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hwp

2003report hwp

CC hwp

152*220

* pb61۲õðÀÚÀ̳ʸ

- 2 -

CC hwp

<35B9DAC1F6BCF62CC0CCBFECC8C62CB7F9B5BFBCAE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5 291

#7단원 1(252~269)교

2002report hwp

내지(교사용) 4-6부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_¸ñÂ÷(02¿ù)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¾ç¼ºÄÀ-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CC hwp

CR hwp

01¸é¼öÁ¤

03 ¸ñÂ÷

0.筌≪럩??袁ⓓ?紐껋젾 筌

<4D F736F F D20BACEB1B3C0E75FB5F0C1F6C5D0B6F3C0CCC7C15F3232C2F7BDC32E646F63>

hwp

SIGIL 완벽입문

10월추천dvd

유료방송채널 시청률 3% 시대 새 판 짜는 종합편성채널 <채널별 시청률 2% 이상 프로그램 개수> 속풀이쇼 동치미 (4.51%) 나는 자연인이다 (3.30%) 아궁이 (3.21%) 고수의비법 황금알 (3.17%) 엄지의 제왕 (2.91%) 천기누설 (2.86%) 신세계

Print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Çѹ̿ìÈ£-197È£

DocHdl2OnPREPRESStmpTarget

01정책백서목차(1~18)

글청봉3기 PDF용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T hwp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질서를 마음껏 조절하며, 반복적이고 유동적으로 드 라마를 볼 수 있는 현재의 시청 조건을 고려할 때, 텔 레비전이 물리적으로 지니는 지배력에 자발적으로 복 속했던 과거의 시청자들의 열정이 현재 시청자들의 그것보다 더 뜨거웠다고도 볼 수 있다. 달라진 점은 텔레비전 화면

È޴ϵåA4±â¼Û

기본소득문답2

내지(교사용) 1-3부

/ MBN AD Marketing Dep. The Solution!! MBN Newsletter Feb MBN 2 - (1)

04 Çмú_±â¼ú±â»ç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580 인물 강순( 康 純 1390(공양왕 2) 1468(예종 즉위년 ) 조선 초기의 명장.본관은 신천( 信 川 ).자는 태초( 太 初 ).시호는 장민( 莊 愍 ).보령현 지내리( 保 寧 縣 池 內 里,지금의 보령시 주포면 보령리)에서 출생하였다.아버지는 통훈대부 판무

연구노트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³À°È°µ¿Áö

레이아웃 1

º´¹«Ã»Ã¥-»ç³ªÀÌ·Î

041~084 ¹®È�Çö»óÀбâ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109

(012~031)223교과(교)2-1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2016년 신호등 10월호 내지.indd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Untitled-1

178È£pdf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1,2,3,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coverbacktong최종spread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슬라이드 1

ÃѼŁ1-ÃÖÁ¾Ãâ·Â¿ë2

....pdf..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피해자식별PDF용 0502

ad hwp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02 THEATER 04 NEWS 05 PEOPLE 06 REVIEW 12 SPECIAL 14 SPECIAL 15 SPECIAL 16 COLUMN No ~10.24 NEXT plus NEXT plus NEXT plus NEXT plus

•••••1301(•••).pdf

03-교통이야기

¿©±âÀÚ-À¥¿ë.PDF

³»Áö_10-6

197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京 畿 鄕 土 史 學 第 16 輯 韓 國 文 化 院 聯 合 會 京 畿 道 支 會

