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현대 사회는 여성의 사회진출, 독신가구의 증가로 1 인 가구 수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최근 통계청 자 료에 따르면 1-2인 가구의 수는 2008년 582만 가구 (35%)에서 2018년 717만 가구(38%)로, 2030년에 는



Similar documents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CONTENTS

CC 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 2 -

....pdf..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성인지통계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

04 Çмú_±â¼ú±â»ç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도시형타운하우스도입방안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CC hwp

hwp

2002report hwp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Untitled-1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11¹Ú´ö±Ô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歯이

.. (Jane Jacobs)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 (William Whyte) 1969 Street Life Project ,. 2.,.. (microclimate) (thermal


<3135C8A3B3EDB9AE DBCF6C1A42E687770>

청소년 활동론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歯1.PDF

ad hwp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02이용배(239~253)ok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나하나로 5호

A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 Design Contest for Making livable community building of Seoul* Woongkyoo Bae* Taegyu Park 요약 주제어 ABSTRACT


歯M PDF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11¹ÚÇý·É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03 ¸ñÂ÷

슬라이드 1

<BFACBCBCC0C7BBE7C7D E687770>

CR hwp

민속지_이건욱T 최종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서론 34 2

DBPIA-NURIMEDIA

정진명 남재원 떠오르고 있다. 배달앱서비스는 소비자가 배달 앱서비스를 이용하여 배달음식점을 찾고 음식 을 주문하며, 대금을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서비 스를 말한다. 배달앱서비스는 간편한 음식 주문 과 바로결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 연령층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반면,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C3D6C1BEBFCFB7E12D30372E3032C0DBBEF72DB1B9BEC7BFF820B3EDB9AEC1FD20C1A63139C1FD28C0FCC3BC292E687770>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1,2,3,

레이아웃 1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304.fm

사단법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내지(교사용) 4-6부

Á¦190È£(0825).hwp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현시대의 인간들은 넘쳐나는 미디어의 영향 속에서 살고 있다. 특히 영상매체인 가 대중문화로써 접 근하는 힘은 여타 다른 매체의 영향력보다 강하며, 그 중에서도 SF는 빠르게 변화하는 이 미래 에 가져올 영향에 대한 인간의 궁금증을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50923(조간) 임차거주자의 45퍼센트_뉴스테이 입주의사 있다(주택정책과).hwp

99È£ÃÖÁ¾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 D E20F1E9CFD0CDAFD3DBF0E3E0CFE2FAC0C720DBA1D3B9DEC8205B20F5CBCEC3D1F5205D29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¹ýÁ¶ 12¿ù ¼öÁ¤.PDF

DocHdl2OnPREPRESStmpTarget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ÇÃà8¿ùÈ£Ãâ·Â

03-논문-이화룡_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통합초등학교의 공간구성 및 폐교 활용에 관한 연구.hwp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Output file

30이지은.hwp

[편집]국가인권위원회_국내 거주 재외동포와 인권(추가논문-보이스아이).hwp

......

<B3EBC6AE322E68777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DBPIA-NURIMEDIA

04 형사판례연구 hwp

Transcription:

