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02D30392D303128B9DABBF3BFEC2DC0CCC5C2C8F1293730322E687770>



Similar documents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 D BAFBB0A3BCB7B4DCC3FEC3D4BFB5C0BB20C0CCBFEBC7D120C1A4BBF32C20B3ECB3BBC0E5C0C7C1F52C20C3CAB1E220B3ECB3BBC0E5BFA1BCADC0C720BAAFB

< D31312D303228B9DABBF3BFEC2DC0CCC1D8BCBA292D E687770>

<30322DBFF8C0FA31352D BCADC1A6C7F E687770>

<31302D31362D C8B2BFB5C8C62DB1E8B9CEB0E E687770>

< D B0B3B9E6B0A2B3ECB3BBC0E5C8AFC0DAC0C720C8B2B9DD20B8C1B8B720B9D720BDC3BDC5B0E6C0AFB5CEC1D6C0A720B8C1B8B7BDC5B0E6BCB6C0AFC3FE20B5CEB

<31352D30392D303128C0E5BFB5BCAE2DB1E8C3BBC8AF E687770>

< D C7FC20BFC0BAEABDBAC4B520B0A2B8B7C1F6C7FCB5B5B8A620C0CCBFEBC7D120BFF8C3DFB0A2B8B7B0FA20BFF8C3DFB0A2B8B7C0C7C1F5C0C720B0A2B8B7C7FCC5C2BAF1B1B E687770>

<30352D30352D343428C1A4BCBAB1D92DC1A4BFACBFF5292D D E687770>

A 617

< D B3ECB3BBC0E520B9D720B0EDBEC8BED0C1F520C8AFC0DABFA1BCAD20B1D9BDC320C1A4B5B5BFA120B5FBB8A520B8C1B8B7BDC5B0E6BCB6C0AFC3FE20B5CEB

012임수진

< D DB3ECB3BBC0E5BEC8BFA1BCAD20B8C1B8B7BDC5B0E6BCB6C0AFC3FEB5CEB2B2BFCD20C1DFBDC9B0A2B8B7B5CEB2B2C0C720BBF3B0FCB0FCB0E820BAD0B

<352E D B9DABAB4B0C72DC0CCC1A4C8C4292E687770>

hwp

Lumbar spine

04-JKOS hwp

<31302D30392D323928C0CCB4E3C8A32DB1E8BFB5B5B E68777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_1671.hw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31302D31312D323328BEF6B1E2B9E62DBCADBBF E687770>

DBPIA-NURIMEDIA

황지웅

,.,.,., AcrySof IQ ReSTOR,,.. 1, AcrySof IQ ReSTOR. AcrySof IQ ReSTOR. AcrySof IQ ReSTOR IOL.

김범수

1..

Kbcs002.hwp

<31302D31362D C0AFBFB5C3B62DC0A7C0B1C0E E687770>

노영남

<30332D30322D323328C1A4BFB5C5C32DB1E8C0E7B7C E687770>


<31342D30322D313628B1E8C0E7BCAE2DC3A4B9CEBAB E687770>

(정윤석-최정훈)_220~226.hwp


건강 indd

<31372DB9DABAB4C8A32E687770>

<30352D31372D C1A4BFB5C5C32DB1E8BACEB1E E687770>

15-JKOS (김정림-김동근)1425.hwp

<30372D31312D333228B1E8B9CCB1DD2DC3D6BCBCC7F E687770>

<31372D30342D303628B1E8BDC2C7F62DBCADC7FDC1F E687770>

< D30342D333428C0AFBDC2BFB52DB9AEBCBABFEE292D E687770>

( )Jksc057.hwp

( )Kjhps043.hwp

서론 34 2

<30342D30342D333428B1E8C0E7BFEB2DBEF6C5C2BFF D E687770>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untitled

(김형찬-오세범)_ hwp

(이성진-김승훈)( ).hwp


03이경미(237~248)ok

( )Kju269.hwp

(

02 로봇수술센터 300례 달성 캄보디아 현지 수술로 유방암, 갑상선암 22건 집도 현지 외과의사 양성 프로그램도 적극 지원 예정 <1면에 이어서> 수술은 오전 8시부터 저녁 7시까지 계속됐다. 이번 캠프에 참여한 장여구 교수는 "NGO단체인 헤브론병원이 정부로부터 외

14-JKOS hwp

<30362D30342D313528BCBAB9CEC3B62DC0CCB9CEC1F E687770>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歯1.PDF

< D BFA2BDC3B8D3B7B9C0CCC0FA20B1BCC0FDB1B3C1A4BCF6BCFAC0BB20C0CCBFEBC7D120B9E9B3BBC0E520BCF6BCFA20C8C420C0DCBFA920B3ADBDC3BFA120C

