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 또는국호 ) 들이암시하는고대역사를추론해낼수있는시발점이될수있을것이다. 연구결과, 고구려초기도읍지환도성 ( 丸都城 ) 은본래 환도성 ( 桓都城 ) 이었음을알수있었으며, 바로안시성 ( 安市城 ) 이었음을알수있었다. 또 환도성 ( 桓都城 ) 의위치는현재의하북성석가장시

Similar documents
골성의위치는 대요 ( 大遼 ) 의의주 ( 醫州 ) 경계지역 이라고기록되어있다. 또 삼국사기 지리지에따르면, 고기( 古記 ) 를인용하면서주몽이나라를세운졸본지역이 흘승골성 이라고기록되어있다. 따라서중국 23사 ( 史 ) 와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에서위사 ( 僞史 ) 와진사

¼øâÁö¿ª°úÇÐÀÚ¿ø

¹ßÇ¥¿äÁö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지도학발달06-7/8/9장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쌍백합23호3

歯TR PDF

#7단원 1(252~269)교

문학박사학위논문 高句麗王都硏究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국사학과 奇庚良


본문01

ÃѼŁ1-ÃÖÁ¾Ãâ·Â¿ë2

11+12¿ùÈ£-ÃÖÁ¾


XGT InfoU_K_160411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감사인사

- i -

<C3CAC1A DC1DFB1B92E687770>

내지-교회에관한교리

한눈에-아세안 내지-1


untitled

COVER.HWP

이슈분석 2000 Vol.1

가볍게읽는-내지-1-2

kbs_thesis.hwp


<C0CCB1E2BAC05FC7D1B9DDB5B520BCBAB0FBC0C720BAAFC3B5B0FA20B3B2C7D1BBEABCBA2D355F E687770>

(연합뉴스) 마이더스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편집인협회보381호_0422

src.xls


???춍??숏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1 제14장 선진형 공정거래제도의 구축


allinpdf.com

- 4 -

CR hwp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歯kjmh2004v13n1.PDF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3231C3A4C8F1C5C22E687770>

¿ªÁÖÁýÇѱ¹Æí4261Çì303ÖÁ¾

<C7D1B9CEC1B7BEEEB9AEC7D C3D6C1BE295F31392EB9E8C8A3B3B22E687770>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untitled

( )탐스런해설OK

도형의닮음 1 강 - 닮은도형과닮음중심 사이버스쿨우프선생 닮음도형 : 일정한비율로확대또는축소하였을때닮음모양의도형 기호 : ABCD A'B'C'D' [ 예제 1 ] 그림에서와같이두닮은도형 ABCD 와 A'B'C'D' 에서대응점, 대

%±¹¹®AR

; struct point p[10] = {{1, 2, {5, -3, {-3, 5, {-6, -2, {2, 2, {-3, -3, {-9, 2, {7, 8, {-6, 4, {8, -5; for (i = 0; i < 10; i++){ if (p[i].x > 0 && p[i

Windows 10 General Announcement v1.0-KO

¹é¹üȸº¸ 24È£ Ãâ·Â

197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jc0inb001a.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차례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13호신규민족연구

01¸é¼öÁ¤

µ¶µµºÎ·Ï1~64

DBPIA-NURIMEDIA

03-서연옥.hwp

자연언어처리

44-3대지.08류주현c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2 佛敎學報 第 48 輯 서도 이 목적을 준수하였다. 즉 석문의범 에는 승가의 일상의례 보다는 각종의 재 의식에 역점을 두었다. 재의식은 승가와 재가가 함께 호흡하는 공동의 場이므로 포 교와 대중화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Print

4-Ç×°ø¿ìÁÖÀ̾߱â¨è(51-74)

2017 치안정책연구제 31 권제 1 호 Police Science Institute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동유럽의료기기시장개요 동유럽의료기기시장현황 2. 관련 EU 정책및지침 3. 시장전망 Ⅱ. 국가별의료기기시장동향 폴란드 2. 체코 3. 헝가리 4. 크로아티아 Ⅲ. 국가별유망품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30362E20C6EDC1FD2DB0EDBFB5B4EBB4D420BCF6C1A42E687770>

Microsoft Word - logic2005.doc

DocHdl2OnPREPRESStmpTarget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03-ÀÌÁ¦Çö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나 ) 지역사유서 도면표시번호 - 위치 민락동 일원 준주거지역 지역 일반상업지역 면적 ( m2 ) (%) 57,742 1,000 사유 2020 년부산도시관리계획 ( 재정비 ) 지역 ( 준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57,742 m2 ) ( 부고제 94 호, 201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 2 -

Transcription:

환도성 ( 桓都城 ) 과안시성 ( 安市城 ) 의위치에관한연구 김진경 국립부경대학교겸임교수 차례 I. 들어가는글 II. 그간의선행연구의문제점 III. 위사 ( 僞史 ) 와진사 ( 眞史 ) 의분별 IV. 지명의올바른위치추정 1. 압록수, 비류수, 졸본천, 졸본부여등 2. 환도성인가, 환도성인가? 3. 안시성 V. 맺는글 국문요약 삼국유사 에 석유환국 ( 昔有桓國 ) 이라고기록되어있다. 즉, 옛날에 환국 ( 桓國 ) 이있었다고기록되어있다. 또 요사 지리지에따르면, 환주 ( 桓州 ) 와 환도현 ( 桓都縣 ) 이란지명이나타난다. 따라서 환국 ( 桓國 ) 에관한역사가유구하게존재하고있었을것으로추론할수있으나, 환국 ( 桓國 ) 에관한구체적인기록은아직찾을수가없다. 그런데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등에는고구려초기도읍지로서 환도성 ( 丸都城 ) 이기록되어있다. 즉, 환도성 ( 丸都城 ) 이란명칭이본래 환국 ( 桓國 ) 의존재와연계될수있는 환도성 ( 桓都城 ) 이라면, 환도성의위치로부터 환국 ( 桓國 ), 환주 ( 桓州 ), 환도현 ( 桓都縣 ), 환도성 ( 桓都城 ) 등일련의 - 1 -

