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62D3131C0AFC8BFBCF72E687770>



Similar documents
<BFB5BBF3B9AEC8AD3139C8A32DC0FCC3BCBFCFBCBABABB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D DC1B6BCBABED62DB9D9C5C1C3BC2E687770>

합본.hwp

<30322DBCADC1A4B3B22E687770>

<32302DB3B2C7F6BCF72E687770>

5 291

152*220

* pb61۲õðÀÚÀ̳ʸ


03-교통이야기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10월추천dvd

2015년9월도서관웹용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 2 -

³»Áö_10-6

ÀÚ¿øºÀ»ç-2010°¡À»°Ü¿ï-3

CC hwp

º´¹«Ã»Ã¥-»ç³ªÀÌ·Î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레프트21

2002report hwp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

±¹Åä11-Ç¥Áö

<3133B9F828C0CCBCF6BFF8292E687770>

¾ç¼ºÄÀ-2

82-대한신경학0201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마리안의 유래

CR hwp

글청봉3기 PDF용


untitled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France.,. ( ).,,,,,,,. 3).,..,..., (Centres Locaux d'information et de Coordination: CLIC),. ),?, No.,,,.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나하나로 5호

E (2005).hwp

04 Çмú_±â¼ú±â»ç

52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pdf..

Á¦190È£(0825).hwp

(연합뉴스) 마이더스

와플-4년-2호-본문-15.ps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êÇÐ-150È£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hwp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041~084 ¹®È�Çö»óÀбâ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쌍백합23호3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_¸ñÂ÷(02¿ù)

피해자식별PDF용 0502

01¸é¼öÁ¤

Çѹ̿ìÈ£-197È£

02 THEATER 04 NEWS 05 PEOPLE 06 REVIEW 12 SPECIAL 14 SPECIAL 15 SPECIAL 16 COLUMN No ~10.24 NEXT plus NEXT plus NEXT plus NEXT plus

ALLEMAND

985-2.pdf

Á¦26È£Ãâ·Â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hwp

°¨Á¤Æò°¡

연구노트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untitled

148 한국교육학연구 제21권 제2호 I. 서 론 일반적으로 이주자들은 주류사회의 구성원과는 구별되는 타자 로 인지된다. 따라서 이주자 들은 정주자와는 구별되는 그들만의 특별한 정체성 을 가지고 있거나 때로는 정상성 1) 에서 벗어나 있는 존재로 회자된다. 한국사회에서

2003report 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ÆÞ¹÷-Æîħ¸é.PDF

아~ 대한민국

3¿ù.PDF

**09콘텐츠산업백서_1 2

R hwp

내지(교사용) 4-6부

2016년 신호등 1월호 내지(1219).indd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ad hwp

#遺€?됱궗?뚮뱾168?


¿©¼ºÀαÇ24È£

°ÇÃà8¿ùÈ£Ãâ·Â

(지도6)_(5단원 156~185)


º»¹®1ºÎ /29š


부시의 누나가 말한 것

µ¶¸³Á¤½Å45È£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Transcription: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통하여 본 서울 * 1) 1. 들어가는 글 <지하철 1호선>은 독일의 볼커 루드비히 작, 뷔르거 헤이만이 작곡 한 독일 그립스 극단의 <Linie 1>를 김민기가 번안하여 1994년 극단 학전에서 초연 이후, 2008년 4000회 공연을 기록한 한국 뮤지컬에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독일 그립스 극단의 원작은 고향에서 만난 록 가수의 아이를 임신해 대도시 베를린으로 그를 찾아 상경한 시골 처 녀 나탈리가 지하철을 타며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 며, <지하철 1호선>의 한국어본 번안은 독일 원작에 충실하면서도 한 국적인 상황과 등장인물들로 공연을 재구성하였다. <지하철 1호선>은 노래와 춤의 영역이 강조되는 시청각적인 공연 인 뮤지컬의 특성상 흥겹고 재미있지만, 이러한 이유로 동시에 관객 을 불편하게 한다. 공연은 관객들에게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어디인 가?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우리와 함께 지하철에 타고 있는 이들은 누구인가? 라는 불편한 질문을 던지는 서사극적 구성을 지향한다. 극 은 적나라하고 신랄하며 통렬한 사회 비판적 기능으로 일그러진 우리 이 논문은 2009년 우석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우석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부교수

사회의 모습을 직시한다. 공연은 현실 비판과 풍자를 통하여 서울의 모든 것이 서툴고 낯선, 한국어를 쓰지만 중국 문화권에서 온 조선족 처녀라는 이방인 선녀의 시선에서 포착되는 한국 사회의 모습을 해학 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연극 공간은 배우들이 현존하며 관객과 관계를 맺는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장소이면서 동시에 공연의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모든 기호 들의 추상적 집합체 1) 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극의 공간이 기호들의 집합이며 텍스트적이고, 무대적인 모든 기호들이 형상화되어 질 수 있는 곳 2) 이라 가정할 때, 본고에서는 <지하철 1호선>의 무대 공간의 분석을 통해 연극 기호가 지니는 특수성과 의미작용에 대해 살펴보 며, 등장인물들의 대사와 노래에 나타나는 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서 울이라는 도시가 공연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2. 극의 공간 / 무대 공간 공연은 1998년 11월의 서울이라는 지금, 여기 의 공간과 시간을 한 정지으면서 시작한다. 선녀가 지하철로 오가면서 만나는 사람들을 통 해 <지하철 1호선>은 주인공이 하루 사이에 겪게 되는 서울 사람들과 한국 사회의 모습을 그려낸다. 연극 공간을 분석하기 위하여서는 공간적 의미소들의 이원적 기능 작용을 살펴보며, 이원적 기능 작용을 하는 공간들의 의미작용망의 갈등과 함께 대립되는 공간들을 확정하고 3), 대립되는 공간들을 조직 화할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 차원에서 극의 공간이 상당수의 어휘적 1) A. Ubersfeld. L' école du spectateur. Editios sociales. p.50. 2) 안느 위베르스펠트.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문학과지성사. p.174. 3) A. Ubersfeld.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p.176.

