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출문 보건복지가족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의료급여수급권자의적정의료이용을위한사례관리방향 ; 장기입원 자를중심으로 용역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연구책임자 : 김의숙공동연구원 : 이주열공동연구원 : 유원섭공동연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제출문 보건복지가족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의료급여수급권자의적정의료이용을위한사례관리방향 ; 장기입원 자를중심으로 용역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연구책임자 : 김의숙공동연구원 : 이주열공동연구원 : 유원섭공동연"

Transcription

1 의료급여수급권자의적정의료이용을위한 사례관리방향 - 장기입원자를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 제출문 보건복지가족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의료급여수급권자의적정의료이용을위한사례관리방향 ; 장기입원 자를중심으로 용역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연구책임자 : 김의숙공동연구원 : 이주열공동연구원 : 유원섭공동연구원 : 이용표공동연구원 : 임승주공동연구원 : 조정현공동연구원 : 신선미공동연구원 : 이광옥

3 차 례 제 1 장서론 1 1. 연구의배경및필요성 1 2. 연구의목적 3 3. 연구방법 4 4. 용어정의 8 제 2 장문헌고찰 의료급여제도현황 의료서비스의결정요인 장기입원의문제 요양기관, 가정및지역사회기반의만성질환관리방안 정신질환자의료급여관리방안 사회복지시설입소자의료급여관리방안 시사점 37 제3장미국의사례관리 미국의 Medicare/Medicaid 이해 Care management 의개념 Care management 의기능 CMS(Center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프로그램 Illinois 주의사례 : 입원자관리사례 : 존스홉킨스대학병원 미국사례의시사점 76 제4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입원실태분석 장기입원실태 장기입원자다빈도주상병명 장기입원다빈도발생의료기관 113

4 5. 지역별장기입원실태 장기입원수급권자의거주지역과의료기관소재지 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39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조사방법및조사지역 조사대상자의특성 시설운영실태 162 제 6 장정책제언 요약및결론 장기입원자관리기본원칙및접근모델 장기입원자사례관리방안 향후추진과제 187

5

6 제 1 장 서론 1. 연구의배경및필요성 기초생활수급자등생활이어려운국민들이필요로되는의료이용을할수있도록의료비를지원하는의료급여사업은국민복지사업중가장기본이되는중요한사업이라할수있다. 그러나수급권자수의증가를감안하더라도지속적으로증가되는국가의료급여예산은의료급여사업뿐아니라타복지사업운영에위협이되고있다. 지난 5년간정부의의료급여예산을보면 2005년국비 22,145억원과지방비 6,912억원을합쳐 29,057억원이었으며이는 2008년도까지국비 37,854억원과지방비 12,030억원으로총 49,884억원으로증가하였다. 2009년에이르러 44,634억원으로감소하였으나이는차상위계층의희귀난치형질환자와만성질환자를제외한것에기인한다고할수있다 ( 표 1-1). < 표 1-1> 정부의년도별의료급여예산 ( 단위 : 억원 ) 구분 예산액 ,855 47,161 49,884 44,634 국비 22,145 26,621 35,927 37,854 34,168 지방비 6,912 8,264 11,234 12,030 10,465 * 보건복지가족부내부자료 이와같이급격하게증가하는의료급여예산절감을위하여최근정부는연장신청제, 본인부담제, 선택병의원제등획기적인제도적개선과함께수급권자의합리적의료이용을도와주기위한사례관리사업을주도적으로실시해오고있다. 이러한중앙정부의지속적인노력에힘입어의료이용량의증가폭은최근에감소 1

7 되고있는추세이다. 특히, 2003년부터의료급여관리사를전국시군구에배치하여사례관리사업을시작한이후의료이용의문제점들이개선되고있다. 2009년 6월현재전국에 458명의의료급여관리사가배치되어있으며, 특히 13개시군구에는텔레케어센터를시범운영하여우선적으로많은수급권자들에게의료급여제도에대한정보제공과접촉을통하여비합리적의료이용을예방할수있는사업을시도하고있다. 현재의료급여관리사들의사례관리활동은외래중심으로이루어지고있다. 그런데, 2007년본인부담제및선택병의원제등의제도개선또한외래의료이용행태의개선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파악되고있어최근에나타나고있는의료수급권자의의료이용개선의대부분은외래이용의개선과관련된것으로볼수있다. 이와달리입원의경우전년동월대비진료비증가율이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2007년도입원일당진료비는 63천원으로외래일당진료비 (26천원 ) 의 2.4배이다. 그리고외래진료비증가율은 5.6% 인데반해입원진료비증가율은 14.7% 에이른다 ( 보건복지가족부내부자료, 2008). 또한지난 5년간의입원진료비를볼때증가율자체는둔감되었으나지속적으로증가되고있는추세이며특히인당입원진료비와입원일수또한많은증가를계속하고있다. ( 표1-2) < 표 1-2> 의료급여입원진료비변화실태 구분 적용인구 ( 명 ) 1,528,843 1,761,565 1,828,627 1,852,714 1,841,339 총진료비 ( 천원 ) 2,611,144,315 3,233,676,032 3,925,103,056 4,223,834,242 4,473,459,992 입원총진료비증가율 입원진료실인원증가율 입원진료실인원 1인당연평균입원진료비 증가율 입원진료실인원 1인당입원일수증가율 *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급여통계연보 2

8 이들입원증가율은병의원의장기입원과시설입소자들의잦은입원으로이루어지는것으로추측되고있으나실제이들의입원행태의현황을연구한자료는전무한실정이다. 특히장기입원관련요인은현재우리나라의료체계에서공급자의영향이많은부분으로지금까지의사례관리와는전혀다른접근이필요하다. 이제외래중심의사례관리에서장기입원에대한사례관리가필요한시점에의료급여수급자중장기입원자에대한실태파악을통해고위험군을파악하고이들에대한효과적인관리방안에대한기초연구가필요하여본연구가시도되었다. 2. 연구의목적 이연구의목적은의료급여수급자의장기입원실태를파악하고이와관련된영향요인을분석하여장기입원자관리방안을모색하기위함이다. 이를통하여의료급여재정안정화에기여하고향후제도개선을위한시사점을마련하고자한다. 구체적인연구목적은다음과같다. 첫째, 의료급여수급자의장기입원실태를분석한다. 둘째, 의료급여수급자의장기입원의영향요인및고위험군을파악한다. 셋째, 장기입원자의특성및의료이용실태를분석한다. 넷째, 선진외국의장기입원자관리정책및사례관리방법을분석한다. 다섯째, 우리나라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관리를위한사례관리및정책방향을제시한다. 3

9 3. 연구방법 본연구는다음과같은연구단계를가지고추진하였다 ( 그림 1-1). <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4

10 1) 문헌고찰장기입원에대한실태및저소득층의장기입원행태그리고이에대한요인및대책에대한국내외의문헌을고찰하기위하여체계적문헌탐색 (Systematic Review) 방법을사용하였다. 특히미국의경우장기입원에대한문제는오랜기간동안 managed care 접근으로해결하고있으므로다양한연구를통해이미당시의문제점과접근방법들을포괄할수있도록 1970년부터 40년간의문헌을검색하였다. 분석자료로는장기입원, 미국의 Medicaid, Medicare, 해외의저소득층의료, 한국의의료급여등을주제로하여국내외연구논문, 관련보고서, 교과서, 언론보도자료등을검토하였다. 문헌은 1970년부터 2009년까지출판된것으로, 인터넷의 Pub med, Cochrane Controlled Trials Register, 국내보건관련학회지를통해검색하거나또는국회도서관의방문을통해수집하였다. 주요검색어또는키워드는장기입원, Long term admission, Long term utilization of hospital, Long term care, Medicaid, Length of a hospital stay,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mpact of payment systems for inpatient, Physician behavior and cost control, Case management이었다. 문헌검토를위해다음의 4가지기준을가지고문헌을선택하였다. 1) 문헌종류국내외연구논문, 관련분야보고서, 교과서, 신문, 언론등 2) 대상자미국의 Medicaid, Medicare, 해외의저소득층의료, 한국의의료급여, 전인구 3) 중재방법각종처지, Program, 또는문제제기와이에대한제안등 4) 결과측정방법재원일수의증가및감소, 삶늬질, 건강상태, 비용의증감. 문헌선택기준에의해선정된문헌은고찰자들에의해독립적으로검토된후연구 자회의시발표를통해연구물의질을평가하고향후본보고서에서의활용방안을 검토하여사용하였다. 5

11 2) 의료급여수급자의장기입원현황분석국민건강보험공단의의료급여입원진료비청구자료를분석하였다. 자료는진료비청구일기준으로 2006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의 3개년동안의자료를공단으로부터받아분석하였다. 공단으로부터받은청구일기준청구건수는 3년동안의전체청구건수는총 4,169,177건 (1종 건, 2종 건, 행려환자 264건 ) 으로서연도별청구건수는 2006년 1,119,228건, 2007년 1,364,601건, 2008년 1,685,348건이었다. 진료비청구자료는진료개시일, 입원일수를고려하여하나의입원이퇴원으로종결되는에피소드자료로일차변환하였다. 에피소드자료의주상병및부상병코드는해당에피소드의최초청구건에기재된주상병, 부상병으로하였으며, 진료개시일또한최초청구건에기재된진료개시일로하였다. 입원기간동안누적되는진료비, 입원일수는해당에피소드에속하는각청구건의진료비, 입원일수를합산하여산출하였다. 에피소드의해당연도는진료개시일이속한년도를기준으로분류하였다. 에피소드자료에근거하여의료급여수급권자개인별입원자료를구축하였으며, 개인별자료는해당연도의에피소드자료에근거하여입원횟수, 장기입원횟수, 진료비, 입원일수를합산하여변수를구성하였다. 장기입원에피소드는입원일수를기준으로정의하였으며 (31일이상, 61일이상, 91일이상 ), 청구건자료를에피소드자료로변환하였다. 그결과 2006년 ~2008 년 3개년동안의분석대상에피소드자료는총 1,880,321건 (1종 1,482,690건, 2 종 397,506건, 행려환자 125건 ) 이었고, 연도별에피소드건수는 2006년 530,893건, 2007년 603,587건, 2008년 745,841건이었다. 한편, 정신질환을제외한장기입원규모를파악하기위해에피소드로정리한자료의주상병이 F00-F99" 에해당하는경우를제외한자료를별도로구축하여분석하였다. 3) 장기입원자실태분석국민건강보험공단의의료급여입원진료비청구자료를일차적으로분석하여 31 일이상장기입원자및의료비가많은상위지역 50개지역을선정하였다. 50개지역은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으로구분하여대도시 4개지역, 중소도시 6개지역, 군지역 3개지역으로총 13개지역을선정하였다. 장기입원자의료비상위지역으로선정된 13곳의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에입원중인수급권자를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는의료급여관리사가 6

12 해당기관을직접방문하여준비된설문지로직접면대면면접조사를실시하였 다. 4) 사회복지시설운영실태조사장기입원자면접조사지역으로선정된 13개소지역에개설되어있는시설중다빈도장기입원시설 4개종류즉부랑인, 노인, 장애인, 정신시설을조사하였다. 총 39개시설이었으며의료급여관리사가준비된설문지를가지고각시설의행정담당자와직접인터뷰를통하여운영실태를파악하였다. 5) 선진외국의장기입원자관리정책분석선진외국의장기입원자관리정책및사례관리전략을파악하기위하여국내전문가가직접미국을방문, 미국의전문가와집중토론을통하여의료급여수급권자적정의료이용유도를위한 Consultation workshop을진행하였다. 미국의장기입원관리에관한정책방향및사례관리현황을파악하기위하여연구팀이위싱턴과시카고를직접방문하여미국연방정부의의료급여관리시스템담당부서, 주정부의관리체계담당자, 지역사회에서사례관리 Agency 담당자, 그리고오랜기간의료급여문제를체계적으로연구해온미국대학연구진과집중 consultation Workshop을통하여구체적이며실제적인경험과관리체계를토의하였다. 1 일리노이대학주관으로일리노이주의료급여사례관리 Agency를직접운영하며 20년간연구해온교수진과 Agency 대표및실무진과구체적인사례와도구및근거자료들을중심으로토의, 성공한접근전략에대한정보를수집하였다. 또한병원의서비스질관리접근, 환자경로관리그리고마그넷 (magnet) 병원개념에대한정보를수집하였다. 2 미국연방정부 CMS를방문하여 CMS 최근각주에서시행한비용절감을위한접근전략에대한성공사례와평가및모니터링방안, 그리고사례관리의미래방향과새로운접근을위한연구과제에대한토의를진행하였다. 3 존스홉킨스대학주관으로대학교수진및경제학자와의료급여비용효율성접근, 병원행정자와병원내에서재원일수를줄이기위한환자관리및퇴원계획등에대한정보를수집하였다. 워크숍주요내용은다음과같이진행하였다. 7

13 1 한국의의료급여관리사업 - 우리나라의료급여수급권자의현황및주요정책 - 사례관리및성과평가방법 - 장기입원자의의료이용현황 2 미국의의료급여관리사업발표 - 합리적의료이용을위한제도와정책 - 지역사회중심수급자사례관리 : 대상자우선순위, 위험군별접근방법, 연계체계 - 사업평가및서비스질관리방법 - 입원자사례관리 : 방법, 적정성평가방법및도구, 추후관리등 - 중앙, 지방정부및 NGO 와의역할분담. 3 합리적의료이용유도를위한성공적전략경험및미래방향에대한토의 - 수급권자의합리적의료이용유도를위한전반적접근틀의보완점 - 합리적의료이용을위한제도와정책에대한고려사항및개선점 - 사업평가및서비스질관리를위한구체적계획및지표관리 - 장기입원자관리를위한 best practice 6) 장기입원자사례관리정책방안제시 의료급여수급자의장기입원관리를위한정책방향제시를위하여문헌고찰과미국전문가들과의집중 Workshop을중심으로성공적인사례관리의방향과전략을검토하였다. 지난 3년간의우리나라의료급여수급자들의입원진료실태분석을기반으로입원이용의주요문제영역및위험군을분석하였다. 이를기반으로입원과정및영향요인을중심으로한입원관리접근모델을개발하고이에따른접근전략을개발하였다. 의료급여업무에참여하고있는전문가및관련공무원, 의료급여관리사를대상으로자문회의를실시하여장기입원관리를위한정책방향을개발하였다. 4. 용어정의 1) 장기입원 : 일입원사건 (episode) 에서 31 일이상의입원일수를경과한경우. 8

14 선행연구에서장기입원의정의에대한합의된기준은없었음. 각연구의연구자들은병원의특성및질병의특성, 진료과의특성에따른평균재원일수및치료완료정도를고려하여적정입원기간을고려하고있었으며이를초과시장기입원으로규명하고있었음. 이를각각살펴보면다음과같음. o 한태규 (2000) 는 1999년의내과계입원환자의평균재원일수가 15일인것으로보고그기준을기초로 15일초과재원환자를장기입원환자로정의하였음. o 김춘배 (1989), 이윤휘 (2005) 는질병의구성, 질병중등도와는상관없이재원기간이 30일이상인입원환자만을기준으로정의하였음. o 장미 (2004) 는병원의 80% 정도가 13일만에퇴원, 3주정도 90%, 30일이면 95% 정도가퇴원을하기때문에 30일이상을장기재원환자로보았음. o 권미정 (2007) 은 30일이상재원환자에서는 50% 이상이병원치료가완결되지않은반면, 60일이상장기재원환자의대부분은병원치료는완결됨을고려하여 60일이상입원환자를장기입원으로정의함. 이에본연구에서는 31 일이상입원자를장기입원자로규정한후, 장기입원자 중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입원자를세부층화함으로서장기입원기 간별입원횟수, 입원일수, 진료비등의제특성을파악하였음. 2) 입원횟수 : 일개인이의료기관에입원하여퇴원으로종결되는연속과정을일사건 (episode) 으로계량화한수. 3) 입원일 ( 진료개시일 ) : 일입원건 (Episode) 을중심으로해당입원건의최초청구권 에기재된진료개시일자 4) 입원일수 : 의료급여기관에입원한입원일부터퇴원일까지의만일수로서해당입원 건의최초청구건에기재된진료개시일부터퇴원일까지의합. (1 일에입원하여 10 일에퇴원한경우 9 일이입원일수임 ). 5) 입원자수 : 일년간 1 회라도의료기관에입원한경험이있는의료급여수급권자수. 9

15 6) 입원상병명 : 해당입원건을중심으로해당입원시최초청구건에기재된주상병명. 7) 입원진료비 : 각입원횟수별로의료급여기관에서입원진료에소요된의료급여총비 용으로보장기관이의료급여기관에지급한금액. 8) 정신질환 : 입원상병명이 F00-F99 에해당하는질병 10

16 제 2 장 문헌고찰 1. 의료급여제도현황 우리나라의료급여제도는기초생활이보장되지않는빈자를보호하기위해 1977 년의료보호법제정과함께시작되었다. 2008년말현재의료급여인구는총인구대비 3.8% 수준인 1,671,565명으로미국의메디케이드의 18.6% 에비해적은비율이다 (Smith and Moore, 2008). 그러나의료급여수급자의의료이용량은급속하게증가, 1996년정부가지출한의료급여비는총 4,459억원임에비해 10년되는해인 2005년 32,337억원으로약 7.25 배증가하였다. 또같은기간중연평균증가율은 24.1% 로이는미국의매년미국증가율인 20%-23% 보다약간더높다 ( 국회예산정책처, 2006;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Budget Officers, 2005). 한편국민의료비의영향요인은 1인당 GDP, 65세이상노인인구비중 ( 사공진과손장원, 1999; 최병호등, 2004), 의사수, 의료비지불제도및보건의료물가지수 ( 사공진과손장원, 1999) 등임을볼때향후우리나라의국민의료비증가와함께의료급여의비용도증가할것임을예견할수있다. 의료급여는 2가지종류로 2008년말현재 1종이 56.6%, 2종은 43.4% 이었다. 의료급여는본인부담금이없거나또는낮은의료공급가격때문에정부의후생손실을발생시킬가능성이있는데, 실제한국의의료급여수급자는불필요한장기입원경향과비용소모적인중복진료현상이있었고 ( 신영석등, 2005), 의료급여수급자의일인당평균진료비는건강보험인구보다 3.7배가높았다 ( 김의숙등. 2007). 의료비의상승특히의료급여재정의급증은국가의재정과직결되기때문에우리나라뿐아니라세계각국이효과적인해결을위해노력하고있다. 이에우리정부도 2003년부터미국매니지드케어에서운영되고있는의료급여사례관리를실시하기시작하였다. 과다및장기이용자들을중심으로한의료이용실태분석기반으로구체적인결과를 2007년 7월이후 1종수급자에외래본인부담금적용, 또 1 제 2 장문헌고찰 11

17 년의료이용량이 365일이상인고시질환및희귀난치성질환자또 455일이상인기타질환자에게선택병의원제를도입하였다. 그러나이런제도는모두외래의과다이용을줄이기위한것으로입원에대한수급자의특성과합리적의료이용을위한방안이제시되지못하였다. 국민들의삶의질을높이는동시에증가하는의료비를통제하기위하여영국 (Challis, 1993), 캐나다 (Forchuk과 Ouwerkerk 등, 2002) 등을비롯한많은국가들이사례관리를도입하고있다. 우리나라도 1995년에정신보건법을제정하면서정신질환자들에게사례관리를제공하기시작하였고, 1998년에시작된방문간호사업에서도사례관리를포함하고있다 ( 박은준과김춘미, 2008). 의료급여사례관리는의료급여수급권자의삶의질향상과적정의료이용을목적으로하고있으며, 특히의료급여수급권자들의진료비증가추이가재정불안을가중시키고있는상황에서사례관리에대한기대는매우높다. 의료급여사례관리는수급권자를평가하고필요한정보제공및사회서비스연계등을통해대상자가삶을향상시키려는일련의과정으로향후노인인구증가, 평균수명의증가, 만성질환의증가등으로사례관리에대한요구도는계속커질것이다. 불필요한의료수요를적절하게제한하는효과적인수단으로환자에게의료비의일부를부담하게하는본인부담제는취약한저소득층수급권자에게경제적부담을가중시켜의료의접근성과의료이용을제한하여빈곤층의건강을악회시키거나건강불평등을심화시킬수도있다. 또한그효과에대한논란이끊임없이지속되고있는데, 국민건강의증진또는다른어떤좋은효과를위해무리한의료억제정책은오히려효율적이지않을수있다는것이다. 그예로본인부담제의시행후외래내원과조제약의감소로인한총진료비감소현상을보고한연구 (Hartung 등, 2008; Nelson 등, 1984, Stuart와 Zacker, 1999) 가있는가하면, 반대로서비스당의료비지출이증가됨으로써총진료비는변함이없는것으로나타난연구 (Wallace 등, 1999) 도있다. 또필수적인투약의감소로인한응급실방문이나입원, 시설입소등다른영역의의료이용이크게증가함으로써총진료비는오히려증가한 California Medicaid program(helms 등, 1978) 과 Quebec Medicaid program(tamblyn 등, 2001) 도있어본인부담제가반드시진료비를감소하는것은아님을알수있다. 병의원외래에서무료진료를보장받던 1종수급권자에게 2007년 7월 1일이후외래급여에서본인부담을부과하고있다. 이를통해무료진료로인한의료남용을예방할것을기대할수있으나, 질병의특성상빈빈한의료이용이꼭필요로되는수급자의의료접근이제한될수있을것이다. 이를대처하기위한방안으로수급자가병원을선택하여대상자로등록하고, 등록된병의원을이용시본인부담금을 12

18 면제하는선택병의원제도를본인부담금제도와함께새롭게도입하였다. 선택병의원제도는수급자의의료이용을보장하면서도수급자의건강수준을유지. 관리하는데바람직하며, 장기적으로는의료급여재정의안정에도기여할것으로을기대하고있다 ( 신용애등, 2008). 시행하고있으나이는선택병의원제도에참여하고있는공급자들이바른기능을할때가능한것이므로계속적인정책적보완을필요로하고있다. 2. 의료서비스의결정요인 의료이용을분석하고효율적이용을유도할수있는효과적정책수립를위해서는우선그결정요인에대한파악이필요한데, 크게대상자요인, 의료제공자요인, 그리고제도요인으로구분할수있다. 그러나이세가지의큰요인들은서로상호작용효과를나타내며일개인의의료이용행태를조정하고있으므로개별적으로논의하는것에는문제가있다. 그러나대상자의료이용행태에대한것은장기입원의문제에서다루기로하고본글에서는의료제공자요인과제도요인을언급하고자한다. 의료제공자측면은미국메디케어의입원환자진료비지불제도인 PPS(Prospective Pagmat System) 를고안하는데기초가되었던모형에서엿볼수있다. 그동안의의료이용의결정요인은환자의질병종류와그질병의중증도에따라결정되나실제사용된양은필요량과진료제공자의진료행태와진료방식의효과성에의한변이에의해결정된다. Brook과 Lohr(1985) 에의하면의료이용을결정하는인구, 사회, 경제, 건강상태상의요인들에의한영향을배제하고의료제공자진료행태의차이에의해차이가있을때이는중요한의미를갖는다. 즉, 의료급여연구에서같은질병의입원환자를진료하는데사용된의료이용량에차이가있다는것은각의료기관의진료행태나진료방식의효과성차이에기인한다는가설을세워볼수있다. 따라서이러한차이는의료자원의효율적이용을위해그리고의료의질보장을위해중요시되어야할부분이다. 진료원가는의료서비스사용량, 의료제공자의의료서비스생산효율성, 인건비, 그리고재료비에의해결정된다면, 진료비는진료원가와진료제공자의이윤폭에의해결정된다 (Health System Management Group, 1989; 박하영, 등, 1990 재인용 ). 우리나 제 2 장문헌고찰 13

19 라의경우수가규제에의해진료제공자의이윤폭은많은부분이통제되고있다할수있으나, 그러나의료기관의서비스생산효율성차이에따른진료비차이는보험기관이나개인이책임지어야한다는것은문제로지적할수있을것이다. 제도요인측면에서볼때, 월등히나은전문지식을이용하여행동하는의료제공자의경우이들의행태를억제나감시를통해서는조정할수없다는여러경제학자의주장들 (Reinhardt, 1973; Harris, 1977) 이있었다. 따라서진료비심사나지불정책을고안함에있어이러한주장을토대로의료제공자의진료형태를효율적인것으로유도하는방향으로의정책을고려해보아야할것이다. 즉의료서비스를효율적으로사용하면이로부터얻어지는이익의일부는수급권자뿐아니라의료제공자도돌려받을수있는정책을개발해야한다. 미국의포괄수가제가바로이러한범주내의정책이라고할수있다. 미국의경우 Medicare와 Medicaid가실시된직후인 1967년부터 Medicare PPS(Prospective Payment System) 가실시되기직전인 1983년까지의료비의연간상승률은 10% 를상회해왔으나, PPS등의지불제도를통해증가율이다소감소하다가다시 1988년부터 1989년사이다시 10% 의상승률을기록했다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1990; 박하영등, 1990 재인용 ). 또미국의노력은이외에도 1960년대이래많은정신장애자는병원에입원하는것대신외래나, 데이케어센터,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치료받고있으며, 1970년대에심각한정신질환자의코디네이터로서사례관리를도입하였다. 1989년통계에의하면미국의료비지출은 6,000억달러였으며이는총국민생산 (GNP) 의 11.5% 에달하는액수로서국민일인당연평균 2,400달러를의료비로사용하였던셈이다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990; 박하영등, 1990 재인용 ). 이러한현상은유럽의많은나라에서도마찬가지이며이들나라들의의료비지출또한국내총생산 (GDP) 의 10% 에육박하고있다 (Schiber와 Poullier, 1987). 제도요인의또다른예로미국은최근너싱홈에서의인두제를적용한사례가있다. 예를들어아리조나의장기돌봄시스템 (The Arizona Long Term Care System, ALTCS) 은장기이용서비스에서첫번째인두제가적용된매니지드케어시스템으로, 집과지역사회의프로그램을강화한후계약당사자가너싱홈보다그들의집이나지역사회에서지속적인서비스받도록하였다. 또서비스가필요할때에만비용효과적인방법으로서비스를받도록함으로서장기비용을감소시켰다. 그결과행위별수가제일때보다 ALTCS의지출은 17% 가낮았고, 너싱홈에서머무는기간은지역사회나가정에머무는시간보다짧아결론적으로너싱홈의비용을감소시키는데기여를하였다 (Riley와 Mollica; 1996). 이처럼인두제는행위별수가제보다좀더효율적이었고, 서비스의범주는확장되었으며, 환자의만 14

20 족도가높게유지되었다. 국내의장기입원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진료요인이가장높고, 가족지지요인, 비용요인순이었는데, 진료요인에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는과거입원경험, 보험의종류, 소요시간이었다 ( 박희옥, 2000). 이를의료급여수급권자에게적용시개인적요인뿐아니라본인부담금이없거나저렴한의료비용등의제도적요인이장기입원에영향을미칠수있을것이다. 의료서비스를많이사용했다고해서의료의질이향상되는것이아니라는미국의연구결과들을 (Freeborn 등, 1972; Schroeder 등, 1974; Daniels 와 Schroeder, 1977; Showstack 등, 1985; Egdahl과 Taft, 1986) 을볼때의료급여에서적정의료의개념이중요할것이다. 의료수요는가용의료자원보다많으므로비효율성이라든가비효과성으로인해의료자원을낭비하는일은억제되어야할것이다. 더욱이의료급여비는국고에서지출되는것으로의료재정의증가는의사와수급권자간의개인적문제가아닌공공의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도의료급여의재정증가와함께그간정부의다양한노력이진행되었다. 수급자의합리적의료이용을권장하기위해과다이용자를위한의료급여사례관리와의료급여텔레케어가진행되었고, 또본인부담금제를통해외래비용및입원비용의감소효과가보고되고있다 ( 홍선우, 2009). 이러한활동들은모두외래이용감소를위한정책으로외래이용이용의억제시그수요는입원이용으로대치될수있다는선행연구의고려가필요한시점이다 (Mutran과 Ferroro, 1988;, Wolinsky, 1994). 3. 장기입원의문제 입원을통한진료는의료의형태중자원을가장집중적으로사용하는진료형태이다 ( 박하영, 1990). 진료비가지급된진료중입원진료가건수로는 2.2% 를차지했으나진료비액수로는 36.4% 를차지했다고보고했으며 ( 의료보험연합회, 1989). 또한최근건강보험환자군과의료급여환자군에서유사한질병군임에도재원기간동안사용한의료서비스량이커다란차이가있었다는결과 ( 신영석, 2005) 는국민의료비절감및의료급여재정의안정도모, 그리고의료의질측면에서중요한의미를갖는다. 제 2 장문헌고찰 15

21 가벼운증상이거나단순한휴식정도만을요구함에도불구하고급성기병원에장기적으로입원하는경우가늘고있음은계속보고되어왔다. 급성기병원의노인입원환자의 46.8% 가비급성진료군이며, 급성기병원 30일이상노인입원지료비는연평균 7.2% 증가율, 서울과인천경기지역입원진료비가전체총진료비의 48% 차지하였다 ( 장현숙, 2000). 이런실정에서실제입원이꼭필요한급성기환자는병상이부족해입원을하지못하는경우가있음으로서병상자원의효율적운영에많은문제가제기되고있다. 또병원병상점유율이높은많은환자를진료하는대규모의경우장기입원은병상회전의지연을가져와병원경영에지장을초래할수있으므로이미이에대한대처를병원스스로가강구하고있다. 이처럼심각한병상부족을경험하고있는의료기관과의료재정의낭비를예방하여야할정부의입장에서본다면입원진료의효율적이용은더욱커다란중요성을가진다. 특히우리나라의장기입원사유는질환의특성으로인한퇴원지연 ( 복합치료 ) 이 23.8%, 물리치료 18.1%, 사회복지시설부족 ( 보호자없음 ) 15.2%, 입원비미해결 (12.4%), 보상문제미해결 (9.5%), 보호자사정으로가정에서간호불가능 (10.5%) 등이었다. 또급성기가지나면, 의료진은통원치료를권하고있으나환자가받아들여퇴원하는경우가많지않다고한반면장기입원을문제시하지않는의료인의관심과협조, 병원관리자의관심과협조부족도한요인임이보고되고있다 ( 나태영, 2005). 환자입장에서볼때퇴원을미루는이유는아직충분히치료되지않았다고생각할경우가 (82.6%) 가장높았고, 퇴원후질병이악화될까불안함 (56.9%), 물리치료계속받고있음 (47.7%), 퇴원후돌봐줄사람없음 (46.3%), 통원치료가어려움 (41.6%) 등의순이었다 ( 심준형, 김원중, 전진호, 2004). 신영석등 (2005) 이국내장기입원환자의특성을분석한결과동일한성, 연령, 상병, 중한정도에서건강보험적용대상자에비해급여 1종수급자가많은의료이용을하고있었다. 12세미만 1종의료급여환자의경우건강보험환자에비해재원일수가길뿐만아니라 (1.96배) 장기재원하면서지불하는총진료비가재원일수의차이보다더많은 2.52배를나타내고있어진료강도가상대적으로높음을알수있다. 백혈병, 악성종양등희귀난치성질환건수비율이건강보험에비해상대적으로높기때문에낮은연령층에서의료이용이높은것이다. 65세이상경우 1 종의료급여환자의진료건당재원일수는건강보험환자대비 1.29배로건강보험환자와거의차이가없었다. 나태영 (2005) 의연구에서는 6개월이상입원한재원환자를조사한결과, 공공병원의경우 6.7%, 민간병원의경우 4.1% 가장기입원으로나타났다. 연령은 60 세이상이 50.4% 로가장높게나타났으며, 남성이 71.4% 로여자 28.6% 에비해많았으며의료급여환자가 48.6% 를차지하고있었다. 질병별특성으로는골절, 16

22 뇌출혈, 폐렴, 뇌경색, 고혈압, 당뇨, 결핵, 치매순이었다. 노인인구증가로인한노인진료시설및복지시설확충이필요함을나타내준다. 또한심준형등 (2004) 의논문에서나타났듯이합병증발생율이 32.6%, 수술받은경우가 82.6% 를차지했으며 34.1% 에서는일상생활수행에서완전도움을필요로하고있는수준이었으며, 65.9% 가장애를가지고있었다. 국내정신질환연구에서도환자가따로기거할수있는시설이퇴원의결정에도움이되는것이 50% 정도라고하였다. 돌봐줄가족이없는경우, 주간보호와사례관리를제시한경우퇴원에도움이된다는응답은 32.3% 로거주시설은장기입원의대안으로가장가능성이높았다. 재원기간에영향을주는요인은환자가입원. 입소한시설의종류 ( 정신요양시설, 사회복귀시설, 사립정신병원, 공립정신병원이국립정신병원보다유의하게장기재원 ), 나이 ( 고연령 ), 결혼상태 ( 미혼또는이별 ), 경제상태 ( 낮은경제력 ), 의료보장형태 ( 의료급여 1종 ), 가족지지정도 ( 같이살가족이없고, 거주지가없음 ), 진단명 ( 정신분열병 ), 발병연령 (30세미만 ), 입원횟수 (1 회-5회 ), 증상정도 ( 심한증상 ), 기능정도 ( 저기능 ), 입원유형 ( 행려, 보호의무자입원 ), 지역사회정신보건시설이용경험 ( 경험없음 ), 부모의생존여부 ( 부모생존하지않음 ), 보호자의지난 1개월간의면회횟수 (1회) 등이었다 (p<0.001)( 국가인권위원회, 2008). 퇴원후에갈곳이마땅치가않다는것이장기입원의중요한요인이될수있어, 장기입원의한형태가사회적입원임을생각할수있다. 사회적입원이란입원치료의필요가없음에도불구하고노인복지시설등의부족으로인하여개호가필요한고령자가시설입소대신병원입원을선택하는현상을말한다 ( 오세영, 2005). 일본의경우노인의료비증가가현저히나타나고있다. 그중에서도노인입원진료비는청년층의입원진료비보다 7.4배높았고, 장기입원이많다는특징을보임으러서사회적입원이노인의료비증가의주된원인으로타나났다 ( 오세영, 2005). 우라나라에서도급성기병원에입원한노인환자의 46.8% 가비급성진료군인것으로보고됨으로서 ( 장현숙, 2000), 사회적입원이지적되었다 (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2004). 미국에서도입원하는대상자의특성중, 헌팅턴질환대상자들중심으로연구한보고에따르면입원에서응급실은가장빈번한경로이었고 (60%), 대부분대상자들은메디케어또는메디케이드를가지고있었다 (80.6%). 또 54.4% 는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s) 에퇴원하였고그중 3.7% 는사망하였다. 이때가장높은사망률은폐렴 (7.68%) 과폐혈증 7.39% 이었다 (Dubinsky, 2005). 이처럼미국은입원질환에대한 PPS나 DRG의정착을통해많은수의만성질환은장기요양기관에서관리되고있으며인두제를중심으로하는매니지드케어를적용 제 2 장문헌고찰 17

23 하고있다. 요양기관의매니지드케어는인구집단의건강을관리함에있어여러가지문제점의해결책이기도하나, 그러나비즈니스기반의매니지드케어는공급자의비용을절약하기위한것뿐이라는논쟁의여지를남기고있다 (Nadash와 Aherens, 2005) 또한노인돌봄프로그램 (Program of All- Inclusive Care for the Elderly,PACE) 을적용하고있는지역사회대상자 (Medicare- and Medicaid-capitated PACE programs) 에서 1990년에서 1998년까지너싱홈재입원의예측인자는연령, 일상생활활동, 변실금이었다. 그러나낮은인지상태, 만성질병의개수, 활동장애, 요실금, 심각한행동장애, 프로그램의기간은예측요인이아니었다 (Friedman 등., 2005), 또한이런결과를통해프로그램의초기중재가효과적임을보고하였다. 시설관련장기입원의특성을보면다음과같다. 시설에서의거주의사를보면, 조영희 (1998) 는장기입원중인환자들을대상으로요양병원및유료요양원에대한수요조사결과에서종합병원보다진료비가저렴하다면 81.3%, 쾌적한환경이라면 84.7%, 보호자나간병인이필요없다면 56.3% 가이용할의사가있다고하였다. 또한장기입원환자중행려입원환자평균재원일수는약 31.13일이었다. 2006년을기준으로우리나라정신장애인입원일수는평균 247일이며 ( 정신요양시설경우 2630일 ), 평균재원기간이시설유형에따라 일에이르고있다 ( 서동우, 2007). 이같은수치는평균재원기간이 10-35일수준인다른 OECD 국가들에비해지나치게높은편이다. 박종익등 (2003) 의연구에서도 6개월이상장기입원자가 55.5%, 3개월이상도 68.9% 에이른다. 강제입원은치료에대한순응도를떨어드리는이유가되기도하고, 강압적인치료방법이자주동반될가능성을높이기때문에치료자와의신뢰관계형성에도손상을주어결국임상증상의악화나재활치료의효과를감소시켜서궁극적으로장기입원으로이어진다. 우리나라의경우종합병원정신과와정신과의원이비교적짧은재원기간을보인반면, 공립및사립정신정신병원에서재원기간이긴것으로보아병원의특성이매우중요한영향을끼쳤다고평가되며, 진단군과의료비지불형태가장기입원에영향을주는요인이었다. 18

24 4. 요양기관, 가정및지역사회기반의 만성질환관리방안 인구구조와생활습관의변화에따른질병구조의변화에따라보건의료에서만성질환관리가주요관심사로대두되고있다. 만성질환은그특성상개인의건강행태변화로예방이가능함에도노인과취약계층에더욱빈발하며장기요양의필요로인해사회적부담이커국가적으로관리의필요성이매우크다. 그러나그동안의만성질환관리는급성질환및치료서비스중심인기존의체계에서많은한계점을드러내고있다. 즉실제환자의역할이과소평가되고있고, 산발적으로추후관리되고있으며, 이를위한지역사회서비스의중요성이인정받지못하고있는실정이다. 현재만성질환치료및관리를목표로하는요양병원은노인성만성질환치료를위한장기요양서비스를저가로제공하고있다. 우리나라병원급요양기관의일당입원진료비를살펴보변, 2005년 4분기현재전문종합병원 원, 종합병원 원, 병원 원, 요양병원 원이었다 ( 장선미외, 2006). 요양병원의확충효과는노인환자의사회적입원과관련된수요가요양병원이용으로대체됨으로써급성기병원의노인입원진료비가감소하는것으로나타날수있다. 특히종합병원이상인경우와 85세이상초고령노인의경우에는수요대체효과가큰것으로나타났다. 이는요양병원의확충이보건의료자원이용의효율화에어느정도기여하는것으로해석된다 ( 김동환등, 2009). 그러나요양병원확충자체는노인의장기요양서비스에대한수요를유발하는측면도있기때문에, 전체노인의료비의관점에서는부족했던요양병원이확충되면서노인의료비전체규모가증가할수있다. 따라서노인의료비전체를관리하는관점에서향후요양병원의효율적관리운영에대해서도많은연구와관심이필요하다고판단된다. 미국에서는환자의건강상태를유지하거나증진시키기위하여현재의보건의료체계자체를변화시켜야함을역설한만성질환관리모형 (Chronic Care Model, CCM) 이 MacColl Institute for Healthcare Innovation에의해 1990년에개발되었다 (Wagner, 2002.) 현재미국에서는 300개이상의보건의료조직에서여러만성질환상태를호전시키는데성공적으로적용되고있다 (WHO, 2002). 만성질환의적절한관리를위해 CCM이제시한주요요소는 1) 지역사회자원과의연계, 2) 보건의료기관의특성활용, 3) 자가관리지원, 4) 전달체계 ( 환자의뢰체계 ) 설계, 5) 의사결정의임상적근거제공, 6) 임상정보체계구축 (WHO, 2002). 제 2 장문헌고찰 19

