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출문 본보고서를 자생생물조사 발굴연구조류 ( 藻類 ) 분야 - 4 단 계 3 차년도 ( 기간 : ) 의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장 총괄연구기관제주대학교연구책임자이준백 ( 제주대학

Similar documents
오륙도의 해조 군집 961. Kang (1966),,,, 5. (Kang, 1966), (Kang et al., 2008). Nam and Kim (1999), Yoo (2003a, 2003b), Choi (2007), Kang et al. (2008), Choi et

46 Algae Vol. 22(1), 2007 지금까지동해연안일대의해조상에관한대부분의연구는한지역해조상의특성을구명하고이를구계론적으로해석하거나생태학적자료를얻기위한기초연구에목적을두었다. 이연구에서는최근의동해연안일대해양생태계의급격한구조적변동을인식하여기본적인해조상과해조군락동태와

K00-박종근_국문안표지

[ 별지 31] 최종보고서 제출문 ( 뒷면 ) 발간등록번호 ( 앞면 ) 농림수산식품부장관귀하 보안과제 (O), 일반과제 ( ) 과제번호 주 의 ( 편집순서 8) 국내산 해조류를 이용한 항동맥경화 기능성 소재 및 제품개발 5cm 이보고서를 국내산해조류를이용한항동맥경화기능


K00-박종근_국문안표지

최종보고서-낙동강대권역-수생태계 hwp

2014_조석표 변경사항.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src.xls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 ).fm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160 최철만 김진호 김원일 이종식 정구복 이정택 문성기 구자들의연구와비교, 검토함으로써식물플랑크톤상의변화양상을함께파악하고자하였다. 재료및방법 그리고한강물환경연구소 31) 를참고로실시하였다. 동정된식물플랑크톤은알파벳순으로정리하였고출현종중우점종, 출현빈번종, 광분포종,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210 Algae Vol. 22(3), 2007 (Takagi 1975; Jurd et al. 1995; Zhao 2001; Kim et al. 2004; Smit 2004). 우리나라 해조류 중에서 약용종은 총 54종(녹조 16종, 갈 조 17종, 홍조 21종)이며,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18(4)-07(정미희).fm

1362È£ 1¸é

Algae Volume 17(4): , 2002 국내주요호수의식물플랑크톤종조성및영양단계평가 이정호 박종근 1 김은정 2 ( 대구대학교생물교육과, 1 한국수자원공사, 2 국립환경연구원 ) Trophic States and Phytoplankton Compos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국가생물종목록집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남조류 Blue-green Algae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 2 -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I - - II -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 -

~11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

MRIO (25..,..).hwp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untitled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 연구의내용및방법 2.1 NaOCl 농도에따른저서동물유생의생존율 ( 치사율 ) 측정 본실험에서는대표적인저서동물유생인따개비 (Barnacle) 유생을대상생물로하였다. Barnacle 유생은군산-장항해역에서망구직경 20cm, 망목 202µm인표준네트를사용하여채집하였고채

<383620C0B1BEE7C8A32DB0EDB1BABBEAB1BAB5B520C7D8BFAAC0C720BDC4B9B0C7C3B6FBC5A9C5E62E687770>

Algae Volume 21(3): , 2006 인공기질에서의부착규조의초기군집형성과천이 장성현 * 이정준 이정호 ( 대구대학교생물교육과 ) Colonization and Succession of Epilithic Diatoms on Artificial Su

¿¹»ê»ç¾÷Æò°¡(±âŸ)-¼öÁ¤.hwp

차례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 서식 5> 탐구보고서표지 제 25 회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보고서 출품번호 유글레나를이용한산소발생환경의탐구 소속청학교명학년성명 ( 팀명 ) 강서교육청서울백석중학교 3 임산해 [ 팀원이름 ]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년하반기지역별고용조사 시군별주요고용지표집계결과

Microsoft PowerPoint - Week09-originTOangiosperm.pptx

e01.PDF


(연합뉴스) 마이더스

OD..Network....( ).hwp

Algae Volume 21(3): , 2006 [Note] 유해성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영향을미치는광량과파장 오석진 1 윤양호 2 * 김대일 3 崎 ( 1 일본미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98~243)교과서한지7ok

200706ºÎµ¿»êÆ®·£µåc02ªš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2013지발-가을내지1004-4

쇠미역과미역배우체의생장과성숙 191 Park et al. (11) 2 (, mm;, mm), (12, 17, 22 ) (2, 1,, 6, 1, 18 µmol photons m -2 s -1 ) 22., (17, 6 µmol photons m

2016 학년도약학대학면접문제해설 문제 2 아래의질문에 3-4분이내로답하시오. 표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는수용체티로신인산화효소군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의일종으로서세


- 2 -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µ¶µµºÎ·Ï1~64

Ⅰ Ⅱ Ⅲ. 1. (Life Cycle) 2. ( ) Ⅳ. Ⅴ

지도학발달06-7/8/9장

- 1 -

- 1 -

<322DB3EDB9AE2E687770>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목 차

이발명을지원한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GKA 부처명 지식경제부 연구사업명 타출연 ( 연 ) 주요사업 연구과제명 지상관측위성자료 clearing house 구축 주관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기간 ~


CC hwp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DocHdl2OnPREPRESStmpTarget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 례 Ⅰ. 탐구의개요 1 1. 탐구동기 1 2. 탐구목적 1 3. 탐구기간및조사지역 2 Ⅱ. 탐구활동을위한기초조사 3 1. 탐구재료 3 2. 모자반의분류학적위치 3 3. 특징 3 Ⅲ. 탐구내용 4 Ⅳ. 탐구방법및결과 5 탐구문제 1. 완도해안에서식하는해조류에조사 5

rr_ _대한민국녹색섬울릉도.독도프로젝트(수정).hwp


소식지수정본-1

120330(00)(1~4).indd

[ 물리 ] 과학고 R&E 결과보고서 유체내에서물체의마찰력에미치는 표면무늬에대한연구 연구기간 : ~ 연구책임자 : 홍순철 ( 울산대학교 ) 지도교사 : 김영미 ( 울산과학고 ) 참여학생 : 김형규 ( 울산과학고 ) 노준영 (

Transcription:

발간등록번호 11-1480592-001259-01 자생생물조사 발굴연구 조류 ( 藻類 ) 분야 -4 단계 3 차년도 최종보고서 2017 년 11 월 23 일 연구기관 :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국립생물자원관

제출문 본보고서를 자생생물조사 발굴연구조류 ( 藻類 ) 분야 - 4 단 계 3 차년도 ( 기간 : 2017. 3. 24.-2017. 11. 23.) 의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7. 11. 23. 제주대학교산학협력단장 총괄연구기관제주대학교연구책임자이준백 ( 제주대학교 ) 연구원조경제 ( 인제대학교 ) 박종규 ( 군산대학교 ) 이옥민 ( 경기대학교 ) 김용재 ( 대진대학교 ) 남기완 ( 부경대학교 ) 김명숙 ( 제주대학교 ) 조태오 ( 조선대학교 ) 국립생물자원관장귀하

목차 1. 서론 1 2. 참여연구원 2 1) 미세조류 2 2) 해조류 3 3. 당해연도목표 3 4. 조사지역및조사일정 4 1) 조사지역 4 (1) 미세조류 4 (2) 해조류 6 5. 연구방법 8 1) 연구범위 8 (1) 미세조류 8 (2) 해조류 8 2) 채집방법 8 (1) 미세조류 8 (2) 해조류 9 3) 해조류의신 / 미기록종의분자생물학적분석방법 9 4) 표본라벨정보의작성 10 5) 표본보관방법 10 (1) 미세조류 10 (2) 해조류 10 (3) 해조류생체시료 10 (4) 배양체 11 6. 당해연도연구결과 12 1) 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 12 (1) 미세조류 12 (2) 해조류 16

2) 표본확보 27 (1) 미세조류 27 (2) 해조류 30 3) 생체시료확보 34 4) 배양체 41 5) 특이지역조사결과 44 (1) 미세조류 44 (2) 해조류 53 6) 미소장 / 소량확보표본및배양체 57 (1) 미소장 / 소량확보표본 57 (2) 미소장 / 소량확보배양체 71 7) 논문및학술발표 74 (1) 신종 / 미기록종후보의논문출판현황 ( 미세조류 ) 74 (2) 신종 / 미기록종후보의논문출판현황 ( 해조류 ) 78 (3) 논문출판실적 79 (4) 학술발표실적 81 8) 최종결과요약 86 7. 참고문헌 87 부록신종 ( 후보 ) 및미기록종 95

1. 서론 1992년 6월브라질의수도리우데자네이로에서 지구를건강하게, 미래를풍요롭게 라는슬로건아래지구정상회담이개최되었다. 리우환경회담에서채택된 UNCED Agenda 21과생물다양성협약 (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은생물다양성의보전과지속가능한이용을목적으로하고있으며, 자원과기술에대한권리를함께인정함으로써생물자원의소유와개발기술의권리는이미국제적인규제조치로보장받게되었다. 생물다양성은인간의생명을유지하고삶을풍요롭게하는원동력으로매우중요함에도, 현재까지알려진생물종은 170만종정도이다. 현재알지못하는생물이 1,000여만종에달하지만, 매일 130종이멸종할정도로지구의생물다양성이위험에처해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후반에이르러국제적인추세에동참하기에이르렀으며, 환경부에서는 2009년 6월생물다양성보전을위한최상위국가계획인제2차국가생물다양성전략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을수립하여생물다양성의보전과지속가능한이용, 유전자원의이용으로부터발생하는이익의공평한배분등생물다양성협약의목표를이행하기위한 5대추진전략을마련하였다. 이러한전략과국제적인생물다양성의중요성을인식하고,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현재 10만종으로추정되는한반도자생생물종에대한조사및발굴사업을대대적으로수행하고있다. 조류 (Algae) 는수서환경에널리분포하는광합성생물로서지구생물다양성에크게이바지하여종수는 36,000종에서 1,000만종이상을추정한다. 우리나라에보고된조류의종수는 4,800여종정도가보고되어왔고, 전세계적생물다양성수준에비교하여보고되지않은종들에대한잠재적다양성이높은생물분류군중하나이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위와같은생물다양성이높은미세조류와해조류의생물자원을확보하기위하여장기계획으로조사및발굴사업을수행되고있으며, 1단계는 2006 2008년 (3년), 2단계는 2009 2011년 (3년), 3단계는 2012 2014년 (3년) 에걸쳐총 9년간수행하였으며, 현재 4단계 (2015~2017) (3년) 사업이시행되고있다. 본사업은 4단계 3차년도사업으로 1 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 2표본확보, 3생체시료확보 ( 유전자원발굴 ), 4배양체확보등을대상으로 2017년 3월 24일에시작되었다. - 1 -

2. 참여연구원 1) 미세조류 구분 소속 성명 참여임무 총괄책임자 제주대학교 이준백 미세조류 총괄행정 제주대학교 김규범 행정및회계 인제대학교 조경제 미세조류 연구원 군산대학교박종규미세조류 경기대학교이옥민미세조류 대진대학교김용재미세조류 김규범 미세조류 제주대학교 강수민박창휘 미세조류미세조류 이민지 미세조류 인제대학교 이지영전혜선 미세조류미세조류 연구보조원 / 보조원 군산대학교 김병석김소연 미세조류미세조류 경기대학교 정현철임병철 미세조류미세조류 이한동 미세조류 대진대학교 손준식 미세조류 김진기 미세조류 - 2 -

2) 해조류 구분소속성명참여임무 부경대학교남기완해조류 연구원 제주대학교김명숙해조류 조선대학교조태오해조류 부경대학교 강필준안재우 해조류해조류 연구조원 제주대학교 고영호이형우 해조류해조류 원부연 해조류 조선대학교 정소영 해조류 호세아빌라 해조류 3. 당해연도목표 목표량 분야 표본 ( 점 ) 신종 / 미기록종 후보종 ( 종 ) 생체시료 ( 점 ) 배양체 ( 주 ) 미세조류 2,100 58-50 해조류 1,900 12 200 합계 4,000 70 200 50-3 -

4. 조사지역및조사일정 1) 조사지역 (1) 미세조류 일반조사지역 : 해양미세조류는서식가능성이높고종다양성이풍부할것으로예상되는지역을대상으로동해, 서해, 남해및제주도의연안, 도서, 항구, 포구, 습지, 저질에서조사하였다. 인제대학교조경제교수팀은총 123회에걸쳐해산및기수돌말류를채취하고조사하였다. 포항과영일만해안, 울진해안, 경주해안과감포해안의경북지방, 부산과기장군의해안, 경남의일광해안, 울산지역의해안, 전남의광양만, 강릉동해안지역과경포호 ( 특이지역조사지 ) 에서시료를채취하였고, 제주도에서는성산포의통밧알석호, 종달리-하도리해안과서귀포의표선면해안에서채집하였다. 제주도의성산포석호와강릉의경포호에서중점적으로조사하였다. 9월에는부산다대포해안과거제도동부면해안에서집중조사하였다. 군산대학교박종규교수팀은총 409회에걸쳐해산돌말류를대상으로부산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남 북도, 제주도등에서조사하였다. 제주대학교이준백교수팀은총 181회에걸쳐해산와편모조류를대상으로경기도,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남도, 강원도, 제주도에서조사하였다. 특히전라남도완도와거문도일대와, 제주통밧알, 강원도화진포석호등생태상이특이한지역을중점적으로조사하였다. 경기대학교이옥민교수팀은해산녹조류및윤조류, 남조류를대상으로총 89 회에걸쳐전라북도군산, 전라남도곡성, 목포, 장흥, 경상북도울진, 울릉도, 제주도연안, 부산등에서조사하였다. 대진대학교김용재교수팀은총 46회에걸쳐기수지역남조류및녹조류를대상으로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등에서조사하였다. 특이지역 : 해양및담수미세조류의조사가본격적으로이루어지지않은지역중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및표본의종다양성확보가능성이높을곳으로판단되는기수역인낙동강하구 ( 부산사하구 ), 금강하구 ( 충남서천군 ), 경포대석호 ( 강원도 ), 연안습지로는태안파도리, 신두리연안습지, 통밧알석호 ( 제주성산읍 ) 에서각각조사하였다. 인제대학교조경제교수팀은과거조사했던지역중에서종다양성이높고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가능성이높은곳으로추정되는제주도성산포의통밧알석호와강릉경포호에서조사하고시료를채취하였다. 제주도석호는 2016년에 1차조사하였으나미진한부분이있어금년에재조사하여석호에서 12회채취하였고 - 4 -

제주도다른곳에서 20회샘플링하여총 32회조사하였고, 경포호에서는 12곳에서시료를채취하였다. 군산대학교박종규교수팀은해양미세조류의조사가본격적으로이루어지지않은지역중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및표본의종다양성확보가능성이높을곳으로판단되는연안습지로는태안파도리에서각각조사하였다. 제주대학교이준백교수팀은총 2회에걸쳐해산와편모조류를대상으로통밧알석호 ( 제주성산읍 ) 에서조사하였다. 경기대학교이옥민교수팀은해양및담수미세조류의조사가본격적으로이루어지지않은지역중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및표본의종다양성확보가능성이높을곳으로판단되는기수역인금강하구 ( 충남서천군 ; 4월 27일, 9월 26일 2회 ) 와연안습지인통밧알석호 ( 제주성산읍 ; 5월 20일 1회 ) 에서조사하였다. 대진대학교김용재교수팀은총 18회에걸쳐기수지역남조류와녹조류를대상으로낙동강하구및제주도와태안파도리, 제주통밧알등에서조사하였다. 표 1. 연구자별월별미세조류조사지역및조사횟수 제주대인제대군산대년 / 월 ( 이준백 ) ( 조경제 ) ( 박종규 ) 2017/03 제주 (12) 충청남도 (30) 2017/04 2017/05 2017/06 2017/07 인천광역시 (10) 전남 (11) 제주 (12) 경기도 (12) 제주 (18) 인천광역시 (8) 전남 (17) 제주 (12) 강원 (5) 전남 (2) 전북 (1) 제주 (12) 충남 (11) 2017/08 제주 (17) 2017/09 인천광역시 (3) 제주 (18) 경북 (20) 부산광역시 (12) 울산광역시 (1) 전남 (5) 제주 (32) 경북 (12) 부산광역시 (6) 경기도 (18) 충청남도 (45) 전라북도 (17) 전라남도 (54) 경상남도 (19) 경상북도 (3) 강원도 (5) 경북 (3) 전라남도 (12) 강원 (12) 부산 (11) 경남 (15) 제주도 (24) 경기도 (18) 전라북도 (17) 전라남도 (42) 경상남도 (19) 충청남도 (15) 경상북도 (3) 강원도 (5) 전라북도 (20) 전라남도 (17) 경기대 ( 이옥민 ) 울릉도 (5) 금강 (7) 전북 (6) 제주 (8) 강원 (9) 경북 (4) 부산 (6) 전남 (7) 전북 (6) 경북 (13) 전북 (5) 충남 (6) 대진대 ( 김용재 ) - 인천광역시 (6) 경기 (4) 충남 (7) 전북 (2) 제주 (7) 인천광역시 (3) 경기 (2) 제주 (7) 전북 (4), 낙동강하구 (4) 2017/10 - 전라북도 (20) 충남 (7) 합계 181회 123회 409회 89회 46회 - 5 -

표 2. 연구자별특이지역의미세조류조사일정표 기수역 연안습지 연구원 낙동강하구 금강하구 경포대석호 태안 통밧알 ( 부산사하구 ) ( 충남서천군 ) ( 강원도 ) ( 신두리, 파도리 ) ( 제주성산 ) 이준백 05.14, 08.07 조경제 07.08 05.20 박종규 03.14, 05.24 이옥민 04.27, 09.26 05.20 김용재 08.29 만경강하구 ( 전북부안 ) 08.07~08.08 05.03 05.20, 07.03 (2) 해조류 일반조사지역 : 해조류의서식가능성이높고종다양성이풍부할것으로예상되는지역을대상으로하여, 부경대학교남기완교수팀은경상북도, 강원도, 사량도, 제주도등지에서총 63 회조사하였으며, 중점도서지역으로사량도를조사하였다. 제주대학교김명숙교수팀은문섬, 제주, 완도, 거제도, 포항, 울진, 양양등지에서총 42회조사하였으며, 중점도서지역으로문섬을조사하였다. 조선대학교조태오교수팀은거문도, 감포, 포항, 부산, 고흥, 진도, 추자도등지에서총 16회조사하였으며, 중점도서지역으로거문도를조사하였다. 특이지역 : 해조류의조사가본격적으로이루어지지않았고생물다양성및신 / 미기록종의발굴가능성이높은사량도, 문섬, 거문도에서각각조사하였다. - 6 -

표 3. 연구자별월별해조류조사지역및조사횟수 년 / 월 부경대 ( 남기완 ) 제주대 ( 김명숙 ) 조선대 ( 조태오 ) 2017/1 제주 (3) - 2017/3 - - 2017/4 경북 (7) 2017/5 제주 (20) 2017/6 2017/7 경북 (7) 강원 (10) 사량도 (8) 제주 (6) 전남 (2) 경남 (2) 경북 (4) 강원도 (2) 제주 (3) 제주 (2) - 충남 (1) 제주 (7) - - 감포 (1) 부산 (2) 진도 (2) 포항 (1) 2017/8 제주 (8) - 2017/9 경북 (11) 제주 (2) 고흥 (2) 추자도 (7) 2017/10 - 거문도 (1) 합계 63 회 42 회 16 회 표 4. 연구자별특이지역의해조류조사일정표 연구원 사량도 문섬 거문도 남기완 06.23~24 김명숙 05.18 조태오 10.01-7 -

5. 연구방법 1) 연구범위 (1) 미세조류 해산미세조류는한반도를에워싸고있는동해, 서해, 남해및제주해역에서해양성및기수성돌말류의 2목인중심목 (Centrales) 과우상목 (Pennales), 와편모조류의 5목인 Prorocentrales, Dinophysiales, Gymnodiniales, Noctilucales, Peridiniales 등을중점적으로조사 발굴하며, 그외해산및기수남조류, 녹조류, 기타편모조류 (Blue-green algae, Chlorophytes, Flagellates) 등의분류군을연구범위로한정하며, 남조류또는녹조류를집중적으로발굴 (2) 해조류 녹조류목 (Order) 수준의깃털말목 (Bryosidales), 연두실방패목 (Chaetopeltidales), 대마디말목 (Cladophorales), 초록실목 (Ulotrichales), 갈파래목 (Ulvales) 등 5목 갈조류목 (Order) 수준의별솜털목 (Asterocladales), 채찍말목 (Cutleriales), 산말목 (Desmarestiales), 그물바탕말목 (Dictyotales), 솜털목 (Ectocarpales), 말목 (Fucales), 패목 (Ishigelaes), 다시마목 (Laminariales), 바위딱지목 (Ralfsiales), 갯쇠털목 (Sphacelariales), 털비말목 (Sporochnales) 등 11목 홍조류목 (Order) 수준의마디털목 (Stylonematales), 붉은털목 (Erythropeltidales), 김파래목 (Bangiales), 분홍딱지목 (Hildenbrandiales), 산호말목 (Corallinales), 붉은솜목 (Acrochaetiales), 홍다발솔목 (Colaconematales), 팔손이풀목 (Palmariales), 국수나물목 (Nemaliales), 싹새기목 (Ahnfeltiales), 납작풀목 (Acrosymphytales), 갈고리풀목 (Bonnemaisoniales), 비단풀목 (Ceramiales), 우뭇가사리목 (Gelidiales), 돌가사리목 (Gigartinales), 꼬시래기목 (Gracilariales), 도박목 (Halymeniales), 끈적이목 (Nemastomatales), 바다표고목 (Peyssonneliales), 곱슬이목 (Plocamiales), 분홍치목 (Rhodymeniales), 미끌부채목 (Sebdeniales) 등 22목 2) 채집방법 (1) 미세조류 부유성미세조류 ( 돌말류, 와편모조류, 녹조류, 유글레나조류, 남조류등 ) 는채수기 (Van Dorn Water Sampler) 및식물플랑크톤네트 (Plankton Net, mesh # 20µm) 를이용하여채집 부착성미세조류 ( 돌말류, 와편모조류, 녹조류, 남조류 ) 는해조류, 암반, 자갈, 기타 - 8 -

고형기질과같은피부착물에서부드러운솔등으로긁어서채집 저서성미세조류중돌말류는암반, 저니, 수중토양층으로부터스포이드나소형그랩을사용하여채집하고, 저서성와편모조류는해조류의엽상체, 해변모래웅덩이에고인물에서채집 편모조류는현장에서중성포르말린또는 Lugol 용액으로고정시키거나생시료 (living cell) 를실험실로운반 남조류및녹조류는필요에따라단일종을분리하여배양 (2) 해조류 조상대, 조간대또는조하대에서서식하는해조류를일자 ( 一字 ) 드라이버또는끌을이용하여부착기에서부터엽상체 (Thallus) 전체를완전하게채집 해안암반의파도를잘받는곳과보호된곳을따라서중점적으로채집하며, 조사지역의해안을넓게다니면서바위및파도에밀려온것등모두채집 다른해조류에착생, 기생하는소형해조류들은숙주해조류와같이채집 채집한해조류는현장에서 5-10% 포르말린-해수액에고정하거나, 얼음이들어있는아이스박스에넣어서실험실로운반 표본수집은가근 (holdfast) 을포함하여 1개이상의완전한엽상체포함 표본제작은규격표본대지 (29.2 41.9cm) 에식물체를직접부착 3) 해조류의신 / 미기록종의분자생물학적분석방법 해조류생체시료의조각을해부현미경상에서해당종이외의다른생물체가존재하지않도록미세붓을이용하여깨끗하게세척 액체질소를담은막자사발에세척한생체시료조각을넣어얼린뒤막자를이용하여파쇄 분자생물학적분석을위해 DNA extraction kit을사용하여정해진사용방법에따라전체 DNA를추출 각분류군에적합한유전자마커 (SSU, rbcl, COI-5P 등 ) 를결정하고 primer를선정 각 primer에적합한 Polymerase-Chain-Reaction (PCR) 반응조건을사용하여증폭한후 Purification kit을이용해 PCR product를정제및염기서열분석 획득한염기서열을 GenBank와같은유전자염기서열 Database (DB) 에등록된근연분류군들의염기서열과함께정렬 정렬한염기서열을 MEGA, PAUP, RaxML, MrBayes 등의프로그램을사용하여 - 9 -