지명 ( 또는국호 ) 들이암시하는고대역사를추론해낼수있는시발점이될수있을것이다. 연구결과, 고구려초기도읍지환도성 ( 丸都城 ) 은본래 환도성 ( 桓都城 ) 이었음을알수있었으며, 바로안시성 ( 安市城 ) 이었음을알수있었다. 또 환도성 ( 桓都城 ) 의위치는현재의하북성석가장시정정현으로추정할수있었으며, 현재의 정정영시성 ( 正定影視城 ) 임을알수있었다. 주제어 : 환도성, 안시성, 환국 ( 桓國 ), 압록수, 비류수, 졸본천 I. 들어가는글 삼국유사 에따르면, 고기 ( 古記 ) 1) 를인용하면서첫머리에 석유환국 ( 昔有桓國 ) 이라고기록되어있다. 즉, 옛날에 환국 ( 桓國 ) 이있었다고기록되어있다. 그러나 환국 ( 桓國 ) 에관한구체적인기록은아직찾을수없다. 다만, 시중에 환단고기 라는책이유통되고있는데, 이책은 신라 고려 조선시기에각각편찬된고서 ( 古書 ) 들을모아편집했 다고하나, 고서 ( 古書 ) 의실체는없고 1979 년에최초로인쇄된 책이번역판, 해설판, 영인본등의형태로유통되고있는실정이 다. 즉, 이근철 2) 은 환단고기 에수록되어있는 삼일신고 가대 종교에서사용하고있는 삼일신고 후기본의바뀐글자들과 같고, 환단고기 에수록된대종교교리들중대부분이 신사 기 후기본을토대로하고있으며, 환단고기 에실린 천부 경 역시초기본과다른글자들이있으므로, 환단고기 는원 본 ( 原本 ) 을입증할수없는상태에서 1979 년에출판된것이가장 1) 역사에관한여러가지옛기록의총칭으로볼수있다. 2) 이근철, 대종교경전으로본 환단고기 ( 桓檀古記 ) 진위문제, 선도문화 제 16 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2. - 2 -

오래된원본이라고보았다. 또최근연구결과에따르면, 환단고기 안에편집되어있는내용중에지명의위치가명 ( 明 ) 대 1421~1512년기간중에북쪽또는동북쪽으로변이된이후의위치로나타났다. 3) 따라서 환단고기 는신라 고려 조선시기에각각편찬된고서 ( 古書 ) 들을모아서편집한책이아님을명백하게알아챌수있다. 그런데 요사 지리지에따르면, 환주 ( 桓州 ) 와 환도현 ( 桓都縣 ) 이란지명이나타난다. 그러나 삼국사기 에따르면, 고구려초기도읍지가 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기록되어있으며, 신당서 지리지에따르면, 고구려의도읍지로서 환도현성 ( 丸都縣城 ) 또는 환도 ( 丸都 ) 라고기록되어있다. 즉, 환도 ( 桓都 ) 와 환도 ( 丸都 ) 는음은같고글자가서로다르지만, 같은지역으로서명칭을바꿔치기한것이아닌지의심하지않을수가없다. 한편, 삼국유사 왕력 ( 王曆 ) 편에따르면, 안시성 ( 安市城 ) 이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기록되어있다. 즉, 안시성 ( 安市城 ) 과환도성 ( 丸都城 ) 이명칭만바뀐같은성이라면, 둘중에하나라도그위치를명백히찾음으로써, 두성에관한기록들을상호비교하여고대역사의감춰진부분들을추론해나갈수있는기반이될수있을것이다. 따라서본논문에서는 환국 ( 桓國 ), 환주 ( 桓州 ), 환도현 ( 桓都縣 ) 등일련의지명 ( 또는국명 ) 들이암시하고있는고대역사를밝혀나가기위한전제로서무엇보다도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에기록되어있는 환도성 ( 丸都城 ) 과 안시성 ( 安市城 ) 의올바른위치를우선찾아내고자한다. II. 그간의선행연구의문제점 3), 환단고기 의진위 ( 眞僞 ) 에관한고찰 (I), 고조선연구 제 4 호, 고조선학회, 2015. 2. - 3 -

[ 그림 1] 후한서 에근거한현도와부여 ( 위사임.) 후한서 군국지에따르면, 현도가낙양에서동북 4,000리거리에있었다. 고기록되어있다. 또 후한서 동이열전에서다시 현도에서북쪽으로 1,000리거리에부여는있었다. 고기록되어있다. 따라서부여의위치가 [ 그림 1]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길림성장춘 ( 長春 ) 시주변일대에있었던줄로알고있었다. 또 신당서 지리지에따르면, 안동도호부 ( 요동고성 ) 가서안에서동북 4,625리, 낙양에서동북 3,820리 라고기록되어있으며, 안동도호부 ( 요동고성 ) 에서부터동북쪽으로 1,500리거리에진국 ( 발해 ) 왕성 ( 상경용천부 ) 이있었다. 고기록되어있다. 따라서당 ( 唐 ) 의안동도호부는현재의요령성요양인근지역에있었어야하며, 진국 ( 발해 ) 왕성은 [ 그림 2]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길림성하얼빈시주변인근지역에있었어야만할것이다. 또 구당서 동이열전 4) 에따르면, 낙랑군이당 ( 唐 ) 의수도서안 4) 권제 199 상동이열전 : 高句麗 : 其國都於平壤城, 卽漢樂浪郡之故地, - 4 -

에서 5,100리라고기록되어있으며, 신당서 동이열전 5) 에따르면, 낙랑군이당 ( 唐 ) 의낙양에서 5,000리라고기록되어있다. 즉, 구당서 동이열전과 신당서 동이열전의기록이올바르다면, 낙랑은 [ 그림 2]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이북평양인근지역에있었어야만할것이다. 그러나상기한 후한서, 구당서, 신당서 등의기록은모두위사 ( 僞史 ) 임을알수있다. 왜냐하면명 ( 明 ) 대초기에명 ( 明 ) 이현재의하북성, 산서성, 산동성, 안휘성등의땅을차지하게되자, 1421~1512년기간중에명 ( 明 ) 대의사관들이주요역사적인지명들을북쪽과동북쪽으로변이시킨것으로추론할수있기때문이다. 6) 또최근연구결과에따르면, 조선중종 7년 (1512년) 에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 를뜯어고쳤음을본논문 III장과 IV장에서논하는바와같이입증할수있게되었다. 7). 百濟 : 在京師東六千二百里. 5) 신당서 권제220 동이열전 : 高麗, 本扶餘別種也. 地東跨海距新羅, 南亦跨海距百濟, 西北度遼水與營州接, 北靺鞨. 其君居平壤城, 亦謂長安城, 漢樂浪郡也, 去京師五千里而贏, 隨山屈繚爲, 南涯浿水, 王築宮其左. 又有國內城 漢城, 號別都. 水有大遼 少遼 : 大遼出靺鞨西南山, 南歷安市城, 少遼出遼山西, 亦南流, 有梁水出塞外, 西行與之合. 有馬訾水出靺鞨之白山, 色若鴨頭, 號鴨淥水, 歷國內城西, 與鹽難水合, 又西南至安市, 入于海. 而平壤在鴨淥東南, 以巨艫濟人, 因恃以爲塹 6) 김진경, 고대요수 ( 遼水 ) 의위치비정 ( 比定 ) 에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국제뇌교육대학원대학교, 2012. 2. 7) 김진경, 탁록( 涿鹿 ) 의위치비정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13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2. 8. 김진경, 갈석산 ( 碣石山 ) 의위치비정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15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3. 8. 김진경, 고조선의도읍지, 건국 ( 建國 ) 년도, 국호등에관한고찰, 선도문화 제16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4. 2. 김진경, 국학의관점에서보는역사교육의문제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17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4. 8. 김진경, 주( 周 ) 무왕의분봉지와기자조선의위치에관한연구, 고조선연구 제3호, 고조선학회, 2014. 8. 김진경, 환단고기 의진위 ( 眞僞 ) 에관한고찰 (I), 고조선연구 제4 호, 고조선학회, 2015. 2. - 5 -

