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
- 미숙 신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권1> 173
2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없어졌다. 분황사(芬皇寺) 부(府)의 동쪽 5리에 있다. 선덕왕 3년(634)에 세웠다. 고려의 평장사(平章事) 한문준(韓文俊)이 지은 화쟁국사비(和諍國師碑)가 있는데, 오금 석(烏金石)이다. 靈妙寺 在府西五里 唐貞觀六年 新羅善德王建殿宇三層 體制殊異 諺傳 寺址本大澤 豆豆里之衆一夜塡之 遂建此殿 今廢 芬皇寺 在府東五里 善德王三年建 有高麗平章事韓文俊所撰和諍國師碑 乃烏金石也 동경잡기 <권2> 175
3 김극기(金克己)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金克己詩 이끼는 빈 섬돌을 두르고 대나무는 처마에 스치니 苔繞空階竹拂簷 경내가 청량하여 여름 더위 받지 않네 境淸不復受朱炎 중은 한가로워 고아한 웃음 지으며 누런 눈 돌리고 僧閑雅笑廻黃眼 손은 취하여 고담준론을 하며 붉은 수염 떨치네 客醉高談奮紫髥 연꽃 핀 못에서 나는 언제나 혜원1)을 찾는데 蓮沼我常尋慧遠 버드나무 선 문에서 공은 또한 도잠2)을 이끄네 柳門公亦引陶潛 술잔을 머금고 거나하여 돌아갈 길 잊었는데 含盃傲亢忘歸路 쓸쓸히 석양은 발의 중턱까지 비추네 淅瀝殘陽下半簾 하였다. 신증 新增 고려 숙종(肅宗) 때 약사여래(藥師如來)의 동상을 주조하였는 데 무게가 30만 6700근이었다. 후에 이를 작게 고쳤다. 新增 高麗肅宗朝 鑄藥師銅像 重三十萬六千七百斤 後改小之 불국사(佛國寺) 토함산(吐含山)에 있다. 석교(石橋)가 둘 있으니, 청운교(靑雲 橋)와 백운교(白雲橋)라 한다. 제작이 지극히 정교하다. 신라 사람 김대성(金大 成)이 창건한 것이다. 과거 모량리(牟梁里)에 사는 가난한 여자에게 대성이란 아 들이 있었는데, 일찍 죽었다. 그가 죽던 날 밤에 재상 김문량(金文亮)의 집에 신 (神)이 나타나 공중에서 외치기를 모량리의 대성이 이제 너희 집에 점지되었다. 하였는데, 과연 문량의 처가 임신을 하여 아들을 낳았다. 아기는 태어나서 7일 동 안 금으로 새긴 대쪽을 오른손에 쥐고 있었는데, 거기에 대성이란 두 글자가 새 겨져 있었으므로 그대로 이름지었다. 장성해서는 그 가난한 여자를 자기 집에 모 1) 혜원(慧遠)은 중국 진(晉) 나라 말년에 여산(慮山)에 있던 중이다. 그는 연못에 흰 연꽃 을 심고 중과 속인 중에서 유명한 선비 16명으로 백련사(白蓮社)를 조직하였다. 2) 도잠(陶潛)은 중국 진(晉) 나라의 시인이다. 자는 연명(淵明)으로 그는 문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놓고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자칭하였다. 176 조선대세시기 Ⅳ
4 셔 두고 어머니와 함께 봉양하였으며, 또 이 절을 창건하여 중 표훈(表訓)에게 상 주하면서 두 어머니의 장수(長壽)를 빌어주도록 부탁하였다. 佛國寺 在吐含山中 有石橋二 曰靑雲曰白雲 制作極巧 新羅人金大城所創 初牟梁里貧女有子 曰大成 早死 其死之夜 國宰金文亮家 有神唱于空云 牟 梁里大成 今托汝家 文亮妻果有身 及生男 右手握七日 有金簡在其手 鐫大 城二字 因以名之 旣壯 迎置貧女于家 養之與母同 又創此寺 請僧表訓 常 住以祝二母壽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佔畢齋金宗直詩 사찰 경내에 찾아드니 爲訪招提境 소나무 사이에 불긋푸릇 겹겹일세 松間紫翠重 푸른 산 반쪽에는 비가 내리고 靑山半邊雨 지는 해 위쪽에는 종이 울리네 落日上方鍾 말은 중과 더불어 부드러워지고 語與居僧軟 술잔은 옛정을 따라 짙어가네 杯隨故意濃. 탑 위에 기대앉아서 頹然一榻上 살쩍이 더부룩함을 마주보네 相對鬢髼鬆 신증 新增 김시습(金時習)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金時習詩 돌 다듬어 만든 층계는 작은 연못을 누를 듯하며 斲石爲梯壓小池 높고 낮은 누각들 잔물결 따라 비치네 高低樓閣映漣漪 옛적 일 벌이기를 좋아한 사람은 어디로 갔는가 昔人好事歸何處 세상에선 부질없이 세상에서 가장 기이하다 하누나 世上空留世上奇 진 나라와 수 나라의 궁전과 위 나라의 사찰은 秦宮隋殿魏招提 동경잡기 <권2> 177
5 당시 속인의 눈을 미혹시켰을 뿐이네 剩得當時俗眼迷 사람은 가고 세대가 달라져도 모두 적막하여 人去代殊俱寂寞 석양에 오직 까마귀만 깃들일 뿐이네 夕陽唯有老烏棲 지림사(祗林寺) 함월산(含月山)에 있다. 在含月山 이달충(李達衷)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李達衷詩 지림사에서 부처님을 뵈온 뒤 謁佛祗林後 반월성의 관사로 돌아올 때 還官半月時 깊은 산에선 골짜기에 구름이 일고 山深雲在峽 오래된 나무에선 가지에 풀이 돋네 木老草生枝 용맹이 적으니 사슴이 졸고 勇少伊尼睡 길게 읊조리니 느린 말이 지치네 吟長款段疲 이번 길은 참으로 자랑할 만하구나 此行眞可詑 가는 곳마다 새로운 시를 지었으니 觸處有新詩 감은사(感恩寺) 부의 동쪽 50리에 있다. 그 동쪽 3리에 이견대(利見臺)가 있다. 절의 옛 기록에 신라의 문무왕(文武王)이 유조(遺詔)로 뼈를 동해 가에 장사지 내게 하고 드디어 바다의 용이 되니, 신문왕(神文王)이 부왕(父王)을 위하여 동 해 가에 절을 세웠다. 금당(金堂)의 섬돌 밑에 구멍 하나를 뚫어놓았는데, 바로 용이 절에 들어와 돌던 곳이다. 그 구멍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하였다. 지금은 없 어졌다. 백률사(栢栗寺) 금강산(金剛山)에 있다. 전단(栴檀)나무로 조각한 불상이 있다. 전사경(全思敬)의 서루기(西樓記)에, 계림(雞林)에 있는 누관(樓觀) 중에서 백률사의 누(樓)가 최고이다. 선유(先儒) 정지상(鄭知常) 등이 시가를 읊어 그 아름다움을 극찬하였다. 절을 창건한 연월(年月)은 상고할 길이 없지만, 너무 심 178 조선대세시기 Ⅳ
6 하게 훼손되어 경치와는 걸맞지 않는다. 영평군(鈴平君) 상국(相國) 윤승순(尹承 順)이 부윤이 된 지 2년 만에 왜구(倭寇)가 물러가자 군사들이 오랫동안 한가하 였다. 그래서 절의 주지 견해(見海)와 수령 심우경(沈于慶)과 중수할 것을 계획 하고, 통례문 지후(通禮門祗侯) 김정미(金精美)와 안일(安逸) 김군자(金君子) 에게 명하여 수졸(戍卒)을 거느리고 그 공사를 감독하게 하였다. 그 절의 향배(向 背)라든지 증손(增損)을 적절하게 한 것은 모두 공(公)의 의도에서 나온 것인데, 올라가서 바라볼 거리는 옛날보다 배나 풍성하다. 이 절은 나라에서 향(香)을 내 려주어 왕실의 복을 비는 곳이며 사대부들이 항상 왕래하는 곳이다. 더군다나 신 라 고도(古都)의 웅장한 모습과 멀리 트인 조망이 모두 이 누에 있음에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 옛것을 좋아하는 군자가 아니면 누가 잔폐한 것을 화려하게 바꾸 어 사방의 유람객들과 공유하겠는가? 불전(佛殿)을 수리하여 부처에게 복을 구하 는 것은 윤공(尹公)의 뜻이 아니다. 하였다. 感恩寺 在府東五十里 其東三里有利見臺 寺中古記云 新羅文武王遣詔 藏骨於東海邊 遂爲海龍 神文王爲父王 創寺於東海上 金堂砌下開一穴 乃龍之入寺旋繞之處 其穴至今尙在 今廢 栢栗寺 在金剛山 有栴檀像 全思敬西樓記 雞林樓觀之中 栢栗寺樓居 其最 先儒鄭知常輩作詩題詠 極道其美 創始歲月則不可考也 殘廢已甚 不與景致相稱 鈴平君尹相國承順尹府之二年 倭寇旣退 戎兵久閒 與寺住 持見海府倅沈于慶 謀欲重新 命通禮門祗侯金精美安逸金君子 領戍卒而 督其役 其向背增損之宜 皆自公意 而登臨觀覽之富倍於昔日矣 惟玆寺也 降香祝釐之所 士大夫之所常往來 況新羅古都壯觀遐眺摠在此樓乎 非好 古君子 孰能革殘廢爲華構 與四方遊覽者共之哉 如曰修營佛宇邀福於釋 氏者 非尹公之志也 동경잡기 <권2> 179
7 정지상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鄭知常詩 새벽에 작은 누 머리에서 일어나 晨興小樓頭 발을 걷고 하늘을 바라본다 捲箔觀天宇 누 아래는 바로 계림이라 樓下卽雞林 기괴한 것 이루 헤아릴 수 없네 奇怪不可數 고목에서 안개가 아물아물 피어올라 老樹烟濛濛 일만 호에 비꼈네 橫斜一萬戶 흰 구름은 동쪽 산으로 날고 白雲飛東山 푸른 물은 서쪽 포구로 달리네 綠水走西浦 우뚝 솟은 황금 사찰 突兀黃金刹 마주 바라보며 아침 햇살에 따사롭구나 相望朝欲煦 숲이 빽빽한 반월성에 有森月城中 꽃과 대나무는 이제 주인이 없네 花竹今無主 부질없이 옛 풍류만 남아 空餘古風流 한 곡조 높은 소리에 춤을 추네 一曲高聲舞 최고운을 생각해보니 記憶崔儒仙 문장이 중국 땅을 진동시켰네 文章動中土 무명옷 입고 갔다가 비단옷 입고 돌아오니 絲往錦還鄕 나이 스물아홉도 안 되었네 年未二十九 백옥 위에 파리가 똥을 갈기듯 白玉點蒼蠅 당시에 쓰여지지 못했네 不爲時所取 지금까지 남산에는 至今南山中 오직 채소밭 하나 남아 있네 唯有一遺圃 아득히도 먼 구세 손이 邈哉九世孫 소년으로 졸오에 들어갔네 結髮混卒伍 불러다 선비의 관을 높게 씌우니 喚來峨其冠 사람들이 어진 이의 후예임을 알게 되었네 人識賢者後 180 조선대세시기 Ⅳ
8 또 설총 선생이 있었으니 亦有薜先生 용 같고 범같이 일어났네 蔚然龍與虎 방언으로 오경을 강의하니 方言講五經 학자가 동로3)에 견주었네 學者比東魯 세상에서는 이 군자라 불렀으니 俗呼二君子 이백과 두보처럼 명성을 나란히 하였네 齊名同李杜 읊조리며 맑은 바람 앞에 서니 嘯詠臨淸風 묵은 병도 나을 수 있을 듯 宿疾猶可愈 돌아와 부처님을 뵈오니 朅來謁金仙 빈 당에 한 가닥 향이 타고 있네 虛堂香一炷 머리를 조아려 우리 임금님을 위해 비나니 稽首祝吾君 만년 하늘의 보우를 받으시길 萬年受天祐 상상컨대 부처님의 오묘한 맑은 거울 想像妙明鏡 나의 이 마음 알아 주시리 知予此心否 차를 민자천에서 시음하니 試茶閔子泉 차 그릇에 운유가 일어나네 甌面發雲乳 수옹4)의 시를 세 번 거듭 읊으니 三復壽翁詩 벽에 가득 구슬을 토해놓은 듯 満壁珠璣吐 즐거워라 근심할 바 없으니 樂哉無所憂 이 즐거움 얼마나 예스러운가 此樂何太古 일산을 날리며 송문을 내려오니 飛蓋下松門 송문에 해가 중천에 높이 떠 있네 松門日卓午 박효수(朴孝修)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朴孝修詩 3) 노(魯) 나라는 중국의 동쪽에 있어 동로(東魯) 라고도 하는데, 공자의 고국으로 그의 유 풍이 남아 학자가 많다고 한다. 4) 최해(崔瀣)를 말한다. 동경잡기 <권2> 181
9 좋은 날 내 걸으니 我行及良辰 봄 산에 두견새 우는구나 春山聞杜宇 붉은 깃발이 돌아가는 길 인도하니 紅斾引歸程 옛 풍속의 예절이 남아 있구나 古風餘禮數 푸른 솔 그늘에서 길 비키라 소리치고 喝道靑松陰 종을 쳐서 구름 속 문을 여네 撞鍾啓雲戶 마치 보타산5)에 오른 듯 如上補陁山 불전이 은포를 스치네 寶殿拂銀浦 흰 꽃은 사시사철 피어 있어 白華四時開 향기가 언제나 봄날 같구나 芬馥恒春煦 거주하고 있는 중은 오직 두세 사람 居僧惟兩三 누가 향화의 주인인가 孰爲香火主 서루에 올라 멀리 둘러보니 眺望登西樓 처마와 기둥이 날아 춤추는 듯 簷楹若飛舞 남쪽 트인 곳에 인가가 조밀하여 南曠人烟稠 문물은 신라의 옛 땅일세 文物舊羅土 금찰이 인가 사이에 섞여 있어 金刹間人廬 아마도 열에 아홉은 되는 듯 算得十中九 성인의 자취 세속에 섞여 있으니 聖跡雜凡蹤 지나는 손이 구경하기에 바쁘네 過客奔看取 큰 저택과 아름다운 절들이 甲第與珠宮 전란 뒤에 채마밭이 되었구나 亂後成野圃 본당에 백의관음이 있으니 堂有白衣尊 묘한 조화가 비할 데 없네 妙化無雙伍 거문고와 옥피리로 바다를 건넜다는 琴笛泛鯨濤 지난 일의 기록이 벽에 가득 쓰여 있네 往事森壁後 5) 중국 복건성(福建省) 아모이[廈門] 앞바다에 있는 산으로, 관세음보살이 있는 곳이라고 한다. 182 조선대세시기 Ⅳ
10 병화가 두려워서 여기 와 빌었더니 畏兵來乞玆 방패와 창이 바로 위세를 감추었네 干戈旋韜虎 둔함을 한탄하여 총명해지기를 빌면 悔鈍來乞聰 어리석은 자에게 총명을 준다네 與聰於戇魯 마음으로 구하는 것에 응해주니 應諸心所求 넓은 문은 닫힌 적이 없다네 普門未曾杜 시원한 감로가 많아서 泠泠甘露多 뿌려주니 뜨거운 번뇌 나아지네 灑餘熱惱愈 나는 피로 기름 만들고 我以血作油 이 몸으로 믿음의 심지 삼노니 此身爲信炷 다만 바라건대 황제께서 만년 장수 누리시고 但願帝萬齡 우리 임금 온갖 복을 누리시며 吾君享百祐 삼한은 태평성대가 되어 三韓向昇平 언제나 태6)를 타고 비7)를 제거하소서 乘泰常除否 아기가 어미를 그리듯 만방이 와서 嬰慕萬方來 우러러 문왕사유8)를 마시게 하소서 仰吸文四乳 온 천하가 다 같이 기뻐하며 普率同一懽 강자와 약자가 먹고 먹힘이 없게 하소서 強弱無呑吐 자연히 수역이 열려진다면 自然開壽域 세상은 복희씨 옛 시절로 돌아가리 世復羲皇古 이를 생각하며 밤 깊도록 앉았으니 念玆坐夜深 달이 바로 중천에서 누를 비추네 月正當樓午 천주사(天柱寺) 월성(月城)의 서북쪽에 있다. 속설에, 소지왕(炤智王)이 거 문고 갑(匣)을 활로 쏘아 넘어뜨렸더니 그 속에 있던 자는 바로 이 절의 중이었 6) 태(泰)는 64괘(卦)의 하나로 하늘과 땅의 사귀어 만사가 형통함을 상징한다. 7) 비(否)는 64괘의 하나로 하늘과 땅의 상극(相克)이 되어 운수가 비색함을 상징한다. 8) 문왕사유(文王四乳)는 중국 주(周) 나라 문왕은 젖이 넷이었다 라는 말이다. 동경잡기 <권2> 183
11 다. 고 전한다. 그 북쪽에 안압지(雁鴨池)가 있다. 신증 新增 이는 바로 신라 왕 의 내불당(內佛堂)으로 지금의 제석원(帝釋院)이다. 나라 사람들이 해마다 뜰에 이름난 꽃을 심고 복을 빈다. 석장사(錫杖寺) 부의 북쪽 10리에 있다. 세간에, 신라의 중 양지(良志)가 석 장(錫杖) 끝에 포대(布帒) 하나를 걸어놓으면, 석장이 저절로 날아가 시주(施主) 의 집에 이르러 흔들어 소리를 내면 사람들이 이를 알고 돈을 넣어준다. 포대가 가득 차면 날아 돌아오니, 그가 살던 곳을 석장사라 한다. 고 전한다. 법광사(法光寺) 신광현(神光縣) 서쪽 비학산(飛鶴山) 아래에 있다. 세간에, 진평왕(眞平王)이 원효(元曉)로 하여금 기부금을 모아 2층의 불전(佛殿)을 세 우게 하였다. 고 전한다. 세칭 금당(金堂)이라 하는데, 지금까지 남아 있다. 천룡사(天龍寺) 고위산(高位山)에 있으니, 부의 남쪽으로 25리 떨어진 곳이다. 무장사(鍪藏寺) 부의 동북쪽 30리 지점인 암곡촌(暗谷村) 북쪽에 있다. 속설에, 고려 태조(太祖)가 삼국을 통일한 후 무기와 투구를 그 골짜기 속에다 감추었으 므로 그렇게 명명하였다. 고 전한다. 옛날 비석이 있다. 용장사(茸長寺) 금오산(金鰲山)에 있다. 시승(詩僧) 설잠(雪岑)이 일찍이 이 절을 짓고 살았다. 설잠의 속명(俗名)은 김시습(金時習)이다. 天柱寺 在月城西北 俗傳 炤智王射琴匣而倒 乃是寺僧也 其北有鴈鴨 池 新增 即新羅王內佛堂 今帝釋院也 國人歲植名花于庭 祈福 錫杖寺 在府北十里 世傳 新羅僧良志 錫杖頭 掛一布帒 錫杖自飛 至 檀越家 振拂而鳴 人知之納錢 布帒満則飛還 名其所住曰錫杖寺 法光寺 在神光縣西飛鶴山下 世傳 眞平王使元曉募緣 創立二層殿 俗 號金堂 至今尙在 天龍寺 在高位山 府南距二十五里 鍪藏寺 在府東北三十里暗谷村北 諺傳 麗祖統三後 藏兵鍪於谷中 因名 之 有古碑 184 조선대세시기 Ⅳ
12 茸長寺 在金鰲山 詩僧雪岑嘗構此 居焉 岑俗名金時習 신증 新增 김시습의 용장사유회시(茸長寺有懷詩) 는 다음과 같다. 金時習茸長寺有懷詩 용장산 골짜기가 깊으니 茸長山洞窈 사람이 오는 것이 보이지 않네 不見有人來 가랑비는 시내의 대로 옮겨가고 細雨移溪竹 비낀 바람은 들의 매화를 감싸주네 斜風護野梅 작은 창가에서 사슴과 함께 졸고 小窓眠共鹿 낡은 의자에서 재와 함께 앉아 있네 枯椅坐同灰 어느새 처마 가에는 不覺茅簷畔 뜰의 꽃이 떨어졌다 또 피네 庭花落又開 이상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에 나오는데, 간간이 빠진 것을 보충하였다. 以上出輿地勝覽9)而間補其遺 신증 新增 정혜사(浄惠寺) 자옥산(紫玉山) 아래에 있다.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선생 이 소싯적에 여기에서 학업을 닦았다. 절의 창건 연대는 언제인지 모르지만 예로부 터 신라의 고찰(古刹)이라고 전해 온다. 부처님 앞 탁자(卓子)의 다리에 치화원년 정월일조(致和元年正月日造) 라는 여덟 글자가 있고, 선생이 손수 쓴 동유록(同 遊錄)이 법당의 북쪽 벽에 있으며, 영잠(楹箴) 7구가 북쪽 벽 동창(東窓) 왼쪽에 있다. 후인들이 더럽혀질까 염려하여 드디어 그 글자를 모두 새기고 분칠하고 덮어 놓았다. 옥산서원(玉山書院)을 창건한 뒤, 이로 인하여 완호사(完護寺)라 하였다. 두덕암(斗德菴) 정혜사 서북쪽 도덕산(道德山)의 허리에 있다. 암석이 병풍으로 가린 것처럼 벽립(壁立)해 있고, 반석(盤石)이 평편하게 깔려 있어 주위가 매우 9)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불우(佛宇) 동경잡기 <권2> 185
13 넓다. 차가운 샘물이 바위 밑에서 솟아나오는데 암자의 중이 돌로 함(函)을 만들 어 물을 담아두었다. 그 함은 바로 부엌문 밖에 있다. 임진왜란 때에 향교의 위판 (位版)을 임시로 이곳에 봉안하여 병화(兵火)를 면할 수 있었다. 원원사(遠願寺) 부의 동쪽 봉서산(鳳棲山) 기슭에 있다. 어느 해에 창건하였는 지는 알 수 없으나 숭정(崇禎) 경오년(1630)에 중수(重修)하였고, 병신년(1656) 에 화재가 나자 곧바로 중건하였다. 개선사(開善寺) 금오산(金鰲山) 동쪽 기슭에 있다. 임진년에 불에 탄 것을 숭정 신미년(1631)에 중수하였다. 심원사(深源寺) 부의 서쪽 70리에 있다. 장천사(障川寺) 부의 남쪽 60리에 있다. 앞에는 시냇물이 있어, 시내를 따라 남 쪽으로 5리를 가면 반구대(盤龜臺)가 있다. 황룡사(黃龍寺) 부의 동쪽 30리에 있다. 단석사(斷石寺) 단석산(斷石山)에 있다. 금곡사(金谷寺) 부의 북쪽 20리에 있다. 안곡사(安谷寺) 기계현(杞溪縣) 서쪽 15리에 있다. 태화사(太華寺) 기계현 북쪽 20리에 있다. 대둔사(大屯寺) 치술령(鵄述嶺) 서쪽 기슭에 있다. 거동사(巨洞寺) 죽장현(竹長縣) 서남쪽 15리에 있다. 밀곡사(密谷寺) 부의 북쪽에 있다. 新增 浄惠寺 在紫玉山下 晦齋李先生少時隷業於斯 其創建不知其幾年 自古傳 稱新羅古刹 佛前卓子足 有致和元年正月日造八字 而有先生手書同遊錄 在於法堂北壁中 楹箴七句在於北壁東窓之左 後人恐其塵汚 遂皆刻其字 186 조선대세시기 Ⅳ
