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26 卷 第 4 號 2009 年 12 月 韓國食品流通學會
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산 학 관협력체계와지원기관의역할연구 * 목 차 ABSTRACT Ⅰ. 서론 Ⅱ. 외레순지역과식품클러스터개관 Ⅲ. 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산 학 관협력체계 Ⅳ. 식품클러스터지원기관의역할 : 외레순푸드네트워크 (ØFN) 의역할 Ⅴ. 결론및시사점참고문헌 ABSTRACT T 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universities, industry and national and regional authorities in the Öresund food cluster that is one of the advanced food clusters in Europe. Since the Öresund region is comprised of three local * 이논문은 2008 년도정부재원 ( 교육인적자원부학술연구조성사업비 ) 으로한국학술진흥재단의지원을받아연구되었음 (KRF 2008 321 B00250). ** 단국대학교환경자원경제학과교수, 교신저자 *** 경북대학교지리학과교수, 공동저자 **** 경상대학교지리교육과교수, 공동저자 78
authorities of two countries of Denmark and Sweden, it is the unique model of food clusters in the world. From exploring the socio economic situation and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region, this paper identifies the role of cluster facilitating organisation, named Öresund Food Network, in the development of food industry in Öresund. Even though there are only 9 staffs working in the organisation, it truly initiates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industry and authorit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economic growth of the food sector in the region. It implies that the policy for establishing food clusters in Korea should give more attention to the way setting up the collaborative system than to investment of large money in infrastructure. Key Words Öresund Food Cluster, Cluster facilitators, Öresund Food Network, Collaboration Ⅰ. 서론 19 90 년대에들어서서 GATT 무역자유화협상이급진전을이루면서식품분야에서는국 제적인식품유통시스템에대한논의가활발히전개되기시작하였다. 이는당시 UR 에서논의되고있었던농산물의세계적무역자유화협상과결부되면서각국별로농업생산과식품산업또는지역경제와의연계발전을강화하는것이필요하다는인식을고양시키는계기가되었다. 실제이러한국제적인추세는유럽학계의논의를일부반영하는것으로보이는데, 과거농업경제학과농촌사회학으로분리되어서경제문제와사회문제를다루던방식에서벗어나 1990년대중반부터는국가적인식품유통시스템에서벗어나세계적인규모로진행되는식품유통체인에관한논의가본격적으로나타나기시작하였다 (Whatmore, 199 4;Goodman & Watt, 1997). 이러한논의는식품안전성및농촌개발정책과결부되면서식품의지역적성격에대한연구로발전하였다 (Marsden 외, 1999). 이러한유럽지역의식품연구에대한논의는크게두가지경향으로분류할수있다. 우선, 1990년대이후 O157이나 BSE와같이심각한식품관련질병들이나타남에따라식품안전문제를생산에서부터소비까지일관된시스템을형성해서해결하려는연구경향이다. 79
이러한연구과정에서푸드시스템 (Food System) 이라는용어가제시되면서 1차농수산물의생산에서부터소비에이르는가공 유통 소비의전과정을하나의시스템으로파악할필요성이대두되었다이러한개념을토대로식품산업에대한체계적인연구가시작되었으며국제적푸드시스템과지역적푸드시스템에대한연구로확대되기도하였다.( 참고 :Tansey & Worsley, 1995;Bourlakis & Weightman, 2004;Gaull & Goldberg, 1993). 또다른연구경향으로는지역개발의한방안으로내생적지역발전을위한하나의계기로지역의전통적인식품산업의발전을도모하는연구이다. 주로유럽지역을중심으로시행된이연구들은주로농수산물가공업을중심으로지역식품산업의발전과정과체계및지속가능성을밝히고있다. ( 참고 :Marsden, 1997;Tregear, 2001;Pretty, 1998) 이러한연구결과를반영하여, EU에서는 1999년부터 Agenda 2000에따른농촌개발정책이시행되면서지역적으로식품업체간의네트워크를형성하기위한다양한지원정책이실시되기시작하였다. 특히, 영국과같은경우는 Food From Britain 을통한국가적차원의식품산업및홍보전략과각지역에지역푸드그룹 (Regional Food Group) 을설치하여식품의지역적차별화를강화하는등두가지를동시에병행하는정책을실시하였다 (DEFRA, 2002). 즉, 유럽에서의연구성과와 EU 정책을계기로유럽국가들은식품산업의발전방안을고민하였고, 점차적으로자국농수산업의특성및식품산업의수준에적합한정책을실시하기시작하였다. 특히식품산업과지역경제발전을동시에고려하는정책으로식품클러스터지원정책을실시하였고, 그대표적인사례가소위 FINE(Food Innovation Network Europe) 프로그램에참여하고있는지역이라고할수있다. EU의식품클러스터현황및과제에관한공동연구를목적으로한이프로그램은유럽의선진식품클러스터의현황을잘나타내주고있다 (FINE, 2007). 이러한유럽의선진사례들은공통적으로식품산업의발전과기술혁신을도모하기위한산 학 관협력체계를유지하고있으며여기에는중립적인성격을갖고있는클러스터지원기관이중요한역할을하고있다. 즉, 이들클러스터지원기관이산업계의현황과애로사항을파악하고이를해결하기위한기술적협력을중재하거나제도개선을주도하는등의역할을수행하고있는것이다. 이러한산 학 관협력체계와클러스터지원기관의역할을이해하는것은식품클러스터형성정책의초기단계인우리나라에매우유용한시사점을제공할수있다. 즉, 식품클러스터정책이산업단지의건설과업체의유치에만초점을두어서는안되고산업계와학계의연구협력네트워크를형성하는정책도동시에시행해야한다는것이며여기에지원기관이매우중요한역할을수행할수있다는것이다. 유럽의선진사례가그체계와방법에관한하나의모델이될수있을것이다. 80