[ 그림 2] 안동도호부 ( 요양 ), 발해상경, 낙랑군등 ( 모두위사임 ) 그런데그간의선행연구들은 삼국사기 8), 삼국유사, 중국 25사등의사료에위사 ( 僞史 ) 란있을수없다는전제하에추진되었다고볼수있다. 9) 즉, ( 단군 ) 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등우리나라고대국가들의강역 ( 疆域 ) 이잘못알려져있음을알수있다., 천제해모수의흘승골성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 19 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5. 8. 8) 고려사 세가권제 17 인종 23 년 (1145 년 ) 에따르면, 김부식이 삼국사 ( 三國史 ) 를편찬하여바쳤다고기록되어있다. 그러나고려때 (1145 년 ) 김부식이지은 삼국사기 의본래명칭은 삼국사기 이다. 9) 이병도, 현도군고 및 낙랑군고 한국고대사연구, 1985. 수정판신채호, 평양패수고 단제신채호전집 하, 1972. 권오중, 전한시대의요동군 인문연구 17, 1995. 노태돈, 고조선중심지의변천에관한연구 한국사론 23, 1990. 서영수, 고조선의대외관계와강역의변동 동양학 29, 1999. 윤내현, 고조선의위치와강역 한국고대사신론, 1686. - 6 -

고대지명의위치비정결론 고구려평양성은현산동성덕주시 고구려마지막수도중경장안성은현하북성압록부탁주시동경 패수는현산동성오경하남경 압록수는현하북성호타하패수 압록수 환도성 부여부 국내성 장안성 상경 요하 압록강 대동강 부여성철리부요수요동성회원부 동평부 평양성 장령부 정리부 [ 그림 3] 고구려와진국 ( 발해 ) 주요지명들의추정위치다시말해서초 중 고 대역사교과서에우리나라고대국가들의주요지명과강역 ( 疆域 ) 이현재의요령성 길림성 흑룡강성그리고현재의우리나라땅에그려져있는실정이다. 그러나 삼국사기 와중국 23사 ( 史 ) 10) 지리지에삽입되어있는위사 ( 僞史 ) 들을분별하여걷어내고아직남아있는원본 ( 原本 ) 의기록에근거하면, 고구려의환도성, 국내성, 장안성, 평양성, 요동성, 압록수, 패수, 요수, 진국 ( 발해 ) 의 5경등고대국가의주요지명들의올바른위치를 [ 그림 3] 에서보는바와같이추정할수있다. 10) 23( ) : 한 ( 漢 ) 의사마천 ( 司馬遷 ) 이상고로부터한 ( 漢 ) 무제 ( 武帝 ) 때까지기록한 사기 ( 史記 ) 이후, 단대사 ( 斷代史 ) 로서매왕조마다사서 ( 史書 ) 가만들어졌다. 민국초에 신원사 ( 新元史 ) 가정사로추가되어 25사가되었다. 그런데청 ( 淸 ) 에대해서는민국초에 청사고 ( 淸史稿 ) 가나왔으나, 아직정사로서인정되지않았다. 따라서청 ( 淸 ) 대에편찬된 명사 ( 明史 ) 와 신원사 ( 新元史 ) 를제외시키면, 명 ( 明 ) 대에의도적으로위사를삽입할수있었던사서로서 23사 ( 史 ) 라고부를수있다. - 7 -

III. 위사 ( 僞史 ) 와진사 ( 眞史 ) 의분별 삼국사기 지리지제 4 권에따르면, 고구려평양성의위치에관 하여아래와같이기록되어있다. 평양성 ( 平壤城 ) 은지금 ( 고려 ) 의서경 ( 西京 ) 인듯하고, 패수 ( 浿水 ) 는대동강 ( 大同江 ) 이라는것이옳다. 그것을어떻게아는가? 당서 ( 唐書 ) 에 평양성 ( 平壤城 ) 은한 ( 漢 ) 나라의낙랑군 ( 樂浪郡 ) 이다. 산을따라굽이쳐둘러싸서성곽을만들고, 남쪽으로는패수 ( 浿水 ) 물가에닿았다. 고하였고, 또지 ( 志 ) 에서는 등주 ( 登州 ) 의동북쪽바다로나가서, 남쪽으로해안을끼고가면, 패강 ( 貝江 ) 입구초도 ( 椒島 ) 를지나신라 ( 新羅 ) 서북쪽이되었다. 고하였다. 또, 수나라양제 ( 煬帝 ) 의동정 ( 東征 ) 조서에서는다음과같이기록하였다. 창해도 ( 滄海道 ) 의군대는뱃머리가천리에이어지니, 높은돛은번개달리듯하고큰함정은구름날듯하여패강 ( 浿江 ) 을가로끊고평양 ( 平壤 ) 으로질러간다. 이로써말하면지금 ( 고려 ) 의대동강 ( 大同江 ) 이패수 ( 浿水 ) 라는것은명백하니, 서경 ( 西京 ) 이평양 ( 平壤 ) 이라는것도알수있다. 만약상기한 삼국사기 지리지의기록이올바르다면, 고구려평양성의위치는현재의이북평양시인근지역이어야만할것이다. 따라서현재초 중 고 대역사교과서에실려있는우리나라고대국가들의강역 ( 疆域 ) 이비록정교하지는못하다고할지라도지명의위치나국가의강역이크게틀렸다고볼수는없을것이다. 그러나상기한 삼국사기 지리지의기록은위사 ( 僞史 ) 임을입증할수있으며, 현재완질본이남아있는 삼국사 정덕본은조선중종 7년 (1512년) 에제4차판본을만들면서뜯어고쳐졌음을알수있다. 즉, 삼국사기 와중국 23사 ( 史 ) 지리지에서삽입되어있는위사 ( 僞史 ) 들을분별하여걷어내고아직남아있는원본 ( 原本 ) 의기록에근거하면, 고구려의평양성, 장안성, 환도성요동성등의위치를 [ 그림 3] 에서보는바와같이추정할수있는데, 중국 23( 史 ) 에서지명을변이시킨지리적인 - 8 -

