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선교 제 28 집 : 165-193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 가톨릭관동대학교, 역사신학 ) 국문초록 본연구는한국개신교교회건축사에대한신학적비평의시도이다. 기존의개신교교회건축사는건축학분야에서주로연구하였다. 이연구는과거건축학적연구성과를개신교역사의맥락에서재해석하고신학적논평을통해한국개신교회건축의진일보된건축담론에참여하는데그목적이있다. 우선기존의건축학연구들은한국근대사의건축사적변화를기준으로시대구분을하였다. 그시대구분은일반적으로다섯시기로한국개신교교회건축사를나누었다. 이글에서는한국기독교건축사를네시기로구분하여서술한다. 1. 개신교선교이전천주교회건축 2. 선교초기부터한일합방까지 3. 한일합방이후일제강점기 4. 해방이후현재까지로구분하여서술한다. 그리고기존의건축학논문과달리각시대의교회건축에대한건축학적연구성과에교회사적관점에서신학적비평을시도하였다. 초기천주교회건축과개신교회건축은어떤신학적동기보다는한국에존재하는전통적건축을교회건축으로차용하는형태였다. 자연스런신학적토착화의시기였다. 일제강점기는서구식건축의도입기로감리교회는전형적인서구형건축을시도하였고장로교회는한국의토착적건축양식을교회건축에도입하였다. 해방후에한국교회는다양한교회건축을시도하게된다. 가장큰변화는 1970년대이후교회건축에모더니즘이도입되어다양한교회
166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건축이시도되었다. 개신교회교회건축은가톨릭교회와성공회교회건축이전례의공간으로서가지는규칙과는달리설교를위한강당이그교회건축의중심개념이다. 그러나한국개신교회건축은교회가수용한전통적위계적사회질서, 성적이데올로기, 성장위주의교회개념을반영하여문제점을남겼다. 미래의한국개신교회건축에는성차별의해소, 평등한공동체그리고구성원의소통과지역사회와교회의소통이강조되는공간으로변화가요구되고있다. 주제어 : 한국개신교회건축사, 건축양식, 교회사적변화, 신학적반성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67 I. 서론 서구기독교건축의역사는시대정신의표현이라는과제를역사적으로잘보여주고있다. 1) 초기바실리카양식, 비잔틴양식, 로마네스크양식, 고딕양식, 르네상스양식, 바로크양식및현대양식등시대마다독특한교회건축을이어왔다. 그것은교회건축이시대적문화의핵심을표현하는양식이며 2) 시대정신을담는그릇의역할을하였다는것을보여준다. 3) 이글은한국의기독교건축즉교회건축에나타난시대상에대한개괄적검토를목표로한다. 필자는건축학전공이아니라신학부문교회사전공으로서이글에서교회건축에대한건축사적비평이아니라교회사적, 신학적비평을시도한다. 한국의기독교는 1784년천주교의전래와그로부터 100년뒤인 1884년개신교의전래로각 200년과 100년이넘는역사를갖게되었다. 한국은기독교가뿌리를내리는동안구한국의개화시대, 일제강점기, 그리고해방후라는역사적격변기를겪었다. 이는정치적사회적변동과더불어물리적인분양에서도격렬한변화를경험하였다. 한국사회의이러한급격한변화에따라한국기독교역시많은변화를겪었다. 이글은이러한사회적변화에따른한국교회건축의변화의양상이어떠한지를고찰하고자한다. 한국교회건축의시대구분은이미건축전공자들이심도있게논의하였다. 4) 한국기독교의역사를모두 8 시대로구분하고그에따른연구 1) G. E. Kidder Smith/ 김호준역, 敎會建築 ( 서울 : 1986, 대신기술 ) ; 정시춘, 교회건축의이해 ( 서울 : 도서출판발언, 2000). 교회건축은그시대의물질문명의상황과더불어정신적사상적영향을배태할때진정한건축이된다. 2) J. Dahinden, New Trends in Church Architecture (New York: Universe Book, 1967). 참조. 3) M. Child, Discovering Church Architecture (Aylesbury, Bucks: Shire Publication, 1976). 9.
168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자들의시대구분을소개하고교회사를개괄한후다섯시대로구분하였다. 1) 1863-1904: 선교의실현및교회건축의도입기 2) 1905-1912: 교회건축의발전과정립기 3) 1913-1953: 교회건축의침체기 4) 1954-1970: 교회건축의부흥기 5) 1954-1990: 교회건축의다양화및전성기 그러나본고에서는이러한 5 단계의시대구분을사용하지않고네시기로나누었다. 그이유는선교이전의시기에교회건축으로서천주교회의건축을이해하고, 초기선교시기를소개하고일제강점기와해방이후로구분하였다. 그이유는한국개신교역사에서일제강점기와해방후를역사적으로구분하기때문에개신교역사구분에따라건축사를재구성하려시도하였고일제와한국전쟁시기를침체기라고묶기보다는구분하는것이낫다고보았기때문이다. 그리고 1970년이전과이후를구분하는것은건축비전문가인필자의능력범위에있다고보기때문이다. 5) 1) 개신교이전천주교회의건축양식 2) 선교가시작된 1884-1910년한일합방까지 3) 한일합방부터 1945년광복까지 4) 최성연, 도선봉, 한규영, 韓國敎會建築의時代區分과그特性에關한硏究, 건설기술연구소논문집 제 16 집제 1 호 (1997), 167 이하. 5) 건축학자들은 1970 년대를한국건축사에서해외에서유학하고돌아온신진건축가들에의한모더니즘건축이본격화된시기로본다.