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 - P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Composition of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P University Library 이 용 재(Yong-Jae Lee)** 박 경 석(Kyung-Seok Park)*** 김 보 인(Bo-In Kim)**** 초 록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학문 활동의 중심공간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P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수행하고 대학도서관이 이용자의 요구에 적극 부응하기 위한 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 공간 관련 국내외 연구를 정리하고 국내의 주요 대학도서관을 탐방하여 공간 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P대학교 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 이용자들의 요구 사항이 이 연구에서 발견한 국내외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의 방향성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이 공간을 개선하고 이용자지향적인 도서관마케팅을 수행하는 데 참조될 수 있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reborn as central space of the academic activities of university at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y on P University libraries and explored the directivity of spatial composition to actively respond to needs of customers. To do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ed papers in and out of Korea, visited maj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compared the cases. And we did a survey targeting the customers of P university libraries. The result of survey confirmed that the needs of customers almost correspond to the directivity of spatial composition which we found at the cases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ome references for Korean university libraries to improve their space and do user-oriented library marketing. 키워드: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리모델링, 도서관건축, 도서관마케팅 University Libraries, Spatial Composition, Remodeling, Library Building, Library Marketing * ** *** **** 이 연구는 부산대학교 도서관 공간 배치 운영 연구 (부산대학교 도서관 연구과제, 2012.2)의 내용을 확대 발전시킨 것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lyj5384@pusan.ac.kr) (제1저자, 교신저자)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funnysee@gmail.com) (공동저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석사과정(boinboin@nate.com) (공동저자) 논문접수일자 : 2012년 5월 20일 논문심사일자 : 2012년 6월 5일 게재확정일자 : 2012년 6월 14일
13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의 학문 활동 은 점차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무한대로 증 가하고 복잡하게 전개되는 전 세계 지식생태계 에서 대학은 지성의 교두보이자 고급 인력 양 성의 요람으로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진력하고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기본 시설이 자 대학의 학술정보 중심기관으로서 토대를 다 지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대학도서관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세계 학술커뮤니케이션과 무한대로 증가하는 정보의 우주(Galaxy of Information) 에서 체 계적으로 장서를 개발하고 대학구성원에게 적 합하고 정선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 다. 한편, 오늘날 이용자들의 연구 및 학습 방 식은 종전의 단순한 암기 방식보다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어디에 있는가를 알고 정보를 선별하여 재구성하고 지식을 창출하며 공통의 관심을 가진 사람들과 공동작업(group study) 을 하는 방식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변화하는 대학의 학문과 교육활 동을 원활히 지원하고 다양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융화된 복합공간으로서 이용자에게 더욱 다가 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의 시험공 부 및 암기학습을 위한 단순한 자리 제공 공간 으로 주로 이용되거나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이 용자가 도서관을 찾아오지 않고 자료를 이용하 지 않는 현상에 직면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학문활동을 지원하는 중추적 기관이 아 니라 단순히 거대한 독서실 로 이용되거나 자 료이용측면에서 이용자로부터 외면을 받는다 면,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 히 강구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대학도서관 은 이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공간에 주목하고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최근 수년간 국내 주요 대학도서관은 건물을 증축하거나 공간을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환경적 변화에 부응하여 한국 대학도서관이 이용자에게 더욱 다가가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고자 할 때 참고 할 수 있도록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방법 첫째,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및 리모델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학위논 문, 학술논문, 대학도서관 증축 및 리모델링 관 련 보고서, 건축계획 지침과 도서관규정 등을 수집하고 검토하였다. 