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간 등 록 번 호 11-1530000-000023-01 태안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 연 구 기 관 한 국 해 양 연 구 원 해 양 경 찰 청
이 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은 OPRC 협약, OPRC- HNS 의정서 및 해양환경관리법 제61조(국가긴급 방제계획의 수립ㆍ시행)에 따라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 해양오염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각 지역 차 원의 방제 및 제반 조치사항을 규정하고 있음 이 계획은 대규모 해양오염 위기관리 실무매뉴얼 및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포함하고 있음 이 계획에 규정되어 있는 상황 전파처, 관련기관 연락 처 및 방제자원 정보 등 제반정보는 현재 기준으로 작 성된 것으로 본 계획 관리자는 정기적으로 제반정보를 확인 수정하여 상황전파 등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함 이 계획은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기본방향 및 조치사항을 제시한 것이므로 현장지휘관은 기상상황 등을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현장상황과 부합하 게 적용 시행할 수 있음
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의 개정표 개정 일자 개정 부문 (쪽 번호) 개정 주요내용 작업자 성명ㆍ 서명
목 차 제1장 총 칙 1-1 제1절 목적 1-1 제2절 해역의 범위 1-1 제3절 방제체제 및 정책 1-1 제4절 방제조직 1-5 제5절 계획의 수정 1-9 제2장 지 역 평 가 2-1 제1절 해역특성 2-1 제2절 기름 및 HNS 확산 특성 2-12 제3절 해양오염사고 위험분석 2-32 제4절 방제전략 수립시 고려사항 2-54 제3장 해양오염 보고 및 통신 3-1 제1절 오염신고 3-1 제2절 보고 및 통보 3-1 제3절 비상연락체계 구축 3-2 제4절 방제통신망 구축 3-2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4-1 제1절 방제기자재 보유현황 4-1 제2절 최대유출사고시 방제기자재 동원계획 4-1 제3절 전문대응팀 구성 4-5 제4절 보급 4-7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5-1 제1절 방제조직의 운영 5-1 제2절 초동조치 5-4 i
제3절 방제조치 시행 5-7 제4절 위험방지 안전 및 보건 5-20 제5절 기록 및 비용징수 절차 5-22 제6절 방제종료 및 절차 5-23 제6장 위험 유해물질 방제실행 6-1 제1절 방제대책본부의 설치 운영 6-1 제2절 초동조치 6-5 제3절 방제조치 시행 6-15 제4절 위험방지 안전 및 보건 6-26 제5절 기록 및 비용징수 절차 6-28 제7장 방제교육 및 훈련 7-1 제1절 방침 7-1 제2절 방제기술교육 7-1 제3절 방제훈련 7-2 제8장 홍 보 8-1 제9장 가상해양오염사고 선정 및 대응전략 9-1 제1절 대형 해양오염사고 9-1 제2절 중형 해양오염사고 9-14 제3절 소형 해양오염사고 9-25 제4절 HNS 유출사고 9-35 [부속서Ⅰ] 관련자료 [부속서Ⅱ] 해안방제자료표 [부속서Ⅲ] 태안지역 유처리제 사용지침 [부속서Ⅳ] 태안지역 HNS 물질특성 및 방제지침 [부속서Ⅴ] 해안오염 방제작업 지침 [부속서Ⅵ] 대규모 해양오염사고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i
제1장 총 칙 제1장 총 칙 제1절 목적 본 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은 해양환경관리법 제6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 44조에 따라 태안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제조치에 필 요한 사항들을 규정한 것으로서, 해양오염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재산을 보호 하고 해양환경을 보전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절 해역의 범위 본 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은 태안해양경찰서의 관할해역인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 평택항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증산리 해안까지에 포함되는 해 역으로써 [북위 37 00', 동경 126 47' 35", 북위 37 05', 동경 126 30', 북위 37 00', 동경 126 00']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 및 [북위 37 00', 동경 126 00']에서 270 방향의 연장선과 [북위 36 10' 54", 동경126 33' 40"]에서 270 방향의 연장선 내측 해역을 대상으로 한다. 제3절 방제체계 및 정책 1. 방 제 조 치 의 무자 방제조치 의무자는 당해 선박 해양시설 해양오염비상계획서를 준수하며, 해양오염사고 발생시 신고 및 방제조치 등에 관한 의무를 수행해야 하며 이에 사용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해양환경관리법제7조, 제31조, 제35조, 제63조, 제 64조,제65조, 제68조, 제80조). 2. 해 상 방 제 책임기 관 해상방제 책임기관은 다음과 같은 경우 긴급방제조치를 시행해야 한다. 1-1
제1장 총 칙 가. 해양오염사고로 국가기반시설 또는 해양환경 등에 심각한 피해가 예 상되거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로서, 방제의무자의 방제조치만으로 는 곤란하다고 인정되거나 긴급방제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긴급방제조치를 실시(해양환경관리법 제68조) 나. 대량의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있거나 배출되는 경우로서 방제의무자의 방제조치만으로는 곤란하다고 인정되거나, 긴급방제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긴급방제조치 실시(해양환경 관리법 제68조) 다. 방제의무자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또는 방제의무자가 방제조치명령 을 따르지 않는 경우 긴급방제조치 실시(해양환경관리법 제64조) 3. 해 안 방 제 책임기 관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 또는 시설관 리 행정기관의 장은 해안에 달라붙은 기름에 대하여 방제의무자의 방제조치 만으로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또는 긴급방제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 우에는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가. 시장 군수 구청장 또는 시설관리 행정기관의 장은 해양환경관리 법 제68조제1항의 규정에 따라 필요시 해안오염에 대한 방제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해양경찰청장은 방제장비, 인력 및 기술 등을 지원하여야 한다. 나. 해양경찰청장은 가목의 조치가 미흡한 경우 해안오염에 대한 방제조 치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방자치단체 또는 시설관리 행정기관의 장은 방제자원의 동원, 복구 등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방 제 대 책본 부 설 치 운영 해양오염사고로 인한 긴급방제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해양경찰청에 방제대책본부를, 해양경찰서에 지역방제대책본부를 설치 운영 1-2
제1장 총 칙 할 수 있으며, 해양경찰청장은 해상 및 해안의 방제조치에 관하여 지휘 통제를 총괄한다(해양환경관리법 제62조) 5. 지 역 해 양 오 염 방 제 대 책협의 회 지역방제대책본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관계 기관의 소속 공무원, 유관단체 업체의 임직원 및 주민대표 등으로 지역해양 오염방제대책협의회를 구성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양 오염사고 관련자 는 지역해양오염방제대책협의회의 구성원에서 제외된다.(해양환경관리법 시 행령 제46조) 6. 방 제 기 술 지 원 협의 회 해양경찰청장은 과학적인 방제업무 수행을 위하여 방제기술지원협의회에 방제기술 등에 대한 지원 및 자문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일부 위 원을 지정하여 방제대책본부 또는 사고현장에 일정 기간 파견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7. 관 계 기 관 의 임무 및 역 할 해양오염사고의 신속한 방제조치와 피해주민의 다양한 민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방제기본계획 및 관계법령 규정 등에 따라 관계기관별로 다음 사항을 협조하여야 한다. 가. 지방자치단체 : 해양환경관리법 제 61조 규정에 따른 지역긴급방제실행 계획과 연계한 해안긴급방제실행계획의 수립 시행, 주민 대피명령, 육 상의 위험구역 설정, 통행제한, 응급조치 및 재난경보 발령, 해안오염 방제조치를 위한 재정확보 및 방제자원의 비축 동원, 육상의 위험물 저장 취급시설에 대한 응급조치 통보 및 조치명령, 자원봉사활동 지 원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및 자원봉사자 모집 등록 배치, 교육, 안내, 물자보급, 안전지도, 후생 등 자원봉사활동 지원 관리, 인명의 긴급구 1-3
제1장 총 칙 조 처치 등 응급의료 현장지원을 위한 구조대 구급대 편성 운영, 어 장관리특별해역에 대한 수산동식물의 포획 채취 또는 양식의 제한금 지 및 야생동물에 대한 구조 치료 보호 조치, 해양생태계 습지지역 의 훼손에 대한 복원 및 복구, 자연공원에 대한 생태계 영향평가 및 훼 손지 복원, 해안에 부착된 기름 또는 위험 유해물질의 방제 및 방제조 치에 사용된 비용 산정 부과 징수, 수거된 폐유, 폐기물 등의 임시 저 장장소 제공, 재난구호 복구에 필요한 비용의 지원요청 및 집행, 소속 공무원의 방제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훈련, 관할해역 안에서 전복 침 몰 방치선박 등 장해물 등의 제거 등 나. 경찰청(서) : 사고해역 인근지역의 치안 등 사회질서 유지 및 교통질서 관리, 주민의 긴급대피 및 통제 지원, 긴급구조 및 환자후송을 위한 출 입로 확보 등 다. 지 역 책임부대 : 긴 급 해상 해안 방제작업을 위한 병력 및 장비 등 지 원 라. 지방해양항만청 : 관할 항만 안에서 위험물 취급시 안전조치, 전복 침 몰 방치선박 등 장해물 등의 제거, 선박교통의 제한, 개선명령 등 해 상안전 확보 및 위험방지 조치, 국제협력을 위한 국내외 방제선박의 입 출항 등 운항 정박 및 항만시설의 사용 등에 관한 절차 간소화 등의 편의 제공 마. 유역(지방)환경청 : 미확인 위험 유해물질의 탐지 및 분석인력 장비 지원, 사고로 인한 피해의 영향 범위 예측 및 방제 폐기 등 관련정보 제공, 수거된 기름 또는 위험 유해물질, 폐기물 등의 처리, 야생동물의 구조 치료를 위한 구호 치료시설의 설치 운영 등 바. 지방노동관서 : 방제현장, 방제작업자에 대 한 안전 보건 교육 진단 점검 및 현장지도(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배출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 건자료 제공 등 사. 보건환경연구원 : 미확인 위험 유해물질의 탐지 및 분석인력 장비 지 원, 사고로 인한 피해의 영향 범위 예측 등 관련정보 제공 등 8. 방 제 정보 지 도 활 용 1-4
제1장 총 칙 해양경찰서장은 방제와 관련된 정보가 명시된 방제정보지도를 작성하여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 오염에 민감한 요소의 판단, 방제방법 및 보호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활용함으로써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 오염에 의한 피 해를 최소화하는데 노력하여야 한다(국가긴급방제계획). 9. 기 름 및 유 해 액체 물 질 의 해 양 오 염 비 상 계 획 서 작성 비 치 선박소유자 및 해양시설의 설치 운영자는 기 름 및 유 해 액체물질이 해양 에 배출된 경우에 취해야 할 조치에 관한 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비상계획서 를 작성 비치하여야 하며, 본 방제실행계획과 상충되지 않아야 한다. (해양환 경관리법 제31조, 제35조). 10. 해 양 환 경 관 리 공 단 및 방 제 조 치 계 약자의 방 제 조 치 해양환경관리공단 또는 선박 시설의 방제조치 계약자는 해양오염사고에 신속히 대비 대응하기 위한 선박 시설의 방제계획을 별도로 수립, 운용하 여야 하며, 본 방제실행계획과 상충되지 않아야 한다. 제4절 방제조직 가. 방제대책본부의 구성 (1) 방제대책본부는 해양경찰청장 또는 당해 해역을 관할하는 지방해 양경찰관서의 장을 본부장으로 해양경찰청 및 소속공무원, 관계기 관 장이 파견한 자, 그 밖에 방제대책본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 는 자 등으로 구성한다. (2) 방제대책본부는 환경조건, 피해상황, 기상상태 등을 고려하여 지방 해양경찰청장 또는 해양경찰서장(이하 지방해양경찰관서의 장 이 라 한다)에게 위임하여 운영하거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1-5
제1장 총 칙 나. 방제대책본부의 임무 및 기능 (1) 해양오염방제 총괄 지휘 (2) 해양오염사고 및 방제종합상황에 대한 분석 평가 (3) 관계기관 및 외국의 방제자원 지원범위 결정, 지원 협조요청 및 긴급동원 (4) 기름 또는 위험 유해물질의 유출 및 확산방지대책 수립 시행 (5) 현장지휘소 설치 및 해상 해안 방제작업 현장 지휘 통제 (6) 현장보급소 설치 및 동원된 장비 및 자재 약제 등의 현장배치 보급 및 지원 (7) 방제기술지원협의회 운영 및 과학적 방제기술 지원 (8) 자원봉사자 등 소요인력 파악 및 방제기술 지도 (9) 그 밖에 방제와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 다. 방제대책본부 사고대응반 (1) 방제전략팀 (가) 해(육상) 오염상황 총괄, 방제대책 수립 (나) 방제대책 전략회의 개최(매일,각 반장 참석) (다) 방제자원 동원규모 및 전략 수립, 시행 (라) 오염상황유지를 위한 오염상황 분석 (마) 방제기술지원단 자문 및 전문가 의견 수렴 (바) 초동 방제조치를 위한 조치사항 점검 등 (사) 국가 긴급방제계획에 따라 부처별 소관업무 지원 및 협조 (아) 관계기관 파견관 운영 및 중앙사고수습본부와의 연락 및 지원 체계 유지 (자) 선주 또는 보험 대리인 참석 (차) 해양오염방제공단 파견관 등으로 대책본부 참여 (2) 상황관리팀 (가) 방제 종합상황 보고총괄 (나) 일일 종합보고서 작성 및 오염상황도 작성 관리, 확산모델 실 1-6