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69 4) 1945 년이후부터현대까지 이글에서는이렇게네시기로구분하여그시대의건축사를개괄하여보고자한다. 그리고한국교회건축에주된특성으로존재했던것들과그리고현재교회건축에반영된사상들그리고아직도우리교회건축에부재한것이무엇인지를살펴보아한국교회건축의성격을드러내려한다. 그러한전망은교회건축사적연구에한국교회사의신학적비평을시도하는형식이될것이다. II. 천주교회의건축양식 : 1894-1910 개신교회의선교이전에이미 1784년이승훈이북경에서구베아주교에게베드로라는이름으로영세를받고귀환하여조선에첫수세자가타생하였다. 이것이한국천주교회의시작이다. 개신교보다꼭 100년이앞선천주교회는나름의천주교회의건축양식을가지고있었다. 천주교회는 1791년신해박해로시작하여 1801년신유박해 1829년기해박해 1868년병인박해등연이은박해로정규적인신앙생활이불가능하였다. 따라서이시기의천주교회는천주교회의신학에근거한규범적인성당을지을수없었다. 천주교회는박해시기에는한옥사가 ( 史家 ) 서당그리고일부는사찰을빌려미사를드렸다. 1900년이전에건축된한옥성당은현재보존된것은없다. 다만기록에의하면고산되재성당 (1894) 과대구계산동성당 (1899) 이한옥성당이었다고전해진다. 6) 되재성당은팔작지붕의 7) 단층 6) 문흥길, 한국에서프랑스교회건축양식의수용과정, 교회사연구 제 5 집 (1987), 359-
170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목조건물이었고계산동성당은그리스십자형평면에팔작지붕으로전체 45칸의대형건물로서단청을구비하였다고한다. 현존하는한옥성당은화산성당으로건축연대는 1906년이다. 정남북종축건물로긴직사각형건물이고홍콩과마카오의성당건축양식을도입한종탑과십자가를설치하였다. 이러한한옥건축이생성된요인은전통문화에대한토착화추구, 재정의빈곤, 건축경제의미발달과기술자부족, 전통사찰건축의영향과교육건축인서당의영향을꼽을수있다. 초기한국에온프랑스신부들이한옥건축을지었던요인들이이러한배경에서시작된다고보는데특히기술자부족과자금의부족이가장큰원인이었을것이다. 1910년대가지나면서한옥지붕과서양식벽체를결합한절충형양식이나타나기시작한다. 8) 비슷한상황에서재정형편이나아지고기술이축적되면서새로운건축양식이나타나기시작하였다. 특히당시에출현한지붕은한옥벽체는양옥으로짓는한양절충식 2층건물이대거출현하기시작한것도절충식성당의출현과깊은관련이있다. 절충식성당은주로파리외방전교회 9) 의지역에서활발하게건축되었다. 대개평안도지역에서많이지어졌다. 파리외방전교회선교사들은만주지역에서도활발하게활동하였기때문에이절충식건물은한국과서양식절충형식보다는한국과중국의절충적형태를띠게되었다. 1916년절충식으로개조한화산성당과구포동성당 (1922) 충무성당 360. 7) 위쪽절반은박공지붕처럼세모꼴이고아래쪽절반은우진각지붕처럼네모꼴로된지붕. 합각지붕 ( 合閣 ) 8) 한양절충식 ( 韓洋折衝式 ) 한옥과양옥의절출형으로일반적으로지붕은한옥벽체는양식을채택하였다. 9) 파리외방전교회는 1829 년기해박해이후조선교구의독립이논의되면서한국교회의선교를맡은프랑스선교부였다. 한국천주교의전례와건축양식에압도적영향을주었다.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71 (1929) 등이있다. 1886년조선과프랑스정부사이에정식으로한불수호조약이체결되어프랑스의한국내토지구입과건물건축이가능하게되었다. 프랑스신부들은박해시대와역사적연계가있는지역그리고프랑스선교부의활동이활발했던지역들에활발하게새로운성당을건축하였다. 당시한국의서양식건축양식은르네상스양식이었으나성당건축은고딕양식을따랐다. 고딕양식은원래서구의중세적건축양식을대표하는것이었다. 그러나건축기술이축적되지못한당시에는벽돌을사용한고딕부흥 (Gothic Revival) 의형식을띠게되었다. 10) 당시에지어진성당들은약현성당 (18920, 명동성당 (1898), 인천답동성당 (1899), 평양관후리성당 (1900), 대구계산동성당 (1902), 강원도풍수원성당 (1907), 전주전동성당 (1914) 등이다. 11) 프랑스신부들에의한성당건축의수용의특징은전국에등간격으로분포되고도시집중률이높다. 건축을주도한것은주로프랑스신부들이었다. 프랑스신부들은성당건축모양을본국에있는자신들의성당을모방하였다. 이러한경향은초기부터일제강점기내내계속되었다. 한국에프랑스건축양식의도입과정은박해받던교회가종교자유를얻으며신앙을지켜냈다는자부심이건축에자연스레배어났다. 그결과본국의건축양식을강조하게되었다. 또한어느경우이든지해외에거주하는사람들의경우본국의건축양식을선호하는경향이있다. 파리외방전교회신부들의경우에는한옥 10) 문흥길은유사고딕혹은잔류고딕 (Gothic Survival) 이라고표현하고있다. 잔류고딕과고딕부흥 (Gothic Revival) 의차이는잔류고딕은현대건축에잔존하는고딕양식의잔류형식으로회고적건축양식을의미하고고딕부흥은중세의고딕양식을부흥시켜현대화하려는시도이다. 그러나고딕건축의본질적성격을지켜내지못하고고딕양식을모방하는수준에그치게되었다. 11) 문홍길, 한국에서프랑스교회건축양식의수용과정, (1987), 362.
