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21025.hwp



Similar documents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내지-교회에관한교리

152*220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³»Áö_10-6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With_1.pdf

나하나로 5호

* pb61۲õðÀÚÀ̳ʸ

È޴ϵåA4±â¼Û

(012~031)223교과(교)2-1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ÀåÀÛ¾÷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hwp

2002report hwp

Çѹ̿ìÈ£-197È£

01¸é¼öÁ¤


178È£pdf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연구노트

2003report 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Jkafm093.hwp

레이아웃 1

....pdf..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 2 -

ok.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ÃѼŁ1-ÃÖÁ¾Ãâ·Â¿ë2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감사회보 5월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041~084 ¹®È�Çö»óÀбâ

전도정책자료집-1

(중등용1)1~27

ÁÖº¸

º´¹«Ã»Ã¥-»ç³ªÀÌ·Î

1111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 4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134 25, 135 3, (Aloysius Pieris) ( r e a l i t y ) ( P o v e r t y ) ( r e l i g i o s i t y ) 1 ) 21, 21, 1) Aloysius Pieris, An Asian Theology of Li

¾ç¼ºÄÀ-2

CR hwp

¾Æµ¿ÇÐ´ë º»¹®.hwp

CC hwp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hwp

기본소득문답2

5 291



피해자식별PDF용 0502

2009_KEEI_연차보고서

**09콘텐츠산업백서_1 2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歯이

ÁÖº¸

인천개항장역사기행

0001³»Áö

#7단원 1(252~269)교

(초등용1)1~29

04 Çмú_±â¼ú±â»ç

p529~802 Á¦5Àå-¼º¸í,Ç×ÀÇ

<3635B1E8C1F8C7D02E485750>

¼øâÁö¿ª°úÇÐÀÚ¿ø

2015년9월도서관웹용


10월추천dvd


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2010희망애뉴얼


1-23.qxd

»êÇÐ-150È£

hwp

A 목차

1. 경영대학

Slide 1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제4395호 편집.hwp

03 ¸ñÂ÷

제 1 과 제자로 부르시니 1. 주님을 따라오라는 말씀에 무엇인가를 버려두고 즉시 순종하였다. 그들이 버린 것은 배와 그물이었는 데, 그것은 곧 생업을 포기한 것이다. 2.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려고. 전도나 선교를 의미한다. 1. 따르다 는 제자도의 핵심 동사이

01.내지완완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120~151역사지도서3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능치 Fm9 Cm M9 2C 못하실일전혀없네우리?? r. o R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Transcription: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43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이영미* 1. 시작하며 원산에서 평양으로 이어진 한국의 대각성 부흥운동은 이미 잘 알 려진 것처럼 사경회 1) 에서 시작되었다. 선교 초기 한국교회 여성들은 사경회를 비롯한 성서 공부에 열심이었는데, 한국 여성들의 성서 교 육열은 대단하였다. 마포삼열의 편지는 남장을 하고 성서 공부에 참 여하는 여아가 있었다고 소개하기도 한다. 2) 한국교회 여성들로 하여 금 남장을 하면서까지 찾아와 성서 공부를 하도록 만든 그 원동력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그들은 성서 공부를 통해 무엇을 듣고 깨우쳤을 까? 선교 초기 성서 해석(공부)이 한국교회 여성에게 끼친 파급력은 무엇일까? 그리고 기독교를 통해 한국 여성들의 삶은 어떻게 변했을 까? * 한신대 교수, 구약학 1) 사경회란 각 교회의 직분 가진 자들이 한 회로 모여 성서와 교책과 교법 계를 공부하는 모임을 말한다. 한 예로 평양 서문안 회당에서는 일년에 두 번씩 부인 사경회를 열었는데, 1901년 음력 1월 7-20일 개최한 부인 사경 회에는 50명이 참석하였고 150리 길을 네 살 된 아이를 업고 참석한 부인 도 있었다. 교재는 권사 공부책으로 하는데 이미 그 책을 공부하여 본토 전도책을 차례로 공부하였다. 신학월보 1:4 (1901. 3.) 2) 마포삼열, 마포삼열 목사의 선교 편지(1890-1904), 김인수 역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388에서 재인용.

44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이 글은 이에 대한 나름대로의 답변을 한국 선교 초기의 성서 해 석과 여성에 관한 교회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글을 분석함으로써 얻 고자 한다. 3) 선교 초기 여성의 지위에 관련된 글을 쉽게 찾기 어려 워 1900년대 초 발행된 교회의 신문, 4) 잡지 5) 에 실린 글을 선택하였 다. 아직 한국엔 공인 역본 신, 구약 성서도 발행되지 않은 상황 6) 에 서 교회 신문이나 잡지는 한국교회 지도자 교육에 주요한 자료로 활 용되었기 때문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7) 따라서 이 글에서는 크게 3) 이 글에서 다루는 선교 초기 란 시기 설정은 1907년 평양대각성운동을 전후, 한국에 개신교 선교사가 들어온 1884년부터 1910년 일제 강점기로 넘어가기 이전까지를 말한다. 4) 한국 기독교 정기간행물의 효시는 일반적으로 감리교에서 낸 교회 로 알려져 있지만 이 실체가 확인되고 있지 않고 있다. 1884년 이래 한국 선 교 역사에서 최초의 교회 정기 간행물은 1897년 2월에 창간된 감리교의 죠션크리스도인회보 와 같은 해 4월에 창간된 장로교의 그리스도 신문 이다. 이후 1906년 7월에 장로교의 그리스도 신문 은 감리교의 그리스도인회보와 통합되어 한국에서 최초로 나온 초교파 신문 그리스 도 신문 이 되었다. 이 그리스도 신문 은 1907년 12월 예수교신 보 로 제호를 바꾸었고 1910년 2월까지 발행되었다. 이덕주, <신학월 보>의 발행 역사와 사료적 가치, 신학월보 6. 5) 한글 잡지의 경우 제대로 된 최초의 교회 잡지는 미감리회에서 창간한 신학월보 였다. 신학월보 외에 예수교서회보, 성경강론월 보, 엡읫청년회보, 가뎡잡지, 대도 등이 1910년에 발행되 었으나 발행기간이 오래 지속되지 못했으며 체제도 조직적이지 못하였다. 체계적인 신학 잡지는 협성신학교의 신학세계 (1916년 창간), 평양신학 교의 신학지남 (1918년 창간), 서울신학교의 활천 등이 있다. 이 덕주, 신학월보 6. 6) 우리말 번역 성서는 쪽 복음부터 시작되었다. 쪽 복음을 묶어 로스가 발간 한 최초의 우리말 완역 신약 예수셩교젼서 가 1887년 발간되었다. 이 후 1900년 대한성경공회(당시 영국성경공회 경성지부)가 최초로 발간한 신 약 성서가 출간되고, 1911년 구약전서 합본이 상 창세기-역대 하, 하 에스라-말라기 두 권으로 출판되었다. 2007. 4. 14. http://www.bskorea.or.kr/about/owntrans/about/bibabout01.aspx 7) 신학월보 의 발행자 존스는 창간호에서 월보의 발행 동기가 기초신학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45 두 부분으로 나누어 먼저 선교 초기 성서관과 성서 해석의 유형을 점검한 후, 다음으로 교회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여성과 관련된 글들 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피면서, 여성에 관한 성서의 가르침이 평양 대부흥운동으로 이어지고 이후 한국교회 여성들의 신앙과 지위에 끼 친 영향력을 평가하면서 글을 맺을 것이다. 2. 선교 초기 성서관과 성서 해석의 유형 선교 초기 한국 초대교회는 아직 주체적인 신학 작업을 할 수 없 었고 선교사들의 성서 해석과 신학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선교 초기 교회 잡지나 신문은 선교사들에 의해 주도되어 간행되었 다. 그러므로 교회 잡지나 신문에 실린 성서 해석들을 살펴보기에 앞 서 초기 선교사들의 신학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2.1. 초기 선교사들의 신학적 배경 한국 선교 초기 문호 개방과 함께 들어온 선교사들의 노력과 활 동은 한국교회의 성장에 큰 지도력이 되었고 그들의 교육활동과 의 료사업 등은 한국 사회에 남아있던 봉건적 폐습을 타파하고 근대적 한국사회로 나아가는 데 사회, 문화적으로 많은 공헌을 하였다. 그러 나 무엇보다 초기 선교사들의 신학이 한국 신학의 기초를 마련하고 한국의 신학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 선교 초기 활동했던 개신교 선교사들의 신학적 흐름은 대략 첫째, 초기 선교사들과 감리 교 선교사 하디(R. A. Hardie)를 중심으로 한 영적 부흥주의 신학, 에 대한 욕구에서 시작되었다고 밝힌다. 이덕주, 신학월보 8에서 재인 용. 신학월보 는 1900년 이전부터 교역자 양성을 목적으로 설치된 단 기 신하교육 과정인 신학회 (Theological Class)의 교재로 사용되었고, 이 신학회는 1907년 협성신학교가 설립되기까지 한국인 교역자 양성을 맡았 던 교육 과정이었다.

