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9
Ⅰ. 서론독서장애인이란신체적이거나정신적인장애로인하여표준적인포맷의인쇄된정보에접근할수없는자를말하며, 독서장애인의범위는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신체장애인, 발달장애인등다양하게구분된다. - 시각장애인 : 전맹, 저시력, 고령자, 색맹 - 청각장애인 : 난청, 고령자, 농 - 신체장애인 : 지체장애, 고령자 2011 년 11월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등에관한법률 ( 이하, 장차법 ) 에의해서점진적으로추진되어오던장애인의정보접근성개선활동및장차법이 2013 년 4 월을기준으로준수의무화가되면서모든공공기관, 교육기관, 의료기관, 문화예술기관등모든기관과업체로점진적으로확대적용되며, 장애인의디지털정보접근성을위한사회적노력이확대되고있다 [< 표 1> 참조 ]. 이러한사회적노력과함께현재웹의경우장애를가진사람들도웹을이용할수있도록접근성개선을위한다양한연구와표준이개발되어적용됐으며, 국내에서도웹접근성인증제도를시행하여장애인의웹콘텐츠접근성을개선하기위해지속적으로노력하고있다. 다음은현재까지발표되고활용되는웹접근성관련표준및규격이다. Ÿ ARIA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 1.0(cross platform) Ÿ AT-SPI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vider Interface(Linux) Ÿ Ax/uiA The Mac OS X Accessibility Protocol (Mac OS X)/UIAcccessibility Protocol Reference(iOS) Ÿ IA2 Iaccessible2(Windows/Linux) 60 전자통신동향분석제 30 권제 4 호 2015 년 8 월
Ÿ MSAA Microsoft Active Accessibility(Windows) Ÿ UAAG 1.0 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Ÿ UIA Microsoft UI Automation(Windows)Practical Accessibility API support by browser and OS(2012. 7. 14.) 다음과같이웹의경우플랫폼별, 웹브라우저별로다양한노력과개선이지속되고있다. 이에반해전자출판분야에서의장애인접근성은아직다양한이유로이슈화되지못한것이사실이다. 본고에서는장애인의출판물접근현황및문제점을살펴보고접근성개선을위한전자출판기술개발동향및전망에관해기술하고자한다. Ⅱ. 장애인의출판물접근현황 1. 독서장애인의독서접근현황전자출판분야에서의장애인접근성이활발히이슈화되지못하는요인으로는, 먼저수요자측면에서기존의텍스트기반콘텐츠를제공받아스크린리더, 점자출력 기등다양한장치와소프트웨어등으로익숙하게활용해오던소비방식에대한변화를원하지않는다는문제를꼽을수있다. 현재독서장애를가진소비자의입장에서는원하는방식으로불편없이사용하고있으니변화를바라지않는입장이라고할수있다. 전자출판에서장애인접근성에대한관심을두지못하는또다른이유는시장원리에있다. 장애인을위한대체자료등은국립중앙도서관등국가에서납본이라는제도를통해저작권자에게책의원본파일을제공받아 길연희외 / 전자책접근성기술동향및전망 61
텍스트정보를기반으로음성을녹음하거나 Text-to- Speech(TTS) 로음성파일로변환하여제공한다 [( 그림 1) 참조 ]. 이러한장애인용대체자료는무료로제공 서비스되고있어저작권자나유통사는이익을창출하지못하고, 이로인하여민간등다양한투자로전체규모가확대되기보다는정부와단체의예산에의존하고있다. 그러나이러한유통방식과구조로인하여사실상독서장애가있는콘텐츠소비자들이접근할수있는출판물이양적으로부족하고다양하지못한결과를초래하 게된다. 예를들어 2013 년국립중앙도서관납본을기준으로보았을때, 연간약 74,532 종의일반도서가납본수집되었다. 반면동기간동안장애인을위한대체자료제작 수집은 4,895 건에머무르고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대체자료제작사업을시작한 2003 년이후제작된대체자료의총누적종수로따져도, 그양이많지않다. < 표 2> 에서보듯이국립중앙도서관에서대체자료제작사업을시작한 2003 년이후의누적종수를따져도 62 전자통신동향분석제 30 권제 4 호 2015 년 8 월