기준점은현재의북경 ( 北京 ) 시라고볼수있다. 왜냐하면현재까지알려져있는바와같이춘추전국시대연 ( 燕 ) 의도읍지연도 ( 燕都 ) 가현재의북경시주변인근지역으로둔갑되어있기때문이다. 또춘추전국시대연 ( 燕 ) 의도읍지연도 ( 燕都 ) 가계 ( 薊 ) 라고불리던지역에있었는데, 한 ( 漢 ) 대에유주 ( 幽州 ) 치소가그곳에있었으며, 수 ( 隋 ) 대의탁군, 당 ( 唐 ) 대의유주도독부, 요 ( 遼 ) 대의남경, 금 ( 金 ) 대의중도가모두같은곳에있었다고기록되어있다. 즉, 중국 23사史 ) 의지리지들을모두종합하면, 춘추전국시대연 ( 燕 ) 의도읍지연도 ( 燕都 ) 를비롯하여한 ( 漢 ) 대의유주 ( 幽州 ), 수 ( 隋 ) 대에탁군, 당 ( 唐 ) 대의유주도독부, 요 ( 遼 ) 대의남경, 금 ( 金 ) 대의중도등이모두같은지역에있었던것으로기록되어있다. 그리고그곳은춘추전국시대에계 ( 薊 ) 라고불렸던곳이다. 그러나계 ( 薊 ) 는북경시주변인근지역이아니라현재의산서성둔유현인근지역에있었음을알수있다. 그근거는 구당서 지리지와 요사 지리지등에남아있는원본 ( 原本 ) 의기록들이다. 즉, 요사 지리지에따르면, 남경 ( 南京, 연경 ) 주변지역에있었던 10개지명간의거리와방향을고려하여배치도를그리면 [ 그림 4] 의왼편그림과같다. [ 그림 4] 남경 ( 연경 ) 주변지명배치도 ( 근거 : 요사 지리지제 4) - 9 -

[ 그림 5] 유주 ( 산서성둔유현 ) 과로 ( 산서성로성시 ) 추정지역 또 요사 지리지에서인용하고있는송 ( 宋 ) 왕증 ( 王曾 ) 의상거 란사 ( 上契丹事 ) 에근거하여, 웅주 ( 雄州 ) 백구역 ( 白溝驛 ) 에서하 ( 河 ) 를건너유주 ( 幽州 ) 연경 ( 燕京 ) 에도달하는경로 (230 리 ) 를따라 지명의배치관계를그려보면, [ 그림 4] 의오른편그림과같 다. 11) 역, 고안, 내수, 용성등은역주 ( 易州 ) 에속하는지명들이 다. 다시말해서 [ 그림 4] 의두그림에서남경 ( 연경 ) 과양향이공통 지명이므로왼편과오른편두그림은같은지역임을알수있다. 그런데 [ 그림 4] 의오른쪽그림아래에표기되어있는하수 ( 河 水 ) 를현재의황하인근지역의강 ( 江 ) 으로보고현대지도에서현 재의황하를따라가며관찰하면, 여러지명들이방향과거리에따 라 [ 그림 4] 와같이배치되어형성된지역을찾을수있다. 11) 요사 ( 遼史 ) 권 40 지리지제 4( 남경 ) : 宋王曾 上契丹事 曰 : 自雄州白溝驛渡河, 四十裏至新城縣, 古督亢亭之地. 又七十裏至涿州. 北渡範水, 劉李河, 六十裏至良鄉縣. 渡盧溝河, 六十裏至幽州, 號燕京. 子城就羅郭西南為之. 正南曰啟夏門, 內有元和殿, 東門曰宣和. 城中坊闬皆有樓. 有閔忠寺, 本唐太宗為征遼陣亡將士所造 ; 又有開泰寺, 魏王耶律漢寧造. 皆遣朝使遊觀. 南門外有於越王廨, 為宴集之所. 門外永平館, 舊名碣石館, 請和後易之. 南即桑乾河. - 10 -

[ 그림 6] 대청광여도 에표기되어있는유주, 연경등 ( 위사임 ) 즉, 춘추전국시대에연 ( 燕 ) 의수도연도 ( 燕都 ) 는유주 ( 幽州 ) 에있었는데, 계 ( 薊 ) 라고불렸으며, 당 ( 唐 ) 대에는유주대도독부가있었고, 요 ( 遼 ) 대에는남경 ( 연경 ) 이있었으며, 금 ( 金 ) 대에는중도 ( 中都 ) 가있었던곳이다. 다시말해서당 ( 唐 ) 대에유주도독부가있었으며, 요 ( 遼 ) 대의남경이있었던곳은 [ 그림 5]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산서성둔유 ( 屯留 ) 현인근지역임을알수있다. 그러나유주 ( 남경, 연경, 계현 ) 의위치를청 ( 淸 ) 대에제작한 대청광여도 에서찾아보면, [ 그림 6]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북경시로둔갑되어있는실정이다. 그런데 [ 그림 4] 에표기되어있는유주 ( 남경, 연경, 계현 ) 의위치를 [ 그림 7]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산동성둔유현에위치시키면, [ 그림 4] 에나타나는각지명들의위치를 [ 그림 7] 과같이확인할수있다. 즉, 각지명간의거리는당척 (1리 =540m) 으로서모두직선거리이며, 요사 지리지의기록과정확하게일치한다. - 11 -

[ 그림 7] 산서성과하북성경계지역 / 계, 양향, 로, 탁, 옹로등따라서중국 23사와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등사서에임의삽입되거나바꿔치기되어있는위사 ( 僞史 ) 들을분별해내고, 본래사서편찬당시의원본 ( 原本 ) 에해당하는진사 ( 眞史 ) 들에근거하면, 고대역사적지명들의올바른위치를찾아낼수있다. IV. 지명의올바른위치 1. 압록수, 비류수, 졸본천, 졸본부여등 삼국유사 에따르면, 동명제 ( 東明帝 ) 가북부여를이어일어나졸본주 ( 卒本州 ) 에도읍을세우고졸본부여라고했으며, 바로고구려의시조이다. 라고기록되어있다. 또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시조동명성왕 ( 東明聖王 ) 1년 ( 서기전 37년 ) 의기록에따르면, 고주몽이동부여 ( 東扶餘 ) 에서피신하여엄사수 ( 淹㴲水 ) 를거쳐졸본천 [ 卒本川, 위서 에서 흘승골성 ( 紇 - 12 -