계통분석실시및계통수작성 Neighbor-Joining, Maximum-Likelihood, Bayesian분석을통해신종가능성이있는독립 clade 또는 DB상의미기록종과같은 clade를형성하는지여부확인 계통수를바탕으로근연분류군들의원기재문과형태형질비교분석을통하여신 / 미기록종여부를확인 4) 표본라벨정보의작성 확증표본의 label은최소한다음의정보를꼭포함하도록함 지리정보 : 채집장소의행정구역명또는항 포구명 - 도, 시 ( 군 ), 읍 ( 면 ), 리 ( 동 ) 까지가급적표기. 국립공원내일경우별도로표시 - 예 ) 전북남원군산내면반선리지리산뱀사골입구 ( 지리산국립공원 ) - 예 ) 서해, 동해, 남해와같이행정구역명을표시하기어려운경우는광의의해역명 ( 서해, 동해, 남해등 ) 으로표시하고위치정보 ( 경위도 ) 표기 생태및지리정보 : Habitat and ecology, latitude, longitude(gps 이용 ) 식물체의정보 : Description of plants 채집자및채집번호 : Collector's name and number 채집일정보 : Date of collection 5) 표본보관방법 (1) 미세조류 동정및라벨부착이완성된영구슬라이드표본은봉입제의완벽한건조를위해슬라이드박스에넣어서늘한곳의표본장에보관한다. (2) 해조류 동정된표본은가로 29.2 cm, 세로 41.9 cm의백색 240 m/m 모조의대지위에유산지 ( 창호지 ) 또는식물표본접착제를이용하여고정시킨후, 라벨을대지오른쪽하단부에부착한다. 충분히건조가된표본은 -20 또는그이상의저온냉동고에서최소한 3일이상보관하여해충을방제한후식물표본장에수장하여보관한다. (3) 해조류생체시료 생체시료는채집된시료중다른해조류또는돌말류가착생하지않거나가장적 게착생하고있는개체를골라표본대지에부착하여확증표본을제작하고, 개체의 - 10 -

일부분 ( 소가지전체또는가로, 세로 1 2 cm 정도의크기 ) 을잘라내어종이타올등을이용해물기를제거한후라벨과함께실온에서건조시킨다. 완전히건조된조직은채집정보가적힌종이타올을이용해포장하여실리카겔과함께지퍼백에담아보관한다. 크기가작은홍조류개체인경우에는식물체의형태적특징을확인할수있도록근접촬영및현미경을이용한촬영을통해식물체의형태를기록하고개체전체를 DNA 분석시료로서이용한다. (4) 배양체 해양미세조류의순수분리및배양은해부현미경하에서파스퇴르피펫을이용하여분리하며기본적으로돌말류와와편모조류는 F/2 배지와 IMK배지를사용하여배양하였다. 녹조류는 Bold basal medium(bold 1949) 을사용하여배양하며, 분류군에따라서 WEES medium(kies 1967) 도사용하였다. 남조류는 Bold 3N(UTEX 2008) 등을사용하여배양하였다. 배양이어려운미세조류의경우채집된정점의 soil을채집하여 Soil extract(provasoli et al. 1957) 를이용하여배양하며, 배양조건은채집장소의수온을고려하여 5~25, 일장주기 12:12, 16:8, 광조건 40 μm m -2 s -1 이며, 온도와광이조절되는식물배양실에서배양하였다. - 11 -

6. 당해연도연구결과 1) 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발굴 (1) 미세조류 4단계 3차년도미세조류의신종 / 미기록종후보종 58종의목표량중신종후보 7종, 미기록종후보 51종총 58종을발굴하여 100% 이상을달성하였다. 조경제교수 : 금년돌말류미기록종은제주도서귀포시해안에서찾았다. 해조류하나의시료 ( 시료번호 JDC-SW66) 에서아래와같은 13종미기록종을, 성산포통밧알석호에서채집한해조에서 1종을관찰하였으며, 이들 14종이외에도다수의미기록종이관찰되었다. 미기록종중에는열대종이많았으며이곳뿐아니고제주도해안에는다양한열대산돌말류가관찰되고있다. 열대종과같은외래종의침입에따른미기록종의증가도예상되며이와같은열대산돌말류는앞으로지속적으로기록하고체계적으로조사할필요가있다. 박종규교수 : 해산돌말류는 5종의신종후보종과 6종의미기록종후보종을발굴하였다. 발굴된미기록종후보종은 Bacillariophyta문 Bacillariophyta강 Thalassiophysales목 Catenulaceae과 Amphora속 1종, Cocconeidales목 Achnanthidiaceae과 Planothidium속 1종, Cocconeidaceae과 Anorthoneis속 1종, Cocconeiopsis속 1종, Cocconeis속 1종, Naviculales목 Proschkiniaceae과 Proschkinia속 5종, Rhaphoneidales목, Rhaphoneidaceae과, Neodelphineis속 1종등신종후보 5종과국내미기록종 6종을발굴하였다. 이준백교수 : 해산와편모조류는 2종의신종후보종과 9종의미기록종후보종을발굴하였다. 발굴된미기록종후보종은 Dinophyta문 Dinophyceae강 Dinophysiales목 Dinophysiales familia incertae sedis과 Sinophysis속 1종, Gonyaulacales목 Gonyaulacaceae과 Gonyaulax속 1종, Gymnodiniales목 Gymnodiniaceae과 Amphidinium속 1종, Peridiniales목 Heterocapsaceae과 Heterocapsa속 4종, Prorocentrales목 Prorocentraceae과 Prorocentrum속 2종이었고, 신종후보종인 Gymnodiniales목 Warnowiaceae과 Warnowia속 2종등신종후보 2종과국내미기록종 9종을발굴하였다. 이옥민교수 : 해양미세조류는 11 종의미기록종후보종을발굴하였다. 발굴된미기록 - 12 -

종후보종은 Cyanobacteria문 Cyanophyceae강 Chroococcales목 Aphanothecaceae 과 Aphanothece속 1종, Synechococcales목 Coelosphaeriaceae과 Coelosphaerium 속 1종, Heteroleibleiniaceae과 Heteroleibleinia속 1종, Pseudanabaenaceae과 Pseudanabaena속 1종, Leptolyngbyaceae과 Leptolyngbya속 1종, Oscillatoriales목 Coleofasciculaceae과 Anagnostidinema속 1종, Phormidiaceae과 Phormidium속 1 종, Borzia속 1종, Chlorophyta문 Treubouxiophyceae강 Chlorellales목 Oocystaceae과 Tetrachlorella속 1종, Chlorophyceae강 Sphaeropleales목 Scenedesmaceae속 2종등국내미기록종 11종을발굴하였다. 김용재교수 : 해안및기수역에서남조류와녹조류는 11종의미기록종후보종을발굴하였다. 발굴된미기록종은 Cyanophyta문 Cyanophyceae강 Chroococcales목 Chroococcaceae과 Chroococcidiopsis속 1종과 Pseudocapsa속 1종, Merismopediaceae과 Aphanocapsa속 1종, Synechococcales목 Coelosphaeriaceae 과 Woronichinia속 1종, Oscillatoriales목 Oscillatoriaceae과 Lynbya속 1종, Borziaceae과 Pseudophormidium 속 1종, Nostocales목 Rivulariaceae과 Calothrix 속 4종과 Chlorophyta문 Ulvophyceae강 Ulvales목 Ulvaceae과 Characiellopsis속 1 종등국내미기록종 11종을발굴하였다. 이번연구에서발굴한미기록종은저서성남조류가 10종포함되어있고, 부착성녹조류 1종도포함되어있다. 표 5. 신종 / 미기록종후보종목록 학명 일련번호 해산및기수돌말류 (Bacillariophyta) Ulnariaceae Hyalosynedra laevigata (Grunow) Williams & Round 1986 Licmophoraceae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1 Licmophora pfannkucheae Giffen 1970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2 Cocconeidaceae Cocconeis pseudodiruptoides Foged 1975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3 Cocconeis dirupta var. flexella (Janisch & Rabenhorst) Grunow 1880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4 Cocconeis speciosa Gregory 1855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5 Naviculaceae Navicula longa var. irregularis Hustedt 1955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6 Navicula hochstetteri Grunow 1894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7-13 -

학명 일련번호 Lyrella hennedyi (W. Smith) Stickle & D.G.Mann in Round et al. 1990 미세조류2017 ( 조경제 )-008 Caloneis excentrica (Grunow) Boyer 1927 미세조류2017 ( 조경제 )-009 Diploneidaceae Diploneis notabilis (Greville) Cleve 1894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0 Mastogloiaceae Mastogloia tenuis Hustedt 1933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1 Catenulaceae Amphora staurohyalina Podzorski & Håkansson 1987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2 Nitzschia composita Giffen 1971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3 Bacillariaceae Bacillaria urve-millerae Schmid & Jahn 2007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4 돌말류 (Bacillariophyta) Bacillariaceae Amphora aliformis J.G.Stepanek, S.Mayama & J.P. Kociolek, 2015 Achnanthidiaceae Planothidium quarnerensis (Grunow) Witkowsk, Lange-Bertalot & Metzelin 2000 Cocconeidaceae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1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2 Anorthoneis vortex Sterrenburg 1988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3 Cocconeiopsis breviata (Hustedt) Witkowski 2000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4 Cocconeis mascarenica Riaux-Gobin & Compère 2008 Proschkiniaceae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5 Proschkinia sp. nov. 1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6 Proschkinia staurospeciosa sp. nov. 2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7 Proschkinia imparea sp. nov. 3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8 Proschkinia modesta sp. nov. 4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9 Proschkinia bifurcata sp. nov. 5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10 Rhaphoneidaceae Neodelphineis silenda (M.H. Hohn & J. Hellerman) N. Desianti & M. Potapova 2015 와편모조류 (Dinophyta) Dinophysiales familia incertae sedis Sinophysis canaliculata Quod, Ten-Hage, Turquet, Mascarell & Couté 1999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11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1-14 -

학명 일련번호 Gonyaulacaceae Gonyaulax diegensis Kofoid 1911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2 Gymnodiniaceae Amphidinium cf. flagellans Schiller 1928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3 Warnowia sp. 1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4 Warnowia sp. 2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5 Heterocapsaceae Heterocapsa circularisquama Horiguchi 1995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6 Heterocapsa horiguchii Iwataki, Takayama & Matsuoka 2002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7 Heterocapsa lanceolata Iwataki & Fukuyo 2002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8 Heterocapsa pygmaea Lobelich Ⅲ, Schmidt & Sherley 1981 Prorocentraceae Prorocentrum bimaculatum Chomérat & Saburova 2012 Prorocentrum tsawwassenense Hoppenrath & Leander 2008 남조류 (Cyanophyta) Aphanothecaceae Aphanothece smithii Komárková-Legnerová & G.Cronberg 1994 Coelosphaeriaceae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9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10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11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1 Coelosphaerium aerugineum Lemmermann 1898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2 Heteroleibleiniaceae Heteroleibleinia sp.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3 Pseudanabaenaceae Pseudanabaena lonchoides Anagnostidis 1961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4 Leptolyngbyaceae Leptolyngbya ectocarpi (Gomont) Anagnostidis & 미세조류2017 ( 이옥민 )-005 Komárek 1988 Coleofasciculaceae Anagnostidinema pseudacutissimum (Geitler) Strunecký, Bohunická, J.R.Johansen & J.Komárek 미세조류2017 ( 이옥민 )-006 2017 Phormidiaceae Phormidium tinctorium Kützing ex Gomont 1892 미세조류2017 ( 이옥민 )-007 Borzia trilocularis Cohn ex Gonont 1892 미세조류2017 ( 이옥민 )-008-15 -

학명 일련번호 녹조류 (Chlorophyta) Oocystaceae Tetrachlorella incerta Hindák 1977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9 Scenedesmaceae Scenedesmus decorus Hortobagyi 1959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10 Scenedesmus nanus Chodat 1913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11 남조류 (Cyanophyta) Chroococcaceae Chroococcidiopsis fissurarum (Ercegović) Komarek et Anagnostidis 1995 Merismopediaceae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1 Aphanocapsa marina Hansgirg 1890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2 Pseudocapsa maritima Ercegović 1956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3 Coelosphaeriaceae Woronichinia elorantae Komarek et Komarkova-Legnerova 1992 Oscillatoriaceae Lyngbya aestuarii var. gaditana Gonzalez Guerrero 1947 Borziaceae Pseudophormidium tenue (Thuret ex Gomont) Anagnostidis et Komarek 1988 Rivulariaceae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4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5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6 Calothrix fusca f. durabilis Starmach 1958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7 Calothrix littoralis Anand 1937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8 Chroococcaceae Chroococcidiopsis cubana Komarek et Hindak 1975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9 Calothrix parva Ercegović 1928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10 녹조류 (Chlorophyta) Ulvaceae Characiellopsis skujae (Fott) Komarek 1979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11 (2) 해조류 4 단계 3 차년도해조류의신종 / 미기록종후보종 12 종의목표량중 12 종을발굴하여 100% 이상을달성하였다. 이중신종후보종은 6 종, 미기록종후보종은 6 종이었다. 남기완교수 : 홍조류 3 종, 녹조류 1 종총 4 종의미기록종후보종을발굴하였다. 홍조 - 16 -

류인 Farlowia mollis는조체가 10-20 cm 크기로주로차상으로분지하며, 체색은갈색내지암홍색이다. 가근성부착기에의해암반에착생한다. 엽체는 3 6 세포층으로이루어져있고, 피층세포에는색소체가산재한다. 수층은세포배열이규칙적이고 70-120 μm 크기의큰세포로이루어져있다. 한국산 F. mollis는 rbcl 분석결과 F. mollis와종내범위인 1.8% 의유전적변이를나타내었다 (Fig. 1). 녹조류인 Ulva torta는조체가 5-10 cm에이르고, 두층으로되어있으며, 편압형이거나관상형으로자란다. 체색은연녹색내지녹색이다. 세포는직각또는다소둥근형태의모서리를갖고있으며, 유엽에서는세포열이일정한데비해노엽에가까워지면서세포열이일정하지않은형태로관찰된다. 각각의세포는세포벽쪽에서엽록체가관찰이되며, 1~2개의피레노이드를갖는다. 한국산 U. torta는 ITS 및 rbcl분석결과 U. torta와종내범위인 0.01-0.2% 의유전적변이를나타내어 U. torta로동정되었다 (Fig. 2). 홍조류인 Membranoptera alata는조체가 5-8 cm 크기로주로차상내지삼차상으로분지하며, 체색은홍색내지암홍색이다. 원반형부착기에의해암반에착생한다. 엽체는 3 5 세포층으로이루어져있고, 피층세포에는색소체가산재한다. 수층은세포배열이불규칙적이고 50-110 μm 크기의큰세포로이루어져있다. 본종은형태및엽록체의 rbcl 유전자분석결과, 한국미기록종인 Membranoptera alata로동정되었다 (Fig. 3). 마지막으로홍조류인 Hypnea nidulans 조체는크기 5-10 cm로서로조밀하게얽혀있는기부를갖는다. 기부는기질에넓게부착한다. 상부의엽체는원통형으로직립하고, 서로얽히지않으며, 붉규칙하게분지한다. 소지는주로뾰족하지만때때로넓은판모양의정단부를갖는다. 수세포는원형내지다각형이고바깥쪽으로갈수록크기가작아진다. 수세포에는때때로세포벽비후가존재한다. 본종은형태및엽록체의 rbcl 유전자분석결과, 한국미기록종인 Hypnea nidulans로동정되었다 (Fig. 4). - 17 -

Fig. 1. Farlowia mollis 의형태형질및계통분석결과 Fig. 2. Ulva torta 의형태형질및계통분석결과 - 18 -

Fig. 3. Membranoptera alata 의형태형질및계통분석결과 Fig. 4. Hypnea nidulans 의형태형질및계통분석결과 - 19 -

김명숙교수 : 홍조류 4종 ( 도박목 Neosia pulchella sp. nov., 비단풀목 Herposiphonia jejuinsula sp. nov., 김파래목 Pyropia ulleungensis sp. nov., Pyropia vittata sp. nov.) 의신종후보를발굴하였다. Nesoia pulchella sp. nov. 는홍조류도박목도박과에속하는분류군으로서옅은분홍색을띠는매우얇고연한막질의엽상체가길이약 7 cm, 폭약 4 cm 정도의크기로자라며, 조하대수심약 25 m 부근에서무절석회조류, 작은자갈또는패각등에붙어직립하여생육한다. 엽상체는전체적으로길쭉한타원형을이루지만, 자라면서불규칙하게엽상체가장자리가중심부를향해살짝갈라지거나한쪽으로생장이치우치기도한다. 그리고엽상체가장자리에주름이나타나기도한다. rbcl 유전자분석결과, Nesoia pulchella sp. nov. 는 Amalthea 속과자매군을형성하지만, 그동안밝혀진도박과내의다른속들로부터독립된속단위계통군을형성하고있으므로, 이분류군을신종후보종으로제안하고자한다 (Fig. 5). Herposiphonia jejuinsula sp. nov. 는홍조류비단풀목빨간검둥이과에속하는분류군으로유절석회조류위에착생하여자라며직경 50-80μm 기는줄기로부터 3개의유한지와 1개의무한지가반복해서나타나는특징을갖는다. 특히유한지에서영양모상지가발달하지않으며낭과가유한지중간부에위치하는특징으로한국에보고된다른 Herposiphonia 분류군들과구분된다. 과거에는 Herposiphonia nuda Hollenberg로동정되어왔으나 COI-5P 염기서열분석에서 H. nuda의모식산지인 Hawaiia산염기서열들과는독립적인 clade를형성하며 Hawaiia산 H. nuda에비해짧고가는유한지를갖는특징으로이분류군을신종후보종으로제안하고자한다 (Fig. 6). Pyropia ulleungensis sp. nov. 는홍조류김파래홍조강김파래목에속하는분류군으로서울릉도에서처음으로채집되었다. 엽체는선형에서피침형으로성숙함에따라갈라지며엽체의가장자리는파상형이고거치상돌기는형성하지않는다. 식물체는자웅이주로겨울철에엽체에산재하여생식세포를형성한다. rbcl 유전자염기서열분석결과방사무늬돌김과참돌김그리고패돌김과근연관계를이루지만돌김속내에서독립된계통군을형성하는점을근거로이종을신종후보로제안하고자한다 (Fig. 7). Pyropia vittata는동해안중부에서남부까지분포하고있으며엽체는선형으로매우가늘고길게자라서띠와같은모양을이룬다. 열편은나타나지않으며가장자리에파상형의무늬도나타나지않으며거치상돌기또한형성하지않는다. 식물체는자웅동주로엽체의상부에는접합포자낭반이산재하고있으며엽체의기저부에는정자낭반이가장자리에형성된다. 생식세포는봄철에형성된다. rbcl 유전자염기서열분석결과긴잎돌김과가장가까운유연관계를형성하나돌김속내에서뚜렷하게독립된계통군을형성하는점을근거로이종을신종후보종으로제안하고자한다 (Fig. 8). - 20 -

Fig. 5. Nesoia pulchella sp. nov.의 형태 형질 및 계통분석결과 Fig. 6. Herposiphonia jejuinsula sp. nov.의 형태 형질 및 계통분석결과 Fig. 7. Pyropia ulleungensis sp. nov.의 형태 형질 및 계통분석결과 - 21 -

Fig. 8. Pyropia vittata sp. nov. 의형태형질및계통분석결과 조태오교수 : 홍조류 2종의미기록종 (Lithothamnion japonicum, Phymatolithon tenue) 과 2종의신종후보종 (Lithothamnion sp., Phymatolithon sp.3) 을발굴하였다. Lithothamnion japonicum은돌위에부착하여자라고원통형의돌기를발달한다. 엽체는둥그스름하거나납작한모양의 1층의표피세포를발달시키고피층세포는사각형모양으로발달한다. 사분포자낭은표면위로융기하여다각형의모양으로발달하고각각의 pore plug는 6-7개의 rosette cell로둘러싸여있다. 오래된사분포자낭은조직밑으로침강하고빈사분포자낭의 chamber에는 vegetative filament로채워지는것이특징이다. psba 유전자를이용한분자분석결과우리나라에서채집된 L. japonicum은 L. japonicum의 holotype sequence와완벽히일치하여분자분석에서도검증이되었다 (Fig. 9). Phymatolihton tenue는 rhodolith 형태로엽체의표면에돌기가발달하지않으며기는형태로자라나며조하대에생육한다. 엽체는 2-3 cm로발달하며엽체의표면세포는세포벽이두꺼운 Phymatolithon-type의세포가발달한다. 엽체는기부로부터피층까지한방향으로발달하며납작하거나둥그스름한표피세포가한층으로발달한다. Subepithallial cell은세번째발달하는세포의크기에비해작으며각각의세포들은세포융합에의해연결되어있다. psba 유전자염기서열분석결과 Phymatolithon 그룹내에속하며 P. tenue의 syntype의염기서열과완전히일치하여 P. tenue를국내미기록종으로보고하고자한다 (Fig. 10). 신종후보종중하나인 Lithothamnion sp. 는엽체의표면에원통형의돌기를매우발달시키고엽체의조직은 monomeous type으로발달하며 1층의 flared-type의표피세포를가진다. 엽체의표면에서둥그스름하게융기한사분포자낭을가지고 pore plate는평면이다. 각각의 pore plug는 9개의 rosette cell로둘러싸여있고노성한사분포자낭은조직밑으로침강하지않고각각의 pore plug 주변은 5개의세포층으로이루어져있다는특징에서기존의 Lithothamnion 종들과차이를보인다. 이는 psba - 22 -

염기서열분석결과 Lithothamnion의 type species인 L. muelleri와같은그룹을형성하지만다른종들과독립적인 clade를형성하여이종을신종후보종으로보고하고자한다 (Fig. 11). Phymatolithon sp. 3 는 rhodolith 형태로엽체의표면에원통형또는납작한돌기를많이내며조하대에채집되었다. 엽체는 1-2 cm로발달하며엽체의표면세포는세포벽이두꺼운 Phymatolithon-type의세포가발달한다. 엽체는기부로부터피층까지한방향으로발달하며납작하거나둥그스름한표피세포가한층으로발달한다. Subepithallial cell은세번째발달하는세포의크기에비해작으며각각의세포들은세포융합에의해연결되어있다. psba 유전자염기서열분석결과 Phymatolithon 그룹내에속하며 P. calcareum의 holotype의염기서열과자매군을형성하지만 2% 정도의염기서열차이를보이고있어 Phymatolithon 내의신종후보종으로보고하고자한다 (Fig. 12). Fig. 9. Lithothamnion japnocium 의계통분석결과및형태형질 - 23 -

Fig. 10. Phymatolithon tenue 의계통분석결과및형태형질 Fig. 11. Lithothamnion sp. 의계통분석결과및형태형질 - 24 -

Fig. 12. Phymatolithon sp. 3 계통분석결과및형태형질 학명 일련번호 홍조류 (Rhodophyta) Dumontiaceae Farlowia mollis (Harvey & Bailey) Farlow & Setchell 1901 녹조류 (Chlorophyta) 해조류 2017 ( 남기완 )-001 Ulvaceae Ulva torta (Mertens) Trevisan 1842 해조류2017 ( 남기완 )-002 Delesseriaceae Membranoptera alata (Hudson) Stackhouse 1809 해조류2017 ( 남기완 )-003 Cystocloniaceae Hypnea nidulans Setchell 1924 해조류2017 ( 남기완 )-004 홍조류 (Rhodophyta) Halymeniaceae Nesoia pulchella sp. nov. 해조류2017 ( 김명숙 )-001 Rhodomelaceae Herposiphonia jejuinsula sp. nov. 해조류2017 ( 김명숙 )-002 Bangiophyceae Pyropia ulleungensis sp. nov. 해조류2017 ( 김명숙 )-003-25 -

학명 일련번호 Pyropia vittata sp. nov. 해조류2017 ( 김명숙 )-004 홍조류 (Rhodophyta) Hapalidiaceae Phymatolithon sp. 3 해조류2017 ( 조태오 )-001 Phymatolithon tenue (Rosenvinge) Düwel & wegeberg 해조류2017 ( 조태오 )-002 1996 Lithothamnion japonicum Foslie 1900 해조류2017 ( 조태오 )-003 Lithothamnion sp. 해조류2017 ( 조태오 )-004-26 -

2) 표본확보 (1) 미세조류미세조류분야는 100과 191속 606종 2아종 46변종 7품종에대하여 2,117점의표본을확보하였다. 세부적으로해산및기수돌말류 (Bacillariophyta) 는 42과 81속 269종 1아종 17변종 1품종 840점, 해산와편모조류 (Dinophyta) 는 18과 21속 106종 1변종 1품종에대하여 420점의표본을확보하였고, 그외에기수와편모조류 (Dinophyta) 2과 2속 2종 3점, 윤조류 (Charophyta) 4과 5속 22종 4변종 67점, 녹조류 (Chlorophyta) 23과 54속 132종 21변종 5품종 621점, 남조류 (Cyanophyta) 9과 24속 56종 125점유글레나류 (Euglenophyta) 2과 4속 19종 1아종 3변종 41점이었다. 분류계급해산및기수돌말류 (Bacillariophyta) 와편모조류 (Dinophyta) 남조류 (Cyanophyta) 녹조류 (Chlorophyta) 윤조류 (Charophyta) 유글레나류 (Eugflenophyta) 합계 점수 42과 81속 269종 1아종 17변종 1품종 840점 20과 23속 108종 1변종 1품종 423점 9과 24속 56종 125점 23과 54속 132종 21변종 5품종 621점 4과 5속 22종 4변종 67점 2과 4속 19종 1아종 3변종 41점 100과 191속 606종 2아종 46변종 7품종 2,117점 해산및기수돌말류 ( 조경제교수 ) 2017년도에해산및기수돌말류 (Bacillariophyta) 를대상으로표본을수집하였으며현재까지표본은총 420점을제작, 동정하여국가생물종데이터베이스에입력하였다. 총분류군을집계한결과아래와같이 40과 76속 250종 1아종 17변종 1품종으로총종수는 269종으로구성되어있다. 분류계급 해산및기수돌말류 (Bacillariophyta) 합계 점수 40 과 76 속 250 종 1 아종 17 변종 1 품종 420 점 40 과 76 속 250 종 1 아종 17 변종 1 품종 420 점 - 27 -

