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碩 士 學 位 論 文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CaseStudy ontheself-conceptofadults withmildintelectualdisabilities inashelteredworkshop 2011 年 6 月 崇 實 大 學 校 社 會 福 祉 大 學 院 社 會 福 祉 學 專 攻 鄭 鎭 玉
碩 士 學 位 論 文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CaseStudy ontheself-conceptofadults withmildintelectualdisabilities inashelteredworkshop 2011 年 6 月 崇 實 大 學 校 社 會 福 祉 大 學 院 社 會 福 祉 學 專 攻 鄭 鎭 玉
碩 士 學 位 論 文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指 導 敎 授 정 무 성 이 論 文 을 碩 士 學 位 論 文 으로 제출함 2011 年 6 月 崇 實 大 學 校 社 會 福 祉 大 學 院 社 會 福 祉 學 專 攻 鄭 鎭 玉
鄭 鎭 玉 의 碩 士 學 位 論 文 을 認 准 함 審 査 委 員 長 印 審 査 委 員 印 審 査 委 員 印 2011 年 6 月 崇 實 大 學 校 社 會 福 祉 大 學 院
感 謝 의 글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의 2년에 걸친 수학의 결실을 이 부족한 한 편의 논문으로 마무리 지으며 감사드릴 많은 분들을 떠올려 봅니다. 먼저,저를 숭실대학교와 인연을 맺게 해 주신 분이시자 지도교수님이신 정무성 교수님께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그리고 논문 심사를 통해 지 도해 주신 노혜련 교수님,이지하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열정적이고 성실한 강의로 가르침을 주신 유수현 교수님,김동수 교수님,백하나 교 수님,유서구 교수님,이채원 교수님,김경미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저로 하여금 논문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 주시고 격려해 주 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의 신현기 교수님과 이숙정 교수님께 감사드 립니다. 석사과정 2년 동안 동기로서 많은 어려움과 즐거움을 함께 한 허남철 선생님,황인숙 선생님,김춘한 선생님,박용창 선생님,오민애 선생님, 하태용 선생님,신승연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석사과정을 시작할 때부터 기도로서 저의 학문적 여정을 계속해서 지지 해 주신 오 보니파시오 수녀님과 정무근 신부님께 감사드립니다. 일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김용태 교구장대리 신부님,정성환 회장 신부님께 감사드립니다.그리고 본인들 의 자리에서 열심히 역할을 수행해 줌으로써 저의 부족함을 채워준 강인 희 팀장님,송낙준 선생님,김소연 선생님,정진선 선생님,장미옥 선생님 께 진심어린 감사를 드립니다.제 논문의 주인공이자 가장 큰 도움을 주 신 성지가족분들에게 크나큰 애정과 감사를 드립니다.그분들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이 논문은 세상에 나올 수 없었을 겁니다. 그 무엇보다도 가족의 사랑과 지지는 제가 모든 어려움을 이겨내고 목
표를 성취할 수 있게 한 가장 강력한 원동력임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 니다.조카의 학문적 성취를 자랑스러워하고 기뻐하신 이모 김인숙,이종 동생 루시네 가족과 루나에게도 고마운 마음 전합니다.그리고 동생 진 호와 우현희 부부,진선과 박종만 부부,언니 진이와 데니스 부부,그리 고 오빠 정귀철의 애정어린 격려와 지지는 저로 하여금 지치지 않고 전 진할 수 있고 또 힘차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힘의 원천입니다. 그러나 가장 큰 감사를 드려야 할 분들은 제가 어떤 처지에 있든지 끊 임없이 사랑해 주시고 염려해 주시는 부모님이십니다.오랜 투병생활 중 에도 평생 독서와 공부하는 자세를 잃지 않음으로써 저의 롤모델이 되어 오신 아버지와 아낌없는 나눔과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온 가족과 이웃에 게 기쁨을 선사하는 어머니는 제가 어떻게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지 지금도 가르쳐 주십니다.가을학기부터 시작되는 박사과정도 부모님 의 격려와 지지가 없었다면 결코 시도할 수 없었을 겁니다. 제가 주님 보시기에 좋은 삶을 살 수 있도록 제 삶의 모든 순간을 인 도해 주시고 돌보아 주시는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 드립니다.제가 이룬 모든 성취와 앞으로 이룰 모든 일들이 주님이 원하시는 바이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사회복지사로서 저의 모든 나날을 주님께 맡겨드립니다.
목 차 國 文 抄 錄 ⅳ 英 文 抄 錄 ⅶ 제 1장 서론 1 1.1연구의 필요성 1 1.2연구 문제 3 제 2장 문헌고찰 4 2.1자기개념의 이해 4 2.1.1자기개념의 정의 4 2.1.2자기개념의 형성 및 발달,구조 및 특성,기본 가정 5 2.1.3자기개념과 관련된 이론들 11 2.2지적장애인에 대한 이해 15 2.2.1지적장애의 정의 및 경도지적장애인의 특성 16 2.2.2경도지적장애 성인에게 주어지는 도전 19 2.2.3지적장애인의 연구참여 능력 21 2.3선행연구의 고찰 24 2.3.1다른 장애와 관련된 자기개념 연구 25 2.3.2지적장애와 관련된 자기개념 연구 26 제 3장 연구방법 29 3.1사례연구 방법 29 3.2연구과정 30 - i -
3.3연구장소 31 3.4연구참여자 34 3.5자료수집 37 3.5.1연구참여자 심층면접 38 3.5.2정보제공자 면접 39 3.5.3관찰 39 3.5.4기록물 고찰 40 3.6자료분석 및 해석 40 3.7윤리적 고려 44 제 4장 연구결과 45 4.1사례 내 분석에 따른 해석 46 4.1.1A 사례 46 4.1.2B 사례 60 4.1.3C 사례 71 4.2사례 간 분석에 따른 해석 83 4.3사회복지적 함의 90 제 5장 결론 96 5.1결과 요약 96 5.2연구의 한계 및 타당성 검증 99 5.3제언 101 참고문헌 103 부록 112 - ii -
그 림 목 차 [그림 2-1]Shavelsonetal.(1976)의 자기개념 모델 8 [그림 2-2]자기-이미지와 이상적-자기의 일치성 12 [그림 3-1]다수사례설계 과정 31 [그림 3-2]작업장 배치도 32 [그림 4-1]각 사례의 자기개념 83 - iii -
표 목 차 [표 2-1]자기개념의 발달 6 [표 3-1]근로인 일일 시간표 34 [표 3-2]연구참여자 선정 기준 35 [표 3-3]연구참여자에 대한 일반적 정보 37 [표 3-4]자료분석 및 해석 과정 41 [표 3-5]사례 내 분석의 범주화 및 유형 43 [표 3-6]사례 간 분석의 범주화 및 유형 43 - iv -
국문초록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사회복지전공 지 도 교 수 정진옥 정무성 사회복지 현장에서 제공되는 거의 모든 서비스는 궁극적으로 서비스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그런데 개인의 삶 의 질은 개인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이 자기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경험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하 고 발달하는 역동적인 실체이다.자기개념은 사회적 상호작용(반성과 지 각),사회적 정보(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구어 피드백),사회적 비교(가 족,또래,문화),자기지각(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갖게 되는 앎),그리고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의지 정도 등과 같은 다양한 요 인의 영향을 받으며 발달해 간다. 자기개념이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지적 장애 성인들의 자기개념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그 이유는 인 지적 차원에서 도전을 받는 지적장애인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할 인 지 능력이나 자기 자신에 대해 신빙성 있게 말할 진술능력을 갖고 있을 지와 관련된 비장애인들의 편견과 우려 때문일 수 있다.그러나 지적장 애인들도 비장애인들처럼 자신들의 경험 속에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생각을 나름대로 발전시켜 나간다.이러한 점에 고려할 때,비장애 인과 다른 환경에서 생활해 온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이 어떤 자기개념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아는 것은 사회복지사나 정책결정자로 - v -
하여금 경도지적장애인들을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계획하여 제공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보호작업장을 이용 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로 실시되었다.서울의 한 보호작업장을 이용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 3명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연구참여자들에게 반구조화된 개별면접을 통 한 심층면접과 참여 관찰 및 비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좀 더 많은 정 보를 수집하기 위하여,연구참여자들의 어머니들,동료들 그리고 작업장 과 그룹홈 종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기록물을 고찰하였 다.자료 수집은 2010년 12월 중순부터 2011년 4월 초순까지 약 4개월 간에 걸쳐 실시되었다.수집된 자료는 Stake(2000)의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사례 내 분석 과 사례 간 분석 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드러난 것은 자기개념의 4가지 범주인 개인적 자기개념, 직업적 자기개념, 사회적 자기개념,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 과 이 것들로부터 도출된 추상화시킨 유형들이다. 사례 내 분석 에 따라,A 사례의 개인적 자기개념은 장애와 결부된 외모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부러움,직업적 자기개념은 돈 벌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일,사회적 자 기개념은 가족에 대한 미안함과 가족 내 비교에서 오는 자괴감, 동료 들의 무시로 인한 열등감과 소외감, 종사자의 수용과 인정에 대한 갈 구,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은 이상적인 자기에 대한 갈망에서 오는 현재의 무능력한 자기 거부 등이다. B 사례의 개인적 자기개념은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극복될 수 있는 장애,직업적 자기개념은 능력 발휘를 통한 인정 획득의 수단으로서의 일,사회적 자기개념은 가족의 돌봄에 대한 의존성과 자율성 추구 간 의 갈등, 동료에 대한 배려 뒤에 숨겨진 우월감, 자기고집 이면에 있 - vi -
는 무능력에 대한 두려움과 자존심,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은 지나친 자기인정에 따른 현실의 자기 회피 등이다. C 사례의 개인적 자기개념은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장애 수용,직업 적 자기개념은 일을 통한 능력의 발견과 금전적 소득,사회적 자기개 념은 가족의 양가적 시각:무시와 인정, 동료들의 무시와 거부에 대한 자기암시적 수용과 초연함, 종사자들의 기대와 인정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과 부담감,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은 과거와 비교한 현재의 유능 한 자기인식에서 오는 당당함과 만족감 등이다. 사례 간 분석 에 따라 3사례들로부터 도출해 낸 공통 유형들은,개 인적 범주에서는 매력적인 외모에 대한 관심,직업적 범주에서는 자 기과시의 기회,사회적 범주에서는 인격적인 대화적 관계의 갈망,그 리고 전반적 범주에서는 더 나은 나를 꿈꾸며 등이다. 자료 분석과 해석을 통해 도출된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 기개념이 사회복지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보호작업장 경 도지적장애 성인의 드러나지 않았던 자기개념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 해 지속적으로 발달해 간다는 것을 드러냈다.그리고 보호작업장 경도지 적장애 성인의 긍정적인 자기개념이 개인의 만족스러운 삶과 긴밀한 관 계에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을 제시하였다.복지서비스가 사람들의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 는 환경을 제공해 준다면 그들의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 다.질적 사례연구로서 본 연구가 지닌 사회복지적 가치는 바로 이러한 점을 드러내고자 하는데 있다. - vii -
ABSTRACT A QualitativeCaseStudy on theself-conceptofadults with MildIntelectualDisabilities in ashelteredworkshop JONG,JIN-OCK MajorinSocialWelfare GraduateSchoolofSocialWelfare SoongsilUniversity The goalofsocialwelfare service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ents'lives.self-conceptisfoundedtobehighlycorelatedwith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intelectual disabilities. Self-conceptisdefinedasone'sview ofoneselfwhich isboundedto beassociatedwiththeperson'stransactionswithsignificantothersin hisorherenvironment.self-conceptiscontinuously constructedfrom socialexperiencesinthefamily,atschool,andinthecommunity. People with intelectual disabilities also develop their own self-concepts in theirenvironments.and the adults with inte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diferent bringing-up styles,educational and vocationalenvironmentsfrom normalpeoples'.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aried out to understand the self-conceptsofpeoplewithmildintelectualdisabilitiesinasheltered - viii -
