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 1)2) 백두현 ** 필자는이논문에서 훈민정음 이라는텍스트의계층적개념구조도를그렸다. 이작업은이텍스트의구성요소를큰단위에서부터작은단위에이르기까지분석하고그것을도식화하는것이다. 아울러텍스트전체를구성하는소단락의분량 ( 글자수 ) 를계산하여이소단락이차지한위상을계량적으로분석하였다. 예의편은크게어제서문과예의로나누어지고, 예의는다시그내용에따라네개로나누어진다. 예의편은그내용하나하나가문자체계로서의훈민정음에관해가장요긴하고핵심적내용을담고있다. 본문의그림에나타나있듯이이글은그구조가매우치밀하게짜여져있다. 해례편은 해례 와 정인지서문 이라는두단위로나누어진다. 이중에서해례는다섯개의 解 와한개의 例 로구성되어있다. 이것을흔히 5해1례 ( 五解一例 ) 라부른다. 정인지서문은해례와구별되는독립된텍스트의성격이강하다. 핵심어 : 훈민정음해례본, 해례편, 예의편, 텍스트, 단락구조, 개념구조도, 명제, 응집성 * 이논문은 2008 년 10 월 18 일에열린한국텍스트언어학회추계전국학술대회 ( 덕성여자대학교 ) 에서발표한논문을깁고고친것이다. 토론과논문보완에조언을해주신장소원교수님과이논문을꼼꼼히읽고고쳐주신심사위원께깊은감사의말씀을드린다. ** 경북대학교국어국문학과
76 國語學第 54 輯 (2009. 4.) 1. 문장텍스트로서 훈민정음 해례본 1) 은구성의치밀함과사용어휘의엄밀성등모범적글쓰기사례로빼어난점을갖추고있다. 새문자를만든취지를먼저제시하고글자의음가를예시한후, 이어서제자원리, 사용방법과쓰는법, 문자에담긴심오한역학적의미등을해설한문장들이 훈민정음 이라는텍스트의내용을이루고있다. 훈민정음 에대한선행연구가이미적지않게축적되어있어서 2) 우리는이책에대해상당히깊은수준의이해에도달해있다. 그러나뛰어난명문장이면서도이텍스트 3) 는글쓰기의관점에서혹은문장텍스트로서작품구조에대해연구된적은드물다. 한문학자는 훈민정음 이한문학의연구자료가아니어서관심을기울이지않았고, 국어학자는국어로표기된문장자료가아니어서작품구조에대해관심을덜기울인것이아닌가싶다. 훈민정음 의문장텍스트자체를연구대상으로삼은연구는찾아보기어려운실정이다. 본고는 훈민정음 을하나의완성된구조를가진문장텍스트로간주하여이텍스트의세부구조와전체구조를아울러밝히고자한다. 제2장에서는 훈민정음 이라는문장텍스트를외형구조라는관점에서분석기술하고, 제3장에서는내용구조라는관점에서논하기로한다. 특히 3장에서는문장텍스트라는관점에서예의편과해례편의구조를중층적으로분석하여 훈민정음 에대한체계적이해를심화시키고자한다. 4장에서는이텍스트의생산과정과그주체에대해추정해 1) 이하에서 훈민정음 이라칭한다. 2) 훈민정음에대한연구논저목록은여러차례정리된바있다. 신창순 (1990), 이현희 (1990), 박창원 (2005), 이근수 (1995), 김슬옹 (2007) 등을참고할수있다. 3) 텍스트 의정의는관점에따라다르다. 의사소통에초점을맞추어텍스트를정의하면텍스트는다음다섯가지원형자질들을충족해야한다고본다. 텍스트는종결된의사소통단위이며, 구체적인상황맥락이필요하고, 현실과관련을맺어야하고, 일정한의사소통기능을갖고, 응집성을구비한전체라야한다. 텍스트언어학의이해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참고.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77 보기로한다. 2. 이논문에서 훈민정음 은국보 70호로지정된책을가리킨다. 이책의원본은간송미술관에소장되어있으나실물을보기는매우어렵다. 필자는 겨레의글한글특별전 (2002 년, 국립중앙박물관 ) 에서이책의실물을처음보았다. 그때전시된 훈민정음 은통문관에서영인했을때의원본모습에서많이달라져있었다. 2002년에전시된 훈민정음 은배접과장정을새로한것이었다. 책의외형이많이달라져있음을한눈에알수있었다. 유리상자안에전시된 훈민정음 의한장만관찰할수있어서더이상자세한사항은알수없었다. 4) 훈민정음 은전체 33장분량이며, 크게두가지내용으로구성되어있다. 세종이직접지은 例義 와집현전학자들이지은 解例 이다. 5) 전자를 예의편 ( 例義篇 ), 후자를 해례편 ( 解例篇 ) 이라부르고있다. 본고는이둘을문장텍스트로다루는관점에서있다. 이런관점을더잘드러내주는용어는 글단위 의개념이함축된 篇 자가포함된것이다. 이런점에서필자는 예의편 과 해례편 이라는용어를쓸것이다. 6) 전체 33장중예의편은 4장이고, 해례편은 29장이다. 선행연구에서밝혀졌듯이예의편은판심제 ( 版心題 ) 가 正音 으로되어있고, 해례편은 正音解例 라되어있다. 말하자면전자는 훈민정음 의본문이고, 후자는이본문에대한해설인셈이다. 이글에서이용하는 훈민정음 은통문관영인본이다. 이영인본이 4) 안병희 (1997: 192) 와김주원 (2005: 182) 에서지적된바같이원본훈민정음은배접을새로하면서책의상하단이약간잘려나가원본모습과달라졌다. 또한배접때문에원본뒷면의글씨를볼수없게되었다. 5) 例義는예를보여뜻풀이를행함이고, 解例는해설과예시의의미이다. 6) 그러나본고를진행하는중에서문장텍스트의개념이불필요할때는 예의 와 해례 를사용하는경우도있을것이다.
78 國語學第 54 輯 (2009. 4.) 원본의원형을가장잘보여주는자료이다. 필자는이영인본을대구의동방출판사의고해상도스캐너를이용하여디지털화작업을하였고, 이것을강의자료로활용해왔었다. (1) 행관 ( 行款 ) 예의편은반엽 7행이고한행의글자수는최대 11자이다. 7) 이에비해해례편은반엽 8행이고한행의글자수는 13자이다. 해례편끝에붙은정인지서문은반면 8행인점은같으나한행의글자수는 12자이다. 정인지서문은매행의첫글자자리를비워공격 ( 空格 ) 을두었기때문에글자수가 1자적다. (2) 글자크기글자크기는한자에따라다르다. 영인본을이용하여여러곳에서쓰인 字 의크기를조사해보니다음과같았다. 예의 3a 의제 2 행네번째에쓰인 字 8) : 세로 1.3cm, 가로 1.0cm 해례제자해 1b 의제 2 행끝자에쓰인 字 9) : 세로 1.0cm, 가로 0.9cm 정인지서문제 2 행의끝자에쓰인 字 10) : 세로 1.0cm, 가로 0.9cm 예의의글자크기가더큼을알수있다. 예의편은세종대왕이직접지은어제문이기때문에글자크기로써왕에대한예의를갖추려한것이다. 이러한글자크기의차이는불교와유가의경전에서성인 ( 부처, 공자등 ) 의말씀에해당하는본문은글자를크게하고, 후대인이붙인주석문의글자는작게한것과비슷하다. 훈민정음예의편은세종의말씀이고, 해례편은신하학자들이지은예의의해설문이다. 글자크기와체재등의이러한양상은경전 ( 經傳 ) 의그것과대응됨은선행연구에서 7) 글자수는꽉채워진행을기준으로한것이다. 8) ㆍ如呑字中聲의 字 9) 正音二十八字 의 字 10) 因聲制字 의 字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79 이미지적한바이다. 11) 글자크기에서특별히언급해둘것은정인지서문에나오는해례편찬자성명표기에나온다. 해례편찬에참여한인물로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가순서대로나오고, 서문말미에서문을쓴정인지의성명이나온다. 臣與集賢殿應敎臣崔恒 과같이신하임을뜻하는 臣 자를아주작게쓰고, 성인 崔 는보통크기로, 그리고이름자인 恒 을아주작게썼다. 서문필자인 臣鄭麟趾 의경우도동일하다. 글자크기의이러한차이도신하로서의예의갖춤법에서비롯된것이다. 말 (speaking) 에서뿐아니라글 (writing) 에서도엄격한경어법체계를가지고있었던것이조선시대어문생활의실상이었다. (3) 줄바꿈법과칸비우기법조선시대의언어생활에서경어법 ( 예의갖춤법 ) 은매우중요한것이었다. 경어법은국어학자들의큰관심을받아왔으며특히국어사연구에서중요한연구대상이되어왔다. 그런데국어의경어법에는조사나어미등에의한언어적장치뿐아니라글자의크기에의한것, 줄바꿈법 ( 移行法 ), 칸비움법 ( 離隔法, 空隙法 ) 등에의한비언어적경어법장치가존재하였다. 12) 훈민정음 에나타난비언어적경어법장치에도이러한유형들이쓰였다. 먼저줄바꿈법에의한경어법사례는다음과같이나타난다. < 제자해 > 是殆天啓 [ 줄바꿈 ] 聖心而假手焉者乎 ( 제자해말미 ) < 합자해 > 一朝 [ 줄바꿈 ] 制作侔神工 ( 합자해詩文 ) < 정인지서문 > 11) 한글박물관의역사관에실린 훈민정음 해설문 ( 이현희교수집필 ) 참고. 經傳 이라할때 經 은성인의말씀이나가르침이고, 傳 은후대의현인들이여기에붙인해설과주석문을가리킨다. 12) 후자는특히간찰에서매우중요한예절로간주되었다.
