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시대의성상숭배와이콘 ( I C O N ) 의 함의 연구 윤영범 요약 본연구의목적은중세시대시각예술의특징이었던성상숭배와이콘의언어적요소를분석하여시각적표현을위한스토리텔링의본질을탐구하는것이다. 기독교교리의메시지를보여주는묘사와질서의종교적교의 ( 敎義 ) 와미술양식은서구예술에많은영향을미치며전승되었다. 중세시대의서구예술에나타나는시각적특성을분석한결과예술작품은언어적요소의시각화를통해세계를재현하고있으며이러한의미는사회학적접근을통해이해될수있다. 예술작품은언어적해석의대상으로서재현의대상인실제하는사물과철학적이고존재론적인관계를형성하고있다. 결론적으로모든시대와문화를초월하여예술의본질은스토리텔링이며예술행위는표상을보여주려는상징적인사고를통해이루어진다. 예술적창작의본질은스토리텔링이며스토리텔링의목적은설득과소통이다.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Iconophily and Icon in the Middle Ages Youngbeom Yoon 교신저자 : 윤영범, 주소 : 부산시해운대고우동트럼프월드마린 C404, Tel : 010-3707-1693, E-mail : 10457@naver.com 접수일 : 2015 년 5 월 31 일, 심사일 : 2015 년 7 월 10 일, 완료일 : 2015 년 7 월 31 일 경남정보대학교 (10457@naver.com)
중세시대의성상숭배와이콘 (ICON) 의함의연구 < 6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or analyzing Implications of Iconophily and Icon in the Middle Ages to explore the elements of visual storytelling. In terms of figurative feature with Christian Doctrine, Iconophily and Icon are having common denominator. In particular, Style of religious messages and art forms had been effect European Art for long times since paleolithic era. According to result that analyze of visual special quality that appear in the Middle Ag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Iconophily and Icon represent the Christian Doctrine via the visualization of linguistic elements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a sociological approach. Works of art are the subject of linguistic analysis and has formed the philosophical and ontological relationships with reality. In conclusion, transcending all ages and cultures to the nature of the art is storytelling and acts of art is to show the representations of symbolic thinking. The nature of artistic creation is storytelling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K e y wo r ds : Iconophily( 성상숭배 ), Icon( 이콘 ), Visual Art( 시각예술 ) I. 서론 역사적으로서로마제국이멸망한 476년부터동로마제국이멸망한 1453년에이르는시기는중세시대로구분된다. 중세의예술은동유럽에서발달한동로마제국의비잔틴문화를한축으로서유럽에서등장한로마네스크양식과고딕양식을통해이루어졌으며신의섭리가모든것을지배했다. 중세시대에성경은절대적진리였지만, 그것은교회의소유였으며신의섭리를담은복음은일반사람들이모르는라틴어로만전달되었다. 당시성경을번역하거나소유하는자는모두처형당했으며왕을포함한모든사람들은성경을알지못했다. 교회는포교를위하여예술가들에게성서의이야기를재현하게하였으며모든예술은성서속하나님의말씀을전달하는도구로만사용되었다. 중세시대의모든예술은교회에종속되어있었다. 신의섭리와영광을구현하기위한궁극적인목적으로모자이크, 회화, 조각품등이만들어졌으며예술가의자율성은배제되었고고딕시대의말기에이르기까지인물의사실적묘사는우상숭배를금지하는교리에따라금기시되었다. 중세시대의회화는엄격한규칙에의해서만그려졌으며신의섭리와성스러움을강조하기위해인물들의자세나표정은점점경직되고정형화되었다. 중세시대의성화 이콘 (Icon) 은그리스어 형상 (εἰχών) 을어원으로하는데이콘 (Icon) 의어원이의미하는형상은형태를표현하는것이아니라속성을의미한다. 이콘 (Icon) 의유래는예수가얼굴을닦은천 ( 아마포 ) 에새겨진예수의초상이며, 이를만졌던병자가치유되는기적을체험했다고전해진다. 신의힘에의하여천에새겨진예수의초상은 손으로그리지않은구세주 (нерукотвор ный Спас) 로불리며그리스정교에서인정하는이콘 (Icon) 의유래가되었다. 그려진것이아니라실제하는예수로부터얻은이콘 (Icon) 은중세예술의도상이보여주는신성함을설명하고있다.
