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지역 ( 주관 ) 대전광역시지역 ( 참여 ) 강원도 에너지 에너지 워터그리드통합기기및시스템개발 ㅇ주거공간에서생활에필요한에너지, 물, 도시가스등자원의효율적사용, 전력화, 재사용체계에 ICT 기반의지능형네트워크를접목하여에너지자원의선순환플랫폼을구축하고부가가치를창출하는산업

Similar documents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ㅇ ㅇ

보도자료 2018 년 12 월 27 일 ( 목 ) 13:30 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배포일시 ( 수 ) 담당부서 담당과장 김권성과장 ( ) 엄진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¹»ê»ç¾÷Æò°¡(±âŸ)-¼öÁ¤.hwp

임베디드2014(가을)


제 KI011호사업장 : 서울특별시구로구디지털로26길 87 ( 구로동 ) 02. 공산품및소비제품 생활용품검사검사종류검사품목검사방법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 생활 휴대용레이저용품 안전확인대상생활용품의안전기준부속서 46 ( 국가기술표준원고시제 호 (


경북자동차부품관련연구소의효율적 운영방안

목 차 1. LED/ 광 1 2. 자동차 의료기기 정보가전 플랜트엔지니어링 생산시스템 조선 로봇 화학공정 세라믹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Ⅰ Ⅱ Ⅲ Ⅳ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3LGÈ�ÇÐÁ¦2±â/2001±â³»Áö-8-30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2017 년 1 학기 공학논문작성법 (3 강 ) 공학논문작성방법개요 좋은공학논문작성을위해서는무엇이필요한가? (1) 논리적이고정확하게글쓰기 (2강내용에연결 ) (2) Abstract 작성법의예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untitled

MRIO (25..,..).hwp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 1 ) ( 2 )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m (-6933, `12.5.2) ( ),,,,.,. 2 2 ( ) 1 2 (( 高 ) M10 110) 2,280, H, H.. - (, ) H, H, H. - ( 引拔 ), H,. (-6933, `12.5.2) ( ),. 3 (2,280), (, ) ( 共

,. 2 차세대태양전지민 관합동간담회

src.xls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2016 년도국토교통기술 연구개발사업시행계획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8%) 반도체 (7.0%) 기계류 (9.6%) 등은증가한 반면승용차 ( 14.6%) 의약품 ( 5.5%) 등은감소 ( 소비재 ) 승용차 ( 14.6%) 소고기 ( 3.1%) 등은감소했으나, 의류 (16.4%) 가전제품 (20.7%

장애인건강관리사업

Corporation Limited MODEL 제 품 제 원 스텐레스장축 NS_100 10A -사용압력 : 5.0 MPa -사용온도: -196 ~+60 -사용유체 : LN₂, LO₂, LAr, -사용용도 : 초저온배관, 초저온 저장탱크, 기타 50A Cryogenic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대구경북그린카부품산업발전방안

장비안내서(2015)표지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1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II. 기존선행연구

낱장보기.indd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Ⅰ. 들어가며 (Smart Grid) - -, IT, 2000, , ,,,, , 2012,, - -,

목 차 Ⅰ. 추진배경 1 화장품산업종합발전계획 Ⅱ. 트렌드변화 3 Ⅲ. 화장품산업현황 8 Ⅳ. 그간의화장품산업지원성과 16 Ⅴ. 기회요인과한계점및시사점 21 Ⅵ. 비전및추진전략 23 Ⅶ. 세부과제 피부과학응용 4차산업혁명선도기술활용유망기술개발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9.Â÷¼¼´ëÀüÁö »ê¾÷º° º¸°í¼�.hwp

hwp

< C6AFBCBAC8ADB0EDBDC7C7E8BDC7BDC0BDC3BCB3BCB3BAF1B1E2C1D82DC3D6C1BE2E687770>

2010교육프로그램_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Contents Ⅰ. 산업기술혁신사업의개요 1 1. 사업개요 1 2. 추진체계 5 3. 추진절차 ( 기술개발사업기준 ) 6 Ⅱ. 산업기술혁신사업의평가및관리 년도산업기술혁신사업주요 R&D 제도 사업수요의발굴및시행계획공고 사업의신청및선정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3%) 반도체 (17.8%) 기계류 (11.7%)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3.2%) 승용차 ( 10.2%) 등은감소 ( 소비재 ) 의류 ( 1.8%) 승용차 ( 10.2%) 등은감소했으나, 조제식품 (11.9%) 가전 (9.9