80 國語學第 54 輯 (2009. 4.) 癸亥冬我 [ 줄바꿈 ] 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遂 [ 줄바꿈 ] 命詳加解釋以喩諸人恭惟我 [ 줄바꿈 ] 殿下天縱之聖而開物成務之 [ 줄바꿈 ] 大智盖有待於今日也歟 줄바꿈법을쓴자뒤에는 聖心, 制作, 殿下, 命, 大智 가온다. 이들은모두왕이나왕의행위와자질을가리키는낱말이기때문에행을바꾸어존경의뜻을표시한것이다. 경어를위한칸비움법은정인지서문말미의필자표기에서한예가나타난다. 集賢殿大提學知春秋館事 [ 칸비움 ] 世子右賓客 칸을비운바로뒤에는 世子 가나온다. 세자는왕에비해예우의격이낮으므로줄바꿈법을쓰지않고칸비움법을쓴것이다. 그런데앞의행관에서언급한바, 정인지서문은매행의첫글자자리를비워공격은두었는데이것도겸양을위한칸비움법의하나로간주할수있다. (4) 문장부호 훈민정음 의한문에는오늘날의문장부호에해당하는권점이사용되어있다. 여기에쓰인권점에는두가지종류가있다. 대체로오늘날의문장마침표혹은온점 (.) 에해당하는권점은한자의오른쪽하단에찍혔다. 이를우권점 ( 右圈點 ) 이라부른다. 다른하나는한자의아랫쪽중간부위에찍힌권점이다. 이것은오늘날의쉼표혹은반점 (,) 에해당하며중권점 ( 中圈點 ) 이라부른다. 우권점을구점 ( 句點 ), 중권점을두점 ( 讀點 ) 이라부르기도한다. 13) 이부호들은한문에달린토 ( 구결 ) 와비 13) 이런권점표기는세종당시명나에서가져온 성리대전 (1415 년 ) 의형식을취한것이라한다. 필자는현전하는성리서의세종대판본에동일한문장부호가사용되었음을확인하였다. 그러나이러한구두점표기방법은조선시대의전적출판에서일반화되지못하였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81 슷한기능을하는것이어서독서자의문리파악에큰도움이된다. 현대중국에서고문헌을활자로출판하면서보다다양한문장부호로구두점을찍어서독자들에게편의를제공하고있는데, 이는과거의전통을발전시킨결과이다. 3. 텍스트의내용구조란텍스트를구성하고있는내용요소들의짜임새를말한다. 내용요소에는크고작은여러종류의단위가있다. 가장큰단위로는제자해, 초성해등장절 ( 章節 ) 에해당하는것이다. 그다음으로는하나의의미적통일체를이루는단락이있으며, 또가장작은단위인문장이있다. 필자는이논문에서 훈민정음 이라는텍스트를이루고있는구성요소를큰단위에서부터작은단위에이르기까지분석하여그것을도표화하고, 그것의계층적구조를파악하기위해나무그림으로표현되는개념구조도 (issue tree, concept tree) 를그릴것이다. 개념구조도는일반적으로글을쓰는사람이준비된자료를조직하고, 글속에들어갈주요명제혹은개념을계층적구조로표현해보는과정에적용되는용어이다. 개념구조도는일반적으로 위에서아래로 향하는나무그림으로표현된다. 나무그림과같은계층적개념구조도에서최상위수준의명제는가장포괄적인의미의 주제 와같은것이다. 그안에들어가는다른모든명제들은상위체계의하위구성소로서최상위수준의명제를보조하거나그구성소를이루고있다. 개념구조도는전체내용을시각화해서전체속에서부분들이서로어떻게구성되어있는지를볼수있게해준다 ( 원진숙황정현역 1998: 253). 그리하여개념구조도는주요명제들의관계를계층적그림으로표현해줌으로써집필자가글의짜임새를만들어가는데유용한도구로활용된다. 필자는이와같은개념구조도를바탕으로하면서아울러전체텍스트를구성하는각단위를계량적으로분석하여각단위가차
82 國語學第 54 輯 (2009. 4.) 지하는위상을파악할것이다. 필자가사용하는이방법은텍스트언어학이론에서는반다이크의거시구조와미시구조개념과매우유사한것이다. 14) 이이론에서텍스트의주제구조는다층위의거시구조를통해실현된다고본다. 다층위의거시구조는개념구조도를달리표현한말이다. 각층위의거시구조는거시명제를가지며최상위거시명제는하위에놓이는명제의순차적파악에의해포착될수있다. 이는마치소단락의주제를찾고, 소단락의주제들을통합시켜절의주제를찾고, 절의주제들을통합하여장의주제를찾고, 이를바탕으로전체텍스트의주제를찾아내는주제분석규칙과비슷하다. 훈민정음 의예의편을지은세종대왕과해례편을지은집현전학자들이오늘날과같은개념구조도의방법을사용하지아니했다하더라도글을쓰는과정에서전체를조직화하고적절한단락내용을정하고그순서를정하는등개념구조도에상응하는작업을했을것이다. 필자는그러한작업의결과가 훈민정음 이라는텍스트에반영되었을것으로보고, 그것을분석하여도표로나타내고, 이를근거로나무그림형식의개념구조도를재구성해보려한다. 필자의이런작업은 훈민정음 이라는텍스트전체를구조적으로이해하는데유용한결과를제공할것이라믿는다. 예의편의문장형식과내용을존중하여그구성을분석해보면다음과같다. 예의편은크게어제서문과예의로나누어지고, 예의는다시그내용에따라네개로나누어진다. 각각의분량을보이기위해소단 14) 필자는이논문을완성한뒤에몇텍스트언어학에관한이론서몇가지를검토하였다. 그중 텍스트언어학의이해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3 장에소개된반다이크의거시구조이론을발견하였다. 필자가사용한방법론과반다이크의이론이매우비슷한것임을알게되어여기에언급해둔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83 락의글자수를괄호안에넣고, 15) 각내용단락의시작문장과끝문장을괄호안에표시하여보이면다음과같다. 1) 어제서문 (54자) 16) ( 國之語音 便於日用耳 ) 2) 예의 (348자) (1) 초성자의자형과음가 (203자) (ᄀ 牙音如君字初發聲 ᅀ 半齒音如穰字初發聲 ) (2) 중성자의자형과음가 (66자 ) ( ㆍ如呑字中聲 ㅕ如彆字中聲 ) (3) 종성자규정 (6자) ( 終聲復 用初聲 ) (4) 글자의운용법규정 (73자) (ᄋ 連書脣音之下 入聲加點同而促急 ) 1연서법 ( 순경음 )(12자) 2합용법 ( 초성및종성 )(10자 ) 3부서법 ( 중성 )( 附書法 )(21자) 4성음법 ( 成音法 )(7자) 5방점법 (23자 ) 예의편의전체글자수는어제서문 54자와예의 348자, 그리고권두서명인 訓民正音 을합치면도합 406자가된다. 17) (3) 의종성규정은그내용이 終聲復用初聲 이라매우짧게나오지만종성은초성및중성과대등한위상을가진단위라는점에서 (4) 의글자운용법규정과구별하였다. (4) 에포함된다섯가지내용은각각매우간명하고짧은문장으로서술되어있어서문장분량이얼마되지않는다. 예의편의분석결과를나무그림형식으로다음과같이도시할수있다. 15) 글자수를계산하여표시한것은글쓰기에서분량도중요한의미를갖기때문이다. 중요한내용에는글자수를많이배당하고덜중요한것에는글자수를적게배정하기때문이다. 본고의글자수계산에서오늘날문장부호에해당하는권점은제외하였다. 16) 권두서명 訓民正音 은여기서제외하였다. 17) 현전하는 훈민정음 은권두 2 매가낙장되어보사되었다. 낙장이전의원본권두서명이 훈민정음 이아니라 어제훈민정음 이라는주장 ( 안병희 1997) 가있고, 이에대한반박 ( 정우영 2001) 과재반박 ( 안병희 2002) 이있었다. 안병희의주장이옳다면총글자수는 408 자가될것이다.
