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영상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Untitled-1

CC hwp

10월추천dvd

* pb61۲õðÀÚÀ̳ʸ

ÃѼŁ1-ÃÖÁ¾Ãâ·Â¿ë2

2003report hwp

¾ç¼ºÄÀ-2

hwp


2002report hwp


01¸é¼öÁ¤

글청봉3기 PDF용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01정책백서목차(1~18)

sk....pdf..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³»Áö_10-6

피해자식별PDF용 0502

*12월영상 내지<265턁

¾Æµ¿ÇÐ´ë º»¹®.hwp


....pdf..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Jkafm093.hwp

Ä¡¿ì_44p °¡À» 89È£

~

(012~031)223교과(교)2-1

0.筌≪럩??袁ⓓ?紐껋젾 筌

CR hwp

더바이어102호 01~09

02 THEATER 04 NEWS 05 PEOPLE 06 REVIEW 12 SPECIAL 14 SPECIAL 15 SPECIAL 16 COLUMN No ~10.24 NEXT plus NEXT plus NEXT plus NEXT plus

기본소득문답2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CC hwp

장애인건강관리사업

CC hwp

197

77

03 ¸ñÂ÷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관람가, 12세 이상 관람가, 15세 이상 관람가, 청소년 관람불가, 제한상영가로 분류하 고 있고, 같은 조 제7항은 위 상영등급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건전한 가정생활과 아 동 및 청소년 보호에 관한 사항, 사회윤리의 존중에 관한 사항, 주제 및 내용의 폭력 성 선정

09³»Áö

750 1,500 35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ad hwp

#7단원 1(252~269)교

#遺€?됱궗?뚮뱾168?

<35B9DAC1F6BCF62CC0CCBFECC8C62CB7F9B5BFBCAE2E687770>

2ÀåÀÛ¾÷


ÆÞ¹÷-Æîħ¸é.PDF

2015년9월도서관웹용

- 2 -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연구노트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A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tudents' Design Contest for Making livable community building of Seoul* Woongkyoo Bae* Taegyu Park 요약 주제어 ABSTRACT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3¿ù.PDF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2006¹é¼Ł¹ß°£»ç1

쓰리 핸드(삼침) 요일 및 2405 요일 시간, 및 요일 설정 1. 용두를 2의 위치로 당기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를 설정합니다. 2. 용두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전날로 요일을 설정합니다. 3. 용두를 3의 위치로 당기고 오늘 와 요일이 표시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연합뉴스) 마이더스

_¸ñÂ÷(02¿ù)


**09콘텐츠산업백서_1 2

목 차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참가 자격 한국어부문의 경우, 만 18세에서 30 세 이하(1983년 1월 1 일~1995년 12월 31 일 출생자) 로 국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국적에 관계없이 참가할 수 있습 니다. ( 대학( 원) 생 포함, 영어부문 참가자는 영문공지문 참조) 박사학위소지

Microsoft Word - 03장인선4월호특집)-6차수정


È޴ϵåA4±â¼Û

나하나로 5호

ROK-WhitePaper(2000).hwp

pdf

ITFGc03ÖÁ¾š

(중등용1)1~27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212 영상기술연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뉴 뉴웨이브 세대란 60년대 일본의 영화사에서 과거세대와는 단 절된 뉴웨이브 의 흐름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뉴웨이브 세대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뉴 뉴웨이브 세대로 불린다. 뉴 뉴웨이브 세대 감독들의 경향은 개인적이고 자유분


º´¹«Ã»Ã¥-»ç³ªÀÌ·Î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내지(교사용) 4-6부

소식지수정본-1

%±¹¹®AR

win8_1±³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Tran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05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달팽이의 별>을 중심으로 * 김혜원* 이지은** Ⅰ. 들어가며 Ⅱ. 국내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의 필요성과 제작현황 ⒈ 배리어프리영화의 필요성 ⒉ 국내 배리어프리영화의 제작현황 Ⅲ. <달팽이의 별>을 통해본 이상적인 배리어프리의 화면해설 표현양식 Ⅵ. 나가며 Ⅰ. 들어가며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는 복지적 관점을 넘어서 인권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문화예술은 누구나 표현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기 때문이다. 1) 헌법 제10조에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 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 인이 가지고 있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 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민은 누구나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할 주체로서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행복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또한 2008년에 시행된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 률도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고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 김혜원 :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전임연구원, 논문투고일 : 2013.10.31. 심사완료일 : 2013.11.29. 게재확정일 : 2013.12.06. ** 이지은 : 호서대 영상미디어학과 겸임교수, 동국대 문화콘텐츠학과 박사수료 1) 윤덕경,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체와 그 가능성, 한국무용연구,한국무용연구 회, 29권 3호, 2011, p.1-21.

106 차별을 예방하고 금지하고 있다. 이 법에서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도록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정당한 편의'란 장애인이 장애가 없는 사람과 동등하게 같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남성장애 인과 여성장애인을 고려하고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과 같은 장 애유형과 중증장애인과 같은 장애정도도 고려한 편의시설 설비 도구 서비스 등 인적인 제반수단과 물적인 제반수단 그리고 이에 따른 모든 조치를 의미한다. 2) 따라서 문화예술 활동은 각각의 인간 존엄성에서 비롯하여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며 삶의 질을 결정짓는 자아실현의 참 여와 관련되며 이는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문화예술 활동 역시 차별받 지 말아야할 가치 있는 인격적 활동인 것이다. 3) 본 연구는 이런 장애인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문화예술 분야에서 시 청각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영화나 연극, 뮤지컬, 현대무 용 등의 무대예술공연 및 전시회 등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출발한다. 시청각 장애인들이 영화, 공연, 전시회 관람을 할 경우에도 일반 관람객에 근접한 수준의 몰입과 정보 전달을 위해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음향정보(음악, 대사 등)뿐만이 아니라 시 각적인 상황을 묘사하는 추가적인 음성 정보(화면해설)를 동시에 제공 받아야 비장애인들과 한 공간에서 비슷한 수준의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중 영화분야에서의 시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및 자막처리, 즉 배리어프리(barrierfree)영화의 국내 제작현황과 더불어 실제 영화 사례를 통해 배리어프 리영화의 표현양식을 고찰하려한다. 배리어프리 란 고령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도 살기 좋은 사회 를 만들기 위해 건축이나 도로, 공공시설 등과 같은 물리적 장벽뿐 아 니라 자격 시험 등을 제한하는 제도적 장벽을 허물기 위해 실시하는 운 동이다. 이 용어는 1974년 6월 국제연합(UN)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 2)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규제 등에 관환 법률, 보건복지부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환 법률, 보건복지부 3) 윤덕경,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체와 그 가능성, 한국무용연구,한국무용연구 회, 29권 3호, 2011, p.1-21.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07 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 설계에 관한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건축학 분 야에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 이후에는 물리적 제도적 인 배리어프리는 물론 사회 곳곳에 만연한 고령자 및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없애자는 운동으로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영화 영역 에서 배리어프리(barrier-free) 라는 용어와 개념은 말 그대로 장벽으 로부터 자유롭다는 의미이다. 즉 영화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 비주얼'과 '사운드'이며 시각 혹은 청각장애인들에게 영화를 관람하는 가장 큰 장애 요인이 바로 비주얼과 사운드가 장벽이 되며 이를 극복 하게 해주는 방법으로서 시각장애인들에게는 화면해설의 음향이, 청각 장애인들에게는 자막이 바로 그들을 장벽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는 방 법들인 것이다. 그동안은 배리어프리영화 대신에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4) 및 자막영화 라고 지칭되었다.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및 한글 자막은 2000년 제1회 장애인 영화제에서 3편의 화면해설영화가 상영 되면서부터 시작되었지만 배리어프리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부터이다. 5) 그리고 2012년 에서야 <달팽이의 별>이 한국영화로서 최초로 일반영화와 배리어프리 버전의 극장 동시 개봉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배리어프리영화의 발전도 초기 단계이고 이에 대한 연구 역 시 전인미답의 개척지여서 학문적인 연구보다는 포럼이나 심포지엄 형 태의 담론들을 형성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상황에서 배리어프리영화 연구를 시작한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본 연구가 극장 용 배리어프리영화의 현주소를 살펴봄과 동시에 제작현황을 고찰함으 로써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영화관람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인 식시켜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가 확산되는 계기가 된다면 그보다 더 의미있는 일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리어프리영화의 필요 4) 시청각장애인을 의식하지 않고 화면해설 한글자막 이라고 한다면 방송출연자들의 코멘트 의 자막나 비장애인을 위한 해설방송, 내레이션을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화면 해설은 시청각장애인의 작품 감상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감상을 위한 해설 을 화면해설 이라고 부르겠다. 5) 박아네스, 배리어프리영화, 모두 같이 보는 영화가 좋다!, 한국영화, pp.20~23