3.. :. : : 2015 ~ : 5.. : (C10),,,, (C26), (C28). : (10720), (26221),. (26222), (26291), (26293), (26299), (28902) ( : ) ( m2 ) (%) 106,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24.2%) 반도체 (11.9%) 승용차 (52.1%) 등은증가한 반면석유제품 ( 9.1%) 의약품 ( 6.2%) 등은감소 ( 소비재 ) 사료 ( 7.3%) 소고기 ( 2.4%) 등은감소했으나, 승용차 (52.1%) 의류 (5.8%)

보도참고자료 년 7 월 17 일 ( 금 ) 석간부터보도하여주시기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7. 17( 금 ), 12 시이후보도가능 )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산업기술개발과과장유법민 ( ),

- 2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성인지통계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30.3%) 반도체 (8.4%) 승용차 (44.3%) 는증가, 석탄 ( 2.0%) 정밀기기 ( 1.9%) 는감소 ( 소비재 : 18.0% 증가 ) 승용차 (44.3%) 가전제품 (22.1%) 등은증가, 사료 ( 3.1


차 례

Europe 2020 Strategy 글로벌산업기술생태계의융합과발전을선도하는일류산업진흥기관 EU 기술협력거점 *EU Issue Paper EU : KIAT EU ( ,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1362È£ 1¸é

Untitled-1

2017년 해사안전시행계획(최종).hwp

차례

[로플랫]표준상품소개서_(1.04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메디시티대구 실현촉진을위한 이벤트 ( 축제 ) 기획방안

- 2 -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 수입 ) - ( 품목별 ) 주요수입품목중에원유 (54.1%) 기계류 (20.2%) 의류 (42.6%) 는증가, 제조용장비 ( 0.2%) 철광 ( 2.0%) 은감소 ( 소비재 : 34.9% 증가 ) 의류 (42.6%) 승용차 (8.2%) 담배 (98.8%) 등은증가,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2009_KEEI_연차보고서

융합WEEKTIP data_up

CONTENTS Summary 탄소소재적용조선해양기자재산업동향. 조선해양기자재연구개발인프라현황. 핵심기술분석. 전라북도해양설비기자재산업의발전방향. 시사점및기대효과 Issue & Tech 2016 이슈앤테크 vol.60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PowerPoint Presentation

?

13È£³»Áö-1

Microsoft Word - pcb_index_report.doc

Transcription: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협력프로젝트개요 1 2 지역 ( 주관 ) 부산광역시지역 ( 참여 ) 전라남도 스마트 친환경선박 ICT 융합형스마트친환경선박및고부가가치기자재기술개발 ㅇ글로벌조선경쟁력확보를위해선박및기자재에정보통신 (ICT) 기술을접목하여선박의안전상태진단, 해양정보수집, 유지보수등을효율적으로관리할수있으며기존선박보다연료소비량이적고, 대기및해양오염을저감하는기술을적용하여 4 차산업혁명글로벌트랜드 ( 스마트화, 친환경화, 플랫폼화, 서비스화 ) 기술과융합을통해미래형선박및기자재를고부가가치화할수있는산업 ㅇ ICT 기반친환경조선해양기자재, 친환경 고효율연안선박및기자재 국제규제대응친환경조선해양기자재기술개발 조선해양기자재 ICT 융합및모듈화기술개발 지역자원을활용한조선해양기자재시험인증 / 실증시험지원 스마트 친환경조선기자재, 해상안전용기자재, 친환경 고효율연안선박, 중소형선박추진시스템 지역 ( 주관 ) 대구광역시지역 ( 참여 ) 경상남도 전기 자율차 전기차기반전장 융합부품개발사업 ㅇ ( 전기 자율차산업정의 ) 他기술과제조기반자동차부품기술의융합을통한 4 차산업혁명산업ㅇ ( 전기 자율차정의 ) 전기동력을기반으로주행하는기능과자율주행기능이융합된형태의자동차로, 4 차산업혁명과관련하여자동차산업의패러다임변화에주역이되는대상품목임 ㅇ전기차융합부품, 전장부품, 고성능 고효율융합부품 - ( 대구 ) 전기차전장 융합부품 : 전력제어, 전기구동, 전자제어, 정보통신융복합, 안전및편의부품 - ( 경남 ) 고성능 고효율융합부품 : 스마트액티브섀시부품, xev 용핵심부품, 스마트카전용경량부품및융합부품 - ( 울산 ) 전기차기반전장 융합부품개발및신뢰성평가지원 전기차전장 융합부품, 고성능 고효율융합부품의제품요구사항정의, 설계및기술개발 전기차전장 융합부품, 고성능 고효율융합부품의시제품제작, 단품평가및성능고도화 전기차, 전장융합부품, 고성능 고효율융합부품, 경량부품 전기차전장 융합부품, 고성능 고효율융합부품의실차평가기술개발, 시스템통합, 실차성능 신뢰성평가수행