84 國語學第 54 輯 (2009. 4.) 예의편은그구성단위하나하나가문자체계로서의훈민정음에관해가장요긴하고핵심적내용을담고있다. 세종대왕은예의편을지으면서여기에들어갈내용을면밀하게선정하고, 이것을간명하게표현하기위해심사숙고했음이분명하다. 당대의최고학자인세종이만년에지은글이이예의편이니대왕의글쓰기가높은경지에이르러있었음을짐작하기어렵지않다. 위의그림에나타나있듯이이글은그구조가매우치밀하게짜여져있음을알수있다. 예의를이루고있는각구성요소문의내부로들어가그구조를분석해보자. 먼저어제서문의문장구성을보면한마디로간명함그자체이다. 간략하면서도명료하다는뜻이다. 원본에찍힌권점을기준으로문장을나누어서문을번역하면다음과같다. 1나라의말이중국와달라서한자와서로통용되지않는다. 2그렇기때문에보통의백성 ( 愚民 ) 들은말하고자하는바가있어도마침내제뜻을펼수없는사람이많다. 3내가이를딱하게여겨새로스물여덟글자를만들었으니사람들로하여금쉽게익혀일상의쓰임에편리하도록할따름이다. 원본에찍힌권점을기준으로어제서문은위와같은세문장으로나누어진다. 이구성은이른바전형적인삼단구성이라할수있다. 1 이서론, 2가본론, 3이결론에해당한다. 그런데문장의의미단위를기준으로삼으면, 어제서문은세개문장이아니라네개문장으로나누어볼수있다. 즉 3의문장을의미단위기준으로분석해보면, 내가이를딱하게여겨새로스물여덟글자를만들었다 와 사람들로하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85 여금쉽게익혀나날의쓰임에편리하도록할따름이다 라는두개문장이결합되어있음을알수있다. 이와같이 3을두개문장단위로재분석하면어제서문의구성은다음과같은기승전결의사단구성이된다. 1기 : 나라의말이중국와달라서한자와서로통용되지않는다. 2승 : 그렇기때문에보통의백성 ( 愚民 ) 들은말하고자하는바가있어도마침내제뜻을펼수없는사람이많다. 3전 : 내가이를딱하게여겨새로스물여덟글자를만들었다. 4결 : 사람들로하여금쉽게익혀일상의쓰임에편리하도록할따름이다. 원문에찍힌구두점을기준으로하는외형적관점에서볼때어제서문은삼단구성이되고, 문장의의미단위를기준으로보면사단구성이된다. 외형적삼단구성속에의미적으로는사단구성이융합되어있다. 세종은이구조속에새문자창제의핵심의도를짧고간명하게담아냄으로써득의의서문을완성했던것이다. 세종이직접지은어제서문은길이가짧으면서도간명하고그핵심적뜻을온전히다담아내었다. 군더더기가하나도없다. 첫문장부터바로핵심을찌른다. 어제서문이지닌이러한특성은정인지가쓴해례서문과비교해보면더욱잘드러난다. 정인지의서문은당대인이가졌던언어관내지는언어철학을제시하면서다음과같이장황하게시작한다.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所以古人因聲制字 以通萬物之情 以載三才之道 以後世不能易也 然四方風土區別 聲氣亦隨而異焉 ( 천지자연의소리가있으면반드시천지자연의글이있다. 옛사람이소리에의하여글자를지어서만물의뜻을통하고, 삼재의도를실어서뒷세상사람이바꿀수없는바이다. 그러나, 사방의풍토가따로나누어있고, 소리도또한따라서다르다.)
86 國語學第 54 輯 (2009. 4.) 예의편은훈민정음을만든취지와신문자에대한간략한소개와해설을하기위한것이고, 정인지의해례서문은이와다른목적을가진것이니문장구성과그내용에있어서차이가있음은당연하다. 문장작성의목적과취지가다르니그내용과분량의차이가있음은자연스러운것이다. 그러나글쓰기행위의산출결과물인텍스트자체를문장구성과글쓰기행위의관점에서분석해보면, 어제서문과정인지서문의차이는명백하다. 전자는단도직입적으로새문자창제의배경과목적을간단명료히서술하였다. 그러나후자는소리와문자에담긴삼재의원리와, 풍토에따라나뉘는소리의본성을천명하면서글을시작하였다. 전자는 간이요 ( 簡而要 ) 이고, 후자는 번이연 ( 繁而衍 ) 의속성을가진것이라하겠다. 예의편의첫번째구성소는 (1) 항에속하는 초성자의자형과음가 를기술한것이다. 초성자의자형과음가를예시할때, 그순서를 아설순치후반설반치 라는오음류혹은칠음류순으로하였다. 각음류는청탁의관점에서다시전청 ( 무성음 ), 차청 ( 유기음 ), 불청불탁 ( 유성음 ) 의순서로배열되어있다. 이순서에입각하여아음의경우ㄱ, ㅋ, ㆁ의순서가되고, 설음의경우ㄷ, ㅌ, ㄴ의순서가된것이다. 치음에는유성음이없기때문에ㅈ, ㅊ, ㅅ의순서로되어있다. 만약청탁의순서를채용하지아니하고, 기본자와가획자라는순서를채용했다면그순서는기본자, 1차가획자, 2차가획자로되었을것이다. 즉ㄱ, ㅋ, ㆁ의순서가아니라ㆁ, ㄱ, ㅋ순서가되었을것이다. 기본자와가획자를배열기준으로삼지않은것은성운학의분류체계를수용한결과이다. 성운학의자모배열은아설순치후라는오음을앞세우고이를다시전청, 차청, 전탁, 불청불탁의순서로나누는체계를갖고있다. 초성자배열순서는바로이성운학의자모분류체계를취한것이다. 그러나예의편의두번째구성소인 (2) 항 중성자의자형과음가 의예시에서는그배열순서가제자순서로되어있다. 즉기본자ㆍ, ㅡ, ㅣ를앞세우고, 이어서초출자ㅗ, ㅏ, ㅜ, ㅓ를놓고, 끝에재출자ㅑ, ㅕ, ㅛ, ㅠ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87 를두었다. 예의편의세번째구성소인 (3) 항의 종성자규정 에서는자형과음가의제시는모두생략하고, 다만 종성부용초성 이라는한마디로끝냈다. 참으로간략하고명쾌하다. 간략히요점만제시한방식이정인지서문에서지적한 簡而要 라는표현그대로다. 예의의네번째구성소는 (4) 항 글자의운용법규정 이다. 여기에속해있는다섯가지서법 ( 書法 ) 의배열순서도깊이음미해볼필요가있다. 1연서법 ( 순경음 ), 2합용법 ( 초성및종성의병서 ), 3부서법 ( 중성 )( 附書法 ), 4성음법 ( 成音法 ), 5방점법이차례로배열되어있다. 1은ㅸ과같은순경음제자법을규정한것이다. 2는ㅺ, ㅄ, 등초성과종성에쓰이는병서제자법을규정한것이다. 3은초성과중성을합하여쓸때중성을놓는위치를규정한것이다. 4는초성, 중성, 종성을합쳐서음절을구성하는법을규정한것이다. 5는음절위에얹히는성조의표기법을규정한것이다. 12는묶어서제자대상에들어가지않은병서자 ( 두개문자를합친글자 ) 를규정한것이고, 34는초성과중성그리고초중종성을합쳐음절을이룬다는규정이다. 5는음절위에얹히는성조즉초분절음소를규정한것이다. 이러한배열순서는음운론적단위와그것의확대적전개라는점에서매우합리적이다. 이러한합리적배열과간명한서술이어제서문의구성을견고하게만들었다. 세종이가진문장구성의치밀함과정연함을여기서도확인할수있다. 3.2.1. 해례편의전체구조텍스트의외형적형식을기준으로보면해례편전체가하나의단위이지만, 내용적기준으로보면해례편은 해례 와 정인지서문 이라는두단위로나누어진다. 외형적측면에서해례편전체를한단위로보는근거는판심제 正音解例 가정인지서문을포함한해례편전체에서일관
