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8F1C2F72E687770>



Similar documents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178È£pdf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5 291

나하나로 5호

* pb61۲õðÀÚÀ̳ʸ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pdf..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³»Áö_10-6


(연합뉴스) 마이더스

DocHdl2OnPREPRESStmpTarget

DBPIA-NURIMEDIA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ÀÚ¿øºÀ»ç-2010°¡À»°Ü¿ï-3

~

10월추천dvd

- 2 -

기본소득문답2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82-대한신경학0201

allinpdf.com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2015현엘 내지.indd

소식지수정본-1

내지-교회에관한교리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7단원 1(252~269)교

Çѹ̿ìÈ£-197È£

152*220

Issue Report Vol 지역이슈 -07 ( )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 ) : ( )

Y Z X Y Z X () () 1. 3

<B1E8BCF6C1A4BEC6BDC3BEC620BFA9BCBAC0C720B1B9C1A6B0E1C8A5BFA120B4EBC7D120B9CCB5F0BEEE20B4E3B7D02E687770>

5-김재철

µ¶¸³Á¤½Å45È£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º´¹«Ã»Ã¥-»ç³ªÀÌ·Î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년 2 월 1 1일에 모 스 크 바 에 서 서명된 북 태 평양 소하 성어족자 원보존협약 (이하 협약 이라 한다) 제8조 1항에는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를 설립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제8조 16항에는 위원회가 을 채택해야 한다고 규정

1) 이논문은 2009 년도성신여자대학교학술연구조성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2) Francis Fukuyama, "The End of History," National Interest, No. 16 (Summer 1989), p. 4. 3) 이러한구분에관해서는존베일리스

레이아웃 1

120~151역사지도서3

CC hwp

141018_m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60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3031C8ABB5E6C7A52E687770>

러시아의 WTO 가입과 우리의활용방안

한반도-동남아해양교류-해양대콜로키움[1].hwp

<B1B9BEEE412E687770>

(초등용1)1~29

(중등용1)1~27

77

CR hwp

04 Çмú_±â¼ú±â»ç

석사논문연구계획서

FSB-12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êÇÐ-150È£

....(......)(1)

<B1B9C8B8C0D4B9FDC1B6BBE7C3B3BAB85F BB0DCBFEFC8A35B315D2E706466>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연합뉴스) 마이더스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01¸é¼öÁ¤

2 ㆍ 大 韓 政 治 學 會 報 ( 第 20輯 1 號 ) 와 팀스피리트 훈련 재개문제 로 모든 합의가 무산되었다. 이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 북ㆍ미회담이 자리 잡게 되었고, 미국이 주요 행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북핵문제는 우여곡절 끝에 1994년 10월 북미

ad hwp

3.황아란

01정책백서목차(1~18)

11+12¿ùÈ£-ÃÖÁ¾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½Å½Å-Áß±¹³»Áö.PDF

041~084 ¹®È�Çö»óÀбâ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단양군지

쌍백합23호3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09콘텐츠산업백서_1 2

coverbacktong최종spread

ㅍㅍㅍㅍ통계지식과 경제적 상상의 구축

wtu05_ÃÖÁ¾

<302DC5EBC0CFB0FA20C6F2C8AD28BFCF292E687770>

Jkafm093.hwp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 BBF3B9DDB1E228C6EDC1FD292E687770>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ÆÞ¹÷-Æîħ¸é.PDF

¹é¹üȸº¸ 24È£ Ãâ·Â

레이아웃 1

•••••1301(•••).pdf

<30342DB3EBBBF3C8A334382D315FBFACB1B8BCD220BCF6C1A42E687770>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ÃѼŁ1-ÃÖÁ¾Ãâ·Â¿ë2

Transcription:

이 발표논문집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07-362-B00013)

2013년도 제3차 HK국내학술대회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일 시 2013년 12월 27일(금) 13:30~18:00 장 소 한양대학교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 소회의실(6층) 주 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APRC) 후 원 한국연구재단

2013년 12월 27일(금) 제 1세션(13:30-16:00) :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과 제국 시스템 사회자: 엄구호(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소장) 발표자: 기계형(한양대) : 러시아 제국의 팽창과 도시건설 정세진(한양대) :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배규성(배재대) : 러시아의 제국적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김정훈(배재대) : 러시아 제국, 루스까야 아메리카의 모자이크 조립과정과 문제 토론자: 조준배(서울대), 신동혁(국민대), 김선래(한국외대),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제 2세션(16:20-18:00) : 러시아 제국의 공간과 시베리아 민족 사회자: 홍완석(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소장) 발표자: 김혜진(한국외대) : 제국의 확장과 코미인의 시베리아 이주 김민수(한국외대) : 시베리아 민족 연구 : 에벤크족 전통 세계상과 장례 원석범(한림대) : 러시아 연방주체 통합과 부랴트 민족발전 토론자: 최정현(대구대), 박영은(한양대), 김상현(성균관대)

목 차 제 1세션: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과 제국 시스템 기계형 러시아 제국의 팽창과 도시건설 13 정세진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15 배규성 러시아의 제국적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35 김정훈 러시아 제국, 루스까야 아메리카의 모자이크 조립과정과 문제 51 제 2세션: 러시아 제국의 공간과 시베리아 민족 김혜진 제국의 확장과 코미인의 시베리아 이주 71 김민수 시베리아 민족 연구: 에벤크족 전통 세계상과 장례 85 원석범 러시아 연방주체 통합과 부랴트 민족발전 95

제 1세션(13:30-16:00) :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과 제국 시스템 사회자: 엄구호(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소장) 발표자: 기계형(한양대) : 러시아 제국의 팽창과 도시건설 정세진(한양대) :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배규성(배재대) : 러시아의 제국적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김정훈(배재대) : 러시아 제국, 루스까야 아메리카의 모자이크 조립과정과 문제 토론자: 조준배(서울대), 신동혁(국민대), 김선래(한국외대),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13 러시아 제국의 팽창과 도시건설 기계형(한양대)

15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정세진(한양대) 나의 러시아, 나의 삶, 우리는 같이 고통을 느낄 필요가 있는가? 짜르, 시베리아, 예르마크, 그리고 감옥! 1)... I. 서론 러시아는 제국이었다. 러시아는 16세기 중엽, 이반 대제 시기부터 남부 러시아로 세력권을 확 장했으며, 동쪽으로는 시베리아로 제국의 영토를 넓혔다. 그러나 러시아의 남부와 동부에서의 러시아 제국의 성격은 동일하지는 않다. 러시아 남부는 무슬림들의 거주 공간이었으며, 러시아 는 이에 따라 영토 확장을 시도하면서 무슬림 민족들과 전쟁 등을 통해 제국의 확장에 성공했 다. 러시아 남부는 지금도 무슬림 민족들이 거주하는 공간이며, 러시아와 무슬림 민족 간에는 상호 협조와 조화로운 관계보다는 분쟁과 갈등이 제정러시아 시기부터 심화되었으며, 지금도 러 시아 남부 지역에서는 해결되지 않은 정치적 분쟁 등으로 얼룩져있다. 이에 반해 동쪽의 시베리 아 공간에서의 러시아제국의 확장은 제국의 일반적인 성격하고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시베리아 공간은 매우 광활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러시아 남부는 인구가 많은 지역이지만, 당시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점령할 때 시베리아 소수 민족들의 인구는 많지 않았다. 물론 이 지 역에도 투르크계 무슬림 민족이 거주하고 있었지만, 많은 인구는 아니었다. 종교정체성은 무슬 림들이 있었지만, 시베리아 공간에는 불교, 민간신앙, 자연신앙을 가지고 있는 소수민족들이 많 았다. 러시아가 동부로 제국의 확장을 시도하면서, 북카프카스 처럼 강력한 민족들의 저항에 부 닥친 것도 아니었다. 물론 강력한 국가, 러시아가 침탈해 오는 것에 맹목적인 순종만 한 것은 아니었지만, 북카프카스처럼 이슬람 정신을 가지고 강력한 저항의 역사도 시베리아에서는 없었 다. 어떤 측면에서는 러시아는 동으로, 시베리아로 쉽게 제국의 공간을 넓혀 나갔다. 거대한 땅 을 간단하게 획득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시베리아 공간이 제국의 대상지였 는가 하는 질문도 제기될 수 있다. 러시아는 시베리아로의 제국의 확장을 의도적으로 이루어나 갔는지, 아니면 또 따른 국가적 필요성에 의해서 제국의 공간을 넓혀나갔을까? 많은 논자들은 러시아가 국가의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 당시 매우 비싼 금액으로 판매되던 모 1) A. A. Блок, "Родина"(1910), Сочинения в одном томе (москва-ленинград, 1946) с. 228, Mark Bassin, Inventing Siberia: Visions of the Russian Ea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 96, No. 3 (Jun., 1991), p. 763에서 재인용.

