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B0ADC8ADC7D0C6C428C3D6C1BE292E687770>"

Transcription

1 인천학연구총서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김수중조남호천병돈 공편

2

3 머리말 진리 를 우리말로 참 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반대를 거짓 이라고 한다. 그런데 여러 가지 <우리말 어원사전>을 찾아보아도 아직까지 거짓 에 대한 어원만 밝혀져 있다. 거짓 의 어원은 거죽 이며 이는 지 금 우리가 사용하는 가죽 과 뿌리가 같다고 한다. 즉 그것은 겉에 드 러난 부분, 곧 껍데기이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참 의 어원을 추측 해 볼 수 있다. 그것은 (가득)차다 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니, 참 은 차다 의 명사형인 것이다. 껍데기 형식만 남은 것이 거짓 이고, 알맹 이 내용이 꽉 찬 것이 참 인 것이다. 1) 이쯤 되면 민족시인 신동엽의 싯귀가 떠오를 것이다. 껍데기는 가라 四 月 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이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문학의 핵심이니, 그것은 인간의 진실을 추구하여 형해화되는 껍데기를 끝없이 극복하려는 정신 인 것이다. 양명학의 출발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명대( 明 代 )에 형성된 양 명학은 형식과 허위성에 빠진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나왔다. 송대에 발생한 주자학은 원대( 元 代 )에 과거시험의 텍스트가 되면서 관학으로 서 자리 잡게 되었고, 결국 관변의 통치철학으로 교조화 되어 갔다. 1) <한겨레신문> 김수중교수의 철학산책, 2004년 7월26일자에 좀 더 자세한 내 용이 있음.

4 이에 대한 반동으로 나온 양명학은 도학 본래의 생동성을 회복하고자 나온 도학( 道 學 )혁신운동 이었다. 조선 중기 양명학을 수용한 초기 인물인 장유( 張 維 ; )도 위와 같은 양명학의 정신을 꿰뚫고 있었다. 조선의 건국이념이었던 주자학은 이 땅에 들어와 200여년이 지나면서 장유가 살던 시대에는 이미 형식화되어 당파 싸움의 명분으로 전락하고 있었다. 장유는 다 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의 학술은 다양하다. 정학( 正 學 )이 있는가 하 면 선학( 禪 學 )과 단학( 丹 學 )이 있고, 정주( 程 朱 )를 배우는가 하면 육씨 ( 陸 氏 ; 象 山 )를 배우기도 하는 등 학문의 길이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 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식 무식을 막론하고 책을 끼고 다 니며 글을 읽는 자들을 보면 모두가 정주( 程 朱 )만을 칭송할 뿐 다른 학문에 종사하는 자가 있다는 말을 들어 보지 못하였다. 중국에는 학자가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에는 (진정한) 학자가 없기 때문에 그러 한 것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조선의 사상 풍토는 장유가 예견한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퇴계 이황이 양명학을 정면으로 비판한 이후 어 느 누구도 감히 드러내놓고 양명학을 주장할 수 없었다. 하지만 명대 에 유행하던 양명학의 기본 저술들은 큰 시차 없이 조선에 유입되고 있었다. 가난한 시대 에도 용감한 지식인들은 나오는 법이다. 정제두( 鄭 齊 斗 ; , 호 霞 谷 )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조선 최고의 양명학 자이다. 그는 5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기울어져가는 가운을 통탄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다. 하곡의 개인적인 삶은 불우하고 불행하였다. 41 세 되던 해에 기사환국으로 남인 정권이 다시 등장하는데 그는 처음 으로 취임한 실직인 평택 현감을 사임하고 대리문초( 對 吏 問 招 )까지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안산으로 이거( 移 居 )하였다. 그 후로 60세까지

5 20년 동안을 그는 안산에서 양명학에 몰두하였다. 61세 이후로 그는 강화에 가서 둔세하며 제자들과 함께 본격적으로 양명학에 천착하여 강화학파 의 토대를 놓게 된다. 하곡은 당시 학자들이 판에 밖은 듯이 정주학적 틀 안에서 안이하 게 학문하는 태도를 비난하여, 오늘날 학문을 말하는 사람들은 주자 를 배우는 게 아니라 거짓 주자를 배우고 있으며, 아니 거짓 주자가 아니라 겉으로 전해들은 주자이다. 그들의 의도는 주자란 이름을 끼 고서 위세를 부려 개인 이익을 건지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그는 주 체적인 입장에서 당시까지 전개된 중국양명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 고, 아울러 조선 주자학적 성과를 종합하는 큰 틀을 제시하였다. 주자학의 교리체계가 좀 더 분명하고 교조적이라면, 주제성을 중시 하는 양명학의 성격은 비교적 개방적이고 포용적이다. 이런 점으로 인하여 제자들로 이어지는 양명학의 전개는 다양한 방면으로 전개되 어 문학 역사 등의 여러 분야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하곡 이후 다방 면으로 전개되는 조선 양명학파, 즉 강화학파의 넓은 프리즘은 우리 의 경우라고 특별한 것은 아니다. 양명학의 본질은 진정성을 추구하 는 태도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지 정해진 교리를 묵수하는 데 있지 않 기 때문이다. 양명학은 성격상 관료들 보다는 아웃사이더에게 더 잘 어울린다. 강화학은 우리 사회에서 결코 관학이 될 수 없었다. 심지어 현대에 있어서도 양명학은 주류 철학으로서 보다는 이단 으로 취급되는 듯하 다. 그러나 양명학을 철저하게 이해할 때만 조선시대의 전체적인 사 상사적 윤곽이 그려질 수 있다. 양명학에 대한 복권이야말로 우리에 게 주어진 사상사적 과업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양명학에 대한 연구에는 연구자들의 땀과 눈 물이 배어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와 저작을 한 곳에 모

6 아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 책은 앞으로 전개될 본격 적인 연구를 위한 작은 핸드북에 불과하다. 짧은 기간의 작업이라 빠 진 부분이나 오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민족문화추진회 (현 한국고전번역원)의 엄청난 해제작업, 박연수교수와 송석준교수의 기초적 정리 작업, 그리고 심경호교수의 정보제공이 없었다면 이 책 의 출판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정리 자료의 이용을 흔쾌히 허락을 해 주신 연구자들에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그리고 원시 자료를 복사해 준 국립중앙도서관, 경희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 학교 존경각, 대전대학교 도서관, 배재대학교 도서관 관계자분들께도 고마움을 표시하고 싶다. 끝으로 이 프로젝트를 마련해주신 인천학연 구원과 실무자 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편자를 대표해서 김수중이 쓰다.

7 차 례 Ⅰ. 강화학파 1. 강화학파에 대하여 하곡학파 의 문헌 해제 필요성 문헌 해제 방법 2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해제 1. 하곡집(霞谷集) 저촌유고(樗村遺稿) 관양집(冠陽集) 선고(先藁) 두남집(斗南集) 원교집(圓嶠集) 7. 이참봉집(李參奉集) 완구유집(宛丘遺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신재집(信齋集) 초원유고(椒園遺藁) 주영편(晝永編) 석천유고(石泉遺稿) 시차고(詩次故) 역차고(易次故) 서차고(書次故) 대연유고(岱淵遺藁) 사기집(沙磯集) 137

8 19. 백운문초(白雲文抄) 심대윤전집 소호당집(韶濩堂集) 명미당집(明美堂集) 당의통략(黨議通略) (광문회발간(光文會發刊)) 독역수기(讀易隨記) 경재집(耕齋集) 26. 계명의숙취지서(啓明義塾趣旨書) 난곡존고(蘭谷存稿) 담원국학산고(薝園國學散藁) 209 Ⅲ. 연구 저서 요약 1. 당의통략 한국양명학연구 조선시대의 양명학연구 한국의 양명학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1) 한국 근대유교 개혁운동사 7. 강화학 최후의 광경 성리학과 양명학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2)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3) 한국유학사상사 Ⅲ-조선후기편(상) 양명학자 정제두의 철학사상 동아시아의 양명학 14. 동양정치사상 한국양명사상의 전개 양명학의 이해 - 양명학과 한국양명학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4) 269

9 17. 다산과 석천의 경학논쟁 왕양명과 양명학 한국의 상산학(象山學)과 양명학 하곡 정제두 이건창 문학연구 원교 이광사 문집 원교와 창암 글씨에 미치다 - 원교창암 유묵 23. 하곡 정제두의 사상 293 Ⅳ. 박사학위 논문 요약 하곡 정제두 299 강화학파 및 한국양명학 335 원교 이광사 345 심대윤(沈大允) 367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 370 영재 이건창 387 위당(爲堂) 정인보 390 Ⅲ. 강화학파 연구 저서 및 논문 목록 1. 저서류 강화학인별 분류 - 일반논문학위논문 강화학파 - 일반 한국 양명학 428 찾아보기 436

10 정제두(鄭際斗 )의 친필로 자신의 심경을 적은 글이다. 서적을 우연히 한가롭고 조용할 때에 즐기니, 책을 펼치면 얻는 바가 있어 문득 기뻐하여 먹는 것도 잊게 된다. 수목의 가지가 엇갈려 수풀을 이루고 철 따라 우는 새소리 변하는 것을 보고 또한 흔연히 기뻐하였도다. (지본묵서, )

11 Ⅰ. 강화학파 1. 강화학파에 대하여 양명학이 조선에 언제 들어왔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다. 이능화는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과 경안령(慶安令) 이요(李瑤)가 최초의 양 명학자라고 한다. 그러나 오종일은 1521년 이전 왕양명이 생존했을 때 이미 전습록(傳習錄) 초간본이 전래되었다고 한다.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연보에 변왕양명수인전록(辨王陽明守仁傳錄) 이 있고, 십청원(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십청헌집(十淸軒集) 에 우화눌재 (又和訥齋) 라는 시(詩)에 양명노자치심지학(陽明老子治心學) 이란 글 을 근거로 1521(중종16)년 이전에 양명학이 전래되었다고 오종익은 보고 있다. 하지만 윤남한은 양명학의 형성을 1528(중종말)에서 1533(명종초), 정주학이 심학화(心學化)화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초 기 양명학 수용과정에서 이요가 선조에게 양명학을 찬양하자, 선조도 이에 적극 동조하면서 유성룡의 양명학 배척을 거부하였다는 것이다. 이처럼 선조 때에는 양명학을 수용하려는 논의가 있었으나 퇴계(退溪) 의 전습록변(傳習錄辨) 이후에 양명학은 이단사설 로 배척당했다고 한다. 정인보는 양명학연론 에서 조선의 양명학파에 대해 다음과 같이

12 1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말했다. 조선에는 양명학파가 없었다. 조선에서 양명학은 마치 무슨 이단 사 설(邪說)처럼 내몰려 양명학과 관련된 책이 책상 위에만 놓여 있어도 사문난적이라는 비판을 각오해야 했다. 그래서 한두 학자가 비록 양명 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밖으로 그것을 드러내 지는 못했다. 그러므로 양명학파가 없었다는 말이 사실이 아니지는 않 다. 조선에는 주자학파뿐이었다. 수백 년에 걸쳐 누구를 막론하고 주자 학을 받들어야만 입신양명의 길을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조선에는 주 자학이 전부였기 때문에 따로 주자학파라는 이름마저 없었다. 그러나 학문이 입신양명의 수단이 되면 텅 빔[虛] 과 거짓[假] 의 폐 단이 생기기 쉽다. 하지만 어떠한 학문이 입신양명은커녕 온 세상에서 배척을 받는 표적임에도 불구하고, 내 생각에 이 학문이 옳기 때문에 나 혼자라도 이것을 공부한다고 하면, 이것이야말로 조금의 거짓도 없 는 순수한 학문자세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조선에는 없었다고 한 양명학파가 실제로는 가장 귀중한 존재가 아니겠는가.1) 그러면서 정인보는 조선의 양명학자를 세 부류로 구분했다.2) 이 세 1) 정인보, 양명학연론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4), 쪽. 2) 첫째, 뚜렷한 저작이 있거나, 아니면 그 사람의 말이나 글 가운데 분명한 증 거가 있어서 다른 사람들은 몰랐다 하더라도 양명학파로 분류하기에 의심이 없는 사람들이다. 최명길(崔鳴吉, 호 지천(遲川), )과 장유(張維, 호 계곡(谿谷), ) 그리고 정제두(鄭齊斗, 호 하곡(霞谷), )가 여기에 속한다. 둘째, 겉으로는 양명학을 비난하지만, 속으로는 양명학을 주 장한 사람들이다. 이 부류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광사(李匡師), 이영익(李令 翊), 이충익(李忠翊) 등이다. 셋째, 양명학을 언급하지 않고 또 실제로 주자학을 추앙하였지만, 주장의 핵 심적 정신을 보면 두 말할 필요 없는 양명학자. 이 부류에 속하는 사람은 홍

13 Ⅰ. 강화학파 13 부류 중 하곡(霞谷)만이 양명학에 대한 전문 저서를 남겼다. 하곡은 만년(61세-88세 서거까지)에 강화도를 거점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면 서 저술을 남겼다. 하곡의 학문이 확립된 이후, 아들 정후일(鄭厚一) 과 그의 문인(門人)인 이광명(李匡明), 이광사(李匡師), 이광신(李匡 臣), 심육(沈錥), 윤순(尹淳), 이진병(李震炳), 정준일(鄭俊一), 송덕연 (宋德淵), 최상복(崔尙復), 이선협(李善協), 신대우(申大羽), 이광려(李 匡呂), 성이관(成以觀), 오세태(吳世泰), 이선학(李善學), 김택수(金澤 洙) 등이 있었다. 이후 이들의 학문은 가학(家學)으로 전승된다. 하곡 의 아들 정후일의 학문은 사위인 이광명과 그의 고손(高孫)인 정문승 (鄭文升), 정기석(鄭箕錫), 정원하(鄭元夏) 등으로 이어졌으며, 신대우 의 심학(心學)은 그의 아들인 신작(申綽), 신현(申絢)으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하곡학의 가장 큰 줄기는 역시 전주 이씨 덕천군파(德泉君 派) 가문인 이광신, 이광려, 이광사, 이광명이다.3) 이들의 학문 전승을 대용(洪大容, 호 담헌(湛軒), )이다. 정인보 저, 홍원식 해설, 양명 학 연론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4), 쪽 참고. 3) 덕천군파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恭靖王子 德天君 厚生 五代 惟侃-景奭 景稷-長英-集成-眞卿-匡祚 後英-翼成-聞道-匡運 德成-眞源-系匡尹 眞淳-匡說 眞洙-匡尹出 匡呂 正英-晩成-系眞儒-匡翼-系承孝-勉信 大成-眞儒出 眞儉-匡泰 匡濟 匡震(夭折) 匡鼎 匡師-肯翊-勉耆-述遠 令翊-系勉愚-發遠

14 1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다시 살펴보면, 이광려는 정동유(鄭東愈)로, 이광사는 그의 아들인 이 긍익(李肯翊)과 이영익(李令翊)으로, 이광명은 양아들인 이충익(李忠翊) 과 이면백(李勉伯), 이시원(李是遠), 이지원(李止遠)으로 이어졌다. 이 시원의 심학은 다시 이상학(李象學), 이건창(李建昌), 이건승(李建昇)에 게, 이지원의 학문은 이건방(李建芳), 정인보로, 정인보의 학문은 다시 제자인 민영규(閔泳珪) 홍이섭(洪以燮)으로 이어졌다.4) 이렇게 하곡을 眞休-匡臣-敬翊-勉行 勉衡 眞伋-匡彦-榮翊-勉訥-會遠 匡贊-良翊-勉通 系勉季 匡顯-文翊 忠翊出 弘翊 匡敏-天翊-勉始-系眞遠 勉治 匡謹-雲翊-勉履-章遠 明翊 眞偉-匡明-系忠翊-勉伯-是遠-象學-建昌 建昇 止遠-象夒-系建芳 喜遠-象曼-建芳 4) 강화학파의 학맥 계보도는 다음과 같다. 霞谷-鄭厚一(子)-鄭文承(高孫)-鄭基錫(6대손)-鄭元夏(7대손) 李匡明(손자)-李忠翊-李勉伯-李是遠-李象學-李建昌 李建昇 李止遠-李建芳-鄭寅普-閔泳珪 洪以燮 黃玹 李匡師-李令翊 李肯翊(子)( 연려실기술 )-李勉伯( 海東惇史 )-이시원( 國朝文獻 )-이건창 ( 黨議通略 ) 李匡臣 李匡呂-鄭東愈 金澤秀

15 Ⅰ. 강화학파 15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통을 하곡학, 강화학, 강화양명학, 강화하곡 학, 강화하곡학파 등 여러 가지 명칭을 붙여서 부른다. 사실 강화라는 지역을 통해 하곡을 중심으로 전개된 학문을 규정한 사람은 정인보의 제자 민영규이다. 민영규는 강화학이 반드시 양명학 의 묵수자로서 일색을 이루어야 할 이유는 없다. 강화학의 성장이 정하곡의 양명학에서 발단을 이룬 것이긴 하지만, 하나의 율법의 외 형적인 묵수가 어떠한 새로운 생명도 거기서 약속되지는 않는다. 이건창과 정원하, 홍승원은 모두 강화학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분들이 지만, 내가 그것을 양명학이라 부르지 않고 강화학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찾아야 했던 데엔 오는 변화를 적극 평가하고 싶었기 때문이 다. 라고 했다.5) 민영규의 논지를 근거로 할 때, 민영규 이전에는 하 곡의 사상을 중심으로 강화도에서 발흥한 학문 전체를, 하곡의 사상 이 양명학 중심이었다는 이유 때문에 양명학 이라고 암묵적으로 통용 申大羽(孫壻)-申綽 申絢 沈錥 尹淳(하곡의 아우 鄭齊泰의 사위)-李匡師(書體) 李震炳(遁谷) 鄭俊一 宋德淵 崔尙復 李善學 李善協 成以觀 吳世泰 유준기, 한국근대유교개혁운동사 (증보판)(서울; 아세아문화사, 1999), 쪽 참고. 5) 민영규, 위당 정인보 선생의 행장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실학 원시, 동방 학지 13집, 재인용, 최재목, 강화양명학파 연구의 방향과 과제, 양 명학 12호, , 57쪽.

16 1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된 것 같다. 민영규에 의해 하곡학에 대한 강화학 이라는 새로운 개 념 규정이 제시된 후, 적지 않은 학자들이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냈다. 유명종은 강화학파의 양명학 이라고 이름 붙이면서, 강화학파의 양 명학 의 특징을 그들이 전수한 양명학은 심학(心學)이다. 따라서 심학 에는 시문(詩文)이 있고, 정(情)이 있고, 의(意)가 있으며, 사(史)가 있 고, 문예서화(文藝書畵)가 있다. 지성과 정서와 의지를 함께하는 혼일 한 심신의 학문, 곧 치양지학(致良知學)이란 참으로 인간을 사랑하고 동정[眞誠惻怛]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정음(正音) 사학(史學) 서예(書藝) 시문(詩文)으로 삶의 참뜻을 symbolic하게 드러내려 하였 고, 겸해서 실학(實學)과 제휴하여 이미 비인간화된 사회에 대하여 도 전 혹은 개혁의 시도를 읽을 수 있도록 해준다. 참으로 깨친 양지는 다시 민족의 주체성 천명에 얼을 미친다. 라고 말하면서, 이광신, 이 광사, 이광려, 이긍익, 이영익, 신대우, 이충익, 정동유, 신작, 정문승, 정기석, 이시원, 이상학, 이건창, 이건승, 김택영, 이건방 등의 사상을 서술했다.6) 이처럼 유명종은 그들이 비록 정음(훈민정음학 연구) 사 학 서예 시문 등 여러 방면으로 나아갔지만, 그들을 하나로 꿰뚫는 것은 여전히 양명의 심학 즉 양명학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유명종 역 시 강화학파 라고 했다. 유준기 역시 강화학파 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강화학파를 조정으 로부터 소외된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심신(心身)의 학으로서 양명학 의 치양지(致良知)를 목표로 하는 유학자들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강화학은 권력을 위한 학문이 아니라, 인간발견을 위한 학문이라고 한다. 이들은 역사학, 정음(正音), 서화(書畵), 실학 등에서 새롭고 창 조적인 경지를 개척하였으며, 한말(韓末)의 위기적 국면을 당하여 그 6) 유명종, 성리학과 양명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차례 부분 참고.