둘째, 국내 주요 대학도서관들을 방문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사서들 과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사례들의 장단점 및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비교분석하여 이용자 지향적 공간 구성의 주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셋째, P대학교 도서관의 공간 구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간배 치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 으로 P대학교 도서관의 공간구성과 관련한 이 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35 1.3 선행연구 대학도서관의 공간 구성과 관련한 최근 국내 외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Lawson(2004)은 일터와 가정 외의 사회생 활공간을 의미하는 제3의 장소 로서 도서관 공 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대학도서관도 특정 공동체 구성원에게 연령과 경제적 지위에 관계 없이 그들을 환영하고 그들에게 정보와 서비스 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응대를 받는다는 느 낌을 주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춘오(2005)는 신축하거나 증축한 대학도 서관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공간의 배치 방안을 살펴보고 H여자대학의 실정에 맞는 도서관 공 간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 공간구성 에서 이용자 편의성과 사서 업무의 효율성 제 고가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Bennett(2005)는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이 기대하는 공간은 연구 및 학습 활동을 장려하 고 육성하는 공간으로 다양한 용도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한다. 그는 대학 도서관은 단순한 열람공간이 아니며 이용자의 연구와 학습 활동을 진작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차미경(2006)은 유비쿼터스 정보환경에서도 도서관이 제공하는 물리적 장소는 이용자에게 여전히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였고, 이용자의 연구와 자기 학습 공간, 모임 및 친교 장소, 여 가 활동 장소의 측면에서 안락하고 쾌적한 환 경의 조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주정준 등(2007)은 리모델링이 이루어진 대 학도서관 6곳을 사례로 하여 리모델링 전 후 의 공간구성 및 면적 변화에 따른 개선현황과 계획내용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의 리모델링을 계획할 때 이용자 및 관리자의 활동과 공간과의 관계를 고려하고 이용자의 다 양한 요구와 관리방식의 변화를 반영하는 공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재영(2007)은 대학도서관에서의 인포메이 션 커먼스(Information Commons: IC) 도입을 위한 요소 및 적용과정을 예를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공간, 정보기술, 서비스의 효과적인 결합을 의미하는 하이브리드도서관의 서비스 개념 및 정보서비스 모형(정재영 2009)을 IC를 기반으 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도서관 공간에서 이용 자가 가장 먼저 접하는 공간이자 도서관 내부의 중심 공간으로 IC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Littleton과 Rethlefsen(2008)은 도서관 건 물이 개별 이용자를 위한 조용한 학습 공간 역 할에 그치지 않고 협력학습을 통한 사회적 모 임 장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역 설하였다. 남영준 등(2009)은 C대학교 중앙도서관 중 심으로 공간구성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하여 도서관 공간 활용 목적의 중요도를 파악 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자가 원하는 도서관 공 간 중 열람공간과 휴게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Bailin(2011)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 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인터뷰와 설 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 시 고려해야 할 7개 영역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협업스터디공간, 개인정독공간, 심리적 안정을 주는 공간, 교류와 만남의 공간, IC 공
13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간, 소음이 허용되는 자유로운 공간, 이용자를 환영하는 서비스 데스크가 대학도서관 공간 배치 시 중요시 되어야 할 공간이라고 제시하 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선행연구들은 정보환경 및 이용자 요구의 변화에 부응하여 대학도서관이 추구해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들 연 구는 디지털시대에서도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자료실, 열람실 등 전통적 공간뿐만 아니라 사회적 모임의 장소로서 스터디룸, 휴게공간 등 다양한 공간을 이용자 동선과 도서관 서비 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 는 것이 이용자를 도서관으로 끌어들이는 요소 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대학도서관의 시설기준 국내 대학도서관의 시설과 관련된 법적 기준 은 존재하지 않는다. 1996년에 제정된 대학설 립 운영규정을 보면 사실상 대학도서관의 시 설규모에 대한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 전의 대학설치기준령에 있던 시설 면적에 대한 법적 기준이 삭제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현행 대학설립 운영규정에서는 교사시설의 구분에 서 대학도서관이 교육기본시설로 지정되어있고 도서관에는 열람실, 정기간행물실, 참고도서열 람실, 서고 및 사무실을 두어야 하고 열람실에는 학생정원의 20퍼센트 이상을 수용 할 수 있는 좌석을 두어야 한다는 규정만 있을 뿐이다(대학 설립 운영규정 [별표 2] 개정 2008. 2. 29). 참 고로 외국의 대학도서관 시설 기준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구분 미국* 영국** 일본*** 규모결정기준 정규학생수, 장서규모, 직원수 정규학생수, 장서규모, 직원수, 교수학습패턴 열람석수 정규학생 5명당 1석 정규학생 4명당 1석 열람면적 2.3~3.2m² 2.2~3m² 수장공간 <표 1> 각국의 대학도서관 시설기준 현황 처음 150,000책-0.009m²/책 다음 150,000책-0.0081m²/책 다음 300,000책-0.0072m²/책 600,000책 이상-0.0063m²/책 1,000권당 -8.5m²(NATFHE**** 기준) -10m²(영국도서관협회 기준) 관리공간 (열람공간+수장공간) 1/8m² 작업실 20m² 관장실 25m² 부관장실 20m² 전문직원 각 10m² *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기준 ** 영국도서관협회(Library Association) 기준 *** 일본대학기준협회( 大 學 基 準 協 會 ) 기준 **** National Association of Teachers in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참고: (신현수, 이상호 1998) 학생수, 직원수, 장서수, 연간증가책수 학부학생 총수의 20% 대학원생 총수의 30% 학생 1.8m² 연구자 2.5m² 개가의 경우 -1m²당 150책 폐가의 경우 -1m²당 180책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37 <표 2> 대학도서관의 공간 계획 공간요소 자료공간 이용자공간 직원공간 공유공간 배분비율(%) 비고(%) 대학 전문대학 대학 전문대학 30 45 40 45 5 20 20 25 50 55 5 20 일반열람실 20 22 자료열람실 20 23 일반열람실 20 22 자료열람실 20 23 영국의 규모 결정기준에는 정규학생수와 장 서규모, 직원수뿐만 아니라 교수학습패턴이 결 정기준에 포함되어 있고 일본의 경우는 연간증 가책수가 포함되어 있다. 