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ACBAB820C6EDC1FDC3D6C1BE2DBFCF2E687770>

Similar documents
CR hwp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B9ABC1A62D31>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내재화평가 결과서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감사회보 5월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ㅇ ㅇ

- 2 -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 2 -

2018 년 SW 개발보안교육과정안내 행정안전부와한국인터넷진흥원은행정기관등의정보시스템담당공무원및 개발자를대상으로 SW 개발보안에대한이해증진및전문역량강화를위해아래와 같은교육을실시하오니, 관심있으신분들의많은참여부탁드립니다 년 SW 개발보안일반과정 교육대상 : 전

1

[ 별지제3 호서식] ( 앞쪽) 2016년제2 차 ( 정기ㆍ임시) 노사협의회회의록 회의일시 ( 월) 10:00 ~ 11:30 회의장소본관 11층제2회의실 안건 1 임금피크대상자의명예퇴직허용및정년잔여기간산정기준변경 ㅇ임금피크제대상자근로조건악화및건강상

**09콘텐츠산업백서_1 2

1. 경영대학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목 차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2ÀåÀÛ¾÷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 -


2002report hwp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목차 C O N T E N T S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 C1DFB0F8B1B320BFACBAB82DC3D6C1BEC0DBBEF72D312E68777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pdf..

디지털교과서정책연구학교연구보고서 스마트교육기반의디지털교과서활용을통한 자기주도학습력신장 교육부요청디지털교과서정책연구학교 분포초등학교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2. 강의방법 (CourseResources) 세미나 Seminar 발표 Presentation 질의응답 Q&A 초청강의 Special Lecture 현장답사 Field Trip 유인물활용 Handouts Audio/Video/TV Team Teaching 토의 / 토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2002report hwp

수련원표지 최종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강의계획서 (Sylabus) 2013 학년도 2 학기 * 강의과목 교과목명 (CourseName) 한국문화를찾아서 INSEARCHOFKOREANCULTURE 언어 (Language) 영어 과목번호 - 분반 (CourseNo.-Class) 수강대상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2010교육프로그램_

2

2015 년 SW 개발보안교육과정안내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Ⅰ 2018 년도교육계획 1. 총교육인원 : 63 개과정 133 회 8,034 명 연수교육 : 10개과정 16회 1,004 명 직무교육 : 28개과정 69회 4,250 명기본교육 : 3개과정 6회 810명전문교육 : 25개과정 63회 3,440 명 특별교육 : 25개과

사회수요에맞는교육을위한정책방안연구 연구책임자 : 박 동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01정책백서목차(1~18)

2008 년도정보화담당공무원워크숍 ~ 경기도교육청

제4장

Ⅰ Ⅱ Ⅲ Ⅳ

Layout 1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allinpdf.com

I (34 ) 1. (10 ) 1-1. (2 ) 1-2. (1 ) 1-3. (2 ) 1-4. (2 ) 1-5. (1 ) 1-6. (2 ) 2. (8 ) 2-1. (3 ) 2-2. (5 ) 3. (3 ) 3-1. (1 ) 3-2. (2 ) 4. (6 ) 4-1. (2 )

ad hwp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유아-주요업무내지(1-3)

2003report hwp

Contents iii


untitled

전력기술인 7월 내지일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RR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C0CEBBE7B9DFB7C92DC3D6C1BE2E687770>

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Çʸ§-¾÷¹«Æí¶÷.hwp.hwp

È޴ϵåA4±â¼Û

1. 일반현황 주요업무추진실적 주요업무추진계획 4. 신규 주요투자사업

갈등관리 리더십 연구결과 보고서.hwp


수정보고서(인쇄용).hwp


학술대회준비위원 회장 : 이윤식 ( 인천대 ) 수석부회장 : 송광용 ( 서울교대 ) 부회장 : 박영숙 ( 한국교육개발원 ) 박은혜 ( 이화여대 ) 신현기 ( 단국대 ) 신현석 ( 고려대 ) 이윤경 ( 서원대 ) 이일용 ( 중앙대 ) 정정진 ( 강남대 ) 조동섭 ( 경인

Transcription:

