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F0B7D0C1A4BAB8BFACB1B85F34382D32C8A35FBABBB9AEC3D6C1BE5F303833312E687770>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2 -

04 Çмú_±â¼ú±â»ç

hwp

CC 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152*22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CC hwp

뉴스평가지수의개발과적용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09콘텐츠산업백서_1 2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CR hwp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untitled

È޴ϵåA4±â¼Û

DBPIA-NURIMEDIA

11+12¿ùÈ£-ÃÖÁ¾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89 -

³»Áö_10-6

???德嶠짚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중등용1)1~27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ÀåÀÛ¾÷

(연합뉴스) 마이더스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C7D1B1B9C7FC20B3EBBBE7B0FCB0E82DC3D6C1BE612E687770>

2003report hwp

#7단원 1(252~269)교

allinpdf.com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ad hwp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60

ÃѼŁ1-ÃÖÁ¾Ãâ·Â¿ë2

....pdf..

(명, 건 ) 테러공격 발생건수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2002report hwp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_1.hwp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나하나로 5호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성인지통계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º»ÀÛ¾÷-1

coverbacktong최종spread

Jkafm093.hwp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041~084 ¹®È�Çö»óÀбâ

ad hwp

03 ¸ñÂ÷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178È£pdf


0.筌≪럩??袁ⓓ?紐껋젾 筌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ps

내지(교사용) 4-6부

Çѹ̿ìÈ£-197È£

1. 경영대학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Untitled-1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_¸ñÂ÷(02¿ù)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 pb61۲õðÀÚÀ̳ʸ

¾Æµ¿ÇÐ´ë º»¹®.hwp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러한 변화는 조사방법상 문제가 많은 선거 여론조사 결과가 언론보도에서 사전 배제되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제도적 개선 노력을 통해 과거보다 높은 품질의 조사가 이뤄졌지만, 여 전히 선거결과를 예측하는 데 실패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부 분의 언론사와 조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歯이

<B1E2C8B9B3EDB4DC325FC0D3C0BBC3E25FB1B9C1A6BDC3C0E5C1A2B1D92E687770>

08학술프로그램

173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SIGIL 완벽입문


아이콘의 정의 본 사용자 설명서에서는 다음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참고 참고는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 주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을 제공합니다. 상표 Brother 로고는 Brother Industries, Ltd.의 등록 상

2.pdf

wtu05_ÃÖÁ¾

p529~802 Á¦5Àå-¼º¸í,Ç×ÀÇ

<3231C3A4C8F1C5C22E687770>

04 특집

레이아웃 1

Transcription:

언론정보연구 48권 2호, 2011년, 181 222 http://icr.snu.ac.kr/jcr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글로벌 디지털 시대의 국제 뉴스 온라인 국제뉴스에 대한 국가별 비교연구 * 김성해**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 visionofsea@hotmail.com 유용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박사과정 ssamba304@yonsei.ac.kr 심영섭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사 nieman67@gmail.com 글로벌 디지털 시대를 맞아 국제뉴스의 생산, 유통 및 소비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국제뉴스가 오프라인과 어떤 차별 성과 공통점을 갖고 있는지, 그간의 국제보도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된 문제 가 어느 정도 극복되고 있는지에 대한 글로벌 연구는 많지 않다. 게다가 국내 언 론의 경우 디지털 시대의 등장으로 인해 국제뉴스의 품질이 악화되고, 서방 의존 성이 증가하며, 국제사회에 대한 맥락화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많 다. 이 연구는 이에 한국 및 세계 주요 국가 권위지들의 온라인 판 국제뉴스를 선 택해 뉴스의 형식과 내용의 다양성, 뉴스의 성격 및 목적, 기사의 작성과 자료 구 성 및 정보의 완결성 등을 평가했다. 나아가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언 론의 국제보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는 한편, 국제보도 품질개선을 위한 근거와 함의를 모색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해 한국 언론과 선진국 권위지의 국제 * 이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10년에 진행한 김성해 심영섭의 글로벌 디지털 시대 국제보도 경쟁력 강화방안 의 자료 일부를 활용하였음을 밝힙니다. ** 제1저자 *** 교신저자 181

뉴스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한국 언론은 국제보도의 고질 적 문제점을 여전히 답습하고 있었고, 인터넷의 미확인 정보에 근거해 편의적 자의적으로 국제뉴스를 편집 가공하고 있었으며, 국제적 공동현안에 대한 환 경감시 기능은 취약했다. 이 연구를 계기로 국제보도에 대한 관심제고는 물론 국 제뉴스의 품격제고를 위한 실천적 전략들이 적극 모색될 수 있기를 바란다. KEYWORDS 국제뉴스 뉴스생태계 글로벌리즘 저널리즘 품격 국제공론장 의제설정 국가이익 프레임 1. 문제제기 2010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은 글로벌 사회의 주목을 받 았고, 한국 정부는 이를 전후로 국가 위상을 높이기 위한 홍보에 많은 노 력을 쏟았다. 그간 국제뉴스를 수용하던 입장에서 벗어나 한국발 국제 뉴스가 늘었고, 한국의 이명박 정부는 국제사회의 게임 주도자(rule maker) 가 되었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뒤이어 터진 북한의 연 평도 공격과 한국의 반응은 그 자체로 글로벌 언론사의 표적이 됐고, 이 번에는 한국정부의 의도와는 무관한 한국에 대한 보도가 순식간에 전 세 계로 전달되었다. G20 의장국의 위상은 순식간에 무너지고 한반도는 지 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화약고로 재인식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이 직면 한 글로벌 시대의 도전과 디지털 혁명으로 통해 급속하게 진행되는 국제 뉴스의 생산, 유통 및 소비를 잘 알 수 있다. 지난 1990년대 초 김영삼 정부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로 세계화 를 내 세우고 야심차게 개방을 추진했다. 1996년 선진국경제협력기구(OECD) 정식회원국이 되었고, 회원국 자격을 충족하기 위해 자본시장 개방 일 정도 대폭 앞당겼다. 그러나 성급한 개방은 1997년 외환위기로 이어졌 다.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정부는 국내 알짜기업을 해외에 매각하 고, 국내은행의 외국인 소유한도를 없애고, 금융 외환 시장을 전면 개 182

방했다. 그 이후 한국의 주식시장에서는 미국 월가의 움직임에 연동되 는 동조화(coupling) 현상이 일상화되고, 미국계 신용평가회사가 내놓 는 신용평가 결과에 따라 국내경제가 출렁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 기 직후 한국의 무역의존도는 90% 수준에 달했고, 금융시장은 외국투기 자본의 놀이터로 변해 정상적인 경제활동과는 무관하게 운용되고 있다. 한국의 외환과 금융시장은 로이터, 블룸버그, 월스트리트저널(WSJ), 파 이낸셜타임스(FT)와 뉴욕타임스(NYT) 등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언론 사의 보도에 따라 일희일비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이 처한 구조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내 언론의 국제뉴 스 비중과 품질은 나날이 악화되고 있다. 서구 외신에 대한 지나친 의존, 지역 편향, 속보성 단순 사실 기사 중심 등 우리 언론의 국제보도에 대한 비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국제부 기자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해외 특파원 규모가 지나치게 작으며, 뉴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국제 보도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미디어들은 저널리즘 규범에 입각해 국익과 국제공동현안에 관한 환경감시 기능에 충실한 양 질의 국제정보를 생산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그로 인해 국제사회 현안을 제대로 이해하고 합리적인 결정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가 적절하 게 제공되지 못하는 현실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을 바탕으로 주요 강대국과 한국의 국제보도가 어떤 차이와 공통점을 갖 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주요 언론사의 국제뉴스 웹사이트 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 제기되었던 기존의 문제 의식들이 디지털 시대 이후에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 았다. 분석대상으로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독일 및 한국의 대표적인 신 문사를 선택했으며, 보도의 다양성, 다루는 이슈의 성격 및 이슈를 다루 는 목적, 자료의 구성 방식 및 자료의 완결성 등을 분석항목으로 설정했 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 수준을 글로벌 기준에서 평가 하고 국제뉴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183

2. 이론적 논의 1) 국제뉴스의 정의 국제보도는 국가 주권 이 행사되는 물리적 상징적 영역 외부에서 발생 하고, 그 행위 또는 관심의 주체는 국가 공동체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외 부인이며, 국가이익 및 국제사회 공동의 이해관계나 인류의 보편적 관 심사와 관련한 주요 사건 및 사안들을 다루는 뉴스로 정의할 수 있다. 물 론 글로벌 시대가 열리면서 국제뉴스와 국내뉴스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는 지적도 있다. 국제적(international) 또는 국가적(national) 이라는 이분법이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도 가능하다(Rantanen, 2007). 그러나 국제뉴스는 보도하는 대상, 목적, 그리고 수용자 차원에서 국내뉴스와 는 엄연히 구분된다. 우선, 국제뉴스는 자국 언론이 직접 생산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 분 세계 주요 언론사와 글로벌 통신사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보도대 상이 된 국가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생산되고 유통되는 특징이 있다. 이 상적으로 모든 국가가 자국의 이해관계와 관련 있는 국제뉴스를 직접 발 굴하고,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국제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공적 지식으로 가공할 수 있는 나라는 많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는 로이터, 에이피(AP), 에이에프피(AFP) 와 같은 국제통신사에 의존한다. 이들 통신사는 특정 이슈나 사건을 뉴 스로 선정하고, 특정한 관점을 뉴스에 반영함으로써 국제정보 질서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제3세계 를 비롯한 많은 약소국들은 국제뉴스 를 일방적으로 전달받고, 자국이 보도대상이 될 때조차 스스로의 의지 와 관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없는 이중적 딜레마에 빠진다. 더구나 이들 국제적 통신사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이나 윤리적 규범도 없 으며, 이들 통신사가 자국의 대외정책은 물론 자사의 입장에서 국제사 회를 보도해 왔다는 점도 잘 알려져 있다. 뉴스를 소비하는 계층과 영향력이 관철되는 방식에서도 국제뉴스 184

와 국내뉴스는 구분된다. 국내뉴스 소비자는 해당 국가의 언어, 문화, 맥 락을 공유하고 있지만, 국제뉴스의 소비 주체는 그렇지 않다. 국제뉴스 소비자들은 영어권, 불어권, 중국어권 등 언어에 의해 구분되는 가상의 국제공론장에 참여한다. 이들 권역마다 국제뉴스를 생산하는 글로컬 (Glocal) 뉴스생산자도 있다. 영어권에서는 BBC, 뉴욕타임즈(NYT), 파이낸셜타임즈(FT), 워싱턴포스트저널(WSJ) 등을 통해, 남미에서는 텔레수르(Telesur)나 글로보 뉴스(Globo News)를 통해, 아랍인들은 알 자지라(Al Jazeera)나 알 아라비야(Al Arabiya)를 통해서 공동의 관 심사를 확인하고, 지역 여론을 형성한다. 국제뉴스 소비자들은 뉴스대 상에 대한 직접 경험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또한 국제뉴스를 책임질 지 역적인 대안 미디어가 없기 때문에 언론이 전달하는 뉴스에 대한 비판적 독해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국제뉴스 수용자들이 영향력을 행사하 는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다. 국내뉴스 수용자들은 여론조사, 선거, 의사 표현을 통해서 자신의 입장을 정부, 미디어, 기업과 같은 엘리트 집단에 게 전달할 수 있지만, 국제뉴스 흐름에 있어서 수용자는 자신의 의사를 반영할 기제를 가지기 힘들다. 국제뉴스는 또한 자국 언론이 국제사회 를 대상으로 생산하는 뉴스와 자국을 대상으로 국제적 언론들이 생산하 는 뉴스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국제뉴스에는 국내 언론사가 전달 하는 국제사회에 관한 뉴스, 글로벌 통신사들이 전달해주는 한국에 대 한 뉴스 및 한국과는 직접적으로 상관이 없는 국제사회에 대한 뉴스가 모두 포함된다. 2)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 국제보도 연구는 분석 단위 차원에서 거시적 연구와 미시적 연구, 그리 고 뉴스 과정에 적용하는 관점 차원에서 선택(selection) 관점과 구성 (construction) 관점으로 구분된다(Hjarvard, 2002). 선택 관점에서 국 제보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은 각각의 뉴스 이벤트들이 된다. 따라 서, 저널리스트들이 무엇을 선택해서 기사로 만들고, 이슈화하는지가 185

