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정보통신 및 그림 1. xdsl 망 구성도 용하여 FTTC 구조에 적용됨에 따라 VDSL 서 송파 사용을 지지하는 Adhoc 그룹에서 TR- 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59(Single-Carrier RADSL)를 완성하였다. ADSL 기술은 제공속도 관점에서 볼 때 크게 1. ADSL 6Mbps의 하향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Full Rate ADSL과 1.5 Mbps의 하향 전송속도를 제공하 ADSL은 동일 가입자 선로를 통해 기존 음성 서비스(POTS 및 ISDN)와 고속 데이터 통신을 는 UADSL(Universal ADSL) 또는 Splitterless ADSL로 구분된다.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로서 1990년 초 Bellcore에 Full-Rate ADSL은 1.104 MHz까지의 주파수 서 VOD(Video-on-Demand) 서비스를 목적으로 대역을 사용하여 하향 6Mbps, 상향 640Kbps의 개발되었다[1]. 그러나 VOD 서비스가 활성화 전송속도를 제공하며, ATU-C 및 ATU-R 측에 되지 못하고, 1990년대 후반의 고속 인터넷접속 스플리터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Splitterless 수요증가에 따라 가변 전송율을 제공하는 ADSL은 장치의 복잡성, 전력절감 및 설치/운 RADSL(Rate Adaptive DSL) 기술이 개발되었 용의 용이성을 위해 Full-Rate ADSL이 사용하 다. 는 주파수 대역의 절반인 552kHz의 주파수 대 ADSL 기술은 선로 변조기술에 따라 다중 반 역을 사용하여 하향 1.5 Mbps/상향 512 kbps의 송파를 사용하는 DMT(Discrete Multi-Tone) 방 서비스를 제공하며, ATU-R 측에는 Splitter를 식과 단일 반송파를 사용하는 방식간에 논란이 적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계속되었으나, 국제표준화 기구인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2. SDSL 계열 DMT를 표준 방식으로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북미 표준화기구인 ANSI(American National SDSL은 기존 HDSL 기술의 제한적 사항들을 Standards Institute)에서는 1999년 9월 단일 반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게 되었다. SDSL은 단일 68 TTA저널 제74호
69
정보통신 및 의 63%를 차지하면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IV. xdsl 표준화동향 국내 ADSL 서비스는 한국통신이 1998년 10 월부터 서울(광진, 영동)과 부산(연산)지역에서 1. 국외 표준화 단체 1,000 회선으로 슈퍼코넷 시범서비스로 시작된 이래 1999년 6월과 4월에 각각 한국통신과 하나 1.1 ANSI 로통신에서 본격적인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후 2000년에는 본격적인 시장개척과 1984년에 설립된 ANSI T1 위원회(Committee) 대규모 시설공급에 따라 2001. 1월에는 가입자 는 통신망에서 사용자 시스템, 망 사업자 등의 가 300만에 이르렀다. 사용자 장치간 인터페이스의 상호접속 및 연동 현재 국내 xdsl 서비스는 ADSL을 이용한 에 관한 표준을 담당하고 있다. T1 위원회는 5 인터넷 접속위주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개의 작업그룹(Working Group)으로 구성되어 주요 통신사업자들은 향후 SOHO를 목표로 하 있으며, T1E1.4에서 DSL에 관련된 표준화작업 는 SHDSL을 이용한 저가의 인터넷 전용선 서 을 추진하고 있다. 비스, ADSL 및 SHDSL을 이용한 VoDSL(Voice over DSL) 등의 부가서비스를 준비중에 있다. 1.1.1 ADSL 특히 VDSL의 경우 한국통신 및 하나로통신에 서 VOD 등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범서비스 ADSL 표준으로 1995년 8월에 최초의 표준인 를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해 VDSL 서비스제공 T1.413 Issue 1을 제정하였다. T1.413 표준의 주 을 검토하고 있다. 