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김한성 / 네팔선교연구원 1. 들어가는 말 2.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의 네 가지 이슈 1) 서양 개신교의 네팔 선교 역사 시기 구분의 문제 (1) 제 1기(1852-1951)-인도에서의 네팔인 선교 (2) 제 2기(1951-1990)-핍박 속에서의 네팔 선교 (3) 제 3기(1990-현재)-안정 속에서의 네팔 선교 2) 성경 번역의 문제 3) 상황화의 문제 4) 선교 전략의 문제 (1) 연합 선교 (2) 의료, 교육, 지역 개발 중심의 선교 3.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김한성 네팔선교연구원 1. 들어가는 말 오늘날 네팔은 짧은 기독교 역사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빠르게 성 장하고 있는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 네팔 교회는 한국 교회의 초기 역사와 유사한 점들이 있어 더욱 주목할 만 하다. 선교사들의 순종과 포기 없는 노력, 자국민에게 복음을 전하려는 네팔 기독교인들의 열 정, 핍박과 고난에도 굴하지 않는 믿음, 빠른 교회 성장 등이 바로 그 것이다.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는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하였다. 한국 선교사들은 초기부터 의료 선교와 함께 전통적인 선교 접근이 이루 어졌다. 현재도 현지에서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네 팔 사람들을 섬기며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고 있는 예수님 의 제자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
16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비하다. 1980년대 두 편의 석사 학위 논문이 있다. 1 2000년대에 네팔 선교와 관련된 학위 논문들이 있다. 2 네팔에서 사역한 한국인 선교사 들의 자서전도 있다. 3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에 대한 이러한 연구와 서적들이 공헌하는 바가 크지만, 종합적이지 않으며 한 영역에 대한 연구이거나 역사적 사실보다는 개인의 경험을 주로 다룬 것은 아쉬 운 점이라고 하겠다. 이 연구는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로,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를 이슈 별로 다루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4 서 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는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를 비교하고 객관 화하는 준거점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의 미래 방향을 설정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양 개신 교회의 네팔 선교를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에 앞서 연구하는 것 은 가치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를 네 가지 이슈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이슈별로 한국 교회의 네 1 문재용,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를 위한 일반적 고찰: 네팔 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선교학 석사 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1987); 이춘심, 네팔 선교를 위한 한국 교회의 전략, (석사 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1989). 2 이동운, 네팔 외국인 근로자 선교전략 연구: 천안중앙감리교회 외국인 선교부를 중심으로, (석사 논문, 목원대학교, 2006); Suman Gautam, 21세기 네팔 교회를 위한 선교적 교육의 방안 연구, (석사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2009); 보즈 버하두 구릉, 네팔 기독교 선교 역사와 초기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연구, (석사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2009). Won Sig Kim, A Study of Revival Strategy in Hindu Nepal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hushi Church, (목회학 박사 논문, 풀러신학교, 2009); 이원일, 네팔 선교 방법으로서의 제자 훈련 사역, (석사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1). 3 양승봉, 신경희, 나마스떼 닥터 양,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8)강원희, 히말라야 슈바이처, (서울: 규장, 2011). 4 참고로 이 연구는 다음 세 연구에 크게 기초하고 있다.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Kathmandu, Nepal: United Mission to Nepal, 1979)pel of God, (Kathmandu, Nepal: United Mission to Nepal, 1979);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Kathmandu, Nepal: Nepal Church History Project, 2000);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Kathmandu, Nepal: Ekta Books, 2000).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17 팔 선교에 대한 연구 주제 또는 연구 영역들을 제시하였다. 2.