25 한편 WHO는이러한 CCM 모형에정책적요소를추가하여확대적용한혁신적만성질환관리를제시하여패러다임자체의전환이필요함을다시한번강조하였다 (WHO, 2002). ICCC는만성질환을예방하며관리하는방법자체에변화를가져오는새로운개념, 방법혹은프로그램을의미하며, 만성질환자들은가정에서스스로문제를관리할수잇는가가관리기술이중요함과동시에단순한의학적중재를넘어서서시공간및제공자를초월한통합적의료제공이필요하하며, 이환자및가족에대한지역사회의지원과효과적만성질환관리및예방을위한정책적지원이필요하다 (WHO, 2002) 고제시한다. 이런관점과함께미국에서도계속증가하는너싱홈의수요를대체하기위한지역사회및가정기반의만성질환관리방안이제시되고있다. 즉너싱홈의입원이필요한대상자에게가정과지역사회기반의서비스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HCBS) 를제공하고있으며, 주의지원도다양하다. 이때도움을줄수있는가족의여부와주의투자지원은각사업의성공에중요한요인인것으로나타났다 (Muramatsu 등, 2007). 또한참전군인에서암환자의입원과외래서비스의 CCHT(Cancer Care Coordination/Home-Telehealth) 프로그램은재원일수와항암제치료를위한입원은감소하였고, 기업규모의 CCHT 적용은집에서서비스를받는대상자의비용을감소시켰다. 이는만성질환을가진대상자의자기관리능력을향상시켜서입원을지연하는데효과가있는데, 특히환자를돌보아줄케어기버가있는대상자가가정에서독립적인삶을영위할수있는것을도울수있다 (Darkins 등, 2008). 또한 multiple sclerosis를가진너싱홈대상자에서신체및직업치료의이용은다른독립변수를보정후에도보건의료비용감소에의미있었다. 그러므로재활서비스의제공은장기적으로는보건의료비용을감소시키고, 또삶의질을증가 (Buchanan 등.2006) 하는결과는아직충분한입원대체시설이충분하지않은우리나라에시사하는바가클것이다. 또한 60세이상의프로리다메디케이드코호트에등록된대상자에게가정그리고보조적인거주서비스인 Five Medicaid-funded HCBS(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HCBS) 의효과는만성병상태, 치매여부, 케어기버의유무등을보정후에도병원과너싱홈이용과비용감소에효과가있었다 (Mitchell, 2006). 가정을기반으로하여정신질환자프로그램에대한연구를체계적고찰한문헌연구에서규칙적인가정방문은입원감소와관련이있었다 (Burns 등, 2001). 또한전화를이용한 LAMP(Low Activities of Dayly Living Monitoring Program) 은 ADL이용이하지참전용사의독립성을증가시켰다 (Bendixen, 2008), 또 Telehealth는작은규모의파일롯프로그램이었는데, 이프로그램을만성질환에 20

26 적용한대규모프로그램에적용한결과는실제적이고, 비용효율적이었고 (Darkins, 2008). 미네소타의노인을위한보건선택 (Minnesota Senior Health Options, MSHO) 프로그램은프로그램에가입하지않은대상자에비해입원과응급실서비스가줄었다 (Kane et al., 2004). 이처럼 MSHO는지역거주자들을위한예방할수있었으며, 지역사회돌봄서비스종류및돌봄의과정에영향을미치었다. 또한미국은만성질환관리를통해의료서비스비용을감소시키면서, 보다향상된보건의료서비스를제공하기위하여질병관리 (disease management) 개념이대두되어활용되고있다. 질병관리는매니지드케어, 인두제, 보건의료서비스수요관리등의형태로시작되었다. 질병관리는만성질환을대상으로하며, 만성질환의발생과이로인한합병증을감소시킴으로서개인의삶의질을향상시키고건강관리비용을감소시키는것을목표로두고있다. 질병관리프로그램은특수한만성질환에이환된대상자의건강향상보장, 응급실이나입원이용률의감소, 합병증으로인한비용감소를위해계획된것이라할수있다 (Boderheimer, 1999) 영국에서도만성질환자의급증에따라만성질환관리모형의채책이환자의건강상태를호전시키고향후의의료비상승을억제하는등 NHS에도움이될것이라는기대가있다. 다만, 가장효과적인모형에대해서는일치된의견이없고, 특히건강결과와관련된측면에서의경험으로부터의평가와교훈이필요한실정이다. 그러나최근만성질환관리와관련하여몇가지원칙, 즉자기치료및의사결정에대한지원, 보상제를통한일차의료강화, 사례관리적용, 다학제적다분야팀의활용, 질병중심이아닌조직영역간 (organizational boundaries) 의료의통합, 정보체계를이용한만성질환자의조기발견등의요소들이제시되고있다. 독일의질병관리에서는환자의적극적참여가중시된다. 치료자료가환자에게개방되어있고, 개별적치료목표를가지며, DMP 내에서재정이지원되는교육프로그램을갖고있다. 또한환자에게의사방문예약을미리알려주며, 다양한정보 ( 리플렛, 브로슈어등 ) 의제공, 보건기금으로붜의지원, 지부혹은콜센터로부터의카운슬링, 지지그룹으로부터의권고등독일의의료보험체계에서공공의사결정을실행하는최초의체계적접근을하고있다. 이처럼잘구조화된만성질환관리프로그램은의료이용을감소시키고건강상태를호전시키는것으로알려져있다 (Singh, 2005). 그러나최선의효과를위한단일중재프로그램보다는여러구성요소가동시에작동하여야하고, 보건의료서비스가통합적으로제공될때효과의극대화를기대할수있다. 결론적으로가정및지역사회기반의만성질환관리방안은복잡한증상을가진대상자를성공적으로관리할수있는예비적인근거를제공함으로서의료자원의효율적운영을꾀하고있음을알수있다. 제 2 장문헌고찰 21

27 5. 정신질환자의료급여관리방안 1) 정신보건서비스전달체계에서의의료급여관리문제점 (1) 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에대한의료급여미적용과서비스공급의절대적부족우리나라전체정신보건시설 1,301개소중 1,097개소 (84.3%) 가정신의료기관이며 6만5천여개정도의병상이운영되고있다. 이에비하여지역사회생활을지원하기위한사회복귀시설은 147개소에이용자 3,591명, 입소자 914명에불과하다. 즉지역사회에서의서비스공급량은입원병상의 1/10에미치지못하고있다 ( 보건복지부, 2007). 또한지역사회에서일부방문서비스의기능을담당하는정신보건센터도전국적으로 105개소설치되어운영되고있으나, 정신의료기관이나정신의료기관운영법인에의한위탁이라는방식으로운영되면서실제퇴원정신장애인에대한지역사회생활지원기능보다는지역사회거주정신장애인에게입원을안내하는역할의비중이더큰것으로나타나고있다 ( 이용표외, 2007). 지역사회서비스공급의절대적부족은정신병상 6만 5천여개에정신요양시설 1 만 4천병상을더하면그불균형은더욱심각한상태로나타난다. 이와같은불균형의원인은입원치료는건강보험이나의료급여에의해지불되는사회보장급여인데비하여, 지역사회생활을지원하는사회복귀서비스는빈약한지방재정의일반조세에의존하는재정체계가가지고있어서비스의확대가어렵기때문이다. 이를개선하기위해서는적어도지역사회서비스에대한의료급여수가적용을통하여사회보장급여화함으로써권리성을강화하거나의료급여의보장범위를개혁하여지역사회서비스에대한지불을보장할필요가있다 ( 홍선미등, 2009). (2) 정신보건서비스전달체계의분리구조와서비스조정기능미흡정신의료기관의서비스는건강보험과의료급여를재원으로대부분민간영리조직의특성이강한경제적시장에서제공하고있는반면, 사회복귀시설과정신요양시설은지방자치단체의일반조세의폐쇄형재원조달체계를기반으로서비스를제공하고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재원으로운영되는사회복귀시설과정신요양시설은일반장애인서비스전달체계와는분리된보건의료전달체계가행정을담당하고있다. 이와같이의료전달체계와는별도로형성된정신질환자서비스전달체계는일반장애인서비스체계에서제공되는지역사회서비스에서도정신질환으로인한정 22

28 신장애인들이소외되는결과를초래한다. 또한보건의료와복지가분리된체계에서는지역사회서비스에대한공공의조정기능이매우중요한의미를가짐에도불구하고현행의조정체계인정신보건센터는정신의료기관이나그운영법인에위탁됨으로써타정신의료기관이나사회복귀시설과는협력자이기보다경쟁자의관계에놓이게되며, 또한다른서비스기관의관계에서도조정을위한공적권한을소유할수없는상황에있다 ( 홍선미등, 2009). 더욱이센터운영주체인민간정신의료기관은그속성상이윤동기에의해시장의확대를도모하기때문에사회복귀시설이나정신요양시설과같은사회복지시설을을시장확대의장애요소로인식하게됨으로써적극적인서비스조정과는이해관계에놓여있다. 결과적으로지역사회에서생활하는정신장애인에게보건과복지서비스를통합적으로제공할수있는체계가형성되지못한다. (3) 의료급여재원조달체계에의한지방자치단체의장기입원방임의료급여수급정신질환자의보건및복지서비스에대한행정적책무는실제적으로기초자치단체가담당하고있다. 반면재정적인측면에서는지방의여건에따라기초자치단체계가 0 6% 정도분담하고있다. 이와같은기초자치단체의행정적책무와재정적책무간의불일치는의료급여수급자의장기입원을기초자치단체가방임하게되는주요한원인이되고있다. 지방자치단체의경우자체재원에의한사회복귀시설운영등과같은지역사회생활지원프로그램보다중앙정부의분담률이매우높은의료급여에의한입원치료의활용이오히려재정통제의수단됨으로써지역사회서비스확충의장애물이된다. 즉지방정부는재정적책무성이상대적으로작은의료급여를정신장애인서비스에활용함으로써장기입원을방임하는구조가형성된다 ( 홍선미등, 2009). (4) 정신질환자의입원관리체계결여현행정신보건체계는정신질환자의입원을관리할수있는체계가결여되어있다. 즉정신보건센터는정신질환자의위기발생시정신의료기관에의뢰하는기능만을가지고있을뿐지역사회에서위기를관리하는기능은결여된상태이다. 이러한정신보건체계의약점은정신질환자의위기는곧입원을의미하는체계가형성되는중요한원인을가져오게된다. 선진국의경우정신질환자에게위기가발생하면일단지역사회에있는위기안정화센터혹은정신의료기관에단기입소하게하여 24시간위기관리서비스를제공하고일정 제 2 장문헌고찰 23

29 시간이경과한후에도위기가지속되는경우입원할수있도록하는체계를가지고있다. 무분별한입원을방지하고엄격한입원심사를시행하기위해서는현행의정신보건체계에지역사회에서위기를관리할수있는서비스체계의수립이필요하다고하겠다. (5) 정신보건센터의성과관리미흡정신보건행정체계의장기입원억제기제라고볼수있는정신보건심판위원회운영이행정적낭비로인식될수있는가장큰이유는그퇴원결정을뒷받침할수있는행정적토대가없기때문이라고볼수있다. 즉정신보건심판위원회에서퇴원결정이내려진후즉시다른정신의료기관으로전원되거나바깥에서하룻밤을보내고타정신의료기관에재입원되는경우가지속적으로발생하고있다 ( 홍선미등, 2009). 이러한제도의역기능을해결하기위해서는퇴원결정이내려지면해당지역의정신보건센터가정신의료기관을방문하여지역사회에서의생활을지원하기위한케어혹은자립계획을수립하고필요한서비스에연결하는것을의무화하는제도가수립되는것이반드시필요하다. 그리고정신보건센터를통한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이수행되는체계가수립된이후정신장애인의정신의료기관입원이급증하였지만그로인하여센터위탁계약이중단된사례는거의존재하지않다. 이는정신보건센터에대한성과관리체계합리적으로수립되지못한채그역할과기능이지속적으로모호한상태에있기때문으로볼수있다. 정신보건센터의합리적운영을위해서는지방자치단체별정신의료기관입원기간, 입원자수그리고의료급여비용등에관한성과목표를설정하고그성과에대한적극적인관리가필요하다고할수있다. (6) 의료급여수급정신질환자에대한개별관리체계미비정신질환자의지역사회생활을구체적으로지원하기위해서는정신질환자의지역사회에서의자립계획을공공행정기관이개별적능력과욕구에근거하고수립하고, 그것을집행할의무를가져야한다. 현재의정신보건법은정신보건센터에사례관리기능을부여하면서도구체적으로사례관리를제공할대상과그대상들에대한자립계획수립과같은구체적인실행방안에대한규정이미비한상태이다. 따라서의료급여수급정신질환자전체에대한개별자립계획을수립하고시행할수있는제도의수립이필요하다. 24

30 2) 외국의정신질환자의료서비스관리전략선진국에서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서비스관리전략은주로정부의재정전략을통해수행된다. 실제정신보건영역에서의권력관계는재정자원의통제권의문제이기때문에정부의관리전략의성패는적절한재정전략을통해이해관계자의재정자원에대한통제권을조정하는방식이활용된다. 먼저영국의경우 1980년에들어장기입원을비롯한의료재정의비효율문제에대한개혁의필요성에대한중요한정책문제로등장하였으며, 그리피스보고서, Working for Patients' 와같은개혁백서는 NHS제도의비효율성과재정문제에대한대안으로서기업경영방식의경쟁체계를도입할것을주장하였다 ( 이규식, 2002). 이러한과정을통해수립된제도는지역주민에의해선택된일반의및구역보건청이의료구매자가되어서비스공급자인공공병원과민간병원을경쟁토록하는것을기본원리로하여구축되었으나, 의료내부시장의경쟁관계형성은의료서비스와사회서비스의통합을약화시키게됨으로써사회서비스를통하여의료이용을억제하는체계가작동하지않는시장의분절이발생하게되는문제가발생하였다 ( 이주열등, 2005). 이에따라 1990년국민보건서비스와지역사회보호법 (The NHS and Community Care Act) 제정은보건과사회적서비스의조직적및재정적분리상황에서보건 (health) 과사회적케어서비스 (social care service) 의전달을통합된방법으로제공하여, 입원의료서비스에의의존을감소시킴으로써국민들이지역사회에서자신의삶에대하여최대한으로독립적으로통제할수있도록하는것을목적으로하였다 ( 이주열등, 2005). 서비스전달체계는과거직접서비스를제공하던지방보건청 (District health authorities) 과지방정부의사회서비스국 (SSD) 의업무를서비스의연계및조정역할로변화시켰으며, 공공보건및복지서비스조직의역할변화로인하여서비스제공자로서민간의역할이강화되었다. 그리고중요한보건복지서비스의연계전략은사회서비스국 (SSD) 소속공무원들에의해수행되는사례관리방식이강화되었다. NHS와지방정부사회서비스국간의파트너십의구체적인내용은첫째, 재원공동화 (pooled fund arrangement) 로서두조직간연계강화와통합된서비스제공을위해재원을공동화함으로써가용성을높이는것이었으며, 둘째, 권한위임 (lead commissioning) 을통해한기관에서다양한서비스를고객에게제공할수있도록기능에따라다른한기관이권한을위임할수있도록하였다. 셋째, 통합서비스제공 (integrated provision) 을통해여러전문가들이한관리체계하에서 ( 하나의법정기관으로부터의공급 ) 일할수있도록협력하게하였다 ( 이주열등, 2005). 미국의경우에는 1960년대탈원화시기의재정전략과현재 Managed care에서 제 2 장문헌고찰 25

31 사용되는서비스관리전략을살펴본다. 탈원화 (deinstitutionalization) 는정신장애인, 노인등의일상생활을독립적으로영위하는데에장애가있는사람들이병원이나사회복지시설을벗어나지역사회에서생활할수있도록하는정책적방향을의미한다. 미국의정신보건역사에서지역사회정신보건 (community mental health) 라지칭되는일련의시기는정신장애인의탈원화가대규모로진행되었던제2차세계대전이후 1970년대까지의기간을말하는데, 실제로이시기에는 1957년에 840,000 명에달하던주립정신병원입원자수가 1976년말에는 171,000명까지감소하였다 (Bloom, 1984). 이시기에대규모로진행된탈원화는연방정부의재정전략이가장중요한정책성공요인으로볼수있다 ( 김연희, 2005). 당시정신장애인들은대부분공공부문인주립정신병원에입원하고있기때문에정신의료기관자체의입원에대한이윤적동기는없었으며, 대신주정부는막대한입원의료비용을부담하고있는상황이었다. 이상황에서 1963년제정된정신보건센터법 (community mental health act) 은정신장애인의지역사회보호체계로서도입된정신보건센터에대한재정의대부분을연방정부에서지원하는제도를수립하게되었으며, 이는주정부가획기적으로정신보건예산을감소시킬수있는재정적유인으로작용하게되었다 ( 이주열등, 2005). 미국의정신보건체계도 1980년대에급격한의료비증가를경험하면서장기입원의통제를위해 Managed Care라는관리방식을도입하게되었다. 일반적으로의료비상환의행위별수가제는치료기간을장기화하고고비용의서비스를지속하게되는재정적유인을제공하는반면서비스체계간의뢰나조정이재정적불이익을가져오는결과를초래하여통합적지역사회서비스의장애를초래하는것으로인식되고있는데, Managed Care는이와같은문제를해결하기위한관리전략이었다. Managed Care는비용통제와서비스질향상이라는목표를달성하기위한주요전략으로첫째예방개입과지역사회서비스를통한입원치료의예방, 둘째인두제및위험조정계약과같은새로운계약방식의도입, 셋째사례관리를통한이용적정성관리와서비스접근통제등을활용하고있다 ( 김연희, 2005). 예를들어카운티정부는 A라는보험회사혹은민간기업등과의계약을통해관할구역내의 1000명의정신장애인에대한서비스비용을 20억원에계약을하는경우, A는사례관리를통하여입원의료이용을억제하고지역사회의복지서비스로연결을주된목표로한다. 만약입원치료가다수발생하여서비스비용이 20억원을초과하는경우위험조정계약통하여 A가그비용을지급하게하고, 서비스비용을 15억원으로통제하는경우그차액을기업의이윤으로취할수있도록함으로써 A라 26

32 는기업에재정적유인을제공하는전략을활용하는것이다. 3) 정신질환자사례관리방안 (1) 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에대한의료급여미적용의료급여수급자의입장에서정신의료기관에의입원은의료서비스자체보다는의식주의문제를한꺼번에해결할수있는방안이된다. 이는의료급여가사회보장급여로써제공되기때문에급여자격이인정되면거의무제한비용없이제공되기때문이다. 반면에지역사회생활지원에관한사회복지서비스는지방자치단체의일반재정에서제공되기때문에매우제한적이다. 이와같은입원의료서비스와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의불균형은장기입원을초래하는중요한원인이되고있다. 또한지방자치단체의입장에서볼때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는자체재원으로충당하여야하는반면의료급여는중앙정부가대부분부담하기때문에자발적으로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를확충하여야할재정적유인이없다. 따라서지역사회생활지원을위한서비스공급량을확대하기위해서는의료급여수급자들에게의료급여재정으로인두제예산방식혹은바우처를제공하여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를공급량을확충하는것이필요하다. 이는영미등선진국에서비용통제를위한보편화된전략으로자리잡고있다. (2) 장애인활동보조인제도및지역사회서비스의확충정신질환자의지역사회생활을지원하기위하여현행장애인복지제도상의 1급장애인들에게제공되는활동보조인제도를적극활용하는것이필요하다. 현재이제도의정신장애인이용률이극히저조한상황이며, 그원인은기존장애인복지전달체계를중심으로이제도가운영됨으로써보건의료전달체계에속한정신보건전달체계와의조정이미흡하고상당수 1급정신장애인이장기입원상태에있기때문인것으로추정되고있다 ( 홍선미등, 2009). 2007년말 1급등록정신장애인이 11,456명이다. 현행의지역사회투자사업의사회서비스바우처사업을활용하여 2,3급정신장애인에게일상생활지원서비스를지원함. 활동보조인과달리이서비스는간호사, 사회복지사등전문인력이주 1회이상정기적으로방문하여약 1시간동안취업및일상적인활동 ( 여가활동, 가사, 하루일과관리, 외출과이동 ) 의문제에관한상담, 지도및교육등을제공하는방식의서비스이며, 입원억제에매우효과적인것으로나타나고있다 ( 홍선미등, 2009). 제 2 장문헌고찰 27

33 (3) 정신질환자의가족보호에대한지원제도수립정신질환자가족들은정신질환자를케어하는과정에서많은정서적, 경제적부담을가지고있을뿐만아니라, 자신의경제생활과일상활동에서큰제약을받고있으며, 이러한보호부담에대한제도적지원이없다면장기입원에대한가족의욕구가감소되기어려운것이현실이다. 향후장애인장기요양제도는가족에의한활동보조나지역사회생활지원서비스의제공을지원할수있는제도를수립함으로써가족에서연유하는입원욕구를억제할수있을뿐만아니라가족이삶의질을증진시킬것으로기대할수있다. 그러나현실적으로는의료급여수급자들의입원자와비입원자에대한형평성측면에서본다면의료급여가가족케어에대하여지불하는체계는가능할수있다고본다. (4) 공공사례관리체계의구축사례관리는사례관리자의공공서비스자원에대한접근권한을기반으로생활상의욕구에대응하는서비스를제공함으로써작동된다. 즉사례관리자는정신질환자에게필요한서비스를지역사회에서구매할수있는예산에관한권한을기반으로한다. 현행의정신보건센터사례관리는이와같은제도적기반이전혀부여되지않은채이루어지고있을뿐만아니라, 민간위탁제도하에서는이와같은권한의부여가제도적으로거의불가능한상황이다. 지방자치단체의일반회계, 의료급여재정, 장애인복지재정, 다른부처의직업및교육관련예산을활용한실질적인사례관리가수행되기위해서는장애인서비스전달체계와통합된공공사례관리체계가구축되어야한다. 즉지방자치단체의행정구조상주민생활에필요한다양한서비스를통합적으로관리하는주민생활지원국의산하조직에서모든장애인에대한공공사례관리를담당하고, 정신보건센터는정신보건시설지도감독, 입퇴원심사, 퇴원심사결과의집행등과같은담당하는것으로기능의재편이필요하다. 또한정신질환자의지역사회생활을구체적으로지원하기위해서는지역사회에서의자립계획을공공행정기관이개별적능력과욕구에근거하고수립하고, 그것을집행할의무를가져야한다. 현재의정신보건법은정신보건센터에사례관리기능을부여하면서도구체적으로사례관리를제공할대상과그대상들에대한자립계획수립과같은구체적인실행방안에대한규정이미비한상태이다. 지방자치단체는구체적으로지역사회에거주하는모든의료급여수급정신질환자에대한자립계획을수립할의무를가져야하며, 이를법적으로제도화하여야만지역사회생활지원의가장기본적인토대가마련되는것이라고할수있다. 28

34 (5) 정신보건센터의공공직영체계수립을통한공적기능강화정신보건시설의관리감독, 사례관리를위한공공자원에대한접근및조정, 입퇴원관리감독등의공공성이높은업무를수행하기위해서는현행의정신보건센터위탁제도는개혁이필요하다. 즉정신보건센터는지방자치단체가직접운영하는형태로운영되어야만정신장애인의인권보호를위한다양한활동이공적책임하에이루어질수있다. 이를위해서는정신보건법제13조제3항의정신보건센터위탁규정을개정하여야한다. 현행규정이임의규정이기는하나, 이를근거로정신보건센터의위탁운영이전반적으로일반화되어가고있기때문에명확한법개정을통하여체계의개편이필요하다고하겠다. 또한현행정신보건법제39조제1항은정신의료기관에관한지도감독을년 1회업무보고혹은관계서류제출로매우통제력이약한형태로규정하고있음. 이러한규정은실제적으로현장방문감독을하지않을수있는근거규정이되고있다. 지속적증가하고있는정신의료기관의입퇴원과관련된인권문제를완화하기위해서는철저한지도감독이이루어질수있도록연 4회분기별로현장방문지도감독을수행하고입원자들을직접면접하여조사할수있는제도를법제화하여야한다. 이와같은제도의실행력을뒷받침하기위해서는정신보건담당공무원들에게일정한사법적권한을부여하는제도개편이필요하며, 현장조사는인권단체들이공동으로수행할수있도록하는방안이도입될필요가있다 ( 홍선미등, 2009). 그리고정신보건센터가공공직영의방식으로전환되는경우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퇴원명령에대한집행의무화도가능할것이며, 보다적극적인성과관리의체계를도입할수있다. (6) 정신질환자위기안정화센터운영을통한입원심사제확립현행의정신보건체계에서미비한위기관리체계의구축을위해위기발생시지역사회별도의센터나공공정신의료기관에서단기간의안정화프로그램을운영함으로써체계의미비점으로인식되고있는위기관리기능을보완하여야한다. 즉위기가발생하면일단위기안정화센터로단기입소하게하여 24시간위기관리서비스를제공하고일정시간후에도위기가지속되는경우심사를거쳐입원하는체계를구축하게되면불필요한입원을상당수준억제할수있을것으로기대할수있다. 이와같은체계는현행의공공응급이송체계와연결하여운영할수있다. 제 2 장문헌고찰 29

35 6. 사회복지시설입소자의료급여관리방안 1) 사회복지시설입소자의료급여관리문제점 (1) 의료급여재정효율화와연계되지못한사회복지시설촉탁의제도사회복지시설의촉탁의제도가의료급여재정효율화와연계되기위해서는응급적급성케어와같은특수한의료수요를제외한일반적인의료를촉탁의와시설에근무하는간호사인력에의해해결될수있는서비스체계의구축이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현행서비스체계는시설내부에서촉탁의에의해진료가이루어지고처방전에발생되는경우에도의약분업에의하여약품은시설외부의일반약국에서의료급여나건강보험에의해청구하게됨으로써의료급여재정의효율화와직접적으로연계되지못하고있다. 실제의약분업이전에는촉탁의의처방에따라사회복지시설은제약회사에서약품을직접구입하고, 이와같은약품들은시설내에근무하는간호사에의해관리됨으로써일정부분의료급여재정의효율화에기여하는제도를할수있었다. 실제의약분업의과정에서두전문가집단의이해관계가첨예하게대립되는상황에서정부가사회복지시설의료에관한정책을제도의변화에따라적절한대안을마련하지못한채이루어진것이현재에도지속되고있다고할수있다. (2) 사회복지시설의의료서비스아웃소싱과도덕적해이의약분업이후사회복지시설의촉탁의제도가상당부분실효성을상실하게됨에따라사회복지시설들은왕진의제도를활용하거나촉탁의의존재에도불구하고지역사회의의료기관에의료서비스를별도로의뢰하는상황들이확산되고있다. 이와같은현상은의료서비스의아웃소싱에의해발생하는비용이사회복지시설에서부담하는것이아니기때문에쉽게발생한다고볼수있다. 즉사회복지시설로서는의료급여이용이별도의재정에의해서이루어지기때문에그것의절감과관련하여어떠한재정적유인이존재하기않기때문에쉽사리도덕적해이가발생할수있다는것이다. 결과적으로현행의사회복지시설의료서비스는대부분아웃소싱되는체계로형성 되어있는상황에서사회복지시설의의료서비스의조절기제가될수있는정책적 유인이존재하지않는체계가형성되어있다는것이다. 30

36 (3) 사회복지시설간호사의역할모호의약분업이전에는촉탁의의처방에따라사회복지시설은제약회사에서약품을직접구입하고, 이와같은약품들이시설내에근무하는간호사에의해관리되는체계에서는시설의간호사는의료급여의효율적관리를대한최일선담당자로서연결되어있었다고볼수있다. 그러나현행의사회복지시설의료서비스체계에서는응급처치정도를담당하는인력으로제도적역할이이전되어버린것이현실이다. 사회복지시설에의간호사인력배치가의료급여재정효율화와연계되기위해서는촉탁의제도와의료아웃소싱의혼재된상황에서간호사인력의역할이무엇이며, 제도적으로어떠한권한을가지는것인지명백하게규정되어야만한다. 즉시설내의입소생활자들이외부의의료기관을이용하기위해서는시설간호사들의의뢰를필요로하는체계를형성하는것도무분별한의료이용을조절하면서그들의역할을명확히하는하나의방법이될수있을것이다. 2) 외국의사회복지시설입소자의료급여관리전략미국의의료급여관리전략은기본적으로재정건전성에초점을재정전략에초점을두고있다. 재정전략의핵심은의료재정과요양및사회복지서비스재정을통합하여관리함으로써그효율성을도모하려는것이다. Doyle & Masland(1997) 는미국의노인보건의료, 요양및사회서비스의유형은재정및전달체계의통합정도에따라 3가지유형은분류될수있다고하였다. 첫번째유형은노인들의의료서비스와예방진료에대한접근성을강화하기위해일차케어 (Primary Care) 와급성치료를통합하는모형이다. 이모형은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통합대상에서제외되어있으며, 의료서비스에초점을두고있으며, EverCare, Medicare HMOs 나미네소타주에서시행하고있는 Prepaid Medical Assistance Program(PMAP) 등이이방식의예가된다. 두번째유형은장기요양서비스를재가복지서비스와통합하는유형이다. 시설화수준의중증노인들에게종합적인재가복지서비스를지원하는의료급여 (Medicaid) 중심장기요양모델이다. 이모형에서일차케어나급성치료는 Medicare 재정에의해별도로운영되며, Medicaid HCBS waiver 정책이이모형에해당한다. 세번째유형은일차케어, 장기요양, 급성치료를통합하는모형이다. 이모형구축의기본과정은 1 통합서비스의대상집단을확정하고, 2 인두제방식과행위별수가제방식으로지불할서비스를구분한후, 3 인두제방식으로결정된서비스들의경우의료재정과장기요양재정에서각각몇 % 로상환하는가하는상환비를하 제 2 장문헌고찰 31

37 위집단별로구분할지아니면일괄적인비율로할지를결정한후, 4 상환비설정을위해어떤자료를이용할지를결정하고, 5 추가공제사항을정하는단계로이루어진다 ( 김찬우, 2005). 대표적인예로는 PACE(Programs for All-Inclusive Care for Elders) 가있다. (1) EverCare 미네소타에서 1995년에시작된이프로그램의목표는시설입소노인들에게의료적케어를증진시킴으로써급성케어의이용을감소시키고자하는것이다. 프로그램의대상은장기간시설에입소하고있는노인들이며, EverCare에소속된의사과간호사는노인들에대한주서비스제공자로서시설직원과함께일하고서비스를전반적으로관리한다. 재원은지역사회의다른시설거주자의 Medicare 지출의평균에기초하여인두제방식으로 Medicare에서지출되며, 입원비용에대한책임과위험이이전된다. 프로그램은단순하고비용이낮다는장점이있는반면, 시설입소노인들이지역사회로돌아갈수있도록하는유인이존재하지않는다는문제를가진다. (2) Medicaid HCBS waiver 프로그램시설중심요양에대한 Medicaid 지출을감소하고재가노인들의요양욕구지원을강화하려는정책이다. 이프로그램의주요대상은너싱홈케어수준의중증노인들중의료급여 (Medicaid) 수급자이다. 시설입소수준의노인들을대상으로지역사회서비스제공을통해비용을통제하고자하는목적을가진다. 서비스는시설요양을대체하기위한다양한형태로발전하였으며, 사례관리, 주간보호, 주간건강보호, 가정간호, 가사보조, 단기보호, 식사지원및교통등의서비스가지원된다. 또한노인집단주택이함께제공되는시범사업이전개되기도하였다. 이프로그램은복합적인노인층의욕구를충족시키기에는몇가지제한점이나타났다. 첫째, 일차케어와급성의료가통합에서제외됨으로써통합적서비스로는한계가있었다. 둘째, 중개모형사례관리에의한재정지원방식이행위별수가제에따름으로써서비스제공자들의재정감소유인이제한적이었다. (3) PACE(Programs for All-Inclusive Care for Elders) 프로그램 PACE는급성치료와장기요양서비스의통합과유연한재정운영을바탕으로부적절하거나시기상조적인시설화를예방하려는프로그램이다 ( 김찬우, 2005). PACE의추진동력은약한노인들에대한조정된케어서비스의결여, 분절적급성및장기케어체계로인한개인과정부의높은비용부담에있었다. PACE는치 32

38 밀하게조정된케어를통하여복지와건강의증진시킴으로써가장약한노인들이가능하면가정에거주하고싶은소망에부응하고자하는목적으로고안되었다고할수있다. 이프로그램의주요대상은시설입소수준의중증노인이다. 시설입소수준의노인들을대상으로한다는측면에서 HCBS 프로그램과유사하나 Medicaid 급여노인이대상이아니라는점에서차이가있다. 이모델은 EverCare와비교할때, 만성질환을가진노인들에게매력적이지못했던 EverCare의비통합적제공의문제를해결하였다. 프로그램의특징에서 PACE는자율성과독립성의유지를강조하면서참여자와가족들의욕구와희망에초점을둔하나의철학이라고할수있다. 모든등록자들은 55세이상이며, 너싱홈입소자격을가지고있는사람이다. 포괄적인서비스패키지는외래, 급성그리고장기요양서비스등의전체적통합을통하여모든건강과건강관련서비스를포함하며, 전문가와준전문가케어제공자다학제팀에의한엄격한사례관리가이루어진다. Medicare, Medicaid 그리고개인부담에의한인두제재정은프로그램제공자가모든위험을부담하면서다양한서비스를제공하게함으로써, 인두제상환을통한통합재정방식와공급자위험부담을핵심적전략으로한다. 비용통제의방식은상환비 (reimbursement rate) 조정에의해이루어진다. Medicare는비교대상인허약한노인들에대한전통시스템행위별수가제총액의 95% 수준에서인두제로지불됨으로써, 최소한 5% 의 Medicare 재정의절감을보장해준다. 이처럼 PACE의핵심적구성요소는케어 / 케이스매니지먼트에의한케어조정, 통합정보체계, 인두제방식의재정이라고할수있다. 3) 사회복지시설입소자사례관리방안 (1) 보건복지서비스재정통합체계구축보건복지서비스통합의핵심적내용은각각의재정을통합하는것이므로통합논의는재정통합의범위를어떻게설정하는가그리고효율적통합재정의운영에의해절감된재정의이동을어떤범위까지인정할것인가의문제라고할수있다. 이용표등 (2006) 은통합의범위는크게서비스제도중심통합방식과서비스대상의범주별통합방식으로분류할수있다고하였다. 즉제도별로의료급여, 사회복지및보건관련공공사회서비스비용,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등의재정을통합하여운영하는방식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노인, 정신장애인등과같이대상별로소요되는재정을통합운영하는방식으로나누어볼수있다. 본연구에서는의료급여이용수준이높은저소득노인을중심으로재정통합방안을제시 제 2 장문헌고찰 33

39 하면, 기초생활수급자인노인대상의료급여비용과공공보건복지서비스재정을통합하는선별적보건복지통합모형과이모형에기초생활수급대상노인의장기요양을통합하는선별적보건복지수발통합모형을제안할수있다. 즉선별적보건복지통합모형은노인의료급여와공공보건복지서비스의재정을통합운영하는방안이며, 선별적보건복지수발통합모형은노인의료급여, 공공보건복지서비스그리고기초생활수급노인노인장기요양보험비용을통합하는것이다. 모형의구체적인내용과특징을제시하면아래의 < 표1> 과같다. < 표2-1> 노인보건복지서비스재정통합모형의비교 재정통합의범위 재원의출처 재원이동방향 선별적보건복지통합형 노인의료급여 + 공공보건복지서비스 정부및지방자치단체 의료급여 공공보건복지서비스 질병노인 일반노인 입원의료수가 지역사회보호 선별적보건복지수발통합형 노인의료급여 + 공공보건복지서비스 + 기초생활수급노인수발보험 정부및지방자치단체 건강보험공단 의료급여 공공보건복지서비스 입원의료수가, 입소장기요양수가 지역사회보호 실행의용이성재원의출처가단일하여용이함 재원출처가이원화되어있어공단과의협의가필요함 기대성과 지역사회공공보건및사회서비스인프라확대 의료급여비증가의완화 지역사회공공보건및사회서비스인프라확대 의료급여및장기요양비용증가완화 지자체참여유인 잉여재원재투자에관한자율성을부여하면참여유인이높음 참여유인이높은반면, 제도의관리범위가넓어정책실행의부담감도높음 이용표등 고령지역사회의발전을위한통합적노인복지서비스제공모델개발연 구에서인용 재정통합운영은공공보건복지서비스, 의료급여, 장기요양급여프로그램등이개별적으로재정의통제기제가작동하는경우에적용이용이하다. 예를들어 3가지프로그램중한가지가이와같은통제기제가없는경우그프로그램으로서비스이용이이동하게됨으로써또다른문제를만들어낼가능성이존재한다. 즉현행의보건복지제도에서사회복지시설서비스의공급량이적은경우입원에대한통제기제가작동하지않는의료급여로서비스욕구가이동된다는것이다. 현행우리 34

40 나라노인복지프로그램의경우, 장기요양서비스는대상자별서비스이용자자격판정체계가존재하고공공보건복지서비스는미리통제된예산의범위내에서서비스가공급되지만, 의료급여의경우통제기제가매우미흡한상태이다. 따라서만성질환을가진노인들이주대상인의료급여의이용적정화를위한통제기제의형성이선행되어야재정통합제도가연착륙할수있는것이다. 구체적으로선별적보건복지통합모형의적용방안을모색하기위해서는의료급여재정의지출범주를사회복지서비스로확장할필요가있다. 즉의료급여재정의지출범주를사회복지서비스로확장하면서지방정부의분담비율을높이는것이다. 이와같은방식으로재정을확장한다음, 시설입소자및의료기관입원자에게입소및입원을대체할수있는서비스패키지를구성하여질병의특성에따라가정간호, 도시락배달, 일상생활보조그리고정서적지지등의서비스를제공함으로써입소및입원서비스이용을억제할수있게된다는것이다. 입소및입원의료서비스를대체하기위한다양한서비스에대한사정과할당은통합서비스센터의케어 / 케이스매니지먼트담당자에의해시행되며, 서비스공급자는보건소, 사회복지기관, 민간영리사업자등이될수있을것이다. (2) EverCare 모형의도입 EverCare모형은사회복지시설장기입소노인들의의료급여적용하기에용이한모형이다. 즉시설입소노인들에게의료적케어를증진시킴으로써급성케어의이용을감소시키고자하는것이다. 구체적시행을위해서는지역사회의노인병원이나종합병원과개별사회복지시설간의의료급여에대한연간계약을통해의료기관이일정한계약금액내에서해당사회복지시설노인들의모든의료비용을책임지는것이다. 이러한계약하에서의료기관은장기간의입원이나과다한의료이용을감소시키기위한작동기제를스스로형성하게됨으로써평상시예방활동을증진시킬가능성이높다고할수있다. 구체적인운영방식은계약기관에소속된의사와간호사는노인들에대한주서비스제공자로서시설직원과함께일하고서비스를전반적으로관리하며, 재원은지역사회의다른시설거주자의의료급여지출의평균에기초하여인두제방식으로지출되며, 입원비용에대한책임과위험이의료기관에이전시키는것이다. (3) 사회복지시설의보건의료서비스기능확대및공적서비스이용관리강화노인복지회관, 노인양로시설, 노인요양시설, 장애인복지시설그리고정신질환자사회복귀시설등의입소생활자에대한의료급여를적절하게관리하기위해서는시설내의보건의료서비스기능을강화하면서서비스이용의공적관리를강화하는것 제 2 장문헌고찰 35

