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6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학회상 및 해동상 후보자 추천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에서는 매년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 전자공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 분에게 학회상 및 해동상을 아래와 같이 시상하고 있습니다. 해동상은 대덕전자(주) 김정식 회장께서 우리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³»Áö_10-6


The Magazine of the IEIE 2016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2016년도 회비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납부하도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16 학년도대학별논술고사일정 대학명 논술고사시행일 가톨릭대 [ 일반 ] 10 월 11 일 ( 일 ) / [ 의예 ] 11 월 15 일 ( 일 ) 건국대 [ 인문 ] 10 월 9 일 ( 금 ) / [ 자연 ] 10 월 10 일 ( 토 ) 경기대 10 월 18 일 (



国 內 唯 一 日 本 工 学. 産 業 技 術 情 報 図 書 館

- 2 -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경기 앆성시 남 강 * 구 읷반자금대출 부산 금정구 남 강 * 읷 읷반자금대출 경기 의왕시 남 강 * 태 읷반자금대출 경기 광주시 여 강 * 미 읷반자금

나하나로 5호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ROK-WhitePaper(2000).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회원명단 대한척추신기술학회회원명단 연번 성 명 근무처 전공 이메일 회원구분 1 강 구 태 대구늘열린성모병원 정형외과 정회원 2 강 석 형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신경외과 정회원 3 권 성 오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untitled

32 김 태 ' 목포시 시각 화면낭독S/W 센스리더베이직 350, ,000 35,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3 김 옥 ' 무안군 지적 의사소통보조기기 보이스탭 770, ,000 77,000 기초생활수급권자 34 최 섭 '8303

0001³»Áö

< D32C2F720BAB8C1F5B1DDC1F6BFF8C7FC20C0E5B1E2BEC8BDC9C1D6C5C320C0D4C1D6B4EBBBF3C0DAB8EDB4DC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감사회보 5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¾Æµ¿ÇÐ´ë º»¹®.hwp

1362È£ 1¸é

2.pdf

2017 년공공기관개인정보보호관리수준진단설명회 (3 차 ) 일시 : ( 목 ) 14:00 ~ 18:00 장소 : 한국인터넷진흥원본원 15층대강당 * 성명 : 가, 나, 다순서 순번 이름 기관명 이메일 1 강 * 모 서울특별시청

*팜플렛 A5양면2011-최종

주간의정동향 2014-제30호.hwp

08학술프로그램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歯이

2015 국민대학교 자체평가보고서

04 특집

직접비에비례하여간접비가발생하지않는비목의일부를제외하거나 상한을설정하여산정한수정직접비에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 비율을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 이하의조정비율을적용하여 산정한조정간접비비율을직접비에곱한금액 별표 의해당기관별간접비비율에직접비규모별차별적인조정비율을 적용하

hwp

0904-6부 tta부록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197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Untitled-1


에너지절약_수정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CONTENTS


3저널(2월호)-사 :26 PM 페이지31 DK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GB AV2š

141018_m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êÇÐ-150È£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È޴ϵåA4±â¼Û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소식지수정본-1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12하이브리드브로셔-국문

제 호 소속 : 을지대학교 성명 : 임현성 귀하를본학회재무이사로위촉합니다.

Á¦190È£(0825).hwp

서울서베이국제컨퍼런스 Seoul Survey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Quality of life in Mega City and Happiness of Seoul 메가시티의삶의질과행복서울


학부모신문225호최종

03 ¸ñÂ÷

[ 표 34] 원하는차기대통상 [ 표 35] 안철수원장의출마에견해 [ 표 36] 안철수원장과야당후보와의단일화에대한견해 [ 표 37] 단일화할경우누가로단일화되어야하는지에대한견해 [ 표 38] 공천비리사건에대한박근혜후보의책임여부.

2ÀåÀÛ¾÷

CC 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2010교육프로그램_

ÃѼŁ1-ÃÖÁ¾Ãâ·Â¿ë2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pdf..

- 1 -

2013여름시론(3-5)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hwp


기본과제 충북전략산업의네트워크분석 -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을중심으로 - Network Analysis of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buk - Case Study on Academic-industrial common technica

Jkafm093.hwp

Transcription:

ISSN 1016-9288 제43권 3호 2016년 3월호 제 4 3 권 제 3 호 The Magazine of the IEIE vol.43. no.3 ( ) 2 0 1 6 년 3 월 자 동 화 시 스 템 및 부 품 기 술 동 향 자동화 시스템 및 부품 기술 동향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광센서 기술 및 응용 산업자동화를 위한 Servo Motor의 기술과 시장 동향 광센서 기술 및 응용 사물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 기술 대 한 전 자 공 학 회 www.theieie.org

2016년도 회비납부 안내 1. 회비의 납부 및 유효기간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2015년과 동일함을 알려드리며, 아직 2016년도 회비를 납부하지 않으신 회원님께서는 납부하여 주시기 바라며, 연회비의 유효기간은 회비를 납부한 당해연도에 한합니다. 평생회원님 및 이미 회비를 납부해주신 회원님께서는 학회에서 정리관계로 시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양지하시고 이 항목은 무시하여 주십시요. 2016년도 회원 연회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 회 원 70,000원 (입회비 10,000원) 학생회원 30,000원 (입회비 면제) 평생회원 700,000원 - 평생회비 할인 제도 : 학회 홈페이지 안내 참조 - 평생회비 분납 제도(1년 한) : 평생회비 분할 납부를 원하시는 회원께서는 회원 담당에게 요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논문지(eBook) 제공 학회지와 논문지(국.영문)가 ebook으로 발간되어 학회 홈페이지(http://www.theieie.org)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다만 간행물을 우편으로 받기 원하시는 회원께서는 학회로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회비의 납부방법 신용카드(홈페이지 전자결재) 및 계좌이체 (한국씨티은행, 102-53125-258)를 이용하여 학회 연회비, 심사비 및 논문게재료 등을 납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석.박사 신입생 및 재학생 다년 학생회원 가입 및 회비 할인 제도 안내 우리 학회에서는 석ㆍ박사 신입생 및 재학생을 위하여 다년 학생회원 가입 제도 및 회비 할인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한 번의 회원가입으로 졸업 및 수료 때까지 학회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기 바라며 회비 할인 혜택까지 받으시길 바랍니다. 가입 대상 및 할인 혜택 - 가입 대상 : 2016년 석ㆍ박사 신입생 및 재학생 - 할인 내용 : 2 년 60,000원(1년당 30,000원) 2년 50,000원(16.7% 할인) 3년 90,000원(1년당 30,000원) 3년 70,000원(22.2% 할인) 4년 120,000원(1년당 30,000원) 4년 90,000원( 25% 할인) 5년 150,000원(1년당 30,000원) 5년 110,000원(26.7% 할인) 5. IEEE 회비 10% 할인(Due 해당액) 안내 우리 학회에서는 IEEE와 MOU체결을 통해 우리학회 회원의 경우 IEEE 회비의 할인(Due 금액의 10%)이 가능하오니, IEEE에 신규 가입하시거나 갱신하실 때 할인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웹사이트: https://www.ieee.org/membership-catalog/index.html?n=0 6. 문의처 대한전자공학회 사무국 김천일 과장(회원담당) (02-553-0255(내선 1번)) /E-mail: webmaster@theieie.org

国 內 唯 一 日 本 工 学. 産 業 技 術 情 報 図 書 館

Xplore

CONTENTS 제43권 3호 (2016년 3월) 학회소식 12 학회소식 / 편집부 14 학회일지 15 특집편집기 / 성홍석 특집 : 자동화 시스템 및 부품 기술 동향 16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 이종근, 이해수 27 광센서 기술 및 응용 / 이병철, 김상용 학회지 3월호 표지 (vol 43. No 3) 회지편집위원회 위원장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위 원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문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진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박 승 영 (강원대학교 교수) 백 동 현 (중앙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이 병 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승 호 (한밭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조 제 광 (LG전자 책임연구원) 진 훈 (경기대학교 교수) 채 관 엽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사무국 편집담당 변 은 정 과장(내선 3) TEL : (02)553-0255(대) FAX : (02)552-6093 학회 홈페이지 http://www.theieie.org 41 산업자동화를 위한 Servo Motor의 기술과 시장 동향 / 반기종, 김상용 51 온도 센서와 자기 홀(Hall) 센서의 응용 / 이병철, 이해수 64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기술 / 김세형 72 논문지 논문목차 74 박사학위논문 75 신간안내 정보교차로 76 국내외 학술행사 안내 / 편집부 84 특별회원사, 단체회원

The Magazine of the IEIE 2016년도 임원 및 각 위원회 위원 회 장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 총괄 수석부회장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 총괄 고 문 구 원 모 (전자신문사 대표이사) 김 기 남 (삼성전자(주) 사장) 박 청 원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백 만 기 (김&장법률사무소 변리사) 양 웅 철 (현대자동차 부회장) 이 상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이 재 욱 (노키아티엠씨 명예회장) 이 희 국 ( LG 상근고문) 천 경 준 ( 씨젠 회장) 감 사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부 회 장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회원, 지부, 표준화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 하계, 영문논문편집, 회지편집, 국제협력 안 승 권 (LG전자 사장) - 산학연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사업, 추계, 재무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 기획, 국문논문편집, 교육/홍보 소사이어티 회장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 컴퓨터소사이어티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 산업전자소사이어티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 통신소사이어티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 반도체소사이어티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산업체부회장 김 창 용 (삼성전자 DMC연구소장) 박 성 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협동부회장 김 기 호 (삼성전자 부사장) 김 달 수 ( 티엘아이 대표이사) 김 부 균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단장) 김 수 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김 철 동 ( 세원텔레텍 대표이사)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박 찬 구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파워세미텍 대표이사) 박 형 무 (동국대학교 교수)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 사업 성 하 경 (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본부장) 송 문 섭 ((유)엠세븐시스템 대표이사) 유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유 회 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이 상 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승 훈 (서강대학교 교수) 이 윤 종 ( 동부하이텍 부사장) 이 재 훈 (유정시스템 사장) 장 태 규 (중앙대학교 교수) 전 성 호 ( 솔루엠 대표이사) 정 준 ( 쏠리드 대표이사) 정 은 승 (삼성전자 부사장)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최 승 원 (한양대학교 교수) 한 대 근 (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허 염 ( 실리콘마이터스 대표이사)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호 요 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상 임 이 사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 국제협력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 사업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 총무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 사업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 SPC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 산학연 유 창 동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사업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 재무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기획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 표준화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산업체이사 고 요 환 ( 매그나칩반도체 전무) 김 보 은 ( 라온텍 사장) 김 진 선 (SK이노베이션 전무) 김 태 진 ( 더즈텍 사장) 김 현 수 (삼성전자 상무) 민 경 오 (LG전자 부사장) 박 동 일 (현대자동차 전무) 손 광 준 (산업통상자원부 PD) 송 창 현 (네이버 CTO) 오 의 열 (LG디스플레이 연구위원)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정 원 영 ( 다우인큐브 전무) 정 한 욱 ( MOS 강남 대표이사) 조 영 민 ( 스카이크로스코리아 사장) 조 재 문 (삼성전자 전무) 차 종 범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원장)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정 아 (삼성전자 전무) 최 진 성 (Sk텔레콤 전무)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홍 국 태 (LG전자 연구위원) 이 사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 ICCE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사업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 총무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 표준화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 사업