요 특징은 VOD 서비스를 고려한 고정된 전송 외국의 경우 xdsl 서비스에 대해 국내와 같 속도를 갖는 표준으로, DMT 선로부호를 적용 은 급격한 증가현상은 없으나, xdsl 표준의 완 하여 최대 4개의 T1급 고속 하향채널과 3개의 성, 가입자 선로 Unbundling 및 Co-location 등 저속 양방향채널 데이터속도를 제공한다. 1998 에 대한 통신규제 완화로 서비스 경쟁환경이 년에는 T1.413 Issue 1을 기반으로 32kbps~ 고조됨에 따라 지속적인 가입자 증가가 예상된 6Mbps까지 가변속도(Rate Adaptive)를 제공하 다. 그림 3은 Telechoice에서 예측한 미국의 는 RADSL 표준인 T1.413 Issue 2를 완성하였 xdsl 가입자 증가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으며, 2003년 3월 ITU-T의 G.992.2를 선택적으 그림 3. 북미 xdsl 가입자 70 TTA저널 제74호
71
정보통신 및 상향 3Mbps로 정의 (1998. 11) - 상/하향 구분방법으로 FDD(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 적용 - T1.413 Issue 2를 기반으로 ISDN과 동일 선로에서 ADS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 스펙트럼 할당은 Plan 998의 4 밴드 사용. Part 2 : SCM 방식 및 MCM 방식을 적용 한 송수신기 기능 기준 정의 - ISDN 환경적용을 위한 주파수대역 및 신 호 주파수변경[상향 주파수대역(25.875kHz - Modulation 방법, 전송 프로파일, 프레임 ~138kHz -> 138kHz~276kHz), 하향대역 구조, Activation/Deactivation 절차 정의 시작 주파수(25.875kHz -> 138kHz), Pilot Part 3 : MCM 방식을 적용한 송수신기 기 능 TS-101 328 v.1.2.1 ADSL - European - DMT Modulation 방법, Synchronization 방 법 (Timing Advance 방 식 을 Tone, 초기화 신호] 적용, specific requirements (2001. 8 예정) - 성능규격, 스플리터 규격, 스펙트럼 호환성 Synchronous Mode는 선택사항) 및 초기 화 절차 정의 1.2.2 SDSL - Activation 방식으로 ITU-T G.994.1의 절 차를 적용 - Annex B에서는 Informative로 FMT (Filtered Multi-tone) 변조 방식을 기술 단일 선로 쌍을 통해 2.3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1998년부터 표준화가 시작되었 으며, 2개의 Part로 표준이 구성된다. Part 1 : 기능적 요구사항을 정의(1998. 1 1.2 ETSI ~2000. 3) - 프 레 임 구 조, OAM(Operation, ETSI Transmission and Multiplexing(TM) 작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기능, 업그룹의 TM 6에서 Access Network에 관한 EOC(Embedded Operations Channel) 메시 표준화작업을 수행하며, DSL 관련 표준화작업 지 및 테스트 방법 등 도 TM 6에서 진행된다. Part 2는 SDSL 송수신기 요구사항을 정의 (1999. 5 ~ 2000. 6) 1.2.1 ADSL - SDSL 송수신기의 Pre-Activation, Activation 절차, UC-PAM 인코더 및 제공속도 및 응용서비스에 따라 다음과 같이 2개의 규격이 완성되었으며, 1개의 규격이 작업 중이다. Symmetric/Asymmetric Spectral Density) 마스크 등. 현재 SDSL Part 1과 Part 2를 하나의 규격으 ETR-328 ADSL Requirements and 로 통합하고, 테스트 관련 항목 및 재생기 Performance (1996. 11) (Regenerator), Power Back-off, RFI(Radio - ANSI의 T1.413 Issue 1을 기반으로 유럽 환경을 반영하여 작성 - 2Mbps 응용에 적합한 베어러 채널 할당, Frequency Interference) 유입 등에 관한 문제 해결을 위한 표준화작업을 진행중이다(2002. 4 목표). 테스트 모델 및 선로특성을 기술 TS-101 328 ADSL - Coexistence of ADSL and ISDN-BA on the same pair 72 PSD(Power TTA저널 제74호 1.2.3 VDSL
73
