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 운용과 한국의 과제 목 차 김 강 녕* 1) Ⅰ. 서 론 Ⅱ. 로봇무기체계의 개념과 유형 Ⅲ. 주요국의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현황 Ⅳ. 주요지상로봇무기의 개발운용사례 Ⅴ. 한국의 지상로봇무기의 개발운용현황과 과제 VI. 결 론 Ⅰ. 서 론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의 바둑대결로 인해 인공지능 이 많은 사 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또한 2016년 초 스위스 다보스포럼 즉 세계경제포럼(WEF) 에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제4차 산업혁명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이래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산업혁명(Industrial Revolution)은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활을 획기 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18세기 영국의 증기기관을 이용한 제1차 산업혁명, 19세기 전기를 이용한 제2차 산업혁명, 20세기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제3차 산업혁명 이 인간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제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로봇공학(Robotics)사물인터넷 등으로 대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이 인간 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좀 더 부연설명하자면,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지난 2016년 3월 1) * 조화정치연구원장, 미래군사학회 고문, 정치학박사, knkim333@hanmail.net. 봇무기체계 개발에 대한 소고, 주간국방논단, 1) 어하준 이현무, 지상로 연구원, 2016.12.16.), pp.1-2. - 185 - 제1651호(한국국방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선도적으로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과 무인수색차량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전 투에서는 전투의 전개가 고속화되고, 무기체계의 치명도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병 사의 안전과 전투의 효율성을 위해 인간과 유인시스템으로 수행되던 다양한 작전들이 지상 무인이동로봇(UGV, Unmanned Ground Vehicle)과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 등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군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지상로봇무기는 전투에서 편의성과 관련해서도 중요하 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인간을 대신할 수 있는 지상로봇무기체계의 전력화가 무엇보 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병역자원 대상인 남자 20 24세 인구가 현재 190만 명에서 2030년 119만 명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 속에서 2022년까지 육 군병력 10만 명 이상 감축을 계획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 이다. 이를 위해 로봇무기체계의 개념과 유형, 지상로봇무기체계 주요개발운용국의 현황, 주요지상로봇무기의 개발운용 현황, 한국의 지상로봇무기의 개발운용현황과 과제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고 8) 9) II. 로봇무기체계의 개념과 유형 1. 로봇무기체계의 개념 봇(robot)은 사람과 유사한 모습과 기능을 가진 기계, 또는 무엇인가 스스로 작업 하는 능력을 가진 기계를 말한다. 제조공장에서 조립, 용접, 핸들링(handling) 등을 수 행하는 자동화된 로봇을 산업용 로봇 이라 하고,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로봇을 지능형 로봇 이라 부른다. 지능형 로봇의 응용분야로는 ①가 로 10) 11) 12) 강병수, 미래전투에서의 로봇의 역할, 2004.1.17., http://cafe.daum.net/militarykorea/78fn/ 9) 어하준이현무(2016), 전게서, p.2. 10) 산업용 로봇은 공장의 라인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로봇을 총칭하는 말이 다. 산업용 로봇은 인간이 가진 신체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의 수단 중 하나로 주목받 고 있다. 이석규 외, 로봇 공학의 이해 (서울: 사이텍미디어, 2008). 11) 지능형 로봇이란 지능형 로봇(Intelligent Robots)은 외부환경을 인식(Perception)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cognition)하여, 자율적으로 동작(manipulation)하는 로봇을 의미한다. 기존의 로 봇과 차별화되는 것은 상황판단기능과 자율동작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상황판단 기능은 다시 환경인식기능과 위치인식기능으로 나뉘고. 자율동작기능은 조작제어기능과 자율이동기능으로 8) (검색일: 2017.3.10). - 187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버로봇, ②교육오락로봇, ③국방안전로봇, ④해양환경로봇 등을 들 수 있 다. 국방안전로봇을 좀 더 살펴보면, 지금도 각종 테러나 범죄에서 군사용 로봇의 활 약상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라크에 파병되어, 작전을 돕는 폭탄제거로 봇에서 재난현장에서 사람을 구출하는 안전로봇, 현재의 감시카메라(CCD)가 진화하 여, 범죄예방을 위해 순찰하는 감시순찰로봇에 이르기까지, 로봇기술에 의해, 사회가 지켜지는 시대가 열려가고 있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범죄사전예방, IT네트워크 와 연동되는 범인추적기능까지 갖게 되면, 안전로봇은 국방산업 및 보안산업의 꽃으 로 거대산업을 형성할 것으로도 전망된다. 인간의 형태를 모습으로 한 로봇을 휴머노이드(Humanoid, 인간형 로봇)라고 부른 다. 그리고 사람과 닮은 모습을 한 로봇을 안드로이드(Android) 라고 하는데, 이 말의 다른 뜻은 형태가 있으면서 자신이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계라는 것이다. 인 공의 동력을 사용하는 로봇은 사람 대신, 또는 사람과 함께 일을 하기도 한다. 통상 로봇은 제작자가 계획한 일을 하도록 설계된다. 로봇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고, 이미 1920년 체코의 극작가 카렐차페크(Karel Čapek)의 희곡 로섬의 만능로봇 (Rossum s Universal Robots)에서 인간의 특정한 노동을 대신하도록 고안된 기계에 노동을 의미하는 체코어 robota 를 붙이면서 유래 되었다. 강제로 일한다, 노동, 노예 등을 뜻하는 체코어 robota가 어원이며 이 로보타 사지원 실 13) (robota)에서 a를 빼고 만들어진 용어가 바로 로봇이다.14) 봇무기는 국방로봇 또는 군사용(또는 군사)로봇 등으로 불린다. 군사용 로봇은 군사적 용도로 사용되는 로봇으로 원격제어형과 인공지능형으로 구분된다. 군사용 로봇은 인간을 대신하거나 보조하며, 군사작전을 수행하는 지능형 로봇이다. 군사용 로봇은 기온차가 큰 야외환경이나, 폭탄이 터지는 가혹한 환경에서 주로 작동해야 하 므로, 부품내구성과 높은 신뢰성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험준한 지형에서 이동해야 하므로 자율이동기술에 대한 높은 수준의 연구가 필요하다. 군사용 로봇은 직접 전투 에 참가하는 전투용 로봇과 지뢰제거작업과 같은 지뢰제거로봇, 물품의 수송을 맡는 견마로봇(빅독 등이 유명), 감시경계임무를 수행하는 감시경계로봇 등으로 분류된 로 15) 눌 수 있다. 따라서 이 4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지능형로봇의 4대 중점 돌파기 술이라 한다. 지능형 로봇, 위키백과, https://ko.wiki pedia.org/wiki/(검색일: 2017.3.3). 12) 로봇, 위키백과, 전게서. 13) 유용원, 로봇 무기는 어떤 것들이 개발됐고 실전 배치된 것은?, 조선일보, 2010.8.2. 14)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2. 15)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2011, 군사용 로봇(military robot) 참조. 나 - 188 -