열람석수에 대한 기준 을 살펴보면 면적이 아니라 학생수가 실질적 기 준이 되고 있다. 열람 면적기준은 학부생보다 연구자에 대한 공간을 더 많이 할애하고 있다.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정한 대학도서관 시설기 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한국도서관협회 2003). - 대학도서관 건물의 순사용 면적은 공간의 기능성과 운영의 경제성을 감안하여 최소 한 75%가 되어야 한다. - 대학도서관의 공간은 자료공간, 이용자공 간, 직원공간, 공유공간으로 나누어 계획 하되, 공간요소별 적정 면적의 배분은 <표 2>에 제시된 기준을 참고로 한다. 3.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사례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탐방한 사례 도서 관은 서울 지역의 S대학교 도서관, Y대학교 도 서관, SKK대학교 도서관, E여자대학교 도서 관이다. 조사 기간은 2012년 1월 26일과 27일 양일간이며, 도서관마다 팀장, 사서 등 여러 담 당자를 만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또한 가급적 도서관의 모든 공간을 답사하고 살펴보 았다. 이 외에도 국내외에 벤치마킹을 할 수 있 는 선진 사례들이 있을 수 있으나, P대학교 도 서관을 비롯한 국내 대학도서관의 공간재배치 를 위한 방향성과 구체적 각론을 제시하는 데 에는 탐방한 도서관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외국 대학도서관의 경우 문헌조사를 통하여 외 국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의 최근 경향을 파악하 였다. 3.1 국내 주요 대학도서관 비교 <표 3>을 보면,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최 근 제1도서관의 증축으로 일정 부분 개선을 이루었으나 S대학교 도서관은 물론 최근 대학 의 랜드마크로 재탄생한 대학도서관 사례(Y 대학교, SKK대학교)에 비해 총면적, 좌석수, 이용자당 컴퓨터 수에서 많이 부족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3.2 P대학교 도서관의 공간 시설 현황 P대학교 도서관은 부산캠퍼스의 제1도서관, 제2도서관, 법학도서관, 양산캠퍼스의 의생명과 학도서관, 밀양캠퍼스의 나노생명과학도서관 등
13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도서관명 연간 개관일* <표 3> 국내 주요 대학도서관 현황 봉사 대상자수* 면적 좌석수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 (m2)** 총좌석수 자료실 좌석수 S대학교 도서관 355 16,626 11,392 4,468 46,935 7,786 1,456 286 Y대학교 도서관 299 18,781 11,586 3,809 53,111 7,379 2,676 792 SKK대학교 도서관 298 19,700 7,226 4,675 42,831 7,955 2,026 749 E여자대학교 도서관 300 15,458 6,184 2,833 20,409 4,650 1,850 284 P대학교 도서관*** 359 21,613 8,417 2,922 35,842 5,738 1,244 257 *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제공 자료(2010년 10월 기준): 교수 수는 전임, 비전임, 시간강사 포함. ** 본관과 분관을 합한 도서관의 총면적 *** P대학교의 경우 면적, 좌석수는 P대학교 도서관 제공 자료임(2012년 1월 기준). 이용자 PC 여러 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문사회, 어 문학, 예체능, 과학기술, 법학, 의생명, 나노생명 의 7개 주제전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서 200만여 권을 소장하고, 고전자료실, 북한자료실 등 개별 자료실을 마련하고 있으며 2011년 8월 부산캠퍼스 제1도서관을 증축 개관하였다. 한 국도서관협회 대학도서관기준을 통해 P대학교 도서관의 이용자 수, 장서 수, 직원 수를 대입해 도서관 최소면적을 도출한 결과, <표 4>와 같이 현재 면적보다 약 15,000m2의 공간이 더 필요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제1도서관과 제2 도서관이 공간의 문제로 각각 본연의 기능과 서비스를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제1 도서관의 경우, 정보전산원이 증축된 건물의 1 층과 2층에 입주하고 있어, 제1도서관 전체의 주제자료실 운영, 인포메이션 커먼스 구축, 출 입 및 로비 공간 구성 등에서 이용자가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 다. 제2도서관의 경우, 크게 보아 보존서고와 열람실 기능으로 운영되고 있고, 보존서고에 많은 도서와 자료가 이관됨으로써 종전의 열 람실 운영 및 학부생 서비스가 위축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용자들이 불만을 제기하기도 한 다. 또한 장서가 두 도서관에 분산되어 있어 자료를 찾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불편을 야기 하고 있다. <표 4> 한국도서관협회 대학도서관기준에 따른 P대학교 도서관 최소면적기준 도출 N(m²) = 0.60T + 0.0107V + 9.88S + 0.05(0.63T + 0.0107V + 9.88S) 40,940 (m²) NS(m²) = 0.25 N 10,235 (m²) P대학교 도서관의 최소면적기준 51,175 (m²) T=학부 대학원생 편제정원 30,030명(학부생 21,613명, 대학원생 8,417명) V=총장서수 2,041,650권 S=전체직원수 51명(관장 1명 + 분관장 3명 + 사서직 44명 + 행정직 3명) * N=순사용면적, NS=공유면적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39 4. 이용자 설문조사 분석 설문조사는 웹설문 방식으로 전수( 全 數 ) 조 사를 시행하였다. 이에 학부생 21,613명, 대학원 생 8,417명 중 470명(학부생 340명, 대학원생 128명, 외국인 2명)이 응답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2월 3일부터 2월 14일까지이다. 또한 많은 응답자들은 객관식 문항뿐만 아니라 주관 식 문항을 통해서도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설문대상에 교수진을 포함 하지 못하였다. 현실적으로 대학도서관 공간을 주로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이용하기에 이들에 대한 의견조사에 치중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결과에서 도출되는 공간재배치 방안으로 학부 생의 학습활동과 대학원생 이상 연구자의 연구 활동을 원활히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 다. 그러므로 교수진의 연구를 지원하는 공간 구성 방안도 이러한 결론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도서관이용에서 주 4회 이상이 157명(33.4%), 주 1 3회가 177 명(37.7%)으로 도서관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문에 응한 대다수의 학생들이 도서관의 공간 문제를 예민하게 인식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도서관(제1도서 관과 제2도서관 포함) 이용의 주된 목적은 <표 5>와 같다. 