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Similar documents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나하나로 5호

내지-교회에관한교리

178È£pdf

152*22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¼øâÁö¿ª°úÇÐÀÚ¿ø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7단원 1(252~269)교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¼Òâ¹Ý¹®Áý¿ø°í.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ÀÚ¿øºÀ»ç-2010°¡À»°Ü¿ï-3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_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ú 21 여 ö Ç J ö Ç Ç ö úç úç ú Ç 사랑으로채우 - - 여? J J J J J #ú Ç úç 사랑으로채우 - 여 L? ú ä F ä A ä # _

(초등용1)1~29

- 2 -

2015년9월도서관웹용

歯이

* pb61۲õðÀÚÀ̳ʸ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Ι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와플-4년-2호-본문-15.ps

Çѹ̿ìÈ£-197È£

- 4 -

ÃѼŁ1-ÃÖÁ¾Ãâ·Â¿ë2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1

CONTENTS CSCaritas Seoul Mission. Vision Caritas,,. 28 Yes, I Do 32 DO CAT 2017 SPRING <+>

4-Ç×°ø¿ìÁÖÀ̾߱â¨ç(30-39)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77

5 291

0.筌≪럩??袁ⓓ?紐껋젾 筌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3231C3A4C8F1C5C22E687770>

hwp


CT083001C

µ¶¸³Á¤½Å45È£

hwp

2011년 제21권 제3호

¾ç¼ºÄÀ-2

Á¦190È£(0825).hwp

01정책백서목차(1~18)

±³À°È°µ¿Áö

º»ÀÛ¾÷-1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009_KEEI_연차보고서

CC hwp

2002report hwp

한글요약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소규모 비즈니스를 위한 플레이북 여기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YouTube 소개 2. YouTube에서 비즈니스를 위한 채널 만들기 3. 눈길을 끄는 동영상 만들기 4. 고객의 액션 유도하기 5. 비즈니스에 중요한 잠재고객에게 더 많이 도달하기

ÀÌ·¯´×_³»Áö1-1ÃÖÁ¾

이만열-필자재수정0412.hwp

A 목차

°¨Á¤Æò°¡


View Licenses and Services (customer)

2006.5ø˘ øÏæ - ª¡ˆ.pdf


bm hwp


많고 전화도 많다. 몸은 1,000년 전보다 진화한 것이 없는데, 처리할 일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영어가 필요 없는 분야에서까지도 취 업 시험에서 영어 성적을 요구하니, 우리를 필요 이상으로 바빠지게 하는 요인이다. 문자 생활도 우리를 바빠지게 할 수 있


04 Çмú_±â¼ú±â»ç

요람 교육과정편람 사범대학.hwp

교육과학기술부 고 시 제 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조의2에 의거하 여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다음과 고시합니다. 2011년 11월 16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유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3635B1E8C1F8C7D02E485750>

쌍백합23호3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wtu05_ÃÖÁ¾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Warner Bros Photofest Herbert Spencer Charles Darwin Spencer Spencer 1908 An Introduction to Social PsychologyWilliam McDougall McDougal


슬라이드 1

ÆÞ¹÷-Æîħ¸é.PDF

9+10월호(최종2)

»êÇÐ-150È£

Web Scraper in 30 Minutes 강철


hwp

....pdf..

<B9ABC1A62D31>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신영_플랜업0904내지_출력


Transcription:

236 한글 성경이 한국 교회와 사회, 국어 문화에 끼친 영향 민현식 교수의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에 대한 논찬 이 달(한남대학교 교수, 신약학) 발표자는 개신교의 성서 완역 100주년을 맞이하여 성서가 한국어 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관해 시대적으로 근대 국어와 현대 국어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폈고, 현재의 과제로서 한국어의 발달에 미칠 성서 교육의 중요성까지 포괄하여 다루었다. 특히 개 신교는 언문으로 천대 받던 한글로 성경을 번역하고 그것을 보급 하는 데 열성을 보임으로써 언문일치(간결한 문체, 구어체와 문어 체의 조화, 현대 문학의 기틀 마련 등)와 한글문화(띄어쓰기, 우리 말 연구, 국어 보존 등)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재확인하고 있 다. 발표자는 논문의 전개 과정에서 여러 관련된 많은 정보를 친절 하게 제공함으로써 주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 다(다만 19-20쪽의 4.4. 국어 어휘의 확장 을 다룬 부분에서 불교 와 유교로부터 유래한 어휘를 성서와 직접적인 연결이 없는 내용 까지 필요 이상으로 언급한 느낌을 준다). 여기에서는 가능한 한 발표 내용에 대한 요약이나 평가는 하지 않고 몇 가지 질문을 하 는 것으로 논찬을 대신하고자 한다. 1. 발표자는 개신교의 성서 번역이 불교와 유교가 오랫동안 발전 시켜 온 경전 번역의 유산(차자법, 언해, 성리학/성운학, 구결체)에 크게 기초하고 있다고 보았다. 비록 천주교의 최창현이 한문본에서

