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1 장. 산기문 ( ) 사암필사본원문 ( 舍岩筆寫本原文 ) 퇴산 ( 㾼疝 ) 자 ( 者 ) 낭냉결경여석지견 ( 囊冷結硬如石之堅 ) 음경불거 ( 陰莖不擧 ) 수산자 ( 水疝者 ) 신낭종통 ( 腎囊腫痛 ) 여수지한출 ( 如水之汗出 ) 근산자 ( 筋疝者 ) 음경종창 ( 陰莖腫脹 ) 혹궤산지농 ( 或潰散之膿 ) 혈산자 ( 血疝者 ) 복황과지 ( 腹黃瓜之 ) 저횡골지단 ( 抵橫骨之端 ) 기산자 ( 氣疝者 ) 재우 ( 在右 ) 불양통야 ( 不痒痛也 ) 종양인음 ( 從陽引陰 ) 필본이불실야 ( 必本而不失也 ). 1. 수산 ( 水疝 ) 見證 음낭( 陰囊 ) 이붓고땀이나며, 혹은가렵고누런물이흐르며, 혹은소복 ( 小腹 ) 을누르면수성 ( 水聲 ) 을작 ( 作 ) 하는증 ( 證 ). ( 요자산증 ( 腰子散證 )) 療法 신( 腎 ) 에속 ( 屬 ) 한지라경거 ( 經渠 )* 복류 ( 復留 ) 보 ( 補 ), 태백 ( 太白 )* 태계 ( 太谿 ) 사 ( 瀉 ). Tip: 수산 ( 水疝 ) 참고 : 산증 ( 疝證 ) 의임상병리학적 ( 臨床病理學的 ) 고찰 ( 考察 ) 산증 ( 疝證 ) 은림프부종 (Lymphatic edema) 과관련된증상이다. 서의학적 ( 西醫學的 ) 임상소견 림프수종 ( 水腫, lymphedema): 선천성또는후천성으로림프관이손상되거나막혀단백질이풍 부한림프액이피하에축적되어팔다리가붓는현상. 1 1 http://adolfoneda.com/filariasis-2/ 음낭 ( 陰囊 ) 산증 ( 疝證 ): [ 필라리아사상충 ] 감염에따른음낭의림 프부종 327
겨드랑이 ( 액와 ) 와하복부림프부종 ( 산증 ( 疝證 )) 사타구니림프부종 수산 ( 水疝 ): 림프부종에의한음낭 ( 陰囊 ) 또는소복 ( 小腹 ) 의부종 2 이상의그림과같이선천성또는후천성으로림프관과림프절이손상되면림프구들이모여있는 사타구니와하복부의림프부종이발생하기도하는데특히도인 ( 道人 ) 이임상활동하던시기엔 공중위생상태가매우열악했기때문에림프부종의산증 ( 疝證 ) 이매우많았다. 3 2 http://women.webmd.com/pelvic-lymph-nodes 3 http://www.niaid.nih.gov/topics/tropicaldiseases/research/pages/lymphaticfilariasis.aspx 그림중 328
사상충 ( 絲狀蟲 ) 의알을모기가옮기기도하고성충의사상충 ( 絲狀蟲 ) 에의한직접감염이되 면림프와혈관계가부종을일으키는데, 주로공중위생상태가열악한곳에서빈발했다. 4 지도그림중붉은색표기지역이대표적인사상충 ( 絲狀蟲 ) 에의한림프부종빈발지역으로한반도역시포함되는것으로보여진다. 공중위생이크게발전한오늘날한반도에서요결 ( 要訣 ) 의수산증 ( 水疝證 ) 이별로나타나지않는것으로보아공중보건및위생이열악할수록산증 ( 疝證 ) 이빈발한다는것을유추할수있다. 見證 음낭( 陰囊 ) 이붓고땀이나며, 혹은가렵고누런물이흐르며, 혹은소복 ( 小腹 ) 을누르면수성 ( 水聲 ) 을작 ( 作 ) 하는증 ( 證 ). ( 요자산증 ( 腰子散證 )) 療法 신( 腎 ) 에속 ( 屬 ) 한지라경거 ( 經渠 )* 복류 ( 復留 ) 보 ( 補 ), 태백 ( 太白 )* 태계 ( 太谿 ) 사 ( 瀉 ). 요자산증 ( 腰子散證 ): 수산 ( 水疝 ) 으로붓고아픈것을치료한다. 인제직지방 ( 仁劑直指方 ) 5 에등재된처방으로, 나팔꽃검은씨 ( 흑축 ), 나팔꽃흰씨 ( 백축 ) 각각같은양 ( 다같이닦아서맏물가루를낸다 ). 먼저돼지콩팥 ( 猪腰子 ) 1마리분을얇게썬다음그속에조피열매 ( 천초 ) 50알, 회향 100알을넣는다. 다음여기에위의약 12g을고루뿌리고젖은종이로싸서실로동여맨다. 이것을잿불에묻어고소한냄새가나게구워익혀서빈속에잘씹어데운술로넘기면궂은것이나오고낫는다. 상기처방중천초 ( 川椒 ) 는촉초 ( 蜀椒 ) 로서성 ( 性 ) 은온 ( 溫 ) 하고유독 ( 有毒 ) 이있으며, 미 ( 味 ) 는신 ( 辛 ) 하다했다. 비 ( 脾 ), 폐 ( 肺 ) 신경 ( 腎經 ) 으로들어가습비 ( 濕痺 ) 를다스린다 했으므로차조 ( 此條 ) 의증 ( 證 ) 과방의 ( 方意 ) 에잘조화됨을알수있으며, 회향 ( 茴香 ) 역시성 ( 性 ) 은온 ( 溫 ) 하고무독 ( 無毒 ) 하며미 ( 味 ) 는신 ( 辛 ) 하다했고, 위 ( 胃 ), 방광 ( 膀胱 ), 위경 ( 胃經 ) 으로들어가한습 ( 寒濕 ) 과한사 ( 寒邪 ) 를물리친다 했으므로이역시차증 ( 此證 ) 을가늠케하는한편요법 ( 療法 ) 으로제시된신정격 ( 腎正格 ) 의소음군화 ( 少陰君火 ) 를일으켜치 ( 治 ) 하는방의 ( 方意 ) 을대변하고있다. 