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호/2004 9 1 조정남 교 양 사 회
2004. 9. 1 통 권 13 호 특집
동북공정 의 발전 과정과 정치적 성격 동북공정의 논란을 경험으로 삼아 우리는 주변국의 상황변화와 통일 이후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충분히 대비하고 있는가를 여러 차원에서 새삼 점검해 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향후 한국의 민족 과 민족주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6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7
8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9
10 동북공정의 전개
중국에서 동북은 통칭 동북 3성, 즉 랴오닝성( 寧 省 ), 지린성( 吉 林 省 ), 헤이룽장성 ( 黑 龍 江 省 )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의미하며, 한 때 고구 려의 영토이기도 한 곳이다. 공정 ( 工 程 )은 사전적 의미 로 공사 ( 工 事 )라는 의미를 갖는다. 특집 11
12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13
14 동북공정의 전개
동북지역은 중국의 중요한 변 강지역으로서 자원이 풍부하 고 인구가 조밀하며 문화가 발 달한 지역이다. 여기는 또한 전략적 위상을 갖추고 있는 지 역이다. 신중국건설이전제 국주의의 침탈로 인해 동북지 역의 역사적 기록이 상당정도 왜곡된 점이 없지 않았다. 특집 15
16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17
18 동북공정의 전개
동북공작기구는 2000년 5월 창춘( 長 春 )시 동뻬이 사범대 학에서 동북공작기구의 공작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01 년 6월에는 중국사회과학원과 중국공산당 지린성위원회가 연합 주관하여 동북변강역사 와 현상연구공작세미나를 창 춘시에서 개최하였다. 특집 19
20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21
22 동북공정의 전개
분 류 연 구 과 제 분 류 연 구 과 제 특집 23
분 류 연 구 과 제 24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25
26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27
28 동북공정의 전개
특집 29
30 동북공정의 전개
주제별로 광개토대왕비 연구, 한반도와 중국 족속의 성씨 원 류에 관한 연구, 한반도와 중 국의 국경 문제, 압록강이남 지역의 고구려 유적지 조사, 청대 압록강 유역의 봉금( 封 禁 )과 개발 문제, 백두산 지역 의 문화와 귀속 문제, 삼국사 기( 三 國 史 記 )의 연구와 주해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집 31
32 동북공정의 전개
한민족은 고구려와 기자조선을 도용해 갔다 특집 33
34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35
36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37
한민족은 고구려와 기자조선을 도용해 갔다 38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39
40 동북공정의 논리
705년간의 역사를 이어오며 고구려는 현도, 요동, 낙랑 등 지로 영토를 확장시켰으며 여 러 차례 수도를 옮겼다. 그러 나 흘승골이든 국내성이든 평 양성이든 고구려의 수도는 모 두 한사군 지역 안에 있었다. 그러니 고구려는 중국 역사에 출현한 변방의 민족 정권인 것 이다. 특집 41
42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43
44 동북공정의 논리
대부분의 고구려족은 당나라 에의해내지( : 중국)로 옮겨져 한족과 융합되었으며 나머지 고구려인은 주위의 각 민족에 융합되었다. 이로써 고구려 왕족은 후계자가 끊겼 으니 고구려는 나라를 세운지 700여 년 만에 드디어 중국 역사발전의 긴 강 속으로 사라 지게 된 것이다. 특집 45
46 동북공정의 논리
변경에서 수양제는 두 번 군사 를 일으켰고 당 태종도 직접 토벌하러 갔으나 모두 실패하 였다. 당 고종은 이적에게 고 구려를 정복하도록 명령하니 이적이 드디어 성을 함락시키 고 그 땅을 군현( )으로 나 누었다. 당나라 말년 중국에 내란이 많아지자 고려인은 스 스로 군장( )을 세웠다. 특집 47
48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49
고구려는 고대 중국의 일개 지방 민족정권 50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51
52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53
중국 고구려사 연구의 개방과 번영의 6년 54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55
56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57
58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59
60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61
62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63