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의 네 가지 이슈 본 연구는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 의 이슈로 접근하였다. 어떻게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의 시 기를 구분할 수 있을까? 개신교 선교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인 성 경 번역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네팔 교회가 경험한 상황화의 이 슈들은 무엇인가?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에서의 선교 전략은 무엇인 가? 이 질문들을 통해 한국 교회는 네팔 선교의 과거와 현재를 보다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래를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서양 개신교의 네팔 선교 역사 시기 구분의 문제 인도에 거주하였던 네팔 인들을 대상으로 한 선교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양 개신교의 네팔 선교의 시작 시기가 달라진다. 페리 의 경우 인도에 거주하는 네팔 인들에 대한 선교를 비중 있게 다루었 다. 5 한편, 케르버그는 네팔 밖에서 있었던 네팔 인들에 대한 선교를 충분히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네팔 교회 역사도 1951년을 시작으로 하고 1990년을 중심으로 두 개의 시기로만 구분하였다. 6 바클레이는 1951년 이전의 역사를 그 이후 역사만큼 다루면서 그 중요성을 부인 5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이 연구는 원래 Perry가 1989년 미국 일리노이주의 위튼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논문으로 작성되었다. 6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8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하지 않으나, 이 시기를 네팔 교회의 역사적 배경으로 취급하고 케르 버그의 시기 구분를 따른다. 7 물론, 훨씬 이전에 천주교의 수도사들 이 네팔에 거주하며 선교를 한 기록도 있으나, 이것은 이 연구의 범 위 안에 있지 않다. 세계화 현상과 인구의 국제적 이동은 현대 사회 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이며, 이와 함께 디아스포라 선교와 이주민 선교도 현대 선교의 주요 이슈가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 양 개신교의 네팔 선교 역사 시기를 세 시기로 나눌 것을 제안한다: (1) 제1기(1852-1951) - 인도에서의 네팔인 선교, (2) 제2기(1951-1990) - 핍박 속에서의 네팔 선교, (3) 제3기(1990-현재) - 안정 속에서의 네 팔 선교. (1) 제1기(1852-1951) - 인도에서의 네팔인 선교 인도에서의 네팔인 선교를 서양 개신교의 네팔 선교의 제 1기로 보아야 하는 이유는 인도에 거주하는 네팔 인들이 정치적 그리고 지 리적 측면에서 네팔에 사는 이들과 구별이 될 뿐 이고, 이들은 일자 리를 위해 네팔을 떠났을 뿐 아니라 네팔을 자신의 고향과 고국으 로 고려하여 네팔로 되돌아가 복음을 전하려고 시도했던 네팔 기독 교인이 있었던 점이다. 1835년 시킴(Sikkim) 왕이 자신의 영토 중 일 부 산악 지역을 영국 동인도 회사에 선물하였고, 동인도 회사는 여름 휴양지 건설 및 대단위 차 재배를 위해 노동력을 외부로부터 유입하 였는데, 이들의 대다수가 네팔 인들이었다. 8 또한 네팔이 이 지역을 1780년부터 37년 동안 점령하였던 기간에도 네팔 인들의 이주가 있 었을 뿐 아니라 이 지역의 원주민은 립차 족(the Lepchas)이었는데 오 7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Vol. 33. No. 4. (October 2009). 8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3;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54.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19 늘날에는 이들을 네팔 부족 가운데 하나로 보고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9 이 시기에 다질링을 중심으로 네팔 인들을 대상으로 선교하였던 개인과 선교회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 단체들과 선교사들은 독일 모 라비안 선교사들, 고스너 선교회의 니벨 목사, 침례교 선교회, 스튜 어트 목사를 포함한 동인도 회사에 소속된 영국 성공회의 일부 목사 들, Innes Wright 선교사 부부, 스코트랜드 장로교회 선교부의 한센 씨병 환자 선교, 스칸디나비안 연합 선교회, 핀란드 자유교회 소속 선교사들, 미국 하나님의 교회 선교부 등이다. 10 스코트랜드 장로교 회 선교부 소속 맥파레인 선교사가 1870년에 다질링에서 선교를 시 작하여, 노방 전도와 문서 전도와 학원 선교를 한 결과 4년 만에 첫 세례자가 나왔다. 11 그 뒤, 이 지역에서 네팔인과 렙차인으로 구성된 기독교인의 숫자는 급격히 증가하여 1890년 130 명, 1990년 2500명, 1945년 14000명으로 집계되었다. 12 20세기의 전반기에 네팔인을 대상으로 하는 선교사의 숫자가 급증 하였고, 기존에 사역이 이루어졌던 다질링 뿐 아니라 인도-네팔 사 이의 주요 접경 지역에서 네팔인들을 대상으로 사역하였다. 남쪽 접경지역의 상황은 달랐다: 500마일가량 펼쳐진 평야에 인도 철도는 국경까지 연장되었고, 무역과 이동의 주요 거점들을 제공하였다. 9 Tanka B. Subba, The Lepchas: From Legends to the Present Day, Religion and Society 7 (June 1985): 61-70.을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3.에서 재인용. 10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3-24, 114-115. 11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4-25. 그의 이름은 Bhim Dal Dewan이며, 1894년 수키아 포크리에서 경찰관으로 근무하며 세 가정으로 이루어진 가정 교회를 이끌었다. 12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6-27.