설명문은필자註 4 http://www.infectionlandscapes.org/2012/05/lymphatic-filariasis.html 5 중국송 ( 宋 ) 나라의이종 ( 理宗 ) 경정 ( 景定 ) 5 년 (1264) 에양사영 ( 陽士瀛 ) 이지은의학서적 ( 醫學書籍 ) 의이름. 원래의이름은 인제직지방 ( 仁齎直指方 ) 이라고하였음. 교정은첨중 ( 詹中 ) 이하였는데, 모두 26 권 6 책으로구성되어있음. 조선전기에 본초찬도 ( 本草纂圖 ) 득효방 ( 得效方 ) 화제지남 ( 和劑指南 ) 등의서책들과함께의가 ( 醫家 ) 의근본으로여겨질정도로널리보급되었으며, 세조 ( 世祖 ) 때에는정 종 8 품에해당하는의원 ( 醫員 ) 을취재 ( 取才 ) 할때강 ( 講 ) 하는의학서적으로이용되기도하였음. 출처 : 한국고전용어사전편찬위원회저세종대왕기념사업회간. 329
요법정리음낭 ( 陰囊 ) 이붓고땀이나며, 혹은가렵고누런물이흐르며, 혹은소복 ( 小腹 ) 을누르면수성 ( 水聲 ) 을작 ( 作 ) 하는증 ( 證 ) 이라한것으로볼때냉 ( 冷 ) 한체질의허증 ( 虛證 ) 이므로신정격 ( 腎正格 ) 을적용한것이며, 만일기인 ( 其人 ) 이열증 ( 熱證 ) 을겸하고있다면대장정격 ( 大腸正格 ) 에상양 ( 商陽 ) 과지음 ( 至陰 ) 을추가로보 ( 補 ) 해주어야한다 2. 한산 ( 寒疝 ) 見證 불알이차지고 ( 냉 ( 冷 )) 단단하며음경 ( 陰莖 ) 이일어나지않고혹불알알맹이가땅기고아픈증 ( 證 ). ( 반총산증 ( 蟠蔥散證 )) 療法 대장 ( 大腸 ) 에속 ( 屬 ) 한지라삼리 ( 三里 )* 곡지 ( 曲池 ) 보 ( 補 ), 양곡 ( 陽谷 )* 양계 ( 陽谿 ) 사 ( 瀉 ). Tip: 한산 ( 寒疝 ) 차조 ( 此條 ) 는들여놓은증 ( 證 ) 과요법 ( 療法 ) 이상반되는것같으므로먼저인용한반총산증 ( 蟠蔥散證 ) 을먼저살펴본다. 반총산증 ( 蟠蔥散證 ): 방약합편 ( 方藥合編 ) 하통 136편의처방으로비위 ( 脾胃 ) 의허냉 ( 虛冷 ) 이심복 ( 心腹 ) 을공격하여자통 ( 刺痛 ) 하다가흉협 ( 胸脇 ), 방광 ( 膀胱 ) 소장 ( 小腸 ) 에까지뻗쳐아픈것과신기 ( 腎氣 ) 의작통 ( 作痛 ) 을다스린다 했으므로차방 ( 此方 ) 은복냉 ( 腹冷 ), 하초냉 ( 下焦冷 ) 즉소복냉 ( 小腹冷 ) 등에따른냉복통 ( 冷腹痛 ) 의증 ( 證 ) 을다스리는처방이며, 견증 ( 見證 ) 의불알이냉 ( 冷 ) 하고단단하다는것과, 불알알맹이가땅기고아픈것은음낭 ( 陰囊 ) 이냉 ( 冷 ) 할때쪼그라드는형상이므로고방 ( 古方 ) 의궐음병 ( 厥陰病 ) 과같은증 ( 證 ) 으로허냉증 ( 虛冷證 ) 이다. 요법정리견증 ( 見證 ) 과반총산증 ( 蟠蔥散證 ) 의방의 ( 方意 ) 로볼때요법 ( 療法 ) 으로제시된대장정격 ( 大腸正格 ) 은마땅한요법이아니며, 신정격 ( 腎正格 ) 이나심정격 ( 心正格 ) 을적용해야할증이므로대장정격 ( 大腸正格 ) 을대장승격 ( 大腸勝格 ) 또는신정격 ( 腎正格 ), 심정격 ( 心正格 ) 의증 ( 證 ) 으로바로잡는다. 3. 근산 ( 筋疝 ) 見證 음경( 陰莖 ) 이붓고, 혹은몹시가려우며혹은힘줄이땅기고혹은늘어지며, 혹은백물 ( 白物 ) 이나와서정수 ( 精水 ) 와같은증 ( 證 ). 療法 간( 肝 ) 에속 ( 屬 ) 한지라음곡 ( 陰谷 )* 곡천 ( 曲泉 ) 보 ( 補 ), 경거 ( 經渠 )* 중봉 ( 中封 ) 사 ( 瀉 ). - 간정격 ( 肝正格 ). 330