따라서본연구에서는이러한유럽지역식품클러스터의대표적모델중하나인덴마크와스웨덴의외레순식품클러스터 (Öresund Food Cluster) 를사례로하여지역식품산업의산 학 관협력체계를살펴봄으로써우리나라식품클러스터정책에대한시사점을얻고자한다. 이를위해서본연구는외레순의지역현황및식품산업에관련된각종문헌을조사하고이를토대로 2008년에덴마크와스웨덴의식품클러스터관련기관을방문하여담당자면담조사를실시하였으며이메일문답을통해일부부족한부분을보완하였다. Ⅱ. 외레순지역과식품클러스터개관 1. 외레순지역개관가. 지리적현황외레순 (Öresund) 은스웨덴과덴마크사이에있는해협의이름이다. 발트해와카테가트해협을잇는외레순해협은세계적으로물동량이많은해협중의하나이며전통적으로이해협의양쪽을장악하기위한싸움이덴마크와스웨덴사이에서벌어졌던곳이다. 이해협주변의덴마크와스웨덴지역을외레순 (Öresund) 지역이라고부르지만특별한행정구역으로서의의미는없으며경제사회적으로통합된두국가의지역경제권이라고할수있다. 이지역은행정구역으로스웨덴의스케네 (Region Skåne) 지역과덴마크의코펜하겐과셸란 (Region Sealand) 지역을포함하고있다. 스케네지역은총 33개기초지자체, 코펜하겐과셸란지역은총 46개의기초지자체로구성되어있다. 이지역의총면적은 21,203km2인데, 이중스웨덴의면적이 11,369km2, 덴마크의면적이 9,834km2로스웨덴이더많은면적을차지하고있다. 그러나거주인구를살펴보면약 370만명의인구중약 250만명이덴마크지역에, 120만명정도가스웨덴지역에살고있다. 따라서이지역의인구밀도도전체적으로는 171명 / km2이지만덴마크는 249명 / km2, 스웨덴은 104명 / km2으로양국간의차이가크게나타나고있다. 따라서지리적으로도외레순지역은농촌이고인구희박지역인덴마크의롤란드 (Lolland) 지방과스웨덴스케네의동부지방을비롯하여대도시이고인구밀집지역인코펜하겐과말뫼 (Malmö) 시에이르기까지다양한지역을포함하고있다 (Øresund Committee, 2009). 81
이지역의경제적통합은 1991년부터추진된 16km길이의외레순대교 (Öresund Bridge) 의건설을계기로강화되는데, 여기에는덴마크와스웨덴의상호협력적이해관계가내재되어있다. 1) 즉, 덴마크의수도인코펜하겐은인구의증가와비싼물가로인해좀더저렴한주택의공급이필요한상황이었고, 스웨덴은좀더많은일자리의공급이필요했다. 이러한이유때문에두지역을연결하는외레순대교의건설이추진되었으며 2000년완공되면서이지역은하나의통합적인경제권역으로더욱발전할수있었다. 이들두국가가서로협력할수있는또다른중요한기반중에하나는양국국민의 80% 이상이영어를구사할수있다는것이다. 이러한의사소통이가능한상황이기때문에서로다른역사와문화를가진국가가연합할수있었던것이다 (Øresundsbro Konsortiet, 2009). 나. 사회경제적현황외레순지역의사회경제적현황을살펴보면, 1인당 GDP는 2003년약 28,000에서매년약 1% 정도씩성장하고있다. 1인당가처분소득도 2002년 18,415에서 2003년 19,036로증가했지만, 실업률은 2002년 4.8% 에서 2003년 5.9% 로증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FINE, 2007). < 표 1> 외레순지역의 1인당평균소득추이 ( 경상가격, ) 지 역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덴마크전체 14,286 14,828 15,338 15,670 16,044 16,683 스웨덴전체 10,288 11,380 10,979 12,083 11,563 12,965 외레순지역 13,358 14,093 14,323 14,941 14,969 15,798 외레순덴마크지역 14,932 15,529 16,069 16,473 16,795 17,383 외레순스웨덴지역 10,004 11,033 10,607 11,696 11,119 12,471 자료 :Øresund Committee, 2009. 외레순지역의 1인당평균소득추이를보면, 덴마크전체평균보다는낮고스웨덴전체평균보다는높은수준에서유지되고있음을알수있다. 한편, 외레순지역내에서의비교를보면외레순지역평균은덴마크지역보다는낮고스웨덴보다는역시높은수준에서 1) 외레순지역을중심으로한덴마크와스웨덴의정치적논의과정은담당자와의면담과기타몇가지자료에짧게기술된내용을토대로정리하였음. 82
유지되고있음을알수있다. 그러나각국가별평균소득과해당국가의외레순지역평균소득을살펴보면오히려반대로나타나고있다. 즉, 덴마크전체의 1인당평균소득은외레순의덴마크지역 1인당평균소득보다낮은추세를보이고있지만, 반대로외레순의스웨덴지역 1인당평균소득은스웨덴전체평균보다약간낮은추세로나타나고있다. 외레순지역의고용현황을살펴보면, 2006년지역내거주자중취업자는총 181만명이고이중덴마크지역이 128만명으로 71% 를차지하고있으며, 스웨덴지역이 53만명으로 29% 를차지하고있다. 이수치는외레순지역외부에거주하면서외레순으로통근하는약 1만명정도의취업자를제외한것으로 2006년현재이지역취업률이 73.1% 이고, 실업률이단지 2.8% 에불과하다는것을나타낸다. 특히, 이지역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경제성장이둔화되고있었던시기에도 3.4% 의고용증가율을기록했을정도로고용사정이매우좋은상황이다. 그러나덴마크와스웨덴지역간의약간의격차가존재하는데, 2006년도외레순의덴마크지역취업률이 75.3% 인데비해스웨덴지역은 68.3% 에그치고있다. 이러한양지역간의차이에도불구하고이지역의실업률은과거 5년동안 21.2% 나감소하는등지속적으로감소하고있는추세에있다. 덴마크지역의실업률은 2002년도 3.5% 에서 2007년 2.6% 로감소하여약 24.2% 가감소하는결과가나타났다. 이와같은통계수치는외레순지역이사회경제적으로매우활발한활동이전개되고있다는것을반증하고있다고할수있다. < 표 2> 외레순지역의고용현황및추이 취업률 실업률 구분연도 취업자수 ( 명 ) ( 취업률 %) 취업률변화 (%) 실업자수 ( 명 ) ( 실업률 %) 실업률변화 (%) 2006 외레순전체 1,805,932 (73.1) 외레순스웨덴지역 529,679 (68.3) 외레순덴마크지역 1,276,253 (75.3) 2000~2006 +3.4 +8.2 +1.5 2002 2007 80,428 (3.6) 63,338 (2.8) 26,125 (3.8) 22,165 (3.0) 54,303 (3.5) 41,174 (2.6) 2002~2007 21.2 15.2 24.2 자료 :Øresund Committee, 2009. 83
