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
|
- 유빈 낭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수시과제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연구책임자 : 최 윤 선 (본원선임연구위원) : 남 승 연 (본원연구위원) 연 구 지 원 : 이 상 아 (본원위촉연구원) 연 구 기 간 : ~
2
3 발 간 사 여성 일자리는 사회 내 여성과 남성간의 차이를 좁히고 개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중요 한 부분입니다. 이에 정부는 가장 중요한 화두이자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지역별일자리 정책 강화와 지역 일자리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 니다. 또한 최근 정부는 성별 고용 격차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성평등 정책의 일환으로 여성고용정 책을 강도 높게 추진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고용유지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자리 정책이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됨에 따라 여성일자리 정책과 사업도 지역 일자리 정책과의 통합과 조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합니다. 특히, 경기 도는 서울을 중심에 두고 31개 시군이 에워싸고 있으며,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이 모두 존 재하는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어, 여성 일자리 정책 역시 이와 같은 지역적 특성을 고 려하지 않고서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우리 연구원에서는 2014년 일자리전략센터를 설치하고,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2014년에는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2,120 개소)와 여성근로자 조사(2.059명)를 실시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에는 경기도 미취업여성 조 사(2,000명)를 마쳤습니다. 특히, 본 조사들은 31개 시군의 표본을 설계하여 지역별 다양한 분 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지역 단위의 여성 일자리 통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보고서는 5개 권역별 조사 자료뿐 아니라 지역 여성고용현황이나 지역의 일자리 사업, 여성 직업교육훈련 현황 등의 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정책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경기도 차원에서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을 위해 고려할만한 전략적 과제를 제안하였습니다. 이는 지역 별 여성 일자리 창출과 취업지원을 위한 정책과 사업을 발굴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4 본 연구보고서가 발간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먼저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 원회 전문위원이신 김포대학교의 우경 교수님, 신한대학교의 장인봉 교수님, 여주대학교의 김경 섭 교수님, 한국지역경제연구원의 김봉원 박사님, 성결대학교의 정태욱 교수님의 자문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또한 여성일자리에 대한 현장의 의견을 주신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센터장님과 여 성새일센터장님들을 비롯한 사업담당자 분과 관련 자료를 제공해주신 여성가족과의 안치권 여성 일자리팀장님을 비롯한 공무원 여러분께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 보고서를 꼼꼼히 읽고 귀중한 의견을 주신 세분의 평가위원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원내 일자리전략센터 를 맡아 많은 일들을 추진하면서도 방대한 양의 연구를 잘 마무리 해 준 연구책임자 최윤선 선임연구위원과 공동연구자로 참여한 남승연 연구위원에게 진 심으로 감사드리며, 이상아 위촉연구원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아무쪼록 본 연구결과가 경기도 31개 시군에 여성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015년 12월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원장
5 Abstract Strategies for Women Employment Policies in Different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Choi, Yoon sun Nam, seung yeon Gyeonggi Province is large and involves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It consists of various units of labor market areas. Hence, the results of women employment policies and projects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each institution in charge. Accordingly, this study divides the administrative units of Gyeonggi Province into five areas in reference to the districts of Gyeonggi Provi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mmittee which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regarding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including proficiency policies. Surveys conducted in 2014 and 2015 among business entities, women workers, and the unemployed were then reanalyzed according to each area to examine the policy demands, regional environments, and policy bases for women employ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mprehensive basis for regional employment projects and vocational training courses necessary to implement Gyeonggi Province women employment policies in lin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 direction for women employment policies. The suggested strateg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goals of women employment policies specially designed for Gyeonggi Province, and more specifically, each area of it.
6 To achieve the goals of women employment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among areas of it,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to be taken into account comprehensively over Gyeonggi Province: 1) expansion and efficiency of women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 operation; 2)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women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demands for new recruit training programs; 3) more job creations of job and family life compatibility in Gyeonggi Province; 4)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career discontinuity; and 5) establishment of governance for regional employment policies and projects. The structure was designed for completeness and harmony among the five areas. As for the data for each si/gun unit, accuracy is not secured because there is no official survey available on regional policy demands, and thus this data is simply for reference. Keywords: women employment policy, regional employment policy, women employment, governance for employment policies
7 연구요약
8
9 연구요약 1. 연구개요 양성평등법 제정에 따라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한 여성고용정책은 양성평등한 일자리 확 대와 성차별 개선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와 관련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경 기도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크고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에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 사업 추진 전략이 요구됨.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여성일자리정책 관련 수요 분석에 기초하여 지역의 여성 일자리 정책과 사업 추진 시 필요한 지역별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음. 이와 함께 2014년과 2015 년에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지역의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분석하여 제공하는데 2차 목적이 있음. 다만 통계자료의 분석과 향후 지역고용정책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해 경기도인적자원위 원회가 경기도를 지역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5개 권역을 여성일자리 정책환경 분석 단위로 하였음. 또한 자료 활용에 대한 편의를 위해 각 권역별 일반환경, 여성경제활동현황, 여성 일자리정책기반, 사업체, 여성취업자, 여성미취업자 정책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정책시사 점을 제시하였음. <그림 1>은 위와 같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절차와 주요 방법을 요약적으로 제시한 것임. - iii -
10 <그림 1> 주요 연구방법과 자료수집방법 행정 및 통계 자료 분석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통계조사자료 재분석 경기도내 31개 시 군 2015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 분석 통계청 자료 분석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자료 분석 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경기도 여성취업자 근로실태조사 2014년 자료 재분석 경기도 여성취업욕구조사 2015년 자료 재분석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새일센터장 간담회 권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 각 5개 권역(북서부, 북동부, 동부, 남부, 중부) 전문위원 참여 권역별 새일센터장 간담회 - 1차 간담회 : 북부 6개 기관 - 2차 간담회 : 동남부 6개 기관 - 3차 간담회 : 중부 6개 기관 2.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필요성 본 연구에서는 각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에 앞서 우리나라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의 특수성과 지역일자리 정책 강화에 따라 여성일자리 정책도 특수성과 지역성을 동시에 고 려한 전략적 접근이이 요구된다는 점을 논의하였음. (여성일자리 정책 특수성) 여성일자리 특수성은 1) 국가적인 차원에서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국가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여성고용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2) 성별 고용 격 차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성평등 정책의 일환으로 여성고용정책을 강도 높게 추진할 필요성 이 있으며, 3) 특히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고용유지 지원 정책을 강화하되, 4) 다양한 법과 제도 및 정책이 현장에 착근되어야만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5) 특수성에 기초한 여성일자리 정책이더라도 지역 일자리 정책과의 통합과 조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음. - iv -
11 (지역일자리정책 강화) 따라서 현재 정부가 고용정책의 주요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일 자리 정책 강화 추세와 경기도의 지역 일자리 정책 및 사업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 에서는 지역일자리 주요 정책으로 지역별 일자리 목표 공시제와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 그 리고 지역별 인적자원원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체계를 살펴보았으며, 경 기도 일반 특성과 여성고용현황, 경기도 신규인력 양성 수급 분석과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체계 및 사업현황 등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을 검토하였음. 이러한 분석에 기초 하여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논의 구조를 다음 <그림 2>과 같이 제시하고, 권역별 정책 시사점과 경기도 차원의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음. <그림 2>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진 전략 논의 구조 3. 권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가. 북서부권역 :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1)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 v -
12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북서부권역에는 각 시군별로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고양시는 여성근로자복지센터와 여성인력개발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고용서비스는 이용자의 접근성 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행정구역 중심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한 협력적 연계 서 비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북서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 훈련과정은 총 34개 과정으로 사무회계 과정이 총 19개 과정으로 50% 이상을 차지함. 특히 사무, 회계 관련 과정은 인력 공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숙련부족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기 업이 요구하는 숙련 수준과 그에 맞는 과정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북서부권역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44.9%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 음. 북서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08,943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 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이 60.3%에 달함. 2) 북서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미취업 여성 중 49.5%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 신규 새일센터 사업 지정을 받은 김포(56.4%)와 파 주(62.5%)의 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41.8%)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관(27.7%)으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김포 시 미취업여성의 경우 여성직업교육훈련 기관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9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3.5%였으며, 그 중 46.4%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북서부권역 사업체 중 25.3%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인력난을 겪는 이유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16.4%였고, 지역별로는 고 양시에 비해 김포시나 파주시 사업체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럼에도 불 - vi -
13 구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2.7%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과 장기근속여부에 주안점을 두고 있 다는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2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 났음.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1.3%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6.9%)과 구인구직 알선(17.6%)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 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5%) > 구인구직 알선(35.4%) > 기업 환경개선금 지원사업(30.2%)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 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 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5.9%로 나타났으나,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8.3%,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4.9%에 불과함. 뿐만 아니라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 한다는 응답 비율이 41.8%였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56.3%에 달하고 있어, 사업체에 취업한 여성 근로자 중 거의 과반수는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 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 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나. 북동부 :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포천시, 연천군, 남양주시, 구리시 1)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북동부권에는 총 7개 시군이 포함되어 있음. 7개 시 군 중 의정부 시, 포천시, 남양주시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여성근로자복지센터 1개소, 고용센터 1개소, 고용+센터 2개소가 위치하고 있음. 현재 북동부 지역 중 연천, 양주, 동두천 지역에 - vii -
