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5FBEEEC7D05FBEC8C0C7C1A42E687770>

Similar documents
#7단원 1(252~269)교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52*220

hwp

- 2 -

* pb61۲õðÀÚÀ̳ʸ

³»Áö_10-6

기본소득문답2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CC hwp

01¸é¼öÁ¤

DocHdl2OnPREPRESStmpTarget

041~084 ¹®È�Çö»óÀбâ

연구노트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Untitled-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ÃѼŁ1-ÃÖÁ¾Ãâ·Â¿ë2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나하나로 5호


....pdf..

82-대한신경학0201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0.筌≪럩??袁ⓓ?紐껋젾 筌

레이아웃 1

º´¹«Ã»Ã¥-»ç³ªÀÌ·Î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

03 ¸ñÂ÷

0001³»Áö

¾ç¼ºÄÀ-2


SIGIL 완벽입문

(지도6)_(3단원 074~101)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내지-교회에관한교리

레이아웃 1

2002report hwp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10월추천dvd

CR hwp

2011년 제21권 제3호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4-Ç×°ø¿ìÁÖÀ̾߱â¨ç(30-39)

04 Çмú_±â¼ú±â»ç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미술00부속(001~007)2ee

hwp

(012~031)223교과(교)2-1

5 291

»êÇÐ-150È£

01.내지완완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ePapyrus PDF Document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178È£pdf

!

- 89 -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ITFGc03ÖÁ¾š

º»ÀÛ¾÷-1

Woosuk Bus Line uide Map 선 선0 향0 쌈 니 머 센 빌 할 센 가월 각 호 초 6 뒷 인후 중 태 메 호남 천 호 출발 6:20 센 빌 2 가월 생 프라 뒷 오 태 메 암 흥 천 롯데 궁 선02 향02 선03 프라향 선04 독카센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¾Æµ¿ÇÐ´ë º»¹®.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와플-4년-2호-본문-15.ps

<3635B1E8C1F8C7D02E485750>

wtu05_ÃÖÁ¾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2ÀåÀÛ¾÷


BOX


60


. 10 : ( ) : :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GB AV2š


µ¶¸³Á¤½Å45È£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ok.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½Ç°ú¸Ó¸®¸»¸ñÂ÷ÆDZÇ(1-5)¿Ï

CC hwp

Transcription:

어문론총 제48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08. 6.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 1) - 중사전을 중심으로 -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동기 1.2. 연구의 범위 2. 기존 사전에 쓰인 사용역 정보에 대한 조사 3. 중사전에 사용할 사용역 정보 3.1. 높임말과 낮춤말 3.2. 은어와 속어/비어 3.2.1 은어 3.2.2. 속어와 비어 3.3. 이전말 3.3.1. 이전말의 개념과 기존 사전 분석 3.3.2. 이전말의 유형 3.3.3. 중사전에서의 기술 3.4. 입말 4. 결론 및 남는 문제 안 의 정 **, 이 종 희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동기 * 이 논문은 2005년 5월 한글학회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것을, 연구 대상 사전을 중사전으로 바꾸어 그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사전연구센터 전문연구원 / 전자우편: ejahn@lex.yonsei.ac.kr

28 어문론총 48호 지금까지 간행된 거의 모든 사전에서는 일부 표제어에 대해 어휘 사용에 관한 용법(usage)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용법 중 특히 사회적 인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역(register)이라고 한다. 1) 용법은 어휘 론과 사전편찬학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온 용어인데, 이는 언어 의 요소들이 의미를 생산하는 데에 있어 언중들에 의해 관습적으로 쓰이는 방법을 말하며, 사전편찬학에서는 통사 구조나 연어 정보 등을 포함하기도 하는데, 사전마다 용법의 수와 표지에 있어 일치된 의견은 없는 듯하다. 남길임(2007)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연구자에 따라서는 좁게는 어휘의 사용역과 관련한 사용상의 정보를 지칭하기도 하고, 넓 게는 어휘의 실제 사용 양상 전반에 걸친, 문법, 의미, 관용어, 사용역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영어 사전에서는 사용역 정보를 주로 시기와 관련하여 현대어인지 고어인지, 또 지역과 관련하여 방언인지의 여부를 밝히는 것에서 시작 하여, 문학적인 사용법인지, 속어인지를 밝히는 것, 즉, 특정한 발화 상황과 맞물려서 단어의 사용법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주는 것까지를 포괄하고 있다. 2) 이러한 사용역 정보는 사전 이용자의 입장과 사전 편찬자의 입장, 또 사전을 연구하는 사람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먼저 사전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어휘에 대해 적절한 사용법을 제시하는 것 이기 때문에 실생활에서의 어휘 사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지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 받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전문 용어 앞에 그 어휘 가 사용되는 학문의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그 어휘를 쉽게 이해하도록 도울 수도 있고, 속어나 비어 앞에 표지를 둠으로써 이러한 단어 사용 1) (언어) 사용역(register)은 문체론(stylistics)과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 에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언어의 이형을 뜻한다. 즉, 과학 적 영어, 종교적 영어, 격식을 갖춘 영어가 언어 사용역이 된다. <영어학 사 전> 조성식(1990:1041) 2) Rey, Alain(1995:170) 참고.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29 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경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사전 편찬자의 입장에서는 단어 처리를 대량으로 손쉽게 하기 위한 변별 자료로 유용하다. 즉, 사전의 미시 구조 안에서 명사는 명사의 처리 틀로, 용언은 용언의 처리 틀 로 품사별로 접근하는 것이 같은 품사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방식에 통일을 기할 수 있어 서 경제적이다. 마찬가지로 속어 나 비어, 은어 등과 같은 특수 어 휘들은 특수 어휘라는 틀 안에서 독자적인 처리 방식이 필요하고, 이 러한 처리 방식으로 다루어질 때 일관성이나 능률면에서 뛰어난 효과 를 볼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류 방식은 사전을 연구의 자료로 삼는 학자들에게는 유용한 어휘 분류의 잣대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역 정보 표시가 매우 유용하고 중요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사전들에서는 사전에 올리는 사용역 정보의 종류나 범위에 대한 객관적 고찰이나 연구 없이, 사전 편찬자들의 주관적인 판단 하에 그러한 정보를 주거나, 선행 사전들의 경우를 그대로 답습 하는 데 그쳤던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태도에 문제를 제기하여 국어사전에서 사용 역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어떤 점에서 필요한 것인가 짚어보고, 어떻 게 하면 객관적인 방법으로 사용역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지 그 방법론에 대해 중사전을 대상으로 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4) 3) 넓은 의미에서 사용역이란 어떤 단어가 사용되는 영역의 표지인데, 이것이 비 표준어, 방언, 비어, 속어 등과 연결되면 올바른 언어 사용법이란 개념과 관련 지어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올바른 과 같은 가치 평가를 담은 관점에서 사용역 표지를 보지 않으려 한다. 4) 중사전으로 대상을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용역 정보는 규모에 상관 없이 대부분의 사전에 필요한 정보이지만, 다른 미시구조 항목과 마찬가지로 사전의 기획 의도나 사전의 성격, 사전의 크기에 따라 그 구성에 있어서 영향 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특정한 사전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 행하고자 하며, 현재 필자가 속한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사전 편찬 작업에 활 용하는 것을 가장 큰 목적으로 하였다. 중사전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는 박 동근(2005)을 참고할 것.