국제뉴스 연구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반면 구성 관점은 선택 관점과는 반대로 뉴스를 사회적 가공물이자, 관습, 관행, 특정한 가치, 물질적 자 원을 둘러싼 역학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산출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뉴스 이벤트보다 오히려 언론기관, 저널리스트의 전문가 주의, 뉴스 시장과 같은 사회적 제도 요인들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진 다. 미시적 수준에서 선택 관점을 다루는 연구는 가령 게이트키핑 분석 이 대표적이다. 거시적 수준에서 선택 관점을 다루는 연구는 뉴스 흐름 의 큰 양상을 주로 다루게 된다. 반면, 미시적 수준에서 구성 관점을 다 루는 연구에는 뉴스 콘텐츠 분석, 사례비교, 뉴스 조직에 관한 연구 (e.g., Boyd-Barrett, 1980; Boyd-Barrett & Thussu, 1992; Fenby, 1986, Hohne, 1984) 혹은 특파원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거시적 수준 에서 구성관점을 채택하는 연구들은 문화제국주의, 미디어 정치경제학 과 같은 이론적 맥락 안에서 국제뉴스를 분석한다(e.g., Galtung, 1971; Mosco, 1996; Mowlana, 1997; Schiller, 1976; Tunstall, 1977, Tunstall & Machin, 1999). 1990년대 이후 국제화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학계에서도 이러한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이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서구 통신사 에 대한 문화종속의 가능성, 인터넷 등장에 따른 국제정보 질서의 변화, 대외정책 보도에 있어 정부와 언론의 관계, 언론의 애국주의 보도, 국제 부와 특파원 연구, 외신과 한국 언론의 비교 연구, 국가 간 언론보도의 차이에 대한 비교 등이 있다. 특히 국제보도 연구는 국제보도를 결정하 는 혹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국제보도와의 관 련성의 정도나 방향을 설명하는 데 주목했다(김경모, 2000; 김영욱, 2002). 이들 연구자들은 구체적으로 개인(저널리스트) 차원에서 국제뉴 스를 선택하고, 관점을 결합시키는 데 있어 언론인들의 선민의식이 어 떻게 반영되는지, 해외에서 국제뉴스를 직접 전달하는 특파원들의 직업 규범과 윤리와 개인 성향과 보도양상 간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이해하 고자 했다. 다음으로 조직 차원에서 국제부와 특파원의 규모, 독자층 분 포, 언론사의 소유 편집 구조에 따라서 국제보도 양상이 어떻게 달라 186

지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즉 언론의 이념적 성향, 소유구조 등에 따라 실 제로 국제보도에서 주목하는 지역, 대상, 주제가 다른지, 만약 다르다면 진보언론 과 보수언론 간에 실제로 얼마나 다른지를 밝히고자 했다. 국 가 차원에서 정부의 대외정책이 언론보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언 론이 그 과정에서 정부의 입장을 전달하게 되는 기제는 무엇인지, 국내 외 현안 보도에 있어 국가별 보도 양상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에 대해 주목해 왔다. 국제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외에 국내 국제연구에서 활발 히 진행되어 온 분야는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가 갖는 문제점을 지적한 연구들이다. 이들 연구는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가 저널리즘 차원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찾고자 했다. 선행 연구 결과들과 현장의 비판 들은 갈퉁과 루지(Galtung & Ruge, 1965)의 외국 뉴스의 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밝혀진 국제보도의 특성과 유사한 지점을 반복적으로 지적하 고 있다. 대표적으로 심재철(1997)은 한국 신문이 국제보도에 있어 선 정성과 인간적 흥미성을 유발하는 이슈에 주목하고, 보도내용도 단편적 이며, 국제사회질서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는 소홀히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모(2000) 역시 한국의 국제보도가 언론사별로 차별성이 없는 몰개 성적 관행에 젖어 있고, 제한된 형태로만 국제사회를 보여준다고 비판 한다. 저널리스트들과 현장에서의 비판도 꾸준했다. 안민호(2001)는 한 국 국제보도에 있어서 외신오역과 왜곡보도로 발생하는 객관성 문제와 신뢰도 저하를 지적한다. 그밖에도 한국 언론은 서구 언론과 마찬가지 로 이해하기 쉽거나 결론을 내리기가 덜 복잡한 이슈, 발생예측이 쉽거 나 반대로 예측하기 어려운 돌발 이슈, 강대국/공인/유명인(celebrity) 에 관한 이슈, 부정적이거나 갈등을 다루는 이슈에 주목하고 있다는 지 적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김영욱, 2002; 안병준, 1998; 우승용, 1999; 류 재갑, 2001; 김덕모, 1997; 김택환, 1994; 전영우 이영표, 2001). 국제보도의 규범적 가치 실천에 있어 국내언론이 매체별로 차별성 을 보여주지 못한 원인으로는 국제부 기자들의 전문성 부족과 함께 관료 적이고 위계적인 조직문화 및 국제뉴스에 대한 이해 부족이 지목된다 187

(박천일, 1996). 그러나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국제보도가 안고 있 는 문제점은 쉽게 개선되지는 않고 있다(김성해, 2008; 김성해 김경모, 2010; 김성해 김동윤, 2010). 국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국제보도의 품격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를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 언론사 조직 및 저널리스트 개인 차원의 노력 부족 등을 지적한다. 가령 이장훈(2001) 은 언론사들이 국제부와 국제보도를 홀대하는 경향을 지적한다. 이종수 (2001)는 1997년 이후 국제보도 자원에 대한 구조조정(특파원 규모 축 소)으로 인해 외국 통신사에 대한 의존도가 심해지는 문제를 지적한다. 전영우 이영표(2001)는 종군기자 경험을 근거로 일본 언론기자들이 최소 5 6명씩 국제분쟁 지역에 인력을 파견해 보도하거나, 간이방송국 시스템까지 동원해 실시간으로 속보를 내보내는 서구 언론사들에 비해 한국 언론의 열악한 취재환경과 전문성 부족의 문제를 제기했다. 이영 환(2005)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국제보도에 대한 인식 전환, 특파원 교육 및 선정 관행의 개혁 필요성을 제안했다. 특파원에 관한 연구들 또한 국제보도와 관련한 특파원 문제를 다뤄 왔다. 초기 연구들은 특파원에 대한 현황 및 실태 파악을 바탕으로 국제 보도와의 연관성을 탐색했다(서정우, 1997; 황봉구, 1992). 특파원에 관 한 국내 연구는 특파원 수, 파견국 숫자 면에서 해외 취재 역량의 양적 확보가 미비하고,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열악하다는 비판과 함께 한국 언론의 특파원 자질 부족 문제를 거론하면서 특파원 교육제도, 조직문 화, 문화적 한계와 같은 구조적 요인도 지적됐다(조용중, 1002; 천원주, 1996; 류재갑, 2001; 이장훈, 2001; 이영환, 2005). 3) 국제정보 질서 지형 변화와 국제뉴스 연구 국제정보 질서의 불평등 문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온 문제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국제정보 질서에 관한 논의가 크게 활성화되지는 못하다. 1970년대 후반 제3세계가 결성한 비동맹회의를 통해서 국제정 보 질서의 불평등에 관한 의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유네스코에서 188

맥브라이드 보고서를 채택하면서 신국제정보 질서운동은 구체화되었 다. 국내 연구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제로 꾸준히 다루어 왔다(김성해, 2007; 김승현, 1991, 2000; 박천일, 1994; 양승목, 1992; 임동욱, 1990; 전규찬, 1994). 그럼에도 신국제정보 질서 운동에 관한 논의는 1980년대 이후 국제여론 및 학계의 관심사로부터도 멀어졌는데, 그 원인으로는 다양한 요인들이 지적된다. 가령 김승현 (2000)은 신국제정보 질서운동이 표방한 자유로운 흐름 이라는 가치가 북반구와 남반구 간의 공정하고 양적 질적 균형이 유지되는 쌍방형의 자 유로운 정보유통이라는 기본가치를 충실히 수행하려고 했음에도 불구 하고 서구 정부와 자본주의 시장의 이해관계에 이바지했을 수 있음을 지 적했으며, 김성해(2007)는 당시 국제사회의 중요한 결정권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패권 의 문제를 직시하지 못함에 따라 국제정보 질서의 민주 적 재편에 한계가 있을 수 있었음을 지적한다. 실제 신국제정보 질서운 동은 미국 그리고 미국의 입장을 쫓았던 영국과 싱가포르 등이 유네스코 를 탈퇴함에 따라 급속히 약화되었다(Altshcull, 1984; Nordenstreng, 1986). 물론, 그러한 결과는 소련과 동구권이 붕괴한 역사적 상황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글로벌화가 본격화되고, 인터넷과 무선통신 등 정보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면서 지구촌 어디든 서로 소통 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국제정보 질서에 관한 논의 의 지형 혹은 전제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밖에 없다. 기술낙관주의 관점에 따라 국제정보 질서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 하거나, 혹은 국제정보 질서운동이나 문화제국주의와 같은 구조적 불평 등을 다루는 의제가 더 이상 유효하기는 어렵다는 입장도 제기됐다. 실 제 냉전이 낳은 억압과 단절이 해체되고, 인터넷과 이동통신기술이 정 보채널을 무한대로 증가시켰으며, 후진국이나 약소국이 국제적인 여론 형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대표적으로 1996년 개국한 알 자지라 방송은 서구 언론과 통신사가 확대 재생산하 고 있는 아랍에 대한 왜곡된 상을 바로잡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99년 189