3 지역 ( 주관 ) 대전광역시지역 ( 참여 ) 강원도 에너지 에너지 워터그리드통합기기및시스템개발 ㅇ주거공간에서생활에필요한에너지, 물, 도시가스등자원의효율적사용, 전력화, 재사용체계에 ICT 기반의지능형네트워크를접목하여에너지자원의선순환플랫폼을구축하고부가가치를창출하는산업 - 기반구축산업 : 스마트에너지 워터그리드를구축하고운영하는사업영위 - 제조산업 : 그리드의구축 운영및서비스제공에필요한기기, 제품제조 - 서비스제공사업 : 생산자및소비자에게관련서비스를제공하는사업영위 1 신재생에너지기반수처리회수시스템성능실증화 2 IOT & 지역에너지 ( 수도, 전기, 가스등 ) AMI 도시통합관제시스템 유망품목 R&BD 1)CO 2 Free 저가수소 제조 저장시스템설계 2) 커뮤니티형에너지 워터 GAS AMI 설계 / 개발 3) 에너지회수수처리개발 기술고도화및통합 1)CO 2 Free 저가수소 제조 저장시스템고도화 2) 커뮤니티형에너지 워터 GAS AMI 통합 3) 에너지회수수처리고도화 실증화및고도화 1)CO 2 Free 수소 제조 저장시스템실증화 2) 커뮤니티형에너지 워터 GAS AMI 통합운용 3) 에너지회수수처리실증화 4 에너지그리드, 워터그리드, 수소에너지, Biomass, Smart AMI, 통합 EWMS 지역 ( 주관 ) 광주광역시지역 ( 참여 ) 전라북도 에너지 도심특화 MG(Micro-Grid) 부품및시스템개발사업 ㅇ도심특화의신재생에너지기반의마이크로그리드부품및시스템개발사업으로 ESS 연계하이브리드분산발전설비분야와 MG 의효율적인에너지관리및운영시스템개발이적용된 ICT 융 복합산업을의미 ( 광주 ) 에너지관리시스템 (EMS), 전기기기, MG 운용시스템 ( 전북 ) 신재생에너지기반분산발전시스템, ESS 기반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도심 농촌 MG 특화요소기술및부품개발 - ESS 저비용제품 - 중 장거리전력전송 (LVDC) - 태양광유지관리및지능화 MG 사업경쟁력요소기술및기업지원 - 가격, 제조, 유지보수 - 신재생융합화기술 특화요소부품, 시스템개발 - 태양광용 ESS 시스템 / 부품 - 도심 / 농촌송배전특화부품 - 신재생지능형 O&M 시스템개발 MG 용핵심부품개발 - 경제형 PCS, PMS, 시스템 - 융합시스템구축기술 특화실증및사업화 - 실증사업 실적, 신뢰성 - 전용송배전부품상품화 - MG O&M 사업화 MG 주요부품상품화 / 사업화 - 신재생융합설계고도화 ICT, DC, 에너지저장ㆍ변환용소재부품, MG