30 어문론총 48호 1.2. 연구의 범위 국어사전에 실리는 표제어를 그것이 사용되는 상황과 관련지어 생 각해 보면, 크게 발화 상황과 사용자 집단, 사용 범위의 세 가지 기준 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어휘의 사용자 계층과 사용되는 범 위에 따라 나누어 보면 일상어와 전문 용어로, 또 다른 관점에서는 일 상어와 대립되는 속어, 비어, 은어로 나눌 수 있고, 규범성에 따라서 표준어와 비표준어로, 또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서는 남한말과 북한말, 또는 표준어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어떤 어휘가 사용되는 구 체적인 발화 장면에 따라 구분해 보면 입말과 글말로 나누어 볼 수도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 5) 서양 사전에 쓰이는 사용역 표지의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랜도우(2002: 207~8)에서는 사용법(usage)의 하위 분류를 다음과 같이 나누고 있다. 1 currency or temporality: archaic, obsolete 2 frequency of use: rare 3 regional or geographical variation: U.S., British, Canadian, Australian, 때로는 한 나라에서 더 특정한 지역 4 technical or specialized terminology: astronomy 등 field label이라고도 함 5 restricted or taboo usage: vulgar, obscene 6 insult: offensive, disparaging, contemptuous 7 slang: slang 8 style, functional variety, or register: informal, colloquial, literary, poetic, humorous 9 status as cultural level: nonstandard, substandard, illiterate Svensen, Bo(1993:183-188)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누고 있다. 1 style level: (poet.) (literary) (colloq.) (sl.) (vulg.) vs. 금기어(taboo) 2 time register: (arch.) 3 geographical register 4 metaphor: (fig.) 5 abstract and concrete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31 1 사용 범위에 따라 -(일상어) 6) /전문용어 2 규범성 여부에 따라 - (표준어)/비표준어 3 지역적인 차이에 따라 -(표준어) /방언 -(남한말)/북한말 4 시간에 따라 -새말 7) /(현대말)/이전말 8) /옛말 6 speaker's attitude: (iron.) (derog.) (joc.) 7 frequency: (usu.) often, sometimes, occasionally, rarely 그리고 조미옥(2004: 194-195)에서는 외국의 영영 학습 사전 5가지 (Oxford, Longman, Cobuild, Cambridge, Macmillan)를 비교하여 아래와 같 이 6가지로 나누었다. 1 지역성(Region): AmE, BrE... 2 사용분야(Subject): technical, business, medical... 3 격식성(Formality): formal, informal 4 매개(Medium): written, spoken 5 어조(Mood): approving, humorous, offensive, impolite... 6 시대(Time): old-fashioned, old use 6) 각각의 항목 구분에서 ( ) 안에 넣은 것은 ( ) 안에 들어가지 않은 것과 상 대되는 개념으로 언급될 수는 있으나 실제 사전에서 무표적으로 나타남을 나 타내기 위함이다. 즉, 전문용어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일상어라는 범주를 설정 할 수는 있으나, 실제 사전에서 전문용어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일정한 표지를 달고 나오는 것에 비해, 일상어에는 어떠한 표지도 하지 않음으로써 무표적으 로 실현됨을 말한다. 7) 새말은 사용역 표지의 한 가지로 볼 수는 없다.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새 말이라는 표지를 달 것인지도 분명치 않거니와, 사전이용자에게 그것이 새말인 지 아닌지는 그다지 유용한 정보가 아니다. 단, 새로운 사전이 출간되면서 그 이전까지의 사전에서 표제어로 올리지 않은 단어들 - 이 단어들은 새말이어서 그런 경우도 있고, 그 이전 사전의 부주의함으로 단지 누락된 것일 수도 있는

32 어문론총 48호 5 사용자 집단에 따라 -은어 -어린아이의 말/노인들의 말/장년층의 말/부녀자들의 말... 6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발화 상황에 따라 -글말/입말 -속어/비어 7 발화자의 태도에 따라 -모욕어 9) /금기어/완곡어 10) -얕잡아 하는 말, 친근한 말, 놀리는 말, 비꼬는 말 8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관계에서 -(평어)/높임말/낮춤말 데 - 에 한해 특별한 표식을 할 수는 있을 것이다. 8) 이전말이라는 용어는 <연세 한국어사전>에서 사용한 것으로, 기존 사전에는 주로 ~의 전 용어(구칭) 이나 예전에 ~을 이르던 말. 등으로 기술하고 있 다. 이전말의 개념에 대해서는 3.3.1절 참고. 9) 랜도우(2002:216-223)에서 모욕어와 금기어를 다루고 있는데, 모욕어 란 nigger, redneck, queer' 등과 같이 다른 사람을 모욕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 는 단어를 말하고, 금기어 란 fuck, shit, wank 등과 같이 배설이나 성과 관 련되어 사용을 금지하는 단어를 말한다. 모욕어나 금기어란 어떤 언어를 사용 하는 집단의 문화에 따른 평가를 반영하는 것이고, 이 평가에 대한 일치된 객 관적 기준을 찾기는 어렵다고 하였다. 10) 김광해(1993:160-162)에서는 완곡어 란 기본이 되는 어휘들이 여러 가지 로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연상을 동반하는 경우에 그 같은 연상을 삭감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주로 공개적인 자리에서 드러내어 말하기 어려운 신체의 명칭, 성행위, 배설 행위 등을 표현하는 어휘소들에 대응하여 널리 분포하며, 나아가서는 죽음, 질병, 형벌 등 인생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 종 불행한 상황들과 관련될 경우에 그것에 대한 심리적 경외감에서 비롯하는 완곡한 표현의 필요를 위하여 발생한다 고 하였다. 그 예로는 변소 대신에 사용하는 화장실, 죽다 대신에 사용하는 사망하다, 작고하다, 운명하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완곡어에 대응하는 기본이 되는 어휘소들은 다분 히 금기어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ibid. 160쪽) 라고 하였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33 이러한 어휘의 구분은 상대적인 것이어서, 표준어와 방언, 혹은 표 준어와 비표준어와 같이 모든 어휘를 이 두 가지 기준으로 배타적으 로 나눌 수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입말과 글말과 같이 어휘들 중 일 부가 입말에만 주로 쓰이거나 글말에 주로 쓰이는 특징을 보이는 유 표적인 것으로 표지를 달아야 하는 것도 있다. 은어, 속어, 비어 등도 후자에 속하는 것이다. 또, 구분된 어휘들이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그 차이가 명백히 드러 나는 경우도 있고, 발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를 반영하는 것이어서 구분 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것도 있어서, 위에서 제시한 모든 구분이 사 용역 표지로 나타나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바로 이 때문에 지금까지의 사전들이 거시적인 차원에서 어휘를 분 류하거나 하지 않고 혹은 이에 대한 언급 없이, 개별 어휘에 대하여 앞선 사전의 경우를 그대로 답습하거나 편찬자들의 주관적인 판단 하 에 사용역 표지를 임의로 붙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위에서 분류한 어휘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사전들에 쓰인 사용역 표지를 모두 검토한 후에, 사용역 표지를 달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기존 사전들에 쓰인 사용역 표지를 모두 모아 정리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용역 표지를 사용하는 경우와 상위언어를 사용하여 기술하는 경우를 나누어 보고, 이 두 가지를 나눌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3장에서는 기존 사전에 쓰인 모든 사용역 표 지 중에서 중사전에 사용될 사용역 표지를 골라 말뭉치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쓰임새를 살펴보면서 기존 사전의 처리 방식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이 글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거나 논의 의 여지가 있는 문제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34 어문론총 48호 2. 기존 사전에 쓰인 사용역 정보에 대한 조사 이 글에서는 6개의 기존 사전을 중심으로 각각의 사용역 정보 표시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에 해당하는 사전은 <새우리말 큰사전(신기철 신용철 편)>(이하 <신신>이라 칭함), <금성판 국어대사전>(이하 <금 성>이라 칭함),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이하 <한글>이라 칭함), <표준국어대사전>(이하 <표준>이라 칭함)과 북한에서 출판된 <조선 말대사전>(이하 <조선>이라 칭함), 총 5개의 대사전과 비록 규모가 작기 하지만 순수 기술 사전으로 각 표제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담 은 사전으로 <연세 한국어사전>(이하 <연세>라 칭함)을 추가로 조사 하였다. 11) 이를 표로 보이면 아래와 같다.(북한말, 전문용어 영역별 표지는 제외함.) 11)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는 사전의 규모는 중사전이나, 화용 정보는 사전의 크 기와 상관없이 중요하고 다양하게 다루어져야 하므로, 기존 사전의 분석도 표제어가 풍부하고 미시정보가 다양한 대사전을 대상으로 삼게 된 것이다. 즉, 화용 정보를 풍부하게 찾기 위해 부득이하게 대표적인 대사전과 언어사 전을 조사 사전으로 삼게 되었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35 <신신>( 85) <금성>( 91) <한글>( 92) <표준>( 99) <연세>( 98) <조선>( 92) 사용역표지 높임 높임말 상위언어 높이어 이르는 말 ~의 높임말 높여 이르는 말 높임말 높여 이르는 말 사용역표지 낮은 낮춤말 상위언어 ~의 낮춤말 낮추어 이르는 말 낮춤말 낮추어, 낮춤말, 겸손하게 겸손하게 이르는 말로 낮추어 이르는말 사용역표지 [속](속어) (속된말) 12) <속> 속어 상위언어 속되게 이르는 말 얕잡아 이르는 말 속되게 이르는 말, 속된말, ~의 낮은말 속되게, 낮잡아(낮잡는 뜻으로) 속된 말로, 낮추어 이르는 말로, 얕잡아 하는 말 로 속되게 이르는 말, 얕잡아 이르는 말 사용역표지 [비] 비어 상위언어 욕하는 말, 모욕하여 이르는 말, 멸시하거나 하대 욕하는 말. 비속하게 욕하는 말로 하여 이르는 말 은어 사용역표지 [은] 심 (심마니 은어) <은> 상위언어 ~의 변말 13) 은어로(~의 은어로) 이두어 사용역표지 [이두] *없음 <이두> *없음 *표제어 대상 아님 *없음 옛말 사용역표지 [옛] <옛> <옛> 옛 *표제어 대상 아님 *없음 사용역표지 x 14) 이전말 상위언어 ~의 먼젓이름 예전에 전날에, ~을 일 컫던 말 예전에, ~의 전 용어 이전말로 전날에, 원시사회에서 : 봉건사회에서 : 낡은 사회에서 : 고구려 때 : 일제 때 : 입말 사용역표지 상위언어 *없음 *없음 (단, 일부에 구어 적인 표현. ) 방언 사용역표지 X(틀린말에도 =>(오류어에도 사용) 사용) 기타 사용역표지 <궁>(궁중어) <유아>(유아어) *없음 (단,일부에 주로 입말에 쓰인다. ) =>(다른 경우에 도 사용) 상위언어 ~의 곁말 15) ~을 구어적으 로 이르는 말. 방 ~의 입말. [입말에서] [입말투로] *표제어 대상 아님 (말체) *없음 (글체) 표 2 기존 사전의 사용역 정보 표시 방법 정리