김 문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회지편집 김 성 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실장) - 학술(하계)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 기획 김 용 석 (성균관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 총무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표준화 김 창 익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사업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학술(하계)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문 용 (숭실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민 경 식 (국민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 사업 변 영 재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 기획 송 용 호 (한양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 총무 예 종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논문편집 유 윤 섭 (한경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 기획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 산학연/학술(추계) 이 병 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회지편집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 SPC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 기획 이 승 호 (한밭대학교 교수) - 회지편집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이 윤 식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이 찬 호 (숭실대학교 교수) - 산학연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이 호 진 (숭실대학교 교수) - 표준화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임 기 택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 사업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정 의 영 (연세대학교 교수) - ICCE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 국제협력 조 성 환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ICCE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SPC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 산학연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 재무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한 재 호 (고려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허 재 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 ICCE 현 경 숙 (세종대학교 교수) - 논문편집 협 동 이 사 강 석 형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고 윤 호 (충남대학교 교수) - 산학연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김 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선임연구원) - 사업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 회지 김 남 용 (강원대학교 교수) - 회원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 학술(하계)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김 승 구 (충북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김 영 진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회지 김 영 희 (창원대학교 교수) - 회원 김 윤 희 (경희대학교 교수) - 재무 김 준 모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사업 김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 SPC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 기획 남 대 경 (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 사업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류 수 정 (삼성전자(주) 상무) - 국제협력 박 기 찬 (건국대학교 교수) - 표준화 박 승 영 (강원대학교 교수) - 회지 박 재 형 (전남대학교 교수) - 회원 박 주 현 (픽셀플러스 실장) - 산학연 박 준 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기획 박 천 수 (세종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변 대 석 (삼성전자(주) 마스터) - 국제협력 변 철 우 (원광대학교 교수) - 회원 서 진 수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사업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 사업 선 우 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기획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 사업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 표준화 유 경 식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학술(하계) 이 가 원 (충남대학교 교수) - 논문 이 강 윤 (성균관대학교 교수) - 학술(추계) 이 기 성 (고려대학교 교수) - ICEIC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 회원/정보화 이 민 영 (반도체산업협회 본부장) - 산학연 이 석 필 (상명대학교 교수) - 교육/홍보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 논문 이 창 우 (가톨릭대학교 교수) - 기획 이 채 은 (인하대학교 교수) - 논문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 사업 장 익 준 (경희대학교 교수) - 논문 전 문 구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 기획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 회지 전 준 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책임연구원) - 학술(추계)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 기획 정 윤 호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논문 조 명 진 (네이버 박사) - 학술(하계) 조 수 현 (홍익대학교 교수) - 총무 최 병 덕 (한양대학교 교수) - 표준화 최 윤 경 (삼성전자(주) 마스터) - 총무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 학술(하계)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 회지 지부장 명단 강 원 지 부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광주 전남지부 이 배 호 (전남대학교 교수) 대구 경북지부 박 정 일 (영남대학교 교수) 대전 충남지부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부산 경남 울산지부 이 장 명 (부산대학교 교수) 전 북 지 부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제 주 지 부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충 북 지 부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호 서 지 부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일 본 지 부 백 인 천 (AIZU대학교 교수) 미 국 지 부 최 명 준 (텔레다인 박사)

The Magazine of the IEIE 자문위원회 위원회 명단 위 원 장 박 진 옥 (명예회장) 부 위 원 장 김 영 권 (명예회장) 위 원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김 덕 진 (명예회장) 김 도 현 (명예회장) 김 성 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수 중 (명예회장) 김 재 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 정 식 (대덕전자 회장) 나 정 웅 (명예회장) 문 영 식 (한양대학교 교수) 박 규 태 (명예회장) 박 성 한 (명예회장) 박 항 구 (소암시스텔 회장) 변 증 남 (명예회장) 서 정 욱 (명예회장) 성 굉 모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윤 종 용 (삼성전자 비상임고문) 이 문 기 (명예회장) 이 상 설 (명예회장) 이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이 충 웅 (명예회장) 이 태 원 (명예회장) 임 제 탁 (명예회장)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전 홍 태 (중앙대학교 교수) 정 정 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홍 승 홍 (명예회장) 기획위원회 위 원 장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위 원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박 준 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이 창 우 (가톨릭대학교 교수)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최 준 원 (한양대학교 교수) 학술연구위원회 위 원 장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 하계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추계 위 원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구 형 일 (아주대학교 교수)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김 성 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실장) 김 영 로 (명지전문대학 교수) 김 용 권 (건양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김 철 우 (고려대학교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박 상 윤 (명지대학교 교수) 박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변 영 재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서 성 규 (고려대학교 교수)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유 경 식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이 병 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채 은 (인하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제 민 규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조 명 진 (네이버 박사)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논문편집위원회 위 원 장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김 경 기 (대구대학교 교수) 김 지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 진 성 (선문대학교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재 성 (교통대학교 교수) 이 채 은 (인하대학교 교수) 장 익 준 (경희대학교 교수) 정 윤 호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국제협력위원회 위 원 장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위 원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훈 (Synopsys Korea 이사) 김 준 모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남 병 규 (충남대학교 교수) 류 수 정 (삼성전자 상무) 류 현 석 (삼성전자 마스터) 박 성 정 (건국대학교 교수)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신 원 용 (단국대학교 교수)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이 영 주 (광운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장 익 준 (경희대학교 교수) 정 재 웅 (Atto Research CEO) 정 진 섭 (Innowireless SVP) 조 상 연 (삼성전자 상무)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산학연협동위원회 위 원 장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위 원 고 윤 호 (충남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남 병 규 (충남대학교 교수) 박 주 현 (픽셀플러스 실장)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이 민 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본부장) 이 정 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창 석 (한밭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제 민 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차 철 웅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회원관리위원회 위 원 장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권 구 락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구 (충북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박 천 수 (세종대학교 교수) 유 윤 섭 (한경대학교 교수)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한 재 호 (고려대학교 교수) 회지편집위원회 위 원 장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위 원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문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진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박 승 영 (강원대학교 교수) 백 동 현 (중앙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이 병 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승 호 (한밭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조 제 광 (LG전자 책임연구원) 진 훈 (경기대학교 교수) 채 관 엽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사업위원회 위 원 장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유 창 동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위 원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고 중 혁 (중앙대학교 교수)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김 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선임연구원)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선 (홍익대학교 교수)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김 준 모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창 익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남 대 경 (전자부품연구원 팀장)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문 현 욱 (동원대학교 교수) 민 경 식 (국민대학교 교수) 박 강 령 (동국대학교 교수) 박 정 욱 (연세대학교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서 인 식 (라이트웍스 대표이사) 서 진 수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송 용 호 (한양대학교 교수) 신 현 출 (숭실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윤 재 철 (삼성전자 수석)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임 기 택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조 면 균 (세명대학교 교수) 조 제 광 (LG전자 박사)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윤 경 (삼성전자 마스터)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 진 호 (LG전자 수석연구원)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교육홍보위원회 위 원 장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부 위 원 장 이 석 필 (상명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정 구 (부산대학교 교수) 김 준 태 (건국대학교 교수) 류 시 복 (자동차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동 훈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이 종 호 (서울대학교 교수) 임 기 택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장 길 진 (경북대학교 교수) 장 준 혁 (한양대학교 교수)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표준화위원회 위 원 장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구 정 래 (한국심사자격인증원 팀장)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병 철 (한양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옥 수 (인피니언코리아 이사) 김 종 훈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두 영 호 (현대오트론 책임연구원) 박 기 찬 (건국대학교 교수) 박 주 현 (픽셀플러스 실장) 신 성 호 (한국기술표준원 연구관)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윤 대 원 (법무법인 다래 이사) 이 민 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본부장) 이 상 근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 상 미 (IITP 팀장) 이 상 준 (수원과학대학 교수) 이 서 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과장) 이 종 묵 (SOL 대표) 이 호 진 (숭실대학교 교수) 장 미 혜 (연세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좌 성 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차 철 웅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최 병 덕 (한양대학교 교수) 한 태 수 (국가기술표준원/표준협회 표준코디) 정보화위원회 위 원 장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위 원 권 구 락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구 (충북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박 천 수 (세종대학교 교수) 유 윤 섭 (한경대학교 교수)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한 재 호 (고려대학교 교수)

The Magazine of the IEIE 지부담당위원회 위 원 장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위 원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박 정 일 (영남대학교 교수) 백 인 천 (AIZU대학교 교수) 이 장 명 (부산대학교 교수)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최 명 준 (텔레다인 박사)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최 조 천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선거관리위원회 위 원 장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위 원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포상위원회 위 원 장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유 창 동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재정위원회 위 원 장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위 원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한 대 근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인사위원회 위 원 장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위 원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SPC위원회 위 원 장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위 원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박 철 수 (광운대학교 교수) 이 기 성 (고려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채 은 (인하대학교 교수)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한 영 선 (경일대학교 교수)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JSTS위원회 위 원 장 Hoi-Jun Yoo (KAIST) 부 위 원 장 Dim-Lee Kwong (Institute of Microelectronics) 위 원 Akira Matsuzawa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Byeong-Gyu Nam (Chungnam National Univ.) Byung-Gook Park (Seoul National Univ.) Cary Y. Yang (Santa Clara Univ.) Chang sik Yoo (Hanyang Univ.) Chennupati Jagadish (Australian National Univ.) Deog-Kyoon Jeong (Seoul National Univ.) Dong S. Ha (Virginia Tech) Eun Sok Kim (USC) Gianaurelio Cuniberti (Dresden Univ. of Technology) Hi-Deok Lee (Chungnam Univ.) Hong June Park (POSTECH) Hyoung sub Kim (Sungkyunkwan Univ.) Hyun-Kyu Yu (ETRI) Jamal Deen (McMaster University, Canada) Jin wook Burm (Sogang Univ.) Jong-Uk Bu (Sen Plus) Jun young Park (UX Factory) Kofi Makinwa (Delft Univ. of Technology) Meyya Meyyappan (NASA Ames Research Center) Min-kyu Song (Dongguk Univ.) Moon-Ho Jo (POSTECH) Nobby Kobayashi (UC Santa Cruz) Paul D. Franzon (North Carolina State Univ.) Rino Choi (Inha Univ.) Sang-Hun Song (Chung-Ang Univ.) Sang-Sik Park (Sejong Iniv.) Seung-Hoon Lee (Sogang Univ.) Shen-Iuan Liu (National Taiwan Univ.) Shi ho Kim (Yonsei Univ.) Stephen A. Campbell (Univ. of Minnesota) Sung Woo Hwang (Korea Univ.) Tadahiro Kuroda (Keio Univ.) Tae-Song Kim (KIST) Tsu-Jae King Liu (UC Berkeley) Vojin G. Oklobdzija (Univ. of Texas at Dallas) Weileun Fang (National Tsing Hua Univ.) Woo geun Rhee (Tsinghua Univ.) Yang-Kyu Choi (KAIST) Yogesh B. Gianchandani (Univ. of Michigan, Ann Arbor) Yong-Bin Kim (Northeastern Univ.) Yuhua Cheng (Peking Univ.)

