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dency of Surrealism in Music Album Cover Illustration 최 정 화 김 명 수 부산정보대학 부경대학교
Contents 논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본론 1. 음악 앨범 커버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 1) 앨범 커버 디자인의 개념 2) 앨범 커버의 형태적 변화 3) 앨범 커버 디자인의 의의 2.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의 초현실주의 적 경향 1) 초현실주의의 의미 및 형성배경 2) 초현실주의 표현 기법 안에서 서로 교감을 가지고 있으며, 커뮤니케이 션을 목적으로 하는 일러스트레이션과 감정을 전 달하는 음악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관성을 찾을 수가 있다. 음악과 미술의 상관 관계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되고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은 바로 음악 앨범 커버이며, 이미 커버 아트라는 장르로 정착된 이 분야는 디자인의 측면에서 널 리 이야기되고 있다. 많은 아티스트들이 자신들 의 음악 색깔을 상징하는 한 방편으로 유명 화가 의 작품을 앨범 커버 아트로 하거나 일러스트레 이터에게 의뢰해 개성 있는 커버로 제작하고 있 다.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매체인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따른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은 서로의 영역 이 불분명해지는 현대미술에 있어 재료나 기술 또는 소재에 의한 구분은 전혀 타당성을 갖고 있 지 않다. 음악 앨범 커버에 있어서 초현실주의 표현성의 활용은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 의 무한한 창작 영역을 확대 발전시키고, 구매욕 구 유발은 물론 앨범 커버의 본질적 기능인 커뮤 니케이션을 훌륭히 수행케 할 수 있으며, 미래지 향적 음악 앨범 산업에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 다. 3) 초현실주의 기법의 작가의 표현성 Abstract 4)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 현실주의 경향 Ⅲ. 결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음악과 미술, 일러스트레이션은 언뜻 보기에는 서로 각자의 독자적인 영역 속에서 위치하고 있 는 것 같지만 모두가 예술이라는 큰 가이드 라인 At first sight music, art and in illustration look like having their original territory but if we if pay attention to them we can find the relations between the music which delivers people s feeling and illustrations which aims at communications in various fields. Besides there are mutual responses in the name of arts. The most well known and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music and the art are in the cover of music album and this field is already
known as art of cover from the point of designs. Many artists and musicians are using some works of famous painters to display the color of their music and requesting illustrators to make an individual style of corer for them. According to the various kinds of music the illustration of cover has no division of materials, techniques and substances among the modern arts whose territories are unclear. Application to the expression of surrealism can develop the cover of music albums into the creative terrtory and even cause the consumers to purchase the albums. Of course it can carry its original function of communications, besides it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industry in the future. Keyword : Music Album Cover, Tendency of Surreaism, Illustration, Ⅰ. 서론 1. 연구목적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종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디자인 문화에서 중요한 예술이며 변화하는 정보사회 구조 속에서 비쥬얼 적 다양한 조형 표현과 심미적이면서도 의미론적 인 시각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창조적인 시 각 표현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러스트레이션은 즉각적인 의사소통과 흥 미를 끌 수 있는 합목적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차원 높은 예술적 또는 그래픽 디자인적 모색을 통해 독창적이고 감각적이며 심리적인 시각체험 을 디자인 문화에 수용케 하는 예술적 기능을 갖 는다. 예술로서의 음악과 미술, 일러스트레이션은 언뜻 보기에는 서로 각자의 독자적인 영역 속에 서 위치하고 있는 것 같지만 커뮤니케이션을 목 적으로 하는 일러스트레이션과 감정을 전달하는 음악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관성을 찾을 수가 있 다. 음악과 미술의 상관관계에서 가장 많이 이야 기되고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은 바로 음 악 앨범 커버이며, 이미 커버 아트라는 장르로 정착된 이 분야는 디자인의 측면에서 널리 이야 기되고 있다. 최근 음악시장의 다양화로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많은 아티스트들 이 자신들의 음악 색깔을 상징하는 한 방편으로 유명 화가의 작품을 앨범 커버 아트로 하거나 일 러스트레이터에게 의뢰해 개성 있는 재킷으로 제 작하고 있다. 늘 시각적 유행의 첨단을 달려온 현대의 가장 대 표적인 시각예술 분야인 앨범 커버 아트는 해당 뮤지션의 정체성과 앨범 속게 담긴 음악의 내용 을 반영하는 독특한 시각매체의 기능을 발휘한 다. 앨범 커버 아트의 성격은 청각적인 것을 시각과 촉감으로 전이해 표현함으로써 구매욕과 소장에 대한 만족감은 물론 다른 차원의 기호까지 창출 한다는 점을 생각했을 때 그 적절한 표현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음악 스타일과 메시지에 부합 하고 그 수용 대상자의 기호에 맞는 커버 일러스 트레이션을 제작해야 한다. 앨범 커버가 때로는 그 안의 수록곡을 시각적으로 반영하거나 또는 그 곡을 부른 가수의 이념과 관련을 갖는 것 이 외에도 가수들이 어떤 이미지들을 특별히 요구하 거나 당시 가수들의 상황들을 나타낸 경우도 있 고 순수미술 사조의 기법을 도입해서 시각적 효 과를 노리는 경우가 있다.