일본 셰어하우스의 공간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Japanese Sharehouse 손진하/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SON Jinha/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Hongik University. 이재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교신저자 LEE Jaekyu/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Hongik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목 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일본 셰어하우스에 관한 일반적 고찰 2.1 셰어하우스의 등장배경 2.2 셰어하우스의 개념 2.3 셰어하우스의 발전과정 2.4 셰어하우스의 현황 3.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연구 3.1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기초연구 3.2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일반적 특성 3.3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공간구성 3.4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유형분석 4. 결론 및 향후연구과제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married women entering society, the centralization of the urban population is deepening. Howev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ingle urban dwellers has been substandard; therefore, the share house appears to be a suitable and recent alternative. Through a case study of a Japanese share house, I would like to present a basic reference and direction for developing a Korea share house. (Method)For this study, I mainly researched and analyzed spatial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the Japanese share house based on Internet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Result)Consequently, I learned that most Japanese share houses contains various additional spaces. Additionally, spatial organization is diversified in terms of structure (horizontal versus vertical)and size. Finally, many kinds of spatial structure a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space and co-space, and effectiveness is more important than diversity of private spaces. 요 약 (연구배경 및 목적)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독신 증가와 함께 도심인구 집 중화는 더욱 심화 되고 있다. 하지만 도심에 거주하는 1인 거주자들의 주 거환경은 매우 열악해 이에 최근 대안으로 셰어하우스가 등장하였다. 우리 나라보다 먼저 도입되어 발달된 일본 셰어하우스의 선 사례들을 통해 국 내 셰어하우스가 발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고찰을 통해 일본셰어하우스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터넷 자료와 문헌연구를 통해 공간구성 및 특 성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다. (결과)연구결과 최근 등장한 일본 셰어하 우스의 공간구성 및 특성은 첫째, 대부분의 셰어하우스가 필수공간 외에 다양한 추가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둘째, 규모가 다양해지면서 수평적 구 조 뿐 아니라 수직적 시도를 통해 공간구성을 더욱 다양하게 했다. 셋째, 개인공간과 공동공간간의 관계에서는 다양한 공간 구조가 나타났으나, 개 인 공간들 간의 관계에서는 다양성보다 공간의 효율성을 중요시했다는 점 을 알 수 있었다. Keyword 일본 셰어하우스, 공간구성, 특성 Japanese Sharehouse, Space Organization, Featur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26호 213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현대 사회는 여성의 사회진출, 독신가구의 증가로 1 인 가구 수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최근 통계청 자 료에 따르면 1-2인 가구의 수는 2008년 582만 가구 (35%)에서 2018년 717만 가구(38%)로, 2030년에 는 882만 가구(45%)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특히 2030년에는 1-2인 가구의 수가 전체 가구 수의 과반수에 가까운 수치로 늘어날 것으로 예 상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소형 주택 보급을 활성화 하 고자 2009년 5월4일 도시형 생활주택제도를 도입하 였다. 하지만 투자만을 목적으로 한 무분별한 소형 주 택 보급으로 인해 주거환경은 오히려 더 열악해졌다. 최근 장기 경제 불황과 전 월세 값 폭등으로 공유 경 제에 이어 공유 공간 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주거환경 분야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주거문화인 셰어하우스가 등장하였고 국내에서의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셰어하우스가 등 장 하였으며 최근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며 다양한 형 태로 발전하고 있는 일본의 셰어하우스의 사례 중 최 근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셰어하우스를 중심으로 평면 적 특성 및 공간 구성의 특성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 다. 특히 일본은 사회 동향, 생활 환경적으로 우리나라 와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국내 도입 시 다른 어 느 나라 보다 참고 요소가 많을 것이다. 일본 셰어하우스의 배경과 경향을 이해하고 공간구 성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새롭게 등장할 국내 셰어하 우스에 있어 1인 거주자들의 질 높은 생활환경을 제공 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거주자들의 성향을 반영하여 계획된 사례가 많기 때문 이다. 거리적 범위를 도쿄 중심지 30분 이내로 선정한 이유는 향후 한국 셰어하우스에 적용할 때, 한국 1인 거주자들의 주거지 선정 우선순위중 거리에 대한 중요 도가 매우 높다는 점 때문이다. 1)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를 통 해 조사대상을 선정한 뒤 내부 사진과 평면도를 분석, 정리하여 최근 등장한 셰어하우스의 개요를 파악한다. 둘째, 각 실들의 성격에 따라 공간구성 표를 작성하여 조사대상 셰어하우스들의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공간 들의 관계에 따라 3가지 유형을 다이어그램으로 작성 하고, 조사대상 셰어하우스들의 공간을 유형별로 정리 하여 살펴본다. 2. 일본 셰어하우스에 관한 일반적 고찰 2.1 셰어하우스의 등장배경 우리나라보다 일찍 셰어하우스가 발달하게 된 일본 에서는 셰어하우스라고 불리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약 10년 전 부터이다. 하나의 주거를 다수가 주 인으로 공유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집세나 생활비등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신의 젊은이들 사이에 특 히 인기가 높았다. 일본에서의 셰어하우스 등장 배경은 경제적, 사회적 측면 두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우선 경제적인 측면 에서 셰어하우스는 개인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고 방해 받지 않으며 그 외의 주방, 거실, 화장실 등을 공동으 로 사용하면서 임대료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 특히 보증금이 저렴하며 기본적인 가구가 준비되어 있는 경 우가 많아 초기비용의 부담이 적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일본의 셰어하우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 근 5년 이내 신축 또는 리모델링된 건물을 대상으로 하여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에 기재된 사진, 도면 등 을 기초로 이루어졌다. 일본의 수도인 도쿄 중심지 까 지 30분 이내의 거리에 있는 셰어하우스를 사례로 선 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를 5년 이내로 선정한 이유는 초기의 셰어하우스 사례는 기존의 게스트하우스나 주 택을 단지 이름만 바꾸어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최근 등장한 셰어하우스는 거주자들의 설문조사와 1인 <그림 1> 일본 셰어하우스 거주자의 연령비율 1) 강순주 외 3인, 1-2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형주택 요구도, 한국주거학회 제22권 2호, 2011, p.311 재구성 2) 김진모, 현대 에 대처하는 일본의 주거, 쉐어하우스, 한국주거학회 제5권 2호, 2010, pp.14-15 재구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26호 214