17 Ⅰ. 강화학파 17 들은 절조(節操)있는 생애로 일관하면서 역사서, 애국시로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으며, 고고한 애국지사를 많이 배출한 것은 양지(良知)의 자 기실현이었다고 주장했다.7) 정량완, 심경호는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 이라는 강화학파 전문 서적을 출간했다. 이 책은 강화학파를 연구하는데 시금석이 될 정도 로 자세하게 강화학파 인물들을 강화학파의 문집을 바탕으로 서술하 고 있다. 책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량완, 심경호는 강화학파 라 는 용어를 사용한다. 심경호는 하곡에 의해 형성된 강화학은 다양한 모습으로 분화하여 국어학과 국사학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냈다고 한 다. 강화학파는 한결같이 정주학(程朱學)을 허학(虛學)으로 규정하고, 양명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고증학(考證學)의 방법론을 받아들였 다고 한다. 강화학은 양명학을 기조로 하되, 허학을 배격하는 유력한 방안으로 고증학을 수용하였고, 실학자 정약용의 사공(事功)의 학문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는 강화학은 실심(實心) 곧 자기의 진실한 마음 에서 인간에 대한 주체적 인식에 도달하고 올바른 삶을 살아나갈 것 을 주장하였다고 하며, 강화학의 지적 고뇌는 바로 허가(虛假)를 배격 하고 진실무위의 인간형을 수립하는데 있었다고 한다.8) 그래서 심경 호는 그들의 학문을 넓은 의미의 실학과 구분하여 실심실학(實心實 學) 이라고 불렀다.9) 최재목은 강화양명학파 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실 하곡학 이라고 하면 하곡 정제두가 만년에 강화도 7) 유준기, 한국 근대유교 개혁운동사 (서울; 삼문, 1994). 8) 심경호, 강화학의 허가비판론(虛假批判論) ( 대동한문학 14집, 대동한문학회, 2001, 6), 68쪽. 재인용, 박연수, 강화 하곡학파의 실심(實心) 실학(實學) ( 양 명학 16호, 한국양명학회, ), 124쪽. 9) 심경호, 강화학파의 가학(假學) 비판 ( 양명학 13호, 2005년 2월), 247쪽 머 리말.

18 1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하곡 지역에 거주하면서까지 그의 생애를 통해서 이룩한 학문 전체를 말한다. 그리고 하곡의 양명학 이라 하면 하곡의 학문 내용 가운데 양명학적 경향을 지닌 학문 내용을 말한다. 강화학 이란 하곡의 양명 학 과 하곡학 그리고 하곡이란 인물에 의해 강화도라는 지역을 구심 점으로 해서 전개되는 그 후학의 학문 전개(양명학 포함) 전체를 포 괄한다. 이 속에는 앞서 소개한 강화학파의 인물들의10) 다양한 학문 내용이 전부 포함된다. 11) 박연수는 강화하곡학파 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규정했다. 즉 강 화도 지역을 구심점으로 하고, 학문 분야는 다양하지만 하곡 정제두 의 양명학을 근본사상으로 삼으며, 하곡으로부터 시작하여 혈연과 학 연(學緣)으로 이어지는 하곡의 문인들을 지칭한다.12)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개념 규정이 있을 수 있지만, 위에 열거한 내용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사실 위에 열거한 견해가 많은 것 같 지만, 강화학파 와 강화양명학(혹은 강화 하곡학 ) 둘로 나눌 수 있다. 즉 민영규유준기심경호는 강화학파 로, 유명종박연수최재목은 강화양명학(혹은 강화 하곡학 ) 이라고 했다. 민영규는 강화학파 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가장 커다란 이유로 오는 변화 를 적 극적으로 평가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오는 변화 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설명이 없다. 다만 그의 주장을 근거로 할 때, 오는 변화 란 아마도 하곡학이 묵수적으로 양명학을 지키려고 하지 않았다는 점에 중점을 둔 것이라고 보인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민영 10) 주2)의 유준기가 규정한 강화학파 인물들을 말함. 11) 최재목, 강화 양명학파 연구의 방향과 과제 ( 양명학 12호, 한국양명학회, ), 57쪽. 12) 박연수, 강화 하곡학파의 實心 實學 ( 양명학 16호, 한국양명학회, ), 121쪽.

19 Ⅰ. 강화학파 19 규는 하곡학을 특별히 강화학파 라고 했다. 민영규 이후 유준기, 심경호 등도 강화학파 라는 용어를 썼다. 그러 나 위에서도 간단히 언급했듯이 유준기는 강화학파의 핵심을 심신(心 身) 의 학으로서 양명학의 치양지를 목표로 하는 유학자 라고 규정하 고, 심경호 또한 강화학은 양명학을 기조 로 한다고 규정한다. 다시 말하면 강화의 하곡학이 학문적으로 여러 분야로 전개되어 나아갔지 만, 기조가 되는 사상은 양명학 이라는 것이다. 사실 민영규 역시 강 화의 하곡학이 양명학을 기조로 한다는 점을 부정하지 않는다. 단지 강화의 하곡학이 양명학을 무비판적으로 지키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 에 중점을 두었을 뿐이다. 따라서 강화학파 나 강화양명학(혹은 강화 하곡학 ) 은 명칭은 다르지만, 내용적으로는 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양명학회는 2004년부터 강화군 지원을 받아 정제두 학술을 국 제학계에 알리고 함께 연구하기 위하여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한국양명학회는 하곡 정제두 학술사상에 관한 전반적인 검토와 연구 방향을 깊이 토론하였다. 따라서 한국 양명학은 하곡 정제두가 조선 학계의 학술적 성취를 계승하고 또한 중국 양명학을 수용하여 조선학 계에 뿌리를 내린 학술 이며, 또한 조선 근대 내지 현재까지 학맥이 전승되었기 때문에 학파 가 성립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시 말해 한 국 양명학은 하곡 정제두가 조선학계의 격물물격 논변을 계승하였고 그 위에서 다시 왕양명을 비롯하여 양명 후학들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종합하고자 하였다. 특히 왕양명의 양지(良知)와 왕간의 격물(格物)을 융회하여 대학 의 지지선(止至善)에 귀납시켰고 지지선을 실학 이라 고 정의함으로써 중국 양명학과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 서 조선 양명학을 하곡학 이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하곡학의 실심실학(實心實學)이 여러 분야로 확대 발전하였으며 조선 말기에

20 2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애국계몽운동과 독립운동에 힘써 이건승은 실사실업( 實 事 實 業 ) 을 일 으켜 세계 제1등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근대화 정신을 제시하였다. 하 곡학의 이와 같은 학맥 전승에 근거하여 하곡학파 가 성립하였다. 따 라서 한국양명학회는 종래에 강화학파 또는 강화 양명학파 라는 명 칭을 하곡학 과 하곡학파 로 고쳐 부르기로 한다. 하곡학과 하곡학파는 한국 양명학에 머무는 학술이 아니고 동아시 아 학계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연구하여야 하며 다시 세계화를 지향하 여야한다. 따라서 한국양명학회 회원들은 하곡학과 하곡학파의 연구 가 조선시기 학술을 되찾아내는 것일 뿐만 아니라 미래 목표를 지향 하는 학술이 되어야한다고 주창하였다. 2. 하곡학파 의 문헌 해제 필요성 강화학이 형성되고 발전하였던 과정과 사회적 공헌을 말하면, 조선 중기에 정제두가 양명학을 평생 연구하여 주자학과 다른 독립된 학술 체계를 이루었고 만년에는 강화도에 거주하며 학자들을 양성하여 강 화학이 형성되었다. 강화학 학맥은 전승되고 발전하면서 조선 양명학 과 실학 그리고 항일독립운동과 근대화운동 나아가 현대 한국양명학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21세기는 황해시대이며 황해 해역은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그리고 동남아시아 각국들이 공동번영을 추구하는 무대가 될 것이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황해시대에 한국은 서해안지역에 집중하여 개발하 고 발전시켜야 하며 따라서 강화학은 한국이 황해를 무대로 삼는 새 로운 학술적 지향과 가치를 준비하는 기초로 삼아야한다. 양명학은 명나라 중기부터 양자강 유역에서 급속한 사회경제적 발전을 기초와

21 Ⅰ. 강화학파 21 배경으로 삼았기 때문에 당시 새롭게 사회를 개혁하려는 가치관과 개 방적인 태도를 지향하였다. 강화학은 조선 후기에 민족적 자주의식을 자각하고 사회개혁을 추구하여 실학 전개에 크게 공헌하였다. 일본 역시 근대화 과정에서 양명학을 사상적 기초로 삼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 강화학은 황해시대를 맞아 동아시아 각국이 학술적 공동기 초로 삼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 강화학에 관한 모든 학술적 연구 성과들을 정리할 필요를 절감하고 있다. 학술적인 방면에서 강화학의 정리는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강화학파와 강화학인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문학과 예술 방 면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그러다 1990년대 이후 강화학파에 대한 연 구는 강화학과 강화학인, 그리고 강화 양명학이 재차 거론되기 시작 하여 2004년에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즉 한국양명학회 주관으로 개최된 제1회 강화 양명학 국제학술대회 는 강화학파 를 국 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2005년 타이완의 타이완다쉐[臺灣 大學]에서 출판된 한국강화양명학연구논집(韓國江華陽明學硏究論集) 은 외국학자가 강화양명학을 연구하는 필독서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강화학 연구는 여전히 열악하다. 이렇게 된 까닭을 김교빈의 주장으로 살펴보면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즉 첫째는 연구 여건의 문제, 둘째는 연구 대상이 갖고 있는 문제, 첫 번 째 문제는 한국양명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강화학파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 대상의 핵심인 하곡 정 제두와 그 후학들의 학문은 지역적으로는 주자학 위세에 눌려 강화도 를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학문의 전수 범위도 하곡의 집안과 그와 교 류하던 몇 집안의 가학(家學)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또한 하곡 이후로 는 학문 내용에 있어서도 거의 양명학을 표방하지 못하고 고증학, 경 학, 역사학 등에 몰두하거나 시문(詩文)을 짓는 데에서 벗어나지 못한

22 2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13) 이처럼 하곡의 강화학파는 가학으로 이어져 내려왔고, 학문의 내용 또한 그 범위가 넓은 관계로 하나로 집약되지 못하고 산만하게 흩어져 있다. 최근에는 강화학보다는 하곡학이라는 개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 다. 중국 양명학은 왕기와 나여방 이계(二溪)를 정점으로 발전한 뒤 17세기 중반 이후에는 급격하게 침체되었다. 그런데 하곡 정제두는 당시 조선학계의 수준 높은 주자학 기초 위에서 나왔던 여러 비판들 을 무릅쓰고 왕양명의 양지학과 양명 후학들의 학술종지들을 선별하 여 수용하였고, 나아가 직접 체험공부를 통하여 하곡학 이라는 한국양 명학을 건립하여 토착화시켰으며 오늘날까지 오랜 학맥을 계승하였 다. 이는 정제두 하곡학의 학술적 위치가 동아시아 한중일 3국의 양명학 지평에서 조망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정제두 하곡학 자체에 관한 연구와 함께 이를 한국 양명학의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경북 안동 하면 퇴계학 을 떠올리듯, 인천 강화 하면 하 곡학 이라는 문화적 유산이 마련되어야 한다. 강화학이든 하곡학이든 이제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기존의 연 구 성과를 분석 정리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 문인들의 자료들이 아직도 체계적인 교감을 거치지 않은 원자료 상태가 많다. 원자료에 대한 정본(定本)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정본 작업에 앞서 우선 이들 자료의 목록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 이 없을 때 강화학 에 대한 연구는 중복되고, 이로 인해 강화학 연구 는 답보상태에 머물고 만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하곡 정제두와 그의 문인 및 이들의 사상을 이은 강화학파에 대한 1차 문헌을 해제하고, 1차 문헌 13)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 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1996), 쪽 참고.

23 Ⅰ. 강화학파 23 에 대한 연구 성과(석사박사 논문 포함)를 정리 요약하는데 목적을 둔다. 아울러 이 연구 자료는 장차 강화학파를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게 기존의 연구 성과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나아가 연구방향을 설정 하는데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 문헌 해제 방법 첫째, 강화학파에 대한 문헌해제가 주목적이다. 따라서 한국 양명 학자에 대한 문헌은 제외한다. 둘째, 문집은 오늘날 출판되는 책과 달리 기본적으로 문사학철 학 등 다양한 분야가 문집 이라는 하나의 문헌 속에 함께 실려 있다. 따라서 문집 해제를 학문 분야 별로 나누어 서술하게 되면, 문집이 분야별로 분산되어 문집 전체를 이해하는데 혼란을 야기한다. 여기서 는 기본적으로 하곡집 을 정점으로, 하곡 후학의 문집을 분류 편의 상 문집 저자의 출생 연대를 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문헌 해제와 자료수집에 있다. 따라 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저자의 출생관직 등은 자세히 언급하 지 않는다. 넷째, 문헌이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를 밝히지만, 한국문집총간 을 통해 출판된 문헌은 생략하기도 한다. 다섯째, 출판된 전문 서적 역시 문헌 해제 순서와 같은 순서로 나 열한다. 여섯째, 일반 논문 및 학위논문 역시 문헌 해제 순서와 같은 순서 로 나열한다.

24 2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일곱째, 학위논문은 박사논문에 한정하며, 논문의 요약문을 첨부한 다.

2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1. 하곡집(霞谷集) 1) 저자 정제두(鄭齊斗). 1649(인조27)-1736(영조12). 자 사앙(士仰), 호 하곡 (霞谷). 본관 연일(迎日), 포은 정몽주의 11세 손(孫), 시호 문강(文康). 2)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소장도서번호: 古3648-文70-22). 민족문화추진회, 한국문집총간 (이하 총간 이라 칭함) 160집. 하곡전집, 여강출판사, 하곡집, 윤남한역, 대양서적, 하곡집, 성낙훈 등역, 민족문화추진회, ) 편찬 현존하는 저자의 문집은 규장각의 11책 본과 8책 본, 국립중앙도서 관의 반환문화재인 22책 본,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의 11책 본 등 이다. 현존하는 필사본은 다음 네 종류. 가. 22책 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하곡의 5대손 정문승(鄭文升) 필사본.

26 2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나. 11책 본.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하곡의 7세손 정계섭(鄭啓 燮) 필사본. 다. 10책 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라. 8책 본.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가장 간단한 필사본. 마. 11책 본. 성균관대학교 소장. 규장각 소장본과 내용이 같은 전 사본(傳寫本). 정문승이 편찬한 22책본은 반환문화재인 국립중앙도서관본이다. 다 만 영인저본 중 권21이 빠져서 목록에 따라 11책 본 규장각장본(古 )으로 보충하였다. 또 권4의 제18~19판과 권12의 제3~18판은 착간(錯簡)되어, 내용에 따라 바로잡았고, 권21의 월행도(月行圖) 와 기형경천도도각행분배지도(機衡經天度道各行分排之圖) 는 글씨가 작 아 축소영인하지 않고 1면에 1판씩 세로로 편집하였다. 정문승이 편찬한 22책 본의 명칭은 하곡선생문집(霞谷先生文集) 이다. 권두(卷頭)에는 22권의 전체 목록과 정문승이 1856년경 본집을 편찬할 때 지은 발(跋) 이 실려 있다. 권1~9가 정집(正集)이고, 권 10~11이 부집(附集)이며, 권12~19는 내집(內集)이고, 권20~22가 외집 (外集)인데, 목록에서만 구분되어 있고, 본문 내에서는 작은 제목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14) 4) 구성과 내용 하곡집(霞谷集) 霞谷集跋 14) 한국문집총간해제4 (이하 한국문집총간 은 총간 이라 하고, 한국문집총 간해제 는 총간해제 라고 한다. 김성애 해제, 쪽. 민족문화추진회. 윤남한 選, 국역하곡집 (민족문화추진회간) 참고.

2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27 跋(鄭文升) 卷一 書(一) 上宋尤齋問目(총5편) 答尹明齋書(총10편) 上朴南溪書(총13편) 上金相國書 答閔相國書 上閔判書書 答尹相國書 答徐聘君書 上禮曹判書書 書(二) 與閔彥暉書(총5편) 答閔誠齋書(총2편) 卷二 書(三) 答閔彥暉書(총14편) 答崔汝和書(총25편) 與崔汝和論親民書 與崔汝和問目(총3편) 答崔汝和論論孟類編書 書(四) 答朴大叔論天命圖書 與朴大叔書 答朴大叔大學陽明說疑義問目

28 2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重 答 朴 大 叔 問 目 答 李 君 輔 書 (총5편) 答 李 君 輔 問 目 與 李 同 甫 書 (총9편) 答 鄭 景 由 書 (총4편) 答 鄭 景 由 問 目 答 鄭 景 由 別 紙 (총3편) 卷 三 書 ( 五 ) 答 李 伯 祥 書 (총2편) 答 金 直 卿 論 花 潭 集 後 書 書 答 權 絿 書 與 金 汝 和 書 (총5편) 與 申 相 公 書 與 閔 判 書 書 答 李 景 益 書 (총4편) 與 鄭 明 府 書 答 李 季 章 書 (총2편) 答 閔 相 國 書 答 崔 汝 久 書 與 尹 行 敎 書 (총2편) 答 尹 行 敎 書 與 趙 留 守 書 答 李 久 叔 書 與 某 相 公 書

2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29 與某相公書(第二書) 與某相國書 答某書 與某書 答李國彥書 答金慶恩書 答金慶恩別紙 答沈和甫書(총3편) 答尹伯修書(총2편) 答尹仲和書 答尹仲和書 答趙穉晦書 答趙君錫書(총2편) 答李炳然書(총6편) 答朴子龍書(총3편) 答閔汝猷書(총12편) 與閔汝猷汝仁書 答閔孝昌書 答李栢齡書(총4편) 答李栢齡別紙(총9편) 答李栢齡別紙(再答) 答李栢齡別紙 答朴舒漢書 書(六) 答金生澤秀書 答李匡世別紙

30 3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答金生晥書 答沈斗俊書 答李衍慶別紙 答具宅奎書 答崔仲楫書 答崔仲楫別紙(총3편) 答橫溪宗人書(총6편) 與宗人葵陽書 答永川諸宗人書(총3편) 答宗人鄭鎤書(총2편) 答龍仁宗人書 答宗人書 答栢山書院院儒書 答忠烈書院院儒書 答臨皐書院院儒書 答人書 答人別紙 與季氏書(총16편) 答兒厚一書 答兒書(총13편) 從子順一書 答從子書(총7편) 答從子俊一書 答從孫志式書 答李婿成徵書 答李婿書(총4편)

3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31 卷 四 疏 ( 一 ) 辭 書 筵 官 疏 辭 書 筵 官 疏 ( 再 疏 ) 辭 掌 令 疏 辭 掌 令 疏 ( 再 疏 ) 辭 掌 令 疏 ( 三 疏 ) 辭 掌 令 疏 辭 掌 令 疏 ( 再 疏 ) 辭 掌 令 疏 ( 三 疏 ) 辭 執 義 疏 辭 執 義 疏 ( 再 疏 ) 辭 執 義 疏 辭 執 義 疏 ( 再 疏 ) 辭 戶 曹 參 議 疏 辭 戶 曹 參 議 疏 ( 再 疏 ) 辭 戶 曹 參 議 疏 ( 三 疏 ) 辭 戶 曹 參 議 疏 ( 四 疏 ) 辭 江 原 監 司 疏 辭 江 原 監 司 疏 ( 再 疏 ) 辭 江 原 監 司 疏 ( 三 疏 ) 辭 左 尹 疏 別 諭 後 辭 敦 召 疏 辭 大 司 憲 疏 辭 贊 善 疏 辭 吏 曹 參 判 兼 任 贊 善 疏

32 3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辭 吏 曹 參 判 兼 任 贊 善 疏 ( 再 疏 ) 仍 任 後 辭 疏 仍 任 後 辭 疏 ( 再 疏 ) 仍 任 後 辭 疏 ( 三 疏 ) 仍 任 後 辭 疏 ( 四 疏 ) 回 對 辭 召 命 及 贊 善 疏 辭 贊 善 兼 任 國 子 疏 書 啓 (총9편) 辭 召 命 疏 過 因 山 後 上 疏 辭 吏 曹 參 判 疏 辭 贊 善 疏 辭 命 召 疏 回 啓 辭 大 司 憲 疏 辭 大 司 憲 疏 ( 再 疏 ) 辭 資 憲 及 諸 職 疏 疏 批 傳 諭 後 回 對 辭 右 參 贊 疏 回 對 (총5편) 辭 右 參 贊 疏 ( 再 疏 ) 批 答 回 對 辭 右 參 贊 疏 ( 三 疏 ) 聞 賊 變 疏 遣 史 官 命 召 回 對

3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33 登筵退出後宣諭回對 詣闕下辭召命疏 辭特賜食物疏 陳賀仍告歸疏 請收偕來史官疏 傳諭回對 回啓 辭歸筵對時手敎 辭參贊諸職疏 承候疏 批答傳諭回對 陳慰仍辭召命疏 辭都憲疏 辭都憲召命疏 書啓 回啓 卷五 疏(二) 辭大司憲疏 回對(총15편) 辭兼職疏 逆變後陳慰疏 史官傳諭後書啓 辭御醫隨往之命 仍陳戒疏 應旨書啓 辭周急疏

34 3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謝周急疏 辭知中樞疏 辭右贊成初疏 辭右贊成疏(再疏) 書啓 辭右贊成疏(三疏) 辭右贊成疏(四疏) 辭食物題給命疏 辭贊成疏 辭輔養官召命疏 辭贊成祭酒疏 書啓 辭賜糧饌及擇給公廨疏 辭贊成輔養官疏 辭贊成輔養官疏(再疏) 王世子冊禮時貳師辭免疏 冊禮後辭職仍陳戒疏 辭周急崇祿疏 獻議 端懿嬪喪視事燕居服色議對 端懿嬪喪服制議對 辭對朝晡哭臨受杖議回啓 朝官燕居帶議對 新授職人追服當否議對 辭對練帶議回啓 辭對明陵誌文事議 嬪宮