2. 식품클러스터개관가. 현황및형성과정외레순지역에는현재약 400여개의식품업체가운영중이며약 250,000명이종사하고있다. 여기에식품관련산업분야를모두포함할경우지역총노동인구의 25~35% 가식품분야에종사하고있다고할수있으며이중 1차산업종사자비중은약 4% 에불과한실정이다. 식품및관련산업분야에약 3천여명의학생이공부하고있으며, 약 4천여명의연구자가활동하고있다. 전체식품생산량의약 70% 는수출하고있으며이지역에는식품의모든분야산업체가운영중에있다. 스웨덴과덴마크주요식품분야의연간생산액은약 750억이다 (Olofsdotter, 2008). 유럽의주요식품클러스터를비교한연구 (FINE, 2007) 에따르면외레순지역은유럽의식품클러스터중에서도종사자 1인당부가가치액이가장높은수준으로 2003년에약 81,362를보이고있다. 이러한높은부가가치는한편으로외레순지역의식품산업이다른지역에비해자동화정도가높다는것을의미한다. 또한외레순지역은다른유럽지역과마찬가지로육류, 사료, 유제품에대한전문화비중이매우높은데이는지역농업과식품산업간의연계가매우밀접하다는것을나타내고있다. 이외에외레순지역의전문식품분야는제빵, 설탕, 음료등이지만덴마크와스웨덴양국간에전문식품분야와관련해서는약간의차이가나타나고있다. 실제외레순지역에이와같은식품클러스터가형성되기까지는스웨덴과덴마크에서서로다른발전과정을거쳐왔다. 양국간의가장큰차이점은덴마크가식품산업의다양한분야에서주로수출지향적인발전을추구한것에비해스웨덴은전통적으로국내소비를중심으로한식품산업이발전하고있었다는것이다. 이러한역사적배경은현재전문식품분야에도영향을미쳐서덴마크의경우는육류, 사료, 채소, 낙농등다양한식품산업부문을갖고있으며설탕과음료분야에서도스웨덴보다전문성이높다고할수있다. 즉, 코펜하겐을중심으로덴마크는이미 18세기부터낙농과곡물분야에서지역농산물을중심으로한식품가공업이발전하였으며이것이협동조합형태로성장하였다. 이러한발전과정에서많은식품회사들이나타나게된것이다. 가장대표적인사례가 Danisco 이다. 1900년경설탕제조업으로출발한이회사는현재세계적인식품첨가제생산업체로발전하였다. 따라서덴마크의경우는외레순지역에서식품산업의집적에의한클러스터의형성이이미오래전부터이루어지고있었다고할수있다 (Olofsdotter, 2008). 84
반면, 역사적으로국내수요를중심으로생산하던스웨덴이덴마크와의협력을통해서외레순식품클러스터를형성한이유중에는 1995년에 EU 회원국으로가입한것이가장중요한계기였다. 스웨덴시장은사실상지리적으로외부에서진입하기어려운시장이었기때문에 EU 가입이전에는매우작은시장규모에, 전통적인식품생산자, 높은가격, 품질이좋지않은상품등이대부분이었다. 따라서스웨덴의 EU 가입에따라나타나게될세계시장에서의가격경쟁에서는스웨덴이이길수없다는위기감이확산되기시작하였고이를극복할수있는방안이필요했던것이다 (Jönsson, 2009). 즉, 대량생산과이를기반으로한가격경쟁력제고를통해서는국제경쟁력을갖출수없었던당시의스웨덴여건하에서는고품질식품을원하는소비자의요구를반영하여부가가치를제고하고식품업체의이익을동시에증대시킬수있는방안이필요했다. 이러한위기상황을타개할수있는방안으로당시스웨덴스케네지역의대학들이생각한것이스웨덴의우수한인력을이용하여보다높은식품기술이적용된고품질제품을생산하는방향으로식품산업을전환하는것이었다. 이를위해서추진된것이산 학 관협력체계를중심으로하는클러스터형성이었던것이다. 이러한스케네지역의식품클러스터정책은주로지방정부와대학간의협력프로젝트로진행되었으며당시스웨덴중앙정부는지역산업의특징적인현상에대해서는별도의정책을시행하지않았다.(Jönsson, 2009; 김호외, 2007). 나. 식품과학기술연구체계오늘날유럽에서가장빠르게발전하고있는식품클러스터중하나로지목되고있는이지역은공식적으로덴마크와스웨덴정부로부터최우선개발지역의하나로지정되었으며양국정부는이지역의연구, 교육, 인프라에대한지원을실시하고있다. 덴마크와스웨덴은 1인당과학연구산출량에있어서의생산성이가장높은사회로꼽히는데, 스웨덴은 3 위, 덴마크는 6위를차지하고있다. 지역적시각에서보았을때도외레순지역은 1인당출판물수로측정한순위에서런던, 파리, 모스크바의뒤를이어 4위를차지할정도로과학적연구가활발한지역으로스칸디나비아에서과학적생산의최고집결지라고할수있다 (Lagnevik et al., 2003). 외레순지역의가장대표적인산업은식품과의료분야이다. 따라서자연스럽게세계적수준의식품 바이오기술연구가수행되고있다. 실제이들분야의연구가이곳에서선도적으로수행되는배경에는많은고급연구인력들뿐만아니라다양한식품을요구하는수 85
준높은소비자들의역할이크다고할수있다. 이러한소비자들의존재는클러스터의운영에매우중요한역할을하는데이는산업체에계속적인혁신을하도록압력을가하고작용을하고있기때문이다. 이러한외레순지역의식품연구체계는기초부터응용까지크게 4단계로구분할수있다 (Olofsdotter, 2008). 첫번째는식품과학기술에대한기초분야연구단계로서외레순대학이그역할을담당하고있다. 현재외레순에서식품과학기술에주도적으로참여하고있는대학중룬트대학교는대부분의식품과학기술분야를담당하고, 스웨덴농업대학교는화훼분야에특화되어있다. 또한덴마크기술대학교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는식품가공, 영양학및식품바이오에전문성을갖고있으며코펜하겐대학교 (Copenhagen University) 는영양학과바이오관련연구에집중하고있다. 그리고크리스찬스테드대학교 (Kristianstad University Culinary Arts & Food Science) 는맛에대한연구에집중하고있다. 즉, 대학에서는각종교육및학위과정을개설하여각대학별로기초연구및전문인력양성에노력하고있다고할수있다. 이러한대학별전문연구영역의형성은외레순지역에서학제간연구협력의기반을강화하는역할을하고있다. 두번째는산학협력연구를수행하는단계로과학기술연구소 (Science Center) 가그역할을담당하고있다. 주로대학의부설연구소로운영되고있는이들과학기술연구소는대학의기초교육과정및학위과정을이수한연구인력을기반으로산학협력연구를주도적으로수행하고있다. 