순수 회화 양식인 초현실주의 회화운동은 건축, 사진, 의상, 디자인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에 적용되어 실험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오늘날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회화 운동의 전개와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과 사물, 그 안의 모든 정 신세계까지 표현 가능하게 하는 초현실주의에 대 하여 고찰해보고, 음악 앨범 일러스트레이션에 적극적으로 초현실주의를 도입시킨 일러스트레이 터의 작품 세계 및 초현실주의를 표현한 음악 앨 범 일러스트레이션의 경향 및 형식을 살펴보고, 초현실주의적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이 21세기 음악 문화에 어떠한 형태로 다가서야 하 는가의 방향과 미래 음악 앨범 일러스트레이션에 더욱더 활발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근본적 인 목적이 있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보다 실험적이고 독특한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자 의 가슴속에 오래 기억되며 개성있는 일러스트레 이션은 사람의 눈길을 끌며 마음속에 강한 인상 을 남게 한다. 문화와 예술에 관심이 고조되는 시대에 접어들면서 하나의 작품에서 가능한 한 다양한 만족을 얻고자하는 현대인의 욕구가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도 적용되고 있다. 음악 활동을 하는 아티스트나 가수의 앨범 커버의 폭 발적인 증가와 업체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보다 자극적이고 독창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의 필 요에 의해 단순히 연마된 묘사력이나 숙달에 의 한 기법만으로는 일러스트레이션의 가치를 창출 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이 있고 인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작 업이 요구되고 있다.시각적인 기쁨을 주기에 충 분한 아이디어와 기발함이 넘치는 음악 앨범 커 버 디자인은 그 안에 담겨있을 음악에 대한 즐거 운 기대를 갖게 한다. 뮤지션의 사진을 담거나 음악의 컨셉에 맞춘 기존의 커버가 아니라 앨범 커버 아트라는 독자적인 장르로 아름답고 예술성 있는 작품의 가치를 지닌 재킷 디자인은 대중을 사로잡는다.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관심과 주시 그리고 면밀한 분석과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배가를 위해 오늘의 일러 스트레이션 시스템이 마땅히 수행해야 할 필연의 과제이며, 우리의 일러스트레이션 발전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본 연구는 커버 아트라는 새로운 영역을 차지하 고 있는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있 어서. 클라식에서부터 팝, 재즈, 프로그래시브 락, 메탈, 인디 등 국내외 음악 앨범 커버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회화 경향에 관한 표현을 연구의 범 위로 설정하여, 그것의 등장과 파급배경 그리고 그 상관성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어서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앨범 커버 디자인의 개념 및 형태적 변화, 의의 등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현 실주의적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초현실주의 회화 의 의미 및 형성 배경과 표현방법을 고찰하여 조 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셋째, 앨범 커버에 표현된 일러스트레이션의 초 현실주의적 작품 경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넷째, 초현실주의가 음악 앨범 커버에서 어떻게 응용되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그 연관성과 활용 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다섯째, 앞의 내용을 근거로 앨범 커버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결론을 도 출하여 초현실주의적 일러스트레이션이 21세기
음악 앨범 커버에 어떠한 형태로 다가서야 하는 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앨범 커버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 앨범 커버는 한정된 정방형이라는 모습, 그리고 커버 속에 들어있는 뮤지션의 음악과 함께 계속 살아있다라고 하는 의미와 특수한 공간의 성격 때문에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서도 일러스트레이 션에 있어서도 특별한 의미의 만남을 가진 매력 적인 공간으로서 이어져 왔다. 1) 앨범 커버 아트는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작품이 라 할 수 있으며, 청각적인 것을 시각과 촉감으 로 전이해 표현함으로써 구매욕과 소장에 대한 만족감을 줌은 물론 다른 차원의 기호까지 창출 한다는 점을 생각했을 때 그 적절한 표현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음악 스타일과 메시지에 부합 하고 그 수용 대상의 기호에 적절했을 경우 괜찮 은 커버 아트로 남기 마련이며 이미 세계적으로 개성있는 미술가들의 참여와 전문 커버아트 작가 들의 양산은 예술적인 가치를 더해놓고 있다. 표 1 디자이너들이 음악과 시각이미지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앨범 커버는 점차 안에 담긴 음악을 시각적으로 이해시켜주는 시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기능을 갖게 되었으며, 몇몇 창조적인 선구자들이 앨범 커버를 청각예술 인 음악과 교감하는 시각 이미지를 담는 일종의 캔버스로 인식하면서 점차 음반의 부속물에서 벗 어나 독립된 시각예술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였 다. 음악 스타일의 다변화나 신조류의 등장이 커버아 트에 적용되어 부각되는 경향 등 작가주의 성향 을 가진 일러스트레이터와 포토그래퍼들에게 초 점을 두었을 때, 음악이 내포하는 메시지와 작업 방식에 있어서 뮤지션의 개성과 커버 아트 작가 의 개성이 교차점을 찾아 시너지 효과를 동반한 다 점과, 현실과 환상 그리고 관습적 미와 추함 을 혼합하여 화려하게 시각화한다는 점에서도 연 결선을 그어 볼 수 있다. 1) 요수케, 김상락 편역, VISUAL DESIGN 일러스트레이션, (안양시 : 아트북, 1995), p 60 1) 앨범 커버 디자인의 개념 앨범 커버 아트는 음악 매체인 음반의 커버를 꾸 미는 것으로 시각적 유행의 첨단을 달려온 현대 의 가장 대표적인 시각예술 분야라고 할 수 있 다. 시각 이미지로서 음악과 아티스트의 정체성 을 반영한다는 면에서 종종 뮤직 그래픽스(Music Graphics), 사운드 디자인(Sound Desig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원래 앨범 커버는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음반의 보호 및 보관을 위해 개발된 패키지로서의 목적 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초창기의 앨범 커버들 은 대부분 이 패키지적 기능을 수동적으로 수행 하는 음반의 부속물에 불과했다.