1. 연혁 년 월 주 요 내 용 1949. 3. 21 국립공무원훈련원설치 ( 대통령령제69호 ) 청사소재지 : 서울특별시종로구경운동 90번지 원 장 : 총무처장 ( 總務處長 ) 이겸임 1961. 10. 2 중앙공무원교육원으로확대개편 ( 법률제747호 ) 원장 (1급), 차장, 교수부, 총무과 교무과 학생과 지도과 1962. 10. 동부지역공공행정기구 (EROPA) 회원가입 1963. 9. 서울특별시중구장충동2가산7-5로청사이전 1970. 2. 연구발전부설치, 담당관제도신설 원장, 차장, 총무과, 교수부 ( 교무과 학생지도담당관 교수 ), 연구발전부 ( 행정교리담당관, 행정실태담당관, 교육평가담당관 ) 1971. 7. 원장직급을차관급으로상향조정 1971. 10. 대전으로의이전준비를위해청량리임시청사로이전 1974. 5. 대전시괴정동산 10-1로청사이전 1974. 11. 청사확장이전에따른관리기능수행을위해관리부신설 원장, 차장, 관리부 ( 총무과 관리과 ), 교수부 ( 교무과, 학생과 ), 연구발전부 ( 기획과 자료담당관 교육평가담당관 ) 1976. 4. 기구의일부개편 ( 차장 부원장, 연구발전부 기획부 ) 1978. 4. 교수부에외국어훈련담당관신설 1981. 11. 제5공화국출범에따른행정개혁으로기구일부개편 원장, 총무과, 교수부 ( 교무과 학사관리과 외국어훈련담당관 ), 기획부 ( 기획과 지도과 ), 연구부 ( 연구관 ) 1981. 12. 현재의경기도과천시중앙동 2번지로청사이전 1983. 8. 조직간소화를위해연구부폐지 기획부에발전과를신설하여연구부의기능을이관 원장, 총무과, 교수부 ( 교무과 학사과 외국어훈련담당관 ), 기획부 ( 기획과 지도과 발전과 ) Ⅰ. 일반현황 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년월주요내용 1991. 8. 기구의일부개편 외국어훈련담당관 국제교육담당관 발전과 교육발전과 1992. 10. 제39차 EROPA 이사회및행정발전국제토론회개최 1994. 4. 팀제조직으로기구개편 원장, 교수부 ( 교육총괄과. 교육1 2 담당관, 국제교육담당관 ), 기획지원부 ( 서무과, 기획과, 지도과 ) 1996. 6. 기구의일부개편 국제교육담당관 (4급) 국제교육협력관 (3급) 서무과 총무과 1998. 12. 공무원교육훈련체제및조직개편 2부 4과 3담당관 2부 4과 1담당관 3팀 정원감축 : 144명 110명 1999. 3. 개원 50주년공무원교육훈련정책세미나개최 1999. 12. 중앙공무원교육원 50년사 발간 2000. 9. 사이버교육 운영전담기구설치 테스크포스조직형태로구성 운영 총 8명으로인원편성 : 전문계약직 ( 나 다급 ) 채용등 2000. 12. 공무원사이버교육센터 구축 운영시스템및 8개교과목 ( 코스웨어 ) 개발 2001. 12. 기구의일부개편및정원감축 기획과, 지도과 기획지도과 ( 통합 ) 행정자치부본부정원으로이체 (4급 1, 7급 1) 2004. 1. 사이버교육팀장 ( 전문계약직 가 급 ) 승인 2004. 6. 중앙인사위원회로소속변경및인력증원 시설관리인력기능10급 3명증원등 2005. 3. 기구개편 교수부를인재양성부 ( 인재양성총괄과, 인재양성 1팀, 인재양성2 팀, 인재양성3팀, 인재양성4팀 ) 로개편 인재양성3 팀 ( 혁신교육팀 ) 신설 기획지원부를양성기획부 ( 총무과, 기획지도과, 역량진단센터 ) 로개편 역량진단센터신설 국제교육협력관을교수부에서원장직속으로소속변경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운영및정책사례개발등을위한인력증원 2006. 2. 8명 (5급 4, 6급이하 4) 국제협력업무의효율적수행및상시학습체제도입등에따른사이버 2007. 3. 교육수요증대에대한대응을위해인력증원 ( 별정직5급상당 1, 6급 1명 ) 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2. 기구및정원 (2007. 12 월말기준 ) 가. 기구 : 2 부 1 관 3 과 4 팀 1 센터 원 장 ( 차관급 ) 국제교육협력관 인재양성부 양성기획부 교 수 인재양성총괄과 인재양성 1 팀 인재양성 2 팀 인재양성 3 팀 인재양성 4 팀 총 무 과 기획지도과 역량진단센터 사이버교육팀 (TF) 나. 정원 구분 계급별 계 정무직 ( 차관급 ) 소계 고위공무원단 일반직별정직 3 4 급 4 급 4 5 급 5 급 6 급이하 소계 고위공무원단 5 급 6 급이하 합계 139 1 79 2 1 6 2 24 44 10 1 4 5 3 46 전임교수요원 3 3 교수요원 교관 2 2 2 비전임 39 1 35 2 1 6 2 24 3 1 2 전문직 계약직 연구직 기능직 기타요원 ( 행정 관리 ) 95 44 44 5 5 46 Ⅰ. 일반현황 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3. 기능 가. 주요기능 국가공무원의교육훈련 외국공무원교육훈련및국제협력 각급공무원교육훈련기관지도 지원 교과 교재및교육훈련기법의연구 개발 보급 나. 부서별기능 부서명주요기능 국제교육협력관 인재양성총괄과 인재양성 1 팀 인재양성 2 팀 인재양성 3 팀 인재양성 4 팀 총무과 기획지도과 역량진단센터 사이버교육팀 ( T F ) 외국공무원교육및국제기관과의교류사업 외국어교육 ( 영어, 일어, 중국어 ) 교육운영에관한총괄 조정및개선 기본교육및전문교육등의교육과정운영 체육활동지도및시청각기자재운영 기본교육및전문교육등의교육과정운영 기본교육및전문교육등의교육과정운영 변화관리교육과정의운영 전문교육과정의운영 임용 복무등인사사무 청사관리및방호업무 예산 회계 결산및재산관리 주요사업계획및교육기본계획수립 교육훈련수요조사및교육과정개발 자체조직관리및교육정보자료실운영 각급공무원교육훈련기관지원 협력 교육대상자에대한역량진단및역량교육실시및모델 기법연구개발 사이버교육운영및코스웨어기획 개발 교육훈련전산프로그램및전산장비의운영 관리 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4. 시설개요 가. 교육시설현황 총규모 : 대지 97,380.3 m2, 건물 21,519.62 m2 도움관 보 람 관 어울관 새날관 늘새롬관 체육시설 교육시설면적 ( m2 ) 수용인원 ( 명 ) 세미나실 교육자료실 사무실 강의실 대강당 대강의실 강의실 (3실) 컴퓨터교육실 분임실 (22실) 여성휴게실 시청각실 학생식당 직원식당 외국인식당 강사식당 주방 침실 (88실) 휴게실 ( 쉼터 ) 체력단련실 탈의실 목욕실 독서실 인터넷검색실 여성전용샤워실 강의실 (2실) 세미나실 (4실) 분임실 (4실) 강사실 (3실) 대운동장 축구장 (1 면 ) 테니스장 (4 면 ) 농구장 (1 면 ) 267.75 336.6 997.87 324 296.43 406.8 108 910.8 41.4 124.2 324 108 57.6 36 216.9 2,041.12 216 221.76 46.72 109.12 53.3 53.3 53.3 324.22 783.88 253.44 52.55 9,000 (92m 58m) 3,312 495 60 46 292 304 190 46 330 224 60 24 16 176 140 287 Ⅰ. 일반현황 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나. 교육기자재보유현황 품명규격수량용도설치장소 멀티미디어교육시설 강사 PP & Data, Video 17 식강의, 시청각, 회의실 강의실 (9) 대강당 (4) 소회의실 (1) 세미나실 (3) 커뮤니케이션센터시설 T.V 스튜디오 T.V 영상방영부 분임실영상자습강의저장시스템편집시스템강의모니터링시스템 위성, T.V, 영상 13 평위성, T.V (11CH) 캡션자막 VTR 분임실 LCD TV 인코딩시스템편집장비중계서버 (2 대 ) 1 식 1 식 1 식 1 식 26 개 1 식 1 식 1 식 시청각교육 영상학습용영상학습및 PP 용강의녹화용동영상편집용강의모니터링 시청각실로비, 분임실각실분임실 23 실고위정책실시청각실시청각실 세미나실음향시설 동시통역시설 회의용음향시설 회의용 4 개국용 30CH( 국제회의 ) 1 식 1 식 1 식 각종행사, 교육용국제회의, 외국인교육 도움관 3 층 대강당음향및영사시설 24ch 듀얼콘솔 2 식강의및각종행사보람관 1 층 강의용음향시설강의실 4 실용 1 식각급교육과정운영시청각실 대강의실음향시설 300 인수용 1 식신임 초급과정교육대강의실 일반방송시설원내전관 1 식교육및공지사항방송시청각실 중앙제어시계시설 97 회로 1 식 늘새롬관, 보람관, 도움관분임실, 강의실, 사무실 늘새롬관 새날관음향시설 PDP, TV 신 구관 PDP 42인치 3식 1대 새날관방송용휴게실, 어울관 새날관 어울관음향시설 PDP, TV 앰프외 8 종 PDP 42 인치 1 식 1 대 어울관용어울관 영상장비 VTR 등 8 종 26 대시청각교육원내 음향장비녹음데크등 4 종 19 대시청각교육 ( 음향편집 ) 원내 영사장비환등기등 3 종 9 대시청각교육원내 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다. 늘새롬관시청각교육시설 (6 강의실음향, 멀티미디어 ) 시설내역용도설치장소 주스피커 (175W, JBL) 천정스피커 (300W, JBL) 회의용마이크 ( 필립스 ) 테이블형전자칠판 ( 사회마이크별도 ) (DVDCOMBO, 무선 2, 유선마이크 2 내장 ) LCD 프로젝터 (150 인치 ) DLP 멀티큐브 (100 인치, 50 4) C C T V ( 좌, 우, 상, 하조정 ) [8 개 ] [6 개 ] [60 개 ] [2 대 ] 음향시설용 회의용강사자료 PP 용 ( 각강의실동일 ) 강사자료 PP 용 VIP 영상, 자막방송, 강사자료 PP 겸용 새롬실 (150 명 ) 주스피커 (175W) 천정스피커 (30W) 회의용마이크 ( 필립스 ) 사회마이크 LCD 프로젝터 (120 인치 ) C C T V ( 팬, 틸트조정 ) [4 개 ] [2 개 ] [75 개 ] [1 개 ] [1 대 ] 음향시설용 회의용강사자료 P.P 용 VIP 영상, 행사용 혁신실 (30 명 ) 주 예비음향콘솔 (24CH) 앰프, EQ, CDP, DVD 외영상조정 UPS ( 영상, 음향용 ) 전기시계 ( 위성수신 ) : 모시계 [2 대,1 식 ] [2 식 ] [2 대 ] [1 식 ] 새롬실및혁신실음향시설조정영상, 음향시설용자시계 : 87 개연결 음향조정실 (3 층 ) 주스피커 (175W) 천정스피커 (30W) 교탁형전자칠판 ( 사회마이크별도 ) (DVD, VTR, 무선 3, 유선마이크 2 내장 ) LCD 프로젝터 (120 인치 ) 동시통역시설 (1 층세미나실 Ⅰ) [3 실, 12 개 ] [3 실, 12 개 ] [3 식 ] [3 실, 3 식 ] [50 개 ] 음향시설용 강사자료 P.P 용 통역부쓰 2 인 :1 층 PDP(64", 05 증설 ) 2 층세미나실 Ⅱ (60 명 ) 1 층세미나실 Ⅰ (50 명 ) 1 층강의실 Ⅰ (60 명 ) 강의실 Ⅰ 과동일, 음향 영상시설강의녹화시스템 [2 식 ] 고위정책교육용 PDP(64", 05 증설 ) 엘레베션, 카메라 2 층강의실 Ⅱ (80 명 ) 주 예비음향콘솔중주콘솔 (32CH) 앰프, EQ, CDP, UPS 2 대등 [1 식 ] [4 식 ] 4 개강의실음향용 1 ㆍ 2 층통합음향조정실 (2 층 ) Ⅰ. 일반현황 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5. 2007 년도예산규모 자본지출경비 2,948 (15.48%) 경상이전 131 (0.69%) 인건비 8,386 (44.05%) 물건비 7,574 (39.78%) ( 단위 : 백만원 ) 총예산액물건비인건비자본지출경비경상이전 19,039 7,574 8,386 2,948 131 1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1. 고위핵심인재육성을위한교육훈련시스템정착 가. 4급핵심인재과정운영 1) 교육목표 4급핵심인재과정은 4급핵심인재과정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 고위정책과정 과연계된관리직역량강화프로그램으로써, 신임과장급공무원에게요구되는핵심역량및문제해결능력을함양하고능력발전네트워크를구축하기위하여 2006년 9월부터운영하고있다. 2) 교육내용 1 관리역량강화교육 (Management Skill Up) 과장급공무원에게필수적인 사람관리 성과관리 역량함양을위해온라인과오프라인을연계한교육을실시한다. 온라인으로사전학습하여습득한관리역량을토론및참여중심으로집중심화학습함으로써교육의효과를제고한다. 아울러교육생스스로학습과제를선정하고관련분야의참고서적독서등을통해자신의약량을개발하고미래를설계하는자기주도독서학습을실시한다. 또한자기발견과새로운출발을다짐하기위한감수성훈련을실시하여핵심인재로서의적극적인의식변화를도모한다. 2 액션러닝 (Action Learning) 과제수행 6~7명으로액션러닝연구팀을구성하여각팀별로실제정책현안에대한조사와분석을통해문제점을파악하고해결대안을제시한다. 범부처적인시각에서현안과제에대한해법을모색하는한편연구과제수행의효율성을제고하고실질적인문제해결을위한대안을제시할수있도록팀원의소속부처와관계된과제를설정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1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할수있으나팀원의소관실국업무와관련된과제는배제하도록한다. 각팀이부처혼합형으로구성되어있어다양한시각과경험을바탕으로정책문제해결능력을배양하고, 정부정책의품질향상에기여하게된다. 연구프로세스와문제해결방법을전문적으로지원하는퍼실리테이터 (Facilitator) 를각팀에배정하여액션러닝의원활한수행을도모한다. 연구과제업무소관부처의실장 ( 본부장 ) 이스폰서가되고, 과제담당과장이자문관이되어효과적인학습활동을체계적으로지원하게된다. 과정목표과장급핵심인재의관리역량및문제해결능력강화 관리역량강화교육 (Management Skill Up) 문제해결능력향상 온라인교육집합심화교육액션러닝 (Action Learning) 필수학습과정 - 성과관리 - 사람관리 자기주도독서학습 학습주제자율선정및관계참고서적독서 스스로의역량개발및미래설계 토론및참여형사례교육 - 성과관리 - 사람관리 - 정책사례 특강 감수성훈련 자기 주변성찰및극기 새로운다짐등 AL 오리엔테이션 - AL 팀편성 - AL 실행방법론학습 - AL 연구과제선정 AL 실행 - AL 성찰미팅 (4 회 ) - AL 중간워크숍 - 과제연구및실사, 토론및대안마련 AL 지원자 - 퍼실리테이터 : AL 프로세스전문가 - 스폰서 : 연구과제관련해당부처실 본부장급 - 자문관 : 연구과제관련해당부처담당과장 - 멘토 : 수료생 AL 컨퍼런스 - 연구결과물발표 3) 교육운영의성과 2006년하반기 1회핵심인재과정을운영하여 72명의핵심인재를배출하였으며, 2007년에는상 하반기각 1회운영하여 131명의핵심인재를배출하였다. 본과정은담당급에서과장급으로이동한공무원을대상으로관리자로서필요한역량함양에초점을두었다. 관리역량교육을통해과장급에게가장필요한사람관리역량과성과관리역량을배양시키며, 액션러닝실행을통해현업에서과제를해결할수있는역량을개발하였다. 1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실제로교육생에대한설문조사결과교육생대부분이본과정을통하여과장급공무원으로서요구되는자질과능력에대한학습기회를제공받고자기계발에대한동기가유발되었다고응답하여, 전반적으로교육과정에대한만족도가높고과장급핵심인재의역량향상에기여한것으로평가된다. 그동안신임과장급공무원을정책결정의중심이될핵심인력으로육성하기위한관리역량교육프로그램이부재하였던현실에비추어본다면, 본과정은체계적국가핵심인력양성프로그램의기초과정으로서그의의가크다고하겠다. 본과정이관리직공무원이국가의핵심인재로거듭나기위해서필수적으로통과해야할교육으로자리잡기위해서현재의성과에안주하지않고지속적인개선노력을기울이고있다. 나.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운영 1) 교육목표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은고위공무원의성과와역량향상을통한정부의경쟁력과행정서비스의질을제고하기위해 2006년 3월부터운영되었으며, 고위공무원에게요구되는핵심역량을체계적으로향상시켜고위공무원단의경쟁력을제고하고문제해결능력을배양하여정부정책의품질을향상하는데그목표를두고있다. 2) 교육내용교육내용은크게개인별역량진단결과를바탕으로한맞춤형역량심화교육과현장중심의문제해결능력을함양하는액션러닝 (Action-Learning) 교육으로구성되어있다. 교육방식은교육대상자가핵심과장급공무원인점을고려하여부처의업무공백을최소화하기위해직무병행방식으로진행되며, 또한블렌디드러닝 (Blended Learning) 시스템으로운영하고있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1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교육체계도 > 1 사전역량진단 2 온라인역량기초교육 3 입교식 / OT 4 역량심화교육 핵심역량수준을객관적으로분석 9 개역량에대한기초강의 입교식, 교육과정안내 역량, 액션러닝 OT 필요역량의맞춤형교육 2 개이상역량학습 7 AL 컨퍼런스 / 수료식 6 교육평가 5 AL 집중워크숍 8 과정수료 액션러닝결과발표 AL 컨퍼런스 / 수료식 과제물, 참여도등평가 액션러닝팀학습을 1 주일간집중실시 가 ) 역량교육 교육대상자는입교전에먼저중앙공무원교육원홈페이지에구축된역량진단시스템을통해고위공무원에게요구되는 9개핵심역량에대한개인별수준을객관적으로평가받는사전역량진단을받는다. * 9개핵심역량 : 의사소통, 고객지향, 비전제시, 조정통합, 결과지향, 혁신주도, 전문가의식, 문제인식및이해, 전략적사고사전역량진단은자가진단뿐만아니라교육대상자와교육대상자를가까이에서관찰하고평가할수있는상사 1명, 동료 2명, 부하직원 1명이참여하는 360도다면진단으로실시되며, 진단결과는바로교육대상자에게제공된다. 교육대상자는본인이진단한역량진단결과, 타인이진단한역량진단과의수준차이, 9개역량별역량의수준차이등을피드백받고이를바탕으로입교후받을역량심화교육과목을선택하게된다. 또한사전역량진단과동시에 9개역량에대한전반적인이해를높이기위해중앙공무원교육원사이버교육센터에서온라인역량기초교육을받게된다. 각역량과정은 2시간분량총 19시간으로구성되어있다. 