62 > 한국공학 예술학회논문지제 7 권제 1 호 (2015) 중세시대예술의원리였던원형성과양식성은모방과반복을통해지속되었고민중예술의형성과정에서원형적모델로기능하게된다. 중세의예술과문자는지배계층의전유물이었으며예술을창조하는것은세계의진리와근원에도달하는능력을갖는것으로인식했던왕과귀족들은민중들이예술창조능력을갖는것을경계하였다. 따라서가난하고교육받지못한중세시대의민중들은말과행동으로전해지는구전문학을고유한예술형식으로갖고있었다. 한편러시아에서는민중들이나무에그림을새긴판화 루복 (лубок) 을통해성서를재현 1) 하면서신성한이콘 (Icon) 의예술적효과를이루었다. 이콘 (Icon) 과루복 (лубок) 의미적상호연관성은고급문화를모방하여탄생한대중문화의특성을보여준다. 중세시대예술은언어를시각화하는개념을바탕으로이루어졌으며이콘은표현방식과인식의측면에서모두신의섭리와진리를모방하였고원형으로서신의섭리와시각적으로구현된형상간에동질적인일체성을지니고있었다. 중세시대이후언어와도상은각각기표 (signifiant) 와기의 (signifié) 라는관계를통해원형적사유의비유와상징으로표현되었으며중세시대예술의수단으로서언어와도상은일체적이고신화적인신성함의측면에서동질적 2) 이며종교적, 상징적, 초자연적특성을지니게된다. 1557년독일인역사학자볼프 (Hieronymus Wolf, 1516~1580) 가저서에서동로마제국의수도였던콘스탄티노플의고대지명에서유래한 비잔틴 (Byzantine) 이라는명칭을사용한이후동로마제국은비잔틴제국 (Byzantine Empire) 또는비잔티움제국 (Byzantium Empire) 으로일컬어진다. 비잔틴제국이라는용어는동로마제국이붕괴한이후에사용되었다. 3) [ 그림 1] 블라디미르의성모 (Θεοτόκος τουβλαντιμίρ), 12 세기 ( 좌 ) 콘스탄티노플플라티테라 (Platitera), 그리스, 13 14 세기 ( 우 ) 1) 17 세기에이르러러시아의바실리코렌 (ВасилийКорень) 은성서를루복으로그려낸다. 2) 서선정 (2007), 중세러시아예술론고찰 : 언어와도상텍스트를중심으로, 인문론집, p.23. 3) 비잔틴제국은로마제국을의미하는그리스어 바실레이아톤로마니온 (Basileia tōn Rōmaiōn) 또는 임페리움로마노룸 (Imperium Romanorum) 으로불리었다.
중세시대의성상숭배와이콘 (ICON) 의함의연구 < 63 역사학적으로중세시대이후서유럽을중심으로전개된서양의근대사에서 19세기에이르기까지이슬람세력의속국으로서역사의변방에남아있었던동로마제국의역사는서구역사가들에의해의도적으로무시되어서로마제국과차별화되고소외되었다는관점이존재한다. 동로마제국은기독교를사상적기반으로그리스 로마문화를계승하였으며아라비아반도의이슬람세력및다양한이민족들과끊임없이접촉하며사회적 문화적인요소를다원적으로수용하면서서유럽의기독교세계를지키는방파제역할을하였다. 특히지정학적위치상서유럽의가톨릭문화와전통이소아시아의이교문화와교차하는지점으로서동서양의실크로드와지중해상권을이어주는가교로서중세유럽의상업발달에기여했다. 동로마제국은서로마제국이붕괴된서유럽에정치와문화적인교섭을통하여계속영향을주었고동로마제국이사용한그리스어와문화적유산은르네상스시기의서유럽에커다란영향을미치게된다. 동로마제국의문화와예술은종교적이념을중심으로건축과회화양식이발전하여이탈리아의르네상스와러시아동방정교회의건축 회화에전승되었다. 동로마제국에서교회는신의대리인으로간주되는제국의황제들이지상에세우는 그리스도의몸 (Corpus Christi) 으로서하나의소우주이자제국의수도를성스럽게만드는신에대한봉헌물이었다. 4) II. 신학적미학 (Theological Aesthetics) 동로마제국의예술은 신학적미학 (Theological Aesthetics) 을기반으로하고있으며유한한시간너머의 초월적아름다움 을추구하는현실의부정과역설의언어를통하여이루어진다. 