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연씬i1JlJ료찍띠lJ li 18권 에 12 NEUR 까iERAPY 근위부 안정성 확보애 따른 상지 기능 변화에 때만 연구 최순철 강현식 김현식 맹진호 강이슬 임주섭 초 연주 고려 수 병원 재활치료부 A Study of Proximal Stability Following Change Upper E섰remit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Yeon-Ju Choi, I-Suel Kang, Ju-Sub 1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Korea Su Hospital Purpose Th 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ximal stability fouowing chang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σoke. Me빼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pa디ent with stroke who has b않n treated in dep따trnent of physical therapy, Bucheon-Korea Su Hospi띠 Evaluation tool were used Grooved pegboard, MFT, 9-holes pegboard test. For the four weeks the subject was treated 30 minutes per session, five times per week. Results Th e grooved pegboard test was increased from 13 pegs to 16 pegs, MFf test was increased from 62.5 score to 7 875 score, and 9-horI es pegboard test was decrease from 71 seconds to 62 second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oximal stability incr않se would be affected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pastient with stroke. Key words Stroke, Function, stability 교신 저자 최연쥐E-mail gold-horizon@naver.com) 논문 껍수월 2014년 8월 30 일 수정 렵수일 2014년 9월 30 일 게재 승인일 2014년 10월 15 일 작용한다 또한 입상적으로 다OJ=한 신경학적 결함을 보이는데 서론 주로 운동기능과 감각의 상실 의식수준의 변화 인지와 지각능 vascular acciden t) 력의 손상 언어기능 장애 등이 나타난다{Susan & Thomas, 라고도 불라는 질환으로 국소적 혹은 전반적인 신경학적 결손 200 1) 신체 기능 중 상지 및 손의 기능은 일상생활동작의 수 의 증상이 24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이다(Sham 2006). 통계 행 및 독립적 일상생활의 수행을 위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 결과에 의하면 뇌졸중은 평균 수명의 연장 및 노령화로 인하여 다{이경무 등 1990). 이러한 상지의 기능은 숭력에 대항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며 40 대 이후 장년층에 자세유지 능력과 원위부 통작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논 체간의 서 그 빈도가 점차 증71'하고 있대통계청 2006). 최근 의료기 안정성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면마비로 인한 상지 기 술의 발달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운 능의 제한은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가 동조}애 인지기능 저하 실어증 심리/행동 집}애 등의 뇌졸중으 되며 제간에서의 회전능력과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이는 사지 뇌졸중(stroke)은 일명 뇌혈관조L아lCcerebral 로 인한 후유증으로 신체 또는 정신적 징빼가 발생될 뿐만 아 의 동작을 제한하여 비효율적 동작을 일어나게 하기 때문에 체 니라 이로 인하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간 주변 근육들의 협력 수축은 제간 안정성 유지에 필수적이다 (박병규와 양진환 200. 또한 운동장애 지각 및 인지장애 (황병용 1990) 감각장애 언어징F애 시각장애 등의 기능장애와 일상생활동작 체간 안정성 유지는 근육과 웅직임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 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면에서 ~애를 초래하므로(유은영 1997). 