입교후실시되는오리엔테이션에서는역량 1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교육에대한이해를높이기위해역량의역사 개별역량의정의 입교전실시한역량진단에대한피드백으로이루어진특강을실시한다. 이와함께교육과정에대한오리엔테이션및고위공무원단제도 교육이수후고위공무원단에진입하기위해받게될역량평가에대해서도안내를받는다. 역량심화교육은사전역량진단결과파악된부족역량을보완하기위해실시되는맞춤형교육으로서교육생은필수적으로 2개과목을수강하도록되어있으며, 희망하는경우최대 9개과목까지추가로수강할수있다. 각역량과목은 2일코스로구성되어있으며, 강의는과정설계및개발에참여한중앙공무원교육원원내교수가진행한다. 강의내용은실제사례속의다양한역량발휘상황에대해학습하고직접실습하는참여형교육으로이루어져있다. 교육생들은역량심화교육을이수한뒤, 역량진단결과 역량관련추천도서탐독및심화교육내용을참고로본인의역량개발계획서를작성하게되며, 역량개발계획서는차후소속부서의차관에게제출함으로써역량개발의실행력을강화하도록하였다. < 역량교육모듈 > 입 사전역량진단 2 주 역량진단시스템을이용하여자가및다면진단실시 교 전 온라인역량기초교육 3 주 고위공무원에게요구되는 9 개핵심역량에대한기본이해 ( 역량별 2 시간, 총 18~19 시간과정 ) 입 교 역량교육오리엔테이션 1 일 역량에대한이해제고및진단결과피드백실시 후 맞춤형역량심화교육 6 주 필요역량에대한사례연구 토론 역할연기등실습중심교육실시 - 2개이상역량과정이수 ( 역량과목별로 2일교육 )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1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나 ) 액션러닝 (Action-Learning) 교육액션러닝은팀을구성하고연구과제를정하여과제의해결대안을도출해내는과정으로 10주간진행된다. 팀은기관단위의 4~7 명으로구성하되교육인원이적은기관은부처혼합팀으로편성하였으며, 팀별로액션러닝전문가를학습촉진자 (Facilitator) 로지정함으로써액션러닝과제의효율적이고원활한수행을지원하고팀의성찰과학습능력을증진시킬수있도록하였다. 액션러닝연구과제는부처의현안과제, 교육기간중에해결대안을도출할수있는과제등을위주로선정한다. 교육대상자들은사전에팀별로 2개이상의액션러닝연구과제를정해운영팀으로제출하며, 입교식전에팀별로지정된학습촉진자가부처를방문하여팀원간토의등을통해최종과제를선정한다. 선정된과제는이후오리엔테이션및팀원간토의를통해세부적인내용을조정한후, 부처의차관인스폰서와교육생간과제조인식을거쳐최종연구과제로확정된다. 또한, 학습촉진자가부처방문시해당부처의후보자과정전 ( 前 ) 기수교육생이멘토로참여하여교육과정에대한경험을함께나눌수있도록함으로써교육대상자들의교육과정에대한이해를돕도록하고있다. 오리엔테이션에서는액션러닝에대한이해를돕기위한액션러닝정의, 목적등에대한강의를실시하고액션러닝에사용되는팀학습기술및성찰등을활동해보는과정으로교육이운영된다. 액션러닝문제해결프로세스, 팀학습기술등을학습하고이를바탕으로오리엔테이션이후과제수행계획을수립한다. 이외에도, 전 ( 前 ) 기수우수사례발표등을통해액션러닝과정에대한이해를돕고, 액션러닝팀과는별도의혼합팀을임시적으로구성해액션러닝과제선정내용및과정에대해상호조언하고벤치마킹하는기회를갖는다. 액션러닝연구과제의해결대안을마련하기위해팀별모임을실시한다. 팀학습기술을이용하여액션러닝과제문제의원인을분석하고과제해결을위한실행계획을작성한다. 이러한팀모임및팀활동에서팀원들간역할분담, 성찰등모든활동은자율적으로하고있으며직무병행으로진행되는교육생들의일정을감안해온라인 1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상에서팀원간커뮤니케이션이원활히진행될수있도록게시판형식의 CoP (Community of Practice) 를지원하고있다. 팀활동을통해수립한문제해결계획에따른현장실사및최종연구과제해결안도출을위해 2007년 3기부터 1주일간의 집중워크숍 을도입 실시하였으며, 동기간동안에는직무를떠나액션러닝연구과제해결을위한활동에만전념하게된다. 집중워크숍 1일차에는다른팀의과제진행상황에대해공유하고상호벤치마킹하는기회를가진다. 이후, 현장실사를거치고조사결과를분석하여최종해결대안을도출하며최종연구결과보고서를작성 제출한다. 액션러닝최종연구결과보고서가완성되면부처의차관인스폰서에게발표하고평가를받게된다. 스폰서는최종연구과제의해결대안이채택가능한것으로판단되면정책에반영하기도한다. 한편, 최종연구결과보고서는운영팀으로도제출되어내 외부평가위원의평가를받게된다. 액션러닝활동이완료되면각팀의액션러닝연구결과물을발표하고공유하는액션러닝컨퍼런스를개최한다. 컨퍼런스를통해서는평가위원회에서선정된우수팀의결과만발표하며나머지팀은팀간미팅을통해상호공유하게된다. 한편, 액션러닝연구과정뿐만아니라역량교육등전반적인후보자과정에대해서도우수수료생의발표를통해전체과정에대해성찰할수있는시간을갖는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1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입 교 전 AL 팀구성 - 1 차사전모임 3 주 < 액션러닝교육모듈 > 기관단위로 AL 팀을구성하되, 교육인원이적은기관은기관통합형으로팀편성통합형으로팀편성 연구과제재조정을통한과제의최종선정 수료생 ( 멘토 ) 와의대화 AL 오리엔테이션 1 일 AL 의의의, 목적등 AL 에대한이해제고 연구과제수행을위한팀학습기술훈련 입 2 차사전모임 3 주 과제의명확화및원인분석 교 3 차사전모임 / 과제조인식 집중워크숍 3 주 1 주 현장조사계획수립및실사등집중워크숍준비 연구과제에대해스폰서 ( 차관 ) 와교육생간협약체결 팀간벤치마킹및실사등을통한조사결과보완 조사결과분석, 해결대안도출및연구과제결과보고서정리 후 연구결과발표 1 주 스폰서 ( 차관 ) 에게연구결과발표 AL 컨퍼런스수료식 1 일 우수팀연구결과발표를통한상호학습및과정수료 3) 교육성과 2007년도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은 10주과정으로연 3회운영을통해 515명의수료생을배출하였다. 2006년도도입된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의기본프로세스를유지하고, 전년도운영결과와교육생의의견을반영해좀더효율적인교육과정이될수있도록개선하였다. 즉, 교육생의직무병행방식으로인한업무부담감을경감하기 2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위해 1주일간의집중워크숍을도입했으며, 전역량과목의수강을희망하는교육생의의견을반영하여 9개역량의교재를 CD로배포하고고위공무원단홈페이지를통해제공함으로써사전에 9개핵심역량에대한상시학습을가능하게하였다. 교육생들도교육과정에대해긍정적으로평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설문조사등을통해교육생대다수는교육과정이고위공무원에게필요한자질및역량함양에도움 (88.4%) 이되며, 자기계발의필요성인식계기가되었다고평가했다. 또한, 액션러닝연구결과가많은부처에서활용되고있으며, 액션러닝을수행하면서학습한문제해결기법이업무수행에있어도움이되는것으로응답했다. 이러한성과를통해볼때,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을통해고위공무원에게요구되는역량향상을통한고위공무원단의경쟁력제고와문제해결능력배양을통한정부정책의품질향상에도일조했다고평가할수있다. 다. 고위정책과정운영 1) 체계적인역량중심교육 (Competency-based learning) 중앙공무원교육원웹사이트상에서개인별역량진단을실시하고자기인식워크숍을통해역량별장 단점을분석한후에역량진단결과부족한역량에대해서는맞춤형역량심화교육을실시하였다. 역량진단 (360 다면평가 ) 자기인식워크숍 (Action Plan 설정 ) 역량기본교육 ( 사이버교육 ) 맞춤형역량심화교육 ( 분반형선택과정운영 ) 교육효과진단 입교전 2007.2 월 2007. 3 월교육수료후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21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2) 현장중심의문제해결형연구과제수행상 하반기에정책과제연구를각 1회수행하되, 상반기는문제해결형학습 (Action Learning) 방식과민 관합동세미나를연계하여진행하였고하반기에는소속기관에서부여한과제에대한개별연구를수행하였다. 구분 정책과제연구 Ⅰ ( 문제해결형 Action Learning) 정책과제연구 Ⅱ 대상정부혁신과제부처정책과제 기간 2007. 4. ~ 7 월 2007. 2. ~ 11 월 과제 운영 결과발표 공통혁신과제중심 - 규제개혁, 민원제도등 팀별과제수행 ( 팀별인원 6~7명 ) - 팀별 facilitator의지원및성찰활동촉진 - 현장조사, 전문가 관계자면담 등을통한문제해결방안강구 민관합동세미나 ( 사전발표 ) AL 컨퍼런스 - 최종결과발표및평가 소속기관과제중심 - 입교시소속기관에서부여 개인연구 - 현장조사, 문헌조사, 전문가면담등을통한문제해결방안강구 정책과제연구보고서발표회 - 최종결과발표및평가 ( 해당부처평가병행 ) 3) 다양한실용중심의참여식교육 1 현장탐방교과과정과연계하여주요정책추진현장, 과학기술연구단지, 산업단지, 문화유적, 안보현장등을탐방하는프로그램으로연 11회실시하였다. 2 국외연수정책과제연구와연계하여국제적안목을배양하고최신해외정보수집등을위해 5개권역을연수하고보고서제출및연수결과발표회를실시하였다. 22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3 사회봉사활동나눔의생활을실천하고사회적약자에대한이해도를제고하기위해연 3회실시하였다. 4 지식나눔토론회각소속기관의쟁점현안또는교육생개인별관심사등에대해매주 1회발표회및토론회형태로진행되었다. 5 주제가있는양서와의만남소양함양교과로교육생들에게다독의기회가제공되었고상호토론시간이주어졌다. 6 마인드변화교육교육생간의화합과일체감을조성하고조직및개인의비전설정을목표로 1박 2일동안합숙교육을진행하였으며 100% 체험위주로교육모듈을편성하였다. 7 외국어고위공직자의글로벌역량을강화하기위해매일아침 1시간씩외국어교과를편성하였고, 상하반기연 2회성취도평가를실시하였다. 8 정보화교육연구보고서작성, 프리젠테이션등실용프로그램중심으로수준별분반교육으로진행되었다. 9 동호회 심신단련동호회및심신단련활동등을통한체력증진, 친목및인화단결, 정서함양등을위해동호회활동은서예나악기연주, 심신단련활동은테니스, 단전호흡등체력증진교과로매일 1시간씩편성하였다. 10 체육활동매주 1회체육활동시간을운영하였으며, 연 3회체력측정을통하여교육생개인별건강상태와체력수준에맞는운동법을제공하였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2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4) 교육운영의성과설문조사결과대부분의교육생이교육운영전반에대해만족 (89%) 하고있는것으로나타나고있으며고위공무원개인및업무수행에도움 (87%) 이된것으로평가되었다. 특히, 정보화교육, 외국어교육, 현장탐방, 마인드변화교육, 부부동반문화체험행사등다양한참여식교육프로그램이호응도가높게나타나고있어중앙공무원교육원의명품프로그램의맥을유지해나가고있다. 중앙공무원교육원은선진한국을열어갈최고핵심리더의창조적혁신능력배양을위해교육과정전반에대한개선노력과더불어교육생요구에부합하는맞춤형프로그램을제공하고자끈임없는노력을기울이고있다. 2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2. 공통현안과제해결및전문분야별역량제고를위한전문교육과정운영 가. 교육목표 중앙공무원교육원은국가직공무원을대상으로하는계층별기본교육과정뿐만아니라공무원의직무역량배양및정부시책의효과적인지원을위해특성화된전문교육과정을개설하여운영하고있다. 정부공통현안및공통핵심역량개발관련교육과정에외국이나민간에서운영되는새로운교육기법을접목하여고품질의전문교육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으며, 나아가그성과를타교육기관과공유함으로써공무원교육의발전에기여하고있다. 모든전문교육과정에는분야별원내교수를과정장으로선임하여, 원내교수가주도적으로운영하도록하고있다. 2007년의경우전체적으로 20개과정 33회를운영하였다. 중앙공무원교육원은공통현안과제해결및전문분야별역량제고를위한전문교육과정을통해교육과정에참가한교육생들의현업수행능력을제고하고있으며, 그결과소속기관의성과또한향상시키고있다. 이런실적을토대로전문교육과정은명실공히공무원교육의명품과정으로평가받고있다. 다만, 교육시설의부족과운영인력의한계로인해교육수요를충족시키지못하는아쉬움이있으나, 향후점차적으로해소될것으로기대된다. 나. 교육내용 1) 핵심전문역량교육및공통혁신과제교육의강화 공무원의정부현안문제해결능력을향상시키기위해예산정책역량과정, 입법역량과정, 통계와국정과정등 3개의전문교육과정을운영하였다. 또한정부의변화를적극적으로뒷받침하기위해국무조정실과행정자치부가선정한공통혁신과제교육으로서정책품질관리과정, 홍보정책과정, 성과 평가관리과정, 사회갈등관리과정,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2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규제개혁과정, 지식관리과정등 11 개의공통혁신과제관련과정을 18 회운영하였다. 전문교육과정을설계할때교육과정과관련된부처와분야별전문가와협의하였으며, 이런과정을통하여과정운영과교육성과의효과성을제고하였다.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2007 년도전문교육과정교육운영실적 날짜교육과정교육대상기간기당인원 실적 만족도 20개과정 33회 1,377 86.2 12~13 제 1 기공공부문노무관리과정 7 급이상 2 일 40 61 75.4 27~28 제 2 기통계와국정과정전직급 2 일 40 49 76.6 5~9 제 7 기홍보정책과정 6 급이하 5 일 40 54 92.6 14~16 제 3 기민원제도개선과정 7 급이상 3 일 40 45 88.4 19~23 제 5 기국가균형발전과정 5 급이상 5 일 40 45 93.4 26~30 제 8 기사회갈등관리과정 5 급이상 5 일 40 48 95.8 2~4 제 3 기예산정책역량과정 5 급이상 3 일 40 30 56.6 11~13 제 3 기입법역량과정전직급 3 일 40 38 84.2 16~20 제 7 기재정경제과정 7 급이상 5 일 40 43 93 23~27 제 16 기토론및스피치과정 6 급이하 5 일 40 50 98 2~4 제 3 기인사혁신과정 5 급이상 3 일 40 48 85.4 14~18 제 19 기리더십역량과정 5 급이상 5 일 40 42 97.6 28~6.1 제 5 기성과평가관리과정 5 급이상 5 일 40 41 78 7~8 제 1 기공직리더코칭능력향상과정 5 급이상 2 일 24 40 92.5 11~15 제 5 기지식관리과정 5 급이상 5 일 40 41 97.6 20~22 제 1 기공무원노사관계과정 6 급이상 3 일 40 24 87.5 25~29 제 5 기정책품질관리과정 5 급이상 5 일 40 37 73 2~4 제 2 기조직혁신과정 6 급이상 3 일 40 41 85.4 18~19 제 2 기 BTL 사업실무과정 5 급이하 2 일 40 57 87.5 8 월 27~31 제 8 기홍보정책과정 5 급이상 5 일 40 46 82.6 9 월 10 월 3~7 제 4 기규제개혁과정 7 급이상 5 일 40 30 76.7 10~14 제 8 기재정경제과정 7 급이상 5 일 40 31 96.8 17~21 제 9 기사회갈등관리 5 급이상 5 일 40 30 86.7 10~12 제 4 기예산정책역량과정 6 급이하 3 일 40 28 89.3 15~19 제 20 기리더십역량과정 5 급이상 5 일 40 54 90.7 22~26 제 6 기지식관리과정 6 급이하 5 일 40 42 85.7 29~31 제 4 기인사혁신과정 6 급이하 3 일 40 52 82.7 2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11 월 12 월 날짜교육과정교육대상기간기당실적만족도인원 5~9 제6기정책품질관리과정 5급이상 5일 40 37 94.6 14~16 제 4 기입법역량과정전직급 3 일 40 38 86.9 19~23 제 6 기성과평가관리과정 6 급이하 5 일 40 41 63.4 26~30 제 17 기토론및스피치과정 5 급이상 5 일 40 50 82 3~5 제 2 기공직리더코칭능력향상과정 5 급이상 3 일 24 20 93.7 11~13 제 3 기공직리더코칭능력향상과정 5 급이상 3 일 24 29 93.1 2) 전문교육과정의품질향상액션러닝, 코칭등우수교육프로그램을우리원의교육과정의특성에맞게수정하여활용함으로써교육의질적향상을도모하고있다. 또한일방적으로지식을주입하는강의식교육을탈피하여과거의성공 실패사례를분석하고, 직접실습하는참여식교육으로대폭개편하여교육의효과성을제고하고있다. 분임토론시에는원내교수및각부처실무담당자를퍼실리테이터로활용하여교육생들이당면할수있는문제에대한효율적해결방안을지원하도록하였다. 다. 교육성과및향후교육운영방향 사회변화에대한대응성향상, 업무를효과적으로처리할수있는개인역량개발등여러가지측면이입체적으로반영된다양한과정을운영함으로써 KSA(knowledge, Skill, Ability) 을균형적으로향상시킬수있는폭넓은교육기회를제공하였다. 앞으로도새로운행정수요에맞는직무역량을배양할수있는기회를제공하기위해문제해결능력향상과정, 창의력개발과정등신설 운영할예정이며, 교육운영기간을주 2~3일로압축하여교육운영의내실을도모할예정이다. 또한공직코칭리더십과정에학습결과의평가와인증제를실시하여전문교육의품질제고및학습효과를제고할것이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2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과정명 교육대상 2008 년도 ( 계획 ) 교육기간 횟수기당인원 총인원 20 개과정 18 개과정 37 1,100 비고 문제해결능력향상 5 급이상 3 일 2 30 60 신규개설 창의력개발 5 급이상 3 일 2 30 60 정책관리능력향상 5 급이상 3 일 2 30 60 공직코칭리더십 5 급이상 12 주 2 25 50 과정개편 BTL 사업실무 5 급이하 2 일 2 30 60 공무원노사관계 7 급이상 2 일 2 30 60 민원서비스 7 급이상 2 일 2 30 60 규제개혁 7 급이상 2 일 2 30 60 성과 평가관리 5 급이상, 6 급이하 2 일 2 30 60 정책홍보과정 5 급이상, 6 급이하 2 일 2 30 60 인사 조직관리 5 급이상, 6 급이하 3 일 2 30 60 입법실무전직급 3 일 2 30 60 예산정책 5 급이상, 6 급이하 3 일 2 30 60 의사소통및스피치 5 급이상, 6 급이하 3 일 2 30 60 사회갈등관리 5 급이상 3 일 2 30 60 리더십개발 5 급이상 3 일 3 30 90 정책품질관리 5 급이상 3 일 2 30 60 경제분석 7 급이상 3 일 2 30 60 2008년도교육과정별교육기간 2008년도 구분 과정수 횟수 전 체 18 감2 37 증4 2일과정 6 증3 12 증9 3일과정 11 증4 23 증11 5일과정 0 감10 0 감18 12주과정 1 증1 2 증2 2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3. 