16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피를 획득하고 모피 무역의 원활한 공급처로 시베리아를 선택하고 의도적으로 이 지역을 지배 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러시아는 매우 전략적으로 이 지역을 정복했다는 입장을 견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러시아가 제국의 확장을 이룰 때에 러시아는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특 별한 정복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지는 않았다. 모피를 획득하겠다는 경제적 필요가 동으로의 영토 확장에 나선 근본적인 이유였다. 그리고 러시아는 모피를 획득하기 위해 태평양까지 제국 의 변경을 확대해 나갔다. 러시아는 강제적으로 세금 시스템을 이용해 원주민들에 억압적인 식 민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제국은 유럽식 제국의 확장 개념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이 지역을 점령했다. 그런 관계로 시베리아는 특별한 공간으로 해석될 개연성이 있다. 러시아정부는 19세기 전까지는 통치 시스템이나 제국의 식민주의 정책의 치열한 국가 플랜을 가지고 시베리아를 침탈했다기보다는 빈약한 모스크바국의 재정 충당을 위해 미지의 땅인 시베 리아 지역으로 까자끼 연대를 보냈다. 제정러시아의 엘리트들도 그러한 역할을 하였다. 부족한 땅을 개간하기 위한 농업 발전을 위해 시베리아로 이주민을 보낸 것도 19세기에 이르러 본격적 으로 진행되었다. 18세기 이전에 시베리아로 이주한 농민들은 과거 까자끼가 그랬던 것처럼 중 앙러시아의 지주들을 피해서 시베리아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것이다. 본 논고는 러시아제국의 시베리아 정복은 일반적인 제국의 성격과 다른 틀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몇 가지 특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 본 논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2장에서는 러 시아제국의 시베리아 정복과 시베리아 공간 이미지가 주는 함의를 분석하고, 3장에서는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정복을 모피 무역의 상업적 요소를 통해 이해하며, 4장에서는 러시아의 농민이 주와 시베리아 통치의 특성을 통해 시베리아 공간에서의 러시아 제국의 함의를 규명하고자 한 다. Ⅱ. 러시아제국의 시베리아 정복과 시베리아 공간 이미지 어느 신문기사에서 러시아에 시베리아가 없다면 러시아는 더 이상 러시아가 아니다 2) 라는 언 급을 인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시베리아는 러시아의 핵심적인 지대이며, 러시아의 미래와 관 련되어 매우 특수한 의미를 주는 공간이다. 러시아 제국주의자들은 마이클 호다르코프스키가 명 명한 명구인 파멸적인 변방 3) 에서 제국의 변경 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제국 의식을 가졌다. 시 베리아에 관해서는, 러시아 행정부 관리자들이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명백하게 제국의 확장에 대 한 청사진을 그리지는 못했다. 충분한 준비 없이 시베리아 지역을 확장했던 것이다. 니콜라스 베링포글레가 러시아 제국의 팽창이 해양보다는 대륙에서 발생하였다고 언급하듯, 러시아가 시 베리아라는 대륙으로 영토 팽창을 시도했던 것은 명백하다. 4) 그러나 그 최초의 시도는 충분히 의도해서 성취했던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제국의 중심부 이론과 주변부 이론을 적용해본다면, 시베리아는 러시아의 중심부에서 아주 치밀하게 계획된 지역은 아니었다. 식민지를 개척하고 발 전하는 데 있어서 이주자들도 중요하지만, 러시아 제국주의자들은 시베리아에 충분한 이주민을 2) 민경현, 시베리아 지역주의 운동의 사상적 기원-뽀따닌과 야드린쩨프를 중심으로-, 슬라브연구, 20권 2호, 2004, p. 88에서 재인용. 3) Michael Khodarkovsky, Russia's Steppe Frontier: The Making of a Colonial Empire, 1500-1800 (Bloomington, 2002), p. 220. 4) Nicholas Breyfogle, Heretics and Colonizers: Forging Russia's Empire in the South Cauca sus (Ithaca, 2005), p. 4.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17 확보하지도 못했고, 치밀하게 변방을 개척한 것은 아니고 19세기에 들어서야, 시베리아에 대한 제국의 관점을 가지기 시작했다. 19세기에 시베리아에서 매우 중요하게 등장한 제국의 이미지는 시베리아지리협회의 활동으로 인해 생겨난 측면이 있다. 시베리아지리협회가 시베리아 및 극동 지역을 탐험하게 되고 이 지역 에 대한 세세한 내용 등을 연구하고 조사한 것은 19세기 들어 이미 매우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 하고 있던 제정러시아의 국가적 역량과 무관하지 않다. 대 시베리아 탐험(Great Siberian Expedition)으로 명명된 시베리아지리협회의 활동은 러시아가 동방으로의 전략적 이익이 매우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은 시베리아 지역으로 국가의 역 량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러시아의 메시아주의는 이러한 러시아의 사명과 동방에서의 올바른 위치를 러시아가 점유해야 한다는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은 러시 아지리협회(Russian Geographical Society)의 신선한 민족주의 의식이 당시에 발동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지리협회의 소장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자신들의 학문적인 탐사 에너지를 아 시아 땅으로 돌렸고, 러시아의 내부와 외부에 존재하고 있는 아시아인들에게로 향했던 것이다. 그들은 극동에서의 러시아를 러시아가 유럽과의 연결을 하는 균형추로서, 해결책으로서 간주했 다. 이 활동을 이끈 V.V. 그리고리예프는 상트 페테르스부르그 대학교 동방대학 학장으로 재직 했으며, 서유럽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동방학 연구에 달려있다는 주장을 하 기도 했다. 그리고리예프는 1840년과 1850년대 러시아지리협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 데, 대 시베리아 탐험 준비단의 열성파였다. 그는 동방에서의 러시아의 사명에 대해 다음과 같 이 기록하고 있다. 5) 어떤 국가가 러시아보다 아시아에 더 가까운 것인가? 유럽의 어떤 민족이 슬라브 민족보다도 그 자체적으로 아시아적 요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을 것인가? 누가 마지막으로 자신들의 고대의 땅을 떠난 사람들이었는가?... 그렇다. 우리 러시아인들이 신의 섭리를 처녀지에서 발견할 것이 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처녀지의 선물을 향유하며 그것을 취할 것이다. 러시아의 상징주의 시인인 알렉산드르 블록은 러시아인의 유산에 관한 언급에서 시베리아 공 간을 비교적 어두운 이미지로 상징화하였다. 그에게 시베리아는 어두움이다. 시베리아 공간은 압박의 이미지이다. 블록은 단 하나의 경멸적인 문장으로 시베리아의 이미지를 압축적으로 표현 했다. 그는 짜르, 시베리아, 예르마크, 그리고 감옥 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블록은 이 공간을 낭만적인 장소로 기억 속에 남겨두고자 했던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의미로 형상화했다. 시베리아 는 죽음의 집 이며, 처벌적인 식민지로 묘사된다. 시베리아는 예외적이고 합법적인 식민화의 대상이었다. 6) 시베리아의 이미지는 얼핏 유형지, 혹은 살을 에는 매우 추운 곳으로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진 측면이 있다. 러시아는 잔인한 국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나라이다. 그래서 시베 리아를 하얀 지옥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러시아는 1753년에 러시아의 군주 엘리자베트가 범죄자 들에 대해 그동안 부과하던 금전적인 형벌 대신에 시베리아 유형이라는 형벌을 채택함으로써 시베리아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하였다. 이후로 러시아 통치자들은 시베리아를 유죄 형벌과 불 5) Mark Bassin, The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the "Amur Epoch," and the Great Siberian Expedition 1855-1863,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73, No. 2 (Jun., 1983), p. 243. 6) Victor Erlich, Images of Siberia, 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Vol. 1, No. 4. (Winter, 1957), pp. 243-244.

18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명예의 장소로 만들어버렸던 것이다. 1830년대에 마트베이 게덴쉬트롬이 정부의 지원 하에 시베 리아지역 보고서를 정부에 올렸는데, 그 서문에 그는 외국인들은 시베리아를 거친 자연과 원주 민들의 야만성으로 가득 찬 무시무시한 나라로 상상하고 있으며, 원주민들은 눈 덮인 황량한 대 지에서 흑담비를 사냥하는 그런 사람들로 간주하고 있다 고 언급하기도 했다. 7) 시베리아는 러시아 인들에게도 두려운 이름이다. 러시아인들은 시베리아를 고국에서 완전히 멀리 떨어진 외진 곳으로 인식하며, 거대한 면적의 땅, 몸을 피할 수 없는 척박한 곳, 그리고 영원한 지하 감옥 등으로 여겼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면, 많은 사람들에게 시베리아는 모험가들이 자신의 삶을 던져보고 어떤 멋진 기회를 창출하고자 하는 장소가 될 수 있으며, 기업가들에게는 이익을 남겨둘 수 있는 그런 지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 베리아의 이미지는 광활한 공간으로 대변된다. 이 이미지는 시베리아의 자체적인 표상이다. 광 활한 대지와 미지의 땅이라는 지역적 인식은 추위, 유형, 정치범수용소, 혹은 강제수용소 등의 부정적 이미지를 극복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혹자는 시베리아에는 광활한 공간이 부 여하는 심리적 풍요로움 이 존재한다고 언급한다. 8) 러시아는 다민족 국가였으며, 제국에 대해 설명할 때도 다민족은 항상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다. 즉 제국이 여러 다민족을 지배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논점들이 발생한다. 시베리아에는 다 민족성과 다문화성이 확대된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의 시베리아는 전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철의 실크로드로 명명되는 유라시아 민족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지역, 그리고 에너지 자원의 개발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시베리아 는 지상의 다른 공간과 달리 미지의 세계 같은 인상을 주기도 하였다. 생존하는 러시아의 시인 옙뚜센꼬는 시베리아는 어떤 위대함 같은 것을 부여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그가 쓴 가장 짧 은 나의 인생 이야기 에는 저자의 어린 시절에 2차 대전을 치르러 떠나는 약혼자를 위해서 징 집 하루 전에 결혼식을 올리는 시베리아의 여인들에 대한 내용이 있다. 옙뚜센코는 전쟁에 나가 서 죽을지도 모르는 약혼자와 결혼식을 올리는 시베리아의 여인들의 순수하고 아름다운 영혼을 경외하는 글을 썼다. 옙뚜센꼬는 용감함과 자유로운 정신에서 시베리아 인들이 러시아인들보다 더 우월한 존재로 여기고 있으며, 그 자신이 시베리아 출신임을 매우 자랑스러워하고 있는 것도 이런 시베리아 이미지에서 나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9) 그렇다면 러시아제국의 정복 과정에서 시베리아 공간의 이미지는 어떤 식으로 표현할 수 있 을까? 시베리아는 유럽 지역 러시아인들에게 러시아 이외의 해외 지역에서 침탈한 아시아 식민 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시베리아 자체는 제국의 대상으로서의 식민지 그 이상의 어떤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제국의 지역적 구분에서 자주 언급되는 메트로폴리스(수도)를 보유하고 있는 국 가로서 러시아는 거대한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시베리아는 메트로폴리스의 연장선으로서의 의 미를 가지는 제국의 대상지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간과되지 않아야 할 부분은 시베리아는 제국 대상으로서의 공간이지만, 시베리아는 이미 러시아화한 땅이라는 개념이다. 즉 이미 러시아가 오랜 기간 동안 보유하고 있는 의미로서의 공간적 특수성이 있는 것이다. 시베리아가 워낙 광활 하고 거대한 땅이기도 하지만, 러시아 인들이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시베리아로 점진적으로 이주 함으로써, 그리고 점진적이고 장기적인 이주의 영향으로 시베리아는 러시아 문화가 연장된 공간 의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마르크 바신이 지적하듯, 시베리아는 유럽식 제국의 개념, 즉 유럽식 7) Abby M. Schrader, Unruly Felons and Civilizing Wives: Cultivating Marriage in the Siberian Exile System, 1822-1860, Slavic Review, Vol. 66, No. 2 (Summer, 2007), p. 230에서 재인용. 8) 이길주, 러시아, 시베리아 작가들의 시베리아-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테마, 노어노문학 16권 1호, 2004, p. 351. 9) 박영은, 예브게니 옙뚜센꼬의 세계관에 구현된 시베리아 경험 공간의 의미장, 비교문학, 제 55집, 2011년, p. 300.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19 식민지 개념으로 이해하기에는 모호한 공간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10) 18세기에 시베리아의 변 방 공동체는 제국의 핵심 세력인 모스크바국의 노예를 소유하고 있는 귀족들과는 완전히 달랐 다. 리예벤은 만약에 시베리아 공동체에 자유와 자율적인 통치 기구가 세워져있었더라면, 독립 적인 정체성이 쉽게 정착되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심지어는 독립적인 민족 국가가 창설되었을 것이라는 과감한 주장을 리예벤은 하고 있다. 어떤 식으로든지 러시아의 짜르가 권위적으로 중 앙정부의 중심적인 정책을 구사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 그의 관점 이다. 즉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러시아는 대국의 모국 으로 편입시키고 제국의 왕관을 그 머리 에 얹었다는 것이다. 11) 러시아를 전형적인 유럽제국의 범주에 포함시키든지, 아니면 단순한 러시아의 연장선상으로 시베리아를 바라보든지 관계없이, 시베리아는 착취의 대상이었다. 러시아 제국은 무엇을 위해 시베리아를 정복하였을까?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정복하고 원주민들에게 모피를 세금으로 바치 게 했으며, 강제적으로 땅을 점령했다. 까자끼 인, 즉 러시아 인들은 시베리아를 정복하기 위해 우랄산맥을 넘었으며, 그리고 이 지역을 점령했다. 그들은 수익성이 매우 높은 상업 물품, 즉 모 피를 획득했다. 까자끼 인들이 1580년대 러시아를 정복한 이후에 프로미슐레니크라고 불리던 무 역업자들이 모피 무역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것이다. 기본적으로 토착민들은 야삭(iasak)이라는 세금을 러시아 행정관료 들에게 바쳐야만 했다. 그리고 17세기부터 러시아는 이 땅을 유형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12) 러시아인들의 시베리아 정복은 토착민들에게 재앙의 전주곡이었다고 말하 는 논자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으로 시베리아에 대한 학술적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다. 13) 이반 대제시기에 모스크바국은 영토 팽창에 성공했다. 특히 남부의 카잔 칸국과 아스트라한 칸국을 1552년과 1556년에 군사력으로 점령함으로써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후 몇 십 년이 경과한 이후에 러시아의 대가문인 스뜨로가노프의 후원 하에 볼가강 유역에서 예르마크가 이끄 는 까자끼들이 시베리아로 들어가서 시비리 칸국을 점령함으로써, 역사상 처음으로 시베리아가 러시아의 세력권 안으로 들어갔다. 시베리아 정복 역사에서 러시아에 거의 유일하게 대항한 세 력이던 몽골 제국이 세운 시비르 칸국과 예르마크 군대의 전투가 벌어지고, 수도인 이스께르가 1582년에 점령되었다. 러시아에 있어 이스께르는 모스크바국이 우랄 지역에서 시베리아로 나아 가는데 있어서 마지막으로 극복해야 하는 요충지였다. 러시아가 시베리아로 본격적으로 진출한 시기였던 1580년대는 스페인의 무적함대가 활동하던 시기이다. 러시아 이외에 어떠한 외국 군대 나 시베리아 원주민이 러시아의 시베리아 점령을 막을 세력은 없었다. 14) 까자끼 군대는 분열되 어 있던 시베리아 소수 민족들을 정복하면서 그때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시베리아의 강들과 지 류를 통해 시베리아의 척박한 땅으로 들어갔다. 15) 그러나 당시에 강성하던 시비르 칸국을 점령 했지만, 이것이 전 시베리아에 대한 군사적 원정에 나섰다는 의미는 아니다. 정부가 그러한 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처음부터 시베리아 지역에 군사 원정을 시도했다기보다는 가문의 요청에 의한 용병 까자끼 군대의 출병으로 이루어진 정복이었다. 엄밀히 말해서 모스크바국이 어떠한 10) Mark Bassin, Inventing Siberia: Visions of the Russian Ea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p. 766. 11) Dominic Lieven, "Russia as Empire: a comparative perspective," Geoffrey Hosking, Robert Service, (eds) Reinterpreting Russia (London, Sydney, Auck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p. 11. 12) 한정숙, 19세기 시베리아의 지역적 자의식, 역사학을 만나다 슬로프초프, 코스토마로프, 샤포프와 지역사, 슬 라브연구 28권 3호, 2012, p. 79. 13) 김형규, 계몽의 선교사들 : 북부위원회와 1920-1930년대 소련의 시베리아 북부 토착민 정책, 서양사연구 제 39집, 2008년, p. 158. 14) George V. Lantzeff and Richard A. Pierce, Eastward to Empire: Exploration and Conquest on the Rus-sian Open Frontier, to 1750 (Montreal and Lond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3) 참고. 15) John Massey Stewart, Early travellers, explorers and naturalists in Siberia, Asian Affairs, 15:1, 1984, p. 57.

