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리경 기
- 6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통일시대에대비하는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연구 한국행정학회
2
3 제출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통일시대에대비하는에너지정책의기본 방향연구 의보고서로제출합니다 한국행정학회 < 참여연구진 > 책임연구진 : 황영호 군산대학교교수 공동연구진 : 김이수 군산대학교연구교수 공동연구진 : 강태원 군산대학교교수
4
5 요약문 Ⅰ. 서론 o 연구의배경및목적 분단국가인남한과북한이에너지분야의협력을통해서로부족한에너지자원을공급할경우남한과북한의경제활성화에기여하고, 연착륙적남북통일의근간이됨. 이에, 단기적이아닌장기적철학과관점을기반으로통일국가를대비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을설정하는것이필수적임 이를통해, 인도적, 남북경제교류차원의일환으로서, 대북에너지정책의지침서와분야별방향, 통일을대비한남한의에너지수급과개발방향제시, 남북경협등에기여하고자함. o 연구의내용 본연구는통일시대에대비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을제시하는것임. 이를위하여본연구에서는다음과같이연구내용을설정하였음 첫째, 남북에너지협력정책에관한접근방법고찰 ( 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와필요성, 남북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 남북통일편익을둘러싼논의들, 동독에너지협력사례, 주요선행연구등 ) 둘째,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남북에너지협력정책고 - 1 -
6 찰 ( 남북한주요경제지표를비교보고, 남북한에너지의유형및현황을분석하고, 기존의주요남북에너지협력정책고찰 ) 셋째, 남북한에너지협력정책의기본방향설정 ( 정부통일정책의기본방향을살펴보고,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추진과제들에대한논의를고찰하며, 이를토대로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및정책과제등을제시 ) Ⅱ. 남북에너지정책에관한접근방법 o 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 남북한의에너지수급문제의해결, 아시아프리미엄의축소, 에너지협력을통한남북및동북아지역협력가속화, 대북에너지협력을통한북핵및미사일위기완화등한반도평화체제기여, 기후변화에대응한환경친화적에너지개발을통한남북한의지속가능발전추구등 구분에너지수급문제의해결 아시아프리미엄의축소 에너지협력을통한지역협력가속화 대북에너지지원을통한한반도평화체제기여 내용 남한과북한의에너지부족보완 수입선의다변화와공동에너지개발 동북아지역국가들로하여금보다효율적인에너지통상가능 타지역, 특히중동산유국들에대한협상력제고 동북아국가간석유, 가스네트워크및전력망을연계구축함으로써지역경제공동체심화 에너지개발및수송을기존의역내철도및물류망과연계시킴으로써활용도극대화 남북한에너지협력을통해북한에비핵에너지원의대안을제시함으로써북한핵개발을중단할명분제공 - 2 -
7 환경친화적에너지개발을통한지속가능발전추구 출처 : 이재승 (2003) 현재의에너지다소비형산업구조와대체에너지부족문제를해결해나가는데있어환경친화적방법의도입 o 남북한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 모델내용 남북한의관계를비대칭적교환관계가아닌협력적관계로파악교환모형 상호보완적혹은상호의존적에너지협력관계구축을통해남북한의상호이익증진 에너지협력과관련된공통된문제에대해남북한협상모형이서로합의를형성하고협상, 중재 협상을통해서로상충되는에너지관련이익조정 남북한이서로필요한에너지분야에공동생산참여자로서직접적으로참여공동생산모형 남북한간상호작용을통해서각각또는서로필요한에너지를공동생산 남한과북한정부의내부정책결정또는의지와대내협력과정모형외외부환경적요인들 ( 경제위기또는정치요인등 ) 의상승작용을통해과정 (process) 을중시출처 : 한표환외 (2002) 연구를기반으로재정리 o 남북한통일시나리오및통일편익논의들 알렉산더제빈과스베틀라나수슬리나 (2014) 는남북한의통일을급진및점진적인 5 가지시나리오로제시하였음. 급진적통일시나리오로는무력통일, 북한붕괴이고, 점진적통일시나리오로는현상태유지, 화해 협력, 다자국의합의를통한통일을제시하였음
8 모델내용무력통일 미국혹은미국의승인과지원하에한국에의해시나리오무력통일이일어날가능성을의미 북한자체의붕괴로서실현가능성이낮음북한붕괴 북한지도층은권력승계에대한지지, 핵미사일시나리오억지력을위해어떤비용도감수한다는태도유지 중국은북한의사회적 경제적지원유지 전쟁도평화도아닌 시나리오혹은현상태를현상태유지그대로유지시나리오 현상태유지시나리오하에서북한은핵실험을할수밖에없을것으로판단됨화해 협력 김대중, 노무현정권하에서실현되었던 화해 협시나리오력 혹은 타협 시나리오임 한국과북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등남다자국의합의북한을둘러싼국가들이통일에합의시나리오 국제사회와남북한모두에게최상의경제적이득을안겨주는통일을위한전제조건출처 : 알렉산더제빈과스베틀라나수슬리나 (2014) o 통일편익추정논의들 구분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20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시나리오 통일편익 (1 단계 ) 2014 년을기점으로북한의시장경제로체제이행시작및북한민주주의의진전 (2 단계 ) 2014 년부터북한의시장경제화와민주화를기초로점진적인남북한경제통합 (3 단계 ) 평화적인남북통합과통일등 남한 남한은통합의효과로인해연평균경제성장 1 단계 (2016~35 년 ) 독립적인상태를유지. 체제통합의초석마련 2 단계 (2036~55 년 ): 남북간자유로운인구이동을통하여점진적으로경제통합을달성 남북한경제통합시 2016~30 년동안 - 4 -
9 북한 통일한국 률이 0.7~0.8% 증가 2050 년남한의일인당 GDP 는 94,307 달러 2014~2050 년북한의연평균경제성장률은 10~16% 수준으로서북한의일인당 GDP 는 64,019 달러수준 일인당 GDP 는 83,808 달러수준 남한은 1%p 증가 2016~30 년동안북한은 GDP 성장률이연평균 16%p 증가 일인당 GDP 가 8.7 조달러수준 o 사례분석 : 동서독의주요에너지협력사례 구분 배경 국경지대의전력협력사례 에너지협약 사례 통합과정에서의에너지협력사례 내용 에너지분야의통합은이미통일이전에시작하여가장빨리성사시킨분야임 동독시민들이민주화결과환경인식이높아지고통일과동시에서독처럼좋은환경에서살기를원했음 동서독은 1945 년패전국으로동서독으로분리되면서전쟁으로파괴된피해를복구하는데집중했고, 서로를지원 서로상반된에너지체제를구축하면서취약지역인국경지역은지역상황에따라연결된전력망을유지 에너지협력조약에는양독일의에너지문제해결을위하여에너지분야의기술협력, 환경보호를위한협력들합의 통일이후의동서독에너지시스템통합과정의핵심적역할은동독국영기업을개혁하거나사유화함으로써경쟁할수있는기업으로발전시키고동독과서독의경제통합을이루기위해설치된 신탁청 이담당 신탁청은 4 년간수많은동독기업들을사유화했지만 2600 에서 2700 억만마르크의부채만부담하고해체되었고사유화된기업들모두서독의소유로넘어감 동독은서독의기업인수에반감을가지고, 결국독일국민간갈등원인으로지적 출처 : 김경술 (2014) 연구요약정리 - 5 -
10 o 주요선행연구 구분 연구주제 비고 남북에너지협력방안연구 ( 김경술, 2012) 남북에너지협력 남북에너지협력프로젝트별추진방안분석 ( 김경술, 2013) 남북에너지협력프로젝트 민간참여를통한남북에너지협력방안 ( 유상균외 1인, 2015) 민간참여 러시아가스사업과남북에너지협력의현황 ( 김명남, 2000) 러시아가스사업 북한에너지체제분석및남북에너지협력방안 ( 이미경, 2004) 에너지체제분석 남북경제공동체형성을위한에너지부문의협력방안연구 ( 전상희, 2001) 남북경제공동체형성 남북재생가능에너지협력의필요성과장애요인 ( 윤순진외 4인, 2010) 남북재생에너지 남북에너지협력에관한 북한인프라구축을위한남북환경 에너지경협방안 ( 국회환경경제북한인프라구축연구회외 1인, 2000) 연구 남북환경에너지협력활성화전략연구 ( 손기웅, 2002) 남북환경에너지협력 남북환경및에너지협력활성화전략연구 ( 강광규, 2002) 남북환경및에너지협력 동북아에너지협력논의의쟁점과분석틀 ( 이재승, 2007) 동북아에너지협력논의 신재생에너지보급을통한남북환경공동체구현방안연구 ( 김영래, 2014) 신재생에너지보급 북한의에너지난극복을위한남북협력가능성모색 ( 배성인, 2010) 북한의에너지난극복 북한민생용에너지문제해결방안연구 ( 김경술, 2014) 북한민생용에너지 북한의주요지하자원과남북교류가능성 ( 임상철, 2014) 북한의주요지하자원 전략물자수출통제제도하의북한전략물자수출통제 - 6 -
11 남북경제협력에관한연구 에너지산업투자활성화방안연구 ( 정우진외 4인, 2008) 북한 CDM 사업잠재력분석및남북협력방안연구 ( 정우진, 2009) 북한에너지 자원 교통분야의주요개발과제 ( 김경술외 5인, 2013) 북한의에너지안보구축 ( 안세현, 2013) 압록강유역에서의남 북 중초국경협력을위한실천전략연구 ( 김천규외 4인, 2013) 동북아평화번영을위한두만강유역초국경협력실천전략연구 ( 김천규외 4인, 2013) 통일시대를향한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선정및실천과제 ( 이상준외 10인, 2013) 북한철강산업재건을위한남북협력방안 ( 이석기외 1인, 2014) 북한산업구조와대북투자의효과분석 ( 신동천외 1인, 2014) 한반도신뢰프로세스실현을위한남북경협추진방향 ( 이석기, 2014) 북한 CDM 사업 북한에너지 자원 교통북한의에너지안보압록강유역에서의남 북 중초국경협력 두만강유역초국경협력 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 북한철강산업재건북한산업구조와대북투자 남북경협추진 - 7 -
12 Ⅲ.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남북에너지협력정책고찰 o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 구분 비교년도 단위 남한 북한 남 / 북 ( 배 ) 1. 남북한인구 천명 50,424 24, 경제성장률 % 3.3p 1-3. 명목 GNI 남한십억원 1,496,593 p 34, 인당 GNI 남한만원 2,968 p 대외거래무역총액 억달러 10, 수출 2014 억달러 5, 수입 2014 억달러 5, 대미환율 원 / 달러 1, 에너지산업석탄생산량 천M/T 1,748 27, 발전설비용량 2014 천kW 93,216 7, 발전전력량 억kWh 5, 원유도입량 2014 천배럴 927,524 3, 광물생산량철광석 2014 천M/T 693 5, 비철금속 천M/T 1, 주요공산품생산량조강 2014 천M/T 71,543 1, 시멘트 2014 천M/T 47,048 6, 사회간접자본철도총연장 km 3,590 5, 도로총연장 2014 km 105,673 26,164 4 항만하역능력 2014 천톤 1,039,378 37, 출처 : 통계청, 2014 기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2015) - 8 -
13 o 남북한의에너지의유형및현황분석 원유도입량및정유능력 원유도입량의경우, 남한은 1980 년대 182,861( 천배럴 ) 에서 2014 년 927,524( 천배럴 ) 로 5 배정도증가한반면에북한은 1980 년대 15,393( 천배럴 ) 에서 2014 년 3,885( 천배럴 ) 로 3.96 배감소 정유능력의경우, 남한은 1980 년대 640( 천 BPSD) 에서 2014 년 3,039( 천 BPSD) 로 4.7 배증가한반면에북한은 1980 년대부터 70( 천 BPSD) 으로일정한수준을유지 남한과북한의원유도입량을비교해보면, 1980 년대남한은 182,861( 천배럴 ), 북한은 15,393( 천배럴 ) 으로서남한이 11.8 배높았고, 이후 1990 년대남한은 308,368( 천배럴 ), 북한은 18,472( 천배럴 ) 로서 16.7 배높았음 년남한은 927,524( 천배럴 ) 로북한의 3,885( 천배럴 ) 의 배임 남한과북한의정유능력을비교해보면, 1980 년대남한은 640( 천 BPSD), 북한은 70( 천 BPSD) 으로서남한이 9.14 배높았음. 이후남한은 1996 년 2,438( 천 BPSD) 로증가하였고, 2014 년 3,039( 천 BPSD) 로증가한반면북한은 70( 천 BPSD) 을유지함으로써 2014 년현재남한은북한의 43.4 배임 1 차에너지총공급량및 1 인당공급량 1 차에너지총공급량의경우, 남한은 1980 년 43,911( 천 TOE) 에서 2000 년 192,887( 천 TOE), 2014 년 282,933( 천 TOE) 으로증가하고있는반면북한은 1980 년 21,013( 천 TOE), 2000 년 15,687( 천 TOE), 2014 년 11,050( 천 TOE) 로감소
14 1 차에너지 1 인당공급의경우, 남한은 1980 년 1.15(TOE) 에서 2000 년 4.10(TOE), 2014 년 5.61(TOE) 로증가하고있는반면북한은 1980 년 1.19(TOE), 2000 년 0.69(TOE), 2014 년 0.45(TOE) 로감소추세임 남한과북한의 1 차에너지총공급량을비교해보면, 1980 년남한은 43,911( 천 TOE), 북한은 21,013( 천 TOE) 으로서남한이북한의 2 배정도규모였음 년남한은 192,887( 천 TOE), 북한은 15,687( 천 TOE) 로서남한이북한에비해 12.2 배였음 년남한은 282,933( 천 TOE), 북한은 11,050( 천 TOE) 로서남한이북한에비해 25.6 배임 남한과북한의 1 차에너지 1 인당공급량을비교해보면, 1980 년남한은 1.15, 북한은 1.19 였음. 하지만 1990 년남한은 2.17, 북한은 1.07 로남한이북한에비해 2 배정도로증가하였음 년남한은 4.10, 북한은 0.69 였고, 2014 년남한은 5.61, 북한은 0.45 로서 12.4 배였음 1 차에너지유형별공급 남한과북한의 1 차에너지유형별공급량을비교하면, 2014 년남한은전체 282,933( 천 TOE) 중석유 104,944( 천 TOE)(37.1%), 석탄 84,608( 천 TOE)(30.0%), LNG 47,773( 천 TOE)(16.9%), 원자력 33,002( 천 TOE)(12.7%) 등으로구성되어있음. 북한은전체 11,050( 천 TOE) 중에서석탄 5,810( 천 TOE)(52.6%), 수력 3,250( 천 TOE)(29.4%), 석유 730( 천 TOE)(6.6%) 등임 발전설비용량 남한과북한의발전설비용량을비교하면, 2014 년남한은전체 93,216( 천kW ) 중에서화력 61,559( 천kW )(66.1%), 원자력 20,716( 천kW )(22.2%), 수력 6,467( 천kW )(6.9%), 대