172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의불편함을여러면에서호소하였고또한국에서성당건축비를대거담당하는등건축주체로서의역할을했기때문에본국에서익숙한고딕양식을선호하게되었던것이다. 이러한건축주체가프랑스신부이기때문에때로는한국에서건축주와한국인들사이에건축과정에갈등이일어나기도하였다. 12) 그러나한국에서고딕성당은고딕이의미하는중세적위계와전례라는관점이한국에서그대로수용되었는가의문을낳고있다. 한국에서중세적보편사상이나신학이고딕양식을통해표출될만큼보편화되었는가의문제가제기된다. 13) 그럼에도불구하고건축사적으로한국의프랑스식고딕성당은몇가지의의를가진다. 일본의근대건축양식에서독립된한국의근대건축양식이라는점이다. 그리고당시에한국에소개된르네상스양식 14) 속에서중세의전통을가져온고딕양식과로마네스크양식을수용하였다는것이다. 건축에한국인교우들이참여하여건축의토착화가일정부분이루어졌다는것, 그리고한옥성당절충식성당에서보이듯토착화건축의가능성이나타났다는점도중요한요소이다. III. 초기성공회의건축양식 : 1892-1920 성공회는개신교회이면서전례를강조한다는점에서는천주교회와유사한측면이있다. 15) 따라서건축에대한신학혹은철학적관점을가 12) 명동성당은풍수설, 토지매입, 특히왕궁보다높은위치에지어짐으로인한위압감은한국조정과심한갈등을노출하였다. 이것은성당건축이한국사회와갈등한대표적인경우이다. 13) 문홍길, 한국에서프랑스교회건축양식의수용과정, (1987), 368. 14) 덕수궁석조전이대표적인건축이다.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73 진개신교회가우리건축사에서는성공회가될것이다. 성공회의초기의건축양식은한옥건축이었다. 그대표적인예가코르프주교가지은장림교회 (1892) 드레이크와힐러리신부가지은강화성당 (1900) 힐러리가건축한온수성당 (1906) 쿠퍼신부가지은부대성당 (1920) 충남천안의병천성당 (1921) 16) 휴렛신부가건축한진천성당 (1930) 역시휴렛신부가지은충주성당 (1931) 등이있다. 성공회성당건축은 1800년대후반부터 1930년대까지오랫동안한옥성당의토착화건축을하였던것을알수있다. 정동 ( 正東 ) 방향에제단을설정하는전통적성공회교회건축방식과는달리강화성당온수리성당등을제외하면대개는방위에큰비중을두지않았다. 즉한옥성당은전통한옥의배치를구대로수용한측면이많았던것이다. 또한재료의측면에서도전통한옥의재료를거의그대로사용하였다. 그러다가 1900년대가되면서지붕은기와로이고벽체를벽돌로쌓는절충식건축이등장하기시작하였다. 강화성당이대표적인예이다. 벽체가벽돌로바뀌면서창문역시한지창문에서유리창으로전환이나타난다. 성당건물꼭대기에십자가를얻었고 17) 한옥에서는원래없던종탑을세우는경우도있었다. 18) 건물의규모도커지고지붕의형태도전통적곡선에서직선이더강조된다. 한옥이면서서양의교회건축의특징을건축에반영하려는경향이더욱강해진다. 19) 15) 김성우 한광선 송석기, 한옥교회건축형식의성격과전개과정 ; 가톨릭과성공회를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17 권제 9 호 (2001), 177-184. 건축사적으로성공회교회와천주교회의시기적발전의유사성에관한이연구는이런유사점을보여준다. 16) 병천성당은현대식벽돌조건물로신축하여옛성당건물은교육관으로사용중인데지방문화재로지정받지못해보존상태가좋지못하다. 17) 성공회는토착화된연꽃모양십자가를사용한다. 대한성공회기도서표지의십자가문양을참조하라. 18) 종탑과십자가는초기건물부터일반한옥과구별하기위하여설치하였다. 19) 김성우 한광선 송석기, 한옥교회건축형식의성격과전개과정, (2001), 183.
174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1930년대가되면그동안축적된건축기술이새롭게반영된다. 지붕을한옥으로유지하는것은그대로지만벽체를좀더서구적인형태로변형시키게된다. 그리고전통한옥과달리측면중앙에출입구를배치하였기때문에출입구를중심으로측면이정면처럼보이게하려는경향이강해진다. 이렇게되면 1900년대이전의한옥성당과 1930년대한옥성당은상당히다른모양을보이게되었다. 즉성공회성당은천주교회의한옥성당과더불어적어도세단계의변화를거쳤다는것을보여준다. 특히강화지역은성공회의발전에매우특별한관련이있는지역이다. 강화는우선섬지역으로서섬나라출신인영국성공회신부들에게익숙하고친숙한환경이었다. 그리고초기선교사들은서울에서 100리이내에서만자유로운활동을할수가있었는데그 100리되는지점이바로강화였다. 20) 성공회첫번째주교코르프 (C. J. Corfe) 는워너 (L. O. Warner) 주교의강화지역보고를듣고강화선교를 1892년개시하였다. 뒤이어트롤로프 (M. N. Trollope) 힐러리 (F. R. Hillary) 의료선교사로오스 (A. F. Laws) 등이강화도에파견되어사역을시작하였다. 강화도의성공회건축은초가한옥형태의건축냉정리 (1938) 삼흥리 (1907) 석포리 (1906) 흥황리 (1920) 등이있다. 이후에점차적으로초가지붕을양철지붕으로교체하는추세이다. 한옥성당으로는단층삼랑식성당으로온수리 (1906) 석포리 (1906) 삼흥리 (1907) 내리 (1907) 흥왕리 (1920) 장화리 (1952) 가있고단층일랑식성당으로는넙성리 (1965) 초지 (1915) 냉정리 (1938) 선수리 (1965) 등이있다. 강화의성공회한옥성당은 1950년대이후에도출현하고있다. 즉강화에서한옥성당은현대화의추세속에서도토착화의한유형으로정착해왔다. 21) 초가지붕에서 20) 최영기, 한규영, 江華지역聖公會敎會建築의土着化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17 권제 9 호 (2000), 539. 21) 그러나 1980 년대이후현대화의추세가나타나면서성공회에서는장방형의성당석포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75 양철지붕으로변화는신학적인것이아니라거축재료의변화를직접적으로반영한다. 성공회의교회건축은서울주교좌성당처럼전례중심의공간구성을시도한로마네스크양식의압도적인규범적건축이있는반면많은경우는그시대의일반적한국건축을차용하는등혼합적인형식을띠었다. 그이유는성공회가선교상황에따라유동적으로교회건축양식을채택하였기때문이다. 그런점에서성공회의건축역시영국성공회와는달리한국토착화과정을밟아왔다고할수있다. IV. 선교초기개신교의교회건축 : 1884-1910 한국의개신교전래는문화적으로이중적의미를가진다. 하나는새로운문화의전래와유입이라는변화의과정의시작이고다른하나는그에대한반발로일어나는전통을유지하려는힘이다. 건축이라는것역시그러한전래적요소와그에상응하는전통을유지하려는힘의대립과조화속에서일종의문화적혼종성 (hybridity) 을경험하게된다. 한국개신교회의교회건축의역사는초창기선교사들이기거숙식을해결하기위하여한옥을사용할수밖에없었던환경에서출발하여서구식건축이유입되고또한국과서구식이절충되거나토착화되는과정을밟게된다. 흥미로운것은한국개신교의가장큰교파인장로교와감리교의경우장로교는초기한옥교회가대세를이룬반면에감리교회는서양식건축이이식되는형식을띠고있는점이독특하다고할것이다. 22) 근본적 리 (1991) 삼흥리 (1988) 장화리 (1988) 송산 (1990) 냉정리 (1991) 흥황리 (1992) 넙성리 (1993) 또는정방형교회는내리 (1983) 교회가신축되었고물고기모양의초지교회 (1986) 강화민가지붕모양의석포리 (1986) 등새로운토착화가진행되고있다.