36 어문론총 48호 위의 사전들을 살펴보면 어떤 어휘의 사용에 대한 설명을 사용역 표지로 나타내기도 하고 상위언어(메타언어)를 사용하여 기술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전에서 사용역 표지에 대해서는 일러두기 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달리, 상위언어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은 채 사전마다 제각기 사용하고 있다. 사용역 표지를 붙이는 경우와 상위언어를 사용하는 것의 구분은 어 휘가 사용되는 상황을 얼마나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이 방법 (사용역 표지의 사용)으로 어느 정도의 어휘가 손쉽게 기술될 수 있는 지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이다. 즉, 사전에 올라가는 표제어에 붙을 수 있는 별도의 정보 표지 종 류(1.2장 참고) 중에서 7 발화자의 태도에 따라 모욕어, 금기어, 완 곡어 등으로 나뉘거나, 얕잡아 하는 말, 놀리는 말... 등으로 나뉘는 것은 말하는 이의 주관적인 태도와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그 기준을 객관화하여 설정하기가 어렵다. 이런 경우까지를 사용역 표지를 주어 기술할 수는 없으므로 상위언어를 사용하여 자세히 기술하는 것이다. 이를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사용역 표지 사용: 높임말/낮춤말, 은어/비어(욕)/속어, 이두어/옛말 12) 동그라미 표지는 기호 약호 편에서 설명하고 있고, [ ] 표지는 용법에서 설명 하고 있다. 13) 변말이란 변 을 말하는데, <한글>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변01 (이) 남이 모르게 저희끼리만 쓰는 암호스런 말. &장사 ~. 판수 ~. 포도청 ~. <한>변말. 은어02. 변을 쓰다 저희끼리만 통하는 암호스런 말을 하다. 변말의 예로는 검은약( 아편 의 변말) 이 있으며, 이는 은어/속어와 구별이 안 되는 개념인 듯하다. 14) 지난날에 쓰이던 한자말이나 한문투의 말 표시 에 사용한 것으로, 본 연구 에서 말하는 이전말과 그 개념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15) 곁말은 <한글>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곁-말 (이) 사물을 정상적인 말로 하지 않고 다른 말을 빌어서 에둘러 나타내는 말. 총알 을 감장콩알, 희떱다 를 까치 배때기 같다 하는 말 따위. <참>변말.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37 /이전말, 글말/입말, 방언, 전문 용어의 영역 표지 등 (2) 상위언어로 기술 16) : 귀여워하는 말로/귀엽게 이르는 말로 얕잡아 하는 말로/경멸하는 뜻으로/나쁜 감정을 가지고 하는 말로 17) 친근한 말로/친근하게 이르는 말로/정답게 이르는 말로 빗대어 하는 말로/비꼬는 말로 점잖은 말로 놀리는 말로/조롱하는 말로/놀리거나 무시하는 말로 강조하는 말로/힘줌말로 3. 중사전에 사용할 사용역 정보 사용역 표지를 사용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효율적이라는 것에는 의 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 종류와 수에 대해서는 사전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어의 모든 어휘를 수록하는 대사전 에는 옛말이나 방언 등도 수록해야 하고, 관점에 따라서는 북한말도 수록해야 하므로 이들 모두가 사용역 표지를 달아야 할 것이다. 그러 나 어휘 수가 제한된 중사전에서는 옛말이나 이두어, 심마니나 무당 등이 사용하는 은어 등을 표제어로 올리지는 않을 것이고, 이 경우에 이러한 사용역 표지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사전 18) 은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하려는 의도 하에 전체 어휘 집단에서 일정한 수의 어휘를 선별하여 만드는 것이므로, 16)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인데, 일단 <연세> 사전에 사용 된 상위언어들을 모아 본 것이다. 17) <연세>에서는 낮추어 이르는 말로 라는 상위언어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낮춤말 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용어이므로 사용에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18) 박동근(2005)에서는 중사전에 대해 순수 어휘 사전을 지향하며, 일반 언중에 게 더 가까이 있어 언중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며, 현실 언어를 적극 수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38 어문론총 48호 여기에 사용되는 사용역 표지는 대사전에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중사전을 전제로 하여 각각의 사용역 표지 가 기존 사전에 쓰인 모습과 말뭉치에 나타나는 모습을 자세히 살펴 보고자 한다. 3.1. 높임말과 낮춤말 높임말과 낮춤말은 발화 상황과 관련되는 개별 어휘의 문제이다. 즉, 말하는이는 듣는이를 높이거나, 듣는이에 대해 자신을 낮추려는 의도를 가져야 하며, 그러한 발화 상황에서 낮춤이나 높임이 표출되는 방법은 개별 어휘마다 정해져 있는 어휘적인 문제라는 것이다. 높임말 이나 낮춤말에 가족이나 친척 지칭어나 호칭어가 많은 점, 또 한자어 를 유달리 많이 쓰는 점, 이것에서 파생되는 부수적인 것이기는 하겠 지만, 예스러운 말이 많은 것 등은 이것이 개별 어휘의 문제임을 말해 주는 것이다. 높임말과 낮춤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발화 상황에서 듣는 이와 관계된 것에 한해 높임말을 쓰고, 말하는이와 관계된 것에 한해 낮춤말을 쓴다. 높임말과 낮춤말 모두 가족이나 친족 명칭(호칭어, 지 칭어 두루 포함)에 많이 사용된다. 높임말은 한자어 대( 大 ), 고( 高 ), 귀( 貴 ), 옥( 玉 ), 성( 聖 ), 존( 尊 ), 현( 賢 ), 노( 老 ), 방( 芳 ), 왕( 王 ), 하( 下 ), 황( 皇 ), 혜( 慧 ) 가 붙거나, 접미사 님, 댁 이 붙은 단어들이 많고 낮춤 말은 한자어 노( 老 ), 비( 卑, 鄙 ), 소( 小 ), 우( 愚 ), 졸( 拙 ), 천( 賤 ), 폐( 弊 ), 한( 寒 ), 하( 下 ) 가 붙은 단어들이 많다. 그리고 낮춤말과 높임말 모두 예스러운 말이 많다. 그런데 실제로 여러 사전에서 낮춤말 은 얕잡아 말하는 혹은 낮 추어 말하는 것과 많은 경우 혼동을 불러일으켜서 다음과 같은 오류 를 보이기도 하였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39 (3) 머리-통 명 2 머리01 를 낮추어 이르는 말. 돌에 맞아 {머 리통이} 깨지다/그는 나보다 {머리통} 하나는 더 컸다. <표준> (4) ㄱ. 뱐덕-쟁이 명 요랬다조랬다 하는 변하기 쉬운 태도나 성질 이 있는 사람을 낮추어 이르는 말. ㄴ. 변덕-쟁이 명 이랬다저랬다 하는, 변하기 쉬운 태도나 성질 이 있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표준> 위의 (3), (4)는 모두 <표준>에서 따온 것인데, (3)의 머리통 은 머 리의 낮춤말이 아니라 낮잡아 이르는 말이며, (4)에서는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진 두 단어, 변덕쟁이 와 뱐덕쟁이 를 한 번은 낮추어, 또 한 번은 낮잡아 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정되어 기 술되어야 한다. (3) 머리통 : (속된말로) 머리. (또는) (낮잡아 이르는 말로) 머리. (4) 뱐덕쟁이, 변덕쟁이 : (홀하게 이르는 말로) (또는) (가볍게 이르 는 말로) 낮춤말은 말하는이가 자신과 관계되는 것을 겸손하게 낮추어 가리 키는 것이고, 얕잡아 말하는 것은 말하는이의 태도와 관련되는 문제 이므로 이 두 가지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높임말이나 낮춤말 중에 요즘 쓰이지 않는 예스러운 말이 많은 것 은 과거 수직적인 사회에서 현대의 수평적인 사회로 이행되면서 나타 나는 어휘의 변이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2. 은어와 속어/비어 흔히 국어사전에서 은어 와 속어/비어 는 늘 같이 연관지어 나타나 는 개념들이지만, 은어 와 속어/비어 를 구별해 내는 잣대는 이 두 가 지가 서로 매우 다르다.