15 체에너지 4,474( 천kW )(4.8%) 임. 반면에북한은전체 7,253( 천kW ) 에서수력 4,293( 천kW )(59.2%), 화력 2,960 ( 천kW )(40.8%) 로주로수력과화력발전설비임 이를통해, 에너지설비중에서남한과북한모두화력발전설비용량이상당한부분을차지한다는공통점을지니는반면에남한은원자력에너지설비가, 북한은수력에너지설비가많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는것을알수있음 발전전력량 남한과북한의발전전력량을비교할경우, 남한은 5,220 ( 억kW h) 이고, 북한은 216( 억kW h) 으로서남한이 24 배임 년남한은전체 5,220( 억kW h) 중에서화력 3,427( 억kW h)(65.6%), 원자력 1,564( 억kW h)(12.7%), 대체에너지 151( 억kW h)(2.9%), 수력 78( 억kW h)(1.5%) 임. 남한은대체에너지비율이 2013 년 2.3% 에서 2014 년 2.9% 로증가하는등대체에너지비율이높아지고있음. 북한은 216 ( 억kW h) 중에서수력 130( 억kW h)(60.2%), 화력 86( 억kW h)(39.8%) 임. 남한과북한의에너지격차는상당한수준이고, 북한의전력난은심각한상황인데, 북한의전력난이심각한상황인이유로는폐쇄적에너지정책시스템, 북한의자체및외부에너지원의공급량감소, 북한의불안한송배전시스템, 다소비형에너지산업구조등임 ( 홍순직, 2015)
16 o 주요남북에너지협력정책고찰 구분협력정책 ( 사업 ) 내용 북핵 6 자회담관련에너지프로젝트 남북경협관련에너지프로젝트 대북경수로지원사업 대북 200 만 kw 전력지원사업 대북에너지ㆍ경제지원사업 : 중유지원사업 개성공단에너지공급사업 금강산관광지구에너지공급사업 북한의핵개발저지를목적으로북한이가동중에있거나건설중에있었던흑연감속로관련시설의동결과궁극적으로는흑연감속로관련시설의해체를조건으로 2003 년까지북한에 1,000MWe 경수로발전소 2 기를공급하는사업 1994 년 10 월체결된북미기본합의서 ( 제네바 ) 에근거 6 자회담에서북한이핵폐기에합의할경우, 현재경수로사업의종료를요구하는관련국들의입장에우리정부가동의하고, 그대신 200 만 KW 의전력을직접제공할수있도록송전선로건설에즉각착수해서 3 년내에북핵폐기와함께송전방식에의해전력을공급한다는소위 중대제안 에의해제기된사업 북한의 3 단계핵폐기를합의한 2007 년 2.13 합의에따른 6 자회담참가국들의대북에너지지원프로그램의일종으로서북한에중유 100 만톤에상당하는에너지및경제지원을제공 개성공단에초기인 2004 년시범지구, 2007 년 1 단계준공시사업시행에필요한석유류와전기를남한에서공급 금강산관광지구에사업자인현대아산이금강산관광지구의전력공급을담당 전력은현대아산의 9000kW 규모의장전발전소와 6,135kW 정도의보조전원과북한의 1925kW 정도의비상발전기등의보조전원등을통해공급
17 단천 남북경공업 지하자원개발협력사업 남북정상간합의에따라 2007 년 6 차례에걸친실무협의를통해공동개발에착수한광물자원개발사업 남한은비누, 신발, 의복등경공업원자재 8000 만달러상당을차관형태로북한에선 ( 先 ) 제공하고, 그대가로단천지역 3 개광산 ( 검덕, 룡양, 대흥 ) 의지하자원을현물형태로상환받는사업 Ⅳ. 통일시대에대비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 o 정부의통일정책의기본방향 정부의통일정책방향은 드레스덴구상 과 한반도신뢰프로세스 에잘드러남 드레스덴구상 을통한남북관계정상화방향을살펴보면, 박근혜대통령은 2014 년 3 월독일드레스덴에서남북관계의정상화를위한첫째, 남북한인도적문제의해결, 둘째, 남북한공동번영을위한민생인프라구축, 셋째, 남북주민간동질성회복등 3 가지세부적인대북제안을하였음 한반도신뢰프로세스의추진원칙 으로첫째, 균형있는접근, 둘째, 진화하는대북정책, 셋째, 국제사회와의협력을강조하고있음. 정부는 2014 년 8 월 한반도신뢰프로세스를통한남북관계정상화 를위한과제로첫째, 인도적문제의지속적해결추구, 둘째, 남북간대화채널구축및기존합의정신실천, 셋째, 남북간호혜적협력확대 심화, 넷째, 정치군사적신뢰구축및교류협력의상호보완적발
18 단계과제영역세부과제 1 단계 ( 단기 : 신뢰구축 ) 2 단계 ( 중기 : 안정화 ) 3 단계 ( 장기 : 정상화 ) 전, 다섯째, 신뢰형성과비핵화진전에따라 비전코리아프로젝트 추진등총 5 개의구체적인추진과제를제시 이에따라남북관계정상화를위한추진전략및세부과제를다음과같이제시할수있음 ( 박영호외 5 인, 2014) 인도적지원 사회문화적교류 경제협력 북한개발협력사업 문화적동질성 정치협상 군사협력 출처 : 박영호외 5 인 (2014) 영유아및임산부지원 ( 모자패키지사업 ) 이산가족및국군포로, 납북자문제해결노력 문화예술, 학술, 종교, 스포츠등민간사회문화교류 북한인권개선노력 개성공단유지 북핵문제는국제사회와공조 인도적지원및사회문화교류의확대 5 24 조치해제 개성공단의발전적확대 북한내부인프라건설 : 교통, 통신등 새로운경협프로젝트시작 : 복합농촌단지조성, 지하자원공동개발, 나진 - 하산, 신의주등의협력사업추진등 언어, 문화, 생활양식의동질성회복 남북관계와북한비핵화의선순환추구 남북교류협력사무소개설 정치적신뢰구축 : 남북정상회담, 서울 - 평양남북대표부개설 군사적신뢰구축 : 재래식군축협의및군사정보교환, 훈련공동참관등 핵포기및검증체제확립
19 o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추진과제도출논의들비교 구분홍순직 (2015) 김경술 (2014) 윤재영 (2009) 단기 북한에너지협력위원회 ( 가칭 ) 구성 연료공급확대 북한의전력시설현대화지원 추진과제 장기 에너지공급능력확충 남북재생에너지협력 남북간의발전및에너지네트워크의연결 에너지공급능력확충 상업에너지시스템의도입 에너지기술및품질표준의일원화 에너지정책역량강화 남북에너지시스템통합마스터플랜작성 남북한에너지 전력문제협의공동기구신설 북한에너지 전력부문전문가교육을시행 북한배전망표준화사업 제 2 경제특구및에너지특구전력공급 개성공단전력공급확장 대북한송전망건설및전력공급 전력설비개 보수 정치적합의전제한원전건설 한반도통합전력망구축 o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및추진과제 기본방향 통일시대를대비한에너지정책의비전으로정부의통일정책방향을토대로 신뢰프로세스를통한남북에너지협력 으로설정 이러한비전을구현하기위한정책목표를첫째, 신뢰형성과비핵화진전에따른균형있는협력, 둘째, 남북한의상호경제발전을위한호혜적협력, 셋째, 에너지협력을통한남북한경제시스템통합기반구축으로설정
20 통일이전단계는신뢰구축단계로서남북한에너지협력위원회 ( 가칭 ) 구성, 북한의전력시설현대화지원, 남북한재생에너지협력, 남북한에너지 전력부문전문가교육, 남북에너지시스템통합마스터플랜작성등을, 통일과정에는안정화단계로서경제개발특구전력공급, 개성공단전력공급확장, 북한의에너지공급능력확충, 남북한배전망표준화사업등을, 통일이후에는정상화단계로서정치적합의를전제로한북한의원전건설, 한반도통합전력망구축, 북한상업에너지시스템의도입등을설정하였음. 비전 목표 신뢰프로세스 를통한남북에너지협력 신뢰형성과비핵화진전에따른균형있는협력 남북한의상호경제발전을위한호혜적협력 에너지협력을통한남북한경제시스템통합기반구축 단계별 세부과제 3 대추진과제 1. 통일이전 2. 통일과정 남북한에너지협력위원회 ( 가칭 ) 구성 북한의전력시설현대화지원 남북한재생에너지협력 남북한에너지 전력부문전문가교육시행 남북에너지시스템통합마스터플랜작성 경제개발특구전력공급 개성공단전력공급확장 북한의에너지공급능력확충 남북한배전망표준화사업 3. 통일이후 정치적합의를전제로한북한의원전건설 한반도통합전력망구축 북한상업에너지시스템의도입
21 o 통일에대비한에너지정책의추진과제 통일대비에너지정책도구 시점통일이전통일과정통일이후 정책도구의유형유인적정책도구협력적정책도구 북한의전력시설현대화지원 남북에너지협력위원회구성 ( 북한의전력설비개 보수등 ) 남북한재생에너지협력 북한에너지 전력전문가교육 남북에너지통합시스템마스터플랜협력적정책도구 개성공단전력공급확장 경제개발특구 ( 제2 경제특구및에너지특구등 ) 전력공급 북한의에너지공급능력확충 남북한배전망표준화사업 ( 에너지기술및품질표준일원화 ) 협력적정책도구시장적정책도구 북한의원전건설 북한의상업에너지시스템도입 한반도통합전력망구축 통일시점별추진과제 (1 ) : 통일이전 ( 추진과제 1 ) ( 가칭 ) 남북에너지협력위원회구성 남북에너지협력위원회는남북한에너지 전력공동기구 남북한전력통합을위한국민적공감대형성과장기적관점에서남북한에너지시스템의협력과통합협의체 ( 홍순직, 2015; 윤재영, 2009) ( 추진과제 2 ) 남북한재생에너지협력 태양광발전사업 : 군사분계선을중심으로남쪽에는기술집약형태양광 R&D 단지와태양전지소재, 셀생산시설을건립하고, 북쪽에는모듈조립등노동집약형태양광단지를조성하여남북공동의태양전지클러스터를
22 건립 운영 ( 홍순직, 2015) CDM 협력사업 : 민간기업이선도적인투자에나서기어려운상황에서남한기업의탄소배출권확보를위해에너지관련공기업이먼저 CDM 사업을수행하고이후사기업의참여유도 ( 장우석, 2015) ( 추진과제 3) 남북에너지시스템통합마스터플랜작성 ( 김경술, 2014) 남한주도의동북아에너지네트워크구축 북한지역의재생에너지맵공동작성 사할린천연가스파이프라인연결사업 ( 석유송유관과천연가스배관망연결 ) 인도적차원의대북연료공급등 ( 추진과제 4 ) 북한의전력시설개 보수등현대화지원 단기적으로는시범사업을선정하여부품위주의전력설비를교체 ( 북한의노후전력설비 ( 발전, 송전, 변전, 배전설비 ) 를교체, 보강, 계통구성방식및설비표준화 ) 단순제공보다는부품과설비의정확한실태조사와이의지속적인보수 유지관리방식을통한남북합작설비운영경험축적이필요 ( 홍순직, 2015) 장기적으로전력계통을 Repowering 함 ( 윤재영, 2009) ( 추진과제 5 ) 남북한에너지 전력부문전문가교육시행 전력, 가스, 석탄, 석유등에너지분야전문가교류협력및북한기술진교육 ( 윤재영, 2009)
23 통일시점별추진과제 (2 ) : 통일과정 ( 추진과제 1 ) 개성공단전력공급확장 2016 년 2 월정치적인문제로개성공단의운용이중단되었지만향후긴장완화로개성공단의 2 단계사업이진행되면증가되는전력수요를충당하기위한추가 154kV 송전망이나차상위 345kV 송전망구축 ( 윤재영, 2009) ( 추진과제 2 ) 경제개발특구 ( 제 2 경제특구, 에너지특구등 ) 전력공급 남한을기준으로북한의발전설비평균가동률 45 65% 를적용하여, 장단기북한의발전량및신규발전설비수요를추정할경우, 단기적으로 2015 년까지이전의최고치 (292 억 kwh) 수준에도달하려면약 76.9 억 kwh 의추가발전이필요하고이를충족하기위한약 만 kw 이상의추가발전설비확충 ( 홍순직, 2015) ( 추진과제 3 ) 남북한배전망표준화사업 남북한전력통합을위한기초자료로서각종기술적 통계적사양의표준화, 관련법규와제도조율, 환경규제 금강산, 개성공단인근지역의북한배전망을남한식 22.9kV 표준배전망으로전환하고시범적전력협력사업 ( 윤재영, 2009) ( 추진과제 4 ) 북한의에너지공급능력확충 2015 년까지는북한의개방과남북교류활성화여건이확보되는시기, 2020 년까지는중장기적에너지인프라확충개시 ( 기존설비개보수, 신규설비착공등이전개되
24 는시기 ), 그후 2025 년까지는기존설립개보수완료, 신규설비의건설및추가착공등이전개되는시기, 그후 2030 년까지는신규설비들이완공되어북한이경제복구를위한기반을확보하게되는시기등 ( 김경술, 2014) 통일시점별추진과제 (3 ) : 통일이후 ( 추진과제 1 ) 한반도통합전력망구축 한반도통합전력망 (UKPS : Unified Korean Power System) 구축을통하여남북한단일계통으로운영 4 개연계루트는 (1 단계 ) 개성공단공급전력망, (2 단계 ) 서부연계망 ( 수도권북부 ~ 평양 ), (3 단계 ) 동부연계망 ( 남북한강원권 ), (4 단계 ) 중부연계망 ( 충청권 ~ 평양 ) 구성 ( 윤재영, 2009) ( 추진과제 2 ) 상업에너지시스템의도입 북한경제와에너지시스템을시장경제체제로전환 ( 김경술, 2014) 기술및품질의표준화가전제되어야함 ( 추진과제 3 ) 원전건설 : 정치적합의전제 6 자회담에서의정치적합의를전제로하여, 만약북한원전건설이재개된다면 1 KEDO 경수로사업재개혹은 2 신규원전건설을대안으로들수있음 ( 윤재영, 2009)
25
26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필요성및목표 1 2. 연구의내용 2 Ⅱ. 남북에너지정책에관한접근방법 7 1. 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와필요성 7 2. 남북한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 남북한통일시나리오및통일편익논의들 사례분석 : 동서독의주요에너지협력사례 주요선행연구 27 Ⅲ.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에너지정책고찰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 남북한의에너지의유형및현황분석 남북에너지협력정책의고찰 75 Ⅳ. 통일시대에대비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 정부의통일정책의기본방향 89 - i -
27 2.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추진과제도출논의들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및추진과제 102 Ⅴ. 결론 127 참고문헌 129 표목차 < 표 1> 남북에너지협력의필요성 9 < 표 2> 에너지협력에관한정부간관계모델비교 13 < 표 3> 통일시나리오 15 < 표 4> 한반도주변국에대한남북한통일의편익분석결과 18 < 표 5> 통일편익비교 19 < 표 6> 통일한국의경제적미래 ( 홍순직, 2015) 20 < 표 7> 독일의에너지협력사례요약 27 < 표 8> 주요선행연구 33 < 표 9> 남북한의주요경제지표비교 42 < 표 10> 남북한원유도입량및정유능력비교 ( 년 ) 45 < 표 11> 남북한 1차에너지총공급량및 1인당공급량비교 47 < 표 12> 남북한 1차에너지유형별공급량비교 48 < 표 13> 남북한발전설비용량비교 55 - ii -
28 < 표 14> 남한과북한의발전전력량비교 59 < 표 15> 주요남북에너지협력정책고찰요약 83 < 표 16> 드레스덴구상과 3대추진방향 89 < 표 17> 한반도신뢰프로세스의 3대추진원칙과발전방향 90 < 표 18> 한반도신뢰프로세스를통한남북관계정상화의과제 91 < 표 19> 남북관계정상화의추진전략단계와세부과제 93 < 표 20> 남북에너지협력을위한주요추진과제논의비교 102 < 표 21> 통일시점별정책도구 106 < 표 22> 남북에너지협력위원회의유형 ( 사례 ) 108 그림목차 < 그림 1> 연구의구조도 3 < 그림 2> 통일한국의통일효과 18 < 그림 3>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 ( 년 ) 38 < 그림 4> 남북한화력, 수력발전전력및설비용량비교 ( 년 ) 39 < 그림 5> 남북한원유도입량, 석탄및철광석생산량 ( 년 ) 41 < 그림 6> 북한전력난의악순환고리 64 < 그림 7>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 iii -