계층별 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강화 가. 추진경과 행정환경의변화가빠른속도로진행됨에따라모든개인과조직은이러한빠른속도의변화에얼마나잘적응하고대응하는지가생존의전략이며필수조건이되었다. 참여정부는그동안 일잘하는정부 구현을위해행정시스템, 정책방법, 일하는방식등공직사회전반의근본적이며질적인변화를추구해왔고, 이를위해정부혁신을 정부혁신로드맵 추진체계구축 혁신과제추진학습 새로운행정시스템마련 혁신문화정착 으로전략적종합적으로접근하였으며, 추진과정에서나타날수있는무관심과저항을극복하는등변화의기술을정부혁신초기부터도입하고체계적으로관리해왔다. 이러한노력은정부운영방식의구조적개선, 정책관리의고품질화, 행정업무시스템의선진화, 체계적문제해결의행정문화로구체화되었다. 2007년은리더중심, 과제중심으로진행되었던정부혁신이시스템에의해반복실천되는단계, 상시학습하는단계로진화되었으며, 일잘하는정부, 책임있는정부 를구현할수있도록혁신을일상적 반복적으로재생산할수있는체계를완비하고, 창조적 적극적으로문제를해결하는공직문화의정착을정부혁신의중점방향으로설정하였다. 이에따라중앙공무원교육원은변화의선도 촉진 관리전반에관한교육을지속강화하여중앙행정기관및공공기관등공공부문의구성원이행정및경영환경의변화를미리예측하고대응할수있는능력을배양하도록변화관리교육의방향을설정하였다. 이를토대로환경분석과비전제시, 변화촉진 실행, 문제인식과해결을변화관리교육의추진전략으로삼아정부의혁신전략과연계시켰으며, 새로운교육프로그램을개발하여계층별변화관리교육의내용을한층심화 발전시킴으로써공공부문의지속가능한혁신문화정착과역량제고를성공적으로지원하였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2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나. 변화관리교육프로그램개발 2005년은혁신교육의본격적인시작단계로써, 교육내용이혁신마인드구축과실행방법론이주류였다면, 2006년변화관리교육은변화관리역량제고와스킬습득에중점을두고각계층별 ( 국장급 과장급 담당급 ) 로 혁신격차해소과정, 성과창출과정, 지속적동인확보과정 등 3개영역으로세분화, 총 9개프로그램을설계하여개인별 기관별수준과역량에부합하는과정을운영함으로써혁신격차해소에주력하였다. 2007년은각급기관과개인의수준과역량격차가다소해소되고, 일정수준으로수렴됨에따라기존변화관리교육프로그램을보완 발전시켜계층별과정으로통합 심화하여각계층별역량강화에중점을둔 계층별변화관리과정 을운영하였다. 계층별변화관리프로그램은 정부혁신의이해, 혁신문화구축, 자기반성과성찰, WLP(Workplace Learning & Performance) 의실천 을공통모듈로구성하는한편, 계층별역량강화를위해선도자 ( 국장급 ) 는 비전및미션, 촉진자 ( 과장급 ) 는 참여촉진, 실행자 ( 담당급 ) 는 문제해결 등각각차별화된모듈로구성하였다. 새로개발된계층별변화관리프로그램은 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 의근간이되어맞춤형과정설계 운영시교육수요기관의공통적인수요를충족시키는모듈로도활용되었다. < 정부혁신교육표준모델개발 > 변화관리교육 혁신마인드전파 혁신실행과성과창출 혁신문화구축 - 새로운교육방법론 - 혁신교육표준모델개발 지속적정부정부혁신혁신 3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다. 변화관리교육주요내용 1) 교육목표 그동안혁신 변화관리교육이혁신마인드형성, 성과창출과내재화를지원해온연장선에서, 2007년은정부혁신성과의성공적정착을위한지속적동력창출, 실천력강화를통한성과와국민중심의조직문화정착, 변화관리역량강화를위한신규시스템및제도교육심화등을교육의목표로삼아, 혁신의내재화를바탕으로지속가능한혁신문화를정착시키는데필요한지식, 학습스킬, 마인드제공등정부혁신전략과연계하여체계적인교육을실시하였다. < 혁신 변화관리교육추진체계 > 2) 주요내용가 ) 계층별변화관리과정계층별변화관리과정은중앙부처의국장 과장 담당급및공공기관의임직원을대상으로 3일간비합숙으로운영되었다. 국장급은비전수립및미션설정을통한혁신역량강화, 리더에게요구되는변혁적리더십모듈로, 과장급에게는동기부여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31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및저항관리등혁신참여촉진스킬과팀리더로서의효과적인코칭스킬모듈로, 담당급에게는혁신과제의주도적실행을위한문제해결스킬과효율적인업무관리스킬모듈로각각교육내용을구성하였다. 계층별변화관리과정의주요한특징은첫째, 정부혁신전반에대한총론을학습한후계층별로차별화된변화관리역량분야로심화학습하는주제심화 (Zoom-in) 방식으로진행된다는점이다. 둘째, 교육참가자들이주도적으로상호경험과의견을토론하고발표함으로써집단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 공유하며, 전문진행자 (Facilitator) 가이를유도 촉진하는방식으로운영된다는점이다. 셋째, 성과창출의의지를높이고개인과조직의목표를한방향으로정렬 (Alignment) 시키기위해자기성찰및 Refresh 기회를제공한다는점이다. 넷째, 성과지향형교육을위해학습내용을직무와직접연계시키는현업학습 (WLP :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을도입하여학습효과를극대화한점이다. 이러한계층별변화관리과정의학습촉진자 (Facilitator) 활용, 성찰기회제공, WLP 프로그램활용등선진교육기법도입은변화관리교육의내용을더욱풍부하게하였으며, 교육생이능동적으로교육에참여하여교육의주체가되도록함으로써참여식교육을정착시키는데기여하였다. 32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 2007 년계층별변화관리과정주요내용 > 구분교육내용 [ 공통모듈 1] 정부혁신의이해 [ 공통모듈 2] 혁신문화구축 [ 모듈 3] 계층별역량강화 [ 모듈 4] 변화관리방법론 [ 공통모듈 5] WLP의실천 [ 공통모듈 6] 성찰 & Refresh 정부혁신의추진경과 Review 변화관리프로세스및혁신성공사례분석 공통혁신과제및혁신관련제도시스템이해 제도및시스템의내재화방안검토 혁신토대구축을위한자신의 Role Model 인식 자율적혁신문화구축을위한원칙연구및토론 혁신문화축을위한성공 실패사례공유 [ 선도자 - 국장급 ] : 비전및미션 - 비전 미션의중요성 - 비전 미션만들기 - 목표 과제 성과지표 [ 촉진자 - 과장급 ] : 혁신참여촉진 - 동기부여에대한이해 - 참여촉진방법론 - 효과적인저항관리 [ 실행자 - 담당급 ] : 문제해결스킬 - 문제해결이란? - 문제해결사고 - 문제해결프로세스 [ 선도자 - 국장급 ] : 변혁적리더십 - 변혁적리더십이해 - 리더십스타일분석 - 리더십전략수립 [ 촉진자 - 과장급 ] : 팀리더십 - 팀이해및진단 - 팀웍개발방법론 - 효과적인코칭스킬 [ 실행자 - 담당급 ] : 효율적업무관리 - 효과적인시간관리 - 효율적인업무관리 - 효과적인커뮤니케이션 WLP( 계획 - 전파 - 실천 ) 를통한현업적용및피드백 과거로떠나는여행 미래로부터의초대 다시쓰는나의꿈 나의사명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3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나 ) 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은계층별변화관리과정처럼중앙부처공무원과공공기관의임직원이교육의대상이나, 교육내용과합숙여부는교육요청기관의요구에따라결정되며교육은 2일동안진행된다. 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의특징은교육운영담당자와학습촉진자 (Facilitator) 가교육요청기관을직접방문, 해당기관의교육담당자와구성원들을대상으로인터뷰를실시하고, 그동안의교육내용 대상 교육기관등교육실적검토하며, 각종자료분석등을근거로혁신수준과역량을파악함으로써교육프로그램을맞춤식으로설계 운영한다는점이다. 이에따라교육내용이매과정별로조직문화혁신과정, Work-Out 과정, Faciliator 양성과정등교육요청기관의교육수요에부합하는내용으로제공되었다. < 2007년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프로세스 > 기관단위의변화관리교육수요파악 ( 교육요청 ) 기관의교육수요에부합한맞춤형교육모듈설계 기관수준별맞춤형교육운영 구분 [ 모듈 1] 정부혁신의이해 [ 모듈 2] 혁신문화구축 <2007 년식품의약품안전청변화관리과정주요내용 > 교육내용 정부혁신의성과 혁신이론 2007년방향및전략 식약청혁신현상진단 식약청핵심가치 혁신적인조직문화구축 체육활동 팀워크형성게임 [ 모듈 3] GE 워크아웃사례연구 워크아웃이해혁신과제도출 혁신과제도출과대안창출 [ 모듈 4] WLP란? WLP의실천 WLP 계획수립 3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다 ) 혁신전문가양성과정계층별변화관리과정과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외에도혁신선도부처의경험과지식을공유하기위해혁신기획관과정을신설운영하였으며, 혁신추진현장의애로 장애요인을자율적으로해결하는부처혁신컨설턴트를양성하기위해혁신컨설팅전문가양성과정을연 1회에서연 2회로확대운영하는등각부처의혁신전문가양성에도주력하였다. 라. 추진성과와향후전망 1) 교육실적 가 ) 계층별변화관리과정계층별변화관리과정에서는선도자과정 4회 124명, 촉진자과정 6회 209명, 실행자과정 9회 313명등총 19회 646명이교육을이수하였으며, 이중공공기관의임직원은 216명이다. 평균만족도는 94.0% 로써예년처럼높은만족도를나타냈다. 나 ) 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맞춤형변화관리과정에서는총 26회 1,001명이교육을이수하였으며, 중앙행정기관은행정자치부 중앙인사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청 방위사업청 농촌진흥청변화관리과정, 병무청액션러닝퍼실리테이터양성과정 조직문화혁신과정등 7개기관 479명, 공공기관은대한지적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폴리텍대학 공공기관변화관리과정등 105개기관 522명이다. 평균만족도는 91.4% 로계층별변화관리과정과함께높은만족도를나타냈다. 다 ) 혁신전문가양성과정 혁신기획관과정은 2회 34명, 혁신컨설팅전문가양성과정은 2회 76명이교육을이수, 총 4회 110명이교육에참여하였으며평균만족도는 79.6% 로써계층별변화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3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관리과정이나기관별맞춤형변화관리과정에비해상대적으로만족도가낮게나타났다. < 실적 > 구분 계계층별기관별전문과정 인원과정수인원과정수인원과정수인원과정수 비고 계 7,844 185 2,972 80 4,723 100 149 5 04년 67 1 67 1 - - - - 시범과정 05년 3,127 66 1,105 28 2,022 38 - - 혁신교육 06년 2,893 69 1,154 32 1,700 36 39 1 변화관리교육 07년 1,757 49 646 19 1,001 26 110 4 변화관리교육 < 만족도 > 연도별과정별만족도 100 98 96 94 92 90 88 86 84 82 80 78 76 94.5 93.3 94.0 92.9 91.5 91.4 2005년 2006년 2007년 계층별변화관리과정 기관별변화관리과정 3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2) 추진성과그동안변화관리교육이중앙행정기관과공공기관등공공부문에혁신의필요성을인식시키고, 추진방법론을통해혁신점화를주도하였으며, 교육이수후혁신워크숍, 자발적학습동아리의구성등기관단위의혁신활동을위한촉매역할을해왔다면, 2007년전략적문제해결및성과지향형변화관리교육은조직과구성원개인에대한변화관리 (Change Management) 스킬, 변화관리역량개발과더불어혁신토대구축을위한역할 (Role Model) 인식및조직문화의성공 실패사례를통해바람직한조직문화를형성하는데주력함으로써참여정부가지속적으로추진해온혁신이일회성이벤트에머물지않고지속될수있는풍토를조성하는등조직의문화에안정적으로정착 파급시키는데기여하였다. 또한, 2006년국가정보원의혁신리더과정을필두로 2007년에도각급공공기관의임원과직원을대상으로 공공기관변화관리과정 을운영함으로써혁신의사각지대를해소하였으며, 민간기업벤치마킹, 교육전문기관컨설팅, 자체컨텐츠확보노력을통해 표준변화관리교육모델 을구축하여변화관리교육도입을희망하는지방혁신인력개발원 ( 행정자치부 ), 교육인적자원부, 법원공무원교육원등정부각급교육훈련기관에대해교육컨텐츠지원, 교수방법지도등컨설팅을실시하는등정부변화관리교육을선도하였다. 뿐만아니라, 학습촉진자 (Facilitator) 를활용한참여 토론형학습, 워크아웃 (Work-out), 액션러닝 (Action Learning) 등전략적문제해결기법과 WLP 프로그램등성과지향형기법등선진학습기법을도입, 학습자의주도적참여와몰입을유도하여학습효과를높였다. 매년, 예년에비해차별화되고한차원발전된교육프로그램을지속적으로개발해야하는부담과참여정부이후새정부의출범이라는급격한교육여건의변화에도불구하고, 변화관리교육은앞으로도공공부문의구성원들이 21세기세계화, 정보화가그어느때보다빠른속도로진행되고있는공공부문의환경의변화를인식하고변화의큰흐름 (Trend) 을이해하는기회를제공함을물론, 정부의국정철학과방향에부응하는정책의입안과효율적인집행을뒷받침할수있는교육으로새롭게거듭나야할것이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3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4. 상시학습을위한다양한사이버교육과정제공 가. 공무원사이버교육과정개발 운영 1) 추진배경 창조적지식기반사회에서초일류국가건설을위한정부역할의중요성이갈수록중요해지고, 그에따른공무원개개인의능력발전이어느때보다중요하게대두됨에따라, 새로운교육패러다임인사이버교육을개발 운영하게되었다. 2) 개발과정 - 국정과제추진계획대통령보고및사이버교육센터설립 : 1999.3. - 공무원사이버교육센터 구축 : 2000.12. 사이버교육운영시스템 (LMS) 및 8개코스웨어개발 : 2000.12. - 사이버교육운영시스템 (LMS) 기능확충, 코스웨어및장비보강 : 2001 2007 < 연도별코스웨어개발현황 > 연도과목수코스웨어명누계 2000년 8 2001년 5 2002년 8 2003년 13 법제실무, 사무관리실무, 예산실무, 회계실무, 정부업무혁신, 중급영어회화, 인터넷정보검색및활용, 리더십향상행정법실무, 인사실무, 디지털시대의대민행정서비스, 물품관리, 정부조직관리행정절차제도의이해, 정보공개제도의이해, 개인정보보호제도의이해, 전자정부의이해, 민법총칙Ⅰ, 민원실무, 행정영어, 자료수집및분석기법민법총칙 Ⅱ, 의전실무, 행정혁신, 변화관리, 홍보업무의이론과실제, 국회실무, 토론의이해, 커뮤니케이션스킬, 퍼실리테이터역할과스킬, 협상 중재를통한갈등관리, 일본어 ( 초급 ), 중국어 ( 초급 ), 영어 (Writing 고급 ) 8 13 21 34 3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연도과목수코스웨어명누계 2004 년 8 혁신사례연구, 정부규제개혁, 지방분권과균형발전, 공직윤리와행동강령, 재난 안전관리, 기획력개발, 창의력개발, 자기주도적변화 혁신 42 2005 년 6 2006 년 11 2007 년 15 정책품질관리의이론과실제, 정부혁신관리 4단계, 고객만족도조사, 공문서작성을위한한글맞춤법, 면접의이론과실제, Management Skill Up 역량기초교육, 기록관리, 보고서잘쓰는법, 변혁적리더십, Presentation Skills, Speech&Communication, International Negotiation English, Formal Business Writing, 고위공무원단제도의이해, 실전변화관리, 판례와조문으로알아보는행정법, 2007기획력, 2007창의력, 6단계코칭스킬향상, 건강관리, 알기쉬운공무원노사관계, 발표잘하는방법, 사례로배우는정책I-의약분업, 사례로배우는정책II-군포시소각장건설, 성과관리와평가프로세스, 속뜻풀이한자, 액션리더십, 역사에서배우는공직자의길, 인간관계, 재무설계, HRD기본 48 59 74 3) 운영및성과 사이버교육실시첫해인 2001년에는집합교육과사이버교육이혼합된블랜디드 학습형태로출발하였고, 2003년부터는집합교육과별도로단독과정을개설하였 는데시범기간첫해는이수인원이 111명에불과하였으나, 본격적으로과정운영을 한 2004년부터교육인원이확대되기시작하여 2007년까지총 11만 9천여명이사이버 교육과정을이수하였다. < 사이버과정운영현황 > 연도 2004 2005 2006 2007 2008 교육인원 ( 명 ) 1,935 16,982 36,593 63,157 71,500 전년대비 - 778% 115% 73% 13% 비 고 계획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3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 사이버과정운영추이 > 또한, 공무원누구나회원가입만하면학습이가능한열린공부방의경우, 이용자 수가 2002년 7만여명, 2004년 15만여명, 2007년 34만여명으로폭증하고있어개인 역량강화를위한수요또한빠르게증가함을알수있다. < 연도별열린공부방운영현황 > 연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활용인원 ( 명 ) 71,587 122,859 154,253 262,552 295,599 340,539 전년대비 - 72% 26% 70% 13% 15% 상시학습전면시행등사이버교육수요폭증에능동적으로대응하고자법 제도, 행정실무등의다양한코스웨어를개발하여운영하고있으며, 특히공무원의성과관리제고를위해 성과관리와평가프로세스 등전문과정을개발하는등사이버교육의질적고도화를추진하고있다. 