14 粉而籠之 玉山書院創建後 因爲完護寺 斗德菴 在浄惠寺西北道德山腰 巖石壁立如屛障 盤石平鋪 周圍甚廣 冷 泉瀉出巖底 菴僧以石作函而貯之 正當廚門外 壬辰之亂 鄕校位版 權奉 於此 得免兵火 遠願寺 在府東鳳棲山麓 未知某年所創 而崇禎庚午重修 丙申災 旋卽重建 開善寺 在金鰲山東麓 火于壬辰 崇禎辛未重修 深源寺 在府西七十里 障川寺 在府南六十里 前有溪水 沿溪而南五里 有盤龜臺 黃龍寺 在府東三十里 斷石寺 在斷石山 金谷寺 在府北二十里 安谷寺 在杞溪縣西十五里 太華寺 在杞溪縣北二十里 大屯寺 在鵄述嶺西麓 巨洞寺 在竹長縣西南十五里 密谷寺 在府北 고적 古蹟 진한육부(辰韓六部) 조선의 유민(遺民)들이 동해변 산곡에 나누어 살았다. 여섯 마을이 있었으니, 하나는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으로, 지금의 담암사(曇巖寺) 근방이다. 바로 지금의 부 남쪽 월남(月南)ㆍ남건(南建) 등의 마을이다. 그 촌장 알평(謁平) 이 일찍이 표암봉(瓢巖峰)으로 내려왔다. 둘은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으로, 지 금의 남산부(南山部) 구량벌(九良伐)ㆍ마등오(麻等烏)ㆍ도북(道北)ㆍ회덕(回德) 등의 남촌(南村)이 이에 속한다. 바로 지금의 부 남쪽 구량화(仇良火)ㆍ마등오 등의 마을이다. 그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가 일찍이 형산(兄山)으로 내려왔다. 셋은 무산대수 촌(茂山大樹村)으로, 지금의 장복부(長福部) 박곡(朴谷) 등의 서촌(西村)이 이 동경잡기 <권2> 187
15 에 속한다. 바로 지금의 부 서쪽 모량(牟梁)ㆍ박곡 등의 마을이다. 가 일찍이 이산(伊山)으로 내려왔다. 그 촌장 구례마(俱禮馬) 다른 본에는 모두 비산(比山)으로 되어 있다. 넷은 자 산진지촌(觜山珍支村)으로, 지금의 통선부(通仙部) 시파(柴巴) 등 동남촌(東南 村)이 이에 속한다. 바로 지금의 부 동쪽 빈자(賓子)ㆍ시기(柴己) 등의 마을이다. 그 촌장 지 백호(智伯虎)가 일찍이 화산(花山)으로 내려왔다. 다섯은 금산가리촌(金山加利 村)으로, 지금의 가덕부(加德府) 상서지(上西知)ㆍ하서지(下西知)ㆍ내아(乃兒) 등의 동촌(東村)이 이에 속한다. 바로 지금의 동해변 상서지ㆍ하서지ㆍ내아 등의 마을이다. 그 촌장 지타(祗沱)가 일찍이 명활산(明活山)으로 내려왔다. 여섯은 명활산고야 촌(明活山高耶村)으로, 지금의 임천부(臨川部) 물이촌(勿伊村)ㆍ잉구며촌(仍仇 旀村)ㆍ궐곡(闕谷) 속한다. 다른 본에는 갈곡(葛谷)으로 되어 있다. 등의 동북촌(東北村)이 이에 바로 지금의 천북(川北)ㆍ물이(勿伊)ㆍ갈곡 등의 마을이다. 그 촌장 호진(虎珍)이 일 찍이 금강산(金剛山)으로 내려왔다. 위의 글을 상고해보면 6부(部)의 시조는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것 같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에 나온다. 유리왕(儒理王) 9년 (32) 봄에 6부의 이름을 바꾸고 이어 성(姓)을 내려주었다. 양산부(楊山部)를 급 량(及梁)으로 바꾸고 이씨(李氏) 성을 내려주고, 고허부(高墟部)를 사량(沙梁) 으로 바꾸고 최씨(崔氏) 성을 내려주고, 대수부(大樹部)를 점량(漸梁)으로 바꾸 고 일명 모량(牟梁)이다. 손씨(孫氏) 성을 내려주고, 진지부(珍支部)를 본피(本彼)로 바꾸고 정씨(鄭氏) 성을 내려주고, 가리부(加利部)를 한기부(漢祇部)로 바꾸고 일명 한기(韓岐)이다. 배씨(裵氏) 성을 내려주고, 명활부(明活部)를 습비(習比)로 바 꾸고 설씨(薛氏) 성을 내려주었다. 동국통감(東國通鑑) 에 나온다. 고려 태조 23년 (940)에 주(州)를 승격시켜 대도독부(大都督府)로 하고, 6부의 이름을 바꿔 급량 을 중흥부(中興府)로, 사량을 남산부(南山部)로, 본피를 통선부(通仙部)로, 습비 를 임천부(臨川部)로, 한기를 가덕부(加德部)로, 모량을 장덕부(長德部)로 하였 다. 일명 장복(長福)이다. 여사지리지(麗史地理志) 에 나온다. 양산라정(楊山蘿井) 부의 남쪽 7리에 있다. 한(漢) 나라 선제(宣帝) 지절(地節) 원년(69)에 고허촌장(高墟村長) 소벌공(蘇伐公)이 양산(楊山) 기슭 나정(蘿井) 부근의 숲을 바라보니, 백마(白馬)가 꿇어앉아 절하는 모양을 하고 있었다. 즉시 188 조선대세시기 Ⅳ
16 가서 보니 말은 홀연히 사라지고 큰 알이 있었다. 그 알을 쪼개보니 거기서 어린 아이가 나왔다. 거두어 길렀더니, 나이 13세에 이르러서는 자질이 뛰어나고 숙성 (夙成)하였다. 6부의 사람들이 그 탄생이 신이(神異)하다 하여 임금을 삼고 혁거 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이라고 불렀다. 진한(辰韓) 사람들은 박[瓠]을 박(朴)이 라 하는데, 큰 알이 박[瓠]과 같으므로 박(朴)으로 성(姓)을 삼았다. 알영정(閼英井) 부의 남쪽 5리에 있다. 신라 시조 5년(53)에 용이 이 우물에 나 타나, 오른쪽 갈비에서 여아(女兒)를 낳았다. 한 노파가 보고 기이하게 여기어 그 아이를 거두어 기르고, 우물 이름으로 그 아이의 이름을 삼았다. 장성하자 덕이 있 고 용모가 아름다웠다. 시조가 데려다가 왕비를 삼으니, 어진 행실이 있어서 내조 (內助)를 잘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두 성인[二聖] 이라 하였다. 금성정(金城井) 부의 안에 있다. 신라 시조 때에 용이 이 우물에 나타났다. 추라정(雛羅井) 부의 남쪽 7리에 있다. 신라 소지왕(炤智王)때 용이 이 우물에 나타났다. 시림(始林) 부의 남쪽 4리에 있다. 탈해왕(脫解王) 9년(65)에 왕이 밤에 금성 (金城)의 서쪽 시림(始林)의 숲에서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대보(大 輔) 호공(瓠公)을 보내어 보게 하였더니, 금빛 나는 조그만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왕이 궤를 가져다가 열어보니 작은 사내 아이가 있었다. 왕이 기뻐하여 말하기를, 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훌륭한 후사(後 嗣)를 보내준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는,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알지(閼知)라고 하였다. 그 아이가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씨(金氏)로 하고, 인하여 그 숲을 계림(鷄林)이라 하고, 인하여 나라 이름으로 삼았다. 숲 속에 높이가 3척 정도 되 게 돌을 쌓은 것이 있는데, 속설에 알지가 태(胎)를 풀 때에 가위를 놓아두었던 돌인데 가위 날의 흔적이 있다. 고 전한다. 알지의 7대손 미추(味鄒)가 조분왕(助 賁王)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왕이 아들이 없어 미추가 대신 왕위에 올랐으니, 이것 이 김씨가 나라를 소유하게 된 시초였다. 알지는 삼국유사 에 어린아이의 호칭이라고 한다. 영창궁(永昌宮)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에 세웠다.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다. 동경잡기 <권2> 189
17 요석궁(瑤石宮) 신라의 중 원효(元曉)가 일찍이 노래를 부르기를, 누가 자루 빠 진 도끼를 허락할까? 내 하늘을 지탱할 기둥을 다듬으리라. 하였다. 태종왕(太宗 王)이 듣고 말하기를, 이 스님은 귀한 부인을 얻어 어진 아들을 낳고 싶다는 말 이다. 나라에 대현(大賢)이 있다면 이로움이 그보다 큰 것이 없다. 하였다. 당시 요석궁에 종실의 과부가 있었다. 왕이 요석궁의 관리에게 명하여 원효를 찾게 하 였다. 원효가 남산에서 와서 유교(楡橋)를 지나다가 관리를 만나자 거짓으로 실족 하여 물속에 빠졌다. 관리가 원효로 하여금 요석궁에 가서 옷을 말리게 하고 인하 여 유숙하게 하니, 과부가 과연 임신을 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바로 설총(薛聰)이 다. 요석궁의 터는 향교의 남쪽에 있고, 유교는 궁터의 남쪽에 있다. 황학루(黃鶴樓) 객관(客館) 동쪽에 있었는데, 지금은 폐허가 되었다. 금송정(琴松亭) 금오산(金鰲山) 꼭대기에 있다. 옥보고(玉寶高)가 노닐며 즐 기던 곳이다. 옥보고는 신라의 사찬(沙粲) 공영(恭永)의 아들로 경덕왕(景德王) 때 사람이다. 그는 지리산(智異山) 운상원(雲上院)에 들어가 거문고를 50년 동안 배우고 자신이 새로운 곡조 30곡을 만들어서 타니 검은 학[玄鶴]이 와서 춤추었 으므로 마침내 현학금(玄鶴琴) 이라 명명하였으며, 또 현금(玄琴) 이라 하기도 한다. 세간에는 옥보고가 선도(仙道)를 얻었다고 전한다. 辰韓六部 朝鮮遺民分居東海濱山谷間 有六村 一曰閼川楊山村 今曇巖寺 即今之府南月南南建等村 其長謁平初降于瓢巖峰 二曰突山高墟村 今南山部九 良伐麻等烏道北回德等南村屬焉 即今之府南仇良火麻等烏等村 初降于兄山 三曰茂山大樹村 今長福部朴谷等西村屬焉 等村 其長俱禮馬初降于伊山 東南村屬焉 一作皆比山 即今之府東賓子柴己等村 其長蘇伐都利 即今之府西牟梁朴谷 四曰觜山珍支村 今通仙部柴巴等 其長智伯虎初降于花山 五曰金山加利村 今加德部上下西知乃兒等東村屬焉 即今之東海邊上西知下西知乃兒等村 沱初降于明活山 六曰明活山高耶村 今臨川部勿伊村仍仇旀村闕谷 谷 等東北村屬焉 即今之川北勿伊葛谷等村 六部之祖似皆從天而降 190 조선대세시기 Ⅳ 出三國遺事10) 其長祇 一作葛 其長虎珍初降于金剛山 按上文 儒理九年春 改六部名 仍賜姓 以楊山
18 部爲及梁 姓李 高墟部爲沙梁 姓崔 大樹部爲漸梁 爲本彼 姓鄭 加利部爲漢祇 一云韓岐 一云牟梁 姓孫 珍支部 姓裵 明活部爲習比 姓薛 出東國通鑑 高麗太祖二十三年 陞州爲大都督府 改六部名 及梁爲中興部 沙梁爲南山 部 本彼爲通仙部 習比爲臨川部 漢祇爲加德部 牟梁爲長德部 一云長福 出 麗史地理志11) 楊山蘿井 在府南七里 漢宣帝地節元年 高墟村長蘇伐公 望楊山麓蘿井傍 林間 有白馬跪拜狀 即觀之 馬忽不見 有大卵 剖之 嬰兒出焉 收養之 及 年十三歲 岐嶷夙成 六部人以其生神異 立爲君 稱赫居世居西干 辰人謂 瓠爲朴 以大卵如瓠 以朴爲姓 閼英井 在府南五里 新羅始祖五年 龍見是井 右脇誕生女兒 老嫗見而異 之 收養之 以井名名之 及長 有德容 始祖納以爲妃 有賢行 能內輔 時人 謂之二聖 金城井 在府內 新羅始祖時 龍見是井 雛羅井 在府南七里 新羅炤智王時 龍見是井 始林 在府南四里 脫解王九年 王夜聞金城西始林樹間有雞鳴聲 遣大輔瓠 公視之 有金色小櫝掛樹枝 白雞鳴於其下 王取櫝開之 有小男兒在 王喜 曰 此豈非天遺我令胤乎 乃收養之 名曰閼智 以其出於金櫝 故姓金氏 因 名其林曰雞林 因以爲國號 林中築石 高可三尺 諺傳 閼智解胎時 置剪子 石 有刀痕在 閼智七世孫味鄒娶助賁王女 王無子 味鄒代立 是金氏有國 之始 閼智 三國遺事云 小兒之稱 永昌宮 新羅文武王時建 今未詳所在 瑤石宮 新羅僧元暁甞唱歌云 誰許没柯斧 我斫支天柱 太宗王聞之曰 此 師欲得貴婦 産賢子之謂爾 國有大賢 利莫大焉 時瑤石宮有宗室寡婦 王 勑宮吏覓元暁 自南山來 過楡橋 遇宮吏 佯墮水中 吏使元暁至宮曬衣袴 因留宿 寡婦果有身生子 即薛聰 宮基在鄕校南 楡橋在宮基南 黃鶴樓 在客館東 今廢 10) 삼국유사(三國遺事) 권1 기이편(紀異篇) 신라시조 혁거세왕(新羅始祖 赫居世王) 11) 고려사(高麗史) 권57 지리지(地理志) 경상도(慶尙道) 동경잡기 <권2> 191
19 琴松亭 在金鰲山頂 玉寶高遊樂之處 寶高 新羅沙粲恭永之子 景德王 時人 入智異山雲上院 學琴五十年 自製新調三十曲 彈之 有玄鶴來舞 遂 名玄鶴琴 又云玄琴 世傳寶高得仙道 포석정(鮑石亭) 부의 남쪽 7리에 있는 금오산의 서쪽 기슭에 있다. 돌을 다듬어 포어(鮑魚)의 모양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한 것이다. 유상곡수(流觴曲 水)한 흔적이 완연하다. 고려 태조 10년(927)에 후백제(後百濟)의 견훤(甄萱) 이 근품성(近品城)을 공격하여 불사르고 나아가 신라의 고울부(高鬱府) 천(永川)이다. 지금의 영 를 습격하고 서울 근교까지 바싹 다가오니, 신라 경애왕(景哀王)이 연식(連式)을 고려에 파견하여 급박한 사정을 호소하였다. 태조가 시중(侍中) 공 훤(公萱)과 대상(大相) 손행(孫幸)과 정조(正朝) 연주(聯珠) 등에게 말하기를, 신라는 우리와 우호(友好)를 맺은 지 이미 오래되었소. 이제 급박하게 되었으니 구하지 않을 수 없소. 하고는, 공훤 등을 파견하여 군사 1만 명을 거느리고 달려 가게 하였으나, 미처 도착하기 전에 견훤이 졸지에 신라의 도성(都城)으로 쳐들어 갔다. 그때 경애왕은 비빈(妃嬪)ㆍ종척(宗戚)들과 포석정에 나가 술자리를 벌이 고 즐기다가, 갑자기 적병이 이르렀다는 말을 듣고 창졸간에 어찌할 바를 몰랐다. 왕은 왕비와 함께 달아나 성 남쪽 이궁(離宮)에 숨고, 종신(從臣) 및 영관(伶官) 과 궁녀들은 모두 함몰되었다. 견훤은 군사를 풀어 마구 약탈하게 하고, 왕궁에 들 어가 거처하면서 좌우로 하여금 경애왕을 찾아내어 궁중에 가두고 핍박하여 자결 하도록 하였으며, 왕비를 능욕하고 그의 부하들을 풀어놓아 경애왕의 빈첩들을 더 럽히게 하였다. 그리고 왕의 표제(表弟) 김부(金傅)를 세워 왕으로 삼고, 왕의 아 우 효렴(孝廉)과 재상 영경(英景) 등을 포로로 하고 자녀(子女)와 백공(百工), 병기와 보물 등을 모두 빼앗아 돌아갔다. 鮑石亭 在府南七里金鰲山西麓 鍊石作鮑魚形故名焉 流觴曲水遺跡宛然 高麗太祖十年 後百濟甄萱攻燒近品城 進襲新羅高鬱府 今永川 逼至郊畿 新羅景哀王遣連式告急 王謂侍中公萱大相孫幸正朝聯珠等曰 新羅與我同 192 조선대세시기 Ⅳ
20 好已久 今有急 不可不救 遣公萱等 以兵一萬赴之 未至 萱猝入新羅都城 時景哀王與妃嬪宗戚 出遊鮑石亭 置酒娛樂 忽聞兵至 倉卒不知所爲 王 與夫人走 匿城南離宮 從臣伶官宮女皆被陷没 萱縱兵大掠 入處王宮 令 左右索王 置宮中 逼令自盡 強辱王妃 縱其下 亂其嬪妾 立王表弟金傅爲 王 虜王弟孝廉宰臣英景等 盡取子女百工兵仗珍寶以歸 이인로(李仁老)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李仁老詩 석호의 궁에는 가시가 나고12) 石虎宮中有棘生 동타의 거리에는 다니는 사람이 없네 銅駞陌上無人行 우뚝 솟은 정자와 금송은 반이나 영락했는데 危亭琴松半零落 희미한 달빛은 여전히 옛 성을 비추누나 殘月依依照古城 당시의 음악 소리 마침내 처량해지고 當時絲管竟悽咽 둥둥 뜬 황금 술잔 굽이 따라 꺾어져 흘렀네 泛泛金觴隨曲折 중류에서 위 나라의 산하는 속절없이 애석하구나.13) 中流空惜魏山河 취향에 들어 진 나라의 일월도 아랑곳 않았네14) 醉鄕不管陳日月 매계(梅溪) 조위(曺偉)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梅溪曺偉詩 맑은 시내 한 줄기 굽이쳐 흐르는데 淸溪一派流縈回 황량한 골짜기 구불구불 열렸어라 荒涼洞壑迤邐開 12) 남북조(南北朝) 시대에 후조(後趙) 임금 석호가 궁전에서 큰 잔치를 베풀었는데 승려 불도증(佛圖證)이 읊조리기를, 전(殿)이여, 전이여, 가시가 숲을 이루어 장차 사람의 옷 을 찢으리로다. 하므로, 석호가 사람을 시켜 궁전의 돌 밑을 파보니 가시가 나 있었다. 석호의 수양손(收養孫) 염민(冉閔)의 아명(兒名)이 극노(棘奴)인데, 후일 석호의 자손이 모두 염민의 손에 죽음을 당하였다 13) 전국시대 위(魏) 나라 무후(武侯)가 서하(西河)에 배를 타고 내려가다가 중류에서 말하 기를, 아름답도다, 산하(山河)의 험고함이여! 이는 위 나라의 보배로다. 하니, 오기(吳 起)가 나라는 왕의 덕에 있지 산하의 험한 데 있지 않습니다. 라고 하였다. 14) 진(陳) 나라 후주(後主)가 주색에 빠져 밤낮없이 음탕하게 놀다가 나라를 망쳤음을 의 미한다. 동경잡기 <권2> 193
21 시냇가엔 포어들 깔려 있고 鮑魚散落溪水側 묵은 돌엔 봄도 지나 푸른 이끼 끼었구나 春殘石老生蒼苔 신라 왕은 옛날에 정치하기 싫어하고 羅王昔日厭萬機 금수레 옥가마로 놀러만 다니었네 金輿玉輩長徘徊 이곳에서 놀면서 맑은 물결 희롱하며 流連此地弄淸泚 술잔을 둥둥 물에 띄워 보내었네 羽觴泛泛隨波來 군신이 술에 취해 한껏 노래하니 君臣酣歌入醉鄕 퉁소소리 북소리 뇌성처럼 땅에 울려 簫鼓動地知春雷 적병이 심복에 들어온 줄도 몰랐으니 不悟敵兵入心腹 대낮에 철기가 소리 없이 들이닥쳤네 白日鐵騎潛䘖枚 궁정에서 흘린 피를 차마 어찌 말하리 蹀血宮庭那忍說 창황 중에 서울 거리는 폐허로 변하였네 倉皇朝市飛塵埃 궁녀들은 적군 앞에서 애처로이 울부짖고 宮娥宛轉啼軍前 보배 비녀는 속절없이 풀섶에 버려졌네 寶鈿零落委草萊 해목령 위에는 슬픈 구름 피어오르고 蟹目嶺上愁雲凝 솔바람 소리는 아직도 천 년의 슬픔을 띠었구나 松聲尙帶千年哀 그대는 보지 못 하였는가 君不見 임춘각15)에서 술이 얼큰하게 취하여 臨春閣中醉醺醺 문 밖에 한장군16)이 온 것도 알지 못해 不知門外韓將軍 옥수 벽월의 노래17) 끝나기도 전에 玉樹璧月歌未闋 강남의 왕업이 연기처럼 사라진 것을 江南王業隨烟滅 앞에 전복된 수레는 뒷수레의 경계이건만 前車可爲後車戒 뒷수레도 뒤이어 전복하였네 後車相尋迷覆轍 바라건대 천공은 귀신에게 잘 지키게 하여 我願天公令鬼守 15) 진(陳) 나라 후주(後主)가 지은 화려한 누각의 이름이다. 16) 진(陳) 나라 후주(後主)를 멸망시킨 수(隋) 나라 장수 한금호(韓檎虎)를 말한다. 17) 벽월(璧月)은 야광주로, 진(陳) 나라 후주(後主)의 가곡에 벽월은 밤마다 차고 옥수(玉 樹)는 아침마다 새롭네. 라는 구절이 있다. 194 조선대세시기 Ⅳ
22 후인들이 이 돌을 거울삼도록 남겨주소서 留與後人鑑此石 첨성대(瞻星臺) 부의 동남쪽 3리에 있다. 선덕왕 때에 돌을 다듬어서 대(臺)를 쌓았는데 위는 네모지고 아래는 둥글며 높이는 19척이다. 그 안을 다닐 수 있게 만들어 사람이 안에서 오르내리면서 천문(天文)을 관측한다. 瞻星臺 在府東南三里 善德女主時 鍊石築臺 上方下圓 高十九尺 通其中 人由中而上下以候天文 안축(安軸)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安軸詩 전대의 흥망 속에 세월은 흘렀건만 前代興亡歲月經 석대는 천 척이나 푸른 하늘에 솟아 있네 石臺千尺聳靑冥 누군가 오늘날 천상을 살핀다면 何人今日觀天象 한 점 문성이 사성이 되었다 하리라18) 一點文星作使星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圃隱鄭先生詩 첨성대는 반월성에 우뚝 서 있고 瞻星臺兀月城中 옥피리 소리는 만고의 풍치를 머금었네 玉笛聲含萬古風 문물은 이미 신라를 따라 다 없어졌건만 文物已隨羅代盡 오호라 산수는 예나 이제나 같구나 嗚呼山水古今同 매계(梅溪) 조위(曺偉)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梅溪曺偉詩 18) 문장을 맡은 문성(文星)이 있고 사신을 맡은 사성(使星)이 있는데, 지금 글 잘하는 사람 이 사신이 되었다고 칭찬하는 말이다. 동경잡기 <권2> 195