5 산업정의 지역 ( 주관 ) 울산광역시지역 ( 참여 ) 경상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전기 자율차 고안전자율주행차량용 ( 협력 / 편의 ) 부품및시스템개발 ㅇ실험실단계이상의 (TRL 5 단계이상 ) 의안전한자율주행구현이가능한기술중제품화가유력한기술을안전성, 신뢰성이보장되는고안전자율주행차량용부품및시스템개발과자율주행안전성을높일수있는협력부품, 주행환경변화로창출되는자율주행편의부품개발을의미함. ㅇ ( 울산 ) 고안전자율주행부품의연구개발및평가시스템구축지원 : 차량통합제어모듈, 차량내외부고속통신모듈, 스마트시트 /IP/Door, 자율주행가능협력부품개발, 자율주행성능시험분석을위한플랫폼지원, 자율주행인증지원, 특허인증지원 ㅇ ( 경북 ) 자율주행안전성확보를위한시스템기반기술융합형제어로직, 센서통합기술부품개발 : ICT 융합센서 제어기술, 차량통신시스템및정밀맵기술, 인공지능 S/W 기술, 자율주행핵심부품종합기술지원, 제품디자인지원 ㅇ ( 세종 ) 정밀위치구현기술을통한주행안전성기술 : V2X 통신시스템기술, 자율주행디지털맵, 차세대차내망 (IVN) 기술개발및자율주행구현기술종합지원 ㅇ ( 울산 - 대구공동주관협력 ) 자율차개발을위해대구, 경남은울산의약점인전장부품과인프라 ( 주행시험장등 ) 보유로부품및모듈개발지원 자율주행제어플랫폼기반기술정립 자율주행안전부품및협력 / 편의부품세부기술개발 자율주행제어플랫폼및평가시스템구축 자율주행안전부품및협력 / 편의부품제품화기술 자율주행제어플랫폼적용평가인증 자율주행안전부품및협력 / 편의부품제품화 / 사업화 시스템기반기술융합제품, 인공지능 SW, 지능형부품, 통신모듈, 도로안전기술

6 산업정의 지역 ( 주관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 ( 참여 ) 충청남도, 경상남도 첨단신소재 고강도 경량화금속및플라스틱부품상용화플랫폼구축 ㅇ금속 무기 유기원료및이들을조합한원료를새로운제조기술로제조하여, 미래산업의기반이되는기술과소재를개발하고, 이를통한지역내일자리및 부가가치창출효과가큰원재료및중간생성물을제조 생산하는산업을의미 ㅇ ( 멀티스케일금속소재 ) 금속소재의구조, 결함, 조성등을다양한스케일로제어하고물리, 화학적결합을통한하이브리드화를통해고성능, 다기능, 친환경적소재개발ㅇ ( 엔지니어링플라스틱 ) 고분자재료로서내열성, 내약품성, 난연성, 양산성, 경량성, 전기절연성, 녹슬지않는성질등고기능성플라스틱소재 핵심소재부품개발 핵심공정개발 상용화기술개발 - 구조용금속및금속 - 구조용소재 / 부품 - 초정밀성형 / 가공기술 복합소재기술개발 공정기술개발 - 바이오플라스틱 - 기능성금속및금속복합소재기술개발 - 전도성 / 절연성수지합성 - 기능성소재 / 부품공정기술개발 - 고기능성표면처리 성형 / 가공기술 - 내열성 / 난연성소재 / 부품공정기술 기술 기술개발 - 내열성 / 난연성수지합성 - 친환경성함량증가 기술 기술개발 - 전도성 / 절연성소재 / 부품 공정기술 초경량 고강도소재 부품, 금속소재 부품, 플라스틱소재 부품