108 성과 제작현황, 그리고 이상적인 표현양식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인과 비 장애인이 동등하게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성숙한 사회적 분 위기를 확립해 나가는 데 일조하는 동시에 배리어프리영화연구의 첫 걸음으로서 기여하고자 함이 가장 큰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장애인의 문화예술관람 향유권에 관한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혹은 서비스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보고서는 이 분야 연구의 당위성을 주장하기 위해 우리나라 헌법 에서부터 출발한다. 우리나라 헌법에는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며 이를 즐기면서 행복한 삶을 향유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이 잘 표기되어 있다. 또한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이하 편의 증진법 ), 장애인 복지법, 문화예술진흥법 등의 편의제공을 규정한 법규로 장애인들이 문 화예술 시설을 비장애인들과 차별 없이 이용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보건복지부의 한국보건사 회연구원에서 조사한 보고서 6) 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조사한 공공 문화예술기관 장애인서비스 개선방안 보고서 7) 를 통해서 장애인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사)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시민연대에서는 장애인 영화관람 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8) (2012)를 통해 장애인의 영화 관람에 대한 욕구가 높은 반면 장애인 관람석의 위치, 장애인용 화장실, 점자블록 설치 현황, 자막 및 화면해 설 상영실태 등은 매우 열악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이런 보고서를 제외하면 장애인 문화예술참여와 문화복지에 관한 연 구는 당위성과 필요성 차원에서 무용공연 중심 9) 으로 이루어지고 있 다. 윤덕경(2011) 10) 은 장애인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제와 그 가 6)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1-82, pp.320-321 7) 공공 문화예술기관 장애인 서비스 개선방안 기본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21, p.ⅷ 8) 장애인 영화관람 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사)장애물없는 생활환경시민연대, 2012, pp.2~51 9) 윤덕경, 장애인 문화복지를 위한 무용공연의 기여,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예술문화논 총, vol.11, 2002, pp.79~90 10) 윤덕경,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체와 그 가능성, 한국무용연구,한국무용연구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09 능성 연구에서 장애인의 문화예술 관람에 앞서 장애인 문화예술의 참 여에 대해 정책적으로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인 접근권을 강화 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백현순(2011) 11) 은 문화복지 차원에서 장애인들의 문화예술 복지정책과 무용공연의 활성 화가 이뤄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및 서비 스에 관한 연구는 공연의 극장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등을 중 심으로 실태파악 위주 12) 로 이루어지고 있다. 김인순 외(2012)의 연 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공연문화 조성에 장애를 초래하고 있으며 공연 을 충분히 관람하기 어려운 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영역측면의 편의제공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장애 유형별로 대체할 수 있는 감각(청각장애인의 경우 시각화자료 및 진동 등, 시각장애인의 경우 청각 및 촉지자료 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 도록 설비 및 인적서비스 등의 편의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라는 문제점 을 지적했다. 13) 이런 상황에서 국내 공연장들의 장애인 편의시설은 1998년 관련 법 개정 이후 많은 개선이 있었으나, 공연 관람의 질적 인 측면 즉, 장애인의 공연 관람 만족을 위한 연구 및 극장관람에 관 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방송에서의 화면 해설에 관한 연구로는 장애인 의 방송접근권 확대 및 강화를 위한 정책부문 개선방안 연구(송종 길 14), 2003; 김호연 15), 2009; 이준호 외 16), 2011)와 화면해설 표 회, 29권 3호, 2011, p.1-21. 11) 백현순, 장애인의 문화예술복지 정책과 무용공연 활동, 한국스포츠지학회, 제9권 4호, 2011, pp.177`187. 12) 이성훈, 박광범,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박물관건축계획에 관한 연구-시각장애인의 박물관 이 용실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창립60주년기념 학술발표논문집, 제25권 제1호(통권 제49집), 2005, pp.33~38. 13) 김인순, 이규일, 안성준, 공연시설의 정당한 편의제공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 학회, 의료 복지 건축, 18권 2호, 2012, pp.45-54. 14) 송종길,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방송학뢰, 방송통신연구, 2003년 겨울호, pp147~178, 15) 김호연, 장애인 방송접근권 연구:시각장애인의 화면해설방송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25권 4호, 2009. pp.85~105, 16) 이준호, 유승관, 장애인방송 접근권 향상을 의한 개선방안 연구-수신환경 실태조사와 심층인 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23호,