시애틀에서 벌어진 반WTO 투쟁은 대안 미디어 활동에 의해 전 세계로 송신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처럼 국제공론장의 구조적 불평등에 관한 새로운 가능성 에도 불구하고, 국제정보 질서 내에 자유롭고 균형 있는 정보가 유통되 고, 그에 기반해 국제정보 질서의 참여자들이 서로 대등한 입장에서 서 로의 가치와 관점을 존중하는 가운데 민주적 숙의와 그 결과로 획득되어 지는 합의를 이루는 민주적 공론장은 여전히 현실화되고 있지는 못하다. 국제뉴스의 대부분은 로이터와 AP통신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영어권 정보는 비영어권 정보에 의해 비대칭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탈냉전 이후에도 미국의 문화적 지배 권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임동욱, 1990; Schiller, 1991; McChesney, 2001), 제3세계 미디어 기업들이 여 전히 서구 선진국의 문화적 자본과 그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는 주장 (Herman & McChesney, 1997) 또한 제기된다. 국내 연구자들이 해외 언론에 의해서 한국이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들은 국제 정보 질서와 관련한 국제보도의 영향력을 잘 보여준다. 가령 영국 일간 지 더 타임즈 에 등장하는 한국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국가 이미지는 정치적으로는 위험하고 혼란스러운 자기장, 경제적으로는 무질서한 후진국, 대외관계상으로는 감정적 민족주의 로 그려지고 있 다(이윤진, 2007). 미국의 뉴욕타임즈 와 LA 타임즈 가 다루는 한국 기사를 분석한 결과는 한국이 일본에 비해 보다 부정적인 국가 이미지 로 재현되고 있고, 시위대를 향한 경찰의 강경진압 같은 과거의 이미지 로 오늘날 한국의 이미지가 표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최진봉 류찬열, 2005). 이러한 지형 변화와 함께, 2000년대 이후에도 국제보도와 국제정 보 질서에 관해 질문하는 연구들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박기순과 이 남표(2001)는 조선과 한겨레의 1990년대와 2000년대 국제보도를 시계 열로 분석한 결과, 미국을 비롯한 서구 중심적 이미지가 여전히 강화되 고 있고, 정보원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관점과 입장의 다양성은 부 족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구교태와 김세철(2004)는 국내 전국지와 190

지방지를 분석한 결과 제3세계에 관한 소식들은 공공 뉴스보다 선정적 뉴스 형식으로 더 많이 다뤄지고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국가 간 정보 불평등 문제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연구들 외에도 2000년대 이후 국제보도 연구는 국가 간 보도 차이, 대외정책 보 도에서 언론-정부의 관계, 국가별 문화 차이에 따른 보도의 차별성 등 주제 면에 있어서 더욱 다변화되고 있다. 김수정과 조은희(2008)는 전 쟁보도와 같이 국가 간의 차이가 당연하기 쉬운 것으로 가정되는 주제가 아닌 배아줄기세포 와 같은 중립적 이슈에 있어서도 한미 간 언론보도 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했다. 분석 결과, 국내 언론이 감성주의, 민 족주의, 국가이익 중심으로 보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문화 중심주의(ethonocentrism) 가 여전히 국제보도의 중요한 특징임이 확 인됐다. 김수정(2008)은 국내언론의 아시아 보도를 분석했다. 이 연구 는 국내언론의 아시아 관련 보도가 증가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일본과 중국에 60% 이상 편중되어 있어, 지역 편향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병종(2007)의 경우, 대외정책에 있어 언론 자율성이 확대 되고 있다는 점을 내용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 밝히고 있다. 그 에 따르면, 특파원에 의해 작성되는 언론 보도는 자국의 이해관계 내에서 다뤄지는 경향이 있지만, 그러한 경향은 소속 언론사의 이념 그리고 특파 원 개인 수준의 변인들이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한다. 2000년대 중후반 국제보도 연구의 한 경향은 동아시아와 역내 언 론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는 데 있다. 서라민 정재민(2007)은 한중일 3국 언론의 8 15 광복 관련 보도를 분석, 8 15에 대한 집단적 기억이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분석했으며, 김영욱과 동료들 (2006)은 한중일 언론이 상대방을 보도할 때 어떤 주제를 주로 선정하는 지, 독도/조어도/신사참배 등 갈등 주제에 대해 어떤 프레임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김성해와 김경모(2010) 또한 동아시아 협력과 언론 의 역할에 주목하여, 중국과 일본 언론에 비해 한국 언론이 보다 지엽 적 피상적 보도에 치우치고 있는 문제점을 비판한다. 이들 연구들과 연속선상에서 김성해와 김동윤(2009)은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가 다른 191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국익을 대변하는 의미화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박지훈과 류경화(2010)는 국내 지상파 방송의 국제시사 프로그램 연구에서 후진국들의 질병, 가난, 내전과 같은 문제를 다루는 저널리즘이 노력이 오히려 제3세계에 대한 부정적 재현을 정당화하며, 나아가 서구 언론의 담론과 크게 차별되지 않는 담론 형성에 기여할 가 능성을 지적한다. 국제뉴스의 기사 형식과 작성방식에 관한 연구도 있 다. 이건호와 정완규(2008)는 기사 심층성에 주목해 한미 언론의 취재 원 출현 빈도를 분석해 미국 신문에 비해 한국 신문의 취재원 수가 적다 는 점을 밝히고 있다. 김남두(2007)는 9 11 이후 영미 신문의 알 자지 라 인용보도와 아랍방송 취재원 사용 패턴을 분석해 전쟁의 반대/찬성 여부에 따라 정보유형의 다양성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면서, 정보의 국 제간 소통과 취재원 사용 패턴에서 뉴스조직의 편집정책이 차지하는 영 향력을 강조한다. 한국은 물론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온라인 뉴스 이용자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뉴스를 전달하는 플랫폼은 다변화되었고, 뉴스 소비 의 양상도 변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글로벌신문사와 뉴스통신사의 정보를 직접 접하는 경우도 많아졌고, 국제보도 소비 역시 예외가 아니 다. 이 연구는 이에 온라인으로 전달되는 국제보도 현황을 분석하는 한 편, 기존의 국제보도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되었던 국제보도의 근본 적인 문제점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는지, 글로벌화와 디지털화가 진전된 오늘날 국제뉴스의 자료는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저널리즘의 규범적 가치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물론, 최근 들어 국제보도는 물론 뉴스 텍스트에 관한 연구들은 온라인 뉴스를 분석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한국의 국제 뉴스와 국제사회의 주요 국가들의 국제보도를 종합적으로 비교한 연구 는 최근 들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특히 온라인 뉴스에 대한 비교분석 은 더욱 부재하다. 이에 이 연구는 유럽, 미국, 동북아 주요 국가들의 권 위지 들의 온라인 국제면을 통해 제공되는 뉴스를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 와 함께 분석했다. 192

3. 연구문제,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1) 연구문제 국제보도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양적 다양성의 결핍으로 지적받는다. 글로벌 여론 광장에서 이 문제는 글로벌 공론장의 구조적 불평등과 함께 논의되어 왔다. 선행 연구들 또한 한국의 국제보도는 지 속적으로 양적 다양성의 획득에 실패하고 있고, 이러한 편향은 국제사 회를 바라보는 폭과 시야를 일차적으로 제한하는 요인으로 지속되고 있 음을 지적한다. 이에 이 연구는 우선 한국의 국제보도가 기사의 형식적 (기사형식), 내용적(보도주제, 보도대상지역, 정보원의 다변화) 다양성 이 어떠한지를 국제사회의 다른 권위지들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해 보고 자 했다. 다음의 <연구문제 1>은 이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이다. -연구문제 1: 국제사회의 다른 권위지들과 비교했을 때 국제뉴스의 다 양성은 어떠한가? 즉, 뉴스의 기사형식, 보도주제, 보도지역, 정보원 의 다양성은 어떠한가? 양적 다양성의 확보 이외에도 국제보도가 국제사회의 중요 현안을 국내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실 및 의견에 관한 정보들을 저널리즘의 관점에서 충실히 다루고 있는가 또한 국제보 도의 중요한 평가 지점이다. 이 연구는 우선 이슈의 성격에 대해서 평가 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부정적, 일탈적 이슈와 같은 자극적인 소재만을 국제보도로 다루고 있는지, 국제사회의 긍정적 이면과 논쟁적이고 혹은 보다 덜 자극적일 수도 있는 중립적인 이슈들 또한 충분히 겸해서 다루 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해당 이슈를 다루는 목적, 즉 기사 제공의 목적에 대해서도 아울러 평가하고자 한다. 단지 흥미 있는 읽을 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지, 아니면 저널리즘의 중요한 기능인 환 경 감시(surveillance)의 목적으로 기사를 제공하는 것인지를 텍스트 193

에 근거해 측정하고자 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서 국제면이 상업성과 저널리즘의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에 충실한지를 평가해 보고자 했다. <연구문제 2>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2: 국제사회의 다른 권위지들과 비교했을 때 국제보도가 다 루는 이슈의 성격 및 이슈를 다루는 목적은 어떠한가? 국제보도의 다양성과 저널리즘의 가치 추구는 불가피하게 한국의 국제보도가 가진 구조적 한계와 떨어져서 논의되기 어렵다. 이는 국제 보도에 관여하는 매체 및 그 매체가 뿌리박고 있는 국가 혹은 문화권이 소유하고 활용 가능한 유무형의 자원들 간에 역사적이고 구조적인 편차 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차가 국제보도에 집중적으로 미칠 수 있는 영향은 국제사회의 중요 현안과 사건들(events)에 대한 접근가능 성 차원에 있다. 때문에, 서방 국가 에 소속된 권위지들이 제공하는 기 사에 인용된 정보가 1차 자료 이기 쉬운 반면, 그렇지 못한 국가들의 언 론이 자국 독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글로벌 통신사나 서방 의 권위 지들이 제공하는 2차 자료 이거나, 오늘날에는 심지어 인터넷을 통해서 확인한 미확인 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연구문제 3> 에서는 국제보도의 자료가 어떤 취재 방식으로 구성되고, 어떤 정보채널 을 통해 정보를 얻고 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국제보도가 제공하는 정보 의 신뢰성과 품질을 평가해 보고자 했다. <연구문제 3>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3: 국제사회의 다른 권위지들과 비교했을 때 국제보도의 자 료는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 즉, 기사작성자의 유형, 정보의 출처는 어떠한가? 국제보도가 다른 보도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독자들이 해당 보도 가 다루는 이슈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구조적으로 차단되어 있 는 정도가 다르다는 데 있다. 인터넷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의 지 194

식 수준, 외국어 이해 능력, 국제사회와 해외에 대한 경험의 편차로 인해 이러한 제한은 여전히 남아 있다. 국제보도가 다른 보도분야보다 해당 이슈나 지역에 관계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은 물론 역사적이고 맥락화 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필 요가 여기에 있다. 이에 <연구문제 4>에서는 이슈에 대한 완결된 정보 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기사가 다루는 이슈가 해당 지역, 문화, 역사와 관련해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살펴 봄으로써, 국제보도가 제공하는 정보의 완결성에 관한 품질을 평가해 보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 4>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4: 국제사회의 다른 권위지들과 비교했을 때 국제보도가 제 공하는 정보의 품질은 어떠한가? 즉, 정보의 완결성은 어떠한가? 2) 연구방법 온라인 국제면의 국제뉴스의 다양성, 이슈의 성격과 이슈를 다루는 목 적, 자료의 구성 및 정보의 완결성을 평가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했 다. 내용분석의 대상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일본 그리고 한 국의 주요 일간지들이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해서 제공하는 국제면에서 제공하는 국제뉴스로 선정했다. 국가별 매체는 자국 내 매체의 위상과, 영향력, 사회정치적 이념성향, 국제보도 역량 등을 근거로 권위 있는 매 체를 한 개씩 골랐다. 미국은 뉴욕타임즈(NYT), 영국은 가디언(the Guardian), 독일은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 프랑스는 르 몽드(Le Monde), 중국은 광명일보( 光 明 日 報 ), 일본은 아사히신문( 朝 日 新 聞 ), 한국은 한겨레신문을 선정했다. 선정된 매체들은 대체로 자국 내의 주요 언론 매체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진보적 혹은 자유주의적인 성 향을 표방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서비스되고 있는 종합일 간지들이다. 1 이렇게 선정된 분석대상지들의 온라인 웹사이트상에서 국 제면에 게재되는 뉴스를 대상으로 국제뉴스의 형식 내용의 다양성, 국 195