18,860 건에불과하다. 이처럼장애인들이출판물에대한접근성측면에서소외된것이현실이다. 2. 전자책분야의장애인접근성현황최근전자책산업이성장일로에있으며, 이에따른전자책제작역시급증하고있다. 전자책시장의성장에따라 2013 년에만한국전자출판협회에서인증을거친전자책이약 37만건에달한다 [1]. 그러나이렇게전자책으로출간 유통되는도서역시웹페이지를장애인이접근할수있도록하는웹접근성등의표준적용이미비하여장애인접근성이고려되지않고제작 유통되기때문에독서장애인들에게는종이책이나전자책모두접근하기어려운것이현실이다. 이렇게전자책제작시장애인접근이고려되지못하는것에는제작과정과제작비용의문제를들수있다. 현재전자책은 Electronic Publication(EPUB) 포맷으로제작되어유통된다. EPUB 형식은 HTML5, SMIL 등웹표준과 ZIP등표준화되고공개된기술기반으로구성된전자출판용콘텐츠유통포맷으로, < 표 3> 에서보는것과같이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인터파크등국내대부분의전자책제작 유통사가사용하는전자책포맷이다. 이러한 EPUB 전자책제작을위해서는복잡한절차가필요하다. 기본적으로최근 책 이라는콘텐츠개발은 One Source Multi Use(OSMU) 개념에서활용되기를바 란다. OSMU 개념의작은부분이긴하지만일반도서종이책출판을위해서생성되는디지털파일 (Quark, Indesign 등 DTP용전자포맷 ) 을활용하여전자책을작성할수있도록하는것이가장이상적인콘텐츠제작절차이지만종이책과전자책과의근본적인차이들이존재하기때문에여러절차를통해제작하는것이일반적이다. ( 그림 2) 와같이전자책을제작하기위해서는저작권자나출판사는종이책제작을위해만든파일을이용하여전자책제작에사용하고있으나전자책의레이아웃이나스타일링, 멀티미디어편집, 인터랙티브편집등작업이제작단계에서필요하며, 또한유통을위해서유통사가제공하고있는다양한전자책뷰어의각각의특성에따른복수의전자책을제작해야하는등많은어려움이있는것이현실이다. 또한, 이과정에서장애인접근성을위해서기본적으로 EPUB 포맷으로전자책제작시추가되는다양한문맥적정보를기존의전자책콘텐츠로표현하는 HTML 문서내부에추가하여야하며, 시각장애인을위해서는텍스트를음성으로변환하고, 이를키보드등보조장치를통해서문단, 단어, 장, 절등콘텐츠내부의다양한단위의내비게이션이가능하도록제작하여야한다. 이와더불어 EPUB 3의경우동영상, 오디오등원본콘텐츠자체에멀티미디어요소가포함되는추세이기때문에청각장애인을위해서멀티미디어파일등에추 길연희외 / 전자책접근성기술동향및전망 63
가적인텍스트정보를포함해서저작해야하는다양한추가작업요소가요구된다. 특히, 일반적으로청각장애인들에대해서모르고있는부분으로 ( 그림 3) 에서보듯이시각과청각장애중청각장애인의수가시각장애인의수보다많으며, 청각장애인의문맹률이 30% 에이른다는사실이다. 즉, 동영상, 오디오등을청각장애인이접근할수있도록텍스트정보를부가적으로추가하는것으로는청각장애인의 70% 인 191,100 명에대해서만접근성이제공가능하지만, 나머지 81,900 명은앞서언급된방식으로도전자출판물에접근하지못한다는것이다 1). 따라서, 청각장애인들의 Native 언어라고할수있는수화 (Sign Language) 정보를부가적으로제공하는것이필요하며, 이는텍스트정보를수화정보인비디오정보로변환할필요가있다. 이러한제작과정의어려움은전자출판물이모든정보를디지털화하고있으며, 다양한의사소통방식으로콘텐츠에접근할수있다는장점에도불구하고, 장애인접근성이해결된전자책이부족한이유이다. Ⅲ. 접근성개선을위한전자출판기술개발필요성앞서살펴본바와같이장애인의독서접근성개선을위해서는장애인접근성문제가해결된독서자료의양적 질적확대가필요하다. 스마트폰등의모바일단말기, 전자책전용단말기, 일반컴퓨터등다양한매체를통해소비되는전자출판물은모든정보를디지털화하고있으므로다양한방식으로콘텐츠에접근할수있으며, 여러가지인터페이스와음성, 이미지, 동영상등다양한의사소통방식으로상호변환되어제공될수있다는데그장점이있으며, 또한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등대형서점뿐아니라 SKT, LGU+ 등통신사도전자책유통서비스를제공함으로전자출판물유통및활용인프라역시마련되고있다. 이러한전자책기술과산업의발달은기존종이책매체를대체자료로별도제작해야하는시간적 비용적노력을줄이고, 전자책제작과정에서접근성을개선함으로장애인이사용할수있는독서자료의양적확대및질적확대를기대할수있다. 실례로해외에서는오래전부터아마존킨들 (Kindle) 64 전자통신동향분석제 30 권제 4 호 2015 년 8 월