제1장 총 칙 행 등 (다) 방제대책본부에서 보고된 상황보고 전파(관계부처) (라) 각 기능별 진행상황 취합(현장 및 파출소 등) (마) 해상 방제 작업 실적 취합(필요시 해안 포함) (바) 기능별 동원인력, 장비 자재,소모품 사용, 폐유 폐기물 수거 현황 등 방제 통계 총괄취합 (3) 행정지원팀 (가) 재난적 사고 대응을 위한 긴급 예산 편성 및 대응(방제지원계 직원 담당) (나) 방제대책본부 소요 물품 구매 계획 수립(방제지원계 직원 담 당) (다) 긴급 편성된 방제예산 집행 등(해경서 경리계) (라) 방제대책본부 및 방제 동원세력 후생지원 (마) 행정업무, 국민제안 등 처리 (바) 방제대책본부 요원 차출 인사 조치 및 해양경찰 업무포탈 개 인별 IP 지정 등 (사) 대책본부 기능별 축소 또는 종료 시 업무인수 인계 (아) 외부 상급기관, 사고관련 보고서 작성 (자) 청장님 참석 대책회의 자료 작성 (차) 방제현장과 대책본부 간 통신망 구성 운영 (카) 현장 방제지도 책임자 간 통신망 운영 (아) 방제대책본부 컴퓨터 등 사무기기 설치지원 등 (4) 보급지원팀 (가) 동원인력 장비 현황, 소요예측 및 지원계획 수립 시행 (나) 장비별 배치 조정 및 관리(인력, 장비 통계관리) (다) 유처리제, 유흡착재, 작업복, 기타 1회 용품 등 소요예측 및 동 원계획 수립 (라) 동원자재 배치 조정 및 관리(기자재 통계관리) 1-7
제1장 총 칙 (마) 임시 방제 기자재 보급소(기지) 설치 운영 (바) 방제현장 방제기자재 출급 및 물자 관리 등 (5) 해상방제팀 (가) 방제구역내 통항선박 관리(통제) (나) 작업구역내 민간 동원 선박, 관계기관(해군포함), 공단 해상방 제 선박 등 관리(정박, 집결, 통제) (다) 방제 지휘함 관리 및 함정별 방제 실적 취합 (라) 매일 2회 항공 유출유 확산 감시 및 결과 보고 작성 (마) 동원 항공기(헬기) 이용 항공방제(임무 부여 시) (바) 해상(해안 포함) 오염사고 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임무 부여 및 현장 지원 조직 가동 (사) 민간 동원 방제조치가 어려운 지역 방제 투입 (6) 해안방제지도팀 (가) 지자체와의 인력, 장비 지원 협력업무 추진 (나) 환경단체와의 협력관계 유지(대응) (다) 자원봉사자 현장 배치 및 지원 (라) 간이 폐유저장소 운영 및 관리(처리량 관리) (마) 폐기물 폐유 등 수거 운반차량 동원 및 진입로 확보 (바) 지자체 주관 해안 방제조치에 대한 기술지도 (사) 해안 오염상황 파악 및 오염정보지도 작성 2. 현 장 감 독관 가. 방제대책본부장은 방제에 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자를 현장감 독관으로 임명하여 다음의 업무를 관장하도록 한다. (1) 해상 긴급방제조치 실시 및 해상 해안 방제작업 지도 감독 (2) 방제작업에 필요한 방제자원 파악 및 동원자원의 배치 운용 (3) 방제작업의 진행 조정 및 방제상황 보고 1-8
제1장 총 칙 (4) 해양오염지역 주변 통제 등 3. 현 장 지 휘 소 가. 사고현장의 방제조치 등 현장지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 한 경우에 사고 현장 인근에 현장지휘소를 설치 운영할 수 있다 나. 현장지휘소는 현장통제, 긴급구조, 주민대피 등의 현장 대응활동에 참여하는 관계기관과 해상 해안 방제를 위한 상황관리팀, 사고대응팀, 인명구조팀 등 3개팀으로 구성한다. 4. 방 제 기 술 지 원 협의 회 가. 방제기술지원협의회 위원은 해양오염 방제와 관련된 관계기관 단 체 학계 또는 연구소 등의 소속 전문가로서 해양경찰청장이 위촉하는 자로 구성한다. 나. 방제기술지원협의회의 기술지원 및 자문에 과한 내용은 다음과 같 다. (1) 배출된 기름 또는 위험 유해물질의 양 산정 및 이동 확산 변화 예측 (2) 배출물질의 성상 거동특성에 따른 방제자재 약제 사용의 효용성 (3) 배출된 기름 또는 위험 유해물질의 방제방법 선택, 안전조치 및 피해감소 방안 (4) 사고선박에 적재된 기름 또는 위험 유해물질의 이송 이적, 배출 구 봉쇄, 선체의 안전 처리 및 사고 진행예측 (5) 해양생태계 등 환경영향, 오염피해 추정 (6) 해양오염 방제관련 법률적 문제 (7) 그 밖에 방제와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 제5절 계획의 수정 1-9
제1장 총 칙 1. 계 획 의 수 정 본 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태안해양경찰서장이 수정안을 작성하여 태안지역 해양오염방제대책협의회에 상정하여 심의 의 결한 후 서해지방해양경찰청장의 승인을 받아 수정할 수 있다. 단, 통계자료 및 단순한 변동사항 등은 태안해양경찰서 자체에서 수정할 수 있다. 2. 수 정사 항 통 보 본 지역긴급방제실행계획을 수정한 경우에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장 및 관 계기관에 수정한 내용을 통보하여야 한다. 1-10
제2장 지 역 평 가 제2장 지 역 평 가 제1절 해역특성 1. 지 리 적 특 성 태안해역은 전형적인 리아시스식 해안선을 가지는 얕은 해역으로 크고 작 은 많은 섬들이 산재해 있다. 이 섬들 주위에는 큰 조석간만의 차이로 인하 여 조간대가 대규모로 발달되어 있고, 육지와 해양으로부터 유입된 미립질 퇴적물이 쌓여 광대한 간석지가 발달되어 있다. 태안해역의 해저 지형은 50m 내외의 수심을 보이며, 연안에서 외해로 갈수록 완만하게 깊어지는 양 상을 보인다. 37 o N 30 20 20 10 Whasung 40 Seosan Dangjin Taean 40' 50 Hongsung 10 20 30 20' 50 4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 태안해역 수심분포 2-1
제2장 지 역 평 가 태안해역은 인천항으로 입 출항하는 대형선박들의 항로 중간지점에 위치 하고 있어 해난사고 및 오염물질의 불법배출 등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해역이다. 또한 태안해역에는 대산항, 평택항, 보령항을 중심 으로 정유공장, 대형 저유시설, 석유화학공장 등이 폭넓게 위치하고 있어 유 조선, LNG운반선, 화물선 등 대형선박의 항행이 빈번 하므로 해난사고 발생 시 대형 오염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주변해역에 얕은해역 및 조간대의 발달로 어장 및 양식장이 다수 분포 하고 있으므로 오염사고 발생 시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 2. 입 출 항 선 박 현 황 태안해역에 입항한 선박은 2006년 현재 대산항 5,152척, 보령항 307척, 태 안 항 259척 등 총 5, 718여척에 이르고 있다. 태안해역에 입항하는 선박 5,718 여척 중 위험물 적재선박이 4,659척으로 8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유조 선이 3,054척이고, 케미칼선이 1,165척이며, LPG 및 LNG선이 440척을 차지 하고 있다. 태안해역에 입항하는 선박 중 1만톤 이상의 선박은 719척으로 전체 입항 선박의 13% 정도이며, 1천톤~1만톤 규모는 2,854척으로 50%, 1천톤 미만은 2,145척으로 37%를 차지하고 있다. 이상의 자료에서 태안해역의 입항선박은 중소형 선박이 대부분을 차지하 고 있으며, 유조선, 케미칼선 등과 같은 위험물 운반선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 업시 설 현 황 태안해역은 대산항에 정유공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현대오일뱅크(주), 삼 성토탈(주), SEETEC(주), 평택화력발전처, 태안화력본부, 보령화력 본부, 한 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의 비축기지가 위치하고 있어 원유와 중유 등을 2-2
제2장 지 역 평 가 적재한 유조선의 입 출항이 빈번한 곳이다. 이러한 대형 유조선들은 그림 2-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인천항과 연결된 항로를 통해 항행한다. 37 o N 서수로 Taean 동수로 Seosan Dangjin Whasung 40' Hongsung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2 태안해역 항로 인천항과 연결된 항로는 장안서 부근에서 입항로인 동수로와 출항로인 서 수로로 분리된다. 태안해역의 항만부두시설은 대산항, 평택항, 보령항, 태안항 등이 있으며, 총 37개의 계류시설을 갖추고 있다. 태안해역의 계류시설 중 1,000톤 이상의 유조선을 계류할 수 있는 시설은 총 15개소이다. 태안해역의 묘박지 분포는 그림 2-3과 같으며, 각 계류시설의 상세내역은 [부속서 I의 자료 4 참조]에 제시한 바와 같다. 태안해역의 300kl 이상 저유시설은 총 15개소이며, 취급유종은 원유 및 정 제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태안해역은 300kl 이상의 유해액체물 질 저장시설도 3개소 보유하고 있다. 태안해역의 산업시설은 해당해역의 남쪽 끝과 북쪽 끝에 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대비 대응이 어렵다. 2-3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3 태안해역 계류시설 및 묘박지 4. 어 장 및 양 식 장 현 황 태안해역은 조간대가 넓게 분포하므로 저서성 생물이 다양하고 분포하고 있으며, 연안 및 조간대 주변을 따라 폭넓게 어장 및 양식장이 발달해 있다. 태안해역의 어장은 총 109건에 15, 125ha 이며, 이 중 마을어업은 약 4,093h a 의 면적에 총 100건이 형성되어 있고 정치망 어업이 9건으로 82ha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어장 이외에 태안해역에서는 약 26,918건 의 맨손어업이 성행 하고 있다. 태안해역의 양식어업은 총 612건으로 10,950h a 이며, 이 중 해조류 양식이 82건으로 3,079ha, 패류 양식이 319건으로 2,452ha, 어류 양식이 96건 으 로 1, 112ha, 복합 양식이 6건으로 132ha 에 이르고 있다. 태안해역의 어업권 어장 및 양식장 현황은 그림 2-4와 같다. 2-4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4 태안해역 어업권 어업 현황 5. 기 상 및 해 양 현 황 가. 기상현황 태안해역은 동절기에는 대륙의 한냉 건조한 고기압과 하절기에는 고온다 습한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1983년부터 2006년까지 약 24년 동안 그림 2-5의 W점에서 관측된 태안지방의 연평균기온은 11.9, 평균최고기온 17.5, 평균최저기온은 7.3, 최고기온은 29.9, 최저기온은 -5.3 이다 (자료출처: 기상청). 연중 강우량은 1,191.4mm이고 강우일수는 약 100일에 이른다. 또한 강우량은 전국의 공통 현상인 하절기에 다우 지역으로 강수의 대부분은 장마기와 태풍기인 6월에서 9월에 걸쳐 연간 강수량의 66.2%에 해당되는 788.6mm가 집중되고 있으며, 동절기에는 연간 강수량의 7.8%인 92.9mm가 내릴 뿐이다. 태안해역 안개 발생일수(가시거리 1km미만)는 2-5
제2장 지 역 평 가 연간 약 41일이다 [부속서I의 자료 5, 자료 6]. 그림 2-6에서 1983년부터 2006년까지 24년 동안 관측된 시간별 바람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 태안해역 의 바람은 북서풍과 서풍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겨울철 주풍향인 북서풍의 풍속은 4m/sec 이상이 약 12% 정도이고, 8m/sec 이상은 5% 정도이며 12m/sec 이상이 약 3% 정도이다. 봄철의 바람은 그림 2-7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서풍계열이 우세한 양상을 보인다. 봄철 서풍 풍속의 빈도분포는 4m/sec 이상이 2% 정도이고, 8m/sec 이상은 15% 정도이며 12m/sec 이상은 4% 정도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바람은 그림 2-8에 제시한 바와 같이 남서풍 과 서풍이 우세한 양상을 보이며, 풍속은 점차 더 약해진다. 여름철 주풍향 인 남서풍의 풍속은 4m/sec 미만이 5% 정도이고, 4m/sec 이상은 15% 정도 이며 8m/sec 이상은 5% 미만이다. 여름철 풍속에서 12m/sec 이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가을철에는 그림 2-9와 같이 남풍이 서풍과 북서풍 계열로 바뀌면서 풍속은 점차 강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가을철 북풍의 풍속은 4m/sec 이상이 12% 정도이며, 8m/sec 이상이 5% 정도 이며 12m/sec 이상 은 2%정도로 나타났다. 정상적인 계절풍 이외에 [부속서Ⅰ의 자료 7]에 제시 한 바와 같이 태풍의 영향도 자주 받는다.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W 20' T 2 T 1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5 태안해역 기상 및 수온 관측지점 (기상자료: 기상청, 수온자료: 국립수산과학원) 2-6
제2장 지 역 평 가 Taean (Jan.) 7440 Taean (Apr.) 7200 0 10% 20 30 40 50 0 10% 20 30 40 50 0 4 8 12m/sec 0 4 8 12m/sec 그림 2-6 태안해역 겨울철 바람 출현 빈도 분포 그림 2-7 태안해역 봄철 바람 출현 빈도 분포 Taean (Jul.) 7440 Taean (Oct.) 7440 0 10% 20 30 40 50 0 10% 20 30 40 50 0 4 8 12m/sec 0 4 8 12m/sec 그림 2-8 태안해역 여름철 바람 출현 빈도 분포 그림 2-9 태안해역 가을철 바람 출현 빈도 분포 나. 해양현황 태안해역의 표면수온(SST)은 그림 2-5의 T 1 점과 T 2 점 에 서 196 1년 부터 2-7