23 벼와 기장 무성해 밭둑길에 그늘지고 離離禾黍暗阡陌 한가운데 솟은 대는 높이가 백 척일세 中有崇臺高百尺 뿌리는 대지 속에 깊숙이 뻗쳐 있고 根連黃媼地中深 그림자는 청산을 마주하여 구름 밖에 우뚝하네 影對靑山雲外矗 치병으로 임금 정하던19) 당년에 민심은 순박했고 齒餅富年民物醇 희화씨20)의 역상도 차례로 마련했네 羲和曆象次第陳 규표21) 세워 그림자를 재어 해와 달 관측하고 立圭測影觀日月 대에 올라 구름을 바라보고 별을 점쳤네 登臺望雲占星辰 천문이 도수에 맞아 태계22)가 평온하고 乾文順度泰階平 낭렵23)이 나타나지 않아 하늘이 맑았네 狼鬛不現天宇淸 장마도 가뭄도 들지 않아 백성이 탈이 없고 雨暘不愆民不瘥 풍년을 즐기는 노래 소리 사방을 덮었네 豐登四野謳謠聲 만고에 세상사는 구렁에 배 감추기24)여서 乾坤萬古舟藏壑 금사발25)이 끝까지 온전한 것 보지 못했네 不見金甌終妥帖 분분한 인간 세상 몇 번이나 티끌 됐나 紛紛人世幾番塵 찬란한 궁궐이 모두 가시밭이 되었네 金碧觚稜盡荊棘 겁화26)에도 타지 않고 저만 홀로 서 있어 劫火不焼渠獨在 19) 신라 유리왕(儒理王)과 탈해왕(脫解王)이 왕위를 서로 양보할 적에 떡을 물어 이의 흔 적이 많은 사람이 왕위에 오르기로 한 고사가 있다. 20) 중국의 전설적인 인물로, 요(堯) 임금 때 역법(曆法)을 관장하던 희씨(羲氏)와 화씨(和 氏)를 말한다. 21) 규표(圭表)는 해의 그림자를 재는 기구이다. 22) 태계(泰階)는 별 이름인데 상중하의 세 계급으로 나뉘고, 각 계급에 두 별씩 있다. 맨 윗계급의 윗별은 천자(天子), 아랫별은 여왕(女王), 중간 계급의 윗별은 제후(諸侯), 삼 공(三公), 그 아랫별은 경대부(卿大夫), 맨 아랫계급의 윗별은 원사(元士), 그 아랫별은 서인(庶人)을 상징한다. 이 별들이 평온하면 오곡이 풍년이 들고 천하가 태평하다고 한 다. 23) 낭렵(狼鬣)은 이리의 갈기란 뜻으로, 불길한 별의 이름인 듯하다. 24)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에 배를 구렁에 감추고 산을 못에다 간직하여 안전하다 고 생각하나, 밤중에 힘이 센 자가 짊어지고 간다. 라고 하였다. 25) 중국 남조(南朝)의 양(梁) 나라 무제(武帝)가 우리나라는 금사발[金甌] 같아서 조금도 상한 데나 이지러진 데가 없다. 하였다. 이로 인해 영토와 국체(國體)가 완전하고 견고 함을 비유한다. 26) 불경(佛經)에 천지의 종말에 불이 나서 모든 것이 타버리는데, 그것을 겁화(劫火)라 한 196 조선대세시기 Ⅳ
24 포갠 돌 우뚝이 풍우에도 까딱없네 累石巍然風雨外 노 나라의 관대는 지금 남아 있는지 魯中觀臺今有無 신라 때의 제작 한번 정말 감탄할 만하구나 羅時制作堪一噫 구성대(九聖臺) 금오산(金鰲山)에 있다. 속설에, 신라 때에 구성(九聖)이 놀던 곳이라고 전한다. 아진포(阿珍浦) 다파나국(多婆那國)은 왜국(倭國)의 동북쪽 1천 리에 있는데, 일명 용성국(龍城國)이라 한다. 그 국왕 함달파(含達婆)가 여국(女國)의 왕녀에 게 장가들어 왕비로 삼았는데, 임신한 지 7년 만에 큰 알을 낳았다. 왕이 말하기 를, 사람이 알을 낳은 것은 상서롭지 못하다. 마땅히 버려야 한다. 하니, 왕녀는 비단에 그 알을 싸서 궤 속에 넣고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워 보내면서 축원하기를, 어디든지 인연이 있는 땅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가정을 이루어라. 하였다. 아 진포에 이르러 한 노파가 열어보니, 작은 아이가 그 속에 있었다. 거두어 길렀더니 장성하자 풍신(風神)이 빼어나고 지식이 출중하였다. 어떤 이가 말하기를, 이 아 이는 성씨(姓氏)를 알지 못한다. 처음에 올 때에 까치가 날아오며 울었으니, 작 (鵲) 자에서 조(鳥) 자를 떼고 석(昔) 자로 씨(氏)를 삼아야 한다. 또 궤 속에 서 나왔으니, 벗어났다는 뜻의 탈해(脫解) 로 이름 지어야 한다. 하였다. 왕이 그 의 현명함을 듣고 딸을 그의 아내로 삼아주었다. 유리왕(儒理王)이 서거하자 탈해 가 유명(遺命)에 따라 왕위를 계승하였으니, 이 분이 신라의 제4대 왕이 되었다. 서출지(書出池) 금오산(金鰲山) 동쪽 기슭에 있다. 신라 소지왕(炤智王) 10 년(488) 1월 15일에 왕이 천천정(天泉亭)에 거둥하였는데 까마귀와 쥐의 이상한 일이 있었으므로 왕이 기사(騎士)에게 명하여 까마귀를 쫓아가게 하였다. 남쪽으 로 가다 피촌(避村)에 이르니 돼지 두 마리가 서로 싸우고 있었다. 기사는 주춤거 리고 서서 그것을 구경하다가 갑자기 까마귀의 종적을 놓쳐버렸다. 그때 한 늙은 이가 못 속에서 나오더니 서신을 받들어 올렸는데, 겉봉에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 고, 열어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 라고 쓰여 있었다. 기사를 시켜 왕에 다. 하였다. 동경잡기 <권2> 197
25 게 바치게 하니, 왕이 이르기를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는 열어보지 않아서 한 사 람이 죽는 것이 낫다. 하였다.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두 사람이란 서인(庶人) 이며 한 사람이란 왕을 이르는 것입니다. 하였다. 왕이 그렇게 여기고 열어보니, 서신에 거문고 갑(匣)을 쏘아라. 라고 되어 있었다. 왕이 궁에 들어가 거문고 갑 을 보고 활로 쏘니, 내전(內殿)에서 분수(焚修)27)하는 중이 궁주(宮主)와 몰래 간통하며 간계를 꾸미고 있었다. 두 사람은 복주(伏誅)되고, 그 못을 서출지(書出 池) 라고 명명하였다. 안압지(鴈鴨池) 천주사(天柱寺)의 북쪽에 있다. 문무왕(文武王)이 궁궐 안에 못 을 만들고 돌을 쌓아 산을 만들었는데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을 본떴으며, 꽃을 심고 진기한 새들을 길렀다. 그 서쪽에 임해전(臨海殿)이 있는데, 언제 창건했는 지는 모른다. 애장왕(哀莊王) 5년인 갑신년(804)에 중수하였는데, 그 터의 주초 와 섬돌이 아직도 밭이랑 사이에 남아 있다. 성부산(星浮山) 부의 남쪽 20리에 있는데, 봉우리 하나가 우뚝 솟아 있다. 신 라시대에 벼슬 얻기를 도모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아들에게 횃불을 높이 묶 어서 성부산 정상에 올라가 들도록 명하였다. 경성(京城) 사람들이 요성(妖星)이 나타났다고 하자, 왕은 근심하고 두려워하여 사람을 모집하여 재앙을 물리칠 방술 을 행하려 하였다. 그러자 그 아비가 왕명에 응하려 하였는데, 일관이 아뢰기를, 이것은 큰 요괴가 아니라 다만 한 집의 아들이 죽고 아버지가 울게 될 징조입니 다. 하였다. 이날 밤 그 아들이 과연 범에게 물려 죽었다. 여나산(余那山) 부의 남쪽 40리에 있다. 세간에, 한 서생(書生)이 이 산에 살고 있었다. 그는 글을 읽어 과거에 급제하고 이어 세족(世族)의 집안과 혼인하였다. 뒤에 과거(科擧)의 시관(試官)이 되자 처갓집에 연회를 베풀고 기뻐하며 여나산 가(余那山歌)를 지었다. 이후로 과거의 시관이 된 자가 연회를 베풀 때는 먼저 이 곡을 노래하였다. 고 전한다. 봉생암(鳳生巖) 남산(南山)에 있다. 신라의 정사와 교화(敎化)가 순후하고 아름 27) 부처 앞에서 향을 태우고 불공을 드리는 일을 말한다. 198 조선대세시기 Ⅳ
26 다워 봉황새가 이 바위에서 울었다. 이로 인해 봉생암이라 명명하고, 나라 사람들 이 노래를 지어 찬미하였다. 九聖臺 在金鰲山 諺傳 新羅時 九聖所遊之處 阿珍浦 多婆那國在倭國東北一千里 一名龍城國 其國王含達婆娶女 國王爲 妃 有娠七年 乃生大卵 王曰 人而生卵 不祥 宜棄之 其女以帛裹 之 置櫃28)中 載船浮海 祝曰 任到有緣之地 立國成家 至阿珍浦 有老母開 見之小兒在焉 取養之 及壯 風神秀朗 知識過人 或曰 此兒不知姓氏 初來 時有鵲飛鳴 宜去鳥 以昔爲氏 又解櫝而出 宜名脫解 王聞其賢 以女妻之 及儒理薨 脫解從遺命繼位 是爲新羅第四王 書出池 在金鰲山東麓 新羅炤智王十年正月十五日 王幸天泉亭 有烏鼠 之異 王令騎士追烏 南至避村 兩猪相鬪 留連見之 忽失烏所在 時有老翁 自池中出 奉書 外面題云 開見 二人死 不開 一人死 使來獻之 王曰 與 其二人死 莫若不開 但一人死耳 日官奏云 二人者庶人也 一人者王也 王 然之 開見 書中云 射琴匣 王入宮 見琴匣射之 乃內殿焚修僧與宮主潛通 而爲奸也 二人伏誅 名其池曰書出池 鴈鴨池 在天柱寺北 文武王於宮內爲池 積石爲山 象巫山十二峯 種花卉 養珍禽 其西有臨海殿 不知創於何時 而哀莊王五年甲申重修 基礎砌猶在 田畝間 星浮山 在府南二十里 一峯秀出 新羅時 有人謀求官 命其子縛高炬 夜 登山頂擧之 京城人以爲妖星現 王憂懼 募人禳之 其父將應命 日官奏 此 非大怪 但一家子死父哭之兆 是夜 其子果爲虎所害 余那山 在府南四十里 世傳 有一書生居是山 讀書擢第 聯婚世族 後掌試 設宴其婚家 喜而作余那山之歌 自後 掌試者設宴 先歌此曲焉 鳳生巖 在南山 新羅政化淳美 鳳鳴于巖 因爲名 國人作歌美之 28) 판본에는 樻 로 되어 있다. 동경잡기 <권2> 199
27 월명항(月明巷) 금성(金城) 남쪽에 있다. 신라 헌강왕(憲康王)이 학성(鶴城)을 유람하고 개운포(開雲浦)에 이르렀는데, 홀연히 기이한 모습과 괴상한 복장을 한 사람이 왕 앞에 나아가 노래하고 춤추며 왕의 덕을 찬미하였다. 그는 왕을 따라 서울에 들어와 스스로 처용(處容)이라 이름하고, 달밤이면 언제나 저자에서 노래 하고 춤추었는데 끝내 그의 소재를 알 수 없었다. 당시 그를 신(神)으로 생각하였 고, 그가 노래하고 춤추던 곳을 후세 사람들이 월명항이라 하였다. 그로 인하여 처 용가(處容歌)와 처용무(處容舞)를 만들어서 가면을 쓰고 유희하였다. 月明巷 在金城南 新羅憲康王遊鶴城 至開雲浦 忽有一人 奇形詭服 詣王 前 歌舞讃德 從王入京 自號處容 每月夜 歌舞於市 竟不知所在 時以爲神 其歌舞處 後人名爲月明巷 因作處容歌處容舞 假面以戲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李益齋詩 옛날 신라 처용옹이 新羅昔日處容翁 푸른 바다 속에서 왔다고 하네 見說來從碧海中 자개 이빨 붉은 입술로 달밤에 노래부르고 貝齒赬脣歌月夕 솔개 어깨 자주 소매로 봄바람에 춤추었다네 鳶肩紫袖舞春風 이첨(李詹)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李詹詩 시내에 가득한 밝은 달에 밤은 깊어가는데 満川明月夜悠悠 동해의 신인이 시루에 내려왔네 東海神人下市樓 길이 넓으니 긴 소매로 춤출 수 있고 路闊可容長袖舞 세상이 태평하니 백 전을 막대에 걸고 놀 만하네29) 世平宜掛百錢遊 고상한 종적은 아스라히 신선의 고장으로 돌아가고 高蹤縹緲歸仙府 29) 진(晋) 나라 완수(阮修)가 지팡이 끝에 백 전을 걸고 다니다가 술집에 이르면 술을 사서 실컷 마셨다 한다. 200 조선대세시기 Ⅳ
28 남긴 노래는 전해져 경주에 있네 遺曲流傳在慶州 골목 어귀에 봄바람이 때로 한번 일어나니 巷口春風時一起 의연히 꽃 꽂은 머리를 불어 스치는 듯하네 依然吹動挿花頭 열박령(悅朴嶺) 부의 남쪽 30리에 있다. 동도(東都)의 기생 전화앵(囀花鶯)이 묻힌 곳이다. 悅朴嶺 在府南三十里 東都妓囀花鶯所埋之地 김극기(金克己)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金克己詩 옥 같은 용모 혼을 재촉해간 지 오래인데 玉貌催魂隔世 하늘 끝에는 산꼭대기만 겹겹이 보이네 空端只見層巓 신녀의 비는 무협에서 거두고30) 神女雨收巫峽 미인의 바람은 낙천에서 끊어졌네31) 麗人風斷洛川 구름은 춤추는 옷자락처럼 땅에 끌리고 雲學舞衫曳地 달은 노래하는 부채처럼 하늘에 떠 있네 月偸歌扇當天 길손들은 몇 명이나 꽃다운 자질을 가슴아파하여 行客幾傷芳性 수건 가득히 피눈물을 흘렸을까 満巾紅淚泫然 만파식적(萬波息笛) 신문왕(神文王) 때 동해 가운데 작은 산이 떠와서 감은사 (感恩寺)를 향해 물결을 따라 왔다갔다하였다. 왕이 이상히 여겨 바다에 배를 띄 워 그 산에 들어가니, 산 위에 한 그루의 대나무가 있기에 명하여 피리를 만들었 다. 이 피리를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나았으며, 가뭄에는 비가 오고, 장마에 30) 초(楚) 나라 송옥(宋玉)이 지은 고당부(高唐賦)에, 양왕(襄王)이 고당에서 놀다가 낮잠 을 자는데, 꿈에 한 부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저는 무협(巫峽)의 남쪽에 사는데 아침에 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됩니다. 라고 하였다. 하였다. 31) 위(魏) 나라 조식(曺植)이 낙신부(洛神賦)를 지어, 낙천(洛川)의 여신인 복비(宓妃)의 아 름다움을 묘사했다. 동경잡기 <권2> 201
29 는 비가 개며, 바람은 그치고, 물결은 잔잔해져서 만파식적이라 불렀다. 대대로 보물로 전해졌다. 효소왕(孝昭王) 때에 이르러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 이 라 가호(加號)하였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옥적(玉笛) 길이가 1자 9치인데, 그 소리가 맑고 깨끗하다. 세속에선 동해의 용 이 바친 것이라고 한다. 대대로 보물로 전하였다. 萬波息笛 神文王時 東海中有小山浮來 向感恩寺 隨波往來 王異之 泛海 入其山 上有一竿竹 命作笛 吹此笛 則兵退病愈旱雨雨晴風定波平 號萬 波息笛 歷代傳寶 至孝昭王 加號萬萬波波息笛 今亡 玉笛 長尺有九寸 其聲淸亮 俗云 東海龍所獻 歷代傳寶之 박원형(朴元亨)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朴元亨詩 신라가 옛날에 나라를 열었으니 新羅有國開往昔 풍속이 순박하고 소략하여 제작이 없었네 民風朴略無興作 옥적이란 보물을 언제 만들었는가 玉笛一物成何日 실도 아니고 돌도 아니며 또 대도 아니라네 非絲非石又非竹 예악은 야박한 풍속을 돌이킬 수 있는데 禮樂可堪回薄俗 하물며 형산의 옥을 쪼아 만들었음에랴 況復雕琢荊山玉 당시에는 초목도 혜택을 입었으니 當時草木猶被澤 계림에 지금 누런 잎이 떨어질 줄 어찌 생각했으랴 豈料鷄林今黃落 오래된 첨성대 포석정을 짓누르듯 瞻星臺古壓鮑石 피리 소리 멀리 집집마다 퍼졌네 笛聲遠播人人屋 하루아침에 온갖 일이 연기처럼 사라지니 一朝萬事烟霞滅 보배로 여기던 것 사람이 아니라 물건이기 때문이네 所寶非人猶在物 돈으로 따져 일 전도 안 되는 것 論錢未満一錢直 완전하거나 이지러지거나 도외시했을 것을 置之度外隨完缺 202 조선대세시기 Ⅳ
30 내 와서 홀연히 한 곡조를 듣고 我來忽聞一聲曲 붓을 잡고 노래를 짓노라니 글재주가 졸렬하네 把筆作歌詞華拙 유독 보지 못하였는가 獨不見 상왕의 상저32)는 구름처럼 매몰되고 商王象筯雲埋没 천년 전 목야33) 싸움 아득히 생각나는 것을 牧野千載遐思發 이석형(李石亨)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李石亨詩 계림의 지난 일을 일찍이 들었으니 鷄林往事聞夙昔 묻건대 옥적은 어느 시대에 만들었는가 借問玉笛何代作 듣자 하니 신라의 태평 시절에 聞說新羅太平日 관악기 현악기로 태평을 연주했네 太平風月屬絲竹 대의 소리 오히려 위천의 속됨34)을 꺼려 竹聲猶嫌渭川俗 남전옥35)을 다듬도록 공장에게 명했네 命工斲得藍田玉 가늘고 미끈하게 다듬으니 윤택이 절로 나고 磨礱細膩光潤澤 여섯 구멍을 교묘하게 뚫으니 별들이 뒤섞인 듯 巧鑿六孔星錯落 현악이 금석의 곡조와 조화하며 和絲調曲諧金石 맞부딪는 맑은 소리에 장내가 고요해졌네 戞戞淸聲定場屋 당시의 온갖 것들 모두 사라지고 當時萬物皆烟滅 지금까지 남아있는 건 오직 이것 至今存者唯此物 귀신이 백방으로 잘 지켜 無乃鬼物煩守直 완전무결하게 영구히 전한 것이 아니겠는가 傳之永久完無缺 현악기와 어우러지게 내 한 곡조 부르려 하나 我欲凝絲歌一曲 곡조도 되지 않고 가사 또한 졸렬하네 曲且不成詞亦拙 32) 상(商) 나라 임금 주(紂)가 상아(象牙)로 젓가락을 만들자, 기자(箕子)가 탄식하기를 상아로 젓가락을 만드니 다음에는 옥으로 술잔을 만들 것이고 이어 온갖 사치품을 다 만들 것이다. 하였다. 33)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상 나라 주왕을 토벌한 곳이다. 34) 중국 위천(渭川)은 대[竹]의 산지(産地)로 유명한데, 위수(渭氺)는 물이 항상 흐리므로 속 되다고 한 것이다. 35) 남전(藍田)은 섬서성 남전현 동쪽에 있는데, 옥(玉)의 산지로 유명하다. 동경잡기 <권2> 203
31 그대는 보지 못하였는가 君不見 기산의 석고가 인멸된 지 오래인데 岐山石鼓久湮没 창려 한퇴지가 홀로 노래 지은 것을36) 昌黎老韓歌獨發 신증 新增 속설에, 고려 태조가 이 옥적을 완상(玩賞)하려고 사람을 시켜 가져 오게 하였다. 조령(鳥嶺)을 지나다 이 옥적을 불었으나 소리가 나지 않자, 태조는 그것이 신물(神物)임을 알고 돌려보냈다. 그 뒤 불에 타서 부서져 지금은 공방고 (工房庫)에 보관되어 있다. 고 전한다. 新增 諺傳 麗祖欲翫之 使人取去 行過鳥嶺吹之 聲不出 麗祖知其神物而還 之 其後火焼破碎 至今藏在工房庫 옥대(玉帶) 진평왕(眞平王) 원년(579)에 신인(神人)이 궁전 뜰에 내려와서 왕 에게 이르기를, 상제(上帝)가 나에게 옥대를 전해주도록 명하셨습니다. 하니, 왕 이 꿇어앉아 받았다. 그리고는 교제(郊祭)와 묘제(廟祭)37) 등 큰 제사에 언제나 착용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찬미하기를, 구름 밖 하늘에서 보내주신 옥대, 임금의 곤룡포에 점잖게 어울리네. 우리 임금 지금부터 몸 더욱 무거워지시니, 내일 아침 에는 쇠로 섬돌을 만들어야 하리. 하였다.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항복한 뒤 태조에게 바쳤다. 그것은 금을 새기고 옥을 박아 모나게 만든 허리띠로, 길이가 10 위(圍)이고 띠쇠가 62개였다. 물장고(物藏庫)에 보관하도록 명하였다. 일찍이 신 라의 사자(使者) 김율(金律)이 고려에 오니, 태조가 묻기를, 신라에는 세 가지 보물인 장륙금상(丈六金像)ㆍ구층탑(九層塔)ㆍ성제대(聖帝帶)가 있다고 들었는 데, 사실인가? 하자, 김율이 성제대는 모르겠다고 대답하였다. 태조가 웃으면서 경은 높은 신하인데 어찌 알지 못하는가? 하니, 김율이 부끄럽게 여겼다. 돌아와 경순왕에게 보고하니, 왕이 여러 신하에게 두루 물었으나 아는 자가 없었다. 90세 36) 한유(韓愈)가 지은 석고가(石鼓歌) 를 말한다. 37) 교제(郊祭)는 천제(天祭)이고, 묘제(廟祭)는 임금의 조상 제사이다. 204 조선대세시기 Ⅳ
32 가 넘은 황룡사(皇龍寺)의 중이 말하기를, 제가 들으니, 진평대왕(眞平大王)이 착용하던 것으로 대대로 보물로 전해 내려와 남고(南庫)에 간직되어 있다 합니 다. 하였다. 드디어 창고를 열고 찾으니, 비바람이 갑자기 몰아치며 대낮이 캄캄하 게 어두워졌다. 그래서 좋은 날을 가려 재계하고 제사를 지낸 뒤에야 찾아내었다. 나라 사람들이 진평왕이 성골(聖骨) 출신의 왕이기 때문에 성제대라고 일컬었던 것인데, 이때 와서 고려에 바친 것이다. 정전(井田) 신라시대 정전(井田)으로, 터가 아직까지 남아 있다. 사절유댁(四節遊宅) 신라의 서울 사람들은 부유하고 윤택한 집을 금입택(金入 宅)이라 하였는데 모두 35채가 있었다. 또 사계절에 유상(遊賞)하는 곳을 사절유 택이라 하였는데, 봄의 동야택(東野宅), 여름의 곡량택(谷良宅), 가을의 구지택 (仇知宅), 겨울의 가이택(加伊宅)이다. 재매곡(財買谷) 김유신(金庾信)의 종녀(宗女) 재매부인(財買夫人)이 죽자 청연 (靑淵)의 골짜기에 장사지냈다. 그로 인하여 재매곡이라 하였다. 매년 봄철이면 동종(同宗)의 사녀(士女)들이 재매곡의 남쪽 시냇가에 모여 잔치를 열었다. 이때 는 온갖 꽃이 활짝 피고 송화(松花)가 골짜기에 가득했다. 골짜기 어귀에는 암자 (菴子)를 짓고, 인하여 송화방(松花房)이라 하였다. 일정교(日精橋) 일명 춘양교(春陽橋)라고 한다. 옛날에는 부의 동남쪽 문천(蚊 川)에 있었다. 玉帶 眞平王元年 有神人降於殿庭 謂王曰 上帝命我傳賜玉帶 王號受 凡 郊廟大祀 皆服之 時人 讃曰 雲外天頒玉帶圍 辟雍龍袞雅相宜 吾君自此 身彌重 唯擬明朝鐵作墀 及敬順王降高麗 獻于太祖 乃鐫金安玉排方腰帶 長十圍 六十二銙也 命藏于物藏庫 初新羅使金律來高麗 太祖問曰 聞新 羅有三寶 丈六金像九層塔 幷聖帝帶也 有諸 律對不知聖帝 太祖笑曰 卿 爲貴臣 何以不知 律慙 歸告敬順 徧問羣臣 無知者 有皇龍寺僧年過九十 者曰 予聞 眞平大王所服 歷代傳寶 藏在南庫 遂開庫覓之 風雨暴作 白 동경잡기 <권2> 205