88 國語學第 54 輯 (2009. 4.) 되어있고, 정인지서문도해례편본문이끝난다음행에붙어이어져있다는점이다. 그러나내용적측면에서정인지서문은그앞의해례와명백하게구별되는문장텍스트이다. 따라서해례편은해례와정인지서문이라는두개의하위텍스트로구성되어있다고간주한다. 한편해례는다섯개의 解 와한개의 例 로구성되어있다. 이것을흔히 5해1례 ( 五解一例 ) 라부른다. 제자해 ( 制字解 ), 초성해 ( 初聲解 ), 중성해 ( 中聲解 ), 종성해 ( 終聲解 ), 합자해 ( 合字解 ) 가五解이고, 용자례 ( 用字例 ) 가一例이다. 해 ( 解 ) 는해설을뜻하고, 예 ( 例 ) 는문자그대로예를보인다는뜻이다. 각 해 의말미에그내용을시 ( 詩 ) 형식으로압축표현한 결 ( 訣 ) 을붙였다. 이시를본고에서는 결시 ( 訣詩 ) 라칭한다. 이결시는 훈민정음 을통해신문자를배우는사람들이그내용과원리를외워낭송하기에알맞도록운문으로요약한것이다. 당시의지식인층에서가장일상적으로행해지던문자활동이詩를짓거나읽는것이기때문에결시의형식을취한것이다. 해례편전체의구성을그분량까지계산하여표시하면다음과같다. 18) 1. 해례 (4368자) 19) 1) 제자해 (2320자) : 제목 (3자)+ 본문 (1713자)+ 결 (604자) 2) 초성해 (169자) : 제목 (3자)+ 본문 (108자)+ 결 (58자) 3) 중성해 (283자) : 제목 (3자)+ 본문 (222자)+ 결 (58자) 4) 종성해 (487자) : 제목 (3자)+ 본문 (342자)+ 결 (142자) 5) 합자해 (678자) : 제목 (3자)+ 본문 (533자)+ 결 (142자) 6) 용자례 (431자) : 제목 (3자)+ 본문 (428자)+ 결 (0자) 2. 정인지서문 (558자) 해례편의전체분량은해례 4,368자와정인지서문 558자, 그리고권두서명 訓民正音解例 의 6자를합쳐서모두 4,932 자이다. 해례의구성내 18) 아래에서본문의글자수는각해의제목 ( 制字解 등 ) 글자와본문글자를합친것이고, 결 ( 訣 ) 의글자수는 訣曰 과詩의글자수를합친것이다. 19) 이는 訓民正音解例 라는권두서명 6 자를포함한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89 용중제자해의분량은 2,320자로서가장많고초성해가 169자로가장적다. 특히제자해의분량은여타의것보다몇배로많아압도적위상을점하고있다. 그이유는제자해에서초성, 중성, 종성의제자원리를모두설명하고있기때문이다. 분량을기준으로한내용의크기순서는 제자해 > 합자해 > 종성해 > 용자례 > 중성해 > 초성해 가된다. 용자례에결시 ( 訣詩 ) 가없는것은그내용이글자예만보인것이고, 글자의원리를해설한것이아니어서굳이시를붙일필요가없었기때문이다. 문장분량을수치화하여해례편의전체구성을나무그림및분량비율그림으로보이면다음과같다. 앞절에서본예의편 406자와해례편 4,932자를합치면 훈민정음 은도합 5,338자로이루어져있음을알수있다. 지금까지훈민정음에대한연구가많이이루어졌지만, 이책에실린전체글자수와각편의내용을이루는구성요소의글자수를고려하여 훈민정음 의텍스트가어떤구조로되어있는지를분석하거나, 이것을나무그림으로표
90 國語學第 54 輯 (2009. 4.) 현하여계층적구조를이해할수있도록한연구는찾기어렵다. 위에제시한구성내용분석및나무그림을통하여우리는예의편과해례편의전체구조를체계적으로파악할수있게되었다. 이구조는 훈민정음 해례본전체의구성요소가어떻게상호결합하고있으며, 구성요소의결합으로생성되는텍스트의응집성을포착하는데도움이될것이다. 예의편과구조와해례편의구조를통합하여그림으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3.2.2. 제자해의구조이어서해례에속한 5해1례의각각을분석하여텍스트의구조와논리적연결관계를밝혀보기로한다. 5해 1례로구성된해례의첫머리에놓인것이제자해이다. 제자해의내용은해례에서가장중심되는자리를차지한다. 제자해의분량은총 2,320자로서다른解에비해압도적으로많다. 한옥으로본다면제자해는이텍스트의주춧돌과같다. 이텍스트전체를한옥건물이라한다면, 어제서문은대들보이고, 제자해는주춧돌, 초성해등 4해는건물네변의큰기둥이된다. 1례인용자례는새문자가뛰노는마루가되고, 정인지서문은건물완공후에건립경위를현판에새겨걸어둔기문 ( 記文 ) 에해당한다. 제자해의내용을의미단락을기준으로분석하여각단락의순서, 주제, 분량, 연결관계를분석하여도표로나타내보면다음과같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91 단락 단락시작 끝 글자수 단락주제 단락의성격 제1단락天地之道 天地鬼神其用훈민정음이갖춘철학적제자해의도입 98자 ( 서언 ) 也원리 ( 음양오행 ) 단락 제2단락正音二十八字 脣乍合而초성 17자의제자원리와 659자 ( 초성 ) 喉聲多也. 음양오행의이치 본론주단락 2-1 初聲凡十七字 無加畫之義焉 116자초성의상형과가획원리 2의도입단락 2-2 夫人之有聲 自有陰陽五초성에내재된음양오행의 262자行方位之數也원리 2의종속단락 2-3 又以聲音淸濁而言之 爲其不淸不濁 46자 청탁에의한초성분류 2의종속단락 2-4 ㄴㅁㅇ其聲最不厲 故亦불청불탁자ㄴㅁㅇ를 45자爲制字之始. 기본자로삼은이유 : 最不厲 2의종속단락 아음ㆁ을기본자로삼지않은 2-5 唯牙之 ᅌ 皆取象於牙也 103 자 2-4 의종속단락이유 : 아음과후음의상통 2-6 全淸並書則爲全濁 故凝전청자가응겨전탁자가 50자而爲全濁也되는이치 2의종속단락 2-7 ㅇ連書脣音之下 脣乍合而喉聲多也. 24자 순경음자와그음가 2의종속단락 제3단락中聲凡十一字 而其財成중성 11자의제자원리와 847자 ( 중성 ) 輔相則必賴乎人음양, 삼재, 易數의이치 본론주단락 3-1 中聲凡十一字 象乎人也. 65자 중성의기본자의음가와삼재상형 3의도입단락 3-2 此下八聲 三才之道備矣 303 자 중성초출자와재출자의제자원리 ( 合而成 ) 및삼재, 음양의이치 3의종속단락 3-3 然三才爲萬物之先 陰陽중성 11자의음양오행과 213자五行方位之數也. 역수의이치 3의종속단락 3-4 以初聲對中聲而言之 而초중종성의음양삼재론의 266자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특성과상호연관성 3의종속단락 제4단락終聲之復用初聲者 終聲종성은초성을다시쓰는 75자 ( 종성 ) 之復爲初. 亦此義也음양및삼재론의이치 본론주단락 제5단락吁正音作而 而假手焉만물의이치가구비된제자해의종결 29자 ( 결언 ) 者乎신묘함단락 요약시문訣曰天地之化本一氣 제자해전체내용을시로산문을운문화 604자 ( 訣詩 ) 天授何曾智巧爲. 압축함한특수단락 < 표 1> 내용분석을통해서본제자해단락구조
