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소셜미디어속 재난 세월호 1주기 시위 해양사고 네팔지진 지진 도로 인도 곳곳 '땅꺼짐' 지반침하 부산 중고차 매매단지 화재..차량 570대 피해 화재 재난이 발생하였을때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도 지속적인 관심으로 대형 사고를 예방합시다. 2



Similar documents
untitled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8월 보고서

2008

성인지통계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³À°È°µ¿Áö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7월 보고서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1362È£ 1¸é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소식지수정본-1


나하나로 5호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wtu05_ÃÖÁ¾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hwp


- I - - II -

coverbacktong최종spread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T083001C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78È£pdf

< 참고 1> 생활안전지도개발자센터 생활안전지도관련개발자들을위한 API 를제공 1 오픈 API 소개 2 오픈 API 예제및샘플 오픈 API 소개 - 오픈 API 소개 - 서비스흐름및오픈 API 이용안내 오픈 API 유형별예제및샘플 - 지도 API / 데이터 API /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사망, 혼인, 이혼자료를기초로집계하며, - 출생ㆍ사망 : 발생월기준으로지연신고등을추정하여합산함 ( 국내거주만집계 ). - 혼인ㆍ이혼 : 신고월기준으로집계함 (

152*220

¾Æµ¿ÇÐ´ë º»¹®.hwp


#遺€?됱궗?뚮뱾168?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MRIO (25..,..).hwp

¿µ¿øÇÑÄ£±¸µé-201È*


내지(교사용) 4-6부

Ⅰ 9 월 SNS 재난이슈 9 월주요재난이슈 <9 월트위터주요재난이슈 (2013~2017)> 순위 사회재난 자연재난 사회재난 1 등산사고지진 농기계사고 호우 - 태풍 자연재난 등산사고 농기계사고 지진호우태풍 재난발생통계와트위터이슈분석 * 을

01 01NEAR

01-02Àå_»ç·ÊÁýb74öÁ¤š


03 ¸ñÂ÷

토픽 31호( ).hwp

감사회보 5월

»êÇÐ-150È£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경북 친환경우수농산물 생산 및 유통체계 개선방안

....pdf..

hwp

2014도서목록본문

장깨표지65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


60

no. 13_ 월의 소셜미디어속 재난 1. 강화도 캠핑장 화재사고 2. 불암산 산불 화재 산불 3. 강남ㆍ신촌 싱크홀 발생 4. 가거도 헬기 추락사고 항공기사고 지반침하 우리의 제보가 사건을 더 빨리 더 멀리 알릴 수 있다는 점 기억하세요!! 2

No Title

01 02

•••••1301(•••).pdf

<C1A4C3A5C0CC3538C8A32E687770>

歯155호

歯156호

歯150호

歯148호

歯154호


Ⅰ. 조사목적 본조사는전국민을대상으로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 정당지지도등을 파악하여, 국민여론을파악하는기초자료수집에그목적을둠. Ⅱ. 조사설계 조사대상 전국거주만 19세이상성인남녀 표본수 총 1,035 명조사후, 지역, 성, 연령별사후보정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최대허용

학부모신문225호최종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연합뉴스) 마이더스

Ⅰ 10 월 SNS 재난이슈 10 월주요재난이슈 <10 월트위터주요재난이슈 (2013~2016)> 순위사회재난자연재난 사 회 재 난 1 농기계사고가뭄 2 승강기사고강풍 3 붕괴사고태풍 자 연 재 난 농 기 계 사 고 추 락 사 고 도 로 교 통 사 고 4 감전사고홍수


2010_

pdf

2006

- 2 -

¿¬°æ AEP2È£

#³óÃÌ°æÁ¦ 64È£-Ä®¶ó¸é

¾Èµ¿±³È¸º¸ÃÖÁ¾

¾Ë±â½¬¿îÀ±¸®°æ¿µc03ÖÁ¾š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2836C2F729C1A631C0E57EC1A632C0E52832B5B5292E687770>


지지정당별지방선거투표의향별국정수행평가별국무총리인선평가별정부개각범위의견별사전투표제인지별사전투표참여의향별지방선거성격공감별차기대선후보선호도별성 * 연령별 자영업 (102) 블루칼라 (96) 12.