wtu05_ÃÖÁ¾

652

더바이어102호 01~09

Jkafm093.hw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Transcription: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 1)2) 정영희 **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연구원) 이 연구는 2000년대 방영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보편적인 특성을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분석한 것으로, 1961 1999년까지를 조사한 기존 연구의 후속작업이다. 동시대의 개별 드라마가 공유하는 특징 을 포착하여 과거 양상과 비교하며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0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징은 기간 드라마 정착, 포맷 수렴, 소재 편중과 선호 영역 내에서의 세분화, 이념 ㆍ질서ㆍ윤리적 가치의 의미 상실로 요약되었다. 일일연속극, 월화드라마, 수목드라마, 주말극, 주간 시 추에이션극의 큰 틀에서 방영되었으며, 드라마 포맷은 시청률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미니시 리즈 형식으로 수렴되었다. 소재에서는 문예물, 농촌드라마, 범죄ㆍ수사ㆍ추리극이 완전히 퇴조했고, 애 정ㆍ연애, 가족 가정, 사극은 여전히 선호되지만 각 영역 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경험적 리얼리티 보다 표현의 리얼리티가 부각되었고, 이념ㆍ질서ㆍ윤리적 가치가 몰락하면서 그동안 비현실적, 비윤리 적, 비교육적이라는 비판 때문에 배제되었던 많은 소재와 표현 양식이 드라마 영역으로 유입되었다. 제 작을 위한 시험의 장은 넓어졌지만, 1990년대 이후 급부상한 드라마의 상업성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의 방향을 수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key〻words:텔레비전 드라마, 역사 연구, 정서구조 * 이 연구는 2008년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yeongsol@hanmail.net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85 1. 들어가는 말 1957년 <천국의 문> 1) 이 방영된 이후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50년의 역사를 지나왔 다. 정치사회적인 격변과 변화하는 수용자 욕망을 고스란히 담아 온 텔레비전 드라마는 그 자체가 한국 근ㆍ현대생활사의 생생한 기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한 시 대의 지배적인 가치를 반영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관념적인 힘을 발휘하며, 문화산업의 영역에서도 촉망받는 상품으로 평가되므로 오늘날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 구되고 있다. 국회도서관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2000년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 분석 경향을 살펴보 면 개별 드라마의 해독과 수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두드러진다. 다음으로 재현과 이데올로 기 연구(여성[노인], 남성, 가족 등), 장르 분석(역사드라마, 트렌디드라마 등), 제작 시스템과 유통 연구(한류), 매체전환 텍스트 연구 등이 활발하다. 1980년대에는 여성 이미지, 성차별 등에 대한 내용분석이 많았고, 1990년대는 드라마 텍스트에 대한 이데올로기 분석이 많았다 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드라마 역사 연구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졌다. 현재는 다 시 개별 텍스트에 집중하는 경향이 더 강해 드라마 연구 경향에서 어느 정도 반복되는 패턴 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하지만 방대한 데이터의 수집과 정리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역사 연구는 여전히 선호 되지 않는다. 시대에 따른 변화와 현재의 추이에 대한 분석은 개별 프로그램이 무엇이든지 간에 당대의 문화적 산물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해석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2008년 현재 방영되는 텔레비전 드라마는 2000년대 초반 혹은 1990년대 이전 드라마와의 차이 속에서 해 석될 때 보다 완전하게 그 의미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 는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전반적 지형그리기를 통해 동시대의 개별 드라마들이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정서 혹은 해석의 토대를 포착하고자 한다. 3) 2000년 이후의 텔레비 전 드라마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 연구의 학문적 지속성을 위한 것이며, 또한 1961 1999년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와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역사적 접근은 대부분 2000년 전후에 머물러 있다. 4) 최선열ㆍ 1) 한국 최초의 TV드라마는 1957년 HLKZ-TV에서 방송한 <천국의 문>(최창봉 연출, 이기하 조연출)이다. 이 드 라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서 드라마 연출자와 조연출자는 드라마 타이틀에 대해서도 <천국의 문> 혹 은 <황금의 문>이라고 엇갈리게 진술했다(오명환, 1994). 2) 텔레비전 드라마 자체의 생명력이 짧기 때문에 개별 텍스트나 수용자 분석은 역사 연구보다 연구자의 기획력과 순발력을 더 많이 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현재 많은 연구물이 나오는 것은 30년 가까운 동안 축 적된 연구 성과물로 인해 드라마 연구의 방법과 절차가 어느 정도 안정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유사한 연구방법을 사용한 분석이 많아짐에 따라 개별 텍스트 분석의 의미를 살리는 일은 더 어려워졌다. 3) 2008년 현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드라마 틈새시장을 겨냥한 케이블 방송 드라마의 의미가 과거에 비해 중요해졌다. tvn의 <막돼먹은 영애씨>는 시즌 4까지 방영 중이며 OCN의 <여사부일체>는 첫 방송(2008. 9. 18)에서 평균 시청률 2.56%를 올렸고 1분 단위 최고 시청률은 5.14%에 달한다(AGB닐슨미디어리서치 기준). 이 는 올해 케이블TV 자체제작 드라마 가운데 최고 시청률이다. 미드(미국 드라마), 일드(일본 드라마)를 포함하여 케이블에서 방영되는 드라마들이 향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시장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도 있지만, 동시대 수용자들의 광범위한 노출과 보편적인 수용에 분석의 초점을 맞춘 이 연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86 유세경(1999)의 논문과 김승현ㆍ한진만(2001)의 저서가 대표적이며, 정영희(2005)의 논문도 그 자료는 2002년 전반까지로 시기가 한정되었다. 과거를 돌아보면 일상성, 평범성이 특징인 대중문화 텍스트는 당대에 항상 천시되었음 을 알 수 있다. 5) 역사적 정통성도 공인된 문서나 예술품에만 부여되었고, 그 결과 우리는 정 통 역사서나 박물관의 전시물을 통해 재구성된 역사만을 진정한 과거로 인정하는 오류를 범 하기도 한다. 실록을 통해 과거를 재구성하고 시화, 공예품 등에서 당대의 경험과 삶의 양식 을 추론하면서, 그러한 선별 자체가 이미 시각의 편파성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을 종종 간 과한다(정영희, 2006). 텔레비전 드라마는 이야기의 배경, 소재, 주제의 대부분이 수용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하므로 수용자의 보편적 경험이나 정서와 더 밀착되어 있다. 2000년대 한국 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화석화된 기록으로 변화되기 전에, 생생한 체험과 감정을 통해 텔레 비전 드라마의 시대적 감수성과 역사성을 탐색하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변화와 전통을 발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현재적 위상뿐 만 아니라 과거와의 비교를 통해 그 역사적 삶을 고찰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 가들 뿐만 아니라 드라마를 상품으로 인식하는 제작의 측면에서도 함의하는 바가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2.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 연구 경향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는 1980년대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1980년대 중반에 여성 이미지와 재현 연구에서 출발하여 1990년대부터는 연구의 대부분이 특정 드라 마의 이데올로기 분석, 담론 분석에 제한되었다. 역사 분석은 2000년대 즈음하여 관심을 받 았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 연구로는 최선열ㆍ유세경(1999)의 논문인 텔레비전 드라마 의 역사성 연구: 정치적ㆍ경제적 변화 요인을 중심으로 와 김승현ㆍ한진만(2001)의 저서인 한국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가 있다. 이에 앞서 오명환(1994)은 화제작 중심으로 드라마 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고, 표재순(1992)은 드라마의 소재 변화를 연대기별로 고찰하고 있 다. 차범석(1985)이 1961 1984년까지 드라마의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글도 있다. 오명환 과 표재순의 연구는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 측면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변화를 고찰했다. 최 선열ㆍ유세경의 논문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변화 요인으로 정치적ㆍ경제적 요인 같은 4) 1990년대 들어와서 비로소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 연구가 관심을 받게 되었는데, 이는 전산 작업을 통해서 방대 한 자료를 신속하게 처리(선택과 배열)할 수 있게 된 기술의 발달도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5)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즈음 대중문화 텍스트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주목받으면서 텔레비전 드라 마는 학문적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한국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1970년대 <아씨>, <여로>, <새엄마> 이후 지속적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어 왔지만, 저급하고 무가치한 여성의 텍스트라는 낙인찍기는 오랫동안 지속 되었고 그에 따라 사회적 관심만큼이나 큰 멸시와 비난에 노출되어 왔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87 외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다룬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적 변화를 고찰한 최선열ㆍ유세경, 오명환, 표재순, 차범석의 연구에는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가 하나의 생물 체처럼 변화하고 발전한다는 것을 전제하지만 그 방향을 중립적으로 제시하여 사회적 의미 의 해석을 절제하고 있다는 점이다(김승현ㆍ한진만, 2001). 또한 사회적 조건(정치적, 경제 적)에 민감한 수동적 산물이라는 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반면, 김승현ㆍ한진만의 연구는 정 치적 변화와 방송 제도, 사회 변화와 수용자 욕구 등에 전방위적으로 접근하여, 연대기적 고 찰이 대부분인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 연구에 해석적인 관점을 도입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 화했다. 2008년 현재, 1961 2002년까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를 분석한 정영희(2005)의 학 위논문이 드라마 역사를 분석한 가장 최근 연구이다. 정영희의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특수한 시기의 특정 환경에서 사회적 조건과 수용자 욕구에 반응하고 조응한 능동적인 사회 적 산물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하지만 분석 드라마가 2002년까지로 제한되어 있어서 그 후 급속하게 변한 매체 환경 속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의 위상과 역할을 통시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 자료로는 미약하다. 