Tip: 근산 ( 筋疝 ) 차조 ( 此條 ) 를근산 ( 筋疝 ) 이라했지만견증 ( 見證 ) 에음경 ( 陰莖 ) 이붓고, 혹은몹시가려우며혹은힘줄이땅기고혹은늘어지며, 혹은백물 ( 白物 ) 이나와서정수 ( 精水 ) 와같은증 ( 證 ) 이라한것으로보아차조 ( 此條 ) 의증 ( 證 ) 은거의임질 ( 淋疾 ) 과같은생식기 ( 生殖器 ) 질환과가까운증으로보인다. 요결 251쪽이40번의임질 ( 淋疾 ) 처방 ( 處方 ) 도간정격 ( 肝正格 ) 으로제시되어있으므로근산 ( 筋疝 ) 은곧임질 ( 淋疾 ) 과같은비뇨기과의증을뜻한다. 참고 : 임질 (gonorrhea, 淋疾 )- 생식기와요도의점막에염증으로나타나는성적전파질환의하나. 생식기와그주변의점막을선호하는세균인임균 (Neisseria gonorrhoeae) 에의해발병한다. 신생아의눈에감염되는신생아안염 ( 新生兒眼炎 ), 기숙사생활을하는소녀들의외음질염 ( 外陰膣炎 ) 과성인에게우연히나타나는안염을제외한모든임균감염은직접적인성적접촉에의해전염된다. 임질은자가치료를하거나진단하기어렵고, 또는보고가잘되지않아서발생빈도를정확히알수는없지만세계적으로분포되어있으며매우흔한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 (WHO) 의보고에의하면임질이전반적으로줄어들다가 1950년대중반이후세계적으로증가추세에있다. 이는페니실린에대해임균의저항력이강해진것이부분적인이유이다. 미국에서는매년 250만 ~300 만명정도가임질에걸리지만이중 30~40% 만보고될뿐이라고 1970년후반에추산된적이있다. 임질로인한사망률은무시해도좋을정도이지만여성이나남성모두불임되기쉽기때문에인구수에간접적으로영향을미친다. 잠복기는보통 3~5일 ( 넓게는 2~10일 ) 이다. 남성의경우처음나타나는증상은배뇨시의통증과고름이섞인요도분비물인데심할수도있고경미해서느끼지못하고지나갈수도있다. 치료하지않으면감염이깊어져서요도의상부를거쳐방광목 전립선까지진전된다. 소변이갑자기자주마렵고때로혈뇨를보이기도한다. 저절로회복되는데는몇개월에서 1년이걸리기도한다. 여성의경우처음나타나는증상은대부분그냥지나칠정도로경미하다. 통증과함께약간의질분비물이나오기도한다. 합병증이발생하거나성관계자가감염되기전에는본인이나의사도모르는경우가많다. 초기의합병증으로드물게바르톨린선에농양이생기기도한다. 많은여성들은임질이자궁목에서더진전되지않고저절로회복된다. 그러나임질이자궁을통해난관과난소까지진전되는경우도많은데, 이경우발열과하복부의통증이주요증상이며, 골반농양이나복막염이생기기도한다. 이러한증상은충수염 ( 蟲垂炎 ) 의증상과혼동되기도한다. 대부분수술하지않고치유되지만흔히신체적으로무능력해지거나불임이되는경우도있다. 나이어린여성이감염되면대개질부분에한정된다. 여성이나남성모두생식기외의합병증으로는관절염이가장흔하다. 대개한두군데의관절에서시작되며치료하지않으면관절을영구적으로못쓰게될수도있다. 감염된관절부위의힘줄집 [ 腱鞘 ] 까지감염되는경우도흔하다. 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고딕체편저자주 ( 註 ) 331
6 7 사암경제 33장통풍문 ( 痛風門 ) 엔흔히요산 ( 尿酸 ) 이원인이라하는통풍 (gout) 외에 1. 행비 ( 行痺 ), 2. 통비 ( 痛痺 ), 3. 착비 ( 着痺 ), 4. 골비 ( 骨痺 ), 5. 근비 ( 筋痺 ), 6. 맥비 ( 脈痺 ), 7. 기비 ( 肌痺 ), 8. 피비 ( 皮痺 ), 9. 통풍 ( 痛風 ), 10. 백호풍 ( 白虎風 ) 백호역절풍 ( 白虎歷節風 )) 등의다양한병증 ( 病證 ) 을논하고있는것과같이차조 ( 此條 ) 의산증 ( 疝證 ) 은주로남성의생식기질환을다루고있어임질 ( 淋疾 ) 의증 ( 證 ) 을여기에서논한것으로보인다. 요법정리임질 ( 淋疾 ) 은서의적 ( 西醫的 ) 처치가가장빠른치료효과를나타내므로서의적치료를받는것이우선이나임질은항생제로치료되었다하더라도몸이피곤하거나몹시과로했을때파트너없이비임균성요도염등으로재발하기도하며, 항생제로잘낫지않는악성질환도있다. 이때에는서의적치료와함께간정격 ( 肝正格 ) 을적용하면치료효과를크게높일수있다. 4. 혈산 ( 血疝 ) 見證 소복양방( 小腹兩傍 ), 횡골량단약문중 ( 橫骨兩端約紋中 ) 에생기는황과상 ( 黃瓜狀 ) 의횡현 ( 橫痃 ), 속명 ( 俗名 ) 변옹 ( 便癰 ), 또는변독 ( 便毒 ), 또는가래톳. ( 옥촉산증 ( 玉燭散證 )) 療法 심( 心 ) 에속 ( 屬 ) 한지라대돈 ( 大敦 )* 소충 ( 小衡 ) 보 ( 補 ), 음곡 ( 陰谷 )* 소해 ( 少海 ) 사 ( 瀉 ). Tip: 혈산 ( 血疝 ) 차조 ( 此條 ) 의견증 ( 見證 ) 에 소복양방 ( 小腹兩傍 ), 횡골량단약문중 ( 橫骨兩端約紋中 ) 이라언급한곳의위치부터살펴본다. 횡골 ( 橫骨 ) 은족소음신경 ( 足少陰腎經 ) 의경혈 ( 經穴 ) 로소복 ( 小腹 ) 의치골 ( 恥骨 ) 쪽에위치한경혈 ( 經穴 ) 이다. 횡골 ( 橫骨 ): 치골 ( 恥骨 ) 을옛날에는횡골 ( 橫骨 ) 이라하였다. 이혈은치골결합 ( 恥骨結合 ) 의양쪽에있으므로횡골이라하였다. 부위 : 신궐 ( 神闕 ) 하5촌에서전정중선 ( 前正中線 ) 옆0.5촌으로치골결합 ( 恥骨結合 ) 상연내외복사근 ( 內外腹斜筋 ) 중에있다. 6 http://symptomsdictionary.com/gonorrhea.htm 7 http://www.drherbsclinic.com/sexual-diseases/gonorrhea.html 332