46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둘째, 마펫(S. A. Moffet)과 레이놀즈(W. D. Reynolds), 그리고 클라 크(C. Clark)를 중심으로 한 선교사 시대의 역사적 칼빈주의적 보수 주의 신학, 셋째, 헐버트(H. Herbert)와 스코트(W. Scott)를 중심으로 한 선교사들의 역사 참여적 진보주의 신학 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8) 이중 한국 선교 초기 중심주류를 이루었던 지배적인 신학적 흐름은 영적 부흥주의 신학과 보수주의 신학이었다. 특별히 교회신문, 잡지 간행의 주역이었던 미국의 감리교, 장로교 선교사들은 18-19세기 미국의 대각성운동에서 성장한 경건주의적 복 음주의 기독교 전통에서 성장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들은 성서 의 절대적 권위, 기독교의 영적 유익, 뜨거운 전도열, 자유와 평등의 가치에 기초한 민권 사상, 십계명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규범을 전파 하였다. 9) 미북장로교회 해외 선교부(Board of Foreign Mission) 브라 운(Arthur J. Brown) 총무는 한국 선교 초기 한국에 들어온 미국 개 신교 선교사들이 신학과 성서 비판에 매우 보수적이요, 그리스도의 재림과 전천년주의의 신봉을 중요 진리로 지지한다. 성서에 대한 고 등비평이나 자유신학을 위험한 이단 사상으로 보았다. 고 평가한 다. 10) 선교 초기 개신교 선교부의 신학을 초기 기독교 서적을 통해 살펴본 백종구 역시 한문과 국문 교리서에 나타난 주요 교리는 19 세기 중국과 한국에 주재한 선교사들의 신앙 배경이었던 복음주의적 경건주의 신앙의 교리적 핵심과 일치 하였다고 평가한다. 11) 8) 한국 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 기독교 100년사 (서울: 한 국 기독교 장로회 출판사, 1992), 206. 9) 백종구,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서울: 한국교회사학 연구원, 2002), 117-181. 10) A. J. Brown, The Mastery of the Far East (New York: Charles Scribner s Sons, 1919), 540; 김경빈, 한국에 온 미국 선교사들의 신앙 유형과 그 사상적 배경, 민경배 박사 고희 기념논문집 출판 편집, 후원 위원회 편, 교회, 민족, 역사-솔내 민경배 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서울: 한들출판 사, 2004), 94에서 재인용.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47 또한 초기 선교사들은 그 신학이 탈 역사적, 비정치적 특성을 지 녔다. 이는 선교사들이 본국의 외교 정책에 순응한 결과로 보여진다. 미국의 루즈벨트는 극동에서의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일본 의 한국 침략을 묵인했다. 12) 이런 상황 속에서 1901년 9월에 개최된 장로회 공의회에서 영미계 선교사들이 교회와 정부 사이에 교제할 몇 조건 이란 것을 선언하여 선교사 자신들의 정치적 중립을 선언했 다. 13) 후에 다이라 마고이치가 작성한 선교사에 대한 의견서 에 따 르면, 1909년 7월 미국 장로파 감독 브라운 박사가 내한하여 나(마 고이치)와 회견할 때 그들은 통감 정치 아래서 합법적으로 선교를 하 는 것 외에 다른 뜻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말하고 또한 장로파 선교 사, 목사 대회에서 브라운 박사는 한국에 있는 선교사의 입장에 관하 여 몇 가지 제의를 하여 만장일치로 우리는 통감 정치를 용인하고 이를 보전할 것이라 고 결의했다. 고 적혀 있다. 14) 초기 선교사들의 경건주의적 복음주의 신학 성향은 성서의 절대 적 권위를 인정하며 성서를 액면 그대로 문자적 사실로 취급하는 근 본주의적 성서 이해를 근간으로 하였다. 15) 성서에 대한 절대적 권위 11) 백종구,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118; 참조, L. George Paik,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1832-1910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1980), 71. 12) 이러한 미국 정부의 극동 정책은 후에 필리핀에 대한 그들의 침략을 일본 이 묵인하는 조건으로 일본의 한국 강점을 미국이 묵인한다는 소위 가쓰 라-태프트 밀약 (1905년)으로 표면화된다. 13) 이만열, 한국 기독교와 민족의식-한국 기독교사 연구 논고 (서울: 지 식산업사, 1991), 241. 그 내용은 모든 권세는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그리 스도인은 모든 권세와 제도에 복종할 것을 전제로 교회(선교사)와 교인(한 국인) 간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즉, 교인이 나랏일에 관여하거나 실수함에 대하여 교회가 간섭할 것이 아니며, 교회당과 목사의 사택은 나랏일을 공 론하는 곳이 아니라는 것이다. 14) 김승태 편역, 일제 강점기 종교정책사 자료집: 기독교 편, 1910-1945 (서울: 한국 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23.

48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의 강조는 유교를 바탕으로 한 한국사회가 경전을 경외하는 사상과 맞물려 성서의 가르침이 한국인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선교사들의 비정치적 입장은 본문의 영적 의미를 강조하 는 경향을 띠게 되어 이러한 영적 부흥주의는 뜨거운 전도열과 만나 초기 선교의 수적인 성장을 가져오고 사경회를 통한 부흥운동을 가 능하게 한 큰 원동력이 되었다. 2.2. 경전으로서의 성서관 동양 전통에서 경전은 이해와 경청의 대상이다. 나아가 경전은 그 안의 도를 깨치고 이를 기쁨으로 삶 속에 실천할 지침서와 같다. 신학월보 의 닭이 알을 잘 품지 아니함 이란 글은, 성경을 보 기만 하고 헤아리지 아니하면 참 이치를 중히 여기지 않는 사람이 될 것이오 닭이 알을 잘 품는 것 같이 사랑하는 마음으로 도를 덥지 아니하면 우리 영혼에게 생명 주시는 참 도가 될 수 없을 것이라 고 가르친다. 16) 또 다른 글에서는 성서를 삶의 거울에 비유하여, 성서를 바로 보는 것은 사람이 자신의 마음 속에 있는 모든 악한 것과 깨닫 지 못하던 악한 행위를 역력히 비춰보고 자신의 죄를 깨달아 그 안 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를 보고 구원을 간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다. 17) 이러한 이해는 초기 선교사들이 발행하여 사용하던 기독교 교 리의 첫 번째, 성경이 인간 사고의 바른 기초가 되며 행동의 유일 15) 근본주의 신학은 현대주의적 고등비평 성서 해석에 대항해서 성서의 무오 류성을 고수한다. 근본주의자들은 성서의 무오류성,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대속적 속죄, 예수의 육체적 부활, 예수의 이적의 5개 항의 기본 교리를 자유주의자들에 대한 대항의 표시로 천명하였다. 박종현, 일제 하 한국교회의 신앙 구조 (서울: 한들출판사, 2004), 138. 16) 배 목사 부인, 닭이 알을 잘 품지 아니함, 그리스도 신문 6:17 (1902), 131. 17) 신학월보 1:4 (1901), 150-151.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49 무이한 지침서가 된다. 18) 는 조항에서도 볼 수 있다. 1907년 최초의 장로회 독노회에서 채택한 장로교회 신앙 고백은 성서의 권위에 대 한 그들의 확신을 나타낸다. 19) 나아가 신학월보 에 실린 성경 이란 제하의 사설은 성경은 이 세상을 어떻게 창조하고 만민과 만 물이 어떻게 됨을 가르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후세에 영혼이 어떻 게 됨을 가르친 것이 제일 중요하니 성경 밖에 영혼이 어떠함을 가 르친 책이 아주 없다. 고 적으면서 성경이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묵시 하신 영혼의 구원에 관한 유일한 책임을 강조한다. 20) 성경은 다른 경전과 비교될 수 없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경전 중의 경전이 다. 2.3. 선교 초기 성서 해석 21) 의 유형 한국교회는 성서 공부를 통해 부흥한 교회이다. 선교사 마펫은 전체 교회의 교육은 성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는 사경회에 의해서 조 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수행되었음을 보고하면서 사경회는 한국 사람 들의 특성에 잘 부합되며 한국인의 삶과 공부 방식과 놀라울 정도로 잘 어울린다. 고 고백한다. 22) 전통적으로 서책과 경전을 중시하던 유 18) 셩교촬리 (1890), 9; 그리스도 문답 3; 백종구, 한국 초기 개신 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서울: 한국교회사학연구원, 2002), 117에서 재 인용. 19) 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앙과 본분의 정확무오한 유일한 법 칙이다 박용규, 한국 장로교 사상사: 한국교회와 성경의 권위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92), 108에서 재인용. 20) 성경, 신학월보 4:4 (1904), 59. 21)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은 현대의 성서비평방법론에 의한 본문 해석을 가리 키는 것이 아니라 사경회나 성서 공부반에서 성서가 어떻게 읽히고 해석 되며 교회 신문, 잡지에 실린 성서 주석의 방법을 포함한 유연한 의미에서 사용된 말이다. 22) 새무얼 마펫, 한국 복음화를 위한 정책과 방법, 중국 선교 보고