20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카트만두까지 가는 길이 있어서 락사울이 가장 중요했다. 1900년대 초반부터 선교사들은 모두 접경 지역에, 특별히 네 개의 주요 거점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들은 사역은 네팔에 교회가 세워지는데 궁극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열매를 거두었다. 1930년대 초반부터 다질링에서 모집된 네팔인 전도자들이 락사울과 루파이디아에 거주하였다. 이 때 젊은 네팔인 초신자들이 이들과 함께 사역하며 양육 받고 훈련받은 뒤에 나우탄와와 조그바니와 같은 네팔과 접경한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13 인도 여러 곳에서 고르카 용병과 가족들과 연금 수급을 위해 방문 하는 퇴역 군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들과 네팔 기독교인들이 있었다. 14 이 시기에 인도에서 기독교인이 된 네팔인들 가운데에 네팔에 복 음을 전하려는 시도들이 여러 차례 있었다. 이러한 시도들은 개인적 인 차원과 조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니말 림부가 1900년부터 1920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고향을 방문하여 자신의 친척들에게 복 음을 전하였다. 15 벤 무키아가 1930년에 전도 책자들을 가지고 네팔 을 방문하였다. 16 다질링에서 네팔인으로서는 두 번째 개신교 수세자 이자 성경 번역가이자 목사였던 강가 프라사드 프라단이 64세의 나 이에 40명의 성도들과 함께 네팔 카투만두에서 복음 전도를 위해 들 어갔다가 추방되어 다질링으로 돌아왔다. 17 인도에 거주하던 네팔 기 독교인들은 고르카 선교회를 결성하고 선교사를 파송하고 재정 후원 13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54. 14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55, 92. 15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7. 16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8. 17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33-34.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80-83.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21 을 하였고, 이 선교회의 선교사들은 네팔과 접경하는 주요 출입국 지 역인 수키아 포크리와 락사울에 약국을 설치하고 네팔에서 나오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였다. 18 네팔인 뿐 아니라, 인도인인 사두 선다 싱도 1914년 네팔에 들어가 복음을 전하였으나 곧 다시 추방되었다. 19 1910년 이후 선교사 가운 데에 네팔의 고위 관리 및 가족의 치료를 위해 초청 받아 일정 기간 동안 네팔에 들어가는 사례가 여러 차례 있었다. 20 (2) 제2기(1951-1990) - 핍박 속에서의 네팔 선교 1951년 2월, 인도로 망명했던 트리부반 비르 비크람 샤 데브가 카 트만두로 돌아와 왕권을 회복하고 네팔을 외국에 개방함에 따라, 네 팔에 기독교인 거주하고 복음 전파를 하는 것이 가능한 시기가 찾아 왔다. 이 시기가 이전과 다른 점은 적어도 기독교인이 네팔에서 거주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과 선교사들이 입국하여 거주하며 복음 전도 와 교회 개척 사역을 제외한 의료와 교육과 지역 개발 등의 사역을 할 수 있게 된 점이다. 그리고 이 시기가 이후와 다른 것은 종교의 자 유가 제한적이었던 점이다. 사회적으로 사법적으로 힌두교인이 기독 교인이 된다는 것은 핍박을 의미했고, 전도의 결과는 하늘의 면류관 과 아울러 종종 사법적 처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952년 네팔 에반젤리스틱 밴드(NEB)소속의 선교사들과 네팔 기 독교인들이 포카라로 이주하였고, 데이비드 묵키아 목사를 중심으로 네팔 기독교인들이 포카라 인근 람 가트에서 네팔 최초의 교회를 설 18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35-36. 19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27.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86. 20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55, 91.
22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립하였다. 자신의 신앙을 숨긴 채 라니간지에서 네팔 군의 고위 장교 로 복무하던 나라라지 삼세르 라나가 세 명의 인도 성도마 교회에서 파송한 선교사들과 함께 1953년에 카트만두에서 산티 이사이 상그 교회를 설립했다. 1956년 다질링에 거주하던 네팔 기독교인 일곱 명 이 카트만두에 네팔리 이사이 만달리 교회 (기안네쉬와르 교회)를 개척 하였다. 네팔 선교에서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연합 선교 기관들인 네팔연 합선교회(United Mission to Nepal, UMN)과 국제네팔협의회(International Nepal Fellowship, INF)가 네팔에서 사역하기 시작한 것도 제 2기 초반 이었다. 인도에서 네팔인들을 대상으로 사역하기 위해 의료 선교사 들과 네팔 기독교인들이 연합하여 사역하던 NEB가 1951년에 포카 리에서 의료 사역을 허가받고 네팔에 입국하였는데, 이 단체가 차후 에 INF로 전환되었다. 21 1951년 왕권을 회복하려는 트리부반 왕을 후원한 인도군과 이에 맞선 네팔군 사이의 국경 지역전투에서 발생 한 부상자를 의료선교사들이 치료하는 것과 두 미국인 의료 선교사 가 1951년 이전에 수 차례 탄센에서 의료 봉사한 것이 계기가 되어 네팔에서 또 다른 선교의 기회가 생겼고, 1954년 3월 J. 와스컴 피켓 감리교 감독의 주도로 네팔기독교연합선교회가 결성이 되었다. 22 하 지만, 네팔 정부는 선교사들의 입국을 허가하고 이들의 종교 활동을 보장하고 의료와 교육과 지역 개발을 환영하였지만 전도는 명시적으 로 제한하였고, 선교사들도 이것을 존중하였고, 복음 전도와 교회 개 척은 네팔인 기독교인들 주도로 이루어졌다. 23 21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71-79;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191. 22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191. 