29
30 제 1 장 서론 1. 연구의필요성및목표 2. 연구의내용
31
32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및목표 전세계적으로화석에너지고갈과같은에너지위기, 지구온난화등기후변화, 세계적경제성장의한계등실물경제의위기에대응하여통일에대비한에너지정책은남북의경제위기를극복하고, 새로운창조경제의패러다임으로등장할가능성이많다. 특히미래에다가올통일한국시대의에너지정책은한반도의지속발전의기본정책이며에너지정책의성공여부는국가흥망을결정하는한요인이라고할수있다. 이에, 분단국가인남한과북한이에너지분야의협력을통해서로부족한에너지자원을공급할경우단기적으로는남한과북한의경제활성화에기여하고, 장기적으로는연착륙의남북통일의근간이될수있다. 물론현재북핵문제를비롯한북한의정치적상황때문에남북에너지협력의필요성과실현가능성을회의적으로바라보는시각도존재한다. 하지만독일통일의사례에서보듯이통일은초보적수준의에너지협력에서시작된다는점을고려할때, 향후다가올통일을대비한선제적인에너지정책방향의설정이필요하다. 이재승 (2003) 이주장한것처럼, 남북에너지협력을통해남북한은에너지수급문제의해결, 아시아프리미엄의축소, 에너지협력을통한지역협력가속화, 대북 - 1 -
33 에너지지원을통한한반도평화체제기여, 환경친화적에너지개발을통한지속가능발전추구등을획득할수있다. 이에통일국가를대비하여장기적시각에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을설정하는것이필수적이다. 이를통해대북에너지정책의지침서와분야별방향, 통일을대비한남한의에너지수급과개발방향등을제시하고, 남북간에너지협력방향설정을통해남북경협에기여하고자한다. 이를위하여본연구에서는첫째, 남북에너지협력정책에관한접근방법, 남북한주요경제지표및남북한에너지실태를분석하고, 둘째, 주요선행연구와주요남북에너지협력정책을고찰하며, 이를토대로통일시대에대비할수있는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을설정하고자한다. 2. 연구의내용본연구는통일시대에대비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을제시하는것이다. 이를위하여본연구에서는다음과같이연구내용을설정하였다. 첫째, 남북에너지협력정책에관한접근방법을살펴본다. 여기서는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와필요성, 남북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 남북통일편익을둘러싼논의들, 동독에너지협력사례, 주요선행연구등을살펴본다. 둘째,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에너지정책을고찰한다. 이를위하여남북한주요경제지표를비교보고, 남북한에너 - 2 -
34 지의유형및현황을분석하고, 기존의주요남북에너지협력정책을고찰한다. 셋째, 남북한에너지협력정책의기본방향을설정한다. 이를위하여먼저정부통일정책의기본방향을살펴보고,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추진과제들에대한논의를고찰하며, 이를토대로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및정책과제등을제시한다. < 그림 1> 연구의구조도 연구주제 ð 연구내용 ð 연구방법 서론 ð 연구의필요성및목적 ð 전문가자문 남북에너지정책에관한접근방법 ð 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와필요성 남북한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 남북한통일편익논의들 동서독의주요에너지협력사례 ð 문헌연구사례분석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에너지정책고찰 ð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 남북한의에너지의유형및현황분석 남북에너지협력정책의고찰 ð 통계청자료분석문헌연구전문가자문 통일시대에대비한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 ð 정부의통일정책의기본방향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추진과제논의들 통일대비에너지정책의기본방향및추진과제 ð 정부자료분석문헌연구전문가자문 결론 ð 요약 ð 전문가자문 - 3 -
35
36 제 2 장 남북에너지정책에관한접근방법 1. 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와필요성 2. 남북한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 3. 남북한통일시나리오및통일편익논의들 4. 사례분석 : 동서독의주요에너지협력사례 5. 주요선행연구
37
38 Ⅱ. 남북에너지정책에관한접근방법 1. 남북에너지협력의의의와필요성남북한이에너지협력을통해얻을수있는의의는남북한의부족한에너지수급문제해결, 지정학적위치로인한아시아프리미엄의축소, 에너지협력을통한동북아지역협력가속화, 대북에너지지원을통한한반도평화체제기여, 기후변화등에대응한환경친화적에너지개발을통한지속가능발전추구등을들수있다. 이를구체적으로살펴보면다음과같다 ( 이재승, 2003). 첫째, 남북한에너지협력을통해남북을비롯한동북아국가들의에너지수급불균형문제를해결할수있다는점이다. 남북한을비롯한동북아지역의에너지위기는국가들이보유한자원부족보다는국가별자원의불균등과이를둘러싼정치적불안정성때문에발생되는경우가많다. 즉중국경제의성장으로인한중국그리고한국, 일본등의에너지수요는많은반면에공급될에너지자원은중국내륙과시베리아등특정지역에분포되어있다는점이다. 이에따라,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등은에너지협력을통해상호이익을도모할수있다는것이다. 예를들어, 한국과일본은자본, 기술및설비등을매개로시베리아지역의천연가스개발및파이프라인건설등을통한공동에너지개발등을들수있다. 둘째, 아시아프리미엄 (Asia premium) 을축소할수있다는 - 7 -
39 점이다. 세계원유시장에서큰수입원인동북아지역의한국, 중국, 일본은중동산원유수입을위하여상당히높은가격을부담할수밖에없는데, 남북한을비롯한동북아국가들의에너지협력을통해에너지원수입을다변화하고이를기반으로중동산유국들에대한가격협상력제고를통하여과도한중동의존도를경감시킬수있다는것이다. 셋째, 에너지협력을통한동북아지역협력의제고이다. 현재도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북한은장관급, 실무자급회의, 민간의비즈니스포럼등다양한방식으로한반도를둘러싼이슈와정책들을논의하고있다. 남북한에너지협력은이러한지역협력의일환으로서추진될수있는데, 예를들어, 동북아국가간석유, 천연가스네트워크및전력망연계, 기존의역내철도및물류망의연계등을들수있다. 넷째, 대북에너지지원을통한한반도평화체제의구축이다. 비록현재북핵및북한미사일발사로북한에대한신뢰정책이위기에처했지만대북에너지지원은안보적측면에서북한의비핵화를유도할다양한방안중의하나이다. 즉남북한에너지협력을통해북한의에너지원에대한공급대안을제시함으로써북한의핵개발을억제할명분을국제적으로획득할수있고, 북한의에너지원을남한에의존하게함으로써장기적으로북한을남한의에너지시스템에통합시킴으로써한반도의평화체제를구축하는데기여할수있다. 다섯째, 기후변화등에대응한환경친화적에너지개발을 - 8 -
40 통한지속가능발전이다. 한국과중국은이산화탄소배출량이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는반면에파리기후변화협약등신기후변화협약등국제적차원의환경규제는강화되고있다. 이에따라, 신재생에너지등을중심으로남북한에너지협력을통해현재의에너지다소비형산업구조를환경친화적산업구조로전환하는데기여함으로써기후변화협약에대응하여남북한을비롯한동북아지역의환경친화적지속가능발전을도모할수있다. < 표 1> 남북에너지협력의필요성 구분에너지수급문제의해결 아시아프리미엄의축소 에너지협력을통한지역협력가속화 대북에너지지원을통한한반도평화체제기여 내용 남한과북한의에너지부족보완 수입선의다변화와공동에너지개발 동북아지역국가들로하여금보다효율적인에너지통상가능 타지역, 특히중동산유국들에대한협상력제고 동북아국가간석유, 가스네트워크및전력망을연계구축함으로써지역경제공동체심화 에너지개발및수송을기존의역내철도및물류망과연계시킴으로써활용도극대화 남북한에너지협력을통해북한에비핵에너지원의대안을제시함으로써북한핵개발을중단할명분제공 환경친화적에너지개발을통한지속가능발전추구 출처 : 이재승 (2003) 재정리 현재의에너지다소비형산업구조와대체에너지부족문제를해결해나가는데있어환경친화적방법의도입 - 9 -
41 2. 남북한에너지협력모델로서정부간관계모형남북한에너지협력은실질적으로남한과북한이라는실체적기관의관계이다. 이에따라, 정부간관계모형은남북한에너지협력모델의이론적토대가될수있다. 한표환외 2인 (2002) 은정부간관계모형에서관계를모든계층의모든정부간의관계를포괄하는개념으로설정하는데, 여기서정부간관계는각정부구성원간의관계를일시적이거나단편적인것이아니라지속적이며구조적인것으로간주한다. 결국정부간관계는비권력적측면에서의협력관계를기반으로, 다양한경쟁과협력, 교환과협상을내재하고있다고할수있다. 1) 교환모형 (Exchange Model) 남북한에너지교환모형 (exchange model) 은 Levin and White(1961), Tuite(1972), White(1974) 의관점에근거하여남북한의관계를조직간관계로간주하고에너지를상품교환이라는관점에서바라보는것이다. 이모형에의하면, 남북한은근본적으로개별이해관계 (self-interest) 에따라에너지정책을운영하고에너지교환은남북한이협력관계를통해서경제적또는비경제적상호이익 (mutual benefits) 을획득할수있다고판단할때형성된다는것이다. 이러한관계는남북한이자신들이각각부족한에너지를협력으로해결하고자하는의지가강할때나타난다. 즉남북한에너지협력은남북한의에너지부족문제해결을강조하는측면이강하다
42 결국, 남북한에너지교환모형은결국남북한의관계를비대칭적교환관계 (asymmetrical exchange relationships) 가아닌협력적관계로파악하고, 남북한의상호이익을증진시킴으로써상호보완적혹은상호의존적에너지협력관계를구축하는대칭적교환관계 (symmetrical exchange relationships) 이다. 교환모형에의하면남북한의에너지협력관계의빈도는대칭적상황에서발생하는상호교환이익의정도에따라결정되는데, 남북간에너지교환이익의정도가높을수록에너지협력을둘러싼상호작용의빈도가높아지는반면에너지교환이익의정도가낮을수록에너지협력의동기가약해진다. 2) 협상모형 (Negotiation Model) 남북한에너지협력에있어협상 (negotiation) 은동태적의사결정과정으로서남북한등이해당사자들이다양한복수의대안들중에서서로수용가능한에너지협력안을모색하는과정이다. 일반적으로협상모델은남북한당사자간의이해가상반되거나경쟁적, 적대적인경우또는상호보완적, 동반자적관계일경우에도적용이가능하다. 협상모형측면에서남북한에너지협력은에너지협력과관련된공통된문제에대해남북한이서로조정, 중재, 합의를모색하고이를통해서로상충되는에너지관련이익을조정해나가는과정이라고할수있다. 협상론적입장에서의남북한에너지협력은협력의긍정적효과, 즉남북한에너지협력의상호이익의증진에치중
43 하는경향이강하는데, 이러한효과창출에있어중요한요인은에너지협력과관련된의도된협상결과를만들어낼수있는능력인협상력이다. 즉남북한에너지협력에서협상력은남북한이협상과정에서남북한이보유한협상자원 (negotiation resources) 을얼마나효과적으로활용하여서로의협력이익을증진하고다양한상호작용을통해남북한이의도한정책을얼마나달성할수있는가하는능력을의미한다. 3) 공동생산모형 (Co-production Model) 공동생산적관점에서남북한에너지협력은남북한이목표지향적인상호작용을통해에너지를공동생산하는과정, 에너지공동생산적참여과정을의미한다. 즉남북한이서로필요한에너지분야에공동생산참여자로서직접적으로참여함으로써남북한간상호작용을통해서각각또는서로필요한에너지를생산하는것이다. 여기서남북한의상호작용형태는주로협상적행태를전제로하는교환거래적행태이지만때로는갈등적행태도나타날수있다. 이에따라, 공동생산모델로서, 남북한에너지협력을위해서는남북한이공동으로협력사업의정의, 계획및설계, 집행등을결정하는것이필요하다. 4) 협력과정모형 (Process Model of Cooperation) 협력과정모형에서남북한에너지협력은남한과북한정부의내부정책결정또는의지와대내외외부환경적요인들 ( 경제위
44 기또는정치요인등 ) 이적절하고적시에상승작용을통해서외형적으로나타난성과로간주한다. 협력과정모형에서는남북한에너지협력을유인하는가장근본적인힘은간혹산발적인환경변화에기인하기도하고부분적으로는매우체계적이다. < 표 2> 에너지협력에관한정부간관계모델비교 모델교환모형협상모형공동생산모형협력과정모형 내용 남북한의관계를비대칭적교환관계가아닌협력적관계로파악 남북한의상호이익을증진시킴으로써상호보완적혹은상호의존적에너지협력관계구축 에너지협력과관련된공통된문제에대해남북한이서로합의를형성 서로상충되는에너지관련이익을조정 남북한이서로필요한에너지분야에공동생산참여자로서직접적으로참여 남북한간상호작용을통해서각각또는서로필요한에너지생산 남한과북한정부의내부정책결정또는의지와대내외외부환경적요인들 ( 경제위기또는정치요인등 ) 의상승작용 출처 : 한표환외 (2002) 연구를기반으로재정리
45 3. 남북한통일시나리오및통일편익논의들 1) 통일시나리오논의 : 점진적 + 급진적통일시나리오알렉산더제빈과스베틀라나수슬리나 (2014) 는남북한의통일을급진적, 점진적으로구분하여 5가지시나리오로제시하였다. 먼저급진적통일시나리오로서무력통일, 북한붕괴를, 점진적통일시나리오로는현상태유지, 화해 협력, 다자국의합의를통한통일을제시하였다. 1 무력통일시나리오이다. 이는북한이군사적측면에서대규모의군사적충돌을감당할수있는능력을구비하지못한다는전제를기반으로현재또는가까운미래에미국이나미국의승인과지원을기반으로한국이주도하여무력으로통일을달성한다는시나리오이다. 2 북한붕괴시나리오이다. 이는북한이내부분열로자체적으로붕괴된다는시나리오이다. 하지만이시나리오는북한지도층이권력의장악과핵미사일의개발그리고중국이사회적 경제적지원을통해북한의대외정책을규제하려한다는점에서그현실가능성이다른시나리오에의해낮다고할수있다. 3 현상태유지시나리오이다. 이는 전쟁도평화도아닌 시나리오, 즉남북한의현상태를그대로유지하는시나리오
46 이다. 이시나리오는미국이북한에대해전략적인내심을가지고있는동시에북한은지속적으로핵실험을한다는점이다. 북핵과미사일문제등현재의남북관계를감안할때가장실현가능성이많다고할수있다. 4 화해 협력시나리오이다. 이는개성공단, 남북정상회담등남북간신뢰와긴장완화를기반으로하는점진적인 타협 시나리오이다. 이러한시나리오는남북한고위정책결정자들의신뢰구축이전제되어야한다. 5 다자국의합의시나리오이다. 이는남북한상호합의문의이행을토대로한반도긴장관계의급속한완화, 군사적충돌에대한위협제거, 교역과대규모경제협력증대, 한반도내연방이나연맹의출현등을목적으로남북한,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등한반도에이해관계를지닌모든국가들이통일에합의한다는시나리오이다. < 표 3> 통일시나리오 모델 무력통일시나리오 북한붕괴시나리오 내용 미국혹은미국의승인과지원하에한국에의해무력통일이일어날가능성 두가지이유로발생할가능성이낮음 북한지도층은권력승계에대한지지, 핵미사일억지력을위해어떤비용도감수하겠다는태도 중국은북한의사회적 경제적지원