64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65
66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67
68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69
의 과 번영의 6 70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71
72 동북공정의 논리
연변의 조선족이 에서 기 원했지만 현재는 중국의 관할 에 있고, 미국인이 비록 영국 에서 기원했지만 현재는 영국 에 속하지 않았고, 또 싱가폴 사람들이 중국에서 기원했지 만 현재는 중국에 속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한 민 족의 기원은 그 이후의 귀속을 증명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 특집 73
74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75
76 동북공정의 논리
고구려는 패수 이남이 아닌 이 북에 건립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고구려가 고조선의 영토 위에 건립되었다는 견해 는 성립이 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한사군이 고조선의 영 토 위에서 건립된 것인가라는 문제도 더 논의할 가치가 있으 며, 진지하게 사료를 정리하 고 고증해야 할 것이다. 특집 77
78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79
80 동북공정의 논리
담기양의 제 5조 에서는 고구려를 당시 중국 지도의 밖에 그렸 다. 최근 중국의 연구자들 대 다수 견해는 이를 반드시 정정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데, 고구려를 수당의 강역 안 으로 그리고 어떤 특수한 표기 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집 81
82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83
84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85
86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87
88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89
90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91
92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93
94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95
96 동북공정의 논리
특집 97
민족정책과 정치전략에 의한 역사왜곡 98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99
100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101
102 동북공정의 분석
동북공정은 현재 진행 중인 프 로젝트로 그 결과물이 완전히 공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 다. 하지만 여기에 참여하고 있는 중심 학자들의 논문이나 홈페이지에 실린 내용들을 살 펴보는 것만으로도 고구려에 관한 내용은 분석이 가능할 것 으로 보인다. 특집 103
104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105
106 동북공정의 분석
중국은 고구려를 중국 역대 皇 朝 의 정치적으로 예속된 관 계로 중국의 일부분이었다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또한 고 구려 시기 중간에 반란과 할거 의 국면이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광명일보 논문에서 는 고구려가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원하지 않았다는 주장 으로 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집 107
108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109
110 동북공정의 분석
중국은 한국 연구자의 접근 자 체를 봉쇄하고 한국의 발해사 연구가 객관성이 없으며 동아 시아 전체로 볼 때 반( 反 )평화 적이라고 매도하는 한편, 자 신들은 1980~90년대 사이 발해사 연구를 집중 지원했다 (중국 발해사 관련 논문의 90%가 이 시기에 나왔다). 특집 111
112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113
114 동북공정의 분석
1980년대 이후 중국학계에서 현재중국영토안에서이루 어진 역사는 모두 중국역사 라는 다민족통일국가론이 강 조되면서 고구려사는 중국사 의 일부라는 주장이 주류를 이 루게 되었고, 그동안 소극적 으로 펼쳐졌던 이 주장이 최근 들어 더욱 공식화, 노골화되 고 있는 것이다. 특집 115
116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117
118 동북공정의 분석
중국 역사학계에선 역사상의 가상 영토를 겨냥한 역사전쟁 으로 발전한다. 기본 전략은 현재 중국판도 위에서 일어 난 모든 역사는 중국사에 귀속 된다 는 고위금용의 이론체계 라는 것이다. 현재의 국경을 기준으로 모든 민족과 국가, 문명의 역사는 현재의 중국사 라고 규정해 버리는 식이다. 특집 119
120 동북공정의 분석
특집 121
제1부 제2부 122 동북공정의 분석
역사적 진실 왜곡에 대한 비판과 반성 특집 123