Ⅰ 개요 1 기술개요 1., MRI X-Ray 2.,, - 2 -

<31312D31362D B9DAC7FDBFB52DC8B2BAB8C0CE E687770>

<30342D31332D B1E8C0E7C0CF2DB0ADBAC0C8F E687770>

<31362D31312D303628B1E8C2F9C0B12DB1E8BBF3B8ED E687770>

<30352D31312D313028C0D3C5C2C7FC2DBCD5C1F6BCBA E687770>

Can032.hwp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DC1A4BFB5C3B62E687770>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14.531~539(08-037).fm

DBPIA-NURIMEDIA

Microsoft Word - 노안관리법(신주영)_2차_수정_업로드

<31342EBCBAC7FDBFB52E687770>

< D30322D303928C0CCBAB4B7CE2DB0EDBAB4BFEC292D E687770>

±èÇ¥³â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DBPIA-NURIMEDIA

<30332D31312D313428B1E8C1F8B1B92DB1E8BFEDB0E E687770>

( )Jkstro011.hwp

(08.\277\300\273\363\301\330\( \).hwp)

004-( )09-16.hwp

歯14.양돈규.hwp

(이원희) hwp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30322D30352D303928C3D6C1F8BCAE2DB1E8BCBAC0CE E687770>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 D30312D303528B9DABCBAC8F12DC3D6C1D8C8A D E687770>

<30342D31312D313928B1E8B9CCB1DD2DB7F9BFB5C1D E687770>

<30392D31362D C0FCC1BEC8AD2DB0ADBDC2C0CF E687770>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 D B6F3BCBDB0FA20BFA1C7C7B6F3BDC4C0C720B4DCB1E2B0A320C0D3BBF3B0E1B0FA20BAD0BCAE 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한국 출산력의 저하 요인에 관한 연구

<30312D31352D B3AAB0E6BCB12DBEE7BCF8BFF E687770>

(김진형-박세훈)_320~327.hwp

<35BFCFBCBA2E687770>

(정성근-김형진) hwp

untitled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139~144 ¿À°ø¾àħ

Transcription:

대한안과학회지 14년 제 55 권 제 5 호 J Korean Ophthalmol Soc 14;55(5):72-7 pissn: 378-6471 eissn: 92-9374 http://dx.doi.org/.3341/jkos.14.55.5.72 Original Article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삽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값의 변화 The Change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이태희 박정원 정세형 박상우 Tae Hee Lee, MD, Jung Won Park, MD, Se Hyung Jeong, MD, Sang Woo Park, MD, PhD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s of measured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ft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implantation and analyzed the factors correlated with the changes of measured RNFL thickness. Methods: Forty eyes of 4 patients (Group A: patients using spectral domain OCT and Group B: patients using time domain OCT) who underwent ICL implant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NFL thickness was measured 1 week before surgery and 1 month postoperatively using OCT. The changes of measured RNFL thick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postoperative measured RNFL thickness of the average, inferior, temporal, and superior quadrants were increased compared to preoperative measured RNFL thickness in Group A. Group B had similar results in the average, inferior, and superior quadrants (p <.5). However, the postoperative changes of RNFL measurement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pre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the degree of spherical equivalent change and diopters of implanted lens (p >.5). Conclusions: The measured RNFL thickness after ICL implantation may increase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interpreting the RNFL thickness values measured by OCT in patients with myopia who undergo ICL implant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14;55(5):72-7 Key Word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Retinal nerve fiber layer 최근 굴절교정술로 레이저각막절삭가공성형술(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과 레이저각막상피절삭가공성 형술(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정술은 근시가 매우 심하거나 각막 이 얇은 경우 시행하기 어렵다고 알려졌으며, 창상치유과 Received: 13. 9. 7. Revised: 13. 11. 22. Accepted: 14. 4. 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ang Woo Park,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42 Jebong-ro, Dong-gu, Gwangju 51-757, Korea Tel: 82-62-2-6742, Fax: 82-62-227-1642 E-mail: exo7@naver.com 정에서 일어나는 생체변화에 의하여 시력 회복이 늦어지거 나 각막혼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술(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이 레이저각막절삭가공성형술이나 레이저각 막상피절삭가공성형술을 시행할 수 없는 환자에게 시행되 고 있다. 1-4 이는 1953년 최초로 Strampelli 5 에 의해 전방에 렌 즈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시도되었고, 1986년에는 Fyodorov et al 6 이 안내후방콘택트렌즈삽입술을 시행한 이후 지속적으 로 발전하여 현재 안내후방렌즈삽입술로 ICL (implantable collamer lens, STAAR Surgical AG, Niau, Switzerland)이 사용되고 있다. 3 이러한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술은 시력회 c14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72