110 현 체계에 대한 공학적 시스템과 언어적 표현(하종원 외 17), 2013; 나준기 18), 2013; 장인선 외 19), 2013)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전자의 연구는 정보격차와 커뮤니케이션의 소외로부터 시청각 장애 인들이 벗어나도록 장애인들의 방송 접근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필요성 에서 출발하여 장애인의 방송수신 환경이 개선되어야 하며 장애인 방 송접근 서비스 확대 방안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후자의 연구 들은 화면해설의 방법론 부분에서 장애인이 화면해설을 통해 비장애인 이 이해하는 수준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는 최상의 기술공학적 방법이나 언어적 표현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 다. 아직은 방송 화면해설의 역사가 길지 않아 이와 관련된 연구 역시 일천한 상황이나 극장용 화면해설 영화(이하 배리어 프리영화라 지칭 하겠다)에 비해서는 그나마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그 러나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에 관한 연구는 화면해설 방송과 배리어 프리영화의 이해를 돕는 연출방법 연구 정도로 이 연구도 방송용 화 면해설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어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에 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 개척되지 않은 배리어프리영화연구의 첫 걸 음으로서 국내 제작현황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제작 이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이상적인 표현양식은 무엇인지 실제사례 <달팽이의 별>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달팽이의 별>을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극장동시 개봉된 국내 최초의 배리어프리영화라 는 것이 첫째 이유이고 두 번째는 배리어프리영화로서는 가장 이상적 인 영화라는 평 20) 과 더불어 극장 개봉시 비장애인도 배리어프리영화 를 즐겼으며 오히려 화면해설이 없는 버전보다 더 좋은 반응을 얻었기 2011.112.31, pp263~298, 17) 하종원, 송종현, 화면해설방송의 표현체계에 대한 연구-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연구회, 시각장애연구, 29권 1호, 2013, pp.97~128. 18) 나준기, 화면해설 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이해를 돕는 연출방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3, pp.54~58. 19) 장인선, 임우택, 안충현, 화면해설 오디오/자막 기반의 무 대사 구간 검출, 한국방송공학 회, 한국방송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1, 2013년, pp.79~80. 20) 남기훈, "복기칼럼-배리어프리영화 달팽이의 별, 배움스타일/지식나눔 PLUS, 2013/ 02/07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11 때문이다. Ⅱ. 국내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의 필요성과 제작현황 1. 배리어프리영화의 필요성 장애인의 문화향유권은 생존권만큼이나 중요하다. 국제적으로 장애인 문화예술과 관련한 주요 법, 제도는 유네스코 세계문화보고서(문화권의 신장) 및 세계인권선언(문화생활에 관한 권리)이 있어서 장애인이 비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문화복지를 누릴 수 있는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 고 있다. 우리나라 헌법 제11조 1항은 누구든지 성별 종교 또는 사회 적 신분이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차별 을 받지 아니한다 고 규정하고 있으며 장애인 복지법에는 누구든지 장 애를 이유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장애인을 차 별하여서는 아니된다. 고 문화생활에서의 장애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1998년에 제적된 장애인 인권헌장 제7조에서는 장애인은 문화 예술 체육 및 여가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고 명시하고 있다. 장 애인에게도 비장애인과 차별받아서는 안 되는 문화향유권이 있음을 이 야기하는 것이다. 문화향유권이란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직업을 갖고 일하는 것 외에 창조적이고 여유로운 삶의 질을 누리고자 하는 인간만 의 독특한 욕구이며 기본 권리이다.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며 이를 즐 기면서 행복한 삶을 향유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은 우리나라 헌법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장애인차별 금지법,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 의 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21) (이하 편의 증진법 ), 장애인복지법, 문화 예술진흥법 등의 편의제공을 규정한 법규로 장애인들이 문화예술 시설 을 비장애인들과 차별 없이 이용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중 문화예술의 관람시설에 대한 편의증진과 관련된 21)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환 법률, 보건복지부

112 법규로는 장애인차별금지법과 편의증진법이 있으며 문화예술시설에 대 한 정당한 편의제공은 동법 시행령 제11조 및 12조에서 편의증진법 대상시설별 설치기준을 준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24조의 문 화예술 활동에 대한 차별금지에 관하여는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2). 이에 따라 영화관 등 문화시설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으며(제4 조), 2015년부터는 스크린 기준으로 300석 이상의 좌석을 가진 영화 관에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한다(24조)고 규정하고 있다. 이렇듯 장애인문화권과 관련하여 많은 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이유는 장애인이 장애와 상관없이 문화예술을 관람하고 이용할 수 있 는 환경 조성이야말로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길이며 장애인이 반드시 혹은 당연히 가져야 할 인간의 권리이며 인격적 활동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애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문화예술 관람을 위한 편의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23) 에서 장애인들의 문화 및 여가활동 중 지난 1주일 동안 참여 여부 에서 감상 관람(연극, 영화 등)이 전체의 6% 밖에 차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 및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 는 불만족이 전체의 65.5%나 되었다. 장애아 동청소년의 경우에 장애유형별로 교육하기를 바라는 문화예술 활동분 야 중 연극/영화 관련분야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음 24) (한국사회복지정 책연구원, 2009, P.108)에도 불구하고 이 영역의 문화예술관람 경험 이 6%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장애인들의 문화예술 관람은 장애인차별금지법과 편의증진법이 있음에 도 불구하고 편의시설 및 서비스의 미비로 인해 많은 부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각장애인에게 문화예술 영역에서 보고 즐기는 관람 은 불가능하다. 22) 김인순, 이규일, 안성준, 공연시설의 정당한 편의제공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 학회, 의료 복지 건축, 18권 2호, 2012, pp.45-54. 23)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1-82, pp.320-321 24) 윤덕경,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체와 그 가능성, 한국무용연구,한국무용연구 회, 29권 3호, 2011, p.1-21.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13 소리는 들을 수 있지만 영화나 공연, 전시회 등의 관람은 화면해설 서 비스 25) 가 없으면 전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외국 영화나 외국인이 직접 공연하는 투어뮤지컬의 경우 청각장애인은 한글자막처 리기 또는 '골도기기'를 설치하면 음향을 얼마든지 감지할 수 있다. 골 도기기 란 귀의 고막을 통한 소리전달이 아닌 소리를 감지하는 뇌로 바 로 연결하여 음향을 느끼게 하는 기기를 말한다 26). 하지만 시각장애인 은 화면해설 서비스가 없고 그 외국어를 알아들을 수 없다면 어떤 내 용인지 전혀 알 수 없다. 선진복지국가에서는 이미 장애인 문화복지시 설로, 청각장애인들에게는 영화나 연극을 관람할 수 있는 문자자막처 리기'나 '골도기기'가 설치되어왔으며 시각장애인들에게는 '화면해설서 비스'를 의무적으로 설치해두도록 하고 있다 27). 현재 방송은 2011년 12월 장애인방송 편성 및 제공 등 장애인 방송접근권 보장에 관한 고 시 를 제정하여 중앙지상파 방송사와 보도 및 종합편성채널에서는 각 각 2014년과 2016년까지 전체 방송프로그램의 10%를 화면해설방송 으로 편성하도록 의무화되었으며 케이블 및 IPTV사업자에도 2016년 까지 5~7%의 의무편성이 규정되었다 28). 그러나 극장용 화면해설은 의무화되기까지는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2015년에 300석 이상 규모 의 영화관에서 자막과 화면해설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29) 고 하지만 멀 티플렉스로 인해 그 규모의 영화관이 거의 없는 게 현실임을 감안한다 면 유명무실한 정책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영화관 람환경 개선은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25) "화면해설서비스(DVS:Descriptive Video Service)란 시각장애인들이 프로그램, 영화 및 비디오 같은 시청각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즉 시각장애인이 볼 수 없기 때문 에 이해할 수 없는 자막, 행동, 몸짓, 배경 등 장면의 상황변화 요소를 설명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임상철, 시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 서비스 실시방안 연구, 대한인간공 학회,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0-2, 2000, pp.1-6. 26) 윤덕경, 장애인 문화복지를 위한 무용공연의 기여",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예술문화논 총, vol.11, 2002, pp.79-90 27) 나준기, 화면해설 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이해를 돕는 연출방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3, pp.54-58. 28) 나준기, 화면해설 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이해를 돕는 연출방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3, pp.54-58. 29)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규제 등에 관환 법률, 보건복지부