20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이 지역을 정복한 것은 아니었다. 개인적이고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시베 리아가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었던 것이다. 16) 러시아에 새로운 변방이 창출되었다. 러시아제국은 볼가강 유역 등, 카스피해, 북카프카스 등 이슬람권 소수민족들이 거주하는 지 역으로 영토 팽창에 국가의 총력을 기울였다. 16세기에 모스크바국이 그러한 제국의 기초를 세 웠다. 모스크바국은 러시아 남부 지역과 시기상으로 비슷하게, 시베리아의 늪지, 숲, 스텝과 산 악 등 거친 자연을 뛰어넘어 동으로 영토 및 세력 확장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로마노프 왕조 시 기의 제정러시아는 17세기 이후 상기 지역으로 제국의 확장에 성공했다. 이런 과정에서 까자끼 들은 거대한 시베리아의 강들을 발견하였다. 오브강, 예니세이강, 레나강, 아무르 강이 그것들이 다. 러시아제국의 시베리아 정복에 까자끼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러시아 정부, 정확히 말한다면, 러시아 짜르에 시베리아를 바친 이들은, 볼가 지역으로부터 시베리아를 관통하기까지 모험적인 도정을 걸어간 까자끼 들이었다. 17) 1631년에 까자키 연대가 넓은 레나 강의 하류로 내려가면서 툰드라 지역을 건너 북극해에 이 르렀다. 10년 후에 다른 까자끼 연대가 배를 타고 태평양 연안의 오호츠크 해에 나타났다. 그리 고 1643년에는 바이칼의 내해가 발견되었다. 1648년에 세멘 데지네프(Semen Dezhnev)가 이끄는 90명의 까자끼 인들이 7개의 배를 타고 모스크바에서 4,000 마일 이상 떨어진 유라시아 대륙의 북쪽 가장 극동 지점을 항해하였다. 이들은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의 분기점을 발견하는 매우 놀랄만한 탐험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 발견은 거의 1백 년 동안 잊혀졌다. 바로 이 분기점이 베 링해협이었다. 베링 해를 발견한 시점은 공식적으로는 1729년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러나 적어 도, 아시아의 최 극동지점은 이 역사적인 항해를 성공시킨 까자끼의 이름을 붙인 데지네프 갑 ( 岬 ) (Cape Dezhnev)으로 지금도 명명하고 있다. 18) 즉 데지네프 갑은 유라시아 대륙의 아시아부 ( 部 )의 동북부, 베링(Bering) 해협에 면한 갑으로 아시아의 최동북단을 일컫는다. 18세기에 제정 러시아는 시베리아의 북극단, 태평양 지역까지 정치적 세력권을 넓혀나갔다. 러시아에 있어서 서부시베리아에 대한 까자끼 들의 공헌과는 달리, 극동의 아무르 지역에서의 상황은 조금은 달 랐다. 즉 이 지역은 자발적인 식민지화가 아니라, 제국러시아의 외교적이고 전략적인 방식을 통 해 정복되었다는 사실이다. 제국의 정복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집단이 까자끼 공동체이다. 이들 은 러시아 군대와 함께 군대 조직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시베리아 소수 민족 등 외부의 적들과 군사적인 대결을 벌였다. 19) 그러나 전체적으로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은 러시아의 남부로 세력권을 확대해나간 과정과 는 여러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예를 들면, 제국과 종교 기호의 연관성을 살펴볼 때에도 그렇다. 러시아가 전통적으로 러시아 남부로 세력권을 형성해 나갈 때에 러시아가 맞닥뜨린 민족은 무 슬림이었으며, 이에 따라 러시아는 무슬림 민족들의 이슬람 정체성에 맞서 러시아정교를 포교하 는 등, 러시아정교의 확산에 대체적으로 힘썼다. 이에 반해, 우랄을 지나 서시베리아, 동시베리 아로 나아갔던 정부 엘리트들은 종교적이지 않았다. 20) 초기에 시베리아로 이주해 갔던 러시아인 16) 박태성, 러시아의 시베리아 식민화 과정, 국제지역연구, 7-2호, 2003, p. 140. 17) 만약에 예르마크가 이끌었던 볼가의 카자끼 들이 아니었더라면, 러시아 혹은 핀족 계통의 이민자들이 독립적 이고 새로운 민족 구성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마도 이들은 드네프르와 돈 강 유역에 살고 있는 아주 독창적인 카자끼 민족 공동체와 매우 유사한 민족 그룹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이들을 자유로운 식민주의 자들이라고 명명할 수 도 있는데, 이들은 매우 잔인하고 압제적인 영주의 통치를 피해 자신의 옛 나라를 떠 난 공통적인 특성이 있는 민족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Leslie Urquhart, The Future of Siberia: Discussion,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51, No. 3. (Mar., 1918), pp. 160-161. 18) John Massey Stewart, Ibid., p. 57. 19) Leslie Urquhart, The Future of Siberia: Discussion,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51, No. 3. (Mar., 1918), pp. 160-161.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21 들은 유형이나 사회적 방랑자였으며 대체적으로 러시아 사회의 주변인들이었다. 시베리아에서 자신의 사회적 신분을 종료한 러시아 관리들도 중앙러시아나 유럽러시아의 관리들에 비해 근무 능력이 부족하였고, 일반적인 행동 규범에도 부족한 이들이 대부분이었다. 시베리아 여행자들이 나 작가들은 17세기와 18세기에 시베리아에 거주한 러시아인들의 종교적, 도덕적 수준을 낮게 평가했다. 그리고 시베리아의 첫 이주자부터 현재까지 사실상 시베리아의 정교회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정교회 수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대체적으로 시베리아에 오는 러시아정교 성직 자들의 영적, 도덕적, 교육 수준은 극단적으로 낮았다. 21) 그러나 북카프카스를 비롯한 러시아 남 부로 갔던 러시아정교성직자들의 교육 수준은 매우 높았고 이들은 이 지역에서 러시아정교 포 교를 비교적 광범위하게 실시했다. 러시아가 제국의 확장으로서 다른 지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크림전쟁의 패배였 다. 1853-1856년 사이에 벌어진 이 전쟁에서 러시아는 유럽 열강의 개입으로 오스만 투르크에 치욕적인 패배를 당했다. 이후 러시아는 북카프카스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 지역으로 정치적 세 력권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외교적 역량을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으로 쏟기 시작했다. 유럽러시아에 있는 농민들이 극동 시베리아로 이주를 시작했던 것도 이때쯤이었다. 22) 시베리아 에서 러시아 농민들이 정착하게 된 계기는 아무르 강의 획득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촉발된 것이었다. 동시베리아 총독 무라비요프 아무르스크 백작이 까자끼 인들의 정착을 주도했다. 그 는 카자끼 연대에게 아무르 강 인근의 마을들에 까자끼 연대에 소속된 가족들의 정착을 명령하 였다. 23)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모피 산업이 아니라 농산품 및 수산품, 광물자원에 대한 상품공급 지로서의 제국의 미션을 이루어 나간 시기는 19세기 중반 이후이다. 즉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건 설되면서 러시아는 본격적으로 시베리아에 대한 통제력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24) 러시아는 유럽 러시아의 농민들의 거주지와 농토 개간의 땅이 부족함에 따라 그곳의 농민들을 시베리아와 극동으로 이주시키고자 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25) 이러한 필요성이 러시아의 시 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의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제정러시아는 제국의 국경지대로서 극동지역에 러시아 거주민들이 많지 않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 지역을 어떤 방식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 인가에 대한 전략 수립에 나섰다. 26) 그런 과정에서 제국으로서의 러시아의 메트로폴리스(수도) 와 시베리아 지역을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제는 변방이 아니라 실제적인 제국의 국경지대 로서 시베리아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시베리아는 더 이상 모피 획득 의 저장소가 아니었다. 농업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현재 동부시베리아와 극동 은 이제 완전히 새로운 전략적 공간이 되고 있다. 블라디므르 푸틴 대통령은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된 APEC 정상 회담에서 블라디보스톡이 세계를 향해 열린 창문이라고 언급하면서 극동시 베리아가 세계로 나아가는 통로이라고 선언하였다. 시베리아는 제국의 변방에서 중심지로 나아 가는 급변하는 세기의 중심에 서있다. 시베리아는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시베리아 종단철도의 물 20) Sergei Filatov & Lawrence Uzzell, "Religious Life in Siberia: The Case of Khakasia," Religion, State & Society, Vol. 28, No. 1, 2000, p. 106. 21) Sergei Filatov & Lawrence Uzzell, Ibid., p. 106. 22) 김지환, 제정 러시아의 제국주의와 동방정책의 역사적 고찰-동청철도를 둘러싼 중러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제 50집, 2004, p. 165. 23) 홍웅호, 1858~1898년 러시아의 동아시아 팽창과 만주, 동북아역사논총 14호, 2006, p. 110. 24) 김성진, 시베리아 지역주의의 역사적 고찰: 제정말기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권 2호, 2001, p. 35. 25) 진시원, 동북아시아 철도건설과 지역국가관계의 변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제국주의 시기를 중심으 로, 평화연구 12권 2호, 2004년 봄, p. 62. 26) 황영삼, 제 30회 동양학 학술회의록 : 동아시아 문화개방과 근대화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 - 시베리아 철도 부설과 관련하여- 동양학, 31권, 2001, p. 316.

