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 한국작문학회창립기념학술대회 (2005 년 6 월 4 일 ) 기조발제논문 > 作文硏究의動向과課題 朴泳穆 ( 弘益大 ) Ⅰ. 序言 작문연구는언어사용을통한의미의구성현상에관한연구이다. 언어사용을통한의미의구성현상과관련되는요인은무수히많다. 의미의구성현상을연구하기위해서는언어와사고와의관계는물론언어와사회와의관계를규명해야한다. 또한, 의미의구성과정과의미의구성방식에대한과학적인탐구가이루어져야하고, 의미의구성과정에영향을미치는외적요인및내적요인의특성이규명되어야한다. 이처럼작문연구는인간의언어사용과연관되는대단히복잡하고다양한현상을연구의주제로삼는다. 작문연구의최근동향을조망하는방법에는국내의연구동향을위주로하는방법과국외의연구동향을위주로하는방법의두가지가있을수있다. 다음에서는국외에서이루어진작문연구를위주로하여수사학적전통, 작문연구의세계적동향, 앞으로전개되어야할작문연구의주요과제등을차례대로간단히정리하여제시해보기로한다. Ⅱ. 修辭學과作文硏究 1. 修辭學의歷史槪觀현대의작문이론은전통적수사학에그뿌리를두고있다. 수사학은역사적발전단계에따라고전수사학, 중세수사학, 문예부흥기의수사학, 계몽주의시대의수사학, 20세기의수사학등으로분류되기도한다. 고전수사학은기원전 5세기부터 5세기까지의수사학을, 중세수사학은 5 세기에서 14세기까지의수사학을, 문예부흥기의수사학은 14세기에서 17세기까지의수사학을, 계몽주의시대의수사학은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수사학을지칭하는용어로사용되고있다. 다음에서는 Bizzell과 Herberg가 1990년에발간한 The Rhetorical Traditin에서정리한내용을바탕으로하여각시대수사학의특성을간단히살펴보기로한다. 고전수사학은 Aristotle에의해그체계가수립되었으며, Cicero와 Quintilian에의해그체계가정교하게다듬어졌다. 고전수사학에서는수사학적담화의형식을과거행동의판단에주된관심을두는법정연설과, 미래행동의촉구에주된관심을두는정치연설과, 현재상태에대한공유된신념의강화에주된관심을두는의전연설로구분하였다. 고전수사학에서는심리학적측면에서의청자 (audience) 분석을강조하였는데위에서제시한세가지형식의담화에서청자에게영향을미치기위한동기분석의방법을비교적자세하게제시하였다. Aristotle(1954) 은, 사람들
- 2 - 은누구나자신의흥미와관심을충족시켜주기를원하며서로다른사람들은각기다른흥미와관심을가진다는사실을강조하였다. 고전수사학은수사학의체계를형성시켰다는점에서역사적의의를지닌다. 모든시대의수사학은고전수사학에서규정한담화생산의목적, 예상독자, 담화생산의과정, 논증, 담화의조직및배열, 효과적인표현등의요인을중심으로연구해왔다. 중세초기의그리스도교시대에는수사학을그리스로마문화의부정적유산으로인식하였다. 고전수사학에서는건전한상식과연역논증을통하여가능세계의지식을생산할수있다고인식하였지만, 초기그리스도교시대에는지식을절대적인것으로인식하였기때문이다. 수사학의암흑기라일컬어지는중세후기의수사학은효과적인설교및공식적인편지에주된관심을가졌다. 또한, 수사학적연구에있어서내용의창안이나배열에관한문제는도외시하고문체에관한연구를연구의주된대상으로삼았다. 중세수사학의역사적의의는고전수사학의업적을정리하여후세에전하였다는데서찾을수있다. 문예부흥기에는문체론적수사학의연구에초점을두었다. 이시기의수사학이문체를중시하게된이유는고전에대한학습이성행하였기때문이다. 문체론적수사학에서는여러종류의어구및문장에명칭을부여하였는데, 마침표쉼표괄호인용부호등의용어는이시기에생겨난것이다. 문예부흥기의수사학에서는개인적담화의문제를중시하였다. 개인적인대화나사교상의예절등에한연구가성행하게된이유는개인적인담화에서의성공이정치적인성공혹은사회적인성공여부와직결되었기때문이다. 16세기프랑스의철학자이며수사학자인 Ramus는수사학과변증법의영역구분을제안하였다. 변증법은세계에관한진술의진위여부를평가하기위해삼단논법을통하여진실을포착해야하고, 수사학은그진실을대중에게제공해야한다고 Ramus 는주장하였다. 그는내용의창안과배열은변증법의몫이고표현과전달은수사학의몫이라고설명하였다. Ramus의이러한주장은 17세기초에과학적연구방법으로서의귀납적방법이강조되면서비판을받게되었다. Bacon은삼단논법에의해서는결코새로운지식을창안할수없다고주장하고탐구를목적으로하는과학과재발견을목적으로하는수사학을구별하였다. 그러나 Bacon의후계자들은수사학을지식의문제를다루는데있어서신뢰할수없는학문이라고인식하였다. 계몽주의시대수사학의가장큰특징은심리학과의새로운결합을시도하였다는점이다. 고전수사학에서는담화생산과정에서의심리적측면의중요성을강조하였지만그이후의수사학에서는담화생산의심리학적측면이거의경시되어왔다. 19세기의저명한심리학자이며수사학자인 Bain은, 비교대조연상등과같은발화의양식은정신작용의유형을반영하는것이며, 묘사서사설명논증시가등의담화양식은인간의정신적기능과대응하는것이라고설명하였다. 사고의과정및언어사용의과정은진리를전달하는데있어서결코중립적일수없다. 진리의객관성을보존하기위해서는인간이사용하는언어그자체가일반성을지녀야한다. 그런데언어사용의일반성은실제로존재하지않는다. 언어를통하여어떤아이디어를모든사람이동일하게받아들이도록전달한다는것은불가능하기때문이다. 이러한이유로 Locke를비롯한그의후계자들은수사학에대하여부정적인시각을가지고있었다. 이러한상황에서 17세기및 18세기의수사학은새로운변화를모색하게되었다. 18세기이탈리아수사학자 Vico는수사학이절대적인진리