41 이필요하다. 이를위한구체적시행방안은다음과같다. 1 촉탁의제도의실효성강화촉탁의제도의실효성강화를위해서는촉탁의의처방에따라사회복지시설이제약회사에서약품을직접구입하고약물복용을관리하는제도를공식적으로수립하는것이필요하다. 기존이와같은방식은의약분업에의하여붕괴되었는데, 사회복지시설을의약분업의예외지역에포함시키는방안이검토될필요가있다. 만약의약분업의예외지역화하는것이어려운경우에는촉탁의사제와함께촉탁약사제를동시에시행함으로써제도의실효성을강화하여야한다. 2 사회복지시설의료관리를위한공적체계수립촉탁의사제와촉탁약사제가운영되기어려운지역에서는보건소의의사와약사가촉탁의사와촉탁약사의역할을대행할수있도록하는체계를통하여기존제도의제한점을극복할필요가있다. 이러한제도의시행과함께현재사회복지시설내에서의공적의료서비스의조정자역할이제한적인간호사인력의규모를줄이고대신일정규모이상의노인양로시설, 노인요양시설등노인집단거주시설에근무하는간호사를공공에서직접파견하는형태로고용하고공공의료급여관리사의역할을부여하는방안을추진할필요가있다. 이와같은제도의수립은기존에민간영역의사회복지시설과민간의료기관에다의료서비스를사적계약의형태로맡겨져오던것을공공관리의영역에포함시키게된다는측면에서매우의미있는변화를초래할수있을것으로본다. 즉이렇게사회복지시설의의료를공공관리의범주에포함시키게되면향후공공보건의료정책의영향력이사회복지시설에서확대될수있는기반을마련하는것으로볼수있으며, 노인및장애인장기요양제도의시행에따른시설의급속한확대에의료급여관리를적정화할수있는제도적장치를마련할수있을것이다. 36

42 7. 시사점 선행연구에서의료서비스를많이사용했다고해서의료의질이향상되는것은아니었으며, 의료급여재정의급증은국가의재정과직결되기때문에의사와수급권자간의개인적문제가아닌공공의문제로나타났다. 특히우리나라에새로도입한본인부담금제는외래이용의감소를가져왔으나, California Medicaid program(helms et al., 1978) 과 Quebec Medicaid program(tamblyn et al., 2001) 에서본인부담금제로인해응급실방문이나입원, 시설입소등다른영역의의료이용이크게증가함으로써총진료비는오히려증가한결과가있어최근들어적정입원진료를논함에그근거를제시하고있다. 입원진료의료이용을분석하고효율적이용을유도할수있는효과적정책수립를위해서는우선입원의료이용의결정요인에대한파악이필요한데, 크게환자요인, 의료제공자요인, 그리고제도요인으로구분할수있다. 환자요인은질병종류와그질병의중증도및인구사회학적특성에의한개인속성요인에의한의료요구필요량을의미한다. 제공자요인은환자의필요량과함께진료제공자의진료행태및인식도에의해결정된다. 제도요인은의료전달체계가갖는특성즉수가체계, 의료보험체계, 전달체계에대한서비스질감시체계등에의해영향을받는다. 입원한후이루어지는진료는의료형태중자원을가장집중적으로사용하는진료형태이다. 그러나입원을주로많이하는질환은고혈압, 심혈관질환, 정신장애등의만성질환과관리되지못한합병증이며, 장기재원의이유는사회적입원이많은것으로파악되고있다. 만성질환관리, 그리고사회적입원을감소시키기위해요양병원및시설에대한확충그리고가정및지역사회기반의프로그램은복잡한증상을가진대상자의성공적인관리를통해의료자원의효율적운영을꾀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이에우리나라수급권자의개인적속성을고려한장기입원관리방안은다음과같다. 첫째, 장기화될가능성있는재원환자를스크리닝하여조기퇴원계획을세운다면병상운영의효율성을높이는데기여할수있을것이다. 또한병원이용환자와보호자, 지역주민대상으로가정간호제도의내용, 이용방법, 비용등에대해적극적인홍보활동이이루어져야한다. 가정간호에대한신뢰감을주어장기재원환자들의조기퇴원을유도한다면병상회전율이높아지고경영수익증대를기대할수 제 2 장문헌고찰 37

43 있다. 둘째, 장기입원환자나장기입원을예방하기위한공식적인전담조직이필요하다. 담당의료진과간호사, 병원행정관리팀그리고환자지원팀이함께논의하는조직이필요하다. 병원내에적정진료평가위원회를두고입원시부터퇴원계획과함께정기적장기입원환자관리가이루어져야한다. 장기입원환자특성을정기적으로적정진료평가위원회에서분석하여환자군을분류하고이에따른병동운영과타기관연계의순환계획이필요하다. 셋째, 공공병원의경우무의탁장기입원환자등사회적보호를필요로하는계층의비중이높으나급성기상태가지나사회복지시설로이송이어려운실정이다. 구청또는시청실무자와접촉해도복지시설로의입소를대기하고있는실정으로이로인한병원재원기간이길어지고있다. 장기요양기관이나가정간호로전환함으로효율적활용필요하나가정간호를시행하고있는병원이적은실정이다. 따라서가정간호의활성화가필요로된다. 넷째, 무의탁장기입원환자나필요자에대한사회복지시설이용의입소를용이하게하기위한복지시설의확대실시와정신요양시설등은장기적인미래요구도에대한연구를기반으로국가적차원에서계획되어야한다. 다섯째, 종합병원에서의가정간호활성화. 입원진료와퇴원후진료가연속성을가질수있고가정에서필요한치료를받을수있도록가정간호서비스또는집중입원서비스후가정으로가기중간시점에필요로되는중간제공 (Intermediate Care) 시설이필요하다. 한편집에서의료기관까지의거리가장기입원의중요한요인이므로진료의뢰, 회송센터를활성화하고지역거점병원확보, 협력병원으로제휴하여퇴원후에도환자들이지속적인진료를받을수있도록연계 회송체계를구축하여야할것이다. 기입원환자재원일수관리를위해협력관계맺은지역내 1,2차의료기관들과주기적정보공유와교류특히, 임상진료과와지원부서간의유기적인관계유지및재원기간단축을위한상호협조, 자발적참여로의인식변화는필수적이다. 또한최고경영진의지속적인관심과이해그리고직원들의인식변화를위한홍보와접근방안과함께장기입원환자관리전후의병원수입증대및환자진료비경감효과분석과효과적인퇴원프로그램개발에대한연구가활성화되어야한다. 행려환자의음주문제가심각하므로알코올남용위험. 생활방식개선, 지도, 교육에대한국가적개입이필요하다. 또사회복귀를지원해줄수있는국가중심의지역사회공공사업의개발이시급하다할수있으므로전문인력구성과함께지역사회건전한음주문화형성, 알코올문제조기발견및개입등사전적예방기능과지역공공의료기관과연계를통한전문적상담, 재활프로그램실시, 사회복귀촉 38

44 진시킬공공사업확충과지원필요하다. 또한의료급여환자들의진료비보상제도의개선, 정신보건시설에대한관리체계의변화, 효율적인억제나유인정책필요하고, 재활전문간호사양성을통해정신보건심판위원회는퇴원뿐만아니라입원에도심사기능을갖고정신보건센터와연계가이루어져야할것이다. 제 2 장문헌고찰 39

45 제 3 장 미국의사례관리 1. 미국의 Medicare/Medicaid 이해 미국의 Medicaid는미국의빈곤층대상의료서비스로서 1950년사회보장법개정안의발표에따라시작되었다. 공공부조대상자들에게연방정부의재정교부금을지급하고자희망하는주정부가이를받아 Medicaid프로그램을실시하는체계로운영되었다. 1965년사회보장법제19장에 Medicaid법안이신설되어기존의빈곤층대상의의료서비스프로그램과병행하여실시되었으며미국의전체주에서지금의 Medicaid프로그램을실시하기까지 17년이소요되었다. Medicaid프로그램은미각주정부에서독자적으로관리되므로수급자격조건과급여범위가주마다다르나연방정부의교부금을받기위해서는연방정부에서제시하는지침을충족해야하며연방정부의 SSI( 보충적사회보장제도 ) 수혜자, 가정위탁대상자등소득보조금을받는사람들에게의무적으로 Medicaid서비스를제공해야한다. 가. Medicaid 서비스자격조건 1 소득과자산기준충족 2 아동, 임산부, 노인, 장애인등특정집단기본적으로 TANF( 저소득가정일시지원제도 ) 수혜자와 SSI수혜자들은모두첫째기준에해당되므로서비스를받을수있는등공공부조대상자로한정되었으나근래에들어서수혜범위를빈곤선의 185% 소득을가진모든임산부와유아및저소득장애인들로확대하는등주에따라서비스를다르게제공하고있다. Medicaid의주대상은 TANF를받고있는 single parents와아동이지만, 장기요양급여를제공함에따라상대적으로소수인장애인과노인에게지 40

46 출되는재정이훨씬많아지고있다. 서비스수혜자들은동일한의료진단에대 해서는모두동일한서비스를받도록되어있으며의료비용은정부가의료서비 스제공자들에게직간접적으로지불하고있다. 나. 저소득취약계층의추가지원 Medicaid 수혜자중소득이연방정부빈곤선의 100% 미만이고자산이 SSI기준의 2배미만에해당되는경우 Medicaid에서 Medicare 1) 보험료를지불하거나일부비용을공제해주며 100%-135% 에해당되는경우에도 Medicare비용의일부를지불한다. 또한거의모든주에서노인요양기관이나노인전문의료기관에서장기요양서비스를받는노인들을특수대상자에포함시켜 Medicaid서비스를제공하고있음. 일을해서 Medicare혜택을상실하는장애인들의경우소득이연방빈곤선 200%, 자산규모가 SSI기준의 200% 미만인경우 Medicaid가 Medicare Part A에해당되는보험료를지불한다. Part A는병원보험으로보상범위는부분또는전체적으로입원환자병원치료 ( 부분적 ), 전문시설보호 ( 부분적 ), 호스피스 ( 전체적 ), 가정건강보호 ( 전체적 ) 가제공되며, 전문화된치료서비스와전문화된간호, 임상사회복지, 가정건강지원등의건강보호서비스, 그리고말기환자대상의호스피스치료서비스가적용된다. Part B 는의학적으로필요한통원치료서비스로의사의치료, 외래환자치료, 건강유지와건강악화예방을위한예방치료서비스등이해당된다. Part D는약제계획, 처방전에대한서비스로개인적으로다양하다. 다. Medicaid 급여내용과제한 1 의무적인필수서비스연방정부의재정지원을받기위해서는필요집단에대해필수적인서비스를제공해야한다. 병원입원, 병원외래서비스, 산전치료, 아동백신, 의사진료, 21세이상자의요양시설서비스, 가족계획서비스, 지방건강서비스, 가정간호, 검사및방사선, 조산원서비스, 보건소서비스, 아동조기검진및치료서비스등이서비스내용이다. 2 선택적서비스 연방정부로부터기금을받을수있는선택서비스는 34 개로진단서비스, 진료서 비스, 정신질환및정신지체를위한중간시설, 처방약및보철, 시력측정서비스와 1) 미국의 Medicare 프로그램은 65 세이상의노인, 65 세이하의장애인, 말기의신장병환자를대상으로하는미국의의료보험으로 Part A, Part B, Part D 로구성되어있다.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41

47 안경 21 세미만에대한요양시설서비스, 재활및물리치료, 만성손상자의재가 및지역사회보호, 호스피스서비스, 환자관리서비스, 치과서비스, 응급의료서비스, 언어및청각장애, 작업요법, 틀니, 의치등의서비스를포함한다. 3 의료적으로필요집단에대한최소한의급여범위임산부를위한진료및분만서비스, 고아원등거주시설의 18세이하아동의통원치료, 요양시설서비스를받을수있는개인의가정건강서비스, 정신치료관련서비스등이다. 4 급여서비스의총량과기간제한주정부는부적절한지급비용이나불필요한의료서비스를삭감하기위해필수서비스의총량과기간에대한제한을둘수있다. 메디케이드적용연간입원기간, 처방수, 월약처방에지불하는금액, 일정기간동안의사를방문할수있는횟수등을규제하고있으며 deductible, coinsurance, copayment와같은이용자본인부담을부과할수있다. 다만임산부, 18세미만의아동, 요양원환자들에게는부과할수없고응급서비스와가족계획서비스에대해서는 copayment가제한된다. 라. Medicaid 관리및운영주정부의 Medicaid 프로그램은연방정부의보건및인간서비스부 (DHHS) 산하의 CMS(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 에서제시하는지침에의해 Medicaid 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다. 연방정부수준에서메디케이드를관장하는곳은 CMS 산하의 CMSO로주요업무는 1 주정부가연방정부로부터적절한매칭펀드를받았는지의확인, 2 주정부의 Medicaid프로그램의보완요청및대체의료서비스사항관리, 3 Medicaid운영에필요한주정부, 수혜자, 공급자등의준수사항과규정해석, 4 주정부의 Medicaid프로그램과대체의료서비스의연방지침준수감독, 5 주정부와지방정부의 Medicaid프로그램효율적인운영지원, 6 연방정부의매칭펀드사용의적절성감독, 7 매칭펀드지출자료수집정리등이다. 각주정부의 Medicaid 관련부서에서는등록자의정보관리, 서비스수혜내용결정, 서비스지불비용과참여의료기관결정, 관리의료 (managed care plans) 에가입되지않은의료기관이요구하는행위별수가제처리, Medicaid프로그램이사용하는의료서비스의질관리, 중앙과지방의재원관리, 효과적인프로그램운영방안자료수집, 프로그램가입자, 등록자, 공급자및관리조직들의불만해결등의업무를수행한다. 42

48 마. Medicaid 재정 1965년 Medicaid프로그램이시작된이래연방정부는저소득층의보건의료에대한주정부의재정지출을보조해주는형식으로모든주들이매칭펀드형태의연방정부재원과주정부예산으로 Medicaid서비스를제공한다. 연방정부의의료비용보조율 (FMAP) 은 50% 로정해져있으나각주의 1인당소득과전체의 1인당소득을기준으로책정되므로주에따라비율이다르게나타난다. 2006년의경우 Medicaid 관련지출은총연방정부지출의 7.1% 를차지했고개별항목으로는다섯째로큰부분을차지하고있으며 Medicaid 총지출은증가하고있음. 그러나연방정부의연평균증가율은 1992년 29% 를정점으로복지개혁법안이시행된 1996 년에는최저치를기록했다. 서비스종류별지출의변화를살펴보면, 요양시설, capitated care, 입원비용, 약제비등 4개서비스가전체예산의 60% 이상을차지하고있으며요양시설과병원입원의입소비용은점차감소하나 capitated care와약제비는증가하는경향. 2004년메디케이드지출액이 3천억달러에이르자의료비상승을억제하는프로그램으로 Certificate of Need, 포괄수가제, 관리의료 (Managed Care) 등세가지의주요한프로그램이시행되고있다. Certificate of Need는입원실증설과병원건축을제한하고 MRI와같은고가장비의서비스비용을효과적으로최소화하는역할을하였으나한편으로장기요양서비스의접근도를약화시키고요양원의서비스를약화시켰다는비난- 많은주에서 Certificate of Need 법안을철회했다. DRG에의한포괄수가제는기존의행위별수가제와달리의료비지불기준이진단된질병에의해결정되므로의료서비스공급자의과잉진료를억제함으로써지출비용을줄인다. Medicaid 수혜자들의 Managed Care 가입을증가시킴으로써의료비지출을줄이고자하였으며, 2006년에는메디케이드수급자의 60% 이상이 Managed Care에등록되었다.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43

49 2. Care management 1) Care Manager의개념다양한의료환경은환자간호활동과자원분배의감독을위한방법으로써주요표준임상경로 (critical paths), 케어매니지먼트케어플랜, 다학제적활동계획 (multidisciplinary action plan) 등과같은방식을채택하고있다. 케어매니지먼트는환자에게의료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체제로질적간호를가능한가장비용-효과적인방식으로제공하도록계획하는것이다. 이는의료서비스전달체계의과정을개선하고보다효율적, 효과적으로이를수행함으로써가능하다. 여기에포함될수있는또다른전략으로는성과와개인적자원의관리라할수있다. 의료서비스제공과자원활용방식에대한보다나은수행과통제를통하여목표를달성할수있으며질적개선을보장할수있다. 케어매니지먼트에대한여러정의를정리하면다음과같다. (1) 비용-효과적이며목표지향적간호를지원하는간호전달체제 (2) 일회성또는연속선상에있는다양한문제를가진개인에게필요한간호, 의료서비스, 자원등을조달, 협상, 조정하는데역점을둔역할과과정 (3) 적정기간내에기대되는환자의목표를달성하기위해고안된의료서비스전달체게이다. 케어매니지먼트의목표는연속적으로질적의료서비스의제공, 의료서비스의단절화감소, 환자의삶의질증진, 효율적인의료자원의활용및비용절감이다. managed care는의료서비스의활용, 수가, 질, 효율성을관리하는전반적인시스템울의미하는광범위한개념으로케어매니지먼트와 managed care의차이는 managed care가의료서비스배상시스템의한기능인반면케어매니지먼트는 managed care 배상시스템내에서 care를제공하기위한한조직이다. managed care는규정된서비스제공자네트워크내에서의료서비스를제공하는한수단으로정의할수있다. 이들서비스제공자는질과비용효과적인측면에서서비스를관리할책임이있다. 케어매니지먼트란복잡하고다양한문제나장애를가진대상자가정확하고적절한관점에서필요로하는모든서비스를받을수있도록보장하는서비스공급방식으로포괄적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하나의접근방법이다. 케어매니지먼트는 44

50 복잡한혹은복수의욕구를가진대상자의문제해결을위해다양한여러서비스를적절하게연결하는것이며, 팀단위로활동하는일련의과정이다. 케어매니지먼트의목적은일상생활에서발생하는대상자의복합적인욕구에대해다양한서비스를적절하게제공하면서대상자의능력을증진시켜사회적기능을향상시키는것이다. 2) Care management 의기능 (1) 조정기능대상자에게서비스가조화를이루면서일관되게제공될수있도록여러기관과의관계를조정하는것이다. 이러한서비스의조화와관계조정을위해대상자와서비스간의접촉내지는정보제공, 의뢰서비스등을전문화해야한다. 조정기능은공식적, 비공식적사회자원을동원하여욕구에기초한조정과사정, 서비스제공자와서비스제공기관간의조정, 대상자본인과가족간의의사결정을지원해주고조정하는기능으로나누어볼수있다. (2) 옹호기능지역주민이나소외된자등잠재적대상자의권리를옹호하기위해케어매니저는소리없는외침을적극적으로찾아서그들에게서비스에관한정보를제공하거나이용할수있도록원조하는기능이다. 잠재적대상자는생활과제나문제에직면해있으면서도문제를인식하지못하거나정보가부족하거나기관이나시설, 서비스에대한거부감을느끼는등의이유로서비스의이용이나기관의방문을꺼리는사람이다. 케어매니저는이러한잠재적대상자의권리까지대변해줄수있는방법을적극발굴해야한다. (3) 개발기능케어매니지먼트의최종목표는대상자가문제를스스로해결해나가는능력이나자신감을가지게하는것이다. 개발기능에는사회개발기능과자기개발기능이있다. 자기개발기능은대상자가자신의장점과내적인자원을이끌어내어자신의문제를하나씩해결하게되어사회생활능력을획득하고기능을향상시켜나가는것이다. 사회개발기능은기존의사회자원만으로는결손된사회관계의회복이불가능한경우에는새로운제도나시책을마련하고집단을신설하여사회관계의기능을회복하기쉽도록사회자원을만들어내는기능이다. 사회개발기능은케어매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45

51 니저가대상자의권리나자격을보장하면서목표달성을위한옹호활동이라고볼 수있으며, 궁극적으로는케어매니저가새로운사회자원을개발하거나기존자원 을수정보완하여원만한 care service 가이루어질수있도록하는기능이다. (4) 평가기능평가는 care service 의질을높일수있는중요한기능이다. 평가를통하여 care계획에따른목표가달성되었는지, 문제점은무엇인지, 대상자의새로운욕구는없는지등을파악할수있으며피드백을통하여대상자의욕구에부응하는서비스를제공할수있다. 3) Care management 의범위 케어매니지먼트과정은모든세팅을위한일반적인과정으로수행되며약간변형되고개별화될수있는특정세팅일지라도중요요소는공유된다. 케어세팅이다를지라도케어매니저의기본기능과책임감은본질적으로같다. 주요케어매니지먼트의세팅과과정은아래와같다. (1) 자원활용검토와이송계획에초점을두는급성의료 (2) 병원입원에대한적절성과환자자격에초점을두는입원부서 (3) 환자의병원입원에대한 gatekeeping과적절성에초점을두는응급부서 (4) 수술에대한환장의준비성과자격에초점을두는수술주기케어 (5) 1차의료, 안녕, 예방과건강유지에초점을두는지역사회중심의케어 * 적절한상태의안녕과기능을달성하기위해환자와가족을지지한다. * 1차의료와 1차예방서비스를제공한다. * 환자와가족교육일정을수행한다. * 지역사회중심자원의사용을수행한다. * 급성의료와서비스를위한요구가생기지않도록관리한다. * 환자 / 집단을위험군으로선별하여적절한케어매니지먼트서비스를제공한다. * 건강위험감소를위한전략에초점을둔다. * 건강생활행동을증진한다. (6) 만성간호와자가간호관리에초점을두는가정간호 (7) 기능회복과재활에초점을두는아급성케어 (8) 만성적, 지지적케어관리에초점을두는장기요양 46

52 (9) 집단위험층의감소와만성케어매니지먼트에초점을두는질환관리 * 케어전달과환경에서안전을보장한다. * 제시된인구집단을위한위험선별조사를수행한다. * 환자를위험범주로분류한다 * 각위험집단요구에근거한케어매니지먼트서비스를제공한다. * 전화지지서비스를제공한다. * 치료요법, 자가간호관리. 위험감소전략과관련하여환자와가족을교육한다. * 만성질환자가있는인구집단을관리한다. * 필요에따라환자를케어의연속선상으로이송한다. * 학제간보건의료팀과의협력에서케어를조정한다. * 케어와서비스를촉진시킨다. (!0) 자원활용관리, 수요관리, gatekeeping에초점을두는 managed care (11) 충고, 선별과 gatekeeping에초점을두는전화케어매니지먼트 * 요구에따라환자를선별한다. * 보건의료서비스로의접근을촉진한다. * 문지기로서활동한다. * 전화로조언을제공한다. * 환자의상태와요구를사정하고케어를조정한다. * 의사와다른제공자에게환자의요구에대해의사소통한다. * 의사결정에도움을주기위해알고리즘을사용한다. * 심리사회적상담서비스를제공한다. (12) 장애와재활케어매니지먼트에초점을두는독립케어매니지먼트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47

53 3. case management 사례관리는본질적이면서때로는상호대립적인두가지목표를갖는다. 첫째, 힘없는대상을위한보호의질을향상하는것이며, 둘째는그보호를위한비용을통제하는것이다. 사례관리의초점은대상자에게필요한서비스를연결하는것이지만다른요소는옹호와사회적행동을포함한다. 1) 사례관리자의과업 (13가지 ) (1) 서비스를위한자격요건을사정하기위해대상자그리고그가족과초기면접을한다. (2) 대상자, 가족그리고다른기관으로부터적절하고유용한자료를수집하고그자료를근거로대상자와가족에대한심리, 사회적사정을한다. (3) 목표를세우고통합적개입계획을고안하기위해전문가, 프로그램대표, 대상자, 가족등과논의하고결정할수있도록모임을갖고지도한다. (4) 계획에앞서모니터하고목표의방향과조정내용을유지하면서행동체계내에서는정확한정보가흐를수있도록관리한다. (5) 서비스전달과정에서예기치않게발생한문제를신속히확인하고대상자를대신하여문제해결사로서대상자와가족을보호한다. (6) 서비스제공자와의사이에서발생하는위기와갈등상황에있는대상자와가족을돕기위해정보와상담을제공한다. (7) 대상자와가족을위해지속적으로정서적지지를제공하여그들이스스로문제에잘대처할뿐아니라전문적이고복합적인서비스도활용할수있도록돕는다. (8) 대상자예후에관한필요한기록을남겨관련된모든사람들의계획도지켜질수있도록한다. (9) 대상자와가족, 필요한전문가, 프로그램그리고비공식적자원간의연결자가되어모든개입계획을포함하여대상자가선호하는내용이알려지고필요한서비스가확보되고있다는것을알수있도록돕는다. (10) 프로그램들사이의연결자가되어자연스럽게정보가흐르고하부체계간의갈등을최소화하기위한서비스를제공한다. (11) 대상자를위한현재와미래의자원을동원하기위해공식, 비공식자원과신 48

54 뢰관계를형성하고좋은관계를유지한다. (12) 대상자와서비스전달체계의효과성에영향을미치는정책을개발하고수정하는지위에올라가기위해조직내에서효과적으로업무를수행한다. (13) 권위적위치에있는사람들에대한존경과지원을확보하고유지하여그들의영향이대상자를대신하여조정시참여하는다른개인과기관을격려하며필요시그들을활용할수있도록한다. 2) 사례관리종결사례관리는대상자가그들의장기적목표를달성하도록사례관리자가돕는것이아니라그들이필요한자원을제공해줄수있는지역사회자원을개발할수있도록돕는것이다. 그러므로사례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의성공적인종결은항상그들이최종목표를달성했는가를의미하는것이아니라대상자가개인적인그리고지역사회의자원을결합하여자신의목표를향한올바른길목에있는가를의미하는것이다. 물론대상자가그들의목표를달성하여사례관리자나다른어떤지역사회자원들과더이상연락할필요가없을수도있다. 사례관리의궁극적목표는대상자가그들스스로의능력으로자신의문제를확인하고, 사정하고, 해결하는것이다. 그런데사례관리종결은이같은결과가없더라도이루어질수있다. 3) 사후관리사례관리과정에서가장간과하기쉬운부분이사후관리다. 단지이후어떤시간을잡아대상자나기관의전문가들이어떻게지내고있는지를확인하기위해접촉하는것이필요하다. 주로전화나편지로이루어진다. 사후접촉은이전의대상자가지원이더필요한지지역사회자원을얼마나잘이용하고있는지를알수있게해준다. 뿐만아니라의뢰가적절하였는지, 의뢰기관과종결을준비하는과정에서의역할이효과적이었는지를평가하는데가치있는정보를제공해준다. 사후관리가중요함에도불구하고모든사례관리자가이일을하지않는경향이있다. 시간과비용이들기때문이다. 단한번의전화가많은시간을소비하지는않지만그들을찾는일은여러통의전화가필요할수있다. 그러나종결후의사례관리서비스의영향을평가하는것은무엇보다중요하다.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49

55 4. CMS(Center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프로그램 1) Medicare Health Support (MHS) 다수의보험자가경쟁하는대표적인국가로서미국은공적보험제도인 Medicare 와 Medicaid를통해만성질환관리서비스를제공하고, 동시에비용-효과성을달성하는데목적을두고있다. (1) 건강서비스의도입배경및입법사항 2003년 12월부시대통령에의해메디케어현대화법 (MMA: Medicare Prescription Drug, Improvement and Modernization Act) 이제정되면서, 본입법사항과관련한만성질환관리및향상프로그램을단계별로개발, 시행, 평가할수있도록권한을부여 하였다. 이에근거하여각프로그램은임상서비스의질을향상하고, 서비스대상자들의만족도를향상시키며, 비용을절감하는데주목적을두도록하였다. 만성질환은메디케어가입자들중에서질병, 장애및사망의주요원인이되어왔고, 보건의료지출의상당부분을차지해왔다. 예를들어, 메디케어가입자의약 14% 에해당하는심장질환자들이총메디케어지출의 43% 를차지하고있으며, 전체가입자중약 18% 인당뇨병환자들은총메디케어지출의 32% 를차지하고있다. 메디케어현대화법 721장에의해, 메디케어건강지원프로그램 (Medicare Helath Support) 이라는명칭하에자발적인만성질환관리향상프로그램들 (Voluntary Chronic Care Improment Programs) 을개발하여시행하게되었다. 이프로그램에자발적으로참여하는이들이의사들의진료및관리계획을잘이해하고따를수있도록그들의건강위험요인을감소시킬수있도록지원한다. (2) 건강서비스주요특성및시범사업운영내용 1 무작위통제집단 : 건강지원사업이시행되는지역에거주하는가입자들에게우편으로참여기회를안내하고그들이센터로접촉하도록하였다. 각건강지원센터마다 20,000명의메디케어가입자로서심장질환이나복합당뇨병갖고있는이들에한하여자발적으로참여할수있도록하였다. 각센터의 20,000명중 10,000명을무작위로통제집단으로설정하여프로그램을운영하였다. 프로그램시행초기 6개월동안건강지원프로그램에참여하는것을동의한이들 50

56 의비율은 65~92% 였다. 2 Opt-out model: 참여를하는대상자들은언제든지자발적으로프로그램에서벗어날수 (opt-out) 있다. 건강지원프로그램을운영하는기관들은메디케어가입자들을대상으로그들의건강을관리하고, 의사의진단및처방, 그외서비스에대해보다잘이해할수있도록지원한다. 3 8개의건강지원프로그램제공기관 (Medicare Health Support Organizations, MHSO) 이아래와같이선정되었다. 8개의기관들중현재 5개만이정상적으로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으며, 각기관은지역특성과대상자들의욕구사항에따라다양한개입방식을활용하고있다. 2단계인프로그램확대단계가확정되면 CMS는확대조건에적합한프로그램구성요소를추가할예정이며, 새로운위탁과정을거쳐새로운기관을선정할것이다. 현재기관들에게계속해서프로그램을위탁할지의여부는아직확정되지않았다. 오클라오마주 LifeMasters Supported SelfCare; 펜실베니아주서부쪽에위치한 Health Dialog Services; 메릴랜드주 American Healthways; 미시시피주 McKesson Health Solutions; 조지아주남서쪽에위치한 CIGNA Health Support; 일리노이주시카고에위치한 Aetna Health Management; 플로리다주중부지역에위치한 Green Ribbon Health; 테네시주 XLHealth Corp. 위와같은기관들은질병관리, 건강보험자, 통합된서비스전달체계, 의사집단임상서비스등의특성을가지기때문에위탁이결정된것이며, 2004 년 8월 6일까지신청자들은심장질환, 당뇨및복합만성질환을갖는대상자집단을대상으로어떠한프로그램을운영할것인지에대해제안서를제출하였다 년 12월 8일프로그램운영현실가능성, 지역적조건, 재정부문분석결과등을고려하여기관들을선정하고위탁하게되었다. 4. 자발적참여및무료서비스제공 : 프로그램에대한참여는자발적이며, 별도의참여비용이없도록계획되었다. 그동안지원받았던메디케어급여서비스와동일하되보건의료제공자들에의한지시사항을보다잘이해하고따르도록지원을받게되었다. 5 메디케어행위별수가제및비용절감 : 만성질환관리를목적으로건강위험요인들을감소시키고, 삶의질을향상시킴으로써가입자와메디케어모두비용을절감하도록한다. 복합만성질환을갖고있는가입자들은지속적인자가관리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51

57 (self-care) 지원및교육이필요하며, 관리체계를연계시킴으로써임상적측 면의향상과전반적인의료서비스비용감소가요구되어왔다. (3) 건강서비스운영단계및대상자선정 CMS는건강지원시범사업을 2005년본격적으로시작함으로써 (Phase I) 3년동안프로그램을수행한후, 임상서비스의질향상, 가입자와제공자의만족도향상, 비용절감목표치달성 ( 예산중립성 ) 2) 등의효과를입증하면프로그램을확장하는 2단계로진행될수있도록설계되었다. 2009년 2월평가결과, 프로그램확대가확정되면 (Phase II), 프로그램구성요소들이확대됨과동시에본격적인 2단계건강지원프로그램이실시된다. 행위별수가제하의메디케어에가입된이들중에서당뇨병이나심장질환을갖고있는자, 간세포암 (HCC) 수준이 1.35이상인자등을대상자로선정하였다. 단, 질병말기단계에있는대상자가프로그램에서벗어나고자 (opt-out) 할경우나다시메디케어가입을원하는경우등에대해유연성이보장된다. 현재메디케어건강지원사업에참여하고있는대상자들은 68,000명으로, 기존에행위별수가제프로그램을통해메디케어혜택을받던이들이었다. 건강지원프로그램에가입함으로써 CMS는건강지원프로그램제공기관 (MHSO) 들에게질병관리서비스를제공하는데에대한추가적인수당을지급하였다. 프로그램확대단계로진행되지않고 1단계시범사업으로프로그램이종료되면, 가입자들은더이상 MHSO에의한관리서비스를받을수는없지만, 기존의행위별수가제메디케어프로그램을통해다른메디케어가입자들과동일한혜택을다시받을수있게된다. (4) 건강서비스프로그램제공기관 (MHSO) 의주된업무내용 각주에위치한기관들은대상자들을관리하고, 그들의개별적인욕구에적합한 통합적인질병관리서비스를제공한다. 건강지원사업프로그램의목표 3 가지 ( 서비 스질향상, 만족도증가, 비용절감 ) 가달성되어야만 2 단계인프로그램확대단계 로진행될수있다. 이프로그램에서는의사, 간호사, 영양사, 사회복지사등임상전문가에대한접근 2) 여기서예산중립성 (Budget Neutrality) 이란, CMS 와 MHSO( 건강지원프로그램제공기관 ) 간에합의한사항으로, 예산의절대규모에는변화를주지않는한에서건강지원프로그램에대해서만 5% 의비용절감을달성하는것으로목표를세웠다. 하지만이 5% 비용절감목표는성공적으로달성되지못하였고, 일부기관들만이메디케어재정절감효과를달성한것으로보고되었다. CMS 는현재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는 5 개의 MHSO 들을대상으로매달각가입자들에대해 $300~$800 정도메디케어비용을절감할것이라예측하고있다. 52

58 성을제고하고, 건강교육을전화통화, 워크숍, 정보지등을통해시행한다. 또한원격건강상태모니터링을하는데대상자들이주기적으로자가진단을할수있도록가정내에진단기구를설치해주고, 진단결과를기관에알려주는방식으로이루어진다. 2005년부터프로그램을시행해오면서대부분의기관들은임상적측면의서비스보다는대상자들을위한지역사회사회서비스연계, 대상자들의실질적인사회적욕구 ( 의식주, 가족문제등 ) 를다루는것이시급함을알게되었다. 지역사회에존재하는다양한서비스를효과적으로체계화하고연계할수있는새로운방안을강구할필요가있다. 신체활동프로그램또한시행하였는데, 기존에설치되어있던체육관이나지역 YMCA등을활용하여그곳에전문가들을배치하고, 대상자들이서비스를제공받을수있도록한다. 임종계획 (End-of-Life planning) 을통해대상자들이 5가지정도의희망사항을작성하도록하고, 의사및간호사들과공유하도록한다. 프로그램제공기관과의사들의협력관계또한구축하고자하였다. 지역사회의사들이대상자에대한진단결과및치료경과와같은추가적인정보를프로그램제공기관에제공하고, 대상자들이요구할경우전화통화등을이용하여관리를할수있도록권장하였다. 그러나의사들은수많은프로그램들중건강지원사업에대한차별성을인지하지못하였고, 진단결과및서비스제공경과에대한정보가갱신되지않는경우가많았다. 2005년시범사업이시작되면서건강지원프로그램제공기관들은혈압관리 (BP control), Annual HbA1c, HbA1c control, Annual LDL-C testing, Lipid control, 예방접종, 우울증스크리닝등을필수적인임상서비스항목으로설정하였고, 그외서비스들에대해서는기관들이자율적으로정하고제공할수있도록하였다. 혁신적인건강정보테크놀로지프로그램을통해건강에관련한의사결정을위한정보를제공하고, 다양한의료관리상황에걸친서비스들을관찰하고자계획및추진하고있다. 또한, 건강문제목록을작성하고갱신하며, 처방약목록에관련한우려를해소하고, 의사들을위한주기적인경과보고서를만들어내고있다. (5) 서비스대상집단분포및질병분포 1 연령분포 : 65세이상 9%~22%, 85세이상 11%~18% 2 Medicaid 가입비율 : 14%~42% 3 인종분포 : 백인 64%~93%, 아프리카계 6%~35%, 히스패닉 0.1%~2%, 아시아계 0.2%~1%, 미국원주민 0.01%~8% 4 전체비율대비질병분포 : 고혈압 70%~79%, 관상동맥질환 (CAD) 38%~54%, Lipid Disorders 38%~53%, 호흡기장애 23%~28%, 심장율동장애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53