설문응답자 중 가장 많은 학생들이 도서대출 및 참고자료실 이용(74.9%, 352명)을 위해 도 서관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열람 실 이용(72.6%, 341명)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학과전담사서의 방문상담, 도서관이 용교육, 학술정보교육 참석을 위한 도서관 이용 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공간 문제와 관련하여 제1도서관 공간 에서 특히 문제로 생각하는 것으로 응답자 470 명 중 294명(62.6%)이 자리부족 현상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선택하였고, 다음으로 조모임공 간의 부족(28.1%), 자료열람실 접근 및 이용의 불편함(25.1%)을 선택하였다. 이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은 <그림 1>과 같다. 제2도서관에서 특히 문제로 생각하는 것에 관 한 설문의 응답은 학생 470명 중 247명(52.6%) 이 자리부족 현상을 가장 큰 문제로 선택하였고 그 다음은 환기시설의 문제(48.3%), 조모임공 간의 부족(28.1%)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 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인식은 <그림 2>와 같다. <표 5> 도서관 이용 목적 이용목적 N* 케이스 퍼센트(%)** 도서대출(상호대차, 문헌복사포함) 및 참고자료실(연속간행물, 학위논문 포함) 이용 352 74.9 일반열람실(노트북열람실 포함) 이용 341 72.6 PC이용/정보검색/멀티미디어센터 이용 109 23.2 그룹스터디룸 이용 67 14.3 도서관 이용교육, 학술정보 교육 참석 27 5.7 주제사서(학과전담사서) 방문상담 4 0.9 합계 900 191.5 * 다중 선택항목 응답자 수 ** 각각의 빈도가 차지하는 비율
14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그림 1> P대학교 제1도서관에서의 공간문제 <그림 2> P대학교 제2도서관에서의 공간문제 현재 제1도서관 출입 및 1층 로비공간에 대 해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설문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3>에서와 같이 도서관이 이용자를 반 기며 이용자 친화적인가를 묻는 질문인 환영 받는 느낌이다. 라는 항목에 보통이하가 76.4% 로 나타나 제1도서관이 증축되어 새로운 환경 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이용자가 친숙한 공간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서관 건물 인식에 관한 설문인 도 서관 건물임을 쉽게 인식한다. 라는 항목에는 16.4%가 그렇지 않다 를, 3.4%가 매우 그렇 지 않다 를 택하였고 보통이하의 응답이 50.7% 이다. 이것은 제1도서관의 출입구를 비롯한 전 체 공간이 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identity)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현 재 제2도서관 출입 및 1층 로비공간에 대해 어 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설문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41 <그림 3> P대학교 제1도서관 출입과 로비에 대한 이용자 인식 <그림 4> P대학교 제2도서관 출입과 로비에 대한 이용자 인식 제2도서관의 출입에 관한 설문에서는 출입 시 환영받는 느낌이다. 라는 문항에 42.1%가 그렇지 않다 를, 16.4%가 매우 그렇지 않다 로 보통이하의 응답이 92.8%이다. 이것은 거의 모든 응답자가 도서관 공간에서 환영받는 느낌 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청결도 에 대한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 가 35.3%, 매 우 그렇지 않다. 가 13.8%로 보통이하의 응답 이 85.2%로 조사되었다. 또한 도서관이 얼마나 이용자 친화적인가를 묻는 질문인 머물고 싶 다. 라는 항목에 그렇지 않다 가 35.1%, 매우 그 렇지 않다 가 16.4%로 보통이하의 응답이 90.9% 로 나타났다. 5.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방향 Crawford(1999)는 좋은 도서관은 양질의 자 료와 목록만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디자 인이 좋은 공간을 구성하여 이용자들에게 접근
14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의 편의성과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 은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물리적인 장소로 서 도서관이 지니는 가치를 이해해야 한다. 둘 째, 이용자는 단 몇 분 안에 도서관 공간의 디자 인에 의존하여 도서관을 인지한다는 것을 알아 야 한다. 셋째, 향후 도서관은 복합적인 공간으 로 그룹 활동이 가능한 회의실 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며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유연한 공간운 용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도서관 공간 구성 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과 소 통을 통한 협력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P대학교 도서관을 주된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공간 구성 기본방향에 따른 세부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고 공간의 세부 요소에 따 른 제안을 상술하였다. 또한 세부 요소별로 주 요 국내 대학도서관의 장점과 특징을 함께 제시 하여 공간구성을 위한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5.1 이용자 지향적 공간 5.1.1 이용자를 환영하는 도서관 이용자가 도서관 입구를 통하여 1층 로비에 들어서면 통제(Control) 를 받는 느낌보다는 환영(Welcome) 을 받는 느낌이 들도록 한다. 출입할 때 이용자의 심리적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고 작은 공간도 활용한다. Bailin(2011)은 The Help Zone 이라는 서 비스 공간에 이용자를 환영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나 터치스크린 키오스크를 설치하 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다가가야 한다고 하였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출입게이트 옆에서 경비원이 이용자의 출입을 주시하고 있다. 대 다수 출입자는 재학생이며 이용자는 출입게이 트에 다가와 가방이나 지갑에서 학생증을 꺼내 거나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학생증을 실행시킨 다. 이 순간 이용자는 바로 옆의 경비원으로부 터 감시와 통제의 느낌을 받을 수가 있다. E여자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정문에 들어서 면 좌측에 안내데스크가 있고 우측에 경비원 데스크가 있다. 경비원 데스크 앞을 먼저 지난 후 출입게이트가 있다. 경비원과 출입게이트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통제받는 느낌 을 최소화하였다. S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출입게이트의 출구 와 입구 사이에 안내데스크를 마련하고 자료실 이용시간에는 남녀 근로장학생을 배치하여 도 서관을 출입하는 이용자들(주로 재학생)에게 위압감보다는 친밀감을 주고 있다. 