22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동시에 광물자원과 에너지자원의 보고로서 유명하다. 시베 리아는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모피 획득 지역에서 시베리아는 수산, 농업, 목축 업 등 기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 획득될 수 있는 곳이다. 27) 종합적으로 제국러시아에서 시베리아를 보는 관점은 무엇이었을까? 가장 기본적인 시각은 시 베리아를 러시아의 다른 것 (other)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28) 즉 이것은 시베리아가 러시아와는 상관이 없는 전혀 동떨어진 지역에 존재한다는 그러한 의미가 아니라, 제국의 중심부로부터 시 베리아는 여전히 지리적으로 먼 지역이며, 그래서 러시아의 확장된 제국의 변경 지역이 되었지 만, 시베리아는 러시아의 핵심적인 중심 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을 러시아의 엘리트들과 국가통치 자들은 가졌다는 의미이다. 시베리아는 전형적인 러시아의 정체성에서 본다면 시베리아는 반대 의 개념, 혹은 선택적 개념이다. 시베리아는 아시아적 광활함 내지는 동양적 미개함으로 해석되 었다. 이러한 모습은 러시아의 민족 정체성에 기초하는 것으로, 시베리아를 러시아와 다른 어떤 것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민족 문화와 전통성에 있어 러시아가 더 유럽화 되어 있다는 사고를 강하게 연상시킨다. 이는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식민지로 간주하고 있다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러시아와 아시아라는 주제를 가지고 설명한다면, 시베리아는 가장 전형적인 아시아적 특성을 가 진 공간이다. 그렇다면 전체적으로 시베리아는 어떠한 범주로 해석되어야 하는가? 29) 첫째, 지리학적 측면이다. 러시아는 북방의 나라이며 모스크바는 추운 지역에 속한다. 동일하 게 시베리아는 동토의 땅이다. 러시아에 대해 언급할 때 러시아를 대국이라고 한다면, 시베리아 도 거대한 영토를 소유하고 있다. 러시아가 숲의 나라라고 한다면, 시베리아는 타이가 삼림 지 대이다. 러시아에는 많은 강이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면, 시베리아에도 많은 강이 있고, 세계 최고인 강도 있다. 30) 둘째, 인종 민족적 특성이다. 러시아는 다민족 국가이다. 16세기 이후로 러시아가 대외 팽창 에 성공함으로써, 러시아 남부 지역인 카프카스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인 우랄 산맥을 지나 시베리아를 지배함으로써 러시아에는 다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바로 이러 한 부분이 러시아와 아시아 라는 주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되는데, 시베리아는 지리학 적 특성 뿐 만이 아니라, 소수 민족의 역사적 삶, 샤머니즘을 대표로 하는 종교적 담론 등 다양 성과 풍요성이 그 특징이다. 모스크바국이 러시아남부의 카잔 공국을 점령함으로써, 러시아는 타타르 세력과 역사적 연계성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러시아의 아시아 지배를 의미하였다. 예 르마크가 시베리아 원정을 시작함으로써 러시아는 이슬람권과는 다른 또 다른 하나의 아시아를 지배하였던 것이다. 시베리아는 러시아 제국의 거대성을 덧입힌 역사적 공간이 되었다. 셋째,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특성이다. 강대한 국가가 약소국, 혹은 민족을 지배하는 경우, 이 는 정치적, 경제적 지배 뿐 만이 아니라 문화적 지배를 의미한다. 제국주의는 일종의 권력기호 이다. 현대 시베리아의 역사적 현실은 러시아의 전형적인 중앙집권적 특성이 시베리아에서 어떤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 혹은 시베리아 지역주의가 연방정부와의 관련 속에서 어떤 특성으 로 전개될 것인지가 주요한 정치적, 경제적 담론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뽀따닌과 야드린 체프의 시베리아 지역주의 운동은 매우 심대한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고 31), 지역주의가 발생 27) 한종만,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 개발과 한반도 정책, 통일문제연구, 2012년 하반기(통권 제 58호), p. 77. 28) Claudia Weiss, "Representing the Empire: The meaning of Siberia for Russian Imperial Identity," Nationalities papers, Vol. 35. No. 3, July 2007. p. 440. 29) 이에 대해서는 정세진, 러시아와 아시아, 러시아와 시베리아의 역사적 함의, e-eurasia, Vol. 4호, 2008년 4월, pp. 77-78 참고. 30) Claudia Weiss, Ibid., p. 441. 31) 민경현, Ibid., pp. 87-104 참조.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23 한 근원적 뿌리는 러시아 제국주의의 대외팽창과 중앙집권적 제국의 완성을 위한 피지배 공간 이 시베리아였기 때문이다. 시베리아는 제국러시아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러시아 제국주의 의 핵심적 공간으로 시베리아가 부각되었다. 주지하듯, 시베리아는 19세기 러시아의 정치적 민 주주의자들에게는 유형지였다. 1840년대 러시아의 관념론자들과 사상가들은 러시아 짜르 와 제 국의 이익보다도 민중들을 위한 가치를 더 중요시하였고, 그 결과로 시베리아 유형의 고통을 당 하였다. 시베리아는 자유를 위한 희망과 고통의 동의어였고 그들은 러시아 민중의 대표자적 성 격을 지녔다.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정복한 이후 2백년이상 지난 이후인 19세기 초의 러시아 지식인들은 비로소 식민주의 지대( 地 帶 )로, 혹은 제국의 이미지로 시베리아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 이미지 는 여전히 러시아 국가의 상업 식민지(mercantile colony)로서의 시베리아 이미지였다. 시베리아 는 개발에 유용한 천연자원이 풍부하여 러시아제국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식민지 이미 지는 러시아와 시베리아의 전통적 관계로부터 자연적으로 이끌어 낸 이미지이다. 18세기 이후 시베리아는 변방, 혹은 제국적 용어에 따른다면, 거대 중심지(메트로폴리스)의 식민지 주변부로 이해되었다. 32) 해외 상업 식민지로서의 시베리아의 이미지는 식민 제국으로서 러시아의 비전을 더 확대했다. Ⅲ.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 모피 획득과 시베리아의 상업적 요소 러시아 행정당국은 처음 시베리아를 정복할 당시에는 러시아 국민이 정착하거나 러시아의 수 도와 시베리아를 연결하겠다는 거대한 목적을 가지고 시베리아를 바라본 것은 아니었으며, 단지 물질적인 이득을 취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베리아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개척하면서 초기에는 주로 모피 산업에 집중하였다. 즉 시베리아에 대한 관심은 주로 자원 개발 에 관련되어 있었으며, 모피, 농산 및 수산물, 산림자원 등이 중심이었다. 33) 시베리아는 러시아 에 있어 상업적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던 제국의 공간이었다. 시베리아를 최초로 정 복한 이반 대제는 시베리아의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무엇보다도 러시아 역사상 매우 강력한 중 앙집권적 정책을 구사하였던 이반대제는 시베리아에 비싼 모피가 풍부히 있으며, 이것은 상업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판단하였다. 시베리아 정복의 초기에는 모피 상인이라는 특별한 요소가 개 입되었지만, 기본적으로 동시에 시베리아로의 팽창에는 국가의 의도적인 활동이 개입되었다. 모스크바국은 시베리아를 정복하면서, 순전히 모피를 획득해야겠다는 경제적인 목표를 강력하 게 추진해 나갔다. 즉 전방개척지로서의 모피 획득이라는 야심찬 계획 아래 시베리아의 동쪽으 로 급속하게 나아갔다. 모피는 부드러운 금 으로 불렀다. 이밖에 모험으로 시베리아를 개척한 이들이 있었고, 일부는 고독을 찾아 떠난 사람도 있었으며, 지주들의 압박을 피해 도망친 이들 도 있었다. 징병기피자도 있었으며, 여전히 시베리아로 유형당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34) 그러나 까자끼 들이 아주 재빨리 아시아를 점령해 나갔던 이유의 가장 큰 목표는 모피였다. 이 목표를 가지고 이후 태평양 연안의 바다까지 나아가게 되었다. 32) Mark Bassin, Inventing Siberia: Visions of the Russian Ea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p. 767. 33) 김성진, Ibid., p. 35. 34) James R. Gibson, Russian Expansion in Siberia and America, Geographical Review, Vol. 70, No. 2 (Apr., 1980), p. 127.

24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표트르대제의 통치 이전에 벌써 러시아는 극동의 북부지방과 남동 지역을 제외하고 거의 대 부분의 시베리아 지역을 정복했다. 시베리아를 매우 빠르게 정복한 이유는 모피 획득이라는 경 제적 이유가 매우 중요했다. 시베리아의 냉혹한 기후로 인해 양질의 시베리아 모피가 확보될 수 있는 자연적인 환경이 되었다. 러시아 경제사에 있어 시베리아산 모피류는 매우 중요한 수입 원 천이었다. 까자끼 인들을 매우 강력하게 견인한 요소가 모피 공급이 무한정하게 이루어졌기 때 문이다. 그들은 단순히 모피들을 모으기도 하고, 가끔은 도를 넘은 잔인한 방법으로 모피들을 갈취하기도 했다. 그들은 원주민들에게 야삭이라는 세금을 지불하도록 했다. 원주민들은 짜르에 게 바칠 야삭을 담비 코트 등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모피는 17세기까지 국가의 주요한 대외무역 의 원천이 되었다. 시베리아산 모피는 유럽과 중국으로 수출되었으며, 그곳 궁정에서 모피들은 매우 중요한 장식품이 되었고, 독일 화가 홀바인과 이탈리아 화가 티티아노의 회화 모델로도 유 명세를 떨치게 되었다. 한때 모스크바국은 1595년에 신성로마제국에 값을 매기기 어려운 120개 의 담비 모피를 포함한 40만 개의 털가죽을 선물하기도 했다. 35) 시베리아 타이카 지역에서 확 보된 감미로운 털가죽은 러시아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에 금과 은처럼 가치가 있었다. 수세기동안 시베리아산 모피는 중세 러시아의 일관적이고 매우 중요한 수입 원천이 되었다. 모피수입은 1640년 경, 러시아 국가 수입의 1/3 정도나 될 정도로 한때 매우 엄청난 수입을 올렸다. 36) 1639년에 러시아 인들은 오호츠크 해 인근에 군대 요새를 건설하였다. 1648년에 까자끼 들은 북극해로 흘러 들어가는 콜리마 강으로부터 아나디르 강까지 나아가게 되었다. 37) 러시아는 시베 리아를 넘어 북아메리카 지역, 즉 알래스카 땅까지 이르렀다. 시베리아와 알래스카까지 나아갔 던 러시아의 제국 팽창에는 일반적 공통점이 있었는데, 상기에 언급했듯이, 시베리아와 북아메 리카 정복은 두 다 모피류 획득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할 수 있다. 시베리아모피류 동물의 왕은 흑담비이다. 알래스카에서는 이에 반해 바다 수달이 숫자적으로 가장 많으며, 가장 중요한 획득 대상이다. 모피류와 관련되어서는 흑담비와 바다 수달이 가장 가치가 있는 동물들이다. 러시아 가 이 두 동물 중에서 어떤 동물에 더 가치를 두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흑담비는 바다 수달보다는 군집을 이루지 않는 야행성 동물이다. 그리고 흑 담비는 일 년에 최대 5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소위 바다 비버 모피 로 알려져 있는 바다 수달은 집단생활을 하는데, 일 년 간 기껏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38) 그런 관계로 바다 수달 은 흑담비보다도 더 급속도로 숫자가 감소되었으며, 러시아의 알래스카 점령은 시베리아에서 보 다도 그 경제적 가치가 크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흑담비는 시베리아에 지배적인 모피류 동물인 데, 육지 동물이라서 유라시아의 타이가 지역에 잘 적응하고 있어 제국러시아에 여러 가지로 유 리한 점이 많았다. 이에 반해 바다표범은 홋카이도와 캘리포니아 사이의 태평양 연안에 군집하 여 살고 있는 동물이다. 즉 대륙과 해양의 모피 무역업자들 사이에는 이러한 차이점이 매우 중 요하였다. 주로 대륙의 모피 무역업자들의 무역 거래 방식은 세금, 바터제, 그리고 모피류 동물 을 사냥함으로써 모피를 획득하는 데 익숙해져 있고 경쟁력이 있었다. 이들은 북태평양의 해양 모피류 무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 즉 무역 경쟁에서 뒤졌다. 모스크바국의 러시아 인들이 최초로 시베리아를 정복한 이후로 태평양 인근의 오호츠크해를 발견한 시점이 1649년이 었고, 그 이후에 러시아인들이 베링해를 지나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 섬의 캡틴 하보르 (Captain's Harbor)를 점령했던 때가 1770년대로 비교적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던 이유가 알래스 35) John Massey Stewart, Ibid., p. 57. 36) A. V. Baikalov, "The Conquest and Colonization of Siberia," Slavic and East European Review, 10 (1932), p. 561. 37) A. E. Sokol, Russian Expansion and Exploration in the Pacific, American Slavic and East European Review, Vol. 11, No. 2 (Apr., 1952), p. 86. 38) 일반적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모피의 질이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James R. Gibson, Ibid., p. 128.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25 카의 모피류 동물에 대한 수요가 높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39) 1652년에 러시아는 극동의 매우 중요한 지역인 캄차트카 반도를 발견하고 이를 점령했는데, 시베리아의 정복사에 있어 매우 큰 초석을 마련한 사건이었다. 이 지역을 완전히 점령하였던 이 는 까자끼인 모로스코와 아틀라소프이다. 이들은 1696-1699년 사이에 깜차트카 반도에 대한 정 복에 성공했다. 그러나 동시베리아에서 러시아 군대는 원주민들의 매우 강력한 적의에 부닥쳤 다. 당시에는 이를 극복할 만큼 러시아 군대의 힘이 강력하지 못했다. 아틀라소프가 캄차트카 지역에 모피류 동물이 풍부하다는 것을 정식으로 러시아정부에 보고하면서, 이 지역은 매우 유 명한 모피 수렵 지대가 되었다. 캄차트카 반도에 대한 제국의 정복은 그 이후로 더욱 더 정교한 방식으로 행해졌다. 그러나 캄차트카 지역에 대한 완전한 점령은 1716년에 오호츠크 해와 캄차 트카의 서부 연안 사이의 해협 횡단에 성공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이후에서야 캄차트카 반도는 급속도로 러시아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40) 그렇다면 러시아제국은 어떤 방식으로 모피를 획득하고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었을까? 18 세기, 표트르 대제는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강력한 정복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전에 이미 대상( 大 商 )들, 소상인, 판매상인, 그리고 무역 에이전트들이 우랄을 넘어 시베리아에 대한 관심을 지대하게 보이고 있었다. 상기에 언급하듯, 모피는 상인들의 동방 확장에 기여했으며 대 규모적인 부의 창출에 기여했다. 그러나 국가 관리들, 군인들, 그리고 개인 상인들은 시베리아 현지의 규정을 유지하고 다스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러시아정부는 정복 초기부터 모피 를 취득하고 교환하는 무역과 관련된 일을 시스템하고 조절하고자 무척 애썼다. 가장 질이 높고 가치가 있는 모피를 획득하는 사업이 정부 주도의 주된 정책이었다. 시베리아의 원주민들과 상 인들은 자신들이 시베리아 인이든, 러시아 인이든 관계없이 국가 대리업자들에게 자신들이 획득 한 가장 질 좋은 모피를 제출해야만 했다. 그러므로 원주민들은 러시아를 위해 초기부터 세금으 로 모피를 바쳐야만 했다. 41) 원주민들이 납부해야 될 야삭은 지역에 따라, 혹은 기간에 따라 다양하게 부과되었다. 러시아 는 거대한 양의 모피를 획득했다. 외국 무역업자들이 유럽러시아로 돌아갈 때는 특별히 몇 개의 세관을 통과해야 했으며, 구입하거나 취득한 모피 가치의 1/10을 통관료 명목으로 지불하였다. 조세 수입을 확대하기 위해 러시아정부는 복잡한 통관 시스템을 가동하였으며, 세관 통과 물품 리스트와 도시에서 물품을 구입할 시에 이를 증명하는 인장 제도를 확립하였다. 러시아 행정당 국은 모스크바로 가지고 갈 모피를 확보하고 그 이후에는 러시아 국내에서 이를 판매하거나 서 유럽으로 모피를 가지고 가기를 원하는 외국 상인들에게도 이를 판매했다. 42) 그러나 점차로 모 피 상업 무역이 쇠퇴함에 따라 시베리아는 러시아의 오지가 되었다. 정부의 입장에서 시베리아 는 단순한 오지로만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특별히 니콜라이 1세 치세 기간 (1825-1855)에 더욱 더 그러하였다. 니콜라이 1세는 19세기 중엽의 러시아-오스만 투르크 전쟁 등 동방문제나 유럽문제에 치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제국의 동쪽 주변부에는 관심을 가질 만한 여유가 없었다. 당시 러시아 외교정책에서 시베리아는 범죄자들을 수용하는 소위 깊은 그물망 (deep net)의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인식되었다. 43) 39) James R. Gibson, Ibid., pp. 128-129. 40) A. E. Sokol, Ibid., p. 87. 41) C. M. Foust, Russian Expansion to the East Through the Eighteenth Century,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 21, No. 4 (Dec., 1961), p. 472. 42) C. M. Foust, Ibid., p. 473. 43) Mark Bassin, Inventing Siberia: Visions of the Russian Ea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Ibid., p. 774.

