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보고서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2011. 03.
목 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1.1. 연구 배경 1 1.1.2. 연구 목적 2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1.3. 연구 흐름도 4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7 2.1. 농산물 범위 7 2.2. 국내 농산물 시장 현황 8 2.2.1. 주요 농산물 시장규모 8 2.2.2. 국내 주요 농산물 수출입 현황 및 FTA 등의 영향 검토 12 2.2.2. 對 중 일 농산물 교역 물동량 및 품목 현황 22 2.3. 국외 농산물 시장 현황 30 2.3.1. 중국 30 2.3.2. 일본 50 2.4. 광양항 농산물 시장 환경 분석 58 2.4.1. 광양항 배후단지 및 전남권 농산물 생산 수출 분석 58 2.5. 국내외 농산물 기업 분석 63 2.5.1. 국내 농산물 기업 분석 63 2.5.2. 국외 농산물 기업 분석 76 제3장 주요 농산물 물류허브 사례조사 99 3.1. 국내 주요 농산물 물류센터 조사 99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3.1.1. 농산물 물류센터 활성화 현황 분석 99 3.1.2. 물류센터 사례 100 3.2. 해외 주요 농산물 물류허브 조사 118 3.2.1. 세계 농산물 거래시장 및 거래소 현황 분석 118 3.2.2. 중국 122 3.2.3. 일본 133 3.2.4. 미국 135 제4장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전략 수립 147 4.1. 농산물 물류허브 개념 147 4.1.1. 물류의 정의 147 4.1.2. 허브의 정의 148 4.1.2. 물류허브의 정의 148 4.1.3. 농산물 허브의 정의 149 4.2.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를 위한 전제 조건 150 4.2.1. 농산물 물류허브의 취급 품목 설정 150 4.2.2.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이용 가능 취급 품목 설정 151 4.2.3. 단계별 기능 확대 151 4.3.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가능성 검토 및 진단 152 4.3.1.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이용 품목 선정 152 4.3.2. Business Model 별 가능성 검토 154 4.4. 비전 미션 및 기본개념 193 4.4.1. 비전 및 미션 193 4.4.2. 기본개념 194 4.4.3. 추진과제 194 제5장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활성화 방안 199 5.1. 추진과제 199 - ii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5.2.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Action Plan 200 5.3. 정부 및 관계 기관별 추진 과제 202 5.3.1. 수입거점 모델 202 5.3.2. 수출거점 모델 205 5.3.3. 재수출거점 모델 209 5.3.4. 기타 거점 모델 211 5.4 물류허브 활성화 따라 기대효과 214 5.4.1. 신개념의 항만물동량 창출 214 5.4.2.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214 5.4.3. 지역경제 파급효과 극대화 215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219 6.1. 결론 219 6.2. 정책제언 221 - iii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목 차 <표 2-1> 우리나라 농업 생산액 8 <표 2-2> 우리나라 농업 작물별 생산액 9 <표 2-3> 우리나라 농업 생산지수 10 <표 2-4> 우리나라 농업 작물별 생산지수 11 <표 2-5>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 현황 12 <표 2-6> 우리나라 수출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14 <표 2-7> 우리나라 수입 농산물 현황 15 <표 2-8> 우리나라 수입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17 <표 2-9> 우리나라 수출 상위 10위 국가 19 <표 2-10> 우리나라 수입 상위 10위 국가 21 <표 2-11>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중국) 22 <표 2-12>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중국 한국) 23 <표 2-13>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합계) 24 <표 2-14>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일본) 24 <표 2-15>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일본 한국) 25 <표 2-16>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합계) 26 <표 2-17>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중국) 27 <표 2-18>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중국 한국) 28 <표 2-19>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일본) 29 <표 2-20>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일본 한국) 30 <표 2-21> 중국 농산물 수출 현황 31 <표 2-22> 중국 수출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33 <표 2-23> 중국 농산물 수입 현황 34 <표 2-24> 중국 수입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36 <표 2-25> 중국 수출 상위 10위 국가 38 <표 2-26> 중국 수입 상위 10위 국가 39 <표 2-27> 중국 연도별 주요곡물 생산현황(2003~2008) 40 <표 2-28> 중국 지역별 곡물 생산량(2008) 41 <표 2-29> 중국 주요 곡물 수입현황(2007~2008) 42 <표 2-30> 중국 주요 곡물 수출현황(2007~2008) 42 <표 2-31> 중국 곡물물류 관련 정책 47 - iv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32> 중국 농산물 수출 현황 50 <표 2-33> 일본 수출 농산물 상위 5위 품목 52 <표 2-34> 일본 농산물 수입 현황 52 <표 2-35> 일본 수입 농산물 상위 5위 품목 54 <표 2-36> 일본 수출 상위 10위 국가 55 <표 2-37> 일본 수입 상위 10위 국가 57 <표 2-38> 전라남도 주요 품목별 생산량(1999~2009) 58 <표 2-39> 우리나라 지역별 친환경 농산물 생산량(2008) 59 <표 2-40> 전남권 수출 상위 10위 농산물 품목 61 <표 2-41> 전남권 상위 10위 수출국 현황 62 <표 2-42> 전남권 주요 품목별 수출국 현황(2011.01월 기준) 63 <표 2-43> 농심 국가별 수입품목 64 <표 2-44> 농심 매출액 추이 64 <표 2-45> 삼양사 국가별 수입품목 65 <표 2-46> 삼양사의 매출액 추이 66 <표 2-47> 오뚜기 국가별 수입품목 67 <표 2-48> 오뚜기 매출액 추이 68 <표 2-49> 오뚜기의 농산물 가공식품 68 <표 2-50> 동서식품 국가별 수입품목 69 <표 2-51> 동서식품 매출액 추이 70 <표 2-52> 농산무역 매출액 추이 71 <표 2-53> 농우바이오 매출액 추이 73 <표 2-54> 농우바이오의 주요품목 73 <표 2-55> 동부한농의 주요품목 74 <표 2-56> 국내 곡물시장 현황과 국제곡물메이저 비중 89 <표 2-57> 카길사의 리버 및 터미널 엘리베이터 보유현황 90 <표 2-58> 카길사의 미국/캐나다 자가부두 보유 현황 90 <표 2-59> 벙기사의 리버엘리베이터 보유현황 92 <표 2-60> 벙기사의 미국/캐나다 자가부두 보유 현황 92 <표 2-61> ADM사의 리버 및 터미널 엘리베이터 보유현황 94 <표 2-62> ADM사의 미국/캐나다 자가부두 보유 현황 94 <표 2-63> 루이스사의 리버엘리베이터 보유현황 95 <표 2-64> 루이스사의 미국/캐나다 자가부두 보유 현황 95 <표 2-65> 국내 곡물 공급사 현황 96 - v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3-1> 세계 품목별 선물 옵션 거래량(2010.01~08) 118 <표 3-2> 세계 상위 20 선물 옵션 거래량 (2010.01~08) 120 <표 3-3> 세계 상위 20 농산물 선물 옵션 거래량(2010.01~08) 121 <표 3-4> 중국 농산물거래소 현황 122 <표 3-5> 정저우농산물거래소 거래현황(2009) 124 <표 3-6> 다롄상품거래소 거래실적(2001~2009) 126 <표 3-7> 다롄상품거래소 품목별 거래실적(2009) 128 <표 3-8> 다롄상품거래소 지정창고 설립조건 131 <표 3-9> 뉴올리언즈항 시설현황 136 <표 3-10> 뉴올리언즈항 연계수송망 현황 136 <표 3-11> 타코마항 컨테이너터미널 시설 현황 139 <표 3-12> 타코마항 컨테이너물동량 처리실적 140 <표 3-13> 시애틀항 컨테이너터미널 시설 현황 142 <표 3-14> 타코마항 컨테이너물동량 처리실적 143 <표 3-15> 시애틀항 컨테이너물동량 처리실적 143 <표 4-1> 광양항 농산물 대상 품목 중량 및 금액 추이 153 <표 4-2> 협회별 사료가공공장 현황 161 <표 4-3> 항만별, 운영사별 양곡 취급물량 추이(2006~2009) 162 <표 4-4> 우리나라의 3대 곡물 수입 물량 전망 추이(2011~2020) 164 <표 4-5> 우리나라 항만별 양곡 처리물량 전망 추이(2009~2020) 164 <표 4-6> 유치가능 물동량 169 <표 4-7> 2008년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 1/2위 지역 비교 170 <표 4-8> 전남권 주요 수출국 현황 170 <표 4-9> 한 중 일 생두수입 예상 물동량 추이 172 <표 4-10> 광양항 유치가능 타겟 기업 예시 181 <표 4-11> 한 중 일 생두수입 예상 물동량 추이 182 <표 4-12> 광양항 예상 부가가치 창출 규모 182 <표 4-15> 對 칠레- 對 미국 주요 수입농산물 188 <표 4-14> 사료용 옥수수의 주요 수입업체 189 <표 4-15> 라디에타소나무의 수입업체 190 <표 4-16> 포도 수입업체 191 <표 4-17> 신선냉장 삼겹살(0203.19)의 수입업체 192 <표 4-18> 냉동 삼겹살(0203.29)의 수입업체 192 - vi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그림목차 [그림 2-1] 농산물 분류 7 [그림 2-2] 우리나라 농업생산액 증감 추이 8 [그림 2-3] 재배업 작물별 생산 비율 9 [그림 2-4] 우리나라 농업생산 지수 변화 추이 11 [그림 2-5] 우리나라 수출 농산물 비중 12 [그림 2-6] 우리나라 수입 농산물 비중 15 [그림 2-7] 중국 수출 농산물 비중 31 [그림 2-8] 중국 수입 농산물 비중 34 [그림 2-9] 중국 곡물물류 발전과정 43 [그림 2-10] 일본 수출 농산물 비중 50 [그림 2-11] 일본 수입 농산물 비중 53 [그림 2-12] 친환경 농산물 시장 전망도 59 [그림 2-13] 중추량그룹 조직도 76 [그림 2-14] 중추량그룹 지사 분포도 77 [그림 2-15] 중추량그룹의 창고현황 77 [그림 2-16] 중추량그룹 사산화 곡물 물류 79 [그림 2-17] 미츠비시창고 연도별 영업이익 82 [그림 2-18] 미츠비시창고 조직도 82 [그림 2-19] 미츠비시창고 일본내 주요 항만 위치도 83 [그림 2-20] 미츠비시창고의 부산 신항만 FTZ 생두 처리 현장 85 [그림 2-21]미츠비시창고의 국내외 일체화 Biz 모델 86 [그림 2-22] 미쯔이물산 매출액 실적(2010) 87 [그림 2-23] 미쯔이물산 조직도(2010) 88 [그림 2-24] 미쯔이물산 해외사업장 분포도 88 [그림 3-1] 논산농산물수출물류센터 위치도 100 [그림 3-2] 논산 농산물수출물류센터 물류시설 102 [그림 3-3] 논산 농산물수출물류센터 조감도 103 [그림 3-4] 화성포도유통수출센터 위치도 105 [그림 3-5] 마산 농산물 수출 물류센터 위치도 108 [그림 3-6] 마산농산물수출물류센터 농산물 브랜드 111 - vii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그림 3-7] 임동농산물수출물류센터 위치도 115 [그림 3-8] 광양농산물수출물류센터 위치 116 [그림 3-9] 세계 지역별 선물 옵션 거래량(2010.01~08) 119 [그림 3-10] 세계 팜유 수출 추이(1990~2010) 122 [그림 3-11] 정저우농산물거래소 조직도 123 [그림 3-12] 정저우농산물거래소 회원사 분포도 124 [그림 3-13] 정저우농산물거래소 전경 125 [그림 3-14] 다롄상품거래소 전국분포도 126 [그림 3-15] 다롄상품거래소 조직도 127 [그림 3-16] 다롄상품거래소 128 [그림 3-17] 가시마항 위치 및 연계수송망 134 [그림 3-18] 뉴올리언즈항 레이아웃 137 [그림 3-19] 뉴올리언즈항 곡물수출 물류프로세스 138 [그림 3-20] 타코마항 위치 138 [그림 3-21] 타코마항 LAYOUT 140 [그림 3-22] 타코마항 곡물수출 물류프로세스 141 [그림 3-23] 프리포트항 컨테이너 터미널 모습 141 [그림 3-24] 시애틀항 터미널 전경 142 [그림 3-25] 시애틀항 터미널 레이아웃 142 [그림 3-26] 시애틀항 곡물수출 물류프로세스 143 [그림 4-1] 물류허브의 개념 149 [그림 4-2]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구축의 전제 조건 152 [그림 4-3]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대상 품목 선정 Process 153 [그림 4-4] 수입거점 모델 154 [그림 4-5] 수입거점 모델 대상 품목 155 [그림 4-6] 국내 밀 생산 및 소비 추이(1990~2010) 156 [그림 4-7] 국내 옥수수 생산 및 소비 추이(1990~2010) 157 [그림 4-8] 국내 대두 생산 및 소비 추이(1990~2010) 159 [그림 4-9] 국내 밀가루 공장 위치도 160 [그림 4-10] 국내 사료 가공공장 위치도 161 [그림 4-11] 내 항만별 양곡 부두 현황(2010년 기준) 163 [그림 4-12] 국내 팜오일 생산 및 소비 추이(1990~2010) 165 [그림 4-13] 수입거점 모델 추진 가능성 167 - viii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그림 4-14] 수출거점 모델 168 [그림 4-15] 재수출거점 모델 172 [그림 4-16] 재수출거점 비즈니스 모델 형태 173 [그림 4-17] 커피 가공 프로세스 174 [그림 4-18] 커피 물류 프로세스 사례 174 [그림 4-19] MCC 시설 현황 175 [그림 4-20] 커피 가공 및 재포장 176 [그림 4-21] 일본 커피 물류 발전과정 177 [그림 4-22] 일본의 커피 유통 구조 178 [그림 4-23] 커피 가공 기계 180 [그림 4-24] 선물시장거점 모델 185 [그림 4-25]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비전 및 미션 193 [그림 5-1]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Action Plan 201 [그림 6-1] 커피 물류공정 및 적용가능 물류 비즈니스 모델 220 - ix -