및애플 ibooks 등전자책뷰어에서 TTS 및음성처리 (VoiceOver) 기능과같은접근성이제공되고있으며, 모바일운영체제인안드로이드에서도 Talkback 과같은접근성기술을제공하고있다. 또한, 법 제도적으로도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등에관한법률 제21 조 ( 정보통신 의사소통등에서의정당한편의제공의무 ) 의제5항에출판물을정기적으로발행하는사업자는장애인이나장애인이아닌사람과동등하게접근 이용할수있도록출판물 ( 전자출판물포함 ) 을제공하기위하여노력해야한다고명시되어있으며, 인쇄물을읽을수없는장애인등을위하여다양방식으로발전하고있는전자책활용에필요한신기술을활용하여장애인들의정보접근성확대를위한노력이절실하다할수있다. 전자책저작및표현기술은현재 EPUB 이라는전자출판물표준이업계표준으로유지되고있다. 또한, EPUB 포맷은 HTML5 등웹표준을기반으로구성되어있으며, 현재가장널리퍼져있는장애인용접근성도서제작표준인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DAISY) 표준에서파생되었다고도할수있다. EPUB 은 HTML5, XHTML, SVG, MathML 등다양한웹표준을기반으로구성된다. 특히, EPUB 3는구조화된콘텐츠를표현하기위하여 HTML5 의의미적마크업특성지원, 동적콘텐츠에대한접근성확보를위한 ARIA 속성포함, epub:type 속성을추가하여의미적영향을표현, SMIL 또는 Media Overlay 라는표준을통한텍스트와오디오의동기화, SSML, PLS 언어사전, CSS 음성규격등을지원함으로접근가능한전자책의생산에기반이되는기술들을적용해오고있다. 현재국내에서도국립중앙도서관은 2014 년부터 장애인을위한전자책접근성지침 표준개발및서비스플랫폼개발을 3개년사업으로진행하고있으며, 이를통해 EPUB-DAISY- 웹접근성기술을적용한접근성이개선된 EPUB 콘텐츠가개발되고뷰어지침이활용되 어장애인도전자책을활용할수있는환경을마련하여장애인독서접근성개선을꾀하고있다. 그러나앞서언급한바와같이 EPUB 기반의전자책을제작하는콘텐츠제작주체들은이상의기술적인내용을습득하고콘텐츠를개발및제작하기는여러가지어려움이있다. 첫째, EPUB 제작을위해서는기존의서책개발을위해제작된 PDF, Quark, InDesign 등의포맷과애플리케이션으로생성된파일들을활용하며, 이를 HTML 형식의 EPUB 콘텐츠저작에추가적인비용이지출되는문제, 둘째, 전자책의장애인접근성준수에추가되는기술습득및인력확보를들수있으며, 셋째, 제작된전자책에대해서접근성을확보하기위해국내실정에맞추어준수되어야하는접근성지침에대한지침및이에대한준수여부를확인할수있는검증도구가없다는문제도있다. 이러한환경에서전자책저작도구및뷰어에서요구되는장애인접근성개선을위한요소기술의개발을통해현재전자책제작시, 장애인접근성제공을위해요구되는추가비용및저작을위한시간을효율적으로줄일수있도록하여, 독서장애인뿐아니라비장애인 ( 노인등 ) 도전자책을더욱쉽게접하고, 활용할수있는기반을마련할수있을것이다. Ⅳ. 전자출판접근성개선을위한연구동향 1. 해외사례해외에서는 EPUP 기반의장애인접근성개선저작기술도출및개발을위한다양한연구및표준화가진행되어왔다. 가. EPUB 3 Accessibility Guidelines[2] EPUB 3 콘텐츠를생성하기위한가이드를제공한다. 세부적으로콘텐츠를구현하는방법및지침, 품질보증 길연희외 / 전자책접근성기술동향및전망 65