3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35 議號議對 服制儀節議對 香室祝辭議對 大妃殿服制議對 永徽殿告文屬稱議對 庚子服制追議 啓聖祠拜禮議對 辭對宗廟移安儀議回啓 辭對四賢祠合享議回啓 孝章世子喪 兩殿服制議對 葬前私家祭行否議 葬前朔望參議對 殯宮祭禮議對 卒哭前後服色議對 錢貨便否議對 魂宮練後享官服色議對 逆女夫及父緣坐律議對 德宗室祝辭屬稱議對 德宗室屬稱議復對 長陵遷奉議對 進講冊子議對 遷陵儀注議對 視學時所講冊子及講官員數議對 辭對祭服議回啓 卷六 祭文

36 3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祭李兄平仲文 祭伯從侄文 祭姑夫權承旨文 祭李某文 祭姨兄 沈公之文 祭宗簿 直長李公文 祭從姪直長文 祭南溪朴先生文 祭閔誠齋文 祭鄭安山尙樸文 祭李 監司 文 祭妹兄閔判書 文 祭洪永川禹相文 祭朴芝浦文 祭李參判文 祭內從 弟李君聖 諧文 祭江華某山文 祭崔艮齋文 柏山書院兩丁祝文 李平仲哀 詞 墓表 監察公墓表 檢閱公墓表 贈判書公墓表 博士公墓表 贈貞敬夫 人昌原黃氏墓表 忠貞公墓表 從兄寅平尉鄭公墓表 徵士黃公墓 表 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沈公墓表 將仕郞永禧殿參奉李公 墓表 墓碣 贈贊成公墓碣 墓誌 德天壙誌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李公墓誌 誌銘 外王母贈貞敬夫人李氏墓誌銘 通川郡守春坡李先生墓誌銘 綾南君具公墓誌銘 行狀 先考妣行狀 伯父贈贊成公行狀 遺事 姊氏貞夫人遺事 卷七

3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37 詩 총26수 挽辭 挽某 挽某 挽朴校理士安 挽尹都事復元 挽尹正言 挽林綾州文 甫丈 挽宋參判質夫 挽再從韓生永期 挽李參判景益 挽明村羅 掌令良佐 奉哭東山尹相國 挽趙相公 挽某相公 挽西山啖薺齋 趙士行 肅宗大王挽辭 挽申校理靖夏 李同甫大夫人挽 挽尹溫 陽丈 挽李生夏實 挽李左相 挽李海州丈 挽李淳昌君晦 挽閒閒 堂金 挽朴芝浦 挽吳丹陽遂一 挽林長城 挽許生爀 挽金參奉 挽朴高城 挽李參判子文 挽權承旨 挽吳相國 挽姨兄絅菴申相 公 挽李判書 挽趙懷德紀之 挽李淸道 挽某 挽權同知 挽楊江 尹判書幼獜 挽李龜川 哭明齋先生 挽李奉事 挽李生錫九 挽崔 明谷相公 挽趙大憲 挽鄭敎官 挽權生尙璞 景宗大王挽 挽李東 萊士深 挽姜參奉 挽金參奉 挽李大諫 挽橫溪宗人 挽原州鄭生 挽某 挽靜觀齋移葬 挽西門李正 宣懿王大妃挽辭 挽士谷李參 奉 挽鄭安山尙璞 挽某 挽某台 挽橫溪宗人 挽尼山尹參奉 挽 金主簿敬明 序 石室書院會遊詩序 送李仲輔謫靈巖序 送柳公之江界府序 送李聖益歸連山序 府學行鄕飮酒禮序 記 蕩春臺記 說 名兒說

38 3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跋 忠 貞 公 史 館 遺 稿 跋 雜 著 雜 著 雜 著 論 論 君 后 喪 士 庶 民 喪 祭 說 遺 敎 壬 戌 遺 敎 家 法 家 法 凡 例 ( 鄭 氏 世 譜 ) 鄭 氏 世 譜 三 修 凡 例 卷 八 學 辯 存 言 ( 上 ) 卷 九 存 言 ( 中 ) 存 言 ( 下 ) 卷 十 年 譜 ( 申 綽 이 완성) 行 狀 墓 表 卷 十 一 遺 事 遺 事

3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39 遺事 誄文 誄文 誄文 祭文 총13편 門人語錄 門人語錄 紀鄭先生淮陽治事 紀鄭先生淮陽治事 江華邑誌 疏 薦擧疏 玉堂請留疏 玉堂請勘悖儒疏 玉堂請留箚 請設書院儒疏 請設書院儒疏(再疏) 備忘 諸臣筵奏 卷十二 中庸說 中庸(一) 中庸(二) 中庸(三) 中庸(四) 中庸(五) 中庸(六) 中庸 兩截圖 中庸雜解 卷十三 大學說 大學序引 大學(一) 大學(二) 大學(三) 大學(四) 大學(五) 大 學(六) 大學經 文二截圖 (大學) 讀大學 大學古本 大學說

40 4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卷十四 論語說 論語 孟子說(上) 浩然章圖 浩然章上解(一) 浩然章中解 浩然章下解 卷十五 孟子說(下) 浩然章解(二) 浩然章解(三) 浩然章解(四) 浩然章解(五) 浩然章雜解 四端章解 四端章雜解 生之謂性章解 告子雜解 天下之言性章解 集大成解 鍾鼓苑 囿好勇好貨解 諸章雜解 孟子說 卷十六 詩箚錄 詩箚錄 書箚錄

4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41 說 命 武 成 君 陳 洛 誥 洪 範 皇 極 正 解 皇 極 正 解 ( 又 解 ) 皇 極 正 解 ( 又 解 ) 皇 極 正 解 ( 又 解 ) 五 行 五 事 解 春 秋 箚 錄 春 秋 箚 錄 書 解 定 性 書 解 通 書 解 詩 誦 詩 誦 訟 心 體 頌 卷 十 七 經 學 集 錄 ( 上 編 ) 天 之 道 道 之 用 道 之 體 性 之 德 性 之 道

42 4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達道達德 經學集錄(中編) 性命一理 物我一性 事物止一 一貫大小 本末一理 博約爲仁 大中時中 經學集錄(下編之上) 知能 知行 精一 明誠 經學集錄(下編之中) 誠道合 忠恕 修己安人 經學集錄(下編之下) 仁一體 卷十八 心經集義卷之一經上 論語堯曰章 大禹謨人心道心章 全體爲仁之學凡二章 論語顏淵問仁章

4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43 敬 怠 義 欲 凡 二 章 禮 丹 書 章 易 坤 六 二 敬 以 直 內 章 主 敬 愼 致 至 誠 凡 四 章 大 雅 上 帝 臨 女 章 易 乾 之 象 天 行 健 章 中 庸 詩 云 維 天 之 命 章 心 經 集 義 卷 之 二 經 下 格 物 致 知 一 節 誠 意 一 節 正 心 一 節 修 身 一 節 卷 十 九 跋 經 儀 跋 [ 申 大 羽 ] 經 儀 通 言 容 貌 視 坐 立 步 趨 拜 揖 言 語 衣 服 飮 食 授 受 相 見 升 車 居 處 少 者 儀 從 宜 雜 記 追 輯 紀 年 唐 虞 紀 年 年 表 自 周 武 王 至 成 康 年 表 紀 年 夫 子 紀 年 紀 世 思 孟 紀 世

44 4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卷 二 十 河 洛 易 象 河 洛 易 象 目 錄 河 洛 易 象 目 錄 卷 二 十 一 通 攷 璇 元 經 學 通 攷 說 朞 三 百 說 天 地 方 位 里 度 說 七 曜 右 行 說 潮 汐 說 卷 二 十 二 箚 錄 箚 錄 ( 一 ) 箚 錄 ( 二 ) 箚 錄 ( 三 ) 箚 錄 ( 四 ) 箚 錄 ( 五 )

4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저촌유고(樗村遺稿) 1) 저자 심육(沈錥). 1685(숙종11)-1753(영조29). 자 화보(和甫), 언해(彥和). 호 지지재(知止齋) 또는 저촌(樗村), 저헌(樗軒). 하곡의 문인으로 강화학파의 중심인물. 효종(孝宗) 현종(顯宗) 숙종 (肅宗) 때의 명신 심유(沈濡)의 손자이고, 심수현(沈壽賢)의 아들이다. 일생의 대부분을 강학(講學)과 유람으로 보냈다. 특히 영조 때 영의정 까지 올랐던 부친 심수현을 따라 의주(義州), 관동(關東), 영남(嶺南) 등지는 물론 중국 이엔징[燕京]까지 다녀오면서 견문을 넓혔으며, 이 때 지은 시, 일기 등이 유고로 남아 있다. 심수현은 하곡과 이종숙 관 계다. 그래서 심육은 하곡에게서 글을 배웠고, 그 기록이 진강문답 (鎭江問答) 에 남아 있다. 짧은 기간의 벼슬이었지만 대사헌까지 올랐 고, 하곡이 세상을 떠난 후 정후일과 백하(白下) 윤순(尹淳), 둔곡(遁 谷) 이진병(李震炳)과 함께 하곡 저서 편집의 주역이 되었다. 하곡행 장 과 하곡의 유사(遺事), 하곡의 제문을 지었다. 저촌은 이진병과 가 장 많은 편지 왕래를 했다. 현재 전하는 그의 문집은 1938년에 등사 된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된 필사본 하나뿐이다. 2) 소장처 서울대 규장각 소장(소장도서번호: 古 ). 정계섭(鄭啓燮) 1938년 필사, 이건방 소장본을 저본으로 함. 민족문화추진회, 총간 집. 3) 편찬 등사기(謄寫記)에 의하면, 당시 경성(京城)의 이건방(李建芳)이 소장

46 4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하고 있던 사본을 1938년 2월~7월경에 등사하여 정계섭(鄭啓燮)이 교 정했다. 권20, 22, 29에는 1938년 2월에 등사했다는 등사 기록이, 권 31, 34, 36, 38, 46, 47에는 같은 해 7월에 등사했다는 등사 기록이 각 권 말미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비슷한 필체로 필사되어 규장각 (古 )에 소장되어 있는 정제두의 하곡집 의 경우, 1935년에 정제두의 7대손인 정계섭의 주도로 정리 등사한 본을 당시 경성제국 대학 일본인 교수 高橋亨이 빌려서, 다시 한 본을 등사하여 이것을 경성제국대학 도서관에 보관한 것이 현재 규장각에 전하게 된 것이 다. 본집의 경우 교정자가 정계섭이라는 연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면, 같은 과정을 거쳐 등사 보관된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원본 소장자인 이건방은 정제두의 문인이자 손자사위인 이광명(李 匡明)의 6대손으로, 저자 사후 이광명이나 그 후손들이 저자의 유고를 정리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들을 포함한 친구나 후배들의 문집이 대부분 간략하거나 전하지 않고, 저 자의 후손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 실제 편찬 과정은 알기 어렵다.15) 4) 구성과 내용 47권 18책으로 구성. 맨 앞에 총목록이 있고, 권별 목록이 따로 있 으며, 서발(序跋)은 없다. 저촌유고(樗村遺稿) 卷之一 15) 총간해제5, 민족문화추진회. 金炅希 해제 참고. 윤남한, 謄寫記, 霞谷學 의 文獻的 硏究. 윤남한, 朝鮮時代의 陽明學硏究 (서울, 집문당, 1982). 신용하, 奎章閣圖書의 변천 과정에 대한 一硏究, 奎章閣5.

4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47 詩 ( 江 湖 錄 一. 총99 首 ) 詩 ( 江 湖 錄 二. 총87 首 ) 卷 之 二 詩 ( 江 湖 錄 二. 총123 首 ) 卷 之 三 詩 ( 關 西 錄 一. 총46 首. 관서( 關 西 ) 유람할 때와 의주( 義 州 ) 생활 중에 지은 시문집) 卷 之 四 詩 ( 關 西 錄 二. 총78 首 ) 卷 之 五 詩 ( 關 東 錄 총91 首. 江 陵 등 관동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시문집) 卷 之 六 詩 ( 散 草 총51 首. 영남, 충청도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시문집) 詩 ( 燕 行 錄 총58 首. 燕 京 에 다녀올 때 지은 시문집) 詩 (총60 首. 樗 村 에서 지은 시) 卷 之 七 詩 (권6에 이어지는 시. 총55 首 ) 卷 之 八 詩 (총80 首. 報 恩, 知 禮, 月 城, 靑 松, 鎭 川 등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 卷 之 九 詩 (총20 首. 권8에 이어지는 시) 卷 之 十 詩 (총114 首. 安 陰, 昌 原, 晉 州, 金 山 등을 유람하고 지은 시) 卷 之 十 一 詩 (총168 首. 대체로 安 城 에 기거하면서 지은 시) 16) 16) 卷 11부터 1745(61세)~죽을 때(1753)까지의 시( 詩 )가 시대 순으로 실려 있다.

48 4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卷 之 十 二 詩 (총57 首. 권11과 같음) 卷 之 十 三 詩 (총61 首. 권11과 같음) 卷 之 十 四 詩 (총56 首. 권11과 같음) 卷 之 十 五 詩 (총188 首. 권11과 같음) 卷 之 十 六 詩 (총60 首. 특히 報 恩, 淸 州 등지를 다녀올 때 지은 시문집) 卷 之 十 七 詩 (총27 首. 이진병( 李 震 炳 )과의 차우니( 次 韻 詩 ) 및 안부를 묻는 서신과 함께 보낸 시문집) 卷 之 十 八 詩 (총48 首. 이진병과의 차운시 29수와 기타 시) 卷 之 十 九 詩 (총66 題. 이진병과의 차운시 29제( 題 )와 기타 시) 卷 之 二 十 詩 (이진병과 차운시 포함 총111 首 ) 卷 之 二 十 一 詩 (총197 首. 이기( 理 氣 ), 심통성정( 心 統 性 情 ) 등 성리학적 주제의 시가 많다) 卷 之 二 十 二 詩 (총184 首. 이이룬수( 理 一 分 殊 ), 태극도( 太 極 圖 ) 등의 시가 있다) 卷 之 二 十 三 詩 (총212 首 )

4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49 卷 之 二 十 四 詩 (총51 首 ) 卷 之 二 十 五 書 (스승 하곡 등에게 보내는 편지 및 답장 70편) 卷 之 二 十 六 書 (대부분 안부 편지 31편) 卷 之 二 十 七 書 (이진병에게 보내는 편지 40편) 卷 之 二 十 八 書 (이석여( 李 錫 予 ), 양생( 良 甥 )에게 보낸 답장 89편) 卷 之 二 十 九 書 (오성등( 吳 聖 登 ), 유경원( 柳 景 愿 )에게 보낸 편지와 구자순( 具 子 順 )에게 보낸 답장 편지 64편) 卷 之 三 十 書 (이진병)에게 보낸 편지 18편) 卷 之 三 十 一 書 (이진병에게 보낸 편지 14편) 卷 之 三 十 二 書 (심군택( 沈 君 澤 ), 조비경( 趙 飛 卿 ) 등에게 보낸 편지 및 답장 48편) 卷 之 三 十 三 書 ( 李 景 活 ( 毅 敬 ), 韓 誠 之 ( 思 喆 ) 등에게 보낸 편지 37편) 卷 之 三 十 四 書 ( 李 晦 甫, 趙 震 彬 등에게 보낸 편지 및 답장 28편) 卷 之 三 十 五 雜 著 (이기( 理 氣 ), 격물( 格 物 ), 인심도심설( 人 心 道 心 說 ) 등 성리학 주제를 간단히 적은 글. 15편)

50 5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卷 之 三 十 六 雜 著 (답글 9편) 卷 之 三 十 七 雜 著 (연대 未 詳 의 일기) 卷 之 三 十 八 雜 著 ( 戊 午 년 일기. 壬 寅 (1722)년 하곡과의 문답을 정리한 鎭 江 問 答 ) 卷 之 三 十 九 雜 著 (일기, 灣 館 錄. 庚 寅 (1710)년 의주로 간 뒤부터 서울로 돌아 올 때까지) 卷 之 四 十 雜 著 (일기, 灣 館 錄. 권39와 같음) 卷 之 四 十 一 雜 著 ( 楓 嶽 錄. 癸 巳 (1713)년 일기, 금강산을 유람하고 남긴 글) 卷 之 四 十 二 序 (4편) 說 ( 閒 雲 洞 說 1편) 論 ( 成 德 論 1편) 祭 文 (34편) 卷 之 四 十 三 墓 碣 銘 (10편) 卷 之 四 十 四 遺 事 ( 霞 谷 외 4편) 卷 之 四 十 五 墓 表 (7편) 卷 之 四 十 六 墓 誌 銘 (6편) 卷 之 四 十 七 簡 牘 (편지 61편)

5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관양집(冠陽集) 1) 저자 이광덕(李匡德). 1690(숙종16)-1748(영조24). 자 성뢰(聖賴), 호 관 양(冠陽), 존재(尊齋).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의 현손이자 박세채(朴世采)의 외손이며 조경명(趙景命)의 사위. 문형(文衡)을 역임할 정도로 문학적 명성도 있었으나 유문이나 행적에 대한 기록이 별로 남아 있지 않다. 이건창 이 지은 관양공사략(冠陽公事畧) ( 명미당집(明美堂集) 卷18)은 미완 성고인 이시원이 쓴 대제학관양이공행장(大提學冠陽李公行狀) ( 사 기집(沙磯集) 책(冊)5)과 내용과 구성이 거의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건창이 조부 이시원의 글을 바탕으로 다시 구성한 듯하다. 행장에 의하면, 저자가 1739년 동지부사로 이엔징[燕京]에 갔을 때 중국인들이 저자의 시를 보고 기풍이 온순하고 문장이 아름다워 마 치 새벽녘 연꽃이 바람에 웃는 것 같다. 고 평하면서 함께 읊은 시를 간행하여 탐주집(探珠集) 이라 제목을 지어 저자에게 전해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이 탐주집 은 전하지 않는다. 2)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奎12449). 민족문화추진회, 총간 209집. 3) 편찬 과정 이 필사본은 필사 경위와 시기를 알 수 없는 사본으로 그 편집과 교정 상태를 보아 아직 편차를 완료하지 못한 미정고본(未定稿本)으 로 보인다. 본집의 권1에는 관양시집(冠陽詩集) 으로 권수제(卷首題)

52 5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가 달려 있고, 완산이광덕저(完山李匡德著) 라고 작자가 표시되어 있 는데, 그 다음부터는 관양집(冠陽集) 으로만 되어 있고, 시와 상소 이 후는 작품의 편수에 관계없이 문체별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 다. 이 외에 본문 중의 교감(校勘) 사항과 오자의 교정, 빠진 문장이 있는 소차(疏箚)와 시(詩)가 그대로 실려 있는 것이나 내용이 중복되 는 시가 실려 있는 점 등을 살펴볼 때 본집은 저자의 유문을 수습하 여 문체별로 정리한 단계임을 알 수 있다. 저자 집안이 소론의 명문 으로 많은 학자가 배출되어 문집이 많았지만 대부분 필사본으로만 전 해올 뿐 간행된 문집이 별로 없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본집도 간 행을 염두에 두고 정리한 것이기 보다는 집안에 보관해 두기 위해 유 문을 수습 정리한 수준인 듯하다.17) 4) 구성과 내용 본집은 19권 4책의 필사본으로, 권1~2는 시(詩), 권3~19는 문(文)으 로 구성되어 있다. 서발(序跋)이나 부록, 목차 등은 실려 있지 않다. 권1~2에는 약 400수의 시가 실려 있다. 전체적으로는 연대순으로 배 열한 듯하지만 권2의 후반부에는 연도가 뒤섞인 부분이 있고, 또 권2 의 방신사앙직려(訪申士昻直廬) 의 경우 같은 시가 권말에 반복해서 기재되어 있다. 대체로 권1의 봉화정생혜치운(奉和鄭生惠雉韻) (1703) 에서 권2의 요화종숙(潦和宗叔) 이전까지는 어느 정도 정리된 시고 (詩稿)이고, 이후는 편차의 기준이 분명하지 않다. 즉 1728년 완영(完 營)에 있을 때의 시, 상원시(上元詩)(1709년), 경종에 대한 만시(挽詩), 결구(缺句)가 있는 시 등 앞에서 정리하고 남은 시들을 대강 추려서 뒤 에 붙여 놓은 듯하다. 세밀한 주는 대부분 다른 판본과 대조한 교감 사 17) 事畧 (李建昌 撰, 明美堂集 卷18)을 근거로 김성애가 해제함.