미술사적으로비잔틴예술은동로마제국의콘스탄티누스황제가수도를비잔티움으로옮긴 330년부터오스만튀르크에의해멸망하는 1453년에이르는시기에동로마제국을중심으로번성하였던지중해동부지역의예술을의미한다. 동로마제국의예술은인간의존재와삶을초월하는신성하고절대적인신의섭리를구현하기위해존재했다. 비잔틴미술가들은고대로마에서모자이크에사용하였던석재를사용하지않고빛을통하여채색효과를보여주는구운색판유리를접합한스테인드글라스 (stained glass) 를사용하여성서의이야기를강렬하고풍부한색채 5) 로상징적이고추상적으로구현하였다. 비잔틴미술의스테인드글라스모자이크는어두운성당내부에신비하고환상적인종교의신성함을표현하는빛을드러내는중요한기능을한다. 평면적이고이차원적도식을보여주는스테인드글라스의반짝이는모자이크를통해보이는풍부한색채와광채는 11세기이후교회에반드시필요한예술작품이되었으며장엄하고신성한교회의빛이되어신자들의신앙심을고취했다. 4) 이주헌 (2008.12.1). 거룩한존재를나타내는 성상화. 한겨레신문 5) 비잔틴미술에서황금색은천국을가정잘묘사할수있는색으로인식되었다.
64 > 한국공학 예술학회논문지제 7 권제 1 호 (2015) [ 표 1] 로마와비잔틴의모자이크에나타나는시각적특성로마모자이크비잔틴모자이크불투명대리석조각유리조각표면이매끄럽고평평함울퉁불퉁하고빛남색체제한적색채의다양성사실적세부묘사양식화된디자인, 추상적배경목욕, 운동경기, 전투, 풍경종교적내용 십자군전쟁으로인해동로마제국의비잔틴양식이동유럽에확산되었던 980년에서 1130 년에이르는 150년동안서유럽에는 로마네스크 (Romanesque) 6) 양식이번성한다. 역사적으로피레네산맥을중심으로프랑스남부와스페인북부, 이탈리아북부, 영국등서유럽은문화적으로고대로마의라틴어를기반으로하는언어를사용하였으며로마네스크양식이등장한서유럽의기독교미술과고대로마의미술은깊은관련성이있다. 로마네스크는 Roman ( 로마인 ) 과 Esque( 기법을닮은 ) 의합성어로서 고대의로마적인양식 이란의미를지니며 11세기후반과 12세기의건물들이두꺼운벽과둥근아치가있는고대로마의건축을승계한다는의미로사용되는중세유럽건축의양식을의미하였으나 19세기이후조각과회화등미술전반의양식을의미하는용어가되었다. 로마네스크양식의문화와예술은종교를중심으로형성되었고교회건축을중심으로이루어졌다. 로마네스크건축의특색은 11세기초까지목조로지어졌던교회의천장을석재로만든점에있으며육중하고두꺼운벽, 작은창문, 어두운실내, 반원형태의아치, 큰탑, 규칙적이고대칭적인구조등으로나타난다. 교회의벽면을장식했던로마네스크미술은고대로마의전통과비잔틴미술의영향과더불어켈트족 (Celts) 7) 과게르만족 (German) 8) 의추상적미술의요소를수용하였으며교회의내부벽면과천장에바른석회가마르기전에안료와접착제를혼합한물감으로그리는프레스코화를중심으로발전하였다. 로마네스크미술의특징은사실성이결여된평면적인형태의선묘 ( 線描 ) 중심의회화다. 로마네스크를비롯한중세시대의회화에서인물을사실적으로세밀하게묘사하는자연의모방으로서형태의재현은의미가없었으며실제의모습에의미를두지않은채비숫한형태의경직되고도식화된양식으로그려지곤했다. 중세시대의회화는신의섭리와가르침을담은성서의이야기를표현하기위한전통적이고성스러운상징들의배치와초자연적인관념의세계를보여주는표상을중시하였다. 중세예술가들에게는조각과회화작업을위한모델이필요하지않았다. 왕과주교와같은 6) 1824 년프랑스의고고학자아르시스드코몽 (Arcisse de Caumont, 1801~1873) 은중세미술에대한연구서에서최초로 로마네스크 라는명칭을사용했다. 7) 청동기시대에독일남동부, 라인강 엘베강 도나우강유역을근거로생활했으며 BC 10 BC 8 세기무렵부터이동하기시작하여 BC4 세기초로마를침공한후라틴문화를이루었으며 BC3 세기에는소아시아에도진출하였다. 8) 게르만어파에속한언어를쓰는민족으로원주지는스칸디나비아반도의남부에서유틀란트반도와북독일에이르는지역이었으나점차흑해연안에서라인강유역까지퍼져나갔고민족대이동이있던시기에게르만왕국을유럽각지에건설하여독일, 네덜란드, 영국및북유럽여러나라를이루었다.