50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교 문화권의 한국인들이 성서를 쉽게 받아들였다. 초기 한국교회의 성서 공부하는 모습을 묘사한 무어의 증언에 따르면 회중들이 모여 서 성서를 반복해서 읽었는데, 그들은 인도자를 따라서 중요한 성서 본문을 한 절씩 한 절씩 따라 읽었다. 23) 이는 독서백자의자현( 讀 書 百 遍 義 自 見 ) 으로 요약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독서법과도 상통한 다. 글을 반복해서 읽으면 이전에 통하지 않던 뜻이 통하게 된다는 의미로 쓰인 활자 자체나 주어진 본문이 담고 있는 역사적 맥락, 사 회적 상황에 대한 관심보다는 본문을 통해 깨닫게 되는 깊은 뜻에 관심을 갖고 글을 읽는 방식을 말한다. 이때 독자는 그 본문을 뛰어 넘는 초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원리나 이치를 찾으려고 한다. 24) 심학적 독서법은 보다 조직적인 성서 공부반(사경회)을 통해 심화 되었다. 선교 초기 성서 공부를 중심으로 한 신학 훈련은 성서 학교 와 신학교에서 이루어졌다. 베스트(Best) 선교사에 따르면 성서 학교 의 주된 목표는 교리보다 순수하게 하나님 말씀인 성서를 가르치고 교과과정의 실천적인 부분을 강화 하는 데 있었다. 25) 이러한 성서 학교 과정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발전된 평신도 사역자 훈련 기관 인 성서학원(Bible Institute)의 특징을 모델로 하고 있다. 26) 37:5 (1960. 5.), 245; 장로회신학대학교 편, 한국교회 대부흥 운동 100 주년 자료집: 한국교회 대부흥 운동, 1903-1908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 교 출판부, 2007), 72에서 재인용. 23) S. F. Moore, The Revival in Seoul, Korea Mission Field (1906), 116; 왕 대일, 초기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대한 구약학적 평가, 영적 대각성 100 주년 기념 학술 연구회 편, 각성 갱신 부흥-영적 대각성 100주년 기념 학 술 연구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출판부, 2006), 134에서 재인용. 24) 이문장은 이러한 독법을 심학적 독서법 이라고 부른다. 이문장, 한국인 을 위한 성경연구-원리편 (서울: 이레서원, 2003), 80-81. 25) Best, Fifty Years Women s Work, 89; 박용규, 한국 장로교 사상 사, 125에서 재인용. 26) 이 사경회라고 불리는 성서 공부반(Bible Class 혹은 Training Class) 역시 이 성서학원의 모범을 따르고 있다. Report of the Korea Mission of the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51 성서학원의 특징은 성서를 가르치는 방법으로 먼저 성서를 전체 적으로 공부한 다음에 성서 각 권을 공부하고 나중에는 각 권을 상 호 연관시켜 공부하는 방법이다. 또 성서를 공부하되 성서를 지식으 로 보다는 생활과 전도와 같은 현장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이다. 27) 대표적인 모델이 되었던 무디 성서 학원은 그 목적이 시카고 및 기 타 도시의 버림받은 대중들 가운데서 일할 남녀 사역자를 양성하는 것 으로 처음부터 교육은 실용적인 방향을 가졌다. 28) 그리스도 신 문 에 실린 세 가지 성서를 보는 법 이란 글에도 이러한 성서 공 부법이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먼저, 새로 입교하여 믿는 사람 은 맨 처음부터 묵시까지 차례로 건너지 않고 열람해야 한다. 두 번 째는 그 말씀이 나로 더불어 무슨 상관이 있는가 본 후에 그 말씀이 다른 사람의 흠을 가르치지 아니하고 내 흠을 가르친 것인 줄 깨달 아 알아야한다. 세 번째는 이 말씀 저 말씀을 서로 비추어 그 인증 을 가지고 의혹 나던 것도 깨치고 믿음도 독실하게 할 것이다. 29) 2.4. 성서 해석의 실례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의 실례로 1901년 3월 3일자 신학월보 에 실린 만국주일공과(마 26:6-16)의 해석을 소개하고자 한다.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1907), 34; H. G. Underwood, The Call of Korea (1908), 159; 백종구, 선교사 마펫의 지도력과 평양 장대현교회 의 개척과 성장, 민경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출판 편집, 후원 위원회 편, 교회, 민족, 역사- 솔내 민경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서울: 한들 출판사, 2004), 409. 27) 박명수, 근대 복음주의의 주요 흐름-한국 성결교회의 배경에 대한 연 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271-314 참조. 28) Getz, The Story of Moody Bible Institute, MBI, 41; 박명수, 근대 복음주 의의 주요 흐름, 281에서 재인용. 29) 성경보는 법, 그리스도 신문 5:51 (1901), 409.