5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53 항과 오자의 교정, 위치의 변동 등을 표시한 편자주이고, 저자가 주를 붙인 듯한 내용도 가끔 보인다. 내용은 부친에게 차운한 시, 해서(海 西)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시, 이엔징[燕京]에 사신으로 오가며 지은 시 등이다. 권3~6은 상소 45편이다. 본집 중 가장 정리가 잘된 부분으로 오자 의 교정이나 교감을 본 흔적이 눈에 띈다. 권3~5에는 1723년 윤용(尹容)의 파직을 환수할 것을 청한 상소부터 1748년 어용수개진하후고환소(御容修改陳賀後告還疏) 까지 41편이 연 도순으로 정리되어 있고, 권6은 부친이나 다른 사람 대신 지은 소 4편 이 실려 있다. 대부분이 사직소이지만 권4의 인대신차사리조좌랑소 (因大臣箚辭吏曹佐郞疏) 는 조지빈(趙趾彬)의 삼전(三銓) 의망 문제로 조태억(趙泰億)과 논란을 벌여 올린 사직 상소이고, 인리량신소사번임 소(因李亮臣疏辭藩任疏) 이하는 무신난(戊申亂)과 관계되었다는 이양 신의 무고함을 변론하는 내용이다. 권6의 논임징하소(論任徵夏疏) (1726)는 경종의 병을 발표하여 영조의 세제대리(世弟代理)가 정당했음 을 밝히도록 청한 임징하를 논척하면서 이후로 신임옥사(辛壬獄事)의 일을 논할 때 선왕을 논하지 못하도록 율령으로 제정하자고 강력하게 제기한 내용으로 저자의 당론(黨論)을 살필 수 있는 소이다. 위의 상 소들을 통해 저자가 영조 초기 소론 중 완론(緩論)으로 조현명(趙顯 命), 송인명(宋寅明) 등과 함께 탕평책을 지지하였으나 무신란 이후 조정의 진출을 그만두고 칩거하다가 다시 준론(峻論)으로 바뀌는 과 정을 엿볼 수 있다. 권6의 부친을 대신해 지은 진민폐소(陳民弊疏) 는 모곡(耗穀), 군정, 수령의 폐단 등 백성의 질곡에 대해 자세히 언 급한 것인데 끝부분에 결문이 있다. 권7~8은 응제문(應製文)으로 옥책문(玉冊文)(1), 교서(敎書)(2), 치 제문(致祭文)(1), 전문(箋文)(2)이다. 문체별로 분류하여 2권으로 나누

54 5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었지만 전체가 7판 정도 밖에 안 되는 적은 분량이다. 대왕대비의 존 호를 올리는 옥책문, 경상 감사와 황해 감사에 대한 교서, 신익하(申 翊夏)에 대한 치제문이 권7에 실려 있고, 정조전문(正朝箋文)과 숙종 40주년 진하전문(陳賀箋文) 2편이 권8에 수록되어 있는데 권8은 본래 권7이었던 글씨를 고친 흔적이 뚜렷하다. 권9는 서계(書啓) 3편으로 저자가 전라도 어사와 관찰사를 지낼 때 올린 글이다. 특히 호남 어사로 올린 별단은 800여 자에 달하는 장문 으로 이두가 간간이 섞여 있다. 논건지산절수계(論乾止山折受啓) 는 영조의 처사에 반대해 노여움을 샀지만 저자의 강직한 성격을 드러낸 글이다. 권10은 공사(拱辭)(2)이다. 1727년 출사에 불응하여 올린 공사와 1741년 아우 이광의(李匡誼)가 김복택(金福澤)의 일에 연관되어 하옥 되고 이에 연루되어 고문 받을 때 바친 공사이다. 이로 인해 저자와 아우는 각각 해남(海南)과 흑산도에 유배되었다. 권11~12는 시장(諡狀)(3), 묘도문(墓道文)(8)이다. 권13은 제문(祭文)(12)으로 대부분 종형(從兄), 백부(伯父), 부인과 누이, 장인 조경명(趙景命), 고모 등 가족들에 대한 글이다. 권14는 편지(22)이다. 부친과 동생에게 보내는 편지가 가장 앞에 실려 있으며 특히 1741년 이후 동생 이광의와 각기 흑산도와 해남으 로 유배되었을 때 주고받은 편지가 많이 실려 있다. 서로 안부를 묻 고 독서를 권하는 내용인데 군데군데 내용이 빠진 부분은 주(註)로 표시되어 있다. 1741년에 계제(季弟)에게 보낸 편지에는 저자의 탕평 론이 잘 나타나 있고, 1734년의 답이군경서(答李君敬書) 는 북방 관 방의 형세와 대책이 자세히 나와 있다. 여조풍원서(與趙豐原書) 는 1741년 아우 이광의(李匡誼)의 일로 국문을 받을 당시 김복택과 관련 되어 나온 복침(復寢)이란 문자의 출처와 의미에 관한 일로 조현명(趙

5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55 顯命)에게 문의한 내용이다. 권15~18은 서(序)(6), 기(記)(3), 론(論)(2), 뢰(誄)(2)로 문체별로 분 권되어 있다. 권15에는 의학서적인 청낭묘결(靑囊妙訣) 과 이탁영(李 擢英)이 임진란 때의 일을 기록한 정만록(征蠻錄) 에 대한 서, 이증 효(李曾孝)에게 독서를 권하는 글과 그림과 화첩에 대한 서 등이 있 다. 권16에는 취향기(醉鄉記) 와 부친을 대신해 지은 승저정기(勝 滁亭記), 오도경(吳道卿)의 당호인 광헌(廣軒)에 대해 지은 기문 등 이 실려 있다. 권17은 오자서론(伍子胥論) 과 관중여기인론(管仲如 其仁論) 2편인데 후자는 마지막에 결구가 있어 문장의 끝을 알 수가 없다. 뇌사(誄辭)는 변자장(邊子長)과 조달명(趙達命)에 대한 글이다. 권19는 잡저(雜著)(11)이다. 지방 수령의 칠사(七事)에 대해 쓴 칠 사명(七事銘), 구택규(具宅奎)의 화상찬과 서첩, 화첩에 대한 제발이 있고, 호남의 아전인 정차삼(鄭次三)박태화(朴泰和), 호랑이를 잡은 함경도의 기인, 서흥(瑞興)의 김정삼(金廷三) 등에 대한 일화를 적은 전이 실려 있다. 그리고 사침(謝枕) 은 의인화한 목침(木枕)을 소재로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고 태도를 반성하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제목 이 빠진 채 글의 일부만 실려 있는 글이 한 편 있는데, 자신의 문장이 훌륭해지기를 바라는 내용이다.18) 관양집(冠陽集) 冠陽詩集卷之一 詩 冠陽集卷之二 詩 18) 총간해제 쪽 김성애 해제 참고.

56 5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冠陽集卷之三 䟽 講還收尹容罷職之命䟽 因備局草記辭司書䟽 辭副校理䟽 請査掌膳婢箚 辭副校理䟽 辭持平 兼陳所懷䟽 辭修撰䟽 辭修撰疏 辭修撰疏 辭副校理兼陳所懷疏 冠陽集卷之四 疏 辭館職因陳私懇疏 辭副校理疏 因大臣箚 辭吏曹佐郞䟽 因大臣箚辭吏曹佐郞䟽(再䟽) 因湖南兩邑守令拿問事 陳本道事 宜䟽 因湖南兩邑守令拿問事 陳本道事宜䟽(再疏) 因按囚之命陳 病待罪䟽 因李亮臣疏辭藩任疏 因李亮臣疏辭藩任疏(再疏) 因李 亮臣疏 辭藩任疏(三疏) 因李亮臣疏辭藩任疏(四疏) 因李亮臣疏 辭藩任疏(五疏) 因李亮臣疏辭 藩任疏(六䟽) 因李亮臣疏辭藩任 疏(七䟽) 因趙趾彬疏辭藩任疏 陳情辭藩任疏 冠陽集卷之五 䟽 辭刑曹參議疏 辭監賑御史疏 辭江華留守疏 辭江華留守䟽 辭江 華留守䟽(再䟽) 辭大司憲疏 辭戶曹參判疏 辭刑曹參判疏 遞職 後告還疏 辭文衡疏 辭同義禁疏 因沈繡啓辭伸辨疏 辭左尹疏 玉

5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57 冊 文 製 進 後 告 還 疏 御 容 修 改 陳 賀 後 告 還 疏 冠 陽 集 卷 之 六 疏 辭 大 司 諫 疏 陳 民 弊 疏 論 任 徵 夏 疏 論 良 役 變 通 疏 冠 陽 集 卷 之 七 應 製 文 大 王 大 妃 殿 上 尊 號 玉 冊 文 敎 慶 尙 監 司 敎 黃 海 監 司 統 制 使 申 翊 夏 致 祭 文 冠 陽 集 卷 之 八 箋 正 朝 箋 文 四 十 年 陳 賀 賀 箋 冠 陽 集 卷 之 九 啓 南 御 史 書 啓 別 單 監 賑 御 史 書 啓 論 乾 止 山 折 受 啓 冠 陽 集 卷 之 十 拱 辭 丁 未 拱 辭 辛 酉 拱 辭 冠 陽 集 卷 之 十 一

58 5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謚狀 義州判官崔公謚狀 贈判書朴公朴謚狀 贈參判朴公謚狀 冠陽集卷之十二 墓文 贈左贊成朴公墓碣銘 貞敬夫人慶州李氏墓碣 監察李公墓碣 平昌 郡守尹公墓碣 成均進士尹公墓表 牧使李公墓表 從侄墓文 再從 弟縣監墓文 冠陽集卷之十三 祭文 祭從伯兄文 祭伯父文 祭尹氏妹墓文 祭亡室墓文 祭外舅趙大司 諫公文 祭姑母淑人文 祭堂伯兄遷葬文 祭曺義興文 祈雨祭文 祭 四山積骸文 開城府進香文 祭朴必淸文 冠陽集卷之十四 書 上判書公書 寄仲弟書 寄舍弟謫中 寄舍弟謫中 寄謫中 寄謫中 寄謫中 寄謫中 寄謫中 寄謫中 寄季弟書 與崔季綏書 與右相書 答李君敬書 與朴成甫書 與箕 伯趙君敬書 與 與張貢 生書 與進士江南凌君 答南正言渭老書 與趙豊 原書 與李判官 冠陽集卷之十五 序 靑囊妙訣序 李判書畵像序 征蠻錄後序 勸從侄曾孝讀古文百選序 奉送嘉陵先生反 官燕歧序 蒼崖子畫帖序 冠陽集卷之十六 記

5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59 醉鄕記 勝滁亭記 廣軒記 冠陽集卷之十七 論 伍子胥論 管仲如其仁論 冠陽集卷之十八 誄 邊君子長誄 趙君達命誄 冠陽集卷之十九 雜著 七事銘 具參判畵像贊 題李君書帖 題沈君畵葡萄帖 廣慈庵新建勸善文 記鄭次 三朴泰和事 咸鏡異人傳 駁仲弟責奴文 謝枕 瑞興貢生金廷三 (缺題)

60 6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4. 선고(先藁) 1) 저자 이광신(李匡臣). 1700(숙종26)-1744(영조20). 자 용직(用直), 호 항 재(恒齋). 전주이씨 덕천군파. 조부 호조참판을 지낸 이대성(李大成). 아버지는 문학과 행실로 세상에 알려진 이대성의 셋째 아들 이진휴 (李眞休). 하곡의 아들 정후일(鄭厚一)과 이광사, 이광명 등과 같이 하 곡의 직전제자로써 초기 강화학파에 해당된다. 항재는 어린 나이(8세)에 부모를 잃고 조부모 밑에서 자랐지만, 문 장에 뜻을 두었다. 그러나 성장하면서 문인이 되기보다는 성현의 학 문을 지향하게 되었다. 강화에 들어가 하곡을 만난 뒤 양명집(陽明集) 을 읽으면서 주자학과의 변별을 꾀하였다. 이후 진솔하고 합리적인 학문자세로 수양에 힘썼다. 또 제자양성에 있어서는 조그만 허물도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대인관계에서는 진실한 모습을 보였다. 항재 본인은 일찍 부모를 여윈 외아들로 외로운 신세였지만, 종형 제들과 서로 사우(師友)가 되어 즐겁게 생활한 듯하다. 그리고 부인 광주(廣州) 변씨(邊氏)가 가정 경제를 도맡아 잘 꾸려나가 의식 걱정 없이 지냈다. 그러나 45세에 병에 걸려 열흘 만에 죽어 고양(高揚)땅 에 묻히고 말았다.19) 2) 소장처 3책 4권. 문중본, 한국학중앙연구원. 19) 참고문헌: 심경호, 항재이광신론 ( 진단학보 84, 진단학회), 서경숙, 항재 이광신의 이기론 ( 양명학 6호, 한국양명학회), 서경숙, 초기 강화학파 항재 이광신의 심성론 ( 한국철학논집 13집, 한국철학사연구회), 2003.

6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61 3) 편찬 서문이나 발문(跋文)이 없어서 편찬과정을 알 수 없다. 4) 구성과 내용 선고(先藁) 1冊 書 答道甫書 與道甫書 答閔士相書 與趙飛卿書 與飛卿書 答趙飛卿書 答崔敬伯載興書 答尹稺繩書 與尹稺繩書 答尹稺繩書 又答稺繩書 上趙侍直 與道甫 呈飛卿 呈士相 復飛卿 示安齋 寄敬孝 上飛卿

62 6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上月巖 復安齋 復聖任哀 與李飬正 呈杜署 答郭喪人子施別紙 答 賀韓稺和 上竹西 呈尹稺繩 答朴僉正子中 祭文 祭叔母文 祭仲父判書公文 祭伯父澤軒公文 祭伯母文 祭族父 觀察公文 祭仲父仲母遷葬文 祭姑母文 祭霞谷鄭先生文 祭季 行文 祭朴判書 祭外姑兪氏文 祭鄭富平文 祭閔士相文 祭趙 飛卿文 哭趙飛卿文 祭戚泛叔沈公文 哭趙飛卿文 哭趙飛卿文 哭趙飛卿文 祭趙飛卿文 祭沈樵叟文 祭菊圃姜公文 祭杜谷大 姑母文 祭姑母夫崔公墓文 哭閔士相文 祭姑母墓文 祭庶泛 弟匡華文 序 送趙玄夫進士榮覲嶺營序 送鄭子揮之宜州序贈林何仲序 園亭引 發安齋遺墨 弘齋閔公鈺遺事 李孺人哀辭 2冊

6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63 擬王朱問答 辨道甫理氣說 氷炭錄 與襄仲辯難朱王理氣說 承重追服議 與趙華瑞景彬說話 書先世言行錄後 論鄭霞谷學問說 浩然章義 告子章義 中庸辭 論語解 詩傳解 3冊 詩 陪洪使君遊傳燈寺(제목만 기록되어 있음) 賦 次板上牧老䪨(제목만 기록) 拈䪨又賦(제목만 기록되어 있음) 思省錄

64 6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5. 두남집(斗南集) 1) 저자 이광사(李匡師). 1705(숙종31)-1777(정조1). 자 도보(道甫), 호 원교 (圓嶠)(또는 員嶠). 원교 란 그가 살던 둥그재 원교[圓嶠]에서 딴 것이지 만, 같은 음의 선산(仙山)의 이름을 따서 자신을 원교 라고 불렀다. 부 친 이진검(李眞儉)과 백부 이진유(李眞儒)는 신임사화(辛壬士禍)( )의 주동자가 되어 신축년(辛丑年)에 상소를 올려 노론의 사대신(四 大臣)을 사사 유배시켰다. 이에 백부 이진유는 이조판서에 부친은 예조 판서에 올랐다. 1724년 경종(景宗)이 죽고 영조가 노론의 힘으로 즉위하 자, 이진유는 나주로, 이진검은 강진으로 유배된다. 이후 원교의 가문은 쇠락의 길을 걸었다. 이후 원교는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 전념했다. 이 즈음에 강화의 하곡과 인연이 시작되었다. 윤순(尹淳)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1731년 처음으로 강화에서 하곡으로부터 실학을 배웠고, 이때부터 하곡학에 전념하였으나, 50세 에 다시 함경도 부녕(富寧)으로 유배가고, 다시 전라도 신지도(薪智 島)로 유배되어 그 곳에서 짧은 인생을 마쳤다. 원교 사상이 담겨있는 공식적인 자료는 원교집 과 두남집 이 있다. 원교는 당대의 명필로 서결(書訣)(前篇)-1764 을 지었고, 아들 신 재(信齋)에게 후편을 짓게 하고 다시 수정을 가했다(후편 1768). 그는 곱게만 보이는 글씨를 쓰지 않고 심획(心畵)20)을 그으려고 노력했다. 이는 하곡의 내실을 중시하는 전어내(專於內), 실어기(實於己) 사상을 드러낸 것이다. 그는 부녕으로 귀양 간 뒤 두만강지남(斗滿江之南) 이 20) 붓 끝의 중심이 한 가운데로 가서 양쪽의 가는 터럭이 아울러 따라 간 즉 그 획 모양이 자연 둥그니 이것이 이른바 온 붓털의 힘이 균형이 잡혔다는 만호재력(萬毫齊力)이란 것으로 이른바 심화(心畵)이다.

6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65 라는 뜻에, 두보(杜甫)의 추흥팔수(秋興八首) 중 제2수(首)의 매의북 두망경화(每依北斗望京華) 의 뜻을 붙여 귀양살이의 진솔한 기록을 모 아 두남집 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현재 남아 있는 저자의 글은 대부분이 50세 이후의 저작들인데, 이 광려(李匡呂)가 쓴 묘비에서 말했듯이 저자가 젊었을 때에 글쓰기를 즐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2) 소장처 서울대 규장각(古 ) 소장 필사본, 불분권 1책. 일본 천리도서관(天理圖書館) 소장 필사본, 불분권 1책. 3) 편찬 현재 전하는 저자의 문집은 대부분 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저자 의 사후 유문을 더 수집, 정리한 필사본들이다. 두남집 은 권차(卷 次)의 구분이 없는 4책 필사본으로 현재 규장각(古 )에 전하고 있다. 시(詩)와 문(文)의 구분도 없고, 목차도 책 표지에 난삽하게 기 록되어 있어 거의 초고의 형태를 띠고 있다. 저자의 사후 글씨와 문장이 뛰어나 촉망받았던 아들 이영익(李令 翊)이 시문을 수습하고 묘지를 부탁하는 등 유적을 정리하였으나 곧 이어 1780년에 졸하여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4) 구성과 내용 두남집 은 년에 이르는 3년간의 귀양살이를 꾸밈없이 적 은 그의 삶의 한토막이다. 그의 남다른 인간애의 진솔한 기록이 주를 이루는 권4에는 동국악부(東國樂府) 가 주가 되니, 이는 그의 애국 애족의 자주적인 정신의 발로로서 그의 역사의식의 표출이다. 특히 그

66 6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의 아들 이영익에게도 짓도록 하여 역사의식을 각인시켜주고 있음을 신재집(信齋集) 에도 실려 있는 동국악부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두남집(斗南集) 卷一(1755년 작품) 斗南集題辭 亡妻文化柳氏紀實 到富寧謫所後寄在京子姪書二組 詩(10 수) 從父弟匡敏墓誌銘 寧山行 寄子姪書 祭妹柳氏婦女 舊遊 亡妻安東權氏墓誌銘 婦女思讀平淮西碑 題赤壁賦後 辯陳言古人碑誌例(제목만 있고 내용은 없음) 卷二(1756년 작품) 立春詩 亡妻柳氏初朞祝文 祭乳媼文 上舍兄吉州謫中一千一百字 先正憲大夫禮曹判書 兼知經筵事同知春秋館事五衛都摠管府君墓表(선친 李眞儉의 墓表) 詩

6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67 祭尾泉從父兄文 亡室柳氏禫祭祝文 孺人生日祭文 詩 再祭伯氏無妄齋先生文 上季母 詩 寄女兒言 詩 君公語例 詩 絀巫 詩 上明川從兄 蘇齋東溟詩說 詩 張漢左傳 詩 再上明川從兄 詩 辨明川從兄書後語 詩 僦屋後祭司宅土地神文 答明川從兄 亡室孺人文化柳氏墓誌銘 卷三( 년 작)

68 6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孺人柳氏再朞祝文 題班固評賈馬贊中論秦亡得失後 祭孺人柳氏文 呂刑辨 洛誥辨 答兒論文書 伯氏通德郞行靖陵參奉無望齋先生紀實 書進學解後 論東國諺解吐 論嶧山碑 書贈稚婦 紙 旌頭其 答 翊書 先妣貞夫人坡平尹氏墓誌銘 戊寅立春祝聖歌 柳孺人 忌日祝文 答明川從兄論洛誥辨書 寄女 祭司宅土地神文 寄示兒二則 讀滄溟鳳洲文 讀東坡淸風閣記 柳孺人亡日祭文 讀盧陵文 讀盧陵穕說

6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69 讀南豊寄歐陽舍人書 論南豊文 讀東漢延篤與李文德書 讀臨川芝閣記 讀元美胡元瑞綠羅館詩集序 詩 又論李攀龍文 又論王李文 讀香山洛城池上篇 書永叔集古目木序及與蔡君謨求書集古錄序書後 讀歐公祭文諸篇 讀朱子語類識疑觀澤堂初學字訓 問朱子天問答一則 朱子答黃先之問舜事 天地水火說 答令翊論心書 卷四(1758년 작) 東國樂府(30수) 答再從子文翊書 答慶兒書 詩(次慶兒未歸田90韻) 天問辨答4條 深衣說21) 21) 이상 규장각소장문집해설 (18세기 3)(서울대학교 규장각, 2004) 쪽 및 鄭良婉의 江華學派의 文學과 思想(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년 3월) 9-16쪽 참고.