33 晝晦暝 乃擇日齋祭 然後得之 國人以眞平是聖骨之王 故稱聖帝帶 至是 來獻 井田 新羅時井田遺基尙存 四節遊宅 新羅王京人 以富潤38)之家爲金入宅 凡三十五宅 又以四時遊賞 之地爲四節遊宅 春東野宅 夏谷良宅 秋仇知宅 冬加伊宅 財買谷 金庾信宗女財買夫人死 葬於靑淵上谷 因名之 每春月 同宗士女 會宴於其谷之南澗 于時 百卉敷榮 松花満洞 府谷口架築爲菴 因名松花房 日精橋 一云春陽橋 舊在府東南蚊川上 월정교(月精橋) 옛날에 부의 서남쪽 문천에 있었다. 두 다리의 옛터가 아직도 남 아 있다. 月精橋 舊在府西南蚊川上 兩橋遺址尙存 김극기(金克己)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金克己詩 반월성 남쪽 토령 가에 半月城南兎嶺邊 무지개 모양의 다리가 문천에 거꾸로 비쳐 있네 虹橋倒影照蚊川 용이 꿈틀꿈틀 은하에 오르니 꼬리가 땅에 드리워지고 蜿蜒騰漢尾垂地 무지개가 냇물을 마시매 허리가 하늘에 걸쳤네 螮蝀飮河腰跨天 맨손으로 푸른 이무기를 벤 주처의 용맹39)이요 手斬蒼蛟周處勇 몸이 백학으로 변화한 정령위는 신선일세40) 身成白鶴令威仙 38) 판본에는 閏 으로 되어 있다. 39) 중국 삼국시대 사람인 주처(周處)는 용력(勇力)이 있어 남산의 백액호(白額虎)를 잡았 고, 물로 들어가서는 이무기와 싸워 이겼다. 40) 전설에, 요동의 정령위(丁令威)가 신선술을 배워 학(鶴)으로 변신하고 요동의 성문에 있 는 화표주(華表柱)에 앉으니, 사람들이 아무도 그를 알아보는 이가 없었다. 한 소년이 활을 당겨 쏘려 하자 마침내 날아 공중을 배회하며 말하기를 새여! 새여! 정령위여! 집 을 떠난 지 천년 만에 이제 비로소 돌아왔네. 성곽은 예전과 다름없는데 사람들은 옛사 람이 아니니, 어찌하여 신선술을 배우지 아니하여 무덤이 총총히 있는가(有鳥有鳥丁令威 去家千年今始歸 城郭如故人民非 何不學仙塚纍纍). 하였다. 206 조선대세시기 Ⅳ
34 옛 현인들의 뛰어난 자취는 모두 세속을 놀라게 하는데 昔賢逸跡皆驚俗 자꾸 왔다갔다하는 이 몸이 부끄럽구나 慙愧區區數往還 귀교(鬼橋) 신원사(神元寺) 옆에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진지왕(眞智王)이 사량부(沙梁部)의 도화랑(桃花娘)이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 궁중으로 불러들여 총애하려고 하니, 도화랑이 말하기를, 저에게는 남 편이 있으니, 죽어도 다른 마음을 가질 수 없습니다. 하였다. 왕이 장난삼아 이르 기를, 남편이 없으면 되겠느냐? 하니, 그렇습니다. 하였다. 이해에 왕이 돌아가 시고 2년 뒤에 도화랑의 남편도 죽었다. 열흘째 되던 날 밤 왕이 평소의 모습으로 도화랑의 방에 와서 이르기를, 네가 옛날에 허락하였는데, 이제 남편이 없으니 되 겠느냐? 하고, 7일 동안 머물다가 홀연히 사라졌다. 도화랑이 드디어 임신하여 아 들을 낳았는데, 이름을 비형(鼻荊)이라 하였다. 진평왕(眞平王)이 거두어 궁중에 서 길렀다. 15세가 되자 밤마다 월성(月城)을 날아 넘어 서쪽으로 가 황천(荒川) 언덕에 이르러 귀신들과 놀다가 여러 절에서 울려오는 새벽 종소리를 듣고 흩어지 는 것이었다. 왕이 용사(勇士)를 시켜 엿보게 하여 그런 줄을 알고 비형에게 묻기 를, 네가 귀신들을 데리고 논다니, 정말이냐? 하니, 그렇다고 하자, 그렇다면 네 가 귀신들을 시켜서 신원사 북쪽 도랑에 다리를 놓게 하라. 하였다. 비형이 그 무 리를 시켜서 돌을 다듬어 하룻밤 동안 큰 다리를 완성하였으니, 이로 인해 귀교 라 한 것이다. 왕이 또 묻기를, 귀신들 가운데 인간 세상에 나와 조정의 정사를 도울 만한 자가 있느냐? 하니, 대답하기를 길달(吉達)이란 자가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하였다. 이튿날 비형이 길달과 함께 왕을 뵈니, 집사(執事)의 벼슬을 주었다. 과연 길달은 충직하기가 비길 데 없었다. 당시 각간(角干) 임종(林宗)이 아들이 없었으므로 왕이 후사(後嗣)를 삼도록 명하였다. 임종은 길달에게 명하여 흥륜사(興輪寺)에 누문(樓門)을 창건하게 하고, 길달문(吉達門)이라 명명하였다. 어느 날 길달이 여우로 변하여 달아나자, 비형이 귀신을 시켜 그를 잡아 죽였다. 그 뒤로 귀신들이 비형의 이름만 들어도 두려워 떨며 달아났다. 당시 사람이 다음 과 같은 가사(歌詞)를 지었다. 동경잡기 <권2> 207
35 鬼橋 在神元寺傍 三國遺事 眞智王聞沙梁部桃花娘之美 召致宮中 欲 幸之 娘曰 妾有夫 雖死靡他 王戲曰 無夫則可乎 曰可 是年王薨 後二年 娘夫亦死 浹旬夜 王如平生到娘室曰 汝昔有諾 今無夫 可乎 留御七日 忽然不見 娘遂有娠生子 名曰鼻荊 眞平王收養宮中 年十五 每夜飛過月 城 西至荒川岸 與鬼衆遊 聞諸寺暁鍾而散 王使勇士 伺之 知其然 問荊 曰 汝領鬼衆遊 信乎 曰然 曰 然則汝使鬼衆成橋於神元寺北渠 鼻荊使其 徒鍊石 一夜成大橋 因名鬼橋 王又問 鬼中有出見人間 輔朝政者乎 曰 有吉達者可 翌日 荊與俱見 王賜爵執事 果忠直無雙 時角干林宗無子 王 命爲嗣 林宗令吉達創樓門於興輪寺 名吉達門 一日達變狐而遁 荊使鬼捕 殺之 自後 其衆聞鼻荊名 怖畏而走 時人作詞曰 성제의 혼이 낳은 아들 聖帝魂生子 비형랑의 집이로다 鼻荊郞室亭 날고 달리는 모든 귀신들은 飛馳諸鬼衆 이곳에 머물지 말라 此處莫留停 경주의 풍속에 지금도 이 가사를 문에 붙여 귀신을 쫓는다. 이것이 동경(東京) 두두리(豆豆里)의 시초이다. 州俗 至今帖此詞于門 以辟鬼 此東京豆豆里之始 백운량(白雲梁) 이 역시 문천에 있다. 상서장(上書莊) 금오산(金鰲山) 북쪽에 있다. 고려 태조가 일어나자, 신라의 최치원(崔致遠)이 태조가 반드시 천명을 받을 것을 알고 글을 올렸는데, 계림(鷄 林)은 누런 잎이요, 곡령(鵠嶺 : 송악(松嶽))은 푸른 솔이로다. 라는 말이 있었다. 신라 왕이 이를 듣고 미워하니, 최치원이 바로 가족을 데리고 가야산(伽倻山) 해 인사(海印寺)에서 은거하다가 생을 마쳤다. 그의 밝은 감식안(鑑識眼)을 신라 사 208 조선대세시기 Ⅳ
36 람들이 탄복하여 그가 살던 곳을 상서장이라 하였다. 봉덕사종(奉德寺鍾) 신라 혜공왕(惠恭王)이 주조한 종으로 구리의 무게가 12만 근이다. 이 종을 치면 소리가 1백여 리까지 들린다. 뒤에 봉덕사가 북천(北川)에 침몰되자 천순(天順) 4년(1460)인 경진년(庚辰年)에 종을 영묘사(靈妙寺)에 옮 겨 달았다. 한림랑(翰林郞) 김필해(金弼奚)의 종명(鍾銘)에, 무릇 지극한 도 (道)는 형상(形像) 밖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보아도 그 근원을 볼 수 없고, 큰 소 리는 천지 사이를 진동하기 때문에 들어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없다. 그러므로 가 설(假說)을 설정하여 삼진(三眞)의 오묘한 일을 살피고, 신종(神鍾)을 달아 일승 (一乘)의 원만한 소리를 깨닫게 한다.41) 종이라는 것은 부처님이 탄생하신 곳에서 상고해보면 계이국(罽膩國)에 증거가 있고, 중국(中國)에서 찾아보면 고연(鼓延) 이 처음 만들었다.42) 텅 비어 잘 울리므로 그 소리는 다함이 없고, 무거워 구르기 어려워 그 몸이 쭈그러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왕자(王者)의 큰 공을 그 위에 새기 는 것이고 중생(衆生)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도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다. 삼가 생 각건대 성덕대왕(聖德大王)은, 덕은 산하(山河)와 더불어 높고 명성은 일월(日 月)과 나란히 높이 걸렸다. 충성스럽고 어진 이를 등용하여 세상을 어루만지고, 예 악(禮樂)을 숭상하여 풍속을 살폈다. 들에서는 근본인 농업에 힘쓰고, 시장에는 넘쳐나는 물건이 없었다. 시속은 금옥(金玉)을 싫어하고 세상은 문재(文才)를 숭 상하였다. 여색(女色)을 생각지 않고 노년의 경계에 마음을 두어 40여 년 국가에 군림해 정사를 부지런히 하여 한 번도 전쟁으로 백성을 놀라게 한 일이 없었다. 그러므로 사방의 이웃 나라들이 만 리 먼 곳에서 복종해 와서 오직 임금의 풍화 (風化)를 흠모하기만 할 뿐, 화살을 날려 엿보는 일이 없었다. 연(燕) 나라와 진 (秦) 나라가 인재를 등용한 것43)과 제(齊) 나라와 진(晉) 나라가 교대로 패권을 41) 처음에는 미혹한 중생(衆生)을 위하여 삼승(三乘)을 설법하다가, 마지막에는 삼승을 부 수고 일승(一乘)을 설법하였는데, 삼승 일명 삼진(三眞)은 가설이고, 일승은 실설(實說) 이라 한다. 42) 산해경(山海經) 에 염제(炎帝)의 손자인 고연(鼓延)이 처음으로 종을 만들었다. 하였 다. 43) 전국시대에 연(燕) 나라 소왕(昭王)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공을 이루었고, 진(秦) 나 라 목공(穆公)은 백리해(百里奚)와 유여(由餘)를 등용하여 공을 이루었다. 동경잡기 <권2> 209
37 잡은 일을 어찌 나란히 견주어 말할 수 있겠는가? 사라쌍수(沙羅雙樹)44)의 시기 는 예측하기 어렵고, 천추(千秋)의 밤은 길어지기 쉬워 승하하신 지 이제 34년이 되었다. 근자에 효사(孝嗣) 경덕대왕(景德大王)이 생존해 계실 때 큰 기업을 계 승해 지켜서 나라의 온갖 정사를 잘 다스렸다. 일찍이 자친(慈親)을 여의어 세월 이 갈수록 그리워하더니, 거듭 부왕(父王)을 잃게 되자 궁궐에 이를 때마다 더욱 슬퍼하였다. 추모의 정이 갈수록 슬퍼지고 영혼의 명복을 빌고픈 마음은 더욱 간 절해져, 삼가 구리 12만 근을 희사하여 큰 종 하나를 주조하려 하셨는데, 뜻만 세 운 채 성취하지 못하시고 문득 세상을 떠나셨다. 지금 우리 성상께서는 행실은 조 종(祖宗)과 합치되고 뜻은 지극한 이치에 부합되어, 기이한 상서(祥瑞)는 천고에 유다르고 아름다운 덕은 당세에 으뜸이시다. 육가(六街)45)의 용 구름은 옥계(玉 階)를 덮어 비를 뿌리고, 구천(九天)의 우레 북은 금궐(金闕)에 소리를 진동시킨 다. 과일나무 숲은 외경(外境)에 무성하고 연기 아닌 서기(瑞氣)가 서울에 빛난 다. 이는 바로 그 탄생하신 날에 맞추고 그 정사에 임하셨을 때에 응한 것이다. 우 러러 생각하건대 대군(大君)께서는, 은덕은 땅처럼 공평하여 백성을 인교(仁敎) 로 감화시키고, 마음은 하늘의 거울 같아 부자(父子)의 효성(孝誠)을 권장하였다. 아침에는 어진 외삼촌에게, 저녁에는 보필하는 충신에게서 채택하지 않는 말이 없 었으니, 무엇을 행하신들 허물이 있었겠는가? 이에 선왕의 유언을 돌아보아 드디 어 일찍부터 품으셨던 뜻을 성취하셨다. 유사(有司)는 일을 처리하고 공장(工匠) 은 재주를 다하였으니, 해는 신해년(辛亥年)이고 달은 12월이다. 이때에 해와 달 은 광휘를 더하고 음(陰)과 양(陽)은 기운을 조화하여, 바람은 부드럽고 하늘은 고요한데 신령스러운 기물(器物)이 만들어졌다. 모양은 산처럼 우뚝 섰고 소리는 용(龍)의 울음과 같아 위로 유정천(有頂天)46) 꼭대기까지 이르고 가만히 끝없는 지옥까지 통하리니, 보는 자는 기이하다 일컫고 듣는 자는 복을 받으리라. 원컨대, 이 묘한 인연이 선왕의 영령(英靈)을 받들어 음문(音聞)47)의 맑은 소리를 들으시 44) 부처가 한 쌍의 사라수(沙羅樹) 사이에서 열반에 들었다 한다. 45) 당(唐) 나라 때 장안성(長安城)의 거리가 좌우로 여섯으로 나뉘었으므로 육가(六街)라 불렀다. 여기서는 하늘에 있는 거리를 비유한 듯하다. 46) 불경(佛經)에 의하면 하늘에 여러 층이 있는데, 유정천(有頂天)은 유형 세계(有形世界) 의 최상층이다. 210 조선대세시기 Ⅳ
38 고 말 없는 법연(法筵)에 오르시어 삼명(三明)48)의 수승한 마음에 계합하시고 일 승(一乘)의 진경(眞境)에 처하게 하소서. 그리하여 왕가의 자손들이 금지(金枝) 와 함께 길이 무성하며 국가의 기업이 철위산(鐵圍山)49)처럼 더욱 번창하여, 유정 (有情)과 무식(無識)50)이 지혜의 바다에서 물결을 함께 하여 모두 티끌 세계에서 벗어나 아울러 깨달음의 길에 오르게 하소서. 신(臣) 김필해는 글이 졸렬하고 재 주가 없으나 감히 조서(詔書)를 받들어 반초(班超)51)의 붓을 빌리고 육좌(陸佐) 의 말에 따라 그 원하는 뜻을 기술하여 종에 새긴다. 하였다. 그 명(銘)은 다음과 같다. 白雲梁 亦在蚊川上 上書莊 在金鰲山北 高麗太祖之興 新羅崔致遠知必受命 上書 有鷄林 黃葉鵠嶺靑松之語 羅王聞而惡之 致遠即帶家 隱居伽倻山海印寺終焉 其 鑑識之明 羅人服之 乃以其所居 名上書莊 奉德寺鍾 新羅惠恭王鑄鍾 銅重十二萬斤 撞之 聲聞百餘里 後寺淪於北川 天順四年庚辰 移懸于靈妙寺 翰林郞金弼奚鍾銘曰 夫至道包含於形像之 外 視之不能見其原 大音震動於天地之間 聽之不能聞其響 是故憑開假說 觀三眞之奥載 懸擧神鍾 悟一乘之圓音 夫其鍾也 稽之佛生 則験在於罽膩 尋之帝鄕 則始制於鼓延 空而能鳴 其響不竭 重爲難轉 其軆不褰 所以王 者元功克銘其上 羣生離苦亦在其中也 伏惟聖德大王 德共山河而並峻 名 齊日月而高懸 擧忠良而撫俗 崇禮樂以觀風 野務本農 市無濫物 時嫌金玉 世尙文才 不意子靈 有心老誡 四十餘年 臨邦勤政 一無干戈驚擾百姓 所 47) 소리가 들린다는 뜻으로 관세음보살은 소리 듣는 이치를 깨달아 부처가 되었다 한다. 48) 삼명(三明)은 숙명통(宿命通)ㆍ천안통(天眼通)ㆍ누진통(漏盡通)으로, 곧 과거의 업상(業 相)이나 인연(因緣)을 알아 내세의 상을 명확히 하며 현재의 고상(苦相)을 깨달아 일체 의 번뇌를 끊어버릴 수 있는 것을 말한다. 49) 불경(佛經)에 이 세계를 둘러싼 철산(鐵山)이 있는데, 이를 철위산(鐵圍山)이라 한다. 50) 의식이 없는 것으로 곧 초목이나 돌 같은 것을 말한다. 51) 중국 동한(東漢) 때의 장군인 반표(班彪)의 아들이다. 그는 붓을 던지면서 국경 밖에 나가 공을 세울 것이지 어찌 붓으로 글씨나 쓰고 있으랴? 하고, 서역(西域)을 정벌하여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졌다. 동경잡기 <권2> 211
39 以四方隣國萬里歸賓 惟52)有欽風之望 未曾飛矢之窺 燕秦用人 齊晉替霸 豈可並輪雙轡而言矣 雙樹之期難測 千秋之夜易長 晏駕已來于今三十四也 頃者孝嗣景德大王在世之日 繼守丕業 監撫庶機 早隔慈規 對星霜而起戀 重違嚴訓 臨闕殿以增悲 追遠之情轉悽 益魂之心更切 敬捨銅一十二萬斤 欲鑄大鍾一口 立志未成 奄爲就世 今我聖上 行合祖宗 意符至理 殊祥異 於千古 令德冠於當時 六街龍雲蔭灑於玉階 九天雷鼓震響於金闕 菓木之 林離離乎外境 非烟之色煥煥乎京師 此即投玆誕生之日 應其臨政之時也 仰惟大君 恩若地平 化黔黎於仁教 心如天鏡 奬父子之孝誠 是知朝於元舅 之賢 夕於忠臣之輔 無言不擇 何行有愆 乃顧遺言 遂成宿意 爾其有司辦 事 工匠盡模 歲次大淵 月惟大呂 是時日月借暉 陰陽調氣 風和天静 神器 化成 狀如岳立 聲若龍吟 上徹於有頂之巓 潛通於無底之下 見之者稱奇 聞之者受賜 願玆妙因奉翊尊靈 聽音聞之淸響 登無說之法筵 契三明之勝 心 居一乘之眞境 乃至瓊萼之叢 共金柯以永茂 邦家之業將鐵圍而彌昌 有 情無識慧海同波 咸出塵區 並昇覺路 臣弼奚 文拙無才 敢奉聖詔 貸班超 之筆 隨陸佐之言 述其願旨 銘記于鍾也 其詞曰 하늘은 상53)을 드리우고 紫極懸象 땅은 방위를 여니 黃輿啓方 산하가 자리잡고 山河鎭別 구역이 나뉘었네 區宇分張 동해 가는 東海之上 신선이 사는 곳으로 衆仙所藏 땅은 도학에 있고 地居桃壑 경계는 부상에 이어 있네 界接扶桑 여기에 우리나라가 있어 爰有我國 52) 판본에는 唯 로 되어 있다. 53) 일(日)ㆍ월(月)ㆍ성(星)ㆍ신(辰) 등의 천상(天象)을 말한다. 주역 에 하늘이 상(象)을 드리우니 성인(聖人)이 이를 법받는다. 하였다. 212 조선대세시기 Ⅳ
40 합하여 한 고장이 되었네 合爲一鄕 임금의 거룩하신 덕은 元元聖德 대가 갈수록 더욱 새롭고 曠代彌新 묘하고 묘한 맑은 교화는 妙妙淸化 원근에 두루 미쳤네 遐邇克臻 은혜를 먼 곳까지 입히니 將恩被遠 만물도 고루 젖어드네 與物霑均 성하구나 천년토록 茂矣千葉 온갖 무리를 편안히 하네 安乎萬倫 수심어린 구름 돌연 벗겨지니 愁雲忽脫 지혜의 해54)는 봄이 없네 慧日無春 공순하고 효성스런 사왕께서 恭恭孝嗣 모든 정사를 계승하여 繼業千機 세상 다스림을 고법대로 하시니 治俗仍古 풍속을 변화시킴에 어찌 어긋나랴 移風豈違 날마다 부왕의 훈계 생각하며 日思嚴訓 언제나 모후의 자애로움 사모하네 常慕慈輝 다시 명복을 빌려고 更以修福 종을 만들어 기원하네 天鍾爲祈 거룩하도다 우리 임금이여 偉哉我后 덕의 감응이 가볍지 않아 感德不輕 보배로운 상서가 자주 나오고 寶瑞頻出 신령스런 징조가 매양 생기네 靈符每生 임금이 어질고 하늘이 도우시니 主賢天佐 시절이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하네 時泰國平 추모의 정만이 일어나니 追遠惟動 54) 지혜의 해[慧日]는 부처나 불법을 태양에 비유하여 쓰는 말이다. 동경잡기 <권2> 213
41 원하는 바대로 성취되리 隨所願成 선왕의 유명을 돌아보아 乃顧遺命 이에 종을 주조하였네 于斯寫鍾 신인이 힘을 도우니 神人奬力 진기한 기물이 형체를 이루었네 珍器形容 위엄은 양곡에 떨치고 震威晹谷 소리는 삭봉에 맑게 울리네 淸韻朔峯 보고 들음에 모두 믿으니 開見俱信 꽃다운 인연이 진실로 모이리라 芳緣允鍾 능히 마귀도 보전하고 能保魔鬼 어룡을 구제하네 救之魚龍 둥글고 빈 신체가 圓空神體 바야흐로 거룩한 자취를 나타내어 方現聖蹤 길이 이 홍복을 永是鴻福 언제나 거듭거듭 드리우소서 恒恒轉重 부윤(府尹) 예춘년(芮椿年)이 남문(南門) 밖에 옮겨 종각(鍾閣)을 지어 달아놓 고 군사의 징집 및 성문을 여닫을 때에 쳤다. 府尹芮椿年移置南門外 構屋以懸 凡徵軍及城門開閉時 擊之 담암사(曇巖寺) 일명 담엄사(曇嚴寺)라고도 한다. 옛터가 사릉(蛇陵) 남쪽에 있다. 천관사(天官寺) 오릉(五陵) 동쪽에 있다. 김유신(金庾信)이 어렸을 때에 모부 인(母夫人)이 날마다 엄한 훈계를 하여 함부로 남과 교유(交遊)하지 않았는데, 하루는 우연히 창기(娼妓)의 집에서 자게 되었다. 모부인이 불러놓고 훈계하기를, 나는 이미 늙어서 밤낮으로 네가 자라 공명을 세워 임금과 어버이를 영화롭게 하 기를 바라고 있는데, 이제 너는 천한 아이들과 음란한 술집에서 논단 말이냐? 하 214 조선대세시기 Ⅳ
42 고, 울음을 그치지 않으니, 유신은 곧 모부인 앞에서 스스로 맹세하기를 다시는 그 문 앞을 지나가지 않겠습니다. 하였다. 하루는 술이 취하여 집에 돌아오는데 말이 전에 다니던 길을 따라 잘못 그 창기의 집으로 갔다. 창기는 기쁘기도 하고 원망스럽기도 하여 눈물을 흘리면서 나와 맞이하였다. 유신이 이를 깨닫고는 타고 온 말을 베고 안장을 버리고 돌아갔다. 그 여자가 원망하는 노래 한 곡을 지어 세 상에 전해지고 있다. 절은 바로 그 여자의 집이며, 천관(天官)은 그 여자의 이름 이다. 고려 이공승(李公升)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曇巖寺 一云曇嚴 舊址在蛇陵南 天官寺 在五陵東 金庾信爲兒時 母夫人日加嚴訓 不妄交遊 一日偶宿 女隷家 母面教之曰 我已老 日夜望汝成長 立功名 爲君親榮 今乃爾與屠 沽小兒 遊戯滛房酒肆耶 呼泣不已 庾信即於母前 自誓不復過其門 一日 被酒還家 馬遵舊路 誤至娼家 娼且欣且怨 垂泣出迎 庾信旣悟 斬所乘馬 棄鞍而返 女作怨詞一曲 傳之 寺即其家也 天官其女號也 高麗李公升詩 절을 천관이라 부르니 옛적에 사연이 있었으리 寺號天官昔有緣 홀연 세운 내력을 들으니 마음이 처연하네 忽聞經始一凄然 정이 많은 공자 꽃 아래서 놀더니 多情公子遊花下 원망 머금은 가인 말 앞에서 흐느끼네 含怨佳人泣馬前 말은 정이 있어 도리어 옛길을 알았는데 紅鬛有情還識路 하인은 무슨 죄로 공연히 채찍을 맞았는가 蒼頭何罪謾加鞭 오직 남은 한 곡조 가사가 오묘하여 唯餘一曲歌詞妙 달에서 함께 산다는 이야기만 만고에 전하네 蟾兎同居萬古傳 황룡사(皇龍寺) 월성(月城) 동쪽에 있다. 지금은 폐허가 된 채 장륙존상(丈六尊 像)만 남아 있다. 신라 진평왕(眞平王)이 담당 관청에 명하여 월성 동쪽에 새 궁전을 짓게 하였는데, 황룡(黃龍)이 그곳에 나타났다. 왕이 의심하여 고쳐서 절 동경잡기 <권2> 215
