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7 총설.qxp



Similar documents
jaeryomading review.pdf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 2 -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30352DB1E2C8B9C6AFC1FD2028C8ABB1E2C7F D36362E687770>

0406½É¹Ì¾Èâ35È£º»¹®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2_4_특집_김태호_rev4_ hwp

Chapter 14

04 Çмú_±â¼ú±â»ç

1차내지

hwp

<C3CA3520B0FAC7D0B1B3BBE7BFEB202E687770>

49 자동차세 자동차 목1동 (주)후즈닷컴 서울 양천구 목동동로 119,460 35,830 9 기타 자동차세 자동차 목1동 (주)비젼플러스아이앤씨 서울 양천구 목동동로 27,070-9 기타 2014

G hwp

表紙(化学)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8(3)-10(33).fm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¼Òâ¹Ý¹®Áý¿ø°í.hwp

³»Áö_10-6

untitled

(72) 발명자 마 빈 미국 뉴저지주 유잉 필립스 블바르 375 쩡 리창 미국 뉴저지주 유잉 필립스 블바르 375 데안젤리스 알랜 미국 뉴저지주 유잉 필립스 블바르 375 바론 에드워드 미국 뉴저지주 유잉 필립스 블바르 375


歯이

½Ç°ú¸Ó¸®¸»¸ñÂ÷ÆDZÇ(1-5)¿Ï

[ 화학 ] 과학고 R&E 결과보고서 나노입자의표면증강을이용한 태양전지의효율증가 연구기간 : ~ 연구책임자 : 김주래 ( 서울과학고물리화학과 ) 지도교사 : 참여학생 : 원승환 ( 서울과학고 2학년 ) 이윤재 ( 서울과학고 2학년 ) 임종

12-17 총설.qxp

해외_레이아웃 오후 12:00 페이지 2 여 소장하는 매우 이상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정말 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입장료만 비싸질 뿐 컬렉션의 그뿐일까? 현재 미술관에 많은 작품이 소장된 작가 가운데는 세 희소가치는 제자리

12-17 총설.qxp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한국어교재_2급 1~12과_선-인쇄용.indd

최민지 / 세계무역기구과 / :16:24-2 -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2003_KR piv

Microsoft PowerPoint - Reference list for De-NOx system(Korean)-Blue Bird ( ).ppt [호환 모드]

???춍??숏

Layout 1

개최요강

PDF

¾Æµ¿ÇÐ´ë º»¹®.hwp

2ÀåÀÛ¾÷

목원 한국화- 북경전을 준비하며 지난해부터 시작 된 한국의 목원대학교 한국화 전공의 해외미술체험은 제자와 스승의 동행 속에서 미술가로 성장하는 학생들의 지식에 샘을 채워주는 장학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창작인력 양성을 위해, 배움을 서로 나누는 스승들의

139~144 ¿À°ø¾àħ

¾Æ½Ã¾ÆÀú³Î8È£-ÅëÇÕ

전자신문 코리아 e-뉴스 밴쿠버 2013 년 11월 29일 8 면 이 지침에는 교원이 공개된 장소 이외의 공간에서 학생과 신체 접 촉을 하거나 성적인 용어를 사용 지난 24일 청소를 하던 서울대공 원 사육사를 습격해 중태에 빠뜨 린 3년생 시베리아 수컷호랑이 로스토프

(Microsoft PowerPoint - src.ppt [\300\320\261\342 \300\374\277\353] [\310\243\310\257 \270\360\265\345])

DBPIA-NURIMEDIA

명세서 기술분야 본 발명은 2차 전지로부터 유가( 有 價 )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폐( 廢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불량품에 함유되는 코발트를 회수하는 리튬 이온 전지내의 코발트 회수 방법 및 코발트 회수 시스템에 관한

untitled

탄소연속섬유복합체 제조기술 본분석물은교육과학기술부과학기술진흥기금을지원받아작성되었습니다.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Chapter 16

Microsoft PowerPoint - ch4note

의최신연구동향 Heavy Metal Ion Sensors 사람이납, 캐드뮴, 은, 수은등의중금속에노출되면건강에치명적인위험을끼칠수있다. 이런이유때문에중금속들의농도를검출할수있는감도가우수하면서도빠르고편리하게분석하는방법의필요성이증가하고있다 [1]. 특히, 중금속이온의검출은환경

60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전기 회로 과목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untitled

20 A. Mechanism 1) Base-catalyzed aldol reaction a 3 2 new bond 3-ydroxybutanal ( -hydroxyaldehyde, racemic mixture) 2 + a + pk a 20 arbanion En