대표적인연구소로는룬트대학교의기능성식품과학센터 (Functional Foods Science Centre), 당뇨병예방식품센터 (AntiDiabetic Food Centre) 와덴마크의연구소들의서로협력하여설립한선진식품연구소 (Centre for Advanced Food Stud y:lmc) 가있다. 세번째는식품업체들의기술적애로점을해결하거나원천기술개발을위한연구단계로각종연구소들이활동하고있다. 대표적인기관은덴마크기술대학교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덴마크기술연구소 (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 이다. 이들연구소들도일정부분은여전히대학에근거를두고있고, 기초적인교육도수행하지만좀더실용적인기술의개발과현장애로기술의해결에초점을두고있다. 네번째는실제개발된기술을적용하여새로운기업을육성하거나기업이제품을개발하도록하는단계로그역할은과학연구단지에서수행되며이곳에서연구및창업보육기능이이루어진다. 외레순지역에는총 5개의과학연구단지가있는데가장큰곳은스웨덴지역에있는이데온과학단지 (Ideon Science Park) 이며덴마크에도심바이온 (Symbion), 덴마 86
크과학기술대학단지 (DTU Science) 등이있다. < 표 3> 외레순의식품분야산학연계프로그램사례 덴마크식품기술 R&D (The Danish R&D Programme for Food Technology) 상품개발시책 (Product Development Scheme) 유기농업연구센터 (The Research Centre for Organic Farming) Symbion 사이언스파크 (Science Park Symbion) Aarhus 사이언스파크 (Science Park Aarhus) 농산가공품연구협의회 (The Research Association for Processed Fruit & Vegetables) 룬트식품센터 (Food Centre Lund) 이데온농식품 (Ideon Agro Food) 식품연합회 (Livsmedelskollegiet) 이데온 (Ideon) 외레순푸드네트워크 (Öresund Food Network) 스웨덴영양재단 (The Swedish Nutrition Foundation) 식품플러스 (LivsmedelPlus) 스카니안푸드아카데미 (The Scanian Food Academy) 자료 :Lagnevik et al., 2003 에서재작성. 이와같은식품과학연구기술분야의기초부터응용까지많은연구기관들이서로간에협력하면서산학연구프로그램을형성하는데, 외레순에서시행된산학연구프로그램의사례는 < 표 3> 에서보는바와같다. 즉, 실제대학에서학문연구가중심이되는프로그램부터제품개발과마케팅을위한연구까지광범위하게시행되고있다. 이러한협력적연구로인해 2008년에처음으로제정되어 EU에서연구협력이잘진행되는지역에수여하는연구우수지역상 (RegioStars) 을수상한배경이되었다 (ØFN, 2009). 87
Ⅲ. 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산 학 관협력체계 1. 외레순의지역협력거버넌스체계유럽에서도연구기관이밀집되어있는지역으로유명한외레순지역에는 11개대학에약 165,000명의학생이있으며이들대학을통틀어외레순대학이라고한다. 이대학은외레순지역에위치해있는대학들의주도로 1997년에설립되었으며 2000년에외레순대교가완공되면서양지역대학간의교류는더욱긴밀해졌다. 이들은단순히명칭을공유해서사용하는것을넘어서서각종학사운영및연구개발에있어서통합적인운영을하고있다. 즉, 개별대학의운영진이외에외레순대학의운영을위한 CEO와이사회및실무진이있으며특히, 이들실무진들은외레순지역에서의협력적프로젝트를관리하고, 재정을관리하며각종정보교류의중심적인역할을수행하고있다. 이러한외레순대학이주도하여인근지역의행정기관, 민간업체, 클러스터지원기관및기타연구기관들과의협력을강화하기위해설립한것이 외레순지역과학기술협의회 (Øresund Science Region: 이하 ØSR) 이다. 2002년에설립된 ØSR은지역, 학문적배경및국가라는차이를넘어서서외레순지역의통합과성장을제고시키기위한기구로서현재 40여명의직원이근무하고있다. ØSR의각종사업과운영을위한의사결정은각분야의대표자로구성된 21명의이사회에서결정하며예산은외레순대학, 지방행정기관, 중앙정부및 EU, 그리고 1,000개이상의회원업체로부터지원받고있다 (ØSR, 2009). 협의체적기구로서의 ØSR은이지역의 11개대학, 많은수의민간회사와업체들그리고행정기관들의협력적활동을주도하고있다. 여기에서각분야별로필요한연구프로젝트를개발하고산학협력을유도하는클러스터지원기관 (Cluster Facilitator) 들이서로협력하여활동하고있는데, 이들기관의활동분야와명칭을보면, 식품분야의 Øresund Food Network, 의료분야의 Medicon Valley Academy, 환경분야의 Øresund Environment Academy, 물류분야의 Øresund Logistic, 정보통신분야의 Øresund IT, 기업의창업과경영분야의 Øresund Entrepreneurship, 나노기술분야의 Nano Connect Scandinavia 등 7개기관이다. 이들중몇개기관은이전부터해당분야의산학간협력을유도하기위해서활동하고있었고, 이기관들이 ØSR의형성에참여하고또한이를중심으로각분야별협력을강화하고있는일종의산 학 관협력거버넌스체계를형성하고있다. 외레순대학및 ØSR을중심으로한클러스터지원기관, 행정기관및민간업체들간의거버넌스체계는 < 그림 1> 에서 88
보는바와같다. 자료 : 현지조사및문헌을바탕으로필자작성. < 그림 1> 외레순의산 학 관협력거버넌스 2. 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산 학 관협력체계앞서살펴본외레순지역의산 학 관협력거버넌스체계는분야별클러스터협력체계의상위층위를구성한다고할수있다. 즉, 외레순지역산업의산 학 관협력메커니즘은두개의층위로구성된중층적거버넌스체계를구성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상위층위에는지역의주요산업클러스터를포괄하는외레순지역과학기술협의회 (ØSR) 중심의산 학 관협력네트워크가운영되고있으며, 하위층위에는개별산업클러스터단위로클러스터지원기관중심의산 학 관협력네트워크가운영되는체계라고할수있다 (< 그림 2> 참조 ). 이가운데식품분야의산 학 관협력을주도하고식품클러스터를지원하는중추적인기관이외레순푸드네트워크 (Øresund Food Network: 이하 ØFN) 이다. < 그림 2> 에서보는것처럼, 이기구를중심으로대학, 연구소, 식품관련업체, 행정기관및기타공공기관그리 89