제보도를 통해서 다루는 이슈의 성격과 그 이슈를 다루는 목적, 뉴스 자 료의 구성 양식, 그리고 정보의 완결성과 맥락성에 대해 측정했다. 기사 는 국제면 머리기사(headline news)와 매일 업데이트 되는 일반 기사 들로 한정했다. 2 내용분석에 적용된 주요 변인과 항목의 개념 및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국제뉴스의 다양성 뉴스는 다양한 형식(format)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뉴스형식을 분석하 기 위한 유목으로 단신/분석 해설/인물 인터뷰/기획 특집/사설/칼 럼 외부기고/특파원 수첩/기타로 구분했다. 보도주제는 특정 기사가 다루고 있는 주제 를 의미하는 것으로, 국내외 정치/외교 국제관계/군 사 안보 전쟁 테러/경제 금융 시장 산업/과학 기술 의학 환경/문화 예술 학술 종교 교육/사회 일반/오락 연예 스포츠/ 사건 사고 재해 재난(전쟁 테러 제외)/기타로 나눌 수 있다. 보도 되는 권역은 미국권(캐나다 포함)/남미권(멕시코 포함)/서유럽권/동유 럽권(러시아 포함)/동북아권(한, 중, 일, 북)/동남아권(인도 포함)/중동 권/아프리카권/기타로 구성했다. 정보원에 대한 분석은 특정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정보원이 아닌 기자에 의해 신뢰도와 권위를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핵심 정보원(cue-giver) 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들 의 직업군은 정부(관련) 정보원/공공기관 정보원/공적 지식인(교수)/민 간 전문가(금융 시장 전문가)/기업 전문가(기업 임원, 연구원 등)/시 민 노동조합 시민단체/국제기구/국제통신사/언론매체/기타로 구분 할 수 있다. 덧붙여 설명하면, 여기서 정부 는 정부, 정부기관, 정부보고 1 중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일관성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2 일반적으로 종합일간지 웹사이트의 국제면 첫 화면(front page)에서 왼쪽 상단부터 아래로 머리기사와 일반 기사들이 제공되고, 우측과 하단에는 특정한 주제나 이슈에 관해 특화된 국 제면 내의 하위 섹션 들이 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연구에서 특화된 섹션에 대해서는 분석하지 않았다. 196

서, 정부 발표자료, 정부관료 등을 모두 포함한다. 공공기관 에는 공공 연구기관, 싱크탱크, 공공 연구기관의 보고서, 발표자료 등이 포함된다. 공적지식인 은 교수를 말한다. 민간전문가 는 금융기관 종사자나 시장 분석가(analyst)를 말하며, 기업전문가 는 민간전문가 와는 다소 다르 게 기업의 임원, 기업의 리서치센터, 기업연구소 연구원 등을 말한다. 시민/시민사회 는 시민단체, 시민단체 보고서 혹은 발표자료, 일반 시 민, 노동조합 등을 말한다. 국제기구 는 국제기구, 국제기구 보고서 혹 은 발표자료 등을 말한다. (2) 국제뉴스가 다루는 이슈의 성격과 기사의 목적 기사의 성격은 기사가 다루는 이슈가 긍정적인지, 중립적인지, 부정적 인지로 측정했다. 기사를 쓴 목적은 국익 관련 환경감시/국제공동현안 관련 환경감시/단순 정보전달/흥미 오락/휴먼스토리 계몽/기타로 유목을 구성했다. (3) 국제뉴스 자료의 구성 자료작성자는 기사를 누가 작성했는지로 측정했으며, 유목은 자사 국제 부 기자/해외 특파원/해외 통신원 혹은 프리랜서/자국 내 매체/외신(연 합)/기타/알 수 없음으로 구성했다. 정보의 출처는 1차적으로 국제뉴스 가 대부분 글로벌 통신사나 영미권의 권위지들에 의해 생산되는 뉴스 가 각국 언론에 의해 가공, 편집되어 각국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기사 내에 주요 정보가 어느 언론사(통신사)에 의해서 전달되고 있는지로 측정했다. 유목은 로이터/AP/AFP/블룸버그/UPI/ Itartass/교도통신/신화통신/외신(종합)/미국매체/유럽매체/기타매체/ 기타로 구성했다. (4) 국제뉴스 자료의 완결성 마지막으로 정보가 얼마나 의미 있게 구성되어 있는지는 프레임(frame) 197

요소로 측정했다. 틀짓기(framing) 개념은 뉴스에 담겨 있는 정보들이 단지 기계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고, 특정한 인지적인 틀로 구조화되 어 있다고 설명한다. 프레임은 어떠한 이슈를 특정한 의미를 가진 설명, 이야기, 혹은 구조화된 틀로 새롭게 구성해준다. 이런 맥락에서 프레임 은 이슈가 가지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그 원인과 속성에 대 해 진단하며, 해결책이나 대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교훈을 제공해주는 인식의 틀로 정의된다(김성해, 2010). 이 연구는 엔트먼(Entman, 1991, 1993)의 프레임 정의에 근거해, 뉴스 기사 속에 문제에 대한 정의나 원 인 진단, 대안이나 해법에 대한 제시, 전망이나 교훈에 대한 정보 제 공, 역사적, 맥락적 정보의 제공 와 같은 정보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 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요인에 대해서 기사 내에 관련 정보가 제시되어 있는지를 있음, 없음 의 형태로 측정했다. 3) 자료 수집 내용분석은 2010년 8월 16일부터 8월 27일까지 주말을 제외한 10일간 실시했다. 온라인판(online edition)은 편집이 하루에도 수 회 이루어진 다. 때문에 각국별로 시간대에 맞춰 편집의 급격한 변화가 없는 시간대 를 골라 코더별로 매일 동일한 시간대에 코딩하도록 했다. 코딩 결과, 전 체 796건의 기사를 수집했다. 한국 129건(한겨레), 미국 147건(뉴욕타 임즈), 영국 145건(가디언), 독일 55건(FAZ 55), 프랑스 95건(르몽드), 일본 102(아사히), 중국 123건(광명일보)이다. 독일과 프랑스의 표본 수는 현저하게 적었다. 독일의 경우, 두 매체가 모두 유료화 전략에 따라 서 오프라인(인쇄 신문) 신문에 게재하는 기사들 가운데 일부만을 온라 인에 게재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르몽드가 국제뉴스를 매일 갱신하 는 비율이 다른 국가들의 분석대상지에 비해 평균적으로 적었다. 언어가 상이한 6개국의 매체 기사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어와 해당 국가의 언어 모두에 능통한 6명의 코더들을 투입했다. 중국어, 불어, 일 본어, 독일 매체 코딩은 모두 통번역 대학원을 졸업한 해당 언어의 전문 198

가들을 활용했다. 영어권 매체와 한국 매체는 언론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활용하였다. 우선 1차 교육에서 본 조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분석의 윤곽과 코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 각자 분석 대상 매체의 웹사이트 국제면의 기사 게재 방식이나 편집상 특징점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비 코딩을 실시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코딩스킴과 가이드북을 확정했으며, 확정된 코딩 지침을 바탕으로 2차 교육을 실시하였다. 2차 교육을 실시한 다음 2일치 보도에 대한 사전 코딩(pre coding)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한 코더 간 신뢰도 (inter-coder reliability)는.77이었다. 언어 문제로 인해 각 매체별로 해 당 언어의 정통자에게 코딩을 일임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코더 간 신 뢰도 확보는 더욱 중요했다. 이를 위해 코더 간 신뢰도 확보를 위해 특정 기사들에 대해 6명의 코더가 모두 코딩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코더 간 신뢰도를 점검하고, 코더 간 회의를 통해서 신뢰도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신뢰도 계수는 플레이스(Fleiss)의 카파(Kappa) 계수 3 를 활 용했다. 4. 분석 결과 1) 다양성 국제보도의 다양성은 형식의 다양성과 내용의 다양성으로 나눠진다. 형 식의 다양성 측면에서 단신 보도만으로 국제사회의 환경 변화를 충분히 전달하기 어렵다. <표 1>에서 제시한 분석 결과는 국가별 권위지들의 기사 형식의 분포를 보여준다. 3 플레이스(Fleiss)의 카파 계수는 확정된 복수의 코더들 간의 코더 간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 이다. 이 방법은 두 명의 코더 간 신뢰도를 측정하는 코헨의 카파(Cohen s Kappa)와 달리 두 명 이상의 코더 간 신뢰도 측정이 가능하다. 199

표 1. 기사 형식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단신 74.4% 49.0% 24.1% 43.6% 48.4% 95.1% 89.4% 60.3% 분석 해설 16.3% 49.0% 57.2% 36.4% 45.3% 0.0% 9.8% 31.5% 인물 인터뷰 5.4% 0.7% 2.8% 1.8% 3.2% 2.9% 0.8% 2.5% 기획 특집 3.1% 1.4% 6.9% 0.0% 3.2% 1.0% 0.0% 2.5% 사설 칼럼 0.8% 0.0% 8.3% 3.6% 0.0% 0.0% 0.0% 1.9% 특파원 수첩 0.0% 0.0% 0.0% 14.5% 0.0% 1.0% 0.0% 1.1% 기타 0.0% 0.0% 0.7% 0.0% 0.0% 0.0% 0.0% 0.1% 전체 (129) (147) (145) (55) (95) (102) 100% (123) (796) χ 2 =359.214, df=36, p<.001 분석 결과 영미권 및 유럽의 권위지들과 한국 및 동북아 국가들의 기사 형식 구성 간에 차이가 드러난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의 분석 및 해설 기사는 모두 30% 이상으로 국제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단신보 도에 비해 적지 않았다. 분석 해설 기사 외에도 영국의 경우 기획 특 집 기사도 6.9%를 차지하고 있고, 독일의 경우 특파원 수첩(14.5%)의 기사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많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중국, 일 본의 경우 분석 해설 기사는 20%가 되지 않는 반면, 대부분의 기사들이 단신 보도로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단신 보도가 74.4%였으 며, 일본과 중국은 거의 대부분의 기사가 단신 보도로 채워졌다. 한국의 경우, 물론, 기획 특집 형태의 기사는 3.1%로 전체 2.5%에 비해서 높 았다. 한국에서 두드러진 점은 인물 및 인터뷰 기사가 5.4%로 분석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았는데 대부분 인물 기사였으며, 해외토픽과 같 은 주제에서 다뤄지기 쉬운 유명세를 탄 인물이나 화제가 되는 인물에 대해 쓴 기사들이 대부분이었다. 국제보도에서 단신보도가 많은 이유는 글로벌 통신사나 해외 권위 200

