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4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SO2, 아황산가스)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대기오염도(SO2) 개념(산정식) 단 위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 ppm 제공연도 1990~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의 1년 평균 허용 기준은 0.02ppm 1995년 대구, 경기, 부산, 인천 대부분의 지역에서 허용 기준치를 넘었으나, 아황산가스의 오염도가 점차 완 화되어 1998년부터 2012년까지 관측 지역 모두 허용 기준치를 넘지 않았음 2012년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SO2) 오염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포천시로 0.01ppm을 기록하 였고, 그 다음으로 경북 영주시가 0.009ppm, 전남 목포시가 0.008ppm, 경기 시흥시가 0.007ppm을 나타냄 전국 및 광역시의 대기오염도 (단위: 아황산가스, ppm) 0.035 0.031 0.030 1995년 2000년 2005년 2012년 0.025 0.020 0.018 0.015 0.010 0.008 0.00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e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0.020 0.018 1995년 대기오염도(SO2) (ppm) 0.018 0.016 0.014 0.012 0.010 0.008 0.007 0.006 0.006 2010년 2012년 0.004 0.002 0.000 1995년 2000년 2005년 2005년 대기오염도(SO2) 2012년 대기오염도(SO2) 대기오염도 SO2(ppm) 미관측 ppm 이하 ~0.010 0.010~0.020 0.020ppm 초과 전국의 대기오염도(SO2)는 1995년 대부분의 지역이 허용기준치를 넘길 정도로 높았으나, 이후 점차 완화되어 2005년과 2012년에는 허용 기준치를 넘지 않고 있음 2005년에는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2012년에는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띠고 있음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6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PM-10, 미세먼지)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대기오염도(PM-10) 개념(산정식) 단 대기중 미세먼지의 농도 위 / 제공연도 1995~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미세먼지의 1년 평균 허용 기준은 50 / 임 1995년 광주광역시(49 / )를 제외한 나머지 관측지역 모두 허용 기준치를 넘었으며, 대구가 81 / 로 관측 지역 중 가장 높은 오염도를 보였고 서울이 78 /, 인천이 76 /, 부산이 73 /, 대구가 63 / 의 오염도를 기록함 012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미세먼지 오염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대구가 41.8 / 2 로 개선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남 경기 포천시가 아황산가스 오염도에 이어 미세먼지 오염도도 110.4 / 로 관측지역 중 가장 높은 오염 도를 기록했고, 경기 양주시가 71.3 /, 동두천시가 63.2 /, 이천시가 62.9 / 로 높게 나타남, 관 측 지역 중 가장 낮은 미세먼지 오염도를 보이는 곳은 제주 서귀포시와 경북 경산시로 31.7 / 을 기록함 전국 및 광역시의 대기오염도 (단위: 미세먼지, / ) 90.0 81.0 80.0 1995년 2000년 2005년 2012년 70.0 60.0 60.0 47.1 50.0 45.0 40.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e 30.0 20.0 10.0 0.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2013 국토조사연감 077 전국 대기오염도(미세먼지) ( / ) 70.0 60.0 최근 10년간 수도권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변화 60.0 54.4 56.4 PM-10 농도( / ) 70 51.4 50.0 45.0 60 40.0 50 30.0 40 20.0 30 10.0 20 0.0 1995년 2000년 2005년 PM-10 : 직경 10 (1 =100만분의 1m) 이하 먼지 80 2010년 2012년 10 0 국가대기환경 기준 서울 인천 경기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 환경부(2012). 대기환경연보 2010년 대기오염도(PM-10) 2012년 대기오염도(PM-10) 대기오염도(미세먼지) 미관측 40.0 / 이하 40.1~50.0 50.1~60.0 60.1 / 이상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오염도는 점차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21개의 관측지역에서 아직까지 허용 기준치를 넘는 오염도를 보이고 있음 특히 수도권 지역의 경우 최근 2년 사이 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되고 있음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78 SECTION 6. 환경과 방재 대기오염도(NO2, 이산화질소)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개념(산정식) 단 위 대기오염도(NO2) 대기중 이산화질소의 농도 ppm 제공연도 1990~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환경부 대기오염도현황 대기오염물질 중 이산화질소의 1년 평균 허용 기준은 0.03ppm임 1995년 관측지역 중 경기 성남시가 0.035ppm으로 가장 높은 오염도를 보였으며, 2000년에는 수원시가 0.036ppm, 2005년에는 광명시가 0.037ppm으로 최고 오염 수치가 점차 증가함 2012년 기준으로 허용 기준치를 넘는 관측 지역은 19개 시군구가 있으며, 서울 강남구가 0.036ppm으로 가 장 높은 오염도를 기록했고, 동작구가 0.034ppm, 동대문구가 0.033ppm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경기도에서 는 수원시가 0.032ppm으로 가장 높은 오염도를 보였음 반대로 관측 지역 중 가장 낮은 오염도를 보인 곳은 전북 고창군으로 0.007ppm을 기록했으며,경기 연천군과 경남 하동군(0.008ppm), 인천 강화군과 제주 서귀포시(0.009ppm)가 0.01ppm 미만의 낮은 오염도를 보였음 전국 및 광역시의 대기오염도 (단위: 이산화질소, ppm) 0.040 1995년 0.035 0.035 2000년 2005년 2012년 0.030 0.025 