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서언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어 있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 화 지역<사진 1>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는 2012년에 이 루어진 대곡천



Similar documents
안테나/한지해(001~025)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38-2(04) fm

untitled

<33332EC1DFB5EEB0FAC7D05FC1DFB1DE5FBBEABBE7C5C228C0CEBCE2BFEB292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C1F6C1FAC7D0C8B8C1F B1C72031C8A328C3D6C1BE292E687770>

< B0F8B7E620B9DFC0DAB1B920B1B9C1A6BAF1B1B3BFACB1B820BAB8B0EDBCAD2E687770>

Gottsch1833

³»Áö_10-6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ÁöÇÐ¥±(299~309)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4 Çмú_±â¼ú±â»ç

한국조경학회지 47(3): 39~48, J. KILA Vol. 47, No. 3, pp. 39~48, June, 2019 pissn eissn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문화재01)목차

- 2 -

DBPIA-NURIMEDIA

나하나로 5호

<B3EBC6AE322E687770>

<30382D3131C1F6C7FCB0E6B0FC2E687770>

歯이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¹ßÇ¥¿äÁö


ÁöÇÐ¥±(287~297)

212.fm

hwp

소식지수정본-1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 pb61۲õðÀÚÀ̳ʸ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200706ºÎµ¿»êÆ®·£µåc02ªš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은하의진화단계를나타내는것은아니다. ㄷ. 성간기체를비롯한성간물질은타원은하에는거의없고나선은하의나선팔에 특히많이분포한다. 5. 지구의내부구조지구내부를통과하는지진파가굴절되거나반사되는성질을이용하여지구내부의층상구조를알아낸다. [ 정답맞히기 ] ㄱ. 지각하부에있는지진파의불연속면으로

1362È£ 1¸é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T hwp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hwp

¼øâÁö¿ª°úÇÐÀÚ¿ø


......

test_m1_sci_00_02_2.hwp

test_m1_sci_00_02_3.hwp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DBPIA-NURIMEDIA

#반룡리_본문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학부모신문225호최종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135 Jeong Ji-yeon 심향사 극락전 협저 아미타불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머리말 협저불상( 夾 紵 佛 像 )이라는 것은 불상을 제작하는 기법의 하나로써 삼베( 麻 ), 모시( 苧 ), 갈포( 葛 ) 등의 인피섬유( 靭 皮 纖 維 )와 칠( 漆 )을 주된 재료

14-10(4)-spn fm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¾Æµ¿ÇÐ´ë º»¹®.hwp

성인지통계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Á¦190È£(0825).hwp


<BBE7BEF7C1D6B9D7C0E5BED6C0CEB5EEBFA1C0B6C0DAC1F6BFF8B1D4C1A4B0EDBDC328BEC8295B325D5FC7D1B1B9C0E5C3D12E687770>

CC hwp

슬라이드 1

~

<C1F6C1FAC7D0C8B8C1F B1C72033C8A328C3D6C1BE292E687770>

지구과학II 지엽 암기 정리 노트


hwp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104 이윤종 이진우 정교성 Tble 1. Annul chnge in the number of licensed orgniztions Yer Industry Public Medicl School Institute Militry Totl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31302D3132C1F6C7FCB0E6B0FC2E687770>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사진 24 _ 종루지 전경(서북에서) 사진 25 _ 종루지 남측기단(동에서) 사진 26 _ 종루지 북측기단(서에서) 사진 27 _ 종루지 1차 건물지 초석 적심석 사진 28 _ 종루지 중심 방형적심 유 사진 29 _ 종루지 동측 계단석 <경루지> 위 치 탑지의 남북중심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2. 암석의지질적특성 및물리적성질

( )Kjhps043.hwp

(송영석).fm

03-서연옥.hwp


#7단원 1(252~269)교

차례

ITFGc03ÖÁ¾š

레이아웃 1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df..

Transcription: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 No. 2, June2014, pp.46~67. 46 MUNHWAJAE Copyright 2014, Ntionl Koren Reserch Journl of Institute Culturl Heritge of Culturl Studies Heritge Vol. 47.No. 2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김현주 백인성 임종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국/문/초/록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서 새로이 확인된 공룡발자국 화석층의 퇴적특성과 고환경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 화석층의 자연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반구대 화석층은 전기백악기 말의 대구층에 해당하며, 연구지역의 화석층에서는 20여 개 층준에서 조각류 발자국 43개, 용각류 발자국 36개, 수각류 발자국 2개 등 80여 개의 공룡발자국이 확인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층은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석회질의 사질 내지 실트질이암,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사암,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얇은층 내지 중간층의 점이층리가 발달한 사암 등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되며, 이들 퇴적상은 충적평원의 층상범람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이들 퇴적층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연흔과 건열, 우흔, 무척추동물의 생흔 등이 관찰되며, 파랑연흔들의 연흔정선 방향이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공룡발자국은 성층면에서 진흔, 하흔, 상흔, 캐스트 등 다양한 상태로 나타나며, 퇴적층 단면에서는 눌림구조의 형태로 나타난다. 성층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들의 보행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 공룡이 서식하였던 백악기 당시, 이 일대의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달하는 아건조성의 기후 조건이었으며, 간헐적으로 오랜 가뭄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공룡발자국은 우기 시의 범람 이후에 평원에 형성된 작고 얕은 웅덩이들 주변에 공룡들이 모여들면서 반복적으로 보존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지역 퇴적암층 내에서의 공룡발자국 화석의 높은 산출빈도는 대곡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층이 한반도 공룡시대의 고생태와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질 및 고생물학적 기록임을 지시해주는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제고를 위해 대곡천 일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퇴적지질 및 고생물학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반구대 암각화, 공룡발자국 화석층, 층상범람퇴적층, 고환경, 자연사적 가치, 세계유산 투고일자 : 2014. 02. 25 I 심사일자 : 2014. 04. 14 I 게재확정일자 : 2014. 05. 21