4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나. 공무원사이버교육센터공동활용확대 1) 추진배경 새로운교육패러다임인사이버교육을실시하기위해서는서버등관련장비, 교육운영을위한운영프로그램, 교육내용인코스웨어등투자비용이소요된다. 이처럼초기에많은비용이소요되므로인프라가갖추어지지않은기관에서사이버교육을실시하기는어려운형편이다. 이에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는처음부터사이버교육을위한운영시스템 (LMS) 및코스웨어를각급기관과공동으로활용할수있도록시스템을설계하여구축하였으며모든기관과공동으로활용하기위하여수요조사및홍보를하고기관별시스템구축에대한재원마련및실패에대한부담없이사이버교육을실시할수있는길을제시하였다. 2) 공동활용기관지원내역사이버교육운영시스템 (LMS), 교육용콘텐츠, 교육과정, 홈페이지개설등을제공하고, 사이버교육도입및운영에대한컨설팅을지원한다. 또한공동활용기관사용자교육을년 1회이상실시하고있으며, 사이버교육협의회개최등사용자의견수렴을반영 개선하고있다. 또한, 사이버교육을처음시작하는부처에서기관별특성에맞는과정을개설할수있도록교육운영노하우뿐아니라운영전반에필요한내용과기술을제공함으로써사이버교육의확산 발전에선도적인역할을담당하고있다. 3) 운영및성과 2001 년 12 개기관에서사이버교육과정및운영시스템을공동활용하였으나, 2007 년 130 개기관이공동활용하는등매년그수요가증가하고있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41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 공동활용기관현황 >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기관수 12 6 16 9 17 32 38 누계 12 18 34 43 60 92 130 전년대비 - 50% 88% 26% 40% 53% 41% < 공동활용기관사이버교육운영현황 > 다. 향후계획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는공무원들이일과병행하여업무공백을최소화하면서자기주도적으로언제든지필요한학습을할수있는사이버교육을지속적으로확대 발전시켜나갈계획이다. 42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5. 공무원의국제화역량제고및국제협력을통한글로벌네트워크확대 가. 외국공무원과정운영 1) 과정개요 중앙공무원교육원은우리나라의대외이미지를제고하고각국행정실무자간의교류를통한상호협력체계의구축및공동발전방안을모색하고자외국공무원과정을설치, 운영하고있다. 1984년말레이시아공무원과정, 1985년홍콩공무원과정그리고 1987년에는 EROPA 회원국공무원과정을개설하였으며, 2000년대에들어오면서세계화, 국제교류의활성화추세에대응하고자교육대상국및교육과정의양적 질적확대가이루어져 2007년말기준 11개외국공무원과정을개설운영하고있다. 특히 2007년에는일본공무원과정을개설하여우리정부의혁신성과를대외적으로공유하는등선진국대상의교육을실시하는성과를거두기도하였다. 2) 과정종류외국공무원과정은크게세가지로구분하여볼수있다. 첫째, 외국정부의요청에따른맞춤형교육으로말레이시아공무원대상의 3개과정 ( 초, 중, 고급 ), 일본공무원과정등이이에해당한다. 둘째, 우리정부의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으로행정발전과정등대부분의국제교육과정이여기에해당된다. 이는 1991년부터외교부산하의한국국제협력단 (KOICA) 의위탁을받아실시하는국제교육훈련발전과정, 국제행정발전과정이있다. 셋째, 우리나라가아세안에대하여특별협력기금을제공하고이를바탕으로하는한 ASEAN 협력사업의일환으로, ASEAN 회원국공무원을대상으로하는노동및인적자원개발분야에대한교육을실시하는과정이이에해당한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4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1 외국정부요청맞춤형교육과정 ( 교육대상국경비부담 ) : 일본공무원과정, 말레이시아공무원과정 ( 고급 중견 초급 ) 2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의연수생초청사업위탁교육 : 국제교육훈련발전과정, 국제행정발전과정, 국제행정정보관리과정, 중국인사부공무원과정, 튀니지공무원과정, 베트남공무원과정 3 국제기구요청에의한과정 : ASEAN 공무원인적자원개발과정 3) 주요교육내용외국공무원과정의주요교육내용은과정마다다를수있으나주로한국에대한소개, 국가발전전략등에대한강의식수업과액션러닝, 현장방문등을통한참여식수업및우수사례소개등으로구성되어있다. 해당분야교육에이론과실무를병행함으로써연수생들의이해를도모하고연수후자국으로돌아가서실무에바로적용할수있도록다양한양질의프로그램을제공하고있다. 가 ) 한국소개 - 한국의역사와사회문화 - 한국어강좌나 ) 국가발전소개 - 한국의경제발전과개혁과제, - 한국정부의국가경쟁력강화전략및과제 - 한국의공무원인사제도및신경향 - 한국의전자정부구축사례및현황다 ) 행정관리능력개발 - 액션러닝 (Action Learning) 을통한문제해결능력강화 - 관리직공무원의리더십역량강화 4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 한국정부의정책사례소개및그룹별토의, 발표라 ) 현장학습 - 유관기관및산업현장견학 ( 중앙부처및지자체, 관련기업체, 부산항등 ) - 한국문화체험 ( 전통유적지방문, Home Stay, 문화예술공연관람등 ) 마 ) 기타 - 오리엔테이션, 과정평가등행정시간 4) 교육성과외국공무원과정의운영은우리의발전경험을연수대상국가와공유함으로써개발도상국의행정발전에기여하고, 외국공무원들이우리나라에대한올바른이해와우호적인감정을갖도록함으로써외교적인성과도높이고있다는점에서큰의의가있다. 2007년에는총 11개과정을운영하여 35개국 171명의공무원이수료하였다. 특히, 연수생들은중앙공무원교육원이제공하는교육프로그램에대하여매우만족하였으며, 귀국한후에도한국에서의교육훈련에대한지속적인관심을보이는등중앙공무원교육원 (COTI) 은글로벌공무원교육기관으로서위상을높이고있다. [ 말레이시아공무원과정 (3개과정, 60명수료 ), 행정발전과정 (18명수료 ), 일본공무원과정 (2개과정, 26명수료 ), 튀니지공무원과정 (10명수료 ), 베트남공무원과정 (15명수료 ), 중국공무원과정 (15명수료 ), 국제교육훈련발전과정 (14명수료 )] 나. 공무원의글로벌역량제고및국제협력을통한글로벌네트워크확대 < 공무원국제화외국어훈련과정확대 강화및영어전문과정운영 > 1) 추진배경및개발과정 가 ) 공무원국제화외국어훈련과정 공무원들의현지생활조기정착과학업성과극대화를위해 1978 년, 1984 년, 1989 년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4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부터각각실시해오던영어, 일본어, 중국어훈련과정을 2005년도에영어권, 일본지역, 중국어권국외훈련자에대한사전교육으로전환하였다. 이과정을통해중 장기적으로국제업무전문성을제고하여정부내 Global Leader로양성하는데밑거름이되었다는평가를정부내에서받고있다. 교육내용과운영에대해서매우좋은평가를받았으나 4주간의전교육기간에집중적으로참가하기어려운 4, 5급관리직공무원의대다수가본과정을 사전의무이수교육 으로전환해달라는요구가있었다. 이에따라중앙인사위원회국외훈련주관부서와의지속적인협의를거쳐 2007년부터동과정을영어권사전의무이수교육 ( 공무원국제화영어훈련과정 ) 으로확대 전환하여실시하게되었다. < 국외훈련자 사전의무이수교육 추진배경요약 > ㅇ공무원들의영어등외국어수준향상을위한교육강화 대통령님지시사항 2006.1.1. ㅇ국제전문가의양성과외국어능력향상을위해장기계획하에교육과정운영, 프로그램, 교수진평가등점검 중앙인사위원회위원장지시사항 2006.3.13. ㅇ공무원글로벌역량강화를위한 외국어교육장단기발전방안 보고 ( 중앙인사위원회위원장 ) 국제교육협력관, 2006.5.9. ㅇ장기국외훈련자사전교육이수의무화방안보고 ( 중앙인사위원회위원장 ) 능력발전과, 2006.5.12. 일본지역및중국어권국외훈련자에대한교육도사전의무이수교육으로전환하기 위해국외훈련주관부서와지속적으로협의하고있다. 나 ) 영어전문과정국외훈련 파견예정자에대한사전교육과는별도로국제업무및 ( 관련 ) 업무담당자들의전문분야에대한영어역량강화에대한수요가증가함에따라단기영어전문과정인 Effective Presentation Skills Program(1주, 비합숙 ) 을 2005년에신설 운영하였으며, 2007년에는동과정을 Presentation & Discussion Skills Program(1주, 비합숙 ) 으로개편 운영하였다. 4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2) 교육과정의특징및교육내용 가 ) 공무원국제화외국어훈련과정 (1) 교육과정의특징 공무원국제화영어훈련과정은고급영어역량강화, 현지적응학습, 아카데믹영어능력배양, 소그룹별집중토의훈련등의 4개모듈로체계적이고정밀하게설계되었으며, 입교에서부터수료까지영어로만교육이진행되는강도높은집중훈련이다. 해외의유명대학원동영상강의수강, 세미나참가및발표, 토의기법, 정보검색, 공문서 논문작성방법, 집중토의훈련 (2주, 야간 ) 등참여식과체험식으로진행되는이과정에는분야별로검증된최고수준의원어민강사중심으로 35여명의국내외최고전문가, 학자, 실무자들이초빙된다. (2) 교육내용 구분 분야 교과목 배정시간 Listening Advanced Listening Drills (News Update, Screen English) 20 Module 1 고급영어역량강화교육 Module 2 현지적응상황학습정보제공 Module 3 대학원과정이수및학술활동전문분야별학습 E-Module 소그룹별집중토의훈련 Speaking & Discussion Refining Pronunciation 2 Debate & Discussion Skills (Theoretical Foundations / Exercises) 8 Writing Practical Writing Skills (Letter, Resume, Application Forms, Recommendation) 6 상황학습 Situational English (Local-life Focused, Campus English) 18 국외생활소양 국외훈련경험공유및행정사항안내 강의수강 세미나참가및발표 정보검색및논문작성법 학술인터뷰및소그룹학술토의 Western Socialization Skills 2 An Introduction to Western Culture 2 A Glance at Legal Culture of Western Countries 2 Overseas Study Experience (Viewpoint of a Government Official) 2 Campus Life : Surviving and Succeeding in a Foreign Land (Viewpoint of an Academician) 2 Works Government Officials Overseas Study Experiences 2 hop Spouses' Experiences of Local Life for Overseas Study 2 Administrative Information for Overseas Study 2 Lecture Mapping: How to Detect the Outline of a Lecture 4 Graduate School Lecture ( 하버드 스탠포드경영대학원동영상강의수강 ) 16 Active Participation Skills for Seminars 4 Participants' Presentation ( 동영상강의수강후토의및발표 ) 16 Library Navigation: How to Access Library Information 4 Graduate School-Level Essays, Term Papers, Dissertations 6 Intensive Academic Interview (1 회 ) 2 Group Dynamics ( 소그룹별집중학술토의훈련 ) 18 계 142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4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공무원국제화일본어훈련과정과공무원국제화중국어훈련과정은일본지역및중국어권국외훈련 파견예정자와일본어, 중국어학습이필요한자를대상으로유학자반, 고급반및중급반등 3 개반으로운영된다. 교과목은학습반별로 100% 맞춤식으로구성한다. 유학자반의경우현지생활에필요한다양한상황학습과최신정보를제공하고학업및직무훈련성과제고를위한고급외국어능력배양에중점을둔다. 중급반과고급반의경우문법, 독해, 어휘등기본학습과중 고급작문능력배양, 실용회화 시사토론및청취학습등외국어능력향상을중심으로교과목을편성하였다. 나 ) 영어전문과정 (1) 교육과정의특징 본과정은영어권국외훈련자영어심화과정과마찬가지로전교육과정을영어로운영하고강도높은실습위주의교육이특징이다. 주요내용은프리젠테이션의형식, 전문용어, 이문화이해등소양학습, 체계적인내용구성 전개및프리젠테이션기법, 기술적인답변요령등 Q&A 진행방법, 국제회의참가 토론실무학습및 Simulation 등다섯단계로구성되어있다. (2) 교육내용 구분교과목배정시간 Phase 1 Basic Framework for Presentations Phase 2 Preparation and Practice Phase 3 Effective Delivery Skills and Q&A Phase 4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scussion Skills Phase 5 Simulated Discussions Introduction to Presentation 2.0 Presentation Vocabulary 1.5 English Writing Skills for Presentations 6.0 Western Socialization Skills for Presentations 2.0 Writing the Introduction & Practice 1.5 Writing the Draft & Linking the Parts of the Body 3.0 Involving the Audience 1.0 Non-verbal Communication in Presentations 3.0 Avoiding Mannerisms 0.5 Using Visual Aids 0.5 Inviting Questions 0.5 Asking the Audience Questions 0.5 Responding to Questions 1.0 Discussion Theory and Practice 1.5 The Rules of Competitive Discussion to Promote a Practice 1.5 Discussion and Feedback 7.0 행정시간입교 수료식, 오리엔테이션등 2 계 35 4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3) 교육운영의성과가 ) 공무원국제화외국어훈련과정국비장기국외훈련 파견자를대상으로하는권역별 공무원국제화외국어훈련과정 ( 영어권 일본지역 중국어권, 2005년개편 ) 을운영한결과, 현지학업및직무훈련성과를높이는데기여하였으며, 현지생활의조기적응에큰도움을주는등맞춤식교육운영으로유학및파견자사전필수교육으로자리잡았다. 주요강사진을원어민교수 전문가및기유학경험자등으로구성하여교육성과를극대화하였으며, 2007년도에는영어권 170명 (4주 3회 ), 일본지역 41명 (3주 1회 ), 중국어권 31명 (3주 1회 ) 이교육을받고국외유학중에있거나소속부처에서국제업무등을담당하고있다. 특히 2007년부터영어권장기국외훈련 파견자에대한과정은사전의무이수교육으로확대 개편하여매우좋은평가를받았다. 일본지역및중국어권도 2008년부터각 4주로확대운영할계획이며이들과정도사전의무이수교육으로전환하기위해해당부서와협의중에있다. 나 ) 영어전문과정공무원들의국제실무능력강화를위한 Presentation & Discussion Skills Program 과정에최신기법소개와참여식교육등으로교육과정의실효성을제고함으로써교육생들의만족도가매우높게나타났다. 2007년도설문조사결과에의하면, 커리큘럼구성, 강사진, 과정운영등교육과정전반에대해교육생대부분이높게평가하였다. 세계화시대국제업무담당공무원들이꼭이수하여야할필수과정이라는소감을대부분을차지했으며, 향후기간 운영횟수등전문외국어과정을더욱확대해줄것을요청하였다. 이와같이점증하는교육수요에부응하여 2008년도에는상기과정을더욱확대 강화하여 국제회의협상과정 (4주, 비합숙 ) (Worldwide Conference & International Negotiation Program) 으로개편 운영할계획이다. 본과정이수자에대해인증시험을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4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실시하고등급을판정하는국제실무전문가학습인증제를 08년에시범적용할예정이다. 다. 국제교육협력사업추진 1) 추진배경 공공행정이사회경제발전에선도적인역할을한다는것이인식되어감에따라국내뿐만아니라국제간공공행정분야에서상호협력의필요성이제기되었다. 