공세론 방어론 반성론 124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25
126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목적은 동아시아에서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세계적 차원에서 중국 중심의 질서를 창출하는 데 있다. 즉, 중국은 21세기 세계최고의 부강한 나라, 즉 미국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 운 초강대국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특집 127
128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29
130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31
132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33
134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동북공정을 시급하게 실시하 는 이유 중에는 통일 이후 등 장할 수도 있는 한반도의 팽 창주의적 민족주의에 대한 대 비의 필요성도 크게 작용하였 다. 특히 한국의 만주열풍 에 대한 경계가 주요 요인이 었다. 특집 135
136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비판론 대안론 자성론 특집 137
138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39
140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주은래 중국총리는 조선족이 기자자손( 이라는 주장은 역사왜곡이며, 다른 나라가 중국에 보내는 선물은 조공, 사절을 보내는 것을 알현, 전쟁 후 강화조약을 맺은 것을 신하로 복종한다 고하는것은 대국쇼비니즘 으로서 시정되어야한다고 지 적한다. 특집 141
142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43
144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조공 책봉관계의 실상이 본 래 그것이 내포하였던 이상적 관념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 다. 특히 남북조시대에 조 공 책봉은 실질적인 종속관 계를 전제로 한 것이 아니라, 주변 국가와 중국의 제왕조가 맺는 외교관계의 한 형식에 지 나지 않았다. 특집 145
146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47
148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구오대사 신오대사 송사 요사 금사 명사가 모조리 고구려사를 잘못 기술하고 있 다면그것은이모든중국역 사서들이 잘못된 것이라기보 다는 이 모든 중국 역사서들이 잘못되었다는 광명일보의 인 식이 잘못된 것이다. 특집 149
150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51
152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이른바 역사전쟁 운운하는 사람들은 고구려사가 한국사 의 일부임과 동시에 중국사의 일부일 수도 있다는 너무나 당 연하고 기초적인 사실로부터 고의적으로 눈을 돌렸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라는 국가 와 한국, 혹은 중국이라는 역사 공동체 의 개념을 구별하지도 못하고 있다. 특집 153
154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55
156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57
158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59
160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61
162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63
164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중국정부가 외교부 홈페이지 에서 고구려를 삭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함에 따라 한국정부 가전에비해강도높은대책 을 취한 것은 사실이지만, 공 식적인 입장은 여전히 동북 공정 은 학술적 문제라는 데 서 크게 변하지 않았다. 특집 165
166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67
168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69
170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고구려가 중국 역사의 일부라 고 강조하고, 고구려와 고려 는 무관하다 고 한것은 고조 선, 부여, 고구려, 발해까지 를 큰 틀에서 중국사에 포함 시킴으로써, 동북공정 의 본질을 드러낸 것으로서 조선 민족에게는 도저히 용인할 수 없는 로골적인 역사외곡이다 고 북한측은 평가하고 있다. 특집 171
172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73
174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75
176 동북공정에 대한 반응
특집 177
특집 179
180 논 단
181
182 논 단
183
184 논 단
185