47 현상태유지시나리오 화해 협력시나리오 다자국의합의시나리오 남 전쟁도평화도아닌 시나리오혹은현상태를그대로유지 현상태유지시나리오하에서북한은핵실험을할수밖에없을것임 김대중, 노무현정권하에서실현되었던 화해 협력 혹은 타협 시나리오 한국과북한, 중국, 러시아, 일본등이모두합의를하고통일을하는것임 국제사회와남북한모두에게최상의경제적이득을안겨주는통일을위한전제조건 출처 : 알렉산더제빈과스베틀라나수슬리나 (2014) 재정리 2) 통일편익추정논의들 1 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2014) 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 김병연, 2014) 은장기경제성장모형과체제이행국의경제성장경험을토대로 년을기점으로북한의시장경제로체제이행시작및북한민주주의의진전, 년부터북한의시장경제화와민주화를기초로점진적인남북한경제통합, 3 평화적인남북통합과통일등 3가지가정을근거하여통일의편익을추정하였다. 이러한가정을기반으로통일의편익을추정한결과에의하면, 남한은통일효과로연평균경제성장률이 0.7~0.8% 증가할것으로추정되는데, 2050년남한의일인당 GDP는 94,307 달러에이르게된다. 그리고 2014~2050 년북한의연평균경
48 제성장률은 10~16% 수준으로북한의일인당 GDP 는 64,019 달러에이르게된다. 결국통일한국의일인당 GDP 는 83,808 달러수준으로추정된다는것이다. 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이일형과강은정 (2015) 은 1 독립적인상태를유지하면서체제통합의초석을마련하는 1단계 (2016~35 년 ) 와 2 남북간자유로운인구이동을통하여점진적으로경제통합을달성하는 2단계 (2036~55 년 ) 로구분하여남북한의통일편익을추정하였다. 먼저 1단계 (2016~35 년 ) 에는북한경제의개혁과개방을통한성장시기로서, 이시기에남북한은독립적인지위를유지하면서정치및경제통합의근간마련에집중한다는것이다. 2단계 (2036~55 년 ) 에는남북간자유로운인구이동을전제로점진적으로경제통합을달성하는데집중한다는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에의하면, 남북한경제통합이이루어질경우, 2016~30 년동안북한의 GDP성장률은연평균 16%p 증가하고, 남한의 GDP성장률은 1%p 증가할것으로추정된다. 그리고경제통합이달성된이후북한경제는 2035년경에 ASEAN 국가들을, 2050년경에는인도경제를초월할것으로전망된다는것이다. 그리고통일이완료된 2055년경에는 2014년가격기준으로통일한국의 GDP가 8.7조달러에달할것으로전망되는데, 이는통일이전과비교시남한 GDP의약 1.7배수준에이르는것으로추정된다는것이다
49 < 그림 2> 통일한국의통일효과 통일한국 GDP 전망치 ( 단위 : 조원 ) 북한의 GDP 전망치및주요국과의비교 ( 단위 : 10 억달러 ) 출처 : 이일형, 강은정 (2015) 주 : 2014 년가격기준, 주요국의 GDP 는 2013~14 년평균. 자료 : IMF WEO 의자료를바탕으로저자작성. 그리고한반도주변국인중국은 3,009 억달러, 미국은 379 억달러, 일본은 244 억달러, 러시아는 136 억달러의편익을 발생시킬것으로전망된다. < 표 4> 한반도주변국에대한남북한통일의편익분석결과 ( 단위 : 억달러, 천명 ) 시나리오 Ⅰ 시나리오 Ⅱ 구분對통일한對통일한총산출 GDP 고용총산출 GDP 국수출국수출고용 일본 중국 1, , 미국 러시아 주 : 통일시나리오 Ι: 한반도평화통일 Ⅱ: 한반도평화통일후통일한국과중국간경제협력증대 자료 : KIEP(2014), 이일형, 강은정 (2015) 재인용
50 < 표 5> 통일편익비교 구분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20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시나리오 남한 (1단계 ) 2014 년을기점으로북한의시장경제로체제이행시작및북한민주주의의진전 (2단계 ) 2014 년부터북한의시장경제화와민주화를기초로점진적인남북한경제통합 (3단계 ) 평화적인남북통합과통일등 남한은통합의효과로인해연평균경제성장률이 0.7~0.8% 증가 2050 년남한의일인당 GDP 는 94,307 달러 1 단계 (2016~35 년 ) 독립적인상태를유지. 체제통합의초석마련 2 단계 (2036~55 년 ): 남북간자유로운인구이동을통하여점진적으로경제통합을달성 남북한경제통합시 2016~30 년동안남한은 1%p 증가 통일편익 북한 2014~2050 년북한의연평균경제성장률은 10~16% 수준으로서북한의일인당 GDP 는 64,019 달러수준 2016~30 년동안북한은 GDP 성장률이연평균 16%p 증가 통일한국 일인당 GDP 는 83,808 달러수준 일인당 GDP 가 8.7 조달러수준 그리고홍순직 (2015) 은향후남북관계와남북경협, 북핵진 전과관계개선등긍정적시나리오, 즉 2016 년부터남북관계
51 가개선되어남북경협및전력부문의교류협력이확대되고북한경제가과거남한의성장경로를추구한다고가정하여통일편익을추정하였다. 이를통해, 북한의 GDP성장률은 2015~20 년에는 14.8%, 2021~30 년에는 12.1%, 2031~40 년에는 9.8%, 2041~50 년에는 8.2% 로추정된다. 남한의성장률은큰변화가없지만북한의성장률은초기에높은반면에갈수록하락하는것으로추정된다. 반면에남북한의성장률은각각 3.8%, 5.4%, 4.7%, 4.0% 수준으로추정된다. 그리고 1 인당 GDP는북한의경우, 2015년에는 1,376 달러, 2020년에는 2,729달러, 2030년에는 8,602달러, 2040년에는 22,010달러, 2050년에는 48,353 달러로급격하게증가할것으로추정된다. 남한은 2015년 27,360 달러에서 2050년 112,734 달러로증가할것으로추정된다. 그리고통일한국 ( 남북한 ) 은 2015년 18,226 달러에서 2050년 91,588 달러로추정된다. < 표 6> 통일한국의경제적미래 ( 홍순직, 2015) GD P(%, 달러 ) 남한북한남북한 2015~ ~ 성장율 2031~ ~ ,360 1,376 18, ,856 2,729 22,961 1인당 ,610 8,602 38, ,108 22,010 61, ,734 48,353 91,588 자료 : 현대경제연구원 (2014), 2050, 통일한국의경제적미래, 통일경제주 : 유라시아경제권으로확장될경우를상정
52 4. 사례분석 : 동서독의주요에너지협력사례 1) 1) 배경김창권 (2011) 에의하면, 통일직후동독산업구조의조정이있었다. 이는동독경제가경제통합에따른서독산업체와의경쟁, 개방으로인한세계국가들의산업과경쟁, 독일통일로인한통일특수, 통일로인한새로운시장경제로편입한동독주민들의수요변화에의한동독산업구조변화등에서기인한다. 그리고통일이후에는서독의시장경제하에서경제적효율성을추구함으로써동독의산업구조가서독의산업구조로편입되었다. 또한통일직후동독과서독의정보통신산업의통합사례를살펴보면, 허윤제 (2001) 에의하면, 서독과동독은분단이후부터통일이후까지정보통신산업교류를지속적으로추진하였다. 이러한산업교류는서독과동독주민들의민족동질감을회복시키는데중요한역할을수행한것으로평가된다. 서독과동독은이러한정보통신산업교류를지속하는과정에급진적으로통일이달성되면서서독이동독의정보통신시스템을통합하였다. 특히전기통신산업의경우 Telekom 2000이라는개발프로그램을통해통일직후의폭발적인수요에대응함으로써동독의전기통신산업을서독의에너지시스템으로통합하였다. 1) 독일통일이전과통일과정에서에너지협력은우리나라에게많은시사점을제공한다. 본내용은김경술외 (2012) 의연구내용을요약한것이다
53 이와관련하여동독과서독간에너지산업의통일배경을살펴보면, 독일은세계대전의패전국으로서분단이지속되는상황에서도서베를린봉쇄기간 ( ) 을제외하고는전기연계는유지되었다. 그리고통일이전, 즉과도기에는동독이동독지역의에너지시스템의개보수등에너지시스템의유지를추구하였지만통일과정부터는동독과서독간에너지시스템의통합에집중하였다. 이러한결과, 서베를린을중심으로한에너지협력과도시철도운행이동독과서독간정치적연결을유지하는데중요한역할을수행하였다는평가를받고있다. 동독과서독간에너지협력은동독주민들의환경수요와서독기업들의산업수요가일치함으로써발생한결과라고도할수있다. 독일통일이전부터서독의에너지회사들은동독지역에너지시장을독점하고있었다. 그리고민주화결과, 동독주민들의환경의식이높아지면서동독주민들도서독처럼좋은환경에서살기를희망하였고이미동독주민들은친환경적으로안정된에너지를충분히공급받음으로써서독기업에비해경쟁력이떨어지는동독에너지기업들은구조조정을당하게되었다. 이는에너지분야의통합이이미통일이전에시작되어가장빨리이루어지는산업분야라는것을의미한다. 2) 국경지대의전력협력사례동독과서독은 2차대전패전국으로서초기에는각각독자적으로전쟁피해를복구하는데집중하였지만나중에는상호
54 지원을위하여빈번하게접촉을하였다. 즉동독과서독간서로상반된에너지체제를유지하면서도상대적으로취약지역인국경지역의경우, 지역의에너지공급상황에따라동독과서독은서로연결된전력망을유지시켰다. 이러한국경지역에서의에너지협력은 1960년대이후부터는동독과서독간에너지체제가발달된이후자체전력망확장으로동독과서독간전력교류의필요성이없어질때까지지속되었다. 이러한동독과서독간에너지교류및협력은정치적긴장이높을수록갈등행위자간신뢰를구축한비정치적협력의일종이라고할수있다. 3) 서베를린을중심으로한전력협력사례동독과서독의전력협력에서중요한역할을수행한지역은베를린지역중서베를린이었다. 서베를린은서독과서방국가들이동독과공산진영에영향을미치고, 동독주민들이자유를찾아서독으로이주하도록촉발한중간지대로서의매개체역할을수행한것으로평가된다. 이러한서베를린과유사한지역이개성공단이라고할수있다. 개성공단은북한지역에서북한인력위주로운영되지만공단운영에필요한에너지는남한으로부터공급되는구조이고, 향후개성공단개발이확장될경우개성공단내전용발전소건설이필요할수있다. 이는북핵과북한미사일문제가해결된이후, 개성공단이서베를린처럼북한주민들이자유를찾아남
55 한으로이주하도록촉발할수있는중간지대로서의매개체로서향후남북에너지협력의선도역할을수행할가능성이높다는점을의미한다. 4) 동독과서독간 에너지협약 사례 1979년동독과서독간에너지조약이체결된이후, 구체적으로에너지협력이추진되었다. 이에너지협력조약은동독과서독의에너지문제해결에필요한에너지분야의기술협력, 환경보호를위한협력들을포함하고있다. 이조약을통해동독과서독은안정적인에너지제공을위하여국제적협력, 환경보호를위한친환경적인에너지개발, 건강유해오염물질제거및축소를위한신환경보호기술개발투자등에합의하였다. 이에따라, 서독은서독의우수하고새로운기술들을통해동독의낙후된발전소들과광산들을더욱안전하고환경적으로개선을추진하였지만동독의재정조달문제로신속하게추진되지못하다가 1980년대하반기, 즉통일직전에많은협력사업들이집행되었다. 예를들어, 동독으로의서독의원자력발전소수출을들수있는데, 이러한에너지협력은동독과서독은경제통합을달성하는데기여하였다고할수있다. 5) 통합과정에서의에너지협력사례동독과서독의에너지협력은 1989년이전에도지속되고있었다. 하지만 1989년 11월이후 1990년 2월까지는다수의
56 프로젝트들이정부의재정지원으로시작되면서본격적으로에너지협력사업이추진되었다. 1990년 2월이후에는동독이동독지역의에너지시스템을전면포기하고서독의에너지시스템으로의통합을추진하였다. 이과정에서동독과서독정부의에너지차관급이주도한독일의에너지그룹이구성되었고, 이후 1990년 2월 21일에정치, 경제, 재정, 환경등여러영역의대표들의협의체가구성되어베를린에서논의가시작되었다. 1990년 3월에는서독의주정부들과에너지공급회사들이에너지그룹을조직하여다양한협력방안들을추진하였는데, 이과정에서서독정부는동독의공산체제유지에도움이될수있는재정지원은철저히배척하는협상력을발휘하였다. 1990년 8월 31일통일조약이체결된이후서독이주체가되어서독의각부처는동독의현행법률을분석하여서독법률의독일전지역적용여부등을조사한후, 동 서독의관련부처간협의를통해독일통일조약조문을작성하였다. 통일조약에서에너지협력관련조항은노동 사회보장 가족 여성보건 환경보호 문화 교육 과학 체육분야의통합방법등에포함되어규정되어있다 ( 평화문제연구소, 독일통일의과정과교훈, 2011) 통일이후의동독과서독의에너지시스템통합과정에서핵심적역할은 신탁청 (Treuhandanstalt) 이수행하였다. 신탁청은동독의국영기업을개혁하거나민간화함으로써경쟁력이높은기업으로변화시키고동독과서독의경제통합을목적으
57 로설치된연방정부의재무성산하기관으로서최종결정권은재무장관이지닌다. 신탁청의구성현황을보면, 신탁청은연방의회산하신탁위원회의관리를받게되어있었지만 22명의이사진중 11명의정치인, 5명의동독지역시장, 4명의노동조합대표와 2명의연방정부대표로구성되는등경제전문가들로구성된전문기관이아니라정치인이주도하는정치적독립기관이었다. 이러한신탁청은 4년간다수의동독기업들을민간화또는사유화했지만 2600억에서 2700억만마르크의부채만남긴채해체되었고결국민간화된기업들은모두서독기업의소유가되었다. 이에따라동독은서독의기업인수에비호의적인태도를보였는데, 이는향후우리나라의남북통일이후남북의에너지부문통합메커니즘을운영하는데있어좋은시사점이될수있다. 이러한독일에너지통합사례를통해알수있듯이, 에너지통합은분단된정부들의경제통합이전에신뢰를구축할수있는다양한협력방안중의일부라는점이다. 우리나라의경우에도북핵과북한미사일문제가해결된이후에, 남북에너지협력을통해전력부족으로고통을겪고있는휴전선인근지역에우리의잉여전력을공급할경우이는남한과북한주민들과의민족으로서동질성을제고시키고향후북한주민들로부터통일의정당성을확보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58 < 표 7> 독일의에너지협력사례요약 구분 배경 국경지대의전력협력사례 에너지협약 사례 통합과정에서의에너지협력사례 내용 에너지분야의통합은이미통일이전에시작하여가장빨리성사시킨분야임 동독시민들이민주화결과환경인식이높아지고통일과동시에서독처럼좋은환경에서살기를원했음 동서독은 1945 년패전국으로동서독으로분리되면서전쟁으로파괴된피해를복구하는데집중했고, 서로를지원 서로상반된에너지체제를구축하면서취약지역인국경지역은지역상황에따라상대방과연결된전력망을유지 에너지협력조약에는양독일의에너지문제해결을위하여에너지분야의기술협력, 환경보호를위한협력들합의 통일이후의동서독에너지시스템통합과정의핵심적역할은동독국영기업을개혁하거나사유화함으로써경쟁할수있는기업으로발전시키고동독과서독의경제통합을이루기위해설치된 신탁청 이담당 신탁청은 4 년간수많은동독기업들을사유화했지만 2600 에서 2700 억만마르크의부채만부담하고해체되었고사유화된기업들모두서독의소유로넘어감 동독은서독의기업인수에반감을가지고, 결국독일국민간갈등원인으로지적 5. 주요선행연구 1) 남북에너지협력에관한연구 김경술 (2012) 은 남북에너지협력방안연구 ( 한반도통합에 너지시스템구축을위한정책과제분석연구 ) 에서북한의에
59 너지수급분석, 북한의에너지자원교역실적분석, 에너지시스템의남북비교, 통일과정에서남북경제통합의유형과특징, 독일의에너지시스템통합사례분석, 남북에너지자원법제분석, 한반도통합에너지시스템구축을위한정책과제등을제시하였다. 김경술 (2013) 은 남북에너지협력프로젝트별추진방안분석 에서북한에너지수급및에너지, 자원산업현황, 남북에너지협력실적분석, 남북에너지자원협력프로젝트분석, 남북에너지자원협력추진방안등을제시하였다. 유상균외 1 명 (2015) 은 민간참여를통한남북에너지협력방안 에서북한의에너지상황과문제점, 남한의대북에너지협력전략등을제시하였다. 김명남 (2000) 은 러시아가스사업과남북에너지협력의현황 에서동북아국가들의에너지현황, 러시아가스전개발사업, 가스사업추진을위한관련법, 남북에너지협력가능성, 한. 중. 러 3개국협정서및본타당성조사등을제시하였다. 이미경 (2004) 은 북한에너지체제분석및남북에너지협력방안 에서이론으로에너지체제론, 국제에너지협력론을고찰하고, 북한에너지체제분석, 북한에너지협력방안분석, 남북에너지협력방안모색등을제시하였다. 전상희 (2001) 는 남북경제공동체형성을위한에너지부문의협력방안연구 에서남북한에너지산업의비교분석, 남북한에너지수요전망, 남북한경제공동체형성을위한에너지협력 ( 남북에너지협력의필요성과기본방향, 북한에너지분야투자를위한재원