제 출 문 한국컨테이너공단 이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년 3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김 학 소 연 구 진 연구 책임자 이성우 연구위원 참여 연구진 이주호 책임연구원 김찬호 책임연구원 김근섭 책임연구원 오연선 연 구 원 김성야 연 구 원 김진경 행 정 원
제1장 서론
제1장 서론 제1장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1.1. 연구 배경 광양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세 미약 : 2005년 이후 연평균 5.8% 증가 광양항 컨테이너부두는 개장 이후 09년 현재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 고는 있으나, 그 증가율은 미약한 상황임 - 2000년~2009년 기간 동안은 연평균 52.2%의 높은 증가 속도를 기록하였으나, 이는 초기 낮은 물동량 처리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물동량 증가속도가 폭발적이지 않음 - 2005년 이후부터 2009년까지는 연평균 5.8%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 중임 특히, 2005년 이후의 증가율은 국내 경쟁항만으로 평가될 수 있는 인천항(8.3%), 평택 당진항(13.5%) 등에 비해서도 물동량 증가율이 현저하게 낮은 상황임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유치 기업의 활성화 부진 2010년 현재 광양항 동측 항만배후단지에는 황금물류센터를 포함하여 총 27개 기업이 입주하였으나, 경기 악화, 물동량 부족 등으로 운영에 많은 차질이 발생 하고 있음 - 최근 사업계획서 대비 화물 유치 부진, 계약 해지, 공사 착공 지연, 외자 도입 미이행 등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됨 향후 지속적인 기업 유치를 통해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으나, 기존 입주업체와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 유치를 통해서는 획기적인 물동량 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움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컨테이너 물동량 증대 및 배후단지 활성화 유도 필요 광양항은 부산항, 인천항 등에 비해 배후지역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어,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로써는 물동량의 획기적인 증대에 한계에 직면함 - 특히, 광양항은 부산항 신항의 개발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개발되었으나, 부산항 신항이 개발된 현재의 상황에서는 더욱 차별화가 필요한 실정임 - 1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따라서 새로운 시각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통해 물동량 증대를 유도하고, 부 가가치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광양항에 농산물 유통 관련 다국적 기업의 진출이 검토되고 있고, 또한 입지적으로도 농산물 처리에 유리한 배후권역을 가지고 있어, 광양항이 농산물 물류 허브로써의 가능성에 대한 검증과 이의 구축을 위한 추진과제 검토가 필요 농산물 물류 허브의 성공적 구축은 새로운 개념의 물동량 창출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높은 부가가치와 고용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임 반면 현실적 여건의 한계로 농산물 물류허브 구축이 어려울 경우에도 장래 구축 을 위한 전제 조건 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함 1.1.2 연구 목적 광양항의 동북아 농산물 물류 허브 추진 가능성 진단 광양항의 지경학적 여건, 세계 및 동북아 농산물 교역 구조, 주요 농산물 시장 현황 등의 종합적 검토를 통해 농산물 허브로서의 광양항 역할 가능성을 진단함 농산물 물류 허브로써의 광양항 가능성 여부 판단과 더불어 이를 위한 전제 및 선행 조건을 검토함 농산물 물류 허브 활성화를 위한 추진 과제 도출 광양항의 농산물 물류 허브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과제와 이의 활성화를 위 한 액션 플랜의 마련이 필요함 아울러 관련 주체간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관련 법 제도 검토를 병행함 1.2. 연구 범위 및 방법 공간적 범위 직접범위 : 광양항을 포함한 전라권역 일원 간접범위 : 우리나라 전역과 동북아(중국, 일본) 및 전 세계 지역까지 확대 - 2 -
제1장 서론 - 전 세계 농산물 교역 현황 및 거래 구조 파악을 통한 광양항 농산물 허브 가능성을 진단함 시간적 범위 기준년도는 2010년 현재 - 통계 기준년도는 2009년 말을 기준으로 하며, 불가피한 경우 이전년도( 2008년)를 사용 하되 최근 통계치를 우선적으로 적용함 내용적 범위 본 연구는 광양항의 농산물 허브 가능성을 진단하고, 실질적인 추진 및 활성화 를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검토함 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등을 기술하고 2장 농산물 물류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에서는 국내외 주요 농산물 시장의 거래 현황과 기업의 구조 등을 심층 분석함 3장 농산물 물류허브 사례조사에서는 국내외 주요 농산물 물류센터 현황 및 활 성화 요인과 해외 농산물 거래소 검토함 4장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전략에서는 농산물 물류허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 에 기반을 둔 광양항의 농산물 허브 추진 가능성 진단과 물류허브 전략을 수립함 5장 농산물 물류허브 활성화 방안에서는 물류허브 전략 수립에 따른 구체적인 Action Plan을 제시하고, 주체별 역할과 법제도 등의 개선 방안을 도출함 마지막 6장 결론 및 정책제언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광양항 농산물 물류 허브 구축을 위한 정책제언을 기술함 연구 추진 방법 철저한 사전 자료조사와 기존 통계의 업데이트를 통해 자료를 재분석함 - 기존 문헌 및 연구자료 조사와 현장감 있는 실무조사를 통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함 - 최신 통계로의 업데이트, 다양한 사례분석 및 최신 환경변화를 검토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연구를 추진함 다양한 관계자 및 기관들과의 업무 협의를 통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함 - 농산물 유통구조, 물류허브 가능성, 허브 구축을 위한 전제 조건 등 관련 업단체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함 - 3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1.3. 연구 흐름도 본 연구의 수행 흐름은 다음과 같음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국내외 농산물 시장 현황 - 품목별 생산 및 소비 현황, 동북아 농산물 교역 및 물류흐름 파악 광양항 농산물 시장 환경 분석 - 배후권역의 농산물 생산, 수출, 수입 현황 국내외 농산물 시장 기업 분석 주요 농산물 물류허브 사례 조사 국내 주요 농산물 물류센터 조사 - 규모, 취급품목, 활성화 요인 등 해외 주요 농산물 물류허브 사례 조사 - 규모, 취급형태, 가공무역 현황 등 해외 주요 농산물 거래소 조사 - 거래 상품 중 농산물 처리 비중이 높은 거래소 현지 출장 조사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전략 수립 농산물 물류허브 개념 정리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구축을 위한 전제 조건 조사(관련 업단체 인터뷰 조사) 광양항의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가능성 진단 - 이용 가능 물동량, 농산물의 국가간 교역 구조, 동북아 농산물 교역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농산물 물류허브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 농산물 물류허브 활성화 방안 제시 국내외 농산물 물류허브의 성공사례 기반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의 활성화 방안 제시 관련 기관별 추진 과제 도출 자유무역지역 관련 법 제도 정비 방안 종합분석 및 정책건의 종합분석 및 결론 정책건의 - 4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2.1. 농산물 범위 본 연구에서의 농산물의 범위는 농산물의 수출입통계 집계 및 동향파악 등을 위해 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G코드 1) 에 의한 대분류 기준을 따름 AG코드는 9단위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분류됨 2) 대분류 :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로 구분 중분류 : 류별 통계자료를 얻을 수 있을 정도로 분류 소분류 : 실품목(대표품목)단위로 분류 AG코드에 의해 농산물은 곡실류, 산식물, 농림수산물, 식물성재료, 기호식품, 조제농 산식품, 천연식물성원료, 기호식품, 조제농산식품, 천연식물성 원료 등 중분류로 나뉨 [그림 2-1] 농산물 분류 1) 농림축산물 품목분류코드 : 국가간 교역에 사용되는 HS코드를 농수축산물 품목단위에서 그룹화하여 수출입통계 집계시 사용하 는 코드로, HS코드와 1:1로 매칭되어 코드상호간 유연성있게 식별 가능함 2) 농림부(2007), 농림축산물 품목분류코드집 : AG-HS 코드. 기준임 - 7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2.2. 국내 농산물 시장 현황 2.2.1. 주요 농산물 시장규모 1) 농업 생산액 우리나라 농업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2009년 우리나라 농업 생산액은 약 41.4조 원으로 이는 2008년 38.5조 원에 비해 약 7.5% 상승한 금액 <표 2-1> 우리나라 농업 생산액 단위 : 조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농업 36.2 35.1 35.2 34.7 38.5 41.4 증감율 -3.0% 0.4% -1.6% 10.9% 7.5%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2010, 2010. 자료 재정리 [그림 2-2] 우리나라 농업생산액 증감 추이 단위 : 조 45 40 35 30 25 20 15 10 5 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자료 : 농림수산식품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농업은 재배업, 축산업으로 구분되며, 전체 농업에서 재배업 비중은 전체 60.1%(24.9조 원), 축산업 비중은 39.9%(16.5조 원) 이 중 재배업은 다시 식량작물, 채소, 과실, 특용작물, 약용작물, 화훼류, 버섯, 전매작물로, 축산업은 가축과 축산물로 세분됨 - 8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2> 우리나라 농업 작물별 생산액 단위 : 십 억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재배업 25,316 23,322 23,556 23,408 24,877 24,880 식량작물 11,203 9,738 9,412 8,910 10,607 9,864 채소 7,669 6,919 7,353 7,483 7,214 7,554 과실 2,942 3,082 2,971 2,822 2,998 3,511 특용작물 327 347 283 327 333 296 약용작물 405 524 564 822 616 646 화훼류 917 995 941 924 904 864 버섯 484 301 485 451 477 444 전매작물 767 777 868 958 1,029 1,078 볏짚 601 639 680 711 700 623 축산업 10,840 11,767 11,676 11,277 13,593 16,484 가축 8,106 8,815 9,015 8,509 10,357 12,947 축산물 2,734 2,952 2,662 2,769 3,236 3,537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2010, 2010. 