- 3 - 를밝혀내는학문이아니라가능성과신념에근거하여지식을생산하는학문이라고주장하였다. 그는언어의기능에관한엄밀한분석을바탕으로하여지식이형성되는방식을연구하였다. 19 세기에는과학기술의발전과산업의발전, 대중교육의확산및새로운대학의설립등의추세에맞추어새로운학문분야가매우빠른속도로생겨나게되었다. 이와관련하여수사학은학문으로서의위상이점차축소되었으며, 그주된명맥을작문이론과의사소통이론등의학문이이어받게되었다. 20세기에는의미, 가치, 의도, 지식등의문제를탐구하는수사학적이론들이다양하게제시되었다. Richards(1936) 는, 의미는담화맥락과함수관계에있으며, 언어는하나의담화내에서사용될때의미를가지게되고, 담화는그담화를사용하는사람들에의하여의미를가지게된다는사실을강조하고, 수사학을언어적의사소통과언어이해현상을연구하는학문으로규정하였다. Burke(1969) 는, 모든종류의담화는사람들을어떠한방식으로든동기화하는데그목적이있으므로담화의의미는담화의의도와효과면에서찾아야한다는점을강조하고, 수사학을인간의언어행동에대한정치적사회적심리적종교적미적측면에서연구하는학문으로규정하였다. 현대수사학은지식의원천과위상에관한문제및지식과언어와의관계에대한문제에연구의초점을두는경향이있다. 지식의위상및지식과언어사이의관계에대한연구는물론수사학이나철학의영역에만국한되는문제는아니다. 현대의학문에있어서과학적지식은합리적관찰이나사실의축적에의해서가아니라논증에의하여발전한다. 인간의새로은학습은해석에서비롯되며, 인간의학문은논증에의하여진보하고, 인간의공동체는담화에의하여결속력을가지게되며, 인간의이데올로기는설득의구조를반영하는것이고, 현실또는실체그자체는인간의언어사용방식과함수관계에놓이는것이다. 이러한측면에서현대의수사학은그관심의폭을확장하고있다. 오늘날인문과학은물론자연과학분야에서도담화행위, 담화장르, 담화공동체, 의사소통의장면, 의식의언어적구성, 지식의수사학적구성등과같은문제에대한연구의필요성을제기하고있다. 현대수사학자들에게있어서언어사용은그의도에있어서항상설득적이며, 윤리적인문제및이데올로기의문제를포섭하는것으로인식된다. 언어사용은심리적체계임과동시에대화에바탕을둔사회적체계이다. 이와관련하여현대의수사학은특정한맥락에서실제로사용되는언어의의미문제를다룬다. 지식과신념은설득의산물이기문에그러한지식과신념을일정한이데올로기하에서작용하도록돕는일또한현대수사학의책임으로인식한다. 수사학에서인식의문제혹은이데올로기의문제를다루는것은현대수사학에서처음시도하는것은아니다. 고전수사학이후로수사학은지식의탐구및정치적행동의문제에대해서로다른방식의관심을가져왔다. 수사학의역사는담화와지식, 의사소통과그효과, 언어와경험사이의관계를이해하는데바친탐구의역사라고할수있다. 2. 20 世紀修辭學槪觀 20세기에접어들면서수사학은쇠퇴의길로들어서는것처럼보였다. 하나의학문영역으로서수사학은더이상대학에서우세한위치를확보하지못하였다. 유럽의많은대학들에서는수사학
- 4 - 을시대에뒤떨어진고전적교과의유물로취급하였으며, 미국에서는현대적언어와과학중심의새로운교과과정의요구에부응하여작문과화법에관한소수의과목에서만수사학을다루었다. 현대적대학에서의분과화와특수화경향으로인하여수사학에대한전통적이고지적인측면에서의관심은심리학언어학철학문예이론등과같은다양한분야로흩어져나갔다. 그러나 20세기가진행되면서수사학은다시언어와의미에대한매우가치있는학제적이론분야가되었다. 20세기를통하여철학가와문예비평가들은의미에대한전통적이론에의하여제기된문제에대한해결책으로써담화분석이나변증법과같은새로운방법체계내에서수사학을재발견하게되었다. 수사학은이들의노력에의하여더욱풍성해지게되었다. 수사학은지식이논증에의하여창안되는방식과이데올로기가권력에의하여확장되는방식등의측면에서사회적행동형식으로서의언어이론은물론의미의결정체로로서의의도와해석에관한이론등을모두포괄하게되었다. 즉, 수사학은효과적인담화로서의언어에대한포괄적이론이되었다. 20세기수사학형성의각단계에있어서언어와의미, 윤리와이데올로기, 논증과지식은늘동시발생적이거나중첩되는주제이었다. 다음에서개관하고자하는연대기적단계는수사학관련주요저서의출판연대를바탕으로일련의아이디어를편의상묶은것이다. 20세기수사학의특성을가장잘드러내는것은이들연대가아니라아이디어사이의상호연관성이다. 20세기초반 20년동안에는수사학연구를위한제도적지원이거의없었다. 미국의경우대부분의대학에서작문과목을개설하고있었지만그것은학문영역으로서독립되지못하고영어과에서제공하는서비스수준에머물고있었다. 그리고스피치학과가 19세기말무렵에형성되기는하였지만 1920년대까지는새로운학무분야에서의학술지나대학원프로그램이생기지않았다. 1920년대와 30년대에이르러미국의대학에서스피치학과가생겨남에따라수사학역사전공학자가생겨나고의사소통과설득에관한연구가이루어지기시작하였다. 이시기의영어과는비평에대한형식적접근방식이유행하게됨에따라수사학에대하여는별다른관심을기울이지않았다. 이러한냉소적경향에대응하여미국의유명한비평가 Kenneth Burke는문학과수사학의접목을시도하였다. 1931년에출간된 Counter-Statement에서그는 문학은언어를수단으로하여독자에게영향을미치고자하기때문에문학은당연히수사학의한분야가되어야한다. 