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중학역사2(046~079)4 2014.1.6 1:9 PM 0 페이지56 mac02 T CD 활용 - 차시별 활동지 192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의 전개 1 지도상의 유의점 문화 통치가 민족을 분열 하여 식민 지배를 효율적 으로 하기 위한 기만 정책 이었음을 파악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문화통치와식민지수탈정책의전개 15`차시 한국인 중 우리와 같은 정신을 가지고 목숨을 바쳐 협력할 중심적 친일 인물을 물색하고 그 인물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여 각자 사정에 맞게 친일 단체를 조직하도록 해야 한다. - 사이토 마코토, 조선 민족 운동에 대한 대책 일제는 왜 친일 인물을 양성하려고 하였을까? 정답 한국인들의 저항을 무마하고 민족 운동 세력을 분열시키기 위해서이다. 조선에 부임한 조선 총독 가운데 유일한 해군 대장 출신이었 던 사이토는 부임하자마자 애국지사 강우규의 폭탄 투척 의거 에도 살아남았다. 그는 선임 데라우치나 하세가와가 펼쳤던 무단 통치에 변화를 주어 문화 통치를 실시하였다. 학습목표 일제가 기만적 문화 통치로 한국인의 저항을 무마하고자 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산미 증식 계획의 실시로 농민들의 처지가 악화되었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가 민족 분열을 조장하다 3,000 2,761 (개) 일제는 3 1 운동을 계기로 우리 민족을 회유하기 위하여 무단 통치 20,000 (명) 2,500 15,392 15,000 2,000 독이 될 수 있는 기준을 바꾸어 문관도 총독이 될 수 있도록 하였고, 10,000 1,500 1,000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 제도로 바꾸었다. 5,435 751 에서 이른바 문화 통치 로 그 지배 방침을 바꾸었다. 일제는 조선 총 5,000 500 일제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한국인이 간행하는 신문도 허용하였 0 1918 1920 (년) 경찰 관서 0 1918 1920 (년) (조선 총독부 통계 연보, 1925) 보통 경찰의 실상 1910년대에 비해 경찰 관서와 인원이 크게 증가 하였다. 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가혹한 통치를 은폐하기 위한 위장술에 경찰 수 지나지 않았다. 일제는 우리나라에서 쫓겨날 때까지 문관 총독을 임 명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경찰의 수도 무단 통치 시기에 비해 더 많 동아일보는 1920년 9월 25일 장덕수의 사설이 일본 천황의 상징을 마치 우상 숭배에 자주 쓰이는 아졌다.것처럼 묘사했다는 것과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만든 것을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든 것에 비유 했다는 이유로 처음으로 무기 정간을 당하였다. 무기 정간은 1921년 1월 10일에서야 해제되었다. 우리글로 된 신문에 대한 사전 검열도 매우 심하였다. 일제는 조금 이라도 눈에 거슬리는 내용이 발견되면 기사를 삭제하거나 신문 발 행을 금지하였다. 민족 운동에 대한 탄압도 이어졌다. 일제는 치안 유지법을 적용하 여 민족 운동가들을 잡아들였다. 또 민족 운동 세력을 분열시키는 데 힘을 쏟아 친일파를 집중적으로 양성하였다. 그 결과 지식인 중에서 독립보다는 일제에 협력하여 자치권을 얻어 내자고 주장하는 사람들 일제는 1925년 치안 유지법을 만들어 천황제에 반대하는 사람과 사회주의자를 가 도 나타났다. 혹하게 탄압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심지어 머릿속에 있는 생각, 마음 한 켠의 양심 한 자락 조차 처벌할 수 있었다. 일제는 이를 통해 사회주의자 뿐만 아니라 민족주의 독립운동가들도 탄압하였다. 검열로 삭제된 신문 기사 056 II. 민족 운동의 전개
