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C4A3C8AFB0E6BCF6BDC3B0FAC1A62E687770>

Similar documents

<4B FB3F3C1A4C6F7C4BFBDBA5FC1A63134C8A32E687770>


ìœ€íŁ´IP( _0219).xlsx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1A63339C8A35FC7F6BEC8BAD0BCAE B1B9B3BBBFDC20C4A3C8AFB0E6B3F3BBEAB9B020BBFDBBEABDC7C5C220B9D720BDC3C0E5C0FCB8C1295F32C2F7C6EDC1FD2E687770>

<4B FB3F3C1A4C6F7C4BFBDBA5FC1A C8A B1B9B3BBBFDC20C4A3C8AFB0E6B3F3BBEAB9B020BDC3C0E520C7F6C8B2B0FA20B0FAC1A6295F33C2F7C6EDC1FD2E687770>

수입목재의합법성판단세부기준 [ ] [ , , ] ( ) 제 1 조 ( 목적 ) 제 2 조 ( 용어정의 ). 1.. 제3조 ( 대상상품의분류체계 ) ( ) 18 2 (Harmoniz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4B B3F3C1A4C6F7C4BFBDBA20C1A C8A328C4A3C8AFB0E646292DC6EDC1FD332E687770>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½Ç°ú¸Ó¸®¸»¸ñÂ÷ÆDZÇ(1-5)¿Ï

세계메이저시멘트기업동향

04_11sep_world02.hwp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한류 목차2_수정 1211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유럽화장품시장개요 / 3 Ⅱ. 국가별시장정보 / 독일 / 프랑스 / 영국 / 이탈리아 / 스페인 / 폴란드 / 72 Ⅲ. 화장품관련 EU 인증 / 86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Y Z X Y Z X () () 1. 3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유럽온라인유통시장현황및진출확대방안 3 1. 유럽개관 Ⅱ. 동유럽국가별온라인유통시장현황및진출확대방안 폴란드 2. 헝가리 3. 체코 4. 오스트리아 5. 크로아티아 6.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태풍영향_과일,채소류(김장채소포함)수출입동향_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æÁ¦Àü¸Á-µ¼º¸.PDF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성장견인국 / 3 II. 위기진행국 / 54 III. 중도성장국 / 112

<B1B9BEEE412E687770>

정학균문동현 부연구위원연구원 연구총괄 대응방안도출생산실적및설문조사분석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30312E2028C3D6C1BEBAB8B0EDBCAD29BDB4C6DBBCB6C0AF5F E786C7378>

SIR Á¦16È£.hwp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차 례 Ⅰ. 검토배경 1 Ⅱ. 부문별평가 4 1. 소득 4 2. 고용 연관효과 ( 고용제외 ) 경기 21 Ⅲ. 정책과제 27

... 수시연구 국가물류비산정및추이분석 Korean Macroeconomic Logistics Costs in 권혁구ㆍ서상범...

억톤킬로 7,000 6,000 5,000 국내선 + 국제선 국제선 4,000 3,000 2,000 1, 년도 - 2 -

(0829)1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일러두기

<C1A1C1A2C2F8C1A6BDC3C0E55F E786C7378>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0829)1

5부-11장(455~459)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DBPIA-NURIMEDIA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서론 34 2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중남미화장품시장현황 / 3 Ⅱ. 주요국별시장정보 / 9 ( 트렌드 유통망 인증 ) 1. 브라질 / 9 2. 멕시코 / 콜롬비아 / 칠레 / 64 Ⅲ. 우리기업진출전략 / 79 # 첨부. 화장품관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84/84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歯1.PDF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Ⅰ. 연혁 및 특성32

b77ùµåÆ÷Ä¿½º³»Áö/L265µš

<C7D1B1B9C0CEC0C720B4EBC7A5BDC4B4DCBAB8B0EDBCAD2E687770>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³º¸¸®¾óÄÚ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Global FDI Briefing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3033BCF6C3E23230B4EBB1B9C7D1B1B9BBEAC0CFB7F9BBF3C7B0B0E6C0EFC7F6C8B22E687770>

MRIO (25..,..).hwp

<BABBB9AE2E485750>

hwp

2013 년 10 월관광객입출국 / 관광수입 지출분석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hwp

공제_조합_제도_개선_방안_등_연구(111226).hwp

투르크 - 알타이경제권이슈 ISSUE 3 터키의유기농업현황 * 양민지 ( 한국외국어대학교중앙아시아연구소신흥지역연구사업단공동연구원 ) 유기농에대한요구증가와전세계유기농시장 1980년대를지나면서과학기술이폭발적으로발전함에따라과학농업의시대가열렸고그결과로농업생산성이급격히증가하였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5B4B2DBAEAB8AEC7C B3E220C1A63233C8A35D204F C0DAB7E1B7CE20BBECC6ECBABB20BCBCB0E820BFA1B3CAC1F62020C7F6C8B228B0D4BDC3C8C4BCF6C1A4292E687770>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INDUS-8.HWP

CONTENTS.HWP



Emerging Monitor 크로스에셋최진호 ( ) Mon 동유럽의제조업경기확장 < 오늘의차트 > 유로존제조업 PMI 지수를상회하고있는동유럽 3 국 ( 헝가리, 폴란드, 체코 ) (index)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Transcription:

정책연구보고 P136 2010. 12. 2010 년국내 외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및시장전망 김 창 길 정 학 균 장 정 경 김 태 훈 연구위원부연구위원연구원위촉연구원

연구담당 김창길정학균장정경김태훈 연구위원부연구위원연구원위촉연구원 연구총괄, 친환경농산물시장전망시장전망및해외사례분석국내친환경농산물실태분석국외친환경농산물실태분석

i 머리말 최근저탄소녹색성장이추진되면서농업부문에서의대표적인저탄소농업인친환경농업의확산이주요정책과제로제시되고있다. 정부는 2013년까지친환경농산물생산비중을 10% 까지확대시킬목표를세우고다양한정책을추진하고있다. 정부의적극적인친환경농업육성정책에힘입어친환경농산물은생산측면에서 1990년대후반이후매년급속한성장세를보이고있다. 수요측면에서보면국민소득의증가와농산물의안전성에대한관심이커지면서친환경농산물에대한수요가계속증가하고있다. 또세계적으로도농산물의안전성과건강을추구하는웰빙트렌드의확산으로유기농산물의생산과수요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다. 대내 외적여건이빠르게변하는상황에서최근의국내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와국내친환경농산물의시장규모및전망정보에관한사회적수요가동시에증가하고있다. 이연구는최근의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와그추이를분석하고정책적변동요인을고려하여시장규모를전망함으로써정책담당자와친환경농산물생산, 유통, 가공업체종사자들에게의사결정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해추진되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을바탕으로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를분석하였고, 2020년까지의시장규모를전망하였으며, 세계의유기농업실천현황을소개하였다. 아무쪼록이연구가친환경농업발전전략을도출하는데기초자료로활용되기를기대한다. 바쁜가운데에도본연구의수행에귀중한자문을해주었던농림수산식품부친환경농업과김응본과장,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김동현주무관, 소비자시민모임의황선옥이사에게감사드린다. 2010.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오세익

iii 요 약 이연구는최근의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와그추이를분석하고정책적변동요인을고려하여시장규모를전망함으로써정책담당자와친환경농산물생산, 유통, 가공업체종사자들에게의사결정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해추진됨. 연구목적달성을위해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을바탕으로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를분석하였음. 시장규모는 2020년을목표연도로설정하고, 친환경농산물증가율의체감과저농약인증제도의변화를고려하여전망하였음. 정부가친환경농업을미래농업의성장동력으로적극육성함에따라친환경농산물생산은 2000년대초반까지매년두배이상의급증세를보였고, 최근 5년동안증가율이다소둔화되었지만여전히높은약 50% 의증가추세를나타내고있음. 2009년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은유기와무농약이전년보다각각 10.9%, 65.4% 증가하였지만가장큰비중을차지하는저농약이 1.5% 감소함에따라전년보다 15.8% 증가한수준에그침. 저농약인증면적이감소세로전환한것은인증제도변화에따른여파로수요가감소하였기때문으로보임. 전체경지면적중친환경농업인증면적의비중은 2000 년에 0.11% 였으나 2005년 2.7%, 2009년 11.6% 로지속적으로확대되고있음. 2009년기준인증단계별비중은유기 0.8%, 무농약 4.1%, 저농약 6.8% 로각각나타났음.

iv 2009년기준친환경농산물인증단계별출하량을보면, 유기 1만 8,810톤 (4.6%), 무농약 87만 9,930톤 (37.3%), 저농약 136만 9,034톤 (58.1%) 으로저농약이가장많은비중을차지함. 품목별로보면곡류 47만 948톤 (20.0%), 과실류 60만 3,021톤 (25.6%), 채소류 103만 875톤 (43.7%) 등으로채소류가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고있음. 경지면적중친환경농업인증면적의비중을도별로살펴보면, 전남 32.7%, 강원 13.3% 등으로높은데반해경기 4.1%, 제주도 4.1% 로낮아지자체의친환경농업육성전략에따라상당한격차가있는것으로나타남. 2009년국내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는전년보다 6.9% 증가한 3조 4,117억원으로추정됨. 2009년시장규모증가폭이과거에비해감소한이유는저농약인증생산량이 2008년에비해감소한데다전반적으로친환경농산물가격이낮았기때문으로보임. 2010년의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는 2009년대비 7% 정도증가한 3조 6,506억원으로추정됨. 향후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는지속적으로증가할것으로예측되나, 저농약인증제가폐지되는 2016년에감소추세로전환되고, 이후저농약재배농가가무농약또는유기재배로전환됨에따라증가세로회복되어 2020년에는전체농산물시장거래액의약 20% 인 6조 6,000억원이될것으로전망됨. 세계유기농산물생산은 2008년기준약 154개국에서약 3,500만ha에서이루어지고있고, 유기식품및음료시장유통규모도약 56조원으로추정됨. 또한유기농업은미국과유럽등선진국을중심으로 2000년이후매년 20% 내외의지속적인성장세를보이고있음. 중국은정부의적극적인녹색식품육성전략에힘입어면적기준으로 1998

v 년이후매년 21.4% 증가하였으며, 2008년전체경지면적중비중은 11.8% 에이름. 녹색식품시장규모는매출액기준약 41조원으로 1996년보다 17배증가하였음. 2008년녹색식품수출액은 2조 7,398억원으로 1997년보다 35 배증가한것으로나타남. 일본의유기농산물인증물량은해외인증이국내인증물량의약 35.8배이고전체유기농인증물량의 97.3% 를차지함. 가공식품인증물량의경우국내인증은매년 8.5% 증가한데반해해외인증은매년 20.5% 증가하여유기농식품의해외의존도가매우높은것으로나타남. 최근국내 외적으로친환경농산물생산은소비자들의안전성에대한관심과환경의질에대한수요증가에힘입어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고, 향후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는확대될것으로전망됨. 또한유기가공품의원료로유기농산물수입량도증가할것으로전망됨. 따라서친환경농산물의소비와유통활성화및수입유기농산물증가에대비한적절한대응책마련이속히이루어져야할것임.