70 7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6. 원교집(圓嶠集) 1) 저자 이광사. 2)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奎1555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4-6357) 소장 필사본 4권 2책.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貴563). 민족문화추진회, 총간 221집. 3) 편찬 원교집 또는 원교집선 이라는 제명(題名)으로 전해진다. 원교집 의 편찬 체제와 내용은 두남집 과 비교해 보면 비록 간 행의 단계까지 갈 정도는 아니지만 훨씬 정돈된 형태이다. 권1의 악 부(樂府)와 권2의 시(詩)가 대부분 두남집 의 시문과 일치하는 등 부 녕 유배 시절의 작품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이후의 저작도 상당량 실려 있으며, 문체별로 또 작품의 분량을 고려하여 권 차(卷次)가 나누어져 있다. 다만 권3~5까지는 편차가 연결되어 있어 권4는 제33판부터 시작되고 권5는 편지 2편으로 5판 밖에 되지 않는 데, 이 부분은 문체의 구별에 따라 권차를 나누었기 때문인 듯하다. 이광려가 지은 묘지에 의하면 유문이 대부분 50세 이후의 작품이며, 말년에 5~6천 자에 달하는 서결(書訣) 을 지어 왕희지(王羲之), 위부 인(衛夫人) 서체(書體)의 뜻을 발명하였고, 또 후편 만여 자를 이영익 이 대신 짓고 저자가 수정을 가하였다고 하였는데, 본집에는 전편만 실려 있고, 이영익의 신재집(信齋集) 에도 서결 후편이 없는 것으

7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71 로 보아 분실된 듯하다.22) 4) 구성과 내용 본집은 10권 4책의 필사본. 목록, 서발이 없다. 권1~3은 시(詩). 권1은 동국악부 30수로 1758년 부녕(富寧)에 유배되 었을 때 아들 이영익과 함께 수창한 역사악부(詠史樂府). 태백단(太伯 檀) 은 단군신화를 읊은 시. 주로 우리나라 전래의 건국 신화와 설화 등을 소재로 한 시들이 실려 있다. 시의 형식이나 분량은 일정치 않다. 파경합(破鏡合) 같은 1400여 자가 넘는 장편이 있는가 하면, 문곡성 (文曲星) 처럼 20여자 밖에 안 되는 짧은 작품도 있다. 백사가(百死 歌) 는 정몽주의 일화를 읊은 시다. 두문동(杜門洞) 은 고려에 충절을 지키느라 조선에서 벼슬하지 않은 선비들의 절개를 찬양한 시로, 저자 의 역사의식을 엿볼 수 있다. 권2와 권3은 97수의 시가 연도순으로 실 려 있는데 부령에 유배되었을 때인 1755년~1758년 사이에 지은 시와 신지도(薪智島)로 이배된 뒤인 1760년대의 시가 대부분이다. 권2의 훈 가편(訓家篇) 이후부터 권3의 차령아미귀전(次令兒未歸田) 까지는 두 남집 에 실린 것으로 모두 부령에 있을 때 지은 것이다. 내용도 대부 분 아들 이영익 및 형제들에게 보내는 시와 유배 시의 쓸쓸한 심정을 읊거나 고향을 그리는 내용이다. 권3은 신지도로 이배된 이후의 작품 이다. 권4~5는 잡저(7)와 편지(2)이다. 권4와 5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편 차(編次)가 권3부터 계속 이어져 있다. 권5의 편지는 아들 이영익과 문장에 대해 논한 글, 조카 이충익(李忠翊)에게 불교에 빠지지 말 것 을 충고한 글인데, 저자도 젊었을 때에 불교에 깊이 빠져 선유들의 22) 총간해제5, 쪽, 김성애 해제 참고.

72 7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글을 모두 냉소에 부쳤었다는 고백이 적혀 있다. 권6~권7은 아래 수록한 내용과 같다. 권6은 제문(17)이다. 권8은 잡문(12)인데, 그 중 오음정서(五音正序) 는 성음의 발생 원 리를 설명한 것인데 특히 한문의 사성(四聲)과 우리의 음이 맞지 않 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지적하고 있어 국문학상 주요 자료가 되고 있다. 권10은 저자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서결(書訣) 이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서법을 비교하고 자신의 서체 이론을 설명한 글인데 저자 가 원교체(圓嶠體)라는 특유의 서법을 창안하여 서예의 일가를 이루 었으므로 이 글도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받고 있다.23) 원교집(圓嶠集) 圓嶠集選卷第一 東國樂府 역사의식에서 읊은 시 30수24) 圓嶠集選卷第二 詩(부령에 유배되었을 때(1755~1758) 지은 시 76수) 圓嶠集選卷第三 詩(대부분 신지도로 이배된 이후의 작품. 21수) 圓嶠集選卷第四 雜著 兌說也說(兌卦의 兌를 해탈의 의미로 해석) 呂刑辨(贖刑에 대한 글) 23) 총간해제5, 쪽 김성애 해제 참고. 24) 시 해석은 鄭良婉의 江華學派의 文學과 思想(2) 참고.

7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73 洛誥辨 答正字從兄論洛誥辨書( 낙고(洛誥) 에 대한 고증) 朱子答黃先之問舜事 讀法華經 辨佛非周昭王時人(유가입장에서 법화경(法華經)비판) 圓嶠集選卷第五 書 答兒論文書(아들 이영익과 문장에 대해 논한 글) 答再從子忠翊書(이충익에게 불교에 빠지지 말 것을 충고한 글) 圓嶠集選卷第六 祭文 爲從父兄祭霞谷鄭先生文 祭白下尹尙書文 祭閔兄士相 文 祭恒齋從兄文 祭妹柳氏婦文 亡妻柳氏初朞祝文 祭尾泉從父兄文 亡室柳氏禫祭祝文 孺人生日祭文 僦屋後祭司宅土地神文 孺人柳氏再朞祝文 祭從姪文翊文 祭李子明 文 祭季母宋夫人文 祭從父兄正字府君文

74 7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祭權在之 文 祭伯嫂申夫人文 圓嶠集選卷第七 碑誌銘表 承憲大夫新宗君墓誌銘 族父同知中樞府事李公墓誌銘 始祖德泉君神道碑銘 族父黃海道觀察使府君墓碣銘 季行墓誌銘 亡妻安東權氏墓誌銘 先正憲大夫禮曹判書兼知經筵事同知春秋館事 五衛都捴府都捴管 府君墓表 亡室孺人文化柳氏墓誌銘 先妣貞夫人坡平尹氏墓誌 無妄軒先生墓誌銘 驪興閔夫人墓誌銘 平安道節度使曺公墓誌銘 吏曹參判曺公墓誌銘 李君仁耈墓表 李子明墓誌銘 曺幼安墓誌銘 曹伯涵墓誌銘 伯嫂申恭人墓誌銘 族叔全羅水軍節度使李公墓表 尙州牧使金公墓誌銘 圓嶠集選卷第八

7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75 雜文 來道齋記 讀平淮西碑 題赤壁賦後 古人碑誌例 君公語例 題班固評賈馬贊中論秦亡得失後 論嶧山碑 讀廬陵文 讀南豊寄歐陽舍人書 崔烈婦贊 崔烈婦哀辭 五音正序 (성음(聲音)의 발생 원리를 설명한 것. 특히 한문의 사 성(四聲)과 우리의 음이 맞지 않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 점 등을 지적) 圓嶠集選卷第九 行狀 先正憲大夫禮曹判書兼知經筵事同知春秋舘事 五衛都捴府都捴 管府君行狀 族父黃海道觀察使府君行狀 五兄恒齋先生行狀 叔兄艾叟先生記實文 圓嶠集選卷第十 書訣 (서도(書道)의 원리와 실제를 정리한 글. 중국과 조선의 서 법을 비교하고 자신의 서체 이론 설명) 圓嶠集墓誌

76 7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墓 誌 圓 嶠 先 生 墓 誌 ( 李 匡 呂 )

7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이참봉집(李參奉集) 1) 저자 이광려(李匡呂). 1720(숙종46)-1783(정조7). 자 성재(聖載), 호 월암 (月巖), 칠탄(七灘). 감사 서간(西㵎) 이진수(李眞洙)의 아들. 평생 학 문과 수행에만 힘쓰고 자신의 시문을 정리해두거나 수습하지 않았으 나 시문이 한 편 나올 때마다 당시 사대부들이 보배롭게 여기어 전송 (傳誦)하였으며 말년의 작품은 갈수록 간결하고 소박해져서 평탄하고 편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문(詩文)과 학행(學行)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다. 고구마에 대한 지식을 실험하고자 하여 통신사 조엄이 고구마를 갖고 귀국하자 재배에 실패했지만 동래부사 강필리(姜必履)에게 자극하여 성공하게 했다. 2) 소장처 서울대 규장각(奎4349. 古 ), 목판본 건곤 2책.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4-6408). 국립중앙도서관(한46-가88).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A27).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민족문화추진회. 한국문집총간 237집. 3) 편찬 저자의 사후 문집을 수습하고 정리하는 데 참가한 이만수(李晚秀), 신대우(申大羽), 서영보(徐榮輔) 등은 모두 저자의 집안과 혼인 관계 를 맺은 인척이고, 이충익은 족질(族姪)이다. 이충익의 서문에 의하면,

78 7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자신이 시문을 정리하여 시 2권, 문 2권으로 편집했는데, 저자가 선비 들의 존경을 받아 글이 많이 전파되었지만, 본래 저술이 적었고 또 평소 시문을 수습하지 않아 문집에 실린 글은 대부분 사람들에게 전 해져 기록해 둔 것을 바탕으로 했다고 한다. 즉 집에 보관된 유고가 거의 없어 사후에 수습된 유문을 대상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분량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시(詩) 중에는 저자가 직접 주 (註)를 붙인 것도 종종 있어 가장(家藏)된 유문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닌 것 같다. 또 이만수의 서문에서 선생 사후 23년(1805년)만에 시 326편, 문 31편으로 문집 4권이 간행되었다 했으며, 서영보 또한 문 집의 간행에 참여했다고 적고 있다. 따라서 본집은 이충익과 신대우, 이만수, 서영보가 유문을 수습, 정리하여 4권 2책의 문집을 1805년에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문집의 이름을 특이하게 이참봉집 으로 붙이게 된 이유는 저자가 서문(西門) 밖 월암(月巖)에서 살아 월암 이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생 전에 스스로 부른 적이 없기 때문에 일찍이 참봉에 제수되었던 것을 취하여 이참봉집 으로 했다고 한다. 본집에는 이만수, 신대우, 서영 보가 1805년에 쓴 서발(序跋)이 실려 있다.25) 4) 구성과 내용 본집은 4권 2책의 적은 분량으로 시 2권, 문 2권으로 구성되어 있 다. 권두에 이만수, 신대우가 1805년에 쓴 서문이 있소, 총목록이 실 려 있다. 25) 총간해제5, 쪽, 김성애 해제 참고. 민족문화추진회. 기타 참고 문 헌: 序(李晚秀申大羽 撰), 跋(徐榮輔 撰), 序(李忠翊 撰, 椒園遺稿). 鄭良婉, 江華學派의 文學과 思想(1)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月巖李匡呂 論. 유명종, 성리학과 양명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쪽.

7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79 권1~2는 시로 326수의 시가 대략 연대순으로 실려 있다. 형식면에 서 살펴보면 대부분 오언 칠언 절구와 율시로 장편은 없다. 권3~4는 문(文) 31편이다. 권3에는 묘도문자 20편이 실려 있다. 권4는 전(傳), 찬(贊), 서후(書後), 서(書) 등 여러 글들 11편을 모아 놓았다. 서군방보후(書群芳譜後) 와 여서판서일지지수서(與徐判書一 之志修書) 등의 글에서 고구마의 보급과 경작을 위해 힘쓴 저자의 노력을 볼 수 있다. 여홍판서한사량호서(與洪判書漢師良浩書) 는 중 국에서 사용하는 벽돌이 우리나라의 기와보다 훨씬 단단하고 싸서 효 용가치가 높음을 역설하고 나라와 민생을 위해 벽돌 굽는 방법을 배 워 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26) 이참봉집(李參奉集) 李參奉集序 序 李參奉集序(李晩秀) 李參奉集序(申大羽) 李參奉集卷一 詩 挹香亭 彈琴臺用三淵集韻 寒碧樓 梅 등 79수. 李參奉集卷二 詩 26) 총간해제5, 쪽 참고.

80 8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良丁母 章臺枝 讀南士美遺事 寄龍淵申翁 등 75수 李參奉集卷三 文 學生李公孺人權氏合葬誌銘 七世祖咸豐君府君墓誌銘 族兄淸安公墓誌銘 申生墓誌銘 吳季淵墓誌銘 繕工監役鄭君墓誌銘 鄭氏殤女墓誌銘 軍資監正贈吏曹參判徐公墓誌銘 東瀨翁墓誌銘 通德郞尹公墓誌銘 加平郡守尹公墓誌銘 龍仁縣令尹君墓誌銘 沈孝子墓誌銘 淑人尹氏墓誌銘 員嶠先生墓誌 厚陵參奉閔君墓誌 同知中樞府事鄭公墓誌 義州府尹申公墓銘 吏曹參判曹公墓表 僉知中樞金君墓碣銘

8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81 李參奉集卷四 文 林夫人傳 瀨翁舍利贊 書羣芳譜後 讀老子 終事 論東國女子不笄 記李孺人事 與徐判書一之書 與洪判書漢師書 與尹評事渭老書 與族姪潤甫書 李參奉集跋 跋 李參奉集跋(徐榮輔)

82 8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8. 완구유집(宛丘遺集) 1) 저자 신대우(申大羽). 1735(영조11)-1809(순조9). 자 의부(儀父), 호 완구 (宛丘). 2)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奎563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4-6309). 국립중앙도서관(古3648-文40-8).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古書(811.98). 민족문화추진회, 총간 ) 편찬 지금까지 전해진 것은 거의 없지만, 본래 상당량의 편찬서가 있었던 것 같다. 16세 이후 경서(經書) 연구에 몰두하여 역통(易通), 춘추고 (春秋考), 논어설(論語說), 맹자구정(孟子求正), 상서구정(尙書求 正), 용학방주(庸學旁注) 등이 있었으나 분실되어 저자가 1762년 상자를 뒤져보았을 때는 논어설 밖에 남아 있지 않았다고 한다. 또 명산을 둘러보고 쓴 산해소(山海疏) 와 서정보(西征譜), 5일 동안 개성을 유람하고 지은 오일기(五日記), 강화의 생활을 적은 심도지 (沁都志), 고서를 열람하며 뜻에 맞는 것을 쓴 직일기(直日記), 서 한(西漢)의 문장과 서진고문(先秦古文)을 가려 뽑아 만든 서한문류 (西漢文類) 와 고문정해(古文程楷), 숙종 때까지의 야사를 날짜별로 편찬한 일월주(日月注) 등이 있었다고 하는데 모두 전해지지 않는 다. 1776년경 중년까지의 시문(詩文)으로 진강존산(鎭江存刪) 을 편

8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83 하여 성천주(成天柱)에게 보여 주었고, 1804년에 아들 신작(申綽)에게 진강산고(鎭江散稿) 를 편찬하게 하는 등 생전에 스스로 편집한 것 도 있었던 갓 같다. 저자가 죽은 후 신진(申縉), 신작, 신현(申絢) 형제는 위의 자편고를 바탕으로 시문을 더 정선하여 재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이충익(李忠翊) 이 1816년에 쓴 완구유집서(宛丘遺集序) ( 초원유고(椒園遺稿) 책2) 에 의하면 이즈음 신작 형제들이 문집의 편차를 완료하여 자신에게 서 를 부탁하였는데 그 글은 모두 옛날에 저자에게서 얻어 보았던 것이라 고 하였다. 이후 1818년 10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신작이 문집을 간 행하기 위하여 판하본(板下本)을 손수 깨끗이 썼는데 글자체 해서(楷 書) 같기도 하고 예서(隸書) 같기도 한 팔분체(八分體)여서 읽는 사람 들이 어려워했으므로 세간에서는 문집이 있은 이래 처음 있는 일이라 고 하였다. 이때 모두 10권 158장이 정사되었는데 1819년 9월부터 1820년 9월까지 경공(京工) 최호익(崔浩益)과 평양공(平壤工) 양우주 (梁禹舟) 두 명이 간역(刊役)을 시종 담당하여 1년 만에 마쳤고 한창택 (韓倉澤)이 10일 만에 모두 26부를 인출해내었다고 한다. 초간본 저 자의 문집 간행과 관련된 시종의 기록은 모두 신작의 석천일승(石泉 日乘) 에 자세한 기사가 실려 있다. 본집은 그 간행이나 형식에 있어서 당시에 화제가 될 만큼 파격적 이었던 듯하다. 문집의 글자로는 유래가 없는 팔분체라는 자체도 그러 한데다 시(詩)가 단 한 편도 실리지 않았으며 문(文) 또한 문체별로 나 누어 분권하였기 때문에 적은 분량임에도 권수는 10권이나 된다. 홍석 주(洪奭周)는 완구의 문집 2권은 취사가 자못 엄중한데다 교정과 정사 (淨寫), 간행과 인장(印裝) 등을 공인(工人)의 손을 빌리지 않고 자식 들이 직접 하였으니 세상에 드문 바라고 평하고 있다. 석천일승 을 통해 몇몇 공인이 참가했던 것은 알 수 있지만 신작 형제들이 이 문집

84 8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에 기울인 노력이 남달랐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총 73편의 글이 수 록되어 있다. 4) 구성과 내용 본집은 10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두에 총목차가 있고, 서발 (序跋)이나 부록문자는 실려 있지 않다. 2책 159판 밖에 안 되는 적은 분량을 10권으로 나눈 것은 문체를 기준으로 분권하였기 때문이다. 또 본집에는 시가 한 편도 실려 있지 않다. 홍석주는 완구의 글이 선 진(先秦) 고문(古文)을 법칙으로 삼고 문선(文選) 과 당문수(唐文粹) 에서 섞여 나온 듯하여 시에도 뛰어났지만 고문에 능하다는 그의 장 점을 살리기 위해 일부러 시를 싣지 않은 것이라고 하였다.27) 완구유집(宛丘遺集) 宛丘遺集卷之一 雜著 皋陶執㳒疑 皋陶執㳒疑(二疑) 讀衛世家 讀柳子厚桐葉封弟辨 紀鄭先生淮陽治事 李五姑述 字說示諸弟 27) 기사전거: 李忠翊 撰, 宛丘集序, 椒園遺稿 冊2. 申綽 撰, 事狀, 石泉 遺稿 卷1. 申綽 撰, 石泉日乘. 洪奭周 撰, 鶴岡散筆, 淵泉全書 7. 沈 慶昊, 宛丘申大羽論 江華學派의 文學과 思想(1). 총간해제5, 쪽, 金成愛 해제 참고.

8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85 三子字說 鄭述仁字說 徹齋說 崔忠貞帖後記 書修山集後 韋巖契憲後敍 兪曼倩眞贊 斑玉書案銘 宛丘遺集卷之二 書 與南受之書 上高陽從叔父書 與海西尹觀察書 答鄭述仁書 答韓正字論維州事書 重答韓正字書 與朴維則書 宛丘遺集卷之三 序 送具御史監市北關序 送留守成公還京師序 送衿川曺使君移宰臨陂序 送賀正副使尹大夫序 從祖叔父翊衛君六十一歲壽序 古文程楷序 近宗契續券序

86 8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知㪟寍府事洪公司馬回榜序 送賀正上使曺尙書赴燕序 李文靖敍述集序 送謝恩正使李太史赴燕序 李參奉文集序 趙進士忍菴集序 宛丘遺集卷之四 記 河上齋記 蒿菴記 閱波亭重建記 堤州館新建記 小槎記 浮碧樓重修記 宛丘遺集卷之五 墓文(一) 鄭氏夫人墓誌銘 申府君墓誌銘 權進士墓表 曺聖賚墓銘 李次山墓誌銘 蘇君墓銘 恭人申氏墓誌銘 弘文校理特贈副提學朴公墓碣銘 禮曹判書貞惠沈公神道表 宛丘遺集卷之六

8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87 墓文(二) 霞谷先生神道表 朝鮮故大匩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 事世孫傅李公墓誌銘 朝鮮故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義禁府春秋館事五衛都摠府 副摠管成公墓碣銘 戶曹佐郞權君墓銘 宛丘遺集卷之七 墓文(三) 朝鮮故知敦寍府事曺公墓碑 李而漸墓銘 三嘉縣監申府君墓誌銘 王考承旨府君墓碣銘 宛丘遺集卷之八 行狀(一) 朝鮮故通政大夫吏曹參議知製敎任公行狀 李夫人內儀 仲厚行狀 朝鮮故通訓大夫行工曹佐郞李公行狀 朝鮮故通訓大夫富平都護府使水原鎭管兵馬同僉節制使鄭公行狀 宛丘遺集卷之九 行狀(二) 李先生行狀 貞敬夫人楊州趙氏行狀 故抱川縣監申公行狀 高同知行狀

88 8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宛丘遺集卷之十 祭文 仲厚祭文 祭亡妹文 祭亡女文 亡女小祥祭文 祭柳夫人文 祭鄭學士文 祭朴至叔文 曺幼安誄

8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1) 저자 이긍익(李肯翊). 1736(영조12)-1806(순조6). 자 장경(長卿), 호 연려 실(燃藜室). 근대 서예로 유명한 원교(圓嶠) 이광사의 아들. 소론파의 강경분자인 백부 이진유가 영조 6년에 역모죄로 몰리자, 원교도 거기 에 연루되어, 전후 20여 년간의 귀양살이를 하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이긍익은 처음부터 벼슬길을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다. 그는 특히 국사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역사서를 섭렵하였는데, 종 래의 야사류가 너무 산만하여 체계를 잃은 데 대해 큰 불만을 품었 다. 그래서 조선 태조 이래 각 왕조의 중요한 사건(대개 정치적 사건) 을 기사본말체 방식에 의거하여 편찬하되, 조금도 자기의 견해나 비 평을 가하지 않고 여러 사서에 있는 관계 기록을 뽑아내어 기록하고, 하나하나 출처를 밝혔다. 이것이 연려실기술 원집이다. 또 그는 따 로 역대 관직을 위시하여 각종 전례(典禮)문예천문지리변어 (邊圉. 대외관계) 및 역대 고전 등, 크게 편목(篇目)을 나누어 그 연 혁을 기재하고 출처를 밝히었다. 이것이 연려실기술 의 별집(別集)이 다. 원집을 정치편이라고 한다면, 별집은 분류편(分類篇)이라고 할 수 있다. 2) 소장처 필사본 52권 42책. 1911년 광문회(光文會)에서 도합 34권으로, 1913 년 고서간행회(古書刊行會)에서 도합 59권으로 각각 간행하였고, 1934 년 계유출판사(癸酉出版社)의 조선야사전집(朝鮮野史全集) 에 일부가 국한문체로 번역되어 나왔으며, 1966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고전국역 총서 제1집으로 도합 12권으로 발행했다. 경문사(景文社), 1976 영인.