52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2.4.1. 신학월보 에 실린 만국주일공과(마 26:6-16) 신학월보 의 만국주일공과는 본문 풀이의 틀로 먼저 1. 성경 본문, 2. 요지 및 주석, 3. 련설론, 4. (질)문을 제시한다. 공과는 먼 저 주어진 본문, 마태복음 26장 6-16절의 경우 본문이 제시된 후 그 요지는 이 여인이 힘을 다하였느니라(막 40:8) 로 설명한다. 바로 한 절 한 절씩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풀어쓰고 있다. 30) 본문 주석 의 예로 9절과 15절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9절: 값 많이 받았단 말 가량 삼백량 받을 만한 물건인데 요한 11장 5절. 이것이 품꾼 일년 삯 되느니라. 가난한 사람을 구제한단 말은 거 짓 착한척하는 말이라. 요한 12장 6절. 15절: 예수 팔 값은 은 30이라 하니 구약에 노복금과 같고 선지자 세 가리야 미리 말한 것을 응함이러라. 살가리아 11장 12절. 본문 주석은 바로 련설론 의 뜻풀이로 이어진다. 련설론은 성서 의 다른 본문과 그 의미를 인증하여 살핀다. 여기서는 마리아가 예수 를 사랑하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그 사랑의 의미를 성서의 다른 본문(고전 8:35; 딤전 6:18; 요일 4:7 등)과 함께 본문은 예수를 향 한 마리아의 헌신적 사랑을 보여주는 본문으로 결론짓는다. 마지막 단계로 주석과 의미 해석이 끝나고 본문을 숙지하기 위한 질문들 31) 이 제시되면서 공과는 끝난다. 30) 아래 성서 해석은 신학월보 에 실린 어체 그대로 싣는다. 31) 제시된 질문은 다음과 같다: 베다니는 어디 지방이뇨? 마리아가 무슨 뜻으 로 기름을 부엇느뇨? 제자들이 이일을 보고 어떻게 생각하였느뇨? 예수께 서 제자들에게 어떻게 말씀하셨느뇨? 요지를 외우라. 유대가 이일로 무슨 생각이 있느뇨? 유대가 무슨 일하였느뇨? 유대의 마음과 마리아의 마음, 어떻게 게 되었느뇨? 마리아의 명예와 유대의 명예는 어떻게 되었느뇨?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53 이상의 성서 해석은 학문적 비평적 본문 이해와는 거리가 멀다. 본문 주석은 고등비평적 분석은 배제, 본문의 구조나 맥락은 고려하 지 않고 각 절의 어의적 의미를 문자적으로 풀어쓰는 정도의 단순하 고 소박한 성서풀이였다. 32) 여기서는 성서를 읽는 목적이 그 뜻을 풀어 나의 삶에 적용하는 것임을 주시해야 할 것이다. 성서의 어느 절을 보든지 그 말씀이 나로 더불어 무슨 상관이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바른 성서 보는 법이기 때문이다. 33) 따라서 위에 소개된 본문 의 신학적 의미를 살피는 련설론 에서는 하나의 특정 주제를 선별하 여 그 주제와 관련된 성서의 다른 본문들을 인증 본문으로 제시한다. 끝으로 질문은 사고의 폭을 넓히거나 현실 적용보다는 주석의 내용 을 재점검하는 것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다.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의 또 다른 특징은 성서의 절대적 권위의 강 조와 더불어 그리스도 중심적 본문 해석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성경은 그 말씀이 곧 섞인 것 없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그 가운데 포함한 대지가 다 그리스도를 가르치는 것 34) 으로 귀결된다. 위의 성서 해석은 신약을 본문으로 하기 때문에 이런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지만 가령 그리스도 신문 의 창세기 풀이(창 3:16-24) 35) 에서는 24절에 대한 주석에서 상주께서 짐승을 죽이고 가죽으로 옷을 지어 입히셨느니라. 그전에는 아담과 하와가 죽는 것을 도무지 보지 못하 32) 본문의 어의적 의미와 문자적 해석, 본문내용의 숙지를 통한 암기 학습 형 태의 신학월보 에 제시된 만국주일공과 방식은 이후에도 유년 주일 공 과로 이어져 오랫동안 주일교육에 사용되었다. 한국에서 본격적인 주일학 교 교육은 1920년대 와서 시작되었다. 1921년부터 주일학교 대회가 열렸 고, 1922년에 주일학교 연합회가 조직되어 그 해 여름 아동 성서 학교도 시작되었다. 한국 기독교 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 기독교 100년 사, 44. 33) 성경보는 법, 그리스도 신문 5:51 (1901), 409. 34) 성경보는 법, 그리스도 신문 5:51 (1901), 409. 35) 그리스도 신문 5:8 (1901), 64.

54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였으니 이로 죽는 형벌이 어떠한 것을 보이시고 또 죄 부끄러움은 피를 흘리는 것으로만 덮는 것을 가르치심이라. 히브리서 9장 20절, 깊고 오묘하다. 이 말씀 속뜻은 도무지 예수의 십자가 피를 미리 가 르침이시니이다. 고 적는다. 그리고 창세기 3장 16-24절의 대지( 大 志 )는 이로써 한 사람의 순종치 아니함으로 뭇사람이 죄인 된 것같 이 한 사람의 순종하심으로 뭇사람이 의인 되었느니라. 고 밝혀 그리 스도 중심적 본문 해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2.5. 한국 선교 초기 성서관과 성서 해석이 끼친 영향 평가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선교 초기의 성서관과 성서 해 석이 한국교회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성서는 하나님으로부터의 초자연적 계시를 담은 하나님의 책이 며 그 원천은 영감이라는 신앙은 한국인들의 서책과 경전에 대한 경 외심과 맞물려 성서를 한국교회 선교의 중심에 놓았다. 성서의 절대 적 권위를 존중하던 초기 한국교회 교인들에게는 성서 내용들이 스 폰지가 물을 빨아들이듯 그대로 흡수되어 그들의 삶의 기준이 되었 고 전도 활동의 강한 열정을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한국교회의 체험 적 성서 읽기는 바로 죄책 고백과 성령 체험으로 이어질 수 있었고 그것은 바로 한국에서의 대부흥운동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아울러 선교 초기의 성서관과 성서 해석이 남긴 한계점도 지적 해야 할 것이다. 우선, 초기 한국교회의 성서 해석이 어의적, 문자적 해석에 머물러 심화된 성서 주석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이후 교역자 들의 신학 교육을 보수적인 근본주의 신학과 윤리관에 집중시켜 인 문계 지식이나 일반 세속적 학문교육에서 단절시키는 결과를 가져왔 다. 이는 1920년대 이후 한국인들이 유학을 마치고 돌아오면서 36) 시 36)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김관식, 조희염 등이 성서의 역사비평학을 성서연구 방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성서 본문의 원의를 찾아보고 한국 문화와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55 작된 한국적 신학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무산시키고 다양한 성서 해 석의 논의를 차단하는 발판으로 작용하고, 교권적 파벌과 분열을 초 래하는 결과를 맞게 되기까지에 이른다. 37) 둘째로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성서의 절대적 권위를 문자 적으로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독단적인 성서 해석의 결과를 낳을 위험이 있다. 즉, 성서의 절대적 권위에 대한 강조는 자칫 성서 자체 의 권위보다는 특정한 성서 해석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그 권위를 강 요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위험성이 있다. 성서는 문자적 권위가 아니 라 인간의 삶에 비전과 힘을 제공하며 하나님의 계시를 바로 알아 실천할 수 있는 원천으로서 권위를 가지는 것이다. 38) 끝으로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의 탈 역사적, 탈 정치적 성향은 한 국교회가 근본적으로 대사회적인 문제들에 관여하는 것을 제한하였 고 민족운동을 하거나 정치적인 일에 참여하는 것을 비복음적인 타 락으로 경계하였다. 이효재는 1900년대 대부흥운동은 한국교회를 탈 정치화시키는 것으로 작용했으며 선교 정책과 한국 교역자 양성 도 이에 맞추어 나갔다. 39) 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한편에서는 한국교 회 부흥 신앙을 애국애족의 사상과 결부되어 있어 기독교인들과 교 회를 중심으로 민족운동이 병행되어 이루어지고 있었던 점도 잊어서 는 안 될 것이다. 40) 전통 종교들에 관심을 갖고 긍정적 검토를 시도하였으나 비판, 제지받았다. 한국 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 기독교 100년사, 207. 37) 1934년에는 김영주 목사의 모세의 오경저작설 부인 사건, 김춘배 목사의 여권 문제 필화 사건 (고전 14:33-34 해석)이 있었다. 김춘배 목사는 장 로교 총회에 올리는 말씀 에서 여인은 교회에서 잠잠하라고 한 바울의 말 은 이천년 전의 한 지방교회의 교훈과 풍습일 뿐 만고불변의 진리는 될 수 없다고 적었다. 기독신보 977 (1934. 8. 20.) 38) E. S. Fiorenza, Bread Not Stone (Boston: Beacon Press, 1984), 12-14; 돌이 아니라 빵을, 김윤옥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52-54. 39) 이효재, 한국의 여성 운동-어제와 오늘 (서울: 정우사, 1989), 145.