workshop,which has been limited in physicaland socialconditions. Threepeoplewithmildintelectualdisabilitieswereparticipatedinthe study. The data were co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ve and non-participative observations.the semi-structured interviewswith guidelineswereconducted.theparticipants'mothers, their coleagues, and social workers in the workshop and the grouphomeswereinterviewedtogetmoreinforma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Stake(2000) was adopted.andthecolected datawereanalyzed by using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the data colection was caried outfrom the middle ofdecember,2010 to the early ofapril,2011. Four categories ofthe self-concepts - the personalself-concept, the vocational self-concept, the social self-concept, and the generalself-concept - were derived from the data.and then the conceptualpaternswereelicitedfrom thosecategories. The results are as folows:according to within-case analysis, case A was shown to the personalself-conceptwith the resultof unsatisfaction about her appearance connected with her physical handicap and envy atthe person who has a good-looking face and an able body,the vocationalself-conceptwith the resultof work formaking money,thesocialself-conceptwith theresultof feeling guilty of her disability toward her family members and being conflicted with her healthy sibling, feeling with inferiority and isolation in therelationshipwith hercoleagues,and wishforbeing accepted by the socialworkers,and the generalself-conceptwith - ix -
the result of self-rejection of her being incompetent because of longingforherideal-self CaseB wasshown tothepersonalself-conceptwith theresultof self-confidence in his appearance and considering his disability as overcoming it,the vocationalself-conceptwith the resultof work forbeing acknowledgedwith hisability,thesocialself-conceptwith the result of feeling conflicted between his dependence and independence on his family, feeling ofhis superiority toward his coleagues by doing something for them,and being afraid ofhis incompetenceinhis stubbornness,andthegeneralself-conceptwith the result of avoiding of his incompetent self because of his excessiveself-esteem CaseC wasshown tothepersonalself-conceptwith theresultof self-confidenceinhisappearanceandaccepting ofhisdisability,the vocationalself-conceptwith theresultof discovering hisability and making money through working,the socialself-concept with the resultof hisfamilies'ambivalence:disregarding oracknowledging of his ability, his ignoring his coleagues'disregards and rejections, and making eforts to respond his significantother's expectations and being feltburden with them atthesametime,and thegeneral self-conceptwith theresultof moreself-assuranceandsatisfaction abouthimselfthanbefore. According to the cross-case analysis, the common paterns elicited from thethree casesbased on thefourcategories ofareas folows: being interestedin an atractiveappearance in thepersonal - x -
self-concept, taking the opportunity forshowing ofher/his ability inthevocationalself-concept, wishingforpersonalrelationshipswith her/hispeople in thesocialself-concept,and longing forherorhis beterfuture inthegeneralself-concept. The self-concept of adults with mild intelectualdisabilities was appreciatedthroughtheinterpretationoftheconceptualizedpaternsof the self-concepts.and the implication of the self-concept of the adults in the contextofsocialwelfare was suggested in the study. Thevalueofthestudy isto beshown thattheself-conceptofthe adultswithmildintelectualdisabilitieswilbechangedpositivelyand thequality oftheirliveswilbeimprovedwhensocialworkersmake the positive interpersonal conditions for them and become their companions. - xi -
제 1장 서 론 1.1연구의 필요성 인간이 지닌 여러 특성들 중 하나는 자신의 개인적 실존에 대해 지각 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것은 삶의 전 과정에 걸쳐 자신이 누구이며 또 이 세상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지각이다.이러한 개인의 자기지각을 자기개념(self-concept)이라고 한다.이것은 일반적으로,개인 이 자기 실존에 대하여 사실이라고 여기는 습관,신념,태도,의견 등의 복잡하고,조직적이며,역동적인 총체적 시스템이다(Purkey,1988). 자신에 대한 지각으로서의 자기개념은 환경에서의 경험과 그 환경에 대한 개인의 해석을 통해 형성되고,이것은 다시 자기 자신과 환경을 어 떻게 생각하는지에 영향을 준다(Shavelson,Hubner,andStanton,1976). 사회적 경험(socialexperiences)은 자기개념의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 치는데,개인의 경험은 자기 자신을 지각하는 것과 자기 자신에 대한 다 른 사람들의 인식을 지각하는 것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Mead,1913). 자기개념에서 사회적 경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지적장애인들은 평 생 자기개념을 손상시킬 수 있는 수많은 경험을 해 왔다.그들은 많은 실패를 겪었고,사회적 고립과 배척,낙인을 당해 왔다.또 지적장애인들 은 의존적이며 무력하다는 일반화된 고정관념으로 인해 그들 스스로 자 신들을 평가절하 해 왔다(Ali,Strydom,Hassiotis,Wiliams,and King, 2008).삶의 전 과정에 걸쳐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기회가 적고,거부되고 배척되는 경험이 많은 지적장애 성인들은 자신과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발달시킬 위험이 크다. 많은 분야에서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 1 -
두는 이유는,긍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자기개념을 갖는 사람이 성공적인 직장생활과 대인관계를 하고 궁극적으로 양질의 삶을 살기 때문이다 (Coopersmith and Feldman,1974;Crowderand Michael,1989;Hatie, 1992; Brown and Goldenberg, 1993; Reiter and Bendov, 1996; PetrovskiandGleeson,1997;Craven,Marsh,andBurnet,2003).반면,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은 자기 자신을 비난하고,판단하며,자신 에 대해 의심하는 경향이 많고,자존감이 낮으며,자기 자신을 무가치하 고 중요하지 않다고 느낀다(Jerajani,2006).지적장애 성인들이 이런 사 람들에 포함되기 쉬운데,학교와 사회생활에서 실패하고,사회적 낙인과 차별을 받고, 고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Elbaum and Vaughn,2003).이로 인해 그들의 자기개념은 낮아지고,이런 인해 낮은 성취라는 악순환을 낳는다(Jahoda,Pert,SquireandTrower,1998).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자기개념을 다룬 연구는 주로 그들의 학업 성 취 및 교육 환경과 관련된 자기개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거나(Jones, 1985;Silon and Harter,1985;Cuskely and de Jong,1996;Li,Tam and Man,2006)지적장애인들의 자기개념을 부모,교사,또래가 지적장 애인들의 자기개념을 지각하는 방식과 비교한 것(Reiter and Bendov, 1966)이 대부분이었다.그러나 성인기의 삶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 현대 에 지적장애 성인들의 자기개념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왜냐하면 성인기의 삶에서 중요한 것은 학업이 아닌 사회 적 관계이기 때문이다.그리고 인지적 제한성으로 인해 자기개념을 발달 시키는 능력이 없을 거라고 여겨져 온 지적장애 성인들도 자기개념을 발 달시키며(조인수,2006),그들이 긍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자기개념을 가 질 때 전반적인 건강과 성취,행복 등에 도움이 되고 또 부정적이고 낮 은 자기개념에서 비롯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예방하는데도 도움이 되 - 2 -
기 때문이다(Brandon,2006;DaSilva,2007).이런 맥락에서,지역사회의 보호작업장에서 일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은 어떤 자기개념을 발달시키 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왜냐하면 사회복지의 궁 극적인 목적은 복지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을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밝혀내어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그럼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일하고 생활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이 높은 수준의 긍정적 인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 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내용](11p,신명조,줄간격 200%) 1.2연구 문제 본 연구는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을 그들의 입장에 서 파악하여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 질적 사례 연구이다.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둘째,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에 내포된 사회복지적 함의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 3 -
제 2장 문헌고찰 2.1자기개념(self-concept)의 이해 오랜 옛날부터 인간은 자기 자신을 아는 것에 관심을 가져왔다.자기 (self)가 전 생애에 걸쳐 변함없이 표출된다는 사실로 인해 자신에 대한 앎은 가치 있는 일로 여겨져 왔다.자기 자신을 잘 정의하는 사람은 건 실한 가치와 기호,태도 등을 발달시켜 일상의 많은 결정들을 잘 해 낼 수 있게 된다.전 생애에 걸쳐 긍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자기개념을 발달 시키는 것이 양질의 삶을 사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 고 있다.본 장에서는 자기개념의 정의와 형성 및 발달,구조와 기본 가 정에 대해 살펴보고 자기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이론들을 고찰해 보겠다. 2.1.1자기개념의 정의 자기개념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 다양한 견해들로 제시되어 왔다.Rogers(2007)는 자기개념을 개인의 의식 속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용인된 자기지각의 조직된 형태로 정의하고,개인은 이러한 자기개념을 계속 유지하고 또 환경이 허용하는 한 그 자기를 실현시키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Byrne(1984)은 자기개념이란 자기 자신에 대한 지각 으로서,사회적 환경으로부터 생겨나서 행동을 지시하는 축적된 힘을 제 공해 주는 것으로 개인의 행동,능력,신체 및 가치를 지각하고 평가하는 집합체로 정의하였다.또 Piers(이선우 신윤오 조수철,1995,재인용)는 자기개념을 자신의 행동과 특성에 관한 표현과 평가를 나타내는 상대적 으로 안정되어 있는 자신에 대한 태도를 말하며,이러한 지각과 태도는 자신에 관해 일관된 이미지를 유지하고 과거의 경험과 미래의 행동에 조 직적 기능을 가지며,무엇보다 감정을 유발하고 동기 형성에 중요한 역 - 4 -