지들의 기사를 송고 받아 이를 그대로 지면에 전제하거나, 혹은 그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자사에서 편집해 구성한 기사를 채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분석 해설 기사의 빈약함은 기사 형식의 다양성이 빈곤하다는 점 을 의미할 뿐 아니라, 동시에 실제 심층적인 취재와 정보 수집을 바탕으 로 이를 지면에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적 요인과도 결부되어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 권위지들이 분석해설 기사를 국제면에 적 절히 배치할 수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그렇지 못한 현실은 이 조사결과 에서도 간접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사 형식의 빈곤함은 결 국 국제사회의 이슈와 환경 변화와 관련해서 국내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정보의 양과 질이 제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한은 결국 일본, 중국은 물론 한국 언론이 국제보도에서 단순 사실 전달 이상의 기능 수 행에는 실패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기사의 형식적 다양성과 함께 내용의 다양성 또한 중요하다. 국제 면 뉴스의 보도 주제를 분석한 결과를 <표 2>로 제시했다. 분석 결과 정치, 외교, 군사, 경제 등 국제사회 현안의 주요 영역에 속하는 분야에서 편차가 확인된다. 우선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의 경 우 주요 4개 영역의 비중이 60%를 모두 넘고 있는 반면, 일본, 중국, 한 국 언론은 그보다 더 낮았다. 물론, 한국은 56.0%로 아시아 언론 가운데 는 가장 높다. 국제보도가 국외에서 벌어지는 중요한 환경변화를 감시 하는 규범적 역할을 떠맡는 것으로 본다면, 이러한 보도 행태는 문제가 된다. 4개 분야 가운데 특히 한국은 정치와 외교국제관계 주제에 대한 관심이 적은 반면, 경제금융시장산업 주제의 비중은 분석대상국 가운데 평균 이상이었으며, 군사 안보 전쟁 테러 주제는 평균 수준이었다. 요컨대, 일본과 중국은 물론 한국의 국제보도에서 국외의 중요한 정치 적 이슈, 외교현안 및 국제분쟁에 관한 주제들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 거나, 혹은 여전히 영국과 미국 등 선진국 언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자극적이고, 흥미에 치우친 이슈에 대한 보도 비중 또한 차이를 보 였다. 한국 언론의 경우 오락 연예 스포츠 주제에서 가장 높은 비중 201

표 2. 보도 주제(분야)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국내외 정치 17.1% 50.3% 25.5% 12.7% 14.7% 11.8% 6.5% 21.9% 외교국제관계 17.1% 38.1% 9.7% 18.2% 12.6% 24.5% 9.8% 19.0% 군사 안보 전쟁 테러 경제 금융 시장 산업 정치 외교 군사 경제 합계 과학 기술 의학 환경 문화 예술 학술 등 14.0% 0.0% 13.1% 32.7% 25.3% 15.7% 13.0% 13.9% 7.8% 0.7% 12.4% 0.0% 7.4% 2.0% 6.5% 5.8% 56.0% 89.1% 60.7% 63.6% 60.0% 54.0% 35.8% 60.6% 5.4% 0.7% 4.1% 3.6% 0.0% 5.9% 4.9% 3.5% 8.5% 0.0% 0.7% 7.3% 0.0% 2.9% 0.8% 2.5% 사회 10.9% 4.8% 4.8% 7.3% 9.5% 2.9% 7.3% 6.7% 오락 연예 스포츠 (가십 포함) 사건 사고 재난 재해 4.7% 0.0% 3.4% 0.0% 1.1% 1.0% 0.8% 1.8% 14.7% 5.4% 25.5% 18.2% 28.4% 21.7% 50.4% 23.2% 기타 0.0% 0.0% 0.7% 0.0% 1.1% 11.8% 0.0% 1.8% 전체 (129) (147) (145) (55) (95) 100.0 (102) (123) (796) χ 2 =364.115, df=54, p<.001 주: 사건 사고 재난 재해 항목에서 전쟁이나 테러는 제외 (4.7%)을 차지해, 다른 국가들에 비해 가십거리에 불과한 이슈들을 가 장 많이 다루는 행태를 드러냈다. 한국은 이 항목에서 일본(1.0%)과 중 국(0.8%)보다도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물론, 한국 언론은 과학 기 술 의학 환경, 문화 예술 학술 등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 202

의 비중을 보여 보도주제의 다양성을 구현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서방의 선진국 언론은 물론 일본, 중국보다도 더 나은 평가도 가 능했다. 그러나 중요한 환경감시의 영역에 해당하는 정치, 경제, 외교, 안보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한 면을 보였고, 가십거리에 해당하는 이슈들에 대한 보도 비중이 높다는 점은 여전히 극복해야 할 한국 국제 보도의 취약점으로 평가된다. 그간 국제보도는 강대국 혹은 선진국들을 과잉 대표 하고, 그 나머 지 세계는 과소 대표 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으며, 제3세계에 대한 왜 곡된 이미지가 국제보도를 통해서 확대, 재생산된다는 문제에 대한 비 판도 있었다. 국제보도에서 다뤄지는 지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 3> 으로 제시했다. 이번 분석 결과에서 보도 대상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이러 한 비판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보아도 북미(23.1%) 표 3. 보도 대상 (권역)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북미 32.0% 41.6% 8.6% 23.2% 19.8% 12.3% 18.9% 23.1% 남미 3.9% 3.2% 13.8% 8.7% 9.4% 7.5% 6.8% 7.5% 서유럽 5.9% 20.1% 21.7% 11.6% 12.3% 8.5% 14.4% 14.0% 동유럽 2.6% 2.6% 5.3% 8.7% 3.8% 7.5% 6.8% 4.9% 동북아시아 34.0% 7.1% 5.9% 11.6% 12.3% 32.1% 16.7% 17.1% 동남아시아 7.2% 2.6% 9.2% 1.4% 6.6% 16.0% 15.2% 8.5% 중동 9.8% 14.9% 17.1% 26.1% 27.4% 10.4% 12.9% 15.9% 아프리카.7% 5.8% 11.2% 5.8% 4.7% 1.9% 6.1% 5.3% 기타 3.9% 1.9% 7.2% 2.9% 3.8% 3.8% 2.3% 3.8% 전체 (153) (154) (152) (69) (106) (106) (132) (872) χ 2 =226.062, df=48, p<.001 주: 동유럽 은 러시아 포함. 동북아시아 는 한국, 중국, 일본, 북한. 남미 는 멕시코 포함. 보도 대상 은 최 대 2개까지 복수응답(multiple answer)으로 측정. 203

와 유럽(18.9%: 서유럽 14.0% + 동유럽 4.9%)의 보도 비중이 높고, 그 다음으로 동북아시아(17.1%)와 중동(15.9%)의 비중이 높다. 이에 반 해, 남미(7.5%), 동남아시아(8.5%), 아프리카(5.3%)에 대한 보도 비중 은 적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미국의 경우 북미(41.6%)와 서유럽 (20.1%)에 대한 비중이 상당히 높아, 사실상 미국의 국제보도는 그들의 이야기 가 대부분임을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국제사회에 대한 미국의 개 입 정도를 감안했을 때 미국의 이러한 보도 행태는 당연한 측면도 있다. 영국 또한 서유럽에 대한 보도 비중(21.7%)이 다른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다. 중동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국가들이 미국(14.9%), 영국(17.1%), 독일(26.4%), 프랑스(27.4%)라는 점은 중동에 대한 이들 국가들의 전 략적 이해관계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동에 대한 서방 언론의 높은 관심 과 유사한 맥락에서, 한국, 일본, 중국 3국 간에 서로를 보도하는 정도 또 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동북아 보도는 34.0%, 일본은 32.1%, 중국은 16.7%였다. 그러나 동북아 3국 간의 동남아시아 에 대한 보도 비중은 달랐다. 일본과 중국은 각각 16.0%, 15.2%로 동남아시아를 다루고 있 지만, 한국은 7.2%에 불과했다. 동남아시아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 에도 이들 지역에 대한 보도가 부족하다는 점 또한 문제로 지적될 수 있 다. 기존 연구에서도 한국의 아시아 보도가 일본과 중국이라는 두 강 국 에 편향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 국제보도의 보도 대상의 약 2/3가 북미와 동북아 지역에만 몰려 있으며, 상대적으로 세계의 다른 지역에 대한 관심은 적 다는 것이 두드러진 문제로 확인됐다. 아프리카와 동유럽에 대한 한국 의 보도 비중은 가장 낮았으며, 같은 아시아 국가들 간에서 동남아시아 에 대한 보도 노력도 적었다. 특정 대상에 대한 선택과 배제와 마찬가지로 국제사회에서 특정한 위치성(positionality)을 가진 정보원들의 선택과 배제 또한 국제보도에 서 불가피하게 나타난다. 가령, 국제사회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나 글 로벌 파워 엘리트 에 대한 접근가능성 측면에서 글로벌 통신사 및 서구 204

표 4. 정보원(cue giver)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정부 50.3% 37.5% 30.0% 69.8% 39.3% 49.4% 65.7% 46.0% 공공부문 지식인 13.5% 4.0% 12.5% 2.0% 6.6% 3.2% 8.2% 7.7% 민간부문 기업 10.1% 2.0% 9.2% 2.1% 8.6% 5.2% 5.2% 6.4% 국제기구 0.6% 3.0% 6.9% 1.0% 6.7% 1.9% 6.0% 3.9% 국제통신사 0.6% 16.5% 3.2% 7.3% 4.0% 12.3% 0.7% 6.6% 언론(언론인) 8.5% 31.0% 12.0% 4.2% 21.3% 18.2% 3.0% 15.2% 기타 4.0% 2.5% 4.6% 4.2% 7.3% 7.8% 0.7% 4.4% 전체 (177) (200) (217) (96) (150) (154) (134) (1,128) 주: 최대 2개까지 복수응답(multiple answer)으로 측정. 권위지들과 그렇지 않은 나라들의 언론 사이에 명백한 차이가 있다. 정 보원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표 4>로 제시했다. 전체적으로 정부가 46.0%로 국제보도 정보원의 절반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언론이 15.2%로 높았다. 정부에 대한 정보원 활용이 가장 높은 국가는 독일(69.8%)과 중국(65.7%)이었다. 공공기관, 연구소, 지 식인에 대한 활용은 영국(12.5%)에서 가장 높았다. 민간 부문이나 기업 에 대한 의존은 한국이 10.1%로 가장 높았다. 미국의 경우는 두드러진 특징을 보여주었다. 미국은 국제통신사(16.5%)와 언론(31.0%)에 상당 부분 의존함으로써, 국제뉴스의 정보원으로 통신사 및 언론 4 을 적극 활 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정부에 대한 정보원 의존은 전 체 평균보다 다소 높았으며(50.3%), 공공부문이나 민간부문의 정보원 들에 대한 활용 비중도 전체 평균 대비 높았다. 그러나 국제기구(0.6%), 국제통신사(0.6%), 언론(8.5%)에 대한 활용 정도는 전체 평균에 비해 4 실제 분석에서 대부분 미국 내의 주류 언론들이었다. 205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 정부 정보원에 대한 의존이 높고, 국제통신사, 언론, 및 국 제기구 등을 정보원으로 활용하는 데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미국 같은 경우 정반대로 국제통신사와 언론에 대한 의존이 높았다. 미국의 경우 자국에 소속된 언론과 통신사들이 글로벌한 권위와 활동력을 가지고 있 다는 점에서 이들 정보원에 대한 의존이 자연스럽다. 반면 한국에는 이 미 외신을 전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신이 전하는 기사 내의 정보 원들이 그대로 코딩을 통해서 추출됨으로써 정부 정보원과 같은 인적 정 보원들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2) 이슈의 성격과 목적 기존 연구들은 국제보도가 부정적이거나 일탈적인 사건을 선호하는 방 식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보도가 지속된다는 것은 사 건과 사고가 끊이지 않고, 분쟁은 영속화되고 있으며, 국제 사회란 갈등 과 반목, 대립만이 반복되는 곳이란 인식이 독자들에게 강화될 가능성 을 야기한다. 특정 세계에 대한 부정적 보도가 반복될 경우, 해당 지역과 사회에 대한 독자들의 편견은 강화될 수밖에 없다. 국제보도 평가의 한 요인으로서 이슈의 성격에 대해 <표 5>를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이슈들이 많이 다뤄지는 가운데, 부정적인 이슈(23.1%)가 긍정적인 이슈(8.0%)보다 더 높게 다뤄졌다. 국가별로 보면, 부정적 이슈의 비중은 독일(54.5%), 한국(45.7%), 일본 (36.3%)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독일을 제외하면, 한국의 부정적 이슈 비중의 수준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았지만, 반면 한국의 긍정적 이슈에 대한 비중은 14.7%로 전체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긍정 이 슈의 비중이 높은 것은, 미담이나 한국에 대한 긍정적 기사 5 와 같은 기사 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5 가령,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한국의 인기가 올라가고 있다는 소식 등의 기사가 있었다. 206