43 을 만들고 이름을 황룡사라 하였다. 고려 현종(顯宗)이 조유궁(朝遊宮)을 헐고 그 재목으로 이 절의 탑을 수축하였다. 송(宋) 나라 학사(學士) 호종단(胡宗旦) 이 사신으로 와서 초헌(軺軒)을 타고 이 절의 양화문(兩花門)을 지나다가 진사 (進士) 최홍빈(崔鴻賓)이 다음과 같은 시를 써놓은 것을 보았다. 皇龍寺 在月城東 今廢 只有丈六像 新羅眞平王 命所司 築新宮於月城 東 黃龍現其地 王疑之 改爲佛寺 號曰黃龍 高麗顯宗撤朝遊宮 以其材 修 寺塔 學士胡宗旦55)乘使軺 過寺兩花門 見進士崔鴻賓留頭云 고목은 삭풍에 울고 古樹鳴朔吹 잔 물결은 지는 해에 일렁이네 微波漾殘暉 배회하며 옛일을 생각하니 徘徊想前事 어느새 눈물이 옷깃을 적시네 不覺淚沾衣 호종단은 깜짝 놀라며 경탄하기를, 참으로 불세출의 재주로구나. 하였다. 자기 나라로 돌아가 복명(復命)할 때에 상(上)이 동도(東都)의 남아 있는 옛일을 묻자, 드디어 이 시를 아뢰었다 한다. 김극기(金克己)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胡瞿然驚曰 眞不世才也 及復命 上問東都遺事 遂奏此詩 金克己詩 오후의 큰 집들은 五侯耽耽宇 한여름에도 더위를 타지 않네 當夏不受暑 염관56)이 위신 잃음을 부끄러이 여겨 炎官恥失威 누추한 작은 집에 성가시게 화풀이를 하네 陋屋煩遷怒 마음을 졸이니 시름은 불과 같고 焦心愁似火 55) 판본에는 朝 로 되어 있다. 56) 염관(炎官)은 더위를 관장하는 신이다. 216 조선대세시기 Ⅳ
44 몸을 달구니 땀은 비오듯 하네 爍軆汗如雨 섭정능57)을 따라서 願隨葉静能 청허부58)에 날아 들어가 飛入淸虛府 몸은 푸른 옥두꺼비를 타고 身騎靑瑤蟾 손은 흰 옥토끼를 희롱하고 싶네 手弄白玉兎 애석하게도 범속한 냄새가 나서 可惜凡骨腥 구름 낀 하늘에서 돌아갈 길 잃었네 雲霄失歸路 차라리 그윽한 곳에 숨어 사는 사람을 찾아가 不如叩幽人 맑고 온화한 말에 젖어듦이 나으리 霑灑淸軟語 새벽에 일어나 등나무 지팡이를 짚고 曉起理枯藤 서사의 주인을 찾네 來尋西社主 달팽이는 섬돌을 두른 이끼에서 침을 흘리고 蝸涎繞砌苔 새는 구름 속으로 치솟은 나무에서 지저귀네 鳥哢侵雲樹 전각은 웅장하고 화려함을 과시하여 殿閣誇壯麗 하늘을 향하여 날아가려 하는구나 尋空欲飛去 집안 가득 만다라59)꽃이 一室曼陀花 어지러이 떨어져 옥티끌 같네 縯紛落玉塵 오래 앉았노라니 황금 향로에서는 坐久黃金鴨 침향 연기 모락모락 피어오르네 沈烟橫篆縷 불을 살려 향기로운 차를 달여 보니 活火試芳茶 꽃무늬 자기에 흰 젖이 뜨네 花甆浮白乳 향기롭고 달콤한 내음 더욱 짙어가는데 香甜味尤永 한 모금 마시니 온갖 생각이 사라지네 一啜空百慮 저녁 빛이 질펀한 숲에 드니 暮色入平林 57) 섭정능(葉静能)은 당(唐) 나라 때의 도사(道士)로 섭정(葉静)이라고도 한다. 58) 청허부(淸虛府)는 맑고 빈 마을로 곧 신선이 사는 세계를 말한다. 59) 만다라(曼陀羅)는 성화(聖花)로서 연꽃을 말한다. 부처가 설법할 때에 하늘에서 네 가지 꽃이 비오듯이 떨어졌는데, 이 꽃은 그 중의 하나이다. 동경잡기 <권2> 217
45 긴 행랑에서 법고가 우네 長廊鳴法鼓 재주는 적고 온갖 경치는 굉장하니 才微萬象驕 붓을 잡고 읊조리기 더욱 괴롭네 把筆吟尤苦 또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층층 사다리는 빙빙 둘러 하늘로 날아가려 하고 層梯繚繞欲飛空 만수 천산은 한눈에 바라보이네 萬水千山一望通 몸은 노오60)가 신선을 따라 오르내린 밖에 나왔고 身出盧敖登降外 눈은 수해61)가 오가던 가운데를 삼키네 眼呑竪亥去來中 성사62)의 그림자는 처마 앞 비에 떨어지고 星槎影落薝前雨 달 속의 계수 향기는 난간 아래 바람에 나부끼네 月桂香飄檻下風 동도를 굽어보니 수많은 집들이 俯視東都何限戶 벌집 개미구멍처럼 아득히 보이네 蜂窠蟻穴轉溟濛 신증 新增 경덕왕(景德王) 13년(754)에 종을 주조하였으니, 길이가 1장 3촌이 고, 두께가 9촌이고, 무게가 49만 7581근이었다. 속설에 지금 절터 밭이랑 사이 에 묻혀 있다. 고 전한다. 新增 景德王十三年鑄鍾 長一丈三寸 厚九寸 重四十九萬七千五百八十一斤 俗傳 今埋在寺基田畝間云 가섭연좌석(迦葉宴坐石) 황룡사에 있다. 돌의 높이는 5~6척 정도 되며, 둘레는 60) 노오(盧敖)는 진(秦) 나라 때 사람으로 벼슬이 박사(博士)였는데, 뒤에 신선을 만나러 북해(北海)로 갔다가 신선이 되었다. 61) 수해(竪亥)는 하(夏) 나라 사람으로 우(禹) 임금의 신하이다. 우임금의 명령으로 동극 (東極)에서 서극(西極)까지 5억(億) 10선(選) 9800보(步)를 걸었다 한다. 62) 성사(星槎)는 사신(使臣)을 지칭하는 바, 한(漢) 나라 장건(張騫)이 뗏목을 타고 바다를 끝없이 항해한 끝에 천상의 은하에 이르러 견우(牽牛)와 직녀(織女)를 보았다는 전설에 근거한 것이다. 218 조선대세시기 Ⅳ
46 겨우 세 아름이다. 속설에, 가섭(迦葉)이 편히 앉아 쉰 돌이라 한다. 또 석가모니의 장륙존상(丈六尊像)이 있는데, 진평왕(眞平王) 때에 주조한 것이다. 황철(黃鐵) 5 만 7000 근과 황금 3만 푼이 들었다. 후인이 연좌석을 다음과 같이 찬미하였다. 迦葉宴坐石 在皇龍寺 石高可五六尺 圍僅三肘 俗傳迦葉宴坐石 又有釋迦 丈六像 眞平王時所鑄 黃鐵五萬七千斤 黃金三萬分 後人讃宴坐石曰 지혜의 해가 빛을 감춘 지 얼마나 되었는가 慧日沉輝不記年 오직 연좌석만 여전히 남아 있구나 惟餘宴坐石依然 상전은 몇 번이나 벽해가 되었는가 桑田幾度成滄海 어여쁘게도 우뚝이 모습 아직 변치 않았구나 可惜巍然尙未遷 그리고 장륙존상을 다음과 같이 찬미하였다. 讃丈六像曰 티끌 세상 어디인들 불계(佛界)가 아닐까만 塵方何處匪眞鄕 향화의 인연이 우리나라에 가장 많네 香火因緣最我邦 아육왕63)이 만들기 어려워서가 아니라 不是育王難下手 월성의 옛터를 찾아온 것일세 月城來訪舊行藏 사천왕사(四天王寺) 낭산(狼山)의 남쪽 기슭에 있다. 신증 新增 신라 문무왕(文 武王) 19년인 기묘년(679)에 창건되었다. 봉성사(奉聖寺) 부의 동쪽 4리에 있다. 신증 新增 신라 신문왕(神文王) 5년인 을유년(685)에 창건되었다. 영흥사(永興寺) 부의 성(城) 남쪽에 있다. 흥륜사(興輪寺) 부의 남쪽 2리에 있다. 신증 新增 신라 진흥왕(眞興王) 5년인 63) 아육왕(阿育王)은 인도의 국왕으로 불법을 크게 일으켜 많은 불상과 탑을 만들었다. 동경잡기 <권2> 219
47 갑자년(554)에 창건되었다. 신원사(神元寺) 부의 남쪽 월남리(月南里)에 있다. 창림사(昌林寺) 금오산(金鰲山) 기슭에 있다. 신라시대 궁전의 옛터가 있었는데, 후인이 그 자리에 이 절을 세웠다. 지금은 폐허가 되었다. 옛 비석이 있는데 글자 가 없다. 원(元) 나라 학사(學士) 조자앙(趙子昻)의 창림사비(昌林寺碑) 발문 (跋文)에, 이것은 당(唐) 나라에 와 있던 신라의 중 김생(金生)이 쓴 그 나라의 창림사비인데 글자의 획이 매우 법도가 있으니, 당 나라의 이름난 조각가라 할지 라도 이보다 썩 나을 수는 없다. 옛말에 어디인들 재주 있는 사람이 나지 않으랴? 하였는데, 참으로 그렇구나. 하였다. 남산사(南山寺) 신라 사람 대세(大世)는 방외(方外)에 뜻을 두고 있었다. 진평 왕 9년(587)에 중 담수(淡水)와 말하기를, 이 신라의 산골에서 일생을 마친다면 못 속의 고기나 새장 속의 새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내 장차 뗏목을 타고 바다에 떠서 오월(吳越)에 이르러 스승을 따라 명산(名山)에서 도를 닦으려 한다. 만일 범골(凡骨)을 바꾸고 신선(神仙)을 배울 수 있다면 광활한 하늘 밖으로 훨훨 바 람을 타고 갈 수 있으리니, 이것은 천하의 기이한 유람이요 장쾌한 구경이다. 그대 는 나를 따라가겠는가? 하니, 담수가 응답하지 아니하였다. 대세가 물러나 마침 구칠(仇柒)이란 자를 만났는데, 강개하고 기이한 절조가 있었다. 드디어 그와 함 께 남산사에서 노닐었는데, 홀연 비바람이 치고 나뭇잎이 떨어져 뜰 앞의 고인 물 에 뜨자, 대세가 말하기를 나는 그대와 더불어 서쪽으로 갈 뜻이 있다. 각자 나뭇 잎 하나씩을 가지고 배로 삼아 그것이 떠내려가는 차례를 가지고 누가 먼저 가는 지 보기로 하자. 하였다. 조금 뒤에 대세의 잎이 앞서 가자, 대세가 웃으며 나는 가네. 하니, 구칠이 발끈하여 나도 남자인데 어찌 나만 그리 하지 못하겠는가? 하고, 드디어 서로 벗이 되어 남해(南海)에서 배를 타고 떠났다. 그 뒤로 그들이 간 곳을 알지 못한다. 四天王寺 在狼山南麓 新增 新羅文武王十九年己卯成 奉聖寺 在府東四里 新增 新羅神文王五年乙酉成 220 조선대세시기 Ⅳ
48 永興寺 在府城南 興輪寺 在府南二里 新增 新羅眞興王五年甲子成 神元寺 在府南月南里 昌林寺 金鰲山麓 有新羅時宮殿遺基 後人卽其地建此寺 今廢 有古碑無 字 元學士趙子昻昌林寺碑跋云 右 唐新羅僧金生所書其國昌林寺碑 字畫 深有典刑 雖唐人名刻 無以遠過之也 古語云何地不生才 信然 南山寺 新羅人大世有方外志 眞平王九年 與僧淡水語曰 在此新羅山谷之 間以終一生 則何異池魚籠鳥 吾將乘桴泛海 以至吳越 追師訪道於名山 若凡骨可換 神仙可學 則飄然乘風於泬寥之表 此天下之奇遊壯觀也 子能 從我乎 淡水不( 大世退 而適遇仇柒者 耿介有奇節 遂與之遊南山寺 忽 風雨落葉泛庭潦 大世曰 吾有與君西遊之志 各取一葉爲之舟 以觀其行之 先後 俄而 大世之葉在前 大世笑曰 吾其行乎 仇柒勃然曰 予亦男兒也 豈獨不然乎 遂相與爲友 自南海乘舟而去 後不知其所往 주암사(朱巖寺) 지맥석(持麥石) 김극기(金克己)의 시서(詩序)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하지산(下枝山)은 세속에서 부산(富山)이라 부른다. 산의 남쪽에 주 암사란 절이 있고 북쪽에 대암(臺巖)이 있는데 깎아지른 듯 기이하게 빼어나서 먼 산과 먼 바다를 바라봄에 마치 학을 타고 하늘에 올라 삼라만상을 내려다보는 것 같다. 대석(臺石)의 서쪽에 지맥석이 있는데 사방이 깎아지른 듯하여 올라갈 수 없을 듯하지만 그 위에는 평탄하여 사람 1백 명이 앉을 수 있다. 옛날 대서발(大 舒發) 김유신(金庾信) 공(公)이 여기에 보리를 가져와 술 재료를 공급하여 군리 (軍吏)들을 대접하던 곳으로, 지금도 말의 발자국이 남아 있다. 지맥암(持麥巖)에 서 서쪽으로 8,9보쯤 가면 주암(朱巖)이 있다. 옛적에 도인(道人)이 신중(神 衆)64) 삼매(三昧)를 얻고 일찍이 스스로 면려하기를, 실로 궁녀(宮女)가 아니면 내 마음을 움직이지 못하리라. 하였다. 신중이 듣고는 가서 궁녀를 훔쳐 공중으로 날아 새벽에 갔다가 저녁에 돌려보내곤 하였는데, 일찍이 때를 어긴 적이 없었다. 64) 신중(神衆)은 불법을 수호하는 모든 신령의 무리를 말한다. 동경잡기 <권2> 221
49 궁녀가 두렵고 무서워 왕에게 아뢰니, 왕이 궁녀에게 가서 머무는 곳에 단사(丹 砂)로 표시하도록 명하고, 이어 갑사(甲士)에게 명령하여 찾게 하였다. 안으로 성 시(城市)로부터 멀리 높은 산 깊은 골짜기의 인적이 드믄 으슥한 곳까지 찾아도 찾아낼 수 없었는데, 홀연히 이 바위에 이르러 보니 단사의 흔적이 바위 문에 남 아 있고 납의(衲衣)를 입은 늙은 중이 그 안에 한가로이 앉아 있었다. 왕이 그의 요망스럽고 미혹하는 행위에 노하여 사나운 군사 수천 명을 보내어 죽이고자 하였 다. 중이 마음을 고요히 하고 눈을 감은 채 한 번 주문을 외우자 음병(陰兵) 수만 명이 산골짜기에 늘어서 있는 것이 마치 세상에서 그려놓은 귀신의 형상과 같았다. 왕의 군졸들이 두려워 땅에 엎드려 나아가지 못하고 돌아왔다. 왕이 그가 이인(異 人)임을 알고 궁궐로 맞아들여 국사(國師)로 삼으니, 그 요상한 일이 드디어 없어 졌다고 한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朱巖寺持麥石 金克己詩序 下枝山俗號富山 山之陽有寺 曰朱巖寺 北有臺 巖 巉絶奇秀 臨遠山望遙海 若駕鶴上漢 下視萬像 臺石之西有持麥石 四 方削成 若不可陟而上 其上平坦 可坐百人 昔大舒發金公庾信持麥於此 以 供酒材 燕饗軍吏之地也 至今馬迹存焉 自持麥巖 西行八九步 有朱巖 昔 道人得神衆三昧 嘗自勵云 苟非宮人 不足動心 神衆聞之 往竊宮人 騰虛 而去 晨往夕還 未嘗愆期 宮人恐懼 白於王 王命宮人 凡所歸宿 以丹砂誌 之 仍命甲士物色求之 內自城市 遠至高山窮谷幽絶之處 不可得也 忽至此 巖 見有丹痕 留在巖戶 而衲衣老僧宴坐其內 王怒其妖惑 遺猛士數千人 欲兵之 僧冥心閉目 一念神呪 陰兵數萬連亘山谷 若世所畵神象者 王卒恐 懼 伏地不能進而還 王知其異人 迎入大內 拜爲國師 其妖遂絶云 其詩曰 아득히 먼 구름가의 절은 迢迢雲際寺 특별한 구역으로 티끌세상과 격리되어 있네 異境隔塵凡 조도는 구불구불 푸른 하늘로 오르고 鳥道彎靑漢 봉대는 푸른 바위에 걸쳐 있네 蜂臺駕碧巖 222 조선대세시기 Ⅳ
50 땅의 정령은 골짜기에로 스며들어 가고 地靈潛洞壑 하늘 바람은 대나무와 삼나무를 스쳐가네 天籟颭4杉 멀리 바라보니 가슴이 확 트이고 縱望襟懷曠 말이 재갈 벗은 것처럼 가볍구나 飄如馬脫銜 또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높이 솟은 천 길 묏부리에 兀兀千仞岡 우뚝한 한 개의 돌이로다 巖巖一株石 깎아지른 듯 사방은 험준한데 巉絶四方險 위는 평평하여 자리를 깐 듯하네 上頭平似席 상상컨대 서발공이 想像舒發公 사람을 시켜 이곳에 보리를 가져와 令人此持麥 낮밤으로 군리들을 호궤하니 日夕犒軍吏 곰 같은 장수들이 다투어 힘을 떨쳤으리 熊羆爭奮力 부월을 가지고 여러 번 출정하니 仗鉞頻出征 왕사를 마침내 대적할 자 없었네 王師竟無敵 수비할 때는 산이 우뚝 막아선 것 같고 守之若山峙 공격할 때는 번개 치듯 빨랐네 攻之知電擊 삼한을 한 집으로 만드니 三韓爲一家 큰 공훈을 금책에 새겨졌네 茂烈勒金册 영웅의 넋은 지금 어디 있는가 英魄今安在 푸른 이끼만 말굽 자국을 덮었네 綠苔没馬迹 내 우연히 와서 기이한 곳 찾아서 我來偶探奇 올라 구경하고 옛일을 회고하네 登覽懷古昔 친히 채찍 잡고 따르지는 못했지만 不必親執鞭 남은 위엄 늠름하기 어제 같네 餘威凛如昨 흰 달은 굽어 있는 각궁이요 素月彎角弓 동경잡기 <권2> 223
51 푸른 구름은 말아놓은 유막일세 靑雲卷油幕 골짜기에는 대인호65)가 많고 谷饒大人虎 숲에는 군자학66)이 많네 林足君子鶴 놀란 우레가 바위 묏부리를 찢으니 驚雷裂巖嶂 북소리와 징소리 듣는 듯하구나 髣髴來皷鐸 슬프다 내 가문의 명예 떨어뜨림이여 嗟予墮家聲 자질구레하게 문학을 전공했네 齷齪攻翰墨 반생에 겨우 과거에 올랐으니 半生登一第 두 귀밑털이 이미 희어졌네 雙鬢已衰白 후왕을 어찌 기약할 수 있으랴 侯王安可期 산야에서 지내는 것을 분수로 받아들였네 已分臥林壑 다만 원컨대 남은 용맹 빌어서 但願借餘勇 사장에서 길이 으뜸 되기를 詞場長逐北 곤원사(坤元寺) 북연(北淵) 신원사(神元寺) 남쪽 2리에 있다. 고려 정중부(鄭仲 夫)의 난에 의종(毅宗)이 거제(巨濟)로 도망하였다.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 使) 간의대부(諫議大夫) 김보당(金甫當)이 군사를 일으켜 역적을 토벌하고 다시 전왕(前王)을 세우려고 장순석(張純錫) 등으로 하여금 전 왕을 모시고 이 고을에 나와 있게 하였다. 이의민(李義旼) 등이 성 안으로 들어가 전왕을 끌어내어 곤원 사 북쪽 못가에 이르러 시해(弑害)하고는 요로 싸고 가마솥 두 개를 마주 씌워 못 속에 던졌다. 헤엄 잘 치는 절의 중이 가마솥을 가져가고 시체를 버리니, 시체가 물가에 떠내려가 여러 날이 되도록 까마귀와 솔개가 감히 건드리지 못하였다. 전 (前) 부호장(副戶長) 필인(弼仁) 등이 몰래 관을 마련하여 물가에 매장하였다. 왕가수(王家藪) 부의 남쪽 15리에 있다. 고을 사람들이 목랑(木郞)을 제사하는 곳이다. 목랑은 속칭 두두리(豆豆里)라고 하는데, 비형(鼻荊)의 일 이후로 세속에 65) 주역(周易) 에 대인(大人)은 범처럼 변한다. 하였다. 66) 포박자(抱朴子) 에 군자는 학처럼 변한다. 하였다. 224 조선대세시기 Ⅳ
52 서는 두두리를 대단히 성대하게 섬긴다. 고종(高宗) 18년(1231)에 몽고(蒙古)의 원수(元帥) 살례탑(撒禮塔)이 와서 저고여(箸古與)가 암살된 사건을 토죄(討罪) 하였다. 동경(東京)에서 급히 사람을 보내어 아뢰기를 목랑이 말하기를 내가 이 미 적군의 진영에 도착하였는데 원수는 누구누구입니다. 우리들 다섯 명이 적과 싸우려고 하니, 10월 18일을 기하여 무기와 안장 얹은 말을 보내준다면 우리들이 곧바로 승전보를 올리겠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이어 최우(崔瑀)에게 다 음과 같은 시를 보내었다. 坤元寺北淵 在神元寺南二里 高麗鄭仲夫之亂 毅宗遜于巨濟 東北面兵馬 使諫議大夫金甫當起兵 欲討賊臣 復立前王 使張純錫等 奉前王 出居是 州 李義旼等入城 出前王 至坤元寺北淵上 弑之 裹以褥 合兩釜 投淵中 寺僧有善泅者取釜棄屍 屍出水涘有日 烏鳶不敢傷 前副戶長弼仁等密具 棺 奉瘞水濱 王家藪 在府南十五里 州人祀木郞之地 木郞俗稱豆豆里 自鼻荊之後 俗 事豆豆里甚盛 高宗十八年 蒙古元帥撒禮塔來 討箸古與之死 東京馳奏有 木郞言 我已到敵營 元帥某某人也 我等五人欲與交戰 期以十月十八日 若送兵鞍馬 我等便當報捷 因以詩寄崔瑀曰 장수와 요절 재앙과 상서는 한결같지 않은데 壽夭災祥非一貫 사람들은 이에 대하여 일찍이 알지 못하도다 人人居此未曾知 재앙을 없애고 복을 오게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데 除災致福是難事 하늘 위나 인간 세상에서 나를 두고 누가 하랴 天上人間捨我誰 최우가 이를 믿고 사적으로 안장 얹은 말을 마련하여 내시(內侍) 김지석(金之 蓆)을 시켜 보내주었으나 그 후 아무런 효험이 없었다. 瑀信之 私備畫韂鞍馬 遣內侍金之蓆送之 其後無験 동경잡기 <권2> 225
53 임관군(臨關郡) 부의 동쪽 45리에 있다. 성덕왕(聖德王) 때에 모화군(毛火郡) 에 성을 쌓아 일본이 침략해 오는 길을 막았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임관(臨關) 이라 고쳐 불렀다. 고려시대에 주(州)에 예속시켰다. 석성(石城)의 남은 터가 아 직까지 남아 있는데, 사람들이 관문(關門)이라 한다. 상성군(商城郡) 본래 서형산군(西兄山郡)이었다. 동안군(東安郡) 본래 생서랑군(生西郞郡)이었다. 음즙화현(音汁火縣) 신라 파사왕(婆娑王)이 음즙벌국(音汁伐國)을 빼앗아 음즙 화현을 두었다. 뒤에 안강현(安康縣)에 합하여 예속시켰다. 신라에서는 화(火) 를 많이 일컫는데, 화는 바로 불(弗) 에서 전이된 것이고, 불은 바로 벌(伐) 에서 전이된 것이다. 약장현(約章縣) 본래 악지현(惡支縣)이다. 동기정(東畿停) 본래 모지정(毛只停)이다. 김부식(金富軾)이 말하기를, 신라 사람들은 영(營)을 정(停)이라고 하였으니, 바로 진을 치고 주둔하는 곳이다. 하 였다. 남기정(南畿停) 본래 근내정(根乃停)이다. 서기정(西畿停) 본래 두량미지정(豆良彌知停)이다. 이첨(李詹)이 말하기를, 지금 밀양부(密陽府) 두야보부곡(豆也保部曲)이 바로 그곳이다. 하였다. 양 (良)과 야(也), 미지(彌知)와 보(保)는 방언(方言)에 서로 비슷하니, 이첨의 말 이 옳을 듯하다. 북기정(北畿停) 본래 우곡정(雨谷停)이다. 막야정(莫耶停) 본래 관아량지정(官阿良支停)이다. 일명 북하량(北河良)이라고 도 한다. 성법이부곡(省法伊部曲) 법(法)은 잉(仍)으로 쓰기도 한다. 부의 북쪽 70리에 있다. 팔조부곡(八助部曲) 부의 동쪽 65리에 있다. 226 조선대세시기 Ⅳ
