高麗史 志 39, 刑法 2 禁令條. 96) 拙稿, 埋香信仰과 그 主導集團 性格 ( 金哲埈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1983). 필자는 여기에서 향도 변질모습 추적한 바 있다. - 47 -

목할 수 있다. 즉 시기 재지사족들 앞에서 살폈던 처럼 중앙정부 강력한 지방통제 정책에 반대하면서 자신들 중심 되는 향촌지배질서 추구하고 있었으며, 그들 론 적 배경 불교 아닌 성리학었다. 그러나 당시 기층민들 새운 성리학적 질서나 분위기에 익숙하지도 않았 뿐더러, 전 통적으 자신들 식기반었던 불교나 생활공동체적 신앙체계 탈각하기도 어려웠 다. 와 함께 과거와 같 신앙적지역적 조직 체계화 엄밀히 마련되지 않 상황 속에서 사회구성단위 축소되었 때, 자연촌 최소단위 하는 조직란 념적 차원 기보다 생활문화전반에 두루 적용될 수 있는 공동체적 모습일 수밖에 없었 다. 따라 서 변질된 조선 초기 香徒는 사족들에 해 淫祀 매도된 처럼, 지배 데올기와는 거 리감 있는 민중적 공감 전제되는 전통적 촌락공동체 생활문화와 민속신앙 매개고리 하여 조직운용되었던 으 보여진다.97) 따라서 재지사족층 식적 배경인 성리학 질서와 기층민 생활공동체적 식 사에는 일정한 괴리감과 갈등 있 수밖에 없었 다. 조선 초기 香徒組織 중앙 성리학 자들나 재지사족들에게 그다지 환영받는 존재 아니었다거나, 도적으 香徒 지닌 공동체적 유대 과소평하려 했던 경향들 그러한 갈등 다른 한 면었다. 태종 조에 실시되었던 里社制는 같 전래 촌락조직들 성리학적 조직으 바꾸려 하였던 하나 시행착오였다고 보여진다. 조선 초기에 里社制 논선상에 올랐던 소위 淫祀 기존 생활공동체 신앙들 매도되어 폐지됨에 따라 그 기능 대체효과 기도하면서였다.98) 太宗 14년(1414) 1월에 있었던 忠淸道 都觀察使 許遲 啓請에 하면 里社는 神明 공경하고 향리 화목 꾀 하며 풍속 순화시키는 良法 으 각 鄕村 民戶多寡나 境地 阻近 계산하여 40戶나 50戶에 각각 1社 세워서 行祭하도록 하자는 었다.99) 와 같 중국 里社 100戶 단위 하는데도 불구하고 40 50戶 단위 한 당시 일반적인 촌락규모 반영 한 으 보인다. 즉 당시에는 自然村 규모 촌락마다 神堂 있어서 촌락 수호신 모 셔져 있고 1년에 몇 해 또는 매월 서 돌아면서 수호신에 대한 祀神행위와 연회 행해 졌으며, 바 행사 주도는 鄕村 香徒集團에 해서 루어진 듯하다.100) 중앙 성리학자들 처음에는 개별성 강한 祀神행위 淫祀 라 하여 금지하고자 했 으나, 현실적으 불함 느끼고 유교적 색채 강한 중국 里社制 대체하여 향촌사회 조직에 통일성 부여하고자 했던 다. 里社制 실시논에는 국주적인 입장에서 중앙집권화정책 욕적으 추진하고 자 했던 선초 집권층들 분위기 반영 되어 있다. 즉 里社制는 농업사회 전래 祭神 風習 里社 대체하여 존속시키는 동시에 鄕約的인 농촌사회질서 扶持케 하여 유교적 윤리정치 사회적 기반 굳혀는 반면에 일체 음사 폐지하고 국적인 儀禮만 인 정하는 결과 져올 으 기대되었던 다. 따라서 里社制 실시된다면 기존 祀神 行爲 주축었던 香徒조직 변질되어 자율성 상실하고 半官制的인 성격 지니게 되었 97) 같 촌락공동체 기반으 형성된 생활문화체서 香徒는 필자 조선 후기 사회에서 성격 확연히 드러내 보려고 하는 村契類 조직 先行 形態였다고 생각한다. 주 93) 필자 발표문 98) 韓㳓劤, 앞 논문. 99) 太宗實錄 권 27, 太宗 14년 1월 癸巳條 ② 2 下 ab. 100) 같 사정 후대 기록기는 하나 許穆 記言 중에 里社와 관련된 논 중에도 보인다. 記言 권 37, 置里社諭父老文. - 48 -