<32BAD0B1E220534E53C0E7B3ADC0CCBDB4BAD0BCAE5F42355F76382E687770>

±³º¸2012- ¾Ö´º¾ó-1218final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ISSN: 11-1750140-000063-06 소셜미디어&재난 Disaster Issues Monthly No.14 빅데이터센터 2015.4 4월의 재난발생 동향 강풍 풍랑, 황사, 영농기 안전사고, 야외활동 사고, 산불 발생 소셜미디어 속 재난 이슈 Hot 재 난 급상승 재난 이슈 Hot 지 역 이슈가 된 지역 Top 5 Hot 키워드 주간 재난이슈 키워드 재난 사고별 분석 세월호 지반침하 부록 이달의 재난 톡! Tok!

4월의 소셜미디어속 재난 세월호 1주기 시위 해양사고 네팔지진 지진 도로 인도 곳곳 '땅꺼짐' 지반침하 부산 중고차 매매단지 화재..차량 570대 피해 화재 재난이 발생하였을때만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도 지속적인 관심으로 대형 사고를 예방합시다. 2

I. 4월의 재난발생 동향 4월은 강풍 풍랑, 황사 피해가 우려되며 영농기 농기계 및 각종 야외활동 안전사고, 건조한 날씨로 인한 산불 등이 많이 발생하여 이를 국민과 관계기관에 알려 사전에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 자연재난 최근 10년( 04~ 13년)간 발생한 174건 중 4월에 12회 발생 황사 전국 2000년대 황사일수(연평균 9.7일)는 80년대(3.1일) 및 90년대(4.9일)에 비해 증가경향 연평균 (80년대) 3.1일 -> (90년대) 4.9일 -> (2000년대) 9.7일 봄철 황사대비 등 피해 예방 방지대책 추진, 황사 피해 방지를 위한 다각적 홍보 및 대응 체계 강화 추진 강풍 풍랑 최근 10년( 04년~ 13년)간 4월 강풍 풍랑 피해는 10회 발생, 367억원 의 재산피해 발생 강풍, 풍랑 피해 10회 발생 재산피해 367억의 재산 피해 선제적 대응으로 인명 시설물 피해 방지 및 철저한 상황관리 필요 사회재난 최근 5년( 08~ 12)간 발생한 144만 여건 중 4월에 112,786건 발생 산불 최근 10년( 05년~ 14년)간 연평균 389건의 산불 발생 중, 4월에 103건의 산불이 발생해 386ha의 산림소실 피해 발생 산림소실로 인한 386ha의 산림소실 피해 발생 산불예방 홍보활동 전개 등 다양한 산불방지대책 수립 시행 농기계 안전사고 영농기를 맞아 농기계 사용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시기 농기계 안전점검 정비, 운전자 안전교육, 등화장치 부착 및 음주운전 금지 등 안전사고 예방홍보 강화 산악사고 봄철 산행철로 등산객이 증가하므로 산악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시기 안전사고 다발지역 등산로 위험요인 제거, 소방력을 활용한 등산목 지킴이 활동 및 대국민 안전산행요령 홍보 강화 4월의 주요 재난 사례 ( 00.4.) 강원 동해안 산불 ( 05.4.) 강원 양양 산불(낙산사 화재) 자료 : 국가재난정보센터, 4월 재난안전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2015) ( 07.4.) 전남 고흥군 연도교 붕괴사고 ( 13.4.) 경북 경주 산대저수지 붕괴사고 3