26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Ⅳ. 러시아의 농민이주와 시베리아 통치의 특성 러시아 정체성의 전통적인 질문인 러시아가 동양에 속하는 것인가 혹은 서양에 속하는 것인 가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관점이 있어왔다. 몽골의 전통적인 영향을 받았으므로 러시아 에는 동방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주장도 자주 제기되었다. 오랜 시기동안 러시아 정체성 문제는 학자들의 지대한 관심을 받은 학술 주제였다. 마치 이것은 소련이 제국이었는지, 아니면 제국이 아니었는지에 관한 역사학자들의 논쟁과도 유사한 아젠다 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사회 의 다양한 관심을 이끌어왔던 것은 러시아 정체성이었다.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러시아 연 방 국가건설의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두고 정치적 보수주의자들이나 자유주의자들, 혹은 민족주 의자들이 열띤 논쟁을 거듭해왔다. 정치학자, 역사학자들, 그리고 공공의 엘리트에 이르기까지 개인적이고 특수한 자신의 관점을 견지하면서, 러시아가 동방의 국가인가 혹은 유럽 국가인가 하는 정체성 부분에 대해 여러 다양한 해석을 내려왔다. 그런데, 러시아의 국가엘리트들은 동 방으로의 어떠한 목적 을 이끌어 내기위해 국가 및 민족 정체성을 스스로에게 부과해왔다. 그들 의 인식은 민족적, 종교적 특색을 가지고 있지만, 국가의 이익이라는 단순한 전략적 목적 하에 서 이루어졌다. 44) 러시아 국가 정체성과 관련, 마르크 바신은 러시아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된 흥미로운 주장을 시베리아의 예를 들어 지적하고 있다. 그는 러시아의 지리적 경계에 관한 담론에서, 서방과 동 방의 경계를 어떻게 규정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다. 바신은 북방전쟁 때 제정러시아에 포로로 잡힌 스웨덴인인 본 스트라흐렌베르그가 주장한 부분을 예로 들고 있 다. 본 스트라흐렌베르그는 13년간 서부시베리아에서 포로로 유형생활을 경험한 스웨덴의 관리 이다. 그는 시베리아와 스웨덴에서 일종의 컨설턴트 역할을 한 인물인데, 우랄을 유럽과 아시아 의 가장 핵심적인 경계점으로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는 유럽과 아시아의 남쪽 경계를 사마라와 볼가 강이 흐르는 볼고그라드로 상정했다. 볼고그라드는 볼가가 돈으로 접근하는 지역에 위치한 다. 45) 우랄 산맥은 경계를 위한 논리적인 선택이다. 바신은 러시아와 시베리아 사이의 선을 나 누는 데 있어서 오랫동안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고 인식되어진 시베리아의 유수한 강들보다도 우 랄산맥이 더욱 더 실제적이고 지리학적인 기준점이라고 강조한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러시아 의 17세기 지도는 우랄 산맥이 대체적으로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원시적인 형태로 되어있 었는데, 18세기에 러시아의 지도에는 우랄 산맥이 특별히 더 정교하고, 진보적으로 아름답게 그 려져 있다. 46) 시베리아는 상기에 함의하듯,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를 우랄을 통해 가로지르는 선이다. 즉 동 양과 서양의 경계점이다. 지리적으로 경계를 삼는다는 것은 심리적, 민족적으로 일정한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계를 통해 변방의 지리적인 의미도 존재하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시베 리아는 모피 획득이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제국의 지리적 정체성에 있어서는 동양이다. 아 시아의 경계이다. 몽골 타타르라는 아시아적 전통을 가지고 있는 러시아로서는 몽골의 침입으로 절정에 이르렀던 변방에 대한 원초적인 두려움이 아시아로 제국의 확장을 추진한 하나의 이유 가 되었다. 변방 유목민족들의 공격에 대한 방어적 인식이 항상 제국의 의식 속에 남아있었다. 44) Vera Tolz, "Orientalism, Nationalism, and Ethnic Diversity in Late Imperial Russia," The Historical Journal, 48, No. 1(Mar., 2005), p. 135. 45) Mark Bassin, Russia between Europe and Asia: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pace, Slavic Review, Vol. 50, No. 1 (Spring, 1991), pp. 6-7. 46) Mark Bassin, Russia between Europe and Asia: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pace, pp. 6-7.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27 이것이 소극적인 방어적 전략에서 적극적으로 제국적 속성을 가지게 되는 하나의 큰 이유이자 원천이었다. 시베리아라는 거대하고 확장된 지역이 러시아에 새롭게 가세함으로써, 새로운 식민 지대가 창출되었다. 47) 그런데, 이러한 역사적 해석을 내린 이들이 러시아의 철학사상가들이었다. 사실 16세기로부터 오랜 기간 동안 러시아의 정부 엘리트들은 시베리아를 단지 경제적 가치로 인식하고자 했다. 즉 제국러시아에 있어,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통치적 시스템은 러시아의 남부 지역처럼 매우 강력하게 가동되지 못했다. 러시아가 시베리아 에서 채택한 농민 이주 계획도 잘 진행되지 못했다. 그 대신에 과거에 러시아 농민들이 러시아 남부로 지주의 학대와 폭정에서 벗 어나기 위해 그곳으로 도망치고 군집을 이루며 살아갔듯이, 러시아의 시베리아로 농민들이 도주 하는 일이 벌어졌다. 까자끼 라는 자유농민이 러시아 남부에서 발생했듯이, 일부 러시아 농민들 도 폭압적인 영주를 떠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점령하고 이를 개발해 나가는 데 있어서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모피 무역과 관련된 통치 시스템을 가동하였고, 이후 척 박한 시베리아 땅으로 중앙러시아의 농민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을 펼쳐 나갔다. 그러나 이 이주 정책은 19세기까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핵심적인 이유가 정복의 초기에는 모피 무역으로 서도 충분한 이득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그러하였지만, 시베리아 자체가 지역적으로 너무 광 대하고 기후가 농업을 발전시켜나가기에는 척박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시베리아로 러시아 농 민들을 이주하는 정책은 잘 구현되지 못했고, 시베리아 개발을 위해 시베리아로 보내졌던 제 1 세대 러시아 인들은 범죄자, 즉 다시 말해서 족쇄를 차고 왔던 사람들이 많았다. 이외에 일개 농부의 자격으로, 혹은 가족을 동반한 농부들이 시베리아로 많지는 않았지만 이주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농민들을 대량 이주시키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제국경제가 혼란에 빠트려질 수도 있다. 자유로운 이주는 러시아제국의 군사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노예제를 붕괴시킬 우려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주를 완전히 금지한다면, 러시아의 시베리아 행정당국자들이 필요로 하는 시베리아의 견고한 발전과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제국주의자들에게는 이러한 딜레마가 항상 따라다니는 것이며, 러시아제국의 식민주의자들에게도 동일하다. 서부시 베리아에서는 한정적이지만, 일정한 농민들의 이전이 허용되었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시베리아 는 자유로운 기업이나 민주화의 땅은 될 수 없었던 것이다. 48) 그래서 러시아 행정당국은 시베리 아 원주민들을 시베리아의 여러 다양한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키고자 했다. 그래서 그들로 하여 금 농업을 개간하는 정책을 실시하고자 했다. 17세기 초기에 러시아 식민 행정부는 원주민들을 설득시켜 그들의 전통적인 노마드 생활 방식을 포기하도록 유도하고, 그들이 시베리아의 곳곳으 로 이주하여, 시베리아에 파견나간 러시아 주둔군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게끔 농업에 종사하 도록 하는 정책을 실시하고자 했다. 49) 그러나 이에 대해 원주민들은 자신들이 노예화되는 것을 반기지 않았으며, 동으로 러시아의 변방을 확대하고자 하는 모스크바국의 의도에 응하지 않았 다. 1601년에 모스크바국은 시베리아에 12개의 농업 거주지만을 마련할 수 있었다. 17세기 전체 를 통해 러시아 정부는 유럽러시아로부터 곡물이나 다른 식료품을 수입해서 태평양 연안의 먼 극동까지 곡식을 배급해야만 했다. 50) 그렇다면 러시아 인들의 이주는 대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을까? 첫째, 까자끼 인들이 모피 무역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시베리아로 일정하게 이주가 이루어졌 다는 점이다.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정복하는 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부분은 47) Joseph L. Wieczynski, Toward a Frontier Theory of Early Russian History, Russian Review, Vol. 33, No. 3 (Jul., 1974), p. 291. 48) Joseph L. Wieczynski, Ibid., p. 293. 49) Г.Ф. Миллер, История Сибири (Москва, 1937), с. 383. 50) Г.Ф. Миллер, История Сибири, 2 (Москва, 1937), c. 37.