14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부재한 상황임. 따라서 양주 북단에 새일센터 유치를 통해 동두천과 연천지역을 포괄하면서 섬유산업과 관련한 여성 일자리 수요와 지역 여성에 대한 고용서비 스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북동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 훈련과정은 총 29개 과정으로 분야별로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 상대적으로 교육연구 (8개)와 직업상담(6개) 과정이 14개 과정으로 48.3%를 차지함. 필요인원을 축소조정한 분 야인 이 미용 숙박 분야 5개 과정, 섬유 및 의복과정 1개 과정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남. (여성경제활동상태) 북동부권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44.9%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인 연천군의 고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남. 북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23,035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66.1%에 달함. 2) 북동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미취업 여성 중 42.8%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남양주시 미취업여성의 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61.4%로 매우 높게 나타남.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53.0%)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여성교육훈련기 관(31.3%)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 (52.4%)과 취업처 및 인턴제 소개(20.4%), 직업 교육훈련(13.4%) 순으로 나타남. 여성교육 훈련기관을 이용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65.8%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포천시(81.0%)와 남양주시(82.2%) 미취업여성의 이용 의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새일센터 설치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유추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8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0.9%였으며, 그 중 49.0%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북동부권 사업체 중 22.9%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북동부권의 경우 - viii -
15 관리직, 기술직, 사무직에 대한 인력난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그 외의 직종에 대해 서는 20% 안팎의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음. 인력난을 겪는 이유 중 사업장 위 치나 교통 문제 때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17.5%였으며, 지역별로는 양주시와 포천시의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 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7.9%로 낮은 편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6.0%)과 장기근속여부(21.1%)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았으며, 북동부권역의 경우 20대 후반(18.5%) 여성인력 채용 비율보다 30대 초반 (22.2%)과 40대 초반(23.6%)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이에 비해 40대 후 반 여성 비율은 7.6%로 크게 감소하고 있음.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7.3%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9.2%)과 구인구직 알선(30.0%)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 은 기업환경개선금지원사업(40.7%) >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 (37.8%) > 구인구직 알선(34.5%)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 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41.0%로 나타났으나,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9.1%,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22.5%에 불과함. 뿐만 아니라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 한다는 응답 비율이 47.4%였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69.2%에 달하고 있어, 사업체 취업한 여성 근로자 중 거의 70%가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 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가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 ix -
16 다. 동부권역 :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양평군, 가평군, 이천시, 여주시 1)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동부권역에는 7개 시군 중 2개 시군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1개의 여성인력개발센터, 3개 지역에 고용센터가 위치하고 있음. 동부권역은 아직까지 고용 + 센터가 설치되지는 않은 상태임. 동부권역은 사실상 가평과 양평, 여주와 이천, 그리고 성남, 하남, 광주권의 노동권이 존재함. 가평과 양평지역은 농촌지역으로 향후 농촌형 새일 센터를 유치하여 동부권 구직 여성의 고용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동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련과정은 총 20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사무회계 과정이 4개, 이미용 숙박과정이 4개 과 정, 직업상담과정 3개 과정, 그 외의 분야에는 1,2개 과정이 운영되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동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50.3%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동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425,295명이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이 61.2%에 달함. 2) 동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미취업 여성 중 38.3%는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는 타 권역에 비해서는 낮은 비율임. 그런데 지역별로는 양평군, 가평군, 여주시 등과 같은 농촌지역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또한 동부 권역의 경 우 직업훈련기관 중 여성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 공훈련기관(28.4%)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광주시와 이천시의 여성교육훈련기관 선호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8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6.7%로 나타났으며 타 - x -
17 권역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냄.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중 63.6%는 이직 전직을 예 정하고 있어, 특히 동부권역의 경우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동부권역 사업체 중 23.6%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특히 성남시의 경 우 전문직(43.6%)과 기술직(35.9%)의 인력난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는 응답 비율은 18.7%로 나타 났음.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4.0%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6.3%)과 장기근속여부 (17.3%)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3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7.5%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 원교육 특강지원(35.1%)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인구직 알선(18.5%)로 나타났 고,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41.2%) > 기업환 경개선금 지원사업(39.6%) > 구인신청 및 구직 여성 추천(32.1%)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 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1.4%로 타 권역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음.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 다는 응답 비율이 51.4%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타냈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 가 있다는 응답도 70.4%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이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 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 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 xi -
18 라. 남부권역 : 용인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평택시, 안성시 1)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남부권역에는 6개 시군 중 4개 시군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2개의 여성인력개발센터, 1개의 여성근로자복지센터, 3개 지역에 고용센터와 1개의 고용+ 센터가 위치함. 화성과 용인의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수원과 접해 있어 남부권역은 수원을 중심으로 여성고용서비스 기관이 밀집된 형태임. 따라서 화성과 평택의 사업단지가 밀집되 어 있는 남부 지역과 평택과 안성 경계 지역의 사업체와 여성구직자를 위한 고용서비스는 다소 부족한 상황임. 향후 이들 지역의 새일센터 유치를 통해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남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련과정은 총 43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교육연구와 상담과정이 18개 과정으로 41.9%를 차 지함. 그 외에 사무회계 과정이 8개, 보건의료 7개 과정 등이 운영되었음. (여성경제활동상태) 남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46.8%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남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790,752명으로 북동부나 북서부권역의 2배 수준임. 그런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이 67.0%에 달하고 있어 장기 경력단절 여성 비율이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수준임. 직장을 그만 둔 이유는 개인, 가족 관련 이유라는 응답이 60.7%에 달함. 2) 남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남부권의 경우 동부권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임금 수준에 대한 고려(28.2%)와 함께 일 가정 양립 가능 한 근무 여건(24.7%)과 안정적인 일자리(24.9%)에 대한 고려 비율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냄. 미취업 여성 중 38.9%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남. 상대적으로 안성시(59.3%), 화성시(47.2%), 수원시(46.5%)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 xii -
19 이 높게 나타남. 또한 남부 권역의 경우 직업훈련기관 중 공공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는 35.1%로 나타남. 상대적 으로 평택시(68.8%), 용인시(49.0%), 오산시(44.4%)의 여성교육훈련기관 선호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44.7%)에 대한 요구가 높았 으며, 그 다음으로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26.1%), 직업교육훈련(16.4%) 순으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 식(3.8점)하고 있었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8.2%로 나타났음.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중 56.0%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남부권 사업체 중 25.3%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생산직 인력난을 겪 고 있다는 응답이 51.2%로 매우 높게 나타남. 그 밖에는 기술직(28.9%) > 단순노무직 (24.0%) > 전문직(22.3%) 순으로 나타남. 특히 화성, 평택 지역의 생산직 구직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는 응답 비율이 23.1%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화성시의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남. 그러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 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1.7%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7.3%)과 장기근속여부(17.8%)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았으며,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40.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무 직 여성인력 활용 비율이 46.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남부권 사업체는 타 지역에 비해 남성 대비 여성 직원의 경쟁력을 다소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냄.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43.7%였으며, 협력 경험은 기업체 직 원교육 특강지원(33.0%)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인구직 알선(20.1%)로 나타났 으나,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7.9%) > 기업 환경개선금 지원사업(33.5%) >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9.3%) 순으로 나타남. 따라서 - xiii -
20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 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0.7%로 타 권역에 비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음. 시간제 채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7.5%,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3.8%에 불과함.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 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56.1%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타냈으 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67.2%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이 일 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 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 인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마. 중부권역 :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 과천시, 시흥시, 안산시, 광명시, 부천시 1) 중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환경 (여성고용서비스 기반) 중부권역에는 6개 시 중 5개시에 새일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4개 의 여성인력개발센터, 2개의 여성근로자복지센터, 5개의 고용센터가 위치함. 중부지역의 경 우 시흥과 안양에 새일센터가 각각 2개씩 있음. 시흥의 경우 도일 행정지역 내 있으나 지역 차가 있어 중복성이 낮지만, 안양의 경우 2개의 새일센터가 인접해 있어 구직자와 구인처의 중복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 따라서 새일센터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 중복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여성인력개발센터는 현재 새일센터가 부재한 과천, 의왕, 군포 지역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여성 구직자와 구인처를 포괄하여 사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중부권에서 운영된 여성 신규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한 직업훈 - xiv -
21 련과정은 총 140개 과정이 운영되었으며, 2014년 대비 인력양성 규모를 상향 조정한 사무, 회계과정이 58개 과정으로 41.4%를 차지함. 그러나 인력양성 규모를 하향 조정한 이미용, 숙박, 음식 과정이 30개 과정 운영되었으며, 전년도와 비슷한 규모인 교육, 연구, 상담은 31개 과정이 운영됨. (여성경제활동상태) 중부권역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46.8%로 지역별 편차는 크지 않음. 중부권 미취업여성 규모는 2015년 상반기 기준 808,403명으로 5개 권역 중 가장 큰 규모 며, 남부권역과 비슷한 규모임. 그런데 취업 경험이 있었던 미취업 여성들 중 경력단절 기 간이 1년 이상인 비율은 58.0%로 남부권에 비해서는 10%p 낮은 수준임. 직장을 그만 둔 이 유는 개인, 가족관련 이유라는 응답이 58.3%에 달함. 2) 중부권역 정책 수요 분석 (미취업여성 정책수요) 사업체 취업희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사회적 경제기업 취 창 업 희망 비율이 23.9%로 나타남. 중부권의 경우 구직 시 임금 수준을 중시한다는 비율이 3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일 가정 양립 가능한 근무 여건(28.5%)과 안정 적인 일자리(18.4%)에 대한 고려 순으로 나타남. 45.9%의 미취업 여성이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상대적으로 광명(56.9%), 부천(54.5%), 시흥(54.8%), 안산(50.9%)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이 높게 나타남. 또한 중부 권역의 경우 직업훈련기관 중 여성직업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선호가 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공훈련기관(33.6%)으로 나타남. 취 창업을 위한 정책 요구 조사 결과, 취 창업 관련 정보제공(47.5%)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그 다 음으로 취업할 곳과 인턴제 소개(22.5%), 직업교육훈련(16.5%) 순으로 나타남. (취업여성 정책수요) 취업여성들의 일자리 만족도는 3.57점으로 경기도 평균(3.59점) 수준 을 나타냄. 상대적으로 과천시 여성 취업자의 만족도가 3.1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의 왕시는 3.75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xv -
22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인식(3.8점)하고 있었 음. 3년 이내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1.6%로 나타났으며, 사직 의향이 있다는 응 답자 중 65.2%는 이직 전직을 예정하고 있어, 이들 이직 전직 지원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위한 정책 대응이 요구됨. (사업체 정책 수요) 중부권역 사업체 중 22.6%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생산직 인력난을 겪고 있다는 응답이 43.0%로 매우 높게 나타남. 그 밖에는 기술직(31.6%) > 단순노무직 (24.0%)과 전문직(20.9%) 순으로 나타남. 인력난의 원인 중 사업장 위치나 교통 문제라는 응답 비율은 7.6%로 타 권역에 비해 낮은 응답 비율을 나타냄. 그러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다는 응답 비율은 1.9%로 매우 낮은 수준임. 여성인력 채용 시 업무경력(55.3%)과 장기근속여부(21.0%)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응답비 율이 높음. 20대 후반 여성인력 채용 비율이 30.0%로 가장 높았으며, 사무직 여성인력 활 용 비율이 46.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중부권역 사업체는 남성과 여성 직원의 경 쟁력을 비슷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 사업체는 52.9%로 타 권역에 비해 인지도가 높 았으며, 협력 경험은 구인구직 알선(29.2%)과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4.6%) 비율이 높 게 나타남. 향후 협력 희망 비율은 여성채용장려금 등 정부 정책에 대한 정보제공(34.7%) > 기업환경개선금 지원사업(30.0%) > 기업체 직원교육 특강지원(28.9%) 순으로 나타남. 따 라서 기업 발굴 시 새일센터 지원 사업 외에도 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중앙 정부와 경기도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긴 안목에서는 향후 기업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시간제 정책 수요) 미취업여성 중 시간제 취업 희망 여성은 31.4%로 나타났음. 시간제 채 용 계획이 있는 업체는 8.1%, 정부의 시간선택제 채용 지원 사업 참여의사 있는 기업은 13.7%에 불과함. 그런데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 중 동일한 조건이면 시간단축을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47.6%로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선호를 나타냈으며, 시간선택제 전환의사가 있 - xvi -
