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레이저를 이용한 경구강 후두암 절제술 성공적인 레이저 수술을 위한 필요 사항 어야 하고 마취의사와 병리의사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며 CO2 레이저를 이용하여 후두암을 수술하기 위하여는 환자와 보호자의 의지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술전에 각종 집도의사가 후두암과 레



Similar documents
이형석외

정필상외 Smoking (pack-year) SL MiD MoD SeD CIS Micro SCC Group A B Fig. 3. Duration of smoking history. Fig. 1. Phot

Microsoft Word doc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 )Jkstro011.hwp

Fig. 1. Laryng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Yonekawa Fig. 2. possible etiologic factors. 2A Smoking, 2B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2C Skin

황지웅

974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laryngeal cancer patients Characteristics Total laryngectomy Conservative surgery erapy Radioth- Overall Mean

김범수

김한수 외 Type I Type IAA Type III AA IM Type IV Fig. 1. Kinds of procedures. Type I thyroplasty was the most commo

A 617

골화범위의 측정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for division of thyroid lamina and calculation of ossification height in thyroid cartilage. Ossification heigh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Kjhps016( ).hwp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793-7 / pissn / eissn

노영남

1548 Fig. 1. Laryngeal preparation for the laryngeal chemoreflex in puppy. Thyroid cartilage was retracted and bipolar, concentric needle electrode wa

hwp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김범수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1;44:190-5 두경부암종에서병리학적으로확인한 Level IIb 림프절전이 - 예비결과 - 고윤우 1 김동영 2 최재진 1 김인섭 1 김상엽 1 최은창 1 Pathologically Pr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5;48: 외이도편평상피암종의치료경험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1 한림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2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3 정상호 1 김창우 2 김한수 3 이원상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untitled


Microsoft Word - ¸ñÂ÷-1.doc

연하곤란

지원연구분야 ( 코드 ) LC0202 과제번호 창의과제프로그램공개가능여부과제성격 ( 기초, 응용, 개발 ) 응용실용화대상여부실용화공개 ( 공개, 비공개 ) ( 국문 ) 연구과제명 과제책임자 세부과제 ( 영문 ) 구분 소속위암연구과직위책임연구원

KISEP Case Report Korean J Otolaryngol 2004;47: 후두에발생한신경내분비종양 4 예 원자력병원이비인후 - 두경부외과 이용식 김광일 김헌대 권영조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Larynx:Four Ca

(49-54)Kjhps004.hwp

Kaes017.hwp

레이아웃 1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001-학회지소개(영)

Microsoft Word doc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untitled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이하선악성종양에서신경이식술을통한안면신경재건 유승주 1 장영 1 고경석 2 김상윤 1 Facial Nerve Reconstruction with Nerve Graft f

Kbcs002.hwp

( )Ksels001.hwp

16_이주용_155~163.hwp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2001;44: 방사선치료후국소재발한비인강암에서수술을시행한 2 예 한경열 1 고경석 2 김창진 3 김상윤 1 Salvage Surgery for Locally Recurred Nasoph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Lumbar spine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 1

歯1.PDF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외측반규관기원의양성발작성두위안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정운교 이원상 김문석 이주환 이세영 Direction Changing Positional Nystagmus from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3):233-7 Fig. 1. Representative imaging of right metastatic lymphadenopathy in cancer of unknown prim

조기 위암 집담회 부산대학교 병원 CASE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6): / pissn / eissn

γ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1):47-51 / pissn / eissn

이철희 외 고실 골판의 형태를 분류하고 정상인에서의 분포 및 만성 중 평선에서 두위를 30 숙인 축상면에서 관찰하였고 1 mm 간 이염군 사이의 분포를 알아 봄으로써 전 상고실 골판의 형태 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전형적인 supratubal recess가 잘 관찰 와 특징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2-1

내시경 conference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0;43: 라인케부종의 Videostrobokymography 소견 김광현 성명훈 김동영 이동욱 이상준 이승신 박민현 김정준 Videostrobokymographic Analysi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72 순천향의과학 : 제14권 2호 2008 Fig.1. Key components of the rehabilit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the rheumatic diseases. The ICF provides a good frame