54 대포부곡(大庖部曲) 대창부곡(大昌部曲) 부의 서쪽 70리에 있다. 남안곡부곡(南安谷部曲) 부의 서쪽 60리에 있다. 근곡부곡(根谷部谷) 안강현(安康縣) 서남쪽 5리에 있다. 도계부곡(桃界部曲) 호명부곡(虎鳴部曲) 안강현 동남쪽 7리에 있다. 호촌부곡(虎村部曲) 신광현(神光縣) 동남쪽 5리에 있다. 하서지목책(下西知木栅) 부의 동쪽 60리에 있다. 그 안에 연못 하나와 우물 둘 이 있다. 이상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에 나오는데, 간간이 빠진 것을 보충하였다. 臨關郡 在府東四十五里 聖德王時 築城於毛火郡 以遮日本賊路 景德王改 臨關 高麗時 合屬于州 石城遺址尙存 人謂之關門 商城郡 本西兄山郡 東安郡 本生西郞郡 音汁火縣 新羅婆娑王取音汁伐國 置音汁火縣 後合屬於安康縣 新羅多稱火 火乃弗之轉 弗乃伐之轉 約章縣 本惡支縣 東畿停 本毛只停 金富軾云 羅人謂營爲停 乃屯營之地 南畿停 本根乃停 西畿停 本豆良彌知停 李詹云 今密陽府豆也保部曲即其地 良與也 彌知 與保 方言相近 詹言恐是 北畿停 本雨谷停 莫耶停 本官阿良支停 一云北河良 省法伊部曲 法一作仍 在府北七十里 八助部曲 在府東六十五里 大庖部曲 동경잡기 <권2> 227
55 大昌部曲 在府西七十里 南安谷部曲 在府西六十里 根谷部曲 在安康縣西南五里 桃界部曲 虎鳴部曲 在安康縣東南七里 虎村部曲 在神光縣東南五里 下西知木栅 在府東六十里 內有一池二井 以上出輿地勝覽67) 而間補其遺 신증 新增 매월당(梅月堂) 금오산(金鰲山)에 있다. 김시습(金時習)이 머물러 살던 곳으로 옛터가 아직도 남아 있다. 섬돌 아래 북향화(北向花)가 있다. 김시습의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梅月堂 在金鰲山 金時習棲息之處 遺址尙在 階下有北向花 金時習詩 나직한 집 푸른 담요에 따스한 기운 넉넉한데 矮屋靑氈暖有餘 창에 가득한 매화 그림자에 달이 처음 밝았네 満窓梅影月明初 등불 돋우고 긴 밤에 향을 사르고 앉아 挑68)燈永夜焚香坐 한가히 인간에서 보지 못하는 글을 짓네 閑著人間不見書 옥당에서 글 짓는 데는 이미 마음이 없고 玉堂揮翰已無心 소나무 창에 단정히 앉았노라니 밤이 한창 깊었네 端坐松窓夜正深 동병에 향을 꽂고 가만히 오궤69)에 기대 앉아 香揷銅甁烏几静 풍류스런 이야기를 낱낱이 찾아보네 風流奇話細搜尋 67)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경상도(慶尙道) 경주부(慶州府) 고적(古跡) 68) 판본에는 桃 로 되어 있다. 69) 오궤(烏几)는 앉을 때 몸을 기대는 궤안(几案)으로, 검은 염소 가죽으로 장식한 오피궤 (烏皮几)를 말한다. 228 조선대세시기 Ⅳ
56 산아당(産兒堂) 금오산에 있다. 돌을 깎은 것이 마치 애기 낳은 모양과 같다. 속 설에, 신라시대에 후사(後嗣)를 구하고 복을 빌던 곳이라고 전하는데, 가위질을 한 흔적이 있다. 기암(碁巖) 금오산에 있다. 돌을 깎은 것이 마치 바둑판 모양과 같다. 속설에 신 라시대에 신선들이 바둑을 두던 곳이라고 전한다. 비파암(琵琶巖) 금오산에 있다. 돌이 바위 꼭대기에 비스듬히 놓인 것이 마치 비 파의 모양과 같다. 포비암(布飛巖) 금오산에 있다. 돌이 마치 씨줄과 날줄로 베를 짜는 모양과 같다. 속설에, 신라시대에 신선들이 베를 짜던 곳이라고 전한다. 우징동(雨徵洞) 부의 서쪽 40리에 있다. 동(洞) 가운데 5리쯤 되는 곳에 바위가 우뚝 서 있는데 높이가 1백여 척이나 된다. 그 바위는 남과 북으로 나누어져 있다. 남쪽 바위에는 글자가 몇 줄 새겨져 있는데 세월이 오래되어 이끼가 끼어 글자를 알아볼 수 없다. 북쪽 바위는 사방이 병풍처럼 깎아지른 듯하여 올라갈 수 없다. 바위 표면에 일곱 상(像)이 새겨져 있는데 대단히 크고 길이가 한 길 남짓 된다. 속설에 승상암(僧像巖) 이라 하기도 하고 상인암(上人巖) 이라 하기도 한다. 복두암(幞頭巖) 부의 서쪽 30리 부산성(富山城)의 동쪽 모퉁이에 있다. 돌이 복 두(幞頭) 모양으로 불쑥 튀어나왔으므로 명명한 것이다. 혹은 장군석(將軍石) 이 라고도 한다. 이 돌 남쪽에 암자가 하나 있다. 이것도 복두암(幞頭菴) 이라고 하 는데 지금은 폐허가 되었다. 이 바위의 남쪽 10보쯤 되는 곳에 돌이 하나 있는데 선인대(仙人臺) 라 한다. 그 위는 평평하여 10여 명이 앉을 수 있다. 옥동(玉洞) 안강현(安康縣) 남쪽 15리에 있다. 속설에, 옥이 이 동(洞)에서 나 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생겼다고 전하는데, 한편으론 신라시대에 감옥이 이 동 에 있었기 때문에 옥동(獄洞) 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지금까지도 관가에 송사하는 자가 이 동을 지날 때면 비록 숨이 헐떡이고 갈증이 나더라도 이 동의 물을 마시 는 것을 꺼린다. 효자리(孝子里) 부의 남쪽 5리 사정리(沙正里)에 있다. 신라시대 사람 손시양 동경잡기 <권2> 229
57 (孫時揚)이 그의 부친 윤백(允伯)을 지극히 효성스럽게 섬겼다. 이로 인해 후인 들이 그가 살던 곳을 효자리라고 이름하였다. 그 비(碑)가 아직도 남아 있는데 글 자가 깎여 알아볼 수가 없다. 화주(火珠) 분황사(芬皇寺) 구층탑(九層塔)은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인데, 임 진왜란 때 왜적이 그 반을 훼손하였다. 뒤에 어리석은 중이 개축(改築)하려고 하 다가 또 그 반을 훼손하고서 구슬 하나를 얻었는데, 모양은 바둑돌 같고 빛은 수 정(水精) 같았으며, 들어서 비추면 그 바깥까지 꿰뚫어 볼 수가 있다. 태양이 비 추는 곳에서는 솜을 가까이 대면 불이 일어나 그 솜을 태운다. 지금은 백률사(栢 栗寺)에 보관되어 있다. 석조(石槽) 길이가 7척 2촌, 넓이가 3척 5촌으로, 흥륜사(興輪寺)의 고물(故物) 이다. 부윤 이필영(李必榮)이 사람을 시켜 금학헌(琴鶴軒) 북쪽 뜰로 끌어오게 하여 백련(白蓮)을 심고 이를 새겨 기록하였다. 상사암(相思巖) 금오산(金鰲山) 위에 있다. 그 크기가 1백여 아름이나 된다. 칼 로 자른 듯이 우뚝하게 서 있어 기어오를 수가 없다. 속설에, 상사병(相思病)에 걸린 자가 이 바위에 빌면 영험이 있다고 전한다. 애공사(哀公寺) 부의 서쪽 10리에 있다. 신라시대에 창건한 것이다. 그 아래에 제방으로 막아 논을 만들었는데, 속칭 애공량(哀公梁) 이라 한다. 북명사(北椧寺) 부의 남쪽 30리에 있다. 지금은 여염(閭閻)이 되었다. 속칭 명 곡(椧谷)이라 하는데, 석탑(石塔)이 아직도 남아 있다. 호원사(虎願寺) 부의 서쪽 천변(川邊)에 있다. 신라시대에 김현(金現)이 창건한 것이다. 일이 이문(異聞) 에 보인다. 좌우창(左右倉) 남산(南山)의 성 안에 있다. 신라 문무왕(文武王) 3년인 계해년 (663)에 장창(長倉)을 이곳에 세웠는데, 지금도 주출돌이 완연하다. 달천창(達川倉) 부의 서쪽 30리에 있다. 옛터가 아직도 남아 있다. 설창(雪倉) 안강현(安康縣) 동쪽 8리 양좌촌(良佐村) 뒷산 위에 있다. 옛터가 230 조선대세시기 Ⅳ
58 아직도 남아 있다. 또한 버려진 우물이 있는데 아주 가물지 않으면 마르지 않는다. 産兒堂 在金鰲山 鑿石如産兒狀 俗傳 新羅時求嗣祈福之處 有剪刀痕 碁巖 在金鰲山 刻石如碁局狀 俗傳 新羅時仙人局戲之處 琵琶巖 在金鰲山 有石橫在巖頭 如琵琶狀 布飛巖 在金鰲山 有石如經緯狀 俗傳 新羅時仙人經緯之處 雨徵洞 在府西四十里 洞中五里許有巖屹立 高百餘尺 其南北分坼 南巖 銘字數行 歲久苔蝕 字不可暁 北巖 四方屛立 不能陟 巖面刻七像 甚大 長丈餘 俗傳僧像巖 或云上人巖 幞頭巖 在府西三十里富山城之東角 有石突然如幞頭狀 故名 或云將軍石 石之南有一菴 亦號幞頭菴 今廢 巖之南十步許有一石 名曰仙人臺 其上 平坦 可坐十餘人 玉洞 在安康縣南十五里 俗傳 玉出是洞 故名 一云 新羅時 獄在是洞 故 亦名獄洞 至今訟于官者過此洞 雖喘渴 忌飮洞水 孝子里 在府南五里沙正里 新羅時人孫時揚事其父允伯至孝 後人因名所 居爲孝子里 其碑尙存 而字刓不能暁 火珠 芬皇寺九層塔 新羅三寶之一也 壬辰之亂 賊毀其半 後有愚僧欲改 築之 又毀其半 得一珠 形如碁子 光似水精 擧而燭之 則洞見其外 太陽 照處 以綿近之 則火發燃綿 今藏在栢栗寺 石槽 長七尺二寸 廣三尺五寸 興輪寺故物也 府尹李必榮使人曳入琴鶴軒 北庭 以種白蓮 刻而識之也70) 相思巖 在金鰲山上 其大百餘圍 截然屹立 不可攀躋 俗傳 祟相思疾者禱 此巖 有験云 哀公寺 在府西十里 羅時所創 其下防梁作水田 俗號哀公梁 北椧寺 在府南三十里 今爲閭閻 俗稱椧谷 石塔猶在 虎願寺 在府西川邊 新羅金現所創 事見異聞 70) 판본에는 也 가 빠져 있다. 동경잡기 <권2> 231
59 左右倉 在南山城內 新羅文武王三年癸亥 作長倉於此 至今礎石宛然 達川倉 在府西三十里 遺址尙存 雪倉 在安康縣東八里良佐村後山上 遺址尙在 亦有廢井 非極旱不涸 숲 [藪] 비보수(裨補藪) 부의 성(城) 가운데 부윤(府尹)의 관사 북쪽에 있다. 시림(始林) 부의 동남쪽 5리 월성(月城) 서쪽에 있다. 남정수(南亭藪) 하나는 문천(蚊川) 북쪽에 있고, 하나는 문천 남쪽에 있다. 남수 (南藪)는 바로 오릉(五陵)이며, 북수(北藪)는 지금 없어졌다. 오리수(五里藪) 부의 동쪽 8리 지점인 동천(東川) 가에 있다. 길이가 5리가 되 므로 명명한 것이다. 한지수(閑地藪) 부의 동쪽 8리에 있으니 곧 한지원(閑地原) 이다. 예전에 숲이 었다가 중간에 없어졌다. 금년에 사리역(沙里驛)을 철폐하여 옮긴 후 예전대로 나 무를 심어 후일에 숲을 조성할 지역으로 만들었는데, 계속하여 바뀌지 않을 수 있 을지 모르겠다. 임정수(林井藪) 부의 동북쪽 5리 지점인 백률사(栢栗寺) 서쪽에 있다. 고양수(高陽藪) 부의 북쪽 4리에 있다. 곧 옛날의 이른바 논호수(論虎藪) 인데, 지금은 속칭 고양수라 한다. 예전에는 임정수(林井藪) 와 서로 이어져 있었는데, 지금은 간악한 백성들이 침범하여 경작해 밭을 만들어 둘로 나뉘어졌다. 이상의 각각 의 숲들은 고래(古來)로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한 의미가 우연치 않은데, 지금은 거의 다 나무를 베어 내 경작하고 개간한 곳이 두루 편재해 있으니 애석하기 그지없다. 법전에 비보소(裨補所)의 숲 안에 서 나무를 베거나 밭을 경작하는 자는 장(杖) 80에 처하고, 이익을 환수하며 관직을 몰수한다. 하였으 니, 수령이 된 자가 몰라서는 안 될 것이다. 裨補藪 在府城中府尹衙舎北 232 조선대세시기 Ⅳ
60 始林 在府東南五里月城西 南亭藪 一在蚊川北 一在蚊川南 南藪即五陵也 北藪今廢 五里藪 在府東八里東川邊 延袤五里故名 閑地藪 在府東八里 即閑地原也 舊有藪 中廢 今年 沙里驛撤移之後 依 前種樹 以爲後日成藪之地 未知有能繼此不替者否耶 林井藪 在府東北五里栢栗寺西 高陽藪 在府北四里 即古所謂論虎藪也 今則俗稱高陽藪 古與林井藪相連 今爲奸民割耕之田 分而爲二 右各藪 古來種樹成林 意非偶然 于今斬伐殆盡 耕墾殆遍 可勝惜哉 法典 裨補所林藪內伐木耕田者 杖八十追利没官 爲守令者不可不知可71)也 호구 戶口 신라 전성기 때 서울은 1360방(坊) 17만 8936호(戶)였다. 경주부(慶州府)에는 현재 인호(人戶)는 1만 6244호이며, 인구는 5만 4956명이다. 호구는 해마다 증감되어 본래 수효가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우선 기유년(己酉年) 현재의 호구를 기록한다. 新羅全盛時 京中 一千三百六十坊 十七萬八千九百三十六戶 本府即今人戶 一萬六千二百四十四 人口五萬四千九百五十六 戶口逐年增損 本無定數 故姑錄己 酉見戶 군액 軍額 별대군(別隊軍)은 490명이고, 속오군(束伍軍)은 1570명이다. 別隊四百九十 束伍一千五百七十 71) 판본에는 可 가 빠져 있다. 동경잡기 <권2> 233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More information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More information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More information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More information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More information<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More information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More information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More information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More information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More information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More information<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More information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More information<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More information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
More information177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2) 양주조씨 사마방목에는 서천의 양주조씨가 1789년부터 1891년까지 5명이 합격하였다. 한산에서도 1777년부터 1864년까지 5명이 등재되었고, 비인에서도 1735년부터 1801년까지 4명이 올라있다. 서천지역 일대에 넓게 세거지를 마련하고 있었 던 것으로
More information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여는말 풀꽃, 제주어 제주어는 제주인의 향기입니다. 제주인의 삶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삶의 향기이고, 꿈의 내음입니다. 그분들이 어루만졌던 삶이 거칠었던 까닭에 더욱 향기롭고, 그 꿈이 애틋했기에 더욱 은은합니다. 제주어는 제주가 피워낸 풀잎입니다. 제주의 거친 땅에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고, 비바람 맞고 자랐기에 더욱 질박합니다. 사철 싱그러운 들풀과 들꽃향기가
More information¸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정보나눔 섭이와 함께하는 여행 임강섭 복지과 과장 여름이다. 휴가철이다. 다 들 어디론가 떠날 준비에 마음 이 들떠 있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여행 매니아까지는 아니 지만, 나름 여행을 즐기는 사 람으로서 가족들과 신나는 휴 가를 보낼 계획에 살짝 들떠 있는 나에게 혼자만 신나지 말 고 같이 좀 신났으면 좋겠다며 가족들과 같이 가면 좋은 여행 눈이 시리도록
More information01Report_210-4.hwp
연구보고서 210-4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 론 Ⅱ 국회 및 지방의회에서의 여성참여 Ⅲ 정당조직내 여성참여 및 정당의 여성정책 Ⅳ 여성유권자의 투표율 및 투표행태 Ⅴ 여성단체의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운동 Ⅵ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More information<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총선 이후 우리 교육의 방향 당 체제에서 우리 교육의 전망과 교육행정가들의 역할 박 호 근 서울시의회 의원 교육위원회 위원 서론 년 월 일 제 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선거는 바로 민의 의 반영이기 때문에 총선결과를 살펴보고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가를 분석해 본 후 년 월 일을 기점으로 제 대 국회의원들의 임기가 시 작되는 상황에서 우리 교육이 어떻게
More information목 차 營 下 面 5 前 所 面 71 後 所 面 153 三 木 面 263 龍 流 面 285 都 已 上 條 367 同 治 六 年 (1867) 正 月 日 永 宗 防 營 今 丁 卯 式 帳 籍 범례 1. 훼손 등의 이유로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는 로 표기함. 단, 비정 이 가능한 경우는 ( ) 안에 표기함. 2. 원본에서 누락된 글자는 [ ] 안에 표기함. 단, 누락된
More information639..-1
제639호 [주간] 2014년 12월 15일(월요일) http://gurotoday.com http://cafe.daum.net/gorotoday 문의 02-830-0905 대입 준비에 지친 수험생 여러분 힘내세요 신도림테크노마트서 수험생과 학부모 600명 대상 대입설명회 구로아트밸리서는 수험생 1,000명 초대 해피 콘서트 열려 구로구가 대입 준비로 지친
More information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2 와 같습니다. 3.
More information시험지 출제 양식
2013학년도 제2학기 제1차 세계사 지필평가 계 부장 교감 교장 2013년 8월 30일 2, 3교시 제 3학년 인문 (2, 3, 4, 5)반 출제교사 : 백종원 이 시험 문제의 저작권은 풍암고등학교에 있습니다. 저 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전재와 복제는 금지 되며, 이를 어길 시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전근대 시기 (가)~(라)