72 Chap 4 : Acids and Bases 4.1 Arrhenius acids and bases 4.2 Brϕnsted-Lowry acids and bases 4.3 Acid dissociation constants, pk a, and strengths of a

기사스크랩 (160317).hwp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하주입 효율 향상을 통한 발광효율 향상 연구

김준학97.PDF

Jkbcs016(92-97).hwp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est20th_final.pdf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untitled

87 Enol 형이안정한경우 β-diketone 에서처럼 α- 탄소가두카보닐기사이에위치한경우 1,3-yclohexanedione 20 % 80 % 2,4-Pentanedione xidation A. xidation of Aldehydes Aldehyde는 c

7 7.1 Chapter 7 Covalent Bonding

mbedded System Embedded Lin u x 1.1 2

12-17 ??????.qxp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GB AV2š

歯D13236_F1.PDF

- 2 -

슬라이드 1

CC hwp

내지무인화_

ROK-WhitePaper(2000).hwp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B3EBC6AE322E687770>

hwp



05-1Ưº°±âȹ

EWHA TECH in NANO 2013 연구실적 ( 최근 3 년간 ) 논문게제 73 건, 기술이전 3 건 논문 연도제목학술지명 Sensors for the optical detection of cyanide ion A selective Off-On fluorescen

<5BBEE7BDC42D315DC0DBC7B0B0B3BFE42DC3BBC1D6BDC35FB8B6C1F6B8B7BFACB8F82E687770>


12-17 총설.qxp

Transcription:

읽기 쉬운 총설 CHEMISTRY TOPICS 2 유기형광 프로브 디자인과 응용 연구 유기 초분자 화학: 호스트 게스트 화학으로 부터 바이오 이미징의 영역으로 이민희 숙명여자대학교 화학과, minheelee@sookmyung.ac.kr 서 론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 연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저분자 유기형광 프로브 개발과 그 응 형광 프로브(fluorescent probe)는 특정 분자를 인지 용 연구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recognition)했을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색 또는 형광 시 그널의 변화를 보이는 물질로, 최근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분자수준(molecular level)의 생화학적 현상을 영 본 론 상화하는데 응용되고 있다. 1-3 이러한 형광 프로브 개발 연 구는 환경독성 물질의 정성/정량 검출(qualitative/quantitative detection)뿐만 아니라, 바이오 활성인자(bioactive species)의 실시간(real-time), 비침습성(noninvasive measurement)측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 학, 생물학, 물리학, 공학, 의학 등의 융합연구로 급속히 발전하는 연구 분야이다. 4-6 형광 프로브는 유기형광 (organic fluorophore), 생물발광체(bio-luminophore), 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양자점 (quantum dot, QD)으로 구현되며, 저분자(small molecule)의 유기형광체는 펩타이드, 고분자, 나노입자들과 접 목되어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센서 소재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저분자 유기형광체를 이용한 형광 프로브는 합성화 학(synthetic chemistry)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감지하고자 하는 타깃 분자(target moleule)을 다 양화하고, 높은 선택성(selectivity)과 감도(sensitivity) 를 보이는 분석환경 맞춤형으로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저 분자 형광 프로브는 구조변화, 미세 환경변화에 따른 광화 학적 물성연구 및 바이오 활성인자와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분자수준에서 생명현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형광 프로브 개발을 위해서는 검출(detection) 또는 영 상화(visualization, imaging)하고자 하는 타깃 물질(target analyte)을 결정하는 일이 우선이며, 이는 관심 있는 환경독성과 관련된 자연현상 또는 질병과 관련된 생명현 상의 분자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타깃 물 질이 선정되면 그것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바탕으로 높 은 선택성과 감도를 보일 수 있는 형광 프로브들을 디자인 하여 합성한다. 일반적으로 형광 프로브는 특정 분자를 인 지할 수 있는 인식부위(recognition site)와 형광 시그널 을 보이는 형광체(fluorophore, signaling unit)로 구성 된다. 형광 프로브와 특정 분자와의 상호작용 또는 화학반 응에 의해 off-on(형광 켜짐), on-off(형광 꺼짐), ratiometric type의 형광시그널 변화가 관찰된다. 이러한 시그 널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분자 내 전자전이(internal charge transfer, ICT), 광 전자전이(photo electron transfer, PET), 중금속 효과(heavy metal effect), 킬레 이 션-형 광 유 도(chelation-enhanced fluorescence, CHEF), 들뜬상태 분자 내 양성자 전이(excited state intramolecular proton transfer, ESIPT), 형광공명에너 지 전 이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20 화학세계 2016. 05