할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이와 같이 자기개념에 대한 정의가 다양 하지만 이를 요약해 보면,자기개념은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지니고 있는 지각과 신념의 조직화되고 일관된 총체로 정리될 수 있다.결국,자 기개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념의 총합으로 개인의 삶을 질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복지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2.1.2자기개념의 형성 및 발달,구조 및 특성,기본 가정 과거에는 자기개념이 단일차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으나 현대의 학자들은 자기개념을 여러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다면적이고 다차원적이 며,위계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Markus,1990; Marsh,Tracey,andCraven,2006). 2.1.2.1자기개념의 형성 및 발달 자기개념은 발달 과정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경험되고 표현되는 것으 로 본다.Ainsworth(이선우 신윤오 조수철,1995,재인용)에 의하면,영 아기 때는 자기를 남들과 구별하고 주로 자기를 돌보는 사람과 상호관계 를 형성하는데 초점을 두다가 학령 전기 동안에는 보다 활동적이고 사회 적으로 다른 아이나 어른들과 관계를 맺으며 발달해 간다.이 시기의 자 기개념은 여러 분야에서의 아동의 경험과 부모의 태도 및 행동에 의해 주로 정의될 수 있다.학령기 아동의 자기개념은 보다 넓은 일상적인 상 호관계로 확대되는데 특히 성취와 또래관계에서 돋보인다.나이와 경험 이 증가하면서 자기개념은 보다 더 분화되어 나가는데 이질적인 경험을 합일된 개념적 틀로 통합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Fahey and Philips, 1981).Chia(2005)는 자기개념이 연령에 따라 발달해 가는 과정을 제시하 였다(표Ⅱ-1참조). - 5 -
[표Ⅱ-1]자기개념의 발달 연령대 발달하고 있는 자기(self)의 측면 자기 차원 영유아기 2살까지 학령전 초등저학년 초등고학년 고등저학년 고등고학년 그 이상 자기에 대한 개념 없음 자기인식 자기가 나타남 자기의 구체적이고 행동적인 측면에 초점. 예) 나는 푸른색 눈을 갖고 있다. (신체적 특성) 나는 빨리 달릴 수 있다. (행동적 기술) 자기의 사회적/기질적 측면에 초점. 예)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우호적이고 도움을 준 다. 구체적 자기 추상성 증가 자기의 추상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내면성에 초점. 추상적 자기 예) 나는 내 자신에게 참된 존재이고 싶다. 위 표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발달 초기에 아동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애매하고 일반적인 개념을 갖는 경향이 있다.학교에서,또래 관계에서, 가족과의 관계에서 그들은 자신에 대한 개념을 학생으로,정서적으로,신 체적으로 등등의 다양한 개념으로 분화시켜간다.그러나 자기개념이 하 향으로(일반적인 신념에서 구체적인 신념으로 나아감)형성되어 가는지 아니면 상향으로(구체적인 신념에서 일반적인 신념으로 나아감)형성되 어 가는지의 여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Neil,2005). 자기개념은 개인이 성장해 가면서 발달 단계마다 그 개인에게 중요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계속해서 변화해 간다.그런 데 자기개념은 개인이 환경에서 하는 경험뿐 아니라 그 환경에 대한 개 인의 해석에 의해 발달해 간다.개인이 하는 많은 경험 중에서 자기개념 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두 가지 원천은 아동기의 경험과 다른 사람들 로부터의 평가이다.특히,개인을 둘러싼 중요한 사람들이 그 개인의 행 - 6 -
동에 대해 제공해 주는 피드백과 강화,그리고 개인이 지닌 귀속은 자기 개념의 형성과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Shavelson,etal.,1976). 사회적 구조물로서의 자기개념은 다른 사람들과의 반복적인 상호작용 을 통해 지속적으로 형성 유지 발전된다.개인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 호작용을 통해 자기에 대한 많은 개념을 갖게 되고 이러한 자기개념은 상황과 함께 변해가는 맥락적인 성격을 띤다(Scheierand Carver,1988; Gioia,Schultz,andCorley,2000;ScotandLane,2000). 2.1.2.2자기개념의 구조 및 특성 자기개념의 여러 정의를 통합시키면서 자기개념을 자기지각이라고 정 의한 Shavelsonetal.(1976)은 자기개념의 핵심적인 구조와 특성을 제시 하였다.그들에 의하면,자기개념은 다차원적이며,내적으로 일관되고,위 계적으로 구조화된 개념들로 구성되어 있다.그들은 자기개념이 학문적 자기,사회적 자기,신체적 자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다차원적이 고 위계적인 자기개념은 개인 안에 있는 하나의 실체(reality)가 아니라 개인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설명해 주고 예측해 주는 잠재적으로 유용 한 가상적 구조이다.자기개념은 개인이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며 이 행동은 차례로 개인의 지각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 자기개념은 가장 꼭대기에 위치하며 그 다음 수준에 학문적 자 기개념과 비학문적 자기개념이 위치한다.학문적 자기개념은 교과목들의 자기개념으로 더 세분화된다.비학문적 자기개념은 사회적 자기개념,정 서적 자기개념,그리고 신체적 자기개념으로 나뉜다.사회적 자기개념은 또래와 중요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로 더 분화된다.신체적 자기개념은 신체 능력과 신체 모습으로 더 분화된다.[그림Ⅱ-1]은 Shavelson et al.(1976)이 가정한 다차원적이고 위계적인 자기개념의 도식화이다. - 7 -
일반적 자기개념 비학문적 자기개념 학문적 자기개념 사회적 자기개념 정서적 자기개념 신체적 자기개념 국어 역사 수학 과학 또래 중요한 사람들 특별한 정서상태 신체 능력 외모 [그림Ⅱ-1]Shavelson etal.(1976)의 자기개념 모델 Shavelson etal.(1976)의 자기개념 구조에서 중요한 7가지 특징을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자기개념에서 자신에 대한 많은 정보가 범주화된다. 2 자기개념은 다차원적이며 자기참조 범주 시스템을 갖는다. 3 자기개념은 위계적이다.맨 밑바닥에서는 구체적인 상황 속의 행동 을 지각하고,중간단계에서는 광범위한 영역들(사회적,신체적,학문적)을 지각하며,맨 위의 일반적 자기개념에서는 자기에 대한 참조를 갖는다. 4 위계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일반적 자기개념은 안정적이지만 위계 가 내려갈수록 상황 중심적이고 구체적이기 때문에 덜 안정적이다.각 수준에 있는 자기개념들은 상호적인 관계를 갖는다. 5 자기개념은 성장함에 따라 다차원적으로 발전되고 분화되어 간다. - 8 -
6 자기개념은 기술적 측면과 평가적 측면을 갖는다.평가는 절대적, 이상적,개인적,내적인 기준과 또래와 비교하는 상대적 기준,또는 중요 한 사람들의 기대에 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사람들은 자기개념의 구 체적인 차원들에 모두 똑같은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는다. 7 자기개념은 다른 구조물들과 구별된다.그래서 학문적 자기개념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각각 학업 성취와 신체 건강과 같은 관련 구조물과 구별될 수 있다. 2.1.2.3자기개념의 기본 가정 Purkey(1988)는 자기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본적인 가정을 제시하였다. 자기개념은 학습된다.자기개념은 생후 몇 달이 지나면 점차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중요한 사람들과 하는 반복적인 경험들을 통해 형성되 고 재형성된다.자기개념이 학습되는 것이라는 사실이 갖는 함의는 첫째, 자기개념이 본능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발달하는 사회적 산물이 기 때문에 개인의 발달과 자기실현을 위한 잠재력을 많이 갖는다.둘째, 자기개념은 개인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지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개 인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기 자신을 지각한 다.셋째,개인은 여러 다른 순간에 자기 자신의 여러 측면을 지각한다. 넷째,자기개념과 일치하지 않은 경험은 위협적인 것으로 지각될 수 있 으며,이런 경험이 많을수록 자기개념은 스스로를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 해 더 엄격하게 조직화된다.마지막으로,이분법적인 추론이나 과잉일반 화와 같은 잘못된 사고는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해석을 하게 만든다. 자기개념은 조직화된다.자기개념은 질서가 있으며 조화로운 특성 을 갖는다.자기개념의 안정적이고 조직화된 특성으로 인해 성격의 일관 - 9 -
성이 유지된다.이런 특성에서 나온 결과로 첫째,자기개념은 일관성,안 정성을 요구하며 변화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둘째,자기개념에서 특별 한 신념이 중심에 있을수록 그 신념을 변화시키려는 것에 더 많이 저항 한다.셋째,자기개념의 중심에는 행위자로서의 유일한 나,I 와 대상으 로서의 다양한 나,me's 가 있다.이것은 개인이 과거 사건을 반성하게 하고,현재의 지각을 분석하게 하며,미래의 경험을 형성해 가게 만든다. 넷째,자신에 대한 기본적인 지각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변화시키는데 시 간이 걸린다.마지막으로,지각된 성공과 실패는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친 다.매우 중요시되는 영역에서의 실패는 다른 영역들에서의 성공에 대한 평가를 떨어뜨리고 반대로 높이 평가받는 한 영역에서의 성공은 관련 없 어 보이는 다른 영역들에서의 평가를 높여준다. 자기개념은 역동적이다.자기개념은 개인이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 들,그리고 세계를 보는 방식을 형성할 뿐 아니라 행동을 지시하고,삶에 서 일관된 자세를 취하도록 해 준다.자기개념의 역동적인 특성으로 인 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갖는다.첫째,세상과 그 안의 사물들이 자기개념 과의 관련성 속에서 지각된다.둘째,자기개념은 계속 발달한다.셋째,사 람들은 자기개념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행동하려고 한 다.넷째,자기개념은 몸보다 우위를 차지하는데,사람들은 정서적 만족 을 위해 신체의 편안함과 안전을 감수한다.다섯째,사람들은 자존감을 잃지 않기 위해 자기 자신을 지속적으로 보호한다.마지막으로,자기개념 이 공격으로부터 계속 자기 자신을 방어하면 성장하지 못한다. 이제까지 자기개념의 형성과 발달,구조와 특성 및 가정에 대해 살펴 보았다.다음에서는 자기개념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Rogers 의 자기개념이론,Bem의 자기지각이론,그리고 Festinger의 사회적비교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겠다. - 10 -
2.1.3자기개념과 관련된 이론들 2.1.3.1Rogers의 자기개념이론(Self-conceptTheory) 인간의 성장에 관심을 가진 Rogers는 자기개념이 과거의 경험,현재의 정보,미래의 기대에 비추어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것으로 보았다(김규 수 김인숙 박은미 박정위 설진화 우국희 홍선미 역,2006).자기(self)는 우리가 정말 누구인지를 묻는 말이다.자기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환경이 중요한데,인간은 환경에서 하는 경험의 산물이자 동시에 그 경험을 어 떻게 받아들였는가의 산물이기도 하다.그리고 수용(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과 공감(경청과 이해)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모든 사람은 긍정적이 고 높은 수준의 자기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Rogers(2006)에 의하면,자기는 각 사람에게 고유한 개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자기가치(self-worth 또는 self-esteem),자기-이미지(self-image), 그리고 이상적-자기(ideal-self)가 주요한 3가지 구성요소이다.자기가치 는 자기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관한 것으로,어릴 때 부모와 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자신에게 중요한 사람들이 자신을 수용하 는지 아니면 거부하는지에 대한 느낌은 자기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고 평 가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Mrug and Walander,2002).자기-이미지는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것으로,개인이 생각하고,느끼고,행 동하는 모든 것에 영향을 준다.이상적-자기는 개인이 되고 싶어 하는 자기이다.이것은 세상에서 개인이 지닌 목표와 야망들로 이루어져 있으 며 계속 변하는 역동적인 성격을 띤다. 인간은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을 하려는 기본적인 동기를 갖고 있 으며,이것은 이상적-자기 (되고 싶은 자기)가 실제 행동(자기-이미지) 과 일치될 때에만 자기실현이 이루어진다고 Rogers(2006)는 주장하였다. - 11 -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과 자기가치에 대해 느끼는 방식은 모두 심리적 안녕 뿐 아니라 인생의 목표와 야망을 성취하고 자기실현을 더 잘 이룰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높은 자기가치를 갖기 위 해서는 개인에게 중요한 사람들(부모,동료,교사,사회복지사)이 그 개인 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것이 중요하다. Rogers(2006)는 개인의 자기-이미지와 이상적-자기의 일치성 정도를 [그림Ⅱ-2]와 같은 도식으로 표현하였다. 불일치 일치 자기-이미지 이상적-자기 자기- 이미지 이상적-자기 자기-이미지는 이상적-자기와 다르다. 겹치는 부분이 적다. 자기실현이 어렵다. 자기-이미지는 이상적-자기와 비슷하다. 겹치는 부분이 더 많다. 이 사람은 자기실현을 할 수 있다. [그림Ⅱ-2]자기-이미지와 이상적-자기의 일치성 [그림Ⅱ-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이상적-자기와 실제 경험 간에는 불일치가 존재한다.모든 사람은 어느 정도 불일치를 경험하는데,많이 일치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받아야 한다.자기실현은 일치 상태에서 일어나며,우리는 자기-이미지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느끼 고,경험하고,행동하고 싶어 하며 또 우리가 되고 싶어 하는 이상적-자 기를 반영하고 싶어 한다.자기-이미지와 이상적-자기가 많이 일치할수 록 조화롭고 일관된 자기 자신이 되면서 더 높은 자기가치를 갖게 된다. 자신이 한 경험 중에서 어떤 것을 수용하지 못하고 자기-이미지 안에서 - 12 -