7 8 지역 ( 주관 ) 강원도지역 ( 참여 ) 대전광역시 바이오헬스케어웰라이프바이오헬스케어특화기능성소재및융합형의료기기기술개발ㅇ바이오헬스케어산업이란 빅데이터헬스케어플랫폼과연계한건강관리 증진용기능성바이오소재기술개발및융합형의료기기디바이스기술개발등을통해개인의삶의질 (QoL) 을높여줄수있는맞춤형진단 예방용제품 서비스를제공하는산업 을의미ㅇ바이오헬스케어특화기능성소재 융합의료기기센서 + 부품 헬스케어플랫폼 * 연계 - 강원 : 맞춤형기능성소재 R&BD, IoT 의료기기및스마트현장진단기기개발, 맞춤형빅데이터플랫폼연계 ( 실증 ) - 대전 : 바이오소재, 체외진단 - 융합의료기기센서 / 모니터링연계지원 ( 방향 ) 3 대품목분야의기술 / 제품간융합기반마련 ( ) 지역간연계가능성모색및적합기술탐색등 ( ) 의료서비스플랫폼의빅데이터기술개발및상품화연계 ( 방향 ) 바이오헬스케어융합상품 / 서비스실증화및사업화성공 ( 강원-대전 ) ( ) 품목분야별스타상품개발및품목간연계형패키지상품개발을통한 사업화매출실적달성진단 예방 ( 웰라이프 ), 융합형헬스케어디바이스, 세대맞춤형기능성소재, 예방진단서비스, 빅데이터 지역 ( 주관 ) 충청남도지역 ( 참여 ) 세종특별자치시 실버케어 실버케어특화생활의료기기및식품개발 ㅇ건강상태가양호한고령자의건강관리를위한기능성식품및생활보조기기제조, 노인질환및장애를가진고령자의증상개선과생활편의향상을위한케어기기및맞춤형특별식품제조, 기기제어및노인건강상태모니터링을위한시스템개발과연관된산업 - ( 충남 ) 실버케어용기기및부품, 식품개발과노인건강상태모니터링을위한시스템개발 - ( 세종 ) 의료기기를통한건강정보수집을위한센서, 통신모듈개발및데이터저장 ( 처리 ) 분석소프트웨어개발 노인건강증진 개선및노인질환맞춤형식품을위한원료발굴 노인질환개선및홈케어용기기제조를위한소재및센서 소자개발 노인건강기능식품및질환맞춤형식품을위한소재개발 가공 실버케어기기용모듈및소프트웨어개발 실버케어특화제품개발및사업화 - 노인건강증진 개선식품, 노인질환맞춤형특별식품 - 노인맞춤형실버케어기기 - 노인건강상태모니터링시스템 실버케어, 헬스케어, 고령친화식품, 생체신호모니터링, 빅데이터분석

9 산업정의 지역 ( 주관 ) 충청북도 지역 ( 참여 ) 제주특별자치도 에너지신산업 태양광및풍력기반분산전원핵심융합부품기술개발 환경지속성을중요시하는 4차산업혁명과 12대신산업대응을위한신재생에 너지 ( 태양광, 풍력 ) 와에너지저장장치 (ESS) 을기반으로하는분산전원시스템의 핵심융합소재및부품을통칭하는산업 ㅇ ( ) 고효율태양전지소재및풍력부품, 고용량 저비용 ESS, 최적하이브리드시스템구성기술, 오프그리드에너지시스템부품 * 하이브리드시스템 : 한가지이상의전력자원을사용하는오프그리드에너지시스템, 태양광 - 풍력, 태양광 -바이오디젤등 * 오프그리드 (off-grid) : 전력그리드에연결하지않고자가발전하는것을의미 - ( 충북 ) 태양광및 ESS 핵심소재및융합부품개발, 기구축지역인프라연계를통한종합지원체계구축, 최적에너지시스템구현기술및부품개발 - ( 제주 ) 풍력및태양광소재 융합부품개발, 모니터링기술및제품실증지원 ㅇ신재생발전원 ( 태양광, 풍력 ) 의핵심부품성능개선 ( 고효율, 고수명, 저가형등 ) 을위한평가 data 구축ㅇ핵심부품및시스템의품질확보 ㅇ핵심부품및시스템의신재생발전원적용기술개발ㅇ신재생발전원예방진단기술개발 ㅇ태양광, 풍력및 ESS 연계를위한핵심부품개발및상용화 - 발전원핵심부품 - 나노그리드용 ESS 제품 - PCS, 인버터, EMS - 신재생하이브리드시스템 - 전력설비용 IoT 센서등 태양광, 풍력, 하이브리드시스템, 오프그리드에너지시스템, ESS