정보통신 및 작업그룹 Emerging DSLs Study Group Operations & Network Management Testing & Interoperability VoDSL 표준화 분야 표준 기반 xdsl 시스템의 구조 관련 작업진행 VDSL 및 FSAN(Full Service Access Network)의 VDSL 관련 작업지원중 ADSL 망 운용관리 권고안 및 ADSL 기반 접속망의 처리절차에 관한 작업 진행 종단간 DSL 서비스 제공, VDSL 계층관리, EMS/NMS 인터페이스 정의 및 장애/성능관리 관련 사항 작업 이종 시스템간 상호호환성, ADSL ICS(Implementation Conformance Statements), 테스트 절차 및 구성에 관한 권고안 작업 G.lite/G.DMT, G.shdsl 테스트 방안, VoDSL 테스트, 품질인증 관련 작업추진 DSL 환경에서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요구사항, 구조 및 권고안 작업진행 DSL을 통한 음성 패킷 전달기술 연구 및 DSL상의 채널화된 음성 서비스 관 련 이슈 및 적용성 연구 1.4 Fs-VDSL (Power Back Off)를 지지한다. - 전송속도 : 하향 22Mbps/상향 3Mbps, 하 FS-VDSL(Full Service-VDSL)는 2000년 6월 향 14Mbps/상향 3Mbps 말 FSAN 회의에서 VDSL 표준화를 가속시키 - 변조방식 : SCM(CAP/QAM) 및 MCM 고, VDSL 조기 상용화 및 광가입자망 기반의 - 스펙트럼 할당 : Plan 998, 138kHz~12 Full Service Access Network 구축을 위한 위원 회로 Telco 및 장비업체의 회원사로 구성되었 다. MHz FS-VDSL은 4개의 Technical Working Group 으로 구성되며 각 그룹별 주요 기술분야는 표 이 단체의 VDSL 표준제정에 대한 관점은 다 4와 같다. 음과 같으며 상/하향 비대칭 영상전송을 주 목 적으로 하는 스펙트럼 할당, PSD 및 PBO 1.5 ITU 표 4. FS-VDSL 기술 작업그룹별 표준화 분야 작업그룹 System Architecture VDSL Specification CPE OAM 74 TTA저널 제74호 표준화 분야 VDSL에 대해 서비스 타입, 망 구성(FTTB, FTTCab, FTTCurb 등), 서비스 요구조건, 각 사업자별 시스템 및 서비스 차이, 시스템 기능, 접속규격, IP vs. ATM, CO 배치 등의 기술연구 VDSL 송수신기 규격에 대해 PBO(Power Back Off), PSD(Power Spectral Density), 선로부호, 헨드세이킹, 시험절차, 전력, 스플리터, 상호운용성 및 스 펙트럼 호환성 등의 기술에 대해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고, ITU-T에 Asymmetric 구조/구현에 따른 사항반영 FTTCab 구조, ONU 비용 등을 포함한 가입자 단말구축 비용, STB(SetTop-Box) 및 Gateway 기반의 가입자 단말기능, Home Network 구조, 가입자 망과의 연동에 대한 기술연구 FSAN 내의 다른 그룹과 연계하여 운용관리 및 상호운용성 기술연구
75
정보통신 및 환경의 테스트 선로에서 각각에 대한 성능 요 ~2312kbps 범위내에서 8kbps 간격의 가변적인 구사항을 정의한다. 2000년 10월에는 동일 바인 데이터속도를 TC-PAM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더 내에서 G.961의 부록 III에 정의된 ISDN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서비스 함께 운용되는 대칭형 Synchronized DSL에 대 도달거리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regenerator)의 한 권고안이 부록 H로 승인되었다. 사용 및 2쌍의 동선로 쌍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G.992.2는 UAWG(Universal ADSL Working 적용할 수 있게 기술하고 있다. Annex A와 B Group)에서 기고한 UADSL 규격을 기반으로 에서는 북미 및 유럽의 SHDSL 성능 요구사항 사용자 댁내에 스플리터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 및 전기적 특성을 기술하고 있으며, 192, 256, 의 Splitterless ADSL 권고안이다. G.992.1 규격 384, 768, 1544, 2048, 2304kbps의 대칭형 PSD와 과의 차이점은 하향 스트림의 사용 톤(Tone) 선택사항으로 1544kbps, 768kbps의 비대칭형 수를 1/2로 줄이면서 전송속도 1,544 kbps를 목 PSD를 정의하고 있다. 표로 하고 있으며, 가입자 선로상태 변화에 따 라 프로파일을 관리하여 2초 이내에 재 초기화 1.5.3 xdsl bis 계열 를 수행하는 Fast Retrain 기능이 추가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데이터흐름이 없을 때 ADSL 링 xdsl bis 계열은 G.dmt.bis 및 G.lite.bis의 크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이는 Power G.dmt 및 G.lite에 대해 성능향상, 잡음환경 및 Management 기술을 추가하였다. Q-Mode에 대한 작업이 진행중이며, 향후 G.995.1(G.ref)에서는 ITU-T Q4/SG15에서 작 G.992.3 및 G.992.4로 번호가 부여될 예정이다. 