60 조달방안, 남북한에너지단기적협력방안, 남북한에너지중장기적협력방안 ) 등을제시하였다. 윤순진외 4인 (2010) 은 남북재생가능에너지협력의필요성과장애요인 에서이론적배경으로에너지기본권과지속가능한에너지체제와재생가능에너지, 북한의 1차에너지소비실태와재생가능에너지의가능성, 대북재생가능에너지지원사업의장애요인과완화방안 ( 정치적측면, 제도적측면 : 대북경제제재, 경제적측면, 사회적측면 ) 등을제시하였다. 국회환경경제연구회외 1인 (2000) 의 북한인프라구축을위한남북환경 에너지경협방안 에서남북한환경협력및재원조달방안, 남북한에너지협력및통합방안, 독일환경통합의사례와교훈등을제시하였다. 손기웅 (2002) 은 남북환경에너지협력활성화전략연구 에서북한환경현황, 북한환경오염전망, 남북환경교류협력사례및시사점, 남북환경교류협력활성화방안등을제시하였다. 강광규 (2002) 는 남북환경및에너지협력활성화전략연구 에서환경정책및제도, 대기, 수질, 자연환경등부문별매체별북한의일반적인환경오염현황을, 북한자체의환경보전역량및대내외적인여건변화를감안하여부문별매체별환경오염전망, 그리고북한의환경오염현황및전망에비추어보아현재추진되고있는환경정책이가지고있는문제점및한계점이무엇인지구체적으로제시, 남북환경협력의필요성및의의를살펴본후, 그동안진행되어온환경협력사례를진
61 단평가, 북한의환경오염현황, 전망, 정책의한계점들을바탕으로향후추진되어야하는남북환경협력의기본방향과부문별매체별세부추진사업등을제시하였다. 이재승 (2007) 은 동북아에너지협력논의의쟁점과분석틀 : 국제정치경제학적의제설정을중심으로 에서동북아에너지협력의논의동향, 동북아에너지협력의주요쟁점, 동아시아에너지협력의분석틀등을제시하였다. 김영래 (2014) 는 신재생에너지보급을통한남북환경공동체구현방안연구 에서개성공단현황분석, 개성공단신재생에너지사업여건분석, 개성공단신재생에너지원별마스터플랜수립, 개성공단신재생에너지사업세부추진계획, 사업추진활성화를위한제도검토및개선방안등을제시하였다. 배성인 (2010) 은 북한의에너지난극복을위한남북협력가능성모색 에서북한의에너지정책과경제위기, 북한의에너지실태와수급구조, 북한의에너지난극복을위한남북신재생에너지협력방안등을제시하였다. 김경술 (2014) 은 북한민생용에너지문제해결방안연구 에서북한민생용에너지수급분석, 민생용에너지지원을위한북한지역거점석탄광현대화방안, 민생용에너지지원을위한북한지역거점연탄공장건설방안, 북한지역거점석탄광및연탄공장진출방안등을제시하였다. 임상철 (2014) 은 북한의주요지하자원과남북교류가능성 에서 2012년북한의대외교역에서나타난지하자원규모, 북한의지하자원현황, 남북경협으로이루어질수있는이점 ( 남
62 한의수급을중심으로한지하자원, 에너지부문을중심으로한지하자원 ) 등을제시하였다. 정우진외 4인 (2008) 은 전략물자수출통제제도하의북한에너지산업투자활성화방안연구 에서대북에너지지원및협력방안, 전략물자수출통제제도와남북경협, 남북에너지협력과법적장애요인, 전략물자수출통제하의에너지교역ㆍ투자활성화방안등을제시하였다. 정우진 (2009) 은 북한 CDM사업잠재력분석및남북협력방안연구 에서북한의기후변화대응동향, 북한에너지산업의현황과과제, 북한에너지부문의온실가스배출현황및전망, 북한에너지부문의 CDM 잠재력분석, 북한의 CDM 사업환경및추진과제, 에너지 CDM 사업의남북협력방안등을제시하였다. 김경술외 5인 (2013) 은 북한에너지 자원 교통분야의주요개발과제 에서북한에너지ㆍ자원분야의실태, 북한에너지ㆍ자원분야의개발방향및개발과제, 북한에너지ㆍ자원분야의개발협력을위한정책과제등을제시하였다. 안세현 (2013) 은 북한의에너지안보구축 에서북한에너지안보의개념, 북한의에너지상황및문제점분석, 북한에너지안보구축의해법, 남북천연가스협력과동아시아에너지안보등을제시하였다. 에너지경제연구원외 1인 (2003) 은 남북한에너지 자원사업의효율적교역방안연구 에서북한의경제사회상변화추이, 북한의에너지자원수급및관련산업실태, 남한에너지자원의산업비중과수급현황, 북한의대외무역추이, 남북한의
63 에너지자원교역가능품목선정및비용산출, 남북에너지자원교역의이론적접근및파급효과분석, 남북한에너지자원사업의효율적교역방안등을제시하였다. 2) 남북경제협력에관한연구김천규외 4인 (2013) 은 압록강유역에서의남 북 중초국경협력을위한실천전략연구 에서북ㆍ중접경지역개발의의미와필요성, 북한ㆍ중국의개방ㆍ개발계획검토, 압록강유역초국경협력사업의선정, 남ㆍ북ㆍ중초국경협력사업의추진전략과실천과제등을제시하였다. 김천규외 4인 (2013) 은 동북아평화번영을위한두만강유역초국경협력실천전략연구 에서두만강유역연계개발의의미와필요성, 두만강유역의현황및각국의관련계획검토, 두만강유역초국경협력에대한주변국입장, 두만강유역초국경협력사업의도출등을제시하였다. 이상준외 10인 (2013) 은 통일시대를향한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선정및실천과제 에서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와 ' 프로그램형접근 ' 의개념, 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의추진여건분석, 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선정, 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의추진전략및실천과제등을제시하였다. 이석기외 1인 (2014) 은 북한철강산업재건을위한남북협력방안 에서북한철강산업현황, 북한철강산업정책과과제, 북한철강산업재건방향과제철소합리화, 북한철강산업재
64 건위한산업정책및실행과제등을제시하였다. 신동천외 1 인 (2014) 은 북한산업구조와대북투자의효과분석 - 산업연관분석을중심으로 - 에서북한경제의현황과변화추이, 북한경제산업연관표와사회회계행렬의추정과분석, 북한의경제개발투자와경제적파급효과등을제시하였다. 이석기 (2014) 는 한반도신뢰프로세스실현을위한남북경협추진방향 에서북한의산업발전전략과남북한경제협력방향, 남북경협추진방안 ( 위탁가공교역의우선적재개와개성공단의정상화, ' 개성-평양 남포남북한경제협력벨트 ' 구상 ) 등을제시하였다. 구분 연구주제 비고 남북에너지협력방안연구 ( 김경술, 2012) 남북에너지협력 남북에너지협력에관한연구 < 표 8> 주요선행연구 남북에너지협력프로젝트별추진방안분석 ( 김경술, 2013) 민간참여를통한남북에너지협력방안 ( 유상균외 1인, 2015) 러시아가스사업과남북에너지협력의현황 ( 김명남, 2000) 북한에너지체제분석및남북에너지협력방안 ( 이미경, 2004) 남북경제공동체형성을위한에너지부문의협력방안연구 ( 전상희, 2001) 남북재생가능에너지협력의필요성과장애요인 ( 윤순진외 4 인, 2010) 남북에너지협력프로젝트 민간참여 러시아가스사업 에너지체제분석 남북경제공동체형성 남북재생에너지
65 남북경제협력에관한연구 북한인프라구축을위한남북환경 에너지경협방안 ( 국회환경경제연구회외 1인, 2000) 남북환경에너지협력활성화전략연구 ( 손기웅, 2002) 남북환경및에너지협력활성화전략연구 ( 강광규, 2002) 동북아에너지협력논의의쟁점과분석틀 ( 이재승, 2007) 신재생에너지보급을통한남북환경공동체구현방안연구 ( 김영래, 2014) 북한의에너지난극복을위한남북협력가능성모색 ( 배성인, 2010) 북한민생용에너지문제해결방안연구 ( 김경술, 2014) 북한의주요지하자원과남북교류가능성 ( 임상철, 2014) 전략물자수출통제제도하의북한에너지산업투자활성화방안연구 ( 정우진외 4인, 2008) 북한 CDM 사업잠재력분석및남북협력방안연구 ( 정우진, 2009) 북한에너지 자원 교통분야의주요개발과제 ( 김경술외 5 인, 2013) 북한의에너지안보구축 ( 안세현, 2013) 압록강유역에서의남 북 중초국경협력을위한실천전략연구 ( 김천규외 4 인, 2013) 동북아평화번영을위한두만강유 북한인프라구축 남북환경에너지협력 남북환경및에너지협력 동북아에너지협력논의 신재생에너지보급 북한의에너지난극복 북한민생용에너지 북한의주요지하자원 전략물자수출통제 북한 CDM 사업 북한에너지 자원 교통북한의에너지안보 압록강유역에서의남 북 중초국경협력 두만강유역
66 역초국경협력실천전략연구 ( 김천규외 4인, 2013) 통일시대를향한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선정및실천과제 ( 이상준외 10인, 2013) 북한철강산업재건을위한남북협력방안 ( 이석기외 1 인, 2014) 북한산업구조와대북투자의효과분석 ( 신동천외 1 인, 2014) 한반도신뢰프로세스실현을위한남북경협추진방향 ( 이석기, 2014) 초국경협력 한반도개발협력핵심프로젝트 북한철강산업재건 북한산업구조와대북투자 남북경협추진
67 제 3 장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에너지정책고찰 1.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 2. 남북한의에너지의유형및현황분석 3. 남북에너지협력정책의고찰
68
69 Ⅲ. 남북한에너지실태분석및남북에너지 협력정책고찰 1.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인구및경제지표를살펴보면, 2014년현재남북한인구를비교하면, 남한 50,424( 천명 ) 이고북한은 24,662( 천명 ) 으로남한이북한의 2배이다. 경제성장율은남한은북한의 3.3배정도이다. 명목 GNI는남한은 1,496,593( 십억원 ), 북한은 34,236( 십억원 ) 으로남한이북한의 43.7배이다. 1인당 GNI는남한이 2,968 만원, 북한이 139만원으로남한이 21.4배이다. < 그림 3> 남북한주요경제지표비교 ( 년 )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6)
70 대외거래와관련하여, 무역총액은남한이 10, 억달러, 북한이 76.1억달러로남한이 배이다. 수출은남한이 5, 억달러, 북한이 31.6억달러로남한이 배이다. 수입은남한이 5, 억달러, 북한이 44.5억달러로남한이 배이다. 에너지산업과관련하여, 발전설비용량은남한이 93,216 천kW, 북한이 7,253 천kW로남한이 12.9배이다. 발전전력량은남한이 5,220 억kWh, 북한이 216억kWh 로남한이 24.2배이다. < 그림 4> 남북한화력, 수력발전전력및설비용량비교 ( 년 )
71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6) 원유도입량은남한이 927,524 천배럴, 북한이 3,885 천배럴로남한이 배이다. 석탄생산량은남한이 1,748 천M/T, 북한이 27,090 천M/T 로북한이 15배이상이다. 광물생산량의경우, 철광석은남한이 693천M/T, 북한이 5,471 천M/T 로북한이 7.89배이다. 비철금속은남한이 1,503 천M/T, 북한이 398천M/T 로남한이 3.8이다. 주요공산품생산량의경우, 조강은남한이 71,543 천M/T, 북한이 1,220 천M/T 로남한이 58.6배이다
72 < 그림 5> 남북한원유도입량, 석탄및철광석생산량 ( 년 )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6) 시멘트는남한이 47,048 천M/T, 북한이 6,675 천M/T 로 7배이다. 사회간접자본의경우, 철도총연장은남한이 3,590km, 북한이 5,302km 로남한이 0.7배이다. 도로총연장은남한이 105,673km, 북한이 26,164km 로남한이 4배이다. 항만하역능력은남한이 1,039,378 천톤, 북한이 37,000 천톤으로남한이 25배이다
73 < 표 9> 남북한의주요경제지표비교 구분 비교년도 단위 남한 북한 남 / 북 ( 배 ) 1. 남북한인구 천명 50,424 24, 경제성장률 % 3.3p 1-3. 명목 GNI 남한십억원 1,496,593 p 34, 인당 GNI 남한만원 2,968 p 대외거래무역총액 억달러 10, 수출 2014 억달러 5, 수입 2014 억달러 5, 대미환율 원 / 달러 1, 에너지산업석탄생산량 천M/T 1,748 27, 발전설비용량 2014 천kW 93,216 7, 발전전력량 억kWh 5, 원유도입량 2014 천배럴 927,524 3, 광물생산량철광석 2014 천M/T 693 5, 비철금속 천M/T 1, 주요공산품생산량조강 2014 천M/T 71,543 1, 시멘트 2014 천M/T 47,048 6, 사회간접자본철도총연장 km 3,590 5, 도로총연장 2014 km 105,673 26,164 4 항만하역능력 2014 천톤 1,039,378 37, 주 1 : 1 남한은 장래인구추계중위가정자료, 북한은 북한인구추계자료 (1993, 2008 센서스기초추계 ) 기준 3 북한자료는남한의가격, 부가가치율, 환율등에의해추정됨에따라여타나라들과직접비교는바람직하지않음 4 무역총액 = 수출액 + 수입액, 남북교역액불포함 5 미화 1달러당남북한각각의화폐단위 원 으로표시한자료 6 남한은무연탄자료 7 북한은공급량 8 비철금속 = 연 + 아연, 남한은판매기준, 북한은생산능력기준 9 남한은철도키로자료 p 잠정치출처 : 통계청, 2014 기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2015)
74 < 참고 1> 남북한의주요경제지표비교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6)
75 2. 남북한의에너지의유형및현황분석 1) 원유도입량및정유능력원유도입량의경우, 남한은 1980년대 182,861( 천배럴 ) 에서 2014년 927,524( 천배럴 ) 로 5배정도증가한반면에북한은 1980년대 15,393( 천배럴 ) 에서 2014년 3,885( 천배럴 ) 로 3.96 배감소하였다. 정유능력의경우, 남한은 1980년대 640( 천 BPSD) 에서 2014년 3,039( 천BPSD) 로 4.7배증가한반면에북한은 1980년대부터 70( 천BPSD) 으로일정한수준을유지하고있다. 남한과북한의원유도입량을비교해보면, 1980년대남한은 182,861( 천배럴 ), 북한은 15,393( 천배럴 ) 으로서남한이 11.8배높았고, 이후 1990년대남한은 308,368( 천배럴 ), 북한은 18,472( 천배럴 ) 로서 16.7배높았다. 2014년남한은 927,524( 천배럴 ) 로북한의 3,885( 천배럴 ) 의 배였다. 이를통해남한이북한에비해원유도입량이갈수록증가하고있음을알수있다. 남한과북한의정유능력을비교해보면, 1980년대남한은 640( 천BPSD), 북한은 70 ( 천BPSD) 으로서남한이 9.14배높았다. 이후남한은 1996년 2,438( 천BPSD) 로증가하였고, 2014년 3,039( 천BPSD) 로증가한반면에북한은 70( 천BPSD) 을유지함으로써 2014년현재남한은북한의 43.4배이다. 이를통해남한이북한에비해월등한정유능력을지니고있음을알수있다