사회적 측면에서는 셰어하우스 거주자의 90%를 차 지하는 20, 30대 3) 를 중심으로 그들의 성향과 사회적 관계에 집중하여 살펴 볼 수 있다. 학업, 취업으로 인 해 도심으로의 이동, 저 출산과 독신자 증가, 인터넷의 발전으로 형성된 커뮤니티와 정보, 해외생활에서의 셰 어주거 경험자의 증가 등이 있다. 즉, 셰어하우스는 다양한 경험이 있는 20, 30대 젊 은 미혼자들이 자신의 프라이버시는 지키며 커뮤니티 를 형성하고 가격대비 높은 질의 생활환경을 추구하면 서 등장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2.2 셰어하우스의 개념 사전적 의미로 셰어하우스란 다수가 한 집에서 살면 서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인 침실은 각자 따로 사용하 지만, 거실, 화장실, 욕실 등은 공유하는 생활 방식으 로 요약된다. 입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취 사, 휴식 등 공동 생활공간이 마련돼 주거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1~2인 가구가 많은 일본, 캐 나다 등의 도심에 많으며, 일본의 경우 1980년대부터 등장한 주거 양식이다. 4) 일본에서 있어서 셰어하우스란 일종의 공동, 공유 주택으로 그 외에도 콜렉티브 하우스, 그룹 하우스, 코 퍼레이티브 하우스, 밍글 하우스 등의 명칭을 갖는 유 사한 형태의 공동주택들이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시작은 유럽의 사회주의 이념의 실천을 바탕으로 한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5) <그림 2, 표 1참조> 공유주택의 유형 다이어그램 <표 1> 일본 공유주택 유형 유형 특징 동료나 친한 사람들이 생활을 공동으로 하는 라이 콜렉티브 프 스타일. 공동식당, 육아실을 가지고 있고, 각 하우스 동에 부엌, 욕실, 화장실 등이 있다. 자립적 생활이 가능한 독신이나 독거 또는 부부 그룹하우스 노인을 중심으로 소그룹으로 함께 사는 집. 입거희망자가 모여 건설조합을 만들어 공동으로 코퍼레이티브 아파트 건설을 추진한다. 거주자들이 직접참여 하 하우스 여 자신에게 맞는 아파트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다. 영어 Mingle(혼합,교제)가 어원으로 단독 주거에 가족이 아닌 사람들이 반 공동생활을 하는 주거 밍글하우스 스타일이다. 개인공간은 열쇠로 잠글 수 있으며 부엌, 욕실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현재 셰어하우스 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한국의 고시 원, 기숙사와 비슷한 형태이지만 여기에 커뮤니티 라 는 개념을 중점으로 한층 높은 수준의 공유 공간과 개 인의 프라이버시가 확실히 지켜지는 개인공간으로 구 성되어 있는 주거형태를 일컫는다. 3)http://www.jresearch.net/house/jresearch/chintai/pdf/P111-158_chapter3.pdf#search='%E3%82%B7%E3%82%A7% E3%82%A2%E5%B1%85%E4%BD%8, (download 2013.09.30), リクルート 住 まい 研 究 所 4)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276&cid=289 1&categoryId=2891, (download 2013.09.30.),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5)http://kobayashi-lab.tu.chiba-u.jp/column/070608/colum n070608.pdf#search='%e4%bb%8a%e3%81%aa%e3%8 1%9C%E3%82%B7%E3%82%A7%E3%82%A2%E4%BD%8 F%E5%B1%85%E3%81%8B',(download2013.09.30.), 住 宅 総 合 研 究 団 体 2.3 셰어하우스의 발전과정 일본에서 셰어하우스의 역사는 사실 오래 전 부터 등장하였으며 장옥이나 하숙, 기숙사로 불리는 것이 부르는 방식만 다를 뿐 모두 셰어하우스의 한 종류였 다. 이런 형태의 주거들은 인간관계나 커뮤니티 면에 서 여러 장점이 있었으나 불편함 또한 많았다. 특히 과거의 셰어주거는 낙후된 공동 시설로 인해 거주자들 은 점점 독립된 형태의 원룸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런 원룸형태 공간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건설업계에서는 셰어주거를 새로운 형태로 발전시켰다. 즉, 사람이 있 고 즐거운 집 의 가치는 남겨두고 개인의 독립성을 중시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6) 하지만, 1990년대 초기의 셰어하우스는 여행자들이 6)http://diamond.jp/articles/-/38779,(download 2013.09.30.), ダイヤモンド 社 のビジネス 情 報 サイ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26호 215