지난 50여 년 동안 우리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기술의 발전, 제도적 환경의 변화(정치ㆍ 경제ㆍ사회적 규제의 문제 등), 수용자의 변화(노동과 여가 패턴의 변화, 시청환경ㆍ시청습 관의 변화), 상품으로서의 드라마로 텔레비전 드라마 자체의 성격 전환 등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1960년대 이후 형식 측면에서 단막극-주간극-일일극-주말극-특집ㆍ대형극- 미니시리즈 순으로 변했고, 소재 면에서 계몽ㆍ계도, 반공, 새마을극, 농촌극에서 애정ㆍ불 륜, 근대사, 왕조사, 신세대 애정 등으로 확장되어 왔다. 이러한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적 변화는 어떤 면에서 시대의 요청에 반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2000 2008년 텔레비전 드라 마에 대한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을 분석하였지만, 분명하고 객 관적인 자료를 보다 충실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명료한 접근이 가능하리라고 생 각한다. 3. 연구문제 및 분석절차 1) 연구문제와 분석대상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1 2000 2008년 방송 3사(KBS-TV, MBC-TV, SBS-TV)가 방영한 텔레비전 드라마의 유형과 소재는 무엇인가? 2000 2008년 방송 3사가 방영한 텔레비전 드라마의 유형과 소재를 분석하여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외형 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2 2000 2008년 방영된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소재는 과거(1961 1999년)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이는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의 개요를 분석하여 2000 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 분화와 다양화 경향을 밝히려는 작업이다. 3 2000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88 2008년 방영된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과거와 비교할 때 어떤 연속적, 비연속적 특징을 갖는가? 동시대의 다양한 텔레비전 드라마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특성을 과거와 비교하면서 이 시대의 감성 혹은 정서를 해석해 내고자 하였다. 1961 1999년 드라마와의 비교에는 김 승현ㆍ한진만(2001)과 정영희(2005)의 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08년 9월 말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자료이 다. 6) 방영된 드라마 텍스트 자체를 분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드라마의 유형, 포맷, 소재, 개요 등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방송사의 연감에서 우선적으로 자 료를 수집하였다. 방송사의 공식 문헌이 없는 경우는 홈페이지에 제공된 드라마 정보를 활 용하였다. KBS의 경우 2006년까지 드라마 자료는 KBS 연감 에서 수집할 수 있었고 2007년 과 2008년 자료는 홈페이지 정보를 참고하였다. MBC 또한 2006년까지는 문화방송연감 을 활용하고, 그 후는 드라마 홈페이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SBS의 경우 정리된 문헌이 없어서 전수 홈페이지에 제공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SBS 홈페이지에 제공된 드라마 목록을 토대로 개별 드라마의 홈페이지를 찾아 들어가서 그 내용을 수집하였다. 하지만 SBS의 홈페이지에 누락된 자료가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SBS의 드라마 홈페이지 자료만으로는 드라 마 유형(일일극/주간극/주말극)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고, 따라서 아침 드라마, 계기 특 집극, 어린이극 등을 제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신문 기사나 인터넷상의 웹문서 들을 활용하면서 간접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며 최대한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몇몇의 드라마가 누락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2000년대 SBS-TV 드라마의 전반적 경향을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7) 연구문제의 해답을 얻기 위해 양적 분석과 질적 해석을 병행하였다. 1의 연구문제는 많 은 부분 양적 데이터에 의존하지만, 2의 연구문제는 1차적으로 텔레비전 드라마의 줄거리 나 개요를 참고하고 2차적으로는 학술지 논문, 학위논문, 기사화된 드라마평 등의 자료를 활 용하여 분류ㆍ해석하는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3의 연구문제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참고하여 비교ㆍ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 분석절차 분석절차는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우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드라마의 외형적 특징 을 살펴보았다. 이 작업은 수집된 자료를 전산화하여 드라마 유형(일일/주간/주말극)과 포맷 (연속극/시추에이션/단막극), 소재(애정ㆍ연애/가족ㆍ가정/왕조사/기록ㆍ전기/야사/범죄ㆍ 수사ㆍ추리/전문(법률ㆍ의료ㆍ경제ㆍ정치 등)/근대사/농촌/문예물 등)의 빈도를 추출하는 6) 어린이극, 청소년극 및 아침 드라마는 주시청자 집단의 특수성으로 인해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외화도 제외 했다. 7) 1961 1999년의 드라마 자료에 비해 이후 자료는 완전한 형태로 충실하게 보존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하 여 자료수집 문제가 덜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하지만 기록ㆍ보관기술이 월등하게 발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 합된 자료는 없어서 역사 연구가 당면하는 데이터 수집의 문제는 반복되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89 과정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소재 구분의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1961 1999년의 드라마를 분석한 김승현ㆍ한진만(2001), 정영희(2005)의 연구와 비교하기 위해 그들의 분류를 활용하 였다. 그리고 2000년대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포괄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재정의 하였다. 애정ㆍ연애 는 이야기 전개가 주인공 남녀 간의 사랑에 집중되고, 가족 관계나 가정의 역할 비중이 적은 경우이다. 대부분이 16 20회 내외의 미니 시리즈였으며 30 40회 분량의 주말극도 다수 포함되었다. 가족ㆍ가정 은 이야기 전개의 배경이 주로 가정이며 가족 간의 갈등과 화해가 주제인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의 일일연속극과 주말연속극의 일부가 이에 해 당된다. 가족ㆍ가정 은 상당 부분 연애ㆍ애정 과 중첩되는 부분이 있었다. 이는 2000년대 이후 부부 중심 가족과 가정의 이야기가 드라마 중심소재로 등장한 현상에 기인한다. 부부 의 성, 외도 등의 문제를 다루어서 불륜 소재의 애정ㆍ연애 경향이 있지만, 드라마의 주제 와 결론이 대부분 부부 간의 이해와 화해를 강조하기 때문에 가정ㆍ가족 극으로 분류하였 다. 사극은 왕조사, 기록ㆍ전기, 야사 로 구분하였다. 왕조사는 이야기의 주무대가 궁중 이며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경우를 말하며, 기록ㆍ전기 는 왕, 왕족이 아닌 궁중 외부의 역 사적 인물을 다룬 경우를 말한다. 궁궐 내에서의 권력 암투와 몰락이 주요 스토리이지만 왕 이나 왕족이 아닌 왕의 주변인물을 다룬 경우는 기록ㆍ전기 로 분류하였다. 야사 는 역사 적 기록보다는 작가의 상상력에 의존한 경우를 말하며 조선시대와 그 이전 민중의 삶을 다 룬 경우가 다수이다. 전문드라마 는 법률ㆍ의료ㆍ경제ㆍ정치 등 주인공이 전문직에 종사하 며 직장에서의 업무적 상황이 이야기 전개의 중요한 소재가 된 경우를 말한다. 8) 주인공의 직 업이 전문직이라도 그들의 애정 관계에 주제가 맞춰진 경우는 애정ㆍ연애 로 분류하였다. 근대사 는 일제부터 해방과 한국전쟁 전후를 시간적 배경으로 하여 한국의 정치적 경제적 격동기를 다룬 드라마를 말한다. 김승현ㆍ한진만(2001), 정영희(2005)와 공통된 분류기준을 활용하여 1961 1999년 텔레 비전 드라마와 2000년대 드라마의 유형 및 소재의 차이를 어느 정도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2000년대에 방영된 드라마에 대해 꼼꼼하게 자료를 수집하였지만, SBS의 경우 누 락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수치보다는 각각의 비중에 더 큰 의미를 두었다. 다음으로, 소재별로 드라마를 분류하고 줄거리나 개요를 재배열하여 개별 소재 내에서 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칙적으로 방영된 드라마 전수가 대상이지만, 시청률이 높았거나 사회적 반향이 컸던 드라마를 우선 고려하였다.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기 위해 학 술지논문, 학위논문, 방영 당시 신문 기사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1960 1999년까지의 드라마 연구결과와 비교하면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의 변화와 연속적인 특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1961 1999년까지 드라마 분석결과에는 양적 자료가 없어서 2000년대 드라마와 산술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양적 비교보다는 보편적인 경향에서 차이와 유사성을 포착하였다. 8) <하얀거탑>(M, 2007), <신의 저울>(S, 2008)이 대표적이다. <식객>(S, 2007), <타짜>(S, 2008) 등도 전문 드 라마로 분류하였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90 4.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지형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편성 면에서 완전하게 안정되어 있었다. KBS 드라마 는 일일연속극, 미니시리즈(월화), 특별기획(수목)드라마, 대하드라마(주말), 주말연속극, 주 간 시추에이션극의 큰 틀에서 방영되었고, MBC 또한 일일연속극, 주말연속극, 월화 드라마, 미니시리즈(수목), 단막극의 기간 드라마의 큰 틀을 벗어나지 않았다. SBS는 금요일 1편의 드 라마를 2회 연속 방영하는 편성 전략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편성의 측면에서 드라마 우세 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월화드라마의 경우 MBC는 장기간 드라마를 편성하고, KBS와 SBS는 미니시리즈를 편성하고 있었다. 각 방송사의 드라마는 아침드라마, 어린이ㆍ청소년, 특집극 을 제외하면 연 평균 20편 전후이므로, 시청자들은 1년에 대략 60여 편에 가까운 새로운 드 라마를 시청한다고 볼 수 있다. 금요일을 제외하고는 일주일 내 방송 3사 간의 드라마 경쟁 에 노출되는 말 그대로의 드라마 전국시대 에 놓여 있었다. 해당 기간 동안 분석대상 드라마 수는 KBS는 135개, MBC는 143개, SBS는 155개로 SBS 가 가장 많다. 9) 드라마의 유형은 주간극이 60 63.9%로 드라마 편수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주말극과 일일극이었지만, 실제 수용자들의 노출빈도는 일일연속극이 당연히 가 장 높다. 한편, 드라마 포맷에서 미니시리즈는 시청률 경쟁의 핵심 분야이며 200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요 포맷이다. 반면 단막극은 완전히 퇴조하였다. 대표적인 단막극인 <TV문학 관>(K, 1981)이나 <베스트셀러극장>(M, 1983)은 부정기적으로 방영되고 <신TV문학관> <HDTV문학관> 등 다른 타이틀로 방영되기도 하지만 드라마 제작이나 시청자 관심의 핵 심 분야는 아니다. 대신 경쾌하고 엽기적인 시트콤이 활발하게 방영되었다. 일일시트콤<웬 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S, 2000), <똑바로 살아라>(S, 2002), <올드미스 다이어리> (K, 2004), <거침없이 하이킥>(M, 2006), <안녕 프란체스카>(M, 2005)는 웬만한 연속극에 버금가는 시청률을 얻었으며, 특히 흡혈귀 가족의 일상을 이야기하는 <안녕 프란체스카> 는 시즌 제작을 할 정도였다. 미니시리즈의 확산과 시트콤의 등장은 드라마를 상품으로 인 식하는 제작현실을 그대로 반영한다. 16회 내외 길어도 30회를 넘지 않는 미니시리즈는 상 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적은 제작비로 만들어 가볍게 방송할 수 있으며 시청률 변화에 신 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포맷이다. 