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ConstructionT echnology r e n d Vol.47 10. 02. 11 ㆍ 해저터널의 배수 및 비배수 설계개념 ㆍ 내화성능설계 기술현황 ㆍ E.H.P 내진말뚝 공법소개 ㆍ 캘리포니아의 위성 에너지 프로젝트 ㆍ 베트남 환경현황 및 정책 ㆍ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증설 내진벽 공법 APCo 공법 L o t t e E & C Research Institute
Theme Report 해저터널의 배수 및 비배수 설계개념 1. 터널 배수 비배수 개념 정립의 필요성 국토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연육화, 국가간 연결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및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고, 육상의 협소한 공간을 대체하고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보관 하고자 일본, 영국, 네덜란드, 미국 등 국외에서는 해저시설물의 건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해저터널 건설사례가 적고 관련된 연구도 미흡한 실정으로 해저지하시설 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해저시설물은 지상시설물과는 달리 고수압 조건하에 놓이게 되어 수압과 유입유량의 제어 와 관련한 배수 비배수 개념의 정립 및 설계기준 설정이 중요하다. 2. Channel Tunnel 설계사례 Channel Tunnel은 영국의 cheriton과 프랑스의 Sanagatte사이를 연결하는 터널로 총 연장 51km중 약 37.9km가 해저터널로 건설되었다. Channel Tunnel은 해저지질이 세이칸터널 지 반에 비해 안정되어 있어 비교적 천층에 건설되었으며, 평균 토피고는 40m, 최대수심은 55 m에 해당한다. 지층은 점토함유율이 높고 투수계수가 낮은 이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UK side(영국방면)는 단층대가 극소한 반면 French side(프랑스방면)는 15m에 상당히 큰 단 층대가 존재하여 지반의 투수성이 컸다. 위 지반조건에 따라 UK side와 French side의 터널 설계 개념 및 기준이 상이하였다. 터널 profile - 터널 직경 : 7.6m(본선터널), 4.8m(서비스, 조사터널) - 터널 형식 : 원형 단선 병렬터널 TBM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설계 개념 UK side는 open-mode 전단면 TBM공법으로 굴착하였으며 굴착시 예상되는 지하수 유입 량이 적어 지반과 콘크리트 라이닝 사이를 그라우팅하여 최대한 유입량을 감소시켜 sealing 을 하지 않은 배수개념의 콘크리트 라이닝으로 설계하였다. French side는 외부수압 6기압인 조건에서 최대 10기압까지 견딜 수 있는 EPB TBM으로 시공하였고, 단층대의 분포가 만연하여 지하수 유입량이 많아 세그먼트 사이에 neoprene sealing을 하여 방수개념의 콘크리트 라이닝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고수압에 저항하기 위해 고강도콘크리트(50MPa이상)를 사용하고 작용하중의 균등한 분포를 위해 지반과 콘크리트 라이닝 사이의 공극을 quick-setting 그라우팅으로 보강하였다. CEGE-TU-1C-1002-217
NATM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설계 개념 UK 해저교차로는 1차 콘크리트 라이닝과 2차 콘크리트 라이닝 사이에 방수막을 설치하여 터널내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동시에 2차 콘크리트 라이닝의 균열을 저감시켰으며, 숏 크리트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배수시스템을 통해 배수시켜 콘크리트 라이닝에 작용하는 수 압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배수시스템의 열화에 대비하여 2차 콘크리트라이닝이 정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를 하는 단기적으로는 배수, 장기적으로 비배수개념을 도입하 였다. 3. Seikan Tunnel 설계사례 Seikan Tunnel은 총 연장 54km로 그 중 약 23.3km는 Tappi지역과 Yoshioka를 잇는 해저터 널로 건설되었으며 Channel Tunnel과는 다른 불리한 지반조건으로 안정된 지층까지 이르고 자 토피고와 유입수량 해석을 통해 지표하 100m, 최대수심은 140m에 이르는 악조건에 터 널이 건설되었다. 약 40여년 동안의 지반조사 결과, Yoshioka side 지반은 신생대 제 3기 응회암과 이암을 포 함하는 퇴적암반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안정적 지반조건이었으나 Tappi side 지반은 주로 안 산암, 현무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균열과 파쇄대가 많아 지반의 투수성이 10-5 m/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지반 그라우팅을 실시한 후 굴착하였다. 