40 어문론총 48호 은어는 사용 집단이라는 범위의 문제와 연결되는 것이고, 속어/비어 는 사용자 집단보다는 발화상황과 관련지어 나타나는 문제인 것이다. 또, 은어는 집단 내에서만 통한다는 은밀성을 지닌다. 은어처럼 집단 내의 은밀성을 드러내는 정도는 아니지만, 속어도 일부 연령층에서만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 집단을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 다. 두 경우 모두 사용자 집단에 대한 정보를 미시구조 항목에서 주어 야 하는데, 은어의 경우는 뜻풀이의 의미 괄호 속에, 속어의 경우는 참고에 주도록 한다. (5) ㄱ. 은어의 예 : 깔치 #은어# (범죄자들 사이에서 쓰는 말 로) 여자, 처녀, 여자 애인. ㄴ. 속어의 예 : 짱 #입말# #속어# (어떤 집단에서) 가장 인기있는 우두머리. 주로 10대나 20대가 쓴다. 3.2.1 은어 19) 은어는 학문적인 연구에서와 달리 사전 편찬의 입장에서는 이 범주 를 제한적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은어의 본래 목적은, 은어를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서 은어를 사용 하는 집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20) 은어와 관련된 19) 은어의 시작에 대해 <조선말 대사전>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다. 변말 명 언어 전날에, 변으로 쓰이는 말 곧 일정한 사회적 집단이나 계층 안에서 그에 속하지 않는 다른 사람이 모르게 쓰이는 특수한 어휘나 표 현. 종교, 미신적 신앙 에서 신의 존엄을 지킨다고 하여 에둘러 표현하 기 위해서나 도적, 부랑자, 장사군 등의 계층들 속에서 비밀을 지킨다고 하여 남이 모르는 말을 만들어 쓰는데서 생긴다. 리조때 포도청에서 통 용되였던 포도청변 이나 산삼을 캐는 사람들속에서 쓰인 심마니말 같은 것이 그러한 례에 속한다. 어부들의 ~. (=) 은어. 20) 이규창(1981: 33)에서는 은어란 특수어의 일종으로서 특수어이기 때문에 특 수집단에서 비밀을 지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말로 자기네 이외의 사람들에게 는 이해하기가 힘들게 만들어진 말 이라고 정의하였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41 여러 논문들을 정리하면 은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먼저 그 발생 기원이 자연발생적인가 의도적인가, 둘째, 은어의 목적이 비밀 유지인가, 그렇지 않은가, 셋째로는 은어가 은어를 사용하는 집단 외 의 다른 집단에 노출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을 수 있는가, 혹은 전 혀 없는가에 따른 것이다. 발생이 의도적이며, 사용 목적이 비밀 유지이고, 은어를 사용하지 않는 집단과의 교류가 전혀 있을 수 없는 은어란 범죄자들이나 군대 등과 같은 특수 집단, 상인, 도박꾼, 부랑자, 깡패 집단 등의 은어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전에서 이런 류의 은어를 표제어로 등재할 필요가 있는지 되새겨 보아야 한다. 이에 반해 학생들의 은어란 일반인에게도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것 이며, 학생이 아닌 집단과도 의미 교류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은어 발 생 목적이 비밀 유지보다는 독특한 표현을 추구하기 위한 것으로 생 각된다. 21) <표준>에는 모두 573개의 은어가 올라가 있는데, 은어의 사용자 집단이 밝혀진 것은 아래 (6)과 같다. (6) <표준>에 나온 은어의 사용자 집단: 심마니, 남사당패, 백정, 소장수(쇠살쭈), 사냥꾼, 신장수, 보부상, 군인, 걸인, 형사, 범죄 집단, 밀수꾼, 광부, 무당, 뱃사람, 부랑배, 중, 학생, 도 둑, 낚시꾼, 건달 // 맹인(소경) / 죄수 / 절에서, 윤락가 은어에 대한 연구에서 제시하는 어휘 목록을 살펴보면 세는 말과 관련된 은어가 매우 많다. 또한 특수한 집단에서 은어로 시작한 어휘 들이 세력을 얻어 일반인에게도 널리 통용되면 속어의 지위를 갖게 21) 황패강(1976: 206)에서는 학생 은어는 희어화의 동기를 갖는다 고 하였고 이규창(1981: 33)에서는 신선한 표현력을 조장하려는 의욕 때문 이라고 하 였다.