고주장하였다. 이기간동안젊은언어철학자임과동시에나중에영향력있는문예비평가가된 I. A. Richards 는여러명의철학자와언어학자와인류학자들이제공한최신통찰들을통합하여의미에대한맥락이론을형성하였다. 1923년에 C. K. Ogden과함께출간한그의책 The Meaning of Meaning에서 의미는단어속에내재된것이아니라해석의문제이다. 라는주장을내세우게되었다. 1936년에발간된 The Philosophy of Rhetoric에서그는수사학을이러한의미이론으로규정하였다. 철학과언어학분야에서 I. A. Richards에게자극을준러시아의철학자요문예비평가인 Mikhail Bakhtin은 1929년에발간된그의책 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에서 의미는언어그자체에내재된것이아니고오히려역사적환경과이데올로기적목적과언어적관습에대응하여사회적상황에서언어가사용되고해석되는방식과함수관계에있다. 라고주장
- 5 - 하였다. Richards와는달리 Bakhtin은이러한접근방식을수사학이라고생각하지않았다. Bakhtin에게있어서수사학은소멸직전의학문이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Bakhtin의의미에대한대화적이론은 Richards가제안한수사학적이론과그방향을같이하고있었다. 1945년이후부터 Kenneth Burke는계속하여 문학은상징적행위로서수사학의한형식 이라는그의이론을정교하게개발해나갔다. 수사학에대한 Burke의가장중요한기여는바로 1945 년에발간한그의책 A Grammar of Motives와 1950년에발간한그의책 A Rhetorics of Motives이다. 이들책에서 Burke는모든담화형식을수사학적분석의대상으로삼고, 담화가동기에대하여영향을미치는방식을규명하는데도움이되는일련의방법과개념들을개발해내었다. 수사학은반드시공동체내에서의결속을다지고공동체사이의구분을유지할수있는이데올로기적식별의상징적수단을탐색하여야한다고 Burke는생각하였다. 1958년에벨기에의법철학자 Chaim Perelman과그의동료 Lucie Olbrechts-Tyteca는 New Rhetoric이라는부제를단방대한저서 Treatise on Argumentation을간행하였다. 이저서에서 Perelman 등은진리의중재자로여겨진형식논리에의존해온전통철학에의하여무시되어온영역인신념에관하여추론할수있는방식을수사학이제공해준다는주장을내세웠다. Burke와마찬가지로 Perelman은수사학을, 논증과설득에관한광범위한이론임과동시에이성에호소하는이데올로기의토대를드러내주는분석적도구로보았다. 그는또한가정과신념을공유하는공동체내에서의논증을통하여지식이생성된다는입장, 즉지식의창안에관한수사학적관점을지지하였다. 전통적논리의한계를극복하기위하여영국의철학자 Stephen Toulman은실제적인논증의철학을연구하였다. 1958년에발간된그의저서 The Uses of Argument에서그는주장과근거와조건과가정에따라논증을분석하는체계를제시하였다. 확률적논증을위한이러한체계는대부분의지식분야에서진리조건을평가하는데있어서형식논리보다훨씬유용하다고그는주장하였다. 그는확실성을탐색하기위한철학자의질문을거절하지않았으며, 수사학을언어와추리에관한대안적이론으로생각하지도않았다. 그럼에도불구하고 Toulman은지식은항상그런것은아니지만암묵적가정, 신념, 설득등과함수관계에있음을강조하였다. 미국의수사학자 Richard Weaver는논증에대한지식의의존성으로인하여수사학은논증의윤리에대하여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음을강조하였다. 1963년에발표한논문 Language is Sermoni' 에서 Weaver는 모든발화는가치의존적이고수사학적이다. 라고주장하였다. 이상에서살펴본네명의이론가들에의하여수사학은말하기와쓰기, 예술과과학, 추리롸논증등의모든언어사용영역을포괄하는방향으로확장되었다. 학술적수사학자들은이와같은풍성한시기의이론적발달을조율하고정교화해나가고있다. 1965년이후급진적정치학과언어이론이프랑스의철학자 Michel Foucault와 Jacques Derrida의저술에의하여새롭게등장하였다. 1966년에간행된 The Order of Things와 1969년에간행된 The Archeology of Knowledge에서 Foucault는 지식은담화에의하여창안되며, 담화는반드시지식에대한관리를통하여사회적활동을조절하고제도적힘을보존하는수단으로이해되어야한다, 라고주장하였다. 그러나유럽의철학자들은지식을실체의반영으로생각하고