114 2. 국내 배리어프리영화의 제작현황 배리어프리(Barrier-free)영화란 말은 말 그대로 영화 속에 있는 장벽을 없애자 는 측면에서 접근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지금껏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서비스를 진행해왔다 30). 배리어프리영화는 오픈 방식과 폐쇄 방식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 영화에 화면해설과 자막을 모두 넣고 이를 오픈해서 다같이 보는 것이 오픈 방식이며 폐쇄 방식은 전용단말기나 휴대폰 등 을 통해 자막서비스를 받거나 이어폰으로 FM라디오를 통해 화면해설 을 듣는다 31). 오픈 방식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함께 선택의 여지없이 관람해야 하기 때문에 영화적 완성도가 중요하며 폐쇄방식은 수용자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막이나 해설을 선택할 수 잇다는 장점이 있다. 배리어프리의 개념이 도입되기 전 시청각 장애인들의 방송 및 영화 관람을 위한 서비스는 화면해설 및 한글자막 이라 지칭되었다. 화면해 설이 국내에 처음 도입된 것은 지난 1999년으로 미국의 WGBH 재단 산하 장애인방송 센터를 벤치마킹하면서 부터이다 32). <표 1>에서 보 는 바처럼 국내에서는 2000년도에 영화와 TV 방송분야가 동시에 화 면해설 작업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방송분야의 화면해설이 더욱 빠르게 급성장해서 2005년에는 지상파 3사가 모두 본격적으로 화면해설을 실 시하고 지상파의 낮방송이 인정되면서 화면해설이 확대 실시되었고 화 면해설방송물의 제작시스템이 구축되었다. 2010년까지 지속적으로 화 면해설방송이 확대되었으며 2011년에 이르러서 방송통신위원회 장애 인방송 고시 를 통해서 장애인 방송이 의무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시각 장애인 협회에서는 방송에 상영되는 영화의 화면해설과 자막을 이미 제작해오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3년 중반기까지 제작한 영화만도 550여 편이 넘는다. 30) 박아네스, 배리어프리영화, 모두 같이 보는 영화가 좋다!, 한국영화 2012년 12월호, pp.20-24. 31) 박아네스, 배리어프리영화, 모두 같이 보는 영화가 좋다!, 한국영화 2012년 12월호, pp.20-24. 32) 한국시각장애인협회 미디어접근센터장 황덕경, 서면인터뷰(2013.08.16)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15 연도 2000 2001 2002 2003 방 송 영 화 사업내용 주체 사업내용 주체 -시각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방안 연구 -MBC<전원일기>화면해설 제작 -MBC<전원일기>화면해설 제작 -MBC<우리집>화면해설 제작 - 장애인 방송접근권 관련 세미나 -시각장애인 화면수신기(DVS) 보급사업(1000대) -MBC<6mm세상탐험> 화면해설 제작 -KBS<대추나무사랑걸렸네> 화면해설제작 -KBS<대추나무사랑걸렸네> 화면해설제작 -시각장애인화면수신기(DVS)보급 사업(1000대) 방송위원회 행자부 자부담 행자부 자부담 방송위원회 자부담 자부담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 -제1회 장애인영화제 화면해설 영화 상영(3편) - 장애인 영화접근권 확대를 위한 모색 공청회 -제2회 장애인영화제 화면해설 영화 상영(7편) -제3회 장애인영화제 화면해설 영화 상영(7편) -제4회장애인영화제 화면해설영화 상영(8편) -부산국제영화제화면해설영화상영 장애인 영화제 장애인 영화제 장애인 영화제 장애인 영화제 부산 영화제 2004 -KBS<대추나무사랑걸렸네>화면 해설제작 -시각장애인화면수신기(DVS)보급 사업(1800대) -시각장애인화면해설방송물 보급 사업(246편제작) 자부담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 -제5회장애인영화제 화면해설영화 상영(8편) -부산국제영화제화면해설영화상영 (20편) 장애인 영화제 부산 영화제 2005 -현재지상파3사화면해설제작 -지상파낮방송허용하면서 화면해설 확대 -시각장애인화면해설수신기(DVS) 보급사업 -시각장애인화면해설방송물 보급사업(793편제작) -장애인방송접근센터 설립 -화면해설방송물제작시스템 구축 -자막방송전문요원 양성을 위한 훈 련계획수립 -자막방송용솔루션 개발실시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 SBS SBS SBS SBS -제6회장애인영화제 화면해설영화 상영(20편) 장애인 영화제