제2장 지 역 평 가 2006년까지 약 46년 동안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출처: 국 립수산과학원). 태안해역 T 1 점의 표면수온은 그림 2-10에 제시한 바와 같이 겨울철인 2월에 약 4, 여름철인 8월에 약 24 로 약 20 의 계절적 차이를 보인다. T 2 점의 표면수온은 T 1 점과 비교적 유사한 양상으로 변동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해수유동은 조석에 의한 왕복성 조류가 탁월하게 나타나며, 바람에 의한 취송류가 계절에 따라 미약하게 변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태안 해역에서 조 석은 약 12.4시간의 주기를 갖는 반일주조가 우세한 형태를 보인다. 고조와 25 ( o C) 22 SST (T 1 ) 19 16 13 10 7 4 25 ( o C) 22 SST (T 2 ) 19 16 13 10 7 4 Feb. Apr. Jun. Aug. Oct. Dec. 그림 2-10 태안해역 T 1 점과 T 2 점의 계절별 표면수온 저조간의 조차는 사리와 조금에 따라 약 15일 주기 로 변동하는데, 보령항에 서 사리때 조차는 약 6.24m이며 조금때 조차는 약 2.81m 이다. 조류는 조위 의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데, 저조와 고조사이에서 최강창조류를 보이며 고조 와 저조사이에서 최강낙조류를 보인다. 태안해역에서 창조시와 낙조시 최강 2-8
제2장 지 역 평 가 유속 2노트 이상으로 나타난다. 태안해역의 창조시 및 낙조시 조류분포는 각 각 그림 2-11 및 2-12와 같다. 취송류는 계절에 따른 바람의 특성에 따라 변동한다. 겨울철 취송류의 분 포는 그림 2-13에 제시한 바와 같이 남향류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유속은 평 균적으로 20cm/sec 내외의 크기를 보인다. 여름철 취송류는 그림 2-14에 제 시한 바와 같이 5cm/sec 미만으로 매우 작게 나타난다.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0.5 m/sec 1.0 m/sec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1 태안해역 창조시 조류분포 2-9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0.5 m/sec 1.0 m/sec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2 태안해역 낙조시 조류분포 2-10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5cm/sec 10 cm/sec 20 cm/sec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3 태안해역 겨울철 취송류 분포 2-11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5cm/sec 10 cm/sec 20 cm/sec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4 태안해역 여름철 취송류 분포 제2절 기름 및 HNS 확산 특성 1. 유 출 유 의 상 태 변 화 해상에 유출된 기름은 해수유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 감쇠과정을 거쳐 해면으로부터 사라지게 된다. 유출유의 감쇠에 걸리는 시간 은 기름 유출량, 기상과 해상상태, 기름의 잔류량, 기름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 본 절에서는 유출유의 여러 가지 특성 중 태안해역의 환경적 특성에 따라 해상 잔류량 및 확산거동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점성, 증발율, 함수율 등의 2-12
제2장 지 역 평 가 특성을 고찰하였다. 유출유의 점성은 해상 유출유의 유동성을 결정하는 것으 로서 고점도유는 유동성이 낮은 반면에 저점도유는 유동성이 높다. 기름의 점성은 그림 2-15에 제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름의 경우에도 주변의 온도 20000 K. Viscosity(cSt) 5000 2000 1000 500 200 100 50 30 20 15 Heavy Oil Medium Fuel Oil 10 7 5 3 Cabinda Kwait Arabian Light 0 20 40 Gas Oil 60 Temperature( ) 그림 2-15 온도에 따른 기름 종류별 점성 변화 (점선은 태안해역의 평균 표면수온을 나타냄)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태안해역에서의 유출유는 평균 표면수온을 고 려하면 그림 2-15의 점선으로 표시된 정도의 점성을 갖는다. 기름의 증발율 은 해상 유출유의 잔류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기름의 휘발성, 유막의 면 적 및 두께, 풍속 및 해면상태, 기온 및 수온, 일사량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인 다. 태안해역의 평균 기온을 적용할 경우, 기름 종류별 증발량의 시간적 변 동은 그림 2-16과 같다. 한편, 유출유의 함수율은 해상 유출유를 유상화 시 켜 부피를 증대시키며, 이와 동반하여 점성을 증가시킨다. 해상 유출유의 함 수율에 따른 유상화 정도는 주로 기름 자체의 점성, 수온, 해상상태 등에 따 라 결정되는데, 태안해역의 평균 표면수온을 고려한 경우 기름 종류별 함수 량은 그림 2-17과 같은 시간적 변동을 보인다. 2-13
제2장 지 역 평 가 Evarporation(% ) 100 80 60 40 Kerosene Abu Dhabi Arabian Light Bunker C 20 0 0 12 24 36 48 60 72 Time(hr) 그림 2-16 기름 종류별 증발량의 시간적 변동 (표면수온 20 ) 100 75 Water Content(%) 50 In-situ ignition is unlikely for most oils 25 In-situ ignition might be difficular Arabian Light Abu Dhabi Bunker C 0 0 24 48 72 96 120 Time(hr) 그림 2-17 기름 종류별 함수량의 시간적 변동 (표면수온 20 ) 2. HN S 물 질 특 성 HNS 물질특성은 태안해역에서 운송량이 많은 10종에 대해 제시하였다. 2-14
제2장 지 역 평 가 표 2-1 HNS 물질특성 번호 유엔 IMDG IMDG 인화점 번호 CAS 번호 화학품명 CODE CLASS 분자량 폭발한계(%) 수용성 비중 가스비중 끓는점( ) 융점( ) ( ) 발화점 ( ) 증기압 (mmhg) 1 2055 100-42-5 스티렌 (스티렌모노머) Styrene monomer 3381 3.3 104.15 0.9~6.8 미 0.9075 3.6 145.2-30.69 32 490 4.5 2 1307 1330-20-7 자일렌 Xylene 3394 3.3 106.17 1.0~6.0 불 0.880(()) 3.66 144.4(()) -25.2(()) 17(()) 463(()) 4.83 3 1114 71-43-2 벤젠 Benzene 3185 3.2 78.12 1.3~7.1 미 0.879 2.7 80.1 5.53-11 498 95.18 4 1077 115-07-1 프로필렌 Propylene 42.08 2.4~10.1 미 0.5139 1.49-48 -185-108 455 8690 5 1962 1038 74-85-1 에틸렌 Ethylene 28.05 3.1~32 미 0.978-102.4-169 -136 450 52100 6 107-21-1 에틸렌 글리콜 Ethylene glycol 62.07 3.2~ 이 1.113 2.14 197.85-12.6 111.1 398 1 7 1184 107-06-2 염화 에틸렌 Ethylene dichloride 3224 3.2 98.96 6.2~16 미 1.2351 3.4 84-35.7 13 416 87 (25C) 8 2398 1634-04-4 메틸 삼차뷰틸 에테르 MTBE 88.15 2.5~15.1 0.7405 3.1 55-109 -10 193 245 9 1230 67-56-1 메틸알코올 (메탄올) Methacol 3251 3.2 32.04 6.0~36 이 0.7928 1.1 64.65-93.9 11 385 100 10 1010 106-99-0 부타디엔 Butadiene 54.09 1.1~16.3 이 0.6 1.87-4.5-108.966-76 420 2110 2-15
제2장 지 역 평 가 3. 지 점 별 기 름 및 HN S 확 산 경 로 예 측 해양오염사고시 해상에 유출된 유출유 및 HNS는 바람과 조류, 취송류, 해 류 등의 해수유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풍화(weathering) 작용에 의해 감쇠된 다. 유출유 및 HNS에 의한 환경 위해도 평가를 위해서는 해상 유출유 및 HNS의 해수유동에 의한 이송 및 감쇠과정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우선적으 로 수행되어야 한다. 유출유 및 HNS 이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역내 각 지점별 유출유 및 HNS 확산경로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유출유 및 HNS의 확산경로는 태안해역 에서 우세하게 작용하는 조류, 취송류, 해류를 모두 고려하여 시뮬레이션하 였으며, 풍화에 의한 유출유 및 HNS의 감쇠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확 산경로는 반일주조 조류의 반복주기인 12.4시간에 대해 계산하였으며, 취송 류의 계절변동을 고려하여 겨울, 봄, 여름, 가을의 4계절에 대해 각각 계산하 였다. 태안 주변해역에서 유출유의 확산경로는 조석에 의한 왕복성이 뚜렷하 게 나타났으나, 지형 효과와 취송류의 영향으로 정확하게 같은 지점으로 회 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확산경로는 그림 2-18에 제시한 바 와 같이 북서풍의 영향으로 남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인다. 봄철과 여름 철의 확산경로는 해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바람이 약화됨에 따라 조류의 왕복성에 따라 거의 같은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양상을 보였다. 봄철과 여름 철의 유출유 및 HNS 이동경로는 각각 그림 2-19와 그림 2-20에 제시한 바 와 같다. 가을철의 확산경로는 그림 2-2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서쪽으로 다소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2-16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8 태안해역 지점별 유출유 이동경로 (겨울철) 2-17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19 태안해역 지점별 유출유 이동경로 (봄철) 2-18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20 태안해역 지점별 유출유 이동경로 (여름철) 2-19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21 태안해역 지점별 유출유 이동경로 (가을철) 4. 유 출 유 및 HN S 의 연 안 피 해 가 능 성 분 석 유출유 및 HNS의 연안 피해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역내의 모든 지 점에 대한 유출유 및 HNS 확산경로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유출유 및 HNS의 확산경로는 태안해역을 500m 간격으로 구분하여 총 31,693 지점을 대상으로 계산하였으며, 조류, 취송류 및 해류를 고려하였다. 연안 피해 가능성은 해역 내 31, 693개 지점에서 각각 발생된 유출유 및 HNS가 연안에 도달하는데 걸 리는 시간으로 표현하였다. 도달시간은 유출유 및 HNS 발생량의 50%를 기 준하여 계산하였으며, 겨울, 봄, 여름, 가을의 4계절에 대해 각각 그림 2-22, 그림 2-23, 그림 2-24, 그림 2-25와 같이 제시하였다. 2-20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2 겨울철 태안 주변해역의 지점별 연안 도달시간 (발생량의 50%) 2-21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3 봄철 태안 주변해역의 지점별 연안 도달시간 (발생량의 50%) 2-22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4 여름철 태안 주변해역의 지점별 연안 도달시간 (발생량의 50%) 2-23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5 가을철 태안 주변해역의 지점별 연안 도달시간 (발생량의 50%) 해역내 각 지점별 유출유 및 HNS의 연안 도달시간은 주변해역의 해수유 동 분포와 관계가 있으며, 연안에 부착되는 양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다. 태안 해역내에서 연안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유출유 및 HNS 양의 시간 별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출유 및 HNS의 시간별 연안 피해 확률을 계 산하였다. 사고지점은 유출유 및 HNS 연안 도달시간 계산과 동일하게 태안 해 역 내를 500m 간격으로 구분하여 총 31,693개 지점을 고려하여 각각 계산 하였으며, 계절별로 유출 후 1일 경과시와 10일 경과시의 두경우에 대해 각 각 제시하였다. 겨울철 태안해역 31,693개 지점에서 유출사고 발생시 1일 경 과후 각 지점별 유출유 및 HNS의 연안 부착 확률은 그림 2-26과 같은 분포 를 보였으며, 10일 경과후 각 지점별 유출유 및 HNS의 연안 부착 확률은 2-24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7과 같은 분포를 보였다. 봄철 태안해역 유출사고 발생시 1일 경과 후 및 10일 경과후 각 지점별 유출유 및 HNS의 연안 부착 확률은 그림 2-28 및 그림 2-29과 같은 분포를 보였다. 여름철의 연안 부착 확률은 1일 경과후 그림 2-30과 같은 분포를 보였으며, 10일 경과후 그림 2-31과 같은 분포를 보였다. 가을철 유출사고 발생시 1일 경과후 및 10일 경과후 연안 부 착 확률은 그림 2-32 및 그림 2-33과 같은 분포를 보였다. 그림 2-26 겨울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25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7 겨울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0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26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8 봄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27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29 봄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0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28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30 여름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29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31 여름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0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30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32 가을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2-31