도서관 출입구 근처에 안내데스크(Information Desk)를 둘 경우, 사서를 비롯한 서비스인력의 눈이 이용자 눈높이에 있어야 하고, 사서가 1층 로비의 전반적 환경을 관리하고 제반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한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안내데스크가 대출 반납데스크 사이에 존재하여 대출과 반납이 이 루어지는 업무 특성상 주변이 어수선하여 이용 자를 따뜻하게 맞이하는 인상을 주기가 어렵다. 또한 안내데스크의 위치가 출입게이트를 지나 바로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문의가 쇄도하는 학기 초에는 출입게이트 공간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E여자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로비의 PC검 색대에서 이용자가 자료 검색 및 온라인 DB검 색을 하고 문의사항이 있으면 바로 앞쪽에 위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43 치하고 있는 정보검색 안내데스크의 사서에게 문의할 수 있도록 공간구성을 하였다. 사서는 듀얼모니터(한쪽은 사서, 다른 한쪽은 이용자 를 향함)를 사용해 도서관에서 자료 검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며 알려준다. 이곳은 2 명이 하루 8시간씩 배치되고 모든 사서가 일주 일에 한번 이상 근무한다. SKK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안내데스크는 대 출반납데스크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전 4시간은 훈련받은 근로학생이 오후 4시간은 주 제사서가 이용자에게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근로학생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의 사항을 가진 이용자는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사서가 즉시 응 대한다. 로비 공간은 도서관의 전반적 이미지를 좌우 하므로 쾌적하고 화사한 이용자 친화적 공간으 로 조성한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제1도서 관의 로비는 신축한 건물로 출입게이트를 지나 면 왼쪽은 IC 입구이고 오른쪽은 구관의 연결 통로가 이어지고 정면은 벽으로 막혀 있어 답 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때문에 제1도서관 구 관의 로비를 새롭게 단장하여 개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S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출입게이트를 지나 면 넓은 로비가 펼쳐지고 정면에 북카페를 꾸 몄다. 천장에는 밝은 조명을 설치하고 벽과 로 비에는 교내 미술관에서 대여한 미술작품을 적 절히 전시하여 전반적으로 화사하고 아늑한 이 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5.1.2 이용자그룹별 주제서비스를 강화한 도서관 사서의 전문적인 주제별 정보서비스, 정보상 담, 이용자 지원 등의 기능을 강화한다. 주제사 서 및 학과전담 사서를 통합적으로 한 공간에 서 근무하게 하여 상호 협력을 통한 정보서비 스를 향상하도록 한다. Mann(2001)은 도서관 의 전자 자료가 방대해지고 유비쿼터스적 접근 이 중요하지만 실물 자료에 대한 물리적 접근 은 여전히 도서관의 중요한 기능으로 미래에도 이러한 기능은 지속될 것이라고 하였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제1도서관 2층 예 체능 자료관, 어문학자료관, 3층 과학기술자료 관(연속간행물), 인문사회과학자료관(연속간행 물), 4층 과학기술자료관(단행본), 인문사회과 학자료관(단행본)으로 구분하고 각 자료관 연 결통로 근처에 주제사서 데스크를 배치하고 있다. E여자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로비 PC검색대 앞에 종합안내 역할을 하는 정보검색 문의 데스 크가 있다. 이곳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의를 가진 이용자는 바로 옆 정기간행물실에서 근무 하는 주제사서들에게 안내된다. 주제사서는 인 문, 사회, 자연, 신학의 주제사서들이 한 공간에 모여 있어 조사형 연구형 질의에 대해 주제사 서들이 협업해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고 문제해 결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 를 내고 있다. SKK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도서관 정문 바 로 왼쪽에 주제사서실을 배치하여 주제사서들 이 한 공간에서 모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보 와 노하우를 공유한다. 주제사서들은 매일 오 후 4시간동안 대출반납데스크 옆의 안내데스크 에서 이용자를 위한 대면( 對 面 ) 서비스를 하 고 있다. S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주제사서들이 한 사
14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무실에서 근무하고 협업을 하며 주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 단대 대상으로 2명의 주제사 서가 배치되어 사서의 휴가와 출장 등으로 인 한 공백을 최소화하고 있다. 안내데스크 업무 의 경우, 학기 중 가장 문의가 많은 3월 한 달로 한정하여 하루 8시간씩 로테이션 근무를 한다. 5.1.3 머물고 싶은 도서관 Bailin(2011)은 대학도서관이 미감을 높인 디자인으로 학생들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낼 수 있다고 한다. 편안한 느낌을 주고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은 이용자로 하여금 도서관에 대한 친 밀감을 더욱 느끼게 하는 주요 기제로 작용한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경우 최근까지도 이용자가 도서관을 독서실 (시험공부 등을 위하여 주로 열람실을 이용하고자 찾아오는 곳)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용자가 도서관을 진정한 의미 의 도서관 (다양한 연구/학습, 정보탐색, 독서, 문화 활동과 휴식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인 식하도록 공간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용자가 오래 머물고 싶고 편안하게 느끼도록 하 며 공간적으로 미감을 살려 시원한 시야를 확보 하고 동시에 작은 공간도 활용하여 쾌적하고 청 결한 공간이 되도록 한다. Shill과 Tonner(2004)은 신축 또는 증 개축 된 북미의 대학도서관 390개관을 조사하여 이러 한 대학도서관들이 자료실을 비롯한 기본 시설 공간이외에 이용자지향적인 다양한 공간을 건물 내에 배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공간으로는 회의실, 컴퓨터 실습실, 세미 나실, 멀티미디어제작실, 강의실, 교육용 기술센 터, 전시실, 강당, 휴게실, 논문작성지원센터 등 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공간의 증감 비율은 <표 6>과 같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제1도서관에 북카 페와 창가 좌석이 있기는 하나 서가 사이에 앉 <표 6> 기본적 도서관 공간 외에 다양한 서비스 공간을 설치한 도서관의 비율 설치 공간 설치 도서관의 비율(%)(n=173) 개축 전 개축 후 증감(%) 회의실 41.6 82.7 +41.1 컴퓨터 실습실 35.8 69.9 +34.1 세미나실 21.4 53.2 +31.8 멀티미디어제작실 18.5 45.2 +26.7 강의실 