II. 소셜미디어 속 재난이슈 4월의 재난 Hot 이슈 세월호 1주년 이슈, 유명인 자살 정치적 이슈화, 미세먼지 및 황사에 대한 관심, 잇따른 서울 시내 지반침하 발생, 정치적 이슈로 부각된 절도 Hot 재난 [ 과거대비 급상승 빈도로 본 재난 Top5 ] 해양사고 자살 황사 지반침하 절도 31% 30% 14% 12% 13% 세월호 1주년 핫 이 슈 빈 도 (누 적 ) 서울 강남 노원 도로 싱크홀 세월호특별법 시행령 이슈 경남기업 회장 자살 인천, 경기북부 미세먼지 농도 중국 최악의 황사영향 경남기업 회장 자살 정치적 이슈 날짜 자살 황사 해양사고 지반 침하 세월호 1주년 이슈 상승 경남기업 회장 자살의 정치 이슈화 미세먼지와 중국발 황사 이슈 서울 강남,노원 도로 및 신촌 지반침하 현상 발생 절도 관련 일상적 이슈 지속 절도 4

[ 트윗량으로 본 4월 ] - 3년간 발생한 트윗량으로 보면 사회갈등, 폭력, 자살 등 사회재난 및 생활안전 이슈가 대부분 - 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재난관련 트윗량 급증, 15년 4월 역시 전달 대비 트윗량 대폭 상승 <3년 간 트윗량 TOP5 재난> <3년 간 재난 관련 트윗량추이> 트 윗 빈 도 [ 이슈재난으로 본 4월 ] - 지난 2년간 자연재난은 '황사'이슈가 지속, 15년에는 황사 이슈가 지배적 - 13~ 14년 사회재난이 이슈화되다가 15년은 생활안전에 대한 관심 상승 - 생활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15년에는 생활안전 이슈 상승 <3년 간 TOP5 재난 이슈> 5

[ 전년대비 트윗빈도 증가로 본 재난 Top 5 ] 폭염 우박피해 산사태 강풍 우박으로 농작물 피해관련 이슈 잦은 강풍주의보가 이슈 평년보다 높은 기온 이슈 네팔 지진 이슈 절도 이슈트윗(RT순) "음성 농경지 223ha 우박 피해" "오늘이 월요일이라니! 게다가 찬바람까지 세차게 부니 더욱더 외출하기 싫어지네요..." "한발 앞선 폭염 대비로 건강한 여름 나기" "네팔 강진 사망자 최소 668명...80년만에 최악 참사 우려" 6

Hot 지역 [많이 언급한 지역 Top5(내용분석) ] 1위. 서울 5위. 인천 2위. 경기 3위. 부산 세월호 1주년 추모행사가 있었던 서울 가스 누출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한 경기도 이천 화재가 발생해 중고 차량 470여대가 불탄 부산 초속 27m 강풍으로 피해가 컸던 제주도 제철소 직원 용광로 추락사고가 발생한 인천 4위. 제주 이슈트윗 오늘은 세월호 1주기입니다. 아직 4명의 학생들이 차가운 바다 속에 있고, 5명의 사람들 또한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아직 지겨워 할때도 잊어서도 안됩니다. 지방세 납부해서 이천이랑 대박났다는 기사 보고 얼마있지않아 가스유출로 근로자 사망 기사를 봄...타이밍이 참...거시기~~~ "고맙고 미안합니다"-부산 자동차 매매단지 화재..차량 570대 순식간에 불타..화재 진압후 네티즌 울린 소방관의 '컵라면'..정부는 국가공무원직 전환하고 처우개선해라! "태풍이 왔나"..제주도 '초속 27m' 강풍 강타, 피해 속출 "간판 날리고, 가로수 쓰러지고" 피해신고 잇따라 항공기 200여편 무더기 결항...4.3추념식 준비 큰 차질 학부 때 제철소 견학 갔을 때, 그 현장 직원이 '여기서 실족사 하면 시체도 못찾는다' 라고 했던 기억이 나는데.. 정말 그 사건이 터졌네. ㅠ.ㅠ 7

