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태.hwp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CR hwp

2002report hwp

152*22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나하나로 5호

º´¹«Ã»Ã¥-»ç³ªÀÌ·Î


- 2 -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êÇÐ-150È£

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3635B1E8C1F8C7D02E485750>


* pb61۲õðÀÚÀ̳ʸ

#7단원 1(252~269)교

ÆÞ¹÷-Æîħ¸é.PDF


연구노트

2015년9월도서관웹용

0.筌≪럩??袁ⓓ?紐껋젾 筌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KD hwp

01¸é¼öÁ¤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A 목차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03report hwp

178È£pdf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¼ºÀαÇ24È£

CC hwp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CT083001C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레이아웃 1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10월추천dvd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CC hwp

01정책백서목차(1~18)

±³À°È°µ¿Áö

³»Áö_10-6


레이아웃 1

!

ÀÚ¿øºÀ»ç-2010°¡À»°Ü¿ï-3

Vision Mission T F T F T F T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歯이

60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ÀÌ·¯´×_³»Áö1-1ÃÖÁ¾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4-Ç×°ø¿ìÁÖÀ̾߱â¨ç(30-39)


....pdf..

**09콘텐츠산업백서_1 2

¾ç¼ºÄÀ-2

기본소득문답2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2ÀåÀÛ¾÷

041~084 ¹®È�Çö»óÀбâ

효진: 노래를 좋아하는 분들은 많지만, 콘서트까지 가시는 분들은 많이 없잖아요. 석진: 네. 그런데 외국인들은 나이 상관없이 모든 연령대가 다 같이 가서 막 열광하고... 석진: 지 드래곤 봤어?, 대성 봤어?, 승리 봤어? 막 이렇게 열광적으로 좋아하더라고요. 역시.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5 291

레이아웃 1


Çѹ̿ìÈ£-197È£

- 89 -

T hwp

2003report hwp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2006.5ø˘ øÏæ - ª¡ˆ.pdf

ÃѼŁ1-ÃÖÁ¾Ãâ·Â¿ë2


750 1,500 35

해피메이커 표지.indd

와플-4년-2호-본문-15.ps

#遺€?됱궗?뚮뱾168?

<B9ABC1A62D31>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 7 권 제 1 호, 유치원 미술활동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the Operation of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유 수 경(S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중등용1)1~27

Jkafm093.hwp

Transcription:

韓 國 敎 育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2006. Vol. 33. No. 3. pp. 89~120.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1) 권 효 숙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전임강사) Ⅰ. 서 론 Ⅱ. 한마당학교의 교육환경 개관 Ⅲ. 한마당학교의 적응교육 실제 Ⅳ. 한마당 적응교육의 의미 Ⅴ. 결 론 요 약 이 연구는 탈북청소년들에 대한 적응교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대안학교의 교육현실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한 대안학교에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학교에서는 일반 공교육과는 다른 물리적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나름의 교육적 지향을 가지고 탈북청소년의 적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학교에서 추구하는 적응교육은 첫째, 학생 개개인을 적응의 주체로 인정한다는 점, 둘째, 집 단적 요구와 개인적 요구의 조화를 도모하되 전자에 의해 후자가 압도되지 않도록 한다는 점, 셋째, 학교의 교 육과정 운영이 역동적이고 유연하다는 점, 넷째, 일상적 삶과 교육목표 간의 괴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적응교육프로그램은 문화예술활동 중심의 체험적 교육과정을 통하여 전개되어 나가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이해는 교육프로그램 실천의 실질적 기반이 되고 있다. 이 학교에서 이루 어지고 있는 교육활동은 학생들을 실존적 존재로서 존중하고 궁극적으로 주체성을 함양하는 데 수렴시키고 있 1) 이 논문은 2005년도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KRF-2005-003-B00237) - 89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다는 점에서 교육적 적응 을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차후 탈북청소년들을 위한 적응교육이 다양한 교육적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안학교와 공교육 기관과의 원활하고 상생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주제어: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적응교육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최근 탈북자 2) 의 국내입국이 증가하면서 탈북형태 역시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1990년대 이전에는 단독입국이 주를 이루었던 것에 비해 그 이후에는 점점 더 가족 단위의 입국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탈북청소년 3) 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엄경남, 2001). 2004년도에 남한에 입국한 탈북자수는 전년도(1,281명)대비 47.8% 증가한 1,894명으로서 그 가운데 20세 이하의 아동 및 청소년이 20%에 이를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통일부, 2005). 이러한 탈북청소년의 증가는 그동안의 탈북자 적응교육 프로그램이 성인탈북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왔던 것에서 나아가 적응교 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시도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2004년 12월 현재 1000여명에 달하는 학령기의 탈북 아동 청소년들은 북한기근이 본격화 된 1990년대 후반기에 태어났거나 그 시기에 성장기를 경험한 세대로 극심한 영양 및 성장 발달상의 문제와 아울러 사회경제 체제의 혼란으로 북한에서 적절한 교육기회를 갖지 못하 였다. 탈북과정에서 경험한 심리적 정서적 충격과 정규 교육 기회의 상실 등은 이들이 남 한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정병호 외, 2003). 청소년기의 특성상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변화를 겪고 있는 동시에 전혀 다른 사회 체제에 적응하면서 정체성을 형성해야 하는 이중과업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 대한 적응교육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2) 마석훈(2004)은 탈북자 라는 표현이 그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의미를 결여하고 있는 호칭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아 직 그들의 호칭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합의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탈북자 혹은 탈북청소년 이라는 용 어를 그대로 쓰고자 한다. 3) 본 연구에서는 탈북과정과 중국 등 제 3국을 떠돌던 기간 및 남한 입국 후 갖게 되는 교육 공백기간을 고려하여 청소 년의 범위를 13세에서 25세 까지로 정한다. - 90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현재 제도적 민간적 차원에서 탈북청소년을 위한 여러 종류의 교육 프로그램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들 모두 나름대로 탈북청소년 적응교육의 출발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탈북청소년 자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부족하고, 그들의 교 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미흡했던 까닭에 여러 가지 한계를 노출시키고 있다. 입국초기 에 통일부 하나원에서 이루어지는 3개월간의 오리엔테이션 교육은 제도적 차원에서 이루 어지는 대표적 적응교육 프로그램인데, 이 프로그램의 성격은 남한의 일상적 생활에 대한 안내를 해 주는 프로그램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3개월간의 짧은 기간동안 삶의 모든 영 역에 대한 충분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에서 이에 이은 후속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남북간의 상이한 학제, 근년의 북한 교육제도의 교란과 탈북과정에 기인한 저하된 학습능력으로 인하여 그들이 남한교육제도에 편입 및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 는 지원체제가 절실히 필요하다. 저하된 학습능력을 보충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없이는 남한학교로 편입학 하여 수학하거나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일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물 론 지속적인 학습만이 그들의 적응 양상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 나 탈북 후 그들과 비슷한 연령대의 남한청소년들이 어떤 삶을 살고 있는가가 중요한 준거 가 된다는 점에서 학습성취도나 상급학교 진학은 그들의 남한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한다. 탈북청소년들의 남한생활은 삶의 다양한 영역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적응양 상을 구성해 내는 것이므로 그들이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영역에서 적응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일이 필요하다. 한편 제도교육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일부 민간단체에서도 이들에 대한 적응 프로그 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대체로 긴급구호적 성격의 프로그램 교육, 생활공동체, 기숙 학교 등 청소년들의 실제 삶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들은 법적, 제도적, 재정적 뒷받침이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구성원들이 헌신적 노력을 기울여 일정한 정도의 교육적 성과를 산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교육프로그램의 연속 성이 확보되지 않거나, 규모의 영세성,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한계를 노출시키고 있다(마석훈, 2004). 탈북청소년들의 적응에 대하여 교육적 관심을 가지고자 할 때, 우선 그들이 당면하고 있 는 복합적 문제사태와 그들이 구체적인 삶 속에서 표출하고 있는 요구를 이해하는 데 초점 을 맞출 필요가 있다. 적응교육의 주체인 당사자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그들의 경험을 통합 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역시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91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탈북청소년들이 대안학교라는 독특한 교육장 면에서 드러내는 구체적인 삶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여기에서 특히 대안학 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이유는 탈북청소년의 다수가 제도교육권 밖에 있으며 4) 그들을 위한 교육적 접근이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곤 하기 때문이다. 제도교 육권 밖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탈북청소년들을 위한 교육활동이 제도교육권 안에서 이 루어지는 것과는 모종의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학생들의 요구와 맞물려 형성 된 것이라면 대안학교 교육활동을 이해함으로써 탈북청소년들에 대한 교육적 접근의 방향 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에 제시되는 연구문제를 통하여 좀 더 구체화될 수 있다. 첫째, 탈북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대안학교 적응교육은 어떤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진 행되고 있는가? 탈북청소년을 위한 적응교육은 다양한 차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그것은 공통적으로 탈북청소년 개개인의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들을 바 라보는 사회적 차원의 문제의식이 맞물려 형성된다. 이러한 가운데 특히 대안학교의 형태 를 띠는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적응교육은 나름대로의 형성 맥락을 가지고 있으며, 시 공간 구성과 교육의 목표, 교육의 방식 등을 통하여 독특성을 구성해 가고 있다. 탈북청소년들의 학교 현장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경험을 재구조화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적응교육의 형성 맥락을 살펴보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탈북청소년들이 참여하는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이며, 프로 그램을 매개로 하여 드러나는 구성원들의 상호관계 양상은 어떠한가? 대안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지향은 교육프로그램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것을 전개하는 구성원들간의 관계 양상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구성원들의 관계양상 속에서 탈북청소년들이 남한 사회 와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과 남한사회에 대한 요구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이해하는 일은 그들을 위한 교육적 접근의 출발점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탈북청소년들의 대안학교 경험은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가지는가? 학교는 탈북청소 년들이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하고, 관계망을 형성하는 일상적 삶의 공간이다. 그들이 삶 의 한 공간인 대안학교에서 경험하는 바를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해보는 일은 현재 이 루어지고 있는 대안학교 적응교육의 의미를 이해하는 일이자 사회 전반적인 차원에서 이루 4) 탈북학생들의 남한사회 적응도에 대한 한 조사연구에 의하면, 남한 사회에 입국한 지 6개월에서 2년 6개월 된 청소년 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 연령층의 경우는 조사대상자는 100%가 학교에 다니는 반면, 중고생 및 대학생 연령층에 해당하는 경우는 38%만이 학교에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정병호 외, 2003 참고). - 92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어져야 할 그들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2. 