116 2006 -시각장애인화면해설수신기(DVS) 보급사업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123편)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 -제7회장애인영화제 개최(15편) 장애인영 화제 2007 -화면해설방송표준화마련을 위한 모니터사업(190편) -화면해설방송제작 지침마련을 위한작가교실운영 자부담 자부담 -제8회장애인영화제 개최 영화진흥 위원회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181편) -시각장애인화면해설수신기 (DVS)보급사업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222편)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292편)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375편)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607편) -중앙지상파TV화면해설제작 (3,238편) -EBS수능화면해설방송물제작 -화면해설작가보수 및심화교실 운영 -화면해설작가교실 운영 -중앙지상파 TV 및 OBS, 종합보도 채널(MBN, JTBC, 채널A) 화면해설 제작 방송통신 위원회 방통위 방통위 -인디다큐페스티벌 화면해설제작 -장애인인권영화제 화면해설제작 -장애인인권영화제 화면해설제작 -서울인권영화제 화면해설제작 -서울인권여성영화제 화면해설제작 -인디다큐페스티벌 화면해설제작 자부담 자부담 자부담 자부담 자부담 자부담 방통위 -(국내 최초뮤지컬화면해설제작) 문체부 방통위 방통위 방통위 방통위 자부담 자부담 방통위 <표 1> 화면해설연혁 33) -시청각장애인을위한화면해설 및 자막영화제작 -시청각장애인을위한영화관람사업 -배리어프리영화사업 영화진흥위원회와공동주관 -사단법인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발족 -<달팽이의별> 배리어프리영화와 동시개봉 -시청각장애인을위한영화관람사업 진행 문화체육 관광부 CJ_CGV 배리어 프리영화 추진위원 회 CJ_CGV 이에 반해 영화분야에서의 화면해설은 2000년 제1회 장애인영화제 상영작 중심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2003년에 부산영화제에서도 화면 33) 시각장애인협회 자료제공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17 해설 영화를 상영하기 시작했고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5년 부터는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으로 상업영화에도 화면해설과 자막을 넣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장애인 영화관람 환경개선의 일환으로 자막과 화면해설 영화제작 지원을 하고 있다. 화면해설과 자막 의 거의 동일 한 개념으로 배리어프리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전술하였듯이 2년도 채 안 된다. 2010년 일본 큐슈의 사가현 에서 열린 제1회 사가 배리 어프리영화제 에서 외국영화로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영화<워낭소리> 가 일본어 배리어프리버전으로 소개됐다. 34) 이를 기점으로 국내에서도 2011년 10월에 제1회 배리어프리영화 심포지움이 개최되었으며 2012 년에는 사단법인 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가 발족되어 공식적으로 배리어 프리영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제작해오고 있어 배리어프리영화에 대 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년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영 화 <댄서의 순정> <안녕, 형아> <간 큰 가족> <분홍신> <친절한 금자씨> <웰컴 투 동막골> <박수칠 때 떠나라> <가문의 위기> <Mr.주부 퀴즈왕> <새드무비> (10편) <맨발의 기봉이> <아랑> <한반도> <괴물> <각설탕> <타짜> <거룩한 계보>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사이보그지만 괜찮아><중천> (10편) <허브> <천년여우여우비> <김관장대 김관장대 김관장> <우아한 세계> <날아라 허동구> <밀양> <황진이> <화려한 휴가> <디워> <권순분여사 납치사건> <행복> <세븐 데이즈> <열한번째엄마><싸움> <내사랑> (15편) <우리생애 최고의 순간> <라디오 데이즈> <바보> <GP506> <걸스카우트> <크로싱> <신기전>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사과> <순정만화> <소년은 울지않는다> <달콤한 거짓말> <쌍화점> (13편) <유감스러운 도시> <작전> <슬픔보다 슬픈 이야기> <7급공무원> <김씨표류기> <거북이 달린다> <차우> <하늘과 바다> 청담보살> (9편) <비밀애> <친정엄마>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맨발의 꿈><이끼> <아저씨> <불량남녀> <쩨쩨한 로맨스> (8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고지전> <블라인드> <가문의 영광> <투혼> <특수본> <퍼펙트게임> (7편) <시체가 돌아왔다> <코리아> <연가시> <알투비> <577프로젝트> <광해> <늑대소년> <용의자X> <철가방 우수씨> <완득이> <도둑들> 상영 관수 2 602 6 938 관람객 수 9 1,432 13 2,791 18 2,330 22 3,785 26 6,138 26 11,707 34) 2013년 장애인영화관람환경개선사업 보고서, 영화진흥위원회

118 2013 <그대를 사랑합니다>리메이크 (13편) <타워> <베를린> <사이코메트리> <7번방의 선물> <전설의 주먹> <고령화가족> <은밀하게 위대하게> <감시자들> <숨바꼭질> <관상> <스파이> <깡철이> <공범> <열한시> <용의자> (10편) <표 2> 한글자막 화면해설 세부실적 35) 29 22,234 <표 3>에서처럼 제작과정에서의 차이점을 들어 배리어프리영화를 별도로 분류하고 있으며 배리어프리영화에는 화면해설 연출자가 표기 되어있다. 즉 한국영화에는 그 영화를 연출한 감독이, 외화에는 국내 감독 중 화면해설을 위해 연출자가 화면해설과 관련된 전체 연출을 맡 는다것이 기존의 화면해설과의 차이점이다. 또 하나 기존의 화면해설과 의 다른 점은 화면해설과 자막은 영화진흥위원회와 농아인협회가 공익 사업의 일환으로 비영리사업(무료로 영화를 관람시켜줌)으로 제작해왔 다면 배리어프리영화는 극장 개봉 시 유료로 극장에서 상영한다 36) 는 점이다. 따라서 <표 3>은 별도로 배리어프리 위원회가 제작한 작품들 만을 분류해서 만들었다. 국내에서 만들어진 첫 배리어프리영화는 일본 영화<술이 깨면 집에 가자> 37) (수입 영화사 조아)이며 한국영화로는 <블라인드> 38) 가 최초이다. 하지만 영화제에서가 아닌 영화의 극장 개 봉 시 비장애인용과 동시에 배리어프리영화도 개봉된 것은 한국영화로 서는 <달팽이의 별>이, 외국영화로는 <마이 백 페이지>(일본영화)가 국내 최초라 할 수 있다. 35) 2013년 장애인영화관람환경개선사업 보고서, 영화진흥위원회 36) 영화진흥위원회 주성충 팀장 전화인터뷰(2013.12.23) 37) 양익준 감독이 배리어프리 한국어 녹음 감독을 한 일본영화 38) <블라인드>(김하늘, 유승호 주연)의 안상훈 감독이 직접 이 영화의 배리어프리 녹음 감독을 함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19 한 국 영 화 외 국 영 화 영화명 화면해설연출 화면해설자 비 고 <달팽이의별> 이승준감독 김창완(뮤지션, 배우) <7번방의선물> 이환경감독 차태현(배우) <그대를사랑합니다> 추창민감독 유다인(배우) 영화진흥위원회지원 <더테러라이브> 김병우감독 이준호(배우,가수) <도가니> 황동혁감독 이진화(성우) <도둑들> 최동훈감독 서혜정(성우) 영화진흥위원회지원 <마당을나온암탉> 오성윤감독 전숙경(성우) <블라인드> 안상훈감독 서혜정(성우) <엄마까투리> 정길훈감독 전숙경성우) <완득이> 이한감독 최강희(배우) 영화진흥위원회지원 <마이백페이지> 김성호감독 한효주(배우) <모모와다락방의수상한 요괴들> 오성윤감독 전숙경(성우) <소중한사람> 임순례감독 유혜영(SBS아나운서) <술이깨면집에가자> 양익준감독 엄지원(배우) <엔딩노트> 최진호감독 한지민(배우) <위캔두 댓> 정지우감독 정경호(배우) <천국의속삭임> 허진호감독 한효주(배우) <터치오브라이트> 조성희감독 임수정(배우) <표 3> 배리어프리영화목록 (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제작) 39) 배리어프리영화 개념으로서의 제작은 아직 역사가 깊지 않아 제작 편수도 많지 않고 제작방식이나 표현방식에서도 더 많은 관심이 필요 하다. 또한 배리어프리영화와 화면해설 및 자막 영화의 용어 역시도 앞 으로의 연구와 더불어 영화인 내부에서 자체적인 합의로 정리가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Ⅲ. <달팽이의 별>을 통해본 이상적인 배리어프리의 화면해설 표현양식 <달팽이의 별>은 개봉 전에 이미 기획, 개발, 프로덕션, 해외 홍보 39) 2013년 장애인영화관람환경개선사업 보고서, 영화진흥위원회