59 (Cardiac Dysrhythmias) 24%~35%, 우울증상위험 집단 29%~49%, 치매 2%~3% (6) 건강서비스프로그램기초평가결과 2007년 6월의회에제출한 1차보고 3) 내용에따르면, 대상자와제공자를대상으로만족도검사를한결과, 5점척도에서대상자의약 80% 가 3점이상의만족스러운경험을했다고응답했다. 제공기관들은 4점이상의만족도를보였으며, 지역사회의사들을대상으로조사한결과의사들은건강지원프로그램이만성질환을갖고있는메디케어행위별수가제하의대상자들에게상당한도움이된다고보았다. 그렇지만의사만족도를위한자료는의사들의거부로인해수집하지못했다. 외래진료및병원방문, 입원등에대한그룹간차이는적게나타났으며, 서비스의질향상및건강상태를비교해본결과, 집단간유의한차이를크게볼수없었다. 비용절감수준또한두집단비교결과큰차이를찾아볼수없었으며, 메디케어비용절감효과는크게얻지못하였다. 2008년 8월 31일기준으로, 모든 MHSO들은 Phase I를완결지었다고 CMS가발표하였으며, 18개월평가서 (2차보고서 ) 는 2009년 2월의회로제출될예정이다. 평가결과에따라규정이수정될수도있고, 대상집단선정기준및규모또한달라질가능성이있다. 이외에도프로그램의구체적인방향이많이수정될것으로예상된다. 최종평가보고서 (Full 3-Year) 또한곧발표될예정이다. CMS측건강서비스관련부서담당자들은프로그램운영결과에대해환자들 ( 대상자집단 ) 이그들의질병에대해잘이해하고있는지, 서비스는정기적으로잘받고있는지, 질병위험수준및평소생활습관이개선되었는지등에관련하여크게향상된사항을볼수없었다고하였다. 보다교육적측면에서의접근이요구되었으나, 간호사및의사들의접화접촉을통한교육적접근이활성화되지않았다. 전화로환자들을대상으로교육을함으로써, 보다개선된생활습관및질병관리를할수있도록해야한다고보고있다. 그동안진행되었던질병관리교육프로그램에의한개선효과는없었고, 특히젊은연령층이대상자일경우, 접근및개선이더욱어려웠다. 지역사회의사집단들과건강서비스프로그램제공기관들간의연계또한더욱활성화될필요가있다. 3) McCall, N., Cromwell, J., and Bernard, S. (2007) Evaluation of Phase I of Medicare Health Support(Formerly Voluntary Chronic Care Improvement) Pilot Program Under Traditional Fee-for-Service Medicare. 54

60 2) CMS 시범사업예정 : Medical Home (1) Medical Home의도입배경및입법사항 2006년세금구제및건강보건법 (Tax Relief and Health Care Act) 의 204장에의거하여, 가장도움이필요한인구집단을위한보다지속적이고통합적이며가족중심적인건강관리전달체계를재구축하며, 3년간시범사업이시행될예정이다. Medical Home 은환자들에대한케어메니지먼트및협력수준에따라두기둥으로나뉘어있다. 첫번째기둥 (Tier 1) 에서 Medical Home은주로건강평가계획, 통합케어계획, 검진관리및추후관리, 처방약검토, 그외후속관리등으로구성된다. 의사들에의한직접적인감독및건강관리통합관리는만성질환을하나이상가지고있는환자들에대한의사들의책임이보장될것이며, 구체적인서비스내용은아래와같다. 두번째기둥은첫번째기둥의내용을보다확장한것으로서입원 외래환자들관리를포함한추후관리및전자화된의료기록까지포함하고있다. 1 의사와환자간에 Medical Home의역할에대한상호합의가이루어진후의사의감독하에건강관리팀이구성되고지원이이루어짐. 2 다른의사들및건강관리전문가들과협력체계를구축함으로써통합된의료서비스관리계획을세우며, 주기적으로의학치료및관리변경사항에대한새로운정보를기록 3 처방된의약품들에대한지속적인검토가이루어질것이며, 검진결과및치료결과등을다양한전문가들이검토 4 24시간접촉가능한전화서비스를실시함으로써, 환자, 가족, 보호자들이건강관리결정및그외사항에대해의논을할수있음. 5 임종계획, 가정방문등을통해환자들의자가관리계획을세우고, 가족및보호자들을대상으로교육및지원프로그램을실시 6 각환자의욕구와위험요인에특성화된건강평가, 예방서비스, 모니터링등을시행하며환자들의건강관리욕구를다루는직원들을교육, 훈련 (2) Medical Home 프로그램내용 CMS에의해 Medical Home의주된역할이정의되었고, 프로그램모델은대표적으로여섯가지구성요소로나뉜다. 첫째, 보호연속성 (Continuity of Care) 은 Medical Home에소속된의사와환자간에상호합의된사항을만들고, 지속적인케어를하기위한일정관리를하는것이다. 둘째, 임상정보시스템을통해서 Medical Home 환자들을식별하고유지및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55

61 관리하는것이다. 또한, 환자들을위한의약품관리를보다효율적으로하기위해전자화된처방도구를사용한다. 셋째, 전달체계구성함으로써보호관리역할을수행할직원들을구성하고교육한후, 환자개개인에대한문제목록, 처방전목록, 위험요인, 구체화된경과노트등을관리한다. 또한, 환자개개인의욕구와위험요인에알맞은건강평가도구를개발함으로써통합관리계획을세우고서비스의질을향상하도록한다. 넷째, 만성질환관리및예방에대한가이드라인을토대로질병관리욕구에대한의사결정을지원한다. 다섯째, 임종계획및가정모니터링을포함한환자들의자가관리계획을세우고, 교육및지원프로그램을제공함으로써환자가족들의참여를늘리도록한다. 여섯째, 케어조정 (Care coordination) 을통해검진결과를확인하고사후관리를함으로써, 환자들이받는의료서비스의중복및약물남용등을감소시킨다. 이프로그램에서가장주된특성은기술적지원 (technical support) 에중점을두어, 통합전산망과같은프로그램을사용하여환자들의건강상태를모니터링하고사후관리할수있게하고, 환자들의서비스접근을보다용이하게한다는것이다. 현재기술적지원은미국매릴랜드주에위치한존스홉킨스대학 (Johns Hopkins University) 에시범적으로제공되었다. (3) 대상자, 제공지역및제공자선정메디케어가입자로서한가지이상의만성질환을가지고있어야하며, 기초의료서비스를받고자 Medical home 프로그램에포함될수있다. 단, 말기질환관리및현재노인요양기관에거주하고있는이들은제외되며, 다른메디케어관련시범사업에참여하고있는이들또한제외된다. Medical Home 프로그램에소속될의사들은환자들에게이프로그램에대한설명을한후, 동의를얻고환자를등록시키게된다. CMS는 8개의주이하에걸쳐다른 CMS 사업들과중복되지않는지역을선정할예정이다. 선정될지역은메디케어 Part A와 Part B 행위별수가제에가입된인구가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어야하며, 각지역당약 2,000명의의사들이소속될것이다. 기존에메디케어지출이높은지역을제공지점으로함으로써만성질환관리를통한비용절감효과를예상하고있다. 자격을갖춘주치의들은 3년간대상자들에게케어메니지먼트 (care management) 를시행하게되며, 그에따르는비용은 CMS가보조하는형식으로이루어진다. 여기서 의사들 이란가족치료, 내과, 소아과, 일반가정의학과등에속하는 MD 혹은 DO를의미한다. CMS는각환자에대한 Medical Home 비용을지급하고자한다. 아래의표는한달기준으로산정된 CMS에의한지급비용이다. 56

62 표 3-1 CMS 에의한지급비용 Medical Home 기둥각환자에대한지불 HCC 1.6 이하환자 HCC 1.6+ 환자 기둥 1 (Tier 1) $40.40 $27.12 $ ) Medicare Care Management Performance (1) MCMP 의도입배경및입법사항메디케어현대화법 (MMA: Medicare Prescription Drug, Improvement and Modernization Act) 의 649장에의해 3년에걸친시범사업이 2007년 7월 1일에시작되었다. 캘리포니아주, 알칸소주, 메사추세스주, 유타주에위치한질향상기구 (Quality Improvement Organization) 4) 와함께사업을수행하고있다. 임상서비스의질을향상함으로써당뇨, 심장질환등을갖는이들을대상으로일차진료관리를한다. 또한, 예방접종, 혈압측정, 암진단등의서비스를제공하고있다. 약 650건의관리 (practice) 가진행되고있으며, 대부분일차의료관리로서전체대상자중 34% 가한명의의사, 31% 가 2~3명의의사, 24% 가 4~6명의의사, 9% 가 7~10명의의사, 2% 가 11명의의사들에의해관리를받고있다. (2) 인센티브지불체계임상서비스질을측정, 보고하는데대해의사당 $1000, 관리건당 $5000불이매년지급되며, 그외전자화된 EHR(Electronic Health Records) 시스템상에보고를하는데대해 25% 가량의보너스를지급한다. 전체의사들에대해 $38,500 이하, 전체관리들에대해 $192,500 이하로지급하는것으로제한하고있으며, 2008년기준관리건당평균지급액은 $2,505로나타났다. (3) MCMP 대상자및제공자 20 명이하의의사들로구성된일차진료서비스를제공하며 Medicare 재정을이 4) 2002 년부터 PRO 가질향상기구 (QIO) 라는공식적인명칭을사용하기시작하였다. QIO 조직의성격은정부기관이아닌 CMS 와의계약을통해사업을수행하는비영리조직이다. 계약기간은 3 년이며이기간동안의성과에기초하여 CMS 와의재계약이결정된다. QIO 의업무는실시된사업성격에따라두개의시기로나누어볼수있는데, 제 1 기는 1 차사업기간부터 3 차사업기간이며, 제 2 기는 4 차사업기간부터 6 차사업기간으로나누어진다. 제 1 기에서 QIO 업무는의료이용및개별진료기록에대한사례심사, 진료비지불조정, 그리고개별서비스이용에대한인증 (certification) 을주업무로한다. 제 2 기에서는개별 QIO 조직의성격은정부기관이아닌 CMS 와의계약을통해서비스에대한심사기능은축소되었고외부기관으로많은기능이이전된다.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57

63 용한다. 일차진료는가족치료, 내과, 소아과진료등이포함되며, 심장전문의같은의학전문가들도포함될수있다. 이프로그램에참여하는의사들은임상서비스질을측정하는데협조하여야하며, 한의사가다양한지점에서서비스제공을할수있고환자들또한같은의사를다양한지점에서만날수있다. 서비스를제공받는이들은메디케어행위별수가제하에가입된자들로서자발적인참여하에해당년도동안한관리 (practice) 체제로배정된다. 4) Electronic Health Records (1) 전자건강기록 (EHR) 사업의목표및도입배경건강관리서비스가어떻게제공되는지전자건강기록시스템에의사들이기록함으로써서비스의질과효율성을향상시키는것을목표로한다. MCMP 사업과더불어모델화되었고 5년에걸친사업이두기간동안각각운영될것이다 (2009년 6 월 1일 4개의주에서 1차전자건강기록사업이시작되어 2014년에종결될것이며, 2010년 6월 1일다른 8개의주에서전자건강기록사업이시작되어 2015년에종결될것임 ). 각지점당 200건의관리를하여총 2,400건을목표로하고있고, 실험집단과통제집단으로 1,200건씩무작위로나눈후추후효과를평가할것이다. (2) EHR 프로그램내용및인센티브지불체계 20명이하의의사들 (MD, DO) 과간호사들 (NP, Nurse Practitioner & PA, Physician Assistance) 이건강센터를기점으로내과, 가족치료, 노인전문의학에관련한일차 (Primary Care) 관리를제공할것이다. 지역사회파트너 (Community Partners) 라는이름으로기관이선정될것이다. 이기관들은민간부문활동또한본사업에대해이해하고활성화할수있도록의사집단과모임을갖거나, 뉴스레터및우편을통해권장할것이며, 이에대해 CMS가별도로지불할계획은없다. 서비스를제공받을대상자들은메디케어행위별수가제가입자들로서메디케어 Part A와 Part B를가지고있어야하며, 메디케이드를동시에소유한자도포함된다. 대상자들은당뇨및심장질환에관련한치료및관리, 질병예방서비스등을받는이들로구성될것이다. 전자건강기록 (EHR) 은임상서비스내용, 진단결과및약물처방내역등을기록하는데주로사용될것이다. 이러한전자건강기록을활성화하게될기관들은의무기록외에도, 건강교육및지원활동을할수있어야하며, 지역사회의사들에의한일차진료관리망이명확하게연계되어있어야한다. 인센티브지불은두개의별도의체계로이루어질것이며, 첫번째체계에서는직접적인인센티브를지불하는것으로서전자건강기록 (EHR) 을사용하는데대해 1 58

64 년에제공자당 $5,000을지급한다. 두번째지불체계에서는 26개의임상서비스질척도를이용하여평가한후, 서비스내용을보고하는것에대해제공자에게 $3,000, 성과비례보상 (Pay for Performance) 은제공자당 1년기준으로 $10,000 을지급할것이다. 단, 5년총기간동안지급할수있는금액은 $58,000로한정되어있다. (3) 진행상황및예상결과현재까지루이지에나주, 펜실베니아주남서쪽, 메릴랜드주, 콜럼비아특별주, 다코타남부쪽지역에서사업이진행될것으로예상되며, 본격적인사업은 2009 년 6월 1일에시작된다. 본사업을진행하는데있어의사집단들과주요협력기관들로부터의지지가매우중요한역할을할것이며, 사업초기에는개별적으로이루어질수있는효과적인아웃리치 (Outreach) 활동이대부분을차지할것으로보인다. 소규모기관인경우본사업을진행하는데있어인력, 시간, 기술측면의경험이부족할수있으며, 데이터를기록, 관리, 제출하는데과정을모니터할수있는 CMS측에서의보조가반드시필요하다. 이에따르는운영비용이상당할것으로예상된다. 5. Illinois 주의사례 : Care Management Framework and Care Management 1) Care Management 의구조 : 만성질환치료모델 (1) 건강치료구조 통합된전달체계로제공자들간의관계증진 의학관리자자문팀 : 기초적인치료에대한의료적인관리자, 전문적의료관리자, 진보적인실천간호사, 행정가와관리자등으로구성 기금을위한기제 : 간호사와내과의사의팀회의와간호사, 내과의사와환자, 가족등의협동적인방문 (2) 지역사회자원과정책 환자교육과자가원조프로그램 더많은지역사회서비스를위해기금마련을통한이익창출 서비스확장을위한지역사회아젠다계약을위한설립 지역사회제공자 / 자원에서추천된네트워크구축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59

65 (3) 전달체계설계 팀구성원역할에대한명확한기술이필요 케어매니지먼트팀 - 주요팀은환자와가족, 주요치료의사, 간호사, 사례원조자로구성 - 원조팀 : 약사, 사회복지사, 전문제공자, 지역사회서비스제공자, 치료에포함된사람들 협조적인팀구조에의한수행 ( 간호사,CA, MA, Apn, 환자 / 가족 ) 사례관리와질병관리와의결합 위험환자계층화수행과상응하는임상적중재 (4) 자가관리원조 질병에대한명확한설명과실행그리고의학, 간호지침에대한근거 다양한양식을이용하는환자 / 가족, 그리고제공자에게교육제공 전문적치료를쉽게적용 보급과정, 결과물과재정보고서관리, 협동팀구성원내에환자포함. 정규적인스케줄에가족참여 (5) 결정의원조 (6) 임상정보체계 각각환자에맞는상태를상기하며치료계획을제공 ( 건강노트, 치료계획편지, 환자가해야할일등 ) 실제시간을지키면서팀치료를제공하며포괄적인임상경계시스템을유지하며세부적인환자건강치료를위한방문 ( 입원, 의사방문 ) Care Management에대한정보체계유지 2) Care Management 의역할 (1) Care Manager의역할교육자, 조정자, 전달자, 협력자, 임상전문가, 변화자, 주도자, 관리자, 협상자, 옹호자, 조사자, 위험관리자, 코치, 용이하게만드는사람 (2) 환자 / 가족의역할 자신의건강치료에대한관리자역할 자신을돌보는사람 60

66 결정자 현상태의변화를팀에게알리는역할 (3) 주요보호제공자의역할 환자의주요치료와협력적인전문치료관리 잠재적가능성을가진환자를프로그램에연계하는역할 검토, 이해, 지침에대한기본적인증거제공자 간호사와환자가치료계획발전에대해협동하는역할 (4) 간호사의역할 교육자, 협동자, 전달자, 임상자, 변화관리자, 조력자 (5) 사례관리자의역할 사례관리서비스에대한개입계획 지역사회서비스에대한지식제공 환자모니터링과정보수집 스케줄, 진행절차, 이메일등유지해주는사람 사무관리자 / 직원원조 (6) 모든 Care Management 역할 대상자와가족에대한주요한목표의식전달 건강보호팀에서각구성원들사이에이해와협력을촉진시키는역할 대상자의결과를극대화하기위해건강보호팀의구성원들과의사소통 3) Case Management Processes and Tools (1) Care Management 의정의 Care Management는대상자를확인, 선택하고서비스를촉진하고서비스에대한포괄적인계획을조정하고제공하며또한결과물에대한장애물을극복하는협동과세부적인도전에대한정의를이끌어내는등각개인건강계획에대한지속적인평가를제공한다. (2) 협력적인 Care Team 협력적인케어팀은초기치료제공자, 간호사, 사례관리사, 환자 / 가족 / 돌보미, 지역 사회제공자로이루어진다. 첫단계로건강치료를동일시하는역량이강화된환자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61

67 와일하며, 두번째단계로세부적인문제를목표화하고목적을개발하고실천계획을설계한다. 역량이강화된환자는자신의상태를관리할수있는책임성을가지며자신만의문제와장애를정의하고개인의목표와계획을설정하고질병의세부적인기술, 전문가기술, 문제해결기술등자신만의문제해결을추진한다. (3) Care Management 대상자패널 활동건수 환자의수 환자의건강상태 환자의인구학적인요소 주요제공자의위치 (4) Care Management 의구성요소 1 사정과진단계속적인개입과정, 정보수집 ( 환자, 의사, 가족 / 보호자, 지역사회시설 ), 전체적인 review, 관계협력등에대해첫만남과환자의변화에따라계속실시한다. 장소 : 집, 사무실, 또는다른곳 사정도구 : 표준화된도구, 포괄적인도구 * Omaha System - 환경적인요소 - 심리사회적인요소 - 신체적인요소 - 건강행위 - 진단명 - 약물 - 추가사항 가정내안전점검표 일상활동 우울측정 - 건강관련행위 2 사례관리계획 교육, 심리치료, 서비스와사례계획을조정한다. 62

68 간호사와환자와의협력적인과정으로개입, 목적, 수행임무정의 형식적정보제공자들의수행내용결정 시간틀제공 : 시작일, 모니터링자료, 종료일 구성요소 : 사정 / 모니터링, 교육, 심리사회적치료, 조정과관리 사정과모니터 : 치료활동의발견, 환자자가모니터링 ( 혈압, 혈당, 몸무게 ) 목표설정 : SMART - 목표는구체적이며 (S), 측정가능하고 (M), 도달할수있으며 (A), 당면문제와관련되고 (R), 목표기간안 (T) 에성취할수있는지를고려하여야한다. 예 : 2월한달동안, 최소한일주일에 4회아침마다 20분씩트레드밀에서걸을것이다. - 수행내용으로목표달성을할수있을것인가? 어떤개입이목표수준향상또는목표달성에기여하였는가? 개입계획이실제적으로환자의전반적인건강상태에긍정적인영향을주는가? 인지된각각문제들과완료된개입에대해추가적질문을던져보아야함 - 개입분석 이문제는좋아지겠는가? 결정한개입에의해이문제가좋아지겠는가? 만약향상되거나해결될기미가보이지않을때, 계획한개입은여전히부작용을감소시키거나악화를예방할수있는가? 만약향상될기미가보이지않고악화를피할수없는경우, 적정한삶의질, 편안함, 존엄성을위하여계획한개입이제공될수있는가? 각각의개입은측정가능하며실현가능한가? 3 개입어떤개입이목적달성을위해실제적인결과를가져올것인가? 개입계획이실제적으로환자의전반적인건강상태에긍정적인영향을주는가? 등에대한부가적인질문이요구됨. 삶의안정된제공과환자의존중을위한개입계획이있는지, 개입은측정가능한것인지, 실제가능한것인지조사를한다.. 교육과실습 : 간호사례관리자는환자와가족을위해다음을교육함. 케어매니지먼트의과정, 매니지먼트의증상, 질병과정, 의학용어, 가능한자원, 기술계획, 약제, 의학적진행과정, 상처, 질병예방관리. 심리치료 : 문제, 상담, 자가관리를위한환자행동격려와책임성. 징후와증상치료 : 위험요소확인, 징후와증상에따른예방. 조정 : 계획, 추천된사람, 옹호, 지역사회서비스에대한지침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63

69 4 실행과모니터링. 서비스빈도 : 미리결정, 치료계획에기초, 환자상태에따름. 가정방문 : ADLs, IADLs 사정, 이웃의사정, 가정상황사정 ( 안전 ), 가족과돌보미와상호작용,. 약물관리와저장. 다른세팅 ( 사무실긴급방문, 환자상태변화, 병원 ). 전화모니터링 - 약속한시간에전화 - 간호사또는보조원 - 서식및수행기록지완성 - 관리계획에기반 5 평가. 간호 / 사례원조자시간기록지 : 접촉방법, 접촉, 최초접촉자, 개입. 평가와재평가. 모니터링,. Non-patient time : 서류작성, 회의및출장 6 종결. 종결기준설정은관리시작당일결정되어야하며, 프로그램의구체적원칙과초기관리계획에의거함. 사례관리의목표에따른평가 : 사례관리서비스욕구가필요없이자가관리자가되도록함 4) 대상자선정, 등록 / 의뢰, 대상자군분류 (1) 대상자선정 1 프로그램의목표 / 목적에의해결정 - 나이 - 건강상태 - 이전의료이용 - 만성질환 2 표적대상자기준 - 인구집단특성 64

70 - 인구학적특성 (2) 등록 / 선정 1 초기프로그램시작 - 사전에정한기준에기초하여전자기록에의해잠재적대상자파악 - 표적대상자에게우편발송및접촉 2 신청 - 우편 - 직접만나서사무실또는다른장소에서서식작성 - 제공된정보에동의 3 건강질문지작성 - 직접혹은질문에답하는형식에의해작성 - 스크리닝트리거기능을함 4 대상자분류 - 초기스크리닝트리거에기초 5 케어매니저에게보고 (3) 대상자군분류 1 목적 - 초기에파악한위험요소를근거로개별대상자에대한사례관리활동의지침을지원하기위함 2 과정 - 건강질문지에있는위험요인 1차검토 - 사례관리자 ( 간호사 ) 에의한임상적검토 (4) 건강질문지 1 문헌검토와미국노령환자를대상으로자료수집시사용한표준화된질문지에기초함. 2 건강질문지구성요소 - 인구사회적요인 ( 나이, 성, 생활상태 ) - 건강상태 - 투약 ( 처방전등 ) - 건강과기능상태 (ADLs, IADLs) - 정신건강상태 ( 우울 )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65

71 - 예방적인건강행위 - 이전의의료이용 (5) 대상자군분류요소 1 현재너싱홈에입소 2 건강상태 (Status) 적정도 ( 적정 / 부적정 ) 3 건강상태 (Condition) - CAD 및다른심장질환, CHF, 뇌졸중, COPD, 당뇨, 암, 치매 4 기능장애 - 2 이상의 ADLs - 2 이상의 IADLs 5 건강문제 - 기억장애 - 낙상 ( 지난달언제라도 ) 6 투약 - 5+ 처방약물복용 - 부적절하게처방된약물복용 7 의료이용 - 지난 12개월이내 1회이상입원 - 지난 12개월동안입원하지않고 2회이상응급실방문 - 현재가정보호서비스제공여부 (6) 대상자군분류알고리즘 1 1단계 - 스크리닝질문지의초기대상자군분류점수의합을활용 각각의질문에 예 라고응답한경우 1점이부여됨 - 초기군분류점수 좋음 = 0 보통 = 1-2 위험 = 3 이상 2 2단계 - 초기군분류점수를기초로, 최종군분류를결정하기위하여사례관리자 ( 간호사 ), 66

72 일차의료담당의사에의한임상적검토가이루어져야함 3 마지막군분류에기초한사례관리수행전략및활동 - 저위험군 - 중위험군 - 고위험군 < 표 3-2> Care Management 와질병관리의비교 Care Management 사례선택사정 / 문제신분확인사례계획에대한개발과조정계획실행평가와추후관리지속적인모니터링, 재평가 질병관리위험군구성원의신분확인사정 / 구성원평가질병관리계획에대한개발과조정질병관리실행평가와결과물측정지속적인모니터링, 재평가 5) 대상자의위험계층화 (Risk Stratification) 분류와전략활동 (1) 목적 : Care Management 활동과개개인의환자의처음위험발생 ( 사건 ) 지침을위한원조 (2) 과정 1 최초의건강질문지작성에대한검토 - 인구사회적요인 ( 나이성별생활상태 ) - 건강상태 - 약제 - 건강과기능상태 - 정신건강상태 ( 우울 ) - 예방적인건강행동 - 건강서비스이용우선순위 2 간호사와케어매니저에대한임상적검토 (3) 위험분류화. 현재요양원에서살고있는사람. 건강상태비율. 건강상태 : CAD, 다른심장질환, CHF, 당뇨, 암, 치매등. 기능상한정 : ADLs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67

73 . 건강이슈 : 힘든기억, 지난실패경험. 약제 : 부적절한처방전약제. 건강보호이용 : 1개월또는 12개월이상입원지난 12개월동안입원없이응급실 2회이상방문. 가정보호서비스수혜자 (4) 위험분류연산식 1 단계좋다 = 0 예, 적당하다 =1-2 점위험 = 3 점 2 단계최초위험점수를바탕으로간호사, 의사가임상적검토를하고환자를분류 1 2단계의분류를기본으로 Care Management 개입, 전략 / 활동 - 저위험군 : 기준계획, follow-up - 중위험군 : 기준계획, follow-up - 고위험군 : 기준계획, follow-up, 자가관리활동을거부한환자 6) Disease Management and Transitional Care (1) 질병관리 1 질병관리는건강관리비용감소와삶의질의향상, 질병과정의변경과예상된결과개입에대해기대하며, 질병의악화방지, 급성질병의연기를목표로함 (2) 전환기관리 1 사례관리자들은전문적관리와관련된기능과책임, 적절한환경또는보호단에따른자원연계등환자에게가능한서비스를제공 2 전환기관리계획을위한시간의틀은상대적으로단시간개입에대해환자가다음셋팅을받아들이고한단계에서마지막단계로의준비와관련됨. 가정- 병원. 병원- 가정. 가정-병원 -요양시설. 가정- 요양시설. 케어매니지먼트 -가정치료. 케어매니지먼트 - 병원 3 병원에서가정으로전환하는데필요한 4가지의요소. 자가관리, 약제 68

74 . 환자중심기록. PCP/ 전문가와함께사후관리. Red Flags 또는위험신호증상에어떻게반응하느냐에대한지식 4 병원방문. 프로그램소개. 개인건강기록소개. 퇴원체크리스트검토. 사후관리준비 (3) 질병관리프로그램구성요소 1 개발과설계 - 목표인구정의 : 인구조건, 고비용 고치료패턴변화성, 부정적임상결과, 부정적결과에대한고위험 비효율적인체계, 환자생활양식변화에대한결과향상의가능성 2 질병관리도구 : 지침서 ( 의사, 간호사, 포겟카드 ), 의사규정, 진단세트, 환자학습재료 3 의사지침서내용 : 징후와증상, 진단과치료알고리즘, 추천된사후검증, 약제비교차트 4 간호지침서내용 : 상태정의, 치료목표, 정보 ( 약제, 진단과실험실검사, 환자교육, 환자의사후검증과모니터링 ) 5 환자교육 : 상태특성, 자가관리, 행동계획 편안함, 존엄성을위하여계획한개입이제공될수있는가? 각각의개입은측정가능하며실현가능한가? 7) Care management Evaluation (1) 평가의기본 1 프로그램목적 / 목표에기반 2 조사질문에기반 3 연구설계 환자샘플 평가기간 자료수집방법 (2) 평가범위 1 사례관리수행내용과시간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69

75 2 자가-관리성과 3 성과의질 4 의료이용결과 5 비용결과 6 환자와제공자만족도결과 (3) 사례관리수행내용과시간 1 수행내용 - 환자접촉수 - 환자접촉수와형태 가정방문, 사무실방문, 전화, 병원방문, 너싱홈방문 - 세부적인활동 소요시간 : 사정, 요구도진단및조정, 정서적지지제공, 교육, 기록 - 사례관리자의의사접촉횟수및시간 (4) 자가관리결과 - 영양 / 건강섭취습관 - 운동습관 - 암발견 - 흡연습관 - 진보된지시 - 당뇨환자 : 눈과발검진, 혈당검사 - CHF환자 : 매일몸무게측정 (5) 사례관리서비스의질 1 사망률 2 검사 - 지질검사와조절 - HbA1c검사와조절 - 단백뇨검사와조절 3 고혈압조절 4 약물치료 - Lipids, HTN, CHF 5 건강관련삶의질 70

76 - 신체건강 - 정신건강 (6) 의료이용 1 입원및재원일수 - 입원횟수 - 2번이상입원 ( 다빈도입원 ) - 예방할수있는입원 2 입원하지않은응급실방문 3 너싱홈입소및입소일수 4 외래방문수 (7) 사례관리비용 1 총비용 - 입원환자 $ - 외래환자 $ - 전체 $ 개입비용포함 개입비용비포함 (8) 만족도 1 환자만족도 - 전체적인서비스내용 - 의사 - 사례관리자의서비스 2 사례관리자만족도 3 사례관리자와서비스에대한의사만족도 (9) 분석전략 1 자가관리, 삶의질, 만족도결과 - 타당도, 신뢰도확보된도구사용 2 Intention-to-Treat Approach - 1회등록, 항상등록 - 평가시점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71

77 - 전반적인연구평가 3 2단계분석모델사용 - 개개인의환자수준에서인구집단에기초한접근을사용한결과를설명 모든환자에대한백분율및평균을보고 - 사용자를위해서는단지결과만을기술 수행횟수와시간 서비스의질 의료이용 4 의료이용과비용의결과 - 재원일수 - 너싱홈입소일수 평균과표준편차에근거하여자료를보정 비용 : 전체 $ 또는 PMPM$ 95번째백분위수이상생략 5 분석및보고의전략은목적과환자샘플사이즈에의존함 (10) 분석사례 1 평가기간 : 16개월 2 개입환자 : 985명 3 측정 - 사례관리자별접촉율 - 평균과표준편차 - 중앙값 - 범위 - 평균 ( 사용자 ) 72

78 < 표 3-3> 대상자 1인당접촉건수및시간 접촉방법 / 대상자 % 평균 ( 표준편차 ) 중앙값 범위 Users Only 총접촉건수 (12.1) 총접촉시간 11.5(6.9) 총 RN CM 건수 (11.1) 총 RN CM 시간 9.6(6.7) 가정방문횟수 (2.0) 가정방문시간 3.2(0.8) 병원방문횟수 (2.9) 병원방문시간 4.0(2.4) 전화건수 (9.4) 전화시간 5.4(4.8) < 표 3-4> 사례관리내용 활동방법 ( 시간 )/ 대상자 % 평균 ( 표준편차 ) 중앙값 범위 Users Only 사정 (1.2) 요구도진단및조정 (0.52) 정서적지지 (0.56) 교육 (2.4) 모니터링 (1.3) 기록 (1.7) (11) 평가방법의장점 : 자료에근거하여대상자를분류할수있음 1 사례관리자개인별자료 2 사례관리자의수행장소 3 의사및임상장소 4 환자중증도별배분 5 서비스질측정및범주화 6 이용정도측정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73

79 6. 입원자관리사례 : 존스홉킨스대학병원 병원입원환자의재원일수감소전략 <Practice Changes and Impact on Length of Stay in Acute Care> 병원입원환자의재원일수감소전략 - 변화는조직문화에달려있음 - 변화요인은조직전체에존재함 - 변화는 아래로부터위로 혹은 위로부터아래로 일어날수있음 1) 역사적조망 - 존스홉킨스병원의외과병동 : 1990년대초 - (1) 문제점 : 존스홉킨스병원수술환자의재원기간이메릴랜드주의수술환자의평균을초과함 (2) 목표 : 존스홉킨스병원수술환자의재원기간을메릴랜드주의수술환자의평균과같거나감소시킴 (3) 목적 : 효율성증대 2) 홉킨스병원의환경 : 외과병동 문화 (1) 혁신을기대함 (2) 예측되는위험부담을수용함 (3) 새로운접근의시도와실패는학습의일부임 (4) 간호사와의사간협력 (5) 지속적인향상을기대함 (6) 수행하는모든일에서탁월함 (7) 변화를즐김 (8) 간호를제공한사람이그간호에대하여가장잘알고있음 3) 목적달성을위해시도한것 (1) 치료의효율성증대 (2) 재원일수감소 74

80 (3) 성과 : 입원환자 1인당총치료비용감소 (4) 성과지표 1 재정적지표 : 입원기간, 건당진료비, 환자구성지표, Case Mix Index, 진료비보상거부일수 2 질적지표 : 재입원, 합병증, 응급실내원수 3 구조적지표 : 간호장애물, System 지연율, 지역사회장애물, 이송및연계지연, 진료제공자에의한장애 4 임상적성과 : 신체상태, 환자의질적상태, 필수지표 (CHF,AMI,CAP,SIP) 5 환자만족도 : 퇴원계획, Care의조정정도 (Coordination of Care) 4) 변화의중심 : 의사와간호사 (1) 각팀의의사와간호사- 챔피온선정 (2) 환자치료과정의이해 - 많은업무량이요구되는대상자조사 - 고비용초래대상자조사 - 정상비용에서의이탈자조사 (3) 진단 / 진단 (4) 제공자프로파일 : 투약 / 검사 / 절차 / 공급품 / 사례혼합 / 자문요청 / 치료 /1인당비용 /1일당비용 (5) 최고의수행 5) 임상경로 ( 치료지도 ) (1) 치료지도의목적 - 입원에서퇴원까지환자에게일어나는모든것의윤곽파악 가족 / 환자경로 : 무엇을기대하는가? - 제공자들간의차이에기초한수행상의변화를위한기회를확인 - 교체된팀에게환류제공시경계 (2) 종료점 : 52 경로 ( 더이상길게사용하지않음 ) 6) 재원기간감소를위한수많은기회 (1) 치료조정 - 사례관리 - 복합적인문제를가진환자의퇴원계획과회진 - Hospitalists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75

81 - Intensivists in ICUs - 목표가적힌기록지를가지고매일회진 (2) 표준화 - 근거에기반한프로토콜 (3) 특별프로그램 - 입원당일수술 - 완화치료 - 통증관리 - 복잡한상황을위한윤리위원회 - 정맥주사팀 - 응급실팀-사회복지사 / 사례관리사 : 의료욕구 ; 지역자원활용극대화 (4) 치료로인해생기는상해혹은합병증예방 - 낙상, 욕창, 혈류감염 9. 미국사례의시사점 1) 일리노이주의의료급여사례관리모델이주는시사점첫째, 모든대상자에대한사례관리는불필요하므로질병별전략적접근의필요성에따라미국에서는 3개질병그룹의상위 12% 에대하여고위험군으로선정하여사례관리하고있다. 우리나라에서도고위험군관리를하고있으나대상자별특성구넹따른전략개발이부족하므로고위험군의심층확인과함께이에대한구체적전략개발이필요하다. 둘째, 시카고 agency의경우체계적으로사례관리성과를평가하고있다. 우리나라의경우 2008년부터사례관리업무에대한평가가추진되고있으나사례관리의질적향상과업무성과를평가하기위해서는평가체계를구축해야할것이다. 중앙차원에서는사례관리업무에대한경제성평가를실시하는것을고려해야하며, 지원단에서는중장기적으로사례관리성과를파악하기위하여패널을구축하여추후관리하는것이필요하다. 셋째, 현재의료급여사례관리가우리나라의료체계와복리체계안에서발전되기위해서는계속적인체계적연구와이에따른근거중심의지식체들이축적되어야하고이를관리사들이지속적으로교육훈련을받도록해야한다. 또한경험을축적한우수인력을유치하고계속우수인력을배출하는계획이있어야한다. 76

82 넷째, 가정-응급실-입원의전환적과정은의료비상승및장기입원의계기가되므로병원과협력관계를통한사례관리의개발은필수적이며, 사례관리자들의병원내외의다양한전문직과의협동관계와지역사회연계시스템의활용능력을높여야한다. 다섯째, 지역사회요양시설은최소한으로유지하고가정및지역사회중심의프로그램과대체서비스즉가정방문서비스, 가정지원, 가정간호, Day Care 등을중심으로미래중심을잡아야한다. 여섯째, 사례관리업무의성과를얻기위해서는중앙정부의노력도중요하지만지방자치단체의적극적참여가중요하며, 지자체의참여를유도하는방안으로의료급여의재정절감에대한인센티브제공방안을고려할수있을것이다. 일곱째, 표준화된사례관리운영을위해서는명확한가이드라인과프로토콜이필요하며특히, 선택병의원제대상자선정을위한세부지표개발, 질병별증상및약물적용에대한매뉴얼개발이우선적으로고려되어야할것이다. 여덟째, 의료급여사례관리사업지원단에서대상자의의료이용현황및사례관리업무를파악할수있는전산시스템구축이필요하다. 이를통하여사례관리업무및사업진행상황을실시간으로모니터링할수있을것이다. 아홉째, 대상자의전산시스템과더불어서비스질적양적통제를가져올수있는공급자의서비스정보가공유되어대상자의알권리를충족해야한다. 2) CMS의 Medical Home, MCMP 사업이주는시사점첫째, 메디케어현대화법하에건강지원사업과 MCMP 사업이진행되어왔으며, 세금구제및건강보건법 (Tax Relief and Health Care Act) 하에 Medical Home 이라는시범사업은가장도움이필요한인구집단을위해지속적이고통합적이며가족중심적인건강관리전달체계를재구축하며, 3년간시행될예정이다. 둘째, 이에따라만성질환을하나이상가진환자들과입원외래환자들의관리를포함한추후관리와전자건강기록 (EHR) 이라는전산프로그램을통한통합관리체계등은시사하는바가크다. Medical Home에서가장주된특성은기술적지원 (technical support) 에중점을두고통합전산망과같은프로그램을사용하여환자들의건강상태를모니터링하고사후관리를할수있게하고, 환자들의서비스접근을보다용이하게한다. 현재기술적지원은미국매릴랜드주에위치한존스홉킨스대학 (Johns Hopkins University) 에시범적으로제공되고있다. Medical Home과 MCMP 모두전자건강기록 (EHR) 이라는전산프로그램을활용함으로써보다편리하고통합적인관리체계를구축할수있도록설계되었다. 셋째, Medical Home과 MCMP(Medical Care Management Performance) 를통 제 3 장미국의사례관리 77

83 해전문가집단과연계가부족했던부분에대한한계점을극복하고의사집단과직접적으로사업을진행할수있게된점이다. 만성질환및관련질환을가진환자서비스의통합적이고가족중심적인관리계획에대해전문가들에게추가적인수당을지급하는것등은제도적인접근을고려할수있을것이다. 새로운사업을수행해야한다는부담감보다는기존에제공하고있던서비스를보다체계적이고통합적으로발전시킨다는데있어의사집단으로부터합의를보다얻기쉬웠고, 새로운인력들을교육하고배치시키는비용또한절감되어보다효과적이고효율적인프로그램이라고볼수있다. 3) 입원자관리의시사점한국의의료급여수급자들의의료비가운데외래의진료비는감소하였으나입원의진료비비중은증가하는추세를보여장기입원자및시설입소자에대한사례관리필요성이제기되는시점에서다음의존스홉킨스병원의입원환자재원일수감소전략은의료급여사례관리차원에서대상자에대한단기적, 중장기적전략으로벤치마킹할필요가있다. 첫째, 입원일수의감소전략으로시설, 병원등의제도, 문화의변화가선행되도록홍보및제도변화가전제되어야하며성과를낸병원의경우내외적으로인센티브를주어경쟁체계를갖추도록한다. 둘째, 환자치료과정의파악으로많은업무량이요구되는대상자및고비용대상자등을파악하여사례관리함으로써입원기간을최소화하고만족도도높일수있다. 셋째, 이러한변화를가져오기위해서는서비스의질적평가, 시스템평가, 만족도평가등평가체계가갖추어져야한다. 넷째, 공급자측면의대책이절실하다. 병원과의사등의시스템변화를함께고려하지않고는효과를가져올수없음을볼때중장기적으로수급자에대한공급자의정보제공과전문가간의정보공유와협력체계에대한대책이강구되어야할것이다. 78