- 이태희 외 : 렌즈삽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값 - 복이 빠르고 -8디옵터 이상의 고도근시의 경우 레이저각막 절삭가공성형술이나 레이저각막상피절삭가공성형술 등의 굴절교정술보다 시력 예후가 우수하다고 알려졌으나 내피 세포의 손상, 백내장 및 녹내장의 발생은 더 높다고 알려졌 다. 7-11 녹내장은 망막신경절세포 및 축삭의 점진적인 소실로 인 한 시야결손과 이에 따른 시신경유두의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신경유두 주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 께의 측정은 녹내장의 진단에 중요하다. 이에 빛간섭단층 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주사레이저편광 측정기(Scanning laser polarimetry) 및 레이저시신경유두분 석기(Heidelberg retina tomography) 등과 같은 형태학적인 변화를 객관적으로 제공하는 장비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 다. 12-14 이 중 빛간섭단층촬영은 조직 및 기준 거울에서 반 사되는 빛의 시간 차이를 간섭계로 측정하여 이를 고해상 도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검사이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Spectral domain OCT, SD-OCT)은 기존의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Time domain OCT, TD-OCT)에 비해 축 해상도가 향상되어 망막내부구조를 이전보다 정밀 하게 보여주어 미세 정보를 제공하고 많은 데이터를 빠르 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5-17 이러한 빛간섭단층촬 영을 이용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동공 크기, 백내장 등이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레이 저각막절삭가공성형술, 레이저각막상피절삭가공성형술 등 의 굴절교정술이 망막신경섬유층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으나 유수정체 안내후 방렌즈 삽입술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18-21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간영역 및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 용하여 수술 전후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를 측정, 비교 함으로써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이 망막신경섬유 층 두께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1년 3월부터 11년 6월까지 ICL 삽입술을 시행 받 고 1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총 4명의 4 안이 포함되었으며 만 21세 미만, 각막질환, 녹내장 또는 포도막염 등의 다른 안 질환이 있는 경우, 전방 깊이가 3 mm 이내인 경우, 각막내피세포의 수가 2, cells/mm 2 미만인 경우, 그리고 고혈압 또는 당뇨 등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는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모든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 으로 수술 전후의 나안시력 및 최대교정시력, 현성 및 조절 마비굴절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안저검사, 각막굴절계검 사, 각막두께측정, 안압검사 및 각막내피검사에 대해 조사 하였다.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을 시행하기 2주 전 모든 환자들은 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동공차단의 예방을 위 해 Nd-YAG 레이저(Nidek YC-16 YAG, Nidek In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홍채 주변부의 11시와 1시 방향에 홍채 절개술을 시행 받았다. 삽입할 ICL의 도수는 수술 전 최대 교정시력을 얻을 수 있는 현성굴절검사의 값을 기준으로 ICL의 제조회사에서 설정한 공식을 적용하여 술 후 정시를 얻을 수 있도록 결정하였다. 수술은.5% tropicamide/.5% phenylephrine 혼합제제 (Mydrin-P, Santen Pharmaceutical, Osaka, Japan)를 분 간격으로 3번 점안하여 최대로 산동시킨 후.5% proparacaine (Alcaine, Alcone, Ft Worth, TEX, USA)을 이용한 점안마취하에 시행되었다. 먼저 diamond knife를 이용하여 각막 이측에 3.2 mm의 투명각막절개창을 만든 다음 12시 및 6시에 microsurgery knife로 전방천자를 시행하고 1.5% sodium hyaluronate의 점탄물질로 전방을 채웠다. 렌즈의 표시점을 확인하고 삽입장치(STAAR ICL injector)에 렌즈를 장착한 후 전방에 주입하도록 하였고, 렌즈가 펴진 다음 홍 채 뒤쪽으로 조심스럽게 밀어 넣었다. 렌즈 위치가 적절한지 확인한 다음 평형염액(BSS, Alcon, Ft Worth, TEX, USA) 을 전방에 주사하여 점탄물질을 제거하였고 각막절개부위 의 봉합은 하지 않고 수술을 마쳤다. 술 후 1일째부터.5% levoxacin (Cravit, Santen, Osaka, Japan) 및 1% rimexolone (Vexol, Alcon, Ft Worth, TEX, USA)을 하루 4회씩 점안 하게 하였고 이후 경과관찰 기간 동안 적절히 감량하였다.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은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 촬영기(A군, 명)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B군, 명)를 이용하였으며 총 4명의 4안이 포함되었다. 망막신 경섬유층 두께의 측정은 술 전 1주일 및 술 후 1개월째 Mydrin-P를 점안하여 충분히 산동시킨 후 한 명의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시행되었다. A군에서는 Spectralis 빛간섭단 층촬영기(Heidelberg Engineering, Heidelberg, Germany)를 이용하였고, 768 A-스캔으로 구성된 지름 3.5 mm의 원형 의 B-스캔 영역 내의 중심에 시신경유두가 위치하도록 하 여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눈의 움직임으로 인한 상의 뒤틀림을 보정하기 위해 eye tracking system이 적용되었다. 좋은 상을 얻기 위해 모든 이미지는 제조사에 서 권장한 db 이상인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산출된 6개 구역의 값 중 상비측과 상이측의 평균값을 상측으로, 하비 측과 하이측의 평균값을 하측으로 하여 4개 사분면에서의 측정값을 얻었으며 36도의 평균두께의 값을 구하였다. B 73