76 < 표 10> 남북한원유도입량및정유능력비교 ( 년 ) 남한 북한 시점 원유도입량 ( 천배럴 ) 원유도입량 전년대비증감률 정유능력 ( 천 BPSD) 정유능력 전년대비증감률 원유도입량 ( 천배럴 ) 원유도입량 전년대비증감률 정유능력 정유능력 ( 천 BPSD) 전년대비증감률 , ,039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 , , , , ,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5) 2) 1 차에너지총공급량및 1 인당공급량 1차에너지총공급량의경우, 남한은 1980년 43,911( 천 TOE) 에서 2000년 192,887( 천TOE), 2014년 282,933( 천 TOE) 으로증가하고있는반면북한은 1980년 21,013( 천 TOE), 2000년 15,687( 천TOE), 2014년 11,050( 천TOE) 로감소추세이다. 1차에너지 1인당공급의경우, 남한은 1980년 1.15(TOE) 에서 2000년 4.10(TOE), 2014년 5.61(TOE) 로증가하고있는반면북한은 1980년 1.19(TOE), 2000년 0.69(TOE), 2014년 0.45(TOE) 로감소추세이다. 남한과북한의 1차에너지총공급량을비교해보면, 1980년남한은 43,911( 천TOE), 북한은 21,013( 천TOE) 으로서남한이북한의 2배정도규모였다. 2000년남한은 192,887( 천TOE), 북한은 15,687( 천TOE) 로서남한이북한에비해 12.2배였다. 2014년남한은 282,933( 천TOE), 북한은 11,050( 천TOE) 로서남한이북한에비해 25.6배였다. 이를통해남북간 1차에너지총공급량격차가매년확대되고있는추세임을알수있다. 남한과북한의 1차에너지 1인당공급량을비교해보면, 1980년남한은 1.15, 북한은 1.19였다. 하지만 1990년남한은 2.17, 북한은 1.07로남한이북한에비해 2배정도로증가
78 하였다. 2000년남한은 4.10, 북한은 0.69였고, 2014년남한은 5.61, 북한은 0.45로서 12.4배였다. 이를통해남북한 1차에너지 1인당공급량은매년격차가확대되고있음을알수있다. 시점 < 표 11> 남북한 1 차에너지총공급량및 1 인당공급량비교 총공급량 총공급량 ( 천 TOE) 전년대비증감률 남한 1인당공급량 (TOE) 전년 1인당대비공급량증감률 총공급량 ( 천 TO E) 총공급량 전년대비증감률 북한 1인당공급량 (TOE) 1 인당공급량 전년대비증감률 ,933p 0.9p 5.61p 0.5p 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 , , , , , , , , , , , , , , ,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5) 3) 1 차에너지유형별공급 남한과북한의 1 차에너지유형별공급량을비교하면, 2014 년남한은전체 282,933( 천 TOE) 중에서석유 104,944( 천 TOE)(37.1%), 석탄 84,608( 천 TOE)(30.0%), LNG 47,773 ( 천 TOE)(16.9%), 원자력 33,002( 천 TOE)(12.7%)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북한은전체 11,050( 천 TOE) 중에서석탄 5,810( 천 TOE)(52.6%), 수력 3,250( 천 TOE)(29.4%), 석유 730( 천 TOE)(6.6%) 등으로구성되어있다. 이를통해, 남한 은석유와석탄공급량이많은반면북한은석탄과수력에너 지공급이많다는점을알수있다. 연도 < 표 12> 남북한 1 차에너지유형별공급량비교 1 차에너지별 남한 북한 공급 ( 천 TOE) 구성비 (% ) 공급 ( 천 TOE) 구성비 (%) 전년 전년 전년 전년 공급량 대비증감률 비율 대비증감률 공급량 대비증감률 비율 대비증감률 2014 합계 282,933p 0.9p ,
80 석탄 84,608p 3.3p 30.0p 2.7p 5, 석유 104,944p -0.8p 37.1p -1.9p 수력 1,650p -6.8p 0.6p 0.0p 3, 원자력 33,002p 12.7p 11.7p 12.5p LNG 47,773p -9.0p 16.9p -9.6p 기타 10,956p 21.9p 3.9p 21.9p 1, 합계 280, , 석탄 81, , 석유 105, 수력 1, , 원자력 29, LNG 52, 기타 8, , 합계 278, , 석탄 80, , 석유 106, 수력 1, , 원자력 31, LNG 50, 기타 8, , 합계 276, , 석탄 83, , 석유 105, 수력 1, , 원자력 33, LNG 46, 기타 6, , 합계 263, , 석탄 77, , 석유 104, 수력 1, , 원자력 31,
81 LNG 43, 기타 6, , 합계 243, , 석탄 68, , 석유 102, 수력 1, , 원자력 31, LNG 33, 기타 5, , 합계 240, , 석탄 66, , 석유 100, 수력 1, , 원자력 32, LNG 35, 기타 5, , 합계 236, , 석탄 59, , 석유 105, 수력 1, , 원자력 30, LNG 34, 기타 4, , 합계 233, , 석탄 56, , 석유 101, 수력 1, , 원자력 37, LNG 32, 기타 4, , 합계 228, , 석탄 54, ,
82 석유 101, , 수력 1, , 원자력 36, LNG 30, 기타 3, 합계 220, , 석탄 53, , 석유 100, , 수력 1, , 원자력 32, LNG 28, 기타 3, 합계 215, , 석탄 51, , 석유 102, , 수력 1, , 원자력 32, LNG 24, 기타 3, 합계 208, , 석탄 49, , 석유 102, , 수력 1, , 원자력 29, LNG 23, 기타 2, 합계 198, , 석탄 45, , 석유 100, , 수력 1, , 원자력 28, LNG 20,
83 기타 2, 연도 차에너지별 남한 북한 공급 ( 천 TOE) 구성비 (% ) 공급 ( 천 TOE) 구성비 (%) 공급량 전년전년전년전년비비대비대비공급량대비대비율율증감률증감률증감률증감률 합계 192, , 석탄 42, , 석유 100, , 수력 1, , 원자력 27, LNG 18, 기타 2, 합계 181, , 석탄 38, , 석유 97, 수력 1, , 원자력 25, LNG 16, 기타 1, 합계 165, , 석탄 36, , 석유 90, , 수력 1, , 원자력 22, LNG 13, 기타 1, 합계 180, , 석탄 34, , 석유 109, , 수력 1, , 원자력 19, LNG 14, 기타 1, 합계 165, , 석탄 32, ,
84 석유 99, , 수력 1, , 원자력 18, LNG 12, 기타 1, 합계 150, , 석탄 28, , 석유 93, , 수력 1, , 원자력 16, LNG 9, 기타 1, 합계 137, , 석탄 26, , 석유 86, 수력 1, , 원자력 14, LNG 7, 기타 합계 126, , 석탄 25, , 석유 78, , 수력 1, , 원자력 14, LNG 5, 기타 합계 116, , 석탄 23, , 석유 71, , 수력 1, , 원자력 14, LNG 4, 기타 합계 103, , 석탄 24, , 석유 59, , 수력 1, ,
85 원자력 14, LNG 3, 기타 합계 93, , 석탄 24, , 석유 50, , 수력 1, , 원자력 13, LNG 3, 기타 , 합계 56, , 석탄 22, , 석유 27, , 수력 , 원자력 4, LNG 기타 2, , 합계 43, , 석탄 13, , 석유 26, , 수력 , 원자력 LNG 기타 2, , 출처 : 통계청북한통계 (2015) 4) 발전설비용량남한과북한의발전설비용량을비교하면, 2014년남한은전체 93,216( 천kW ) 중에서화력 61,559( 천kW )(66.1%), 원자력 20,716( 천kW )(22.2%), 수력 6,467( 천kW )(6.9%), 대체에너지 4,474( 천kW )(4.8%) 이다. 반면에북한은전체 7,253( 천kW ) 에서수력 4,293( 천kW )(59.2%), 화력 2,960( 천kW )(40.8%) 로
86 주로수력과화력발전설비이다. 이를통해, 에너지설비중에 서남한과북한모두화력발전설비용량이상당한부분을차지 한다는공통점을지니는반면에남한은원자력에너지설비 가, 북한은수력에너지설비가많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는 것을알수있다. 연도 발전설비별 < 표 13> 남북한발전설비용량비교 남한북한용량 ( 천kW ) 구성비 (%) 용량 ( 천kW ) 구성비 (% ) 용량 전년대비증감률 비율 전년대비증감률 용량 전년대비증감률 비율 전년대비증감률 합계 93, , 수력 6, , 화력 61, , 원자력 20, 대체에너지 4, 합계 86, , 수력 6, , 화력 56, , 원자력 20, 대체에너지 3, 합계 81, , 수력 6, , 화력 52, , 원자력 20, 대체에너지 2, 합계 79, , 수력 6, , 화력 54, , 원자력 18, 대체에너지 합계 76, ,
87 수력 5, , 화력 52, , 원자력 17, 대체에너지 합계 73, , 수력 5, , 화력 50, , 원자력 17, 대체에너지 합계 72, , 수력 5, , 화력 49, , 원자력 17, 대체에너지 합계 68, , 수력 5, , 화력 45, , 원자력 17, 대체에너지 합계 65, , 수력 5, , 화력 42, , 원자력 17, 대체에너지 합계 62, , 수력 3, , 화력 40, , 원자력 17, 대체에너지 합계 59, , 수력 3, , 화력 39, , 원자력 16, 대체에너지 합계 56, , 수력 3, , 화력 36, ,
88 연도 원자력 15, 대체에너지 합계 53, , 수력 3, , 화력 34, , 원자력 15, 대체에너지 합계 50, , 수력 3, , 화력 33, , 원자력 13, 대체에너지 발전설비별 남한북한용량 ( 천kW ) 구성비 (% ) 용량 ( 천kW ) 구성비 (%) 용량 전년대비증감률 비율 전년대비증감률 용량 전년대비증감률 비율 전년대비증감률 합계 48, , 수력 3, , 화력 31, , 원자력 13, 대체에너지 합계 46, , 수력 3, , 화력 30, , 원자력 13, 대체에너지 합계 43, , 수력 3, , 화력 28, , 원자력 12, 대체에너지 합계 41, , 수력 3, , 화력 27, ,
89 원자력 10, 대체에너지 합계 35, , 수력 3, , 화력 23, , 원자력 9, 대체에너지 합계 32, , 수력 3, , 화력 20, , 원자력 8, 대체에너지 합계 28, , 수력 2, , 화력 18, , 원자력 7, 대체에너지 합계 27, , 수력 2, , 화력 17, , 원자력 7, 대체에너지 합계 24, , 수력 2, , 화력 14, , 원자력 7, 대체에너지 합계 21, , 수력 2, , 화력 11, , 원자력 7, 대체에너지 합계 21, , 수력 2, , 화력 11, , 원자력 7, 대체에너지
+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그림 3 지역 및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수요 증가율 그림 4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에너지원별 점유율 시장 전망에서 세계 GDP 성장률은 연평균 3.4% 인 증가를 선도하겠지만 이후에는 인도가 지배적인 역할 구는 0.9% 증
Special Issues 특집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WEO 2014) 1 개황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매년 세계 에너지시장에 대한 중장기 전망을 발표해 오고 있다. 2014년 세계 에너지시장 전망은 분석기간을 2040년까지 확대해 장기 전망과 분석을 수행했고 에너지소비와 수급측면의 종합적인 동향과 석유 천연 가스 석탄 전력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 등의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2012 년도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교외선 ( 능곡 ~ 의정부 ) 철도사업 2012. 7. 요약 요약 제 1 장예비타당성조사의개요 1. 사업추진배경 2000 5 16, 2004 4 1,, 2006 -,, 39,., ~~, 2. 사업의추진경위및추진주체 2004. 12: (~) () - 21 (B/C=0.34). 2010. 04~2012. 02: (~) () - (B/C=0.53,
allinpdf.com
이책은북한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통일교육원에서발간한교재입니다. 각급교육기관등에서널리활용하여주시기바랍니다. 차례 Ⅰ. 북한이해의관점 Ⅱ. 북한의정치 차례 Ⅲ. 북한의대외관계 Ⅳ. 북한의경제 Ⅴ. 북한의군사 Ⅵ. 북한의교육 차례 Ⅶ. 북한의문화 예술 Ⅷ. 북한의사회 Ⅸ. 북한주민의생활 차례 Ⅹ. 북한의변화전망 제 1 절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ㅇ ㅇ
ㅇ ㅇ ㅇ 1 ㆍ 2 3 4 ㅇ 1 ㆍ 2 3 ㅇ 1 2 ㆍ ㅇ 1 2 3 ㆍ 4 ㆍ 5 6 ㅇ ㆍ ㆍ 1 2 ㆍ 3 4 5 ㅇ 1 2 3 ㅇ 1 2 3 ㅇ ㅇ ㅇ 붙임 7 대추진전략및 27 개세부추진과제 제 5 차국가공간정보정책기본계획 (2013~2017) 2013. 10 국토교통부 : 2013 2017 차 례 제 1 장창조사회를견인하는국가공간정보정책
2009_KEEI_연차보고서
http://www.keei.re.kr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ANNUAL REPORT 2010. 5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3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4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5 KOREA ENERGY
09 남북관계전문가 설문조사
남북관계전문가전문가설문조사설문조사 북한 7 차당대회와남북관계전망 현대경제연구원통일연구센터 남북관계전문가설문조사결과현대경제연구원은북한의 7차당대회와향후남북관계전망을알아보기위해 4월 14일부터 22일까지 9일간통일 외교 안보분야의전문가 100명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 김정은체제안정성 ) 김정은체제의북한이불안정하다는의견이전년도조사에비해증가했다. 2015
[10상예타]_광주도시철도2호선 건설사업_인쇄본_ hwp
2010 년도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광주도시철도 2 호선건설사업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요 약 요약 Ⅰ. 예비타당성조사의개요 1. 사업의배경및목적,,. 2 2002 2005, 2010. 2015 2. 1 1 2015 2 2. 사업추진경위 2002, 2005 (B/C=1.42, AHP=0.606), ( )., 5, 2 ( () ). - (2010.2).