More information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통합 우리나라 ⑵ 조상님들이 살던 집에 대 해 아는 어린이 있나요? 저요. 온돌로 난방과 취사를 같이 했어요! 네, 맞아요. 그리고 조상님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에서 살았어요. 주무르거나 말아서 만들 수 있는 전통 그릇도 우리의 전통문화예요. 그리고 우리 옷인 한복은 참 아름 답죠?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남자는 바지와 조끼를 입어요. 명절에 한복을 입고 절을
More information상품 전단지
2013 2013 추석맞이 추석맞이 지역우수상품 안내 안내 지역우수상품 지역 우수상품을 안내하여 드리오니 명절 및 행사용 선물로 많이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경기동부상공회의소 임직원 일동 -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More information:::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시 민 문서번호 어르신복지과-1198 주무관 재가복지팀장 어르신복지과장 복지정책관 복지건강실장 결재일자 2013.1.18. 공개여부 방침번호 대시민공개 협 조 2013년 재가노인지원센터 운영 지원 계획 2013. 01. 복지건강실 (어르신복지과)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More information2
1 2 3 4 5 6 또한 같은 탈북자가 소유하고 있던 이라고 할수 있는 또 한장의 사진도 테루꼬양이라고 보고있다. 二宮喜一 (니노미야 요시가즈). 1938 년 1 월 15 일생. 신장 156~7 센치. 체중 52 키로. 몸은 여윈형이고 얼굴은 긴형. 1962 년 9 월경 도꾜도 시나가와구에서 실종. 당시 24 세. 직업 회사원. 밤에는 전문학교에
More information화이련(華以戀) 141001.hwp
年 花 下 理 芳 盟 段 流 無 限 情 惜 別 沈 頭 兒 膝 夜 深 雲 約 三 십년을 꽃 아래서 아름다운 맹세 지키니 한 가닥 풍류는 끝없는 정이어라. 그대의 무릎에 누워 애틋하게 이별하니 밤은 깊어 구름과 빗속에서 삼생을 기약하네. * 들어가는 글 파르라니 머리를 깎은 아이가 시린 손을 호호 불며 불 옆에 앉아 있다. 얼음장 같은 날씨에 허연 입김이 연기처럼
More informationÆòÈ�´©¸® 94È£ ³»Áö_ÃÖÁ¾
사람 안간힘을 다해 행복해지고 싶었던 사람, 허세욱을 그리다 - 허세욱 평전 작가 송기역 - 서울 평통사 노동분회원 허세욱. 효순이 미선이의 억울한 죽음에 대 해 미국은 사죄하라는 투쟁의 현장에 서 그 분을 처음 만났다. 평택 대추리 의 넓은 들판을 두 소녀의 목숨을 앗 아간 미군들에게 또 빼앗길 순 없다며 만들어 온 현수막을 대추초교에 같이 걸었다. 2007년
More information歯1##01.PDF
1.? 1.?,..,.,. 19 1.,,..,. 20 1.?.,.,,...,.,..,. 21 1,.,.,. ( ),. 10 1? 2.5%. 1 40. 22 1.? 40 1 (40 2.5% 1 ). 10 40 4., 4..,... 1997 ( ) 12. 4.6% (26.6%), (19.8%), (11.8%) 23 1. (?).. < >..,..!!! 24 2.
More information<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제3편 정 치 제3편 정치 제1장 의회 제1절 의회 기구 제2절 의회기구 및 직원 현황 자치행정전문위원회 자치행정전문위원 산업건설위원회 산업건설전문위원 제1장 의회 321 제3절 의회 현황 1. 제1대 고창군의회 제1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성 명 생년월일 주 소 비 고 322 제3편 정치 2. 제2대 고창군의회 제2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More information120229(00)(1~3).indd
법 률 국회에서 의결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을 이에 공포한다. 대 통 령 이 명 박 2012년 2월 29일 국 무 총 리 김 황 식 국 무 위 원 행정안전부 맹 형 규 장 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관) 법률 제11374호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 공직선거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제1항에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구국회의원
More information<3230313320B5BFBEC6BDC3BEC6BBE74542532E687770>
58 59 북로남왜 16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흔든 계기는 북로남 왜였다. 북로는 북쪽 몽골의 타타르와 오이라트, 남왜는 남쪽의 왜구를 말한다. 나가시노 전투 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임진전쟁 전) (1) 명 1 북로남왜( 北 虜 南 倭 ) : 16세기 북방 몽골족(만리장성 구축)과 남쪽 왜구의 침입 2 장거정의 개혁 : 토지 장량(토지 조사)와
More information<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檀 國 大 學 校 第 二 十 八 回 학 술 발 표 第 二 十 九 回 특 별 전 경기도 파주 出 土 성주이씨( 星 州 李 氏 ) 형보( 衡 輔 )의 부인 해평윤씨( 海 平 尹 氏 1660~1701) 服 飾 학술발표:2010. 11. 5(금) 13:00 ~ 17:30 단국대학교 인문관 소극장(210호) 특 별 전:2010. 11. 5(금) ~ 2010. 11.
More information11민락초신문4호
꿈을 키우는 민락 어린이 제2011-2호 민락초등학교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1 펴낸곳 : 민락초등학교 펴낸이 : 교 장 심상학 교 감 강옥성 교 감 김두환 교 사 김혜영 성실 근면 정직 4 8 0-8 6 1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로 159번길 26 Tel. 031) 851-3813 Fax. 031) 851-3815 http://www.minrak.es.kr
More information이용자를 위하여 1. 본 보고서의 각종 지표는 강원도, 정부 각부처, 기타 국내 주요 기관에서 생산 한 통계를 이용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각 통계표마다 그 출처를 주기하였음. 2. 일부 자료수치는 세목과 합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이 합계와 일 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3. 통계표 및 도표의 내용 중에서 전년도판 수치와 일치되지 않는 것은 최근판에서
More information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제2장 사천교육의 발자취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1. 근대 이전의 교육 가. 고대의 교육 인류( 人 類 )가 이 지구상에 살면서부터 역사와 함께 교육( 敎 育 )은 어떠한 형태로든 지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이곳에서 삶을 꾸려왔는지는 여 러 가지 유적과 유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당시 우리조상들의 생활을 미루어
More information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하 출 입 시 설 형태 및 특징 제2차 시기 : 건물 4면 중앙에 각각 1개소씩 존재 - 남, 서, 북면의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지의 흔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전면과 측면의 중앙칸에 위치 - 동서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 유인 계단우석( 階 段 隅 石 ) 받침지대석이 발견 - 계단너비는 동측면에서 발견된 계단우석 지대석의 크기와 위치를 근거로 약 2.06m - 면석과
More information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새만금지역의 합리적인 행정구역 결정방안 이 양 재 원광대학교 교수 Ⅰ. 시작하면서 행정경계의 획정 원칙은 국민 누가 보아도 공감할 수 있는 기준으로 결정 되어야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모 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신생매립지의 관할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남도 당진군, 전라남도 순천시와 전라남도 광양시
More information??
한국공항공사와 어린이재단이 함께하는 제2회 다문화가정 생활수기 공모전 수기집 대한민국 다문화가정의 행복과 사랑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Contents 02 04 06 07 08 10 14 16 20 22 25 28 29 30 31 4 5 6 7 8 9 10 11 12 13 15 14 17 16 19 18 21 20 23 22 24 25 26 27 29 28
More information652
축 사 2003년 11월 5일 수요일 제 652 호 대구대신문 창간 39주년을 축하합니다! 알차고 당찬 대구대신문으로 지로자(指걟者)의 역할 우리 대학교의 대표적 언론매체인 대구대 신문이 오늘로 창간 서른 아홉 돌을 맞았습 니다. 정론직필을 사시로 삼고 꾸준히 언로 의 개척을 위해 땀흘려온 그 동안의 노고에 전 비호가족을 대표하여 축하의 뜻을 전하 는 바입니다.
More information歯20010629-001-1-조선일보.PDF
6. 29 () 11:00 ( ) 20 0 1. 6. 29 11( ).(397-1941) 1. 2. 3. 4. 5. 1. 28, 60() (,, ) 30 619(, 6. 29) () 6 (,,,,, ),,, - 1 - < > (, ), () < > - 2 - 2.,,, 620,, - 3 - 3. ( ) 1,614,, 864 ( ) 1,6 14 864 () 734
More information<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31313135292E687770>
제 1 부 제1소위원회 (2) 충남지역(1) 부역혐의 민간인 희생 -당진군ㆍ홍성군ㆍ서산군(2)ㆍ예산군- 결정사안 1950. 9ㆍ28수복 후~1951. 1ㆍ4후퇴경 충청남도 당진 홍성 서산(2) 예산군에서 군 경에 의해 발생한 불법적인 민간인 희생으로 진실규명대상자 33명과 조사과정에서 인지된 자 151명이 희생된 사실을 또는 추정하여 진실규명으로 결정한 사례.
More information<C1DFB1DE2842C7FC292E687770>
무 단 전 재 금 함 2011년 3월 5일 시행 형별 제한 시간 다음 문제를 읽고 알맞은 답을 골라 답안카드의 답란 (1, 2, 3, 4)에 표기하시오. 수험번호 성 명 17. 信 : 1 面 ❷ 武 3 革 4 授 18. 下 : ❶ 三 2 羊 3 東 4 婦 19. 米 : 1 改 2 林 ❸ 貝 4 結 20. 料 : 1 銀 2 火 3 上 ❹ 見 [1 5] 다음 한자(
More information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96 1 96 3 4 1 5 2 ( ),, TV,,,,, 96 5,,,, 3, ), ( :,1991) ), ), 13 1 3 96 23, 41, 4 68 (1) 11, 1223, (3/18 ) ( ) 6, 1 (4/2 ) 16, ( ), 1 (5/3 ), ( ) ( ) 1 (2) 96 8 33 41 (4/25 ), (9/24 ), ( ) 961 (5/27 )
More information???? 1
제 124 호 9 3 와 신시가지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나면 제일 먼저 이 도시에서 언제나 활기가 넘 쳐나는 신시가지로 가게 된다. 그 중심에 는 티무르 공원이 있다. 이 공원을 중심으 로 티무르 박물관과 쇼핑 거리가 밀집돼 있다. 공원 중심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영 웅, 티무르 대제의 동상이 서 있다. 우즈베 키스탄을 여행하다 보면 어느 도시에서나 티무르의 동상이나
More information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 3 5.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일부개정 4
More information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2014 7 18.hwp
차례 1~3쪽 머리말 4 1. 계대 연구자료 7 가. 증 문하시랑동평장사 하공진공 사적기 7 나. 족보 변천사항 9 1) 1416년 진양부원군 신도비 음기(陰記)상의 자손록 9 2) 1605년 을사보 9 3) 1698년 무인 중수보 9 4) 1719년 기해보 10 5) 1999년 판윤공 파보 10 - 계대 10 - 근거 사서 11 (1) 고려사 척록(高麗史摭錄)
More information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S I N S A G O 정답과 해설 채움 1. 마음을 나누는 삶 02 2. 효과적인 자료, 적절한 단어 11 3. 문학을 보는 눈 19 4. 보다 쉽게, 보다 분명하게 29 5. 생각 모으기, 단어 만들기 38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More information<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30323138292D28BCF6C1A4292E687770>
이 조사보고서는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제32조제1항 규정에 따라 2008년 7월 9일부터 2009년 1월 5일까지의 진실 화해를위 한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습 니다. 차례 제 3 부 인권침해규명위원회 사건 김세태 등에 대한 보안대의 불법구금 등 인권침해사건 11 오주석 간첩조작 의혹 사건 25 보안대의 가혹행위로
More information160215
[ 진경준, 대한민국 검사의 민낯! ] 진경준 검사 정봉주 : 진경준 검사장 사건이 충격적인가 봐요.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얘기도 나오는 걸 보니까. 왜 그래요, 느닷 없이? 김태규 : 공수처는 여러 검찰개혁안 중의 하나였죠. 검찰의 기 소독점주의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공수처를 도입해야 한다 는 얘기가 오래 전부터 나왔고. 그런데 지금 정권이 레임 덕에 막 빠지려고
More information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Ⅰ 가이드라인 개요 >>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지주회사법
More information000000038348.hwp
규범 폐쇄성 신뢰 호혜 < 그림1> 사회자본의 구조 D E B C B C A A 비폐쇄성 네트워크(a)와 폐쇄성 네트워크(b) 출처: Coleman, 1988. p. 106. 信 用 人 情 關 係 面 子 報 答 꽌시의 구조 지방정부 동향 공장장 공장장 청부책임제 향진기업 연변 백운(
More information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제11편 성씨 인물 579 제3장 인 물 1. 고려ㆍ조선시대 인물 강순 강열황 구계우 구상은 김감 김경상 김계백 김계환 김규 김광오 김광원 김극성 김극신 김근행 김낙항 김남호 김노기 김노영 김맹권 김명현 김문서 김백간 김상현 김생려 김선지 김성국 김성우 김수정 김수현 김숙 김시걸 김신행 김억 김여남 김영석 김영수 김영제 김용제 김우식 김위 김응순 김응의 김응정
More information<C1DFB0B3BBE7B9FD3128B9FDB7C92C20B0B3C1A4B9DDBFB5292E687770>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령 제1장 공인중개사제도 제2장 총칙 제3장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 제4장 중개업무 제5장 중개계약 및 부동산거래정보망 제6장 중개업자 등의 의무 제7장 중개보수 제8장 교육 및 업무위탁, 포상금 제9장 공인중개사협회 제10장 지도ㆍ감독 및 벌칙 제23회 완벽대비 제1장 공인중개사제도 1. 시험시행기관 (1) 원칙
More informationad-200100008.hwp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여 성 부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론 Ⅱ. 성매매에 대한 시각과 성매매 유형 분류 Ⅲ. 성매매 관련 법 정책 및 사건처리 Ⅳ. 성매매 관련 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Ⅴ. 성매매 관련 법의 적용현황과 문제점 Ⅵ. 성매매 관련 의식조사 결과 Ⅶ. 외국의 입법례 Ⅷ. 개정법(안) 제안 Ⅸ. 정책제언 참고문헌
More information3. 은하 1 우리 은하 위 : 나선형 옆 : 볼록한 원반형 태양은 은하핵으로부터 3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2 은하의 분류 규칙적인 모양의 유무 타원은하, 나선은하와 타원은하 나선팔의 유무 타원은하와 나선 은하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 4.