28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러시아 동부 및 남부의 농민들과 일부 러시아인들이 시베리아로 평화적인 이주를 감행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까자끼 인들은 오브, 예니세이, 레나, 인디기르카, 그리고 콜루마 강을 개척하 였다. 까자끼 인들은 베레조프(1593), 수르구트(1594), 오브도르스크(1595), 투루칸스크(1607), 빌 루이스크(1634), 스레드네콜림스크(1643), 니쥐네콜림스크(1644), 그리고 아나디르 강, 오호츠크 해안, 캄차트카를 따라 세워진 여러 마을들을 개척하였다. 카자끼의 이주로 무역 마을과 행정 센터들이 세워졌다. 그들은 이러한 장소를 직접적으로 세우게 되었으며, 일종의 행정 구역인 보 에보다(voevoda)가 일정하게 출현하였으며, 사제들과 무역업자들이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베리아 지역에서 일정한 일을 찾지 않고 배회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인구는 점점 줄어들었 고 극단적으로 이후에는 소수만 남았다. 1890년대에 대부분은 수백 명의 거주자들만이 있었고, 러시아 마을들의 인구는 더 소규모였다. 수르구트는 1,100 명 정도, 그리고 오브도르스크는 800 명 정도가 있었으며, 투루칸스크는 약 200명, 그리고 레나강과 콜루마 강을 따라 60-90명 정도 의 러시아인들만 있었다. 51) 서부 시베리아에서 농민들은 토지와 부동산을 부여받았다. 땅을 받았다는 것은 국가에 봉직한 다는 의미이고 농민들은 새로운 주택 지역으로 이주하게 된다. 그러나 이 지역의 원주민들은 새 로운 삶의 방식을 강요당할 수밖에 없었다. 원주민들은 러시아가 그들에게 부과한 세금을 모피 로 지불하였다. 러시아정부는 원주민들로 하여금 모피를 수령하기 위해 그들이 유목 방식을 고 수하는 것을 막지 않았다. 그러나 상황은 점점 변하게 되었다. 세금은 이제 모피 대신에 곡물로 요구되기도 했으며, 원주민들이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정주 생활과 더불어 농사일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제 대러시아, 소러시아, 백러시아 등의 농민들처럼, 원주민들도 국가 농 민이 되었다. 서부 시베리아의 토착민들은 모스크바국의 통제에 놓이게 되었다. 즉 원주민들의 변방 정신은 퇴색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52) 중앙정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동부 시베리아에서의 러시아정부의 이주민 정책 등 통치적 시스 템은 잘 가동되지 못했다. 삶과 노동의 전통적인 관습이 변화됨으로써 이주민들과 원주민들은 혼란한 상황에 처했다. 과거에 중앙 러시아에서 서부시베리아로 도망 친 좀 더 용감하고 결단력 이고 저항적인 농민들은 당시 아직도 강력한 중앙으로부터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던 동부 시 베리아로 재차 달아날 수 있었다. 러시아의 중앙 권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던 동부에서의 독 립 정신은 모스크바국의 제도의 확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53) 17세기에 시베리아에서는 지방 권력자들, 그리고 그들에게 종속된 지방 거주민들과 원주민들에 대항하는 일련의 봉기들이 발생했다. 그들에 의한 봉기들은 러시아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농부들의 봉기로 러시아는 특히 동부시베리아 지역에서는 더욱 더 강력하게 전제정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54) 둘째, 주인의 학대를 피해 시베리아로 도주함으로써 이주민들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이다. 빅 토르 에를리크는 시베리아 이주사에 대한 언급에서 특별히 시베리아의 거대한 지역적 특성에 강조점을 둔다. 그에게 시베리아는 농민들의 이주의 장소였다. 즉 까자끼에 의해 정복당한 시베 리아는 농노제와 지주들의 박해를 피한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차원 의 이주가 소규모적이고 꾸준히 진행되었다고 언급한다. 러시아의 농민들을 포함한 국민들에 51) Willard Sunderland, Russians into Iakuts? "Going Native" and Problems of Russian National Identity in the Siberian North, 1870s-1914, Slavic Review, Vol. 55, No. 4 (Winter, 1996), pp. 811-812. 52) Joseph L. Wieczynski, Ibid., p. 293. 53) Joseph L. Wieczynski, Ibid., p. 294. 54) 그러나 17세기말에 동시베리아의 농부들은 서시베리아의 농부들처럼 특별한 할당량에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 지 않았다. 동시베리아에서 농업에 종사한 이들이 실제적으로 자신의 주인을 위해 지불해야 하는 의무 노동 량은 실제적으로 감소되었다. История Сибири, том. 5, No. 2, (Ленинград Академия Наук, 1968), c. 152.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29 게 러시아의 동쪽이라는 관념은 이주와 연관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지역적 특성으로서의 시베 리아의 중요성과 연결된다. 시베리아는 변방 (frontier), 혹은 다른 말로 한다면, 변경 으로서의 이미지이며, 이것은 또한 기회의 땅으로 수용될 수 있다. 55) 셋째, 종교적 자유를 찾아 이주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러시아의 구교도에 해당하는 사항 이다. 구교도들은 시베리아의 초기 정착민 중의 하나였으며, 자신들의 공동체를 러시아 본토보 다도 될 수 있으면 더 먼 곳에 건설하기를 원했던 사람들이었다. 구교도들은 자신의 종교 신념 에 헌신한 자들이다. 러시아 당국자들이 구교도들의 공동체나 은신처를 발견했을 때, 구교도들 은 자신들의 일군 밭을 버리고 타이가 지대로 숨어버리는 행동을 일삼았다. 16세기와 17세기, 그들이 더 이상 몸을 숨기는 것이 어렵게 되었을 때에, 구교도들은 극단적으로 자신들의 거주지 에 불을 질러 집단 자살을 감행하기도 했다. 56) 그러나 이에 비해 공식적인 러시아정교회의 사제 들은 시베리아에서의 자발적인 종교 활동을 그렇게 강력히 원하지는 않았다. 종교 행동주의자 들, 금욕주의자들, 그리고 교양 있는 사제들은 시베리아처럼 멀리 떨어져있고 매우 추운 지역에 서 자신의 삶을 영위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유럽 러시아에서 종교 활동을 하기를 원하는 것은 당연했다. 시베리아의 러시아정교회의 활동은 매우 약했다. 그래서 시베리아에는 종교적 신념이 아주 강한 이단주의자들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강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면 구교도의 활동 등 이다. 시베리아 초기 이주사에서 비자발적으로 시베리아로 정치적 이유로 이주한 이들이 있다. 즉 1593년에, 동란의 시기에 참칭자 드미트리의 사망 이후에 우글리치로부터 시베리아로 강제로 유형 간 300여 명의 정치범들이 있었다. 이로부터 150년이 지난 이후에 다시 제정러시아에 의 해 시베리아로 범죄자들의 유형이 시작된 시기는 1754년이다. 유럽러시아나 우크라이나에서 19세기 이후에 1885-1914년까지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이후 에서야 점진적으로 시베리아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았다. 사실상 그전까지는 유럽러시아로부터 시베리아로 이주하는 농민들의 숫자는 많지 않았다. 57) 아시아에서 식민화의 대상은 전적으로 농 민이었다. 시베리아에서는 기본적으로 귀족이나 대지주가 없었다. 시베리아는 새로운 러시아 라 고 언급되기도 한다. 58) 농민들에 대한 시베리아의 이주사에 대해 언급할 때는 유명한 학자인 니 콜라이 야드린쩨프(1842-1894)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시베리아 유형수로서 시베 리아 지역주의의 주창자였다. 동시에 그는 시베리아의 이주민(이노로드찌)의 주도적인 전문가로 서 혼합은 러시아화를 동반할 뿐만 아니라 러시아인들이 원주민들의 전통과 관습, 특히 부랴트, 퉁구스, 야쿠트 등의 원주민들의 전통과 관습을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하였다. 자유 주의자들인 로젠과 바실리 바르톨드도 또한 러시아인들과 비러시아인들의 미래로서 단일화와 혼합에 대한 관점을 제기하였다. 민족 건설 과정으로서 바르톨도는 이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 다. 59) 55) Victor Erlich, Ibid., pp. 243-244. 56) 몰로칸 등 이단주의자들도 시베리아 지역을 러시아의 다른 권역보다도 더 선호하는 행태를 보였다. 19세기말 에는 시베리아에는 침례주의자들의 수가 더 많이 생겼다. 러시아정교회의 역할이 미미했다는 증거이다. 대체 적으로 시베리아인 들은 비정교도인들이거나 이단주의자들이었다. Sergei Filatov & Lawrence Uzzell, Ibid., p. 106. 57) J. R. Hughes, The Irkutsk Affair: Stalin, Siberian Politics and the End, Soviet Studies, Vol. 41, No. 2 (Apr., 1989), p. 230. 58) Domicnic Lieven, Empire, The Russian Empire and Its rivals. (New Heaven and London : Yale University Press," 2000, p. 208. 59) V. Bartol'd, 'Rech' pered zashchitoi dissertatsii', in his Sochineniia, I (Moscow, 1963), p. 610. Vera Tolz, Ibid., p. 136에서 재인용.

30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오늘날 황폐한 땅에 살고있는 퉁구스 민족과 스텝의 친구라고 불리는 칼믹 민족을 포함하여 러시아의 모든 민족들은 푸시킨으로 대변되는 러시아 문화의 위대한 대표자로 공헌하게 될 것이 며, 야만의 시기에 푸시킨이 자유를 주창하고 모든 고통 받는 자들에 대한 자비를 선포하였기 때문에 푸시킨의 천재성을 인식하게 될 그런 날"들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야드린쩨프도 모든 인간의 이상을 주창한 푸시킨의 공헌을 이해하게 될 그날이 18세기부터 시작해서 19세기에 빠른 속도로 촉진될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19세기 러시아 지식인들이 여러 차례 우려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제국러시아 당국자들은 이 지역을 식민지하고 이를 러시아에 연결하는 식민지로 선포하였다. 제국의 팽창과 식민지화는 시베리아 지역에서 이루어졌지만, 시 베리아로의 이주는 특별히 여러 상황의 복잡함으로 인해 쉽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수도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진 지역이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인들은 이 지역에 대해 그렇게 희망적으로 보 지 않았다. 특히 기후 조건과 지리상의 위치가 본국의 중심지역에서 행해지던 농업 등이 전혀 행해질 수 없는 지역이라는 점이 매우 큰 걸림돌이 되었다. 특별히 이주 인구가 아주 많은 상황 이 아니었으므로 인구 조밀도 점에서 시베리아는 매우 척박한 땅이었다. 18세기 중엽에 시작된 유형 제도가 19세기에는 매우 강력하게 정착되면서 시베리아에 대한 평판 자체는 오명이 되었 다. 60) 제정러시아정부는 시베리아에 대한 총체적 관리 업무를 위해, 주요 수도에 통치 기구를 세워 나갔다. 이러한 조직체는 주로 식민주의 정책이 가능한 통치 부서들, 관리들, 요새들, 군인들, 서 기( 書 記 )들, 세관감정인들과 관세장벽들과 같은 식민행정부의 완전한 조직을 필요로 하였다. 시 베리아에서의 제국의 확립을 위해 시베리아 쁘리까즈(Сибириский приказ, Siberian Prikaz)가 1637년에 정부의 독립적인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일반적으로 쁘리까즈는 모스크바국의 이반 대 제시기에 중앙집권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진 기구이다. 이반 대제는 국가 통치 시 스템을 지방으로까지 확대하고자 했으며, 이에 따라 세워진 기구가 쁘리가즈이다. 시베리아 쁘 리가즈는 활동 분야와 책임감에서 어떤 제한이 없었다. 시베리아 쁘리까즈는 관리들을 선발하여 시베리아로 파견하였다. 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군대를 조직하고 시베리아 지역을 식민지화하 면서, 모피 수집에 열을 올렸다. 필요하다면, 쁘리까즈가 다른 국가들과 외교적 관계를 가졌고, 식민지 국경에서 원주민을 포함하여 외국인들과도 접촉했다. 61) 이것은 단일한 정책이나 실행으 로 러시아제국의 권력을 이 지역에서 강화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쁘리까즈는 러시 아의 관리들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시베리아 지방이나 특정 구역에서 발생하는 즉각적인 문제 들을 해결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이 된 기구이다. 쁘리까즈는 러시아제국의 매우 강력한 영토 확 장을 시도하던 예카테리나 여제가 시베리아 행정 체제를 표준화하던 시기까지 효과적으로 제국 의 통치가 가능하도록 역할을 가졌다. 즉 쁘리까즈는 시베리아 전 지역에 대한 일반적이고 특수 한 통제를 가능할 수 있도록 유지한 정부 기구라고 할 수 있다. 62) 그러나 이에 반해 시베리아 쁘리까즈는 모든 식민지를 총괄하는 관리 업무는 하였지만, 지역 발전을 위한 제도는 아니었다고 지적하는 내용도 있다. 63) 러시아혁명 이전인 1911년에 시베리 아의 비러시아인 원주민들은 공식 통계로 2,212,100명이었다. 시베리아 민족들은 주로 사냥과 어업에 종사하였다. 공식적으로 민족 언어가 없었으며, 1천명도 안 되는 극소수 민족으로부터 60) Abby M. Schrader, Ibid., p. 231. 61) C. M. Foust, Ibid., p. 473. 62) C. M. Foust, Ibid., p. 473. 63) 박태성, Ibid., p. 153.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31 야쿠트, 부리야트 민족처럼 다수의 인구를 가진 민족들이 있었다. 야쿠트, 부리야트 민족에서 나 온 하부 민족들도 있다. 그들은 부족 국가를 가지고 있거나 러시아제국 아래에서 자체 법률을 가지고 있었다. 64) 러시아의 아무르와 우수리 지역에서의 1850년대의 정복은 러시아의 개혁과정 에서의 민족주의 운동과 결부되었다. 그리고 시베리아 지리 협회는 미지의 땅인 남시베리아를 탐험하면서, 특별히 탐험대로서의 완벽하고도 특수한 제국주의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대시베리 아 조사는 정치적 상황과 필요를 가지고 있는 유일한 제국적 시도는 아니지만, 이러한 탐험의 패턴은 러시아와 다른 지역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65) Ⅴ. 결론 64) Elena Varneck, Siberian Native Peoples after the February Revolution,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American Series, Vol. 2, No. 1 (Mar., 1943), p. 70. 65) Mark Bassin, The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the "Amur Epoch," and the Great Siberian Expedition 1855-1863," p. 240.