0.020 0.015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e 0.010 0.00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2013 국토조사연감 079 전국 대기오염도(NO2) 1995년 대기오염도(NO2) (ppm) 0.030 0.025 0.025 0.022 0.023 0.023 0.019 0.020 0.015 0.010 0.000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2년 2005년 대기오염도(NO2) 2012년 대기오염도(NO2) 대기오염도 NO2(ppm) 미관측 0.001ppm 이하 0.01~0.02 0.02~0.03 0.03ppm 초과 1995년 대비 전국적인 이산화질소 농도는 다소 완화되고 있음 1995년부터 2005년까지 비슷했던 최고 오염 수치는 2010년 경남 창원시가 0.552ppm을 기록하며, 허용 기준 치의 약 18배가 넘는 오염도를 보였지만, 2012년 0.018ppm으로 큰 폭으로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음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80 SECTION 6. 환경과 방재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개념(산정식) 단 위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교통사고 발생건수 행정구역인구 100,000 건 제공연도 1960~2011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경찰청 교통사고발생상황 우리나라의 인구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995년 524건, 2000년 591건, 2005년 426건, 2010년 440 건, 2011년 474건으로 등락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 2000년 대비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2005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인천만 2005년 438.2건에서 2011년 391.3건으로 감소하였고, 나머지 시도 모두 2005년 대비 2011년 교통 사고 건수가 증가하였음, 같은 기간 대구가 476건에서 636건으로 가장 큰 폭(159건)으로 증가하였고, 충북 이 496에서 600건으로 103건, 부산이 323건에서 425건으로 102건 증가하였음 2011년 기준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인천(391.3건)이며, 다음으로 경기(397.9건), 부산(424.5건) 순으로 나타남 지역별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900.0 800.0 (단위: 건) 1995년 2005년 2011년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e 100.0 0.0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13 국토조사연감 081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1995년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건) 700.0 600.0 591.1 524.2 500.0 400.0 426.4 440.4 2005년 2010년 474.2 300.0 200.0 100.0 0.0 1995년 2000년 2011년 2005년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2011년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400건 이하 400~500건 500~600건 600~700건 700건 초과 인구 십만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등락을 반복하나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임 1995년의 경우 강원(814.5건), 경북(798.8건), 충북(788.7건)에서 많았으며, 2005년에는 경북(602.2건), 제 주(565.6건), 광주(552.2건), 2011년에는 제주(655.6건), 강원(647.3건), 대구(635.9건) 순으로 발생건수가 많 이 나타남
제1장 국토조사 개요 제2장 주요 국토지표 제3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제4장 부록 082 SECTION 6. 환경과 방재 홍수피해액 제 2장 주요 국토지표 지표명 개념(산정식) 단 위 홍수피해액 연중 홍수로 인해 발생한 재난의 피해규모를 금액으로 산정한 금액 백만원 제공연도 1997~2012 공간단위 시도, 시군구 자료출처 국가재난정보센터 전국의 홍수 피해액은 1995년에 117,463백만원, 2000년 390,727백만원, 2005년 487,746백만원, 2010년 530,222백만원, 2012년 1,041,877백만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지역별로는 1995년과 2000년에는 경기도에서 각각 50,336백만원과 156,954백만원으로 피해규모가 가장 컸고, 2010년에는 충남(317,077백만원), 2012년에는 전남(406,404백만원)에서 피해규모가 가장 크게 나 타남 시도별 홍수피해액 450,000 1997년 2000년 (단위: 백만원) 2010년 2012년 400,000 350.000 300,000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e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12년 시도별 홍수피해액의 분포 제주 59,141 경남 193,686 충남 59,859 전북 109,768 경북 137,058 전남 406,404
2013 국토조사연감 083 홍수피해액의 증가 (백만원) 1,200,000 1,041,877 1,000,000 800,000 600,000 390,727 400,000 487,746 530,222 200,000-117,463 1997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2년 2011년 홍수피해지역 홍수는 강의 물이 불어 범람하는 현상을 말하며, 한반도의 홍수 발생 원인을 보면 장마전선의 남 북 진동과 이 전선을 지나가는 저기압, 태풍, 중 국 화베이 지방 양쯔강 동중국해 방면에서 이동해오는 저기압, 여름철의 남동계절풍과 과 열로 인한 뇌우성 집중호우 등임 2012년 홍수피해지역 홍수피해액(원) 10억원 이하 10~50억 50~100억 100~300억 300억~500억 500억 초과 2011년 기준 경기 포천시가 57,716백만원으로 피해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 경기 광주시(37,136백만원), 연 천군(36,8555백만원) 순으로 경기 북부에 홍수피해가 큼 2012년 기준으로는 전남 완도군이 76,301백만원으로 피해가 가장 컸고, 이 외에 경북 김천시(43,204백만원), 전남 여수시(40,424백만원) 순으로 남부 및 남해안 지역에 홍수피가 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