176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으로반가톨릭적인칼빈주의의성향과당시한국에도래한장로교선교사들이복음주의적경향을강하게띠고있어서반가톨릭적경향을강하게보여준것과어떤관련이있다고추측된다. 반면감리교선교사들도복음주의적경향이있었으나장로교회보다는좀더신학적개방성이있었던것으로보인다. 특히북감리교회가신학적으로더개방적이었던것으로보이는데이러한요소가감리교회의건축이성공회또는천주교회의예전전통을장로교회보다더수용했기때문에변형된고딕양식의건축을했다고해석할여지가있다고보인다. 미국에서파송된선교사들은대개무디 (D. L. Moody) 부흥운동의영향을받았고이들복음주의자들의보기에고딕양식은중세천주교의영향이라는점에서수용이어려웠다. 그래서주로미국내에서도로마네스크양식이 19세기에성행하였다. 이러한미국본토의영향과더불어만주선교에서는중국과서양식의절충형교회건물이일반적인추세였고산동에서는토착화된중국식건물을교회로사용하는경우가많았다. 23) 한옥건축은한국최초장로교회최초의교회인솔내교회 (1884) 새문안교회 (1887) 의주서교회 (1886) 솔내기와교회 (1894) 선천북교회 (1897) 장대현교회 (1900) 강계읍교회 (1900) 청주신대교회 (1901) 청주읍교회 (1904) 서울연동교회 (1907) 대구남성로교회 (1908) 선천남교회 (1910) 묘동교회 (1910) 서울남대문교회 (1910) 등이설립되었다. 24) 한국교회의요람으로알려진솔내교회는전형적초가집 2 칸짜리 22) 이점은선교부의재정적여력과관련이깊다. 19 세기후반미국감리교회의교세는미국장로교회교세의열배를넘고있었다. 23) 옥성득, 초기한국개신교예배당의발전과정과특성 : 기독교근대성과토착화문제, 1885-1912, 동방학지 141 권 (2008), 269-278. 24) 도선봉 최성연 한규영, 開化期韓國改新敎會建築의形成에대한硏究, 建築技術硏究所論文集 제 16 호제 1 권 (1997), 159-160.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77 건물이었다. 초가한채를구입하여교회로쓰다가 1895년경기와집으로개축하였고 8칸으로확장하였다. 용마루에십자가를달아교회로표시하였다. 한옥의장변진입방식을그대로유지하였다. 25) 한옥교회의최초의형태로서한옥을개조없이그대로사용한전형적인예가된다. 새문안교회는원래언더우드가정승강노의저택을구입하여쓰던것을사랑채를개조하여교회로사용하였다. 사랑채 2칸을서양식발코니로개조하여사용하였다. 건물을개조한흔적은전혀없고다만건물의공간을새롭게사용하였다. 평양장대현교회는대동강변의높은언덕에위치하였다. ㄱ자형태를유지한건물이다. ㄱ자형태를유지한이유는남녀의좌석을구분하기위한것이었다. 한국교회건물에서 1920년대이전까지ㄱ자형을유지하거나휘장을가리거나혹은예배당에낮은장벽을세워남녀좌석을구분한것은한국교회의전형적인특징이었다. 장대현교회는모두 72칸의규모로방대한크기를자랑하였다. 좌는남자석우는여자석으로구분하였고여자석앞에성가대석의자는장의자를창측에붙여배열하였다. 강단은 40cm 높이로높여구분하였다. 출입문을장변부에서단변부로옮겨전형적인한옥건축의형태에서벗어나교회건물로서의특징을갖춘최초의교회건축물이되었다. 전주서문밖교회는 1897년전주성문안은송리초가에서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05년교인의증가에따라서문밖에 30칸짜리한식기와집을지었다. 1907년부흥운동으로교회가급성장하자ㄱ자형교회로증축하였다. 광주북문안교회역시ㄱ자형교회로건축되었다. 초기장로교회건축의일반적특징은한옥을그대로사용하다가교인수가증대하면서증축해나가는방식을선호하였다. 대부분은남녀석 25) 측면에출입구를배치하는한옥의형식.