23 다는 응답도 64.2%에 달하고 있어 상당수의 취업 여성이 일하는 시간을 줄인 상태로 고용 을 유지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향후 기업이 이를 얼마나 수용하여 고용이 보장된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과 전환제를 도입하는가에 따라 여성고용률 제고와 경력단절 예방에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가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4.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가. 여성 고용서비스 확충 및 효율화 전략 경기도는 향후 2018년까지 도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총 30개소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경기도 차원에서는 새일센터의 추가 확충이 필요한 지역과 권역별 효율화 전략 을 제시하면 다음의 <표 1> 과 같음. <표 1> 권역별 고용서비스기관 운영 전략 구분 새일센터 확충 전략 효율화 전략 북서부 - 신규새일센터 역량 제고/직업훈련과정 계열화 북동부 양주(동두천접경) 동부 양평(농촌형/가평접경) 남부 안성(평택접경) 중부 - 안양창조(경력개발형특화집중) 안양새일(의왕, 군포, 과천 서비스 강화)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연계 강화) 구직자 입장에서는 접근성과 자신이 원하 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이용하게 됨. 따라서 권역 내 여성인력개발 기관 간 직업교육 훈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공유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직업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분야별 계열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xvii -
24 나. 지역 신규양성훈련 수요를 고려한 직업훈련과정 운영 전략 경기도는 경력단절 여성 취업 지원을 위해 새일센터 사업 추진과 함께 도 특화사업을 통해 중앙정부 사업의 효과를 배가하고 여성들의 수요에 부흥할 수 있는 특화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본 절에서는 지역의 특성, 특히 수요를 고려한 사업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음. 권역별로 현재 운영 중인 2015년 현재 여성인력개발기관에 운영 된 새일센터 직업훈련과정, 경기도 고학력, 고숙련과정, 시군특화직업훈련과정, 지역맞춤형 직업훈련과정을 분야별로 2015년 양성과정 수요 증가, 유지, 축소 별로 분석해보면, 다음의 <표 2>와 같음. 본 연구 에서는 권역별로 분야별로 어떤 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를 각 사업단위에서 확인하고 향후 직업교육과정을 기획 운영 시 참조 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나, 향후 권역별 여성 직업훈련과정을 다양화하고, 특히 동일 분야라도 숙련 불일치 분야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 후 여성이 경쟁력을 갖춘 분야의 산업 및 기업 수요에 맞춤형 직업교육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 <표 2> 업종별 권역별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단위: 과정, %) 과정분류 (조정) 전체 북서부 북동부 동부 남부 중부 전체 261 (100.0) 사무회계관리( +) 94 (36.1) *직업상담, 교육, 연구( ) 70 (26.8) 사회복지( +) 10 (3.8) *보건의료( ) 9 (3.4) 영업판매( +) 1 (0.4) 이미용숙박음식 ( -) 42 (16.1)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12 (4.6) 섬유 및 의복 ( -) 4 (1.5) 창업 12 (4.6) 기타 7 (2.7) 주. ( +) : 상향, ( -) 하향, ( ) 유지, * 공급초과이나 숙련인력 불일치 분야 - xviii -
25 다. 일 가정 양립형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전략 경기도는 여성일자리 관련 주요 공약 사업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위한 특화사업을 추 진 중에 있음. 특히 기업의 인식제고와 여성을 고려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위한 여성고 용우수기업 선정사업과 컨설팅 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어 이와 관련한 전략을 제안하였음. (일 가정양립형 일자리 확대) 정책수요 분석을 통해 확인된 미취업여성 정책 요구는 임금 과 고용안정성을 갖춘 일자리와 함께 일 가정 양립형 일자리 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 타남. 그러나 기업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과 같은 방식의 인력 운영을 계속하 고 있는 상황임. 따라서 현재 경기도가 민선 6기 여성일자리 특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를 위한 기업지원 사업과 여성고용서비스기관 역량제고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함. 무엇보다 기업의 인식제고를 위한 사업을 확대하고 우수 사례 발 굴과 우수 사례 확산을 위한 전략적 노력이 요구됨. 라. 경력단절 예방 지원 사업 추진 전략 여성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이 재취업지원에서 여성의 경력개발과 고용유지 지원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 본 절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경기도에서 여성의 고용유지를 위 한 정책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음. (경력유지 및 경력개발형 전직지원 서비스 지원) 취업여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재직 여 성 중 약 10%는 3년 이내 이직 및 전직 의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됨. 그러나 기혼 여성 취업 자는 상시적으로 일 가정 양립에 따른 시간 부족으로 인해 재직 기간 중 경력개발이나 전 직을 위한 사전 준비가 쉽지 않고, 사직 후 이직을 준비하게 될 경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 이 경력단절에 이르게 되거나, 경력단절 기간이 장기화되는 경향을 보임. 따라서 여성의 경 력단절 예방을 위한 전직지원 사업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새일센터 사후관리 사업이 나 여성 근로자복지센터에서 추진 할 수 있도록 경기도 차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음. - xix -
26 (전환형 시간제 활성화 지원) 취업여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 용이 안정된 여성 취업자의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음. 그러나 기업은 신 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정부가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환형 시간제 사업 참여가 저조한 상황임. 따라서 경기도가 2016년부터 추진 할 예정인 컨설팅 지원 사업을 통 해 여성고용 촉진을 위한 전환형 시간제 도입 확대를 지원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확산 할 필요가 있음. 마. 여성 일자리 정책 및 사업 추진 거버넌스 구축 전략 시군별 일자리 목표 공시제 등 지역 중심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 사업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 는 상황임. 그 과정에서 기존에 여성정책 주무부서 중심으로 추진되던 여성일자리 사업이 일자리 정책 추진 주무 부서로 이관되는 경우가 생기고 있음. 특히 중앙정부와 경기도 차원 에서 확대하고 있는 고용과 복지를 연계한 고용+센터가 확대되면서 신규 새일센터를 유치 하는 시군이 생기고 있어, 시군별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 체계와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의 여 성일자리 관련 기관의 참여 유형에 차이가 발생되고 있음. 따라서 각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 진 체계와 연계 방식을 파악하여 사업이 지역 특화 일자리 창출 사업과의 연계 속에서 추진 될 수 있도록 지원 할 필요가 있음. - xx -
27 목 차 제 1장 서론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및 내용 4 3. 연구방법 및 절차 7 제 2장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논의의 배경 1. 여성 일자리 정책의 특수성 지역 일자리정책 강화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논의 구조 53 제 3장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서부권역 일반 현황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북서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북서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수요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122 제 4장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북동부권역 일반 현황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북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북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i -
28 제 5장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동부권역 일반 현황 동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동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동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271 제 6장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남부권역 일반현황 남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남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남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346 제 7장 중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 환경 분석 1. 중부권역 일반 현황 중부권역 여성일자리사업 기반 중부권역 여성경제활동 현황 중부권역 여성일자리 정책분석 소결 : 요약 및 정책 과제 423 제 8장 결론 1.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경기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향후 과제 434 참고문헌 ii -
29 표 목 차 <표 1-1> 각조사별 시군 응답자 수 9 <표 1-2> 전문위원 간담회를 위한 사전 질문 내용 10 <표 1-3> 새일센터장 간담회 면접을 위한 사전 질문 내용 10 <표 2-1> 지역 고용 정책의 신구 패러다임 19 <표 2-2> 지역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사업 선정 현황 23 <표 2-3> 경기도 도시계획 현황(2014) 28 <표 2-4> 경기도 철도 및 전철 현황(2013) 28 <표 2-5> 경기도 도로 현황(2013) 28 <표 2-6>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29 <표 2-7> 경기도 연령별 인구 증감률 30 <표 2-8> 경기도 외국인 현황 31 <표 2-9> 경기도 GRDP 전망 32 <표 2-10> 경기도 여성노동시장 규모 35 <표 2-11> 경기도 취업자 수와 고용률 39 <표 2-12> 경기도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39 <표 2-13> 경기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41 <표 2-14> 경기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42 <표 2-15>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44 <표 2-16> 경기도 20세 이상 54세 이하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45 <표 2-17> 양성훈련 수요 공급과 미충원사유별 직종분포 47 <표 2-18> 양성훈련 필요인원 48 <표 2-19> 경기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52 <표 3-1> 북서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60 <표 3-2> 북서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61 <표 3-3> 북서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62 <표 3-4> 북서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63 - iii -
30 <표 3-5> 북서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65 <표 3-6>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66 <표 3-7> 북서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67 <표 3-8> 북서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68 <표 3-9> 북서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68 <표 3-10> 북서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69 <표 3-11>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69 <표 3-12> 북서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71 <표 3-13>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71 <표 3-14> 북서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72 <표 3-15> 북서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73 <표 3-16>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74 <표 3-17> 북서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74 <표 3-18> 북서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75 <표 3-19> 북서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76 <표 3-20> 북서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77 <표 3-21> 북서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77 <표 3-2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79 <표 3-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79 <표 3-24> 북서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80 <표 3-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81 <표 3-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82 <표 3-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83 <표 3-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84 <표 3-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85 <표 3-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85 <표 3-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86 <표 3-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87 <표 3-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88 - iv -
31 <표 3-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89 <표 3-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90 <표 3-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91 <표 3-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92 <표 3-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93 <표 3-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94 <표 3-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95 <표 3-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95 <표 3-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96 <표 3-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97 <표 3-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97 <표 3-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98 <표 3-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99 <표 3-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100 <표 3-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101 <표 3-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102 <표 3-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103 <표 3-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04 <표 3-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105 <표 3-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06 <표 3-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107 <표 3-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08 <표 3-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08 <표 3-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109 <표 3-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시 중시하는 점 110 <표 3-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10 <표 3-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111 <표 3-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12 <표 3-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v -
32 <표 3-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113 <표 3-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113 <표 3-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14 <표 3-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115 <표 3-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116 <표 3-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17 <표 3-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18 <표 3-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18 <표 3-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19 <표 3-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20 <표 3-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21 <표 3-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121 <표 4-1> 북동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130 <표 4-2> 북동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131 <표 4-3> 북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132 <표 4-4> 북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133 <표 4-5> 북동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136 <표 4-6>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137 <표 4-7> 북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138 <표 4-8> 북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141 <표 4-9> 북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141 <표 4-10> 북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141 <표 4-11>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142 <표 4-12> 북동부권 시군별 인력채용현황(2015) 143 <표 4-13>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144 <표 4-14> 북동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145 <표 4-15> 북동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146 <표 4-16>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vi -
