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93
94
95
96 < 표 1> 운남의목재류
97
98
99 < 표 2> 운남목재류의과별분류
100 < 표 3> 운남의소채류 < 표 4> 운남의과실류
101 < 표 5> 운남의화훼류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民國時期 雲南의 自然生態와 經濟貿易 (姜判權) 121 년(1887) 중법전쟁 이후 맺은 조약개정에 따라 운남의 臨安府 蒙自가 개방되었다. 이에 따라 광서 15년(1889)에 雲貴總督 譚鈞培의 상주에 따라 몽자현성 동문 밖에 正關을, 蠻粍街에 分關을 설치했다. 아울러 몽자 서문 밖 및 河口에 각각 査卡旋을 설치했다. 선통원년(1909)에는 碧色寨 분관을, 선통 2년(1910)에는 운남부 분관을 다시 설치했다.145) 운남에서는 이 외 지역에서도 광서 말 思茅, 등월 등지가 개방되었 다.146) 운남의 교역은 동쪽에서는 昭通과 曲靖을 중심으로 사천과, 남쪽에 서는 몽자와 箇舊를 중심으로 양광, 상해와, 서쪽에서는 麗江을 중심으 로 티베트와 이루어졌다. 그런데 운남성 전체로 보면 곤명이 교역의 중심이었다. 운남의 교역품 중 수입은 대부분 棉紗였으며, 그 다음이 菸類, 磁器, 紙張, 乾果, 化學藥劑였다. 수출은 대부분 약재와 차였으며, 그 다음이 豬鬃, 麝香, 大頭菜, 식물성 염료 등이었다. 요컨대 상해에서 운남으로 수입한 물품은 菸類, 磁器, 紙張, 운남에서 상해로 수출한 것 은 茶藥材, 사천에서 운남으로 수입한 것은 生絲, 綢緞, 운남에서 사 천으로 수출한 것은 茶火腿, 운귀에서 운남으로 수입한 것은 棉紙, 府 綢, 竹器, 漆器, 운남에서 운귀로 수출한 것은 차와 소금, 약재, 티베트 에서 운남으로 수입한 것은 氈毯, 모직품, 운남에서 티베트로 수출한 것은 茶葉이었다. 이처럼 운남의 수출품 중 대표적인 것은 차와 약재 였으며, 복령, 사향을 비롯한 약재가 대부분을 차지했다.147) 운남에서 수입한 상품을 국가별로 보면, 홍콩, 인도, 월남, 미얀마 등 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홍콩이 수입의 50% 전후로 가장 비중이 높았 으며, 인도가 그 다음으로 18%, 월남이 15%, 미얀마가 7-8%를 차지했 다. 홍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이곳이 유럽, 미국, 일본 등 지의 상품이 들어오는 창구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홍콩을 통해 수입한 상품의 국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대체로 영국, 프랑스, 미국 등지 145)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3, 商業考一, p.10. 146)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3, 商業考一, p.11. 147)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p.7.
122 中國史硏究 第78輯 (2012. 6) 에서 들어온 상품이 많았다. 상품의 종류를 검토하면 운남의 근대공업 이 이 시기에 미약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수입 품은 대부분 직접 소비품이었다. 다만 면화, 면사 등은 가공품이기 때문에 운남의 경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여전히 운남의 낮은 단계의 경제수준이라 는 것을 보여준다.148) 운남의 국제 무역 품 중에서는 棉紗가 전체 무 역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1914년에서 1919년까지 몽자에서 수입한 면사는 인도사, 월남사, 일본사 중 인도사가 60-86%, 월남사가 4-28%, 일본사가 6-22%를 차지했다. 그런데 인도사의 경우는 대체로 해마다 증가한 반면 월남사와 일본사는 점차 줄어들었다.149) 煤油와 菸草 등 이 그 다음으로 비중이 높았다. 주요 무역 품목 중 운남에서 가장 많 이 수출한 것은 大錫이었다. 대석은 무역 총액 중 80%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많이 수출한 것은 黃絲, 牛羊皮 등이었다. 운남에서 가장 많 이 수출한 대석은 개방 이후에 그 양이 급증했으며, 선통 말에는 매년 102,466담에 이르렀다.150) 운남의 대석 수출은 전국에서도 99%를 차지 할 만큼 그 비중이 매우 높았다.151) Ⅴ. 맺음말 사계절 동안 큰 추위와 더위가 없는 운남은 식물이 자라는 데 아주 적합한 곳이다. 운남의 풍부한 식물은 이 지역민들의 생활에 큰 영향 을 주었다. 민국시기 운남의 지방지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의 식물 중 목재류는 62종이고, 그 중 학명의 과(科)처럼 분류한 나무는 소나뭇과 148) 董孟雄 等著, 雲南地區對外貿易史 (昆明: 雲南人民出版社, 1998), p.91. 149) 董孟雄 等著, 위의 책, p.189. 150)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p.8. 광서 15년에서 선통 3년까 지의 년도 별 대석 수출액과 운남의 대석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 는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pp.8-12 참조. 151)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p.11.