한정사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면, 위베르스펠트는 공간에 관한 기 호 어휘적 영역들을 한정하기 위해서 장소적 한정어들을 발췌해 정리 하기를 권고한다. 4) 무대 기호가 이중적으로 유연적이며 어떤 것의 모 방이자, 자율적이고 구체적인 특정한 현실 속의 한 요소 5) 라 할 때, <지하철 1호선>에서 보여주는 서울이라는 공간은 지하철 내부라는 이동 중인 공간, 길거리인 서울역 광장, 오팔팔의 거리, 그리고 포장 마차와 같은 지상의 공간이며, 서울역 지하도와 지하철 승강장처럼 열린 공간이다. 위베르스펠트는 연극 공간의 분석을 위하여 공간의 변별성을 가늠 하는 좌표로 수평적/ 수직적, 깊이 / 표면, 폐쇄 / 개방, 가득 찬 공간 / 빈 공간, 내부 / 외부, 원형 / 장방형, 집중된 공간 / 확산된 공간을 제시 한다. 6) 위베르스펠트가 제시한 좌표 중 <지하철 1호선>의 공간 분석 에서 변별적으로 나타나는 대립항은 수평적 공간 / 수직적 공간, 폐쇄 적 공간 / 개방적 공간, 내부 / 외부, 집중된 공간 / 확산된 공간, 지상 / 지하 등을 들 수 있다. 개폐성: 개방(+) / 폐쇄(-) 수직 / 수평성: 수직(+) / 수평(-) 내외: 내부(+) / 외부(-) 집중 / 확산: 집중(+) / 확산(-) 지상 / 지하: 지상(+) / 지하(-) 우리는 위베르스펠트의 장소적 한정어들을 발췌한 무대공간의 좌 표들을 구성함으로써 <지하철 1호선>의 무대 공간을 분석해 보려 한다. 4) A. Ubersfeld.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p.161. 5) A. Ubersfeld.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pp.152-153. 6) A. Ubersfeld. L' école du spectateur. pp.89-98.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무대 밖 공간 무대 안 공간 무대 밖 공간 무대에 표현되지 않으며 등장인물들에 의해 언급되는 무대 밖 공 간은 먼저 서울의 이방인인 등장인물들의 고향이다. 선녀의 고향 연 변, 선녀와 제비가 만난 장백산, 외국인 노동자인 깜상의 고향 등 한 국이 아닌 외국의 장소를 지시하기도 하며,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한 걸인 문디. 땅쇠, 빨강바지의 고향처럼 서울에 대립하면서, 무대에서 는 보여지지 않는 무대 밖 공간(강원도, 청송교도소, 의정부, 말죽거 리, 인천, 안산, 수원, 금토동)을 지시하기도 한다. 또한 공연에서는 무 대에서 보여지지 않는 다양한 서울의 지명들(용산역, 경동시장, 남대 문 시장, 난지도, 미아리, 대학로, 압구정동, 동대문지하도, 청와대, 남 산, 한강, 강남, 우면동, 을지로 3가, 이태원, 성수, 잠실, 왕십리, 성북 등)이 등장인물들에 의해 회상되며 불리워진다. 가진 것 없이 혈혈단신이면서 성한 곳 없는 육신으로 불법 포장마 차를 운영하는 곰보 할매는 수시로 단속반과 대립하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서울이 살만한 곳이라는 희망을 노래한다. 산다는 게 참 좋구나, 아가야 이제 새 날이 시작되니 더더욱 좋아 내 맥박은 뛰고 혼백도 살아 남산엔 단풍잎이 흐드러졌네 저 한강물 위로 물새가 나르면 산다는 게 참 좋구나 이 서울에 7)