잠시 머무는 게스트하우스의 형태로 조금은 지저분한 이미지가 많았다. 특히 개인 집주인이 방을 함께 나누 어 쓰거나 리모델링하여 사용하는 DIY형 운영의 셰어 하우스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에서 건 물을 리모델링 또는 신축을 하고 운영하는 사업체계형 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DIY형은 주로 집 한 채나 아 파트 한 층을 사용하며 거주인원 10명 이내가 많다. 사업체계형은 건물 한 채를 전부 셰어하우스로 사용하 는 규모가 큰 경우의 형태가 많다. 사업체계형의 등장 배경으로는 셰어하우스가 새로운 주거 형태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부터 이다. 7)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으로 인한 불안감과 2012년 일본 드라마 셰어하우스 의 연인의 인기와 함께 그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최근에는 셰어하우스 사업의 발전으로 셰어하우스 협회는 물론, 셰어하우스 전문 부동산까지 등장하는 등 그 규모는 더욱 커지고 다양해졌다. 사회적 현상이 나 개인의 취미를 반영한 테마형 셰어하우스도 등장 하였으며, 그 예로 미혼모들을 위한 셰어하우스, 고양 이를 위한 셰어하우스, 서핑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 한 셰어하우스, 악기연주를 할 수 있는 셰어하우스 등 이 있다. 2.4 셰어하우스의 현황 일본 수도권의 셰어하우스 건수는 2000년 31건으 로 방의 개수는 695에서 2007년에는 429건 방의 개 수는 6897로 크게 늘어났다. 현재 연 30%정도로 급 증하고 있으며 2013년 말에는 공급수가 2만 건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8) 셰어하우스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오사카, 홋카이도 등 대도시에서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셰어하우스를 다루는 부동산 수도 증 가하고 있으며, 건물 형태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3.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연구 3.1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기초연구 3.1.1 셰어 플레이스 우라와 도심까지 30분 이내로, 주변에 대형마트와 도서관 이 있다. 여러 개의 방을 그룹지어 구성하였다. <표 2> 셰어 플레이스 우라와 셰어 플레이스 우라와 위치 사이타마시 우라와라구 건축년도 1991년 / 2008년 리모델링 면적(m2) 연면적:647.47 세대면적:7.43-18.67 세대정보 32세대 층수(층) 지상1-지상3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개인]개인방 1층 [공동]입구,라운지,조리공간,식사공간,화장실,세면실,세 탁실,샤워실,목욕실 2층,3층 [개인]개인방 [공동]화장실,세면실,세탁실,샤워실,목욕실,대형발코니 3.1.2 더 셰어 상점, 오피스, 아파트 기능이 하나가 된 새로운 복 합 점유율 시설을 컨셉으로 지어진 신축건물이다. <표 3> 더 셰어 더 셰어 위치 도쿄도 시부야구 진구마에 건축년도 1963년 / 2011년 리모델링 면적(m2) 연면적:3822.91 세대면적:12-20.87 세대수 64세대 층수(층) 지하1-지상6(이용:1-6) <그림 3> 일본 수도권 셰어하우스 증가율 7)http://www.jresearch.net/house/jresearch/chintai/pdf/P111-158_chapter3.pdf#search='%E3%82%B7%E3%82%A7% E3%82%A2%E5%B1%85%E4%BD%8F', (download 2013.09.30), リクルート 住 まい 研 究 所 8)http://diamond.jp/articles/-/14025,(download 2013.09.30.), ダイヤモンド 社 のビジネス 情 報 サイト재구성 6층 평면도 4,5층 평면도 1층,2층 [공동]상점,오피스공간,관리실 3층 [개인]여성전용 개인방 [공동]물품보관실,화장실,샤워실,세면실 4층,5층 [개인]개인방 [공동]화장실,샤워실,세면실 6층 [공동]라운지,식사공간,조리공간,엔터테이먼트공간,거실, 도서실,창고실 옥상 [공동]대형발코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26호 216

3.1.3 소셜 아파트 아자부주방 내일을 만드는 모임의 장이라는 컨셉으로 도쿄 중심 부의 고급 주택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커뮤니 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표 4> 소셜 아파트 아자부주방 소셜 아파트 아자부주방 위치 도쿄 미나토구 아자부주방 건축년도 1970년 / 2012년 리모델링 면적(m2) 세대면적:8.62-12.08 세대수 27세대 층수(층) 지하1-지상6 3.1.5 셰어 플레이스 코마자와 신축 건물로 테마가 다른 4개의 라운지를 중심으로 두 개의 층이 하나의 라운지를 사용하는 수직적 공간 구성으로 동선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하였다. <표 6> 셰어 플레이스 코마자와 셰어 플레이스 코마자와 위치 도쿄 세타가야구 코마자와 건축년도 2013 신축 면적(m2) 연면적:2282.96 세대면적:7.93-11.74 세대수 73세대 층수(층) 지하1-지상15(이용:2-13) 1층 평면도 2,4,5층 평면도 지하1층 [공동]전용바,다용도실 1층 [공동]입구,식사공간,조리공간,전용바,거실 2,4,5층 [개인]개인방,발코니 [공동]화장실,세면실겸세탁실,샤워실 3층 [개인]개인방,발코니 [공동]화장실,목욕실,세면실겸세탁실,메이크업실 6층 [개인]개인방 [공동]화장실,세면실 옥상 [공동]대형발코니 3.1.4 셰비아 에비스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에서 도보 2분 거리에 있으며 도심지의 은신처라는 컨셉으로 에비스의 품격 있는 도시 특징을 살려 디자인 하였다. <표 5> 셰비아 에비스 셰비아 에비스 위치 도쿄 시부야구 에비스 건축년도 면적(m2) 세대수 1992년 / 2013년 리모델링 연면적:1087.15 세대면적: 9.8-14 32세대 층수(층) 지하1-지상7(이용:3-7) 1층 2층 3,6,9, 12층 4,5,7,8,10,11,13층 4층 평면도 6층 평면도 [공동]상가 [공동]상가,입구,라운지,조리공간,다용도실 [개인]개인방,발코니 [공동]세면실,화장실,샤워실,조리공간,식사공간겸라운지, 세탁실,발코니 [개인]개인방 [공동]세면실,화장실 3.1.6 코우리 020 도심에 위치하며, 공동공간이 모두 지하에 있으며, 넓은 라운지 공간은 다양한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표 7> 코우리 020 코우리 020 위치 도쿄 메구로구 중앙쵸 건축년도 1991년 / 2013년 리모델링 면적(m2) 세대면적:8.1-9.9 세대수 18세대 층수(층) 지하1-지상3 7층 평면도 1층,2층 [공동]상가 3층-6층 [개인]개인방,발코니 [공동]화장실,샤워실,미니조리공간 7층 옥상 3-6층 평면도 [공동]화장실,샤워실,샤워실,조리공간,식사공간,다용도 실,전용바 [공동]대형발코니 1,2층 지하1층 지하1층 [공동]조리공간,식사공간,전용바,다용도실,화장실,물품보 관함 1층,2층 [개인]개인방,발코니 [공동]1층입구,화장실,샤워실,목욕실,세면실,세탁실 3층 [개인]개인방,발코니 [공동]세면실,화장실,목욕실,대형발코니 3.2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일반적 특성 기초 연구에서 조사된 사례대상 셰어하우스들의 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26호 217