중세시대의성상숭배와이콘 (ICON) 의함의연구 < 65 특정인물의초상을그릴때도사실적인묘사와관계없이정형화한형태로인물을재현하고왕관과같은신분을나타내는표상과이름을적었다. 인물의다양한형태는평면적이고사실성이결여된선묘 (line drawing) 중심의이미지로그려졌다. 특히일정한유형으로도식화한이미지는조각에도나타났으며, 이러한형상들은조합되어성서의내용을간결하게이야기해주는데효과적이었다. 로마네스크양식의회화에서도사실적인원근법과명암등은무시되었고, 형태와색채가자유로웠다. 중세의예술가들은눈으로자연세계를모방하지않고마음으로초현실적인세계를바라보면서작품을제작한것이다. 로마네스크화가는당시의조각가처럼형상을조합하여이야기를간결하게표현하는데뛰어난재능을보여준다. 로마네스크양식의회화와조각은문학적텍스트와같이회화의운율과기하학적구도의원칙에따라인물과다양한형상을조합하여구약과신약의이야기, 사도와성인들의전기적일화, 최후의심판, 요한의묵시록등의이야기를표현하였다. [ 그림 2] 거룩한그리스도 < Christ in Majesty )>, 12세기 ( 좌 ) 거룩한그리스도와천상의예루살렘 (Christ in Majesty and the Heavenly Jerusalem) 12세기 ( 우 ) 특히로마네스크양식의조각은건축물에종속되었으며건축의구조적형태에따라시각적균형을위한장식과포교의기능을위하여배치되었다. 모든조각물의각각의형태는건축구조에의해서주어진틀의형태와하중에따라서유기적으로결정되었으며, 사물의형태가비틀리고길쭉해지는등이미지의특정부분을강조하거나왜곡하여변형시키는데포르마시옹을통해로마네스크특유의초현실적이고추상적인생명감을불어넣었다. 9) 9) 가장전형적인예는프랑스의오탕 베즐레 무아사크등지의조각에서찾아볼수있다. 이러한건축조각은장식과포교 ( 布敎 ) 를목적으로하며서로상승작용을함으로써효과를높이고있다.