며 획 통 력 촌 까 쉽게 파 될 수 선초 조정 새 조 속 변화 自生力 성장 켜 촌 체 전 외 따 里社制 실 괄 으 추진될 수 없 수령 파 군현단위 社稷壇 세워 선 머물 수밖 없 세 르 香徒 종래 불교신앙조직 성격 완전 실 념 측 층촌락민 생활 화전 련된 공 체 조직으 능 게 된 里巷 모 鄕約 드 세속 香徒 거 洞隣之契 香徒之 會 개념으 식 즉 香徒 鄕徒 모임 洞契 혹 洞約 사 개념으 식 洞契 一洞 성원 간 규약으 형성된 위 조직으 族契 洞約으 불 洞契 언 터 성립 정확 알 수 없으 말선초 촌 성장 함께 洞契 始源 형 세 후 士族 중심 洞契 존재 확 목 鄕飲酒禮 실 士子 士 族 모임 洞 성원 전체 포함 엄밀 洞契 체 士族 心 신 질 강화 전 세 산물 된 흔 洞契 집단 편 따 洞契 契 洞憲 洞規 鄕約 등 름으 불 엄밀 洞契類 살펴 본 香徒조직 성격 약간 른 장큰차 층 할수 즉 香徒조직 촌락 배 으 거 생활 화 공 성원 공 체 필요 영 洞契類 조직 정 식 신 조직 별될 수 사 층 結社證 조직 따 洞契類조직 념 성원 신 권위 거 전 형 조직 며 성원 격 入契規定節 엄격 편 사 洞契조직 출현 재 사 체결속 목 결 사체 조직력으 촌사 임 官權 립할 수 힘 길 생 된 실 鄕規 성조직으 존재 체 사 력 一鄕 士族支配 능케 배 으 사 닌 터 토착 吏族 달 조선 초 鄕 在地士族 새롭게 성장 거 터전 扶植 族 축 켜간 류 따 식 목 사 성격 士族系列 사 신 재 토 洞契形態 결사체 위 공 후 洞契 창립 鄕約 鄕案 鄕規 등 군현단위 鄕 自治組織 핵심성원, 국 일적인 제 향 에 지 급 있었 다. 그러나 러한 구상 당시 운 구 에서 와 시 던 향 자 발 방향 도 시한 었다. 라서 같 시는 일 적 었고, 견되는 에 지는 에 에 었다. 16 기에 면 는 히 상 하고 적인 면보 다는 기 문 반에 관 동 하 다.101) 그리하여 人들 여 만 는 에서 라고 한다 102) 나, 와 동일한 인 하고 있다.103) ( )들 과 유 한 인 한 다. 는 구 인 적인 리기도 하 였다.104) 제부 되었는지는 히 나, 여 자연 과 미 的인 태는 루어졌 다. 15 기 반에 미 되었던 하였음 인되는데, 들 주 적 시하려는 었고 구 하는 아니었다. 한 미에서 는 대 中 분제적 서 되고 지주제 발 보기 시작하는 16 기 해 다. 히 들 는 지역나 주도 에 라 村 다양한 리고 있다. 그러나 한 미에서 들 는 앞에서 과 는 다 바, 그 는 주도계 에 있다고 있다. 주 자연 경 하 나 문 유하는 구 들 동 적 반 한 었던데 반하여, 들 들 일 한 과 분상 향도 과는 구 있는 족 的인 었다. 라서 들 나 구 분적 과시하 나 제하는 태 되, 그 구 자 과 次 한 었다.105) 러한 족들 지 족들 자 적한 었고, 그러한 적 서 향 회 대표자 자인하면서 과 대 있는 러 고 있었다고도 각 다. 