- 6 - 언어를지식을중재하는매개체로생각함으로써담화와지식과권력에대한이론들을중시하지않았다. Derrida는 언어는그것을선행하여존재하는지식을기록하지않는다. 라고주장하였다. 1967 년에간행된 Of Grammatology와 1972년에간행된 Dissemination에서 Derrida는언어가실체를기록하거나명명하거나표상한다는철학적가정과문학적가정을공격하였다. Derrida에의하면의미의기원이언어적지시체에있다는생각은잘못된환상이라는것이다. Foucault와 Derrida는그들의이론을수사학적인것으로보지않고철학적인것으로보았다. 그렇지만이들의입장은철학과수사학사이의오래된갈등구조에서오히려수사학의입장을옹호하는것으로볼수있다. 철학은언제나절대적진리에관한지식을찾고, 언어를진리를소통하는도구로생각하는반면에, 수사학은인간사에있어서의불확정적인진리에대한지식을찾고, 가능성과일치는발견되는것이아니고창안된다는입장을취한다. Foucault와 Derrida는명시적으로수사학적이라고할수는없지만분명히반철학적입장을견지하였다. Foucault와 Derrida에의하여제기된인식론적회의는 20세기철학에있어서지속적으로문제가되어왔다. 자연과학을포함을모든영역에있어서의지식의기저는정치적편의와언어적관습에관한숨은가정, 즉무엇을지식으로볼것인지에대하여영향을미치고경우에따라서는무엇을지식으로볼것인지를결정하는가정을시험해왔다. 수사학적이론에있어서수사학이인식론적이라는생각, 즉논증과설득이지식을창안한다는생각은이제사회적공동체와학문적공동체의담화에대한연구를위한수용가능한기저가되었다. 여성은그들의언어가태도와권력관계를형성할수있는사회적집단을구성한다. 1970년대중반이후많은학자들은남성과여성이명시적으로다른방식으로언어를사용하는지와연관되는문제를탐구해왔다. 어떤연구결과에의하면남성에대한여성의전통적종속관계를드러내는여성언어의방언이있다는사실이밝혀졌으며, 반면에또다른연구에서는비폭력과양육과연관되는긍정적인전통을밝혀내기도하였다. 여성주의학자인 Julia Kristeva는 1979에발간된 Women's Time과같은저술을통하여여성이남성에비해더욱윤리적이며이러한특성들이여성들의언어에도반영되어나타난다고주장하였다. Helene Cixous는 1986년에발간된 A Woman Mistress에서여성의언어에내포된부정적인이미지의기저가되는긍정적인특성들을밝혀내고자하였다. 이와같은노력에서볼수있듯이수사학적분석은설득을수단으로하여지식을창안하는수사학적행위로서의기능을하게되는것이다. 글을쓰는행위는의미를구성하는행위이다. 의미구성행위의설명을주된목적으로하는작문이론은수사학에그뿌리를두고있다. 수사학은, 언어와지식과담화사이의관계를어떻게설명하느냐에따라본질주의, 객관주의, 표현주의, 사회주의수사이론의네가지부류로분류되기도한다. 본질주의수사이론은언어의형식적속성을중시하는이론으로서, 언어가지식을만들지는못하지만지식을전이하는데는결정적인역할을하는것으로가정한다. 객관주의수사이론은언어가본체를단순히보조하는것이아니라본체를능동적으로구성하는역할을한다고보고, 인간의지적활동을가능케하는지식은언어사용에의존하는것으로가정한다. 표현주의수사이론은언어를통한인간의의식작용및상상작용을중시하는수사이론이고, 사회주의수사이
- 7 - 론은언어를물질과역사의발전과정에뿌리를둔사회적활동으로규정하는수사이론이다. Ⅲ. 作文硏究의動向과課題 1. 作文硏究의特徵的인傾向현대수사학뿐만아니라작문이론분야에서도의미의구성방식에관한문제와관련하여서로다른입장을취하고있으며, 그입장에따라다양한작문이론이생성되었다. 다음에서는 Nystrand과 Greene과 Wiemelt 등이 1993년에 Where did composition studies come from. 이라는논문에서정리한내용을바탕으로하여서구에서이루어진현대작문연구의특징적인경향을형식주의, 구성주의, 사회구성주의로구분하여간단히살펴보기로한다. 1960년대이전까지의작문이론은형식주의적성향을띠고있었다. 문학분야에서의신비평이론이성행하던이시기에있어서의작문이론은규범문법과수사론적규칙을강조하였으며, 작문교육은모범적인텍스트의모방을중시하고표현의과정에서어법상의오류를범하지않도록하는데지도의초점을두었다. 형식주의작문이론가들은텍스트를구성하는요소들의객관성을중시하였다. 텍스트의의미구성에관한모든중요한문제는텍스트구성요소의분석과구성요소사이의관계분석으로써해결할수있다고생각한다. 또한이들은작문, 읽기, 사고등의인지적행위와관련되는증거들은객관성과신뢰성이없는피상적인증거에불과하다고주장한다. 형식주의작문이론가들의이러한주장들은문학이론뿐만아니라경험주의에바탕을둔행동주의언어학이론에서도중시되었다. 즉, 언어는관찰이가능한언어행동과의관계아래서만올바르게이해될수있는것이며, 언어행동의기저가되는정신작용에대한연구는언어현상의실체를혼란시키기만한다고주장한다. 1960년대후반기에접어들면서작문의과정을중시하는연구가이루어지기시작하였는데, 언어는경험을표상하는체계적이고보편적인수단일뿐만아니라각개인의경험을독특한방식으로재해석하고조정하는개별적인수단이라는사실이강조되었다. 1980년대에접어들면서작문은기본적으로역동적인의미구성과정, 즉계층적으로조직된인지적표상을텍스트로번역하는과정이라는인식이작문이론가들사이에널리확산되었다. 인지심리학과수사학의결합을통하여생성된구성주의작문이론은작문과정에서의계획하기작용과고쳐쓰기작용이서로다른상황및서로다른수준의필자사이에서어떻게달리나타나는지를설명하는데주력하였다. 구성주의작문이론에의하면, 언어는인간의경험을조직하고형상화함으로써그경험에의미를부여한다. 이렇게생성된의미는심리적표상혹은인지도식으로서인간의두뇌속에저장되어지각, 이해, 기억등의정신작용을조정하며나아가서는새로운의미를구성하는작용을활성화한다. 구성주의작문이론에서는개별적작문행위를분석의대상으로삼으며, 텍스트의개념을필자의계획과목적과사고를언어로번역한것으로규정한다. 이이론에서는필자를수사론적문제해결자로, 독자를능동적이고목표지향적인해석자로본다. 또한텍스트를통한의미구성능력은개인의목적의식과사고능력의계발을통하여신장되는것으로설명한다.