제2장 지 역 평 가 그림 2-33 가을철 태안 주변해역 유출사고 발생 10일 경과후 유출유 연안 부착 확률 제3절 해양오염사고 위험분석 향후 특정해역에서 해양오염사고가 얼마나 자주 발생할 것인지, 그리고 어 느 정도 규모의 사고가 발생할 것인지를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와 규모는 사고의 원인별로 다르며, 그 직접적인 원인 을 제공하는 요인으로는 선박통항량과 항로의 폭, 암초의 개수, 조류나 해류 의 세기, 안개일수 등의 해 기상 및 항행조건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유출사고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느 해역에서의 사 고확률은 교통밀도 및 흐름을 고려한 선박간의 교차확률과 과거의 해양사고 율 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2-32
제2장 지 역 평 가 1. 과 거 해 양 오 염 사 고 통 계 에 의 한 유 출 사 고 위 험 분 석 가. 해양오염사고현황 과거 13년간(1993년~2005년) 기름에 의한 10kl이상 해양오염사고 발생건 수는 총 6건이며, 연도별 발생건수는 91년, 94년, 95년, 96년에 각각 1건씩과 2000년에 2건 등으로 발생하였다[부속서I의 자료 8]. 대표적 오염사고 현황은 표 2-2와 같다. 나. 규모별 해양오염사고 과거 13년간(1993년~2005년) 유출량 10kl 이상의 해양오염사고 8건으로 인한 총 유출량은 8,933. 6kl로서 비교적 많은 양을 기록하고 있다. 표 2-2 태안해역 주요 사고 현황 (1993년~2005년) 구 분 일 시 선 명 총톤수 발생장소 사고 원인 유출량(kl) '95.11.1 9 화진호 (화물선) 1,952 황도 북방 1마일 해상 침몰 B/B 7.9 B/A 2.7 10~100kl '00.7.5 '02.8.25 세이프익스프레스호 (화물선) 제11흥국호 (유조선) 1,250 안도 북서방 침몰 B/C 30 B/A 10 2,722 현대정유 7번부두 좌초 경유 30 '05.11.1 한아12호 (예인선) 192 안도 북방 충돌 침몰 B/A 10 경유 3 '91.2.21 퍼시픽프랜드호 (화물선) 4,417 정자두 서방 1.7마일 해상 침몰 중질유 155 MDO 41 100~1,000 kl '96.12.2 태영자스민호 (화물선) 2,483 안도 북서방 6마일 해상 침몰 B/C 159 '00.4.11 대림501호 (준설선) 1,458 평택항 침몰 MDO 165 1,000kl 이상 93.10.1 프론티어익스프레스호 (유조선) 40,721 대산항 가인서 등대앞 해상 좌초 납사 8,320 2-33
제2장 지 역 평 가 유출량이 10kl에서 100kl인 사고가 4건으로 전체 발생건수 대비 50%, 100 kl에서 1,000kl인 사고가 3건으로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1,000kl 이상의 사고는 1건으로 12%를 차지하고 있다. 태안해역 유출규모별 사고현황은 그림 2-34와 같다. 91% 7% 2% 0.4% 1kl 미만 1~10 kl 10~100 kl 100~1000 kl 1000~5000 kl 5000 kl 이상 그림 2-34 규모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또한 각 유출규모별 연도별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10kl에서 100kl미만 인 경우는 1995년, 2000년, 2002년, 2005년에 각 각 1건 씩 발생였다. 100kl에서 1,000kl의 경우는 91년, 96년, 2000년에 각각 1건 씩 발생하였으며, 1,000kl 이 상 은 1993년에 1건이 발생하였다. 다. 위치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해양오염사고 발생장소는 주요 항만 입 출항 지역인 대산항, 평택항 및 인천항 입항항로 등이다. 또한 장안서 주변해역은 조류가 매우 빨라 비교적 빈번하게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안항의 주요 사고발생지점에 대한 해역별 사고발생 현황은 그림 2-35와 같다. 라. 선종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태안해역의 해양오염사고 발생 선박의 선종은 어선이 가장 많으며, 그 다 2-34
제2장 지 역 평 가 음으로 유조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조선의 사고는 기름 취급시설이 산재되 어 있는 관계로 여러 해역에서 발생되고 있는데, 주로 묘박지 주변에서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태안해역의 선종별 오염사고 발생 현황은 그림 2-36 과 같다. 37 o N Whasung Seosan Da ngjin Taean 40' Hongsung 소형사고 (1kl-100kl) 중형사고 (100kl-1,000kl) 대형사고 (1,000kl 이상) 20' Boryoung N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35 해역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16% 6% 2% 6% 6% 1% 화물선 유조선 HNS선 어선 기타선 육상 미상 63% 그림 2-36 선종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2-35
제2장 지 역 평 가 마. 원인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해양오염사고의 원인은 부주의, 해난, 고의, 파손 등의 순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사고 원인은 사고 규모와 무관하게 거의 비슷하게 발생하고 있다. 태 안해역의 원인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을 그림 2-37과 같다. 6% 2% 33% 해난 부주의 고의 파손 미상 21% 38% 그림 2-37 원인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바. 오염물질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태안해역 해양오염사고는 물질별로 유성혼합물, 경유, 중유, 원유 등의 유 출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저폐수인 유성혼합물을 제외하 면 태안해역에서 해양오염사고는 경유 유출사고가 가장 많으며, 위험 유해 물질 유출사고는 1%로 나타났다. 태안해역 해양오염사고의 오염물질별 발생 현황은 그림 2-38과 같다. 44% 6% 4% 1% 1% 중유 원유 경유 유성혼합물 기타유 폐기물 HNS 33% 그림 2-38 오염물질별 해양오염사고 발생현황 2-36
제2장 지 역 평 가 2. 최 대 유 출 량 산 정 가. 통항선박 규모에 근거한 경우 선박규모에 따른 최대 가능 유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대상해 역의 통항 선박규모에 따른 최악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통항선박의 규모로부터 해양오염사고 가능성을 추정하는 방법에서는 선박의 종류, 규모 에 대한 해양오염사고 자료에 근거하여 사고 종류, 선박종류, 선박규모에 따 라 최대 가능 유출량을 제시함으로써 해양오염의 위험을 평가한다. 최대 가 능 유출량의 산정은 국제해사기구, 국제석유산업환경보호협의회 등에서 제안 하거나 일본에서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1) 국제해사기구의 방법 국제해사기구에서는 MARPOL73/78의 부속서 I 제3장 규칙 22 및 23규정 에는 대상 선박이 타 선박 또는 부두안벽 등과 선측 층돌에 의한 선측손상 일 때 최대 가능 유출량은 적재유 전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대상 선박 이 좌초사고 등으로 선저 손상을 입었을 경우 최대 센터탱크 2개, 선측탱크 2개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때 최대 가능 유출량은 손상탱크 내 적재유의 1/3로 규정하고 있다 (I M O, 1995). (2) 일본의 방법 일본은 대상 선박 재화중량의 9%를 유출량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 日 本 海 上 保 安 廳, 1998 ). (3) 국제석유산업환경보호협의회 (IPIECA) 국제석유산업환경보호협의회에서는 선박의 규모에 따라 표 2-3과 같이 사 고시 유출량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시된 내용을 근거로 유조선 규모에 대한 유출량의 관계는 그림 2-39와 같다. 2-37
제2장 지 역 평 가 표 2-3 선박의 규모에 따른 사고시 유출량 (IPIECA, 2000) 선박톤수 충돌사고시 유출량 (ton) 좌초사고시 유출량 (ton) 30, 000 50, 000 70,000 100, 000 200, 000 240, 000 700 1, 100 3, 000 5, 500 10, 500 15, 000 3, 000 5, 000 12, 500 21, 000 45, 000 60, 000 70000 60000 Collision Grounding Spill Potential (tonnes)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Dead-Weight 그림 2-39 유조선 규모에 따른 충돌 및 좌초시 유출량 2-38
제2장 지 역 평 가 최악의 위험은 해역의 특성, 통항 선박의 규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극 한의 유출사고이므로 대부분 과거 사고사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선박규모에 따른 최대 가능 유출량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대상해역의 통항 선박규모에 따른 최악위험을 산정하였다. 통항 선박규 모에 따른 유출량 선정은 국제석유산업환경보호협의회(IPIECA)제안하고 있 는 유출량을 적용하였다 통항선박 규모에 근거한 기름오염사고 위험평가는 태안해역에 통항하고 있는 유조선의 최대 규모를 근거로 산정하였다. 태안해역 통항 유조선의 최 대 규모는 300, 000톤이며, 이에 대한 국제해사기구, 일본, 국제석유산업환경 보호협의회 (IPIECA)의 산정기준에 따른 최대 가능 유출규모는 표 2-4와 같 다. 표 2-4 유조선 규모에 따른 최대 가능 유출량 유조선 크기 최대 가능 유출량 국제해사기구 일본 IPIECA 300, 000톤 50,000톤 27,000톤 6 0, 000톤 위험 유해물질사고의 유출량은 일본의 경우 기름과 동일하게 적재 재화 중량의 9%로 평가하고 있으나,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기름오염사고와 달리 사고 유형이나 선박규모에 관계없이 선적된 양 전량이 유출되는 것으로 평 가하고 있다. 이는 위험 유해물질사고의 경우 폭발이나 화재와 같은 2차 사 고와 연계되어 유출이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태안해역 통항 위 험 유해물질 선박 최대규모는 60,000톤이며, 이에 대한 미국, 일본, 국제석 유산업환경보호협의회(IPIECA)의 산정기준에 따른 최대 가능 유출규모는 표 2-5와 같다 2-39
제2장 지 역 평 가 표 2-5 위험 유해물질선 규모에 따른 최대 가능 유출량 위험 유해물질선 박 크기 최대 가능 유출량 미국 일본 IPIECA 60, 000톤 60,000톤 5,400톤 11, 000톤 나. 과거사고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한 위험평가 (1) 기름오염사고 위험평가 본 계획에서 분석한 1994년부터 2005년까지 12년 동안의 해양오염사고 사 례 중 기름오염사고의 유출량별 해양오염 발생건수를 1kl 미만, 1~10 kl, 10~100 kl, 100~1000 k l, 1000~ 5000 kl, 5000 kl 이 상 의 6등급으로 구분하여 각 등급에 해당하는 사고 발생건수 및 년간 누 적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국내 해양오염사고 중 기름오염사고의 유출량별 년간 누적 발생빈도는 그림 2-40과 같다. 100.0 유출량별 유류오염사고발생 빈도(건수/년) 10.0 1.0 0.1 0.0 1kl 미만 1~10 kl 10~100 kl 100~1000 kl 1000~5000 kl 5000 kl 이상 그림 2-40 기름오염사고 유출량별 년간 발생빈도 (1994년~2005년) 2-40
제2장 지 역 평 가 분석된 유출규모별 발생빈도를 분류기준에 맞추어 적용하면 태안해역 기 름오염사고 위험평가표는 표 2-6과 같다. 표 2-6에서 태안해역 기름오염사고 는 100kl 의 유출사고가 위험정도도 높으면서 발생빈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표 2-6 기름오염사고의 유출규모별 발생빈도에 따른 위험평가표 빈도구분 A B C D E I 위 II 험 구 분 III 10-100kl, 1-10kl 100-1,000kl IV 1kl 미만 (2) 위험 유해물질사고 위험평가 태안해역 해양오염사고 사례 중 위험 유해물질 사고를 유출량별로 분류 하여 분석한 년간 누적발생빈도는 그림 2-41에 제시한 바와 같으며, 분석된 유출량별 누적발생빈도를 이용하여 작성한 위험 유해물질 오염사고 위험평 가표는 표 2-7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2-7에서 위험 유해물질 유출사고는 1~10kl 유출사고가 위험정도도 높으면서 발생빈도도 높아 대응이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났다. 2-41