90 9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3) 편찬 근대조선에 관한 기사본말체의 야사로는 서문중(徐文重)의 조야기 문(朝野記聞) 과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을 대표로 들 수 있는데, 이 중 체재가 잘 갖추어지고 널리 유포된 것이 연려실기술 이다. 연려실기술 의 원별집의 전사본(傳寫本)이 편저자 이긍익의 생 존 때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그 수효가 한 둘이 아닌 만큼, 별도로 정본(定本) 없이 내려왔다. 더구나 편저자 자신이 범례에서 밝힌 것처 럼, 본문에 여백을 두어 수시로 새로운 사료를 발견하는 대로 기록 보충하는 방법을 취했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이 책에 대해 그렇게 보충하게 하여 완성본을 만들도록 원했으므로, 종래 전사본 중에는 내용이 일치하지 않고, 권질(卷帙)도 맞지 않은 것이 많이 있 다. 편저자 자신의 최후 정본인 원고본 역시 전해지지 않고 있기 때 문에 정본이 어떤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렵지만, 지금까지의 각종 전 사본 중에서 가장 권위 있다고 생각되는 것이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일제 초기에 일본 사람 주관의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 行會) 인본(印本)의 대본(臺本)과 같은 것이 그것이요, 또 하나는 최남 선 주관의 광문회(光文會) 인본의 대본과 같은 것이 그것이다. 전자는 원집 33권(태조로부터 헌종까지), 속집 7권(숙종) 및 별집 19권, 도합 59권이지만, 후자는 원집 24권(인조까지), 별집 10권, 도합 34권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광문회 인본의 제언(題言)에 의하면, 그 인본의 사 본은 이범세(李範世. 이긍익의 후손)의 기본(寄本)으로, 이를 원본이라 하고 이 원본과 수삼 종의 전사본을 비교대조하여 오류를 정정했다 고 한다. 그러나 원본이 정말 이긍익의 최후 원고본을 의미하는 것인 지, 혹은 그것의 전사본인지 자세하지 않지만, 그것이 이씨 가문 전래 의 정본이기 때문에 원본이라고 하였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여기에는 원집 중 효종현종의 양대 고사가 빠졌다. 고서간행회본과 광문회본

9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91 을 비교해 볼 때, 전자의 대본과 같은 사본 가운데는 타인의 보충한 흔적이 많으니, 무엇보다도 속집 7권(숙종 고사)이 그 가장 두드러진 것이라 하겠다. 속집에는 사료의 출처를 밝히지 않고 있는 점으로 보아, 원저자가 지은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타인의 추보가 있다고 해서 비 난할 것은 조금도 없다. 도리어 그 추보는 원편자 이긍익의 뜻에 부 응하고, 계승한 아름다운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다만, 고 서간행회본에는 오류가 많음에 대하여 광문회 인본(효종으로부터 숙 종 때에 이르기까지의 속집은 들어 있지 않지만)은 정정에 매우 힘썼 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국역에 있어서는 광문회본과 고서간행회본에 의거하되 후자의 오류를 정정하는 한편, 전자의 미비한 부문을 보충하는 방침 을 취하였다. 요컨대 연려실기술 은 종래 체계 없는 모든 야사에 대 하여 정비된 체계를 세웠고, 또 그것이 다른 사람의 추보를 많이 거 친 만큼, 비교적 완본을 이룬 것이라고 보아야 하겠다. 다시 말하면 본서는 우리나라 야사 가운데 가장 잘 정리되고, 또 내용이 풍부한 것으로, 그 전사본이 많이 유포되었던 것이다.28) 4) 구성과 내용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연려실기술 義例 연려실기술 제1권 太祖朝故事本末 연려실기술 제2권 太祖朝故事本末 28) 연려실기술, 민족문화추진회, 고전국역총서, 이병도 해제. 1966년 10월.

92 92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定 宗 朝 故 事 本 末 太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권 世 宗 祖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4권 文 宗 朝 故 事 本 末 端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5권 世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6권 睿 宗 朝 故 事 本 末 成 宗 朝 故 事 本 末 燕 山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7권 中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8권 中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9권 中 宗 朝 故 事 本 末 仁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0권 明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1권 明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2권 宣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3권 宣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4권 宣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5권 宣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6권 宣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7권 宣 朝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8권 宣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19권 廢 主 光 海 君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0권 廢 主 光 海 君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1권 廢 主 光 海 君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2권 元 宗 故 事 本 末

93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93 연려실기술 제23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4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5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6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7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8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29권 仁 祖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0권 孝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1권 顯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2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3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4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5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6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7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제38권 肅 宗 朝 故 事 本 末 연려실기술 별집 제1권 國 朝 典 故 祀 典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2권 祀 典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3권 祀 典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4권 祀 典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5권 事 大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6권 官 職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7권 官 職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8권 官 職 典 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9권 官 職 典 故

94 94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연려실기술 별집 제10권 官職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1권 政敎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2권 政敎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3권 政敎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4권 文藝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5권 天文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6권 地理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7권 邊圉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8권 邊圉典故 연려실기술 별집 제19권 歷代典故

95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신재집(信齋集) 1) 저자 이영익(李令翊). 1738(영조14)-1780(정조4). 자 유공(幼公), 호 신재 (信齋), 포객(匏客). 문집에 대한 서문(序跋)이나 부록이 없어 평소의 행적이나 유문(遺 文)의 정리 상황을 알기 어렵다. 그러나 절친하게 지냈던 종제(從弟) 이충익이 지은 저자의 가전(家傳)과 제문(祭文)을 통해 약간이나마 짐 작할 수 있다. 어려서부터 부친 이광사에게 학문과 서예를 배웠으며, 10여 세에 이미 놀랄 만한 글을 써왔다. 글씨도 원교체(圓嶠體)로 부친의 글씨를 임서(臨書)하면 세상 사람들이 분별하지 못했으며, 전서(篆書)와 예서 (隸書)도 원교의 이름으로 세상에 행해지는 것이 많았다. 또 원교가 지은 서결(書訣) 의 뜻을 부연하여 만여 자에 달하는 글을 썼다고 하는데,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저자의 저술로는 문집 몇 권과 경설 (經說) 몇 권이 있는데 끊임없이 글을 고쳐서 탈고되지 못한 채 집안 에 보관되어 있었다. 2) 소장처 고려대 도서관(貴558) 소장 필사본 상하 2책. 민족문화추진회, 한국문집총간 252집. 3) 편찬 저자의 사후 유문은 이충익이 정리할 것을 자임하였는데, 9살 차이 의 종형제 사이이면서도 선생과 제자처럼 함께 강학하고 일가의 지기 (知己)로 지내던 사이였으므로 생전에 이미 자신의 사적을 정리해줄

96 96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것을 부탁하였다고 한다. 이충익은 1782년에 쓴 제문에서 시문(詩文) 의 교정을 아직 끝마치지 못했다고 하였고, 가전(家傳)에서는 경설(經 說)을 수정하여 책을 완성할 것이라고 하였으므로 이 시기를 전후하 여 문집이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이후 간행되지 못했 다. 현재 필사본으로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貴558)에 소장되어 있는 것에는 경설(經說)이 없다. 필사본은 권이 구분되지 않은 채 2책으로 나뉘어 있고 각 책 안에 서는 편차가 연속되어 있고, 문체가 바뀌는 곳마다 별면으로 처리했 다. 또 신재집(信齋集)이라는 제목이 주제가 나누어지는 곳마다 붙어 있는데, 책1에서는 악부(樂府), 고시(古詩), 율시(律詩), 련구(聯句)가 시작되는 곳마다, 책2에서는 잡저(雜著), 서(書), 제문, 묘지(墓誌) 등 이 시작되는 곳이 그렇다. 내용과 분량을 고려하여 권으로 나눌 예정 이었던 것 같다. 또 시의 경우 자서(自序)가 달려 있는 작품이 많은 데, 집에 보관된 초고를 바탕으로 한 것 같다. 작품의 편차 수준이나 오자가 별로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교정을 마친 상태의 정고본(定 稿本) 단계로 보인다. 본집은 이충익이 편차하고 교정한 본을 바탕으 로 전사(轉寫)하였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 필사시기와 관련자는 확 실하지 않다.29) 4) 구성과 내용 본집은 불분권 2책의 필사본으로 시 1책, 문 1책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서발이나 목록, 저자에 대한 부록문자 등은 실려 있지 않다. 29) 家傳祭文(李忠翊 撰, 椒園遺藁 冊2) 및 총간해제 쪽, 김성애 해 제 참고.

97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97 신재집(信齋集) 信齋集册一 東國樂府 東國樂府序 太伯檀 黃河歌 聖母祠 林中鷄 憂息曲 鵄述嶺 黃昌舞 斬馬衖 王毋去 陽山歌 破鏡合 朝蜀使 玄鶴琴 萬波息笛 月明衖 上書莊 鮑石亭 釣龍臺 落花巖 朝天石 薩水捷 城上拜

98 98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迎茜旗 絶影馬 昌瑾鏡 聖帝帶 文曲星 百死歌 女戴笠 杜門洞 古詩 23수 律詩 99수 聯句 8수 信齋集册二 雜著 論塟說 論相人者 論曆載陰陽避忌 論文中子 論文章之弊 論佛 硯銘 九容箴 題騎牛訪牛溪圖 桃源說 信齊說 冠禮說 擬大禹進九州貢賦奏

99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99 幅巾銘 贈薪智島李生 遊薪智島石窟記 送方祥喆歸北塞序 送凡谷從兄言 李在淳冠說 申儀父書案銘 無口匏說 無口匏解嘲 書 答再從弟虞臣 答虞臣 答虞臣 答申儀父 答虞臣 與申儀父 答虞臣 答虞臣 答虞臣 答虞臣 與虞臣 與柳混 祭文哀辭 祭從姪勉仁鏡城權瘞文 祭從祖兄窠山子文 祭外王母閔淑人文

100 100 강화학파 연구 문헌 해제 祭從伯姊崔氏室文 祭季祖母宋夫人文 祖考妣遷葬祭文 祭中翁從叔父文 祭族叔參奉公文 祭從姪聖功文 祭通德郞李君文 祭世母申恭人文 祭洞泉伯從兄文 祭外姑柳淑人文 窠山子哀辭 申仲厚哀辭 表姪女李氏婦哀辭 墓誌表行狀 申仲厚墓誌 玉果縣監柳公墓誌銘 平壤都君墓表 族子仲容壙誌 淑人李氏墓誌銘 外王父貞陵參奉柳公行狀

101 Ⅱ. 하곡과 강화학파 문헌 해제 초원유고(椒園遺藁) 1) 저자 이충익(李忠翊). 1744(영조20)-1816(순조16). 자 우신(虞臣), 호 초원 (椒園), 수관거사(水觀居士). 정후일, 신대우, 이광려, 이영익 등 강화 학파의 주요 인물과 친인척이면서 그들의 학문을 계승했다. 아들 이면 백(李勉伯)이 쓴 선고비합장지(先考妣合葬誌) 에 의하면 저자 역시 가문의 전통대로 서법(書法)과 문장에 뛰어났다. 2) 소장처 서울대 규장각(奎15733 古 ) 소장 필사본 2책.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충익-초). 초원담로(椒園談老), 고려대도서관 소장 필사본 1책. 민족문화추진회, 총간 255집. 3) 편찬 저서로는 문집 2권과 담로(談老), 두시략설(杜詩略說) 각 1권이 가장(家藏)되어 있었는데, 이 중 현재까지 문집 2권의 필사본과 담로 가 전해지고, 두시략설 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집에 이 책에 대한 후서(序後)가 실려 있어 그 내용을 대략적이나마 확인할 수 있다. 문집은 서발(序跋)이나 관계 기록이 전혀 없어 유고의 수습과 편찬 경 위를 알 수 없다. 만년의 작품까지 고루 실려 있어 저자가 편집한 것이 라기보다는 사후에 편집한 듯한데, 아들 이면백이 쓴 합장지(合葬誌)에 이미 문집 2권이 가장(家藏)되어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이면백이 편집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본집은 현재 규장각(奎15733, 古 )과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충익-초)에 필사본(筆寫本)이 소장되어

01Report_210-4.hwp

01Report_210-4.hwp 연구보고서 210-4 해방 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 론 Ⅱ 국회 및 지방의회에서의 여성참여 Ⅲ 정당조직내 여성참여 및 정당의 여성정책 Ⅳ 여성유권자의 투표율 및 투표행태 Ⅴ 여성단체의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운동 Ⅵ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More information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228323031362D352D32315FC5E4292E687770> 총선 이후 우리 교육의 방향 당 체제에서 우리 교육의 전망과 교육행정가들의 역할 박 호 근 서울시의회 의원 교육위원회 위원 서론 년 월 일 제 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선거는 바로 민의 의 반영이기 때문에 총선결과를 살펴보고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가를 분석해 본 후 년 월 일을 기점으로 제 대 국회의원들의 임기가 시 작되는 상황에서 우리 교육이 어떻게

More information

목 차 營 下 面 5 前 所 面 71 後 所 面 153 三 木 面 263 龍 流 面 285 都 已 上 條 367 同 治 六 年 (1867) 正 月 日 永 宗 防 營 今 丁 卯 式 帳 籍 범례 1. 훼손 등의 이유로 판독이 불가능한 글자는 로 표기함. 단, 비정 이 가능한 경우는 ( ) 안에 표기함. 2. 원본에서 누락된 글자는 [ ] 안에 표기함. 단, 누락된

More information

639..-1

639..-1 제639호 [주간] 2014년 12월 15일(월요일) http://gurotoday.com http://cafe.daum.net/gorotoday 문의 02-830-0905 대입 준비에 지친 수험생 여러분 힘내세요 신도림테크노마트서 수험생과 학부모 600명 대상 대입설명회 구로아트밸리서는 수험생 1,000명 초대 해피 콘서트 열려 구로구가 대입 준비로 지친

More information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20 11-36 1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2 와 같습니다. 3.

More information

시험지 출제 양식

시험지 출제 양식 2013학년도 제2학기 제1차 세계사 지필평가 계 부장 교감 교장 2013년 8월 30일 2, 3교시 제 3학년 인문 (2, 3, 4, 5)반 출제교사 : 백종원 이 시험 문제의 저작권은 풍암고등학교에 있습니다. 저 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전재와 복제는 금지 되며, 이를 어길 시 저작권법에 의거 처벌될 수 있습니다. 3. 전근대 시기 (가)~(라)

More information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정보나눔 섭이와 함께하는 여행 임강섭 복지과 과장 여름이다. 휴가철이다. 다 들 어디론가 떠날 준비에 마음 이 들떠 있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여행 매니아까지는 아니 지만, 나름 여행을 즐기는 사 람으로서 가족들과 신나는 휴 가를 보낼 계획에 살짝 들떠 있는 나에게 혼자만 신나지 말 고 같이 좀 신났으면 좋겠다며 가족들과 같이 가면 좋은 여행 눈이 시리도록

More information

177

177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2) 양주조씨 사마방목에는 서천의 양주조씨가 1789년부터 1891년까지 5명이 합격하였다. 한산에서도 1777년부터 1864년까지 5명이 등재되었고, 비인에서도 1735년부터 1801년까지 4명이 올라있다. 서천지역 일대에 넓게 세거지를 마련하고 있었 던 것으로

More information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여는말 풀꽃, 제주어 제주어는 제주인의 향기입니다. 제주인의 삶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삶의 향기이고, 꿈의 내음입니다. 그분들이 어루만졌던 삶이 거칠었던 까닭에 더욱 향기롭고, 그 꿈이 애틋했기에 더욱 은은합니다. 제주어는 제주가 피워낸 풀잎입니다. 제주의 거친 땅에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고, 비바람 맞고 자랐기에 더욱 질박합니다. 사철 싱그러운 들풀과 들꽃향기가

More information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32831333031323120C3D6C1BEBABB292E687770> 우리 시의 향기 사랑하는 일과 닭고기를 씹는 일 최승자, 유 준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강사/문학평론가 한 숟갈의 밥, 한 방울의 눈물로 무엇을 채울 것인가, 밥을 눈물에 말아먹는다 한들. 그대가 아무리 나를 사랑한다 해도 혹은 내가 아무리 그대를 사랑한다 해도 나는 오늘의 닭고기를 씹어야 하고 나는 오늘의 눈물을 삼켜야 한다.

More information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80 < 관용 표현 인지도> 남 여 70 60 50 40 30 20 10 0 1 2 3 4 5 6 70 < 관용 표현 사용 정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4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5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6학년 가끔쓴다 써본적있다 전혀안쓴다 70 < 속담 인지도> 남 여 60 50 40 30 20 10 0 1 2

More information

6±Ç¸ñÂ÷

6±Ç¸ñÂ÷ 6 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과천심상소학교 졸업증서(문헌번호 03-004) 일제강점기 과천초등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교장이었던 맹준섭임을 알 수 있다.

More information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 음운 [ㄱ] [국], [박], [부억], [안팍] 받침의 발음 [ㄷ] [곧], [믿], [낟], [빋], [옫], [갇따], [히읃] [ㅂ] [숩], [입], [무릅] [ㄴ],[ㄹ],[ㅁ],[ㅇ] [간], [말], [섬], [공] 찾아보기. 음절 끝소리 규칙 (p. 6) [ㄱ] [넉], [목], [삭] [ㄴ] [안따], [안꼬] [ㄹ] [외골], [할꼬]

More information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통합 우리나라 ⑵ 조상님들이 살던 집에 대 해 아는 어린이 있나요? 저요. 온돌로 난방과 취사를 같이 했어요! 네, 맞아요. 그리고 조상님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에서 살았어요. 주무르거나 말아서 만들 수 있는 전통 그릇도 우리의 전통문화예요. 그리고 우리 옷인 한복은 참 아름 답죠?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남자는 바지와 조끼를 입어요. 명절에 한복을 입고 절을

More information

상품 전단지

상품 전단지 2013 2013 추석맞이 추석맞이 지역우수상품 안내 안내 지역우수상품 지역 우수상품을 안내하여 드리오니 명절 및 행사용 선물로 많이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즐거운 한가위 보내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경기동부상공회의소 임직원 일동 - 지역우수상품을 구입하시면 지역경제가 살아납니다.

More information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시 민 문서번호 어르신복지과-1198 주무관 재가복지팀장 어르신복지과장 복지정책관 복지건강실장 결재일자 2013.1.18. 공개여부 방침번호 대시민공개 협 조 2013년 재가노인지원센터 운영 지원 계획 2013. 01. 복지건강실 (어르신복지과)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More information

2

2 1 2 3 4 5 6 또한 같은 탈북자가 소유하고 있던 이라고 할수 있는 또 한장의 사진도 테루꼬양이라고 보고있다. 二宮喜一 (니노미야 요시가즈). 1938 년 1 월 15 일생. 신장 156~7 센치. 체중 52 키로. 몸은 여윈형이고 얼굴은 긴형. 1962 년 9 월경 도꾜도 시나가와구에서 실종. 당시 24 세. 직업 회사원. 밤에는 전문학교에

More information

화이련(華以戀) 141001.hwp

화이련(華以戀) 141001.hwp 年 花 下 理 芳 盟 段 流 無 限 情 惜 別 沈 頭 兒 膝 夜 深 雲 約 三 십년을 꽃 아래서 아름다운 맹세 지키니 한 가닥 풍류는 끝없는 정이어라. 그대의 무릎에 누워 애틋하게 이별하니 밤은 깊어 구름과 빗속에서 삼생을 기약하네. * 들어가는 글 파르라니 머리를 깎은 아이가 시린 손을 호호 불며 불 옆에 앉아 있다. 얼음장 같은 날씨에 허연 입김이 연기처럼

More information

ÆòÈ�´©¸® 94È£ ³»Áö_ÃÖÁ¾

ÆòÈ�´©¸® 94È£ ³»Áö_ÃÖÁ¾ 사람 안간힘을 다해 행복해지고 싶었던 사람, 허세욱을 그리다 - 허세욱 평전 작가 송기역 - 서울 평통사 노동분회원 허세욱. 효순이 미선이의 억울한 죽음에 대 해 미국은 사죄하라는 투쟁의 현장에 서 그 분을 처음 만났다. 평택 대추리 의 넓은 들판을 두 소녀의 목숨을 앗 아간 미군들에게 또 빼앗길 순 없다며 만들어 온 현수막을 대추초교에 같이 걸었다. 2007년

More information

歯1##01.PDF

歯1##01.PDF 1.? 1.?,..,.,. 19 1.,,..,. 20 1.?.,.,,...,.,..,. 21 1,.,.,. ( ),. 10 1? 2.5%. 1 40. 22 1.? 40 1 (40 2.5% 1 ). 10 40 4., 4..,... 1997 ( ) 12. 4.6% (26.6%), (19.8%), (11.8%) 23 1. (?).. < >..,..!!! 24 2.