민현식 교수의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에 대한 논찬 / 이 달 237 번역한 성경직 광익 (1790-1800)이나 성경직 (1892-1897)가 성 서를 발췌한 것이기는 하지만, 한글로만 번역되었고(참고: 18세기 말 정약종이 지은 천주교 교리해설서인 쥬교요지 도 한글로만 기 록되었다), 될 수 있는 한 고유어로 표현하려고 한 점 등은 후에 개신교 성서 번역에 영향을 주었다. 서정수는 성경직 의 표기법 과 신약젼셔 (1900)의 표기법이 유사하다는 것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이덕주에 의하면 개신교 성서 번역에 참여한 한국인들 중에 는 천주교인(아펜젤러의 조사였던 조성규)이거나 천주교 배경을 가 진 사람들(이수정, 언더우드의 조사였던 송덕조)이 있었다. 이는 초 기 한국 기독교사에서 천주교와 개신교의 교류가 적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때로는 천주교의 영향을 거스르고 있는 것도 찾을 수 있 다. 대표적으로, 19세기 말 천주교가 당시에 진취적으로 어두의 /ㅅ /계 각자병서를 채택한 것에 반해, 개신교 성서는 /ㅅ/계 합용병서 를 채택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발표자는 천주교 성서 번역이 개 신교 성서 번역에 미친 영향의 정도는 어떠하다고 생각하는가? 2. 성서의 영향은 일차적으로 성서 번역에 의한 영향을 가리킨다. 개신교 성서 번역에서 처음에는 축자적인 번역을 위주로 하였으나, 게일 선교사 같은 이는 뜻이 통하는 번역과 한글다운 번역을 강조 하였고 그 전통은 특히 공동번역 성서로 이어졌다. 성서를 번역하 는 이 두 가지 방법은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다. 축자적인 성서 번 역이 한글 전용 번역을 시도하여 언문일치에 기여한 점도 있었지 만, 시대적으로 국어정서법에 뒤떨어지는 번역을 고집한 문제점도 있었다. 뜻을 중시하는 번역은 원문을 자의적으로 해석한다는 비판 을 받았다. 그러나 성서 원어를 모르는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쉽고 우리말다운 번역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칭찬을 받을 만하다. 현재 한국 개신교회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개역개정 은 로스본과 이수

238 한글 성경이 한국 교회와 사회, 국어 문화에 끼친 영향 정본을 밑거름으로 하여 성서번역위원회가 펴낸 셩경젼셔 (1911), 즉 이른바 구역에 연원을 두고 있다. 구역은 선교사들이 원어 성경 과 영어 성경 등을 대본으로 하였고 한국인 번역자/조사들이 한문 성경과 일본어 성경을 참고로 하였기 때문에, 어려운 한자 어휘와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이 스며들 수밖에 없었다(30-31쪽 참조). 이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 없이 부분적인 수정을 가하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번역 성서를 가질 수 없다고 본다. 또한 가 장 최근에 번역된 새번역 조차도 아직 우리말다운 표현에는 여전 히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기독교와 번역 성서가 우리말과 글을 전파하고 정립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지만, 개 역 (1938)이 지나친 보수성으로 인하여 당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래, 현재 우리의 한글성서가 오히려 한국어를 파괴하는 역할을 다분히 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발표자는 국어학자로서 개신교의 번역 성서에 대하여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 및 발전 방향은 어떠해야 된다고 보는가? 3. 발표자는 하나님 표기가 하늘 신앙과 유일신 신앙의 절묘한 조화를 이룬 것이라고 하였다. 말할 것도 없이 성서 번역에서 가장 첨예한 대립과 이견을 보이고 있는 부분이 신명에 대한 우리말 표 기이다. 가톨릭교회와 개신교회, 한국 교회와 일반 언중 사이에서 신명 표기를 하나님 으로 할 것인가, 하느님 으로 할 것인가 하 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하나의 성서와 하나의 기독교를 달 성하는 데 큰 장애가 될 것이다. 이제까지의 논의를 보면, 주로 어 원적인 측면이나 정서법적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신명이 우리 민족이 오래 전부터 사용해 왔던 하 님/하 님 을 한국 개신교회 가 채택하였다면, 그것의 표기에 있어서도 비어두 음절에서 아래아