47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서언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어 있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 화 지역<사진 1>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는 2012년에 이 루어진 대곡천 암각화군 보존학술조사에 의해 이 지역의 고 고역사, 선사미술, 보존과학, 수문학, 경관, 식생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진 바 있다(문화재청 2012). 그러나 대곡천 암각화군의 밑바탕이 된 이 지역의 지질과 지 형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이 지역 일대의 자연유산으로서의 가치 분석이 결여되어 있 는 상태이다.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를 비롯한 대곡천 암각화 군이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이 지역의 지질과 지형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는 물론, 이 지역의 지질과 지형의 자연유산으로서의 가치 분석이 필수 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공룡의 서식환경과 습성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장소 가 된다. 이러한 가운데 2013년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발굴조사가 수행되었고, 이 지역의 하 상을 덮고 있는 퇴적물이 일시적으로 제거되면서 기반을 이 루는 백악기 대구층의 퇴적암반이 노출되었다. 노출된 대구 층 퇴적암의 성층면과 단면 일부에서는 다수의 보행렬을 포 함하는 공룡발자국 화석이 새로이 발견되었고, 이로 인해 이 공룡발자국 화석층의 퇴적특성과 고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 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 지역 퇴적암층에 대한 퇴적지질학 적 연구가 계획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반구대 암각화 암면층 하위에 발달한 백악기 퇴적암층을 대상<사진 2>으 로 공룡발자국 화석층의 퇴적상 분석과 공룡발자국의 보존 특성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 연구결과로부터 반 구대 암각화 지역 공룡발자국 화석층의 자연사적 가치가 분 석되었다. 사진 2 공룡발자국 화석과 단면구조가 산출된 조사대상 퇴적 암층(점선 내부) 사진 1 조사지역의 위치() 및 전경사진() 지질개관 대곡천 암각화군 일원에는 한반도 공룡시대의 백악기 퇴 적암이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대곡천 계곡을 따라 수백 여 점의 공룡발자국 화석이 산출된다(임종덕 외 2012). 이와 함 께 이 지역의 퇴적암층에서는 다양한 양상의 공룡발자국 단 면구조가 반복적으로 산출함에 따라, 이 지역은 백악기 당시 연구지역은 경상남북도에 발달되어 있는 중생대 백악기 지층인 경상누층군이 분포하는 지역이다(그림 1). 경상누층 군의 구성암석은 역암, 사암, 셰일 및 이암 등의 쇄설성 퇴적 암이 주를 이루며, 간헐적으로 이회암과 석회암이 협재되고 상부에는 화산암류가 발달되어 있다(엄상호 외 1983). 이 지

48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층은 Koto (1903)에 의해 경상층으로 명명된 이래 여러 연구 자에 의해 지층구분이 이루어졌다(표 1). 그림 1 경상분지 지질도(Kng et l. 1995) Chng (1975)은 경상분지 내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 될 수 있는 암석층서구분을 시도하였고, 화산활동 및 심성활 동과 관련하여 경상분지의 발달과정을 선화산활동 퇴적기, 화산활동 동시퇴적기, 화산활동 절정기 및 화강암 관입기로 구분하여, 각각에 해당되는 지층단위들을 신동층군, 하양층 군, 유천층군 및 불국사 관입암류로 명명하였다. 경상누층군 의 대체적인 지질시대는 산출화석(연체동물, 화분과 윤조류 등의 식물화석)과 분출 및 관입암의 절대연령측정치 및 지 자기층서대비를 바탕으로 중생대 백악기초에서 말기에 해 당한다(강희철 백인성 2013). 연구지역은 1:50,000 지질도엽( 地 質 圖 葉 )에서 경상분 지의 동남부에 위치한 언양도폭(이윤종 이인기 1972) 내 의 동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는 경상누층군 중 상부에 해당하는 대구층과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 규장암 맥 등이 분포되어 있다. 연구지역인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 표 1 남한의 백악기 지층 층서대비표 영양지괴(지역) 의성(도평)지괴(지역) 밀양지괴(지역) 울산지역 Chng, K. H.(1975) 영양 지역 최현일 외(1982) 의성 지역 Tteiw(1929) Chng, K. H.(1975) 왜관-경주 지역 Chng, K. H.(1975) 경상분지 남서부 최현일 외(1980) 울산 지역 불국사 관입암류 관입암 복합체 불국사 관입암류 관입암 복합체 불국사통 불국사 화강암 불국사 관입암류 관입암 복합체 불국사 관입암류 관입암 복합체 불국사 관입암류 관입암 복합체 유천층군 화산암 복합체 유천층군 화산암 복합체 주사산 빈암층 유천층군 화산암 복합체 유천층군 화산암 복합체 유천층군 화산암 복합체 건천리층 건천리층 경 상 누 층 군 하 양 층 군 신양동층 기사동층 도계동층 오십봉층 청량산층 가송동층 동화치층 울련산층 경 상 누 층 군 하 양 층 군 신 동 층 군 신양동층 채약산 채약산층 빈암층 신 춘산층 송내동층 경 라 상 통 경 하 상 양 반야월층 사곡층 대구층 계 누 층 점곡층 층 군 함안층 군 후평동층 학봉빈암층 학봉빈암 진동층 경 하 상 양 누 층 층 군 군 함안층 신라역암 신라역암 신라역암 일직층 칠곡층 칠곡층 칠곡층 진주층 낙 진주층 신 진주층 신 진주층 하산동층 동 동 동 통 하산동층 하산동층 층 층 하산동층 낙동층 낙동층 군 낙동층 군 낙동층 경 상 누 층 군 하 양 층 군 신 동 층 군 조일리층 사연리층 구영리층

49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양읍 대곡리에는 이 중 대구층의 퇴적층이 분포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그림 2). 언양도폭의 대구층은 박양대와 윤 형대(1968)의 울산도폭에서는 울산층으로 구분되었다. 최 현일 외(1980)는 연구지역을 포함한 언양도폭과 인접한 울 산, 양산, 방어진 및 모량도폭들의 일부를 포함한 울산지역 의 경상누층군 퇴적암층을 하부로부터 구영리층, 사연리층, 조일리층 등으로 구분한 바 있으며, 이들 지층의 층서관계 는 <표 1>과 같다. 언양도폭 설명서에 의하면 이 지역의 퇴적층은 대구층에 해당하는 퇴적층으로서, 전반적으로 붉은색의 사질실트암, 실트암, 사질셰일 및 셰일과 녹회색, 암회색, 암녹회색의 사 암, 사질실트암, 실트암, 사질셰일 및 셰일이 호층을 이루며 분포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반면 화석의 산출은 기술된 바가 없으나, 최근 김남희와 임성규(2006)에 의해 조사지역 인근에 위치한 구수리 일대의 대구층에서 공룡발자국 화석 이 보고된 바가 있다. 한편 대구층은 암질구성에 의해 하양층군의 함안층에 대 비되었다(이윤종 이인기 1972). 조사지역의 대구층에 대 비되는 함안층의 퇴적시기는 하위의 칠곡층, 신라역암, 학 봉현무암의 절대연령 자료를 고려하여 대체로 전기백악기 그림 2 연구대상 지역 일대의 지질도(이윤종 이인기 1972)