표 5. 이슈의 성격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긍정적 14.7% 0.7% 3.4% 25.5% 4.2% 16.7% 3.3% 8.0% 중립적 39.5% 90.5% 89.7% 20.0% 82.1% 47.1% 78.9% 68.8% 부정적 45.7% 8.8% 6.9% 54.5% 13.7% 36.3% 17.9% 23.1% 전체 (129) (147) (145) (55) (95) (102) (123) (796) χ 2 =216.098, df=12, p<.001 기사를 어떤 목적에서 작성했는지는 국제보도의 기능과 역할에 대 한 본질적인 질문이 된다. 기사를 작성한 목적이 환경감시로서의 기능 에 부합하는지, 아니면 단순 사실전달이나 흥미오락을 위한 읽을거리 제공인지는 국제보도 평가를 위한 중요한 기준인 셈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독자의 입장에서 읽어보았을 때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기사작성 목적을 측정했고, 분석 결과를 <표 6>으로 제시했다. 분석 결과 독일, 프랑스는 50% 이상으로 환경감시 목적의 기사가 많은 것으로 평가됐고, 한국, 미국, 영국, 일본은 30% 수준에서 환경감 시 목적 기사가 배치되고 있다. 반면, 일본의 경우는 25.5%로 가장 낮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진국 권위지의 차별성은 보인다. 프랑스의 르 몽드와 독일의 알게마이네차이퉁지는 국제면 전체 기사 가운데 절반 이 상을 환경감시 목적의 기사로 채우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들과는 다 르다고 볼 수 있다. 환경감시를 국익과 국제공동현안으로 나눠 본 결과 에서도 차이점은 드러난다. 한국의 경우, 미국을 제외하면 국제공동현 안 에 대한 환경감시 기사의 비중은 다른 국가들 가운데 가장 낮은 14.7%를 보였다. 미국이 국제공동현안 환경감시가 낮다는 점은 수긍 하기 어려운 결과이다. 그 이유는 국제사회의 여러 현안들에 미국이 개 입해 있고, 따라서 자국 상황과의 연관 속에서 의미화 과정을 거친 기사 들이 많고, 이에 따라 국익 에 대한 환경감시 기사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207

표 6. 기사를 쓴 목적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환경 감시 국익 20.9% 29.3% 11.0% 3.6% 14.7% 4.9% 6.5% 14.4% 국제 14.7% 8.2% 20.0% 54.5% 43.2% 20.6% 30.1% 23.7% 전체 35.6% 37.5% 31.0% 58.1% 57.9% 25.5% 36.6% 38.1% 정보전달 46.5% 58.5% 64.1% 38.2% 26.3% 74.5% 63.4% 55.2% 흥미 오락 14.0% 4.1% 1.4% 3.6% 1.1% 0.0% 0.0% 3.6% 기타 3.9% 0.0% 3.4% 0.0% 14.7% 0.0% 0.0% 3.0% 전체 (129) (147) (145) (55) (95) (102) (123) (796) χ 2 =239.443, df=24, p<.001 높게 해석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본다면, 한국의 국제보도 는 국익 에 대한 환경감시에는 어느 정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국제 공동현안에 대한 환경감시에는 적절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못하거나, 실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 언론이 국제공동현안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만큼, 흥미 오 락 목적의 기사의 비중은 오히려 더 높다. 흥미오락 목적의 기사 비중은 14.0%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는 환경감시의 부족 과 함께 동시에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가 상업화 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 음을 의미한다고 해석된다. 3) 자료의 구성 인터넷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디어의 국제보도는 국외의 이슈 에 체계적으로 접근해 이를 뉴스정보로 가공한 후 국내 독자들에게 신속 히 전달하는 중요한 채널이다. 국제보도는 물리적으로 일반 독자는 물 론 다른 정보매체 또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국외의 사건 현장, 중요한 이해당사자들, 관련 정보원들에 접근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어떤 분 208

표 7. 기사작성자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국제부 기자 51.2% 17.0% 37.2% 3.6% 5.3% 7.8% 29.3% 24.6% 해외 특파원 24.8% 59.9% 41.4% 60.0% 0.0% 82.4% 1.6% 37.6% 통신원 프리랜서 0.0% 10.2% 4.8% 0.0% 4.2% 3.9% 0.0% 3.8% 자국 내 매체 0.0% 2.7% 0.7% 0.0% 2.1% 0.0% 26.8% 5.0% 외신(연합) 22.5% 9.5% 11.7% 34.5% 88.4% 2.9% 38.2% 26.7% 기타 1.6% 0.7% 4.1% 1.8% 0.0% 2.9% 4.1% 2.3% 전체 (129) (147) (145) (55) (95) (102) (123) (796) χ 2 =621.436, df=30, p<.001 야보다도 취재 자체가 쉽지 않다. 때문에 특파원, 통신원 등이 직간접적 으로 취재를 통해 기사를 작성하는 방식에 비해 단지 외신을 그대로 전 재하거나,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 등을 기사의 소스로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의존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은 국제보도의 내용의 정확성이나 공신력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침으로써 국제보도의 품질 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표 7>을 통해서 기사작성이 어떤 방식으 로 이루어졌는지를 제시했다. 분석 결과 해외 특파원과 통신원 프리랜서 등을 활용 현지의 자사 인력들이 작성한 기사 비율은 미국(70.1%), 독일(60.0%), 일본(86.3%), 영국(46.2%) 순으로 높았던 반면, 한국(24.8%), 중국(1.6%), 프랑스 (4.2%) 순으로 낮았다. 특파원 비율만 놓고 보더라도,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의 수준은 한국, 중국, 프랑스와 큰 차이를 보였다. 통신원의 활용에 있어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이 활발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한국의 통 신원 활용 비중은 전혀 없었다. 비용과 전문 인력의 뒷받침이 필요한 국 제보도 현장에서 우리 언론과 글로벌 통신사나 해외 권위지들과의 경쟁 자체가 넌센스 일 수도 있는 상황에서, 통신원 제도의 활용에 대해서 고 209

민해야 할 지점이다. 한국은 또한 자사 국제부 기자가 작성한 기사가 51.2%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국의 본사 데스크에 서 국제부 기자들이 국제기사의 절반 정도를 작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문제는 국제부 기자가 작성한 기사는 대부분 현장취재에 바탕을 둔 기사들이라기보다 외신과 각종 온라인 정보들을 활용해서 작성한 기사 들이라는 데 있다. 요컨대, 기사작성자 분석을 통해서 국제기사가 어떤 식으로 작성되 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의 취약점을 명확히 보여준 다. 그러나, 프랑스의 분석 결과는 다소 의외인 측면이 있으며, 독일의 경우 유료화로 인해서 전체 국제면의 특성을 보여준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남는다. 취재 여건상 국제보도는 다른 보도 분야와 다르게 해외 통신사, 타 국의 언론 및 다양한 해외 뉴스정보 채널에 의존한다. 국외에서 활동하 는 특정한 뉴스 공급처들에 대한 선택적 활용은 국내 언론의 국제보도의 성격 자체에 영향을 미친다. 서구 통신사들에 대한 절대적인 의존은 국 내 언론의 국제보도로 하여금 특정한 입장과 관점만을 취하게 할 수도 있다. <표 8>을 통해 정보 출처에 대해 분석했다. 국제보도 영역에서 글로벌 통신사의 영향력은 강력하다. 이번 분 석 결과에서도 AP, AFP, 로이터 등 이른바 3대 통신사의 영향력은 여전 했다. 3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정보의 비중은 전체 기사 가운데 약 삼 분의 일을 차지했다. 특히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이른바 유럽권 권위지 들의 3대 통신사 인용 비중은 매우 높았다. 물론, 영국은 AP를, 독일과 프랑스는 AFP를 상대적으로 더 활용했다. 그러나 미국(13.8%), 일본 (21.8%), 중국(3.2%)의 3대 통신사 인용 비중은 낮았으며, 한국은 34.6%로 분석 대상 국가들의 전체 평균 수준이었다. 국제 여론 광장에 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미국의 경우 자국 언론 (미국언론)에 대한 비중이 69.7%로 절대적으로 높았다. 독일은 3대 통 신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그럼에도 유럽매체(33.3%)를 적극 활용 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AFP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일본은 3대 210