민현식 교수의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에 대한 논찬 / 이 달 239 가 /ㅡ/로 변화하는 일반 원칙에 따라 하느님 으로 표기해야 한다 는 주장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이 국어 학적으로 타협할 수 없는 온전한 설명인지에 대해 재검토해 볼 필 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음운론적으로 볼 때 비어두 음절에서 아래 아가 반드시 /ㅡ/로 변화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 람 은 사 / 람/ /사람 으로 혼기되었으며, 현대 표기법에서도 /ㅡ/가 아닌 /ㅏ/로 표기되고 있다. 이것은 단지 극히 소수의 예에 해당된다고 할 것인가? 표기는 모름지기 언중의 통일된 약속/기호 에 기초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하느님 표기에 비해 지지를 받기 어렵다고 돌려세울 것인가? 하나님 이 수사 나 에다가 존칭어 미를 붙인 것이라는 조소를 보낼 것인가? 그러나 하나님 표기를 음운론적으로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 이 하날 로 표기된 예는 없지만, 19세기 말-20세기 초반에 걸쳐 하 님 과 하나님 은 빈번하게 나타나는 데 비해 하느님 은 잘 나타나지 않 고 있지 않은가(17세기 문헌에서 이미 하늘 이 나타나는데도 불구 하고)? 물론 논찬자 역시 국어의 정서법에 맞는 통일된 표기를 해 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 여기에서는 다만 하나님 표기가 음 운론적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하나님 표기도 몇 가지 표기 가능 성 중의 하나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대한 발표자의 견 해는 어떠한가? 4. 발표자는 1911년판 셩경젼셔 를 현대 한국어와의 관계에서 다루고 있다. 표기 요소를 다루면서, 셩경젼셔 (1911)가 개화기 국 어를 넘어 후기 중세국어의 표기까지도 보수적으로 견지하고 있음 을 보여주었다. 그 중 아래아의 사용, 마찰음 밑의 이중모음 사용, 용언 활용형에서의 중철 및 연철 현상, 두음법칙(여기에 자음접변 현상을 포함시키고 있는 것은 잘못이다)은 대표적인 예이다(이 가

240 한글 성경이 한국 교회와 사회, 국어 문화에 끼친 영향 운데 구개음화가 되지 않고 있는 점은 서북 방언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셩경젼셔 (1911)는 시대를 떠나서 개화기 국 어나 그 이전의 한국어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출판은 개화기 이후 시기이지만, 그 이전에 번역되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후대에 개정된 개역 이나 개역개정 조차도 셩경젼셔 (1911)에 기초하고 있어서, 현대 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 지 못한 측면이 있다. 지면이 허락했다면 오히려 한국인 학자들에 의해서만 번역된(원천언어와 수용언어를 다같이 다룰 줄 아는) 공 동번역 성서 나 새번역 을 현대 한국어와의 관계에서 다루었으면 더 좋았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발표자는 셩 경젼셔 (1911)가 한국어의 발달사에서 어떤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 다고 생각하는가? 5. 발표자는 한국어의 위기를 말하면서 이를 타개해 나가기 위해 다문화사회에 필요한 성서 번역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실제로 다 문화가정이나 북한 이탈 주민인 새터민 등은 기존의 성서를 읽고 이해하는 데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다문화사회를 맞이하고 통일을 대비하는 이 시점에서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이해하기 쉽 고 읽기에 편한 성서를 새롭게 번역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 다. 이에 대한 발표자의 견해는 어떠한가? 6. 발표자는 한글 전용과 한자 교육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으 로 보지 않는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래서 젊은이들에게 한자 교육을 시켜서 성서를 읽고 이해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젊은이들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한글 고 유어나 한글로 표기해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한자어의 사용이 더 필요한 것은 아닌가? 발표자는 어떤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나가는

민현식 교수의 한국어의 발달과 성서의 영향 에 대한 논찬 / 이 달 241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는가? 7. 발표자는 -니 를 준종결어미로 보고자 했다. 실제로 초기 개신 교 성서 번역의 종결 부분에서 -니 와 -라 가 혼용되고 있음을 쉽 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니 종결법은 구결체나 국한혼용체의 영 향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니 가 당대에는 -라 와 혼용 되고, 후에는 -다 종결법으로 귀결되는 것을 고려하면, -니 가 아 직 완성되지 않은 준종결어미로 볼 수 있다고 하는 발표자의 주장 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결론을 내리려면 초기 개신교 성 서와 중세국어 문헌에서 충분한 증거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니 종결법이 옳다면, 초기 개신교 성서 번역은 그 발전 과정의 어디쯤 위치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