그러나 초기의 패키지적 기능에서 벗어나 1950년 대 LP의 등장으로 12인치 정방형의 앨범 커버의 형태가 확립되고 아티스트의 사진과 수록곡 소개 등을 담게 됨으로써 정보전달이라는 부차적인 역 할을 겸한 초창기를 거쳐, 음반의 부속물이 아닌 독립된 시각예술의 한 영역으로 진화하기 시작한 다. 1939년, 타이포그래피와 흑백 초상사진의 절 묘한 조화를 통해 독특한 커버아트를 선보이며 등장한 전설적인 재즈 레이블 블루 노트(Blue Note) 에 의해 자체의 미적 가능성을 확보하였고, 비틀즈(The Beatles)가 등장하는 1960년대를 기점 으로 미국의 앤디 와홀, 영국의 피터 블레이크, 리차드 해밀턴 같은 팝아트 작가들이 참여함으로 해서 참된 대중미술 로서의 가능성을 깨닫게 되 었다.기존의 낡고 획일적인 형식을 거부하며, 독 창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연이어 선보이게 되고 앨범 커버 디자인에 본격적인 아트 디렉션 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미적 가능성이 급격하게 확장되었으며, 1970년대 히피와 사이키델릭 음악 문화 등은 음반 커버 디자인의 발전에 혁혁한 공 을 세웠다. 12인치 길이의 정방형 공간을 청각예술인 음악과 교감하는 시각 이미지를 담는 일종의 캔버스로 인식하면서 앨범 커버는 점차 음반의 부속물에서 벗어나 독립된 시각예술의 한 영역으로 진화하기 시작하였다. 앨범 커버는 해당 뮤지션의 정체성과 앨범 속에 담긴 음악의 내용을 반영하는 독특한 시각매체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었고 젊고 의욕적인 그래픽 디자이너들에 의해 계승됨으로써 앨범 커버 아트 는 급격한 발전양상을 보이며 20세기 그래픽 디 자인에 있어 기발하고 전위적인 디자인 작품을 선보이고 있는 가장 급진적인 실험의 장 이 되었 다. 2)앨범 커버의 형태적 변화 앨범 커버의 세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말할 필요조차도 없이, 아나로그 30cm LP에서 CD로의 발전이다. 같은 정방형이라도 비쥬얼한 의미는 크게 달라져 버린다. 2) LP시대에서 CD시대로 넘어 오면서 앨범 커버아 트는 크기의 축소와 기능의 변화를 통해 존재 가 치의 시험대에 오르게 되었지만 인간의 시스템이 그렇듯 새로운 가치를 개척해 놓고 있다. 소책자 형 부클릿의 일반화를 통하여 에디토리얼 디자인 의 기능을 추가하였고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더 큰 이미지의 공급이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취미를 형성한 측면도 있다. 동시에 보호 기능을 전수받 아 그를 겸한 슬림케이스와 디지팩으로 향수를 보전하기도 하면서 LP시대 앨범 재킷과 커버 아 트의 독특한 디자인, 또는 입체적인 구조를 재현 함으로서 앨범 커버 아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커버 아트를 예술의 경지로 올려놓을 수 있는 일 러스트레이션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1950년대 중 반, 12인치 지름의 원형 LP 포맷이 보편화되면서 앨범 커버는 한쪽 모서리가 트여 있는 가로?세로 12인치 길이의 정방형 형태를 확립하게 되었다. 앞면에는 앨범의 주인공인 뮤지션이나 가수들의 모습을 담고, 뒷면에는 앨범 제작과 관련한 각종 정보나 뮤지션 자신의 메시지 등이 실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1980년대 말 CD 시대의 개막으로 탁 월한 예술적 창조력을 갖춘 디자이너들이 본격적 으로 앨범 커버 아트에 뛰어들면서 앨범 커버의 형태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8인치 짜리 LP판에서 5인치 정방형 모양의 작은 사이즈로 넘 어가면서 음악을 반영하는 시각 매체라는 앨범 커버의 의의 역시 급격히 퇴색하였으나 지금까지 의 방법과는 다른 디자인이 요구되었으며 이는 창조적인 능력을 가진 젊은 디자이너들에게 새로 2) 책, p 61
운 도전의 장이 되고 있다 표 2 않고, 그 내용적 측면에서도 디자이너들이 음악 과 시각이미지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깨닫기 시 작하면서 안에 담긴 음악을 시각적으로 이해시켜 주는 시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기능을 갖게 되었다. 창조적 아이디어를 집중시켜 CD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앨범 커버 디자인을 통해 앨범 커 버의 창조적 가능성이 다시 열리게 되면서부터 여전히 음악 팬들의 눈을 사로잡는 많은 걸작들 을 탄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표 3 앨범 커버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게 되는데 양면 펼침 커버(fold-out cover), 삼면 펼침 커버 (Triple fold-out cover), 육면 커버(six sides cover), 등 보통의 싱글 커버의 형태를 크게 벗어 나지 않은 사이즈의 확장으로 등장하여, 다이컷 커버(die-cut cover), 플랩탑 커버(flap-top cover), 오픈플랩커버(open-flap cover), 멀티페이지스 커 버(multi-pages cover), 포스터 커버(poster cover) 등 그 형태를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변형한 커 버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같은 다양한 포메이션 (formation)의 등장은 앨범 커버 디자이너들에게 보다 창조적이고 다채로운 양식적 실험을 가능하 게 해주었다.그리고 앨범 커버의 재질적 특성을 살리기 위한 텍스처 커버(textured cover)와 입체 감을 표현하기 위한 엠보스 커버(embossed cover), 플라스틱, 나무, 가죽, 천, 금속 등의 재질 로 만들어진 특수한 앨범커버들까지 등장하게 된 다.이와 같은 독특한 앨범커버가 등장한 배경은 앨범 커버를 단순히 레코드를 보관하는 용도 정 도로만 이해하고 있었던 일반 대중들의 인식을 바꿔놓고 앨범 커버 그 자체의 유희적 기능을 확 보하고, 독립적인 미적 감상의 대상으로 만들려 는 디자이너들의 노력이 숨어있었다고 하겠다.앨 범 커버의 발전은 외형적 변화에만 머물러 있지 3) 앨범 커버 디자인의 의의 대중음악은 꾸준히 새로운 스타일의 등장과 소멸 을 반복하며 변화와 발전을 계속해 왔다. 모든 예술이 그러하듯이 한 시대를 풍미한 음악 양식 은 당대의 사회적 상황과 문화적 양상이 투영된 시대의 유산이 되었다. 그에 따라 다양한 그래픽 아이디어와 스타일로 안에 담긴 음악을 시각적으 로 반영했을 뿐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을 고스란 히 담고 있는 앨범 커버 역시 중요한 20세기의 문화 유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앨범 커버는 늘 첨단의 그래픽 스타일을 구사해 당대의 새로운 문화적 양상을 빠르게, 그리고 고 스란히 담아냈으며, 그로써 당대의 그래픽 디자 인의 흐름을 주도해 왔다. 따라서 우리는 앨범 커버들 속에서 한 시대의 문화 예술을 지배했던 시대정신을 고스란히 찾아볼 수 있다. 앨범 커버 를 본다는 것은 당대의 문화적 아이콘을 대하고 있는 것이며 진정한 대중예술로서 다가올 미래에