16.8 31.8 +15.0 교육용 기술센터(educational tech center) 10.4 26.0 +15.6 전시실(art gallery) 9.8 24.9 +15.1 강당 9.8 20.2 +10.4 휴게실(snack bar 또는 cafe) 7.5 32.4 +14.9 논문작성지원센터 6.9 6.8-0.1 기타 6.4 24.9 +18.5 연구소 1.7 5.8 +4.1 서점 1.2 4.0 +2.8 참고: (Shill and Tonner 2004; 차미경 2006 재인용)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45 아서 책을 볼 수 있는 곳이 없고, 도서열람을 하다가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제 2도서관에서는 휴식이 필요한 경우, 복도 공간 을 이용해야 하기에 쾌적하지 못하며 이는 각 열람실을 연결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 생하게 된다. Bailin(2011)은 소음이 다소 허용되어 토론 하며 학습하고 휴식하는 공간에서는 벽이나 천 장의 소재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마감재를 사용하고 커튼 등의 소품을 활용하여 공간을 구분해 주어야 한다고 한다. E여자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층별 자료실 공 간을 이용률에 따라 구성하였다. 즉, 가장 이용 률이 높은 장서를 이용자가 이용하기 쉬운 아 래층으로 배치하고 이용률이 낮은 장서를 위층 으로 배치하였다. 사무공간은 위층으로 옮겨 갔다. 이용자가 많이 다니는 동선 위치에는 서 가를 치우고 소파를 배치하여 휴식공간을 조성 하였다. 서가와 소파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공 간을 연출하고 있다. Y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지하 매점 옆에 음 료 반입이 가능한 24시간 PC휴게공간을 마련 하였고, 5층 열람실에는 남녀 구분하여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긴 소파를 설치하였다. 이 외에도 계단 복도 등 자투리 공간에 의자를 배치하는 등 도서관 곳곳에 앉아서 쉬고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SKK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장서가 차지하 는 공간을 줄이고 학생들의 휴식공간과 PC활 용공간을 늘렸다. 리모델링을 하면서 도서관에 이용자가 오고 싶도록 공간구성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 층마다 컬러테라피를 적 용해 층별 색상을 달리하였다. 2층 자료실은 초 록색, 3층 휴게공간은 주황색, 4층 자료실은 노 란색으로 하는 등 벽면 색상부터 층계의 색상 까지 전체 이미지를 통일하였다. 5.1.4 편리하고 쾌적한 도서관 이용자가 도서관 환경을 전반적으로 청결하 게 느끼도록 한다. 도서관의 제반 기능과 서비 스가 이용자의 입장과 눈높이에서 다가갈 수 있 도록 한다. 또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 하고 이용자요구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이용 자 친화적(User-Friendly) 공간이 되도록 한다. Bailin(2011)은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이 서로 만 나고 정보를 교류하는 장소임을 강조하였다. 즉, 도서관은 사회적 교류와 만남의 장소로서 다양 한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되어야 하고, 학생 들이 모여 일상을 공유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 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Y대학교 도서 관의 경우, 로비의 U-Board(전자 메모보드)를 통해 이용자들끼리 서로 메시지를 남기고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PC 공간, 멀티미디어 이용 공 간, 전자신문 열람 공간 등 다양한 공간을 구성 하고 만남의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이용자와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공간구성도 필요하다. Y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도서관 로비에 6개 언어 자판을 갖춘 PC를 다 수 설치하여 외국인 이용자를 지원하고 있다. S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엘리베이터와 가장 가 까운 곳에 장애자용 시설을 갖춘 실을 마련하 였다. 이러한 장애자실에는 자동문, 전화, 컴퓨 터, 저시력자용 모니터, 도서확대기, 소파, 사물 함 등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대학도서관 에서 열람실 한 부분을 파티션으로 구분하여 장애인 관련 편의기기들을 배치해 놓은 반면,
14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S대학교 도서관은 별도의 실을 갖추고 장애인 을 위한 아늑하고 쾌적한 공간을 구성하였다. 5.2 연구 학습 생태계 조성 5.2.1 공동학습 활동 지원 최근 대학생들의 학습활동이 다양한 방식의 공동학습(협업, Group Study)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를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에서 반영할 필요가 있다. Bailin(2011)은 호주 뉴사우스웨 일즈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서관에 필요한 공 간을 묻는 항목에 대해 학생들은 가장 많은 의 견으로 협업스터디가 가능하고 때로는 소음이 허용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고 소음이 허용되는 자유 로운 분위기의 라운지 같은 공간을 학생들이 필 요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호주 뉴사 우스웨일즈 대학교 도서관은 2 3층을 소음을 허용하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구성하여 학생들 이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이야기를 나누며 공동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Y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그룹스터디룸이 47 개이다. 사서들은 그룹스터디룸과 PC공간을 대폭 증설하면서 설치 이후 이용률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공간을 조 성한 이후 이용률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용 자를 이해하고 이용자 지향적 환경을 조성하면 수요는 그에 따라 창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SKK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중앙도서관을 리 모델링할 때 가장 중점에 둔 것이 PC공간과 그 룹스터디룸이다. 2층에 여러 그룹스터디룸을 전망 좋은 위치에 연이어 배치하고 각각의 좁 은 공간을 전체 유리벽으로 둘러싸 그룹스터디 룸 안팎으로 시원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 한 20명 정도가 함께 협업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하여 수업, 프리젠테이션, 토론 등도 가능 하게 하였다. 5.2.2 이용자의 다매체 학습 정보추구 활동 지원 대학생들이 종전의 인쇄매체 뿐만 아니라 디 지털과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자기학습 또는 공동학습을 하 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고려하는 도서관 내 부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이용자가 가장 접근하 기 쉬운 곳에 인포메이션 커먼스를 둔다. Bailin (2011)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도서관은 컴퓨터, 무선인터넷, 프로젝터, 프린트, 복사기, 스캐너, 터치스크린 게시판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야 한 다고 한다. 