Society 명단 통신소사이어티 회 장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부 회 장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 사업 이 흥 노 (광주과기원 교수) - 학술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 재무/편집 감 사 방 성 일 (단국대학교 교수) 이 호 경 (홍익대학교 교수) 협동부회장 김 병 남 (에이스테크놀로지 연구소장) 김 연 은 ( 브르던 대표이사) 김 영 한 (숭실대학교 교수) 김 용 석 ( 답스 대표이사) 김 인 경 (LG전자 상무) 류 승 문 ( 카서 대표이사) 박 용 석 ( LICT 대표이사) 방 승 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연 철 흠 (LGT 상무) 오 정 근 ( ATNS 대표이사) 이 승 호 ( 하이게인 부사장) 정 진 섭 (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이 재 훈 (유정시스템 대표이사) 정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이 사 김 선 용 (건국대학교 교수) 김 성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진 영 (광운대학교 교수) 노 윤 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서 철 헌 (숭실대학교 교수) 성 원 진 (서강대학교 교수) 신 요 안 (숭실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종 호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이 인 규 (고려대학교 교수) 이 재 훈 (동국대학교 교수) 이 종 창 (홍익대학교 교수) 임 종 태 (홍익대학교 교수) 장 병 수 (KT 상무) 조 인 호 (에이스테크놀로지 박사) 최 진 식 (한양대학교 교수)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허 서 원 (홍익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 통신연구회 유 태 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 스위칭 및 라우팅연구회 조 춘 식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마이크로파 및 전파전파연구회 이 철 기 (아주대학교 교수) - ITS연구회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정보보안시스템연구회 김 강 욱 (경북대학교 교수) - 군사전자연구회 - 방송ㆍ통신융합기술연구회 박 광 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 무선 PAN/BAN연구회 김 봉 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 미래네트워크연구회 간 사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김 광 순 (연세대학교 교수) 반도체소사이어티 회 장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자 문 위 원 권 오 경 (한양대학교 교수) 선우명훈 (아주대학교 교수) 신 윤 승 (삼성전자 고문) 신 현 철 (한양대학교 교수) 우 남 성 (삼성전자 사장) 임 형 규 (SK하이닉스 부회장) 감 사 정 진 균 (전북대학교 교수) 최 준 림 (경북대학교 교수) 수석부회장 조 중 휘 (인천대학교 교수) 연구담당부회장 조 경 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사업담당부회장 김 진 상 (경희대학교 교수) 학술담당부회장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총 무 이 사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박 종 선 (고려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편 집 이 사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한 태 희 (성균관대학교 교수) 학 술 이 사 강 진 구 (인하대학교 교수) 김 영 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 재 석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박 성 정 (건국대학교 교수)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정 연 모 (경희대학교 교수)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사 업 이 사 강 성 호 (연세대학교 교수) 강 태 원 (넥셀 사장)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권 기 원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경 기 (대구대학교 교수)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동 현 (ICTK 사장)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준 석 (ADT 사장) 김 철 우 (고려대학교 교수) 김 한 기 (코아로직 사장) 손 보 익 (LG전자 전무) 송 태 훈 (휴인스 사장) 신 용 석 (케이던스코리아 사장) 안 흥 식 (Xilinx Korea 지사장) 양 영 인 (멘토 사장) 유 경 동 (SK하이닉스 상무) 윤 광 섭 (인하대학교 교수) 이 도 영 (옵토레인 대표) 이 윤 종 (동부하이텍 상무) 이 종 열 (FCI 부사장) 정 해 수 (Synopsys 사장) 정 희 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 조 대 형 (스위스로잔연방공대 총장수석보좌관)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조 태 제 (삼성전자 마스터)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윤 경 (삼성전자 마스터) 최 종 찬 (전자부품연구원 본부장) 황 규 철 (삼성전자 상무) 재 무 이 사 김 희 석 (청주대학교 교수) 임 신 일 (서경대학교 교수) 회 원 이 사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최 기 영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 반도체.재료부품연구회 오 민 철 (부산대학교 교수) - 광파및양자전자공학 연구회 이 찬 호 (숭실대학교 교수) - SoC설계연구회 신 현 철 (광운대학교 교수) - RF집적회로연구회 정 원 영 (다우인큐브 상무) - PCB&Package연구회 간 사 김 형 탁 (홍익대학교 교수) 문 용 (숭실대학교 교수) 전 경 구 (인천대학교 교수) 어 영 선 (한양대학교 교수)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차 호 영 (홍익대학교 교수)

The Magazine of the IEIE 컴퓨터소사이어티 회 장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명 예 회 장 김 형 중 (고려대학교 교수) 박 인 정 (단국대학교 교수) 박 춘 명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신 인 철 (단국대학교 교수) 안 병 구 (홍익대학교 교수) 이 규 대 (공주대학교 교수) 임 기 욱 (선문대학교 교수)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홍 유 식 (상지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이 강 현 (조선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감 사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부 회 장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협동부회장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영 학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본부장) 김 천 식 (세종대학교 교수) 임 병 민 ( Agerigna Co.,Ltd 회장)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조 병 순 ( 시엔시 인스트루먼트 사장) 총 무 이 사 박 수 현 (국민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재 무 이 사 김 진 홍 (한성대학교 교수) 이 기 영 (을지대학교 교수) 홍 보 이 사 황 인 정 (명지병원 책임) 편 집 이 사 강 병 권 (순천향대학교 교수) 기 장 근 (공주대학교 교수) 변 영 재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이 석 환 (동명대학교 교수) 진 성 아 (성결대학교 교수) 진 훈 (경기대학교 교수) 학 술 이 사 강 상 욱 (상명대학교 교수)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손 경 락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우 운 택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이 성 로 (목포대학교 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허 준 (경민대학교 교수) 사 업 이 사 김 종 윤 (경동대학교 교수) 김 홍 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박 세 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박 승 창 ( 유오씨 사장)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산 학 이 사 김 대 휘 ( 경봉 대표이사) 김 성 길 ( K4M 이사) 김 종 국 ( 이로젠 대표) 노 소 영 (월송출판 대표이사) 서 봉 상 ( 올포랜드 이사) 송 치 봉 (웨이버스 이사) 오 승 훈 (LG C&S 과장) 유 성 철 (LG히다찌 산학협력팀장) 논문편집위원장 연구회위원장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 융합컴퓨팅연구회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 인공지능/신경망/퍼지 연구회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멀티미디어연구회 진 훈 (경기대학교 교수) - 유비쿼터스시스템연구회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 M2M/IoT 연구회 신호처리소사이어티 회 장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김 홍 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영 렬 (세종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감 사 김 원 하 (경희대학교 교수)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부 회 장 김 문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창 익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협동부회장 강 동 욱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CP) 김 진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장)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변 혜 란 (연세대학교 교수) 신 원 호 (LG전자 상무) 양 인 환 (TI Korea 이사)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이 병 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지 인 호 (홍익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이 사 강 현 수 (충북대학교 교수) 권 기 룡 (부경대학교 교수) 김 남 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해 광 (세종대학교 교수) 박 구 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서 정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신 지 태 (성균관대학교 교수) 엄 일 규 (부산대학교 교수) 유 양 모 (서강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임 재 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장 길 진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장 준 혁 (한양대학교 교수) 한 종 기 (세종대학교 교수) 협 동 이 사 강 상 원 (한양대학교 교수) 강 제 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구 형 일 (아주대학교 교수) 권 구 락 (조선대학교 교수) 김 기 백 (숭실대학교 교수) 김 기 백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효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용 환 (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김 응 규 (한밭대학교 교수) 김 재 곤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박 상 윤 (명지대학교 교수) 박 현 진 (성균관대학교 교수) 박 호 종 (광운대학교 교수) 서 영 호 (광운대학교 교수) 신 재 섭 ( 픽스트리 대표이사) 신 종 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양 현 종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기 승 (건국대학교 교수) 이 종 설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이 창 우 (카톨릭대학교 교수) 임 재 윤 (제주대학교 교수) 장 세 진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최 승 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최 준 원 (한양대학교 교수) 홍 성 훈 (전남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김 무 영 (세종대학교 교수) - 음향및신호처리연구회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 영상신호처리연구회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 영상이해연구회 예 종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바이오영상신호처리연구회 총 무 간 사 허 용 석 (아주대학교 교수)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회 장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부 회 장 정 길 도 (전북대학교 교수) 김 영 철 (군산대학교 교수) 이 경 중 (연세대학교 교수) 유 정 봉 (공주대학교 교수) 주 영 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박 종 국 (경희대학교 교수) 서 일 홍 (한양대학교 교수) 김 덕 원 (연세대학교 교수) 김 희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허 경 무 (단국대학교 교수)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오 상 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원장)