오늘날의 시대정신을 표상하는 문화유산으로서 그 안에 담긴 음악에 버금가는 값진 의미를 지니 게 될 것이다.6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앨범 표 지는 뮤지션의 인물 사진으로 장식되었으나, 앨 범이 하나의 완성된 작품을 지향하기 시작하면서 표지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급속도로 상승했다. 커버 아트는 보다 자발적이고 보편적 감각인 시각을 이용함으로서 앨범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킴은 물론이고, 그 속에 담긴 음악 과의 연상 작용을 통하여 정서를 고양시키고 이 해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1960 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반에 본격적인 아트 디 렉션의 도입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젊은 디자이 너들은 앨범 커버를 하나의 예술적 매체로 생각 하기 시작하고 좀 더 과감하고, 도전적인 방법론 과 실험정신으로 접근하였으며,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사회의 대중음악은 단순 엔터 테인먼트의 개념을 넘어서 새로운 청년문화를 선 도하기 시작했으며, 대중 문화의 중심을 차지하 게 되었으며 이러한 당시의 음악적인 발전은 곧 바로 앨범커버의 발전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뮤지션들은 차츰 시각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다양한 의상과 분장, 공연 무대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적극적인 태도 를 보이게 되었으며, 시각적인 면과 음악적인 부 분을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앨범 커버는 그 어떤 매체보다 뮤지션들의 시각적 이미지를 고양시켜 줄 가장 강력하고, 또 직접적인 매체로 부상하게 되었다. 앨범 커버 디자인의 의의는 앨범에 종속되어 있 던 앨범 커버를 음악과 분리시켜 독자적인 감상 대상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는 점과 앨범 커버의 시각 이미지를 통해 음악에 담 긴 내용과 의도를 개념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청각 이미지로서의 음악에 시각적 이미지를 더해진 공 감각적 감성을 전달했다는 데 있으며 이로써 앨 범 커버 디자인의 선구자들은 음악 팬들로 하여 금 앨범을 들으며, 동시에 커버를 보게 함으로써 좀 더 강력한 예술적 시너지(synergy) 효과를 창 출하였으며, 앨범 커버는 음악을 시각적으로 반 영했을 뿐 아니라 당대의 시대상을 고스란히 담 고 있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시대정신을 표상하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되었다. 2.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의 초현실주의 적 경향 음악 앨범이 때로는 그 안의 수록곡을 시각적으 로 반영하거나 또는 그 곡을 부른 가수의 이념과 관련을 갖는 것 이외에도 가수들이 어떤 이미지 들을 특별히 요구하거나 당시 가수들의 상황들을 나타낸 경우도 있고 순수미술 사조의 기법을 도 입해서 시각적 효과를 노리는 재킷이 있다.20세 기에 접어들면서, 디자이너들은 앨범 커버를 하 나의 예술적 매체로 생각하기 시작했고, 앨범 커 버 일러스트레이션은 예술의 한 장르로 급속하게 발전하였으며 좀 더 과감하고, 도전적인 방법론 과 실험 정신으로 접근해 나갔다. 당시는 히피즘 과 성 혁명으로 대변되는 20세기 서구 사회의 중 대한 문화적 격동기였고, 기성세대와는 다른 방 식의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갖게 된 젊은이들 사 이에서 비서구 사회의 다양한 문화와 철학, 그리 고 약물 체험에 의한 현실로부터 일탈이 하나의 유행이 되고 있었다. 이는 단순히 커버 아트 일러스트의 어떤 유행이 라는 독립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필연적으로 비정 통 미술계의 흐름에서 흘러나온 영향이 될 것이 며 전문적인 커버 아티스트들의 수용이라는 측면 도 동시에 내포하는 것이다. 사실 초현실주의 예 술의 부흥과 조명이 사회의 변혁기에 이루어진 바 있지만 기성 질서와 가치의 해체와 혼란, 과
학적인 합리주의의 극단에서 더욱 강해지는 비합 리에 대한 갈구, 그리고 인간 해방과 자연에 대 한 갈증은 항시 계속되었다. 불과 몇 년 전 만해 도 세기말적이라 칭해졌던 이런 경향은, 실은 인 간적이기까지 해져 서서히 경계심이 허물어져 가 는 기계문명으로부터 환상적인 세계로의 도피욕 구, 또는 그에 대한 정면도전을 통하여 전통적 미학과 도덕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인간의 주체 를 회복하려는 예술적 본능으로 연결되는 것이 다. 사진기술의 발달과 컴퓨터 미술 작업의 향상, 그 리고 미술조류의 변화는 앨범 커버 아트에도 적 용되어 다채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했다. 커버의 외적 디자인은 물론 연주인 스스로의 손으로 표 현해내는 아마추어리즘에서부터 지독한 하드코 어 고어적인 커버에 이르기까지 일러스트레이션 의 다양성도 충만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음악 스타일의 다변화와 신 조류의 등장이 커버아트에 적용되어 부각되는 경향들 중 하나의 독특한 흐 름이라고 할 수 있는 비현실적, 비사실적 비주얼 표현 양식은 순수 회화 양식인 초현실주의 표현 과 궤를 같이 한다. 19세기 말에 파리를 중심으 로 일어난 화가들의 회화운동은 과거의 부흥과는 관계없이 기존을 것을 타파하고 새로운 무언가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회화운동은 건축, 사진, 의상 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에 적용되어 건축가, 사진 가, 디자이너들이 실험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그 시발점은 기타 다른 예술가들이 아닌 바로 화 가들에 의해서 개척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20세기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 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회화운동의 전개와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1) 초현실주의의 의미 및 형성배경 초현실주의(Surrealism)는 합리적이며 논리적인 이성의 법칙이 인간사회를 지배해온 것에 대한 반감으로 시작되었으며, 인간의 정신과 무의식 세계의 탐구를 통하여 이성과 심미적, 도덕적인 구애로부터 사고의 참된 표현을 이루고자 했던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예술운동의 하나이며, 1916~1922년까지 유럽지역에서 성행했던 문학, 예술운동이었던 다다이즘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다다는 이성에 대한 서구의 확신을 조 롱했고, 현대 삶의 복합성을 중성화하고 안이하 게 해 버리는 분류와 범주화를 비난했다. 