33 <표 4-17> 북동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147 <표 4-18> 북동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148 <표 4-19> 북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149 <표 4-20> 북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150 <표 4-21> 북동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150 <표 4-22>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152 <표 4-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152 <표 4-24> 북동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153 <표 4-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154 <표 4-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155 <표 4-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156 <표 4-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157 <표 4-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158 <표 4-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158 <표 4-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159 <표 4-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160 <표 4-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161 <표 4-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162 <표 4-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163 <표 4-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165 <표 4-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166 <표 4-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167 <표 4-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167 <표 4-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168 <표 4-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168 <표 4-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169 <표 4-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170 <표 4-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171 <표 4-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vii -
34 <표 4-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173 <표 4-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174 <표 4-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175 <표 4-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176 <표 4-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177 <표 4-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78 <표 4-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179 <표 4-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80 <표 4-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182 <표 4-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82 <표 4-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82 <표 4-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184 <표 4-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84 <표 4-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84 <표 4-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186 <표 4-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186 <표 4-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186 <표 4-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187 <표 4-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187 <표 4-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88 <표 4-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189 <표 4-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190 <표 4-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91 <표 4-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92 <표 4-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92 <표 4-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93 <표 4-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94 <표 4-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95 <표 4-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viii -
35 <표 5-1> 동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204 <표 5-2> 동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205 <표 5-3> 동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206 <표 5-4> 동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207 <표 5-5> 동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210 <표 5-6> 동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211 <표 5-7> 동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212 <표 5-8> 동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214 <표 5-9> 동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215 <표 5-10> 동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216 <표 5-11>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217 <표 5-12> 동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218 <표 5-13> 동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219 <표 5-14> 동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 (2015년 상반기) 220 <표 5-15> 동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221 <표 5-16> 동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221 <표 5-17> 동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222 <표 5-18> 동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223 <표 5-19> 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24 <표 5-20> 동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225 <표 5-21> 동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225 <표 5-22>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227 <표 5-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227 <표 5-24> 동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228 <표 5-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229 <표 5-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230 <표 5-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231 <표 5-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232 <표 5-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ix -
36 <표 5-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233 <표 5-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234 <표 5-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235 <표 5-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236 <표 5-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237 <표 5-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238 <표 5-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240 <표 5-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241 <표 5-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242 <표 5-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242 <표 5-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243 <표 5-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243 <표 5-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244 <표 5-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245 <표 5-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246 <표 5-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247 <표 5-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248 <표 5-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249 <표 5-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250 <표 5-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251 <표 5-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252 <표 5-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253 <표 5-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254 <표 5-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255 <표 5-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257 <표 5-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257 <표 5-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257 <표 5-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259 <표 5-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x -
37 <표 5-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259 <표 5-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260 <표 5-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261 <표 5-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261 <표 5-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262 <표 5-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262 <표 5-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263 <표 5-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264 <표 5-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265 <표 5-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266 <표 5-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267 <표 5-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267 <표 5-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268 <표 5-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269 <표 5-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270 <표 5-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270 <표 6-1> 남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280 <표 6-2> 남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281 <표 6-3> 남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283 <표 6-4> 남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283 <표 6-5> 남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286 <표 6-6> 남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288 <표 6-7> 남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288 <표 6-8> 남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290 <표 6-9> 남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291 <표 6-10> 남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291 <표 6-11>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292 <표 6-12> 남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xi -
38 <표 6-13> 남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294 <표 6-14> 남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295 <표 6-15> 남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296 <표 6-16> 남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296 <표 6-17> 남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297 <표 6-18> 남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298 <표 6-19> 남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99 <표 6-20> 남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300 <표 6-21> 남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규모 300 <표 6-22> 남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02 <표 6-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302 <표 6-24> 남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303 <표 6-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304 <표 6-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05 <표 6-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306 <표 6-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07 <표 6-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308 <표 6-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308 <표 6-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09 <표 6-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310 <표 6-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311 <표 6-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12 <표 6-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13 <표 6-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315 <표 6-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16 <표 6-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317 <표 6-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17 <표 6-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318 <표 6-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xii -
39 <표 6-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19 <표 6-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20 <표 6-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321 <표 6-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322 <표 6-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323 <표 6-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 324 <표 6-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325 <표 6-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326 <표 6-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327 <표 6-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328 <표 6-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329 <표 6-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330 <표 6-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332 <표 6-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332 <표 6-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332 <표 6-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334 <표 6-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334 <표 6-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334 <표 6-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336 <표 6-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336 <표 6-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336 <표 6-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337 <표 6-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337 <표 6-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338 <표 6-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339 <표 6-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340 <표 6-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341 <표 6-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342 <표 6-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xiii -