그것을 거부하거나 왜곡시키면 부조화 상태에 있게 된다(Rogers,2006). 2.1.3.2Bem의 자기지각이론(SelfPerceptionTheory) 자기개념은 여러 가지 관점과 인상을 통해 형성되는데,주요한 방식들 중 하나가 지각이론이다.이것은 Bem(1967)이 처음 제안한 것으로 두 가지 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첫째,이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의 태도, 신념,그리고 다른 내적 상태를 자신의 행동과 그 행동이 일어난 상황으 로부터 추론해 냄으로써 알게 된다.둘째,내적 단서가 약할 때 사람들은 자신의 내적 특성을 추론하기 위해 자신이 한 행동의 외적 단서에 의지 하는 외부 관찰자와 같은 위치에 있다.사람들은 자신의 신념과 태도를 추론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과 그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을 사용한다. 그래서 빈약한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 부적절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이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 호작용이 자기개념이라고 하는 관점을 통해 지각되기 때문이다(Jahoda, etal.,1988). Carol(2008)은 자기지각이론이 자기개념이 발달하는 방법에 대한 단 순한 설명력 때문에 큰 영향을 갖는다고 하였다.사람들은 자신들의 행 동을 관찰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해 알게 된다.자기지각이론은 이전의 신념과 행동 간에 불일치가 없을 때조차 행동을 통해 어떻게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는지 설명해 준다.자기지각이론은 자신의 행동을 설명해 주는 분명한 상황적 보상이 없을 때,사실은 즐겁지 않은 활동(행동-신념 간 의 불일치)에 대해 원래부터 즐거워했다고 추론하는 방법을 설명해 줄 수 있다.자기지각이론은 사람들이 자기개념에 맞추기 위해 원래의 신념 과 행동 간에 불일치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가정할 필요가 없다. 자기지각이론에서는 자기개념에 변화를 주기 위해 어떤 동기도 필요하 - 13 -
지 않다.자기개념을 변화시키기 위해 사람들은 자기 행동에 대한 환경 과 기질적 원인을 고려함으로써 기꺼이 자신의 태도와 신념을 추론하기 만 하면 된다.또 이전에 지닌 신념에 대한 내적 단서가 모호하거나 약 할 때 자기개념을 추론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기 행동을 사용할 수 있다. 2.1.3.3Festinger의 사회적비교이론(SocialComparisonTheory) 자기개념에서 중요한 것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개인에 대해 지닌 관점이다(Hinde,Finkenauer,andAuhagenc,2001).자기개념은 개 인에 대한 이런 사람들의 지각과 의견이 반영된 것이다.개인에게 중요 한 사람들(부모,또래,종사자)이 개인에 대해 갖는 이미지와 개인이 같 은 장소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하는 사회적 비교는 모두 자기개념에 중 요하다(SchmidtandCagran,2008). Festinger(1954)가 제안한 사회적비교이론에 의하면,사람들은 자신의 의견과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외부에 있는 이미지들을 보려는 충동을 갖는다.이런 이미지들은 물질적 실재에 대한 참조물이거나 다른 사람들 과 비교하는데서 있을 수 있다.여기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는데 먼저,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의견과 능력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고 검사함으로 써 자신을 평가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이런 경향은 자신의 의견이나 능력이 비교하려는 상대와 차이가 많이 나면 줄어든다.두 번째로,사람 들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비교하지 않기 위하여 적개심과 반대 의견을 일으킨다.사람들은 비교집단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그 집단 과 일치하려는 압력을 증가시킨다.그러나 개인,이미지,또는 비교집단 이 자신과 많이 다르면 비교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생긴다.자신과 유사 한 사람들은 능력과 의견에 대해 정확히 평가하게 만드는 사람들이다 (Suls,Martin,and Wheeler,2002).마지막으로,비교집단의 형태(mode) - 14 -
에 더 가까운 사람들은 형태가 더 먼 사람들보다 변화하려는 경향이 좀 더 강하다.사람들은 비교하려는 표적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자신과 유 사한 사람들과 비교하면(평행비교)정확한 자기개념을 갖게 되지만 자기 보다 더 나은 사람과 비교하면(상향비교)그 사람으로부터 배우기는 하 지만 자존감이 떨어진다.또 자신보다 못한 사람과 비교하면(하향비교) 그 사람으로부터 배우는 것은 없으나 자존감이 커진다.반면,오랫동안 접촉해 오지만 이상적인 기준을 갖추지 못한 사람과 비교하면 오히려 효 율적인 자기개념을 갖게 된다. Marsh etal.(2006)도 자기개념이 개인 내 비교와 사회적 비교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다.개인 내 비교(내부구조 참조)는 자신들이 이룬 한 영역에서의 성취를 다른 영역에서의 성취와 비교하는 것이다.이것은 행위의 주체로서 자기,I 를 보는 관점으로,자신의 능력 에 대해 공정하지 않은 평가를 하게 할 위험이 있다.그러나 사회적 비 교(외부구조 참조)는 자기 자신의 성취를 주위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성 취와 비교하는 것이다.이것은 대상으로서의 자기,me 에 대한 이해를 갖게 해 준다.이렇게 사회적 구성물인 자기개념은 자기 자신을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함으로써 발달시킨다. 2.2지적장애인에 대한 이해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적 능력은 다른 어떤 능력들보다도 매우 높은 가치를 부여받고 있다.그래서 지적장애인들은 평가절하 되고 낙인을 받 을 위험이 크다.또 많은 지적장애인들은 이런 가치를 내재화시키며 그 래서 다른 사람들의 시각에서 뿐 아니라 스스로도 자신이 실패한 사람이 라고 느낀다.하지만 지적장애인들은 모든 사람이 천부적으로 소중하다 는 가치를 지니고 자신의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15 -
여기서는 지적장애인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지적장애의 정의 와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제시하고 지적장애 성인에게 주어지는 도전과 그들의 연구참여 능력에 대해 고찰해 보겠다. 2.2.1지적장애의 정의 및 경도지적장애인의 특성 2.2.1.1지적장애의 정의 지적장애에 대한 정의는 장애를 바라보는 시대적 관점에 따라 다양하 게 발전되어 왔다.미국정신지체협회(AAMR)의 2002년 정의는 지적장 애는 지적 기능과 개념적,사회적,실제적 적응기술로 표현되는 적응행동 모두에서 유의한 제한을 가진 장애로 특징지어 진다 (신종호 김동일 신현기 이대식 역,2008,재인용)이다.이 정의에는 다섯 가지 중요한 가정이 내포되어 있다. 현재 기능에 있어서의 제한은 또래 및 문화의 전형적인 지역사회 환 경의 맥락 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타당한 진단으로 문화적,언어적 다양성과 함께 의사소통,감각,운 동기능,행동 요소들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개인 내적으로 제한점과 함께 강점도 공존할 수 있다. 제한점을 설명하는 주목적은 필요한 지원을 개발하기 위해서이다. 적절한 개인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주어짐으로써 지적장애를 지닌 개 인의 삶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지적장애에 대한 분류는 IQ를 근거로 한 경도,중등도,중도,최중도 수준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2002년 AAMR의 정의에서는 4가지 지원 강 도에 따른 간헐적,제한적,확장적,전반적 지원으로 새롭게 분류하였 - 16 -
다.일반적인 기능 수준에 따른 지적장애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경도지적장애인(IQ 50-70)은 읽고 쓰는 것을 배울 수도 있다.대부 분의 사람들은 삶에서 중요한 관계를 가지며 가족과 지역사회에 봉사한 다.일부는 혼자 살거나 스스로 돌아다니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금 전을 다루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조직하는데 지원을 필요로 한다.많 은 사람들이 경쟁고용이나 보호고용에서 직업을 갖는다.어떤 사람들은 결혼하여 자녀를 양육하기도 한다.경도지적장애 사람들은 학업에 어려 움을 겪으며 읽고 쓰는 능력이 초보단계에 머물 수 있다.많은 사람들이 대인관계와 사회적 규칙에 있는 애매한 부분을 충분히 이해하기 힘들어 하며 그렇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사회적 경계를 침범하게 된다. 중등도지적장애인(IQ 35-50)은 삶에서 중요한 대인관계를 가질 수 있고 또 가치 있고 지속적인 우정을 맺으며 가족,친구,지인들과 함께 하는 활동을 즐길 수 있다.훈련을 통해 일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배우지만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지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상황 단어를 배울 수 있고,의사소통 시스템 에서 사용되는 그림과 시간표와 같은 시각 자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중등도지적장애인들은 금전에서 뿐 아니라 생활과 활동을 계획하고 조직 화하기 위해 평생에 걸친 지원이 필요하다. 중도지적장애인(IQ 20-35)과 최중도지적장애인(IQ 20 이하)은 개인 돌봄 과제와 의사소통에서 평생에 걸쳐 도움을 필요로 하다.이런 사람 들은 대개 친숙한 사람들을 인식하며 삶에 있는 핵심 인물들과 강력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필요와 기분을 나타내 기 위해 몸짓,얼굴표정,발성 등에 의지한다(www.cddh.monash.org). - 17 -
2.2.1.2경도지적장애의 특성 경도지적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비장애인들과 다른 행동양식을 나타낼 지라도 유사점을 더 많이 공유한다.그리고 비장애인들이 다양한 만큼 그들 또한 다양하고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다.우선,경도지적장애인들은 성인일지라도 자신들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책임을 잘 수용하지 못하고 자립심과 자기조정 행동을 잘 발달시키지 못한다고 여겨진다.그리고 이 들은 긍정적인 결과를 성취하게 하는 자기결정 능력이 부족하지만 대개 이런 능력의 부족은 선호 결정하기,선택하기,위험 감수하기,책임지기, 개인적 상황에서 통제력 발휘하기와 같은 일들을 수행할 기회를 갖지 못 했기 때문이다(WehmeyerandBolding,2001).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은 스스로 사건을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함으로써 학습된 무기력(learnedhelplessness)을 발달시킨다.지적장애인들처럼 많 은 실패를 겪은 사람은 어떤 노력을 해도 실패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자신이 실패할거라고 예상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 전혀 노력하지 않는 태 도를 발달시킨다(Schloss,Alper,and Jayne,1994).누적된 실패 경험에 서 생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목표를 낮추고,노력을 덜 하게 하고,그 럼으로써 미흡한 결과를 내고 이것은 다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 키는 악순환을 만든다. 실패를 피함으로써 생기는 것이 외부지향성 (outer-directedness)인데,이런 경향을 가진 사람은 문제를 스스로의 해 결하기보다 상황이나 외부 단서에 의지하려고 한다(Byee and Zigler, 1992). 지적장애의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Loveland Reiss,1993).경도지적장애 성인은 직장 동료나 상사의 비 판을 받아들이고,갈등을 해결하며,지시를 따르고,대화에 참가하는 등 에서 어려움을 나타낸다.흔히 나타내는 문제로는 파괴적 행동,주의집중 - 18 -