vii ABSTRACT Produc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201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c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o reflect changes in conditio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o predict the market scale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result of analysi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cision making to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olicy makers, environment-friendly farm product producers, distributers and people who process those product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research, p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Management Service of Korea. The target year for predicting the market scal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aimed to be 2020, considering decrease in the rate of increase in produce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changes i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low-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 abolished in 2016. Since 2000,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produced 70% more every year with the aid of the positive policy to apply environment-friendly farming as a growth power for future agriculture. For recent 5 years, the rate of increase is slowed down but shows approximately 50% which is still high increase. In 2009, for the certified area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rganic cultivation and non-agricultural chemical cultivation showed an increase of 10.9% and 65.4%, respectively, but the area for low agricultural chemical cultivation which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showed a decrease of 1.5%, so that an increase of only 15.8% is shown as compared to the number in 2008. Conversion of the authenticated area for low agricultural chemical cultivation to decrease is considered because there is less demand for products by low agricultural chemical cultivation due to changes in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portions of certified area for environment-friendly farming in all

viii the area under cultivation were 0.1% in 2000, 2.7% in 2005 and 11.6% in 2009 which show the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The portions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for each of authentication step of producing them on the basis of 2009 are 0.8%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4.1% for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s and 6.8% for low-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s, respectively. The volume of forwarding to the market in each step of certif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basis of 2009 are 108,810 tons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4.6%), 879,930 tons for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s (37.3%), and 1,369,034 tons for low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s (58.1%). The largest portion is for low agricultural chemical agricultural products. Authenticated item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clude 470,948 tons of grains (20.0%), 603,021 tons of fruits (25.6%) and 1,030,875 tons of vegetables (43.7%) which occupy the largest portion. Portions of the authenticated area for environment-friendly farming in the whole farmland area in each province are 32.7% for Jeonnamdo and 13.3% for Gangwondo which is considered high, but 4.1% for Gyeonggido and 4.1% for Jejudo which is considered low.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ocal autonomies depending on their interest in policy to encourag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and positive promotion strategies thereof. In 2009, it is predicted the market scale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will increase by 6.9% as compared to 2008 and be 3 trillion and 411.7 billion won. The reason of slower increase than previous years in the market scal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because the authenticated volume of produced low agricultural chemical agricultural products is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in 2008, and the overall pri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relatively lower than in other years. It is predicted that the market scal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2010 will be 3 trillion and 650.6 billion won showing 7% increase as compared to the number in 2009. It is predicted that the market scal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ill continue to increase, but will start to decrease from 2016 when the authentication system for low agricultural chemical cultivation is abolished, recover to increase from 2018 and be 6 trillion and 600 billion won which is approximately 20% of all of

ix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2020.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re produced in approximately 35,000,000 ha in 154 countries as of 2008. The market distribution scale of organic food and beverages is presumed to be approximately 56 trillion won. Organic farming shows a continuously growing trend of 20% or so per annum since 2000 mainly in advanced countries, e.g., America and Europe, etc. China shows an increase of 21.4% per annum since 1998 in terms of the area with the aid of positive green food strategy of the government, and it is presumed that the area for producing green food is approximately 11.8% of all area under cultivation in 2008. The market scale of green food is 41 trillion won with respect to the sales 17 times the number in 1996. The volume of exported green food in 2008 was 2 trillion and 739.8 billion won 35 times the number in 1997. It is presumed that the authenticated volum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in Japan includes overseas certification which is 97.3% of the entire certifie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is approximately 35.8 times more than domestic certification. The volume of certified processed organic food shows 8.5% increase per annum for domestic authentication, but overseas authentication shows 20.5% increase per annum to represent very high dependency on overseas certified organic food. Recently,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ow a continuous increase in production with consumers' interest in food safety and increased demand for environmental quality, and it is predicted that the market scal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come larger. It is predicted that the volume of importe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s raw materials for processed organic food will increase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italiz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prepare a proper countermeasures for coping with an increase in importe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Researchers: Kim Chang-Gil, Jeong Hak-Kyun, Jang Jeong-Kyung, and Kim Tae-Hoon Research period: 2010. 10. - 2010. 12. E-mail address: changgil@krei.re.kr

xi 차 례 제 1 장 서론 1. 연구필요성및목적 1 2. 선행연구현황및선행연구와본연구의차별성 2 3. 주요연구내용및방법 5 제2 장친환경농산물생산및유기가공품 농산물수입현황 1. 국내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7 2. 국내유기가공품인증실적및수입현황 20 3. 유기농산물의수입현황 22 제3 장국내친환경농산물의시장규모및전망 1. 친환경농산물거래처및시장규모 25 2. 친환경농산물시장전망 27 제4 장세계의유기농업실천현황및시장규모 1. 세계의유기농업생산현황 30 2. 유럽및북미의유기식품시장규모 42 3. 중국의녹색식품생산현황및시장규모 48 4. 일본의유기농산물생산현황및시장규모 53 제5 장요약및결론 57 부록 1: 친환경농산물품목별생산량및비중 61 2: 도별친환경농산물을생산상위시 군의재배면적 62 참고문헌 65

xii 표차례 제2 장표 2-1. 연도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변화추이 9 표 2-2. 인증단계별친환경농업면적의경지면적비중 10 표 2-3. 품목류 인증단계별친환경농산물출하량 11 표 2-4. 주요품목별친환경농산물의생산량및생산계획면적 (2009년) 13 표 2-5. 국가기관과민간인증기관의연도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15 표 2-6. 인증유형별민간인증기관의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2009년) 15 표 2-7. 시 도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17 표 2-8. 국내유기식품시장규모 20 표 2-9. 국내유기가공품품질인증실적 21 표 2-10. 유기가공식품수입현황 22 표 2-11. 국가별유기농산물수입인증현황 24 제3 장표 3-1. 친환경농산물유통의시장규모추정 (2009년기준 ) 27 표 3-2. 친환경농산물의부류별시장규모전망 28 표 3-3. 인증단계별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전망 29 제4 장표 4-1. 세계유기농자료구축현황 (2008) 31 표 4-2. 세계유기농업실천현황 (2008) 32 표 4-3. 대륙별유기농지재배면적변화 (2007~2008) 36 표 4-4. 대륙별유기농지이용현황 (2008) 38 표 4-5. 작물별유기농지이용현황 39

xiii 표 4-6. 작물별영구작물농지이용현황 (2008) 40 표 4-7. 유기야생채집및양봉부문이용현황 (2008) 41 표 4-8. 유럽주요국의유기농업실천현황 (2008) 44 표 4-9. 북미지역유기농업면적과생산자수 (2008) 46 표 4-10. 중국의녹색식품생산, 소비, 수출현황 48 표 4-11. 중국의녹색식품산지인증면적의구분 50 표 4-12. 중국녹색식품기업의규모화지표변화추이 51 표 4-13. 일본의유기농산물국내인증물량 53 표 4-14. 일본의유기농산물해외인증물량 54 표 4-15. 일본의유기농산물인증물량 (2008년) 55 표 4-16. 일본의유기농산물가공식품국내인증실적 ( 톤 ) 56

xiv 그림차례 제2 장그림 2-1. 친환경농산물재배면적추이 9 그림 2-2. 품목류별친환경농산물출하량구성비 11 그림 2-3. 민간인증기관별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실적 ( 상위 10개소 ) 16 그림 2-4. 도별인증유형에따른실천비중 18 그림 2-5. 전국시군별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 19 그림 2-6. 우리나라수입유기농산물인증현황 23 제3 장그림 3-1. 국내친환경농업인의친환경농산물주거래처비중 26 그림 3-2. 인증단계별친환경농산물시장전망 (2016년이후저농약폐지시 ) 29 제4 장그림 4-1. 세계의유기농업실천면적 (2008) 31 그림 4-2. 세계유기농업실천지역변화추이 33 그림 4-3. 유기농업면적비중별국가수 34 그림 4-4. 유기농업실천면적및유기농업비중상위 10개국 (2008년기준 ) 34 그림 4-5. 유기농가의지역별분포비중과농가수상위 10개국 (2008) 35 그림 4-6. 대륙별유기농지재배면적변화 36 그림 4-7. 유기농지의지역별분포비중 (2008) 37 그림 4-8. 지역별유기농지이용현황 (2008) 37 그림 4-9. 유기양봉과야생채집실천현황 (2008) 40 그림 4-10. 개도국의유기농업실천현황 (2008) 41 그림 4-11. 세계유기식품시장규모변화 42

xv 그림 4-12. 유럽의유기식품시장규모및비중상위 10개국 (2008년기준 ) 45 그림 4-13. 미국의유기농지면적변화 46 그림 4-14. 미국의유기식품시장규모및시장비중변화 47 그림 4-15. 중국의녹색식품인증면적및생산량추이 49 그림 4-16. 중국의녹색식품수출액및비중변화추이 (1997~2007년) 52

1 제 1 장 서 론 1. 연구필요성및목적 우리나라의친환경농업은 1994년농림수산식품부에친환경농업과가설치되면서본격적으로육성되었고, 농산물시장개방이확대되면서정부가친환경농업을미래농업의성장동력으로적극육성하고있음. - 특히최근에저탄소녹색성장이추진되면서농업부문에서도대표적인저탄소농업인친환경농업의확산이주요정책과제로제시되고있으며, 정부는 2013년까지친환경농산물생산비중의 10%( 저농약인증농산물제외 ) 확대를목표로다양한정책을추진하고있음. 정부의적극적인친환경농업육성정책에힘입어친환경농산물생산규모는 1990년대후반이후매년약 50% 이상증가하여급속한성장세를보이고있음. 국민소득의증가와농산물의안전성에대한관심이커지면서친환경농산물에대한수요도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음. 최근에는유기가공식품의원료로수입유기농산물의인증물량이크게증가하고있음.

2 전체농산물시장에서친환경농산물의비중이 10% 이상증가하여틈새시장 (niche market) 에서주류시장 (mainstream market) 으로진입하고있으며향후에도지속적으로성장할것으로전망됨. 전세계적으로농산물의안전성과건강을추구하는웰빙트렌드가확산되어유기농산물의생산과수요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음. 특히소득수준이높은북미, 유럽및일본등을중심으로 2000년이후매년 20% 이상의지속적인성장세를보이고있음. 대내외적여건이빠르게변하는상황에서최근의국내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와국내친환경농산물의시장규모및전망정보에관한사회적수요가증가하고있음. 본연구는최근의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와그변화추세를분석하고, 정책적변동요인을고려하여친환경농산물유통의시장규모를전망함으로써정책담당자와친환경농산물생산, 유통, 가공업체종사자들에게의사결정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해추진됨. 2. 선행연구현황및선행연구와본연구의차별성 2.1. 선행연구검토 국내 외친환경농산물생산현황분석, 시장규모및시장전망에관한연구는제한적으로이루어져왔음. - 김창길, 김태영 (2006) 은건실한친환경농업발전방안제시를위한기초자료로친환경농산물의생산및인증실태, 수입유기농산물현황, 유럽과

3 북미의유기농산물생산및시장규모, 주변국인중국과일본의유기농산물생산, 가공에관한관련자료를제시하였음. - 김창길, 김태영, 이상건 (2007) 은국내 외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및시장규모정보에대한사회적수요에대응하여국내친경농산물의생산현황을분석하고, 장 단기의시장규모를처음으로전망하였음. - 김창길, 정학균, 문동현 (2009) 은국내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를분석하고, 2015년부터폐지되는저농약인증제도의영향을반영하여장 단기의시장규모를전망하였음. 또, 미국, 일본, 중국의친환경농업실천현황및시장규모등을제시하였음. - Catherine Greene et al.(2009) 은최근의유기농산물에대한소비의급증은유기규정프로그램 (organic regulatory program) 과상표 (label) 의개발때문이라고진단하고, 소비급증으로부각되는이슈들을살펴보기위해유기농업시스템, 공급체인, 가격프리미엄, 시장조건들에관한최근의경제적연구들을검토하였음. - IFOAM(2010) 은세계의유기농업생산및소비현황을파악하기위해대륙별유기농업실천현황, 전체농업에서유기농업이차지하는비중, 유기농제품시장유통규모, 1인당유기농산물소비액등의자료를분석하였음. 국내의친환경농업생산및유통실태와친환경농업정책의효과를분석하고친환경농업의발전방안을제시한선행연구가다수있음. - 윤석원외 13인 (1999) 은쌀, 상추, 배추, 고추, 감자, 포도, 배 7가지품목을중심으로유기농산물의생산, 소비, 유통, 제도에대한연구를수행하였음. 생산부문에서는유기농산물의생산실태및문제점을파악하고품목별수익성을분석하였음. - 전태갑등 (2000) 은수도작, 과실류및채소류를대상으로유기재배, 저투입재배, 일반재배등의재배조건별생산비및경영성과등을분석하고친환경농업의육성방안을제시하였음.