178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의구분을이유로ㄱ자형교회가건축되었고아니면긴장방형평면도를유지하는건물로확대되었다. 내부공간의진입은전통적인한옥의진입방식을유지하였다. 교회의상징성을위해서종탑이나현판을달게되었다. 건축에있어서토착적성격을확연하게보여주었다. 반면감리교회는서구건축의이식과정을그대로보여주고있다. 정동교회 (1897) 서울상동교회 (1901) 인천내리교회 (1901) 평양남문밖교회 (1903) 평양창동교회 (1905) 평양서문밖교회 (1909) 서울새문안교회 (1910) 서울종교교회 (1910) 서울동대문교회 (1910) 등주로감리교회들이다. 가장대표적인것이정동감리교회이다. 건물은정서쪽을향해건축되었는데이것이구약성서의성전의방향과일치하지만그것이의도적인신학적배치인지는알수없다. 정동교회는 1895년착공하여 1897년준공하였다. 약현성당 (1892) 명동성당 (1889) 등천주교회의건축이거대하게이루어지자거기에개신교회가자극을받아건축하였다. 건평 115평의건물로라틴십자가형평면을유지하였다. 서울상동교회는 1900년착공되어이듬해에준공하였다. 긴장방형건물로남녀입구를구별하는두개의현관을목조로만들었다. 입구정면에커다란아치로장식하고강단은반원형으로구분하여강단과회중석을구분하였다. 원산감리교회는 1903년에준공되었다. 카나다출신의하디선교사가미국남감리회선교부로이적하였고원산을중심으로활동하여원산교회를건축하였다. 목재로건물을지었고고딕복고양식으로건축하였다. 양철지붕에고딕형창문을측면에배치하였다. 두개의문을달라서왼쪽은남자용오른쪽은여자들이사용하였다. 장의자를배치하지않고마룻바닥에앉아서예배를드렸다.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79 새문안교회는감리교회가아닌장로교회로서기존의한옥교회를헐고 1910년준공하였다. 전체적으로고딕형외관을취하였고적색벽돌로쌓아지었다. 별다른장식이없는내부공간과창문은반원형로마네스크양식으로 3연창을내었다. 출입구를대칭으로두개를내어남녀출입구를구분하였다. 연동교회도서울에소재한장로교회로서양철지붕에서양식창문으로장식하였다. 서울종교교회미국남감리교켐벨에의해서 1910년 80평규모의단층벽돌건물로건축하였다. 두개의높이가다른고딕형탑을세웠다. 높은탑아래출입구는남성용낮은탑아래출입구는여성용으로구분하였다. 감리교회의건축들이주로서구형건물을이식하였는데초기에는십자가형태의장방형건물이주종을이루었다. 정면에서는탑을건축하여남녀입구를구분하였다. 기단부처리나창호형태에한국적문양을삽입하여매우부분적으로토착화된건축의형식을유지하려시도하였다. 남녀출입구를구분하고남녀좌석을구분하는것은한국교회가유교적가치관을계속하여유지하고있었음을보여준다. 26) 초기개신교건축의가장중요한특징은자본과재료그리고건축기술의축적에따른것이라고보아야할것이다. 19세기말미국에서가장큰교파는미국북감리교회였다. 그런이유로장로교선교사언더우드는연희전문을설립하고지속적으로감리교회와연계하여학교를운영하였다. 그래서감리교회는서구형건물을주로지을수있었다. 그것은자본의우위의결과였다. 장로교의경우는한옥교회가많았던이유도감리교회에비해비교적적었던자본력과관련이있고자립, 자치, 자전의네비 26) 옥성득, 초기한국개신교예배당의발전과정과특성 : 기독교근대성과토착화문제, 1885-1912, (2008), 307-309.
180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우스원리가감리교회가아닌장로교회의선교정책이었던이유도본국에서장로교단과감리교단의교세의월등한차이에서비롯했다고보아야할것이다. 초기에나현재나개신교회의경우는천주교회나성공회에비해서신학과예전을교회건축과연관짓는경우는거의없었기때문에교회건축은자본력과입수가능한재료들그리고건축기술이허용하는범위에서교회가건축되었던것이다. 그것은교회규모에서먼저드러난다. 교회는교회가자립할수있는만큼성숙하여지어지고그교회당을유지할수있는규모로건축되었다. 교회건축은기존의토착적한국의종교문화와충돌하는경우가많았다. 제국주의라는과격한용어는굳이사용할필요는없겠으나개신교의문화적인우월성은성황당과같은마을의토착신앙을소멸시키는데앞장섰다. 27) 개신교회의건물이수축되는과정은천주교회나성공회처럼동일한과정을밟았다. 대도시의경우는양식에관계없이규모가방대한교회를건축하였고지방에서는개인의주택의일부를예배처소로사용하다가가정집한채규모로교회를건축하였다. 그러다가교회의규모가커지면언덕위에교회를건축하였다. 28) 언덕위가선호된이유는우선가시적으로높은곳에있어시각적상징성이컸다. 그리고언덕은청결한공기와접해있어위생적으로도적절한곳이었다. 개신교회의일반적인한양절충식건물은천주교회나성공회의그것과는달랐다. 천주교회와성공회는지붕을한국식으로유지하고벽체를벽돌조로시공하여한양절충식건물을만들었으나개신교회는지붕을 27) 이러한개신교의요소는미신타파와문화적계몽이라는주장과함께문화제국주의의반성을요하는부분이기도하다. 28) 서울의선교부도정동북쪽언덕에서서대문을거쳐아현동에이르는언덕에정착하였다.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81 양철지붕으로이고벽체를한국식으로만들기도하고지붕을한옥으로하고벽체를서서히서양식으로만드는등경우에따라자유롭게절충하여건물을지었다. 교회의내적통일성이강한천주교회와각개교회의독립성이강한개신교회가건축과정에서도그러한교파의특성을잘보여주는부분이라할것이다. 평면도상의형태도처음에대개장방형에서ㄱ자형으로변화하는것은교인의증대와남녀좌석의구분의필요성이시대의흐름에맞아들어간결과라할것이다. 십자가형교회도있었지만개신교회의경우는그것이어떤신학적전례적필요에서나온것은아니었다. 교회건축공간에서남녀구분은매우철저하게지켜졌다. 신약성서가말하는급진적남녀평등의윤리는초창기한국교회의경우에는없었다고할수있다. 건축형태를매우불편한ㄱ자로유지한다는것, 남녀출입구를구분하는것ㄱ자형건축이되지않은곳에서는휘장과병풍을사용하여남녀좌석을구분하는등남녀를구별하는데철저하였다. 일상화된유교윤리가한국교회에깊이들어온까닭이었다. 29) 교회안에양반석과천민석이구분된것은한국교회에여러이야기가전해진다. 그만큼신분전통은쉽게해소되기어려운과제였다. 1905년승동교회가설립되고여기에일부천민들이출석하면서양반들이연동교회로옮겨가고결국승동교회에서안동교회가연동교회에서묘동교회가독립하여양반교회를이루게된다. 이런요소는교회건축과젠더 (Gender) 의과제그리고계층문제와교회건축사이의중요한상관관계를보여준다. 29) 옥성득, 초기한국개신교예배당의발전과정과특성 : 기독교근대성과토착화문제, 1885-1912, (2008), 310.