시트콤 또한 톱스타 기용의 부담이 적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청률 결과에 따라 회별 판매가 가능한 소포장 상품 드라마로서 제작의 측면에 서 매력적인 포맷이다. 2000년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소재 및 주제 면에서 수렴되어 있었다. 양적으로는 여전히 애정ㆍ연애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가족ㆍ가정 이었다. 1990년대 이전 드라마에 비해 퇴조한 소재도 있었다. 사극 중 야사, 농촌드라마, 근대사, 범죄ㆍ수사ㆍ추리극 등은 2000년대 드라마에서 거의 소멸하였다. 주제에서도 권선징악과 질서, 윤리적 가치를 강조하 9) 개시 연도가 1999년 이전이라도 2000년 이후까지 방영된 드라마는 모두 포함하였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91 는 내용이 전반적으로 퇴조하였다. 하지만 선호되는 부분에서는 소재가 확장되고 변화하였 음을 알 수 있었다. 월화드라마나 수목드라마로 방영되는 미니시리즈는 미니시리즈 특유의 경쾌한 스토리와 재미, 감각적인 음악과 화려한 영상으로 젊은 세대들의 감각에 부응하면서 호텔, 카지노, 방송사 등 다양한 장소가 이야기의 배경으로 등장하고 주인공의 직업도 스파 이, 대통령의 딸, 왕족, 대부업자, 로비스트, 보디가드 등 다양화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성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젊은 미혼모ㆍ미혼부도 자주 등장하며 동거와 동성애도 공개 적으로 다루어졌다. 또한 청소년 여성과 성인 남성과의 로맨스도 자연스럽게 다루어지고 40 대의 가정 외 사랑이 불륜이 아니라 연애 혹은 로맨스 감정으로 표현되며, 노년의 성도 드라 마의 한 플롯을 형성했다. 사극은 조선왕조사 이전으로 소재 영역을 확장했으며, 역사적 사 실보다는 판타지와 상상적 접근이 전반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2000년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문화상품 으로서의 드라마 특성을 강하게 나타냈다. 일일연속극과 역사극을 제 외한 모든 드라마가 미니시리즈로 수렴되어 포맷이 규격화되고, 젊은 시청자를 겨냥한 가볍 고 경쾌한 애정ㆍ연애극이 확장되며, 도덕ㆍ윤리ㆍ질서 등의 가치보다는 감각적 소비를 지 향하는 주제가 보편화되었다. 1) 드라마 유형과 소재 2000년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주간극의 방영 비중이 가장 높다(62.6%). KBS는 63.7%(86편), MBC는 60.1%(86편), SBS는 63.9%(99편)이었다. 주간드라마의 비중은 방송 3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지만 SBS는 다른 방송사에 비해 주간드라마의 편수가 상대적으로 많았 다. 전체 분석대상 드라마 편수에서 SBS가 가장 많았던 것도 SBS의 주간극이 더 많았기 때문 이다. SBS의 금요 드라마 편성이 그 원인이다.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기간 드라마 편성이 정착되었고, 16 20편 내외의 미니시리즈가 양적으로 확장되어 있어서 주간 드라마 가 주말드라마에 못지않게 시청률 경쟁의 주요 장소임을 보여주었다. 10) 이러한 미니시리즈 의 증가는 대규모 제작비가 투입되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방영되는 드라마 11) 사이에 적은 제작비를 투입하여 짧은 기간 동안 가볍게 방영하는 드라마 편성 경향의 영향이기도 하다. 드라마 소재는 채널에 관계없이 애정ㆍ연애 가 KBS는 45.9%, MBC는 65.7%, SBS는 59.4%로 여전히 월등한 우위에 있었고 그 다음이 가족ㆍ가정 과 사극(왕조사, 기록ㆍ전 기) 이었다. 흥미로운 것은 1990년대까지 유행했던 농촌드라마, 범죄수사드라마, 근현대사, 문예물 등 상당한 부분이 퇴조한 점이다. <전원일기>(M, 1980) 같은 농촌드라마가 완전히 쇠퇴하여 <대추나무 사랑 걸렸네>(K, 1990 2007), <산너머 남촌에는>(K, 2007)으로 겨 우 명맥만 유지하는 소재가 되었다. <수사반장>(M, 1971), <형사>(K, 1980) 류의 범죄수사 10) 드라마의 유형별 시청 성과를 살펴보면 주말 밤 드라마의 평균 시청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화진ㆍ 김숙, 2007, 160쪽). 11) 예를 들면 <주몽>(M, 2006), <대장금>(M, 2003) 같은 것이 있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92 극도 완전히 사라졌으며, 1980년대 유행했던 경제드라마나 정치드라마는 거의 소멸하였다. 또한 일제시대, 한국전쟁 등 어려운 시대를 반추하는 시대극도 퇴조하였다. <TV문학 관>(K, 1981) <MBC베스트극장>(M, 1983) 등 문예극은 < 新 TV문학관>, <HDTV문학관> 등의 타이틀로 명맥만 유지하며 부정기적으로 방영되었다. 1960 1980년대처럼 특정한 가 치와 이념을 강조하는 목적극이 사라지고 1980년대 후반에 유행한 현실사회비판극도 퇴조 하였다. 12) 이는 현실사회의 정치경제적 환경의 변화, 상품으로 인식되는 드라마 제작환경, 수용자 욕구의 변화 등이 맞물리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1990년대 트렌디드라마 등장 이후 드라마의 상품성 강조와 감각적 소비 경향이 심화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2000년대 몇 개 드라마의 흥행 실패는 그 예를 보여준다. 2005년 MBC는 <제5공화국>으로 공화국 시리즈 를 완성하였지만 1995년의 <제4공화국>에 비교되는 관심과 명성을 얻지 못했다. 1994년 드라마를 리메이크 한 박경리 원작의 <토지>(S, 2004), 1991년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돌아 온 뚝배기> (K, 2008) 모두 좋은 시청률 결과를 얻지 못했다. 13) 대신 연애ㆍ애정 의 소재는 더욱 다양해졌으며, 연령별로 세분화되어 10대, 20 30대, 40대 여성을 겨냥한 애정물이 활 성화되었고, 노년의 사랑과 성도 자연스럽게 다루어졌다.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서는 밝고 경쾌하며 소비지향적인 감성이 진지하고 무거운 소재와 주제를 완전히 대체하였다. (1) 유형별 소재의 차이 일일극은 홈드라마의 성격을 유지하며 가족ㆍ가정 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었다(76.0%). 다만 SBS의 일일극에서 애정ㆍ연애 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비, 이종수, 죠앤 등 청춘스타 들이 주연한 시추에이션극 <오렌지>(S, 2002), 이유리, 공유 등이 주인공인 40부작 <스무 살>(S, 2003) 등의 영향이다. 또한 시트콤은 회별 소재와 주제가 다양하여 기타로 분류하였 기 때문에 SBS의 기타 비중이 높다. 주간극은 애정ㆍ연애 가 월등히 높았다(69.4%). 흥미로운 것은 주간극에서 KBS와 SBS 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MBC는 애정ㆍ연애 의 소재가 KBS, SBS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는 점이다. 이는 KBS와 SBS가 <아내>(K, 2003), <꽃보다 아름다워>(K, 2004), <두 번째 프로 포즈> (K, 2004), <장미빛 인생>(K, 2005), <아내의 반란>(S, 2004), <불량주부>(S, 2005), <그 여자>(S, 2005), <소금인형>(S, 2007), 14) <워킹맘>(S, 2008) 등 젊은 부부 중심의 이야 12) 1961년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되었던 텔레비전 드라마의 목적의식(계몽ㆍ계도, 반공의식 고취, 민족정 신함양 등)이 1990년대부터 약화된 데 기인한다. 1960년대 한국인을 근대적인 국민으로 훈육하는 과정에서 당 시 국영방송인 KBS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영이의 일기>(K, 1962)는 영이라는 아이의 눈으로 교통안전, 독서, 불조심, 방법, 방첩 등 계몽적인 소재를 다루었다. <실화극장>(K, 1964)은 반공을 주제로 1978년까지 방송되면서 국민의 반공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하였다. 1980년대 들어와서 방송의 목적의식은 1984년 KBS의 연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의 방송은 시청자들의 생활환경, 생활습관 등을 합리적이고 선진적인 모양 으로 바꿔 국민의식교육의 교재가 되도록 한다는 기본방침을 추진, 실현 (한국방송공사, 1984, 113쪽) 시키고 주제와 목적이 뚜렷한 드라마로 발전시켜 그 안에 모범적인 한국인의 성취감을 수용 하고자 하였다. 13) 2008년 6월 2일부터 방영된 <돌아온 뚝배기>는 첫 방송 전국 시청률(TNS미디어코리아 기준) 9.2%를 기록하 면서 출발하였지만, 1991년의 지지와 공감을 얻지는 못했다. 14) 황수정, 김영호, 김유석 등이 주연한 <소금인형>은 남편의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다른 남자와 동침한 아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93 <표 1> 유형별 텔레비전 드라마 소재[드라마 수(%)] 일일극 주간극 주말극 전체 KBS1/2 MBC SBS 총 드라마 수 433 135 143 155 애정ㆍ연애 5(10.0) - 1(5.9) 4(25.0) 가족ㆍ가정 38(76.0) 16(94.1) 15(88.2) 7(43.8) 왕조사ㆍ정통역사 - - - - 기록ㆍ전기 - - - - 농촌 - - - - 야사 - - - - 전문 - - - - 근대사 - - - - 범죄ㆍ수사ㆍ추리 - - - - 기타(문예극, 시추에이션드라마) 7(14.0) 1(5.9) 1(5.9) 5(31.3) 계 50(100.0) 17(100.0) 17(100.0) 16(100.0) 애정ㆍ연애 188(69.4) 54(62.8) 68(79.1) 66(66.7) 가족ㆍ가정 28(10.3) 11(12.8) 5(5.8) 12(12.1) 왕조사ㆍ정통역사 6(2.2) 3(3.5) 2(2.3) 1(1.0) 기록ㆍ전기 12(4.4) 5(5.8) 5(5.8) 2(2.0) 농촌 3(1.1) 3(3.5) - - 야사 4(1.5) 2(2.3) 1(1.2) 1(1.0) 전문 8(3.0) 1(1.2) 1(1.2) 6(6.1) 근대사 5(1.8) - 1(1.2) 4(4.0) 범죄ㆍ수사ㆍ추리 3(1.1) 1(1.2) 1(1.2) 1(1.0) 기타(문예극, 시추에이션드라마) 14(5.2) 6(7.0) 2(2.3) 6(6.1) 계 271(100.0) 86(100.0) 86(100.0) 99(100.0) 애정ㆍ연애 55(49.1) 8(25.0) 25(62.5) 22(55.0) 가족ㆍ가정 33(29.5) 12(37.5) 8(20.0) 13(32.5) 왕조사ㆍ정통역사 5(4.5) 5(15.6) - - 기록ㆍ전기 3(2.7) 1(3.1) 1(2.5) 1(2.5) 농촌 1(0.9) - 1(2.5) - 야사 1(0.9) - - 1(2.5) 전문 3(2.7) 1(3.1) 1(2.5) 1(2.5) 근대사 3(2.7) 2(6.3) 1(2.5) - 범죄ㆍ수사ㆍ추리 - - - - 기타(문예극, 시추에이션드라마) 8(7.1) 3(9.4) 3(7.5) 2(5.0) 계 112(100.0) 32(100.0) 40(100.0) 40(100.0) 와 그를 표용할 수 없었던 남편 간의 갈등을 그린 드라마로서, 젊은 부부의 갈등이 이야기의 초점이기 때문에 가정ㆍ가족 으로 분류하였지만 멜로드라마의 요소가 강한 연애ㆍ애정 극이기도 하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94 기를 다루며 갈등과 화해를 다루고 있는 데 기인한다. 주간극에서 사극은 KBS(11.6%)와 MBC(9.3%)는 유사한데, SBS(4%)는 매우 적다. 전반적으로 주간극에서 사극은 KBS, 애정ㆍ 연애 는 MBC, 전문직종 드라마는 SBS가 주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주말극에서도 애정ㆍ연애 (49.1%)가 가족ㆍ가정 (29.5%)보다 높았다. KBS 는 공영방송의 틀 안에서 여전히 가족ㆍ가정 (37.5%), 애정ㆍ연애 (25.0%), 사극(18.7%)이 지만, MBC는 애정ㆍ연애 (62.5%), 가족ㆍ가정 (20.0%), 사극(2.5%) 순이다. SBS도 연애ㆍ 애정 (55.0%), 가족ㆍ가정 (32.5%), 사극 (5.0%) 순이었다. 일반적으로 가족적이고 보편적 인 구성이 선호되는 주말 드라마 시간대(문화방송, 2006) 에도 애정ㆍ연애 가 드라마의 지 배적인 소재였다. 분석결과, 드라마 요일별 편성에서 SBS는 주간극에서는 KBS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주말극은 MBC와 유사 경향을 보이는 흥미로운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SBS가 주간극에서 부부 중심의 가족ㆍ가정 극을 많이 방영한 데 기인하는데, 이들 드라마는 소재가 애정ㆍ연 애 와 중첩되지만 주제를 고려하여 가족ㆍ가정 으로 분류되면서 애정ㆍ연애 가 수치가 상 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 점을 제외하면 SBS는 드라마 소재에서 MBC와 더 유사성을 보였다. (2) 채널별 소재의 차이 채널별로 드라마 소재의 차이가 뚜렷했다. 방송 3사 모두 애정ㆍ연애 가 가장 높지만, KBS는 채널 특성상 공영성을 지향하는 가족ㆍ가정 드라마가 MBC나 SBS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족ㆍ가정 이 소재라 하더라도 KBS, MBC의 일일연속극은 정상적인 대가족이 이 야기의 주요 배경이고, SBS는 부부와 자녀 중심의 가족극이 많았다. 따라서 자연히 부부 간 의 성, 외도, 갈등에 이야기의 초점이 맞춰졌다. 그 다음이 사극이었는데, 사극은 소재 내에서도 채널별 차이가 뚜렷했다. KBS의 사극은 기록에 의한 왕조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MBC는 왕조사보다 역사적 인물 개인에 작가의 상상력을 첨가하여 재현한 전기ㆍ기록 이 많았다. SBS의 사극도 흥미로운데, SBS는 방송 3사 중 사극에서 수적으로는 가장 열세지만 <여인천하>(S, 2001), <왕의 여자>(S, 2003), 왕과나(S, 2007)에서 비천한 출신 여성, 궁녀, 내시 등 왕의 주변 인물의 탐욕과 몰락을 감각적으로 다루면서 높은 시청률을 얻었다. 