결핍,낮은 자존감,과잉행동,산만함,대인관계에서 인지적 문제해결의 어려움 등이 있다(Sheman,Sheldon,Harchik,Edwards,and Auinn, 1992).또 동료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이 많은 사람은 덜 긍정적인 감정 을 갖게 되고 더 파괴적이고 퇴보적인 행동을 보인다(Poloway,Epstein, Paton,Culian,andLuebke,1986).그러나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이 나타 내는 사회성 기술의 문제들은 지적능력에서의 제한성 때문이기보다 제한 된 환경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것에 기인할 수 있다. 지적장애인들은 정보처리 방식이 비장애인들과 질적으로 다르고(Elis anddulaney,1991)비장애 또래들에 비해 인지발달이 늦고 느리며 궁극 적인 수준도 더 낮지만 비장애 또래와 같은 발달단계를 밟는다(Zigler, 1969).지적장애인들이 잘 배울 수 있는 최적학습환경(optimallearning environment)을 제공해 줌으로써 선택적 주의집중의 어려움,전략사용에 서의 결함,단기기억의 어려움,배운 것을 전환 또는 일반화시키는 것에 서의 어려움을 줄여줄 수 있다(신종호 외 역,2008,재인용). 많은 지적장애인들이 말/언어문제를 겪는데 그들이 나타내는 말/언어 의 결함은 적절한 말과 언어를 사용하기 위한 모델링 기회의 제한과 말/ 언어의 사용을 덜 권장받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Warren and Abbeduto,1992). 2.2.2경도지적장애 성인에게 주어지는 도전 성인기는 가장 긴 시간이고 아동기와 학령기는 모두 성인기의 삶을 준 비시키는 과정이다.현대인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지적장애인도 과 거에 비해 더 길어진 성인기를 보내고 있다.그러나 지적장애인은 그들 의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과 다른 성인기 삶을 경험한다. 경도지적장애 성인이 성인기 삶의 복잡성,경험의 다양성,책임수용의 - 19 -
기회 등을 감당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가능 여부 와 지역사회의 태도 및 관련된 사람들의 특성에 달려있다.성인기의 지 역사회 환경에서 중요한 세 가지 환경인 가정,일,여가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삶의 질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경도지적장애 성인이 지역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으로 그 환경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전인격 적으로 지역사회 생활에 적응하고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신종호 외 역,2008,재인용).그들의 지역사회에서의 삶은 사회의 수용 정도에 달 려있는데 많은 이들은 비장애인들과 사회적 통합을 하는데 여전히 어려 움을 경험한다. 지적장애인의 거주환경의 변화는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철학 에 의해 성취된 것이다.오늘날 대부분의 지적장애 성인들은 자신들의 집에서 생활하면서 지역사회에 있는 직업재활시설을 이용한다.그들에게 직업은 비장애 성인들만큼 중요하다.보호작업장은 지적장애 성인들에게 작업과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는 곳으로,지적장애 성인들은 보호된 환경에서 일거리를 제공받고,지원과 감독을 받으며,임금을 지급받는다. 지적장애 성인들에게 직업은 자기결정,지역사회통합,소비자로서의 권리 행사 등과 같은 또다른 가치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WehmeyerandBolding,2001). 대인관계는 지적장애 성인에게 중요한 성인기 삶의 한 요소이다.지적 장애 성인들의 대인관계는 흔히 그들의 가족 및 보호자,같은 장애가 있 는 동료들,현장 전문가들로 제한되어 있다.그러나 지적장애 성인들이 갈망하는 것은 비장애인들처럼 파트너와 사랑하고,결혼하며,자녀를 양 육하는 것과 일반적인 성인의 삶이다.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이 지닌 여 러 가지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성적 욕구를 표현할 권리를 종종 무시 당하거나 거부당해 왔다.그러나 인권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커지고,점 - 20 -
점 더 많은 지적장애 성인들이 독립된 생활을 요구하고,사회적 상호작 용의 패턴이 확장됨에 따라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의 이성교제,결혼,자녀 출산과 같은 성적 권리는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쟁점이 되어가고 있 다.그러나 지적장애 성인들에 대한 성학대,임신,성병 등의 문제로 인 해 이 쟁점은 여전히 논란이 되다(SchwierandHingsburger,2000). 독립성과 자기결정권의 증가는 비장애인들에게 이용당하거나 학대받을 위험을 동시에 증가시킨다.그럼에도 불구하고,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계 획할 권리는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경도지적장애 성인들도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삶에서의 궁극적 목적은 개인적 만족을 성취하는 것이다(Dudley,1996). 2.2.3지적장애 성인의 연구참여 능력 장애연구에서 지적장애인들은 주로 연구의 대상,또는 객체 로 등장 해 왔다.그러나 장애를 연구하는 학문공동체에 질적 연구가 도입됨에 따라 지적장애인들이 연구참여자로서 정보제공자 라는 주체적 역할을 수행하는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지적장애인의 연구 참여를 둘러 싼 쟁점을 다룬 연구에서 김진우(2008)는 숨겨져 있던 지적장애인들의 삶을 그들의 진술을 통해 생생히 드러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장애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다음에서는 지적장애인들의 연구참여 능력 에 관하여 김진우(2008)의 주장을 중심으로 전개해 보겠다. 2.2.3.1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능력 김진우(2008)에 따르면,지적장애인이 연구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부 족이나 부재로 인해 정보제공자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은 타당하지 않다. 왜냐하면,지적장애인의 개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그들을 전체 집단으 - 21 -
로 묶어서 그들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해 획일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개별 지적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판단을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또 지적장 애인의 의사소통능력 부족을 단순히 그들의 장애로 원인을 돌리는 것은 우리사회가 그들에게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지 않은 것에 대한 책임 회피일 수 있다는 것이다.지적장애인은 의사 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회나 교육을 일상에서나 교육현장에서 많 이 박탈당해 왔고,그리고 정보습득능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새로운 정 보를 잘 제공받지 못하였다는 것이다.또한 지적장애인에게 부과된 부정 적인 낙인은 그들로 하여금 의사소통 과정에 소극적이게 만든 일종의 사 회적 억압이라는 것이다. 지적장애인의 이야기가 대화 상대에게 의미 있게 받아들여지고 또 반 응 받을 필요가 있는데 사실 지적장애인의 속 이야기가 비장애인에게 진 지하게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지적장애인의 생각,판단,느낌, 행동을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것이다.그렇기 때문에 지적장애인은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하거나 없다고 여기는 것은 그 들에 대한 우리의 억압적 이해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우리의 이런 이해 태도는 지적장애인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대화방식에서도 나타난 다.즉,지적장애인이 편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 양한 도구나 방식을 적용하지 않은 채 전통적인 의사소통 방식으로 그들 과 의사소통을 해 온 것은 우리의 지식세계에 그들을 강제로 맞추어 온 것이라고 한다. 2.2.3.2지적장애인의 진술 신빙성 지적장애인의 말을 과연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불안이 이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는데 있어 주저하게 만드는 한 가지 이유이 - 22 -
다.지적장애인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들이 말하는 내용에 일관성이 부 족한 경우가 많다.그러나 이런 일은 비단 지적장애인에게만 일어나는 게 아니다.비장애인들 역시 설문조사나 일상의 삶에서 왜곡된 의사표현 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그렇기 때문에 진술의 사실 여부를 확인 할 때 진술 내용에 대한 화자의 이해 및 진술방식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 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즉,진술의 사실여부도 중요하지만 면접 내용 을 사회적 상황과 개인적 삶의 맥락과 연결시켜 이해할 때 더 명료해 질 수 있다.또한 진술의 사실 관계는 보다 근본적으로 연구결과의 재현을 둘러싼 인식론적 논쟁과 결부되어 있다.질적 연구에서는 연구대상과 연 구자 간의 불가분한 관계,가치중립성에 대한 재검토,연구과정에서의 사 회정치적 맥락 등이 강조되기 때문이다. 지적장애인을 정보제공자로 참여시킬 때 그들의 진술에 있어 사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즉,연구자가 정보제공자와 라포를 형 성하고,그들의 신체적 및 인지적 여건을 고려하여 면접시간을 배정하고, 최소한 2회 이상의 면접을 통해 진술의 전후맥락에 대한 이해를 확보하 며,진술의 참, 거짓 에 대한 판단을 말해진 사실 에만 기초하기보다 정 보제공자의 내재적 맥락을 파악하려고 하는 것 등의 시도를 해야 한다. 또 정보제공자의 대답이 애매할 때 기관 직원이나 그들의 부모 및 동료 로부터 정보를 얻거나 연구자의 직접 관찰로 보완할 수 있으므로 지적장 애인의 진술에 대한 사실여부는 보다 폭넓은 판단 틀을 적용해야 한다. 2.2.3.3은폐되어 온 지적장애인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몰이해와 진술의 사실관계에 대한 획일적 해석 등과 같은 그들에 대한 비장애인의 억압적 이해로 인해 지 적장애인은 오랫동안 은폐 되어왔다.그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무지는 - 23 -
두려움과 대응부재라는 결과를 낳는다.지적장애인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고,어떤 삶을 살며,어떤 희망과 불안,고통을 겪는지 모르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그들을 두려워하게 되고 그 두려움은 지적장애인과의 거리 감을 만든다.그 결과 지적장애인은 사회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된다.그들을 직접 대면하여 대화하려고 하기보다 그들의 부 모나 보호자 또는 전문가들로부터 그들에 대한 의견을 구하려고 하다 보 니 자연히 지적장애인이 주체적 대화의 상대자로 나설 수 없게 된다.이 러한 상황이 반복되다 보면 지적장애인은 제3자에 의한 의견에 의해 피 상적으로 다루어지거나 추측됨으로써 결국 드러나지 않게 된다. 이렇듯 은폐되어 온 지적장애인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그들의 드러나지 않은 존재성을 부각시키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우리 사회가 지적장애 인이 어떤 사람들인지 알게 되는 것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서이어야 한 다.이렇게 되려면 먼저 지적장애인 스스로 자신들이 어떤 사람들인지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아는 자만이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이다.바로 이러한 문제인 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보호작업장의 경도지적장애인들이 연구참여 자로 참여하였다. 2.3선행연구의 고찰 지적장애 성인의 지적 능력과 진술능력에 대해 지닌 학문 공동체의 편 협한 사고는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개념 연구의 희소성이라 는 결과를 낳는다.이런 현실적 제한성을 고려하면서,여기서는 다른 장 애를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개념 연구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 로 한 자기개념 연구를 구분하여 살펴보겠다. - 24 -
2.3.1다른 장애와 관련된 자기개념 연구 자기개념은 장애유형과 생활경험,교육환경,생물학적 연령,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난독증이 자기개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Humphrey(2004)의 연구에서 보여준다.이 연구는 일반학급 과 특수학급에 배치된 총 63명의 난독증 학생을 학습장애가 없는 57명의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연구 결과는 난독증이 학생들의 자기개념과 자 존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일반학급의 난독증 아이들은 학교에서 고립과 배제를 더 크게 느낌으로써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갖고 있었다.반면,특수학급의 난독증 아이들은 같은 장애가 있는 또래들과 함께 있음으로써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치된 교육환경에 따라 청각장애 학생들의 자기개념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van Gurp,2001;Schmidtand Cagran,2008). Schmidtand Cagran(2008)은 일반학급에 배치된 청각장애 학생들의 자 기개념을 가청또래와 비교하였다.연구결과는 일반적 자기개념과 학문적 자기개념,사회적 자기개념에서 청각장애 학생들이 더 낮았으나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가청학생들보다 더 높았다.청각장애 학생들이 통합된 일반학급 학생들이 청각장애 학생이 없는 일반학급 학생들보다 3개의 자 기개념과 일반적 자기개념 모두에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수학교,특수학급,일반학급에 각각 배치된 장애학생들의 자기개념에 관한 연구를 vangurp(2001)가 실시하였다.연구결과는 일반학급 학생들 과 특수학급 학생들 간에 학문적 자기개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이 연 구에서는 특수학교의 청각장애 학생들이 외모,또래관계,자기가치와 관 련된 점수가 다른 두 환경에 있는 학생들보다 높았다. 지체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Purpura-Go(2010)는 자기개념 에 정보화기기 보조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이 연구에서 - 25 -