취혈 : 신궐 ( 神闕 ) 하5촌, 전정중선옆0.5촌, 즉곡골 ( 曲骨 ) 옆0.5촌에취하고기충 ( 氣衝 ). 충문 ( 衝門 ) 과횡열선에있다. 근육 : 내외복사근 ( 內外腹斜筋 ) 혈관 : 천하복벽동정맥 ( 淺下腹壁動靜脈 ) 신경 : 장골서혜신경 ( 腸骨鼠蹊神經 ) 장골하복신경 ( 腸骨下腹神經 ) 임상병리학적 ( 臨床病理學的 ) 으로살펴보면횡골즉치골 ( 恥骨 ) 부위에일어날수있는견증 ( 見證 ) 과같은증상은크게두가지가있다. 1, 탈장 ( 脫腸. Hernia: 위의우측그림이바로탈장으로소장 ( 小腸 ) 의일부가치골부위까지흘러내려온것을설명하고있는그림으로출처 8 의설명을보면다음과같이병증 ( 病症 ) 의기전을설명하고있다. 탈장회복술은영국에서가장일반적으로수행수술절차중하나이다. 탈장은복벽의비정상적인개구부를통해가장일반적으로소장이나지방조직의돌출로나타난다. 이것은마치구식자동차또는자전거타이어와내부튜브를생각하면된다. 내부튜브를감싸고있는외부타이어튜브벽이약화및분리되면내부튜브가취약한타이어쪽으로돌출이되는것과같이복벽의근육층이약해져소장을감싸고지탱할 9 수없게될때탈장이발생한다 간접탈장은사타구니탈장의가장흔한유형으로. 특히남성은음낭쪽으로골짜기가형성되어있어있는신체의일부약점때문에여성보다발병률이높다. 8 도움말출처 : http://www.hernia-associates.com/hernia_facts.htm 9 그림출처 : http://www.rapidrecovery.net/hernia.html 333
이상과같이탈장이일어나면심한경우장 ( 腸 ) 이썩어사망하는경우도있는데도인 ( 道人 ) 의시대때는수술이발달하지않아병증 ( 病證 ) 이심한사람은썩은부위에서변 ( 便 ) 과같은오물이드러나며사망한사람들이있었을것이므로이같은병증 ( 病證 ) 을 [ 속명 ( 俗名 ) 변옹 ( 便癰 ), 또는변독 ( 便毒 )] 이라하였다. 그러나탈장 ( 脫腸 ) 의증상이사망에이를정도로심각하지않고, 마치항문이빠지는증상 ( 미주알이빠졌다 ) 과같이영양실조에걸려복벽이힘이없어소장이늘어져소복에걸려있어마치가래톳처럼솟아있는증상은기운을북돋아주어치료를하였던바그것이바로옥촉산증 ( 玉燭散證 ) 이다. 옥촉산증 ( 玉燭散證 ): 월경이막혀서나오지못하여점차징가 ( 癥瘸 ) 가되려는것과변독 ( 便毒 ) 으로항문주위가붓고아픈것을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 천궁, 숙지황, 대황, 망초, 감초각각 4g. 위의약들을썰어서 1첩으로하여물에달여먹는다. 설사가나면이약을쓰지말아야한다. 차방 ( 此方 ) 은보혈제 ( 補血劑 ) 인사물탕 ( 四物湯 ) 에대황 ( 大黃 ) 과망초 ( 芒硝 ) 를가 ( 加 ) 한처방으로, 허증 ( 虛證 ) 의어혈 ( 瘀血 ) 과탈장 ( 脫腸 ) 으로인해장폐색 ( 腸閉塞 ) 과같은증 ( 證 ) 을다스리는데일단어혈과장폐색이대황과망초로인해쏟아지면이후엔대황과망초를빼고사물탕 ( 四物湯 ) 만으로조리를했다. 그러므로도인 ( 道人 ) 이제시한심정격 ( 心正格 ) 은방의 ( 方意 ) 와온전히들어맞는요법 ( 療法 ) 은아니라할수있겠지만, 당시이러한병증 ( 病證 ) 에걸리는사람들은대부분영양실조와같은기력이쇠한상태에있었을것이므로소음군화 ( 少陰君火 ) 를일으켜기허 ( 氣虛 ) 를보 ( 補 ) 한후간정격 ( 肝正格 ) 이나비정격 ( 脾正格 ) 등을놓아근 ( 筋 ) 과기육 ( 肌肉 ) 을보 ( 補 ) 해주었을것이다. 옥촉산 ( 玉燭散 ) 은의종금감 ( 醫宗金鑑 ) 의처방으로허준 ( 許浚 ) 선생이동의보감에서특히강조한것은민간에서쉽게구할수있는약초들이었기때문이었을것이며, 도인 ( 道人 ) 역시환자에게침만제공한것이아니라약석 ( 藥石 ) 을함께제공하기도하였으므로이와같은환자들에겐영양요법또는보제 ( 補劑 ) 를병용 ( 倂用 ) 해야한다. 334