제2장 지 역 평 가 유출량별 위험유해물질사고발생 빈도(건수/년) 10.0 1.0 0.1 0.0 1kl 미만 1~10 kl 10~100 kl 100~1000 kl 1000~5000 kl 5000 kl 이상 그림 2-41 위험 유해물질사고 유출량별 년간 발생빈도 (1994년~2005년) 표 2-7 위험 유해물질사고의 유출규모별 발생빈도에 따른 위험평가표 빈도구분 A B C D E I 위 험 구 분 II III 1-10kl IV 1kl 미만 2-42
제2장 지 역 평 가 다. 태안지역 최대유출량 과거 사고사례를 이용한 위험평가 방법과 통항선박 규모분석 방법에 의한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 유출사고 위험평가를 수행한 결과는 표 2-8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표 2-8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 유출사고 위험평가에 의한 최대가능 유출량 통항선박 규모분석 과거사례 분석 기름오염사고 유출량 60,000톤 100톤 위험 유해물질유출사고 유출량 11, 000톤 10톤 표 2-8에 제시한 바와 같이 두가지 방법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결과가 제시되었는데, 이는 두가지 방법의 기본 배경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의한 것 이다. 과거사고사례를 이용하는 방법은 과거 사고사례에 근거하여 위험을 평 가하므로 과거에 발생되지 않은 사고에 대해서는 예측되지 않는다. 반면에 통항선박 규모분석에 의한 방법은 통항선박에 잠재되어 있는 위험도를 제시 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대형사고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두가지 경우의 결과를 상호 보완하여 최대 가능유출량을 산정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본 계획에서는 과거 사고사례분석과 통항선박 규모분석을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타당성있게 최대 가능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과거 사고사 례에서 사고선박 규모별 발생빈도를 분석하고, 발생빈도별 사고선박 규모에 통항선박 규모분석을 적용하여 산정한 발생빈도별 유출량을 위험 평가하였 다. 과거 사고사례에서 사고선박은 기름오염사고와 위험 유해물질사고에 대 해 유조선 사고와 위험 유해물질선 사고를 각각 고려하였으며, 사고선박 규 모는 유조선과 위험 유해물질선 모두 1백톤 미만, 1백톤~1천톤, 1천톤~1만톤, 1만톤~1십만톤, 1십만톤~2십만톤, 2십만톤 이 상 등의 6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유조선 및 위험 유해물질선의 선박규모별 2-43
제2장 지 역 평 가 사고 발생빈도는 각각 그림 2-42 및 그림 2-43에 제시한 바와 같다. 유조선 및 위험 유해물질선의 선박규모로부터 최대 가능유출량은 통항선박 규모분 석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표 2-9에 제시한 바와 같이 산정하였다. 10.0 유조선 규모별 해양오염사고 빈도(건수/년) 1.0 0.1 0.0 1백톤미만 1백톤~1천톤 1천톤~1만톤 1만톤~1십만톤 1십만톤~2십만톤 2십만톤이상 그림 2-42 유조선 규모별 기름오염사고 발생빈도 10.0 위험유해물질선 규모별 해양오염사고 빈도(건수/년) 1.0 0.1 0.0 1백톤미만 1백톤~1천톤 1천톤~1만톤 1만톤~1십만톤 1십만톤~2십만톤 2십만톤이상 그림 2-43 위험유해선 규모별 기름오염사고 발생빈도 2-44
제2장 지 역 평 가 표 2-9 사고선박 규모에 따른 최대 가능유출량 사고선박 1백톤 1백톤~ 1천톤~ 1만톤~ 1십만톤~ 2십만톤 규모 미만 1천 톤 1만 톤 1십만톤 2십만톤 이상 기름 및 HNS 오염사고 최대가능 10톤 미 만 10~100톤 100~ 1, 000톤 1, 000~ 21, 000톤 21, 000~ 45, 000톤 60, 000톤 이상 유출량 사고선박 규모별 발생빈도와 최대가능 유출량을 근거로 작성한 기름오염 사고의 유출량별 발생빈도 위험평가표는 각각 표 2-10 및 표2-11과 같다. 표 2-10 및 표2-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험도 및 발생빈도를 고려한 태안해역 기름오염사고 및 위험 유해물질 사고의 최대가능성은 각각 60,000톤 과 1,000톤으로 평가되었다. 본 계획에서 태안지역 기름오염사고 및 위험 유해 물질 사고 최대가능 유출량은 위험평가 결과를 근거로 표 2-12와 같이 적용 하였다. 2-45
제2장 지 역 평 가 표 2-10 기름오염사고의 유출량별 발생빈도에 따른 위험평가표 빈도구분 A B C D E I 60,000톤 위 험 구 분 II 1,000-21,000톤 III 100-1,000톤, 10-100톤 IV 표 2-11 위험 유해물질사고의 유출량별 발생빈도에 따른 위험평가표 빈도구분 A B C D E I 위 험 구 분 II III IV 100-1,000톤, 10-100톤 2-46
제2장 지 역 평 가 표 2-12 태안해역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 최대가능 유출량 기름오염사고 최대가능 유출량 위험 유해물질유출사고 유출량 최대가능 60, 000톤 1,000톤 3. 유 출 사 고 다 발지 점 의 유 출 유 확 산 예 측 태안해역의 해역특성 및 사고위험 분석 결과, 표 2-13의 3개 지점이 유출 사고 다발 가능해역으로 선정되었다. 해역 A는 1,000kl 이상의 사고가 다수 발생했던 해역으로서 가장 큰 규모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해역으로 선정 하였으며, 해역 B는 100~1,000kl 규모의 사고가 다수 발생했던 해역으로서 사고 발생시 주변 어장등에 가장 피해가 큰 해역으로 선정하였다. 해역 C는 100kl 미만의 사고가 종종 발생했던 해역으로서 유출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해역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해역에 대한 계절별 유출사고 에 따른 시간별 유출유 확산범위 및 주변해역 피해범위는 아래와 같다. 표 2-13 태안해역 사고다발 가능 해역 규모별 발생지역 대표적 사고유형 비고 1,000kl 이상 대산항 좌 초 A 지 역 100~ 1, 000kl 안도 북서방 해상 충 돌 B 지 역 100kl 미 만 보령항 충 돌 C 지 역 가. 지점 A (대산항 입구) 지점 A는 대산항 입구에 위치해 있으며, 다소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2-47
제2장 지 역 평 가 창조 시 조류는 외해 쪽에서 아산만 안쪽으로 유입되며, 낙조류는 반대로 아 산만 쪽에서 외해 쪽으로 유출되는 양상을 보인다. 창조 시 및 낙조시의 조 류는 2노트 정도이다. 취송류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해안선이 위치한 영향으 로 겨울철과 여름철 모두 매우 미약하게 나타난다. 지점 A에서 겨울철 및 여름철에 유출된 기름의 시간별 확산범위는 그림 2-44 및 그림 2-45와 같다. 지점 A에서 유출된 기름은 유출 후 3일 경과 시 약 96% 정도가 해안에 부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Z 10 70 560 250 1day 40 Boryoung 12 30 620 N 3hr 10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44 태안해역 사고 다발지점 A의 겨울철 유출사고후 경과시간별 확산범위 2-48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Z 10 70 560 250 1day 40 Boryoung 12 30 620 N 3hr 10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45 태안해역 사고 다발지점 A의 여름철 유출사고후 경과시간별 확산범위 나. 지점 B (안도 북서방) 지점 B는 인천항 출항항로의 남단으로 입항항로와의 분기점과 인접해 있 으며, 주변 섬들의 영향으로 비교적 복잡한 조류 분포가 형성된다. 지점 B에 서 창조시 조류는 남서쪽 외양에서 인천과 아산만쪽 으로 유입되며, 유속의 크기는 약 3노트 내외를 보인다. 낙조시의 조류는 창조시와 비슷한 크기를 보이며, 유향은 창조시와 반대 방향을 보인다. 지점 B에서 취송류는 겨울철 에 약 0.2노트의 크기를 보이며, 유향은 북서풍의 영향으로 남향을 보인다. 남서풍이 우세한 여름철에 취송류는 북동향의 흐름을 보이며, 유속은 0.1노 트의 크기를 보인다. 2-49
제2장 지 역 평 가 지점 B에서 겨울철 및 여름철에 유출된 기름의 시간별 확산범위는 그림 2-46 및 그림 2-47과 같다. 지점 B에서 유출된 기름은 유출 후 3일 경과시 약 23%가 해안에 부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Z 10 70 560 250 1day 40 Boryoung 12 30 620 N 3hr 10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46 태안해역 사고 다발지점 B의 겨울철 유출사고후 경과시간별 확산범위 2-50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Z 10 70 560 250 1day 40 Boryoung 12 30 620 N 3hr 10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47 태안해역 사고 다발지점 B의 여름철 유출사고후 경과시간별 확산범위 다. 지점 C (보령항 입구) 지점 C는 보령항 진입항로에 위치하며, 내만이나 좁은 수로의 영향으로 비 교적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다. 창조때 조류는 남쪽의 대천항쪽에서 북상 하여 보령 연안을 지나 보령항쪽으로 유입된다. 낙조때 조류는 창조때와 반 대로 보령항쪽에서 대천항쪽으로 남하한다. 조류의 유속은 창조때와 낙조때 모두 비슷하게 약 1.5노트 정도의 크기를 보인다. 지점 C에서 겨울철 취송류 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낙조류와 비슷하게 북쪽에서 남하하여 대천항쪽으로 빠져나간다. 남서풍계열이 우세한 여름철에 지점 C의 취송류는 남쪽의 섬들 영향으로 크게 발달하지 못하고 미약한 분포를 보인다. 지점 C에서 겨울철 및 여름철에 유출된 기름의 시간별 확산범위는 그림 2-48 및 그림 2-49와 같다. 지점 C에서 유출된 기름은 유출 후 3일 경과시 2-51
제2장 지 역 평 가 약 99% 정도가 해안에 부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Z 10 70 560 250 1day 40 Boryoung 12 30 620 N 3hr 10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48 태안해역 사고 다발지점 C의 겨울철 유출사고후 경과시간별 확산범위 2-52
제2장 지 역 평 가 37 o N Whasung Seosan Dangjin Taean 40' Hongsung 20' Z 10 70 560 250 1day 40 Boryoung 12 30 620 N 3hr 10 0 10km 126 o E 20' 40' 그림 2-49 태안해역 사고 다발지점 C의 여름철 유출사고후 경과시간별 확산범위 2-53
제2장 지 역 평 가 제4절 방제전략 수립시 고려사항 1. 해 역 특 성 요약 항 목 지역적 특성 기 상 수 온 해수유동 해저면 상태 어업권 형태 계절풍의 영향을 받으나, 지형적 영향으로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의 취송류는 크게 발달되지 않음. 연평균 수온은 15 정도이며, 연 변동폭은 수심이 얕아 약 20 정도로 비교적 크게 나타남. 조류, 취송류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나, 조류가 워낙 강해서 취송류의 영향은 미미하게 나타남. 주로 뻘이나 모래로 되어 있어 좌초사고시 선체 손 상이 적음. 복잡한 해안선과 얕은 수심의 영향으로 양식업 및 어장이 크게 발달해 있음. 유조선의 크기 입출항 유조선의 규모는 타 지역에 비해 큰 규모임. 2. 방 제 전 략 가. 환경민감요소 : 양식장, 해수욕장 등 관광지와 함께 조수간만의 차가 크기 때문에 갯벌에 대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될 수 있으므 로, 이에 대한 보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나. 방제전략 (1) 관할해역의 양 끝단인 대산, 보령해역의 사고위험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 해역의 방제자원 배치가 부족하므로 초기부터 인접해경 서 방제능력 동원이 필요함. (2) 해상 유출유의 해안부착이 빠르게 진행되고 조간대가 넓게 발달 하여 해상방제작업 기간이 짧고 해안부착유의 기계적 회수가 어려 우므로, 사고 초기부터 빠른 조류지역에서 작업이 가능한 방제정 2-54
제2장 지 역 평 가 및 유회수선단을 가능한 많이 동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고초기 부터 해역관리청에서 청소작업 시행을 고려하여야 함. (3) 빠른 조류의 영향으로 오일펜스의 확산방지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 기 어려우므로 예인전장, 유도전장, 흐름전장 등의 방법을 강구하 여야 하며, 유출유 포집후 회수는 전진형 회수기를 주로 사용 하여 야 함. (4) 대산항은 조고차가 크고 방제자원의 배치가 부족하여 초기대응에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으며, 또한 인근에 위치한 민감해역인 가로림 만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대산항에서 기름 양 하역작업시 방제선 현장배치 등 사전 대비책을 강구하여 함. (5) 가로림만 및 천수만은 어장 및 양식장이 산재해 있고, 수심이 얕으 므로 유처리제 사용을 제한하여야 함. (6) 많은 해안선이 갯벌로 형성되어 있으며 방제를 위한 인원, 장비 투 입시 기름이 갯벌 내로 침투되어 장기간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만조선 상에서 제한적으로 청소작업을 실시하고 출입과 방제작업을 특히 통제하여야 함. 2-55