고각종산업기반시설과지원기관들이협력하는체계이다. 즉, ØFN은이들기관들이상호협력할수있는계기를만들어주고또실제자체예산으로관련기관들이협력적활동을시작할수있도록지원하고있다. 이런일련의초기단계활동이이루어진이후본격적인협력적연구가필요한경우 EU, 중앙정부, 지방정부및기타공적기관으로부터관련된활동에필요한예산을확보하는역할을수행한다. 결국, 외레순지역에서식품클러스터의연구및사업적인네트워크활동이보다활발히이루어지도록하는역할을수행하는기관이 ØFN이다. 자료 : 현지조사및문헌을바탕으로필자작성. < 그림 2> 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산 학 관협력체계 90
이와같은활동을통해서식품산업부문의산 학 관협력이나다른산업부문과의협력프로그램을형성하고여기에외레순지역의업체, 연구자, 정책담당자, 산업체종사자및창업예정자들이참여하도록독려한다. 이과정에서다양한컨퍼런스와워크숍을개최하기도하고실제관련자들간의네트워크를형성해서구체적인문제를다루도록촉구하기도한다. 이러한 ØFN의네트워크활동은결과적으로식품산업분야에서우수한연구인력을지속적으로양성할수있는체제를갖추는것이고새로운협력적인연구과제를도출함으로써신기술을개발할수있도록하는것이다. 이것은자연스럽게첨단기술을갖춘연구자의창업을장려하는결과를초래하고결과적으로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내적집적도를높이고외적인성장을가능토록하는기반이되는것이다. Ⅳ. 식품클러스터지원기관의역할 : 외레순푸드네트워크 (ØFN) 의역할 1. 형성과정외레순푸드네트워크 (ØFN) 는지역식품산업의발전과업체들의재정적, 경제적성장을목적으로 1999년도에설립된협의체로서초기결성과정에는식품업체들이주도적인역할을하였다. 외레순지역에서는 19세기부터협동조합을중심으로농업생산과식품가공업이자연스럽게연계되어발전해왔기때문에 ØFN의형성에지역식품업체들이중심적인활동을하는것은당연한결과였다. 즉, 외레순식품클러스터지원기관으로서의 ØFN은이미식품업체들이집적하여지역에클러스터가형성된이후에지역식품업체들의공동관심사와문제를해결하기위한기관으로설립된것이라고할수있다 (Olofsdotter, 2008). ØFN 설립이후 2005년까지는주로 EU의지역정책자금인 Interreg VI 2) 등을통해서재정을충당했으며, 이자금을통해서대학과업체간의협력을도모하는프로젝트도지원하였다. 여기에부가해서덴마크와스웨덴지방정부에서지원하는지식기반산업에대한지 2) EU 지역정책에서실시하는지역개발정책의한가지로주로서로다른지역및분야들간의협력적활동에재정을지원하는정책이다. 91
원금, 국가정책으로지원되는식품산업지원금등이기초적인재정기반이었다. 2005년이후부터회원들로부터받은회비와각종행사의참가비도재정수입의한몫을담당하고있다. 이러한재정수입의다변화에도불구하고현재까지 ØFN 활동의주요재원은여전히중앙또는지방정부그리고대학의지원금이다. 이외에외레순지역식품산업발전을위한각종협력적연구를추진하기위해외부에서수주한연구비가일정한비중을차지하고있다 (ØFN, 2009). 이러한 ØFN의재정수입변화과정은이기관의역할이일정하게변화되어왔다는것을의미한다. 즉, 2005년까지는주로업체들의이해와요구를대변하는기관으로서의역할을수행하였지만 2005년이후에는식품클러스터의지원자 (Facilitator) 로서클러스터참여자간의협력을중재하는중립적인기관으로서의역할로변화된것이다. 이러한 ØFN의변화는외레순대학의설립과외레순지역과학기술협의회 (ØSR) 의창설에따라외레순지역전체의클러스터운영및지원체계가정비되면서나타난것이라고할수있다. 2. 운영구조 ØFN은외레순지역의식품산업발전을위한지원기관으로학계, 정부기관및단체, 산업체간의접촉과정보교환을증가시키는것을주요내용으로활동하고있다. 이를위해 ØFN 이설정한기관운영의장기적인목표는외레순클러스터를식품분야지식과기술면에서세계최고의역동적인지역으로만드는것이며, 단기적으로는과학기술과산업체간의협력적활동을통해서이들의재정적인성장을도모하는데기여하는것이다 (Olofsdotter, 2008). 이러한장단기적인목표를성취하기위해 ØFN은식품과보건, 생산과지속성, 요리법과확산등세가지를전략분야로선정하고있다. 이는외레순지역에서이들분야의성장과혁신잠재력이가장높다고판단했기때문이며, 또한이들세분야의경계부근에서새로운부문간협력프로젝트를형성할수있다고생각했고실제이들세분야간에긴밀한연계관계가현재도발견되고있기때문이다 (ØFN, 2009). ØFN의운영체계를살펴보면, 식품관련대학, 기업, 정부및공공기관등으로구성된이사회를통해서운영되고있으며. 이들세분야의대표적인기관책임자 13명으로기관운영을위한이사회가구성되어있다. 이사의임기는 3년이며, 총이사의 ⅔는 ØFN의회원중에서임명하고나머지 ⅓은외레순지역과학기술협의회 (ØSR) 에서임명한다. 2008년현재이기관이사들의출신분야를보면, 대학및연구소관련이사가 6명, 정부및공공기 92
관이사가 4명, 민간업체관련이사 3명으로구성되어있다. 현재이사장은 Danisco 제당주식회사대표가맡고있고부이사장은덴마크식품산업청 (Danish Food Industry Agency) 의책임자가맡고있다 (ØFN, 2009). 이러한이사구성은 ØFN에서다양한전문분야를다룰수있는운영구조와능력을갖고있음을보여주는것이다. ØFN은외레순에서식품산업의협력적인활동을지원하는중추적인역할을하지만실제일상적인업무는단지 9명의직원이담당하고있다. 특별히덴마크나스웨덴등출신국가에대한제한은두지않고있으며, 현재스웨덴 3명, 덴마크 6명이이기관에서일하고있다. 이렇게직원수가적은데도지원기관으로서의역할을충실히수행할수있는이유는이들이직접연구를수행하는것이아니라산 학 관의요구를수렴하여협력적인연구를수행하도록하는기능을수행하기때문이다. 따라서이들의업무는주로업체, 대학및연구소담당자를만나서애로점과요구사항을청취하고이를해결하기위한각종협력프로젝트를형성하고이에대한재정지원을얻기위해 EU 및각국정부와지자체및기타공공기관을접촉하는역할을한다. ØFN의직원은세가지전략적분야별로각각한두명정도의프로젝트리더들이활동하고있으며여기에정보통신업무담당자와보조인력 ( 인턴 ) 2명이근무하고있다 (ØFN, 2009). 2008년현재총 78개기관이회원으로가입하고있는데, 이중연구소및교육기관이 22 개, 각종행정기관및공공기관이 12개, 민간업체 18개그리고분야별 ( 무역, 노동, 창업보육, 지원기관등 ) 단체나협회 26개기관이다 (ØFN, 2008). 이러한회원기관수는매년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이들회원들을중심으로 ØFN은네트워크중재기관으로서의기능을수행하는데, 현재 5개네트워크를운영하고있고, 8개연구프로젝트가진행중이다 (Olofsdotter, 2008). 3. 재정구조 ØFN의재정은크게기본예산과외부연구용역수주예산등두가지로나누어진다. 기본예산은다시덴마크와스웨덴의중앙및 3개지방정부로부터지원되는기초지원예산 (Basic Funding), 회원업체들이납부하는회비 (Members fees) 및각종컨퍼런스참가비수입으로나누어진다. 여기서회비나참가비는 ØFN이직접회원업체나각종컨퍼런스와워크숍참석자로부터받는금액이지만, 양국의중앙및지방정부로부터지원되는기초지원예산은외레순지역과학기술협의회 (Øresund Science Region) 를거쳐서지원된다 (ØFN, 93