연구의 대상과 절차 이 연구는 제도권 속의 정규학교가 아닌 민간단체 주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그 대상으로 한다. 민간단체 주도의 교육프로그램의 형태는 크게 하나원 내 임시학교, 그룹홈, 기 숙학교, 도시형 주간학교, 단기프로그램형 학교, 가정교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석훈, 2004). 이러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은 제도권의 정규교육이 아니라는 점에서는 공 통점을 가지지만, 구체적, 실제적, 개별적인 맥락에서는 편차가 매우 크게 존재한다. 이 연 구에서 선정한 한마당학교 5) 는 도시형 주간학교 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정규학교로 인 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일반학교의 학생들과 달리 어느 방향이든 다소 예외적인 관심과 성향을 가졌거나 혹은 특수한 상황에 놓인 학생들이 입학한다는 점에서 대안학교의 성격을 갖는다(조용환, 1999). 서울 영등포에 위치한 한마당학교는 남한 탈학교청소년을 위한 대안문화예술학교인 꿈 학교 의 문화교육프로그램과 탈북청소년이 주말에 모여 다양한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한마당교실, 그리고 탈북청소년의 정규형 대안학교였던 차돌학교 의 프로그램을 통합해 대안학교로 개편한 것이다. 한마당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은 일정한 시간을 할애해 수업하러 오는 자원교사들의 참여 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수업을 하러 오는 교사들과 수업을 마치고 가는 교사들이 학교를 빈번하게 출입한다. 더구나 다양한 관심을 가진 일반인들의 출입도 빈번히 이루어지기 때 문에 학생들은 외부인의 학교출입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거나 경계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대표교사의 허락을 받아 일주일에 두 시간씩 학생들의 글쓰기 지도 를 맡게 된 2004년 12월부터 시작되었다. 2005년 1학기에는 수업을 하면서 학교 분위기 및 구 성원들과 래포를 형성하는 시기로 삼았으며, 2005년 4월부터 8월에 이르는 2학기 및 여름 방학 기간 동안에는 수업을 맡지 않고 수집한 자료를 훑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다시 수업 을 맡은 9월부터는 수업장면과 더불어 학교가 운영되는 방식, 구성원들의 관계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2006년 1월부터 2월까지는 대학입학을 앞두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맡았으며,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는 전체 학생의 기초소양 수업 5) 정체의 노출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하에 나오는 모든 고유명사는 가명을 사용하였다. - 93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으로 지정되어 있는 문화인류학 수업을 맡아 하였다. 이 연구의 주제보자로서는 한마당학교의 대표교사와 나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 세 명을 선정하였다. 대표교사 박정훈은 상주교사로써 이 학교가 설립되기 이전부터 탈북청소 년 교육에 큰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대표교사는 한마 당학교의 실제 운영을 전담하면서 학교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이상과 학교의 구체적 현실 을 조율하는 입장에 있기 때문에 표면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학생을 주제보자로 삼은 심층면담은 수업 전후에 비형식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이유는 때 로 한 교사가 특정학생들을 학교 밖에서 따로 만나는 일이 소소한 문제들을 발생시키곤 했 기 때문에 학교 차원에서 장려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수업이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학교라 는 내부 공간에서도 한 학생과 집중적으로 대화하는 일이 가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탈북과 정의 고통스러운 경험은 현재 그들의 태도와 인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은 연구자가 일방적으로 강요하거나 유도 하지 않았으며, 스스로 말하는 경우에만 귀 기울여 들었다. 그들은 좀처럼 탈북과정에 대하 여 언급하지 않았으나 가끔 수업내용과 관련하여 대화가 이루어질 때는 좀 더 심층적으로 질문하였다. 이 외에도 학생과 교사가 함께 만든 영상타큐멘터리 자료, 한마당교사회의 때 나누어 주는 각종 자료, 학교에서 발간하는 문집, 유관기관에서 발행하는 심포지엄 자료집 등 한마당학교와 관련한 다양한 문서들을 수집하였다. 단, 이 연구에서는 한마당학교 내 맥 락에서 이루어지는 적응교육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그들의 학교 밖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이야기 혹은 교사들의 전언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수집하였다. 한마당학교의 일상생활에 대한 참여관찰과 제보자 면담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는 현장에 서 돌아와 최대한 짧은 시간 안에 풀어서 기록과 전사의 과정을 거쳤다. 면담의 기록은 매 번 녹음장치를 사용하였다. 전사하는 과정에서 떠오른 연구자의 의문이나 의견은 일종의 예비분석으로서 그 다음 참여관찰이나 면담을 계획하는 데 중요한 근거자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자료를 본격적으로 분석할 때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예비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범주로 분류된 자료는 다시 코딩하여 몇 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보는 작업 을 순환적으로 반복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자료를 추가하기도 하고 각각의 범주에 포 함되었던 항목을 폐기하기도 하면서 핵심적인 주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 연구는 탈북청소년의 적응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모든 대안학교를 연구대상으로 - 94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하지 않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다른 맥락에 놓여 있는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다면 한마당 학교 학생들의 특유의 시각과 생활상을 통해 탈북청소년들이 공유하는 보편적 요구를 어느 정도 접할 수 있을 것이며, 그들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좀 더 깊이 할 수 있을 것이라 기 대한다. 물론 이 연구에서 못 다한 부족한 점은 향후 다각적인 관점의 연구를 통해 지속적 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Ⅱ. 한마당학교의 교육환경 개관 1. 공간과 교육과정 및 시간운영 가. 생활공간의 특성 한마당학교는 설립된 지 2년이 채 안 되었지만, 두 시기로 구분되는 생활공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동숭동 시대 와 영등포 시대 가 그것이다. 2004년 9월부터 2005년 7월까지의 동숭동 시절은 대학로 뒷골목 언덕배기의 반 지하방을 토대로 하고 있다. 세 평 남짓한 방 두 개, 7평 정도의 거실 겸 주방, 그리고 출입문 옆 복도를 지나 있는 화장실로 이루어진 가정집을 각기 교실공간으로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거실 겸 주방 공간은 책장을 사이 에 두어 교무실 공간을 마련하고, 자치회의 시간, 교사회의 시간, 식사시간을 제외하고는 커텐을 쳐서 비교적 인원수가 많은 과목의 수업을 실시하는 교실로 사용한다. 동일한 시간 에 수업이 4개 겹치는 경우, 출입문 쪽에 책상을 두어 개 붙인 다음 수업을 하기도 한다. 다음 글을 이 공간을 처음 마주한 한 학생의 느낌을 기록한 내용이다. 처음엔 나와 같이 퇴소한 영준 오빠의 소개로 이 학교에 왔는데 학교가 지하에 있는 것이 었습니다. 사실 학교가 아주 크고 학생들도 많고 멋진 학교일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학교를 직 접 보니 너무 충격이었고 너무 놀랐습니다. 학교가 너무 작고 학생들도 적고 정말 이 학교를 다녀야 할지 말아야 할지 전 한참동안 고민하다가 그래도 한국 애들과 어울리는 것보다 같은 고향에서 온 친구들이랑 같이 어울리는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에 전 한마당에 다니기 시작했 습니다. (2004. 12. 김세은 ꡈ 더 크고 싶은 아이들4 에서 발췌) - 95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한편 지하방, 담요, 그리고 털신 은 한마당학교의 공간을 압축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 한 기호이다. 5월이 되어도 학교 안에는 냉기가 흘렀고, 난방이 되지 않은 바닥에 앉아 수 업을 할 경우 학생들은 군인용 모포로 온 몸을 감싸고, 털 실내화를 신는다. 또한 환기문제 때문에 유일한 작은 창문은 항시 열려 있다. 협소한 공간 때문에 학생들은 쉬는 시간이면 교실 내에 머물기보다는 문 밖으로 나가 층계에서 이야기를 하거나 담배를 피우곤 한다. 동숭동 한마당학교는 일반적인 기준에서 매우 협소하고 열악한 환경이었지만, 구성원들 은 종교단체가 빌려주는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 최초로 그들의 힘으로 마련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애착을 가지고 있다. 한마당학교를 꾸려가는 교사와 그들을 따르는 학생들에게 독 립적인 공간의 확보는 곧 독립적인 교육활동을 확보하는 첫 걸음의 의미를 지닌다. 교사들 은 특히 동숭동이라는 지역적 특징이 학생들에게 일상적인 교육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즉 화려한 문화적 이벤트가 자주 일어나는 대학로라는 공간이 있는가 하면 그와 맞닿아 있 는 뒤쪽 언덕 골목길에는 서민들의 생활공간이 펼쳐져 있고, 지역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산꼭대기 낙산공원이 있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서울의 일상적 모습을 자연스럽게 접하 도록 해 주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2005년 8월부터 한마당학교는 영등포 시대를 연다. 동숭동 한마당학교가 그들에게 남다 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었지만, 협소하고, 햇볕부족과 환기문제를 한 겨울 내내 겪은 구성원들은 산타클로스 라고 불리는 한 후원자의 도움으로 햇볕이 잘 드는 7층 건물 의 맨 꼭대기 층으로 이사를 간다. 대표교사인 박정훈 교사는 다음과 같이 학교 이전의 의 미를 이야기한다. 그동안 항상 마음에 걸렸던 건, 이 아이들 남한 땅 밟기 전까지 항상 숨어서 지내야 했고, 밝은 곳에서 떳떳하게 다니지 못했는데 남한까지 와서 그런 지하실에서 햇빛도 보지 못하고 생활한다는 것이 가슴 아팠어요. 어떻게 어떻게 정말 산타클로스 같은 분이 계셔서 기적적으 로 이곳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동숭동 공간에 비하면 대궐이지요. 무엇보다도 햇빛, 바람을 마 음대로 맞을 수 있어서 정말 좋아요. (2005. 9. 15. 박정훈 교사와의 면담내용 중에서) 한마당학교가 있는 건물은 아파트 단지 및 공장, 그리고 오래된 주택들로 둘러싸여 있 다. 한마당학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7층 건물의 맨 꼭대기 층이며 1층은 상가, 2층부터 6층까지는 낮에 거의 비어 있는 원룸이어서 학교 내 활동을 할 때 이웃 주민들의 간섭은 덜 받는 편이다. 한마당학교의 내부 공간 배치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그림 1]과 같다. - 96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E L 화 이 트 보 드 교 실 2 현 관 옥 상 교 실 3 베 란 다 세 탁 기 씽 크 대 w. c. 커 텐 화 이 트 보 드 교 실 4 컴 퓨 터 베 란 다 ( 식 당 ) 냉 장 고 T V 화 이 트 보 드 교 실 1 컴 퓨 터 교 무 실 화 이 트 보 드 w. c. [그림 1] 한마당학교의 내부구조 컴 퓨 터 위 그림에서 보듯이 한마당학교는 일반 가정집의 구조를 그대로 지니고 있어서 일반학 교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다. 학교 구성원들은 대부분 점심과 저녁식사를 주방에서 직접 조 리하여 해결하는데 그러한 경우 교실4 에서 진행되는 수업은 다소 방해를 받기도 한다. 학 교의 좁은 공간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공간사용 규칙을 철저하게 지키는 일이 학교의 중요한 생활규칙의 하나로 자리 잡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 교실마다 이루어 지는 수업이 다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완전히 차단되지 않는 상황에서 교사들은 다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해당 수업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서 학생들의 수업집중 태도를 바로잡는 일에 더욱 주의를 기울인다. 