42 어문론총 48호 된다. 예를 들어 삥땅 은 60-70년대에 버스 안내양(차장)들이 사용하 던 은어에서 출발하여 지금은 일반인들도 널리 사용하는 속어가 된 것이다. 몇몇 은어에 대한 기존 사전들의 처리를 비교한 것과 실제 말뭉치 에서 용례를 검색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휘 뜻풀이(<표준>( 99년)) <한글> ( 92년) <금성> ( 91년) <신신> ( 85년) 용례 수 갈참 군인들의 은어로, 제대가 얼마 남지 아니한 고참을 이르는 말. x x x 2 외딴쇠 남사당패의 은어로, 맹씨를 이르는 말. O x x 0 마빡쇠 남사당패의 은어로, 백( 白 )씨를 이르는 말. O x x 1 비공이1 맹인들의 은어로, 코01 1 를 이르는 말. O x x 0 비공이2 맹인들의 은어로, 팔01 1 을 이르는 말. O x x 0 초꼬리 무당들의 은어로, 꽃노래굿 을 이르는 말. O x x 0 보신개 무당들의 은어로, 초롱02( 燭 籠 ) 을 이르는 말. O x x 0 꽃날 소경들의 은어로, 남의 첩을 이르는 말. O x x 0 고배담 소경들의 은어로, 담배 를 이르는 말. O x x 0 동자마니 심마니들의 은어로, 사내아이 를 이르는 말. O O x 0 방초 심마니들의 은어로, 산삼( 山 蔘 ) 을 이르는 말. O O O 3 뿌리시리 심마니들의 은어로, 삼09( 蔘 ) 을 이르는 말. O O x 0 초마니 심마니들의 은어로, 초년생 심마니를 이르는 말. O x x 0 천동마니 심마니들의 은어로, 풋내기 심마니를 이르는 말. O O O 0 뿌시개 학생들의 은어로, 담배 를 이르는 말. O x x 0 표 2 기존 사전들의 은어 처리 비교 및 용례 검색 결과(x: 표제어 없음) <표준>과 <한글>은 위의 은어들을 모두 표제어로 하고 있고, <금 성>과 <신신>은 그 중 몇몇 은어들만 표제어로 하였다. 이는 사전의 규모나 성격과 관련하여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 생각되는데, 국어의 거 의 모든 어휘를 수집하려는 입장에서는 은어라 할지라도 발견되는 대 로 수록할 것이고, 사전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며, 사전 이용 자가 어느 정도 선별되어 있다면 이런 방식으로 은어를 수록하는 것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43 은 무의미한 일이라 생각된다. 중사전에서 은어는 말뭉치에 나타나는 것에 한해 사용역 표지를 하 여 올리고, 사용 계층을 밝힐 수 있는 한에서 밝힌다. 이렇게 보면 중 사전에서는 은어의 수가 매우 줄어들 것이다. 3.2.2. 속어와 비어 속어 와 비어 는 사용 집단의 문제가 아니라 발화 상황에 따른 것 으로 공식적이지 않고 친밀한 사적인 자리에서는 누구나 속어 를 사 용할 수 있으며, 욕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누구나 비어를 사용하기 도 한다. 이 글에서는 속어와 비어라는 용어를 구분하여 쓰려고 하는데, 비 어 는 욕으로 쓰이는 말에 한해서 사용역 표지를 붙일 것이다. 이에 반해 속어는 통속적으로, 점잖지 못하게, 또는 천하게 상스럽게 사용 하는 모든 말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모든 비어가 속어일 수 있지만, 모든 속어가 비어는 아니다. 예를 들어 요즘 학생들이 즐겨 쓰는 최고 라는 의미의 짱 은 속어이기는 하지만 비어는 아니다. 이 에 반해 새끼 는 비어와 속어의 용법 둘 다를 나타낼 수 있다. 새끼 에 대한 <연세>의 설명을 보면 아래 (6)과 같다. (7) 새끼 명사... 2 자식 의 속된말. 나는 새끼 잃고도 사는데, 그런 일 좀 저지른 것이 무엇이 그렇게 기막혀 죽겠는가? 이 죄 많은 년이 새끼 는 왜 그렇게 많이 낳았을까? 3 [욕하는 말로] 놈, 자식, 녀석. 난 그 새끼 싫단 말이야. 이 새끼, 어디다가 함부로 그런 주둥이를 놀리냐? <연세> 먼저 비어란 욕하는 말로 욕을 하는 발화 상황에서 쓰일 수 있는 단어를 말한다. 22) 위의 예를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비어가 욕 22) <연세> 사전에 비어로 올라가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44 어문론총 48호 하는 말로 한정되어 기술된다면 개별 어휘의 문제로 귀속되는 데 반 해, 속어 는 그 정의부터 시작해서 개인마다 그 판정의 기준이 매우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개념이다. 23) 기존 사전에 나타나는 속어 의 개념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8) <연세> 1 민간에서 통속적으로 쓰는 말. 2 예절에 맞지 않는, 상 스러운 말. <표준> 1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 비속어. 2 =상말02( 常 -). 3 =속담( 俗 談 ). <금성> 1 통속적으로 쓰이는 저속한 말. 속언( 俗 言 ). 아어( 雅 語 ). 2 =상말. 3 =속담. <한글> 1 =속된 말. 2 =낮은말. 위의 견해와 기존 사전에서 속어로 기술된 단어들을 맞춰 보면, 속 어에는 통속적으로 두루 쓰이는 경우 와 예절에 맞지 않게 상스럽게, 혹은 천하게 사용한다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예를 들면 기존 사전에 속어로 기술된 동그랑땡 24) 과 같은 류가 전자에 속하는 단어 이고 꼴리다, 까다, 쌔비다 등이 후자에 속하는 단어일 것이다. 실제 기존 사전들을 비교해 보면 어떤 표제어에 대해서 속어인지 비어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서로 차이를 보인다. 예) 병신, 자식, 갈보년, 빌어먹을, 개망나니, 새끼, 육갑하다, 호로, 미친놈, 쌍 놈, 종자, 개새끼, 상놈, 쌍년... 그리고 <표준>에서는 비속하게 라는 상위언어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에 해당 하는 단어가 47개이다. 23) 랜도우(2002:223-226)에서도 기존 사전들의 속어 표시가 서로 일치하지 않 으며, 속어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속어를 확인하기 위한 외적 기 준은 없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그래도 속어는 유익한 개념이며 우리들(사전 편찬자)이 기준을 확립하는 노력을 지지해야 한다. 라고 하였다. 24) 기존 사전에 동그랑땡 은 돈저냐 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풀이되어 있는데, 이는 기존 사전의 기술을 옮긴 것이며, 현재 그 어휘의 화용적 정보나 필자 의 속어 개념과 맞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45 단어 <연세>( 98년) <표준>( 99년) <한글>( 92년) <금성>( 91년) <신신>( 85년) 끄나풀 낮춤말 낮잡아 욕으로 욕으로 욕으로 귀싸대기 속된말 낮잡아 낮은말 25) X 낮추어 김새다 속된말 속되게 X 속되게 [속] 까다 속된말(6) 26) 속되게(6) X 속되게(2) /비속하게(1) [속](2) 꼴리다 속된말 속되게 X 속되게 [속] 동그랑땡 *(표제어 없음) 속되게 통속적인말 속되게 [속] 물먹다 속된말 X X 의미항목 없음 의미항목 없음 삥땅 속된말 속되게 X 속되게 [은] 싱글 속된말 X 속된말 X [속] 쌔비다 속된말 속되게 낮은말 속어 [속] 알아먹다 속된말 속되게 속된말 속되게 [속] 왈가닥 속된말 X X X [속] 제비족 속된말 속되게 X X *(표제어 없음) 처먹다 속된말 속되게 낮은말 속되게 [속] 총알받이 속된말 X X X 비유하여 표 3 기존 사전들의 속어/비어의 처리 비교 위 표에서 몇몇 단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끄나풀 을 <한글> 과 <금성>에서는 욕 으로 보고 있고, <표준>에서는 낮잡아하는 말 로, 그리고 <연세>에서는 낮춤말 로 보고 있다. 3.1장에서 정의한 낮 춤말 에 따르면 이 부분은 <연세>의 오류이다. 또 물먹다 나 제비족 에 대해 어떤 사전들은 이것을 속어로 보고, 또 다른 사전들은 이것을 속어로 보지 않고 일반어처럼 의미 기술을 하기도 하였다. 속어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은어, 비어와 서로 넘나들거나 혼동될 여지도 매우 크다. 27) 이 글에서 은어는 사용자 집단과 관련하여 정리 25) <한글> 사전에서는 낮은말과 속된말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낮은말이란 상 스럽고 천한 말 이고, 속된말이란 통속적인 말 이라고 하였다. 26) ( ) 안의 숫자는 각 사전별로 해당 단어에 속되게, 또는 속된말 의 설명을 달고 나오는 의미 항목의 개수이다.