해산돌말류 ( 박종규교수 ) 2017 년도에는해산돌말류 (Bacillariophyta) 를대상으로표본을확보하였으며현재까 지표본은총 420 점을제작하였으며, 13 과 16 속 26 종으로구성되어있다. 분류계급 돌말류 (Bacillariophyta) 합계 점수 13 과 16 속 26 종 420 점 13 과 16 속 26 종 420 점 해산와편모조류 ( 이준백교수 ) 2017년도에는해산와편모조류 (Dinophyta) 를대상으로표본을확보하였으며현재까지표본은총 420점을제작하였으며, 18과 21속 106종 1변종 1품종으로구성되어있다. 분류계급 와편모조류 (Dinophyta) 합계 점수 18 과 21 속 106 종 1 변종 1 품종 420 점 18 과 21 속 106 종 1 변종 1 품종 420 점 기수미세조류 ( 이옥민교수 ) 2017년도연구기간중남조류 5과 5속 6종 22점, 녹조류 13과 22속 41종 5변종 2 품종 358점, 윤조류 2과 2속 6종 40점으로, 총 19과 29속 53종 5변종 2품종 420점의미세조류가채집되어표본으로제작되었다. 분류계급남조류 (Cyanobacteria) Oscillatoriales Synechococcales 녹조류 (Chlorophyta) Chlamydomonadales Prasiolales Sphaeropleales Chlorellales Ulothrichales 점수 5과 5속 6종 22점 2과 2속 3종 9점 3과 3속 3종 13점 13과 22속 41종 5변종 2품종 358점 3과 3속 3종 18점 1과 2속 2종 19점 6과 12속 31종 4변종 2품종 283점 1과 3속 4종 26점 1과 1속 1종 9점 - 28 -

Ulvales 윤조류 (Charophyta) Desmidiales 합계 1과 1속 1변종 3점 2과 2속 6종 40점 2과 2속 6종 40점 19과 29속 53종 5변종 2품종 420점 기수미세조류 ( 김용재교수 ) 2017년도에는조간대갯벌의저서돌말류와연안해조류부착돌말류를대상으로표본을확보하였으며표본은총 436점을제작하였으며, 33과 73속 195종 1아종 25변종 2품종으로구성되어있다. 분류계급남조류 (Cyanophyta) Chroococcales Oscillatoriales Pseudanabaenales Nostocales 녹조류 (Chlorophyta) Chlamydomonadales Chaetophorales Sphaeropleales Chlorellales Ulvales Ulotrichales 윤조류 (Charophyta) Desmidiales Klebsormidiales Zygnematales 유글레나류 (Euglenophyta) Euglenales 와편모조류 (Dinophyta) Peridiniales 합계 점수 9과 22속 53종 103점 4과 5속 17종 36점 3과 15속 32종 57점 1과 1속 1종 4점 1과 1속 3종 6점 16과 40속 103종 18변종 2품종 262점 3과 6속 8종 1변종 25점 1과 1속 1종 4점 8과 19속 67종 16변종 2품종 179점 2과 12속 25종 1변종 52점 1과 1속 1종 1점 1과 1속 1종 1점 4과 5속 18종 4변종 27점 2과 3속 15종 4변종 23점 1과 1속 2종 3점 1과 1속 1종 1점 2과 4속 19종 1아종 3변종 41점 2과 4속 19종 1아종 3변종 41점 2과 2속 2종 3점 2과 2속 2종 3점 33과 73속 195종 1아종 25변종 2품종 436점 - 29 -

(2) 해조류해조류분야는총 3문 3강 28목 59과 124속 205종 1,917점의표본을확보하였고, 이중녹조류 (Chlorophyta) 는 4목 7과 10속 46종 275점, 갈조류 (Phaeophyta) 는 9목 15과 30속 58종 415점, 홍조류 (Rhodophyta) 는 15목 37과 84속 211종 1,227점의표본을확보하였다. 분류계급녹조류 (Chlorophyta) 깃털말목대마디말목초록실목갈파래목갈조류 (Phaeophyta) 채찍말목산말목그물바탕말목솜털목모자반목패목다시마목갯쇠털목털비말목홍조류 (Rhodophyta) 붉은솜목김파래목갈고리풀목비단풀목우뭇가사리목돌가사리목산호말목꼬시래기목도박목국수나물목 점수 7과 10속 46종 275점 4과 4속 13종 67점 1과 2속 19종 131점 1과 2속 2종 5점 1과 2속 12종 72점 15과 30속 58종 415점 1과 1속 1종 40점 1과 1속 1종 7점 1과 7속 14종 97점 3과 9속 13종 92점 1과 2속 15종 91점 1과 1속 3종 48점 4과 5속 6종 18점 2과 2속 3종 15점 1과 2속 2종 7점 37과 84속 211종 1,227점 1과 1속 3종 10점 1과 2속 4종 15점 1과 4속 4종 16점 6과 36속 88종 431점 2과 4속 13종 90점 11과 15속 40종 282점 1과 2속 2종 2점 1과 2속 7종 56점 1과 3속 20종 189점 3과 3속 7종 20점 - 30 -

끈적이목바다표고목곱슬이목분홍치목미끌부채목 합계 2과 2속 2종 6점 1과 1속 1종 4점 1과 1속 4종 28점 4과 7속 15종 77점 1과 1속 1종 1점 59과 124속 205종 1,917점 남기완교수 : 2017 년도연구기간중녹조류 6 과 9 속 33 종 144 점, 7 과 11 속 26 종 190 점, 홍조류 18 과 34 속 89 종 316 점으로, 총 31 과 54 속 148 종 650 점의해조류가 채집되어건조표본으로제작되었다. 분류계급녹조류 (Chlorophyta) 깃털말목대마디말목초록실목갈파래목갈조류 (Phaeophyta) 채찍말목그물바탕말목솜털목모자반목패목다시마목홍조류 (Rhodophyta) 붉은솜목김파래목비단풀목우뭇가사리목돌가사리목꼬시래기목도박목국수나물목분홍치목 점수 6과 9속 33종 144점 3과 3속 6종 24점 1과 2속 14종 80점 1과 2속 2종 5점 1과 2속 11종 35점 7과 11속 26종 190점 1과 1속 1종 37점 1과 3속 6종 35점 2과 4속 5종 44점 1과 1속 11종 39점 1과 1속 2종 30점 1과 1속 1종 5점 18과 34속 89종 316점 1과 1속 3종 10점 1과 2속 3종 13점 5과 16속 33종 89점 1과 1속 7종 34점 4과 5속 17종 61점 1과 2속 7종 32점 1과 3속 13종 64점 1과 1속 1종 2점 3과 3속 5종 11점 - 31 -

합계 31 과 54 속 148 종 650 점 김명숙교수 : 2017 년도연구기간중녹조류 5 과 7 속 20 종 58 점, 갈조류 12 과 26 속 40 종 116 점, 홍조류 33 과 69 속 114 종 459 점으로, 총 50 과 102 속 174 종 633 점의해 조류가채집되어건조표본으로제작되었다. 분류계급녹조류 (Chlorophyta) 깃털말목대마디말목갈파래목갈조류 (Phaeophyta) 채찍말목산말목그물바탕말목솜털목모자반목패목다시마목갯쇠털목털비말목홍조류 (Rhodophyta) 김파래목갈고리풀목비단풀목우뭇가사리목돌가사리목꼬시래기목도박목국수나물목끈적이목바다표고목곱슬이목분홍치목 점수 5과 7속 20종 58점 3과 3속 11종 30점 1과 2속 6종 8점 1과 2속 3종 20점 12과 26속 40종 116점 1과 1속 1종 3점 1과 1속 1종 7점 1과 7속 11종 32점 3과 8속 11종 28점 1과 2속 8종 22점 1과 1속 1종 6점 2과 3속 4종 9점 1과 1속 1종 2점 1과 2속 2종 7점 33과 69속 114종 459점 1과 1속 1종 2점 1과 4속 4종 16점 5과 30속 44종 138점 2과 4속 5종 24점 10과 13속 24종 108점 1과 1속 3종 10점 1과 3속 12종 93점 3과 3속 7종 18점 2과 2속 2종 5점 1과 1속 1종 4점 1과 1속 2종 12점 4과 5속 8종 28점 - 32 -

미끌부채목 합계 1 과 1 속 1 종 1 점 50 과 102 속 174 종 633 점 조태오교수 : 2017 년도연구기간중녹조류 5 과 6 속 20 종 73 점, 갈조류 9 과 15 속 31 종 109 점, 홍조류 25 과 49 속 105 종 452 점으로, 총 39 과 70 속 156 종 634 점의해조 류가채집되어건조표본으로제작되었다. 분류계급녹조류 (Chlorophyta) 깃털말목대마디말목갈파래목갈조류 (Phaeophyta) 그물바탕말목솜털목모자반목패목다시마목갯쇠털목홍조류 (Rhodophyta) 곱슬이목끈적이목꼬시래기목도박목돌가사리목비단풀목산호말목우뭇가사리목분홍치목합계 점수 5과 6속 20종 73점 3과 3속 4종 13점 1과 2속 11종 43점 1과 1속 5종 17점 9과 15속 31종 109점 1과 5속 7종 30점 2과 3속 5종 20점 1과 2속 12종 30점 1과 1속 2종 12점 3과 3속 3종 4점 1과 1속 2종 13점 25과 49속 105종 452점 1과 1속 3종 16점 1과 1속 1종 1점 1과 1속 2종 14점 1과 3속 10종 32점 8과 10속 24종 112점 6과 24속 50종 205점 1과 2속 2종 2점 2과 2속 5종 32점 4과 5속 8종 38점 39과 70속 156종 634점 - 33 -

3) 생체시료확보본연구기간중한국연안에서식하는해조류를채집하여오염되지않은해조류의생체부위를선별후건조하여확보한 DNA 추출용시료는총 16목 30과 48속 74종 202점을확보하였다. 분류체계점수 Chlorophyceae ( 녹조강 ) 3 목 4 과 6 속 12 종 31 점 Bryopsidales ( 깃털말목 ) 2 과 2 속 3 종 9 점 Cladophorales ( 대마디말목 ) Ulvales ( 갈파래목 ) 1 과 3 속 5 종 6 점 1 과 1 속 4 종 16 점 Phaeophyceae ( 갈조강 ) 5 목 6 과 11 속 17 종 59 점 Dictyotales ( 그물바탕말목 ) 1 과 3 속 3 종 4 점 Ectocarpales ( 솜털목 ) 2 과 4 속 4 종 7 점 Fucales ( 모자반목 ) 1 과 2 속 7 종 38 점 Ishigeales ( 패목 ) 1 과 1 속 2 종 7 점 Laminariales ( 다시마목 ) 1 과 1 속 1 종 3 점 Rhodophyceae ( 홍조강 ) 8 목 20 과 31 속 45 종 112 점 Ceramiales ( 비단풀목 ) 5 과 11 속 15 종 29 점 Corallinales ( 산호말목 ) Gelidiales ( 우뭇가사리목 ) Gigartinales ( 돌가사리목 ) Gracilariales ( 꼬시래기목 ) Halymeniales ( 도박목 ) Plocamiales ( 곱슬이목 ) Rhodymeniales ( 분홍치목 ) 총합계 1 과 2 속 2 종 2 점 2 과 2 속 3 종 8 점 6 과 8 속 14 종 46 점 1 과 1 속 2 종 5 점 1 과 3 속 5 종 13 점 1 과 1 속 1 종 6 점 3 과 3 속 3 종 3 점 16목 30과 48속 74종 202점 남기완교수 : 한국연안에서채집된오염되지않은해조류의생체부위를선별한후건조하여확보한 DNA 추출용시료는녹조류 2과 2속 9종 33점, 갈조류 4과 5속 7종 13 점, 홍조류 8과 10속 13종 23점으로, 총 14과 17속 29종 69점이며, 그상세는다음과같다. Chlorophyceae ( 녹조강 ) Bryopsidales ( 깃털말목 ) Codiaceae ( 청각과 ) 분류계급점수 - 34 -

Codium arabicum ( 떡청각 ) 2 Codium coactum ( 누운청각 ) 3 Codium fragile ( 청각 ) 4 Codium hubbsii ( 못난공청각 ) 4 Ulvales ( 갈파래목 ) Ulvaceae ( 갈파래과 ) Ulva australis ( 구멍갈파래 ) 3 Ulva compressa ( 납작파래 ) 3 Ulva intestinalis ( 창자파래 ) 3 Ulva lactuca ( 참갈파래 ) 2 Ulva linza ( 잎파래 ) 2 Phaeophyceae ( 갈조강 ) Dictyotales ( 그물바탕말목 ) Dictyotaceae ( 그물바탕말과 ) Dictyota dichotoma ( 참그물바탕말 ) 2 Spatoglossum pacificum ( 참가시그물바탕말 ) 2 Fucales ( 모자반목 ) Sargassaceae ( 모자반과 ) Sargassum fusiforme ( 톳 ) 2 Sargassum horneri ( 괭생이모자반 ) 3 Sargassum macrocarpum ( 큰열매모자반 ) 3 Ishigeales ( 패목 ) Ishigeaceae ( 패과 ) Ishige okamurae ( 패 ) 2 Laminariales ( 다시마목 ) Alariaceae ( 나래미역과 ) Undaria pinnatifida ( 미역 ) 2 Rhodophyceae ( 홍조강 ) Ceramiales ( 비단풀목 ) Rhodomelaceae ( 빨간검둥이과 ) Chondria crassicaulis ( 개서실 ) 3 Polyopes affinis ( 참까막살 ) 2 Gelidiales ( 우뭇가사리목 ) Gelidiaceae ( 우뭇가사리과 ) Gelidium amansii ( 우뭇가사리 ) 3 Gelidium australis ( 호주우뭇가사리 ) 2 Gigartinales ( 돌가사리목 ) Cystocloniaceae ( 열매가지과 ) Hypnea asiatica ( 참가시우무 ) 3 Gigartinaceae ( 돌가사리과 ) - 35 -

Chondracanthus tenellus ( 돌가사리 ) 1 Chondrus canaliculatus ( 대롱진두발 ) 1 Chondrus nipponicus ( 가락진두발 ) 2 Phyllophoraceae ( 부챗살과 )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 부챗살 ) 3 Halymeniales ( 도박목 ) Halymeniaceae ( 도박과 ) Grateloupia elliptica ( 참도박 ) 2 Grateloupia turuturu ( 미끌지누아리 ) 1 Gracilariales ( 꼬시래기목 ) Gracilariaceae ( 꼬시래기과 ) Gracilaria textorii ( 잎꼬시래기 ) 2 Rhodymeniales ( 분홍치목 ) Lomentariaceae ( 마디잘록이과 ) Lomentaria catenata ( 마디잘록이 ) 2 총합계 69 김명숙교수 : 한국연안에서채집된오염되지않은해조류의생체부위를선별한후건 조하여확보한 DNA 추출용시료는녹조류 3 과 3 속 4 종 15 점, 갈조류 4 과 6 속 8 종 24 점, 홍조류 8 과 10 속 10 종 28 점으로, 총 15 과 20 속 23 종 67 점이며, 그상세는다음과 같다. Chlorophyceae ( 녹조강 ) 분류계급점수 Bryopsidales ( 깃털말목 ) Codiaceae ( 청각과 ) Codium coactum ( 누운청각 ) 1 Codium flagile ( 청각 ) 5 Cladophorales ( 대마디말목 ) Cladophoraceae ( 대마디말과 ) Chaetomorpha crassa ( 곱슬염주말 ) 1 Cladophora herpestica ( 대마디붙이 ) 1 Ulvales ( 갈파래목 ) Ulvaceae ( 갈파래과 ) Ulva australis ( 구멍갈파래 ) 7 Phaeophyceae ( 갈조강 ) Ectocarpales ( 솜털목 ) Scytosiphonaceae ( 고리매과 ) Colpomenia peregrina ( 반질불레기말 ) 1 Myelophycus simplex ( 바위수염 ) 3-36 -

Petalonia binghamiae ( 미역쇠 ) 1 Fucales ( 모자반목 ) Sargassaceae ( 모자반과 ) Sargassum fusiforme ( 톳 ) 5 Sargassum serratifolium ( 톱니모자반 ) 1 Sargassum thunbergii ( 지충이 ) 5 Ishigeales ( 패목 ) Ishigeaceae ( 패과 ) Ishige okamurae ( 패 ) 5 Laminariales ( 다시마목 ) Alariaceae ( 나래미역과 ) Undaria pinnatifida ( 미역 ) 3 Rhodophyceae ( 홍조강 ) Ceramiales ( 비단풀목 ) Rhodomelaceae ( 빨간검둥이과 ) Laurencia composita ( 겹가지서실 ) 2 Polysiphonia japonica ( 떨기나무새붉은실 ) 3 Gelidiales ( 우뭇가사리목 ) Gelidiaceae ( 우뭇가사리과 ) Gelidium elegans ( 우뭇가사리 ) 2 Pterocladiaceae ( 개우무과 ) Pterocladiella capillacea ( 개우무 ) 1 Gigartinales ( 돌가사리목 ) Endocladiaceae ( 풀가사리과 ) Gloiopeltis furcata ( 불등풀가사리 ) 5 Gigartinaceae ( 돌가사리과 ) Chondracanthus tenellus ( 돌가사리 ) 4 Chondrus nipponicus ( 가락진두발 ) 3 Phyllophoraceae ( 부챗살과 )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 부챗살 ) 1 Halymeniales ( 도박목 ) Halymeniaceae ( 도박과 ) Grateloupia asiatica ( 지네지누아리 ) 2 Plocamiales ( 곱슬이목 ) Plocamiaceae ( 곱슬이과 ) Plocamium telfairiae ( 참곱슬이 ) 5 총합계 67-37 -

조태오교수 : 한국연안에서채집된오염되지않은해조류의생체부위를선별한후건조하여확보한 DNA 추출용시료는녹조류 4과 5속 7종 10점, 갈조류 5과 8속 12종 14점, 홍조류 19과 28속 36종 42점으로, 총 28과 41속 55종 66점이며, 그상세는다음과같다. 분류계급점수 Chlorophyceae ( 녹조강 ) Bryopsidales ( 깃털말목 ) Caulerpaceae ( 옥덩굴과 ) Caulerpa okamurae ( 옥덩굴 ) 1 Codiaceae ( 청각과 ) Codium fragile ( 청각 ) 2 Cladophorales ( 대마디말목 ) Cladophoraceae ( 대마디말과 ) Cladophora albida ( 솜대마디말 ) 1 Cladophora vadorum ( 금발대마디말 ) 2 Rhizoclonium hookeri ( 헛뿌리말 ) 1 Ulvales ( 갈파래목 ) Ulvaceae ( 갈파래과 ) Ulva compressa ( 납작파래 ) 1 Ulva conglobata ( 모란갈파래 ) 2 Phaeophyceae ( 갈조강 ) Dictyotales ( 그물바탕말목 ) Dictyotaceae ( 그물바탕말과 ) Dictyopteris prolifera ( 가시뼈대그물말 ) 1 Dictyota coriacea ( 참가죽그물바탕말 ) 2 Rugulopteryx okamurae ( 개그물바탕말 ) 1 Ectocarpales ( 솜털목 ) Chordariaceae ( 민가지말과 ) Chordaria flagelliformis ( 민가지말 ) 1 Scytosiphonaceae ( 고리매과 ) Myelophycus simplex ( 바위수염 ) 1 Fucales ( 모자반목 ) Sargassaceae ( 모자반과 ) Myagropsis myagroides ( 외톨개모자반 ) 1 Sargassum coreaneum ( 큰잎모자반 ) 2 Sargassum fusiforme ( 톳 ) 1 Sargassum micracanthum ( 잔가시모자반 ) 1 Sargassum serratifolium ( 톱니모자반 ) 1-38 -

Ishigeales ( 패목 ) Ishigeaceae ( 패과 ) Ishige foliacea ( 넓패 ) 1 Ishige okamurae ( 패 ) 1 Rhodophyceae ( 홍조강 ) Ceramiales ( 비단풀목 ) Callithamniaceae ( 외깃풀과 ) Aglaothamnion callophyllidicola ( 엇깃풀 ) 1 Ceramiaceae ( 비단풀과 ) Centroceras gasparrinii ( 가시풀 ) 1 Ceramium tennerimum ( 털비단풀 ) 1 Dasyaceae ( 다홍풀과 ) Heterosiphonia pulchra ( 털엇가지풀 ) 2 Delesseriaceae ( 보라잎과 ) Acrosorium ciliolatum ( 갈고리분홍잎 ) 1 Rhodomelaceae ( 빨간검둥이과 ) Chondria dasyphylla ( 각시개서실 ) 1 Laurencia composita ( 겹가지서실 ) 2 Laurencia intricata ( 타래서실 ) 1 Laurencia obtusa ( 몽우리서실 ) 1 Neosiphonia japonica ( 떨기나무새붉은실 ) 1 Neosiphonia notoensis ( 검둥이새붉은실 ) 1 Neosiphonia simplex ( 작은새붉은실 ) 1 Palisada perforata ( 사마귀담서실 ) 1 Symphyocladia linealis ( 가는보라색우무 ) 1 Corallinales ( 산호말목 ) Corallinaceae ( 산호말과 ) Alatocladia modesta ( 참화살깃산호말 ) 1 Jania rubens ( 붉은애기산호말 ) 1 Gelidiales ( 우뭇가사리목 ) Gelidiaceae ( 우뭇가사리과 ) Pterocladia capillacea ( 개우무 ) 1 Gigartinales ( 돌가사리목 ) Cystocloniaceae ( 열매가지과 ) Hypnea asiatica ( 가시우무 ) 1 Hypnea cornuta ( 뿔가시우무 ) 1 Endocladiaceae ( 풀가사리과 ) Gloiopeltis tenax ( 참풀가사리 ) 2 Gigartinaceae ( 돌가사리과 ) - 39 -

Chondracanthus tenellus ( 돌가사리 ) 1 Chondrus canaliculatus ( 대롱진두발 ) 2 Gloiosiphoniaceae ( 실풀과 ) Gloiosiphonia capillaris ( 실풀 ) 1 Kallymeniaceae ( 붉은땀띠과 ) Callophyllis adhaerens ( 좁은붉은잎 ) 1 Callophyllis crispata ( 주름붉은잎 ) 1 Callophyllis japonica ( 볏붉은잎 ) 1 Phyllophoraceae ( 부챗살과 ) Stenogramma interrupta ( 가는줄풀 ) 1 Gracilariales ( 꼬시래기목 ) Gracilariaceae ( 꼬시래기과 ) Gracilaria textorii ( 잎꼬시래기 ) 2 Gracilaria vermiculophylla ( 꼬시래기 ) 1 Halymeniales ( 도박목 ) Halymeniaceae ( 도박과 ) Grateloupia elliptica ( 참도박 ) 2 Pachymeniopsis lanceolata ( 개도박 ) 1 Polyopes affinis ( 참까막살 ) 1 Plocamiales ( 곱슬이목 ) Plocamiaceae ( 곱슬이과 ) Plocamium telfairiae ( 참곱슬이 ) 1 Rhodymeniales ( 분홍치목 ) Champiaceae ( 사슬풀과 ) Champia parvula ( 참사슬풀 ) 1 Lomentariaceae ( 마디잘록이과 ) Lomentaria catena ( 마디잘록이 ) 1 Rhodymeniaceae ( 분홍치과 ) Chrysymenia wrightii ( 누른끈적이 ) 1 총합계 66-40 -

4) 배양체 본연구기간중확보된배양체는총 5 강 13 목 15 과 23 속 27 종 1 변종 50 주가확보 되었다. 이중돌말류 (Bacillariophyta) 는 2 강 7 목 7 과 7 속 9 종 15 주가확보되었고, 와 편모조류 (Dinophyta) 2 목 2 과 3 속 3 종 5 주, 녹조류 (Chlorophyta) 2 목 4 과 4 속 5 종 1 변종 14 주, 윤조류 (Charophyta) 1 목 1 과 5 속 5 종 13 주, 시누라조류 (Ochrophyta) 1 목 1 과 1 속 1 종 3 주를각각확보하였다. 돌말류 (Bacillariophyta) Coscinodiscophyceae Mediophyceae 와편모조류 (Dinophyta) Dinophyceae 녹조류 (Chlorophyta) Chlorophyceae 윤조류 (Charophyta) 분류체계수량 ( 주 ) 2목 2과 2속 3종 4주 5목 5과 5속 6종 11주 2 목 2 과 3 속 3 종 5 주 2 목 4 과 4 속 5 종 1 변종 14 주 Desmidiaceae 1목 1과 5속 5종 13주시누라조강 (Ochrophyta) Synuraceae 1목 1과 1속 1종 3주총합계 13목 15과 23속 27종 1변종 50주 박종규교수 : 본연구기간중확보한배양체는돌말류 (Bacillariophyceae) 7목 7과 7 속 9종총 15주가확보되었다. 학명수량 ( 주 ) Coscinodiscophyceae Stephanopyxales Stephanopyxidaceae Stephanopyxis turris 1 Rhizosoleniales Rhizosoleniaceae Guinardia flaccida 1 Guinardia striata 2 Mediophyceae Biddulphiales Biddulphiaceae Eucampia zodiacus 2 Chaetocerotales Chaetoceraceae - 41 -