66 > 한국공학 예술학회논문지제 7 권제 1 호 (2015) 중세미술사는건축을중심으로이루어졌으며회화와조각은건축을위한예술로서의한계에서벗어나지못하였다. 고대그리스의미술이선과형태를중심으로하는회화를추구했던반면중세시대의미술은교회벽면의이콘화와성서의필사본삽화를중심으로성서내용을상징적으로구현하는빛과색채의미술을지향하였으며조각은교회의정문과내부를장식하는부조와입상들로남아중세시대의예술적유산이되었다. 로마네스크양식은중세시대의서유럽에서나타난최초의통일된미술양식으로서 200년동안번성하였으며기독교정신을바탕으로모든예술이절대자로서의신을위한것으로인식하는특성을보여준다. 로마네스크양식은프랑스를중심으로서유럽에널리확산되었으며노르망디와영국의노르만양식 (Norman style) 10), 시토양식 (Cistercian style) 11), 프랑스의부르고뉴로마네스크양식 (Burgundian Romanesque style) 12) 등수도원과교회의건축에서지역적으로다양한특성을보여주며발전하였다. 모든로마네스크양식은공통적으로악으로부터성도를구원하고보호하는신의성채로인식되었던교회건축을중심으로이루어졌다. 고대로마의단순하고중후한건축구조 13) 와웅장하고힘이넘치는장식적특성을계승하면서목재로만들어져화재에취약했던건축물의천장을석재를활용하여반원통형으로건축하는새로운방식을꾀했다. 로마네스크양식으로인하여교회건축기술은비약적으로발전하였고중세건축의결정체로알려진고딕양식건축의기반이되었다. III. 이콘 (Icon) 의특징 로마네스크양식이서유럽에널리정착된 1140년경프랑스북부에서고딕양식 (Gothic Style) 또는고딕예술 (Gothic Art) 로알려진새로운양식이등장한다. 고딕 (Gothic) 이라는용어는 16 세기조르조바사리 (Giorgio Vasari) 를비롯한이탈리아고전주의예술가들이르네상스이전의모든유럽중세예술과건축을비하하기위하여고대의야만족으로치부되었던발트해남부의 고트족 (Goths) 과아울러중세의예술을경멸하는부정적인의미 14) 로사용한말이다. 이후고딕은로마네스크양식을이은중세시대의예술과건축양식을지칭하는용어로서일반화되었다. 로마네스크양식에이어등장한고딕양식은유럽전역에서 300여년동안번성하였고, 이시기는유럽의예술사에서 고딕시대 (The Gothic Age) 로구분되고있다. 특히 15세기초반 10) 1066 년영국을정복한노르만인들에의해발전한로마네스크양식을의미하는명칭이다. 노르망디의건축은전형적인프랑스로마네스크양식을보여주며, 영국의건축은앵글로 - 노르만양식으로발전하였다. 11) 로마네스크시대영국에세워진수많은시토수도원을중심으로발전한로마네스크양식으로앵글로 - 노르만양식의전통과는관련이없다. 12) 동부프랑스부르고뉴공국의로마네스크양식은건축적장식을금지한시토양식과차별화되며명상적이고신성함을엄격하게추구하였다. 특히교회위계질서에따라인물의크기를다르게묘사하였고대상을단순화하여표현하였다. 13) 로마네스크양식은건축에서고대로마의형식들을차용하였다. 바실리카형구도의교회건축, 반구형의천장구도, 아케이드로불리는아치열주, 두텁고단단한벽면구조등이고대로마의대표적건축요소들이다. 14) 당시이탈리아인들은고트족, 반달족, 게르만족의침입에의해서로마제국이붕괴되었던사실에강한적개심을품고있었으며이들을경멸하고있었다.
중세시대의성상숭배와이콘 (ICON) 의함의연구 < 67 이탈리아를중심으로르네상스문화가등장한이후에도지리적으로르네상스의영향에서멀리떨어져있었던북유럽의고딕시대는 16세기까지지속되었다. 12세기말서유럽은십자군전쟁의영향으로새로운도시들이생겨나고화폐경제가부흥하였다. 고딕양식은독창적인형식 15) 의교회건축을중심으로번성하게되는데, 상공업으로부를축적한시민계층의종교적열정과재정적후원으로고딕시대의교회는더욱크고웅장해졌다. 특히피폐한삶속에서교회로부터위안을얻고자하였던빈민들의영향으로인하여고딕시대의교회는사회적으로정신적구심점이되었으며, 모든예술은신의섭리를구현하기위한하나의목적으로교회의건축에종속되었다. 고딕시대의웅장한교회는중세도시인들의위상과자부심을상징하는기념비가되었고고딕건축은중세도시들간의경쟁의산물이라고할수있다. 