중앙공무원교육원은 1962년 EROPA( 동부지역공공행정기구 ) 의단체회원으로가입한이래 IIAS( 국제행정학회 ), ADIPA( 아시아태평양교육훈련기구 ) 등에가입하면서정보및경험교환과인적교류를계속해오고있다. 또한말레이시아 INTAN( 국립행정연수원 ), 프랑스 ENA( 국립행정대학원 ), 중국국가행정학원, 일본인사원, 태국국립행정연구원, 튀니지 ENA( 국립행정학원 ) 등외국교육훈련기관과의교류를통해교육훈련에관한정보교류의증진과함께기관간공공행정에관한유대를강화해나가고있다. 이와더불어 84년부터시작된외국공무원교육등국제협력업무의확대로우리원의업무를소개하는영문홍보물발행의필요성이절실해짐에따라 1991년에는연간영문홍보물 COTI HIGHLIGHTS를창간했고, 이를국제교육과정연수생및국내저명교수와외국의유관기관, 국제기구, 주한외국공관등에배포함으로써교육훈련경험및정보의국제적교류와국제교육과정연수생상호간의교류증진은물론연수생들에대한사후지도에이바지하고있다. 2) 국제기구및해외교육훈련기관과의교류협력가 ) EROPA( 동부지역공공행정기구 ) EROPA는 1958년설립되었다. 주요기구는총회 (2년마다개최 ), 집행이사회 ( 매년개최 ) 및사무국이며, 회원은국가회원, 단체회원및개인회원으로구성되어있다. 우리나라는정식국가회원으로가입한이래 1964년 11월제3차총회및제7,8차이사회를서울에유치 개최한바있으며그동안빠짐없이 EROPA 의이사국으로 5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활동과지위를강화하여 1966년 11월에는중앙공무원교육원에 EROPA 활동의실질적기능을수행하는산하기구인조직관리센터 (Organization & Management Center, OM Center 는 1981년 DM Center 로명칭이변경됨 ) 를부설 운영하게되었다. 1983년 9월에다시제 10차총회및제28차이사회를서울에서개최하였고 1992년 10월제39차이사회및행정발전국제토론회를개최하였다. 2007년이란 ( 테헤란 ) 에서개최된제21차총회및제53차이사회에중앙공무원교육원장이한국수석대표로참석하여 EROPA 회의참가국과의우호협력을증진하였고, 세계적인적자본개발 (Human Capital Development, HCD) 센터로알려진중앙공무원교육원의혁신사례및성과홍보를통하여한국의위상을강화하고한국의이미지를제고하였다. 또한총회에서중앙공무원교육원장이총회및이사회부의장으로재선임되었으며 2009년제22차총회및이사회서울개최가확정되는등 EROPA 의가장중추적이며핵심적인리더로서의역할을하고있다. 나 ) 튀니지 ENA( 국립행정학원 ) 2005 년튀니지행정장관방한시튀니지외국공무원과정개설요청에따라 2007 년 4월 10일부터 20일까지튀니지공무원과정을신설하였으며, 2007년 7월 12일 MOU를체결하였다. < 튀니지국립행정학교 (ENA) > 명칭 : Ecole Nationale d'administration(ena) (National School of Administration) 설립 : 1949. 2. 3 원장 : 수상아메드카로위 (Hamed Karoui) 조직 : 1원 4부 5국 - 행정교육연구연수원, 교육부, 평생교육개선부, 원격교육부, 정보과학부, 총사무국등 주요기능 - 정부, 공공단체, 공공시설의간부 ( 고급, 중급 ) 공무원평생교육, 재교육, 혁신교육 - 현직공무원들을위한원격교육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51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 튀니지국립행정학원과교류협력의정서 (MOU) 주요내용 > 양기관행정경험공유및간부급공무원상호교류 학술세미나개최및양기관교육생을위한교환프로그램제공 양기관연구보고결과물및간행물교환 경비는자국부담원칙 ( 다만, 최대 2인까지숙식비제공가능 ) 3) 외빈초청사업 2007년 7월중앙공무원교육원과튀니지국립행정학원간체결한교류협력양해각서 (MOU) 에의거하여 200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4일까지 4박 5일일정으로튀니지국립행정학원장을초청하였다. 중앙공무원교육원방문시양기관간우호협력강화및향후교류협력확대발전방향에대한심도있는의견을교환하였다. 또한정부혁신관등기관방문및현대중공업과포스코방문등산업시찰을통하여한국의뛰어난행정력과발전된경제력을소개하였다. 4) 중앙공무원교육원외빈방원사업외빈방문객은 2006년 13개국 163명에서 2007년중앙공무원교육원에 26개국 225명으로크게증가하였다.[ 세부내역은분야별교류실적참고 ] 이와더불어 2007년도는기관간교육훈련발전경험공유및상호교류가어느해보다활발한한해였다. 5) 영문소식지및안내책자의발간 배부중앙공무원교육원의주요업무국내외홍보및관련국제기구와외국기관과의정보 자료교환, 외국공무원교육과정연수생의사후관리를위해 COTI Highlight와 COTI Insight를발간했다. 52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 COTI Highlights 제 17 호발간 > 발간시기부수배부대상주요내용 2007.3. 1,200 부 - 외국공무원과정수료생 - 각국대사관및국제기구 - 국내 외유관기관 - 주요방원인사등 - 원장님발간사 - 2007년도교육운영기본방향및 COTI 주요과정소개 - COTI 주요국제협력활동소식, 공무원인사제도 - 외국공무원과정강사및수료생기고문 < COTI Insight 발간 > 발간시기부수배부대상주요내용 2007.3. 500 부 - 외국공무원과정교육생 - 주요방원인사등 (Briefing자료) - 중앙공무원교육원연혁및개요 - 공무원교육훈련체계소개 - 2007년교육운영계획 - 국제교류협력현황등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5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6. 역량기반 사례중심교육체계확립 가. 역량진단및교육체계개선으로역량기반교육의효과성제고 1) 추진배경 2003년 4월참여정부의인사개혁과제중하나로 정부경쟁력강화를위한고위공무원단제도도입 이추진되었으며, 고위공무원단제도의성공적도입및안착을위한핵심요건으로고위공무원단의역량강화가대두되기시작했다. 2004년 10월제55회국정과제회의시 교육훈련을통한공무원역량강화방안 이보고되었고, 이에따라중앙공무원교육원은 2005년 3월역량진단센터를설치하여고위공무원및고위공무원단후보자군의역량강화를위한 역량기반교육체계 구축을추진하게되었다. 2) 추진경과중앙공무원교육원은 역량기반교육체계 를구축하기위하여먼저고위공무원에게요구되는 9개공통역량의정의및행동지표를근간으로외국선진진단기법을벤치마킹하고역량진단전문가및중앙공무원교육원교수들의검토등을거쳐 83개문항으로구성된 9개역량다면진단지 를개발하였으며, 역량진단과역량개발교육등을효과적으로지원할수있는웹기반의역량진단시스템을개발하여중앙공무원교육원홈페이지에구축함으로써역량진단체계를구비하였다. 역량진단시스템은진단의객관성확보를위해상사 동료 부하가참여하는 360도다면진단을기본으로진단결과피드백, 필요교육과정추천 신청, 교육수료후액션플랜작성및업무향상기여도평가등의프로세스로구성되었고, 교육이수후에도개별적으로역량을보강할수있도록자기학습전문도서나관련민간교육과정에대한정보를제공하도록하였다. 5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이어서, 역량진단을기반으로고위공무원의필요역량을체계적으로강화하기위하여역량교육프로그램 ( 9개공통역량별과정 ) 을개발하여 2005년 11월에중앙부처과장급 160명을대상으로시범운영을실시함으로써 역량기반교육체계 를구축하게되었다. 9개공통역량별과정 은각역량별 2일과정으로사전역량진단에기초한수요자중심의맞춤형교육과정으로설계되었으며, 기존지식전달위주의강의식교육에서탈피하여사례연구 토론 발표 역할연기등실전형교육기법을도입함으로써실제업무현장에서의문제해결에필요한역량의습득에중점을두었다. 이와같이, 역량진단시스템을마련하고역량별교육프로그램을설계한후, 2005년 11월에중앙부처과장급 160명을대상으로입교전역량진단을거쳐 9개역량별전문교육과정을시범운영함으로써 역량기반교육체계 를구축하게되었다. 역량기반교육체계의개념조직의실질적인성과창출에필요한역량을파악하고현재수준과요구수준간의격차를진단한후이를해소하기위한교육훈련및학습지원체계를마련하는접근방법 이어, 2006년에는역량기반교육체계에따라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입교자및개별교육희망자등에대하여 9개역량별전문교육과정을본격적으로운영하여역량기반교육체계를정착화하였으며, 2007년에는개별교육희망자를배제한대신고위정책과정에역량진단및역량교육과정을추가로도입하고역량진단지개선및역량진단시스템개선을통하여역량기반교육체계를더욱내실화하였다. 3) 9개공통역량별전문교육과정운영가 ) 사전역량진단실시고위정책과정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입교자를대상으로입교전중앙공무원교육원홈페이지에구축된역량진단시스템을통하여총4회 583명 ( 진단참여인원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5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2,907명 ) 에대하여역량진단을실시하였으며, 06년과 07년 3,715명의진단누적결과를활용하여준거집단을설정함으로써보다객관적인역량수준정보를제공하였다. 객곽적이고정확한진단을위해교육대상자의자가진단이외에도교육대상자를가장가까이에서관찰하고평가할수있는상사 1명, 동료 2명, 부하직원 1명이함께참여하는 306 다면진단을실시하였다. 진단이끝나면역량진단시스템을통해 9개역량중우수역량과부족역량등총9종, 20쪽분량의진단결과피드백과교육과정정보를교육대상자에게즉시제공하여역량교육과정신청시참고토록하였다. 역량진단실시현황 ( 06~ 07년) 구분진단대상자 (A) 다면진단자 (B) 진단참여인원 (A+B) 계 1,256 4,979 6,235 소계 673 2,655 3,328 06 년 07 년 제14기고위정책과정 64 248 312 제1기고공단후보자과정 182 728 910 상반기희망자역량과정 129 491 620 제2기고공단후보자과정 223 892 1,115 하반기희망자역량과정 75 296 371 소계 583 2,324 2,907 제3기고공단후보자과정 164 656 820 제15기고위정책과정 63 244 307 제4기고공단후보자과정 174 696 870 제5기고공단후보자과정 182 728 910 나 ) 9 개공통역량별교육운영 고위공무원단후보자과정입교자총 516명 ( 연인원 1,228명 ) 을대상으로 48개역량별교육과정을운영하여창조적 적극적문제해결능력과혁신및변화관리능력을갖춘 5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리더를양성하였다. 동과정은사전역량진단과연계하여개인의부족역량위주로개인별 2~4개의역량과정을이수토록하였으며, 과정설계및개발에참여한원내교수가직접퍼실리테이터로참여하여교육효과를제고하였다. 역량교육실시현황 ( 06~ 07 년 ) 구분 계 2006년 2007년 제1기 상반기 제2기 하반기 제3기 제4기 제5기 후보자 희망자 후보자 희망자 계 후보자 후보자 후보자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12기 계 1,067 170 177 147 245 208 120 1,228 207 177 208 208 232 196 의사소통 138 18 22 22 28 29 19 191 27 28 30 46 30 30 고객지향 142 22 25 13 30 29 23 136 26 25 30 26 29 비전제시 115 17 16 18 30 22 12 154 28 18 26 29 29 24 조정통합 154 28 28 22 29 24 23 175 28 29 30 29 30 29 결과지향 47 15 11 21 60 10 23 27 전문가의식 97 16 18 17 30 16 117 15 20 25 27 30 혁신주도 162 30 26 19 29 39 19 108 21 16 22 24 25 문제인식 41 10 9 22 117 24 14 19 30 30 전략적사고 171 29 27 16 26 49 24 170 28 27 28 29 30 28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5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9개공통역량별전문교육과정개요 9개역량 : 의사소통, 고객지향, 비전제시, 조정통합, 결과지향, 전문가의식, 혁신주도, 문제인식및이해, 전략적사고 과정운영 : 각역량별 2일, 20~30명내외 진행방법 : 사례연구 토론 발표 질의응답등참여형학습중심으로진행 - 실제행정사례중심의문제기반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 교육생중심의참여형교육 (Experiential Learning) * 원내교수 ( 명예교수포함 ) 가퍼실리테이터 (facilitator) 로참여 < 업무흐름도 > 4) 기타제도개선사항 (2007년) 가 ) 역량다면진단지문항및역량진단시스템개선을통해효율성제고역량다면진단지의기존 83문항을전면재검토하여 45문항으로개편하고, 진단편의성, 타당도, 관대화, 후광효과등을대폭개선함으로써맞춤형역량교육의실효 5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성을제고하였으며, 부족역량에대한교육추천방식, 진단대상자관리화면, 부처담당자권한등역량진단시스템개선을통하여역량진단의효율성을제고하였다. 나 ) 역량교육과정실습사례등교육매체개발을통해만족도제고농림부배종하국장의전문가마인드사례를포함한각종사례및교육매체 20여건을개발하여역량교육의효과성을제고하였으며, 역량교육이수자의현업적용도및행태변화도를조사 분석하여교육과정개선에반영하였다. 그결과, 2차례 (335명) 에걸쳐실시한역량교육의효과성조사에서긍정응답률이 91.3% 를보였으며, 교육전과후의행태변화측정에서도통계적으로유의미한교육효과를보였다. 더불어, 총 1,228명이참여한역량교육과정의교육만족도가평균 93.6%( 목표 80% 이상 ) 의높은수준을보였다. 나. 정책사례개발업무의체계적추진및개발된사례의활용 보급 1) 2006년사업에대한평가 정책사례개발은 2006년부터추진하였다. 2006년에는강한의지를갖고적극적으로정책사례개발업무를추진하였다. 하지만, 정부수립이후처음시도하는관계로일부미흡한부분도있었다. 예를들면, 정책사례선정시관련부처의의견을사전에수렴하지못한점, 정책사례개발의지침인과업지시서가다소체계적이지못한점, 개발된정책사례내용에대한관련부처의의견을개발완료시점에수렴한점, 정책사례교안작성방법을구체적으로제시하지못한점등이다. 2) 2007년사업의체계적추진 2007년에는 2006년에업무를추진하면서잘된점은더욱더발전시키고, 미흡한점은보완하여체계적으로추진하였다. 다만, 정책사례교안작성방법에대한표준을마련하지못한점이여전히아쉬운점으로남았다. 2007년에는정책사례개발업무를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5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체계적으로추진하기위하여다음과같이다양한방법을강구하였다. 첫째, 다양한분야의후보정책사례를약 1,000건정도수집하였다. 품질높은정책사례개발을하기위하여여러부처의공무원이다양한분야의사례학습이가능하도록많은후보사례를수집하였다. 수집 발굴처는다음과같다. 연번수집 발굴처건수비고 1 정책사례개발추진단자체수집 2 각종위원회 32 100 전년도수집사례, 각종신문및인터넷자료중수집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청렴위원회, 국민고충처리위원회발간자료중수집 3 감사원 51 감사원연도별감사연보중수집 4 헌법재판소 14 헌법재판소판례중수집 5 학회 73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논문집및세미나자료중수집 6 7 국무조정실 ( 정책품질관리과 ) 국무조정실 ( 특정총괄평가과 ) 650 57 계 977 정책품질관리대상정책 ( 개선사례위주 : 159 건 ) 정책품질분석대상정책 ( 부진 미흡사례등문제정책 ) 둘째, 내부검토회의를통해 977건의후보정책사례중 23건을선정하였다. 23건을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심의소위윈회에상정하기로하였다. 23건의후보정책사례는다음과같다. 구리시-남양주시간폐기물처리시설광역화사업사례, 시화호정책사례, 신용카드사규제정책사례, 경유상용차배출허용기준적용유예사례, 영월댐건설사례, 팔당수질오염총량관리제사례, 현금영수증활성화정책, 한-칠레 FTA 정책사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건설사례, 성매매방지대책사례, 여주유통단지사업사례, 인천송도신도시외자유치사례, 부도임대주택정책사례, 말라카이트그린검출발표및대응사례, 불법체류자관리대책사례, 발코니구조변경허용사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정책사례, 지방공항신설사례, 특허심사 심판의품질제고사례, 판교신도시분양및개발추진사례, 농산물중금속관리기준설정사례, 사행성게임관리정책사례, 수입식품관리대책사례등 23건 6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셋째,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심의소위원회를내실있게운영하였다. 소위원회위원은위원장 ( 중앙공무원교육원인재양성부장 ), 외부교수 5인, 원내교수 5인등 11인으로구성하여운영하였다. 소위원회는연구과제선정, 연구자선정, 중간진행상황점검및최종보고서평가등업무를수행하기위하여총 8회개최하였다. 자세한내용은다음과같다. 회수 개최일자 개최방법 참석인원 1 회 2007. 4. 3. 집합 11 명 2 회 2007. 4. 26. 집합 8 명 3 회 2007. 5. 18. 집합 10 명 4 회 2007. 6. 28. 집합 10 명 5 회 6 회 7 회 2007. 7. 9. ~ 2007. 7. 10. 2007. 8. 17. ~ 2007. 8. 24. 2007. 