4 - 오호성외 8인 (2000) 은 10종류 ( 쌀, 배추, 상추, 시금치, 치커리, 케일, 고추, 오이, 당근, 감자 ) 의친환경농산물을중심으로생산농가 150호, 소비자 250가구, 유통업자 50업체등을대상으로한설문조사결과를기초로친환경농산물의생산및유통실태등을분석하였음. - 김창길외 2인 (2003) 은정책담당자와정책대상자인친환경농업실천농가를대상으로한설문조사를기초로친환경농업정책을평가하고친환경농업의발전방안을제시하였음. - 김창길외 3인 (2005) 은충남홍성과충북옥천의친환경농업실천에따른경제적분석을기초로지역여건에적합한맞춤형프로그램개발등친환경농업발전방안을제시하였음. 2.2. 선행연구와본연구의차별성 최근의관련분야통계자료를이용하여 2010년기준친환경농산물의생산실태분석과국내유기가공품인증실적및수입현황, 국내수입유기농산물의인증실적등을체계적으로다룸. 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전망은제한적으로이루어져왔으나, 본연구는정부의친환경농업육성정책, 저농약인증제도의경우 2010년부터신규인증의중단과 2016년부터완전폐지등정책여건변화를종합적으로고려하고관련분야전문가자문등을통해보다설득력있는국내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추정및전망을시도함. 세계의유기농산물생산실태와시장규모는 2010 년에발간된 IFOAM(2010) 세계유기농업동향보고서와미국과유럽, 중국, 일본등주요국의관련자료를참고하여최근정보를정리하여제시함.

5 3. 주요연구내용및방법 3.1. 주요연구내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발간하는인증단계별, 지역별국내친환경농산물통계자료를이용한생산실태진단과평가 국내유기가공품인증실적, 수입현황과수입유기농산물의인증실적진단 친환경농산물인증단계별, 주요종류별 ( 또는품목별 ) 국내 2010년친환경농산물유통의시장규모추정및 2011~2020년의시장규모전망및전체농산물시장에서의비중추정 2010년 IFOAM의발표자료와미국농업부경제연구소 (USDA ERS), EU 본부 (EUROPA) 및독일유기농업연구소 (FiBL) 등의유기농산물통계자료를기초로세계유기농업실천현황진단및시장규모를제시함. 또한중국의녹색식품과일본의유기농산물시장동향을분석하여제시함. 최근의국내 외여건변화를반영한친환경농업발전을위한정책적대응방안과시사점제시 3.2. 연구추진방법 관련문헌및기존연구자료조사 - 친환경농산물의생산현황및시장규모전망과관련한선행연구의문헌조사 - 친환경농업정책의효과를분석하고, 친환경농업발전방안을제시한선

6 행연구자료의검토 - 해외의유기농업생산및소비현황을파악하기위해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 IFOAM) 에서매년발간하는세계유기농업동향보고서를검토하였음. 유관기관전문가및실천농가면담조사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수산물유통공사, 흙살림등유관기관의전문가를대상으로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와친환경농업발전방안에관한심층면담조사를실시함. - 생산측면에서친환경농업실천의애로요인및발전방안에대한의견수렴을위해선도농가를대상으로심층면담조사를실시함. 친환경농산물생산실태분석및시장규모전망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자료를바탕으로생산실태를분석함. 또한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관리하는친환경농산물의주요품목별인증물량에관한내부자료와농수산물유통공사의인증단계별가격자료등을기초로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를추정하고전망함. - 시장규모전망은 2015년저농약인증제도폐지의영향을고려하고, 2020 년의목표시장규모를설정하여전망함. - 친환경농업유통전문가및유관기관담당자들과의협의회를통한시장규모전망방법및결과의적절성에대한의견수렴 유기가공식품수입실태는식품의약품안전청내부자료와국가별유기농산물수입인증은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자료를이용하였음. 세계의유기농업관련검토범위는 IFOAM 보고서에서다루어진세계전역을대상으로하였고, 검토대상주요국가는유럽과북미지역, 주변국으로중국과일본을대상으로함.

7 제 2 장 친환경농산물생산및유기가공품 농산물수입현황 1. 국내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1.1. 친환경농산물생산실태 우리나라친환경농산물국내생산인증실적을살펴보면 2000~2009년의농가수는연평균 67.9%, 면적은 71.5%, 출하량은 65.3% 증가하였음. - 2000년대초반 (2000~2003년) 에전체인증면적증가율은 122.7% 로급증하였으며, 최근 5년동안 (2005~2009년) 에도 49.7% 로높은증가율을나타냄. - 인증단계별로보면저농약인증의경우연평균증가율이농가수 77.8%, 면적 82.1%, 출하량 79.8% 로유기와무농약에비해크게나타났음. 연도별국내생산인증실적을보면, 농가수는 2000 년 2,448 호에서 2009 년 19만 8,891호, 인증면적은 2000년 2,039ha에서 2009년 20만 1,688ha, 인증량은 2000년 3만 5,406톤에서 235만 7,774톤으로증가하였음 < 표 2-1>. 2009 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은인증농가수기준전년대비 15.3%, 면적

8 기준 15.8%, 출하량기준 7.7% 증가한것으로나타나과거에비해증가세가크게둔화되었음. - 2009년유기농산물인증실적은 2008년에비해인증농가수 11.1%, 면적 10.9% 증가하였으나출하량은 5.1% 감소한것으로나타남. - 2009년무농약농산물인증실적은 2008년에비해인증농가수 41.2%, 면적 65.4%, 출하량 58.7% 증가한것으로나타남. - 2009년저농약농산물인증실적은 2008년에비해인증농가수는 5.7% 증가하였으나, 면적과출하량은각각 1.5%, 9.9% 감소한것으로나타남. - 2009년인증실적증가세가과거추세에비해완화된이유는가장큰비중의저농약인증면적및출하량이감소하였기때문임. 2015년부터저농약인증폐지라는정책적변화에따라시장에서의저농약농산물에대한수요가감소한것으로보임. 2009년전체농산물에서친환경농산물의비중은과거에비해보다증가된것으로나타남. -2009년기준으로농가수비중은 16.6%, 면적비중은 11.6%, 출하량비중은 13.1% 임. - 면적비중을기준으로인증단계별로살펴보면전체 11.6% 가운데저농약 6.8%, 무농약 4.1%, 유기 0.8% 로저농약비중이가장크고, 유기농비중이낮은상태임. 전체경지면적중친환경농업인증면적의비중을살펴보면, 2000년에 0.11% 였으나 2005년 2.7%, 2009년 11.6% 로지속적으로확대되고있는것으로나타남 < 표 2-2>. - 경지면적의비중을인증단계별로살펴보면 2000년에유기 0.02%, 무농약 0.05%, 저농약 0.05% 였으나 2009년에는유기 0.8%, 무농약 4.1%, 저농약 6.8% 로각각나타남.

9 유기무농약저농약계 표 2-1. 연도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변화추이 2000 2006 2007 2008 2009 단위 : 호, ha, 톤, % 연평균증감률 전체비중 농가수 ( 호 ) 353 7,167 7,507 8,460 9,403 54.8 0.8 면적 (ha) 296 8,559 9,729 12,033 13,343 63.9 0.8 출하량 ( 톤 ) 6,538 95,405 107,179 114,649 108,810 41.0 0.6 농가수 ( 호 ) 1,060 21,656 31,540 45,089 63,653 60.5 5.3 면적 (ha) 876 18,066 27,288 42,938 71,039 67.8 4.1 출하량 ( 톤 ) 15,694 320,309 443,989 554,592 879,930 59.8 4.9 농가수 ( 호 ) 1,035 50,812 92,413 119,004 125,835 77.8 10.5 면적 (ha) 867 48,371 85,865 119,136 117,306 82.1 6.8 출하량 ( 톤 ) 13,174 712,380 1,234,706 1,519,070 1,369,034 79.8 7.6 농가수 ( 호 ) 2,448 79,635 131,460 172,553 198,891 67.9 16.6 면적 (ha) 2,039 74,995 122,882 174,107 201,688 71.5 11.6 출하량 ( 톤 ) 35,406 1,128,093 1,785,874 2,188,311 2,357,774 65.3 13.1 주 1) 전환기유기농산물인증실적은유기농산물에포함시켜제시함. 2) 전체비중은 2009 년우리나라전체농가수, 경지면적, 생산량대비비중임. 생산량은식량, 채소, 과일, 유지, 인삼, 버섯생산량합계임.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그림 2-1. 친환경농산물재배면적추이 천ha 240 200 160 120 합계유기무농약저농약 122.9 174.1 201.7 80 40 0 75.0 49.8 22.2 28.2 2.0 4.6 11.2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10 표 2-2.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업면적의 경지면적 비중 단위 : ha, %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유기 296 6,095 8,559 9,729 12,033 13,343 (0.02) (0.3) (0.5) (0.5) (0.7) (0.8) 무농약 876 13,803 18,066 27,288 42,938 71,039 (0.05) (0.8) (1.0) (1.5) (2.4) (4.1) 저농약 867 29,909 48,371 85,865 119,136 117,306 (0.05) (1.6) (2.7) (4.8) (6.8) (6.8) 합계 2,039 49,807 74,995 122,882 174,107 201,688 (0.11) (2.7) (4.2) (6.9) (9.9) (11.6) 경지면적 1,888,765 1,824,039 1,800,470 1,781,579 1,758,795 1,736,798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친환경농산물인증단계별출하량을보면 (2009 년기준 ), 유기 10 만 8,810 톤 (4.6%), 무농약 87만 9,930톤 (37.3%), 저농약 136만 9,034톤 (58.1%) 으로저농약이가장많은비중임 < 표 2-3>. 친환경농산물품목류별출하량을보면 (2009년기준 ) 곡류 47만 948톤, 과실류 60만 3,021톤, 채소류 103만 875톤으로채소류가전체의 43.7% 로가장많은비중임 < 표 2-3>< 그림 2-2>. - 곡류 ( 주로쌀 ) 는전체출하량 47만 948톤가운데유기 6.3%, 무농약 34.4%, 저농약 59.3% 로저농약인증이절반이상을차지함. - 과실류는전체출하량 60만 3,021톤가운데유기가 1.2%, 무농약 12.6%, 저농약 86.2% 로저농약인증이상당한부문을차지함. - 채소류의경우전체출하량 103만 875톤가운데유기가 5만 4,068톤으로 5.2% 를차지하고, 무농약 44만 2,975톤 (43.0%), 저농약 53만 3,832톤 (51.8%) 으로저농약과무농약이거의대부분을차지하고있음. - 특작류 ( 주로버섯 ) 는전체출하량 15만 4,604톤가운데유기가 3.7%, 무농약 90.2%, 저농약 6.2% 로무농약인증이거의대부분을차지함.

11 유기무농약저농약합계 표 2-3. 품목류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출하량 단위 : 톤, % 곡류 과실류 채소류 서류 특작류 기타 전체 29,861 7,216 54,068 4,307 5,674 7,684 108,810 (6.3) (1.2) (5.2) (5.9) (3.7) (30.4) (4.6) 161,894 76,148 442,975 48,454 139,411 11,048 879,930 (34.4) (12.6) (43.0) (66.4) (90.2) (43.7) (37.3) 279,193 519,657 533,832 20,261 9,519 6,572 1,369,034 (59.3) (86.2) (51.8) (27.7) (6.2) (26.0) (58.1) 470,948 603,021 1,030,875 73,022 154,604 25,304 2,357,774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 ( ) 는친환경농산물의인증유형별구성비를나타냄.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그림 2-2. 품목류별친환경농산물출하량구성비 서류 (7 만톤, 3.1%) 특작류기타 (18 만톤, 7.6%) 곡류 (47 만톤, 20.0%) 채소류 (103 만톤, 43.7%) 과실류 (60 만톤, 25.6%)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12 2009년곡류 과실류 채소류 서류등부류별주요품목의생산량현황 - 곡류인증실적에서쌀의비중은 95.3%, 콩이 1.4%, 보리가 1.1% 등으로쌀이거의대부분임. 친환경쌀의재배면적이 10만 5,489ha로전체쌀재배면적 (2009년 92만 4,000ha) 의 11.4% 를차지하며, 유기재배가 6,086ha 로 5.8% 를차지하였으며, 무농약재배가 8만 8,624ha로 36.6%, 저농약재배가 6만 779ha로 57.6% 를차지함. 친환경콩의재배면적은 4,312ha로전체콩재배면적 (7만 ha) 의 6.2% 를차지하고, 친환경보리재배면적은 5,096ha로전체보리재배면적 (2009년 3만 2,000ha) 의 15.9% 를차지함. - 과실류생산량가운데가장비중이큰품목은사과가 17만 5,122톤으로 29.0%, 배가 16만 2,586톤으로 27.0%, 포도가 6만 9,846톤으로 11.6%, 단감이 3만 6,859톤으로 6.1%, 복숭아가 2만 6,583톤으로 4.4% 를차지함. 특히사과, 배, 포도, 단감, 복숭아등주요과일의경우저농약인증이약 95% 이상을차지하고, 감귤류는유기가 15.9%, 무농약 42.9%, 저농약 41.2% 로무농약과저농약인증이상당한비중임. 친환경사과재배면적은 1만 1,653ha로전체사과재배면적 (2009년 3만 1,000ha) 의 37.6%, 친환경배재배면적은 7,510ha로전체배재배면적 (2009년 1만 7,000ha) 의 44.2%, 친환경포도재배면적은 4,552ha로전체포도재배면적 (1만 8,000ha) 의 25.3% 를차지함. 친환경사과와배의경우전체재배면적에서 37~44% 로상당한비중임. - 채소류의경우생산량비중은배추가 19만 9,814톤으로가장많았으며, 수박, 참외, 토마토등의순으로나타남. 채소류도대부분저농약인증비중이가장높았으나참외, 무, 배추, 파등은무농약인증의비중이가장높았음. 또한, 상추의경우유기인증비중이 44.3% 임. - 서류의경우, 2009년생산량가운데감자 50.9%, 고구마 46.5% 를차지하였으며, 무농약의비중이각각 64.3%, 67.7% 로인증유형중가장높았음. 면적기준으로는감자 2,142ha, 고구마가 2,708ha로감자면적이더적으나단수가많아전체생산량은감자의비중이큰것으로나타남.