그들은 예술운동 자체보다는 정신적인 태도에 더 관심을 쏟았다. 창조성에 대한 전혀 새로운 개념을 규정 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그들의 활동 자체는 그 로 인해 남는 결과물만큼이나 중요했다. 3) 다다주의자들은 기존의 부르조아 문화에 대한 철 저한 반항, 예술과 문학의 역할에 대한 회의에서 비롯되는데 이러한 혼동과 폭력으로 조직화를 붕 괴하여 현실의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고자 하는 다다의 이념은 초현실주의로 인식을 촉구한 예술 운동이었다. 초현실주의는 다다보다 더 오래 지 속되었고, 다다가 개별적인 동향이었다면, 초현실 주의는 하나의 집단적인 운동 이었다. 초현실주의라는 용어는 1924년 앙드레 브르통 (Andre Breton)에 의해 초현실주의 선언 이 발표 되면서 공식적으로 정의되었다. 여기에서 브르통 은 초현실주의란 순수한 자동 심리기제에 의해 서 참다운 사고의 기능을 언어나 문자 등의 형태 로 표현하려는 시도이다 라고 하였다. 이는 무의 식과 상상력을 인정하여 논리와 이성의 우위에 놓으려는 것으로, 이성이 해결할 수 없는 것까지 도 상상의 세계에서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또 1929년에 발표된 제 2선언에서 브르통은 예 술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일이 아니다. 우리가 거의 자각하지 못하는 미, 애정, 재능으로 훌륭하 3) Illustration
게 빛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표현되지 못하였던 것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표현이 가능 하다. 우리들의 이 미개척 부분을 밝히는 것이 초현실주의 목적이다 라고 하였다. 초현실주의 선언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무의식 이론이었다 4) 이성으로 통제할 수 없는 초현실성을 인정하며 이것을 상상력이나 환각에 의하여 무의식의 영역 안에서 대상이나 형체가 서로 통합한다고 보는 것이다. 자유연상이 프로이드에게 정신분석적 치 료방법이라면 브르통에게는 자동기술의 방법이 된다. 브르통은 꿈속에서의 시간과 공간은 현실 에서의 시간이나 공간과 같은 것이고 그것을 구 별하는 태도는 이성적인 인간의 한계를 나타낸다 고 주장하였다. 초현실주의 회화의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 는데, 리드(H. Read)는 비구상적 상징주의와 몽 환적 상징주의로 명칭을 붙였다. 비구상적 상징 주의는 자동기술법을 사용하여 반의식 상태에서 의 강한 내적 충동을 선과 형태로 표현하고, 그 위에 색을 가미하여 더욱 풍부한 연상작용을 일 으키게 하였다. 몽환적 상징주의는 사진과 같은 정밀한 표현으로 현실세계에서는 조화될 수 없는 것들이 함께 병존하는 환상의 세계와 꿈의 세계 를 표현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현실주의는 이성의 지배 하에서 법이나 질서의 개입을 통해 모든 것 을 표현하려는 아카데믹한 전통을 거부하고, 인 간의 내면에 있는 이성이 지배하지 않는 세계를 그들 나름대로의 방법인 자동기술법, 위치전환법, 오브제 도입 등을 통해서 표현코자 하였던 것이 다. 현대 모든 예술분야의 전위적 흐름에 많은 영향을 끼친 초현실주의는 하나의 예술적 미학을 4) 떠나서 새로운 인간형을 혹은 새로운 삶의 태도 를 창조한 폭넓은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꿈, 환 상, 무의식의 세계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미학과는 구별되며 인간 정신의 해방에 따른 보 다 폭넓은 예술의 세계를 개척한 초현실주의 미 술은 미로, 마송, 에른스트, 마그리뜨, 달리 등에 의해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초현실주의는 미술, 사진, 영화, 패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향을 미 쳤다. 2) 초현실주의 표현 기법 1 자동주의 automatism 오토마티즘은 무의식의 세계를 작품에 투영하려 는 초현실주의적 의도를 나타낸 대표적 기법으 로, 가능한 의식(고정관념, 이성들의 영향)이 배제 된 상태에서 손에서 자발적으로 흘러나오는 움직 임과 형태를 작품화한 것이다. 에른스트가 발견 한 프로타주와 오스카 도밍게즈(Oscar Dominguez)가 작품에 이용한 데칼코마니가 작가 가 의도하지 않은 형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오 토마티즘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문학 분야에 서의 오토마티즘은 미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음 속에 떠오르는 구절들을 이성의 통제없이 무의식 적으로 써내려가는 방법을 말한다. 초현실주의 미술의 초기인 1920년대에 이 기법이 주로 쓰였 으며 대표적 작가로는 마송과 미로가 있다. 2 프로타주 frottage(마찰) 에른스트가 1925년 여름에 마룻바닥에 얼룩을 보 고 있다가 거기에서 온갖 환각이 생긴다는 것을 깨닫고 발견한 기법으로, 거친 마티에르가 있는 물체의 표면 위에 종이를 대고 연필로 문지른 후 그 재질감이 어떤 형태들로 드러나게 한다. 그렇 게 나타나는 형태에 무의식적이고 수동적인 연상 작용을 거쳐 어떤 객관적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
이다. 이렇게 제작되어진 이미지들은 무의식적 주관성과 객관성의 조화로 우연한 신비를 불러일 으키게 한다. 이 기법은 우연한 효과를 노리는 것뿐 아니라 몇가지 피사물을 의식적으로 짜맞추 는 경우도 있고 혹은 거기에서 나타난 무늬에서 힌트를 얻어 붓을 가하는 경우도 있다. 이미지 자체의 우연성을 중시하는 프로타주로 제작한 초 기의 34점의 작품을 에른스트는 박물지(historre naturelle)라는 책자로 출판했는데 여기에 등장한 형상들은 문질러 나타낸 나뭇잎, 헝겊 따위가 인 간의 머리, 괴물, 바다 풍경 등으로 변모된 것이 다. 3 데칼코마니 decalcomanie ( 轉 寫 法 ) 원래는 도기나 유리기구 등에 특수한 종이에 그 린 그림을 옮겨서 염색하는 기법으로, 회화에서 는 미끄러운 성질의 종이에 물감을 칠하고 그것 을 접었다가 다시 피거나 또는 다른 종이를 그 위에 대고 눌렀다가 뗄 때 생기는 우연한 효과를 작품에 이용한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의도적인 구성보다는 우연적 이미지의 표출로 환상적인 무 의식의 형태로 느껴질 수 있다. 이 기법에 따른 우연한 형태 -산맥, 산림수목, 인간장기 등- 에 부 분적으로 가필을 해서 신비스러운 분위기와 영상 을 표출하도록 한다. 1935년 오스카 도밍게즈가 그의 과슈 작품에 처음으로 도입했으며 에른스트 도 2차 세계대전 직전에 종종 이용했다. 