는 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사지의 웅직임과 안정성에 기여하 초기 재활치료 프로그램은 예상되는 많은 합병증을 예방하는 는 근육들은 국소 근육(Iocal muscle)으로 체간하부에 위치한 것에서부터 물리치료1 작업치료 언어치료 및 각종 보장구의 근육들을 말한다(오재섭 등 사용을 통하여 환자의 저하된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목적이 있 의 안정성 (core stability) 이란 허리 고관절 복근의 활동이라 다{이병희 2006; 박금주 등 1998) 하였으며 이것은 신체의 중력중심(center 200. Phill(200은 체간하부 of gravity) 에 주로 뇌졸중에 의하여 흔히 유발되는 편마비는 개인의 보행능력 위치하며 움직임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또한 체간하부는 근위 을 감소시커고 가정과 사회에서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요소로 부 신체부위가 웅직이는 동안 정렬을 맞추어 그 자세를 유지하 근위부 안정성 확보에 따른 상지 기능 변올때 대한 연구.55
NEUR πf많apy 2014;18(1):55-60 고 동작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원위부의 효과를 증진시커 는 부위이대김미선 등 2005). Hsieh 등(200은 뇌졸중 환자의 포괄적인 일상생활동작 기능의 초기 예측인자로서 체간 조절의 평가와 치캄} 중요하다 고 강조하였다 상지의 기능적이고 정상적인 웅직임은 체간에 잘 배열되어 움직이고 체간 웅직임과 조회롭게 협응할 때 일어 나며 수의적 움직임은 근위부의 선행된 자세 정렬에 의해 이루 어진다. 앉기나 서기에서 체간은 움직이는 팔의 중심이 되고 팔 을 움직이고 사용하는 범위를 증가시커는 데 영향을 준다. 대다수의 뇌졸중 환자가 직변하는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 나가 상지 기능의 회복 l 다. 대부분의 치료가 이동이나 보행 그림 처 간 하부의 안정성을 위한 치료 그림 2. 치료 전 문제에 집중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지 문제가 소홀해지기 쉽다. 그러나 보바스 개념은 신체 모든 부위 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하는 치료를 강조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다른 부위를 고려하지 않고 한 부위만을 따로 떼어 치료하는 경우가 없도록해야한다 1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2014 년 9 월 29 일부터 2014 년 10 월 24 일까지 경 9-holes pegboard 평가 시 신체 정렬상태. 기도 부천의 고려수병원에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2주차 흉추부의 정렬상태와 어깨관절 주위의 역동적인 가 동성을 위한 치료를 하였음. 앞 주에 몸통치료에 집중해서 1) 의학적으로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로 진단받은 환자 중 의사 선행성 자세조정을 통한 봄통 안정성을 만들어 놓았다면 2 소통이 가능한 자 주차에서는 팔의 동작 범위가 넓어지게끔 하였음. 발병일이 1 년 이내인 자 3주차 손을 정확하게 표적에 가져가는 능력을 증진시커기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하고 따를 수 있는 자 위해 어깨와 팔꿈치 안정성을 만들어 주는 팔 뻗기 치료를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 하였음 2. 4주차 표적에 가져갔을 때 자연스럽게 잡고 웅직이기 위하 여 회내와 회외 동작이 더 잘되는 치료와 손의 섬세한 움직 실험 도구 및 평가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손 기능 검사의 측정도구는 임을 위해 손가락을 따로 용직이는 과제를 이용한 치료도 pegboard, 시행하였음{그림. pegboard MFT (Manual Function Grooved Test), 9-holes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4. 3. 치료내용 총 4주에 걸쳐 4 단계로 나누어 치료를 하였고 내용은 다음과 분석방법 연구 시작 전 평가 점수와 4주 동안 치료 후 평가 점수를 비교 하여 분석하였다. 