2007). 즉, 중앙정부와지방정부의예산이외레순클러스터의총괄기구역할을하는외레순지역과학기술협의회 (ØSR) 에포괄적으로지급된이후에각분야별클러스터지원기관으로배분되는구조이다. 이러한기본예산은큰변화없이매년비슷한액수인데, < 표 4> 에서보는것처럼, 매년약 170만 ~210만크로나정도의금액이다. 이러한기본예산은 ØFN의일반운영비, 정보통신비, 연구프로젝트시드머니, 네트워킹운영비용, 직원인건비등에소요된다. 한편, ØFN의사업비에속하는외부연구용역수주액은주로 ØFN의연구프로젝트시드머니를기반으로형성된프로젝트에외부연구기관들이협력하면서얻은것이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수주한총연구비누적액은 2,000만에달한다 (ØFN, 2008). 다만, 대부분의연구용역이다년과제인점을감안하여매년 ØFN의연구비수입으로들어오는금액은약 400만 ~500만 SEK( 크로나 ) 정도이다. < 표 4> 외레순푸드네트워크의재정구조 기본예산 ( 단위 : 천 SEK) 2006 년 2007 년 2008 년 기초지원예산 1,500 1,200 1,100 회비 600 560 591 참가비 11 연구비연구용역수주액 4,000 4,994 4,529 총액 6,100 6,754 6,231 주 :1) SEK( 크로나 ) 170 원. 자료 :ØFN, 2007;2008;2009. 4. 산 학 관협력지원사례 ØFN의프로젝트리더들이각분야의전문가및관련기관종사자들을만나면서새로운협력적프로젝트를개발하는데, 그유형은크게네가지로구분할수있다 (ØFN, 2009). 첫번째유형은산학협력적인박사학위논문프로젝트로서실제박사학위연구자들과산업체종사자및연구자들과의협력을통해서기초기술뿐만아니라응용기술의발전을도모하고연구인력을양성하는데목적을두고있다. 두번째는식품산업의능력향상을위한식품산업기술교육과정개발프로젝트로서식품산업과다른분야간의협력적교육과정등을통 94
해서구체적으로현장에서애로를겪고있는문제에대한해결방안을모색하고새로운분야의연구주제와기술을개발하는데목적을두고있다. 세번째는시장접근을위한지식을심화시키는프로젝트로서관련시장과수요에대한충분한분석을바탕으로새로운기술과제품이효과적으로시장에접근할수있는방안을제시하는데목적이있다. 네번째는외레순지역이식품산업에서매우우수하다는것을홍보하는프로젝트이다. 높은수준의연구개발능력을바탕으로전세계에서관련기업이나연구소를유치하고네트워크를형성하기위한것이다. ØFN에서수행하고있는프로젝트중 2008년에시작된 건강분야협력증진 (Healthy Growth) 프로젝트의사례를살펴보자. 이프로젝트는현재까지 ØFN이수행한프로젝트중가장규모가큰프로젝트로코펜하겐시청과 EU 지역개발기금이지원하고있다 (ØFN. 2009). 구체적으로외레순지역을 2015년까지식품, 의료와제약, 바이오산업분야의선도지역으로만들기위해많은연구자를육성하려는이프로젝트는그첫모임에 50여명의전문가들이참여하여토론할정도로많은관심을받으면서시작되었으며 2011년까지지속될예정이다. 이프로젝트의가장중요한목적은대학과기타연구소, 민간업체, 의료기관간의협력을증대시켜서외레순지역에혁신, 정보및지식의공유, 경제성장을촉진하기위한것이다. 이를위해네가지활동을하고있다 (ØFN, 2009b). 첫째는산학협력적인박사학위연구를지원하는사업이다. 식품, 영양, 의료및각종식품과건강관련연구를지원하는것으로 2008년과 2009년신청을받아서현재 7개의박사학위연구에대한지원이이루어지고있다. 둘째는교육과정의개설및운영지원사업이다. 주로기업을대상을하는보조적인교육과정을지원하며교육내용은주로식품, 영양, 건강및경제적성장에관한것이다. 2009년현재까지세개의교육과정을선정하여재정지원을하고있다. 셋째는지식의산업화를지원하는것으로민간업체와대학및기타연구소간의협력을의무사항으로규정하여식품및보건관련지식의산업화를시도하는사업을지원한다. 이분야와관련해서도역시현재까지 3개의프로젝트가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는다양한네트워크활동에대한지원사업이다. 이와관련된사례 (ØFN. 2009) 를보면, ØFN은 DHI 그룹, DanORC, ActiFoods 등과공동으로알레르기와당뇨를방지하는각종생물학적처방에관한일련의세미나를개최하였다. 겨울학교 (Winter School) 라고명명된이세미나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2월까지매월개최되었으며약 40여명의연구자들이참여하여특정한중요주제에관한서로간의인식을고양하고새로운연구의필요성을발견하기위한것이다. 뿐만아니라코펜하겐시청및몇몇기초지자체들그리고 Nutricia A/S라는덴마크영양식제조회사 95
와협력으로노인들의영양부족문제를해결하기위한사업도실시하고있다. 이사업도의료재정의많은부분을차지하는노인들에게적절한영양과식사를제공하여노인들이건강을유지하고회복할수있도록하는정책이필요함을정책담당자에게인식시키기위한것이다. ØFN에서주도하는또다른프로젝트의사례로 식품산업융복합지원사업 (Virtual Food Factory) 이있다 (The Virtual Food Factory, 2009;ØFN, 2008). 이프로젝트는식품과 IT 기술을결합하면식품제조공정의최적화와자동화, 물류, 전자상거래, 품질인증및기타사업정보등과관련해서많은성장잠재력이있다는판단하에추진된것이다. 2006년에 EU Interreg IIIA정책의지원으로시작되었으며, 성격상 ØFN과 Øresund IT 등두클러스터지원기관이공동으로진행하고있는프로젝트이다. 이를통해서 2007년에세가지협력네트워크를결성하였다. 첫째는푸드체인매니지먼트네트워크이다. 여기에는수학, 정보통신기술, 이미징및식품기술관련과학자들이참여하고있으며, 향후적절한푸드체인시스템을형성하기위한방향을설정하고자정규적인모임을갖고있다. 둘째는신축적인생산시스템을조성하기위한네트워크이다. 이것은새로운기술을적용하는데어려움을겪고있는중소규모업체들의문제점을해결해주기위한것이다. 이네트워크에참여하고있는연구자들은기술적지원과상담을하면서새로운연구분야도발견하고있다. 이러한결과로 ØFN은 2007년에식품제조자동화장비를생산하고있는 SESAM food와협력적인프로젝트를형성하였다. 