32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참고문헌> 김성진, 시베리아 지역주의의 역사적 고찰: 제정말기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권 2호, 2001, p. 35. 김지환, 제정 러시아의 제국주의와 동방정책의 역사적 고찰-동청철도를 둘러싼 중러관계의 변화 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제 50집, 2004, p. 165. 김형규, 계몽의 선교사들 : 북부위원회와 1920-1930년대 소련의 시베리아 북부 토착민 정책, 서양사연구 제 39집, 2008년, p. 158. 민경현, 시베리아 지역주의 운동의 사상적 기원-뽀따닌과 야드린쩨프를 중심으로-, 슬라브연구, 20권 2호, 2004, p. 88 박영은, 예브게니 옙뚜센꼬의 세계관에 구현된 시베리아 경험 공간의 의미장, 비교문학, 제 55집, 2011년, p. 300. 박태성, 러시아의 시베리아 식민화 과정, 국제지역연구, 7-2호, 2003, p. 140. 이길주, 러시아, 시베리아 작가들의 시베리아-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테마, 노어노문학 16권 1 호, 2004, p. 351. 정세진, 러시아와 아시아, 러시아와 시베리아의 역사적 함의, e-eurasia Vol. 4호, 2008년 4월, pp. 77-78 진시원, 동북아시아 철도건설과 지역국가관계의 변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제국주의 시 기를 중심으로, 평화연구 12권 2호, 2004년 봄, p. 62. 한정숙, 19세기 시베리아의 지역적 자의식, 역사학을 만나다 슬로프초프, 코스토마로프, 샤포프 와 지역사, 슬라브연구 28권 3호, 2012, p. 79. 한종만,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 개발과 한반도 정책, 통일문제연구, 2012년 하반기(통권 제 58 호), p. 77. 홍웅호, 1858~1898년 러시아의 동아시아 팽창과 만주, 동북아역사논총 14호, 2006, p. 110. 황영삼, 제 30회 동양학 학술회의록 : 동아시아 문화개방과 근대화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 - 시베리아 철도부설과 관련하여- 동양학, 31권, 2001, p. 316. Abby M. Schrader, Unruly Felons and Civilizing Wives: Cultivating Marriage in the Siberian Exile System, 1822-1860, Slavic Review, Vol. 66, No. 2 (Summer, 2007), p. 230 Baikalov, A. V. "The Conquest and Colonization of Siberia," Slavic and East European Review, 10 (1932), p. 561. Claudia Weiss, "Representing the Empire: The meaning of Siberia for Russian Imperial Identity," Nationalities papers, Vol. 35. No. 3, July 2007. p. 440. Dominic Lieven, "Russia as Empire: a comparative perspective," Geoffrey Hosking, Robert Service, (eds) Reinterpreting Russia (London, Sydney, Auck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p. 11. Domicnic Lieven, Empire, The Russian Empire and Its rivals. (New Heaven and London : Yale University Press," 2000, p. 208. Elena Varneck, Siberian Native Peoples after the February Revolution, Slavonic and East

러시아 제국의 시베리아 확장: 제국의 정복 및 시베리아 이미지 33 European Review. American Series, Vol. 2, No. 1 (Mar., 1943), p. 70. Foust, C. M. Russian Expansion to the East Through the Eighteenth Century,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 21, No. 4 (Dec., 1961), p. 472. George V. Lantzeff and Richard A. Pierce, Eastward to Empire: Exploration and Conquest on the Rus-sian Open Frontier, to 1750 (Montreal and Lond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3) Hughes, J. R. The Irkutsk Affair: Stalin, Siberian Politics and the End, Soviet Studies, Vol. 41, No. 2 (Apr., 1989), p. 230. James R. Gibson, Russian Expansion in Siberia and America, Geographical Review, Vol. 70, No. 2 (Apr., 1980), p. 127. John Massey Stewart, Early travellers, explorers and naturalists in Siberia, Asian Affairs, 15:1, 1984, p. 57. Joseph L. Wieczynski, Toward a Frontier Theory of Early Russian History, Russian Review, Vol. 33, No. 3 (Jul., 1974), p. 291. Leslie Urquhart, The Future of Siberia: Discussion, The Geographical Journal, Vol. 51, No. 3. (Mar., 1918), pp. 160-161. Mark Bassin, The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the "Amur Epoch," and the Great Siberian Expedition 1855-1863,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73, No. 2 (Jun., 1983), p. 243. Mark Bassin, Inventing Siberia: Visions of the Russian Ea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 96, No. 3 (Jun., 1991), p. 763 Michael Khodarkovsky, Russia's Steppe Frontier: The Making of a Colonial Empire, 1500-1800 (Bloomington, 2002), p. 220. Nicholas Breyfogle, Heretics and Colonizers: Forging Russia's Empire in the South Cauca sus (Ithaca, 2005), p. 4. Sergei Filatov & Lawrence Uzzell, "Religious Life in Siberia: The Case of Khakasia," Religion, State & Society, Vol. 28, No. 1, 2000, p. 106. Sokol, A. E. Russian Expansion and Exploration in the Pacific, American Slavic and East European Review, Vol. 11, No. 2 (Apr., 1952), p. 86. Vera Tolz, "Orientalism, Nationalism, and Ethnic Diversity in Late Imperial Russia," The Historical Journal, 48, No. 1(Mar., 2005), p. 135. Victor Erlich, Images of Siberia, 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Vol. 1, No. 4. (Winter, 1957), pp. 243-244. Willard Sunderland, Russians into Iakuts? "Going Native" and Problems of Russian National Identity in the Siberian North, 1870s-1914, Slavic Review, Vol. 55, No. 4 (Winter, 1996), pp. 811-812. A. A. Блок, "Родина"(1910), Сочинения в одном томе (москва-ленинград, 1946) Г.Ф. Миллер, История Сибири (Москва, 1937), с. 383. Г.Ф. Миллер, История Сибири, 2 (Москва, 1937), c. 37. История Сибири, том. 5, No. 2, (Ленинград Академия Наук, 1968), c. 152.

35 러시아의 제국적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의 예 배규성(영남대) 차례 Ⅰ. 러시아와 제국 의 의미 Ⅱ. 시베리아의 타자 (other)적 이국(아시아)적 이미지와 제국 Ⅲ. 제국적 이미지의 플렛폼으로서 만국박람회 Ⅳ. 제국적 이미지의 전시물로서 대시베리아철도와 카슬리 주철관 Ⅴ. 러시아의 제국적 정체성과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Ⅰ. 러시아와 제국 의 의미 러시아 하면 떠오르는 모습은 크고 넓고 많고 강하다 는 이미지이다. 이것은 가장 대표적 인 제국적 표상 들이다. 제국(empire) 은 다양한 개념과 여러 조건으로 이루어진다. 제국은 제 국주의를 추구하는 국가와는 다른 개념으로, 학자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지만, 일반적으 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을 때, 우리는 그 국가를 제국이라 부를 수 있다. 첫째, 황제 를 중심으로 강력한 군사력으로 뒷받침 되는 중앙집권적 통치구조가 갖추어져야 한다. 둘째, 자급자족적 경제체제, 즉 아우타르키(autarchy)가 가능할 정도의 넓은 영토와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제국의 전 지역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법률을 포함하여 넓은 영역의 다양 한 민족과 문화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 문화가 존재해야 한다. 한편 제국은 정치적인 구조로서 조건 지워 질 수 있다. 알렉산더 모틸(Alexander J. Motyl)은 제국의 구조를 위한 이론적 뼈대를 제공한다. 1) 첫째로, 제국에는 중심지와 주변지가 있어야 한 1) Alexander J. Motyl, Imperial Ends: The Decay, Collapse, and Revival of Empir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36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다. 제국의 구조는 서로 유리한 양식에 있는 중심지 정예와 주변지 정예를 연결시킨다. 그런 관 계는 많은 방법 - 호전적, 강제적, 합의에 따른 방법 - 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지와 주변지가 수직적 관계에 있는 동안 주변지와 주변지간의 실체 관계가 부족해지게 된다.[3] 그는 이러한 관계를 바퀴통과 바퀴살만 있고 바퀴의 테는 없는 불완전한 바퀴라고 기술한다. 모틸은 지리적 구조를 통해 제국의 3가지의 유형을 지속, 불연속, 복합형으로 기술한다. 지속 적인 제국에서는, 모든 영토와 식민지는 땅 위에 서로 이웃한다. 몽골 제국, 러시아 제국, 아스 텍 제국 그리고 아카드 제국은 그런 지속적인 제국의 보기이다. 불연속 제국은 식민지가 해외에 있거나 또는 제국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다른 나라 영토에 둘러싸여 있다. 유럽 식민지 제국 과 같은 해상 제국은 불연속 제국의 보기이다. 복합 제국은 이웃한 식민지와 멀리 떨어진 식민 지를 둘 다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보기로는 해외인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유럽에도 제국령 속지를 가지고 있던 독일 제국일는지도 모르다. 모틸은 또한 제국을 형식적, 비형식적, 지배적이라는 다양한 각도에서 가정한다. 형식적 제국 관계에서는, 중심지는 주변 정예를 귀속시키거나 귀속을 해제할 수 있고, 어떤 외부적 안건이나 정책을 배제하고, 내부적 안건이나 정책을 통해 직접 통제한다. 비형식적 제국 관계에서는, 중심 지는 영향력을 가지지만 주변 정예를 귀속하거나 귀속을 해제하는 통제를 할 수는 없고, 외부적 안건이나 정책을 통해 직접 통제하며, 내부적 안건이나 정책을 통해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지배적 관계에서, 중심지는 주변 정예를 귀속하거나 귀속을 해제하는 데에는 아무런 통제력도 없고, 외부적 안건을 통해 통제하고, 외부적 정책을 통해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내부적 안건 또 는 정책을 통해서는 아무런 통제도 하지 않는다. 제국은 중요한 주변지가 상호 작용을 시작할 때 끝나며, 중심지가 주변지의 지배를 상실할 때 사라진다. 그러나 중심지-주변지 관계가 충분히 강하거나 약하며, 주변지와 주변지의 상호관계가 그저 그런 하찮은 관계를 지속하는 동안에는 제국이 유지된다. Ⅱ. 시베리아의 타자 (other)적 이국(아시아)적 이미지와 제국 외부세계에 대해 러시아가 자신을 제국 으로 표현한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이며 명확한 예 는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이다.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는 아주 인기있는 파노라마, 디오라마 (dioramas) 또는 코스모라마(cosmoramas)의 도움으로 4,800만 이상의 박람회 관람객들에게 많은 이국적인 가상 여행을 제공했다. 2) 그 중 가장 인기 있고 성공적인 파노라마중 하나는 러시아의 2) Claudia Weiss, Representing the Empire: The Meaning of Siberia for Russian Imperial Identity, Nationalities Papers, Vol. 35, No. 3, July 2007 참조.