상 하부구 서 들 는 그 구 적인 회지도 졌고, 또 한 경 서도 역 적 미 지 다. 고려시대부 적 기반 졌던 들과는 리 기 村 들 대부분 경우 하 나, 그들 하면서 的인 기반 적시 부 들 었다. 라서 과 표 같 하는 유 한 인 들 자 들 지 기반 대 만들어 그들 지 고히 하고자 하였던 다. 일 들 주역들 나 村 필 황철신 화 산 金龍德 전 사 요 實錄 권 월 丁亥條 ⑳ a 宣祖實錄 권 宣祖 월 甲子條 上b 鄭震英 세 東地 洞契 嶠南 嶺南地 鄕約 嶺南鄕約 集成 金龍德 洞契考 斗溪李丙煮博士九旬紀念 韓 필 참조 101) 앞 주 93) 자 논문., 향도에 관하여 ( 문 유 2, 1961)., 향도연구서설 ( 제28회 국역 학대회발표 지, 1985). 102) 明宗 29, 明宗 18년 9-666 下. 103) 7, 6년 8 ㉑-286. 104), 16 기 安 方 ( 史學 1, 1985)., 方 ( 資料, 1986)., ( 國史學論, 知, 1987). 105) 앞 주 93) 자 발표논문. - 49 - 識產業社

으 진출하거나 그에 동원되면서 士族 一鄕支配에 크게 기여하였다. 대체 16세기 洞契조직들 새롭게 재지기반 마련하여 는 有識層 결사적인 성 격 강하여 ① 親隣的인 유대 ② 學問的인 성향나 同門식 ③ 연령나 지역적인 연결 도모하고 있었고, 공통적으 성리학적 사회질서와 념 향촌사회에 식시키는 에 공감하거나 앞장선 부류들었다. 따라서 들 일련 활동들 결국 士族層 향촌자율 추구나 그들 중심 향촌지배 목적하고 있었던 라는 평는 그러한 점에서 매우 타당 한 지적인 다. 그러나 들 洞契조직 후 조선 후기에 일반화되는 洞契洞約類 洞契조직들 향촌 사회에서 사족지배체제 정착되어는 상승기 산물었다면, 兩亂 후 일반화 추 보여주는 上下 合契 형태 조선 후기 洞契들 사족지배질서 와해되고 동요되던 시 기에 그 유지존속시키고자 하는 성격 강하게 지닌 었다. 다시 말하면 16 세기 洞契들 향촌사회에서 사족중심 지배질서 정착되면서 그 기 능 폭 증대되어 간 조직었으며, 일정하게 그에 기여하고 있었다. 대개 경우 시 기 洞契 규약들 下民支配 필요 반영하고 있거나, 들 조직 존재미 鄕權 범주 속에 두어져 있던 까닭도 바 런 점에서 해 능하다. 맺음말 필 조선전 중앙정 통 정책 응 촌세력 모습 개 괄 으 정 전 두 본 공 체 특정 예컨 留鄕所 京在所 鄕規 鄕案 洞契 香徒 선정 전개 소 산 느끼게 된 총체 틀 조선전 촌사 치 율 조직성격 정 정 필요 생 며 금까 된 내용 축약 정 으 맺 말 신 조선전 촌사 강력 중앙 통 정책 강요 름 사림 士族 축으 촌 율 추 수령체 혹 수령권 강화 변 조선전 통 정책 군현 개편 층민 수렴 목 으 으 며 촌사 전통 득권 확 在地勢力 土豪 吏族 末以 來재 위 새롭게 성장 士族 게 심 위협 닐 수 없 留鄕所 중심으 촌 배세력 守令權 수령 혹 재소 통 중앙정 재 세력 통 욕 촌사 갖 복잡 조 변 촌사 내 士族 吏族 갈등 地主 特權 진 사 층농민 사 혼재 조선전 촌사 중앙권력 재 사 간 타협 전 세 사 배체 완성 할수 물론 렇게 정 훈 파 사림파 립 정치세력 충 함께 추진 으 性理 념 사 영원 용 으며 정 鄕約施 둘 싼 鄕 支配權 先占 確保 위 립 생 상에서 자는 기 부 지방 제 에 대 하는 향 들 적 리하였다. 