예전의 그림 붙이기에 사용되었던 것과 근본적으로 달리 즉, 완성된 그림을 전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과 정에서 생기는 우연한 얼굴이나 어긋남의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4 데페이즈망 depaysement ( 轉 置, 轉 位 法 ) 어떤 물체를 본래 있던 곳에서 떼어내는 것으로 문학에서 해부대 위에서의 재봉틀과 우산의 만 남 을 이야기하는 로트레아몽의 싯귀는 데페이즈 망의 적절한 예라 하겠다. 데페이즈망은 일종의 전위법으로 모순 대립되는 요소들을 동일한 화폭 에 결합시키거나 어떤 오브제를 전혀 엉뚱한 환 경에 위치시켜서 시각적 낯설음의 충격과 신비감 을 불러일으키는 기법으로 보는 사람의 마음속 깊이 잠재해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해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꼴라주가 재료의 현존을 전제로 하 는 외형적 조형 형식이라고 하면 데페이즈망은 개념적 조형원리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데페이즈 망의 대표적 작가로는 마크리트를 들 수 있으며, 꼴라주와 오브제도 일종의 전위라 할 수 있는데 이 방법들은 예술의 새로운 차원을 여는데 기여 했다. 5 레이요그램 rayogram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감광 재료 위에 물 체를 얹어 가지고 거기에서 만들어지는 명암 속 에서 추상적 사진을 찍은 것이다. 포토그램과 같 은 것으로 파리에 있는 미국의 초현실주의자인 만 레이가1923년 블룸이란 잡지 43) 피오나 브래 들리, 김금미 번역, 초현실주의, (파주시 : 열화당, 2003), p 124) 메슈 게일, 오진경 번역, 다다와 초 현실주의, (서울 : 한길아트, 1998), p 218월호 표 지에 발표하면서 이 명칭을 붙였다. 후에 그는 자작집에서 레이요그래프로 고쳐 부르기도 했다. 1921년 자비로 출판의 한정판으로 레이요그램 작 품을 트리스탄 짜라의 시와 함께 발표한 바 있 다. 6 꼴라주 collage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조각, 모래, 나뭇 잎 등 여러 가지 물질을 붙여 구성하는 기법으로 초현실주의 작품에서도 기성품에 손질을 가하지 않고 전혀 엉뚱한 물체끼리 조합시킴으로써 별개 의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 비유적, 연상적, 상징적 효과를 노리는 방법으로 쓰인다. 에른스트는
1919년부터 초현실주의적인 꼴라주 작품을 시도 했는데, 그의 작품은 잡지, 카탈로그, 삽화 등의 그림을 부분적으로 오려 아무 관련성 없이 재배 치하여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환상의 세계 를 일깨운다. 또한 1924년 <두 어린이가 나이팅 게일에 놀랐다>라는 작품에서는 문짝, 손잡이 등의 사물을 꼴라주하여 초현실주의 사상에 부합 되는 이미지의 세계를 창조하였다. 7 오브제 object 예술과 관련없는 물건, 또는 그 부분을 본래의 일상적 용도에서 떼어내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잠재한 욕망이나 환상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상 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환영 오브제, 몽상적 기능의 오브제, 존재적 오브제 등이 있다. 진을 붙인 누드의 여인, 사람 형태로 변형된 기 계 부품 등 평범한 이미지들이 콜라주되어 놀라 운 상황을 연출한다. 에른스트는 삽화가 그려진 카탈로그에서 오려낸 형상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하여, 자신이 정의한 바 두 가지의 동 떨어진 현실이 부적합한 도면에서 우연히 만남을 이용한다 는 원칙아래 엉뚱하고 설명할 수 없는 상황 속에 갖가지 사물들을 한데 뒤섞어 놓으며 시각적 이미지의 연금술 을 이룩했다.에른스트가 프로타주에 의해 얻은 이미지들은 처음의 문지르 기를 통해 마련된 원초적인 소재를 상상력 넘치 게 전환시킨 것에 의존했다. 가령, <숲과 비둘 기>에서 배경의 바탕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널 빤지와 물고기 뼈를 사용했다. 그런 다음 유화물 감에 의해 널빤지와 물고기 뼈에서 무늬가 드러 나게 되는 숲을 암시하게 될 때까지, 그 무늬들 에 그의 상상력이 작용하도록 했다. 5) (그림1~4) 3)초현실주의 기법의 작가의 표현성 1 막스 에른스트 (그림 1) 셀레베스 (그림 2) 파상의 지진 에른스트의 조형은 다다시대로부터 시작되나. 그 것은 전혀 다른 물질이나 형상끼리의 우연한 상 봉에서 오는 새로운 이미지의 형성이다. 1919년 꼴라주 작업을 했는데 이는 무의식에 이 르기 위한 최초의 시도로서 여러 가지 기계도면 이나 식물학 도판 그리고 옛 판화와 삽화 등을 임의로 오려내어 자유롭게 배치한 작품이다. 손 과 겹쳐진 눈동자, 얼굴 부분에 독수리 머리 사 5) 브래들리 김금미, 초현실주의,(파주시 : 열화 당, 2003), p 23
(그림 3) 명쾌한 최초의 언어 (그림 4) 숲과 비둘기 2 앙드레 마송 마송이 회화에서 의도한 것은 브르통의 자동기술 과 같이 무의식 상태에서 그려지는 자동묘사 그 림으로 자동기술적 글쓰기나 드로잉의 경우에서 와 마찬가지로 예술가의 의지를 다소 이탈하거나 넘어서서 발현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었다. 이러한 시도를 위한 방법은 이미지를 생성해내는 우연이나 집단적인 절차를 허락하는 것으로 미술 가는 그림이 잘 진행되어 갈 때까지, 그것이 어 떻게 보일지 또는 그 내용이 무엇일지에 관해 의 식적인 선택을 하지 말아야 했다. 모래 그림은 마송이 발견해서 시도한 성공적인 기법으로, 종 이나 화폭 위에 임의로 풀을 뿌리거나 문지르고 그 위에 다시 모래를 뿌린 뒤, 거기 남겨진 모래 얼룩들을 회화작품의 전조가 되는 영감으로 활용 했다. 6) 마송은 이와같이 주로 드로잉적 회화, 물감 모래 를 혼합한 모래 그림 작업을 하였으며 브르통과 알게된 직후 1923~24년에 그는 재빠른 선묘에 의 한 드로잉 작품을 통해 세상과 우주에 대한 자신 의 감성을 격정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의 드로잉 은 기이한 동물, 신화적 이미지가 자주 등장한 다.(그림5~8) (그림 7) 물고기들의 전쟁그림 8) 성난 항성들 3 호앙 미로 추상적이며 자동주의적 표현방식에 열중한 작가 로서 붓의 미끄러짐, 회화적 재질감, 행위와 기호 의 유희를 통해 독특한 생물적 형태를 만들어낸 다. 밑그림 없이 직접 캔버스에 작업을 하여 영 혼의 움직임을 즉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그 의 화폭을 자아의 순간적 투영의 장으로 만든다. 막스 에른스트와 미로는 닮은 데라고는 거의 없 는 상태로 둘이 함께 초현실주의를 그려낼 방법 을 생각했다. 에른스트는 언제나 신경질적인 면 모를 가진 반면 미로는 체계가 없는 자연스러움 의 끊기지 않는 리듬을 초현실주의 안에 도입시 켰다. 수수께끼 같은 자국들과 기호들에 의해 생 기를 띠고 있는 넓은 색면 구성과 모호한 형태들 은 동시에 여러 가지와 관련될 수 있는데, 무언 가를 나타내는 기호들로서뿐 아니라, 선에 의한 단순한 감각적인 결합으로도 작용하고 있는 것처 럼 보인다. 미로가 낱말과 이미지를 동등하게 구 사하고, 낱말들을 오브제로 사용함으로써 그림이 구성되게 하는 방식은 콜라주와 유사하다. 콜라 주는 다다의 중요한 기법이었는데, 1921년에 열 린 막스 에른스트의 첫 번째 파리 전시를 통해 초현실주의 소개되었다. 7) (그림9~2) (그림5) 죽은 말들 (그림6) 앙드레 마송의 초상 (그림 9) 별이 흑인 여인의 6) 책, p 227) 앞의 책, p 26 7) Illust 52, 4, 2003