23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191;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99-100.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23 1960년대 후반부부터 서구 선교단체들이 개별적으로 네팔에 입국 하여 사역하기 시작했다. 1966년에 성경번역선교회, 1967년에 유스 포크라이스트 (YFC), 1968년에 오엠선교회, 1974년에 미국 하나님 의 성회 해외 선교부 등 다양한 선교 단체들이 속속 네팔에서 사역을 개시하였다. 24 네팔인 기독교인에 대한 핍박은 1960년 새 신자들이 세례를 받게 되면서 일어났다. 1960년에 프렘 프라단 목사가 탄센에서 여섯 명에 게 세례를 준 것이 계기가 되어, 세례 받은 여성들은 육 개월, 세례 받은 남성은 일 년, 프렘 프라단 목사는 육 년 동안 옥고를 치뤄야 했 다. 이 후에도 세례와 관련하여 옥고를 치루는 기독교인들이 많이 있 었지만, 정부 차원의 이러한 핍박은 계획적이고 철저하기 보다는 주 로 민원 해소 차원에서 있었다. 정부는 기독교인들을 기소하는 공 식적인 행동들을 많이 취했지만 주로 가족의 일원이나 공동체의 일 원의 불평에 대한 대응 조치로 보였다. 1990년대까지 네팔 정부는 기소하기 위해 기독교인들을 적극적으로 찾지 않았다. 25 이러한 정 부 차원의 사법적 핍박의 위협 앞에서도 네팔 기독교인들은 의연해 대처하여, 옥고를 치루는 성도를 영육 간에 돌보고, 전도하고 새로 운 교회를 개척하였다. 또한, 네팔 기독교인들은 종종 힌두교의 종교 의례와 사회적 관습을 따르기 거부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집단 폭 력과 따돌림 등의 핍박을 견디어야 했다.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 은 자신의 사회와 가족의 사회 조직에서 떨어져 나갔다. 이들이 기독 교를 선택하기로 한 것은 개인의 결정이었지만, 이 결정을 따라 살기 24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85; Bal Krishna Sharma, A History of the Pentecostal Movement in Nepal, Asian Journal of Pentecostal Studies Vol. 4. No. 2. (2001), 302. 25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07.
24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위해서는 엄청난 대가를 치뤄야 했다. 26 (3) 제3기(1990-현재) - 안정 속에서의 네팔 선교 1980년대 말에 전 세계에 불었던 민주화 열풍은 네팔을 빗겨가지 않았다. 민주화 운동의 열매로 비렌드라 왕은 절대 왕정에서 다당제 중심의 입헌 왕정으로 정치 제도를 바꾸는 개혁안을 발표하였다. 그 리고, 정치 변화의 상징으로 네팔 왕은 사면을 선포하였고, 수감 중 인 60명의 기독교인이 점차 풀려났고 200명의 기독교인들에 대한 재 판이 중지되었다. 27 물론 개종을 금지하는 법안이 이후에도 있었고,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핍박이 존재하기는 했으나 1990년을 기점으 로 이전과 그 정도와 규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28 이 시기에 네팔 교회와 기독교인들은 공적인 자리에서 네팔 정부 와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1991년 인구 조사에서 종교 항목에 기독교가 포함되었고, 성탄절과 부활절과 같은 대규모 기독 교 행사에 정치인들이 초대되었다. 29 교회를 알리는 표지판이 길가에 세워지기 시작했고, 수상이 국영 라디오에서 성탄 축하 메시지를 기 독교인들에게 보냈다. 30 네팔 교회는 이전 시기에서처럼 이 시기에도 지속적이고 빠른 양 적인 성장을 보였다. 1976년에 내가 네팔을 떠날 때, 카트만두에 다 섯 개의 교회가 있었다. 1991년에 내가 네팔로 돌아왔을 때, 그 숫자 는 서른 개였고, 9년 뒤에는 그 숫자가 80개 이상의 교회로 늘어났 26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6. 27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2. 28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5. 29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192. 30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4.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25 다. 31 네팔 교회는 질적인 성장도 경험하였다. 신학 교육을 받은 목 회자의 수가 늘어났고 네팔 내에도 여러 개의 신학교가 설립되기 시 작했다. 미국과 영국과 한국에서 신학 및 목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목회자가 있을 뿐 아니라 인도와 한국 등지에서 목회학 석사는 물론 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목회자들이 다수 있게 되었다. 32 한편, 부정적인 요소도 발견되기 시작했다. 교단주의가 네팔 교회 에서도 발견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 이전에 네팔 교회는 교단과 교파 구분 없이 네팔교회협의회로 존재하였고 천주교, 하나님의 성회, 제 칠일 안식교만이 교단을 구분지어 있었으나 이 시기에 장로교와 침 례교와 오순절 교단 등이 생겨났다. 33 네팔교회협의회(NCF)도 네팔 교회협의회(NCFN), 아가페 교회, 오순절 교단 등으로 분리되었다. 34 제2기 초반부터 네팔에서 신실하게 사역해 온 UMN과 INF도 새롭 게 체질 개선과 구조 조정을 통해 새로운 시기에 알맞은 사역과 방법 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네팔의 기독교인 수는 아래 표1.의 연도별 세례교인 수의 변화 추이에서 볼 수 있듯이 지속적으로 빠른 성장세 를 보였다. 년도 세례교인 수 1951 0 1959 2 1966 100 1973 500 31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3. 32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원/선교연구소 편, ACTS 신학과 선교 30년, (양평: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55.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에서 2004년까지 석사 혹은 박사 학위 과정을 마치고 돌아간 네팔 학생의 수는 17명이다. 33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194. 34 John Barclay,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192.