한국군사학논총 제 6 집제 1 권 (2017 년 6 월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2. 지상로봇무기의 주요유형 및 그 성능 봇무기는 크게 ①지상무인로봇(UGV), ②해양무인로봇 예컨대 무인수상정(USV) 및 무인잠수정(UUV), ③항공무인로봇, 예컨대 무인항공기(UAV) 등으로 나뉜다. 미래전장에서는 지상로봇은 간단히 인명을 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폭발물 제거(EOD: Explosive Ordnance Disposal), 군사정찰 등 많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항 공모함 이착이 가능한 항공무인로봇과 수상수중에서 활동하는 해양무인로봇 등도 현 재 개발운용되고 있다. 지상로봇무기에는 ①무인 다목적 감시정찰 및 전투로봇, ②착용형(wearable) 로봇, ③소형 특수전용 로봇 등이 있다. 작동형태에 따라서는 ①바퀴로 움직이는 차륜형, ② 무한궤도(캐터필러: caterpiller)로 움직이는 궤도형, ③여러 개의 다리로 이동하는 다 족형(多足型) 등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무인 다목적 감시정찰 및 전투로봇이다. 무인 다목적 감시정찰 및 전투로봇 은 부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홀로 진출해 적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통신중 계, 전투피해보고, 화생방 탐지 및 전파의 임무 등을 맡는 무기이다. 지휘소 또는 지 휘통제 차량에서 최대 25 떨어진 곳까지 진출해 작전을 벌이고 필요할 경우 기관총 이나 기관포, 유탄발사기 등을 가동해 전투를 벌일 수도 있다. 스스로 주변지형 등을 인식해 주행하는 자주행 기술개발이 이 무인차량의 핵심요소이다. 미국육군은 미래전장의 틀을 바꾸기 위해 수십조 원의 돈을 들여 미래무기체계 (FCS: Future Combat System)라 불리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중이다. 이 중 3분의 1 가량이 무인 로봇무기의 개발과 관련된 것이다. 미국에서 개발중인 무인전투차량 블 랙 나이트(Black Knight) 는 포탑에 30 기관포, 기관총을 달고 있는 중(重)전투 로 봇이다. 로봇무기 선진국인 이스라엘은 기관총을 단 감시경계 로봇인 가디엄 (Guardium) 을 만들어 배치했고, 프랑스는 대형 정찰용 무인차량인 시라노 (Syrano)를 개발중이 로 22) 23) 24) 다. 둘째는 착용형 로봇이다. 3D영화로 1,000만 관객을 돌파했던 영화 아바타 (Avatar) 에서는 지휘관 마일즈 쿼리치 대령이 탑승하여 강력한 중화기로 나비족을 공격하는 로봇무기가 등장한다. AMP슈트 (Amplified Mobility Platform suit)라 불리는 것이 용원(2010.), 전게서. 용한(2016), 전게서. 24) 유용원(2010..8.2) 전게서. 22) 유 23) 박 - 190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종의 입는 로봇, 즉 착용형 로봇이다. 착용형 로봇은 병사들의 근력을 강화, 병사들이 무거운 장비를 갖고 장시간 행군을 해도 지치지 않는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지휘관들의 오랜 꿈을 실현시킨 무기이다. 이 착용형 로봇 중에 대표적인 것은 헐크 (HULC: Human Universal Load Carrier) 이다. 미 버클리 바이오닉스사가 개발 중인 것으로 착용한 사람이 외부의 도움 없이 90 이나 되는 짐을 나를 수 있다. 일본은 센서를 통해 착용한 사람의 의도를 파악해 팔다리를 움직여 주는 착용형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셋째는 소형 특수전용 로봇이다. 도시지역 하수구건물 잔해지역 등 좁은 장소나 험 한 지형에서 주로 활용되는 로봇이다. ①카메라를 달아 병사가 손으로 던지거나 유탄 발사기로 발사해 사용하는 공처럼 생긴 로봇, ②계단바위 등 기존의 차륜형궤도형 로봇이 올라가기 힘든 곳까지 이동하는 뱀처럼 생긴 로봇, ③개구리나 메뚜기처럼 뛰 어오를 수 있는 로봇, ④바닷가재처럼 생겨 해저정찰을 하거나 기뢰탐지 등을 하는 로봇 등이 있다. 이처럼 생물체와 비슷하게 만든 생체모방 로봇은 작고 민첩하며 제 조가격이 상대적으로 싸다는 장점이 있다. 미래전장에서는 지상 로봇이 간단히 인명을 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폭발물 제거 (EOD: Explosive Ordnance Disposal), 군사정찰 등 많은 다양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간을 대신할 수 있는 지상 로봇무기체계의 전력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시대가 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지상로봇무기체계 주요선진국들의 개 발운용사례들이 이러한 점을 잘 시사해주고 있다. 바로 그것이다. 그것은 일 25) III.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현황 1. 선도국: 미국과 이스라엘 가. 미국 미래 무인체계기술 핵심요소는 상호운용성 및 모듈성, 통신, 지속적 복원력, 무기 탑재 등을 들 수 있다.26) 로봇개발 선도국들은 이미 국가주도의 지상로봇무기체계 용원(2010), 전게서. 25) 유 26)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p.18-20; U.S. Department of Defense, Unmanned System Integrated Roadmap(FY2013-3208) 참조. - 191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육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나라가 미국이다. 로봇기술 부문에 있어서 미국은 활발한 실용기술개발로 부동의 최고의 기술국으로서의 위상을 유지(기술수준 100)하 고 있다. 미국은 1980년부터 국방성 차원의 종합계획인 합동로봇프로그램(JRP, Joint Robotics Program)을 추진하여 미래전투체계(FCS, Future Combat System)에 기술기 반을 제공하고 있다. 지상로봇은 미 육군 외에 해 공군 및 해병대에 걸쳐 작전 및 전술제대급까지 전력화운용되고 있다. 보병작전지원용 무인차량(UGV)의 경우 일부 유무인 복합운용이 가능토록 개발중이며, 전투시 물자장비의 자율복귀 및 자율추종 기능을 연구중이다. 미국의 지상무인로봇 현황은 <표 1>과 같다. 27) <표 1> 미국의 지상무인로봇 개발 운영현황 소요군/기관 주요임무 비고 미 DARPA 정찰, 감시, 표적획득 시제(2대) 미 JGRE 정찰, 감시, 표적획득 시제(15대) 전력화(675대/15대 ARV 미 육군 정찰, 감시, 표적획득 는 FCS용 MDARS 미 육군 정찰, 감시, 표적획득 전력화(30대) MULE 미 육군/여단 지뢰/폭발물처리/다목적 전력화 예정(1,746대) Toughbot 미 육군 정찰, 감시, 표적획득 전력화(15대) 차륜형 RCCEE 미 육군 REV 시제(1대) BEAR 미 육 군 REV 시제(3대) (Wheel) 미 육 군, MARCbot 감시정찰, 폭발물처리 전력화(670대) 해병대 미 육군, Throwbot 정찰, 감시, 표적획득 시제(30대) 해병대 MACE 미 공군 지뢰/폭발물처리 1대 시제, 3대 생산 Robo-Trencher 미 공군 폭발물처리 전력화(2대) BomBot 미 해군 폭발물처리 전력화(1,842대) MK 3 RONS 미 해군 폭발물처리 전력화(271대) MV-4 미 육군 지뢰/폭발물처리 전력화(21대) SUGV 미 육군 정찰, 감시, 표적획득 전력화(1,245대) CBRN CUGR 4~5대 시제품, 2대 미 육군 정찰, 감시, 표적획득 CUGV 운용 궤 도형 ARTs 미 공군 지뢰/폭발물처리 전력화(74대) (Track) MTRS 미 해군 폭발물처리 전력화(1,372대) ABV 미 해병대 지뢰/폭발물처리 전력화(33대) Dragon Runner 미 해병대 감시정찰, 폭발물처리 전력화(10대) TUGV 미 해병대 화력지원 시제(6대) HULC 미 육군 병사 기동지원 기타 Stickybot 미 육군 감시정찰 Big Dog/L3 미 육군 물자수송 출처: 이상현 외, 무인로봇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운용개념 정립 (서울: 안보경영연구원, 2015), p.4. 