터널 profile - 터널 직경 : 11m(본선터널), 5m(서비스, 조사터널) - 터널 형식 : 마제형 복선터널 방배수 설계개념 수심이 최고 140m에 달하는 고수압이 작용하고, 지하수 유입량이 커 지하수 유입을 완전 히 차단하는 비배수터널로서의 설계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터널 주위 지반을 그라우팅 하여 터널내로 유입되는 지하수 양을 최대로 막고, 최후로 유입되는 누수량 만을 집수정에 모아 배수시키는 배수개념의 터널로 설계되었다. 그림1. 세이칸 터널 횡단면 개요 CEGE-TU-1C-1002-217
4. Seikan Tunnel의 배수시스템 운영 현황 Seikan Tunnel은 Hokkaido측에서 1965년, Honshu측에서 1967년 사갱공사를 시작하여, 1983년 선진도갱 관통 및 1988년 공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림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이 칸 터널은 공사시 총 4차례의 대형 지하수 유출사고가 발생하는 등 해저터널 시공 및 운영 시 유입용수 처리문제가 가장 중요한 검토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림2. 지하수 유출사고 전경 그림3. 펌프 설비 터널 유입용수 처리를 위하여 그림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이칸 터널에는 2개소에 펌핑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 가운데 Hokkaido측 배수시설의 개요 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Hokkaido측 Yoshioka-kaitei역 하부에 위치한 배수처리시설에 그림 3에서 보이는 바와 같 은 펌프설비가 총 5개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각각의 펌프설비는 배수 파이프라인으로 연결 되어, 터널 내부 유입용수를 지상으로 배출하고 있다. 5기의 펌프설비는 1대식 교대로 운영 하고 있으며, 운영방식은 저수조내 일정 수위이상의 유입용수 저류시 펌프설비가 가동된 다.(그림 4참조) 저수조의 용량은 약 4,600m3이며, 수조내에는 수위계 등과 같은 센서가 설치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해수와 접하게 되는 악조건에서 계측센서 오작동 등을 고려하여 부표식 수위계 를 설치하고 이를 폐쇄회로 카메라로 상황실에서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그림4. 부표식 수위계와 페쇄회로 카메라 그림5. pilot tunnel 및 수문 전경 CEGE-TU-1C-1002-217
그림6. 열차 각 부분별 온도검측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 장비 그림7. 해저역사 인버트부에 설치된 스프링 클러 설비 또한 Yoshioka-kaitei역 하부에 위치한 펌프설비가 5기 전체 고장발생시 수리 시간확보를 위하여, 그림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pilot tunnel에 설치된 수문을 폐쇄하여 저수조로 유 입되는 용수를 Honshu측에 위치한 저수조로 보낼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다. 세이칸 터널의 배출 용수량은 개통 초기에 약 27ton/min이었으나, 현재 20~22ton/min 정 도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세이칸 터널 주요 유지 관리 비용은 유입 용수처리를 위한 전기료 및 설비 교체비이다. 이 가운데 전기료는 약 18,000,000엔/월(약158,000,000원/월)로 일본의 전기료는 우리나라의 전기료에 비해 약 3배가량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세이칸 터널 유입용수 처리를 위한 전기 요금만 약 50,000,000원/월 정도의 운영비가 소요된다 할 수 있다. 용수 배출을 위한 파이프라인은 코팅처리가 되어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교체하지 않으나, 기타 펌핑 설비 및 전기설비가 해수의 영향으로 인하여 교체수명이 담수조건에 비해 1/2 이 하로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배수시스템 이외에 세이칸 터널내 화재발생 열차 진입시 배연시스템이 운행 되도록 계획되어 있으며, 터널 갱구 양측에 적외선 카메라 등 열차의 이상온도를 각 부위별 로 검토하여 통행 제한 및 점검 등에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저역사 인버트부에 화재 진압을 위한 스프링클러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림 6~7참조) 5. 결론 해저터널의 방배수 개념 및 설계기준 사례조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저터널 사례조사 결과 터널 심도를 선정함에 있어 지반 투수성이 중요한 설계영향 인자로 지반의 투수성이 최소화가 되는 지층을 선정하여 구조적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지반의 투수성이 커서 과다한 유입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지반개량(그라우 팅)을 통해 유입량을 감소시키고 수압을 침투압으로 전환하여 지중에 분산시킴으로써 터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CEGE-TU-1C-1002-217