92 國語學第 54 輯 (2009. 4.) 문장형식으로볼때제자해는크게산문부분과운문부분으로되어있다. 운문부분은선행산문부분의내용을요약압축하여시로표현한것이다. 이하의여러解에서도이런구성은동일하다. 필자는운문부즉결시는그내용의포괄성과형식적특수성을고려하여, 각각의해에소속된특수단락으로간주하고단락순서를부여하는번호에서제외했다. 제1단락은훈민정음의문자체계와성음이천지만물에작용하는음양, 오행, 삼재의원리를벗어날수없음을천명하고, 성음의이치를문자꼴에구현했음을강조하였다. 이는당시의성리학적사상에입각한세계관을성음과문자에그대로적용한것이다. 이단락은곧문자와성음에관한철학적표명이며, 제자해전체의서언기능을한다. 제2단락은초성 17자의제자원리와그속에담긴음양오행의이치를설명한것이다. 제2단락은다시하위의일곱개단락으로짜여있다. 2-1단락은초성제자의근본원리가발음기관의상형및가획에있음을밝힌것이고, 2-2는초성자에내재된음양오행의원리를설명한것이다. 2-3에서청탁을기준으로초성자를분류하였다. 2-4는불청불탁자ㄴㅁㅇ을기본자 ( 제자의시작글자 ) 로삼은까닭을밝힌것인데, 이소리들이 最不厲 ( 가장소리가세지않은 ) 하기때문이라하였다. 2-5는 2-4의종속단락으로서아음의경우기본자를ㆁ으로잡지않고ㄱ으로삼은이유를중국운서음 ( 韻書音 ) 과관련지어설명하였다. 2-6은전청자의음가가응기면전탁자의음이됨을설명하였다. 2-7은초성 17자중가장특이한자인ㅸ의제자방법과그음가를설명한것이다. 제2단락의흐름은초성의제자에관한큰주제부터시작하여세부적인항목에이르기까지빈틈없이이어져있다. 여기서우리는초성 17자에대한해설문인제자해의구조가매우치밀하고견고한것임을재확인할수있다. 특히 2-5는선행단락의보조단락으로서기본자설정에서예외적인존재인아음자에관해추가설명한것이다. 제3단락은중성 11자의음성학적제자원리와음양론, 삼재론, 주역의역수론 ( 易數論 ) 등동양철학적이치를문자체계와결합하여설명한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93 것이다. 3단락은다시네개의하위단락을가지는데기본자, 초출자, 재출자의순서로 3-1과 3-2 단락을전개하였다. 3-3은중성 11자에담긴음양오행과역수의이치를상당히길게설명한것이다. 중성에관한설명은언어학적내용보다역학적내용이훨씬많은점이특징적이다. 특히중성체계를역수및음양오행과연관지어설명하는데상당히노력했음을위도표에제시한하위단락의글자분량에서알수있다. 제3단락에서문제가되는것은 3-4단락이다. 3-4는초성에대해서중성의위상을, 그리고초성 중성에대해종성이가지는위상을천지인 ( 天地人 ) 삼재의상관성과음양론의관점에서설명하였다. 그런데여기서의문제점은초성과중성의상관성을설명하면서종성에대한것도포함시켰다는사실이다. 종성에대한본격적해설은다음단락인제 4단락에나온다. 즉 종성부용초성 에관한설명이제4단락에나오는데이에앞서중성에서종성에대해언급한것이다. 아직등장하지않은내용을앞단락에서미리다룬셈이다. 이것은초성 중성 종성이가지는상호관련성으로보면어쩔수없는점이기는하다. 그러나필자가보기에 3-4단락은제4단락즉종성항뒤에놓이는것이문장구성상더적합하다고판단한다. 제4단락즉종성에대한해설단락은그내용이가지는위상으로보아본론의주단락이다. 그런데종성은따로제자하지않고초성을다시쓰게하는것으로간략히처리했기때문에자형과제자원리에대한해설을붙일필요가없게되었다. 그리하여이단락은주단락이면서도그분량이매우적어불과 75자에지나지않는다. 이단락의내용은초성을다시종성에쓴다는규정과그것의이론적정합성을동양철학적관점에서설명한것이다. 이단락이갖는위상으로보아제4단락으로설정했지만, 이단락은초성과중성의관계를중점적으로설명한 3-4단락에껴붙어있는느낌을준다. 그분량이적고소략하게처리되어있기때문이다. 제5단락은결언즉마무리말에해당하는특수단락이다. 훈민정음을지음에천지만물의이치를두루갖추니이는하늘이세종의마음을열
94 國語學第 54 輯 (2009. 4.) 고그손을빌려이루어낸것임을천명하였다. 이어서전체내용을압축요약한시문즉결시가나온다. 이결시는학습자가구송 ( 口誦 ) 을통해제자해내용을익힐수있도록배려한조치이다. 시문창작과구송은당시지식인의일상생활이었으며, 어떤내용을암송하는데가장효과적수단이었기에이런형식을취한것이다. 위도표에나타난단락의위계관계와그분량을고려하여단락간의상관성을계층구조의나무그림으로표현하면다음과같다. 이그림은제자해의구조를일목요연하게이해하는데쓸모가있을것이다. 3.2.3. 초성해의구조 초성해의구조를내용과형식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도표로요약된다. 단락단락시작 끝글자수단락주제단락의성격正音初聲 半舌半齒之초성자의정의와쓰이는제1단락 108자주단락閭穰. 皆倣此. 위치예시 1-1 正音初聲 故曰母.. 20자초성자의정의 1의요소문如牙音君字初聲是ㄱ 아음자ㄱㅋㄲㆁ가쓰이는 1-2 53자而爲업之類위치와해당한자음예시 1의요소문설음, 순음, 치음, 후음글자 1-3 舌之斗呑覃那 皆倣此 35자도아음의방식과비슷함 1의요소문訣曰君快虯業其聲牙산문을운문화요약시문 58자초성해내용을압축한시 萬聲生生皆自此한특수단락 < 표 2> 내용분석을통해서본초성해단락구조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95 제목 初聲解 석자를포함하면초성해의분량은 169자이다. 다섯개의解중그분량이가장적다. 분량이적고내용이비교적단순하여초성해의산문부분전체를한단락으로처리해둔다. 다만그내용전개를세분화해보면일정한구별이있으므로위도표와같이 요소문 을세개로나눌수있다. 위표에보인 1-1, 1-2, 1-3이그것이다. 1-1은성운학적관점에서초성자의정의를밝혔고, 1-2는아음자네개가중 종성과결합하는예시를보였고, 1-3은나머지네개음류를아음자처럼일일이설명하지않고, 모두뭉뚱그려아음자와같은방식임을언급함으로써간략히처리하였다. 이셋을좀더자세히풀이하고설명하는문장을덧붙였다면각각독립된단락이될수도있었을것이다. 그러나해례편찬자들은번쇄한설명을줄이고잔가지를깨끗이쳐내어버렸다. 이글은마치주요줄기만남겨둔겨울철포도나무같은느낌을준다. 위도표의단락구조를나무그림으로표현하여계층구조를보이면다음과같다. 3.2.4 중성해의구조 중성해의구조를내용과형식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도표로요약된다.