- 8-1980년대후반부터의작문연구에있어서언어사용의사회 문화적맥락을강조하는경향이두드러지게나타났다. 이러한연구동향의배경에는언어에대한관점의변화가큰몫을차지하였다. 담화로서의언어의기능을중시하는사회언어학자들이 Chomsky의언어에대한기본가정에도전하게되었다. 언어사용의사회성과기능성을중시하는언어학이론은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을태동하는데강한영향을미쳤다. 언어의사회성및기능성을강조하는언어연구의동향에부응하여작문이론가들은작문의과정에대한구성주의작문이론가들의주장을재평가하게되었다. 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에의하면필자개개인은개별적으로작문을하는것이아니라의미를구성하는과정에제약을가하는언어사용집단혹은언어공동체의일원으로서작문을하는것이다. 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은의미구성에있어서담화공동체의역할을강조한다는점에서후기구조주의적성격을띠고있다. 또한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은의미구성행위에영향을미치는여러요인들중에서사회적맥락을특별히강조하는것외에는구성주의작문이론과다름이없다는평가를받기도한다. 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에서는언어공동체를분석의대상으로삼으며, 텍스트의개념을언어공동체의담화관습및규칙의집합으로규정한다. 이이론에서는필자를담화공동체의사회화된구성성원으로, 독자를해석공동체의사회화된구성원으로본다. 또한텍스트를통한의미구성능력은건전한상식의계발을통하여신장되는것으로설명하며, 건전한상식의계발은언어사용집단으로서의담화공동체혹은학문공동체의참여로인하여가능한것으로본다. 지금까지살펴본세가지종류의작문이론, 즉형식주의, 구성주의, 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에이르기까지의미의구성방식과관련하여작문연구분야에서이루어진주된연구경향을반영하는것이다. 그러나이시기의작문이론들을이와같이세가지로범주화한것은작문이론의특징적인경향을인접학문과연관을지으면서보다극명하게드러내기위한편의상의구분에불과한것이다. 왜냐하면하나의작문이론이다른작문이론에의해그렇게쉽게대치되는일도없거니와현실적으로여러가지작문이론이거의비슷한세력으로서로다른작문연구가들에의해지지를받고있기때문이다. 2. 意味構成現象에대한새로운說明方式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가들은문어활동능력을규정함에있어서텍스트의자질보다는실제적인담화활동에초점을두고있다. 문어활동은사회적상황에기초한문제해결과정으로서텍스트적측면과사회인지적측면을구성하는요소들의영향을받는다. 언어사용활동은의미를구성하는순간들의집합으로이루어진다. 문어적행위는유목적적인방식으로지식을변형하는구성적인인지과정에비롯되며, 어떤결정적인순간에있어서는의미를구성하는활동이의미협상의과정으로이루어진다. 이경우의미협상은개별독자와필자가직면하는대립적요구, 서로다른요구와목적과제약, 그리고가능성들중에서최선의대안을찾기위해이루어지는것이다. 문어활동은수사론적, 사회적, 문화적상황의일부로서행해지는활동으로서한개인이보유하는일반화될수있는능력이아니며, 기호해독및인입을위한일련의기술적기능들의집합도아니다. 문어활동은개인적이거나사회적인목적으로읽기와쓰기를이용하는일련의행위와교섭
- 9 - 작용의집합이다. 문어활동에참여하는사람들은텍스트를해독하거나생산하는것이상의일, 즉담화활동을한다. 문어활동능력의효과적인신장을위하여교육적차원에서중시해야할사항은유능한필자나독자가능동적인담화활동과정에서활용하게되는사회인지적전략이다. 문어활동을성공적으로하는데있어서다음두가지조건을갖추어야첫째, 담화활동을하는데기본이되는관습과기대에대한충분한지식을갖추어야한다. 둘째, 주어진과제와연관되는읽기및쓰기를위한일련의문제해결전략을갖추어야한다. 학생들이익혀야할담화활동의관습에는텍스트의형식적자질에관한것뿐만아니라아이디어의생성및선정방식, 논증의구성방식, 예상독자의요구및기대수용방식등에관한것이있다. 어떤한가지유형의담화활동에필요한문어활동능력을갖추기위해서는문체나표현양식에관한관습적지식을갖출필요가있다. 그러나특정유형의담화활동을성공적으로하는데필요한지식을갖추었다고해서다른유형의담화활동을성공적으로할수있다고보장할수는없다. 특정담화활동을하는데필수적인기능이다른유형의담화활동에서별로필요하지않은기능일수도있기때문이다. 담화활동의수행방식혹은담화공동체의참여방식을학습하기위해서는담화활동의사회적목적에바탕을둔특징적인사고양식을배워야한다. 담화활동은담화공동체의도구로서, 역사적이고도사회적으로구성된특정공동체의목적실현에기여하는작문혹은말하기양식으로존재한다. 의미의구성방식을설명하는관점으로서재생산, 대화, 협상의세가지를들수있다. 작문의과정에서필자는기존의혹은이용가능한의미를재생산함으로써의미를구성한다고주장할수도있다. 그러나의미구성과정에대한연구결과들을고려할때이러한주장은논쟁의소지가많다. 읽기에대한구성주의적연구결과에의하면독자는다음세가지수단, 즉텍스트와문화적바탕에기초한기대에강한영향을받는과정과기존지식등세가지수단을통하여정보를선정하고조직하고연결함으로써능동적으로의미를생성한다. 