체크리스트를제공한다. EPUB 3로처음출판하는사용자의경우콘텐츠제작에필요한기본적인사항과예시를제공한다. 나. WCAG 2.0[3] 웹콘텐츠접근성지침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2.0은장애인들이어떻게웹콘텐츠에쉽게접근하여사용할수있는지를정의한다. 이표준은전자책콘텐츠가기본적으로웹표준을활용하기때문에중요한표준이라고할수있다. 웹접근성은시각, 청각, 신체, 언어, 인지, 학습, 신경학적장애를포함한장애의넓은범위를포함한다. 해당지침은많은장애인이웹콘텐츠에쉽게접근할수있게제공하지만모든요구사항을충족할수없을수있다고밝힌다. 이지침은일반사용자의편의성향상에도도움이된다고할수있다. WCAG 2.0 은국제적으로개인, 기업, 정부의요구에맞는웹콘텐츠접근성공유표준을제공하는것을목표로전세계의개인과단체와협력하여 W3C 과정을통해개발된다. WCAG 2.0은 WCAG 1.0(WCAG10) 을기반으로지금은다른웹기술에광범위하게적용되고있으며, 미래에자동화테스트및실제사용자테스트를할수있도록설계되었다. 다. WAI-ARIA 1.0[4] 이표준의목적은저자에의해제공된접근성관련정보를확장하도록하는방법을제시하고, 독립적인기기들은키보드로모든기능을사용할수있도록지원하는것을규정한다 ( 예를들어전화기, 휴대폰, e-book 리더기, TV 등 ). 또한, 스크립트에의해서생성되는동적콘텐츠의접근성개선과보조기술간의상호운용성을제공한다.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WAI- ARIA) 는웹콘텐츠및애플리케이션의접근성과상호운용성을향상시킬수있는프레임워크를제공하는기술규격이다 라. 5 TIPS FOR EPUB ACCESSIBILITY[5] 애플사에서제공해주는템플릿을이용하여전자책을 출판하는방법을소개하고있으며, 장애인을위해출판 시고려해야할사항을 5 가지로정리하여소개한다. 그 에대한간략한내용은다음과같다. - 제목을사용 - 캡션이나이미지의제목을사용 ( 텍스트를음성으 로제공 ) - 영상을제공할경우영상에자막을넣어제공 - 상호작용인터페이스보다장애인이쉽게인지할 수있는기능을강조하여제공해야함. - EPUB 표준지침을유지하고미디어오버레이기 능을 EPUB 3 에서사용할수있도록제공 마. Accessible EPUB 3: Best Practices for Creating Universally Usable Content[6] 디지털콘텐츠, 전자책은출판과동시에접근할수있 다. EPUB 3 의도입으로개인의고급정보들을독자들에 게제공할수있다, 본페이지는 EPUB 3 형식내에서다 지털콘텐츠제작들이사용할수있는다양한접근성기능 을제공하고모든보편적독자를위한콘텐츠의접근성을 향상시킬수있는방법을탐구하는내용을담고있다. 바. DAISY 3 Structure Guidelines[7] DAISY 는장애인을위한대체포맷으로가장널리사 용되고있는포맷이다. 데이지프로젝트는 1988 년에스 웨덴음성도서와점자도서관의당시시스템에만족하지 못한데서처음시작되었으며, 3 년뒤인 1991 년스웨덴 정부에음성도서시스템이도입되었으며, 1996 처음으 로데이지컨소시움으로구성되었으며, 100 여개이상 의국가에서그이상의국가나단체자격으로가입하여 대체자료형식인 DAISY 라는장애인용접근성도서표 준을제정해오고있다. 최근에는 EPUB 3 표준을주도 66 전자통신동향분석제 30 권제 4 호 2015 년 8 월
하는국제전자출판포럼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 과함께전자출판물의장애인접근성개선을위해노력하고있다. 전자책포맷인 EPUB 도데이지포맷에서파생되었다고할수있다. 2. 국내사례앞에서언급한바와같이국립장애인도서관은 2010 년이후연간 2,000~4,000 여종의장애인대체자료를제작보급하고있으며, 2014 년 전자출판물접근성개선및테스트베드구축 사업을통해서 EPUB 기반의전자책접근성제작지침을개발하여현재 TTA 표준화추진중이며, 접근성콘텐츠유효성검증도구, 관리플랫폼등이연구개발되어국내전자출판물유통사가콘텐츠제작을위해참고할수있는접근성지침과기술을개발하였다. 다음은사업에서도출한전자책의장애접근성개선을위한주요내용이다 [8]. Ÿ 모든텍스트는논리적으로읽혀지는순서로이용가능해야함텍스트는이미지로표현되지않아야하며, CSS 에의해서그논리적인순서가변경되지말아야한다. 또한, 읽기위해서스크립트를동작시키거나사용하지않아야한다. 보조콘텐츠이미지, 주석과같은부가콘텐츠를구별하여 TTS 등이주내용과분리하여처리할수있도록구조적마크업을사용해야함. Ÿ 콘텐츠와표현의분리눈으로읽는것은콘텐츠접근의한가지방법이다. 단어나절의중요함과의미를주기위해텍스트색을변경하는것, 폰트크기나위치를변경하는것으로그의미를제공하지말아야한다. 