16) 고딕양식은 13 14세기성당건축을중심으로중세후기유럽에서성행했으며조각, 회화, 공예등의분야에서중세미술의특징을잘보여주고있다. 고딕양식의성당은하늘로향하는수직의첨탑을특징으로하는데이는지도자의정치적 종교적권위를상징하는동시에신에게다가가려는인간의욕구를반영한것이다. 17) 특히기념비적이고육중한로마네스크양식의건축과달리얇은벽과넓은창문을특징으로하며 돌로된성서 (Stones of the bible) 로일컬어질정도로수많은성서의이야기를조각하였다. 시기 1 3 세기 [ 표 2] 시대별이콘의특징시대별이콘의특징 초기기독교인들이박해를피해원과십자가의상징으로그리스도의영광과내세의구원을기원하며지하묘굴에남긴예술 4 세기기독교공인이후민중의교화를목적으로성서의내용을묘사함 5 세기전반 6 7 세기경 성모마리아가 신의어머니 로서공식인정되어거룩한성모관계를묘사하는이콘화가확산되었다. 그리스도의부활과성모의영광을찬미하는내용이주류를이루었으며모든사물을표현하는데있어서명확성을중시 10 세기예수그리스도의수난을묘사하는이콘화가대중화되었던시기 12 13 세기 로마네스크와고딕시대에이르기까지천지창조에서최후의심판에이르는신의섭리와자연의모든질서를형상화된신학으로서구현하였다. 15) 1120 년경중세시대의석공들은넓은천장과지붕의하중을지탱할수있는아치형으로깎은길쭉한돌을가로세로로엮은돌판으로만든보강대 (Rib) 를고안하여기술혁신을이루어냈다. 원통형볼트의둥근아치는뾰족한첨두아치로대체되어아치꼭대기에서아래쪽으로내려오는힘을여러방향으로분산시켰고하중을벽이아니라여러개의수직기둥 (pier) 으로지탱할수있었다. 이는고딕양식건축의중요한특징이되었다. 16) 김홍섭 (2009), 고딕양식의수용과변형, p.5. 17) 고딕양식의성당은프랑스노트르담대성당, 샤르트르대성당, 랭스대성당, 아미앵대성당, 쾰른성당등이대표적이며, 크고넓은창의스테인드글라스장식이특징적이다.
68 > 한국공학 예술학회논문지제 7 권제 1 호 (2015) 13세기북유럽조각가들의주된업무는성당을위해작품을제작하는것이었고, 화가들이가장빈번하게맡았던작업은필사본의삽화인미니아튀르 (miniature) 18) 를그리는것이었다. 고대후기부터 12세기까지책은대부분수도원에서제작되었으며책의가치는상당했다. 설교집한권은양 200마리와보리와호밀수십가마의가치를호가했으며책에글을적어넣고장식하는필사가 (miniator) 와미니아튀르를그려넣는필사화가 (illuminator) 의역할은재능있는수사와수녀가맡았고그들에게책제작은예배와기도의연장선이었고성서를베끼는일한가지만으로도죄악을면책받을수있다고믿을정도로신성한행위였다. 고딕시대의미니아튀르는비잔틴미술과로마네스크미술의영향을수용하였지만섬세한색채와자연스러운형상의묘사를통한인물의감정을그려내었던점에서중세시대의회화와차이점을보여준다. 이러한미니아튀르의사실적인묘사는 14세기후반네덜란드예술가들에의해계승되어발전한다. 특히이탈리아의고딕미술은서유럽의회화양식에많은영향을미쳤는데, 피렌체를중심으로회화의주제와표현양식에커다란변화를가져와중세예술은새로운경지로전개된다. 이후 18세기에고딕양식은건축을중심으로부활하여 19세기영국에서가장영향력있는예술운동이되었다. [ 그림 3] 복음서의삽화미니아튀르 (Gospel Book miniature pasted into an earlier Gospel book)( 좌 ) 거룩한평신도를위한복음서 시간의책 삽화 <Gospel Book miniature of livre d heures>( 우 ) 도상 (Iconography) 은고대그리스어로이미지 (image) 를의미하는 에이콘 (εἰκών, eikon) 과 쓰다 (write) 를의미하는그라페인 (γράφειν, graphein) 이결합되어유래한용어이며, 일반적으로영어의아이콘 (icon) 은비잔틴미술과동방정교회전통의성화상 ( 聖畵像 ) 을의미한다. 도상학은동방정교회와불교등다양한종교의전통적조각이나그림에나타난여러요소의종교적내용을탐구하는학문으로정의되기도한다. 19) 결론적으로중세시대의도상은신앙 18) 초상화와복음서의삽화등의소형회화작품을의미하며, 10 세기초에서 19 세기중엽까지유럽에서많이제작되었다. 안료는보통에나멜이사용되며금속판 상아 양피지등에그렸다.