감 사 김 영 진 (생산기술연구원 박사) 남 기 창 (연세대학교 교수) 총 무 이 사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박사) 김 용 태 (한경대학교 교수) 재 무 이 사 최 영 진 (한양대학교 교수) 김 준 식 (KIST 박사) 학 술 이 사 서 성 규 (고려대학교 교수) 김 용 권 (건양대학교 교수) 박 재 흥 (서울대학교 교수) 편 집 이 사 남 기 창 (연세대학교 교수) 이 수 열 (경희대학교 교수)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기 획 이 사 최 현 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사) 이 덕 진 (군산대학교 교수)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사 업 이 사 이 석 재 (대구보건대학교 교수) 고 낙 용 (조선대학교 교수) 양 연 모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산학연이사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강 대 희 (유도 박사) 홍 보 이 사 김 호 철 (을지대학교 교수) 박 재 병 (전북대학교 교수) 여 희 주 (대진대학교 교수) 회 원 이 사 이 학 성 (세종대학교 교수) 변 영 재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문 정 호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연구회위원장 한 수 희 (POSTECH 교수) - 제어계측연구회 이 성 준 (한양대학교 교수) - 회로및시스템연구회 남 기 창 (동국대학교 교수) - 의용전자 및 생체공학연구회 김 규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 전력전자연구회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 - 지능로봇연구회 전 순 용 (동양대학교 교수) - 국방정보및제어연구회 - 자동차전자연구회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 의료영상시스템연구회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 스마트팩토리연구회 산업전자소사이어티 회 장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명 예 회 장 강 창 수 (유한대학교 교수)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자 문 위 원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김 종 부 (인덕대학교 교수) 윤 한 오 (동국대학교 교수) 이 상 준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최 영 일 (조선이공대학교 총장) 부 회 장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한 완 옥 (여주대학교 교수) 감 사 김 영 선 (대림대학교 교수)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협동부회장 강 현 웅 (핸즈온테크놀로지 대표) 곽 은 식 (경봉 부사장) 김 대 휘 (한국정보기술 대표) 김 영 주 (훼스텍 상무) 김 응 연 (인터그래택 대표) 김 정 석 (ODA테크롤로지 대표) 김 종 인 (LG엔시스 본부장) 김 진 선 (청파이엠티 대표) 김 창 일 (아이지 대표) 김 태 형 (하이버스 대표) 남 승 우 (상학당 대표) 박 용 후 (이디 대표) 박 현 찬 (나인플러스EDA 대표) 성 재 용 (오픈링크시스템 대표) 송 광 헌 (복두전자 대표) 이 영 준 (비츠로시스 본부장) 장 철 (LG히타찌 본부장)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 한 성 준 (아이티센 부사장) 이 사 강 민 구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강 희 훈 (여주대학교 교수) 고 정 환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곽 칠 성 (재능대학교 교수)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권 오 복 (국제대학교 교수) 권 오 상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김 남 섭 (서일대학교 교수) 김 덕 수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김 덕 영 (부천대학교 교수) 김 상 범 (폴리텍인천 교수) 김 영 로 (명지전문대학 교수) 김 영 우 (두원공과대학교 교수) 김 영 준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윤 석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태 용 (구미대학교 교수) 문 현 욱 (동원대학교 교수) 박 성 욱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박 종 우 (재능대학교 교수) 박 진 홍 (혜전대학교 교수) 반 기 종 (부천대학교 교수) 방 경 호 (명지전문대학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배 효 관 (동원대학교 교수) 백 승 철 (우송정보대학교 교수) 변 상 준 (대덕대학교 교수) 서 병 석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성 홍 석 (부천대학교 교수) 손 병 희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송 도 선 (우송정보대학교 교수) 송 정 태 (동서울대학교 교수) 신 진 섭 (경민대학교 교수) 신 철 기 (부천대학교 교수) 심 완 보 (충청대학교 교수) 안 성 수 (명지전문대학 교수)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엄 우 용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오 태 명 (명지전문대학 교수) 용 승 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우 찬 일 (서일대학교 교수) 윤 중 현 (조선이공대학교 교수) 이 철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규 희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이 동 영 (명지전문대학 교수) 이 명 문 (수원과학대학교 교수) 이 상 철 (재능대학교 교수) 이 승 우 (동원대학교 교수) 이 시 현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정 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이 종 근 (부천대학교 교수) 이 종 성 (부천대학교 교수) 이 종 용 (광운대학교 교수) 이 종 하 (전주비전대학교 교수) 이 태 동 (국제대학교 교수) 장 기 동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장 성 석 (영진전문대학 교수) 전 종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정 환 익 (경복대학교 교수) 조 경 식 (국제대학교 교수) 주 진 화 (오산대학교 교수) 최 선 정 (국제대학교 교수) 최 의 선 (폴리텍아산 교수) 최 현 식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교수) 허 윤 석 (충청대학교 교수) 황 수 철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협 동 이 사 강 현 석 (로보웰코리아 대표) 고 강 일 (핸즈온테크놀로지 부장) 김 민 준 (베리타스 부장) 김 세 종 (SJ정보통신 부사장) 김 순 식 (청파이엠티 이사) 김 연 길 (대보정보통신 본부장) 김 태 웅 (윕스 부장) 박 정 민 (오므론 과장) 서 봉 상 (올포랜드 이사) 송 치 봉 (웨이버스 이사) 신 우 현 (경봉 상무) 양 영 규 (아이지 상무) 오 승 훈 (LG-CNS 과장) 오 재 곤 (세인 부사장) 원 우 연 (이디 부장) 유 성 철 (LG히다찌 산학팀장) 유 제 욱 (한빛아카데미 부장) 이 성 대 (비츠로시스 이사) 이 요 한 (유성SDS 대표) 이 재 준 (한백전자 부장) 이 진 우 (글로벌이링크 대표) 이 현 성 (한국마케팅 대표) 장 대 현 (지에스비텍 상무) 조 규 남 (로봇신문사 대표) 조 병 영 (태진인포텍 전무) 조 한 일 (투데이게이트 이사) 한 상 우 (인터그래택 팀장)

The Magazine of the IEIE 제20대 평의원 명단 강 문 식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강 민 제 (제주대학교 교수) 강 성 호 (연세대학교 교수) 강 의 성 (순천대학교 교수) 강 진 구 (인하대학교 교수) 강 창 수 (유한대학교 교수) 강 훈 (중앙대학교 교수) 고 균 병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고 성 제 (고려대학교 교수) 고 요 환 (SK하이닉스 고문) 공 배 선 (성균관대학교 교수) 공 준 진 (삼성전자 마스터) 곽 우 영 (현대자동차그룹 부사장) 구 경 헌 (인천대학교 교수) 구 용 서 (단국대학교 교수) 구 원 모 (전자신문사 대표이사) 구 자 일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권 기 룡 (부경대학교 교수) 권 순 철 (KT ENS 대표이사) 권 오 경 (한양대학교 교수) 권 오 현 (삼성전자 부회장) 권 종 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 종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선임연구원) 권 혁 인 (중앙대학교 교수) 권 호 열 (강원대학교 교수) 김 경 수 (만도 사장) 김 경 연 (제주대학교 교수) 김 경 원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김 기 호 (삼성전자 부사장) 김 달 수 (TLI 대표이사) 김 대 환 (국민대학교 교수) 김 덕 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김 도 현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김 도 현 (제주대학교 교수) 김 동 규 (한양대학교 교수) 김 동 순 (전자부품연구원 박사) 김 동 식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김 문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보 은 (라온텍 사장) 김 봉 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부 균 (숭실대학교 교수) 김 상 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단장) 김 선 용 (건국대학교 교수) 김 선 욱 (고려대학교 교수) 김 성 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소 영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수 원 (고려대학교 교수) 김 수 중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김 수 찬 (한경대학교 교수) 김 수 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승 천 (한성대학교 교수) 김 시 원 (삼성전자 부장) 김 시 호 (연세대학교 교수) 김 영 권 ((전) 몽골 후레정보통신대학교 총장) 김 영 선 (대림대학교 교수) 김 영 철 (군산대학교 교수) 김 영 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 용 민 (충청대학교 교수) 김 용 석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 용 신 (고려대학교 교수) 김 원 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은 원 (대림대학교 교수) 김 재 석 (연세대학교 교수) 김 재 하 (서울대학교 교수) 김 재 현 (아주대학교 교수) 김 재 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 정 식 (대덕전자 회장) 김 정 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정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김 종 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김 종 옥 (고려대학교 교수) 김 주 신 (만도 사장) 김 준 모 (KAIST 교수) 김 진 선 (SK컨티넨탈이모션 대표이사) 김 진 영 (광운대학교 교수) 김 창 수 (고려대학교 교수) 김 창 용 (삼성전자 부사장) 김 창 익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창 현 (삼성전기 부사장) 김 철 동 (세원텔레텍 대표이사) 김 태 욱 (연세대학교 교수) 김 태 원 (상지영서대학교 교수) 김 태 진 (더즈텍 사장) 김 태 찬 (고려대학교 박사) 김 현 (부천대학교 교수) 김 홍 국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김 화 종 (강원대학교 교수) 김 회 린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김 훈 (인천대학교 교수) 김 희 석 (청주대학교 교수) 김 희 식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나 정 웅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남 기 창 (연세대학교 교수) 남 상 엽 (국제대학교 교수) 남 상 욱 (서울대학교 교수) 노 용 만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노 원 우 (연세대학교 교수) 노 정 진 (한양대학교 교수) 노 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동 성 수 (용인송담대학교 교수) 류 수 정 (삼성종합기술원 마스터) 문 영 식 (한양대학교 교수) 민 경 식 (국민대학교 교수) 민 경 오 (LG전자 전무) 박 광 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박 규 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박 래 홍 (서강대학교 교수) 박 민 식 (전주비전대학교 교수) 박 병 국 (서울대학교 교수) 박 병 하 (삼성전자 전무) 박 성 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박 성 한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박 인 규 (인하대학교 교수) 박 정 일 (영남대학교 교수) 박 종 일 (한양대학교 교수) 박 진 옥 (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 박 찬 구 (LS파워세미텍 대표이사) 박 찬 용 (LG전자 수석연구원) 박 춘 명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박 항 구 (소암시스텔 회장) 박 현 욱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박 현 창 (동국대학교 교수) 박 형 무 (동국대학교 교수) 박 홍 준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방 극 준 (인덕대학교 교수) 방 성 일 (단국대학교 교수) 백 광 현 (중앙대학교 교수) 백 만 기 (김&장법률사무소 변리사) 백 준 기 (중앙대학교 교수) 백 흥 기 (전북대학교 교수) 범 진 욱 (서강대학교 교수) 변 대 석 (삼성전자 마스터) 변 증 남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서 경 학 (한국연구재단 단장) 서 승 우 (서울대학교 교수) 서 정 욱 ((전) 과학기술부 장관) 서 철 헌 (숭실대학교 교수) 서 춘 원 (김포대학교 교수) 선우명훈 (아주대학교 교수) 성 굉 모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성 해 경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송 문 섭 (엠세븐시스템 사장) 송 민 규 (동국대학교 교수) 송 병 철 (인하대학교 교수) 송 상 헌 (중앙대학교 교수) 송 창 현 (네이버 이사) 신 오 순 (숭실대학교 교수) 신 요 안 (숭실대학교 교수) 신 종 균 (삼성전자 사장) 신 현 철 (광운대학교 교수) 심 동 규 (광운대학교 교수) 심 정 연 (강남대학교 교수) 안 기 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 안 길 초 (서강대학교 교수) 안 병 구 (홍익대학교 교수) 안 승 권 (LG전자 사장) 안 태 원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안 현 식 (동명대학교 교수) 양 우 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장) 양 웅 철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 엄 낙 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엄 일 규 (부산대학교 교수) 여 상 덕 (LG디스플레이 부사장) 연 규 봉 (자동차부품연구원 팀장) 오 상 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오 승 록 (단국대학교 교수) 오 은 미 (삼성전자 마스터) 오 창 현 (고려대학교 교수) 원 영 진 (부천대학교 교수) 원 치 선 (동국대학교 교수) 유 명 식 (숭실대학교 교수) 유 제 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팀장) 유 창 동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유 창 식 (한양대학교 교수)