221중학역사2(046~079)4 2014.1.6 1:9 PM 페이지57 mac02 T 식민지 수탈이 더욱 강화되다 이 무렵 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일제는 산미 증 식 계획을 실시하여 필요한 식량을 확보하려 하였다. 산미 증식 계획은 저수지를 늘리고 농사법을 개량하 여 쌀의 생산을 늘리려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 의 본래 목표는 일본으로 더 많은 쌀을 가져가려는 것 이었다. 일본으로 가는 배에 실리기 전에 군산항에 쌓여 있는 쌀가마들 산미 증식 계획으로 쌀 생산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 군산은 쌀 수탈의 전초 기지 였다. 최대 곡창 지대인 호남 평야와 논산평야의 쌀이 군산 항에 쌓였다가 일본으로 수송 되었다. 산된 쌀보다 더 많은 쌀이 일본으로 반출되어 국내의 식량 사정은 더욱 나빠 졌다. 이 때문에 농민들은 자신이 생산한 쌀을 먹지도 못하고 만주에서 들여 온 값싼 잡곡으로 연명하였다. 일제는 쌀을 증산하는 데 드는 저수지 건설 비용이나 비료 대금 등을 모두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의 지주 문 재철은 70~80%에 이르는 소작료 를 걷었다. 한국인 농민들에게서 거두어들였다. 지주들도 일본에 쌀을 내다 팔기 위해서 소작료를 높게 책정하였다. 이 때문에 농민들의 처지는 더욱 악화되었으며, 살길을 찾아 만주로 떠나는 사람도 많아졌다. 한편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하여 일본의 산업이 발전하자 일제는 자기 나라의 자본가들이 한국에 자유롭게 진출할 수 있도록 회사령을 철폐하여, 회사 설립 조건을 허가제에서 신 고제로 바꾸었다. 이로써 일본인 회사들은 한국에 쉽게 들어 와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돈을 벌 수 있게 되었다. 국외로 이주하는 농민들 회사 설립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되자 민족 기업의 설립이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호남 지방의 지주 김성수가 창설한 경성 방직 주식회사, 서민 출신이 일으킨 평양 고무신 공장, 평양 메리야스 공장 등이 있다. 탐구 탐구 탐구활동 활동 활동 자료 1 산미 증식 계획 산미 증식 계획의 목적 쌀의 증산량과 반출량 자료 2 쌀 생산량 일본의 쌀 소비는 연간 6,500만 석인데, 생산량은 5,800 20,000 석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일본의 인구는 매년 70만 명씩 늘 15,000 어나고 있고, 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매년 쌀 소비량도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쌀 증산 계획을 세워 일본의 식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산미 증식 계획 요강 쌀의 일본 반출량 (천 석) 15,174 12,708 14,324 14,773 10,000 5,000 1,750 0 1920 3,316 1922 0.8 17,298 5,429 4,722 1924 1926 (석) 13,511 0.4 7,450 1928 0.6 5,426 1930 (년) 0.2 0.0 (조선 총독부 농림국, 조선 미곡 요람, 1936) 과제 자료 1을 보고, 일본이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한 이유를 말해 보자. 과제 자료 2를 보고, 산미 증식 계획 이후 우리나라 농민들의 생활이 어떠했을지 말해 보자. 정답 일본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시 답안 쌀의 증산량보다 일본으로 반출되는 양이 더 많아 국내의 식량 사정이 악화되었다. 농민들은 증산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였고, 지주들이 소작료를 높게 책정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에 시달렸다. 02. 192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의 전개 057
2 058 II.