<지하철 1호선>에서 유일하게 서울의 서정성이 드러나는 부분은 7 장 포장마차의 곰보할매의 솔로인 노래 12부분이다. 안경의 서울의 노래 는 부패한 서울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고 있는데 반해, 곰보할 매가 회상하는 서울의 모습은 단풍잎이 흐드러진 남산과, 물새가 날 아오르는 한강의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이다. 남산이나 한강은 공 연에서는 무대를 통하여 보여지지 않는 무대 밖 공간이지만, 곰보할 매의 솔로 곡으로 불리워지는 노래 12를 통해 환기되며 관객들의 상 상력으로 재구축되는 서울의 서정적 공간이다. 무대 안 공간 공연에서 보여지는 서울의 장소는 지하철 1호선의 열차 안과 지하 철 1호선의 시발점인 서울역 부근의 서울역 광장, 서울역 광장의 곰 보할매 포장마차, 서울역 지하도, 지하철 승강장, 종착역인 청량리역 근처의 오팔팔로 한정되어 있다. 1장부터 10장까지 극의 모든 공간에 나타나는 등장인물은 주인공 선녀이다. 선녀는 지상 / 지하로 지하철 을 이용하여 끊임없이 이동한다. 선녀-등장인물-배우라는 기호는 다 양한 극적 공간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공간으로 침투한다. 극에서 4개의 장면은 지하철 1호선의 열차 안이라는 폐쇄된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지하철 1호선은 서울에서 제일 먼저 건설 되었으며 서울의 강북 지역을 관통하는 가장 낙후한 지하철이다. 지 하철에 대한 설명은 IMF 시찰단을 인솔하고 지하철을 타려는 서울 시장의 설명으로 희화적으로 표현된다. 공연에서 서울 시장은 지팡이 를 짚은 무기력한 노인으로 표현되며 IMF 시찰단을 맞은 시장은 지 하철 내부가 아닌 계단 위에서 지하철의 운용에 대해 설명한다. 7) 김민기.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 학전. 2008. p.79.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시장: 에, 여러분께서는 오늘 수도권 대중교통 정책의 핵심사업인 서울 지하철의 운용상황을 살펴보시겠습니다. 오늘 타시게 될 1호 선은 고 박정희 대통령의 용단으로 일본의 전철회사가 설계부터 완 공까지 막대한 이익을 남기고 일천구백칠십사년에 개통된 것이며, 2호선은 영국의 회사가, 3/4/5/6/7/8 호선은 또 그러그러한 회사 들이 각기 막대한 이익을 남긴 사업들인 것입니다. 따라서 각 시공 회사의 특징을 살려 1호선은 좌측통행, 나머지 것들은 우측통행이 라는 점이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자랑이라면 자랑이라고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자 그러면 1호선! <노래 12-a> 일호선 -a-1 / 2 / 3 시장: 서울역, 시청역, 종각역 지나 종로 3가역 종로 5가, 동대문역, 신설동 지나 제기동역 조금만 더 가면 청량리역, 언제나 즐거운 1호선! 8) 시장의 노래로 지하철 1호선의 노선이 나열되며, 대사를 통하여서 는 지하철 건설에 관련된 정보가 제시된다. 지하철 운용상황을 살피 러 온 시찰단 앞에서의 시장의 설명은 70년대의 경제개발 시대에 일 본 회사에 의해 개통된 지하철 1호선만이 다른 호선들과 달리 좌측통 행인 이유와 지하철 건설 사업에 참여한 외국의 수주회사들이 서울의 지하철 건설에서 폭리를 취했음을 적나라하게 폭로한다. 비현실적이 지만 풍자적인 시장의 대사와 노래를 통해 <지하철 1호선>에서 서울 은 사회적 지시 공간이면서 동시에 연극적 상상의 공간이다. 지상 지하 2막 10장으로 구성된 <지하철 1호선>에서 선녀는 서울역에서 청량 8) 김민기.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 pp.88-89.

리까지, 청량리에서 서울역까지의 여정을 1부에서 한 번, 2부에서 한 번 씩 두 번 반복하여 이동한다.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된 <지하철 1 호선>에서는 지하철 열차 안에서의 장면과 지상의 장면이 교차된다. 폐쇄된 공간인 열차 안의 인물들은 지하철을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익 명의 승객들에서부터 강남 사모님인 과부 1, 2, 3, 4, 시장과 IMF 시찰 단, 잡상인, 선교사, 소매치기 등 다양한 인물군을 이룬다. 이동 중 공 간인 지하철속의 인물들을 통하여 한국사회라는 사회 공간의 두드러 진 특징이 드러난다. 공연에서 이동 중인 지하철이라는 공간의 변동 은 지하철 구내방송의 녹음된 멘트와 등, 퇴장 인물들의 변화로 표현 된다. 공연에서는 4, 6, 8, 9장이 지하철 내부의 장면을 보여준다. 4장(서 울역- 청량리역)은 선녀가 제비를 찾아 청량리 오팔팔로 떠나는 열차 안 장면이며, 6장(청량리역-서울역)에서는 오팔팔에서 약혼자 제비를 만나지 못한 선녀는 오팔팔에 남겨져 겁탈당할 뻔 하지만, 안경의 도 움으로 탈출 후 다시 서울역으로 가며, 여대생, 남대생, 노인, 노파, 영 자와 병태, 깔탕, 날탕과 소매치기, 엄마, 아빠, 큰놈, 작은놈, 잡상인, 협박공갈범 빨래판, 전도사 같은 지하철 속의 다양한 인물들과 조우 하게 된다. 8장(서울역-청량리역) 선녀의 꿈에서 시작하여 과부 1/2/ 3/4 (강남 사모님들), 취객, 걸레, 소녀 가장과 장애인 동생, 포인터, Fuck의 다양한 인물들이 나오며 선녀는 인신매매범 포인터에 의해 의 정부로 팔려갈 뻔 하고, 9장(청량리역-서울역)의 여정을 통하여 지하 철 운행 도중 사고가 나고 이는 오팔팔의 창녀인 걸레의 죽음임이 밝 혀진다. <지하철 1호선> 공연에서는 지하에서 지상을 나아가는 연결통로로 무대에 위치한 계단을 사용했다.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수평적 공간 수직적 공간 공연의 1장에서 선녀는 가방을 들고 등장하여 서울역 광장의 계단 을 내려오며 계단에 앉아 솔로 곡을 부른다. 뮤지컬에서는 공연 시작 부터 관객의 주의를 사로잡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극의 시작은 주 인공의 솔로 곡으로 시작하는데 <지하철 1호선>에서는 선녀의 등장 과 함께 6시 9분 서울역 이라는 선녀의 솔로 곡으로 시작된다. 희곡 에서는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다른 인물로부터 전해 듣거나 다른 인물들이 그에 대해 말하는 것을 통해 알아내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지만, 뮤지컬에서는 노래를 통해 등장인물들이 자신에 대해 직접 이야기 9) 하며 선녀는 서울의 도착과 약혼자를 만날 희망을 서울역 6 시 9분 이라는 솔로 곡을 통해 표현한다. 1장에서 서울역 광장을 나타 내던 계단은 2장에서는 서울역 지하도의 계단으로 바뀌며 이러한 공 간과 장면의 변화는 등장인물들의 공간 점유방식과 이들의 대사, 관 객들의 상상력을 통해 변화한다. 연극 공간의 특성은 수평적이라는 것이며, 수직성은 본질적으로 배우들의 수직 구조에 의해 주어진 다. 10) 계단이라는 무대장치는 수직성을 나타내는 구조물로 2장 서울 역 지하도에서 거지, 취객 등의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은 계단 밑에 위 치한다. 상승 하강 선녀 안경 걸레 <지하철 1호선>의 주인공은 연변에서 온 조선족 처녀 선녀이며 백 두산에서 아르바이트로 관광 가이드를 하던 중 관광객으로 온 제비를 만나 임신하게 되었다. 제비가 적어준 주소를 들고 서울에 도착한 선 9) 스티븐 시트론. 뮤지컬 기획, 제작, 공연의 모든 것. p.301. 10) A. Ubersfeld. L' école du spectateur. p.89.