26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1977 1400 1980 7000 1982 10000 1985 25000 1990 50000 1992 75000 1998 300000 1999 400000 표 1. 네팔 교회의 세례 교회 수의 변화 추이 35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는 1982년에 시작되었다. 월드컨선선교회에 소속되어 INF가 운영하는 병원에서 의료 선교를 한 강원희 선교사 부부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으로 교회 개척을 하고 신학교 를 설립하여 운영한 이성호 선교사 부부가 1982년에 네팔에 입국하 였다. 36 그 뒤로, 많은 한국인 선교사들이 국제 선교회, 한국 자생 선 교회, 교단 선교부 등에 소속되어 다양한 사역을 네팔의 여러 지역에 서 수행했거나 지금까지도 신실히 감당하고 있다.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가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이것은 네팔 교회사와 한국 교회의 타문화권 선교 역사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짧지 않은 역 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 연구가 적 절하다고 보인다. 서양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물 을 수 있다. 과연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펼쳐 35 표1.은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04-105, 124-125의 내용과 표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참고로 Operation World(1993)가 소개한 1995년 현재 네팔의 인구는 20,188,000명이다. 36 Won Sig Kim, A Study of Revival Strategy in Hindu Nepal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hushi Church, 96; 강원희, 히말라야 슈바이처, 153.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27 졌는가?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의 특징들은 무엇인가? 한국 교 회가 네팔 교회와 성도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의 공과는 무엇인가? 네팔 선교 역사 속에서 한국 교회는 서양 교회와 어느 점에서 유사성을 지니며 어느 점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가? 향후 한국 교회는 네팔 교회와 성도들을 어떻게 섬기는 것 이 보다 효과적인가? 2) 성경 번역의 문제 개신교와 성경의 관계는 바늘과 실의 관계와도 같다. 천주교 선교 와 개신교 선교의 가장 큰 차이점들 가운데 하나가 성경 번역과 성경 교육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팔어로의 성경 번역의 역사는 현 대 개신교 선교 역사만큼이나 길다. 인도 세람포르에서 사역하였던 윌리엄 캐리의 동료들이 네팔어로 번역한 성경이 최초의 네팔어 성경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37 1812 년에 산스크리트 어로 번역된 성경에서 네팔인 학자들이 네팔어로 번역하기 시작하여 1821년에 마무리 되었고, 이 때 번역된 것은 신 약 뿐이었고, 네팔 서부 지역의 언어 가운데 하나인 팔파어로도 신약 성경이 번역되었고, 이것은 1827년에 마무리되었다. 38 네팔어로 번 역된 신약 성경은 1000부가 인쇄되었고, 네팔에서 배포되었다는 기 록이 있지만, 실제로 이것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것은 모른 다고 페리는 주장하였다. 39 37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39;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95. 38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39. 39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51. 또 그녀는 문장 구조와 문법과 일부 어휘가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아 섞여 있어서 이 번역이 당시 네팔 카트만두에서
28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인도에서 네팔인들을 대상으로 사역하던 선교사들과 네팔인 개종 자들도 성경의 일부를 번역하였다. 스타트 선교사가 1852년에 누가 복음과 사도행전을 번역하고 캘커타에서 출판하였으며, 그의 동료 니벨 선교사가 1861년에 이 두 권의 개정판을 출판하였다. 40 스타트 와 니벨 선교사의 누가복음-사도행전 네팔어 번역을 보다 큰 크기의 책으로 다시 출판한 스코트랜드 장로교 선교사 맥팔레인은 1875년 두 명의 네팔인 개종자와 함께 성경 가운데 몇 권을 번역하였다. 41 1883년에 영국/해외성서공회가 네팔어 성경을 출판하기로 하고 이듬해인 1894년에 강가 프라사드 프라단이 번역자로 선정되었다. 42 그는 스코트랜트 장로교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1902년에 신약 번 역을 완료하였고 1914년 신구약 성경이 네팔어로 출판되었다. 43 이 성경 번역 가운데 신약은 1963년도에 재개정되었고, 구약은 1977년 도에 개정되었는데, 초판과 개정판 사이에 성경이 재차 인쇄된 적이 없어 20년 동안 네팔에 있는 교회와 성도들이 성경을 구하는 것은 아 주 매우 힘든 일이었다. 44 성경 외에도 복음 전도 문서들이 다질링의 스코트랜드 장로교 선 교부에 의해 제작되었고, 이것은 권서인들을 통해 인도에 거주하는 네팔인은 물론 네팔에 사는 네팔인의 손에도 들어 갔다. 45 네팔인들을 위한 성경 번역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1976년도에 사용되는 네팔어로 번역되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pp. 39-40) 40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0. 41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0. 42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1. 43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1. 신약은 1930년에 개정 출판되었다. 44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95. 45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0, 42.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29 네팔성서공회가 조직되었고 2007년도에 정부의 인허가를 받아 공식 적으로 등록되었다. 