50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의 후기인 앨비안(Alin)(약 1억년 전)에 해당함으로(강희 철 백인성 2013), 연구지역의 퇴적암층은 약 1억년 내외의 나이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구대 암각화 지역 대구층의 주향은 N4~8 E이고 경사 는 10 NW로, 백악기 경상분지를 채운 경상누층군의 경사 방향과는 다른 값을 가진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최현일 외 (1980)는 울산의 북측에 관입한 원형화강암체에 의해 관입 암체 주위의 퇴적암 지층이 돔(dome)상으로 요곡( 撓 曲 )되 어 주향과 경사가 변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퇴적 특성 1. 퇴적상 연구지역의 퇴적암은 층리 등의 퇴적구조와 조직, 성분 등을 바탕으로,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되며 <표 2, 그림 3> 에서와 같은 퇴적단면의 구성을 보인다. 각 퇴적상의 특성과 퇴적환경은 다음과 같다. 그림 3 연구지역에 발달한 퇴적암층의 퇴적주상도

51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표 2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퇴적상과 퇴적환경 퇴적상 퇴적특성 퇴적환경 불규칙한 엽층리를 녹회색 또는 붉은색, 건열, 층상범람 퇴적층 이루는 실트스톤과 연흔, 생흔, 부분적 석회질, 충적평원 이암의 교호층 부분적 토양화 톤과 이암이 교호하며 엽층리가 불규칙하게 발달함이 확인 된다(사진 4, 4). 보통 상대적으로 조립질인 실트스톤은 상 부의 이암으로 가면서 점차 세립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이암에서 실트스톤으로 가는 경계는 뚜렷한 양상을 보이는 석회질의 사질 내지 실트질 이암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 사암 녹회색 또는 붉은색, 건열, 각력화(토양화), 석회질 단괴 (캘크리트) 붉은색 이암엽층으로 피복 (건열 발달) 충적평원 퇴적 이후의 오랜 노출에 의해 초기 단계의 석회 질 토양화가 이루어졌음 충적평원 화산쇄설물 함유 미세점이엽층리가 발달하며(사진 4), 퇴적기원의 미세단층 구조가 국부적으로 나타난다(사진 4). 실트스톤 엽층( 葉 層 ; 두께 1 cm 미만)에서는 부분적으로 얇은 판상형태의 이암 파 편이 관찰되며(사진 4c, 4d), 교대 기원의 황철석이 나타난다 수평 내지 사엽층리 수평 내지 사엽층리, 연흔, 이 층상범람 퇴적층 (사진 4). 전반적으로 규산쇄설성의 입자들로 구성이 되어 가 발달한 사암 암엽층으로 피복(건열 발달) 충적평원 있으나, 교대 기원의 방해석 미립들이 산점상으로 들어 있 얇은층 내지 중간층 의 점이층리가 발 달한 사암 점이층, 하부 침식적, 횡적 두 께 변화, 이암엽층으로 피복 (건열 발달) 층상범람 퇴적층 충적평원 어, 부분적으로 석회질을 띤다. 이 암상에서는 다각상과 불규칙상을 보이는 건열<사진 3e> 1)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과 유수연흔 및 파랑연흔<사진 3d>이 흔히 발달하며, 우흔과 무척추동물의 생흔<사진 3f>이 드물게 산출한다. 부분적으로 세립질 사암 내지 중립질의 응회질 사암이 렌즈상으로 협재하 며, 간혹 건열구조와 함께 미약한 토양화작용의 기록인 석회 기재: 연구지역에서 가장 우세하게 산출하는 암상으로 서(그림 3), 붉은색 또는 녹회색을 띠며 불규칙한 엽층리가 발달하는 실트스톤과 이암이 교호하는 암상이다. 야외에서 는 층리 또는 엽층리의 발달이 미약하여<사진 3> 괴상의 형 태를 보이기도 하나, 암석의 수직절단면과 박편에서 실트스 질 성분을 가지는 단괴들이 나타난다. 연구지역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 화석의 대부분은 이 암상에서 산출한다. 해석: 실트스톤과 이암이 엽층으로 발달하고, 미세점이 엽층리가 발달하는 점과 노출의 흔적인 건열의 발달과 캘크 리트 단괴의 수반은 이 암상이 층상범람에 의해 퇴적(Hrdie c,, c. 녹회색 또는 붉은색의 엽층리가 발달한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d e f d. 연흔 e. 건열 f. 무척추동물의 생흔 사진 3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의 산상

52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c d 2mm 1mm 1mm 2mm,. 실트스톤에서 이암으로 점이하는 미세점이엽층리. 2차적으로 형성된 황철석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미세규모의 퇴적기원 단층이 관찰됨() 사진 4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의 박편사진 c, d. 실트스톤에 부분적으로 수반된 이암편 et l. 1978; Clvo et l. 1989; Smoot nd Lowenstein 1991)되 었고, 이후 노출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아울러 이 암상은 함 안층에 발달한 공룡 및 새발자국 화석층의 층상범람퇴적암층 (김현주 외 2011)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 암상은 비교적 건조한 기후 조건 하에서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달하는 계절성 기후의 충적평원 환경에서 층상범람에 의해 형성(Eerth et l. 2000; Cori et l. 2002)된 것으로 해석된다. 2) 석회질의 실트질 내지 사질 이암 기재: 이 암상은 실트 내지 세립사 또는 중립사를 함유 한 석회질의 이암으로서, 연구지역의 하부에서는 녹회색을, 중부와 상부에서는 붉은색을 보이면서 빈번하게 산출한다 (그림 3). 대체적으로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과 수반되며, 0.5 cm에서 3 cm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캘크리트 단괴들이 흔히 산출된다(사진 5). 국부적으 로 캘크리트 단괴들은 비교적 높은 밀집도를 보이며 산출하 기도 한다(사진 5c). 한편 연구대상 지층의 상부에서는 붉은 색을 보이는 이 암상이 괴상으로 발달하며, 이 부분에 암각 화 암면층이 발달한다. 박편 하에서 이 암상은 실트질과 점 토질이 혼재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며(사진 5f), 교대 기원의 방해석 미립들이 산점상으로 나타난다. c. 붉은색 석회질의 실트질 이암. 붉은색의 석회질의 실트질 이암 d e f c. 캘크리트 단괴 d. 캘크리트 단괴 0.5mm e. 녹회색 실트질 이암의 암석절단면 f. 실트질과 이질의 혼재에 의해 엽층리의 발달이 나타나지 않으며, 교대기원의 방해석 미립들 이 산재함(박편사진) 사진 5 석회질의 실트질 내지 사질 이암의 산상