84 제 4 장 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를파악하기위하여국민건강보험공단의의료급여입원진료비청구자료를분석하였다. 진료비청구자료는진료비청구일기준으로 2006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의 3개년동안의자료였다. 분석대상자료의 3개년동안의전체청구건수는총 4,169,177건 (1종 건, 2종 건, 행려환자 264건 ) 이었으며, 연도별청구건수는 2006년 1,119,228 건, 2007년 1,364,601건, 2008년 1,685,348건이었다. < 표 4-1> 연도별분석대상진료비청구건수 구분 계 1종 932,557 1,132,199 1,385,722 3,450,478 2종 186, , , ,435 행려환자 계 1,119,228 1,364,601 1,685,348 4,169,177 진료비청구자료는진료개시일, 입원일수를고려하여하나의입원이퇴원으로종결되는에피소드자료로일차변환하였다. 에피소드자료의주상병및부상병코드는해당에피소드의최초청구건에기재된주상병, 부상병으로하였으며, 진료개시일또한최초청구건에기재된진료개시일로하였다. 입원기간동안누적되는진료비, 입원일수는해당에피소드에속하는각청구건의진료비, 입원일수를합산하여산출하였다. 에피소드의해당연도는진료개시일이속한년도를기준으로분류하였다. 에피소드자료에근거하여의료급여수급권자개인별입원자료를구축하였으며, 개인별자료는해당연도의에피소드자료에근거하여입원횟수, 장기입원횟수, 진료비, 입원일수를합산하여변수를구성하였다. 장기입원에피소드는입원일수를기준으로정의하였으며 (31일이상, 61일이상, 91일이상 ), 청구건자료를에피소드자료로변환하여분석하였다. 결과 2006년 ~2008년 3개년동안의에피소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79

85 드횟수는총 1,880,321건 (1종 1,482,690건, 2종 397,506건, 행려환자 125건 ) 이었고, 연도별에피소드건수는 2006년 530,893건, 2007년 603,587건, 2008년 745,841건이었다. 정신질환을제외한장기입원규모를파악하기위해에피소드로정리한자료의주상병이 F00-F99" 에해당하는경우를제외한자료를별도로구축하여분석하였다. 1. 입원실태분석 1) 입원자수의료급여수급권자중연간한번이라도입원한경험이있는입원경험자수는 2006년이후매년증가추세에있으며, 해당년도수급권자수의 14.9%, 16.1%, 18.7% 로계속증가하였다. 성별로보면남성보다는여성의입원경험자수가 3 년평균 54.1% 로더많았다. 급여종별로구분해보면 1종이 2종보다입원이거의 3배에해당하였다. 이는전체 1종수급권자수가 56% 정도인것을감안할때매우높은비율이라고할수있다. 그러나이차이는매년약간씩감소하고있다. 연령별로는 70대, 40대, 50대, 60대순으로입원경험자수가많았으며, 3개년간입원경험자중 40-79세입원경험자가차지하는비율은 68% 였다. ( 표 4-2). 정신질환상병제외입원경험자수는 3개년간 771,360명으로전체상병입원경험자수 912,123명의 84.6% 를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70대, 60대, 40대, 50 대순으로입원경험자수가많아전체상병과는다른양상을보였으나 3개년간입원경험자중 40-79세입원경험자가차지하는비율은 68% 로비슷하였다. ( 표 4-3). 80

86 < 표 4-2> 연도별입원경험자수 성별 구분 계 계 270, , , , 남 125, , , , 여 144, , , , 종 200, , , , 종별 2 종 69, , , , 행려환자 세 17, , , , 세 14, , , , 세 8, , , , 세 24, , , , 연령 세 53, , , , 세 40, , , , 세 40, , , , 세 50, , , , 세이상 20, , ,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81

87 < 표 4-3> 연도별입원경험자수 ( 정신질환상병제외 ) 성별 구분 계 계 220, , , , 남 93, , , , 여 127, , , , 종 159, , , , 종별 2 종 60, , , , 행려환자 세 17, , , , 세 13, , , , 세 5, , , , 세 14, , , , 연령 세 34, , , , 세 30, , , , 세 36, , , , 세 48, , , , 세이상 19, , , , 입원횟수 3개년간수급권자들의입원청구건수를하나의입원이퇴원으로종결되는입원 episode 자료로변환하여정리한입원횟수의실태는다음과같다. 연도별의료급여수급권자의입원횟수는성별로나누어보았을때남성수급권자의입원횟수가여성수급권자의입원건수보다약간많았으며, 의료급여종별로는 1종이 2종에비해크게많았고, 연령별로는 40-49세, 70-79세, 50-59세, 60-69세순으로많았다. 3개년간 40-79세의입원건수는전체수급권자입원건수의 72% 를차지하였다 ( 표 4-4). 입원건수의주상병이정신질환 (F00-F99) 인경우를제외한 3개년동안의입원건수 ( 정신질환제외입원건수 ) 는 1,476,769건으로주상병이정신질환인경우를포함한전체입원건수의 61% 에해당하였다. 연도별정신질환제외입원건수는성별의경우여성이많았으며, 의료급여종별로는 1종이 2종에비해크게많았고, 연령별로는 40-49세, 70-79세, 50-59세, 60-69세순으로많았다. 3개년간 82

88 40-79 세의정신질환제외입원건수는전체수급권자입원건수의 71% 를차지 하였다 ( 표 4-5). < 표 4-4> 연도별입원횟수 구분 계 계 530, , , ,880, 성별 남 273, , , , 여 257, , , , 종 421, , , ,482, 종별 2 종 109, , , , 행려환자 세 26, , , , 세 19, , , , 세 15, , , , 세 52, , , , 연령 세 120, , , , 세 90, , , , 세 77, , , , 세 91, , , , 세이상 37, , ,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83

89 < 표 4-5> 연도별입원횟수 ( 정신질환상병제외 ) 구분 계 계 406, , , ,476, 성별 남 188, , , , 여 218, , , , 종 315, , , ,141, 종별 2 종 91, , , , 행려환자 세 26, , , , 세 17, , , , 세 9, , , , 세 27, , , , 연령 세 73, , , , 세 63, , , , 세 67, , , , 세 87, , , , 세이상 34, , , ,

90 3. 입원일수연도별총입원일수는 2006년 30,765,609 일에서 2007년 21,836,196 일, 2008년 20,067,206 일로계속적으로감소하였다. 이는특히인당입원일수에서현저히나타나 2006년 113.9일에서 2007년 73.7일, 2008년 58.0일이었다. 3개년간발생한입원건 (episode) 당입원일수를분석한결과평균 387일 ( 표준편차 96,5일 ) 로최소 1회에서부터최대 1,127일로분포되어있었고 2008년도의입원건당평균입원일수는 26.9일 ( 표준편차 41.8일 ) 로최대 458일까지분포되어있었다. 이들입원일수는 60% 이상이입원 2일이내였다. 정신질환을제외하면평균 23.7일 ( 표준편차 54.5일 ) 로최대 1,127일로분포되어있었고 2008년도정신질환상병을제외하면평균 20.4일 ( 표준편차 32.4일 ) 이며최대 458일로분포되어있었다. ( 부록 1-9) 즉주요이용자는오히려정신질환상병입원군이아닌타질병명에의한입원이었다. 남자가여자보다 3개년평균입원일수가 : 62.0 일로월등히많았으며 1종이 2배정도 2종보다많으며연령대별로는 30대, 40대, 50대순이었다. 특히이세연령대는타연령대보다월등히높은현상을보였다. ( 표 4-6) 정신질환을제외한입원일수는거의반으로감소하여 3개년평균 46.7일이었고 3개년간계속감소추세를보였다. 성별차이에서는남자가높았으나그차이가많이감소되어정신질환으로인한입원일수는주로남자에의한영향이많은것으로나타났다. 또한연령대도 50대, 40대, 30대순으로그순위가전환되어 30대의입원일수가정신질환에의한영향이많은것으로나타났다.( 표 4-7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85

91 < 표 4-6> 연도별인당입원일수 성별 (N=296371) 구분 (N=270019) (N=345733) 계 평균 평균 평균 평균 계 남 여 종 종별 연령 2 종 행려환자 세 세 세 세 세 세 세 세 80세이상

92 < 표 4-7> 연도별입원일수 ( 정신질환상병제외 ) 성별 종별 (N=29734 구분 (N=220755) (N=253258) 7) 계 평균 평균 평균 평균 계 남 여 종 종 행려환자 연령 0-9세 세 세 세 세 세 세 세 세이상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87

93 4. 입원진료비 3개년간입원에피소드건당입원진료비는평균 218만원으로 ( 표준편차 409만원 ) 최대 777백만원까지분포되어있었다. 2008년도경우평균입원에피소드건당진료비는평균 188만원이며 ( 표준편차 289만원 ) 최대 587백만원이었다. 정신질환상병을제외한 3개년동안의에피소드건당입원진료비는평균 197만원 ( 표준편차 370만원 ) 으로최대 777백만원까지분포되어있었으며 2008년도의경우평균 1990만원 ( 표준편차 306만원 ) 으로최대 587백만원으로정신질환상병을제외하는경우입원건당진료비가오히려더증가하는것을볼수있었다. ( 부록 1-11, 2-11) 입원자인당진료비로전환하였을때평균인당진료비는 2008년현재 406만원이었다. 이는계속감소되고있는추세를보였으며남자가여자보다많았고연령은 50대, 40대순으로많았다. ( 표 4-8) 정신질환상병을제외한경우인당 378만원정도로감소되었으며여전히남자가여자보다높았다. 연령대도전체상병의경우가비슷하였다. ( 표 4-9) 88

94 < 표 4-8> 연도별인당입원진료비 구분 2006 (N=270019) 2007 (N=296371) 2008 (N=345733) 계 평균 평균 평균 평균 계 성별 남 여 종 종별 2 종 행려환자 세 세 세 연령 세 세 세 세 세 세이상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89

95 < 표 4-9> 연도별인당입원진료비 ( 정신질환상병제외 ) 구분 2006 (N=220755) 2007 (N=253258) 2008(N=297347) 계 평균평균평균평균 계 성별 남 여 종 종별 연령 2 종 행려환자 세 세 세 세 세 세 세 세 80세이상

96 5. 입원수급권자의인당입원의료이용량입원경험자를기반으로자료를구축하여인당입원관련의료이용량을분석하였다. 연도별일수급권자가연간입원한빈도수는 59.1%-56.1%(2006년-2008년도 ) 가일회입원하였다. 2008년도를중심으로보면 95% 가 5회미만으로입원하였으며연차별로많은빈도의입원자가증가하는추세를보였다. ( 부록 1-5) 즉, 1인당평균입원빈도가 2006년 1.97회에서 2008년 2.16으로증가된것은입원빈도가극단적으로높은사람들의영향이큰것으로사료된다.( 부록 ) 이는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입원빈도분포의경우에도비슷한경향을보였다.( 부록 1-7,1-8) 연도별로입원경험자들의입원일수분포를보면 60.0(2006)~63.2%(2007년 ) 의의료급여수급권자가연간입원일수 0-30일이내의입원일수를보였다. 입원일수 일을이용한수급권자수는 2006년이후지속적으로증가추세를보였으며 361일이상이용한수급권자수는지속적으로감소추세를보였다 ( 그림 4-1). 정신질환이주상병인입원건을제외한경우의료급여입원경험자중연간입원일수 0-30일이내수급권자수는 70.6(2008)~71.6%(2007년 ) 으로정신질환을제외하지않은경우에비해장기입원자의비율이감소하였다 ( 그림 4-2). < 그림 4-1> 의료급여입원경험자의입원일수분포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91

97 < 그림 4-2> 의료급여입원경험자의입원일수분포 ( 정신질환상병제외 ) 이들인당입원의료이용량을종합해보면연도별로입원자수와입원회수는증가하나오히려입원일수와진료비는감소하는바람직한경향을보이고있었다. 정신질환을제외한의료이용량은같은경향을보이고는있으나특히입원일수와진료비에서많은양이감소되어입원일수와진료비에서정신질환에의한영향이큼을시사하였다. 특히진료비에서는 2008년도에오히려증가하는양상을보였다. < 표 4-10> 입원진료실인원 1 인당의료이용량 계 입원자수 ( 명 ) 270, , , ,123 입원횟수 ( 회 ) 입원일수 ( 일 ) 입원진료비 ( 원 ) 5,234,090 4,305,746 4,060,815 4,487,728 < 표 4-11> 입원진료실인원 1 인당의료이용량 ( 정신질환제외 ) 계 입원자수 ( 명 ) 220, , , ,360 입원횟수 ( 회 ) 입원일수 ( 일 ) 입원진료비 ( 원 ) 3,810,643 3,772,963 3,779,158 3,786,134 92

98 2. 장기입원실태 입원에피소드변환자료중일입원건당 (episode)31 일이상입원한경우를장기입원자료로분리하여분석하였다. 또한 61일, 91일이상의경향도함께분석하였다. 1. 장기입원자수총입원자가계속늘어나는반면연도별 3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수는 2007년의경우감소하였으나, 2008년의경우다시증가하였다. 9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수의경우매년지속적으로감소하고있었다. 전체입원자중 31일이상장기입원자비율은 2006년 33.8%, 2007년 29.6%, 2008년 29.1% 로계속감소하는경향을보였고이는 61일, 91일이상장기입원자의경우에는감소폭이더컸다. ( 표 4-12) 정신질환을제외하였을때특히 91일이상장기입원자가차지하는비율은거의 1/2로감소하여극단장기입원환자의문제는주로정신질환의영향으로확인되었다. ( 표 4-13) 표 년도별장기입원자수분포 ( 명, %) 계 총입원자수 270, , , ,123 31일이상입원자수 91, , , , 일이상입원자수 63, , , , 일이상입원자수 50, , , , 표 년도별장기입원자수분포 ( 정신질환자제외 ) ( 명, %) 계 총입원자수 220, , , ,360 31일이상입원자수 48, , , , 일이상입원자수 25, , , , 일이상입원자수 17, , ,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93

99 이들장기입원자의실태를성별, 종별, 연령별로보면성별로는남성장기입원자수가여성에비해많았으며, 의료급여종별로는 1종장기입원경험자수가 2종에비해크게많았다. 연령별로는 40-49세, 50-59세, 30-39세, 60-69세, 70-79세순으로장기입원경험자수가많았다 ( 표 4-14). 정신질환제외 3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의경우성별로는여자가남자보다다소많았으나, 61일이상및 9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의경우남자가여자보다다소많았다 ( 표 4-15). 표 연도별장기입원자수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계 91, , , , , , , , , 성별 남 52, , , , , , , , 여 38, , , , , , , , 종 , , , , , , , 종별 2 종 , , , , , , , 행려환자 세 세 1, , , 세 3, , , , , , , , , 세 12, , , , , , , , , 연령 세 26, , , , , , , , , 세 18, , , , , , , , , 세 11, , , , , , , , , 세 11, , , , , , , , , 세 - 5, , , , , , , , ,

100 표 연도별장기입원경험자수 ( 정신질환상병제외 )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계 48, , , , , , , , , 성별 남 23, , , , , , , , , 여 24, , , , , , , , , 종 39, , , , , , , , , 종별 2 종 9, , , , , , , , , 행려환자 세 세 세 1, , , 세 3, , , , , , , , , 연령 세 10, , , , , , , , , 세 9, , , , , , , , , 세 8, , , , , , , , , 세 9, , , , , , , , , 세 - 4, , , , , , , , , 장기입원횟수연도별로장기입원횟수는 2007년에감소하였다가 2008년에는증가하는양상을보이고있었다. 그러나장기입원자수와마찬가지로 31일이상의장기횟수가전체입원횟수에차지하는비율은 2006년 30.2% 에서 2008년 25.1% 로계속감소하였고 91일이상자의경우는 2006년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95

101 12.3% 에서 2008 년 6.4% 로 1/2 로감소하였다. ( 표 4-16) 또한이경향은정신질환자를제외 했을때도같은경향을보여 2008 년도의 91 일이상장기입원자는전체입원자의단지 3.7% 정도의비율을차지하였다. ( 표 4-17) 표 4-16) 년도별장기입원횟수분포 ( 명, %) 계 총입원횟수 530, , ,841 1,880,591 31일이상입 160, ,54 원횟수 , , 일이상입원횟수 93, , , , 일이상입원횟수 65, , , , 표 4-17) 년도별장기입원횟수분포 ( 정신질환자제외 ) ( 명, %) 계 총입원자수 406, , ,506 1,476,769 31일이상입원자수 79, , , , 일이상입원자수 39, , , , 일이상입원자수 22, , , , 년의경우전체상병을포함한 31일이상장기입원횟수중 61일이상장기입원이차지하는비중은 44%, 91일이상장기입원이차지하는비중은 26% 였으며 ( 표 4-18) 정신질환을제외하였을경우 31일이상장기입원횟수중 61일이상장기입원이차지하는비중은 42%, 91일이상장기입원이차지하는비중은 21% 였다 ( 표 4-17). 성별장기입원횟수는남성이여성에비해많았으며, 입원일수가증가할수록남성수급권자의장기입원횟수가차지하는비율이증가하였다. 의료급여종별로는 1종수급권자의장기입원횟수가 2종수급권자에비해크게많았으며, 연령별장기입원횟수는 40-49세, 50-59세, 30-39세, 60-69세순으로 30-49세와같이비교적젊은연령층에서장기입원발생횟수가많았다 ( 표 4-16, 표 4-17). 96

102 주상병이정신질환인경우를제외할경우장기입원횟수는크게감소하며, 특히 세연령군의장기입원횟수가크게감소하여, 정신질환으로인한장기입원이 장기입원발생의주요요인이되고있었다 ( 표 4-16). 표 연도별장기입원횟수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계 16 0, , , , , , , , , 성별 남 9 7, , , , , , , , , 여 6 2, , , , , , , , , 종 136, , , , , , , , , 종별 2 종 2 3, , , , , , , , , 행려환자 세 1, 세 1, , , 세 5, , , , , , , , , 세 2 2, , , , , , , , , 연령 세 4 9, , , , , , , , , 세 3 4, , , , , , , , , 세 1 9, , , , , , , , , 세 1 7, , , , , , , , , 세 - 8, , , , , , , ,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97

103 표 장기입원입원횟수 ( 정신질환상병제외 )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계 79, , , , , , , , , 성별 남 43, , , , , , , , , 여 36, , , , , , , , , 종 67, , , , , , , , , 종별 2 종 12, , , , , , , , , 행려환자 세 1, 세 , , 세 1, , , 세 6, , , , , , , , , 연령 세 18, , , , , , , , , 세 16, , , , , , , , , 세 13, , , , , , , , , 세 14, , , , , , , , , 세 - 6, , , , , , , , , 장기입원일수장기입원일수는 3년간계속감소하였다. 또한장기입원일수가전체입원에서차지하는비율도감소하여장기입원의빈도와함께장기입원일수도계쏙감소하는추세를보이고있었다. 그러나 31일이상장기입원이차지하는비율이전체입원의 2006년 91.8%, 2007년 86.1%, 2008년 81.5% 인것을감안할때대단히높은비율이며특히 91일이상입원자의경우도 2008년에 50% 로감소하기는했으나 2006년 79.7%, 2007년 65.6% 로매우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어일반적인입원일수는장기입원자에의한것임이확인되었다. ( 표 4-20) 또한정신질환상병을제외했을때에도같은경향을보여정신질환자가타질병으로입원하는일수도많은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4-21) 98

104 표 4-20) 년도별장기입원일수분포 ( 일, %) 계 총입원일수 30,765,609 21,836,296 20,067,206 72,669,111 31일이상입 28,248, , ,347, ,402,6 원일수 921, 일이상입 26,315, , ,214, ,096,7 원일수 053, 일이상입 24,517, , ,113, ,965,9 원일수 814, 표 4-21) 년도별장기입원일수분포 ( 정신질환자제외 ) ( 일, %) 계 총입원자수 11,846,860 11,821, 일이상입 9,472, ,977,4 8,854, ,304,2 원일수 일이상입 7,954, ,284,5 6,543, ,781,9 원일수 일이상입 6,837, ,070,6 4,804, ,712,6 원일수 또한이를성별, 종별, 연령별로보았을때남자가여자보다높으며 1종이월등히높고 50대, 40대의상대적으로연령이낮은군에서입원일수가높았다. ( 표 4-18) 이는정신질환상병을제외했을때에도비슷한경향을보였으나 2006년, 2007년도에는 91일이상에서여자가오히려높았다. ( 표 4-19) 표 연도별장기입원일수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N=91,216) 61 일이상 (N=63,701) 91 일이상 (N=50,978) 31 일이상 (N=87,631) 61 일이상 (N=57,081) 91 일이상 (N=42,599) 31 일이상 (N=10,0515 ) 61 일이상 (N=60,920) 91 일이상 (N=41,604) 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 계 성별 남 여 종별 1 종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99

105 2 종 행려환자 세 세 세 세 연령 세 세 세 세 세

106 표 장기입원입원일수 ( 정신질환상병제외 )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N=48,246) 61 일이상 (N=25,920) 91 일이상 (N=17,733) 31 일이상 (N=52,330) 61 일이상 (N=27,801) 91 일이상 (N=18,937) 31 일이상 (N=62,093) 61 일이상 (N=31,183) 91 일이상 (N=19,623) 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 계 성별 남 여 종 종별 2 종 행려환자 세 세 세 세 연령 세 세 세 세 세 장기입원진료비입원진료비는 2007년도에약간감소했다가다시증가하였다. 그러나이들 31일이상장기입원자들의진료비가전체입원자들의입원진료비에차지하는비율은 2006년 77.9% 에서 2007년 69.3%, 2008년 65.1% 로계속감소하기는했으나높은비율을보이고있었다. ( 표 4- ) 또한정신질환상병을제외했을때도같은경향을보였으며특히 91일이상군에서는 2008년도의입원진료비용 26.1% 를차지하고있어많은감소를나타내었다. ( 표 4- ) 표4-) 년도별장기입원진료비분포 ( 원,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01

107 계 총입원진료비 1,413,303,69 1,276,098,2 1,403,957,90 4,093,359,88 8,270 87,740 0,660 6,670 1,100,8 884,29 31일이상입 07,027, ,998, ,399, 2,898, ,002,21 원진료비 975, , ,75 61일이상입,138, ,850, ,197, 2,308, ,277,76 원진료비 288, , ,63 91일이상입,807, ,064, ,117, 1,913, ,431,87 원진료비 559, 표 4-). 년도별장기입원진료비분포 ( 정신질환자제외 ) ( 원, %) 계 총입원진료비 841,218, ,533,030, 1,123,721,15 2,920,472,67, ,670 1, ,83 572,17 1,751,79 31일이상입 644,789, 2,664, ,110, ,663,42 원진료비 888, ,43 411,34 1,229,06 61일이상입 420,283, 7,718, ,382, ,828,58 원진료비 728, ,93 325,26 91일이상입 293,185, 5,286, ,715, ,390, 원진료비 020, , 이들을성별, 종별, 연령별로분석해보았을때 2008년도에는모든장기일수군에서여자가높았고 10대미만에서가장인당진료비가높았다. 그러나정신질환상병을제외했을때는남자가높으며 20대미만의젊은군이가장많았다. ( 표 4-20, 4-21) 102

108 표 연도별장기입원진료비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N=91,216) 61 일이상 (N=63,701) 91 일이상 (N=50,978) 31 일이상 (N=87,631) 61 일이상 (N=57,081) 91 일이상 (N=42,599) 31 일이상 (N=10,0515) 61 일이상 (N=60,920) 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 계 1 2,0 68, ,8 94, ,7 05, ,0 91, ,3 29, ,70 0, ,0 87, ,7 71, ,4 9 2, 일이상 (N=41,604) 성별 남 1,2 322, ,572, ,151, ,153, ,932, ,1 17,755 9,07 8, ,423, ,05 0,7 96 여 1 1,724, ,413, ,635, ,015, ,904, ,5 76,097 9,09 8, ,266, ,14 5, 종 1 2,434, ,215, ,010, ,283, ,448, ,7 71,957 9,18 1, ,764, ,43 8,3 35 종별 2 종 1 0,343, ,238, ,065,81 8 9,22 4, ,742, ,3 42,025 8,67 3, ,808, ,76 4,0 25 행려환자 7,89 3,8 13 9,90 4, ,492,14 1 9,56 9, ,570, ,6 76,751 8,77 4,0 33 9,25 5,6 47 9,2 55, 세 1 0,082, ,441, ,707,61 9 1,0 699, ,130, ,5 28, ,074, ,236, ,76 5, 세 1,0 670, ,344, ,630,26 8 8,66 2, ,227, ,8 35,612 7,87 7, ,950, ,24 3, 세 1 1,962, ,070, ,392,60 2 9,67 8, ,096, ,2 41,449 7,99 7,8 53 9,20 9,3 94 9,7 00, 세 1 1,504, ,192, ,545,79 1 9,02 4, ,289, ,2 99,159 7,55 2,0 00 8,44 6,0 61 8,9 99,128 연령 세 1 2,108, ,201, ,730,36 5 9,61 6, ,196, ,2 90,023 8,26 1,6 33 9,41 9, ,00 8, 세 1 3,204, ,838, ,499, ,506, ,574, ,8 25,747 9,30 9, ,772, ,35 9, 세 1 2,331, ,213, ,615,11 1 1,0 777, ,876, ,6 29, ,001, ,205, ,07 2, 세 1 1,178, ,153, ,611, ,601, ,550, ,9 88, ,123, ,167, ,37 3, 세 - 1 2,068, ,757, ,197, ,354, ,185, ,4 89,382 9,35 2, ,032, ,31 3,0 77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03

109 표 장기입원입원진료비 ( 정신질환상병제외 ) 구분 입원일수 31 일이상 (N=48,246) 61 일이상 (N=25,920) 91 일이상 (N=17,733) 31 일이상 (N=52,330) 61 일이상 (N=27,801) 91 일이상 (N=18,937) 31 일이상 (N=62,093) 61 일이상 (N=31,183) 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평균 91 일이상 (N=19,623) 계 11,085, ,3 33, ,2 10, ,934, ,7 96, ,17 6, ,384, ,4 77, ,9 4 0,8 87 성별 남 11,476, ,985, ,403, ,453,371 14,766, ,8 68,334 10,844, ,564, ,95 2,7 71 여 10,700, ,747, ,208, ,443,757 14,829, ,5 39,072 9,946, ,382, ,92 7, 종 11,293, ,524, ,435, ,075,835 14,843, ,1 79,251 10,438, ,345, ,72 6,0 37 종별 2 종 10,203, ,469, ,197, ,324,190 14,576, ,1 69,320 10,155, ,090, ,97 5,3 17 행려환자 9,887, ,182, ,082, ,622,933 14,367, ,2 33,813 10,040, ,040, ,04 0, 세 9,742, ,808, ,834, ,647,59 15,561, ,1 55,157 13,310, ,630, ,24 9, 세 12,049, ,166, ,715, ,442,126 15,310, ,3 98,940 9,841, ,862, ,28 2, 세 14,269, ,132, ,563, ,741,350 16,176, ,7 25,174 11,302, ,316, ,49 8, 세 11,455, ,263, ,296, ,520,326 14,351, ,1 57,242 10,434, ,532, ,88 0,8 58 연령 세 11,058, ,421, ,760, ,238,226 14,536, ,7 25,952 10,471, ,186, ,72 2, 세 11,511, ,397, ,938, ,384,731 15,009, ,2 42,296 10,832, ,702, ,99 9, 세 11,111, ,812, ,154, ,892,335 15,163, ,8 02,851 10,595, ,983, ,50 7, 세 10,538, ,746, ,512, ,509,024 14,917, ,7 16,808 10,255, ,810, ,37 5, 세- 10,546, ,068, ,643, ,012,304 14,057, ,5 46,213 9,311, ,257, ,68 9,

110 5. 장기입원수급권자의인당입원의료이용량연도별로장기입원자들각군마다인당입원빈도수와입원일수, 진료비를비교해보면 3년간연평균 31일이상자의경우 1.8회의입원빈도와 227일의입원일수그리고 10,375 천원의진료비를사용하고있었다. 91일이상그룹 135,181 명의경우는퍙군 362.2일로 1년동안입원하고있으며그러나입원빈도는 1.22회였고비용은 14,154 천원이었다. 따라서 91일이상입원자는대부분이 1년이상을입원하는그룹들이었다. ( 표 4-) 이들을정신질환상병을제외하고분석해보았을때인당입원빈도수나일수는감소했으나인당진료비는증가하여정신질환상병입원자들이장기간입원하기는하나입원비용은적게쓰는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장기입원자들중정신질환자관리는이미정신질환전문기관에서전문인력을중심으로관리하고있으므로수급권자상위관리리에서는이들에대한확인과함께요구도에따른적합한장소로의연계 (Triage) 를함이중요하다하겠다. ( 표 4-)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05

111 표 4-22 : 장기입원자진료실인원 1 인당의료이용량 31 일이상 계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입원자수 ( 명 ) 91,216 63,701 50,978 87,631 57,081 42, ,515 60,920 41, , , ,181 입원횟수 ( 회 ) 입원일수 ( 일 ) 입원진료비 ( 원 ) 12,068,135 14,894,462 16,705,987 10,091,166 12,329,039 13,700,558 9,087,201 10,771,459 11,492,106 10,375,448 12,706,207 14,154,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표 4- : 장기입원자진료실인원 1 인당의료이용량 ( 정신질환상병제외 ) 31 일이상 계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입원자수 ( 명 ) 48,246 25,920 17,733 52,330 27,801 18,937 62,093 31,183 19, ,669 84,904 56,293 입원횟수 ( 회 ) 입원일수 ( 일 ) 일이상 입원진료비 ( 원 ) 11,085,534 15,333,245 18,210,979 10,934,017 14,796,100 17,176,412 10,384,261 13,477,976 14,940,887 10,769,106 14,475,971 16,723,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106

112 3. 장기입원자다빈도주상병명 1) 장기입원자의다빈도주상병명 3개년간의 31일이상장기입원건 (episode) 마다주상병명을분석하였다. 이들최빈도 30 개주상병명은주로정신질환, 고혈압등뇌혈관계질환, 당뇨, 관절증및골절, 알콜성간질환, 급 만성폐질환, 신부전으로구성되어있었다. 2008년도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기준상위 10개장기입원자의주상병명 ( 각입원건수의주상병명기준 ) 은정신분열병 (F20), 알코올사용에의한정신및행동장애 (F10), 뇌경색증 (I63), 인슐린-비의존당뇨병 (E11), 본태성고혈압 (I10),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 (F00), 넓적다리뼈의골절 (S72), 뇌혈관질환 (I69), 무릎관절증 (M17), 상세불명의치매 (F03) 등의순이었으로연도별로차이가거의없었다. 2008년의경우이들상위 10개질환에해당하는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전체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의 45.2% 에해당하였으며, 상위 10대질환이 31일이상장기입원자에서차지하는비중은 2006년 52.8%, 2007년 46.1% 로점차감소하였다 ( 표 4-2). 61일이상장기입원자및 91일이상장기입원자의경우에도상위 10대상병명은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상병명과유사하였으나, 다만순위는다소차이가있었다 ( 표 4-2). 표 입원일수 31 일이상장기입원자의상위 30 개다빈도주상병 순위 2006 년 2007 년 2008 년 상병코드상병이름빈도 % 누적 % 1 F20 2 F10 정신분열증 알콜사용에의한정신및행동장애 23, , 상병코드 25.4 F F10 상병이름빈도 % 누적 % 정신분열증알콜사용에의한정신및행동장애 16, , F F10 상병코드상병이름빈도 % 누적 % 정신분열증 알콜사용에의한정신및행동장애 3 I63 뇌경색증 3, I63 뇌경색증 3, I63 뇌경색증 4, E11 인슐린 - 비의존성당뇨병 1, E11 5 ZZ 1, I10 6 I10 본태성고혈압 M1 1, 인슐린 - 비의존성당뇨병 2, E11 인슐린 - 비의존성당뇨병 본태성고혈압 1, I10 본태성고혈압 무릎관절증 7 F31 양극성대퇴골의 1, S72 정동장애골절 양극성 8 결측 1, F31 정동 장애 9 M17 1, F00 1, S72 1, I69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대퇴골의골절대뇌혈관질환의후유증 무릎관절증 1, I61 뇌내출혈 1, M17 무릎관절증 16, , , , , , ,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07

113 10 I61 뇌내출혈 1, I69 11 K70 12 S72 13 I69 14 M51 15 F03 16 F32 17 F79 18 F00 19 J18 20 J44 21 C06 22 E01 알콜성간질환대퇴골의골절대뇌혈관질환의후유증기타추간판장애 상세불명의치매 K M4 8 대뇌혈관질환의후유증알콜성 1, F03 상세불명의치매 간질환 1, F31 양극성정동장애기타척추병증 1, , , I61 뇌내출혈 1, F03 상세불명의치매 K70 알콜성간질환 F J18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상세불명병원체의폐렴 J18 상세불명병원체의폐렴 1, , G81 편마비 1, 우울증에피소드 G81 편마비 M48 기타척추병증 상세불명 요추및 요추및 의정신 S32 골반의 S32 골반의 발육지체 골절 골절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상세불명병원체의폐렴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중풍후유증요오드결핍과관련된갑상선장애및동류의병태 M F N C J44 기타추간판장애 J44 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 우울증에피소드 N18 만성신부전 만성신부전 중풍후유증 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 M C F32 23 G40 간질 G40 간질 S82 24 S32 25 N18 요추및골반의골절 만성신부전 S S82 늑골, 흉골및흉추골의골절발목을포함한아래다리의골절 S S06 기타추간판장애중풍후유증 우울증에피소드 발목을포함한아래다리의골절늑골, 흉골및흉추골의골절 두개내손상 1, , G81 편마비 ZZ G40 간질

114 27 F06 28 A15 29 S82 30 S22 뇌손상, 뇌기능이상및신체질환에의한기타정신장애세균학적및조직학적으로확인된호흡기결핵발목을포함한아래다리의골절 늑골, 흉골및흉추골의골절 S F G A15 두개내손상 상세불명의정신발육지체 대마비및사지마비 세균학적및조직학적으로확인된호흡기결핵 G82 대마비및사지마비 F K F79 뇌손상, 뇌기능이상및신체질환에의한기타정신장애 간의섬유증및경변 상세불명의정신발육지체 표 입원일수별장기입원자의상위 30 개다빈도주상병 (2008 년 ) 순위 상병코드 1 F20 정신분열증 알콜사용 2 F10 에의한정신및 행동장애 31 일이상 61 일이상 91 일이상 상병이름빈도 % 누적 % 상병코드 16, ,72 9 상병이름빈도 % 누적 % 상병코드 상병이름빈도 % 누적 % F20 정신분열 13, F20 정신분열 10, 증 3 증 4 알콜사용알콜사용에의한에의한 F10 7, F10 5, 정신및정신및행동장애행동장애 3 I63 뇌경색증 4, I63 뇌경색증 2, I63 뇌경색증 1, E11 5 I10 6 F00 인슐린 - 비의존성당뇨병 본태성고혈압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 7 S72 대퇴골의골절 8 I69 대뇌혈관질환의 2, F00 2, E11 1, I10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인슐린 -비의존성당뇨병 본태성고혈압 1, I69 대뇌혈관질환의후유증 1, F03 상세불명의치매 1, F00 알쯔하이머병에서의치매 1, F03 상세불명의치매 1, I69 1, I10 대뇌혈관질환의후유증 본태성고혈압 1, E11 인슐린 - 비의존성 1,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09

115 후유증 9 M17 무릎관절증 당뇨병 1, I61 뇌내출혈 1, I61 뇌내출혈 F03 상세불명의치매 1, F31 양극성 G81 편마비 정동장애양극성 11 F31 정동장애 1, G81 편마비 F31 양극성 정동장애 12 I61 뇌내출혈 1, S72 대퇴골의 S72 대퇴골의 골절골절알콜성 13 K70 간질환 1, C06 중풍후유증 C06 중풍 후유증 14 J18 상세불명병원체의폐렴 1, K70 15 G81 편마비 1, F32 16 M48 17 S32 18 J44 19 N18 20 M51 21 C06 22 F32 23 S82 24 S22 기타척추병증 요추및골반의골절 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 1, J18 알콜성간질환 1, G82 대마비및사지마비 S G82 대마비및사지마비 우울증에피소드 F32 우울증에피소드 상세불명 상세불명 병원체의 J18 병원체의 폐렴 폐렴 두개내손상 만성신부전 N18 만성신부전 기타추간판장애 중풍후유증 우울증에피소드 발목을포함한아래다리의골절늑골, 흉골및흉추골의골절 F06 뇌손상, 뇌기능이상및신체질환에의한기타정신장애 F K70 뇌손상, 뇌기능이상및신체질환에의한기타정신장애 알콜성간질환 G40 간질 S G40 간질 F J F M48 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 상세불명의정신발육지체 N J44 두개내손상 상세불명의정신발육지체 만성신부전 기타만성폐쇄성폐질환 기타척추병증 F01 혈관성치매 S06 두개내 M17 무릎관절 F70 경도정신

116 손상 증 발육지체 26 G40 간질 S32 요추및골반의골절 A15 세균학적및조직학적으로확인된호흡기결핵 27 G82 대마비및사지마비 F01 혈관성치매 28 F06 29 K74 30 F79 뇌손상, 뇌기능이상및신체질환에의한기타정신장애간의섬유증및경변 상세불명의정신발육지체 A M S82 세균학적및조직학적으로확인된호흡기결핵기타추간판장애발목을포함한아래다리의골절 F29 상세불명의비기질적정신병 G20 파킨슨병 M F71 기타척추병증 중등도정신발육지체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11