제3장 해양오염 보고 및 통신 제3장 해양오염 보고 및 통신 제1절 오염신고 1. 태안해양경찰서장은 해양오염사고의 신속한 접수와 대응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해양오염신고센터를 운영한다. 가. 신고접수 : 해양긴급신고 122 나. 신고접수 및 전파처 : [부속서 I의 자료 9] 2. 해양오염사고의 신고를 처음 접수한 관계기관 등은 지체 없이 신고내용을 태안해양경찰서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3. 기름 및 위험 유해물질이 해양에 배출된 경우와 배출될 우려가 있는 경 우에 당해 선박의 선장, 시설의 관리자, 원인행위자, 발견자는 지체 없이 울 산해양경찰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3항의 오염사고 신고는 서면, 구술, 전화, 무선전신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해양오염사고의 발생일시ㆍ장소 및 원인 나. 배출된 오염물질의 종류, 추정량 및 확산상황과 응급조치상황 다. 사고선박 또는 시설의 명칭, 종류 및 규모 라. 해면상태 및 기상상태 제2절 보고 및 통보 1. 해양오염사고의 방제조치와 관련하여 관계기관간 정보공유와 협조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해양오염사고 진행상황 및 방제조치 사항을 관계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2. 원활한 보고 및 통보를 위하여 해양경찰서 및 관계기관간에 별도의 연 락창구, 상황실 또는 담당조직을 구성, 운영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비상연락 3-1
제3장 해양오염 보고 및 통신 망 및 통신망은 사전에 구축되어야 한다. 제3절 비상연락체계 구축 1. 태안해양경찰서장은 방제대책본부 요원 및 관계기관, 유관단체, 업체 등에 대한 비상연락망을 구축하고 유지하여야 한다[부속서I의 자료 10, 자료 11]. 2. 해양오염사고 발생시 구축된 비상연락망을 이용하여 해양경찰서장, 관 계과장, 해양오염방제과원, 방제정 직원 등을 비상소집한다. 제4절 방제통신망 구축 1. 기본적으로 해상방제작업 지휘통신은 경찰무선통신, 항무통신(VHF 15, 17)을 이용하며, 보조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활용한다[부속서I의 자 료 12]. 2. 방제대책본부와 현장지휘관과의 연락은 경찰 무선통신을 이용하며, 현 장지휘관과 해상방제팀(민간방제팀 포함)간의 지휘통신은 항무통신 채널(주 채널 15, 보조채널 17)을 활용한다. 3. 해안방제작업시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어촌계 또는 마을별로 현장방제 지휘소를 설치하여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성하여 방제대책본부 와 상시 연락체계를 구축한다. 3-2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제1절 방제기자재 보유현황 1. 태안해양경찰서장은 관할해역내 관계기관 및 유관단체, 업체 등에서 보 유하고 있는 방제기자재의 보유현황 및 운용담당자, 성능, 동원조건, 비상연 락망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사고발생시 지역대응단계 및 권역대응단계에 대 응하여 방제장비를 동원할 수 있도록 년 1회 이상 확인 점검하여야 한다. 각 단계의 분류 및 동원체제는 아래와 같다. 가. 지역대응 : 해양경찰서 관할 내의 방제자원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 양오염사고 나. 권역대응 : 인접 해양경찰서 관할 내의 방제자원을 동원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인접 해양경찰서의 관할해역에 영향을 미치거나 지방 해양경찰청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해양오염사고 다. 국가대응 : 전국규모의 방제자원을 동원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범 정부적 또는 국제적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해양오염사고 2. 각 방제기자재 및 보조방제장비와 관련업체의 목록은 아래와 같으며, 각각의 세부항목 및 현황은 [부속서Ⅰ의 자료 13 17]과 같다. 가. 방제장비 및 기자재: 방제선, 유회수기, 오일펜스, 유흡착재, 유처리 제, 유겔화제, 포크레인, 그라브선, 집게차 등 나. 보조방제장비: 유조선, 유조부선, 작업선, 예인선, 탱크로리차량, 진공 흡입차량, 고압세척기 등 다. 관련업체: 해군, 지자체, 수협,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오염방제업체, 폐유처리업체, 방제기자재 생산 판매업체, 구난업체 등 제2절 최대유출사고시 방제기자재 동원계획 4-1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1. 유 출 유 수 거 계 획 해상에 유출된 기름은 일부 증발되고, 유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실제 오염사고 발생시 유출유의 양은 기름의 종류, 해상상태, 수온 및 기온, 경과시간 등에 따라 유출유의 증발량 및 유상화에 의한 부피 증가의 비율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본 계획에서는 가상의 최대 유출 량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동원계획을 수립하므로 유출유의 증발, 유상화 등 과 같은 화학적인 유량변화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위험평가에서 산출된 최대 유출량 6 0, 000톤 에 대한 동원계획을 수립하였다. 태안해역의 경우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여 해안 부착의 가능성이 비교적 높 다. 최대 유출사고 발생지점으로 가정한 대산항 주변해역을 대상으로 유출유 의 연안 부착가능성을 예측한 결과, 유출 1.5일 후에 유출유의 해안 부착율 은 약 71%로 나타났으며, 유출 3일 후 유출유의 해안 부착율은 96%로 나타 났다. 그러나 이러한 해안 부착율은 오일펜스에 의한 확산 방지 효과나 유회 수기에 의한 수거 효과를 적용하지 않은 것이므로 실제보다 다소 높게 나타 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동원계획에서는 3일 동안의 회수계획량으로서 1.5일 동안의 해안 부착율을 적용하여 해상에서 유출유의 약 29%인 17, 4 00톤 을 회수하고 해안에서 약 71%인 4 2, 6 00톤 을 수거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2. 방 제 기 자재 동 원 계 획 가. 지역대응단계 : 태안해양경찰서, 해양환경관리공단 대산지사 및 평택 지사 뿐만 아니라 지역 관계기관 및 단체 업체의 방제기자재를 동원 하는 경우로서 가용한 방제기자재의 현황은 아래와 같다. 4-2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구 분 방제선박 유회수기 유처리 오일펜스 유흡착재 방제능력 제 (척) (m ) 대 용량 (kg ) (kl ) (l) 태안해경서 2 2,462 10 674.6 32,614 7,831 748.0 해양환경 관리공단 유관기관 및 업체 6 8,420 18 985.2 11,736 7,195 1,092. 4 0 19, 330 4 280 49, 533 13, 987 310. 5 합 계 8 30, 212 32 1, 939.8 93, 88 3 29, 013 2, 150. 9 (1) 태안해역 유출사고 발생시 지역대응단계에서 동원 가능한 유회수 기 회수능력은 시간당 1,939. 8톤 규모이나, 오염사고의 특성에 따라 실제 현장에 동원할 수 있는 유회수기는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동원 가능한 방제세력을 모두 해상작업에 투입하더라도 해상회수 계획량 17,400톤을 회수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2) 부족한 방제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신속하게 초동조치를 하기 위 하여 취약해역인 대산항 주변 현대오일뱅크(주) 물양장 및 삼성토 탈(주) 물양장에 스크루스키머 및 트롤스키머를 전진배치 운영한 다. 나. 권역대응단계 : 부족한 방제장비의 확충을 위하여 서해지방해양경찰 청 지역 해양경찰서와 인천해양경찰서 방제세력의 단계별 동원방안 이 강구되어야 하며, 해안 부착유의 청소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 해안오염 방제를 요청하여야 한다. 특히 태안 해역은 갯벌이 넓게 발달하여 기계적 회수가 어려우므로 수작업을 통한 해안 청소에 대 비하도록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여야 한다. (1) 인천해양경찰서와 서해지방해양청 소속인 군산해양경찰서, 목포 4-3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해양경찰서, 완도해양경찰서 등의 방제세력을 추가 동원할 경우 방 제기자재 현황은 아래와 같다. 구 분 방제선박 오일펜스 유회수기 유처리제 유흡착재 (척) (m) 대 용량 (l) (kg) 인천해경 2 1,700 7 246 34482 9065 완도해경 0 1,500 4 162 2376 3270 군산해경 1 584 6 312 7020 2635 목포해경 2 1,780 6 261 36451 4166 합 계 5 5, 564 23 981 80, 329 19, 136 (2) 인천해양경찰서 및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해양경찰서 보유 방 제선 및 방제기자재를 추가 동원할 경우 약 981톤 정도의 방제능 력이 추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모두 해상 회수작업에 투입할 경우 해상 회수계획량 17,400톤의 약 16.8%인 2,921톤의 방제능력을 확 보할 수 있다. (3) 그러나 태안해역은 조류가 빠르고 조간대가 넓게 형성되어 해상 방제작업에 제한이 많고, 방제능력도 부족함으로 빠른 시간 내에 국가대응단계로 전환하여야 한다. 4-4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다. 국가대응단계 : 전국 해양경찰서의 지원을 받는 단계로 동원 가능한 방제기자재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해양경찰청 자료). 유회수기 지역 해양경찰서 방제정(척) 대 용량 * 방제능력 (kl ) 동원순위 울 산 1 9 860 953.6 5 포 항 1 7 392.6 435.3 6 동 해 1 4 292 323.8 7 속 초 1 2 32 35.5 8 부 산 2 11 813 901.5 3 통 영 1 7 369 409.1 2 여 수 2 10 495.6 549.5 1 제 주 2 5 502 556.6 4 합 계 11 55 3,756.2 4,164.9 * 유회수기는 방제정 탑재 유회수기를 포함한 회수용량임. (2) 국가대응단계에서 전국 규모 방제세력을 순차적으로 추가 동원할 경우 방제능력은 3,756톤이 추가되며, 이를 전부 투입한다 하더라 도 방제능력은 6,687톤으로 해상수거 계획량 17,400톤의 38.4%에 불과하며, 총수거 계획량 60,000톤에는 11.1% 정도이다. (3) 따라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국 해양환경관리공단, 관계기관, 관계 단체, 민간 등의 방제자원을 총동원하여야 하며, 신속히 NOWPAP 회원국 및 외국방제전문기관에 지원을 요청하여야 한다. 제3절 전문대응팀 구성 태안해양경찰서 보유 방제선 및 방제장비를 신속동원하기 위한 장비별 전 문운용팀인 해경방제팀과 해양환경관리공단, 방제업체, 구난업체 등의 특성 4-5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에 따른 전문팀인 민간방제팀을 사전에 구성하여 사고 발생시 방제대책본부 장 또는 태안해양경찰서장이 동원한다. 전문대응팀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며, 해양오염사고의 규모에 따라 팀의 규 모를 가감한다[부속서 Ⅰ의 자료 18]. 1. 해 경 방 제 팀 가. 유회수 및 확산방지팀 : 방제21호, 방제11호정 또 는 태안해양경찰서 유회수기와 부대장비로 구성 (1) 유회수기의 특성에 따라 VOSS, U형, V형, J형, 해안회수팀으로 구성 (2) 책임지원업체와 사전에 협약서 체결하여 동원태세 유지 나. 유출구 봉쇄팀 : 해경특수기동대 및 구난업체를 중심으로 구성 (1) 봉 쇄 작업용 자재 사 전 확 보 다. 운용 (1) 해상회수 : 해역의 특성과 방제정의 형태에 따라 VOSS, U형, V 형, J형태로 운용하여 포집과 회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수된 기름의 저장 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유 조선 및 유조바지를 준비하여야 한다. (2) 해안수거 : 해안 가까이 부유하거나 해상에서 유도된 기름은 오일 펜스로 포위한 후 회수하며, 기름의 저장 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저장용기, 유조차량 등을 준비하여야 한다. 2. 민 간방 제 팀 가. 구성 : 해양환경관리공단, 유창청소업체, 수중공사업체, 예인선업체 등으로 유회수팀, 확산방지팀, 이적팀, 봉쇄팀 등으로 사전 구성한다. 4-6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나. 동원장비 : 해양환경관리공단(방제선, 유회수기, 오일펜스), 유창청소 업체(유조선, 유조부선, 이송펌프), 수중공사업체(부선, 해상크레인, 작업선박, 잠수장비, 수중 용접장비) 다. 운용 : 해양환경관리공단, 유창청소업체, 수중공사업체 특성에 따라 사전 구성된 전문팀(유회수팀, 확산방지팀, 이적팀, 봉쇄팀)을 사 고유형에 따라 구성 운용 제4절 보급 1. 태안해양경찰서장 및 관계기관의 보급책임자는 방제기자재 및 일반 소 모품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방제작업 기간(단기, 중기, 장기)에 따라 적절한 공급처 및 요율 등을 사전에 파악, 유지하여 사고 발생시 일일 사용량 및 방 제완료 기간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필요한 소요량을 확보한다. 가. 구성 :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오염방제업체, 수중공사업체, 예인선업 체 등으로 유회수팀, 확산방지팀, 이적팀, 봉쇄팀 등으로 사전 구성한 다. 나. 동원장비 : 해양환경관리공단(방제선, 유회수기, 오일펜스), 해양오염 방제업체(유조선, 유조부선, 이송펌프), 수중공사업체(부선, 해상크레 인, 작업선박, 잠수장비, 수중용접장비) 다. 운용 :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오염방제업체, 수중공사업체 특성에 따라 사전구성된 전문팀(유회수팀, 확산방지팀, 이적팀, 봉쇄팀)을 사고유형에 따라 구성 운용 2. 해양경찰서장 및 해역관리청장은 해상 및 해안에서 수행되는 방제조치 4-7