2016³â ¿¡³ÊÁöÅë°è ÇÚµåºÏ---.PDF
www.energy.or.kr 2016 ց ೩ Energy Statistics Handbook Contents PART Ⅰ. 에너지수급 총괄 7 1. 주요 에너지 경제지표 14 2. 1차 에너지원별 공급량 17 3. 1차 에너지원별 공급 구성비 18 4.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량 19 5.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 구성비 20 6. 부문별 최종에너지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1 Economic 2 3 4 ISSN 2093 0844 Chungnam Economic Trends May 2016. 5 인재를둘러싼두뇌전쟁! 충남이인재를유인 양성하려면? 수도권으로 G o! G o! 지역내인재유출 H i g h 2013 인재와기업입지 고용 지역성장간관계 1 66 1 1 2 21 4 5 3 9 ➊ 관용성확충 ➌ 혁신지구조성및유형별인재조기경보시스템개발
여수신북항(1227)-출판보고서-100부.hwp
2012 년도타당성재조사보고서 여수신북항건설사업 2012. 10 요약 요약 1. 사업의개요 가. 추진배경및목적 2012( 1), 2) ) 164 11. -.,,. (2008.10.23, ) 3). 1),,,,,,,. 2),,,,. 3) 2013 7 2012(, ) 11, ( A,B,C,W ).. 나. 사업내용및추진경위 : : : 1,103m, 1,270m,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발간사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목차 / 김광석 / 김적교 / 사공일 / 송희연 / 남상우 / 문팔용 / 김윤형 / 사공일ㆍ송대희 / 김수곤 / 김영봉 / 이규억 / 민재성ㆍ박재용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 황인정 / 남상우 / 양수길 / 고일동 / 김준경ㆍ조동철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2009-8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Ⅰ. 서론 Ⅱ. 구조화금융의미시적시장구조 2 조사보고서 2009-08 요약 3 Ⅲ. 서브프라임위기의현황과분석 4 조사보고서 2009-08 Ⅳ. 서브프라임위기의원인및특징 요약 5 6 조사보고서 2009-08 Ⅴ. 금융위기의파급경로 Ⅵ. 금융위기극복을위한정책대응 요약 7 8 조사보고서 2009-08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2016. 2. 16.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제 20 차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회의자료 2 0 1 6 ᆞ 2 ᆞ 16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15. 12 한국직업자격학회 o o o o o 1) SC 내에서 Sub-SC 가존재하는것이아니라 NOS, 자격개발등의개발및운영단위가 Sub-sector 로구분되어있음을의미함. o o o o o o o o o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o o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삼성경제연구소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제 27 장 대형국책과제의추진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중점협력국대상국가협력전략 (9 개국 ) - 콜롬비아, 방글라데시, 아제르바이잔, 르완다, 볼리비아,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파라과이 - 2016. 5. 30. 관계부처합동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2 0 1 6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총목차 1. 콜롬비아국가협력전략 1 2. 방글라데시국가협력전략 38 3. 아제르바이잔국가협력전략
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15 년 ~ 2018 년 전라남도 제출문 보건복지부장관귀하 전라남도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15-2018) 을제출합니다. 2014. 12. 20. 전라남도지사 - 목차 - - i - - ii - - 표차례 - - iii - - iv - - v - - vi - - 그림차례 - - vii - 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개요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Quarterly Briefing Vol. 2017- 분기 -02 (2017.4.) 해외경제연구소 2017 년 1 분기수출실적평가 및 2 분기전망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산업별 기업규모별수출업황평가지수추이 (%) : 수출선행지수추이 1 2 2.. 3 - ㅇ 4 . 5 6 . 1 ( ) 7 1 (). 1 8 1 ( ) 1 () 9 1 () < 참고
국내폐지의수급안정화방안연구 A Study on Supply and Demand Stabilization of Domestic Wastepaper 2009 12 요약 제 1 장서론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제 2 장국내제지산업과폐지재활용 1. 제지산업현황과특성 2. 제지산업에서의폐지수급및유통구조 3. 폐지재활용현황과문제점 1) OCC(Old
남북한의통일편익추정 차례 1. 논의의배경 2. 통일편익과통일비용 3. 단계적통일시나리오 4. 남북한경제통합의편익 5. 결론및시사점 주요내용 남북한이협력적으로평화통일의기반을구축하기위해서는통일의구체적추진방향을제시하고효과를분석할필요가있으므로본고에서는향후 40년간 2단계에걸쳐
2015 년 10 월 28 일 Vol. 15 No. 28 ISSN 1976-0515 남북한의통일편익추정 * 1) 이일형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강은정국제거시금융실국제금융팀전문연구원 (ejkang@kiep.go.kr, Tel: 044-414-1214) * 본고는뉴데일리미디어그룹출범 10 주년기념심포지엄 통일한국 G7 으로! 통일경제국제심포지엄 에서발표한내용임. 남북한의통일편익추정
수정보고서(인쇄용).hwp
발행물등록번호 : 11-1270000-000585-14 2009 법무부용역보고서 2009 국가경쟁력강화를위한외국인력유치정책방향 연구기관 _ 한국경제학회 2009. 12. 제 1 장서론 1 국가경쟁력강화를위한외국인력유치정책방향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Issue Report Vol. 2017- 지역이슈 -11 (2017.12) 해외경제연구소 카자흐스탄의유라시아경제연합 (EAEU) 역내경제협력관계 : (6255-5707) hyekyung@koreaexim.go.kr : (6255-5759) ykj@koreaexim.go.kr - 1 - < 표 1> 카자흐스탄의 EAEU 역내수출 구 분 2016년수출액 2015년대비비율
국도_34호선(용궁~개포)건설사업_최종출판본.hwp
2011 년도타당성재조사보고서 국도 34 호선 ( 용궁 ~ 개포 ) 건설사업타당성재조사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요약 Ⅰ. 타당성재조사의개요 1. 사업의배경및목적 4. 34 ~... 2. 사업의추진경위및개요 : 23 2010-10 : ~ : L= 5.0km(4 ) : 764 : 100%() : 2013~2018 (6 ) < 표 1> 총사업비내역 (:
Issue Report Vol 지역이슈 -07 ( )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 ) : ( )
Issue Report Vol. 2015- 지역이슈 -07 (2015. 6. 24)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극동개발추진현황과한 러경제협력방안 : (6255-5711) yhjo@koreaexim.go.kr : (6255-5759) ykj@koreaexim.go.kr 1) 러시아경제성장률은 2010 년 4.5% 이후지속적으로하락하여 2011 년 4.3%, 2012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계획수립등전력수급안정에도최선의노력을기울이고있습니다. 이번에발간하는 2016년발전설비현황은
최종보고서-2011년_태양광등_FIT_개선연구_최종.hwp
Ⅰ Ⅱ - i - Ⅲ - ii - - iii - - iv - Ⅳ Ⅴ - v - 1 1 33 1.1 33 1.1.1. 33 1.1.2. 33 1.2 35 1.2.1. 35 1.2.2. 36 2 40 2.1 40 2.1.1. 40 2.1.2. 43 2.2 47 2.2.1. 47 2.2.2. 51 3 54 3.1 54 3.1.1. 54 3.1.2. 60 3.1.3.
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2013. 20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제1장. 연구개요 1 제2장. 1세부과제 : 장애인건강상태평가와모니터링 10 - i - 제3장. 2세부과제 : 장애인만성질환위험요인조사연구 117 - ii - 4장.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Issue Br ief ing Vol. 2013-E01 (2013.07.22)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1 1. 1 2. 2 3. 6 4. 7 II. 8 1. 8 2. 10 3. IT 15 4. 17 5. 20 6. 21 : (3779-6685) (3779-6679) (3779-5327) (3779-6677) (3779-6680)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2011-43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40%. i 1 제 1 장서론,, FTA.,.. 1990 25,000ha 2010 52,000ha. 1990 7,800 4.3% 2009 11. 52,000ha 13,000ha 25% 95%.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30~50% 20%, 14~15%, 10%.,.,. 1 7,500,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Contents - 목차 - 1.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2.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관리및운영지침 3. 공급인증서발급및거래시장운영에관한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5 법률시행령시행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
이발간물은국방부산하공익재단법인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 매월개최되는국방 군사정책포럼에서의논의를참고로작성되었습니다. 일시 2017. 6. 22 장소주관발표토론간사참관 한국군사문제연구원오창환한국군사문제연구원장허남성박사 KIMA 전문연구위원, 국방대명예교수김충남박사 KIMA객원연구위원송대성박사前 ) 세종연구소소장방효복예 ) 중장前 ) 국방대학교총장남성욱박사고려대행정전문대학원장이원우박사前
소준섭
2014 년미얀마의국가경쟁력평가와정책적시사점 : 세계경쟁력지수 (GCI) 분석을통한개발협력분야모색 원순구 목 차 Ⅰ. 서론 Ⅱ. 미얀마및한국의세계경쟁력지수 (GCI) 분석 1. 세계경쟁력지수의구조및측정 2. 미얀마국가경쟁력지수평가분석 3. 한국의국가경쟁력지수분석 Ⅲ. 양국의경쟁력지수 GAP 분석을통한개발협력분야모색 1. 한국과미얀마의부문별경쟁력지수 GAP 분석
[09하 타재] 부산영상센터_본보고서_인쇄본_최종4(101011).hwp
2010 년도타당성재조사보고서 부산영상센터건립사업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요 약 요약 제 Ⅰ 장타당성재조사의개요 1. 사업의배경및목적 96 09 14, 8 3 96,,,,, 2. 사업의추진경위및근거 04 460( 230) 05 05.11 : ( ) 07. 4 : (460 969) 07. 4 : ( KDI) * 07. 5 : * 08. 2 : (460
제 6 차전력수급기본계획 (2013~2027) 지식경제부
제 6 차전력수급기본계획 (2013~2027) 2013. 2 지식경제부 목 차 I. 전력수급기본계획개요 1 II. 전력수급현황 2 1. 전력수요 2 2. 전력공급 6 3. 최근전력수급불안요인분석 8 III. 제 6 차전력수급기본계획기본방향 14 1. 대내외환경변화 14 2. 전력수급기본계획기본방향 16 IV. 기준수요전망 17 1. 모형및주요전제 17 2.
<BACFC7D1BFA1B3CAC1F6C5EBB0E82E687770>
북한에너지통계 2015. 12 에너지경제연구원 김경술 I. 머리말 북한의에너지시스템은의외로간단하다. 석유, 석탄, 전력, 기타에너지로구성된간단한구조를가지고있다. 석유는중국과연결된 조 중우호송유관 을통해원유를수입, 석유제품으로정제하여사용하며, 별도로정제된석유제품을수입하여국내에공급한다. 석탄은무연탄을주로사용하며, 고급무연탄은주로수출하고중 저급무연탄을내수용으로사용한다.
지도임자_1204_출판(최종).hwp
2012 년도수요예측재조사보고서 국도 24 호선 ( 지도 ~ 임자 ) 건설사업 2012. 12 요 약 Ⅰ. 수요예측재조사의개요 1. 사업의개요 24(~) 4.99km 2 1975, 2006,, : L=4.99km(B=11.0m, V=60km/h) 3 1,955m( 2 1,920m), 3 : 182,151 ( 100%) : ~ : 2012 2019 (8) :
Ⅰ Ⅱ Ⅲ Ⅳ
제 2 차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국토교통부 Ⅰ Ⅱ Ⅲ Ⅳ Ⅴ - 4 - 1 배경및법적근거 2 계획의수립방향 - 3 - 3 계획수립의성격및역할 4 계획수립경위 - 4 - Ⅱ 1 국내외여건변화 가. 현황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나. 문제점및기본방향 - 14 - 2 국내 U-City 현황 가. 현황 -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2012-82 The Study on the Alternative Pla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Use in Palgong-Mountain , i ii iii iv v ? vi vii 제 절연구배경및목적 연구배경과필요성 연구목적 제 절연구범위 연구내용및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제 절선행연구고찰 주요개념 관련연구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 목차 > 2011 년 1/4 분기지역경제동향 ( 요약 ) * 생산은광공업생산지수, 고용은취업자수이며, ( ) 의숫자는전년동분기대비증감률임 < 분기주요지역경제지표 1 > [ 전년동분기비, %] 시 도 ( 권역 1) ) 광공업생산지수 2)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3) 취업자수 10.2/4 3/4 4/4 11.1/4 p 10.2/4 3/4 4/4 11.1/4 p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www.sen.go.kr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 시설 설비및교구기준연구 2012. 10.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폐기물소각시설에너지회수실태조사및 모니터링시스템구축방안연구 - 2009. 12.-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 사 )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회장김석준 제출문 본보고서를귀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과제 폐기물소각시설에너지회수실태조사및모니터링시스템구축방안
G lobal M arket Report 유럽재정위기 2 년, 주요국변화동향
G lobal M arket Report 12-012 2012.06.14 유럽재정위기 2 년, 주요국변화동향 C O N T E N T S 목 차 1. EU 총괄 / 2. 그리스 / 3. 독일 / 4. 스페인 / 5. 영국 / 5. 이탈리아 / 5. 프랑스 / 유럽재정위기 2 년, 주요국변화동향 요약 4 Global Market Report 12-012 5 Global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2010-14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목 차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요약,,,, 4, 5, 6,,,,, 5 58 1:1 34, 24 ( 13, 11 ) 2010 2017 8 i (5 8 ),.,, 74 (4 3, 5 19, 6 52 ) (4~6 4,901 ) 1.5% 5% ii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목적 2 연구범위와방법
MRIO (25..,..).hwp
공공투자사업의지역경제파급효과추정을위한 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구축및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제 Ⅰ 장문제의제기 1 제Ⅱ장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분석의추이및문제점 7 제Ⅲ장 MRIO 모형구축을위한방법론검토 17 제Ⅳ장 KDI MRIO 모형의구조및특성 37 제Ⅴ장 KDI MRIO 모형의세부구축방법 60 제Ⅵ장 KDI MRIO 모형의추정및결과 120 제Ⅶ장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녹색요금과제 평가용 최종보고서.hwp
I-2011-0-011-01 전력산업저탄소녹색성장추진비용에대한 소비자의식및지불의사연구 ( 평가용최종보고서 ) 제출문 - 1 - 전력산업인프라구축지원사업평가용최종보고서요약문 I-2011-0-011-01 - 3 - q þ q q q q q þ q q þ q q q - 4 - 요약보고서 - 7 - - 8 - - 9 - - 10 - - 11 - - 12 -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2012-02 2012. 1. 13 미국스마트그리드산업의 Value Chain 및정책동향 주요내용요약 서론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책동향 21세기스마트그리드산업전략 결론 작성김정욱책임연구원, 미국거점 kjwcow@kiat.or,kr +1-404-477-3288 감수조영희팀장, 국제협력기획팀 yhcho@kiat.or.kr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B1B9BEEE412E687770>
21 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문제및정답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1
전기차보급정책방향 에너지관리공단부장 l 박성우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1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212 ㅣ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3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214 ㅣ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5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216 ㅣ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7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218 ㅣ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219 전기차보급활성화포럼 220 ㅣ 전기차보급정책방향ㅣ
목 차 2012-5 - 7) - 6 - - 7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1 사업명 - 8 - 2 필요성및목적 - 9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0 - - 11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2 - - 13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2-1 필요성 - 14 - 2-2 목적 3 사업내용총괄 3-1 사업개요 - 15 - 직업교육의메카,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발간사. 1978,. G-8 G-20.,..,,,
중국의중소기업정책 강동수 이준엽 발간사. 1978,. G-8 G-20.,..,,,...... 2003 ..,... KDI 2007 (DRC)., 2009,. 2009 8 25 26 KDI-DRC. 2009. 2010,,,... 2009 8 KDI DRC.,,, KDI,,, . DRC Li Zhaoxi, Zhang Chenghui, Chen Quansheng.