- 대한안과학회지 14년 제 55 권 제 5 호 - A B Figure 1.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findings, Spectralis OCT (A) and Stratus OCT (B). (A) Data of six sectors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including temporal (T), temporal superior (TS), temporal inferior (TI), nasal (N), nasal superior (NS), nasal inferior (NI) and were used (black arrow). Average thickness of RNFL were calculated by mean value of these six sectors. Superior quadrant and inferior quadrant data were obtained from mean value of TS and nasal superior (NS), TI and NI, respectively. (B) Data from the four quadrants of RNFL thickness were obtained in this Stratus OCT result (asterix),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RNFL were obtained from the table (arrow head). 군에서는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인 Stratus-OCT (Carl Zeiss Meditec, Inc., Dublin, CA, USA)를 이용하였고, 시신 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에 직경 3.4 mm의 동심원을 따 라 256개의 지점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는 fast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scan을 측정방법으로 이 용하였다. 망막상이 잘 맺히고, 시신경유두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의 이탈이 없고, 8 이상의 signal strength를 보이는 경우만을 대상에 포함시켰으며 측정된 결과 중 4개 사분면 각각의 평균값과 스캔 영역 내의 전체 평균 신경섬유층 두 께의 값을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Fig. 1). 통계분석은 SPSS 12.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A군과 B군의 각각의 수술 전후 망막신경섬유 층 두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이용하였 고, A군과 B군 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차이의 비교에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수술 전후의 망막신 경섬유층 두께의 변화 정도와 삽입되는 렌즈 도수, 수술 전 후 구면대응치의 변화량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s correlation test를 이용하였다. p값이.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총 대상 환자 4명 중 A군(명, 안)과 B군(명, 안)의 평균연령은 각각 3.6 ± 5.9세(21-44세), 29.4 ± 5.2세 (-4세)였다. A군의 술 전 평균구면대응치는 -9.4 ± 2.4디 옵터(-12.5~-5.25디옵터)였고, 평균전방 깊이는 3.22 ±.16 mm (3.-3.55 mm)였으며, 삽입된 ICL의 평균도수는 -14.1 ± 2.9디옵터(-19.5~-9.디옵터)였다. B군의 술 전 평균구면대 응치, 평균전방깊이 및 ICL의 평균도수는 각각 -9.9 ± 2.5디 옵터(-15.25~-4.25디옵터), 3.32 ±.23 mm (3.2-3.7 mm), 그리고 -14.2 ± 3.1디옵터(-.5~-6.디옵터)였다. 술 전 요 인에 따른 두 군 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1). 수술 후 평균구면대응치는 A군에서 -.23 ±.42디옵터 (-1.25~-.75디옵터)였고, B군에서 -.37 ±.48디옵터(-1.~.5디옵터)였다. 두 군에서 수술 전 교정시력(logMAR)은 각각.4 ±.11,.5 ±.에서 수술 후 -.5 ±.11, -.6 ±.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1). 수술 후 불빛 번짐 눈부심으로 불편을 호소한 경우가 A군에서 2안, B군에서 1안 있었으나, 렌스삽입술로 인한 지속적인 불편 을 호소하는 경우는 없었고 수술 중 렌즈손상, 렌즈 뒤집힘 등 렌즈 삽입에 의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 외 백내 74