2, 림프부종에의한가래톳림프부종은이하 ( 耳下 ) 의목선과액와 ( 腋窩 ) 즉겨드랑이부위와서혜부 ( 鼠蹊部 ) 즉사타구니사이와치골 ( 恥骨 ) 부위와하지 ( 下肢 ) 에빈발하는증상이며, 편도가붓는것도편도의림프구가붓는현상이다. 차조 ( 此條 ) 에서는치골 ( 恥骨 ) 부위의산증 ( 疝證 ) 엔탈장 ( 脫腸 ) 으로인한것과림프부종에의한것등으로구별해요법 ( 療法 ) 을적용해야한다. 인용한그림은치골 ( 恥骨 ) 과서혜부 ( 鼠蹊部 ) 의림프절들을보여주고있다. 바로이곳에부종이생긴것을흔히 [ 가래톳 ] 이라고불렀다. 사암경 ( 舍巖經. 요결 ) 에는이하 ( 耳下 ) 의림프부종과서혜부 ( 鼠蹊部 ) 의림프부종등을언급한사암도인의임상경험례들이나오는데그중습증문 ( 濕證門 ) 에서한사례를인용해본다. 제 5장습증문 ( 濕證門 ) 의임상사례중에서 : 1). 한남자 ( 男子 ) 가 50여세에양각 ( 兩脚 ) 곡천 ( 曲泉 ) 상 ( 上 ) 으로부터음경 ( 陰莖 ) 에이르기까지좌우 ( 左右 ) 쪽에관주상 ( 貫珠狀 ) 의결핵 ( 結核 ) 10 이있고풍한 ( 風寒 ) 을싫어하여출문 ( 出門 ) 하지않은지이미누일 ( 屢日 ) 이며, 때는정히하말 ( 夏末 ) 을당 ( 當 ) 한지라습기 ( 濕氣 ) 가방성 ( 方盛 ) 한절기 ( 節氣 ) 이며, 또한우변 ( 右邊 ) 이심 ( 甚 ) 하므로소부 ( 少府 )* 대도 ( 大都 ) 보 ( 補 ), 은백 ( 隱白 )* 대돈 ( 大敦 ) 사 ( 瀉 ) 하기일차 ( 一次 ) 에통증 ( 痛症 ) 이그치고이질 ( 痢疾 ) 이시작하더니제삼일 ( 第三日 ) 만에두가지의증세 ( 症勢 ) 가모두소연 ( 掃然 ) 하더라. 그러면양각유주 ( 兩脚流注 ) 의습기 ( 濕氣 ) 가백리 ( 白痢 ) 로변 ( 變 ) 하여없어진것일까? - 비정격 ( 脾正格 ). 이상의임상사례는비장 ( 脾臟 ) 은혈액 ( 血液 ) 을여과하고림프구를만들어면역체계의한축을이루고있다는해부생리학적임상과족태음습비토경 ( 足太陰濕脾土經 ) 은태음습 ( 太陰濕 ) 을주관하고있으며, 사통팔달의유통 ( 流通 ) 을담당하고있다는동서의학적 ( 東西醫學的 ) 임상병리학 ( 臨床病理學 ) 이공히뜻을같이하고있다는것을증명해주는임상사례로볼수있다. 10 관주상 ( 貫珠狀 ) 의결핵 ( 結核 ) 은이명 ( 異名 ) 으로연주 ( 連珠 ) 또는연주창 ( 連珠瘡 ) 이라고한것으로오늘날의림프부종을말한다. 상기임상사례에서는무릎안쪽의곡천 ( 曲泉 ), 음곡 ( 陰谷 ) 이있는곳에서부터서혜부까지이어진림프관의림프결절을언급하고있는데, 비정격 ( 脾正格 ) 으로치료하였다고전하고있다. 335
요법정리림프부종에의한서혜부 ( 鼠蹊部 ), 치골 ( 恥骨 ) 부위의부종 ( 浮腫 ) 즉산증 ( 疝證 ) 은비정격 ( 脾正格 ) 이우선하는요법 ( 療法 ) 이며, 만약기인 ( 其人 ) 의증상이근위 ( 筋痿 ) 즉근육이늘어져있는상태에서의차증 ( 此證 ) 이라면간정격 ( 肝正格 ) 을, 기인 ( 其人 ) 이습열 ( 濕熱 ) 의체질이라면대장정격 ( 大腸正格 ) 을적용해야한다. 참고 : 인체여러부위의림프부종에의한결핵 ( 結核 ) 즉연주창 ( 連珠瘡 ) 요법 ( 療法 ) 1) 이하 ( 耳下 ) 의연주 1 습열 ( 濕熱 ) 체질 : 대장정격 ( 大腸正格 ) 2 소양상화지기 ( 少陽相火之氣 ) 즉스트레스, 히스테릭한체질 : 삼초승격 ( 三焦勝格 ) 2) 액와 ( 腋窩 ) 의연주 ( 連珠 ) 11 1 우측의액와 ( 腋窩 ) 연주 ( 連珠 ): 습열 ( 濕熱 ) 체질대장정격 ( 大腸正格 ), 통통하지않은체질 : 폐정격 ( 肺正格 ) 2 좌측의액와 ( 腋窩 ) 연주 ( 連珠 ): 습열 ( 濕熱 ) 체질대장정격 ( 大腸正格 ), 소양상화지기 ( 少陽相火之氣 ) 의히스테릭체질삼초승격 ( 三焦勝格 ) 5. 기산 ( 氣疝 ) 見證 신유혈 ( 腎兪穴 ) 에서부터아래로음낭 ( 陰囊 ) 에이르기까지편추 ( 偏墜 ) 종통 ( 腫痛 ) 한증 ( 證 ). ( 취향음자증 ( 聚香飮子證 )) 療法 폐( 肺 ) 에속 ( 屬 ) 한지라태백 ( 太白 )* 태연 ( 太淵 ) 보 ( 補 ), 소부 ( 少府 )* 어제 ( 魚際 ) 사 ( 瀉 ). Tip: 기산 ( 氣疝 ) 취향음자증 ( 聚香陰子證 ): 칠정 ( 七情 ) 에상하여산기 ( 疝氣 ) 가생긴것을치료한다 했으며유향 ( 乳香 ), 침향, 백단향 ( 白檀香 ), 목향 ( 木香 ), 곽향 ( 藿香 ), 정향 ( 丁香 ) 각각 3.2g, 현호색 ( 玄胡索 ), 강황 ( 薑黃 ), 오약 ( 烏藥 ), 길경 ( 桔梗 ), 계심 ( 桂心 ), 감초 ( 甘草 ) 각각 1.6g. 위의약들을썰어서 1첩으로하여생강 3쪽, 대추 2알과함께물에달여먹는다. 11 액와 ( 腋窩 ) 의연주 ( 連珠 ) 는유방암 ( 乳房癌 ) 을진단할때매우중요시여기는증상이다. 특히여성들에게빈발하는증상으로유방암검사시반드시액와의림프결절을확인하는데만약이곳의림프구부종이심하면유방암으로의심되니필히확인을해봐야한다. 스트레스가심한여성들은유방암이아니더라도이곳과이하 ( 耳下 ) 의연주가자주생기며특히좌측으로다발하는경향이있다. 336