콘텐츠의의미는어떤스타일이나포맷이적용되든안되든동일한의미가되어야함. Ÿ 완벽한내비게이션제공각절에작은목차를추가하는것을고려하고, 도서의 앞부분에완벽한목차를추가해야한다. 콘텐츠내에서는 <section> 과 <aside> 태그를사용하고메니페스트에서읽는순서를정의하기위해 <itemref liner= no > 태그를사용해야함. Ÿ 가능한의미있는구조논리적구조내에서숫자가매겨진머리말을사용하는것으로구조를생성하도록한다. 다른태그로구조화된경우에는해당부분의내용을 epub:type 속성을사용하여표현하도록한다. 특정한용도가있는태그는해당용도에맞게사용하여야하며, 표준에따라사용되어야함. Ÿ 각태그의콘텐츠정의태그의콘텐츠를설명하는의미적정보를포함해야함. Ÿ 테이블이나텍스트는이미지화해서는안됨시각적으로장애가있는사람은이미지정보접근이불가능하므로테이블의콘텐츠나문자는텍스트로제공해야한다. 만일, 어쩔수없이이미지로전달해야한다면, 그이미지의설명과텍스트데이터사본을제공하도록하고, 접근가능한 SVG 를사용하도록함. Ÿ 이미지에대한대체텍스트제공디자인을위한이미지를제외한모든이미지는설명, 제목이나대체텍스트를포함해야함. Ÿ 쪽번호포함쪽번호는도서내부에서많은사람이내비게이션하는방법이다. 인쇄도서가존재하는모든전자책은 epub:type= pagebreak 속성을사용하여쪽번호를추가하도록해야함. Ÿ 언어지정각단어가정확하게렌더링될수있도록하기위해서는루트 html 태그에콘텐츠의기본언어를지정하도록해야함. Ÿ 수식은 MathML 사용 MathML 은이미지를언어로설명하는모호성을제거 길연희외 / 전자책접근성기술동향및전망 67
함으로써모든사람이수학적식에접근가능하도록할수있다. MathML 생성을지원하는다양한도구를활용할수있음. Ÿ 미디어콘텐츠에접근할수있는대체자료를제공비디오나오디오콘텐츠를위해서콘트롤러가기본적으로사용가능한상태여야한다. 오디오를위한텍스트나비디오를위한설명이나제목등의폴백옵션도제공하도록함. Ÿ 상호작용콘텐츠를접근가능하도록적용 JavaScript 나 SVG 를사용하는상호작용콘텐츠는접근가능해야한다. 모든사용자컨트롤들은적절한 ARIA 역할, 상태, 특성을적절하게완벽하게구현해야함. Ÿ 접근성메타데이터사용콘텐츠의접근성을적용하기위한일반적인모범예의일부분으로파일내에접근성메타데이터를제공하는것임. V. 장애인접근성개선을위한전자출판기술앞서도언급했듯이기본적으로 EPUB 포맷으로접근성이고려된전자책제작시, 기본적으로다양한문맥적정보를 HTML 문서내부에추가하여야하고, 키보드등보조기구를사용하여문단, 단어, 장, 절등콘텐츠내부의다양한단위의내비게이션이가능하도록제작하여야한다. 그리고시각장애인을위해서는텍스트를음성으로변환해서제공하여야한다. 현재국내에서사용되고있는전자책저작도구는장애인접근성을위한기능을삽입하거나각문맥적인정보를추가할수있도록기능을제공하고있지않다. 또한, EPUB 3의 Media Overlay 기능을구현할수있는기능을제공하지못하고있다. 전자출판물저작도구에필요한장애인접근성관련주요한기능은문맥정보삽입기능, 미디어오버레이제작기능, 음성녹음기능, 접근성관련적합성검증기 능등이필요하다. 이와더불어, 콘텐츠측면에서전자출판물콘텐츠를구성하는내용을이루고있는다양한구성요소별로도접근성관련연구개발이필요한부분이존재한다. 한예로수식의경우 W3C 표준인 MathML 로표현하고포함되지만, 현재까지이를읽어내는독음규칙에대해서는연구되거나표준화된사례가없어표준적인수식읽기규칙에대한연구가필요하다. 또한, 최근동영상, 오디오, 백터기반요소 (SVG) 등상호작용가능한다양한요소들이포함된 EPUB 3 콘텐츠가유통저작되고있는상황에이러한동적요소들에대한접근성지원방법과기술에대한연구개발이요구되고있다. 또한, 청각장애인중 30% 에달하는문맹자를지원하기위한텍스트정보를수화정보로변환하는기술에대한연구개발이필요하다. 1. 전자출판원본포맷을접근성지원포맷으로변환하는기술전자책제작을할때종이책제작과같은파일형식을이용하여변환하는것이가장빠르고효율적인방식이다. 하지만, 현재인디자인이나파일형식이개방형표준화된형식이아니기때문에특정업체의저작도구활용없이변환하기는불가능한상황이다. 이러한포맷간의변환이자유로워지는경우, 전자출판물의비중증가와활성화에큰기여가가능하며, 그만큼독서장애인이이용할수있는콘텐츠도증가한다고할수있다. 2. 수화영상합성기술청각장애인의문맹률은 30% 에달한다. 즉, 텍스트정보위주의전자책콘텐츠는청각장애인의 30% 에게는접근할수없는콘텐츠이다. 이문제를해결하기위해서텍스트정보를수화 (Sign Language) 로표현할수있는기술개발이요구된다. 68 전자통신동향분석제 30 권제 4 호 2015 년 8 월
