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내지-교회에관한교리

<C3CAC1A DC1DFB1B92E687770>

ÁÖº¸

01¸é¼öÁ¤

나하나로 5호

....pdf..

¼øâÁö¿ª°úÇÐÀÚ¿ø

ÁÖº¸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1111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ì¸®Áö02¿ùmj3

Çѹ̿ìÈ£-197È£

ad hwp

³»Áö_10-6

- 2 -


A 목차


With_1.pdf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농촌과목회제31호

(중등용1)1~27

¹é¹üȸº¸ 24È£ Ãâ·Â

소식지수정본-1

단양군지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1362È£ 1¸é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È޴ϵåA4±â¼Û

5권심층-양화1리-1~172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78È£pdf

전도정책자료집-1

µ¶¸³Á¤½Å45È£

토픽 31호( ).hwp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 pb61۲õðÀÚÀ̳ʸ

¾ç¼ºÄÀ-2

1-23.qxd

DocHdl2OnPREPRESStmpTarget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성인지통계

»êÇÐ-150È£

Ι

º´¹«Ã»Ã¥-»ç³ªÀÌ·Î

감사회보 5월



152*220

¿øÀü¼¼»ó-20È£c03ÖÁ¾š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120~151역사지도서3

제19호

¹ßÇ¥¿äÁö

왕께찬양합니다-R.Vader_&_J.Rouse._Arr.C._Kirkland)

한국전쟁소고내지(090518)

12.5 수정본.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7단원 1(252~269)교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통신218-진행

학술대회준비위원 회장 : 이윤식 ( 인천대 ) 수석부회장 : 송광용 ( 서울교대 ) 부회장 : 박영숙 ( 한국교육개발원 ) 박은혜 ( 이화여대 ) 신현기 ( 단국대 ) 신현석 ( 고려대 ) 이윤경 ( 서원대 ) 이일용 ( 중앙대 ) 정정진 ( 강남대 ) 조동섭 ( 경인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레이아웃 1

1. 경영대학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2ÀåÀÛ¾÷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¹¹®AR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allinpdf.com

0904-6부 tta부록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¾Æµ¿ÇÐ´ë º»¹®.hwp

01 02

DBPIA-NURIMEDIA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4-Ç×°ø¿ìÁÖÀ̾߱â¨ç(30-39)


»ç¶ûÀÇ¿�¸Å7È£ÃÖÁ¾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육계자조금29호편집

- 89 -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Transcription:

- 46 - 國史館論叢 第84輯 이름 주 소 직 업 新東學校敎師 金秉湜 間島七道溝 기독교학교교사 許陽權 間島小佛洞 濟東學校敎師 기독교학교교사 墾民會總會長 金躍淵 間島龍岩材 明東學校長 明東교회장로 明東學校敎師 朴泰煥 기독교학교교사 명동교회장로 朴景喆 기독학교교사 崔基鶴 기독교학교교사 南世極 太拉子 墾民會義事員 墾民會分會長 馬 晉 장로 吳秉黙 太拉子三圖峰 彰東學校敎師 기독교학교교사 합막당교회장로 桂琫禹 小營子 (후합막당) 光成學校敎師 기독교학교교사 全 一 局子街小營子 金夏錫 기독학교설립자 白玉甫 局子街 墾民會總會副會長 金永學 鄭載冕 鄭安立 朴東轅 梁道憲 金大精 현재 활동상황(1920) 한국독립운동 首領者 排日思想鼓吹有力者 排日思想고취에 힘쓰고 靑年子弟指導함. 한국독 립운동에 참가함. " 한국독립운동에 관계하였는데 귀화 韓人이었음. 排日有力鮮人의 대표, 현재 間島全地域中心으로 東奔西走, 한국독립운동활동중 1916.11. 간도파견원에 체포되어 在留禁止處分 中 노령방면에서 독립운동 활약중 언론활동전개, 신문발행, 노령 이동휘 參謀一員, 독립운동 활동중 間島에서 上海方通망명중, 간도 3.1운동발발 때 상해로부터 再次間島에 귀환 독립운동 활동중 간도 3.1운동 수령 주모자 현재 노령방 墾民會議事員 1919.3 면에서 독립운동 전개 太태太光學校敎師 間島地方 한국독립운동 간부, 현재 상해방면에 龍井村 牧師 明東敎會설립 서 독립운동 활동중 한인 生計會, 組織者 吉林 支那관헌 局子街 기독교학교설립자 간도이주민 과 외교절충담당, 독립운동의 重鎭 延吉道尹 間島排日有力者, 독립운동간부 1919. 4 노령방 局子街 公署外交科員 면 활동중 8월 울라디보스토크에서 객사 기독교학교교장 훈춘 震明學校敎師 間島明堂帽 培英學校敎師 기독교학교교사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이 름 金載範 韓鳳翼 金圭冕 崔鳳儀 具春先 주 소 직 업 기독학교교사 間島門樓溝 養生學校敎師 " 間島樺田社 牧師 現琿春縣 훈춘성감리교목사 小營子 기독교總察, 장로 墾民會分會長 하마탕 합막당장로교회 墾民會 春 李春 琿 殖産興業課長 現局子街 기독교학교교장 李東輝 琿春, 하마탕 助師(전도사) 훈춘성내 黃炳吉 琿春縣 교회 장로 李明淳 훈춘장로교회장로 墾民會總務 金 立 小營子 기독교학교교사 (小營子中學) - 47 - 현재 활동상황(1920) 현재 기독교-派 聖理敎수령, 한국독립운동 참 여 新民團組織 활동중 간도 한국독립운동의 首領, 大韓民國會 間島支 部長 현재 延吉道尹公署通譯 排日鮮人의 유력자 현 침묵중 한국독립운동 過激派 重鎭 기독교계통 在外鮮 人의 代表 훈춘지역 排日韓人의 首領 1919. 3.1 운동 간 도훈춘지역 武力獨立示威운동의 急先鋒 노령방면 한국독립운동, 幹部一人으로 활동 다음은 1925년도 간도 한인 종교상황 일람표이 다.40) <표 4>에 의하면 간도지방에는 천도교, 대종교, 시천교, 유교 등 제종교가 성행하였지만 그 중에 서 기독교는 단연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독 교의 여러 종파 중에서도 카나다 장로교파가 가장 그 세력이 컸음을 살필 수 있다.지역적으로도 기 독교의 전파는 만주 전지역 안에서 용정, 두도구, 연길, 훈춘, 백초구 등 북간도지역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위의 <표 5>는 1934년 전 만주 기독 교 교인수 및 회당수의 비교 일람표이다. <표 5> 에 의하면 재만 기독교의 65%, 회당수 104처가 북간도에 분포되어 있음을 발견한다.41) 40) 이종정, 앞의 책, p.116 참조 41) 玄圭煥, 앞의 책, p.320. 在滿洲 일본영사관 작성. <표 4> 間島地方 韓人 宗敎狀況 一覽表 (1925) 또 종교별 구분 敎會 는 寺院 信徒數 加奈陀 長老敎 61 8,263 監 理 派 14 1,513 耶 南 東 亞 督 敎 7 288 蘇 安 基 息 2 164 敎 天 主 公 敎 敎 32 9,320 計 116 17,548 天道敎 11 3,686 大倧敎 3 2,109 靑林敎 1 30 元宗敎 5 272 侍天敎 9 3,109 濟愚敎 1 51 儒 大成儒敎 2 86 孔子會 3 10,139 敎 計 5 10,225 佛 敎 3 43 總 計 154 27,073