요법정리차방 ( 此方 ) 은주제 ( 主劑 ) 가주로기제 ( 氣劑 ) 로구성된것과이를기산 ( 氣疝 ) 치법 ( 治法 ) 의폐정격 ( 肺正格 ) 과함께들여놓은것으로보아폐금경 ( 肺金經 ) 의태음습 ( 太陰濕 ) 으로서의림프정체에기인한병증 ( 病證 ) 으로기인 ( 其人 ) 인우측 ( 右側 ) 의증상을호소하면좌측에폐정격 ( 肺正格 ) 을적용해야하며, 좌측 ( 左側 ) 의병증 ( 病證 ) 이라면우측 ( 右側 ) 에간정격 ( 肝正格 ) 또는삼초승격 ( 三焦勝格 ) 을적용해야한다. 6. 호산 ( 狐疝 ) 見證 여우가주출야입 ( 晝出夜入 ) 과같으므로호산 ( 狐疝 ) 이라하는데앙와상 ( 仰臥狀 ) 의물 ( 物 ) 이누우면배로들어가고서면낭중 ( 囊中 ) 으로편입 ( 偏入 ) 하여아픈것. ( 이향환증 ( 二香丸證 )) 療法 삼음교( 三陰交 )* 연곡 ( 然谷 ) 보 ( 補 ), 은백 ( 隱白 )* 태계 ( 太谿 ) 사 ( 瀉 ). Tip: 호산 ( 狐疝 ) 見證 여우가주출야입 ( 晝出夜入 ) 과같으므로호산 ( 狐疝 ) 이라하는데앙와상 ( 仰臥狀 ) 의물 ( 物 ) 이누우면배로들어가고서면낭중 ( 囊中 ) 으로편입 ( 偏入 ) 하여아픈것. ( 이향환증 ( 二香丸證 )) 이와같은증상 ( 證狀 ) 의설명은비록간단한것같지만대단히예리하게병증 ( 病證 ) 을설명한것으로서의학적 ( 西醫學的 ) 병명 ( 病名 ) 은잠복고환과음낭수종과같다. 보다자세한이해를위해메디컬투데이의한기사를인용해본다. 잠복고환 음낭수종등질환, 1세이전치료권장 5살배기를둔 A씨는남자아이를데리고병원을방문했다. 이아이의음낭은왼쪽음낭은정상적으로음낭내에위치하고있었지만오른쪽고환이우측아랫배쪽에위치해있었다. 크기도왼쪽에비해작았다. 이아이의경우와같은현상은대개선천성으로발생하는것으로아이가엄마뱃속에있을때고환이정상적으로음낭내로내려와야하는데그렇지못하고중간에걸려있어발생한다. 이와같이고환이음낭에서만져지지않고위쪽에걸려있는현상을잠복고환이라한다. 이질환은비뇨기과에서가장흔히볼수있는소아남자의선천성기형이다. 잠복고환은임신주수를모두채우지못하고나온조산아에서더흔해조산아 10명가운데 3 명가량에서발견되는것으로알려져있다. 일반적으로생후 2~3달에서 6달사이에대부분내려와자연적으로정상자리를잡는데그이후로는자연하강이드물어만 1살이상에서는 100 명가운데 1명꼴로잠복고환이남는다. 잠복고환상태로계속남아있으면 90% 이상에서탈장이생길수있다. 또한장기적으로는생식능력이떨어질수있다. 치료방법은내려오지않은고환을음낭내로내려주는간단한수술로해결이된다. 그러나문제는교정시기다. 일반적으로 1세내에수술을시행해내려줘야한다. 부모들이남자아이들의고추와음낭은쉽게볼수있지만고환이음낭내에있는지는확인하 337
지못하는경우가있다. 음낭이잘발달돼있으면만져보지않고서는잘모를수있기때문이다. 남자아이에있어또하나가장흔한질환은음낭내에물이고이는음낭수종이다. 음낭내로들어온복막주머니속에액체가고인상태를말한다. 선천적으로도올수있고후천적으로올수도있다. 후천적으로오는경우에는대부분외상이나부고환염에의해온다. 증상음낭에서덩어리가만져지는데광선을비추면투과되고덩어리가들어가지않는다. 선천적인것은탈장과함께올수있지만대개저절로소실된다. 후천적인것은저절로없어지지만수개월이돼도줄어들지않을때는수술을해주는것이가장좋다. 서혜부에있는관을따라오는서경관음낭수종은대개탈장과합병되며이때는탈장수술과음낭수종의절제수술이필요하다. 가톨릭대학교부천성모병원비뇨기과김준철교수는 현재의경향은잠복고환과음낭수종모두 1세이전에빨리교정하는것을원칙으로하고있다 며 그렇게함으로써고환을정상적으로보존시킬수있다 고조언했다. 이어김준철교수는 부모들이조금만관심을가지면아이의건강을좀더지킬수있으리라생각한다 며 남자아이가태어나면한번쯤은관심을갖고음낭을만져볼것을권하고싶다 고말했다. 메디컬투데이최완규기자 (xfilek99@mdtoday.co.kr) 출처 :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76486 서의학적 ( 西醫學的 ) 병명 ( 病名 )- 잠복고환 음낭수종은누우면불어났던음낭이정상으로되고일어나면음낭이부어서커지며, 음낭의통증이멎으면하복부가아프고, 하복부가아프면음낭이아픈증상이라하여이를호산 ( 狐疝 ) 이라했다. 