120 마케팅까지 한국을 비롯한 일본, 프랑스, 핀란드, 미국 등 전 세계 10 개국이 제작에 참여한 글로벌 프로젝트로서 제24회 암스테르담국제 다 큐멘터리 영화제 40) 에서 장편부문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국내 최초의 배리어프리영화로서 비장애인용과 동시에 극장에 개봉되 어 더욱 관심을 모았다. 김창완의 내레이션으로 진행된 화면해설이 장 애인 분 아니라 비장애인에게도 영화를 관람하는 데 방해하지 않고 몰 입에 도움들 주었으며 따라서 이 화면해설은 배리어프리영화의 이상적 화면해설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배리어프리영화는 비장애인에게 자막과 화면해설로 인해 과잉정보 제공으로 번거롭거나 영화감상에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서 영화에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화면해설은 무엇을 어디까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에 대한 해답 은 간단하다. 감독이 보여주는 것, 즉 컷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해서 감독의 생각을 정확하게 대변하도록 하는 것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한 다. 또한 화면해설을 듣는 사람이 존재한 것을 모르고 지나가지 않고 잘못된 상상을 하지 않도록 정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화면해설이 느껴지지 않도록 작품의 장르와 분위기에 맞도록 드라마 속에 이질감 없이 녹아들어가 전혀 신경 쓰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41) 이와 동시에 비장애인에게도 영화 감상에 방해가 되지 않고 어떤 측면에서는 도움 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달팽이의 별>처럼. <달팽이의 별>은 영화 속 주인공 자체가 시청각 중복장애자이고 이 주인공이 다른 사람과 유일게 소통하는 방법은 손의 촉감을 이용한 점 자이다. 이런 상황에서 영화 속 인물과 관객과의 소통이 쉽게 이루어질 리가 없다. 비장애 관객들에게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영화 주인공의 소통방법을 별도의 설명 없이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42). 아마도 이 영 화만큼 화면해설과 자막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영화도 없을 것이다. 화 면해설도 객관적인 정보만을 나열하지 않고 주관적 시선을 적재적소에 40) 다큐멘터리 부문의 깐느영화제라고 불릴 만큼 유명하고 권위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제 41) 2012 배리어프리영화 포럼-영국과 일본의 화면해설 지침 자료집,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42) 남기훈, "복기칼럼-배리어프리영화 달팽이의 별, 배움스타일/지식나눔 PLUS, 2013/ 02/07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21 두어 관객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오히려 화면해설이 없으면 지루할 수 도 있는 것을 화면해설로 보충하고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달팽이의 별>의 배리어프리가 이상적인 표현양식 43) 인지를 2012년 배리어프리영화 포럼에서 제공된 영국과 일본의 화면해설 지침 자료집 을 기준으로 중요한 부분들을 살 펴보도록 하겠다. 첫째, 기본은 처음 나올 때, 또는 가능하면 빠른 단계에서 그 인물의 이름과 속성을 밝힌다. 또한 시각장애인은 정보량에서 압도적으로 핸디 캡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빨리 인물의 이름과 명확한 이미지를 알려서 갖도록 한다. 만일 처음부터 등장인물들의 관계나 구체적인 신체적 조 건을 자세히 알지 못한다면 이후에 전개되는 상황에 대한 이해가 어려 울 수밖에 없다. 밥 먹는 두 사람. 영찬은 시각중복 장애인입니다. 시력은 완전히 잃었고 지독한 난청이어서 소리를 구분하지 못합니다. 순호는 척추장애인입니다. 키가 아주 작습니다. 두 사람은 부부입니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 두 주인공의 이름과 신체 상황, 그리고 이들이 어떤 관계인지를 초반에 명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앞으로 벌어지는 상황 43) 남기훈, "복지칼럼-배리어프리영화 달팽이의 별, 2013/01/31

122 과 인물들의 행위묘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두 사람이 식사를 하면서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의 손등에 점자를 쳐 서 반찬 위치와 반찬이름을 알려줌으로써 관객들은 명확하게 이 두 사 람이 신체장애를 갖고 있는 부부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앞으로 이 부 부의 삶이 어떤 식으로 펼쳐질지 호기심을 갖고 영화에 몰입할 수 있 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둘째, 시각적 장애를 갖게 된 사람들에게 다양한 편차를 인정해서 시 각적 기억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 색깔에 대해서 자세하고 정확한 묘 사를 해준다. 시각장애인 중에는 나면서부터 시각이 없는 사람들도 있 지만 후천적으로 시각을 잃은 사람들도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에 색깔 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부분이다. 유유히 흘러가는 짙은 구름 사이로 파란 하늘이 살짝 보입니다. 그 풍경을 배경으로 영화 제목이 뜹니다. <달팽이의 별>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23 바닥을 더듬으며 걸어가던 영찬의 흰 지팡이에 한 여자가 걸려 넘어지지만 영찬은 무심하게 지나쳐 갑니다. 짙은 구름 과 파란 하늘 의 대비는 매우 시적인 표현이면서 날씨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게 하는 효과를 주고 있다. 또한 영찬이 지닌 지팡 이가 그냥 지팡이가 아니라 구체적인 색깔이 있는 흰색 의 지팡이라는 것은 시각적 기억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생생하게 화면을 그려볼 수 있 도록 해주는 섬세한 표현이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이 두 장면을 제 외하고 색깔을 표현하는 장면은 거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셋째, 화면 컷의 이해를 위해서 클로즈업 이나 미디움 샷 등의 표 현은 의미가 없지만 감독이 어떤 방식으로 연출했는가를 이해하도록 대다수가 이해하는 언어로 묘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인물의 움직임도 정확한 방향을 제시해 줘야 한다. 일반 영화의 내레이션이라면 굳이 화 면을 차지하는 인물의 크기나 인물들의 움직임을 표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점이 소설의 표현과도 다른 점이며 배리어프리영화가 지닌 특 징적인 표현 방법일 것이다. 집중하고 있는 영찬의 눈이 가늘게 떨립니다. 거실에서 점토로 무언가응 만드는 영찬의 손이 화면에 가득 차 있습니다. 거실에서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왔다 갔다 하는 영찬의 발 그리고 점자 단말기를 만지고 있는 영찬의 손