40 <표 6-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343 <표 6-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344 <표 6-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345 <표 6-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345 <표 7-1> 중부권 도시계획 현황(2014) 354 <표 7-2> 중부권 주민등록인구 현황(2014) 355 <표 7-3> 중부권 시군 성별 연령별 인구(2014) 357 <표 7-4> 중부권 시군별 지역내 총생산 규모(2012) 357 <표 7-5> 중부권 시군별 사업체수 및 성별 종사자 수(2013) 360 <표 7-6> 중부권 시군별 여성 고용서비스 기관(2015년 12월 기준) 361 <표 7-7> 중부권 시군별 직접일자리 사업 362 <표 7-8> 중부권 시군별 직업능력개발훈련 364 <표 7-9> 중부권 시군별 고용서비스 365 <표 7-10> 중부권 시군별 창업지원 365 <표 7-11>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366 <표 7-12> 중부권 시군별 훈련예상 수요(2015) 370 <표 7-13> 중부권 시군별 여성노동시장 규모(2015년 상반기) 371 <표 7-14> 중부권 시군별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상반기) 372 <표 7-15> 중부권 시군별 취업자 수와 고용률 373 <표 7-16> 중부권 시군별 여성 연령별 고용률 373 <표 7-17> 중부권 성별 취업자 학력 및 혼인상태(2014년 하반기) 374 <표 7-18> 중부권 시군별 취업자의 산업 및 성별 규모(2014년 하반기) 375 <표 7-19> 중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376 <표 7-20> 중부권 시군별 성별 취업자 임금 및 근로조건(2014년 하반기) 377 <표 7-21> 중부권 시군별 미취업자 377 <표 7-22> 중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79 <표 7-23> 연령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 분포(2014년 하반기) 379 <표 7-24> 중부권시군별20세이상54세이하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xiv -
41 <표 7-25>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유무 381 <표 7-26> 시군별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82 <표 7-27> 시군별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1순위) 383 <표 7-28> 시군별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84 <표 7-29>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385 <표 7-30> 시군별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목적 385 <표 7-31>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86 <표 7-32>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1순위) 387 <표 7-33> 시군별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1순위) 388 <표 7-34> 시군별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89 <표 7-35> 시군별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90 <표 7-36> 시군별 업무스트레스 인식 392 <표 7-37> 시군별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93 <표 7-38> 시군별 일을 하는 이유 394 <표 7-39> 시군별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94 <표 7-40> 시군별 3년 이내 사직 의향 395 <표 7-41> 시군별 퇴사 후 계획 395 <표 7-42> 시군별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96 <표 7-43> 시군별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97 <표 7-44> 시군별 인력난 여부 398 <표 7-45> 시군별 인력난 겪는 직종 399 <표 7-46> 시군별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400 <표 7-47> 시군별 인력난 해소 방법(1순위) 401 <표 7-48> 시군별 여성인력 고용 이유(1순위) 402 <표 7-49> 시군별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1순위) 403 <표 7-50> 시군별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1순위) 404 <표 7-51> 시군별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405 <표 7-52> 시군별 여성인력 활용 직종(1순위) 406 <표 7-53> 시군별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xv -
42 <표 7-54> 시군별 사무직 채용 가능 연령대 409 <표 7-55> 시군별 사무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409 <표 7-56> 시군별 사무직 월 지급 가능 급여 409 <표 7-57>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 가능 연령대 411 <표 7-58> 시군별 서비스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411 <표 7-59> 시군별 서비스직 월 지급 가능 급여 411 <표 7-60> 시군별 생산직 채용 가능 연령대 413 <표 7-61> 시군별 생산직 채용시 중시하는 점 413 <표 7-62> 시군별 생산직 월 지급 가능 급여 413 <표 7-63>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414 <표 7-64>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경로 414 <표 7-65>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415 <표 7-66> 시군별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416 <표 7-67> 시군별 선호하는 근로형태 417 <표 7-68>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418 <표 7-69> 시군별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419 <표 7-70>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419 <표 7-7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420 <표 7-72> 시군별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421 <표 7-73>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422 <표 7-74> 시군별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422 <표 8-1> 권역별 고용서비스기관 운영 전략 430 <표 8-2> 업종별 권역별 여성직업교육훈련과정 운영 xvi -
43 그 림 목 차 <그림 1-1> 경기도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5개 권역 구분 5 <그림 1-2> 주요 연구방법과 자료수집방법 11 <그림 2-1>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사업 흐름 24 <그림 2-2> 경기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구조 25 <그림 2-3> 경기도 행정구역 27 <그림 2-4>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추이 29 <그림 2-5> 경기도 인구 피라미드(2014) 30 <그림 2-6> 시도별 순 이동인구(2014) 31 <그림 2-7> 경기도 실질지역내총생산 추이( ) 32 <그림 2-8> 경기도 잠재 성장률 추정 33 <그림 2-9> 경기도 산업구조 추이( ) 34 <그림 2-10> 경기도 사업체수와 성별 종사자수 추이( ) 34 <그림 2-11> 경기도 여성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증감 36 <그림 2-12> 경기도 결혼 유무별 경제활동인구(2015) 36 <그림 2-13> 경기도 성별 비경제활동인구 추이 37 <그림 2-14>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5) 37 <그림 2-15> 경기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 37 <그림 2-16> 경기도 취업,미취업여성 규모 38 <그림 2-17> 경기도 여성 취업자 특성(2014년 하반기) 40 <그림 2-18> 경기도 성별 취업자 종사자상 지위(2014 하반기) 42 <그림 2-19>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 특성(2014년 하반기) 43 <그림 2-20> 경기도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44 <그림 2-21> 경기도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46 <그림 2-22> 경기도 일자리정책 추진 체계 49 <그림 2-23> 지역별 여성일자리 추진 전략 논의 구조 55 - xvii -
44 <그림 3-1> 북서부권 59 <그림 3-2> 북서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61 <그림 3-3> 북서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2014) 62 <그림 3-4> 북서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64 <그림 3-5> 북서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65 <그림 3-6>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69 <그림 3-7> 북서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72 <그림 3-8> 북서부권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73 <그림 3-9> 북서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74 <그림 3-10> 북서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76 <그림 3-11>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78 <그림 3-12> 북서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79 <그림 3-13> 북서부권20세이상54세이하여성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하반기) 80 <그림 3-14> 북서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81 <그림 3-15> 북서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82 <그림 3-16> 북서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83 <그림 3-17> 북서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84 <그림 3-18> 북서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85 <그림 3-19>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86 <그림 3-20>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87 <그림 3-21> 북서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88 <그림 3-22> 북서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89 <그림 3-23> 북서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90 <그림 3-24> 북서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90 <그림 3-25> 북서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91 <그림 3-26> 북서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92 <그림 3-27> 북서부권 일을 하는 이유 93 <그림 3-28> 북서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94 <그림 3-29> 북서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94 - xviii -
45 <그림 3-30> 북서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95 <그림 3-31> 북서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96 <그림 3-32> 북서부권 인력난 여부 97 <그림 3-33> 북서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98 <그림 3-34> 북서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99 <그림 3-35> 북서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99 <그림 3-36> 북서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100 <그림 3-37> 북서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101 <그림 3-38> 북서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102 <그림 3-39> 북서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03 <그림 3-40> 북서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104 <그림 3-41> 북서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05 <그림 3-42> 북서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사업체 107 <그림 3-43> 북서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109 <그림 3-44> 북서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111 <그림 3-45>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113 <그림 3-46>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14 <그림 3-47> 북서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비율 115 <그림 3-48> 북서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116 <그림 3-49> 북서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16 <그림 3-50> 북서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17 <그림 3-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18 <그림 3-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19 <그림 3-53>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20 <그림 3-54>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20 <그림 3-55> 북서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121 <그림 4-1> 북동부권 129 <그림 4-2> 북동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xix -
46 <그림 4-3> 북동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132 <그림 4-4> 북동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135 <그림 4-5> 북동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136 <그림 4-6>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142 <그림 4-7> 북동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144 <그림 4-8> 북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145 <그림 4-9> 북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147 <그림 4-10> 북동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149 <그림 4-11>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151 <그림 4-12> 북동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152 <그림 4-13> 북동부권20세이상54세이하여성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하반기) 153 <그림 4-14> 북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154 <그림 4-15> 북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155 <그림 4-16> 북동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156 <그림 4-17> 북동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157 <그림 4-18> 북동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158 <그림 4-19>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159 <그림 4-20>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160 <그림 4-21> 북동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161 <그림 4-22> 북동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162 <그림 4-23> 북동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163 <그림 4-24> 북동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164 <그림 4-25> 북동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164 <그림 4-26> 북동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165 <그림 4-27> 북동부권 일을 하는 이유 166 <그림 4-28> 북동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167 <그림 4-29> 북동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168 <그림 4-30> 북동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169 <그림 4-31> 북동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xx -
47 <그림 4-32> 북동부권 인력난 여부 171 <그림 4-33> 북동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171 <그림 4-34> 북동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172 <그림 4-35> 북동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173 <그림 4-36> 북동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174 <그림 4-37> 북동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175 <그림 4-38> 북동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176 <그림 4-39> 북동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177 <그림 4-40> 북동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178 <그림 4-41> 북동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180 <그림 4-42> 북동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181 <그림 4-43> 북동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183 <그림 4-44> 북동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185 <그림 4-45>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187 <그림 4-46>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188 <그림 4-47> 북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189 <그림 4-48> 북동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190 <그림 4-49> 북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190 <그림 4-50> 북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191 <그림 4-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192 <그림 4-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193 <그림 4-53>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194 <그림 4-54>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194 <그림 4-55> 북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195 <그림 5-1> 동부권 203 <그림 5-2> 동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205 <그림 5-3> 동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2014) 206 <그림 5-4> 동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xxi -
