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양곤무역관장 2016.5.23
1. 미얀마 개황 2. 신정부 출범과 미얀마의 변화 3. 수출시장 4. 생산거점 5. 인프라 건설 시장 6. 미얀마의 고민
1. 미얀마 개황
1-1. 미얀마 지정학적 입지 인도 중국 중-인-아세안 3대 신흥경제권의 접점 중국의 인도양 출구 인도의 동남아 입구 5개국과 접경 아세안 2,200KM의 해안선 말레카 리스크
1-2. 주요 경제 지표 지표 단위 2013 2014 2015(예상) 경제성장률 % 8.43 8.47 8.5 1인당 GDP US$ 1,112 1,1228 1,269 명목 GDP US$십억 56.7 63.1 65.8 소비자 물가상승률 % 6.28 7.45 13.32 실업률 % 4.02 4.02 4.02 수출실적 US$백만 9,022 8,962 9,699 수입실적 US$백만 9,462 13,694 15,683 무역수지 US$백만 -2,555-4,110 외국인투자 3,643 US$백만 4,107 8,010 금액(당해분) (4~11월) 총외채 US$백만 7,367 6,618 7,697 외환보유고 US$백만 8,278 8,727 9,417 이자율 % 13.0 13.0 13.0 Source : IMF, 미얀마 중앙 통계청, 기타(EIU Country Report 2015년 11월호)
1-3. 미얀마를 보는 3가지 시각 소비시장 - 맥도날드와 스타벅스를 모르는 5천 3백만명의 소비자 - 접경지역내 3억 인구 생산거점 - Post 차이나-베트남 최대 유망 투자지 개발협력 - 자원 및 인프라 투자 - 아세안 Connectivity의 Missing Link
2. 신정부의 변화
2-1. 미얀마 총선 결과 하 원 상 원 NLD 255, USDP 29 (총 440=330+110) NLD 135, USDP 12 (총 224=178+56) NLD 390석, USDP 41석 => 80% 의석 확보, 군부의석 25% 포함시 58.7% 확보
2-2. 미얀마 경제의 미래? 신년 연설 (2016.4.17) 화해(National Reconciliation) 국 정 원 칙 평화(Internal Peace) 법치(Rule of Law) 헌법 개정 * 신정부 100일 계획 수립 중
2-2. 미얀마 경제의 미래? NLD의 경제정책은 현 정부 큰 차 이가 없다. 다만 부패 방지와 환경 을 생각하는 개발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한타민 NLD 경제위원회 의장 (12.10) <미얀마 경제를 믿어야할 5가지 이유> - NLD도 경제발전과 무역투자를 최우선 - 외국인투자를 위한 법제 정비 완료 - 3대 경제자유구역(SEZ) 개발 진행 중 - 국가간 투자보장 협정 체결 -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 가능 아웅나잉우 투자청장(11.11)
2-3. 신정부 출범 후 변하는 것들 방만한 행정조직 재편 작고 효율적인 정부 : 36개 부처 22개 부처 신 조세수단 도입으로 공공 재정관리 시스템 확립 단기적으로 사업승인 절차에 혼선 우려, 장기적으로 의사결정 효율화 정부부처의 공기업화 및 공기업 민영화로 새로운 사업기회 창출 과세 사각 지대 해소, 상업세 면세범위 축소 등 투자비용 증가 가능 친인권 친환경 정책 교육과 보건분야에 우선적 예산 투입 노동자의 인권 보호 및 개발로 인한 피해주민의 보상 확대 병원 진출 및 의약품 및 의료기자재 수출 기회 봉재 등 저임 노동력을 활용하는 투자기업의 인건비 상승 부담 프로젝트 진출시 보상비용 증가
2-3. 선거 후 변하는 것들(계속) 법안 개정을 통한 경제 개혁 콘도미니엄법, 외국인투자법, 중소기업육성법, 자동차법, 중앙은행법 등 개혁 입법들 2016년 발효 예상 외투법 개정으로 투자 여건 개선 콘도법 개정으로 부동산 개발사업 여건 개선 한-미얀마 중소기업간 협력 여건 조성 국제사회의 지원 확대 민주정권으로 탄생으로 ADB, WB, AIIB 등 국제사회의 지원 확대 정권 재창출을 위한 단발성 프로젝트 중심에서 민생용 중장기 프로젝트로 전환