96 國語學第 54 輯 (2009. 4.) 단락 단락시작 끝 글자수 단락주제 단락의성격 中聲字居字韻之中 洪覃중성자의정의와기본자의쓰제1단락 73 君業欲穰戌彆. 皆倣此임 주단락 二字合用者 故相合而不두글자합용자를만드는원제2단락 69 悖也. 리 주단락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ㅣ상합자를만드는원리와ㅣ제3단락 80 開物而無所不通也의의미 주단락 訣曰母子之音各有中 於산문을운문화요약시문 58 초성해내용을압축한시十四聲徧相隨한특수단락 < 표 3> 내용분석을통해서본중성해단락구조 제목 中聲解 석자를포함하면중성해의분량은 283자이다. 앞에서본초성해와달리 < 표3> 에서보듯이중성해의산문부분은세개의단락으로구성되어있다. 중성해제1단락은 < 표2> 초성해의제1단락에대응한다. 제1단락은중성자의정의와기본자가쓰인예시를보인것이다. 제2단락은기본자로부터초출합용자및재출합용자를만드는방법을설명하였다. 제3단락은ㅣ상합자를만드는방법과여기에쓰인ㅣ의의미를설명하였다. 설명의순서가매우합리적이고조직적임을한눈에알수있다. 특히제3단락의말미에는ㅣ상합자에서ㅣ가가진음성적특성 [ 舌展聲淺而便於開口 ] 과삼재의 人 에대응하는ㅣ의역할이서로상통함을밝혔다. 중성자ㅣ의음성적특성과삼재론에서갖는ㅣ의지위를서로결합시켜ㅣ상합자에내포된철학적의미를밝혀놓았다. 개별성음과이에대응하는문자를당대의지식인들이가진세계관에비추어이해하려한인식틀이여기에드러나있다. 위도표의단락구조를나무그림으로표현하여계층구조를보이면다음과같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97 3.2.5 종성해의구조 종성해의구조를내용과형식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도표로요약된다. 단락 단락시작 끝 글자수 단락주제 단락의성격 終聲者承初中而成字韻 舌제1단락脣齒喉皆同 45자 종성자의정의와그예시 주단락 聲有緩急之殊 而餘皆爲入소리의완급에따른종성자제2단락 86자聲之終也의성조분포 주단락 然ㄱᅌ 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제3단락用也 ㄹ如諺語실爲絲之類. 94자 팔종성규정과그용례 주단락 제4단락五音之緩急 亦猶是也. 62자 완급에따른종성자의짝 주단락 제5단락且半舌之ㄹ 不爲入也. 55자 종성ㄹ을한자음에쓰지못함 주단락 訣曰不淸不濁用於終 斗輕산문을운문화요약시문 142자종성해내용을압축한시爲閭俗是習한특수단락 < 표 4> 내용분석을통해서본종성해단락구조 종성해의본문은 342자이고요약시문은 142자이다. 여기에제목석자를합치면종성해전체분량은 487자가된다. 종성해는다섯개의단락과요약시문으로이루어져있다. 제1단락은종성자의정의와아음자ㄱ, ㆁ이종성에쓰인예를보이고나머지음류도이와같이씀을규정했다. 제2단락은소리에완급이있음을밝히고종성자에쓰이는사성을설명하였다. 제3단락에는팔종성규정과그예시를보이고, 후음ㅇ자를종성에쓰지않는다고하였다. 제4단락은완급에따른종성자의짝을나열한것이고, 제5단락은한자음종성에ㄹ을쓰면입성을이루지못하므로ㄹ을쓰지말도록규정한것이다. 이다섯단락은종성에관
98 國語學第 54 輯 (2009. 4.) 한주요사항을일반적사항부터특수사항으로나아가며하나씩순차적으로서술한것이다. 이러한순서는글쓰기의일반적원리에부합되는것이다. 위도표의단락구조를나무그림으로표현하여계층구조를보이면다음과같다. 3.2.6 합자해의구조 합자해의구조를내용과형식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도표로요약된다. 단락 단락시작 끝 글자수 주제 단락의성격 初中終三聲合而成字 業제1단락 115자초중종성을합쳐成字하는방법字ㅂ在 下之類및예시 주단락 初聲二字三字合用並書초중종성각각의 2자및 3자제2단락 124자 初中終三聲皆同합용법및예시 주단락 文與諺雜用則 如孔子ㅣ한자와언문을섞어쓰는방법제3단락 27자魯ㅅ : 사 之類. 및예시 주단락 제4단락諺語平上去入 萬物閉藏. 161 자 국어의사성과방점법및국어입성의특징및사성의성질주단락 初聲之ㆆ與ㅇ相似. 於諺可초성으로서의ㆆ과ㅇ은국어제5단락 15자以通用也.. 표기에통용됨 주단락 半舌有輕重二音 舌乍附국어의반설경음 ᄛ을쓰는제6단락 50자上齶. 방법과그음가 주단락 제7단락ㆍㅡ起ㅣ聲 與他不同 41자 아동어와방언에존재하는 ᆜ와 ᆝ를쓰는방법 주단락 訣曰初聲在中聲左上 산문을운문화요약시문 142자합자해내용을압축한시大東千古開朦矓한특수단락 < 표 5> 내용분석을통해서본합자해단락구조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99 합자해의전체분량은위표에표시된글자수합계 675자에제목석자를더하여모두 678자이다. 합자해는다른解에비해단락수가많은편이다. 하나하나구체적으로설명해야할항목이그만큼많기때문이다. 제1단락은초성, 중성, 종성을합쳐서글자를만드는가장기본적항목을설명한것이다. 각글자가놓이는위치에초점을두고예를보이며설명하였다. 제2단락은초중종성의합용법을설명한것이다. 1단락과 2단락은그내부에다시초성, 중성, 종성을나누어서술하였으므로더세분하여작은하위단락을세울수도있다. 제3단락은분량이매우적지만내용상독립된단락을이룬다. 제4단락은서술내용도많고단락내부의서술순서가복잡하다. 제4단락을세분하여하위단락을세워보면다음과같다. 제4단락의하위단락 4-1 : 諺語平上去入 其聲入之類 (37자) 국어의사성과그예 4-2 : 凡字之左加一點爲去聲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20자) 방점법세가지 4-3 : 而文之入聲 其加點則與平上去同 (60자) 중국어의입성과국어입성의차이 4-4 : 平聲安而和 萬物閉藏 (44자) 사성의음성적특징과사계의상관성합 161자 제4단락의내용전개순서로볼때 4-2를앞세워단락서두로삼고 4-1, 4-3, 4-4의순서로두는것이적합한것이아닌가생각된다. 방점법일반에대한설명인 4-2를언급한뒤에국어의사성과그예를설명하는것이낫지않을까한다. 그런데예의편말미에서방점법을이미언급했기때문에 4-2를뒤에놓은것이특별한문제가되지않는다고볼수있다. 그러나제4단락하나만놓고볼때이단락의서술순서는그내용이약간뒤섞여있다는느낌을준다. 위도표의단락구조를나무그림으로표현하여계층구조를보이면다음과같다.