124 영찬이 순호의 오른 쪽에 서서 순호의 오른 팔을 잡고 함께 걸어옵니다. 두 사람은 앞으로 다가 오다가 화면 오른 쪽으로 지나쳐 사라집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25 영찬은 순호를 꼭 끌어안고는 잠시 속삭이다가 등을 돌려 순호를 업고는 한 손으로 식탁을 잡으며 일어나 화면 왼쪽으로 사라집니다. 영찬이 양팔로 소나무를 꼬옥 끌어안습니다. 눈을 가만히 감고 있는 영찬이 오른 손으로 스치듯 위에서 아래로, 조심스럽게 나무 껍질을 만져봅니다... 영찬은 오른 손을 나무에 댄 채 나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천천히 발걸음을 옮깁니다. 이 작품에서 가장 아름다운 표현을 하고 있는 장면들이다. 손, 발, 눈의 클로즈업이나 익스트림 클로즈업 장면들이 보일 때마다 내레이터 (김창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화면 가득히 라는 직접적인 표현뿐만이 아니라 집중하고 있는 영찬의 눈 이라든지 손 이 나 발 이라는 명사로 문장을 끝맺음함으로써 화면에 보이는 사물의 크 기를 알려주고 있다. 또한 인물들의 움직임도 정확히 표현하고 있다. 화면 왼쪽, 화면 오른쪽, 또는 시계방향으로, 앞으로 라는 표현을 통해서 정확하게 시각 장애인들이 내레이션을 들으면서 인물들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서 화면 밖으로 사라지는지를 머릿속으로 그릴 수 있 도록 해주고 있다.

126 넷째, 앞 장면에서 시간이 뛰어 넘은 경우에 때/시간을, 장소는 넒은 장소에 좁은 장소 순으로 알려주도록 한다. 하지만 시간과 장소 표현에 있어서 아침 00집 거실 식으로 단순하게 알려주면 재미가 없고 아침 햇살이 비친, 00집, 거실에는 00가 00한다 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영찬이 다니는 대학교 창 밖으로 눈이 세차게 내립니다.... 강의실 바깥에는 여전히 눈이 내리고 있습니다. 구름 한 점 없이 화창한 날, 영찬과 순호가 학교 근처 동산으로 가는 돌계단을 오릅니다. 눈 내리는 날의 강의실, 화창한 날의 학교 근처 동산 으로만 표현 했다면 이 작품이 이상적인 표현의 배리어프리영화라는 평을 듣지 못 했을 것이다. 대학교 창밖으로 눈이 세차게 내립니다 구름 한 점 없 이 화창한 날,... 동산으로 가는 돌계단을 오릅니다 의 표현은 날씨와 장소를 알려주는 정보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보이지 않는 영상의 감성 적인 시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에는 화면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27 전환될 때 시간과 공간을 동시에 알려주는 씬은 그다지 많지 않아 위 와 같은 표현들을 더 듣고 싶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섯째, 형용사와 부사, 동사의 활용에서 단어에 해설자 개인적인 관 점이 실려서는 안 되고 적절하게, 개성적으로, 분명히, 본능적으로 등 의 애매하고 해석적인 단어보다는 무뚝뚝하게, 유쾌하게, 간절히, 건방 지게, 초조하게 등의 묘사적이고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동 사 역시 같은 걷다 라도 으스대며 걷다, 성큼성큼 걷다, 발끝으로 살 금살금 걷다, 행진하다, 옆걸음질 치다 등의 구체적인 표현을 써야한 다. 그래야 보이지 않는 장면의 구체적인 시각화가 이루어져 내용을 이 해하기가 수월해진다. 교수님말에 영찬과 순호가 수줍게 웃습니다. 영찬이 환하게 웃으며 순호를 끌어안습니다... 무언가 해냈다는 듯 뿌듯한 표정의 영찬

128 의사의 말에 순호는 무표정하게 머리만 만질 뿐입니다. 나무와 같이 데이트 하자며 영찬은 순호가 나무를 끌어안게 하고 그런 순호 와 나무를 영찬이 같이 끌어안습니다. 순호 너무 야해. 순호가 나무를 안고 있던 팔을 내리며 쑥스러운 듯 웃자 영찬도 따라 웃습 니다. 이 작품은 구체적인 시각화 에 대한 묘사가 훌륭하게 사용되고 있다. 같은 웃음이라도 수줍게 웃는 것과 환하게 웃는 것, 쑥스럽게 웃는 것은 매우 다르다. 이렇듯 인물들의 행동을 동사만으로 표현하지 않고 부사를 사용함으로써 감성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여섯째, 화면해설은 대사내용보다 뒤에 나와야 한다. 대사를 듣고 알 수 있는 내용은 생략하고 대사로 알 수 있는 내용에 앞서 설명해서 재 미를 반감시키지 말아야 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29 갑자기 어두워지는 기차 안, 더널로 들어온 것입니다. 뭔가 느껴지는 듯 영 찬은 고개를 창문 쪽으로 돌립니다. 영찬 ; 지금도 터널이야? 지금도 터널이야는 영찬의 질문에 순호가 점화로 설명해줍니다. 이 원칙에 따르자면 이 부분은 지금도 터널이야 라고 묻는 질문이 나온 뒤에 갑자기 어두워지는 기차 안... 이라는 내레이션이 나오는 게 더 맞다. 모든 것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 설명해주는 것도 중요하지 만 영화적인 재미를 줄 수 있는 것은 어느 정도의 궁금증 도 필요하다. 따라서 배리어프리영화의 내레이션에서 장르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으로 배리어프리영화 표현방식의 기본 원칙을 <달팽이의 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로써 아쉬움은 있지만 <달팽이의 별>의 배리어프 리 버전이 시각 장애인에게 영화장면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해 주었을 뿐 아니라 비장애인에게도 정보 과잉의 불편함보다 영화를 훨 씬 더 감성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효과적인 표현양식을 사용하고 있음 이 검증 되였다. 위에 언급한 원칙 외에도 더 많은 부분 섬세하게 고려 해야 할 원칙들이 존재하지만 배리어프리영화의 역사가 깊은 영국이나 일본 등을 비롯한 외국의 사례들을 더 참고하면서 더욱 효과적인 표현 방법들을 마련해가야 할 것이다.