2-3. 선거 후 변하는 것들(계속) 미국의 제재완화 미국의 GSP(일반특혜관세) 재개 움직임 SDN 일부 해제 등 추가적인 경제제재 완화 1989년 2003년 2012년 88사태 후 미얀마에 대한 GSP 중단 버마 민주화법으로 금융, 상품거래 등 전면적인 제재 재무부 일반면허(GL)를 통해 상품, 서비스, 금융거래의 원칙적 허용 100여개 SDN 기업과의 거래제한 유지 2015년 SDN 대상인 Asia World Port를 경유한 수입 한시적 허용 (12.8) 2016년 3개 국영은행, 7개 국영기업 SDN에서 제외, 일반면허 확대 (5.17) GSP 제공시 미수출품에 대한 관세혜택이 적용되어 미얀마 진출기업 의 대미 수출 확대 경제제재가 추가 완화될 경우, 대미얀마 투자 폭증 예상
3. 수출시장, 미얀마 14
3-1. 수출시장으로서의 장단점 장점 5천3백만명 규모의 내수시장, 접경지역(반경 3천km)내 3억 인구 선진국 브랜드 미진출로 시장 선점 효과 초기 산업화를 위한 산업재 수입수요 폭증 한류 : 2002년 가을 동화 이후 13년째 K-Drama 열풍 단점 구매력 부족 전기, 물류, 금융 등 소비를 위한 기초 인프라 부족 중국, 태국, 인도 등 접경국으로부터의 저가 공산품 유입 심해항 부재로 인해 물류비 다대
3-2. 미얀마 수출입 동향 (US$백만) 구 분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US$백만 증감률 2010/2011 8,861.0 16.8% 6,412.7 53.4% 2,448.30-28.1% 2011/2012 9,135.6 3.1% 9,035.1 40.9% 100.5-95.9% 2012/2013 8,977.0-1.7% 9,068.9 0.4% -91.9-91.4% 2013/2014 11,204.0 24.81% 13,759.5 51.72% -2,555.5-2,780% 2014/2015 12,523.7 11.77% 16,633.2 20.88% -4,109.5-60.81% 2015.4-9 5,611.0 7,888.9-2,277.9 (주) 1. 미얀마회계연도 기준 (4월~익년3월) 2. 자료원: 미얀마 중앙통계청(16년 5월)
품목별 수출입액 (US$백만) 자료원: 미얀마 중앙통계청
JADE 무역 사례
3-3. 수출 유망 품목 화장품 한류 열풍으로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관심 높음 남녀 모두 타나카를 사용할 정도로 피부에 높은 관심 의약품 열악한 의료환경으로 인해 보건분야 투자 및 의약품 수요 증가 전망 인도, 태국, 중국을 통해 복제약 수입, 공업부 및 민간 5개 제약사 생산 건설 중장비 미얀마 건설 호황으로 수요 증가세, 한국의 대미얀마 최대 수출품목 신정부들어 차관 프로젝트가 늘어남에 따라 장비 수요 동반 증가 예상 자동차 배터리 12년 자동차 수입자유화 후 중고차 급증으로 자동차 배터리 수요 증가 만성적인 전력부족으로 가정의 비상전력용으로도 배터리 수요가 큼
3-3. 수출 유망 품목 (계속) 자동차 부품 신 자동차법으로 인해 좌측핸들 차량용 부품에 대한 수요 증가 인근국으로부터 밀수와 A/S까지 보장하는 일본제품과의 경쟁이 관건 금 고 금융시스템 불안정으로 현금보유가 많아 금고에 대한 수요 꾸준 태국산이 전체 시장의 54% 차지, 가격경쟁력 확보 필요 원단 미얀마 봉재산업이 성장하면서 한국산 고급원단 수요도 증가 전망 CMP에서 FOB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장수요도 예상 전선 신규 호텔, 주상복합 등의 건설 활황으로 전선 수요 증가 현지 대기업과의 연계한 입찰 참여 바람직 * 예 : LS 전선, 1,300만달러 규모 미얀마 전선입찰 수주
[참고] 내구성 소비재 보유현황 및 구매의향 DVD 플레이어/레코더 다리미 선풍기/서큘레이터 냉장고 전기밥솥/가스밥솥 디지털카메라 내 구 소 비 재 보 유 현 황 컬러TV(브라운관) 오디오시스템/ 오디오스테레오 휴대폰(스마트폰 제외) 드라이어 비디오게임/ 휴대용게임 체중계(전기식 포함) 전자렌지 바이크 데스크톱 PC 비디오카메라 청소기 태블릿 PC 공기청정기 세탁기 컬러TV(액정, 플라즈마) 에어컨 노트북 PC 스마트폰 자동차 향후 1~2년의 구매의향 출처:닛케이리서치
4. 생산거점, 미얀마 22