56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절대적 성서 권위의 강조와 체험적 성서 읽기, 어의적, 문자적 해 석이 한국교회에 성서가 교인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대각성운동을 일 으키는 근간이 되었는데, 다음으로는 구체적으로 이러한 성서관과 성 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3. 여성과 관련된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3.1. 한국 여성의 지위 초기 선교사 프레이(L. E. Frey)는 선교 보고서에서 대한제국 말 조선 여성들의 삶을 태어날 때부터 환영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면서 도 사랑을 받지 못하고 죽을 때까지 희망 없이 살아간다. 여성들의 일은 거의 노예와 다름없으며 그들은 배우지도 못했고 읽을 능력이 없는 것처럼 생각되었다 고 묘사한다. 41) 감리회 선교사 존스(G. H. Jones)는 한국 사회의 구조 속에서 여성이 겪고 있는 부당한 처우의 원인을 음양설에서 보고 있다. 42) 한국인의 여성관은 이원론에서 비롯된 것인데 한국인들은 이 원리에 사로잡혀 있다. 남성 본위 철학은 이처럼 자연적으로 여성이 열등한 존 재로 만들어졌다고 가르쳐 왔고 그 결과에 여성들이 승복하도록 몰아쳤 다. 한국 남성들은 어려서부터 서당에서 그런 식으로 교육을 받아왔다. 40) 상동청년회를 중심으로 조직된 신민회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신 민회는 평양의 대부흥운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가던 1907년 4월 20일 경 조직되었다. 박종현, 일제하 한국교회의 신앙구조, 196-197. 41) L. E. Frey, The Bible Woman, The Korea Mission Field 3;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편, 한국교회 전도 부인 자료집 (서울:한국기 독교역사연구회, 1999), 360에서 재인용. 42) 정석기, 한국 기독교 여성 인물사 (서울: 쿰란출판사, 1995), 29-30 재 인용.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57 이러한 부당한 대우를 운명으로 받아들이며 살고 있던 조선 여성 들에게 여성의 평등한 창조와 상호적인 부부도를 강조하는 성서의 가르침은 해방적 복음으로 들렸을 것이다.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교회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여성과 관련된 성서 해석의 예를 1) 여성의 평등한 지위를 옹호한 글들과 2) 사회 제도의 폐단을 비판한 글들로 나누어 소개한 후, 초기 여사경회를 이끌었던 전도 부인들의 성서 교 육을 살펴보기로 한다. 3.2. 여성의 평등한 지위를 옹호한 글들 선교 초기 교회 잡지에 실린 여성 관련 글들 중 가장 자주 언급 되는 것은 하나님께서 남녀를 동등하게 창조했다는 점이다. 그리스 도 신문 의 한 논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43) 상주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고 만물을 만들 때 그중에 가장 귀한 자가 사람이라. 남녀의 분간이 없이 자유한 것이 이치의 당연함이어늘 이제 어찌하여 여자를 천히 여겨 남자의게 매여 지나되 평생에 자유하는 권 이 없고 자주하는 일이 없으니 다만 천리를 어길 뿐 아니라 인정에 합 당치 못한 것이 많도다. 대저 상주가 사람을 내실 때에 귀천과 남녀의 등분이 없이 하였거늘 마땅히 천리를 좇을 것이오. 여자로 하여금 자유 케 하는 것이 한갓 천리 인정의 당연할 분 아니라 이로 말미암아 세상 에 인재가 많이 날터이로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귀천과 남녀의 차별 없이 창조하신 것이 하늘 의 뜻이므로 여자로 하여금 자유케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가르침이 다. 김창식은 신학월보 에 실은 남녀 경위문제 론설 에서, 우리 43) 그리스도 신문 5:1 (1901), 4.

58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동양 풍속에 여자가 남자를 공경하여 대접하는 것만 알고 남자가 여 자를 공경하여 대접하는 법은 알지 못하는지라 서양에 문명한 나라 사람이 보면 참 야만의 풍속이라 할지라. 남녀 간 사람은 일반인데 그 사이에 등분이 어찌 있으리오. 그런고로 남자가 여자를 조금 높혀 대접하면 마땅하고 조금 낫게 대접하면 괴악한지라 고 적으면서 남 녀의 동등한 취급을 주장한다. 44) 특별히 확대가족 중심의 사회 속에서 여성은 그 지위가 가족의 관계 속에서 규정받았고 아내로서의 여성의 지위는 중요하게 취급되 었다. 당시 여자들은 남편으로부터 학대받고 노예와 같은 생활을 하 였는데 교회 잡지에 실린 글은 부부의 평등한 관계를 강조하고 부인 을 인격적으로 대우해 주도록 권면하는 글들이 많다. 상호적인 부부 관계를 강조하는 부부도 역시 그 원리를 창조에서 찾는다. 신학월 보 에 실린 부부도는 창조 때 정해진 천조법 45) 으로 처음에 하나님 께서 한 남자를 만드시고 그 다음에 여자를 만드샤 부부의 도를 세 우셨나니 부부는 인륜의 시작이오 생육의 근원이라 46) 고 설명한다. 또한 우리 예수교인들은 하나님이 짝지어주신 아내를 좋든지 언짢 든지 서로 사랑하고 보호하며 자유권을 주어 맘대로 다니게 할 것이 요 또 남편이나 아내나 각각 행하는 일이 옳거든 함께 행할 것이 라. 47) 는 글들은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지 못하던 조선 여성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성서의 권위를 통해 인정받게 하여 주체 의식을 형성 시켰다. 동등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 그들에 대한 평등한 대 44) 김창식, 남녀 경위문제 론설 신학월보 3:7 (1903), 256-257. 45) 신학월보 1:3 (1900. 11.), 101-102. 창조의 원리에 입각해 부부도를 강조하는 글은 신학월보 5:2 (1907), 569에서도 발견된다. 46) 신학월보 1:11 (1901. 11.), 437-438. 47) 신학월보 3:7 (1903), 189.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59 우의 강조는 구체적인 일상에까지 이른다. 48) 시골 풍속은 부인들이 모두 밥 먹을 때에 방에 앉아서 편히 먹지 못 하고 부엌에 나가 흙상에 놓고 먹는 것과 남편은 아내에게 항상 낮은 말을 하고 아내는 남편에게 높은 말로 대답하는 것을 강론하는데 지금 은 성경 뜻을 안즉 이렇게 하는 것이 마땅치 아니하니 동네 외인들이 흉볼 지라도 이후부터는 이 두 가지를 버리고 밥 먹을 때에 부인들도 방에 들어와 남편과 같이 편안히 앉아서 먹기로 작정하자 한즉 일심으 로 작정이 되고 또 한 내외간에 높고 낮은 말하는 것도 좋지 못하니 서 로 같은 말로 대접하기로 작정한 후 여러 부인에게 묻기를 이렇게 작정 한 것이 부인 뜻에 합당하오 여기서 결의된 일이 실제 가정에서 어느 정도 실행되었는지 알 수 없을지라도 한 상에서 밥을 먹지 못하는 여성들의 처지에서 이 강론이 가져다 주는 의미는 상당히 중요하며 여성들이 자신을 한 인 간으로 자각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본다. 한 예로 의주 의 어떤 부인은 사경회(1902-1903년)에 참석하여 은혜를 받고 여 선 교사의 가르침을 받다가 한국의 여성은 무엇입니까? 개나 돼지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그저 먹고 살다가도록 되어 있지 않습니까? 우 리 한국 여성도 그저 그렇게 만들어진 줄 알고 살아왔습니다. 49) 고 말하였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한국 선교 초기 성서 교육은 단순히 전도의 차원을 넘어 한국 여성들에게 교육을 통해 자의식을 형성하 는데 공헌을 하였다. 한편 게일(J. S. Gale)은 이유 없이 학대당했던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는 한 여성의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서 예 48) 신학월보 1:8 (1901), 317-318. 49) Rohodes M. A. History of the Korean Mission Presbyterian U.S.A. (1884-1934); 주선애, 장로교 여성사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여전 도회 전국연합회, 1978), 85에서 재인용.