(2) 수압과 유입량의 통제가능성의 여부가 배수/비배수 개념을 선정하는 기준이 되며 유 입량이 적거나(Channel Tunnel UK side) 유입량을 통제가능 할 경우 배수터널로 설계 하였으며, 유입량이 많거나 (Channel Tunnel French Side) 통제가 불가능 할 때는 비배 수터널로 설계하였다. 또한 Seikan Tunnel의 경우와 같이 고수압 조건에 놓이게 되어 콘크리트 라이닝의 구조적 한계를 초과하게 될 때에도 유량에 관계없이 배수형 터널 이 채택되었다. (3) Channel Tunnel의 UK 해저교차로와 같이 단기적으로 배수개념으로 설계하더라도 배 수시스템의 장기적 열화가능성이 우려되는 경우 비배수개념의 설계가 지속가능한 설 계기준으로 사료된다. - 키 워 드 : 해저터널, 배수, 비배수, 배수시스템 - 기술분류 : 기술정보 - 작성자 : 기술연구팀 토목담당 주형진 - 출 처 : 한국터널공학회 CEGE-TU-1C-1002-217
Trend Report 내화성능설계 기술현황 1. 개요 최근 건축물은 건설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고층화, 대형화 되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화 재의 위험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 가하고 있다. 국내의 건축물은 구조부재에 대한 내화시험을 통해 인정하도록 규정되어 있 으나, 시험체의 규모 및 시험장비의 한계성에 의해 실제 현장에 적용되어지는 주요 건축부 재에 대해 모두 시험을 통해 그 성능을 인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에 대해 현행과 같은 부재성능시험을 통한 인 정과 더불어, 여러 종류의 건축부재에 대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내화성능에 대한 계산적 설계방법의 필요성이 대두 되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에 제시되어지고 있는 내화성능 설계방법 중 유럽기준(EC 3.2)에 의한 설계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2. 주요내용 국내에서는 관련 규정에 따라 철골구조에 대해 내화구조 성능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철골 이 화재시 견딜 수 있는 한계온도 평균 538, 최고 649 의 온도를 내화 피복된 상황에서 그 철골부재가 도달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내화시험을 위한 철골부재 또한 H형강의 단일부재로 한정되어 있다. 즉, H형강 이외의 부재에 대한 성능판단을 위한 근거나 관련 조 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유럽기준인 EC기준은 각 부재의 프로필 계수(Profile factor)를 변수로 하여 부재의 가열상 승온도를 측정한다. 프로필 계수는 부피와 단면적의 비(V/A)이며 각 부재 크기별로 다르게 되며 중량부재일수록 온도 상승이 느리고, 경량부재일 수록 빠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기 에 하중비를 고려하여 한계온도를 산정하고 있으므로, 각 하중의 상태에 따라 한계온도가 차별화 하여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국내는 철골의 온도로만 판단을 하 게 되나, 유럽기준으로는 온도 및 강도에 대한 검증이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국내 에서는 시험에 의해서만 내화성능을 판단하게 되므로 아직 현실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 부재에 대해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기둥의 경우 H-300 300 보다 큰 단면에서 실 제보다 강재온도가 높게 예측되어 내화성능이 저평가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AEME-BD-4C-1002-218