제4장 방제기자재 동원 및 재정 과정에서 소요되는 자재, 연료, 피복, 음식료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가장 가까운 지역에 보급소를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가. 대산항에서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1) 자재 등의 보관 운송이 용이한 삼성석유화학(주)부두 및 현대 오 일뱅크(주) 물양장 부두에 보급소를 설치 운영하며 (2) 간조시 선박의 계류가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 상시 선박의 계류가 가능한 삼길포항 해양관리공단 부선에 해상 전진보급소를 설치 운영한다. 나. 평택항에서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1) 자재 등의 보관 운송이 용이한 평택항 관공선 부두에 보급소를 설치 운영한다. 다. 안도해상에서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1) 자재 등의 보관 운송이 용이한 신진도 해경 방제창고, 태안화력발 전본부 물양장 부두에 보급소를 설치 운영한다. 라. 보령항에서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1) 자재 등의 보관 운송이 용이한 보령화력본부 석회석 부두에 보급 소를 설치 운영한다. 4-8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제1절 방제조직의 운영 1. 방 제 대 책본 부의 설 치 가. 방제대책본부 (1) 설치시기 1 지속성 기름 배출량이 100kl 이상 또는 비지속기름 300kl 이상인 사 고 2 국민의 재산이나 해양환경에 현저한 피해를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어 해양경찰청장 또는 지방해양경찰청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2) 설치장소 : 해양경찰청, 지방해양경찰관서 또는 방제비축기지 2. 지 역 방 제 대 책본 부의 운영 가. 구성 (1) 해양경찰청장 또는 지방해양경찰관서의 장이 본부장이 되며, (2) 해양경찰청 및 소속 공무원, 관계기관의 장이 파견한 자, 그 밖에 방제대책본부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등으로 구성 (3) 방제전략팀, 상황관리팀, 행정지원팀, 보급지원팀, 해상방제팀, 해안 지도팀 등 6개팀로 편성하되, 사고 규모 및 피해범위에 따라 방제 대책본부 구성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등 신축적으로 조정 편성 할 수 있다. 나. 운영 (1) 방제대책본부의 조직체계는 다음과 같다. 5-1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정책보좌 재정 행정지휘: 기획조정관 함정지휘: 경비구난국장 보급지휘: 장비기술국장 사건,대민지휘: 정보수사국장 언론지원팀 대변인 언론지원팀 대변인 방제대책본부장 지원 방제기술지원협의회 해양경찰청장 방제대책부본부장 중앙행정기관협조지원반 협조지원팀 (해양경찰청차장) 방제기획과장 총괄조정관 해양오염방제국장 현장지휘총괄 지방해양경찰청장 방제전략팀 기동방제과장 전략총괄반 관계부처지원반 보험,공단지원반 상황관리팀 경비과장 상황총괄반 상황보고반 종합통계반 행정지원팀 보급지원팀 해상방제팀 해안지도팀 대책본부지원 및사고수습 운영지원과장 보급과장 지방청방제과장 예방지도과장 관할해경서장 예산, 경리반 인력장비반 선박운영반 자원봉사지도반 문서처리반 방제자재반 해상방제반 폐기물처리반 대민 관협조반 보급소운영반 항공방제반 현장지도반 통신지원반 (2) 방제조직 및 방제세력 등의 대응단계 : 사고의 규모 및 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대응수준을 결정 1 지역대응 : 해양경찰서 관할 내의 방제자원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양오염사고 2 권역대응 : 인접 해양경찰서 관할 내의 방제자원을 동원할 필요 5-2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가 있는 경우로서 인접 해양경찰서의 관할해역에 영향을 미치거 나 지방해양경찰청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해양오염사고 3 국가대응 : 전국규모의 방제자원을 동원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범정부적 또는 국제적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해양오염사고 3. 현 장 지 휘 소 설 치 운영 가. 현장지휘소 설치 운영 : 방제대책본부장은 방제조치 등을 효과적으로 지휘 통제하기 위한 현장지휘소를 설치 운영할 수 있다 ⑴ 현장감독관은 방제에 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사고에 대 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자로서 대응단계에 따라 서해지방해 양경찰청장 또는 태안해양경찰서장이 임명한다. ⑵ 현장지휘관은 해상방제, 해안방제 등의 대응활동을 위해 기름오염 사고 방제작업팀을 구성 운영한다. ⑶ 기름오염사고의 방제작업팀은 해상방제팀, 해안방제팀 등 2개팀으 로 구성되며, 해상방제팀은 해경방제팀과 민간방제팀으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1 해상방제팀은 태안해양경찰서 소속공무원을 중심으로 편성한 해경방제팀과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오염방제업체 구난업체 등으로 편성한 민간방제팀으로 구성한다. 해경방제팀은 방제11, 21호정, 태안해양경찰서 보유 방제장비 및 장비운용 공무원과 민간 지원 인력 등으로 편성한다. 민간방제팀은 해양환경관리공단 대산지사, 해양오염방제업체, 구난업체 등으로 사고유형에 따라 전문팀(확산방지, 해상회수, 유출구 봉쇄 및 이적)을 편성한다. 2 해안방제팀은 기름이 부착된 해안 및 항만 등을 관할하는 서산시장, 5-3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보령시장, 태안군수, 홍성군수, 당진군수 및 대산 평택지방해양 항만청장이 구성하여 운영한다. 해안 부착유 방제작업은 서산시장, 보령시장, 태안군수, 홍성군수, 당진군수 및 대산 평택지방해양항만청장이 수립한 해안방제계획 및 부속서Ⅴ의 해안오염 방제작업 지침 에 따라 실시한다. 4. 방 제 기 술 지 원 협의 회 지 원 가. 방제기술지원협의회는 사고 발생시 방제대책본부장이 사고 대응에 필요한 전략 수립시 사고현장과 근무지에서 현장으로부터 제공된 정 보를 평가 분석하여 확산예측, 방제방법 및 우선순위 결정과 사고 처리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지원과 자문을 수행한다. 나. 해양경찰청장은 필요한 경우 일부 위원을 지정하여 방제대책본부 또 는 사고현장에 일정 기간 파견 지원하도록 한다. 제2절 초동조치 1. 현 장 상 황 조 사 사고발생시 태안해양경찰서장은 신속하게 항공기와 경비함정(가능한 한 항 공기 활용)을 이용하여 아래사항을 파악하고 오염사고 평가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가. 오염원 파악 (1) 선박제원 : 선종, 선명, 총톤수 등 (2) 기름적재량 : 총 적재량 및 탱크별 적재량을 kl 단위로 파악 나. 사고선박(시설)상태 및 예측 (1) 선체 시설상태 : 좌초 침수 침몰 전복 파손 등의 선체상태와 5-4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안전성 (2) 기름탱크 파손여부 : 선체상태에 따른 기름탱크 파손여부 (3) 기름유출상태 : 지속성 혹은 비지속성 유출 여부 (4) 유출량(예측량) : 유출량 계산법과 오염확산 범위에 근거한 추정 다. 기름의 특성 및 확산상태 (1) 오염유 특성 파악 : 점도, 비중, 유동점 등 (2) 유출유 확산상태 파악 : 확산속도, 길이, 폭, 색깔, 이동방향 등 라. 사고해역의 해상 및 기상상태 파악 (1) 풍향, 풍속, 파고, 기온, 수온, 창조, 및 낙조시 조류 유속, 조석시 간, 기상 특보사항 등 마. 오염확산(예측)해역에 민감자원 분포현황(방제정보지도 인쇄첨부) (1) 수심, 저질, 어장 양식장, 해수 취수시설, 해수욕장, 관광위락지 등 바. 적용가능한 방제방법 및 우선순위 (1) 유출구 봉쇄, 잔존유 이적, 확산방지, 민감해역 보호, 회수작업, 유 흡착재 수거, 유처리제 사용, 해안 항만 유도 등 2. 응 급 조 치 태안해양경찰서장은 사고 발생초기 다음과 같은 응급조치를 시행하며, 필 요시 방제기술지원협의회의 기술지원 또는 자문을 받는다. 가. 항공기 및 방제정, 경비함정 출동조치 나. 사고처리 관련부서 비상소집 ⑴ 해양오염방제과, 경비통신과 ⑵ 방제대책본부 편성요원 ⑶ 기타 사고처리 필요부서 5-5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다. 오염원으로부터의 계속 유출 방지조치 (1) 선체상태 파악 및 안전조치 방안강구 (2) 파공개소 및 에어벤트 등 유출구 봉쇄 (3) 탱크내의 기름을 다른 탱크 또는 다른 선박에 이적 조치 라. 해상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 (1) 사고선박 주변에 확산방지용 오일펜스를 설치 (2) 방제정 유회수기 이용 유출유 회수작업 실시 3. 해 양 오 염 발생 보 고 및 전 파 가. 오염발생 및 진행사항 보고 (1) 태안해양경찰서장은 해양오염발생 상황을 접하면 상황실을 통하여 신속히 지방해양경찰청장 및 해양경찰청장에게 초기 상황보고 한 후 주기적으로 진행사항을 보고 (2) 사고개요, 선체 오염상태, 조치, 기상 및 해역 특성 등을 보고 나. 상황 전파 (1) 태안해양경찰서 : 평택 대산지방해양항만청, 시 군 등 (필요시 군, 경찰, 금강유역환경청, 수협 등)에 상황 전파 및 주변해역 항행 선박에 경보발령 (2) 해양경찰청 : 청와대, 총리실, 국토해양부 등에 상황 전파 (지속성 기름 30kl 이상 유출시 NOWPAP 회원국에 통보) 4. 방 제 조 치 명령 태안해양경찰서장은 오염사고의 원인 행위자 및 선박소유자 시설 설치자 에게 방제기간 해역 내용을 포함한 방제조치를 명한다. 5-6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제3절 방제조치 시행 1. 오 염 사 고 평 가 방제대책본부장은 사고현장조사, 유출유 확산상황 파악(항공기, 경비함정 및 지서 신고소 요원 활용), 유출유 확산예측결과, 방제정보지도 등을 참조 하여 오염상황을 종합평가한다. 2. 방 제 전 략 결 정 및 계 획 수 립 지역방제대책본부장은 오염사고 종합평가 결과, 유출유 확산예측 결과, 방 제정보지도 등을 토대로 방제대책회의를 개최하여 최적의 방제전략을 결정 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며 필요시 방제기술지원단의 자문을 받아 시행한다. 가. 방제전략 및 계획수립 주요내용 (1) 사고선으로부터 계속 유출방지대책 및 오염확산 상황파악 (2) 방제대책본부등 방제조직의 운영 (3) 유출유 확산방지 및 민감해역보호 대책 (4) 유출유 회수 수거방법과 해상 및 해안에서의 회수 비율 (5) 유처리제 살포여부, 살포비율 등 판단 (6) 회수 수거된 기름의 저장 보관 및 최종처리 (7) 방제세력 동원 범위 (8) 보급지원 및 지휘 통신망 구축 (9) 어장, 양식장 및 야생동물 보호대책 (10) 위험방지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 (11) 육상 교통통제 및 해상 선박통제 3. 유 출 유 확 산 예 측 및 추 가 응 급 조 치 가. 유출유의 확산 예측과 이동사항 감시 평가 5-7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1) 방제기술지원협의회의 자문을 받거나 확산예측 전산시스템을 활용 하여 수시로 해양오염 상황을 예측하여야 한다. (2) 유출유의 이동 및 확산범위를 항공기, 경비함정, 파출소 출장소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일관되게 탐색하여야 한다. 특히 탐색자료의 정확성 및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사람에 의한 탐색 및 보고체제가 유지되어야 한다. 나. 선체구조, 잔존유 이적 등 추가적인 응급조치 대책결정 (1) 해양경찰서장은 사고선 선주 및 보험회사 관계자를 불러 대책을 협의하고, 필요시 방제기술지원협의회(선체구난부문)의 자문을 받 아 사고선의 선체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계속 유출방지를 위 한 선체안전조치 및 유출구 봉쇄조치와 선내 잔존유 이적조치 계획 을 수립 시행한다. (2) 태안해양경찰서에서는 평상시 선체안전조치 및 잔존유 이적능력이 있는 업체를 파악, 사전 전담팀을 구성 비상연락망을 유지하고 사 고발생시 응급조치를 시행한다[부속서 I의 자료 21]. 4. 유 출 유 확 산 방 지 태안해역에서 유출유의 확산방지를 위한 오일펜스는 빠른 조류의 영향으 로 설치가 매우 어려우며, 포집 효율 역시 매우 낮다. 따라서 고정점에 오일 펜스를 설치하여 유출유를 포집하는 것보다는 선박을 이용하여 오일펜스를 전장하고 유출유를 따라가면서 민감하지 않은 연안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때 오일펜스의 전장방법은 조류의 속도와 오일펜스의 특성을 감안하 여 결정하여야 하며, 연안으로 유도된 유출유의 포집 및 회수 대책도 동시에 마련하여야 한다. 5-8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태안해역에서 유출유 확산방지를 위한 오일펜스 이용방법은 아래와 같다. 가. 외해의 경우 2척의 선박을 이용하여 U형, V형, J형 방법으로 오일펜 스를 전장하여 포집된 유출유는 방제선과 유회수기를 연계하여 회수 하고, 가능한 해안쪽으로 부착하지 않도록 확산방지 및 유회수팀을 유효 적절하게 운용하여야 한다. 나. 연안에서는 약 200m 길이의 오일펜스를 1개조로 수 개의 조를 구성 하고 조류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하여 해안의 회수지역으로 유출유를 유도한다. 이때 오일펜스와 조류의 흐름방향은 약 10도 정 도의 각을 이루게 배치한다. 연속된 오일펜스간의 간격은 약 10m~ 50m 정도를 유지하며, 앞쪽 펜스의 끝부분은 뒷쪽 펜스의 시작 부분 과 다소 겹쳐지게 배치한다. 오일펜스의 배치위치 및 유출유 유도 경로는 방제정보지도를 활용하여 선정한다. 다. 해안으로 유입중인 유출유는 오염피해가 적은 해역으로 유도하여 회 수할 수 있도록 회수작업 장소를 사전에 선정하여 오일펜스로 유도 하여 유입되는 유출유를 회수한다. 이때 오일펜스는 한쪽 끝을 해안 에 묘박하여 고정하고 다른쪽 끝을 작업선으로 잡아 전장하여 배치 한다. 이 경우 유출유가 해안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해안의 유출유 회수장소는 방제정보지도에 제시된 해안 특성을 감안하여 가능한 오 염피해가 적고 작업이 용이한 장소를 선정하여야 하며, 해안 청소작 업을 준비하여야 한다. 라. 