대표적인방약처방이이향환 ( 二香丸 ) 이주로처방되었다. 이향환증 ( 二香丸證 ): 목향 ( 木香 ), 향부자 ( 香附子 ) 112.5g. 산사 ( 山査 ) 75. 삼릉 ( 三稜 ), 봉출 ( 蓬朮 ) 초초 ( 醋炒 ) 하여각 37.5. 신국 ( 神麴 ), 강황 ( 薑黃 ), 천남성 ( 天南星 ) 각 37.5. 오수유달인물로초 ( 炒 ) 한황련 ( 黃連 ), 나복자 ( 蘿蔔子 ), 도인 ( 桃仁 ), 치자 ( 梔子 ), 굴피초 ( 炒 ) 각 18.8g을가루내어생강즙으로쑨풀에반죽해서오자대 ( 梧子大 ) 환 ( 丸 ) 으로지어한번에 5~7 환씩하루 2~3회식간에복용한다. 호산 ( 狐疝 ) 은인용기사에서보듯주로신생아들에게서자주발견되는흔한병증으로도인 ( 道人 ) 의시절에는특히더많았을것으로추정된다. 요법정리제시된 療法 삼음교 ( 三陰交 )* 연곡 ( 然谷 ) 보 ( 補 ), 은백 ( 隱白 )* 태계 ( 太谿 ) 사 ( 瀉 ) 는방 ( 方 ) 이어지러워알수없으며, 사실상매우흔한병증 ( 病證 ) 이었을것임에도도인 ( 道人 ) 의경험방 ( 經驗方 ) 에임상사례가하나도없는것은전사 ( 傳寫 ) 를통해거듭내려오다호산 ( 狐疝 ) 의치법 ( 治法 ) 이산실 ( 散失 ) 되어후인 ( 後人 ) 들이방약 ( 方藥 ) 의이향환 ( 二香丸 ) 증 ( 證 ) 빌어차입 ( 借入 ) 한것으로보인다. 338
차조 ( 此條 ) 와가장잘어울리는요법 ( 療法 ) 은간정격 ( 肝正格 ) 이며, 기인 ( 其人 ) 이허냉 ( 虛冷 ) 한체질이라면신정격 ( 腎正格 ) 을적용해야한다. 7. 퇴산 ( 㾼疝 ) 見證 소복( 小腹 ) 이불알을잡아끌고비틀어짜는것같이아프며, 낭종여두 ( 囊腫如斗 ), 혹은완퇴불인 ( 頑㿗不仁 ) 한증 ( 證 ) 을정 ( 呈 ) 하는것. 일명토산 ( 一名土疝 ). 療法 삼음교( 三陰交 )* 양릉천 ( 陽陵泉 ) 보 ( 補 ), 삼리 ( 三里 )* 태백 ( 太白 ) 사 ( 瀉 ). Tip: 퇴산 ( 㾼疝 )- 음낭이커져켕기면서하복부까지뻗치며아픈증상퇴산 ( 㾼疝 ) 의증 ( 證 ) 은호산 ( 狐疝 ) 과같은병증이나이역시도인 ( 道人 ) 의상세기록이산실되어후인 ( 後人 ) 들이산기 ( 疝氣 ) 의방약 ( 方藥 ) 해설집에서차입 ( 借入 ) 한것으로퇴산 ( 退散 ) 과호산 ( 狐疝 ) 은같은병증이다. 치법은호산 ( 狐疝 ) 과같이적용한다. 8. 병원 ( 病源 ) 및증치개론 ( 證治槪論 ) ( 新增 ) 행파안 ( 杏坡按 ) 산 ( 疝 ) 이라함은고환 ( 睾丸 ) 이소복 ( 小腹 ) 을연 ( 連 ) 하여급통 ( 急痛 ) 한것으로 서혹은형 ( 形 ) 이있기도하고혹은형 ( 形 ) 이없기도하고혹은성 ( 聲 ) 이있기도하고혹은성 ( 聲 ) 이없기도한데기통 ( 氣痛 ) 에속 ( 屬 ) 한것이많으므로산기 ( 疝氣 ) 라한다. 그런데차증 ( 此證 ) 은흔히습열 ( 濕熱 ) 의옹알 ( 壅遏 ) 로말미암아탁액 ( 濁液 ) 이응취 ( 凝聚 ) 되어서혈락 ( 血絡 ) 에병입 ( 倂入 ) 하여궐음 ( 厥陰 ) 에흩어져혹은밖으로풍한 ( 風寒 ) 의소습 ( 所襲 ) 이되고혹은안으로노기 ( 怒氣 ) 에충격 ( 衝擊 ) 으로인하여소복폭통 ( 小腹暴痛 ) 을초치 ( 招致 ) 하게되는것인데혹은요협 ( 腰脇 ) 을상공 ( 上攻 ) 하여배려 ( 背膂 ) 에주유 ( 走遊 ) 하며혹은한기 ( 寒氣 ) 가심장 ( 心臟 ) 을찔러서수족 ( 手足 ) 이궐냉 ( 厥冷 ) 하고장열악한 ( 壯熱惡寒 ) 하며이변 ( 二便 ) 이폐색 ( 閉塞 ) 하고혹은불알알맹이가대소 ( 大小 ) 가있어서상하 ) 上下 ) 가불상 ( 不常 ) 하며음낭 ( 陰囊 ) 에종창 ( 腫脹 ) 이있어서아픈것이정지 ( 定止 ) 가없기도하다. 그리고자한 ( 自汗 ) 하는자 ( 者 ) 도있고하설 ( 下泄 ) 하는자 ( 者 ) 도있으며적취 ( 積聚 ) 가비 ( 臂 ) 와같기도하고반 ( 盤 ) 과같기도하고배 ( 盃 ) 와같기도하고도 ( 桃 ), 리 ( 李 ) 와같은것도있어서한 ( 寒 ) 에우 ( 遇 ) 하거나노 ( 怒 ) 에촉 ( 觸 ) 하면괴물 ( 塊物 ) 이흉격 ( 胸膈 ) 을상행 ( 上衝 ) 하고심 ( 心 ) 이평 ( 平 ) 하고기 ( 氣 ) 가화 ( 和 ) 하면괴물 ( 塊物 ) 이다시낭내 ( 囊內 ) 에돌아와서열 ( 熱 ) 에유인 ( 由因 ) 되면종완불수 ( 縱緩不收 ) 하고한 ( 寒 ) 에유인 ( 由因 ) 되면상인작통 ( 上引作痛 ) 하며습 ( 濕 ) 에유인 ( 由因 ) 되면종창하수 ( 腫脹下垂 ) 한다. 열 ( 熱 ) 하고만지기를싫어하는자 ( 者 ) 는습열 ( 濕熱 ) 에속 ( 屬 ) 하였으며, 안마 ( 按摩 ) 하기를좋아하는자 ( 者 ) 는한적 ( 寒積 ) 에속 ( 屬 ) 하였다. 혈분 ( 血分 ) 에재 ( 在 ) 한자 ( 者 ) 는움직이지않고기분 339