자료 재정리 재배업 부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식량작물로, 식량 작물에는 미곡, 맥류, 잡곡, 두류, 서류 등이 포함되며 이 중 미곡이 가장 많은 생산액을 차지함 - 맥류 :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밀 - 잡곡 : 옥수수, 메밀 - 두류 : 콩, 팥, 녹두, 강낭콩, 동부 - 서류 : 감자, 고구마 [그림 2-3] 재배업 작물별 생산 비율 자료 : 농림수산식품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 9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채소류는 다시 엽채류와 과채류, 근채류, 조미채소, 양채류 등으로 구분됨 - 엽채류 : 배추, 양배추, 시금치, 상추, 미나리, 쑥갓, 부추 - 과채류 : 수박, 참외, 오이, 호박, 토마토, 딸리, 메론, 풋고추, 가지, 파프리카 - 근채류 : 무, 당근, 우엉, 토란, 연근 - 조미채소 : 고추, 마늘, 파, 양파, 생강 과실은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자두, 매실, 유자, 참다래, 파인애플, 감, 단 감, 떫은감 등으로 구분됨 특용작물은 유지작물인 참깨, 들깨, 땅콩, 섬유작물인 삼, 기호작물인 차로 구분 되며 약용작물은 강활, 구기자, 길경, 당귀, 두충, 맥문동 등 21개 항목으로 구분됨 화훼류는 절화류, 분화류, 구근류 등 6개 항목으로 나뉘며 버섯은 양송이, 느타리, 영지, 팽이, 새송이로, 전매작물은 연초와 인삼으로 세분 됨 축산업 부문은 가축과 축산물로 구분되며 이 중 가축이 전체의 78.5%를 차지, 연간 생산량은 12.9조 원 가축은 한육우, 한우, 육우, 젖소, 돼지, 산양, 사슴, 토끼, 닭, 오리, 칠면조로 구 분되고, 축산물은 계란, 오리알, 메추리알, 우유, 벌꿀, 녹용으로 구분됨 2) 농업 생산지수 3) 2009년 우리나라 농업 생산지수는 2004년=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107.2로 이는 2004년과 2008년 각각의 생산지수에 비해 7.2%와 1.6%씩 상승한 수치 <표 2-3> 우리나라 농업 생산지수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농업 100.0 100.8 99.3 100.6 105.5 107.2 증감율 0.8% -1.5% 1.3% 4.9% 1.6%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2010, 2010. 자료 재정리 3) 금액의 변동을 나타내는 물가지수에 대응되며, 생산수량의 동태적 변화를 나타낸다. 개별품목의 기준시에 대한 비교시의 생산 수량의 변화를 산출하고, 각 품목의 생산액 또는 부가가치( 附 加 價 値 )를 가중치(weight)로 하여 합성됨 - 10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그림 2-6] 우리나라 농업생산 지수 변화 추이 108 106 104 102 100 98 96 94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자료 : 농림수산식품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농업부문의 생산지수는 2004년부터 2009년간 연평균 1.4% 증가 재배업 전체의 생산지수는 변화가 없었으나, 과실과 약용작물, 전매작물이 각각 연평균 3.4%, 6.3%, 8.6%씩 증가하였음 축산업 부문의 가축과 축산물은 모두 생산지수가 증가하여, 축산업 전체의 생산 지수는 연평균 4.3%의 증가를 나타냄 <표 2-4> 우리나라 농업 작물별 생산지수 연평균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증가율 재배업 101 101 97 98 101 101 0% 식량작물 103 100 97 91 100 101-0.4% 채소 103 101 97 98 98 96-1.4% 과실 96 104 100 110 110 113 3.4% 특용작물 100 108 92 103 105 90-2.2% 약용작물 88 111 101 136 101 119 6.3% 화훼류 94 107 100 95 87 82-2.7% 버섯 116 100 84 86 89 81-6.8% 전매작물 96 92 113 121 133 144 8.6% 볏짚 105 102 94 92 93 90-2.9% 축산업 97 100 103 107 116 120 4.3% 가축 97 99 104 108 120 125 5.1% 축산물 96 102 102 103 105 105 1.9%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2010, 2010. 자료 재정리 - 11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2.2.2. 국내 주요 농산물 수출입 현황 및 FTA 등의 영향 검토 1) 국내 주요 농산물 수출입 현황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은 비교적 큰 폭으로 매년 증가 국내 농산물 수출은 2004년~2009년간 연평균 금액기준 11.8% 중량기준 7.1% 성장 <표 2-5>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 현황 단위 : 톤, 만 달러 금 액 기 준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연평균 증가율 농산물 171,512 184,570 195,201 222,249 271,465 299,080 11.8% 축산물 16,266 17,266 17,115 18,101 21,507 13,955-3.0% 임산물 16,386 15,001 12,410 12,826 11,847 16,770 0.5% 수산물 128,020 119,428 109,043 122,751 144,831 151,123 3.4% 합계 332,185 336,265 333,769 375,927 449,649 480,929 7.7% 중 량 기 준 농산물 1,242,867 1,275,679 1,238,825 1,336,475 1,450,311 1,753,686 7.1% 축산물 85,784 95,887 86,246 93,039 98,281 59,697-7.0% 임산물 146,372 92,090 82,599 84,447 77,297 168,687 2.9% 수산물 407,746 412,879 368,455 537,018 585,282 652,214 9.9% 합계 1,882,768 1,876,536 1,776,124 2,050,979 2,211,170 2,634,285 6.9%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그림 2-7] 우리나라 수출 농산물 비중 <금액기준> <중량기준>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12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농산물 수출 주요 품목은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 금액 및 중량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상위 1 2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궐련(담배) 궐련은 2009년 기준 연간 5.5만 톤(2.5억 달러) 수출됨 금액기준 주요 품목 금액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상위 1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궐련(담배)임 - 특히 그 비중도 증감을 나타내며 2005년에 비해 2009년 비중이 오히려 증가함 그 뒤를 이어 배가 2위 품목으로 나타남 - 배의 비중은 2005년 3%대였으나, 2009년 1%대까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05년 주요 품목에 없었던 파프리카와 유자는 2007년 처음 10위권 내에 진입한 뒤 꾸준히 그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09년에는 화훼류인 장미와 대두박, 팽이버섯 등이 수출 주요 품목으로 나타남 중량기준 주요 품목 중량을 기준으로 2005년~2007년간 상위 1위를 나타내는 항목은 옥수수전분임 2009년 그 비중이 2005년에 비해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수출 2위 품목임 궐련과 코코아분말도 옥수수전분과 마찬가지로 2009년 그 순위가 하락했으나 여전히 주요 품목으로 나타남 특이사항으로 2009년 대두박이 처음으로 주요 수출 품목 10위권 내 진입하였으 며, 더욱이 1위를 차지함 - 이는 이전의 옥수수전분이 차지하던 비중을 넘는 비중임 또한 꾸준히 상위 자리를 차지하던 돼지고기에 이어 닭고기가 축산 품목으로 10 위권 내에 진입함 - 13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6> 우리나라 수출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5 1 15412궐련 25,415 13.8% 11402옥수수전분 54,389 4.3% 2 11602배 5,609 3.0% 15412궐련 36,832 2.9% 3 33304밤 3,812 2.1% 15212코코아분말 26,392 2.1% 4 22102돼지고기 3,429 1.9% 11602배 25,171 2.0% 5 15531홍삼 3,221 1.7% 33304밤 16,834 1.3% 6 12179기타채소 2,621 1.4% 22102돼지고기 14,738 1.2% 7 15212코코아분말 1,713 0.9% 13629기타사료 11,252 0.9% 8 12221난초 1,667 0.9% 11103밀 11,214 0.9% 9 12175채소종자 1,582 0.9% 12179기타채소 9,591 0.8% 10 15401잎담배 1,474 0.8% 24149우유조제품 9,239 0.7% 전체 184,570 100.0% 1,275,679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7 1 15412궐련 39,713 17.9% 11402옥수수전분 62,240 4.7% 2 11602배 4,918 2.2% 15412궐련 48,063 3.6% 3 12138파프리카 4,715 2.1% 11602배 19,982 1.5% 4 15531홍삼 3,655 1.6% 15212코코아분말 19,621 1.5% 5 33304밤 2,819 1.3% 15801사탕수수당 16,002 1.2% 6 22102돼지고기 2,562 1.2% 12138파프리카 14,185 1.1% 7 11646유자 2,528 1.1% 33304밤 12,756 1.0% 8 12221난초 2,351 1.1% 22102돼지고기 12,612 0.9% 9 12175채소종자 2,148 1.0% 13621짚 9,838 0.7% 10 11402옥수수전분 2,070 0.9% 11103밀 9,814 0.7% 전체 222,249 100.0% 1,336,475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9 1 15412궐련 46,695 15.6% 13511대두박 54,733 5.6% 2 11602배 5,377 1.8% 11402옥수수전분 28,093 3.1% 3 12138파프리카 5,328 1.8% 15412궐련 52,929 2.8% 4 15531홍삼 4,470 1.5% 11602배 23,668 1.6% 5 13511대두박 3,794 1.3% 15212코코아분말 17,818 1.1% 6 33304밤 2,986 1.0% 12138파프리카 17,057 1.0% 7 11646유자 2,684 0.9% 33304밤 12,550 0.7% 8 12175채소종자 2,190 0.7% 12304팽이버섯 6,221 0.7% 9 12304팽이버섯 2,128 0.7% 22102돼지고기 10,405 0.7% 10 12232장미 2,013 0.7% 22201닭고기 9,283 0.7% 전체 299,080 100.0% 1,753,686 100.0% 주 : 1) 전체는 <표 2-5>의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 중 농산물 소분류 기준 2) 농산물 항목 앞의 숫자는 농축산물품목분류코드인 AG코드임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14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우리나라 농산물 수입은 금액기준에서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 국내 농산물 수입은 2004년~2009년간 연평균 금액기준 9.6%, 중량기준 1.3% 성장 <표 2-7> 우리나라 수입 농산물 현황 단위 : 톤, 만 달러 금 액 기 준 중 량 기 준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연평균 증가율 농산물 744,457 739,733 811,619 1,008,901 811,619 1,175,363 9.6% 축산물 175,534 236,047 274,853 323,532 274,853 248,506 7.2% 임산물 200,490 213,068 246,161 285,820 246,161 410,778 15.4% 수산물 226,425 238,715 277,357 305,980 277,357 289,440 5.0% 합계 1,346,905 1,427,563 1,609,990 1,924,233 1,609,990 2,124,087 9.5% 농산물 24,317,420 24,765,532 25,141,848 25,973,875 25,141,848 25,978,463 1.3% 축산물 711,901 887,979 1,065,102 1,092,279 1,065,102 956,548 6.1% 임산물 9,220,493 8,882,429 9,272,280 9,553,716 9,272,280 12,503,660 6.3% 수산물 1,289,789 1,270,511 1,393,066 1,405,385 1,393,066 4,080,314 25.9% 합계 35,539,602 35,806,450 36,872,295 