民國時期 雲南의 自然生態와 經濟貿易 (姜判權) 123 를 비롯해 6종이다. 6종 중에서도 대나무가 가장 많다. 작물류에서는 주로 벼를 비롯한 곡물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작물류의 특징 중 하나 는 대부분 자료에서 나무 혹은 화폐로 분류하는 茶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작물류에서 언급하고 있는 종류는 16종이고, 그 중 곡물이 벼 를 비롯해 9종이다. 소채류는 43종이다. 과실류는 나무만 언급한 게 아 니라 풀도 함께 다루고 있는 게 특징이다. 과실류는 자두나무를 비롯 하여 40종이다. 그 중 나무가 44종이고, 나머지는 풀 종류이다. 화훼류 에서 언급한 식물은 114종이지만, 그 중에서는 우리나라 식물 이름으 로 대체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운남의 식물은 이 지역의 기후에 적합할 뿐 아니라 이 지역민들의 주요한 음식재료를 제공했다. 특히 가공식품이 없는 시대의 음식 재료 는 거주지의 식물에 절대적으로 기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식물의 종 류와 영양에 따라 거주민의 건강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고에 서는 이러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않았지만, 중국 북동지역과 만주사이에 위치한 遵化州 사람들의 장수 비결이 다양한 식물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분석152)에서 알 수 있다. 지방지에 기록한 운남의 식물이 이 지역민들의 식생활에 미친 영향 은 식물을 약효로 바라본 지방지의 본초학적 시각에 기초한 것이다. 이 지역 인들은 경험을 통해 식물의 약효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그러 한 정보는 계승되면서 이 지역 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예컨대 오줌을 멈추게 하는 지뇨제로 사용한 은행나무 열매, 기름의 원료로 사용한 잣나무 열매 등은 이 지역 인들의 식생활에 필수였다. 그런데 이 시기 운남의 식물은 전적으로 토종만 존재한 게 아니라 아까시나무 (Black Locust)처럼 서양에서 수입한 것도 있었다. 운남 인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 혹은 광물을 단순히 자급자족하지 않고 상품으로 생산 판매했다. 식물 혹은 광물 의 상품화는 시장과 유통망의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운남에서 가장 152) 마크 엘빈 지음, 정철웅 옮김, 앞의 책, pp.504-512 참조.
124 中國史硏究 第78輯 (2012. 6) 중요한 시장은 곤명이었지만 각 지역마다 5일장을 통해 다양한 상품이 매매되었다. 운남에서 생산한 상품은 운남은 물론 운남과 인접한 사천, 양광, 상해 등지로 판매되었다. 그런데 개항 이후 운남의 교역은 중국 국내를 넘어 외국과도 이루어졌다. 운남에서 수출한 상품은 주로 차와 약재였으며, 운남에서 수입한 상품은 주로 목화와 견직물이었다. 운남 의 이러한 교역의 형태는 소비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 지역의 경제수준이 상당히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남을 비롯한 각 지역의 자연생태와 사회생태 및 인문생태의 관계 에 대한 이해는 그 지역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물 론 이러한 작업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루어져야하지만, 본고에서 는 사료 활용의 한계 때문에 성공적이지 못하다. 구체적인 사례는 운 남 인의 삶을 한층 생생하게 전달해 줄 府 縣志 자료의 활용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125
12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