구분 체계 CUGCV ODIS 27)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5. - 192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투로봇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각국의 기술선점전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미국은 정부와 군민간을 잇는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해 유기적으로 핵심기술을 확 보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군사로봇 로드맵에 따르면 초기단계는 기술혁 신을 통해 전투지원과 같은 병사들의 일을 자동화간소화함으로써 인간병사들이 실제 전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계획은 다음 단계에서는 더욱 확장된다. 로봇병사는 물론 로봇전차장갑차 등을 개발해 위험한 교전지역에 투 입되는 병사의 숫자를 대폭 줄이는 쪽으로 목표를 더 크게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전 투현장에서 요구되는 여러 능력을 가진 로봇을 다양하면서도 비용효과를 크게 개발하 는 방향으로 접근법을 수정하고 있다. 특히 로봇관련 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을 무기체계 획득과정에 즉시 반영할 수 있도 록 표준요구 등을 신속하고 융통성 있게 대응할 수 있는 최신 획득(무기체계 조달)행 정기법도 함께 개발하고 있다. 아무리 로봇관련기술이 발달하고 좋은 아이디어가 나 와도 이를 군에 공급하는 획득행정이 제대로 뒷받침해 주지 않으면 적시 공급이 어려 워지는 구조적 특성을 감안한 것이다. 미래전장에서는 지상로봇이 간단히 인명을 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폭발물 제거 (EOD), 군사정찰 등 많은 다양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육군의 경우 약 1,400개의 지상로봇을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금까지 지 상로봇에 선두에 있는 기업은 보스턴 다이나믹스 (Boston Dynamics)로서 무거운 물 건을 옮기는 견마용 로봇(Robot Mules)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까지 험로지 형에서 약 180kg(400 lbs)을 32km(20 마일)로 움직이는 견마용 로봇을 개발했다. 센 서와 비전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위치확인시스템)등을 이용하여 자 율적으로 움직이는 견마용 로봇도 개발했다. 또한 보스턴 다이나믹스 는 시속 약 46km(29마일)로 달릴 수 있는 치타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 로봇은 복잡한 관절과 척추를 가지고 있어 동물이 움직이는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전 28) 29) 30) 나. 이스라엘 SMI(안보경영연구원)이 합참에 제출한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 지상 채인택, 일본 신 로봇전략 성공하면 군사강국 부상, 중앙 선데이, 2015.7.24. 채인택(2015), 상게서. 30) 박용한(2016), 전게서. 28) 29) - 193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봇)체계의 기술수준은 미국대비 91%수준이다. 이스라엘은 상시 전쟁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국가로서 생존성 대책을 어느 국가보다도 우선시하고 있기 때문에 유 인전투체계 뿐만 아니라 무인전투체계 개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군 사용 로봇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첨단 기술 력을 접목한 소형 감시정찰장비(SUGV, Micro UGV, Thorowable UGV) 및 생체모방 형 신개념 무인체계를 개발중에 있고, 목표지향적 기술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전력화 를 추구하는 등 지상무인로봇전투체계분야에서 세계 2위의 기술력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감시경계용 로봇인 가디엄(Guardium)을 2009년부터 국경에 감시정 찰을 목적으로 선 배치하고, 실제운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개발하는 방법으로 진 화적 성능개량을 추진하고 있다(<표 2> 참조). 무인(로 31) 32) 체계 차 Eye Drive Guardium X VIPeR Black Thunder Eye Ball Robot Snake 처 출 : 이상현 외, 주요임무 륜형(Wheel) 육군 폭발물처리 감표적시정획득찰, 육군 감표적시정획득찰, 육군 육군 수송용 궤도형(Track) 육군, 특수전부대 화력지원 육군 통로개척 IA I社 기타(소형) 감시정찰, 육군 표적획득 감시정찰, 육군 표적획득 소요군/기관 Avantguard RE <표 2> 이스라엘의 지상무인로봇 개발 운영현황 비고 장능력 강화 2009년 가자지구 전투 운용 국경선 경비용, TOMCAR 무인화 IA I社 Guardium에 무 투 운용 자폭기능 탑재, 뱀 모양 2009년 가자지구 전 무인로봇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운용개념 정립 (서울: 안보경영연구원, 2015), p.4. 봇체계 운용 및 개발동향 을 보면, 이스라엘은 미국과 유사하게 다목적, 감시정찰 및 지뢰제거분야에 지상무인로봇을 운용중이다. 이스라엘은 이스라엘 방위 군(IDF: Israel Defence Force)의 지원 하에 엘빗 시스템(Elbit System)사와 IMI(Israel Military Industries) 및 IAI(Israel Aerospace Industries)를 중심으로 산학 지상무인로 33) 술품질원, 국방과학기술조사서 제4권: 기동(일반본), 2013.12. p.139. 33) 국방기술품질원(2013), 전게서, pp.145-146. 31) 국방기 32)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5.; Israel Ministry of Defense, Israel Defense Directory, 2013/14-194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협력벤처 G-Nius(G-Nius Unmanned Ground Systems)를 설립하여 자율주행기 술 등을 축적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미래기술이라 할 수 있는 2족4족로봇, 착용로봇 등의 기술에 대한 투자는 소극적인 편이다. 연의 34) 2. 기타 주요경쟁국의 현황 가. 독일 합참에 제출한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의 지상무 인(로봇)체계 기술수준은 미국대비 90%수준이다. 독일은 유인전투차량에 대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인전투체계 개발에 있어서는 유럽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과는 달리 지상무인차량 운용기반조성을 위한 분야별 핵 심기술 연구를 통해 가시적 성과를 획득하고 기술을 축적해 나가고 있다. 