해당하는 논문이 있었다. 즉 이런 분류 방식이 중복출판 분류에 충분히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거 분류한 것보다 조금 더 자세히 나누어서 어디에 해당하는지 쉽게 찾을 수 있는 방안이다. 사례를 보고 찾는다면 더욱 쉽게 해당하는 범주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0;43: 후두전적출술후 Amatsu 식기관식도단락술을시행한환자에대한영상학적, 음향학적고찰 이한국 김순곤 주호범 이봉희 이윤우 이강대 Imaging and Acoustic Stud

< FC1F8B9E6B1B3C0B02E687770>

臨床耳鼻 : 第 27 卷 第 2 號 2016 J Clinical Otolaryngol 2016;27: 특집 후두질환에서 Pulsed Dye Laser 의치료원리및임상적적용 연세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후두음성언어의학연구소 김주현 최홍식 The Prin

Act84_

576호(01-13)

12이문규

untitled

07_À±¿ø±æ3ÀüºÎ¼öÁ¤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482-7 수직반고리관기능짝에대한회전검사 한규철 Analysis of Vertical Semicircular Canal Rotational Test in Healthy Adults Gyu Ch

( )Jksc057.hwp

1..

(

10(3)-10.fm

동산병원소식지-6월

°¡°Ç6¿ù³»ÁöÃÖÁ¾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에의한 HPV와 EBV의검출 Table 1. Oligonucleotide primers of PCR for HPV and EBV Nucleotide sequence Product size Huma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Can032.hwp

PART

Part Part

£01¦4Àå-2

½ºÅ丮ÅÚ¸µ3_³»Áö

272*406OSAKAÃÖÁ¾-¼öÁ¤b64ٽÚ

04조남훈

online ML Comm Head and Neck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1차내지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KARAAUTO_4¿ù.qxd-ÀÌÆå.ps, page Normalize

Transcription:

KISEP Information Korean J Otolaryngol 2004;47:1-8 CO 2 레이저를 이용한 경구강 후두암 절제술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정 필 상 Transoral CO 2 Laser Microsurgery for Laryngeal Carcinoma Phil-Sang Chung,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1

CO2 레이저를 이용한 경구강 후두암 절제술 성공적인 레이저 수술을 위한 필요 사항 어야 하고 마취의사와 병리의사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며 CO2 레이저를 이용하여 후두암을 수술하기 위하여는 환자와 보호자의 의지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술전에 각종 집도의사가 후두암과 레이저 수술에 대한 많은 경험이 있 내시경 검사와 방사선 검사 등을 시행하여 종양의 범위를 정확하게 판단한 후에 수술 방법을 결정한다.4-6) 이 때에 도 환자와 보호자와 잘 협의하여 수술방법을 정하여야 한 다. 후두의 레이저 수술을 시행하는 중에 종양이 후두개전 공간(preepiglottic space)나 성문주위 공간(paraglottic space)를 침범한 경우에는 무리하게 레이저 수술을 고집 하지 말고 바로 고식적인 수술로 변경하여야 한다.7) 또한 레이저 수술 중에 수술하고자 하는 부위의 확실한 노출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서 각종 크기의 내시경을 사용하고 조수로 하여금 외부에서 눌러서 병변을 잘 노출 시킬 수 있으며 마취의사와 상의하여 다양한 방법의 마취를 시행할 수 있다. 수술 중에는 절제부 변연의 암 침범여부를 확인 Fig. 1. Picture of microlaryngoscopy with CO2 laser. The operating microscope is coupled with micromanipulator and CO2 laser. The surgeon s elbow is on the arm rest and the patient is covered with wet towels. 하기 위하여 동결절편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고 절제된 조직의 단면을 인디안 잉크로 표시하여 병리 관찰 시에 절 제면의 암 조직 유뮤를 판단할 수 있다.3) 이때 조직 검사 는 가능하면 탄화가 덜된 부위에서 시행하여야 레이저에 의한 변성 때문에 병리 소견이 왜곡되는 것을 막을 수 있 다. 고령이거나 전신마취가 어려운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절 제 부위를 넓혀서 재수술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하다.7) CO2 레이저의 사용 방법 CO2 레이저는 10.6 μm의 파장을 가진 적외선으로 열 에너지를 가지며 거울을 통해 그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초점의 직경은 handpiece를 사용하면 1 mm 정도이며 micromanipulator를 사용하면 400 mm 초점거리에서 약 200~250 μm까지 초점을 줄일 수 있어 후두미세수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초점이 큰 경우에는 절개가 잘 되지 Fig. 2. Various operating laryngoscopes with special matte finish and integrated suction channel for evacuation of vapor. 않고 탄화가 많이 생겨 후두미세수술이 불가능하다.5) CO2 레이저는 사용목적에 따라 초점거리를 임의로 움직여서 사 용하며, 초점면(focused beam)에서는 일반적인 메스와 같이 절개(cutting)가 가능하고 초점보다 멀리하여 조사하 면(defocused beam) 단위면적당 에너지가 감소하여 절 개보다는 조직응고가 가능하게 된다. CO2 레이저의 사용법을 살펴보면 후두레이저 수술시에 는 대부분 1~10 watt를 사용하는데 이는 초점의 크기에 따라 단위면적 당 레이저 에너지(power density)가 바뀌 므로 항상 초점의 크기를 염두에 두어야 하고, 또한 제거 할 조직의 종류나 수술방법에 따라 조절하여야 한다.3) 혈 관이 적고 조직이 단단한 경우는 가능하면 초점은 작게하 Fig. 3. Microinsturments for bleeding control during microlaryngosurgery with CO2 laser for laryngeal carcinoma. From left coagulation forcep, suction coagulator, and laryngeal hemoclip. 2 고 조직절개가 잘 되는 super pulse나 ultra pulse를 주로 사용한다. 수술 중에 연속모드(continuous mode)를 사용 Korean J Otolaryngol 2004;47:1-8