유 철 우 (명지대학교 교수) 유 현 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유 회 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유 흥 균 (충북대학교 교수) 윤 광 섭 (인하대학교 교수) 윤 기 방 (인천대학교 교수) 윤 석 현 (단국대학교 교수) 윤 성 로 (서울대학교 교수) 윤 영 권 (삼성전자 마스터) 윤 은 준 (경일대학교 교수) 윤 일 구 (연세대학교 교수) 윤 종 용 (삼성전자 비상임고문) 이 강 윤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 강 현 (조선대학교 교수) 이 광 엽 (서경대학교 교수) 이 규 대 (공주대학교 교수) 이 기 영 (을지대학교 교수) 이 문 구 (김포대학교 교수) 이 문 기 ((전) 연세대학교 교수) 이 민 호 (경북대학교 교수) 이 배 호 (전남대학교 교수) 이 병 선 (김포대학교 교수) 이 상 근 (중앙대학교 교수) 이 상 설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이 상 윤 (연세대학교 교수) 이 상 홍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센터장) 이 상 회 (동서울대학교 교수) 이 석 희 (SK하이닉스 전무) 이 성 수 (숭실대학교 교수) 이 성 준 (한양대학교 교수) 이 승 훈 (서강대학교 교수) 이 영 렬 (세종대학교 교수) 이 용 구 (한림성심대학교 교수) 이 용 식 (연세대학교 교수) 이 용 환 (서울대학교 교수) 이 원 석 (동양미래대학교 교수) 이 윤 식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 윤 우 (삼성전자 상임고문) 이 장 명 (부산대학교 교수) 이 재 성 (고려대학교 교수) 이 재 진 (숭실대학교 교수) 이 재 홍 (서울대학교 교수) 이 재 훈 (유정시스템 사장) 이 재 훈 (동국대학교 교수) 이 정 수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이 진 구 (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이 찬 수 (영남대학교 교수) 이 찬 호 (숭실대학교 교수) 이 천 희 ((전) 청주대학교 교수) 이 충 용 (연세대학교 교수) 이 충 웅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 태 원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이 필 중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이 한 호 (인하대학교 교수) 이 혁 재 (서울대학교 교수) 이 형 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위원) 이 호 경 (홍익대학교 교수) 이 흥 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이 희 국 (LG기술협의회 사장) 이 희 덕 (충남대학교 교수) 인 치 호 (세명대학교 교수) 임 병 민 ( Agerigna Co.,Ltd 회장) 임 신 일 (서경대학교 교수) 임 익 헌 (전력연구원 처장) 임 재 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임 제 탁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임 차 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임 해 진 (강원대학교 교수) 임 형 규 (SK텔레콤 부회장) 임 혜 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장 만 호 (이노피아테크 대표이사) 장 은 영 (공주대학교 교수) 장 태 규 (중앙대학교 교수) 전 경 훈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전 국 진 (서울대학교 교수) 전 병 우 (성균관대학교 교수) 전 병 태 (한경대학교 교수) 전 성 호 (삼성전기 부사장) 전 순 용 (동양대학교 교수) 전 영 현 (삼성전자 사장) 전 홍 태 (중앙대학교 교수) 정 교 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정 길 도 (전북대학교 교수) 정 승 원 (동국대학교 교수) 정 영 모 (한성대학교 교수) 정 용 규 (을지대학교 교수) 정 원 영 (다우인큐브 전무) 정 의 영 (연세대학교 교수) 정 정 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정 종 문 (연세대학교 교수) 정 준 (쏠리드 대표이사) 정 진 섭 (이노와이어리스 부사장) 정 진 용 (인하대학교 교수) 정 한 욱 (ITS 대표이사) 정 항 근 (전북대학교 교수) 조 경 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조 경 주 (원광대학교 교수) 조 남 익 (서울대학교 교수) 조 도 현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수) 조 민 호 (고려대학교 교수) 조 상 복 (울산대학교 교수) 조 성 현 (한양대학교 교수) 조 영 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조 의 식 (가천대학교 교수) 조 재 문 (삼성전자 전무) 조 중 휘 (인천대학교 교수) 주 영 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진 성 아 (성결대학교 교수) 진 수 춘 (한백전자 대표이사) 진 훈 (경기대학교 교수) 천 경 준 (씨젠 회장) 최 강 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최 기 영 (서울대학교 교수) 최 병 호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최 성 현 (서울대학교 교수) 최 수 용 (연세대학교 교수) 최 승 원 (한양대학교 교수) 최 승 종 (LG전자 전무) 최 영 규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최 용 수 (성결대학교 교수) 최 우 영 (연세대학교 교수) 최 정 아 (삼성전자 전무) 최 종 찬 (전자부품연구원 본부장) 최 준 림 (경북대학교 교수) 최 중 호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최 진 성 (SK텔레콤 전무) 최 진 식 (한양대학교 교수) 최 천 원 (단국대학교 교수) 최 해 철 (한밭대학교 교수) 한 대 근 (실리콘웍스 대표이사) 한 동 석 (경북대학교 교수) 함 철 희 (삼성전자 마스터) 허 경 무 (단국대학교 교수) 허 비 또 (LG유플러스 상무) 허 염 (실리콘마이터스 사장) 허 영 (한국전기연구원 본부장) 허 준 (고려대학교 교수) 호 요 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홍 국 태 (LG전자 연구위원) 홍 기 상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홍 대 식 (연세대학교 교수) 홍 민 철 (숭실대학교 교수) 홍 성 철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홍 승 홍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홍 용 택 (서울대학교 교수) 홍 유 식 (상지대학교 교수) 황 승 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 황 인 철 (강원대학교 교수) 사무국 직원 명단 송기원 국장 - 업무총괄, 기획, 자문, 산학연, 선거 이안순 부장 - 국내학술대회, 총무, 포상, 임원관련, 컴퓨터(소) 배지영 차장 - 국문논문, JSTS, 시스템및제어(소) 배기동 차장 - 사업, 표준화, 용역, 반도체(소) 변은정 과장 - 재무(본회/소사이어티/연구회), 학회지, 산업전자(소) 김천일 과장 - 정보화, 교육/홍보, 회원, 홈페이지, 통신(소) 김윤주 서기 - 국제학술대회, SPC, 국제협력, 신호처리(소)

제 1차 상임이사회 개최 제1차 상임이사회가 2월 12일(금) 오후 4시 30분 양재동 엘타워 엘 가든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원 보고 - 19명이 참석하여 성원되었음 2. 위원회 보고 - 총무 : 1월중 특별회원사 11개 기관 방문 및 2월 11일 제 1차 지부장 회의 개최 보고 - 회원 : 회원수 확대 노력을 위한 회원혜택의 재점검 및 개선 방안 마련 보고 - SPC : SCOPUS 및 연구재단 등재 신청 및 준비사항 점검 보고 - 논문편집 : SCOPUS 작년 심사결과 보고 및 타 학회 내용 함 께 분석하여 하반기 신청 예정 보고 - 회지편집 : 70주년 기념 원고 발간 계획 보고 - 재무 : 재무현황 보고 - 기획 : 2016년도 부회장 선출 제도 개선 및 타학회 규정 검토 보고 - 학술 : 하계학술대회 운영계획 보고 - 사업 : 2016년도 사업계획 보고 및 1차 기술강좌 개최 보고 - 교육홍보 : 2016년도 사업계획 보고 - 정보화 : 학회 자료 전자문서화 작업 및 회원 연구DB 구축 보고 - 표준화 : 국가기술표준원 COSD 기관 지정 추진 보고 3. 소사이어티 보고 4. 심의사항 - 신규개인회원 및 특별회원 가입 승인 - 2015년 감사 결과 승인 - APSIPA ASC 2016 Co-Sponsor 및 홍보에 관한 사항 승인 - 70주년 기념 사업을 위한 학회 기금 사용 승인 5. 기타 특별회원 및 유관기관 방문 학회 회장단은 특별회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상훈 원장)을 방문 하여 2015년도 추진현황과 2016년도 사업계획을 보고하고 상호 협 력방안을 모색하였다. 제 5회 영상이해 겨울학교 - 차량용 영상처리 및 컴퓨터 비전 기술 - 영상이해연구회(위원장 : 이찬수 교수, 영남대학교)에서는 2월 22일 (월)~23일(화) 양일간 경북대학교 IT대학 전자공학부 강당에서 제5 회 영상이해 겨울학교 를 개최하였다. 이번 겨울학교에서는 차량용 영상처리 및 컴퓨터 비전 기술 이라는 주제로 자동차 분야에서의 영상처리 적용 현황과 미래 전망을 살펴 볼 뿐 아니라, 구체적인 적 용사례를 함께 제공하여 관련 연구자, 교수 및 학생들의 많은 참여 를 통한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었다. 176 _ The Magazine of the IEIE 12

News 신규회원 가입현황 (2016년 2월 12일 - 2016년 3월 8일) 제 5회 영상이해 겨울학교 정회원 고민호(한화탈레스), 공현철(한국항공우주연구원), 권순호(한국 항공우주연구원), 김상범(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류정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재형(전남대학교), 서창호(한국과학기술원), 이경진(대동콘덴서공업(주)), 이상철(인하대학교), 임요웅((주)준영 시스템), 전재웅(안양대학교), 최용준(단암시스템즈(주)), 최정호 (광주과학기술원), 홍수미(전주비전대학교), 황대성(대동콘덴서공업(주)) 이상 15명 학생회원 제 5회 영상이해 겨울학교 단체사진 알기 쉬운 비전컴퓨팅 기초 강좌 궁경록(충북대학교), 김병재(충북대학교), 도트리뉴(홍익대학교), 문지훈 (광주과학기술원), 박찬종(명지대학교), 성재현(인하대학교), 시부다스 카타카릴 수브하스다스(경북대학교), 신의섭(한국과학기술원), 심규성 (홍익대학교), 심규현(홍익대학교), 최승희(강원대학교), 함창균(경북 대학교) 이상 12명 사업위원회(위원장 : 박종일 교수(한양대), 범진욱 교수(서강대), 유창 동 교수(KAIST))에서는 2월 25일(수) 알기 쉬운 비전컴퓨팅 기초 기 술강좌 를 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강좌는 총 5개로 구성하였으며, 제1강 영상처리 기초 / 제2강 저수준 컴퓨터비전 기초 / 제3강 기하학적 컴퓨터비전 기초 / 제4강 고수준 컴퓨티비전 기초 / 제5강 최적화 기초 (영상이해를 위한 최적 화 기법) 소개 등 입문자를 위한 과정을 통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강좌를 준비되었다. 또한, 이미 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강사들이 쉽지 않은 내용을 초 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많은 준비를 하였으며, 강의마다 영상신호처리/컴퓨터비전 분야에 실제로 응용되 는 예를 함께 제공하여 비전컴퓨팅 관련 연구자의 학습 및 연구개발 에 매우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알기 쉬운 비전컴퓨팅 기초 기술강좌 구용서 학회장 개회사 13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77