[트윗을 많이 한 지역 Top5(Geo정보 분석) ] 3위. 경기 5위. 전북 전남, 광주, 경기도, 부산, 전북 Top5 지역 모두 해양사고 이슈가 지배적 Geo정보 공개트윗의 56%가 해양사고 관련 내용 2위. 광주 4위. 부산 1위. 전남 산출방식: 보고서가 발간되는 월의 재난관련 위치공개 트윗율 대비 그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위치정보공개 트윗율을 비교 순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지역 전남 광주 경기 부산 전북 서울 경남 인천 경북 강원 충남 충북 대구 울산 제주 세종 대전 8

4월 재난관련 트윗 중 위치정보공개 트윗 비율 = 0.14% 재난 관련 트윗의 수는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나 위치공개 트윗의 비율은 오히려 소폭 감소 재 난 트 윗 비 율 위 재 치 난 공 트 개 윗 트 중 윗 비 중 2014년 2015년 [4월 위치정보공개 트윗이 증가한 재난유형 Top 5 ] 테러 전월대비 6.3배 증가 용수 기반 전월대비 2.0배 증가 에너지개발 전월대비 2.0배 증가 대설 전월대비 2.5배 증가 황사 전월대비 3.6배 증가 대구 황산테러 사건 공소시효 폐지 서명 운동 황사가 심한 중국의 네이멍구가 이슈 4월 강원 태백, 삼척, 정선 대설주의보 발령 경찰의 물대포 급수용 소방수 사용 위법 논란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사고 29주기 이슈 9

Hot 키워드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세월호 유가족과 경찰의 충돌, 미세먼지 관련 이슈 경남기업 회장 자살, 6세 여아 차량 추락 후 방치 되어 사망한 사건 이슈 세월호 1주년 시위, 지속적인 황사 및 13년만의 최악의 중국 황사 이슈 네팔 지진피해 이슈, 세월호 선체 인양 논란 4월 한 달간 중국발 황사 관련 이슈 지속 4월 한 달간 세월호 관련 이슈가 지속되면서 3주차 1주년을 맞아 이슈 급상승 경남기업 회장의 자살과 관련한 정치적 이슈 확산 4월 25일 네팔 지진 피해 상황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 진도 약 7.4규모, 네팔 내무부 발표 피해현황 사망 7,675명, 부상 16,390명 10

Ⅲ 재난 사고별 분석 1. 해양사고 세월호 관련 이슈 발생 동향 [해양사고 트윗 빈도와 부정감성] 감 성 비 율 관 련 트 윗 건 수 2014년 2015년 ( 14. 2.) 부산 화물선 기름 유출 사고 대응에 대한 긍정적 반응 발생 ( 14. 4.) 세월호 침몰 사고 발생과 함께 심각감성 상승 ( 14. 5.) 세월호 진상규명 을 외치는 1천만인 서명운동 등 거리행진과 집회를 지속하며 정부대응의 불만과 불안감성 상승 ( 15. 4.) 세월호 침몰 1주년을 맞아 불안과 슬픔 감성 상승 [4월 해양사고 트윗 빈도와 부정감성] 감 성 비 율 관 련 트 윗 건 수 (2일) 세월호 희생자 어머니들 세월호 선체 인양을 반대하며 삭발 시행 (9일) 세월호 참사를 잊지 말자는 리트윗(RT) 확산 (12일) 세월호 광화문 집회 현장에서 경찰의 최루액 살포에 대한 부정감성 확산 (16일) 세월호 1주년 11