글에 앞서 제해 었던 바와 같 고는 동연구 계상 한 연구대상대 나, 나, 나 같-만 하지 않 관계 논 다 만하였음 다. 그러나 적인 하나 서 기 향 회 자 적자 적인 해하 는 과 에서 러한 리도 하다고 각하, 제 지 지 논 리 하는 음 에 대 하고자 한다. 기 향 회는 한 지방 제 당하면서도 나 대는 ( ) 주 하는 향 자 구하고 있었다. 제 대 되는 기 지방 제 제 과 기 적 하고 있었, 는 향 회에서 적인 기 보하고 있던 ( )들과 麗 지기반 에서 하고 있던 들에 각한 아 었다. 한 향 지 에 대한 반발나 경 한 부 지 제 구는 바 시기 향 회 는 한 구 대 하는 었다. 여기에 향 회 부에서 과 間, 그리고 的 족과 기 문제 되면서 기 향 회는 과 지 족 양자 제되는 16 기 족지 제 하였다고 있다. 되 어는 과 상에서 구 와 라는 서 대 적인 상 있었고, 그들 하지 않 면 안 되었던 學라는 적 회운 리 작 되기도 하였 그 과 에서 行 러 논나 村 하기 한 대 도 발 하였 다. 그러나 같 상적인 상과 향 회 부에서는 지주 하는 정치 사 변화 함께 촌사 내 - 50 - 층으 성장

士族들 자신들 향촌지배권 중앙권력 (수령권)으부터 지키려는 자발적인 노력 경 주하고 있었다. 때 그 鄕約나 鄕規鄕案과 같 一鄕 망라하는 조직형태 구체 화되기도 하였고, 그보다는 좀 더 하부체계서 親隣的同志的 성격 지는 士族들 결 사체인 洞契들 조직되어 나기도 했다. 들 조직 부언할 필요도 없 성리학적 사족 지배질서 향촌사회에 식시키려는 목적 진 었고, 바 그러한 지배질서 주도 권 지키고 확보하려는 노력었다. 洞契조직과 鄕約鄕案鄕規조직 서 기반과 배경 되면서 둘 士族들 해 대변반영하는 향촌지배구조 성립시켰으며, 적어도 16세기 에 르면 조직 결속력 一鄕 支配 실현할 수 있었다고 보여진다. 한편 麗末鮮初 래 급격한 사회변화에 직면했던 基層民과 최말단 조직으서 촌락사회 는 조선전기 지배층들 자신들 지배질서체계 성숙시켜 는 동안, 생활공동체적인 자신들 조직들 마련하여 영위하고 있었다. 香徒나 소위 淫紀 지칭되었던 村契類 촌락 조직들 바 그었다. 들 기층민들 공동체 조직들 념나 식보다는 생활문 화체서 자연촌 범위 조직되었으며, 그런 점에서 士族들 洞契 理念 주축으 하 면서 보다 광범한 지역 대상으 하였던 과 대비된다. 洞契 士族들 결사체였다면 香徒村契類조직 촌락단위 공동체 조직었던 다. 들 香徒나 村契類 組織들 모습 양란 후 일반화된 17세기 上下合契 형태 洞契에서 일시나마 부각되는 바, 下契 구성원과 임무기능 바 들 전통적인 촌락공동체 조직과 연결되어 있는 다. 러한 향촌 자치와 자율추구경향 중앙권력 통제와 지배층(士林士族) 공조적인 타협으 일시 변형되기도 하고, 본래 목적했던 기능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 면도 있었으 나 일정하게는 조선전기 향촌사회 구조적으 지니고 있던 한계 속에서 꾸준히 그 자치추 구 성향 지속시켰다고 보여진다. - 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