역사의 주변 인물들을 소재로 한 이 드라마들은 역사인 동시에 야사의 성격을 가지며 따라서 상상적 기술이 훨씬 자극적으로 첨가될 수 있었 던 것으로 보인다. 사극 부분은 KBS, MBC 모두에서 1980 1990년대 유행했던 야사가 퇴조하 였고 2000년대 후반에는 신화적 서사양식의 건국사나 건국신화가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 15) 2000년대 특히 2000년대 후반부터 전문직 드라마의 등장이 두드러졌다. 의료계를 다룬 <하얀거탑>(M, 2007), <외과의사 봉달희>(S, 2007), <메디컬 센터>(S, 2000), 법과 관련된 15) 2008년 들어와서 <일지매>(S, 2008), <쾌도 홍길동>(K, 2008) < 必 殺 최강칠우>(K, 2008) 등 상상적인 역사 적 인물들이 다시 드라마의 소재로 유행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95 <표 2> 채널별 텔레비전 드라마 형식과 소재[드라마 수(%)] 전체 KBS1/2 MBC SBS 총 드라마 수 443(100.0) 135(100.0) 143(100.0) 155(100.0) 일일극 50(11.5) 17(12.6) 17(11.9) 16(10.3) 주간극 271(62.6) 86(63.7) 86(60.1) 99(63.9) 주말극 112(25.9) 32(23.7) 40(28.0) 40(25.8) 연속극 397(91.7) 121(89.6) 137(95.8) 139(89.7) 시추에이션 29(6.7) 10(7.4) 5(3.5) 14(9.0) 단막극 7(1.6) 4(3.0) 1(0.7) 2(1.3) 애정ㆍ연애 248(57.3) 62(45.9) 94(65.7) 92(59.4) 가족ㆍ가정 99(22.9) 39(28.9) 28(19.6) 32(20.6) 왕조사ㆍ정통역사 11(2.5) 8(5.9) 2(1.4) 1(0.6) 기록ㆍ전기 15(3.5) 6(4.4) 6(4.2) 3(1.9) 농촌 4(0.9) 3(2.2) 1(0.7) 0(0) 야사 5(1.2) 2(1.5) 1(0.7) 2(1.3) 전문(법률ㆍ의료ㆍ경제ㆍ정치 등) 11(2.5) 2(1.5) 2(1.4) 7(4.5) 근대사 8(1.8) 2(1.5) 2(0.7) 4(2.6) 범죄ㆍ수사ㆍ추리 3(0.7) 1(0.7) 1(0.7) 1(0.6) 기타(문예극, 시추에이션) 29(6.7) 10(7.4) 6(4.2) 13(8.4) <신의 저울>(S, 2008), <리멤버>(M, 2002), 카지노, 도박, 대부업 등을 다룬 <올인>(S, 2003), <쩐의 전쟁>(S, 2007), <타짜>(S, 2008), 기타 <식객>(S, 2008) 등 대부분 SBS가 주도 하였는데 높은 시청률은 수용자들의 관심을 반영한다. 이 드라마들은 1990년대 이전 전문드 라마들이 정치, 경제, 법률, 의료계 등을 다룬 것과는 차이가 있다. 직종도 다양해졌을 뿐 아 니라, 직업의 배경 내에서 주인공들의 업무적 성취와 사회적 갈등보다는 개인적 고뇌와 인 간적 측면에 주제를 맞추며 전문드라마의 외연이 확장되었다. 2000년대 방송 3사는 각 채널 내에서 차지하는 소재의 비중 차이는 있었지만, 선호하는 소재의 순위는 차이가 없었다. 농촌드라마, 근대사, 범죄ㆍ수사ㆍ추리극, 문예물이 완전히 소멸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2) 드라마 소재의 편중과 세분화 (1) 애정ㆍ연애 소재별 드라마 양상을 살펴보면 200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가 어떻게 변화했는 지, 주제와 지향하는 가치가 무엇인가를 포착할 수 있다.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96 가장 큰 화두는 <겨울연가>(K, 2002)로 출발한 한류와 드라마 수출이라고 할 수 있다. 한류 는 국내 드라마의 자의식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상품으로의 인식 전환을 가속화시켰다. 1990년대부터 문화상품으로 인식되어온 텔레비전 드라마가 해외시장에서도 주목받으면서 드라마의 상품성이 더 중요한 가치로 부각된 것이다. 16) 그러한 드라마에서 애정ㆍ연애 는 여전히 핵심적 소재이며, 2000년대에는 형식과 장르 를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선호되는 소재가 되었다. 드라마 유형별로는 특히 주간연속극(미니 시리즈)의 대부분이 애정ㆍ연애 를 다룬다. 2000년대의 특이점은 그 주인공의 연령이 낮아 졌다는 것이며, 심지어는 10대가 주인공인 경우도 있다. 2000년대 애정ㆍ연애 의 소재 내에 서 발생한 변화는 정통멜로의 퇴조, 트렌디드라마의 부상과 변용, 청소년의 성/금기된 사랑/ 중년의 사랑/연상 연하커플/동거 등이 자연스럽게 다루어진 점이다. 신데렐라 는 여전히 선 호되는 소재였다. 2000년대 초기에는 1990년대를 이어서 감성적이고 지고지순한 멜로적인 애정물 <가을 동화>(K, 2000), <겨울연가>(K, 2002) 등이 유행하였지만, 2003 2004년을 기점으로 애정 ㆍ연애극은 밝고 경쾌한 흐름을 갖는다. 2007년 즈음에는 <문희>(M, 2007) 같은 정통멜로 드라마는 완전히 퇴조하여 작가의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낮은 시청률로 고전했다. 따라서 멜 로드라마의 비극의 정서 보다는 밝고 경쾌하며 화려한 감각적인 애정이야기가 소재의 중 심이 되어, 자연히 20대 중심의 밝은 사랑을 다룬 트렌디드라마가 유행했다. 밝고 가벼운 소 재를 감각적으로 다루는 트렌디드라마는 젊은 층의 시청률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41.1%의 시청률(AGB닐슨 미디어 리서치 기준)을 보인 <파리의 연인>(S, 2004) 이나 2005년 최고 시청률을 보인 <내 이름은 김삼순>(M, 2005)은 트렌디드라마의 전형에 속한다. 10대에서 20대에 속하는 주인공들의 비현실적으로 정형화된 캐릭터와 스토리 구조 를 가진 트렌디드라마는 1992년 <질투>(M, 1992) 이후 꾸준히 성장하다가 2000년대 중ㆍ 후반부터 진부한 선악 구도, 왜곡된 가족 관계, 불치병 등 전통적인 요소들이 서사적 측면의 변형을 겪으며 16년간 애정ㆍ연애 극에서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2000년대 연애ㆍ애정 의 소재는 그동안 금기시된 사랑을 소재로 한 경우도 많았다. 스 승과 제자의 사랑[<로망스>(M, 2002), <러브홀릭>(K, 2005)], 형부와 처제의 사랑[<눈사 람>(M, 2003)], 동거[<옥탑방 고양이>(M, 2003)], 청소년의 사랑과 성[<쾌걸춘향>(K, 2005)], 동성애[<커피프린스 1호점>(M, 2007)] 등이 비교적 자유롭게 다루어졌으며, 미성년 과 성인의 사랑을 다룬 <낭랑 18세>(K, 2004) 등의 드라마에서 연애 대상을 아저씨 라고 부르면서 로리타 콤플렉스 논쟁이 있었다. 17) 남성 전업주부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다룬 <불량주부>(S, 2005)는 경제와 실업문제에 관한 우리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특징이기도 하다. 2000년대 드라마는 금기시된 소재를 가볍고 코믹하게 접근하면서 진지함과 현실감의 무게를 덜어내었다. 또한 만화적 기법을 차용하고 인터넷 용어를 사용하면서 10대의 정서와 감성을 자극한 16) <겨울연가>는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2조 300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했다(도쿄, 연합뉴스, 2004. 12. 10). 17) 로리타 논쟁은 드라마뿐만 아니라 원더걸스, 소녀시대 등의 등장으로 대중음악의 영역에서 더 활발하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97 <궁>(M, 2006) 18) 시리즈가 있는가 하면, 파격적이고 파괴적인 사랑과 죽음을 다룬 <발리에 서 생긴 일>(S, 2004), <네 멋대로 해라>(M, 2002) 등이 있었다. 전직 소매치기 출신으로 스 턴트맨 일을 하며 뇌종양으로 인해 시한부 삶을 살고 있는 청년과 인디밴드 연주자로 살고 있는 부잣집 딸의 사랑과 죽음을 다룬 <네 멋대로 해라>는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의 보편적인 이야기 방식은 아니지만, 드라마 시장의 세분화 가능성을 충분하게 보여준 사 례라고 할 수 있다. 이 드라마는 삼각관계, 결손가정, 난치병 등 지극히 신파적인 설정에도 불구하고 멜로드라마의 전형성을 벗어나며(김영찬ㆍ이기형, 2003; 우찬제, 2002), 1990년대 에 유행한 트렌디드라마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커피프린스 1호점>, <궁> 시리즈는 사춘기의 연애감정과 맞물리면서 10대부터 30대까지 고른 호응을 얻었으며, 텔레비전 드라 마에서 리얼리즘 강박을 완전히 걷어낸 판타지 드라마로 볼 수 있다. 2000년대 애정ㆍ연애 소재의 특이점은 40대 기혼자의 사랑이 드라마의 비중 있는 소재 가 된 점이다. 1996년 <애인>(M)에서 이미 기혼자의 가정 외 사랑을 불륜이 아니라 연애의 감각으로 다룬 적이 있었지만, 2000년대에는 그것이 자연스러워졌다. <위기의 남자>(M, 2002), <내 남자의 여자>(S, 2007)처럼 불륜의 의미를 살리며 진지하게 접근한 경우도 있지 만, 대부분 순수한 사랑과 연애로 다루며 코믹 터치로 표현하여 불륜의 무게감을 덜었다 [<돌아와요 순애씨>(S, 2006), <앞집여자>(M, 2003) 등]. 중년의 이혼과 재혼 문제도 중요 한 화두였다. 동명의 일본소설을 원작으로 한 <연애시대>(S, 2006)는 이혼한 부부와 그들을 둘러싼 새로운 사랑을 다루면서, 원수 가 아닌 친구 로서 지속적 만남과 관심을 가지며 새 로운 사랑을 가꾸는 신세대의 사랑 방식을 소개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애정ㆍ연애 극에서 신데렐라는 트렌디드라마가 유행한 1990 년대 이후 꾸준히 선호된 소재이며, 최근에는 이른바 줌마렐라 드라마가 방영되면서 신데 렐라의 연령을 40대로 확대했다. 식상하고 도식적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정통 신데렐라 극 <파리의 연인>(S, 2004)부터 변형된 신데렐라극 <내 이름은 김삼순>(M, 2005)까지 해 당년도 거의 최고의 시청률을 얻었다. 명백한 선악의 구분, 재벌2세, 운명적 사랑, 출생의 비 밀, 불치병은 여전히 드라마에서 선호되지만, 2004년을 기점으로 조금씩 약화되는 경향도 보인다. (2) 가족ㆍ가정 가족ㆍ가정 은 그 특성상 홈드라마의 성격을 벗어나지 않는 일일연속극이 가장 선호하 는 소재이다. 주말연속극의 소재가 되기도 하지만 2000년대 가족ㆍ가정극 은 주말연속극 에서 그리 많지 않았다. 가족ㆍ가정극 은 대부분 가족이나 사회구성원 간의 화해와 화합을 모색하는 결론을 취하므로 현재의 지배적인 관념과 질서에 순응적이다. 가족ㆍ가정극 이 18) 이 드라마는 한국을 입헌군주제 국가로 가상 설정하며 왕족과 평민 간의 사랑을 코믹 만화의 감성으로 다루었 다. 10대들의 인터넷 용어를 극중 대사로 활용하고 스톱모션과 화면 위의 자막처리를 포함한 영상도 만화적으 로 처리하여 10대들까지 적극적인 시청자로 끌어들였다. 김예란(2006, 193쪽)은 <궁>을 과거의 역사적 기표 를 취하지만 현대적인 이야기 요소와 감각을 중심으로 내러티브를 전개한 트렌디 역사드라마 로 규정한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98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분석의 주요대상인 것도 이러한 특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 소재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50년의 연속적인 특성을 발견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이기도 하다. 2000년대 가족ㆍ가정극 에서는 아버지의 쇠락과 여성(어머니, 며느리)의 강화가 주요 화두였다. 개별 드라마 내에서도 아버지의 위상이 과거와 다르게 묘사된 경우도 있지만, 아 버지 자체가 소재인 주말연속극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K, 2001), 19) 가정 내에서 아버 지의 전통적인 위상과 의미를 되짚어보게 하는 <부모님 전상서>(K, 2004)는 오늘날 가정에 서 아버지를 위치를 돌아보게 한다. <엄마가 뿔났다>(K, 2008)는 전통적인 어머니의 역할 에 문제제기를 하면서도 오늘날 초라하고 왜소해진 가정 내에서의 아버지상을 부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며느리 전성시대>(K, 2007), <굳세어라 금순아> 20) (M, 2005) 등은 가족 내에서 여성의 지위향상과 자녀 양육에서의 권리를 주장하며, 남편 가족 중심의 가족관계에 문제를 제기한다. <노란 손수건>(K, 2003)은 호주제의 변모와 가족관계에 대한 관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여성계에서도 관심을 가졌다(한국방송공사, 2004). 2000년대 가족ㆍ가정극 은 여성의 관심과 이해를 반영하고자 노력했지만, 여성의 묘사 와 재현에서 여전히 전형적인 편견과 차별적 대우가 드러났다. 그 한 예로 <소문난 칠공 주>(K, 2007)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방영 초기 40% 내외의 시청률을 유지하다가 30.4%로 종 영한 이 드라마는 말 그대로 말 많은 드라마 였다. 임신한 딸을 이집 저집 끌고 다니는 장면 에 시청자들과 여성계가 강력하게 항의했다. 천륜 은 가정ㆍ가족 이데올로기를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홈드라마에서 가 족관계의 비윤리성은 다른 장르보다 특히 비난을 받는다. 2000년대 가정ㆍ가족극 에서 가 장 크게 비난받은 것은 아버지의 배신과 딸의 복수를 다룬 <인어 아가씨>(M, 2002)일 것이 다. <인어아가씨>는 일일연속극, 홈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홈드라마가 일반적으로 추구 하는 가족ㆍ가정의 소중함과 의미보다는 어머니를 버린 친아버지에 대한 치밀한 복수를 소 재로 하여 크게 비난받았다. <하늘이시여>(S, 2005)도 친딸을 며느리로 맞이하는 근친상간 적 요소와 파괴적인 가족관계로 인해 비난받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드라마 모두 시청률은 매우 높아 욕하면서 본다 는 시청자들의 시청양태를 증명했다. 대신에 따뜻하고 온화한 감성으로 1991년에 높은 호응을 얻었던 <돌아온 뚝배기>(K)를 리메이크 한 2008년 판은 현재의 시대적 감정을 포착하지 못하여 인기를 얻지 못했는데, 이는 1986년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애정ㆍ연애물 <사랑과 야망>(S, 2006)의 성공과는 대조적이다. 