53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해석: 이 암상에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캘크리트 단괴는 이 암상이 비교적 건조한 기후 하에서 토양화작용 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백인성 김정률 1995; 김현 주 백인성 2001; 소윤환 외 2007). 또한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과 흔히 수반되는 점은 이 암상이 건조한 기후 조건에서 층상범람 이후 비교적 장기간 노출되고 토양화 작용을 겪은 충적평원 범람원퇴적층임을 시사한다. 3)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 사암 의 교호층 내에서도 이 암상은 간헐적으로 렌즈상으로 나 타난다(사진 9). 해석: 하부의 침식적인 경계와 상향세립화 현상, 상위 에 피복된 이암 엽층에 발달한 건열, 화산쇄설성 입자의 함 유 등은 이 암상이 화산활동 이후 도래한 우기 시 충적평원 에서 층상범람에 의해 퇴적된 것임을 지시한다. 또한 불규칙 한 엽층리가 발달한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내에서 얇은 층 두께의 렌즈로 산출되는 특성은 상대적으로 강한 층상범 람의 발생으로 인한 소규모 깎고 메움(scour nd fill)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재: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중부에서 산출하는 이 암 상은 조립 내지 세립질의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된다. 얇은 층(두께 1~10 cm)으로 발달하는 이 암상의 하부는 침식적이 고 뚜렷한 경계를 보이면서 부분적으로 상향세립화되고, 때 때로 이암의 파편들을 함유한다(사진 6, 7). 이 암상의 상부 는 붉은색의 이암엽층으로 피복된다. 사암을 구성하는 입자 들은 대체적으로 화산암기원의 석영립과 암편들로서 분급 과 원마도는 불량하며, 일부 입자들은 방해석으로 교대되 어 있다(사진 8). 응회질 사암을 피복하는 이암의 엽층에서 는 건열구조가 관찰된다(사진 6c, 6d). 한편 이 암상의 상 위에 발달한 불규칙한 엽층리가 발달한 실트스톤과 이암 1mm. 개방니콜. 직교니콜 사진 7 응회질 사암에 발달한 점이층리의 박편사진 1mm 4)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기재: 이 암상은 얇은층의 세립사암 또는 중립사암으로 구성되며,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하면서 수회 반복되어. 퇴적단면에서 관찰한 응회질 사암. 암석절단면 c d 산출한다. 이 암상의 하부는 보통 침식적이고 뚜렷한 경계를 보이며, 상부로 가면서 점차 세립화되는 경향을 띠면서 붉은 색 또는 녹회색의 이암엽층으로 피복된다(사진 10). 이 암상 에서는 연흔이 나타나기도 하며, 사암을 피복한 이암엽층에 서는 건열이 관찰된다. c, d. 응회질 사암을 피복한 이암엽층에 발달한 건열 사진 6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 사암의 산상 해석: 뚜렷한 하부 경계와 상향세립화, 피복된 이암엽 층에 발달한 건열은 이 암상이 충적평원에서 층상범람에 의

54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해 퇴적된 것임을 시사한다. 수평층리에서 사엽층리로 변화 하는 것은 범람으로 유입된 유수의 에너지가 점차 감소되면 서 나타난 결과이다. 이와 유사한 퇴적기록은 연구지역 대 곡천변의 현생 퇴적층을 트렌치한 퇴적단면에서도 관찰된 다(사진 11). 5) 얇은층 내지 중간층의 점이층리가 발달한 사암 기재 : 이 암상은 세립 내지 중립사암으로 구성되며, 하 부는 보통 침식적이고 뚜렷한 경계를 보이면서 상부로 가면 c e. 개방니콜 0.5mm c. 개방니콜 0.5mm e. 개방니콜 0.5mm d f. 직교니콜 0.5mm d. 직교니콜 0.5mm f. 직교니콜 0.5mm 사진 8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 사암의 박편사진. 전반적으로 분급이 불량하며, 암편들 내부에서의 방해석에 의한 교대현상이 흔히 나타남 c d 사진 9 불규칙한 엽층리가 발달한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내에서 렌즈상으로 발달하는 응회질 사암의 산상 c d,, c. 야외에서 관찰되는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d. 박편사진 1mm 사진 10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의 산상

55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서 점차 세립화되는 경향을 띠는 점이층리가 발달한다. 층의 두께는 얇게는 3 cm 내외, 두껍게는 15 cm 내외의 얇은층 내 지 중간층(두께 10~30 cm)의 규모를 가지며, 횡적으로 가면 서 층두께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사진 12). 이 암상의 상 부는 이암의 엽층으로 피복되며, 이암의 엽층에서는 건열이 나타난다. 해석 : 이 암상에 발달한 점이층리와 상부를 피복한 이 암의 엽층에 발달한 건열, 불규칙한 엽층리가 발달한 실트스 톤과 이암의 교호층 내에 간헐적으로 수반되는 특성 등은 이 암상이 충적평원에서 우기에 발생한 강한 층상범람에 의해 형성된 퇴적층임을 시사한다. 2. 퇴적구조 연구지역의 대구층 퇴적암층에서는 퇴적 당시의 고환경 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단서가 되는 다양한 형태의 연흔 과 건열이 드물지 않게 산출하며, 무척추동물의 생흔과 우 흔은 드물게 관찰된다. 1) 연흔 연구지역 퇴적암층에서는 공룡발자국이 발달한 성층면 을 비롯하여 몇몇 성층면과 퇴적단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 수연흔과 파랑연흔이 관찰된다(사진 13). 이들 연흔의 파장 은 보통 1 cm 미만에서 4 cm 내외이며, 파고는 1 mm 미만 에서 1 cm 내외에 달한다. 연흔의 정선은 대체적으로 선형 내지 아선형을 이루나, 부분적으로 간섭형이 발달하며, 선 형 내지 아선형을 보이는 연흔정선의 경우 양갈래로 갈라지 는 형태도 관찰된다. 한편 파랑연흔들의 연흔정선의 방향은 <그림 4>와 같이 분산되어 나타난다. 연흔들의 파장이 비교적 짧고 파고가 높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형성 당시의 수심이 깊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연흔이 산출되는 퇴적층에 건열구조가 발달된 점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이와 함께 파랑연흔과 간섭연흔의 산출 및 파랑 사진 11 대곡천변 현생퇴적층의 단면에서 관찰되는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모래퇴적층 사진 12 얇은층 내지 중간층의 점이층리가 발달한 사암의 산상