13 표 2-4. 주요품목별친환경농산물의생산량및생산계획면적 (2009 년 ) 품목 생산량 ( 톤 ) 면적 (ha) 유기무농약저농약합계유기무농약저농약합계 곡류 29,861 161,894 279,193 470,948 - - - - 쌀 27,669 148,594 272,742 449,005 6,086 38,624 60,779 105,489 보리 571 4,069 455 5,096 332 1,606 217 2,155 콩 515 2,246 4,034 6,795 569 1,696 2,047 4,312 과실류 7,216 76,148 519,657 603,021 - - - - 감귤류 1,512 4,074 3,912 9,498 159 352 285 797 복숭아 137 190 26,256 26,583 14 38 2,173 2,226 단감 213 433 36,213 36,859 38 50 3,315 3,403 포도 933 2,561 66,351 69,846 100 232 4,220 4,552 배 676 546 161,364 162,586 58 50 7,403 7,510 사과 773 337 174,012 175,122 37 43 11,572 11,653 채소류 54,068 442,975 533,832 1,030,875 - - - - 오이 2,853 5,639 18,328 26,820 50 118 420 588 방울토마토 2,509 5,248 30,278 38,035 57 154 609 820 호박 1,827 7,702 11,285 20,814 118 481 369 968 토마토 4,902 13,625 42,133 60,661 112 273 837 1,221 수박 946 8,331 62,102 71,378 45 182 1,833 2,060 딸기 2,230 8,588 35,610 46,428 106 463 1,585 2,155 참외 39 423 65,390 65,852 7 28 2,191 2,226 무 2,655 14,218 12,575 29,448 215 463 212 889 상추 4,732 5,092 858 10,682 107 224 79 410 양배추 1,716 4,063 17,084 22,863 62 149 329 540 배추 3,815 134,430 61,569 199,814 186 2,894 1,048 4,129 대파 934 4,278 12,729 17,941 54 172 449 675 파 233 12,030 5,530 17,793 20 592 255 867 마늘 552 3,152 10,764 14,469 81 377 1,127 1,585 고추 1,861 3,234 19,288 24,384 231 438 2,072 2,741 서류 4,307 48,454 20,261 73,022 - - - - 감자 2,738 23,907 10,537 37,182 189 1,282 672 2,142 고구마 1,285 22,977 9,690 33,952 174 1,712 822 2,708 주 : 면적은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매년초신청받은생산계획면적기준임.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내부자료 (2010).

14 1.2. 인증기관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친환경농산물인증은일반농산물을친환경농산물로허위또는둔갑표시하는것으로부터생산자와소비자를보호하고, 또한유통과정에서의신뢰구축으로친환경농산물생산 공급체계를구축하기위해친환경농업육성법 ( 제 17조 ) 에따라서이루어지고있음. 2009년말기준으로국가기관인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51개민간인증기관에서맡고있음. 민간인증기관은지속적으로증가하여 2010년 12월말기준 70개소에달함. 2009년민간기관인증실적은인증건수 1만 2,866건, 농가수는 13만 6,867 호, 인증면적은 12만 9,576ha로 2008년 ( 인증건수 : 9,790건, 농가수 11만 6,254호, 면적 11만 2,725ha) 보다 10% 이상증가한것으로나타남 < 표 2-5>. - 민간기관인증실적은전체인증실적의절반이상을차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남. 인증건수는전체의 53.3%, 인증농가수는 68.8%, 면적은 64.2% 를차지함. - 민간인증기관의인증건수보다인증농가수및면적이국가기관보다크게많은이유는인증 1건당농가수및면적이저농약인증의경우가유기인증에비해많기때문으로보임. 인증기관별인증실적비중을인증단계별로비교해보면유기인증의경우상대적으로국가기관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의실적비중이크고무농약및저농약인증의경우민간기관이비중이더큰것으로나타남 < 표 2-6>. - 민간인증기관의유기인증건수는전체의 34.6% 를차지하는데반해, 무농약 56.2%, 저농약은 54.8% 를차지하였음. - 민간인증기관의유기인증농가수는전체의 48.3% 를차지하는데반해, 무농약 71.7%, 저농약은 68.9% 를차지하였음. - 민간인증기관의유기인증면적은전체의 47.7% 를차지하는데반해, 무농약 66.1%, 저농약은 65.0% 를차지하였음.

15 표 2-5. 국가기관과민간인증기관의연도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단위 : 건, 호, ha, %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농관원민간농관원민간농관원민간농관원민간농관원민간 건수 건수 7,367 1,350 8,708 2,773 10,127 6,060 9,887 9,790 11,262 12,866 비중 84.5 15.5 75.8 24.2 62.6 37.4 50.2 49.8 46.7 53.3 농가수 농가수 43,788 9,690 53,241 26,394 63,220 68,240 56,299 116,254 62,024 136,867 비중 81.9 18.1 66.9 33.1 48.1 51.9 32.6 67.4 31.2 68.8 면적 면적 41,420 8,386 52,512 22,483 60,580 62,302 61,382 112,725 72,112 129,576 비중 83.2 16.8 70.0 30.0 49.3 50.7 35.3 64.7 35.8 64.2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건수 농가수 면적 표 2-6. 인증유형별민간인증기관의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2009 년 ) 단위 : 건, 호, ha, % 유기 무농약 저농약 전체 전체 (A) 2,520 10,880 10,728 24,128 민간 (B) 873 6,115 5,878 12,866 비중 (B/A) 34.6 56.2 54.8 53.3 전체 (A) 9,403 63,653 125,835 198,891 민간 (B) 4,540 45,621 86,706 136,867 비중 (B/A) 48.3 71.7 68.9 68.8 전체 (A) 13,343 71,039 117,306 201,688 민간 (B) 6,368 46,922 76,286 129,576 비중 (B/A) 47.7 66.1 65.0 64.2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민간인증기관중에서토지영농조합법인이 2만 1,446ha를인증하여전체민간인증면적의 16.6% 로가장큰비중임. 다음으로 ( 사 ) 한국온실작물연구소로전체의 15.1%, ( 주 ) 스페이스 13.7%, 아클린친환경인증 ( 영 ) 10.7% 등으로이들 4개기관이전체민간기관인증면적의 56.1% 를차지함. 한국농식품인증원 ( 사 ), ( 유 ) 돌나라유기인증코리아등몇몇기관을제외한대부분의민간인증기관이무농약과저농약인증을위주로하고있어민간인증기관으로서의전문성과신뢰성향상을위해무농약및저농약만이아닌유기인증까지아우르는인증업무를다양화할필요가있음 < 그림 2-3>.

16 그림 2-3. 민간인증기관별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실적 ( 상위 10 개소 ) < 전체 > < 유기농산물 > < 무농약농산물 > < 저농약농산물 >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9). 1.3. 지역별인증실적 지역별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을보면, 전남이총 10만 5,024ha로전국에서친환경농업실천면적의 52.1% 로가장높았고, 경북 2만 3,916ha(11.9%), 충남 1만 5,597ha(7.7%), 강원 1만 4,889ha(7.4%) 등의순으로나타났음. 한편충북은 5,453ha(2.7%), 제주는 2,456ha(1.2%) 로친환경농업실천면적비중이적은것으로나타남. 경지면적대비친환경농업실천면적을보면전남이 32.7% 로국내총인증면적비중 11.6% 를크게상회하는수준이고, 강원 13.3%, 경북 8.3%, 경남 7.2% 등의순서로나타남. 친환경실천면적비중이낮은경기도와제주도의

17 경우 4.1% 로전라남도와큰격차를보임. 지자체별친환경농업육성의관심과열의도에따라실천면적에상당한격차가있는것으로나타남 ( 김창길외, 2009).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표 2-7. 시 도별친환경농산물인증실적 구분유기무농약저농약계 농가수 1,118 3,558 3,833 8,509 면적 1,936 3,050 3,522 8,508 인증량 13,493 56,809 43,374 113,676 농가수 851 3,467 1,798 6,116 면적 1,281 11,903 1,705 14,889 인증량 14,551 32,822 26,763 74,136 농가수 789 2,435 3,336 6,560 면적 734 1,930 2,789 5,453 인증량 10,301 36,264 51,487 98,052 농가수 1,435 1,618 6,743 9,796 면적 1,585 1,407 12,605 15,597 인증량 13,523 18,522 76,443 108,488 농가수 806 4,531 6,600 11,937 면적 1,384 4,501 6,678 12,563 인증량 16,460 34,786 69,984 121,230 농가수 1,201 37,292 72,373 110,866 면적 2,749 40,074 62,201 105,024 인증량 14,218 582,380 689,159 1,285,757 농가수 2,084 5,464 19,830 27,378 면적 1,706 3,948 18,262 23,916 인증량 13,362 67,189 309,375 389,926 농가수 900 4,570 10,958 16,428 면적 849 3,175 9,258 13,282 인증량 8,671 41,964 98,375 149,010 농가수 219 718 364 1,301 면적 1,119 1,051 286 2,456 인증량 4,231 9,194 4,074 17,499 농가수 9,403 63,653 125,835 198,891 면적 13,343 71,039 117,306 201,688 인증량 108,810 879,930 1,369,034 2,357,774 주 : 광역시의자료는전체합계에포함됨.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단위 : 호, ha, 톤 인증면적비중 경지면적비중 4.2 4.1 7.4 13.3 2.7 4.6 7.7 6.4 6.2 6.1 52.1 32.7 11.9 8.3 6.6 7.2 1.2 4.1 100.0 11.6

18 그림 2-4. 도별인증유형에따른실천비중 < 전체 > < 유기농산물 > 단위 : % < 무농약농산물 > < 저농약농산물 >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19 그림 2-5. 전국시 군별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 단위 : ha 강원 - 유기 : 1,281ha - 무농약 : 11,903ha - 저농약 : 1,705ha 경기 - 유기 : 1,936ha - 무농약 : 3,050ha - 저농약 : 3,522ha 경남 - 유기 : 849ha - 무농약 : 3,175ha - 저농약 : 9,258ha 전남 - 유기 : 2,749ha - 무농약 : 40,074ha - 저농약 : 62,201ha 충남 - 유기 : 1,585ha - 무농약 : 1,407ha - 저농약 : 12,605ha 경북 - 유기 : 1,706ha - 무농약 : 3,948ha - 저농약 : 18,262ha 전북 - 유기 : 1,384ha - 무농약 : 4,501ha - 저농약 : 6,678ha 충북 - 유기 : 734ha - 무농약 : 1,930ha - 저농약 : 2,789ha 주 : 각도별친환경농업인증면적이 2009 년기준 5 위이상인시 군만제시하였으며, 제주도는제외함.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10).