- 48 - 國史館論叢 第84輯 지역적으로 만주 전체 중에서 북간도에, 또 북 간도의 제종교 중에서 기독교가 이렇듯 발전하고 있었던 원인은 지금까지 살펴 본 바 북간도 교회 는 민중들이 처한 역사적 현실을 외면하지 않았 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종교가 사회생활 속에서 참된 생명력을 갖기 위해서는 시대정신과 민심에 공감하여야 하며, 그 시대의 형세와 정신과 의식 상황에 밀접히 관 련 안 될 수 없는 것이다.1910년대 북간도 한인 교회가 진한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고 민중교회로 성립된 것은 기독교적 민족주의가 시대정신을 반 영하였다는 데 기인한다. <표 5> 在滿 기독교 비교 일람(1934) 地 奉 新 通 海 安 吉 敦 新 哈 綏 海 龍 頭 延 百 圖 琿 方 名 天 民 府 化 龍 東 林 化 京 爾 濱 芬 河 拉 爾 井 道 溝 吉 草 溝 們 春 計 基 督 會堂數 15 1 6 11 8 2 1 4 6 3 1 46 17 6 7 4 24 162 敎 敎 數 2,554 100 2,030 1,140 2,976 332 70 375 769 364 29 11,197 1,697 3,578 1,598 329 2,748 31,886 Ⅳ. 北間島敎會의 發展過程 1. 福音의 傳播期(1906) 북간도에 있어서 기독교의 포교는 함경도 지역의 전도활동의 연장이었던 만큼 먼저 함 경도 지방 사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함경도 지역에 교회 개척사업이 시작된 것은 1892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원산에 선교지부를 설치한 데서 시작된다.42) 그후 1898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원산에 선교지부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1898년 카나다 장로교회가 이 곳에 선교사를 파송하자, 두 선교부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져 함경남북도, 북간도, 해삼위 (Vladivostok) 일대의 선교사업은 카나다 장로교회에서 맡게 되었다.43) 42) 미국북장로회 선교사 게일(J.S. Gale, 奇一), 스왈른(W.L. Swallon, 蘇安論)은 元山교회 를 세우고 1894년 처음 신자들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함경노회록 서문, (1912. 1. 29.). 43) 함경노회록 서문에 의하면, 카나다 장로회는 푸트, 맥레이(D.M. MacRae, 馬求禮), 그리어 슨, 럽, 영재영, 로스(A.R. Ross, 魯亞力), 맥도날드(D.A. Macdonald, 매도나), 바커, 스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49 - 북간도에 기독교가 전파 과정을 간도노회록 서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조선 인민이 간도에 거주한 지 40여년에 예수의 복음을 듣지 못하고 그늘 아래 있을 때 에 조선 내지 함경북도에 전도하는 카나다 장로회에 파송한 선교사 그리어슨씨가 1902년 간도와 해삼위까지 전도 중에 믿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1903년 전도인 안순영을 보내어 전도를 개척하고, 1906년에 중국 교인 싼진(單金) 선생이 전도하여 동양리 양무정자에 믿는 사람이 생기매 성진에서 그리어슨이 김문삼을 조사로 보내어 교회를 설립하고, 1907년에 선 교사 럽(A.F. Robb, 鄴亞力)은 양무정자교회를 시찰하고 용정교회를 설립하였고, 그리어슨 목사는 간도교회를 특별히 주의하므로 삼국전도회를 조직하였다.44) 또한 조선예수교장로회 사기에서는 선교사 구례선이 1906년 영수 구춘선, 집사 이보 건을 중심으로 용정시 교회를 설립하였고, 이로부터 용정은 북간도 기독교 전도의 근거지 가 되었다 45)고 서술하고 있으며, 현규환의 한국유이민사 에도 동일한 서술이46) 보이나 용정교회의 설립은 간도노회록 서문에서 말하는 1907년이 정확한 연대일 것이다. 그러 나 용정교회가 출발한 시기는 한해전인 1906년으로 보아야 한다. 1907년 미국 남감리회 에서도 선교활동을 전개, 전도인 이화춘에 의하여 이주 한인 망명촌인 와룡동교회가 설립 되었는데, 1909년 장감 양 교의 분계조약에 의해 북간도는 카나다 장로회 선교구역으로 작정되었다. 간도에 기독교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선교사는 카나다 장로회 선교부의 그 리어슨이다. 또한 일제의 간도의 종교단체와 독립운동 에 관한 기록에 의하면, 1906년 경성 야소교도 이상설이 간도에 와서 서숙을 열어 청년자제들의 교육을 시작하면서 동시 에 전도사업을 시작하자 학생들 중에서 천주교를 믿는 가정의 자제들이 이상설의 주장에 따라 장로교에 입교하였고, 그 학생들은 수업이 끝난 후 각지에 흩어져 전도에 종사하거 나 육영사업에 힘씀으로써 북간도의 여러 종교 가운데 기독교가 단연 두각을 나타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고47) 하여, 기독교의 전도가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음을 시사 하고 있다. 이상설은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으나 독립정신은 교육으로 단결은 종교적 신앙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 는 이상설의 신조와 그가 설립한 서전서숙에 참가한 윤정희, 정순만, 박무림 등 신민회 회원 중에는 기독교인이 많았기 때문에 일제는 간도 기독교 전파의 시발을 이상설로 인식하고 있다. 코트 등을 선교사로 파견하였다. 44) 間島老會錄 (1921) 서문 p.1. 45) 史記 (上). p.318. 46) 玄圭煥, 앞의 책, p.526. 47) 朝鮮獨立運動 Ⅲ, p.422.