- 이태희 외 : 렌즈삽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값 - Table 1.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ICL implantation Group B p-value Total number of eyes (M:F) (7:13) (5:15).5 Age (years) 3.6 ± 5.9 29.4 ± 5.2.48 (21-44) (-4) Spherical equivalent (diopter) -9.4 ± 2.4-9.9 ± 2.5.54 (-12.5~-5.25) (-15.25~-4.25) Anterior chamber depth (mm) 3.22 ±.16 3.32 ±.23.13 (3.1-3.55) (3.2-3.7) Implanted ICL spherical equivalent (diopter) -14.1 ± 2.9-14.2 ± 3.1.96 (-19.5~-9.) (-.5~-6.) Image quality (Signal strength/db) 8.8 ±.7 25.65 ± 1.5 - (8-) (23-2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p <.5. M = male; F = female; ICL = implantable collamer lens. * Spectralis OCT group; Stratus OCT group. Table 2.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amounts of increase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by Spectralis (group A) and Stratus (group B)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verage (μm) 96.4 ± 9.7 Group B 93.9 ± 5.6 Nasal (μm) 55.5 ± 16. Group B 56.2 ±.9 Inferior (μm) 117.5 ± 16. Group B 118.1 ± 12. Temporal (μm) 82.7 ± 12.7 Group B 91.8 ± 14.5 Superior (μm) 2.6 ± 14.2 Group B 9.2 ± 16.1 Preoperative Postoperative Amount of increase p-value 1.2 ± 8. 99.1 ± 5.3 57.5 ± 13.9 6.8 ± 11. 121.8 ± 15.2 123.3 ± 14.3 88.8 ± 12.8 96.4 ± 23.7 8.6 ± 14.2 116.2 ± 15.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Spectralis OCT group; Stratus OCT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p <.5. 4.8 ± 5.3 5.2 ± 6.6 2. ± 7.2 4.6 ± 11.4 4.3 ± 8.3 5.2 ± 9.6 6.2 ± 8.2 4.7 ± 14.8 6. ± 8.8 7. ± 11.4 <.1 <.1.16.9.3.3 <.1.17 <.1.1 장, 망막박리, 녹내장 및 수술 후 고혈압증 등은 없었다. A군의 술 전 망막신경섬유층의 평균 두께는 96.4 ± 9.7 μm였고, 비측, 하측, 이측, 상측사분면의 두께는 각각 55.5 ± 16. μm, 117.5 ± 16. μm, 82.7 ± 12.7 μm, 그리고 2.6 ± 14.2 μm였다. 술 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평균 1.2 ± 8. μm였고, 비측사분면 57.5 ± 13.9 μm, 하측사분면 121.8 ± 15.2 μm, 이측사분면 88.8 ± 12.8 μm, 상측사분면 8.6 ± 14.2 μm로 술 전에 비해 평균 두께 및 4개의 사분 면에서 모두 증가되었으며 평균 두께 및 하측, 이측, 상측 사분면에서는 증가량이 각각 4.8 ± 5.3 μm, 4.3 ± 8.3 μm, 6.2 ± 8.2 μm, 그리고 6. ± 8.8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양상을 보였다(p<.5, Table 2). B군의 술 후 망막신 경섬유층 두께는 평균 99.1 ± 5.3 μm, 비측 6.8 ± 11. μm, 하측 123.3 ± 14.3 μm, 이측 96.4 ± 23.7 μm, 상측 116.2 ± 15. μm으로, 술 전의 평균 및 비측, 하측, 이측, 그리고 상 측사분면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인 93.9 ± 5.6 μm, 56.2 ±.9 μm, 118.1 ± 12. μm, 91.8 ± 14.5 μm, 그리고 9.2 ± 16.1 μm에 비해 각각 5.2 ± 6.6 μm, 4.6 ± 11.4 μm, 5.2 ± 9.6 μm, 4.7 ± 14.8 μm, 그리고 7. ± 11.4 μm씩 증가되 어 측정되었으며, 이들 측정값 중 평균치, 하측 및 상측사 분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양상을 보였다(p<.5, Table 2). 술 전 구면대응치, 수술 전후의 구면대응치 변화량, 삽입 된 ICL의 도수, 수술 전후 망막신경섬유층 평균두께 및 각 사분면에서의 측정값의 변화 정도는 A군과 B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그 러나, A군에서 수술 전후 평균, 비측, 하측 및 이측사분면 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증가 정도는 각각 수술 전 측정된 75

- 대한안과학회지 14년 제 55 권 제 5 호 - Table 3.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mounts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change and pre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amounts of spherical equivalent change, and implanted ICL diopters Average r = -.6 Group B r = -.31 Nasal r = -.7 Group B r = -.9 Inferior r = -.4 Group B r = -.32 Temporal r = -.14 Group B r = -.12 Superior r = -.7 Group B r = -.15 SE = spherical equivalent; ICL = implantable collamer lens. * Spectralis OCT group; Stratus OCT group; Pearson s coefficient, all p >.5. Preoperative SE Changes of SE ICL diopters r =.8 r =.23 r =.6 r = -.4 r =.5 r =.25 r = -.1 r =.14 r =.6 r =.14 r = -.5 r = -.25 r = -.5 r = -.3 r = -.1 r = -.27 r = -.12 r = -.12 r = -.4 r = -.14 3 r = -.4 p =.2 r = -.33 p =.4 3 r = -.4 p =.2 Average ( m) 5 15 - Nasal ( m) 5 - Inferior ( m) 5 15 - Preoperative average Preoperative nasal Preoperative inferior - 3 r = -.38 p =.3 4 r = -.24 p =.17 Temporal ( m) - 5 15 Preoperative temporal Superior ( m) 3 5 15 - Preoperative superior Figure 2. Correlation of preoperative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with the amounts of RNFL thickness change in average and each quadrants in Spectrali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group (group 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preoperative average, nasal, inferior and temporal quadrant RNFL thickness with amounts of average, nasal, inferior and temporal increase, respectively. 평균, 비측, 하측 및 이측사분면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Fig. 2). B군에 서도 A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수술 전후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의 변화 정도는 이측사분면을 제외하고 평균, 비측, 하측 및 상측사분면에서 각각의 술전 측정값들과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평균, 비측 및 상측사분면에 서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 정도는 각각 술 전 평균, 비측 및 상측사분면의 두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76