같다. 1) 1 주차 흉곽에 어깨뼈가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하고 어깨의 11 연구결과 가동성을 위해 몸통 전체의 안정성에 중점을 두는 치료를 하였음{그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남자 환자로 나이는 53세이고 진단명은 전대뇌동맥 경색에 의 56 A Study of Proximal Stability Following Chang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최순철 강현식 김현식 맹진호 강이슬 임주섭 최연주 한 오른쪽 편마비이다 발병일은 2014 년 1 윌 20 일이며 관상동 맥 질환 보유자이다 고혈압이 있고1 당뇨는 없다 과거력으로 는 2014 년 1 월 18 일 음주 후 귀가하고 19 일 몸이 좋지 않아 누워 지냈으나 20 일 오전부터 우측 근위약 증상 발생하여 오 후 5 시경 부천성모병원 ER 내원하고 상기 병증 진단 후 입원 치료를 받았다.2 월 6 일 만성동맥폐색증 증상에 대하여 경피관 상동맥중재술 실패하고 관상동맥우회술 고려중인 상태로 재활 의학과 전과되어 치료 후 본원에 전원하였다. 2. 손 기능 검사소견 그림 1) Grooved pegboard 검사 소견 3. 손의 섬세한 움직임을 위한 과제 치료 우세손은 딩분 동안 13 개를 꽂았고 비우세손은 104초가 걸렸 걷는 모습과 손 기능의 변화 다 평가를 하는 동안에 환자분은 손을 들어 올린다기보다 어 연구 시작 전에는 전체적으로 저긴장 상태이고 다리를 들어서 깨를 이용하여 손의 높이를 바꾸는 모습이었다 꽂는 순간에 보행을 하며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팔을 들어 올렬 때에 특히 손가락과 손목을 쓰지 않았으며 건측 손으로 테이블을 누 는 말꿈치를 펴지 못한 상태에서 들어 올렸고 손의 움직임은 름과 동시에 몸통을 구부리는 모습을 보였다 페그를 열쇠 모 서둘고 업지가 손안으로 들어가는 모습이었다 양 구멍에 손가락을 조절하여 맞춰 넣어야 히는데 손의 내재근 4주 동안의 지료 후에는 초기보다 균형감각이 좋아져 보행 을 사용하지 않아 굴리지 못하고 집은 채로 더 큰 관절인 손목 속도가 증7봐였고 아직 발의 움직임이 부족하여 골반을 사용 이나 팔꿈치를 사용하여 넣으려고 하였다{표 1). 하여 발을 앞으로 가져가는 모습이다 팔을 들어 올릴 때는 팡 꿈치를 많이 펴는 모습이었고 손으로 여러 가지 도구를 잡아 MFT (Manual Function Test) 검사 소견 섬세하게 웅직이는 능력이 증가하였다. 건측은 32 점 만점에 30 점 환측은 20 점으로 100 점으로 환산 했을 때 각각 93.75, 62.5점으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입 IV. 고찰 방제 옮기기 항목에서 입방체를 집으러 가는 손의 모양은 그 크기에 맞게 알맞게 벌어져 있는 모양이었다. 어깨의 안정성이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처l간 안정성 강화 운동이 제대로 잡혀있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집고 팔을 펴서 옮기는 체간 및 상지의 근활성도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 과정에서 흔들림이 보였다{표. 써 뇌졸중 환자 치료에 대한 효율성 증진을 위한 훈련 프로그 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9-holes pegboard 검사 소건 체간 안정성 유지는 근육과 웅직임 조절 능력을 향상시카 오른쪽은 1 분 11 초 왼쪽은 2 '5초가 걸렸다. 표준편차를 김반해 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사지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기여하는 서 보았을 때 환자분은 왼손은 평균이랑 근접해 있는 점수였으 근육들은 국소 근육(Jocal mus c! e) 으로 체간하부에 위치한 근 나 오른손은 평균과 매우 떨어져 있어서 왼손과의 기능차리를 육들을 말한다{오재섭 등 200. Phill(200은 체간하부의 볼 수 있었다(표 1) 안정성 (core stability) 이란 허리 고관절 복근의 활동이라 하 앞서했던 grooved pegboard 평가와 달리 페그의 크기와 였으며 이것은 선체의 중력중심(center of gravity) 에 주로 모양 넣는 구멍의 크기도 일정했고 굵기도 더 굵어서 집기 편 위치하며 움직임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또한 제간하부는 근위 했다는 점에서 디 쉽게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그립. 부 신체부위가 움직이 는 공안 정렬을 빚추어 그 자세를 유지하 고 동작어l 참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원위부의 효과를 증진시키 는 부위이다{김미선 등 2005) 표 grooved grooved pegboard 와 pegboard( 초) 9-holes pegboard (초) 9-holes pegboard 99 110 13711\ '5분) 104 1 6 개(')분1 102 1il.93 19.il4 71 2 '5 62 24 근위부 안정성 확보에 따른 상지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57