46 2010년 현재 80개의 네팔의 80개의 언어 가운 데 8개의 언어로 신구약 성경이 번역되었다. 47 성경 번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물을 수 있다. 그 동 안 한국 교회의 성경 번역 사역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네팔 내에 성경 번역이 필요한 언어의 규모와 이 사역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 인가? 한국 교회가 진행한 문맹 퇴치 사역의 규모와 내용은 무엇인 가? 한국 교회의 문서 사역의 규모는 어느 정도 이고 향후 어떻게 진 행되어야 할 것인가? 3) 상황화의 문제 상황화는 매우 복잡한 주제로 언어와 문화의 문제이다. 자기 고유 의 언어와 문화를 지닌 네팔인들에게 하나님을 전할 때 하나님을 비 롯한 많은 기독교 어휘와 표현들은 물론 성경이 번역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문화적 재해석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48 또한, 생산, 경제, 사회 조직, 가족 관계, 축제와 의례 등 문화의 전 영역에서 변혁이 일 어난다.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계시된 말씀인 성경에 기초해야 한다. 이것 은 현대 복음주의자들만의 견해가 아닌 초대 교회 이후 교회 역사가 증거 한다. 성령의 조명의 사역 속에서 하나님을 모르는 인간이 하나 46 대한 성서 공회, 네팔에 성경을 보냅시다, 2012년 8월 10일 접근. http:// www.bskorea.or.kr/ bskorea/pr/bibkorea/ bibkor_read.aspx?idx=450 47 Jason Mandryk, Operation World, (Colorado Springs, CO: Biblica Publishing, 2010), 623. 48 Lamin Sanneh, Translating the Message: The Missionary Impact on Culture, (Maryknoll, NY: Orbis, 1989); Andrew F. Walls, The Cross-cultural Process in Christian Hisoty: Studies in the Transmission and Appropriation of Faith, (Maryknoll, NY: Orbis, 1989).
30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님을 알게 된다. 따라서 죄인이 마음과 생각과 생활을 돌이켜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구원 받아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은 전적으로 하 나님의 사역이다. 한 영혼이 구원 받는데 있어 인간의 공로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구원 사역에 선교사와 목사를 포함한 모든 성도들이 순종으로 참여하는 것이 마땅하다. 선교사와 목사와 성도의 역할은 하나님의 구원 사역의 마중물 역 할이다. 이들은 아직 하나님을 모르는 사람이 하나님을 알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며, 외국어로 기록된 성경보다 모국어로 기록 된 성경이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제공할 가능성이 번역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가능성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그 래서 기독교는 다른 종교보다 가르침이 담겨 있는 경전 번역에 더 적 극적이었고, 종교 개혁이후 이것은 더욱 강화되었다. 기독교가 새로운 지역에 들어갔을 때 기존 종교의 의례에 대한 대 처 방법은 역사적으로 오래 된 문제이다. 중국과 한국은 조상 제사를 종교적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문화적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토의가 오래 동안 있었다. 네팔 기독교인들은 힌두교 의례에 대해 단절의 길 을 선택했다. 이마에 붉은 분을 바르는 티카(tikka)는 네팔에서 축복 의 행위로 널리 그리고 늘 사용되는 의례이다. 네팔 사회에서 부모나 어른이 티카를 바르며 축복하는 것을 거부할 사람은 없다고 해도 지 나친 말은 아니다. 하지만 기독교인들은 티카를 포함하여 힌두교적 의례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49 장례 방법은 기독교 역사가 짧은 교회들이 직면하는 상황화의 문 제 가운데 하나이다. 50 네팔 교회는 자신이 속한 네팔 사회의 힌두교 적 장례가 아닌 방법을 선택하였다. 네팔 기독교인들에게 화장은 힌 49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7. 50 톰 스테픈, 타문화권 교회개척, 김한성 역 (서울: 토기장이, 2012), 77.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31 두교적 장례 방법으로 보고 다른 방법을 모색하였는데, 그것은 매장 이었다. 네팔 교회는 토지를 매입하여 교회 묘지를 조성하였는데 이 것은 이따금씩 이웃과 마찰의 원인이 된다. 51 네팔의 지형과 인구 밀 도와 기독교인 인구를 고려할 때, 현재 한국이 경험하고 있는 매장지 부족의 문제는 당분간 네팔 교회가 직면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네팔 교회는 화장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기독교화 하는 것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네팔 기독교인들 가운데 적잖은 사람이 힌두 신의 이름을 따서 붙 여진 자신의 옛 이름을 버리고 성경에 나오는 이름을 골라 자신의 새 로운 이름으로 사용한다. 이것은 힌두교적인 옛 생활과 단절하고자 하는 네팔 기독교인의 의지를 잘 나타내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것은 초기 네팔 기독교인들의 이름에서도 잘 나타난다. 하지만, 존, 로버트, 메리처럼 영어식 음가를 가진 이름보다는 네팔어 성경에 나 오는 이름이나 기독교적 의미를 지닌 네팔식 이름을 새롭게 만들어 내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기독교인들이 자녀의 이름 을 지을 때, 하나님의 은혜를 줄여 하은이라고 하거나 주님을 선포하 라는 의미에서 선주라고 하는 것을 네팔 교회와 성도들은 고려할 수 있겠다. 한국 교회의 타문화권 선교사들은 교회 개척과 제자 훈련 등 현지 인과의 접촉이 많은 사역과 신학교 설립 운영 등 교회 지도자를 양 성하는 사역을 많이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선교사들은 여러 상황화 이슈들에 나름대로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과연 한국인 선교사들은 위에서 언급된 이슈들 뿐 아니라 다양한 상황화 이슈들 에 대해 어떻게 접근했는가? 한국인 선교사들은 상황화를 위해 어떤 51 Norma Kehrberg,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117.