녀는 청량리 오팔팔에서 제비가 준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가짜 주소 임을 확인하게 된다. 믿었던 약혼자를 만날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아 이를 임신한 채 연변으로 돌아가야 하는 선녀는 지하철에서 다시 만 난 걸레 앞에서 죽고 싶다고 울지만, 막상 죽음을 선택하는 사람은 선 녀를 위로하던 걸레이다. 실업 노동자인 안경을 도피중인 운동권 대 학생으로 오인하여 안경을 지극정성으로 돌보며 사랑하던 걸레는 청 량리 오팔팔에서 안경의 노래를 듣겠다고 지하철을 타고, 결국 지하 철에서 안경의 구애를 받지만 선로로 추락하여 죽음을 선택한다. 가 짜 운동권 대학생으로 살아온 것에 죄책감을 느끼며 걸레의 죽음에 좌절하던 안경과, 결국 약혼자인 제비를 만나지만 태어날 아이의 아 버지 역할을 회피하기 위해 선녀 앞에서 자신이 제비라는 것조차 부 정하는 제비에게 좌절하던 선녀는 함께 좌절을 닫고 마지막 지하철을 타고 지상으로 나아간다. 선녀와 안경은 삶을 선택하며, 지하도에서 지하철로, 그리고 지상 의 세상으로 나아간다. 지하철에서 선로로 추락하는 걸레의 하강은 죽음을, 지상으로 올라가는 선녀와 안경의 상승은 삶이라는 수직성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개방적 공간 폐쇄적 공간 <지하철 1호선>에서 지하철 안 이라는 폐쇄된 공간을 제외한 대부 분의 공간은 열린 공간, 개방된 공간을 지향한다. 광장과 길거리, 지 하철 승강장, 지하도의 계단, 포장마차 등은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공공의 장소이다. 10개의 장면 중 7장면은 지하에서, 3장면은 지상에 서 일어난다. 서울역 광장, 오팔팔의 거리는 각각 지하철 1호선의 종 착역의 지상을 나타내면서 개방된 공간으로 표현되며, 서울역 광장의 곰보할매의 포장마차라는 불법 구조물은 개방된 광장 안의 임시적 공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간이다. 집중된 공간 확산된 공간 서울역 광장의 곰보할매 포장마차 개방된 공간 안의 집중적 공간 확산된 공간은 서울역 광장, 오팔팔의 거리, 서울역 지하도 등이다. 수많은 익명의 승객들이 타고내리는 지하철 안도 확산된 공간으로 간 주 할 수 있다. 극에서 유일하게 집중된 공간은 포장마차이다.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현실을 직시하며, 인간애를 잃지 않고 이웃들을 따뜻 하게 배려하는 곰보할매는 거친 말투와 욕설을 입에 달고 살지만 삶 에 지친 등장인물들을 보듬어 안는 어른의 역할을 하며 등장인물들은 곰보할매의 포장마차에서 위로를 받는다. 극에서 지상의 공간인 포장 마차는 단속반에 의해 철거 대상인 불법 임시 구조물이지만 서울역 광장의 사람들과 오팔팔의 사람들이 만나고 뒤섞이는 곳이다. 곰보할 매의 포장마차는 불법 구조물로 단속반의 표적이 되며 철거대상이 되 면 언제라도 사라질 수 있는 불안정한 간이 시설이지만 극에서 지상 과 지하, 개방과 폐쇄라는 두 대립 공간의 완충 지대의 역할을 하는 집중적 공간이다. 무대공간의 좌표들 2막 10장으로 이루어지는 <지하철 1호선> 공연에서 표현되는 서울 의 공간은 다음과 같이 장별로 극의 장소와 장소의 변별적 특징들을 정리할 수 있다. 1부. 1. 서울역 광장 (개방 / 수직 / 외부 / 확산 / 지상)