표 8. 정보 출처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로이터 9.6% 13.8% 22.2% 14.3% 10.7% 3.6%.8% 9.0% AP 20.6% 0.0% 66.7% 0.0% 2.7% 12.7% 2.4% 8.5% AFP 4.4% 0.0% 0.0% 52.4% 70.5% 5.5% 0.0% 16.0% 3대 통신사 34.6% 13.8% 88.9% 66.7% 83.9% 21.8% 3.2% 33.5% 블룸버그 0.0% 7.9% 0.0% 0.0% 0.0% 0.0% 0.0% 1.9% 이타르타스.7% 0.0% 0.0% 0.0% 0.0% 0.0% 0.0%.2% 교도통신 2.9% 0.0% 0.0% 0.0% 0.0% 1.8% 0.0%.8% 신화통신 10.3% 0.0% 0.0% 0.0%.9% 12.7% 3.2% 4.2% 외신종합 0.0% 3.9% 11.1% 0.0% 0.0% 0.0% 3.2% 1.9% 미국매체 17.6% 69.7% 0.0% 0.0% 3.6% 23.6% 10.3% 25.8% 유럽매체 5.9% 0.0% 0.0% 33.3% 1.8% 5.5% 12.7% 5.8% 제3세계 매체 25.0% 0.0% 0.0% 0.0% 1.8% 32.7% 19.8% 12.7% 기타 0.0% 0.0% 0.0% 0.0% 4.5% 1.8% 0.0% 1.0% 파악불가 2.9% 4.6% 0.0% 0.0% 3.6% 0.0% 47.6% 12.1% 전체 (136) (147) (23) (21) (112) (55) (126) (620) χ 2 =1001.365, df=72, p<.001 주: 기타 매체 는 보기에 제시된 통신사, 미국권 매체, 유럽권 매체를 제외한 언론. 최대 2개까지 복수응 답(multiple answer). 0셀의 빈도가 많기 때문에 카이 검정 결과의 통계적 해석은 실질적인 차이를 보장하지 못함. 통신사에 대한 의존만큼이나 미국매체에 대한 의존도 높았으며, 그와 동시에 제3세계 매체에 대한 활용정도(32.7%)도 높았다. 이 분석 결과는 우선 국제정보시장 에서 여전히 미국과 글로벌 통 신사들의 입지가 여전히 우월함을 보여준다. 미국 매체는 글로벌 통신 사들보다도 활용 정도가 더 높았다. 물론 3대 통신사에 대한 의존 정도 도 전체적으로 매우 높았다. 이 점에서 한국 언론의 정보 출처 결과는 한 국 국제보도의 단면을 잘 드러낸다. 우선 분석 대상지가 미국에 대해 비 211

판적 인 한겨레신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매체를 출처로 활용하는 경우는 미국을 제외하면 일본 다음으로 높았다는 점은 유의해서 살펴볼 지점이었다. 3대 통신사에 대한 활용 비중도 일본, 중국보다도 더 높았 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권위지들이 자국의 언론들을 적극 활용 하거나(미국), 자신들의 관심과 이해를 대변하고 실천할 가능성이 높은 글로벌 통신사들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적극 기사에 반영하는(유럽 권) 현실과 정반대로 한국은 미국 및 선진국들의 입장을 전달하기 쉬운 글로벌 통신사들에 대한 의존 경향이 강했다. 물론 서구에서 만든 정보 의 전달에 치중한다는 점에서 미국 출처 비중이 높은 일본 또한 한국의 국제보도와 유사하게 비판받을 수 있다. 이 분석결과에서 영국과 독일 의 경우는 사례수가 적어서 분석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한계가 있었다. 4) 정보의 완결성 국제보도는 그 특성상 보도가 다루는 이슈에 관한 배경 지식과 사전 정 보 없이는 보도가 무엇을 전달하고 있는지, 이슈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독자들이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고,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언론 보도를 피상적으로 받아들이기 쉽다. 때문에, 다른 보도 분야도 마찬가지라 하 더라도, 특히 국제보도에서 중요한 요인은 해당 사안에 관한 완결된 정 보를 제공하는지 여부가 될 수 있다. 문제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고, 원 인은 무엇이며, 해법과 대안은 어떤 것들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자국 정부나 국민들이 참고할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지에 대해 언 론은 제공해야 한다. 이에 대해 <표 9>를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른 항목들에 비해 뚜렷하고 일관된 차이를 드러내주 진 못했다. 문제정의와 원인에 대한 정보 측면에서 한국(64.3%), 중국 (61.0%), 일본(60.8%) 등 아시아 국가 권위지들이 서방 언론보다 더 높았던 반면, 해법과 대안에 대한 조명 측면에서는 미국(46.9%), 프랑 스(43.2%), 독일(34.5%) 등이 앞섰다. 분석해설 기사 비중이 미국, 영 국, 독일, 프랑스 등 서구 선진국 언론들이 높았던 점을 상기해 보면, 해법 212

표 9. 요소별 정보 비중 (단위: % (건))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중국 전체 문제정의 원인 64.3% 45.6% 44.8% 34.5% 30.5% 60.8% 61.0% 50.3% 해법 대안 17.8% 46.9% 27.6% 34.5% 43.2% 20.6% 3.3% 27.3% 배경 맥락 30.2% 60.5% 58.6% 34.5% 43.2% 59.8% 59.3% 51.1% 교훈 32.6% 19.7% 16.6% 32.7% 46.3% 17.6% 8.9% 23.4% 전체 평균 36.2% 43.2% 36.9% 34.1% 40.8% 39.7% 33.1% 38.0% 과 대안과 같은 심층적 정보제공이 이들 국가에서 높게 나오는 점 또한 당연하다. 교훈 항목에서는 프랑스(46.3%), 독일(32.7%), 한국(32.6%) 등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문제정의나 원인, 해법과 대안, 교훈 항목별 로 상이한 결과들이 나왔으며, 의미 있는 설명을 도출하기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해법과 대안과 같은 항목들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 국가들이 분석해설 기사가 많았던 국가와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에서 기사 형식과 내용의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배경과 맥락 정보에서 한국은 30.2%로 전체 분석대상 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 과는 보도 이슈가 해당 지역, 국가, 문화권에서 어떤 사회문화적 배경과 맥락 속에서 위치지어 지는지에 대한 정보의 뒷받침이 부족한 한국 국제 보도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5. 결론 및 함의 1) 연구의 요약 및 함의 중동의 민주화 혁명에서부터 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태까지, 국제사회의 대형 사건과 사고들이 빈번해진 오늘날 국제보도의 중요성 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사회 내부적으로도 국가의 품격 상승과 선진 213

국으로의 도약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고 한국의 대중문화는 세 계인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사회를 국제사회에 제 대로 알리는 동시에 국민에게 국제사회의 다양한 이슈와 문제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언론의 역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주요 선진국들의 권위지들과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를 평면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했다. 그리고 국제보도의 현황을 이해하고, 국제보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 국제보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북미와 서유럽 국가의 권위지들과 일본, 중 국 등 동북아시아 강국들 및 한국의 권위지 1개씩을 선정해 국제보도의 다양성, 이슈의 성격 및 이슈를 다루는 목적, 기사작성의 양태(기사작성 자, 정보의 출처), 정보의 완결성 등을 평가했다. 분석 결과, 한국 국제보도는 형식적 다양성은 물론 내용적 다양성 에서도 여전히 빈곤함을 드러냈고, 기사작성은 대부분 국제부 기자나 혹은 외신 인용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감시 기능에 비해 단 순 정보 전달이나 흥미오락적인 정보 전달에 치중하는 행태도 드러냈다. 한국 언론은 또한 배경 정보나 맥락적인 정보의 제공에서도 취약함이 있 었다. 물론, 일부 항목의 경우 한국만이 부정적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었다. 일본이나 중국과 같은 우리의 인접국가 보도들도 서방 권위 지들에 비해 취약한 면은 분명 있었다. 분석 항목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북미와 서유럽 선진국 권위지들 은 분석 및 해설 기사를 적극적으로 채택함으로써 기사 형식의 다양성을 실현하고 있었고, 이를 통해서 분석적, 심층적 정보 제공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한국, 일본, 중국의 경우 대부 분 단신 스트레이트 기사에 의존했다. 단신 기사에 의존하는 기사 형식 의 다양성 부족은 일본, 중국은 물론 한국의 국제 보도가 단순 사실 전달 기능에 치우쳐 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국 제보도 지면이 해외에서 일어난 사건사고의 소식을 전달하고 있을 뿐, 214

국제사회의 이슈들에 대한 분석적, 해석적 정보의 제공에는 실패하고 있을 것이란 추측을 가능케 한다. 형식적 다양성만이 부족하지 않았다. 의제설정 면에서 한국의 국제보도는 일본 및 중국과 함께 정치 외교 군사 경제 등 국제사회의 중요한 환경변화와 연관성이 높은 보도 주제 (분야)에 대한 보도 비중은 선진국 언론에 비해서 지나치게 낮지는 않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제보도는 특히 오락 연예 스포츠 분 야에 대한 보도 비중이 분석 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았다는 점은 주 목할 만한 결과다. 보도 대상의 분석 결과는 한국 국제보도의 양적 다양 성의 현 수준을 보다 명확히 보여준다. 즉, 보도 대상의 약 2/3가 북미와 동북아 지역에 몰려 있어, 한반도 주변의 이슈들과 미국 관련 혹은 미국 이 개입하고 있는 이슈들에 의제가 지나치게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정 보원 측면에서 한국 국제보도는 국제기구에 관한 정보원들의 인용 비중 이 낮아 국제사회의 현안이 논의되고, 실질적인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 는 국제기구 영역에 대한 보도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이슈의 성격 측면에서 한국의 국제보도는 부정적 이슈에 대 한 비중이 분석 대상 국가들보다 매우 높아, 국제보도가 부정적이거나 일탈적이거나 함으로써 흥미를 끄는 소재들을 선호한다는 기존의 문제 점을 반복하고 있었다. 이보다 더 중요한 지점은 국제보도가 이슈를 어 떠한 관점과 목적에서 다루는가에 관한 질문이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국제보도는 국제공동현안에 대한 환경감시 목적의 기사 제공에는 매우 취약함을 드러낸 반면, 흥미 오락적인 정보의 제공을 위한 기사의 비 중은 분석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아, 국제보도가 상업화 의 압력에 노출되어 있음이 증명됐다. 셋째, 한국의 국제보도는 대부분 국내 본사에 머무르는 국제부 기 자에 의해서 작성되거나, 외신을 전재하는 비중이 높았다. 특히 국제부 기자에 의한 작성 비율은 분석 대상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았던 반면, 특 파원과 통신원을 활용함으로써 생생하고 풍부한 자료의 수집과 전달에 는 매우 취약했다. 국제보도의 비용 문제를 감안했을 때, 통신원의 활용 은 특히 한국과 같은 강소국 언론들이 특히 고민해 보아야 할 지점으로 215

평가된다. 기사를 누가 쓸 수 있는가도 중요한 질문이지만, 기사의 정보 와 자료들이 어디서 오는가도 중요한 질문이 된다. 분석 결과, 한국 언론 은 3대 글로벌 통신사 및 미국 언론에 대한 의존도가 두드러졌다. 물론, 3대 통신사에 대한 의존 정도는 유럽권 권위지들에서 압도적으로 더 높 았지만, 글로벌 통신사와 강대국 권위지들이 서방, 혹은 강대국 의 지 배적 입장, 관점 및 프레임에 따라 국제사회를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는 기존 국제보도 연구를 참고한다면, 글로벌 통신사에 대한 한국 언론의 의존은 분명 중요한 논의의 지점이 된다. 무엇보다 분석 대상지가 미국 에 대해 비판적 이고, 유럽 및 남미 등 세계 다른 국가,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남다른 한겨레신문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발 정보가 많다는 점 또한 흥미롭다. 넷째, 정보의 완결성 측면에서 한국의 국제보도는 전반적으로 다른 국가들과 일관된 격차를 보이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경적, 맥 락적 정보의 제공에서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는 점에서 비판 받을 수 있다. 글로벌화와 함께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국제보도 환경 도 크게 변했다. 정보 불평등 문제도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단정하기 어 렵게 됐고, 인터넷의 등장은 국제보도의 발신( 發 信 )과 수신( 受 信 )의 구 조 자체를 바꾸고 있다. CNN과 같은 글로벌 방송 채널은 국제사회에서 벌어지는 이슈를 담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세계 곳곳에 발신하기 시작한 지 오래고, 뉴미디어,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세계 각국의 시민들로 하여금 신속하고 자유로운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누릴 수 있 게 해주었다. 이런 변화들로 인해 국제보도는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뉴스와 정보들을 전달받고, 글 로벌 현안의 의미를 파악하고, 변화하는 국제환경에 대응하는 개별 국 가의 집합적 노력과 실천에 있어서 공적 지식(public knowledge)으로 서 국제뉴스가 갖는 중요성은 반감되지 않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국제사회의 정보 불평등 문제가 해소되었다는 담론에도 불구하고, 글로 벌 사회의 정보 불평등 및 약소국들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은 여전히 논 216