는 지체장애 학생들의 자기개념 향상에 정보화기기 보조프로그램이 기여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시각장애인의 자기개념을 몇 몇 다룬 연구들은 시각장애인들도 자기개 념을 갖는 것이 중요한데,그들의 자기개념 수준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Cook-Clampert,1981;ObiakorandStyle,1989,1990;Beaty,1991). 2.3.2지적장애와 관련된 자기개념 연구 자기개념은 자기 자신의 내면 뿐 아니라 자신을 보는 다른 사람의 생 각까지도 파악해야 하는 초인지 능력을 요구한다.이것은 자기개념이 개 인의 인지발달과 깊은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SilonandHarter, 1985).같은 맥락에서,지적장애인의 자기개념은 생물학적인 연령보다 정 신연령이 비슷한 사람들과 유사할 수 있다(HarterandPike,1984).그러 나 CuskelyanddeJong(1996)의 연구는 생물학적인 연령이 13~17세이 며 정신연령이 4세~6세 11개월인 19명의 다운증 청소년들의 자기개념이 유사한 발달연령의 비장애 또래의 자기개념 수준과 비슷함을 보여주었다. 지적장애인은 자신의 장애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인식을 갖 고 있음을 인식하며 또 그런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Jahoda etal., 1988),자신들의 장애와 자신들에게 붙여진 낙인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 이다(Alietal.,2008).Bandura(1993)는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 이 삶에서의 스트레스와 갈등에 더 잘 대처한다고 하였다.Jahoda et al.(1998)은 지적장애인의 자기개념이 스트레스와 갈등을 대처해 나가는 것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였다.그들은 자기개념이 낮은 지적장애 인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대인관계 상황에서 더 민감하고 공격적인 반 응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부모나 가족,보호자,동료,교사와 같은 사람들이 개인을 가치롭게 느 - 26 -
끼게 해 주는 사회적 관심은 자기개념에 큰 영향을 미친다.Cambraand Silvestre(2003)는 청각장애,운동장애,시각장애,관계성장애,학습장애, 지적장애 등의 장애가 있는 총 97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념을 조사 하였다.연구 결과는 장애학생들이 비장애 학생들보다 사회적 자기개념 과 학문적 자기개념에서는 낮지만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교사의 교수 스타일과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학생 들의 자기개념에 중요하며,가족의 반응과 태도도 자기개념 형성에 중요 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드러났다. 가족과의 관계,자기양성 전략,양질의 고용 등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개념과 지역사회 통합 및 양질의 삶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Liet al.(2006)이 제시하였다.135명의 홍콩 지적장애 젊은이들의 자기개념을 비장애 젊은이들의 자기개념과 비교한 결과 가족 자기개념,사회적 자기 개념,학교와 직장에서의 성취가 가장 중요한 자기개념으로 드러났다.지 적장애인들은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유지하기 위하여 집단 내 사회적 비 교를 하였고 비장애인들보다 전체적인 자기개념 점수가 더 높았다. 사회적비교이론에 의하면,지역사회에 사는 지적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비교함으로써 낮은 자기개념을 갖는다.그러나 이것의 단순성을 지적하 면서 Dixon,Marsh,and Crave(htp://www.aare.edu.au/05pap/dix05388.pdf) 는 39세~58세의 지적장애 여성 5명의 자기개념을 연구하였다.이 연구 에서 자신의 장애를 수용한 사람의 자기개념이 가장 높았고 거부한 사람 은 가장 낮았다.어떤 사람들은 자기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향비교를 하였다.또 지적장애인들이 사회적 비교를 하는 것은 자기개념을 보호하 기 위한 것이었고 그들은 비교집단을 선별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비장애인이 통합된 여가활동과 지적장애인들끼리 하는 여가활동이 지 적장애인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Duvdevany(2002)가 제시하였다. - 27 -
자기집이나 아파트에 사는 14세~60세의 독신 경도지적장애인 33명 중에 서 비장애인과 함께 여가활동을 한 지적장애인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지적장애인들끼리 여가활동을 한 사람들보다 더 높았다.전반적인 자기 개념 만족도도 통합여가활동에 참가한 지적장애인들이 더 높았다. Marshetal.(2006)은 211명의 사춘기 이전의 경도지적장애 청소년들을 면접하여 성별,연령,교육적 배치가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 다.일반학급에 배치된 경도지적장애인들은 학문적 자기개념인 읽기,수 학,일반 학교 수업,또래관계 및 전반적 자기개념에서 모두 특수학교의 지적장애인들보다 더 높았다.그러나 신체,외모,부모와의 관계라는 비 학문적 자기개념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윌리엄스신드롬(WS)과 프레더윌리신드롬(PWS)이 있는 청소년과 성인 들의 자기개념을 비교한 연구를 Plesa-Skwerer,Sulivan,Jofre,and Tager-Flusberg(2004)가 실시하였다.이 연구는 WS을 가진 사람들이 자기(self)의 특성을 더 많이 제공하였고 자기개념을 기술할 때 사회적이 고 심리적인 범주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반응 수준은 PWS가 있는 사 람들보다 일반적으로 더 높았다.그리고 성인들이 청소년들보다 사회적 이고 심리적인 반응을 더 많이 제공하였다. 이상의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자기개념은 개인이 중요한 사람 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의해 형성되는 사회적 구성물임을 확인하였다.자기 개념이 제한적인 환경인 보호작업장의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의 경우 어떠 한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왜냐하면,자기개념이 환 경에서의 경험에 따라 계속 변해가는 역동적이고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할 때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도 그들의 사회적 경험에 의해 달라 지기 때문이며,그리고 바로 여기에 사회복지적 함의가 있기 때문이다. - 28 -
제 3장 연구방법 3.1사례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을 이해하기 위하 여 질적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Stake(2000)에 의하면,사례연구는 맥락 속에서 풍부한 여러 가지 정보원들을 포함하는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자 료수집을 통해 시간의 경과를 따라 하나의 경계 지어진 체계(bounded system) 나 하나의 사례 또는 여러 사례를 탐색하는 것이다.이 경계 지 어진 체계 는 시간과 장소라는 경계를 갖게 되며,그것이 바로 연구되는 사례이다.즉,사례연구는 한 개인,가족,집단,지역사회 등에 대해 철저 하고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배경,현재 상태,환경적 특성 및 상호 작용에 관련된 심층자료를 자연적인 상태에서 조사 연구하는 것이다(신 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2004,재인용). 사례연구는 1)사회 현상 가운데서 비교적 적은 경험으로 인하여 학문 적으로 정립이 안 되어 있는 분야에 대한 통찰을 자극하고,2)조사연구 를 위한 가설을 찾기 위해 소수의 한정된 사례에 대한 집중적 연구에 사 용되며,3)개인,집단 및 지역사회와 그들의 상황에 관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설명해 주는 충분한 정보를 얻고,4)다른 유사한 사례들과의 공 통성을 규명하여 보편화를 시도하기 위해 사용된다.사례연구에서의 초 점은 상황 속의 사람에게 있다.이는 물리적,사회적,문화적,그리고 상 징적 환경 내에서 사례를 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맥락 내에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하는 첫째 이유는 여기서 나온 결론이 다른 맥락에 적용 되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서이고,둘째는 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닌 복잡 한 상호형성 과정에 의해 의미가 비롯되기 때문이다(신경림 외,2004). Stake(2000)는 사례연구를 사례의 독특성 때문에 연구를 필요로 하는 - 29 -
본질적사례연구(intrinsiccasestudy),이슈를 예증하기 위해 사례를 도 구로 사용하며 쟁점에 초점을 두는 도구적 사례연구(instrumentalcase study),그리고 하나 이상의 사례를 연구하는 집합적사례연구(colective casestudy)로 분류하였다.사례연구는 선가정,가설,수단에서 시작하는 실증적 연구와 달리 경험으로부터 직접 전개된 관점을 제공한다.사례연 구에서는 현실 세계의 참가자들의 사실적인 모습을 그들의 언어로 표현 하고자 한다.그래서 통계적인 과학적 보고와는 달리 사례연구는 의미를 명확히 하고 이해를 더해 주는 형태로 독자에게 전달된다. 사례연구의 특징은 사례의 현재 경험을 중시하는 현재지향적 이라는 점이다.사례의 과거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연구의 초점은 여기와 지금 (hereandnow)이다.또 시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한다는 점이다.사 례연구는 연구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요구하며,장기간에 걸쳐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에 긴밀한 관계가 형성된다.연구자는 현상이나 상황에 집중하여 사례를 설명하거나 묘사하기 위하여 증거를 수집한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 결과로부터 나오는 이해도는 강력하고 심오하다(신 경림 외,2004,재인용). 3.2연구과정 본 연구에서는 다수사례설계(multiplecasedesign)를 사용하였다.다수 사례설계는 여러 사례들로부터 해석과 결론을 내린다.이 형태의 설계는 동일한 현상을 다양한 상황이나 다수의 사람들에게서 조사하고자 할 때 적합하다(신경림 외,2004).Creswel(2005)에 따르면,사례연구에서는 보 통 3~4명에 대한 사례연구가 더 잘 받아들여지며,이 정도의 사례가 있 어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깊이 있는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그림 Ⅲ-1]은 본 연구의 다수사례설계 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 30 -
사례1 참 여 기 심 / 록 층 비 사례2 물 면 참 고 접 여 찰 관 사례3 찰 사 례 내 분 석 사 례 간 분 석 자료수집 자료분석 및 해석 해 석 결 과 순환적 과정 [그림 Ⅲ-1]다수사례설계 과정 3.3연구장소 본 연구에서는 사례의 독특성을 강조하며 사례 자체를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그렇기 때문에 사례의 일반화(generalization)가 아닌 특수 화(particularization)가 연구의 목적이다.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이 지적장 애 자녀를 위하여 설립한 보호작업장을 연구장소로 선정하였다.이 작업 장에서 연구자는 약 5년 전부터 일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지적장애인들 과 라포가 이미 형성되어 있어서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절한 곳이다.이 곳을 연구장소로 선정한 또 다른 이유는 이곳의 지적장애인 과반수 이상 이 한 곳에서 같은 동료들과 18년 이상을 함께 지내왔다는 독특성 때문 이기도 하다.이곳은 주택단지 내에 위치한 4층 건물로 지층과 1층,2층 일부는 작업장에서 사용하고 2층 일부와 3층,4층은 그룹홈으로 운영되 고 있다.1층 작업장의 배치도는 [그림 Ⅲ-2]와 같다. 작업장은 총 24명의 지적장애 성인들이 이용하고 있으며,시설장인 연 구자를 포함하여 2명의 사회복지사가 일하는 소규모 보호작업장이다.팀 - 31 -
장인 여자 사회복지사는 행정,회계,후원 및 중식 업무를 주로 하며 작 업,프로그램,자원봉사 업무는 남자 사회복지사가 하고 있다. 환풍기 벽면 전면유리창(벽걸이용 화분 5개) 유리문(출입문) 냉난방기 게 시 판 게 시 판 작 업 대 작 업 대 벽 거 울 달 력 월 중 게 시 판 벽 시 계 복 도 비상구 (문) 작 업 대 작 업 대 출 입 문 작업물품 보관 2단 앵글 컴퓨터 공기청정기 책꽂이(성가책) 컵소독기 긴 앵글 탁자 벽 사무실 연결 창문 벽 커피 자판기 정수기 화장실(남) 사무실(문) 화장실(여) 책장 시설장 책상 탁자 사 물 함 복 사 기 탁자 책장 출입문 책장 (창고) 사무기기 탁자 종사자 책상 종사자 책상 책장 싱 크 대 냉 장 고 [그림 Ⅲ-2]작업장 배치도 - 32 -