More information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제3편 정 치 제3편 정치 제1장 의회 제1절 의회 기구 제2절 의회기구 및 직원 현황 자치행정전문위원회 자치행정전문위원 산업건설위원회 산업건설전문위원 제1장 의회 321 제3절 의회 현황 1. 제1대 고창군의회 제1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성 명 생년월일 주 소 비 고 322 제3편 정치 2. 제2대 고창군의회 제2대 고창군의회 의원 현황 직 위

More information

120229(00)(1~3).indd

120229(00)(1~3).indd 법 률 국회에서 의결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을 이에 공포한다. 대 통 령 이 명 박 2012년 2월 29일 국 무 총 리 김 황 식 국 무 위 원 행정안전부 맹 형 규 장 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관) 법률 제11374호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 공직선거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1조제1항에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구국회의원

More information

조선왕조 능 원 묘 기본 사료집 -부록 : 능 원 묘의 현대적 명칭표기 기준안 차 례 서 장 : 조선왕실의 능 원 묘 제도 11 제 1부 능 원 묘 기본 사료 Ⅰ. 능호( 陵 號 ) 및 묘호( 廟 號 )를 결정한 유래 1. 건원릉( 健 元 陵 ) 21 2. 정릉( 貞 陵 ) 22 3. 헌릉( 獻 陵 )

More information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노동운동사 정 호 기 농민운동 1 목 차 제1장 연구 배경과 방법 07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3. 연구 대상의 특성과 변화 4.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07 10 12 16 제2장 이승만 정부 시대의 노동조합운동 19 1. 이승만 정부의 노동정책과 대한노총 1) 노동 관련 법률들의 제정과 광주

More information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해제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이 자료는 한말의 개화파 관료, 김윤식 金 允 植 (1835~1922)이 충청도 면천 沔 川 에 유배하면서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전문 傳 聞 한 것을 일일이 기록한 일기책 이다. 수록한 부분은 속음청사 續 陰 晴 史 의 권 7로 내제 內 題 가 면양행견일기 沔 陽 行 遣 日 記 로 되어 있는 부분 가운데 계사년 癸 巳 年

More information

E1-정답및풀이(1~24)ok

E1-정답및풀이(1~24)ok 초등 2 학년 1주 2 2주 7 3주 12 4주 17 부록` 국어 능력 인증 시험 22 1주 1. 느낌을 말해요 1 ⑴ ᄂ ⑵ ᄀ 1 8~13쪽 듣기 말하기/쓰기 1 ` 2 ` 3 참고 ` 4 5 5 5 ` 6 4 ` 7 참고 ` 8 일기 ` 9 5 10 1 11, 3 [1~3] 들려줄 내용 옛날 옛날, 깊은 산골짜기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 이

More information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권2 동경잡기 東京雜記 동경잡기 173 권2 불우 佛宇 영묘사(靈妙寺) 부(府)의 서쪽 5리(里)에 있다. 당 나라 정관(貞觀) 6년(632) 에 신라의 선덕왕(善德王)이 창건하였다. 불전(佛殿)은 3층인데 체제가 특이하다. 속설에 절터는 본래 큰 연못이었는데, 두두리(豆豆里) 사람들이 하룻밤 만에 메 우고 드디어 이 불전을 세웠다. 고 전한다. 지금은

More information

38--18--최우석.hwp

38--18--최우석.hwp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 崔 宇 錫 1) 1. 序 文 2. 古 詩 源 < 顔 延 之 > 篇 譯 註 3. 結 語 1. 序 文 沈 德 潛 (1673-1769)의 字 는 確 士 이고 號 는 歸 愚 이다. 江 南 長 洲 (현재의 江 蘇 省 蘇 州 ) 사람으로 淸 代 聖 祖, 世 宗, 高 宗 삼대를 모두 거쳤다. 특히 시를 몹 시 좋아한

More information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32303132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303530395D2E687770> 조 례 익산시 조례 제1220호 익산시 주민감사 청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 익산시 조례 제1221호 익산시 제안제도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 3 익산시 조례 제1222호 익산시 시채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 12 익산시 조례 제1223호 익산시 시세 감면 조례 전부개정조례 13 익산시 조례 제1224호 익산시 행정기구설치조례 19 익산시 조례 제1225호 익산시

More information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1. 재미있는 글자 단원의 구성 의도 이 단원은 도비와 깨비가 길을 잃고 헤매다 글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자칫 지겨울 수 있는 쓰기 공부를 다양한 놀이 위주의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활동할 수 있게 하였다. 각 단계의 학습을 마칠 때마다 도깨비 연필을

More information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과 임제 신해진(전남대) 1. 머리말 세조의 왕위찬탈과 단종복위 과정에서의 사육신을 소재로 한 작품은 남효온( 南 孝 溫 )의 (1492년 직전?), 임제( 林 悌 )의 (1576?), 김수민( 金 壽 民 )의 (1757) 등이 있다. 1) 첫 작품은 집전( 集

More information

cls46-06(심우영).hwp

cls46-06(심우영).hwp 蘇 州 원림의 景 名 연구 * 用 典 한 경명을 중심으로 1)심우영 ** 목 차 Ⅰ. 서론 Ⅱ. 기존의 경명 命 名 法 Ⅲ. 귀납적 결과에 따른 경명 분류 1. 신화전설 역사고사 2. 文 辭, 詩 句 Ⅳ. 결론 Ⅰ. 서론 景 名 이란 景 觀 題 名 (경관에 붙인 이름) 의 준말로, 볼만한 경치 지구와 경치 지 점 그리고 경치 지구 내 세워진 인공물에 붙여진

More information

0429bodo.hwp

0429bodo.hwp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이 명단은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의 후손 또는 연고자로부터 이의신청을 받기 위해 작성 되었습니다. 이 인물정보를 무단 복사하여 유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파하는일체의행위는법에저촉될수있습니다. 주요 훈포상 약어 1. 병합기념장 2. 대정대례기념장 3. 소화대례기념장

More information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동경잡기東京雜記 권1 진한기辰韓紀 경상도는 본래 진한(辰韓)의 땅인데, 뒤에 신라(新羅)의 소유가 되었다. 여지승 람(輿地勝覽) 에 나온다. 진한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다. 스스로 말하기를, 망 명한 진(秦)나라 사람이 난리를 피하여 한(韓)으로 들어오니 한이 동쪽 경계를 분할 하여 주었으므로 성책(城栅)을 세웠다. 하였다. 그 언어가 진나라 사람과 비슷하다.

More information

<3230313320B5BFBEC6BDC3BEC6BBE74542532E687770>

<3230313320B5BFBEC6BDC3BEC6BBE74542532E687770> 58 59 북로남왜 16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흔든 계기는 북로남 왜였다. 북로는 북쪽 몽골의 타타르와 오이라트, 남왜는 남쪽의 왜구를 말한다. 나가시노 전투 1. 16세기 동아시아 정세(임진전쟁 전) (1) 명 1 북로남왜( 北 虜 南 倭 ) : 16세기 북방 몽골족(만리장성 구축)과 남쪽 왜구의 침입 2 장거정의 개혁 : 토지 장량(토지 조사)와

More information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檀 國 大 學 校 第 二 十 八 回 학 술 발 표 第 二 十 九 回 특 별 전 경기도 파주 出 土 성주이씨( 星 州 李 氏 ) 형보( 衡 輔 )의 부인 해평윤씨( 海 平 尹 氏 1660~1701) 服 飾 학술발표:2010. 11. 5(금) 13:00 ~ 17:30 단국대학교 인문관 소극장(210호) 특 별 전:2010. 11. 5(금) ~ 2010. 11.

More information

11민락초신문4호

11민락초신문4호 꿈을 키우는 민락 어린이 제2011-2호 민락초등학교 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1 펴낸곳 : 민락초등학교 펴낸이 : 교 장 심상학 교 감 강옥성 교 감 김두환 교 사 김혜영 성실 근면 정직 4 8 0-8 6 1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로 159번길 26 Tel. 031) 851-3813 Fax. 031) 851-3815 http://www.minrak.es.kr

More information

이용자를 위하여 1. 본 보고서의 각종 지표는 강원도, 정부 각부처, 기타 국내 주요 기관에서 생산 한 통계를 이용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각 통계표마다 그 출처를 주기하였음. 2. 일부 자료수치는 세목과 합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이 합계와 일 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3. 통계표 및 도표의 내용 중에서 전년도판 수치와 일치되지 않는 것은 최근판에서

More information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제2장 사천교육의 발자취 제1절 우리 교육 약사 1. 근대 이전의 교육 가. 고대의 교육 인류( 人 類 )가 이 지구상에 살면서부터 역사와 함께 교육( 敎 育 )은 어떠한 형태로든 지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이곳에서 삶을 꾸려왔는지는 여 러 가지 유적과 유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당시 우리조상들의 생활을 미루어

More information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하 출 입 시 설 형태 및 특징 제2차 시기 : 건물 4면 중앙에 각각 1개소씩 존재 - 남, 서, 북면의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지의 흔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전면과 측면의 중앙칸에 위치 - 동서 기단 중앙에서는 계단 유인 계단우석( 階 段 隅 石 ) 받침지대석이 발견 - 계단너비는 동측면에서 발견된 계단우석 지대석의 크기와 위치를 근거로 약 2.06m - 면석과

More information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새만금세미나-1101-이양재.hwp 새만금지역의 합리적인 행정구역 결정방안 이 양 재 원광대학교 교수 Ⅰ. 시작하면서 행정경계의 획정 원칙은 국민 누가 보아도 공감할 수 있는 기준으로 결정 되어야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모 르는 이가 없을 것이다. 신생매립지의 관할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남도 당진군, 전라남도 순천시와 전라남도 광양시

More information

??

?? 한국공항공사와 어린이재단이 함께하는 제2회 다문화가정 생활수기 공모전 수기집 대한민국 다문화가정의 행복과 사랑을 함께 만들어 갑니다. Contents 02 04 06 07 08 10 14 16 20 22 25 28 29 30 31 4 5 6 7 8 9 10 11 12 13 15 14 17 16 19 18 21 20 23 22 24 25 26 27 29 28

More information

652

652 축 사 2003년 11월 5일 수요일 제 652 호 대구대신문 창간 39주년을 축하합니다! 알차고 당찬 대구대신문으로 지로자(指걟者)의 역할 우리 대학교의 대표적 언론매체인 대구대 신문이 오늘로 창간 서른 아홉 돌을 맞았습 니다. 정론직필을 사시로 삼고 꾸준히 언로 의 개척을 위해 땀흘려온 그 동안의 노고에 전 비호가족을 대표하여 축하의 뜻을 전하 는 바입니다.

More information

歯20010629-001-1-조선일보.PDF

歯20010629-001-1-조선일보.PDF 6. 29 () 11:00 ( ) 20 0 1. 6. 29 11( ).(397-1941) 1. 2. 3. 4. 5. 1. 28, 60() (,, ) 30 619(, 6. 29) () 6 (,,,,, ),,, - 1 - < > (, ), () < > - 2 - 2.,,, 620,, - 3 - 3. ( ) 1,614,, 864 ( ) 1,6 14 864 () 734

More information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31313135292E687770>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31313135292E687770> 제 1 부 제1소위원회 (2) 충남지역(1) 부역혐의 민간인 희생 -당진군ㆍ홍성군ㆍ서산군(2)ㆍ예산군- 결정사안 1950. 9ㆍ28수복 후~1951. 1ㆍ4후퇴경 충청남도 당진 홍성 서산(2) 예산군에서 군 경에 의해 발생한 불법적인 민간인 희생으로 진실규명대상자 33명과 조사과정에서 인지된 자 151명이 희생된 사실을 또는 추정하여 진실규명으로 결정한 사례.

More information

<C1DFB1DE2842C7FC292E687770>

<C1DFB1DE2842C7FC292E687770> 무 단 전 재 금 함 2011년 3월 5일 시행 형별 제한 시간 다음 문제를 읽고 알맞은 답을 골라 답안카드의 답란 (1, 2, 3, 4)에 표기하시오. 수험번호 성 명 17. 信 : 1 面 ❷ 武 3 革 4 授 18. 下 : ❶ 三 2 羊 3 東 4 婦 19. 米 : 1 改 2 林 ❸ 貝 4 結 20. 料 : 1 銀 2 火 3 上 ❹ 見 [1 5] 다음 한자(

More information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96 1 96 3 4 1 5 2 ( ),, TV,,,,, 96 5,,,, 3, ), ( :,1991) ), ), 13 1 3 96 23, 41, 4 68 (1) 11, 1223, (3/18 ) ( ) 6, 1 (4/2 ) 16, ( ), 1 (5/3 ), ( ) ( ) 1 (2) 96 8 33 41 (4/25 ), (9/24 ), ( ) 961 (5/27 )

More information

???? 1

???? 1 제 124 호 9 3 와 신시가지를 어느 정도 파악하고 나면 제일 먼저 이 도시에서 언제나 활기가 넘 쳐나는 신시가지로 가게 된다. 그 중심에 는 티무르 공원이 있다. 이 공원을 중심으 로 티무르 박물관과 쇼핑 거리가 밀집돼 있다. 공원 중심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영 웅, 티무르 대제의 동상이 서 있다. 우즈베 키스탄을 여행하다 보면 어느 도시에서나 티무르의 동상이나

More information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 목 차 국회 1 월 중 제 개정 법령 대통령령 7 건 ( 제정 -, 개정 7, 폐지 -) 1.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1 2.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1 3.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시행령 일부개정 2 4.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 3 5.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일부개정 4

More information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2014 7 18.hwp

종사연구자료-이야기방2014 7 18.hwp 차례 1~3쪽 머리말 4 1. 계대 연구자료 7 가. 증 문하시랑동평장사 하공진공 사적기 7 나. 족보 변천사항 9 1) 1416년 진양부원군 신도비 음기(陰記)상의 자손록 9 2) 1605년 을사보 9 3) 1698년 무인 중수보 9 4) 1719년 기해보 10 5) 1999년 판윤공 파보 10 - 계대 10 - 근거 사서 11 (1) 고려사 척록(高麗史摭錄)

More information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한 사 람의 삶을 파괴할 수도 있으며,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해쳐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04 5 S I N S A G O 정답과 해설 채움 1. 마음을 나누는 삶 02 2. 효과적인 자료, 적절한 단어 11 3. 문학을 보는 눈 19 4. 보다 쉽게, 보다 분명하게 29 5. 생각 모으기, 단어 만들기 38 정 답 과 해 설 1 (1) 존중하고 배려하는 언어생활 주요 지문 한 번 더 본문 10~12쪽 01 2 02 5 03 [예시 답] 상대에게 상처를

More information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30323138292D28BCF6C1A4292E687770>

<34B1C720C0CEB1C7C4A7C7D828C3D6C1BEC6EDC1FD30323138292D28BCF6C1A4292E687770> 이 조사보고서는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제32조제1항 규정에 따라 2008년 7월 9일부터 2009년 1월 5일까지의 진실 화해를위 한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습 니다. 차례 제 3 부 인권침해규명위원회 사건 김세태 등에 대한 보안대의 불법구금 등 인권침해사건 11 오주석 간첩조작 의혹 사건 25 보안대의 가혹행위로

More information

160215

160215 [ 진경준, 대한민국 검사의 민낯! ] 진경준 검사 정봉주 : 진경준 검사장 사건이 충격적인가 봐요.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얘기도 나오는 걸 보니까. 왜 그래요, 느닷 없이? 김태규 : 공수처는 여러 검찰개혁안 중의 하나였죠. 검찰의 기 소독점주의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공수처를 도입해야 한다 는 얘기가 오래 전부터 나왔고. 그런데 지금 정권이 레임 덕에 막 빠지려고

More information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Ⅰ 가이드라인 개요 >>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참고 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관계 법령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자금융거래법 시행령 은행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령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금융지주회사법

More information

000000038348.hwp

000000038348.hwp 규범 폐쇄성 신뢰 호혜 < 그림1> 사회자본의 구조 D E B C B C A A 비폐쇄성 네트워크(a)와 폐쇄성 네트워크(b) 출처: Coleman, 1988. p. 106. 信 用 人 情 關 係 面 子 報 答 꽌시의 구조 지방정부 동향 공장장 공장장 청부책임제 향진기업 연변 백운(

More information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제11편 성씨 인물 579 제3장 인 물 1. 고려ㆍ조선시대 인물 강순 강열황 구계우 구상은 김감 김경상 김계백 김계환 김규 김광오 김광원 김극성 김극신 김근행 김낙항 김남호 김노기 김노영 김맹권 김명현 김문서 김백간 김상현 김생려 김선지 김성국 김성우 김수정 김수현 김숙 김시걸 김신행 김억 김여남 김영석 김영수 김영제 김용제 김우식 김위 김응순 김응의 김응정

More information

<C1DFB0B3BBE7B9FD3128B9FDB7C92C20B0B3C1A4B9DDBFB5292E687770>

<C1DFB0B3BBE7B9FD3128B9FDB7C92C20B0B3C1A4B9DDBFB5292E687770>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령 제1장 공인중개사제도 제2장 총칙 제3장 중개사무소의 개설등록 제4장 중개업무 제5장 중개계약 및 부동산거래정보망 제6장 중개업자 등의 의무 제7장 중개보수 제8장 교육 및 업무위탁, 포상금 제9장 공인중개사협회 제10장 지도ㆍ감독 및 벌칙 제23회 완벽대비 제1장 공인중개사제도 1. 시험시행기관 (1) 원칙

More information

ad-200100008.hwp

ad-200100008.hwp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성매매방지대책 연구 여 성 부 한국여성개발원 목 차 Ⅰ. 서론 Ⅱ. 성매매에 대한 시각과 성매매 유형 분류 Ⅲ. 성매매 관련 법 정책 및 사건처리 Ⅳ. 성매매 관련 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Ⅴ. 성매매 관련 법의 적용현황과 문제점 Ⅵ. 성매매 관련 의식조사 결과 Ⅶ. 외국의 입법례 Ⅷ. 개정법(안) 제안 Ⅸ. 정책제언 참고문헌

More information

3. 은하 1 우리 은하 위 : 나선형 옆 : 볼록한 원반형 태양은 은하핵으로부터 3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2 은하의 분류 규칙적인 모양의 유무 타원은하, 나선은하와 타원은하 나선팔의 유무 타원은하와 나선 은하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 4.