- 50 - 國史館論叢 第84輯 이상의 자료에 의하면, 북간도에 기독교가 전파되고 최초로 교회가 설립된 것은 러일 전쟁 이후 1906년임을 알 수 있다. 러일전쟁 당시 간도의 이주한인들은 러일 양국 간에 불안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 때 선교사들은 그들의 치외법권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신도를 보호하였다. 당시 미일관계에 비추어, 선교사들이 보호하는 교도는 일군에 의해서 존중되었으므로 일본의 침략에 대항하여 독립을 지키는 데 의지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밖에 없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어서 기독교의 전파가 용이하였다. <표 6> 間島 四縣에 설립된 北間島敎會 성장도(1906 1921) 설립년도 교회수 교 회 명 칭 노회명칭 독노회시대 1906 3 양무정자, 광제암, 용정중앙 (1907 1911) 1907 1 와룡동 1909년 1908 1 모아산 장감지역 분할 1909 3 명동, 호천포, 훈춘성 내 협정체결 1910 4 만진기, 대황구, 차대인구, 경신향, 옥천동 장은평, 적안평, 국자가, 정동, 화룡현, 은 1911 12 장백현, 포, 두도구, 간장암, 신풍, 일송정, 금당촌 (24) 總會時代 1912 2 구사평, 의란구 남양동 (1912 1939) 1913 3 합막당, 구세동, 광제촌, 명신동 하례성남, 광암, 희 망동, 창강, 영생동, 훈춘 두도 함경노회시대 1914 8 구, 남별리, 사도구 (1912 1917) 日帝의 布敎令에 의하여 布敎가 發布 長老敎會로 1915 布敎屆제출 등불사, 응조암, 相桶라자, 관지구, 1916 8 태양동, 전선촌, 연수동, 희막동 1917 4 낙원동, 무봉촌, 청산리 영신동, 낙타하 (25) 전석동, 청산리 백운평, 구호동, 용성과자, 장 낙 함북노회시대 1918 6 동, 십리평 (1917 1920) 1919 2 신흥, 중강자 1920 4 토성보, 노두동, 남양동, 토성포 (16) 1921 조직교회(30) 미조직교회(57) 개척교회(28) 간도노회시대 자료 1. 在滿基督敎現勢槪況(玄圭煥, 韓國流移民史 ) 2. 朝鮮예수교 長老會史記 上 下 3. 예수교장로회 총회록, 함경노회록, 함북노회록, 간도노회록 참조 작성. 그러면 1906년 이후 1921년 간도노회가 성립되기까지 연도별 교회성장도표를 살펴보 자. 이상의 도표에서 1906년 북간도 교회가 개척되기 시작한 독노회시대부터 1912년 총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51 - 회시대의 함경노회시대(1912 1917)와 함북노회시대(1917 1920)를 거쳐 1921년 간도 노회로 성립 발전되기까지 이름을 찾을 수 있는 62개처교회의 성장률을 밝혀 보았다.일 제는 북간도 교회의 성장 과정을, ① 교회발전의 殷盛期(1906 1911) ② 쇠퇴기(1912 1917) ③ 독립운동 발단기(1918) ④ 독립시위운동기(1919) ⑤ 무장독립운동기(1920) 등으로 구분한바 있다.48)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하여 북간도 교회의 성장사를 다음 4 기로 구분하여, ① 교회의 개척과 부흥기(1906 1911) ② 교단조직의 내실기(1912 1917) ③ 교회활동과 박해기(1918 1920) ④ 간도노회의 성립(1920 1921)으로 나누 어 북간도 교회의 발전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2. 敎會의 開拓과 復興期(1906 1911) 1906년부터 북간도 전역에는 카나다 장로회 선교사들과 한인목사들에 의하여 광범위 한 순회전도가 실시되었다. 1911년까지 대한예수교장로회 독노회시대에 22개 교회가 성 립되었다. 간도에 있어서 초창기의 교회설립은 열성있는 평신도들이 선도적인 역할을 담 당하였고 선교사들과 목사들의 노고가 뒤따랐다. <표 7> 1906 1911 북간도 교회 일람 선교사 및 한국인 설립에 공헌한 평신도 카나다목사 비고 및 조사 傳導人 安順永, 中國人 單金이 선교사 鄴亞力이 와서 引導 토벌, 환난 전도 贊助 설립후 선교사 朴傑, 牧師 金迺範, 인설립 牧師 金永信, 信者 金鍊甫, 韓學 崔德俊이 계속 시무중 烈 카나다선교사 具禮善, 鄴亞力, 助 堂會組織 전도 領領袖 具春先, 執事 이보건 師 洪淳國이 들어와 설립 인 설립 南監理會선교사 河鯉永, 1909년 長 監 兩敎의 分界條約에 전도인설립 亡 傳道人 李和春 의하여 長老會管理에 속함 命村 李應賢, 李秉春 선교사 富斗一, 朴傑, 助師 金永 生活共體교회 淳, 金迺範이 관리, 張學秀 長老 鄭載冕, 金躍淵, 金河奎 집단 입신, 生活共體 교회 堂會組織 金定奎, 文定鎬, 文治政 토벌화난 崔鳳崎 선교사 朴傑, 牧師 金永淳 亡命村 湖泉浦敎會 崔鳳烈, 韓秀良, 韓秀學 집단입신 領袖 韓秀鉉, 李用權 선교사 朴傑 助師 金迺範이 巡視 琿春城內敎會 吳秉黙, 黃炳吉, 趙益亨 學校設立 鄭用河, 高日燮 설립연도 교회명칭 1906 楊武亭子敎會 廣濟岩敎會 龍井市敎會 1907 臥龍洞敎會 1908 帽兒山敎會 1909 明東敎會 48) 朝鮮獨立運動 Ⅲ, p.422.

- 52 - 國史館論叢 第84輯 설립연도 교회명칭 1910 滿眞基敎會 大荒溝敎會 車大人溝敎會 敬信鄕玉泉敎會 1911 長白縣敎會 藏恩平敎會 赤岸坪敎會 局子街敎會 正東敎會 和龍縣敎會 隱浦敎會 頭道溝敎會 間獐岩敎會 新豊敎會 一松亭敎會 金唐村敎會 선교사 및 한국인 설립에 공헌한 평신도 카나다목사 비고 및 조사 韓秀鉉, 姜成瑾, 姜容哲 牧師 金迺範. 助師 徐昌熙 집단입신 선교사 朴傑, 牧師 金迺範이 來巡, 집단입신 李이하이, 金東鉉, 李夏鼎, 長老 牧師視務 鄭用河 선교사 朴傑, 徐高道. 金剛, 金秉鉉, 金明奎 牧師 李炳夏가 輪廻視務 선교사 李春 朴傑, 牧師 李炳夏 輪廻視務 李殷卿, 趙德脩, 吳周燮 선교사 朴傑, 富斗一, 堂會組織 牧師 金永淳, 金迺範 亡命村 梁鎭燮, 梁亨植, 梁宗植 선교사 富斗一, 金迺範 堂會組織 李泰彦, 梁昌植 李夏榮, 崔德峻, 시무 亡命村 金桂顔, 金鳳烈 長老 李台現, 廉 牧師 富斗一, 金迺範, 堂會組織 昌和 崔德峻, 柳芝善 柳基淵, 長老 柳讚熙, 牧師 金迺範 토벌환난 徐成權, 朴義涉, 兪遇一, 柳興元 姜翼泰, 兪漢豊 南星昊 金躍淵, 沈成文, 嚴邦鎭 牧師 崔善鐸, 助師 文在麟 執事 金勇淵, 金元燮, 尹永福 牧師 崔善鐸 助師 文在麟 姜燦奎, 洪一杓, 長老 李順昌, 曺命煥, 趙秉洙 姜百奎, 金永燮, 金東義 선교사 朴傑, 牧師 金迺範 亡命開拓村 金東熙, 玄基允 陳衝權 牧師 金永淳 토벌환난 孔元甫, 朴秉燮 선교사 朴傑, 牧師 李炳夏 堂會組織 吳在榮 선교사 朴傑, 牧師 李炳夏 亡命開拓 村 선교사 朴傑, 牧師 李炳夏 토벌환난 이 기간의 교세를 예수교장로회의 露國領地와 淸國等地의 전도 형편 보고서에서는, 노국 영지에 예배당은 두 곳이오 예배처소는 십삼 곳이오, 청국 등지의 예배당은 한 곳 이오 예배처소는 네 곳이오며, 교인이 764인이요 연보 내 돈이 902원 29전이다. 49) 라 고 하여 북간도 교회의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용정중앙교회 명동교회 장은평교 회 적안평교회 국자가교회 두도구교회 간장암교회가 간도의 중요 도시와 한인들의 개척마을에 설립되었다. 이 기간에 설립된 교회의 명칭과 교회 설립에 공헌한 평신도와 또 이를 뒷받침한 카나 다 선교부의 선교사들과 선교사들을 도왔던 한인 목사와 조사들의 면모는 앞의 <도표 7> 과 같다. 처음 기독교가 전파된 후 3년 동안은 교회 설립의 속도가 완만하였으나 1911년에는 49) 예수교장로회 조선독립노회 제5회 회록 (1911), 청국 북간도 선교사 김영제목사 보고 p.10.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53 - 한 해 동안에 무려 12처의 교회가 부흥될 만큼 놀라운 성장이었다. 이때의 북간도 교회 상황을 함경대리회 보고서 에서는 북간도 교인들은 더욱 신령한 마음을 얻어 복음 광포 에 힘쓰며 회중 신약회, 성경학교, 주일학교, 일반직분 사경회, 대사경회, 부인사경회, 남 녀사경회 등의 모임을 열심히 하여 진리를 깨달아 신령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전도에 힘 쓰고 있다고 전한다. 1909년 간도협약이 조인되고, 다음해에는 합방 의 비운까지 당하자 북간도 한인들의 민심은 실로 불안했다. 그러나 그들은 낙심하지 않고 나라구원의 길을 찾아보려는 일념으 로 기독교의 믿음을 갖고 단결하였으며, 부흥회, 사경회 등 복음전도운동을 전개했다. 복 음전도 운동은 곧 열매를 맺어 24개처의 교회가 세워졌고, 교회는 망국민의 정신을 위로 하고 한인들의 생활을 보살피는 國家代用機關으로 직분을 감당하기 시작했다. 1906년부 터 1911년까지는 북간도 교회성장의 황금기였다. 3. 敎團組織의 內實期(1912 1917) 1912년 105인사건이 발생하자 북간도 교회에도 영향이 미치었다.105인사건은 일제가 신민회를 타도할 계획으로 조작한 것인데, 북간도 교회는 신민회의 이동휘와 관계가 깊 고, 간도 훈춘 지역의 기독교 민족주의자들 간에는 평양의 대성학교, 정주의 오산학교, 선천 신성학교, 평양 숭실학교 출신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안명근 사건과 105인사건에 관계되어 북간도에서는 16명의 연루자가 체포되었고,50) 이 사건에 관련된 간도 기독교인 들 가운데는 도망, 轉居 또는 脫敎者도 있었다. 북간도 기독교는 1912년을 계기로 표면적으로는 쇠퇴기였으나 내면적으로는 교회의 교단조직이 내실화되고 교인수도 더욱 증가하여 1917년까지 꾸준히 발전함으로써 1918 년 독립운동의 발단을 준비하고 있었다. 1912년부터 1917년까지 설립된 교회 상황은 다 음과 같다.(<표 8> 참조) 50) 朝鮮 三, 警高機發 第399號(1916. 8) 陰謀事件關係者 調査의 件. 外國居住者 居住地別表 種 居住地別 間島 南京 上海 支那 浦鹽 美國 計 陰謀事件關係 12 1 4 6 2 5 30 安明根 사건 4