56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연흔들의 연흔정선 방향이 분산되어 나타남은 이들 연흔들 이 충적평원에서의 범람이후에 평원 내 곳곳에 발달한 소규 모의 웅덩이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흔히 건열이 발달한다. 또한 점이적인 사암, 수평 내지 사엽 층리가 발달한 사암과 응회질 사암을 피복한 이암엽층에서도 간헐적으로 건열이 관찰된다.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건열 은 다각상 내지 직교상의 완전한 건열에서 불규칙상의 불완 전한 건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산출된다(사진 14). 대체적으로 건열의 폭은 수 mm 내지 1 cm 내외이나, 최대 폭이 2 cm에 달하고 다각형의 크기가 약 50 cm에 이르는 경 우도 관찰된다. 이러한 건열은 우기 시 발생한 층상범람 이 후에 건조한 조건의 발달을 지시하는 것으로, 연구지역 퇴적 암층이 건기와 우기가 반복되는 충적평원 환경에서의 퇴적 산물임을 지시한다. 3) 생흔 그림 4 연구지역 파랑연흔의 정선 방향을 나타낸 장미도표 2) 건열 연구지역 퇴적암층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퇴적암상인 불 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에서는 연구지역 퇴적암층에서는 평원 주변에 서식하는 무척추동 물의 활동에 의해 형성된 생흔이 드물게 관찰된다(사진 15). 이들 생흔 중 퇴적물 표면을 구불구불하게 기어간 형태를 보이는 Cochlichnus isp. 생흔은<사진 15c, 15d> 보통 지렁 이와 같은 환형동물이나 곤충의 유충이 만들어낸 흔적으로 서, 충적환경 내 하천과 웅덩이, 얕은 호수 환경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매우 얕은 물속에서 형성된다(Hsiotis 2002; Metz c. 파랑연흔. 파랑연흔 c. 간섭연흔 d e f d. 간섭연흔 e. 파장이 짧은 파랑연흔 f. 파장이 짧은 유수연흔 사진 13 연구지역 퇴적암층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연흔

57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1987; Gilert nd Sàez 2009). Cochlichnus isp. 생흔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공룡 및 새발자국 화석 산출 지층이자 연구 지역 대구층과 대비되는 지층인 함안층에서도 산출되며, 이 는 종종 새발자국 화석과 수반된다(김현주 외 2011; Flk et l. 2010). 4) 우흔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내 붉은색의 이암에서 우흔이 관찰된다(사진 16). 성층면에서 관찰되는 우흔의 인상( 印 象 ; impression)은 다소 희미하지만 c d e f 사진 14 연구지역 퇴적암층에 발달한 다양한 형태의 건열 c d 사진 15 연구지역 퇴적암층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무척추동물의 생흔(와 )과 Cochlichnus isp. 생흔(c와 d) 사진 16 연구지역 퇴적암층에서 관찰되는 우흔()과 근접사진()

58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원형이며, 솟아있는 테두리가 확인된다. 우흔의 크기는 대체 적으로 수 mm에 이르고 1 cm를 넘지 않는다. 공룡발자국 화석 보존특성 연구지역 퇴적암층에서는 20여 개 층준에서 공룡발자국 화석이 산출됨이 확인되었다. 퇴적암층의 하부에서는 주로 성층면에서 공룡발자국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에서는 주로 단면에서 눌림구조의 형태로 공룡발자국이 관찰되었다. 이 들 공룡발자국은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 암의 교호층에서 산출한다. 연구지역의 공룡발자국 중 성층 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은 조각류 발자국 43개, 용각류 발자국 36개, 수각류 발자국 2개 등 80여 개이며, 이 중에서 용각류 발자국의 보행렬 3개가 나타난다.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성층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 c d e 사진 17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성층면에서 산출하는 공룡발자국의 하흔 c c d 사진 18 캐스트 상태로 보존된 공룡발자국 화석 사진 19 연구지역 인근 대곡천변의 대구층 퇴적암층에 발달 한 공룡발자국 화석(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호) (와 )과 연흔(c와 d)

59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은 대부분 원래의 공룡발자국면 아래에 보존된 하흔( 下 痕 ; underprint)으로 나타나며(사진 17), 일부에서는 진흔( 眞 痕 ; true print) 내지 상흔( 上 痕 ; overprint)으로 나타난다. 또한 성 층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 중 일부는 공룡발자국의 파 인 부분을 상위의 퇴적물이 채운 형태인 캐스트(cst)의 양상 으로 나타난다(사진 18). 성층면에서 관찰된 연구지역의 공룡발자국들은 유수에 의한 마식작용으로 인해 발자국의 인상이 대체적으로 선명 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이다(사진 17). 이는 이 지역에 퇴 적물이 덮이기 이전에 이 퇴적암층의 암반 표면에 유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반구대 암각화 지역 인근의 유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천변에 노출되어 있는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3 호)<사진 19, 19>의 보존 정도와 비교해 볼 때도 연구지역 의 공룡발자국들이 마식작용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연 구지역의 공룡발자국과 함께 산출되는 연흔이 대곡리 공룡 발자국과 수반되는 연흔<사진 19c, 19d>에 비해 연흔정선이 뾰족하지 않고 인상이 분명하지 않은 점에서도 뒷받침된다.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단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 눌림 구조는 두 개가 나란히 쌍을 이루며 산출되기도 하며(사진20), 동일한 층준 내에서 횡적으로 가면서 여러 차례 산출되기도 한다. 눌림구조의 일반적인 형태는 주변부는 솟아 있으며, 한쪽은 경사가 비교적 급하고 한쪽은 완만한 형태로서 다소 비대칭적으로 발달하며, 이와 같은 특성은 진동층에서 보고 된 공룡발자국의 단면구조 특성(Pik et l. 2001)과 동일한 것이다. 연구지역 눌림구조의 깊이는 보통 10cm를 넘지 않 는다. 이들 공룡발자국 눌림구조는 주로 성층면에서 평면적 으로 관찰되어 왔던 공룡발자국의 형성과정과 보존과정을 입체적이고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성층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 중 다소 마식되어 있으나 보행방향을 짐작케하는 발자국과 보행렬들이 나타 난다. 이들의 방향성을 나타낸 장미도표<그림 5>를 보면, 비 록 측정된 보행렬의 개수가 적으나 보행방향이 특정 방향으 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c e 사진 20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단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 눌림구조 그림 5 연구지역 공룡발자국의 보행방향을 나타낸 장미도표 이와 함께 공룡발자국의 보행렬이 연흔의 정선 방향과 직 교하는 방향으로 발달한 경우도 관찰된다(사진 21). 이러한 보행렬 중 일부 발자국의 내부에 연흔이 연장되어 나타나고 (사진 21, 21c), 발자국 내부에 발달한 연흔은 주변 연흔에 d