반적 특성을 모아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 하였다. <표 8>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일반적 특성 이 름 건축년도 면적(m2) 층수(층) 세대수 셰어 플레이스 우라와 더 셰어 소셜 아파트 아자부주방 셰비아 에비스 셰어 플레이스 코마자와 코우리 020 2008년 연면적 647.47 지상1-지상3 32 리모델링 세대별 7.43-18.67 2011년 리모델링 연면적 3822.91 세대별 12-20.87 지하1-지상6 (이용:1-6) 64 2012년 세대별 8.62-12.08 지하1-지상6 27 리모델링 2012년 리모델링 2013년 신축 2013년 리모델링 연면적 1087.15 세대별 9.8-14 연면적 2282.96 세대별 7.93-11.74 지하1-지상7 (이용:3-7) 지하1 -지상15 (이용:2-13) 32 73 세대별 8.1-9.9 지하1-지상3 18 대부분 셰어하우스가 리모델링이나 신축으로 이루어 져있으며 규모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개인공간의 면 적은 한국의 대체주택인 고시원, 하숙집, 게스트하우스 의 대부분의 세대별 면적이 6~10m2 9) 인 것과 비교 하였을 때 대체로 더 넓고 방의 크기 또한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3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공간구성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6개의 셰어하우스를 내부에 있는 실들을 그 성격에 따라 분류하였다. 크게 개인공 간과 공동공간으로 나뉘었으며, 다시 필수공간과 추가 공간으로 나누었다. 필수공간은 기본 생활에 있어 필 요한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의식주 해결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말한다. 공동공간에서 추가공간은 주민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공간과 편의를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된 공간들로 다시 분류 하였다. 개인공간에서는 기본적인 필수공간 과 추가로 개인에게 제공되는 공간으로 분류 하였다. 아래의 도표를 통해 조사대상 셰어하우스들의 공간을 성격에 따라 나누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표 9>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공간구성 A : 셰어 플레이스 우라와 B : 더 셰어 C : 소셜 아파트 아자부주방 D : 셰비아 에비스 E : 셰어 플레이스 코마자와 F : 코우리 020 개 인 공 간 공 동 공 간 추 가 필 수 추 가 필 수 구분 A B C D E F 커 뮤 니 티 서 비 스 개인방 세면공간 발코니 화장실 샤워실 식사공간 조리공간 세탁실 라운지 거실 다용도실 전용바 대형 발코니 엘리베이 터 관리실 개인물품 보관함 택배보관 주차장 도서실 목욕실 메이크업 실 미니주방 사무시설 상가 9) 김도연ᆞ윤재신, 1인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기준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v.1, 2010, p.305 위 표를 통하여 최근 등장한 일본 셰어하우스의 특 성들을 알 수 있다. 공동공간은 그 규모와 성격에 따 라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이 추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모든 셰어하우스가 커뮤니티공간을 필수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셰어하우스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영화 감상이나, 파티를 할 수 있는 다용도실과 전용 바를 가진 셰어하우스가 많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26호 218