독일은 실 용화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무인자율화 관련기술을 꾸준히 개발하여 기반기 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 및 주변국과의 기술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독일은 PRIMUS(Program Intelligent Mobile Unmanned Systems)사업을 통해 지형정보가 없 는 지역에 대한 자율주행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독일정부는 2007년도이후 ICT 2020을 통해 로봇산업을 집중육성분야로 지원하고 있으며, DLR 로봇메카트로닉스 연 구소 및 프라운호퍼 연구재단 등 우수연구기관과 산학연 클러스터를 구축해 나가고 SMI(안보경영연구원)이 있다.35) 독일의 지상무인체계 운용 및 개발동향은 미국대비 80%수준이다. 독일은 유인전 투차량에 대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고 무인전투체계 개발에 있어서도 유럽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분야별 핵심기술연구를 통해 가시적 성과를 획득하 고 기술을 축적해 나가고 있다. 독일 방위청(BWB)은 PRIMUS(PRogram Intelligent Mobile Unmanned Systems)프로그램을 통해 무인전투체계의 핵심기술인 자율주행기 슬을 집중 연구중이다. 독일의 지상무인로봇은 미국, 이스라엘과 거의 동일하게 감시 정찰분야, 전투용, 폭발물/지뢰의 탐지제거분야에 운용되고 있다. 독일은 차량형 로봇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정찰 및 물자수송에 활용 중 전투용 무 36) 37) 34) 이상현 외(2015.4), p.82. 35) 이상현 외(2015.4), pp.86-87. 술품질원(2013), 전게서, pp.146-147. 36) 국방기 37) 이상현 외(2015.4), 전게서, p.87. - 195 -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한국군사학논총 제 6 집제 1 권 (2017 년 6 월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영방위산업체인 북방공업사(노린코, Norinco)가 군사 로봇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이 그룹은 중국 최초의 무인지상차량 전용 연구개발센터를 2014년 6월 말에 설립했다. 인민해방군용 무인지상차량을 개발하기 위한 기지이다. 중국은 국가 10대 집중육성분야 중 하나로 로봇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사회안전로 봇 개념으로 2001년 뱀로봇을 개발한 바 있고, 2007년 남극기지 탐사와 함께 지상무인 로봇 2대를 운용한 바 있어, 자율화관련 기반기술에 있어서는 상당한 기술을 보유하 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림테크놀리지그룹유한공사(Honglinxuebao Technology Group Limited)는 2010년에 트랙형 UGV인 스노우 레오파드(Snow Leopard) 는 사 47) 48) 3 (60kg) 개발한 바 있다.49) 라. 일본 본의 전반적인 국방과학기술수준은 2012년과 2015년 같은 미국 대비 84%로서 세 계 6위를 기록하고 있다. 일본도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국방 지상로봇사업을 적 극 추진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세계로봇올림픽을 개최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이 분야에 큰 관심을 보인 바 있다. 세계적인 로봇강국인 일본은 이미 지 난 2015년 1월 23일 로봇혁명실천회 주도로 국가적인 로봇비전전략 실행계획을 담은 신 로봇전략 을 발표했다. 아베 총리는 발표장을 직접 방문했다. 이 전략에 따르면 일 본은 2020년까지 달의 남극기지에 로봇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일본의 재무장 움직 임과 관련해 주목해서 보아야 할 대목이다. 아베 총리의 자민당은 2016년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승리하며 중의원참의원을 통틀어 개헌선 이상의 의석을 확보했다. 이에 따 라 전쟁금지를 명시한 평화헌법 제9조를 개정해 전쟁할 수 있는 일본 을 만들 가능성 이 커지고 있다. 일본은 이미 민간기술을 바탕으로 핵로켓기술을 사실상 확보하고 있 다. 여기에 첨단로봇전력까지 더해지면 일본이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을 뒤흔드는 군 사강국으로 부상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지상로봇무기와 관련해서 거미 형태(6족)의 지뢰 탐지용 로봇무기와 감시정찰(투척형)용 로봇무기를 개발중이다. 일 50) 51) 52) 47) 채인택(2015), 전게서. 48)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6. 49)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98. 빙홍보원, 질적 성장추진과 함께 기술력 51) 채인택(2015), 전게서. 50) 국 르다, 세계 9위에 오.com/2892(검색일: 2017.3.11). 52)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4. - 198 - http://demaclub.tistory
한국군사학논총 제 6 집제 1 권 (2017 년 6 월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3. 요약 봇무기체계 개발과 관련해서는 크게 선도국과 주요경쟁국으로 분류된다. 전 술한 바와 같이, 지상로봇무기체계 선도국은 미국과 이스라엘이다. 로봇기술 부문에 있어서 미국은 활발한 실용기술개발로 부동의 최고의 기술국으로서의 위상을 유지(기 술수준 100)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상시 전쟁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국가로서 생존성 대책을 어느 국가보다도 우선시하고 있어 유인전투체계 뿐만 아니라 무인전투체계 개 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며 군사용 로봇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집중적으로 투자 하고 있다. SMI(안보경영연구원)이 합참에 제출한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이스 라엘 지상무인(로봇)체계의 기술수준은 미국대비 91%수준이다. 선도국의 뒤를 이어 독일, 프랑스, 러시아, 중국, 일본 등이 그 뒤를 이어 경쟁을 벌 이고 있다. 독일, 프랑스 등은 차량형 로봇을 적극적 개발하여 정찰 및 물자수송에 활 용중이며, 현재 전투용 무인로봇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러시아는 기본적인 로봇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플랫폼 분야 기술이 최고수준이며 자동통제, 감시정찰, 원 격제어 등의 기술수준이 높으나 지상무인전투체계 개발시 일부 핵심기술에 대해서는 이 분야의 선도국과 기술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은 국가 10대 집중육성분야 중 하나로 로봇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사회안전로 봇 개념으로 2001년 뱀 로봇을 개발한 바 있고, 2007년 남극기지 탐사와 함께 지상무 인로봇 2대를 운용한 바 있어, 자율화관련 기반기술에 있어서는 상당한 기술을 보유 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은 세계 최초로 두 다리를 가진 보행로봇인 아시 모 개발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보행로봇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지상로 58) 59) <표 3> 독 프 중 러 일의 지상로봇 개발 운영현황 국가 독일 체 계 Foxbot Teodor Gecko 임무 감시정찰 폭발물 처리 기갑수색정찰 비고 起)로 이웃과 친목을 다지는 외교를 표방했고, 시진핑(習近平)은 노골적으로 대국굴기(大國崛 起), 군사굴기(軍事崛起)를 선언했다. 김동철, 동북아 화약고(火藥庫) 한반도, 베이비타 임즈, 2017.5.16. 57) 채인택(2015), 전게서. 58)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6. 