- 54 - 國史館論叢 第84輯 <표 8 > 1912 1917 북간도 교회 일람 設立年度 敎會명칭 設立에 공헌한 平信徒 宣敎師 및 목사 敎會의 특징 九沙坪敎會 李泰俊 목사 李炳夏 1912 試驗中에 設立, 平信徒의 傳 목사金酒範, 바 커,스코트,崔 多數의 道로 依蘭溝南陽洞敎會 崔錫和, 장로 金舜文 德俊 1913 龍井東山敎會 1920年 東山敎會 건물 건축, 會寧에서 바커, 濟昌病院, 은진중학, 明信女子中學 (英國덕이) 1913年 선교부 설치 선교사 間島移去 하마탕교회 具春先, 계봉우, 金芝松 목사 金酒範, 바 커, 푸트, 土疾病으로 苦痛, 의사 閔山海의 치 프라저, 崔德俊 료, 移住村 救世洞敎會 李種植, 이권수, 이경수 목사 김내범, 바 커, 푸트, 開拓亡命村 明洞救世共體敎會 助師 金桂顔 廣濟村敎會 목사 安極善, 金慶弼, 장로 許相勳 스코트김내범,, 崔德俊푸트, 바커, 堂會組織이 곧 이루어짐 龍井市敎會(1907) 장로 바커, 풑, 스코트, 1907년 朴尙龍,김계안, 李泰俊姜斗和, 鄭載冕, 선교사 프라저, 김내범 永新學校설립, 운영 1913년 堂會조직 明東敎會(1909) 조사 목사 (1913)鄭載冕 女傳道會組織 김유복김내범, 푸트, 이하영, 女傳道會에서 수처에 전도 明信洞敎會(1909) 李鳳九, 蔡元輝, 盧宗旭장로 十餘家信徒, 集團移住村 1914 河來城南敎會 明東敎人 金宗弼 장로 목사 김내범, 바커, 푸트 學校設立, 토벌대환난 七道溝篋岩敎會 信者 목사 바커, 푸트, 김내범 共體敎會 金永玉李昌彦, 金溶淵, 希望峰敎會 崔昌學, 朴昌翼 蔡學九, 初信, 敎師 趙德舘, 목사 김순문최덕준, 조사 허상훈, 學校설립, 출발 토벌대환난, 學校敎會로 彰綱敎會 明洞敎人 朴昌翼 목사 스코트, 바커, 최덕준 明東學校출신 學生傳道에서 敎師, 교회발전 永生洞敎會 목사 김내범 中國人土地買收, 洞名永生開拓移住 兪愚一, 장로 金澤祚, 李容權, 劉漢豊 촌 훈춘頭道溝敎會 具賢文, 李京鎬 목사 朴兌桓바커巡視, 스코트, 조사. 훈춘지역 도시교회 南別里敎會 토벌대환난 장로 최천약 피살 모태환, 장로 최천약, 이명순,한인준 목사 김내범 四道溝敎會 토벌대환난 3명의 집사 피살 이정권, 서윤훈, 집사 최두철, 이영신 집사 권정해 1915 日帝의 布敎令에 의하여 布敎가 發布됨에 會寧區域 선교사 맥도날드의 名義로 布敎屆제출 敎會는 長老敎會로 정함 1916 太陽洞敎會 金鳳澤, 金仲洽, 장로 白容興, 金汝述 목사 趙錫七,김내범, 郭啓淳장로 金善官, 토벌대환난, 그 후 復興 應鳥岩敎會(鷹巖) 崔秉宙, 장로 鄭亨俊 목사 푸트, 이하영 移住村, 토벌대환난 銅佛陀敎會 목사 이하영, 김내범 吳炳元, 李春宰, 韓處殷 장로 吳炳元單獨禮拜 수년 後, 교회설립 목사 灰幕洞敎會 崔致道, 李春三 장로 영 김내범, 최덕준, 이하 十餘房집단 移住村 相桶라자敎會 목사 바커 學校설립, 토벌대환난 黃炳吉, 집사 金昌鍵, 鄭大允 關支溝敎會 목사 바커 文秉哲, 집사 金秀京, 黃尹益 電線村敎會 목사 바커 男女學校施設, 中國官憲의 압박 方斗圓, 韓昌東, 장로 韓秀良 三國婦人傳道會組織, 임뵈 鄭信泰, 金徹상, 濟昌病院設立 龍井中央敎會(1917) 禮拜堂重建(목사 용 건축) 김내범, 千餘名 수 뵈 七道溝延壽洞敎會 金京一, 金順永 목사 바커, 崔善澤 金京一, 金順永 兩家 開拓村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設立年度 敎會명칭 1917 樂園洞敎會 舞鳳村敎會 靑山里, 永信洞敎會 駱駝河敎會 設立에 공헌한 平信徒 孔理俊 裵龍奎 李鳳燮, 李文燮, 趙允實 金桂顔 전도 - 55 - 宣敎師 및 목사 敎會의 특징 목사 김내범 洞名 樂園洞, 中國人土地 매입, 목사 최덕준, 김내범 이주촌 목사 커, 장로 李仕允, 徐 二十餘戶移住村 仁漢,바李靑春 집사 李基弘 인도 일제토벌, 이주村 중국마적환난, 발전 개척 <표 8>에 의하면 교회가 민족운동과 관련하여 부흥되었던 전기의 상황은 이 기간에 이 르러 더욱 발전적이었다. 당시 한인 이주 촌락의 성격은 망명촌이었다. 합방 이후 한인들 은 간도 각처에 정치적 경제적 망명마을을 건설하였고, 이주촌락의 형성에 따라 이 기간 중에 25처의 교회가 설립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49개처의 교회당이 이루어졌다. 1912년 대한독노회는 드디어 한국 교회의 최고 기관인 총회를 창설하고 이에 따라 1912년 1월 29일 원산상리교회에서 함경노회를 조직하였다. 함경노회 설립과 함께 북간도지역은 바 커선교사51)와 한인 목사 김내범이 임명되었고, 그들은 간도 넓은 지역에 이곳 저곳 분산 되어 정착한 한인 이주촌을 순회하면서 교회 설립에 힘썼다. 1913년 당시 북간도의 교세를 함경북도 지방과 비교해 보면 원산에 34처의 교회가 설 립되었고, 함흥에 33처, 성진에 47처, 회령에 21처, 4곳의 교인 총수는 8,557명이었 다.52)그런데 이때 북간도에는 26처의 교회가 발전하고 있었으니 이 숫자는 결코 적은 것 이 아니었다. 1914년에 이르러서는 북간도 교회가 34처요, 해삼위 일대는 33처 교회가 발전하고 있으며,53) 함경노회록 제4회 회록 총계위원 보고에 의하면 수익금이 총 250원 이었다. 그 내역은 원산 남북지경 91원, 함북 남북지경 62원, 성진구역 60원, 회령지경 7원, 간도지경 28원으로 경제적으로도 독립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김내범 목사의 月銀 을 그간은 함경노회의 간도전도회에서 지출하던 것을 1914년에는 간도 각지 교회의 연보 로써 해결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로 간도교회가 자급교회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간도 교회의 전도방법은 개인전도에 전념하기도 하였지만 촌락단위의 집단 입신의 경 우가 많았다. 기독교 촌락이 늘어감에 따라 교회를 보살필 수 있는 목회자가 부족하였다. 순회목사와 선교사들의 숫자는 적었고, 또 산림과 산악의 지형 때문에 여행에 불편이 많 았다. 이 기간 중에 이루어진 교회 개척의 특징 중 하나는 救世洞, 永生洞, 樂園洞 등 기독교 51) 베커는 그리어슨의 파송으로 1912년 북간도 龍井 東山에 선교부를 설치하여 治外法權地域 (영국 덕이)를 明示하고 의료 교육사업을 전개했다. 용정의 제창병원은 일제의 손이 미치지 못하여 독립운동자들의 은신처 본거지가 되었다. 이 병원 지하실에서 間島獨立宣言書가 인쇄 되었다. 현규환, 앞의 책, p.646. 52) 함경노회록 제2회 회록(1913), p.47. 53) 함경노회록 제3회 회록(1914), p.5.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57 - 고하고 있다. 교세는 날로 증가하였고 전도의 문이 크게 열려 1917년에도 계속하여 이주 개척촌인 낙원동, 무봉촌, 청산리, 영신동에 평신도들의 노력에 의해 교회가 설립되었다. 1912년 함경노회가 설립된 지 6년 만인 1917년, 함경노회는 지리적 형편과 모임의 편 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남북 분립의 방법으로 鏡城 이북 간도 일대는 함북노회로, 明川 이 남과 해삼위는 함남노회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1917년 11월 20일 조선예수교장로 회 함북노회가 북간도 용정교회에서 조직되었다. 노회조직으로는 任事, 재정, 총계, 학무, 헌의, 규칙, 신학, 준시, 시찰 등 각 부를 두었다. 특히 학무위원의 의무를 중요시하였는 데, 학무위원은 각기 구역 내에 있는 교회의 학교를 春秋로 순행하여 학과를 통일하게 하 였고 시찰한 모든 결과는 각 교회가 운영하는 당회를 경유하여 시행토록 하였다.58) 노회 성립과 함께 각 교회에서는 교회의 지도자가 되는 많은 장로들을 장립시켰고 노 회 경내 많은 신학생의 수학을 장려하여 목회자 양성에 힘썼다.59) 이처럼 장로를 피택한 교회가 많고 신학교 입학 허가자가 다수인 것은 교회의 조직화 가 행정적으로 구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북간도 교회는 한인 목사가 각 시찰구역 을 책임 맡고 각 교회의 목사, 조사의 월은을 개교회가 자치적으로 충당할 만큼 자급교회 로 발전하였으며, 자주 자립의 교회로 형성되었다. 4. 敎會의 活動과 迫害期(1918 1920) 3 1 운동을 준비하는 북간도 교회는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었다.장로교총회 보고서 에서 간도구역은 토지가 비옥하고 연사가 풍등하여 각 도에서 이사오는 자가 연락부절하 는 중 교인들이 이명증서를 받은 이가 많으며, 교인들과 직원이 합력함으로써 교회에 덕 을 세우고 불신자의 빛이 되는 신령한 은혜가 풍부하다. 60)는 것을 볼 때 국내에서 이명 증서를 받은 교인들의 이주가 끊이지 않았다.북간도 교회는 예배당, 기도회 처소가 50여 곳으로 1918년 한 해만도 11곳의 교회가 당회조직을 끝냈다. 58) 史記 下 p.208. 59) 老會 境內 神學生으로는 채필근 김이곤, 정기헌, 김관식, 강두화, 최경재, 서창희, 박태환, 정재면, 이태현, 이송상, 別神學科 校費生 2人으로 김내범, 강두송, 장립된 장로는 김태훈, 김 문협, 정기현, 최경재, 김정규, 정재면, 유찬희, 남인상, 이하영, 이순창, 양형식, 정명주 등이 다. 60) 총회록 제7회 회록(1918), p.55.