32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원리와 원칙들을 가지고 있는가? 한국 교회가 경험한 상황화 사례에 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한국 교회가 경험한 상황화 사례 가 운데 네팔 교회에 적용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4) 선교 전략의 문제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 전략은 연합 선교, 의료와 교육과 지역 개발 선교로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연합 선교 네팔 선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연합 선교이다. 인도에서 네팔 사 람들을 대상으로 한 선교에서도 연합 선교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인 도-네팔 접경 지역에서 사역하던 여러 선교사와 네팔 기독교인들은 네팔국경협의회(NBF)를 구성하고 소식과 정보와 조언을 서로 나구 요 사안에 따라 협력하고 네팔 인들을 위한 기도와 전도를 지속적으 로 격려하였다. 그리고 한 때, 이 협의회는 최대 75명이 넘는 회원이 가입하기도 했다. 52 물론 개별적으로 네팔에 입국하여 선교 사역을 시작한 단체들도 있었다. 53 하지만, 네팔 선교 역사에서 연합 선교가 지니는 의미는 매 우 크다. 1951년 네팔에 선교사들이 입국하게 되었을 때에도 연합 선교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미국 감리교 소속의 학교의 과학 교사 의 조류 탐험은 미국 장로교 선교부 소속의 의료 선교사의 네팔에서 의 단기 의료 봉사로 이어졌다. 인도 델리의 감리교 감독이었던 J. 와 스컴 피켓의 주도 하에 네팔에서 사역할 연합 선교부가 구성이 되어, 52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113. 53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131.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33 결국 여덟 개 선교회가 창립 회원이 되어 UMN이 설립되었다. 54 (2) 의료, 교육, 지역 개발 중심의 선교 1951년 이후 선교사들이 네팔에 입국하여 사역할 수 있게 되었지 만, 선교사들은 복음 전도 및 교회 개척 사역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았고 이것은 네팔 기독교인들의 몫이었다. 나중에 INF가 된 NEB 선교사들은 포카라에서 의료 사역을 하였고, 이 단체에 소속되어 있 던 네팔인 목회자와 성도들은 복음 전도 사역을 하였다. 그들은(네 팔 기독교인들은) 토착 네팔인 교회를 세우는 비전을 가졌고 이것은 선 교사들과 가깝게 있는 것는 스스로를 떨어뜨려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했다. 55 UMN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UMN의 선교사들은 의료, 교육, 지역 개발과 같은 복음전도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사역들을 하 였고, 복음 전도와 교회 개척은 네팔 기독교인의 몫이었다. 이것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복음 전도를 금지하는 네팔 정부의 정책이었다. UMN과 그 직원들은 맡겨진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한 활동에만 국한할 것이며 어떠한 전도 활동이나 자신에게 할당된 과제의 범위 바깥의 다른 활동에 참여할지 않는다. 56 그리 고,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네팔에 입국하지 않은 선교회들도 있었 다. 57 둘째로는 의료, 교육, 지역 개발 등의 네팔 사람들의 현실적 필 요가 컸던 것이고, 셋째로는 UMN의 경우 에큐메니칼적인 선교 이 54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133-147.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고하라. 55 Cindy Perr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41. 56 1975년도 UMN과 네팔 정부가 체결한 협정의 내용으로 선교사의 전도 금지의 내용은 UMN의 사역 초기부터 계속되어 유지되고 있다.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270. Appendix II. 10항. 57 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131.