러시아의 제국적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37 제국성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모스크바에서 시베리아를 거쳐 베이찡으로의 가상 기차여행이었 다. 만국박람회 식민지 섹션인 트로카데로(Trocadero) 정원에서 시현된 이 가상여행은 러시아 제 국의 아시아 쪽을 보여주기 위해 설치된 인상적인 장치였다. 관람객들은 모스크바역에서 표를 사서, 실재 객차처럼 흔들리고 소리가 나는 레스토랑으로 개조된 3개의 원형 열차칸 중 하나의 침대차에 올라탄다. 승객들이 식사를 하는 동안 950미터 길이의 캔버스에 그려진 이동 파노라마 가 시베리아 들판을 가로지르는 여행을 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속도와 장면으로 창문을 지나 간다. 45분 후 승객들이 베이징역에 내리면 중국 전통복장을 한 하인들이 맞이한다. 3) 이 파노라마는 박람회에서 같은 종류의 파노라마 중 가장 인기 있는 것들 중 하나였고, 자신 의 시베리아 스케치를 본 떠 이 파노라마의 그림을 그렸던 화가 러시아 군의관 파벨 피아세츠 키(Pavel Iakovlevitch Piasetskii)는 금메달을 수상했고, 레지옹 도뇌르 훈장(the Legion of Honour)를 받았다. 4) 이 가상현실 기차여행은 시베리아의 특정 이미지를 창출했고, 여행자들은 아름답고 어떤 의미 에서 이국적인 풍경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러시아 제국의 경제력을 여실히 보여준 화려한 열 차 덕에 인간에 의해 정복당한 것처럼 보여 지는 방대한 지역을 식사를 하면서 너무나 편안하 게 여행하고 알게 되었다. 그들은 농업과 광업으로 개발되는 방대한 지역을 여행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 아시아까지 러시아에서 중국까지 세계 최대의 대륙제국인 러시아 제국의 기술적 용감함과 정치적 파워 그리고 제국적 지배력을 통해 통합되어 있는 문화적 경계들을 체 험할 수 있었다. 러시아관은 러시아를 제국 으로 지탱해주는 광활하고 이국적이며 야만적인 시베리아의 멋진 모습(stylization)을 관람객들에게 제공했다. 이런 시베리아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6세기 모스크바공국 시절부터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에 이르기까지 러시아의 발전에 대한 시베리아의 의미를 살펴보아야만 한다. 예를 들면, 러시아에 스웨덴과의 전쟁을 감당할 수 있는 비용을 덴 것이 바로 16세기 말의 시베리아 정복과 뒤이은 경제적 개발이었다. 5) 17세기 말까지 년간 16만 개에 이르는 시베리아의 모피(fur pelts)는 우랄산맥을 통해 전달되었다. 그것들은 러시아의 가장 중요한 수출품이었고, 국가수입의 약 10%를 차지했다. 6) 피터대제의 외부적 성공은 모스크바의 3)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의 시베리아횡단 파노라마에 대해서는, Archives nationals de France; Anatolii V. Remnev, Uchastie komiteta sibirskoi zheleznoi dorogi vo vsemirnoi vystavke 1900 goda v Parizhe. in Khozjastvennoe osvoenie Sibiri. Istoriia, istoriografiia, istochniki. Vol. 1. (Tomsk: isdatel 'stvo Tomskogo universiteta, 1991). p. 167 76; John Poulsen, Die Transsibirische Eisenbahn. Die langste Eisenbahn der Welt., (Malmo: Stenvall, 1986) p. 58; Marie-Louise von Plessen, Der gebannte Augenblick, p. 12, p. 17. 참조. 4) Marie-Louise von Plessen, Der gebannte Augenblick, p. 18. 5) Alton S. Donelly, Peter the Great and Siberia: Russian Commercial Activities in Siberia during the Reign of Peter the Great. In Boris Chichlo, ed., Sibe rie II. Questions sibe riennes. Histoires, cultures, litterature, (Paris: Institut d 'e tudes slave, 1999). pp. 119 26. 6) W. Bruce Lincoln, Die Eroberung Sibiriens. (Munich and Zurich: Piper, 1994). p. 107, p. 111; Raymond Fisher, The Russian Fur Trade: 1150-1700.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43) p. 69, p. 119, p. 135, p. 230.

38 러시아 제국과 시베리아: 제국의 확장과 시베리아 민족 짜르왕국(Muscovite tsardom)에서 전러시아 제국(vserossiiskaia imperiia)으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했다. 7) 시베리아의 부 덕택에, 러시아는 유럽 강대국들 사이에 자신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 다. 18세기와 19세기 초 러시아는 유럽 식민제국들이 자신의 식민지를 생각하는 것처럼 시베리 아를 식민지로 이해하고 그렇게 처리했다. 이런 방식으로 시베리아는 러시아에 제국적 지위를 주장하는 데 필요한 부(wealth) 뿐만 아니라 제국의 특징 중 하나인 영토와 그에 상응하는 지정 학적 위상을 제공했다. 8) 19세기 전반기 동안 러시아의 자기인식(self-understanding)에서 시베리아의 위상은 지역의 경 제적 중요성이 일시적으로 상실되고(대부분의 모피동물들이 멸종했다) 민족주의가 부상함에 따 라 변화했다. 그것은 또한 러시아 민족주의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쳐, 러시아 민족주의는 유럽적 민족주의의 유형들에 쉽게 녹아들지 않았다. 이러한 발전의 결과, 러시아와 시베리아간의 관계 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해석중 하나가 탄생했다. 시베리아를 전형적인 러시아의 정체성 유형에 반대(an opposition)되거나 대안(an alternative)적인 러시아의 타자(Other) 로 이해하는 것이 그것 이다. 9) 이런 해석을 지지하는 많은 훌륭한 주장과 근거가 있다. 그러나 그것들 모두는 러시아의 민족적 정체성(Russian national identity)과 관련된 관점에 기초해 있고 따라서 그것 때문에 러시 아의 제국적 정체성(Russia 's imperial identity)을 간과했다. 시베리아를 러시아의 타자 로 이해하는 개념은 유럽, 즉 유럽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러시아 의 화해(rapprochement)를 야기했다. 아시아적 시베리아(Asian Siberia)의 명백한 반대는 러시아를 더 유럽적인 국가로 만드는 것처럼 보였다. 이것은 시베리아를 식민지로 다루는 러시아의 처리 방식에서도 이미 명백했다. 그러나 러시아인들이 이런 유럽에 뿌리를 둔 러시아의 민족적 정체 7) Gunther Stokl, Russische Geschichte. Von den Anfa ngen bis zur Gegenwart. (Stuttgart: Alfred Kroner, 1983) p. 362. 8) 제국, 특히 러시아 제국의 특징과 정의에 대해서는, Herfried Munkler, Imperien: Die Logik der Weltherrschaft -vom Alten Rom bis zu den Vereinigten Staaten. (Berlin: Rowohlt, 2005); Alexander J. Motyl, Imperial Ends: The Decay, Collapse, and Revival of Empire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Dominic Lieven, The Russian Empire and the Soviet Union as Imperial Polities.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30 (1995) pp. 607-36; idem, Dilemmas of Empire 1850-1918: Power, Territory, Identity,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34, no. 2 (1999) pp. 163-200; idem, Empire: The Russian Empire and its Rival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00) 참조. 9) 러시아의 타인(other)'으로서 시베리아와 아시아의 개념에 대해서는, Lauren M. O 'Connell, Constructing the Russian Other. Viollet-le-Duc and the Politics of an Asiatic Past, In James Cracraft and Daniel Rowland, eds., Architectures of Russian Identity: 1500 to the Present,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Mark Bassin, Imperialer Raum/Nationaler Raum. Sibirien auf der kognitiven Landkarte Russlands im 19. Jahrhundert. Geschichte und Gesellschaft 28 (2002) pp. 378-403; Vera Tolz, Russia (London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aul Fryer, Heaven, Hell, Or, Something in Between? Contrasting Russian Images of Siberia. In Jeremy Smith, ed., Beyond the Limits: The Concept of Space in Russian History and Culture, (Helsinki: Suomen Historiallinen Seura (SHS), 1999); Elena Hellberg-Hirn, Soil and Soul: The Symbolic World of Russianness. (Aldershot: Ashgate, 1997); idem, Ambivalent Space. Expressions of Russian Identity, In Jeremy Smith, ed., Beyond the Limits: The Concept of Space in Russian History and Culture, (Helsinki: Suomen Historiallinen Seura (SHS), 1999); Galya Diment and Yuri Slezkine, eds., Between Heaven and Hell: The Myth of Siberia in Russian Culture, (New York: St. Martin 's Press, 1993); Mark Bassin, Russia between Europe and Asia.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pace, Slavic Review 50, no. 1 (1991) pp. 1-17; Nicholas V. Riasanovsky, Asia through Russian Eyes, In Wayne S. Vucinich, ed., Russia and Asia: Essays on the Influence of Russia on the Asian Peoples,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1972) 참조.

러시아의 제국적 표상으로서 시베리아 39 성을 편하게 느낄 수 없도록 하는 극복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한 가지 장애물이 있었다. 그 것은 다른 유럽인들에 의해 인정되지 않았다. 유럽인들에게 러시아는 항상 다르고, 이국적이고, 피가 섞인 민족이었고, 잘 봐주면 제국이었다. 16세기 1/4분기까지 허버슈타인(Sigmund von Herberstein)은 모스크바공국(the Muscovite)을 기독교적 관습과 시설과 교회 서비스와 군직 (trade of war)에 의해 영향 받은 모든 국가들 중 가장 우리와 다른 국가로 보았다. 10) 피터 대 제의 서구화 노력과 개혁이 있은 지 거의 100년이 지난 후에조차도, 1812년 나폴레옹의 위대한 군대(Napoleon s Grande Armee)와 모스크바에 도착한 프랑스 군인들은 오래된 러시아 수도의 이국적 모습에 충격을 받았다. 이 수도는 우리에게 마치 천일야화에 나오는 환상적인 창조물처 럼 보였다. 이 놀라운 광경은 아시아적 경이의 관점에서 우리의 상상력이 생각해낼 수 있는 모 든 것을 훨씬 압도했다. 그러나 동시에 러시아인들은 이 도시를 무조건적으로 떠나면서 불을 질러 버림으로서 유럽인들에 대한 그들의 타자성(otherness)을 확인시켜 주었다. 나폴레옹은 탄식 했다. 야만인들, 그들은 정말 이 모든 것을 포기해버렸단 말인가? 11) 시베리아는 러시아가 이런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고, 심지어 더 강력한 제국적 정체성 을 부여함으로써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시베리아는 러시아 만큼 과장되게 보였다. 러시아가 차다면, 시베리아는 얼어붙을 정도로 추웠다. 러시아가 크다면, 시베리아는 방대했다. 러시아의 풍경이 단조롭다면, 시베리아는 황량하다. 러시아의 숲이 크다 면, 시베리아는 타이가를 가지고 있다. 러시아의 강이 크다면, 시베리아의 강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강들 중 일부이다. 러시아 대부분의 지역에 인구가 적다면, 대부분의 시베리아는 버려져 있 다. 러시아가 항상 잔인한 국가의 이미지를 가졌다면, 시베리아는 백색 지옥(white hell)이라 불 렸다. 러시아가 이미 다민족적 신민을 가지고 있다면, 시베리아는 이런 다양성을 더욱 더 풍부 하게 해주었다. 타타르의 영향력 덕택에 러시아는 아시아적 느낌을 가졌다. 그러나 시베리아는 아시아다. 따라서 시베리아는 러시아 제국을 더 크고 더 강력하고 더 풍부하고 더 흥미롭고 더 아름답고 더 압도적으로 그리고 무엇보다도 특별하게 만들어주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베리아 는 러시아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유럽의 국가적 기준(European national thinking)에 의해 형 성된 국가패턴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었고, 더 제국적인 정체성, 즉 시베리아를 러시아 또는 러 시아 제국의 분리할 수 없는 일부로 보게 만들어 주는 정체성을 창출했다. 12) 정신적으로 시베리아를 수용하는 과정은 유럽 민족주의의 영향이 러시아 제국에 미침과 동시 에 시작되었고, 어느 정도 그것과 연관되었다. 민족주의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민족주의적 사상 가들을 배출했고, 그들은 곧 국가권력과 갈등하는 자신을 발견하고, 러시아 민족의 대의를 짜르 10) Sigmund von Herberstein, Das alte Russland, In Anlehnung an die a lteste deutsche Ausgabe aus dem Lateinischen u bertragen von Wolfram von den Steinen. Mit einem Nachwort von Walter Leitsch. (Zu rich: Manesse, 1985). p. 12. 11) Adam Zamoyski, 1812: Napoleon 's Fatal March to Moscow, (London: Harper Perennial, 2004) p. 296-97. 12) 제국에 대한 시베리아의 정신적 충당에 대해서는 Claudia Weiss, Wie Sibirien unser wurde. Die Russische Geographische Gesellschaft und ihr Einfluss auf die Bilder und Vorstellungen von Sibirien im 19. Jahrhundert, (Go ttingen: V&R Unipress, 2007)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