60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수를 믿어야 이처럼 오래된 여성 멸시 관습에서 자연스럽게 탈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50) 여성의 평등한 지위에 관한 가르침은 그 성서적 근거가 주로 창 세기에서 도출되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 사역을 다룬 복음서에 나타난 여성들의 활약상에 관한 언급은 나타나지 않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구약이나 신약 성서의 역사에 나타난 한 개별 여성의 실례보 다는 창조라는 보다 근원적인 교리에서 여성의 평등성을 주창하려는 노력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3.3. 여성 억압적 사회 제도 폐단을 비판하는 글들 조선사회에서 지금까지 법으로 인정되거나 관습으로 행해지던 제 도들이 교회 신문이나 잡지, 그리고 선교사들의 가르침을 통해 죄로 인식되고 폐지할 악습으로 언급되었다. 술, 담배, 노비제 등과 함께 여성과 관련된 악습으로 조혼, 내외법, 축첩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스도 회보 1911년 3월 30일자의 보도는 조혼의 부당성 을 다섯 가지로 지적하면서 조혼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또한 당시 사 회적으로 허락된 축첩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축첩은 하나님의 부부도 를 어긴 간음임을 마가복음 10장 78절을 들어 설명하면서 첩 얻는 폐단 이라는 글에서 이것을 지적한다. 51) 그 밖에도 교회 잡지의 글 에는 내외법 52), 아내를 매매하지 못하는 법 53) 이나 노비에 대한 부당성 등이 언급하고 있다. 여기서 주의를 기울일 점은 교회 잡지나 신문에 실린 조선사회 악습에 대한 비판의 글들이 실제적으로 한국교회 교인들에게 영향력 50) J. S. 게일, 전환기의 조선, 신복룡 역 (서울: 집문당, 1999), 79-80. 51) 첩 얻는 폐단, 신학월보 1:11 (1901.11.), 437-438. 52) 신학월보 3:7 (1903), 188. 53) 대명률, 그리스도 신문 5:10 (1901. 3. 14.), 83.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61 을 미쳤던 사례가 함께 보도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구츈경은 신학 월보 를 통해 이천읍 군돌쇽장 김졔안씨가 두 곳 교회도 설립하고 전도에도 열심이었는데 그는 자식이 없어 젊은 첩을 두어 별당에 두 고 지극히 사랑할뿐더러 날로 자식보기를 바라더니 신학월보 십일 월호에 첩 얻는 폐단으로 론리함을 자세히 보고 처첩을 불러놓고 월보사연을 연설한 후 하나님 앞에 엎드려 기도 하여 이르되 첩을 버린 일을 보도하였다. 54) 또한 김명션은 교회 간증하던 중 자신이 지금 데리고 사는 아내가 자신의 아내가 아님을 고백하고 아내를 도 로 그 남편에게 돌려보내었다. 55) 강화 읍내에 살던 김씨 부인은 자신이 데리고 있는 복섬이라하 는 여종이 있었는데 그를 불러 마태복음 18장 15-20절까지 읽은 후 에 종문서를 불사르고 그를 양딸로 삼고 주일마다 함께 예배당에 열 심이 다녔다는 보도도 있다. 56) 김윤방(김 마리아의 아버지)은 복음을 받아들이고 제일 먼저 노예들을 방면해 주었다. 그리고 술장사를 그 만둔 여인도 있고, 57) 안주에서 관속 집안 출신으로 민혈로써 음식 을 삼고 백성에 원성으로써 의복을 입고 호의호식하던 전익호가 문 둥병에 걸려 복음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죄를 회개하는 대목도 발견 된다. 58) 선교 초기 개신교의 여성과 관련된 악습에 대한 비판의 영향은 문일평이 적은 조선 여성의 사회적 지위 라는 글에 잘 대변되고 있 다. 59) 54) 신학월보 2:3 (1902. 3.), 32. 55) 신학월보 3:5 (1903), 99. 56) 우리나라에 드문 일, 신학월보 3:7 (1903), 203. 57) 그리스도 회보 (1913. 9. 15.) 58) 신학월보 4:6 (1904), 149. 59) 문일평, 호암사론선, 이기백 해설 (서울: 탐구당, 1975), 150-151.

62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대저 기독교가 조선에 수입된 이래 다만 인신매매에 관한 것뿐만 아 니라 재가의 해금과 적서의 폐지와 기타 사회적으로 쌓여있는 모든 구 폐 및 그 미신의 타파에 대하여 꾸준히 분투하여 온 그 공적만은 누구 나 다 아는 사실이어니와 기독교가 조선 신문화에 영향을 미친 중에도 특히 여성 생활에 일대 변동을 일으켰음은 조선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논하는 이의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현상이라 하겠다. 4. 선교 초기 여성 관련 성서 해석이 한국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 향 평가 선교 초기 여성과 관련된 성서 해석의 글들과 가르침은 무엇보다 억압 속에 살아왔던 조선 여성들의 주권의식을 형성시키고 삶의 해 방구를 보여주어 그들의 삶에 새로운 희망을 심어준 점이다. 또한 내 외법으로 갇혀있던 여성들이 처음으로 성서 공부와 교회 여 선교회 구성 등을 통해 조직화되고 한정적으로나마 사회 활동을 하게 되었 다. 특별히 성서 공부와 일반 여성 교육은 여성의 지도력을 계발시키 고 사회에 전문 여성을 배출해내는 성과를 보였다. 4.1. 여성들의 주권 의식의 형성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창조되었으며 동등하게 구원받을 존재라 는 신학적 가르침은 여성들의 남녀 동권 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공헌 했다. 문일평은 기독교가 여성의 지위에 끼친 세 가지 영향으로 (1) 신 앞에는 남녀가 평등인 것을 알게 되었다. (2) 여성이 오늘날까지 구금 동양의 옥내 생활로부터 해방되어 일요일에는 반드시 교당에 가서 남성과 마찬가지로 청강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 (3) 성서를 읽 기 위해 여성 사이에 문자가 크게 보급한 점 등을 꼽고 있으며 이 영향은 기독교가 보급되지 못한 삼남 지방에도 여성의 생활 상태에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63 다소 변동을 주었다고 본다. 60) 나아가 여성들이 가정의 한 구성원(개인)으로서만이 아니라 국가 의 한 인민 으로서의 주체성을 깨닫고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교 육받고 역사적 주체로 사회 참여를 해야만 한다는 주권의식을 고양 시키는데 공헌했다. 실제로 국채보상운동 등을 통해 주체적이고 집합 적인 노력을 보였다. 이러한 한국 여성의 주권 의식은 서구의 여권 운동에서 강조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기 보다는 국가의 개 화와 독립을 위한 애국을 전제로 했다. 이효재는 이에 대해, 국가사 회에서 남성과 동등한 인민으로 막연하게 의식하였을 뿐 사회적 존 재로서, 즉 국가사회의 주인으로서의 전반적 지위와 권리에 대한 인 식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여전히 가정적 존재로서 모성과 아내의 역 할을 통한 사회적 참여로서 인식하는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고 평한다. 61) 4.2. 새로운 윤리 의식 창출 교회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여성 억압적 사회 악습 폐지를 주장 한 글들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윤리의식을 창출해 내었고 여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도 기여했다. 그러나 악습을 비롯한 사회제도 비판 은 기존 사회체제를 위협하지 않는 종교적, 문화적 의식 개혁의 차원 에서 머물러 제도적인 변화의 요구에까지 이르지 못하였다. 진정한 여성의 지위개선을 위해서는 여성이 자신의 열악한 상태를 인식하고 자립 욕구를 가지며, 인간의 존엄을 인식하는 데 그치지 말고 여성이 권익을 찾는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법제 개혁과 경제적 자립을 고려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기반에 관한 어떠한 관심도 찾아볼 수 없었던 아쉬움이 있다. 60) 문일평, 호암사론선, 150-152. 61)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 68.