- 58 - 國史館論叢 第84輯 <표 9> 1918 1921年間에 설립된 교회 및 중요사건에 관계된 교회의 명칭 설립에 공헌한 敎會명칭 교회의 특징 평신도 목사, 선교사 磚石洞敎會 安永煥, 李柄極, 金基錫 등 信者移住 靑山裏白雲坪敎會 權斗赫, 朴弘植 평신도 토벌환난 金相說, 李玉鉉 목사, 敎護洞敎會 信者七, 八戶來住 李夏永, 金相穆 申學奉 평신도, 信者移住 1918(6) 옹성라자교회 李允智, 김내범목사 상해임정 북간도연락처 장락동교회 文景風, 김내범목사 토지개척 咸光實, 洪春明, 金弘淳 십리평교회 敎人來住 평신도 * 龍井교회 間島의 咽喉 聖經學院設立, 臥龍洞敎會(堂會조직) 1918, 局子街교회, 훈춘南別里교회, 臥龍洞교회, 관도거우교회, 敎世洞교회, 太 장로장립교회 陽洞교회, 간장암교회, 잠전동교회, 하마탕교회, 의란거우교회, 적안평교 (15) 회, 영생동교회(명월거우), 양무정자교회, 용정교회, 명동교회 李台現 전도 최덕준 自由를 許한 信興교회 김내범 목사 六 七人 1919 (2) 김관식목사, 윤동호, 최동 빈, 中岡子敎會 박동섭 집사 담 당선교사 1919.1 1920.2 및 목사 각 시찰에 속한 교회 화룡남두만강연안교회, 전선촌교회, 황거우교회, 間東시찰 박예현, 토성보교회,명동교회, 양무정자교회, 최선택 훈춘上下4교회, 용정교회, 남양촌교회, 훈춘성내교회 各 하마탕교회, 와룡동교회, 간장암교회, 잠전동교회, 視 間北시찰 푸트, 최덕준 국자가교회, 적안평교회, 만진기교회, 모아산교회, 察 영고합교회, 신흥교회, 불굴나아즈교회, 일란거우, 會 동거우, 석현교회 관도구교회, 동불사교회, 명신동교회, 천보산교회, 김내범, 間西시찰 이하영 두도구교회, 영생동교회, 장은평교회, 구세동교회, 태양동교회, 구호동교회, 응성라아즈조이거우교회 설립년도 <표 9>에 의하면 교회설립도 계속되고 새로 장로들을 장립하는 교회도 15개처가 된다. 이처럼 교회의 진흥이 착실히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서도 말세가 절박한 연고인지 근래에 신구약 성경에 讖言과 묵시와 이적을 정당히 신앙하지 아니하고 이상히 해석하는 자가 많은 것을 보면, 61) 1차 세계대전이 신앙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었다.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윌슨 대통령은 민족자결주의를 발표하였으며, 기독교 민족주의 자 이동휘는 한인 사회당을 조직하는 등 세계가 크게 변화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이 61) 史記 下, p.337.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59 - 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의 활동도 활발해져 1918년 9월말부터 11월까지 함북노회 특별회 가 국자가교회, 관도구교회, 용정교회, 투투거우교회에서 4차례의 모임이 있었다. 함북노 회 제3회 회록에 의하면, 특별회에 참가하여 북간도 교회의 3 1독립운동 모의에 가담한 교회, 목사, 선교사, 장로들은 다음과 같다. 즉 교회로는 국자가교회, 잠전동교회, 간장암 교회, 와룡동교회, 관도구교회, 동불사교회, 명신동교회, 천보산교회, 두도구교회, 장은평 교회, 구세동교회, 태양동교회, 명동교회, 용정교회 등이었으며, 목사들로는 김내범, 이하 영, 최덕준, 박예헌, 강두화목사 등이다. 선교사로는 푸트, 스코트, 장로들로는 유찬희, 남인상, 이봉구, 김약연, 이종식, 이순창, 양형식장로 등이었다.62) 북간도 한인사회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김약연 장로는 강봉우 장로, 정재면 장로 등과 함께 북간도 전 교회는 민족자결주의를 시대의 논리로 삼아 간도 한인들을 모두 단결시 켜 독립운동에 매진할 것을 합의하였고, 교회는 그 중추세력이 될 것을 결의하였다. 1918년 12월 카나다 장로회의 선교사들과 한인 목사, 전도사, 각 교회 장로 등은 전간도 교회의 대표자들로 발기인을 구성하여 독립운동을 위한 연합을 촉구하였다.그들은 성탄절 을 맞이하여 용정교회에서 전간도 교인들이 함께 하는 연합기도회를 개최하였는데, 이 기 도회는 5년 간의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 전세계적으로 인종차별이 철폐되고 불평등조약 이 폐기되고 영토 침략주의가 종식되어 자유 평등 박애의 기독교적 이념의 사회가 구 현될 것임을 축하한다는 의미로 개최되었다. 1918년 12월 하순부터 1919년 2월 하순에 이르는 기간에 북간도의 기독교도들은 독 <표 10> 기독교 계통 독립운동 모의자 립운동에 적극 매진하였다. 姓名 住所 宗敎 <표 10>은 일제가 조사한 기독교도 독 朴 京 喆 局子街 耶蘇敎 有力信者 립운동가들의 명단이다. 이 중에서 김상 柳金 瓚尙 熙鎬 小營子 호는 소영자 기독교학교 교사이며, 김정 金 精 龍井村 은 용정촌 기독교학교 교사였다. 명동학 趙 克 龍岩村 金 躍 淵 교 교사였던 조 극, 강봉우, 와룡동학교 耶蘇敎 傳道師 교사 정기영, 국자가학교 교사 이인준 등 鄭姜 載鳳 冕羽 龍井村 龍井村 耶蘇敎 信者 모두가 기독교학교 교사였으며, 실업가로 李 中 執 局子街 는 배동희, 중국측 勸學所員으로 이중집 鄭 基 英 臥龍洞 李 弘 俊 局子街 이 있었다. 그 외로 박경철, 유찬희, 김 金 永 學 약연, 정재면, 김영학, 박동원 등 이들은 朴 東 轅 모두 기독교 계통 유력 배일선인들이었 裵 東 熙 龍井村 62) 함북노회 제3회 회록(1919), pp.6 8.