다른의미를재생산함으로써의미를구성하는일은학습, 텍스트간전이, 문화의전승등과같은여러가지경우에적합할수도있다. 그러나의미의구성을재생산으로보는입장은다음과같은의문에대한해답을제공하지못하고있다. 전통적의미에서실체의재생산이가능한것인가? 텍스트의내용이있는그대로사람들의마음속에재생산되는것인가? 텍스트와간텍스트는독자와필자가실제로구성하는의미에대한그림을우리에게제공해주는가? 재생산이론은의미구성현상을부분적으로만설명한다는약점을지닌다. 재생산이일원적인의사소통임에비해대화와협상은이원적인의사소통이다. 사회적대화주의관점에서보면, 의미는절박한동기나일정한논리에따라생성되는것이아니라오히려동등한자격을지닌개체간의비규제적상호작용으로부터생성된다. 사람들은집단적생활을영위해야하므로자신의신념과가치관과행동을다른사람들과함께조정해야한다. 모든텍스트의의미구성이갖는기능은대화에의해기술되는자유롭고도협동적인사회적맥락속에서찾아야한다. 그러나대화주의적관점은개인의인지와주체성의역할을설명하는데부적절한면이있다. 대화로서의의미구성결과는결과적으로개인의마음속이나개인의독특한표상에있지않고상호작용의순간이나대화의순간혹은공기중에존재하게된다. 의미구성의주체가없는대화주의모
- 10 - 델은비교적비규제적과정, 즉의미가일련의가능성의집합내에존재함으로써점진적으로배양되고형성되고확장되는과정에초점을둔다. 따라서시간의연속선상에서대화로부터산출되는의미는공유된이해의침전물이며공유된상식의축적물이라고할수있다. 반면에협상적의미는어떤규제적힘에직면하여딜레마에서탈출하기위한목표지향적노력에의하여구성된다고볼수있다. 협상적의미의구성과정은필자가다음과같은두가지필요조건에직면했을때작동한다. 첫째, 의미구성의과정에서압력을받거나제약이나대안을변환해야하거나여러가지목적들사이에서갈등을일으킬때작동한다. 둘째, 필자가문제가있는인지적수사론적상황을관리하거나협상할필요성에대하여주의를돌릴때작동한다. 협상은행위를형성하는복수의소리, 즉과거경험과현재기회의소리, 지혜의소리, 요구와판단의소리, 가능성의소리, 담화관습의소리등에대한반응으로서목표설정, 제약부과, 적정언어의제안, 보편성의추구, 기회의현시, 적응에대한요청, 대안의제시등과기능을한다. 협상을통하여구성되는의미는잠정적인해결책이며다양한소리에대한반응이다. 복수의소리에대한반응으로서협상적의미는소리로드러난언어나아이디어의이질적혼성물이상의것이다. 협상적의미는복수의목표와제약과전략과언어를다룸으로써얻어진구성물이다. 아이디어와의도와언어에대한협상적의미망은형성적힘에대한단순반응으로써조성되는것이아니라형성적힘에대한선택적반응으로써주성되는것이다. 잠정적해결책으로서협상적의미는어떤소리들을밝히거나그소리들에대하여행동을취하거나저항하거나무시하거나잊어버리거나변형하거나종합하거나재해석함으로써협상의범위내에있는소리들에대해반응한결과이다. 잠정적해결책으로서의협상적의미는텍스트의전영역에걸쳐나타날수있는다른해결책과일관성을갖지못할수도있고불안정할수도있다. 그해결책은미해결의갈등이나모호성을잠복시킬수있다. 그리고어떤한시점에서는억압되었던소리가다른시점에서는다시부상할수도있다. 3. 텍스트生産活動으로서의作文에대한硏究動向언어사용의일차적목적은의사소통에있다. 텍스트생산활동으로서의작문은독자와의의사소통시도를표상한다. 필자는작문활동의과정에서전달하고자하는정보와의도와목적을지니게되며, 이들을언어적, 심리적, 사회적원리에따라구조화하게된다. 예를들어필자는정보성, 정확성, 관련성, 명료성, 체계적해석가능성등과연관되는 Grice의격률을지킨다든지, 입장, 상황, 의도, 태도등을드러내는데적합한관습을지키게된다. 또한필자는정보의새로움, 가능성, 출현비율등을나타내기위한기제를이용한다든지스키마와스크립트, 프레임등과같은대단위조직유형을예상케하는인지구조의예측가능성등을점검하게된다. 텍스트의구성방식에대한이론은작문의조직과구조에영향을미치는위와같은여러가지원리들은반드시고려해야한다. 작문이론및작문교육이론분야에서이루어진텍스트언어학적연구의성과에대해 Grabe와 Kaplan이 1996년도에발간한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을참고로하여영미지역을중심으로텍스트생산활동으로서의작문에대한연구동향을간단히제시해보기로한다. 텍스트생산활동으로서의작문에대한연구는표면적구조중심연구와내적구조중심연구로
- 11 - 구분할수있는데먼저표면적인문장수준에서의연구부터살펴보기로한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Chomsky 학파의영향으로작문능력의발달을드러내는통사적특성에대한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졌다. 이들연구는학생들이작성한텍스트의핵심적구조를표지로써 T-unit( 하나의주절과그에딸린모든종속적 ) 이라는개념을개발하여학생들의통사적성숙도를측정하는단위로삼았다. T-unit를이용한연구에대한수많은비판에도불구하고 Hunt 식의연구는그이후에도수없이많이이루어졌으며측정의신뢰도또한상당한정도로확보되었다. 이러한연구방법은분명하게구별되는집단의작문능력을측정하는데는유효할수있어도뚜렷이구별되지않는집단구성원의작문능력을측정하는데는분명한한계가있는것으로드러났다. Hunt 식의연구결과는작문지도에있어서문장결합훈련을성행하게만들었다. 문장결합훈련은그배경이론이지닌결함에도불구하고언어교육분야에있어서어느정도의성과를거둔것으로평가받고있다. 