4-1. 투자거점으로서의 장단점 장점 양질의 저렴한 인적 자원 풍부한 광물 및 수산 자원 미국의 GSP 제공 등 현지 투자기업의 수출여건 개선 생산연령인구(15~64세) 비율 자료원 : UN 공장 제조업 근로자 作 업 員 임금 비교 한국(44) 韓 国 싱가포르(24) 홍콩(18) 香 港 대만(38) 중국(396) 中 国 태국(317) 말레이시아(138) マレーシア(138) 필리핀(50) 인도(75) インド(75) 인도네시아(82) 파키스탄(10) パキスタン(10) 베트남(133) 스리랑카(13) スリランカ(13) 라오스(6) バングラデシュ(15) 방글라데시(15) 캄보디아(11) ミャンマー(5) 미얀마(5) 6,734 6,704 5,942 4,581 4,577 4,551 3,141 2,602 2,455 2,261 1,478 1,424 1,100 29,387 23,772 22,328 18,296 0 30,000 60,000 자료원 : 일본기업 설문조사 ( 13년)
4-1. 투자거점으로서의 장단점 (계속) 단점 (전력) 전력 보급률 27%, 전력 손실률 26% (도로) 고속도로망 미비, 철도망 노후화 (항만) 심해항 부재, 양곤항 최대 2.5만급 이상 입항 불가 (부동산) 2007년 부동산 거래세 감면(37%->15%)과 현 정부 개혁 정책의 여파로 급등 (임금) 최저임금제 도입( 15년9월)으로 인건비 상승 양곤시 중심지역 토지가격 추이 단위 : 짜트화/평방피트 위치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Innya Road 400,000 500,000 800,000 810,000 810,000 Dagon Road 500,000 700,000 800,000 900,000 900,000 6mile, Pyay Road 350,000 800,000 820,000 850,000 860,000 8mile, Pyay Road 200,000 250,000 300,000 400,000 410,000 Kabaraye Pagoda 350,000 400,000 450,000 500,000 500,000
4-2. 신 외투법 개정 동향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신 외투법 개정, 법인세 면제 5년, 최장 70년 토지 임대 허용 JV 설립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 마련 통합 SEZ(특별경제구역) 법 제정, 외국인 영주권 신청 개시 통합 외투법 개정 추진중, 2016년 발효 예정 신 외투법 주요 변화 법인세 면세 5년 단일 투자금은 미 달러와 미얀마 짜트만 수출원부자재 면세혜택 3년 외국인의 미얀마 로컬회사 설립 가능 지역에 따라 차등 3년 ~ 7년 IMF가 인정하는 모든 통화로 면세 혜택 무제한 외국투자법인으로 일원화
4-3. 외국인 투자동향 (MIC 승인 기준) (US$백만) 20,000 외국인 투자 연도별 투자액(승인 기준) 19,999 15,000 10,000 5,000 6,066 4,645 4,107 9481 8,010 0 668 218 91 985 330 1,420 (주) 1. 미얀마회계연도 기준 (4월~익년3월) 2. 투자승인기준 (자료원: 미얀마 중앙통계청)
국별 외국인 투자 ( 16년 3월 누계, US$백만) 국별 건수 투자액 비중 중국 132 18,072.098 28.36 싱가포르 209 13,066.427 20.51 태국 96 10,500.318 16.48 홍콩 125 7,350.659 11.54 영국 83 4,075.418 6.40 한국 127 3,489.308 5.48 말레이시아 55 1,911.338 3.00 네덜란드 14 989.566 1.55 인도 23 732.649 1.15 베트남 11 693.262 1.09 일본 86 631.527 0.99 기타 147 2,206.004 3.45 (주) 1. 미얀마회계연도 기준 (4월~익년3월) 2. 투자승인기준 (자료원: 미얀마 중앙통계청) 합계 1,108 63,718.574 100.00