48 <그림 5-5> 동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210 <그림 5-6>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217 <그림 5-7> 동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219 <그림 5-8> 동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220 <그림 5-9> 동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222 <그림 5-10> 동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24 <그림 5-11>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226 <그림 5-12> 동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227 <그림 5-13> 동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228 <그림 5-14> 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229 <그림 5-15> 동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230 <그림 5-16> 동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231 <그림 5-17> 동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232 <그림 5-18> 동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233 <그림 5-19>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234 <그림 5-20>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235 <그림 5-21> 동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236 <그림 5-22> 동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237 <그림 5-23> 동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238 <그림 5-24> 동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239 <그림 5-25> 동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239 <그림 5-26> 동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240 <그림 5-27> 동부권 일을 하는 이유 241 <그림 5-28> 동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242 <그림 5-29> 동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243 <그림 5-30> 동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244 <그림 5-31> 동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245 <그림 5-32> 동부권 인력난 여부 246 <그림 5-33> 동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xxii -
49 <그림 5-34> 동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247 <그림 5-35> 동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248 <그림 5-36> 동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249 <그림 5-37> 동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250 <그림 5-38> 동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251 <그림 5-39> 동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252 <그림 5-40> 동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253 <그림 5-41> 동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255 <그림 5-42> 동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256 <그림 5-43> 동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258 <그림 5-44> 동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260 <그림 5-45>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262 <그림 5-46>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263 <그림 5-47> 동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264 <그림 5-48> 동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265 <그림 5-49> 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265 <그림 5-50> 동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266 <그림 5-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267 <그림 5-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268 <그림 5-53> 동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269 <그림 5-54> 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269 <그림 5-55> 동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270 <그림 6-1> 남부권 279 <그림 6-2> 남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282 <그림 6-3> 남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282 <그림 6-4> 남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286 <그림 6-5> 남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287 <그림 6-6>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xxiii -
50 <그림 6-7> 남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294 <그림 6-8> 남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295 <그림 6-9> 남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297 <그림 6-10> 남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299 <그림 6-11> 남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01 <그림 6-12> 남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302 <그림 6-13> 남부권 20세 이상 54세 이하 여성 미취업자의 직장을 그만둔 사유(2014년 하반기) 303 <그림 6-14> 남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304 <그림 6-15> 남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05 <그림 6-16> 남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306 <그림 6-17> 남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07 <그림 6-18> 남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308 <그림 6-19> 남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09 <그림 6-20> 남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310 <그림 6-21> 남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311 <그림 6-22> 남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12 <그림 6-23> 남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13 <그림 6-24> 남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314 <그림 6-25> 남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314 <그림 6-26> 남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15 <그림 6-27> 남부권 일을 하는 이유 316 <그림 6-28> 남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17 <그림 6-29> 남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318 <그림 6-30> 남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19 <그림 6-31> 남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20 <그림 6-32> 남부권 인력난 여부 321 <그림 6-33> 남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321 <그림 6-34> 남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322 <그림 6-35> 남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xxiv -
51 <그림 6-36> 남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324 <그림 6-37> 남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325 <그림 6-38> 남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326 <그림 6-39> 남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327 <그림 6-40> 남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328 <그림 6-41> 남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330 <그림 6-42> 남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331 <그림 6-43> 남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333 <그림 6-44> 남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335 <그림 6-45>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337 <그림 6-46>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338 <그림 6-47> 남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339 <그림 6-48> 남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340 <그림 6-49> 남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340 <그림 6-50> 남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341 <그림 6-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342 <그림 6-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343 <그림 6-53> 남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344 <그림 6-54> 남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344 <그림 6-55> 남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345 <그림 7-1> 중부권 353 <그림 7-2> 중부권 주민등록인구 추이 356 <그림 7-3> 중부권 시군별 순 이동인구 (2014) 356 <그림 7-4> 중부권 시군별 산업구조(2013) 359 <그림 7-5> 중부권 시군별 업종 여성 종사자 비율(2013) 360 <그림 7-6>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운영 직업훈련 프로그램 현황 366 <그림 7-7> 중부권 시군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2015년 상반기) 371 <그림 7-8> 중부권 비경제활동인구 활동상태(2014년 하반기) xxv -
52 <그림 7-9> 중부권 거주지 외 통근 취업자 수(2015년 상반기) 374 <그림 7-10> 중부권 성별 취업자 종사상 지위(2014년 하반기) 376 <그림 7-11> 중부권 여성 미취업자 인구사회학적 특성(2014년 하반기) 378 <그림 7-12> 중부권 여성 미취업자의 과거직업 유무 및 일을 그만둔 시기(2014년 하반기) 379 <그림 7-13> 중부권20세이상54세이하여성미취업자의직장을그만둔사유(2014년 하반기) 380 <그림 7-14> 중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 참여 희망 비율 381 <그림 7-15> 중부권 취업/창업/프리랜서/사회적기업별 희망 소득 수준 382 <그림 7-16> 중부권 구직 시 중시하는 요인 383 <그림 7-17> 중부권 여성 인력 채용 시 기업이 중시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384 <그림 7-18> 중부권 향후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과 목적 385 <그림 7-19> 중부권 직업교육훈련 선택 시 고려 사항 386 <그림 7-20> 중부권 직업교육훈련 참여 희망 기관 387 <그림 7-21> 중부권 직업교육훈련 희망 분야 388 <그림 7-22> 중부권 취 창업관련 서비스 요구 389 <그림 7-23> 중부권 여성 취업지원관련 기관 이용 의향 390 <그림 7-24> 중부권 시군별 현재 일자리 전반적인 만족도 391 <그림 7-25> 중부권 업무스트레스 인식 391 <그림 7-26> 중부권 남성 직원 대비 경쟁력 인식 392 <그림 7-27> 중부권 일을 하는 이유 393 <그림 7-28> 중부권 고용 유지에 대한 인식 394 <그림 7-29> 중부권 3년 이내 사직 의향 395 <그림 7-30> 중부권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 요구 396 <그림 7-31> 중부권 일 가정 조화를 위한 기업의 복리후생 제도 활성화 요구 397 <그림 7-32> 중부권 인력난 여부 398 <그림 7-33> 중부권 인력난 겪는 직종 398 <그림 7-34> 중부권 인력난 겪는 이유에 대한 인식 399 <그림 7-35> 중부권 인력난 해소 방법 400 <그림 7-36> 중부권 여성인력 고용 이유 401 <그림 7-37> 중부권 경력단절 여성 채용 이유 xxvi -
53 <그림 7-38> 중부권 여성인력 채용 시 주안점 403 <그림 7-39> 중부권 주로 채용하는 연령대 404 <그림 7-40> 중부권 여성인력 활용 직종 405 <그림 7-41> 중부권 여성 직원에 대한 경쟁력 인식 407 <그림 7-42> 중부권 사무직 여성 채용 조건 408 <그림 7-43> 중부권 서비스직 여성 채용 조건 410 <그림 7-44> 중부권 생산직 여성 채용 조건 412 <그림 7-45>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인지여부 및 인지 경로 414 <그림 7-46>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경험 415 <그림 7-47> 중부권 여성인력개발기관 사업별 협력 희망 여부 416 <그림 7-48> 중부권 선호하는 근로형태 417 <그림 7-49> 중부권 시간제 일자리 근로형태 417 <그림 7-50> 중부권 시간제 일자리 구직 시 겪게 될 어려움에 대한 인식 418 <그림 7-51>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근로시간 단축 대 임금 인상 선호여부 419 <그림 7-52> 동일직무와 근로조건 보장 시 시간선택제 전환 의사 420 <그림 7-53> 중부권 사업체 시간제 근로자 채용 계획 421 <그림 7-54> 중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의향 421 <그림 7-55> 중부권 사업체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이유 xxvii -
54
55 제 1 장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및 내용 3. 연구방법 및 절차
56
57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2006년 7월 여성발전기본법 이 제정된 이래 19년 만인 2015년 7월에 양성평등기본 법 으로 전면 개정 되었음. 기존의 발전론적 접근에서 벗어나 여성정책의 목표가 양성평 등 실현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여성경제활동의 경우에도 여성 고용 증가만이 아니라 남녀 간 격차를 해소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있음. 지난 7월 1일 시행일에 맞춰 발표된 제1 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에서는 양성평등한 일자리 확대, 일자리에서의 성차별 개 선 등 남녀 간의 격차를 줄이고 여성에 대한 구조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담았고, 남성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성화 등 여성뿐 아니라 남성의 참여를 강조하여 젠더관계 자체를 바꾸려는 정책과제를 포함하고 있음. 위와 같은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인력개발,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이행 등의 정책 영역 전반의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을 그 자체로 담 보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재 추진되고 있는 여성고용관련 정책 및 사업과 지역의 정책 수요 분석에 기초해 새로운 지역 과제를 발굴할 필요가 있음.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2008년 6월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법 이 제 정된 이후 제1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10~2014)이 수립되었고, 지 난 2014년 12월에 제2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안)(2015~2019)이 마련 되었음. 그러나 2008년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법 시행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 경력단절여성의 현실과 정책요구, 정책 환경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련 법 전 반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특히 이러한 문제제기는 여성의 생애주기별, 하위 정책대상별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을 지원할 정책서비스 개발과 전달,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따른 것임. 이와 관련해 김영옥 외(2014)가 법률 개정안을 제안하였음. 이 제안에는 법명을 경력단절 예방과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으로 수정하고 법 적인 위상 정립과 경력단절 예방, 통합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한 내용에 대한 보완이 포함되 어 있음. 2014년 12월에 수립된 제2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안)에는 제1차 계획에서는 강조되지 않았던 경력단절예방과 청년여성에 대한 정책과 사업이 포함되 3
58 경기도 지역별 여성일자리 정책 추진 전략 는 등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 범위와 주요 방향에 대한 변화된 인식과 문제의식 이 반영되어 있음. 경기도는 여성 일자리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2015년부터 경기도 특화사업과 정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정책이 여성의 고용 확대와 고용 유지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업 지원 정책과 고용서비스 역량 제고를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경기도는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여성고용 정책 추진 방향과 정책 수요 분석 을 위한 대규모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음. 이와 관련해 본원 일자리전략센터에서는 시간선택 제 일자리 수요조사와 함께 사업체 여성인력 수요조사(2,059개)와 여성 취업자 근로실태 조 사(2,120명)를 실시하였으며, 2015년 상반기에는 취업의사가 있는 경기도 25세 이상 59세 미만 미취업 여성 조사(2,000명)를 실시하였음. 경기도의 특성상 지역별 편차가 매우 크고 산업 특성도 상이함. 따라서 지역에서 여성 일자 리 사업을 수행하는 현장 전문가와 지역 일자리정책 담당자가 지역의 정책 요구를 분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음.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성고용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 추진되고 있는 여성고용관련 사업을 지역 단위에서 점검하고, 향후 새롭게 추진하거나 강화해야 하는 경기도 차원의 사업 영역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2. 연구목적 및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여성일자리정책 관련 수요 분석에 기초하여 지역의 여성 일자리 정책과 여성고용서비스기관의 사업 방향 및 신규 사업 추진 시 정책 방향과 추진 방안을 마 련하는데 고려할 필요가 있는 정책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음. 이와 함께 2014년과 2015 년에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지역의 여성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분석하여 제공하는데 2차 목적이 있음. 4