은데 이는 거주자의 대부분이 20, 30대 라는 것을 반 영하여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개인 공간 에서는 필 수 공간 뿐 만 아니라 보다 쾌적한 생활을 위해 발코 니, 세면대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한 곳 도 있다. 3.4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유형분석 3.4.1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의 위치 관계에 따른 유형 셰어하우스의 필요공간은 성격에 따라 크게 개인공 간과 공동공간으로 구분된다. 개인공간은 개인의 프라 이버시를 가장 중요시 고려해야 하며, 편안하고 쾌적 해야 한다. 공동공간은 다른 거주자들과의 커뮤니티와 엔터테이먼트,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개방적 이고 활동적이다. 이러한 다른 성격인 두 공간의 위치 관계를 통해 총 4가지로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이 같은 층에 위치하는 수평 분리이다. 두 번째는 층에 의한 수직 분리로 공 동공간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다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세 번째는 수평분리와 수직분리가 혼합 된 형태로 기본적으로 공동공간이 두 곳 이상이며 해 당 층에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이 함께 있으며 수평적으 로 분리되어있다. <표 10>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의 위치관계에 따른 유형분류 구분 공간 유형 유형 설명 수평 분리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이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용공간은 한 층에만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 분 저층 건물이 적합하다. 수직 분리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이 층에 의해 완전히 분리 되어 있으며, 공동공 간을 통해서 개인공간으로의 접근 이 가능하다.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이 층에 의해 완전히 분리 되어 있으며, 공동공 간을 꼭 거치지 않더라도 개인공 간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출입구 와 공동공간의 층을 분리하였다.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이 층에 의해 완전히 분리 되어 있으며, 공동공 간이 두 개의 층 이상에 독립적으 로 배치되어 있다. 혼합형 공동공간이 두 개의 층 이상으로 개인공간과 같은 층에 함께 배치 되어있다. P:개인공간, C:공동공간 3.4.2 위생시설 위치에 의한 유형분류 위생시설은 세면실, 화장실을 통칭한다. 주거환경 에서 위생시설은 필수 요건으로 특히 개인 공간과의 동선에 있어 그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위생시 설의 위치와 개인공간과의 관계에 의해 코너형, 코어 형, 분산형, 그룹형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표 11> 위생 시설 위치에 따른 분류 구분 공간 유형 유형 설명 코너형 코어형 분산형 그룹형 3.4.3 개인공간 배열에 따른 유형 위생시설이 공간의 가장자리에 모 여 있는 형태이다. 위생시설이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있는 형태이다. 위생시설이 2곳 이상으로 분산되 어 있는 형태이다. 3~4개의 개인공간이 그룹화 되어 그룹별로 위생시설이 배치된 형태 이다. S:위생시설 (화장실, 세면실) 셰어하우스는 여러 사람이 함께 생활 하는 공간으로 거주자들의 수가 늘어나면 방의 배열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프라이버시, 소음, 동선에 영향을 주며 이는 개인의 생활환경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개 인공간들을 서로의 배열 관계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표 12> 개인공간 배열에 따른 유형 구분 스위트형 아파트형 복도형 공간 유형 유형 설명 방이 유닛으로 구성 일반 아파트처럼 실방들이 일렬로 배열 되어 3~4개의 방이 이 서로 마주보고 되어 복도가 형성된 하나의 세트로 되어 있는 형태이다. 형태이다. 있다. P:개인공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26호 219