4탄 지학 정복하기 1. 빅뱅 우주론 빅뱅과 동시에 시공간 및 물질 생성 물질 : 쿼크와 경입자 양성자와 중성자 헬륨원자핵 원자 생성[38 만년 이후] 자연계의 존재하는 힘 : 중력, 강한핵력, 전자기력, 약한핵력 빅뱅우주론의 증거 1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3:1 2 우주 배경 복사 발견 2. 별의 탄생과 진화 1 별의 탄생과정 성간운 형성 원시별과 원반
More information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공개)
문화재위원회(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 문 화 재 위 원 회 - 2 - - 3 - 안건번호 근대2012-04-001-4 - - 5 - - 6 - - 7 - - 8 - 안건번호 근대2012-04-002-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More information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인 천 광 역 시 의 회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More information교육실습 소감문
컴퓨터교육과 2008312140 김경근 Ⅰ. 처음... 이번에 교육실습을 다녀온 곳은 서울에 위치한 노원고등학교, 나의 모교이다. 실 습 학교로 굳이 이 학교를 선택 지원한 이유는, 모교이기 때문 이 아니라 집에서 가까워서 라는 이유가 컸다. 물론 내가 졸업한 모교가 어떻게 변했을지도 궁금하기 도 했다. 실습을 시작하기 전만 해도 오로지
More information1
정의당 당규 2012.11.09. 제1차 전국위원회 제정 2013.02.28. 제4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06.16. 당대회 개정 2013.08.31. 2기 제1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0.20. 2기 제2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2.14. 2기 제3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2.31. 2기 제4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4.02.22. 2기
More information¼þ·Ê¹®-5Àå¼öÁ¤
Ⅴ. 육축 1. 개설 2. 1961년 수리 전의 육축 3. 육축의 구조 4. 지하유구 조사 5. 실측조사 6. 석축부재의 현황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崇禮門 精密實測調査報告書 사진 5-3. 태조 때의 축성형식 사진 5-4. 세종 때의 축성형식 사진 5-7. 성벽 철거 전(1880년대) 사진 5-5. 개축된 축성형식
More information109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김한용 구술 녹취문 129 III. 광고사진가로서의 활동 김: 아아 최: 그리고 신진자동차 퍼브리카도 선생님이 찍으셨대요? 김: 예? 최: 신진자동차에서 나왔던 퍼브리카 김: 퍼브리카. 예, 맞습니다. 최: 요렇게,
More information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500 0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2013년도 본예산 일반회계 환경위생과 ~ 환경위생과 세 출 예 산 사 업 명 세 서 부서: 환경위생과 단위: 환경정책 환경위생과 8,231,353 3,622,660 4,608,693 국 2,472,543 기 144,000 도 976,102 시 4,638,708 자연환경보호(환경보호/환경보호일반) 5,910,247 1,462,545 4,447,702 국 1,817,800
More information歯20010629-003-1-동아일보(2-1).PDF
6. 29 ( ) 11:00 20 0 1. 6. 29 2 3 ( ).( 397-0781) 1. 2. 3. 4. 5. 1. ( : 2 ) 2 8607, 306 19, 7 6 28, 95 3 - (5 ) (,,,,,, ) - 1 - 2. -, - -, - 2 - 3.,, 1,700, 827 ( ) 1,700 8 27 803 469 560 227 289 117 48
More information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4.13 총선, 캐머런과 오스본, 영국 보수당을 생각하다 정 영 동 중앙대 경제학과 자유경제원 인턴 우물 안 개구리인 한국 정치권의 4.13 총선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 하지만 정당 간 정책 선거는 실종되고 오로지 표를 얻기 위한 이전투구식 경쟁이 심 화되고 있다. 정말 한심한 상황이다. 정당들은 각 당이 추구하는 이념과 정강 정책, 목표를 명확히 하고,
More information<33352D2D31342DC0CCB0E6C0DA2E687770>
중국 명문가의 가정교육 * - 先 秦 에서 淸 末 까지- ** 1) 李 庚 子 1. 머리말 2. 孝 悌 를 통한 질서의 확립 3. 德 을 통한 품성 수양 4. 立 志 를 통한 자아 확립 5. 맺음말 1. 머리말 교육의 일차기관은 가정이다. 가정에서 자녀들은 가정의 문화를 배우고 사 물의 바른 질서를 배우며 그 사회와 시대의 문화 양식을 먼저 익힌다.
More information<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2011 어르신 생활문화전승프로그램 柯 亭 里 義 兵 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는다 주관 춘천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원 연합회 문화체육관광부 -차 례- 제1장 구술 자료의 가치 1. 역사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미래 삶의 터전 제2장 지명으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제3장 구술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1. 의암제를 준비하는 사람 류연창 2. 고흥 류
More information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금산 은 상위의 중부방언에 속한다. 충청남도의 핵방언권 중 (A)지역, 즉 충청 남도의 남부이며 전라북도와 주로 접경을 이루는 방언권이다. 그중 충청남도의 최 남단에서 전라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 금산 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 다. 금산 지역이 전라북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문화 등 제반 교류의 가능성 을 엿볼 수 있고, 이는 곧 금산과 전북방언과의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정신문화연구 2001 겨울호 제24권 제4호(통권 85호) pp. 75 96 企劃論文 退溪學派의 經濟的 基 : 財産 形成과 所有 規模를 중심으로 1) Ⅰ. 머리말 Ⅱ. 財産 形成 문 숙 자* Ⅲ. 財産 所有 規模 Ⅳ. 맺음말 Ⅰ. 머리말 退溪學派 는 지역, 당색, 학문상의 이론적 배경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 용어이 며, 시기에 따라서 지칭하는 의미에 차이가
More information1-1Çؼ³
14~15 1 2 3 4 5 6 8~9 1 2 3 4 5 1 2 3 4 5 1 3 5 6 16~17 1 2 3 11 1 2 3 1 2 3 1 2 18 1 2 3 4 5 12~13 1 2 3 4 5 6 1 2 3 4 5 6 19 1 2 3 4 5 6 1 2 3 4 5 19 1 19 1 2 3 4 20~21 1 2 3 4 5 1 2 3 4 5 6 1 2 3 4
More information내지4월최종
내 가 만 난 7 0 년 대 죽은 언론의 사회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2008년 촛불집회가 한창일 때 정동익은 오래 전 자신이몸담았던 동아일 보사 앞에 서 있었다. 촛불을든시민들은 동아일보는 쓰레기다! 라며 야유 를 보냈다. 한때 국민들이 가장 사랑했던 신문 동아일보는 젊은 시절 그와동 료 기자들이 목숨을 걸고 외쳤던 자유 언론 이 아니었다. 그는 차마더바라
More information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불교학과반(1년 과정) 기초교리반(6개월 과정)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매주 목요일 오후 2시 / 저녁 7시 5월 5일 5월 12일 5월 19일 5월 26일 어린이날 휴강 인도불교사 2 / 이거룡 교수님 인도불교사 3 / 이거룡 교수님 중국불교사 1 / 이덕진 교수님 5월 7일 5월 14일 5월 21일 5월 28일 백련암 예불의식 및 기도법 / 총무스님 성철
More information15강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106월 평가원] 1)심청이 수궁에 머물 적에 옥황상제의 명이니 거행이 오죽 하랴. 2) 사해 용왕이 다 각기 시녀를 보내어 아침저녁으로 문 안하고, 번갈아 당번을 서서 문안하고 호위하며, 금수능라 비
14강 역사영웅소설 15강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계 소설 : , 등 일반적으로 판소리 사설의 영향을 받아 소설로 정착된 작품을 가리킨 판소리 : , , , , 등이 사설과 창이 전해지고 있 하층민의 예술로 시작하여 전계층을 아우르는 예술이 되었 상류층, 지배층이 향유층이 되면서 점차 작품의 주제가
More information2 국어 영역(A 형). 다음 대화에서 석기 에게 해 줄 말로 적절한 것은? 세워 역도 꿈나무들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일을 할 예정 입니다. 주석 : 석기야, 너 오늘따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무슨 좋은 일 있니? 석기 : 응, 드디어 내일 어머니께서 스마트폰 사라고 돈
20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제 교시 국어 영역 형 (A ) [ ~ 2] 다음은 교내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진행된 학생의 발 표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안녕하십니까? 입니다. 오랜 시간 학교에서 교복을 입 고 생활하자니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그래서 교 복이 좀 더 편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현재 착용하고 있는
More informationMicrosoft Word - 青野論文_李_.doc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농촌진흥운동기의 경신숭조( 敬 神 崇 祖 ) -조선총독부의 신사정책과 관련하여- 아오노 마사아키( 青 野 正 明 ) 모모야마가쿠인대학( 桃 山 学 院 大 学 ) 번역:이화진 들어가는 말 본고에서는 주로 1930 년대 전반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실시된 농촌진흥운동 1 에 있어서, 신사정책( 神 社 政 策 )과 관계가 있다고 예상되는 농본주의(
More information<B3EBB5BFB0FCB0E8B9FD20B1B9C8B820B0E8B7F920C0C7BEC828C3D6C1BE29A4BB2E687770>
국회 계류 노동관계법(안) (2012.05.30 ~ 2013.10.14) - 1 - 가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1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2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법 5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7 고용보험법 10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18 고용상 학력차별금지 및 기회 균등 보장에
More information<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313232332E687770>
2013 소외계층 독서 인문학 프로그램 결과보고서 - 2 - 2013 소외계층 독서 인문학 프로그램 결과보고서 c o n t e n t s 5 22 44 58 84 108 126 146 168 186 206 220 231 268 296 316 꽃바위 작은 도서관 꿈이 자라는 책 마을 기적의 도서관 남부 도서관 농소 1동 도서관 농소 3동 도서관 동부 도서관
More information부벽루 이색 핵심정리+핵심문제.hwp
부벽루 - 이색 알맹이 정리 시 대 : 고려말 갈 래 : 5언 율시 성 격 : 회고적 표 현 : 어 조 : 지난날의 찬연한 역사를 회고하며 그와 대비되는 현재의 모습에서 무상감에 젖어 있 운 율 : 압운(루, 추, 유, 류) 특 징 : 장엄한 표현.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 이미 지로 표현(4연) 주 제 : 지난 역사의 회고와 고려 국운 회복의 소 망 작가소개
More information입장
[입장] 20대 총선 여성 비정규직 청년정책 평가 여성 정책 평가: 다시 봐도 변함없다 (p.2-p.4) 비정규직 정책 평가: 사이비에 속지 말자 (p.5-p.7) 청년 일자리 정책 평가: 취업준비생과 노동자의 분열로 미래를 논할 순 없다 (p.8-p.11) 2016년 4월 8일 [여성 정책 평가] 다시 봐도 변함없다 이번 20대 총선 만큼 정책 없고, 담론
More informationPSAT¿¹Á¦Áý ȨÆäÀÌÁö °Ô½Ã (¼öÁ¤_200210) .hwp
변화 < : 19851999> 연도 고령취업자수 고령취업자 비율 계 남 여 농 가 비농가 1985 1,688 11.3 10.8 12.0 24.3 6.8 1990 2,455 13.6 13.1 14.3 35.9 8.3 1995 3,069 15.0 14.4 16.0 46.5 10.1 1996 3,229 15.5 15.0 16.2 48.2 10.7
More information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발 간 사 먼저 경기향토사학 제16집이 발간되기까지 집필에 수고하신 경기 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표합니다. 또한 경기도의 각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해 주신 김문수 경기도지사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경기도는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
More information<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본 작품들의 열람기록은 로그파일로 남게 됩니다. 단순 열람 목적 외에 작가와 마포구의 허락 없이 이용하거나 무단 전재, 복제, 배포 시 저작권법의 규정에 의하여 처벌받게 됩니다. 마포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공모전 구 분 내 용 제목 수상내역 작가 공모분야 장르 소재 기획의도 용강동 정구중 한옥과 주변 한옥들에 대한 나의 추억 마포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공모전 최우수상
More information2힉년미술
제 회 Final Test 문항 수 배점 시간 개 00 점 분 다음 밑줄 친 부분의 금속 공예 가공 기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금, 은, 동,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ᄀ불에 녹여 틀에 붓거나 금속판을 ᄂ구부리거나 망치로 ᄃ두들겨서 여러 가지 형태의 쓸모 있는 물건을 만들 수 있다. ᄀ ᄂ ᄃ ᄀ ᄂ ᄃ 조금 단금 주금 주금 판금 단금 단금 판금 주금 판금 단금
More information<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인천학연구총서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김수중조남호천병돈 공편 머리말 진리 를 우리말로 참 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반대를 거짓 이라고 한다. 그런데 여러 가지 을 찾아보아도 아직까지 거짓 에 대한 어원만 밝혀져 있다. 거짓 의 어원은 거죽 이며 이는 지 금 우리가 사용하는 가죽 과 뿌리가 같다고 한다. 즉 그것은 겉에 드 러난 부분, 곧
More information320110.PDF
*.. 1. 2. < > 3. 4...,.,.?. * - 150 - (, ),,,.,,.,,. 2-4.. 50. ( ),,.. - 151 - ., : : :,,,......, - 152 - .. 1.,,,,.... ( ) ( ) ( ) ( ),,,,.,,, - 153 - ,,. (BC 1 ),,. (BC 37 ),,,,,, (BC 18 ),,,,.. (, ),.,,,,.,,.,,.
More information2월 강습회원의 수영장 이용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로 한다.다만,월 자유수영회 원,자유수영 후 강습회원은 접수일 다음달 전일에 유효기간이 종료된다.<개정 2006.11. 20,2009.6.15> 제10조(회원증 재발급)1회원증을 교부받은 자가 분실,망실,훼손 및
실 내 수 영 장 운 영 내 규 1999.6.1. 내규 제50호 개정 2001. 3.19 내규 제 82호 개정 2005.12.29 내규 제135호 2002. 3.25 내규 제 92호 2006.11.20 내규 제155호 2002. 8.28 내규 제 94호 2009. 6.15 내규 제194호 2005. 5.20 내규 제129호 2011.11.10 내규 제236호
More informationⅠ- 1 Ⅰ- 2 Ⅰ- 3 Ⅰ- 4 Ⅰ- 5 Ⅰ- 6 Ⅰ- 7 Ⅰ- 8 Ⅰ- 9 Ⅰ- 10 Ⅰ- 11 Ⅰ- 12 Ⅰ- 13 Ⅰ- 14 Ⅰ- 15 Ⅰ- 16 Ⅰ- 17 Ⅰ- 18 Ⅰ- 19 Ⅰ- 20 Ⅰ- 21 Ⅰ- 22 Ⅰ- 23 Ⅰ- 24 Ⅰ- 25 Ⅰ- 26 Ⅰ- 27 Ⅰ- 28 Ⅰ- 29 Ⅰ- 30 Ⅰ- 31 Ⅰ- 32 Ⅰ- 33 Ⅰ- 34 Ⅰ- 35
More information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국무위원후보자(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유일호) 인사청문요청안 의안 번호 제출연월일 : 2015. 12. 제 출 자 : 대 통 령 요청이유 국가공무원법 제31조의2에 따라 다음 사람을 국무위원(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으로 임명하고자 국회의 인사청문을 요청하는 것임. 인사청문 요청대상자 성 명 : 유 일 호 ( 柳 一 鎬 ) 생년월일 : 1955년 3월 30일
More information산림병해충 방제규정 4. 신문 방송의 보도내용 등 제6 조( 조사지역) 제5 조에 따른 발생조사는 다음 각 호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다. 1. 특정지역 : 명승지 유적지 관광지 공원 유원지 및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로변 등 경관보호구역 2. 주요지역 : 병해충별 선단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 시행 2015.9.9] [ 산림청훈령 제1262 호, 2015.9.9, 일부개정] 산림청( 산림병해충과), 042-481-4038 제1장 총칙 제1 조( 목적) 이 규정은 산림보호법 제3 장 " 산림병해충의 예찰 방제 에서 위임된 사항과 산림병해충( 이하 " 병 해충 이라 한다) 의 예방 구제를 위하여 병해충의 발생조사와
More information김기중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인터넷 내용심의의 위헌 여부.hwp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인터넷 내용심의와 그 위헌 여부에 관한 소론 - 서울고등법원 2011.2.1.자 2010아189 위헌법률심판제청결정을 중심으로 한국정보법학회 2011년 5월 사례연구회 2011. 5. 17.발표 변호사 김기중 미완성 원고임 1. 서론 헌법재판소는 2002. 6. 27. 99헌마480 전기통신사업법 제53조등 위헌확인사건에 서 불온통신 의 단속에
More information넓은 들을 배경으로, 낙동강의 풍부한 수자원은 예로부터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꽃피운 상주의 원동력이다. 강은 단순 히 물은 담아 흐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역사 문화를 담고 있는 까닭이다. 또한 강은 크고 작은 여러 하천들이 모여 큰 물줄기를 이룬다. 낙동강 역시 상
김 진 형 상주박물관 학예연구사 낙동강으로 흐르는 으뜸천 병성천 의 역사와 문화 (rt4567@korea.kr) 강은 문화를 이룬다. 인류문화의 발상지는 모두 강을 끼 꽃피웠다. 고 형성되었다. 강물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 조선시대 이름난 책인 세종실록지리지, 연려실기술 요한 조건이자 새로운 문화를 전달하는 전파자의 역할을 한 등에는 낙동강의 어원을
More information<32303133303232315FBBF5BBE7BFAC5FC0CCBDB4C1F8B4DC5FB3AAC8A6B7CEBEC6B5BFB4EBC0C0C3A55B315D2E687770>
나 홀로 아동 대책은 없나? 2013.02.22 최정은_ 새사연 연구원 jechoi06@naver.com 전국 가구가 43.5% 에 달하고, 그 가운데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구 가 138 만 명이나 된다. 부모들 상당은 돌봄의 공백을 메우려고 자녀들을 사교육 학원에 내맡기고 있다. 하루 몇 시간씩 보호자 없이 지내는 나 홀로 아동 도 전국 100 만 명 규모에
More information기사스크랩 (160504).hwp
경향신문 / 2016.05.03(화) "갈등없는 성과연봉제 도입" 홍보하던 동서발전, 부당노동행위 정황 성과연봉제 노사합의안 찬반투표 당시 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 기표소 모습 공기업 발전회사 중 처음으로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에 대한 노사합의가 이뤄진 한국동서발전이 직원 들의 찬성 투표를 유도하기 위해 부당노동행위를 벌인 복수의 정황이 나왔다. 직원들에게 동의서를
More information(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법을 알고 기사 쓰기 62 논쟁적 주제 다룰 땐 단정적으로 보도하지 말아야 과학적 사실에 대한 보도 시 주의할 점 양재규 언론중재위원회 정책연구팀장 변호사 기자도 전문가 시대다. 의학전문기자, 경제전문기자 라는 말은 이미 익숙하고 이 외에도 책전문기자, 등 산전문기자, IT전문기자, 스포츠전문기자, 자동차 전문기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기자들이 있다. 과학
More information소공동체 기도 하느님 아버지, 저희를 불러 모아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저희가 모였사오니 여기 모인 이들과 이 가정에 축복하여 주십시오. 주님, 저희는 오늘 소공동체 모임에 모여 열심히 기도하고 부지런히 공부 하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 합니다. 주님께 청
교우들의 모임 길잡이 12 2014 통권164호 소공동체 기도 하느님 아버지, 저희를 불러 모아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저희가 모였사오니 여기 모인 이들과 이 가정에 축복하여 주십시오. 주님, 저희는 오늘 소공동체 모임에 모여 열심히 기도하고 부지런히 공부 하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 합니다. 주님께 청하오니 저희와 함께 하시어 엠마오 제자들에게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