130 Ⅴ. 나가며 배리어프리영화의 화면해설은 장애인에 대한 단순히 정보보장 문제 는 아니다. 배리어프리영화는 장애여부를 떠나 모든 이의 문화적 권리 를 얼마나 충족시킬 것인가가 궁극적인 목적이 되어야 한다. 44) 단지 보 이는 사람과 보이지 않는 사람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아닌 일반 영화 에서 몰랐던 감독의 생각을 전하는 또 하나의 리메이크 버전으로 접근 해야 한다는 게 일본 도쿄대학 첨단과학기술연구센터 특임연구원 오오 고치 나오유키 45) 의 생각이다. 다시 말해서 또 하나의 새로운 영화를 감상하는 청각적, 시각적으로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장 이 상적인 배리어프리영화가 된다. 사실상 화면해설과 한글자막이 비장애인들에게는 정보과잉이 될 수 있다.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같은 공간에서 같은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일일 수 있다. 하지 만 배리어프리의 기본적인 취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 공간에서 같은 영화를 감상하게 한다는 것이므로 배리어프리영화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단순히 장애인에 대한 배려차원을 넘어서 다양한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한 공간에서 연결되어 함께 같은 영화를 공유한다는 차 원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의 개념 설정 과 국내 제작현황을 살펴보고 배리어프리영화로서 성공적인 출발을 한 한국 다큐멘터리영화 <달팽이의 별>을 통해 배리어프리영화의 이상적 인 화면해설 사례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기본적으로 인물의 속성은 처음에 나오도록 하며, 색깔 및 인물들의 움직임과 화면연출방 식의 정확한 표현, 그리고 동사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부사와 형용사의 묘사, 대사와 설명의 순서 등을 일본과 영국의 화면해설 자료지침을 기 준으로 국내 최초의 배리어프리영화인 <달팽이의 별>이 얼마나 훌륭 하게 표현이 되어있는가를 살펴보았다. 44) 황덕경, 2011 배리어프리영화 심포지엄 45) 황덕경, 2011 배리어프리영화 심포지엄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31 그러나 아직은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이 남아있다. 우선 영화 산업계 및 영화관계자들의 사회적 공헌의 의무에 대한 지속적인 인식 개선과 더불어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해야할 영역 또한 많다. 우선 국내 장애인 영화관람 환경 개 선정책과 더불어 국내의 화면해설정책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어떤 화면해설과 자막설명이 이해하기 쉽고 적절한가에 대한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즉 영화 관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화면을 직접보고 관람하는 비장애인들의 영화관람 후 만족도에 근접한 정서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배리어프리영화를 스탠다드 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학 분야 연구에 이르기까지 배리어프리영화 연구가 이어져갔으면 하는 것이 본 연구자의 바램이다.

132 참고문헌 <논문> [1] 김인순, 이규일, 안성준, 공연시설의 정당한 편의제공 실태에 관 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의료 복지 건축, 18권 2호, 2012, pp.45-54. [2] 김호연, 장애인 방송접근권 연구:시각장애인의 화면해설방송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25권 4호, 2009. pp.85~105, [3] 나준기, 화면해설 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이해를 돕는 연출방 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3, pp.54~58. [4] 백현순, 장애인의 문화예술복지 정책과 무용공연 활동, 한 국스포츠지학회, 제9권 4호, 2011, pp.177`187. [5] 윤덕경,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에 대한 실제와 그 가능성, 한 국무용연구회, 한국무용연구, 29권, 3호, 2011, PP.1-21, [6] 송종길,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 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2003년 겨울호, pp147~178, [7] 이성훈, 박광범,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박물관건축계획에 관한 연 구-시각장애인의 박물관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대한건 축학회 창립60주년기념 학술발표논문집, 제25권 제1호(통권 제49집), 2005, pp.33~38. [8] 이준호, 유승관, 장애인방송 접근권 향상을 의한 개선방안 연구- 수신환경 실태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 니케이션학회,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23호, 2011.112.31, pp263~298, [9] 임상철, 시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 서비스 실시방안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0-2, 2000, pp.1~6. [10] 장인선, 임우택, 안충현, 화면해설 오디오/자막 기반의 무 대사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33 구간 검출, 한국방송공학회, 한국방송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1, 2013년, pp.79~80. [11] 하종원, 송종현, 화면해설방송의 표현체계에 대한 연구-다큐멘 터리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연구회, 시각장애 연구, 29권 1호, 2013, pp.97~128. <기사> [1] 박아네스, 배리어프리영화, 모두 같이 보는 영화가 좋다!, 한 국영화, pp.20~23 [2] 남기훈, 복기칼럼-배리어프리영화 달팽이의 별, 배움스타일/ 지식나눔 PLUS, 2013/02/07 <기타> [1]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규제 등에 관환 법률, 보건복지부 [2]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환 법률, 보건복지부 [3] 2012 배리어프리영화 포럼-영국과 일본의 화면해설 지침 자료 집,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4] 2011년 배리어프리영화 심포지엄 [5]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 보고서 2011-82, pp.320-321 [6] 장애인 영화관람 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사)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시민연대, 2012, pp.2~51 [7] 공공 문화예술기관 장애인 서비스 개선방안, 기본연구 한국문 화관광연구원, 2010-21, p.ⅷ [8] 2013년 장애인 영화관람환경 개선사업 보고서, 영화진흥위원회

134 국문초록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달팽이의 별>을 중심으로 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는 복지적 관점을 넘어서 인권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한다. 문화예술은 누구나 표현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야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영화 관 람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에 대한 연구로서 장애인의 특수성을 감안하 여 문화예술 분야에서 시청각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영화 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의 개념정리를 비롯하여 배리어프 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을 살펴보고 배리어프리영화로서 성공적인 출 발을 한 한국 다큐멘터리영화 <달팽이의 별>의 표현양식을 통해 배리 어프리영화의 이상적인 화면해설 표현방식을 연구하였다. 배리어프리영 화의 화면해설과 자막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이지만 비장애인에 게도 동시에 제공이 되므로 비장애인에게는 정보과잉이거나 영화의 몰 입에 방해가 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어쩌면 장애를 포함한 다양 한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같은 공간에서 같은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일일 수 있다. 하지만 배리어프리의 기본적 인 취지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 공간에서 같은 영화를 감상하게 한 다는 것이므로 배리어프리영화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단순히 장애인에 대한 배려차원을 넘어서 비장애인에게도 유용한 영화관람 방식으로 자 리 잡아 서로 한 공간에서 연결되어 함께 같은 영화를 공유할 수 있는 문화로 정착시켜야 한다는 측면에서 이어가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135 Abstract A study on Domestic Production Situation and Expression modes of Barrier-Free Film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Focusing on <Planet of Snail> The involvement of the disabled in cultural and artistic area should be taken not only in terms of welfare but also human rights. Since culture and art is one of the basic human rights that anyone can express and enjoy. The Barrier-free film for the visually impaired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similar context. This study is about the Barrie-free film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equal opportunity to watching movies should be provided for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This study summarized the concept of Barrier-free film, and looked over the domestic production status of Barrier-free film, as well as a form of ideal expression of the Barrier-free commentary through the documentary film " Planet of Snail" which has already successfully started in the Barrier-free film. The commentary and screen subtitles of Barrier-free film are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however it might work as a factor of over-information or interruption of absorption to non disable people because they are provided for the non disabled people at the same time. Maybe it is fundamentally impossible for different people in varied conditions enjoying the same work together in the same space. However the basic purpose of the Barrier-free film is that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enjoy the same movie together in the same space, so the discussion and research of Barrier-free film must be continued in terms of the culture beyond any consideration for the disabled people to which settle

136 down the useful viewing manner for the non-disabled people and share the same movie al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