20 2. 국내유기가공품인증실적및수입현황 최근국민소득증가와식품안전성에대한소비자의관심이높아지면서유기가공식품에대한수요도증가하고있음. 또한친환경농가의새로운소득기반으로친환경농산물생산뿐만아니라가공식품생산을통한부가가치창출이부각되고있음. 한국식품연구원이추산하고있는국내유기가공식품의시장규모는 2008년기준으로약 2,158억원으로유기식품 ( 유기농산물 + 유기가공식품 ) 시장의 53.4% 를차지하는것으로추산하고있으며, 앞으로유기가공식품시장이지속적으로성장할것으로전망하고있음. 표 2-8. 국내유기식품시장규모 구분 2006 년 2007 년 2008 년 유기농산물 유기가공식품 1,114 (44.0) 1,419 (56.0) 1,427 (45.4) 1,719 (54.6) 1,885 (46.6) 2,158 (53.4) 단위 : 억원, % 연평균성장률 30.1 23.3 계 2,533 3,146 4,043 26.3 주 : 소비자가격기준, ( ) 안은구성비를나타냄. 자료 : 한국식품연구원 (2008). 유기가공식품관련제도는농산물가공산업육성법에근거한유기농산물가공품품질인증제와식품위생법에근거한일반유기가공식품표시제로이원화되어있음. 우선농산물가공산업육성법에근거한유기농산물가공품품질인증제도는친환경농업육성법에의해유기재배인증을받은국내산농산물 ( 원재료의 95%) 을사용하여제조 가공한녹즙또는주스류, 녹차류, 분말

21 류, 기타품목을대상으로하고있음. 2006년말기준국내유기가공품품질인증실적은총 194건에 1,103톤임. 한편국내유기가공품인증실적은 2004년 1,340톤에서 2005년 235톤으로급격하게줄어들었다가 2006년에다시회복세를보이고있음. 이는 2005년에풀무원의유기가공품인증을취소하면서인증물량이급격하게줄어들었기때문인것으로판단됨 < 표 2-9>. 품목별로보면다류가 44건에 472톤 (42.8%) 으로출하량이가장많고, 다음으로음료류가 13건에 425톤 (38.5%), 김치 절임류가 41건에 25톤 (2.2%) 등의순으로나타났음. 표 2-9. 국내유기가공품품질인증실적 단위 : 건, 톤, (%) 2004년 2005년 2006년구분건수출하량건수출하량건수 ( 비중 ) 출하량 ( 비중 ) 다류 7 10 15 14 44 (22.7) 472 (42.8) 음료류 5 1,045 9 143 13 ( 6.7) 425 (38.5) 김치 절임류 15 80 34 56 41 (21.1) 25 ( 2.2) 조미식품 7 0 16 4 36 (18.6) 14 ( 1.3) 기타 1) 4 204 25 20 60 (30.9) 167 (15.2) 계 38 1,340 99 235 194 (100.0) 1,103 (100.0) 주 : 기타품목에는참기름, 들기름, 고춧가루, 청국장가루, 식초등다수를포함함.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7). 유기가공식품의수입량및수입액은 2007년까지각각연평균 83.2%, 81.6% 증가하였음. 2008년에는환율상승영향으로수입량은 2007년보다 27.3% 감소한 1만 8,028톤, 수입액은 11.1% 증가한 4,918만달러 ( 약 542억원 ) 를기록하였음 < 표 2-10>.

22 유기가공식품수입물량은 2006년기준국내유기가공품인증물량의 10.4배에달하는것으로파악되어, 앞으로국내유기가공식품개발및육성을통해수입품위주의유기가공식품시장을재편할필요가있음. 표 2-10. 유기가공식품수입현황 연도 건수 물량 ( 톤 ) 금액 ( 만달러 ) 주요수입국 2001 169 746 181 미국, 뉴질랜드, 일본, 프랑스 2002 395 1,102 319 독일, 미국, 일본, 오스트리아, 프랑스 2003 796 1,819 519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일본 2004 1,801 4,674 1,313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2005 2,398 7,469 3,287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2006 2,690 11,469 2,664 미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2007 3,625 24,793 4,428 미국, 프랑스, 독일 2008 3,594 18,028 4,918 미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2009 3,389 14,699 3,145 브라질, 미국, 호주, 중국, 파라과이 주 : 식품위생법제 10 조 식품등의표시기준 에서정한규정에따르면최종제품에유기농산물이 95% 이상함유되어있어야제품명에 유기 또는이와유사한용어를사용할수있도록되어있음. 따라서유기가공식품수입현황은제품명에 유기 가포함된것을기준으로작성된것으로실제수입현황과는차이가있을수있음.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3. 유기농산물의수입현황 우리나라는 2003년처음으로수입유기농산물을인증한이래수입유기농산물인증물량이증가하였으나최근약간하향추세를보이고있음 < 그림 2-6>. 2008년유기농산물수입량은 9,063톤으로 2007년대비 7.9% 감소하였고, 이는국내친환경농산물인증물량의 0.4% 정도로미미한수준임.

23 그림 2-6. 우리나라수입유기농산물인증현황 톤 12,000 10,000 8,500 9,842 9,063 8,000 6,843 6,000 5,313 4,000 2,000 0 904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9). 유기농산물수입은유기가공품의원재료로대부분이수입되고있고, 바나나 키위 야콘등특정품목에한정하여수입이이루어지고있음. - 수입국별유기농산물수입현황 (2008년기준 ) 을보면중국에서수입하는물량이전체수입물량의 44.4% 인 4,025톤으로대부분을차지하며, 그밖에필리핀 2,185톤 (24.1%), 키르기스스탄 1,010톤 (11.1%), 캐나다 690톤 (7.6%) 등의순으로조사되었음. - 최대수입국인중국에서는주로옥수수, 대두, 녹두, 들깨, 참깨등다양한품목을수입하고, 필리핀에서는바나나, 키르기스스탄과캐나다에서는주로밀, 뉴질랜드에서는키위등을수입함. - 품목별수입현황을살펴보면, 바나나가 2,411톤으로전체수입물량의 26.6% 를차지하고, 그밖에옥수수 2,000톤 (22.1%), 밀 1,999톤 (22.1%), 대두 1,760톤 (19.4%) 등으로나타났음 < 표 2-11>.

24 표 2-11. 국가별 유기농산물 수입인증 현황 단위 : 톤 수입국 품 목 2005 2006 2007 2008 고추 6 13 10 5 녹두 180 140 140 160 대두 5,798 2,458 3,327 1,760 흑두 97 - - - 들깨 13 84 53 23 중 국 옥수수 792 955 1,399 2,000 참깨 - 53 138 36 해바라기씨 - 36-31 소맥 - 180 - - 밀 183-400 - 옥수수수염 - - 10 머스터드외 - 4 - - 새싹채소종자 - 11 - - 미 국 무씨 2 - - - 알팔파씨 1 - - - 케일등 7 - - - 브로콜리 6 - - - 대두 - 21 - - 호 주 쇠고기 - - 195 152 밀 - - - 299 밀 628 1,235 700 1,010 키르기스스탄살구 - - 9 - 필리핀 바나나 46 729 2,297 2,129 야콘 - - 59 56 뉴질랜드 키위 478 924 706 420 이탈리아 브로콜리 2 - - - 콜롬비아 바나나 262-103 17 캐나다 밀 - - 306 690 멕시코 바나나 - - - 265 합 계 8,501 6,843 9,842 9,063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9).

25 제 3 장 국내친환경농산물의시장규모및전망 1. 친환경농산물거래처및시장규모 2006년말에공표된 2005 농림어업총조사 에서친환경농업을실천하고있다고응답한경영주의주요거래처를조사하였음. 이조사에서친환경농업실천경영자수는친환경농산물인증농가 7만 9,635가구보다많은총 8만 7,199명으로파악되었음. 비록이조사를통해친환경농가와거래처간의정확한친환경농산물거래물량을파악할수는없지만생산된친환경농산물의유통경로를파악하는데도움이될수있음. 친환경농업실천농업인의주거래처조사결과, 농협및농업법인의거래비중이 46.9% 로가장높았고, 통신및방문판매등개인소비자와의거래가 19.6% 로뒤를이었음. 한편도매시장과의거래비중도 10.6% 로친환경농산물전문유통업체 6.6% 보다많은것으로나타나친환경농산물생산량이급격히증가하면서도매시장의친환경농산물취급비중이늘어가고있는것으로보임 < 그림 3-1>.

26 그림 3-1. 국내친환경농업인의친환경농산물주거래처비중 농협및농업법인개인소비자도매시장친환경농산물전문유통업체기타산지공판장소비자단체대형유통업체 2.2 1.6 6.6 6.4 6.1 10.6 19.6 46.9 단위 : %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자료 : 통계청 (2007). 2005 농림어업총조사. 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는친환경농법별재배면적에단수를적용하여생산량을추정하고농법별로시장으로판매되는양을추정한후, 유통업체의수수료, 유통비용, 판매가격등을고려하여개략적으로추정하였음. 1 2009년기준친환경농산물의시장유통규모추정결과, 곡류의유통규모는약 1조 682억원으로전체친환경농산물유통규모의 31.3% 로가장큰비중을차지하였고, 이중에서쌀이 1조 125억원으로추정되었음. 또한채소류는 9,848억원으로전체유통규모의 28.9% 를차지하였고, 과실류가전체유통규모의 24.6% 인 8,408억원으로추정됨. 2009년도우리나라친환경농산물시장에서거래되는총규모는전년대비 6.9% 증가한 3조 4,117억원에달하는것으로추정됨. 친환경농산물유통시장규모증가폭이과거에비해완화된이유는저농약농산물생산량이 2008년에비해감소한데다공급량의증가로가격이낮았기때문인것으로보임 < 표 3-1>. 1 친환경농산물의시장규모추정은농산물의부류별주요품목의시장출하량과거래가격, 유통비용등을종합적으로고려하며이루어짐. 친환경농산물유통관련시장거래규모추정방식은김창길, 오세익, 김태영 (2003, 23-26) 에제시되어있음.

27 표 3-1.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시장규모 추정 (2009년 기준 ) 단위 : 억원, % 구분 곡류쌀 채소류 과실류 서류 특작기타 계 유통규모 10,682 10,125 9,848 8,408 1,136 4,044 34,117 비중 (%) 31.3 29.7 28.9 24.6 3.3 11.9 100.0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2. 친환경농산물시장전망 친환경농산물의향후시장유통규모는소비자의친환경농산물에대한수요변화와친환경농업발전속도등에따라크게달라질것임. - 향후 2020년까지의친환경농산물시장유통규모전망치는친환경농산물시장 ( 소매단계 ) 이지속적으로성장하되생산량이증가함에따라성장세가점차적으로둔화될것이라는가정하에추정함. - 친환경농산물의유통관련변동요인으로 2010년저농약신규인증중단, 2016년부터저농약인증제폐지등예상되는중요한정책적변화를고려하였음. 친환경농산물시장의거래규모추정및전망 - 2010년의친환경농산물거래규모는전년대비 7% 정도증가한 3조 6,506 억원으로추정되며, 2011년에는전년대비 8.7% 증가한 3조 9,678억원, 2014년에는전년대비 7.3% 증가한 4조 8,622억원, 2015년에는전년대비 9.2% 증가한 5조 3,111억원으로증가할것으로전망됨. - 2016년에는저농약인증제가완전히폐지됨에따라저농약농가가운데일부가무농약재배나유기재배로전환될것을가정하면 ( 저농약재배농

28 가의전환율은농식품부친환경농업과의전화조사결과를기초자료로활용 ) 2016년에는 2015년보다 12.5% 감소한 4조 6,475억원으로전망됨. - 2016년이후저농약재배농가가무농약또는유기재배로전환됨에따라점차회복되어 2017년에는전년대비 11.1% 증가한 5조 1,651억원, 2018 년에는전년대비 9.8% 증가한 5조 6,714억원, 2019년에는전년대비 8.6% 증가한 6조 1,606억원, 2020년에는전년대비 7.6% 증가한 6조 6,283억원으로전체농산물시장거래규모의 19.7% 을차지할것으로전망됨 < 표 3-2>. 단위 : 억원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4 2015 2016 2020 곡류 7,751 10,682 10,861 11,906 14,834 16,295 14,942 21,310 쌀 7,218 10,125 10,279 11,236 13,873 15,214 13,802 19,685 채소류 8,386 9,848 10,005 10,951 13,443 14,773 13,803 19,685 과실류 4,195 8,408 8,304 8,614 9,035 9,488 5,515 7,866 서 류 1,144 1,136 1,188 1,369 1,968 2,217 2,366 3,375 특작 기타 3,143 4,044 4,295 5,075 7,816 8,882 9,850 14,047 총 계 31,927 34,117 36,506 39,678 48,622 53,111 46,475 66,283 주 : 1) 친환경농산물시장전망은 2020 년을목표연도로설정하고종류별로증가율이체감하는것으로가정하여추정하였음. 2016 년이후저농약인증농산물중무농약인증으로의전환은곡류 30%, 채소류 35%, 과실류 20%, 서류 35%, 특작류 20% 등으로가정하여전망하였음. 2) 2016 년부터는친환경농산물거래에무농약과유기농산물거래액만포함됨.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인증단계별친환경농산물시장규모전망 < 표 3-3>< 그림 3-2> - 유기농산물시장규모는지속적으로증가하여 2009년 2,426억원에서 2010년전년대비 3,521억원, 2015년 6,563억원, 2020년 1조 306억원이될것으로전망됨. 2020년친환경농산물시장에서유기농산물이 15.5.% 를차지할것으로전망됨. - 무농약의시장규모는 2009년 1조 3,178억원에서 2010년 1조 5,026억원,