升骨城 ) 에이르렀다. 고하였다.] 에이르렀으며, 비류수 ( 沸流水 ) 가에오두막을짓고살았는데, 나라이름을고구려 ( 高句麗 ) 라하였으며, 고 ( 高 ) 씨로성을삼았다. 고한다. 즉, 삼국유사 에따르면, 동명성왕이북부여에서왔다고기록되어있으며, 삼국사기 에따르면, 동명성왕 ( 고주몽 ) 이동부여에서왔다고기록되어있다. 그런데북부여이던지, 또는동부여이던지간에동명성왕 ( 고주몽 ) 이나라를세운곳은졸본천 ( 卒本川 ) 과비류수 ( 沸流水 ) 가있는곳으로서졸본주 ( 卒本州 ), 졸본부여, 흘승골성 ( 紇升骨城 ) 등으로불렀으며, 국호를고구려 ( 또는졸본부여 ) 라고했음을알수있다. 따라서졸본천 ( 卒本川 ) 과비류수 ( 沸流水 ), 또는흘승골성 ( 紇升骨城 ) 등의위치를찾을수있으면, 동명성왕 ( 고주몽 ) 이졸본부여 ( 고구려 ) 를세운지역을확인할수있게될것이다. 그런데졸본천 ( 卒本川 ) 과비류수 ( 沸流水 ) 의위치를 [ 그림 8]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하북성정주시주변지역으로추정할수있다. [ 그림 8] 환도성, 국내성 ( 현정주시 ), 장안성등추정위치 - 13 -

그근거는 신당서 지리지하북도에관한기록과 요사 지리지이다. 즉, 신당서 지리지하북도 12) 에따르면, 압록강구 ( 鴨淥江口 ) 에서 100여리가서작은배로동북방향으로 30리거슬러올라가면박작구 ( 泊汋口 ) 에도달하는데, 발해 ( 渤海 ) 국경이라고기록되어있다. 또 500리를거슬러올라가면환도현성 ( 丸都縣城 ) 에도달하는데옛고구려왕도 ( 高麗王都 ) 라고아래와같이기록되어있다. 등주 ( 登州 ) 로부터동북방향 으로해 ( 海 ) 를따라가면, 대 사도 ( 大謝島 ) 귀흠도 ( 龜歆島 ) 말도 ( 末島 ) 오호도 ( 烏湖島 ) 까지 300 리이며, 북쪽으로 오호해 ( 烏湖海 ) 를 넘어가면 마석산 ( 馬石山 ) 동쪽의도리 진 ( 都里鎭 ) 까지 200 리이다. ( 도리진에서 ) 동쪽으로해안 을따라가면청리포 ( 靑泥浦 ) 도화포 ( 桃花浦 ) 향화포 ( 杏花 浦 ) 석인왕 ( 石人汪 ) 탁타만 ( 橐駝灣 ) 오골강 ( 烏骨江 ) 까지 800 리다. 남쪽으로해안을따라가면, 패강구 ( 貝江口 ) 초도 ( 椒島 ) 를 지나신라서북쪽의장구진 [ 그림 9] 신당서 지리지 ( 長口鎭 ) 에도달한다. 또진왕석교 ( 秦王石橋 ) 마전도 ( 麻田島 ) 고사 도 ( 古寺島 ) 득물도 ( 得物島 ) 를지나면 1,000 리거리에압록강 ( 鴨淥 12) ( 明 ) 대에현재의하북성을 직예성 이라고불렀다. 그런데당 ( 唐 ) 대에하북도가있었고 하북도 에관한지리지라면, 하북도 에관한내용이기록되어있어야할것이다. 즉, 신당서 지리지하북도에기록되어있는압록강 환도현성 고구려왕도 발해왕성등이모두현재의하북성지역에위치하고있었다고추정할수있다. - 14 -

江 ) 당은포구 ( 唐恩浦口 ) 가있다. 또동남쪽으로육로를 700리를가면신라왕성 ( 新羅王城 ) 에도달한다. 압록강구 ( 鴨淥江口 ) 에서 100여리가서작은배로동북방향으로 30리거슬러올라가면박작구 ( 泊汋口 ) 에도달하는데, 발해 ( 渤海 ) 국경이다. 또 500리를거슬러올라가면환도현성 ( 丸都縣城 ) 에도달하는데옛고구려왕도 ( 高麗王都 ) 이다. 삼국지 위서 ( 魏書 ) 권28 관구검전 ( 毌丘儉傳 ) 과권30 오환선비동이전 ( 烏丸鮮卑東夷傳 ) 을살펴보면, 모두고구려수도 ( 高句麗都 ) 가환도 ( 丸都 ) 라고쓰여있다. 삼국사기 ( 三國史記 ) 에서도환도 ( 丸都 ) 라고썼다. 또동북방향으로 200리거슬러올라가면신주 ( 神州 ) 에도달하고, 또육행으로 400리를가면현주 ( 顯州 ) 에도달하는데, 천보 ( 天寶, 742~ 755년 ) 중에 ( 발해 ) 왕 ( 王 ) 의수도였다. 또정북여동 ( 正北如東 ) 으로 600리를가면발해왕성 ( 渤海王城 ) 에도달한다. 즉, 상기기록에따라지명들간의배치도를그리면 [ 그림 9] 와같다. 다시말해서 [ 그림 9] 에서도리진인근지역에압록수입구가있었음을알수있는데, 압록수입구로추정할수있는현재의하북성천진 ( 天津 ) 시앞바다에서서쪽으로현재의호타하를거슬러서 500리 ~600리를올라가면환도현성 ( 丸都縣城 ) 에도달함을알수있다. 바로환도현성 ( 丸都縣城 ) 이옛고구려왕도 ( 高麗王都 ) 였다고기록되어있으며, 거기서동북방향으로 200리를가면신주 ( 神州 ) 에도달하고, 또육행으로 400리를가면현주 ( 顯州 ) 에도달하는데, 당 ( 唐 ) 천보 ( 天寶, 742~755년 ) 중에 ( 발해 ) 왕 ( 王 ) 의수도였다고기록되어있다. 또 요사 지리지에따르면, 녹주 ( 신주 ), 환주, 풍주, 정주, 모주등의배치관계가아래와같이기록되어있다. 13) 13) 권38 지리지제2 : 淥州, 鴨淥軍, 節度 本高麗故國, 渤海號西京鴨淥府 城高三丈, 廣輪二十里, 都督神 桓 正四州事 故縣三 : 神鹿 神 - 15 -