유기형광 프로브 디자인과 응용 연구 그림 1. 케모센서(chemosensor)와 케모도시미터(chemodosimeter) 형태의 형광 프로브 FRET), 결합을 통한 에너지전이(through-bond energy transfer, TBET), 모노머-엑시머 형성(monomer excimer formation), 응집-형광유도(aggregation-induced emission, AIE) 등과 같은 메커니즘이 보고되었 다. 7,8 형광 프로브는 타깃 물질을 인지하는 방식에 따라 간단 히 케모센서(chemosensor)와 케모도시미터(chemodosimeter)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케모센서는 형광 프로브와 특정 분자와의 물리적, 화학 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광시그널 변화를 유도 하는 방식으로, 인식부위(recognition site) 로 주로 특정 분자를 인지할 수 있는 결합자 리(binding site)를 갖는다. 이처럼 케모센 서가 특정 분자를 인지하는 원동력이 이들 간 의 수소결합 혹은 정전기적 인력 등이기 때 문에 분석환경에 존재하는 다른 요인들의 간 섭에 민감하게 감응하여 비교적 낮은 선택성 을 보인다. 하지만 타깃 물질을 인지하는 가 역적 메커니즘(reversible mechanism)덕분 에 유-무기 복합체에 응용되었을 때 재사용 이 가능하다. 또한 세포 내에서는 질병과 관 련된 활성인자의 생성, 소멸과 관련된 역동 학(dynamics)을 실시간으로 이미징(imaging)할 수 있다. 한편, 케모도시미터는 형광 프로브와 특정 분자와의 특이적 화학반응을 통해 형광시그 널 변화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특정 분자에만 화학적 활성 을 보이는 반응자리(reaction site)를 갖는다. 케모센서와 달리, 케모도시미터는 비가역적(irreversible) 화학반응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물질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세포 내에서 바이오 활성인자의 역동학적 영상화가 어렵다. 반 면, 케모도시미터는 특이적이고 빠른 화학반응을 통해 타 깃 분자를 인지하기 때문에 분석환경에 존재할 수 있는 다 른 경쟁적인 인자들에 의한 간섭이 적고, 높은 선택성과 감 도를 보인다. 지금까지 다양한 타깃 물질을 검출 또는 영상화하기 위 해 많은 형광 프로브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특정 분 석물과 잘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결합자리를 형광체에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간의 생명유지 및 질병과 관 계된 Na(I), K(I), Zn(II), Cu(I), Cu(II), Fe(II), Ca(II) 금 속이온 혹은 환경독성을 유발하는 Hg(II), Hg(I), Cd(II), Pd(II), Cr(III), Ag(I), Au(I), Pb(II), Pd(II), Pt(II) 금속 이온, Cl -, I - 2-, SO 4, CH 3 COO -, H 2 PO 4-, F - 음이온과 선 택적으로 결합하여 색 또는 형광변화를 보이는 케모센서 형태의 형광 프로브가 개발되었다. 9-11 그림 2. 케모센서(chemosensor) 형태의 형광 프로브 2016. 05 화학세계 21

읽기 쉬운 총설 그림 3. 케모도시미터(chemodosimeter) 형태의 형광 프로브 또한, Hg(II), Pt(II), Cu(II), Cu(I) 금속 이온, F -, CN - 음이온, ClO -, H 2 O 2, OH, ROO, 1 O 2, O 2 -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NO, ONOO - 활성질 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글루타티온 (GSH), 시스테인(Cys), 호모시스테인(Hcy), 티오레독신 (Trx)과 같은 티올(thiol) 등의 촉매반응성, 산화환원반응 성, 친핵반응성 등의 특이적인 화학반응들을 이용한 케모 도시미터가 보고되었다. 불과 10여 년 전에는 유기용매 혹 22 화학세계 2016. 05