- 이태희 외 : 렌즈삽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값 - Average ( m) r = -.58 p = <.1 Nasal ( m) 4 3 r = -.45 p =.3 5 15 5 - - - Inferior ( m) r = -.3 p =.11 Preoperative average Preoperative nasal Preoperative inferior 3-5 15 6 r =.29 p =. 4 r = -.46 p =.3 Temporal ( m) 4-5 15 Superior ( m) - 5 15-4 Preoperative temporal --4 Preoperative superior Figure 3. Correlation of preoperative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with the amounts of RNFL thickness change in average and each quadrants in Strat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group (group B).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RNFL thickness of preoperative average, nasal and superior quadrant thickness with amounts of average, nasal, superior increase,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results compared with Spectralis OCT group (group A). 가 있었다(Fig. 3). 고 찰 최근 근시가 녹내장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여러 보고 들이 있으며, 이에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신경섬유 층 두께의 측정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6,17,22-25 이 에 근시 환자를 대상으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망막 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한 후 근시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들이 수차례 보고된 바 있 으나 아직까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21,24,25 특히, Budenz et al 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망막신경섬 유층 두께를 측정한 결과 굴절률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간의 관련성은 없다고 하였으며, Savini et al 21 은 근시 환자 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에는 굴절률보다는 안축 장 및 시신경유두의 크기 등이 더 영향을 줄 것이라고 하였 다. 반면, Mohammad 24 에 의하면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굴절률의 변화 와 연관성이 있으므로 고도근시가 있는 경우 망막신경섬유 층 두께에 대한 빛간섭단층촬영 결과의 해석에 주의를 요 한다고 하였다. 유수정체 안내콘택트렌즈 삽입술은 레이저각막절삭가공 성형술 또는 레이저각막상피절삭가공성형술 등의 굴절교 정술을 시행할 수 없는 근시 환자에서 굴절교정술의 대안 으로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며, 유수정체 안내콘택트렌즈는 크게 전방렌즈와 후방렌즈로 나뉘어지며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개발되었다. 3 특히 ICL은 유수정체 안내콘 택트렌즈의 종류 중 후방렌즈에 속하는 것으로 1997년 국 내에 최초로 소개된 이후 시행된 연구결과에서 좋은 효용 성 및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26,27 이전 연구에 의하면 레이저각막절삭가공성형술을 시행 받 고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주사레이저편광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수술 전후에 의미있는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였고, 2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수 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술 전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 값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ICL 삽입술 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에 비해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 후 스펙트럼영 역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 정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77