117 3) 복합상병현황장기입원수급자들의복합상병상황을확인하기위하여 2008년도입원자를대상으로입원시의주상병과부상병중각각상위 1% 다빈도질병을선택하여교차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에포함된 345,733 명총입원자들의주상병과부상병명을교차해서본결과가장많은빈도는당뇨와고혈압의복합으로 2,001 명이었다. 주상병을중심으로보았을때가장많은질병은정신분열증 19,252 명, 알콜사용에의한정신및행동장애 13,643 명, 폐렴 9,881 명, 뇌경색 9,441 명, 당뇨 9,177 명그리고고혈압 5,592 명순이었다. 부상병중심으로보면고혈압이 19,457 명으로가장많았고당뇨가 11,429 명, 천식이 5,064 명, 폐렴이 3,862 명의순이었다. ( 부록 5-1) 교차분석결과가장많은입원복합상병은고혈압과당뇨로 2,677 명이었으며다음이뇌혈관질환과마비성질환이복합되 2,245 명, 그리고뇌혈관질환과고혈압의복합이 1,998 명, 뇌혈관질환과당뇨가 1,080 명으로많았다. 그이외에도 COPD, 폐렴, 천식을함께가지고있는경우가전체입원자의 2033명이었으며주상병으로당뇨를가지고있는사람이전체입원자중 9177명, 부상병으로당뇨를가지고있는사람이 11,429 명이었다. 또한고혈압을주상병으로가지는경우는 5,592 명이고부상병으로가지고있는경우는 11,457 명이었다. 정신질환으로정신분열증과알콜성정신및행동장애를같이가지고있는사람이 284명이었다. 기타정신질환으로정신분열증과알콜성정신및행동장애가함께있는경우도 294명 ( 전체입원자에서는 284명 ), 알콜성정신및행동장애와알콜성간질환을복합으로가지고있는경우는 297명, 그리고정신질환과당뇨, 치매또는고혈압을복합으로가지고있는경우는 424명이었다. 표 4-26 : 전체입원자의복합질병상태 ( 명 ) 당뇨 뇌성마비및마비성증후군 고혈압 고혈압 뇌경색 뇌출혈및기타뇌혈관질환 관절증, 골절 년도 31일이상장기입원자를대상으로복합상병실태를분석하였다. 이때분석대상에포함된대상자는 100,515 명이었다. 주상병을중심으로보았을때상위질병군은정신분열증 16,831 명, 알콜사용에의한정신행동장애 10,729 명, 뇌경색 4,290 명, 치매 3,482 명, 당뇨 2,788 명순이었다. 그이외에도고혈압 2,092 명및뇌경색 4,290 명을포함한뇌내출혈, 기타뇌혈관계질환과관절증그리고골절이상위 1% 를차지하였다. 부상병명으로는고혈압이 5,434 명으로가장많았고당뇨 2,988 명, 마비성질환이 2,479 명으로많았고정신질환부상병명은오히려적었다. ( 부록5-2) 교차분석결과가장많은복합질환으로마비성증후군과뇌혈관질환을함께가지고있는경우가 2,744 명으로가장많았고고혈압과뇌혈관질환이 1,311 명으로차순위였다. 또한고혈압, 당뇨, 치매, 관절증은복합상병으로서로함께가지고있는경우가많은주복합질환들이었다. ( 표 4-) 112

118 표 4-25 : 31 일이상장기입원자의복합질병실태 당뇨 치매 뇌성마비및 마비성증후군 고혈압 고혈압 뇌경색 뇌출혈및기타뇌혈관질환 ,744 1,311 관절증등골절 치매 장기입원다빈도발생의료기관 의료기관별 31일이상장기입원발생건수는장기입원발생건수기준상위 100개기관에서발생하는장기입원건수가전체장기입원건수의 43.4%(2006년 ) 를차지하였으며, 2007년에는 34.1%, 2008년에는 30.3% 로그비중이지속적으로감소하였다 ( 표 4-37). 61일이상장기입원의경우에는상위 100개기관에서발생하는장기입원건수가 36.3%(2008년 ) 를차지하였으며 ( 표 4-38), 91일이상장기입원의경우에는 37.3% 로입원일수가증가할수록상위 100개의료기관에서발생하는장기입원발생건수가차지하는비중이다소증가하였다 ( 표 4-39). 특히다빈도장기입원발생상위 20개관을분석한결과서울지역의국립병원을제외하면모두도지역이었고정신병원과노인병원이주로속해있었다. 특히일경기지역의정신병원은 9024건으로전체장기입원건의 1.8% 를차지하였으며이들 20개기관이전체장기입원의약 15% 를차지하였다. 정신질환을제외한장기입원발생 20대의료기관은국립기관이 4개기관이며정신병원이여전히많이발생하였다. 이는정신질환자가역시타질환으로장기입원하는경우가많은것을의미하였다. 정신질환상병을제외한의료기관별 31일이상장기입원발생건수는장기입원발생건수기준상위 100개기관에서발생하는장기입원건수가전체장기입원건수의 35.5%(2006 년 ) 를차지하였으며, 2007년에는 30.4%, 2008년에는 26.6% 로그비중이지속적으로감소하였고, 정신질환을포함한경우에비해상위 100개의료기관이차지하는비중이감소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13

119 하였다 ( 표 4-40). 61 일이상장기입원에피소드의경우에는상위 100 개기관에서발생하 는장기입원건수가 33.4%(2008 년 ) 를차지하였으며 ( 표 4-41), 91 일이상장기입원의경 우에는 33.0% 였다 ( 표 4-42). 표 장기입원 ( 입원일수 31일이상 ) 발생건수기준상위요양기관 ( ) 순위 요양기관 지역 병상누적빈도 % 수 % 1 정신병원 경기 의료법인 병원 경남 병원 전북 정신병원 충북 병원 경북 의료법인 병원 경북 정신병원 경북 병원 경남 병원 경남 병원 경남 병원 전남 병원 서울 병원 경남 의료법인 병원 경북 의료법인 병원 경남 의료법인 병원 전남 의료법인 병원 경북 남평 병원 전남 병원 전남 병원 전남 표 장기입원 ( 입원일수 31일이상 ) 발생건수기준상위요양기관 ( ) ( 정신질환제외 ) 순위 요양기관 지역 병상수 빈도 % 누적 % 1 병원 경남 850 2, 정신병원 충북 , 의료법인 병원 경북 988 1, 병원 경북 681 1, 정신병원 경기 ,

120 6 병원 전남 517 1, 병원 전남 458 1, 병원 경북 660 1, 병원 경남 648 1, 정신병원 경북 522 1, 의료원 부산 500 1, 병원 전남 281 1, 병원 전남 418 1, 병원 경북 640 1, 병원 서울 547 1, 병원 경남 423 1, 특 히 17 의료원서울 500 1, 장 18 병원충남 695 1, 기 19 병원 전남 입 20 의료원 충북 원 다 빈도발생 100개의료기관중요양병원의수를분석한결과, 91일이상장기입원이발생한 기관이요양병원의수가많았으며 31일이상장기입원의경우 2008년에요양병원수가급 격히증가하였음을알수있었다. 표 4-29 장기입원다빈도발생 100 개의료기관분석 ( 정신질환자제외 ) 계 기관 입원자수 수 31일이상 8 1,543 (3.20%) 61일이상 12 1,321 (5.10%) 91일이상 28 1,973 (11.13%) 기입원관자수수 7 1,409 (2.69%) 11 1,310 (4.71%) 25 1,399 (7.39%) 기입원관자수수 22 5,885 (9.48%) 22 2,708 (8.68%) 30 1,777 (9.06%) 기입원관자수수 37 8,837 (5.43%) 45 5,339 (6.29%) 83 5,149 (9.15%)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15

121 5. 지역별장기입원실태 지역별로장기입원이용실태를파악하기위하여시도별, 시군구별그리고대도시, 시부, 근부의지역별로분석하였다. ( 부록 ) 1) 시도별장기입원실태시도별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거의유사한경향을나타내고있으며, 이결과는입원자수와입원횟수의순위에서도큰변이를나타내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와진료비의상위순위결과는입원자수및입원횟수의상위순위와다른양상을나타냈다. 또한 1인당입원일수와 1인당진료비의순위간에서로연관되지않는양상을보였다. 시도별전체수급권자수가많은상위 5개지역은 3년간변함없이경기, 서울, 전남, 부산, 경북이었다. 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를감안했을때경남지역은입원횟수가높은편이었으며특히,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에서 1위를나타내었다. 그러나진료비는 13위로낮아주로만성이나시설입소자가많을것으로추측되었다. 또한진료비로는울산, 제주가높았다. 2006년도의전체수급권자수의상위 5위시도는경기, 서울, 전남, 부산, 경북의순이었고,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경북과부산이바뀌었다. 전체입원자수와입원횟수상위 5 개지역은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순위가각각 7위, 6위인경남이상위 5 위를나타냈고, 부산이 6위로나타났다. 하지만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전체입원자수와횟수에서 5위였던경남이모두 1위를나타냈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경남, 경기, 부산, 경북, 서울, 입원횟수는경남, 경북, 경기, 부산, 서울의순으로상위 5위를나타냈다. 전체입원현황에서 5위안에포함되었던전남은입원자수, 입원횟수모두 6위로나타났다. 1인당입원일수는입원자수와입원횟수에서 1위였던경남이역시 1위였는데 1인당진료비에서는 12위를나타내고있다. 1인당입원일수의상위순위는경남, 울산, 부산, 경기, 경북의순이었고, 서울은 9위였다. 1인당진료비는인천, 부산, 울산, 대구, 충북의순으로나타났고, 경북은 16위였다. 입원자수와입원횟수가상위 5위에포함되지않았던울산이 1 인당입원일수와진료비에서각각 2위, 3위였는데, 이지역은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의수가가장적은지역이며, 전체및 31일장기입원의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모두 15위였다. 또한 1인당진료비 1위인인천은수급권자수, 입원자수, 입원횟수, 1인당입원일수의순위는 10~13위에해당하는지역이었다. 1인당진료비 4위인대구는 1종수급권자수가 9위였고, 다른지표들은모두 8위였다. 1인당진료비 5위인충북은전체수급권자수 13위, 1 종수급권자수 12위, 전체및 31일장기입원자수및횟수가 11위, 1인당진료비는 7위였다. 2007년도의전체수급권자수의상위 5위시도는경기, 서울, 부산, 전남, 경북의순이었고,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경북과전남이바뀌었다. 전체입원자수는경기, 서울, 전남, 경북, 부산, 입원횟수는경기, 전남, 서울, 경북, 경남의순으로입원자수 5위였던부산은입원횟수에서는 6위로밀리고입원자수 7위였던경남이 5위로나타났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경기, 서울, 부산, 경남, 경북이었고입원횟수는입원자수 4위, 5위인경남, 경북이 1위, 2위인경기, 서울과순위가바뀌었다. 1인당입원일수는경북, 경남, 울산, 경 116

122 기, 서울의순으로나타났으며, 부산은 9위였다. 1인당진료비는서울, 경기, 울산, 인천, 충남의순으로나타났고, 경북, 경남이 7위, 8위를나타냈다. 부산은 12위였다. 입원자수와입원횟수가상위 5위에포함되지않았던울산이 1인당입원일수와진료비에서 3위였는데, 이지역은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의수가가장적은지역이며, 전체및 31일장기입원의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모두 15위였다. 인천은수급권자수, 입원자수, 입원횟수, 1인당입원일수의순위가 11~13위에해당하는지역이다. 1인당진료비 5위인충남은전체수급권자수, 입원자수, 입원횟수의순위가 9위였으며, 1인당입원일수는 7위였다. 2008년도의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상위 5위시도는 2007년과같았다. 전체입원자수는경기, 서울, 전남, 부산, 전북, 입원횟수는전남, 경기, 서울, 경남, 전북의순으로입원자수 4위였던부산은입원횟수에서는 6위로, 입원자수 7위였던경남이 4위로나타났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경남, 경기, 부산, 서울, 경북이었고입원횟수는경남, 부산, 경북, 전남, 경기의순이었다. 1인당입원일수는경남, 울산, 대구, 부산, 경북의순이었고, 부산은 9위였다. 1인당진료비는서울, 경기, 울산, 인천, 충남의순이었고, 경북, 경남이 7위, 8위를나타냈다. 부산은 12위였다. 입원자수와입원횟수가상위 5위에포함되지않았던울산이 1인당입원일수와진료비에서각각 2위, 1위였는데, 이지역은전체수급권자수, 1종수급권자수, 전체입원자수가가장적은지역이며, 전체입원자의횟수및 31일장기입원의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모두 15위였다. 또한 31일이상자의 1인당진료비 5위인대구는 1인당진료비는 15위였고, 다른나머지지표는모두 8위였다. 1인당진료비 4위인제주는전체수급권자수, 1종수급권자수, 전체입원자수, 1인당입원일수는 15위, 전체입원횟수, 31일이상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 16위였다. 1인당진료비 5위인전북은전체수급권자수는 6위, 1인당입원일수는 8위, 나머지지표는모두 7위였다.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17

123 ( 표 4-30) 연도별시도별입원순위현황 2006 년 2007 년 순위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이상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이상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1인당 1인당 1인당 1인당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전체 1종입원진료전체 1종입원진료전체 1종자수횟수자수횟수자수횟수자수횟수일수비일수비 입 자 1 경기 경기 경기 전남 경남 경남 경남 인천 경기 경기 경기 경기 경기 경남 경북 서울 경기 경기 2 서울 서울 서울 경기 경기 경북 울산 부산 서울 서울 서울 전남 서울 경북 경남 경기 서울 서울 3 전남 전남 전남 서울 부산 경기 부산 울산 부산 부산 전남 서울 부산 부산 울산 울산 부산 부산 4 부산 경북 경북 경북 경북 부산 경기 대구 전남 경북 경북 경북 경남 경기 경기 인천 전남 경북 5 경북 부산 경남 경남 서울 서울 경북 충북 경북 전남 부산 경남 경북 서울 서울 충남 경북 전남 6 전북 경남 부산 부산 전남 전남 충남 전북 전북 경남 전북 부산 전남 전남 대구 대구 전북 경남 7 경남 전북 전북 전북 전북 전북 충북 서울 경남 전북 경남 전북 전북 전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8 대구 충남 대구 대구 대구 대구 대구 경기 대구 대구 대구 대구 대구 대구 충북 경남 대구 대구 9 충남 대구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서울 제주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충남 부산 충북 충남 충남 10 인천 강원 강원 강원 강원 강원 인천 충남 인천 인천 강원 강원 강원 강원 인천 대전 인천 인천 11 광주 인천 충북 충북 충북 충북 전남 전남 광주 강원 인천 광주 충북 광주 광주 전남 광주 강원 12 강원 충북 인천 광주 인천 광주 광주 경남 강원 충북 충북 충북 인천 충북 전남 부산 강원 충북 13 충북 광주 광주 인천 광주 인천 대전 강원 충북 광주 광주 인천 광주 인천 강원 제주 충북 광주 14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강원 광주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강원 대전 대전 15 제주 제주 울산 울산 울산 울산 전북 대전 제주 제주 울산 울산 울산 울산 전북 광주 제주 제주 16 울산 울산 제주 제주 제주 제주 제주 경북 울산 울산 제주 제주 제주 제주 제주 전북 울산 울산 자료출처 : * 의료급여통계, ** 연구결과 118

124 2 ) 시도별장기입원실태 ( 정신과질환제외 ) 정신과질환을제외한시도별입원순위현황을살펴보면 ( 부록 1-4,1-6,1-8), 전체수급권자수및 1종수급권자수의순위와입원자수및입원횟수에서의순위역시정신과질환을포함한결과와마찬가지로큰변이를나타내지않는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정신과질환을포함했을때와유사하게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와진료비의상위순위결과는입원자수및입원횟수의상위순위와다른양상을나타냈다. 또한 1인당입원일수와 1인당진료비의순위도서로연관되지않는양상을보였다. 수급권자수, 입원자수, 입원횟수의상위 5위에포함되지않는데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와진료비의상위 5위를나타낸지역은정신과질환을포함했을때의지역가운데울산, 인천, 대구, 제주등이있었고, 강원이포함되었다. 그러나역시정신질환을제외한입원이용에서도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입원자수, 입원횟수, 입원일수에서 1위를차지하였으며진료비는최하위였다. 2006년도의전체입원자수및입원횟수의상위 5개시도는경기, 전남, 서울, 전북, 경북과전남, 경기, 서울, 경남, 경북의순으로입원자수 4위였던전북은입원횟수에서는 6위, 입원자수 6위였던경남이 4위였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경남, 경북, 부산, 경기, 전남의순으로많게나타났고입원횟수는 4위와 5위의순위만바뀌었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의상위순위는경북, 대구, 경남, 부산, 울산의순으로나타났고, 경기는 5위, 서울은 12위였다. 1인당진료비는경기, 울산, 서울, 대구, 제주의순으로나타났고경남, 경북, 부산은 6위, 8위, 10위였다. 1인당입원일수및진료비상위순위에포함된울산은전체입원자수는 15위, 나머지지표들은모두 16위인지역이다. 대구는입원자수, 입원횟수가 8위이며, 제주는전체입원횟수의순위가 15위, 다른지표들은 16위이며, 1인당입원일수는 9위였다. 2007년도의전체입원자수는경기, 서울, 전남, 전북, 부산, 입원횟수는전남, 경기, 서울, 경남, 전북의순으로입원자수 5위였던부산은입원횟수에서는 7위, 입원자수 7위였던경남이 4위였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경남, 부산, 경기, 서울, 전남의순으로많게나타났고입원횟수는경남, 부산, 경북, 전남, 경기의순이었고서울은 6위였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의상위순위는경남, 울산, 대구, 경북, 경기의순으로나타났고, 부산, 서울, 전남은각각 7위, 9위, 10위였다. 1인당진료비는서울, 경기, 인천, 울산, 대구의순으로나타났고경북, 경남, 전남, 부산은 11~14위였다. 1인당입원일수및진료비가상위순위에포함된울산은전체입원자수는 16위, 나머지지표들은모두 15위인지역이다. 또한대구는입원자수, 입원횟수가 8위이며, 인천은전체입원자수는 11위, 전체입원횟수및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 13위였고, 1인당입원일수는 6위였다. 2008년도의전체입원자수는경기, 서울, 전남, 부산, 전북, 입원횟수는전남, 경기, 서울, 경남, 전북의순으로입원자수 4위였던부산은입원횟수에서는 6위, 입원자수 7위였던경남이 4위였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는경남, 결기, 부산, 서울, 경북이었고입원횟수는경남, 부산, 경북, 전남, 경기였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는경남, 울산, 대구, 부산, 경북의순으로나타났으며, 경기와서울은 9위, 10위였다. 1인당진료비는서울, 경기, 인천, 울산, 강원의순으로나타났고, 부산이 6위, 전남 9위, 경북, 경남이 15위,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19

125 16위를나타냈다. 1인당입원일수및진료비가상위순위에포함된울산은전체입원자수는 16위나머지지표는 16위였다. 대구는입원자수, 입원횟수가 8위이며, 1인당진료비는 13위였다. 인천은전체입원자수 12위이고전체입원회수및장기입원자및입원횟수, 1인당입원일수 13위였다. 1인당진료비 5위인강원도는전체수급권자수, 입원자수, 입원횟수의순위가 10~12위내에있으며, 1인당입원일수는 16위였다. 120

126 표 4-31 연도별시도별입원순위현황 ( 정신과질환제외 ) 2006 년 2007 년 순위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이상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이상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1인당 1인당 1인당 1인당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입원전체 1종입원진료전체 1종입원진료전체 1종자수횟수자수횟수자수횟수자수횟수일수비일수비 입 자 1 경기 경기 경기 전남 경남 경남 경북 경기 경기 경기 경기 전남 경남 경남 경남 서울 경기 경기 2 서울 서울 전남 경기 경북 경북 대구 울산 서울 서울 서울 경기 부산 부산 울산 경기 서울 서울 3 전남 전남 서울 서울 부산 부산 경남 서울 부산 부산 전남 서울 경기 경북 대구 인천 부산 부산 4 부산 경북 전북 경남 경기 전남 부산 대구 전남 경북 전북 경남 서울 전남 경북 울산 전남 경북 5 경북 부산 경북 경북 전남 경기 울산 제주 경북 전남 부산 전북 전남 경기 경기 대구 경북 전남 6 전북 경남 경남 전북 서울 서울 경기 경남 전북 경남 경북 경북 경북 서울 인천 대전 전북 경남 7 경남 전북 부산 부산 전북 전북 충남 강원 경남 전북 경남 부산 전북 전북 부산 충남 경남 전북 8 대구 충남 대구 대구 대구 대구 충북 경북 대구 대구 대구 대구 대구 대구 충남 충북 대구 대구 9 충남 대구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제주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충남 서울 제주 충남 충남 10 인천 강원 강원 강원 강원 충북 강원 부산 인천 인천 강원 강원 충북 광주 전남 강원 인천 인천 11 광주 인천 충북 충북 충북 강원 대전 충북 광주 강원 인천 광주 강원 충북 충북 경북 광주 강원 12 강원 충북 인천 인천 인천 광주 서울 인천 강원 충북 충북 충북 광주 강원 광주 경남 강원 충북 13 충북 광주 광주 광주 광주 인천 광주 대전 충북 광주 광주 인천 인천 인천 대전 전남 충북 광주 14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인천 광주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대전 전북 부산 대전 대전 15 제주 제주 제주 울산 울산 울산 전남 전남 제주 제주 제주 울산 울산 울산 제주 광주 제주 제주 16 울산 울산 울산 제주 제주 제주 전북 전북 울산 울산 울산 제주 제주 제주 강원 전북 울산 울산 자료출처 : * 의료급여통계, ** 연구결과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21

127 3) 시군구별장기입원실태시군구별장기입원자수를비교해보면 ( 부록 2-3,2-4), 시군구별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거의유사한경향을나타내고있다. 하지만시군구별수급권자수의순위가입원자수와입원횟수의순위와연관되어나타나지않았다. 전체수급권자수가많은상위 5개지역은 3년간변함없이광주북구, 대구달서구, 서울노원구, 서울강서구, 전북익산시였다. 상위 5개시군구의입원실태의경우, 매년각지표별로차지하는순위에서일정한경향이있는것을관찰할수있었다. 수급권자수가가장많은광주북구에서 1종수급권자의비율순위는 4위혹은 5위였다.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3위, 3위, 2위였으나, 31일장기입원자수와횟수는 2006년과 2007년에는 9~16위였다가 2008년에는각각 6위, 7위를나타냈다. 수급권자수가두번째로많은대구달서구의 1종수급권자수는 6위, 5위, 4위였다.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매년 1위였으며, 31일장기입원자수와횟수는 2~4위로모든지표에서 5위안에포함되었다. 수급권자수 3위인서울노원구의 1종수급권자수는매년 1위였다. 하지만전체입원자수는매년 9위였고, 입원횟수는 2006년 14위, 2007년과 2008년은 17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에서도 12위, 16위, 17위였고, 입원횟수는 2006년도에는 17 위, 2007년과 2008년에는 20위외인것으로나타났다. 서울강서구는 2006년수급권자수 4위였다가 2007년이후 5위이며, 1종수급권자수는 2위, 3위였다. 전체입원자수는 15 위, 15위, 13위, 입원횟수는 2006년과 2007년에각각 18위, 19위, 2008년에는 20위외인것으로나타났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와횟수는 3년모두 20위외인것으로나타났다. 이런경향은노원구와유사하였다. 전북익산은 2006년수급권자수가전국 5위였다가 2007년이후 4위이며 1종수급권자수는 3위, 2위, 2위였다. 전체입원자수는 2위, 2위, 3위였고, 입원횟수는 7위, 6위, 6위였다. 하지만 31일장기입원자수는 10위, 15위, 13위, 입원횟수는 18위, 20, 18위였다. 122

128 표 전체수급권자수상위 5 위지역의입원순위실태 시군구 연도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장기입원 ** 전체 1 종입원자수입원횟수입원자수입원횟수 광주북구달서구노원구강서구익산시 위외 위외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20 위외 전체수급권자수상위 5위안에포함되지않으면서입원자수및입원횟수가상위 5위안에포함되는지역은 2006년에는목포시, 정읍시, 마산시, 안동시, 김해시, 부산진구, 진주시, 2007년에는목포시, 전주시완산구, 마산시, 김해시, 부산진구, 사하구, 안동시, 2008년에는목포시, 김해시, 마산시, 부산진구, 해운대구였다. 2006년전체입원자수와입원횟수가각각 4위, 2위인목포시는수급권자수는 14위, 1 종수급권자순위는 20위밖이었다. 31일장기입원자수와횟수의순위는 15위, 14위였다. 전체입원자수가 5위인정읍시의입원횟수는 8위였고, 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 20위밖이었다. 또한 31일이상입원자수와횟수는 20위밖이었다. 전체입원횟수순위 3위인마산시의입원자수는 11위였고,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는 20위밖이며 1종수급권자수순위는 11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순위는 2위, 1 위였다. 입원횟수 4위인안동시는입원자수는 16위였고,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 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 20위밖이었다. 31일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순위는 8위, 2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 1위인진주시는입원횟수 5위였고,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10 위, 11위였다. 하지만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 20위밖이었다. 31일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 3위인김해시의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8위, 6위였다.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는 20위밖이며 1종수급권자수순위는 17위였다. 31일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23

129 장기입원자수 5 위인부산진구는입원횟수 6 위이며,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19 위, 17 위 였다.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 종수급권자수순위는 18 위, 14 위였다. 2007년전체입원자수, 입원횟수,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 5위에해당하는지역은 2006년도에해당되었던정읍시외에모두해당하며, 전주시완산구가전체입원자수 4위, 사하구가 31일장기입원자수 5위였다. 전주시완산구는전체입원자의입원횟수는 7위였고,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는 8위, 20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는 18위, 14위였다. 사하구는 31일장기입원자의횟수는 8위,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13위, 12위였다.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순위는모두 19위였다. 2008년전체입원자수, 입원횟수,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 5위에는 2007년도에해당되었던지역가운데전주시완산구와안동시가제외되었고해운대구가 31 일장기입원자수 5위에해당하였다. 해운대구는 31일장기입원자의횟수는 6위였고,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10위, 9위였다. 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순위는각각 19위, 17위였다. 124

130 표 4-33 연도별다빈도상위 20 개시군구별입원순위현황 2006 년 2007 년 순 위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전체 1 종입원자수입원횟수입원자수입원횟수전체 1 종입원자수입원횟수입원자수입원횟수전체 1 종 1 광주북구노원구달서구달서구진주시마산시광주북구노원구달서구달서구마산시마산시광주북구노원구 2 달서구강서구익산시목포시마산시안동시달서구익산시익산시목포시달서구달서구달서구익산시 3 노원구익산시광주북구마산시김해시김해시노원구강서구광주북구마산시김해시김해시노원구강서구 4 강서구광주북구목포시안동시달서구달서구익산시광주북구목포시김해시부산진구부산진구익산시달서구 5 익산시성남시정읍시광주북구부산진구진주시강서구달서구 전주시완산구 광주북구사하구안동시강서구광주북구 6 성남시달서구여수시김해시사하구부산진구성남시부평구김해시익산시진주시대구동구 7 군산시부평구 전주시완산구 8 안산시안산시김해시정읍시안동시해운대구 9 전주시완산구 10 제주시제주시진주시 익산시해운대구사하구안산시성남시여수시 전주시완산구 전주시완산구 전주시완산구 부평구 해운대구해운대구안산시안산시 안산시군산시여수시안동시사하구성남시성남시 은평구노원구여수시부산북구대구동구군산시부산북구노원구정읍시은평구광주북구부평구부산북구 전주시완산구 익산시광주북구부평구마산시마산시해운대구대구동구목포시수성구은평구 11 부평구마산시마산시진주시여수시부산북구수성구제주시해운대구안동시목포시대구북구군산시대구동구 12 수성구부산북구군산시해운대구노원구여수시제주시은평구정읍시사하구광주북구진주시제주시제주시 13 여수시군산시해운대구군산시대구동구대구북구목포시해운대구사하구군산시부산북구부산북구대구동구김해시 14 목포시부산진구사하구노원구대구북구목포시여수시군산시부평구대구동구군산시 전주시완산구 대구북구 부산진구 15 대구북구여수시강서구사하구목포시경주시대구북구부산진구강서구부평구익산시은평구목포시군산시 16 부산북구해운대구안동시순천시광주북구사천시부산북구김해시부산북구부산진구노원구강남구부산북구마산시 17 대구동구김해시부평구부산진구군산시노원구대구동구대구동구제주시노원구대구북구사상구여수시해운대구 18 부산진구대구동구부산북구강서구은평구익산시해운대구여수시대구동구부산북구 19 사하구사하구부산진구대구동구 전주시완산구 전주시완산구 20 해운대구수성구순천시해남군사상구군산시부산진구 자료출처 : * 의료급여통계, ** 연구결과 전주시완산구 경산시사하구사하구 사하구 사하구 진주시 강서구 강남구 수성구 해운대구전주시완 산구 전주시완산구 안동시 진주시 사상구 익산시 부산진구 대구북구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25

131 4) 시군구별장기입원실태 ( 정신과질환제외 ) 정신과질환을제외한입원실태에서도 ( 부록 2-2,2-4,2-6,2-8) 정신과질환을포함했을때보다는약하지만상위 5개시군구의경우매년각지표별로차지하는순위에서일정한경향이있는것을관찰할수있었다. 수급권자수가가장많은광주북구에서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연도별로 4위, 3위, 3위, 입원횟수는 8위, 5위, 3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는 2006년과 2007년에는 12위, 16위였다가 2008년에는 8위였고, 입원횟수는 2006년에 14위였다가 2007년 6위, 2008년 7위였다. 수급권자수가두번째로많은대구달서구의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2006년 4위, 8위였으며, 2007년은 3위, 5위, 2008에는모두 3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와횟수는 2006년 16위, 14위였으며, 2007년은 12위, 6위, 2008에는 8위, 7위였다. 수급권자수 3위인서울노원구의전체입원자수는 11위, 10위, 10위였고, 입원횟수는 15위, 17위, 16위였다. 하지만 31일장기입원자수는매년 20위외에해당하였다. 서울강서구의전체입원자수는 13위, 15위, 15위였고, 입원횟수는 16위 19위였다가 2008년에는 20위밖으로나타났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수와횟수는 3년모두 20위밖이었다. 전북익산의전체입원자수는 2006년 3위, 2007년 2위, 2008년 1위였고, 입원횟수도 4위, 3위, 2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는 12위, 10위, 10위, 입원횟수는 13위, 18위와 20위밖이었다. 126

132 표 전체수급권자수상위 5 위지역의입원실태 ( 정신과질환제외 ) 시군구 연도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장기입원 ** 전체 1 종입원자수입원횟수입원자수입원횟수 광주북구달서구노원구강서구익산시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위외 20 위외 20 위외 위외 전체수급권자수상위 5위안에포함되지않으면서입원자수및입원횟수가상위 5위안에포함되는지역은 2006년에는목포시, 정읍시, 마산시, 안동시, 김해시, 부산진구, 2007 년에는목포시, 여수시, 마산시, 김해시, 부산진구, 사하구, 안동시, 2008년에는목포시, 김해시, 마산시, 부산진구, 사하구, 안동시, 여수시였다. 2006년전체입원자수와횟수가각각 2위, 1위인목포시의 31일장기입원자수와횟수는 5위와 6위였다. 전체입원자수가 5위인정읍시의입원횟수는 3위였지만 31일이상입원자수는 18위, 횟수는 20위밖이었다. 전체입원횟수순위 5위인마산시의입원자수는 10위였고, 31일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모두 1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 4위인안동시의입원횟수는 2위였고, 전체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 12위, 9위였다. 31일장기입원자수 2위인김해시는입원횟수 3위였고,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9위, 6위였다. 하지만이지역의전체수급권자수와 1종수급권자수의순위는 20위밖이었다. 31일장기입원자수 6위인부산진구는입원횟수 5위이며, 전체입원자수와횟수는 20위밖이었다 년전체입원자수, 입원횟수, 31 일이상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 5 위안에해당 하는지역은 2006 년도에해당되었던정읍시외에모두해당하며, 여수시가전체입원자수 5 위, 사하구가 31 일장기입원자수 5 위에해당하였다. 여수시는전체입원횟수 6 위였고,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27

133 31 일장기입원자수는 13 위, 11 위였다. 사하구는 31 일장기입원자의횟수는 8 위였고, 전체 입원자수와횟수는 14 위, 13 위였다 년전체입원자수, 입원횟수, 31 일이상장기입원자수와입원횟수 5 위에해당하 는지역은 2007 년도에해당되었던지역이그대로포함되고있었다. 128

134 표 4-35 연도별시군구별입원순위현황 ( 정신과질환제외 ) 순 위 2006 년 2007 년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전체 * 31 일장기입원 * 수급권자수 * 전체 1 종입원자수입원횟수입원자수입원횟수전체 1 종입원자수입원횟수입원자수입원횟수전체 1 종 1 광주북구노원구달서구목포시마산시마산시광주북구노원구달서구목포시마산시마산시광주북구노원구 2 달서구강서구목포시달서구김해시안동시달서구익산시익산시달서구김해시김해시달서구익산시 3 노원구익산시익산시정읍시달서구김해시노원구강서구광주북구익산시달서구부산진구노원구강서구 4 강서구광주북구광주북구익산시안동시달서구익산시광주북구목포시김해시부산진구달서구익산시달서구 5 익산시성남시정읍시마산시목포시부산진구강서구달서구여수시광주북구사하구안동시강서구광주북구 6 성남시달서구여수시김해시부산진구목포시성남시부평구 7 군산시부평구 전주시완산구 8 안산시안산시군산시광주북구여수시사하구 9 전주시완산구 10 제주시제주시마산시 전주시완산구 여수시목포시광주북구 전주시완산구 여수시군산시여수시안산시성남시김해시마산시안동시목포시안산시안산시 전주시완산구 은평구김해시안동시사하구창원시군산시부산북구정읍시 전주시완산구 부평구 안산시군산시정읍시군산시사하구성남시성남시 전주시완산구 해운대구해운대구부평구부산북구 진주시대구동구부평구마산시노원구군산시익산시대구동구수성구은평구 11 부평구마산시노원구군산시대전동구순천시수성구제주시해운대구해운대구은평구여수시군산시대구동구 12 수성구부산북구안동시해남군익산시해운대구제주시은평구마산시해남군광주북구순천시제주시제주시 13 여수시군산시강서구순천시대구동구군산시목포시해운대구부평구사하구여수시대구북구대구동구김해시 14 목포시부산진구해운대구해운대구해운대구광주북구여수시군산시사하구안동시 15 대구북구여수시사하구노원구 전주시완산구 전주시완산구 전주시완산구 대구북구 부산진구 진주시대구북구부산진구강서구순천시진주시군산시목포시군산시 16 부산북구해운대구부평구강서구광주북구대전동구부산북구김해시제주시부평구대구동구나주시부산북구마산시 17 대구동구김해시순천시사하구부산북구대구북구대구동구대구동구부산북구노원구부산북구은평구여수시해운대구 18 부산진구대구동구진주시부평구정읍시익산시해운대구여수시순천시광산구대전동구광산구사하구사하구 19 사하구사하구대전동구진주시창원시부산북구사하구사하구안동시강서구순천시부산북구해운대구전주시완산구 20 해운대구수성구수성구대전동구순천시 전주시완산구 부산진구 전주시완산구 광산구부산북구정읍시사상구부산진구대구북구 자료출처 : * 의료급여통계, ** 연구결과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29

135 5) 거주지역별장기입원실태거주지별입원현황은 3년간모두대도시, 중소도시, 군의순으로입원자수와입원횟수가많은것으로나타났다. 3년간 1인당입원횟수가전체입원자는 1.97회, 2.04회, 2.16회, 31 일장기입원자는 1.76회, 1.80회, 1.86회로 31일이상장기입원에서 1인당입원횟수가적게나타났다. 거주지별 1인당입원횟수는매년전체입원자와 31일이상장기입원자에서군, 중소도시, 대도시순으로나타났다. 전체입원자수대비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비율은 33,8%, 29.6%, 29.1% 였다. 거주지별순위는 2006년에는중소도시, 대도시, 군, 2007년에는대도시, 군, 중소도시, 2008년에는대도시, 군, 중소도시로매년다르게나타났다. 31 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는매년대도시가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다 년중소도시거주자들의 1인당입원일수가다른지역에비해큰차이를보이며 1위였다가 2007년에는군거주자들과같은순위였고, 2008년에는군거주자가 1위가되었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진료비는군거주자가매년제일적은것으로나타났고, 2006년에는중소도시가 1위였다가 2007년, 2008년에는대도시가 1위였다. 2006년의대도시의 1 인당입원일수와잔료비의표준편차가다른거주지에비해큰것으로나타났다. 표 년거주지별입원현황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 구분 입원자수 (A) (%) 입원횟 수 (%) 1인당입원횟수 ( 건 ) 입원자수 (B) (%) 입원횟 수 (%) 장기입원비율 (B/A) (%) 1인당입원횟수 ( 건 ) 1인당입원일수 (SD) 1 인당 진료비 (SD) 대도시 111,541 (41.3) 212,336 (40.0) ,789 (41.4) 64,718 (40.4) (306) 12,130,303 (12,201,788) 중소도 시 97,915 (36.3) 193,410 (36.4) ,491 (36.7) 59,140 (36.9) (307) 12,158,285 (11,569,991) 군 60,563 (22.4) 125,147 (23.6) ,936 (21.9) 36,240 (22.6) (298) 11,798,850 (10,663,950) 계 270,019 (100.0) 530,893 (100.0) ,216 (100.0) 160, (305) 12,068,135 (11,649,099) 표 년거주지별입원현황 구분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 입원자수입원횟 1 인당입원자수입원횟장기입원비 1 인당 1 인당 1 인당 130

136 (A) (%) 수 (%) 입원횟 수 ( 건 ) (B) (%) 수 (%) 율 (B/A) (%) 입원횟 수 ( 건 ) 입원일수 (SD) 진료비 (SD) 대도시 124,359 (42.0) 247,345 (41.0) ,191 (42.4) 66,094 (42.0) (176) 10,235,796 (9,124,908) 중소도 시 107,309 (36.2) 218,302 (36.2) ,413 (35.8) 56,185 (35.7) (175) 10,076,587 (8,741,146) 군 64,703 (21.8) 137,940 (22.9) ,027 (21.7) 35,267 (22.4) (175) 9,832,536 (8,117,786) 계 296,371 (100.0) 603,587 87,631 (100.0) 2.04 (100.0) 157,546 (100.0) (175) 10,091,166 (8,778,237) 표 년거주지별입원현황 ( 정신과질환포함 )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 구분 입원자수 (A) (%) 입원횟 수 (%) 1인당입원횟수 ( 건 ) 입원자수 (B) (%) 입원횟 수 (%) 장기입원비율 (B/A) (%) 1인당입원횟수 ( 건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 진료비 (SD) 대도시 146,057 (42.2) 307,037 (41.2) ,832 (42.6) 78,259 (41.8) (106) 9,216,358 (7,809,969) 중소도 시 126,145 (36.5) 272,205 36,347 (36.5) 2.16 (36.2) 67,238 (35.9) (106) 9,013,607 (7,266,012) 군 73,531 (21.3) 166,599 (22.3) ,336 (21.2) 41,589 (22.2) (109) 8,953,288 (6,794,067) 계 345,733 (100.0) 745,841 (100.0) ,515 (100.0) 187,086 (100.0) (107) 9,087,201 (7,408,965)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31