10. 16. ~ 2007. 11. 23 주요내용 2007년도정책사례개발사업추진계획안, 연구용역과업지시서안, 연구용역표준모델안확정 후보사례목록안 23건중 17건선정 2007 년도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기본계획안심의및연구용역과제선정 2007 년도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기본계획보고및수의계약대상자선정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 ( 중형과제 ) 제안서의전문성평가 서면 9 명 현금영수증활성화사례 제안서의전문성평가 서면 8 명 8 회 2007. 11. 27. 집합 9 명 정책사례개발사업및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진행상황점검 서면 7 명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소형과제최종보고서평가 정책사례개발사업과중형과제 2 차진행사항점검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중형과제에대한최종보고서평가 정책사례활용방안, 정책사례강의인증제방안및교안작성방법토의 넷째, 정책사례개발관련부처의의견을적극적으로수렴하였다. 정책사례선정시부터최종보고서확정시까지관련부처의의견을수렴하여정책사례내용의완성도롤제고하였다. 의견수렴절차는 1 교육용정책사례후보과제선정요청, 2 교육용정책사례확정통보, 3 중간보고회개최시관련정책사례내용에대한의견제출요청, 4 최종보고회개최시관련정책사례내용에대한의견제출요청, 5 최종보고서에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61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대한의견제출요청, 6 최종보고서확정등의순서로진행하였다. 다섯째, 품질높은정책사례개발을하기위하여연구용역방법을다양화하고, 9건의정책사례개발을하였다. 즉, 정책사례개발 9건중 4건의소형과제는수의계약으로하고, 5건의중형과제는조달계약으로하여각각의특징을살렸다. 또한, 조달계약 5건중 2건은개별계약의방식을택하고, 3건을 1식으로묶어일괄계약의방법으로진행하였다. 자세한내용은다음과같다. 수의계약소형과제명및과제책임자 일괄계약 ( 조달계약 ) 중형과제명및과제수행자 62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개별계약 ( 조달계약 ) 중형과제명및과제책임자 여섯째, 연구수행자에게정책사례보고서작성방법을구체적으로제시하였다. 2006년의경험을살려 2007년에는요약보고서, 정책사례본보고서, 정책품질관리카드, 강사용교안, 학습용 ppt 작성방법을상세하게제시하였다. 정책사례요약보고서작성요령 사례의전반적인개요, 핵심적인성공및실수 실책요인, 토론주제를중심으로간략히작성 교육생들의정책적판단을유도하고, 구체적인대처방안이나전략을수립할수있도록작성 정책사례본보고서작성요령 정책의개요 - 사례의분석적기술에앞서본정책의특징및주요핵심사항을중심으로개괄적으로기술 정책 ( 사업 ) 의주요내용 - 정책의전반적인내용을이해하기쉽도록정책목표, 추진기간, 소요예산, 추진배경, 주요이해당사자, 관련법령, 추진경과, 정책추진주체조직도및정책결정라인등을작성 정책전 ( 全 ) 과정기술과핵심부분의심층적기술 - 정책전과정 ( 정책형성 정책결정 정책홍보 정책평가및환류 ) 을시간흐름에따라기술하되, 핵심적인성공및실수 실책단계는구체적으로기술 - 핵심적인성공또는실수 실책단계에대해서는당시상황과함께해당정책담당공무원의역할및행위가입체적으로그려지도록작성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63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이해와흥미를제고할수있도록구성 - 통계, 그림, 삽화, 언론보도자료, 공문서, 회의록등을삽입하여시각적효과를높임. - 이해하기어려운전문용어의해설, 관련인터뷰, 유사사례, 해명자료등을다양한형태로구성함. 토론주제제시 - 앞서기술한성공및실수 실책요인에대한대안또는대책, 정책추진시고려또는점검해야하는사항, 필요한조치사항, 대국민홍보전략등을토론주제로제시함으로써교육생스스로사고하거나토론할수있도록유도함. 토론주제는별도의장이아닌관련정책단계중간이나뒤에삽입함으로써내용이자연스럽게연결되도록함. 정책적시사점과교훈도출 - 공무원이정책사례를통해정책추진단계별로정책적시사점과교훈을학습할수있도록도출 정책품질관리카드작성요령 정책품질관리카드양식에따라기재 정책품질관리매뉴얼작성예시를참고하여기재 - 해당내용은구체적으로기술하고해당내용이없을경우 해당사항없음 으로표시함. 강사용교안작성요령 학습목표 - 주요논의내용 ( 토론주제 ) 을기초로학습목표제시 정책의개요및정책 ( 사업 ) 의주요내용제시 - 정책의특징및주요핵심사항을중심으로개괄적으로기술 - 정책의전반적인내용을이해하기쉽도록정책목표, 추진기간, 소요예산, 추진배경, 주요이해당사자, 관련법령, 추진경과, 정책추진주체조직도및정책결정라인등을요약하여정리 64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주요논의내용 ( 토론주제 ) 에대한다양한의견및참고자료 - 주요논의내용 ( 토론주제 ) 과관련해연구과정에서접한다양한의견을제시함으로써교육생들이새로운관점을이해하고학습할수있도록도움. - 주요논의내용 ( 토론주제 ) 과관련된이론이나, 그이론을기초로한대안 대책, 조치사항, 그리고정책추진시고려해야할핵심요소및점검사항등을제시하여교육생에게바람직한정책관리모델을교육할수있도록함. 정책사례학습용 PPT 화면과병행하여작성 - 해당 PPT 화면을캡쳐하여제시하고, 캡쳐한화면을설명하는방식으로작성함으로써 PPT와교안을함께활용할수있도록함. 정책사례학습용 ppt 작성요령 주요내용 - 사례의전체내용가운데공무원에게시사점이큰핵심적인성공및실수 실책요인을주제로선정 시각적효과와디자인중시 - 공무원들이직접접하는자료로서교육생들의흥미를유도하고실질적인도움이될수있도록전체적인디자인과시각적효과를중시해야함. 기본적인흐름은강의용교안과동일함. 일곱째, 각종보고회를 9회에걸쳐충실하게운영하였다. 9건의연구용역과제에대한착수보고회, 중간보고회, 최종보고회를개최하여정책사례개발의방향을잡고, 정책사례내용의완성도를높였다. 각종보고회를통해미비한사항과수정 보완할사항을제시하여정책사례개발이내실있게추진되도록하였다. 각종보고회개최내역 소형과제중간보고회 (2회)(7. 20./7. 30.), 최종보고회 (2회)(2007. 8 21./8. 27.) 중형과제착수보고회 (7. 25.), 중간보고회 (2회)(2007. 9. 10./9. 11), 중형과제최종보고회 (2회) (2007. 10. 22./10. 24.) * 보고회개최시평가전문위원의평가의견제시, 관련부처담당자참석또는의견개진병행추진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65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여덟째,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진행상황점검을실시하였다.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심의소위원회의점검과는별도로정책사례개발추진단자체에서별도로연구용역진행상황을점검하였다. 구분 1차점검일자점검내용과업지시서와착수보고서에따라잘수행되었는지여부와소형과제 2007. 6. 1.~7. 31. 미흡사항과수정 보완사항은수정 보완요구중형과제 2007. 7. 2.~8. 31. 상동 구분 2차점검일자점검내용과업지시서와중간보고서에따라잘수행되었는지여부와소형과제 2007. 8. 1.~8. 24. 미흡사항과수정 보완사항은수정 보완요구중형과제 2007. 9. 1.~10. 12. 상동 아홉째, 외부평가전문위원단을구성하여정책사례에대하여종합평가를실시하였다. 자세한내용은다음과같다. 1. 평가일자 :2007. 3. 9. ~ 3. 30. 2. 평가방법 : 종합평가서에의한항목별평가 3. 평가대상 : 새만금간척종합개발사업사례등 16건 4. 평가항목 : 연구용역과업지시서와의부합성, 교재설계 편집 구성의적절성, 교재내용의충실성, 교육자료로활용시교육효과성, 기타개선사항등 5개항목 5. 총평 전반적으로사례의선정에있어서는교육용으로활용가능한사례들로선정되었고, 사례연구진행에있어서정책추진단계별로정책의전과정을심층분석하였으며, 이해관계자의다양한의견을제시하는등체계적으로구성되어있음. 교육용사례로적합하고, 내용도충실하며, 교육효과가높은것으로판단됨. 다만, 일부사례는흥미유발부분이부족하고, 찬반이나누는토론주제가필요하며, 교육용 ppt의보완이필요하다는지적이있었음. 6. 평가자 : 강철구교수 ( 고려대 BK21 경제학사업단연구교수 ), 김정해수석연구원 ( 한국행정연구원규제연구센터 ), 김찬동연구위원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남궁근교수 ( 서울산업대 ), 조경호교수 ( 국민대 ), 한상일교수 ( 연세대 ), 김종걸교수 ( 한양대 ) 66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3) 정책사례개발의활용과보급중앙공무원교육원은개발된정책사례를교육훈련기관에서교육과정에적극적으로활용하고이를확산하기위하여적극적으로추진하였다. 첫째, 정책사례활용방안실무회의를개최하였다. 2007. 1. 11.~1. 12. 에인재양성부장주재로원내교수, 팀장 ( 과장 ), 교육과정담당사무관등이참석한가운데개발된정책사례에대한활용방안실무회의를개최하였다. 회의결과주요내용은다음과같다. 교육대상 :6급이하도정책업무를수행하므로사례교육을실시하기로함. 교육강사 : 정책사례의큰그림의 [ 기조강의 ] 는원외교수, [ 정책품질관리의이해와매뉴얼 ] 은홍진이교수, [ 사례강의 ] 는사례개발교수, [ 분임토의 사례발표와사례평가 ] 는원내교수 사례개발교수 평가전문교수등혼합교수팀이담당 * 1~2년정도는운영하되, 그다음부터는원내교수가모두담당해야함. 교육과정 :3주이상으로하되, 사례교육이가능한과정 교육시간 : 교육과정별로교과목을편성하여적당한교육시간을배정함. 교육내용 ( 시간 ) - 정책품질관리과정 (25h) 정책품질관리종합이해 (5h): 의의와사례개발 (2h) + 매뉴얼 (3h) 능력배양 (11h): 사례연구강의와토론 Ⅰ Ⅱ Ⅲ (9h) + 집단토론과발표 (2h) 참여학습과사례연구 발표 (9h): 분임토론, 종합발표와강평 - 6급이하 (5급신임기술직, 5급특채, 공직적응과정포함 ) 는 [ 정책품질관리의의의와실제 ] 교과목과 [ 정책품질관의사례연구 ] 교과목으로운영 (2~3h) - 5급이상 : 다음과같음교육과정교육내용 ( 시간 ) 고위정책과정 1 효율적인정책품질관리 (6h): 정책품질관리의이론과실제 (2h), 토론식정책사례연구 [ 정책의성공과실패요인분석 : 4h( 사례강의2h + 사례연구1h + 사례토론1h)] 2 산업정책의발전방향과과제 : 토론식정책사례연구 [ 민주화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67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시대의산업정책의관리방안분석 : 2h( 사례강의 )] 3 사회갈등의이해와해결 : 토론식정책사례연구 [ 정책갈등의해결전략분석 : 4h( 사례강의2h + 사례연구1h + 사례토론1h)] 5급신임리더과정정책기획연습과연계하여운영 5 급승진리더과정 1 정책품질관리매뉴얼이해및사례종합 : 이론 2h + 실습 1h 2 정책품질관리사례연구 Ⅰ,Ⅱ: 이론 1h + 실습 1h 둘째, 정책사례활용방안을보고하였다. 2007. 2. 19. 에최종적인정책사례활용방안을마련하여원장께보고하였다. 보고내용에는그동안의원장과부장의지시사항, 활용방안실무회의결과를반영하였다. 개발된정책사례를적극적으로활용하고, 정책사례활용이확산되도록기반을구축하도록하였다. 구체적인내용은다음과같다. 1. 중앙공무원교육원내정책품질관리교육강화 전문교육과정 : 정책품질관리과정 2회운영 ( 상 / 하반기 ) 기본교육과정 : 5급신임리더과정등 기타사례교육이가능한교육과정 2. 우리원내부의다양한사례활용방법 ( 기법 ) 강구 이론 매뉴얼교육, 사례교육및현장중심교육의조화 강의식교육보다는토의식 역할연기등교육방법적용 개인 ( 분임 ) 보고서작성 : 고위정책과정, 5급신임리더, 5급승진리더과정 정책사례워크숍 ( 분임연구 + 발표 ): 5급신임리더과정 정책현장탐방 : 고위정책과정, 5급신임리더과정, 5급승진리더과정 기본적으로교육원이운영중인 AL 등현안문제해결형학습과는차별화운영 3. 강사활용방안의지속적강구 원내강사 : 가능한한적극활용 - 원장, 부장 ( 인재양성부장, 양성기획부장 ), 정책사례개발추진단장 - 센터장 ( 교수 ): 4개센터장 ( 교수 ), 소관센터별과제담당 - 원내직원 : 자체전문강사로발굴 육성하여활용 68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외부강사 : 사례교육시활용 - 사례개발교수 : 정책사례개발교수 ( 책임교수, 공동연구진 ) - 평가전문위원인교수 : 대형과제와소형과제별평가전문위원 - 소위원회위원 : 정책사례개발연구용역심의소위원회위원중외부교수 교육훈련기관강사 : 타교육기관의자체강사를원내교육시활용 - 중앙과지방등각급교육훈련기관의자체강사를활용 ( 검증후 ) 소관부처의사례를심층적으로강의할강사선정 4. 정책품질관리교과목외에타교과목에활용확대 사회갈등관리, 리더십역량개발등타교과목에활용유도 미국의경우리더십교육등행정학기본교육과정에다양한측면에서활용. 5. 타교육훈련기관등의활용을적극지원 타교육훈련기관에정책사례학습확산유도 - 정책품질관리또는정책사례교과목신설 확대협조요청 - 타교육훈련기관을대상으로정책사례결과물의활용을위한워크숍개최 정책사례결과물 교안및활용노하우제공등 - 타교육훈련기관을대상으로직접적인강사지원 중공교강사와외부의강사풀구성및소개등 타행정기관대상교육지원 - 현재일부중앙행정기관에서직장교육형태등으로정책품질관리교육을지원하고있으나, 이를확대하도록전행정기관에협조요청 6. 대학 학회 연구기관등에도확산유도 대학 학회 연구기관등에정책사례를제공하여활용권장또는지원 원내강사또는정책사례개발교수를활용하도록유도 7. 개발된사례결과물의수정 / 보완기회확보 실제교육에적용해본후나타난사실관계의정정, 분석결과의다양성, 이견등을조정 최종결과물재생산 타교육훈련기관과외부에제공 8. 교재의질적담보를위한자문운영 교육전문가를초청하여자문을받을필요성이있음.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69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실제사례개발을한교수, 강의를한교수, 교육전문가등이참석하여강사용교재와수강생교재편집과구성등에대하여논의필요 강사용교재 : 기본교과서개념의정책사례보고서 + 교사용지도서 + 교안 ( 학습지도안 )+ 교육용 ppt 수강생용교재 : 기본교과서개념의정책사례보고서 9. 사례를잘활용할강사 Pool 양성 보급대책마련 1차적으로원내강사와각사례개발진을강사로활용 장기적으로전문강사발굴 양성대책추진 10. 정책단계별, 유형별정책사례분석과모음집발간 정책단계별분석 : 정책형성, 결정, 집행, 평가와환류단계 유형별분석 : 갈등관리, 리더십등유형별로분석 셋째, 정책사례활용방안설명회를개최하였다. 2007. 4. 13. 에각급교육훈련기관과행정기관의교육담당과장 (130명) 을대상으로개발된정책사례를다양한방법으로활용하도록하고, 정책사례교육방법을제시하였다. 설명회시개발된 16개의정책사례교재와종합분석 요약집을배포하였다. 교육내용은다음과같다. 정책사례개발의취지와추진경과설명 ( 박성권추진단장 ), 사례교육의방법과중요성특강 ( 박통희이화여대교수 ), 정책사례개발현황과활용방안설명 ( 허남식연구행정팀장 ), 정책사례강의 [ 경부고속철도건설사례 ]( 김창수부경대교수 ), 질의응답 넷째, 정책사례교육활성화방안워크숍을개최하였다. 2007. 8. 31. 에각급교육훈련기관과행정기관의교육담당과장 (100명) 을대상으로정책사례교육활성화방안모색워크숍을개최하였다. 주요내용은다음과같다. 정책사례개발의취지와실시현황설명, 정책사례교육의활성화방안특강, 중앙공무원교육원활용사례, 정책사례발표 ( 활용중심 :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과지방혁신인력개발원 ), 건의와소감사항작성하기, 질의응답등 70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다섯째, 정책사례강의인증방안과교수설계방안을토의하여향후발전방안을마련 하였다. 2007. 10. 31. ~ 11. 1. 에는정책사례강의인증제방안을토의하고, 2007. 12. 13. ~ 14. 에는외부전문가를모시고정책사례교수설계방안을토의하여향후 실질적인정책사례교육에대한발전방안을마련하였다. 여섯째, 정책사례활용실적은다음과같다. 59개기관에서개발된정책사례를 145회 활용하였다. 2006년에개발된 16개와 2007년에개발된 9건등 25건을각급교육훈련 기관에서활용하였다. 중앙공무원교육원은 5급, 7급, 9급기본과정, 정책품질관리과정 등전문과정등 13개교육과정에 46회활용하였고, 지방혁신인력개발원, 정보통신 공무원교육원등 46개교육훈련기관에서정책갈등과정등에서 79회활용하였으며, 대학교등 12개기관에서도 20회활용하였다. 구체적인내용은다음과같다. 구분 기관수 횟수 1 중앙공무원교육원 1개기관 46회 2 교 육 기 관 28개기관 55회 3 행 정 기 관 18개기관 24회 4 대학교 및 기타 12개기관 20회 계 59개 145회 4) 도입성과 2007년에는기획예산처가주관하는정책사례개발재정성과자율평가에서우수평가 (85점) 를받았다. 2006년개발된사례 16개를전문교육과정인 2007년정책품질관리교육과정교과목으로편성하여실시하였는데, 사례연구와토론과정에대한교육생의만족도는 97.6으로매우좋은평가를받았다. 또한 2007년중앙공무원교육원의기본교육과정, 전문교육과정등에 정책품질관리사례교육 으로활용되어 93.2% 라는높은만족도평가를받았고사례중심의참여형학습을통하여공무원의정책관리능력향상에기여했다. 아울러다수의타교육훈련기관에서도정책사례교육을실시함으로써참여형 문제해결형의사례중심교육이확산되었다.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71