- 60 - 國史館論叢 第84輯 다. 기독교도들은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행정체계를 조직화시켜 야 했다. 3 1운동 두 달전에 함북노회 제3회 모임이 명동학교에서 열렸다. 간도시찰회 는 이 모임에서 전간도를 동 서 북의 3구역으로 구분하였다. 간도 동구역은 박예헌 목 사가 시찰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간도 서구역은 이하영 목사, 간도 북구역은 최덕준 목 사가 각각 책임을 맡았다.63) 間東시찰, 間北시찰, 間西시찰에 속한 교회와 담당선교사 및 목사의 명단은 <표 9>와 같다. 교회는 운동 전에 행정체계를 완전히 조직화시켜 놓고 독립운동을 준비하였다. <표 9>에 의하여 확인한 바 계속적으로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간도의 咽喉인 용정촌 용정교 회에 성경학원이 설립되었다. 불과 수인의 모임으로 형성되고 개척되어가는 수많은 교회 들을 영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목회자 양성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64) 1919년 3월 13일 만주에서의 3 1 독립선언은 그 첫 봉화가 북간도 용정촌에서 올려 졌다. 이 첫 거사를 위하여 북간도 교회의 민족운동가들과 평신도, 목사, 장로, 선교사들 은 세 시찰구역의 각 교회들을 중심으로 협력하였고 선두에 나섰다. 교회는 대종교, 천도 교와 合으로 또는 독자적으로 독립운동을 준비하였고, 또 그 거사에 앞장 섰으며 그 희 생도 컸다. 용정의 독립선언식이 북간도지방의 첫 봉화가 된 후 연길현, 화룡현, 왕청현, 훈춘현 등 북간도 전역에 교회나 학교가 서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나 독립운동의 시위가 있었다. 용정 시위를 준비한 구춘선 장로, 마진 집사, 배형식, 박예헌, 김내범 목사, 김약연, 정재면, 강백규, 유찬희 장로 등 이밖에도 기독교학교 교사 김정, 김상호, 이태현, 김순 문, 기독청년회의 대표 서성권, 이홍준, 선교부의 스코트, 푸트, 마틴 등 선교사들은 교 인들과 기독교학교 학생들을 이끌고 민중들을 지도하였다. 그들은 시위운동에서 무장운동 63) 함북노회 제3회 회록(1919), pp.14 15에 의하면, 시찰위원장 간도 동구역 박예헌 목사, 간도 서구역 이하영 목사, 간도 북구역 최덕준 목사. 규칙위원 - 최덕준, 최경재 헌의위원 - 박예헌, 정명주, 강두화 재경위원 - 유찬희, 양종식, 최수성 총계위원 - 김내범, 김문협 절차위원 - 채필근, 정재면 총회보고위원 - 김내범, 채필근 열람위원 - 박예헌, 김문협 신학준시위원 - 푸트, 채필근, 이하영 주일학교위원 - 간도 서구역 이하영, 정명주 간도 북구역 최덕준, 남인상 간도 동구역 스코트, 정재면 학무위원 - 김내범, 김약연 64) 성경학원은 朝鮮기독교장로회 소속으로 위치는 용정 동산로에 있었다. 수업 연한은 3년, 관 리자는 文在麟, 교사수 5명, 생도수 80명, 이주농촌의 교회를 지도할 전도사 양성이 목적이었 다. 玄圭煥, 앞의 책, p.522.