가족ㆍ가정극 의 소재도 다양해졌다. 무속을 다룬 <왕꽃선녀님>(M, 2004)과 미혼모를 19) 경제적으로 무능하며 가슴 속에는 평생을 사랑해 온 여자를 두고 있는 아버지와 낚시터에서 매운탕을 끓여주 고 생계를 유지하며 큰 아들의 성공만을 희망하는 어머니를 둔 형제의 이야기이다. 큰 아들은 아버지를 보며 사랑하는 여자와의 결혼을 추구하고, 작은 아들은 아버지의 무능력을 경멸하며 성공을 추구한다. 두 아들 모두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지만 하나는 사랑을 선택하고 하나는 사랑을 버린다. 사랑을 선택한 형도 성공을 선택한 동생도 힘들게 살아가는 과정을 그리며 아들의 선택을 통해 아버지의 모습을 돌아본다. 20) 굳세어라 금순아 는 1953년 동명의 트로트 음악이 발표된 바 있다. 흥남부두, 1ㆍ4후퇴, 영도다리 등 당 대를 상징하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이 노래는 전쟁과 분단의 정서를 잘 담아 당대인에게 인기가 높았다. 이 제 목은 1950년대의 노랫말과 상관없이 그 후 영화, 드라마, 코미디의 대상으로 자주 활용되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99 다룬 <굳세어라 금순아>(M, 2005) 등 홈드라마에서 생소한 소재들이 등장했으며, 다문화 가정과 결혼이민여성들의 삶이 주변 이야기로 배치되었다. 대가족을 배경으로 연변처녀의 사랑을 중심소재로 다룬 <열아홉 순정>(K, 2006), <금쪽같은 내새끼>(K, 2005)는 각각 국 제결혼과 중년부부의 사랑ㆍ노인의 성ㆍ여성문제 등을 다각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2000년대 가족ㆍ가정극 은 대가족주의의 큰 틀을 유지하지만, 사회현실의 변화에 맞추 어 미혼가정, 이혼ㆍ재혼 가정,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가족 형태를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가 족ㆍ가정극 에서 규범적 인물로만 위치했던 노인들의 삶이 다른 각도에서 조명되며 그들의 이야기가 드라마 속으로 녹아들었다. 여성, 남성, 연장자, 아랫사람으로 나누어 절대적인 강 자나 약자를 구분하기보다는 각각의 의미와 비중이 균형을 찾아가는 모습도 발견되었다. 21) (3) 사극(왕조사/기록ㆍ전기/야사) 1990년대 이전까지 사극에서는 개별드라마가 인기를 얻은 경우는 있었지만, 한국 텔레 비전 전통에서 역사드라마는 인기 있는 장르가 아니었다(주창윤, 2006, 12쪽). 대선정국과 맞물렸던 1996년 <용의 눈물>이후 사극은 꾸준히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삼성경제연 구소의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조영>(K, 2007)과 <태왕사신기>(M, 2007) 등 사극이 2007년 10대 히트상품 4위에 기록되었다. 22) 2000년대 역사극의 가장 큰 특징은 고구려사 이전의 역사적 조명, 신화적 서사와 상상적 서술, 화려하고 볼거리와 현대적인 대사, 여성인 물의 부각, 야사의 퇴조 23)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1990년대까지 사극은 주로 조선시대를 다루었으나, <태조 왕건>(K, 2000)을 시작으로 고려시대, 삼한시대까지 정사극의 소재가 확대되었다. <신돈>(M, 2005)은 고려를 망하게 한 요승 혹은 기울어가는 나라를 다시 일으키려 했던 영웅이라는 상반된 평가 속에서 신돈 을 고려 말의 혁명적인 사상가로 묘사했고, <주몽>(M, 2006)은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사를 다루면서 신화적 관점의 판타지와 게임적인 서사를 활용하여 사극의 표현 양식을 다양화했 다. <태왕사신기>(M, 2007)도 고구려의 광개토 대왕이라는 역사에서 실존한 인물을 소재 로 했지만 이야기 서술에는 신화와 판타지적 요소가 첨가되었다. 거대영웅의 서사구조와 게 임서사의 도입, 무협적인 장면, 여성인물의 적극적인 권력 개입은 2000년대 판타지 역사극 의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또한 화려한 의상과 현대적인 어투를 사용한 퓨전사극이 유행했다[<해신>(K, 2004), <허준>(M, 1999 2000), <다모>(M, 2003) 등]. <다모>는 무협과 판타지, 멜로적 요소를 결합시켜 현대적인 정서를 가미한 퓨전사극 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이다(이기형, 2006). <다모>는 인터넷을 통해 적극적인 마니아층을 형성했고, 일명 다모폐인 들은 게시판에 21) 특히 시댁에서 며느리의 입장,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위상 등에 관한 변화가 두드러졌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기제로 역할을 한다는 비판을 벗어나게 할 것인가는 판단하기 어렵다. 22) 사극, 대선 바람타고 올 내내 순항 (2007. 12. 26). 한국일보. 23) 2007년까지 야사는 거의 소멸상태였다가 2008년에 다시 주목 받고 있다.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100 시청소감과 체험을 올리고 드라마 내용에 압력을 가하면서 수동적 소비자에서 능동적 참여 자로 변화한 팬덤 현상의 좋은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 평균 시청률 45.%(닐슨 미디어 리서치 기준)를 보인 <대장금>(M, 2003)은 수랏간 을 배경으로 화려한 볼거리와 미감을 제공하고, <태조 왕건>(K, 2000)은 세트장이 문경ㆍ제천ㆍ안동 등에 마련되어 높은 관광 수입을 올리 면서 이후 드라마 세트장 유치는 지자체의 주요 사업 중 하나가 되었다. 사극에서도 스펙터 클이 과거보다 더 중요해진 것이다. 사극은 전통적인 남성의 영역이므로 권력암투의 역사에서 여성은 항상 주변적이었다. 여성이 중심인물로 등장할 때조차 여성들은 왕의 승은을 얻어 신분상승과 권력을 얻기 위해 남성들의 판에 끼어들어 온갖 음모와 책략을 일삼는 부정적인 주체로 다루어졌다(이동후, 2004 참고). 그러나 <대장금>(M, 2003), <다모>(M, 2003), <황진이>(K, 2002) 등에서 여성 캐릭터는 능동적으로 자신의 영역을 일궈내는 적극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으로 묘사되며, 권 력의 주변부에 위치한 부수적 존재로서의 여성을 갈등과 화해의 중심부로 불러들였다(같은 글 참고). 역사 속 여성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그들에 대한 역사의 기록 자체가 많지 않고, 또 한 작가의 상상력 개입이 자유로운 장르 특성상 여성들의 시대적 요구가 잘 반영되었기 때문 으로 보인다. 정난정의 권력욕과 몰락을 다룬 <여인천하>(S, 2001)와 숙종을 사이에 두고 인 현왕후와 희빈 장씨가 벌인 갈등을 다룬 <장희빈>(K, 2002)은 여전히 선호되는 소재였다. 2000년대 사극의 또 하나의 특징은 야사가 퇴조한 점이다. <어사 박문수>(M, 2002)도 사극에서 흔하지 않게 코믹터치로 접근하였지만 낮은 시청률로 고전했다(문화방송, 2003), 사극에서도 감각적인 볼거리의 향연이 역사적 사실, 이념, 가치보다 우위에 위치하는 경향 이 있었다. 그 외 서사의 측면에서 2000년대 사극은 역사적 맥락과 개인의 업적에 초점을 맞 췄던 1980 1990년대의 정통사극과 달리 등장인물들의 인간적 고뇌와 감성을 섬세하게 표 현하는 데 집중하였다[<이산>(M, 2007), <불멸의 이순신>(K, 2004) 등]. 주창윤(2006, 12쪽)은 1990년대 중ㆍ후반 이후 역사 드라마의 급부상은 역사적이고 기록 적인 서술에 의존하기보다는 상상적 서술방식을 통해 역사적 개연성과 허구성의 외연을 넓 힘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사극은 역사의 빈 공간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채우는 작업이므로, 과거의 재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적 해석이 개입할 수 있는 가장 적절 한 장르이다. 그래서 역사드라마는 동시대의 꿈과 욕망을 반영한다고들 한다. 2008년 현재,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리얼리티는 사극장르에서도 무게감을 상실한 것이 사실이며, 시청 자들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faction 에 몰입하고 있다. (4) 문예물/농촌드라마/시대극의 퇴조와 시트콤의 유행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큰 변화 중 하나는 문예물의 퇴조, 농촌드라마 폐지, 시대극의 약화라고 할 수 있다. KBS의 대표적인 단막극인 <TV문학관>(K, 1981)은 < 新 TV 문학관>, <HDTV문학관>으로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MBC도 2004년부터 급격하게 진행된 단막극의 시청률 저하로 2005년 4월 <베스트극장>은 자체 휴식 에 들어갔고, 그해 10월 <태릉선수촌>이라는 타이틀로 토요일 심야시간대에 편성되었지만(문화방송, 2006)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101 시간변동과 폐지를 반복하며 부정기적으로 방영되고 있다. 이는 이미 시청자의 기호가 연 속극 형태로 굳어졌고, 단막극에 대한 관심이 양적, 질적으로 급성장한 한국영화로 이동하 였으며, 텔레비전 단막극은 시청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작 역량을 발휘하지 못한 데도 원인이 있다(문화방송, 2005). 또한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중요한 변화는 농촌드라마의 퇴조이다. <전원 일기>(M, 1980)는 2000년 3월 1,000회를 방송하며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사에서 한 획을 그 었지만 그해 12월 박수칠 때 떠나려 해도 를 마지막으로 종영하였다. 제작진은 소재고갈과 부진한 시청률, 이에 따른 연기자의 이탈을 폐지요인으로 지적했다(문화방송, 2003). <전원 일기>는 농촌을 평온하고 안락한 공간으로 묘사하고, 3대로 구성된 가족관계와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화합과 조화를 모색하는 매우 비현실적인 드라마라는 평가에도 불구 하고 길게는 1990년대 초반까지 그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1960 1970년대 정부의 근대화ㆍ 도시화 정책에 따라 이농하여 1980년대 도시민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농촌 출신 시청자들 은 <전원일기>와 같은 농촌 드라마로부터 사실적 향수를 경험하며, 전통적인 가족관계와 농촌을 추억했다(정영희, 2005). 하지만 <전원일기> 폐지에 이어 농촌드라마의 맥을 이어 오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K, 1990)도 2007년 10월 종영하였다. 2007년 10월부터 전원 드라마 라는 타이틀로 <산너머 남촌에는>이 방영되면서 귀농가족, 다문화가정의 이야기 를 다루고 있지만 1980 1990년대처럼 호응을 받지는 못했다. <전원일기>의 종영, <TV문 학관>, 24) <MBC베스트극장>의 쇠락은 밝고 경쾌하며 소비지향적인 감각적 삶을 추구하 는 동시대의 지배적인 정서를 반영한다. 일제, 해방기, 근대사에 무겁고 진지하게 접근하는 시대극도 2000년대의 보편적인 정서 를 담아내지 못했다. <영웅시대>(M, 2004)는 경제드라마이자 역동의 최근대사를 다룬 드 라마로 방영 이전 화제를 모았으나 기대처럼 사회적인 반향을 이끌어내지 못했다(문화방송, 2005). <제 5공화국>(M, 2005)도 시의성 있는 주제의식과 대대적인 스케일로 관심을 모았 으나 공화국시리즈 명성을 이어가지 못했다(문화방송, 2006 참고). 농촌 드라마의 소멸, 문예물과 시대극의 침체 25) 는 가볍고 경쾌하며 탈일상적인 시트콤 이 유행한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감각을 그대로 보여준다. 26) 200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자들은 텔레비전의 사실적인 영상을 통해 현실적으로 보이는 비현실의 판타지 를 즐기는 아이러니에 노출되어 있다. 24) 문예물의 퇴조는 1990년대부터 진행되었다. 2001년 방영된 KBS의 <TV문학관>은 길은 그리움을 부른다 (이균영 원작, 장기오 연출), 그곳에 바람이 있었네 (강석경 원작, 장기오 연출), 다리가 있는 풍경 (전경린 원 작, 이민홍 연출) 등 3편에 불과하다. 이후 < 新 TV문학관>, <HDTV문학관>이라는 타이틀로 연간 5편 내외 방영되고 있다. 25) 1970년대 경제발전기의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죽도록 사랑해>(M, 2003)도 낮은 시청률을 보였으며, 근대사에서 한국 경제성장의 중심에 있었던 기업인들의 삶을 다룬 <영웅시대>(M, 2004)는 1970 1980년대 와 다름없이 여전히 정치적 외압설에 휘말렸고, 낮은 시청률로 인해 70회로 조기종영하였다. 26) 한국의 시트콤은 1991년에 개국하여 제작여건과 인적 자원이 취약했던 SBS가 시청률 경쟁의 돌파구로 도입하 였다(김주영ㆍ김훈순, 2006, 130쪽). <오박사네 사람들>(S, 1993) 이후 시트콤은 꾸준히 성장하여 2000년대 는 일일시트콤이 유행했다. IMF 경제위기 이후 시트콤은 저비용 고효율의 제작 체계에 적합한 장르적 특성이 부각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팽창하였다(같은 쪽).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102 (5) 매체전환 텍스트의 유행 2000년대에는 매체전환 텍스트가 과거보다 활발하게 방영되었다. 텔레비전 드라마가 활용하는 원작은 주로 인기소설, 인기만화, 과거 인기 드라마의 리메이크이다(이화진ㆍ김 숙, 2007, 162쪽). 2000년대 원작 드라마는 소설 원작의 <불멸의 이순신>(K, 2004), <토 지>(S, 2004), <장길산>(S, 2004), 인터넷 소설 원작의 <옥탑방 고양이>(M, 2003), <내 이 름은 김삼순>(M, 2005), 인기만화 원작의 <다모>(M, 2003), <풀하우스>(K, 2004), <궁> (M, 2006), 그리고 과거 드라마를 리메이크한 <사랑과 야망>(S, 2006), <돌아온 뚝배기>(K, 2008)가 대표적이다. 