38,025,255 36,872,295 43,518,986 4.1%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그림 2-10] 우리나라 수입 농산물 비중 <금액기준> <중량기준>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15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농산물 주요 수입 품목도 점차적으로 변화 금액 및 중량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상위 1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옥수수 그러나 그 비중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금액기준 주요 품목 2005년 주요 품목에 있었던 오렌지, 치즈 품목은 2007년 사료용 근채류와 대두 유로 대체됨 2007년에는 대두유가 새로운 상위 수입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 쇠고기, 밀, 돼지고기 등의 항목은 순위권 내 큰 변화 없이 여전히 상위를 차지함 2009년에는 그 동안 상위 품목에 없었던 쌀이 새로운 주요 수입품목으로 나타남 또한 커피는 점차 금액 비중이 증가하여 2007년 10위에서 8위로 상승함 중량기준 주요 품목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상위 수입 품목은 큰 변화가 없음 다만 2005년 10위를 차지했던 밀기울 대신 전분박, 티피오카 등이 새로운 주요 품목으로 등장했으며 전분박의 경우 2007년 10위에서 그 비중이 증가하여 8위를 차지함 - 16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8> 우리나라 수입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5 1 11105옥수수 121,950 16.5% 11105옥수수 8,552,097 34.5% 2 22101쇠고기 73,514 9.9% 11103밀 3,671,708 14.8% 3 11103밀 67,534 9.1% 15801사탕수수당 1,618,653 6.5% 4 22102돼지고기 61,992 8.4% 13511대두박 1,490,581 6.0% 5 11301대두 40,004 5.4% 11301대두 1,348,403 5.4% 6 15801사탕수수당 39,245 5.3% 13609사료용근채류 673,387 2.7% 7 13511대두박 37,161 5.0% 15821당밀 632,768 2.6% 8 11641오렌지 16,243 2.2% 13525야자, 코프라박 424,789 1.7% 9 24122치즈 14,357 1.9% 13526파암넛유박 413,411 1.7% 10 15101커피 14,060 1.9% 13503밀기울 344,599 1.4% 전체 739,733 100.0% 24,765,532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7 1 11105옥수수 183,371 18.2% 11105옥수수 8,597,840 33.1% 2 22101쇠고기 103,705 10.3% 11103밀 3,251,013 12.5% 3 22102돼지고기 90,385 9.0% 13511대두박 1,915,639 7.4% 4 11103밀 85,629 8.5% 15801사탕수수당 1,486,491 5.7% 5 13511대두박 50,505 5.0% 11301대두 1,210,559 4.7% 6 15801사탕수수당 43,729 4.3% 13609사료용근채류 879,246 3.4% 7 11301대두 42,960 4.3% 15821당밀 606,428 2.3% 8 13609사료용근채류 23,165 2.3% 13526파암넛유박 441,579 1.7% 9 13101대두유 22,442 2.2% 13525야자, 코프라박 387,479 1.5% 10 15101커피 20,393 2.0% 13541전분박 366,888 1.4% 전체 1,008,901 100.0% 25,973,875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9 1 11105옥수수 164,686 14.0% 11105옥수수 7,352,414 28.3% 2 11103밀 98,572 8.4% 11103밀 3,877,893 14.9% 3 22101쇠고기 86,196 7.3% 13511대두박 1,692,999 6.5% 4 22102돼지고기 71,294 6.1% 15801사탕수수당 1,645,741 6.3% 5 13511대두박 70,844 6.0% 11301대두 1,105,026 4.3% 6 15801사탕수수당 61,377 5.2% 13609사료용근채류 761,124 2.9% 7 11301대두 60,441 5.1% 15821당밀 739,461 2.8% 8 15101커피 27,628 2.4% 13541전분박 598,062 2.3% 9 11101쌀 25,348 2.2% 13526파암넛유박 581,414 2.2% 10 13101대두유 24,762 2.1% 11203타피오카 551,828 2.1% 전체 1,175,363 100.0% 25,978,463 100.0% 주 : 1) 전체는 <표 2-7>의 우리나라 농산물 수입 중 농산물 소분류 기준 2) 농산물 항목 앞의 숫자는 농축산물품목분류코드인 AG코드임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17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3) 국내 농산물 수출입 구조 가. 주요 농산물 교역 현황 1 수출 우리나라 주요 농산물 수출국은 금액 및 중량 기준으로, 일본이 1위를 차지 금액기준으로 일본의 비중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중량기준에서는 그 비중에 큰 변화가 없음 일본에 이어 미국, 중국 홍콩 등이 주요 수출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홍콩의 경 우 중량기준 순위가 금액기준 순위보다 비교적 높음 전체적으로 인도네시아의 경우 순위권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 금액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1~7위권까지의 주요 수출국은 동일 2009년 이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의 국가 등장이 눈에 띰 중량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순위권 내 수출국에 약간의 변화 추세 2007년부터 싱가포르가 순위권 내에서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2009년 새롭게 베트남이 7위권의 수출국가로 등장함 - 18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9> 우리나라 수출 상위 10위 국가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5 1 일본 56,736 30.7% 일본 399,078 31.3% 2 미국 23,762 12.9% 홍콩 171,306 13.4% 3 중국 18,449 10.0% 중국 168,980 13.2% 4 러시아 14,941 8.1% 미국 91,152 7.1% 5 홍콩 11,828 6.4% 대만 82,384 6.5% 6 아랍에미레이트 11,779 6.4% 러시아 79,564 6.2% 7 대만 9,807 5.3% 인도네시아 49,890 3.9% 8 인도네시아 3,957 2.1% 필리핀 36,661 2.9% 9 호주 3,476 1.9% 아랍에미레이트 29,198 2.3% 10 이란 3,135 1.7% 싱가포르 24,846 1.9% 전체 184,570 100.0% 1,275,679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7 1 일본 56,102 25.2% 일본 363,558 27.2% 2 중국 25,742 11.6% 중국 208,837 15.6% 3 미국 25,714 11.6% 홍콩 182,588 13.7% 4 러시아 19,115 8.6% 미국 102,212 7.6% 5 홍콩 13,845 6.2% 러시아 85,550 6.4% 6 아랍에미레이트 12,285 5.5% 인도네시아 78,289 5.9% 7 대만 8,741 3.9% 필리핀 50,513 3.8% 8 아프가니스탄 6,705 3.0% 대만 38,325 2.9% 9 호주 6,201 2.8% 말레이시아 21,240 1.6% 10 인도네시아 5,676 2.6% 호주 19,492 1.5% 전체 222,249 100.0% 1,336,475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9 1 일본 79,407 26.6% 일본 526,339 30.0% 2 중국 32,668 10.9% 중국 211,389 12.1% 3 미국 31,394 10.5% 홍콩 174,558 10.0% 4 러시아 20,578 6.9% 미국 136,579 7.8% 5 홍콩 17,826 6.0% 러시아 89,717 5.1% 6 아랍에미레이트 15,477 5.2% 대만 72,519 4.1% 7 대만 12,499 4.2% 베트남 56,373 3.2% 8 이라크 7,355 2.5% 말레이시아 51,415 2.9% 9 호주 7,197 2.4% 필리핀 48,975 2.8% 10 아프가니스탄 6,633 2.2% 인도네시아 47,112 2.7% 전체 299,080 100.0% 1,753,686 100.0% 주 : 1) 전체는 <표1-5>의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 중 농산물 기준 2) 농산물 항목 앞의 숫자는 농축산물품목분류코드인 AG코드임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19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2 수입 우리나라 주요 농산물 수입국은 금액 및 중량 기준으로, 미국과 중국이 1 2위를 번갈아가며 차지 금액기준으로 미국은 2005년 21%에서 2009년 27.8%로 증가하여,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하는 수입국가로 나타남 중량에 있어서도 2005년 21.5%를 차지하였으나 2009년 35.5%까지 큰 폭으로 상승함 금액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상위 10위권 내 주요 수입국 변화 2007년까지는 그 주요 수입국 순위에 큰 변화 양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2009년 태국이 새로운 수입국이 등장함 단 2005년부터 순위권 내에 있던 말레이시아는 2009년 순위권에서 제외됨 중량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순위권 내 수출국에는 변화가 미미 - 20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10> 우리나라 수입 상위 10위 국가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5 1 중국 175,700 23.8% 중국 7,815,503 31.6% 2 미국 155,362 21.0% 미국 5,323,509 21.5% 3 호주 61,514 8.3% 호주 2,578,677 10.4% 4 브라질 55,250 7.5% 브라질 1,821,875 7.4% 5 필리핀 27,631 3.7% 캐나다 1,421,546 5.7% 6 캐나다 26,984 3.6% 아르헨티나 866,512 3.5% 7 아르헨티나 25,782 3.5% 인도네시아 829,483 3.3% 8 영국 24,507 3.3% 태국 748,369 3.0% 9 말레이지아 15,437 2.1% 필리핀 712,865 2.9% 10 일본 14,468 2.0% 인도 637,239 2.6% 전체 739,733 100.0% 24,765,532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7 1 미국 259,630 25.7% 미국 7,817,992 30.1% 2 중국 237,523 23.5% 중국 7,320,304 28.2% 3 브라질 73,227 7.3% 브라질 2,146,189 8.3% 4 호주 68,341 6.8% 호주 2,143,763 8.3% 5 아르헨티나 33,384 3.3% 인도 1,201,809 4.6% 6 필리핀 32,725 3.2% 아르헨티나 927,621 3.6% 7 영국 28,613 2.8% 인도네시아 853,580 3.3% 8 인도 28,465 2.8% 태국 765,247 2.9% 9 말레이지아 22,508 2.2% 필리핀 691,024 2.7% 10 일본 20,125 2.0% 말레이지아 480,268 1.8% 전체 1,008,901 100.0% 25,973,875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9 1 미국 326,448 27.8% 미국 9,225,971 35.5% 2 중국 170,205 14.5% 중국 3,017,173 11.6% 3 브라질 123,943 10.5% 브라질 2,640,479 10.2% 4 호주 93,072 7.9% 호주 2,532,135 9.7% 5 우크라이나 38,124 3.2% 우크라이나 1,888,304 7.3% 6 필리핀 36,143 3.1% 태국 1,003,283 3.9% 7 아르헨티나 34,583 2.9% 인도네시아 894,765 3.4% 8 인도 30,158 2.6% 인도 756,017 2.9% 9 일본 30,131 2.6% 필리핀 685,122 2.6% 10 태국 29,471 2.5% 말레이지아 640,442 2.5% 전체 1,175,363 100.0% 25,978,463 100.0% 주 : 1) 전체는 <표1-7>의 우리나라 농산물 수입 중 농산물 기준 2) 농산물 항목 앞의 숫자는 농축산물품목분류코드인 AG코드임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21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2.2.2. 對 중 일 농산물 교역 물동량 및 품목 현황 1) 對 중 일 농산물 교역 물동량 가. 