녹주 ( 淥州 ) 는본래옛고구려였는데, 발해가서경 ( 西京 ) 압록부 ( 鴨淥府 ) 라이름하였으며, 신주 ( 神州 ) 환주 ( 桓州 ) 풍주 ( 豊州 ) 정주 ( 正州 ) 등 4개주가속해있었다. 그중에서환주 ( 桓州 ) 는고구려의중도성 ( 中都城 ) 으로서환도현 ( 桓都縣 ) 신향현 ( 神鄕縣 ) 기수현 ( 淇水縣 ) 등 3개 [ 그림 10] 요사 지리지( 녹주 ) 현 ( 縣 ) 이있었으며, 5세손고쇠 ( 高釗 ) 가진 ( 晉 ) 강제 ( 康帝 ) 건원 ( 建元 ) 초 (343년) 에모용 ( 慕容 ) 에게패배하여궁실이불타버렸다. 풍주 ( 豊州 ) 는발해가반안군 ( 盤安郡 ) 을설치하였었는데, 안풍현 ( 安豊縣 ) 발각현 ( 渤恪縣 ) 습양현 ( 隰壤縣 ) 협석현 ( 硤石縣 ) 등 4개현이있었다. 정주 ( 正州 ) 는본래비류왕 ( 沸流王 ) 의옛땅이었는데, 공손강 ( 公孫康 ) 에게병합되었으며발해 ( 渤海 ) 가비류군 ( 沸流郡 ) 을설치하였다. 비류수 ( 沸流水 ) 가있으며, 동나현 ( 東那縣 ) 은본래한나라동내현 ( 東耐縣 ) 땅이었다. 모주 ( 慕州 ) 는본래발해안원부 ( 安遠府 ) 의땅이었으며모화현 ( 慕化縣 ) 과숭평현 ( 崇平縣 ) 이있었다. 劍門, 皆廢 大延琳叛, 遷餘黨於上京, 置易俗縣居之 在者戶二千 隸東京留守司 統州四 縣二 : 弘聞縣 神縣 桓州 高麗中都城, 故縣三 : 桓都 神鄉 淇水, 皆廢 高麗王於此創立宮闕, 國人謂之新國 五世孫釗, 晉康帝建元初 (343년) 爲慕容所敗, 宮室焚蕩 戶七百 隸淥州 在西南二百里 豐州 渤海置盤安郡, 故縣四 : 安豐 渤恪 隰壤 硤石, 皆廢 戶三百 隸淥州 在東北二百一十里 正州 本沸流王故地, 國爲公孫康所並 渤海置沸流郡 有沸流水 戶五百 隸淥州 在西北三百八十里 統縣一 : 東那縣 本漢東耐縣地 在州西七十里 慕州 本渤海安遠府地, 故縣二 : 慕化 崇平, 久廢 戶二百 隸淥州 在西北二百里 - 16 -

즉, 요 ( 遼 ) 대의환주 ( 桓州 ) 와녹주 ( 淥州 ) 가고구려의환도 ( 丸都 ) 와신주 ( 神州 ) 였음을알수있으며, 신당서 지리지하북도의기록과일치함을알수있다. 다시말해서 신당서 지리지하북도의기록에서압록강입구를현재의하북성천진시앞바다로설정하면, 방향과거리에따라고구려의환도, 신주, 현주등의위치를찾을수있다. 즉, [ 그림 9] 과 [ 그림 10] 에서보는바와같이환도 ( 丸都 ) 는환도현성 ( 丸都縣城 ), 신주 ( 神州 ) 는국내성 ( 國內城 ), 현주 ( 顯州 ) 는고구려마지막수도장안성 ( 長安城 ) 임을알수있다. 또 [ 그림 10] 을 [ 그림 8] 과비교해보면, 요 ( 遼 ) 대의정주 ( 正州 ) 는현재의하북성영구 ( 靈丘 ) 현으로추정할수있으며, 현재의하북성영구 ( 靈丘 ) 현에서흘러나오는당하 ( 唐河 ) 를비류수로추정할수있다. 또현재의하북성호타하를압록수로추정할수있는데, 삼국사기 에기록되어있는엄사수 ( 淹㴲水 ) 로볼수있으며, 현재의하북성사하 ( 沙河 ) 는졸본천 ( 卒本川 ) 으로추정할수있다. 즉, [ 그림 8] 에서보는바와같이졸본천과비류수가있는현재의하북성석가장시정정현과정주시주변일대에졸본부여 ( 고구려 ) 가건국된것으로추정할수있다. 2. 환도성 ( 丸都城 ) 인가, 환도성 ( 桓都城 ) 인가? 그런데앞서 1절에서논한바와같이 신당서 지리지에따르면, 고구려왕도 ( 高麗王都 ) 의명칭을환도현성 ( 丸都縣城 ) 이라고기록하였다. 또특별히 삼국지 위서 ( 魏書 ) 권28 관구검전 ( 毌丘儉傳 ) 과권30 오환선비동이전 ( 烏丸鮮卑東夷傳 ) 을인용하면서모두고구려수도 ( 高句麗都 ) 가환도 ( 丸都 ) 라고기록되어있다고강조하고있다. 더욱이 삼국사기 ( 三國史記 ) 를인용하면서 삼국사기 에도고구려도읍지를환도 ( 丸都 ) 라고기록했다고강조하고있다. 그러나이상하지않은가? 삼국사기 ( 三國史記 ) 는 1145년에편찬되었다. 그러나 신당 - 17 -

서 는 1060년에완성되었다. 즉, 신당서 가뜯어고쳐졌음을입증하는증거인것이다. 다시말해서 삼국사기 ( 三國史記 ) 가편찬된 1145년이후에명 ( 明 ) 대의사관들에의하여 1421~1512년사이에 신당서 등중국 23사 ( 史 ) 가뜯어고쳐진것으로추론할수있는데, 조선중종 7년 (1512년) 에뜯어고쳐진 삼국사기 ( 三國史記 ) 를인용하였으므로 1512년이후에 신당서 등을다시한번뜯어고친것으로추론할수있다. 또 삼국지 위서 ( 魏書 ) 도환도 ( 桓都 ) 를환도 ( 丸都 ) 라고뜯어고쳤음을알아챌수있다. 그런데환도 ( 桓都 ) 를환도 ( 丸都 ) 라고고치는것은단순히글자한자를고치는것에불과한것이아니라, 환 ( 桓 ) 의정신세계또는어떤특별한의미의가치를역사에서지워버린것임을알아챌수있다. 왜냐하면 삼국유사 ( 三國遺事 ) 에따르면, 맨첫머리에석유환국 ( 昔有桓國 ) 이라고기록되어있는데, 환국 ( 桓國 ) 이있었음을밝히고있기때문이다. 즉, 환국 ( 桓國 ) 이있었으므로 환도 ( 桓都 ) 가있었으며, 환도현 ( 桓都縣 ) 과환도현성 ( 桓都縣城 ) 등이남아있었던것으로추론할수있는것이다. 다시말해서환도성 ( 桓都城 ) 을없애버리고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고치지않을수없었던역사가아직도감춰져있다고추론할수있다. 3. 안시성 ( 安市城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보장왕 ( 寶藏王 ) 4년 (645년) 의기록에따르면, 당군 ( 唐軍 ) 이안시성 ( 安市城 ) 을공격할때, 당군 ( 唐軍 ) 이성 ( 城 ) 의동남모퉁이에토산을쌓자, 고구려군도성안에서성을더욱높여서당군 ( 唐軍 ) 의침입을막았으며, 충거와포석 ( 礮石 ) 으로망루와성가퀴를무너뜨리면, 성안에서도목책을세워그무너진곳을막았다고한다. - 18 -