근로장애인들의 연령은 24세에서 53세로,15명은 남자이고 9명이 여자 이다.지적장애 1급인 남자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지적장애 2급과 3급이 다.그들 중 5명은 언어장애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으며,6명은 손이나 다리에 지체장애를 동반하고 있다.12명(남자 8명,여자 4명)은 작업장과 동일 건물에 위치한 3곳의 그룹홈에서 주중 생활을 하고 나머 지 12명은 매일 출퇴근을 한다. 작업장은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운영되며,하루 일과는 9시부터 5시 또는 5시 반까지 이루어진다(표 Ⅲ-1 참조).근로인들은 대개 8시 반쯤 출근하여 9시에 근로인의 주도 하에 아침기도를 한다.기도 후 조회와 체조를 하고 나서 작업이 시작되는 시간은 대개 9시 반이다.11시부터 11시 15분까지 오전 휴식을 갖고 12시 반에서 1시반까지 중식시간을 갖 는다.오후 작업은 1시 반에 시작하여 3시까지 이어지고,3시부터 3시 15 분까지 오후 휴식을 가진 후 5시경까지 작업을 한다.근로인들은 대개 5 시에 작업을 마치고 청소하고 나서 종례시간을 가진 후 5시 반쯤 퇴근한 다.그룹홈 이용자들은 각자의 그룹홈으로 퇴근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자 신들 집으로 귀가한다. 작업장에서의 작업은 기타조율키 조립작업과 변기용 고무파킹 조립작 업이 주를 이룬다.모든 근로인들은 이 두 가지 작업의 전 공정단계에 투입되는데,기타조율키 조립의 드릴작업은 소수의 남자 근로인만 가능 하다.작업은 3~4개의 조로 분업화해서 하는데,근로인들은 작업능력에 따라 배치된다.작업은 작업반장과 조장 체제로 운영되며,작업반장과 조 장들은 여러 달에 걸친 개인의 작업태도와 작업능력을 근거로 담당 사회 복지사에 의해 임명된다.전체 근로인들이 자치회의에서 뽑는 자치회장 은 근로인들에게 가장 영예스러운 역할로 여겨진다.프로그램 활동과 생 활 영역들에서 근로인들은 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맞는 역할을 갖는데, - 33 -
이런 역할들은 인센티브 형식을 띠고 있기 때문에 가끔 바뀌기도 한다. [표 Ⅲ-1]근로인 일일 시간표 시간 내용 09:00~ 09:30 아침기도,조회,체조 09:30~ 11:00 오전 작업Ⅰ 11:00~ 11:15 휴식시간 11:15~ 12:30 오전 작업Ⅱ 12:30~ 13:30 중식 13:30~ 15:00 오후 작업Ⅰ 15:00~ 15:15 휴식시간 15:15~ 17:00 오후 작업Ⅱ 17:00~ 17:30 청소 17:30 종례 및 퇴근 연구자는 작업장과 3개 그룹홈 운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작업장 과 그룹홈의 사회복지사들은 매주 수요일 주간회의에서 각자의 한 주간 계획 및 활동과 이용인들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시설장으로서 연구자 는 종사자들을 교육하고 지원하며 감독하는 것 외에 근로인들에게는 사 회-성교육을 제공해 줄 뿐 아니라 개별상담을 통해 작업장이나 그룹홈 에서 동료 간의 또는 종사자들과의 관계에 일어나는 갈등과 작업에 관련 된 고충을 들어주고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도 한다. 3.4연구참여자 질적 연구에 유용한 연구참여자는 연구자의 연구 주제와 관련된 경험 - 34 -
을 했거나 겪고 있는 사람으로,자신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야기 하는 사람이어야 한다(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2004).그렇기 때문에 대표성 있는 사례가 아니라 정보가 풍부한 사례가 선정된다.본 연구는 지적장 애인이라는 특정 집단의 부모들이 설립한 보호작업장이라는 제한된 장소 에서 오랫동안 일 해 온 지적장애 성인들을 표적으로 삼았다.그리고 그 들 중에서 본 연구 주제에 대해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사람을 선 정하는 결정적 사례 추출방법(criticalcasesampling)을 사용하였다.이 방법을 사용하여 남자 2명과 여자 1명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본 연구에 적합한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 다(표 Ⅲ-2참조). [표 Ⅲ-2]연구참여자 선정 기준 본 연구와 관련된 질문을 이해하고 적절히 응답할 수 있는 자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 능력이 있어서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자 다른 사람의 생각을 추론하는 조망적 사고능력이 가능한 자 본 작업장을 시설 설립 초기부터 다니고 있는 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대해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 연구참여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A씨(여,49세):지적장애 3급.일반 중학교 졸업.다리에 약간의 장애 가 있어 보행 속도가 느리고 가끔 넘어짐.구강에도 문제가 있어 음식을 많이 흘림.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하고 돈 계산이 어려움.그러나 상황을 보고 판단하는 능력은 뛰어남.부모 모두 계시며 1남 2녀 중 장녀.동생 들은 모두 결혼하여 자녀를 두고 있고 동생들과의 관계는 좋음.18년 전 부터 작업장을 이용하고 있음.작업 능력은 거의 최하 등급으로 손 놀림 - 35 -
이 느리고 작업에 집중하지 못함.작업에서 낮은 등급을 받는 것에 대해 불만스러워 함.작업장 일부 동료들과 오랫동안 좋지 않은 관계를 갖고 있음.6년 전부터 그룹홈을 이용하고 있으며,현재 그룹홈 이용인들 중 나이가 가장 많으나 동료들로부터 맏언니로서의 인정을 못 받고 있음. B씨(남,45세):지적장애 3급.일반 초등학교 졸업.외모로는 지적장애 인으로 보이지 않음.그러나 양 다리에 장애가 있어 보행 속도가 느리고 가끔 넘어짐.읽고 쓰는 능력과 돈 계산에 어려움이 있으나 일반 상식과 시사적인 문제에 대한 지식이 많고 언변이 매우 뛰어남.5년 전에 아버 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와 여동생 가족과 함께 생활함.형이 2명 있으며 결혼한 여동생의 지원과 관심이 매우 큼.작업장 초창기 멤버.작업 능력 은 중하 등급으로 일에 대한 욕심이 매우 많음.배려심이 많고 언변이 뛰어나 동료들로부터 인정을 받음.그룹홈에서 10년 넘게 생활해 오고 있으며,그룹홈 자치회장을 오랫동안 맡았고 현재 작업장 자치회장임. C씨(남,46세):지적장애 3급.특수학교 중등부 졸업.비장애인과 다를 바 없는 읽기 능력을 갖고 있고 돈 계산은 가능하나 문어 능력이 부족 함.체격이 좋고 잘 생긴 외모로 인해 지적장애인으로 보이지 않음.그러 나 안면에 틱 현상이 있어 대화하거나 작업할 때 자주 눈과 입 주위를 일그러뜨림.2남 1녀 중 장남으로 아버지가 10여 년 전에 돌아가신 후 어머니와 결혼 안 한 남동생과 함께 생활함.일반 상식과 정치 시사 문 제에 관심과 지식이 많으며 언변이 매우 뛰어남.말하는 것만 봐서는 지 적장애인이라고 믿기 어려우나 손 기능이 다소 어눌하여 작업 능력은 중 하 등급.몸단장과 같은 자기돌봄기술(얼굴과 옷에 음식물을 잘 묻히나 관리하지 않음)과 책임지는 능력이 다소 부족함(잦은 지각).뛰어난 언변 과 해박한 지식으로 인해 동료들로부터 인정을 받음.시설 내 행사와 미 사 때 사회를 보고 오랫동안 자치회장을 해 왔음. - 36 -
연구참여자에 대한 일반적 정보는 [표 Ⅲ-3]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다. [표 Ⅲ-3]연구참여자에 대한 일반적 정보 연구참여자 연령 지능 능력 및 장애 가족관계 거주지 A씨(여) 49 73 구어능력과 판단능력 읽기,쓰기,계산능력 부족 구강과 다리 약한 마비 부모 1남 2녀 장녀 집+ 그룹홈 B씨(남) 45 75 뛰어난 언변 읽기,쓰기,계산능력 부족 양 다리 약한 마비 모 3남 1녀 셋째 집+ 그룹홈 C씨(남) 46 78 뛰어난 언변 쓰기능력 부족.안면 틱장애 모 2남 1녀 장남 집 3.5자료수집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한 이유는 연구자가 발견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선험적 관념(apriori)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고,또 맥락에 내재된 자세하 고 풍부한 자료를 도출하고 싶었기 때문이다.자연적인 맥락 속에서 자 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연구참여자 심층면접 과 참여관찰 및 비참여관찰,동료지적장애인 면접,연구참여자의 어머니 면접,작업장과 그룹홈 종사자 면접,기록물 등의 다양한 출처로부터 자 료를 수집하였다.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2월 중반부터 2011년 4월 초 순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 실시되었고,자료수집과 분석은 동시에 이루 어졌다.이 기간 동안에 연구자는 지속적으로 현장노트를 작성하고 각각 의 사람들을 면접하고 난 후에도 분석적 메모를 작성하였다.자료 수집 은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 37 -
3.5.1연구참여자 심층면접 연구참여자에 대한 심층면접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연구참여자의 자기개념을 탐색하기 위하여 면접 지침서를 사용한 반구조화 된 면접 (semi-structured interview)을 실시하였다(부록 2 참조).면접 지침서는 Cambraand Silvestre(2003)의 자기개념 검사지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면접 지침서가 필요한 이유는 연구참여자가 지적장애인이기 때문에 개방 적인 면접 방식으로는 연구주제에 관한 내용 도출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 다.연구참여자 면접을 실시하기 한 주 전부터 연구자는 아침 조회 때 작업장의 전 근로인들에게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보라고 가볍게 권하 였다.그렇기 때문에 연구참여자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얘기할 준비가 어느 정도 되어 있는 상태였다. 심층면접은 상담실에서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는데,개인에 따라 약 30 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연구참여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말을 해야 했고 또 종사자들이나 동료들이 자신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을 자 기 생각으로 말해야 하기 때문에(조망능력)연구자의 보충 설명이 필요 했다.면접 초입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말을 당당하게 하는 것을 주저하였다.그러나 연구자가 자신이 잘났다고 생각 하는 것에 대해서 잘난 척해도 된다고 하면서 솔직하게 말하도록 격려해 주자 민망스럽다는 듯 웃다가 이내 솔직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였다.연 구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인지적 장애로 인해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진 술해 나가는데 다소 한계가 있었으나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분명하 게 진술하였고 연구자도 그들이 말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심층면접은 2010년 12월 중반부터 시작하여 12월 셋째 주까지 이루어 졌고 근로인들이 2주간의 동계휴가를 마치고 온 2011년 1월 둘째 주 이 후부터 다시 실시되었다.개별면접은 개인 당 5회 이상 실시되었다.연구 - 38 -
참여자들이 면접 시 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말하기 시작하고,새로운 정보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면접이 이루어졌다.면접 내용은 사 전에 연구참여자의 동의 하에 소형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다.연구 참여자의 비언어적인 행동 즉,자세,표정,손놀림,시선처리 등은 개별 면접 지침서의 빈 공간에 간략하게 메모하였다.녹음한 면접 내용은 그 날로 PC에 전사하였다. 3.5.2정보제공자 면접 연구참여자들에 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정보제공자로 동료 지적장애인들,어머니들,작업장과 그룹홈 종사자들이 선정되었다.동료 지적장애인들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들과 개별면접을 하였다.이 면 접은 미리 계획된 시간에 이루어지기보다 중식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간 단하게 이루어졌다.연구참여자들의 어머니들과의 면접은 주로 유선상으 로 이루어졌으나 부모회의가 있는 날 작업장에서 간단한 개별면접으로 이루어지기도 했다.작업장 종사자들 및 그룹홈 종사자들과의 면접도 필 요시마다 이루어졌다.작업장 종사자들에게는 작업장에서 그들이 보아 온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생각을 물어보았다.그룹홈 종사자들에게는 그 룹홈 생활에서 보아 온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생각을 질문하였다.정보제 공자들과의 효율적인 면접을 위하여 간단한 지침서를 미리 작성하여 사 용하였다(부록 3참조).모든 면접 내용은 가능한 한 그 날을 넘기지 않 고 워드작업을 하여 파일에 저장하였다. 3.5.3관찰 연구참여자들이 동료들이나 종사자들과 하는 상호작용은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을 통해 모두 기록하였다.연구자는 주로 중식 및 휴식시간에 - 39 -
연구참여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또는 그들의 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으 면서 그들을 관찰하였다.자주는 아니지만 그룹홈에서 외식 프로그램을 할 때 동반함으로써 그들의 동료들과 그룹홈 종사자와의 상호작용을 관 찰하였다.관찰한 내용은 그날이 가기 전에 워드작업을 하여 파일에 저 장하였다. 3.5.4기록물 고찰 작업장과 그룹홈 모두에 보관되어 온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개별화일을 고찰하였다.특히,개인상담과 사례연구 자료들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였다. 3.6자료분석 및 해석 본 연구는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 과 사례 간 분석 (cross-caseanalysis) 을 사용하였다. 사례 내 분석 에서는 각 사례에서 주제를 확인하고, 사례 간 분석 에서는 3개의 사례들에 있는 공통 주제 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례들을 아우르는 주제들을 검토하였다.그렇기 때 문에 사례 내 분석 을 한 후 사례 간 분석 이 이루어졌다.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순환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 로,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면서도 융통성이 있게 이루어졌다.본 연구에서 는 Stake(2000)의 자료 분석과 해석 방법을 사용하였다(표 Ⅲ-4참조). 분석은 수집된 자료로부터 의미를 구성해 가는 일로 궁극적인 목표는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를 하는데 있다.필사되자마자 곧 코드화시 킨 모든 면접 자료와 관찰 자료는 분석 과정에서 분해되거나 재통합되고 압축되어 서로 연결되었다.그럼으로써 자료에 나타난 행동,쟁점,상황 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드러내고자 하였다. - 40 -