유기형광 프로브 디자인과 응용 연구 그림 4. 세포 소기관(subcellular organelle) 표적 형광 프로브 은 수용액 상에서의 형광 프로브와 환경독성과 관련된 특 정 분자와의 상호작용과 수반되는 분광학적 변화에 대해 서만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최근 분석 대상이 인 간의 생명현상 및 질병발병과 관련된 바이오 활성인자까 지 확장되면서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동물 체내에 이르기 까지 타깃 물질을 선택적으로, 고감도, 실시간, 비침습성, 바이오 친화적으로 이미징(imaging)할 수 있는 형광 프로 브 개발과 영상화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12-14 최근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를 효 과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특정 세포 소기관(subcellular organelle)의 바이오 활성인자만을 감지하여 형광변화를 보이는 세포 소기관 표적화(organelle targeting) 형광 프로브가 개발되었다. 15-17 세포는 세포막(cell membrane), 세포질(cytosol), 세포핵(nucleus),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on), 퍼옥시 좀(peroxisome), 리소좀(lysosome), 골지(golgi) 등과 같 은 다양한 소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세포 소기관 들은 각자의 역할분담을 통해 세포의 생노병사를 조절하 기 때문에 이들의 비정상적인 작동은 각종 질환과 매우 밀 접하게 관계된다. 결국 인간의 각종 질환의 원인규명, 효 과적인 진단, 치료제 발굴을 위해서는 세포 소기관의 고유 한 기능을 밝히고 이들 간의 어떤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 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필수적인 것이 세포 소기관 내의 바이오 활성 인자를 선택적으로, 고감도로, 실시간 이 미징할 수 있는 형광 프로브의 개발이다. 대표적으로 미토콘드리아를 표적화하기 위해 양전하를 띄며 소수성을 갖는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기능기를 유기형광 프로브에 접목하여, 미토콘드 2016. 05 화학세계 23

읽기 쉬운 총설 리아 내의 글루타티온(GSH), 티오레독신(Trx), H 2 O 2 와 같은 활성산소종, Zn(II), Cu(II)와 같은 필수 금속이온, 산 도(pH) 등을 효과적으로 영상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민 (amine), 카복실(carboxylate) 기능기와 같이 양이온 혹 은 음이온 특징을 보일 수 있는 기능기를 형광 프로브에 도 입하여 세포질이나 리소좀에 특이적으로 머물 수 있도록 하여 ph, 티올, 금속이온들을 영상화하기도 하였다. 이러 한 세포 소기관 표적(organelle targeting) 형광 프로브 의 개발은 생명현상 및 질병과 관련된 특정 분자를 세포 수 준(cellular level)에서 세포이하의 세포 소기관 수준(subcellular organelle)까지 영상화가 가능케 함으로써 유용 한 생의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18-20 결 론 형광 프로브는 인간의 생명현상과 관련된 환경독성 물질, 바이오 활성인자의 실시간, 비침습성 측정을 가능케 함으로 써,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분자수준의 생화학적 변 화를 영상화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최근 형광 프로브 개발 연구는 화학뿐만 아니라, 생물학, 의학, 공학 등의 융합연구 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저분자 형광 프로브는 구조 변화, 미세 환경변화에 따른 광화학적 물성연구 및 바이오 활성인자와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분자수준의 생명현상 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서 활발하게 응용 연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저분자 유 기형광 프로브 개발과 그 응용 연구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 고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타깃 물질을 검출 혹은 영상화하기 위해 많은 형광 프로브들이 개발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타깃 물질의 인지 방식에 따른 케모센서와 케모도시미터 형태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각각의 예를 보이고 있다. 케모센서는 특정 분석물과 잘 결합할 수 있는 특이적 결합자리를 형광 체에 직접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중성분자, 이온을 분자수준 의 가역적 상호작용으로 감지하는 방식이다. 한편, 케모도 시미터는 타깃 물질과의 촉매반응, 산화환원반응, 친핵반응 등의 비가역적 화학반응을 바탕으로 색 또는 형광변화를 보 이는 방식이다. 예로 금속 이온, 음이온, 활성산소/질소종, 티올, 활성 효소 감지용 케모센서 혹은 케모도시미터 형태 의 형광 프로브들이 보고되었다. 최근 분석 대상이 인간의 생명현상 및 질병발병과 관련된 바이오 활성인자까지 확장되면서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타 깃 물질을 선택적으로, 고감도, 실시간, 바이오 친화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형광 프로브 개발과 영상화 연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세포질, 미토콘드리아, 리소좀과 같은 특정 세포 소기관의 바이오 활성인자만을 감지하는 세포 소기관 표적화 형광 프로브 개발 연구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연구는 생명현상 및 질병과 관련된 특정 분자를 세포 수준 에서 세포이하의 세포 소기관 수준까지 영상화 가능케 함으 로써 유용한 생의학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 형광 프로브 개발 연구에 대한 막대한 관심과 생 체 영상화를 위한 응용, 융합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요구되 는 사항들이 있다. 이것은 유기형광 프로브의 높은 안정성, 높은 형광수율, 근적외선 영역의 형광파장, 분석환경 친화 성에 대한 것이며, 이를 충족하는 형광 프로브 개발 연구는 효과적이고 실효성이 높은 비파괴 세포 또는 조직 영상화 를 위해 꼭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유기형광 프로브의 구 조적 변화에 따른 광학현상의 고차원적인 이해와 다양한 사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논리적 분석력, 창의성 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24 화학세계 2016. 05