학회일지 www.theieie.or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6년 2월 18일 ~ 2016년 3월 17일 1. 회의 개최 회의 명칭 일시 장소 주요 안건 ISOCC 2016 운영위원회의 2.18 (16:30) 학회 회의실 - ISOCC 2016 CFP 준비 외 제 2차 시스템 및 제어소사이어티 이사회의 2.19 (17:00) 학회 회의실 - 정보 및 제어심포지움 개최 논의 외 ICCE-Asia 2016 1차 조직위원회의 2.29 (17:00) 학회 회의실 - ICCE-Asia 학회 준비사항 및 진행사항 논의 외 제 1차 하계종합학술대회 조직위원회의 3.4 (7:30) JW 메리어트 호텔 2층 The cafe - 위원 상견례 및 하계 프로그램 구성 논의 외 제 1차 기획위원회의 3.4 (17:00) 학회 회의실 - 2016년도 추진계획 및 부회장 선출 개선방안 논의 외 제 1차 70년사 편찬위원회의 3.8 (17:00) 학회 회의실 - 70년사 편찬일정 및 편찬위원 업무분담 외 IEIE SPC 제 2차 운영위원회의 3.9 (7:30) JW 메리어트 호텔 2층 The cafe - SPC 출판현황 및 연구재단/SCOPUS 등재 관련 논의 외 제 1차 선거관리위원회의 3.15 (17:00) 학회 회의실 - 2016년도 평의원 및 임원선거 일정 및 선거방침 논의 외 2. 행사 개최 행사 명칭 일시 장소 주관 제 5회 영상이해 겨울학교 2.22~23 경북대학교 영상이해연구회 알기 쉬운 비전컴퓨팅 기초 기술 강좌 2.25 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 사업위원회 178 _ The Magazine of the IEIE 14

특 집 편 집 기 자동화 시스템 및 부품 기술 동향 자동화 시스템 산업부분은 자동화 설비, 반도체 제조장비, 공장 자동화 등 방대한 부분 에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이런 산업분야에서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야하 는 기술사항에 대하여 고찰할 필요성이 있어, 본 특집호는 이러한 자동화 장비와 이에 사 용되는 센서 부품 및 네트워킹에 대한 기술동향에 관하여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의 논 문 5편으로 구성되었다. 성홍석 편집위원 (부천대학교) 첫째,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이종근 외)에서는 자동제어 프로그램 에 의해서 조작 또는 이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산업용 로봇의 한 예로 웨이퍼 이송 로봇 기술에 대한 구조와 기능 을 살펴보고 미래 산업용 로봇의 동향에 대해 소개하였다. 둘째, 광센서 기술 및 응용(이 병철 외)는 산업현장의 모든 자동화 장치 시스템은 센서들을 통해 변화를 계측하고,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과 연동하여 구성되는데 센서 중에서 인간의 시각기능 해당되는 것이 광 센서에 대해 설펴 보았다. 광센서는 기본적으로 대상에서 복사하는 광의 검출과 빛이 대 상 물체에 입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것을 받아들여, 그 대상 물체의 움직임이나 빠르기 등을 검출하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런 광센서의 여러 가지 기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 째, 산업자동화를 위한 Servo Motor의 기술과 시장 동향(반기종 외)에서는 반도체 장비, robot, camcorder, digital camera, printer 등 정밀한 자동화 분야에서 활용되는 servo motor의 종류와 특성, 제어방법 및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해 알관하여 고찰하였다. 넷째, 온도 센서와 자기 홀(Hall) 센서의 응용(이병철 외)에서는 온도센서와 홀 센서에 대한 구 조 및 동작원리 그리고 특성과 응용부분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섯째,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기술(김세형)에서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 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 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인 사물인터넷에 대한 기술과 활용 예에 대해 다루 었다. 바쁜 일정 중에 본 특집호를 위하여 옥고를 보내주신 집필진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본 특집호가 자동화 설비 기술 전문가들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새로운 계기가 되어 우리나라 자동화 설비 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15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79

특집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Ⅰ. 서 론 이종근 부천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이해수 (주)삼민산업 대표이사 현재 우리나라에서 반도체 공정은 대부분 robot으로 수행하고 있 다. Memory chip을 생산하는 반도체 산업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분 야가 공정을 수행하는 robot system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것에 소 요되는 원천기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장비제어 및 software 분야에서 미국, 캐나다, 일본, 유럽 등에 많이 뒤지고 있다. 아울러 반도체 장비제어 software를 수입하여 응용하여 적용하는 수준 이다. 따라서 각 반도체 중소기업에서는 이점을 극복하기 하여 국산화 를 꾸준히 노력하고 투자를 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SEMI)의 표준화를 참조하 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1] 우선 현재 robot의 발전이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그러므로 반도체 wafer 이송 robot을 살펴보기 전에 robot의 정의부터 살펴보겠다. 일 반적으로 robot이란 용어는 1920년 체코의 극작가 Karel Capek의 희 곡 Rossum's Universal Robot에서 사용한 것으로 robot의 어원은 체 코말로 robota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의미는 일(work)이다. 현재의 robot은 여러 목적의 robot 중에서도 주로 산업에 사용되어지 고 있다. 산업용 robot은 복합동작이 가능한 기계 라고 산업안전보건 법 시행규칙에 정의 되어 있다. 또한 미국 robot협회(ria)에서는 여러 종류의 일 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program이 가능한 기계장치 라고 정 의하고 있다. [2] 산업용 robot의 여러 가지 작업은 자동제어 program에 의해서 manipulation 또는 transfer 기능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으며 또 한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 가 되었다. 왜냐하면 이 robot은 CPU 혹은 MCU이 있고 그 주변에는 180 _ The Magazine of the IEIE 16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memory뿐만 아니라 각종 sensor가 장착되어 서로 유기 적인 관계를 가지고 처리하며 그 결과로 물체를 잡을 수 있고 상하좌우로 이동 시킬 수가 있고 회전도 할 수 있다. 이런 일련의 동작을 program 입력대로 자동적으로 매우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함으로서 사람이 하는 작업을 대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공정 장비에 사용하고 있는 wafer 이송 robot기술에 관하여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고 정리하며 robot 미래 시장 동향에 대하여 소개한다. (a) Reticle library 사진 Ⅱ. 반도체 전( 全 ) 공정 장비 2-1 노광공정(Lithography Process) 장비 (1) Wafer loader Wafer 이송은 belt방식을 구동하며 <그림 1 (b)>의 번 호 순서로 이동한다. 1 wafer carrier 내의 wafer는 2 send hand arm 에 의해 반송되고 3 횡 slider arm에 의해 4 prealignment로 반송되고 pre-alignment에서 flat zone 을 맞추고 5 feed hand가 노광위치의 XY stage로 이송 한다. (b) 동작순서 <그림 2> Reticle library loader [3] (2) Reticle(mask) loader Reticle library의 reticle을 노광위치(reticle stage)로 반송하는 장치이다. 동작순서는 <그림 2 (b)>와 같다. 1 reticle library에 수납된 reticle을 2 CYL 및 CYR arm 이 reticle을 반출하고 3 반출된 reticle을 CZL 및 CZR arm이 CX arm으로 이송시킨다. 4 이송된 reticle은 SU arm에 의하여 reticle stage에 설정하게 된다. 5 reticle 반출은 SD CX CZL or CZR CYL or CYR로 반출되 어 reticle library로 들어간다. (a) Wafer loader 사진 2-2 Track 장비 (b) 동작순서 <그림 1> Wafer loader [3] (1) Main arm Wafer를 운송하는 pincette이다. Main arm 기능을 설명하면 main arm pincette는 1, 2, 3로 구성 된다. Main arm pincette는 1, 2loading은 HMDS, HP, CP, DHP, WEE, Interface에 서 wafer에서 받는다. Spin unit으로 loading 할 수 없으 17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81