64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4.3. 여성의 조직화 성서 공부로 시작된 여성들의 모임은 교회가 성장함에 따라 교회 여성의 조직화를 이끌어 내었다. 성서의 가르침을 통해 형성된 주권 의식과 전도 부인의 적극적인 교회 활동이 집안에만 갇혀있던 여성 들을 여신도회를 중심으로 조직화해낸 것이다. 사회적 조직을 구성해 본 경험이 없는 부녀자들에게 이런 경험은 실로 놀라웠을 것으로 짐 작된다. 교회 내에서 여성의 조직화는 전도운동과 교회 치리의 목적 에서 이루어졌으며, 조직은 부인회, 여전도회, 한국 최초로 조직된 여 전도회는 평양의 널다리골 교회 부인 전도회였다. 1898년 2월 20일, 평양의 널다리골 교회에서 마포삼열 목사에게 세례를 받은 이신행, 신반석, 박관선, 김정신 등 4인의 발기로 63명의 회원이 참석한 가운 데 자율적인 여성 조직체가 탄생하였다. 62) 교회 여성의 사회 참여도 발견된다. 개신교 여성이 처음 사회활 동에 참여한 예는 1898년 11월 22일 만민공동회 회원인 김덕구가 황국협회 보부상단들의 습격으로 부상을 당해 사망했는데 그의 장례 에 찬양회 부인회원 120여 명과 정동교회 및 이화학당의 여성 다수 가 참석한 일이었다. 여성 교인들은 남문 밖에 마련된 장례소에 나가 찬미와 기도로 호상을 했다. 63) 1900-1910년대 여성들의 조직화는 국 채보상운동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교회 여성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었 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 단체 중 인천의 국미적성회, 남양의 부인 의성회, 여주의 부인회 등은 개신교 여성들이 주도한 단체이다. 62) 남신도들은 1900년 봄에 선천읍 교회에서 평북도 사경회가 열렸을 때 첫 전도회를 창설하였다.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 142. 63) 박용옥,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57-60.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65 4.4. 교회 여성 지도자(전도 부인) 창출 선교 초기 교회의 성서 공부는 여성의 평등한 지위와 주체성을 강조하여 교회 여성들의 지도력을 함량하고 실제적으로 여성 지도자 들을 배양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내외법으로 인해 여성들에 대한 전도가 어려워 생겨난 전도 부인은 선교 초기 교회 내 여성지 도력의 모범적 예이다. 전도 부인은 전도, 권서, 개교회 학교에서의 교사 등으로 활동하는 일반 전도 부인과 64) 의료 선교의 역할 담당하 는 의료 전도 부인이 있었다. 65) 그러나 1915년 경 이후부터는 권서 의 역할이 분리되고 전도 부인은 전도에만 전력을 하게 된다. 초기 한국 선교에서 전도 부인들에 대한 교육은 주로 성서 학교 와 사경회 지도자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사경회의 부인반에서는 전도 부인 양성을 위한 성서 공부, 미신 타파, 한글 계몽, 생활 개선 에 관한 교과과정을 마련하여 훈련하였다. 그 내용이 주로 죄, 회개, 천당, 지옥, 사탄 등에 관한 단순한 설명에 제한되었고 학습 및 세례 교인 준비를 위한 교리 문답, 예수의 생애와 성서 구절의 암송 등이 었다. 66) 이후 1903년 원산과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 1910년 백만 64) 노블(Mattie Wilcox Noble) 부인의 보고에 따르면 도라김은 1903년 진남 포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집을 348 가정을 방문했고 14개의 책을 팔 았다. Minutes of the Korean Woman 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1903);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편, 한국교회 전 도 부인 자료집, 436에서 재인용. 65) Ruth Benedict가 평양에서 활동한 1914년 선교 보고에 따르면 그 곳에 유 니스 황과 신도 장이라는 두명의 의료 전도 부인이 베네딧을 도와 활동하 고 있었다. 이들은 대기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가르치거나 병자를 돌보고, 환자나 그 가족을 방문하며, 찬송가와 성서를 팔기도 했다. Minutes of the Korean Woman s Conferen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1914); 한국교회 전도 부인 자료집, 452에서 재인용. 66)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 140.

66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명구령운동 등으로 이러지는 한국교회의 성장은 전도 부인의 양적 증가도 필요하였고 질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런 요구에 부응하여 장로교의 경우 1907년 평양에 여 교역자 훈련 원이 생겼으며 3년 후에는 여자 성서학원이 설치되어 초급 교육 과 정을 강화시켰다. 67) 그러나 점차 처음에는 직업으로 인식되던 전도 부인은 차츰 전도 하는 개신교 여성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변하면서 충분한 신학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신의 체험적 신앙경험을 바탕으로 전도하는 전도 부 인을 통한 선교가 이루어져 교회 속에서 여성신앙의 행태가 무속적 신앙의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한 요인이 되었다. 68) 또한 이들 전도 부인들은 교회 지도력에서 보조적 역할에 머물렀 다. 69) 전도 부인들에 의해 쓰인 글은 교회 신문이나 잡지에서 발견 하기 어려웠다. 그들은 남녀가 함께 모여 있는 회중 앞에서 설교하거 나 말할 기회를 거의 또는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고 한다. 70) 여 성 지도력의 주변화, 소외는 한국 장로회가 제도화의 길을 걷기 시작 한 1907년 이후 더욱 심해졌다. 67) 1901년 가을부터 선교사 마펫이 두 명의 목사 후보생을 집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한국에서의 목사 양성 신학교육의 출발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듬해(1902) 선교사 공의회는 목사 후보생을 위한 5년의 신학 교육 과정을 만들었다. 당시 양전백, 길선주, 한석진, 이기풍, 송인서 등 5명이 입학하 였다. 68)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 197. 69) 1924년 통계 (annual report, 401-402에서 재인용) 예배 인도하는 안수받은 한국인 목사 234명, 장로 1,372명, 안수집사 183명, 안수받지 않은 보수받 는 남자 사역자 559명, 보수받는 여자 사역사 273명, 무보수 교회 리더 10,161명, 교회 건물 2,097, 27,072명의 남자와 45,182명의 여자가 적어 도 한 번은 4일부터 한 달 동안 진행되는 성서 학급(bible class)에 참여. 70) Annie Oakes, Women s Work in our Mission Stations, Korea; 서울선교지 의 전도 부인 사역, 한선현 역 (서울: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활천사, 2000)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67 5. 글을 맺으면서 한국교회는 성서를 교회 선교와 전통의 중심에 놓고 출발하였다. 경전을 중시하며 경전을 삶의 지표로 삼고 내면화하던 유교 문화권 의 한국인들의 정서와 성서 중심, 회심 체험의 강조 등을 특징으로 하는 선교사들의 복음주의적 성서관이 만나 성서 말씀의 내면화를 통한 체험적 성서 읽기와 전도를 통한 실천을 촉발시켰으며 이는 한 국교회의 대부흥으로 이어졌다. 특별히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살아가던 조선 여성 들에게 여성도 영혼을 가진, 남자와 동등하게 창조된 존재라는 성서 의 가르침은 잠자던 여성들의 자의식을 일깨웠고 당당한 여 선교사 들의 모습과 여성도 경전을 읽을 수 있다는 사실 등은 많은 여성들 로 하여금 교회로 나오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선교 초기 단순한 어의적 의미 해석에 머무는 소박한 성 서 읽기는 회심한 여성들에게 전도의 열정과 삶의 변화를 이끄는 데 큰 힘이 되었지만 교회의 성장과 함께 여성들의 신앙을 성숙시키고 전문적인 교회 여성지도자/사역자를 양성하는 데까지 발전하지는 못 하였다. 선교 초기 악습을 비롯한 사회제도 비판 역시 기존 사회 체 제를 위협하지 않는 종교적, 문화적 의식개혁의 차원에서 머물렀을 뿐 제도적인 변화의 요구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여 실제적으로 여성들 의 지위 개선에 근본적인 파급력을 끼치지 못하였다. 여성의 지위개 선을 위한 법적 개편과 제도적 뒷받침이 없는 의식적 개혁의 한계는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가 한국 여성들에게 낡은 유교적 여성관 에 입각한 가정에서의 역할을 강요하면서 후퇴한 점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한국교회는 일제하 새로운 일본식 가족제도의 이식과 여성 의 종속 강요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으며 오히려 개신교 자체도