60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비해 파고가 낮은 특성을 보인다(사진 21c). 이는 연흔을 피 복한 퇴적층 위에 발자국이 찍혔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연구 지역의 공룡발자국 보행렬 화석이 하흔임을 시사하는 것이 다. 연구지역의 이러한 보존특성은 천연기념물 제373호로 지정된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공룡발자국 보 존특성(백인성 외 2013)과 동일한 양상이다. 연구지역에서 관찰된 공룡발자국의 대부분은 불규칙한 엽층리가 발달한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에서 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암상은 충적평원에서 층상범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이는 조사지역의 퇴적암층이 공룡발자국의 보존에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 구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은 우기 시 충적평원에 층상범람 으로 만들어진 물웅덩이나 작고 얕은 호소 주변에 발자국이 찍힌 후 노출되면서 서서히 고화되었고, 다시 도래한 우기에 발생한 층상범람으로 인해 매몰되면서 보존될 수 있었다.. 발자국의 내부에 발달한 연흔 c 고환경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은 전술한 퇴적 상 분석을 통해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달하는 아건조 성 기후조건의 충적평원에서 우기 시 발생한 층상범람에 의. 보행렬의 방향(직선 화살표)과 직교하는 연흔의 정선 방향(점선 화살표) 사진 21 공룡발자국 보행렬과 수반되는 연흔의 산상 일반적으로 공룡발자국과 같은 척추동물의 발자국이 퇴 적층 내에 보존될 수 있기 위해서는 발자국이 찍히는 표면이 이질 퇴적물로 구성되어 점성이 있어야 하고, 발자국이 찍 힌 이후에 퇴적층이 마르거나 고화되어야 한다(Lockley nd Conrd 1989; Lockley 1991; Avnzini et l. 1997). 또한 적당 히 마르고 고화된 후에 범람으로 유입된 퇴적물에 의해 매몰 되어야 한다(Lockley 1987; Pik et l. 2001). 이는 척추동물 의 발자국이 충적평원의 범람으로 형성되는 얕은 물가와 호 수주변 환경일 경우 보존이 용이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 다(Cohen et l. 1991; Genise et l. 2009). 우리나라의 대표 적인 공룡발자국 화석산출 지층인 함안층과 진동층의 공룡 발자국 화석층이 충적평원과 호수주변부에서 층상범람에 의해 형성된 퇴적층(Pik et l. 2001; 김현주 외 2011)인 점은 이를 뒷받침한다. c. 주변 연흔보다 파고가 낮은 발자국의 내부에 발달한 연흔 해 형성된 층상범람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간헐적 으로 나타나는 응회질 사암층 또는 렌즈는 주변 지역에서 화 산분출이 산발적으로 일어났었음을 시사하며, 캘크리트의 발달은 간헐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건조한 조건이 지속되었 음을 지시한다. 연구지역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의 보행렬 방향과 파랑 연흔의 정선 방향은 대체적으로 분산되어 나타난다(그림 4, 5). 이는 우기 시 충적평원 내에서 산발적으로 층상범람이 발생 했고, 이후 소규모 웅덩이들이 곳곳에 형성되었음을 시사한 다. 발자국화석층이 엽층 내지는 얇은층으로 발달하고, 건열 이 산출하며, 파장과 파고가 짧은 연흔이 수반됨은 이들 웅 덩이들이 매우 얕았음을 지시한다. Cochlichnus isp. 생흔의 산출은 이러한 특성을 뒷받침한다(Hsiotis 2002; Gilert nd Sàez 2009).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 공룡이 서식하였던 당시, 이 일대 지형은 넓은 충적평원이었으며, 건기와 우기가 반복 적으로 발달하는 아건조성의 기후 조건에서 간헐적으로 오 랜 가뭄의 기간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기 시 이 지역

61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에는 범람이 일어났으며, 범람 이후에 평원에 형성된 작은 웅덩이들 주변에 공룡들이 모여들면서 주변 지역에 공룡발 자국이 반복적으로 보존된 것으로 해석된다(그림 6). 자연사적 가치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을 함유한 퇴적 암층의 고환경적 특성은 이 지역에 분포하는 대구층과 대비 되는 경상분지 남부 지역의 함안층 고환경 특성(김현주 외 2011)과 유사하다. 함안층은 공룡발자국 이외에도 새발자국, 익룡발자국 등 백악기의 다양한 척추동물의 발자국이 산출하는 우리나라 의 대표적인 발자국 화석층이다. 공룡발자국 화석을 포함한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을 중심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중 생대 화석산지들을 살펴볼 때(표 3), 연구지역이 속한 경상 분지 내에 분포하고 퇴적시기와 환경, 보존과정의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함안 용산리 화석산지와 의성 제오리 화석산지, 진주 가진리 화석산지, 사천 아두섬 화석산지,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 등이다(김현주 외 2011; 백인성 외 2013). 이들 지 역에는 모두 함안층이 분포하거나, 함안층에 대비되는 지층 중 하나인 사곡층이 분포한다. 이와 같은 산출특성은 함안층 또는 이와 대비되는 지층이 형성되었던 시기인 전기백악기 말(약 1억년 전)에 한반도 남 부 일대의 곳곳에 평원 지역이 발달하였으며, 이로부터 다양 한 종류의 공룡들이 서식할 수 있는 바탕 환경이 형성되었음 을 지시한다. 아울러 연구지역 퇴적암층(10여m 두께) 내의 약 20여 개 층준에서 공룡발자국 화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높 은 빈도의 산출로서, 반구대 지역을 비롯한 대곡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층이 한반도 공룡시대의 고생태와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질 및 고생물학적 기 록을 간직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반영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곡천 일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발달은 반구대 암각 화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제고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 로 여겨진다. 그림 6 공룡발자국 화석이 산출하는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고환경 모식도