3.4.4 조사대상 셰어하우스의 유형 종합분석 <표 13> 조사대상 셰어하우스 유형분석표 구분 셰어 플레이스 우라와 더 셰어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의 위치관계 위생시설위치 방배열형태 설명 수평분리 그룹형 스위트형 수직형 코너형 아파트형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이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어 공동공간 과 같은 층에 방이 있는 거주자는 약간의 불편함이 예상된 다. 방 배열 형태는 3-4실의 개인공간이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스위트 형으로 위생시설 또한 그룹별로 나누어져 있다. 대부분의 개인공간과 위생시설간의 동선이 짧기 때문 에 이용이 편리하다. 또한 스위트 형 배열은 가족적인 분위 의 생활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룹별 구성으로 인 해 보안면에서도 강도가 높을 것이다. 공동공간이 수직적으로 2개 이상의 층에 위치하고 있다. 계 단이나 엘리베이터로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개 인공간과 공용공간을 확실히 분리 시켜 줄 수 있다. 위생시 설은 코너형으로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개인공간과의 거리나 동선에 따라 불편함을 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공간을 분리 시켜줌으로써 혼잡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인공간은 방문이 서로 마주하는 아파트형으로 개인 의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구조로 너무 많은 사람이 거주할 시에는 불편함이 생길 수도 있다. 소셜 아파트 아자부주방 셰비아 에비스 셰어 플레이스 코마자와 코우리 020 수직형 코어형 복도형 수직형 코너형 복도형 혼합형 분산형 아파트형 수직형 코너형 아파트형 공동공간이 입구와 같은 층에 위치하여 거주자들의 커뮤니 티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공 동공간의 혼잡과 규모에 따라서는 고층에 거주하는 사람의 경우 이용이 불편할 가능성이 있다. 위생시설이 중심부에 위치하며 방문이 서로 마주하지 않는 아파트형 배열 형태는 거주자들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비교적 편리하게 위생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공동공간이 입구와 다른 층에 위치하며, 개인공간과는 분리 되어 있다. 혼잡을 막을 수 있고 소음을 덜 받지만 건물의 규모나 엘리베이터의 유무에 의해 편의성이 결정 될 것 이 다. 개인공간의 배열형태는 복도형으로 위생시설은 가장자 리에 위치하고 있다. 작은 규모에서는 실용적이고 좋으나 규모가 커졌을 경우에는 동선 상 거리가 먼 개인공간 거주 자를 위해 위생시설을 두 곳 이상으로 설치하길 권장한다. 공동공간이 여러 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시에 일부 개인 공간도 공동공간과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층이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 가운데 위치한 공용공간을 아래 위층 의 거주자들이 함께 사용 한다. 공용주방, 거실이 여러 층으 로 분산되어 있어 총거주자 대비 공용공간의 면적이 매우 넓은 편이다. 개인공간만 있는 층은 아파트형으로 되어 있 으며, 위생시설은 두 곳으로 분산되어 있어 이용시 동선에 매우 유리하며 혼잡을 막을 수 있다.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이 수직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공동공 간은 지하 1층에 단독으로 위치하여, 출입구인 1층과 분리 되어 있다. 이는 리모델링 되면서 지하 공간을 활용하면서 개인 생활공간과 공동공간을 완전 분리 시켜놓았다. 개인공 간의 배열은 아파트형이며, 위생시설은 가장자리에 위치하 였다. 전체와 개인사이의 프라이버시는 확실히 구분시켰으 나, 개인과 개인사이의 프라이버시는 방과 방 사이의 거리 에 따라 불편함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유형분석표를 종합해 보면 대부분 개인공간과 공동 공간이 수직적으로 분리 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셰어하우스의 규모가 3층 이상으로 커지면서 개 인의 프라이버시를 더욱 중요시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 로 보인다. 수직형 분리 에서도 고층 건물의 경우는 공동공간을 2개 이상의 층으로 분리시켜 거주자들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생시설은 절 반이 코너형으로 되어있다. 코너형은 평면적으로 개인 공간과 위생시설을 구분시켜 줄 수는 있으나, 개인공 간의 위치에 따라 동선의 불편함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규모가 큰 경우에는 분산형이나 그룹형, 코어 형이 알맞을 것이다.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26호 220

방 배열 형태는 아파트형이 3곳으로 가장 많다. 아 파트형은 공간 활용도는 높으나 서로 마주하는 방 사 이의 거리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다른 3곳의 셰어하우스에 서는 거주자의 편의를 최우선으로 프라이버시와 동선 을 고려한 다양한 공간구성을 시도하였다. 특히 층이 높은 건물의 경우 수직적 공간구성을 통해 보다 만족 도 높은 주거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의 동선에 관련해 다양한 공간구조를 시도하였으나 개인공간과 개인공간 의 관계에 있어서는 일반 기숙사나 고시원과 비슷한 일반적 형태가 많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결론 및 향후 과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최근 5년 이내 신축, 리모 델링된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들을 통해 일본 셰어하우 스의 공간구성을 파악하고 셰어하우스 공간을 개인공 간과 공동공간으로 나누어 공간적 구성과 유형별 특성 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등장한 일본 셰 어하우스 내 공간구성 및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첫째, 대부분의 셰어하우스가 추가공간을 많이 구성 하고 있다. 필수공간은 기본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주 거환경의 향상을 위해 기존 1인 주거형태의 좁은 공간 에서의 탈피를 위해 다양한 공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생활의 만족을 이끌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주거자의 연령대와 취미를 반영한 전용 바, 다용도실, 옥상공원 등이 대부분의 셰어하우스에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 눈 에 띈다. 둘째, 초기의 셰어하우스는 대부분 한 채의 집을 개 조하거나 소형 주택을 개조하는 정도였으나 최근 등장 한 셰어하우스는 그 규모가 매우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공간구조를 수평적으로만 고민 하였던 것을 점차 수직적인 시도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공간구조 및 동선도 더욱 다양해졌으 며 앞으로도 여러 가지 구조로 된 셰어하우스가 많이 등장 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공간의 성격에 따른 개인공간과 공동공간 간 의 경계와 동선에 대한 많은 시도가 보인다. 특히 공 동공간을 거치지 않고 개인공간으로 접근 할 수 있는 사례와 여러 층에 공동공간을 두어 공동공간으로의 접 근을 쉽게 하였다. 하지만 개인공간이 있는 층들의 평 면적 구성은 다양한 시도보다는 효율성을 우선시 하여 공간을 구성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등장한 일본 셰어하우스들의 공간구성 및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국내 셰어하우스가 만족도 높은 1인 주거형태 로 발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방향성을 제시함 에 의의를 둔다. 거주 개념은 각 나라별 문화적 차이와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셰어하우스에 바로 적용하기에 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한국과 일본의 주거문화의 역사와 인식의 차이점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향후 이러한 부분을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더욱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 된다면 더욱 확실하고 뚜 렷한 기초자료와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난도 저, 트렌드코리아2013, 미래의창, 2012 2. 서용식ᆞ서관호 저, 도시형생활주택,스페이스타임, 2011 3. 권윤지, 감성디자인 선호 유형에 따른 소형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0 4. 김혜련,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 공급유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박지현, 일본의 코디네이터 주도형 코퍼레이티브 하우징에 대한 사례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 우소연,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을 위한 국외 소형 공동주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 이우정, 소규모 필지에 건축 가능한 코하우징 계획 방향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11 8. 이주현, 현대 일본 도심형 소규모 집합주택의 공간 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1 9. 임연주, 도심형 셰어하우스 내 커뮤니티 계획에 관한 연구 타임셰어 개념을 바탕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한수연, 1인가구를 위한 미래주거환경의 방향설정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한지희, 대학생 1인 가구를 위한 임대주택 평면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 강순주 외 3인, 1-2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형 주택 요구도,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pp.308-313, KANG Soonjoo, A Study on 1-2 Person Household s Lifestyle and Needs of Small Houses,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22 No.2, 2011, pp.308-313 13. 박하진, 공간의 진화에 따른 주거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4권 3호 통권10 호, pp.27-34, PARK Hajin, The research about the residing space design, going with the evolution of space Vol.4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26호 221