<표 1> 국내 내화기준과 유럽기준의 특징 비교 항 목 국 내 유 럽 내화성능 1,2,3시간 30,60,90,120 분 부재크기 H형강 프로필 계수 한계온도 538 강도비에 따라 변함, 강도비가 0.65 일때 538 화재하중효과 - 화재시 하중계수 규정 내화성능 평가항목 온도 강재의 온도가 한계온도 이내 강재의 온도가 한계온도 이내 강도 - 화재시 설계강도와 소요강도 산정 3. 맺음말 온도에 의한 피복두께를 인정하는 국내의 내화구조의 인정방식이 해당 시험체의 온도적 인 측면만을 고려했을 때는 어느 정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현재의 국내의 내화구조 의 인정을 위한 평가방법은 내력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화재시 구조적으로 내력저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내화성능을 판단하기 위해 재료의 물성치에 대한 보다 자세한 기초 조사가 선행 되어야 하며, 그 결과 실제 내화시험으로 검증하기 어려운 여러 구조에 대해 이론적으로 예 측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키 워 드 : 내화구조, 성능설계, 철골구조 - 기술분류 : 재료 - 작성자 : 기술연구원 연구기획담당 문찬영 - 출 처 : KICTzine 2009. 08호 AEME-BD-4C-1002-218
Trend Report E.H.P 내진말뚝공법소개 1. 개 요 E.H.P 내진말뚝 공법은 근입 직경 508로 확대한 강관말뚝으로서, 굴착부 전체가 콘크리트 (레미콘)로 충전되므로 선단폐색효과와 선단부 강도가 확실하고 말뚝본체가 직경 406X9T 이므로 공사비가 저렴하며 콘크리트의 강성이 강관으로 전환된 강관말뚝으로 해석되므로 강관 말뚝의 뛰어난 휨강성(콘크리트 말뚝의 7배)을 반영하며, 충전강관말뚝의 특성상 고유 주기가 증가하여 내진에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충전 콘크리트에 방청혼화제를 첨가하여 해안매립지역이나 부식 환경에 특히 유리하며 항타소음이 없어 친환경적인 공법이다. 2. 특 징 본 공법은 원자재가격의 상승으로 말뚝기초의 주재 료인 강관과 철근의 원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국가 SOC사업의 비용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토목공 사용으로 수요가 많은 직경508 강관 말뚝을 대체하 고 직경 508 말뚝 재료비로 시공까지 가능하고 (설계 가 \200,000원/M) 내진성과 방청성에서 우수한 E.H. P 내진말뚝을 개발하였다. GESO-SO-3C-1002-219
3. 강관말뚝공법의 특징비교 4. 공법의 특징비교 S.I.P 공법 (φ508) E.H.P 내진말뚝 공법 (φ406) - 굴착공벽유지를 벤토나이트로 하도록 설계하나 환경오염민원과 시공성의 저하로 시공시 오거굴착만하는 현장이 대부분으로서 품질이 저하된다. - 최종항타로 선단폐색을 하므로 소음민원이 있다. - 말뚝선단 응력집중부에 허용응력차에의한 콘크리트와 강관의 재료분리가 발생하여 강성이 저하되고 선단 폐색효과가 불확실하다. - 강관본체가 직경Φ508mmm 로서 재료비가 고가이다. - 부식을 고려하여 2mm를 공제하여 설계한다. - 굴착공벽과 강관사이의 공간이 좁아 트레미관의 삽입이 어려워 시공성이 저하된다. - 저강도(5~15kgf/cm2) 그라우팅으로서 굴착단면을 채우므로 강성을 기대할 수 없어 서 설계는 강관말뚝으로만 설계하므로 비 경제적이다. -굴착공벽유지를 Casing으로 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양질의 품질확보가 가능하 다.(SDA공법과 유사함) - 최종항타 대신 유압으로 누르므로 소음이 없다. - 말뚝선단 응력집중부에 허용응력차에 의한 콘크리트와 강관의 재료분리가 없어 강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선단폐색효과가 확실하다. - 강관본체가 직경Φ508mm Φ406mm 로 축소됨에 따라 경제성이 우수하다. - 방청혼화제를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강관의 부식을 방지하며 안전을 고려하여 부식 공제 2mm는 설계시 반영한다. - 굴착공벽과 강관사이의 공간이 넓어 트레미관의 삽입이 가능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이 용이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 콘크리트(레미콘 240kgf/cm2) 충전강관으로서 고유치 주기의 증가 및 지진 내하력 이 크게향상된다.(콘크리트의 강성이 강관말뚝으로 환산되어 강성의 저하가 없음) - SDA공법과 시공법이 유사하여 국내 시공경험이 풍부함. GESO-SO-3C-1002-219
5. 내진구조해석 6. 공사비 비교 7. 결론 E.H.P 내진말뚝은 현재 토목공사용 말뚝공법중 저렴하며 안전성 친환경성 내지진성이 뛰 어난 말뚝 공법으로서 국가 SOC 사업에 크게 기여 할수 있는 말뚝 공법이다. - 키 워 드 : 내진말쭉 - 기술분류 : 토목구조 - 작성자 : 기술연구팀 건축담당 심학보 - 출 처 : ST&CO 토목구조기술사무소 GESO-SO-3C-1002-219