68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보수화의 길을 걸으면서 여성 안수의 거부와 교회 내의 가부장적 질 서 구축으로 나아간다. 성서의 권위는 삶에 자유와 해방을 부여하여 온전한 인간성의 촉 진이라는 구원의 이상을 실현하는 원천이 되는 점에서 권위를 가지 는 것이다. 만일 문자적 권위를 강요하면서 반 여성적 본문을 통한 여성의 통제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성서의 권위가 아닌 특정 부류의 권위를 강요하는 것에 불과하다. 평양대부흥회 100주년을 맞이하면 서 선교 초기 성서가 조선 여성들로 하여금 그들 역시 하나님의 평 등한 피조물임을 깨닫고 그 기쁨으로 하나님 앞에 나아와 교회성장 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처럼, 성서가 지금의 한국 여성에게 교회 내 보조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고 하나 님 나라의 도래를 위해 힘쓰는 주역으로 나아가는 힘의 원천이 되기 를 바란다. <주요어> 성서관, 성서 해석, 한국 선교, 여성신학, 여성 해방 <Key words> canon, biblical interpretation, Korean mission, feminist theology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69 참고문헌 그리스도 신문 신학월보 게일, J. S., 전환기의 조선, 신복룡 역, 서울: 집문당, 1999. 김경빈, 한국에 온 미국 선교사들의 신앙 유형과 그 사상적 배경, 민경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출판 편집, 후원 위원회, 교회, 민족, 역 사- 솔내 민경배 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서울: 한들출판사, 2004, 87-110. 김승태 편역, 일제 강점기 종교정책사 자료집: 기독교편, 1910-1945, 서울: 한국 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마포삼열, 마포삼열 목사의 선교편지 (1890-1904), 김인수 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문일평, 호암사론선, 이기백 해설, 서울: 탐구당, 1975. 박명수, 근대 복음주의의 주요 흐름-한국 성결교회의 배경에 대한 연 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박용규, 한국장로교사상사,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2 박용옥, 한국 근대여성 운동사 연구,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박종현, 일제 하 한국교회의 신앙구조, 서울: 한들출판사, 2004. 백종구, 선교사 마펫의 지도력과 평양 장대현교회의 개척과 성장, 민경 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출판 편집, 후원 위원회 편, 교회, 민 족, 역사- 솔내 민경배 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서울: 한들출판사, 2004, 397-425. 백종구, 한국 초기 개신교 선교운동과 선교신학, 서울: 한국교회사학 연구원, 2002. 셔우드 홀, 닥터홀의 조선 회상, 김동열 역, 서울: 동아일보사, 1984. 실비아 월비, 가부장제 이론, 유희정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 판부, 1996. 왕대일, 초기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대한 구약학적 평가, 영적 대각성

70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100주년 기념 학술 연구회 편, 각성 갱신 부흥-영적대각성 100주년 기념 학술연구,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출판부, 2006. 윤정란, 한국 기독교 여성운동의 역사 - 1910년~1945년, 서울: 국학 자료원, 2003. 이광린, 평양과 기독교, 한국 기독교와 역사 10 (1999), 11-13. 이만열, 한국 기독교와 민족의식-한국 기독교사 연구 논고, 서울: 지 식산업사, 1991. 이문장, 한국인을 위한 성경연구-원리편, 서울: 이레서원, 2003. 이영미, 개신교가 한국 여성지위 변화에 미친 영향, 한신대학교 학술원 신학연구소 편, 한국 개신교가 한국 근현대의 사회, 문화적 변 동에 끼친 영향 연구,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2005, 559-592. 이효재, 한국의 여성 운동- 어제와 오늘, 서울: 정우사, 1989. 장로회신학대학교 편, 한국교회 대부흥 운동 100주년 자료집: 한국교 회 대부흥 운동, 1903-1908,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2007. 정석기, 한국 기독교 여성 인물사, 서울: 쿰란출판사, 1995. 주선애, 장로교 여성사,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여전도회 전국연합 회, 1978. 피오렌자, E. S., 돌이 아니라 빵을, 김윤옥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 여성사연구회 편, 한국교회 전도 부인 자료집, 서울: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회, 1999. 한국 기독교사연구회 편, 한국 기독교사 연구 I, 서울: 교문사, 1989. 한국 기독교장로회 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 기독교 100년사, 서울: 한국 기독교 장로회 출판사, 1992.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71 <초록>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이영미 (한신대학교 교수, 구약학) 이 글은 한국 선교 초기 성서관과 성서 해석이 한국 여성들의 지 위변화에 끼친 영향을 당시 간행된 교회잡지의 글들을 통해 살펴보 았다. 선교 초기 한국교회는 성서 해석과 신앙에 대해 선교사들에 전 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는데 한국교회 잡지를 간행하고 평양대각 성운동을 이끌었던 선교사들은 주로 경건주의적 근본주의 성서 이해 위에 비평적 성서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국 선교 초기부터 한국교회는 성서를 교회 선교와 전통의 중심 에 놓고 출발하였다. 경전을 중시하며 경전을 삶의 지표로 삼고 내면 화하던 유교 문화권의 한국인들의 정서와 성서 중심, 회심 체험의 강 조 등을 특징으로 하는 선교사들의 복음주의적 성서관이 만나 성서 말씀의 내면화를 통한 체험적 성서 읽기와 전도를 통한 실천을 촉발 시켰으며 이는 한국교회의 대부흥으로 이어졌다. 교회 잡지에 실린 여성 관련 글들은 여성의 평등적 지위를 창조 신학에 입각해서 주장하며 성서를 근거로 각종 봉건적 악습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성서의 가르침은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 지 못하고 살아가던 조선 여성들에게 여성도 영혼을 가진, 남자와 동 등하게 창조된 존재라는 성서의 가르침은 잠자던 여성들의 자의식을

72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일깨웠고 당당한 여선교사들의 모습과 여성도 경전을 읽을 수 있다 는 사실 등은 많은 여성들로 하여금 교회로 나오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선교 초기 단순한 어의적 의미해석에 머무는 소박한 성서 읽기는 회심한 여성들에게 전도의 열정과 삶의 변화를 이끄는 데 큰 힘이 되었지만 교회의 성장과 함께 여성들의 신앙을 성숙시키고 전문적인 교회 여성지도자/사역자를 양성하는 데까지 발전하지는 못하였던 한 계가 있다. 선교 초기 악습을 비롯한 사회 제도 비판 역시 기존 사 회체제를 위협하지 않는 종교적, 문화적 의식개혁의 차원에서 머물렀 을 뿐 제도적인 변화의 요구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여 실제적으로 여 성들의 지위개선에 근본적인 파급력을 끼치지 못하였다. 이에 한국교 회는 선교 초기 성서가 조선 여성들로 하여금 그들 역시 하나님의 평등한 피조물임을 깨닫고 그 기쁨으로 교회 성장의 주역이 될 수 있었던 것처럼 지금의 한국교회가 성서의 바른 해석을 통해 여성이 교회 내 보조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위해 힘 쓰는 주역으로 나가는 힘의 원천이 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Abstract>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Early Korean Christianity and Its Influence on Women s Status Dr. Yeong Mee Lee (Hanshin Univ.)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early Korean church s

이영미 한국 선교 초기 성서 해석이 여성의 지위에 끼친 영향 73 view on the Bible and biblical interpretation as well as articles on women published in Korean Christian journals during 1900s in order to explore its influence on Korean women s life and social status. In the early era of Korean mission, Korean churches heavily relied on missionaries whose theology was fundamentalism. They rejected high criticism in biblical interpretation and emphasiz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Confucianist Korean culture accelerated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it highly respects the canon as the guide of human life. Korean church members read the Bible, internalizing its literal meaning and applying it into their lives. Further, Korean churches opened various levels of bible classes. The characteristics of bibl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ose in christian journals such as Christian Shinmun and Shinhak Wolbo, are literal and christ centered. Articles in christian journals demonstrated the equality of women with men on the basis of creation. There were many critical writings against the customs that discriminated women in that society. They drew teachings from the Bible to support the abolition of those evil customs. These articles actually affected church members that they liberated their slaves or separated with their mistresses. Christian view on women s status in creation and liberative teachings had led women to the church and influenced the change of women s social status

74 Canon&Culture 제 1권 2호 2007년 가을 in Korea. However, the early Korean church s liberative teachings from the Bible showed its limitation on the point that they had not been reached to train women church leaders and to fundamentally challenged the evil practices. On the contrary, the emphasis on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its literal interpretation functioned to reject women s ordination and subordination of women in chu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