59) 유용원(2010), 전게서. - 200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프랑스 러시아 중국 일본 NERVA LG/S AM 30B2DT MRK-27-BT RTC-05 Sharp Claw 1/2 Comet III Grenade-Bot ASIMO X 감시정찰, 표적 획득 뢰제거, 폭발물 처리 EOD 제거 방사능 탐지 감시정찰, 표적 획득 지뢰 탐지 감시정찰(투척형) 휴머노이드 지 거미 형태(6족) 자율행동 제어, 9km 출처: 이상현 외, 무인로봇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운용개념 정립 (서울: 안보경영연구원, 2015), p.6.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지상로봇무기와 관련해서 거미형태(6족)의 지뢰 탐지용 로 봇무기와 감시정찰(투척형)용 로봇무기를 개발중이다. 이들 국가들에 있어서 근력증 강형, 휴머노이드는 응용연구수준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고, 생체모방연구는 기초연구 수준이다. 독프중러일의 지상로봇 개발운영현황은 <표 3>과 같다. 60) IV. 주요 지상로봇무기 개발운용사례 봇무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종류와 성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장에서는 지상로봇 선진국 미국과 이스라엘에 이어 독일,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이 개발한 폭 발물 탐지제거로봇, 지상전투용로봇을 중심으로 지상로봇무기 개발운용사례를 살펴 지상로 보기로 한다. 1.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형로봇은 폭발물 탐지 및 제거, 감시정찰에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폭 발물 탐지제거로봇은 이름 그대로 전장에서 폭발물, 특히 급조폭발물(IED: Improvised Explosive Devices)을 탐지하고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병사들의 생명을 보호하는 대표적인 지상로봇무기체계이다. 지난 아프가니스탄전과 이라크전에 서 다종의 폭발물 탐지 제거로봇이 급조폭발물 제거작전에 투입된 바 있으며, 매설되 어 있는 지뢰탐지임무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다. 소 61) 62) 60)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6. 용원(2010), 전게서. 61) 유 62)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2. - 201 -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표 4> 아이로봇사의 팩봇 510 출처: 어하준이현무,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 1651호(2016.12), p.3. 봇사는 팩봇을 개발할 때 개방형 아키텍처(open architecture) 개념을 적용하 여 필요에 따라 임무를 광범위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개방형 아키텍처 시스템은 열려있기 때문에 미래의 기술도 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팩봇은 2001년 실전 배치된 이래 사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새로운 위협에 대응하기 위 해 지속적으로 진화되어 왔으며, 현재는 팩봇 510이 최신형 모델이다(<표 4> 참조). 아프가니스탄전과 이라크전에서 미군과 다국적군에게 큰 인기를 얻었던 팩봇은 미 국뿐만 아니라 영국, 중동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등 35개 동맹국에 약 6,000기가 판매되었다. 우리국군도 특전사와 동명부대(이라크 파병부대)에서 팩봇을 획득하여 폭발물 탐지 및 제거 작전에 활용한 경험이 있다. 아이로 67) 68) 69) 나. 키네티크사의 탈론 라크아프간전에 폭넓게 사용된 바 있는 탈론(Talon)은 M16 소총이나 7.62 기 관총, 로켓 발사기의 탑재도 가능하다. 이밖에 대표적인 다족형 로봇으론 미국의 빅 독(Big Dog) 이 있다. 다리 4개로 짐승처럼 이동하는 이 로봇은 시속 6 의 속도로 35도의 비탈진 경사길을 올라갈 수 있고, 60 이상의 짐을 나를 수 있다. 이 70) 67) Open architecture, Wikipedia, November 3, 2016, https://en.wikipedia.org/wiki/open _architecture(search date: March 12, 2017). 68)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3. 69) 어하준 이현무(2016), 상게서, p.3. 용원(2010), 전게서. 70) 유 - 203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표 5> 키네티크사의 탈론 출처: 어하준이현무,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 1651호(2016.12), p.4. 탈론은 최근 폭발물 탐지제거 임무 중 매설폭발물, 특히 지뢰탐지기능을 추가한 로 봇으로 알려져 있다. 탈론도 아이로봇과 마찬가지로 민수용 재난구조 로봇으로 개발 되었으나, 미군과 영국군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폭발물 탐지 및 제거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실제작전에 최초로 투입되었다. 그 후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의 전쟁 당시인 2000년대 초반에 광범위하게 배치운 용되었으며,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현시점에도 계속 진화하는 모델로 개발되고 있다(<표 5> 참조). 현재는 Talon V가 가장 최신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4,000대 이상이 판매되었다. 탈론은 기본 플랫폼에 지뢰탐지장치를 장착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라크전 당시 전 면에 지뢰탐지기(VISOR 2500)를 부착한 차량(Husky)의 효과를 인정한 미군이 협로 에서 지뢰제거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소형 지뢰탐지기를 장착한 폭발물 탐지제거로봇 을 요구한 데서 기인한다. 차량용 지뢰탐지장치를 개발한 나이텍(NIITEK)사는 탈 론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지뢰탐지기(R-VISOR)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 나, 전쟁종료에 따라 전력화는 불확실한 상태이다. 71) 72) 73) 74) 75) 71)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3. 72) 어하준 이현무(2016), 상게서, pp.3-4. 73) http://www.army-technology.com/projects/huskyvehicle-mounted-mine-detector/(검색일: 2016.8.27). 74) http://www.niitek.com/ ~/media/files/n/niitek/ documents/r-visor.pdf(검색일: 2016.9.2). - 204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다. 코브햄사의 텔레맥스 코브햄(COBHAM)사 의 텔레맥스(Telemax)는 현존하는 폭발물 제거로봇 중 가장 많은 연동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로봇으로 알려져 있다. 텔레맥스의 전신인 테오도르 (Teodor)5) 는 민간인을 상대로 발생하는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로봇으로서,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최대 20kg의 물체인양 및 다수의 연동장비장착이 가능하였 다. 그러나 크기 300kg 이상의 무게로 인해 운반이 곤란하였으며, 협소한 공간에서 운 용하는 데 많은 제약을 받았다. 이러한 테오도르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로봇을 소형화 한 것이 텔레맥스이다(<그림 1>). 76) 77) <그림 1> 코브햄사의 테레맥스 출처: 어하준이현무,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국방연구원, 주간국방논단, 제1651호(2016.12), p.5. 