Trend Report 캘리포니아의 위성 에너지 프로젝트 1. 프로젝트 개요 2009년 초 캘리포니아 최대 에너지 회사인 PG&E 社 (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에 서 2016년부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패널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200MW 구매할 예정이라 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우주 태양광 발전 벤처사업 제안은 주 의회에 의해 2009년 12월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2. 프로젝트 특징 태양광 발전회사인 Solaren 社 (Solaren Corporation)와의 전력 구매계약을 통해 PG&E 社 에 최초로 우주에 기반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통한 전력 생산 자격이 주어졌다. 이 실험적인 기술은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기 위한 태양전지를 갖춘 인공위성을 이 용하는 것으로 이 태양전지를 통해 생산된 전력은 라디오 전파로 변환되어 전송되며, 캘리 포니아주 Freso에 위치한 건물로 집적되어 최종적으로 PG&E 社 의 전력망을 통해 이송된다. Solaren 社 에 의하면 이 태양광 발전패널을 통해 PG&E 社 와 계약기간인 15년 간 내내 대략 250,000 가구의 연간 전력소비량에 해당하는 연간 1,700GWh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것이라 고 한다. 이러한 실험적인 프로젝트는 캘리포니아주의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초과 달 성하는 것으로 다양한 재생에너지원 공급과 재생에너지 기술 지원이라는 캘리포니아주 목 표와 일치하여 주의회로부터 승인되었다. 그림 1. 위성에너지 프로젝트 개요 - 키 워 드 : 인공위성, 태양광 발전 - 기술분류 : 건축환경 - 작성자 : 기술연구원 연구기획담당 조우진 - 출 처 : http://www.inhabitat.com EERE-MI-6C-1002-220
Trend Report 베트남 환경 현황 및 정책 1. 개요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확산 2008년 Vedan Vietnam 社 와 Miwon 社 의 산업폐수 방출로 인해 야기된 2건의 환경스캔 들이 신문 1면을 장식하면서, 베트남에도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가 점차 일기 시작했다. 베 트남은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크게 위협받고 있는 세계 5개국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세계은행에 따르면 국토의 33.2%, 인구의 75.7% 이상이 자연재해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 되어 있다고 한다. 베트남 정부는 환경보호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2006~2010년 사회경제개발계획에서 경 제, 사회, 거버넌스와 더불어 환경을 국가 4대 선결과제중 하나로 삼았다.하지만, 양자 및 다 자간 국제출자기금들의 엄청난 자금지원에도 불구하고, 자연환경은 겉잡을 수 없이 계속 악 화되어가고 있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2. 환경오염 악화 베트남의 자연환경은 산업화와 도시화 확대로 파괴되고 있는데, 10년전부터 연 7% 가량 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점차 신흥 개발도상국 대열에 들어서면서, 전례없는 산업화와 도시화, 가파른 인구증가 등 고공성장세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들을 낳고 있다.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 처리 부족 베트남의 어떠한 도시도 적절한 인프라시설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나, 최근 제정된 법 안에서 낙수와 오수를 수거하는 분리형 수도관을 설치하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그러 나, 대부분의 산업지구는 아직까지 고형폐기물이나 오수처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산업지구의 30%만이 폐수를 처리하고 있다. 고형폐기물의 부실한 관리로 인한 위생문제 대부분의 도시에서 폐기물 선별, 분리수거, 재활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2020년까지 베트남에서 연간 배출되는 폐기물 양이 3배 가량 늘어날 것이라는 데 있다. 베트남 정부는 물시장에 비해 공적개발 원조의 지원이 적고, 충분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한 이 부문에 강력한 개입 의사를 밝혔다. 2008년 10월, 2020년까지 베트남 전역에 고형폐기물처리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베트남 총리가 5억8천8백만 달러 상당의 프로젝트를 비준했다. EEMI-MI-1C-1002-221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물공급 환경오염문제 외에도, 베트남은 심각한 물공급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전체인구 8천6백만명 중 2천1백만 명의 농촌인구가 안전하게 위생 처리된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4천1백 만 명 은 베트남 당국이 규정한 식수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물을 공급받고 있다. 