한마당학교는 가정집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상황에서 수업을 위한 교실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한편으로 이 러한 여건은 사적인 생활공간을 공적인 수업공간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생 성하도록 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불어 10시간 이상 학교에서 지내는 학생들에 게 학교를 일상적 삶의 공간으로서 다가가도록 함으로써 학교를 생활공동체로 인식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나. 교육과정과 시간운영 한마당학교의 일년 교육과정은 3학기로 구성된다. 1학기는 1월부터 3월까지, 2학기는 5-97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월부터 7월까지, 3학기는 9월부터 12월까지로 이루어진다. 한마당학교의 교과목 구성은 크 게 다섯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의 교육목표는 각기 한마당학교가 추구하는 적응교육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한마당학교의 교과목 구성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표 1> 한마당학교의 교과과목 및 활동 구성 기본학습과목 상담 및 예술체험과목 문제해결능력 함양과목 공동참여과목 야외학습과목 목표 남한사회에의 현실적 정착 긍정적 정서 형성 민주문화 공동체 훈련 공동체 만들기 다양한 현장체험 과목 국어 영어 수학 사회 역사/철학 한국문화와 종교 선택 예술체험활동 (음악,미술,무용,민 속, 연극놀이) 진학지도 및 상담 (적성과 진로 찾기) 요가 및 공동체명상 일상 속 글쓰기, 삶 읽기 사랑과 결혼 이야기 미디어이해 및 영상제작 국제문화이해 경제와 일상 자본주의 경제읽기 이웃종교 이야기 대화와 토론기술 익히기 대중문화 읽기 법과상식 노래극, 집단창작극 작업 남한 또래문화 교류활동 산행 사회봉사활동 역사 문화현장 탐방야외학습 한마당학교의 시간표에는 위에서 제시한 다섯 영역의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표를 살펴보면, 해당학기의 특성과 형편에 따라 개설되는 과목과 참여교사가 다소 달라지는 일 은 있지만 큰 구성틀은 대체로 유지된다. 이러한 교육과정 구성 방식은 매학기 시간표의 형식으로 구체화되어 한마당학교의 시간운영에 지침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래 <표 2>에서 제시한 주간학습계획표는 그 구체적인 한 예이다. 한마당학교의 시간표는 점심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각기 다른 성격의 교과목으로 구성되 어 있다. 오전에는 주로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생을 위한 검정고시대비 수업이 이루어지 며, 오후에는 문화체험활동 및 기초소양을 함양하는 데 목표를 둔 수업이 진행된다. 또 저 녁에는 대학입학생들을 위한 보충수업 및 기본학습과목의 수업이 이루어지곤 한다. 한마당학교의 교육과정은 제도권의 정규학교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그 형식과 내용 면에 서 차별성을 드러낸다. 한마당학교에서는 많은 시간을 문화체험활동에 할애하여, 직접 창작 극을 만들거나 영상을 제작하는 시간을 갖기도 하고, 봉산탈춤이나 사물놀이를 배우기도 한 다. 물론 한마당학교에서도 국어와 영어, 수학은 매우 중요시되는 수업이나 일반학교에서와 - 98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오전) 과정1 (오후) 과정2 <표 2> 한마당학교 주간학습 계획(2006년도 2학기) 시간 월 화 수 목 금 토 10:00-1 1:30 13;00-1 4:20 14:30-1 5:50 16:00-1 7:30 (저녁) 18:30-2 과정 3 0:00 고검(과학) 대검(국어) 경제와 나 국어 Ⅰ 1,2,3 문화인류학 영어 Ⅰ 1,2,3 대학반 수업 국어 (18:00-1 9:30) 영어 (19:40-2 1:00) 마음의 통일을 엮어가는 수업 1. 나 찾기 영상기록 작업 2. 사진수업 자치회의 (12:30-13:30) 동북아여행 프로젝트 수업 국어Ⅱ 1,2 3(대학반) 고검 (국어) 대검 (사회) 대학반 (영어) 책읽기, 삶읽기 고검 (사회) 중국어 국사 1,2 대검 (과학) 남북한 사회문 화비교 대학반 수업 영어 회화 (18:00-1 9:00) 영어 (19:00-2 0:30) 수학1,2,3,4 (수준별) 재활용+ 상상놀이 영어Ⅱ 1,2,3,4 세상과 나 -신문활용 수업 영어1,2,3,4 (수준별) 내 삶의 중심에서 문화읽기 1미디어교육 2라디오 방송 제작 수업 행복한 나, 아름다운 세상 -흙작업 수학 미술 (선택) (15:00-1 7:00) 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국어의 경우, 말 혹은 글이 자신 및 외부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일차적 통로라는 점을 중시하여 바른 말과 글쓰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 다른 사람과 의견을 교환하는 방식 등에 초점을 맞춘다. 영어의 경우,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준비 의 성격도 갖지만 그보다는 일상적인 삶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측면이 더 강하다. 수학교과의 경우 검정고시 준비를 위한 오전수업에서는 매우 강조되지만 오후 수업에는 배 정되어 있지 않는 것도 한마당학교 교육과정의 특성을 보여주는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한마당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일상적인 삶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한마당학교가 문화체험 중심 대안학교로 특성 - 99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화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음으로 해서 나타나는 교육과정 구성의 선택과 집중 현 상이라고 할 수 있다. 2. 인적 구성 가. 학생 한마당학교의 학생은 16세부터 24세 사이의 청소년들로 구성되어 있다. 2006년 2월 20 일 기준으로 현재 재학생은 33명(휴학생 7명 포함)이다(표 3 참고). <표 3> 나이와 성별에 따른 학생 현황 나이 성별 16 17 18 19 20 21 22 23 24 계 남 0 0 1 1 2 3 4 0 1 12 여 1 1 6 3 1 1 0 1 0 14 * 2006년 2월 20일 현재 <표 4> 학력별 학생 현황 과정 중학교입학 검정고시 고등학교입학 검정고시 고등학교졸업 검정고시 대학준비반 구분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인원 (포함 휴학생 수) * 2006년 2월 20일 현재 0 6(1) 5(2) 4(2) 5(1) 3(1) 4 6 계 6(1) 9(4) 8(2) 10 한마당학교에 관심을 갖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입학문의를 수시로 하고 있지만 협소한 공간 때문에 학생 수는 대략 30명 안팎을 유지한다. 개교 초기에는 수시입학을 허용하였으 나, 수업진행의 어려움과 기존 학생들의 안정적 수업을 위하여 학기 중간에는 학생을 입학 시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한편 <표 4>에서 나타나 있듯이 대부분의 한마당 학교 학생들은 검정고시를 치르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학교 시간표가 - 100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표 2>처럼 짜여지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마당학교의 학생들은 탈북이라는 공통경험을 지니고 있으나, 그 경로와 처해 있는 상 황은 다양하다. 다수의 탈북학생들은 중국을 경유하여 남한에 입국하지만, 동남아시아를 통하여 입국하는 경우도 있다. 입국 후 하나원 내 하나둘학교에서 3개월 동안 생활한 후 각 학생들의 학력에 따라 전입을 하게 되는데 다수의 학생들이 중도포기를 하고, 각종 대 안학교 형태의 교육현장을 찾게 된다. 많은 탈북학생들이 일반학교에서 중도에 포기하는 이유는 극심한 학력차와 이질감, 그리고 일관성을 결여한 학력인정체계에서 오는 갈등 및 소외감이 가장 큰 이유를 차지하고 있다(이기영, 2002). 한편 그동안은 중국이나 제 3국에서 3~5년 동안 유랑생활을 하다가 입국을 하는 경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탈북 후 두 달 만에 입국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입국경로 뿐만 아니라 한마당학교에 오는 경로 역시 일반학교를 중도에 포기하고 온 학생, 하나원 퇴소 후 곧장 온 경우, 다른 대안학교에 다니다 온 학생,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다 가 온 경우 등 각기 다르다. 이처럼 다양한 입국경로와 입학경로는 학생들이 동일한 현실 에 놓여있지 않다는 것과 학교에 대한 각기 다른 요구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 교사 한마당학교의 교사는 2006년 2월 현재 네 명의 상근교사들과 42명의 시간제 자원교사들 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에 상주하는 교사들은 대표교사 한 명, 학생들의 제반 학교생활을 위한 실제적 지원을 하는 길잡이교사 두 명, 여타의 학교 관련 일을 맡아 하는 살림교사 한 명으로서 학생들과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는 교사들이다. 시간제 자원교사들의 경우 모 두가 한꺼번에 매학기 수업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며, 자신의 일정 및 학생들의 필요를 고 려하여 학기별로 융통성 있게 참여하고 있다. 교사들의 한마당학교 참여경로 역시 학생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양하다. 이들은 언론 매체를 통하여 학교의 존재를 알고 찾아오기도 하고, 이미 학교에서 자원교사로 참여하고 있는 지인의 안내를 받아 오기도 하며, 연구목적의 관심을 가지고 찾기도 한다. 교사들의 연령이나 이력을 보면, 대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문화공연에 관여하는 사람 들, 학원 강사, 전 현직교사, 방송작가, 교수, 외국인 등 매우 다양하다. 이 교사들 중 일부 는 자신의 전공영역을 가르치기도 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과목을 가르치기도 한 다. 이 자원교사들은 대체로 남한 사회의 중간 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이어서 학생들 - 101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에게 모델링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본의 아니게 상대적 박탈감을 갖게 하기도 한다. 그러 한 점에서 한마당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뒤 후배들을 가르치러 오는 졸업생 교사 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학생들은 자신들과 동질적인 경험을 가졌으면서도 사회적으로 인 정받는 대학생이 된 졸업생 교사들에게서 가장 가까운 미래에 자신들이 성취해야 할 모습 을 발견한다. 졸업생 교사들 역시 후배들의 그러한 기대와 관심에 부응하여 자원교사 활동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곤 한다. 안정된 재정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운영되는 한마당학교에서 자원교사들은 학교의 존립 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인적자원이다. 더불어 교사들의 자발적 책무성은 학교운영 을 가능하게 하고, 보다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때문에 학교에서는 교사들이 서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수업 노하우 및 교육에 대한 목표의식을 공유하게 하기 위하여 공부모임 및 워크샾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한다. Ⅲ. 한마당학교의 적응교육 실제 한마당학교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적응교육의 개념은 교육목표에 근거한 적응교육과정, 교육과정 구성방식, 구성원들의 관계형성의 방식에 스며들어 있다. 이하에서는 한마당학교 에서 추구하는 적응교육의 방향을 정리하여 제시해 보고, 그러한 교육의 틀 속에서 구성원 들은 실제 학교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적응교육과정 한마당학교는 탈북청소년들의 남한사회 정착을 지원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설립된 민간단체 주도의 미인가 대안학교이다. 때문에 한마당학교는 교육의 대상과 목표의 측면에 서 제도권의 일반학교와는 차별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한마당학교의 학생은 탈북이라는 경 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학교의 목표를 적응 에 일차적 초점을 맞추게 하고 있다. 따라서 한마당학교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에는 적응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 적응의 개념은 한마당의 교육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방식을 이끌어 나가는 틀이 되고 있다. - 102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한마당학교의 구체적 교육목표는 적성과 소질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면서 자기다움을 찾 아가기, 타인의 다름과 차이를 배려하는 말과 태도, 행동을 일상 속에서 훈련하기 로 표현 된다. 