수화는 청각장애인들의 언어로써 이들에게는 가장 중 계가 필요하다. 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며, 비장애인들 사이에서도 유용 구어(口語)의 음소에 대응하는 수화의 기본소로 수화 한 정보수단이다. 텍스트 정보를 수화로 제시할 수 있다 소가 있다. 이를 수형소, 수위소, 수동소, 수향소, 체동 면 장애인들의 독서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소로 분류할 수 있다. 수형소는 손의 모양을 말하며, 수 (그림 4)의 예와 같은 수화영상 합성은 두 가지 단계 위소는 손의 위치, 수동소는 손의 움직임, 수향소는 손 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수화동작을 효과 가락의 방향과 손바닥의 방향, 체동소는 표정, 머리를 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사전 형성의 단계이고, 두 번째 기울이거나 흔드는 동작을 말한다. 이와 같이 수화는 손 단계는 이를 검색해서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로 으로 언어를 표현하기도 하지만 몸짓과 표정으로도 표 나눌 수 있다. 현되는 언어이다. 이를 위해 손가락과 손의 움직임뿐만 일반 언어에서는 많은 조사가 사용되고, 다양한 어미 변환을 하는 반면, 수화에는 몇 가지 조사를 제외하고 아니라 위치와 방향 및 표정과 몸짓까지 애니메이션으 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조사가 생략되고, 어미 변환에 상관없이 사용 텍스트를 수화 애니메이션 또는 영상으로 표현하는 된다. 따라서 일반 문장을 수화로 변환하려면 조사를 생 연구는 기존에도 있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상용 략하고 어미 변환을 없애는 단계가 필요하다. 화되지는 못한 실정이며, 텍스트 정보를 수화로 표현하 조사 생략, 어미 변환 문제와 함께 수화의 복합어를 는 기술을 단기간 연구로 개발이 어려운 부분이 많다. 처리하기 위해 단순어 사전과 여기에 있는 단어, 복합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정책적, 기술적인 다양한 접근 방 어, 동사와 같이 어미 변환을 할 경우에 어두 부분 등 수 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화단어 열거에 필요한 모든 것을 기술한 복합어 사전이 필요하다. 3. 수식요소에 대한 음성독음규칙 및 기술 일반 언어를 수화로 변환하는 사전 형성과 함께 형성 전자책에는 내용을 기술하는 텍스트 외에도 이미지, 된 사전에 따라 텍스트를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단 표, 수식 등 다양한 형태의 내용이 표현된다. 이 중에서 수식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는 전자도서에서는 본문 텍스트만 음성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전자책 내에 있는 수식 및 수학 기호들은 음성으로 변환하지 못하고 아예 생략해버리거나, 그림이나 이미지와 같이 간단한 텍스트로 제공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수식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서비스하 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 한 프로그램들은 국제 음성도서표준으로 가장 널리 이 용되는 DAISY를 통해 수식을 읽어주는 프로그램들이 다. DAISY 내의 수식 콘텐츠는 웹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MathML로 표현된 수식을 음성으로 읽어주는 형 태이다. MathML은 웹에서의 수학적 표현의 한계를 극 복하기 위한 마크업이다. 수식독음 애플리케이션으로는 길연희 외 / 전자책 접근성 기술동향 및 전망 69