지역별 트윗 발생빈도 1위. 서울 3위. 전남 5위. 경북 2위. 대구 [내용분석으로 본 지역] 1위. 서울: 해양사고 관련 트윗은 서울에 집중 2위. 대구: 노동자 집회 물대포와 세월호 집회 최루액 비교 3위. 전남: 진도 팽목항 세월호 인양 집회 4위. 제주: 세월호 1주년 추모식 진행 5위. 경북: 세월호 1주년 추모 및 참회미사, 추모음악회 진행 4위. 제주 3위. 경기 5위. 인천 2위. 광주 1위. 전남 3위. 부산 [위치정보를 공개한 지역] 1위. 전남 2위. 광주 3위. 경기 4위. 부산 5위. 인천 산출방식: 보고서가 발간되는 월의 재난관련 위치공개 트윗율 대비 그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위치정보공개 트윗율을 비교 연관어 분석 ( 14년 1분기) 여수( 14.2.5.), 부산( 14.2.15) 해양기름유출사고 이슈 ( 14년 2분기~ 15년 1분기) 세월호 참사(4.16) 관련 이슈 지속 12

[세월호 관련 이슈의 변화] '14년 2분기 '14년 3분기 '14년 4분기 '15년 1분기 '15년 4월 인명 구조 작업 사고 경위 파악 인양 인양 촉구 세월호 1주년 시위 이슈트윗 세월호 선체 인양방식이 본격 논의되고 있다. 길게는 박근혜 만기사퇴 시점까지 나오고 있다. 세월호는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 한 보물창고와 같다. 잠수함 추돌 범죄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어설프게 장난치지말고 신속하게 인양 해야겠 다. 아들아, 갈 수 없구나' 세월호 참사 가족들이 어제 삼보일배를 하며 세월호특별법 지지 시민 136만명(누적 486만) 서명을 청 와대에 전달하려다 제지당했지요. 어머니가 숨진 아들 사진에 입맞추며 절하는 모습 세월호 유가족, 청와대 향해 삼보일배 행진 시민들이 보내준 서명 용지를 전달하고 대통령 면담을 요청할 수 있게 해달라는 건데, 경찰 병력에 막혀 1m 간격 대치 중. 광화문광장을 경찰이 펜스로 막았다 수만명의 사람들이 "비켜라"를 외치고 있다 이 행진은 헌화행렬이고, 세월호 참사에 희 생된 국민들을 추모하기 위해 시민들이 거리에 나온 것이다 "비켜라" 소리가 울려 퍼지는 거리 감성 분석 [2014이후 세월호 감성분석] ( 14년 1분기) 부산 화물선 기름 유출 사고(2.15)해경 대원들의 희생적 대응에 관한 긍정 감성이 많음 ( 14년 2분기) 세월호 참사(4.16) 발생 직후 구조 작업에 기적을 기대하는 긍정도 다소 있지만, 진상규명에 대한 불만 감성이 지속되면서 심각감성이 전년대비 증가 13

Ⅲ 재난 사고별 분석 2. 지반침하 지반침하 발생 동향 [지반침하 트윗 빈도와 부정감성] 감 성 비 율 관 련 트 윗 건 수 2014년 2015년 ( 14.3)미비하지만 지반침하 관련 트윗이 지속적으로 발생 ( 14.5)서울역 지반침하와 석촌호수 물빠짐 현상이 나타나며 불만감성 급증 ( 14.7)언론에서 석촌호수 지반침하 문제를 다루면서 불만 최고조 ( 14.8)석촌동 도로 일부 지반침하 현상 등 주변 유사현상 발생으로 불안감성 증가 직접적인 인명피해 전까지 불안 감성이 지배적이다가 피해가 발생하면 심각한 부정감성 상승 [4월 지반침하 트윗 빈도와 부정감성] 감 성 비 율 관 련 트 윗 건 수 (2일) 삼성중앙역 인근 싱크홀 발생 보도 후 RT증가와 함께 불만감정 상승 (7일) 장한평역 지반침하 등 연이은 발생 후 불만감정 재상승 (23일) 구로구 신도림동 싱크홀 발생 후 불만감정 상승 (30일) 지하철 9호선 공사현장 인근인 코엑스 사거리 싱크홀 발생 후 불만감정 급증 14