이 종 근, 이 해 수 X 축이라 한다. 3개의 arm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단 3축은 pincette 3, 중단 1축은 pincette 1, 하단 2축은 pincette 2라 한다. 구동 부에서는 각각 stepping motor, timing belt를 사용하고 있다. Home sensor라 고 부르는 위치 sensor에 의해 위치를 검출한다. 2-3 Etch 공정 장비 진공 부분과 대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Wafer의 <그림 3> Track main arm [3] 반송과 wafer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해 주는 장치는 대기 며 spin unit은 온도에 영향을 받아서 온도와 습도를 관 리한다. Main arm pincette 잡는 부위를 finger라 한다.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process chamber와 load lock chamber는 진공부분에 위치한다. 이 finger 위에 wafer가 올라간다. Arm pause switch는 pincette 1, 2, 3가 연속적으로 움직여서 순간적으 로 멈추고 할 때는 한시적으로 switch를 눌러서 기능을 중단한다. 안에 lamp가 있어서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다시 사용할 때는 switch를 한 번 누르면 arm이 멈춰 있 다가 움직인다. (1) Indexer Cassette에 있는 wafer를 반출/반입 하는 장치이 다. TE8500 장비의 indexer는 2개가 있으며, 왼쪽 은 indexer #1, 오른쪽은 indexer #2라 한다. 5 inch, 6inch, 8inch wafer를 반송하려면 wafer의 설정을 바꿔 야한다. Cassette 안에 있는 wafer의 유무를 cassette 안 (2) 각 축별 기능 Y 축 기능을 설명하면 operation panel 측에서 본 좌 에 어느 위치에 wafer가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wafer mapping 기능 우 방향의 동작을 Y 축이라 한다. Wafer 반송 시 좌우방향의 unit 이 동을 AC servo motor가 행한다. 구 동 부에서는 timing belt를 사용해 안에 있는 motor의 encoder로 위치 를 검출한다. Z 축 기능을 설명하면 operation panel 측에서 본 상하 방 Wafer의 반송과 wafer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해 주는 장치는 대기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process chamber와 load lock chamber는 진공부분에 위치한다. (2) 반송 robot(handing Arm) Indexer에서 wafer를 반출하여 Pre alignment로 이동 시키고, 공 정이 끝나고 load lock에서 나오는 wafer를 indexer에 반입 시킨다. 향의 동작을 Z 축이라 한다. Wafer 반송 시 상하 방향의 unit 이동을 AC servo motor가 행한다. 구동 부에서는 timing belt와 ball screw를 사용해 안에 있는 motor의 encoder로 위치를 검출한다. θ 축 기능을 설명하면 main arm의 회전동작을 θ 축이라 한다. Wafer 반송 시 좌우 block 방향과 전후 unit 방향의 회전 이동을 stepping motor 한다. Home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최대 271 회 전한다. 구동 부에서는 timing belt를 motor 외부에 있 는 encoder에 의해서 위치를 검출한다. X 축 기능을 설 명하면 operation panel 측에서 본 전후 방향의 동작을 <그림 4> TE8500 system 각 module [4] 182 _ The Magazine of the IEIE 18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그림 5> 반송 robot의 indexer 3 개의 motion ar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arm은 motor로 구동한다. Ceramic으로 된 제3 arm은 wafer 를 진공으로 흡착해서 이동 중에 떨어지지 않게 한다. (3) Pre alignment Indexer로부터 반출 되어 나온 wafer를 반송 robot 으로부터 받아드리고 wafer의 중심을 맞추고 flat zone 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해놓은 위치대로 맞추는 작업을 한다. 반송 robot에서 wafer가 pre alignment으로 오 게 되면, chuck이 올라오면서 진공으로 wafer를 흡착 하게 된다. Chuck은 30 씩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한 번 씩 회전할 때 slider sensor가 wafer edge의 위치를 기 억한다. Wafer가 360 회전을 하고나면, pre alignment 은 wafer의 중심 위치를 계산 하고 이동해야 하는 방향 과 거리를 계산한다. 그 계산에 의해 wafer를 다시 회전 시키고 pincette도 그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Chuck이 아래로 pincette 위에 흡착되어 pincette은 wafer의 중 심이 chuck에 올 수 있도록 wafer의 중심을 찾게 되면 chuck은 다시 wafer를 흡착 하여 올라오게 된다. Slider sensor가 wafer edge를 감지하면 회전하는 chuck 위 wafer의 flat zone을 찾는다. 반송 robot에서 wafer가 pre alignment으로 오게 되면, chuck이 올라오면서 진 공으로 wafer를 흡착하게 된다. Chuck은 30 씩 오른쪽 으로 회전하며 한 번씩 회전할 때 slider sensor가 wafer edge의 위치를 기억한다. (4) Exit station 공정을 끝낸 wafer가 chamber에서 load lock을 통 해 나와 반송 robot에 전달하기 전에 반송 chamber의 robot이 wafer를 가지고 나온다. Exit station에 나오게 되면 chuck이 올라오면서 진공으로 wafer를 잡게 된다. 반송 robot(handing arm)이 wafer를 가지러 올 때까지 wafer를 잡고 기다린다. 반송 robot이 exit station으로 오면 반송 robot의 제3번 arm 위에 wafer를 내려놓는다. <그림 6> 반송 robot의 pre alignment <그림 7> 반송 robot의 반송 chamber (5) Load lock chamber Wafer를 반송하는 작업을 한다. 2개에서 3개까지 있는 장비도 있다. 2개의 출입문(gate door) 중에서 process chamber에 위치한 것을 inner gate door라 한 다, Pre arm나 Exit station에 위치한 것을 outer gate door라고 한다. Chamber 중앙에는 wafer를 반송하는 robot가 있으며, 이것은 직진과 회전운동을 한다. 2 개 의 motor로 구동한다. 대기압의 load lock chamber는 <그림 8> Pre alignment unit <그림 9> Exit station unit 19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83

이 종 근, 이 해 수 (a) (b) <그림 10> Load lock chamber의 흐름도 pre arm 위에 wafer를 진공 process chamber로 이송 한다. 진공 상태인 process chamber를 대기 중의 exit station로 이송하는 작업을 한다. 반송 chamber는 진 공 상태일 때도 있고 대기 상태일 때도 있다. Load lock #1 : wafer를 pre arm에서 process chamber로 이송한 다. Load lock #2 : wafer를 process chamber에서 exit station으로 이송한다. <그림 12>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 종류 (a) FOSB(Front Opening Shipping Box), (b) FOUP(Front Opening Universal Pod) <그림 13> EFEM 좌측과 우측 구성 2-4 Ashing 공정 장비 (1) Ashing 공정 장비 300mm의 설비 구성 <그림 14> EFEM 뒷면과 전면 구성 <그림 11> Ashing 공정 장비 300mm의 설비Axcelis 사, Interga RS) 구성 모식도 [5 ] (2) Ashing 공정 장비 300mm의 module 별 구성 및 역할 1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 EFEM는 cassette에 있는 wafer를 공정 module에 공 급하는 장치의 표준 interface module이다. Load port 는 FOUP(Front Opening Universal Pod) 300mm의 wafer cassette라 생각하면 된다. Carrier door opener 는 FOUP를 자동으로 open한다. Mini environment 로 HEPA filter module와 ionizer가 설치되어 있어 particle 오염 최소로 한다. 또 door interlock 는 door가 open 됐을 때 설비가 멈추도록 하는 안전장치이다. 2 LM(Load Module) EFEM은 항상 대기압상태이며, load lock은 진공과 대 기압을 반복하고 TM과 공정 chamber 는 항상 진공상 태를 유지시킨다. Slot valve는 각 진공 chamber들을 isolation 시키는 valve이다. Load lock에서는 EFEM에 놓여진 FOUP 안에 wafer는 대기압 상태에 있으며, 공정 <그림 15> 각 module 별 압력 상태 184 _ The Magazine of the IEIE 20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그림 16> Load lock <그림 19> Process module <그림 17> Transfer module 내부 2 단계로 조정할 수 있는 valve이다. 3 TM(Transfer Module) Load lock은 진공 chamber 사이에서 wafer를 이송, 반송하는 module이다. 항상 진공 안에서 움직이며, 진 공 robot은 dual arm 이상에 multi end effector를 사 용한다. End effector는 wafer가 직접 닿은 부분이므로 particle이 발생할 수 있어 재질의 선택과 wafer 이송 중 chamber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대기압에서 진공상태 로 들어가는 첫 번째 chamber이다. 에 wafer 고정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중력에 의해 wafer 를 그냥 올려놓는 type, 대기압에 Load lock에 장착되어 있는 part 에는 convection gauge로 대기압 부터 저진공 압력까지 측정 가능하 며 slot valve : 압력의 차이가 큰 chamber 간에 isolation(대기압과 End effector는 wafer가 직접 닿은 부분이므로 particle이 발생할 수 있어 재질의 선택과 wafer 이송 중에 wafer 고정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서 진공을 이용하는 type, gripper 를 이용하는 flip type이 있다. 그 리고 Roughing valve는 진공 chamber와 Roughing line 사이에 연결된 line으로 압력차를 최소한 진공 간) 시킨다. Roughing line 에서는 대기압에서 저 진공으로 만들기 위한 pumping line이 설치되어 있다. Roughing valve는 진공 chamber와 Roughing line 사 이에 연결된 line이다. 2 stage vent valve는venting을 으로 줄여주는 곳 이다. 4 PM(Process Module) Wafer가 진공 상태의 chamber 안에 들어가 plasma와 반응하는 공간으로 이 곳에서는 증착, 식각, doping 등의 화학적 공정이 일어는 module이다. Ⅲ. 국내외 robot 산업 동향 (a) 진공 robot (b) 대기압 3 축 robot <그림 18> Multi arm module 3-1 과거 세계 robot 시장 발전 [6] 2013년 robot 시장은 147.9억 $ 규모이며 개인서비 스용 robot 시장이 2012년에는 17.1억 $로 40.2% 정도 로 급성장하였다. 제조용 robot은 세계 1위 시장으로 부 상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리고 분야별 시장 규 21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85

이 종 근, 이 해 수 <그림 22> 세계제조용 robot판매전망(억 $) <그림 20> 과거 세계 robot 시장 규모(억 $) 모와 세계 시장에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제조용 robot이 95.1억 $로 64.3%, 전문 서비스용 robot은 35.74억 $로 24.1%, 개인 서비스용 robot은 17.1억 $로 11.6% 규모 이다. 3-2 미래 robot 시장 전망 [7] 2025년 기준 전체 robot 판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 율은 개인서비스용 robot이 13.5%, 제조용 robot이 36.5%, 전문 서비스용 robot은 25.4%, 군용 robot이 24.7%이다.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은 개인서비스용 robot 이 17.4%, 제조용 robot이 7.6%, 전문 서비스용 robot은 12.3%, 군용 robot이 8.1%이다. 3-3 제조용 robot 시장 동향 및 전망 [6] 전 세계적으로 제조용 robot은 연평균 10% 이상 증가 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우 세계 1위 제조용 robot 판매 국사로 급부상한 중국의 영향력이 매우 지속적으 로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재조용 robot의 판매는 향 <그림 23> 세계 제조용 robot 지역별 판매 전망(억 $) <그림 24> 세계 제조용 robot 나라별 판매 전망(억 $) 후 2017년까지 12%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나라 별로 중국은 과거 2013년 36,560대를 판매하여 세계 1 위로 올라섰으며, 2017년까지 연평균 26%이상 고성장 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 이외 아메리카대륙(미국, 캐 나다, 멕시코)는 28,668대, 일본은 25.110대, 한국은 21,307대로 전망된다. <그림 21> 세계 robot 시장 전망(억 $) 3-4 서비스용 robot 시장 동향 및 전망 [6] 과거 2013년 전문 서비스용 robot 시장 규모는 35.7억 $, 개인 서비스용 robot은 17.1억 $ 이었으며 2012년 보 다 전문 서비스용은 4.4%, 개인 서비스용은 40.2% 증가 세를 보였다. 아울러 향후 2017년 시장 규모는 전문 서 비스용은 189.1억 $, 개인 서비스용은 111.8억 $로 전망 된다. 전문 서비스용 robot은 의료 robot이 14.5억 $, Field 186 _ The Magazine of the IEIE 22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서는 SSI Schaefer, Teun사가 있다. 따라서 나라별로 취 합해보면 미국이 63개사, 일본이 12개사, 독일이 9개사, 기타 26개로 미국이 가장 많이 있으며 한국 기업은 현대 중공업과 Future Robot사 2개가 있다. <그림 25> 세계 서비스용 robot 시장 전망(억 $) Ⅳ. 국내 robot 산업 동향 <그림 26> 전문 서비스용 robot 부문별 판매 금액 전망(억 $) 4-1 과거 국내 robot 시장 2013년 국내 robot 산업 생산규모는 2012년에 비해 4.1% 증가한 약 22,221억 원이었다. 여기서 전체 생산 액 중에서 제조용 robot이 16,958억 원으로 전체 생산의 76.4%, 개인 서비스용 robot이 2,651억 원으로 11.9%, robot이 8.8억 $, 군용 robot이 7.9억 $로 전체 시장의 87.6%로 시장을 주도하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 robot부품 및 부분품이 2,223억 원으로 10%, 전문 서비 스용 robot이 378억 원으로 1.7%을 기록하였다. 고 향후 2017년은 의료 robot 67.4 억 $, Field robot은 51.8억 $, 군 용 robot은 40억 $로 이 들이 주도 하는 시장이 꾸준히 유지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mobile flat form, 전 향후 2017년 시장 규모는 전문 서비스용은 189.1억 $, 개인 서비스용은 111.8억 $로 전망된다. 4-2 과거 제조용 robot 시장 동향 2013년 국내 robot 적용 산업 별 생산액은 전기/전자가 5,595 억 원(33%), 자동차가 5,108억 원 문청소, 재난구조, 물류 robot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 로 전망한다. (30.1%) 산업 비중이 전체의 60% 이상이었다. 그런데 2012년 대비 금속, 플라스틱 및 화학제품 분야 생산을 위 한 제조용 robot 활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3-5 세계 50대 robot기업 분석 결과 [8] robot산업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이 큰 세계 50대 robot 기업에 선정된 11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4년 연속 선정 기업 11개 사 중 6개사는 제조용 robot 기 업 ABB, Seiko Epson, KUKA Robotics, Universal Robotics, Yaskawa Motoman Robotics 이며, 5개사는 4-3 과거 robot부품 및 부분품 시장 동향 2013년 국내 robot 부품 및 부분품 생산액은 2,223억 원으로 2012년 대비 21.6% 증가하였고 특히 robot용 구 동부품은 75.2% 증가하였다. 구조부품, sensing 부품은 20%이상 감소하였다. 서비스용 robot 기업이었다. 서비스용 robot 기업은 의료 및 환자 보조용 robot 기업 Aethon, Intuitive Surgical 2개사, Software 분야는 Energid Technologies사, 가 정용 청소 및 국방 robot 분야는 irobot사 해양 분야는 Liquid Robotics사가 있다. 그리고 2015년 신규 선정 된 13개 기업은 제조용 2개사와 서비스용 11개사로 특 히 서비스 의료 robot 기업은 Hocoma, Open Bionics, Ottobock, SynTouch와 mobile 서비스용 회사로는 Sottbank Robotics, Future Robot이다. 그리고 물류에 <그림 27> 과거 국내 robot 시장(억 원) [9] 23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87