[표 Ⅲ-4]자료분석 및 해석 과정 자료 분석과 보고 자료 처리 읽기와 메모 기술 1) 내용 면접과 관찰 자료를 위한 파일을 만들고 조직화한다. 전체 텍스트를 여러 번 읽는다. 텍스트에 여백 노트를 만들어 메모한다. 최초의 코드를 형성한다. 사례와 그 맥락에 대해 기술한다. 분류 해석 보고와 시각화 범주 합산(categoricalaggregation) 2) 을 한다.범주코딩 시 개념적 유사성 및 차이를 발견하고자 한다. 범주들의 유형을 찾는데,이때 2개 이상의 범주들 사이 에서 일치되는 것을 찾는다. 자연주의적 일반화(naturalisticgeneralization) 3) 를 이끌 어내고,사람들이 그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것 또는 사례 모집단에도 그것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한다. 표나 그림이 첨가된 이야기(narrative)로 제시한다. Stake(2000)의 분석방법에 따라 먼저 범주 합산 을 하였다.이것은 여 러 가지의 경우가 어떤 하나의 종류라고 얘기될 수 있을 때까지 경우들 을 모으는 것을 의미한다.범주는 수집한 자료에서 계속 반복되고 정기 적으로 나타나는 의미 단위들을 조합한 것이다.본 연구에서 범주 합산 은 보다 쉽게 이루어졌는데,왜냐하면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면접이 연구 지침서를 사용한 반구조화 된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즉,문헌고 1)기술(description)은 연구자가 기록한대로 사례에 대한 사실들 을 진술하는 것을 의미한다.기술은 분석의 첫 단계로,Stake(1995)는 이것을 내러티브 기술 이라고 부른다. 2)사례 분석의 한 측면으로서,이슈와 관련된 의미가 나타날 것을 기대하면서 자료로부터 일군의 실례들을 찾게 된다. 3)한 사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다른 사례들로의 일반화를 위해 그 사례가 연구된다. - 41 -
찰과 선행연구들 속에서 확인된 자기개념의 다차원적 측면들이 최초의 범주로 쉽게 분류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사용된 분석방법은 개별적인 경우에 대해 직접적으로 해석 을 내리는 것이다. 직접 해석 은 어떤 경우를 분해했다가 더욱 의미 있 게 재결합하면서 의미를 끌어내는 작업이다.분석 작업을 통해 자료들을 분해하고 요약하거나 연결 혹은 통합시켰다.이러한 작업은 귀납적으로 자료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해석해 나가는 것이다. 다음으로,범주 합산이나 직접 해석이라는 분석을 진행해 가면서 유형 을 찾고자 하였다.드러난 유형들 간의 일관성과 범주들 간의 일치나 조 화를 찾아보았다.유형은 수집된 자료들로부터 추상화 작업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다.범주 합산이나 직접 해석이 이루어진 것들에서 유형 을 만들고,이 유형들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주제와 관련하여 살펴보 았다.범주들은 자료를 서술해주기도 하지만 추상화 작업이라는 해석을 통해 유형으로 발전되었다(부록 4 부록 7참조). 마지막 분석 단계에서는 유형들을 사용하여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한 통찰과 추론을 하는 추상화 작업이 이루어졌다.이 시점에서,자료에서 본 것과 보지 못한 것 간에 긴밀한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상적 사고의 변 환을 시도하였다.이때 추상적 범주들을 발견하거나 범주들로부터 보다 추상화된 개념들을 끌어내는 유형들 간의 관계를 맞추어 보거나 서로 일 치되는지의 여부를 가려서 아직 잘 드러나지 않은 새로운 개념을 찾아내 고자 하였다.추상화 작업은 범주 합산과 그것에서 발전된 유형들 사이 를 오가면서 자료와 맥락을 연결하고 자료에 대한 최종 통찰을 얻기 위한 일로 나타난 유형들 사이에 관계를 만들어 가는 작업이다(부록 8참조). 다음의 [표 Ⅲ-5]에서는 사례 내 분석에 의해 도출된 범주 및 유형을, [표 Ⅲ-6]은 사례 간 분석에 의해 도출된 범주 및 유형을 제시한 것이다. - 42 -
[표 Ⅲ-5]사례 내 분석에 따른 범주 및 유형 범주 유형 A사례 B사례 C사례 1 개인적 자기개념 장애와 결부된 외모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부러움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극복될 수 있는 장애 외모에 대한 자신감 과 장애 수용 2 직업적 자기개념 돈 벌기 위한 수단으 로서의 일 능력 발휘를 통한 인정 획득의 수단으로서의 일 일을 통한 능력의 발 견과 금전적 소득 3 사 회 적 자 기 개 념 가족 동료 종사자 가족에 대한 미안함과 가족 내 비교에서 오 는 자괴감 동료들의 무시로 인한 열등감과 소외감 종사자의 수용과 인정 에 대한 갈구 가족의 돌봄에 대한 의 존성과 자율성 추구 간 의 갈등 동료에 대한 배려 뒤에 숨겨진 우월감 자기고집 이면에 있는 무능력에 대한 두려움 과 자존심 가족의 양가적 시각: 무시와 인정 동료들의 무시와 거 부에 대한 자기암시 적 수용과 초연함 종사자들의 기대와 인정에 부응하기 위 한 노력과 부담감 4 전반적 자기개념 이상적인 자기에 대한 갈망에서 오는 현재의 무능력한 자기 거부 지나친 자기인정에 따 른 현실적인 자기 회피 과거와 비교한 현재 의 유능한 자기 인식 에서 오는 당당함과 만족감 [표 Ⅲ-6]사례 간 분석에 따른 범주 및 유형 범주 1 개인적 자기개념 2 직업적 자기개념 3 사회적 자기개념 4 전반적 자기개념 유형 매력적인 외모에 대한 관심 자기과시의 기회 인격적인 대화적 관계의 갈망 더 나은 나를 꿈꾸며 - 43 -
3.7윤리적 고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윤리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연구참여자들의 보호와 관련된 것이다.심층면접 시 연구참여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 해 주고 익명성이 보호될 것임을 알려주었다.면접 시 연구자가 바라는 답변을 유도하기 위해 압박을 주지 않았고 면접 내용의 비밀보장을 알려 주었다.그래서 본인의 의지에 따라 면접 내용을 조절할 수 있고,본인이 원하지 않는 부분은 말하지 않을 권리가 있음도 알려주었다.또 심층면 접 내용을 녹음할 때 미리 허락을 구하였고,녹음된 내용은 외부 유출 없이 본 연구자료로만 사용됨을 설명해 주었다.그리고 연구참여자가 원 하면 언제든지 자유롭게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어떤 불이익도 없음을 확인시킨 후 연구참여 동의서 를 서면으로 받았다.모두 지적장애인이기 때문에 연구참여 동의서의 내용을 읽어주고 연구참여자가 사인하도록 하 였다.둘째,참여관찰과 관련된 것이다.연구자의 현장 참여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활동이 방해를 받거나 종사자들이 업무를 하는데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연구자의 참여관찰을 신중히 실시하였다. - 44 -
제 4장 연구결과 Stake(2000)는 전통적인 연구 보고서의 구성 방식이 사례연구 보고서 에는 잘 맞지 않으며 오히려 이야기체의 형태가 사례의 복잡성을 이해하 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사례를 포괄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일상의 언어와 이야기를 사용하므로 질적 사례연구는 이야기처럼 씌여질 수 있 다.질적 연구에서 관찰은 해석적일 수밖에 없고,묘사적인 보고서 역시 해석이 가미되거나 해석적일 수밖에 없다. 사례연구에서는 사례의 일상적인 면을 일상적인 장소에서 관찰하려고 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침입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시키려고 노력하였 다.그러나 사례연구가 연구자의 이전 경험 및 사물에 대한 가치 판단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관적인 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삼각측정을 통해 연구자의 판단 착오와 결론의 비타당성을 최소화시키고자 하였다. 사례연구는 어떤 사례를 다른 사례에 일반화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례에 대해 장소와 시간의 맥락에 매인 제한적 관점을 지닌 이해를 추 구하는 것이 주목적이다.본 연구의 사례들은 가장 전형적인 경도 지적 장애 성인들이기 때문에 선정된 게 아니라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경도 지적장애 성인에 대해 가장 좋은 이해를 도와주는 사례들이라고 연 구자가 판단하였기 때문이다.질적 사례연구에서는 사례가 심도 깊게 연 구되며,해석을 내릴 때는 연구자의 개인적 견해를 포함시키는 것이 장 려된다.그리고 연구자와 사례 간의 상호작용 방식이 매우 독특해서 다 른 사례나 연구에서 복재될 수 없다.사례연구의 질이나 유용성은 복재 에 달려있는 게 아니라 연구자나 독자가 만들어낸 의미가 얼마나 가치 있게 평가되는지의 여부에 있다.사례연구가 가치 있는 이유는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문제를 연구자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사례에 대한 기존의 - 45 -
일반화된 사고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때문이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은 어 떠한지 에 대한 대답으로서의 연구 결과는 Stake(2000)의 글쓰기 방식을 사용하여 제시해 보겠다. 4.1사례 내 분석에 따른 해석 3사례의 자기개념은 각각 개인적,직업적,사회적,그리고 전반적 범주 에서 그 의미가 도출되었다.여기서는 각각의 범주에 따른 사례들의 자 기개념의 의미를 추상화시킨 유형화들에 대한 해석을 통해 제시한다. 4.1.1A 사례 장애와 결부된 외모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부러움 외모는 40대 말의 지적장애 여성에게도 지대한 관심 영역이다.A씨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를 얼굴과 몸으로 구분하여 하고 있다.A씨가 자신의 얼굴에서 코가 예쁘다고 말하는 것은 거울을 보면서 스스로 인식 한 것이기도 하겠지만 주변 사람들의 그녀에게 해 준 말을 반복하는 것 이기도 하다.그녀의 얼굴은 외관상 드러나는 장애가 없어 보이지만 그 녀가 뭔가에 집중할 때는 구강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침 을 흘린다.그녀의 몸에서 불편한 다리는 그녀에게 장애를 가장 강하게 인식시켜 주는 부위이다.다리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그녀는 다소 불 안정한 걸음걸이를 하고 또 다리의 힘이 약해서 사소한 접촉에도 쉽게 균형을 잃고 넘어진다.이런 다리의 장애는 그녀로 하여금 치마와 높은 굽의 신발을 시도해 볼 수 없고 그저 갈망하게 만든다.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치마를 입거나 굽 높은 구두를 신은 사람을 부러운 시선으로 바 - 46 -
라보면서 부럽다고 말한다.자신의 노력으로 바꿀 수 없고 매순간 체험 하는 신체적 구조의 결함은 A씨로 하여금 자신의 장애를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게 만드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내 코가 이쁘다고 말해요.근데 내 생각에도 코가 이쁜 것 같아요.(정말 예쁘다고 말하자)에이,원장님도.고맙습니다.예쁘게 봐 줘서.제가 학교 다닐 때는 다리가 약했어요.자꾸 걸어다니니까 다 리가 튼튼해진 것 같아요.그래서 운동을 해야 하는데.저도 치마 정말 입고 싶거든요.그런데 치마 입으면 불편하고 또 제가 잘 넘어지잖아요. A씨는 불만족스러운 자신의 외모에서 자기 의지와 노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을 인식하긴 하지만 변화를 위한 시도를 하지 않는 다.그녀는 자기 나이가 많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내년이면 50세인데!)흰 머리가 많이 나는 것을 속상해 하고 또 늘 생머리의 단발만 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스러워 하지만 다른 헤어스타일을 시도해서 변화를 주려고 하지는 않는다.A씨는 자기 외모에 대해 자신감이 없고 체형에 대해서 도 불만스러워 한다.150센티미터가 약간 넘는 자그마한 키에 비해 아랫 배가 약간 나온 체형이 결코 매력적이지 않다고 여긴다.그래서 그녀는 키 크고 날씬한 자기 여동생이나 작업장의 나이 어린 여자 동료들 또는 TV에 나오는 여자 연예인들의 몸매를 부러워한다.그래서 식사 때에는 몸매관리를 위해 다이어트를 한다고 음식을 조금 받아가지만 음식 앞에 서 마음과 행동이 늘 일치하는 게 아니다. 내 나이가 많지도 않은데 벌써부터 흰머리가 나니까 나이 들어 보여서 싫어요.전 안 늙은 것 같거든요.근데 머리를 보면.제가 살이 쪘잖아요. - 47 -
살 빼야 하거든요.제 여동생은 비쩍 말랐는데 근데 저는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니.그 애는 예쁘거든요. 자기 외모에 대해 늘 자신 없어 해요.자신은 키도 작고 다리도 불편 하고,뭘 입어도 태도 안 난다고.TV 보면서 예쁜 연예인들 나오면 부 럽다고 말해요.요즘 배가 나온다고 하면서 다이어트를 해야 한다고 말 해요.그룹홈에서도 굉장히 신경을 써요.머리는 맨날 단발이에요.어떤 때는 엄마가 잘라준대요.그래서 퍼머도 좀 하고 그러자고 하면 비싸서 싫다고 하셔요.(그룹홈 담당 종사자 면접 내용) A씨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연구자나 종사자들의 복장이나 헤어스타일 에 대한 꼼꼼한 관찰과 관심에 의해 드러난다.연구자의 모습에서 변화 를 발견하고 말해 주는 사람은 언제나 그녀이다.그녀는 늘 연구자에게 치마가 예쁘다, 못 보던 옷인데 새로 산거냐, 구두가 예쁘다, 목도 리가 따뜻해 보인다, 나도 그렇게 높은 신발 사 신고 싶다. 원장님은 뭘 입어도 잘 어울리니 좋겠다 등의 칭찬과 함께 부러워하는 말을 함으 로써 그렇지 못한 자기 자신을 상대적으로 비교해 버린다.어떤 때는 나도 엄마가 이 옷 사 줬다, 내가 목에다 맨 스카프 예쁜가?, 이 옷 이 내게 어울리는가? 와 같은 말로 자신의 외모를 확인받고 또 인정받고 싶어 한다.그러나 자신은 몸매가 볼품없기 때문에 어떤 옷을 입든 태가 안 나서 속상하다고 말하면서 자신도 예쁘게 치장하고 예쁜 옷 입고서 남들에게 예쁘게 보이고 싶다는 갈망을 표출한다. 옷 깨끗이 입으려고 신경 써요.그런데 나는 어떤 옷을 입어도 잘 안 어울리는 것 같아요. - 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