46 어문론총 48호 하였고, 비어는 욕 으로 정리하였으므로 적어도 속어와 비어/은어 는 서로 혼동되지 않는 개념으로 정리된다. 김광해(1993:157)에서도 은 어와 달리, 속어는 표현 효과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어휘소의 선택이 므로, 집단과 관련된 요소가 전적으로 배제되기도 어려우나, 그보 다는 개인적인 욕구에 의한 표현 효과라는 요소에 지배되는 경향이 크다. 라고 하였다. 오히려 이 글에서는 총알받이, 제비족, 싱글, 왈가닥, 꼴리다, 삥땅, 까다 등과 같이 사전에 따라 이것을 속어로 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 도 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려고 한다. 속어는 그 특성상 공식적인 글말에는 쓰일 수 없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글말이란 발화를 목적으로 쓰여지는 영화, 드라마 대본과 소설 속에 인용되는 대화 등을 제외한 순수한 글말을 말한다. 또, 대부분의 속어는 그에 해당하는 일반어가 있는데, 새로운 표현 효과를 노리고자 만들어진 것이므로 그에 해당하는 일반어가 있다. 28) 그리고 속어는 보통 다른 속어나 비어들과 같이 쓰인다. 27) 김광해(1993/2004:158-159)에서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속어는 그것이 가지는 점잖지 못하다는 느낌을 주는 비속한 어감 때문에 비 어와의 구별이 또한 쉽지 않다. 이 양자 사이의 차이에 관한 엄격한 구별은 아직 국어의 어휘 연구에서 확립되어 있지 않다. (159쪽) 은어와 속어의 개념이 혼동되는 이유는 이 둘이 서로 넘나들 수가 있기 때 문이다. 어떤 집단에서 비밀리에 사용되던 은어가 일반 사회에 유포되어 어느 시점에서인가 그 은비성( 隱 秘 性 )이 해제되어 버리면 속어로 분류되는 어휘소 의 변이형이 된다. 따라서 은어는 특수한 집단에서 발달하며 속어는 좀더 광 범위하고 덜 폐쇄적인, 경계가 희미한 집단, 가령 청소년층이나 군대 집단 같 은 곳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158쪽) 유행어와 속어는 참신성이라든가 신기성 등의 측면에서 속어와 많은 공통점 을 가지나, 유행어는 신어와 마찬가지로 기존 어휘소와의 대응이 존재하지 않 는 겨우, 즉 변이에 해당하지 않는 표현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하게 된다. (158쪽) 28)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어휘를 비유적인 용법으로 사용하여 속어가 되기도 하는데, 형광등, 깡통, 꽃뱀 등이 그러하다. 이런 경우는 이들 어휘에 대응 하는 일반어를 찾기가 어렵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47 먼저 왈가닥, 총알받이, 제비족 등을 살펴보면, 이들은 마땅히 대 치하여 쓸 수 있는 단어도 없고 실제 말뭉치 상의 쓰임을 살펴보아도 속어로 보이지 않으므로 이는 <연세>의 오류인 듯하다. 마찬가지로 싱글 은 외래어로서 독신 이나 미혼 에 해당하는 말인데, 실제 말뭉 치 상에서 속어로서의 쓰임을 보이지 않는다. (9) 이 드라마에서 나는 이전에 내가 보여줬던 차분하고 부유한 가정 의 주부역과는 정반대의 [[왈가닥]] 엄마역을 맡았다. (10) 이차대전 말기에 조선 청년들을 학병으로 내몰아 침략전쟁의 [[총알받이]]로 나서도록 하기 위해 일제는 끊임없이 조선의 지 식인들을 회유했던 것이다. (11) ㄱ. 테크닉만 있고 정신이 없는 드라마, 오렌지족이든 [[제비족]] 이든 시청률만 높으면 된다는 천민주의적 발상에서 오늘날 드 라마 정신의 실종을 찾아야 한다. ㄴ. 곱기만 한 배역을 주로 맡았던 채시라는 "서울의 달"에서 순박 한 남자 최민식을 뿌리치고 유부남이 된 [[제비족]] 한석규에 게 일편단심 사랑을 호소하는 연기를 펼쳐 연기변신에 성공했 는데 "아들의 여자"에서도 천덕꾸러기 배역을 맡게 됐다. ㄷ. 가정불화로 남편과 별거중인 최씨는 지난해 11월 서울 종로구 낙원동 W카바레에서 김용진씨(38)라는 [[제비족]]을 만났다. 그러나 김씨는 [[제비족]]이 `본업'이 아니라 점조직으로 서울 시내에 5억원대의 히로뽕을 팔아 온 거물 히로뽕 판매총책. 이에 반해 꼴리다, 까다 는 해당 일반어로 상하다, 차다 등을 설 정할 수 있으며, 실제 말뭉치 상에서 그 앞뒤에 욕이나 주둥이, 눈탱 이, 배알 등의 속어와 같이 나온다. (12) ㄱ....대번에 주둥이만 [[깠느냐고]]... ㄴ. 엉덩이는 [[깠지만]] 똥이 안 마려워도 손해날 것은 없었다.

48 어문론총 48호 ㄷ. 그것으로 그 나졸 마빡하고 눈탱이를 [[깠다는]] 것 같습디다. (13) ㄱ. 씨팔, [[꼴려서]] 그런다. ㄴ. 있는 새끼들 흥청대며 거들먹거리는 게 배알이 [[꼴려서]] 도 둑질을 안 할 수 없다니까. ㄷ. 남이야 죽든 말든 제 똥배짱이 [[꼴리는]] 대로... 한편, 삥땅 의 경우는 마땅히 이것에 대치하여 쓸 수 있는 단어가 없지만 용언으로 삥땅하다, 삥땅치다 를 만들면 (돈을) 빼돌리다 등 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또 다음과 같이 글말에도 쓰이지만 인용 표 지를 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속어가 아닌 일반어로 보기는 어렵다. (14) 콜럼버스가 굳이 동쪽이 아닌 서쪽을 택한 이유는 당시 동쪽 바 다에는 이탈리아 깡패들이 진을 치고 '[[삥땅]]'을 뜯었기 때문이 다. 속어의 경우는 대치할 수 있는 일반어가 있으며, 입말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입말의 표지와 함께 속어의 사용역 표지를 단다. 그리고 위 의 경우에 해당되지 않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어휘가 주는 느 낌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말할이의 태도를 나타내는 상위 언어로 기술한다. (15) ㄱ. 제비족 - 상위언어로(얕잡아 하는 말로) ㄴ. 쌔비다, 까다, 꼴리다, 알아먹다, 귀싸대기, 삥땅... => 속 어로 ㄷ. 왈가닥, 싱글 - 속어 아님, 기존 사전의 오류 또한 실제 말뭉치에서 입말이 아닌 잡지나 신문 기사와 같은 글말 에 나타난 어휘라면 속어 사용역 표지를 붙이지 않아도 될 만큼 어휘 의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본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49 3.3. 이전말 3.3.1. 이전말의 개념과 기존 사전 분석 이전말은 옛말과 달리 비교적 이른 시기에 쓰였던 말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여러 가지 사회 제도가 바뀜에 따라 다른 새말로 대치되거 나 사라진 말들을 의미한다. 즉, 어휘의 대응 관계가 통시대적인 차이 에 따라 실현되는 경우, 앞선 시기에 사용되었던 어휘이며, 이러한 현 상은 주로 용어 정비와 같은 언어 정책의 변화로 발생한다. 국어 사전에서 사용역 정보로 이전말을 표시하는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로,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제도에 따라 또는 규정에 따 라 용어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일정한 기간 동안 또는 특정한 담화 상 황 속에서 이전에 쓰던 어휘를 완전히 버리지 못하고 병행하여 사용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용어 바뀜의 전후 관계를 정리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어휘의 시기적 소속을 밝히는 것이 그 어휘의 뜻을, 그 어휘가 사용된 (특수한)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보 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말의 경우 기존 사전에서는 <표1>에 정리된 바와 같이 사용역 표지로 나타내지 않고 상위언어로 기술하였다. 따라서 개별 어휘의 예 를 중심으로 다음의 <표4>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개별 어휘는 <연 세>에 이전말로 풀이한 표제어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표의 아래쪽에 있는 민적, 색주가, 샛서방, 숙사, 월봉 등은 단어는 말뭉치 용례를 살펴 본 결과 이전말로 의심이 되는 어휘들 중에서 선정한 것이다. 단어 <연세>( 98) <표준>( 99) <한글>( 92) <금성>( 91) 간호부 ~의 이전말 ~의 전 용어 X 예전에, ~을 이르 던 말 간호원 ~의 이전말 ~의 전 용어 X ~의 구칭