문장결합훈련은학생들로하여금통사론적형식에대한의식적인집중을가능하게하고, 고쳐쓰기를위한체계적인기법을제공하며, 문장구성에대한자신감을갖게하고, 통사론적유형에대한친숙도를높이며, 문장구성의유창성과빈도를높임과동시에문장의다양성을촉진하고, 문장내정보부하의밀도를높일수있게하며, 정보의덩이화를조정할수있게하고, 통사론적단계와정보처리의다른단계를통합할수있게해준다는것이다. 이와같은여러가지효과에도불구하고통사적복잡성이나통사적성숙도가테스트생산능력의발달에대하여직접적이고도중요한영향을미친다는확실한근거는밝혀지지않았다. 문장종결단위와문장결합에대한연구와비슷한맥락에서텍스트생산능력의발달과연관된통사론적특성에대한연구가다양하게이루어졌다. 작문연구가들과발달심리학자들의연구결과에의하면학생들의텍스트생산능력이발달함에따라형용사의사용, 명사구의복잡성, 자유수식어의사용, 부사구의사용, 관계절의사용, 한정부사절의사용, 문체론적어순의다양성, 피동구문의사용, 명사구주어의복잡성, 시제와양태의사용범위등이증대된다는것이다. 학년수준이올라감에따라이상과같은통사론적특성의변화가수반된다는사실은여러실증적인연구에의하여지지를받아왔다. 그러나학생들에게통사론적특성을지도한다고하여학생들이생산한텍스트의질이높아진다는확실한근거는찾기가힘들다. 작문연구분야에있어서통사론적특성에대한연구는오늘날까지계속되고있지만이러한유형의연구는텍스트생산의특성에관한여러가지중요한정보를고려하지않는연구라고규정할수있다. 텍스트의구조화와작문능력의발달과연관하여통사론적수준에서이루어진또다른유형의연구는프라그학파의초기연구에서비롯된정보화구조에관한연구이다. 이들연구는기능적관점에바탕을두었는데고립된문장이나무선적으로연결된문장이아닌결속성을지니고연결된문장들을연구의대상으로삼고, 텍스트의구조와의미사이의관계, 텍스트가존재하는언어외적상황, 텍스트가지니고있는의사소통적기능, 텍스트생산자나수용자의동기와지식과의식의상태에관한텍스트생산자의명시적인가정등을탐색하였다. 이러한정보화구조에관한연구의예로서문장의화제구조, 화제개발, 화제구조분석등을들수있다. 정보사이의관계유형으로서 given-new', 'topic-comment', 'theme-rheme' 등을들수있다. 이들은모두텍스
- 12 - 트내의정보배열과연관되는데학자에따라그의미가조금씩다르게규정되고있다. 정보의구조화에대한또다른유형의연구인문장의화제구조에대한연구는담화의화제, 문장의화제적주어, 통사적주어, 문장의시작요소사이의관계를주로연구하였다. 화제의계속성에대한연구는담화에있어서화제전개의기능에초점을두었다. 그리고화제구조분석연구는작문의질적차이와고쳐쓰기전략의차이를규명하는데주력하였다. 표면적구조중심의텍스트연구에서중요한비중을차지하는것으로서텍스트의결속성연구를들수있다. 텍스트의결속성연구는텍스트의표면형식을연결짓는데이용되는체계적장치, 즉텍스트를결합하는기저관계에대한표면적장치에초점을두고진행되었다. 지시, 대치, 생략, 접속, 어휘반복, 포함, 동의와반의, 병치등의장치는텍스트의표면구조를연결짓는수단을제공하는것으로밝혀졌다. 그러나결속성과일관성의관계에대한문제는아직도논쟁의대상이되고있다. 지난 20여년동안작문연구분야에서는텍스트구성현상을설명하기위해다양한노력을기울여왔다. 텍스트구성모형을설계하는과정에서반드시고려해야할요인에는통사구조, 의미도식, 결속표지, 장르와조직, 어휘형식과관계, 텍스트구조의문체론적측면, 지식기저등이있다. 작문연구분야에서는이들요인들중에서일관성요인과텍스트외적요인에대한연구를비교적활발하게진행해왔다. 일관성의문제는전통적으로작문연구에서중시되어온문제이다. 1980년대이후인지심리학과언어심리학분야의학자들은독자가텍스트를일관성있게해석하는방식과필자가의미를일관성있게전달하기위하여텍스트구조를조정하는방식을이해하기위한목적으로일관성의문제를연구하였다. 이들의연구결과에의해, 일관성의일정부분은텍스트의구조표지가아닌독자의해석체계에구성된다는사실이입증되었다. 담화분석분야의학자들도텍스트의일관성은텍스트그자체에내재하는것이아니라세상사에관한구조화된지식, 즉스키마, 스크립트, 프레임등에의하여생성된다고주장하였다. 일관성의비언어학적기저에대한주장은화용론분야의상관성이론가들에의해서도제기되었다. 상관성이론에의하면, 어떤메시지의일관성은상관성의원리, 즉인간존재는새로운정보를구성하기위하여텍스트의정보와다른정보를비교함으로써상관관계를찾게된다는원리에의해결정된다는것이다. 그러나인지심리학분야의연구에서는텍스트구조자체가텍스트의일관성을결정하는데있어서가장중요한역할을한다는실증적근거를제시하고있다. 4. 作文硏究의課題앞으로전개될작문연구는언어심리학과인지심리학에바탕을둔작문과정에대한연구, 언어사회학과사회언어학에바탕을둔작문의사회적맥락에대한연구, 작문능력의효과적인신장을목적으로하는작문교육에대한연구등의세가지방향에서주로이루어질것으로전망된다. 작문의과정에대한연구에서는작문의과정에서일어나는인지작용의특성을보다구체적으로규명하기위한연구와작문과독서의관계에대한연구가보다정교하게이루어져야할것이다. 작문의사회적맥락에대한연구에서는사회적맥락이작문의과정에미치는영향에관한실증적연구, 텍스트공동체와생산된텍스트의관계에대한연구, 텍스트공동체가생산한텍스트의장