오일펜스 설치 후에는 유출유의 확산방지 효과, 조류의 영향에 의한 전장상태의 변형, 오일펜스 손상여부 등을 수시로 확인하고 관리 선 박을 지정하여 관리 유지한다. 5. 민 감 해 안 보 호 및 우 선 순 위 결 정(방 제 정보 지 도 활 용) 5-9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가. 방제정보지도를 활용하여 시차별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민감해안 및 자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보호방법과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나. 오일펜스를 설치하여 유출유의 접근을 차단하고, 차단이 불가능할 경우 해상회수 및 해안수거팀을 투입하거나 유처리제 살포전략을 검 토하여야 한다. 다. 해양환경 민감도가 7~8등급인 지역은 해양오염사고 발생시 우선적 으로 보호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라. 유출된 기름의 회수작업은 민감해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기름 부터 우선적으로 유회수팀을 동원하여 실시하고, 기름 유층이 두꺼 운 곳부터 차례로 유회수팀을 투입시킨다. 6. 유 회수 기 에 의 한 유 출 유 회수 태안해역에서 유출유의 회수는 연안에서의 회수방안과 외해에서의 회수방 안이 각각 고려되어야 한다. 연안에서는 오일펜스의 전장 및 고박이 용이한 해안을 선정하고, 선정된 연안으로 유출유를 유도한 후 오일펜스로 포집하여 회수한다. 외해에서는 VOSS형 선박이나 오일펜스 전장선이 이동하면서 유 출유를 포집하고, 이와 동시에 회수할 수 있도록 연합 방제팀을 구성, 운용 해야한다. 가. 유출유의 종류 및 비중, 점도 등의 특성에 따른 유회수기 선정방법 (1) 점 도 1, 000c St : 초 기 (3~ 5시 간 이 내)에 는 경질유용 회수기, 그 이후에는 풍화작용으로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중질유용 회수기 사용 (2) 1, 000c St 점도 2,000c St : 유출초기에는 경질유용 또는 중질 유용 회수기 사용 (3) 점도 2, 000cSt : 중질유용 회수기 사용 5-10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나. 해상에서의 회수작업 (1) 조류가 빠른 대산, 평택해역의 경우 태안해양경찰서 및 해양환경관 리공단 대산지사 소속 방제선을 최대한 동원하여 오일펜스와 연계 한 유회수시스템으로 조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기름을 포집하여 즉 시 회수할 수 있도록 방제팀을 구성하고 해상유출유가 해안에 부 착하기 전에 회수할 수 있도록 방제선을 집중배치하여 조류를 따 라 V형, VOSS 시스템으로 해상 유출유를 회수토록 운영하며 조류 가 약한 항만 등 폐쇄성 해역에서는 J형, U형으로 운영하고 로프 형 유흡착재 또는 중질유 부착재를 이용하여 해상 유출유를 수거 한다. (2) 유출유 유도를 위한 오일펜스 작업팀과 연계하여 이동하면서 회수 작업을 수행할 때, 현장책임자는 전체 작업선단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헬기 및 경비정을 이용하여 작업선단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서 헬기에서도 지휘가 가능한 통신체제를 유지한다. 다. 해안에서의 회수작업 (1) 해상에서 유도된 유출유는 방제정보지도를 참조하여 민감도가 낮고 오일펜스의 고박이 용이한 해안에서 오일펜스로 포집하여 회수 작업을 실시한다. 포집된 유출유 회수작업은 디스크스키머, 스크루 스키머, 브러쉬스키머, 위어식스키머 등의 정지형 유회수기를 사용 하여 시행한다. (2) 암반해안이나 안벽에 부착된 기름은 오염지역 바깥쪽 해상에서 소방 호스 및 고압세척기로 세척하여 유회수기로 회수작업을 실시한다. 라. 해양경찰서에서는 평상시 민 관합동 방제전문팀을 구성 사고발생시 5-11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유회수기를 현장에 동원 방제조치 할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 한다. 유회수기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해상방제팀과 해안방제팀이 각각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선단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전용방제선단 1 VOSS에 의한 단일선박시스템 2 U자형, V자형, J자형으로 연계한 시스템 (2) 해상방제팀 (전진형 유회수기 운용) 1 인 력 10명 이상 2 유회수기 탑재선박 1척 3 포집용 예인작업선 2척 4 유조선 또는 유조바지선 1척이상 5 오 일펜스 200m이상 (3) 해안방제팀 (정지형 유회수기 운용) 1 인력 4명 이상 2 유회수기 탑재선박 1척 3 오 일펜스 200m이상 4 운반차량(크레인부착) 1대 마. 기온 및 해수온도 강하로 해상 유출유가 고형화되어 두꺼운 유층을 형 성하거나 다량의 부유쓰레기와 혼합된 경우에는 그라브선, 포크레인, 집게차 등을 동원하여 해상 유출유를 회수 수거한다. 7. 유 처 리 제 에 의 한 분 산 처 리 가. 방제대책본부장 또는 태안해양경찰서장이 유처리제 살포시 유의해 야 할 다음 사항 등을 고려하여 유처리제 사용 가 부에 대한 결 정을 한다. 5-12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1) 유종, 비중, 점도, 유동점 등 유출유 특성 (2) 유출유의 확산 이동상황 (3) 사고해역 주변 환경요소 1 수심 및 수온 2 어장 및 양식장 3 자연환경 보호지역 4 동 식물의 서식지 및 산란지 등 (4) 방제정보지도상의 유처리제 사용해역 및 부속서Ⅲ 유처리제 사용지침 나. 유처리제 사용 승인절차 (1) 현장상황 파악(오염해역 및 유처리제 사용해역 여부를 방제정보지도 등으로 확인) (2) 유출유 상태 및 유처리제 적용여부 확인 (3) 승인요청 - 방제대책본부 설치시 : 현장지휘관 - 방제대책본부 미설치시 : 해양오염방제과장 (4) 사용 승인 - 방제대책본부 설치시 : 방제대책본부장 - 방제대책본부 미설치시 : 태안해양경찰서장 다. 유처리제 살포 (1) 유출유의 종류 및 점도, 확산범위 등을 감안하여 사용할 유처리제를 결정하며, 분산실험등의 결과를 감안하여 살포 범위를 결정한다. (2) 유출유의 확산상황 및 확산범위 등을 감안, 유처리제의 살포방법을 선택한다. 1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해역에 유출유가 광범위하게 확산되 어 있을 경우 항공 또는 선박 살포방법을 선택 2 해안 주변의 연안역에 유출유가 확산되어 있을 경우 선박 살포방 법을 선택 3 태안해역에서는 해수유동이 비교적 미약하나 해안선과 같은 방향 5-13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연안에서의 유처리제 살포시에는 확산 진 행방향에 대한 연안의 민감자원 분포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태안해역에서 유출유는 한 조석주기 동안 약 1km(0.5마일)~ 5km(2.7마일) 정도를 이동할 수 있다. (3) 살포량은 유출된 기름의 두께와 면적등으로 유출량을 추산한 후 기름의 점도 및 살포할 유처리제의 사용방법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4) 유처리제 살포속도와 량을 조절하여 기름위에 유처리제를 살포한다. 기름의 점도에 따른 유처리제 살포율 기름의 점도 농축형 일반형 1,000c st 이하 유출량의 5~10% 유출량의 30~50% 1, 000~2, 000cs t 유출량의 10~15% 유출량의 100% 2,000c st 이상 분산효과가 낮다 분산효과가 낮다 펌 프 배 출 량 (l / m i n )=0. 003 살 포 율 (l / ha) 속 도 (k n o t ) 살 포 폭 (m ) 여기서 속도는 대지속도가 아닌 상대속도(대수속도) 이다. 유처리제 살포량 결정의 예를 들면, 유출유의 양이 2 m3/ha 정도이 고 두께 0.2 mm인 유막에 대한 살포량은 농축형 유처리제를 1:20 의 비율로 사용할 때 100 l/ha가 필요하다. 살포폭이 30 m이고 상대속도(대수속도) 5노트 속도로 항해하는 선박이 이 살포율을 달 성하기 위해서는 46 l/min의 속도로 유처리제를 살포해야 한다. 8. 유 흡 착 재 에 의 한 유 출 유 회수 가. 유흡착재 사용 및 처리 (1) 해상방제작업시 유출유의 흐름이 빠르거나, 유흡착재의 수거방법이 강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절대로 유흡착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유처리제가 살포된 유출유는 유흡착재의 사용을 제한한다. (3) 유출유를 흡착한 유흡착재는 전량 수거하여 추가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5-14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4) 수거한 유흡착재의 저장 및 처리방안을 강구한다. 나. 상황에 따른 유흡착재 사용요령 및 유의사항 (1) 해안, 부두 등 해면이 잔잔한 해역에서의 흡착수거 1 오일펜스 포위전장 후 시트, 패드형 유흡착재 사용 (단, 유출유가 고점도유(5,000cS t 이상)이거나 유회수기 작업중에는 사용 금지) 2 유출유가 오일펜스 아래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펜스 안쪽에 붐형 유흡착재 설치 (2) 해안, 간석지, 암반, 지면 등에 고여 있거나 부착된 기름의 흡착수거 1 유흡착재를 지면에 펼쳐 흡착 수거 (기름이 많이 고인 곳은 쪽대, 바가지 등으로 1차 수거 후 유흡착재 사용) 2 유흡착재의 기름 흡착상태에 유의하여 흡착이 완료된 유흡착재는 신속히 수거하여야 하며, 특히 조간대 지역에서는 밀물시간에 유의 (3) 고점도유의 흡착수거 1 중질유 흡착용 합성비닐(스네어)을 8~12mm 로프로 연결하여 예 인하거나, 포위전장 오일펜스 내에 설치하여 흡착수거 2 예인 수거시 해수 마찰에 의해 흡착된 기름이 이탈되지 않도록 예인속도 조절 9. 해 안 부착 유 수 거 해안방제는 지방자치단체 및 해역관리청에서 사전 수립된 방제계획에 따라 현장지휘부를 구성 시행하는데, 태안해역의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롭고 암반 바위 인공 구조물, 자갈, 모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환경민감도에 따라 아래의 방 법 으로 청소작업을 실시한다. 가. 암반 바위 인공 구조물 해안 (1) 방제1단계 : 두껍게 고인 기름제거 1 진공펌프, 진공차로 흡입수거하거나 사람이 바가지, 양동이, 쪽대 등 5-15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을 이용하여 수거한다. 2 오염해안 바깥쪽으로 오일펜스를 전장하여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 록 조치한 후 육상에서 소화호스로 물을 흘려 바다쪽으로 흘러내리 는 기름을 유회수기로 회수한다. 3 수거폐유는 드럼통, 간이저장탱크, 바지선, 유조차 등에 저장한다. 4 작업인부에게 내유성 신발 및 피부오염 방지용 보호복을 지급하 고,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작업통로에 유흡착재나 가마니 등을 깔아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오염된 기름이 다 른 해안을 오염시 키지 않도록 오일펜스를 설치하여 확산을 방지한다. (2) 방제2. 3단계 : 기름이 표착되었거나 경미한 오염제거 1 작업전에 오일펜스와 유흡착재를 설치하고 고압세척으로 기름을 탈락시켜 흡착 수거한다. 2 기름이 고착된 경우에는 유처리제를 살포하 여 녹 은 상태에서 세척 하거나 인력으로 개닦기 작업을 한다. 3 수거폐유는 비닐마대에 넣어 마을단위로 임시저장소에 모아 관 리한다. 4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작업통로 및 장업장에 유흡착재나 가마니를 깔아 안전사고에 유의 한다 나. 자갈해안 (1) 방제 1단계 : 두껍게 고인 기름제거 1 진공펌프, 진공차로 흡입수거하거나 인력으로 바가지, 양동이, 쪽대 등 을 이용하여 수거한다. 2 포크레인으로 오염된 자갈을 수거하여 차량으로 임시저장소에 운반 관리 한다. 3 수거폐유는 드럼통, 간이저장탱크, 유조차, 임시저장소에 모아 관리한다. 4 작업인부에게 내유성 신발 및 피부오염 방지용 보호복을 지급하고,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작업통로에 유흡착재나 가마니 등을 깔아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오염된 기름이 다 른 해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오일펜스를 설치하여 확산을 방지한다. (2) 방제 2. 3단계 : 기름이 표착되었거나 경미한 오염제거 5-16
제5장 기름오염 방제실행 1 기름 덩어리를 수거하고 큰 자갈은 개닦기하며 작은 자갈은 수거 하여 철재 탱크 또는 레미콘에 경유와 유처리제를 담아 세척하여 흡착수거한 후 고압세척한다. 2 세척하여 분리한 폐유는 드럼통, 유조차에 저장하고 수거폐기물 은 비닐포대에 넣어 임시저장소에 모아 관리한다. 3 자갈 세척시 기름이 지면하에 침투하고 해안이침식할 수 있으므로 유 의한다. 다. 모래 해안 (1) 방제 1단계 : 지표면에 침투 및 두꺼운 유층의 기름제거 1 삽 등 수거도구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수거하거나 그레이더 및 중장비로 오염된 모래를 제거한다. 2 수거폐유는 비닐포대 또는 임시저장소에 모 아 관리한다. 3 작업인부에게 내유성 신발 및 피부오염 방지용 보호복을 지급하 고, 오염된 기름이 다 른 해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오일펜스를 설 치하여 확산을 방지한다. (2) 방제 2, 3단계 : 기름이 표착되어 있거나 경미한 오염제거 1 표착된 기름은 수작업으로 주워내거나 삽을이용하여 수거한다. 2 경미한 오염지역은 유처리제를 살포하여파도에 씻겨나가게 하거나 밭 갈이로 풍화작용을 촉진시켜 제거한다. 3 수거폐유는 비닐포대에 넣어 임시저장소에 모아 관리한다. 4 해안의 오염된 모래를 다량 제거하여 해안 침식 우려가 있을 경 우에는 깨끗한 모래를 보충한다. 라. 이음새가 투과성인 사석해안 (1) 오염해안 바깥쪽으로 오일펜스를 전장하여 외부에 확산되지 않도 록 조치한 사석표면은 고압세척하여 유회수기로 수거하고 이음새 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은 유흡착재로 흡착수거한다. 마. 파도영향을 받지 않는 호안 또는 반폐쇄 해안 (1) 수면이 잔잔하여 분해능력이 약하여 자연방제가 어려우므로 기계적, 물리적인 회수작업을 실시한다.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