對 중국 농산물 교역 물동량 한국에서 중국으로의 농산물 수출은 금액에 있어 큰 폭으로 상승, 중량에 있어 안정적 증가 추세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하는 농산물은 2009년 기준으로 연간 21만 톤(3.3억 달 러)에 이름 - 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 중 금액에서 10.9%, 중량에서 12.1%를 차지하는 비중임 중국으로의 농산물 수출 중 금액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연평균 15.4%의 높은 성장률을 보임 중량기준으로 동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5.8%의 안정적인 증가를 나타냄 <표 2-11>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중국) 단위 : 톤, 만 달러 금액기준 중량기준 구분 2005 2007 2009 연평균 증가율 전체 184,570 222,249 299,080 12.8% 한-중 18,449 25,742 32,668 15.4% 비중 10.0% 11.6% 10.9% 2.2% 전체 1,275,679 1,336,475 1,753,686 8.3% 한-중 168,980 208,837 211,389 5.8% 비중 13.2% 15.6% 12.1% -2.3% 주 : 전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중국으로부터의 한국의 농산물 수입은 금액에 있어 약간의 감소, 중량에 있어 가파른 감소 추세 중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수입하는 농산물은 2009년 기준으로 연간 30만 톤(1.7억 달러)에 이름 - 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 중 금액에서 14.5%, 중량에서 11.6%를 차지하는 비중임 중국으로부터의 농산물 수입 중 금액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연평균 0.8% - 22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의 약간의 감소 추세가 나타남 중량기준으로 동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21.2%의 가파른 마이너스 성장이 나타남 -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05년 전체 수입의 30%를 넘는 수준이었으나 2009년 10%대를 유지하는 수준으로 급감함 <표 2-12>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중국 한국)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2005 2007 2009 연평균 증가율 금액기준 중량기준 전체 739,733 1,008,901 1,175,363 12.3% 한-중 175,700 237,523 170,205-0.8% 비중 23.8% 23.5% 14.5% -11.6% 전체 24,765,532 25,973,875 25,978,463 1.2% 한-중 7,815,503 7,320,304 3,017,173-21.2% 비중 31.6% 28.2% 11.6% -22.1% 주 : 전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입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한국과 중국간 농산물 교역의 비중은 비교적 가파른 감소 추세 전체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액 중 중국의 비중은 2005년 21%에서 2009년 13.8% 로 감소함 전체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량 중 중국의 비중은 동기간 30.7%에서 11.6%로 감소 하여 연평균 10%씩 마이너스 성장을 보임 한국과 중국간 전체 농산물 교역은 2005년~2009년간 금액기준으로 큰 변화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남 - 동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1.1%에 불과한 수준임 단 중량기준으로 한중과 중국간 농산물 교역은 20.3%의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냄 - 23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13>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합계)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2005 2007 2009 연평균 증가율 금액기준 중량기준 전체 924,303 1,231,150 1,474,443 12.4% 한-중 194,149 263,265 202,873 1.1% 비중 21.0% 21.4% 13.8% -10.0% 전체 26,041,211 27,310,350 27,732,149 1.6% 한-중 7,984,483 7,529,141 3,228,562-20.3% 비중 30.7% 27.6% 11.6% -21.5% 주 : 전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입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나. 對 일본 농산물 교역 물동량 한국에서 일본으로의 농산물 수출은 금액과 중량에 있어 비교적 안정적 상승 한국에서 일본으로 수출하는 농산물은 2009년 기준으로 연간 53만 톤(79억 달 러)에 이름 - 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 중 금액에서 30%, 중량에서 26.6%를 차지하여 비교적 높은 비중 차지하고 있음 일본으로의 농산물 수출 중 금액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연평균 8.8%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보임 중량기준으로는 동기간 연평균 성장률이 7.2%로 역시 꾸준한 증가를 나타냄 <표 2-14>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일본)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2005 2007 2009 연평균 증가율 금액기준 중량기준 전체 184,570 222,249 299,080 12.8% 한-중 56,736 56,102 79,407 8.8% 비중 30.7% 25.2% 26.6% -3.6% 전체 1,275,679 1,336,475 1,753,686 8.3% 한-중 399,078 363,558 526,339 7.2% 비중 31.3% 27.2% 30.0% -1.0% 주 : 전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일본으로부터의 한국의 농산물 수입은 금액 및 중량에 있어 연평균 성장률이 각각 20.1%, 32.7%로 높은 성장세 시현 - 24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일본으로부터 한국으로 수입하는 농산물은 2009년 기준으로 연간 10만 톤(3억 달러)에 이름 - 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 중 금액에서 14.5%, 중량에서 11.6%를 차지하는 비중임 일본으로부터의 농산물 수입 중 금액을 기준으로, 2005년~2009년간 연평균 20.1%의 빠른 성장률을 보임 중량기준으로 동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32.7%의 가파른 성장률을 보임 단,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우리나라 전체 농산물 수입 중 큰 비중을 차지하지 는 않는 것으로 나타남 - 금액기준 약 2.6%, 중량기준 약 0.4%의 비중만을 차지함 <표 2-15>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일본 한국)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2005 2007 2009 연평균 증가율 금액기준 중량기준 전체 739,733 1,008,901 1,175,363 12.3% 한-일 14,468 20,125 30,131 20.1% 비중 2.0% 2.0% 2.6% 7.0% 전체 24,765,532 25,973,875 25,978,463 1.2% 한-중 31,742 54,440 98,571 32.7% 비중 0.1% 0.2% 0.4% 31.2% 주 : 전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입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한국과 일본의 농산물 교역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증가 전체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액 중 일본과의 교역은 2005년~2009년간 금액기준으 로 연평균 11.4%로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보임 동기간 중량기준으로서도 연평균 9.7%의 비교적 빠른 성장률을 시현하고 있음 그러나 한국과 일본 간 농산물 교역의 비중은 전체 우리나라 교역 중 비교적 낮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금액 기준으로는 약 7.4%를 차지하고 있으며, 교역액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교역량은 연평균 8%의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그 절대적 비중이 2.3%에 머물 고 있음 - 25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16>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합계)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2005 2007 2009 연평균 증가율 금액기준 중량기준 전체 924,303 1,231,150 1,474,443 12.4% 한-일 71,204 76,227 109,538 11.4% 비중 7.7% 6.2% 7.4% -0.9% 전체 26,041,211 27,310,350 27,732,149 1.6% 한-중 430,820 417,998 624,910 9.7% 비중 1.7% 1.5% 2.3% 8.0% 주 : 전체는 우리나라 농산물 전체 수출입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2) 對 중 일 농산물 교역 주요 품목 현황 가. 對 중국 농산물 교역 주요 품목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하는 2009년 1위 품목은 금액기준으로 난초, 중량기준으로 버 섯이 차지 난초 수출액은 전체 對 중국 농산물 수출의 4.1%(1.4천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으 며, 다음으로 유자가 2.8%(950만 달러), 팽이버섯이 2.7%(932만 달러)로 다음 순 위를 차지함 팽이버섯 수출량은 전체 對 중국 농산물 수출의 2.9%(6천 톤)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유자가 2%(4천 톤), 대두유가 1.6%(3천 톤)로 다음 순위를 나타냄 - 26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17>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중국)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9 1 난초 1,411 4.1% 팽이버섯 6,260 2.9% 2 유자 950 2.8% 유자 4,272 2.0% 3 팽이버섯 932 2.7% 대두유 3,399 1.6% 4 홍삼 485 1.4% 난초 2,322 1.1% 5 쇠고기(갈비) 377 1.1% 밀가루 1,756 0.8% 6 대두유 373 1.1% 쇠고기(갈비) 1,235 0.6% 7 기타(채소종자) 280 0.8% 대두유 360 0.2% 8 커피 235 0.7% 요구르트 300 0.1% 9 밀가루 191 0.6% 배추 209 0.1% 10 흡연용 담배 190 0.6% 쇠고기(냉동/뼈 없는 것) 205 0.1% 전체 34,524 100.0% 216,757 100.0% 주 : 전체는 對 중국 농산물 전체 수출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하는 2009년 1위 품목은 금액기준으로 메현미, 중량기준으로 전분박이 차지 메현비 수입액은 전체 대 중국 농산물 수입의 6.5%(1.1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으 며, 다음으로 전분박이 5.9%(1억 달러), 대두가 5.9%(1억 달러)로 다음 순위를 차 지함 전분박 수입량은 전체 대 중국 농산물 수입의 19.4%(58만 톤)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음 - 27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18> 한-중 농산물 교역 현황(중국 한국)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2009 1 메현미 11,422 6.5% 2 전분박과 이와 유사한 박류 10,362 5.9% 전분박과 이와 유사한 박류 캐프시컴속 또는 피멘타속의 열매(냉동) 589,226 19.4% 138,251 4.6% 3 대두(기타) 10,349 5.9% 대두(기타) 136,546 4.5% 4 캐프시컴속 또는 피멘타속의 열매(냉동) 6,497 3.7% 메현미 121,355 4.0% 5 멥쌀 4,501 2.6% 유채씨의 것 108,162 3.6% 6 참깨 4,407 2.5% 7 대두박 3,862 2.2% 비이트펄프, 버개스 기타 설탕 제조시에 생기는 웨이스트 사료용식물성부산물 기타 102,940 3.4% 98,299 3.2% 8 당근 3,073 1.8% 대두박 86,355 2.8% 9 들깨 3,045 1.7% 면실피 79,688 2.6% 10 유채씨의 것 2,948 1.7% 축우용 배합사료 43,285 1.4% 전체 174,423 100.0% 3,032,948 100.0% 주 : 전체는 對 중국 농산물 전체 수입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 28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나. 