- 13 - 르적특성에관한연구, 텍스트의생산과정에영향을미치는사회적인지작용에관한연구등이활발하게이루어져야할것이다. 작문교육에관한연구에서는작문능력의구성요인에관한연구, 작문능력의발달단계에관한연구, 효과적인작문지도방법에대한연구, 작문능력의평가방법에관한연구, 학술적작문과비학술적작문의특성및지도방법에관한연구등이활발하게이루어져야할것이다. 앞으로우리가추진해야할작문연구의과제는무수히많다. 작문의특성과원리에대한연구가보다많은사람들에의해다양한측면에서이루어져야하고, 작문지도의원리와방법및작문평가의원리와방법에대한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이론적연구에의하여개발된작문지도및평가의원리를학교현장에서효율적으로적용하기위한실천적연구가반드시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이러한실천적연구는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각교육기관별특성에맞게이루어져야할것이다. 앞으로추진되어야할작문연구에있어서는연구방법의정확성, 적절성, 객관성이전제가되어야하며, 이를위해서는작문에대한과학적연구방법론이개발되어야할것이다. 앞으로우리가추진해야할작문연구의분야는작문이론에관한연구, 작문의활용에관한연구, 작문교육에관한연구등크게세분야로나눌수있다. 작문이론분야의연구에서는특히동양의수사학적전통에대한연구와함께우리나라의수사학적전통에대한연구가심도있게이루어져야할것이다. 작문의활용분야연구에서는 21세기의새로운정보소통기술 (ICT) 환경을고려한, 작문공동체와장르와매체등에대한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져야할것이다. 작문교육분야의연구에서는작문능력의발달에관한연구와함께효과적인작문지도방법에관한연구와작문평가에관한연구가광범위하고도정교하게이루어질필요가있다. 특히급속도로변화하는대학교육환경을고려하여수요자중심의대학작문교육에대한연구가시급하게요청되고있다. Ⅵ. 結語 작문연구의최근동향을종합적인시각에서조망하기위해본고에서는먼저작문연구의뿌리가되는수사학의전통을각시대별특성을중심으로간단히정리해보았다. 이러한수사학적전통에서파생된현대의작문이론을, 형식주의작문이론, 구성주의작문이론, 사회구성주의작문이론등으로구분하여각이론의특징을요약해보았다. 그리고의미구성현상에대한새로운설명방식을재생산, 대화, 협상의관점에서검토해보았다. 또한, 텍스트생산활동으로서의작문에대한연구동향을표면적구조중심연구와내적구조중심연구로구분하여정리해보았다. 끈으로이와같은연구동향에서얻은통찰을바탕으로하여앞으로우리가추진해야할작문연구의주요과제를소략하게나마제시해보았다. 작문연구는인문과학적연구인동시에사회과학적연구이다. 작문연구의대상이되는의미구성현상은인간의인식작용은물론인간의사회적행동과밀접한관련을맺기때문이다. 현대의새로운학문은학문적복합성을그특징으로삼는경향이있다. 현대의작문이론이다양하게생
- 14 - 성된배경에는언어학, 심리학, 인공지능공학, 사회학, 철학, 문학등의학문분야에종사하는사람들의공동의노력이있었다. 앞으로우리의작문연구가풍성한결실을맺기위해서는한국작문학회가주축이되어여러분야의사람들이다양한관점에서작문의이론과실제에관한연구를역동적으로추진해나가야할것이다.
- 15 - < 참고문헌 > Freedman S.W., Dyson A.H., Flower, L., and Chafe W. (1987) Research in Writing: Past, Present, and Future, 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Writing Technical Report No. 1. 1. 작문의활용분야 - 작문은사람들이갖추어야할기본적인기능그이상의것이다. - 작문은일종의사회적활동, 공동체와직장과학교에서의사회적생활을위한문화적응과정 - 작문연구는작문의언어적인지적기능적특성을밝혀내고, 공동체, 학교, 직장등의사회적 조직적인구조내에서작문이하는기능과역할을규명하고. 다양한형식의작문이평가되는방식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밝혀내는학문적활동이다. - 작문의활용은사회적맥락에의하여영향을받는다. - 작문맥락을구성하는요인에는특정과제의성질, 관여하는사람들, 광범위한사회적제도적구조등이있다. - 작문연구의과제로서시간과공간을가로질러필자가직면하는문식공동체의특성, 이들공동체의요구, 이들공동체에서필자가채택하는전략, 교사가필자와공동체의요구사이를중재하는방식, 학생들로하여금새로운문식세계에훌륭하게참여할수있도록돕는방식등에대한연구를들수있다. 2. 작문이론분야사회적맥락, 과정과결과, 기술, 작문전략의개인적차이 1) 연구와실천사이의연계강화를위해작문의사회적과정과인지적과정심층적연구 2) 작문과정과작문결과를연결짓기위한명시적전략연구 3) 작문과정과결과에대한 ICT의영향연구 4) 작문과정에서의필자들사이의차이연구 3. 작문교육분야 1) 작문능력의발달 : 기호체계지식, 담화구조지식, 작문전략, 작문과학습, 학교작문맥락 2) 작문에대한성인과동료반응 3) 작문에대한컴퓨터반응 4) 작문과필자에대한연구 : 작문의과정에서학생들이이용하는지식과전략 5) 작문과수업 : 작문수업이학생들의작문과학습에미치는영향 6) 쓰기와읽기, 쓰기와말하기, 쓰기와컴퓨터사이의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