182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V. 1945 년해방이후현대의건축양식 일제강점기는교회건축역사에서암흑시대로구분된다. 그만큼교회건축이쉽지않고한국인의자율성이억압되었기때문일것이다. 30) 게다가해방후남아있던건물들은한국전쟁으로파괴되고말아한국교회건축은긴암흑기를거쳤다. 그러나이시대의건축의흐름은그전시대의흐름의연장선에서추론할수있을것이다. 31) 개신교회의교회건축은전례나신학의흐름을따르지않는매우융통성있고실용적인관점에서건축된다는점이그것이다. 따라서일제강점기에는한국사회의생산력의흐름에따라교회건축이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의교회건축은주로벽돌조로점차변모되어갔다. 32) 이러한경향은하나의추세를이루어왔다. 이러한경향은사실 1960년대말까지지속되어고딕양식을변형하여짓는방식을이어왔다. 그예가영락교회 (1950) 아현감리교회 (1961) 평안교회 (1965) 아현성결교회 (1955) 등이대표적인건물이다. 영락교회는고딕양식을추구하였다. 창호의첨두아치와출입구상두의첨두아치들은전형전인고딕양식의표현이다. 그러나교회를증축하고난후의여러건물에포위된현재의영락교회는고딕적인요소들이많이감소해보인다. 33) 그러나의문인것은왜이시기에영락교회가중세의고딕양식을추구하였느냐는것이다. 거기에는명료한신학적이유 30) 이글의서론참조. 1910 년부터 1953 한국전쟁이끝날때까지를침체기로분류하였다. 31) 실지로일제강점기에건축된교회에대한연구조사나결과가거의없다. 32) 김현용 홍승재, 근대벽돌조교회건축의구조와의장특징연구, 대한건축학회 2004 년도추계학술대회 제 24 권제 2 호 (2004), 849-850. 이연구에의하면일제강점기건축은긴소강상태를보이다가한국전쟁이끝나면서교회건축이폭발적으로늘어나는것으로보고하고있다. 33) 이호진, 한국의교회건축 ( 서울 : 산업도서출판공사, 1996), 16.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83 는없다. 고딕양식이원래죄의식을강조한속죄신학에서구원의상승을향한열망의표현이었지만영락교회라는개신교회가고딕양식을추구해야할시대적이유는없었다. 34) 아현감리교회는쌍탑형식과창호의첨두아치와창호의창살형식그리고출입구상단의장미창 (Rose Window) 에서고딕양식을찾아볼수있다. 특히쌍탑은중세적첨탑분위기를느끼게하여고전적고딕양식을모방하고있다. 평안교회는고딕양식을취하였지만특히높은종탑을강조한건물이었다. 그리고종탑위에축조된뾰족한첨탑은수직성을강조하여고딕양식을강조하였다. 지붕의급경사첨두아치와장미창을넣어고딕양식을강조하였다. 아현성결교회의경우는석재를주재료로사용하여고딕의형식을고조시키려시도했다. 종탑을높여장엄한부분을강조하여고딕양식을강조하였으나건물외관에내부기능의표출이도드라져서약간의부조화를이룬다. 1960년대한국개신교회건축에나타난고딕양식열풍은한국전쟁의참화를딛고일어나는한국사회의건축의다양성속에서도시의대형건축들이들어서고도시가확장되는과정에교회의건축적정체성을강조하려는시도라고추론된다. 일반건축과구분되는교회의고유한시각적이미지를고딕양식에서찾은것으로보인다. 교회건축의전환점은 1970년대로이때부터교회건축은그이전에건축이갖던제약의상당부분을벗어나다양하고성찰적이며여러가지미적인요소들도도입된교회건축의전성기가열리게된다. 우선교회건 34) 해방직후한경직목사의설교가대부분새로운한국의건설에초점이맞추어져있었던것을보면고딕양식의영락교회건축은신학적연관성을거의없다고보인다.
184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축의수적증가가가파르게일어났다. 그리고교회의규모도상당히커졌기때문에교회건축의르네상스가시작되었다. 35) 그런건축의경향은크게세가지형태로나타났다. 서양의고전적건축의형식을빌어교회전통의이미지를나타내려한양식, 둘째는전통적인서양건축의이미지를현대화한표현양식을추구한것이다. 예를들면고딕양식처럼높은첨탑과수직을강조하지만그형태를현대화한것을들수있다. 셋째는전통적교회건축의의장이나감각에서벗어나자유스런의미의기능적건축적표현을시도한경우로대별된다. 상동감리교회 (1974) 는감리교회건축의보수성에서벗어나고딕양식을탈피하였다. 그리고남대문시장의지역적특성을살려서다용도복합건물을건축하였다. 그럼에도건물외양은고딕의특징을반영하여현대화하였다. 지하 2층지상 9층으로당시에는전국에서규모가가장큰교회건물이었다. 노량진교회 (1975) 는전면에서볼때삼각형의구도를하여수직적의미를부여하였고교회건축의상징성을부여하려하였다. 내부고현대화하여장방형의전통적양식이아니라강단과회중석을부채꼴로만들어강단과회중석의간격을친근하고가깝게표현하였다. 전통적공간이강단과회중석사이의위계를강조했다면노량진교회는강단과회중석의교제와친근감을강조했다고할것이다. 연동교회 (1977) 는전면에서볼때삼각형을유지하여외부를적색벽돌로마감하고수직적요소를강조하여교회건축의상징성을드러냈다. 광림교회 (1978) 는상동교회처럼전면에아치를배치하여고딕적형식을현대화하였다종탑을높이올려수직성을강조하였고전면기둥을회랑과연결하여경건성을표현하려하였다. 35) 정시춘, 교회건축의이해 (2000), 165.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85 여의도순복음교회 (1973) 는다수의회중을수용하기위하여돔형지붕을사용하고내부공간을가능한크게확보하려는실용적건축을시도하였다. 새로이건축된새문안교회와소망교회건물은교회의형식을가능한드러내지않으려한건축이라고보인다. 장방형의건물은건축자체는교회로서의이미지를최소화하였다. 다만전명에화랑을두고종탑을설치하여교회건물임을표현하였다. 36) 1980년대이후의건물은건축가의개인적창의성이건축에더욱반영되기시작하였다. 고전적형식의건축이대체로줄어들었고고전미는현대화된디자인으로재현하여표현하였다. 그리고교회의의미를추상화하여표현한건축이강화되었다. 아니면부분적으로교회의상징과이미지를건축에삽입하는형식을추구하기시작하였다. 1984년건축된덕수교회는적색벽돌로외장을마감하였고둥근아치가있고정면에원형창을배치한로마네스크양식의건물이다. 장방형평면을유지하여보수적형태를고수하였다. 1985년건축한사랑의교회도적색벽돌조건물이다. 출입구의둥근아치와창호의수직적요소구조벽의수직적요소들이교회의전통적이미지를나타낸다. 1981년건축된경동교회는외부벽돌을거칠게깨뜨려붙여서자연미를강조하고있다. 이런이미지는경동교회의저항적민주화시대의역할을돋보이게한다. 해방후한국개신교회건축은 1950년대이후나타난고딕양식의유행기를지나서 1960년대이후미적감수성, 제약없는표현성등이새로운모더니즘건축사조를통해다양하게표현되기시작하였다. 36) 앞의책, 18-21.