50 어문론총 48호 단어 <연세>( 98) <표준>( 99) <한글>( 92) <금성>( 91) 소학교 ~의 이전말 ~의 전 용어 전날에, ~을 일 컫던 말 ~의 구칭 국민학교 ~의 이전말 ~의 전 용어 X X 급장 ~의 이전말 ~의 전 용어 X 예전에, ~을 이르 던 말 빌로드 [이전말로] *(표제어 없음) *(표제어 없음) *(표제어 없음) 안내양 [이전말로] 예전에, ~을 이 르던 말 X *(표제어 없음) 언도 [이전말로] ~로 순화 *(표제어 없음) ~의 구법( 舊 法 )상 의 용어 민적(?) *(표제어 없음) ~을 달리 이르던 말 X X 색주가(?) *(표제어 없음) X X X 샛서방(?) *(표제어 없음) X X X 숙사(?) *(표제어 없음) X X X 월봉(?) *(표제어 없음) X X X 표 4 기존 사전의 이전말 처리 비교 결과 위의 표에서 <연세>는 이전말이라는 비교적 일관된 상위언어를 사 용했으며, 다른 사전에 비해 이전말로 기술한 어휘수 또한 많았다. 또, 주로 대응되는 어휘가 있는 경우는 ~의 이전말. 로, 그렇지 않은 경 우는 [이전말로]~ 를 사용하였다. 민적, 색주가, 샛서방, 숙사, 월봉 은 용례 분석에 의해 이전말로 의 심이 되는 것들이었지만, 어느 사전에서도 이전말로 기술하지 않았다. 참고로 민적 의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6) ㄱ. 아버지께서는 경성부에 가셔서 [[민적]] 조사를 하신다고까지 날마다 야단이십니다. ㄴ. 동학혁명이 실패하여 설악산 속으로 도피해 들어갈 때 그는 제 二 련에 나타나는 대로 비탄의 쓰라림을 맛보았던 것이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51 그는 [집도 없었고] 더군다나 [[ 민적 ]]이 있을 리 없었다. ㄷ. 한용운은 "[[민적]]( 民 籍 ) 없는 자는 인권이 없다. 인권이 없는 너 에게 무슨 정조냐"라고 썼지만 우리는 식민지 인간에게 무슨 순수 며 무슨 휴머니즘이며 무슨 지성이냐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ㄹ. 이제 정정 신청서에는, [[민적]] 등본, 병적 관계 문서, 들을 시퍼 렇게 고쳐 왔으니, 학교로서는 부득이 고쳐줄 수밖에 없게 된다. ㅁ. 정말이지 작은아씨 힘으로 기애의 [[민적]]만 고처주신다면 난 그밖에 아무 소원이 없겠어요. 3.3.2. 이전말의 유형 다음은 <연세>에서 이전말로 풀이한 22개의 표제어를 나름대로의 기준에 따라 유형을 나누어 본 것이다. 1 제1유형 : 제도적인 용어의 바뀜으로 다음과 같은 어휘가 이에 속 한다. 예. 간호부( 간호사), 간호원( 간호사), 소학교( 국민학교 초등학 교), 소학생( 국민학생->초등학생), 수간호원( 수간호사), 외무 부( 외교 통상부), *우체부( 우편집배원), 평방미터( 제곱미 터), 통신부( 생활 통지표), *형무소( 교도소), 공소( 控 訴 )( 항 소), 공소( 控 訴 )하다( 항소하다) *로 표시한 우체부, 형무소 는 유형 분류가 확실하지 않은데, 이렇 게 유형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어휘들인 경우, 이전 용어도 바뀐 용어 와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2 제2유형 : 제1유형과 달리 제도적인 바뀜이 아닌, 언중들의 자연스 런 용어 바뀜을 말한다.

52 어문론총 48호 예. 급장( 반장), 동회( 동사무소 주민센터), 염병 29) ( 장티 푸스) 3 제3유형 : 지시 대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면모한 경우가 한 유형이 되며, 이 경우 대응되는 어휘로 풀이할 수 없다. 30) 예. 안내양, 유성기 31) 4 제4유형 : 이전 시기에 쓰이던 말 중 일본식 용어인 경우. 제도상의 용어 바뀜의 문제를 떠나서, 순화를 위해 당연하게 이전말로 기술한 예가 이 유형에 속할 수 있다. 예. 언도 5 제5유형 : 그 밖의 유형으로 명확한 특징을 찾기가 어려운 어휘들 이다. 예. 제금( 바이올린), 빌로드, 수정 제금 은 바이올린이라는 새로운 문물이 들어왔을 당시에 이전에 있 던 비슷한 악기의 이름을 확장하여 사용한 이름인 듯하다. 빌로드 는 비로드(벨벳) 으로 다른 사전에 올라가 있으나, 다른 사전에는 이전말 로 풀이하지 않았으며, 수정 은 피의자나 피고인 또는 수형자의 손 목에 채우는 쇠고리. 를 말하는데, <조선>에는 x 수갑(쇠고랑) 을 달리 이르는 말. 로, <표준>은 수갑02( 匣 )의 잘못. 으로 풀이하였 다. 이러한 단어들은 특징 파악이 힘들고, 앞의 1~4의 유형에 명확 29) <연세>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염병 ( 染 病 ) [염:병] Ⅰ (이전말 로) 장티푸스. 아버지가 염병을 앓다가 세상을 떠나게 되자 Ⅱ[감탄사 적으로 쓰이어] 재수가 없거나, 기분이 나쁠 때 내는 소리를 나타냄. 염병, 기온이 42도나 되네요! I만이 이전말이고 Ⅱ는 속된말로 분류되어야 할 것 같다. 30) 농업 방식이 많이 달라진 현상황에서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많은 농기구의 이름들이 모두 이 유형에 속하는 이전말이 될 수 있다. 31) 유성기는 축음기와 같은 개념으로 후에 전축으로 발전하였다.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53 히 일치하지 않는다. 3.3.3. 중사전에서의 기술 기존의 이전말은 어휘 사용의 효율을 위하여 이전말 과 이전 표기 로 구분하여 기술해 볼 수 있다. 즉, 이전말이라는 사용역 표지를 붙 이는 경우와 ~의 이전 표기. 로 뜻풀이하는 경우로 나누어 기술하고 자 한다. 이전말 표지가 붙는 경우는 간호원, 국민학교, 외무부, 우체 부, 평방미터, 통신부 등과 같이 대응되는 현재말이 반드시 존재하는, 비교적 공식적이고 명백한 사회 제도상의 용어 바뀜인 경우와, 안내 양, 유성기 와 같이 지금은 사라진 대상을 지칭하는 경우, 급장, 동 회, 염병 과 같이 공식적이지 않은 자연스런 용어의 바뀜에 사용한다. 갈고리촌충( 유구조충), 강장동물( 자포동물) 과 같은 전문용어의 용어 순화의 경우에도 이전말의 표지를 붙인다. 이전 표기는 짜장면( 자장면), 고즈넉히( 고즈넉이), 곤두박히다 ( 곤두박이다) 와 같이 표기법이 바뀐 경우에 뜻풀이의 상위언어로 사용한다. 3.4. 입말 입말은 그 선정 기준에서부터 풀이 유형까지 좀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표지이다. <조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존 사전에서는 상위언 어로 풀이하였으며, 극히 일부 어휘에만 사용되었다. 또, 입말에 해당 하는 대부분의 어휘가 준말이나 ~의 잘못. 으로 기술된 경우가 많았 고,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어휘지만 아예 표제어로 등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32) 중사전에서 입말은, <연세>와 마찬가지로 잘못이나 비표준어 의 32) 이에 대한 자세한 통계적인 정보는 안의정(2006)의 2장을 참고.