업중인 DSL 기술의 개요, 참조 모델 및 규격간 G.ref.bis, G.hs.bis, G.test.bis는 2000년 4월에 표 의 관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G.994.1은 DSL 준화작업이 시작되어 2001. 2월 승인되었다. 이 송수신기의 Pre-Activation 과정에 전달되는 신 권고안들은 기존 G.992.1 및 G.992.2에 공통되는 호, 메시지 및 절차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사항에 추가로 G.991.2에 관련된 사항이 기술 G.996.1은 DSL 송수신기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 되었다. 트 선로, 간섭(Crosstalk) 및 충격(Impulse) 잡음 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G.997.1은 DSL 송수신 1.5.4 VDSL 기의 운용에 관련하여 성능 파라미터, 장애 파 라미터 및 망관리 관점의 물리계층 관리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ANSI 및 ETSI의 VDSL 표준화작업이 진행 됨에 따라 ITU-T Q4/SG15는 1999년 4월 회의 에서 VDSL 표준개발이 제안되었다. 이 제안에 1.5.2 SHDSL 서는 상호운용 및 호환성, 스펙트럼 호환성 및 장치운용상의 용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상 G.991.2(G.SHDSL)은 2000년 4월에 표준화작 하향 분리방법, 변조방식, 코딩기술 등 각 기술 업이 시작되어 2001. 2월 승인되었다. SHDSL 항목에 대해 단일화된 방식을 채택하도록 권고 권고안은 ANSI 및 ETSI에서 작성하여 제시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일화된 방식채택을 위 요구사항들을 조합하여 국제표준으로 공통 적 해 1999년 말까지 이론적 분석, 실험실 및 현장 용되는 부분은 본문에 기술하고 지역에 특정한 테스트를 완료하고 이를 통해 표준제정 작업과 사항 및 본문에 부수적인 사항들은 부록에 싣 정에 빠른 의사결정을 얻을 수 있도록 VDSL 는 형태로 작성하였다. 일반 요구사항으로 단일 전송방식을 평가하는 범주를 만들도록 제안하 동선로 쌍을 이용하여 양방향 대칭형 192kbps 였다[5]. 76 TTA저널 제74호
77
정보통신 및 그림 4. Plan 997 그림 5. Plan 998 그림 6. Fx-Plan Sweden 적용을 위해 Annex로 처리하도록 결정 2.1 TTA 하였다. 2000년 2월 회의에서는 4 band plan을 지원하는 138kHz~12MHz 대역사용에 대해 결 TTA의 xdsl에 관한 국내표준은 1999년 4월 정되었으나, 138kHz 이하 및 12Mbps 이상의 주 xdsl 연구위원회가 결성되어 관련 기술정보교 파수대역 사용방안, 지역별 주파수할당 허용방 환 및 표준화가 논의되던 중에 1999년 7월에는 안 등에 대한 사항은 결정되지 않았다. 전송기술위원회 산하 전송시스템연구반으로 확 채널 다중화 VDSL 데이터 채널은 인터리빙 적용방법에 따라 fast 채널과 slow 채널로 구분되며, 채널 대개편되어 xdsl, 광전송기술을 포함한 전반적 인 액세스망 적용기술의 표준화업무를 담당하 게 되었다. 적용방법에 따라 이중지연(Dual latency) 또는 전송시스템연구반의 xdsl에 관련하여 ITU- 단일지연(Single latency)으로 구분된다. G.vdsl T 권고안(G.992.1, G.992.2, G.994.1, G.996.1, 에서는 단일지연 적용을 필수항목으로, 이중지 G.997.1)을 바탕으로 국내 적용성을 검토한 후, 연은 선택항목으로 정의된다. 또한 Fast 채널과 표준초안을 마련하였으며, 2001년에는 정보통신 Slow 채널의 구현관점에서 Slow 채널이 필수항 부의 표준화 추진의지에 부합하여 VDSL, 목으로 정의된다. SHDSL 등의 표준화작업을 위해 산학연 공동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ITU에서는 현재까 구를 계획하고 있다. 지 몇 가지 주요 항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이 며, 시스팀 참조 모델, 누화영향, PSD 마스크, 2.2 한국 xdsl Forum VDSL을 위한 G.hs 적용, 테스트 방안 등 많은 현안사항들이 Open Issue로 남아 있다[9]. 한국 xdsl 포럼은 국내의 xdsl 관련 기술 및 제품개발의 촉진, 서비스 보급 및 사용촉진 2. 국내 표준화동향 과 관련 기업, 연구단체에 대한 기술지원을 목 적으로 2000년 7월에 결성되었으며 산학연의 약 78 TTA저널 제74호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