정필상 Fig. 4. En bloc laser excision for early glottic carcinoma. Fig. 5. Blockwise resection of glottic carcinoma. The cut through the carcinoma makes the tumor margin visible and 13 mm of safety margin is enough in membranous cord. 3

CO 2 레이저를 이용한 경구강 후두암 절제술 4 - Table 1. Endoscopic cordectomyclassification by european laryngological society Subepithelial cordcetomy Type Subligamental cordcetomy Transmuscular cordcetomy Total or complete cordectomy Extended cordectomy encompassing the contralateral vocal fold the arytenoids the ventricular fold the subglottis Type Type Type Type a Type b Type c Type d Korean J Otolaryngol 2004;47:1-8

정필상 환자에서 궁극적으로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한 결과를 보고 (Table 2).12)13) 이러한 결과는 방사선치료나 갑상연골 절 하였다.11) 레이저 성대절제술의 성적은 T1-2인 경우 90% 개를 통한 성대절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14) 레 에서 100%의 국소치료율과 후두보전이 보고되고 있다 이저 성대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후두부분절제술을 시 Fig. 6. Classification of endoscopc laser cordectomy by the working committee of European Laryngological Society (Type I-IV). Fig. 7. Glottic carcinoma of right vocal cord involving anterior commissure. The posterior half of the tumor is resected (A to C). Anterior part of tumor is resected beyond the inner perichondrium of thyroid cartilage (D). Type Ⅰ Type Ⅱ Type Ⅲ Type Ⅳ A B C D Table 2. Results of laser resection of T1-T2 glottic tumors Year Number of patients Eckel 1992 067 T1-T2 Steiner 1993 130 T1-T2 mobile Rudert 1995 106 T1-T2 Moreau 2000 097 Gallo 2002 156 Author Local recurrence Salvage total laryngectomy 100% 06 (9%) 6 (9%) 100% 10 (8%) 1 (1%) 100% 10 (9%) 3 (3%) T1-T2 097% 00 (0%) 0 (0%) T1-T2 097% 09 (6%) 4 (3%) Classification Adjusted survival 5

CO 2 레이저를 이용한 경구강 후두암 절제술 Fig. 8. Blockwise resection of infrahyoid supraglottic carcinoma from cranial to caudal direction and the resection should be limited in one level at a time. A B C D E F Fig. 9. Transoral microlaryngosurgery of infrahyoid supraglottic carcinoma with CO2 laser. The resection is started by cutting through the epiglottis and then proceed toward the ventricle A-C. The resected specimen in several pieces D. The 7 days and 6 months after surgery E and F. 6 Korean J Otolaryngol 2004;47:1-8