게다가, 노후한 수도관과 불충분한 유지보수로 인해 상당한 양의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베트남 전체 상하수도관망의 누수율은 3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노이와 호치민시 의 경우 40%에 이름) 심각한 수준의 대기오염 베트남의 대기오염은 심각한 상황이며, 특히 대도시의 공기질은 매우 우려할 만한 수준이 다. 2007년 하노이와 호치민시는 세계에서 가장 대기오염이 심각한 10개 도시에 이름을 올 렸다. 베트남의 공기오염은 2천만 대 가량 오토바이와 날로 그 수가 증가하는 승용차(2008 년 기준, 8십만대) 운행에 기인할 뿐만아니라, 건설자재 운송과 산업지구 및 자유무역지구의 2/3 가량에서 폐기물처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광역교통시스템 개발(하노이와 호치민시의 지하철 건설)이 대기오염을 줄이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동차는 일산화타소로 인한 대기오염의 주범(85%)이며, 휘발성규기물질의 95%를 유발하고 있다. 토질 악화 농업이 주요경제활동인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이르며, 경제활동인구의 60% 가량이 농업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따라서, 비료 및 농약의 과도한 사 용으로 인해 토질이 악화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결과 를 낳고 있다.토양오염은 특히 삼각주지역에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홍강 삼각주 지 역의 토양은 비소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위생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생물다양성 위협 세계은행에 따르면 베트남에는 전세계 포유류 및 조류의 10%가 서식하고 있으나, 이 풍부 한 생물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약 700종의 동식물군이 특히 연안 지역을 중심으로 멸종위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저자원의 지나친 개발과 어획을 위한 다이너마이트나 전기충격기의 사용, 삼림 벌채, 밀렵, 환경오염이 그 주된 원인이다. 3. 정책적 의지 환경현안들의 중요성을 인식한 베트남 정부는 일련의 환경보호조치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베트남은 교토의정서의 부속서 B 국가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의무는 없다. EEMI-MI-1C-1002-221
국제사회의 환경기준 존중 베트남은 온실가스감축 국제조약을 대부분 비준했다(온실가스에 관한 비엔나 협약과 몬트 리올 의정서(1994), UN기후변화협약(1994), 교토의정서(2002년)). 2007년 WTO에 가입하면 서, 배출가스 및 독성매연 규제, 소음규제, 환경영향평가시스템 구축 등 일련의 환경보호에 대한 의무에 참여하게 되었다. 새로운 국내 환경기준 2006년 7월 1일 발효된 환경보호법은 자발적으로 환경피해를 줄이는 보존활동, 천연자원 의 활용, 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 폐기물처리의 일반원칙, 환경파괴지역의 복구, 환경관련 국제협력, 감시 체계, 분쟁 해결 및 환경피해에 대한 보상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좀 더 특수성을 띄는 법안으로는 생물다양성법, 원자력에너지법, 2008년 유역관리법령이 있다. 베트남 정부, 환경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 산림보호 차원에서 1998년에 시작된 재조림 운동 덕분에, 비록 조림된 숲의 질은 여전히 초라한 수준이기는 해도, 산림면적은 늘어났다(2010년에는 42~43%, 2020년경에는 47%를 희망하고 있음). 2007년, 베트남 총리는 청정개발체제(CDM) 발전을 도모하는 계획을 조인 했지만, 그 영향력은 제한적이어서, 2009년 베트남 국가차원에서 허가한 80개 프로젝트 가 운데 단지 3개만 국제사회에 등록되어 있다. 베트남환경보호기금(Vietnam Environmet Protection Fund)의 지휘 아래, 국가예산의 일부가 환경분야에 할당되기도 했다. 