Chaetoceros danicus 2 Chaetoceros debilis 3 Eupodiscales Eupodiscaceae Odontella longicruris 2 Hemiaulales Hemiaulaceae Hemiaulus indicus 1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Thalassiosira gravida 1 총합계 15 이준백교수 : 본연구기간중확보한배양체는와편모조강 (Dinophyceae) 2 목 2 과 3 속 3 종총 5 주가확보되었다 학명수량 ( 주 ) Dinophyceae Gonyaulacales Thecadiniaceae Thecadinium kofoidii 2 Gymnodiniales Gymnodiniaceae Amphidinium carterae 1 Togula jolla 2 총합계 5 이옥민교수 : 본연구기간중확보한배양체는 Chlorophyceae 강 2 목 4 과 4 속 5 종 1 변종 14 주, Conjugatophyceae 강 1 목 1 과 1 속 1 종 1 주, 총 15 주가확보되었다 학명수량 ( 주 ) Chlorophyceae Prasiolales Prasiolaceae Stichococcus subtilis 1 Sphaeropleales Radiococcaceae Radiococcus bavaricus 3-42 -

Scelenastraceae Ankistrodesmus gracile 2 Scenedesmaceae Scenedesmus abundans 3 Scenedesmus dimorphus 2 Scenedesmus spinosus var. bicaudatus 3 Conjugatophyceae Desmidiales Desmidiaceae Cosmarium norimbergense 1 총합계 15 김용재교수 : 본연구기간중확보한배양체는녹조류윤조강 (Conjugatophyceae) 1 문 1 과 4 속 4 종 12 주시누라조강 (Synurophyceae) 1 문 1 과 1 속 1 종 3 주를확보하였다. Conjugatophyceae Desmidiales 학명수량 ( 주 ) Desmidiaceae Micrasterias papillifera 3 Euastrum dubium 3 Staurastrum chaetoceros 3 Staurodesmus dejectus 3 Synurophyceae Synurales Synuraceae Mallomonas elongata 3 총합계 15-43 -

5) 특이지역조사결과 (1) 미세조류 3월부터현재까지특이지역은금강하구, 경포대석호, 태안반도, 제주통밧알 4군데가중점조사되었으며, 총 4문 6강 28목 51과 85속의 256종이발견되었다. 세부적으로돌말류 (Bacillariophyta) 가 3강 16목 29과 51속 170종이었고, 와편모조류 (Dinophyta) 6목 9과 11속 36종, 녹조류 (Chlorophyta) 2목 4과 4속 20종, 남조류 (Cyanophyta) 4 목 9과 19속 30종이었다. 지역별로는금강하구 18종, 경포대석호 63종, 태안반도 31종, 제주통밧알 177종이발견되었으며, 미기록종 40종미소장종 10종소량소장종 22종이포함되었다. 1 충남서천군금강하구 ( 기수역 ) 이옥민교수팀은 2017년 4월, 9월 2회에걸쳐충청남도서천군금강하구역의하구둑을중심으로기수종을채집하였다. 채집한샘플을관찰한결과, 남조류의경우주로사상체남조류가많이출현하였으며, 녹조류의경우 Scenedesmus속이다수출현하였다. 남조류의경우 3종, 녹조류는 15종이관찰되었으며, 이중미소장종 4종이발견되었다. 2 강원도경포대석호 ( 기수역 ) 조경제교수팀은강릉경포호에서기수성돌말류를조사하기위하여 12지점에서시료를채취하여배후담수습지를제외한 11개지점의표본을대상으로하였다. 경포호내부의돌표면, 수생식물, 바닥, 사상체녹조류등을채취하여주로부착조류와바닥저서조류를조사하여총 63종을검경하였다. 돌말류의종은순수담수산은나타나지않았고전형적인기수성돌말류였다. 경포호는규모가큰석호로서돌말류의종다양성이높을것으로예상하였으나실제종다양성은낮고풍부성은빈약하였다. 경포호는수중물체에돌말류이외다른사상체조류또는식물의피복이많았고, 식물이외다른생물도많은점이돌말류의우점도에영향을미친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돌말류중에서도우점도가가장높은 Nitzschia 속두종을동정하지못하고숙제로남겨두었다. 3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성산리의통밧알석호 ( 연안습지 ) 조경제교수팀은 2016년에이어금년에도통밧알석호를특이지역으로조사하였다. 금번조사에서는 9 지점에서시료를채취하였으며 1차검경결과 67종을, 2차검경에서 98종을기록하였다. 여기서는부유플랑크톤, 바닥저서조류, 해조류부착조류, 갈대지역의습지저서조류등다양한기질을채취하였다. 기질종류에따른종조성의차이가매우컷으며종다양성이높은편이었고, 미기록종이다수발견되었다. 특히석 - 44 -

호주변의갈대습지지역의바닥저서조류는크기가 10 um 보다작은소형돌말류가 번무하는특이성이관찰되었으며소형돌말류에서더많은미기록종이발견될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해조류에는대형돌말류중심으로관찰되었으며다른지역의해조부 착조류보다돌말류종이매우풍부하였다. 이준백교수팀은 5 월, 8 월에걸쳐총 2 회조사하였으며, 와편모조류 36 종이동정되 었다. 그중미기록종후보종 12 종, 미소장종 3 종, 소량소장종 10 종이발견되었다. 미 기록종 1 종은이번에보고되었다. 이옥민교수팀은 2017 년 5 월 1 회에걸쳐통밧알석호부근 3 지점 ( 인근연못, 연안 습지, 하수종말처리장배수구부근 ) 에서기수종을채집하였다. 채집한샘플을관찰한 결과남조류의경우 13 종, 녹조류는 18 종이관찰되었으며, 이중미소장종 5 종과소 량소장종 1 종이발견되었으며, Pseudanabaena lonchoides, Leptolyngbya ectocarpi 등남조류 2 종을미기록종으로보고하였다. 김용재교수팀은녹조류 (Chlorophyta), 남조류 (Cyanobacteria) 에대해 5 월과 7 월 총 2 회조사되었으며, 총 2 문 2 강 4 목 7 과 15 속 35 종분류군이관찰되었다. 신 / 미기 록종후보 4 종, 소량소장표본 16 종이발견되었고, 이중총 4 종이미기록종으로보고되 었다. 4 충남태안의파도리, 신두리갯벌 ( 연안습지 ) 태안파도리에서미세조류조사는저서및암반지역의규조류 (Bacillariophyta) 에대 해 5 월과 8 월 10 월 3 회조사되었으며, 총 2 강 9 목 13 과 16 속 31 종의분류군이관찰 되었다. 이중소량소장표본 13 종, 미소장표본 2 종, 국내미기록종 15 종이발견되었다.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Bacillariophyta Bacillariophyceae Bacillariales Bacillariaceae Bacillaria paradoxa + + Bacillaria urve-millerae + Entomoneis costata + Entomoneis robusta + 미기록종 Nitzschia amabilis + 소량소장 Nitzschia amphibia + Nitzschia angularis + Nitzschia composita + 미기록종 Nitzschia constircta + Nitzschia dissipata + Nitzschia fonticola + Nitzschia granulata + Nitzschia improvisa + 특이사항 - 45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Nitzschia inconspicua + + Nitzschia lanceola + Nitzschia liebetruthii + + Nitzschia palea + Nitzschia paleaeceae + Nitzschia pellucida + Nitzschia perminuta + Nitzschia reversa + Nitzschia sigma + + Nitzschia valdestriata + + 소량소장 Tabularia parva + Cocconeidales Achnanthidiaceae Planothidium delicatulum + + + 소량소장 Planothidium lanceolatum + Cocconeidaceae Anorthoneis vortex + 미기록종 Cocconeis dirupta + Cocconeis discrepans + 미기록종 Cocconeis distans + 미소장종 Cocconeis germainii + 미기록종 Cocconeis guttata + 미기록종 Cocconeis heteroidea + Cocconeis kantsinensis + Cocconeis peltoides + 소량소장 Cocconeis placentula + + Cocconeis pseudodiruptoides + 미기록종 Cocconeis scutellum + Cocconeis scutellum var. parva + Cocconeis speciosa + 미기록종 Cocconeis stuaroneiformis + Cocconeis sublittoralis + + Cymatosirales Cymatosiraceae Cymatosira belgica + 소량소장 Cymbellales Cymbellaceae Cymbella affinis + Cymbella orientalis + Cymbella tumida + Seminavis pusilla + Gomphonemataceae Gomphonema angustum + Gomphonema olivaceum var. minutissimum + Gomphonema parvulum + Gomphonema quadripunctata + Rhoicospheniaceae 특이사항 - 46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Gomphonemopsis exigua + Gomphonemopsis obscurum + 미기록종 Rhoiconeis sponsalia + 미기록종 Rhoicosphenia abbreviata + + Fragilariales Fragilariaceae Diatoma vulagare + Fragilaria atomus + Fragilaria bronkei + 미기록종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gedanensis + 미기록종 Fragilaria oculiformis + 미기록종 Hydrosynedra laevigata + 미기록종 Opephora guenter-grassii + 미기록종 Opephora krumbeinii + 미기록종 Opephora minuta + Opephora mutabilis + + Staurosira punctiformis + Synedra ulna + Licmophorales Licmophoraceae Licmophora abbreviata + Licmophora flabellata + Licmophora gracilis + Ulnariaceae Tabularia parva + Mastogloiales Achanthaceae Achnanthes angustata + Achnanthes bahusiensis + Achnanthes brevipes + Achnanthes brevipes var. intermedia + Achnanthes coarctata + Achnanthes gracillima + Achnanthes grana + Achnanthes groenlandica + Achnanthes hauckiana + + Achnanthes lanceolata + Achnanthes lanceolata f. frequentissima + Achnanthes linearis + Achnanthes pseudolongipes + Achnanthes sancti-pauli + Achnanthes subconstricta + Planothidium delicatulum + Naviculales Berkeleyaceae Berkeleya rutilans + Berkeleya scopulorum + 특이사항 - 47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Parlibellus delognei + Diploneidaceae Diploneis interrupta + Diploneis lineata + Diploneis litoralis + Diploneis notabilis + 미기록종 Diploneis smithii + Diploneis vetula var. americana + 미기록종 Naviculaceae Caloneis linearis + 미기록종 Navicula agnita + Navicula alpha + Navicula arenaria + Navicula capitoradiata + Navicula cariocincta + Navicula cincta + Navicula digitoconvergens + Navicula digitoradiata + Navicula directa + Navicula duerrenbergiana + + Navicula flagellifera + + 미기록종 Navicula gregaria + + Navicula longa var. irregularis + 미기록종 Navicula minuscula + Navicula monoculata + Navicula pavillardii + Navicula peregrina + Navicula perminuta + Navicula perrhombus + Navicual pseudosalinicola + + Navicula salinarum + + Navicula starmachioides + 미기록종 Navicula subagnita + Navicula subminuscula + Navicula tenera +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 + Seminavis arrenensis + Seminavis latior Trachyneis aspera + Naviculales incertae sedis Chamaepinnularia sp. + Pleurosigmataceae Pleurosigma diversestriata + Plaurosigma franguellianum + Pleurosigma salinarum + + Scoliotropidaceae Biremis ambigua + Sellaphoraceae 특이사항 - 48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Fallacia floriniae + 미소장종 Fallacia forcipata + + 소량소장 Fallacia oculiformis + + 미기록종 Fallacia omissa + Sellaphora pupula + Plagiogrammales Plagiogrammaceae Plagiogramma appendiculatum + 미기록종 Plagiogramma minima + 미기록종 Plagiogramma tenuissimum + 미기록종 Rhaphoneidales Psammodiscaceae Psammodiscus nitidus + 소량소장 Rhaphoneidaceae Delphineis livingstonii + 미기록종 Delphineis minutissima + 소량소장 Delphineis surirella + Surirellales Entomoneidaceae Entomoneis palludosa + Surirellaceae Campylodiscus fastuosus + Cymatopleura solea + Thalassiophysales Catenulaceae Amphora abludens + Amphora acutiuscula + Amphora angusta + Amphora coffeiformis + + Amphora delicatissima + Amphora helenensis + + 소량소장 Amphora holsatica + Amphora holsaticoides + Amphora libyca + Amphora marina + 미기록종 Amphora proteus + Amphora turgida + 소량소장 Amphora wisei + Catenula adhaerens + + 소량소장 Coscinodiscophyceae Coscinodiscales Coscinodiscaceae Coscinodiscus nitidus + Melosirales Hyalodiscaceae Hyalodiscus scoticus + Melosiraceae Melosira moniliformis + + 특이사항 - 49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Melosira nummuloides + Melosira varians + Mediophyceae Anaulales Anaulaceae Anaulus creticus + 미기록종 Eunotogramma marinum + 미기록종 Stephanodiscales Stephanodiscaceae Cyclotella meneghiniana + Stephanodiscus hantzschii var. tenuis + Cyanobacteria Cyanophyceae Synechococcales Pseudanabaenaceae Pseudanabaena lonchoides + 미기록종 Pseudanabaena minutum + + 미소장종 Leptolyngbyaceae Leptolyngbya ectocarpi + 미기록종 Nostocales Rivulariaceae Calothrix braunii + Calothrix littoralis + 미기록종 Calothrix parientina + 미기록종 Oscillatoriales Coleofasciculaceae Geitlerinema lemmermannii + 소량소장 Borziaceae Pseudophormidium tenue + 미기록종 Oscillatoriaceae Lyngbya aestuarii var. gaditana + 미기록종 Lyngbya martensiana + Phormidium animale + + 미소장종 Phormidium litorale + + 미소장종 Phormidiaceae Arthrospira jenneri + Phormidium favosum + Phormidium inundatum + Phormidium lucidum + Phormidium uncinatum + Planktothrix agardhii + Porphyrosiphon luteus + Pseudanabaenaceae Geitlerinema acutissimum + Heteroleibleinia kuetzingii + Heteroleibleinia purpurascens + Jaaginema angustissimum + Jaaginema thermale + 특이사항 - 50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Leptolyngbya foveolarum + Leptolyngbya margaretheana + Limnothrix guttulata + Planktothrix agardhii + Spirulina labyrinthiformis + Pseudanabaenales Schizothrichaceae Schizothrix lacustris + Chlorophyta Chlorophyceae Prasiolales Prasiolaceae Stichococcus subtilis + 미소장종 Sphaeropleales Hydrodictyaceae Pediastrum boryanum var. longicorne + Scenedesmaceae Scenedesmus abundans + Scenedesmus acuminatus + + Scenedesmus acutus + + Scenedesmus acutus f. antenniformis + + Scenedesmus acutus f. costulatus + Scenedesmus acutus f. tetradesmiformis + + Scenedesmus armatus + Scenedesmus armatus f. granulatus + 미소장종 Scenedesmus bernardii + + Scenedesmus brasiliensis + Scenedesmus circumfusus + + Scenedesmus communis + Scenedesmus maximus + Scenedesmus opoliensis + + Scenedesmus quadricauda + + Scenedesmus quadrispina + 미소장종 Scenedesmus serratus + Selenastraceae Monoraphidium tortile + + Miozoa Dinophyceae Dinophyceae ordo incertae sedis Tovelliaceae Katodinium glandulum + 미소장종 Dinotrichales Dinotrichaceae Durinskia capensis + 소량소장 Gonyaulacales Gonyaulacaceae Gonyaulax turbynei + 소량소장 Ostreopsidaceae Alexandrium catenella + 특이사항 - 51 -

species 기수지역 금강하구경포대석호태안반도 연안습지 통밧알 Alexandrium tamarense + Alexandrium sp.1 + Gymnodiniales Gymnodiniaceae Amphidinium cf. flagellans + 미기록종 Amphidinium sp. + Gymnodinium aureolum + 미소장종 Gymnodinium microreticulatum + Gymnodinium sp.1 + Gymnodinium sp.2 + Gymnodinium sp.3 + Gyrodinium fusiforme + 소량소장 Gyrodinium sp. + Peridiniales Heterocapsaceae Heterocapsa niei + 미소장종 Heterocapsa orientalis + 미기록종 Heterocapsa psammophila + 소량소장 Heterocapsa pseudotriquetra + 소량소장 Heterocapsa triquetra + Heterocapsa sp. + Protoperidiniaceae Protoperidinium acutum + 소량소장 Protoperidinium bipes + Protoperidinium brevipes + Protoperidinium claudicans + Protoperidinium mite + 소량소장 Protoperidinium oceanicum + Protoperidinium pallidum + Protoperidinium pellucidum + Protoperidinium pyriforme + 소량소장 Protoperidinium subinerme + 소량소장 Protoperidinium quinquecorne + 소량소장 Protoperidinium sp.1 + Protoperidinium sp.2 + Thoracosphaeraceae Scrippsiella trochoidea + Prorocentrales Prorocentraceae Prorocentrum micans + 특이사항 - 52 -

(2) 해조류 1 거문도 ( 조태오교수 ) 거문도는남해상에있는전라남도여수시삼산면소속의섬으로써서도, 동도, 고도 3개의섬으로이루어져있으며, 섬주변으로큰자연암반대가형성되어있어접근하기 가쉽지않다. 현장조사는 10월 1일에실시되었고, 그결과총 3강 6목 7과 8속 14종 의해조류가채집되었다. 분류군별로는녹조류 2목 2과 2속 2종, 갈조류 2목 2과 3속 9종및홍조류 2목 3과 3속 3종이관찰되었다. 학명 거문도 Codium fragile + Gelidium elegans + Ishige okamurae + Myagropsis myagroides + Plocamium cartilagineum + Pterocladiella capillacea + Sargassum coreanum + Sargassum fulvellum + Sargassum fusiforme + Sargassum horneri + Sargassum pinnatifidum + Sargassum serratifolium + Ulva conglobata + 2 문섬 ( 김명숙교수 ) 문섬은제주도서귀포시서귀동소재로서귀포항남쪽 1.5km 지점에위치하고있다. 면적 0.94km 2, 동서길이 500m, 남북길이 280m, 최고점 73m 이다. 본섬과새끼섬으로 이루어져있으며 2002 년 12 월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으로지정되어보호받고있다. 문섬은조간대가크게발달되어있지않아스쿠버다이빙을통한조하대조사가반드시 함께이루어져야한다. 문섬조사는 5 월 18 일에 1 차적으로수행이되었으며그결과 총 3 강 12 목 17 과 24 속 25 종의해조류가채집되었다. 분류군별로는녹조류 2 목 2 과 2 속 2 종, 갈조류 3 목 3 과 7 속 8 종, 홍조류 7 목 12 과 15 속 15 종이관찰되었다. 학명 Derbesia marina + Umbraulva japonica + Dictyota coriacea + Dictyota dichotoma + 문섬 - 53 -

학명 문섬 Padina gymnospora + Spatoglossum latum + Zonaria diesingiana + Colpomenia peregrina + Hydroclathrus clathratus + Halopteris filicina + Asparagopsis taxiformis + Bonnemaisonia hamifera + Delisea pulchra + Dasya villosa + Heterosiphonia pulchra + Martensia jejuensis + Lophocladia japonica + Gelidium vagum + Hypnea saidana + Chondracanthus cincinnus + Callophyllis mollitia + Portieria hornemannii + Dichotomaria falcata + Plocamium ovicorne + Lomentaria catenata + 3 사량도 ( 남기완교수 ) 사량도는경남통영으로부터서쪽으로약 10km 떨어진남해군사이에위치하고있 는유인도로서크게윗섬과아랫섬으로구분되어있으며, 조간대에발달된암반에해조 류식생이잘형성되어있었다. 현장조사는 6월 23~24일에실시되었고, 그결과총 2 강 5목 7과 10속 67종의해조류가채집되었다. 분류군별로는녹조류 1목 3과 5속 15종, 갈조류 4목 6과 9속 22종및홍조류 2목 4과 8속 30종이관찰되었다. 학명 사량도 Ceramium boydenii + Ceramium affine + Ceramium cimricum + Ceramium codii + Ceramium affine + Chondracanthus tenellus + Chondrus canaliculatus + Codium arabicum + Codium fragile + - 54 -

학명 사량도 Codium hubbsii + Colpomenia bullosa + Colpomenia sinuosa + Gelidium amansii + Gelidium australis + Gracilaria textorii + Ceramium affine + Chondracanthus tenellus + Chondrus canaliculatus + Gracilaria vermiculophylla + Ulva australis + Ulva compressa + Ulva intestinalis + Grateloupia cornea + Grateloupia elata + Grateloupia elliptica + Grateloupia turuturu + Hypnea charoides + Hypnea pannosa + Ishige okamurae + Ishige sinicola + Lomentaria catenata + Martensia bibarii + Padina arborescens + Ceramium cimricum + Ceramium codii + Ceramium affine + Chondracanthus tenellus + Chondrus canaliculatus + Codium arabicum + Codium fragile + Codium hubbsii + Colpomenia bullosa + Colpomenia sinuosa + Gelidium amansii + Padina japonica + Grateloupia turuturu + Hypnea charoides + Hypnea pannosa + Sargassum thunbergii + - 55 -

학명 사량도 Scytosiphon lomentaria + Undaria pinnatifida + Ulva australis + Ulva compressa + Ulva intestinalis + Ulva linza + Ulva lactuca + - 56 -

6) 미소장 / 소량확보표본및배양체 (1) 미소장 / 소량확보표본 본연구기간중확보된표본중국립생물자원관에미소장되거나소량확보된표본은 총 1,437점을확보하였다. 이중미세조류분야의돌말류 700점, 와편모조류 185점, 녹조류 233점, 남조류 85점, 기타편모조류 27점총 1,230점을확보하였고, 해조류분 야에서녹조류 23점, 갈조류 22점, 홍조류 162점총 207점을확보하였다. 분야 분류군 점수 미세조류 돌말류 700점 와편모조류 185 녹조류 233 남조류 85 기타편모조류 27 소계 ( 점 ) 1,230 해조류 녹조류 23 갈조류 22 홍조류 162 소계 ( 점 ) 207 총계 ( 점 ) 1,437 미세조류 목과학명점수 Bacillariales Bacillariaceae Bacillaria urve-millerae 1 Denticula tenuis 2 Hantzschia distinctepunctata 1 Hantzschia gracilia 1 Hantzschia virgata var. leptocephala Nitzschia acicularis 1 Nitzschia amabilis 49 Nitzschia amundonii 1 Nitzschia angularis 1 Nitzschia bacillum 1 Nitzschia bryophila 1 Nitzschia calida 1 Nitzschia capitellata 1 Nitzschia clausii 1 Nitzschia closterium 1 1-57 -

Nitzschia coarctata 1 Nitzschia constricta 8 Nitzschia dissipata 2 Nitzschia epithemoides 27 Nitzschia distans var. tumescens 1 Nitzschia fluminensis 1 Nitzschia graciliformis 3 Nitzschia lanceola 1 Nitzschia levidensis var. salinarum Nitzschia linearis 3 Nitzschia littoralis var. tergestina 1 Nitzschia longissima 2 Nitzschia longissima var. parva 1 Nitzschia lorenziana 48 Nitzschia palustris 1 Nitzschia panduriformis 1 Nitzschia pararostrata 1 Nitzschia pellucida 6 Nitzschia perminuta 1 Nitzschia perspicua 2 Nitzschia pusilla 1 Nitzschia rectilonga 10 Nitzschia reversa 4 Nitzschia ruda 1 Nitzschia scalpelliformis 16 Nitzschia spathulata 1 Nitzschia thermaloides 1 Nitzschia tubicola 1 Nitzschia ventricosa 1 Nitzschia vidovichii 15 Tryblionella angustata 1 Tryblionella gaoana 1 Tryblionella levidensis 2 Tryblionella victoriae 1 Centrales Arachnoidiscaceae Arachnoidiscus ornatus Aulacoseiraceae Aulacoseira ambigua f. japonica 1 Aulacoseira muzzanensis 2 Aulacoseira subarctica 1 Biddulphiaceae Biddulphia biddulphiana 1 Biddulphia pucchella 1 Coscinodiscaceae Coscinodiscus marginatus 1 1-58 -

Cymatosiraceae Cymatosira belgica Eupodiscaceae Pleurosira laevis 1 Hyalodiscaceae Hyalodiscus scoticus 1 Melosiraceae Rhizosoleniaceae Leptocylindrus danicus Leptocylindrus minimus Melosira moniliformis 1 Proboscia alata Pseudosolenia calcar-avis Stephanodiscaceae Cyclotella asterocostata 1 Chaetoceraceae Chaetoceros messanensis Climacospheniales Climacospheniaceae Climacosphenia moniligera 1 Cocconeidales Achnanthidiaceae Astartiella punctifera 1 Planothidium delicatulum 1 Planothidium frequentissima 1 Planothidium septentrionalis 1 Cocconeidaceae Anorthoneis excentrica 1 Cocconeiopsis kantsinensis 50 Cocconeis convexa 2 Cocconeis costata 1 Cocconeis krammeri 2 Cocconeis moronensis 4 Cocconeis neodiminuta 1 Cocconeis pellucida 1 Cocconeis pseudodiruptoides 1 Cocconeis pseudomarginata 1 Cocconeis scutellum var. parva 5 Cocconeis stauroneiformis 1 Cocconeis sublittoralis 1 Cymatosirales Cymatosiraceae Hyalinella lateripunctata 1 Cymbellales Gomphonemataceae Encyonema auerswaldii 1 Entomoneis alata 1 Entomoneis paludosa 2 Entomoneis paludosa var. subsalina Gomphonema acuminatum 1 Gomphonema capitatum 1 Gomphonema minutum 1 Gomphonema obscurum 1 Gomphonema olivaceum var. olivaceolatum Gomphonemopsis exigua 1 Reimeria sinuata 2 1 1-59 -