- 대한안과학회지 14년 제 55 권 제 5 호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 시 평균 증가량은 이측에서 약 6.2 μm로 가장 많았고 비측에서 2. μm로 가 장 적었으며,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 시 상측 에서 7. μm로 가장 많았고 비측에서 4.6 μm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펙트럼영역과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 영기를 비교한 이전의 연구에서 두 기기의 평균 망막신경 섬유층 두께, 하사분면과 상사분면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상관관계가 강했고, 이측과 비측사분면 망막신경섬유층 두 께는 상관관계가 더 약하다고 하였다. 29-31 특히 비측사분면 은 상관관계와 반복성이 약한데 이는 레이저 광선의 입사 각으로 인하여 비측사분면이 어두운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32 본 연구에서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치 중 비측사분면에서만 두 기기 모두에서 술 전과 술 후의 유의 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두 기기를 이용하였을 때 비측사 분면의 상관관계와 반복성이 약한 것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생각한다. 구면대응치의 변화량이나 술 전 구면대응치, 삽입한 렌 즈의 도수 등은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측정된 망막신경섬유 층 두께의 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Wang et al 33 에 의 하면 굴절 오차가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 층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하였으며, Salchow et al 34 은 다양한 도수의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망막신경 섬유층의 두께를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결과 굴절률 의 변화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차이는 없었다고 하였다. 또한, Aristeidou et al 35 은 레이저각막절삭가공성형 술 또는 레이저각막상피절삭가공성형술 등의 굴절교정술 후 주사레이저편광측정기(scanning laser polarimetry)로 측 정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그리고 12개월째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 러나, 본 연구에서는 망막신경섬유층이 유수정체 안내후방 렌즈 삽입술 후 술 전과 비교하여 두껍게 측정되었는데, 이 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굴절률의 변화가 각막에서 발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수정체면에서 굴절률의 변화에 의한 확대 효과(magnification effect)의 감소가 발생했기 때 문에 나타난 결과일 것으로 생각한다. 확대 효과란 빛간섭단층촬영기에서 측정된 망막 영상의 크기보다 촬영된 망막 영상의 실제 크기가 더 크다는 효과 를 나타내는 것으로, Littmann 36 에 의해 고안된 공식으로 설 명된다(t=p q s). 즉, 망막의 실제 크기는 빛간섭단층촬영 기의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의 확대 상수(p), 안구 자체와 관 련된 확대 상수(q), 그리고 빛간섭단층촬영기에 찍힌 안저 영상의 크기(s)와 관련된다. 이 중 공식에 사용되는 상수 q 는 안구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데, Bennett et al 37 은 각막 굴절률, 안축장의 길이, 전방깊이, 수정체의 두께, 굴절률 등에 의해 상수 q가 달라진다고 하였다. Bayraktar et al 38 이 스캔 영역의 지름을 다르게 하여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를 측정한 바에 의하면 스캔 영역이 시신경유두에 가까울수록 망막신경섬유층이 두껍게 측정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술 전 근시안에서는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고 그로 인 해 빛간섭단층촬영기의 촬영으로 얻을 수 있는 망막신경섬 유층에 확대효과가 발생하게 되면서 원형의 스캔영역이 더 멀리 위치하게 된다. 반면에 렌즈삽입술 후에는 술 전 앞쪽 에 맺히던 상이 정시안에 맺히면서 확대효과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나타나는 원형의 스캔 영역이 수술 전과 비교하여 시신경유두와 더 가깝게 위치 하게 되므로 렌즈 삽입술 후에는 술 전에 비하여 망막신경 섬유층의 두께의 측정값이 증가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A군 과 B군에서 수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증가 정도는 수술 전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술 전 측정된 값이 작을수록 수술 전후의 증가 정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 은 안구 자체와 관련된 확대상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막 굴절률, 안축장의 길이, 전방깊이, 수정체의 두께, 굴절률 등의 영향으로 생각해 볼 수는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후향적 분석이었고 대상자 수가 적었다는 점 을 제한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 단층촬영기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의 경우 기기의 재현성을 증명하기 위해 연속으로 두 번 이상 검사한 측정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 번의 측정값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는 점이 제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에서 안축장의 길이가 확 대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과 달리 안축장의 길이 를 고려하지 않았던 것이 제한점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렌 즈의 도수 계산 시 필요한 정보에 안축장은 포함되지 않아 이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유수 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안축장의 길이의 측정을 통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와 안축장과의 연 관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 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신경 섬유층의 분석에 좀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요약하면,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삽입술을 시행 받은 근 시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 및 추적관찰 시 수술 전에 비해 두껍게 측정될 수 있어 그 결과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78