또한 이용자에게 컴퓨터를 많이 제공 하고, 가급적 노트북의 대여서비스도 제공할 필 요가 있다고 한다. P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IC 공간은 최신 일 체형 컴퓨터와 대형 모니터로 학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IC내에 PC가 부족하다. Y대 학교 도서관의 경우, IC공간은 로비에서 가장 접근하기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IC에는 협 업실, 과제수행코너, 학술정보검색코너, 인터넷 검색코너, 노트북코너가 있는데 모두 한 공간 에 도열하고 있으며, 모든 코너에 PC가 설치되 어 있다. SKK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로비에 들 어서면 정면에 킹고존 이라는 인터넷과 PC를 활용하는 공간이 있어 인터넷 강의 수강, 과제 수행 등을 할 수 있다. 북카페와 인터넷존을 혼 합한 개념의 킹고카페는 IC 역할을 하며 글쓰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47 기 클리닉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5.3 대학의 상징으로서의 도서관 국내 유수 대학도서관들은 대학의 상징이자 자부심을 나타내는 랜드마크(landmark) 로 우 뚝 서 있다. 이러한 도서관들은 대학의 자긍심 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외 유명 인사들이 대학을 방문할 경우 각종 행 사를 도서관에서 하거나 방문코스에서 도서관 을 거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도서관은 전 시 공연 등 문화공간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 대 학 내 상징적인 문화복합공간으로 위상을 강화 하고 있다. Y대학교 도서관의 경우, 약 600억 규모의 학술정보관을 기존의 중앙도서관 뒤편에 설립 하고 중앙도서관도 96억 규모의 예산을 투입 하여 리모델링하였다. SKK대학교는 수원캠퍼 스에 약 600억 규모의 삼성학술정보관을 2009 년 개관하였고 중앙도서관을 2011년에 증축하 였다. E여자대학교의 경우, 중앙도서관의 공간이 부족하자 신축한 ECC건물에 1인용 캐럴을 비 롯하여, 열람실 공간을 다량 확보하고, 휴게공 간인 수면실까지 갖추어 개관하였다. S대학교 도서관도 리모델링으로 도서관 로 비에 북카페 및 스터디룸을 조성하였다. 이들 도서관은 학생들의 정보요구, 최근 학습행태, 심미적 요구에 적극 부응하여 대학의 문화공 간이자 랜드마크로 부상하고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은 물론 교수 및 연구자들도 도서관을 찾아와 연구하고 휴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6. 결 론 대학도서관의 소명(mission)은 대학의 학문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학도서관 은 학자들과 학생들의 연구 및 학습 활동이 원 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서관 공간을 구성하 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는 P대학교 도서관을 주된 사례로 하고 국내 주요 사례들을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21 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한국 대학도서관 공 간구성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P 대학교 학부생과 대학원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 하여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이용자의 요 구사항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하여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외국 사례들도 함 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종합적인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의 방향 을 항목별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 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용자의 입장에서 본다. 이용자를 통 제하기보다 환영하는 분위기를 고양하도록 한 다. 이용자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도서관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한다. 즉, 도서관 을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거듭나게 한다. 학생 들에게 대학도서관이 시험공부를 위해 자리를 차지하고자 가야 하는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자료탐색, 독서, 그룹스터디(협업), 멀티미디어 활용, 휴식을 통하여 자아성장을 할 수 있는 공 간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둘째, 이용자의 연구 학습 행태를 반영한 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이용자들은 종 전과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찾고 학습 한다. 과거의 암기 방식보다 다양한 매체와 경
14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로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고 협업(group study, seminar)을 통하여 과제를 수행하고 토론을 진 행하고 지식을 소화한다. 그러므로 대학도서관 은 이용자의 협업 활동을 지원하고 디지털 환 경의 다매체 학습 정보추구 활동이 가능한 공 간을 구성한다. 셋째, 대학의 상징으로 도서관을 정립한다. 도서관을 대학의 학술광장이자 복합문화공간 으로서 기능하는 대학의 상징으로 부상하게 한 다. 대학도서관은 대학생들이 각자 속한 조직 이 위치한 건물 외에 가장 많이 접근하는 학내 공간이다. 또한 대학의 기본시설로서 다양한 목적으로 외부에서 도서관을 방문한다. 이러한 도서관을 전시 공연 국제회의 등을 개최하 는 문화복합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아울러 대학의 랜드마크로 정립한다면 대학도 서관의 위상을 강화하고 대학구성원의 자긍심 을 한층 고양시킬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유수 대학도서관들을 사례로 하기에 한국 대학도서관 전체에 적용하 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 한 공간과 예산의 문제로 대학도서관 운영에 애로를 겪고 있는 대다수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간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이다. 국내 대부분의 대학이 부 족한 예산으로 공간 구성 및 운영에 제약을 받 고 있다. 