對 일본 농산물 교역 주요 품목 한국에서 일본으로 수출하는 2009년 1위 품목은 금액기준으로 단고추, 중량기준으로 대두박이 차지 단고추 수출액은 전체 대 일본 농산물 수출의 6.5%(5.3천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 으며, 다음으로 기타 난류가 3.0%(2.5천만 달러), 장미가 2.4%(1.9천만 달러)로 다 음 순위를 차지함 대두박 수출량은 전체 대 일본 농산물 수출의 8.5%(4만 5천 톤)를 차지하고 있으 며, 다음으로 코코아분말이 3.5%(1만 8천 톤), 단고추가 3.3%(1만 7천 톤)로 다음 순위를 나타냄 <표 2-19>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한국 일본)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단고추 5,318 6.5% 대두박 45,300 8.5% 2 기타 난류 2,474 3.0% 코코아분말 18,617 3.5% 3 장미 1,925 2.4% 단고추 17,679 3.3% 4 대두박 1,864 2.3% 곡물 7,793 1.5% 5 코코아분말 1,830 2.2% 고양이 사료 4,421 0.8% 2009 6 홍삼분 914 1.1% 양배추 3,978 0.7% 7 밤 852 1.0% 장미 3,181 0.6% 8 유자 808 1.0% 기타 난류 2,691 0.5% 9 국화 792 1.0% 전분박과 이와 유사한 박류 2,558 0.5% 10 인삼류 751 0.9% 유자 2,477 0.5% 전체 81,384 100.0% 532,816 100.0% 주 : 전체는 對 일본 농산물 전체 수출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일본에서 한국으로 수출하는 2009년 1위 품목은 금액기준으로 채소종자(기타), 중량기 준으로 밀기울이 차지 기타 채소종자 수입액은 전체 대 일본 농산물 수입의 3.1%(9.7백만 달러)를 차지 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양파종자가 2.5%(7.7백만 달러), 옥수수유가 0.8%(2.6백만 달러)로 다음 순위를 차지함 밀기울 수입량은 전체 대 일본 농산물 수입의 9.7%(9.6천 톤)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당밀이 4.4%(4.4천 톤), 유채씨가 3.5%(3.5천 톤)로 다음 순위를 나타냄 - 29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20> 한-일 농산물 교역 현황(일본 한국)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기타 채소종자 976 3.1% 밀기울 9,642 9.7% 2 양파종자 774 2.5% 당밀 4,363 4.4% 3 옥수수유 263 0.8% 유채씨의 것 3,457 3.5% 4 커피 253 0.8% 옥수수유(조유) 2,845 2.9% 5 밀기울 150 0.5% 제조담배, 대용물 901 0.9% 비휘발성 식물성 6 유채씨의 것 123 0.4% 752 0.8% 유지 2009 7 기타식물성유지 120 0.4% 피마자유, 분획물 193 0.2% 8 화초용 에스테르화 또는 102 0.3% 초본식물의 종자 에스테르화전분 167 0.2% 9 기타(파속종자) 91 0.3% 밀가루 145 0.1% 10 피마자유, 채소, 과실, 견과류 89 0.3% 분획물 조제품 141 0.1% 전체 31,158 100.0% 99,060 100.0% 주 : 전체는 對 일본 농산물 전체 수입을 의미 자료 : 농산물무역정보, www.kati.net, 2010. 11. 자료를 기초로 작성 2.3. 국외 농산물 시장 현황 2.3.1. 중국 1) 농산물 수출입 현황 중국 농산물 수출은 금액기준으로 최근 3년간 증가세 중국 농산물 수출은 2007년~2009년간 연평균 금액기준 3.4% 성장하였으나, 중량기준 으로는 -8.2% 기록 - 30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21> 중국 농산물 수출 현황 단위 : 톤, 만 달러 금 액 기 준 중 량 기 준 구분 2007 2008 2009 연평균 증가율 농산물 3,701,295 4,050,713 3,957,896 3.4% 축산물 404,779 439,304 391,272-1.7% 수산물 975,347 1,067,432 1,079,543 5.2% 합계 5,081,421 5,557,449 5,428,711 3.4% 농산물 40,324,528 33,824,677 33,966,127-8.2% 축산물 2,429,667 3,171,822 3,320,551 16.9% 수산물 3,110,191 3,031,330 3,004,282-1.7% 합계 45,864,386 40,027,829 40,290,960-6.3%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를 기초로 재작성, 2010. [그림 2-13] 중국 수출 농산물 비중 <금액기준> <중량기준>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를 기초로 재작성, 2010. 중국 농산물 수출 주요 품목은 최근 수년간 변동폭 미미 금액 및 중량을 기준으로 2007년~2009년간 상위 1~2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채소, 과일, 등 채소는 2009년 기준 연간 804만 톤(68.7억 달러)을 수출하여 1위를 차지함 금액기준 주요 품목 금액을 기준으로 2007~2009년간 상위 1~2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채소, 과일임 - 특히, 최대 수출 품목인 채소의 수출액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9년 기준 68.7억 달러를 기록함 - 2008년부터 화훼가 상위 10대 품목에 진입하였으며, 2009년 1.8억 달러를 수출하여 전년 동기 1.4억 달러 대비 증가하였음 - 31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중량기준 주요 품목 중량을 기준으로 2007~2009년간 상위 1~2위를 나타내는 항목은 채소, 과일, 곡물 등임 그 중, 채소는 804만 톤을 수출하여 2008년(820만 톤)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1위를 차지함 과일은 2009년 기준 524만 톤을 수출하여,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곡물은 2007년 991만 톤에서 2009년 137만 톤으로 대폭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주요 수출 품목으로 나타남 - 32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22> 중국 수출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채소 627,869 39.1% 곡물 9,911,678 28.9% 2 과일 375,018 23.3% 채소 8,188,469 23.9% 3 곡물 220,891 13.7% 옥수수제품 4,918,492 14.3% 4 옥수수제품 87,533 5.4% 과일 4,775,651 13.9% 5 밀제품 69,141 4.3% 밀제품 3,072,683 9.0% 2007 6 견과 68,096 4.2% 벼제품 1,343,485 3.9% 7 차 63,822 4.0% 사료 1,073,995 3.1% 8 벼제품 48,787 3.0% 화훼 466,343 1.4% 9 사료 29,021 1.8% 차 295,420 0.9% 10 식용식물유 17,215 1.1% 견과 280,270 0.8% 전체 1,607,393 100.0% 34,326,486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채소 652,005 44.7% 채소 8,207,857 45.1% 2 과일 423,176 29.0% 과일 4,844,028 26.6% 3 견과 79,603 5.5% 곡물 1,861,067 10.2% 4 곡물 78,390 5.4% 벼제품 971,626 5.3% 5 차 71,592 4.9% 사료 752,596 4.1% 2008 6 벼제품 48,326 3.3% 화훼 388,299 2.1% 7 식용식물유 40,750 2.8% 밀제품 309,836 1.7% 8 사료 32,293 2.2% 차 303,879 1.7% 9 두유 18,497 1.3% 옥수수제품 273,419 1.5% 10 화훼 14,429 1.0% 견과 269,560 1.5% 전체 1,459,061 100.0% 18,182,167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채소 687,476 47.2% 채소 8,040,340 43.1% 2 과일 382,644 26.3% 과일 5,247,927 28.1% 3 견과 78,194 5.4% 사료 1,672,370 9.0% 4 차 73,981 5.1% 곡물 1,370,962 7.3% 5 곡물 73,944 5.1% 벼제품 786,199 4.2% 2009 6 사료 62,707 4.3% 화훼 601,472 3.2% 7 벼제품 52,506 3.6% 차 308,921 1.7% 8 화훼 18,152 1.2% 견과 272,661 1.5% 9 식용식물유 15,645 1.1% 밀품 245,027 1.3% 10 밀제품 9,827 0.7% 옥수수제품 129,584 0.7% 전체 1,455,076 100.0% 18,675,463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를 기초로 재작성, 2010. - 33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중국의 농산물 수입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 중국 농산물 수입은 2007년~2009년간 연평균 금액기준 13.1%, 중량기준 15.5% 성장 <표 2-23> 중국 농산물 수입 현황 단위 : 톤, 만 달러 금 액 기 준 중 량 기 준 구분 2007 2008 2009 연평균 증가율 농산물 4,119,740 5,876,977 5,267,782 13.1% 축산물 647,093 772,714 659,859 1.0% 수산물 472,075 540,588 526,448 5.6% 합계 5,238,908 7,190,279 6,454,089 11.0% 농산물 64,373,896 69,474,523 85,900,342 15.5% 축산물 3,564,700 4,199,067 4,162,560 8.1% 수산물 3,464,712 3,890,882 3,742,574 3.9% 합계 71,403,308 77,564,472 93,805,476 14.6%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를 기초로 재작성, 2010. [그림 2-16] 중국 수입 농산물 비중 <금액기준> <중량기준>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를 기초로 재작성, 2010. 중국 농산물 수입 주요 품목은 최근 수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음 금액 및 중량을 기준으로 2007년~2009년간 상위 1~5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식용식물유, 종려유, 두유, 과일, 곡물 등이며, 변화가 없음 - 34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식용식물유 중 채소는 2009년 기준 연간 804만 톤(68.7억 달러)을 수출하여 1위 를 차지함 금액기준 주요 품목 금액을 기준으로 2007년~2009년 사이, 식용식물유, 종려유, 두유 등 전반적으로 수입액이 감소하였지만 순위에는 변동이 없음 과일은 2007년 9.6만 달러에서 2009년도 기준 16.3만 달러로 3배정도 증가하였으 며, 곡물은 2008년 7.3만 달러에서 2009년 8.9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음 중량기준 주요 품목 중량을 기준으로 2007년~2009년간 상위 1~5위를 차지한 항목은 식용식물유, 종 려유, 두유, 곡물, 과일 등임 그 중, 식용식물유는 2009년 기준 950만 톤을 수입하여 2008년(817만 톤) 대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함 기타 종려유, 두유, 과일, 곡물 등 기타 상위 5위내 품목은 전반적으로 증가함 한편, 2009년부터, 밀제품은 90.4만 톤 수입하여, 화훼 품목을 대체하였고, 상위 10위내 수입 품목으로 등장하였음 - 35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24> 중국 수입 농산물 상위 10위 품목 단위 : 톤, 만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식용식물유 624,644 42.7% 식용식물유 8,396,628 38.6% 2 종려유 368,295 25.2% 종려유 5,095,128 23.4% 3 두유 214,639 14.7% 두유 2,822,909 13.0% 4 과일 96,916 6.6% 곡물 1,557,475 7.2% 5 곡물 53,610 3.7% 과일 1,455,114 6.7% 2007 6 채유 30,510 2.1% 보리제품 913,428 4.2% 7 보리제품 26,682 1.8% 벼제품 487,487 2.2% 8 벼제품 22,804 1.6% 사료 437,861 2.0% 9 채소 16,686 1.1% 채유 374,776 1.7% 10 사료 8,792 0.6% 화훼 220,714 1.0% 전체 1,463,578 100.0% 21,761,520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식용식물유 898,869 43.0% 식용식물유 8,171,140 37.3% 2 종려유 521,390 24.9% 종려유 5,282,320 24.1% 3 두유 333,382 15.9% 두유 2,585,670 11.8% 4 과일 120,690 5.8% 과일 1,792,288 8.2% 5 곡물 73,237 3.5% 곡물 1,540,510 7.0% 2008 6 보리제품 48,429 2.3% 보리제품 1,076,266 4.9% 7 채유 35,527 1.7% 사료 639,145 2.9% 8 사료 21,460 1.0% 벼제품 329,698 1.5% 9 벼제품 20,841 1.0% 채유 269,792 1.2% 10 채소 18,851 0.9% 화훼 239,887 1.1% 전체 2,092,676 100.0% 21,926,716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식용식물유 666,649 40.0% 식용식물유 9,502,490 33.7% 2 종려유 421,941 25.3% 종려유 6,441,284 22.9% 3 두유 184,246 11.0% 곡물 3,150,965 11.2% 4 과일 163,045 9.8% 과일 2,404,615 8.5% 5 곡물 89,847 5.4% 두유 2,391,222 8.5% 2009 6 보리제품 43,461 2.6% 보리제품 1,738,486 6.2% 7 채유 37,725 2.3% 밀제품 904,125 3.2% 8 벼제품 21,556 1.3% 사료 808,811 2.9% 9 밀제품 21,117 1.3% 채유 467,526 1.7% 10 채소 18,058 1.1% 벼제품 356,788 1.3% 전체 1,667,645 100.0% 28,166,312 100.0%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2010. - 36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2) 농산물 유통 및 물류현황 가. 