27) 원작 드라마가 많았지만 원작이 텔레비전 텍스트로 전환된 경우 모 두 성공한 것은 아니다. <불멸의 이순신>, <내 이름은 김삼순>은 성공했지만 <토지>와 <장길산>같이 진지하고 무거운 주제를 다룬 드라마는 시청률 확보에 실패했다. 인기 있는 원작에서 제목과 설정만 차용하고 스토리와 캐릭터를 다시 만든 <풀하우스>(33.4%)와 <내 이름은 김삼순> 28) 은 높은 시청률을 보였지만, <토지>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1979년 과 확연하게 달랐다. 일본 드라마를 각색한 <영재의 전성시대>(M, 2005), <구름계단>(K, 2006), <하얀거탑>(M, 2007), <연애시대>(S, 2006)도 일종의 매체전환 텍스트이다. <하얀 거탑>은 원작 드라마의 주인공이 실제로 자살한 에피소드까지 회자되면서 시청자들에게 높은 관심을 얻었다. 매체전환 텍스트는 다른 매체에서 상업성을 이미 검증 받았기 때문에 드라마 제작자들 의 위험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텔레비전이라는 매체 자체의 특성과 이미 존재하는 문화물과의 상호텍스트적 효과가 드라마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허영만 의 동명만화를 각색한 <식객>(S, 2008)은 경쟁 시간대에 비해 시청률 면에서 우세했지만 튼 튼한 스토리 구조와 화려한 볼거리에도 불구하고 원작의 명성에 비하면 상업적으로 성공했 다고 보기 어렵다. 매체전환 텍스트는 최소한의 기획과 어느 정도 보장된 성공을 바탕으로 제작되므로 대중문화의 양산 시스템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인기 있는 내용을 매체만 달 리하여 재생산하기 때문에 소재의 부가가치가 높이는 텍스트이다. 2000년대 매체전환 텍스 트의 유행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상품으로서의 기획과 제작현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한 사례로 볼 수 있다. 5.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변화와 역사성 텔레비전 드라마의 형식과 내용은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요구를 반영하고 설명 한다(김승현ㆍ한진만, 2001).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를 10년 단위로 보면 1960년대 단막극에 27) <토지>는 소설 원작 드라마이면서 1979년판 <토지>(K)를 리메이크 한 드라마이다. 28) 종영 당시 시청률은 수도권 기준으로 53%(TNS미디어코리아 기준)였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103 서, 1970년대의 일일연속극과 주말연속극, 1980년대는 특집극과 대형극, 1990년대는 미니 시리즈와 시트콤의 등장으로 변해 왔다. 드라마 유형은 제작 기술뿐 아니라 당대에 선호되 는 소재와 주제에 따라 변했다. 형식과 소재에서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1961 1999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1960년대 초반에는 주간 단막극이 우세하다가 1965년을 기점으로 연속극이 우세해졌 다. 1962년 6월 한국 최초로 TV연속 드라마인 일요연속극 이 방영되었고 이때 방송된 드라 마가 <서울의 뒷골목>이다. 1964년 최초의 일일연속극 <눈이 나리는데>(T)가 방영된 이 후에도 일일연속극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주요 형식으로 자리 잡지 못하다가, 1970년 <아 씨>(T)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29) 정착되었다. 30) 소재 면에서 1960년대는 문예물과 사 극, 반공물이 압도적으로 많았다(정영희, 2005, 64 90쪽). 당대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사회 구성원들을 바람직한 국민과 사회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교육하고 계몽하는 도구로 인식 되었기 때문에 텔레비전 드라마는 계도성 목적극의 범주 내에 있었다. 그와 동시에 새로운 매체를 실험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등장하여 텔레비전 드라마를 문화예술의 장르로 인식하며 번안소설, 근대소설 등 문예물을 드라마화했다. 장편의 드라마를 제작할 수 없는 1960년대 초반에 문예물은 당대의 제작환경에서 선호되는 소재이기도 했다. 1970년대는 일일연속극의 독주시대였다(김승현ㆍ한진만, 같은 책, 63쪽). 일일연속극에 이어 주간연속극이 1977년까지 2위를 차지하다가 1978년을 기점으로 특집극에 자리를 내주 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전통적인 소재는 1970년대에 개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1970년 <아씨>(T)의 인기는 텔레비전 드라마 소재에도 영향을 주어 그 후 드라마 제작 자들은 여성 취향의 전형적인 한국적 멜로드라마를 만들었고 일일연속극은 시청률 경쟁의 핵심 분야가 되었다. 텔레비전의 경우 시청률 순위는 거의 일일연속극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임상원, 1978, 100쪽). 1970년대부터 눈물드라마의 전통은 계속되어 헌신적 여성과 남자의 배신, 남녀의 삼각관계, 가장의 외도, 시댁과 며느리의 갈등 등은 1990 년대까지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전통적인 소재였다. 그리고 <아씨>(T, 1970), <여로> (K, 1972), <새엄마>(M, 1972)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향후 지속되는 인내하고 순종적 이며 희생적인 여성상을 만들어내었다. 1970년대는 여성적 소재 이외에도 <실화극장>(K, 1964 1978)을 비롯하여 대남간첩, 조총련을 다룬 반공극과 <수사반장>(M, 1971 1989)같 은 범죄ㆍ수사극이 유행했다. 그 외 우리민족의 정서를 다룬 고전극 <사또돌쇠>(K, 1971), <이춘풍전>(K, 1972) 등도 유행했다. 또한 <꽃동네 새동네>(K, 1970), <무지개 뜨는 골 목>(K, 1973) 등 이상적인 사회모습과 가정상을 제시하며 밝고 경쾌한 일상을 다룬 드라마 들이 주요 소재로 등장했다. 하지만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불륜 전통이 만들어진 것도 이 시기이다. 1969년 MBC 개국 이후 일상극에서도 불륜, 복잡한 애정관계를 엮은 삼각 멜로 물이 많이 나타났으며(정영희, 2005, 107쪽), 일일연속극에서도 삼각애정의 진한 멜로드라 29) <아씨> 방영 당시 TBC 기획조사부가 실시한 시청률 조사에 의하면 KBS 29%, TBC 46%, MBC가 31%로 나 타났고, 같은 해 8월 서울대 사회학과의 조사에 의하면 KBS는 27%, TBC 46%, MBC는 27%로 나타났다(정순 일, 1999, 61쪽). 30) <아씨> 이후 TBC는 7시, 8시, 9시, 10시 등 하루 네 번의 일일연속극을 방송한 때도 있었다(노정팔, 1995, 441쪽).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104 마가 방영되었다. 하지만 1976년의 통일편성방침, 1977년 방송드라마 기준을 발표하면서 정 부가 드라마 소재에 더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캠페인성의 목적극을 장려할 뿐만 아니라, 불 륜, 애정극도 강하게 규제하였다. 일일연속극의 규제로 인해 불륜이나 삼각관계를 다룬 진 한 멜로드라마들은 주말 편성으로 이동했다. 31) 1980년대는 방송환경과 제작환경의 변화로 텔레비전 드라마 형식과 소재도 획기적으로 변했다. 1970년대 유행했던 애정물과 일일연속극이 퇴조하고 주제의식이 뚜렷한 단막극과 특집극이 두드러졌다. 2시간 분량의 드라마들이 정규 편성되면서 대형드라마가 등장했다. 정부는 역사의식 고취와 총화단결의 명분으로 역사극 제작을 직ㆍ간접적으로 지원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6ㆍ29 선언과 언론기본법의 폐지로 정부의 편성 통제가 완화되 면서 대형프로그램도 점차 퇴조하였고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새로운 형식과 소재가 개 발되기 시작하였다(김승현ㆍ한진만, 같은 책, 92 93쪽). 1984년 MBC가 일일극 폐지를 선언 하며 일일극이 잠시 쇠퇴하는 듯하였으나, 1980년대 전체적으로는 일일연속극이 가장 지배 적인 텔레비전 드라마의 유형이었다. 이 시기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는 1970년대에 비해 애정극이 줄어들었으며, 소재가 비교적 세분화되었다. 1983년 MBC <베스트셀러 극장> 개 시로 단막극, 문예물이 다시 주목받았으며, MBC의 공화국 시리즈 등 현실비판적 소재가 등 장했다. 다른 대중문화물보다 현실비판적인 소재의 접근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소설이 미니 리시즈 형식으로 종종 드라마화되었다. 1990년대는 미니시리즈의 등장이 확연하게 돋보였다(김승현ㆍ한진만, 같은 책, 129쪽). 미니시리즈는 1980년대 중반 정규편성되었으나 1992년 MBC의 <질투>가 큰 인기를 얻으 면서 1990년대의 대표적인 드라마 포맷으로 자리 잡았다. 문화상품으로서의 텔레비전 드라 마 위상에 맞게 경쾌하고 감각적이며 현란한 볼거리가 제공되는 미니시리즈는 지루한 일일 연속극의 리듬에 영화적 감성을 더하면서 지금까지 텔레비전 드라마의 대표적인 포맷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시기는 전반적으로 가족ㆍ가정 극이 두드러졌다. 1990년대 초반은 미니 시리즈 형식의 애정ㆍ연애 가 많았으나, 1997년 IMF를 경험하면서 복고풍의 가족 드라마 가 부흥하였다. 1980년대 유행했던 현실비판적 소재도 사라졌다. 또한 <모래시계>(S, 1995), <제4공화국>(M, 1995), <코리아게이트>(S, 1995) 등 정치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드 라마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제작되었지만, 일제 식민지, 전쟁, 민족갈등의 역사적 사건들조 차 젊은이들의 애정놀이의 배경으로 전유되었다[<모래시계>(S, 1995), <여명의 눈동자> (M, 1991) 등]. 2008년 현재,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형식과 소재 면에서 과거와 차별적인 동시에 연 속적 특성도 보인다. 기간 드라마의 정착, 미니시리즈의 활성화, 사극의 급부상, 32) 문예물/농 31) 편성에서 평일과 주말의 구분은 TBC의 개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4년 TBC는 개국하면서 그동안 KBS가 생산하지 못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면서 평일과 주말을 구분하여 주말편성에 오락성을 강화하였다(오명환, 1995, 87쪽). 32) 1980년대도 사극방영이 활발했지만 민족정신함양과 총화단결을 주창하는 정부의 직접적 간접적 지원을 받아 서 제작했다는 점에서 2000년대와 양상이 다르다. 이성계의 역성혁명을 정당화하는 <개국>과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는 1980년대 사극의 전형을 보여준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105 촌드라마/범죄ㆍ수사극의 쇠퇴, 경쾌하고 엽기적인 내용의 시트콤 약진은 2000년대 텔레비 전 드라마의 외형적인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1990년대 후반과 중첩된다. 1993년의 MBC 드라마 편성표를 보면 당시에는 미니시리즈 이외에도 다양한 포맷의 드라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드라마 포맷은 미니시리즈로 수렴되었고 애정ㆍ연애 소 재가 급격하게 늘어났다. 2008년 현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특성은 1990년대 후반부터 나타난 경향의 심화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때의 연장에서 소재와 주제는 획일화되고 그 범 위 안에서 다양화되었다. 애정ㆍ연애 에서 윤리적 가치를 강조하는 주제가 전반적인 쇠퇴 하고, 성(성애, 외도 등)의 문제도 가치평가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감정적이고 감성적인 표 현법을 사용하면서 동성애, 청소년의 사랑, 중년의 가정 외 사랑, 스승과 제자의 사랑, 형부 와 처제의 사랑 등 다양한 유형의 사랑으로 영역을 확대하였다. 가족ㆍ가정 극에서는 부부 중심의 가족관계가 중시되었고 가족구성원의 전통적인 역할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졌다. 이 혼과 재혼, 노년의 성이 중요한 화두였으며 여성문제에도 진지하게 접근하였다. 사극 은 고 려 이전의 건국사로 소재를 확대했으며, 표현의 서사양식도 게임ㆍ판타지 소설ㆍ무협지와 상호텍스트적이다. 전문 드라마는 이전의 정치ㆍ경제ㆍ의료ㆍ법률 등의 직종에서 카지노 ㆍ대부업ㆍ도박ㆍ게임ㆍ경호ㆍ식문화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였다. 전반적으로 2000년대 한 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밝고 경쾌하며 소비지향적인 감성이 진지하고 무거운 소재와 주 제를 대체하였으며, 드라마는 경험적인 리얼리티 강박에서 자유로웠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텔레비전 드라마의 50년 전통을 이어오는 연속성을 발견할 수 있 었다. 연속극은 여전히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보편적인 유형이며, 특히 일일연속극은 현 실가족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여 이혼ㆍ재혼 가정, 다문화 가정을 묘사하지만 대가족 중심 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내에서 가족갈등과 화해를 모색하고 있었다. 