59 제1장 서 론 가. 연구의 범위 : 지역별 분석 단위 설정 본 연구는 앞서 연구 목적에서 밝힌 바와 같이 여성일자리 정책과 사업이 지역적 특성과 정 책 요구에 기반하여 추진될 수 있도록 정책 환경 및 여성경제활동 현황, 그리고 정책요구를 분석 제시하고자 함. 위와 같은 목적을 염두에 두고 사업체, 여성근로자, 미취업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31 개 시군을 모두 포함하여 표본을 설정하되, 10개의 노동 권역별로 학력 및 연령별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노동 권역의 경우 사례수가 매우 적 어, 통계 분석에 어려움이 있음. 통상 경기도는 남부와 북부로 나누는 방식은 노동권역으로 구분하기에는 너무 큰 범위고, 남부 또는 북부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책을 추진할 경우 각종 인프라가 남부권에 집중되어 있는 등 지역적 불균등 현상 등이 나타남. 따라서 경기도 인적자원위원개발위원회에서는 전 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경기도 31개 시군을 경기도 산업구조, 지역 노동시장권, 행정구역, 고용센터의 관할지역과 지역행복생활권 등 5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5개 권역으로 설정하였음. <그림 1-1> 경기도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5개 권역 구분 5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문화향수실태조사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2006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Korea Culture & Tourism Policy Institute 서문 우리나라 국민들이 문화와 예술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즐기고 있는지를 객관적으 로 파악하기 위하여, 1988년부터
untitled
Content Ⅰ. 기본방향 1. 목 적 3 2. 적용범위 3 Ⅱ. 사회복지관 운영 1. 사회복지관의 정의 7 2. 사회복지관의 목표 7 3. 사회복지관의 연혁 7 4.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원칙 8 Ⅲ. 사회복지관 사업 1. 가족복지사업 15 2. 지역사회보호사업 16 3. 지역사회조직사업 18 4. 교육 문화사업 19 5. 자활사업 20 6. 재가복지봉사서비스
13Åë°è¹é¼Ł
이면은빈공간입니다. National Statistics White Paper 2012 National Statistics White Paper ii _ STATISTICS KOREA 2012 _ iii 2012 National Statistics White Paper 1 26 2 27 3 28 4 29 5 30 6 31 7 32 8 33 9 34 10 35
iOS ÇÁ·Î±×·¡¹Ö 1205.PDF
iphone ios 5 DEVELOPMENT ESSENTIALS Copyright 2011 Korean Translation Copyright 2011 by J-Pub. co. The Korean edition is published by arrangement with Neil Smyth through Agency-One, Seoul. i iphone ios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어업 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2년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2. 10.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책임자 오경석 연 구 원 이한숙 김사강 김민정 류성환 윤명희 정정훈 연구보조원 최상일 이 보고서는 연구용역수행기관의 결과물로서, 국가인권위원회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연구요약 이 연구는 연근해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i i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iii iv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v v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vii vii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ix x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xi xii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요 약 xiii xiv 외국인 투자기업의 노사관계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29303831302E687770>
동아시아역내 일본자동차산업의 아웃소싱 시장 분석을 통한 국내자동차부품기업의 진출방안 연구 2008. 8. 29.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연구 참여자 책임연구자: 김도훈(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일본기업연구센터 연구위원) 연 구 자: 오재훤(메이지대학 국제일본학부 준교수) 연 구 자: 김봉길(도야마대학 경제학부 교수) 연 구 자: 정성춘(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일본팀장) 연
°æÁ¦Àü¸Á-µ¼º¸.PDF
www.keri.org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3 4 5 6 7 8 9 10 11 12 13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7 48 49 50 51 52 53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제 출 문 교육과학기술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년 12월 일 주관연구기관명:단국대학교 연구기간:2010. 7. 19-2010. 12. 18 주관연구책임자:송 동 섭 참여연구원 공동연구원:이 동 규 이 창 세 한 창 근 연 구 조 원:심 재 우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 중 일 대중문화 교류의 현황 및 증진 방안 연구 동북아 문화공동체 특별연구위원회 구 분 성 명 소 속 및 직 위 위 원 장 김 광 억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 김 우 상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 준 식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전 영 평 대구대 도시행정학과 교수 위 원 정 진 곤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 정 하 미 한양대 일본언어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2012 연구보고서-23 공공부문 시간제근무와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 활용과의 연계방안 연구책임자 : 문미경(본원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자 : 김복태(본원 연구위원) 금창호(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미연(본원 위촉연구원) 발 간 사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의 여러 형태 중 최근 공공부문에서 가장 관심을 보이 고 있는 시간제 근무에 초점을 맞추어, 육아휴직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38 10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2008.9.25,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2003.3.14,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01 노동법 법원으로서의 노동관행 15 - 대판 2002.4.23, 2000다50701 [퇴직금] (한국전력공사 사례) 02 노동법과 신의성실의 원칙 17 - 대판 1994.9.30, 94다9092 [고용관계존재확인등] (대한조선공사 사례) 03 퇴직금 청구권 사전 포기 약정의 효력 19 - 대판 1998.3.27, 97다49732 [퇴직금] (아시아나 항공
<C1A4C3A5BFACB1B82031312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제 출 문 보건복지부장관 귀 하 이 보고서를 정신질환자의 편견 해소 및 인식 개선을 위한 대상별 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서울여자간호대학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김 경 희 연 구 원 김 계 하 문 용 훈 염 형 국 오 영 아 윤 희 상 이 명 수 홍 선 미 연 구 보 조 원 임 주 리 보 조 원 이 난 희 요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xvii 요 약 1. 수요자 설문조사 분석 가. 설문지 제작 및 조사 방법 설문 영역: 수능강의 이용 현황, 수능강의 평가, 수능 교재, 사교육 이용 등 조사 대상: 일반고, 자율고, 외국어고 학생 및 그의 학부모 각각 6,480명 표본 추출 방법 : 층화표집(지역 규모별 108개교 표집 후 학생 무선표집) 조사 방법 : 설문지 조사 응답률 : 학생 96.5%(6,250명),
<28323129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20545220323031342D373929202D20C6EDC1FD2035B1B32E687770>
기술보고 TR 2014-79 북한 교육정책 동향 분석 및 서지 정보 구축 연구책임자 _ 김 정 원 (한국교육개발원 ) 공동연구자 _ 김 김 한 강 지 은 승 구 수 (한국교육개발원) 주 (한국교육개발원) 대 (한국교육개발원) 섭 (한국교육개발원) 연 구 조 원 _ 이 병 희 (한국교육개발원) 머리말 최근 통일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합니다. 그에 따라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KCSC 2015-003 방송심의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시청자참여심의제 도입 가능성을 중심으로 2015. 12. 이 보고서는 2015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정책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이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공식 입장은 아닙니다. 방송심의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시청자참여심의제 도입 가능성을 중심으로 - 연 구 진 연구수행기관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에 대한 최종보고 서로 제출합니다. 2005. 12. 16 (사)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회장 박양호 수탁연구기관 : (사)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컨설팅혁신정책연구원 총괄연구책임자 : 경영학 박사 김태근(정책분과위원장) 연 구 자 : 경제학 박사 김윤종 통계학 박사 김용철 경제학 박사 변종석
1111111111.PDF
표지와 같은 면지 19대 총선평가 학술회의 일 시: 2012년 4월 25일(수) 13:30 18:00 장 소: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 (국회도서관 421호), 제1세미나실 (427호) 주 최: 국회입법조사처/한국정당학회 전체일정표 대회의실 제1세미나실 1:30 ~ 1:50 pm 개회식 1:50 ~ 3:50 pm 1패널 19대 총선평가와 전망 3:50 ~ 4:00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xx - - xxi - - xxii - - xxiii - - xxiv - - 3 - - 4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XX - - XXI - - XXII - - XXIII - - 1 - - - - 3 - - - -
INDUS-8.HWP
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i - - ii - - i - - ii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CONTENTS.HWP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 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최종보고서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방안 연구 2007. 12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7. 12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세계 비지니스 정보
- i - ii - iii - iv - v - vi - vii - viii - ix - 1 - 2 - 3 - - - - - - - - - - 4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7 - - - - 8 - 9 - 10 - - - - - - - - - - - - 11 - - - 12 - 13 -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발간등록번호 국가청소년 www.youth.go.kr 청소년 희망세상 비전 2030 연구 (교육 분야) 책임연구원 : 임천순 (세종대학교 교수) 공동연구원 : 채재은 (경원대학교 부교수) 우명숙 (한양대학교 초빙교수) 국 가 청 소 년 위 원 회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직업편-1(16일)
2012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발간사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는 개인에게 변화하는 직업세계를 바로 이해하고 고용능력을 함양하는 평생학습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평생직장시대에서 일생 직업을 5-6번 전환하는 평생직업시대 로의 패러다임 변화는 지속적인 진로개발(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의 우선적 책무성이 개인에게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사본
2011 발 간 등 록 번 호 11-1270000-000682-01 간접투자 이민제도의 해외사례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강동관 (IOM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이완수 (IOM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한태희 (IOM이민정책연구원) 황진영 (한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정강옥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임응순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2011.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2005. 12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이 정책연구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비 지원에 의 한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연 구 기 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책연구 2005-지정-52 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학교육,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공무원 채용제도 개선방안 2005. 12 연구책임자 : 오 호 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0
Kr 0 i 1 http://downloadcenter.nikonimglib.com/ 2 A 0 ii D A 0 iii 0 0 0 0 0 iv A http://downloadcenter.nikonimglib.com/ http://downloadcenter.nikonimglib.com/ v vi i i vii P S A M M viii ix R i i x D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xx - - xxi - - xxii - - xxiii - - xxiv - - xxv - - I
학위논문홍승아.hwp
印 印 印 - iv - - v - - vi - - vii - - viii - -1- -2- -3- -4- -5- -6- - -7- vii - - -8- viii - -9- 1) --10- x - --11- xi - --12- xii - -13- -14- -15- -16- -17- -18- -19- -20- --21- xxi - -22- - -23- xxiii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Contents 2016 ii iii Contents 2016 iv v Contents 2016 vi vii Contents 2016 viii ix Contents 2016 x xi Contents 2016 xii xiii Contents 2016 xiv xv Contents 2016 xvi xvii Contents 2016 3 xviii xix Contents
장애인통계-0110-최종.hwp
작성기준일 : 2013년 12월 19일 문 의 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조사통계부 Tel:031-728-7108 Fax:031-728-7143 머 리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012년 12월 말 현재 251만 1천명으로, 2000년 12월 말 95만 8천명에서 약 162% 증가하였습니다. 장애인 인구가 이처럼 급격히 증가함에 따 라 장애인 정책에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76657230345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2014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nnual eport on Copyright rotection 2014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 nnual eport on Copyright rotection 발간사 올해 초 안방극장을 휘어잡은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는 독특한 소재와 한류스타의 완벽한 연기로 대한민국을 넘어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에 다시금 한류 열풍을 불러일으켰습
<32303131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2011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011. 09 요 약 ⅰ Ⅱ. 2011년 2분기 콘텐츠업체 실태조사 분석 Ⅰ. 2011년 2분기 콘텐츠산업 추이 분석 1. 산업생산 변화 추이 3 1.1. 콘텐츠산업생산지수 변화 추이 3 1.2. 콘텐츠업체(상장사) 매출액 변화 추이 9 1.3. 콘텐츠업체(상장사) 영업이익 변화 추이20 2. 투자변화 추이 24
CONTENTS C U B A I C U B A 8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Part IX 9 C U B A 10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Part IX 11 C U B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293039313232392E687770>
2008 사 립 대 학 감 사 백 서 2009. 11. 들어가는 말 2008년도 새 정부 출범 이후 구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하나의 부처로 통합하여 교육과학기술부로 힘차게 출범하였습니다. 그동안 교육과학기술부는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등 자율화 다양화된 교육체제 구축과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등 교육복지 기반 확충으로 교육만족 두배, 사교육비 절감
<28C3D6C1BEC0CEBCE2BFEB29BCADBFEFBDC3B0F8B0F8C5F5C0DABBE7BEF7B0FCB8AEC7D5B8AEC8ADB9E6BEC82E687770>
서울시 공공투자사업관리 합리화 방안 -투자심사 및 민간투자사업 제도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n Management of Public Investment Projects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서울시정개발연구원 SEOUL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이 세 구 창의시정연구본부
<BCF6BDC3323030392D31385FB0EDBCD3B5B5B7CEC8DEB0D4C5B8BFEEB5B5C0D4B1B8BBF3BFACB1B85FB1C7BFB5C0CE2E687770>
... 수시연구 2009-18.. 고속도로 휴게타운 도입구상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Service Town at the Expressway Service Area... 권영인 임재경 이창운... 서 문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지방 지역의 인구감소와 경기의 침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다각 적인
00-1표지
summary _I II_ summary _III 1 1 2 2 5 5 5 8 10 12 13 14 18 24 28 29 29 33 41 45 45 45 45 47 IV_ contents 48 48 48 49 50 51 52 55 60 60 61 62 63 63 64 64 65 65 65 69 69 69 74 76 76 77 78 _V 78 79 79 81
歯1.PDF