이는 한마당학생들이 현재 처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이자 그들의 적응방식 에 대한 기획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공식적 교육목표는 뚜벅뚜벅 세상 속으로, 사 뿐사뿐 세상 밖으로 라는 표현으로 축약되어 구성원들의 학교 일상 속에서 회자되고 있다. 뚜벅뚜벅 세상 속으로, 사뿐사뿐 세상 밖으로 라는 공식적 교육목표는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당당함이 타인에 대한 유연한 태도와 주체적 수용자세를 형성할 수 있다 는 교육신념을 담고 있다. 당당함을 표현하는 뚜벅 뚜벅 과 유연함을 표현하는 사뿐사뿐 은 각기 주체적이고 건강한 관계맺기를 할 수 있는 인간의 양태를 나타내는 비유적 표현으 로서 한마당학교의 적응교육의 방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마당학교가 설정하고 있는 한마 당학교의 적응교육은 남한사회로의 일방적 순응에 역점을 두기보다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 기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고 그에 기초하여 외부세계와의 관계성을 올바로 정립하 도록 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한마당학교의 또 한 가지 특징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민주적 학교를 표방한 다는 점이다. 실제로 한마당의 학생들은 학교 수업에 대한 요구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드러 내고, 교사들은 그러한 요구와 의견을 교육과정 및 학교운영 방향에 반영하고자 노력한다. 학생들의 의견은 매일 이루어지는 교사와의 회의시간에 공식적으로 논의되기도 하고, 교사 에게 개별적 상담을 함으로써 비공식적으로 전달되기도 한다. 한마당학교의 민주성은 교사 와 학생의 관계형성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한마당학교의 주요 구성원인 학생과 교사는 모 두 자발적인 참여자이다. 그러한 점에서 교사와 학생은 동류의식을 가지며,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압도하는 분위기를 최대한 형성하지 않도록 노력한다. 단적인 예로, 매학기 시간표 에는 항상 자치회의 시간이 있어서 학교의 크고 작은 일을 함께 의논하여 처리하는 시간 을 공식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암묵적 교육과정으로서 학생들로 하 여금 주인의식과 더불어 책임의식을 갖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한마당학교의 대안성 은 위에서 살펴 본 적응교육의 목표와 그것을 전개해 가는 교육 과정, 그리고 일상적 삶 에서 구체적으로 찾을 수 있다. 한마당학교의 대안성은 첫째, 학생 개개인을 적응의 주체로 인정한다는 점, 둘째, 집단적 사회적 요구와 개인적 요구의 조화를 도모하되 전자에 의해 후자가 압도되지 않도록 한다는 점, 셋째,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이 역동적이고 유연하다는 점, 넷째, 일상적 삶과 교육목표 간의 괴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 - 103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한마당학교의 대안성은 학교 구성원들의 의식적 노력을 통하여 형 성되어가면서 한마당학교 구성원의 특질을 구성해 내는 토대 역할을 하고 있다. 2.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가. 문화예술활동중심 교육과정 한마당학교에서는 일과 놀이, 그리고 학습을 분리하지 않으며, 문자를 통해 추상화된 학 습보다는 구체적인 체험을 통한 학습을 중시한다. 아래 글은 한마당학교 대표교사의 글이다. 직접 체험은 내 몸이 구체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고 타인을 이해하고 인정하는데 아주 중요 한 기초가 됩니다. 배움은 각각의 독특한 사람과 사물과 관계들을 그대로의 모습으로 이해하 고 인정하는 삶의 방식을 연습하는 것입니다. 배움은 머리로 외우고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온 몸으로 느끼는 것입니다. 공책에다 베껴 쓰면서 교실에서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현장에 서 내 몸이 직접적으로 체험하는 것입니다. (한마당학교 홈페이지에서 발췌) 한마당학교에서 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문화예술활동을 편성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 서이다. 문화예술활동을 이해하고 직접 참여하는 일은 학생들로 하여금 잠재되어 있던 역 량을 발휘하도록 하고, 자긍심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처럼 한마당학교에서 의 배움은 단기적이고 현실적인 목표를 추구하기보다는 인간의 지속적인 성장의 자양분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마당학교의 교육적 지향은 이념적으로 양극적인 지점에 서 생활했거나 생존을 위해 극한 상황을 견뎌야 했던 학생들이 남한에서 이방인으로서 생 활하면서 필연적으로 느낄 수 있는 위축감과 소외감을 극복하고자 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 이 있다. 한마당학교의 매학기 주간학습계획표를 살펴보면 문화예술활동을 필수과목으로 설정해 놓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한마당학교의 대표교사는 한마당학교에서 이러한 문화 예술활동을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에 편성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우리가 아이들에게 이런 것들을 해보도록 하는 건 문화자본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거나 전 문적인 예술가를 키우는 데 있는 건 아니죠. 그게 아니라 그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신 안에 잠재된 능력을 발견하고 그러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긍지를 가지게 되면 주눅 들어 있고 멀리 바라보지 못하고 바로 앞날만을 걱정하는 근시안적인 태도에 벗어나 자신을 위해 뭔가를 - 104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모색할 수 있을 것 같아서지요. 그런데 이거는 직접 몸으로 해보지 않고서는 모르잖아요. 그래 서 하기 싫다는 놈들도 붙들어 놓고 일단 시켜 보는 거예요. (2006. 1. 14. 박정훈 교사와의 면담에서) 위 대표교사의 언급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마당학교의 교육과정이 문화예술활동으로 구 성된 것은 대표교사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결과이다. 대표교사가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하면 서 얻게 된 체험이나 신념은 자신이 실질적 운영을 맡고 있는 한마당학교 현장에서 교육활 동으로 전환되어 실천되고 있다. 대표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연극을 기획하고 참여 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계의 인맥을 활용하여 전문가들을 자원교사로 초빙해 온 다. 때로 몸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던 학생들의 반발도 없지 않아 있지만, 이 영역에서만큼은 학생들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몇 번의 고비를 겪으면서 학생 들은 공연 참여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참여와 체험의 순환적 강화 구조 속에서 보 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음은 2005년 한 해 동안 학교에서 마임의 전문 가로부터 수업을 받은 한 학생의 수업회고기이다. 예사롭지 않은 선생님의 몸짓에 나는 옷깃에 물이 스며들 듯이 빠져들었다. ---<중략>---또 한 이 수업에 참여하면서 나는 무거웠던 마음을 날려버리듯이 가벼웠고 즐거웠다. 음악소리와 함께 마음을 움직여 자신도 모르는 춤이 표현될 때도 그 어떤 춤가락 보다 좋았다. (2004. 12. 이대윤 ꡈ 더 크고 싶은 아이들4 에서 발췌) 위 학생의 회고기에 언급되어 있듯이, 몸을 통한 자기표현은 낯선 남한생활 속에서 갖게 되는 긴장감과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문화 체험활동중심 교육과정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각종 단체에서 주최하는 행사참여나 봉사활동 참여를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서울시에서 주최하는 트리만들기 경연 대회 참여, 고아원 봉사활동 및 독거노인들에게 도시락을 배달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 등 이 그 예인데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에게 일차적 사회참여의 의미를 가진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자리를 찾는 데 자신감을 가지기도 하고, 타인을 돕는 일을 함으로써 남한사회에 자신들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도 한 다. 한마당학교는 적응에 목표를 두고 있는 만큼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화예술프로그램과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 105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나. 유연한 교육과정 한마당학교의 교육과정에는 적응교육의 대안성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접근하고자 하는 교사들의 의도와 개별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가 함께 함축되어 있다. 주체적이고 조화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적응교육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교사들은 교 육과정 운영에 있어서도 위에서 언급한 문화예술체험이나 봉사활동 등 학생들이 적극적으 로 참여할 수 있는 교과목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학생들 역시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정고시합격에 도움이 될 만한 교과목을 운영하 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한마당학교가 풍부한 선택지를 가지지 못하는 탈북청소년의 요구를 단호히 외면하는 일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때문에 설립당시 문화적응 대안학교를 표방하면서 시험공부를 위한 수업을 하지 않을 것을 원칙으로 삼은 바 있지만, 현재 검정고시 준비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있다. 위 에서 제시한 <표 2>의 주간학습계획표는 학생들의 요구와 학교의 지향이 일정한 수준에서 타협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표 1>에서 제시한 바 있듯이, 한마당학교의 교과목은 다섯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것은 다시 성격상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제도적 편입을 위한 전략적 수업과 기초소양 을 쌓기 위한 필수 수업이 그것이다. 대표적인 전략수업은 오전에 이루어지는 검정고시 준 비 수업이다. 검정고시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학생들 일부는 오전시간뿐만 아니라 모든 교 과를 한시적으로라도 검정고시 위주로 편성해달라는 요구를 하기도 한다. 다음은 검정고시 를 앞두고 있는 한 학생이 시간표 구성에 관하여 불만스럽게 이야기한 내용이다. (시간표에 나타난 특정시간표를 가리키며) 우리가 지금 이런 수업한다고 귀에 들어오지 않 습니다. 마음 불편하게 어찌 이 수업을 듣고 있습니까? 이런 거 말고 우리 시험준비나 더 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2005. 3. 17. 김세은과의 면담내용 중에서) 학생들은 검정고시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하여 학교에 시험준비반 편성을 강력히 요구하 지만, 정작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들이 시험준비를 위한 다른 과 목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했던 기초소양교육이나 체험학습에 더 흥미롭게 참여한다. 학생들 의 검정고시 수업에 대한 요구는 그들이 갖는 불안감의 크기와 더불어 내면에 잠재되어 있 는 지위상승 욕구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 106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학교의 설립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검정고시 준비수업이지만 학교 교사들은 수업운영의 방식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또 다른 체험을 갖도록 시도함으로써 두 성격의 교과목들이 실 제에서 괴리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예컨대 검정고시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새 로이 체험하는 바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학생 개개인의 적응 동력이 되도록 이 끌어 주는 것이 그것이다. 