62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표 3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천연기념물 중생대 화석산지 지정번호 (지정일) 제222호 ( 70. 4.24) 제373호 ( 93. 6. 1) 지정명칭 소재지 지질시대 지층명 퇴적환경 기타 충적평원- 공룡발자국 함안 용산리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 산지 경남 함안군 칠원면 용산리 산4 백악기 함안층 호수주변부 화석 산출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111-3 백악기 사곡층 충적평원 함안층에 대비 제394호 ( 98.10.17) 해남 우항리 공룡 익룡 새발자국 화석 산지 전남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산1 백악기 우항리 층 호수주변부 - 제395호 ( 98.12.23) 제411호 ( 99. 9.14) 진주 가진리 새발자국과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경남 진주시 진성면 가진리 9 백악기 함안층 충적평원 -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 산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산52-1 백악기 진동층 호수주변부 - 제434호 ( 03. 2. 4) 제474호 ( 06.12. 5) 여수 낭도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및 퇴적층 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산115-2 등 백악기 유천층 군 호수주변부 사천 아두섬 공룡화석 산지 경남 사천시 신수동 산33-2 백악기 함안층 충적평원 윤회퇴적층 산출 공룡알 및 뼈, 익룡발자국 산출 제487호 ( 07.11. 9) 제499호 ( 08.12.29) 제534호 ( 11.10.14)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전남 화순군 북면 서유리 산147-5 등 백악기 장동층 호수주변부 - 익룡발자국, 경남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산60-20, 남해 가인리 화석 산지 백악기 함안층 충적평원 새발자국, 산230-1 등 나무화석 산출 진주 호탄동 익룡 새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경남 진주시 호탄동 산 21 등 백악기 진주층 호수주변부 - 결언 및 제언 1.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을 포함한 퇴 적암층은 퇴적구조와 조직, 성분 등을 바탕으로,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석회질의 사질 내지 실트질 이암,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 사암, 수평 내 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얇은층 내지 중간층의 점이층리 가 발달한 사암 등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2. 조사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을 포함한 퇴적암층은 모두 충적평원 환경에서 형성된 것이며,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 질 사암,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얇은층 내지 중 간층의 점이층리가 발달한 사암은 건기와 우기가 반복되는 기후 조건에서 층상범람에 의해 형성되었고, 석회질의 사질 내지 실트질 이암은 퇴적 이후 장기간의 노출에 의해 석회질 토양화가 이루어져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3.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에서는 다각 상 내지 직교상의 완전한 건열에서 불규칙상의 불완전한 건 열, 편향되지 않고 분산된 방향성을 가지는 유수연흔과 파랑 연흔이 흔히 발달하며, 우흔과 무척추동물의 생흔이 드물게 관찰된다. 이러한 퇴적구조들은 충적평원에서 우기 시 층상 범람이 발생한 후, 평원 내에 소규모의 웅덩이가 곳곳에 존 재했고, 뒤이어 건조한 조건이 찾아왔음을 지시한다. 드물게 관찰되는 무척추동물의 생흔 중 Cochlichnus isp. 생흔이 확 인되었다. 이는 범람 이후 평원에 형성된 웅덩이의 물이 매 우 얕았음을 지시한다. 4. 연구지역 퇴적암층의 공룡발자국 화석은 성층면에서 는 대체적으로 하흔( 下 痕 ; underprint)으로 나타나며, 일부는 공룡발자국의 파인 부분을 상위의 퇴적물이 채운 형태인 캐 스트(cst)로 나타나고, 퇴적암층의 단면에서는 공룡발자국 의 눌림구조가 관찰되는 등 약 20여 개 층준에서 공룡발자국 화석이 산출되었다. 성층면에 나타나는 보행렬의 방향은 특 정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룡발

63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자국 화석층에 발달한 연흔의 정선방향이 분산되어 나타나 는 현상과 함께 범람 이후 평원 내에 작은 웅덩이들이 발달 했음을 시사한다. 5.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 공룡이 서식하였던 백악기 당시, 이 일대는 넓은 충적평원이었고,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반복 적으로 발달하는 아건조성의 기후 조건이었으며, 간헐적으 로 오랜 가뭄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기 시 이 지역에 는 층상범람이 일어났으며, 범람 이후에 평원에 형성된 작고 얕은 웅덩이들 주변에 공룡들이 모여들면서 주변 지역에 공 룡발자국이 반복적으로 보존되었다. 6. 이와 같은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을 함 유한 퇴적암층의 고환경적 특성은 이 지역에 분포하는 대구 층과 대비되는 경상분지 남부 지역의 함안층 고환경 특성과 유사한 것으로, 전기백악기 말(약 1억년 전)에 한반도 남부 일대의 곳곳에 평원 지역이 발달하였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공룡들이 서식할 수 있는 바탕 환경이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7. 연구지역 퇴적암층 내에서의 공룡발자국 화석의 높은 산출빈도는 반구대 지역을 비롯한 대곡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층이 한반도 공룡시대의 고생태와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질 및 고생물학적 기록임을 지 시해주는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향후 대곡천 일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퇴적지질 및 고생물학적 연 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13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반구대 암각화 주변 유적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이 연구의 현장조사 수행에 많은 지 원을 해주신 문화재청 2013년도 반구대암각화팀(이종희 과 장님, 장구연 사무관님, 임경희 선생님, 조율호 선생님)과 국 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이상준 실장님, 박윤정 연구관 님, 조미순 선생님, 윤형준 선생님)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 린다. 이와 함께 이 논문을 읽고 세심한 검토와 유익한 도움 말을 주신 세 분의 심사위원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64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참고문헌 강희철 백인성, 2013, 경상분지 지층들의 지질시대에 관한 고찰 지질학회지 49(1), 대한지질학회, pp.17~29. 김남희 임성규, 2006,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구수리에서 산출되는 백악기 대구층의 공룡발자국 한국지구과학회 춘계학술 발표회 초록집, 한국지구과학회, pp.226. 김현주 백인성, 2001, 경상남도 고성군에 분포하는 백악기 진동층의 퇴적상 및 퇴적환경 지질학회지 37(2), 대한지질학회, pp.235~256. 김현주 백인성 허민, 2011, 경상분지 남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함안층에 발달한 새 발자국 화석층: 산상, 화석화과정 및 고환경 지질학회지 47(2), 대한지질학회, pp.97~122. 문화재청, 2012, 대곡천 암각화군 보존학술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p.429. 박양대 윤형대, 1968, 1:50,000 울산 지질도폭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p.20. 백인성 김정률, 1995, 경남 진주시 부근의 백악기 하산동층 상부에 발달된 석회질고토양: 범람원퇴적작용 및 고기후적 의미 지 질학회지 31(4), 대한지질학회, pp.482~498. 백인성 김현주 강희철 임종덕, 2013,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373호): 산상, 자연사적 가치 및 보존 방안 문화재 46(1), 국립문화재연구소, pp.268~289. 소윤환 백인성 김현주 김숙주, 2007, 경남 사천시 신수도의 함안층(백악기)에 발달된 윤회퇴적층: 산상 및 기원 지질학회지 43(1), 대한지질학회, pp.1~19. 이윤종 이인기, 1972, 1:50,000 언양 지질도폭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p.16. 엄상호 최현일 손진담 오재호 곽영훈 신성천 윤현수, 1983, 경상분지의 경상누층군에 대한 지질 및 지화학적 연구, 한국 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 36, p.124. 임종덕 공달용 김태형 정승호 유영완, 2012, 한국의 지질다양성: 울산편, 국립문화재연구소, p.187. 최현일 오재호 신성천 양문열, 1980, 울산지역 경상계 지층의 지질 및 지화학적연구, 자원개발연구소, 연구특보 20, p.33. 최현일 손진담 오재호 최영진, 1982, 의성지역 경상누층군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연구특보 28, p.28. Avnzini, M. Frisi, S. An Den Driessche, K. Keppens, E., 1997, A dinosur trcksite in n Erly Lissic tidl flt in Northern Itly: Pleoenvironmentl reconstruction from sedimentology nd geochemistry, Plios, 12, pp.538~551. Clvo, J. P. Alonso Zrz, A. M. Grcí Del Cur, M. A., 1989, Models of Miocene mrginl lcustrine sedimenttion in response to vried depositionl regimes nd source res in the Mdrid Bsin (Centrl Spin), Pleogeogrphy, Pleoclimtology, Pleoecology, 70, pp.199~214. Chng, K. H., 1975, Cretceous strtigrphy of Southest Kore, Journl of Geologicl Society of Kore, 11, pp.1~23. Cohen, A., S. Hlfpenny, J. Lockley, M. Michel, E., 1993, Modern verterte trcks from lke Mnyr, Tnzni nd their pleoiologicl implictions, Pleoiology, 19, pp.433~458. Cori, R. A. Currie, P. J. Eerth, D. Grrido, A., 2002, Bird footprints from the Ancleto Formtion (Lte Cretceous) in Neuquén Province, Argentin, Ameghinin (Rev. Asoc. Pleontol. Argent.), 39, pp.1~11. Eerth, D. A. Bermn, D. S. Sumid, S. S. Hoff, H., 2000, Lower Permin terrestril pleoenvironments nd verterte pleoecology of the Tmch Bsin (Thuringi, Centrl Germny): The uplnd holy gril, Plios, 15, pp.293~313. Flk, A. R. Hsiotis, S. T. Mrtin, L. D., 2010, Feeding trces ssocited with ird trcks from the Lower Cretceous Hmn Formtion, Repulic of Kore, Plios, 25, pp.730~741.