221중학역사2(046~079)4 2014.1.6 1:9 PM 페이지59 mac02 T 일제는 조선 교육령을 제정하여 우리 민족을 일제에 절대적으로 충성하고 순종하는 국민으로 만들려고 하였다. 이 에 일본 국민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를 강조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실용 교육만을 받도록 하였다. 그 결과 1929년 보통 학교 취학률이 18.4% 수준에 머물렀으며, 그나마도 높은 수업료 때문에 중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1930년 국세 조사 자료에 나타난 문맹률은 77.7%였으며, 남자 63.9%, 여자 92%였다. 농촌 계몽 운동이 번지다 국권 피탈 후 일제의 우민화 교육으로 한국인들의 상당수는 문맹 상태에 놓 여 있었다. 실력 양성의 필요성을 주창하던 민족 운동가들은 문맹을 퇴치하는 것이 민족의 당면 과제라 생각하고, 사립 학교와 개량 서당, 야학에서 우리나 라의 글과 역사를 가르쳤다. 일제의 사립 학교 탄압으로 서당이 점차 증가하여 1911년 16,500여 곳에 달하던 서당은 1917년 24,300여 곳으로 늘었다. 하지만 일제는 1918년 2월 서당 규칙 을 제정하여 서당을 탄압하였다. 조선일보는 1929년부터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는 표어를 내세우고 문자 보급 운동을 전개하였다. 동아일보도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여 농촌에 한글을 보급하고 생활 개선을 위한 계몽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들은 농촌 사회를 계몽하는 것이 민족의 힘을 기르는 방법이라고 생 각하고 농촌으로 귀향하여 학생 계몽 대, 학생 강연대 등을 조직하여 활동 하였다. 농촌 계몽 운동이 확산되자 조선 총 브나로드 운동(1931~1934) 독부는 이를 탄압하였다. 이 때문에 브 브나로드는 민중 속으로 라는 뜻의 러시아 말이다. 동아일보는 학생들에 나로드 운동을 비롯한 농촌 계몽 활동 은 1935년 이후 중단되었다. 문자 보급 운동 게 농촌으로 가서 농민들을 가르쳐야 조선일보가 중심이 되어 한글 보급에 나섰다. 한다고 호소하였다. 조선어 연구회 창립 회원이자 주시경의 제자인 장지영이 주도하였으며, 그는 한글원본 을 만들어 농촌 지방에 배 부하였다. 문자 보급 운동은 신문사에서 제공하는 교재를 이용해 방학 중에 귀향하는 학생들의 참여로 전개되었다. 도움 글 심훈의 상록수 1,600만 명에 이르는 농민 문맹자를 대상으로 문맹 퇴치와 교양 수준의 향 상, 보건 위생 의식의 확대 등을 목 표로 전개되었다. 브나로드 운동이 끝난 1935년, 동아일보 창간 15주년 신문 연재소 설 모집의 당선작이다. 심훈이 공동 경작회를 운영하며 야학을 비 롯한 농촌 계몽 운동을 벌이는 조카 심재영의 헌신적인 삶에 감동 받고 55일 만에 집필했다고 전해진다. (강습소) 안은 콩나물을 기르는 것처럼 아이들로 빡빡하다. 선생이 부비고 들 어갈 틈이 없을 만치 꼭꼭 찻다. 아랫반에서 가 자에 ㄱ을 붙이면 각 이라고 읽는다. 나 자에 ㄴ을 붙이면 난 이라고 읽는다. 하면서 다리도 못 뻗고 들어 앉은 아이들은 고개를 반짝 들고 칠판을 쳐다보면서 제비 주둥이 같은 입을 일 제히 벌렸다 오므렸다 한다. 어느 날 일본 경찰이 아이들 80명만 남기고 50여 명을 쫓아내라고 한다. 예배당을 두른 야트막한 담에는 쫓겨 나간 아이들이 머리만 내밀고 쭈욱 매 달려서 담 안을 넘겨다보고 있지 않은가. 나무에 오르고 담장에 매어 달린 아이들은 일제히 입을 열어 목구멍이 찢어져라고 농민독본의 구절을 바라다보 심훈의 소설을 영화화한 신상옥 감독의 상록수 소설 출간 당시 심훈이 영화화를 진행하였으나, 조선 총독부의 방해로 영화 제작이 무산되었다. 고 읽는다. 바락바락 지르는 그 소리는 글을 외는 것이 아니라 어찌 들으면 누구에게 발악을 하는 것 같다. 심훈은 소설 상록수 에서 주인공 채영신이 일제 경찰의 방해를 받으면서도 아이들에게 글을 가르치려고 힘겹게 싸우 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다. 02. 192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의 전개 059
3 060 II.
061
4 062 II.
063
5 064 II.