Rhoicospheniaceae Gomphoseptatum aestuarii 1 Gomphonemopsis exigua 1 Rhoicosphenia genuflexa 1 Rhoicosphenia linearis 2 Fragilariales Climacospheniaceae Climacosphenia moniligera 1 Fragilariaceae Fragilaria biceps 1 Fragialria eichhornii 1 Fragilaria hyalina 1 Fragilaria investiens Fragilaria rumpens 1 Fragilaria striatula 1 Grammatophora oceanica 1 Koernerella recticostata 1 Opephora burchardtiae 1 Opephora guenter-grassii 1 Opephora mutabilis 1 Opephora olsenii 1 Pteroncola inane 2 Synedra laevis 1 Synedra ulna var. oxyrhynchus 1 Tabularia fasciculata 2 Tabularia fasciculata var. parva 2 Tabularia ktenoeodes 1 Tabularia obtusa 1 Licmophorales Licmophoraceae Licmophora communis 3 Licmophora pfannkuckae 1 Licmophora sulcifera 2 Lyrellales Lyrellaceae Fogedia finmarchica 2 Moreneis coreana 1 Petroneis granulata 2 Petroneis humerosa 2 Petroneis marian 1 Mastogloiales Achnanthaceae Achnanthes angustata 1 Achnanthes coarctata 1 Achnanthes delicatula 3 Achnanthes groenlandica 2 Achnanthes javanica 1 Achnanthes kuwaitensis 6 Achnanthes lanceolata ssp. frequentissima Achnanthes parvula 1 Lemnicola hungarica 1 1-60 -

Mastogloiaceae Craspedostauros britannicus 49 Melosirales Hyalodiscaceae Podosira stelligera Craspedostauros indubitabilis 1 Melosiraceae Melosira moniliformis 2 Melosira nummuloides var. octogona Naviculales Amphipleuraceae Halamphora lineata 1 Berkeleyaceae Berkeleya fennica 1 Berkeleya rutilans 5 Climaconeis undulata 1 Parlibellus crucicula 1 Parlibellus cruciculoides 1 Parlibellus hamulifer 15 Diadesmidaceae Luticola goeppertiana 1 Diploneidaceae Diploneis bombus 1 Diploneis incurvata var. dubia 1 Diploneis interrupta 1 Diploneis litoralis 1 Diploneis smithii 1 Diploneis stroemii 1 Diploneis vacilans 50 Naviculaceae Anomoeoneis sphaerophora 1 Austariella jamalinensis 2 Caloneis crassa 4 Hippodonta hungarica 1 Navicula agnita 1 Navicula alpha 1 Navicula arenaria 1 Navcula besarensis 1 Navicula cancellata 1 Navicula clementis 1 Navicula decussis 1 Navicula digitoradiata 1 Navicula directa 2 Navicula flanatica 1 Navicula flebilis 1 Navicula hamiltonii 1 Navicula kariana 1 Navicual longa 1 Navicula luciae 1 Navicula mannii 2 Navicula normaloides 2 1-61 -

Navicula oppugnata 1 Navicula pavillardii 1 Navicula peregrina 1 Navicula perrhombus 1 Navicula protracta 1 Navicula pseudony 1 Navicula pseudolanceolata 1 Navicula salinarum 2 Navicula schroeterii 1 Navicula subconcentrica 1 Navicula subminuscula 1 Navicula torneensis 2 Navicula tripunctata 1 Navicula veneta 1 Navicula viridula var. linearis 1 Rhoiconeis pagpensis 1 Plagiotropidaceae Plagiotropis lepidoptera 1 Pleurosigmataceae Donkinia carinata 1 Gyrosigma fasciola var. globifera 1 Gyrosigma nipkowskii 1 Gyrosigma sinense 1 Pleurosigma delicatulum 1 Pleurosigma marinum 2 Pleurosigma salinarum 1 Proschkiniaceae Poschkinia complanata 2 Sellaphoraceae Fallacia cryptolyra 1 Sellaphora lanceolata 1 Stauroneidaceae Craticula ambigua 1 Stauroneis acuta 1 Neidiaceae Neidium gracile 1 Pennales Bacillariaceae Nitzschia aurariae Catenulaceae Naviculaceae Cocconeidaceae Cymbellaceae Diploneidaceae Fragilariaceae Surirellaceae Nitzschia epithemoides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 Amphora helenensis Haslea nipkowii Seminavis robusta Cocconeis sp. Cymbella sp. Diploneis sp. Tabularia fasciculata Surirella sp. - 62 -

Plagiogrammales Plagiogrammaceae Dimeregramma minor 1 Plagiogramma staurophorum 1 Plagiotropis lepidoptera 1 Rhabdonematales Grammatophoraceae Grammatophora hamulifera 2 Grammatophora oceanica 2 Rhabdonemataceae Rhabdonema adriaticum 3 Rhopalodiales Rhopalodiaceae Rhopalodia acumonata 1 Surirellales Entomoneidaceae Entomoneis alata 1 Thalassiophysales Catenulaceae Amphora abludens 2 Amphora arenicola 1 Amphora acutiuscula 1 Amphora delicatissima 2 Amphora helenensis 50 Amphora holsatica 1 Amphora laevis 1 Amphora libyca 1 Amphora lineata 1 Amphora marina 1 Amphora proteus 1 Amphora pseudoholsatica 2 Amphora turgida 1 Coscinodiscales Coscinodiscaceae Coscinodiscus curvatulus 1 Rhizosoleniales Probosciaceae Proboscia alata 25 Biddulphiales Biddulphiaceae Lampriscus orbiculatus 1 Chaetocerotales Chaetocerotaceae Chaetoceros diversus 1 Chaetoceros laciniosus 1 Chaetoceros mesanensis 3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Thalassiosira leptopus 1 Thalassiosira weissflogii 1 Toxariales Climacospheniaceae Climacosphenia moniligera 1 소계 (Bacillariophyta) 700 Chroococcales Chroococcaceae Pseudoccapsa martina 3 Merismopediaceae Aphanocapsa marina 1 Woronichinia elonratae 2 Nostocales Rivulariaceae Calothrix fusca 3 Calothrix fusca var. durabilis 2 Calothrix parva 3 Oscillatoriales Coleofasciculaceae Geitlerinema lemmermannii 3 Gomontiellaceae Komvophoron skujae 3 Oscillatoriaceae Phormidium aerugino-caeruleum 3 Phormidium animale 6-63 -

Phormidium litorale 3 Phormidium tinctorium 3 Phormidiaceae Arthrospira jenneri 1 Microcoleus amoenus 2 Phormidium breve 1 Phormidium stagninum 1 Planktothrix isothrix 1 Porphyrosiphon luteus 3 Pseudanabaenaceae Heteroleibleinia rigidula 1 Heteroleibleinia kuetzingii 3 Heteroleibleinia purpurascens 3 Jaaginema angustissimum 1 Jaaginema thermale 1 Planktolyngbya minor 1 Spirulina labyrinthiformis 2 Pseudoanabaenales Schizothrichaceae Schizothrix lacustris 2 Synechococcales Pseudanabaenaceae Pseudanabaena lonchoides 3 Pseudanabaena minutum 18 Leptolyngbyaceae Leptolyngbya ectocarpi 6 소계 (Cyanophyta) 85 Chlamydomonadales Chlamydomonadaceae Protococcus viridis 3 Phacotaceae Pteramonas aculeata 2 Pteramonas aculeata var. lemmermannii 3 Palmellaceae Palmella mucosa 3 Tetrabaenaceae Tetrabaena socialis 3 Chlorellales Oocystaceae Tetrachlorella incerta 3 Chlorellaceae Dictyosphaerium elegans 6 Dictyosphaerium tetrachotomum 15 Gloeotila subconstricta 6 Prasiolales Prasiolaceae Stichococcus subtilis 6 Sphaeropleales Characiaceae Characium indicum 1 Characium sieboldii 2 Hydrodictyaceae Pediastrum boryanum var. brevicorne 1 Pediastrum boryanum var. cornutum 3 Pediastrum duplex var. rotundatum 1 Microsporaceae Microspora pachyderma 3-64 -

Radiococcaceae Coenochloris helvetica 3 Scenedesmaceae Coenochloris hindakii 2 Coenochloris planoconvexa 1 Coenochloris pyrenoidosa 2 Coenocystis planctonica var. hercynica Eutetramorus nygaardii 2 Eutetramorus planctonicus 2 Eutetramorus tetrasporus 2 Gloeocystis banneerghattensis 3 Radiococcus bavaricus 6 Schizochlamydella solitaria 3 Coelastrum microporum var. octaedricum Coelastrum morus 3 Scenedesmus acuminatus 1 Scenedesmus acuminatus f. tortuosus Scenedesmus acuminatus var. asymmetricus Scenedesmus acuminatus var. tetradesmoides Scenedesmus acutus 1 Scenedesmus acutus f. antenniformis Scenedesmus acutus f. costulatus Scenedesmus acutus f. tetradesmiformis Scenedesmus armatus 1 Scenedesmus armatus f. granulatus Scenedesmus bernardii 9 1 1 1 1 1 9 6 12 Scenedesmus brasiliensis 9 Scenedesmus caudato-aculeolatus 3 Scenedesmus circumfusus 2 Scenedesmus communis 1 Scenedesmus decorus 3 Scenedesmus insignis 6 Scenedesmus javanensis 1 Scenedesmus magnus 3 Scenedesmus maximus 6 Scenedesmus microspina 3 3-65 -

Ulvales 소계 (Chlorophyta) Scenedesmus oahuensis 3 Scenedesmus opoliensis 1 Scenedesmus ovalternus 3 Scenedesmus pecsensis 1 Scenedesmus praetervisus 1 Scenedesmus soli 1 Scenedesmus quadricauda 1 Scenedesmus quadricauda var.parvus Scenedesmus quadrispina 9 Scenedesmus serratus 9 Oocystaceae Oocystis nephrocytioides 1 Oocystis parva 1 Troscia granuata 1 Tetrachlorella alternans 1 Trochiscia prescottii 2 Selenastraceae Ankistrodesmus antarcticus 3 Kornmanniaceae Chlorolobion lunulatum 3 Monoraphidium pusillum 3 Monoraphidium tortile 6 Pseudendoclonium basiliense var. brandii Desmidiales Desmidiaceae Closterium moniliferum 12 6 3 233 Cosmarium auriculatum 6 Cosmarium granatum var. nordstedtii Cosmarium norimbergense 3 Euglenales Euglenaceae Strombomonas gibberosa 2 소계 ( 기타편모조류 ) Phacus contortus 1 Phacus longicauda var. rotunda 1 Dinophysiales Dinophysaceae Dinophysis infundibulum 3 Dinphysis parvula 2 Dinophysis recurva 1 Dinophysis schuettii 1 Gonyaulacales Ceratiaceae Tripos arientinus 3 Tripos boehmii 3 Tripos carriensis 2 Tripos contortus 5 2 27 Tripos declinatus 3-66 -

Tripos deflexus 2 Tripos extensus 1 Tripos humilis 29 Tripos inflatus 1 Tripos longipes 1 Tripos massiliense 2 Tripos muelleri var. atlanticus 1 Tripos platycorne 1 Tripos porrectus f. megasomus 1 Tripos puchellus 26 Tripos symmetricus 1 Tripos teres 3 Gonyaulacaceae Gonyaulax alaskensis 2 Gonyaulax turbynei 12 Gonyaulax striata 5 Ostreopsidaceae Alexandrium affine 1 Alexandrium ostenfeldii 2 Thecadiniaceae Thecadinium yashimaense 1 Gymnodiniales Gymnodiniaceae Gymnodinium catenatum 1 Gymnodinium variablile 1 Peridiniales Heterodiniaceae Heterodinium mediocre 1 Kryptoperidiniaceae Durinskia baltica 1 Durinskia capensis 2 Oxytoxaceae Oxytoxum constrictum 1 Oxytoxum milneri 1 Oxytoxum tesselatum 1 Peridiniaceae Peridinium cunningtonii 2 Podolampadaceae Podolampas palmipes 2 Protoperidiniaceae Protoperidinium abei 1 Protoperidinium acutum 12 Protoperidinium brve 1 Protoperidinium curvipes 1 Protoperidinium diabolus 1 Protoperidinium hyalinum 1 Protoperidinium latispinum 1 Protoperidinium latissimum 2 Protoperidinium minutum 1 Protoperidinium mite 17 Protoperidinium nux 2 Protoperidinium oblongum 1 Protoperidinium ovum 1 Protoperidinium punctulatum 2-67 -

Protoperidinium pyriforme 5 Thoracosphaeraceae Scrippsiella spinifera 1 Prorocentrales Prorocentraceae Prorocentrum concavum 1 Prorocentrum lima 4 Prorocentrum rhathymum 1 Pyrocystales Pyrocystaceae Pyrocystis elegans 1 소계 (Dinophyta) 185 총 계 1,230 해조류 ( 녹조류 ) 목 과 학명 점수 Bryopsidales Bryopsidaceae Broyopsis ryukyuensis 3 Caulerpaceae Caulerpa geminata 5 Codiaceae Codium dimorphum 8 Codium intricatum 2 Codium saccatum 4 Codium tenuifolium 2 Codium yezoense 2 Derbesiaceae Derbesia marina 4 Cladophorales Cladophoraceae Boodlea coacta 3 Chaetomorpha crassa 3 Chaetomorpha spiralis 3 Cladophora dotyana 5 Cladophora hutchinsiae 3 Cladophora opaca 6 Cladophora seriacea 3 Cladophora vadorum 13 Cladophora vagabunda 2 Ulvales Ulvaceae Ulva ohonoi 3 합계 74 해조류 ( 갈조류 ) 목과학명점수 - 68 -

Dictyotales Dictyotaceae Dictyota bartayresiana 2 Dictyota friabilis 1 Padina japonica 2 Spatoglossum latum 2 Ectocarpales Acinetosporaceae Acinetospora crinita 2 Chordariaceae Chordaria flagelliformis 4 Hecatonema terminale 4 Lethesia marina 3 Punctaria latifolia 2 Proselachista taeniaeformis 3 Vimineoleathesia japonica 1 Ectocarpaceae Ectocarpus arctus 2 Scytosiphonaceae Colpomenia tuberculata 5 Fucales Sargassaceae Sargassum pallidum 1 Sargassum pinnatifidum 3 Sphacelariales Sphacelariaceae Halopteris filicina 2 Sphacelaria fusca 2 Sphacelaria rigidula 18 합계 59 해조류 ( 홍조류 ) 목 과 학명 점수 Bonnemaisoniales Bonnemaisoniaceae Asparagopsis taxiformis 4 Ceramiales Callithamniaceae Aglaothamnion callophyllidicola 5 Ceramiaceae Antithamnion sparsum 4 Centroceras gasparinii 6 Ceramium affine 2 Ceramium japonicum 3 Gayliella mazoyerae 3 Herpochondria corallinae 3 Herpochondria dentata 1 Pterothamnion yezoense 7 Champiaceae Champia inkyua 6 Dasyaceae Dasya scorparia 1 Delesseriaceae Erythroglossum hyacinthinum 4-69 -

Erythroglossum minimum 9 Martensia albida 1 Martensia jejuensis 5 Nitophyllum stellatocorticatum 2 Pseudopolyneura koreana 14 Yoshidaphycus cilatus 3 Rhodomelaceae Chondria littoralis 2 Chondria pellucida 1 Chondrophycus kangjaewonii 1 Chondrophycus undulatus 1 Herposiphonia subdisticha 3 Laurencia intercalaris 4 Laurencia obtusa 17 Laurencia tropica 6 Lopocladia japonica 4 Neosiphonia flavimarina 1 Neosiphonia notoensis 3 Neosiphonia simplex 10 Neosiphonia sphaerocarpa 2 Palisada amabilis 6 Palisada perforata 4 Symphyocladia glabra 2 Symphyocladia jejuinsula 3 Wrangeliaceae Anotrichium furcellatum 1 Griffithsia heteromorpha 1 Griffithsia okiensis 8 Griffthsia venusta 2 Corallinales Corallinaceae Jania rubens 2 Gelidiales Gelidiaceae Acanthopeltis japonica 5 Acanthopeltis longilamulosa 2 Gelidiophycus freshwateri 1 Gelidium coreanum 7 Gelidium jejuensis 6 Gigartinales Cystocloniaceae Hypnea pannosa 2 Dumontiaceae Dudresnaya japonica 4-70 -

Gloiosiphoniaceae Gloiosiphonia capillaris 1 Phyllophoraceae Ahnfeltiopsis catenata 7 Stenogramma interuupta 2 Rhizophyllidaceae Portieria hornemannii 3 Halymeniales Halymeniaceae Cryptonemia seminervis 2 Grateloupia chiangii 4 Grateloupia imbricata 10 Grateloupia ramosissima 8 Kintokiocolax aggregato-cerantha 2 Nemaliales Galaxauraceae Dichotomaria marginata 2 Sinaiaceae Sinaia latifrons 1 Scinaia okamurae 3 Nemastomatales Nemastomataceae Predaea bisporifera 4 Rhodymeniales Faucheaceae Gloiocladia japonica 2 Leptofauchea rhodymenioides 1 Rhodymeniaceae Chrysimenia grandis 1 합계 207 (2) 미소장 / 소량확보배양체 본연구기간중확보된배양체는총 5 강 13 목 15 과 23 속 27 종 1 변종 50 주가확보 되었다. 이중돌말류 (Bacillariophyta) 는 2 강 7 목 7 과 7 속 9 종 15 주가확보되었고, 와 편모조류 (Dinophyta) 2 목 2 과 3 속 3 종 5 주, 녹조류 (Chlorophyta) 2 목 4 과 4 속 5 종 1 변종 14 주, 윤조류 (Charophyta) 1 목 1 과 5 속 5 종 13 주, 시누라조류 (Ochrophyta) 1 목 1 과 1 속 1 종 3 주를각각확보하였다. 돌말류 (Bacillariophyta) Coscinodiscophyceae Mediophyceae 와편모조류 (Dinophyta) Dinophyceae 녹조류 (Chlorophyta) Chlorophyceae 윤조류 (Charophyta) Desmidiaceae 시누라조강 (Ochrophyta) Synuraceae 분류체계수량 ( 주 ) 2목 2과 2속 3종 4주 5목 5과 5속 6종 11주 2 목 2 과 3 속 3 종 5 주 2 목 4 과 4 속 5 종 1 변종 14 주 1 목 1 과 5 속 5 종 13 주 1 목 1 과 1 속 1 종 3 주 - 71 -

총합계 13 목 15 과 23 속 27 종 1 변종 50 주 미소장 / 소량확보배양체목록 Coscinodiscophyceae Rhizosoleniales Rhizosoleniaceae 학명수량 ( 주 ) Guinardia flaccida 1 Guinardia striata 2 Stephanopyxales Stephanopyxidaceae Stephanopyxis turris 1 Mediophyceae Biddulphiales Biddulphiaceae Eucampia zodiacus 2 Chaetocerotales Chaetoceraceae Chaetoceros danicus 2 Chaetoceros debilis 3 Eupodiscales Eupodiscaceae Odontella longicruris 2 Hemiaulales Hemiaulaceae Hemiaulus indicus 1 Thalassiosirales Thalassiosiraceae Thalassiosira gravida 1 Chlorophyceae Prasiolales Prasiolaceae Stichococcus subtilis 1 Sphaeropleales Radiococcaceae Radiococcus bavaricus 3 Scelenastraceae Ankistrodesmus gracile 2 Scenedesmaceae - 72 -

학명 수량 ( 주 ) Scenedesmus abundans 3 Scenedesmus dimorphus 2 Scenedesmus spinosus var. bicaudatus 3 Conjugatophyceae Desmidiales Desmidiaceae Micrasterias papillifera 3 Cosmarium norimbergense 1 Euastrum dubium 3 Staurastrum chaetoceros 3 Staurodesmus dejectus 3 Synurophyceae Synurales Synuraceae Mallomonas elongata 3 Dinophyceae Gonyaulacales Thecadiniaceae Thecadinium kofoidii 2 Gymnodiniales Gymnodiniaceae Amphidinium carterae 1 Togula jolla 2 총합계 50-73 -

7) 논문출판및학술발표 (1) 2017 년신종 / 미기록종발굴의논문출판현황 ( 미세조류 ) - 74 -

- 75 -

- 76 -

- 77 -

(2) 2017 년신종 / 미기록종발굴의논문출판현황 ( 해조류 ) - 78 -

- 79 -

- 80 -

- 81 -

- 82 -

- 83 -

- 84 -

- 85 -

8) 최종결과요약 연구자별최종결과요약 분야 미세조류 해조류 성명 신종 / 미기록종후보 ( 종 ) 목표 결과 달성 (%) 목표 표본 ( 점 ) 결과 달성 (%) 목표 생체시료 ( 점 ) 결과 달성 (%) 목표 배양체 ( 주 ) 이준백 11 11 100 420 420 100 - - - 5 5 100 조경제 14 14 100 420 420 100 - - - - - - 박종규 11 11 100 420 420 100 - - - 15 15 100 이옥민 11 11 100 420 420 100 - - - 15 15 100 김용재 11 11 100 420 436 104 - - - 15 15 100 남기완 4 4 100 633 650 102 67 69 102 - - - 김명숙 4 4 100 633 633 100 67 67 100 - - - 조태오 4 4 100 634 634 100 66 66 100 - - - 합계 70 70 100 4,000 4,033 101 200 202 101 50 50 100 결과 달성 (%) 총괄최종결과요약 사업내용목표결과달성률 (%) 신종 / 미기록종후보종 ( 종 ) 미세조류 58 58 100 해조류 12 12 100 합계 70 70 100 미세조류 2,100 2,116 101 표본점수 ( 점 ) 해조류 1,900 1,917 101 합계 4,000 4,033 101 생체시료 ( 점 ) 해조류 200 202 101 배양체 ( 주 ) 미세조류 50 50 100 논문발표 ( 신종 / 미기록종및기록종모두포함 ) SCI(E) 합계 2 - 학진등재및후보지 합계 18 - 학술발표 ( 구두 / 포스터 ) 합계 35 - - 86 -

7. 참고문헌 Abbott, I.A. (1998). Some new species and new combinations of marine red algae from the Central Pacific. Phycological Research 46: 97-109. A.K.S.K. Prasad (1986). Delphineis livingstonii n. sp. (Diatomaceae, Bacillariophyceae) from St. George Sound, Northeastern Gulf of Mexico. Botanica Marina Vol. XXIX, pp. 517-522. A. Witkowski & Horst Lange-Bertalot, Ditmar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A. Witkowski et al. (2015). Simonsenia aveniformis sp. nov. (Bacillariophyceae), molecular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the genus, and a new type of canal raphe system. Scientific Reports 5: 1-15. Alverson, A.J., Kang, S.-H. & Theriot, E.C. 2006. Cell wall morphology and systematic importance of Thalassiosira ritscheri (Hustedt) Hasle, with a description of Shionodiscus gen. nov. Diatom Res. 21: 215-262. Araki, C. (1966). Some recent studies on polysaccharides of agarophyt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aweed Symposium 5: 3-17. Asmund, B. and Kristiansen, J. 1986. The genus Mallomona, Chrysophyceae. Opera Bot. 85: 1-128. Bazes, A., A. Silkina, D. Defer, C. Bernede-Bauduin, E. Quemener, J. Braud & N. Bourgougnon 2006. Aquaculture 258: 664-674. Bold, H.C. and Wynne, N.J. 1978. Introduction to the algae. Structure and Reproductio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572 pp. Brogan and Rosowski (1988). Frustular morphology and taxonomic affinities of Navicula complanatoides (Bacillariophyceae). Bustamante, D.E., Won, B.Y. & Cho, T.O. 2014. Polysiphonia ulleungensis sp. no.v (Rhodomelaceae, Rhodophyta): a new diminutive species from Korea belonging to Polysiphonia seunsu stricto. Algae. 29(2): 111-120. Byeongseok Kim and Myung Sook Kim. 2015. Discovery of tiny new species of the genus Polysiphonia (Rhodophyta) from the subtidal zone in Korea. Nova Hedwigia 101(1-2):147-163. Cortés, Y., E. Hormazabal, H. leal, A. Urzua, A. Mutis, L. parra & A. Quiroz 2014. Novel antimicrobial activity of a dicchloromethane extract obtained from red seaweed Ceramium rubrum (Hudson) (Rhodophyta: Florideophyceae) against - 87 -