137 표 4-39 연도별거주지별입원현황 연도 2006 년 2007 년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전체 구분 입원자수 (%) 입원횟수 (%) 입원자수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입원자수 (%) 입원횟수 (%) 입원자수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입원자수 (%) 입원횟 (% 대도시 111,541 (41.3) 212,336 (40.0) 37,789 (41.4) 64,718 (40.4) 306 (306) 12,130,303 (12,201,788) 124,359 (42.0) 247,345 (41.0) 37,191 (42.4) 66,094 (42.0) 213 (176) 10,235,796 (9,124,908) 146,057 (42.2) 307,0 (41. 중소도시 97,915 (36.3) 193,410 (36.4) 33,491 (36.7) 59,140 (36.9) 314 (307) 12,158,285 (11,569,991) 107,309 (36.2) 218,302 (36.2) 31,413 (35.8) 56,185 (35.7) 215 (175) 10,076,587 (8,741,146) 126,145 (36.5) 272,2 (36. 군 60,563 (22.4) 125,147 (23.6) 19,936 (21.9) 36, ) 307 (298) 11,798,850 (10,663,950) 64,703 (21.8) 137,940 (22.9) 19,027 (21.7) 35,267 (22.4) 215 (175) 9,832,536 (8,117,786) 73,531 (21.3) 166,5 (22. 계 270,019 (100.0) 530,893 (100.0) 91, (100.0) 160,098 (305) 12,068,135 (11,649,099) 296,371 (100.0) 603,587 (100.0) 87,631 (100.0) 157,546 (100.0) 214 (175) 10,091,166 (8,778,237) 345,733 (100.0) 745,8 (

138 6) 지역별장기입원실태 ( 정신과질환제외 ) 거주지별입원현황은 3년간모두대도시, 중소도시, 군의순으로입원자수와입원횟수가많은것으로나타났다. 3년간 1인당입원횟수가전체입원자는 1.84회, 1.89회, 1.99회, 31일장기입원자는 1.65회, 1.65회, 1.71회로 31 일이상장기입원에서 1인당입원횟수가적게나타났다. 또한정신과질환을포함한경우보다적은것으로나타났다. 거주지별 1인당입원횟수는전체입원자에서는매년군, 중소도시, 대도시순으로나타났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에서는 2006년에군, 중소도시, 대도시순이었고, 2007년과 2008년에는중소도시와대도시의순위가바뀌었다. 전체입원자수대비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비율은 21.9%, 20.7%, 20.9% 로정신과질환을포함한경우보다적게나타났다. 거주지별순위는 2006년에는중소도시, 군, 대도시로나타났고, 이는정신과질환을포함한경우와비교했을때대도시와군의순위가바뀌는양상을보였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입원일수는 2006년과 2007년에중소도시에서, 2008년에는군지역에서가장높게나타났다. 2007년에는대도시와군지역이, 2008년에는대도시와중소도시가같은수치를나타냈다.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 1인당진료비는매년대도시, 중소도시, 군의순으로나타났다.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33

139 표 년거주지별입원현황 ( 정신과질환제외 )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 구분 입원자수 (A)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횟수 ( 건 ) 입원자수 (B) (%) 입원횟수 (%) 장기입원비율 (B/A) (%) 1 인당 입원횟수 ( 건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대도시 90,071 (40.8) 159,590 (39.2) ,290 (40.0) 31,160 (39.0) (221) 11,538,507 (13,648,250) 중소도 시 80,194 (36.3) 148,524 (36.5) ,876 (37.1) 29,767 (37.3) (223) 11,042,046 (12,419,863) 군 50,490 (22.9) 98,747 (24.3) ,080 (23.0) 18,918 (23.7) (210) 10,367,080 (10,876,343) 계 220,755 (100.0) 406,861 (100.0) ,246 (100.0) 79,845 (100.0) (219) 11,085,534 (12,609,249) 표 년거주지별입원현황 ( 정신과질환제외 )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 구분 입원자수 (A)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횟수 ( 건 ) 입원자수 (B) (%) 입원횟수 (%) 장기입원비율 (B/A) (%) 1 인당 입원횟수 ( 건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대도시 105,193 (41.5) 192,539 (40.3) ,620 (41.3) 35,657 (41.4) (158) 11,417,595 (10,565,504) 중소도 시 92,015 (36.3) 173,487 (36.3) ,892 (36.1) 30,605 (35.5) (158) 10,854,336 (10,038,915) 군 56,050 (22.1) 111,376 (23.3) ,818 (22.6) 19,844 (23.0) (158) 10,176,729 (9,099,957) 계 253,258 (100.0) 477,402 (100.0) ,330 (100.0) 86,106 (100.0) (158) 10,934,017 (10,071,186) 134

140 표 년거주지별입원현황 ( 정신과질환제외 )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 구분 입원자수 (A)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횟수 ( 건 ) 입원자수 (B) (%) 입원횟수 (%) 장기입원비율 (B/A) (%) 1 인당 입원횟수 ( 건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대도시 124,693 (41.9) 240,986 (40.7) ,073 (42.0) 44,137 (41.7) (103) 10,810,231 (9,071,290) 중소도 시 108,910 (36.6) 217,942 (36.8) ,564 (36.3) 37,988 (35.9) (101) 10,208,656 (8,381,679) 군 63,744 (21.4) 133,578 (22.5) ,456 (21.7) 23,762 (22.4) (103) 9,853,347 (7,742,393) 계 297,347 (100.0) 592,506 (100.0) ,093 (100.0) 105,887 (100.0) (103) 10,384,261 (8,556,800)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35

141 표 4-43 연도별거주지별입원현황 ( 정신과질환제외 ) 연도 2006 년 2007 년 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전체 31 일이상장기입원전체 구분 입원자수 (%) 입원횟수 (%) 입원자수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입원자수 (%) 입원횟수 (%) 입원자수 (%) 입원횟수 (%) 1 인당 입원일수 (SD) 1 인당진료비 (SD) 입원자수 (%) 입원횟 (% 대도시 90,071 (40.8) 159,590 (39.2) 19,290 (40.0) 31,160 (39.0) 194 (221) 11,538,507 (13,648,250) 105,193 (41.5) 192,539 (40.3) 21,620 (41.3) 35,657 (41.4) 171 (158) 11,417,595 (10,565,504) 124,693 (41.9) 240,9 (40. 중소도시 80,194 (36.3) 148,524 (36.5) 17,876 (37.1) 29,767 (37.3) 201 (223) 11,042,046 (12,419,863) 92,015 (36.3) 173,487 (36.3) 18,892 (36.1) 30,605 (35.5) 172 (158) 10,854,336 (10,038,915) 108,910 (36.6) 217,9 (36. 군 50,490 (22.9) 98,747 (24.3) 11,080 (23.0) 18,918 (23.7) 193 (210) 10,367,080 (10,876,343) 56,050 (22.1) 111,376 (23.3) 11,818 (22.6) 19,844 (23.0) 171 (158) 10,176,729 (9,099,957) 63,744 (21.4) 133,5 (22. 계 220,755 (100.0) 406,861 (100.0) 48,246 (100.0) 79,845 (100.0) 196 (219) 11,085,534 (12,609,249) 253,258 (100.0) 477,402 (100.0) 52,330 (100.0) 86,106 (100.0) 172 (158) 10,934,017 (10,071,186) 297,347 (100.0) 592,5 (

142 6. 장기입원수급권자의거주지역과의료기관소재지 년 3개년간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거주지지역과장기입원이발생한의료기관의소재지를비교해보면, 수도권지역 ( 서울, 인천, 경기 ) 를제외하고는대부분해당권역내의료기관에서장기입원이발생한비율이 85.6%( 강원 )~94.1%( 광주, 전남, 전북 ) 로거주지시도를중심으로인접한시도에위치한의료기관에서장기입원이주로발생하였다 ( 표 4-24). 정신질환상병을제외한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거주지지역과장기입원이발생한의료기관의소재지를비교해보면, 정신질환을포함하였을경우에비해권역내의료기관을이용하는비율이다소증가하여 ( 예외적으로서울지역은다소감소 ) 정신질환의경우타권역내이용률이다른질환에비해다소높음을추정할수있다 ( 표 4-25). 표 입원일수 31 일이상장기입원자의거주지와장기입원의료기관소재지 수급권자거주지의료기관소재지 서울 강원 대전, 충남, 충북 인천, 경기 광주, 전남, 전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대구, 경북 결측전체 서울 강원 대전, 충남, 충북 인천, 경기 광주, 전남, 전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대구, 경북 전체 빈도 27, ,359 6,264 1, ,736 % 빈도 , ,104 % 빈도 2, ,209 4,438 1, ,895 % 빈도 13,614 1,055 2,649 52,953 2, ,955 79,011 % 빈도 1, ,147 1,233 92,115 1, ,855 % 빈도 , ,043 4, ,30 4 % 빈도 ,614 1, ,064 79, ,825 % 빈도 46,726 19,325 52,753 68,035 98, ,448 86,813 6, ,73 0 % 제 4 장의료급여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137

143 표 입원일수 31 일이상장기입원자의거주지와장기입원의료기관소재지 ( 정신질환상병제외 ) 의료기관소재지 수급권자거주지 서울 강원 대전, 충남, 충북 인천, 경기 광주, 전남, 전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대구, 경북 결측전체 서울 강원 대전, 충남, 충북 인천, 경기 광주, 전남, 전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 대구, 경북 전체 빈도 16, ,032 3,750 1, ,464 % 빈도 237 7, ,282 % 빈도 1, ,487 1, ,073 % 빈도 4, ,421 25,701 1, , ,058 % 빈도 , ,194 % 빈도 ,018 1, ,907 % 빈도 ,467 42, ,860 % 빈도 23,684 8,965 29,654 33,231 57,137 70,373 45,431 3, ,83 8 %

144 7. 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의장기입원실태 의료급여 1종입원경험자중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수는 2006년 6.3%, 2007년 7.0%, 2008년 7.1% 로증가하는추세에있다. 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중입원일수 3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수는 2006년 5,249명, 2007년 5,968명, 2008년 5,862명으로 1종전체 3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수의 7.0(2006년 )~8.4%(2007년) 를차지하였으며, 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의입원일수 61일및 91일이상장기입원경험자수는입원일수증가에따라감소하였으나, 1종수급권자의장기입원경험자수중에서차지하는비율은 31일이상의경우와유사하였다 ( 표 4-26). 표 연도별 1종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중장기입원자수 장기입원자수 년도 입원자수 31일이상 61일이상 91일이상 1종 시설 1종 시설 1종 시설 1종 시설 명 200,859 12,619 74,898 5,249 53,186 3,627 42,894 2, % 명 218,644 15,298 71,442 5,968 47,267 4,105 35,494 3,108 % 명 252,523 17,809 81,755 5,862 50,362 3,505 34,635 2,208 % 명 672,026 45, ,095 17, ,815 11, ,023 8,071 합계 % 종수급권자중사회복지시설수급권자 이들장기입원자가많은상위 50개사회복지시설을분석한결과 70% 가부랑인보호시설이거나정신요양시설로대상자관리가어려운기관이었다. 이와같은결과는이들이사회복지시설에입소해있으면서또다시장기입원을하여국가에이중경제적부담과함께장기입원자를위해서시설자리를확보하고있어야하므로필요로되는타수급권자가입소하지못하여장기입원을유도하게되는이중문제점을나타내었다. 따라서의료기관의장기입원뿐아니라사회복지시설에서의환자관리에대한접근이더욱필요로된다고하겠다. < 표 4-47> 시설종류별다빈도장기입원상위 50개소복지시설분석 시설종류 기관수 장기입원자수 (31일이상 ) 부랑인보호시설 명 정신요양시설 명 노인복지시설 명 장애인복지시설 2 69명 아동복지시설 1 16명 계 50 1,723명

145 제 5 장 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 조사방법및조사지역 병원의장기입원자특성을파악하기위하여전국 13 곳의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6 월 22 일부터 30 일까지로 의료급여관리사가해당기관을직접방문하여준비된설문지로면접조사를실시 하였다. 조사지역은장기입원자수가많은지역을중심으로대도시, 중소도시, 농 촌이모두포함되도록선정하였으며, 각시군구별로 30 명을조사했다. 다만, 광주 북구 24 명, 전북익산시는 31 명이었다. < 표 5-1> 조사대상지역분포 성별구분남자여자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경남김해시 경남마산시 경북안동시 광주북구 부산부산진구 부산사하구 조사지역 부산해운대구 전남고흥군 전남목포시 전남여수시 전남해남군 제주특별자치도 전북익산시 전체

146 2. 조사대상자의특성 1) 인구사회학적특성 총조사대상자는 385명이었으며, 성별로는남자 163명 (42.3%) 여자 222명 (57.7%) 로남자보다약간더많았다. 연령별로는 50세미만 18.4%, 50대 21.6%, 60대 14.5%, 70대 20.3%, 80세이상 25.2% 로비교적고른분포를보였다. 급여종류는 1종 90.9%, 2종 6% 로 1종이다수를차지했다. 학력은무학 42.9%, 초등 26.8% 로 70% 이상을차지하였으나중등 13.8%, 고등 12.2%, 대학이상 3.6% 도있었다. 배우자는 19.2% 가있었으며, 자녀는 61.6% 가있었다. 입원기간은 1년미만 52.7%, 1-2년미만 25.2%, 2년이상 22.1% 였다. < 표 5-2 > 조사대상자특성 구 분 빈도 % 성별 남자 여자 연령 50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급여종류 1종 종 무응답 학력 무학 초등 중등 고등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41

147 대학이상 무응답 배우자 있음 없음 무응답 자녀 있음 없음 무응답 입원기간 1년미만 년이상-2 년미만 년이상 ) 건강및입원관련특성 (1) 일상활동정도조사대상자의일상활동정도는 종일누워있어야함 23%, 일상활동을할수없음 28.7% 로활동장애가있는경우가 51.7% 였다. 활동장애의경우남자보다여자가더많았으며, 나이가많을수록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의료급여 1종은활동장애가 52.5% 로많았다. 한편, 일상생활을하는데지장이없음 은 16.2% 로남자가여자보다많았으며, 1종이 18.8% 로 2종 9.1% 보다많았다. 일상활동정도는성별, 연령별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입원기간별로일상활동정도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는데, 입원기간이짧을수록활동에지장이많은것으로나타났다. 의료기관별로일상활동정도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는데, 일상활동이가능한수급권자는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등의순서로많았다. 142

148 < 표 5-3> 일상활동정도 현재일상활동정도 구 분 종일누워있어야함 일상활동을할수없음 일상활동을하는데다소지장이있음 일상활동을하는데지장이없음 전체 χ 2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 80 세이상 전체 급여 1종 종류 2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 년 -2 년미만 년이상 * 전체 종합병원 병원 ***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43

149 요양병원 전체 *p<.05, **p<.01, ***p<.001 (2) 외래치료이용가능성입원의필요성과관련하여 입원하지않고외래를이용하여치료받을수있었는지 를질문하였는데 16.4% 가입원하지않아도되었다고응답하였다. 성별로는남자가 21.9% 로여자 12.3% 보다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이하가많았다. 또한, 1종이 16.5% 로 2종 8.7% 보다많았다. 입원기간별로는기간이길어질수록입원하지않았다고응답하는비율이높았으며, 의료기관별로는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등으로높았다. < 표 5-4 > 외래치료이용가능성 구 분 외래를이용하여치료받을수있었는지여부전체입원해야했음외래를이용할수있었음빈도 % 빈도 % 빈도 % χ 2 성별남자 여자 *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 80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150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년 -2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p<.05, **p<.01, ***p< * ** (3) 병원선택 현재입원한병원을선택한사람은가족 54.3%, 본인 27.5%, 이웃 / 친구 6.5% 였다. 1종의경우 2종과달리이웃 / 친구의권유가 7.1% 로높게나타났다. 입원기간별로는큰차이가없었으며, 의료기관별로는본인의경우종합병원이높았고이웃 / 친구는병원에서높았다.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45

151 < 표 5-5 > 병원선택 구 분 현재입원한병원을선택한사람 본인가족이웃 / 친구기타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χ 입원기간 1 년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p<.05, **p<.01, ***p<

152 (4) 병원선택이유 병원을선택한주된이유는 특별한이유없음, 다니던병원이어서, 주위에서좋 다는이야기를들어서, 가까워서, 의료진을신뢰할수있어서, 시청 / 구청의소개 로 등의순서로나타났다. 전체적으로병원선택이유가고르게분포되었다. < 표 5-6 > 병원선택이유 ( 복수응답 ) 병원을선택한주된이유 구분 특별한이유없음 다니던병원이어서 주위에서좋다는이야기를들어서 가까워서 의료진을신뢰할수있어서 시청 / 구청의소개로 기타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셩별 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 년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47

153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5) 입원후건강상태입원전과비교하여입원후건강상태는 조금좋아졌음 39.6%, 그저그럼 30.2%, 크게좋아졌음 18.8%, 좋아지지않았음 9.4%, 더악화됨 2.1% 로큰변화는없는것으로나타났다. 급여종류는 1종보다 2종에서건강상태가더호전된것으로나타났으며, 의료기관은병원의호전정도가가장좋았고종합병원은가장낮게나타났다. < 표 5-7 > 건강상태변화 구 분 크게좋아졌음 병원입원전과비교하여건강상태변화 조금좋아졌음 그저그럼좋아지지않았음 더악화됨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년이상-2 년 χ **

154 미만 2 년이상 전체 기관형태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 (6) 서비스만족도병원서비스에대해서 만족 60.4%, 보통 35.4%, 불만족 4.2% 였다. 남자 (59.5%) 보다여자 (61.1%) 의만족도가높았으며, 연령별로 50대의만족도가가장높았다. 1종과 2종간의만족도차이는없었다. 또한입원기간이나의료기관에따라만족도는통계쩍으로유의한차이는없었다. < 표 5-8 > 서비스만족도 구 분 병원서비스만족도 만족 보통 불만족 전체 χ 2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49

155 전체 입원기간 1 년미만 년이상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기관형태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7) 진료신뢰도전체적으로병원의진료에대한신뢰도는 신뢰 62.3%, 보통 35.1%, 신뢰않음 2.6% 였다. 남자 (60.7%) 보다여자 (63.5%) 의신뢰도가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의신뢰도가가장높았다. 급여종류는 1종 (61.7%) 보다는 2종 (69.6%) 의신뢰도가높았다. 입원기간별로는 2년이상에서 신뢰 와 신뢰않음 이모두높았다. 의료기관별로는종합병원이가장신뢰도가낮았다. < 표 5-9> 진료신뢰도 구 분 전체적으로병원의진료를신뢰하는정도신뢰보통신뢰않음 전체 χ 2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 세 세이상

156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 년이상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기관형태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 퇴원관련특성 (1) 퇴원의향지금퇴원할의향은 없음 78.2%, 있음 21.8% 였다. 퇴원할의향이있다는응답은남자가여자보다 2배더많았으며, 노령층보다는나이가젊을수록퇴원의향이많았다. 한편, 1종보다는 2종이더퇴원의향이많았다. 입원기간별로는 2년이상에서퇴원의향이많았으며, 의료기관은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등의순으로퇴원의향이많았다.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51

157 구 분 없음 지금퇴원하실의향 있음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χ ** * ** *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입원기간 1 년미만 년이상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기관형태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전체 *p<.05, **p<.01, ***p<.001 < 표 5-10> 퇴원의향 *** 152

158 (2) 시설이나서비스가지원될경우퇴원의향 시설이나서비스가지원될경우퇴원의향이가장높은것은 간병인지원 이었다. 그다음으로 입소시설, 교통서비스, 낮병원 이었다. < 표 5-11> 시설이나서비스가지원될경우퇴원의사 퇴원여부 시설및서비스 예 아니오 1 입소시설 18.5% 81.5% 2 낮병원 4.9% 95.1% 3 돌보미등간병인지원 20.2% 79.8% 4 교통서비스 9.5% 90.5% 1 입소시설입소시설이있을경우퇴원할의향은남자 (17.4%) 보다여자 (19.3%) 가많았으며, 나이가젊을수록많았다. 급여종류는 1종 (19.3%) 이 2종 (5.6%) 보다훨씬많았다. 입원기간은 1-2년미만 (22.9%) 이가장많았으며, 의료기관은요양병원 (23.3%) 이가장많았다. < 표 5-12> 입소시설이있을경우퇴원여부 구 분 입소시설이있을경우퇴원여부 예 아니오 전체 χ 2 빈도 % 빈도 % 빈도 % 성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53

159 70-79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종 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 년이상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p<.05, **p<.01, ***p< 낮병원낮병원이있을경우퇴원할의향은여자 (4.5%) 보다남자 (5.3%) 가많았으며, 나이가젊을수록많았다. 급여종류는 1종 (4.5%) 보다 2종 (11.1%) 이많았다. 입원기간은 2년이상 (8.6%) 이가장많았으며, 의료기관은병원 (10.4%) 이가장많았다. < 표 5-13 > 낮병원이있는경우퇴원여부 구 분 낮병원이있을경우퇴원여부 예 아니오 전체 χ 2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160 여자 전체 연령 50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년이상-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 3 간병인간병인지원이있을경우퇴원할의향은남자 (19.7%) 보다여자 (20.6%) 가많았으며, 연령별로는 60대및 70대가다른연령층과비교하여적었다. 의료급여는 2종 (25%) 이 1종 (19.6%) 보다많았다. 입원기간은 2년이상 (29.0%) 이가장많았으며, 의료기관은병원 (28.8%) 이가장많았다. < 표 5-14> 간병인지원이있는경우퇴원여부 구 분 간병인지원이있을경우퇴원여부 예 아니오 전체 χ 2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55

161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년 입원기간 이상-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교통서비스교통서비스가지원될경우퇴원할의향은남자 (11.5%) 가여자 (7.8%) 보다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세미만에서높았다. 급여종류는 2종 (15.8%) 이 1종 (9.1%) 보다많았다. 입원기간은 1년미만 (9.8%) 이가장많았으며, 의료기관은병원 (16.9%) 이가장많았다. < 표 5-15> 교통서비스가지원될경우퇴원여부 구 분 교통서비스가지원될경우퇴원여부 예 아니오 전체 χ 2 156

162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년미만 입원기간 1년이상-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 (3) 퇴원후돌봐줄사람 퇴원후에돌봐줄사람이없는경우가 79% 였다. 여자 (87.8%) 가남자 (66.9%) 보다많았으며, 나이가많을수록많았다. 급여종류는 1종 (80%) 이 2종 (65.2%) 보다많았다. 입원기간은 2년이상 (22.4%) 이가장많았으며, 의료기관은종합병원 (39.3%) 이가장많았다.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57

163 < 표 5-16> 돌봐줄사람유무 구 분 퇴원하면돌봐줄사람유무있음없음 전체 χ 2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 80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입원기간 1년미만 년이상-2 년미만 년이상 전체 종합병원 기관형태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 , *** (4) 퇴원후머물곳유무병원퇴원후에 56.4% 가머물곳이없는것으로나타났다. 남자 (52.8%) 보다여자 (59%) 가많았으며, 나이가많을수록머룰곳없는경우가많았다. 급여종류는 1종 (58%) 이 2종 (43.5%) 보다많았다. 입원기간은 1년미만 (53.0%) 이머물곳이가장많았으며, 의료기관은종합병원 (61.7%) 에서머물곳이많게나타났다. 158

164 < 표 5-17> 퇴원후머물곳유무 구 분 퇴원하면편하게머물곳유무 있음 없음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입원기간 1 년미만 년이상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기관형태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전체 * p<.05, ** p<.01, *** p<.001 (5) 자택치료의향 입원비의일부를본인이나가족에게지원해줄경우자택에서치료받을의향에대해서 있음 26.7%, 없음 47.4% 였다. 자택치료에대한의사는남자 (34.2%) 가여자 (21.3%) 보 다높았으며, 50 세미만에서높게나타났다. 급여종류별로는큰차이가없었다. 입원 기간별로는 2 년이상 (32.5%) 에서자택치료의향이높았으며, 의료기관별로는병 원 (47.,1%) 에서자택치료의향이높게나타났다. χ *** ***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59

165 < 표 5-18> 입원비지원시자택치료의향 구 분 입원비의일부를본인이나가족에게지원해준다면자택에서치료받을의향유무 있음없음모르겠음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성별남자 여자 전체 연령 50 세미만 세 세 세 세이상 전체 급여종류 1 종 종 전체 χ *** *** 입원기간 1 년미만 년이상 -2 년미만 년이상 전체 기관형태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 전체 * p<.05, ** p<.01, *** p<.001 4) 장기입원자의퇴원가능성 현재 31 일이상입원중인대상자를직접방문, 면접한결과를분석한자료를종 160

166 합해보면이들의 16-26% 가퇴원할수있는의향을적극적으로나타내고있으 며또한이들은퇴원가능여건도갖추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이들은연령 군도 60세미만자가많았고 1년또는 2년이상입원자들에서도긍정적인퇴원의 향을나타내는대상자가많았다. 이를종합해볼때현재장기간입원해있는대상자들중 20% 정도는이미그여 건과의향을가지고있으므로이들을우선대상자로퇴원을유도할수있는전략 이필요로된다하겠다. < 표 5-19 장기입원자의퇴원가능성 (%) 전체 1-2년 2년이상입원자입원자 외래이용가능성 현재퇴원의향있음 일부비용지원시 퇴원의향 자택치료의향 있음 입소시설가능시 18.5 퇴원의향있음 간병인지원가 능시 퇴원의향 있음 일상생활지장없음 퇴원가능여건 퇴원후돌봐줄사람필요 퇴원후머물곳필요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61

167 3. 시설운영실태 1) 조사기관및조사방법장기입원수급자들의연계가능성을위하여지역사회사회복지시설운영실태를파악하였다. 장기입원수급권자가많은시군구중대도시, 중소도시, 군지역을고루포함하도록하여전국 13 시군구의시설 39곳을대상으로실태조사를실시하였다. 시설종류는주로장기입원수급권자가관련되는 4개복지시설종류를중심으로부랑인시설 8곳, 노인시설 12곳, 장애인시설 10곳, 정신시설 9곳이었다. 의료급여관리사가이들시설의행정담당자의도움을받아서현재운영실태를파악하였다. < 표 5-20 > 시설종류별설립형태 구 분 설립형태 국립사립재단기타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부랑인시설 시설종류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정신시설 전체 χ 2 =8.06, df=9 * p<.05, ** p<.01, *** p<.001 2) 시설관련특성조사대상시설의정원, 대기입원, 현재입소자수, 수급권자수등의특성은아래표와같다. 시설의정원은 100인미만이 19개소, 100인이상이 20개소로규모가균등하게분포되었으며현입소자수는 100인미만 25개소로 명미만정원의시설에서정원이채워지지않고있었다. 반면대기인원이있는기관도많아대기인원이 5인미만 30곳, 5-10인 2곳, 10-20인 4곳, 20인이상 3곳이었다. 입소자중수급권자수는 50인미만 13곳, 인 11곳,

168 인 10 곳, 200 인이상 5 곳이었다. < 표 5-21> 시설관련특성 시설정원대기인원현입소자수수급권자수 부랑인시설노인시설장애인 시설 정신시설 전체 계 인미만 인미만 인미만 인이상 계 인미만 인미만 인미만 인이상 계 인미만 인미만 인미만 인이상 계 인미만 인미만 인미만 인이상 ) 병상을비워두는여부 입소자가입원할경우에병상을비워두는시설들은 68.4% 였다. 시설종류별로는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63

169 노인시설 91.7%, 정신시설 87.5%, 부랑인시설 50%, 장애인시설 40% 였다. < 표 5-22 > 입소자입원할경우병상을비워두는여부 입소자가병원에입원한경우병상을비워두는여부구분비워두지않음비워둠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부랑인시설 노인시설 시설종류장애인시설 정신시설 전체 χ 2 =9.344*, df=3 * p<.05, ** p<.01, *** p<.001 4) 재입소가능여부 시설에있다가병원에입원한경우퇴원시재입소의가능성에대해서 97.4% 는 가능하다고응답했다. 장애인시설 1 곳만어렵다고응답했다. 구 분 병원에입원한입소자가퇴원시바로시설에다시돌아올수있는지여부 있음 없음 전체 빈도 % 빈도 % 빈도 % 시설종류부랑인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정신시설 전체 x2=2.976, df=3 * p<.05, ** p<.01, *** p<.001 < 표 5-23> 병원에입원한입소자퇴원시시설재입소가능여부 164

170 5) 운영프로그램 시설에서는취미 / 교양 (39개소) 프로그램은전체시설에서다운영하고있으며신체재활 (35개소), 사회재활 (33개소) 은대부분의시설에서그러나정신재활 (24개소), 능력증강 (24개소), 낮병동 (1개소) 을운영하는곳은 1개소였다. 그러나전체적으로운영프로그램은많지않았다. < 표 5-24> 시설종류별운영프로그램 ( 복수응답 ) 취미 / 교양 신체재활 정신재활 사회재활 능력증강 낮병동 기타 전체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부랑인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정신시설 합계 각시설별프로그램운영실태는다음과같다. 취미 교양등일반프로그램이외에부랑인시설에서는사회재활, 능력증강, 신체재활프로그램을많이운영하고있었으며, 노인시설에서는취미 / 교양과신체재활등 2개프로그램을가장많이운영하고있었다. 장애인시설은사회와신체재활을운영하고있었으며, 정신시설은정신재활, 사회재활과함께능력증강프로그램을많이운영하고있었다 ( 그림5-1,2 참고 ) [ 그림 5-1] 시설종류별시설수대비운영프로그램의수 부랑인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정신시설 취미 / 교양 신체재활 정신재활 사회재활 2 제 5 장장기입원자의실태조사 165

171 제 6 장 정책제언 1. 요약및결론 장기입원자에대한실태파악을위하여공단및심평원의 3 개년입원진료이용 자료분석과이분석을통하여나타난다빈도지역을중심으로현재장기입원중 인수급권자를직접면접한결과다음과같은결론을얻었다. 1) 입원진료이용량 - 연간입원자수와입원횟수및입원진료비는계속증가하고있는추세를보였다. 그러나입원일수는오히려감소하는경향을보이고있었다. - 수급권자의약 60% 정도가일회입원을하며또한 60% 정도가 30일이하의입원일수를보이고있음을감안할때전반적인입원진료의문제는극단이용대상자의영향이큼을알수있었다. - 31일이상의장기입원자료를분석해보았을때도입원자수와입원횟수는증가하였으나오히려입원일수와입원비용은계속감소추세에있었다. - 특히 91일이상의장기입원의경우는오히려모든입원의료이용량에서감소를보이고있어바람직한경향을나타내었다 년도현재장기입원이전체입원에대해차지하는비율은입원자수의 29.1%, 입원횟수의 25.1%, 입원일수의 81.5%, 진료비의 65.1% 를나타내어 31일이상의장기입원자관리의중요함을나타내었다. - 그러나극단과다일수자는계속감소하고오히려 31일, 61일, 91일수준의장기일수가증가하며특히정신질환상병을제외하였을때극한장기입원자가많이감소함을나타내었다. - 또한정신질환상병을제외하였을때모든입원이용량에많은감소를나타내정신질환에의한관리가필수적임을시사하였으며단기적으로극단장기이용자를관리함과동시에 30일이내의통상입원에서도장기적으로는입원적정성관리가 166

172 필요함을나타내었다. 2) 성별 종별 년령에따른위험군 - 성별 종별연령군을중심으로고위험군을보았을때장기입원에는남성이더많고 1종이 2종보다월등히많으며년령군도 40대, 50대가오히려입원진료이용량이많은그룹으로나타나비교적낮은연령군이많았다. - 특히정신질환상병을제외한경우진료비는오히려 10세미만과 20대에서높은경향을보였다. - 이는전체입원에는정신질환을제외하고도 50대, 40대순으로진료비가가장높았으나 31일, 61일, 91일이상의장기입원에는연령군이낮은것이대조적이었다. 따라서장기입원에는오히려젊은연령군과함께 40-50대의장년층의접근이필요함을시사하였다. 3) 질병 - 장기입원이일어나는질환은정신질환이으뜸이며뇌졸중, 당뇨, 고혈압, 골절관절증, 간질환, 폐렴순으로나타났다. - 특히골절과폐렴은점점상위순으로되고있음을나타내었고 91일이상의장기입원일수록정신질환을제외하면뇌졸중, 뇌혈관후유증, 고혈압, 뇌출혈등고혈압관련뇌혈관계질환이많았다. - 특히입원일수가극단적으로많은수급자의경우복합상병으로청구되는경우가많았음이나타났다. 가장많은복합상병으로 고혈압과당뇨, 뇌혈관질환과마비성질환, 뇌혈관질환과고혈압또는당뇨그리고 만성폐쇄성질환, 폐렴, 천식등여러폐질환의복합질환문제가많았다. 특히장기입원군에서는 고혈압과뇌혈관질환또는마비성질환, 그리고 고혈압과당뇨, 또는치매와복합된경우가많았고 관절염및골절과함께당뇨또는고혈압과복합된경우가많았다. 특히 정신질환자가당뇨또는고혈압을복합으로가지고있는경우도많았다. - 따라서복합상병에따른구체적관리전략개발및관리지침개발과함께관리사에게대상자상태에대한종합적사정및판단이가능하도록전문적훈련이더욱필요로된다하겠다. - 또한정신질환은장기입원및다빈도입원에가장큰영향을주는요인이며또한타동반질환으로인한입원이용량이상승작용을일으켜더많은극단이용으로연계되므로정신질환에대한특별관리가필요로된다. 제 6 장정책제언 167

173 4) 의료기관 - 장기입원발생건수가많은의료기관은대부분도지역의병상수가많은병원급의의료기관인것으로나타났다. 특히정신질환을제외한경우에도정신병원들이상위에속해있어정신질환자들이타복합질환으로장기입원하는경우가많은것으로나타났다. - 또한국립병원들이상위에포함되고있었으며상위 100개기관을분석한결과정신질환을제외한상병으로장기입원이일어나는의료기관중요양병원이 22% 였고이는점점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었다. 특히이러한경향은 91일이상의장기입원자에서는 30% 로더높아의료기관중요양병원에장기입원의문제가많음을나타내었다. 5) 사회복지시설입소자중입원자 - 사회복지시설총입소자는전체입원자의 6.8% 이고시설입소수급자가전체장기입원자의 7.5% 임을나타내고있었다. - 이들장기입원자가많은상위 50개사회복지시설을분석한결과 70% 가부랑인보호시설이거나정신요양시설로대상자관리가어려운기관이었다. - 이와같은결과는이들이사회복지시설에입소해있으면서또다시장기입원을하여국가에이중경제적부담과함께장기입원자를위해서시설자리를확보하고있어야하므로필요로되는타수급권자가입소하지못하여장기입원을유도하게되는이중문제점을나타내었다. - 따라서의료기관의장기입원뿐아니라사회복지시설에서의환자관리에대한접근이더욱필요로된다고하겠다. 6) 지역 - 대부분장기입원이높은지역은대개연도에변화없이일정하였으며이들의대부분은수급권자수특히 1종수급권자수가많은지역과일치하였다. - 그러나서울지역과경북지역그리고인천지역은수급권자수를감안했을때장기입원자수의순위가떨어지고있는반면경남지역은오히려순위가높아지는문제가드러났다. - 경남지역은병상수분포를검토해볼때전국에서요양병원병상수와정신질환등특수병원병상수가경기다음으로가장많아병상수의영향으로추측되었다. - 특히시 군 구의경우는 243개지역중상위 62-68개지역이전체장기입원발생의 50% 를차지하고있었으며중소도시가대부분이었다. 168

174 - 장기입원자수가가장많은지역으로 3년간마산시, 김해시, 목포시, 안동시, 부산진구가 5위를계속차지하고있었다. - 시부, 군부지역으로나누어보았을때전반적인입원자수의입원회수그리고 31일이상장기입원자의입원자수와입원회수는대도시, 시부, 군부순이었으나인당입원일수와인당진료비는지역간차이가거의없었으며오히려군부에서입원일수는높았다. 7) 장기입원수급자들의퇴원가능성현재각종의료기관에입원해있는장기입원자 385명을직접면접한결과이들의 16-26% 가퇴원할수있는의향을적극적으로나타내고있으며또한이들은퇴원가능여건도갖추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이들은연령군도 60세미만자가많았고 1년또는 2년이상입원자들에서도긍정적인퇴원의향을나타내는대상자가많았다. 이를종합해볼때현재장기간입원해있는대상자들중 20% 정도는이미그여건과의향을가지고있으므로이들을우선대상자로퇴원을유도할수있는전략이필요로된다하겠다. 특히이들과같은지역에있는사회복지시설의현황을보았을때빈침상이있는시설과대기자가 20명이상기다리고있는시설이혼재하고있어장기입원자의관리를위해서는이들기관들의입소가능성에대한정보를정확하게실시간파악하여필요로되는대상자에게바로연계될수있는체계가필수적이다. 위의우리나라입원이용자들의실태분석과대상자면담의연구결과이들을위한 관리방안에대해다음과같이결론내릴수있다. 1) 정신질환자관리는적극적이며포괄적으로관리되어야한다. 전반적입원의료이용뿐아니라극단적으로많은장기입원이용을일으키는영향요인은정신질환유무였다. 또한이들은정신질환상병으로인한비용이외에도타질환으로인한입원이용, 그리고요양시설의이용을점유하고있었다. 정신질환자는특히더욱전문적이며질적접근이필요로되며정신보건센터에서이들을중심으로관리하고있으므로의료급여사례관리에서는이들에대한간단한사정을통해증상중증정도를확인, 분류하고이에따라필요로되는적합한프로그램이나의료기관에연계하는 Triage 역할중심으로중재함이필요하다. 제 6 장정책제언 169

175 이들을위한구체적정책방안은 2 장에서다루었다. 2) 장기입원으로인한비용증가는극단이용자에의한영향이많다고하나차츰감소추세에있고또이들의대부분이정신질환과중복되는질환으로인한영향이많을가능성이크므로극단자관리와함께 1-3개월의환자들을접근함이필요하다. 또한대부분의입원자들이 30일이내에퇴원하므로 30일이내입원자중에서도환자상태대비적정시기에퇴원할수있도록상태별퇴원적정성심사기준을장기적으로준비함이필요하다. 3) 외래고위험군과는대조적으로남자이며 40-50대의중년층그리고 20대의청장년층이가장많은입원의료이용을하는고위험군이므로이들년령집단군별로좀더구체적인영향요인을분석히여그결과에따라질병별, 영향요인별로접근함이필요하다. 4) 장기입원자는질병군에따라또장기입원기간에따라구체적인가이드라인이개발되어야하며질병군은다음의 4가지분류로나눌수있다. - 정신질환을위한특별관리 - 고혈압과뇌혈관계질환을중심으로한만성질환관리 - 골절과폐렴등급성질환관리 - 가장많은복합상병군즉뇌혈관질환과고혈압, 마비성질환과고혈압, 당뇨, 그리고급만성호흡기질환과골절, 특히정신질환과고혈압, 당뇨의복합질환은이들을중심으로한구체적인근거중심의전략개발이필요로된다. 5) 중소지역의병상수가많고국립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이대부분다빈도의료 기관이므로이들기관별장기입원자실태를파악하여접근하는기관별접근전략이 필요하다. 6) 사회복지시설관리장기입원자의 7.5% 가시설입소수급자로특히부랑인시설, 정신요양시설입소자들로서알콜성문제가주문제이며이들시설수급권자들의장기입원을사전예방할수있또록복지시설관리가필요하다. 구체적인시설관리전략은 2장에서다루었다. 170

176 7) 장기입원자관리는전체적으로관리사당목표량을일정하게갖고접근하는일반적사례관리접근대신각시군구별로장기입원자수와의료기관수, 사회복지시설수에따른지역적특성에따라시군구별로계획과목표량을정하고이를기반으로관리자수배치및사례관리접근방향을기획하는지역특성별접근이중요하다. 또한각목표에따른성과를정기적으로모니터링하는지도감독체계가필요하다. 2. 장기입원자관리기본원칙및접근모델 1. 기본원칙 외래이용과달리입원진료이용은공급자특히의사의판단과결정에많은영향을 받는다. 그러나환자나가족의입원이나퇴원에대한의향, 생활여건및의료기관 의접근성등이입원이나퇴원결정에영향을준다. 장기입원자관리는입원하여 31일이상의긴재원기간을가진대상자만을관리하는접근이아닌입원사전단계에서부터퇴원후까지의전과정을통하여연속선상에서접근하여야한다. 왜냐하면장기입원은입원-퇴원-재입원을반복하며장기재원으로이어지고결국사망으로마감되는연속성을가진순환적과정이기때문이다. 따라서우리나라의보건의료전달체계와복지전달체계및장기입워자실태분 석결과에의거하여장기입원자관리접근전략에는다음과같은기본원칙을가지 고접근해야한다. 1) 현재의료기관에서장기적으로재원하고있는수급권자의입원기간관리뿐아니라입원, 재입원을일으킬가능성이있는가정내거주대상자의위험요인관리, 퇴원한수급자들이응급실내원이나재입원을하지않도록예방하는퇴원자관리등연속적으로순환되는장기입원의전과정이포함되도록접근해야한다. 2) 입원은가정이나지역사회에있는수급권자들의인구 사회학적인개인적요인 제 6 장정책제언 171

177 과환경요인, 제도적요인등다양한영향요인에의하여시작되므로외래과다이 용과시설수급자의의료이용과연계하여포괄적으로접근되어야한다. 3) 장기입원은입원결정에서부터퇴원결정까지의일수로결정되는것으로이기간 동안재원일수에영향을주는일련의과정을가지게되므로입원과정흐름에따 른단계별접근전략을적용함이필요하다. 4) 의료기관과사회복지시설간에는서로풍선효과를일으키는작용이있다. 즉, 의료기관에서장기입원을관리하면장기입원자들이사회복지요양시설로옮겨가는풍선효과를일으키게되므로의료기관과복지요양시설을함께연속선상에서포괄적으로접근해야한다. 5) 이미같은경험을한선진국에서초기에사회복지요양시설의필요성에따라많은시설을확충하였으나시설수용자들의상태및삶의질에대한부정적결과와함께재정적으로더많은증가를가져옴에따라요양시설을줄이고가정및지역사회복귀프로그램을강화하고있다. 따라서우리나라도요양시설의증설에의존하는것보다동시에가정및지역사회중심프로그램을확충하는전략을지금부터접근함이필요하다. 6) 장기입원은질병치료및관리라는일정한목적을가지고집중적이며종합적인기능을하는병원이라는의료기관에서집단으로일어나는사례이므로대상자개인별접근과함께기관접근이필요하다. 또한병원관리자, 주치의, 간호사, 환자및보호자와의협력적관계로접근되어야한다. 2. 장기입원자접근모델 1) 과다의료이용모델 2007년김의숙등은급여일수 365일이상이용자 25만명에대한분석과 3,000명에대한표본심층조사를중심으로하여과다의료이용에영향에대한모델을제시하였다.( 김의숙, 2007) 이모델은의료기관을선택하여의료이용이라는행동에이르는과정을설명해주는본모델이며초기입원이일어나는과정에대한기본모델로적용될수있다. 172

178 < 그림 6-1> 의료급여수급권자의과다의료이용영향모델, ( 김의숙, 2007) 이때대상자요인에서인구학적요인은성 연령 교육정도 경제상태 (1종여부 ) 이며, 심리적요인은절망감, 자살충동등우울과고립감정도이며신체적요인은질병관련요인으로서질환의심각도, 복합질병여부, 통증등발현증상의심한정도와일상생활에지장을주는활동성정도이며행동적요인은건강에대한인식과실제운동, 식이, 금연등권강증진행위를얼마나실천하고있는가하는건강행동여부이다. 이러한대상자요인들은우리나라행위별수가제도와의료비용보상제도및공급자관리정책으로인한영향과수급자의의료이용을제어하는장치와관련된정책과제도의영향으로수급자들은의료이용의도를갖게된다. 이러한의료이용의도가실제의료기관방문이라는행동으로옮겨지는데에는가족등지지체계유무, 열악한생활환경과교통편이성그리고주위에병의원이얼마나근접해있는가하는의료기관접근성이영향을준다. 특히실제로과다이용이일어나는데는대상자개인의요인이외에도공급자요인이많이관여하는것으로보고되고있다. 제 6 장정책제언 173

hwp

hwp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ⅰ ⅱ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ⅲ ⅳ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ⅴ ⅵ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ⅶ ⅷ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ⅸ ⅹ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요약 ⅹⅰ ⅹⅱ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시설의전문화방안

More information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ⅰ ⅱ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ⅲ ⅳ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ⅴ ⅵ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More information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2013. 20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제1장. 연구개요 1 제2장. 1세부과제 : 장애인건강상태평가와모니터링 10 - i - 제3장. 2세부과제 : 장애인만성질환위험요인조사연구 117 - ii - 4장.