221중학역사2(046~079)4 2014.1.6 1:10 PM 페이지65 mac02 T 지안 현을 중심으로 무송, 장백, 통화, 유하현 등 각 현의 동포 사회를 통할하는 일종의 자치 정부로 발전하였으 며, 휘하에 5개 중대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 로 3부 중에 가장 활발하게 독립 전쟁을 전개하였다. 북만주 지역에서 돌아온 독립군 세력을 중심으로 영안에서 조직되었으며, 김좌 진이 주도하는 북로군정서 계열이 주축 을 이루었다. 성동 사관학교를 설립해 독 립군 간부를 양성하고, 둔전제를 실시하 였다. 3부가 항일 투쟁을 이어 나가다 만주로 되돌아온 독립군은 독립군 단체의 통합에 힘썼다. 그 결과 남만주에 참의부와 정의부가 결성되었고, 북만주에 신민부가 조직되었다. 이들 3부는 길림성과 봉천성 일대의 동포 사회를 통 치하였으며, 의무병제를 실시하여 상비 군과 헌병대, 민경대 등을 갖추었다. 훗 날 한국 독립군과 조선 혁명군 사령관으 로 활약한 지청천과 양세봉이 정의부 의 용군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각자의 관할 지역에서 한국인들의 자치 행정을 맡아보는 민정 기구와 독립군 의 훈련을 담당하는 군정 기관을 갖추고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만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독립운동 단체들을 통합 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 결과 여러 단체들이 남만주의 국민부와 북만주 1919년 11월 9일 중국 길림성에서 13명의 한국 청년들에 의 해 조직되었으며, 그 이름은 천하의 정의(正義)로운 일을 맹 렬(猛烈)히 실행하라 는 공약 제1조에서 정의 의 의 와 맹렬 의 렬 을 따 지은 것이다. 의 혁신 의회를 결성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항일 운동을 펼쳤다. 신채호는 일제를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는 길은 오로지 민중의 직접 혁명뿐임을 강 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민중의 각오가 필요한데, 의열단의 개인 폭력 투쟁이 바로 민중을 깨우쳐 혁명의 길로 나서게 하는 선구적 역할이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의열단이 항일 의거 활동을 펼치다 1919년 김원봉은 만주에서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김익상 김상옥 조선 총독부 폭탄 투척 (1921. 9.) 종로 경찰서 폭탄 투척 (1923. 1.) 신채호는 조선 혁명 선언을 작성하여 의열단의 투 나석주 식산 은행, 동양 척식 주식회사 폭탄 투척 (1926.12.) 쟁 노선과 행동 강령을 제시하였다. 의열단원들은 조선 총독부의 고위 관리를 처단하거나 관공서를 황해 파괴하는 활동을 펼쳤다. 동해 경성 최수봉 부산 밀양 경찰서 폭탄 투척(1920. 12.) 1920년대 중반 이후 의열단은 활동을 좀 더 조직 도쿄 밀양 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의열단은 중국 국민당 정부의 협조를 받아 황푸 군관 학교에 단원을 입학시켜 군사 훈련을 받게 하였다. 그리고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설립하였다. 박재혁 김지섭 부산 경찰서 폭탄 투척 (1920. 9.) 일본 왕궁 폭탄 투척 (1924. 1.) 의열단의 활동 의열단이 추진한 거사 가운데 최초로 성공한 의거로, 부산 경찰서장 하시모토가 사망하고 일경 두 명이 부상을 입었다. 박재혁은 부상 을 입어 현장에서 체포되었으며 일제의 회유 에 단식으로 맞서다가 결국 1921년 5월 옥중 에서 사망하였다. 1932년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난징에 문을 연 독립운동 군사 간부 양성 학교로 실습 군사 정치 등을 가르쳤다. 1935년 9월까지 1기생 26명, 2기생 55명, 3기생 44명 등 총 125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이육사와 윤세주 등이 대표적인 이 학교 출신 독립운동가들이다. 1 다음 내용이 맞으면 `표, 틀리면 X표를 하시오. 2 ⑴ 일제는 문화 통치로 지배 방침을 바꾸어 문 관을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 ⑴ 동아일보는 ) 브 나 로 드 운동을 전개하여 농민 계몽에 힘썼다. ⑵ 산미 증식 계획으로 쌀 생산량이 증가하여 국내의 식량 사정이 좋아졌다. (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⑵ ) 광 주 학 생 항 일 운 동은 3 1 운동 이후 최대 의 민족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⑶ 북로 군정서와 대한 독립군 등 연합 부대는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 ) 자 치 운 동 세력은 일제와 타협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주장하였다. ⑷ 신채호는 만주에서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 ⑶ ⑷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은 ) 신 간 회 를 결성하였다. 02. 192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의 전개 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