코브햄(Cobham)사는 차별화된 기술과 노하우로 먼 우주부터 깊은 바다에 이르기까지 상업, 방위, 보안 시장에 걸쳐 척박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까다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기술 서비스 및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회사이다. 5개 대륙에서 12,000명 이상의 직원이 활동하고 있는 이 그룹은 위성 통신, 방위 전자제품, 공중 급유기, 항공 서비스, 수명 지원, 미션 장비를 포함해 무선,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통신 부문에서 시장 선도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100 개국 이상에서 고객사와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다. 코브햄(Cobham,) 디지털 LMR 시험 장비 신제품 8800SX 출시, 2016.3.23. 75)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4. 76) 77) http://www.armytechnology.com/contractors/mines/telerob/(검색일: 2016.8.17). - 205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텔레맥스는 무게를 약 80kg, 폭을 40cm로 축소함에 따라 이동 및 공간의 제약을 보 완하게 되었다. 기존의 테오도르는 폭이 68cm로 버스와 지하철, 항공기 등에서는 활 용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텔레맥스는 폭을 40cm로 줄임으로써, 시민의 교통수단에 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를 예방하는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작 팔의 높이를 최대 2m까지 연장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과 지하철, 항공기내의 선반에 있는 폭발물 탐지 및 제거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화생방 임무수행을 위해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 탐지, 독성물질, 폭발성 물질 등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할 수 있어, 최근 강조되고 있는 화생방 테러에도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텔레맥스는 이처럼 장비의 확장성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최초개발 시 테러에 대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군으로까지 사용이 확 장되었고, 군에서도 개조한 부분이 거의 없이 상용장비를 그대로 구매하여 사용 중에 78) 있다.79) 2. 지상전투용로봇 모컨(remote control)을 통해 움직이면서 정찰순찰업무를 수행하는 전투로봇 이 이라크에 실전 배치되었다고 군사전문매체 내셔널 디펜스(National Defense) 가 2007년 9월 보도한 바 있다. 미군이 지난 2007년 초여름 지상 무장로봇을 이라크 작 전에 투입함으로써, 조용히 새로운 시대로 들어섰다는 언론의 평가도 있었지만 아직 전면적인 로봇전쟁 이 벌어지는 시대에 진입한 것은 아니다. 지상전투용 로봇은 정찰, 관측, 폭발물 제거 등의 비살상 임무에서 살상용 무장을 장착함으로써 윤리적 경계를 넘어가는 로봇이다. 지상전투용 로봇은 전장에 배치되어 운영된 사례는 미미하며,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밀로 분류 되어 정보획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지상전투용 로봇을 선도하는 것은 수색로봇으로, 감시정찰용 센서와 무장을 동시에 장착하고 원격조종을 넘어 자율주행능력을 개발의 목표로 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은 인터넷 검색업체로 출발한 구글(Google)에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구글은 2009년부 터 본격적으로 자율주행차를 개발해서 미 네바다주, 플로리다주,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리 80) 81) 80) National Defense, September 2007. 81) 어하준이현무(2016), 전세서, p.5. 78)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4. 79) 어하준 이현무(2016), 상게서, p.4. - 206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미 특허청에 관련 특허를 등록하고 있는 상태이다. 미군에서도 민수에서 먼저 개발된 자율주행기술들을 이미 활용하고 있으며, 추가적으 로 야지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로봇체계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미 육군은 TACOM(Tan-automotive and Armaments Command)을 주축으로 UGCV(Unmanned Ground Combat Vehicle, 지상무인전투차량) 체계를 구축하고, 세부사 업을 지원하기 위해 ARDEC(Army Armament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enter, 육군군비연구개발엔지니어링센터)에서 다종의 하부체계에 대한 연구개발과제 를 진행중이다. 현재 일부 공개된 수색로봇으로는 이스라엘 지니어스(G-nius)사의 가디 엄, 독일 베이스10사의 게코, 러시아의 우다르(Udar, BMP-3 차체기반의 원격조정 무인 차량) 등이 있다. 이 중 가디엄만 소량 전력화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나머지 체계는 시 제품 수준의 개발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대표적 방산업체 가운데 하 나인 중국북방산업공사 가 새로운 지상전투로봇(UGV)을 선보였다. 계속 시험을 하고 있으며, 82) 83) 84) 85) 가. 지니어스사의 가디엄 찰차량 가디엄(Guardium)은 폭발물, 화학무기 탐지장치, 미사일발사기, 기관 총 등의 중무장을 하고 정찰감시하는 무인지상전투로봇(UGV)이다. 모듈식 설계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지원 없이 103시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가디엄(Guardium)은 이스라엘의 엘빗(Elbit)사와 IAI사(이스라엘 레이더 제작사) 가 합작하여 설립한 지니어스(G-nius)사에서 개발한 지상수색로봇이다. 기본 플랫폼 은 민수분야에서뿐만 아니라 군수분야에서도 활용하고 있는 톰카(Tomcar)라는 다목 적 차량을 사용하였으며, 도로 및 야지에서 시속 80km 속도로 이동할 수 있고, 300kg 까지 적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가디엄은 톰카에 경장갑을 부착하여 방호력을 높혔고, 열영상카메라 및 영상센서, 전술항법시스템 등을 장착하여 위험지역에서 스스로 감시정찰임무가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완전자율주행은 불가능하고 통제소 요원이 차량을 원격조종하 무인정 86) 83) 어하준이현무(2016), 전게서, pp.5-6. 84) 중국북방산업공사(China North Industries Corporation)는 보통 노린코(Norinco)라고 불림. 85) 중(中) 방산업체, 신개발 지상전투로봇 공개: 북방산업공사, 정찰 및 작전 수행용으로 개 발, 로봇신문, 2014.11.14. 86) 2016년 이스라엘의 강력한 최신무기 Top5, http://hansang1006.tistory.com/134(검색일: 2017.3.4). 82)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5. - 207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운용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운용 가능한 소형무장까지 탑재 하여 실시간 위협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개방형 플랫폼을 사용하여 모듈형 임무장비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임무의 확장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처럼 가디엄을 장갑차 형태의 개방형 플랫폼 구조로 개발한 이유는 유사시 공항 이나 국경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감시정찰임무뿐만 아 니라 추후 전투용 로봇으로 확장하기 위함이다. 