환경제도의 복잡성 환경현안 처리는 여전히 여러 부처에 관련되나, 부처간 협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비효 율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2002년 설립된 환경천연자원부는 베트남 환경정책의 책임을 맡았다가, 2008년부터 베트남환경보호청과 환경영향평가부를 통합한 환경위원회가 이를 책임지고 있지만, 농업 및 농촌개발부, 건설부, 교통부, 산업교역부 등 수많은 다른 부처들에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특히, 자국기업과는 차별적으로 외국기업에만 강화된 환경정책 적 용하여, 불평등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외국인의 적극적인 투자를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4. 공적개발원조 대규모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까닭에 베트남은 일찍부터 공적개발원조에 의존하고 있다. 경제산업고용부는 환경분야에 투입한 금액 가운데 90%를 물산업에 집중했다. 공적개발원조 비중 최근 10년간, 베트남정부는 매년 GDP의 0.25%만을 환경산업에 투자했으며, 시장은 세계 은행, 아시아개발은행(ADB)같은 국제금융기구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대규모 프로젝트들에 EEMI-MI-1C-1002-221
좌우되고 있다. 1985년~2000년 공적원조의 80% 가량이 천연자원보존에 집중되었으나, 최 근들어 그 범위가 도시인프라구축프로젝트(특히, 식수 및 하수처리)까지 확장되었다. 올해, 유럽투자은행(EIB)은 베트남이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처할 수 있도록 1억 유로의 대출한도를 승인했다. 양자간 출자국들 역시 공적개발원조를 통해 참여하고 있다. 프랑스 개 발청은 베트남에 대한 투자금액 중 1/3을 환경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민간투자자들에 의한 환경산업 개발 베트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환경관련 기업들은 여전히 대다수가 공기업들에 해당하나, 얼마 전부터는 민간부문에 환경시장 개방을 추진중이며, 지속적으로 개방하려 노력하고 있다. - 키 워 드 : 베트남 환경정책 - 기술분류 : 시장정보 - 작성자 : 기술연구팀 토목담당 김정관 - 출 처 : 산업연구원(KIET) EEMI-MI-1C-1002-221
Trend Repor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증설 내진벽 공법 APCo 공법 일본의 안도 건설은 기존 기둥보 프레임 안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피스(APCo 피스)를 조 립하고 간단하게 증설 내진벽을 축조할 수 있는 내진 보강 APCo공법을 개발했다. APCo 공법은 종래의 증설 내진벽의 보강 공사에서 발생한 소음 진동이나 시공성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해소하고 경감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다. 이 공법은 구조 실험에서 내진성능을 확인하고 시공 실험에서는 효율적인 시공 순서를 확립하였다. 또, 일본 건축 종합 시험소에 의하여 설계 시공 지침으로 제시하고 있는 종국 내력 및 변형 성능이 인증되어 건축 기술 성능 증명을 취득했다. 그림 1. APCo 공법 개요도 이 공법은 벽철근 정착용의 고장력 너트를 미리 용접한 강판(외주 정착 플레이트)을 주입 용 에폭시 수지로 접착한 후 그 기존 기둥보 프레임의 내측에 APCo 피스를 조립하고 피스 를 서로 접착하면서 벽철근을 배근했다. 벽철근은 한 끝에 나사를 갖는 이형 철근으로 하여 APCo 피스의 시스 관내에 배근, 나사 를 이용하여 외주 정착 플레이트에 접속한다. APCo 피스를 조립한 후 세로 시스관 옆 시스 관에 무수축 그라우트를 압입한다. 또 후 타설 벽판의 중앙과 기둥 및 보의 밑 부분에는 배 근 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무수축 그라우트를 압입하여 완성한다. AESE-BD-7C-1002-222
이 공법은 종래의 내진벽 공법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후 시공 앵커의 시공이나 거푸집을 조립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등에 의한 소음 진동 얼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 거푸집 조립이 적어 보강 장소에서의 콘크리트의 타설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용 배관 등이 불필요하고 시공 스페이스를 작게 하며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재래 공법의 약 절반의 공사 기간으로 해결) 3) 건물을 사용하면서 보강 공사를 할 수 있다. -키 워 드 : 프리캐스트, 매진벽, APCo -기술분류 : 기술정보 - 작성자 : 기술연구원 연구기획담당 전승호 - 출 처 : http://radar.ndsl.kr AESE-BD-7C-100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