Yersinia ruckeri and Saprolegnia parasitica agents that cause diseases in salmonids. Electronic Jour. of Biotechnology 17: 126-131. Cox, E.J. (1983). Observations on the diatom genus Donkinia Ralfs in Pritchard. III. Taxonomy. Botanica Marina 26: 567-580. Cox, E.J. (1999). Craspedostauros gen. nov., a new diatom genus for some unusual marine raphid species previously placed in Stauroneis Ehrenberg and Stauronella Mereschkowsky.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34: 131-147 D'Archino, R., Nelson, W.A. & Zuccarello, G.C. (2010). Psaromenia (Kallymeniaceae, Rhodophyta): a new genus for Kallymenia berggrenii. Phycologia 49(1): 73-85.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MSO, 179 pp. Dodge, J.D. 1985. Atlas of Dinoflagellates. Farrand Press, 107 pp. Düwel, L. & Wegeberg, S. 1996. The typification and status of Leptophytum (Corallinaceae, Rhodophyta). Phycologia 35: 470-483. Eppley & Cyrus 1960. Cation regulation and survival of the red alga, Porphyra perforta, in diluted and concentrated sea water. Biol. Bull. Woods Hole 118: 55-65. Fortes, M.D. & Lüning, K. (1980). Growth rates of North Sea macroalgae in relation to temperature, irradiance and photoperiod. Helgoländer Meeresuntersuchungen 34: 15-29. Foslie, M. 1900. New or critical calcareous algae. Det Kongelige Norske Videnskabers Selskabs Skrifter 1899(5): 1-34. Fujioka, S. 1990. Illustrations of the Plankton of the Kuroshio-Waters - The Plankton of the Kuroshio-Waters -Plankton in Amami-Oshima Island Coastal Waters-. Nagasaki Publication Culture Association, p. 40-69. Fukuyo, Y., Takano, H., Chihara, M. and Matsuoka, K. 1990. Red Tide Organisms in Japan-An Illustrated Taxonomic Guide-. Uchida Rokakuho, p. 22-161. Gomez, S.R., Johansen, J.R. and Lowe, R.L. 2003. Epilithic aerial algae of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Biologia. 58: 603 615. Graham, L.E., Graham, J.M and Wilcox, L.W. 2009. Algae. 2nd Ed. Benjamin Cummings. Gusev, M.V., Tambiev, A.H., Kirikova, N.N., Shelyastina, N.N. & Aslanyan, R.R. (1987). Callus formation in seven species of agarophyte marine algae. Marine - 88 -

Biology, Berlin 95: 593-597. Hindak, F. 1977.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 Bratislava, Veda, Biol. Prace, 23: 1-192. Hindak, F. 1980.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I. Bratislava, Veda, Biol. Prace, 26: 1-196. Hindak, F. 1984.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II. Bratislava, Veda, Biol. Prace, 30: 1-310 Hindak, F. 1988.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I. Bratislava, Veda, Biol. Prace, 31: 1-263 Hirose, H. and Yamagishi, T. 1977.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 Rokakuho Publ. Tokyo. 933pp. Hommersand, M.H., Guiry, M.D., Fredericq, S. & Leister, G.L. (1993). New perspectives in the taxonomy of the Gigartinaceae (Gigartinales, Rhodophyt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aweed Symposium 14: 105-120, 41 figs. Hu, T., de Freitas, A.S.W., Doyle, J., Jackson, D., Marr, J., Nixon, E., Pleasance, S., Quilliam, M.A., Walter, A. and Wright, J.L.C. 1993. New DSP toxin derivatives isolated from toxic mussels and the dinoflagellates, Prorocentrum lima and Prorocentrum concavum. In: Smayda, T.J., & Shimizu, Y. (eds.) Toxic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Elsevier Sci. Pub. B.V., Amsterdam, p. 507 512. Huber-Pestalozzi, G. 1955. Das Phytoplankton des subwassers. Die Binnengewaesser. 16(4). E. Schweiz. Verl. Stuttg. 606 pp. Hughey, J.R. & Hommersand, M.H. (2008).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Chondracanthus (Gigartinaceae, Rhodophyta) from Pacific North America. Phycologia 47: 124-155. Jung, H.C., Lee, N.J., Kim, D.H., Lee, O.M. 2017. Four Newly Recorded Taxa of Charophytes and Chlorophytes (Charophyta and Chlorophyta, Viridiplant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3): 289-295 Kang, M.S., Sim, S.J. and Chae, H.J. 2004. Chlorella as a function biomaterial. Korean Jou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9(1): p. 1-11. Kang, S.Y., Lee, S.Y., Choi, J.H. & Jung S.J. 2014. In vitro Anti-bacterial and Anti-scuticociliate activities of extract and Bromophenols of the marine red alga Polysiphonia morrowii with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Korean - 89 -

Journal of Fisheri and Aquatic Sciences. 47(1): 045-051. Khotimchenko, Y.S. 2010. The Antitumor properities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Carrageenans, Alginates, and Pectins. Russian Journal of Marine Biology. 36(6): 401-412. Kies, L. 1967. Über Zellteilung und Zygotenbildung bei Roya obtusa (Bréb.) West et West. Mitteilungen aus dem Staatsinstitut für Allgemeine Botanik in Hamburg 12: 35-42. Kikuchi, N., Arai, S., Yoshida, G., Shin, J.A., Broom, J.E., Nelson, W.A. & Miyata, M. 2010. Porphyra migitae sp. nov. (Bangiales, Rhodophyta) from Japan. Phycologia 49(4): 345-354. Kim, H.S. 2008. Atlas of Flagellate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Jejunet, p. 26-90. Kim, S.Y. Isoloation of antiviral compounds from a red alga, Polysiphonia morrowii against fish pathogenic viruses and in vivo efficacy. Jeonnam national university. Koh, Y.H., Cho, G.Y. & Kim, M.S. 2013. Species delimitation of the genus Champia (Rhodymeniales, Rhodophyta) from Korea using DNA barcoding. J. Ecol. Environ. 36(4): 449-463. Komarek, J. 1983. Contribution to the Chlorococcales Algae of Cuba. Nova Hedwigia 37: 65-180. Komarek, J. and B. Fott, 1983. Chlorophyceae, Ordnung : Tetrasporales. Das Phytoplankton des Süβwasser. Systematik und Biologie. Teil 6. (in Pestalozzi) Stuttgart. Verl., Stuttgart, 1044 pp. Krejici, M. et al. 2011. Selective Sequestration of Strontium in Desmid Green Alage by Biogenic Coprecipitation with Barite. ChemSusChem.4(4):470-473. Kristiansen, J. 2002. The genus Mallomonas. A taxonomic survey based on the ultrastructure of silica scales and bristles. Opera Bot. 139: 1-218. Lins, K.O.A.L., Bezerra, D.P., Alves, A.P.N.N., Alencar, N.M.N., Lima, M.W., Torres, V.M., Farlas, W.R.L., Pessoa, C., de Moraes, M.O. & Costa-Lotufo, L.V. 2008. Antitumor properties of a sulfated polysaccharide from the red seaweed Champia feldmannii (Diaz-Pifferer). J. Appl. Toxicol. 29: 20-26. Lobban, C.S., Ashworth, M.P. & Theriot, E.C. (2010). Climaconeis species (Bacillariophyceae: Berkeleyaceae) from western Pacific Islands, including C. - 90 -

petersonii sp. nov. and C. guamensis sp. nov., with emphasis of the plastids.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45(3): 293-307. Lobban, C.S., Ashworth, M.P., Arai, Y., Jordan, R.W. & Theriot, E.C. (2011). Marine necklace-chain Fragilariaceae (Bacillariophyceae) from Guam, including descriptions of Koernerella and Perideraion, genera nova. Phycological Research 59(3): 175-193. Maranda, L. and Shimizu, Y. 1996. Amphidinium operculatum var. nov. gibbosum (Dinophyceae), a free-swimming marine species producing cytotoxic metabolites. J. Phycol. 32: 873 879. Nelson, W.A. (2013). New Zealand seaweeds. An illustrated guide. pp. [1]-328. Wellington: Te Papa Press. Nikolaev, V.A., Kociolek, J.P., Fourtanier, E., Barron, J.A. &Harwood, D.A. (2001). Late Cretaceous diatoms (Bacillariophyceae) from the Marca Shale memer of the Moreno Formation, California. Occasional Papers of th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152: 1-119. Noriko Okamoto, Tamotsu Nagumo, Jiro Tanaka&Isao Inouye(2003). An endophytic diatom Gyrosigma coelophilum sp. nov.(naviculales, Bacillariophyceae) live inside the red alga Coelathrum opuntia (Rhodymeniales, Rhodophyceae). Phycologia(2003) Vol. 42 (5), pp. 498-505 Oak, J.H., Keum, Y.-S., Hwang, M.S. & Oh, Y.S. (2005). New records of marine algae from Korea I. Algae 17(3): 145-151, 4 figs. Okamura, K. (1933). Icones of Japanese algae. Vol. 7 pp. 1-18 (English), 1-16 (Japanese), Plates CCCI-CCCX. Tokyo. Palanivelu, A., Darsis, A. & Arunkumar, K. 2012. Nutraceutical values of seaweeds found along the Coast of Thondi (Palk Bay, India) with specific investigation on fatty acids methyl esters through GC/MS. J. Green Bioenergy. 1(1): 3-18. Patricio Rivera, Fabiola Cruces(2011). Primer registro para Chile de las diatomeas marinas Nitzschia amabilis, Nitzschia elegantula y Chaetoceros muelleri var. subsalsum. Revista de Biologia marina y Oceanografia vol. 46., No1: 95-99, abril 2011. Poulin, M., Massé, G., Belt, S.T., Delavault, P., Rousseau, F., Robert, J.M. & Rowland, S.J. (2004)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evidence for the transfer of Gyrosigma nipkowii Meister to the genus Haslea (Bacillariophyta).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39: 181 196. - 91 -

Prescott, G.W. 1962.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WM. C. Brown Comp. Publ. 977 pp. Prescott, G.W., Bicudo, C.E.M. and Vinyard, W.C. 1982. A synopsis of north American Desmids. Part I-V. Univ. Nevraska Press. Lincoln. Pushpamali, W.A., Nikapitiya, C., de Zoysa, M., Whang, I., Kim, S.J. & Lee, J. 2008.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 anticoagulant from fermented red seaweeds Lomentaria catenata. Carbohydrate Polymers. 73: 274-279. Riaux-Gobin, C. & Compere, P. (2008). New Cocconeis taxa(bacillariophyceae) from coral sands off Reunion Island (Western Indian Ocean). Diatom Research 23(1): 129-146. Riaux-Gobin, C., Compere, P. & Jordan, R.W.(2015). Cocconeis Ehrenberg assemblage(bacillariophyceae) from Napuka AtoII(Tumotu Archipelago, South Pacific) with description of two new taxa. Diatom Research 30(2): 175-196. Round et al.,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pp. i-xi, 596-5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agel, R.F., Bandoni, R.J., Maze, G.E., Rouse, G.E., Schofield, W.B and Stein, J.R. 1982. Nonvascular plants-an evolutionary survey. Wadsworth Publ. Co. Shin. H.J., Song, M.A. and Lee, O.M. 2013, Study of Nine Newly Reported Species of the Order Chlorococcales (Chlorophyta) in Hongcheon River, Korean Jou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6(4): p. 315-325. Siver, P.A. 1991. The Biology of Mallomonas: morphology, taxonomy and ecology. Kluwer Academic Publ., Dordrecht. 230 pp. Stein, J.R. 1979. Handbook of phycological meth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47 pp. Sutherland, E.J., Lindstrom, S.C., Nelson, W.A., Brodie, J., Lynch, M.D.J., Hwang, M.S., Choi, H.G., Miyata, M., Kikuchi, N., Oliveira, M.C., Farr, T., Neefus, C., Mols-Mortensen, A., Milstein, D., Muller, K.M. 2011. A new look at an ancient order: generic revision of the Bangiales (Rhodophyta). J. Phycol. 47: 1131-1151. Takahashi, E. 1978. Electron microscopical studies of the Synuraceae (Chrysophyceae) in Japan: taxonomy and ecology.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94 pp. Thursby, G. B. & Latimer, R. 1984. Final report for cooperative agreement # - 92 -

CR8l0774 0l 0 development of toxicity test producers for the marine red alga Champia parvula. Tindall, D.R., Miller, D.M., and Bomber, J.W. 1989. Culture and toxicity of dinoflagellates from ciguatera endemic regions of the world. Toxicon 27: 83. Werner, D. 1977. The biology of diato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West, W. and West, G.S. 1904-1923. A monograph of the British Desmidiaceae Vol. 1-5. Ray Soc. London.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Ⅰ. p. 104, fig. 37:5, 6, fig. 41:1-4.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Ⅰ. p. 139, fig. 163:31-33.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Ⅰ. p. 196, fig. 89: 14; fig. 90: 11, 12; fig. 91: 9, 10.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Ⅰ. p. 392, fig. 210: 24, 25; fig. 211: 3; fig. 212: 1-3. Witon, E. & Witkowski, A. (2006). Holocene diatoms (Bacillariophyceae) from Faeroe Islands Fjords, Northern Atlantic Ocean. II.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marine taxa with special reference to benthic forms. Diatom research 21(1): 175-215. Wood, E.J.F. 1963a. Dinoflagellates in the Australian Region. II. Recent Collections. Techn. Pap. Div. Fish. Oceanogr. C.S.I.R.O. Austr., 14: p. 4-51. Wynne, M.J. & Schneider, C.W. (2010). Addendum to the synoptic review of red algal genera. Botanica Marina 53: 291-299. Wynne, M.J. (2001). The tribes of the Delesseriaceae (Ceramiales, Rhodophyta). Contributions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Herbarium 23: 407-417. Yamada, Y. (1941). Notes on some Japanese algae IX. Scientific Papers of the Institute of Algological Research, Faculty of Science, Hokkaido Imperial University 2: 195-215, 15 figs, Plates 40-48. Yamagishi, T. and M. Akiyama. 1986, 1988. Photomicrographs of the Fresh-water Algae. (Chlorococcales), Uchida Rokakuho, Tokyo. Yamaji, I. 1984. Illus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537 pp. Yim, B.C., Song, M.A., Bang, S.D., Yoon, S.R., Lee, O.M. 2017. Notes on Six Unrecorded Indigenous Species of Filamentous cyanobacteria (Cyanophyceae, Cyanophy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3): - 93 -

296-304. Yoshida, T. & Mikami, H. (1990). Pollexfenia japonica sp. nov. (Delesseriaceae, Rhodophyta) from Central Honshu, Japan. Phycologia 29: 200-205. - 94 -