이슈트윗 "제2롯데월드/석촌호수 싱크홀 얘기는 작년부터 반복되고 있는데 출처는 여전히 동일한 여성소비자신문. 의혹이 확산되고 있 는데 롯데의 침묵은 둘째 치고 다른 그 어떤 언론에서도 취재나 검증을 안하고 있다. 우려는 고층건물 올라가듯 차곡차곡 쌓여 만 가고 학시사인 "제2롯데월드 터파기 공사가 시작된 뒤부터 석촌호수 물이 대량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수맥을 건드렸 다는 의혹으로, 방치할 경우 지반 침하에 따른 끔찍한 재앙이 뒤따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면서 인근 주민들은 불안에 떨 고 있다." 노그 거대한 빌딩이 수직균열이라니.. 석촌호수의 수위가 낮아져서 인공적으로 채워넣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주변지역 거대 토목공사로 인한 일종의 싱크홀 조짐일수도 있다. 서울 석촌동 근처 도로에 지반이 붕괴하는 '싱크홀'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오늘 정오쯤 서울 석촌동에 있는 도로 일부가 10m 깊이로 무너져내렸습니다. 지역별 트윗 발생빈도 1위. 서울 [내용분석으로 본 지역] 트윗 대부분이 서울에 집중 4위. 서울 2위. 경기 1위. 충북 3위. 부산 [위치정보를 공개한 지역] 1위. 충북 2위. 경기 3위. 부산 4위. 서울 산출방식: 보고서가 발간되는 월의 재난관련 위치공개 트윗율 대비 그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위치정보공개 트윗율을 비교 15

[4월 싱크홀 발생 사례] 발생일시 장소 트윗 사진 4월 2일 삼성중앙역 삼성중앙역 2번 출구 앞 싱크홀 발생하여 사고 났습니다. (22:21) 4월 7일 동대문구 장한평역 장한평역 싱크홀 다 메웠네요... 4월 30일 강남 포스코 사거리 강남 포스코 사거리 인근 싱크홀 발생... 4월 30일 잠실 잠실 싱크홀 ㅡ 트리지움 아파트 근처 ㅡ 9호선과 롯데와 전혀 관계없는 곳인데... 16

연관어 분석 ( 13년 1분기) 미국, 중국 등 해외 곳곳에서의 대형 지반침하 사고 이슈 ( 13년 2분기) 중국 싱크홀(5.20, 4명 사망) 인명피해로 국내 싱크홀 관련 관심 증가 ( 13년 3분기) 여의도 도로 지반침하(8.25) 발생 ( 13년 4분기) 석촌호수 물빠짐 현상과 주변 지역 지반침하에 대한 전문가 우려 발생 ( 14년 3분기) 석촌호수 주변 싱크홀(7월) 유사현상 발생으로 관련 단어 상승 17

( 15년 1분기) 용산역 싱크홀(2.20)로 인한 20대 남녀가 추락사고 발생(2명 부상), 싱크홀의 원인으로 지목된 노후 하수관에 대한 환경부의 정밀조사 실시 이슈 ( 15년 2분기) 삼성중앙역, 장한평역 싱크홀(4월) 등 도심곳곳에 싱크홀로 인한 도로통제 감성분석 [2014년 이후 지반침하 감성분석] ( 13년 3분기)서울 성북동, 여의도(8.25) 지반침하와 중국 싱크홀 참사(9.30, 16명 실종)의 인명피해로 지반침하사고에 대한 우려 감성 증가 18

( 14년 상반기) 제 2 롯데월드공사장 안전사고 발생(2.16 공사장 화재, 4.8 인부 사망)으로 심각감성 상승 ( 14년 하반기) 석촌호수 주변 지반침하 현상(7월)과 제2롯데월드, 지하철 9호선 부실 공사 논란으로 불만과 불안 감성 공존 ( 15년 ~현재) 용산역 싱크홀(2.20, 2명 부상)인명피해로 불과 불만 감성 급상승 19