- 이태희 외 : 렌즈삽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값 - REFERENCES 1) Amoils SP, Deist MB, Gous P, Amoils PM. Iatrogenic keratectasia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less than -4. to -7. diopters of myopia. J Cataract Refract Surg ;26:967-77. 2) Jimenez-Alfaro I, Gomez-Telleria G, Bueno JL, Puy P. Contrast sensitivity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for high myopia. J Refract Surg 1;17:641-5. 3) Huang D, Schallhorn SC, Sugar A, et al.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for the correction of myopia: a report by the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Ophthalmology 9;116:2244-58. 4) Lee SY, Cheon HJ, Baek TM, Lee KH. Implantable contact lens to correct hig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1:1515-22. 5) Strampelli B. Tolerance of acrylic lenses in the anterior chamber in aphakia and refraction disorders. Ann Ottalmol Clin Ocul 1954; 8:75-82. 6) Fyodorov SN, Zuyev VK, Aznabayev BM. Intraocular correction of high myopia with negative posterior chamber lens. Ophthalmosurgery 1991;3:57-8. 7) El Danasoury MA, El Maghraby A, Gamali TO. Comparison of iris-fixed Artisan lens implantation with excim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 correcting myopia between -9. and -19.5 diopters: a randomized study. Ophthalmology 2;9:955-64. 8) Sanders DR. Matched population comparison of the Visian implantable collamer lens and standard LASIK for myopia of -3. to -7.88 diopters. J Refract Surg 7;23:537-53. 9) Schallhorn S, Tanzer D, Sanders DR, Sanders ML. Randomized prospective comparison of Visian toric implantable collamer lens and conventional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moderate to high myopic astigmatism. J Refract Surg 7;23:853-67. ) Alio JL, de la Hoz F, Perez-Santonja JJ, et al. Phakic anterior chamber lenses for the correction of myopia: a 7-year cumulative analysis of complications in 263 cases. Ophthalmology 1999;6: 458-66. 11) Budo C, Hessloehl JC, Izak M, et al. Multicenter study of the Artisan phakic intraocular lens. J Cataract Refract Surg ; 26:1163-71. 12) Quigley HA, Katz J, Derick RJ, et al. An evaluation of optic disc and nerve fiber layer examinations in monitoring progression of early glaucoma damage. Ophthalmology 1992;99:19-28. 13) Leung CK, Chan WM, Yung WH, et al. Comparison of macular and peripapillary measurements for the detection of glaucoma: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tudy. Ophthalmology 5;112: 391-4. 14) Medeiros FA, Zangwill LM, Bowd C, Weinreb RN. Comparison of the GDx VCC scanning laser polarimeter, HRT II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and stratus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the detection of glaucoma. Arch Ophthalmol 4; 122:827-37. 15) Hood DC, Raza AS, Kay KY, et al. A comparison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obtained with frequency and time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Opt Express 9;17: 3997-43. 16) Inoue R, Hangai M, Kotera Y, et al. Three-dimensional high-spe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of lamina cribrosa in glaucoma. Ophthalmology 9;116:214-22. 17) Leung CK, Cheung CY, Weinreb RN, et al. Retinal nerve fiber layer imaging with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 variability and diagnostic performance study. Ophthalmology 9; 116:1257-63. 18) Sharma N, Sony P, Gupta A, Vajpayee RB. Effect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nd laser-assisted subepithelial keratectomy on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J Cataract Refract Surg 6;32: 446-5. 19) Chen CS, Natividad MG, Earnest A, et al.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cataract and pupil size on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with time-domain and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lin Experiment Ophthalmol 11;39:215-21. ) Budenz DL, Anderson DR, Varma R, et al. Determinants of normal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d by Stratus OCT. Ophthalmology 7;114:46-52. 21) Savini G, Barboni P, Parisi V, Carbonelli M. The influence of axial length on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d optic-disc size measurements by spectral-domain OCT. Br J Ophthalmol 12;96: 57-61. 22) Lin LL, Shih YF, Hsiao CK, et al. Epidemiologic study of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myopia among schoolchildren in Taiwan in. J Formos Med Assoc 1;:684-91. 23) Kang SH, Kim PS, Choi DG. Prevalence of myopia in 19-year-old Korean m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and education or urbaniz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4;45:82-7. 24) Mohammad Salih PA. Evaluation of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myopic eyes by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 Glaucoma 12;21:41-4. 25) Kang SH, Hong SW, Im SK, et al. Effect of myopia on the thickness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measured by Cirrus H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vest Ophthalmol Vis Sci ;51: 475-83. 26) Han SY, Lee KH. Long term effect of ICL implantation to treat hig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7;48:465-72. 27) Chun YS, Lee JH, Lee JM, et al. Outcomes after implantable contact lens for moderate to hig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45:48-9. 28) Gurses-Ozden R, Liebmann JM, Schuffner D, et al.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remains unchanged following laser-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Am J Ophthalmol 1;132:512-6. 29) Knight OJ, Chang RT, Feuer WJ, Budenz DL. Comparison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measurements using time domain and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t tomography. Ophthalmology 9;116: 1271-7. 3) Budenz DL, Fredette MJ, Feuer WJ, Anderson DR. Reproducibility of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thickness measurements with Stratus OCT in glaucomatous eyes. Ophthalmology 8;115: 661-6. 31) Schuman JS, Pedut-Kloizman T, Hertzmark E, et al. Reproducibility of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ology 1996;3:1889-98. 32) Knighton RW, Qian C. An optical model of the human retinal nerve fiber layer: implications of directional reflectance for variability of clinical measurements. J Glaucoma ;9:56-62. 33) Wang XY, Huynh SC, Burlutsky G, et al. Reproducibility of and effect of magnification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easurements in children. Am J Ophthalmol 7;143:484-8. 34) Salchow DJ, Hwang AM, Li FY, et al. Effect of contact lens power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Invest Ophthalmol Vis Sci 11;52:165-4. 79

- 대한안과학회지 14년 제 55 권 제 5 호 - 35) Aristeidou AP, Labiris G, Paschalis EI, et al. Evaluation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measurement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using scanning laser polarimetry (GDx VCC).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8: 731-6. 36) Littmann H. Determination of the real size of an object on the fundus of the living eye. Klin Monbl Augenheilkd 1982;18:286-9. 37) Bennett AG, Rudnicka AR, Edgar DF. Improvements on Littmann s method of determining the size of retinal features by fundus photograph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4;232:361-7. 38) Bayraktar S, Bayraktar Z, Yilmaz OF. Influence of scan radius correction for ocular magnif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can radius with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 Glaucoma 1;:163-9. = 국문초록 =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삽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값의 변화 목적: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값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인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을 시행 받고 1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하였던 4명 4안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 로 분석하였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군(A군) 명 안과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군(B군) 명 안에서 수술 전후의 상측, 하측, 비측, 이측 및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두 군의 망막신경섬유층의 평균 두께와 A군의 이측, 하측, 상측, B군의 하측, 상측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값의 변화는 수술 전과 비교하여 수술 후 유의한 증가양상을 보였으나(p<.5), 이는 수술 전 구면대응치, 수술 전후의 구면대응치 변화량 및 삽입된 렌즈 도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유수정체 안내후방렌즈 삽입술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측정값의 변화를 측정 시 수술 전에 비해 두껍게 측정될 수 있어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대한안과학회지 14;55(5):72-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