2008 중앙공무원교육원연보 그리고, 공무원들이기존의정책수립과집행등정책추진과정에서실패요인과성공요인을스스로분석해보고, 정책적시사점과교훈을학습함으로써향후유사한정책추진시정책실패를방지하고, 품질높은정책을수립하여국민의부담을경감하며, 더나아가서는국민의삶의질을향상시키고, 국가경쟁력을제고하는데이바지할것이다. 또한, 학계, 연구기관등에서중앙공무원교육원이개발한교육용사례를활용함으로써살아있는정책사례학습을통해행정학, 정책학등의교재내용을획기적으로바꾸는계기가될것으로기대된다. 5) 향후계획개발된정책사례는 1단계로중앙공무원교육원의기본교육과정, 정책품질관리과정등사례교육이가능한과정에적극적으로활용할것이다. 2단계는교육훈련기관과행정기관, 3단계는학계, 연구기관등에서사례교육을하도록확산해나갈예정이다. 그리고, 향후사례교육으로활용시교육과정에맞는사례선정에도움이되도록개발된정책사례를유형별, 정책분야별및정책추진단계별로분석하여제공할것이다. 또한, 개발된사례전반에대한이해를도모하기위하여 2008년에도 9개정책사례를종합한요약집을만들어사례교육에활용하도록할것이다. 2008년부터는정책사례교안작성법 ( 교수설계기법 ) 에대한표준모델을마련하여정책사례보고서의품질을높여나갈것이다. 이를위해정책사례개발초기부터최종보고서작성시까지교육공학전문가가정책사례개발에참여하도록할것이다. 72 Central Officials Traning Institute

7. 교육서비스품질제고를위한각종지원사업추진 가. 공무원교육혁신매뉴얼 개정발간 1) 추진배경 교육훈련업무의효율성을높이고교육혁신성과를다른교육기관과공유하고자 2005년 5월매뉴얼을발간한이후, 그동안의변화된내용을반영하여 2007년 공무원교육혁신매뉴얼 을개정 발간하게되었다. 2) 매뉴얼구성체계 매 뉴 얼 교육훈련계획수립교육과정운영계획수립교육과정운영교육평가및사후정리교육운영지원 교육수요조사 연간교육훈련계획수립 교육요구분석 교과내용 방법결정 교수 강사진구성 평가계획수립 교육과정운영사전준비 교육생등록, 입교식 교육과정운영 액션러닝및특별활동운영 교육평가실시 수료식 교육과정운영사후정리 차량 안내 새날관 시청각실 식당등각종지원업무 Ⅱ. 2007 년도주요교육혁신추진실적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