2. 서울역 지하도 (개방 / 수직 / 외부 / 확산 / 지하) 3. 지하철 서울역 승강장 (개방 / 수평 / 외부 / 확산 / 지하) 4. 열차 안(서울역-청량리역) (폐쇄 / 수평 / 내부 / 확산 / 지하) 5. 오팔팔 (폐쇄 / 수평 / 외부 / 확산 / 지하) 6. 열차 안 (청량리역-서울역) (개방 / 수평 / 내부 / 확산 / 지상) 7. 포장마차 (개방 / 수평 / 외부 / 집중 / 지상) 2부. 8. 열차 안 (서울역-청량리역) (폐쇄 / 수평 / 내부 / 확산 / 지하) 9. 열차 안 (청량리역-서울역) (폐쇄 / 수평 / 내부 / 확산 / 지하) 10. 서울역 지하도(개방 / 수직 / 내부 / 확산 / 지상) 우리는 <지하철 1호선>의 각 장의 공간 분석을 통하여 공간적 의 미소의 이원적 기능 작용에 따른 대립항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도표를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역 광장 지하도 지하철승강장 열차 안 오팔팔의 거리 포장마차 3. 등장인물들의 공간 점유 방식 서울이라는 익명성의 공간에서 움직이는 대부분의 등장인물은 다 양한 유형으로 존재하지만 <지하철 1호선>에서 등장인물들의 이름은 고유명사가 아닌 익명의 일반명사들로 사용된다. 11) 주인공 선녀의 이 11) 모든 배역의 이름은 익명의 일반명사이다. 김민기.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 p.142.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름도 나무꾼에게 옷을 빼앗겨 하늘로 오르지 못한 선녀와 나무꾼 에 나오는 선녀이며 제비, 빨강바지, 포인터, 안경, 곰보할매, 걸인 문디, 땅쇠, 청소부, 노인, 노파, 깔탕, 날탕, 소매치기, 빨래판, 시장, 기자, 과부, 깜상, Fuck 까지 <지하철 1호선>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인물군 들을 희화적으로 보여준다. 철수나 병태, 영자 같은 고유명사처럼 보 이는 등장인물들의 이름들도 익명의 평범한 보통 남녀를 지칭하기 위 한 일반 명사화된 이름들이다. 강남 사모님들인 과부 1, 2, 3, 4는 사 치품의 쇼핑을 위해 지하철을 탄 상류층의 사치와 부패를 조롱하는데 공연에서는 여자로 분한 네 명의 남자 배우들을 이용하여 희극적 차 원을 배가시킨다. 선녀 서울사람들 극은 주인공인 선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진행된다. 극의 시작에서 이방인인 선녀와 서울사람들의 대립이 극명히 드러난다. 하지만 선녀 가 서울에서 만나는 서울 사람들의 모습도 다양하며, 이들 대부분은 지방이나 외국에서 일거리를 찾아 서울로 유입된 사람들이다. 선녀 또한 서울이라는 낯선 공간에 들어온 이질적인 인물이다. 서울역 광 장에 도착한 선녀는 서울에 도착하자마자 서울의 냄새를 후각으로 감 지한다. 선녀가 1장에서 솔로로 부르는 첫 노래인 서울역 6시 9분 에 서 서울의 냄새는 대도시의 냄새, 사치와 타락의 비린내, 뒤엉켜 서 있는 자동차 매연과 향수 냄새, 광란의 바로 서울의 냄새 (1장 6시 9 분, 서울역 )이다. 서울에 사는 다양한 사람들의 말들, 곰보할매의 이 북 사투리, 걸인 문디의 경사도 사투리와 땅쇠의 전라도 사투리, 열차 문 여닫는 소리, 열차 안에서 녹음된 안내 멘트, 지하철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사람들의 대화는 청각적 감각을, 지하철과 서울역, 광장, 오팔팔 등의 발견, 지하철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 등은 시각적 감각