8,486 2,749 2,327 1,687 1,394 1,394 324-2,709-1,833 1,775 1,485 375 735 63 160 277 100 70 82 4.80 1.17 1.70 2.24 0.90 1.12 2.80 186 논 단
187
188 논 단
포커스 구 유고제국에 날뛰는 민족주의의 그림자 189
190 포커스
191
192 민족학
년도 총인구(천명) 카자흐인 러시아인 기타민족(%)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1926 6,193 58.5 20.4 21.1% 1959 30 42.7 40.5 30.2 53.1 13.3 60.9 17.3 62.1 13.5 1939 6,139 37.6 40 22.4% 1959 9,295 29.8 42.7 27.5% 1970 13,009 32.6 42.4 25% 1979 14,685 36 40.8 23.2% 1989 16,463 39.7 37.8 22.5% 1994 16,870 44.3 35.8 19.9% 1970 1979 1989 32.6 43.8 56.2 65.6 65.5 42.4 29.2 11.9 14.5 12.5 36 47.9 58.8 68.4 68.7 40.8 25.9 10.4 12.6 10.8 39.7 52.5 62.3 72 71.4 37.8 21.5 7.6 9.5 8.3 카자흐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독일인 우즈벡인 타타르인 백러시아인 아제르인 기타민족 1992년 1월 총인구 = 16,891,613 7,073,072 41.9 6,257,084 37 889,795 5.2 786,101 4.7 356,408 2.1 336,599 2 186,712 1.1 97,954 0.6 910,888 5.4 1994년 1월 총인구 = 16,870,362 7,474,478 44.3 6,041,586 35.8 6,041,586 5.1 856,665 3.6 613,820 2.2 371,584 2 177,615 1.1 101,950 0.6 902,002 5.3 193
194 민족학
195
196 민족학
197
198 민족학
199
200 민족학
201
202 민족학
203
204 민족학
205
206 민족학
207
208 민족학
209
수입국 미 국 프랑스 이탈 리아 스웨덴 독일 벨기 노르 웨이 네덜 란드 덴마크 호주 스위스 케나다 스페인 핀란드 영국 합계 1988년 2001년 9,120 19,237 2,441 2,850 2,078 2,127 1,075 1,044 875 1,789 662-582 721 577-523 383 516 289 492-232 1,874 93 3,428 78 - - 326 19,344 34,068 210 민족학
송출국(지역) 한 국 콜럼비아 페루 필리핀 인도 칠레 파라과이 과테말라 브라질 혼두라스 루마니아 멕시코 코스타리카 엘살바돌 타이 폴란드 대만 하이티 에콰돌 도미니카 1990년 2620 631 440 421 348 302 282 257 228 197 121 112 105 103 100 66 66 64 59 58 송출국 러시아 중국 한국 과테말라 베트남 인도 루마니아 콜럼비아 캄보디아 필리핀 우쿠라이나 멕시코 불가리아 도미니카 하이티 브라질 에티오피아 타이 폴란드 라트비아 1998년 송출국 중국 러시아 과테말라 한국 * 우크라이나 * 카자흐스탄 * 베트남 * 인도 콜럼비아 불가리아 캄보디아 * 필리핀 하이티 벨라루시 루마니아 에티오피아 폴란드 타이 * 페루 멕시코 2002년 5053 4939 2219 1779 1106 819 766 466 334 260 254 221 187 169 168 105 101 67 65 61 211
212 민족학
213
214 민족학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잡 지 224
<교양사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고품격 국제정보지 민족연구 와 민족문제 전문지 시대의 논리 의 정기구독을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정기구독 신청서 잡 지 4권(2년분) \ 40,000 8권(4년분) 4권(1년분) 8권(2년분) \ 70,000 \ 40,000 \ 70,000
한국민족연구원이 연 2회 발간하는 민족연구 는 세 계의 민족과 민족주의를 중심적인 연구과제로 하고 있으며 현대 제반 민족문제의 근원적 실체와 이의 발 전적 해결을 도모하는 성격을 가진 연구지입니다. 이 연구지는 민족주의 이론, 각 지역과 개별국가의 민족 문제와 민족정책, 소수민족 현황 등과 관련된 원고를 편집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원은 학계와 연구기관 연구자들의 기고를 환 영합니다. 보내실 글은 논문과 르포 등 다양한 형식을 가져도 무방합니다. 보내실 원고는 다른 곳에 게재되 었거나 게재될 계획이 없는 것이어야 합니다. 보내신 원고는 반환하지 않으며 민족연구 심사진의 심사 후 게재여부를 결정합니다. 연구원의 편집 방향 및 기준 에 따라 게재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원고는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옆의 E-mail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인 : 조정남 주 소 : 서울시 강북구 수유 4동 282-10 ( 010-4716-3616) 발 행 인 : 최 철 호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청진동 295 영동빌딩 507호 ( 02-727-0936) 발 행 일 : 2004년 9월 1일(연 2회 간) 발 행 처 :교양사회( 02-727-0936) ISSN 1229-2796 값 1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