이달의 재난 톡! TOK! 세월호 세월호 특별법은 정치가 유족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최소한의 참회입니다. 어른들이 아이들의 억울한 희생이 더는 없도록 진실을 규명하는 최소한의 노력입니다. 따라서 여야 합의보다 더 중요한 건 유족들 동의입니다. 세월호 사건에 '지쳤다'는 표현 좀 안 썼으면 좋겠다. 미국은 9.11의 진실을 밝히는데에만 10년이 걸렸다. 그런데 우리는 진실에 조금도 다가가지 못한 상태에서 도대체 뭘 했다고 지쳤나? 자신이 겪지 않은 일에 쉽게 지치는 것도 참 몹쓸 병이다. 한 세월호 유족 엄마. 대전 미사때 교황님이 유족들 앉은 곳에 내려오실 것만 같아 교황님께 전할 편지를 밤새 썼단 다. 선혈 맺힌 문구들, 부부가 손 꼭 잡고 편지 쥐고 가는 뒷모습이 떠올라 눈물이 멈춰지질 않는다. 그 편지, 낼은 교 황님 손에 있길.. [광화문 #세월호 광장] <청와대, 양당 규탄촛불> 다시 광화문이 터질듯합니다~!!! 다시 심장이 뛰기 시작했습니다. 우리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은 이제부터 시작합니다. 심장이 뛴다면 광화문으로 오십시오~!!! 세월호 참사로 아들 영석이를 떠나보낸, 영석 아버님께서 제 음악을 들으시고 직접 공연을 부탁하셨어요. 오늘 오후 5시에 광화문광장에서 공연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세월호 문화제가 열리는 날이에요. 유가족분들의 마음이 얼어 붙지 않게 늘 응원해 주셔요. 지반침하 석촌호수 인근서 두달만에 '싱크홀' 네 차례 발생. 제2롯데월드 지하철 등 대형공사로 지하수 흐름도 변화 추정. 최 근 발생한 싱크홀의 규모가 가장 커, 주민들 불안 고조 연이은 싱크홀로 문제가 되고 있는 잠실 일대의 학원과 유치원의 수강생과 원생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불안은 모든 걸 잠식하기 마련이다. 제2롯데월드의 지반은 극히 불량하며 싱크홀은 암반터파기 공사중에 발생했으니 연관성이 높다. 그럼, 만에 하나 터파기 공사에서 발생한 부실이 끝내 하중을 버티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 것인가? 바닥에 금이가곸ㅋㅋ 천장이 무너지는뎈ㅋㅋㅋㅋ 일부러 그런거라고 둘러댈수도 없댘ㅋㅋㅋㅋㅋㅋ 싱크홀로 경고 했댘ㅋㅋㅋㅋㅋㅋ 예나 지금이나 부실공샄ㅋㅋㅋㅋㅋㅋㅋ 20

소셜미디어 & 재난, Disaster Issues Monthly 는 소셜 빅데이터 실시간 분석시스템, 소셜빅보드(http://sns.ndmi.go.kr)를 활용하여 재난이슈 및 동향을 보고하는 월간 리포트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승인 없이 본 내용의 무단전재나 복제를 금합니다. 분석대상 : 2015년 4월, 한국에서 발생한 트윗(총 171백만건) 분석방법 : 전체 트윗수집 재난안전관련 트윗 필터링 분류 본 동향자료는 http://www.ndmi.g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본 내용에 대한 문의나 제안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 및 문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빅데이터센터 최선화 연구사(shchoi33@korea.kr) 배병걸 연구원(bazel1984@korea.kr) 이보람 연구원(boram1024@korea.kr) 그림자문 : 김혜미 일러스트레이터(gpal0876@naver.com) 사진인용 - 국민안전처 중앙재난안전상황실. (2015). 2015년 4월 재난안전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