3. 은하 1 우리 은하 위 : 나선형 옆 : 볼록한 원반형 태양은 은하핵으로부터 3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 2 은하의 분류 규칙적인 모양의 유무 타원은하, 나선은하와 타원은하 나선팔의 유무 타원은하와 나선 은하 막대 모양 구조의 유무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 4. 4탄 지학 정복하기 1. 빅뱅 우주론 빅뱅과 동시에 시공간 및 물질 생성 물질 : 쿼크와 경입자 양성자와 중성자 헬륨원자핵 원자 생성[38 만년 이후] 자연계의 존재하는 힘 : 중력, 강한핵력, 전자기력, 약한핵력 빅뱅우주론의 증거 1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3:1 2 우주 배경 복사 발견 2. 별의 탄생과 진화 1 별의 탄생과정 성간운 형성 원시별과 원반

More information

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공개)

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공개) 문화재위원회(근대문화재분과) 제4차 회의록 문 화 재 위 원 회 - 2 - - 3 - 안건번호 근대2012-04-001-4 - - 5 - - 6 - - 7 - - 8 - 안건번호 근대2012-04-002-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More information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개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인 천 광 역 시 의 회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상해 등 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안 번호 179 제안연월일 : 2007. 4. 제 안 자 :조례정비특별위원회위원장 제안이유 공무상재해인정기준 (총무처훈령 제153호)이 공무원연금법 시행규칙 (행정자치부령 제89호)으로 흡수 전면

More information

교육실습 소감문

교육실습 소감문 컴퓨터교육과 2008312140 김경근 Ⅰ. 처음... 이번에 교육실습을 다녀온 곳은 서울에 위치한 노원고등학교, 나의 모교이다. 실 습 학교로 굳이 이 학교를 선택 지원한 이유는, 모교이기 때문 이 아니라 집에서 가까워서 라는 이유가 컸다. 물론 내가 졸업한 모교가 어떻게 변했을지도 궁금하기 도 했다. 실습을 시작하기 전만 해도 오로지

More information

1

1 정의당 당규 2012.11.09. 제1차 전국위원회 제정 2013.02.28. 제4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06.16. 당대회 개정 2013.08.31. 2기 제1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0.20. 2기 제2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2.14. 2기 제3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3.12.31. 2기 제4차 전국위원회 개정 2014.02.22. 2기

More information

¼þ·Ê¹®-5Àå¼öÁ¤

¼þ·Ê¹®-5Àå¼öÁ¤ Ⅴ. 육축 1. 개설 2. 1961년 수리 전의 육축 3. 육축의 구조 4. 지하유구 조사 5. 실측조사 6. 석축부재의 현황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崇禮門 精密實測調査報告書 사진 5-3. 태조 때의 축성형식 사진 5-4. 세종 때의 축성형식 사진 5-7. 성벽 철거 전(1880년대) 사진 5-5. 개축된 축성형식

More information

109

109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김한용 구술 녹취문 129 III. 광고사진가로서의 활동 김: 아아 최: 그리고 신진자동차 퍼브리카도 선생님이 찍으셨대요? 김: 예? 최: 신진자동차에서 나왔던 퍼브리카 김: 퍼브리카. 예, 맞습니다. 최: 요렇게,

More information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500 0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500 0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2013년도 본예산 일반회계 환경위생과 ~ 환경위생과 세 출 예 산 사 업 명 세 서 부서: 환경위생과 단위: 환경정책 환경위생과 8,231,353 3,622,660 4,608,693 국 2,472,543 기 144,000 도 976,102 시 4,638,708 자연환경보호(환경보호/환경보호일반) 5,910,247 1,462,545 4,447,702 국 1,817,800

More information

歯20010629-003-1-동아일보(2-1).PDF

歯20010629-003-1-동아일보(2-1).PDF 6. 29 ( ) 11:00 20 0 1. 6. 29 2 3 ( ).( 397-0781) 1. 2. 3. 4. 5. 1. ( : 2 ) 2 8607, 306 19, 7 6 28, 95 3 - (5 ) (,,,,,, ) - 1 - 2. -, - -, - 2 - 3.,, 1,700, 827 ( ) 1,700 8 27 803 469 560 227 289 117 48

More information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며 오스본을 중심으로 한 작은 정부, 시장 개혁정책을 밀고 나갔다. 이에 대응 하여 노동당은 보수당과 극명히 반대되는 정강 정책을 내세웠다. 영국의 정치 상황은 새누리당과 더불어 민주당, 국민의당이 서로 경제 민주화 와 무차별적 복지공약을 앞세우며 표를 구걸하기 위한 4.13 총선, 캐머런과 오스본, 영국 보수당을 생각하다 정 영 동 중앙대 경제학과 자유경제원 인턴 우물 안 개구리인 한국 정치권의 4.13 총선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 하지만 정당 간 정책 선거는 실종되고 오로지 표를 얻기 위한 이전투구식 경쟁이 심 화되고 있다. 정말 한심한 상황이다. 정당들은 각 당이 추구하는 이념과 정강 정책, 목표를 명확히 하고,

More information

<33352D2D31342DC0CCB0E6C0DA2E687770>

<33352D2D31342DC0CCB0E6C0DA2E687770> 중국 명문가의 가정교육 * - 先 秦 에서 淸 末 까지- ** 1) 李 庚 子 1. 머리말 2. 孝 悌 를 통한 질서의 확립 3. 德 을 통한 품성 수양 4. 立 志 를 통한 자아 확립 5. 맺음말 1. 머리말 교육의 일차기관은 가정이다. 가정에서 자녀들은 가정의 문화를 배우고 사 물의 바른 질서를 배우며 그 사회와 시대의 문화 양식을 먼저 익힌다.

More information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B9E9B3E2C5CDBFEFB4F5B5EBBEEE20B0A1C1A4B8AE20B1E6C0BB20B0C8B4C2B4D92E687770> 2011 어르신 생활문화전승프로그램 柯 亭 里 義 兵 마을 백년터울 더듬어 가정리 길을 걷는다 주관 춘천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원 연합회 문화체육관광부 -차 례- 제1장 구술 자료의 가치 1. 역사적 측면 2. 문화적 측면 3. 미래 삶의 터전 제2장 지명으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제3장 구술로 전하는 생활문화전승 1. 의암제를 준비하는 사람 류연창 2. 고흥 류

More information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금산 은 상위의 중부방언에 속한다. 충청남도의 핵방언권 중 (A)지역, 즉 충청 남도의 남부이며 전라북도와 주로 접경을 이루는 방언권이다. 그중 충청남도의 최 남단에서 전라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 금산 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 다. 금산 지역이 전라북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문화 등 제반 교류의 가능성 을 엿볼 수 있고, 이는 곧 금산과 전북방언과의

More information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정신문화연구 2001 겨울호 제24권 제4호(통권 85호) pp. 75 96 企劃論文 退溪學派의 經濟的 基 : 財産 形成과 所有 規模를 중심으로 1) Ⅰ. 머리말 Ⅱ. 財産 形成 문 숙 자* Ⅲ. 財産 所有 規模 Ⅳ. 맺음말 Ⅰ. 머리말 退溪學派 는 지역, 당색, 학문상의 이론적 배경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 용어이 며, 시기에 따라서 지칭하는 의미에 차이가

More information

1-1Çؼ³

1-1Çؼ³ 14~15 1 2 3 4 5 6 8~9 1 2 3 4 5 1 2 3 4 5 1 3 5 6 16~17 1 2 3 11 1 2 3 1 2 3 1 2 18 1 2 3 4 5 12~13 1 2 3 4 5 6 1 2 3 4 5 6 19 1 2 3 4 5 6 1 2 3 4 5 19 1 19 1 2 3 4 20~21 1 2 3 4 5 1 2 3 4 5 6 1 2 3 4

More information

내지4월최종

내지4월최종 내 가 만 난 7 0 년 대 죽은 언론의 사회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2008년 촛불집회가 한창일 때 정동익은 오래 전 자신이몸담았던 동아일 보사 앞에 서 있었다. 촛불을든시민들은 동아일보는 쓰레기다! 라며 야유 를 보냈다. 한때 국민들이 가장 사랑했던 신문 동아일보는 젊은 시절 그와동 료 기자들이 목숨을 걸고 외쳤던 자유 언론 이 아니었다. 그는 차마더바라

More information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주지스님의 이 달의 법문 성철 큰스님 기념관 불사를 회향하면서 20여 년 전 성철 큰스님 사리탑을 건립하려고 중국 석굴답사 연구팀을 따라 중국 불교성지를 탐방하였습 니다. 대동의 운강석굴, 용문석굴, 공의석굴, 맥적산석 굴, 대족석굴, 티벳 라싸의 포탈라궁과 주변의 큰 불교학과반(1년 과정) 기초교리반(6개월 과정)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매주 목요일 오후 2시 / 저녁 7시 5월 5일 5월 12일 5월 19일 5월 26일 어린이날 휴강 인도불교사 2 / 이거룡 교수님 인도불교사 3 / 이거룡 교수님 중국불교사 1 / 이덕진 교수님 5월 7일 5월 14일 5월 21일 5월 28일 백련암 예불의식 및 기도법 / 총무스님 성철

More information

15강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106월 평가원] 1)심청이 수궁에 머물 적에 옥황상제의 명이니 거행이 오죽 하랴. 2) 사해 용왕이 다 각기 시녀를 보내어 아침저녁으로 문 안하고, 번갈아 당번을 서서 문안하고 호위하며, 금수능라 비

15강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106월 평가원] 1)심청이 수궁에 머물 적에 옥황상제의 명이니 거행이 오죽 하랴. 2) 사해 용왕이 다 각기 시녀를 보내어 아침저녁으로 문 안하고, 번갈아 당번을 서서 문안하고 호위하며, 금수능라 비 14강 역사영웅소설 15강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계 소설 : , 등 일반적으로 판소리 사설의 영향을 받아 소설로 정착된 작품을 가리킨 판소리 : , , , , 등이 사설과 창이 전해지고 있 하층민의 예술로 시작하여 전계층을 아우르는 예술이 되었 상류층, 지배층이 향유층이 되면서 점차 작품의 주제가

More information

2 국어 영역(A 형). 다음 대화에서 석기 에게 해 줄 말로 적절한 것은? 세워 역도 꿈나무들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일을 할 예정 입니다. 주석 : 석기야, 너 오늘따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무슨 좋은 일 있니? 석기 : 응, 드디어 내일 어머니께서 스마트폰 사라고 돈

2 국어 영역(A 형). 다음 대화에서 석기 에게 해 줄 말로 적절한 것은? 세워 역도 꿈나무들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일을 할 예정 입니다. 주석 : 석기야, 너 오늘따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무슨 좋은 일 있니? 석기 : 응, 드디어 내일 어머니께서 스마트폰 사라고 돈 20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제 교시 국어 영역 형 (A ) [ ~ 2] 다음은 교내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진행된 학생의 발 표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안녕하십니까? 입니다. 오랜 시간 학교에서 교복을 입 고 생활하자니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그래서 교 복이 좀 더 편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현재 착용하고 있는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青野論文_李_.doc

Microsoft Word - 青野論文_李_.doc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농촌진흥운동기의 경신숭조( 敬 神 崇 祖 ) -조선총독부의 신사정책과 관련하여- 아오노 마사아키( 青 野 正 明 ) 모모야마가쿠인대학( 桃 山 学 院 大 学 ) 번역:이화진 들어가는 말 본고에서는 주로 1930 년대 전반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실시된 농촌진흥운동 1 에 있어서, 신사정책( 神 社 政 策 )과 관계가 있다고 예상되는 농본주의(

More information

<B3EBB5BFB0FCB0E8B9FD20B1B9C8B820B0E8B7F920C0C7BEC828C3D6C1BE29A4BB2E687770>

<B3EBB5BFB0FCB0E8B9FD20B1B9C8B820B0E8B7F920C0C7BEC828C3D6C1BE29A4BB2E687770> 국회 계류 노동관계법(안) (2012.05.30 ~ 2013.10.14) - 1 - 가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1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2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법 5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7 고용보험법 10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18 고용상 학력차별금지 및 기회 균등 보장에

More information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313232332E687770>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313232332E687770> 2013 소외계층 독서 인문학 프로그램 결과보고서 - 2 - 2013 소외계층 독서 인문학 프로그램 결과보고서 c o n t e n t s 5 22 44 58 84 108 126 146 168 186 206 220 231 268 296 316 꽃바위 작은 도서관 꿈이 자라는 책 마을 기적의 도서관 남부 도서관 농소 1동 도서관 농소 3동 도서관 동부 도서관

More information

부벽루 이색 핵심정리+핵심문제.hwp

부벽루 이색 핵심정리+핵심문제.hwp 부벽루 - 이색 알맹이 정리 시 대 : 고려말 갈 래 : 5언 율시 성 격 : 회고적 표 현 : 어 조 : 지난날의 찬연한 역사를 회고하며 그와 대비되는 현재의 모습에서 무상감에 젖어 있 운 율 : 압운(루, 추, 유, 류) 특 징 : 장엄한 표현.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 이미 지로 표현(4연) 주 제 : 지난 역사의 회고와 고려 국운 회복의 소 망 작가소개

More information

입장

입장 [입장] 20대 총선 여성 비정규직 청년정책 평가 여성 정책 평가: 다시 봐도 변함없다 (p.2-p.4) 비정규직 정책 평가: 사이비에 속지 말자 (p.5-p.7) 청년 일자리 정책 평가: 취업준비생과 노동자의 분열로 미래를 논할 순 없다 (p.8-p.11) 2016년 4월 8일 [여성 정책 평가] 다시 봐도 변함없다 이번 20대 총선 만큼 정책 없고, 담론

More information

PSAT¿¹Á¦Áý ȨÆäÀÌÁö °Ô½Ã (¼öÁ¤_200210) .hwp

PSAT¿¹Á¦Áý ȨÆäÀÌÁö °Ô½Ã (¼öÁ¤_200210) .hwp 변화 < : 19851999> 연도 고령취업자수 고령취업자 비율 계 남 여 농 가 비농가 1985 1,688 11.3 10.8 12.0 24.3 6.8 1990 2,455 13.6 13.1 14.3 35.9 8.3 1995 3,069 15.0 14.4 16.0 46.5 10.1 1996 3,229 15.5 15.0 16.2 48.2 10.7

More information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발 간 사 먼저 경기향토사학 제16집이 발간되기까지 집필에 수고하신 경기 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표합니다. 또한 경기도의 각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해 주신 김문수 경기도지사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경기도는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

More information

<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본 작품들의 열람기록은 로그파일로 남게 됩니다. 단순 열람 목적 외에 작가와 마포구의 허락 없이 이용하거나 무단 전재, 복제, 배포 시 저작권법의 규정에 의하여 처벌받게 됩니다. 마포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공모전 구 분 내 용 제목 수상내역 작가 공모분야 장르 소재 기획의도 용강동 정구중 한옥과 주변 한옥들에 대한 나의 추억 마포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공모전 최우수상

More information

2힉년미술

2힉년미술 제 회 Final Test 문항 수 배점 시간 개 00 점 분 다음 밑줄 친 부분의 금속 공예 가공 기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금, 은, 동,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ᄀ불에 녹여 틀에 붓거나 금속판을 ᄂ구부리거나 망치로 ᄃ두들겨서 여러 가지 형태의 쓸모 있는 물건을 만들 수 있다. ᄀ ᄂ ᄃ ᄀ ᄂ ᄃ 조금 단금 주금 주금 판금 단금 단금 판금 주금 판금 단금

More information

320110.PDF

320110.PDF *.. 1. 2. < > 3. 4...,.,.?. * - 150 - (, ),,,.,,.,,. 2-4.. 50. ( ),,.. - 151 - ., : : :,,,......, - 152 - .. 1.,,,,.... ( ) ( ) ( ) ( ),,,,.,,, - 153 - ,,. (BC 1 ),,. (BC 37 ),,,,,, (BC 18 ),,,,.. (, ),.,,,,.,,.,,.

More information

2월 강습회원의 수영장 이용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로 한다.다만,월 자유수영회 원,자유수영 후 강습회원은 접수일 다음달 전일에 유효기간이 종료된다.<개정 2006.11. 20,2009.6.15> 제10조(회원증 재발급)1회원증을 교부받은 자가 분실,망실,훼손 및

2월 강습회원의 수영장 이용기간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로 한다.다만,월 자유수영회 원,자유수영 후 강습회원은 접수일 다음달 전일에 유효기간이 종료된다.<개정 2006.11. 20,2009.6.15> 제10조(회원증 재발급)1회원증을 교부받은 자가 분실,망실,훼손 및 실 내 수 영 장 운 영 내 규 1999.6.1. 내규 제50호 개정 2001. 3.19 내규 제 82호 개정 2005.12.29 내규 제135호 2002. 3.25 내규 제 92호 2006.11.20 내규 제155호 2002. 8.28 내규 제 94호 2009. 6.15 내규 제194호 2005. 5.20 내규 제129호 2011.11.10 내규 제236호

More information

Ⅰ- 1 Ⅰ- 2 Ⅰ- 3 Ⅰ- 4 Ⅰ- 5 Ⅰ- 6 Ⅰ- 7 Ⅰ- 8 Ⅰ- 9 Ⅰ- 10 Ⅰ- 11 Ⅰ- 12 Ⅰ- 13 Ⅰ- 14 Ⅰ- 15 Ⅰ- 16 Ⅰ- 17 Ⅰ- 18 Ⅰ- 19 Ⅰ- 20 Ⅰ- 21 Ⅰ- 22 Ⅰ- 23 Ⅰ- 24 Ⅰ- 25 Ⅰ- 26 Ⅰ- 27 Ⅰ- 28 Ⅰ- 29 Ⅰ- 30 Ⅰ- 31 Ⅰ- 32 Ⅰ- 33 Ⅰ- 34 Ⅰ- 35

More information

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인 사 청 문 요 청 사 유 서 국무위원후보자(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유일호) 인사청문요청안 의안 번호 제출연월일 : 2015. 12. 제 출 자 : 대 통 령 요청이유 국가공무원법 제31조의2에 따라 다음 사람을 국무위원(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으로 임명하고자 국회의 인사청문을 요청하는 것임. 인사청문 요청대상자 성 명 : 유 일 호 ( 柳 一 鎬 ) 생년월일 : 1955년 3월 30일

More information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4. 신문 방송의 보도내용 등 제6 조( 조사지역) 제5 조에 따른 발생조사는 다음 각 호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다. 1. 특정지역 : 명승지 유적지 관광지 공원 유원지 및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로변 등 경관보호구역 2. 주요지역 : 병해충별 선단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4. 신문 방송의 보도내용 등 제6 조( 조사지역) 제5 조에 따른 발생조사는 다음 각 호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다. 1. 특정지역 : 명승지 유적지 관광지 공원 유원지 및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로변 등 경관보호구역 2. 주요지역 : 병해충별 선단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산림병해충 방제규정 [ 시행 2015.9.9] [ 산림청훈령 제1262 호, 2015.9.9, 일부개정] 산림청( 산림병해충과), 042-481-4038 제1장 총칙 제1 조( 목적) 이 규정은 산림보호법 제3 장 " 산림병해충의 예찰 방제 에서 위임된 사항과 산림병해충( 이하 " 병 해충 이라 한다) 의 예방 구제를 위하여 병해충의 발생조사와

More information

김기중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인터넷 내용심의의 위헌 여부.hwp

김기중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인터넷 내용심의의 위헌 여부.hwp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인터넷 내용심의와 그 위헌 여부에 관한 소론 - 서울고등법원 2011.2.1.자 2010아189 위헌법률심판제청결정을 중심으로 한국정보법학회 2011년 5월 사례연구회 2011. 5. 17.발표 변호사 김기중 미완성 원고임 1. 서론 헌법재판소는 2002. 6. 27. 99헌마480 전기통신사업법 제53조등 위헌확인사건에 서 불온통신 의 단속에

More information

넓은 들을 배경으로, 낙동강의 풍부한 수자원은 예로부터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꽃피운 상주의 원동력이다. 강은 단순 히 물은 담아 흐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역사 문화를 담고 있는 까닭이다. 또한 강은 크고 작은 여러 하천들이 모여 큰 물줄기를 이룬다. 낙동강 역시 상

넓은 들을 배경으로, 낙동강의 풍부한 수자원은 예로부터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꽃피운 상주의 원동력이다. 강은 단순 히 물은 담아 흐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역사 문화를 담고 있는 까닭이다. 또한 강은 크고 작은 여러 하천들이 모여 큰 물줄기를 이룬다. 낙동강 역시 상 김 진 형 상주박물관 학예연구사 낙동강으로 흐르는 으뜸천 병성천 의 역사와 문화 (rt4567@korea.kr) 강은 문화를 이룬다. 인류문화의 발상지는 모두 강을 끼 꽃피웠다. 고 형성되었다. 강물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 조선시대 이름난 책인 세종실록지리지, 연려실기술 요한 조건이자 새로운 문화를 전달하는 전파자의 역할을 한 등에는 낙동강의 어원을

More information

<32303133303232315FBBF5BBE7BFAC5FC0CCBDB4C1F8B4DC5FB3AAC8A6B7CEBEC6B5BFB4EBC0C0C3A55B315D2E687770>

<32303133303232315FBBF5BBE7BFAC5FC0CCBDB4C1F8B4DC5FB3AAC8A6B7CEBEC6B5BFB4EBC0C0C3A55B315D2E687770> 나 홀로 아동 대책은 없나? 2013.02.22 최정은_ 새사연 연구원 jechoi06@naver.com 전국 가구가 43.5% 에 달하고, 그 가운데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구 가 138 만 명이나 된다. 부모들 상당은 돌봄의 공백을 메우려고 자녀들을 사교육 학원에 내맡기고 있다. 하루 몇 시간씩 보호자 없이 지내는 나 홀로 아동 도 전국 100 만 명 규모에

More information

기사스크랩 (160504).hwp

기사스크랩 (160504).hwp 경향신문 / 2016.05.03(화) "갈등없는 성과연봉제 도입" 홍보하던 동서발전, 부당노동행위 정황 성과연봉제 노사합의안 찬반투표 당시 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 기표소 모습 공기업 발전회사 중 처음으로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에 대한 노사합의가 이뤄진 한국동서발전이 직원 들의 찬성 투표를 유도하기 위해 부당노동행위를 벌인 복수의 정황이 나왔다. 직원들에게 동의서를

More information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법을 알고 기사 쓰기 62 논쟁적 주제 다룰 땐 단정적으로 보도하지 말아야 과학적 사실에 대한 보도 시 주의할 점 양재규 언론중재위원회 정책연구팀장 변호사 기자도 전문가 시대다. 의학전문기자, 경제전문기자 라는 말은 이미 익숙하고 이 외에도 책전문기자, 등 산전문기자, IT전문기자, 스포츠전문기자, 자동차 전문기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기자들이 있다. 과학

More information

소공동체 기도 하느님 아버지, 저희를 불러 모아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저희가 모였사오니 여기 모인 이들과 이 가정에 축복하여 주십시오. 주님, 저희는 오늘 소공동체 모임에 모여 열심히 기도하고 부지런히 공부 하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 합니다. 주님께 청

소공동체 기도 하느님 아버지, 저희를 불러 모아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저희가 모였사오니 여기 모인 이들과 이 가정에 축복하여 주십시오. 주님, 저희는 오늘 소공동체 모임에 모여 열심히 기도하고 부지런히 공부 하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 합니다. 주님께 청 교우들의 모임 길잡이 12 2014 통권164호 소공동체 기도 하느님 아버지, 저희를 불러 모아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저희가 모였사오니 여기 모인 이들과 이 가정에 축복하여 주십시오. 주님, 저희는 오늘 소공동체 모임에 모여 열심히 기도하고 부지런히 공부 하며 이웃 사랑을 실천하려 합니다. 주님께 청하오니 저희와 함께 하시어 엠마오 제자들에게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