또당군 ( 唐軍 ) 이산을쌓기를밤낮을쉬지않고무릇 60일에인원 50만을동원하였으며, 순번을나누어고구려군과하루에 6~7 회맞붙어싸웠지만성을빼앗을수없었다고한다. 결국당 ( 唐 ) 태종이세민은요 ( 遼 ) 의좌측이일찍춥고, 풀이마르고물이얼어, 병사와말이오래머물기어렵고, 양식이다되어가므로군사를돌리도록명하였다. 그런데그당시당군 ( 唐軍 ) 이퇴각하는경로에관하여아래와같이기록되어있다. 세적과도종에게명하여보병과기병 4만명을거느리고후군 ( 後軍 ) 을삼게하였다. 요동 ( 遼東 ) 에이르러요수 ( 遼水 ) 를건너는데요택 ( 遼澤 ) 이진흙과바닥에고인물로수레와말이지나갈수없었다. 즉, 그당시 (645년) 당군 ( 唐軍 ) 의공격최종목표는고구려의마지막도읍지장안성 ( 長安城 ) 이었는데, 그위치는 [ 그림 3] 에서보는바와같이현재의하북성탁주 ( 涿州 ) 시마두 ( 馬頭 ) 로추정할수있다. 왜냐하면앞서 1절에서논한바와같이 신당서 와 요사 지리지에따르면, 현주 ( 顯州 ) 에고구려마지막수도장안성 ( 長安城 ) 이있었음을알수있기때문이다. 그런데당 ( 唐 ) 태종이세민이안시성 ( 安市城 ) 공격에실패하자퇴각하였는데, 요동을거쳐요수를건너도망갔다. 따라서안시성은장안성 ( 長安城 ) 과요동성 ( 遼東城 ) 사이에있었음을알아챌수있다. 비록일부지역에서는우회했다고하더라도안시성은장안성 ( 長安城 ) 과요동성 ( 遼東城 ) 을잇는선 ( 線 ) 상주변지역에있었음을알수있으며, 그지역은 [ 그림 11] 에서보는바와같다. 또 신당서 동이열전 14) 에따르면, 마자수 ( 馬訾水 ) 가말갈 ( 靺鞨 ) 14) 권제 220 동이열전 : 高麗, 本扶餘別種也. 地東跨海距新羅, 南亦跨海距百濟, 西北度遼水與營州接, 北靺鞨. 其君居平壤城, 亦謂長安城, 漢樂浪郡 - 19 -

백산 ( 白山 ) 에서출원하는데압록수 ( 鴨淥水 ) 라고부르며국내성 ( 國內城 ) 을서쪽으로지나가서염난수 ( 鹽難水 ) 와합쳐지며서남쪽으로흘러안시 ( 安市 ) 를지나해 ( 海 ) 로들어갔다고기록되어있다. 즉, 상기한 신당서 동이열전의기록에는압록수가마치동쪽에서서쪽으로흐른것처럼기록되어있다. 그러나상기한 신당서 동이열전의기록을 [ 그림 8] 에적용해보면, 국내성 ( 國內城 ) 과안시성 ( 安市城 ) 이마치현재의평안도압록강주변에있었던것처럼바꿔치기한위사 ( 僞史 ) 임을알아챌수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안시 ( 安市 ) 가안시성 ( 安市城 ) 으로서압록수 ( 鴨淥水 ) 주변에있었던지명으로고려해볼수있다. [ 그림 11], 去京師五千里而贏, 隨山屈繚爲, 南涯浿水, 王築宮其左. 又有國內城 漢城, 號別都. 水有大遼 少遼 : 大遼出靺鞨西南山, 南歷安市城, 少遼出遼山西, 亦南流, 有梁水出塞外, 西行與之合. 有馬訾水出靺鞨之白山, 色若鴨頭, 號鴨淥水, 歷國內城西, 與鹽難水合, 又西南至安市, 入于海. 而平壤在鴨淥東南, 以巨艫濟人, 因恃以爲塹 - 20 -

또 삼국유사 흥법 ( 興法 ) 제3에따르면, 고구려가안시성 ( 安市城 ) 에도읍을정했는데, 일명안정홀 ( 安丁忽 ) 이라고도했으며, 요수 ( 遼水 ) 의북쪽에있는데, 요수는일명압록 ( 鴨綠 ) 이라고도하며, 지금은안민강 ( 安民江 ) 이라고한다고기록되어있다. 즉, [ 그림 3] 에서보는바와같이요수와압록은같은강이아니므로, 상기한 삼국유사 의기록은잘못기록된것으로볼수있다. 그러나고구려가안시성에도읍을정했었다고하므로, 고구려가도읍으로삼았던환도성 ( 桓都城 ) 또는국내성 ( 國內城 ) 이안시성이었던것으로볼수있다. 또상기한 삼국유사 에서안시성이요수의북쪽에있다고기록되어있으나, 일명압록 ( 鴨綠 ) 이라고했으므로, 안시성은압록 ( 鴨綠 ) 의북쪽에있었던것으로추정할수있다. 그런데 삼국유사 왕력 ( 王曆 ) 편에따르면, 고구려제16대왕국원왕 ( 國原王 ) 이임인년 (342년) 8월에안시성 ( 安市城 ) 으로도읍을옮겼는데, 곧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기록되어있다. 물론여기도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기록되어있으나, 앞서 2절에서논한바와같이본래환도성 ( 桓都城 ) 이었던것으로추정할수있다. V. 맺는글환도성 ( 桓都城 ) 은바로현재의하북성석가장시정정 ( 正定 ) 현에있는정정영시성 ( 正定影視城 ) 으로추정할수있다. 그근거는 신당서 와 요사 지리지이다. 비록 신당서 와 요사 등중국 23사 ( 史 ) 에고대지명을북쪽또는동쪽으로변이시키는위사 ( 僞史 ) 들이곳곳에삽입되어있으나, 위사들을분별해서뽑아내고사서 ( 史書 ) 편찬당시의원본 ( 原本 ) 으로추정할수있는진사 ( 眞史 ) 들에근거함으로써환도성 ( 桓都城 ) 의위치를추정할수있었다. 그런데사서마다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기록되어있다. 그러나명 - 21 -