검정고시 전 약 한 달 가량 학생들은 매주 토요일에 학교에서 밤을 새며 시험공부를 하고, 이들의 수업을 담당했던 교사 역시 학생들과 밤을 새우며 개 별지도를 한다. 밤샘공부는 멀리 통학하는 학생들이 시험을 앞두고 시간절약을 할 수 있도 록 배려한 것으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시간이 가면서 학생들과 교사들은 이 시간을 달리 의 미화해 간다. 다음은 밤샘공부를 한 후 느꼈던 바에 대한 한 학생의 이야기이다. 내가 대단한 사람이 된 것 같이, 정말 학생이 된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내, 밤잠 많단 말 입니다. 밤에 야식먹는 재미 때문인지, 뭐 때문인지 어쨌든 책상 앞에 있다가 동이 터오는 걸 보니 대단한 일을 한 것 같단 말입니다. (2006. 3. 20 이대윤과의 면담내용 중에서) 학생들에게 밤샘공부는 그 효율성보다도 그들의 것이 될 수 없을 것 같았던 체험을 했 다는 것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북한 탈출이후 남한에 입국하기 까지 긴 시간을 유랑 및 도피생활로 꾸려온 그들에게 공부와 관련한 새로운 종류의 체험은 자신감과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교 교사들은 다른 교과목에서 이러 한 체험을 학습 소재로 다루곤 한다. 여타의 다른 제도적 틀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황에 있는 한마당학교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점과 요구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타협할 수 있는 여지 를 가지고 있다. 다. 일상에 근거한 순환적 교육과정 한마당학교는 작은 학교이며, 학교 일에 관한 의사결정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교 육과정의 개정 혹은 수정 보완 역시 필요성이 제기되면 새학기가 시작될 때 작업을 하여, 곧바로 조정을 할 정도로 신속하게 처리된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개정은 학교에서 일어나 는 크고 작은 문제사태에 접근하고자 하는 하나의 노력으로서 한마당학교의 현실적 과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한마당학교의 교육과정은 일상을 교육에 반영하고, 반영된 교육 내용을 일상화하는 순환적 구조 속에서 지속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 107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한마당학교에서 공동체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덕목을 배려 라고 정하고, 다양한 차원의 구체적 실행지침을 마련하여 일상 속에서의 실천을 시도하고 있는 것도 일상적 필 요가 교육과정에 반영된 바이다. 구성원들 간에 지켜야 할 세부적인 실행지침은 좁은 공간 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규칙에서부터 수업맥락을 흐트러뜨리지 않기 위한 규칙, 나아가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규칙에 이르기까지 그 스펙트럼이 넓다. 우선 생활공동체 형태를 띠고 있는 한마당학교에서 자기가 사용한 물건에 대한 뒤처리 는 자신이 스스로 하기, 청소당번과 식사당번은 그 책임을 다하기 등은 매우 엄격하게 요 구된다. 한마당학교 초기에는 순번대로 식사당번을 정하여도 남학생들이 음식을 만들고 설 거지를 한다는 것에 대하여 강하게 저항하는 바람에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집단적 갈등 이 생기기도 하였다. 학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 역할의 변화에 대한 강좌를 한 학기동안 개설한 바 있다. 작은 학교에서 교사의 행동은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사들 역시 학생들이 따르는 생활규칙을 학교 내에서 따르고자 노력 한다. 한편, 한마당학교는 일반학교의 규칙과 제도가 학생들의 자율성을 압도하는 상황을 지양 하고자 하지만 교육공동체 형성까지 저해할 수 있는 학생들의 무책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고자 한다. 무책임에 대한 이러한 단호함은 일차적으로 학교 운영을 위한 것이지만, 나아가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존중받으며 살아가는 데 필요한 생활방식을 안내하는 일이 기도 하다. 한마당학생들이 학교 구성원들과 밀고 당기고, 친숙해지고 때로 갈등하는 과정 은 넓은 맥락의 남한 사회의 삶을 체험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3. 구성원들의 관계형성 방식 가. 교사: 트임을 향한 기다림 탈북청소년들에게 주변사람들과의 원활한 관계 형성은 남한사회에서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그 출발점은 교사와 학생의 만남에서 시작된다. 한마당학교에 오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남한 사람들과 다른 입지를 가진 사람이라는 자기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상대적 박탈감 및 고립감을 느끼곤 한다. 이러한 가운데 학생들은 현 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주도적 기획을 포기 하는 등 소극적이고 비참여적인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교육장면에서 훌륭한 교사는 항 - 108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상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필수적 존재이지만, 부정적 자아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심층적 으로 이해하고 긍정적 자아감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는 역량있는 교사가 한마당학교에서는 더욱 더 필요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특수한 경험과 그들이 처한 현실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한다. 다음은 연구자가 한마당학교에서 수업 을 맡은 지 한 달 정도 된 즈음의 수업시간 장면이다. 커텐을 치고 책상을 배열한 후, 수업을 시작하려 하는데 세은이는 자리를 잡더니 책상에 엎 드린다. 연구자: 세은아, 어디가 아파? 영준이: (세은이를 보며) 선생님이 뭐라 하면 좀 일어나 봐라. 세은이: (얼굴을 잔뜩 찡그리며 고개를 들어) 아니, 아프다는데 오빠가 무슨 상관이야? (책상 위의 공책을 들어 내리치며) 정말 오나가나 신경질 나 못살겠다. 연구자: 세은아, 오늘 정 몸이 아프면 차라리 방에 가서 편히 누워 있어라. 세은이: (빠른 말투로) 됐습니다. 말하기 싫어하는 아이를 왜 자꾸 말 시킵니까? 그러면 엄청 짜증납니다. 연구자: 그럼, 편한대로 해. 그런데 왜 그렇게 화가 나 있어? 세은이: 다 싫습니다. 이런 공부는 왜 합니까? 내가 이런 공부를 어디다 써 먹겠다고. 영준이: (낮은 음조로 혼잣말 하듯이) 검정고시 보고, 대학도 가고 하려고 하는 거잖아. 세은이: 거 말 같지 않은 소리 하지 마라, 오빠는. 영어 단어 하나 모르는 우리가 대학에 가서 무슨 공부를 할 수 있는가 생각해 봐라. 놀림거리나 되기 십상 아니네. 연구자: 세은아, 많이 힘들어. 공부하는 거? 세은이: 선생님처럼 남 앞에서 가르칠 수 있는 사람들은 내 맘 잘 모릅니다. 연구자: 제일 힘든 게 뭔데?. (세은이는 아무 대답을 하지 않는다) 영준이: (세은이를 보고 있다가 잠시 후) 선생님, 중국에 있을 때는 하루하루 붙잡힐까봐 겁나 서 마음조이며 살았는데도 살기 싫다 라든가 마음이 이렇게 힘들거나 그러지 않았거든 요. 그런데 여기 와서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2005. 3. 16 국어수업시간 장면 중에서) 위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즈음 열일곱 살인 세은이는 중입검정고시를 준비하고 있는 상 태였다. 열일곱 살의 나이에 중학교 입학자격을 얻기 위하여 시험을 치러야 하는 상황과 그마저 합격하기 어려운 상황은 남한사회에서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상 실감을 갖게 하며 그러한 감정은 다시 자신을 구성하는 탈북의 경험을 비관적으로 인식하 게 한다. 위 수업을 마무리하면서 자신의 마음 속 이야기를 쓰라고 한 노트에 세은이는 다 - 109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음과 같이 적는다. 죽고 싶다. 아파트 19층에서 뛰어내리고 싶고, 노래방에 가서 실컷 소리도 치고 싶고, 엉엉 울고 싶기도 하다. 나는 왜 여기에 있을까?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 나는 나중에 태어나면 꽃 이 되고 싶다. (2005. 3. 16. 세은의 노트 내용 중에서) 이처럼 학생들은 흔히 남한사람 과 탈북자 라는 범주화를 통하여 자신들이 참여하여 역 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은 극히 제한되어 있거나 없다고 생각하며, 그 과정에서 생기는 감 정을 교사에게 직설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이러한 경험을 가지고 있 으며 이에 대하여 당황스러워하면서도 학생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데 필요한 하나의 절차 로 간주하고, 학생들이 마음의 문을 열어줄 때를 기다린다. 그러나 때로 교사-학생간의 첨 예한 갈등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 학생과 교사 모두 마음의 상처를 입어 학생 이 학교를 휴학하거나 교사가 학교를 그만두기도 한다. 다음은 연구자가 수업태도를 지적 하는 상황에서 아이들이 말꼬리를 이어 다른 교사와의 갈등장면을 이야기 내용이다. 하연주: 이렇게 처음에 껌을 씹었어요. 누가 껌을 줘서. 수업시간에 껌을 씹으면 안 되죠. 그런 데 뱉을 데가 없어서 입에다 물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한참 있다가 너 내말이 말 같 지 않아? 빨리 뱉어 이러는 거예요. 그래서 학습 중에 종이 쫙 찢어서 뱉었는데, 우리 가 그 전에 시험을 보았어요. 공책에. 이렇게 뜻을 써 놓고 우리가 단어를 쓰거나 단 어를 쓰고, 뜻을 쓰는 거요. 그런데 저는 아버지, 어머니 father, mother는 읽을 줄 알아 도 쓸 줄을 모르거든요. 옛날에는 다 알려주고 그래서 선생님한테 물어봤어요. 아버지, 어머니 스펠링이 뭐냐고. 영선이: 아니다. 너 그렇게 안 물어봤다. 부모가 스펠링이 뭐냐고 물어봤지. 복란이: 그래, 부모가 스펠링이 뭐예요? 그랬다. 그랬더니 내가 여기 부모라는 말 쓴 적 없 다 이래서 아버지, 어머니가 뭐예요 이렇게 물어보았더니 뭐라는 줄 알아요? 너 진 짜 그거 몰라서 물어봐? 하는 거예요. 예. 나 몰라서 물어봐요. 그랬더니 니 모르는 걸 내가 왜 가르쳐줘 이래서 내가 열 받아서 (책을 둥그렇게 말아쥐면서) 이거 책 다 굽혀가지고 있잖아요, 가방 안에다 여었거든요. 그랬더니 공부하기 싫으면 나가 이래 요. 아니 내가 뭐 그 선생님 놀리려고 그랬어요? 진짜 내가 스펠링을 몰라서 그랬는 데. 야, 어제 난 진짜 황당했어요. 기분도 나쁘고. 나는 선생님이 그럴거면 처음에 시 작하면서, 아는 거 아는 대로 하고, 모르는 건 그냥 넘어가도 좋아 이렇게 하면 좋은 데 이제까지 다 물어봐서 했거든요. 선생님, 학생이 뭐예요?, 가방이 뭐예요? 이렇게 물어보았는데, 내가 아버지, 어머니는 장난으로 물어보았겠어요? 막 그러니까 내 생각 - 110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에는 커다란 것이 나이 그렇게 쳐먹고 그것도 모르니 하는 식으로 생각이 되었어요. 어제는 그런 기분이었어요. 영선이: 그거 진짜 내가 들어도 열 받았어요. 선생님이 뭐 그런 게 다 있니, 그래. (2005. 10. 25. 국어수업시간 장면 중에서) 위의 경우에서 보듯이 학생들은 자신들의 자존감에 상처를 입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며, 교사에 의하여 그러한 상황이 벌어지는 경우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고 감정을 공유하는 경 향이 있다. 갈등상황이 발생하면 상황을 해석하는 데 교사와 학생의 구분보다는 남한사람 과 탈북자 라는 구분이 더 강하게 작용하곤 한다. 한편 한마당학교에 오는 자원교사들 역시 학교활동에 참여하면서 구성원으로서의 목표 의식을 갖게 된다. 교사들은 각기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한마당학교 에서 활동하게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통적으로 학생들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일차 적인 목표를 두게 된다. 교사에게 학생들과의 관계는 제도적으로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스 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며 그 성패에 따라 교사로서의 활동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음은 한마당학교에 오는 대학생 자원교사가 학생들과의 관계형성 과정에 대한 느낌을 써 놓은 글이다. 학교에 나간 지 두어 달 즘이 흘렀을 무렵, 아이들과 어설프게나마는 친해진 상태였지만 나 는 내가 품고 있던 궁금한 점 하나조차 묻지 못하고 있었다. 혹시라도 아픈 상처를 건드리거 나, 내가 짐작하기 힘든 실수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궁금한 것이 있어도 꾹 참고 삼키거 나, 나중에 다른 선생님들에게 살짝 물어보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전부라고 생각했었다. 