29 2015년 3조 2,426억원, 2020년 5조 5,976억원으로지속적으로증가할것으로전망됨. 2020년친환경농산물시장에서무농약농산물이 84.5% 를차지할것으로전망됨. - 저농약의경우는 2009년 1조 8,514억원에서지속적으로감소하여 2015 년 1조 4,122억원으로전망됨. 표 3-3.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단위 : 억원 2008 2009 2010 2011 2014 2015 2016 2020 유기농 2,536 2,426 3,521 4,118 5,782 6,563 7,226 10,306 무농약 9,193 13,178 15,026 18,449 28,026 32,426 39,249 55,976 저농약 20,198 18,514 17,958 17,112 14,814 14,122 - - 전체 31,927 34,117 36,506 39,678 48,622 53,111 46,475 66,283 그림 3-2. 인증단계별친환경농산물시장전망 (2016 년이후저농약폐지시 ) 억원 70,000 저농약인증제폐지 6.6 조 60,000 50,000 5.3 조 4.6 조 5.5 조 (84%) 40,000 3.6 조 30,000 20,000 10,000-3.2조 1.8조 1.4조 1.0조 (16%) 1.4조 0.5조 0.3조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유기농무농약저농약전체 주 : 저농약의경우 2010 년부터신규인증중단, 2016 년이후저농약폐지를적용함.

30 제 4 장 세계의유기농업실천현황및시장규모 1. 세계의유기농업생산현황 IFOAM(2010) 의국가별유기농업데이터베이스구축결과에따르면, 전세계 214개국가에서유기농업을추진하는국가는 154개국으로약 72% 의유기농업실태자료가갖추어진것으로발표됨. -IFOAM의세계유기농산물생산현황에관한자료는매년보고서형태로발표되고있으며, 해당국가의통계자료나관련분야전문가의정보를기초로이루어지고있어대륙별 국가별유기농업실천현황을파악하는데유용한자료로활용할수있음. 유기농업자료구축이가장많이이루어진대륙은유럽으로전체 45개국가운데 42개국 (96%), 다음으로아시아가전체 49개국가운데 36개국 (73%), 아프리카가전체 57개국에서 39개국 (67%), 오세아니아가전체 13개국에서 8개국 (62%), 라틴아메리카가전체 45개국에서 27개국 (60%) 으로나타남. 한편유기농업자료구축이가장적게이루어지고있는대륙은북아메리카로전체 5개국가운데 2개국 (40%) 에서구축된것으로파악됨.

31 지역 표 4-1. 세계유기농자료구축현황 (2008) 유기농업자료구축국가수 지역별국가수 자료구축비중 (%) 아프리카 39 57 67 아시아 36 49 73 유럽 42 45 96 라틴아메리카 27 45 60 북아메리카 2 5 40 오세아니아 8 13 62 합계 154 214 72 자료 : IFOAM(2010). 세계유기농업실천현황에따르면세계의총유기면적은 6,685만ha이며유럽 1,776만ha, 라틴아메리카 1,628만ha, 오세아니아 1,214만ha, 아시아 734 만ha 등임 < 그림 4-1> 그림 4-1. 세계의유기농업실천면적 (2008) 자료 : IFOAM(2010).

32 표 4-2. 세계유기농업실천현황 (2008) 단위 : ha, %, 호 라틴아프리카아시아유럽오세아니아북아메리카합계아메리카총유기면적 10,347,635 7,342,490 17,763,860 16,280,060 12,140,161 2,976,493 66,850,699 유기농비중 0.09 0.23 1.72 1.30 2.76 0.63 0.81 유기농지 880,898 3,293,945 8,176,075 8,065,890 12,140,107 2,449,641 35,006,557 수경재배 - 424,917-3,478 - - 428,395 산림 185-13,934 777 - - 14,896 방목지 - 6,000 87,465 15,000-217,014 325,479 야생채집 4,325,045 3,617,627 9,486,386 7,518,469 50 309,838 25,257,415 양봉 5,141,506 - - 676,447 4-5,817,957 농가수 471,377 404,733 222,513 257,938 14,062 7,749 1,378,372 자료 : IFOAM(2010). 유기농지 (organic land) 는논과밭등에서유기농산물생산활동이이루어지는농경지를의미하며, 유기기타면적 (organic other area) 은수경재배, 산림, 방목지, 야생채집, 양봉등의유기농업활동이이루어지는지역을의미함. 대륙별유기농지의분포를보면유럽의경우유기농지가 820만ha, 유기기타면적이 960만ha이고, 아시아는유기농지면적이 330만ha로유기기타면적은 410만 ha임. 라틴아메리카는유기농지가 810만ha, 유기기타면적 820 만ha로대체로비슷한비율로나타냄. 북아메리카는유기농지가 250만ha로유기기타면적 50만ha보다넓으며, 아프리카는반대로유기농지가 90만ha 이나유기기타면적이 950만ha로약 10배더넓은것으로나타남. 오세아니아는유기기타면적은파악되지않고유기농지면적만 1,210만ha로세계에서가장넓은면적에서유기농업이실천되고있는것으로나타남.

33 그림 4-2. 세계유기농업실천지역변화추이 백만 ha 40 35 30 25 25.5 22.5 29.7 26.7 30.5 30.7 28.9 27.0 35.0 32.1 31.5 31.8 20 17.3 21.0 19.7 19.8 15 14.8 10 11.0 5 4.1 5.6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유기농지 유기기타지역 자료 : IFOAM(2010). 세계유기농업실천지역은꾸준히증가하여 2008 년에는유기농지 3,500 만 ha, 기타유기지역 3,180만ha로 10년사이에유기농지는약 3배, 기타유기지역은약 8배증가하였음. 과거유기농업실천지역의변화추세와유기농산물에대한수요증가에힘입어유기농업실천지역은향후꾸준히증가할것으로전망됨. 전체농경지중유기농업이차지하는비율은세계평균이 0.8% 이며오세아니아지역이 2.8% 로가장높음. 다음으로유럽이 1.7%, 라틴아메리카가 1.3% 등이며아시아는 0.2% 를차지함. 전체농경지중유기농업면적이차지하는비율이 1% 미만인국가는 107개국으로대부분을차지하고있으며 1~5% 인국가도 24개국임. 총경지면적의 10% 이상을유기농업을하는국가는 6개국으로조사됨.

34 그림 4-3. 유기농업면적비중별국가수 6 16 24 107 총경지면적의 10% 이상총경지면적의 5~10% 총경지면적의 1~5% 총경지면적의 1% 이하 자료 : IFOAM(2010). 그림 4-4. 유기농업실천면적및유기농업비중상위 10 개국 (2008 년기준 ) 유기농면적상위 10 개국 경지면적대비유기농비중상위 10 개국 호주아르헨티나중국미국브라질스페인인도이탈리아우루과이독일 1.85 1.82 1.77 1.13 1.02 1.00 0.93 0.91 4.01 12.02 포클랜드제도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스위스스웨덴프랑스령기아나에스토니아라트비아체코이탈리아 15.9% 11.1% 10.8% 10.5% 9.6% 9.1% 8.0% 7.9% 36.9% 29.8% 0 5 10 15 백만 ha 자료 : IFOAM(2010). 0.0% 10.0% 20.0% 30.0% 40.0% 유기농실천면적은호주가 1,200 만 ha 로가장많으며다음으로아르헨티나 400만ha, 중국 190만ha, 미국 180만ha, 브라질 180만ha 스페인 110만ha 등의순이었음.

35 그림 4-5. 유기농가의지역별분포비중과농가수상위 10 개국 (2008) 유기농가의지역별분포비중 1.0% 0.6% 16.1% 34.2% 18.7% 29.4%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자료 : IPOAM(2010). 인도우간다멕시코에티오피아탄자니아페루이탈리아인도네시아그리스스페인 유기농가수상위 10 개국 180,746 128,862 101,899 85,366 46,230 44,371 31,703 24,057 21,291 340,000 0 200,000 400,000 농가수 전체농경지중유기농업이차지하는비율은포클랜드제도가 36.9% 로가장높으며다음으로리히텐슈타인 29.8%, 오스트리아 15.9%, 스위스 11.1%, 스웨덴 10.8%, 프랑스령기아나 10.5% 등의순이었음. 세계유기농업에종사하는가구수는약 138만호이며아시아와아프리카가각각 47만, 40만호로가장높고, 유럽과라틴아메리카가 22만, 26만호임. 아시아와아프리카의 1인당유기농업경지면적이유럽과라틴아메리카에비해적은것으로보임. 세계유기농업실천농가상위국가는인도가약 34만호로가장많으며우간다가 18만호로뒤를이음. 그외멕시코 13만호, 에티오피아 10만호, 탄자니아 8만호로파악됨. 전체유기지역중논, 밭에기인한유기농업활동을하는유기농지는전대륙에서 2007년보다 9.0% 증가함. 그중라틴아메리카가약 25.7% 로가장크게증가하였으며, 아시아와오세아니아가각각 14.0%, 11.5% 가증가하였음.

36 그림 4-6. 대륙별유기농지재배면적변화 백만 ha 1.4 1.2 12.11 12.14 1.0 8 7.63 8.18 6.41 8.07 6 4 2 0.88 0.88 2.89 3.29 2.20 2.45 0 아프리카아시아유럽라틴아메리카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2007 2008 자료 : IFOAM(2010). 표 4-3. 대륙별 유기농지 재배면적 변화 (2007~200 8) 단위 : ha, % 지역 2007년 2008년 변화율 아프리카 875,370 880,898 0.6 아시아 2,890,243 3,293,945 14.0 유럽 7,627,825 8,176,075 7.2 라틴아메리카 6,414,709 8,065,890 25.7 오세아니아 12,110,758 12,140,107 11.5 북아메리카 2,197,042 2,449,641 0.2 합계 32,115,947 35,006,557 9.0 자료 : IFOAM(2010).

37 그림 4-7. 유기농지의지역별분포비중 (2008) 7.0% 2.5% 9.4% 34.7% 23.0% 23.4% 오세아니아 유럽 라틴아메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자료 : IFOAM(2010). 유기농지의지역별분포비중은오세아니아가 1,214만 107ha(34.7%) 로가장넓으며유럽이 817만 6,075ha(23.4%), 라틴아메리카가 806만 5,890ha (23.0%), 아시아가 329만 3,945ha(9.4%), 북아메리카 244만 9,641ha(7.0%), 아프리카 88만 898ha(2.5%) 의비중임. 100% 90% 80% 70% 그림 4-8. 지역별유기농지이용현황 (2008) 60% 50% 40% 30% 20% 10% 경작지영구작물농지농경지영구초지기타토지 0%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라틴 아메리카 북오세아니아아메리카 합계 자료 : IFOAM(2010).