54 어문론총 48호 층위가 아닌, 문체 기능상의 변이형으로 보아 입말의 사용역 표지를 붙인다. 입말의 표지는 구( 고(어미)), 이쁘다( 예쁘다), 니( 네) 처럼 단 순한 음운이 바뀌는 경우나, 맘( 마음), 담( 다음), 땜( 때문) 처럼 축약이 일어나는 경우, 너무너무, 빨랑빨랑 과 같은 첩어류, 한테, 들이, 날리다, 재까닥 등과 같은 어휘에 붙을 수 있다. 33) 입말 중에는 속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 이유는 안의정 (2006:42)의 논의대로 속어는 일상적인 입말 활동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기존 사전에서는 속어와 구어를 많이 혼동하고 있다. 어떤 어휘가 속어이면서 입말인 경우 정확하게 두 가지 표지를 모두 붙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4. 결론 및 남는 문제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의 사전들이 객관적인 기준 없이 사용역 표지 를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사용역 표지를 붙임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성과 효용성에 비추어 사용역 표지를 사용하는 객관적인 기 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살아있는 국어의 모습을 빠르고 생생하 게 반영할 수 있는 중사전을 대상으로 이에 사용될 사용역 표지를 중 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높임말과 낮춤말, 은어와 속어, 비어, 그리고 이 전말, 입말이 그것들이다. 사용역 표지를 다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역 표지 를 다는 경우와 상위언어로 기술하는 방법을 나누는 기준은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발화 상황에 나타나는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33) 입말 표제어의 유형 및 각각의 기술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안의정(2006)을 참고.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55 이 두 가지를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사용역 표지를 다는 경우는 언제나 그 구분이 명확한 것은 아닌데, 특히 속어의 경우 개인마다 판별 기준이 매우 다르며, 몇몇 단어들은 은어에서 출발하였으나 그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속어로 변화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어휘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시간 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이며, 은어나 속어 등의 경우는 시간의 흐름 을 가장 빠르게 반영하고 있는 어휘들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 었다. 국어사전이 사전편찬자의 머리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면 이러한 변화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 사전 이용자에게 보이는 것도 사전의 역할일 것이다. 또한, 사용역 표지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 염두에 두려고 한 것은, 사전의 종류가 기술 사전이든 규범 사전이든 사용역을 표시하는 방법 이나 태도는 표제어에 대한 정확한 기술이 그 목적이지 올바른 사용 법을 보인다는 가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즉, 사용 역 표지를 제시하면서 편찬자의 가치관을 담아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고 하는 가치 개념을 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34) 즉, 사전 에서의 사용역 정보 표시는 편찬자의 가치 평가를 담은 것으로서가 아니라 개별 어휘에 대한 정확한 기술이라는 관점에서 그 객관성 여 부를 검증 받아야 할 것이고 방법론적으로도 그러한 객관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라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문제를 몇 가지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속어 중에서 상스러운 느낌이 드는 쌔비다, 까다, 꼴리다, 귀싸대 34) 랜도우(2002: 47-48)에서도 사전을 기술하는 사람의 언어에 대한 태도에 따 라 기술적 태도와 규범적 태도로 나눌 수 있지만, 그 차이는 일반적으로 생 각하는 것보다 적으며, 실제의 용법에 기초한 사전들은 기술적이라고 하였다. 이 글에서는 규범의 제시를 편견과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어의 기술 은 가치 판단의 장이 아니라고 하였으며, 정보는 제공하지만 어떤 어법에 대해서도 자기 자신의 의견을 기술하는 것은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라고 하였다.

56 어문론총 48호 기 류와 이러한 천하고 상스러운 느낌은 덜하고 비교적 통속적인 쓰 임이라고 생각되는 알아먹다, 김새다, 동그랑땡 류를 나누어서 표지 를 달리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실제로 <한글>에서는 전자를 낮은 말, 후자는 속된말 로 구별하고 있다. 용례가 추출된 말뭉치의 꼼꼼 한 검토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전말, 이전 표기와 관련하여서는, 사용 시기의 근거가 되는 용례 (말뭉치)가 매우 부족하며, 소설의 경우 배경으로 하는 시기와 출판 시기가 많이 다른 경우 시기별 말뭉치의 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층의 연령이 다르게 나타나는 어휘들, 예를 들면 맘마, 까까, 지지 등과 같이 어린아이의 말이나 어미 -우/수 등과 같이 40-50대의 부녀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어휘의 경우도 이들의 사 용법을 객관적으로 조사하여 사용역 표지를 달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국어사전, 사용역 정보, 사용역 표지, 중사전, 용법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57 참고문헌 [논문류] 김광해. (1993/2004).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남길임. (2007). 사전텍스트의 화용정보 유형 연구, 텍스트언어학 23. 텍스트언어학회. 69~94쪽. 박동근. (2005). 우리말 중사전 표제어 설정의 문제점, 608돌 세종날 기념 한글 학회 전국 국어학 학술대회 발표집. 한글학회. 32~49쪽. 박영섭. (1980). 은어고 - 경인지역 부랑아의 위상어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통권 제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93~603쪽. 안의정. (2006).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 선정과 기술 방안 연구. 연 세대학교 대학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 박사학위 청구 논문. 유구상. (1978). 대학생의 언어와 은어, 한글 162. 한글학회. 223~244쪽. 이규창. (1981). 은어조사연구, 국어국문학 86. 국어국문학회. 27~52 쪽. 이상섭. (1990). 현대 사전편찬학의 이론과 실제, 사전 편찬학 연구 3. 연세대학교 한국어사전편찬실. 77~117쪽. 이운영. (2002).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국립국어연구원. 정순기, 리기원. (1984). 사전편찬리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조미옥. (2004). 영영학습사전 비교 분석, 한국 사전학 3. 한국사전학 회. 175~202쪽. 황패강. (1976). 비속어은어 유행과 그 사회심층적 의의, 어문연구 통권 제1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3~208쪽. 랜도우. (2002). 사전편찬론. 김영안, 강신권(공역). 한국문화사. (Landau, S. (1984/1989). Dictionaries-the art and craft of lexicography-. Cambridge Univ. Press. 역) Igor, Burkhanov. (2003). "Pragmatic specifications: Usage

58 어문론총 48호 indications, labels, examples; dictionaries of style, dictionaries of collocations -", A Practical Guide to Lexicography, edited by Piet van Sterkenbu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pp.102~113. Rey, Alain(1995) Essays on terminology. translated and edited by Sager, Juan C.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Svensén, Bo. (1993). Practical Lexicography. translated from the Swedish by John Sykes and kerstin Schofield. Oxford Univ. Press. [사전류] 국어 비속어 사전 (1999), (김동언 편저), 서울: 프리미엄 북스. 금성판 국어대사전 (1991년), (운평어문연구소 편), 금성출판사. 새우리말큰사전 (1985년), (신기철, 신용철 편), 삼성출판사. 연세 한국어사전 (1998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두 산동아. 영어학 사전 (1990년), 신아사. 우리말 큰사전 (1992년), (한글학회 편), 어문각. 조선말대사전 (1992년), 사회과학원출판사. 표준국어대사전 (1999년), (국립국어연구원 편), 두산동아.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3판), (1995년) Macmillan English Dictionary, (2002년)

국어 사전의 사용역 정보에 관한 연구 안의정, 이종희 59 Abstract A Study on the Register in Korean Dictionary -focusing on middle-scale dictionary- Ahn, Eui-jeong / Lee, Jong-he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of the function and necessity of marking of register in Korean Dictionary focusing on middle-scale dictionary, and how to mark the register label into headwords in objective ways. Register can be specified to honorific, humbleness, argot, slang, vulgar, and spoken. The register label is the very useful information for users, compilers, scholars of dictionary. It is very important to mark the register label. In spite of the importance, it is a fact that the standards dividing the register label and metalanguage are vague. However, we presented to classify these according to the objective standards shown up in the speech situation and use.

60 어문론총 48호 Key words: Korean Dictionary, register, register label, middle-scale dictionary, usage 접 수 일 : 2008년 5월 5일 심사기간 : 2008년 5월 13일 - 30일 게재결정 : 2008년 6월 5일(편집위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