이 런저런 뜬소문이나 주의사항을 들은 탓에 아무래도 조심스러워 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같 이 밤새 공부하며 가까워진 그날, 집에 오는 길에 묻지도 않았는데 한국에 오기까지의 과정을 이야기해 주고 첫사랑 이야기를 해주고 첫 키스 경험을 들려주고 들어주는 그 때에, 아버지가 참 미웠다고 아버지 없는 지금이 행복하다고 말해 주던 그 때에, 나는 내 어깨에 있던 짐 한 꾸러미가 확 벗겨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기쁘고 고마운 마음에, 정말 친해진 듯한 기분에 마음이 둥둥 떠다니던 그날 밤은 트임 이라는 말과 딱 어울리는 날이었다. (이미영, 영상발표회 및 평화 심포지엄 자료집, 2005. 11에서 발췌) 위 글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들과의 트임 을 매우 귀중한 체험으로 생각한 다. 교사들은 각기 길고 짧은 학교생활을 통하여 학생들과의 트임 을 체험하지 않고서는 심 층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없음을 알아가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한편으로는 다가 - 111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서고 한편으로는 그들이 마음을 열기를 기다리면서 한마당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탐색해간다. 나. 학생: 거리두고 기다리기 한마당의 학생들은 대부분 한마당학교 입학 이전 하나원이나 탈북자집단을 통하여 서로 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남한의 또래들과 어울릴 기회가 많지 않아 교우 관계의 폭이 주로 학교 내, 혹은 탈북자집단 내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다음은 연구자가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수업을 하는 중 학생들과 나눈 이야기이다. 연구자: 우리의 언어적 뉘앙스, 그리고 우리는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몸에 배어 있는 습관적 행 동들은 우리끼리 의사전달을 하는 데 큰 역할을 해요. 그런데 그것에 익숙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우리 의도와는 상관없이 엉뚱한 뜻으로 전달될 수도 있어요. 김영신: 나도 여기서 그런 거 좀 느꼈습니다. 여기 있는 우리끼리 이야기할 때는 하나도 신경 쓰이지 않는데 남한 사람들하고 섞여 이야기할 때는 좀 불편합니다. 최진영: 여기서 친구하나를 사귀었는데 그 아이의 친구들과 함께 모인 자리에서 무슨 이야기 를 하다가 저보고 너는 참 많이 다르구나 라고 얘기를 하는 거예요. 그 순간 내가 너 무 초라한 것 같았고 부끄럽고 창피했어요. 내가 따라가기에 그 아이들은 너무 많은 걸 알고 있는 것 같았어요. 연구자: 물어보지 그랬어. 진영이가 생각한 것과 다른 대답이 나올 수도 있었을지도 모르잖아. 김영신: 선생님, 그런걸 뭐 말로 물어봅니까? 그냥 알아차려야지. 우리는 북에서 왔으니 여기 있는 자기들하고는 잘 안 맞는다는 거지요, 뭐. (2005. 3월 국어수업시간 장면 중에서) 이처럼 학생들은 자신들의 다름 을 부족함 으로 인식하면서 다른 집단에 대하여 쉽사리 다가가지 않는다. 탈북청소년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외부인과의 접촉을 불 안하게 생각하며, 얼마간의 거리두기를 한다. 이러한 거리두기는 학교 교사에 대하여서도 암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새로운 교사에 대하여서 학생들은 수업 및 수업 외 장면에서 탐색을 하며 자신들의 기대수준을 준 거로 하여 좋은 선생님 을 범주화한다. 다음은 학생들이 어떤 교사에 대하여 신뢰를 보내 는가를 살펴 볼 수 있는 관찰기록 내용이다. (국립청소년 수련원에 1박 2일 일정으로 먼저 가 있던 학생들과 나중에 합류하러 간 박정훈 교사가 만나는 장면이다) - 112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세은 : (강의실에서 만들기 수업을 하고 있는 중에 교실 밖에 와 있는 박정훈 교사를 발견하 고 걸어 나오며 눈을 크게 뜨며 웃는다) 왜, 이제 오십니까? 얼마나 기다렸는 줄 아십 니까? 박정훈: (웃으며) 맨 날 큰소리만 치는 날 왜 기다려? 영선 : (박정훈 교사의 팔짱을 끼며) 뭐, 그런 섭한 말을 하십니까? 우린 진짜란 말입니다. 박정훈: (웃으며) 그래, 자주자주 이렇게 좀 해야 하겠네. 참, 있을 때 잘 하라니까. 세은 : 선생님이 없으니까 재미 하나도 없습니다. 박정훈: 그래, 말이라도 고맙다. 선생님도 들어 갈 테니까 너희도 얼른 들어가 마저 해. 학생들의 좋은 선생님 에 대한 범주화 기준 중 가장 전경에 나서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 도 자신들의 보호자가 될 준비를 하고 있는 교사이다. 학생들이 대표교사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감정은 그동안의 생활 속에서 경험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신뢰는 단기간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교사들이 학생들과 맺는 관계의 양상은 그 깊이와 양상에 있어서 질적인 차이를 내포하고 있다. 한마당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형성은 대부분 교사의 다가섬으로 시작되며, 학생이 이를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은 개별적이 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은 학생들이 학교 밖 구성원들과의 관계형 성을 하는 방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Ⅳ. 한마당 적응교육의 의미 한마당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은 그 목표설정과 교육과정 구성을 통하여 이루어지 는 적응교육의 한 선택지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일련의 활동 속에서 관점과 태도를 변 화시키며, 나아가 남한사회에서의 적절한 삶의 전략을 터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삶의 전략을 개정해 나가는 과정은 한마당 적응교육의 의미와 깊은 관련을 가진다. 남한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가야 하는 과제를 가진 학생들은 일종의 생존전략을 갖는데 가장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숨기기 전략이다. 낯선 땅에서 낯선 존재로 살아 간다는 것에 대하여 가지게 되는 두려움은 자신을 숨기는 방식을 일종의 적응전략으로서 택하게 한다. 이러한 적응전략은 남한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어서 그러 한 숨기기는 때로 남한사람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내포하고 있다. 다음은 한 선교단체의 - 113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도움으로 입국하게 된 학생이 입국 초기에 자신이 접한 남한 사람의 태도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제가 못되어서 이런 생각을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뭐, 이런 게 있나 싶더라구요. 제가 처음에 입국해서 인천 어느 교회에서 살았어요. 저랑 같이 들어온 아이들 몇몇이랑. 예배를 보 거나 할 때 우리가 항상 참여하고, 목사님도 우리를 따로 불러서 여기까지 온 너희들은 참 강 한 아이들이다. 앞으로도 그렇게 꿋꿋하게 강인하게 살아나가야 한다 라고 자주 말씀하셨어요. 처음에는 정말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그 목사님한테 딸이 하나 있었어요. 그 목사 님은 항상 우리에게는 강인하게 살라고 해 놓고, 자기 딸은 아주 온실 속의 화초처럼, 공주처 럼 키우는 거예요. 우리는 뭐, 북한에서 못살아서 여기 온 사람들이니까 자기 딸하고는 부류가 다른 사람으로 보고 있는 거 아닙니까? (2005. 7. 18. 하연주와의 면담내용 중에서) 위의 이야기에 나타나 있듯이 탈북청소년들의 숨기기 전략은 남한사람들과의 상호교류 속에서 타인이 자신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를 짐작함으로써 나타난다. 다음 내용 또한 학 생들이 자신에 대한 타인들의 시선을 특정한 방식으로 경험한 예이다. 한번은 돈을 벌기로 마음먹고 구인장을 보고 한 음식점에 들어간 적이 있다. 사장 아저씨는 내 말투를 들어보시더니 단번에 연변에서 왔느냐고 물었다. 나는 순간 당황하여 강원도에서 왔다고 말해버렸다. 그랬더니 아저씨가 신분증을 보자는 것이었다. 나는 신분증을 보여줬다. 그러나 그 사람은 못믿는 얼굴로 사람을 구했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나는 얼굴이 빨개서 나와 야 했다. 집으로 돌아오는 동안 중국에서와 같이 속여야 한다는 상황에 눈물이 났다. (2004. 6. 최금옥의 글쓰기 노트에서 발췌) 대부분의 한마당 학생들은 탈북이라는 이력을 상처 및 부정적인 경험과 연결시켜 생각 한다. 그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두 가지 방향의 행동방식을 택한다. 하나는 북한말 쓰 지 않기, 자신의 이력을 고쳐 말하기 등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는 것이고, 다른 하나 는 남한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고 행동반경을 탈북자 커뮤니티 안으로 한정하는 것이다. 어떤 것이든 학생들의 숨기기 전략은 남한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 자신의 자존감을 지켜내 기 위한 생존전략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교 교사들은 남한사람들의 탈북자에 대한 관점을 피동적으로 수용하고 적극적 대면을 회피하는 숨기기 전략이 부정적인 자아를 암묵적으로 고착화시켜 지속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이유로 교과구성을 통하여, 일상적인 담화를 통하여 그들이 - 114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소중한 존재임을 끊임없이 느끼고, 이야기하고, 자기 드러내기 연습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작용을 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간의 트임 이다. 그리고 이러한 트임의 확인은 일상적인 수업시간보다도 현장체험학습이나 다큐멘터리를 함께 만드는 과정 에서 잘 이루어진다. 특히 한마당학교에서 자주 시도하는 학생들의 삶의 경험을 다큐멘터 리로 제작하는 과정은 교사들에게는 학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학생들에게는 감 추어 두었던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목소리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자기 성찰의 계기를 제 공한다. 교사와 학생간의 이러한 트임은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있어서 질적인 변화를 갖게 하고, 그러한 변화는 수업시간,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러한 트임은 직접적 대면을 통한 상호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한마당학교의 적 응교육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마당에서 배우고 느낀 것들이 자기를 드러내는 데 필요한 자양분이 되고 있음을 다음 이야기를 통해서 짐작할 수 있다. 저는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한마당학교 선생님들을 만난 것이. 사실 처음에 한마당학교에 올 때는 선생님이 한 번 같이 해보지 않겠느냐고 해서, 머뭇거리다가 왔거든요. 이게 잘 하는 일인가 하고. 번듯한 학교 놔두고 이런 데 오는 것이.... 그런데 저희가 여기 와서 힘들잖아 요. 그런데 선생님들이 영화도 보여주시고, 밥도 사주시고 하면서 이런 저런 고민을 들어주시 고 좋은 이야기를 해 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중략)---이전에는 다른 애들이 나를 어 떻게 볼까 하는 것에 지레 주눅이 들어서 걔네는 왜 그런가 하고 원망아닌 원망을 했는데 지 금은 제가 먼저 난 너를 이렇게 생각했었다. 그런데 지금은 이러이러하다 라고 이야기를 하면 아이들이 그랬느냐고 놀라요. 자기들은 우리들을 잘 몰라서 혹시 실례가 될까봐 그런 것이었 다구. 생각해 보니까 우리도 고쳐야 하겠더라구요. 남이 어떻게 해주기만 바랄 것이 아니라 우 리가 먼저 다가가면 열고 받아 주더라구요. 한마당학교에서 자꾸 앞에 나서는 기회를 만들어 주고 하니까 그런 용기를 배운 것 같아요. (2006년 8월 19일 최금옥과의 면담내용 중에서) 위 학생이 이야기에서 엿볼 수 있는 것처럼, 한마당학교의 교육은 단기간 내 열매 거두 기 의 성격보다는 장기적 기획인 씨앗 뿌리기 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학교의 뚜 벅뚜벅 세상 속으로, 사뿐사뿐 세상 밖으로 라는 교육목표는 정작 한마당의 울타리 안에 있을 때보다 학교를 졸업하고 또 다른 사회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행동방식에 영 향을 미치곤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이 항상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 여전히 학교 밖의 누군가를 경계하기도 하고, 학교 안에 머물기를 좋아하는 학생들도 다수 있다. 또 학교 교육과정에 큰 의미를 부 - 115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여하지 못하고 다른 대안학교로 전학을 하는 학생들도 있고, 교사를 비난하여 학교를 자퇴 하는 경우도 있다. 