38 표 4-4. 대륙별유기농지이용현황 (2008) 이용형태아프리카아시아유럽 라틴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단위 : ha 경작지 95,908 174,297 3,280,918 173,951 838,070 573 4,563,717 농경지 3,055 1,111,844 13,966 14,255 163,593 362,339 1,641,120 영구작물 358,150 147,065 774,345 647,601 50,519 3,422 1,981,102 영구초지 46,055 601,504 3,757,487 4,997,490 768,903 11,660,000 21,831,439 기타토지 377,730 1,259,236 377,292 2,232,592 628,556 113,773 4,989,179 합계 880,898 3,293,945 8,176,075 8,065,890 2,449,641 12,140,107 35,006,556 주 : 유기농토지이용형태는 FAO 의토지분류방식을기초로함. 경작지는 5 년생이하의작물및목초를재배하는토지, 농경지는곡물등을중심으로한농작물이재배되고있는토지, 영구작물및영구초지는한번파종되거나이식한후여러해동안자라는작물및작목을말하며코코아, 커피, 과일나무등을포함함. 자료 : IFOAM(2010). 합계 아프리카의유기농지 88 만 898ha 는주로기타토지가 37 만 7,730ha(43%), 커피, 올리브등을생산하는영구작물토지 35 만 8,150ha(41%) 로이용됨. 아시아의유기농지 329만 3,945ha는기타토지가 125만 9,236ha(38%), 일반농작물을재배하는농경지가 111만 1,844ha(34%) 임. 유럽의유기농지 817 만 6,075ha 는경종작물을주로재배하는경작지가 328 만 918ha(40%), 영구초지작물을재배하는지역이 375만 7,487ha(46%) 로주로사용됨. 라틴아메리카의유기농지 806만 5,890ha는기타토지가 223만 2,592ha (28%), 영구초지작물을재배하는지역이 499만 7,490ha(62%) 임. 북아메리카의유기농지 244 만 9,641ha 는기타토지가 62 만 8,556ha(26%),

39 경작지 83만 8,070ha(34%), 구초지작물을재배하는지역이 76만 8,903ha (31%) 임. 오세아니아의유기농지 1,214 만 107ha 에서영구초지작물재배가 1,166 만 ha(96%) 로대부분을차지하고있음. 표 4-5. 작물별 유기농지 이용현황 작물종류 면적면적작물종류 ha % ha % 곡물 1,990,200.6 43.6 뿌리작물 43,807.7 1.0 사료작물 1,471,453.1 32.2 의료및아로마작물 40,784.6 0.9 단백질작물 237,752.1 5.2 산업용작물 23,285.1 0.5 채소 208,564.6 4.6 종자및묘목 12,733.3 0.3 지방종자 175,975.3 3.9 딸기 3,046.4 0.1 섬유질식물 131,974.3 2.9 화훼및장식작물 1,860.0 0.0 경작작물 113,529.2 2.5 홉 151.5 0.0 기타경작작물 60,991.3 1.3 담배 85.0 0.0 사탕수수 47,523.3 1.0 버섯 0.2 0.0 합계 4,563,717.6 100.0 자료 : IFOAM(2010). 유기농지 456만 3,717ha 중에서작물별유기농지이용현황을살펴보면곡물이 199만 201ha(43.6%) 에서, 사료작물이 147만 1,453ha(32.2%) 에서재배되고있어곡물과사료작물이대부분 (75.8%) 을차지함. 그외단백질작물, 채소, 지방종자, 섬유질작물, 경작작물뿌리작물, 의료및아로마작물, 산업용작물, 종자및묘목등이재배됨.

40 표 4-6. 작물별 영구 작물 농지 이용 현황 (2008) 단위 : ha, % 작물종류 면적 점유율 작물종류 면적 점유율 커피 463,614.7 23.4 열대및아열대과일 141,345.8 7.1 올리브 428,225.2 21.6 온대과일 118,445.8 6.0 견과 178,638.0 9.0 감귤류 60,132.0 3.0 코코아 170,786.7 8.6 차 49,099.9 2.5 포도 148,252.1 7.5 기타 222,561.0 11.2 합계 1,981,101.2 100.0 자료 : IFOAM(2010). 영구작물농지에서재배되는작물은주로커피와올리브로각각 46 만 3,615ha, 42만 8,225ha에서재배되고있음. 그외견과류, 코코아, 포도, 기후대별과일류등이재배됨. 그림 4-9. 유기양봉과야생채집실천현황 (2008) 지역별유기양봉및야생채집면적분포 유기양봉및야생채집면적상위 10 개국 1% 핀란드 7.80 26% 31% 브라질잠비아나미비아 3.00 6.18 5.24 인도 2.78 볼리비아 1.03 중국 0.76 30% 12% 아르헨티나모로코보스니아 0.64 0.60 0.33 아프리카아시아라틴아메리카유럽북아메리카 자료 : IFOAM(2010). 0 5 10 백만 ha

41 표 4-7. 유기야생채집및양봉부문이용현황 (2008) 형태 면적 (ha) 형태 면적 (ha) 야생채취합계 11,769,456 야생채취 70,000 베리류 8,102,321 기타야생채취 30,199 양봉 5,817,957 야생팔미토 26,800 야생의료및아로마 3,307,461 사탕수수 12,422 야생견과류 1,189,018 야생과일 12,094 야생지방작물 400,000 야생버섯 517 해초 203,113 야생대나무 230 벌꿀 133,784 합계 31,075,372 자료 : IFOAM(2010). 유기양봉과야생채집면적분포는아프리카 31%, 라틴아메리카 30%, 유럽 26%, 아시아 12% 의분포임. 국가별로는핀란드가 780만ha로가장넓으며브라질 620만ha, 잠비아 520만ha, 나미비아 300만ha, 인도 280만ha 등의순임. 유기양봉과야생채집은주로베리류와양봉, 아로마작물, 견과류에서이뤄지고있음. 그림 4-10. 개도국의유기농업실천현황 (2008) 유기농업실천면적상위 10 개국 아르헨티나 4.01 중국브라질 1.85 1.77 인도우루과이 1.02 0.93 멕시코우크라이나우간다튀니지페루 0.33 0.27 0.21 0.17 0.15 0 2 4 6 백만 ha 자료 : IFOAM(2010). 총경지면적대비유기농업비중상위 10 개국 동티모르우루과이도미니카공화국바누아투 6.7% 6.3% 6.3% 6.1% 상투메프린시페솔로몬제도 5.0% 4.3% 아르헨티나멕시코니우에사모아 3.0% 2.4% 2.3% 1.9% 0.00% 2.00% 4.00% 6.00% 8.00%

42 개도국의유기농업실천현황에서면적상위국가로는아르헨티나 (400만ha), 중국 (190만ha), 브라질 (180만ha), 인도 (100만ha), 우루과이 (90만ha), 멕시코 (30만ha) 등의순이며, 총경지면적대비유기농업실천비중상위국가는동티모르 (6.7%), 우루과이 (6.3%), 도미니카공화국 (6.3%), 바누아투 (6.1%), 상투메프린시페 (5.0%), 솔로몬제도 (4.3%), 아르헨티나 (3.0%) 등임. 2. 유럽및북미의유기식품시장규모 세계의유기식품시장규모는빠르게성장하고있음. 2008년의유기식품시장규모는약 509억달러로 2003년의약 250억달러의두배에해당하는규모로성장하였음. 유기식품시장의빠른성장은세계적인경제위기에도불구하고소비자의수요가꾸준히성장하는북아메리카지역의영향이큼. 그림 4-11. 세계유기식품시장규모변화 억달러 600 500 509 400 332 300 230 200 152 100 0 1999 2002 2005 2008 자료 : IFOAM(2010).

43 최근발생한세계적인경제위기는국제유기식품시장에소비자의지출감소와유기식품산업성장에위축요인으로작용할수있음. 그러나북아메리카지역에서유기식품에대한지속적인수요증가와함께유럽지역국가들이경제위기에서점차호전되고있어향후유기식품시장의성장은상당기간지속적인성장이있을것으로판단됨. 유럽의유기식품시장은세계에서가장큰수준이며주로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등서유럽에집중되어있음. 2008년유기식품시장규모는약 260억달러로추정됨. 유기식품에대한수요가가장큰곳은스칸디나비아반도일대의국가들로덴마크, 스웨덴, 스위스, 오스트리아등임. 이지역에서는전체식품소비중 4% 이상을유기식품에소비함. 유럽의유기식품시장은규모가가장크고, 가장경쟁적임. 유럽은수많은유기식품브랜드와생산자가있으며대부분국가단위로시장참여가이뤄짐. Hipp, Wessanen, Alpro 등과같은유럽의대표적유기식품회사들의참여로지역적시장또한발달하고있는상황임. 유럽의유기식품시장에서는제품에대한다양한라벨링을통해소비자에게상품을적극적으로홍보하고동시에상품의부가가치를높임. 중앙및동유럽지역은서유럽에비해비교적작은유기식품시장을형성하고있지만, 성장속도는빠른편임. 체코등일부국가에서유기식품에대한수요가빠르게증가하고있으나공급이다소부족한상황임. 중앙및동유럽지역에서는유기과일, 채소, 허브, 시리얼, 곡물등이생산되지만주로서유럽국가로수출되며, 중앙및동유럽국가들은서유럽의유기가공식품을다시수입하기도함.

44 표 4-8. 유럽 주요국의 유기농업 실천현황 (2008) 국가 유기농업비중생산자수소매시장 1인당소매비중면적 (ha) (%) ( 명 ) ( 백만유로 ) ( 유로 ) (%) 그리스 317,824 3.84 24,057 58.0 5.2 - 네덜란드 50,434 2.61 1,402 537.3 32.8 2.1 노르웨이 52,248 5.05 2,702 131.1 27.7 1.3 덴마크 150,104 5.64 2,753 724.0 132.3 6.7 독일 907,786 5.35 19,813 5,850.0 71.2 3.4 러시아 46,962 0.02-60.0 0.4 - 루마니아 140,132 1.02 2,775 2.5 0.1 - 룩셈부르크 3,535 2.70 85 40.9 84.5 3.3 리투아니아 122,200 4.61 2,797 3.0 84.9 - 몬테네그로 1,876 0.36 25 0.1 0.1 - 벨기에 35,721 2.60 901 304.6 28.3 1.3 보스니아 691 0.03 304 - - - 불가리아 16,663 0.55 254 4.5 0.6 - 스웨덴 336,439 10.79 3,686 623.0 67.8 3.4 스위스 119,286 11.08 6,111 905.0 119.2 4.9 스페인 1,129,844 4.54 21,291 350.0 7.7 - 슬로바키아 140,755 7.27 350 4.3 0.8 - 슬로베니아 29,838 6.10 2,067 4.0 2.0 - 시프러스 2,322 1.59 305 1.5 1.9 - 아일랜드 44,751 1.08 1,220 104.0 23.6 - 에스토니아 87,346 9.63 1,259 5.8 4.3 0.2 영국 737,631 4.57 5,383 2,494.0 40.8 - 오스트리아 382,949 12.87 19,961 810.0 97.0 5.3 우크라이나 269,984 0.65 118 5.0 - - 이탈리아 1,002,414 7.78 44,371 1,970.0 33.0 3.0 체코 341,632 8.04 1,946 68.0 6.6 0.8 크로아티아 9,993 0.83 632 32.5 9.1 0.7 터키 109,387 0.43 15,406 2.4 - - 포르투갈 229,717 6.61 1,949 70.0 6.6 0.5 폴란드 313,944 2.03 14,888 50.0 1.3 0.1 프랑스 580,956 2.12 13,298 2,591.0 40.5 1.7 핀란드 150,374 6.56 3,991 74.2 13.9 1.0 헝가리 122,816 2.90 1,614 20.0 1.8 0.2 EU 합계 7,539,763 4.27 196,649 - - - 유럽합계 8,176,075 1.72 222,513 - - - 주 : 포르투갈의데이터는 2007 년기준임. 자료 : IFOAM(2010).