- 62 - 國史館論叢 第84輯 방교회 토벌시 衝火된 교회는 금당촌교회(영수 1인, 전도인 2인, 교인 7인 피살), 간장 암교회(피해 교인 14인, 교회, 학교, 교인 집 충화), 청산리교회(영수 1인, 교인 14인, 교회, 교인 가옥 소실), 명동교회(명동중학교 소실, 교인 집 소실), 토성포교회(교인 1인 피살), 백운평교회(교회학교 소실, 참살교인 9인), 양무정자교회(교회소각, 학교 소실), 의란구교회, 훈춘 남별리교회(교인 50명 참살, 감옥에 갇힌 자, 징역선고 받은 자, 유리 자, 행방불명자 不可勝數), 장은평교회(교인 가옥 소실, 구속된 자 10여인), 합막당교회 (교인 가옥 소실 3동, 피살자 3인), 구세동교회(교회소실, 교인가옥소실 피살자 수십인) 등 12개처의 교회가 그 피해상황을 보고하고 있다. 67)그러나 산천 궁벽한 개척교회들의 보고되지 않은 교회까지 한다면 그 피해와 참화는 이보다 많을 것이다. 이러한 환난 속에 서 교인들은 성경을 땅에 묻고 예배를 폐하였으며 사방으로 흩어져 갔다. 5. 間島老會의 成立期(1920 1921) 일제의 토벌로 인한 교회의 환난과 시련은 실로 컸다. 환난 중에 예수를 처음 믿고 쾌 락으로 지낸 일이 있으며, 구호동교회의 경우 환난 후 더욱 부흥하여 100여인 모이던 것 이 223명씩 지금은 회집하며, 68) 등의 함북노회록의 보고를 보면 교회는 환난 중에 신앙 심이 더욱 깊어지고 전도의 기회를 찾았으며, 박해에 비례하여 회집하는 횟수가 늘어나 교인수가 증가되었다. <표 9>에 의하면 1920년에도 계속적으로 교회의 설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회는 열 심히 활동하기 시작하였고, 교회당을 매입하거나 간장암교회, 양무정자교회, 하니폐교회 는 환난 후에 예배당을 신축하였으며, 또 많은 교회들이 예배당 중수에 착수하였다. 간도 북구역 내 40여 교회는 연합전도회를 조직하고, 국자가교회에서는 예수교서관 을 설치 하여 성경을 간행하였으며, 연보금 2천여원을 전도사업으로 책정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 은 간동구역, 간서구역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교회는 성경에 대한 연구를 치중하였 고, 사경회, 기도회, 부흥회를 노회별, 시찰회별, 지교회별로 수일간 계속 개최하기도 하 였다. 함북노회록 4, 5, 6, 7회록에 의하면, 1919년 9월부터 1920년 9월까지 다음과 같 은 교회의 여러 모임들이 있었다. 북구역 연합전도회 조직, 국자가교회 예술교서관 설립, 두도구교회 기도회 1919. 9. 1주간, 서구역전도회 조직, 각 교회 지회조직, 동구역 남녀전도회 조직, 훈춘 상하구역 성경학원 1삭, 여사경회 12처, 동구역 부흥전도대 순회전도 67) 함북노회록 제7회 회록(1920), p.12, 각 구역 보고서 史記 (下) p.354. 68) 함북노회록 제7회 회록, p.23.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1919. 11. 1920. 1. 1920. 9. 1920. 12. - 63 - 용정교회 부흥사경회 1주간, 새벽기도회 유년부, 장년부, 성경연구회, 동서 구역, 북구역, 사경회 훈춘 부흥사경회 1주간 해동 예수교전도회 설립, 북구역 사경회 강연회 용정교회 전도대 조직 이도구교회 구세동 청년전도대, 명월거우 영신동 부 흥회, 국자가 와룡동로 투투거우, 명월거우, 영신동 5패의 전도대 선교부의 제창병원은 시위기간 중에 또는 토벌대의 참화 중에 신자 불신자를 막론하고 피해 받은 모든 한인들을 극진히 치료하여 교회의 덕을 세웠고, 용정교회의 이태준은 기 독청년들을 중심으로 전도대를 조직하여 간도서부지역을 순행하면서 환난 당한 교회와 학교 개척마을을 방문하여 그들을 위로했다. 靈界사업을 발전함에는 이상가보다는 활동가가 우월하다 는 강연회69)를 개최하면서 그 들은 행동적인 신앙을 촉구하였다. 이 시대의 간도교회는 만세 시위운동의 무력함을 깨닫 고 무장활동으로 발전하고 있는 독립운동에 정신적 자세를 준비하였으며, 인적, 물적 자 원을 공급하였다. 서북편으로 한인들은 토지를 구득하여 거주지를 확장하였고, 교회의 발전도 대단하여 한 곳에서 20여호가 일시에 믿기로 작정하여 뜻 밖에 교회가 빨리 설립되기도 하였다. 영고탑지역은 타처에서 믿는 사람들이 이사와 교회가 세워지자 새로 믿는 신자가 많아졌 고, 불굴나아자지역은 평안도에서 일시에 이사 온 30여명의 세례 교인이 있으므로 그 근 방에 새롭게 교회 개척이 이루어졌다.70) 간도 서북지방의 개척과 3 1우동 이후 교인의 집단이주는 각 교회의 전도활동과 함께 1920년 교회성장을 촉진시켰으며 신앙의 열기도 뜨거웠다. 그들은 중국인에게 전도할 목적으로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영신동교회 영수 이전태 장로는 중국인에게 전도할 목적으로 연보할 때 극빈한 중에서 놋기명을 있는 대 로 연보하였으며, 김덕오 집사는 극빈한 중에서 土器 한 가마를 헌납하였으며, 함우룡 집 사는 밭 일경을 연보하였고, 목사 김내범은 자기 소유의 토지와 가옥을 연보하고 그 외에 도 많은 교인들이 전곡을 연보하였다.71)는 것은 교회와 전도를 위해 자기 소유의 모든 것을 내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용정교회와 국자가교회 등 많은 북간도 교회들은 토벌 당시 의복과 양식이 없이 엄동설한 도로에 쫓겨난 동포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전곡을 수 집하였고, 그 가련한 정경을 기도로 간구하였다. 교회는 한인들의 비참한 현실을 신앙으로 극복하면서 1921년 간도노회를 설립하였다. 69) 함북노회록 제4회 회록(1919), p. 37. 와룡동교회에서 3 1운동 이후에 청년들이 모여서 행한 강연회의 제목. 70) 함북노회록 제7회 회록(1920), p.24. 71) 위의 책, p.25.

- 64 - 國史館論叢 第84輯 함북노회는 교통의 불편, 재정상의 관계, 기타 사정에 의하며 간도 및 회령구역을 서로 나누어, 간도는 독립하여 간도노회 가 되고, 회령구역은 함남노회 구역인 성진시찰구역 과 합하여 함북노회에 소속시키기로 하였다. 72) 1912년부터 1921년까지의 노회 회집 상황은 <표 11>과 같다. <표 11> 1912 1921 노회 회집 상황표 년도 노회명칭 회수 장소 회장 원산상리 金泳濟 12.1.29 함경노회 제1회 상동예배당 12.8.15 제2회 함흥신창리 예배당 鄴亞力 원산상리 13.8.26 제3회 창천동예배 朴禮獻 당 함흥신창리 14.8.26 제4회 예배당 富斗一 원산상리 金酒範 15.8.25 제5회 상동예배당 영춘 16.8.23 제6회 안일군 예배당 영재영 郁町 17.8.22 제7회 성진 예배당 李斗涉 17.11.2 함북노회 제1회 북간도 용정 부두일, 0 예배당 김내범 18.8.9 제2회 회령예배당 김내범, 19.1.11 제3회 간도명동학 교 강부송 19.9.13 제4회 와룡동교회 걸, 20.2.14 제5회 두도구교회 박 박예헌 20.9.18 제6회 회령교회 21.12.1 간도노회 제1회 토성보교회 김내범, 배례사 * 朝鮮예수敎長老會史記 하권에 의함. 김종섭 이두성 회원수 회계 목사 장로 선교사 金薰錫 4 7 8 진계은 6 6 6 장예학 金永俊 9 10 서기 장예학 김이현 김이현 김이현 채필근, 강두화 채필근, 정재면 채필근, 김문협 김문협, 이병하 문재린, 허상훈 업아력 5 영재영 11 업아력 8 영재영 8 매도나, 2 김약연 3 박 걸, 6 박예헌 6 박예헌, 4 강두송 5 강두화, 5 박걸 72) 총회록 제10회 회록, p.94. 함북, 함남 양 노회가 모여서 협의결정한 사항. 13 14 18 16 7 12 12 14 7 9 18 5 2 3 1 2 2 7 10 3 2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65 - <표 11>에 의하면, 함북노회 시대의 노회의 중심 인물이나 중심교회는 북간도 교회들 이었다. 장로회 사기에는 간도노회의 설립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조선민족이 間島地方에 거류한 지 四十여년에 故鄕을 愛慕하는 恨淚가 霽할 時가 無하고 客地에 捿居하는 悲懷를 慰할 사람이 없었다. 辛苦를 備嘗하며 性命을 僅保하던 中 何幸慈 愛의 天父가 垂怜하사 死者를 蘇하게 하는 福音을 傳播하게 하사 救恩을 施하시니 카나다 장로회에서 파송한 선교사 具禮善이 1902年 함경도를 경유하여 간도와 海蔘威에 전도함과 1906년에 중국교인 싼진 先生의 東洋里와 양무정자에 전도함을 위시하여 助師 金文三과 선 교사 업아력과 조사 김계안과 선교사 부두일, 박걸 등과 목사 김내범 등이 勤勤仔仔히 相繼 傳道한 결과 신자가 時增하고 敎會가 日興하여 1921年에 이르러 總會의 承認을 얻어 咸北 老會에서 分離하여 間島老會를 組織하게 되니 이는 天父의 사랑과 救主의 恩惠에서 流出한 聖業이므로 感謝와 讚頌을 歸함을 마지 아니하였다.73) 그들은 북간도에 교회를 세운 이래, 중국인과 일제에 의한 온갖 시련을 극복하고 간도 노회가 독자적으로 조직되었음을 하나님께 감사하고 감격한 마음으로 간도노회록 서문에 다음과 같이 신앙을 고백하고 있다. 거룩하고 크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값 주고 사서 세우신 간도노회를 위 하여 할렐루야 찬송하고 감사하리로다. 이 노회의 머리되시고 터가 되신 주 예수께서 말씀 하시기를 성신이 임하시면 예루살렘과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증거하라 하신 말씀이 과연 다 응하는 도다. 오순절에 임하신 불과 바람과 혀와 같이 갈라져서 이적 기사를 나타 내신 성신의 권능이 만주에까지 충만하여 간도노회가 조직된 것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노 라. 조선인민이 간도에 거주한 지 40여년에 예수의 복음을 듣지 못하고 그늘아래 있을 때 에 74) 1921년 12월 1일에 간도노회는 조직회로 토성보예배당에서 회집하였다. 조직회장 박 예헌의 기도로 개회하니 회원은 선교사 2인, 목사 5인, 장로가 18인이었다. 임원 선출은 회장에 김내범, 부회장에 프라저, 서기에 문재린 부서기에 허상훈, 회계에 강두화, 부회 계에 바커, 선교사가 선정되었다. 간도노회가 설립될 당시 1921년 간도교회의 직원 사항, 교회, 교인 현황, 학교, 재정 상황은 다음 도표와 같다. 73) 史記 (下), p.395. 74) 간도노회록 데一, 데二회 회록(1923), p.1.