정필상 - REFERENCES 1) Jako GJ. Laser surgery of the vocal cords: An experimental study with carbon dioxide laser on dogs. Laryngoscope 1972;82:2204-16. 2) Vaughan CW, Strong MS, Jako GJ. Laryngeal carcinoma: Transoral treatment utilizing the CO 2 laser. Am J Surg 1978;136:490-3. 3) Steiner W, Ambrosch P. Endoscopic laser surgery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Stuttgart-New York: Thieme;2000. 4) Campora ED, Radici M, Campora LD. External versus endoscopic approach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glottic cancer.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1;258:533-6. 5) Eckel HE, Schneider C, Jungehulsing M, Damm M, Schroder U, Vossing M. Potential role of transoral laser surgery for larynx carcinoma. Lasers Surg Med 1998;23:70-86. 6) Peretti G, Piazza C, Balzanelli C, Cantarella G, Nicolai P. Vocal Outcome after endoscopic cordectomies for Tis and T1 glottic carcinomas. Ann Otol Rhinol Laryngol 2003;112:174-9. 7) Rudert HH, Werner JA, Hoft S. Transoral carbon dioxide laser resection of supraglottic carcinoma. Ann Otol Rhinol Laryngol 1999; 108:819-27. 8) Ambrosch P, Kron M, Steiner W. Carbon dioxide laser microsurgery for early supraglottic carcinoma. Ann Otol Rhinol Layngol 1998; 107:680-8. 9) Davis RK, Jako GJ, Hyams VJ, Shapshay SM. The anatomic limitations of CO 2 laser cordectomy. Laryngoscope 1982;92:980-4. 10) Remacle M, Eckel HE, Antonelli A. Endoscopic cordectomy. A proposal for a classification by the working committee. European Laryngological Society. Eur Arch Otorhinilaryngol 2000;257:227-31. 11) Damm M, Sittel C, Streppel M, Eckel HE. Transoral CO 2 laser for surgical management of glottic carcinoma in situ. Laryngoscope 2000; 110:1215-21. 12) Moreau PR. Treatment of laryngeal carcinomas by laser endoscopic microsurgery. Laryngoscope 2000;110:1000-6. 13) Murty GE, Diver JP, Bradley PJ. Carcinoma in situ of the glottis: Radiotherapy or excision biopsy. Ann Otol Rhinol Laryngol 1993;102: 592-5. 14) Gallo A, de Vincentiis M, Manciocco V, Simonelli M, Fiorella ML, 7

CO 2 레이저를 이용한 경구강 후두암 절제술 Shah JP. CO 2 Laser cordectomy for early-stage glottic carcinoma: A long-term follow up of 156 cases. Laryngoscope 2002;112:370-4. 15) Peretti G, Nicolai P, Piazza C, Redaelli de Zinis LO, Valentini S, Antonelli AR. Oncological results of endoscopic resections of Tis and T1 golttic carcinomas by carbon dioxide laser. Ann Otol Rhinol Laryngol 2001;110:820-6. 16) Remacle M, Lawson G, Jamart J, Minet M, Watelet JB, Delos M. CO 2 laser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arly cancer of the vocal fold. Eur Arch Otorhinolaryngol 1997;254:169-76. 17) Olthoff A, Mrugalla S, Laskawi R, Frohlich M, Stuermer I, Kruse E, et al. Assesment of irregular voices after total and laser surgical partial laryngectomy.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29:994-9. 18) Delsupehe KG, Zink I, Lejaegere M, Bastian RW. Voice quality after narrow-margin laser cordectomy compared with laryngeal irradia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1:528-33. 19) Sittel C, Eckel HE, Eschenburg C. Phonatory results after laser surgery for golttic carcin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8;119: 418-24. 20) Csanady M, Ivan L, Czigner J. Endoscopic CO(2) laser therapy of selected cases of supraglottic marginal tumors. Eur Arch Otorhinolaryngol 1999;256:392-4. 21) Prgomet D, Bumber Z, Bilic M, Svoren E, Katic V, Poje G. Videofluoroscopyof the swallowing act after partial supraglottic laryngectomy by CO(2) laser.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2;259:399-403. 8 Korean J Otolaryngol 2004;4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