학자금지원을위한소득기준 산출방식개선방안연구 한국장학재단이사장귀하 본보고서를 학자금지원을위한소득기준산출방식개선방안연구 의최종 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1. 9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연구진 연구책임자 : 홍성대연구위원공동연구원 : 이대영책임연구원추병주연구원구자연위촉연구원 학자금지원을위한소득기준 산출방식개선방안연구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2016. 3 GPS 2020 본과업은대학발전 TASK FORCE 팀에 의하여연구되었습니다. 2016. 3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Ⅰ 1. 8 2. 8 3. 12 4. 13 5. 14 6. 16 7. 17 Ⅱ 1. 20 2. 21 3. 24 4. 25 Ⅲ 1. 28 2. 29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ⅰ ⅱ ⅲ ⅳ ⅴ 1 Ⅰ. 서론 2 Ⅰ. 서론 3 4 1) 공공기관미술품구입실태조사 Ⅰ. 서론 5 2) 새예술정책미술은행 (Art Bank) 제도분석 3) 국내외사례조사를통한쟁점과시사점유추 4) 경기도내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정책수립및활용방안을위 한단기및장기전략수립 6 7 Ⅱ. 경기도지역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실태 및현황 1) 실태조사의목적 ž 2) 표본조사기관의범위
???德嶠짚
2018 3+4 NO.132 SDGs Social Equality Communication Human Rights Justice Peace www.kipa.re.kr CONTENTS 2018 3+4 NO.132 02 52 16 22 58 32 38 44 66 www.kipa.re.kr 74 80 132 2018 4 13 235 02-2007-0644 02-564-2006
[10상예타]_16_지적재조사사업_보고서_인쇄본_최종_ hwp
2010 년도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지적재조사사업 공공투자관리센터 한국개발연구원 요약 요 약 제 1 장예비타당성조사의개요 1. 사업추진배경및필요성, 100,,,,, 2. 사업의목적 . 3. 사업의추진경위및추진근거 1992~1993 : 1994 : ( 2) 1995 : 1995 : 1996 : ( 1996-74) 2000 : 2001 2002 : 2004 : (
( 1 ) ( 2 )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 13 17) 2016 년시행계획 ( 안 ) ( 1 ) ( 2 ) 0 비전중장기 5대추진전략 국민건강 G7 선진국도약 - 2020 건강수명 75 세시대 달성 - 건강 R&D 투자지속적확대 글로벌수준의기술개발을위한선택과집중 성과창출형 R&D 지원시스템고도화 연구생태계조성 건강산업촉진을위한제도개선 건강 R&D 투자지속적확대 보건의료 R&D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40-13 이혼여성의부모역할및자녀양육지원방안에관한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2. 연구내용및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연구결과 (1) 설문조사결과 (2) 심층면접조사결과 4. 이혼여성의부모역할과자녀양육지원을위한정책과제 가. 기본방향 나. 정책과제 목 차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2009-031 대구광역시봉안시설확충방안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 ii - 요약 장사문화변화 (2001), 단기적필요성 묘지시설 4, 3 봉안시설 2, 13, 19,516 90% 산골시설,, - i - 사망자추계, 2007 2010 ~2025 11,349 ~11,538 화장수요추정 10 (1998~2007) S 봉안 산골시설유형별수요추계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2003report250-9.hwp
2003 연구보고서 250-9 여성의 IT 직종교육훈련후취업현황및취업연계방안 : () : ()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2003 12 연구요약 1. 2. 전체정부위탁훈련기관의취업관련서비스제공정도에서, 취업정보, 취업상담, 취업알선을 적극적이며많이제공 한다가각각 76.6%, 70.3%, 65.6% 로알선기능이약간떨어지며, 취업처개척 개발 (50.0%) 이가장낮다.
untitled
외국인환자유치사업활성화및안전성확보방안행사개요 주최 : 보건복지부 주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상 : 유치기관, 지자체, 외국인환자유치사업관심있는모든분 일정 ( 총 3시간 ) 일시장소대상지역 6.13( 수 ) 14:00 17:00 건양대병원암센터 5 층대강당대전 ( 충청 전라 ) 설명회 ( 4 회 ) 6.14( 목 ) 14:00 17:00 부산국제신문사 4 층중강당부산
(중등용1)1~27
3 01 6 7 02 8 9 01 12 13 14 15 16 02 17 18 19 제헌헌법의제정과정 1945년 8월 15일: 해방 1948년 5월 10일: UN 감시 하에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 제헌 국회의원 198명 선출 1948년 6월 3일: 헌법 기초 위원 선출 1948년 5월 31일: 제헌 국회 소집. 헌법 기 초위원 30명과 전문위원 10명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1. 지구단위계획구역결정 ( 변경 ) 조서 가. 총괄 ( 변경없음 ) 도면표시번호 구역명위치 기정 면 적 ( m2 ) 변경후 변경 계 1단계 2단계 비고 - 수원시영통구매탄동, 이의동, 광교지구원천동, 하동, 팔달구우만동, 제1종지구단위계장안구연무동일원획구역용인시수지구상현동,
정책이슈페이퍼 14-11 북한민생용에너지문제해결방안 김경술 목 차 Ⅰ. 배경및문제점 / 1 Ⅱ. 조사및분석결과 / 2 Ⅲ. 정책제언 / 10 Ⅳ. 기대효과 / 12 < 참고자료 > / 14 북한민생용에너지문제해결방안 북한민생부문연료공급부족은매우심각한상황 선행연구 김경술 에따르면 년북한가정부문이소비한에너지량은 년소비량의 에불과 북한가정부문이 년과같은수준의에너지소비규모를유지하려면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기는군정구현 Ⅴ.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Global Market Report 17-039 Global Market Report 태국자동차산업글로벌밸류체인 (GVC) 진출방안 방콕무역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13 3.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16 1. 개관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56 1. 대이란진출전략및유의사항 2. KOTRA 의이란진출지원방안 경제제재완화대비,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Special Theme.. 6.. 5..... TV SNS 2015 Spring vol. 130 17
특집 한국스포츠산업의 전망과 과제 Special Theme 스포츠산업의 변신은 경제발전, parse@snut.ac.kr..... 16 SPORT SCIENCE Special Theme.. 6.. 5..... TV SNS 2015 Spring vol. 130 17 라틴 아메리카 5% 아시아 19% 유럽 중동아프리카 35% 세계 스포츠 시장 지역별 수입 북미 41%
- 2 -
보도자료 미래부 - 부산시,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 ( 가칭 ) 설립공동협력키로 - 부산콘텐츠마켓 과함께아시아공동체의방송발전에크게기여할것 - - 1 - - 2 - - 3 - [ 붙임 1]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설립 MOU 체결 ( 안 ) ㆍ 2 7 6 10 5-4 - 참고 1 상호협력양해각서 (MOU) ( 안 )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설립 운영을위한 상호협력양해각서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2009.11. 3.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283-7722 / mykim@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Ⅳ. 고용없는성장지속과대응방안 16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요약문. 2005 5,..,..,..,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T H E E X P O R T - I M P O R T B A N K O F K O R E A 발간등록번호 11-B190031-000193-08 Exim Overseas Economic Review 2016 년여름호 저유가에따른주요산유국부도위험진단과우리의대응 AIIB 의출범과한 중앙아시아인프라협력방안수출부진타개를위한중국소비재시장진출방안 주요수출품목가격하락에따른말레이시아경제동향점검경제개혁시험대에오른아르헨티나경제진단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KOTRA 소규모 국별 설명회 욱일승천하는 -우리의 수출시장 KOTRA KOTRA 소규모 국별 설명회 욱일승천하는 -우리의 수출시장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중국경제 현안문제 가. 경기과열과 인플레이션 논의 2003년 중국경제가 9.1%의 고성장을 달성하는 가운데 통화량(M2) 증 가율이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2014 10 30() 16. OECD(Frascati Manual) 48,381 (,, ), 2014,. * 통계법국가승인지정통계 ( 제 10501 호 ) 로서 1963 년에최초실시된이래, 매년시행하고있는전국
<5B4B2DBAEAB8AEC7C B3E220C1A63233C8A35D204F C0DAB7E1B7CE20BBECC6ECBABB20BCBCB0E820BFA1B3CAC1F62020C7F6C8B228B0D4BDC3C8C4BCF6C1A4292E687770>
2016년제23호 OECD 자료로살펴본세계에너지현황 내용 1. 개요 2. 에너지효율성현황 3. 에너지소비현황 4. 원자력및재생에너지현황 5. 요약및정리 작성 김행미부연구위원 hmkim@kistep.re.kr 02-589-5243 OECD 에서발간한 OECD Factbook 2015-2016 (2016.4) 에서에너지관련주요내용및데이터를선별적으로발췌하여정리 분석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 , 홍준표연구위원 ( ,
16-52( 통권 725 호 ) 2016.12.26 2017 년한국경제수정전망 - 정치리스크의경제리스크화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 괄 경제연구실 : : 주 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홍준표연구위원 (2072-6214, jphong@hri.co.kr)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요약본) 2015. 4. 지방공기업평가원 제주관광공사가부족한쇼핑인프라를보완하고, 수익을제주관광진흥에재투자하여 관광산업활성화와관광마케팅재원확보 라는양대목적달성에기여하고공기업으로서사회적책임을다하고자시내면세점사업에투자하려는의사결정에대한타당도는전반적으로볼때 긍정 으로평가할수있음 역할및필요성 대내 외환경 정책및법률 경제성기대효과
에너지수급브리프 (2015.02)
No. 2-2 에너지 수급 브리프 2015. 2 2015년 석유수요 전망 1) 유가 하락으로 수송부문의 수요는 증가하겠으나 국내 경기회복 지연 및 석유화학의 부진에 따른 납 사 수요의 둔화로 2015년 석유수요는 전년 대비 0.6%p 상승한 1.8%에 그칠 전망 이승문 부연구위원(paragon@keei.re.kr) 한국은행은 경제전망보고서(2015.1)에서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국립국어원 2007-01-42 사회적의사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연구 국립국어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출문 국립국어원장귀하 국립국어원의국고보조금지원으로수행한 사회적의사 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 연구 의결과보고서를작성하여제출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백영주, 양애경, 강혜란, 윤정주 목 차 연구개요 선행연구의고찰
한국정책학회학회보
한국정책학회보제 22 권 2 호 (2013.6): 181~206 정부신뢰에대한연구 - 대통령에대한신뢰와정부정책에대한평가비교를중심으로 * - 주제어 : 민주화이후정부신뢰, 대통령신뢰, 정부정책만족도 Ⅰ. 서론 182 한국정책학회보제 22 권 2 호 (2013.6) 정부신뢰에대한연구 183 Ⅱ Ⅲ Ⅳ Ⅴ Ⅱ. 정부신뢰에대한이론적논의 184 한국정책학회보제 22
목차 Ⅰ Ⅱ (2013)
뿌리산업실태및인력수급현황분석 목차 Ⅰ. 1 1. 1 2. 1 Ⅱ. 3 1. 3. 3. 4. 5. 5. 6. 7. 8 2. 11. 11. 12 3. 17. 17. 19. 21. 23 4. (2013) 25. 25. 27 5. 1 29 Ⅲ. 31 1. (2013) 31. 31. 33 2. (2013) 35. 35. (2014) 37 3. (2013) 39. 39.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학교안전기준현황파악 ᆞ 분석및 개선방안연구 본연구는교육부특별교부금사업으로서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예산이지원된정책연구과제임 목 차 학교안전기준현황파악ㆍ분석및개선방안연구 Ⅰ. 서론 / 1 1. 3 2. 4. 4. 6 3. 8 4. 8 Ⅱ. 국내학교안전관리법규현황 / 9 1. 11 2. 34 Ⅲ. 주요국의학교안전관리법규현황 / 49 1. 51 2. 114 3.
2.2 한국마사회 한국마사회 95 한국마사회 97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 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C o 2.000 (3) 경영혁신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개회사 축 사
/ 심포지엄회의자료집 / 목차 전시작전통제권전환이대로좋은가? 2010년 4월 29일 ( 목 ), 09:00~17:00 전쟁기념관뮤지엄웨딩홀 3층 주최 국회동북아평화안보포럼 ( 황진하대표의원 ) 한국국방연구원 ( 김구섭원장 ) 세종연구소 ( 송대성소장 ) 한국국방안보포럼 ( 김재창 / 김동성공동대표 ) 후원 개회사 [ 김동성 KODEF 공동대표 ] 1 축사 [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 2010. 7 본요약보고서는한국산업기술진흥원주관으 로수립되고있는 2010 년도산업원천기술로 드맵의일부내용을발췌한것입니다. 산업원천기술로드맵전체내용을담은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보고서 는오는 8월한국산업기술진흥원홈페이지 (www.kiat.or.kr) 를통해공개될예정입니다. 목 차 Ⅰ. 화학공정소재산업의정의및범위
< 목차 > 동남지역실물경제동향 ( 요약 ) * 생산은광공업생산지수, 고용은취업자수이며 ( ) 의숫자는전년동분기대비증감률임 < 분기주요지역경제지표 > [ 전년동분기비, %] 생산 소비 고용 시 도 < 광공업생산지수 1) > <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2) > < 취업자수 > p p 전국 -1.0-0.1-1.7-0.8 1.8 2.0-2.0 0.9 2.1 1.4 1.1
제 3 호 ('17 년 3 월 ) [ 사업확장 ] - 2 -
제 3 호 ('17 년 3 월 ) 한국광물자원공사세계석탄시장동향정보제공월간지 COAL+ 제 17-3 호 (3/31) 에너지팀 세계석탄시장동향 콘텐츠는지난 13년 9월부터에너지팀에서작성해오고있으며 16년부터 Coal + 로콘텐츠이름을정하고새롭게시작하였습니다. 금년도부터는기존주간발행에서월간발행으로발행주기를변경하고콘텐츠에더욱내실을기하여발간하고자합니다. 많은관심과조언부탁드립니다.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 미치는영향및정책적시사점 한국은행경기본부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i / ⅶ ii / ⅶ iii / ⅶ iv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스리랑카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관계부처합동 동전략은수원국정부와의긴밀한협의하에작성되었으며, 국내및수원국현지의상황에따라변경
스리랑카국가협력전략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Democratic Socialist Republic of Sri Lanka 2016. 12. 관계부처합동 동전략은수원국정부와의긴밀한협의하에작성되었으며, 국내및수원국현지의상황에따라변경가능함 목 차 I. 원조성과평가 1 II. 수원국분석 4 1. 수원국개발현황 4 2. 수원국의국가개발전략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KOCHI 자료 17-001 2016 년對中수출평가와 2017 년전망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16 년대중수출평가 1 8 1. 대중수출동향 2. 대중수출둔화원인 Ⅱ. 17 년대중수출여건 13 15 19 1. 경기요인 : 산업및소비수요 2. 수출구조요인 : 글로벌수입수요, GVC 변화 3. 환경 제도요인 : 통상환경, 원자재, 환율 Ⅲ.
11+12¿ùÈ£-ÃÖÁ¾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07:11+12 2007:11+12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me Contents 04 Biz & Tech 14 People & Tech 30 Fun & Tech 44 06 2007 : 11+12 07 08 2007 :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