200176 .,.,.,. 5... 1/2. /. / 2. . 293.33 (54.32%), 65.54(12.13%), / 53.80(9.96%), 25.60(4.74%), 5.22(0.97%). / 3 S (1997)14.59% (1971) 10%, (1977).5%~11.5%, (1986)
*BA_00
Published by Ji&Son Inc. Printed in Korea Copyright 2010 by Ji&Son Inc. Authorized translation of the English edition of Beautiful Architecture 2009 O Reilly Media, Inc. This Translation is published and
<BCADBFEFBDC3BFA9BCBAB0A1C1B7C0E7B4DC5FBCADBFEFBDC320B0F8B5BFC0B0BEC6C1F6BFF8BBE7BEF7C0C720C1F6BCD3B0A1B4C9BCBA20B9E6BEC8BFACB1B828BCF6C1A431323330292E687770>
2015 정책연구-15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가능성 방안연구 책임연구원 : 조막래(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연구위원) 위촉연구원 : 김한별(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정책실)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발 간 사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라는 인디언 격언이 있습니다. 십수년전에는 골목마다 아이들의 북적이는
경제통상 내지.PS
CONTENTS I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I 38 39 40 41 42 43 III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IV 62 63 64 65 66 67 68 69 V
°æÁ¦Åë»ó³»Áö.PDF
CONTENTS I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I 38 39 40 41 42 43 III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IV 62 63 64 65 66 67 68 69 V
국립국어원 20010-00-00 발간등록번호 00-000000-000000-00 국어정책 통계 조사 및 통계 연보 작성 연구책임자 이순영 제 출 문 국립국어원장 귀하 국어정책 통계 조사 및 통계 연보 작성 에 관하여 귀 원과 체결한 연 구 용역 계약에 의하여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2010년 12월 2일 연구책임자: 이순영(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우루과이 내지-1
U R U G U A Y U r u g u a y 1. 2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3 U r u g u a y 2. 4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5 U r u g u a
013년도 전주ᆞ완주 탄소산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최종 사업목표 및 내용 탄소 관련산업동향과 국가정책에 부응하여 탄소산업 중심의 테마형 집적화단지(Carbon Valley) 조성을 위한 탄소기업 유치 및 육성, 산업기반의 구축 등에 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3230313420B9AEC8ADBFB9BCFA20C6AEB7BBB5E520BAD0BCAE20B9D720C0FCB8C128B1E8C7FDC0CE292E687770>
연구책임 김 혜 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사담당 JnP (장앤파트너스그룹) 연구보조 김 연 희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석사) 권 해 정 (Aix-Marseille3대학교 문화경영학과 석사) 최 희 승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석사) 심 상 미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학과 석사) 서 문 2010년부터 지속되어온 연구시리즈의
untitled
ISBN 89-90077-98-2 93300 2005 UNDP 워크샵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성 인지적 문화정책을 찾아서 주 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동남아연구소 후 원: 문화관광부 과학기술부 UNDP 2005 UNDP 워크샵 :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성 인지적 문화정책을 찾아서 연구진 연구책임자: 류정아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문화정책팀장) 공동연구자: 김민정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201 3.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219 4.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목 차 제1장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3 2. 과업의 성격 5 3. 과업의 범위 6 4. 과업수행체계 7 제2장 지역현황분석 1. 지역 일반현황 분석 11 2. 관광환경 분석 25 3. 이미지조사 분석 45 4. 이해관계자 의견조사 분석 54 제3장 사업환경분석 1. 국내 외 관광여건분석 69 2. 관련계획 및 법규 검토 78 3. 국내 외
유니 앞부속
Published by Ji&Son Inc. Printed in Korea. Unityによる3Dゲ-ム : iphone/android/webで ゲ-ムプログラミング (JAPAN ISBN 978-4873115061) Authorized translation from the Japanese language edition of Unityによる3Dゲ- ム. 2011 the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2011: based on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Ⅱ)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N=33,745, 단위 : g) (N=33,745, 단위 : g) (N=33,745,
[96_RE11]LMOs(......).HWP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32303132B3E220C7CFB9DDB1E2BACEC5CD20C0CCB7B8B0D420B4DEB6F3C1FDB4CFB4D928706466292E687770>
법령 개정 등이 필요한 제도개선 사항은 사정에 따라 시행일자 등의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목 록 i 목 록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 세 제 3 1세대 1주택 비과세 보유기간 요건 단축 /3 일시적 2주택자의 대체취득기간 연장 /4 부가가치세 과세 전환 /5 면세유 공급대상 농업기계 확대 /6 국세-관세 간 과세가격 조정제도 신설/7 비거주자 외국법인에
´ë±â-ÃÑ°ýº¸°í¼Ł.PDF
통일시대를 향한 한반도 개발협력 핵심 프로젝트 선정 및 실천과제 Major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integrated Korean peninsula - 총괄보고서 - 이상준, 김천규, 이백진, 이건민, 배은지, 김흠 임강택, 장형수, 김경술, 나희승, 김의준 연구진 연구책임 이상준 선임연구위원 김천규 연구위원 이백진 연구위원 이건민
전통 소싸움산업 육성을 위한 도세감면 타당성 연구 2015. 7. 30. 연구책임 : 김필헌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 : 이상훈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 연 구 진 : 사명철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원 Ⅰ. 서론 m 경북도는 소싸움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반영하여 레저세를 감 면해 주고 있음. 경륜, 경정, 경마 및 전통 소싸움경기에
<C3BBB3E2B9AEC1A6BFA1B4EBC7D120B9AEC8ADC1A4C3A5C0FBC1A2B1D9C0BB20C0A7C7D1B1E2C3CABFACB1B82DC3D6C1BE2E687770>
연구책임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공동연구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진수 (대학내일20대연구소 소장) 연구참여 이수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위촉연구원) 연구자문 강승진 (춘천시문화재단 정책기획팀장) 김선기 (고함20 편집장) 노정태 (청년논객) 서민정 (청년허브 센터장) 송혜윤 (대학내일20대연구소 책임연구원) 오찬호 (서강대사회발전연구소
<C8DEB0A1C0CCBFEB20BDC7C5C2C1B6BBE720B9D720C8DEB0A1B9AEC8AD20B0B3BCB12DC6EDC1FD2E687770>
연구책임 이 성 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보조 김 수 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 석사) 서 문 우리나라는 국토에 매장되어 있는 천연자원은 물론 축적기술의 부족으 로 인하여 근로자의 근면과 성실을 통한 노동집약적 압축 성장을 추진한 역사가 있습니다. 보다 발전된 미래 청사진의 실현을 위해서 국민 모두가 쉬지 않고 일한 결과, 대한민국은 자동차
untitled
정책연구 2006-04 기술혁신지원제도의 효과분석과 개선방안 신태영 송종국 안두현 이우성 정승일 송치웅 손수정 김현호 허현회 한기인 머리말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국가경제발전 및 성장 잠재력의 확충을 위 한 주요 동인으로서 기업의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기업 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해 오고 있다. 과학기술부가
- iii - - i - - ii - - iii - 국문요약 종합병원남자간호사가지각하는조직공정성 사회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관계 - iv - - v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α α α - 15 - α α α α α α
P14-07.hwp
정책연구 2014-07 바이오 분야 규제형성과정 개선방안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in Biotechnology Regulatory Processes 이명화 신은정 양승우 류이현 권보경 연 구 진 연구책임자 연구참여자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신은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양승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류이현
... 수시연구 2011-16.. 평창동계올림픽수송체계구축을위한 핵심쟁점및대응방안 Transport Countermeasure Strategies for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문영준외 5 인... 서문 원장 김경철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xi 요약 xii xiii xiv xv xvi xvii xviii
i ii iii iv v vi vii viii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XXXXXXXX 22 24 25 26 27 28 29 30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10 A Study of the Medium- to Long-term Prospects and Measures of Multicultural Family
<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4EBBFF5203230303520BFB5BEF7BAB8B0EDBCAD2E646F63>
第 46 期 定 期 柱 主 總 會 日 時 : 2006. 5. 26 午 前 11 時 場 所 : 大 熊 本 社 講 堂 株 式 會 社 大 熊 회 순 Ⅰ. 개회선언 Ⅱ. 국민의례 Ⅲ. 출석주주 및 출석주식수 보고 Ⅳ. 의장인사 Ⅴ. 회의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감사의 감사보고 영업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2. 의결사항 제1호 의안 : 제4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 산재보험사후관리실태및개선방안 - 한국노동연구원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À̶õ°³È²³»Áö.PDF
Islamic Republic of Iran I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0 Part I 11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2 Part I 13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4 II I S L A M I C R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828323030362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정책연구 2005-06 학교혁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서근원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 학교혁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 2005 년 12 월 20 일 연구진 연구책임자 : 서근원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 공동연구자 : 서길원 ( 경기도 남한산초등학교 교사 ) 안순억 ( 경기도 남한산초등학교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9.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기 성
이 과제는 2009년 노동부의 정책연구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연구되었음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조사 및 근로자 보호방안 -최종보고서 - 2009.10. 연구기관 :한국노동연구원 노 동 부 제 출 문 노동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노동부 수탁연구과제 문화 예술산업 근로실태 조사 및 근로 자 보호방안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9.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박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2011 어르신 생활문화전승프로그램 柯 亭 里 義 兵 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는다 주관 춘천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원 연합회 문화체육관광부 -차 례- 제1장 구술 자료의 가치 1. 역사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미래 삶의 터전 제2장 지명으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제3장 구술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1. 의암제를 준비하는 사람 류연창 2. 고흥 류
2012회계연도 고용노동부 소관 결 산 검 토 보 고 서 세 입 세 출 결 산 일 반 회 계 농 어 촌 구 조 개 선 특 별 회 계 에 너 지 및 자 원 사 업 특 별 회 계 광 역 지 역 발 전 특 별 회 계 혁 신 도 시 건 설 특 별 회 계 기 금 결 산 고 용 보 험 기 금 산 업 재 해 보 상 보 험 및 예 방 기 금 임 금 채 권 보 장 기 금 장
untitled
KIPA 연구보고서 2014-21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형 생활안전 관리방안 연구 최호진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최호진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연승준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성연 과장(국민안전처) 박상현 박사(한국정보화진흥원) 유지연 교수(상명대) 임상규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출처를 밝히지 않고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정지범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김태현 부연구위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안승현 위촉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현주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재열 교수(서울대) 황호숙 사무관(통계청)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이 보고서
KIPA 연구보고서 2014-20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국가 통계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정지범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정지범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김태현 부연구위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참여자 임인선 연구원 안승현 위촉연구원 연구운영실무협의회 위원(가나다순) 김현주 박사(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재열 교수(서울대) 황호숙 사무관(통계청) 출처를 밝히지 않고
<C0CEBCE2BFEB5FBFACB1B85F323031342D32322D3528BAAFBCF6C1A4295F3135303431355FBCF6C1A42E687770>
연구보고서 2014-22-5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변수정 조성호 이상림 서희정 정준호 이윤석 책임연구자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주요저서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공저) 공동연구진 조성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서희정
99-18.hwp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xv - - xvi - - xvii - - xviii - - xix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인니 내지-00-5
인니 내지-00-5 2016.5.10 12:49 AM 페이지3 mac2 I. I N D N E S I A 12 Part I 13 I N D N E S I A 14 Part I 15 I N D N E S I A 16 Part I 17 인니 내지-00-5 2016.5.10 12:49 AM 페이지19 mac2 II. 정치 1. 국가이념및정치정세개관
<5BBFACB1B8BAB8B0ED20525220323031342D32375D20B5A5C0CCC5CD20B1E2B9DD20B1B3C0B0C1A4C3A520BAD0BCAE20BFACB1B828A5B229C1F6B9E6B4EBC7D0C0C720B1B3C0B0BDC7C5C220B9D720BCBAB0FA20BAD0BCAE5FB9DABCBAC8A320312E392D2833B1B3292E687770>
연구보고 RR 2014-27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Ⅲ) : 지방대학의 교육실태 및 성과 분석 연구책임자 _ 박 성 호 (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자 _ 강 영 혜 (한국교육개발원) 임 후 남 (한국교육개발원) 이 정 미 (한국교육개발원) 엄 문 영 (한국교육개발원) 김 본 영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조원_백 수 현 (한국교육개발원) 서 은 경 (한국교육개발원)
도큐-표지
Historical experience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n Far Eastern Gnatovskaya Elena Nikolaevna (The Primorsky Agricultural State Academy, Russia) Исторический опыт аграрного развит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결산분석시리즈 1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총 괄I 김춘순 예산분석실장 기획 조정I 박인화 예산분석심의관 서세욱 산업예산분석과장 김경호 경제예산분석과장 문종열 사회예산분석과장 정문종 행정예산분석과장 정영진 법안비용추계1과장 박선춘 법안비용추계2과장 작 성I 전용수, 배아형, 김효진, 표승연, 변재연, 한정수 산업예산분석과 예산분석관 최철민,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폐기물관리 규제개선 방안연구 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기관 한국산업폐기물처리공제조합 연구책임자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이 남 웅 황 연 석 은 정 환 백 인 근 성 낙 근 오 형 조 부이사장 상근이사 기술팀장 법률팀장 기
최종보고서 폐기물관리 규제개선방안 연구 ( 업계 건의사항 및 질의사례 중심) 2006. 9 환 경 부 제 출 문 환경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폐기물관리 규제개선 방안연구 에 관한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기관 한국산업폐기물처리공제조합 연구책임자 연 구 원 연구보조원 이 남 웅 황 연 석 은 정 환 백 인 근 성 낙 근 오 형 조 부이사장 상근이사 기술팀장
<313320205BB0E6C1A65DB0F8B0B32DC1F6BDC4C0E7BBEAC0CEB7C220BCF6B1DEC0FCB8C120BFACB1B85FC0CCC1D6BFAC28C3D6C1BE292E687770>
인프라 기초연구과제 최종보고서 지식재산 동향 및 미래전망 Intellectual Property Trends and Prospects - 지식재산인력 수급전망 연구 - 2013. 12 제 출 문 특허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인프라사업의 기초연구활성화 연구과제 중, 지식재산 동향 및 미래전망 - 지식재산인력 수급전망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173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