100 國語學第 54 輯 (2009. 4.) 3.2.7 용자례의구조 용자례의구조를내용과형식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도표로요약된다. 단락 단락시작 끝 글자수 단락주제 단락의성격 初聲ㄱ如 : 감爲柹 ᅀ 초성용례를아설순치후음, 반설음, 제1단락 162자如아 爲弟 : 너 爲鴇반치음의순서로두낱말씩제시 주단락 제2단락中聲ㆍ如 爲頤. 192자 중성용례를기본자, 초출자, 재출자의순서로두낱말씩제시 주단락 제3단락終聲ㄱ如닥爲楮 74자 종성용례를아설순치음, 반설음의순서로두낱말씩제시 주단락 < 표 6> 내용분석을통해서본용자례의단락구조 용자례의전체분량은위표에표시된글자수합계 428자에제목석자를더하여모두 431자이다. 용자례에서언급된각글자는모두두개의낱말을용례로제시하였다. 중성자용례제시에서ㆇ등 2자합용자및ㅟ등ㅣ상합자가쓰인예는포함되지않았다. 종성자용례에서는팔종성에해당하는글자들만아설순치음및반설음순서로제시하였다. 용자례의구조에서가장특징적인것은요약시문이없다는점이다. 용자례가제자의원리나방법등이론에관해해설하는것이아니고단순한용례의제시에그치는것이기때문에굳이요약시문을둘필요가없다고판단한것이다. 위도표의단락구조를나무그림으로표현하여계층구조를보이면다음과같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101 3.2.8 정인지서문의구조 정인지서문의구조를내용과형식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표로요약된다. 단락 단락시작 끝 글자수 단락주제 단락의성격 有天地自然之聲 以소리와문자자연성과문자에기승전결의제1단락 ( 起 ) 43자後世不能易也담긴만물의이치기단락 然四方風土區別 則풍토에따른성음의차이로인해기승전결의제2단락 ( 承 ) 154자不能達其萬一焉문자가없는나라가겪은어려움전단락 2-1 문자가없는언어에서한자를然四方風土區別 不제2단락의 65자빌려쓰는데따른어려움과可强之使同也종속단락부자연스러움 2-2 吾東方禮樂文章 則설총이한자를빌려만든이두와제2단락의 89자不能達其萬一焉그것의한계종속단락 癸亥冬 則非臣等之신문자의창제와여기에담긴기승전결의제3단락 ( 轉 ) 246자所能發揮也정묘한이치전단락 3-1 癸亥冬 皆可得而書계해년에이룩한전하의신문자 145자矣창제와그것의우수성 3-2 어명을받아최항등이해례를遂命詳加解釋 則非 101자지었으나그정묘한이치는臣等之所能發揮也신하들이발휘한것이아님 恭惟我殿下 盖有待세종의위대함과큰지혜를제4단락 ( 結 ) 72자於今日也歟찬탄함 正統十一年九月上澣 제5단락 臣鄭麟趾拜手稽手 43자 서문을지은때와지은이 謹書 < 표 7> 내용분석을통해서본정인지서문의단락구조 제 3 단락의종속단락 제 3 단락의종속단락 기승전결의결단락 본문밖의특수단락 정인지서문의전체분량은 558자이다. 이서문은내용구성으로보아기승전결의사단구성으로봄이가장적합하다. 필자는정인지서문을
102 國語學第 54 輯 (2009. 4.) 삼단구성으로나누어보기도하고, 혹은 7개단락의평면적구성으로분석해보기도했다. 그러나정인지서문의구성을사단구성으로보는것이내용흐름을묶어내는데가장적합한것이라고최종결론을내렸다. 그결과가위의도표와같은단락구성으로설정된것이다. 20) 정인지서문을사단구성으로본것은, 예의편의어제서문을내용적측면에서사단구성으로봄이더적절하다고판단한점과상관성을가진다. 훈민정음 을텍스트언어학적관점에서분석한신지연 (2000) 은어제서문과정인지서문이갖는구조적대응관계를텍스트언어학의용어를써서 상호텍스트성 이라하였다. 이용어는 텍스트상호간의구조적대응관계 로풀어서말하면이해하기쉽다. 그런데어제서문과정인지서문의구조적대응관계를기승전결사단구성으로파악할수있으나명제간의대응관계는순차적이지못하고일정치않다. 그까닭은정인지의서문은 훈민정음 이라는책의편찬전반에걸쳐설명한일반적서문이고, 예의편의어제서문은 훈민정음 이라는책의서문이아니라문자창제에대한임금의뜻을밝힌서문이기때문이다. 따라서이두서문의대응관계를평면적으로견주어보는것은적절치않다. 21) 정인지서문은당대의대문장가글답게글의흐름이논리적이면서도자연스럽다. 특히제4단락에서베푼세종대왕의자질과능력에대한칭송은그진실한깊이와감동을갖추고있어서이글을읽는현대인들의감정을격발시킴이있다. 필자는특히 正音之作無所祖述而成於自然豈以其至理之無所不在而非人爲之私也 ( 정음을지음에서는앞서베푼바가없는것을자연의경지에서이루셨다. 그지극한이치가갖추어지지아니한바가없으니이는인위의사사로움이아니로다 ) 라는구절과 而開物成務之大智盖有待於今日也歟 ( 사물을열어일을이룬큰지혜는대개오늘을기다려있게된것이로다 ) 라는구절에깊이끌리는바가 20) 신지연 (2000) 은정인지서문을 7 개단락의평면적구성으로분석하였다. 21) 이부분은심사위원의의견을반영한것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103 있다. 이부분을읽을때마다정인지의절실한문장속에서묻어나오는세종에대한공경심과정성스러움이느껴진다. 그리고이문장에서느껴지는진정성이필자의마음에와닿으면서깊은공감과함께감동의마음으로스스로무릎을치게된다. 백성을위해새문자를만들겠다는세종대왕의간절한마음이하늘에통하여이렇게뛰어난문자를만들어낼수있었던것으로생각된다. 정인지서문의구조를나무그림으로그려보면다음과같다. 4. 끝으로이텍스트를지은과정과지은이에대해고찰해보기로한다. 22) 훈민정음 에서예의편은세종이지은것이다. 해례편에서정인지서문을지은이는정인지이다. 해례편의나머지즉 5해1례는누가집필한것일까? 정인지서문에는세종의명을받아상세한해석을가하고해례를지은사람의명단이다음과같이나와있다. 22) 이논문을심사하신어느분께서이 4 장은 아무런근거제시없이현대적관점에서의막연한추정만으로일관하고있는데 라고지적하였다. 필자가앞의 3 장까지의흐름과다른관점에서 4 장을이논문에굳이포함시킨취지는 훈민정음 이라는텍스트의생산과정과그주체에대해가능한부분까지 추정 해보자는데있다. 해례본편찬과정에대한자료가전혀없기때문에, 필자는해례본에기술된사실에바탕을두고, 해례의공동집필이라는과업을수행하는데현실적으로가능한작업과정을고려했을뿐이다. 필자가공동작업과정의 개연성 ( 蓋然性 ) 이라는관점에서추정했지만, 이추정이터무니없는것은아니라고본다. 이런논의를통해앞으로의가능성을열어갈수있으리라생각한다.