공간 구성 및 재배치의 목적은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데에도 있지만 기존 공간을 정비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적극 부응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한국 대학도서관이 각자의 여건에서 정보환경과 이 용자 요구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도서관 공간 구성 전략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도서관 마케팅을 하고자 할 때 이 연구의 결과가 참조 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곽동철. 2006.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발전전 략 및 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 문헌정보학회지, 40(4): 141-164. 곽철완, 곽동철, 노동조, 노영희. 2008. 대학도 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 보학회지, 42(2): 147-170. 남영준, 문정현, 이현정. 2009. 대학도서관 리모델 링 전 후의 공간구성에 관한 이용자 만 족도 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205-222. 박인웅. 2003.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4(1): 331-349. 스티븐 랭미드, 마다에트 벡먼. 1994. 새 도서 관 설계: 대학도서관 건축계획 지침. 이병목 옮김. 서울: 구미무역. 신현수, 이상호. 1998. 정보환경조건에 따른 대 학도서관의 공간변화 추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18(1): 59-66.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149 오동근. 2002. 대학도서관이용자 불평행동의 영 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구경북지 역 대학생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헌 정보학회지, 36(4): 123-145. 유아름. 2010. 대학도서관의 고객만족 진단과 평가에 관한 연구: C대학도서관을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 원, 문헌정보학과. 유양근. 2005.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6(3): 189-211. 윤희윤. 1996. 대학도서관 경영론. 서울: 경 인문화사. 이용재. 1999.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주제서비스 의 현단계.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0(3): 385-404.. 2002. Management Skills for Academic Libraries in the Digital Age. 한국문 헌정보학회지, 36(4): 293-309.. 2002. 주제화를 통해본 한국 대학도서 관의 현단계. 서울: 한울.. 2003.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4(3): 51-66.. 2004. 21세기 한국 대학도서관의 현단 계와 발전전략. 국립중앙도서관 500만 장서 달성 기념 학술대회, 2004년 9월 15일.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이춘실. 2006. 대학도서관 리모델링의 방향: 숙 명여자대학도서관의 증축 및 리노베이 션. 대학 e-campus 대회, 2006년 6 월 21 22일. 부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춘오. 2005. 대학도서관의 공간 재배치에 관 한 연구: H여자대학 도서관의 리모델링 과 관련하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 교 교육대학원. 전명숙. 2003. 21세기 도서관 정보센터 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291-301. 정재영, 남태우. 2004. 21세기 대학도서관의 주 제별 자료실 조직모형 연구. 한국문헌 정보학회지, 38(1): 173-197.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적용 모형 연구. 한국 도서관 정보학회지, 38(3): 201-221.. 2009. Information Commons기반 하이 브리드(Hybrid)도서관 모형 개발에 관 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59-73. 정현태. 2003. 콜럼비아대학교 에이브리 건축 및 예술도서관. 대한건축학회지, 47(8): 33-38. 주정준, 김치환, 정의용. 2007. 도서관 리모델링 의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 논문집, 23(8): 67-87.. 2007. 대학도서관 리 모델링 전 후의 공간구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7): 107-116. 차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 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325-343. 캐롤 브라운. 2004. 살아있는 도서관을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 양영완 옮김. 서울: 국제.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15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2 한국도서관협회. Bailin, Kylie. 2011. Changes in Academic Library Space: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2(4): 342-360. Bennett, Scott. 2005. Righting the Balance, Library as Place: Rethinking Roles, Rethinking Space.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Publication, 129. [online]. [cited 2012.5.1]. <http://www.clir.org/pubs/abstract/ reports/pub129>. Colleges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Group, Library Association. 1999. Guidelines for College and Polytechnic Libraries, 4th ed. London: Library Association. Crawford, Walt. 1999. Library Space: The Next Frontier? Online, 23(2): 61-66. Lawson, Karen. 2004. Libraries in the USA as traditional and virtual third places. New Library World, 105(3/4): 125-130. Littleton, Dawn and M. Rethlefsen. 2008. Library Learning Space: Empirical Research and Perspective. Medic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27(3): 313-321. Boone, Morell D. 2004. The Way Ahead: Learning Cafés in the Academic Marketplace. Library Hi Tech, 22(3): 323-327. Oldenburg, Ray. 1999. The Great Good Place, 3rd ed. New York: Marlowe & Company. Shill, H. B. and S. Tonner. 2004. Does the Building Still Matter? Usage Patterns in New, Expanded, and Renovated Libraries, 1995-2002.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65(2): 12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