현재 이스라엘은 가디엄의 후속작 으로 나손(Nahshon) 을 개발하고 있다. 나손은 가디엄보다 무게를 증가시킨 궤도형 로봇체계로, 완전자율전투 능력을 보유할 예정이다. 는 방식으로 87) 88) 89) 나 베이스10사의 게코 독일, 프랑스 등은 차량형 로봇을 적극적 개발하여 정찰 및 물자수송에 활용 중전 투용 무인로봇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다. 게코(Gecko)는 수색차량 2대와 지휘 통제차량 1대로 구성된 수색로봇체계로서, 독일군에 전력화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로봇스카웃(RobotScout)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로봇스카웃은 게코를 개발하는 팀 90) 의 이름이다. 확보에 중점을 둠에 따라, 미국 RTI(Real-Time-Innovations)사에서 개발한 실시간 미들웨어를 적용하였다. 이것 은 전쟁환경 속에서 자율주행을 하며 수색작전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게코는 개방형 플랫폼에 모듈형 임무장비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정 보 수집, 정찰, 방호,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게코는 3.8톤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10대의 카메라, 6대의 스캐너로 구성되어 있고, 무장은 장착되어 있지 않다. 국제방산전시회인 유로사토리(Eurosatory) 2012에서 시제품이 첫선을 보였고, 완전자 율화를 목표로 여전히 개발 중에 있다. 베이스10(Base10)사는 봇의 신뢰성 높은 수색로 통신능력 91) 손(Nahshon)은 뱀 이란 뜻을 니닌 말로서 광야생활 당시 유다 지파의 지도자의 이름이다. 그는 모세를 도와 유다 지파의 인구 조사를 책임졌다(민 1:7; 2:3; 10:14). 그는 대제사장 아 론의 아내인 엘리세바와 남매이며(출 6:23), 아미나답의 아들이기도 하다. 다윗과 예수 그리 스도의 조상으로서도 언급된다(룻 4:20; 대상 2:10-11; 마 1:4; 눅 3:32). 나손(Nahshon), Naver 지식백과: 라이프성경사전, http://terms.naver. com/(검색일: 2017.3.4). 89) 어하준이현무(2016), 전게서, p.6. 87)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6. 88) 나 90)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6. - 208 -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3. 기타 봇무기체계 우다르(Udar)를 공개 시연하였다. 우다르는 기존 장 갑차 BMP-3 플랫폼 및 기술을 활용한 전투용 로봇체계로서, 2A4230mm 자동포와 7.62mm 기관총을 탑재하고 원격조종을 통해 움직이는 전투용 로봇체계이다. 무장 또 한 원격으로 통제할 수 있는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를 장착하였고, 다향한 종류의 센서를 보유하고 있어 최대 5.5km 이격된 표적에 대한 정보획득 및 공격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최근 러시아는 표준 주력 전차 T-90을 개조하여 무인화시키는 개발작업을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은 기존의 장갑차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한 샵클로(Sharp Claw)1 을 2014년 11월 11일 에어쇼차이나2014(Airshow China 2014)에서 선보였다. 샵클로1 은 노린코 (Norinco)사에서 개발한 로봇무기체계로, 7.62mm 기관총을 장착하고 있다. 이 지상전 투로봇은 기본화기로 12구경 산탄총을 탑재하고 있다. 아울러 변형된 반자동화기로 무장하고 있다. 그리고 궤도형 로봇체계로, 대부분의 지형조건에서 기동이 용이하 다. 또한 전자광학장비 및 적외선 야간투시경 등을 탑재하고 있어, 1km내 표적에 대한 탐지식별이 가능하다. 그러나 샵클로1은 기존 로봇무기체계와 달리 원격제어로 작동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끝으로 북한의 경우는 어떠한가? 북한군이 현재 운용중이거나 개발중인 지상 및 해 양로봇에 관한 공개자료는 찾아보기 어렵다. 평소 북한의 선군정책 노력과 무인기 운 용사례, 한국군보다 앞서 잠수함과 잠수정을 개발한 사례 등을 종합해 보면, 기술면에 서 일정수준의 지상무인로봇, 군용 무인수상정잠수정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을 가능 성도 배제할 수 없다. 러시아는 2015년 로 92) 93) 94) 95) V. 한국의 지상로봇무기의 개발운용현황과 과제 1. 한국의 지상로봇무기체계의 개발운용현황 및 전망 93) 로봇신문, 2014.11.14. 94) 어하준이현무(2016), 전게서, p.7. 91) 어하준 이현무(2016), 전게서, pp.6-7. 92) 어하준 이현무(2016), 상게서, p.7. 95) 이상현 외(2015), 상게서, p.14. - 209 -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85 %로 향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된 바 있다. 100) <표 6> 한국의 지상무인로봇 개발 운영현황 구분 량형 차 체계 XAV 견마로봇 경전투차량 Hyper 강로봇 연구시제 연구시제 휴머노이드 휴보2 Kity(개미) 생체모방로봇 Biomimetic Quadruped 근력증 처 출 : 이상현 외, Guardian 임무 야지 자율주행/감시임무 시설 감시경계용 경전투용 자율 산업용(하지) 군사용(하지) 산업용(전신) 3.6kph 이동 소 소 형4족 보행로봇 형 경비로봇 비고 율 3레벨 자율 4레벨 6레벨 자 한국생산기 국과연 현대로 KAIST KAIST 건국대 고 대 템 술원 려 무인로봇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운용개념 정립 (서울: 안보경영연구원, 2015.4), p.6. 당국은 앞으로 장갑차 형태의 다목적 감시정찰로봇과 근접 감시정찰로봇, 로켓 과 기관총 등으로 무장한 경(輕)전투로봇, 휴대용 감시정찰로봇 등도 개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휴대용 감시정찰로봇은 경전투 로봇의 뱃속에서 튀어나와 건 물의 계단을 타고 오를 수 있다. 수류탄 크기 만한 투척용 감시로봇도 개발 중이다. 적군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지역에 던져 넣으면 주위의 모든 정보를 아군병사가 차 고 있는 손목형 컴퓨터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2016년 7월 현재 기본적인 탐지수색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견마로봇, 비행기지주변 감시용 무인정찰차량 정도가 개발되었다. 2017년도 국방예산이 지난 2016년 12월 3 일 국회의결을 거쳐 정부안과 같은 규모인 전년 대비 4.0% 증가한 40조 3,347억 원으 로 확정되었다. 전력운영비 주요내용 중 국방 R&D 구현 및 방위산업 활성화를 위한 투자가 확대되어 무인체계 및 로봇 등 신무기체계 기술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무인경 전투차(2017년 5억 원, 신규), 폭발물 탐지 및 제거 로봇(2017년 10억 원, 신규)의 기 술개발이 추진될 전망이다. 감시정찰과 근접전투까지 할 수 있는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도 개발될 예정이다. 군 101) 102) 103) 100)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14. 용원(2010), 전게서. 용 로봇,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검색일: 2017.3.3). 103) 김경환성윤경, 2017년도 국방예산 40조 3,347억 원으로 확정( 16년 대비 4.0% 증가), 국방 부, 보도자료, 2016.12.5, p.8. 101) 유 102) 군사 - 211 -