수출 중국의 농산물 수출 상위 5개국은 일본, 미국, 한국, 홍콩, 독일 등 국가 2007년~2009년 사이, 중국의 최대 수출국은 일본임 2009년 기준으로, 일본에 총 77억 달러를 수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 47억 달러, 홍콩 37억 달러, 한국 28억 달러, 독일 15억 달러 등 순임 - 중국 對 한국 농산물 수출액은 2007년 32억 달러에서 2009년 28억 달러로 감소하여, 기 존의 3위에서 4위로 하락하였음 - 37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25> 중국 수출 상위 10위 국가 단위 : 억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1 일본 76.6 22.6 2 미국 40.3 11.9 3 한국 32.2 9.5 4 홍콩 29.9 8.8 5 독일 12.7 3.7 2007 6 러시아 11.4 3.4 7 말레이시아 9.4 2.8 8 네덜란드 9.1 2.7 9 인도네시아 8.3 2.5 10 대만 5.6 1.7 전체 235.5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1 일본 77.2 19.0 2 미국 51.3 12.7 3 홍콩 36.3 9.0 4 한국 31.7 7.8 5 독일 16.5 4.1 2008 6 러시아 14.4 3.6 7 말레이시아 11.9 2.9 8 네덜란드 10.0 2.5 9 인도네시아 8.4 2.1 10 대만 7.4 1.8 전체 265.1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1 일본 77.0 19.4 2 미국 47.4 12.0 3 홍콩 37.5 9.5 4 한국 28.3 7.2 5 독일 15.0 3.8 2009 6 말레이시아 12.3 3.1 7 러시아 12.0 3.0 8 인도네시아 10.5 2.7 9 베트남 9.5 2.4 10 네덜란드 9.3 2.3 전체 258.8 100.0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2010. 나. 수입 중국의 농산물 수입 상위 5개국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캐나다 등 2007~2009년 사이, 중국의 최대 수입국은 미국임 2009년 기준으로, 중국 대 미국의 수입액은 140억 달러이며, - 38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그 다음으로, 브라질 84억 달러, 아르헨티나 34억 달러, 말레이사아 30억 달러 등 순임 중국 대 캐나다 농산물 수입액은 27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기존의 호주를 제치 고 5위로 상승하였음 <표 2-26> 중국 수입 상위 10위 국가 단위 : 억 달러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1 미국 91.5 22.2 2 아르헨티나 51.6 12.5 3 브라질 48.4 11.8 4 말레이시아 30.2 7.3 5 호주 26.1 6.3 2007 6 인도네시아 18.1 4.4 7 러시아 14.4 3.5 8 태국 13.7 3.3 9 인도 13.0 3.2 10 캐나다 12.5 3.0 전체 319.5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1 미국 144.1 24.5 2 브라질 88.1 15.0 3 아르헨티나 84.2 14.3 4 말레이시아 41.4 7.0 5 호주 29.3 5.0 2008 6 인도네시아 26.8 4.6 7 캐나다 17.6 3.0 8 인도 16.1 2.7 9 프랑스 14.4 2.5 10 러시아 13.3 2.3 전체 475.3 100.0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1 미국 140.3 26.6 2 브라질 84.5 16.0 3 아르헨티나 34.9 6.6 4 말레이시아 30.7 5.8 5 캐나다 26.5 5.0 2009 6 호주 24.9 4.7 7 인도네시아 22.8 4.3 8 태국 18.0 3.4 9 뉴질랜드 13.5 2.6 10 러시아 12.9 2.4 전체 409.0 100.0 자료 : 중국농업부, www.moa.gov.cn, 연도별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2010. - 39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3) 곡물 시장 현황 중국 곡물의 수요와 공급량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 2008년곡물총생산량은5.3억톤을 기록하면서, 2004년~2008년사이5년연속증가하였음 <표 2-27> 중국 연도별 주요곡물 생산현황(2003년~2008년) 단위 : 만 톤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벼 16,066 17,909 18,059 18,172 18,603 19,190 밀 8,649 9,195 9,745 10,847 10,930 11,246 옥수수 11,583 13,029 13,937 15,160 15,230 16,591 곡물소계 37,429 41,157 42,776 45,099 45,632 47,847 두류 2,128 2,232 2,158 2,004 1,720 2,043 고구마류 3,513 3,558 3,469 2,701 2,808 2,980 합계 43,070 46,947 48,402 49,804 50,160 52,871 자료 : 중국통계국 통계(2009), 재정리 동북3성은 중국의 주요 곡물 생산지이자, 양질의 곡물을 생산하는 지역 2008년 동북3성의 곡물 생산량은 8,925만 톤으로, 중국 전체의 17%를 차지함 - 그 중, 헤이룽장성은 4,225만 톤으로, 동북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였음 - 40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28> 중국 지역별 곡물 생산량(2008년) 단위: 만 톤 구분 곡물 벼 밀 옥수수 소계 콩류 감자류 합계 전체 19,190 11,246 16,591 47,847 2,043 2,980 52,871 베이징 0 33 88 122 2 2 125 텐진 11 52 84 147 1 0 149 허베이 56 1,222 1,442 2,759 46 101 2,906 산시 0 253 683 948 35 45 1,028 네이멍구 71 154 1,411 1,780 156 196 2,131 랴오닝 506 5 1,189 1,760 53 47 1,860 지린 579 2 2,083 2,705 107 28 2,840 헤이룽장 1,518 90 1,822 3,502 667 57 4,225 상하이 89 18 2 114 2 0 116 쟝수 1,772 998 203 3,047 87 42 3,175 저쟝 660 21 11 706 31 39 776 안훼이 1,383 1,168 287 2,847 130 47 3,023 푸잰 509 1 14 525 17 110 652 쟝시 1,862 2 7 1,872 27 59 1,958 산둥 110 2,034 1,887 4,040 42 179 4,261 허난 443 3,051 1,615 5,126 96 143 5,365 후베이 1,534 329 226 2,101 45 81 2,227 후난 2,528 3 128 2,665 35 105 2,805 광둥 1,003 0 63 1,071 18 155 1,243 광시 1,108 1 207 1,317 23 54 1,395 하이난 144-7 151 2 31 183 충칭 529 58 246 839 38 276 1,153 스촨 1,498 427 637 2,616 116 408 3,140 궤이저우 461 43 391 907 36 215 1,158 윈난 621 83 530 1,237 112 170 1,519 티벳 1 26 2 92 3 1 95 산시 83 392 484 979 50 82 1,111 간수 4 268 265 637 37 215 889 칭하이 - 42 2 55 11 36 102 닝샤 66 64 150 283 4 42 329 신쟝 41 407 425 898 17 16 931 자료: 중국통계국 통계(2009), 재정리. 중국은 주로 곡물, 대두 등 농산물을 해외로부터 수입 2008년 중국 곡물 수입량은 총 154만 톤으로, 2007년(155만 톤)에 비해 0.6% 감소함 - 반면, 위안화절상으로인해수입액은7.3억달러로 2007년(5.3억달러)에비해37% 증가하였음 - 41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29> 중국 주요 곡물 수입현황(2007년~2008년) 단위 : 만 톤, 만 달러 구분 2007 2008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곡물 및 곡물가루 155 53,394 154 73,179 밀 10 2,871 4 1,480 벼 및 쌀 49 22,804 33 20,841 대두 3,082 1,147,217 3,744 2,181,265 합계 3,296 1,226,287 3,935 2,276,765 자료 : 중국통계국 통계(2009), 재정리 중국은 주로 곡물, 옥수수 등 농산물을 해외로 수출 2008년 중국 곡물 수출량은 총 181만 톤으로, 2007년(986만 톤)에 비해 대폭 감소하였음 - 수출액은 7.6억 달러로, 2007년(21.8억 달러)에 비해 18.9% 감소함 <표 2-30> 중국 주요 곡물 수출현황(2007년~2008년) 단위 : 만 톤, 만 달러 구분 2007 2008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곡물 및 곡물가루 986 218,917 181 75,857 벼 및 쌀 134 48,787 97 48,326 옥수수 492 87,533 27 7,942 대두 46 19,650 47 35,146 합계 1,658 374,887 352 167,272 자료 : 중국통계국 통계(2009), 재정리 4) 곡물 물류 현황 가. 발전과정 중국의 곡물물류는 총 4개의 단계로 구분 즉, 계획경제시기, 시장경제전환시기, 사회주의시장경제시기, WTO가입 후 등 패러다임을 거침 - 42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그림 2-19] 중국 곡물물류 발전과정 계획경제시기(건국초기 4) ~1984) 건국초기, 계획경제체제 하의 중국 곡물물류는 생산, 인수, 운송, 보관 및 판매 등 전체 프로세스는 중앙정부에서 통일 관리함 지방정부는 아무런 자주권이 없으며, 기업이나 개인은 곡물 경영을 할 수 없음 중앙정부의 곡물 부문은 국가의 운송력과 비용을 감소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곡물 운송을 발전시킨 시기임 시장경제전환시기(1985~1997) 국가 및 기업이 주체인 곡물물류가 공존한 시기임 기업의 곡물물류 규모는 비교적 작고, 수익률이 그다지 높지 않음 이 시기는 화물의 이동만 중요시하고, 곡물물류의 전반 프로세스(생산, 구매, 판 매, 가공, 전자업무 등)는 고려하지 않음 다방면, 무질서한 형태이며 기존의 곡물물류 모델은 사라지고 새로운 물류모델 이 구축된 초창기임 사회주의시장경제시기(1998~2001) 이 시기는 곡물체제의 시장 기능이 한층 업그레이드됨 국가의 통제기능이 약화되면서, 국가 및 곡물기업은 공동으로 효율적인 곡물물 류 모델을 탐색한 시기임 WTO 가입 후(2001년 이후~) 외국물류기업의 중국시장 진입은 중국 국내기업의 위협요인이 되는 반면 새로 운 물류개념 및 운영모델을 구축함 4) 중국의 건국일은 1949년 10월 1일임. - 43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이 시기의 곡물 산업은 곡물의 구매 및 판매의 시장화를 실현함 시장이 주도하는 곡물물류를 중요시하며, 곡물물류에 대한 연구 및 실천을 적극 적으로 수행함 나. 특징 대량의 농산품 물류 2007년 중국 곡물물류의 철도 운송량은 전국 6위(10,471만 톤)를 차지 일정한 실효성 유효기간 및 보관 제한이 따르기에 빠른 기간 내 유통 및 소비가 이루어져야함 공업품 물류의 특성 중국의 옥수수, 밀 등 곡물은 주로 사료 또는 공업생산가공에 사용함 일부 곡물은 공업화 생산 및 수요를 만족시켜야 함 정부의 조정 및 통제 곡물제품의 유통은 국민경제건강과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국정부 의 간섭을 받음 이는 곡물제품의 시장화 수준 하락, 시장배치 및 시장규율에 따라 운영할 수 없 는 주요 원인임 다. 물류운영모델 중국 곡물물류의 대표적인 운영모델은 일체화 곡물물류모델, 곡물거래물류시장 (수출형물류모델), 곡물도매시장+곡물물류센터 (수요형물류모델) 등 3가지로 구분 성별로 운영의 차이를 두고 있으며, 각각 동북지역, 허난성, 저쟝성 등 3개 지역의 모델 동북지역 동북지역은 일체화 곡물물류모델을 기본으로 하며 중국의 주요 곡물 생산 지임 - 동북3성 일대(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및 네이멍구 동부지역)의 연간 곡물 생산량 은 8,000만 톤이며, 중국 전체의 1/6을 차지함 - 44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 상품으로 거래되는 곡물은 4,300만 톤으로 중국 전체 상품의 40%를 차지하며, 그 중 해 외 판매량은 2,200만 톤임 동북지역의 곡물물류 모델은 대형 국영기업간의 효율적인 결합에 의해 곡물물 류시설자원 및 곡물자원을 통합한다는데 특징이 있음 - 즉, 곡물경영의 물류일체화 를 통해 산업화 경영 및 규모 효익을 형성함 곡물물류의 일체화 네트워크는 곡물기업의 조직 강화 및 곡물물류의 운영 효율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허난성 허난성은 곡물거래물류시장 (수출형물류모델)을 지향하며, 중국의 주요 곡물 유통 지역임 - 연간 평균 판매량은 1,500만 톤 정도이고, 그 중 해외 판매량은 500만 톤 이상이며, 주 로 밀을 판매함 도로운송과 철도운송을 흔히 사용함 - 도로운송량은 전체 운송량의 2/3이며, 철도운송은 1/3을 차지함 2004년, 허난성곡물거래물류시장 을 설립함 - 규범화된 곡물거래, 순조로운 유통통로, 합리적인 곡물자원 배치, 고객에 대한 곡물정보 제공, 곡물품질 검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후로 범국민적인 대형 거래회의를 5회 개최함 - 밀 거래량은 238만 톤이며, 거래액은 36억 위안에 달함 허난성 곡물거래물류시장은 곡물 판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마케팅 및 서비스 를 촉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 Push과정 즉, 수출형물류모델 을 채택함 저쟝성 저쟝성은 곡물도매시장+곡물물류센터 (수요형물류모델)을 기본으로 발전함 2004년, 곡물 시장화 이후, 저쟝성의 곡물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 해 중국내 제2의 곡물 판매지역으로 부상함 - 연간 수요량은 1,000만 톤 이상임 기존의 곡물자원 통합 및 최적화를 통해, 사위일체( 四 位 一 体 ) (보관 운송, 가 공, 도매 및 정보를 일체화함)의 지역 곡물물류센터를 육성함 - 대형 곡물 중개상은 성외 또는 해외에서 곡물을 구입하여 제조업체에게 판매하고, 제조 - 45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업체는 다시 가공한 후, 소매상에게 판매하는 등 물류의 흐름이 소비 및 수요에 기반을 둔 것이 특징임 이러한 물류센터의 집중 구매 및 도매시장의 분산 판매는 전형적인 수요형물 류모델 임 라. 