젓가슴을어루만지다 (그림 10) 앉아있는 여인 的 )이며 또 초조형적( 超 造 形 的 )이고 믿을 수 없으 며, 극도로 비정상적이고 병적인 그 이미지들은, 손으로 직접 그린 즉석 컬러사진 이라고 묘사했 으며, 꿈 그림에서는 이미지가 자연스럽과 자발 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기술과는 달리 의식적으 로 결정되어 사실적으로 그려진다. 8) (그림 11) 사랑(그림 12) 램프가 있는 정물 4 살바도르 달리 1930년 편집광적 비평이란 방법으로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가했는데 이 기법은 극사실적 묘사에 의해서 체계를 갖는 망상으로서 내용은 비합리적 이나 진실인 것 같이 매우 논리적으로 표현하였 다. 이중형상, 위치전환, 성질전환을 통해서 풍경 이나 공간의 공포, 변태적 에로티시즘, 음식에 대 한 강박관념 등을 소재로 그렸다.(그림13~16) (그림 13) 욕망의 수수께끼(그림 14) 기억의 영속 (그림 17) 지평선의 미스테리 (그림 18) Ages ago 그림 15) 십자가의 성요한 그리스도 (그림 16) 자신의 순결을 뿔로 범하게 될 처녀 프로이트와 가장 깊이 연관된 초현실주의 화가 로, 꿈을 초현실주의적 경이로움에 가장 부합하 는 정신활동의 중심으로 점점 더 추구하기 시작 했다. 이것은 꿈 그림, 또는 꿈에 관한 그림 (oneiric painting)이라 불리었다. 그는 자신의 작 품을 구체적이고 비합리적인 이미지들, 지나치 게 꼼꼼하고 엉뚱하며, 극도로 조형적이고 회화 적이며, 지금까지 시도된 적 없고 초회화적( 超 繪? (그림 19) 숲 (그림 20) La grande famille 5 르네 마그리트 마그리트는 벽지 제조회사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하다가 1926년 문학가들과 초현 실주의 그룹을 형성하고 1927년 이후 파리에서 체류하면서 본격적인 이중이미지의 우연한 만남 이나 환상세계를 그리기 시작한다. 마그리트는 8) 책, p 33
꿈의 상징성, 즉 내적인 상상세계의 풍부함을 표 현해낼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의 사물들이 꿈속에서 의미심장한 기호, 혹은 욕구 와 고뇌의 초점으로 바뀐다는 프로이트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 그의 그림은 그려지는 대상의 세 부 확대, 연관성 없는 두 개 사물의 만남, 무생물 을 생명 있는 미술로 도치, 전혀 다른 모습의 생 물체 변형 등으로 제작된다. 그는 서로 다른 의 미의 사물들을 하나로 결합시키거나 사물이 갖는 고유의 이미지를 변형시켜 전혀 다른 의미의 초 현실 이미지를 화면 속에 탄생시키는 면에서 탁 월함을 보여준 작가이다. 표4 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신비나 무의식의 세계의 설명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상력의 힘을 빌려 시공의 경계선을 없애고 기교, 표현 형태를 쇄신하여 새로운 미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실제적 재현보다는 현실 내면의 신비를 발견하고 비합리적 이미지를 현실에 공존시키려 한다. 그것은 곧 무질서 혼돈의 세계이다. 그렇지 만 무질서에는 이성과는 다르지만 어떤 질서가 존재하며, 이것이 바로 초현실주의의 미적 개념 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꼴라주, 자동주의, 프로 타주, 자유연상 등은 바로 미적 개념의 예라고 할 수 있다. 1 꼴라주 collage CF 배경 음악에까지 삽입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 4)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초 현실주의 경향일러스트레이션은 일종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시각예술 분야인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은 자 신만의 개성을 십분 발휘하면서도 해당 뮤지션의 정체성과 음악의 내용을 반영하는 독특한 시각매 체의 기능을 발휘하고 강렬하게 시각화할 수 있 는 일러스트레이션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일상 적인 사물에 대한 전혀 다른 시각으로 인간의 내 면 깊숙이 잠재워진 비합리적인 의식세계를 현실 로 끌어내며 사물과 인간, 그 안의 모든 정신까 지도 표현 가능하게 하는 초현실주의 일러스트레 이션은 가장 자연스럽고 창조적인 정신의 표현이 며 음악 앨범 커버에 신경향으로 등장하였다. 기를 누린 `말달리자`가 삽입된 앨범 [묘비명] 이 후 인디락 밴드 크라잉 너트의 두번째 앨범인 <서커스 매직 유랑단>과 호위 B의 <SNATCH> 앨범의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은 초현실주의 기법 중 하나인 꼴라주 기법으로 표현되어 있다.(그림 21~22) (그림 21) 크라잉넛, 서커스 매직 유랑단 (그림 22) 호위B <SNATCH> TOSHIO NAKANISHI / PALM PICTURES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있어 인간 정신활동의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는 무의식의 탐구는 관심의 대 2 자동주의 automatism
AK 프로젝트는 그의 첫 번째 음반에서 자동기술 과 같이 무의식 상태에서 그려진듯한 기이한 동 물의 형상을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하고 있다. 원근법의 무시를 통해 꿈속이라는 착각을 일으키게 하고, 고정관념을 깨뜨려 해방감과 순 수한 상태를 불러일으키며, 잠재의식을 개방하여 놀람과 과장을 표현한 것이다. 카마의 이 앨범은 연극음악을 하면서 호흡을 맞 추게 된 퍼포먼스 아티스트 유제언씨와 공동으로 작업한 것으로, 무의식의 표현이라기 보다는 심 적인 개방의 상태로서 심리의 상태를 이성이나 지성으로부터의 규제에서 해방시킴으로 가장 순 수한 상태의 창작을 지향하는 것으로, 잠재의식 에 접근하여 구체적 현실을 비현실적으로 표현하 고 있다.(그림23~24) (그림 23) AK 프로젝트, AK PROJECT 1 (그림 24) 카마 3 추상적, 자동주의 그룹의 멤버인 남상아가 직접 디자인한 3호선 버 터플라이의 음반은 검은 색을 바탕으로 날개를 활짝 편 무지개 빛의 나비뿐만 아니라 자세히 보 면 볼수록 여러 가지 상상의 여지를 남기는 재미 있는 요소로 가득하다. 추상적이며 자동주의적 방식으로 독특한 생물적 형태를 표현하였다.(그림 25~26) (그림 25) 3호선 버터플라이, Self-Titled Obsession (그림 26) 이상헌, 초콜렛중독 블루(BLUE) 4 불가해한 세계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같은 대스타의 앨범 커버와 오비츄어리(Obituary)의 명작 [Cause of Death], 그리고 세풀투라(Sepultura)의 앨범 등 다 수의 커버아트를 작업하면서 음악 매니아들에게 도 낯선 인물이 아니다. 그의 기본 작업 방향은 잊혀진 세계 또는 존재하지 않는 세계 의 영상 화였으며, 인간이 꿈을 통해 보게 되는 불가해( 不 可 解 )한 세계를 영상화하는 경이적인 환상미술의 창조가 그의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기법이 다.요아힘 루이트케(Joachim Luetke)는 이물질의 결합, 특히 기계와 인체의 결합을 통한 공포감을, 치밀한 형식미를 동반하여 아름다움으로 도출해 내는 데에 특징이 있다. 레이지(Rage)를 비롯하여 코브넌트(The Kovenant), 페인(Pain) 등 개성 강 한 밴드들과 마릴린 맨슨(Marilyn Manson), 소포 르 애터너스(Sopor Aeturnus)처럼 병적이기까지 한 뮤지션들의 앨범 포토그래퍼로 활동하고 있는 루이트케(1957년생)는 주로 사진합성을 통하여 그 로테스크를 창조한다.(그림27~28)