65 Kim Hyun Joo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Genise, J. F. Melchor, R. N. Archngelsky, M. Bl, L. O. Strneck, R. Vlis, S., 2009, Appliction of neoichnologicl studies to ehviourl nd tphonomic interprettion of fossil ird-like trcks from lcustrine settings: The Lte Trissic-Erly Jurssic? Snto Domingo Formtion, Argentin, Pleogeogrphy, Pleoclimtology, Pleoecology, 272, pp.143~161. Gilert, J. M. Sàez, A., 2009, Pleohydorologicl significnce of trce fossil distriution in Oligocene fluvil-fn-tolcustrine systems of the Ero Bsin, Spin Pleogeogrphy, Pleoclimtology, Pleoecology, 272, pp.162~175. Hrdie, L. A. Smoot, J. P. Eugster, H. P., 1978, Sline lkes nd their deposits, Modern nd Ancient lke sediments (eds. Mtter, A. nd Tucker, M. E.), Spec. Pul. Int. Ass. Sediment. 2, pp.7~42. Hsiotis, S. T., 2002, Continentl trce fossils, SEPM Short Course Notes No. 51, p.132. Kng, P. J. Chwe, U. Kim, K. B., 1995, Geologicl Mp of Kore (1/1,000,000), Kore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l Resources, Djeon Koto, B., 1903, An orogrphic sketch of Kore, J. Coll. Sci. Imp. Univ. Tokyo, 19-1, pp.1~16. Lockley, M. G., 1987, Dinosur footprints from the Dkot Group of Estern Colordo, The Mountin Geology, 24, pp.107~122. Lockley, M. G., 1991, Trcking Dinosurs: new look t n ncient world, Cmridge University Press, p.238. Lockley, M. G. Conrd, K., 1989, The pleoenvironmentl context, preservtion nd pleoecologicl significnce of dinosur trcksites in the Western USA, Dinosur trcks nd trce (eds. Gillette, D. D. nd Lockley, M. G.), Cm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121~134. Metz, R., 1987, Sinusoidl trce formed y Recent iting midge (Fmily Certopogonide): trce fossil impliction, Journl of Pleontology, 61, pp.312~314. Pik, I. S. Kim, H. J. Lee, Y. I., 2001, Dinosur trck-ering deposits in the Cretceous Jindong Formtion, Kore: occurrence, pleoenvironments nd preservtion, Cretceous reserch, 22, pp.79~92. Smoot, J. P. Lowenstein, T. K., 1991, Depositionl environments of non-mrine evporites, Evporites, Petroleum nd Minerl Resources (ed. Melvin, J. L.), pp.189~347. Tteiw, I, 1929, Geologicl Atls of Chosen, Wegwn, Degu, Yeongcheon, Gyeongju, nd Joyng sheets, Geol. Survey of Chosen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 No. 2, June 2014, pp.46~67. 66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No. 2 Copyright 2014, Ntionl Reserch Institute of Culturl Heritge Dinosur Trck-Bering Deposits t Petroglyphs of Bngude Terrce in Degokcheon Strem, Ulju (Ntionl Tresure No. 285): Occurrences, Pleoenvironments, nd Significnce in Nturl history Kim Hyun Joo Pik In Sung Lim Jong-Deock Deprtment of Erth nd Environmentl Sciences, Pukyong Ntionl University Reserch Division of Nturl Heritge, Ntionl Reserch Institute of Culturl Heritges Astrct The Dinosur trck-ering deposits recently found t Bngude Petroglyph site in Ulju (Ntionl Tresure No. 285) hve een studied in the spects of sedimentology, pleoenvironments, nd significnce in nturl history. The dinosur trcks occur in the Degu Formtion (lte Erly Cretceous), nd over 80 footprints including 43 ornithopod footprints, 36 suropod footprints, nd 2 theropod footprints re preserved in this trcksite. The trck-ering deposits consist of irregulrly interlminted siltstone nd mudstone, clcreous sndy to silty mudstone, thin-edded tuffceous sndstone, plnr- to cross-lminted sndstone, nd thin- to medium-edded grded sndstone, nd they re interpreted to e sheetflood deposits on n lluvil plin. Diverse types of ripples nd mudcrcks, rinprints, nd inverterte trce fossils re oserved in these deposits, nd the crest-lines of wve ripples do not show preferred orienttion. Dinosur footprints occur s true prints, underprints, overtrcks, nd csts on the edding surfces, nd the orienttion of trckwys re scttered. It is interpreted tht pleoclimtic condition of the trck-ering deposits were semirid with lterntion of wetting nd drying periods, nd tht dinosurs frequented smll nd shllow ponds during wetting periods nd recorded their trcks on n lluvil plin. The frequent occurrence of dinosur trcks in study re indictes tht the Cretceous deposits round Degokcheon Strem re very useful sedimentologicl nd pleontologicl records to understnd the pleoecology nd pleoenvironments during the dinosur ge in Koren Peninsul. Consequently the dinosur trck-ering deposits round Degokcheon Strem should e further studied in sedimentry geology nd pleontology in order to enhnce culturl heritge vlue of the Petroglyphs of Bngude Terrce s the World Heritge. Key Words Petroglyphs of Bngude Terrce, Dinosur trck-ering deposits, Sheetflood deposits, Pleoenvironments, Significnce in Nturl history, World Heritge Received : 2014. 02. 25 I Revised : 2014. 04. 14 I Accepted : 2014. 05. 21

MUNHWAJAE Koren Journl of Culturl Heritge Studies Vol. 47.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