또한 왜곡된 가족관 계, 외도와 비상식적인 관계설정의 비윤리성은 1960, 197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욕하면 서 보는 드라마 의 공통된 특징이었다. 2008년 현재까지도 애정ㆍ연애 는 한국 텔레비전 드 라마에서 시대와 장르를 초월하여 절대적으로 선호되었다. 2000년대는 다만 그 주인공의 연 령이 10대에서 40대까지, 나아가 노년의 로맨스까지 확장되었고, 다양한 유형의 사랑을 포 함했다. 애정ㆍ연애 에서 신데렐라의 서사는 여전히 건재하며 변형과 변모를 거듭하며 지 속되고 있었다. 명백한 선악의 구분, 재벌2세, 운명적 사랑, 출생의 비밀, 불치병은 드라마의 이야기 전개의 핵심장치이지만, 2004년을 기점으로 명백한 선악의 구분과 성역할은 조금 약 화되는 경향도 있다. 6. 결론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드라마가 문화상품기(김승현ㆍ한진만, 같은 책) 로 진입하고, 즐거움과 현실유지(정영희, 2005) 를 지향한 1990년대 후반의 특성과 중첩되며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106 그 현상이 심화되어 있었다. 편성과 제작에서는 기간 드라마 정착, 포맷의 수렴, 소재의 편중 화, 편중된 범주 내에서의 세분화가 특징이며, 주제에서는 이념, 질서 혹은 윤리적 가치를 강 조하는 성향이 약화되었다. 드라마의 사실성에서도 감각적인 표현의 리얼리티가 경험적 리 얼리티보다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33) 드라마는 경험적 리얼리티의 강박을 벗어나 밝고 경쾌 하며 소비지향적인 감성을 섬세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34) 2000년대의 드라마의 이러한 특성은 몇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드 라마의 상업적인 기획이 한 요소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자들은 직전에 성공한 드라마의 흥행 요소를 기반으로 후속 드라마의 소재와 형식을 결정하며, 거기에 약간의 변형을 추가 하여 트렌드를 진화시켰다. 이는 소재와 포맷을 수렴시키고 특정한 소재 범위 내에서 소재 를 세분화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시청자들은 텔레비전 화면에서 1993년 이전과 같은 다양한 포맷의 드라마를 더 이상 찾을 수 없으며, 일주일 내 젊은이들의 사랑놀이를 지켜봐야 했다. 또한 2000년대의 드라마는 계몽ㆍ계도의 수단으로 활용된 역사, 이념적 가치의 실현을 강요받아온 과거에서 자유로워졌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었다. 과거 텔레비전 드라마는 시청자의 오락인 동시에 권력의 이데올로기적 도구였다. 1980년대 초반까지도 텔 레비전 드라마는 정부의 편성지침에 따라 민족의식 함양 을 위해 노력하였다. 드라마의 목 적의식의 약화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주제를 다양화할 수 있게 하였다. 드라마에서 사 회현실, 이념, 가치의 몰락은 다양한 사랑법, 비일상적인 관계 등 그동안 비현실적, 비윤리 적, 비교육적이라는 비판 때문에 배제되었던 많은 소재와 주제 또한 드라마 영역으로 끌어 들였다. 하지만 상업적 가치가 드라마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되면서 드라마 제작자의 운신 폭은 더 줄어들었다. 소재와 주제에서 리얼리티의 퇴조는 현실의 무게감, 고달픔을 굳이 드라마를 통해서까 지 확인하고 싶지는 않은 동시대 사회구성원들의 욕망의 표현일 수도 있다. 텔레비전 드라 마는 동시대의 감수성에 매우 민감하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은 제작자의 몫이지만 수용 자도 특정 드라마에 반응하고 평가하며 그것은 다시 제작자들의 시청자 인식에 영향을 주어 유사한 드라마의 생산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제작자와 생산자의 구분 없이 사회구성원 전체의 요구와 욕망을 반영한 공동체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산 물에는 그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것, 교감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의존하는 그 어 떤 것이 용해되어 있다. 윌리엄스는 이것을 정서구조(structure of feeling) (Williams, 1977)라 고 부른다. 윌리엄스에 의하면 대중문화의 성공에는 언제나 대중들의 욕망과 불안이 담겨 있다. 대중은 독립적인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텔레비전 드라마를 시청하지만 수용과 반응은 사회적이고 집단적이다. 35) 따라서 특정한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의 호응은 당대의 지배적인 33) 실례로 사극에서는 역사적 사실성보다는 실감나고 현실적으로 보이는 장면과 묘사가 더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2000년대 드라마의 리얼리티는 소재와 스토리에서 자유롭고 표현에서는 강박적인 양면적 특성을 보였다. 34) 텔레비전 드라마와 리얼리티 관계의 이러한 재설정은 드라마 바깥에서 휴먼다큐가 급부상한 것과 연결하여 설 명될 수 있을 듯하다. 2000년대에는 드라마를 통하지 않고서도 리얼리티를 경험할 수 있는 많은 프로그램이 개 발되었다. <병원 24시>(K, 2001 2005), <다큐미니시리즈 인간극장>(K, 2001 현재) 등의 리얼리티와 휴 머니티를 강조하는 휴먼다큐 형식의 드라마와 케이블 방송의 리얼리티 드라마들이 대표적이다. 35) 윌리엄스는 다른 예술품의 사회적 역사보다 드라마의 사회적 역사가 접근하기 훨씬 더 쉬운 이유를 드라마의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107 정서를 대변한다. 그런 점에서 경험적 리얼리티에서의 해방과 판타지의 추구는 2000년대 텔 레비전 드라마를 둘러싼 동시대의 지배적인 정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시대의 일상적인 삶은 정통 역사서를 통해 기록되지 않는다. 오히려 대중적인 문화물 이 일상인의 삶과 정서를 가장 입체적이고 총체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그 점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평범한 이들의 일상적인 삶과 정서를 기록한 역사물이며,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 에 대한 역사 연구는 동시대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감성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2000 2008년까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전반적인 지형에 대한 분석이다. 그러다보니 개 별 드라마의 특이성과 의미에 좀 더 섬세하게 접근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하지만 이는 드라 마의 역사 분석보다는 개별적인 텍스트 분석의 영역이라고 위로하며 다른 연구자의 몫으로 남겨두었다. 참고문헌 김승현ㆍ한진만 (2001).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 아카데미. 김주영ㆍ김훈순 (2006). <올드미스 다이어리>의 서사와 사회문화적 함의: 한국형 TV시트콤 장르 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모색. 프로그램/텍스트, 14호, 129 162. 김영찬ㆍ이기형 (2003). <네 멋대로 해라> 폐인들의 문화적 실천에 관한 현장 보고서. 프로그램/ 텍스트, 9호, 167 201. 김예란 (2006). 트렌디 역사 드라마 <궁>의 상상과 현실세계: 기억의 역학. 프로그램/텍스트, 14 호, 193 212. 노정팔 (1995). 한국방송과 50년. 나남. 오명환 (1995). 방송 프로그램 편성 50년 변천사. 방송연구, 겨울호. 오명환 (1994). 텔레비전 드라마 예술론. 나남. 우찬제 (2002). 전경과 배경의 스타일 혼합: 드라마 <네 멋대로 하라> 읽기. 프로그램/텍스트, 제 7호, 235 251. 이동후 (2004. 10. 29). 전환기의 한국TV드라마: 2003 2004년도 드라마의 특성과 전망. 사단법인 여의도클럽 세미나 발제문. 이기형 (2006). 영상 텍스트와 역사 재현의 정치학. 프로그램/텍스트, 15호, 11 27. 이화진ㆍ김 숙 (2007). 원작 드라마의 시청성과와 특성에 관한 연구. 2007년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 학술대회, 159 165. 임상원 (1978). 방송드라마와 상업성. 신문과 방송, 6월호. 주창윤 (2006). 역사 드라마의 역사 기억하기 혹은 망각하기. 프로그램/텍스트, 15호, 11 27. 정순일 (1999). 폭발적 인기 얻은 일일연속극. 방송과 시청자, 8월호. 정영희 (2005). 한국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러한 특성에서 찾는다(Williams, 1961, p. 271 참고).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108 정영희 (2006). 집단적 체험, 정서의 기록: 텔레비전 드라마 40년. 프로그램/텍스트, 14호, 47 69. 차범석 (1985). 한국 TV드라마의 주제에 대한 분석 연구. 방송조사연구보고서 7. 최선열ㆍ유세경 (1999).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성 연구: 정치적ㆍ경제적 변화요인을 중심으로. 한 국방송학보, 13권, 7 46. 표재순 (1992). 텔레비전드라마 편성의 시대적 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Williams, R. (1977). Marxism and Literature. 이일환 역 (1982). 이념과 문학. 문학과 지성사. Williams, R. (1961). Long Revolution. London: Chatto & Windus. 한국방송공사 (1984). KBS 연감. 한국방송공사 (2001). KBS 연감. 한국방송공사 (2002). KBS 연감. 한국방송공사 (2003). KBS 연감. 한국방송공사 (2004). KBS 연감 CD-ROM. 한국방송공사 (2005). KBS 연감 CD-ROM. 한국방송공사 (2006). KBS 연감 CD-ROM. 한국방송공사 (2007). KBS 연감 CD-ROM. 문화방송 (2001). 문화방송연감. 문화방송 (2002). 문화방송연감. 문화방송 (2003). 문화방송연감 CD-ROM. 문화방송 (2004). 문화방송연감 CD-ROM. 문화방송 (2005). 문화방송연감 CD-ROM. 문화방송 (2006). 문화방송연감 CD-ROM. 문화방송 (2007). 문화방송연감. www.kbs.co.kr www.imbc.com www.sbs.co.kr 최초 투고일 2008년 10월 17일 게재 확정일 2008년 11월 15일 논문 수정일 2008년 11월 25일

韓 國 言 論 學 報, 53권 1호(2009년 2월) 442 Contemporary Topology and Historicity of Korean TV Dramas Young-Hee Chung Research Fellow, The Research Institute for Information & Culture, Korea University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f Korean TV dramas that were broadcast in 2000s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nd content. By focusing on the common properties that each drama shares among others in the contemporary era, the study compared the data with those of the dramas in the past and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TV drama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V dramas in the 2000s are the establishment of seasonal dramas, the convergence of formats, the preponderance to certain subject matter and the loss of meaning in idealsㆍorderㆍmoral values. Dramas in the 2000s are daily dramas, dramas on Monday and Tuesday, dramas on Wednesday and Thursday, weekend dramas, and weekly situational dramas. Drama format converged onto the mini-series format because the format could rapidly cope with the change in rating. As for subject matter, literary dramas, rural dramas, crime, investigation or mystery dramas had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while love, family, home, and historical dramas continued to be preferred by viewers. Reality in expression was focused more than experiential reality, and the value of idealsㆍorderㆍmoral collapses, The commercial value of the dramas that had markedly increased since 1990s resulted in converging the direction of Korean TV dramas in the 2000s to the commercial purposes. Key〻words:Television drama, Transition of TV dramas, Structure of fe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