34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해가 그 바탕이 되었던 점이다. 물론 네팔 기독교인들의 복음 전도의 열정도 빼 놓을 수 없는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사실 이러한 사역은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기독교를 힌두교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소개하고, 복음의 접촉 점을 마련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복음 전도가 이루어질 수 없고, 회개와 회심이 없으며, 기독교 신앙의 확 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네팔 기독교인들의 복음 전도 와 오엠 선교회와 하나님의 성회 해외 선교부 등의 문서 선교 등 복 음 전도 중심의 사역이 있었던 것은 네팔 교회 성장의 한 축을 감당 했다고 보아도 크게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한국 교회의 초기 네팔 선교에서도 연합 선교와 의료, 교육, 지역 개발 중심 선교의 특징들을 쉽게 찾아 볼 수가 있다. 한편, 이러한 선 교 전략과 관련하여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 을 할 수 있다. 과연 한국 선교사들은 이러한 선교 전략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평가하고 있는가? 기존의 연합 선교 기구에 가입한 한국 선교 단체가 있고,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그 결과는 무엇인가? 한 국인 선교사들은 협력 선교를 위해 어떤 구체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 가? 한국인 선교사들이 서구 선교사들과 협력하는데 있어 어떤 유익 이 있고 어떤 장애가 있는가? 한국인 선교사들은 현지 기독교인들과 어떤 관계의 협력을 하고 있는가?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의 선교 전 략은 무엇인가? 이 선교 전략의 장점은 무엇이고, 보완되어야 할 점 은 무엇인가?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35 3. 나가는 말 이 연구는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의 일환으 로 서양 개신교회의 네팔 선교에 대하여 네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살 펴보았다. 서양 개신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 시기의 구분과 성경 번 역과 상황화의 이슈들과 선교 전략에 대해 간략히 고찰하고 한국 교 회의 네팔 선교와 관련하여 다수의 질문들을 하였다.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 역사는 30주년을 맞이하였다. 이것은 한국 교회의 타문화권 선교 역사 가운데 비교적 오래된 것으로 볼 수 있 다. 이것은 구 공산권에 대한 선교는 1990년을 즈음해서 시작되었다 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 회의 네팔 선교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고 해도 크게 틀린다고 할 수 없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기 대해 볼 수 있다. 우선 1982년 이후 한국 교회가 네팔 선교를 어떻게 수행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또한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의 특징들에 대한 연구도 있어야 한다. 한국인 선교사들이 네팔 에서 수행한 의료 선교, 교육 선교, 지역 개발 선교에 대한 연구도 필 요하다. 네팔의 한국인 선교사들의 협력 선교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 다.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의 미래 전망도 적절한 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6 ACTS 세계선교연구 제2호 참고 문헌 강원희. 히말라야 슈바이처 서울: 규장, 2011. 대한 성서 공회. 네팔에 성경을 보냅시다. 2012년 8월 10일 접근. http://www.bskorea.or.kr/ bskorea/pr/bibkorea/ bibkor_read.aspx?idx=450 문재용.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를 위한 일반적 고찰: 네팔 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선교학 석사 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 원, 1987. 보즈 버하두 구릉. 네팔 기독교 선교 역사와 초기 그리스도인들 에 대한 연구 석사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2009.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원/선교연구소 편. ACTS 신학과 선교 30년. 양평: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양승봉, 신경희. 나마스떼 닥터 양.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8. 이동운. 네팔 외국인 근로자 선교전략 연구: 천안중앙감리교회 외국인 선교부를 중심으로 석사 논문, 목원대학교, 2006. 이원일. 네팔 선교 방법으로서의 제자 훈련 사역 석사 논문, 장 로회신학대학교, 2011. 이춘심. 네팔 선교를 위한 한국 교회의 전략 석사 논문, 아세아 연합신학대학원, 1989. 톰 스테픈. 타문화권 교회개척 김한성 역. 서울: 토기장이, 2012. Barclay, John. The Church in Nepal: Analysis of Its Gestation and Growth,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Vol. 33. No. 4. (October 2009).
김한성 한국 교회의 네팔 선교연구를 위한 예비 연구 37 Gautam, Suman. 21세기 네팔 교회를 위한 선교적 교육의 방안 연구 석사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2009. Kehrberg, Norma. The Cross in the Land of the Khukuri. Kathmandu, Nepal: Ekta Books, 2000. Kim, Won Sig. A Study of Revival Strategy in Hindu Nepal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hushi Church. 목회학 박사 논문, 풀러신학교, 2009. Lindell, Jonathan. Nepal and the GosJonathan Lindell, Nepal and the Gospel of God. Kathmandu, Nepal: United Mission to Nepal, 1979. Mandryk, Jason. Operation World, Colorado Springs, CO: Biblica Publishing, 2010. Perry, Cindy. A Biographical History of the Church in Nepal. Kathmandu, Nepal: Nepal Church History Project, 2000. Sharma, Bal Krishna. A History of the Pentecostal Movement in Nepal, Asian Journal of Pentecostal Studies Vol. 4. No. 2. (2001). Sanneh, Lamin. Translating the Message: The Missionary Impact on Culture. Maryknoll, NY: Orbis, 1989. Walls, Andrew F.. The Cross-cultural Process in Christian Hisoty: Studies in the Transmission and Appropriation of Faith. Maryknoll, NY: Orbis,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