186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VI. 결론 한국기독교건축의역사를요약하자면천주교성공회장로교등대개교파들의건축이구한국시대에는한옥교회가주류였다. 다만감리교회는초기부터서구식건물을유입시켜독특한특징을보여주었다. 1900년대이후에는절충식건물로한옥지붕에벽체가양식이거나양식지붕에한식벽체를쓰는식으로절충적형식을취하였다. 시대의변화에따라생산력이증대되고벽돌조건물이증대되어왔다. 일제강점기와한국전쟁시기의건축활동의침체기를제외하고 1950년대후반부터한국교회의건축은활기를띠게되었다. 그후에 1970년대이후에는한국교회건축의르네상스가열려건축의수, 규모질적변화가나타나게되었다. 한국교회건축에는한국교회의역사가그대로반영되었다. 그것은한국교회건축에존재양식으로나타났다. 한국개신교회는초기부터하나의집회장소로서사용되고건축되어졌다. 천주교회나성공회교회건축이전례를중심으로공간의내부배치가의도적으로조성된것과는달리개신교는정교한예배형식이아닌일종의집회형식이주도하였다. 1907년대부흥운동은한국개신교회의성격을극적으로규정하였다. 37) 한국기독교의예배의형식과설교의형식을부흥집회의형태로뿌리내리게하였다. 그래서결과적으로성례전이극도로약화된교회가되고말았다. 따라서한국교회는교회의외형이나내부구조가교회의 37) 한국의부흥운동에영향을준미국의무디부흥운동도사실야외집회에서기원하였다. 18 세기와 19 세기의미국의부흥운동은천막집회가선호되었다. 한국에서도 1930 년대 3 천명이상을수용하는천막집회가감리교의정남수목사에의하여성결교회부흥운동의한축을이룬다. 뿐만아니라 1970 년대이후교회개척시대에천막에서시작했다는전설들이대개의한국교회에상당히유포되어있다. 이런요소는교회건축의의미를상당히제한적으로바라보게하였을것이다.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87 신학과그맥락을일치시키지못하는경우가많은구조가되었다. 고딕양식교회를한국교회가일반적으로선호했지만고딕양식이의미하는전례공간이라는개념은한국개신교회에는전무하였다. 이것이건축과신학의깊은불일치를가져왔다고할수있다. 38) 한국개신교의주류흐름은교회를집회의공간으로인식하였고성장위주의정책을펴왔다. 초기장로교선교부의네비우스정책이시간이지남에따라자급이라는개념에서성장이라는개념으로그리고거대화라는개념으로확산되어왔다고할수있다. 한국교회는거대한고딕양식, 고딕부흥으로표현되는고딕건물의유행과는달리고딕건물이상징하는전례또는예식이극도로약해내부는강당처럼사용된다는특징이있다. 선교와성장의혼동역시이러한경향을부채질하였다. 교회안에깊이내면화된영성이세계를하나님나라로만들어간다는선교개념이아니라단순하게요약된교리를전파하고그것을기초로일반인을교인으로만들고세계를교회화 (Churching) 하는것을선교라고생각하는개교회의제국화라는선교개념이팽배한것도교회건축에나타난영향이라고할수있다. 개체교회가제국화하는것은시장화된사회에서교회가자본주의적확충을경험함으로써자본주의도시계획에편입되어있음을보여주는것이다. 39) 다행스런것은최근들어교회의사회적책임에대한경각심이늘어나는것이다. 40) 지역사회와소통이강조되고그래서위압적인건축이아 38) 이정구, 한국교회건축과기독교미술탐사 ( 서울 : 동연, 2009), 106. 39) 최병두한지연편역, 자본주의도시화와도시계획 ( 서울 : 한울, 1989), 자본축적 ( 성장 ) 과도시계획에관한하비와몰렌코프의글을참조하라. 60, 90 이하. 40) 이서영, 지역사회와교회건축 ( 서울 : 프리칭아카데미, 2008), 이연구는교회건축과지역사회와연계성을체계적으로보여주는신학적연구의고무적인성과이다.