부록 신종 ( 후보 ) 및미기록종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1 학명 Hyalosynedra laevigata (Grunow) Williams & Round 1986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Licmophorales Family Ulna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기타정보 기타정보 발표문헌정보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62. Pl. 17: 22, 29: 6-10, 30: 23 Diagnosis Cells linear in gridle view, valves elongated, narrowly linear-lanceolate, ends of the valve slightly protracted and obtusely rounded, 80-400 um long, 5-7 um broad. Axial area very narrow, transapical striae delicate and invisble, 34-38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10 월 7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9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2 학명 Licmophora pfannkucheae Giffen 1970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Licmophorales Family Licmophoraceae Subfam. -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67. Pl. 18: 16. Cells in girdle view long, wedge-shaped with very long short septa. Valves narrowly wedge-shaped with obtusely rounded head-pole and capitate foot-pole with concave margins, 100-120 um long, 7-8 um broad. Sternum very narrow with several pores distributed along the sternum, transapical striae parallel throughout, 25-30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07 월 20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9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3 학명 Cocconeis pseudodiruptoides Foged 1975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112. Pl. 39: 11-18. Diagnosis Valves oblong-elliptic, 18-22 um long, 8-12 um broad, In rapheless valve, sternum sigmoid narrow, transapical striae slightly radiate, 18 in 10 um, central area in form of a narrow transverse fascia, In raphe valve, raphe sigmoid, axial area narrow, central area narrow, in form of a transapically expanded fascia reaching the valve margins. Transapical striae slightly radiate, 26-28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년 07월 20일작성자소속 : 인제대학교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9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4 학명 Cocconeis dirupta var. flexella (Janisch & Rabenhorst) Grunow 1880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105. Pl. 39: 6, 7, 51: 5-8. Diagnosis Valves broadly-elliptic to circular, 15-60 um long, 9-50 um broad. In rapheless valve, sternum narrow to broadly lanceolate, but sigmoid, sometimes slightly retracted in the middle. Transapical striae radiate, 18-27 in 10 um crossed by wavy perpendicular ribs. In raphe valve, raphe and axial area sigmoid, axial area narrow, central area absent or developed as transverse fascia. Transapical striae radiate, punctate, 18-24 in 10 um. The variety differs from the nominate variety by the sigmoid sternum of the rapheless valve.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07 월 20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9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5 학명 Cocconeis speciosa Gregory 1855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Hendey, N.I. 1964. An introductory account of the smaller algae of British coastal area. Fishery Investigations series IV. Part V. Bacillariophyta (Diatoms). Her Majesty s Stationary Office, London. p. 180, Pl. 28: 18. Diagnosis Valves broadly elliptic in outline, 24-26 um long, 20 um broad. In rapheless valve, transapical striae, large rectangular punctas, 8-12 in 10 um crossed by numerous hyaline ribs. In raphe valve, raphe straight, external central endings moderately appoximate, terminal endings distinct, elongate, axial area narrow, slightly widened around the centre, central area small. Transapical striae radiate, 15 in 10 um, finely punctate.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10 월 7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6 학명 Navicula longa var. irregularis Hustedt 1955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Navicul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288. Pl. 135: 7-12. Diagnosis Valves lanceolate, ends of the valve acute, 54-83 um long, 10.5-16.5 um broad. raphe straight, axial area narrow, central area small transversely expanded. Transapical striae slightly radiate throughout the valve, 7-10 in 10 um, distinctly lineolate 16-18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10 월 7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Navicula hochstetteri Grunow 1894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7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Navicul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Hustedt, F. 1964. Die Kieselalgen Deutschlands, Österreichs und der Schweiz unter Berücksichtigung der übrigen Länder Europas sowie der angrenzenden Meeresgebiete. In: L. Rabenhorst (ed.), Kryptogamen Flora vo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m.b.h. Leipzig, Vol: 7, Issue: Teil 3, Lief. 4, p. 663, f. 1664. Diagnosis Valves elliptical, ends of the valve rounded, 27-57 um long, 13-32 um broad. raphe straight, central ends of the raphe largely thickening, axial area broadly lanceolate, central area not developed. Transapical striae, distinctly punctate, radiate throughout the valve, 10-16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10 월 7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8 학명 Lyrella hennedyi (W. Smith) Stickle & D.G.Mann in Round et al. 1990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Navicul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JDC-SW66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233. Pl. 95: 3, 98: 4 Valves broadly elliptic with broadly to obtusely rounded ends, 25-140 um long, 15-65 um broad. Axial area narrow linear, central area transversely rectangular connected to lateral area. Lateral area large semi-elliptic to lanceolate, encompassing 1/3 to 1/2 of the valve width. Transapical striae in the marginal parts of the valve, slightly radiate, 9-11 rows in 10 um, punctas of a stria 9-20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11 월 7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3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09 학명 Caloneis excentrica (Grunow) Boyer 1927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Navicul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l. 151: 5. Diagnosis Valves broadly inear to lanceolate, margins of the valve more or less parallel, ends of the valve wedge-shaped, 64-67 um long, 14.5-15.1 um broad. raphe slightly undulate, central ends of the raphe expanded and curved in one direction, axial area narrow, central area small circular. Transapical striae parallel throughout the valve, 26-27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년 10월 7일작성자소속 : 인제대학교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4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0 학명 Diploneis notabilis (Greville) Cleve 1894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Diploneid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Hustedt, F. 1959. The pennate diatoms. p. 572. f. 1074. Valves elliptical to almost circular with broadly rounded ends, 25-90 um long, 20-40 um wide. Central nodule moderately large, quadratic in outline, horns robust, parallel, longitudinal canals fairly narrow, quite linear in large specimens, lanceolate in smaller ones and gradually decreasing in size from the middle toward the ends, their outer margins enclosing a space of about 1/4 to 1/3 the valve width. Transapical ribs robust, slightly radial, 7-12 in 10 um, crossed by several relatively weakly curved to slightly wavy, longitudinal ribs, which stand somewhat farther apart than the transapical ribs. The chambers therefore with multiple partitions, the resulting small chambers transapically elongated, open on the insides, outer walls homogeneous.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07 월 20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5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Mastogloia tenuis Hustedt 1933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1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Mastogloiales Family Mastogloiaceae Subfam. -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Hustedt, F. 1933. Die Kieselalgen Deutschlands, Österreichs und der Schweiz unter Berücksichtigung der übrigen Länder Europas sowie der angrenzenden Meeresgebiete. In: L. Rabenhorst (ed.), Kryptogamen Flora vo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m.b.h. Leipzig, Vol: 7, Issue: Teil 2, Lief. 4, p. 482, f. 1004. Diagnosis Valves lanceolate with quite sharply rounded ends, 28 um, 7 um wide. Raphe straight, areas very narrow, enclosed by two strongly silicified longitudinal ribs. Cell wall delicately structured, transapical ribs about 36 in 10 um, slightly radial, longitudinal ribs not discernible. Chambers in the middle of the valve margins, the two toward the middle, large, 2 um wide, the end chambers much smaller.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07 월 20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2 학명 Amphora staurohyalina Podzorski & Håkansson 1987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Thalassiophysales Family Catenul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Podzorski and Håkansson 1987. Freshwater and marine diatoms from Palawan ( a Philippine island). Bibliotheca Diatomologica Vol. 13. J. Cramer, Berlin. p. 52, pl. 15: 11, 51: 4-6. Valves semi-lanceolate, dorsiventral with smoothly rounded dorsal margin and straight ventral margin, ends of the valve acute, 27.8-31 um long, 3.8-4 um broad. Axial area narrow and linear, extending up to the dorsal margin in the middle parts as hyaline fascia. Transapical striae invisible, valves hyaline. 그림또는 사진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년 10월 7일작성자소속 : 인제대학교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3 학명 Nitzschia composita Giffen 1971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Bacillariales Family Bacilla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0 표본번호 JDC-SW58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성산면오조리통밧알석호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Witkowski, A., H. Lange-Bertalot and D. Metzeltin.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Vol. 7. A.R.G. Ganter Verlag K.G. p. 376. Pl. 211:12 Valves lanceolate in outline, with slightly protracted and rostrate ends, 60-75 um long, 4-7 um broad. Raphe moderately eccentric, fibulae 9-11 in 10 um, crossing the whole valve. Transapical striae finely punctate, 20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작성자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 년 11 월 7 일 소속 : 인제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조경제 )-014 학명 Bacillaria urve-millerae Schmid & Jahn 2007 국명 - 분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Bacillariales Family Bacilla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표선면표선리해안 서식지환경 해조류부착 채집자 ( 성명 ) 조경제 ( 소속 ) 인제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Jahn and Schmid. 2007. Revision of the brackish-freshwater diatom genus Bacillaria Gmelin (Bacillariophytta)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variety and two new species.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42(3), p. 303, pl. 8: 31-34, 36. Valves lanceolate in outline, breadth of the valve wider and ends of the valve more protracted than Bacillaria paxillifer (O.F. Müller) Hendey, (43)65-130 um long, (5)6-7 um broad. Fibulae 8-9 in 10 um, irregularly spaced, compared with the regular fibulae of B. paxillifer, transapical striae 23-24 in 10 um. 그림또는 사진 성명 : 조경제작성일 : 2017년 10월 7일작성자소속 : 인제대학교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0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1 학명 Amphora aliformis J.G.Stepanek, S. Mayama & J.P.Kociolek, 2015 국 분 명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Thalassiophysales Family Catenulaceae Tribe 채집일시 2017. 09. 15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전라북도군산시비응도동 서식지환경 갯벌, 모래, 암반지역에버려진로프에부착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Joshua,G.S. et al., Description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Amphora aliformis (Bacillariophyta), a new species from Tokyo Bay. Phycologia 54(1), p. 78-86. Amphora속은 Algaebase에 1245종이기록되어있으며그중 355종만인정되었음. 전체적으로 Amphoroid 형태로한쪽면은평평하고반대쪽면은부드러운곡선형임. 외부의 valve face는 alveolata가존재함. 길이는 12~15μm, 폭은 4μm, 10μm내 stria의수는 18개임. raphe는직선형이며 raphe의끝부분은약간갈고리형이며 raphe ending 아래쪽으로작은구멍이존재함.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10 월 24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1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학 국 분 명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2 Planothidium quarnerensis (Grunow) Witkowski, Lange-Bertalot & Metzelin 2000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Achnanthidiaceae Tribe 채집일시 16.05.24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백사장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123, fig. 55: 2-7 현재학계에서보고된 Planothidium 속은모두 83종임. valve 형태는타원형이고 내부쪽에만 raphe 가있는 monoraphid 돌말류임. 길이는 22-24 μm, 폭은 12-18 μm임. raphe 가없는외부모습은 sternum 이넓고창끝모양임. Planothidium delicatulum 처럼반점모양의 stria 가여러줄로이루어져있고 10 μm이내 stria 개수는 8-9 개임. raphe 가있는내부모습은 central ending 이다소넓고 central area 가큼. stria 는방사형이며 10 μm이내 9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7 월 21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1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Anorthoneis vortex Sterrenburg 1988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3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Tribe 채집일시 2016. 5. 24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백사장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98, Pl. 42: 23-25 현재학계에서보고된 Anorthoneis 속은모두 11종임. valve 형태는 hetervalar 이 고내부쪽에만 raphe 가있는 monoraphid 돌말류임. 길이는 15-22 μm, 폭은 12-19 μm임. raphe 가없는외부모습은 sternum 이좁고 stria 형태는반점모양 이며방사형임. 10 μm안에 stria 개수는 20-24 개임. 내부모습은 raphe 가약간 한쪽으로치우쳐져있고 apical raphe ending 은심플함. raphe ending 이 valve 끝부분과거리가약간있으며 central area 에 hyaline 이존재함. stria 형태는반 점모양, 방사형임. 10 μm이내 stria 개수는 20-24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7 월 21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1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Cocconeiopsis breviata (Hustedt) Witkowski 2000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4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Tribe 채집일시 2016. 5. 10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만리포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172, fig. 67: 22 학계에서인정한 Cocconeiopsis 속은모두 10종임. Cocconeis와는달리내부, 외부에 raphe 가존재함. valve 는타원형이고길이 10-11 μm, 폭 6-7 μm임. 외부 모습에서 central ending 이다소넓고 raphe 는일자형임. stria 는방사형이고 10 μm 이내 21-24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7 월 21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13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Cocconeis mascarenica Riaux-Gobin & Compère 2008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5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Cocconeidales Family Cocconeidaceae Tribe 채집일시 2016. 5. 24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만리포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표면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Riaux-Gobin, C. & Compère, P. (2008). New Cocconeis taxa (Bacillariophyceae) from coral sands off Réunion Island (Western Indian Ocean). Diatom Research 23(1): 129-146. 현재학계에서보고된 Cocconeis 속은모두 168종임. valve의형태는타원형이고 내부쪽에만 raphe 가있는 monoraphid 돌말류임. 외부모습은 sternum 이타 원형이고다소넓음. valve 끝부분은 areolae 가없음. stria 는한줄로이루어져 있으며 10 μm안에약 37.8 개임. 내부모습에서 raphe 는일자형이고단단함. axial area 는좁고 central raphe ending 주변도마찬가지임. valvecopula 는약간 물결모양임. stria 는 10 μm이내 38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7 월 21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14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Proschkinia sp. nov. 1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6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Proschk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 5. 10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법산리갯벌 서식지환경 뻘 (mud)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Brogan and Rosowski (1988). Frustular morphology and taxonomic affinities of Navicula complanatoides (Bacillariophyceae). Round et al.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pp. i-xi, 596-5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340, Pl 147: 14-19 현재학계에서보고된 Proschkinia 속은모두 7종임. 길이는 22.4-23.4μm, 폭 4.7-5.8 μm임. Valve 의형태는납작하며창끝모양임. 내부 central raphe ending 부분에있는 fistula 는긴원형다발모양임. central raphe 중심으로큰 pore 들이 있음. 외부 valve 는 Haslea 처럼 silica rib 이축적되어있고외부 polar raphe endings 은같은방향으로 hook 형태임. stria 는한줄로배열되어있고다소직사각 형 poroid 형태임. 10 μm이내에 stria 개수는 27-29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박종규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제출일접수자 작성일 : 2017 년 10 월 15 일 접수번 호 - 115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Proschkinia staurospeciosa sp. nov. 2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7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Proschk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12.01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파도리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돌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Brogan and Rosowski (1988). Frustular morphology and taxonomic affinities of Navicula complanatoides (Bacillariophyceae). Round et al.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pp. i-xi, 596-5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340, Pl 147: 14-19 현재학계에서보고된 Proschkinia 속은모두 7종임. 길이는 27-27.9μm, 폭 4.3-4.8 μm임. Valve 의형태는납작하며끝으로갈수록뭉퉁함. 내부 central raphe ending 부분에있는 fistula 는 1 개이며물사마귀처럼둥근모양임. central raphe 중심으로큰 pore 들이있음. 다른종들과달리외부적으로 silica rib 이축 적되어있지않음. 외부 polar raphe endings 은같은방향으로 hook 형태임. stria 는한줄로배열되어있고다소선형임. 10 μm이내에 stria 개수는 23-24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박종규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제출일접수자 작성일 : 2017 년 10 월 15 일 접수번 호 - 11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8 학명 Proschkinia imparea sp. nov. 3 국 분 명 류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Proschk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12.0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파도리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돌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Brogan and Rosowski (1988). Frustular morphology and taxonomic affinities of Navicula complanatoides (Bacillariophyceae). 발표문헌정보 Round et al.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pp. i-xi, 596-5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340, Pl 147: 14-19 현재학계에서보고된 Proschkinia 속은모두 7 종임. 길이는 34.5-36.2 μm, 폭 4.9 μm임. Valve 의형태는납작하며끝부분이뾰족함. 내부 central raphe ending 부 Diagnosis 분에있는 fistula는 2개이며물사마귀처럼둥근모양임. central raphe 중심으로큰 pore들이있음. 외부적으로 silica rib이축적되어있음. 외부 polar raphe endings은같은방향으로 hook형태임. stria는다소직사각형 poroid 형태이고 raphe 중심으로원형에가까움. 10μm이내에 stria 개수는 28-30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10 월 15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1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Proschkinia modesta sp. nov. 4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09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Proschk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12.01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파도리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돌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Brogan and Rosowski (1988). Frustular morphology and taxonomic affinities of Navicula complanatoides (Bacillariophyceae). Round et al.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pp. i-xi, 596-5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340, Pl 147: 14-19 현재학계에서보고된 Proschkinia 속은모두 7종임. 길이는 32.5-34.9μm, 폭 5.7-6.3 μm임. Valve 의형태는납작하며창끝모양임. 내부 central raphe ending 부분에있는 fistula 는 3 개이며물사마귀처럼둥근모양임. central raphe 중심으 로큰 pore 들이있음. 외부적으로 silica rib 이축적되어있음. 외부 polar raphe endings 은같은방향으로 hook 형태임. stria 는다소직사각형모양임. 10 μm이내 에 stria 개수는 29-30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박종규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제출일접수자 작성일 : 2017 년 10 월 15 일 접수번 호 - 11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Proschkinia bifurcata sp. nov. 5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10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Naviculales Family Proschk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12.01 표본번호 채집지 충남태안군백사장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Brogan and Rosowski (1988). Frustular morphology and taxonomic affinities of Navicula complanatoides (Bacillariophyceae). Round et al. (1990). The Diatoms: Biology and morphology of the genera. pp. i-xi, 596-59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340, Pl 147: 14-19 현재학계에서보고된 Proschkinia 속은모두 7종임. 길이는 52.1μm폭 9-9.8μm, stria 개수는 20-23 개로다른종들과달리길이, 폭이큰편이고 stria 개수는적 은편임. Valve 의형태는납작하며창끝모양임. central raphe 중심으로큰 pore 들이있음. 내부 central raphe ending 부분에있는 fistula 는 sp.1 처럼긴원형 다발모양이나형태가다름. 외부적으로 silica rib 이축적되어있고외부 polar raphe endings 은같은방향으로 hook 형태임. stria 는다소직사각형모양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박종규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제출일접수자 작성일 : 2017 년 10 월 15 일 접수번 호 - 11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박종규 )-011 학명 Neodelphineis silenda (M.H.Hohn & J.Hellerman) N.Desianti & M.Potapova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Bacillariophyceae Order Rhaphoneidales Family Rhaphoneidaceae Tribe 채집일시 2016.05.24 표본번호 채집지 충청남도태안군백사장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박종규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기타정보 Witkowski et al. (2000) Diatom flora of marine coasts I. Iconographia Diatomologica. p. 45, fig. 31: 2 A. K. S. K. Prasad (1986). Delphineis livingstonii n. sp. (Diatomaceae, Bacillariophyceae) from St. George Sound, Northeastern Gulf of Mexico. Botanica Marina Vol. XXIX, pp. 517-522 학계에서인정한 delphineis 속은모두 23종임. valve 형태는대략타원형이고끝 부분이약간무듼원형모양임. 길이는 22.25-46 μm, 폭은 19-25 μm임. axial area 중심으로 hyaline 이있으며때때로가운데부분에약간더부풀려진형태가 존재함. stria 는크고둥근형태의 poroid areolae 가있음. stria 의개수는 10 μm이 내 6-7 개이고 areolae 는 2-5 개임.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박종규 소속 : 군산대학교해양생명응용과학부 작성일 : 2017 년 7 월 21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2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1 학명 Sinophysis canaliculata Quod, Ten-Hage, Turquet, Mascarell & Couté 1999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Dinophyceae Order Dinophysiales Family Dinophysiales familia incertae sedis Subfam. 채집일시 2015.01.19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사계해수욕장 저서성, 모래간극수 채집자이준백제주대학교 기타정보국내미기록종 Hoppenrath, M., Murray, S.A., Chomérat, N. & Horiguchi, T. 2014. Marine benthic dinoflagellates - unravelling their worldwide biodiversity. Kleine Senckenberg-Reihe Vol. 54. pp. 165 Fig. 77A, 78A-C, 79A, B. 세포의크기는길이 45-57μm, 폭 37-51μm이며세포의모양은거의구형이며측면으로납작하다. 상대적으로크고돔형태의상각은두개의평행한 anterior projection을가진다. 하각은약간늘어졌으며등쪽으로둥근형태이다. 상대적으로깊고넓은 cingulum을가지며 sulcus는오른쪽측면에존재하며세포길이의 2/3정도를차지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 10μm) 성명 : 이준백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2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Gonyaulax diegensis Kofoidii 1911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2 Class Dinophyceae Order Gonyualacales Family Gonyaulacaceae Subfam. 채집일 2016.05.17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전라남도여수시삼삼면거문리 해양성플랑크톤 채집자이준백제주대학교 기타정보국내미기록종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105.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pp. 208 Fig. 26G. 세포의크기는길이 56-100μm, 폭 50-82μm이며거의구형의모양을가진다. 상각은짧은 apical horn을가지며, apical horn을따라볼록한형태이고하각은둥글고 2-4개의매우짧은 spine이있다. cingulum은중간에위치하고 list는존재하지않는다. Plates는두껍고망사의피각을가진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20μm) 성명 : 이준백 작성일 : 2017년 7월 24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2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Amphidinium cf. flagellans Schiller 1928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3 Class Dinophyceae Order Gymnodiniales Family Gymnod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7.05.14 표본번호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통밧알 서식지환경 연안성플랑크톤 채집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기타정보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71. 크기는길이 20-25μm, 폭 8-9μm이고몸체는가운데가굵고양끝이가 는방추모양이며납작하지않다. 상각은거의원뿔형이고끝이뾰족하다. 하각은둥근편이지만역시끝이뾰족하다. cingulum 은깊고넓으며 sulcus 는상각에서는좁고, 하각에서는넓으며끝이뾰족하게끝난다. 그림또는사진 (scale : 5μm) 작성자 이준백 소속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23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Warnowia sp. 1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참고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4 Class Dinophyceae Order Gymnodiniales Family Gymnod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11.25 표본번호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표선리연안 서식지환경 연안성플랑크톤 채집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기타정보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79, 80. 크기는길이 65-70μm, 폭 19-21μm로 cingulum과 sulcus가세포를휘감 으며존재하고, cingulum 은 1.1-2 번정도휘감고, sulcus 는 0.25-1.5 번 정도휘감는다. 안점은빨간색이거나검은색이며, 핵은보통세포의앞쪽 에존재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 10μm) 이준백소속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24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Warnowia sp. 2 국 분 명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참고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5 Class Dinophyceae Order Gymnodiniales Family Gymnodiniaceae Tribe 채집일시 2016.11.25 표본번호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표선리연안 서식지환경 연안성플랑크톤 채집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기타정보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79, 80. 크기는길이 50-60μm, 폭 20-25μm로세포는전체적으로길다. 세포의 cingulum 과 sulcus 가세포를휘감으며존재하고, cingulum 은 2 번정도휘 감고, sulcus 는 0.5 번정도휘감는다. 안점은검은색이며, 핵은보통세포 의앞쪽에존재한다. 그림또는사진 (scale : 10μm) 작성자 이준백소속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17 년 10 월 18 일 모식 / 기준표본 제출정보 제출일 접수자 접수번 호 - 125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Heterocapsa circularisquama Horiguchi 1995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6 Class Dinophyceae Order Peridiniales Family Heterocaps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06.19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탑동연안 해양성플랑크톤 채집자이준백제주대학교 기타정보국내미기록종 Horiguchi T. 1995. Heterocapsa circularisquama sp. nov. (Peridiniales, Dinophyceae): A new marine dinoflagellate causing mass mortality of bivalves in Japan. Phycological Research. 43: 129-136.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130 세포의크기는길이 20-25μm, 폭 13-20μm이며세포는전체적으로계란형이다. 상각과하각의길이와크기는거의동일하며, 상각은원뿔형이고, 하각은둥근형태이다. Cingulum은상대적으로넓으며, sulcus는좁고거의 antapex까지도달한다. 엽록체는하나이며, 안점은존재하지않는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 10μm) 성명 : 이준백 작성일 : 2017년 10월 18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2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7 학명 Heterocapsa horiguchii Iwataki, Takayama & Matsuoka 2002 국명 - 분 류 Class Dinophyceae Order Peridiniales Family Heterocaps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8. 25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서귀포연안 해양성플랑크톤 채집자이준백제주대학교 기타정보국내미기록종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130. Iwataki M, et al. 2002. Heterocapsa lanceolata sp. nov. and Heterocapsa horiguchii sp. nov. (Peridiniales, Dinophyceae), two new marine dinoflagellates from coastal Japan. Phycologia 41: 470-479. 세포의크기는길이 13-21μm, 폭 10-15μm이며세포는타원형이다. 상각과하각은거의동등한크기이며, 반구형이다. Cingulum은중앙에위치하며상대적으로넓다. Sulcus는좁고거의 antapex까지도달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 10μm) 성명 : 이준백작성일 : 2017 년 10 월 18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2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Heterocapsa lanceolata Iwataki & Fukuyo 2002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8 Class Dinophyceae Order Peridiniales Family Heterocaps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8. 25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서귀포연안 해양성플랑크톤 채집자이준백제주대학교 기타정보국내미기록종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130. Iwataki M, et al. 2002. Heterocapsa lanceolata sp. nov. and Heterocapsa horiguchii sp. nov. (Peridiniales, Dinophyceae), two new marine dinoflagellates from coastal Japan. Phycologia 41: 470-479. 세포의크기는길이 22-25μm, 폭 10-15μm이며세포는창모양을가진다. 상각이하각보다크며, 상각과하각모두원뿔형이다. Cingulum은상대적으로넓다. 피각의경우, 상대적으로얇기때문에광학현미경으로관찰하기는어렵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 10μm) 성명 : 이준백 작성일 : 2017년 10월 18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2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09 학명 Heterocapsa pygmaea LobelichⅢ, Schmidt & Sherley 1981 국명 - 분 류 Class Dinophyceae Order Peridiniales Family Heterocaps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8. 07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오조리통밧알 해산플랑크톤 채집자이준백제주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Omura, T. et al.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pp. 130. Iwataki M. 2008. Taxonomy and identification of the armored dinoflagellate genus Heterocapsa (Peridiniales, Dinophyceae). Plankton Benthos Res 3: 135-142. 세포의크기는길이 12-15μm, 폭 10-12μm 이며세포는타원형이다. 상각과하각의크기는비슷하며하각은둥근형태이다. Cingulum 은상대적으로넓으며왼쪽이살짝올라가있다. 핵은원형이며앞쪽에위치한다. 그림또는사진 (scale : 10μm) 작성자 성명 : 이준백작성일 : 2017 년 10 월 18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2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10 학명 Prorocentrum bimaculatum Chomérat & Saburova 2012 국명 - 분 류 Class Dinophyceae Order Prorocentrales Family Prorocentr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04.29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인천광역시중구을왕동왕산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 저서성플랑크톤 채집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Hoppenrath, M., Murray, S.A., Chomérat, N. & Horiguchi, T. 2014. Marine benthic dinoflagellates - unravelling their worldwide biodiversity. Kleine Senckenberg-Reihe Vol. 54. pp. 135 Fig. 62, 64A. 세포의크기는길이 50-55μm, 폭 38-43μm 이며세포의모양은길쭉한타원형이다. Plate 의표면은산발적으로작은 pore 를가지고부드럽다. 2 개의 cingulum 은 pore 가없는중심에서위와아래에위치한다. periflagellar 영역은짧은깃과함께넓게 V 형태이다. 그림또는사진 (scale : 10μm) 작성자 성명 : 이준백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준백 )-011 학명 Prorocentrum tsawwassenense Hoppenrath & Leander 2008 국명 - 분 류 Class Dinophyceae Order Prorocentrales Family Prorocentr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04.29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인천광역시중구을왕동왕산해수욕장 서식지환경 모래, 저서성플랑크톤 채집자 이준백 제주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Hoppenrath, M., Murray, S.A., Chomérat, N. & Horiguchi, T. 2014. Marine benthic dinoflagellates - unravelling their worldwide biodiversity. Kleine Senckenberg-Reihe Vol. 54. pp. 152 Fig. 63. 세포의크기는길이 40-55μm, 폭 30-48μm 이며세포의모양은타원형이다. 피각의표면은거대한 pore 들이방사열로존재하며매끄럽고 plate 의중심은 pore 가존재하지않는다. 편모가존재하는지역은넓은 U 형태고깃형태를가진다. 그림또는사진 (scale : 10μm) 작성자 성명 : 이준백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1 학명 Aphanothece smithii Komárková-Legnerová & G.Cronberg 1994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Cyanophyceae Order Chroococcales Family Aphanothecaceae Subfam. 채집일 2017.09.23 표본번호 채집지경상북도울진군후포면삼율리 124-15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 염도 5.1 ) 채집자이옥민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Komárková-Legnerová, J. & Cronberg, G. (1994). Planktic blue-green algae from lakes in South Scania, Sweden. Part I. Chroococcales. Arch. Hydrobiol./Algolog. Stud. 72: 13-51. Colonies microscopic, more or less spherical or irregular in outline, sometimes elongate, free floating, with more or less regularly (usually not very densely) distributed cells; colonial mucilage colourless, usually overlapping all the cells by a narrow, hyaline, sometimes diffluent margin. Cells more or less oval to cylindrical, straight pale blue-green or grey-blue, sometimes with minute aerotopes, (1.5)2-3.5 x 1-1.5(2) μm.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10μm) 성명 : 이옥민 작성일 : 2017년 11월 20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Coelosphaerium aerugineum Lemmermann 1898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2 Class Cyanophyceae Order Synechococcales Family Coelosphaeriaceae Subfam. 채집일 2017.09.26 표본번호 채집지 전라북도부안군동진면안성리옥포교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0.2 ) 채집자이옥민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Lemmermann, E. (1898). Der grosse Waterneverstorfer Binnensee. Eine biologische Studie. Forschungsberichte aus der Biologischen Station zu Plön 6: 166-205, 4 figs, 1 map, pl. V. Colonies free floating, spherical, up to about 100 um in diameter, sometimes consisting of 2-3 hemispherical subcolonies with irregularly and sparsely or densely aggregated cells (however, they never touch one another), arranged in one laver near the surface of the homogeneous, colourless, diffluent or delimited gelatinous envelope (which is up to 5μm wide). Cells spherical or hemispherical after division, (2)2.5-4(5.5) μm in diameter, usually bright blue-green, slightly granular, without gas vesicles.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10μm) 성명 : 이옥민 작성일 : 2017년 10월 13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3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3 학명 Heteroleibleinia sp.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Synechococcales Family Heteroleibleiniaceae Subfam. 채집일 2017.09.26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전라북도부안군동진면안성리옥포교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0.2 ) 채집자 이옥민 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사상체는길게자라며, 한쪽끝부분이기질에부착해있으며, 옅은청녹색을띈다. Sheath 는발견되지않았으며끝으로갈수록좁아지지않고, 세포격벽부분에서함입이뚜렷하게나타난다. 세포의형태는 barreled-shape 에서 oval-shape 이고, 사상체끝부분의세포는간혹 conical-shape 로나타난다. 세포의폭은 1-1.2 μm이고, 길이는폭과비슷하거나약간긴 1.5-2.5(3) μm이다. 이종은기존에보고되었던 Heteroleibleinia kossinskajae 와유사하나, 세포의폭이 2-2.3 μm, 길이는 3.4-5.7 μm로, 세포의크기에서차이를보여 Heteroleibleinia sp. 로처리하였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10μm) 성명 : 이옥민 작성일 : 2017년 10월 13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4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일련 미세조류 2017 신분류군번호 ( 이옥민 )-004 학명 Pseudanabaena lohchoides Anagnostidis 1961 국명 - Class Cyanophyceae Order Synechococcales 분류 Family Pseudanabaen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19 표본번호기준 / 모식표본채집지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오조리 83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pond ( 염도 35 ) 정보채집자 ( 성명 ) 이옥민 ( 소속 ) 경기대학교기타정보국내미기록종발표문헌 Anagnostidis, K. (1961). Untersuchungen über die Cyanophyceen einiger Thermen in Griechenland. Inst. Syst. Bot. & Pflanzengeogr. Univ. 정보 Thessaloniki. 7: 1-322. Thallus usually fine, thin, indefinite, expanded, forming attached mats on the substrate or free- floating, commonly bright blue-green, less frequently bluish to greenish or yellow-green to emerald-green. Trichomes bright blue-green or emerald-green to grey-blue or greyish, straight or variously curved, sometimes slightly screw-like or spirally-coiled, (0.4) 0.6-1 (1.3) μm wide, usually densely arranged and entangled or parallel-arranged, of various length, mostly 50-100-celled, rarely (1-2)-10-30-celled, (20) 200-300 (400) μm long, t clearly constricted at the ungranulated cross-walls, that are Diagnosis usually provided with a single, large or small, spherical aerotope on each side, not attenuated at the ends. Cells cylindrical with rounded ends, longer than wide, (1.5) 2-8 (12) μm long, joined to each other with a thick "hyaline bridge"; cell content homogeneous, without granules, usually differentiated into chromatoplasma and centroplasma. Apical cell very characteristic, acute-conical, with single ±lance-like lengthened aerotope, (0.5) 0.8-1.8-2.5μm long, without calyptra or thickened cell wall. Motility forwards, without oscillation (waving) and rotation. Reproduction by one-celled to multi-celled hormogonia, provided with characteristic aerotopes. 그림또는사진 성명 : 이옥민작성일 : 2017년 7월 24일작성자소속 : 경기대학교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5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5 학명 Leptolyngbya ectocarpi (Gomont) Anagnostidis & Komárek 1988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Cyanophyceae Order Synechococcales Family Leptolyngby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20 표본번호 채집지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외도 2 동 1956-49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pond ( 염도 11 ) 채집자 ( 성명 ) 이옥민 ( 소속 ) 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Anagnostidis, K. & Komárek, J. (1988). Modern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yanophytes. 3. Oscillatoriales. Archiv für Hydrobiologie, Supplement 80: 327-472. Thallus thin, membranaceous, pinkish to carmine-red or brownish-red. Filaments densely and irregularly entangled or + parallel arranged and joined in fascicles. Sheaths mostly diffluent, mucilaginous, rarely distinct, colourless, up to 0.9μm wide (sometimes 2 trichomes in a sheath were observed). Trichomes pinkish to pale purple, (0.8) 1.3-2.5 (3) μm wide, constricted at the diaphanous, ungranulated cross-walls, not or slightly attenuated at the ends. Cells isodiametric or longer than wide, 1.3-2.6 (3.2) um long; cell content homogeneous with distinct chromatoplasma. Apical cells rounded or conical-rounded, lengthened and acute, without calyptra.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이옥민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일련 미세조류 2017 신분류군 번호 ( 이옥민 )-006 학 명 Anagnostidinema pseudacutissimum (Geitler) Strunecký, Bohunická, J.R.Johansen & J.Komárek 2017 국 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Oscillatoriales Family Coleofasciculaceae Subfam. 채집일 2017.09.0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채집지전라남도무안군삼향읍왕산리 1547-15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 염도 0.2 ) 정보채집자이옥민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Strunecky, O., Bohunická, M., Johansen, J.R., Capková, K., Raabová, L., Dvorák, P. & Komárek, J., (2017). A revision of the genus Geitlerinema 발표문헌 and a description of the genus Anagnostidinema gen. nov. 정보 (Oscillatoriophycidae, Cyanobacteria). Fottea, Olomouc 17(1): 114-126, 4 figs. Thallus blue-green. Trichomes straight or slightly coiled, 1.3-1.8μm wide, motile, with anticlockwise rotation, not constricted to slightly constricted at Diagnosis cross-walls, slightly attenuated at the ends and bent. Cells 1.2-3.5x longer than wide, bright blue-green; cell content with prominent carotenoid granules, usually near the cross-walls. Apical cells hooked, rounded or ± roundly-pointed.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10μm) 성명 : 이옥민 작성일 : 2017년 11월 20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Phormidium tinctorium Kützing ex Gomont 1892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7 Class Cyanophyceae Order Oscillatoriales Family Phormid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31 표본번호 채집지경상북도울진군근남면수산리 200-3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 염도 0.1 ) 채집자 ( 성명 ) 이옥민 ( 소속 ) 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Gomont, M. (1892 '1893'). Monographie des Oscillariées (Nostocacées Homocystées). Deuxième partie. - Lyngbyées.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Botanique, Série 7 16: 91-264. Thallus tufty with fasciculated filaments, penicillate, attached to substrate, gelatinous or membranaceous, dark, blackish green to purple or yellow-brown to brown. Filaments nearly straight, densely parallel-arranged. Sheaths fine, strongly mucilaginous, diffluent. Trichomes yellow-reddish (in dried specimens!), 6-8.5 (9) um wide, indistinctly to distinctly constricted at the ungranulated cross-walls, sometimes long attenuated at the ends. Cells nearly isodiametric or longer than wide, 5-11 um long: cell content finely granulated. Apical cells acute-conical or cylindrically-conical, without calyptra.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이옥민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8 학명 Borzia trilocularis Cohn ex Gomont 1892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Oscillatoriales Family Phormidiaceae Subfam. 채집일시 17.05.20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성산읍오조리 57-9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 염도 18 ) 채집자 ( 성명 ) 이옥민 ( 소속 ) 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Gomont, M. (1892 '1893'). Monographie des Oscillariées (Nostocacées Homocystées). Deuxième partie. - Lyngbyées.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Botanique, Série 7 16: 91-264. Trichomes solitary, very short, without mucilaginous sheaths, (1) 3-8-celled, straight, 9-18 (29) um long, blue-green, distinctly constricted at tae ungranulated cross-walls, intensely creeping or immotile, (4.5) 5-8 um wide. Cells barrel-shaped, shorter than wide or isodiametric, 2-6.1 um long; cell content homogeneous or finely granular, usually with large prominent granules. Apical cells ± hemispherical.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이옥민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3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09 학명 Tetrachlorella incerta Hindák 1977 국명 - 분 류 Class Trebouxiophyceae Order Chlorellales Family Oocyst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05.31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 경상북도울진군근남면수산리 200-3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 염도 0.1 ) 채집자 ( 성명 ) 이옥민 ( 소속 ) 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Hindák, F. (1977).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 Biologicke Práce 23: 1-192. Coenobia 2- to 4-cell with ellipsoidal to oval cells, rounded at both ends, which are often parallel, or at most slightly displaced, in two cells. Gelatinous envelopes very fine, sometimes entirely absent. Cell wall smooth, without incrustations. Chloroplast channel-shaped, often blurry Pyrenoid. Autospore by 2-4 cells. Dimensions: cells 4.5-8 x 2-4 μm,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이옥민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Scenedesmus decorus Hortobagyi 1959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10 Class Chlorophyceae Order Sphaeropleales Family Scenedesmaceae Subfam. 채집일시 2014. 5. 19 표본번호 채집지경상북도울진군근남면수산리 200-3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coast ( 염도 0.1 ) 채집자 ( 성명 ) 이옥민 ( 소속 ) 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Hortobágyi, N.T. (1959). Algen aus den Fischteichen von Busák. I. Scenedesmus - Arten. Nova Hedwigia 1: 41-64 and 345-381. Coenobia (2) -4-8-celled, + linear, tightly closed, in 8-cell colony,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 little. Cells oblong oval to almost cylindrical, more rarely egg-shaped, rounded or conical rounded on the poles, rarely rounded. Spines varies up to 2 long or short, diagonal piercing projections 4 of equal length spines in the corners of the coenobia. At the cell poles often still 1-3 warts or very short, obliquely attached teeth or tiny spines. On the sides of the cell sometimes interrupted, rarely full, built of fused papillae ribs. Cell walls with fine or coarse, arranged in rows or irregular granules. Dimensions: cells 10-17 x 2,6-7,5 μm, main spines 3-12,5 μm long.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이옥민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이옥민 )-011 학명 Scenedesmus nanus Chodat 1913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Chlorophyceae Order Sphaeropleales Family Scenedesmaceae Subfam. 채집일 2016.05.17 표본번호 채집지전라남도장흥군안양면해창리 1286-1 서식지환경 Eutrophic brackish pond ( 염도 1.2 ) 채집자이옥민경기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Chodat, R. (1913). Monographies d'algues en culture pure. Materiaux pour la flore cryptogamique Suisse. Vol. 5, Fasc. 2 pp. i-xii, 1-266, 201 fig., 9 pls. Berne: K.J. Wyss. 군체는 2-4개의세포로이루어져있으며, 세포길이의 1/2-1/3정도로서로연결되어있다. 세포의형태는난형이고, 외측세포의양끝에 ( 드물게내측세포에도 ) 짧은침상돌기가나타난다. 세포의길이는 4.7-10μm, 폭은 2.5-4.5μm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scale: 10μm) 성명 : 이옥민 작성일 : 2017년 10월 13일 소속 : 경기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1 학명 Chroococcidiopsis fissurarum (Ercegović) Komarek et Anagnostidis 1995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Cyanophyceae Order Chroococccales Family Chroococc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7. 06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도서귀포시천지동천지연폭포하구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1998. Cyanophyta. 1. Teil Chroococcales. In: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ergründet von A. Pascher. Band 19/1. p. 423, fig. 551 세포는단독성이며, 그룹을형성하며, 때로는대형그룹을형성한다. 군체는기질위에얇고편편하게분포하며, 무색이고얇은점액성물질로둘러싸여있다. 군체의막내에둘러사여있는세포는구형이거나구형에가깝고, 직경은 2-4μm이다. 바닷물이분산되는바위나기수등염류가있는곳에서서식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10 월 13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3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학명 Aphanocapsa marina Hansgirg 1890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2 Class Cyanohyceae Order Chroococcales Family Merismoped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7. 06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도서귀포시정방폭포조간대바위, 천지연폭포하구주변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1998. Cyanophyta. 1. Teil Chroococcales. In: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ergründet von A. Pascher. Band 19/1. p. 148, fig. 170 군체는작소, 부정형이며, 점액성물질에싸여있다. 세포는구형이고, 옅은청록색을띈다. 세포의크기는 0.4-0.5μm로알려져있지만본조사에서약간더큰것도조사되었다. 해양이나기수등지의염분이있거나젖는조간대바위에서식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10 월 13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4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3 학명 Pseudocapsa maritima Ercegović 1956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Chroococccales Family Chroococc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7. 06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도서귀포시동흥동정방폭포저간대바위 / 천지동천지연폭포 하구 연안및기수성, 담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1998. Cyanophyta. 1. Teil Chroococcales. In: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ergründet von A. Pascher. Band 19/1. p. 318, fig. 425 군체는단독이거나또는몇개의작은군체들이뭉쳐있으며, 구형이거나무정형이다. 군체는황청록색을띄며, 점액성막은보이지않는다. 세포는약간의방사상배열을하며, 구형이거나반구형또는구형이나누어져있는형태이다. 세포의직경은 4-8μm 이다. 염류가있는곳에서서식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10 월 13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5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4 학명 Woronichinia elorantae Komarek et Komarkova-Legnerova 1992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Synechococcales Family Coelosphaeriaceae Subfam. Gomphosphaerioideae 채집일시 2017. 5. 20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인천광역시강화군길상면온수천하구 서식지환경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1998. Cyanophyta. 1. Teil Chroococcales. In: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ergründet von A. Pascher. Band 19/1. p. 214, fig. 278 조체는단독성이며, 구형이거나타원형이고, 보통작은군체가함께붙어있다. 군체는많은세포들이방사상으로밀집분포하고있으며가장자리로층상배열을하고있다. 군체의크기는 15-20μm 이다. 세포는난형이거나긴타원형이며방사상으로배열하고있는무색의점액성줄기끝에붙어있다. 세포의크기는 2.5-3 x 1.5-2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5 학명 Lyngbya aestuarii var. gaditana Gonzalez Guerrero 1947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Oscillatoriales Family Oscillato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20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오조리족지물 ( 오조리철새도래지 ) 서식지환경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árek, J. & Anagnostidis, K. (2005). Sü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Cyanoprokaryota: 2. Teil/2nd Part: Oscillatoriales. Vol. 19. p. 632, fig. 971. 조체는단독성이고, 기질에부착하거나부유성이며, 올리브그린에서짙은녹색을띄거나약간의갈색을띈다. 조체는긴사상체이며, 직선상이거나만곡되어있다. 사상체ㅐ의초는두껍고층상을이루며무색이다. 초를포함한사상체의폭은 5-8μm 이다. 사상체의세포간에는협입되어있지않으며, 과립들이횡벽으로분포를한다. 정단세포는좁아지지않았으며끝부분은비후되어있다. 세포의크기는 2-3 x 3-4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6 학명 Pseudophormidium tenue (Thuret ex Gomont) Anagnostidis et Komarek 1988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Oscillatoriales Family Borz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20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오조리통밧알 ( 오조리철새도래지 ) 서식지환경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árek, J. 2013. Süβwasserflora von Mitteleuropa. Cyanoprokaryota: 2nd part: Oscillatoriales. Band 19/2. p. 384, fig. 532 조체는밝은녹색에거나진한녹색이며, 사상체의조체가엉켜있다. 사상체는길고, 만곡되어있으며, 많은유ㅣ분지를형성하고있다. 가지는쌍을이루고있다. 초는초기에얇고무색이지만, 노화된초는두껍고밝은갈색을띈다. 사상체의세포는진한녹색이며, 세포간에약간의협입이되어있고과립은없으며, 사상체의끝으로갈수록세포의크기는점차작아지며, 끝에분포하는세포는끝이뾰족하다. 세포의크기는 2-4 x 5-10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7 학명 Calothrix fusca f. durabilis Starmach 1958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Nostocales Family Rivula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7. 06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도서귀포시동흥동정방폭포저간대바위 / 천지동천지연폭포 하구 연안및기수성, 담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árek, J. 2013. Süβwasserflora von Mitteleuropa. Cyanoprokaryota: 2nd part: Oscillatoriales. Band 19/2. p. 228, fig. 227 조체는사상체이며, 직선상이거나만곡되어있으며, 단독이거나그룹으로뭉쳐있다. 때로는측면으로위분지상으로보인다. sheath 는얇거나또는두꺼워져있으며, 황갈색을띄고, 끝부분은넓은깔대기모양이다. 이형세포는반구형이며, 둥근원추형이다. 세포들은길이는짤고폭은넓으며, 세포간에약간협입되어있다. 세포의크기는 4-7 x 5-16μm 이며, 이형세포는 4-7 x 5-10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4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8 학명 Calothrix littoralis Anand 1937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Nostocales Family Rivula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20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오조리통밧알 ( 오조리철새도래지 ) 서식지환경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árek, J. 2013. Süβwasserflora von Mitteleuropa. Cyanoprokaryota: 3rd part: heterocystous genera. Band 19/3. p. 275, fig. 313a 조체는단독성이고, 사상체이며, 직립하거나유연하게다른조체와섞여있고, 갈색에서진녹색이다. 사상체의길이는 90-120μm 정도이며, 위분형은없다. 사상체의초는두껍지만일부얇으며, 층상은거의보이지않으며기저부분이약간넓으며, 약 7-10μm 정도된다. 세포는짙은남색이며폭보다길이가약간짧다. 세포의크기는기저에서다소크고끝으로갈수록약간씩작아지지만털과같이가늘어지지않는다. 사상체의기저부분에타원형거나난형의이질세포가있다. 세포의크기는 2-4 x 5-10μm 이며, 이질세포의크기는 4-5 x 5-8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5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학명 Chroococcidiopsis cubana Komarek et Hindak 1975 국명 -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09 Class Cyanophyceae Order Chroococccales Family Chroococc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7. 06 표본번호 채집지 서식지환경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오조리족지물 연안및기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1998. Cyanophyta. 1. Teil Chroococcales. In: Süß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ergründet von A. Pascher. Band 19/1. p. 423, fig. 551 세포는단독성이며, 그룹을형성하며, 때로는대형그룹을형성한다. 군체는기질위에얇고편편하게분포하며, 무색이고얇은점액성물질로둘러싸여있다. 군체의막내에둘러싸여있는세포는구형이거나구형에가깝고, ㅇ사면체의입체적분포를한다. 직경은 10-15μm이다. 바닷물이분산되는바위나기수등염류가있는곳에서서식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5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10 학명 Calothrix parva Ercegović 1928 국명 - 분 류 Class Cyanophyceae Order Nostocales Family Rivulariaceae Subfam.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일시 2017. 07. 06 표본번호 채집지 제주도서귀포시동흥동정방폭포저간대바위 / 천지동천지연폭포하구 서식지환경 연안및기수성, 담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árek, J. 2013. Süβwasserflora von Mitteleuropa. Cyanoprokaryota: 2nd part: Oscillatoriales. Band 19/2. p. 228, fig. 226 조체는사상체이며, 직선상이거나만곡되어있으며, 단독이거나다른조류왛함께뭉쳐있다. sheath 는두껍고단단하며, 황녹색또는황갈색을띄고, 기저부분이넓은깔대기모양이다. 도한긑부분은털모양으로되어있다. 이형세포는구형이거나반구형이다. 세포들은길이는짤고폭은넓으며, 세포간에협입되어있 wl 않다. 세포의크기는 4-7 x 9-16μm 이며, 이형세포는 4-7 x 6-9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10 월 13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5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미세조류 2017 ( 김용재 )-011 학명 Characiellopsis skujae (Fott) Komarek 1979 국명 - 분 류 Class Ulvophyceae Order Ulvales Family Ulv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5. 04 표본번호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경기도평택시현덕면아산만방조제 ( 평택호 ) 서식지환경 연안및기수성, 담수성 채집자 ( 성명 ) 김용재 ( 소속 ) 대진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Komárek, J. 1983. Das Phytoplankton des Süβwasserflora Systematik und Biologie. 7. Teil, 1 Halfte Vol. 16. p. 190, fig. 55:3. 조체는부착성이며, 단독성거나다른개체들고뭉쳐있다. 세포는긴난형이며, 기부와정단쪽으로가면서뾰족해지고정단은약간뭉뚝하고비후되어있다. 기부는디스크모양의부착기를가지고있다. 엽록체는 1 개이고피레노이드도 1 개있다, 세포의크기는 15-20 x 10μm 이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용재작성일 : 2017 년 7 월 20 일 소속 : 대진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53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남기완 )-01 학명 Farlowia mollis (Harvey & Bailey) Farlow & Setchell 국명미정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Florideophyceae Order Gigartinales Family Dumont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2 표본번호 PKNU0000134874 채집지경남거제시남부면저구리 서식지환경 조간대중부암반위 채집자 ( 성명 ) 남기완 ( 소속 ) 부경대학교 기타정보 Collins, F.S., Holden, I. & Setchell, W.A. (1901). Phycotheca boreali-americana. A collection of dried specimens of the algae of North America. Vol. Fasc. XVII-XVIII, Nos. 801-900. Malden, Massachusetts. 조체는 10-20 cm 크기로주로차상으로분지하며, 체색은갈색내지암 홍색이다. 가근성부착기에의해암반에착생한다. 엽체는 3 6 세포층으 로이루어져있고, 피층세포에는색소체가산재한다. 수층은세포배열이 규칙적이고 70-120 μm 크기의큰세포로이루어져있다. 본종은형태 및엽록체의 rbcl 유전자분석결과, 한국미기록종인 Farlowia mollis 로 동정되었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남기완작성일 : 2017년 08월 01일소속 : 부경대학교 ( 전화 :051-629-5922)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 접수번호 - 154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남기완 )-02 학명 Ulva torta (Mertens) Trevisan 국명실갈파래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Ulvophyceae Order Ulvales Family Ulv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4. 07 표본번호 PKNU0000135875 채집지 서식지환경 경북포항시남구동해면임곡리 조간대중부암반위 채집자 ( 성명 ) 남기완 ( 소속 ) 부경대학교 기타정보 Trevisan, V.B.A. (1842 '1841'). Sul geuere Bangia. Atti della Terza Riunione degli Scienziati italiani 1841: 478-481. 조체는 5-10 cm 에이르고, 두층으로되어있으며, 편압형이거나관상 형으로자란다. 체색은연녹색내지녹색이다. 세포는직각또는다소둥 근형태의모서리를갖고있으며, 유엽에서는세포열이정렬되어있는데 비해노엽에서는일정하지않다. 각각의세포는세포벽쪽에서엽록체가 관찰이되며, 1~2 개의피레노이드를갖는다. 본종은형태및 ITS, rbcl 유전자분석결과, 한국미기록 Ulva torta 로동정되었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남기완작성일 : 2017 년 08 월 01 일 소속 : 부경대학교 ( 전화 :051-629-5922) 모식 / 기준표본 접수번 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 호 - 155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남기완 )-03 학명 Membranoptera alata (Hudson) Stackhouse 국명미정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Florideophyceae Order Ceramiales Family Delesser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5. 22 표본번호 PKNU0000134874 채집지경남거제시남부면저구리 서식지환경 조간대중부암반위 채집자 ( 성명 ) 남기완 ( 소속 ) 부경대학교기타정보 Stackhouse, J. (1809). Tentamen marino-cryptogamicum, ordinem novum; in genera et species distributum, in Classe XXIVta Linnaei sistens. Mémoires de la Société Impe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2: [50]-97. 조체는 5-8 cm 크기로주로차상내지삼차상으로분지하며, 체색은홍 색내지암홍색이다. 원반형부착기에의해암반에착생한다. 엽체는 3 5 세포층으로이루어져있고, 피층세포에는색소체가산재한다. 수층은세 포배열이불규칙적이고 50-110 μm 크기의큰세포로이루어져있다. 본 종은형태및엽록체의 rbcl 유전자분석결과, 한국미기록종인 Membranoptera alata 로동정되었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남기완작성일 : 2017년 10월 10일소속 : 부경대학교 ( 전화 :051-629-5922)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 접수번호 - 156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남기완 )-04 학명 Hypnea nidulans Setchell 국명미정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Florideophyceae Order Gigartinales Family Cystoclon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7. 07. 20 표본번호 PKNU0000134898 채집지강원강릉시사천면사천진리 서식지환경 조간대중부암반위 채집자 ( 성명 ) 남기완 ( 소속 ) 부경대학교 기타정보 조체는크기 5-10 cm 로서로조밀하게얽혀있는기부를갖는다. 기부는기질에 넓게부착한다. 상부의엽체는원통형으로직립하고, 서로얽히지않으며, 붉규 칙하게분지한다. 소지는주로뾰족하지만때때로넓은판모양의정단부를갖는 다. 수세포는원형내지다각형이고바깥쪽으로갈수록크기가작아진다. 수세포 에는때때로세포벽비후가존재한다. 그림또는사진 성명 : 남기완작성일 : 2017년 10월 10일작성자소속 : 부경대학교 ( 전화 :051-629-5922)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57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김명숙 )-001 학 명 Nesoia pulchella sp. nov. 국 명 예쁜엷은도박 분류기준 / 모식표본정보 Class Florideophyceae Order Halymeniales Family Halymen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5. 05. 24 표본번호 NIBRRD0000001670 (MSK150524-16) 채집지 제주시도두1동 서식지환경 조하대수심약 25 m, 무절석회조류, 작은자갈또는패각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채집자김명숙, 이형우제주대학교생물학과 기타정보 미발표 식물체는조하대수심 25 m 부근모래와암반이서로뒤섞인지형에있는작은홍조단괴또는자갈위에착생하여자란다. 식물체의크기는길이약 7 cm, 폭약 4 cm 정도이며둥근타원형의엽체가원형의기부로부터자라나온매우짧고편압된쐐기꼴의엽병 (stipe) 으로부터자란다. 엽체는매우약하고부드러운재질이며두께는약 190 μm정도이다. 피층은다각형의 (polygonal) 의세포가 1 층으로배열되어있으며피층은서로밀접하게붙어있고아피층은사상형의세포와성상세포가서로연결되어그물망형태를보인다. 수층은 2-3 개의사상형의세포가피층의서로수직으로연결하는구조로이루어져있으며, 아피층의성상세포에연결되어있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명숙작성일 : 2017 년 7 월 26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 접수 제출정보제출일 2017년 7월 13일접수자김진희 번호 - 158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김명숙 )-002 학명 Herposiphonia jejuinsula sp. nov. 국명민털거미줄 분류기준 / 모식표본정보 Class Florideophyceae Order Ceramiales Family Rhodomelaceae Subfam. 채집일시 2013. 05. 22 표본번호 (YHK-130522-2) 채집지 서귀포시강정동 서식지환경 조간대하부유절석회조류 채집자 김명숙, 고영호 제주대학교생물학과 기타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발표 식물체는조간대하부의유절석회조류위에착생하여자란다. 엽체는사상형으로직경 50-80μm 의기는줄기로부터 3 개의유한지와 1 개의무한지가반복해서자라는분지형태를가진다. 유한지는 18-23 개의마디로이루어져있으며직경은 40-60μm 이고각각의마디는 5-6 개의주심세포와 1 개의중심세포로이루어져있다. 유한지에영양모상지는발달하지않으며낭과는유한지의중간부분에위치한다. 사분포자는하나의유한지에서 5-8 개가형성되며사면체분열을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명숙작성일 : 2017 년 7 월 26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59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김명숙 )-003 학명 Pyropia ulleungensis sp. nov. 국명울릉돌김 분류기준 / 모식표본정보 Class Bangiophyceae Order Bangiales Family Bang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4. 04. 21 표본번호 (E15008) 채집지 경상북도울릉군사동 서식지환경 조간대암반 채집자 김명숙, 고영호 제주대학교생물학과 기타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미발표 식물체는조간대암반에부착하여자란다. 엽체는선형에서피침형으로성숙함에따라갈라지며엽체의가장자리는파상형이고거치상돌기는형성하지않는다. 식물체는자웅이주로겨울철에엽체에산재하여생식세포를형성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명숙작성일 : 2017 년 10 월 16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 접수 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 번호 - 160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김명숙 )-004 학명 Pyropia vittata sp. nov. 국명띠돌김 분 류 기준 / 모식표본 정보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Class Bangiophyceae Order Bangiales Family Bang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5. 12. 29. 표본번호 (E1604) 채집지 서식지환경 강원도양양군정암리 조간대암반 채집자김명숙, 고영호제주대학교생물학과 기타정보 미발표 식물체는조간대암반에부착하여자란다. 엽체는선형으로매우가늘고길게자라서띠와같은모양을이룬다. 열편은나타나지않으며가장자리에파상형의무늬도나타나지않으며거치상돌기또한형성하지않는다. 식물체는자웅동주로엽체의상부에는접합포자낭반이산재하고있으며엽체의기저부에는정자낭반이가장자리에형성된다. 생식세포는봄철에형성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김명숙작성일 : 2017 년 10 월 16 일 소속 : 제주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 접수 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 번호 - 161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조태오 )-001 학명 Phymatolithon sp. 3 국명미정 분 류 Class Florideophyceae Order Hapalidiales Family Hapalid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6. 10. 07 표본번호 CUK17428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우도면산호사해변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조태오 조선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엽체는 Rhodolith 형태로발달하고엽체의표면위에원통형또는납작한돌기를많이낸다. 엽체의크기는 1-2 cm 이다. 엽체의표면세포는세포벽이두꺼운 Phymatolithon-type 의세포를발달한다. 엽체는엽체의기부로부터한방향으로발달하며납작하거나둥그스름한 1 층의표피세포를갖는다. Subepithallial cell 은 3 번째발달하는세포의크기보다작은것이특징이며각각의세포들은세포융합에의해연결되어있다. 분자분석결과이종은 Phamatolithon 그룹의기준종인 P. calcareum 과자매군을형성하였지만 psba gene 내에서약 2% 정도의 gene sequence divergence 를보여우리나라신종후보종으로보고하고자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조태오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조선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 접수 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 번호 - 162 -