쟁적인 주제로 남아 있다. 때문에, 수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글로벌 사 회의 이슈를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된 점도 중요하지만, 국제사회를 제대 로 이해하려는 노력도 중요하다. 그러한 실천적 전략들에 관한 논의의 영역에서, 주류 미디어의 국제보도 품질 문제는 주변적(peripheral)인 이슈라기보다는 오히려 중심적인 의제로서의 자격을 잃지 않는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국제보도의 현황을 글로벌 권위지들과의 비교 속에서 드러내고자 했고,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한국 국제보도의 형식과 구 성에 있어서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또한, 디지털 환경 하에서 상업화 에 노출되어 있는 국제보도의 측면에서 환 경감시 기능 중심의 국제보도와 흥미오락에 치우진 국제보도는 그 품격 에 있어서도 다르게 평가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2) 한계 및 제언 2000년대 초반 이후 국제보도의 일반적 양상을 점검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주요 국가들의 권위지들의 국제뉴스를 한국 언론과 비교 분석 함으로써 국제뉴스의 양상에 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 점 에서 의의를 갖는다. 온라인이 국제정보 질서의 새로운 정보유통 경로 로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오늘날 이 연구는 온라인 지면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권위지들의 온라인 국제면이 가진 특성을 제한적이 나마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갖는 다. 이론적 차원에서 이 연구에서 말하는 국제뉴스 측정 혹은 평가 요인 들의 개념적, 이론적 경계가 충분히 명확하지 않다. 그럼에도 이 연구에 서 이러한 구분을 제시한 것은 오늘날 국제뉴스의 양상이 갖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해 보기 위한 의도에서였다. 둘째, 국가별로 1개 언론사 를 분석 대상에 포함함으로써 국가와 언론의 국제보도 양상의 관계의 일 반화에 한계가 있다. 독일의 경우 매체의 유료화 전략으로 인해서 해당 매체의 국제보도 영역의 아주 적은 부분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중국에서 언론은 여전히 정부의 관리와 통제 하에 있다. 이러한 요인들 217

은 비교분석이 가지는 타당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일 수 있다. 하지만 각 국에서 영향력 있는 권위지들을 분석함으로써 각국 국제보도의 경향을 상대적으로 확인하는 데 큰 문제는 없었다고 판단했다. 셋째, 표집이 장 기간에 걸쳐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단기간에 집중되어 연구 결과를 일 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분석 기간 동안 중대 이슈가 터지지 않았던 점을 고려한다면 연구 결과는 각국 언론의 국제뉴스가 갖 는 일반 경향을 보여주는 데 무리가 없다고 보았다. 넷째, 중국과 프랑스 의 경우 기사작성자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많아 엄밀한 비 교분석이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국제뉴스의 내용적 차원 에 대한 분석이 실제 국제보도의 개선 및 국제 저널리즘의 품격제고라는 실천적 목표 실현을 위한 보다 직접적인 근거를 제공해주는 것은 아니라 는 비판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디지털 환경에서 언론기업의 기사작성과 기사유통의 양식이 변화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 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아날로그 환경과 디지털 환경에서 국제보 도의 유통방식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교분석도 필요하다. 218

참고문헌 구교태ㆍ김세철 (2004). 전국지와 지역지의 국제뉴스 보도에 대한 미디어 경제 학적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27호, 7 34. 김경모 (2000). 중앙일간지 국제면의 기사선정 유사성에 관한 연구: 국제뉴스보 도의 조직적 결정 요인. 한국언론학보, 44권 3호, 5 39. 김남두 (2007). 9ㆍ11 이후 영미 신문의 알 자지라 인용보도 및 아랍방송 관련 취 재원 사용 패턴의 비교분석.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155 180. 김덕모 (1996).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김석환 (2001). 국제보도 / 고정관념 버리고 취재방법 바꿔야. 신문과 방송, 367호, 131~135. 김성해 (2006). 언론과 (대외)경제정책: 문화엘리트 모델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 국 언론의 정치성. 한국언론학보, 50권 5호, 30 54. 김성해 (2007). 국제공론장과 민주적 정보질서: 미국 헤게모니 관점에서 본 신국 제정보질서운동의 이론적 한계와 대안 모색.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82 104. 김성해 (2008). 국제통화질서와 이지적 리더십: 미디어담론 분석을 통해서 본 달 러헤게모니의 이해. 한국언론학보, 52권 3호, 5 27. 김성해 (2008). 대외경제정책과 뉴스미디어. 서울: 한국언론재단. 김성해ㆍ김경모 (2010). 동아시아공동체와 언론. 언론과학연구, 10권 1호, 77 123. 김성해ㆍ김동윤 (2009). 금융위기와 언론: 2008 글로벌 위기에 대한 각국 언론 의 보도양상과 프레임. 언론과학연구, 9권 4호, 98 134. 김성해ㆍ반 현ㆍ우형진 (2007). 미디어에 나타난 FTA: 한미일 언론의 한ㆍ미 FTA 보도 분석. 서울: 한국언론재단. 김성해ㆍ송현진ㆍ이나연ㆍ이정한 (2010). 주류 미디어 공론장의 이상과 현실. 219

커뮤니케이션이론, 6권 1호, 144 190. 김수정 (2008). 아시아 국가에 대한 한국 신문의 보도특성. 충남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9권(가을호), 1 20. 김수정ㆍ조은희 (2005). 생명과학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한국언론학보, 49권 6호, 109 139. 김영욱 (2002). 한국의 국제뉴스: 신문. 뉴스통신 보도를 중심으로. 서울 : 한국 언론재단. 김영욱 외 (2006). 미디어에 나타난 이웃: 한중일 언론의 상호국가보도. 서울: 한국언론재단. 김택환 (1994). 국내일간지ㆍ외국정론지 국제뉴스 보도량 비교. 신문과 방송 279호, 16 23. 류재갑 (2001). 신년기획 2001 보도 이런 점은 고치자 / 국제보도-미국 대선보 도조차 해설이 빈약. 신문과 방송, 361호, 22~24. 박기순ㆍ이남표 (2001). 국제뉴스 정보원의 변화와 이미지 매핑. 신문과 방송, 371호, 51 55. 박천일 (1996). 방송의 국제뉴스 선정과정과 통제 메커니즘 비교 분석 연구: 한국 KBS, SBS와 미국 CNN의 참여관찰 연구. 언론과 문화, 7권, 70 97. 박홍원 (2001). 대북정책과 언론-국가 관계. 서울: 한국언론재단. 서라미ㆍ정재민 (2007). 한중일 3국 신문의 8ㆍ15 보도 비교분석. 한국언론정 보학보, 37호, 237 269. 심재철 (1997). 일탈성 뉴스가치 중심으로 본 한국 신문의 국제뉴스 보도. 언론 과 사회, 15, 33 61. 안민호 (2001). 집중점검2 : 국제보도 / 세련되지 못한 국제 여론 이용(신문의 외 신보도 오역과 왜곡보도). 신문과 방송, 367호, 122~125. 안병준 (1998). 국제보도 / 국제뉴스 바로 읽기. 신문과 방송, 328호, 106~109. 우승용 (1999). 해외특파원 감소와 국제보도의 변화. 신문과 방송, 338호, 48 51. 윤영철(1998). 한일신문의 독도관련 분쟁보도의 비교분석. 한국사회과학논집, 29집, 99 132. 220

윤용호 (1991). 국제보도의 현황과 문제점 / 국내언론의 외신기사 내용분석. 신 문과 방송, 244호, 71~77. 이건호ㆍ정완규 (2008). 한국과 미국 신문의 1면 기사 비교. 한국언론학보, 52권 4호, 25 49. 이병종 (2007). 주한 외국특파원의 북한 핵 관련 보도에 드러난 뉴스프레임 비 교연구: 주요 5개국 8개 신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이윤진 (2007). 영국에서의 한국이미지와 스토리텔링/서사의 변화. 한국언론학 보, 51권 1호, 32 58. 이장훈 (2001). 국제부기자의 뉴스면. 신문과 방송, 364호, 27~30. 이종수 (2001). 집중점검2: 국제보도 이제는 경제 문화 중심으로(방송의 국제뉴 스). 신문과 방송, 367호, 126~130. 이창호 (2004). 뉴욕타임즈, 아랍뉴스, 중동타임즈 이라크 전쟁보도 비교. 한국 언론정보학보, 48권 6호, 84 109. 이창호 외 (2007). 한국언론의 전쟁취재 여건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 언론정보학보, 40권, 80 113. 임동욱 (2009). 문화제국주의의 비판적 고찰: 단선적 문화제국주의에서 역동적 국제적 문화 유동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5호, 151 186. 전영우ㆍ이영표 (2001). 집중점검: 국제보도시스템 / 특파원의 세계<8> 아프간 전쟁 종군기자. 신문과 방송, 372호, 90~95. 정연구 (1997). 한국신문의 국제보도: 과거-현재-미래.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한국사회: 초훈 서정우 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서울: 나남. 최진봉ㆍ류찬열 (2005). <뉴욕타임즈>와 <로스앤젤레스타임즈>에 보도된 한 국과 일본의 국가이미지 분석. 동서언론, 9집, 407 436. 표완수 (1995). 신문의 국제뉴스 취재보도 시스템의 현실과 과제. 국제보도.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Altschull, H. (1984). Agents of power: The media and public policy. White Plains, NY: Longman. Entman, R. (1991). Framing U.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Contrasts in 221

narratives of the KAL and Iran Air incid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41, 6 27. Entman, R.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 51 58. Fleiss, J. L. (1971). Measuring nominal scale agreement among many raters. Psychological Bulletin, 76(5), 378 382. Galtung, J., & Ruge, M. H. (1965). The structure of foreign news. Journal of Peach Research, 2, 64 91. Herman, E. S., & McChesney, R. W. (1997). The global media, the new missionaries of corporate capitalism. London: Cassell. Hjarvard, S. (2002). The study of international news. In K. B. Jensen (ed.), Handbook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pp.91 97). London: Routledge. McChesney, R. W. (2001). Global media, Neo-liberalism, and Imperialism. Monthly Review, 52(10), 1~19. Rantanen, T. (2007). The Cosmopolitanization of news. Journalism Studies, 8(6), 843 861. 최초 투고일 2011. 06. 30 논문 수정일 2011. 07. 29 게재 확정일 2011. 08. 01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