NEUROTII많APY 표 2014;1 8(1):5>60 2. MFT 듀 컵사내용 14년 쩔 m일 1 좌. 무 14년 1鎭 rl!l일 화 우 l l 1) 45도 미만 shoulder f1 exion 45-90도 90-135 도 135 도 이상 1) 45 도 미만 sholder abduction 45-90 도 90-135 도 135 도 이상 1) 조금 움직임 손을후두부에 1) 조금 움직임 손가락 손등이 척추에 1) Ball을 잡고 있음 Ball을 놓을 수 있음 Ball 을 집어 올릴 수 있음 1) 연필을 집 어 올렬 수 있음 pinch grasp 1) 1-2 개 (5 초 이내) 7-8 개 1) 1-3 개 (30초 이내) 4-6 개 7얘 1O-127H 5) 13-157H 3-4 개 5-6 개 pegboard 동전을 집어 올릴 수 있음 바늘을 집어 올릴 수 있음 입방체운반 통측 둔부에 닿음 손바닥이 완전히 닿음 grasp 손이 흉부 위까지 손이 후두부에 닿음 손바닥이 완전히 닿음 손을등에 6) 167H 이상 총계 (32 점 만점) 30 31 20 23 MFS (1 00 점 환샌 93.75 96.875 62.5 7 875 Hsieh 등(200은 뇌졸중 환자의 포괄적인 일상생활동작 김미선(2005)은 뇌졸중 환자 4 명을 대상으로 4 개월간 체 기능의 초기 예측인자로서 체간 조절의 평가와 치료가 중요하다 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을 실시한 결과 편마비로 인하여 감소 고 강조하였다. 상지의 기능적이고 정상적인 움직임은 체간에 된 상지 관절의 능동적 가통 범위증가와 움직임 속도 감소에 잘 배열되어 움직이고 체간 움직임과 조화롭게 협응할 때 일어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검사영역은 다르지 나며 수의적 움직임은 근위부의 선행된 자세 정렬에 의해 이루 만 제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으로 요부 주위근육이 강화되어 어진다. 앉기나 서기에서 체간은 움직이는 팔의 중심이 되고 팔 상지의 조절 능력을 향상시 키는 데 효과가 있음은 본 연구결과 을 움직이고 사용하는 범위를 증7씨키는 데 영호t을 준다. 와유사하였다. 58 A Study of Proximal Stability Following Chang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최순철 강현식 김현식 맹진후강이솔 엄주섭 최연주 본 연구에서는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을 실시하여 만 로 9초 줄었고 왼쪽은 25 초에서 24초가 걸려 1 초 감소하 성 뇌졸중 환자의 체간과 상지 근육의 근활성도에 유의한 효과 였다. 재평가 후에도 왼쪽은 별 차이를 안보였으나 오른쪽 를 보았으며 이러한 체간 및 상지근육의 근활성도 향상의 치 은 1 분 2초로 평균 18.93초에서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였 료 효과를 기초로 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을 위한 상 지의 기능적인 웅직임 호댐을 위한 치료적 중재를 시작할 수 다{그림 옮기는 기능은 빨라졌고 grooved pegboard 평가를 통해 있다고생각된다. 체간강화 운동과 상지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위한 훈련을 봤을 때 손가락 하나하나 웅직이는 능력은 소폭 상승하였 한 후 상지 기능 향상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상지 기 능 평가 도구를 이용한 상지 기능 평가에서 치료 후 접수가 증. 4. MFf와 9-holes pegboard 평가를 통해 봤을 때 사물을 다. 5. 전체적으로 접수가 상승한 것은 어깨의 안정성이 생기고 가 가하여 상지의 근 활성도와 기능이 증가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 동범위가 좋아지면서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 지 기능 향%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한 명의 인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1 연구기간 중 치료시간 외의 환자의 일상생활을 전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 참고문헌 이 있었다. 앞으로 이런 제한점을 보완하여 체간 안정성 강화 권희규 이정화 뇌졸중의 입상적 2 김미선.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의 효과를 보다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연구들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만 국한해서 1984;8:83-91 관절 움직임이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재활보 적용했으나 앞으로는 정%엔에게도 적용하여 제간과 상지의 근 건과학대학원. 