104 國語學第 54 輯 (2009. 4.) 臣與集賢殿應敎臣崔恒副校理臣朴彭年臣申叔舟修撰臣成三問敦寧府注薄臣姜希顔行集賢殿副修撰臣李豈臣李善老 첫머리의 臣與 에서 臣 은정인지자신이다.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가해례의찬술에참여한것으로명기되어있다. 집현전의수십명학자중에서세종이이여덟사람을직접선발했는지정인지에게위촉했는지는알수없으나전자였을가능성이더높다고본다. 훈민정음창제가세종개인에의존하여이루어진것이기때문에해례의집필자선정에도세종자신이직접관여했을듯하다. 해례집필자로위의여덟사람이선정된후, 본격적집필작업에들어가기전에세종대왕은특별한모임을열었을것이다. 위여덟사람을한자리에모아두고, 자신이만든새문자창제의취지부터시작하여제자원리와방법은물론그속에담긴성리학적이론등에대해강론하였을것이다. 요즘말로하면해례집필을위한세미나에해당되는모임을가졌을것이다. 새문자에관한이해도를충분히달성하기위해, 세종은이런모임을한번에그치지않고여러번열었을가능성이있다. 세종이주관한세미나가끝난후여덟명의학자들은다시토론과숙의를거듭하여해례편전체의구성과체제를결정했을것이다. 즉목차를만들었을것이다. 그다음에각解와例에포함시켜야할내용과세부항목에대해토론하고그것을정했을것이다. 그리하여 5해1례라는체제와각解와例와들어갈항목이결정되었을것이다. 23) 이어서이것을공동집필할것인지분담집필할것인지를논의했을것이다. 작업의편의상아무래도최초초안작성은개인별분담집필이라는방법을취했을가능성이있다. 23) 이부분은다르게추정해볼수도있다. 5 해 1 례체제를세종자신이구상한후집필자들에게넘겨주었을가능성도있기때문이다. 해례의찬술과정에대한어떤기록도없기때문에우리는다양한가능성을모색해볼수밖에없다.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105 그런데 5해의각해말미에붙은시문 [ 訣詩 ] 은앞서해설한산문내용을압축한것이기때문에 5해1례의해설문이완성된후에지어졌을것으로봄이온당하다. 위여덟사람의참여자중시문에가장능하여당시에명망이있었던자는강희안이다. 이점으로보아결시를지은사람은강희안일가능성이매우높다. 정인지가서문을짓고강희안이결시를지었다면남은사람은여섯명이다. 이여섯사람과 5해1례의여섯편은공교롭게도그수가일치한다. 여섯사람이각각하나를맡아초고를작성하고그초고를다시공동토론하여수정하는방법으로작업이진행되었을가능성도있다. 그러나이추정도여기서그칠수밖에없다. 5해1례중가장분량이많고핵심적내용을모두담고있는것은글머리에놓인제자해이다. 이제자해초고를누가집필했는지전혀알수없다. 제자해이든다른해이든어느한사람이그초고를지었다하더라도최종결과물은이여덟사람의합작품이라봄이옳을것이다. 정인지를우두머리로한여덟사람들은공동토론을통한합의를거쳐해례편을완성했을것이다. 완성된원고는다시세종대왕에게제출되어검토를받았을것이다. 창제자의의도와다르거나잘못된설명은세종의지시에따라수정되었을것이다. 세종대왕은세계문자사에그유례를찾기어려운훈민정음을창제하였고, 이여덟사람들은합심하여대단히짜임새있는구조로그해설서를만들어냈던것이다. 필자가이글에서분석한 훈민정음 의구조는이분들이행했던작업과정을그편린이나마더듬어보려한것이다. 참고문헌 강신항 (1990), 訓民正音硏究, 성균관대출판부. 고영근 (1999), 텍스트이론- 언어문학통합론의이론과실제, 아르케, 대우학술총서 448.
106 國語學第 54 輯 (2009. 4.) 고영근박금자고성환윤석민 (2003), 월인천강지곡의텍스트분석, 텍스트언어학총서 5, 집문당. 권재선 (1971), 훈민정음의문장분석에의한정음독자적인체계의구명, 嶺南大大學院碩士論文. 권재선 (1995), 훈민정음해석연구, 우골탑. 김슬옹 (2007), 훈민정음영인본과연구문헌목록구성, 한글 278호 ( 겨울호 ), 한글학회, 139-224. 김완진 (1983), 訓民正音제자원리에대한새고찰, 김철준박사화갑기념, 사학논총, 지식산업사. 김주원 (2005), 훈민정음해례본의뒷면글내용과그에관련된몇문제, 국어학 45, 국어학회, 177-212. 박병채 (1976), 訓民正音, 박영사. 박지홍 (1986), 원본훈민정음의짜임연구 : 예의와꼬리말의내용견줌, 석당논총 12호, 동아대학교, 141-156. 박창원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신지연 (2000), 훈민정음의두서문의텍스트성, 언어 25-3, 한국언어학회, 367-382. 신창순 (1990), 훈민정음연구문헌목록, 정신문화연구 38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13-230. 안병희 (1997), 훈민정음해례본과그複製에대하여, 진단학보, 84, 진단학회, 191-202. 안병희 (2002), 훈민정음 ( 해례본 ) 삼제, 진단학보 93호, 진단학회, 173-197. 안병희 (2004), 세종의훈민정음창제와그협찬자, 국어학 44호, 국어학회, 3-38. 안병희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원진숙, 황정현역 (1998), 글쓰기문제해결전략, 원저자 : Linda Flower, 동문선. 유창균 (1998), 훈민정음역주, 형설출판사. 이근수 (1995), 훈민정음신연구, 보고사. 이석규 (2003), 텍스트분석의실제, 도서출판역락. 이재원역 (2004), 텍스트언어학개론, 원저자 : Wolfgang Dressler, 한국문화사. 이현희 (1990), 훈민정음, 국어연구어디까지왔나, 서울대대학원국어연구회편, 동아출판사, 615-631. 정우영 (2001), 훈민정음한문본의낙장복원에대한재론, 국어국문학 129, 국어국문학회. 191-22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4), 텍스트언어학의이해, 박이정.
훈민정음 해례본의텍스트구조연구 107 [702-701 대구시북구산격동경북대학교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 전화 : 011-9561-1309 E-mail: dhpaek@knu.ac.kr 투고일자 : 2009. 2. 12. 심사일자 : 2009. 3. 31. 게재확정일자 : 2009. 4. 6.
490 國語學第 54 輯 (2009. 4.) 'Phags-pa. The Chinese model of wu-yin si-sheng shares a common feature with the Indian tradition,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fourth dental sounds and the fifth throat sounds of the Chinese model. The Koreans followed the Chinese model. The order of 'Phags-pa vowel letters appearing in the sources is identical with that of the Tibetan diacritical marks for vowels. Again there is no doubt that the creator took the Tibetan as the model. But, as is well known, he created independent letters instead of diacritical symbols. The Koreans also created independent vowel symbols like the 'Phags-pa. However, they created the basic symbol for [a] unlike the Indian tradition of consonantal letters representing inherent [a]. Key words: Hunmin-jŏng'ŭm, 'Phags-pa, traditional Chinese classification of initial consonants, Devanāgari, Tibetan An Analysis on textual structure of Hunminjeongeum [Paek, Doo-Hyeon] [ ] This study examines structural concept tree of the text, Humminjeongeum. I schematize the structure of the text by analyzing elements of the text from a small unit to a big unit, and take a quantitative approach in investigating the position of a small paragraph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at paragraph. Yeeuj part( 例義篇 ) is divided into an introduction( 序 ) and Yeeuj( 例義 ), and Yeeuj is also divided into four chapters according to
491 contents of the chapter. The contents of Yeeuj part contains essentially important material about Humminjeongeum as a writting system. As shown in diagram, they are structured very precisely. Haerye part( 解例篇 ) is divided into two small parts, Haerye( 解例 ) and Jeong InJi's preface( 鄭麟趾序文 ). And then Haerye consists of five numbers of Hae( 解 explanation) and one Rye( 例 example). This is often called, 'five Hae one Rye'. Jeong InJi's preface is the almost independent tex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Haerye. Key words: Hunminjeongeum Haeryebon, Haerye part, Yeeuj part, text, paragraph structure, concept tree, proposition, cohesive The period of the appearance of t-palatalization in Korean central dialect [Ahn, Dae-hyeon] [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eriod of the appearance of t-palatalization in Korean central dialect. Some previous studies took up the position that t-palatalization already realized in the 15~ 17th century Korean central dialect. But after linguistic and philological careful review, I found no clear and convincing evidences for existence of t-palatalization. And after calculation the percentage of t-palatalization in Oryunjeonbi-Eonhae( 伍倫全備諺解 ) published in 1721, I found that the text shows early stage of t-palatalization. Consequently,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palatalization in Korean central dialect appeared in the 18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