미기록 / 신분류군발굴 미기록분류군 신분류군 일련 번호 해조류 2017 ( 조태오 )-002 학명 Phymatolithon tenue (Rosenvinge) Düwel & wegeberg 1996 국명 - 분 류 Class Florideophyceae Order Hapalidiales Family Hapalidiaceae Subfam. 채집일시 2016. 10. 07 표본번호 CUK17442 기준 / 모식표본 정보 채집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우도면산호사해변 서식지환경 모래해변 채집자 조태오 조선대학교 기타정보 국내미기록종 발표문헌정보 Diagnosis Düwel, L. & Wegeberg, S. (1996). The typification and status of Leptophytum (Corallinaceae, Rhodophyta). Phycologia 35: 470-483. 엽체는 Rhodolith 형태로발달하고엽체의표면위에돌기를내지않고매끈하게기는형태로발달한다. 엽체의크기는 2-3 cm 이다. 엽체의표면세포는세포벽이두꺼운 Phymatolithon-type 의세포를발달한다. 엽체는엽체의기부로부터한방향으로발달하며납작하거나둥그스름한 1 층의표피세포를갖는다. Subepithallial cell 은 3 번째발달하는세포의크기보다작은것이특징이며각각의세포들은세포융합에의해연결되어있다. psba gene 을이용하여얻어진분자분석결과우리나라에서채집된이샘플은 P. tenue 의 syntype 에서얻어진염기서열과일치하였다. 따라서이종을우리나라미기록종으로보고하고자한다. 그림또는사진 작성자 성명 : 조태오작성일 : 2017 년 7 월 24 일 소속 : 조선대학교 모식 / 기준표본제출정보제출일접수자접수번호 - 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