외국인 투자 연도별/산업별 투자액 (US$백만) 구 분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농업 - 138.8-9.7 20.3 39.7 어업 - - - 5.6 89 26.9 광업 2.5 1,396.1 19.9 15.3 32.7 6.3 전력 - 8,218.5 4,344.0 364.2 46.5 40.1 석유/가스 278.6 10,179.3 247.7 309.2-3,220.3 제조업 33.2 66.3 32.3 400.7 1,837.0 1,502.0 교통/통신 - - 0.6-1,190.2 1,679.3 호텔/관광 15.3 - - 300.0 435.2 358.0 부동산개발 - - - - 440.6 780.8 기타 - - 14.8 16.4 357.3 합계 329.6 19,999.0 4,644.5 1,419.5 4,107.1 8,010.5 (주) 1. 미얀마회계연도 기준 (4월~익년3월) 2. 투자승인기준 (자료원: 미얀마 중앙통계청)
4-3. 최근 투자 사례 스즈키 자동차 조립공장 띨라와 SEZ 소재, 미얀마 최초의 자동차 조립 공장 총 면적 40ha, 연간 2~3만대 생산 규모 태광 나이키 신발공장 양곤 북부 바고 인근에 35ha 규모 신발공장 설립 추진 채용규모 15천명 비료공장 및 산업단지 개발도 추진 중 원단 공장 설립 검토 글로벌 바이어의 주문으로 염색 및 원단 공장 검토 중 단순 임가공에서 수직계열화로의
5. 인프라 건설 시장, 미얀마
5-1. 인프라 건설 시장으로서의 장단점 장점 전력, 도로. 항만, 통신 등 산업 인프라 부족으로 개발 수요 다대 국제 기구 및 선진국들의 원조사업 폭증 중국 일대일로 ( 一 帶 一 路 ), 일본의 Abe Initiative와 연계. 양국의 원조는 물론 AIIB, ADB를 활용한 경쟁적 인프라 투자 기대 단점 일본, 중국 등 원조 국가 중심의 건설 수주로 국내업체 참여 애로 한국의 금융역량 부족으로 대형 프로젝트 수주 한계 * 예 : 일본은 띨라와, 한따와디 신공항 개발시 ODA 활용 참고 일본은 대미얀마 ODA 규모는 한국의 10배 이상 13년 25백억엔을 지원, 베트남(13백억엔)의 2배를 지원받는 최대 수혜국
5-2. 중국과 일본의 각축 중국의 일대일로 중국의 일대일로와 연계, 운남성-짜욱퓨간의 물류망에 중국자본 및 향후 AIIB 자금 투입 전망 아베 Initiative : Mekong Region 일본은 중국의 AIIB에 맞서 향후 5년간 민관합동 으로 1천억달러를 아시아 인프라 정비에 지원 일-메콩 정상회의에서 메콩지역에 향후 3년간 7조원 규모 ODA 제공 약속
5-3. 3대 개발 축 : 경제자유구역(SEZ) 짜욱퓨 SEZ (중국 주도) - 동서 횡단 자원수송로/인프라 개발 - 중국 운남성-미얀마횡단-벵골만을 잇는 가스관/도로/철도 연결사업 - 서부해안 짜욱표 심해항구 개발 Kyauk Phyu Thilawa Dawei Yangon 띨라와 SEZ (일본 주도) - JICA, 미쯔비시, 스미토모, 마루베니 - 2,400ha 중 1차 400 ha 63개사에 분양 다웨이 SEZ (태국 주도) - 심해항구+산업단지+신도시+발전+도로 +수처리 6개분야 80억달러 규모
4-3. 최근 사례 한따와디 신공항 BOT 30년(최대 50년), 연간 여객 12백만, 총 공사비 15억달러 13년 한국이 우선협상자로 지정되었으나, 지급보증 등의 문제로 14년 일본-싱가폴 컨소시엄에 사업권이 넘어감. (사업비 49%를 ODA자금으로 지원) EDCF 프로젝트 500 KV 송전망 사업 (1억달러) IT 인프라 구축(55.9백만달러) 철도 현대화 사업(45백만달러) 우정의 다리 (137.8백만달러) 민간 프로젝트 LH 등, 한국기업 전용단지 프로젝트 추진 중흥건설, ADB 도로 건설프로젝트 수주 한국기업 컨소시엄, 양곤 순환고속도로 건설 추진 중
6. 미얀마의 고민 미얀마의 개방속도나 사업추진 과정이 더디다는 한국기업들의 불만에 대해. 아웅툰텟 대통령 경제고문 ( 15.1월 한국기업인간담회) <미얀마의 국가전략은 PDD> 소수민족과의 국가통합이나 민주화 를 도외시하며 경제발전에만 매진할 수는 없다. 미얀마인은 코끼리 같아 서 느릴지언정 한 번 움직이기 시작 하면 결코 멈추는 법이 없다. PEACE DEMOCRCY DEVELOPMENT 내전종식 및 소수민족과의 국가 통합 민주적인 정권 수립 경제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