교사들은 처음에는 이러한 사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였지만, 이러한 일을 몇 번 겪고 난 후 상호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불미스러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학생 들과 학교 운영에 관하여 터놓고 논의하는 시간을 늘리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 학 교에 불만을 가지고 자퇴를 한 학생에 대해서도 스스로 다시 돌아오기를 원할 경우 재입학 의 기회를 준다. 이처럼 한마당학교의 적응교육은 다양한 체험을 하게 하되 낙숫물이 바위 를 뚫듯이 학생 스스로 그 경험을 의미화 할 때까지 기다리는 교육 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마당학교에서 교육의 이름으로 수행했던 매일의 일상과 특별 프로그램 등은 학생들의 학교 밖 일상과 연합되어 그들을 성찰하도록 자극하고, 행동방식을 구성해 가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로는 상처를 받기도 하고, 때로는 좌절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드러낸 자신을 타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기를 함으로써 적극적인 자기발전 및 관계 맺기의 의욕을 갖기도 한다. 한마당학교의 교육의 의미는 그러한 측면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지금까지 한마당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구성원들의 관계형성 방식, 그리고 학생들 이 남한사회를 체험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마당학교의 적응교육은 일반 공교육과는 다른 물리적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나름의 지향을 가지고 그 대안성을 구성해 내고 있으 며 그 핵심에는 적응에 대한 독특한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 우선, 한마당학교의 적응교육은 개별적 경험을 존중하는 데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한마 당학교에서는 학교 학생들을 남한 사회에 정착한 소수자 집단으로 규정하기보다는 가능성 을 가지고 있는 한 개별인간으로 본다. 때문에 학교 내부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질 성에도 초점을 맞추어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그 과정에서 자신 의 능력을 탐색해 갈 수 있도록 안내해주고자 한다. 다음, 한마당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주체로서 적응의 과정에 참여하도록 안내한다. 개별학 생이 외부의 요구가 아닌 자신의 주체적인 의지에 의해 상황을 해석하고 그 안에서 적절한 - 116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방법을 모색해 나가도록 독려하고 또 기다린다. 학교가 제공하는 다양한 참여적 프로그램 은 그러한 기획을 담고 있다. 학생들이 다양한 사회 문화적 활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스 스로의 관점을 성찰하고 또 재구조화해 갈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한마당학 교에서의 적응교육은 학생들의 삶의 방식과 필연적으로 괴리되어야 하거나 단절함으로써가 아니라 연속적인 삶 속에서 남한사회의 경험을 주체적으로 통합시켜가야 한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응교육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학생들이 야기하는 다양한 문제사태에 대하 여서도 억압적이기 보다는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한다. 더불어, 한마당학교에서는 적응교육이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집단의 문제라는 점 역시 개방적으로 수용한다. 이러한 관점은 교육활동의 범위를 외부로부터의 이해를 요청하 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외부자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데 까지 확장시킨다. 뚜벅뚜벅 세상 속으로, 사뿐사뿐 세상 밖으로 라는 학교의 목표에는 개별적 적응 과정 및 사회와의 소통 을 모두 중시하는 학교의 지향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성은 제도권교육과 구별되는 대안학교의 특성이 자칫 경직성 혹은 폐쇄성으로 치환되는 위험성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재의 방향이 최선의 것인지를 구성원들로 하여금 성찰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작 용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한마당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의도적 활동들은 생존적 필요에 의해 삶의 방식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적응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개별적 성장의 과 정으로 연계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교육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적응을 교육적으로 추구해 나간다는 점에서, 그리고 적응의 과정 속에서 교육적 의미를 포착하고 강화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교육적 적응 이라 개념화해 보고자 한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사회생활을 하며, 그 속에서 자신의 의미를 드러내고 살아가 야 하는 존재이다. 인간의 이러한 특징에 비추어 볼 때,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추구하는 일은 생존적 요구이자 실존적 요구이다. 소통은 매 순간 직면하는 새로운 문제사태를 해결 하는 단초라는 점에서 생존적 과제라 할 수 있으며, 또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지향하는 인 간의 본성을 실현하는 데 필요불가결하기 때문에 실존의 과제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생존적 차원의 소통은 일방적 동화를 통하여서도 달성할 수 있지만, 자신의 의미를 확인하고 개정하고자 하는 실존적 차원의 소통은 주체적인 상호관계성의 확보 노력을 통하 여 접근할 수 있다. 한마당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적응활동을 교육적 적응 으로 개념화하고 자 하는 것은 학교가 학생들을 실존적 존재로서 존중하고 모든 교육활동을 궁극적으로 주 - 117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체성을 함양하는 데 수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적응의 과정을 교육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그러한 이해가 다시 순환적으로 구성원들의 활동을 교육적인 방향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응을 여타 다 른 개념으로 이해하는 일도 때로는 필요하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에 가장 근접한 삶의 형 식을 개념화하고 있는 교육 이 빠진 적응에 대한 조망은 적응 활동의 본질을 왜곡할 위험 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여타 다른 적응의 개념과 더불어 교육적 적응 의 개념은 적응을 목표로 활동하는 현장에서 필요한 것이다. 적응을 교육적인 차원에서 바라보고 접근하는 한마당학교에서도 여러 문제사태들이 발 생하며, 때로 그것들은 학교가 지향하는 교육적 적응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동하기도 한다. 예컨대, 비인가대안학교로서 가지는 자율성은 교육적 적응을 지향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정책적 지원대상에서 제외됨으로써 열악한 재정 및 교육과정의 불안정성을 피하기 어렵다 는 것이 그것이다. 한마당학교에서 표출되고 있는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정책적 사회적 지 원이 미비한 데서 연유한다는 점은 한편으로 우리 사회가 소수자의 교육적 삶과 그 가치에 대하여 좀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다양한 개별 인간의 특성이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생성하고 교육적 선택지를 풍부하게 한다는 점에서 대안학교와 공교육 기관과의 원활하고 상생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탈북청소년 들이 남한 사회에서 경험하는 갈등과 문제를 우리의 교육제도 및 방식, 그리고 우리의 일 상 속에 녹아 있는 편견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로 삼아 볼 필요가 있다. - 118 -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참 고 문 헌 남북문화통합교육원 편(2004). 더 크고 싶은 아이들 4. 제 4회 탈북어린이 청소년 송년 축제 자료집(2004. 12. 19. 한양대학교) 남북문화통합교육원 한마당학교(2005). 남과 북, 그 막힘과 트임: 남 북 청소년의 만남. 영상 발표회 및 평화 심포지엄 자료집(2005. 11. 19. 하자센터 999클럽) 마석훈(2004). 북조선 출신 청소년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북조선 출신 청소년의 특성과 대안적 교육방법의 모색, 제 1회 샘터선교회 탈북 이슈 포럼자료집, pp.65-119. 엄경남(2001). 탈북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심리 사회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영(2000). 남한거주 탈북자의 정착과 사회적응 지원방안. 통일논총 18(1): 33-54. 정병호 외(2003).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학교설립 타당성 연구. 교육정책연구 2003-공모-7. 조용환(1999).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pp. 241-287. 서울: 교육과학사. 통일부(2005). 한마당민(북한이탈주민) 관련통계. http://www.unikorea.go.kr(검색일:2006. 5.24) - 119 -

韓 國 敎 育 제33권 제3호 학술 논문 Abstract An Adjustive Education of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An Ethnographic Case Study Kwon, Hyosook (International Graduate University for Peace) The number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d therefore it has rais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about their education. This study employs an ethnographic case study at one alternative school for them an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needs in context of the matter of the situation of daily life. The alternative school has a specific sociocultural context and educational goal, which are distinguished with other institutional schools. The special features of the school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admits each individual as a subject of adjustment. Second, it harmonize the needs of the collective and individual needs. Thirdly, it manage the curriculum in a manner of flexibleness. Finally, daily life in school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goal. The concrete curriculum develop with a hands-on experience, especially art instinc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education. The education of the school could be conceptualized as an educational adjustment, because most activity of school is focused on the establishing one's subjecthood. From now on mutual exchange between alternative school and institutional school is demanded to devise the diverse and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key words:north Korean youth defector, alternative school, adjustive education -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