188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니라친근한건축으로전환이나타나고있는점은고무적인것이다. 41) 또한주위환경을고려하는건축이늘어나는것도매우긍정적인현상이라할수있을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한국교회의건축에근본적으로부재하는것이있다. 그것은본질적인신학적탐구를통해드러난다. 먼저한국교회건축에부재하는것은역사혹은공동체의역사이다. 일부교회에서역사관을만들어교회의역사를재구성하려는시도를한다. 42) 그러나교회의역사를역사관으로재구성하는방법도있지만건축에반영하는방법을모색할필요가있다고본다. 한국교회에공동체의역사의부재는오랜동안한국교회가걸어온실용주의성장주의현실주의를반영한다. 한국교회가질적인격적변화보다양적성장을추구하고영적내면적구원을추구하기보다는현세의필요와욕망을충족시키려는기대에부응한것이한국교회의현실이다. 따라서개인의인격영성죽음역사등인간의내면에대한탐구가적었다고할수있다. 원래교회는죽음혹은죽은자와깊은관계를구성하였다. 43) 예수그리스도가십자가에죽으셨다가부활하신분이다. 신약성서에따르면그리스도인들역시예수와함께죽고부활하는존재상징된다. 따라서공동체가죽은자를기억하는것은역사를구성하는행위이며동시에영적행위가된다. 이정구의주장처럼교회에납골당을구성하는것은혐오시설로여겨지는납골당을교회에안치하여신학적의미를부여하고그망자의가족을교회로전도하는매우중요한과제를함유하고있다. 44) 41) 정시춘, 교회건축의이해 (2000), 197-202. 42) 새문안교회의역사관이대표적인시도이다. 43) 이정구, 교회건축에서죽은자의공간, 長神論壇 제 40 집 (2011), 172. 이하.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89 일례로일본가미고리복음교회 ( 上君福音敎會 ) 에는 45) 2층교제실에교회출석한후서거한교우들의사진을순서대로벽면에항시게시하고있다. 이는교회가성도의죽음을기억하고역사를보존하며죽은성도들과함께하고있음을보여주는매우유용한시도라고할수있다. 죽음자들을기억하지않는한국교회건축에납골당이나죽은자들의사진을항구적으로게시하는것은교회가영적으로연대하며죽음에대한신학을건축에반영하는유용한시도가될것이다. 한국교회건축에부재하기때문에반영해야할것은양성평등의과제이다. 신약문서는급진적인양성평등을보여준다. 그러나한국기독교는성장주의와말하는자와듣는자사이에성적불평등을심화시켰다. 그중에교회내부공간의위계화를들수있다. 오래전남녀를구분하는출입구의문제가아니라이른바강단에여성의출입을통제하는것을지적할필요가있다. 여성목사안수가일반화된만큼교회의양성평등지표는공간배치를통해나타나야한다고본다. 우선강단의위계화가우선적으로철폐되고오래전남녀사이의휘장을폐기한것처럼교회의여성공간이주방만존재하는것이아니라양성평등에근거한공간배치를의도적으로할필요가있다고본다. 사회적개방은최근의한국개신교공간구성에서실현되기시작한고무적인시도이다. 최근에건축된서초동사랑의교회는그규모의압도적요소및건축과정에서일어났던지역주민들과의마찰에도불구하고교회 1층중심부에시민을위한개방형공간을설계하고제공했다는점에서한국대형교회에서일어나는교회공간의사회적배려의시도라는점에서그변화를엿볼수있다. 44) 앞의논문, 178-179. 45) 일본효고현가미고리마을에있는교우 200 명의교회이다. 건축은전형적인미국식목조식 3 층건물교회다.
190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이러한요소는개신교회의지속가능성을공간에반영한다는측면에서교회가닫힌공동체가아니라열린공동체이며, 교회가내적결속과구원의게토라는개념에서교회가세계를환대하는공동체로서존재할때그지속성의가능성이열린다는점을한국개신교회가서서히이해하기시작하고있다는가능성으로볼수있다. 그리고이러한건축의변화는지역교회중심을벗어나 1990년대이후전개된다양한에큐메니칼운동으로 46) 확산되어한국교회의건강성과건축의상관성을높일필요성또한제기된다. 46) 김주한, 한국교회에큐메니칼운동의담론분석, 대학과선교, 제 26 집 (2014) 186-188.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91 참고문헌 김성우 한광선 송석기. 한옥교회건축형식의성격과전개과정 : 가톨릭과성공회를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제9호 (2001), 177-184. 김주한. 한국교회에큐메니칼운동의담론분석. 대학과선교 제26집 (2014), 167-198. 김현용 홍승재, 근대벽돌조교회건축의구조와의장특징연구. 대한건축학회 2004 년도추계학술대회자료집 제24권제2호 (2004), 849-852. 도선봉 최성연 한규영. 開化期韓國改新敎會建築의形成에대한硏究. 建築技術硏究所論文集 제16호제1권 (1997), 153-165. 문흥길. 한국에서프랑스교회건축양식의수용과정. 교회사연구 제5집 (1987), 357-371. 옥성득. 초기한국개신교예배당의발전과정과특성 : 기독교근대성과토착화문제, 1885-1912. 동방학지 Vol.141 (2008), 267-321. 이서영. 지역사회와교회건축 서울 : 프리칭아카데미, 2008 이정구. 교회건축에서죽은자의공간 長神論壇 제40집 (2011), 167-185.. 한국교회건축과기독교미술탐사. 서울 : 동연, 2009. 이호진. 한국의교회건축. 서울 : 산업도서출판공사, 1996. 정시춘. 교회건축의이해. 서울 : 도서출판발언, 2000. 최병두 한지연편역. 자본주의도시화와도시계획. 서울 : 한울, 1989. 최성연 도선봉 한규영. 韓國敎會建築의時代區分과그特性에關한硏究. 건설기술연구소논문집 제16집제1호 (1997), 167-175. 최영기 한규영. 江華지역聖公會敎會建築의土着化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제9호 (2000), 537-540. Kidder Smith, G. E. 김호준역. 敎會建築. 서울 : 대신기술, 1986. Child, M. Discovering Church Architecture. Aylesbury, Bucks: Shire Publication, 1976. Dahinden, J. New Trends in Church Architecture. New York: Universe Book, 1967.
192 대학과선교 제 28 집 (2015) ABSTRACT A Theological Criticism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Jong Hyun PARK (Assistant Professor,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This study is a theological criticism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Previously, studies in this field were carried out by scholars of architecture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reliable discourse o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vi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r criticism. In former researches,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yle of architecture. Former researches divided the era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history into five sections. This article will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1. before 1884: the era before the beginning of the Protestant mission, 2. 1884-1910: the era encompassing the beginning of the Protestant mission to the merge of Korea and Japan, 3. 1910-1945: the Japanese colonial era, 4. after 1945: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time. The early Korean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accepted the Korean traditional building Hanok as a church without any modifications. It was an era of natural indigenization of Korean church architec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dopted western style architecture. The Korean Methodist church tried to build a typical western style church building whereas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ried to build an indigenized church building according to the Korean tradition. After the
한국개신교건축사의신학적비평 박종현 193 emancipation of Korea from Japan in the year of 1945,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ried to build various types of modern architecture. As Korea accepted modernism, its influence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church architecture. In general, Catholic and Anglican chapels are built for rituals, whereas the Protestant chapels are built for sermons. This expl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reflects some historical problems: divisions among traditional social orders of class, conflicts between genders, conflicts of ideologies and differences of views on the idea of church growth. The Korean church has the social task to suggest a solution to sexual discrimination, social inequality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in the local society and it s ministry. These needs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in church architecture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Key Words: history of korean church architecture, architecture mode, historical change, theological reflection. 논문접수일 : 2015. 4. 10. 논문심사일 : 2015. 5. 2. 게재확정일 : 2015.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