- 70 - 國史館論叢 第84輯 독교학교, 배일주의는 삼위일체로 북간도 교회가 민족교회로 구형되는 요소가 되었다. V. 結 論 지금까지 1906년부터 1921년 間島老會가 설립되기까지 북간도 기독교인들이 이룩한 民族敎會 形成過程과 그들이 실천한 民族運動들을 살펴보았다. 日帝의 植民統治가 强化됨 에 따라 北間島에는 수많은 移住韓人村落이 形成되었다. 두만강 너머 北間島 移住韓人社會는 연길현, 화룡현, 왕청현, 훈춘현 등 四縣에서 이루 어졌으며, 처음에는 經濟的 動機에서 출발하였지만 合邦 을 전후한 시기에는 國權回復을 위한 정치적 망명 이주도 있었고, 이들 가운데에는 신앙적 동기의 종교적 측면의 이주도 있었다. 함경도 邊境民들은 北間島를 중국의 영토로 생각하지 않고 북간도의 황무지를 개 척하여 새 民族共體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移住地에서 중국 관헌과 지주의 탄압은 심하였고, 1907년 間島協約이 締結된 후에는 일제의 간섭이 심각하였다. 일제는 북간도를 만주침략의 橋頭堡로 삼고 이주한인 들을 지배하고저 하였으며, 중국은 이주한인들을 일제의 만주침략에 주구로 인정하였다. 이주한인들은 中日양국 사이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이주한인들은 무엇보다도 자신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줄 방위책이 필요했다. 이러 한 역사적 정황 때문에 북간도 이주한인사회에서는 각종 종교가 성행하였다. 이주한인들 은 신앙생활을 통하여 현실세계의 困境을 克服하고자 하였고 敎會는 安心立命의 宗敎的 役割과 함께 排日思想을 堅持하고 抗日獨立運動을 추진함으로서 民族敎會로서 그 성격이 구형되었다. 북간도 교회는 신앙공동체이면서 敎育問題, 經濟問題까지 共的으로 해결하 는 韓人社會의 結社体로 發展했다. 기독교인들은 親中親美 노선과 抗日主義를 주장하였는데 이로서 교회는 독립운동의 政 治的 結社体가 되었다. 일제는 이러한 북간도 교회를 불령선인의 소굴로 인식하였다. 북간도 교회가 민족교회로서 성격을 나타내게 된데는 이동휘와 같은 기독교 民族運動 家, 김약연, 구춘선과 같은 기독교로 개종한 移住韓人社會의 指導者, 또한 北間島 宣敎에 매진한 카나다 선교부의 구례선, 박걸, 서고도와 같은 선교사의 공헌이 컸다. 북간도를 獨立運動基地로 開拓하기 위하여 派送된 신민회의 이동휘, 정재면 등은 기독 교를 통한 民族獨立運動을 推進한 基督敎 民族運動家였다. 또한 이들보다 먼저 북간도 이 주한인 사회를 개척하여 새민족 공동체를 이루기 위하여 애쓴 인물은 김약연, 구춘선, 문 치정, 윤하현, 강백규, 유찬희, 황병길, 오병묵, 김영학, 이동춘, 마진 등이었다. 이들은

日帝下 北間島 基督敎人들의 民族敎會 形成에 關한 硏究(1906 1921) - 71 - 모두 함경도에서 이주한 인물들인데 일제에 의하여 기독교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었으며, 북간도 교회와 기독교 민족운동을 이끌고 간 한인 사회 대표자들이었다. 또 한편, 이들과 함께 북간도 기독교 민족운동을 추진한 세력으로는 함경도 지역에서 愛國啓蒙運動에 매 진하였던 이동휘계의 인물들을 들 수 있다. 계봉우, 김규면, 장기영, 도성, 김하석, 강봉우, 장석함 등은 이동휘와 뜻을 함께하여 韓末 新民會, 韓北興學會, 西北學會, 삼국전도회 등에서 활동하였고, 이동휘의 북간도 망 명을 전후한 시기 북간도로 거점을 옮겨 북간도에 교회를 개척하고 기독교계 민족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를 설립하였으며, 墾民敎育會와 墾民會를 조직하였고 또한 이끈 인 물들이다. 끝으로 북간도 교회형성에 큰 업적을 남긴 세력은 카나다 선교부의 구례선 선교사가 파송한 북간도지역 선교를 담당한 김영제, 김계안, 김내범 등의 전도인들과 부두일, 박 걸, 민산해 등 북간도 선교 활동을 직접 담당한 카나다 선교사들이었다. 이들은 함경노 회, 함북노회, 삼국전도회, 간도노회 등에 소속된 전도자들로서 북간도 교회개척에 헌신 한 장로와 목사들이었다. 이상의 여러세력들은 서로 힘을 합하여 북간도 이주한인사회의 民衆들과 함께 북간도 四縣 각처에 民族主義를 지향하는 교회를 설립하였다. 이들에 의해 북간도에 형성된 민족교회는 개인적 신앙, 내세구복적 신앙에 멈추지 않고 社會的 福音을 토대로 國家와 民族의 救援까지를 成就하고자 노력하였다. 북간도 기독교도들은 한국이 독립되는 날은 기독교신도가 百萬이 되는 날이다." 라는 신념을 가지고 信仰運動을 獨立運動으로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이 북간도에 民族主義 성 격의 교회가 구형됨으로서 북간도의 基督敎化와 獨立運動基地化가 동시에 促進되었다. 북 간도 기독교 민족운동가들은 교회조직과 세력을 기반으로 부흥회, 사경회, 노회, 시찰회, 당회, 주일학교 교육, 기독교계 학교의 신앙훈련 등 각종 종교활동을 전개하였고, 그 내 용으로 민족 독립운동을 추진하였다. 당시 이들은 福音主義的 신앙에 안주하지 않았다. 기독교 세력들은 墾民自治會, 墾民敎育會, 墾民會, 北間島 國民會 등 각종의 社會政治 集會와 行事에 참가하여 基督敎 信仰과 함께 民族精神을 鼓吹하였다. 이로써 北間島 基督 敎人들은 民族敎會를 구형할 수 있었고 民族獨立運動에 공헌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