( 明 ) 대 1421~1512년기간중에중국 23사를뜯어고치면서환도성 ( 桓都城 ) 을환도성 ( 丸都城 ) 이라고바꿔치기한것으로추론할수있다. 본래환도성 ( 桓都城 ) 이었음을알아챌수있었던동기는 요사 지리지이다. 즉, 요 ( 遼 ) 대의환주 ( 桓州 ) 는고구려의중도성 ( 中都城 ) 이었는데, 환도현 ( 桓都縣 ) 신향현 ( 神鄕縣 ) 기수현 ( 淇水縣 ) 등 3개현 ( 縣 ) 이있었으며, 5세손고쇠 ( 高釗 ) 가진 ( 晉 ) 강제 ( 康帝 ) 건원 ( 建元 ) 초 (343년) 에모용 ( 慕容 ) 에게패배하여궁실이불타버렸다고기록되어있다. 다시말해서고구려시기에환도현 ( 桓都縣 ) 이있었는데, 고구려의중도성 ( 中都城 ) 으로서환도현성 ( 桓都縣城 ) 이있었으며, 요 ( 遼 ) 대에는그지역을환주 ( 桓州 ) 라고불렀음을알수있다. 또 삼국유사 에따르면, 석유환국 ( 昔有桓國 ) 이라고기록되어있는데, 환국 ( 桓國 ) 이실제나라 ( 國 ) 로서존재했을수도있다는실마리를환도 ( 桓都 ), 환도현 ( 桓都縣 ), 환주 ( 桓州 ) 등지명으로부터추론할수있게되었다. [ 그림 12] 정정영시성남문 즉, 환국 ( 桓國 ) 이어떤정치적이념과어떤문화사상적인사유 - 22 -

( 思惟 ) 세계를영위 ( 營爲 ) 했는지아직은구체적으로알수는없으나, 환국 ( 桓國 ) 이있었으므로지명으로서환도 ( 桓都 ) 가있었고, 환도현 ( 桓都縣 ) 또는환도성 ( 桓都城 ) 이있었다고추론할수있을것이다. 그런데환도성 ( 桓都城 ) 이바로 645년에당 ( 唐 ) 태종이세민의대군을패퇴시킨안시성 ( 安市城 ) 이었음을알수있다. 즉, 삼국유사 왕력편에따르면, 안시성이바로환도성이라고기록되어있다. 또환도성 ( 桓都城 ) 이자안시성 ( 安市城 ) 이라고불렸던성 ( 城 ) 의위치를현재의하북성석가장시정정현으로추정할수있는데, 현재 정정영시성 ( 正定影視城 ) 이라고불리고있는성을그유적으로추정할수있으며, 구글어스가제공하는정정영시성의모습은 [ 그림 12] 와같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三國史記 ) 삼국유사( 三國遺事 ) 규원사화( 揆園史話 ) 사기( 史記 ) 한서( 漢書 ) 후한서( 後漢書 ) 삼국지( 三國志 ) 진서 ( 晉書 ) 위서( 魏書 ) 수서( 隋書 ) 구당서( 舊唐書 ) 신당서( 新唐書 ) 통전( 通典 ) 요사( 遼史 ) - 23 -

금사( 金史 ) 흠정만주원류고( 欽定滿洲源流考 ) 대청광여도( 大淸廣輿圖 ), 고대요수 ( 遼水 ) 의위치비정 ( 比定 ) 에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국제뇌교육대학원대학교, 2012. 2. 김진경, 고구려평양성에서바라보는초주 ( 椒州 ) 와해주 ( 海州 ), 어드북스, 2012. 6. 20. 김진경, 조선 600년간의비밀, 요동 ( 遼東 ) 과부여 ( 夫餘 ), 어드북스, 2013. 1. 10 김진경, 만천년역사의비밀태백과압록, 어드북스, 2014. 6. 20. 김진경, 백제 900년의비밀관미와고평, 어드북스, 2015. 4. 29. 김진경, 탁록( 涿鹿 ) 의위치비정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13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2. 8. 김진경, 갈석산 ( 碣石山 ) 의위치비정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 15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3. 8. 김진경, 고조선의도읍지, 건국 ( 建國 ) 년도, 국호등에관한고찰, 선도문화 제16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4. 2. 김진경, 국학의관점에서보는역사교육의문제에관한연구, 선도문화 제17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출판부, 2014. 8. 김진경, 주( 周 ) 무왕의분봉지와기자조선의위치에관한연구, 고조선연구 제3호, 고조선학회, 2014. 8. 김진경, 환단고기 의진위 ( 眞僞 ) 에관한고찰 (I), 고조선연구 제4호, 고조선학회, 2015. 2. 이근철, 대종교경전으로본 환단고기 ( 桓檀古記 ) 진위문제, 선도문화 제16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2. 이병도, 현도군고 및 낙랑군고 한국고대사연구, 1985. 수정판신채호, 평양패수고 단제신채호전집 하, 1972. 권오중, 전한시대의요동군 인문연구 17, 1995. 노태돈, 고조선중심지의변천에관한연구 한국사론 23, 1990. 서영수, 고조선의대외관계와강역의변동 동양학 29, 1999. 윤내현, 고조선의위치와강역 한국고대사신론, 1686. - 24 -

Abstract A Study on the location of the Hwando( 桓都 ) Castle and the Ansi( 安市 ) Castle Kim, Jin-Kyoung Ph. D. of National Studies, National Uni. of Pukyong The 'Suk-u-hwan-kuk( 昔有桓國 )' is recorded on the Samkuksagi, The phrase means that there was a 'Hwan-kuk( 桓國 )' at the long time ago. According to the Yosa( 遼史 ) appeals the geographic name which is called a 'hwan-ju( 桓州 )' or a 'hwan-do-hyun( 桓都縣 )'. So it could be reasoned that the history of the 'Hwan-kuk ( 桓國 )' existed for very long period, but its concrete record can't be discovered yet. However the 'Hwando( 桓都 ) Castle' is recorded on the Samkuksagi or the Samkukyousa as a early capital of Gokuryo. Namely, if we consider the the name of the 'Hwando( 桓都 ) Castle' c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Hwan-kuk( 桓國 )', it could be the start point to reason the ancient history which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Hwan-kuk( 桓國 )', the 'hwan-ju( 桓州 )', the 'hwan-do-hyun( 桓都縣 )', the 'Hwando( 桓都 ) Castle', etc. suggest, from the location of the 'Hwando( 桓都 ) Castle'. As the result, the original name of the 'Hwando( 丸都 ) - 25 -

Castle' as the early capital of Gokuryo is reasoned the 'Hwando( 桓都 ) Castle', and it also be the Ansi( 安市 ) Castle'. And the location of the 'Hwando( 桓都 ) Castle' could be assumed the present Jungjung( 正定 )-hyun, Sukgajang( 石家庄 )-city, Habook( 河北 ) province, and it also be the present Jungjungyoungsi( 正定影視 ) catle. Key wards : Hwando( 丸都 ) Castle, Hwando( 桓都 ) Castle, Ansi( 安市 ) Castle, Hwan-kuk( 桓國 ), Aprock( 鴨綠 ) river, Biryu( 沸流 ) river, Jolbon( 卒本 ) cheon - 26 -