을, 가출 소녀들인 깔탕, 날탕이 선녀의 가방을 털려는 소매치기들을 발견하고 이들에게 접근하여 이들을 만지며 도리어 치한으로 몰아붙 이며 이들을 퇴치하는 장면의 촉각, 곰보할매의 포장마차에서의 어묵 국물의 맛으로 표현되는 미각 등 선녀가 서울을 체험하는 것은 다양 한 감각, 즉 오감을 통해서이다. 걸레의 죽음이라는 사고로 잠시 멈춘 지하철에서 익명의 승객들의 반응은 차갑고 무감각하지만, 철수와 안경은 노래 16 가버린 그녀 를 통해 사람들의 무관심을 노래한다. 선로에 추락하므로써 자살이라는 행위를 선택한 걸레만이 극의 공간에서 사라지며, 극의 시작에서 서 울의 이방인이었으며 이질적 존재로 끊임없이 서울역과 오팔팔 사이 를 지하철을 통해 이동하던 선녀는 마지막 장에서 하루 동안 만난 사 람들의 도움으로 이질적인 서울이라는 공간 안으로 포용된다. 결국 선녀는 서울에서 만난 사람들의 도움으로 서울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 작한다. 공간을 차지하기 위한 대립 극의 공간이 변별적 특징들과 공간적 의미소들에 의해서 구별되거 나 대립된다면, 공간의 대립은 극의 갈등으로 연결된다. 공공성을 내 세우며 불법구조물인 포장마차를 철거하려는 철거반과 포장마차를 지키려는 곰보할매와 친구들의 대립은 곰보할매의 잠정적 승리로 끝 나지만, 철거반과 곰보할매의 대립은 일상적으로 다시 반복되리라는 것을 극은 암시한다. <지하철 1호선>에서의 10개의 장면에서 보여지는 공간은 모두 열 린 공간이다. 길거리, 지하도, 열차 안, 포장마차 등 이러한 열린 공간 이 지닌 지시체는 무대 밖이든, 무대 안이든, 현실의 서울 속에 위치 하는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장소들로 관객들이 상상할 수 있는 서울의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장소들을 지시한다. <지하철 1호선>에서는 서울의 사적인 공간이 아 닌 사회적 공간만이 제시된다. 곰보할매의 불법 포장마차도 사적인 공간이 아닌 그 누구나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지하 철 1호선>의 공간은 사회적이며 공적인 공간이면서 사회의 인신매매 범, 거지, 청소부 같은 소외된 사람들에 의해 점유되는 불안정한 공간 들이다. 빈 공간을 사용하며 최소한의 장치와 오브제로 무대를 표한한 김 민기 연출은 장면 변환을 등장인물들이 공간을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파비스의 고찰처럼 연출 작업이란 현실을 무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기호화하는 것 12) 이라면 <지하철 1호선>에서 김민기의 연출 작업은 배우라는 기호로 빈 무대의 다양한 공간을 채워가는 방 식을 선택한다. 김민기는 장면 구성의 극 구조를 사용하며, 배우들이 1인 다역을 소화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등장인물들을 형상화하며, 라 이브로 연주하는 록 밴드를 무대 전면에 배치하고, 배우들이 관객에 게 직접 말을 거는 등의 다양한 서사극적 기법을 사용한다. 4. 지시체로서의 서울 코우잔이 지적하듯이 언어적이거나 비언어적인 연극 기호의 지시 체는 무대 내적이거나 무대 외적이고, 허구 내적이거나 허구 외적이 며, 지시체의 연쇄의 끝에서 지시체들은 언제나 실제적인 혹은 상상 적인 연극의 외부세계에 도달하게 되는 것 13) 이라면 <지하철 1호선> 에서 공연은 무대 내적 지시체이도 하며 무대 외적 지시체이도 한 서 울이라는 도시 공간을 상상적이며 실제적인 극의 형태로 재현한다. 12) P. Pavis. Problèmes de la sémiologie théâttrale. Presses universitaires de Lille. p.148. 13) T. Kowzan. Sémiologie du théâttre. Nathan. 1992. p.171.

서울을 나타내주는 장소적 의미소는 등장인물들의 노래와 대사를 통 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 <지하철 1호선>의 등장인물들은 대사와 노 래를 통해 끊임없이 극이 진행되는 곳이 서울임을 알려주지만, 극에 서 표현되는 서울의 이미지는 서울이라는 객관적 세계의 부분적 반영 이며, 서울이라는 지시세계에서 차용되거나 전환되어 극적으로 재창 조된 서울의 이미지들이다. 안경: 서울, 하늘 아래 단 한 곳 사방이 온통 남쪽뿐인 이상한 도시 펄펄 끊는 가마솥도 이보다는 더하지는 못 하리 1. 견디기 힘든 이 열병이 끝나지 않는 한 노래를 부르리, 서울의 노래 2. 너 청와대와 총독부, 또 주둔군 사령부 노래를 부르리, 서울의 노래 나무 등걸도 없이 6백년을 자라온 너 거대한 독버섯 서울특별시여! 3. 토해 논 라면을 밟고서 배기가스를 마시며 난 노래를 부르리 서울의 노래 - (pp.70-71) 뮤지컬에서 음악은 가사와 섞여 들면서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말 이 생각을 여과해 낸 것이라면 음악은 주인공의 가장 내면적인 성격 을 표현하고 관객들로 하여금 노래하는 사람의 분위기 에 젖어들게 하는 힘이 있다. 14) 안경이 서울역 광장에서 부르는 서울의 노래 는 곰보할매가 아 서울 놈들에게 서울 욕하는 노래를 불러주무는 어나 14) 스티븐 시트론. 뮤지컬 기획, 제작, 공연의 모든 것. p.302.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골 빈 아새끼레 돈을 주갖네? (p.68)라 언급하듯이 독설적이며 비판 적이다. 연극 공간 안에 주어진 것은 결코 세계의 한 이미지가 아니 라, 한 이미지의 이미지이며, 모방된 것은 세계가 아니라 허구와 특정 한 문화와 코드의 범주 내에서 재건축된 세계 15) 라면 안경의 서울의 노래 에 나타나는 서울은 익명성의 대도시이며, 물신과 자본주의에 지배되는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場 이다. 5. 나가는 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미국의 브로드웨이와 영국의 웨스트 앤드 를 중심으로 발달한 뮤지컬은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 춤과 노래를 좋아하는 한국인의 성향에 잘 부합하는 대중예술 장르로 부상하고 있 다. 텍스트 / 공연 텍스트의 관계가 상호 텍스트성을 구축하는 호혜적 인 제약들의 통합체 16) 라면 뮤지컬 대본과 뮤지컬 상연의 관계는 연 극에서 텍스트와 상연의 관계, 문학적 텍스트로서의 희곡과 상연의 관계와는 차별화된다고 볼 수 있다. 간결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시와 마찬가지로 뮤지컬 대본에서는 모든 마디가 계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평균 뮤지컬 대본은 90페이지 정도이며 17) 약 2시간 30분의 공연 시간 을 기록하는 <지하철의 호선>의 대본은 130페이지의 분량이다. 연극 에서는 긴 분량의 공연이 가능하지만, 대본의 내용을 대사뿐 아니라 노래와 춤으로 전달하는 뮤지컬 공연에서는 분량의 제약이 있을 수밖 에 없다. 등장인물이 혼자 부르는 솔로 곡부터 듀엣, 트리오, 단체 합 창곡까지 <지하철의 호선>에서는 10개의 장면 사이에 17개의 노래를 15) A. Ubersfeld. L' école du spectateur. p.67. 16) 케어 엘람. 연극과 희곡의 기호학. p.246. 17) 스티븐 시트론. 뮤지컬 기획, 제작, 공연의 모든 것. p.65.