미국의 Design Science 사의 MathPlayer 가있다 [9]. 수식의음성서비스프로그램들은대부분 DAISY 포맷을기반으로하여, 영어로표현되는수식독음을독서장애인들에게서비스하고있다. 수식독음시스템을국내에적용할경우, 한글과영어의언어적특성에따라수식을표현하는방법이달라서수식을음성서비스하는데어려움을겪게된다. 예를들어, 분수를영어로표현할경우분자를먼저읽고분모를읽지만, 한국어의경우분모를먼저읽고분자를나중에읽는다. 이런규칙을배제한체영어독음을한글로직역하게되면, 수식의본래의미를잘못전달하게된다. 독음상의오류를없애기위해서는영어독음을직역하는시스템이아닌수식요소 (MathML) 에대한한국어음성독음규칙과이를적용한전자책접근성기술이필요하다. 따라서수식들에대한한글독음규칙을정의하고, 이규칙에따라수식의음성서비스를제공하는한글음성변환기법의연구개발이요구된다. Ⅵ. 결론본고에서는독서장애인의전자책이용현황및문제점, 그리고이를해결하기위한기술적방안에대해살펴보았다. 독서장애인의정보접근권확보를위해전자출판의접근성지원이요구되나출판업계에서는장애인을위한전자출판시장의규모가크지않아이부분에대한투자를적극적으로하지않는상황이다. 출판업계의현실과공익성을확대하려는정부의정책적입장을동시에만족시킬수있게하려면국가주도로장애인접근성전자책제작에드는비용을획기적으로줄일방안이필요하며이를위한대체물의효과적생산에대한기술개발이요구되는시점이다. 약어정리 ARIA DAISY EPUB IDPF OSMU TTS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Electronic Publication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 One Source Multi Use Text-to-Speech WAI-ARIA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WCAG 참고문헌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KPIPPA 출판산업동향 통계및경기동향, 2013. [2] EPUB 3 Accessibility Guidelines, http://www.idpf.org/ accessibility/guidelines [3]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WCAG) 2.0, http://www.w3.org/tr/wcag [4]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WAI-ARIA) 1.0, http://www.w3.org/tr/wai-aria [5] 5 TIPS FOR EPUB ACCESSIBILITY, http://luisperezo nline.com/2011/06/30/5-tips-for-epub-accessibility [6] Accessible EPUB 3: Best Practices for Creating Universally Usable Content, http://accessiblepublishin g.org/accessible-epub-3-best-practices-forcreating-universally-usable-content [7] DAISY 3 Structure Guidelines, http://www.daisy.org/z 3986-structure-guidelines [8] 국립중앙도서관, 전자책 (e-book) 접근성개선방안및테스트베드개발사업, 2014. [9] MathPlayer, http://www.dessci.com/en/products/math player/ 70 전자통신동향분석제 30 권제 4 호 2015 년 8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