More information

2017 년장애인실태조사결과 2018. 4.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목 차 2017 년도장애인실태조사주요내용 1. 조사개요 1 2. 총괄표 1 3. 주요실태조사결과 5 장애인구및출현율 5 일반특성 8 건강특성 11 사회적특성 18 일상생활및돌봄특성 22 경제적특성 25 복지서비스수요 31 2017 년도장애인실태조사주요내용 조사개요 총괄표 268 273

More information

공개토론회자료본자료는 2011 년 6 월 24 일 ( 금 ) 10:00 부터보도해주시기바랍니다. 2011~2015 년국가재정운용계획 - 보건 복지분야 - : 2011. 6. 24( ) 10:00 12:00 : 서울지방조달청별관 3 층 PPS 홀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건 복지분야작업반 프로그램 토론주제 1 : 11~15 년복지분야재정운용방향 토론주제 2 : 건강보험재정건전성제고방안

More information

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15 년 ~ 2018 년 전라남도 제출문 보건복지부장관귀하 전라남도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15-2018) 을제출합니다. 2014. 12. 20. 전라남도지사 - 목차 - - i - - ii - - 표차례 - - iii - - iv - - v - - vi - - 그림차례 - - vii - 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개요

More information

<BBEAC0E7BAB8C7E820BFE4BEE7A1A4C0E7C8B020BBE7B7CA20BAF1B1B3BFACB1B82E687770>

<BBEAC0E7BAB8C7E820BFE4BEE7A1A4C0E7C8B020BBE7B7CA20BAF1B1B3BFACB1B82E687770> 산재보험요양 재활사례비교연구 요약 ⅰ 둘 ⅱ 산재보험요양 재활사례비교연구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요양 재활사례비교연구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요양 재활사례비교연구 제 1 장서론 5 6 산재보험요양 재활사례비교연구 제 2 장산재보험의요양 재활체계, 내용및비용지출 7 8 산재보험요양 재활사례비교연구 제 2 장산재보험의요양 재활체계, 내용및비용지출

More information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경북대학교법학연구원 법학논고 제 50 집 (2015.05) 209~236 면. Kyungpook Natl. Univ. Law Journal Vol.50 (May 2015) pp.209~236. 주제어 : 산업재해보상보험, 급여지급체계, 업무상재해, 휴업급여, 장해급여, 상병보상연금, 중복급여, 급여의조정 투고일 : 2015.04.30 / 심사일 : 2015.05.15

More information

- 3 - - 4 - - 5 - - 6 - - 7 - - 8 - 최종결과보고서요약문 - 9 - Summary - 10 - 학술연구용역과제연구결과 - 11 - - 12 - - 13 - - 14 - 질병관리본부의공고제 2012-241 호 (2012. 10. 15) 의제안요청서 (RFP) 에나타난주요 연구내용은다음과같다. 제안요청서 (RFP) 에서명시한내용을충실히이행하고구체적이고세세한전략방안을제시했다.

More information

ⅰ ⅱ ⅲ ⅳ ⅴ 1 Ⅰ. 서론 2 Ⅰ. 서론 3 4 1) 공공기관미술품구입실태조사 Ⅰ. 서론 5 2) 새예술정책미술은행 (Art Bank) 제도분석 3) 국내외사례조사를통한쟁점과시사점유추 4) 경기도내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정책수립및활용방안을위 한단기및장기전략수립 6 7 Ⅱ. 경기도지역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실태 및현황 1) 실태조사의목적 ž 2) 표본조사기관의범위

More information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2009 2009 151-836 1816 869-12 6 Tel. 02-870-7300 Fax. 02-870-7301 www.khrdi.or.kr Contents 04 05 05 07 10 11 12 14 15 17 21 23 25 27 29 31 33 34 35 36 37 38 39 40 41 43 45 47 49 51 53 56 62 62 62 63 63

More information

11390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605 11390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11390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607 총괄요약표 평가범주 비계량계량합계지표명가중치등급가중치득점가중치득점 1. 리더십 5 C 5 3.000 2. 책임경영 3 B 0 3 2.100 리더십 책임경영 3. 국민평가 8 7.974 8 7.974 4. 사회적기여 (1) 사회공헌 2 B 0 2 1.400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

? 2018. SPRINGvol.137 SEOUL MEDICAL CENTER CONTENTS 06 10 20 14 18 20 06 10 14 30 26 30 32 HEALTHY LIVING 36 34 36 38 40 2018. SPRING vol.137 06 07 08 09 10 11 l a t e n t t u b e r c u l o s i s 12 13

More information

- 1 - - 2 - - 3 - 1 1 1. 연구목적 2. 연구필요성 - 4 - - 5 - - 6 - - 7 - 2-8 - 3 1. 브루셀라증 - 9 - (2006 5 12 ) ( ) (%) : (2007) (2007 112008 1 ) - 10 - 2. 큐열 9. (2009, ) (2007 112008 1 ) - 11 - 3.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12

More information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www.idongbu.com 1. 사스 및 조류독감 위로금 담보를 추가 가입하면 사스 및 조류 독감 진단시 위로금을 지급하여 드립니다. 2. 해일(쓰나미), 지진, 화산폭발로 인한 천재상해까지 보상하여 드립니다. (단, 배상책임, 휴대품손해은 보 상하지 아니함) 3. 해외여행 중에 상해, 질병 등으로 어려움을 당하거나 여행관련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할 때 동부화재

More information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2010-14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목 차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요약,,,, 4, 5, 6,,,,, 5 58 1:1 34, 24 ( 13, 11 ) 2010 2017 8 i (5 8 ),.,, 74 (4 3, 5 19, 6 52 ) (4~6 4,901 ) 1.5% 5% ii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목적 2 연구범위와방법

More information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2010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외국인투자유치의성과평가기준개발 - 2010. 10.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국립부경대학교지역사회연구소권오혁 수신 : 대한민국국회예산정책처장귀하. 2010 10 : : : : 요약문 I. 서론 1.

More information

주요 선진국의 취약계층 의료보장제도 운영실태 및 개혁동향

주요 선진국의 취약계층 의료보장제도 운영실태 및 개혁동향 2012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주요선진국의취약계층의료보장제도 운영실태및개혁동향 - 2012. 8.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고려대학교생명과학대학식품자원경제학과교수임재영 2012. 8. 연구책임자임재영 ( 고려대학교생명과학대학식품자원경제학과교수

More information

학자금지원을위한소득기준 산출방식개선방안연구 한국장학재단이사장귀하 본보고서를 학자금지원을위한소득기준산출방식개선방안연구 의최종 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1. 9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연구진 연구책임자 : 홍성대연구위원공동연구원 : 이대영책임연구원추병주연구원구자연위촉연구원 학자금지원을위한소득기준 산출방식개선방안연구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More information

Untitled-1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10-23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실효성확보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연구의목적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내용 1. 친권에관한검토 2. 양육권에관한검토 3. 면접교섭권에관한검토 4. 관련문제점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제도의시행현황 1. 공식통계를통해본시행현황 2. 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관련법원실무

More information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그린홈이용실태및 만족도설문조사 - 2009. 11.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정순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 설문조사 2009. 11. 책임연구원 정순희 (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

More information

사회복지관운영안내 3 목 차 4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Ⅰ. 기본방향 5 6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Ⅱ. 사회복지관운영 7 04 05 06 07 08 370 391 397 407 410 8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Ⅲ. 사회복지관사업 9 10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Ⅲ. 사회복지관사업 11 12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More information

ad-200200004.hwp

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More information

[ 별지제3 호서식] ( 앞쪽) 2016년제2 차 ( 정기ㆍ임시) 노사협의회회의록 회의일시 ( 월) 10:00 ~ 11:30 회의장소본관 11층제2회의실 안건 1 임금피크대상자의명예퇴직허용및정년잔여기간산정기준변경 ㅇ임금피크제대상자근로조건악화및건강상

[ 별지제3 호서식] ( 앞쪽) 2016년제2 차 ( 정기ㆍ임시) 노사협의회회의록 회의일시 ( 월) 10:00 ~ 11:30 회의장소본관 11층제2회의실 안건 1 임금피크대상자의명예퇴직허용및정년잔여기간산정기준변경 ㅇ임금피크제대상자근로조건악화및건강상 [ 별지제3 호서식] ( 앞쪽) 2016년제2 차 ( 정기ㆍ임시) 노사협의회회의록 회의일시 2016. 09. 12( 월) 10:00 ~ 11:30 회의장소본관 11층제2회의실 안건 1 임금피크대상자의명예퇴직허용및정년잔여기간산정기준변경 ㅇ임금피크제대상자근로조건악화및건강상이유로인한명예퇴직허용 ㅇ 정년연장형임금피크대상자의정년잔여기간변경은 퇴직적립금 소요재원증가로법정적립비율(80%)

More information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www.sen.go.kr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 시설 설비및교구기준연구 2012. 10.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More information

Jkafm093.hwp

Jkafm093.hwp 가정의학회지 2004;25:721-739 비만은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에 각각 위험요인이고 다양한 내과적, 심리적 장애와 연관이 있는 질병이다. 체중감소는 비만한 사람들에 있어 이런 위험을 감소시키고 이들 병발 질환을 호전시킨다고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을 호전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런 믿음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More information

1

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89 2.7 제주국제자유도시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91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D + 1.500

More information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사용자매뉴얼 한의약건강증진사업 - 3 - - 1 - 지역주민의건강증진을위해보건소등에서실시되어만성, 퇴행성질환에대한인식을고취시키고질환의위험요인과전조증상등에대한한의학적지식을구체적으로교육시켜지역주민스스로건강관리를할수있도록다양한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을제공하는사업 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운영을통한지역주민의건강증진및다빈도증상의개선 지역주민에대한포괄적인한의약보건의료서비스제공을통하여지

More information

중증장애인의 현황과 정책방향 (4)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3년을 맞이하여, 전국에 있는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 를 통해 향후 활동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제공기관 측면에서의 과제를 살펴보

중증장애인의 현황과 정책방향 (4)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3년을 맞이하여, 전국에 있는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기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 를 통해 향후 활동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제공기관 측면에서의 과제를 살펴보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제공기관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PAS Providers 김동기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에 있는 활동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활동지원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제공기관 측면에서의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More information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 산재보험사후관리실태및개선방안 - 한국노동연구원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More information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57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59 총괄요약표 리더십 전략 경영 시스템 경영 성과 평가범주지표명평가방법가중치등급 리더십 전략 주요 사업 활동 경영 효율화 주요 사업 성과 고객 성과 경영 효율 성과 (1) 경영진리더십 6등급평가 3 A (2) 지배구조및윤리경영 6등급평가 4 B (3) CS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목차 2018 년 8 월근로형태별부가조사결과 ( 요약 ) * 60 세미만비정규직근로자는전년동월대비 9 만명감소, 60 세이상은 12 만 6 천명증가 < 비정규직근로자규모및비중 > < 근로형태별규모 > < 성별규모 > < 연령계층별규모 > < 산업별규모 >

More information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과학영재의창의적탐구능력배양을위한 R&E 프로그램기획 운영핸드북 Handbook of Annual Planning and Implementing R&E Program for the Talented 2017 과학영재창의연구 (R&E) 지원센터 이핸드북은과학고와과학영재학교의연간 R&E 프로그램기획 운영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개발된것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지정과학영재창의연구

More information

.....6.ok.

.....6.ok. Ⅳ 성은 인간이 태어난 직후부터 시작되어 죽는 순간까지 계속되므로 성과 건강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청소년기에 형성된 성가치관은 평생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성문화의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성과 건강 단원에서는 생명의 소중함과 피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성매매와 성폭력의 폐해, 인공임신 중절 수술의 부작용 등을 알아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잘못된 성문화를

More information

Layout 1

Layout 1 대대대대대대대대 :Layout 1 2014-07-15 대대 1:40 Page 1 대학의기업연계형장기현장실습 (IPP) 프로그램확산방안연구 연구보고서 2013-04 http://hrd.koreatech.ac.kr 대학의기업연계형장기현장실습 (IPP) 프로그램확산방안연구 오창헌편저 지은이 오창헌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엄기용 ( 한국기술교육대학교부교수 )

More information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폐기물 소각시설 에너지 회수실태 조사 및 모니터링시스템 구축방안 연구.hwp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폐기물소각시설에너지회수실태조사및 모니터링시스템구축방안연구 - 2009. 12.-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 사 ) 한국폐자원에너지기술협의회회장김석준 제출문 본보고서를귀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과제 폐기물소각시설에너지회수실태조사및모니터링시스템구축방안

More information

USC HIPAA AUTHORIZATION FOR

USC HIPAA AUTHORIZATION FOR 연구 목적의 건강정보 사용을 위한 USC HIPAA 승인 1. 본 양식의 목적: 건강보험 이전과 책임에 관한 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이라고 알려진 연방법은 귀하의 건강정보가 이용되는 방법을 보호합니다. HIPAA 는 일반적으로 귀하의 서면 동의 없이 연구를 목적으로 귀하의

More information

내지2도작업

내지2도작업 2007. 12 CONTENTS 퇴직연금제도 도입 운영 매뉴얼 고령화 사회와 퇴직연금제도 Ⅰ.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 Ⅱ. 기존 퇴직금제도의 문제점 Ⅲ. 퇴직연금제도의 도입 필요성 Ⅱ. 기존 퇴직금제도의 문제점 그렇다면 과연 기존의 퇴직금 제도가 노후의 핵심적인 수입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3 퇴직금의 수급권 보장 미흡 퇴직금이

More information

1 9 9 2년 2 월 1 1일에 모 스 크 바 에 서 서명된 북 태 평양 소하 성어족자 원보존협약 (이하 협약 이라 한다) 제8조 1항에는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를 설립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제8조 16항에는 위원회가 을 채택해야 한다고 규정

1 9 9 2년 2 월 1 1일에 모 스 크 바 에 서 서명된 북 태 평양 소하 성어족자 원보존협약 (이하 협약 이라 한다) 제8조 1항에는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 (이하 위원회 라 한다)를 설립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제8조 16항에는 위원회가 을 채택해야 한다고 규정 1993년 2월 24일 발효 1994년 1월 11일 개정 1998년 11월 6일 개정 2001년 11월 2일 개정 2003년 10월 31일 개정 2013년 11월 15일 개정 2014년 5월 16일 개정 제목 규칙 페이지 적용 1 110 회계연도 2 110 예산 3-9 110-111 분담금 10-11 111 계상예산의 지출대상 12-13 111 전용 14 111

More information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조사보회고서 온라인 P2P 대출서비스실태조사 2016. 6. 시장조사국거래조사팀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12 Ⅲ.

More information

09³»Áö

09³»Áö CONTENTS 06 10 11 14 21 26 32 37 43 47 53 60 임금피크제 소개 1. 임금피크제 개요 2. 임금피크제 유형 3. 임금피크제 도입절차 Ⅰ 1 6 7 3) 임금피크제 도입효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① 중고령층의 고용안정성 증대 연공급 임금체계 하에서 연봉과 공헌도의 상관관계 생산성 하락에 맞추어 임금을 조정함으로써 기업은 해고의

More information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2012 년도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교외선 ( 능곡 ~ 의정부 ) 철도사업 2012. 7. 요약 요약 제 1 장예비타당성조사의개요 1. 사업추진배경 2000 5 16, 2004 4 1,, 2006 -,, 39,., ~~, 2. 사업의추진경위및추진주체 2004. 12: (~) () - 21 (B/C=0.34). 2010. 04~2012. 02: (~) () - (B/C=0.53,

More information

1 (2006~2007) (KLoSA). 2009. 12.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More information

<C1A4C3A55F323030352D33385FC0C7B7E1B1E2BBE7C0CEB7C25FBFE4BEE0B9AE2E687770>

<C1A4C3A55F323030352D33385FC0C7B7E1B1E2BBE7C0CEB7C25FBFE4BEE0B9AE2E687770> 정책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0405-PO00-0707-0001) 의료기사인력 수급방안에 관한 연구 The Present Condition of Supply and Demand for Medical Technicians and Management Policy Implications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 오 영 호 보 건 복 지

More information

튦 NO. 2155 Since 1969 2016. 06. 15 www.catholicfound.org www.cmc.or.kr blog.naver.com/cmc_health twitter.com/cmcmedicalnews www.facebook.com/cmcmedicalnews 02 CATHOLIC MEDICAL TIMES Vol.2155 2016.06.15 03

More information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위탁연구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위탁연구 2016-4 기능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제출문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귀하 이보고서를한국산업인력공단위탁연구과제 기능 경기시스템선진화방안 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 다. 2016. 6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조준모 연구진연구책임자 : 고혜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선임연구위원 ) 참여연구자 : 김봄이 ( 한국직업능력개발원부연구위원 ) 연구보조원 : 전희선 차례 i

More information

i - ii - iii - 1 - 연도 보험급여 총계 (A) 장해급여 유족급여 일시금연금일시금연금 연금계 (B) 연금비중 (B/A, %) 기타 급여 1) 1998 14,511 3,377 979 1,657 30 1,009 7.0 8,467 1999 12,742 2,318 1,120 1,539 38 1,158 9.1 7,727 2000 14,563 2,237 1,367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120330(00)(1~4).indd

120330(00)(1~4).indd 도시개발법시행규칙 [ 별지제 5 호서식 ] 색상이어두운란은가작성하지않습니다. 접수번호 접수일자 성명 ( 법인의명칭및대표자성명 ) 주민등록번호 ( 법인등록번호 ) 전화번호 구역명 동의내용 구역면적 ( m2 ) 사업방식 시행자에관한사항 본인은 도시개발법 제4조제4항및영제6조제6항에따라환지방식의도시개발계획에대하여시행자등에게설명을듣고위내용 ( 개발계획수립과정에서관계기관협의및도시계획위원회의심의결과등에따라개발계획이변경되는경우를포함합니다

More information

출장보고서. 목적 :. 출장기간 : 2010 년 10 월 19 일 ~ 2010 년 10 월 27 일. 출장자 : 신영석

출장보고서. 목적 :. 출장기간 : 2010 년 10 월 19 일 ~ 2010 년 10 월 27 일. 출장자 : 신영석 출장보고서. 목적 :. 출장기간 : 2010 년 10 월 19 일 ~ 2010 년 10 월 27 일. 출장자 : 신영석 . 출장세부일정 년월일 행선지 ( 국가 / 도시 ) 방문기관 / 면담자활동사항 2010.10.19 미국, 시카고한국에서미국, 시카고로출발 2010.10.20 미국, 시카고 University of Chicago/R. Tamara Konetzka,

More information

< C617720BBF3B4E3BBE7B7CAC1FD20C1A632B1C72E687770>

< C617720BBF3B4E3BBE7B7CAC1FD20C1A632B1C72E687770> IT&Law 상담사례집 - 제 2 권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1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2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3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4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5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6 - IT&Law 상담사례집제2권 - 7 - 제 1 장프로그램저작권일반 - 8 -

More information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2012. 9 목 차 추진배경 1 주요성과와반성 3 정책과여건 11 추진체계 16 세부추진과제 21 1. 어린이기호식품안전판매환경조성 23 1-1.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지정및관리강화 26 1-2. 어린이기호식품판매환경개선 30 2. 어린이식생활안심확보를위한안전공급체계구축 39 2-1. 어린이단체급식의안전관리및품질개선

More information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대한주택보증 ( 주 ) 335 2.6 대한주택보증 대한주택보증 ( 주 ) 337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 종합 경영 부문 (35) 주요 사업 부문 (35) 경영 관리 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 4.50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B +

More information

본연구결과는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에대한고용노동부의학술연구용역사업에의한것임 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 연구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2017. 3. 고용노동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More information

........1.hwp

........1.hwp 2000년 1,588(19.7% ) 99년 1,628(20.2% ) 2001년 77(1.0% ) 98년 980(12.2% ) 90년 이 전 1,131(16.3% ) 91~95년 1,343(16.7% ) 96~97년 1,130(14.0% )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00 98.7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기는군정구현 Ⅴ.

More information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α - 15 - α α α - 16 - α α α - 17 - α - 18 - - 19 - - 20 - - 21 - - 22 -

More information

연구보고서 2009-05 일반화선형모형 (GLM) 을이용한 자동차보험요율상대도산출방법연구 Ⅰ. 요율상대도산출시일반화선형모형활용방법 1. 일반화선형모형 2 연구보고서 2009-05 2. 일반화선형모형의자동차보험요율산출에적용방법 요약 3 4 연구보고서 2009-05 Ⅱ. 일반화선형모형을이용한실증분석 1. 모형적용기준 < > = 요약 5 2. 통계자료및통계모형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2 0 1 2 3 2012 1 2 Part I. 1-1 1-2 1-3 1-4 1-5 1-6 1-7 1-8 Part II. 2-1 2-2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More information

현 안분석 2 의료급여제도는외래와약국진료에대해서는약간의본인부담금이있지만, 1종입원비에대해서는본인부담금이전무하여과다의료서비스이용의요인이되고있다. 와의료급여대상자의의료서비스이용의현황과추이를통해의료급여대상자의과다한의료서비스이용의문제를확인하고, 의료급여본인부담금제도개선의필요성

현 안분석 2 의료급여제도는외래와약국진료에대해서는약간의본인부담금이있지만, 1종입원비에대해서는본인부담금이전무하여과다의료서비스이용의요인이되고있다. 와의료급여대상자의의료서비스이용의현황과추이를통해의료급여대상자의과다한의료서비스이용의문제를확인하고, 의료급여본인부담금제도개선의필요성 의료급여진료비와의료급여대상자의의료서비스이용증가에대한소고 Ⅰ. 서론 최성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연구위원 (sechoi@kipf.re.kr) 저소득층을대상으로하는의료급여지출은우리나라전체공공부조 ( 기초생활보장제도 ) 지출의약 5% 를차지하고있다. 214년예산을기준으로볼때의료급여지출은약 4.4조원으로지출규모만놓고보면국가재정에서주목할만한규모는아니라고볼수있으나, 21년기초생활보장제도의본격적도입이후의료급여지출이급속한속도로증가해왔다는점과이후에도인구고령화에따른노인의료비증가로인한지출증가가능성을점칠수있기때문에주목해볼필요가있다.

More information

> 국가기술자격검정시행계획 2015. 11. 2016 - 4 - 1. 근거 2. 기본방침 - 1 - 3. 세부시행계획 - 2 - - 3 - - 4 - 4. 검정별시행계획 - 5 - - 6 - - 7 - 기술사 종목별시행회 108 110 108 110 108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More information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제 1 장서론 1 1. 연구의배경및목적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제 1 장서론 3 2. 연구절차및방법 4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1. 인구절벽현상의의의 제 2 장인구절벽현상의개념적정의, 원인, 문제점 5 2. 인구절벽현상의원인 (1) 합계출산율의감소 6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제 2 장인구절벽현상의개념적정의, 원인, 문제점 7 (2)

More information

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2016년 신호등 4월호 내지A.indd www.koroad.or.kr E-book 04 2016. Vol. 428 30 C o n t e n t s 08 50 24 46 04 20 46,, 06 24 50!! 08? 28, 54 KoROAD(1)! 12 30 58 KoROAD(2) (School Zone) 16 60 34 18 62 38, 64 KoROAD, 40 11 (IBA) 4!, 68. 428

More information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숫자로 보는 질병과 건강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4 연령별 사망원인 5 남성의 자살률 6 환자 보호자 우울증 10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9.hwp

2003report250-9.hwp 2003 연구보고서 250-9 여성의 IT 직종교육훈련후취업현황및취업연계방안 : () : ()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2003 12 연구요약 1. 2. 전체정부위탁훈련기관의취업관련서비스제공정도에서, 취업정보, 취업상담, 취업알선을 적극적이며많이제공 한다가각각 76.6%, 70.3%, 65.6% 로알선기능이약간떨어지며, 취업처개척 개발 (50.0%) 이가장낮다.

More information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93.4 91.3 직판 8.7 6.1 은행 0.2 1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93.4 91.3 직판 8.7 6.1 은행 0.2 1 Ⅱ.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 분석 1.손해보험 채널별 활용 가.조사 목적 개인별 손해보험 가입자들의 채널 선택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판매채널의 효율성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함. 나.조사 결과 및 시사점 2010년 손해보험 가입자 대부분(92.6%)이 보험설계사 및 대리점 등을 통한 대면채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대면채널은 2007년 88.3%로

More information

목차 < 요약 > Ⅰ. 국내은행 1 1. 대출태도 1 2. 신용위험 3 3. 대출수요 5 Ⅱ. 비은행금융기관 7 1. 대출태도 7 2. 신용위험 8 3. 대출수요 8 < 붙임 > 2015 년 1/4 분기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실시개요

목차 < 요약 > Ⅰ. 국내은행 1 1. 대출태도 1 2. 신용위험 3 3. 대출수요 5 Ⅱ. 비은행금융기관 7 1. 대출태도 7 2. 신용위험 8 3. 대출수요 8 < 붙임 > 2015 년 1/4 분기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실시개요 2015 년 4 월 2 일공보 2015-4 2 호 이자료는 4 월 3 일조간부터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4 월 2 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결과 ( 2015 년 1/4 분기동향및 2015 년 2/4 분기전망 ) 문의처 : 금융안정국금융시스템분석부은행분석팀과장조성민, 조사역권수한 Tel : (02)

More information

<312E20C0AFC0CFC4B3B5E55F5352444320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312E20C0AFC0CFC4B3B5E55F5352444320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페이지 2 / 6 첨부 1. 공급품 목록 및 납기일정 번호 품명 모델명/사양 Vendor 단위 수량 납기 비고 1 (샘플기판) 6Layer, FR-4, 1.6T, 1온스, 2 (샘플기판) 3 (샘플기판) 4 (샘플기판) 5 (샘플기판) FRONT PANEL BOARD 3종 1. 샘플기판은 Board 별 성능시험용 2. 샘플 기판 후 Board 별 육안점검 및

More information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2014 10 30() 16. OECD(Frascati Manual) 48,381 (,, ), 2014,. * 통계법국가승인지정통계 ( 제 10501 호 ) 로서 1963 년에최초실시된이래, 매년시행하고있는전국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541000-001187-01 농림수산사업성과평가 [ 식품유통재정사업 ] 연구기관 : 한국정책평가연구원 2011. 12 제출문 농림수산식품부장관귀하본보고서를 농림수산사업성과평가 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1. 12. 연구진 연구총괄박경귀 ( 한국정책평가연구원원장 ) 연구책임자윤인주 ( 한국정책평가연구원연구위원 ) 공동연구원송재옥 (

More information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15. 12 한국직업자격학회 o o o o o 1) SC 내에서 Sub-SC 가존재하는것이아니라 NOS, 자격개발등의개발및운영단위가 Sub-sector 로구분되어있음을의미함. o o o o o o o o o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o o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WHY JAPAN? 5 reasons to invest in JAPAN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www.investjapan.org Copyright (C) 2014 JETRO. All rights reserved. Reason Japan s Re-emergence 1 다시 성장하는 일본 아베노믹스를 통한 경제 성장으로 일본 시장은 더욱 매력적으로 변모하고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2009-8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Ⅰ. 서론 Ⅱ. 구조화금융의미시적시장구조 2 조사보고서 2009-08 요약 3 Ⅲ. 서브프라임위기의현황과분석 4 조사보고서 2009-08 Ⅳ. 서브프라임위기의원인및특징 요약 5 6 조사보고서 2009-08 Ⅴ. 금융위기의파급경로 Ⅵ. 금융위기극복을위한정책대응 요약 7 8 조사보고서 2009-08

More information

목차 C O N T E N T S

목차 C O N T E N T S 2015 년전남교총워크숍자료 2015.1.16.( 금 ) 14:00~ 17.( 토 ) 11:00 여수유캐슬호텔 올바른교육훌륭한선생님전남교원단체총연합회 www.jnfta.or.kr 목차 C O N T E N T S 일정안내 ( ) 14:00~14:30 (30 ) (2 ) 14:30~14:40 (10 ) - 14:40~15:00 (20 ) - 1.16. ( )

More information

목 차 2012-5 - 7) - 6 - - 7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1 사업명 - 8 - 2 필요성및목적 - 9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0 - - 11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2 - - 13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2-1 필요성 - 14 - 2-2 목적 3 사업내용총괄 3-1 사업개요 - 15 - 직업교육의메카,

More information

* ** *** ****

* ** *** **** * ** *** **** - 47 - - 48 - - 49 - - 50 - - 51 - 구분범주빈도 ( 명 ) 비율 (%) 성별연령장애유형장애정도 남자 92 65.71 여자 48 34.28 3~6세 ( 학령전기 ) 70 50.00 7~10세 ( 학령기 ) 70 50.00 자폐성장애 53 37.85 지적장애 71 50.71 기타 16 11.42 경미한정도 31

More information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계획수립등전력수급안정에도최선의노력을기울이고있습니다. 이번에발간하는 2016년발전설비현황은

More information

2.2 한국마사회 한국마사회 95 한국마사회 97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 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C o 2.000 (3) 경영혁신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약관

약관 약관 소기업 소상공인공제약관 2-1-1 < 개정 2008.5.19.> < 개정 2015.1.1.> < 개정 2008.5.19.> 4. 삭제 2-1-2 < 개정 2007.10.10., 2008.12.15.>< 호번변경 2008.5.19.> < 호번변경 2008.5.19.> < 개정 2008.5.19.>< 호번변경 2008.5.19.>

More information

무배당신한유니버설 Plus 종신보험상품요약서

무배당신한유니버설 Plus 종신보험상품요약서 무배당신한유니버설 Plus 종신보험상품요약서 Ⅰ Ⅱ ➀ ➀ ➁ Ⅲ Ⅳ Ⅴ 경과기간나이납입보험료누계해지환급금환급율 (%) 3 개월 40 세 702,000 0 0 6 개월 40 세 1,404,000 0 0 9 개월 40 세 2,106,000 0 0 1 년 41 세 2,808,000 0 0 2 년 42 세 5,616,000

More information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국립국어원 2007-01-42 사회적의사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연구 국립국어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출문 국립국어원장귀하 국립국어원의국고보조금지원으로수행한 사회적의사 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 연구 의결과보고서를작성하여제출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백영주, 양애경, 강혜란, 윤정주 목 차 연구개요 선행연구의고찰

More information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Contents - 목차 - 1.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2.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관리및운영지침 3. 공급인증서발급및거래시장운영에관한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5 법률시행령시행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More information

기업분석(Update)

기업분석(Update) 1.. Quantitative Analyst 이창환 91-73 ch.lee@ibks.com Sector Monitor: 업종별수익률 : Cyclical 업종이 Defensive 업종대비아웃퍼폼 이익모멘텀 : 1개월전대비 EPS 전망치변화율은업종전반적으로 (+) 를기록. ERR 역시전반적으로 (+) 를기록한가운데 와, 업종이두드러짐. 개월선행 EPS 전망치는,,

More information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 2013. 12.-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정진호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2013. 12.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More information

소준섭

소준섭 2014 년미얀마의국가경쟁력평가와정책적시사점 : 세계경쟁력지수 (GCI) 분석을통한개발협력분야모색 원순구 목 차 Ⅰ. 서론 Ⅱ. 미얀마및한국의세계경쟁력지수 (GCI) 분석 1. 세계경쟁력지수의구조및측정 2. 미얀마국가경쟁력지수평가분석 3. 한국의국가경쟁력지수분석 Ⅲ. 양국의경쟁력지수 GAP 분석을통한개발협력분야모색 1. 한국과미얀마의부문별경쟁력지수 GAP 분석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폐기물처리시설국고융자사업의 경제적타당성검토보고서 2011. 7 목차 Ⅰ. 요약보고서 1 Ⅱ. 검토배경 4 1. 국가재정의합리적인지원방안모색 4 2. 민간투자사업의개선방안검토 4 Ⅲ. 무상보조 (BTO) 와무이자융자사업방식의경제성검토 5 1. 현행사업방식의검토 5 2. 제 3 섹터개발방식의검토 6 3. 사례검토 ( 광주광역시가연성폐기물연료화시설을사례로검 토

More information

20061011022_1.hwp

20061011022_1.hwp 조사 보고서 주40시간 근무제 도입 성과와 과제 실태조사 2006. 9 내 용 목 차 Ⅰ.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1 2. 조사의 기본설계 1 Ⅱ. 조사결과 1. 주40시간제 도입 이후의 경영성과 3 1-1.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았던 이유 4 1-2.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지 않았던 이유 4 2. 주40시간제 도입 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More information

354-437-4..

354-437-4.. 357 358 4.3% 5.1% 8.2% 6.2% 5.6% 6% 5% 5.3% 96.1% 85.2% 39.6% 50.8% 82.7% 86.7% 28.2% 8.0% 60.0% 60.4% 18,287 16,601 (%) 100 90 80 70 60 50 40 86.6% 80.0% 77.8% 57.6% 89.7% 78.4% 82.1% 59.0% 91.7% 91.4%

More information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A1-1998-0031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이자료를연구및저작에이용, 참고및인용할경우에는 KOSSDA의자료인용표준서식에준하여자료의출처를반드시명시하여야합니다. 자료출처는자료명이최초로언급되는부분이나참고문헌목록에명시할수있습니다. 자료를이용, 참고, 인용할경우표준서식김상욱. 2005. 한국종합사회조사,

More information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효과분석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남대학교경제학과교수황진영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효과분석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남대학교경제학과교수황진영 2013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효과분석 - 2013. 7.-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한남대학교경제학과교수황진영 중소기업정책자금지원의경기대응 효과분석 제출문 목차 i ii 표목차 iii iv 그림목차 v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