배치한다.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서울이라는 공간을 단순히 모방하는 것 이 아니라 서울이라는 공간을 나타내는 극적 기호들로 공연을 구성한 다. 무대 공간은 어떤 사회-역사적 공간의 복제가 되는 대신에 그 공 간의 은유나 환유와 같은 수사학적 치환 18) 이라면, 지하철 1호선이라 는 연극적 기호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지 하철 1호선은 서울이라는 환유의 공간적 등가물이기도 하다. 지하철 1호선이라는 지시체와 서울이라는 지시체가 일치하면서 지하철 1호 선은 은유화된 연극 기호로서 서울이 된다. 익명의 승객들이 타고 내 리는 지하철은 익명의 행인들이 지나다니는 익명성의 대도시 서울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지하철은 다양한 사회계층에 의해 체험된 익명 성의 공간이다. 서울역 광장과 청량리 오팔팔의 길거리, 서울역의 포 장마차로 표현되는 지상의 공간이나 서울역 지하도, 열차 승강장, 이 동 중인 열차 안으로 표현되는 지하의 공간 등 록 뮤지컬 <지하철 1 호선>에서 나타나는 극 공간들은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공공의 장소 로서의 공간이면서 불안정한 공간들이다. 연극에서 무대 공간이 어 떤 사회 공간, 혹은 사회-문화적 공간의 도상이자 동시에 추상화처럼 미학적으로 구축된 기호들의 총체 19) 라면 <지하철 1호선>에서 구축 하는 무대 공간은 서울이라는 공간을 통하여 동 시대의 서울에 살고 있는 인간군상과 20세기 말의 서울에서 벌어지는 사회 현상을 조망하 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 장에서 서울이라는 도시 속에 이방인인 선녀가 도시의 일 원으로 포용되며, 곰보할매, 철수, 안경 등 몇 시간 전까지 선녀와 일 면식도 없었던 등장인물들이 선녀의 서울 정착과 태어날 아이를 돌볼 18) A. Ubersfeld. L' école du spectateur. p.69. 19) A. Ubersfeld.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p.153.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것이라는 암시가 제시된다. 연극성은 세계의 비-의미망으로부터 하나 의 의미 집합을 만들며 무대 공간에 새겨지고, 관객에 의해 순서대로 정리되고 읽혀지는 의미작용망들이 외부 세계에 대한 판독으로 전이 되어 외부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가역의 의미망이 라면 20), <지하철 1호선>은 21세기의 한국사회에서 벌어지는 사회현 상에 대한 통렬한 비판 속에서도, 서울이라는 공간을 채우고 있는 인 간의 무관심, 비정함, 물욕, 사기, 인신매매 등의 이면에는 인간에 대 한 배려와 연대의식에 대한 희망이 있음을 선녀와 주변인물들을 통해 그려낸다. <지하철 1호선>은 변화하는 서울의 모습을 새롭게 담기 위하여 새 로운 버전을 준비하고 있다 한다. 숭례문 방화, 용산 참사 같은 동시 대의 우리 사회의 모습을 포착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으며 서 울이라는 공간을 뮤지컬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담아낼 때, <지하철 1 호선>은 뮤지컬이라는 장르가 불러일으키는 가볍고 오락적일 뿐이라 는 편견을 넘어서며 서사적 뮤지컬이라는 새로운 장을 여는 공연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Volker Ludwig 작, Birger Heymann 음악, 김민기 번안, <록 뮤지컬 지 하철 1호선>. 극단 학전. 2007. Tadeusz Kowzan, Sémiologie du théâtre. Nathan. 1992. Patrice Pavis, Problèmes de la semiologie théâtrale. Presses de l'université 20) A. Ubersfeld.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p.155.