발전정책 2004년 5월~2009년 2월까지, 중국정부 및 관련 부문은 곡물 물류 발전을 위한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함 - 2004년~ 2006년까지는 주로 곡물 물류체제 개혁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출범함 - 2006 ~20 07년 사이에는 곡물 물류기획에 관한 정책을 위주로 공표함 - 2008년부터는 곡물 물류체계 건설에 관한 정책을 출범함 - 46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표 2-31> 중국 곡물물류 관련 정책 공표일시 공표부문 문건명 주요내용 2004.05 국무원 곡물유통관리조례 Ÿ 곡물생산 촉진, 경영자 및 소비자 합법권익 보 호, 국가 곡물안전 및 곡물유통질서 보장 등 2004.06 국무원 2005.01 국가발전개혁위원 회, 중국곡물국, 재 정부등6개부서 2006.07 국무원 곡물유통체제개혁 심화에관한의견 곡물유통감독 검사 잠행방법 곡물유통체제개혁정 책및조치에관한의견 2006.10 국가곡물국 11.5기획중곡물기술 발전에관한의견 2007.08 2008.01 2008.02 2008.10 2008.11 국가발전개혁 위원회 중국공산당제17 기중앙위원회 국가발전개혁 위원회 중국공산당제17 기중앙위원회 공업 정보화 부 기획처 현대곡물물류발전 기획 농촌기지시설의건설강화 에따른농업발전및농민수 익확대에관한약간의의견 현대곡물물류사업 관리잠행방법 농촌개혁발전추진 을위한약간의문제에 대한결정 국가중장기곡물안전 기획요지(2008-2020 2009.01 국가곡물국 현대곡물물류사업 건설에관한통지 2009.02 중국공산당제17 기중앙위원회 2009년농업안정발전 및농민수익증가촉진 에관한약간의의견 자료: 중국현대물류발전보고(2009)를 기초로 재정리 마. 문제점 및 향후 전망 1 문제점 곡물 물류 통로의 기초 인프라 불완전 Ÿ Ÿ Ÿ Ÿ 곡물유통체계개혁 심화, 농업구조조정 및 곡물 생산 유통 촉진, 곡물기업전환체계 추진 등 곡물 유통 감독 관리에 대한 규범화, 곡물유통 질서 보호, 곡물생산자의 적극성 보호, 경영자 및 소비자의 합법권익 보호 등 유통 체제개혁을 통해 중국 현대 곡물물류의 발 전을 추진할 것을 제기 11.5 기간 중, 우선 5대 곡물 보관 운송 가공 기 술을 발전시킬 것을 제기 Ÿ 곡물의 벌크화 운송방식 보급 및 강화, 전국에 주요 곡물(벌크화물) 물류거점을 구축 - 2015년까지 현대화 곡물물류체계 형성 등 Ÿ Ÿ Ÿ 현대곡물물류체계 건설을 강화 할 것을 제기 곡물물류 사업 및 건설 관리에 대한 규범화, 곡 물물류 공정 질량 관리 향상 등 현대 곡물물류 사업 및 건설을 가속화하여 추진 할 것을 제기 Ÿ 사산화( 四 散 化 ) 곡물물류체계의 구축을 제기 - 즉, 포장, 하역, 보관 및 운송의 벌크화를 발전시켜 물류원가를 감소하고 유통효율을 제고; 전국곡물물 류공공정보플랫폼을 구축하여 온라인거래를 촉진 Ÿ 현대곡물물류 사업건설을 가속화하여 추진할 것을 제기 Ÿ 안정적인 곡물, 수익 증가, 강력한 기초, 민생의 4대 중점 및 곡물물류발전 업무를 지속적으로 관철할 것을 강조 중국의 곡물 물류 통로는 기본적인 틀은 형성하였으나, 통로간 효율적인 연계가 결핍 - 이로 인해, 합리적인 곡물 물류 통로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음 - 47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대출로 이루어진 곡물유통사업 (동북지역, 장강지역, 서남지역 등 곡물 통로 건설 사업) 실패함 - 동북지역을 제외한 기타 2개 지역은 거의 마비 상태이며, 상호간 분업 및 협력이 불가능함 최초로 구축된 동북 곡물 유출 통로와 동남 연안 곡물 유입 통로간 원활한 연결이 결핍함 - 동남 연안지역의 푸젠성은 연평균 곡물 유입량이 약 700만 톤에 달하며, 그 중 1/3은 해상운송을 통해 동북지역에서 수송하고 있음 - 저쟝성은 연평균 1,000만 톤에 달하는 곡물 수요가 부족한 상황임 - 하지만, 저쟝성과 푸잰성 연안 항만은 곡물 하역 시설 및 능력이 극히 열악함 내륙 곡물 통로간 물류거점은 여전히 사산화( 四 散 化 ) 유통과 관련된 장비 시 설이 부족하며, 물류 네트워크도 아직 불완전한 실정임 곡물물류의 기술 및 장비 낙후 선진국에 비해 전반적인 기술 및 장비 수준은 낙후한 편임 - 일부 항만의 곡물 물류 거점을 제외한 여타 거점은 차량 및 철도 벌크화물(곡물)에 대 한 양적하 시설이 부재함 사산화 비율이 낮으며, 여전히 포장유통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음 - 포장유통량은 총 유통량의 90% 이상을 차지함 운송능력 부족 중국의 곡물 연간 유통량은 약 1.7억 톤에 달하며, 그 중 타지역 유통량은 9,500 만 톤이며 주로 철도운송와 복합운송 철도+해운 을 이용하고 있음 - 하지만, 철도 운송능력 부족, 운송 장애, 석탄 등 원자재 운송 수요의 증가는 곡물 철도 운송량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높은 해운비용과 항만 환적시설 부족은 곡물 해상운송 비율을 감소시킴 곡물 물류정보시스템 및 공공정보 플랫폼 미비 각급 곡물 관리기구 및 관련 부문은 중화곡물망, 중국곡물정보망, 중 화곡물망 등을 통해 곡물 업계의 전문 정보서비스를 제공함 - 하지만, 곡물 생산, 가공, 물류 등 관련 기업정보시스템 플랫폼은 아직 완벽하지 않음 곡물기업 정보화 수준이 낮고, 곡물 저장, 운송 등 전통적인 물류기업의 관리방 식이 낙후하여, 물류정보화 관리 및 구축이 어려움 - 48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 이는 기업과 기업간, 공급상과 소매상간, 기업과 정부 공공 서비스 및 감독부문간 정보 교류의 결핍을 유발하고 있음 곡물 유통기업의 현대물류에 대한 미적응 구입 판매 기업은 전문화 및 집약화 수준이 떨어지며, 규모의 경제 수요를 만 족시키지 못함 - 헤이룽장성의 경우, 국영곡물기업은 총 269개이나, 곡물자원이 분산되어 있어, 유기적인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음 - 현재, 헤이룽장성의 곡물 물류 운영은 주로 국영기업이 담당하고 있는데, - 전문화된 아웃소싱 물류기업 수준이 낮아, 규모화된 운영이 결핍한데 이는 물류원가 상 승을 유발함 곡물 물류기업간 기능 유사, 자원통합 및 분업 협력 부족함 - 소규모 및 조직화 수준이 낮은 곡물기업이 다수임 - 인수, 보관, 판매, 운송 등을 통합하여 각자 경쟁을 치르고 있으며, 상호간 분업 및 협 력이 부족함 - 지린성의 경우, 같은 지역의 곡물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관리주체는 다르며, 일부는 민영기업임 - 관리주체별 물류기획 및 물류체계가 상이하므로, 상호간 연계 협력이 부족함 2 향후 전망 유통 부분의 SCM 관리 실현 중국은 곡물현대물류발전기 (200년~2015년) 에서 2015년까지 기본적으로 곡 물 벌크화 물류통로 및 물류거점을 건설하고, 물류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성별 곡 물물류통로의 사산화 및 전체 유통 부분의 SCM관리를 실현할 것을 제기함 이는 현대화한 곡물물류체계를 구축하여 곡물시장에 대한 긴급 통제 능력을 강 화하는데 목적을 둠 곡물물류기지 및 시설을 한층 더 완벽화하고, 자원통합 발걸음을 가속화 - 즉, 벌크화 운송을 위한 곡물물류센터, 곡물전용부두, 곡물환적창고 및 곡물철도전용선 등에 대한 건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임 - 주요 곡물집산지 및 교통허브에 곡물물류거점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됨 - 49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곡물물류기술의 보급을 가속화하고, 운송능력 장애 완화 곡물현대물류발전기획 에 따르면, 중국은 벌크화한 곡물화물운송차량 및 기차 를 연구 제조할 것이며, 곡물 물류기술 및 장비 수준을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2010년부터는 곡물 철도운송능력 장애 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 - 남부 각 성별 곡물현대물류기획의 실시, 중국정부 관련부문의 해상+철도 복합운송 에 대한 지원정책 및 세수우대정책을 적극 출범함으로써, 향후 복합운송 비율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3.2. 일본 1) 농산물 수출입 현황 일본 농산물 수출은 금액기준으로 최근 3년간 증감세 일본의 농산물 수출액은 2007년~ 2009년 사이 연평균 -0.8%을 기록함 2009년 기준으로 2,637억 엔을 수출하여, 20 08년(2,882억 엔) 대비 소폭 감소함 <표 2-32> 중국 농산물 수출 현황 단위 : 백만 엔 금 액 기 준 구분 2007 2008 2009 연평균 증가율 농산 물 267,759 288,279 263,703-0.8% 임산물 10,432 11,847 9,322-5.5% 수산물 237,780 207,679 172,422-14.8% 합계 515,971 507,805 445,447-7.1% 자료 : 일본농림수산성, www.maff.go.jp,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2010. [그림 2-20] 일본 수출 농산물 비중 자료 : 일본농림수산성, www.maff.go.jp, 통계자료, 재작성(2010년 기준) - 50 -
제2장 농산물 시장 및 물류기업 현황 일본 농산물 수출 주요 품목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 금액 및 중량을 기준으로 2007년~2009년간 상위 1~5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밀가 루, 소스혼합조미료, 알코올음료 등임 2009년, 담배는 총 266.4억 엔 수출하여 금액기준으로 1위를 차지하고, 밀가루는 연간 총 18.5만 톤을 수출하여 중량기준으로 1위를 차지함 금액기준 주요 품목 금액을 기준으로 20 07년~ 2009년간 상위 1위를 차지하는 항목은 담배임 - 순위에서는변화가없지만,수출금액은 2007년300.3억엔에서2009년266.4억엔으로감소 그 다음으로, 소스혼합조미료, 알코올음료, 사케, 파종용종자 순임 중량기준 주요 품목 중량을 기준으로 2007년~209년간 상위 1~5위를 차지하는 품목은 밀가루, 사케, 알코올음료, 청량음료수, 소스혼합조미료 등임 그 중, 밀가루는 18.5만 톤을 수출하여 2007년(25.5만 톤)에 비해 1.5배가량 감소 하였지만, 여전히 1위를 차지함 - 51 -
광양항 농산물 물류허브 추진 전략 수립 연구 <표 2-33> 일본 수출 농산물 상위 5위 품목 단위 : 톤, 백만 엔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담배 30,034 17.8% 밀가루 255,375 40.3% 2 소스혼합조미료 19,240 11.4% 사케 58,859 9.3% 2007 3 알코올음료 15,720 9.3% 알코올음료 44,607 7.1% 4 사케 13,352 7.9% 소스혼합조미료 42,347 6.7% 5 파종용종자 11,594 6.8% 청량음료수 33,917 5.4% 전체 168,713 632,702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담배 27,827 17.5% 밀가루 187,040 34.5% 2 소스혼합조미료 18,489 11.6% 알코올음료 45,216 8.4% 2008 3 알코올음료 16,771 10.5% 사케 45,128 8.3% 4 과자(쌀과자제외) 11,686 7.3% 청량음료수 43,394 8.0% 5 사케 10,277 6.5% 소스혼합조미료 37,331 6.9% 전체 159,125 541,473 구분 순위 금액기준 금액 비중 중량기준 중량 비중 1 담배 26,645 18.6% 밀가루 185,403 36.7% 2 소스혼합조미료 19,339 13.5% 사케 55,587 10.9% 2009 3 알코올음료 15,399 10.7% 알코올음료 44,290 8.8% 4 사케 13,103 9.1% 청량음료수 41,812 8.3% 5 파종용종자 10,110 7.0% 소스혼합조미료 37,930 7.5% 전체 143,611 505,603 자료 : 일본농림수산성, www.maff.go.jp,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2010. 일본의 농산물 수입은 최근 3년간 증감세 일본 농산물 수입은 2007년~20 09년간 연평균 금액기준으로 -9.2%를 기록함 <표 2-34> 일본 농산물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엔 금 액 기 준 구분 2007 2008 2009 연평균 증가율 농산물 5,530,399 5,982,060 4,560,920-9.2% 임산물 1,390,502 1,156,496 808,531-23.7% 수산물 1,636,523 1,569,595 1,296,670-11.0% 소계 8,557,423,911 8,708,150,789 6,666,120,699-11.7% 자료 : 일본농림수산성, www.maff.go.jp, 통계자료를 기초로 재작성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