No.3, 2010, pp.27-34 14. 신동관ᆞ한영호, 노인공동주거시설의 공용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노인 여가 활동 유형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5권 5호 통권15호, pp.31-41, SHEEN DongkwanᆞHan Youngho, A Study of the Community Space feature in the Senior Housing focused on the Leisure Activity Type of Senior- Vol.6 No.1, 2011, pp.31-41 15. 이진영, 차별화 전략에 따른 최근 도심 공동주택의 공 간 특성에 관한 연구 -2005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4권 3호 통권10호, pp.63-76 LEE Jinyoung,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Urban Multi-housing based on the Distinction Strategies Focus on the Works since 2005-, Vol.4 No.3, 2009, pp.63-76 16. 김도연ᆞ윤재신, 1인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기준 설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v.1, 2010, pp.302-307 17. 김진모, 현대에 대처하는 일본의 주거, 쉐어하우스, 한국주거학회지 v.5 n.2, 2010, pp.14-19 18. 김미경 외 4인,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 공간계획에 나타난 주요특성 및 선호 대학생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v.2(추계) (2010-11), pp.61-66 19. 박수현ᆞ이상훈, 도시형 생활 주택의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계획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285-288 20. 오준걸, 대학기숙사내 공용 및 개인생활 공간의 면적계획에 관한 연구 기존기숙사와 최근 신축기숙사의 면적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10권1호 (통권33호), 2008, pp.73-80 21. 우소연ᆞ남경숙, 1인 가구 특성을 반영한 도시형 생활주택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셰어하우스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4권 3호 통권29호, 2012, pp.65-68 22. 이인석ᆞ김문덕, 1인 주거 중심의 도시형 생활주택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1호 통권19호, 2009, pp.59-63 23. 장아름ᆞ모정현, 1인 주거 중심의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안,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v.2(추계) (2010-11), pp.161-166 24. http://www.jresearch.net/house/jresearch/chintai/pdf/p 111-158_chapter3.pdf#search='%E3%82%B7%E3%82 %A7%E3%82%A2%E5%B1%85%E4%BD%8, (download 2013.09.30), リクルート 住 まい 研 究 所 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276&cid= 2891&categoryId=2891, (download 2013.09.30.),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26. http://kobayashi-lab.tu.chiba-u.jp/column/070608/col umn070608.pdf#search='%e4%bb%8a%e3%81%aa% E3%81%9C%E3%82%B7%E3%82%A7%E3%82%A2%E 4%BD%8F%E5%B1%85%E3%81%8B', (download 2013.09.30), 住 宅 総 合 研 究 団 体 2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276&cid= 2891&categoryId=2891, (download 2013.09.20.),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28. http://diamond.jp/articles/-/14025, (download 2013.09.30.), ダイヤモンド 社 のビジネス 情 報 サイト 29. http://diamond.jp/articles/-/38779, (download2013.09 30.), ダイヤモンド 社 のビジネス 情 報 サイト 30. https://www.the-share.jp, the share홈페이지 31. http://www.share-place.com/index.html, share-place홈페이지 32. http://stone-s.co.jp/sharehous, stonesharehouse홈페이지 33. http://www.hituji.jp, 히쯔지 부동산 홈페이지 투 고 일 : 2013.10.18. 1차 수정일 : 2013.11.19. 게재확정일 : 2013.12.04.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26호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