셋째는사업정보망형성으로 ØFN이 2007년에시작한것이다. 이네트워크는 IT 서비스공급업체들을위주로형성된것으로식품업체와 IT를접목하기위한활동을하고있다. 즉, ØFN은식품이연관되는다양한프로젝트를형성하는것을주도하며여기에다양한분야의대학, 연구소, 정부기관, 업체들이참여하여기존문제의해결과새로운협력적인연구를창출하도록촉진하고있는것이다. 여기서클러스터지원기관으로서의기본활동을잘볼수있다. 한편, ØFN의또다른주요활동은각종컨퍼런스와워크숍을개최하여협력적연구를도출하는것인데, 이를위해 2006년 12회, 2007년 11회, 2008년 16회의컨퍼런스와워크숍을주최하였다 (ØFN, 2007;2008;2009). 주로다른기관과협력해서개최하고있으며공동개최기관의성격에맞추어다양한분야를포괄하고있다. 2008년에는덴마크및스웨덴의지방자치단체들과공동으로외레순지역내의정보공유체계의형성을위한활동을전개하였으며, 스웨덴스케네지역청및식품관련단체들과공동으로 스케네의미래 라는명칭의대규모컨퍼런스도개최하였다. 이와같은 ØFN의네트워크활동에대한평가는매우긍정적이다 (ØFN, 2009). 각종네트 96
워크참여자들은 ØFN을통해서협력적파트너를찾는것이자연스러운일이되어버렸다고느끼고있으며, 여기에기초분야부터제품개발에이르기까지전과정에연구자들이참여하고있다는것이강점으로나타나고있다. 특히식품과보건분야에있어서는 ØFN이적절한연구를연결시키는매우중요한역할을하고있다고평가받고있다. 그러나이러한성과에도불구하고현재보다더욱발전된네트워크를갖기위해서는산업부문간, 학문분야간, 사회부문간네트워크와새로운혁신적프로젝트형성에좀더노력할필요가있으며, 이러한네트워크에는연구자와산업체종사자들이함께참여하면서도보다구체적인문제를다루고해결방안을제시할필요성이있다는것이지적되고있다. Ⅴ. 결론및시사점 외 레순지역은덴마크와스웨덴두국가가서로협력하여공동으로운영하고있는클 러스터라는점에서전세계에서유일무이한사례이다. 이는한국가내에서의협력 보다도좀더고차원적인협력이요구되는상황이라고할수있다. 따라서외레순식품클러스터에대한연구로부터우리나라의식품클러스터정책에필요한많은시사점을얻을수있다. 우선, 지금까지살펴본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특성을간략히요약하면, 첫째, 다른선진식품클러스터와마찬가지로전통적으로농업을기반으로식품산업이발전해온지역이라는것이다. 즉, 우선적으로식품산업체의형성과집적인오랜시간에걸쳐이루어져왔으며여기에는지역농업과식품산업간의자연스러운연계와발전과정이있었다는것이다. 둘째, 지역내대학을비롯한다양한분야의연구기관들이집적되어있다는것이다. 실제지역의 11개대학이단순히명칭뿐만아니라행정과각종교육및연구활동도공동으로시행하고있었다. 즉, 단순히연구및교육기관의집적뿐만아니라이들간의협력적활동이광범위하게이루어지고있고, 또지역의클러스터활동에서중심적인역할을담당하고있다는것이다. 이는다른지역에서발견하기어려운독특한형태라고할수있다. 셋째, 산업분야별클러스터지원기관의형성과협력적활동이다. 산업분야별로대학이나연구기관이중심이되어형성된기관도있지만, 식품분야의지원기관인외레순푸드네트워크 (ØFN) 는초기산업체들이주도하여형성되었다가 2005년부터중립적인기관으로위상을정립하 97
면서산 학 관의협력을주도하는기관으로발전하였다. 즉, 분야별로이러한클러스터지원기관들이서로협력하면서새로운분야의연구개발을주도하는것이다. 결국, 이러한서로다른분야기관들간의협력이혁신적기술개발과산업발전의계기를제공하는것이다. 그리고외레순지역식품클러스터지원기관으로서의외레순푸드네트워크 (ØFN) 의특징적인부분을몇가지로정리하면, 먼저, 서로다른두개의국가가연합하고있는형태이지만의사결정과정에국가를불문하고다양한분야의인사들이참여하고있다는것이다. 따라서식품뿐만아니라 IT, 환경, 물류등과관련된협력적활동을기획하고추진하는데매우유용하게작용하고있다. 또한 ØFN의일상적인업무를보면, 식품분야대학, 연구소, 업체, 공공기관및정부간의협력을가장핵심적이고중요한업무로인식하고있다는것이다. 즉, 프로젝트의형성, 세미나및컨퍼런스의개최, 네트워크의운영등에있어서산 학 관의협력이항상기반이되고있다는것이다. 또다른특징적인면은외레순지역의다양한협력적프로젝트를개발하고지원하고있다는것이다. 즉, 산학협력적인박사논문에대한지원에서부터중소식품기업의신제품에대한홍보프로젝트까지다양하게이루어지고있는데, 이는 ØFN이가시적인경제적성과에그치지않고장기적으로식품산업의발전을지속시키는기초학문에대한지원을소홀히하지않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외레순식품클러스터의사례로부터우리가얻을수있는시사점은무엇보다도식품과지역농업간의연계가클러스터의형성과발전에기본적인토대가되고있다는것을절대간과해서는안된다는것이다. 단지외레순지역에서그런면이나타났기때문에강조하는것이아니라선진식품클러스터어느곳을보아도농업의경쟁력을기반으로하지않고식품산업이발전한사례는극히드물다고할수있다. 따라서농업기반과의연계를무시한채단지제조업적인성장만을추구해서는식품클러스터의지속적인발전을보장할수없다. 둘째는대학및연구기관네트워크의중요성이다. 외레순지역에서클러스터의본격적인발전은대학및연구소간의긴밀한협력을토대로이루어진것이다. 외레순푸트네트워크와같은클러스터지원기관도기본적으로연구분야의네트워크를통해서형성된것이다. 따라서우리나라에서클러스터형성을도모하기위해서는무엇보다도식품관련대학및연구소들간의네트워크형성을중재하고지원토록하는것이우선적인과제라고할수있다. 셋째는이러한네트워크의발전을촉진하기위해중재기관이설립될필요가있는데, 그역할이단지중앙정부와지방정부또는정부예산을사업자에게전달하고행정적으로감독하기위한것이아니라실제로업체와연구기관으로부터의수요를파악하고협력을촉진하는것이어야한다. 넷째는이러한클러스터지원기관이지역식품산업에필요한협력적프로젝트를주도해야하는데, 바로이과정에서기초학문의발전을위한프로 98