중세시대의성상숭배와이콘 (ICON) 의함의연구 < 69 의내용이자신앙의대상을상징하였으며종교체험의목적을달성하는데필요한이야기를시각적으로전달하는역할을하였다. 고딕시대대성당들의현관에모여있는모든조각상들은신의섭리를장엄하게보여주는성스러운도상으로묘사되었다. 13세기후반이지나면서열처리에의한보채기술 ( 補彩技術 ) 의발달과함께유리제조기술이향상되어색상이균일화되고사실적이고정교한묘사가등장하면서스테인드글라스특유의장식성과아름다움은사라지게된다. 고딕시대예술가들의예술적지향점은기독교성인 ( 聖人 ) 들의개별적인특성과개성을표현하여성경을아는사람이면쉽게알아볼수있도록성상들을구현하는것에있었다. 따라서예술가들은 무엇을표현하는가 하는문제보다는 어떻게표현할것인가 에대한관심을가지고이야기가있는도상의재현을위하여자연을관찰하였다. 고대그리스의미술과고딕미술사이에는대단히큰차이가있었는데그리스미술가들이아름다운육체의이미지를어떻게형상화하느냐에관심을기울인반면고딕미술가들에게모든예술적기법은성경을더감동적이고효율적으로전달하는수단에불과했으며그리스도의모습을이상적으로묘사하는것보다그리스도의섭리가더중요했던것이다. IV. 결론 삶의다양한순간에주위를수없이스쳐지나는많은예술작품들이우리에게주는의미는무엇인가? 문득예술에대한회의에젖어보지않은사람은없을것이며 예술은진짜쓸데없는것 이라고치부했던극작가오스카와일드와같은생각을가진사람도있을것이다. 하루하루생존을위해투쟁했던선사시대의인류가어두운동굴속에서벽에그리고자했던것은삶의희망이었다. 역사적으로위대한예술가들의작품은힘들고어두운세상에서외치는간절한신앙고백이었고고통스러운절규였으며고된삶을이겨내려는숨죽인흐느낌이자삶의의지였다. 인류와예술의연결고리는인간이존재가치를탐구하면서보다나은삶을추구했던노력이었으며이는예술적가치로형성되어예술가들에의해삶에대한성찰의기록으로남았다. 예술의뿌리는삶이며예술을빛나게하는것은생명의존중과사람에대한애정이며이는인류가추구하는가치인동시에예술이추구하는가치이다. 헤르만헤세는 모든예술의궁극적인목적은인생은살만한가치가있다는것을일깨워주는것이다. 또한그것은예술가에게더없는위안이된다. 라고이야기했다. 음악, 미술, 문학, 연극, 영화등다양한예술의형태를통해예술가들은창의적인사고와표현의정수를보여준다. 좋은요리사가맛을추구하는동시에건강에도움이되는영양을제공하듯이, 열성적인노동자로서예술가들은미 1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0 > 한국공학 예술학회논문지제 7 권제 1 호 (2015) 적탐구와더불어근본적으로인간존재에대해사유하면서사람들이가치있는삶을살아가는데도움이되는최상의성찰을보여주어야한다. 미술의역사와함께형성된예술적전통은현대의예술가들이새로운상상력을얻을수있는견고한기반이며그들이도달한지점은이내전통의일부분이되고, 미래를향한도약의새로운출발점이될것이다. 새로운예술의혁신과창의성을위해필요한것은예술사조의개별화와파편화를경계하고예술의역사와미학적쟁점을전체적으로통찰하는안목이다. 오늘날의예술계는삶을성찰하고예술의양식과목적을다시수단으로활용할수있는총체적사고의 21세기형브리콜뢰르 (bricoleur) 를요구하고있다. 예술적문맥의영역에서형상화대상과의미의예술적상호관계성에대한탐구와예술적성취는모든예술가들의과제로남아있다. 참고문헌 [1] 서선정, 중세러시아예술론고찰 : 언어와도상텍스트를중심으로, 인문론집, p.23. 2007 [2] 이주헌, 거룩한존재를나타내는 성상화. 한겨레신문 2008.12.1.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4] 김홍섭, 고딕양식의수용과변형, p.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