10 지역 ( 주관 ) 전라북도지역 ( 참여 )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전기 자율차산업 상용및 SUV 특화친환경 고안전차량부품개발 ㅇ 1 단계경제협력권 ( 친환경자동차 ( 전북 - 광주 ) 및차량부품 ( 부산 - 경남 )) 산업에서추진한친환경 기술및경량화기술등의성과를기반으로, 4 차산업혁명대응 12 대신산업중자동차 분야를융합하여이에부합하는친환경및고안전기술을적용한미래형자동차 ( 특화 : 상용차및 SUV 중점 ) 및첨단부품산업을의미 ㅇ 1 능동안전주행및스마트전장부품 2 친환경 / 에너지효율향상부품 3 경량 / 고기능차체및샤시부품 5 특수목적용시스템및핵심 / 요소부품 4 고안전 / 편의향상내 의장재 신산업육성방향참여지역별 전기 자율차 정부신산업육성정책에맞춰환경규제 대응및고안전부품개발을위한 융 복함 R&D, 해외수입제품국산화 및해외판로확보를통한산업경쟁력 강화, 협력지역간지속적인네트워킹을 통한산업생태계활성화등자동차 산업글로벌시장선도 전북 광주 부산 - 고안전 ( 능동안전시스템 ) 차량부품개발 - 주행시험장기반실차주행테스트지원 - ICT 연계형스마트부품개발종합지원플랫폼구축 - 친환경차량부품개발지원 - 스마트전기전장부품개발지원시스템구축 - 고효율경량화공정기술개발지원 - 친환경 LEV(Low Emission Vehicle) 기술기반부품개발지원 - 고경량차체부품및구동부품개발지원 - 안전부품개발지원플랫폼구축 상용및 SUV 차량부품친환경 안전화를위한별수요및환경규제반영 R&D 확보. 협력지역간별개발부품대상컨셉확보및설계 / 해석완료 수요처연계한 R&D 시작품및성능평가완료를통한시제품생산 ( 협력지역간기술지원 / 공유및협력확대 ) R&D 과제를통한개발부품신뢰성시험을통한별기술력확보 상용및 SUV 대상개발부품에대한인증및실차테스트를기반한제품상용화 능동형안전부품 / 시스템, 스마트전장부품 / 시스템, 경량소재부품, 친환경부품

11 산업정의 지역 ( 주관 ) 전라남도지역 ( 참여 ) 경상남도 첨단신소재 금속 / 고분자 / 세라믹분야고기능 친환경 차세대소재 부품개발 ㅇ금속 고분자 세라믹분야와관련된소재산업으로고강도, 고경량화, 고내구성, 고기능화, 친환경적인특성을가진첨단재료개발과이와관련된부품 정밀가공시스템관련산업 ㅇ첨단경량소재ㆍ고부가가치고분자소재ㆍ고기능성세라믹소재및부품 - ( 전라남도 ) 금속, 고분자, 세라믹등첨단신소재산업소재기술개발 - ( 세종시 ) 첨단신소재활용부품및모듈개발 - ( 경상남도 ) 첨단신소재활용부품및완성품제조, 실증평가 첨단경량소재ㆍ부품 고부가가치고분자소재ㆍ부품 고기능성세라믹소재ㆍ부품 핵심기술 미래수송기기용기능성철강소재개발기술, 이종소재접합기술및성형기술개발, 3D 프린팅활용부품및소재개발기술, 용접및절단가공기술 석유화학계기초소재, 복합소재를이용한항공소재, 해양구조물, 완충필름, 건축자재, 의료용기기등개발기술 디스플레이용투명전극소재개발기술, 수송기기세라믹센서소재개발기술, 리튬이온전지용양극재다공성복합산화물기술 고품위금속 / 고분자 / 세라믹원료의생산성증대, 비즈니스모델개발 고품위원료소재원천기술및대체재료개발 기구축인프라를활용한고기능 친환경 차세대소재 / 부품개발 고기능 친환경 차세대소재 / 부품고부가가치화및생상성향상 첨단경량소재, 친환경 생체고분자소재, 고기능성세라믹소재, 고부가철강재, 기술 / 사업화지원, 수요기업맞춤형기업지원