45 유럽의유기농업면적은 817만 6,075ha이며총농업면적중 1.7% 에해당함. 이중 EU 회원국의유기농업면적은 753만 9,763ha이며 EU 회원국총경지면적대비 4.3% 를차지함. 유럽전체유기농업생산자는 22만 2,513명이며, 이중 EU 회원국의생산자는 19만 6,649명임. 유럽의유기농업면적은스페인 112만 9,844ha, 이탈리아 100만 2,414ha, 독일 90만 7,786ha, 영국 73만 7,631ha, 프랑스 58만 956ha 순이며, 유기농업비중은오스트리아 12.9%, 스위스 11.1%, 스웨덴 10.8% 등의순임. 그림 4-12. 유럽의유기식품시장규모및비중상위 10 개국 (2008 년기준 ) 유기식품시장규모상위 10개국 독일 5,850 프랑스 2,591 영국 2,494 이탈리아 1,970 스위스 905 오스트리아 810 덴마크 724 스웨덴 623 네델란드 537 스페인 35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백만유로 자료 : IFOAM(2010). 전체식품시장대비유기식품시장비중상위 10 개국 덴마크 6.7% 오스트리아스위스 5.3% 4.9% 독일룩셈부르크이탈리아 3.4% 3.3% 3.0% 네델란드프랑스노르웨이벨기에 2.1% 1.7% 1.3% 1.3% 0% 2% 4% 6% 8% 유럽의유기식품국가별시장규모는독일 58 억 5,000 만유로, 프랑스 25 억 9,100만유로, 영국 24억 9,400만유로, 이탈리아 19억 7,000만유로로주로서유럽국가에집중되어있음. 전체식품시장대비유기식품시장비중이가장높은국가는덴마크 6.7%, 오스트리아 5.3%, 스위스 4.9%, 독일 3.4% 등의시장점유율을나타냄. 특히덴마크인들은유기식품에대한수요가높아유기식품소비를증가세로이끌고있음.

46 표 4-9. 북미지역 유기농업 면적과 생산자 수 (2008) 국가 유기농면적 (ha) 비중 (%) 생산자수 ( 호 ) 캐나다 628,556 0.93 3,903 미국 1,821,085 0.57 10,159 합계 2,449,641 0.63 14,062 자료 : IFOAM(2010). 북미지역의유기농업총면적은 244만 9,641ha로북미지역총농업면적의 0.6% 에해당함. 이중미국이 182만 1,085ha로미국의총경지면적대비 0.6% 를차지하고있으며, 캐나다는 62만 8,556ha로캐나다총경지면적의 0.93% 임. 북미지역의유기농업생산자수는 1만 4,062명이며, 미국은 1만 159명, 캐나다가 3,903명임. 그림 4-13. 미국의유기농지면적변화 백만 ha 2.1 1.8 1.64 1.82 1,5 1.2 1.23 0.9 0.6 0.38 0.39 0.40 0.37 0.54 0.72 0.85 0.78 0.89 0.3 0.0 1992 1993 1994 1995 1997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8 자료 : IFOAM(2010). 북미지역중대부분을차지하는미국의유기농지면적은 1995년부터빠르게증가하고있음. 2008년의북미지역의유기농지면적은 2003년 90만ha의약두배수준으로증가했음.

47 그림 4-14. 미국의유기식품시장규모및시장비중변화 백만달러 25,000 3.5% 4% 20,000 15,000 10,000 5,000 0 1.6% 1.4% 1.1% 1.2% 0.8% 0.9% 8,625 7,360 3,594 4,286 5,039 6,100 2.8% 2.5% 2.2% 1.9% 22,900 16,718 13,831 11,902 10,381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8 3% 2% 1% 0% 시장규모 시장비중 자료 : IFOAM(2010). 북미지역은미국과캐나다를중심으로유기식품에대한소비가빠른속도로증가하고있음. 2008년도북미지역의유기식품시장은 2007년대비 16% 증가한약 230억달러로추산됨 (USDA ERS, 2010). 북미지역의유기식품시장의약 90% 이상이미국의유기식품시장이차지하고있으며, 이는미국내전체식품시장 3.5% 에해당하는수치임. 북미지역의유기식품시장은수요에비해공급이부족하기때문에주로라틴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로부터수입된상품들이거래됨. 북미지역의유기식품생산이수요를따라가지못하는이유는북미지역농가들의바이오연료생산에대한관심이크기때문이며, 따라서미국과캐나다회사들이북미지역의유기식품수요를위해라틴아메리카지역에대한투자를확대하고있는상황임 (IFOAM, 2010).

48 3. 중국의녹색식품생산현황및시장규모 2 중국의녹색식품은 지속가능한발전원칙에따라특정생산방식으로생산하며, 전문적인전담기관의인가를거쳐녹색식품상표의사용을허가받은안전하고고품질의영양가가높은무공해식품 을지칭함. 녹색식품의등급은크게 A등급 ( 무농약및저농약농산물 ) 과 AA등급 ( 유기농산물 ) 으로구분됨. 중국은정부의적극적인녹색식품육성전략에힘입어 2008년녹색식품생산업체수 6,220개, 상품수 1만 8,000개, 생산량 9,400만톤, 검사면적 1,840 만 ha에이르렀으며, 생산량기준으로 1998년이후매년 27.7% 성장한것으로나타났음. 전체농작물재배면적중녹색식품산지인증면적의비중도 1998년 1.5% 에불과했으나, 2008년에는 11.8% 로크게증가하였음. 2008년기준중국의녹색식품생산량은우리나라친환경농산물생산량 (218 만 8,311톤 ) 의무려 43배, 친환경농업인증면적 (17만 4,107ha) 의약 106배에이르는상당한규모임 < 표 4-10>. 표 4-10. 중국의녹색식품생산, 소비, 수출현황 구 분 1998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연평균증가율 (%) 업체수 ( 개 ) 619 1,756 2,047 2,836 3,695 4,615 5,740 6,220 28.8 상품수 ( 개 ) 1,018 3,046 4,030 6,496 9,728 12,868 15,238 18,000 37.7 생산량 ( 만톤 ) 840 2,500 3,260 4,600 6,300 7,200 8,300 9,400 31.0 검사 ( 만ha) 226 445 514 596 653 1,000 1,549 1,840 21.4 면적 % 1.45 2.88 3.37 3.88 4.2 6.57 10.09 11.77 - 자료 : 중국녹색식품발전센터 (2010). 전형진외 (2010) 2 중국의현황은전형진외 (2010) 의보고서에제시된자료를기초로작성되었음.

49 그림 4-15. 중국의녹색식품인증면적및생산량추이 만톤 10,000 9,000 8,000 7,000 6,000 5,000 생산량 만ha 2,000 1,800 1,600 1,400 1,200 1,000 4,000 3,000 2,000 1,000 - 생산면적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800 600 400 200 - 중국의녹색식품산지인증면적은크게농작물재배, 과수재배, 차재배, 목초사료재배, 수산양식장, 기타로구분됨. 2007년의산지인증면적이 2005년에비해크게증가한것은농작물재배와목초사료재배가크게늘었기때문임. 중국의녹색식품산지별인증면적구성 (2007년기준 ) 을살펴보면농작물재배산지가전체산지인증면적의 53.6% 로가장많은것으로나타났고, 목초사료재배 21.7%, 과수원 6.1%, 수산양식 4.9%, 차재배 0.9% 등의순으로많은것으로나타났음 - 농작물재배산지의품목류별비중을살펴보면, 2007년기준으로식량작물의비중이 60.7% 로가장높고, 유지작물이 19.2%, 채소류및과채류가 8% 임.

50 표 4-11. 중국의 녹색식품 산지 인증면적의 구분단위 : 만, ha, % 산지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면적비율면적비율면적비율 농작물재배 297.7 45.6 421.6 42.2 830.4 53.6 - 식량작물 253.8 38.9 234.3 23.4 504.4 32.6 - 유지작물 21.1 3.2 78.6 7.9 159.6 10.3 - 식용당작물 4.7 0.7 19.0 1.9 27.9 1.8 - 채소류, 과채류 12.5 1.9 28.1 2.8 66.1 4.3 - 기타작물 5.6 0.9 61.5 6.2 72.5 4.7 과수원 33.4 5.1 183.0 18.3 94.4 6.1 차재배 3.2 0.5 7.4 0.7 14.2 0.9 목초사료재배 63.5 9.7 30.7 3.1 336.8 21.7 임지 68.6 10.5 - - - - 수산양식 184.3 28.2 282.3 28.2 75.5 4.9 기타 2.6 0.4 74.7 7.5 197.7 12.8 합계 653.4 100.0 1,000.0 100.0 1,548.9 100.0 자료 : 전형진외 (2010). 녹색식품생산기업의평균생산량과평균매출액지표를보면기업의규모화가실현되지않고있음을알수있음 < 표 4-11>. 또한녹색식품시장의시장집중도도낮은상태임을알수있음. 이를통해중국녹색식품시장은다수의중소기업이주종을이루고있으며가공기술또한높지않은상태임을유추해볼수있음. 2008년도중국의녹색식품시장규모는매출액기준 2,580억위안 3 으로 1996 년 155.3억위안에비해시장규모가약 17배확대되었음. 대략녹색식품시장규모의 1/50정도인 50억위안내외의시장규모를가진것으로알려진유 3 한화로환산하면약 41.1조원규모임 (2008년도연평균환율매매기준율 1위안 = 159.4원적용 ).

51 기식품을합해중국의친환경농식품시장규모는약 2,630 억 ( 한화로약 41.9 조원 ) 위안내외인것으로판단됨. 농식품산업총생산액에서녹색식품매출액의비중도 2000년 1.42% 에서 2008년 3.41% 로꾸준히증가하는추세임. 다만, 중국의 GDP에서녹색식품매출액이차지하는비중은 1% 미만으로극히미미하지만 1996년 0.22% 에서 2008년 0.86% 로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임. 표 4-12. 중국녹색식품기업의규모화지표변화추이 연도 기업수상품수생산량매출액기업평균 ( 개 ) ( 개 ) ( 만톤 ) ( 억위안 ) 상품수생산량매출액 1996 463 712 364 155 1.54 0.79 0.34 2000 964 1,831 1,500 400 1.90 1.56 0.41 2001 1,217 2,400 2,000 500 1.97 1.64 0.41 2002 1,756 3,046 2,500 597 1.73 1.42 0.34 2003 2,047 4,030 3,260 723 1.97 1.54 0.35 2004 2,836 6,496 4,600 860 2.29 1.62 0.30 2005 3,695 9,728 6,300 1,030 2.63 1.71 0.28 2006 4,615 12,868 7,200 1,500 2.79 1.56 0.33 2007 5,740 15,238 8,300 2,000 2.65 1.45 0.35 2008 6,220 18,000 9,400 2,580 2.89 1.51 0.41 자료 : 전형진외 (2010). 중국의녹색식품은총량규모가부단히확대되는가운데수출도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음. 1997년부터 2008년까지 11년동안녹색식품수출액은 0.7억달러에서 24.8억달러로약 35배증가하였으며, 연평균증가율은무려 38.1% 에달했음. 이러한실적은같은기간농식품전체수출액의연평균증가율인 9.6% 와비교하면가히폭발적이라고할수있음. < 그림 4-16> 에서보는바와같이중국의녹색식품수출은 2002 년을전후로

52 증가속도에서차이가나타나고있음. 1997~2002년에녹색식품수출이급격히증가하였으나 2003년이후완만한증가추세를보이고있음. 2002년이전 5년과이후 6년동안의연평균수출증가율은각각 63.9%, 19.8% 로 WTO 가입이후녹색식품의수출증가세가둔화되었음을알수있음. 그림 4-16. 중국의녹색식품수출액및비중변화추이 (1997~200 7 년 ) 억달러 30.0 25.0 20.0 15.0 10.0 5.0 녹색식품수출액 녹색식품수출액의비중 비율 (% ) 8.0 7.0 6.0 5.0 4.0 3.0 2.0 1.0 0.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0.0 녹색식품수출액 0.7 0.9 1.3 2.0 4.0 8.4 10.8 12.5 16.2 19.6 21.4 24.8 녹색식품수출액의비중 0.56 0.75 1.14 1.52 2.91 5.35 5.79 6.18 6.77 7.18 6.60 7.11 주 : 중국의식품수출액은 中國統計年鑒 에근거하여식품및주요식용공급산동물, 음료및담배류, 동식물유지및초의금액을합한것임. 자료 : 전형진외 (2010). 중국의전체농식품수출액에서녹색식품의비중은 1997년 0.6% 에서 2000 년 1.5%, 2005년 6.8%, 2007년 7.1% 로증가하였음. 4 농식품수출액에서녹색식품의비중이 2002년이후에급격하게확대된것으로나타났음. 녹색식품의수출시장이틈새시장으로부터점차주류시장으로진입하고있는것으로판단됨. 4 어떤식품수출액통계자료를근거하느냐에따라비중은달라질수있음. 2009년산동성연대시 ( 煙台市 ) 에서열린제10회중국녹색식품박람회상에서농업부는녹색식품의수출액이전체식품수출액의 9.3% 를차지하고있다고언급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