2005 활성도 및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며 뇌졸중 환자의 체간 안정성 강화 운동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연구. 대한재활학회지. 3. 김선엽 권재학: 슬링 시스댐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대한 정형물리치료학회지 2001;7(:1-15.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 김정훈 요부 안정화 운동방법에 따른 요통 환자의 다열근 단면적 비교 석사학위 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008 v. 결론 본 연구는 2014 년 9 월 29 일부터 2014 년 10 월 24 일까지 경기 5. 6. 은 결론을 얻었다. Grooved peg board 평가에서 우세손은 5분 동안 167ß를 꽂아 3 개 증가하였고 비우세손은 104초에서 102초로 2초 원. 2005 7. 하였고 비우세손은 102초로 평균에 근접한 점수를 보였다. 2. MrT 펑가이l시 간측은 32 점 민점이130 점 환측~ 23 점으로 오재섭 박준상 김선엽.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필굽혀펴 기 동작시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 10(:29-40. 8. 유은영. 뇌졸중 환자의 인지 지각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동작 능력과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감소하였다. 50 대 남성의 평균은 우세손은 99초 비우세손 은 110초로 우세손은 제한시간인 5분 오벼l 다 수행하지 못 오근배 뇌졸중 환자의 중심 안정성 훈련이 자세 조절과 일상생 활동즈벼1 미친 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 도 부천의 고려 수 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치 료하고 전후 상지의 평가도구 3 가지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갇 박병규 양진환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화복 %앵; 대한놔졸중 학회지 2003;5:89-95. 1997 9. 이병희. 치료적 중재 방법에 따른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운동발 달 기능적 일상생활동작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006 각각 1 점 3 점 상승하였다. 건측은 peg board 점수에서 페 10. 이병희 백지영. core 안정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정적 및 그를 14 개 꽂아서 1 점 상승했고 환측은 견관절 굴곡 가동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2007; 제 18 권 범위가 15도 상승하여 1 점 추가 손가락 손등이 둔부에만 1 호 통권 100후 pp; 623-634. 닿았었는데 재평가 시에는 척추에 닿아서 1 점 추개 peg 1 황병용. 신경물리치료학 현문샤 1999 board 에서 하나를 꽂았던 페그를 5 개 꽂아 1 점 추가되어 12. Aku thota V. 총 3 점 상승하였다. 100 점으로 환산했을 때 건측은 93.75 점에서 96.875 점 환측은 62.5 점에서 7875 점으로 많은 상승을보였다. 3. 9-hole pegboard 에서는 오른쪽은 1 분 11 초에서 1 분 2 초 &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2004;85 (1 ):86-92. 13. Black S.A. Training the core stability training can improve athletic perform뻐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itness Management, 2oo1;Vol; 10. 근위부 안정성 확보에 따른 상지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59
뾰UROTI표JW>)': 2014;18(1):55060 14. Cresswell AG., Oddsson L. & Th orstensson A. Th e influence of sudden and perturl갱tions inσa-abdominal on trunk muscle activity pressure while standing. Exp Brain Res, 1994;98:336-34 15. Sue R, Linzi M & Mary L-E. The boba1h concept: 깐lOOry and clinic머 practice in neurological rehabilitation. 2013. 60 A Study of Proximal Stability Following Chang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