주요국 지상로봇무기체계 개발운용과 한국의 과제 업청은 전시와 평시 감시정찰, 수색, 근접전투, 전투물자와 환자수송 등의 임무 를 수행할 수 있는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지난 2016년 12월 26일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12월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총사업비 약 39억원 (정부 22억원, 민간 17억원)이 투입된다. 한화테크윈(주)과 방위사업청이 공동 개발하는 무인차량은 도로 등의 기반시설이 없거나, 들판 또는 험한 지형 등에서 원격으로 기동할 수 있는 자율주행기술이 적용 된다. 중량 1.5t 이하로 개발되며 탑재된 감시장비와 센서, 무인기 등을 활용해 다양한 작전지형에서 적의 위치와 규모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장착된 화기와 원격통제를 통 해 근접전투임무까지 수행한다. 일부장비를 뜯어내고 물자환자 운반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 보병 기동로에 대한 물자수송이나 구급차 접근이 가능한 지역까지 환자이송임 무도 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향후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의 운용개념과 요구성능이 정립된다면 이른 시일내에 군으로부터 관련소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며, 무인수송 로봇 등의 다양한 무인체계개발에 기술과 운용개념 등을 적용할 수 있어 지상무기체 계 무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위사 104) 2. 선도국이 주는 시사점 및 한국의 개발운용과제 양상이 변화하면서 전쟁을 수행하는 수단도 획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특히 군사적으로 초강대국인 미국은 다양한 신무기와 전쟁개념을 발전시켜오고 있다. 최근 의 전쟁사례들을 살펴보면 인간이 수행하기에는 위협성이 높은 영역에서 무인무기체 계를 활용하여 전쟁이나 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 요가 있다. 군사적 선진국들은 이러한 국제적 과학기술의 발전, 안보환경의 변화 등에 부응하기 위해 신무기체계와 핵심기술 및 무인무기체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쟁 보인다.105) 늘날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무인전투체계의 필요성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인 간중심의 전투를 구현하기 위해서도 무인전투체계가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된 다. 그 동안 많은 군 및 민간연구기관에서 무인전투체계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 다. 무인화기술의 발달로 정보수집, 표적식별, 지뢰제거 등 전투지원임무를 초월하 오 106) 귀근(2016), 전게서. 종계중읍, 미래전 양상 전망과 무기체계 발전방향,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제어로봇시 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7, 2012, p.306. 106) 나종철, 전게서. 104) 김 105) 정 - 212 -
한국군사학논총 제 6 집제 1 권 (2017 년 6 월 )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한국군사학논총 제 6 집제 1 권 (2017 년 6 월 ) 현섭 박용운 계중읍 김진오 (2014), 전게서, pp.40-43. 현섭 박용운 계중읍 김진오 (2014), 전게서, pp.37-44. 전게서,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상호운용성및모듈성, 통신, 지속적복원력, 무기탑재등과관련한기술수준향상을위한노력이요구된다. 전게서, 현섭 박용운 계중읍 김진오 (2014), 전게서, p.43. 전게서,
한국군사학논총 제6집 제1권(2017년 6월) 까지 10만 명이상의 병력감축을 대신할 수 있는 지상 로봇무기체계에 대한 전력화 즉 폭발물 탐지 제거로봇과 무인수색차량 개발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것 으로 되어 가고 있다. 우리는 선도국들의 지상로봇무기의 개발운용의 현황과 추세를 파악하여 이에 뒤지지 않도록 우리도 이러한 무기체계를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한다. 첫째, 지상로봇무기체계는 민간분야의 확보된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둘째, 개 방형 플랫폼 구조로 개발해야 한다. 셋째, 기존 획득절차를 과감히 탈피하여 신속한 획득절차를 통한 빠른 전장 배치가 필요하다. 우리는 주요국의 로봇무기체계 개발운 용이 주는 시사점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의 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운용함에 있어 이를 취장보단(取長補短)해야 할 것이다. 군사로봇개발은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지만 향후 각국의 위상을 결정짓는 주요변수가 될 전망이다. 인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로봇으로 인해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고 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로봇윤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무 인로봇의 사용자 혹은 생산자로서 책임한계에 대한 규정 및 제도에 대한 국제적으로 지속적인 논의가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응책과, 무인로봇이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에 대하여 윤리를 코드화하여 내장시키는 윤리적 무인로봇 기술에 노력을 경주해야 할 2022년 120) 환경이다.121) 류역사에서 기술윤리는 항상 해당기술보다 훨씬 늦게 발달해왔고, 기술의 편리함 에 취해 편익을 누리다가 나중에서야 그 부작용과 해악을 깨닫고 소 잃고 외양간 고 치듯 윤리를 논의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무인로봇에게 양심과 의식을 갖도록 윤리를 코드화하여 소프트웨어로 내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군사용 로봇은 로봇 3원칙 중 1원칙을 적에게는 사용하기 어려운 이슈를 함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요컨대 로봇기술이 국방력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관련 연구개발 (R&D)과제의 성과는 일반산업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인바 국방로봇기술개발을 비용이 아닌 수익창출, 방위산업의 활성화 관점에서도 접근해야 할 것이다. 관련 산학 연 및 범부처 차원의 협력을 통해 국방로봇의 선도적인 개발운용마켓팅의 선도적인 추진에 중지와 역량을 모으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때라 생각된다. 인 122) 123) (접수일 : 2017. 3. 13, 심사완료일 : 2017. 5. 30, 게재확정일 : 2017. 6. 10) 120) 채인택(2015), 전게서. 121) 이상현 외(2015), 전게서, p.304. 122) 이상현 외(2015), 상게서, pp.299-231. 123) 박현섭 박용운 계중 김진오(2014), 전게서, p.44. - 217 -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 U.S. Department of Defense, Unmanned System Integrated Roadmap(FY2013-3208).
한국군사학논총 제 6 집제 1 권 (2017 년 6 월 )
주요국지상로봇무기체계개발 운용과한국의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