유기형광 프로브 디자인과 응용 연구 참고문헌 1. Segal, M.; Singh, M.; Rivoire, K.; Difley, S.; Van Voorhis, T.; Baldo, M. A. Nat. Mater. 2007, 6, 374. 1. Kim, J. S.; Quang, D. T. Chem. Rev. 2007, 107, 3780. 2. Nolan, E. M.; Lippard, S. J. Chem. Rev. 2008, 108, 3443. 3. Fan, J.; Hu, M.; Zhan, P.; Peng, X. Chem. Soc. Rev. 2013, 42, 29. 4. Myochin, T.; Kiyose, K.; Hanaoka, K.; Kojima, H.; Terai, T.; Nagano, T. J. Am. Chem. Soc. 2011, 133, 3401. 5. Nolan, E. M.; Lippard, S. J. Acc. Chem. Res. 2009, 42, 193. 6. Jung, H. S.; Verwilst, P.; Kim, W. Y.; Kim, J. S. Chem. Soc. Rev. 2016, 45, 1242. 7. de Silva, A. P.; Gunaratne, H. Q. N.; Gunnlaugsson, T.; Huxley, A. J. M.; McCoy, C. P.; Rademacher, J. T.; Rice, T. E. Chem. Rev. 1997, 97, 1515. 8. Lee, M. H.; Kim, J. S.; Sessler, J. L. Chem. Soc. Rev. 2015, 44, 4185. 9. Xu, Z.; Baek, K.-H.; Kim, H. N.; Cui, J.; Qian, X.; Spring, D. R.; Shin, I.; Yoon, J. J. Am. Chem. Soc. 2010, 132, 601. 10. Myochin, T.; Kiyose, K.; Hanaoka, K.; Kojima, H.; Terai, T.; Nagano, T. J. Am. Chem. Soc. 2011, 133, 3401. 11. Domaille, D. W.; Que, E. L.; Chang, C. J. Nat. Chem. Biol. 2008, 4, 168. 12. Dickinson, B. C.; Peltier, J.; Stone, D.; Schaffer, D. V.; Chang, C. J. Nat. Chem. Biol. 2011, 7, 106. 13. Duong, T. Q.; Kim, J. S. Chem. Rev. 2010, 110, 6280. 14. (a) Tang, Y. H.; Lee, D. Y.; Wang, J. L.; Li, G. H.; Yu, J. H.; Lin, W. Y.; Yoon, J. Y. Chem. Soc. Rev. 2015, 44, 5003. (b) Yang, Y.-K.; Ko, S.-K.; Shin, I.; Tae, J. Nat. Protoc. 2007, 2, 1740. (c) Dujols, V.; Ford, F.; Czarnik, A. W. J. Am. Chem. Soc. 1997, 119, 7386. (d) Santra, M.; Ko, S. K.; Shin, I.; Ahn, K. H. Chem. Commun. 2010, 46, 3964. 15. Chan, J.; Dodani, S. C.; Chang, C. J. Nat. Chem. 2012, 4, 973, 16.Liu, T.; Xu, Z.; Spring, D. R.; Cui, J. Org. Lett. 2013, 15, 2310. 17. Xu, Z.; Xu, L. Chem. Commun. 2016, 52, 1094. 18. Dickinson, B. C.; Chang, C. J. J. Am. Chem. Soc. 2008, 130, 9638. 19. Lee, M. H.; Park, N.; Yi, C.; Han, J. H.; Hong, J. H.; Kim, K. P.; Kang, D. H.; Sessler, J. L.; Kang, C.; Kim, J. S. J. Am. Chem. Soc. 2014, 136, 14136. 20. Zhang, X.; Wang, B.; Wang, C.; Chen, L. Xiao, Y. Anal. Chem. 2015, 87, 8292. 이 민 희 Min Hee Lee 단국대학교 화학과, 학사(2002-2006) 단국대학교 화학과, 석사(2006-2008) 고려대학교 화학과, 박사(2008-2012)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화학과, 박사후연구원(2012-2015) 숙명여자대학교 화학과, 조교수(2015-현재) 2016. 05 화학세계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