( 氣分 ) 에재 ( 在 ) 한자 ( 者 ) 는변동 ( 變動 ) 이많다. 양쪽불알알맹이가편창 ( 偏脹 ) 하고좌우 ( 左右 ) 로넘나드는것은기분 ( 氣分 ) 에속 ( 屬 ) 하였으며, 적년발통 ( 積年發痛 ) 하나창대 ( 脹大 ) 하지도않고이동 ( 移動 ) 하지도않는것은혈분 ( 血分 ) 에속 ( 屬 ) 하였다. 자주발작 ( 發作 ) 되고자주처소 ( 處所 ) 가변경 ( 變更 ) 하는것은궐음풍 ( 厥陰風 ) 의위환 ( 爲患 ) 이요, 종 ( 腫 ) 이극 ( 極 ) 하나심통 ( 甚痛 ) 하지않은것은태음습토 ( 太陰濕土 ) 의위환 ( 爲患 ) 이다. 대통 ( 大痛 ) 한것은실 ( 實 ) 이요, 불통 ( 不痛 ) 한것은허 ( 虛 ) 이며, 심 ( 甚 ) 하면휵닉반장 ( 搐搦反張 ), 교아전도 ( 咬牙戰掉 ) 하며냉한 ( 冷汗 ) 이교류 ( 交流 ) 하는것은위 ( 危 ) 가수경 ( 須更 ) 에있는지라구하기어렵고만일위로구토 ( 嘔吐 ) 하고아래로유정 ( 遺精 ) 이있는것도또한오후 ( 惡候 ) 가되는것이다. 다시그맥 ( 脈 ) 을진찰 ( 診察 ) 하여현급 ( 弦急 ) 한자 ( 者 ) 는생 ( 生 ) 하고허현소 ( 虛弦小 ) 한자 ( 者 ) 는사 ( 死 ) 한다. 시치 ( 施治 ) 에모두유통소리 ( 流通疎利 ) 하는것은타당 ( 妥當 ) 하나별안간보제 ( 補劑 ) 를시 ( 施 ) 하는것은불가 ( 不可 ) 하다. 그런데사암 ( 舍岩 ) 은치산대법 ( 治疝大法 ) 은종양인음 ( 從陽引陰 ) 필본이불실야 ( 必本而不失也 ) 라하여상 ( 上 ) 의칠법 ( 七法 ) 을입 ( 立 ) 하였다. 9. 사암 ( 舍岩 ) 산기 ( 疝氣 ) 경험례 ( 經驗例 ) 1). 한남자 ( 一男子 ) 가년오십여 ( 年五十餘 ) 에제 ( 臍 ) 를중심 ( 中心 ) 으로하 ( 下 ) 로는곡골 ( 曲骨 ), 상 ( 上 ) 으로는협하 ( 脇下 ) 에이르기까지우변 ( 右邊 ) 이인통 ( 引痛 ) 하므로기산 ( 氣疝 ) 으로써치 ( 治 ) 하였더니곧낫더라. 폐정격 ( 肺正格 ) 2). 한남자 ( 一男子 ) 가년이십 ( 年二十 ) 에우변음낭 ( 右邊陰囊 ) 이편추 ( 偏墜 ) 하여크기가주먹같고혹원행 ( 或遠行 ) 하면장부 ( 臟腑 ) 가땅기고아프다하거늘태백 ( 太白 )* 태연 ( 太淵 ) 보 ( 補 ), 소부 ( 少府 )* 어제 ( 魚際 ) 사 ( 瀉 ) 하였더니수도 ( 數度 ) 에유효 ( 有效 ) 하더라. 음낭편추 ( 陰囊偏墜 ) 는퇴산 ( 㾼疝 ) 으로치 ( 治 ) 하여야하고우협통 ( 右脇痛 ) 은폐후 ( 肺候 ) 가있으므로폐정격 ( 肺正格 ) 을쓴것이다. - 폐정격 ( 肺正格 ). 3). 한남자 ( 一男子 ) 가년이십여 ( 年二十餘 ) 에구미 ( 鳩尾 : 명치 ) 로부터아래로곡골 ( 曲骨 ) 에이르기까지반상물 ( 盤狀物 ) 이있고우협하 ( 右脇下 ) 에서넛또는너덧손가락내 ( 內 ) 의 ( 가용삼사지 ( 可容三四肢 ) 별 ( 鱉 ) 과같은것이만져지는데듣건대시작된후로더하지도않고덜하지도않으며, 일정부동 ( 一定不動 ) 하다하는지라이것은음경 ( 陰經 ) 의증 ( 證 ) 으로인정 ( 認定 ) 되고중만 ( 中滿 ) 하다하므로처음이비적방 ( 脾積方 ) 을썼더니삼사도 ( 三四度 ) 에효험 ( 效驗 ) 이없는지라. 다시혈산방 ( 血疝方 ) 을쓰기이일 ( 二日 ) 에눈에현기 ( 眩氣 ) 가있다가삼오일 ( 三五日 ) 에다시현기 ( 眩氣 ) 가없었는데마침수백리 ( 數百里 ) 밖인본가 ( 本家 ) 에서보교 ( 步轎 : 조군 ) 가왔으므로부득이귀가 ( 歸家 ) 하였다. -대돈( 大敦 )* 소충 ( 小衡 ) 보 ( 補 ), 음곡 ( 陰谷 )* 소해 ( 少海 ) 사 ( 瀉 ) 도가후 ( 到家後 ) 에는삼사일 ( 三四日 ) 동안복통여실 ( 腹痛如失 ) 하였으나방사 ( 房事 ) 를불근 ( 不謹 ) 함으로써급기야는불귀 ( 不歸 ) 의객 ( 客 ) 이되고말았다. 가석 ( 可惜 ) 한일이다.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