de Québec. 1975., Voix et images de la scène. Presses Universitaires de Lille. Lille. 1982., L'analyse des spectacles. Nathan. Paris. 1996., Dictionnaire du théâtre. Dunod. Paris. 1996. Jean-Pierre Ryngaert, Lire le Théâtre contemporain. Dunod. 1993. Anne Ubersfeld, Lire le théâtre. I. Editions Sociale. Paris. 1977.(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문학과지성사. 1986.), L'école du spectateur. Editions Sociale. Paris. 1981. 마틴 에슬린. 김문환 김윤철 옮김, 극마당: 기호로 본 극. 현대미학 사. 1993. 움베르토 에코. 서우석 옮김, 기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1985. 서우석 전지호 옮김, 기호학과 언어철학. 청하. 1987. 케어 엘람. 이기한, 이재명 옮김, 연극과 희곡의 기호학. 평민사. 1998. 앙드레 엘보. 신현숙 이선형 옮김, 공연 예술의 기호. 연극과인간. 2008. 스티븐 시트론. 정재왈 정명주 옮김, 뮤지컬 기획, 제작, 공연의 모 든 것. 열린책들. 2001. 김치수 김성도 박인철 박일우, 현대 기호학의 발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1990., 한국 현대극의 무대 읽기. 연극과인간. 2002. 김명화, 5년째 달리는 지하철 1호선 의 풍경. 창작과 비평 1998. 여름 100호. 김창남, 김민기의 지하철 1호선 : 청년문화의 21세기적 가능성 진 보평론 2000. 여름. 제4호.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Séoul vu par le musical rock Métro ligne 1 Le musical rock Métro ligne 1, adapté du musical rock allemand Linie 1-Musikalische Revue' de V.Ludvig a été créé en coréen en 1994 par le troupe théâtral Hakchðn. Depuis sa création, il a fait un grand succès et il a été joué jusqu à la fin du l'année 2008, donnant la 4,000ème représentation. Kim Minki, adaptateur et metteur en scène de ce spectacle l'adapte d'une manière pour que les circonstances et des personnages soient appropiés à la situation coréenne bien qu'elle reste fidèle du musical allemand d'origine de V.Ludvig. Ici et maintenant de Métro ligne 1 se situe à Séoul, en novembre 1998. Le spectacle suit l'itinéraire de l'héroȉne, Seonnyeo, chinoise d'origine coréenne, étrangère de la ville de Séoul. Par les gens lesquelles l'héroȉne rencontre en un jour à Séoul, Métro ligne 1 démontre la société coréenne et les gens qui y habitent. Dans notre travail, nous avons examiné comment les personnages ocuppent l'espace scènique et comment la ville de Séoul est représentée dans le musical Métro ligne 1. Le metteur en scène, Kim Minki, préfère l'espace presque vide dans Métro ligne 1. Pas de décors et très peu d'objets scèniques, l'espace est disposé essentiellement pour le jeu des acteurs. Ceux qui occupent l'espace scènique vide, ce sont les personnages et les objets qui

produisent le signes scèniques. La mise en scène de Kim Minki, dispose les divers procédés du théâtre épique, tel les multiples rôles pour un acteur, le discours théâtral directement énoncé au public, les musiciens sur scène pendant le spectacle etc. Métro ligne 1 représente la ville nommé Séoul d'une manière imaginaire et réel. Elle est présentée par le discours des personnages et par les chansons variés. Les personnages de Métro ligne 1 rappellent sans cesse que le lieu de l'acion se passe à Séoul Mais les images de Séoul dans le spectacle sont le reflet partiel du monde objectif, dit Séoul, ils sont adaptées et recrées d'une façon théâtrale. Dans Métro ligne 1, Séoul, le métropole des anonymes est le lieu où les complexités et les contradictions de la societé coréenne se révèlent. Le spectacle n'imite pas l'espace nommé Séoul, mais il est reconstruit par des signes théâtraux représentant l'espace dit Séoul. Les signes théâtraux montrent la ville de Séoul métaphoriquement. Le métro ligne 1 est aussi l'équivalent spatial de métonymie de la ville de Séoul. Le référent le métro ligne 1 et celui de Séoul s'accordent, le métro ligne 1 devient un signe théâtral métaphorique qui représente Séoul. Si l'espace théâtral est le moyen de montrer le rapport direct qui existe entre les heluis ou entre l'helui et le monde, le spectacle peut être vu celui une métaphore de la situaution sociale de la société coréenne de nos jours. Montrant la société coréenne de la fin du 20ème siècle, il souligne divers phénomènes sociaux et les valeurs de notre contemporanéité. Mais dans Métro ligne 1, on ne laisse pas partir Seonnyeo, on l'aide pour qu'elle puisse s'intégrer dans cette ville et pour qu'elle puisse commencer à une nouvelle vie. Le spectacle montre que la solidarité et l'espoir existent encore dans cette ville dite Séoul. 록 뮤지컬 지하철 호선 을 통하여 본 서울 유효숙

열쇠어 : 서울, 지하철 1호선, 연극적 공간, 김민기, 락 뮤지컬, Seoul, Metro line 1, theatrical space, Kim Minki, rock musical 투고일 : 2009.10.30 / 심사일 : 2009.11.20 / 심사완료일 : 2009.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