이 종 근, 이 해 수 <그림 28> 과거 국내 제조용 robot 산업별 생산액(억 원) [9] <그림 29> 과거 국내 제조용 robot 산업별 생산액(억 원) [9] 4-4 국내 robot 정책 동향 국내 robot 정책은 지난 제1차 계획(2009~2013)이 법 기관 등 infra 조성, 제품개발, 보급 중심이었다면, 4대 과제 robot연구개발 종합역량제고 robot 수요의 全 산업 확대 개방형robot의 산업 생태계 조성 robot 융합 네트워크 구축 <표 1> 제2차 지능형 robot 기본계획(2014~018) [10] 주요내용 - 글로벌 선도형 대형 연구개발 project 추진 - 국민안전 robot(2015~2020):예비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획 연구 중 - 건강robot(2015~2019):헬스케어robot 실증단지 구축 사업 착수(2015) - 미국DARPA Robotics challenge식 경진 대회형 연구개발 project신설 - robot부품(s/w), 서비스(무인운반차, 감정robot)분야 연구개발 투자 강화 - 수요기획 전담조직 신설, R&D 인력풀 확대, robot R&D cut-down제도 - robot 기술의 他 제조, 서비스 분야 확산을 위해 7대 robot 융합 비즈니스 전략 로드맵 수립 - 7대 핵심 분야 : 제도, 자동차, 의료 재활, 문화, 국방, 교육, 해양 - 일본 소프트뱅크 社 사례처럼 국내 포털 물류 기업등 他 산업 분야 주력기업의 robot산업에 대한 전략적 참여를 유도 - 국내 robot제품 인증 : 표준의 국제화를 통한 수출 확대, 중소기업 중심 robot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robot 산업 생태계를 조성 - 기존 robot융합포럼 : robot 산업정액협의회 운영 개선을 통해 물류, 공연 등 서비스 대기업과 협업 확대 등으로 robot산업 협력체계 내실화 등과 같은 clean 공정에서는 clean 기술을 채용한 clean 제2차 계획(2014~2918)은 robot기술의 발전과 주력산 업 융 복합 추세에 맞추어 다른 분 환경 대응 이송 robot(간단히 clean robot이라고 함)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lean robot 야의 제조, 서비스 분야로 robot 산 업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이 다. 대형 연구개발 project 추진, 제2차 계획(2014~2918)은 robot기술의 발전과 주력산업 융 복합 추세에 맞추어 다른 분야의 제조, 서비스 들은 일반 환경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robot들과 운동학적으로나 제 어 상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clean R&D cut-down 제도 도입, 정부 분야로 robot 산업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환경의 특성에 맞도록 특수하게 설 두는 것이다. R&D를 통해서 개발된 robot 기반 계되어 진다. 반도체 제조장치의 기술의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한 개 방형 robot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정책을 추진할 것 으로 생각된다. wafer는 해마다 대형화와 고밀도 화의 경향에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한 운반이 곤란하게 되 어 wafer의 이송을 담당하는 robot이 사용되게 되었다. Robot에 의한 wafer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가장 큰 이유 Ⅴ. 결 론 는 무엇보다도 wafer 제조 공정상의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요인을 차지하는데 그 이유는 사람에 의한 wafer의 이 Microprocessor가 일반화되기 시작한 1980년 전후 에 현대적인 산업용 robot의 등장이 많이 이루어졌고 최 근에 반도체(Semiconductor)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생산에 있어서는 clean room과 그에 관련된 기 술이 핵심 기술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반도체 제조공정 송 자체가 바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particle의 원인이 되고 또한 공정의 수율을 결정하는 tact time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Robot의 좌표계에 의한 분류상 대부분의 wafer 이송용 robot은 원통 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에 속하며, single 188 _ The Magazine of the IEIE 24

자동화 산업용 Robot의 기술과 시장동향 arm일 경우는 3축의 자유도를 가지며, dual arm인 경우 에는 arm 하나를 더 제어하기 위하여 1축이 추가된 즉, 4축 자유도의 구조를 가지며 robot의 끝단이 작업방향으 로 항상 직선운동(Radial Motion)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robot의 hand부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robot의 특성 상 이송 중 wafer의 낙하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 공 흡착하여 wafer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있도록 흡착 port 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을 살펴보면 robot hand와 wafer 접촉면의 오염(contamination)을 최소 화하기 위하여 진공 흡착방식을 사용하는 대신에 wafer 의 가장 자리만을 handling해서 wafer를 이송하는 edge grip 방식의 도입이 늘고 있다. Wafer 이송용 robot은 사용 환경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일반 대기환경(Atmospheric Environment)에 서 사용되는 robot이고, 다른 하나는 진공환경(Vacuum Environment)에서 사용되는 robot이다. 일반 대기 환 경에서 사용되는 wafer 이송용 robot의 경우 robot 몸체 전체를 작업영역에 상관없이 system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진공환경에서 사용되는 wafer 이송용 robot 의 경우는 robot arm 부분만을 진공환경의 작업영역에 서 사용하게 되므로 진공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feed through나 lip seal등을 사용하여 대기와 진공을 분리하 는 밀폐처리를 하여 clean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wafer퍼 이송용 robot은 반도체의 제조장비에 설치되어 robot의 전후 혹은 좌우 등으로 웨이퍼를 이송시켜 주는 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11] Robot 산업 분야의 시장을 국내외 동향을 알아보았 다. 과거 세계 robot 시장 발전은 2013년 robot 시장은 147.9억 $ 규모이며 개인서비스용 robot 시장이 2012 년에는 17.1억 $로 40.2% 정도로 급성장하였다. 제조 용 robot은 세계 1위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의 영향을 많 이 받았다. 그리고 분야별 시장 규모와 세계 시장에 차지 하는 비중을 보면, 제조용 robot이 95.1억 $로 64.3%, 전문 서비스용 robot은 35.74억 $로 24.1%, 개인 서비 스용 robot은 17.1억 $로 11.6% 규모이다. 미래 세계 robot 시장 발전은 2025년 기준 전체 robot 판매 시장에 서 차지하는 비율은 개인서비스용 robot이 13.5%, 제조 용 robot이 36.5%, 전문 서비스용 robot은 25.4%, 군용 robot이 24.7%이다.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은 개인서비 스용 robot이 17.4%, 제조용 robot이 7.6%, 전문 서비스 용 robot은 12.3%, 군용 robot이 8.1%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제조용 robot은 연평균 10% 이상 증가 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우 세계 1위 제조용 robot 판매 국사로 급부상한 중국의 영향력이 매우 지속적으 로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재조용 robot의 판매는 향후 2017년까지 12%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나라 별 로 중국은 과거 2013년 36,560대를 판매하여 세계 1위 로 올라섰으며, 2017년까지 연평균 26%이상 고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robot 정책은 지난 제1차 계획 (2009~2013)이 법 기관 등 infra 조성, 제품개발, 보급 중심이었다면, 제2차 계획(2014~2918)은 robot기술의 발전과 주력산업 융 복합 추세에 맞추어 다른 분야의 제 조, 서비스 분야로 robot 산업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대형 연구개발 project 추진, R&D cut-down 제도 도입, 정부 R&D를 통해서 개발된 robot 기반기술 의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한 개방형 robot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정책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문헌 [1] 유준 외 4명, 반도체장비공정제어기기의 구조 및 기능, 제어 자동화 시스템공학회지 제3권 제2호, 1997년 3월 [2] 김종택 외 1명,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도서출판 금호, 2014 년 7월 [3] 이인호 외 7명, 반도체전공정장비 1, 복두출판사, 2014년 1월 [4] TE8500 system operation manual [5] Ashing 공정 장비 300mm의 설비, Axcelis 사, Interga RS, [6] World Robotics, IFR, 2008~2014 [7] The Rise of Robotics, Boston Consulting Group, 2014 [8] Robotics Business Review, 2012~2015 [9] Robot산업실태조사, 산업통상자원부, 2008~2014 [10] 제2차 지능형robot 기본계획(2014~2018), 관계부처 합동, 2014 [11] 조승환, F-ONE Co., Ltd. 25 전자공학회지 2016. 3 _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