(그림 27) Michael Whelan, Obituary, [Cause of Death] (그림 28) Luetke 作, Pain, 멤버 이미지 으며, 디자인을 맡은 트렌지스터 헤드의 <하우솔 로지 HOUSOLOGY>의 재킷은 보는 이로 하여금 엽기적인 모양의 소를 발견하고 다시 한번 놀라 게 한다. 표 5 5 과장, 이물질의 결합 특히 데이브 맥킨은 인체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과장하거나 이물질과의 결합을 즐겨 시도하는데 이는 서로 다른 의미의 사물들을 하나로 결합시 키거나 사물이 갖는 고유의 이미지를 변형시켜 전혀 다른 의미의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를 화면 속에 탄생시킨다. 상이하고 적대적이기까지 한 이물질들을 인간의 육체 일부분과 조합하여 특유 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얼 굴, 팔 등 신체 일부를 떼어내었다.른 물체와 결 합시키거나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해주는 식으로 인간과 외부물질, 나아가 시스템과의 관계와 소 통에 대해 강렬한 의식을 담아내고 있다. 특히 그의 아트웍이 커버아트로써 효과적인 것은 현대 뮤지션들 중 해체, 결합을 음악적 방식으로 채택 하는 뮤지션이 그것을 제대로 표현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림29~30) (그림 31) (그림 31) 트렌지스터 헤드, HOUSOLOGY 표 6. 초현실주의 기법과 음악 앨범 커버 Ⅲ. 결 론 (그림 29) Dave Mckean, Counting Crows, (그림 30) [This Desert Life] & Tori Amos, [God] 과거 언니네 이발관에서 활동했던 인디음악을 하 는 류한길이 직접 음반 재킷 이미지 작업을 하였 20세기 미술사조 중 특히 초현실주의는 회화적인 주체의식의 회복을 통해 대중의 심리적, 사회적 호응을 기반으로 하여 시각환경의 형성과 이미지 전달에 가장 효과적이며 강력한 설득력으로 일러 스트레이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무의식세계 를 현실로 끌어내어 내적 이미지 세계를 표현코 자 하는 초현실주의는, 개인의 감성을 가장 구체
적으로 드러내야 하는 현대의 음악 앨범커버 일 러스트레이션과 정신적 내면세계를 서로 공유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식과 이성을 초월 한 독창적 표현의 순수미술적인 표현을 앨범 커 버 일러스트레이션의 목적 달성의 방법으로 활용 할 때 초현실주의 회화만큼 효과적인 활용대상은 드물 것이다. 초현실주의 회화의 표현적 특성은 예술미의 대중화를 통해 앨범 커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의 본래 기능을 달 성할 수 있게 한다.초현실적 이미지를 시각화하 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시각 예술의 원리인 원근법을 파기함으로써 고객의 시 각혼란을 유도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의 극적 효과 를 상승시킬 수 있다.둘째, 초현실주의는 의식의 심적 표현인 꿈과 초현실을 현실과 일치시킴으로 써 음악의 주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셋째, 상식을 초월한 비현실적이고 비합리적인 일러스 트레이션은 의미없는 형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 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충격, 착각, 환상을 낳게 한다.넷째, 사실을 왜곡하는 초현실주의적 일러스 트레이션 기법은 새롭고 혁신적인 시도로 고정관 념을 탈피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구매의욕을 자극할 수 있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현실주의의 이념과 조형적 특성은 다양한 형태와 원리로 현대 앨범커버 일 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되고 있으며, 새롭고 전위적 인 감각으로 일러스트레이션과 예술의 조화에 새 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서로의 영역이 불 분명한 현대미술에 있어 재료나 기술 또는 소재 에 의한 구분은 전혀 타당성이 없으며 미래 음악 앨범 커버에 있어서 초현실주의 표현성의 활용은 음악 앨범 커버 일러스트레이션의 무한한 창작 영역을 확대 발전시키고, 앨범 커버의 본질적 기 능인 커뮤니케이션을 훌륭히 수행케 할 수 있으 며, 미래지향적 음악 앨범 산업에의 활성화에 기 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앤드류 장, 일러스트레이션의 세계, 디자인하 우스, 1998 2) 앤드류 장 줄리 리버맨, 최재은 옮김, 일러스트 레이션, 디자인하우스, 2000 3) 이언 심프슨, 새로운 일러스트레이션 입문, 시 공사, 1997 4) 디자인사전, 안 그라픽스, 1994 5) 김상락, Visual Design 6) 7) 8) Steven Heller, 일러스트레이터는 무엇으로 사 는가, 디자인하우스, 2002 9) 노희성, 일러스트레이션 교실, 청년사, 1999 10) hong-ik graphic designer s guide, 1997 11) 박선의 최호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미진사, 1999 12) 매슈 게일 오진경,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 트, 2001 13) 수지 개블릭, 르네 마그리트, 시공사, 2000 14) H.W 잰슨, 미술의 역사, 삼성출판사, 1983 15) 로베르 르네 김정란, 초현실주의1, 열화당, 19951 16) 로베르 르벨 김정란, 초현실주의2, 열화당, 1995 17) 피오나 브래들리 김금미, 초현실주의 열화
당,2003 18) Calvin S. Hall, 이용호, 프로이트 심리학 입 문, 백조사, 1997 19) 피터 키비, 장호연 이종희, 순수음악의 미학 Music alone, 도서출판 이론과 실천 20) 앙드레 브르통, 송재영, 초현실주의 선언, 성 문각, 1978 22) 김해성, 현대미술을 보는 눈, 열화당, 1985 23) Album Cover Album 5, Billboard Books, 1989 24) Illustration Annual 40, Communication Arts, 1999 25) http://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