12 13 산업정의 지역 ( 주관 ) 경상북도지역 ( 참여 )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첨단신소재 첨단경량소재특화차량용소재부품개발 ㅇ미래형자동차 ( 친환경, 자율주행 ) 및기존내연기관에적용가능한, 첨단소재를활용하여특화된경량화핵심소재부품및첨단경량소재의처리 / 가공 / 제조를위한스마트제조산업 ㅇ첨단소재기반자동차경량화부품및제조환경고도화 - 탄소섬유, 타이타늄, 알루미늄, 마그네슘등첨단경량소재기반의자동차, 기계의핵심부품 ( 차체, 섀시등 ) - 비금속소재기반경량화핵심부품 ( 엔지니어링플라스틱등 ) - 첨단소재기반경량화핵심부품의제조 생산환경고도화를위한스마트제조시스템 부품경량화기술개발 ( 알루미늄, 기가급금속 ) 첨단소재스마트부품제조생산요소기술개발 빅데이터기반소재, 성형, 제조플랫폼구축 부품경량화기술개발 ( 복합소재, 공정기술 ) 미래형자동차 ( 친환경, 자율주행 ) 부품기술개발 첨단경량소재기반부품테스트베드구축 첨단신소재, 경량소재부품, 스마트제조시스템, 자동차부품 첨단소재기반스마트융복합부품개발 스마트제조 / 생산공정기술개발및확산 개발부품의실차적용및테스트 지역 ( 주관 ) 경상남도지역 ( 참여 ) 울산광역시 스마트 친환경선박 LNG 벙커링특화조선기자재기술개발 ㅇ (LNG 연료추진선 )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 를연료로운항되는선박 - 환경규제대응, 기존 HFO(Heavy Fuel Oil) 연료추진선대비높은경제성을가지는새로운선박ㅇ (LNG 벙커링 ) LNG 를선박의연료로공급하는과정 - 1 Ship to Ship, 2 Truck to Ship, 3 Pipe to Ship 3 종류로구분 ㅇ국산화를통한고부가가치조선기자재시장창출 1 LNG 벙커링선박용이송시스템 2 LNG 연료추진선박용연료공급시스템 3 LNG 선박용기자재 극저온호스, 매니폴더, LNG 연료탱크, 고압 저압펌프등개발 유공압엑추에이터, 고압 저압기화기, 이중배관등개발 초저온유동시스템, 유량계, 압력계, 가스압축기개발 LNG 벙커링이송시스템, LNG 연료공급시스템, 배기가스저감장치, 고효율기자재, 에너지절감

14 지역 ( 주관 ) 제주특별자치도지역 ( 참여 ) 전라북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프리미엄소비재 천연특화자원을이용한프리미엄뷰티 향장제품개발 ㅇ화장품 뷰티산업은인체의아름다움과삶의질증진을목적으로인공 천연원료및제품을개발하거나그것들을복합적으로인체에적용할수있게자원 기술 서비스가융합된신산업임 지역여건 ( 산업구조 ) 에부합한서비스인프라활용으로 4 차산업대응과 12 대신산업연계제조 + 서비스융합산업모델창출 [ 특화방향 ] 국내외화장품뷰티산업거점클러스터및밸류체인구축 소재 제품단위 프리미엄제품 서비스화를통한가치창출 글로벌화 로시 도협력지역들을포괄하는 화장품뷰티산업거점클러스터 생태계를구축 신산업 육성방향 참여지역별 식약처기능성화장품품목확대에 따른지역특화천연자원활용다양한 프리미엄 기능성화장품소재및제품개발을통한 충북기능성제품 표준화 신시장창출 소비재 화장품뷰티산업의융합 연계활성화를통한글로벌시장선도 제주소재 원료인증 제조 + 서비스 충남 전북 뷰티케어제품 친환경자원 제품 사업다각화 신소재개발산업밸류체인 품질혁신및제품고급화를통한신시장창출 지역특화자원을활용한글로벌시장형고기능성신소재개발 ( 능력확보 ) 뷰티서비스산업을활용한연계형전략의개발 ( 관광및뷰티케어산업연계상품개발 ) 임상및안전성, 규제등의정보를총괄관리하는프로세스및지원시스템의구축 4차산업대응산업및신산업창출로글로벌환경대응 ( 화장품뷰티성과를활용한이너뷰티, IT융합뷰티등의산업간시너지창출모색 ) 체계적인지원성과창출로한국형코스메틱프리미엄브랜드의개발 ( 국제적화장품원료등재 ) 신시장창출을위한소비자중심의패키지개발로용기의디자인및색상등개선 화장품뷰티, 원료인증, 화장품원료등재 (ICID), 제조 + 서비스융합, 뷰티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