젝트형성을소홀히해서는안된다는것이다. 외레순에서박사학위논문에대한지원프로젝트를형성한것이좋은모델이될수있다. 그리고마지막으로클러스터형성정책과관련해서항상강조하고있는것처럼, 클러스터형성사업초기에수요가확실하게파악되지않은시설이나인프라에많은예산을투자하기보다는연구기관, 산업체, 공공기관간의협력적네트워크를형성하는데보다많은정책적노력을기울여야할것이다. 참고문헌 김태연, 식품산업클러스터의발전전략, 21세기한국의먹을거리정책 : 방향과과제, 농정연구센터, 2008. 1. 김태연, 식품산업클러스터의유형과지역경제활성화, 먹을거리문제의대안적접근, 농정연구센터, 2008. 11. 김호 김태연 조완형 김대중 허재욱 성정현, 사례연구를통한식품산업클러스터조성방향, 농림부 단국대학교, 2007. 12. 이철우 김태연 이종호, 네덜란드라흐닝언식품산업클러스터 ( 푸드밸리 ) 의트리플힐릭스혁신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제5호, pp.554 571, 2009. Bourlakis, M, & Weightman, P.(eds.), Food Supply Chain Management, Blackwell Publishing, Oxford, 2004. DEFRA, Strategy for sustainable farming and Food,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02. FINE, Strategic objectives for developing innovation clusters in the European food industry, Report of overall SWOT analysis and Strategic Orientation in the FINE Project, Food Innovation Network Europe, 2007. Gaull, G. & Goldberg, R.(eds.), The Emerging Global Food System:Public and Private Sector Issue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3. Goodman, D. & Watt, M., Globalising Food:Agrarian Questions and Global Restructuring, London, Routledge, 1997. 99
Jönsson, H., Skane Food Innovation Network:A Cluster for Organic Growth, 국제유기농업컨퍼런스 발표자료집, 2009. 7. pp.317 340, 2009 한국유기농업학회상반기학술발표대회,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 Lagnevik, M., Ingegerd Sjöholm, Anders Lareke & Jacob Östberg, The Dynamics of Innovation Clusters:A Study of the Food Industry, Edward Elgar Publishing, Oxford, 2003. Marsden, T., Creating Space for Food:The Distinctiveness of Recent Agrarian Development, in Goodman, D. & Watt, M.(eds.), 1997, Globalising Food:Agrarian Questions and Global Restructuring, London, Routledge, 1997. Marsden, T., Murdoch, J. & Morgan, K., Sustainable Agriculture, Food Supply Chains and Regional Development,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Vol. 4, No. 3, pp.295 301, 1999. Olofsdotter, M., Øresund Food Network Supporting clusters and business networks, 현지조사설명자료, Øresund Food Network, 2008. ØFN, http://www.oresundfood.org/?page=focusareas&ocusarea=1208274677 &theme=1223976240, Øresund Food Network, 2009. ØFN, Øresund Food Network Annual Report 2006, Øresund Food Network, KØbenhavn, 2007. ØFN, Øresund Food Network Annual Report 2007, Øresund Food Network, KØbenhavn, 2008. ØFN, Øresund Food Network Annual Report 2008, Øresund Food Network, KØbenhavn, 2009. Øresund Committee, Øresund Trends 2008. http://www.tendensoresund.org, 2009 Øresundsbro Konsortiet, The Øresund Bridge and Its Region, Øresundsbro Konsortiet, 2009. ØSR, http://www.oresund.org/oeresund_science_region/about_oesr. Øresund Science Region, 2009. Pretty, J., The living land:agriculture, food and community regeneration in rural Europe, Earthscan, 1998. Tansey, G. & Worsley, T., The Food System:A Guide,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1995. Tregear, A., What is a typical local food:an examination of territorial identity in foods based on development initiatives in the agrifood and rural sectors, Centre for rural economy,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2001. Virtual Food Factory, http://www.virtualfood.org, 2009. 100
Whatmore, S., Global Agro food Complexes and the Refashioning of Rural Europe, in A. Amin & N. Thrift(eds.) Globalization, Institutions, and Regional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4. 원고접수일 1차수정일 2차수정일 게재확정일 :2009 년 11 월 18 일 :2009 년 11 월 27 일 :2009 년 12 월 13 일 :2009 년 12 월 26 일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